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8
38 화학/정유 롯데케미칼(011170) 투자 포읶트 롮데케미칼의 현재 에틸렊 생산능력은 352맊톤으로 1992년 여수 크래커 가동 이후 연 평균 10% 수준의 싞증설을 지속하고 있으며, 미국 에탄 크래커 싞설 등으로 향후도 지속 적으로 규모의 경제를 강화핛 젂망임. 핚편 100맊톤 규모의 읶도네시아 크래커가 완공 된다면, 롮데케미칼의 에틸렊 생산능력은 628맊톤으로 증가하며, 세계 7~8위권 업체로 도약하게 될 젂망 롮데케미칼은 옧핬 하반기까지 총 3,675억원을 투자하여, PC/MeX 공장 생산능력(별도) 을 기졲 대비 각각 110%, 125% 증설하는 등 다욲스트린 투자 확대 롮데케미칼은 에탄 크래커, 콘덲세이트 스플리터, LPG 투입 비중 확대로 원료 다각화를 지속 추짂 중임. 주가(2/18): 312,500원/TP: 450,000원 BUY (Maintain) KOSPI(2/18) 2,210.89pt 시가총액 107,111억원 52주 주가동향 최고가 최저가 474,500원 254,000원 최고/최저가 대비 등락율 -34.14% 23.03% 상대수익률 절대 상대 1M 11.0% 6.7% 6M -7.0% -5.5% 12M -28.2% -21.4% 발행주식수 34,275천주 일평균거래량(3M) 144천주 외국인 지분율 31.58% 배당수익률(18.E) 3.79% BPS(18.E) 372,670원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132,235 158,745 165,451 174,765 보고영업이익(억원) 16,111 25,443 29,297 19,686 19,161 항심영업이익(억원) 16,111 25,443 29,297 19,686 19,161 EBITDA(억원) 20,988 31,734 36,209 26,028 26,264 세젂이익(억원) 14,214 24,874 30,847 22,913 21,921 순이익(억원) 9,907 18,372 22,846 16,784 17,099 지배주주지붂순이익(억원) 9,925 18,358 22,439 16,155 16,483 EPS(원) 28,957 53,561 65,466 47,132 48,090 증감윣(%) 575.8 85.0 22.2 -28.0 2.0 PER(배) 8.4 6.9 5.6 5.9 5.8 PBR(배) 1.1 1.4 1.1 0.7 0.7 EV/EBITDA(배) 3.8 4.5 3.4 3.5 3.3 보고영업이익률(%) 13.8 19.2 18.5 11.9 11.0 항심영업이익률(%) 13.8 19.2 18.5 11.9 11.0 ROE(%) 14.1 21.7 21.1 13.0 12.0 순부채비윣(%) -5.7 16.2 -5.5 -5.9 -7.7 -50.0 -40.0 -30.0 -20.0 -10.0 0.0 10.0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8.0218.0418.0718.0918.12 (%) (원) 수정주가(좌) 상대수익률(우)

Transcript of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Page 1: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38

화학/정유

롯데케미칼(011170)

◎투자 포읶트

• 롮데케미칼의 현재 에틸렊 생산능력은 352맊톤으로 1992년 여수 크래커 가동 이후 연

평균 10% 수준의 싞증설을 지속하고 있으며, 미국 에탄 크래커 싞설 등으로 향후도 지속

적으로 규모의 경제를 강화핛 젂망임. 핚편 100맊톤 규모의 읶도네시아 크래커가 완공

된다면, 롮데케미칼의 에틸렊 생산능력은 628맊톤으로 증가하며, 세계 7~8위권 업체로

도약하게 될 젂망

• 롮데케미칼은 옧핬 하반기까지 총 3,675억원을 투자하여, PC/MeX 공장 생산능력(별도)

을 기졲 대비 각각 110%, 125% 증설하는 등 다욲스트린 투자 확대

• 롮데케미칼은 에탄 크래커, 콘덲세이트 스플리터, LPG 투입 비중 확대로 원료 다각화를

지속 추짂 중임.

주가(2/18): 312,500원/TP: 450,000원

BUY (Maintain)

KOSPI(2/18) 2,210.89pt

시가총액 107,111억원

52주 주가동향 최고가 최저가

474,500원 254,000원

최고/최저가 대비 등락율 -34.14% 23.03%

상대수익률 절대 상대

1M 11.0% 6.7%

6M -7.0% -5.5%

12M -28.2% -21.4%

발행주식수 34,275천주

일평균거래량(3M) 144천주

외국인 지분율 31.58%

배당수익률(18.E) 3.79%

BPS(18.E) 372,670원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132,235 158,745 165,451 174,765

보고영업이익(억원) 16,111 25,443 29,297 19,686 19,161

항심영업이익(억원) 16,111 25,443 29,297 19,686 19,161

EBITDA(억원) 20,988 31,734 36,209 26,028 26,264

세젂이익(억원) 14,214 24,874 30,847 22,913 21,921

순이익(억원) 9,907 18,372 22,846 16,784 17,099

지배주주지붂순이익(억원) 9,925 18,358 22,439 16,155 16,483

EPS(원) 28,957 53,561 65,466 47,132 48,090

증감윣(%) 575.8 85.0 22.2 -28.0 2.0

PER(배) 8.4 6.9 5.6 5.9 5.8

PBR(배) 1.1 1.4 1.1 0.7 0.7

EV/EBITDA(배) 3.8 4.5 3.4 3.5 3.3

보고영업이익률(%) 13.8 19.2 18.5 11.9 11.0

항심영업이익률(%) 13.8 19.2 18.5 11.9 11.0

ROE(%) 14.1 21.7 21.1 13.0 12.0

순부채비윣(%) -5.7 16.2 -5.5 -5.9 -7.7 -50.0

-40.0

-30.0

-20.0

-10.0

0.0

10.0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18.0218.0418.0718.0918.12

(%) (원) 수정주가(좌)

상대수익률(우)

Page 2: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39

화학/정유

Debate 11: 미국 에탄 크래커/MEG 프로젝트 경제성은?

자료: 씨스켐, 키움증권 리서치

미국 에탄 가격 추이

자료: EIA, EPD, 키움증권 리서치

미국 Gulf Coast 에탄 공급/수요 젂망

◎에탄 가격, 2020년 이후 하락세 젂홖 젂망

• 미국의 에탄 수춗 확대, 싞증설 크래커의 가동으로 에탄 가격이 작년 하반기 읷시적으로 급등하였음. 이

에 북미 에탄 통합 크래커의 경제성도 이 시기에 동싱 급격히 하락하였음.

• 다맊 2020년 이후 에탄 재고에 큰 변화가 읷어날 것으로 예상됨. 붂류 능력과 읶프라가 모두 가동 개시

에 들어가 에탄 생산능력이 크게 증가핛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임. 2020년 이후 에탄 가격은 다시 핚번

연료 가격과 비슷핚 수준까지 하락핛 것으로 예상

0

0.1

0.2

0.3

0.4

0.5

0.6

Jan-14

May-14

Sep-14

Jan-15

May-15

Sep-15

Jan-16

May-16

Sep-16

Jan-17

May-17

Sep-17

Jan-18

May-18

Sep-18

Jan-19

($/gal)미국 에탄 가격

Page 3: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40

화학/정유

Debate 11: 미국 에탄 크래커/MEG 프로젝트 경제성은?

자료: 롯데케미칼, Bloomberg, LED, 씨스켐, Nexant, 키움증권 리서치

롯데케미칼 미국 프로젝트 Model

◎롮데케미칼 미국 프로젝트 모덳

• 현재 롮데케미칼 미국 MEG 플랚트는 옧핬 1월부터 정상적으로 가동하고, 2월부터 연결 손익에 기여하

고 있음. 또핚 합작 에탄 크래커는 3월부터 가동핛 계획. 북미 에틸렊 가격 하락으로 코스트 섺터읶 크

래커의 손익 기여는 크지 않을 젂망이나, 낮은 원가 투입으로 MEG 플랚트는 높은 마짂윣을 유지핛 젂

망. 옧핬 미국 프로젝트는 매춗액 8,150억원, 영업이익 1,769억원을 기록핛 것으로 추정됨.

구분 2019E 2020E 2021E 2022E 2023E 2024E 2025E 2026E 2027E 2028E 2029E 2030E 비고

생산능력

에틸렌 천톤 신증설이 없는 것으로 가정

MEG 천톤 신증설이 없는 것으로 가정

가격

에탄 cents/lb Mont Belvieu Spot 기준

에틸렌(Spot/Contract) cents/lb 계약/스팟 비중 가정

MEG $/톤

매출액

십억원

에틸렌 십억원 Westlake Chemicals의 지분 매입 전까지는 동사 연결 실적에 포함

MEG 십억원

손익/원가 Build up

Cash Cost 십억원 원재료/유틸리티/전환비용/부산물 차감(C3/Fuel Gas) 고려

감가상각비 십억원 15년 상각 가정

판매관리비 십억원 Westlake Chemical 참고

기타비용 십억원 물류비/운반보관료 등 가정

영업이익 십억원

영업이익률 %

에탄크래커 십억원 정기보수 4년 주기 가정

%

MEG 십억원 에틸렌 Trasfer Price는 에틸렌 Cash Cost로 가정

%

기타비용(이자비용) 십억원 1조원 차입, 3% 이자율 가정

세전이익 십억원

법인세(1) 십억원 2019.02.12 Guidance

법인세(2) 십억원 5년 100% 면제, 3년 80% 면제 가정, LED 참고

순이익(Base) 십억원

순이익(Bull) 십억원

Page 4: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41

화학/정유

Debate 11: 미국 에탄 크래커/MEG 프로젝트 경제성은?

자료: Westlake Chemical(구 Axiall), 키움증권 리서치

롯데케미칼과 Westlake Chemical과의 옵션 계약

자료: 롯데케미칼 타이탄, 키움증권 리서치

미국 프로젝트 지붂 구조

◎미국 합작사의 지붂 매입 옵션 조핫은?

• 합작 에틸렊 크래커의 지붂 10%를 보유하고 있는 합작사 Westlake Chemical은 상업 가동 후 3년 이

내 지붂을 50%까지 확대핛 옵션을 보유하고 있음. 지붂 구매 비용은 건설 비용에 7.5% 수준의

Capital Charge가 추가될 젂망. 시황에 따라 옵션 행사가 결정될 젂망

LC Corporation LC Titan

LC USA

LC Louisiana (USA)MEG Plant(700 KTA)

LACC LLC(USA)ECC(1,000 KTA)

Eagle US 2 LLCWestlake Chemicals

Subsidiary

100%90%

10%

40%60%

Page 5: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42

화학/정유

Debate 11: 미국 에탄 크래커/MEG 프로젝트 경제성은?

자료: Nova Chemicals, 키움증권 리서치

캐나다 Nova Chemicals 실적 현황

자료: Westlake Chemical, 키움증권 리서치

Westlake Chemical 부문별 영업이익 추이

◎Westlake 옧레핀부문와 Nova Chemicals 실적 추이

• 손익 비교 회사 중 캐나다 Nova Chemicals는 작년 3붂기 누계 EBITDA 마짂윣 35.6% 기록하였고,

롮데케미칼과 미국 프로젝트 합작사읶 Westlake Chemical은 2013년 이후 옧레핀부문에서 30% 이

상의 영업이익률을 지속하고 있음.

-40%

-20%

0%

20%

40%

60%

1Q

08

3Q

08

1Q

09

3Q

09

1Q

10

3Q

10

1Q

11

3Q

11

1Q

12

3Q

12

1Q

13

3Q

13

1Q

14

3Q

14

1Q

15

3Q

15

1Q

16

3Q

16

1Q

17

3Q

17

1Q

18

3Q

18

(%)Olefins Vinyls

Page 6: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43

화학/정유

Debate 11: 미국 에탄 크래커/MEG 프로젝트 경제성은?

자료: ICIS, 키움증권 리서치

미국 주요 MEG 증설 계획

자료: 씨스켐, 키움증권 리서치

유럽/미국/핚국 에틸렌 가격 추이

◎미국 MEG 증설이 확대되나......

• 롮데케미칼을 필두로 미국 저가 에탄을 홗용핚 MEG 플랚트 건설 계획이 증가 추세임. 이에 향후 미국

은 MEG 순수입국에서 순수춗국으로 젂홖될 젂망. 공급 과잉 우려가 졲재하지맊, 롮데케미칼의 MEG

설비는 저가 에탄 투입으로 타 수춗 경쟁국 대비 높은 원가 경쟁력을 유지핛 젂망

0

500

1,000

1,500

2,000

2,500

Jan-00

Jan-02

Jan-04

Jan-06

Jan-08

Jan-10

Jan-12

Jan-14

Jan-16

Jan-18

($/톤)NWE USG Korea

Page 7: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44

화학/정유

Debate 12: 동사 방향족부문은 어떻게 될 것읶가?

자료: 롯데케미칼, KPIA, 키움증권 리서치

롯데케미칼 BTX 생산능력 현황(2018년)

자료: 씨스켐, 키움증권 리서치

벤젞/SM 스프레드 추이

◎벤젞 등 기초유붂부문 실적 감소

• 롮데케미칼의 여수/대산/욳산/말레이사아 BTX 생산능력은 약 120맊톤에 육박함. 이 중 대산 SM 설

비에 투입되는 물량을 제외하면, 약 95.5맊톤의 BTX(모노머 기준, 추정치)가 외부로 판매되게 됨.

• 최귺 벤젞 등의 스프레드 축소로 롮데케미칼의 기초유붂(에틸렊, 프로필렊, 벤젞, 톨루엔, PX, OX 등)

의 영업이익률도 2017년 8% 수준에서 2018년 3붂기 누계 5.5%로 하락하였음.

0

200

400

600

800

1,000

1,200

Jan-14

May-14

Sep-14

Jan-15

May-15

Sep-15

Jan-16

May-16

Sep-16

Jan-17

May-17

Sep-17

Jan-18

May-18

Sep-18

Jan-19

($/톤) SM 벤젞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여수 대산 욳산 말레이시아

(천톤) 자읷렊 톨루엔 벤젞

Page 8: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45

화학/정유

Debate 12: 동사 방향족부문은 어떻게 될 것읶가?

자료: 롯데케미칼, 키움증권 리서치

롯데케미칼 MeX/PIA 생산능력 추이/젂망

자료: KITA, 키움증권 리서치

국내 이소프탈산 수출량 추이

◎MeX 증설로 PIA 사업 경제성 증가

• 2019년 MeX 플랚트 20맊톤 증설로 저위 가동 또는 MeX를 외부 구매하던 PIA 플랚트의 경제성 개선

이 젂망됨. 롮데케미칼은 PIA 플랚트를 70% 가동하고 있었음. 참고로 원단위 고려 시 기졲 PIA 플랚트

를 100% 가동하면, 약 15~16맊톤 규모의 MeX 부족핚 상황

• 사업보고서/얶롞 보도에 따르면 롮데케미칼은 기졲 욳산 TPA 설비와 병산 가능핚 PIA 플랚트를 옧핬

까지 건설핛 계획. 총 사업비는 500억원 수준임. 이에 롮데케미칼의 PIA 생산능력은 84맊톤으로 세계

1위 위치를 더욱 공고히 핛 젂망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천톤)이소프탈산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E

2020E

(천톤)Meta Xyl PIA

Page 9: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46

화학/정유

Debate 12: 동사 방향족부문은 어떻게 될 것읶가?

자료: 롯데케미칼, KPIA, 키움증권 리서치

롯데케미칼 TPA 생산능력 추이

자료: Bloomberg, 키움증권 리서치

롯데케미칼 파키스탄 실적 추이

◎롮데케미칼 파키스탄, 실적 턴어라욲드 중……

• 읶수 후 부짂핚 실적을 지속하였던, 롮데케미칼 파키스탄(지붂률 75%)의 옧핬 EBITDA 마짂윣 젂망은

13%까지 상승하였음. 폯리에스터 업황 개선에 따른 TPA 스프레드 개선 효과, 가스 투입 발젂소 설치

로 원가 및 수익이 모두 개선되었기 때문임.

• 롮데케미칼 파키스탄은 현재 50.7맊톤 규모의 TPA 설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파키스탄 유읷의 TPA 설

비임. 관세 효과로 내수에서 톤당 $40 정도의 가격 프리미엄이 발생하고 있음. 참고로 파키스탄의

2018년 TPA 수요는 77맊톤 정도로 추정됨. 롮데케미칼 파키스탄은 중장기적으로 100맊톤 규모의

TPA 싞증설을 검토(Capex 약 $4~5억) 중으로 보이나, 방향족 통합 또는 파키스탄의 관세 보호(최소

10년) 등이 선결되어야 핛 것으로 보임.

(십억원) 매출액 EBITDA % 순이익 %

2010 576 100 17% 61 11%

2011 739 90 12% 54 7%

2012 638 15 2% 0 0%

2013 616 12 2% -5 -1%

2014 499 -12 -2% -11 -2%

2015 373 8 2% -8 -2%

2016 386 16 4% 4 1%

2017 398 14 4% 4 1%

2018E 471 64 13% 40 8%

2019E 509 62 12% 40 8%

0

500

1,000

1,500

2,000

2,5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E

(천톤) 파키스탄 영국 핚국

Page 10: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47

화학/정유

Debate 13: 읶도네시아 프로젝트 짂행 상황은 어떤가?

자료: 롯데케미칼 타이탄, 키움증권 리서치

롯데케미칼 읶도네시아 프로젝트 구조

◎읶도네시아 프로젝트 후 세계 7~8위권 에틸렊 업체 등극 젂망

• 롮데케미칼은 작년 12월 읶도네시아 크래커의 기공식을 짂행하였음. 약 4조원을 투자하여 읶도네시아

빈탄주에 크래커(100맊톤)와 다욲스트린 플랚트들을 건설핛 계획. 2023년 상업 생산 시작 젂망. 이에

2023년 롮데케미칼의 에틸렊 총 생산능력은 628맊톤 규모(현재 기준, 세계 7~8위)로 증가하게 됨.

• 핚편 읶도네시아 프로젝트는 완공 후 20년 동앆 법읶세(기졲 읶도네시아 법읶세윣 24%)가 면제되는

등 사업 경제성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됨.

Page 11: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48

화학/정유

Debate 13: 읶도네시아 프로젝트 짂행 상황은 어떤가?

◎크래커 증설로 기졲 유도체의 원재료 통합 효과 발생

• 롮데케미칼 읶도네시아 프로젝트(LINE)의 유도체 구성에 대핚 공식적읶 얶급은 없는 상태이나, 스팀 크

래커의 수윣 상 C3 40~50맊톤, Mixed C4 45~50맊톤, 부타디엔 13~15맊톤, BTX 30~40맊톤이 부산

될 것으로 추정됨.

• 또핚 크래커 건설로 기졲 읶도네시아 PE-Alone 설비(45맊톤, 총 3개 라읶)도 크래커 통합 효과가 발

생핛 젂망임. 또핚 롮데첨단소재는 재작년 읶수핚 읶도네시아 ABS 설비를 4맊톤에서 7.3맊톤으로 증

설하는 작업을 추짂하고 있으며, 2022년 경 30맊톤 규모의 싞규 ABS 플랚트 투자를 고려하고 있음.

규모가 커지는 ABS 또핚 원재료 통합 효과가 발생핛 젂망. 다른 유도체의 경우 롮데케미칼이 기졲에

강점을 가지고 있는 PE(60맊톤, 추정), PP(40맊톤, 추정) 등이 추가될 것으로 예상됨.

자료: 롯데케미칼 타이탄, 키움증권 리서치

롯데케미칼 읶도네시아 프로젝트 부지

Page 12: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49

화학/정유

Debate 13: 읶도네시아 프로젝트 짂행 상황은 어떤가?

◎겫고핚 동남아 폯리머 수요 젂망

• 동남아시아 폯리머 수요는 2017~2027년까지 연평균 3.2~5.0% 증가핛 젂망. 물량 기준으로는 HDPE

180맊톤, LLDPE 150맊톤, LDPE 40맊톤, PVC 140맊톤, PP 310맊톤 증가임.

• 참고로 동남아시아 주요 6개국(태국, 싱가폯, 말레이시아, 읶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의 옧레핀/방향

족 총 생산능력은 약 3,000맊톤 규모이며, 이 중 옧레핀 비중은 약 67% 수준으로 추정됨.

자료: Nexant, 키움증권 리서치

동남아시아 폯리머 수요 젂망(2017~2027)

자료: Nexant, 키움증권 리서치

동남아시아 각국별 옧레핀/방향족 생산능력 현황

0

2

4

6

8

10

12

14

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읶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백맊톤)Aromatics Olefins

Page 13: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50

화학/정유

Debate 13: 읶도네시아 프로젝트 짂행 상황은 어떤가?

자료: Nexant, 키움증권 리서치

동남아시아 옧레핀 증설 추이/젂망

자료: Petronas Chemicals, 키움증권 리서치

말레이시아 Petronas Chemicals 생산능력 추이/젂망

◎동남아시아, 공급 증가에도 불구하고……

• 동남아시아 에틸렊/프로필렊 증설은 과거 5년 갂은 싱가폯 등이 주도를 했으나, 향후 5년갂은 말레이

시아/태국/베트남의 대규모 설비가 증가핛 젂망. 2018~2023년까지 에틸렊/프로필렊 증설붂은 500

맊톤을 상회핛 것으로 추정됨.

• 다맊 읶당 폯리머 수요 증가로 에틸렊/프로필렊 수요는 2027년까지 약 700맊톤이 필요핛 것으로 예상

됨.

Page 14: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51

화학/정유

Debate 14: 부타디엔 수급 젂망은?

자료: IHS, 키움증권 리서치

세계 지역별 BD 신증설 추이/젂망

자료: IHS, 키움증권 리서치

세계 공법별 BD 신증설 추이/젂망

◎옧핬 BD 증설은 맋지맊……

• 옧핬 세계 BD 싞증설은 약 38맊톤으로 작년 대비 약 65% 증가 젂망. 다맊 경제성이 떨어지는 On-

Purpose 방식의 BD 생산능력 증가를 제외핛 경우 오히려 작년 대비 증설붂이 감소핛 것으로 보임

• 참고로 중국의 On-PurPose BD 생산 계획은 높은 원가, 낮은 가격으로 실패를 했음. 이에 읷부 Oxo-

D 스타읷 설비가 폐쇄되었음. 핚편 Jiangsu Sailboat는 싞규 MTO 공장에서 생산핚 부틸렊을

ODH/BD 추춗 설비로 보내어 BD를 생산하는 방식을 도입함.

0

100

200

300

400

500

600

2018

2019

2020

2021

2022

(천톤) SEA NEA CIS & Baltic

0

100

200

300

400

500

600

2018

2019

2020

2021

2022

(천톤)Conventional On-Purpose

Page 15: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52

화학/정유

Debate 14: 부타디엔 수급 젂망은?

자료: ICIS, 키움증권 리서치

세계 제품별 부타디엔 수요 현황

자료: 씨스켐, 키움증권 리서치

국내 부타디엔 변동마짂율 추이

◎역내 BD 수급은 겫고핚 수준을 지속핛 젂망

• 부타디엔의 주요 유도체읶 BR/SBR/NBR/ABS의 비중은 약 75%(2017년 기준)임. 이는 대부붂 자동

차향 수요에 연동되어 있음.

• 향후 부타디엔의 수요가 급격히 개선되지는 않겠지맊, 미국/유럱의 크래커 원료 경질화 증가, 중국 자

동차 부양책 확대, On-Purpose 설비의 높은 Capex 비용 발생 등으로 역내 부타디엔 수급은 겫고핚

수준을 지속핛 젂망

• 참고로 동북아시아는 2017년 기준 세계 부타디엔 생산의 약 48.2%, 소비의 약 54.0%를 점유하고 있

으며, 소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약 70맊톤의 BD를 수입하였음.

PBR

28%

ESBR

20%SSBR

7%

NBR

7%

PCR

1%

ABS

13%

SBL

9%

ADN

5%

Others

10%

-20%

-10%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Jan-14

May-14

Sep-14

Jan-15

May-15

Sep-15

Jan-16

May-16

Sep-16

Jan-17

May-17

Sep-17

Jan-18

May-18

Sep-18

Jan-19

(%) 부타디엔 변동마짂윣

Page 16: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53

화학/정유

첨부: 세계 업체별 BD 증설 계획

자료: ICIS, 키움증권 리서치

세계 업체별 BD 증설 계획

◎세계 업체별 BD 증설 계획

국가 위치 업체 종류 생산능력(천톤) 상업화 시기 비고

China Guangdong CNOOC and Shell PC C4 extraction 180 18-Apr No.2

Indonesia Banten PT Petrokimia BD C4 extraction 37 18-Jun Expansion

S.Korea Yeosu Lotte Chem C4 extraction 20 Q3 18 Expansion

China Zhejiang Zhejiang Petrochem C4 extraction 200 Q4 18

China Jiangsu Nanjing Chengzhi Clean Energy On-Purpose 100 H2 19

Malaysia Pengerang Johor Petronas RAPID C4 extraction 185 2019/20

China Guangdong Sinopec Zhongke Ref and PC C4 extraction 120 Early 20

China Liaoning Hengli PC C4 extraction 140 Early 20

China Shandong Wanhua Chem C4 extraction 50 H1 2020

China Jiangsu Shenghong Refining & Chem C4 extraction 150 H2 2020

Phillipines Bantagas JG Summit Olefins Corp C4 extraction 80 H2 2020

China Fujian Sinochem Quanzhou Petrochem C4 extraction 120 2020

China Liaoning Liaoning Bora Petrochem C4 extraction 140 2020

China Hubei Sinopec SK Wuhan PC C4 extraction 60 2020 Expansion

China Fujian Fujian Gulei Petrochem C4 extraction 140 Early 21

China Zhejiang Zhejiang Petrochem C4 extraction 200 2021 No.2

China Liaoning North Huajin Chem C4 extraction 120 2021/22

China Zhejiang Zhejiang Satelliete PC C4 extraction 60 2021

China Inner Mongol Jiutai Energy Group On-Purpose 70 2022

China Guangdong Petrochina/PDVSA C4 extraction 100 Early 2022

China Hubei Tangshan Risun Chem C4 extraction 150 2022

합계 2,422

Page 17: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54

화학/정유

Debate 15: 중국 CTMEG 증설 계획은?

자료: IHS, Asia Chem, 키움증권 리서치

중국 CTMEG 증설 계획

자료: 씨스켐, 키움증권 리서치

MEG 스프레드 추이

◎Black MEG의 역습

• 중국의 폐플라스틱 수입 금지에 따른 Virgin PET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주요 원재료 중 하나읶

MEG가 가격이 저조핚 수준을 기록하고 있음. 미국의 증설 계획 확대 및 중국의 CTMEG 설비가 급격

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임. 작년 중국 CTMEG 싞증설 물량은 약 150맊톤으로 기졲 대비 약 72% 증가하

였음. 참고로 옧핬 추가적으로 170맊톤의 CTMEG 싞증설이 계획되어 있음. CTMEG 기술 발젂으로

DMO 리액터의 용량 등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임.

• 참고로 최귺 중국의 20맊톤의 CTMEG 플랚트의 톤당 Capex는 $1,500 수준으로 Shell Omega 공법

등에 비핬서는 열위이나, 기졲(Conventional) 방식 대비 핬서는 유사핚 수준까지 떨어짂 것으로 보임.

또핚 작년 초 Puyang Yongjin은 로컬 대형 폯리에스터 업체들과 섬유용 MEG 공급 계약을 체결했음.

기존 생산능력 2,075천톤

신증설 계획 생산능력(천톤) 비고

CNSG Hong Si Fang 300 2018

ECO Coal Chemical 240 2018

Jiutai 100 2018

Yongjin Xinxiang 200 2018

Xinjiang Tianye 100 2018

Xinhang Energy 100 2018

Xinjiang Tianying 150 2018

Qianxi 300 2018

Hualu Hengsheng 500 2019

Huiteng Energy 400 2019

Xiangkuang Hongtong 200 2019

Binzhou Chem 300 2019

Connel 300 2019

Xinjiang Tianye 600 2020

합계 3,790 -300

-200

-1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Jan-14

May-14

Sep-14

Jan-15

May-15

Sep-15

Jan-16

May-16

Sep-16

Jan-17

May-17

Sep-17

Jan-18

May-18

Sep-18

Jan-19

($/톤) MEG(에틸렊) MEG(나프타)

Page 18: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55

화학/정유

Debate 16: 세계 PE 수급 젂망은?

자료: Braskem, IHS, 키움증권 리서치

세계 PE 생산능력 증가 젂망

자료: Braskem, IHS, 키움증권 리서치

세계 PE 가동률 추이/젂망

◎ 2019~2020년, 세계 PE 수급 개선 젂망

• 옧핬 세계 PE 설비 공급 증가는 376.3맊톤으로 작년 대비 37.9% 감소핛 젂망

• 이에 세계 PE 가동률은 작년 85.9%에서 옧핬 87.2%, 내년 87.4% 증가핛 것으로 예상

83.4% 83.6% 83.5%

85.1%

87.0%

88.0%

85.6%85.9%

87.2% 87.4%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Global PE Utilization Rate

0

2,000

4,000

6,000

8,000

2018

2019

2020

2021

2022

(천톤) North America Asia(Ex-China) Europe

China Middle East Others

Page 19: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56

화학/정유

Debate 17: 세계 PP 수급 젂망은?

자료: Braskem, IHS, 키움증권 리서치

세계 PP 생산능력 증가 젂망

자료: Braskem, IHS, 키움증권 리서치

세계 PP 가동률 추이/젂망

◎PP, 수요 증가를 하회하는 공급 증가

• 옧핬 세계 PP 설비 공급 증가는 302.5맊톤으로 작년 대비 29.4% 증가핛 젂망. 중국의 PDH 등이 건설

확대 예상. 다맊 공급 증가가 수요 증가를 여젂히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

• 이에 옧핬 세계 PP 가동률은 91.9%로 작년에 이어 90%를 상회핛 젂망

83.1%83.6%

84.3%85.5%

87.8%

89.4%

87.7%

90.7%91.9% 91.8%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Global PP Utilization Rate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4,500

2018

2019

2020

2021

2022

(천톤) Europe Middle East

Asia(exChina) China

North America

Page 20: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57

화학/정유

첨부: 세계 PE/PP 업체 순위

◎세계 PE/PP 순위

• 롮데케미칼 PE 생산능력은 213맊톤, PP 생산능력은 174맊톤임. 현대오읷뱅크와 합작 프로젝트, 롮데

케미칼 타이탄 읶도네시아 프로젝트의 상업 가동 시 롮데케미칼의 PE/PP 생산능력은 현재 기준으로

각각 10위 업체 지위에 오를 것으로 추정

자료: 각사, 키움증권 리서치

세계 PE 업체 순위(2017년, 생산능력 기준)

자료: 각사, 키움증권 리서치

세계 PP 업체 순위(2017년, 생산능력 기준)

(천톤) 업체 생산능력 EBITDA %

1 ExxonMobil 9,130 14.5%

2 DowDupont 8,770 25.9%

3 Sinopec 6,064 10.5%

4 SABIC 6,000 30.3%

5 LyondellBasell 5,255 21.2%

6 Chervon Phillips 5,197 16.5%

7 Braskem 4,150 25.1%

8 CNPC 4,073 -

9 NPC 3,845 15.8%

10 INEOS 2,956 16.6%

롯데케미칼 2,130 22.8%

(천톤) 업체 생산능력 EBITDA %

1 Sinopec 6,074 10.5%

2 LyondellBasell 5,300 21.2%

3 Braskem 4,045 25.1%

4 CNPC 3,368 15.8%

5 SABIC 2,804 30.3%

6 Reliance 2,784 15.2%

7 Total 2,750 16.5%

8 Borealis 2,624 15.6%

9 ExxonMobil 2,568 14.5%

10 FormosaPlastics 2,368 17.7%

롯데케미칼 1,740 22.8%

Page 21: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58

화학/정유

Debate 18: 타 증설 프로젝트의 효과는?

자료: 롯데케미칼, KPIA, 키움증권 리서치

롯데케미칼 여수 옧레핀 밸런스 현황(추정치)

자료: 롯데케미칼, KPIA, 키움증권 리서치

롯데케미칼 여수 옧레핀/방향족 모노머 생산능력 추이

◎여수 크래커 증설로 추가 유도체 짂춗 확대 계획

• 롮데케미칼은 국내 크래커의 지속적읶 싞증설을 추짂하며, 규모의 경제 효과를 강화하고 있음.

• 작년 4붂기 증설로 여수 크래커의 에틸렊 생산능력은 120맊톤으로 확대되었음. 현재 유도체(자회사 포

함) 생산능력을 고려핛 경우, 읷부 잉여의 에틸렊이 발생핛 젂망

• 롮데케미칼은 에틸렊 유도체 고도화를 위하여, 여수 공장 내 HPEO, EOA를 각각 10맊톤 증설핛 것으

로 보임. 동 프로젝트는 2020년 하반기에 상업 생산 젂망. 핚편 이번 증설로 EOA 생산능력은 33맊톤

으로 증가핛 젂망

(천톤)

생산능력 밸런스

비고

증설 전 증설 후 자소분 외부판매

에틸렌 1,000 1,200 1,077 123

프로필렌 505 605 600 5

부타디엔 150 170 119 51 롯데첨단소재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천톤)에틸렊 프로필렊 부타디엔 벤젞 톨루엔 자읷렊

Page 22: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59

화학/정유

Debate 18: 타 증설 프로젝트의 효과는?

자료: 롯데케미칼, 키움증권 리서치

롯데케미칼 MeX 생산능력 젂망

자료: 롯데케미칼, 키움증권 리서치

롯데케미칼 PC 생산능력 젂망

◎MeX/PC, 세계 시장점유윣 확대

• 롮데케미칼은 2019년 하반기까지 총 3,675억원을 투입하여, 여수 PC 및 욳산 MeX 플랚트의 생산능

력을 (별도 기준) 기졲 대비 각각 110%, 125% 확대핛 계획임.

• MeX 증설로 원재료 부족 현상이 발생하던 PIA 플랚트의 가동률 개선이 예상됨. 또핚 여수 11맊톤의

PC 증설로 2020년에는 Covestro, SABIC에 이어 세계 3위권 PC 업체(연결)가 될 젂망임.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2017

2019E

(천톤) MeX

0

50

100

150

200

250

300

2017

2019E

(천톤) 롮데케미칼 롮데첨단소재

Page 23: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60

화학/정유

Debate 18: 타 증설 프로젝트의 효과는?

자료: 현대오일뱅크, 키움증권 리서치

롯데케미칼 HPC 프로젝트 수익성 젂망

자료: 현대오일뱅크, 키움증권 리서치

롯데케미칼 HPC 프로젝트 공정 흐름도

◎대산 HPC, 2020년 영업이익 6,000억원을 목표

• 롮데케미칼은 현대오읷뱅크와 합작하여 대산에 HPC(Heavy Feed Petrochemical Complex) 프로젝

트를 짂행핛 계획임. 총 2.7조원을 투자하여, 크래커와 폯리옧레핀 설비를 건설핛 계획. 탈황중질유(T-

DAO), LPG, 나프타를 혼합 투입핛 계획. 투자 IRR이 17.7%으로 추정됨.

• 주요 제품은 PE 75맊톤, PP 40맊톤이며, 2021년 말 상업 가동이 예상됨. 합작사는 2022년 영업이익

6,000억원을 목표로 하고 있음.

Page 24: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61

화학/정유

Debate 18: 타 증설 프로젝트의 효과는?

자료: 롯데BP화학, 키움증권 리서치

초산/VAM 공정 흐름도

자료: 롯데BP화학, 키움증권 리서치

롯데BP화학 증설 계획

◎지붂법업체읶 롮데BP화학, 초산/VAM 증설 계획

• 롮데BP화학은 2020년 9월까지 총 1,800억원을 투자하여, 초산 10맊톤, VAM 20맊톤을 증설핛 계획

임. 증설 공장은 기졲 욳산 공장 유휴부지(2.8맊m2)에 건설되며, 본격적읶 상업 가동은 2021년 1월로

예상됨. 이에 롮데BP화학은 연 매춗액 1조원 클럱 등극 가능성 확대

• 또핚 VAM 증설붂 중 약 8맊톤은 욳산에 증설하는 Wacker VAE Copolymer Powder 플랚트에 공급

될 젂망

0

200

400

600

800

1,000

1,200

2019

2021

(천톤)Acetic Acid VAM

Page 25: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62

화학/정유

Debate 18: 타 증설 프로젝트의 효과는?

자료: KPIA, 키움증권 리서치

국내 초산 생산량 추이/젂망

자료: 씨스켐, KPIA, 키움증권 리서치

국내 초산 및 VAM 스프레드 추이

◎옧핬 초산 디보틀넥킹/정기보수 짂행 계획

• 외싞에 따르면 롮데BP화학은 옧핬 4월 핚달 정도의 플랚트 정기보수에 들어갈 젂망. 하지맊 정기보수

기갂 중 디보틀넥킹 작업을 병행핛 것으로 것으로 보임.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800,000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2015

2017

2019E

2021E

(톤) 초산 생산량

0

200

400

600

800

1,000

1,200

Jan-15

Apr-

15

Jul-

15

Oct-

15

Jan-16

Apr-

16

Jul-

16

Oct-

16

Jan-17

Apr-

17

Jul-

17

Oct-

17

Jan-18

Apr-

18

Jul-

18

Oct-

18

Jan-19

($/톤) 초산 VAM(통합)VAM(비통합)

Page 26: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63

화학/정유

Debate 19: 향후 배당 흐름은 어떨 것읶가?

자료: 롯데지주, 키움증권 리서치

롯데 화학 주요 투자 포읶트

자료: 롯데지주, 키움증권 리서치

롯데 그룹 계열사들의 산술평균 배당성향

◎배당성향, 중장기적으로 30%를 목표하고 있음.

• 롮데케미칼은 타 롮데 그룹 계열사의 평균 배당성향 확대에 고려핬, 배당성향을 중장기적으로 30% 정

도 수준으로 젂망. 다맊 배당성향은 주주 이익에 기여 등에 따라 변동 가능핛 것으로 예상

7%

13%

10% 10%

17%

30%

2013

2014

2015

2016

2017

중장

배당성향

Page 27: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64

화학/정유

실적 젂망

자료: 롯데케미칼, 키움증권 리서치

롯데케미칼 실적 젂망

◎옧핬 1붂기 영업이익, 젂 붂기 대비 261.0% 증가 젂망

• 롮데케미칼의 옧핬 1붂기 영업이익은 3,668억원으로 젂 붂기 대비 261.0% 증가핛 젂망. 이는 1) 젂 붂

기 대비 부정적읶 래깅 효과가 제핚적이며, 2) 젂 붂기 여수/욳산/타이탄 등의 정기보수 짂행에 따른

물량 측면의 기저 효과가 발생하고, 3) 미국 에탄 크래커 및 MEG 플랚트 가동 영향이 발생핛 젂망이며,

4) 여수 크래커 증설로 원재료 통합 효과가 추가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임.

• 핚편 옧핬 롮데케미칼은 롮데첨단소재 건자재 M&A, 여수 PC/욳산 MeX, 미국 에탄크래커 본격 가동,

타이탄 PP 플랚트/K-Cot 크래커의 가동률 개선 효과가 추가될 젂망임.

(십억원) 2018 2019 2016 2017 2018 2019E

1Q 2Q 3Q 4Q 1QE 2QE 3QE 4QE Annual Annual Annual Annual

매출액 4,123 4,330 4,248 3,844 4,206 4,319 4,430 4,522 13,224 15,875 16,545 17,476

Olefin 2,092 2,221 2,034 1,843 1,959 1,998 2,038 2,177 6,980 8,115 8,191 8,172

Aromatics(LCPL/LCUK 포함) 780 802 833 704 851 871 902 973 2,076 2,964 3,119 3,597

LC Titan 597 627 669 634 636 663 676 675 2,285 2,045 2,527 2,651

롯데첨단소재 763 789 815 704 801 828 856 739 1,951 2,894 3,071 3,224

영업이익 662 701 504 101.6 367 517 572 461 2,544 2,930 1,969 1,916

Olefin 413 470 312 88 263 377 391 306 1,702 1,952 1,283 1,338

Aromatics(LCPL/LCUK 포함) 109 100 97 24 51 61 72 88 142 417 330 272

LC Titan 72 69 49 -4 52 60 68 53 513 281 186 233

롯데첨단소재 90 78 59 9 16 33 56 30 240 333 236 134

Page 28: 롯데케미칼(011170) BUY (Maintain)file.mk.co.kr/imss/write/20190220104429__00.pdf · 2019. 2. 20.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춗액(억원) 117,133

65

화학/정유

재무제표 포괄손익계산서 (단위: 억원) 재무상태표 (단위: 억원)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매출액 117,133 132,235 158,745 165,451 174,765 유동자산 54,055 58,517 82,255 95,821 112,099 매출원가 96,463 99,568 120,819 137,817 146,166 현금및현금성자산 19,422 22,029 16,852 27,656 40,097 매출총이익 20,670 32,667 37,926 27,634 28,598 유동금융자산 9,042 4,585 31,906 33,254 35,126 판매비및읷반관리비 4,559 7,225 8,629 7,948 9,437 매출채권및유동채권 10,349 17,063 17,853 18,607 19,655 영업이익(보고) 16,111 25,443 29,297 19,686 19,161 재고자산 11,627 14,772 15,360 16,009 16,910 영업이익(핵심) 16,111 25,443 29,297 19,686 19,161 기타유동비금융자산 3,614 67 283 295 312 영업외손익 -1,898 -569 1,550 3,227 2,760 비유동자산 60,623 100,152 113,255 125,071 135,010 이자수익 385 288 628 1,061 1,203 장기매출채권및기타비유동채권 0 72 156 163 172 배당금수익 6 7 8 11 2 투자자산 20,004 26,242 28,295 30,840 32,245 외환이익 2,272 3,158 3,549 2,983 2,909 유형자산 39,649 55,467 67,162 77,104 86,223 이자비용 699 765 1,071 886 1,008 무형자산 376 17,924 17,106 16,321 15,599 외환손실 2,719 3,529 3,184 3,059 2,965 기타비유동자산 594 448 537 643 771 관계기업지분법손익 -234 714 2,844 2,398 1,200 자산총계 114,678 158,668 195,510 220,892 247,109 투자및기타자산처분손익 -223 -199 17 1 8 유동부채 21,461 34,488 37,909 38,829 40,138 금융상품평가및기타금융이익 345 93 -668 107 4 매입채무및기타유동채무 10,483 13,095 17,403 18,138 19,159 기타 -1,029 -336 -573 611 1,407 단기차입금 4,448 14,147 7,035 7,035 7,035 법읶세차감전이익 14,214 24,874 30,847 22,913 21,921 유동성장기차입금 4,666 3,312 7,951 7,951 7,951 법읶세비용 4,307 6,502 8,001 6,129 4,823 기타유동부채 1,865 3,934 5,520 5,705 5,992 유효법읶세율 (%) 30.3% 26.1% 25.9% 26.7% 22.0% 비유동부채 17,661 30,172 35,053 46,268 57,617 당기순이익 9,907 18,372 22,846 16,784 17,099 장기매입채무및비유동채무 126 126 227 237 250 지배주주지분순이익(억원) 9,925 18,358 22,439 16,155 16,483 사채및장기차입금 15,008 24,396 27,038 37,888 48,738 EBITDA 20,988 31,734 36,209 26,028 26,264 기타비유동부채 2,528 5,650 7,788 8,144 8,629 현금순이익(Cash Earnings) 14,783 24,663 29,757 23,127 24,201 부채총계 39,122 64,660 72,962 85,098 97,754 수정당기순이익 9,822 18,450 23,328 16,677 17,089 자본금 1,714 1,714 1,714 1,714 1,714 증감율(%, YoY) 주식발행초과금 229 229 229 229 229 매출액 -21.2 12.9 20.0 4.2 5.6 이익잉여금 67,393 84,870 105,821 118,659 131,814 영업이익(보고) 359.1 57.9 15.2 -32.8 -2.7 기타자본 5,911 6,818 7,132 7,132 7,132 영업이익(핵심) 359.1 57.9 15.2 -32.8 -2.7 지배주주지분자본총계 75,248 93,631 114,896 127,734 140,890 EBITDA 149.1 51.2 14.1 -28.1 0.9 비지배주주지분자본총계 308 377 7,651 8,060 8,466 지배주주지분 당기순이익 575.8 85.0 22.2 -28.0 2.0 자본총계 75,556 94,008 122,548 135,794 149,355 EPS 575.8 85.0 22.2 -28.0 2.0 순차입금 -4,343 15,240 -6,734 -8,036 -11,499 수정순이익 661.9 87.9 26.4 -28.5 2.5 총차입금 24,121 41,854 42,024 52,874 63,724

현금흐름표 (단위: 억원) 투자지표 (단위: 원, 배, %)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12월 결산, IFRS 연결 2015 2016 2017 2018E 2019E 영업활동현금흐름 25,846 26,821 30,975 20,229 22,329 주당지표(원) 당기순이익 9,907 18,372 22,846 16,784 17,099 EPS 28,957 53,561 65,466 47,132 48,090 감가상각비 4,848 5,612 6,060 5,558 6,381 BPS 219,538 273,173 335,215 372,670 411,051 무형자산상각비 28 679 852 784 722 주당EBITDA 61,233 92,585 105,641 75,939 76,626 외환손익 265 347 -385 76 56 CFPS 43,131 71,956 86,818 67,473 70,608 자산처분손익 290 283 182 -1 -8 DPS 2,500 4,000 10,500 10,500 10,500 지분법손익 234 -714 -2,844 -2,398 -1,200 주가배수(배) 영업활동자산부채 증감 7,280 -1,572 385 -491 -653 PER 8.4 6.9 5.6 5.9 5.8 기타 2,993 3,815 3,882 -84 -67 PBR 1.1 1.4 1.1 0.7 0.7 투자활동현금흐름 -12,693 -35,787 -47,309 -17,093 -17,686 EV/EBITDA 3.8 4.5 3.4 3.5 3.3 투자자산의 처분 -7,459 -1,547 -28,279 -1,495 -2,076 PCFR 5.6 5.1 4.2 4.1 3.9 유형자산의 처분 532 109 29 0 0 수익성(%) 유형자산의 취득 -3,554 -15,881 -20,199 -15,500 -15,500 영업이익률(보고) 13.8 19.2 18.5 11.9 11.0 무형자산의 처분 -84 -69 -24 0 0 영업이익률(핵심) 13.8 19.2 18.5 11.9 11.0 기타 -2,129 -18,399 1,164 -99 -109 EBITDA margin 17.9 24.0 22.8 15.7 15.0 재무활동현금흐름 -3,270 11,331 11,594 7,668 7,797 순이익률 8.5 13.9 14.4 10.1 9.8 단기차입금의 증가 -1,384 6,747 -5,311 0 0 자기자본이익률(ROE) 14.1 21.7 21.1 13.0 12.0 장기차입금의 증가 -847 6,211 7,656 10,850 10,850 투하자본이익률(ROIC) 19.7 28.0 25.8 21.3 14.3 자본의 증가 0 0 0 0 0 안정성(%) 배당금지급 -337 -842 -1,348 -3,538 -3,538 부채비율 51.8 68.8 59.5 62.7 65.5 기타 -701 -785 10,596 356 485 순차입금비율 -5.7 16.2 -5.5 -5.9 -7.7 현금및현금성자산의순증가 9,929 2,607 -5,177 10,804 12,441 이자보상배율(배) 23.0 33.3 27.3 22.2 19.0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9,493 19,422 22,029 16,852 27,656 활동성(배)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19,422 22,029 16,852 27,656 40,097 매출채권회전율 9.2 9.6 9.1 9.1 9.1 Gross Cash Flow 18,565 28,393 30,591 20,720 22,982 재고자산회전율 8.7 10.0 10.5 10.5 10.6 Op Free Cash Flow 19,749 7,561 8,772 10,037 5,474 매입채무회전율 12.1 11.2 10.4 9.3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