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NGO의 국제보건활동 현황과 과제•œ국NGO의국제... ·  · 2011-12-13ngo...

Post on 11-May-2018

224 views 4 download

Transcript of 한국 NGO의 국제보건활동 현황과 과제•œ국NGO의국제... ·  · 2011-12-13ngo...

한국 NGO의 국제보건활동 현황과 과제

한국해외원조단체협의회

이경신

한국해외원조단체협의회 소개

한국해외원조단체협의회(해원협)은 1999년 설립되어 세계 여러 빈곤지역에서 긴급구호 및 개발원조사업을 하는 86개(2011.11월 현재) 한국 개발 NGO의 협의체입니다.

NGO

역량강화

정책/옹호,

시민교육

국내외

네트워크 봉사단파견

해원협 주요활동

해원협

국민

NGO 정부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관심과 참여 촉구

개발NGO간 연대와 네트워킹 증진

개발NGO 실무자 역량강화

국제개발협력관련 정책 제언

국제연대, 대외협력

민관협력의 창구

세계시민의식 함양

한국의 개발NGOs

긴급

구호

개발

원조

문화

교류

대국민

캠페인

세계

시민

교육

해외원조활동 국민인식증진활동

NGO의 개발협력

• 위생증진, 물공급, 배설물처리, 폐기물관리, 배수시설, 방역

물공급, 위생 증진

• 식량안보, 영양 지원, 영양실조 개선, 식량배급

식량안보, 영양,

식량원조

• 임시 및 영구주택건립, 비식량물품 보급, 주거, 정착지,

비식량물품

• 보건체계 및 시스템, 전염성 질환 관리,

• 비전염성 질환 관리 보건

NGO 개발원조사업분야-인도적 지원사업

• 학교건설, 초중등 및 고등 교육, 직업훈련, 초청연수, 장학사업 등의 교육활동

교육

• 의료행위와 주민보건위생사업, 질병예방, 영양개선, 보건관련 주민교육

의료보건

• 식수나 농업생산성 향상, 소득증대 등 지역의 통합적 발전에 기여하는 사업

지역개발

• 고아원, 장애인시설, 탁아소, 주간보호센터등 사회복지사업

복지사업

• 사막화 방지, 주민환경교육, 재활용, 거리환경개선 등 환경관련사업

환경

NGO 개발원조사업분야-장기개발사업

아시아태평양, 496, 59%

아프리카, 237, 28%

중남미, 37, 4% 중동, 14, 2%

유럽, 16, 2% 여러국가(개발도상국),

29, 3%

기타국가(비

개도국과의

협력사업), 13,

2%

대륙별 사업수

회원단체현황-지역

회원단체현황-사업분야별

218

91

8

61

35 46

13 13

202

34 32

89

0

50

100

150

200

250

보건의

료전문

단체,

14,

16%

기타단

체, 72,

84%

보건의료 사업수행기관

의료사업

수행기관,

33, 38%

기타,

53, 62%

새천년개발목표(MDGs)는 2000년 9월 UN 본부에서 개최된 새천년정상화의에서 채택된 빈곤퇴치를 위한 전세계적인 약속으로 191개 UN 회원국이 2015년까지 달성하기로 선언한 8가지 목표!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HIV/AIDS Prevalence

Malaria death

Child Mortality

Early Neonatal Mortality

Maternal Mortality

Goal 4. 유아사망률 감소

2015년까지 1990년 기준 5세 미만 유아사망률의 2/3를 감소시킨다

Goal 5. 산모건강의 증진

1990년부터 2015년 사이에 산모사망률을 3/4 감소시킨다

2015년까지 출산 관련 보건혜택은 누구나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Goal 6. HIV/AIDS, 말라리아 및 기타 질병 퇴치

2015년까지 HIV/AIDS의 확산을 멈추고 감소세로 돌려 놓는다

2010년까지 HIV/AIDS 치료를 필요로 하는 모든 이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2015년까지 말라리아 및 다른 주요 질병의 발병률 증가를 막고 감소세로 전환시킨다

보건의료 사업 분야

진료소(병원) 운영 및 지원

의료기기 및 약품 지원, 의료비 지원

무료 진료 및 수술 / 단기 의료 봉사

의료인 교육 및 연수

기초보건사업 – 영유아 및 모성 보건 사업

결핵퇴치사업 / 기생충 퇴치 및 관리 / 열대질환 관리

말라리아 퇴치 사업

에이즈 예방 및 퇴치 사업

Vision Care Center 1(VCC)

Pakistan Lahore : UCH-Sambu Korean Eye Center

사례

사례

인권기반 접근

시혜,복지적 접근

접근의 변화

1. 보건인력

1) 지역 내 보건인력의 역량 강화

2) 정부가 적절한 보건인력을 수급/배치하도록

로비

2. 보건 시스템

1) 적절한 기초 의료 기구 확보

2) 견고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스템 마련

3) 소외 지역 기초 보건시설에서 다음 단계 의료

시설로의 후송 및 연락 시스템 강화

접근의 변화

3. 거버넌스

1) 정부가 적절하고 현실적인 보건 정책 및 가이드라인을 제정하도록 압력을 가함

4. 인프라 구축

1) 보건 서비스 접근 향상을 위한 적절한 보건 시설 확장

2) 지역주민들의 보건시설로의 접근이 용이해 질

수 있도록 도로 상황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주민들 스스로의 목소리를 높이도록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