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69호(2018. 9. 12.) 2018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시장...

24
contents 1. 국내 친환경농산물의 생산 현황 ·················· 1 2. 국내 친환경농산물의 시장규모와 전망 ········ 9 3. 세계 유기농업 현황 및 주요국 정책 ··········· 12 4. 시사점 및 향후 과제 ································· 18 농정포커스 제169호(2018. 9. 12.) 2018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시장 현황과 과제 정학균 성재훈 이현정

Transcript of 제169호(2018. 9. 12.) 2018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시장...

  • 목 차contents

    1. 국내 친환경농산물의 생산 현황 ·················· 1

    2. 국내 친환경농산물의 시장규모와 전망 ········ 9

    3. 세계 유기농업 현황 및 주요국 정책 ··········· 12

    4. 시사점 및 향후 과제 ································· 18

    농정포커스

    제169호(2018. 9. 12.)

    2018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시장 현황과 과제

    정학균 성재훈 이현정

  • 감 수

    내 용 문 의

    자 료 문 의

    허정회 부연구위원

    정학균 연구위원

    성진석 선임전문원

    061-820-2324

    061-820-2248

    061-820-2212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KREI 농정포커스」는 농업・농촌의 주요 동향 및 정책 이슈를 분석하여 간략하게 정리한 것입니다.이 자료는 우리 연구원 홈페이지(www.krei.re.kr)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KREI 농정포커스 제169호

    2018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시장 현황과 과제

    등 록︱제6-0007호(1979. 5. 25.)발 행︱2018. 9.발행인︱김창길발행처︱한국농촌경제연구원

    우) 58217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01

    대표전화 1833-5500

    인쇄처︱(주)한디자인코퍼레이션ISBN︱979-11-6149-188-2 93520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공식 견해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시하면 자유롭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전재하거나 복사하면 법에 저촉됩니다.

  • KREI❘농정포커스 제169호 2018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시장 현황과 과제

    요 약Summary

    우리나라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은 2013~2015년에 다소 줄어든 이후 최근 정체되고 있음.

    – 2017년 국내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은 전년 대비 0.8% 증가하였으나 ha당 출하량은 감소하여전년 대비 13.1% 줄어든 496.4천 톤임.

    2017년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는 가격은 소폭 상승하였으나 출하량 감소로 전년보다 7.2% 감소한 1조

    3,608억 원으로 추정됨. 향후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는 연평균 5.8% 성장하여 2025년에는 2조 1,360억

    원(유기농산물 5,745억 원, 무농약농산물 1조 5,615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세계 유기농식품 시장은 공급보다 수요가 더욱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어 유기농식품의 안정적인 생산과

    수출에 관한 전략이 필요함.

    – 세계 유기농식품 소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미국, 유럽에 대한 수출전략 모색이 요구됨.

    친환경농산물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서는 기술개발, 주요 품목에 대한 생산모델 개발 등이 요구됨.

    – 잡초 및 병충해 발생이 친환경농법 전환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나타났으므로 관련 기술개발이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함.

    – 주요 품목에 대한 생산모델을 개발하여 보급할 필요가 있음.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는 2025년까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므로 다양한 친환경농산물 소비

    촉진방안이 요구됨.

    – 소비자들은 높은 가격을 소비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생각하고 있음. 따라서 친환경농산물 가격인하를 위해서는 직불제도를 통해 농가의 일반농업 대비 친환경농업 생산비 격차를

    보전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과 동시에 보다 저렴한 친환경농자재의 개발 및

    이용을 통해 비용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지속될 필요가 있음.

    – 친환경농산물의 안정적인 수요처 확보를 위해서는 우선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도를 확보하는 대책이 필요함.

    지속가능한 농업생산과 친환경농산물 생산의 인센티브 제고를 위해 현재 준비 중인 농식품부의 농업

    환경보전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

    –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 도입과 확산을 통해 친환경농산물 실천 농가를 재정적으로 지원할 뿐만아니라 국내 농업생산의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또한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 도입은 친환경농산물 생산의 환경적 가치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www.krei.re.kr

  • 2018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시장 현황과 과제

    www.krei.re.kr 1

    01 국내 친환경농산물의 생산 현황

    2017년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은 전년 대비 소폭 증가

    2017년 국내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은 유기농산물의 인증실적 증가로 인해 2016년에 비해 소폭 증

    가함.

    ◦유기농산물의 인증면적과 농가호수는 2000년 이후 안정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무농약농산물의 인증면적과 농가호수는 큰 변동성을 가지고 있음.

    – 2000년부터 현재까지 유기농 인증농가 수와 인증면적은 각각 연평균 약 23.6%, 28.1%씩 증가하였음.

    – 2001년 이후 무농약농산물 인증실적은 전체 친환경농산물 인증실적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무농약 인증농가 수와 인증면적은 2013년까지 연평균 약 25.3%, 28.2%씩 증가하

    였음. 하지만 2013년에서 2015년까지 무농약 인증농가 수와 인증면적은 급격히 감소하였음.

    – 이에 따라 친환경농산물 인증실적은 유기농산물 인증실적의 안정적인 증가 추세에도 불구하고 2012년부터 2015년까지 크게 감소하였음(, 참조).

    ◦2017년 국내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은 전년 대비 약 0.8% 증가한 80.1천 ha이며, 출하량은

    전년 대비 13.1% 감소한 496.4천 톤임.

    – 유기농산물의 인증면적과 출하량은 전년 대비 각각 4.1%, 3.2% 증가한 반면, 무농약농산물의 인증면적과 출하량은 전년 대비 각각 0.3%, 17.0% 감소함.

    ◦친환경농산물 인증농가 수는 전년 대비 2.5천 호 감소한 59.4천 호임.– 2017년 무농약농산물 인증농가는 전년 대비 3.0천 호 감소한 46.0천 호, 유기농산물 인증농가는 전년 대비 0.5천 호 증가한 13.4천 호임.

    ◦2017년 친환경농산물 농가의 호당 인증면적은 다시 상승세로 돌아선 반면, ha당 출하량은 전년에 비해 크게 감소함( 참조).

    – 2017년 유기농산물(무농약농산물) 생산농가의 호당 인증면적은 전년 대비 0.3%(6.2%) 증가한 1.5ha(1.3ha)임.

    – 2017년 유기농산물(무농약농산물) 생산농가의 ha당 출하량은 전년 대비 0.9%(16.7%) 감소한 5.5천 톤(6.4천 톤)임.

  • KREI❘농정포커스 제169호

    2

    연도별 친환경농산물 인증실적 변화 추이

    구 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5~ 17년 연평균 증감률(%)전년 대비 증감률(%)

    유기

    농가 수(천 호) 16.7 13.9 11.6 11.6 12.9 13.4 4.9 3.7면적(천 ha, A) 25.5 21.1 18.3 18.1 19.9 20.7 4.6 4.1호당 면적 1.5 1.5 1.6 1.6 1.5 1.5 -2.1 0.3비중(%, A/D) 1.47 1.23 1.08 1.08 1.21 1.28 5.8 5.5출하량(천 톤) 168.3 117.0 95.7 94.4 110.1 113.5 6.3 3.2ha당 출하량(톤) 6.6 5.5 5.2 5.2 5.5 5.5 1.9 -0.9

    무농약

    농가 수(천 호) 90.2 89.6 56.8 48.4 49.1 46.0 -1.7 -6.1면적(천 ha, B) 101.6 98.0 65.1 57.0 59.6 59.4 1.4 -0.3호당 면적 1.1 1.1 1.1 1.2 1.2 1.3 2.7 6.2비중(%, B/D) 5.87 5.73 3.85 3.39 3.63 3.67 2.7 1.1출하량(천 톤) 841.5 693.3 479.4 365.6 461.2 382.9 1.6 -17.0ha당 출하량(톤) 8.3 7.1 7.4 6.4 7.7 6.4 0.0 -16.7

    합계

    농가 수(천 호) 107.0 103.5 68.4 60.0 61.9 59.4 -0.3 -4.1면적(천 ha, C) 127.1 119.1 83.4 75.1 79.5 80.1 2.2 0.8호당 면적 1.2 1.2 1.2 1.3 1.3 1.3 0.0 5.1비중(%, C/D) 7.34 6.96 4.93 4.47 4.84 4.94 3.4 2.2출하량(천 톤) 1,009.8 810.3 575.1 460.1 571.2 496.4 2.6 -13.1ha당 출하량(톤) 7.9 6.8 6.9 6.1 7.2 6.2 0.5 -13.8

    경지면적(천 ha, D) 1,730 1,711 1,691 1,679 1,644 1,621 -1.2 -1.4

    자료: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친환경인증통계정보(http://www.enviagro.go.kr). 경지면적은 통계청의 농업면적조사를 바탕으로 함.

  • 2018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시장 현황과 과제

    www.krei.re.kr 3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 변화 추이

    자료: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친환경인증통계정보 (http://www.enviagro.go.kr).

    친환경농산물 인증농가 변화 추이

    자료: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친환경인증통계정보(http://www.enviagro.go.kr).

  • KREI❘농정포커스 제169호

    4

    2017년 곡류와 채소류의 무농약농산물 출하량이 전년 대비 급격히 감소

    2017년 친환경농산물 출하 현황은 전년 대비 10% 이상의 감소율을 보였으며, 곡류와 채소류의 무농

    약농산물 출하량이 전년 대비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품목별로 곡류(33.8%)가 가장 높은 출하량 비중을 차지하며, 채소류(28.0%)와 특용작물(26.7%)이 그 뒤를 따름.

    ◦출하량 비중이 큰 곡류와 채소류의 경우, 2017년 출하량이 전년 대비 각각 28%, 4.8% 감소하였음. 또한 2016년 출하량이 90% 이상 증가한 과실류의 2017년 출하량은 전년 대비 39.3%

    감소한 27,271천 톤임.

    – 특히 곡류와 채소류의 경우, 유기농산물 출하량은 전년 대비 각각 1.2%, 2.2%씩 증가한 반면, 무농약농산물 출하량은 전년대비 35.8%, 7.1%씩 감소하여 친환경농산물 출하량 감소의 직

    접적인 원인이 됨.

    ◦이에 반해 서류(0.7%), 특용작물(9.8%) 그리고 기타작물(32.2%)은 전년 대비 출하량이 증가하였음.

    – 특용작물의 유기농산물 출하량은 전년대비 122.8% 증가하였으며, 기타작물의 무농약농산물 출하액이 65.8% 증가하여 해당품목의 전년 대비 출하량 증가를 주도함.

    품목별 유기 (비중, %) 무농약 (비중, %) 계 (비중, %)전년 대비 증감률

    유기 무농약 계곡류   49,823 (43.9) 118,155 (30.9) 167,978 (33.8) 1.2 -35.8 -28.0

    채소류 37,258 (32.8) 101,647 (26.5) 138,905 (28.0) 2.2 -7.1 -4.8

    과실류 8,860 (7.8) 18,411 (4.8) 27,271 (5.5) -27.1 -43.9 -39.3

    서류 3,002 (2.6) 13,210 (3.5) 16,212 (3.3) 5.4 -0.3 0.7

    특용작물 9,560 (8.4) 123,171 (32.2) 132,731 (26.7) 122.8 5.7 9.8

    기타 5,023 (4.4) 8,261 (2.2) 13,284 (2.7) -0.8 65.8 32.2

    합 계 113,526 (100.0) 382,855 (100.0) 496,381 (100.0) 3.2 -17.0 -13.1

    친환경농산물 품목별․인증단계별 출하 현황(2017)단위: 톤, %

    자료: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친환경인증통계정보(http://www.enviagro.go.kr).

  • 2018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시장 현황과 과제

    www.krei.re.kr 5

    경기, 전남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전년 대비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 감소

    전체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의 50.7%인 4만 3천 ha가 전남지역에 위치하고 있음. 전북과 경기의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은 각각 6,280ha, 6,040ha로 전남에 이어 가장 많은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

    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경기지역과 전남지역의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은 각각 전년 대비 10.2%, 6.7%씩 증가한 반면, 이외

    지역의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은 2016년과 비교하여 다소 감소하였음.

    – 충남의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은 전년 대비 13.4% 감소하여 가장 큰 감소율을 보인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충북(-10.2%)과 전북(-7.6%)이 그 뒤를 따름.

    – 인증단계별로는 강원, 경기, 그리고 전남을 제외한 모든 지역의 무농약농산물 인증면적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전남의 유기농산물 인증면적은 전년 대비 21.2% 증가하여 지역 중 가장 큰 증가율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북(4.8%), 전북(3.2%), 제주(3.1%)가 그 뒤를 따름. 앞서 언급한 네

    지역을 제외한 지역의 경우, 유기농산물 인증면적이 감소하였음.

    –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이 가장 큰 전남의 유기농산물과 무농약농산물의 인증면적은 동시에 증가하였으며, 이는 전체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 증가의 주요 원인이 됨.

  • KREI❘농정포커스 제169호

    6

     구분 유기 무농약 계전년 대비 인증면적 증감률 인증 면적

    비중경지 면적

    비중유기 무농약 계

    강원 면적 1,357 2,704 4,061

    -17.9 2.8 -5.2 5.1 3.9 출하량 7,605 15,505 23,110

    경기 면적 1,760 4,280 6,040

    -3.1 16.7 10.2 7.5 3.3 출하량 10,631 72,862 83,493

    경남 면적 1,679 3,473 5,152

    -1.3 -5.7 -4.3 6.4 3.2 출하량 9,269 32,141 41,410

    경북 면적 1,092 3,504 4,596

    -9.5 -7.8 -8.2 5.7 1.7 출하량 7,860 62,154 70,014

    전남 면적 7,967 34,993 42,960

    21.2 3.8 6.7 53.6 14.2 출하량 29,769 100,776 130,545

    전북 면적 2,009 4,271 6,280

    3.2 -12.0 -7.6 7.8 3.2 출하량 10,879 23,390 34,268

    충남 면적 2,380 3,019 5,398

    -9.2 -16.4 -13.4 6.7 2.4 출하량 15,969 29,139 45,108

    충북 면적 966 2,273 3,239

    4.8 -15.4 -10.2 4.0 3.0 출하량 10,280 31,204 41,484

    제주 면적 1,464 924 2,388

    3.1 -6.5 -0.9 3.0 3.9 출하량 11,264 15,685 26,949

    계 면적 20,673 59,441 80,114

    4.1 -0.3 0.8 100.0 4.9 출하량 113,526 382,855 496,381

    지역별 친환경농산물 인증 면적 및 출하량(2017)

    단위: ha, 톤, %

    주: 광역시의 자료는 도별 실적에 포함됨.

    자료: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친환경인증통계정보(http://www.enviagro.go.kr), 통계청.

  • 2018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시장 현황과 과제

    www.krei.re.kr 7

    2016년 유기식품 수입량과 금액은 전년 대비 15.0%, 24.5% 증가

    2016년 유기식품 수입 건수·물량·금액은 2015년에 비해 대폭 증가함. ◦유기식품의 수입건수는 5천 6백여 건으로 전체 식품 수입건수의 1.3%를 차지함.

    ◦유기식품의 전체 수입물량과 수입금액은 각각 약 46천 톤, 129.4백만 달러이며, 전체 식품 수입액과 수입물량 중 약 1%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유기식품 수입물량과 금액은 전체 식품의 수입물량과 금액에 비해 빠른 속도로 증가함.

    ◦수입건수를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 수입식품 전체 수입건수의 2013년 이후 연평균 증가율은 7.1%인 데 반해 수입유기식품 수입건수의 연평균 증가율은 4.9%인 것으로 나타남.

    ◦수입식품의 수입물량과 수입금액의 2013년 이후 연평균 증가율은 약 2%인 것으로 나타남. 하지만 수입유기식품 수입물량과 수입금액의 2013년 이후 연평균 증가율은 모두 10% 이상인 것

    으로 나타남.

    ◦이는 수입유기식품의 수입이 점차 규모화, 고품질화되고 있음을 의미함.

    구분수입식품 수입유기식품

    건수 물량 금액 건수 물량 금액2012 326 13,757 14,370,106 4.6(1.4) 31(0.2) 82,477(0.6)2013 353 13,645 14,690,746 5.1(1.4) 34(0.3) 103,581(0.7)2014 393 14,185 14,625,526 3.3(0.8) 34(0.2) 86,171(0.6)2015 426 14,740 14,432,280 4.3(1.0) 40(0.3) 103,966(0.7)2016 441 14,894 14,740,391 5.6(1.3) 46(0.3) 129,484(0.9)

    증감률 +7.1 +2.0 +2.2 +4.9 +10.4 +11.9

    최근 5년간 유기식품 수입 현황

    단위: 천 건, 천 톤, 천 달러, %

    주: ( )는 전체 수입식품 중 유기가공식품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냄. 단, 2017년 이후 수입유기식품 수입 현황을 집계하는 방법이 변경되어 2016년 통계

    자료부터 적용됨. 구체적으로 2016년 이후에는 유기식품 신고 건수를 바탕으로 현황을 작성한 반면, 2017년부터는 상품의 상호명이나 상품의 특징을

    바탕으로 유기식품 수입 현황을 작성함.

    자료: 식품의약품안전처(2017). 수입식품 등 검사연보.

  • KREI❘농정포커스 제169호

    8

    품목별로는 바나나, 갈색설탕, 밀이 가장 많이 수입된 품목으로 나타남. 국가별로는 페루, 터키, 브라질,

    미국 등에서 유기식품을 다량 수입하는 것으로 나타남.

    유기식품 품목․국가별 수입 현황(2016년 기준)순번 품목(중량 순) 중량(kg) 제조국(중량 순) 중량(kg)

    1 바나나 8,616,331 페루 8,727,7812 갈색설탕 6,774,254 터키 5,313,0373 밀 4,809,981 브라질 4,422,7174 과일, 채소가공품 4,323,194 미국 4,412,3525 밀가루 2,578,354 독일 2,878,8166 경성치즈 1,981,953 호주 2,254,9537 당류가공품 1,888,953 중국 1,978,5108 대두 1,466,561 콜롬비아 1,410,8669 기타식용유지 1,139,772 캐나다 1,329,51810 백설탕 1,013,085 멕시코 1,314,80711 침출차 943,471 태국 1,281,54312 과일, 채소주스 824,846 폴란드 943,22013 과일, 채소음료 715,785 이탈리아 937,04214 유당 658,200 필리핀 936,32015 커피 528,309 아르헨티나 919,80816 정제, 가공을 거쳐야 하는 식품원료 401,648 뉴질랜드 877,61017 소스류 394,379 그리스 617,21118 유청분말 327,750 프랑스 612,22019 유채(평지)/유채씨 327,600 오스트리아 547,44720 땅콩 또는 견과류 가공품 319,757 네덜란드 495,334

    주: 품목 및 국가 정렬기준-중량의 상위 20개 품목.

    자료: 식품의약품안전처(2017). 수입식품 등 검사연보.

  • 2018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시장 현황과 과제

    www.krei.re.kr 9

    02 국내 친환경농산물의 시장규모와 전망

    2017년 국내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는 전년 대비 7.2% 감소한 1조 3,608억 원

    2017년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는 전년 대비 7.2% 감소한 1조 3,608억 원 수준임.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는 인증단계별·품목별 출하량을 바탕으로 친환경농산물 대표 15개 품목 가격자료와 유통업체의 수수료 및 유통비용 등을 고려하여 개괄적으로 산출함.1)

    친환경농산물의 인증단계별 ․품목별 시장 거래규모(2017)단위: 억 원, %

    구 분  유기농 무농약 계 2016년 시장규모 전년 대비 증감률곡류 1,638 2,989 4,627 5,217 -11.3

    채소류 987 2,308 3,295 3,617 -8.9과실류 391 712 1,103 1,834 -39.9서류 142 486 628 611 2.8

    특작·기타 1,184 2,771 3,956 3,387 16.8계 4,342 9,265 13,608 14,665 -7.2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추정치(2018. 7.). 2015년 시장규모 추정 시 저농약 농산물의 시장 규모는 제외하였음.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한 시장 유통

    비중과 농산물 유통공사에서 제공하는 친환경 농산물 15개 품목의 가격 자료를 바탕으로 추정함.

    ◦품목별로는 곡류(5,217억 원)가 가장 큰 시장규모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소류(3,617억 원)와 특작·기타(3,387억 원)가 그 뒤를 따름.

    ◦과실류의 시장규모는 전년 대비 39.9% 감소하여 감소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곡류(-11.3%)와 채소류(-8.9%)가 그 뒤를 따름.

    – 친환경과실류의 시장규모는 매년 큰 변동성을 가짐. 2016년 친환경과실류의 시장규모는 전년 대비 79.7% 증가하였으나, 2017년에는 전년 대비 39.9% 감소한 것으로 계측됨.

    – 출하량이 증가한 특작·기타와 서류의 시장규모는 각각 전년 대비 16.8%, 2.8% 증가하였음.

    1) 대표 15개 품목은 쌀, 풋고추, 무, 배추, 상추, 토마토, 딸기, 오이, 양파, 사과, 배, 감귤, 감자, 고구마, 그리고 팽이버섯임. 각 품

    목의 가격 단위를 원/kg으로 전환하기 위해 배추 1포기는 3kg, 무 한개 0.8kg, 감귤 10개 1kg, 배 10개 3kg, 오이 10개 1.5kg이

    라 가정함. 각 품목별 기타 작물의 시장규모를 추정하기 위해 각 품목에 속한 대표작물 3개의 평균 가격을 이용하였으며, 3개의 대

    표 작물은 출하량 기준으로 선정하였음.

  • KREI❘농정포커스 제169호

    10

    품목류별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 변화

    자료: 2015년 이전에 추정된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는 친환경 벼의 도정률을 감안해 주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시장규모가 과대 추정될 가능성이 있음.

    ◦무농약농산물과 유기농산물 시장규모의 연도별 변화는 각각의 출하량 변화와 비슷한 양상을 보임.

    – 2012년에서 2015년까지 연평균 7.0%씩 지속적으로 감소한 무농약농산물 시장규모는 2016년 잠깐 회복세로 전환되었지만 2017년 다시 감소하여 2015년 수준인 9,265억 원에 그침.

    – 이에 반해 유기농산물 시장의 경우, 큰 변화 없이 2008년 이후 연평균 약 11.0%씩 증가하였음. 2017년 유기농산물 시장규모는 4,342억 원임.

    인증단계별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 변화

    자료: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에 대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추정치를 추세 분석한 결과임. 2015년 이전에 추정된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는 친환경 벼의

    도정률을 감안하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시장규모가 과대 추정될 가능성이 있음.

  • 2018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시장 현황과 과제

    www.krei.re.kr 11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는 2025년 2조 1,36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

    2018년 이후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는 증가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친환경농산물의 시장규모를 예측하기 위해 2006년부터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추정한 친환경농산물 인증별·품목별 시장규모를 추세 분석하였음.

    ◦추세 분석 결과,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는 연평균 5.8% 성장할 것으로 계측되었으며, 2025년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는 2조 1,36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유기농산물의 시장규모는 연평균 3.6%씩 증가하여 2025년 5,745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됨. 무농약농산물의 시장규모는 유기농산물보다 빠른 연평균 6.7%씩 증가하여 2025년 1조

    5,615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하지만 이러한 추세분석은 매년 실현된 시장규모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으며, 보다 강건한 시장규모 전망을 위해서는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됨.

    구 분 2017 2018 2019 2020 2021 2025곡 류 4,627 6,903 7,147 7,391 7,636 8,614

    채소류 3,295 4,317 4,348 4,379 4,411 4,536과실류 1,103 1,516 1,594 1,672 1,749 2,059서 류 628 827 851 875 899 996

    특작·기타 3,955 4,291 4,414 4,538 4,661 5,156총 계 13,608 17,853 18,354 18,855 19,356 21,360

    품목류별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 전망

    단위: 억 원

    자료: 2006년 이후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에 대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추정치를 추세 분석한 결과임.

    인증단계별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 전망

    단위: 억 원

    구 분  2017 2018 2019 2020 2021 2025유기농 4,342 4,311 4,516 4,721 4,925 5,745무농약 9,266 13,543 13,839 14,135 14,431 15,615전 체 13,608 17,853 18,354 18,855 19,356 21,360

    자료: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에 대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추정치를 추세 분석한 결과임.

  • KREI❘농정포커스 제169호

    12

    03 세계 유기농업 현황2) 및 주요국 정책3)

    2016년 전 세계 유기농경지 면적은 전년 대비 약 15% 증가

    2016년 전 세계 농경지의 약 1.2%, 총 면적 5,780만 ha에서 유기농업을 실천함.

    ◦2016년 유기농경지 면적은 1999년 대비 5배, 전년 대비 약 15% 증가함. – 전년 대비 증가면적은 750만 ha로 대부분 호주의 유기농경지 증가분 500만 ha로 인한 것임. 중국은 전년 대비 약 67만 ha가 증가하여 42%의 증가율을 보였고, 우루과이는 전년 대비 약

    30만 ha가 증가하여 27%의 증가율을 보임. 인도와 이탈리아에서도 각각 약 30만 ha가 유기

    농경지로 전환됨.

    ◦야생채집지 및 양봉지역 등 기타 유기지역 면적은 3,970만 ha로 유기농경지와 기타 유기지역을 포함한 총 유기면적은 9,750만 ha임.

    ◦세계 유기농경지 면적의 47%는 오세아니아, 23%는 유럽에 위치하여 전 세계 유기농경지 면적의 70%가 두 대륙에 집중됨. 오세아니아의 유기농경지 비중은 6.5%, 유럽은 2.7%(유럽연합

    6.7%)이며, 다른 대륙의 비중은 1% 미만임.

    2016년 세계 유기농업 실천면적 분포

    자료: FiBL and IFOAM(2018). The World of Organic Agriculture: statistics and emerging trends.

    2) 이 장의 내용은 FiBL and IFOAM(2018)의 주요 내용을 기초로 정리하였음.

    3) 주요국 정책은 김창길·이혜진·정학균(2016)의 주요국의 유기농업 육성정책 보고서의 일부 내용을 요약하여 제시함.

  • 2018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시장 현황과 과제

    www.krei.re.kr 13

    2016년 유기농경지 면적 ․비중 상위 국가 2016년 유기농경지 면적 상위 국가 2016년 경지면적 대비 유기농경지 비중 상위 국가

    자료: FiBL and IFOAM(2018). The World of Organic Agriculture: statistics and emerging trends.

    2016년 세계 유기농업 현황 주요 지표

    지 표 총 규모 주요 국가

    유기농업 시행 국가 179개국(2015) → 178개국(2016)

    유기농경지 1,100만 ha(1999) → 5,090(2015) → 5,780(2016)호주: 2,715만 ha아르헨티나: 300만 ha중국: 230만 ha

    농경지 중 유기농경지 비중 1.1(2015) → 1.2(2016)

    리히텐슈타인: 37.7%프랑스령 폴리네시아: 31.3%사모아: 22.4%

    기타 유기농업지역(주로 야생채집) 4,100만 ha(1999) → 3,970(2015) → 3,990(2016)

    핀란드: 1,160만 ha잠비아: 670만 ha인도: 420만 ha

    생산자 수 200만 명(2013) → 240(2015) → 270(2016)인도: 835,000명우간다: 210,352명멕시코: 210,000명

    유기농 시장규모 179억 달러(2000) → 816(2015) → 897(2016)미국: 431억 달러(389억 유로)독일: 105억 달러(95억 유로)프랑스: 75억 달러(67억 유로)

    일인당 소비액 10.05달러(2013) → 11.1(2015) → 12.1(2016)스위스: 304달러(274유로)덴마크: 252달러(227유로)스웨덴: 218달러(197유로)

    유기농업 규정 보유국 87개국(2016, 2017)

    자료: FiBL and IFOAM(2018). The World of Organic Agriculture: statistics and emerging trends.

  • KREI❘농정포커스 제169호

    14

    ◦호주의 유기농경지 면적이 2,715만 ha로 가장 넓고, 아르헨티나(300만 ha)와 중국(230만 ha)이 그 뒤를 따름.

    – 가축 방목지는 생산에 필요한 투입재가 비교적 적어 유기농으로 전환하는 것이 용이한 편임. 농경지의 97%가 방목지인 호주 농업 구조의 특성이 유기농경지 면적 확대에 일부 기여했을

    것으로 판단됨.

    – 유기농경지 면적 상위 10개국이 전 세계 유기농경지의 75%를 차지함.

    ◦유기농경지 면적 비중이 10% 이상인 국가는 주로 유럽 혹은 도서 국가임.– 유기농경지 면적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는 리히텐슈타인으로 37.7%의 농경지가 유기농경지이며, 이어 프랑스령 폴리네시아(31.3%), 사모아(22.4%), 오스트리아(21.9%), 에스토니아(18.9%)

    순임.

    2016년 세계 유기농식품 시장 규모 분포

    2016 세계 유기농식품 시장 국가별 분포 2016 세계 유기농식품 시장 대륙별 분포

    자료: FiBL and IFOAM(2018). The World of Organic Agriculture: statistics and emerging trends.

  • 2018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시장 현황과 과제

    www.krei.re.kr 15

    2016년 세계 유기농 식품·음료 시장규모는 897억 달러로 전년 대비 10% 증가,

    향후 지속적으로 성장할 전망

    2016년 세계 유기농 식품·음료 시장규모는 897억 달러로 전년 대비 10% 증가하였고 향후 지속적으

    로 성장할 전망임.

    ◦지난 20년 동안 세계 유기농 식품·음료 시장은 500% 증가한 반면, 유기농경지 면적은 420% 증가하여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한 실정임.

    – 그러나 전 세계 유기농식품 시장의 90%가 북미와 유럽에 집중되어 있고 유기농식품 소비의 대부분이 소수 고정 소비자층에서 발생하는 등 수요의 편차가 큼( 참조).

    ◦유기농식품 시장규모는 미국이 389억 유로로 가장 크며, 이어 독일(95억 유로), 프랑스(67억 유로), 중국(59억 유로) 순임.

    – 전년 대비 두 자리대 시장 성장률을 보인 국가는 프랑스(22%), 아일랜드(22%), 덴마크(20%), 노르웨이(20%)임.

    ◦유기농식품 시장 점유율은 덴마크(9.7%)에서 가장 높고, 이어 룩셈부르크(8.7%), 스위스(8.4%), 오스트리아(7.9%), 스웨덴(7.9%)임.

    – 2015년 0.8%p 증가하여 전년에 이어 유기농식품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덴마크는 여러 판로 중 일반소매점에서 유기농 제품 판매 비중이 87%로 다른 유럽국가에 비해 월등히

    높음.

    ◦1인당 유기농식품 소비액이 가장 큰 국가는 스위스(274유로), 덴마크(227유로) 스웨덴(197유로) 순임. ◦유기농식품 구매 동기는 국가별로 다름. 프랑스 및 독일 소비자의 유기농식품 주요 구매 동기

    는 ‘환경에 대한 관심’, 미국은 ‘건강’, 중국은 ‘식품 안전 및 품질에 대한 우려’임. 따라서 유기

    농식품의 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각국의 유기농식품 구매 동기와 유기농이 대표하는 가치를 바

    탕으로 한 홍보 혹은 수출 전략이 필요함.

    2016년 1인당 유기농식품 구입비중 상위 10개국

    단위 : 유로

    자료: FiBL and IFOAM(2018). The World of Organic Agriculture: statistics and emerging trends.

  • KREI❘농정포커스 제169호

    16

    주요국은 유기농업 직불금 외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유기농가 지원

    유기농업 면적이 증가한 데에는 각국의 유기농업지원 정책이 큰 역할을 함. 유기농업 정책은 크게 유

    기농 전환 및 지속 직불금을 통해 직접 지원하는 방식과 농업 관련 환경 및 자원보전 프로그램을 통해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이 있음. 여기에서는 후자의 방식에 대해 EU, 스위스, 미국의 사례를 살펴보

    고 시사점을 찾고자 함.

    EU는 제1기둥(Pillar 1)의 녹색화 직불금(Green Payment)을 지원하고 있는데 유기농 생산자의 영농방

    식 자체가 녹색화 직불금에 대한 주요 요소를 준수하게 됨에 따라 자동적으로 녹색화 직불금을 수령할 수

    있음.

    – EU 공동농업정책의 녹색화 직불금은 세 가지 기본 조건을 통해 시행되는데 1) 영구초지 유지, 2) 작물의 다각화; 10ha(30ha) 이상인 경우 반드시 최소 두 개(세 개)의 작물 재배, 3)

    15ha보다 큰 면적(영구초지 제외)을 보유한 농가의 경우 경작지의 최소 5%를 ‘생태초점지역

    (ecological focus area)’으로 유지 등이 있음.

    – 제2기둥(Pillar 2)의 경우 유기농업 전환 및 지속 지원금 지원 외에도 자산투자, 품질제도, 자문서비스 등에 관한 조항들에 유기농업에 대한 지원이 명시됨.

    스위스는 농업 전반의 공익적 역할을 강조하고 있으며 유기농업은 농업의 환경보전적 기능을 담당하

    는 하나의 수단임. 따라서 유기농업을 실천하는 농가는 유기농업 직불금 이외에도 자원효율성 직불

    금, 생물다양성 직불금, 생산시스템 직불금 등 다양한 직불금을 받고 있으며, 이를 통해 소득 안정화

    를 꾀하고 있음.

    – 자원효율성 직불금은 지속가능한 천연 자원의 이용과 자재 사용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2014년에 신설되었으며, 축분시비법, 토양보전법과 같은 생태학적 활동증명(Proof of

    Ecological Performance: PEP)을 하도록 되어 있는 생산기술을 사용할 경우 받을 수 있는

    직불금임.

    – 생물다양성 직불금은 조방적으로 이용되는 초지, 숲 방목지, 윤작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휴경지, 다양한 완충대 등 다양한 생물다양성 유지 활동을 하는 농가가 받을 수 있는 직불금임.

    – 생산시스템 직불금은 유기농업에 대한 직불금 이외에도 조방적 생산 직불금(곡물과 유채를 대상), 동물복지 직불금(정기적인 야외방목과 동물친화적 축사를 도입한 농가에 지원) 등이

    있음.

  • 2018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시장 현황과 과제

    www.krei.re.kr 17

    미국 자연자원보호청(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은 토양 유실, 토질·수질·대기질 개선, 에

    너지 보전, 삼림지대와 습지 보존, 야생 서식지 보존 등을 통해 토지의 생산성과 환경적 측면을 강화

    하기 위한 기술 및 재정적 지원을 제공함. 유기농 생산자들에게만 적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는

    환경개선장려시책의 유기농 계획(Environmental Quality Incentive Program Organic Initiative:

    EQIP OI)과 보전관리시책(Conservation Stewardship Program: CSP)이 있음.

    – EQIP OI는 유기농 생산자들의 자원 이용과 관련된 보전 활동들을 기술·금전적으로 지원함. 보전계획 개발, 완충지대 구축, 수분매개체 서식지 조성, 토양 유실을 최소화하면서 지력과

    유기질을 개선시키는 활동, 방목계획 수립 및 지지하는 축산 영농활동(supportive livestock

    practices) 개발 등이 있음.

    – CSP는 농업인들의 자원환경 보전활동을 관리·유지·개선하고 추가적인 보전활동을 도입할 수 있도록 농업인들의 토지 여건과 목적에 맞는 기술적인 보조와 금전적인 지원을 제공함. 예

    를 들어 보전활동 중의 하나인 ‘사전방목계획’을 따르고 있는 농업인에게 추가적으로 ‘야생동

    물을 위한 식물조성’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것임.

  • KREI❘농정포커스 제169호

    18

    04 시사점 및 향후 과제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 확대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생산기술개발이 필요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은 2013~2015년에 다소 줄어든 이후 최근 정체되고 있음.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 확대를 위해서는 생산기술 개발에 대한 연구개발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김창길 외 2016).

    ◦친환경농산물 생산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무농약농산물 면적의 감소로 생산량은 2013~ 2015년에 크게 감소한 이후 정체되는 양상을 보임. 친환경농업을 실천하는 데 있어 가장 큰 어

    려움은 ‘친환경농산물 생산기술’(39.9%), ‘친환경농산물 판로확대(23.8%)’ 등으로 나타났음.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 확대를 위해서는 생산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 특히 고령화된 농가는 잡초 및 병충해 발생이 친환경농법 전환의 가장 큰 애로사항

    으로 조사됨. 따라서 잡초 및 병충해 방제 기술 개발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농가수용

    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현장 수요의 정확한 반영과 경제성 및 현장 적용성 분석이 병행될 필요가

    있음.

    ◦또한 주요 품목에 대한 생산모델을 개발하여 보급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국내 선도농가, 국내외 주요 친환경재배 매뉴얼, 해외 사례를 수집·분석하여 지역 및 품목별 특성에 맞는 친환

    경 생산모델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

    친환경농업 확대는 부존자원 활용의 최대화를 위해 지역 및 품목의 특징을 충분히 반영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음.

    ◦지역별 인증면적 현황을 보면, 전남이 절반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여 여전히 다른 지역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 2017년 인증면적은 전남, 경기지역을 제외하고 전년에 비해 모두 감소하였

    으며, 전남은 유기면적이, 경기지역은 무농약 면적이 증가를 주도함.

    ◦품목별로 보면 과실류의 연도별 변동이 다른 품목별 변동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용작물의 비중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임.

    ◦친환경농업을 효과적으로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재배되고 있는 주요 품목, 부존자원 등 지역 및 품목의 특징을 충분히 반영할 필요가 있음.

  • 2018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시장 현황과 과제

    www.krei.re.kr 19

    친환경농산물 소비촉진을 위해서는 가격인하, 신뢰회복, 판로확대 등의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는 2025년까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므로 다양한 친환경농산물 소비

    촉진방안이 요구됨.

    ◦2018년 이후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는 2025년까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소비자 조사 결과 친환경농산물이 관행농산물에 비해 가격이 높아 판로와 수요창출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친환경농산물 구입 경험자의 친환경농산물 구입 시 애로사항과 관련하여 1순위가 ‘가

    격이 비싸서’(74.3%)로 나타났고, 2순위는 ‘친환경농산물 인증제도의 이해와 신뢰성 저하’

    (13.8%) 등으로 나타났음(김창길 외 2016).

    – 일반농산물 대비 친환경농산물 시장가격 프리미엄은 품목과 인증단계에 따라 다르지만 유기농산물 67~87%, 무농약 59~79% 수준임. 한편 소비자가 원하는 적정가격 프리미엄은 유기

    농산물 42~54%, 무농약 38~49% 수준 등으로 나타남(김창길 외 2016). 친환경농산물 가격

    인하를 위해서는 직불제도를 통해 농가의 일반농업 대비 친환경농업 생산비 격차를 보전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과 동시에 보다 저렴한 친환경농자재의 개발 및 이용을 통해

    비용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지속될 필요가 있음.

    – 2012년 이후 친환경농산물 시장 감소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는 2008년 이후 빈번하게 발생한 부실인증 사례임. 따라서 친환경농산물의 안정적인 수요처 확보를 위해서는 우선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도를 확보하는 대책이 필요함. 이를 위해 민간인증기관의 역

    량 강화 방안과 민간인증기관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함.

    ◦공공급식, 수출 등을 통해 친환경농산물의 판로확대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학교, 요양원, 군대, 병원 등에 친환경농산물 공공급식을 확대하기 위해 친환경 급식업체, 제조 및 가공업체에 원료구입 자금 등을 지원하고 지자체 급식센터와 친환경 물류센터를 연계

    한 친환경농산물 조달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

    – 세계 유기농식품 시장 수요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의 경우 전 세계 유기농식품 소비량의 48.1%를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음. 따라서 국내 유기농식

    품의 안정적 생산과 수출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 KREI❘농정포커스 제169호

    20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친환경농산물 실천농가에 대한

    경제적 인센티브 제공

    지속가능한 농업생산과 친환경농산물 생산의 인센티브 제고를 위해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의 효과

    적인 활용이 필요함.

    ◦농식품부는 농업의 환경보전 기능 강화를 위해 일종의 상호준수 프로그램인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을 제4차 친환경농산물 육성 5개년 계획의 중요한 부분으로 준비 중임.

    ◦EU, 스위스,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은 일반 농업환경보전 정책에서 유기농업을 건전한 농업생태계 유지의 주요한 수단으로 인식하여 지원하고 있음. 또한 스위스의 경우 다양한 직불금을 개발하여

    유기농업 실천 농가를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다양한 일반농업 정책에서 유기농업을 실천

    하는 농가에 추가적인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의 정책 결합을 통해 유기농업 농가를 지원하거나 환

    경 친화적인 영농 활동에 대해 직불금을 지급할 필요가 있음.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의 도입과 확산을 통해 친환경농산물 생산을 재정적으로 지원할 뿐만 아니라 국내 농업생산의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또한 농업환경보전프로

    그램 도입은 친환경농산물 생산의 환경적 가치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

    을 것으로 생각됨.

    ◦따라서 농업환경 지표를 바탕으로 친환경농산물 생산의 환경적 가치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생산하고, 이를 통해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과 친환경농산물 육성이 유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표지요약1. 국내 친환경농산물의 생산 현황2. 국내 친환경농산물의 시장규모와 전망3. 세계 유기농업 현황2) 및 주요국 정책4. 시사점 및 향후 과제

    /ColorImageDict > /JPEG2000ColorACSImageDict > /JPEG2000ColorImageDict > /AntiAliasGrayImages false /CropGrayImages true /GrayImageMinResolution 300 /Gray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GrayImages true /GrayImageDownsampleType /Bicubic /GrayImageResolution 300 /GrayImageDepth -1 /GrayImageMinDownsampleDepth 2 /Gray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GrayImages true /GrayImageFilter /DCTEncode /AutoFilterGrayImages true /GrayImageAutoFilterStrategy /JPEG /GrayACSImageDict > /GrayImageDict > /JPEG2000GrayACSImageDict > /JPEG2000GrayImageDict > /AntiAliasMonoImages false /CropMonoImages true /MonoImageMinResolution 1200 /Mono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MonoImages true /MonoImageDownsampleType /Bicubic /MonoImageResolution 1200 /MonoImageDepth -1 /Mono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MonoImages true /MonoImageFilter /CCITTFaxEncode /MonoImageDict > /AllowPSXObjects false /CheckCompliance [ /None ] /PDFX1aCheck false /PDFX3Check false /PDFXCompliantPDFOnly false /PDFXNoTrimBoxError true /PDFXTrimBoxToMedia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SetBleedBoxToMediaBox true /PDFXBleedBoxToTrim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OutputIntentProfile () /PDFXOutputConditionIdentifier () /PDFXOutputCondition () /PDFXRegistryName () /PDFXTrapped /False

    /CreateJDFFile false /Description > /Namespace [ (Adobe) (Common) (1.0) ] /OtherNamespaces [ > /FormElements false /GenerateStructure false /IncludeBookmarks false /IncludeHyperlinks false /IncludeInteractive false /IncludeLayers false /IncludeProfiles false /MultimediaHandling /UseObjectSettings /Namespace [ (Adobe) (CreativeSuite) (2.0) ] /PDFXOutputIntentProfileSelector /DocumentCMYK /PreserveEditing true /UntaggedCMYKHandling /LeaveUntagged /UntaggedRGBHandling /UseDocumentProfile /UseDocumentBleed false >> ]>> setdistillerparams> setpage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