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23
- 127 -

Transcript of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Page 1: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 127 -

정서․행동장애연구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010, Vol. 26, No. 3, pp. 127∼149.

국내․외 실행기능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중재)

동향 분석*

조정연***․ 윤주연*****․ 신윤희****․ 송호준**** ․ 배민정**** ․ 구현진****

<초 록>

본 연구는 국내․외의 실행기능 향상에 관련된 중재와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

들을 중심으로 동향을 살펴보고, 이효신(2003)이 제시한 교육적 중재의 4가지 질적

지표를 근거로 실행기능의 프로그램을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논문은 1998년 1월에

서부터 2010년 1월까지 약 12년 동안 발표된 연구 논문 중 국내 9편, 국외 10편 등

총 19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대상 논문은 전문 학술지DB를 통하여 학회

지 및 학술논문으로 연구자, 연도, 연구방법, 적용 프로그램의 내용 및 절차별로 요

약하였고, 실행기능 보상을 위한 중재의 4가지 근거에 따라 비교,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이 신경심리학 저널, 정신병리학 관련 저널이었으며, 일부 연구가 자폐

및 발달장애 저널, 노인학, 의사소통 그리고 재활과 관련된 저널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ADHD, 고기능 자폐, 자폐성장애, 일반유아, 노인, 후천성뇌손

상(TBI)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내용 및 절차에서는 집단 활동 프

로그램이 많았으며, 그림책이나 활동지, 컴퓨터 등을 적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지-행동 접근과 반복적인 훈련을 통하여 인지를 유연하게 하는 프로그램 순으로

나타났다. 실행기능 보상을 위한 중재의 4가지를 근거에 따른 분류결과에서는

ADHD, 고기능자폐, 일반유아, 노인질환 등은 인지-행동접근의 프로그램이 적용되

었으며, 후천성뇌손상(TBI)의 경우, 유연성 훈련 접근 프로그램이 적용된 것으로 나

타났다.

: 실행기능, 프로그램, 동향.

* 이 논문은 2009 두뇌한국(BK)21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핵06B5003).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Brain Korea Task Force Grant 2009.

** 대구사이버대학교 행동치료학과 교수.

Dept. of Behavior Therapy, Daegu Cyber Univ.

*** 대구대학교 BK21 핵심사업팀 참여 박사과정(교신저자, e-mail; [email protected]).

Brain Korea 21 Task Force Project Team, Daegu Univ.

**** 대구대학교 BK21 핵심사업팀.

Brain Korea 21 Task Force Project Team, Daegu Univ.

Page 2: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제26권 제3호)

- 128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뇌의 손상 부위나 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CT나 MRI, PET,

fMRI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뇌 각각의 영역과 행동 간의 관계를 입증하게 되

었다. 인지기능 중 상위 인지에 속하는 실행기능의 결손은 다양한 행동의 장애 및

부적응이 보고되면서 최근 교육계 및 인지심리학 분야에서 큰 화두가 되고 있다.

실행기능이란 관리기능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김홍근, 2005), Lezak(1995)에

의하면 실행기능은 독립적이며 목표가 있고, 이성적인 행동에 참여할 수 있는 능

력을 의미하며 이러한 능력은 목표의 설정, 계획하기, 목표를 향한 계획 실행하

기, 효과적인 성취 등의 필수적인 네 가지 요소를 포함한다고 한다. 또한

Hodges(1994)는 실행기능의 주요한 요소들로 인지적 유연성(cognitive

flexibility), 창의성(creativity), 계획력(planning), 추상적 사고(abstract thought),

통찰력(insight), 자발성(spontaneity), 억제력(inhibition), 적절한 정서(appropriate

affect), 성격 및 사회적 행동(personality & social behavior)으로 보고, 이러한 요

소들이 주의, 언어, 시공간, 기억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실행기

능은 자기 통제, 계획성, 행동조직, 인지적 융통성, 실수탐색과 수정, 반응 억제,

방해체제에 대한 저항으로 구성되며, 사고와 행동반영하기, 현재 즉각적인 상황으

로부터 거리두기, 현저하지만 잘못 유도하는 자극 억제 등의 다양한 능력체계로

설명할 수 있다(Griffith et al., 1999; Carlson & Moses, 2001; Hill, 2004). 즉 실

행기능은 개인의 행동과 인지적인 학습을 통하여 이미 형성된 인지의 창고에서

주어진 환경과 상황에 적응해 가기 위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스스로 통제

하여 조절하고, 계획하여 조직해서 행동과 반응을 보이는 수단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많은 학자들이 언급한 것과 같이 실행기능은 매우 포괄적이고, 하나

의 단편적인 행동의 유형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또한 선행연구(Brocki et al.,

2008; Voeller, 1994)에서 실행기능 측정에 있어서 난이도나 측정과제에 따라 실

행기능 편차가 존재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외 실행기

능에 관련된 연구는 발달적인 특성에 따라 연령과 대상에 상관없이 특성들을 비

교하는 연구들이 꾸준하게 연구되어지고 있다(김지연, 백용매, 2007; 정철호, 류

설영, 김희철 2007; 송찬원, 2009; 송찬원, 김하경, 장희대, 2008; 김소연 외, 2009;

김진경, 2009; 김진구, 김홍근, 2008; 추은진, 김홍근, 2009; Brocki et al., 2008;

Denckla, 1989; Marzocchi et al., 2008; Schroeder & Kelly, 2009). 이와 동시에

Page 3: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국내․외 실행기능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중재) 동향 분석

- 129 -

국내․외에서는 실행기능에 관련된 동향을 분석하는 연구가 최근 들어 연구되어

지고 있다(송찬원, 변찬석, 2007; 신윤희 외, 2009b; Kennedy et al., 2008). 이들

연구들은 실행기능에 관련된 연구들의 전반적인 동향을 분석하거나, 실행기능에

관련된 측정도구를 분석하는 기초연구들이었다. 이들 연구에서 공통된 것은 실

행기능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가 부재되어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또

한 Voeller(1994)에 의하면, 실행기능은 매우 포괄적이고, 하나의 단편적인 행동

의 유형으로 설명하기 어려움으로 인해 측정하기가 어렵고, 타당한 사정 방법이

많이 없음을 지적한바 있다. 이러한 지적에도 불구하고 실행기능의 역기능이 어

떤 행동특성을 야기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시사점만을 제공해줄 뿐 실행기능의 행

동 및 인지학습적인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 구성과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하지

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을 국내․외 문헌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여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이론적 근거를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국내․외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연도별, 대상별에 따라 비교 분석하고, 프로그램의 적용 내용

및 특성을 비교, 분석한다. 그리고 대상자별로 프로그램의 접근 유형 및 접근 방

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과 의의가 있다.

2. 연구문제

1) 국내․외 실행기능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중재)의 연도별, 연구대상별

동향은 어떠한가?

2) 국내․외 실행기능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중재)의 적용 내용 및 특성은

어떠한가?

3) 국내․외 실행기능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중재)의 대상자별 접근유형은

어떠한가?

Ⅱ. 연구 방법

1. 자료 선정과 수집

본 연구는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국내․외 실험연구를 분석대상

으로 하였다.

Page 4: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제26권 제3호)

- 130 -

1) 자료선정기준

구체적인 분석대상 논문의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행기능, 관리기능, 집행기능, Executive Function, Executive Skill, 훈

련, 프로그램, 중재, 지원, 전략, 치료, Training, Intervention, Support, Strategy,

Treatment 등을 핵심 키워드로 삼아 실험연구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대상 논문은 신민섭과 박수현(1997)의 연구에서 신경심리학적인 평가도

구를 소개하고, 국내의 신경심리검사 도구의 국내 표준화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

다. 즉, 표준화된 신경심리검사도구를 활용하여 실행기능을 측정할 수 있게 되었

다. 이에 1998년에는 김용욱, 우정한에 의해 실행기능을 중재하는 연구논문이 나

오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1998년 1월에서부터 2010년 1월까지 약 12년 동안 발

표된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국외논문의 경우도 국내연구 조사기간과 동

일하게 설정하였다.

셋째, 분석대상 논문은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수집 절차

분석대상연구의 구체적인 조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전문 검색 사이트인 한국학술정보원, 누리 미디어 KISS(학술데이

터베이스), 학지사, 국회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서 관련 논문을 검색하였다.

둘째, 특수교육, 심리학, 상담 그리고 의학 분야에서 학술 진흥재단의 등재지

를 조사하였고, 이어서 등재 후보지와 기타 학회지 및 논문집도 조사하였다.

셋째, 앞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검색한 논문들의 참고문헌에서 대상이 될 수

있는 논문을 역으로 추적하여 조사하였다.

2. 자료 분석방법 및 절차

1) 분석대상 논문 요약

선정 기준에 따라 선정된 총 19편의 국내․외 논문을 요약 및 심도 있게 분석

하기 위하여 Kennedy와 그 동료들(2008)의 분석내용을 수정․보완하였다. 구체적

인 분석요인은 연구자, 연도, 연구법, 연령, 종속변인, 독립변인, 측정도구에 따라

총 19편의 논문을 요약 분석하였다. 또한 이효신(2003)이 제시한 교육적 중재의 4

가지를 근거로 실행기능의 프로그램을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효신(2003)

Page 5: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국내․외 실행기능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중재) 동향 분석

- 131 -

의 교육적 중재의 4가지 질적 지표를 분석의 근거로 삼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뇌와 행동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신경심리학적 분야에서 실행기능의 결함은 일찍

이 전두엽 손상 대상에게서 일관적으로 발견되었는데(Ozonoff, 1998) 그 행동 특

성이 ADHD, 자폐, 고기능 자폐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실행기능의 발달적

특성은 행동과 정서발달에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많은 연구들에서

입증되어짐에 따라 일반 영᠊유아를 대상으로 실행기능의 발달과 관련된 연구들이

꾸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실행기능을 우선 대상 논문의 연도별 발행된

학회지의 개수와 대상자별에 따른 동향을 분석하여 전반적인 실행기능 향상 프로

그램 동향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효신(2003)의 교육적 중재 4가지 질적 지

표를 근거로 각 분석대상의 논문을 분석하고, 구체적인 접근방법을 비교하였다.

이효신(2003)의 교육적 중재 4가지 질적 지표 기준은 <표 2-1>과 같다.

표 2-1. 중재 4가지 질적 지표 기준

프로그램의 접근

유형 4가지 근거질적 준거 내용 및 예시

신경생물학적 접근

․약물을 투여

․자극제를 투여 행동통제가 잘 일어나도록 조치

․반사적 행동 통제

외부 환경을 구조화하는 접근

․잘 짜여진 수업시간표와 엄격한 시행

․교실 규칙의 일관성

․지시를 명확하게 제시할 것

․대상자를 유리창이나 문에서 멀리 배치하여 분산성을 제거할 것

․대상자의 수행을 방해하는 것을 차단하는 특별구역 제정

․지시를 이해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과 개별적 도움을 줄 것, 지시를 반복적으로 해 줄 것

․과제의 목적과 하위 목표를 명확히 교정해 줄 것

․과제 수행을 위한 도구나 자료를 항상 두는 자리에 둘 것

․대상자의 과제 수행속도나 수행 결과를 수시로 점검할 것

․대상자가 과제를 이해하고 있는지 혹은 주의를 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질문할 것

․일관적인 과제검사 방법을 적용할 것

․대상자의 노력과 성과에 대하여 강화를 즉각적으로 해 줄 것

유연성 훈련접근․주의 전환이 요구되는 과제를 직접적으로 훈련

․분류훈련 과제를 통한 유연성 변화

인지-행동 접근

․자신의 행동을 모니터

․자기 관리 프로그램

․자기질문법

․자기교수법

Page 6: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제26권 제3호)

- 132 -

2) 분석 과정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 분류 및 분석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

다. 첫째, 3개월에 걸쳐 1998년 1월에서부터 2010년 1월까지 발표된 선행연구

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논문들 중에 대상 논문을 선정하고, 검토하

는 과정에 연구자 3명이 참여하여 분석 과정을 실시하였다.

둘째,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연구자 2명은 대상 논문 분석틀을 만들고 이

효신(2003)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실행기능 프로그램을 위한 교육적 중재

의 4가지를 질적 지표에 따라 분류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특수교육전문가 교수와 연구자 2명이 두 차례의 세미

나 발표와 피드백을 받는 시간을 가졌다.

3. 분석자간 신뢰도

연구대상논문인 국내․외 논문은 총 19편으로 국내 9편, 국외 10편으로 논문 모

두를 저자들에게 제시하여 각자 분석 내용별로 분석 한 후 분석자간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신뢰도 산출 공식은 일치수를 일치수와 불일치수로 합한 것으로 나

눈 후 100을 곱하였다. 분석자간 신뢰도 산출결과는 반올림하여 전체 문항에서

평균 90% 일치도를 보였다.

Ⅲ. 연구결과 및 해석

1. 국내․외 실행기능의 연도별, 연구대상별 동향

1) 연도별 국내․외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 연구논문 분석

1998년 1월부터 2010년 1월까지 국내․외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에 관한 국

내학회지, 기타 논문집에 발행된 총 연구는 19편이였다. 국내에서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 혹은 중재에 관한 국내 학회지명은 덕성여자대학교논문집, 한국자폐학

회,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난청과 언어장애, 유아교육연

구, 대한약물학회로 나타났다.

Page 7: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국내․외 실행기능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중재) 동향 분석

- 133 -

표 3-1. 국내 발행된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 논문 분석표

국내 학회지명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계

덕성여자대학교논문집 0 0 0 0 0 0 0 1 0 0 0 0 0 1

한국자폐학회 0 0 0 0 0 0 0 0 0 0 1 0 0 1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0 0 0 0 1 0 0 0 0 0 0 0 0 1

대한가정학회 0 0 0 0 0 0 0 0 0 0 0 2 0 2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0 0 0 0 0 0 0 0 0 0 1 0 0 1

난청과 언어장애 1 0 0 0 0 0 0 0 0 0 0 0 0 1

유아교육연구 0 0 0 0 0 0 0 1 0 0 0 0 0 1

대한약물학회 0 0 0 0 1 0 0 0 0 0 0 0 0 1

합계 1 0 0 0 2 0 0 2 0 0 2 2 0 9

발행된 연구수가 가장 많은 학회지는 대한가정학회지로 최근 2009년에 2편이

나타났다. 그 외 학회지에서는 각각 한 편씩 나타나고 있다. 발행연도는 2002년,

2005년, 2008년, 2009년으로 각각 두 편씩 나타났다.

국외에서 발행된 연구 논문은 1998년 1월부터 2010년 1월 현재까지 총 10편

으로 나타났다. 국외의 경우 Developmental Science, Psychological Science,

Journal of Autism & Developme,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Gerontologist, Developmental Neurorehabilitation,

Development & Psychopathology,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이었다. 대부분이 신경

심리학 저널, 정신병리학 관련 저널이었으며, 일부가 자폐 및 발달장애 저널, 노

인학, 의사소통 그리고 재활과 관련된 저널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발행된 연구수가 가장 많은 학회지는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로 각 2편으로 나타나고 있다. 발행연도는 2000년도

부터 꾸준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2008년도에는 정신학, 노인학에

서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 최근 2010년도에는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에서 논문을 발행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Page 8: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제26권 제3호)

- 134 -

표 3-2. 국외 발행된 연도별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 논문 분석표

국외 학회지명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계

Developmental Science 0 0 0 0 0 0 0 0 0 0 0 1 0 1

Psychological Science 0 0 0 0 0 0 0 0 0 0 1 0 0 1

J of Autism &Developmental Disorders

0 0 0 0 0 0 0 1 0 0 0 0 0 1

Child Neuropsychology 0 0 0 0 0 0 0 0 0 0 1 0 0 1

J of the InternationalNeuropsychological Society

0 0 1 0 0 0 0 0 0 0 0 0 1 2

The Gerontologist 0 0 0 0 0 0 0 0 0 0 1 0 0 1

DevelopmentalNeurorehabilitation

0 0 0 0 0 0 0 0 0 0 0 1 0 1

Development &Psychopathology

0 0 0 0 0 0 0 0 0 0 1 0 0 1

J of CommunicationDisorders

0 0 0 0 1 0 0 0 0 0 0 0 0 1

합계 0 0 1 0 1 0 0 1 0 0 4 2 1 10

2) 대상자별 국내․외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 연구논문 분석

연구 대상자별 국내․외 연구논문의 동향을 분석해 본 결과 ADHD, TBI, 일

반유아, 고기능자폐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의 경우, 총 9편 중 ADHD와 고기능

자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6편이 될 만큼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표 3-3. 국내․외 발행된 대상자별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 논문 분석표

대상자별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계

ADHD국내 0 0 0 0 1 0 0 1 0 0 0 2 0 4

국외 0 0 0 0 0 0 0 0 0 0 1 0 0 1

자폐국내 0 0 0 0 0 0 0 0 0 0 0 0 0 0

국외 0 0 0 0 0 0 0 1 0 0 0 0 0 1

고기능자폐국내 0 0 0 0 0 0 0 0 0 0 1 1 0 2

국외 0 0 0 0 0 0 0 0 0 0 0 0 0 0

학습장애국내 1 0 0 0 0 0 0 0 0 0 0 0 0 1

국외 0 0 0 0 0 0 0 0 0 0 0 0 0 0

TBI국내 0 0 0 0 0 0 0 0 0 0 0 0 0 0

국외 0 0 1 0 1 0 0 0 0 0 0 1 1 4

영재국내 0 0 0 0 0 0 0 0 0 0 0 1 0 1

국외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일반유아국내 0 0 0 0 0 0 0 1 0 0 0 0 0 1

국외 0 0 0 0 0 0 0 0 1 0 0 1 0 2

일반성인국내 0 0 0 0 0 0 0 0 0 0 0 0 0 0

국외 0 0 0 0 0 0 0 0 0 0 1 0 0 1

노인질환국내 0 0 0 0 0 0 0 0 0 0 0 0 0 0

국외 0 0 0 0 0 0 0 0 0 0 1 0 0 1

합계국내 1 0 0 0 1 0 0 2 0 0 2 3 0 9

국외 0 0 1 0 1 0 0 1 1 0 3 2 1 10

Page 9: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국내․외 실행기능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중재) 동향 분석

- 135 -

국외 논문의 경우, 총 10편 중 후천성 뇌 손상(TBI), 일반유아를 대상으로 프

로그램을 적용한 논문이 각각 4편, 2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국내 연구와 다른

점은 ADHD, 자폐, 일반성인, 노인질환 등으로 고르게 나타나고 있었으나 주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나타나고 있었다.

2. 국내․외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의 적용 내용 및 특성

국내외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을 연구자, 연구법, 연령, 종속변인, 독립변인,

측정도구에 따라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설계는 통제집단과 실험

집단을 나누어 실험한 비교연구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국내 연구 중 대상자

간 중다기초선을 이용한 단일대상 연구가 1편, 국외 연구논문에서 질적 연구 1

편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은 실행기능과 함께 마음이론, 사회적 기술, 정서지능,

의소사통을 병행하여 적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행기능의 하위 영역을 명

확하게 제시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한 논문도 있었다. 예를 들면, 실행기능의 하위

영역 중 주의 집중, 억제, 인지적 융통성, 문제해결, 반응속도 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행기능의 하위 영역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고 실행기능만을 종속변

인으로 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한 논문도 있었다.

프로그램 적용 절차는 모델링과 함께 개별적인 지도를 통하여 집단 활동으로

적용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또한 반복적인 훈련을 통하여 적용한 프로그램,

약물 치료를 이용한 2편의 논문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은 주로 집단 게임 활동

을 위주로 나타났으며, 그림책, 활동지 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활동

하는 프로그램도 나타났다. 주목해야 할 것은 대상자에 따라서 프로그램 적용의

공통적인 특성이 나타났다. 예를 들면, ADHD와 고기능 자폐아동 그리고 일반

유아의 경우, 게임 또는 그림책을 활용한 프로그램의 적용이 주를 이루었다. 그

러나 후천성뇌 손상(TBI)의 경우, 반복적인 훈련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주를 이

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을 평가하기 위해 측정도구는 신윤희 외(2009b)의 연구에서 언급하

였듯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ADHD, 자폐, 일반유아의 실행기능을

측정하는 도구들은 비슷한 양상을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0: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제26권 제3호)

- 136 -

표 3-4. 실행기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대상논문 내용 및 특성 분석

장애유형

국내/외

논문저자 및연도실험설계

대상자연령

종속변인 독립변인 실행기능 검사 도구

ADHD

국내

1. 한현주(2005)실험연구

4-5세

1. 실행기능: 자기통제, 자기조절2. 정서지능3. 사회적 기술

-정서지능프로그램(Mayer& Salovey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수정보완)

-낮과 밤 과제, 양과 사자과제, 카드분류하기 과제,카드 찾기 과제, 마그넷과제, 깃발 과제

2. 김사리 외(2002)실험연구

6세 1. 실행기능-언어중재 훈련 프로그램(Camp와Bash(1981)내용을참조)

-실행기능 및 운동통제력평가척도, 숫자외우기, 미로,단어유창성검사, 손동작검사, Go-NoGo검사, 자기통제력 척도, 인지적 자기통제, 행동적 자기통제

3. 서완석 외(2002)실험연구

7-12세 1. 실행기능Methyphenidate치료(하루에2회 또는 3회 부작용고려0.3-0.7mg/kg투여

-연속수행과제, 정지신호과제, 위스콘신카드분류검사,선추검사-B, 미로검사

4. 윤미희, 길경숙(2009)실험연구

11세1. 실행기능: 주의집중향상,행동억제, 인지적 융통성,문제해결

집단게임놀이치료프로그램-스트롭 검사, 선로 잇기검사, 생애능력측정도구:문제해결력

국외1. Snyder etal.(2008)실험연구

10세1. 실행기능: 비언어적실행기능

1.비교군과 ADHD아동의비약물 시 GMLT수행 비교2.ADHD아동의 약물 복용시 GMLT 수행

-Conners 행동척도, TheGroton Maze, LearningTest

고기능자폐

국내

1.이종숙, 조희정(2008a)실험연구

6-9세

1. 실행기능: 융통성,반응행동억제,인지적융통성, 계획,협동, 행동모니터링,의사소통기술, 마음읽기

1.게임놀이프로그램-자폐아동에게 게임의 리더로 활동하게 하여 게임이진행되도록 지원

-스트롭 과제, 깃발 들기과제, WCST, 하노이탑과제

2. 이종숙, 조희정(2008b)실험연구

6-9세1. 마음이론2. 실행기능3. 사회적 기술

1.또래리더 경험 게임놀이프로그램(이영자 외(2005),윤지현(2007) 게임활동검증

-스트롭 과제, 깃발 들기과제, WCST, 하노이탑과제

국외 없음

자폐성장애

국내 없음

국외

1. Fisher &Happé.(2005)실험연구

6-15세1. 실행 기능2. 마음이론

1.선별 ToM 과제(두 FB과제: 비 표준화전이 과제의그림책 버전, 표준화 눈속임 상자 과제), 선별2.ToM 과제(Penny-hidingdeception task, seeingleads to knowing,knowing/guessing, 아동의 눈에서 마음 읽기 과제),3.비 ToM 통제 과제(falsephotograph), 실행 기능과제(card sort, trailstask)

-Raven의 원색판 점진행렬검사(RCPM): 비언어 능력-Raven의 원색판 점진행렬검사 (RCPM): 수용문법BPVS Ⅱ: 수용어휘

Page 11: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국내․외 실행기능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중재) 동향 분석

- 137 -

영재

국내

1. 길경숙

(2009)

준실험연구

10세 1. 실행기능

1.FIE(도구적 심화 프로그

램)프로그램-도구별 활동

지: 점의 조직, 분석적 지

각, 비교

-연속수행과제, 정지신호과

제, 위스콘신카드분류검사,

선추검사-B, 미로검사

국외 없음

학습

장애

국내

1. 김용욱, 우

정한(1998)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9세

1. 실행능력: 사회적 참

여능력, 사회적 통제

능력, 사회적 협동능

1.자기조정훈련프로그램

-언어중재프로그램

-Bronson의 실행기능 프로

파일, 직접관찰: 반응지연

시간, 행동빈도)

국외 없음

일반

유아

국내

1. 이영자,

이종숙,

신은수(2005)

실험연구

3-4세

1. 정서지능

2. 마음이론

3. 실행기능: 작동기억력,

억제조절력, 주의력전

환, 주가수행평가력

1.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집

단게임놀이-그림책 읽어주기

-교사, 게임놀이-대, 소집단

(2유형)

-낮과 밤 과제, 카드 분류

하기 과제,양과사자과제,카

드찾기과제,색깔자석과제,

깃발들기과제

국외

1. Thorell et

al.(2009)

실험연구

4-5세

1. 실행기능: 작업기억,

억제, 주의, 문제해결,

반응속도

1.WM훈련프로그램

2.억제훈련프로그램-Day-Night, Stroop Task

2. Bierman et

al.(2008)

실험연구

4.49세 1. 실행기능

1.헤드스타트 REDI 프로그램

(읽고, 쓰기 기술 강화, 사회

적-정서적 능력 강화 프로그

램, 부모 양육지원 프로그램)

-Backward word spann,

Peg tapping task, DCCS

일반

성인

국내 없음

국외

1. Persson &

Reuter-Loren

z(2008)

실험연구

18~30

1. 실행기능: 반응시간,

간섭-해결

1.훈련과제: 물건인지과제 1)얼굴과제: 평범한 사람(50%남,50%여자) 2)글 과제: 19자음(l~y) 3)N-back 과제: 54 구체적인 4-8 단어 명사2.전이과제: 1)쌍대연합과제(paired-associate task): 64일반명사, 물건-인지 과제:20구체적인 4단어 명사3.동사 만들기 과제(verb-generation): 컴퓨터화면을 보여주고 참가자는 각동사에 반응하여 말한다.

1.훈련과제: 얼굴과제, 글 과

제, N-back 과제, 물건-인

지 과제

2.전이과제: 쌍대연합 과제

(paired- associate task),

물건-인지 과제, 동사 만

들기 과제

(verb-generation)

Page 12: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제26권 제3호)

- 138 -

후천

성뇌

손상

(TB

I)

국내 없음

국외

1. Kennedy

et al. (2010)

실험연구

42.5세 1. 실행기능

실험적 치료로 역실행을 위한다양한 전략 훈련, 전산화된인식 기능 훈련을 실시. 훈련전, 후, 사후 개월 동안 평가실시. 주요 결과로 역할회복항목(Role Resumption List)을 측정. 치료 목적달성(Treatment GoalAttainment)과 보조 임무 수행(Executive SecretarialTask)을 사후에 측정

-RRL, TGA, EST

2. Catroppa,

Anderson &

Muscara

(2009)

실험연구

13-2세 1. 실행기능 1.조정 훈련

-Party planning,

BRIEF-BRI,

BRIEF-MI,BRIEF-GEC,

SPRS total, ABAS

3. Turkstra

& Flora

(2002)

질적연구

49세

1. 일상영역에서 실행기

2. 단일대상의 인터뷰의

기술

3. 의사소통수행에서 자

존감

1.21세션 비디오테이프, 5분

자발적토론, 5분 받아쓰기,

50분 레포트 쓰기 S(주제

언급)O(대상)A(평가)P(계획)

-위신콘카드검사, 웩슬러 기

억검사, 언어유창성검사,

Rey 청각언어학습사 ,Trail

마킹검사/읽기 쓰기검사,

Woodcock Johnson, 심리

교육검사

4. Levine et

al.(2000)

실험연구

29-35

실험1. 과제실행에서의

정확도, 처리속도,

에러의 수.

실험2. 목표 문제행동

1.목표관리훈련

2.운동기술훈련

-Trail marking, 블록 맞추

기(WAIS), Stroop. 실험1,

M S T (운동기술훈련 ) ,

GMT(목표관리훈련), 중재

후 proofreading(교정하기),

grouping(짝 맞추기),

room layout(격자뽑기)에

서의 사전 사후, 에러와 속

도 평가. 실험2. 자기보고

식 읽기, 식사준비 수행관

찰평가,

노인

질환

국내 없음

국외

1. Carlson et

al.(2008)

실험연구

68-70

1. 실행기능, 언어기억,

시공간기억, 심리운동

속도

인지 중재 1. 집중준비 훈련

과정 2. 고급 서비스

-32시간, 2주, 학교문화를 배

우고, 팀과 일하는 것을 배

우고, 도구를 다루고, 훈련

을 배운다.

-Trail Making Test

2. 국내 ᠊외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의 접근유형

이효신(2003)의 연구에서 제시한 실행기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교육적 접

근 유형을 근거로 하여 4가지 질적 지표에 따라 대상 논문을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 <표 3-5>와 같다.

Page 13: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국내․외 실행기능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중재) 동향 분석

- 139 -

표 3-5. 대상자별 프로그램 접근유형 4가지 질적 지표에 따른 분류

대상자별신경생물학적접근

외부 환경을구조화하는접근

유연성 훈련접근 인지-행동 접근

ADHD

국내1.서완석 외(2002)

- -

1.한현주(2005)

2.김사리, 김교헌(2009)

3.윤미희, 길경숙 (2009)

국외1.Snyder et al.(2008)

- - -

자폐국내 - - - -

국외 - - 1.Fisher & Happé.(2005) -

고기능

자폐

국내 - - -1.이종숙, 조희정 (2008)

2.이종숙, 조희정 (2009)

국외 - - - -

학습장애

국내 - - - 1.김용욱, 우정한(1998)

국외 - - - -

TBI

국내 - - - -

국외 - -

1.Kennedy et al.(2010)

2.Turkstra & Flora(2002)

3.Levine et al.(2000)

4.Catroppa,Anderson &Muscara(2009)

-

영재국내 - - 1.길경숙(2009) -

국외 - - - -

일반유아

국내 - - -1.이영자, 이종숙, 신은수(2005)

국외 - - 1.Thorell et al.(2009) 1.Bierman et al.(2006)

일반성인

국내 - - - -

국외 - -1.Persson &Reuter-Lorenz(2008)

-

노인질환

국내 - - - -

국외 - - - 1.Carlson et al.(2008)

합계국내 1 0 1 7

국외 1 0 7 2

이효신(2003)의 연구에서 제시한 실행기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접근 유형

을 근거로 하여 4가지 질적 지표에 따라 분석결과 신경생물학적 접근에서는 국

내․외 각각 1편씩 총 2편으로 나타났다. 비슷한 대상을 중심으로 통제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약물 투여에 따른 변화를 보는 연구이었다. 외부 환경을

구조화하는 접근에서는 국내․외 모두 단 한편도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유연

성 훈련 접근에서는 국외 논문 7편이 나타났다. 특이한 것은 이 모두가 후천성

Page 14: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제26권 제3호)

- 140 -

뇌 손상(TBI)을 지닌 성인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이는 실행기능 향상을 위해

적용된 프로그램의 동향 분석 결과 특정한 대상자에 따라 프로그램의 내용과 적

용 절차에 특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면, 후천성 뇌손상의 경우, 실행

기능의 향상을 반복적인 훈련을 통하여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그림 3-1. 대상자별 프로그램 접근유형 4가지 질적 지표

그러나 ADHD, 고기능 자폐, 자폐성 장애, 일반유아, 노인질환 등의 발달적인

관점에서는 집단 활동들을 통하여 향상하고자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신

경생물학적 관점 및 반복적인 훈련으로 인지의 유연성을 향상하고자 한다면,

발달적인 관점에서는 게임, 그림책 읽기 등을 통하여 집단 활동 프로그램의 내

용과 절차가 적용되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인지 행동 접근 프로그램은

국내의 경우 무려 7편이 나타났으며, 국외의 경우 2편이 나타났다.

Ⅳ. 논 의

본 연구는 국내․외의 실행기능 향상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들을

중심으로 동향과 내용 및 특성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실행기능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들의 교육적 접근유형과 접근방법들을 살펴봄으로써 실행기능을 향상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

다.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의 최근동향을 살펴볼 때, 국내․외의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의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국내․외 모

두 신경심리학 분야와 신경정신학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Page 15: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국내․외 실행기능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중재) 동향 분석

- 141 -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신윤희 외(2009b)의 연구와 일치하고 있다.

연구대상에 있어 국내의 경우는 ADHD, 고기능 자폐, 자폐성 장애, 일반유아

에 한정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국외의 경우 다양한 연령과 대상자를 통하여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있었다. 아쉬운 것은 국내․외 모두 실행기

능 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논문이 교육계에서는 흔하지 않다는 것이다. 국외의

경우 헤드 스타트 프로그램을 통하여 프로그램의 직접적인 대상인 아동, 프로그

램을 지원하는 교사 그리고 가정에서의 부모에게 양육함에 있어 실행기능의 발

달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내 교육계

에서도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함을 짐작해 볼 수 있다.

둘째, 연구 방법과 국내․외 모두 실험연구로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하

는 실험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이처럼 다양한 연구 방법을 활용하지 못하는 이

유는 많은 학자들이 언급하였듯이 실행기능이 매우 포괄적이고, 하나의 단편적

인 행동의 유형으로 설명하기 어려움을 보여주는 증거로 보아진다. 또한 각 대

상자 및 연령에 따른 실행기능에 관련된 특성을 비교하는 연구를 근거로 대상자

와 연령에 따라 적절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부각해 주는 부분이다. 그러

나 아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연구에 있어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

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대상 논문 중 국내의 경우 대상자 간 중다기초선을 통

한 연구 방법이 나타났으며, 국외의 경우는 질적 연구를 통하여 실행기능에 관

련된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실행기능의 하위 영역에 대한 명확

한 개념 정의와 함께 그에 따른 타당한 측정도구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

다. 또한 그에 따른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한 실행기능 연구가 이루어져야함이

사료된다.

실행기능 향상을 위해 적용된 프로그램의 동향 분석 결과 특정한 대상자에

따라 프로그램의 내용과 적용 절차에 특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면,

후천성 뇌손상(TBI)의 경우, 실행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반복적인 훈련을 통하

여 인지적으로 유연하게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ADHD, 고기능 자폐,

자폐성 장애, 일반유아, 노인질환 등의 발달적인 관점에서는 집단 활동들을 통하

여 실행기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즉 신경생물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손상되

어진 뇌 영역의 기능을 회복하고 재활하기 위해 반복적인 훈련을 함으로써 인지

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인지 행동적 접근에서는 게임, 그림책

읽기 등을 통하여 왜곡되어진 사고와 인지를 자기 점검 및 평가로 재점검 해 보

므로써 실행기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으며, 프로그램의 구조는 주로 다양한 집

단 활동 프로그램을 통하여 여러 가지 갈등 상황을 제공함으로써 스스로 정보를

처리하고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Page 16: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제26권 제3호)

- 142 -

독립 변인인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은 약물치료, 정서지능프로그램, 언어중

재훈련 프로그램, 집단으로 실시하는 게임 놀이 프로그램, 자기조정훈련 프로그

램들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적용하고 있었다. 프로그램 적용을 통하여 실행기

능의 변화를 알고자 하는 종속변인은 연구들에 따라 실행기능의 하위 영역이 명

확하게 제시되어져 있는 반면, 그렇지 않은 연구도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신윤

희 외(2009b)의 연구와 일치하고 있다. 예를 들면, 주의집중, 행동억제, 인지적

융통성, 문제해결, 작업기억(작동기억), 시공간 기억, 심리운동 속도, 자기 조절,

자기 통제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효신(2003)의 연구에서 제시한 실행기능 보상을 위한 중재를 근거로

하여 4가지 질적 지표에 따라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국내․외 연구들 중 인

지행동 접근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약물을 투여하여 실행기능의

향상을 적용한 연구 논문도 2편이나 나타났다. 그러나 반복적인 훈련을 통하여

상위 인지인 실행기능을 유연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유연성훈련접근은 국외 연

구 중에서도 후천선 뇌손상(TBI) 중 성인을 중심으로 하는 프로그램 적용 논문

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해야 할 것은 국내․외의 분류와 상관없이

연구의 대상자에 따라 프로그램 접근이 확연하게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후천성뇌손상(TBI)의 경우, 발달이 이미 이루어졌지만 사고로 인하여 뇌

손상을 가지게 됨에 따라 재활과 회복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발달적 접근보다는

반복적인 훈련을 통하여 인지적으로 유연한 프로그램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그러나 발달적 시기에 있는 정서․행동장애와 일반유아, 일반성인, 노인질

환자들의 경우는 발달적 시기의 특성을 수용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접근하려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즉 뇌의 발달적 가소성을 근거로 인지 행동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진오(2008)의 연구에서 지

적하였듯이 발달시기에 있는 대상자들의 뇌 발달적 관점을 기재로 ADHD아동에

게 있어 교육적으로 접근하여야함을 강조한 것과 일치한다.

접근방법 중 신경심리학적 접근은 약물 투여 시 일정한 시간과 간격을 두고 복

용하여 그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유연성훈련접근 또한 일정한 시간과 간격을 두고

반복훈련을 통하여 훈련 전․후로 나누어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반면, 인

지 행동접근의 경우, 접근방법은 집단 활동과 함께 게임 놀이가 주를 이루었으며,

눈여겨보아야 할 점은 연구대상자가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대상자의 사고 즉 인지

활동을 통하여 잘못된 것을 재사고하거나 평가하게 하여 대상자로 다시 평가과정

을 거쳐 전략을 세우고, 수정하게 하는 프로그램들로 구성되었다. 이는 Evans,

Pelham & Grudberg(1994)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아쉬운 것은 외부 환경을 구

조화하는 접근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편도원, 곽승철(2008)과 최진오(2008)의 연

Page 17: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국내․외 실행기능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중재) 동향 분석

- 143 -

구에서 지적한 바 있듯이 학업 중심 중재와 함께 인적지원체제, 교실환경, 대상자

배치와 같은 환경을 구조화하는 교육적 프로그램의 적용을 재차 강조하고 있다.

Ⅴ. 결론 및 제언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실행기능 향상을 위

한 프로그램 적용 연구는 2008년을 기점으로 꾸준하게 연구되어지고 있었다. 그

러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주 분야는 신경심리학과 신경정신학 분야에 한정되

어 있었다. 최근 들어 장애의 원인을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봄에 따라 교육계에서

도 신경심리학과 신경정신학 분야와 연계하여 교육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실행기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적용 시 연구방법이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해 볼 필요성이 재

기되어 진다. 또한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에 있어 다양하게 접근하고 있으나, 종속

변인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들의 혼재로 인해 실행기능의 향상의 효과를 입

증하는 데 다소 한계점이 있다.

셋째,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은 대상자별에 따라 교육적 접근 유형이 뚜렷

하게 구별되고 있었다. 또한 접근 방법 또한 접근 유형의 이론적인 근거에 따라

명확하게 그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러나 아쉬운 점은 이효신(2003)의 연구

에서 교육적 접근 유형 중 외부 환경을 구조화하는 접근 유형 즉 생태학적으로

접근하는 유형이 부재되어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실행기능과 생태학적

접근과의 관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지는 바이다.

Page 18: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제26권 제3호)

- 144 -

참 고 문 헌

김소연, 장문선, 서완석, 배대석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 여부에 따른 실

행기능의 차이. 생물치료정신의학, 15(1), 21-28.

김용욱, 우정한 (1998). 자기조정 훈련이 학습장애아의 사회적 실행능력에 미치

는 효과. 난청과 언어장애, 21(2), 87-105.

김지연, 백용매 (2007). 정상아동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기억결함과

실행기능의 차이. 상담학연구, 8(1), 333-349.

김진경 (2009). 유아의 틀린 믿음 과제 수행 시 실행기능 수준 하향 단서제공의

효과. 유아교육연구, 29(2), 69-88.

김홍근 (2005).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 해설서. 대구: 도서

출판 신경심리.

김진구, 김홍근 (2008). ADHD 아동의 전두엽-관리기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1), 139-152.

송찬원, 변찬석 (2007). 실행기능 관련 국내 연구의 최근 동향. 정서․행동장애연

구. 23(1), 143-162.

송찬원, 김하경, 장희대 (2008). 일반학생과 읽기․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심리

적 실행기능 특성 비교. 특수아동교육연구, 10(2), 247-266.

송찬원 (2009). 학습장애와 ADHD아동 및 일반아의 실행기능 특성. 특수교육저

널: 이론과 실천, 10(4), 565-590.

신윤희, 윤주연, 구현진, 구원옥, 최미향, 장수정, 김경서 (2009a). 근거에 기반한

실제를 구축하기 위한 질적 지표 및 로드맵을 통한 분석: 국내의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 연구들을 중심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 25(3), 137-165.

신윤희, 이효신, 권명옥, 윤주연, 김경서 (2009b). ADHD 및 자폐 아동의 실행기

능 연구 및 측정도구 동향 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 25(4), 21-45.

신민섭, 박수현 (1997).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 아동의 신경심리학적 평가. 소

아․청소년정신의학, 8(2), 217-231.

이효신 (2003). 자폐스펙트럼장애와 실행가능: 신경심리학적 접근. 특수교육학연

구, 37(4), 143-160.

정철호, 류설영, 김희철 (2007).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과 정상아동의 지

능, 기억 및 전두엽 관리 기능에 대한 비교 연구. 생물치료정신의학, 13(2),

307-314.

Page 19: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국내․외 실행기능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중재) 동향 분석

- 145 -

추은진, 김홍근 (2009). 뇌졸중 노인에서 전두엽-관리기능의 차별적 결손. 한국심

리학회지: 일반, 28(1), 29-48.

최진오 (2008).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성장애의 뇌 과학적 기재와 교육중재방안.

학습장애연구, 5(2), 23-42.

편도원, 곽승철 (2008). ADHD아동의 교육․행동중재 관련 연구 분석: 1989년

-2007년까지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 24(2), 49-80.

Brocki, K. C., Randall, K. D., Bohlin, G., & Kerns, K. A. (2008). Working

memory in school-aged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combined type: are deficits modality specific and are they

independent of impaired inhibitory control. J 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30(7), 749-759.

Carlson, S. M., & Moses, L. J. (2001). Individual differences in inhibitory

control and children's theory of mind. Child Development, 72(4),

1032-1053.

Denckla, M. B. (1989). Executive function the overlap zone betwee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learning disabilities. International

pediatrics, 4(2), 155-160.

Evans, S. W., Pelham, W., & Grudberg, M. V. (1994). The efficacy of

notetaking to improve behavior and comprehension of adolesc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Exceptionality, 5(1), 1-17.

Griffith, E. M., Pennington, B. F., Wehner, E. A., & Roger, S, J. (1999).

Executive function in young children with autism. Child Development,

70(4), 817-832.

Hill, E. L. (2004). Executive dysfunction in ADHD. Trend in Cognitive

Sciences, 8(1), 26-32.

Hodges, J. R. (1994). Cognitive assessment for clincia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Kennedy. M. R. T., Coelho. C., Turkstra. L., Ylvisaker. M., Sohlberg. M. M.,

Yorkston. K., Chiou. H. H., & Kan. P. F. (2008). Intervention for

executive functions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A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and clinical recommendations. Neuropsychological

Rehabilitation, 18(3), 257-299.

Page 20: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제26권 제3호)

- 146 -

Lezak, M. D. (1995).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3rd ed). Oxford: Oxford.

Marzocchi, G. M., Oosterlaan, J., Zuddas, A., Cavolina, P., Geurts, H.,

Redigolo, D., Vio, C., & Sergeant, J. A. (2008). Contrasting deficits

on executive functions between ADHD and reading disabled childre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9(5), 543-552.

Ozonoff, S. (1998). Assessment and remediation of executive dysfunction in

autism and asperger syndrom. In E, Schopler, G. B. Plenum Press, New

York.

Schroeder, V. M., & Kelly, M. L. (2009). Associations between family

environment, parenting practices, and executive functioning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ADHD. Journal of Child & Family Studies, 18(2),

227-235.

Voeller, K. K. S. (1994). Techniques for measuring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 In G. Reid Lyon (Ed.), Frames of reference for the assessment

of learning disabilities: New views on measurement issues (pp.

523-553). Baltimore: Brookes.

【논문 접수: 2010. 7. 30. / 수정본 접수: 2010. 8. 31. / 게재 승인: 2010. 9. 8.】

Page 21: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국내․외 실행기능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중재) 동향 분석

- 147 -

Abstract

Direction of the Executive Functional Improvement Program

According to Trends

Jo, Jung Yeon ․ Yun, Ju Yeon ․ Shin, Yun Hee ․ Song, Ho Jun

Bae, Min Jung ․ Gu, Heon Jin

This study looks into local and international studies applying interventions

and programs on improvement of body function, as well as compares and

analyzes four interventions for functional compensation according to basis

quality indicators. This study examines total 19 journals including nine local

ones and 10 international ones, published during 12 years between January of

1998 to January of 2010. The examined papers, which are reports of academy

and scientific journals in DB of professional journals, were summarized

according to researcher, published year, study method, and contents and

procedure of applied programs as well as they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four bases of interventions. According to analysis, some journals

are devoted to various fields such as autism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gereology, communication and rehabilitation, while most of the papers are

about neuropsychology and psychopathology. They variously examine patients

suffering from ADHD, high functioning autism, autistic disorder and TBI,

normal infant and the senile. There are lots of group activity program in the

contents and procedure of the programs which applied picture books, papers

of activity, computers and so on. In particular, the most frequently used

program is cognition-behavior approach followed by a program making

cognition flexible through continuous train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four

bases of intervention for functional compensation, ADHD, high functioning

autism, normal infant and morbus senilis utilized cognition-behavior approach

while for TBI flexibility training approach programs was capitalized on.

Key Words: Executive Function, Program, Tends.

Page 22: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제26권 제3호)

- 148 -

분 석 논 문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훈련이 ADHD경향이 높은 아동의 실행기능 개

선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3), 429-445.

김용욱, 우정한 (1998). 자기조정 훈련이 학습장애아의 사회적 실행능력에 미치

는 효과. 난청과 언어장애, 21(2), 87-105.

길경숙 (2009). Feuerstein의 FIE 프로그램이 영재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

대한가정학회, 47(6), 121-133.

서완석, 정성덕, 이종범, 김진성, 염형욱, 배대석, 박형배 (2002). 주의력결핍 과잉

행동장애의 실행기능의 특성과 Methyphenidate치료 후의 변화. 대한정신약

물학회, 13(3), 194-204.

윤미희, 길경숙 (2009). 집단게임놀이 프로그램이 ADHD성향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 대한가정학회, 47(4), 25-35.

이영자, 이종숙, 신은수 (2005). 유아의 정서지능, 마음이론, 실행기능 향상을 위한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집단게임놀이효과. 유아교육연구 25(3), 119-147.

이종숙, 조희정 (2008a). 고기능 자폐아동의 마음이론과 실행기능 향상을 위한

게임놀이 프로그램. 한국자폐학회, 2008(1), 21-48.

이종숙, 조희정 (2008b). 고기능 자폐아동을 위한 또래 리더 경험 게임놀이 프로

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21(1), 113-136.

한현주 (2005). 정서지능 프로그램이 ADHD성향이 있는 아동의 정서지능, 사회

적 기술 및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원 논문집, 7, 1-21.

Bierman. K. L., Nix. R. L., Greenberg. M. T., Clancy , Blair. C., &

Domitrovich. E. (2008). Executive functions and school readiness

intervention: Impact, moderation, and mediation in the Head Start REDI

program. Development & Psychopathology, 20(3), 821-843.

Carlson. M. C., Saczynski. J. S., Rebok. G. W., Seeman. T., Glass. T. A.,

McGill. S., Tielsch. J., Frick. K. D., Hill. J., & Fried. L. P. (2008).

Exploring the Effects of an "Everyday" Activity Program on Executive

Function and Memory in Older Adults: Experience Corps. The

Gerontologist, 48(6), 793-801.

Catroppa, C., Anderson, V., & Muscara, F. (2009). Rehabilitation of executive

skills post-childhood traumatic brain injury (TBI): A pilot intervention

Page 23: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국내․외 실행기능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중재) 동향 분석

- 149 -

study. Developmental Neurorehabilitation, 12(5), 361-369.

Fisher. N., & Happé. F. (2005). A Training Study of Theory of Mind and

Executive Function in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J ournal of Autism & Developmental Disorders, 35(6), 757-771.

Levine, B., Robertson, I. H., Clare, L., Carter, G., Hong, J., Barbara A. ,

Wilson, J. D., & Stuss, D. T. (2000). Rehabilitation of executive

functioning: An experimental-clinical validation of goal management

training. J 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6(3),

299-312.

Kennedy. M. R. T., Coelho. C., Turkstra. L., Ylvisaker. M., Sohlberg. M. M.,

Yorkston. K., Chiou. H. H., & Kan. P. F. (2010). Effects of a

multifaceted treatment program for executive dysfunction after acquired

brain injury on indications of executive functioning in daily life.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16(1), 118-129.

Persson. J., & Reuter-Lorenz. P. A. (2008). Gaining Control: Training

Executive Function and Far Transfer of the Ability to Resolve

Interference. Psychological Science, 19(9), 881-888.

Snyder. A. M., Maruff. P., Pietrzak. R. H., Cromer. J. R., & Snyder. P. J.

(2008). effect of treatment with stimulant medication on nonverbal

executive function and visuomotor speed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Child Neuropsychology, 14(3), 211 - 226.

Thorell. L. B., Lindqvist. S., Nutley. B. S., Bohlin. G., & Klingberg. T.

(2009). Training and transfer effects of executive functions in preschool

children. Developmental Science, 12(1), 106-113.

Turkstra. L. S., & Flora. T. L. (2002). Compensating for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after TBI: a single case study of functional intervention.

J 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5(6), 467-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