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50
국국 국국국국 국국국 국국 국국 · 국국국국국 국국국 국국 국국국국국국

description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료협회. 한국사료협회. 설립일 : 1961.07 목적 : 배합사료산업의 기술향상과 축산업 및 사료산업 발전도모 협회조직 : 5 팀 1 소 2 사무소 기획 , 조사 , 구매 , 물류 , 총무팀 사료기술연구소 인천 , 부산사무소 회원사 : 민간배합사료 제조업체 41 개 회원업체 /61 개공장 생산량 10,790 천톤 ( ’ 07 년기준 ). 목 차.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of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Page 1: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료협회

Page 2: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료협회 설립일 : 1961.07

목적 : 배합사료산업의 기술향상과 축산업 및 사료산업 발전도모

협회조직 : 5 팀 1 소 2 사무소 기획 , 조사 , 구매 , 물류 , 총무팀

사료기술연구소

인천 , 부산사무소

회원사 : 민간배합사료 제조업체 41 개 회원업체 /61 개공장

생산량 10,790 천톤 (’07 년기준 )

Page 3: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목 차

Ⅰ. 배합사료 산업의 현황 Ⅱ . 축산업과 사료산업의 관계 Ⅲ . 국제 사료곡물시장의 유통구조 Ⅳ . 국제 사료원료가격의 급등 Ⅴ . 사료원료의 효율적 확보방안 Ⅵ . 곡물가격 급등이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Ⅶ . 곡물가격 급등이 국내 축산업에 미치는 영향 Ⅷ . 곡물가격 상승에 따른 국내 축산 / 사료산업의 대응노력

Page 4: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원료의 수입의존도 심화

국내 부존자원의 부족

실질 수입의존도 95% 상회

제조원가중 원재료비 비중 높아

배합사료의 원재료비 비중 80-85%

일반 음 , 식료품 제조업 평균 원재료비 비중 75.0% 수준

배합사료 가격은 국제사료원료가격 및 환율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

Ⅰ. 배합사료 산업의 현황1. 배합사료 산업의 특징

Page 5: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Ⅰ. 배합사료 산업의 현황

□ 연도별 축종별 생산량・1990 1997 2000 2006 2007

양계용 3,274 3,763 3,867 4,268 4,403

양돈용 3,551 5,062 5,215 5,175 5,409낙농용 1,790 2,087 1,892 1,539 1,450

비육용 1,667 4,367 3,340 3,574 3,880기 타 144 572 619 919 1,006

계 10,426 15,850 14,932 15,475 16,148

( 단위 : 천톤 )

* 2007 년 생산실적은 1997 년 금융위기 이전의 최고생산량 15,850 천톤을 상회한 16,148 천톤 기록 . * 매출규모 : 5 조 9 천억원 추정 * 2007 년 , 전년대비 4.4% 상승

2. 배합사료 생산동향

Page 6: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Ⅰ. 배합사료 산업의 현황□ 주요 사료용 원료 수입량

( 단위 : 천톤 )

1990 1997 2000 2006 2007옥수수 4,419 6,524 6,683 6,757 6,748소 맥 - 1,096 809 1,280 1,042대두박 441 731 1,141 1,709 1,916채종박 - 471 349 291 349기 타 2,335 4,251 4,896 4,647 5,315

계 7,195 13,073 13,878 14,684 15,370

* 세계에서 두번째 큰 사료원료 수입국 ( 일본 , 한국 )* 2007 년 34 억 2 천만불 (3 조 1,800 억원 ) 추정 ( 한국무역협회 통계 , 2007)

3. 주요원료 수입동향

Page 7: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Ⅰ. 배합사료 산업의 현황

□ 사료용 원료 수입비중

* 사료원료의 수입의존도 매년 심화

2007년

, 25.1%국산

, 74.9%수입

3. 주요원료 수입동향

Page 8: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Ⅰ. 배합사료 산업의 현황

□ 최근 단계의 특징 - 연구개발 기능의 강화 - 원료수입의 다양화 , 다변화 - 제품의 다양화 - 물류문제의 심각성 대두 - 축산물 수요증가의 둔화와 수입개방으로 인한 저율성장

4. 국내 배합사료 산업의 현황

Page 9: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Ⅱ. 축산업과 사료산업의 관계 □ 사료산업과 축산업의 관계 - 전후방산업 ( 불가분의 관계 ) - 사료원료가격의 상승 → 배합사료가격의 상승 → 축산물 생산비의 상승

□ 국내 축산업의 원가상승 불가피

- 국내 배합사료 가격 상승

(2006 년말 이후 30~35% 상승 )

□ 최근 사료산업과 축산업의 위기감 도래 - 국제 사료원료가격의 상승과 한 / 미 , 한 /EU FTA 체결 등

Page 10: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Ⅱ. 축산업과 사료산업의 관계 □ 축산물 생산비 중 사료비 비중 (2006 년 )

비육 ( 생체 600kg 당 생산비 ) 27.2

낙농 ( 우유 100ℓ 당 생산비 ) 53.2

양돈 ( 비육돈 생체 100kg 당 생산비 ) 45.6산란 ( 계란 100 개당 생산비 ) 47.0

육계 ( 생체 10kg 당 생산비 ) 50.5

자료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 단위 : %)

Page 11: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Ⅲ. 국제 사료곡물시장의 유통구조

□ 생산 (Product)옥수수

미국42.9%

중국19.1%브라질

6.4%

아르헨티나3.1%

기타28.5%

소맥

중국17.5%

인도12.5%

미국9.3%러시아

8.2%

기타52.5%

대두박

브라질15.2%

미국24.6%

중국18.9%아르헨티나

18.8%

기타23.8%

1. 주요 원료의 국가별 수급현황

Page 12: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Ⅲ. 국제 사료곡물시장의 유통구조

□ 수출 (Export)옥수수

아르헨티나15.9% 미국

63.4%

브라질8.1%

중국3.4%

기타6.5%

소맥

미국31.2%

호주7.5%

러시아11.7%

캐나다13.7%

기타35.1%

대두박

브라질22.3%

인도7.3%

아르헨티나50.6%

미국13.3%

기타6.8%

1. 주요 원료의 국가별 수급현황

Page 13: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Ⅲ. 국제 사료곡물시장의 유통구조

□ 옥수수2007년

, 8.9%기타,중국

21.2%

,미국77.5%

2005년

, 15.6%기타

, 21.7%중국

, 62.7%미국

2006년

, 3.6%기타

, 65.1%미국

, 31.3%중국

2. 주요 원료의 국가별 수입현황 ( 한국 )

Page 14: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Ⅲ. 국제 사료곡물시장의 유통구조

□ 소맥 ( 밀 )2007년

0%0%

중국100%

0%

2005년

기타1%

카나다90%

우크라이나8%

인도네시아1%

2006년

카나다40%

우크라이나28%

중국25%

기타7%

2. 주요 원료의 국가별 수입현황 ( 한국 )

Page 15: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Ⅲ. 국제 사료곡물시장의 유통구조

□ 대두박

2007년

브라질37%

아르헨티나24%

인도27%

기타12%

2005년

브라질60%

아르헨티나28%

인도10%

기타2%

2006년

브라질34%

아르헨티나35%

인도28%

기타3%

2. 주요 원료의 국가별 수입현황 ( 한국 )

Page 16: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Ⅲ. 국제 사료곡물시장의 유통구조

□ 미국 , 아르헨티나 , 카나다 , 호주 등 주요 생산국들에

의한

판매자 중심의 독과점 시장 형성

□ 국제적으로 교역되고 있는 수출량은 세계 총 생산량의

10% 내외

- 수출량의 대부분은 미국을 비롯한 주요 선진국들에

의해 공급

3. 세계의 곡물교역

Page 17: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Ⅲ. 국제 사료곡물시장의 유통구조

□ 옥수수는 세계 총 생산량의 12.3% 가 국제간에 교역 - 주요 수출국 : 미국 , 아르헨티나 , 중국 등 ( 미국이 전체 교역량의 66% 이상 차지 )

※ 최근 중국의 옥수수 수출경쟁력 약화로 인해 미국의 영향력 더욱 강화 ( 옥수수 수입국으로 전환 ) - 주요 수입국 : 일본 , 한국 , 멕시코 등 ( 과거 舊 소련이 가장 큰 수입국이었음 )

3. 세계의 곡물교역

Page 18: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Ⅲ. 국제 사료곡물시장의 유통구조

□ 소맥은 세계 총 생산량의 17.6% 가 국제간에 교역

- 주요 수출국 : 미국 , 호주 , 카나다 , EU, 아르헨티나 , 중국 등

- 주요 수입국 : 브라질 , 인도 , 러시아 등

□ 소맥의 경우 제분용으로 이용되는 식용소맥에 비해 다소

품질이 떨어지는 등외품 (Off Grade) 소맥을 사료용으로

이용

→ 사료적 가치 우수 , 사료비 절감에 도움이 됨

※ 사료용 소맥의 경우 냉해 등으로 인한 Damage Wheat 가

발생할 경우 공급 증가

※ 최근 사료용 소맥이 수출국들의 자국내 이용과 소맥가격의

급등으로 품귀현상 초래

3. 세계의 곡물교역

Page 19: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Ⅲ. 국제 사료곡물시장의 유통구조

□ 국제적 곡물거래는 몇몇 선진 수출국들과 곡물메이저에

의한 시장지배력 점증

- 주요 사료원료 수출국 : 미국 , 카나다 , 호주 ,

아르헨티나 등

- 주요 곡물메이저 : 카길 , ADM. BUNGE, LDC, 미쓰비시 ,

마루베니 등

4. 국제곡물시장의 독과점 구조

Page 20: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Ⅲ. 국제 사료곡물시장의 유통구조 □ 시카고 곡물거래소 (CBOT)

- 국제 곡물시세를 좌우하는 주요 지침

* 미국산 옥수수 가격 → 중국 , 아르헨티나 , 남아공 옥수수가격에

영향을

미침

- 각국의 수출정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가격선도자적 기능

* 중국의 양유공사 수출가격 결정에 지표가 됨

* 카나다 , 호주의 사료용 소맥 및 타피오카 가격결정에도 영향을 미침

* 미산 대두박 가격 또한 인도 및 남미산 대두박 가격과 여타

식물성박류 가격결정의 지표가 됨

4. 국제곡물시장의 독과점 구조

Page 21: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Ⅳ. 국제 사료원료가격의 급등

06 평균(A)

07.6(B)

07.12(C)

최근구매가격 (D)

상승율 (%)

D/A D/C

옥수수 143.6 210.3 238.4 340.0 136.7 42.6소맥 140.2 207.8 223.3 512.0 265.2 129.3

대두박 229.5 248.4 310.8 443.3 93.2 42.6소맥피 125.2 177.2 183.3 259.0 106.9 41.3채종박 143.3 156.0 195.6 321.0 124.0 64.1

대두 270.1 327.1 413.1 598.1 121.4 44.8알팔파 243.2 264.7 276.5 284.4 16.9 2.9풀사료 208.1 250.9 237.0 267.0 28.3 12.7 ※ 사료원료 가격의 구성요소

선물시세 + 물류저장비용 (Carrying Charge) + 선임 (Ocean Freight)

( 단위 : US$/MT) 1. 주요원료 가격동향

Page 22: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Ⅳ. 국제 사료원료가격의 급등 □ 사료용 주요원료 ( 옥수수 , 대두 , 대두박 ) 가격

추이 ( 단위 : US$/MT)

100.0200.0300.0400.0500.0600.0

옥수수 대두 대두박

1. 주요원료 가격동향

Page 23: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Ⅳ. 국제 사료원료가격의 급등

□ 금번 가격상승은 근본적이고 , 구조적인 문제에서 유발

- 과거 6 – 7 년 주기의 수급변동에 의한 현상과는 상이

□ 미산옥수수 재고율 하락 ( 에탄올산업의 활황 )

(07/08 옥수수 재고율 : 11.1%, 적정재고율 18.0% )

- 미국내 옥수수 사용량 중 에탄올 비중 : (’05)14%, (’07)23%, (’08 추정 )31%

- 폭발적인 에탄올 공장의 신설 (’07 년 현재 180 여개 ) 로 옥수수 사용량 급증

* 06/07 년 미국의 에탄올 수요량 : 54.6 백만톤→ 07/08 년 81.3 증가예상

- 옥수수 가격상승은 대두박 등 기타 원료가격 동반상승 견인

2. 원료가격 상승요인

Page 24: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Ⅳ. 국제 사료원료가격의 급등

□ 곡물 ( 옥수수 등 ) 을 이용한 에탄올 생산량 폭증

- 기존 식용 , 사료용 수요이외에 새로운 수요시장 형성

2004 2005 2006 2007총생산량 299.9 282.3 267.6 332.1

총수요량 (A) 224.7 231.7 238.1 266.8에탄올용 (B) 33.6 40.7 54.6 81.3

B/A(%) 14.9 17.5 22.9 30.5주 ) 옥수수의 에탄올 사용량의 경우 , 2008 년 101.6 백만톤 , 2010 년 203.2백만톤 으로의 폭발적인 수요 증가 전망 (Source : J'Oneil Consulting).

( 단위 : 백만톤 )

□ 미국내 옥수수의 총수요량 및 에탄올용 수요량 현황

2. 원료가격 상승요인

Page 25: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Ⅳ. 국제 사료원료가격의 급등

□ 농작물 ( 곡류 , 두류 등 ) 을 이용한 바이오 연료의 생산 증가

- 에탄올 : 옥수수 , 소맥 , 사탕수수 , 타피오카 이용

- 바이오디젤 : 콩 , 채종 , 팜 이용

- 미국 , 카나다 , 남미 , 중국 등 바이오 연료사용 법제화

□ 주요수출국들의 원자재 ( 농산물 ) 민족주의 경향

- 소맥 , 대두 등 수출세 부과 ( 수출제한조치 시행 )

2. 원료가격 상승요인

Page 26: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Ⅳ. 국제 사료원료가격의 급등

□ 2006 년 이후 중국의 옥수수 수출물량 제한

- 중국산 옥수수 수출량 :

(‘01) 7.3 백만톤 (‘03) 15.2 (‘05) 4.0 (’08 전망 ) 0.5

□ 중국 ・ 인도 등 신흥국가의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농산물 축산물 소비증가・

2. 원료가격 상승요인

Page 27: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Ⅳ. 국제 사료원료가격의 급등

□ 호주의 한발 (Drought) 에 따른 기타 곡물 수급 불안정 심화

- 2006 년 하반기 이후 루핀시드 ( 연간 30 여만톤 수입 ) 공급 중단

- 호주산 소맥 수출 중단으로 캐나다 및 유럽산 소맥 가격 급등

□ 동남아 경제성장에 따른 열대식물성 박류 가격 급등

- 축산업 발달로 사료수요가 급증하여 수출여력 감소

- 경제성장에 따른 인력난으로 열대 식물성 박류 가공능력 저하

- 특히 야자박 수요가 증가하여 가격 급등 초래

( 야자박 가격 : ’08 년 1 월 통관가격 170.7$, 전년대비 24% 상승 )

2. 원료가격 상승요인

Page 28: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Ⅳ. 국제 사료원료가격의 급등

□ 해상운임 (Ocean Freight) 및 환율 상승

품 목 2007.3 월(A)

2007.9 월(B)

08.3 월 25 일 현재 (C)

증감율

(C/A,%)

증감율

(C/B,%)

선임 (GULF) 63.7 95.2 105.0 64.8 10.3

환율 ( 원 /$) 943 932 988 4.8 6.0

( 단위 : US$/MT)

2. 원료가격 상승요인

Page 29: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Ⅳ. 국제 사료원료가격의 급등□ 해상운임 (Ocean Freight) 상승요인

■ 중국 등 주요 신흥국들의 원자재 ( 석탄 , 철강 등 ) 수요 집중

■ 호주 , 브라질 등 주요항구의 체선 ( 항해일수 증가 )

■ 사료용곡물 운송선박인 파나막스급 선박의 노후화 및 신 선조실적 저조

- 주요 원자재 운송량증가로 Capesize(15 만톤 plus) 와

Container 선박위주로 신선조 활발히 진행

■ 최근 수년간 신건조 비용의 증가□ 환율상승으로 원료가격 및 선임상승 이외의 또다른

사료제조

원가 요인의 발생

2. 원료가격 상승요인

Page 30: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Ⅳ. 국제 사료원료가격의 급등

25.3 28.9 37.2 38.3 39.8 36.447.6 46.5

59.3

91.078.0

58.0 63.0

34.7 32.644.6 48.8 52.6 57.6

67.3 72.787.4

112.0 109.899.0 105.0

0.020.040.060.080.0

100.0120.0

PNWGULF

□ 해상운임(Ocean Freight)의 상승추이

※ BDI( 건화물 운임지수 ) : 2007 년 11 월 13 일 11,039 포인트로 사상 최고치 기록

( 단위 : US$/MT)

2. 원료가격 상승요인

Page 31: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Ⅳ. 국제 사료원료가격의 급등

□ 옥수수 등 농산물의 세계적인 낮은 재고율은 당분간 유지 전망

- 에탄올 등 바이오에너지 산업의 급신장 예견

- 중국 , 인도 등 신흥국가의 경제성장 가속화에 따른 수요 증가

□ 미산 옥수수의 국내 소비량 중 기타 ( 에탄올 제조용 ) 용도의 사용량 급증 ( 사료용 : 기타 = 57 : 43 )

□ 재고율 ( 재고량 / 총사용량 ) :

05/06(22.4%) → 06/07(6.4%) → 07/08(11.1)

3. 세계 사료곡물 수급전망

Page 32: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Ⅳ. 국제 사료원료가격의 급등

□ 미국의 주요곡물 수급전망 (2007/2008)옥 수 수 소 맥 대 두

기초재고 33.11 12.4156.252.45

71.11

15.6270.360.1686.14

생 산 332.09수 입 0.38총 공 급 365.58

국내소비 266.84 31.192.99

28.2033.3464.536.58

54.4449.944.5027.9082.343.81

- 사료용 151.14- 기 타 115.70수출용 62.23총사용 329.07

기말재고 36.52

재고율 (%) 11.10 10.20 4.63자료 : 미국농무성 , USDA, Crop Report, 2008.3

( 단위 : 백만톤 , %)

3. 세계 사료곡물 수급전망

Page 33: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Ⅴ. 사료원료의 효율적 확보방안

□ 위험분산을 위한 구매방법의 다양화( 경쟁입찰 , 수의계약 , 선물거래 방식 )

□ Long Term 구매를 통한 물량확보

□ 수입선 다변화 ( 개발수입 검토 : 연해주 , 중앙아시아 )

□ 수입원료의 다양화 (DDGS, 타피오카 칩 등 )

- 에탄올 부산물인 DDGS 에 대한 관심 고조

□ 곡물 유통산업의 참여

( 일본의 Post Harvest 전략 : 産地 엘리베이터 확보 )

1. 단기적 차원

2. 장기적 차원

Page 34: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Ⅵ. 곡물가격 급등이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 배합사료 제조비용 중 원재료비 비중 : 80.8%

□ 사료원료의 해외의존도 : 75%( 실질의존율 95% 이상 )

※ 우리나라 곡물자급도 : 25%(2007 년 기준 )

사료생산 전문기업의 경영수지 (22 개사 공시내역 기준 )

□ 매출액 : 2006 년 (16,119 억원 ) → 2007 년 (18,546 억원 )

□ 순이익 : 2006 년 (544 억원 ) → 2007 년 (118 억원 )

1. 제조원가 상승

2. 배합사료기업 경영수지 악화

Page 35: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Ⅵ. 곡물가격 급등이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3. 배합사료 가격 인상요인

품 목사료원료 가격 원료가격상 승 율

(%)

원 료사용비(%)

인상요율(%)

인상요인(%)’06.11 ’08.4

옥수수 138 363 163 49 79.9 63.9

대두박 256 525 105 15 15.8 12.6

기타원료 100 36 36.0 28.8

계 100 131.7 105.3

※ 인상요인 : 인상요율ⅹ 80%( 원가구성중 원료비 비중 )

Page 36: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Ⅶ. 곡물가격 급등이 국내 축산업에 미치는 영향 1. 배합사료 가격 상승

□ 배합사료 가격 인상추이 ’06.11(5~8%), ’07.3(6~8%), ’07.6(5~8%), ’07.9(5~6%), ’08.1(6~7%), ’08.3(7~9%), ’08.4(9~11%)

※ 누적인상율 (’06.11~’08.5) : 62.0% 인상

배합사료 가격동향

278312 326

384380406 421

454

299 320 341371

250 273299

330

200250300350400450500

2007.1월 2007.6월 2007.12월 2008.3월

양계용 양돈용 젖소용 고기소

( 단위 : 원 /kg)

Page 37: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Ⅶ. 곡물가격 급등이 국내 축산업에 미치는 영향

비육 ( 생체 600kg 당 생산비 ) 27.2

낙농 ( 우유 100ℓ 당 생산비 ) 53.2

양돈 ( 비육돈 생체 100kg 당 생산비 ) 45.6산란 ( 계란 100 개당 생산비 ) 47.0

육계 ( 생체 10kg 당 생산비 ) 50.5

2. 축산물 생산비 중 사료비 비중 (2006 년 )

( 단위 : %)

Page 38: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Ⅶ. 곡물가격 급등이 국내 축산업에 미치는 영향 3. 국내 축산업 생산액

□ 농림업 생산액 순위

1. 미곡 8조 4057억원

2. 돼지 3조 6090억원

3. 한육우 3조 2735억원

4. 우유 1조 5213억원

5. 닭 1조 3300억원

6. 계란 8674억원

Page 39: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Ⅶ. 곡물가격 급등이 국내 축산업에 미치는 영향 4. 양돈업에 미치는

영향

□ 생산비 인상효과

생산비 중 사료비 비중 : 45.6%

배합사료 가격인상율 (’06.11~’08.5) : 62.0%

돼지고기 생산비 인상효과 : 28.3%

※ 사료비 1% 상승시 생산비 인상효과

: 0.46%

Page 40: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Ⅶ. 곡물가격 급등이 국내 축산업에 미치는 영향 4. 양돈업에 미치는

영향

□ 비육돈 생산비 및 산지가격 추이 ( 단위 : 천원 /100kg)

생산비 (A) 산지가격 (B) 순수익 (B-A)1989 114 109 ∆ 51990 123 145 222000 152 166 142005 174 253 792006 174 248 742007 221

2008.3 2102008.4 현재 279

Page 41: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Ⅶ. 곡물가격 급등이 국내 축산업에 미치는 영향 4. 양돈업에 미치는

영향□ 비육돈 경영수지 변화 ( 비육돈 100kg 환산 )

2006 년 2007 년 2008 년 (E)산지가격 (A) 248,000 221,000 198,900

생산비사료비 79,279 99,099 123,874가축비 54,624 49,636 44,673

기타비용 39,939 41,936 44,033계 (B) 173,842 190,671 212,580

순 수 익 35,686 30,329 ∆13,680

( 단위 : 원 /100kg)조건 :‘08 산지가격 10% 하락 , 사료비 ’ 07,’08 각각 25% 상승

Page 42: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Ⅶ. 곡물가격 급등이 국내 축산업에 미치는 영향 4. 양돈업에 미치는

영향

□ 비육돈 경영수지 변화 ( 비육돈 100kg 환산 )

2006 년 2007 년 2008 년 (E)산지가격 (A) 248,000 221,000 192,270

생산비사료비 118,778 133,364 146,364가축비 54,580 54,580 54,580

기타비용 38,956 40,043 41,236계 (B) 212,314 227,987 242,180

순 수 익 35,686 ∆6,987 ∆49,921

( 단위 : 원 /100kg)

※ 대한양돈협회 추정자료 : 폐사율 (25%) 고려

Page 43: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Ⅶ. 곡물가격 급등이 국내 축산업에 미치는 영향 5. 한육우에 미치는

영향

□ 생산비 인상효과

생산비 중 사료비 비중 : 27.2%

배합사료 가격인상율 (’06.11~’08.5) : 62.0%

쇠고기 생산비 인상효과 : 16.9%

※ 사료비 1% 상승시 생산비 인상효과

: 0.27%

Page 44: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Ⅶ. 곡물가격 급등이 국내 축산업에 미치는 영향 5. 한육우에 미치는

영향

□ 비육우 생산비 및 산지가격 추이 ( 단위 : 천원 /600kg)

생산비 (A) 산지가격 (B) 순수익 (B-A)1990 2,210 2,319 1091995 2,743 3,109 3662000 2,173 2,752 5792005 4,594 4,651 572006 4,539 4,251 ∆ 2882007 4,146

2008.3 4,0972008.4 현재 3,740

Page 45: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Ⅶ. 곡물가격 급등이 국내 축산업에 미치는 영향 5. 한육우에 미치는

영향

□ 비육우 경영수지 변화 ( 비육우 600kg 암소 기준 )

2006 년 2007 년 2008 년 (E)산지가격 (A) 4,251 4,146 3,731

생산비사료비 1,235 1,544 1,930가축비 2,077 1,869 1,682

기타비용 1,227 1,288 1,352계 (B) 4,539 4,701 4,964

순 수 익 ∆ 288 ∆ 555 ∆ 1,233

( 단위 : 천원 /600kg)

조건 :‘08 산지가격 10% 하락 , 사료비 ’ 07,’08 각각 25% 상승

Page 46: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Ⅶ. 곡물가격 급등이 국내 축산업에 미치는 영향 ※ 미산쇠고기 수입확대에 따른 파급영향 (KREI 분

석 )

2008 년중 미산 쇠고기 수입량 전년대비 20~40% 증가 전망

(2007 년 쇠고기 수입량 20 만 3 천톤에서 24 만톤 ~28 만톤까지

확대 전망 )

40% 증가시 한우는 14.2%, 돼지 8.8%, 닭 5.5% 가격하락 예상

사육두수 감소율 (%) 전망 :

한우 (0.4~1.0), 돼지 (0.2~0.6), 육계 (0.5~1.5)

Page 47: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곡물가격 상승에 따른 국내 축산 / 사료산업의 대응노력□ 자금지원 건의

농가 사료구매자금 지원액 상향 및 금리인하

사료기업 사료원료구매자금 지원 확대 및 금리인하

□ 세제지원 건의

부가가치세 의제매입세액 공제율 상향 조정

( 현행 2/102 → 상향 5/105)

수입 사료원료 전품목 무관세 적용

부가가치세 영세율 항구입법화

Page 48: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곡물가격 상승에 따른 국내 축산 / 사료산업의 대응노력□ 사료업계의 노력

사료구매선 다변화 및 새로운 사료원료 개발

사료곡물 선물거래 적극 검토

해외 사료자원 개발 노력

( 캄보디아에 사료자원 개발기지 건설 검토 )

□ 축산업계의 노력

생산성 향상

양돈 MSY( 모돈당 연간 출하두수 ) 상향 노력

( 현 MSY 14 두 → 20 두 이상 필요 )

Page 49: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

곡물가격 상승에 따른 국내 축산 / 사료산업의 대응노력□ 국내 축산업의 발상의 전환 필요 ( 私見 )

* 2006 한일간 1 인당 축산물 소비량

쇠고기 (kg) : 한국 (6.8), 일본 (9.6)

돼지고기 (kg) : 한국 (18.1), 일본 (19.5)

가금육 (kg) : 한국 (8.6), 일본 (14.9)

계란 ( 개 ) : 한국 (179), 일본 (346), 대만 (342), 미국 (258)

* 1999 년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 커버스토리 “계란의부활”

Page 50: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축산 · 사료산업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