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영농의 작물별 재배기술oads.or.kr/upload_file/bbs/전문서적3권_해외... ·...

420
해외영농의 작물별 재배기술

Transcript of 해외영농의 작물별 재배기술oads.or.kr/upload_file/bbs/전문서적3권_해외... ·...

  • 해외영농의 작물별 재배기술

  • 해외영농의 작물별 재배기술

    발 행 일Ⅰ2016년 12월 12일

    발 행 처Ⅰ(사)해외농업자원개발협회

    발 행 인Ⅰ윤순홍(해외농업자원개발협회 부회장)

    주 소Ⅰ14059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흥안대로427번길 38(관양동,인덕원성지스타위드 906호)

    전 화Ⅰ031-345-6568

    홈 페 이 지Ⅰwww.oads.or.kr([email protected])

    펴 낸 곳Ⅰ북오아시스(02-737-2122)

    펴 낸 이Ⅰ전미희([email protected])

    출 판 등 록Ⅰ제251-2012-42호

    I S B N Ⅰ 979-11-950852-8-6 3권

    979-11-950852-5-5 세트

    감 수Ⅰ김호영(전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장)

    기 획Ⅰ진기준(해외농업자원개발협회 팀장)

    에 디 터Ⅰ나상미(해외농업자원개발협회 대리)

    이 책은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저작물입니다.

    저자와 북오아시스의 허락없이 내용의 일부를 인용하거나 발췌하는 것을 금합니다.

  • 해외영농의 작물별 재배기술

  • 4

    들어가는 글

    우리나라는 식량안보 강화 차원에서 안정적인 식량 확보를 위하여 2008년 해외

    농업개발 10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2009년부터 농림축산식품부 주관으로 해외농업

    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해외농업개발사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투자가 가능할만한 콩, 밀, 옥수

    수 등의 식량작물과 망고, 버섯 등의 경제작물의 고품질 안전 다수확을 위하여 필

    요한 재배환경과 작물의 특성 및 실질적인 관리기술을 정리하여 체계화한 「해외농

    업의 작물별 재배기술」이라는 책자를 발간하게 된 것은 매우 뜻 깊은 일이라고 생

    각합니다.

    해외영농 관련 책들이 일찍이 발간되어 해외 영농에 도움을 주었어야 했는데 이

    제라도 발간되어 큰 다행이며 모두가 함께 축하해야 될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것이 끝이 아니고 시작일 뿐입니다. 앞으로도 해외농업자원개발협회에서 계획하

    고 있는 좋은 전문 과학기술 책자들이 연속적으로 출간되어 해외 영농을 위해 계

    획하고 현지에서 활동하는 분들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믿습니다.

    해외농업개발사업은 우리나라 정부가 융자금 지원을 시작한 2009년부터 활성

    화되어 주로 동남아시아, 중국, 중앙아시아, 러시아 등지를 대상으로 총 9개 권역

    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진출한 기업들은 주로 콩, 옥수수와 같은 식량작물, 토

    마토, 오이 등 시설원예작물과 두리안, 망고 등 열대과일, 카사바와 팜오일과 같은

    유지작물 등 다양한 농산물을 생산하고 있다고 합니다.

  • 들어가는 글 5

    해외 영농에서는 어떤 작물을 선정할 것인지, 선정한 작물이 재배가 용이하고

    경제성이 있을 것인지, 언제, 어떤 토양에 재배할 것인지, 식재 후 재배 관리는 어

    떻게 할 것인지, 수확 후 품질 관리 기술이나 유통은 어떻게 할 것인지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에 직면하게 될 것입니다.

    실제적으로 캄보디아 캄퐁참주 지역에서 대면적의 고무나무를 재배하는 한국인

    의 농장을 방문하여 재배상황을 관찰하는 중에 키가 작은 고무나무 주위의 풀(잡초)

    관리 방법에 대한 질문을 받고 토론한 적이 있고, 아프리카 가나공화국 다웨냐 지

    역 농촌종합개발사업에 농업전문가로 활동하면서 한국의 큰 토마토와 방울토마토

    의 수량성과 맛이 우수하여 시범재배를 했더니 높은 온도와 낮은 상대습도 때문인

    지 꽃의 낙화현상이 발생하여 착과가 되지 않아 재배에 실패하였는데 그것을 보고

    다른 분이 흰 커튼 차광재배를 했더니 착과가 잘 되어 재배에 성공한 예를 본바가

    있습니다.

    이와 같이 해외에서의 영농과 작물재배는 해당지역의 기후환경, 토양환경, 강수

    량 등의 특성을 알고 적절한 관리기술로 대처함으로써 영농에 성공하는 결과를 가

    져오게 될 것입니다.

    이 책자에 수록된 재배환경과 작물의 특성 및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재배관리 기

    술들이 유용하게 활용되어, 해외에서 영농을 영위하거나 앞으로 진출할 농업관련

    기업이나 농업인들에게 이론과 기술이 쉽게 수용되어 산지식과 지혜를 주고, 그 분

    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해외에서의 꿈을 이루는데 큰 공헌을 하기를 소망하며, 바

    쁜 시간 중에도 많은 유용한 자료를 정리하여 전문서적으로 발간하는데 애써 주신

    김현순 박사님, 이영호 박사님 등 집필자 분들과 본 책자를 발간하신 해외농업자

    원개발협회 관계자 여러분의 노고에 치하를 드립니다.

    감수자 김호영

    전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장 농학박사

  • 재배작물의 선택 _ 김현순

    1장 작물의 원산지 및 분류 10

    2장 작물재배의 주요 환경 요인과 작부체계 193장 세계 주요 작물의 지리적 재배 분포 414장 재배작물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요인들 52

    주요 재배작물의 특성과 재배

    5장 콩 _ 이영호 601절 재배환경과 작물 특성

    2절 해외영농 적응 재배기술

    3절 품질관리와 경제성 향상

    6장 벼 _ 최임수 1191절 재배환경과 작물 특성

    2절 해외영농 적응 재배기술

    3절 품질관리와 경제성 향상

    7장 옥수수 _ 박기진 1551절 재배환경과 작물 특성

    2절 해외영농 적응 재배기술

    3절 품질관리와 경제성 향상

    CONTENTS해 외 영 농 의 작 물 별 재 배 기 술

    1부

    2부

    들어가는 글 _ 김호영 4

  • 8장 밀 _ 김학신 2041절 재배환경과 작물 특성

    2절 해외영농 적응 재배기술

    3절 품질관리와 경제성 향상

    9장 감자 _ 정진철 2571절 재배환경과 작물 특성

    2절 해외영농 적응 재배기술

    3절 품질관리와 경제성 향상

    10장 카사바 _ 오경석 2901절 재배환경과 작물 특성

    2절 해외영농 적응 재배기술

    3절 품질관리와 경제성 향상

    11장 망고 _ 임찬규 3131절 재배환경과 작물 특성

    2절 해외영농 적응 재배기술

    3절 품질관리와 경제성 향상

    12장 버섯 _ 정종천 3521절 재배환경과 작물 특성

    2절 해외영농 적응 재배기술

    3절 품질관리와 경제성 향상

  • 재배작물의 선택

    제1부

    1장 작물의 원산지 및 분류

    2장 작물재배의 주요 환경 요인과 작부체계

    3장 세계 주요 작물의 지리적 재배 분포

    4장 재배작물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요인들

  • 농업은 토지를 이용하여 유용한 식물을 기르거나 동물을 사육하는 산업이다. 이

    중 작물은 식물 중에서 인간에게 이용성과 경제성이 높아 인간이 경지를 이용하여

    작물을 기르고 수확하는 경제적 행위 즉, 재배 대상이 되는 식물이다.

    작물 재배의 최종 목적은 되도록 많은 수량을 내어 소득을 올리는 것이다. 일정

    한 토지 면적에서 작물 수량이 극대화되려면 유전성이 우수한 품종을 선택하고 최

    적의 환경 조건을 조성해주어 알맞은 재배기술을 적용해야 한다.

    제1부에서는 세계적으로 작물의 원산지와 작물 및 농지의 분류, 일반적으로 작

    물재배에 영향을 끼치는 환경요인, 세계 주요 작물의 재배 분포 및 재배작물을 선

    택 할 때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설명한다.

    현재 해외 영농에 유망시 되고 있는 콩, 벼, 옥수수, 밀, 감자, 카사바, 망고, 버

    섯은 제 2부에서 자세하게 다루기로 한다.

    1. 주요 작물의 기원지(원산지)

    현재 재배되고 있는 많은 작물들은 그 기원이 매우 오래되었으며 야생종으로부

    터 인간의 필요에 의해 순화되어 어느 특수부분만 발달되어 재배되어 온 것으로,

    야생식물의 식물 입장에서 보면 기형 상태로 변하게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재배식물의 기원지는 1926년 바빌로프(Vavilov)에 의해 세계 각지에서 수집한 재

    배식물과 근연종의 유전적 변이와 식물의 지리적 미분법(微分法)을 적용하여 유전

    제1장 작물의 원산지 및 분류

    김현순 _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농업연구관

  • 제1장 작물의 원산지 및 분류 11

    적 변이가 가장 많은 지역을 그 작물의 기원 중심지로 그림 1-1 및 표 1-1과 같이

    발표하였다. 표 1-2는 주요 작물의 기원지를 좀 더 세분화해서 요약한 것이다.

    그림 1-1. 바빌로프(1926)의 세계 8대 작물 재배기원지

    자료 : Jones, 2009

    표 1-1. 바빌로프(1926)의 지역별 작물의 기원 중심지

    구분 지역 주요 작물

    1 중국 6조보리·조·피·메밀·콩·팥·파·인삼·배추·자운영·동양배·감·복숭아 등

    2 인도·동남아시아 벼·참깨·사탕수수·모시풀·왕골·오이·박·가지·생강 등

    3 중앙아시아 귀리·기장·완두·삼·당근·양파·무화과 등

    4 코카서스·중동 2조보리·보통밀·호밀·유채·아마·마늘·시금치·사과·서양배·포도 등

    5 지중해 연안 완두·유채·사탕무·양귀비·화이트클로버·티머시·오처드그라스·무·순무·

    우엉·양배추·상추 등

    6 중앙아프리카 진주조·수수·강두(광저기)·수박·참외 등

    7 멕시코·중앙아메리카 옥수수·강낭콩·고구마·해바라기·호박 등

    8 남아메리카 감자·땅콩·담배·토마토·고추 등

    자료 : 체재천 등, 2016

  • 12 제1부 재배작물의 선택

    표 1-2. 주요 작물의 기원지

    작물 기원지 작물 기원지

    식용작물

    벼 인도 아삼지역·중국 윈난(雲南) 지역메밀 중국 북부

    콩 중국 동북부

    6조보리 중국 티벳지방 팥 중국·한국·일본

    2조보리 중동 녹두 인도

    보통밀 중동 코카서스지방 강두(광저기) 중앙아프리카~에티오피아

    호밀 중동 트랜스코카서스 완두 중앙아시아~지중해연안

    귀리 중앙아시아·아르메니아 강낭콩 멕시코·중앙아메리카

    조 동부아시아 땅콩 남아메리카 중부 고지

    진주조 이집트·수단감자

    남아메리카 중부 안데스

    치치카카호 주변피 인도·중국

    기장 중앙아시아고구마

    멕시코· 중앙아메리카· 남아

    메리카 북부수수 중앙아프리카·에티오피아

    옥수수 중앙아메리카·남아메리카 북부 마 동남아시아 아삼지역~중국

    공예작물

    유채 스칸디나비아·시베리아·코카서스 모시풀 동부아시아

    참깨 인도 황마 중국

    들깨 동부아시아 왕골 동남아시아

    사탕무 지중해 연안 인삼 한국·중국

    사탕수수 인도 양귀비 지중해 연안·서아시아

    돼지감자 북아메리카 동북부 차 중국·미얀마 접격

    목화 인도 담배 남아메리카

    아마 남유럽·중동·중앙아시아 호프 지중해연안

    삼 중앙아시아

    사료작물

    알팔퍼 서남아시아 옐로우루핀 유럽 남부

    레드클로버 유럽~서부아시아 스위트클로버 온대 유럽~서부아시아

    화이트클로버 지중해 동부 연안 매듭풀 동아시아

    알사이크클로버 유럽 북부 칡 동양

    크림슨클로버 유럽 동남부~서부아시아 티머시 유럽 북부·아시아 북부

    이탈리안라이 그라스 이탈리아 북부~지중해 연안 메도우페스큐 유럽·아시아 온대

  • 제1장 작물의 원산지 및 분류 13

    작물 기원지 작물 기원지

    스무스브롬그라스 유럽·아시아 북부 해바라기 중앙아메리카

    톨페스큐 유럽·서아시아 켄터키블루그라스 유럽·중앙아시아

    아주까리 열대아프리카 자운영 중국

    채소

    오이 인도 서북부 히말라야 산록지대 생강 열대아시아(인도·말레이시아)

    수박 아프리카 중부 건조지대 연 열대아시아(인도)

    호박 중앙아메리카(멕시코) 양배추 유럽 서부·지중해 연안

    참외아프리카 서부 적도 부근·

    중앙아시아배추 중국 북부

    박 인도~북아프리카 파 중국 서부

    가지 인도 쪽파 아시아

    토마토 남아메리카 서부고원 양파 중앙아시아

    고추 남아메리카 열대지방 마늘 서부아시아·지중해연안

    무 지중해 연안·서아시아 미나리 일본·중국·자바

    순무 유럽 온대지방 시금치 이란·코카서스

    당근 중앙아시아(아프가니스탄) 상추 지중해 연안·아시아 내륙

    우엉 유럽·시베리아·중국 동북부 쑥갓 중국·지중해 연안

    토란 열대아시아

    과수

    동양배 중국·일본 살구 서남아시아

    서양배 유럽 동남부·서아시아 매화 중국

    감 중국·한국·일본 포도 서부아시아~코카서스

    복숭아 중국 황하 상류 무화과 중앙 아시아

    동양자두 중국 양자강 연안 밤아시아·유럽·북아메리카·

    북아프리카

    서양자두 코카서스·이란 호두 유럽 동남부~이란

    앵두 유럽 중남부·서남아시아 대추 북아프리카·유럽 서부

    자료 : 체재천 등, 2016

  • 14 제1부 재배작물의 선택

    2. 작물의 분류

    식물의 일반분류는 화본과식물(禾本科植物), 두과식물(荳科植物, 콩과식물), 십자

    화과식물(十字花科植物), 국화과식물(菊花科植物), 가지과식물(架子科植物) 등 식물

    학적 분류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작물은 일반적으로 식물학적 분류법보다 이용성,

    경제성, 재배성 등을 중심으로 분류한다.

    가. 용도에 따른 분류

    1) 식용작물(食用作物; food crop)

    a. 곡숙류(穀菽類; grain crop)

    i. 화곡류(禾穀類; cereal crop)

    ●�미곡(米穀) 벼(水稻), 밭벼(陸稻) 등

    ●�맥류(麥類) 보리·밀·귀리·호밀 등

    ●�잡곡(雜穀) 조·피·기장·수수·옥수수·메밀 등

    ⅱ. 두류(豆類; pulse crop) 콩·팥·녹두·강낭콩·완두·땅콩 등

    b. 서류(薯類) 고구마·감자 등

    2) 공예작물(工藝作物, 特用作物; industrial crop)

    a. 전분작물 (澱粉作物; starch crop) 옥수수·고구마·감자 등

    b. 유료작물 (油料作物; oil crop)참깨·들깨·아주까리·유채·해바라기·땅콩·콩·아마·

    목화 등

    c. 섬유작물 纖維作物; fiber crop) 목화·삼·모시풀·아마·어저귀·왕골·수세미·닥나무·

    고리버들 등

    d. 당료작물 (糖料作物; sugar crop) 사탕무·사탕수수 등

    3) 약용작물 (藥用作物; medicinal crop) 제충국·박하·호프 등

    4) 기호작물(嗜好作物; stimulant crop) 차·담배 등

    5) 사료작물(飼料作物; forage crop)

    a. 화본과(禾本科; grasses) 옥수수·호밀·오처드그라스·티머시·라이그라스 등

    b. 콩과(荳科; legumes) 알팔파·화이트클로버·레드클로버 등

    c. 기타(micellaneous forage crop) 사료용 호박·순무·해바라기·돼지감자 등

    6) 녹비작물(綠肥作物, 肥料作物; green manure crop)

    a. 화본과 호밀 등

    b. 콩과 자운영·베치 등

  • 제1장 작물의 원산지 및 분류 15

    7) 원예작물(園藝作物; garden crop)

    a. 채소(菜蔬; vegetable)

    ⅰ. 과채류(果菜類; fruit vegetable) 오이·호박·고추·토마토·딸기·수박·가지 등

    ⅱ. 협채류(夾菜類; pod vegetable) 완두·강낭콩·동부 등

    ⅲ. 근채류(根菜類; root vegetable)

    ●�괴근류(塊根類) 고구마·감자·토란·마·생강 등

    ●�직근류(直根類) 무·순무·당근·우엉 등

    ⅳ. 경엽채류

    (莖葉菜類; stem and leaf vegetable) 배추·양배추·갓·상추·샐러리·파슬리·미나리·쑥갓·

    머위·시금치·아스파라거스·파·양파·쪽파·마늘 등

    b. 과수(果樹; fruit tree)

    ⅰ. 인과류(仁果類) 배·사과·비파 등

    ⅱ. 핵과류(核果類) 복숭아·자두·살구·앵두·양앵두 등

    ⅲ. 장과류(漿果類) 포도·딸기·무화과 등

    ⅳ. 견과류(堅果類, 設科類) 밤·호두 등

    ⅴ. 준인과류(準仁果類) 감·귤 등

    c. 화훼류(花卉類; flowering plant) 또는 관상식물(觀賞植物; ornamental plant)

    ⅰ. 초본류(草本類) : 장미·국화·코스모스·달리아·난초 등

    ⅱ. 목본류(木本類) 철쭉·동백·고무나무 등

    나. 생태적 분류

    기준 작물의 종류 주요 내용

    생존

    연한

    1년생 작물(一年生作物; annual crop)

    봄에 파종하여 그해 안에 성숙하는 작물

    (예) 벼·콩·옥수수 등

    월년생 작물

    (越年生作物; winter annual crop)가을에 파종하여 그 다음해 초여름에 성숙하는 작물

    (예) 가을보리·가을밀 등

    2년생 작물(二年生作物; biennial crop)

    봄에 파종하여 그 다음해에 성숙하는 작물

    (예) 무·사탕무

    다년생 작물

    (多年生作物; perennial crop)생존연한과 경제적 이용연한이 여러 해인 작물

    (예) 호프·아스파라거스·영년목초류 등

    생육

    계절

    여름작물 (夏作物; summer crop) 봄에 파종하여 여름을 중심으로 생육하는 1년생 작물

    겨울작물 (冬作物; winter crop)가을에 파종하여 가을, 겨울, 봄을 중심으로 생육하는

    월년생 작물

  • 16 제1부 재배작물의 선택

    기준 작물의 종류 주요 내용

    생육

    적온

    저온작물 (低溫作物) 비교적 저온에서 생육이 양호한 작물 (예) 맥류·감자

    고온작물 (高溫作物) 비교적 고온에서 생육이 양호한 작물 (예) 벼·옥수수

    열대작물 (熱帶作物; tropical crop) 열대환경에서 자라는 작물 (예) 고무나무·카사바 등

    한지형 목초

    (寒地型牧草; cold-season grass)

    서늘한 환경에서 생육이 양호하고 여름철의 고온기에는 생육이

    정지되거나 말라죽는 하고현상(夏枯現像)을 보이는 목초

    (예) 티머시·알팔파

    난지형 목초

    (暖地型牧草; warm-season grass)따뜻한 지방, 고온기에 생육이 양호하고 추위에 약한 목초

    (예) 버뮤다그라스 등

    주형작물(株型作物; bunched crop) 식물체가 포기(株)를 형성하는 작물 (예) 벼·맥류

    포복형 작물

    (匍匐型作物; creeping crop)줄기가 땅을 기어 지표를 덮는 작물 (예) 고구마

    직립형 (直立型; erect type)줄기가 균일하게, 곧게 자라는 작물. 채초(採草)가 알맞음

    (예) 오처드그라스·티머시

    포복형 (匍匐型; creeping type)줄기가 땅을 기어 지표를 덮는 작물. 방목(放牧)에 알맞음

    (예) 화이트클로버

    내냉성(耐冷性)작물 저온에 잘 견디는 작물

    내산성(耐酸性)작물 산성토양에 강한 작물

    내건성(耐乾性)작물 가뭄[한발(旱魃)]에 강한 작물

    내습성(耐濕性)작물 과습(過濕)에 강한 작물

    내염성(耐鹽性)작물 염분(鹽分)이 많은 토양에 강한 작물

    다. 재배·이용에 따른 분류

    기준 작물의 종류 주요 내용

    논작물 (沓作物) 벼처럼 논에서 재배되는 작물

    밭작물 (田作物)

    콩, 옥수수 등과 같이 밭에서 재배되는 작물

    전후작(前後作)이나 사이짓기, 즉 간작(間作)을 할 때 먼저 심어

    수확하는 앞작물(前作物)과 뒤에 심는 뒷작 물 (後作物)로 구별

    주 작물(主作物)과 부 작물(副作物)

    한 포장에 두 작물을 동시에 재배 시 경제적 비중에 따라 구분

    (예) 콩에 수수를 섞어 짓거나(混作) 옥수수와 콩을 엇갈아 짓는

    교호작(交互作) 등

    중경작물(中耕作物; cultivated crop)작물 재배 시 사이갈이를 해주어야하는 작물. 잡초 경감에 도움

    (예) 옥수수·수수

    휴한작물(休閑作物; fallow crop)작부체계에서 휴한할 때 심는 작물. 클로버와 같은 콩과 식물을

    재배하면 지력이 좋아짐

    윤작작물(輪作作物; rotation crop) 중경작물이나 휴한작물처럼 작부체계에 필요한 작물

  • 제1장 작물의 원산지 및 분류 17

    기준 작물의 종류 주요 내용

    동반작물(同伴作物; companion crop) 서로 도움이 되는 특성을 지닌 두 가지 작물

    대파작물(代播作物; substitute crop)가뭄이 심해서 벼를 못 심고 대신 메밀 등을 파종하는 등

    주 작물 대신 재배하는 작물

    구황작물(救荒作物; emergency crop)기후가 불순한 흉년에도 비교적 안전한 수확을 얻을 수

    있는 작물 (예) 조·피·기장·메밀·고구마·감자 등

    자급작물 (自給作物) 농가에서 소비하기 위하여 재배하는 작물

    환금작물 (換金作物; cash crop) 판매하기 위하여 재배하는 작물

    경제작물(經濟作物; economic crop) 환금 작물 중에서도 수익성이 높은 작물

    토양

    보호

    피복작물(被覆作物; cover crop) 토양을 덮는 작물 (예) 잔디류

    토양보호작물(土壤保護作物; soil conservating crop) 또는 내식성 작물(耐蝕性作物)

    토양침식을 막아주는 작물

    사료

    작물

    용도

    청예작물(靑刈作物, 풋베기작물;

    soiling crop)사료작물 중 풋베기하여 생초(生草)로 이용하는 작물

    건초작물(乾草作物; hay crop) 예취 후 건조하여 건초(乾草)로 이용하기 알맞은 작물

    사일리지 작물(silage crop) 예취한 생초를 젖산발효(乳酸醱酵) 시켜 사일리지 제조에 적합

    한 작물

    방목작물(放牧作物; pasture crop) 가축을 놓아기르는 데 적합한 작물

    3. 농지의 분류

    작물과 재배법이 분화하고 발달함에 따라서 농지의 종류도 분화하여, 같은 종류

    의 농지라도 그 조건이 달라 재배방법을 달리해야 할 경우가 많은데 이를 아래와

    같이 구분하고 있다

    가. 목야(牧野) 또는 자연초지는 가축을 방목하거나 사육하는데 이용하기 위해서

    가꾸어 두 는 자연 상태의 초지로 방목지와 채초지(採草地)로 구분된다.

    1) 방목지는 방목 위주의 자연초지로 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조성하는

    데, 영년방목지는 언제나 방목지로만 사용되는 초지로 영년생식물이나

    자가 수정을 하는 1년생 목초로 조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에 비해 단기

  • 18 제1부 재배작물의 선택

    방목지는 단기간만 방목되는 초지로 사료작물포장이 일시적으로 이용되

    는 경우가 많다.

    2) 채초지는 채초를 목적으로 하는 초지로 영년과 단기 채초지가 있다.

    나. 화전(火田)은 밭의 원시적인 것으로서 산야나 삼림에 불을 놓아 땅을 정리해

    서 밭으로 만든 것으로 전경화전(轉耕火田)과 윤경화전(輪耕火田)이 있다.

    다. 밭 : 항상 경운하여 토양이 팽창하여 부드럽게 비배관리가 된다.

    1) 포지(圃地)는 보통 밭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1년생 또는 월년생의 초본

    작물이 재배되며 작물의 종류가 변동되기 쉽다.

    2) 원지(園地)는 영년생의 목본작물이 주로 재배되는데 작물의 종류가 장기

    간 고정되기 쉬우며 과수원이 그 대표이다

    라. 논 : 물을 가두어 작물을 재배하는 농지를 뜻하며 주로 벼가 많이 재배되는

    데 이모작 작물로는 보리·밀·콩 등이 있다. 논은 관배수상태에 따라 심수답,

    저수답, 습답, 건답, 천수답, 건도답(乾稻畓)으로 구분된다.

    재배양식에 의한 분류는 벼만 단작하고 답리작을 하지 않는 논을 1모작답이라

    하며, 한 번 답리작을 하는 논을 2모작답, 답리작기간에 뒷그루 작물이 두 번 재배

    될 때는 3모작답이라 한다. 또한 같은 논에서 1년에 2회 벼를 재배하는 논을 2회작

    답 또는 2기작답이라고 한다.

  • 1. 작물재배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환경 요인

    작물의 재배환경은 생육에 직접적으로 관계되어 있기 때문에 자연생태환경을 잘

    이해하여 그 이용성과 생산성을 높여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작물의 환경요소는 크

    게 토양, 기상 및 생물 요소로 나눌 수 있다

    가. 토양 요소

    1) 지력

    토양은 작물의 생육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데 토양의 물리·화학·생물학적인 종

    합조건은 작물의 생산력을 지배하는 지력(地力)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력을 높

    이기 위해서는 토성은 양토를 중심으로 사양토 내지는 식양토가 토양의 수분·공

    기·비료 성분의 종합적 조건에 알맞으며 토양 구조는 입단(粒團)구조를 만들어 수

    분과 공기상태를 좋게 해야 한다

    토층은 작토가 깊고 양분의 함량이 많으며, 심토까지 투수성과 투기가 양호하도

    록 객토나 심경을 하거나 토양개량제를 시용한다. 토양에 유기물이 많을수록 지력

    이 향상되나 습답에서는 오히려 해가 된다. 한편, 무기물은 토양에 필요한 성분이

    균형 있게 포함되어야 하는데 일부 성분의 과다 혹은 결핍은 작물의 생육을 나쁘

    게 한다. 토양수분은 작물별로 알맞아야 하는데 토양수분이 부족하면 한해(旱害),

    제2장 작물재배의 주요 환경 요인과 작부체계

    김현순 _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농업연구관

  • 20 제1부 재배작물의 선택

    과습 하면 습해 및 수해가 나타난다.

    토양중의 공기는 산소부족과 이산화탄소의 과다발생은 작물의 뿌리와 생장과 기

    능을 억제한다. 토양미생물은 토양환경이 번식하기 좋은 상태가 식물에 유리하며

    병충해를 유발하는 미생물이 적어야 한다.

    2) 토성

    토양은 고체인 토양입자와 토양공극에 있는 액체인 물과 기체인 공기로 구성되

    어 있으며 이들을 토양의 3상(3相), 즉 고상(固相), 액상(液狀), 기상(氣像)이라고 한

    다. 작물의 생육에 알맞은 토양의 3상은 고상이 약 50%, 액상이 30~35%, 기상이

    20~15%라고 하는데 이중 기상과 액상의 비율은 기상조건에 따라 변동한다.

    토성은 토양입자의 성질에 따라 구분한 토양의 종류를 말하는데(표 2-1), 일반적

    으로 작물의 생육은 자갈이 적고 부식이 풍부한 사양토~ 식양토가 작물 생육에 알

    맞은데 주요작물의 종류와 재배에 적합한 토성은 표 2-2와 같다.

    표 2-1. 토성의 분류법 (일본농학회)

    토성의 명칭 세토(입경 2mm이하) 중의 점토함량(%)

    사토(sand) 50

    자료 : 체재천 등, 2016

    3) 토양구조 및 토층

    토양을 구성하는 입자들이 모여 있는 상태를 토양구조라고 하는데 여기에는 경

    토(耕土), 미경토(未耕土), 하층토(下層土)로 나누는데 이중 경토가 작물의 생육과 가

    장 관계가 깊다.

    경토의 몇 가지 특성은 우선 단립구조로 토양입자가 서로 결합되어 있지 않고 독

  • 제2장 작물재배의 주요 환경 요인과 작부체계 21

    립적으로 모여 이뤄져 대 공극이 많고 소 공극이 적어 투수 및 투기는 좋으나 수분

    및 비료분의 보유력이 낮다. 작물 생육에 알맞은 토양조건은 입단구조가 적합하고

    크고 작은 공극이 많아 통기성과 투수성이 좋아서 양분과 수분이 많다. 입단구조

    는 단일입자가 집합하여 2차 입자로 구성되고, 다시 3차, 4차 등으로 집합하는 구

    조로 입단을 가볍게 누르면 몇 개의 작은 입단으로 부스러지는 특성이 있다.

    표 2-2. 작물의 종류와 재배에 적합한 토성

    작물 사토 세사토 사양토 양토 식양토 식토 이탄토

    감자

    녹두

    고구마

    근채류

    땅콩

    오이 등

    양파

    호밀

    귀리

    오처드그라스

    참깨

    들깨

    아주까리

    보리

    과수

    레드클로버

    사탕무

    박하

    엽채류

    수수

  • 22 제1부 재배작물의 선택

    작 물 사토 세사토 사양토 양토 식양토 식토 이탄토

    옥수수

    메밀

    목화

    완두

    모시풀

    아마

    담배

    강낭콩

    알팔파

    티머시

    차나무

    화이트클로버

    재배적지 재배 가능지

    자료 : 체재천 등, 2016

    4) 토양 중의 무기성분

    토양 중에는 각 종 무기성분이 함유되어 작물 생육의 영양원이 되고 있어 그 함

    량과 성분을 적절히 유지·공급할 필요가 있다. 작물 생육에 필요 불가결한 원소를

    필수원소라고 하는데 16가지가 있다. 이들 중 탄소·산소·수소는 이산화탄소(CO2)

    와 물(H2O)에서 공급되고 나머지 13원소는 토양 중에서 공급되는데 이를 필수무기

    원소라고 한다. 이들 필수원소의 흡수 형태 및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표 2-3).

    표 2-3. 식물의 필수원소의 흡수 형태 및 주요 기능

    원소명 흡수형태 주요기능

    질소 NO2-, NH4+ 단백질·엽록소·핵산 등 세포화합물의 중요 구성분

    인 H2PO4-, HPO42- 핵산 구성분, 에너지전달에 중심적 역할

    칼륨 K+ 삼투압조절, 탄수화물 및 단백질 대사의 효소 기능에 중요

    칼슘 Ca2+ 세포분열에 관여하고 세포벽의 중요 구성 성분

  • 제2장 작물재배의 주요 환경 요인과 작부체계 23

    원소명 흡수형태 주요기능

    마그네슘 Mg2+ 엽록소 구성 성분, 많은 효소반응에 관여

    황 So42- 단백질·아미노산·비타민의 구성분, 식물 유지생산에 필요

    철 Fe2+ 호흡, 광합성, 질소 고장관련 효소들의 구성분

    아연 Zn2+ 핵산합성과 옥신 대사관련 효소계의 기능에 필요

    망간 Mn2+ 광합성 관련 효소 등 많은 효소의 구성 성분

    구리 Cu2+ 중요 효소들의 구성 성분이고 적절한 광합성에 필요

    붕소 H2BO3- 탄수화물 이동에 관여

    몰리브덴 MoO42- 질소고정·질소대사 등에 필요

    염소 Cl- 광합성과 염생 식물의 삼투압조절에 필수

    자료 : 류수노 등, 2011

    5) 토양유기물

    동식물의 잔해인 토양 중의 유기물은 미생물 작용이나 화학작용을 받아 분해된

    다. 유기물의 주된 기능은 식물체에 다량원소와 미량원소로 양분을 공급하고, 호

    르몬·비타민·핵산물질 등의 생장촉진물질을 생성한다. 또한 유기물이 분해될 때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높여 광합성을 조장한다. 유기물이 분해될 때 생기는 부식콜

    로이드는 양분을 흡수하는 힘이 강한데 토양입단을 조장하여 토양 물리성을 개선

    하여 보수력·보비력이 증대한다. 유용미생물은 유기물을 영양원으로 번식한다.

    부식토처럼 부식이 많은 토양은 부식 산에 의해서 산성이 강해지고 점토의 함량

    이 부족해서 불리한 경우가 있다. 투수가 잘 안 되는 습답은 토양공기가 부족하여

    유기물의 분해가 저해됨으로서 부식의 과다한 축적을 가져온다. 유기물이 과다한

    습답에서는 고온기에 분해가 왕성해지면 토양을 심한 환원상태로 만들어 여러 가

    지 해를 끼친다. 배수가 잘되는 밭이나 투수가 잘되는 논에서는 토양유기물의 분

    해가 왕성하므로, 해마다 넉넉히 주더라도 과다한 축적이 일어나지 않는다.

    6) 토양반응

    토양 중의 작물양분의 유효도는 pH에 따라서 크게 다르며 중성 내지 약한 산성

    에서 가장 높다. 강산성이 되면 인·칼슘·마그네슘·붕소·몰리브덴 등의 가급도(可

  • 24 제1부 재배작물의 선택

    給度)가 감소되어 작물생육에 불리하며, 암모니아는 식물체내에 축적되고 동화되

    지 못하여 해롭다. 또한 알루미늄·구리·아연·망간 등의 용해도가 증가하고 그 독

    성 때문에 작물생육이 저해된다.

    강알칼리성이 되면 붕소·철·망간 등의 용해도가 감소해서 작물생육에 불리하며,

    또한 Na2CO3와 같은 강염기가 증가하여 작물생육을 저해한다. 강산성, 강알칼리

    성은 점토와 부식을 분산시켜 토양입단의 생성을 저해한다. 강산성토양에서는 과

    다한 수소이온(H+) 그 자체가 작물의 양분흡수와 생리작용을 저해한다.

    종합적으로 작물의 생육에는 pH6~7의 범위가 가장 알맞고 pH5 이하, 즉 강한

    산성이나 pH8 이상의 강한 알칼리성에 알맞은 작물은 거의 없다. 그러나 알칼리

    성토양에 적응성이 높은 작물도 있는데 사탕무·수수·유채·양배추·목화·보리·버뮤

    다그라스 등이다(표 2-4).

    표 2-4. 산성토양에 대한 작물의 적응성

    강한정도 작물명

    극히 강한 것 벼·밭벼·귀리·루핀·토란·아마·기장·땅콩·감자·봄무·호밀·수박 등

    강한 것 메밀·당근·옥수수·목화·오이·완두·호박·토마토·밀·조·고구마·담배 등

    약간 강한 것 유채·파·무 등

    약한 것 보리·클로버·양배추·근대·가지·삼·겨자·고추·완두·상추 등

    가장 약한 것 알팔파·자운영·콩·시금치·사탕무·셀러리·부추·양파 등

    자료 : 류수노 등, 2011

    나. 기상 요소

    1) 수분

    대기 중의 수분과 강수는 습도, 이슬, 안개, 비, 우박 등으로 생성되며 과다하면

    한해, 관개, 습해, 배수, 수해, 수질 오염 등으로 나타난다.

  • 제2장 작물재배의 주요 환경 요인과 작부체계 25

    가) 한해(旱害)

    상당기간 강수가 없어 토양수분 부족으로 작물의 생육이 나빠지고 심하면 위조

    및 고사하게 된다. 대책으로는 우선 관개를 하는 게 최우선이다. 또한 상습적으로

    가뭄이 발생하는 지역은 내건성이 강한 작물이나 품종을 선택한다. 재배법으로는

    피복으로 수분 증발을 막아주고 작물과 생육 경쟁을 하고 있는 잡초를 제거하는 방

    법이 있다.

    나) 습해

    토양이 과습 상태가 지속되면 토양산소가 부족하여 뿌리가 상하고 심하면 부패

    하여 무기성분 등 영양의 흡수가 저해되어 지상부가 노랗게 변하여 위조 고사하는

    것을 말한다. 이 습해로 인해 토양환경에서는 토양전염병이 많아지고 병해발생을

    초래하게 된다.

    대책으로는 우선적으로 배수를 한다. 밭에서는 휴립휴파(畦立畦播), 습답에서는

    휴립재배(畦立栽培)를 하기도 한다. 작물 및 품종 선택에 있어 내습성 작물을 선택

    하는데 대체로 벼, 미나리 > 밭벼, 옥수수, 율무 > 토란 > 유채, 고구마 > 보리, 밀 >

    감자, 고추 > 토마토 > 파, 양파, 당근 , 자운영 순으로 내습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세사객토나 부식, 토양개량제를 시용하여 입단을 조성하여 투수, 투기를 좋

    게 하고 시비는 표층시비와 엽면시비를 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다) 수질 오염

    수질오염이란 공장 또는 도시의 폐수나 폐기물, 광산폐수 등의 배출로 인해 하

    천, 호수, 지하수, 해양의 수질이 오염되어 마침내 인간이나 동식물이 피해를 입는

    것을 뜻하는데 그 오염원은 각종 유기물, 시안(cyan) 화합물, 중금속, 농약, 강산성

    및 알칼리성 폐수 등 유독 물질이다.

    피해 대책으로서는 오염되지 않은 물과 충분히 혼합 희석하여 이용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물 걸러대기를 하여 토양의 이상 환원을 방지하고 그 피해에 대하

    여 저항성 작물 및 품종을 선택하여 재재한다. 벼의 경우에는 질소질 비료 양을 줄

  • 26 제1부 재배작물의 선택

    이고 석회나 규산질 비료를 주어 식물체를 강건하게 한다.

    2) 공기

    공기는 지구 중력에 의하여 지구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기체(공기)로 질소와 산

    소를 비롯해 아르곤, 이산화탄소, 네온, 헬륨, 크립톤, 제논, 오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기의 구성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대체로 일정한 비율로 주로 질소

    79%, 산소 21%, 이산화탄소 약 0.03% 정도이며 그 밖에 수증기, 먼지, 연기, 미생

    물, 화분, 각종 가스 등이 있다.

    가) 바람

    바람은 공기층의 온도가 서로 달라 공기가 이동하는 것으로 풍향과 풍속에 따라

    작물의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친다. 연풍(軟風)은 초속 1.1~1.7m/s이하로 부는 바람

    으로 증산 및 양분흡수를 촉진하고 광합성을 촉진하여 수정 결실을 촉진한다. 그

    러나 초속 1.1~1.7m/s이상의 강풍에서는 작물이 피해를 입게 되는 풍해가 나타난

    다. 예를 들어 벼에서는 불임립의 발생으로 백수현상을 보이고 도복, 수발아 등이

    발생한다.

    재배적 대책으로는 목초, 고구마 등과 같은 내풍성 작물로 내도복성 품종을 선택

    한다. 또한 작기 이동으로 벼에서는 출수기를 피하고 태풍이 올 때는 논물을 깊이

    대두면 도복과 건조를 경감할 수 있다. 생육의 건실화를 위해서는 칼리질 비료의 증

    시, 질소질 비료의 과용 회피와 밀식 회피 등으로 도복 및 병해를 경감할 수 있다.

    3) 온도

    작물의 생장은 여러 생리작용의 종합적 귀결로 생장의 최적온도가 모든 생리작

    용의 최적 온도로 볼 수 없다. 왜냐하면 광합성, 호흡, 수분흡수, 양분 흡수, 동화

    물질의 전류와 같은 생리작용에 대한 최적 온도가 각각 다르게 지배되므로 식물생

    장 및 발육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온도의 변화는 계절, 일, 수온 및 지온

    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에 따라 작물의 체온이 변화되어 작물 생장과 생육

  • 제2장 작물재배의 주요 환경 요인과 작부체계 27

    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가) 열해

    작물이 과도한 고온으로 인해 피해를 받는 것을 열해(熱害)라고 하는데 이로 인

    해 유기물의 과잉소모와 질소대사의 이상, 증산과다로 위조 현상을 유발하게 된다.

    대책으로는 내열성이 강한 작물을 선택하고 재배시기를 조절하여 혹서기의 위

    험을 피하고 관개를 해서 지온을 낮춰주고 밀식이나 질소과용을 피한다.

    목초에서는 내한성이 강하여 잘 월동하는 다년생 한지형목초, 북방형목초는 여

    름철에 접어들면서 생장이 쇠퇴, 정지하고 심하면 황화, 고사하여 목초생산량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는 우선적으로 고온건조기에 관

    개를 해서 수분을 공급하고 지온을 낮추어 하고 현상을 줄인다. 지역 환경에 따라

    우량초종을 선택한다. 고랭지에서는 티머시, 평야지에서는 오처드그라스를 많이

    재배하고 있다. 또한 하고 현상이 없는 난지형 초종과 혼파재배하여 현상에 따른

    목초생산량의 감소를 완화한다. 한편 약한 정도의 방목과 제초로 하고 현상을 조

    절한다.

    나) 냉해

    낮은 온도에 의해 작물이 조직 내 결빙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범위에 저온 피해

    를 받는 것을 냉온장해라고 하는데 여름작물에서 고온이 필요한 여름철에 저온을

    만나 입는 피해를 냉해라고 한다. 열대작물은 20℃ 이하이면 영양체에 냉해를 받는

    것도 있으나 온대의 여름작물은 종류에 따라 10~1℃의 범위에서 냉해를 받는다.

    대책으로는 우선적으로 내냉성 품종을 선택하고 방풍림 등으로 냉풍을 막으며

    객토 등으로 누수답 개량과 암거배수로 습답을 개량한다. 또한 재배법 개선 중 조

    기재배(早期栽培) 조식재배(早植裁培)로 작물의 성숙기를 앞당기고 인산, 칼륨, 규

    산, 마그네슘 등을 충분히 주어 식물체를 강건하게 한다. 벼에서는 위험한 저온이

    닥쳤을 때 수온이 19~20℃ 이상인 물을 15~20cm 깊이로 깊게 담수하면 특히 장

    해형 냉해를 방지할 수 있다

  • 28 제1부 재배작물의 선택

    다) 한해(寒害)

    월동 중에 추위로 인해 작물이 피해를 받는 것을 말한다. 예방책으로는 내한성

    품종을 선택하며, 엄동에 저항력을 가질 수 있도록 재배시기를 조절해 주는 동시

    에 바람막이나 북쪽 이랑을 높게 하는 등 방풍울타리·짚 덮기 등을 해 준다.

    4) 광

    지구상의 생물은 거의 태양에 의존하여 생명을 유지하고 있다. 태양광은 생물권

    에서 식물의 광합성 작용에 관여하여 에너지원인 유기물 생산의 원동력이 된다. 광

    은 작물의 기본적인 생리작용에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가) 광과 작물의 생리 작용

    (1) 광합성

    작물의 가장 중요한 생리작용으로서 녹색식물은 광에 의해서 엽록소를 형성하

    며 또한 광 에너지의 존재 하에서 탄산가스와 물을 합성하여 유기물을 형성하고 산

    소를 방출하게 된다.

    (2) 증산작용

    광은 온도를 올려 광합성속도를 증가시켜 동화물질의 축적을 조장하므로 공변

    세포의 삼투압이 높아져 기공이 열려 수분의 체외일산이 조장되어 증산작용을 조

    장한다.

    (3) 호흡작용

    생물체가 체외로부터 산소를 흡수하여 체내에서 당류 및 그 밖의 유도체를 산화

    하여 에너지를 얻고 체외로 CO2와 H2O를 배출한다. 체내에서 저분자 화합물을 양

    분으로 흡수하여 고분자 화합물을 합성할 때 필요한 에너지는 ATP로서 이는 호흡

    작용에 의해 생성된다.

  • 제2장 작물재배의 주요 환경 요인과 작부체계 29

    (4) 굴광현상

    식물이 광조사의 방향에 반응하여 굴곡반응을 나타내는 현상으로 줄기나 초엽

    은 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지만, 뿌리는 그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광을 향해 구부러지는 것을 향광성 또는 향일성이라 하고, 뿌리의 경우 배광성 또

    는 배일성이라고 한다.

    (5) 착색

    광이 없을 때는 엽록소의 형성이 저해되고 에티올린(ethiolin) 이란 담황색 색소가

    형성되어 황백화현상을 일으킨다. 엽록소 형성에는 450nm를 중심으로 한 430~

    470nm의 청색광역과 650nm를 중심으로 한 620~670nm의 적색광역이 가장 효과

    적이다. 사과, 포도, 딸기, 순무 등의 착색은 안토시안의 생성에 의한 것으로 안토

    시안은 비교적 저온에서 촉진되며 햇볕이 잘 쬐일 때 착색이 좋아진다.

    (6) 생장과 신장

    오랜 기간 광을 받지 못한 식물은 생장이 정지되는데 이것은 광합성과 같은 생

    장에 필요한 기본 생리작용이 수행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작물의 생장에는 당이 필

    요하지만, 광합성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당의 형성이 불가능하므로 작물의 생장은

    정지하게 된다.

    나) 식물군락의 광 에너지 흡수율과 이용률

    식물군락 위에 투사된 태양에너지의 일부는 군락 표층에서 반사된다. 그 비율은

    입사광의 17~21%에 해당하며 생육시기에 상관없이 거의 변하지 않는다. 군락의

    에너지 흡수율은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증가하며, 벼의 경우는 출수기 무렵에 최

    대에 달한다. 한편, 투과율은 흡수율과 역의 관계가 되며 경엽이 잘 번무한 경우에

    는 입사광의 20% 이하가 군락 속을 통과하게 된다.

  • 30 제1부 재배작물의 선택

    다) 일사와 재배조건

    작물의 재배조건이 달라짐에 따라서 작물이 받는 일사, 즉 수광량에는 차이가 생

    기는데 이 차이는 작물의 기초대사와 건물 생산 등 여러 가지에 영향을 미친다. 그

    러므로 작물의 재배 적지 및 시기의 선정에 일사가 고려되어야 한다.

    (1) 이랑의 방향

    경사지에서는 등고선 경작이 유리하나 평지에서는 수광량을 고려한 이랑의 방

    향을 정한다. 대부분 이랑의 방향을 남북향보다 동서향에서 수량증가를 보인다.

    일조시간과 아침·저녁의 수광량은 동서이랑이 크지만, 낮의 수광량은 남북이랑

    이 훨씬 커서 전체 수광량은 남북이랑이 크며 온도도 1~3℃나 높다. 그러나 겨울

    작물로 아직 어릴 때는 도리어 동서이랑이 수광량이 많고 북서풍도 막을 수 있으

    므로 무난하다.

    (2) 재식밀도, 간작기간 및 시비

    작물의 생육 초기에는 엽면적을 증가시켜 포장동화능력을 증대하고 생육 후기

    에는 최적엽면적과 단위동화능력을 증가시켜 포장동화능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증

    수재배의 요점이다. 따라서 생육 초기의 엽면적 증대, 후기의 최적엽면적 및 단위

    동화능력을 올리기 위한 합리적인 재배방법, 즉 간작기간, 재식밀도, 시비 및 관리

    법을 강구하여야 한다.

    다. 생물환경

    농업에 있어 작물을 재배하는 논이나 밭은 인위적인 환경으로 인간이 목적하는

    작물만을 집중적으로 재배된다. 이로 인해 재배되는 작물의 병해충 및 잡초의 발

    생이 그 작물에 먹이와 경쟁관계로 우점할 수 있어 작물의 생산과 품질면에서 관

    리가 필요하다.

  • 제2장 작물재배의 주요 환경 요인과 작부체계 31

    1) 작물의 병해와 그 방제

    건전한 작물은 끊임없이 활발하게 물질 대사를 한다. 뿌리는 양분·수분을 흡수

    하고 잎은 태양에너지를 받아 광합성을 하면서 탄수화물을 만들어 식물체를 키운

    다. 그러나 이 같은 정상적인 대사활동이 어떤 원인에 의해 장해를 받아 본래 기능

    을 상실하는 현상을 병해라고 한다.

    예방으로는 병해저항성 품종이나 대목 선정, 작물을 건강하게 생육시켜 저항성

    을 기르며 재배환경을 조절해서 병원균의 활동을 억제한다. 종자와 토양의 소독,

    윤작 등으로 병원균의 밀도를 낮춘다. 또한 방제로는 가능한 한 빨리 살균제를 살

    포하여 병해를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며 발병 전 정기적으로 살포를 중심으로 성분

    이 다른 약제를 조합하여 사용한다. 이미 발병했을 때는 치료제를 살포한다.

    2) 작물의 해충과 그 방제

    작물의 해충은 대부분 곤충류이나 진드기류, 선충류, 갑각류, 복족류 등 소형의

    무척추 동물도 포함된다. 해충은 작물의 경엽을 갉아먹거나, 산란 등으로 직접적

    인 장해를 주어 식물을 쇠약하게 하여 피해를 주는데 이는 작물의 생육 불량이나

    위조 등의 증산으로 수량감소와 품질 저하를 일으키는 피해를 나타낸다. 또한 해

    충의 피해는 직접적인 피해 이외에 병해의 매개나 해충에 의한 상처로 병원균이 침

    입하여 발병하는 등 간접적인 피해가 있다

    해충의 피해가 발생했을 때 방제방법은 살충제를 살포하거나 윤작, 휴작 등으로

    해충의 밀도를 줄여 피해를 감소시키며 저항성 품종을 선택한다. 천적을 효율적으

    로 이용하여 생력적이고 환경오염없이 방제하는 방법도 있다.

    3) 잡초의 방제

    경지 안에서 발생하는 작물 이외의 식물을 잡초라고 하는데 이는 작물과 경합하

    여 양분과 수분을 빼앗고, 또한 광을 차단하여 작물의 생장에 방해가 되어 수량 및

    품질의 저하를 가져 온다. 또한 잡초가 지표면을 덮어 지온이 떨어지고 습도가 높

    아져 작물의 생육환경을 악화시키고 병해충의 번식을 조장하게 된다. 방제로는 경

  • 32 제1부 재배작물의 선택

    운, 답전윤환, 담수, 써레질로 우선방제와 기계제초와 제초제를 사용한다.

    2. 작부체계

    작부체계는 작물 포장의 효율적 이용과 노동력의 배분 등 합리적인 농업경영을

    위하여 계획된 재배작물의 종류, 순서, 조합 또는 배열의 방식을 말한다. 이는 농

    업자원(기후, 토양, 물 등), 영농자금, 시장, 영농기술 등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결정된

    다. 여기에는 연작, 윤작, 답전윤환, 간작. 혼작, 교호작, 주위작 등의 작부양식이

    동원된다.

    가. 연작과 기지

    동일한 포장에 같은 종류의 작물을 계속해서 재배하는 것을 연작(連作)이라고

    하는데, 연작을 할 때 작물의 생육이 뚜렷하게 나빠지는 것을 기지(忌地)라고 하

    며 이러한 현상을 기지현상이라고 한다. 기지현상은 작물의 종류에 따라 큰 차이

    가 있다.

    1) 작물의 종류와 기지

    가) 작물의 기지 정도

    ■�연작의�해가�적은�작물�: 벼·맥류·조·수수·옥수수·고구마·무·당근·연·순

    무·뽕나무·아스파 라거스·토당귀·미나리·딸기·양배추·꽃양배추·목화·

    삼·양파·담배·사탕수수·호박 등

    ■�1년�휴작이�필요한�작물�: 쪽파·시금치·콩·파·생강 등

    ■�2년�휴작이�필요한�작물�: 마·감자·잠두·오이·땅콩 등

    ■�3년�휴작이�필요한�작물�: 쑥갓·토란·참외·강낭콩 등

    ■��5~7년�휴작이�필요한�작물�: 수박·가지·완두·우엉·고추·토마토·레드클로

  • 제2장 작물재배의 주요 환경 요인과 작부체계 33

    버·사탕무 등

    ■�10년�이상�휴작이�필요한�작물�: 아마·인삼 등

    나) 과수의 기지 정도

    ■�기지가�문제되는�과수�: 복숭아나무·무화과나무·감귤류·앵두나무 등

    ■�기지가�나타나는�정도의�과수�: 감나무 등

    ■�기지가�문제되지�않는�과수�: 사과나무·포도나무·자두나무·살구나무 등

    2) 기지의 원인

    가)�토양비료분의�소모�: 비료성분의 일방적 수탈이 이루어지기 쉬우며 특히,

    알팔파·토란 등은 석회를 많이 흡수하여 그 결핍증을 나타내기 쉽다.

    나)�토양�중의�염류집적�: 하우스재배의 다비연작(多肥連作)은 작토 층에 염류

    가 과잉 집적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다)�토양물리성의�악화�: 화곡류와 같은 천근성(淺根性) 작물을 연작하면 토양

    이 긴밀화해져서 물리성이 악화된다.

    라)�잡초의�번성�: 동일 작물을 연작할 때에는 특정 잡초가 몹시 번성할 우

    려가 있다.

    마)�유독물질의�축적�: 작물의 유체(遺體) 또는 생체에서 나오는 물질이 동일

    종이나 유연종의 작물에 축적되어 기지현상을 일으킨다.

    바)�토양선충의�피해�: 연작을 하면 토양선충이 번성하여 직접적으로 피해를

    끼치고, 또 2 차적으로는 병균의 침입도 조장하여 병해를 유발함으로

    써 기지의 원인이 된다. 밭벼·두류(콩·땅콩 등)·레드클로버·감자·인삼·

    사탕무·무·제충국·우엉·가지·호박·토란·감귤류·복숭아나무·무화과나

    무 등에서는 연작에 의한 선충의 피해가 크게 인정되고 있다.

    사)�토양전염의�병해�: 연작을 하면 토양 중의 특정 미생물이 번성하고, 그

    중 병원균은 병해를 유발하여 기지의 원인이 된다. 예로서 아마(잘록

    병)·토마토(풋마름병)·사탕무(뿌리썩음병·갈색무늬병)·인삼(뿌리썩음병)·강낭

  • 34 제1부 재배작물의 선택

    콩(탄저병)·수박(덩굴쪼김병)·완두(잘록병)·백합(잘록병)·목화(잘록병)·가지(

    풋마름병) 등이 있다.

    3) 기지대책

    가)�윤작�: 윤작(輪作)을 하면 기지현상을 경감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나)�담수�: 담수상태에서는 밭상태에서 번성하는 선충·토양미생물이 감소

    되고, 유독물질의 용탈도 빠르다. 벼를 밭에 재배하면 곧 기지현상이

    발생하지만, 논에서는 그렇지 않다.

    다)�토양소독�: 토양선충이 기지의 원인일 때에는 살선충제(殺線蟲劑)로 토양

    소독(특히, 딸기의 잎 선충, 시호의 뿌리혹선충에 fosthiazate(선충탄)을 하고, 병

    원균에 대해서는 살균제로 토양소독을 한다.

    라)�유독물질�흘려보내기�: 기지의 원인이 유독물질인 경우(복숭아·감귤류 등)

    에는 알코올 황산·수산화칼륨·계면활성제의 희석액이나 물을 넣어서

    유독물질을 흘려보내기도 한다.

    마)�객토�및�환토�: 기지성이 없는 새 흙을 객토하면 기지현상이 경감된다.

    과수의 기지성은 어릴 때 심하므로 묘목을 심을 때 새 흙을 넣어주면

    생육이 좋아진다. 하우스재배 등에서 염류가 과잉 집적되면 배양토를

    바꾸도록 한다.

    바)�접목�: 포도·수박·멜론·가지 등은 저항성 대목(臺木)에 접목하면 기지현

    상을 경감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사)�지력배양�: 지력저하가 원인이 되는 기지에 대해서는 심경, 퇴비다용,

    결핍성분 및 미량요소의 시용 등으로 기지를 경감시킨다.

    나. 윤작

    한 포장에 연작을 하지 않고 몇 가지 작물을 특정한 순서로 규칙적으로 반복하

    여 재배해 나가는 것을 윤작이라고 하며, 유럽에서 발달한 작부방식이다.

  • 제2장 작물재배의 주요 환경 요인과 작부체계 35

    윤작은 뿌리의 분포, 양분흡수 특성 등이 서로 다른 각종 작물을 조합시킨 계획

    적인 작부체계로 지력 소모를 방지하여 작물생산성의 안정성, 유해생물의 증식방

    지, 토양 물리성의 회복, 토양 양분의 유지, 잡초억제 및 노동력의 합리적 분배 등

    매우 큰 효과가 기대된다.

    1) 윤작방식

    가) 순3포식(純三圃式) 농법

    포장을 3등분하여 경지의 2/3는 춘파곡물 또는 추파곡물을 재식하고 나머지 1/3

    은 휴한하는데, 장소를 돌려가며 짓는 방식으로 전 포장이 3년에 한번 휴한하게 된

    다. 이 방식은 초기에 지력유지책으로 실시되었다.

    나) 개량3포식(改良三圃式) 농법

    3포식 농법의 휴한지에 클로버 등의 콩과 녹비작물을

    재배하여 지력증진을 도모하는 방식으로, 휴한을 하는 것

    보다 클로버와 같은 작물을 재배하는 것이 지력유지에 더

    욱 효과적이다.

    다) 노포크식 윤작법(Norfolk system of rotation)

    1730년 영국의 Norfolk 지방에서 발생한 윤작방식으

    로, 윤작방식의 모범적 사례가 되었다. 식량과 가축의 사

    료를 생산하면서 지력을 유지하고 중경효과(中耕效果)까

    지 얻기 위하여 적합한 작물을 조합하여 재배한다.

    밀 또는 귀리(식량) 순무(사료, 중경) 보리(사료) 클로버(사료, 녹비)

    지력 수탈 증강(다비) 수탈 증강(질소고정)

    잡초 증가 경감(중경) 증가 경감(피복)

    밀(식량) 보리(식량)

    휴한

    밀(식량) 보리(사료)

    클로버(녹비)

  • 36 제1부 재배작물의 선택

    라) 미국의 윤작법

    미국에서도 각 지방의 실정에 알맞은 여러 가지 윤작방식이 발달되어 있는데 옥

    수수지대에서 많이 쓰는 윤작방식은 다음과 같다.

    ■ 옥수수–옥수수–귀리–클로버

    ■ 옥수수–콩-귀리–클로버

    ■ 옥수수–귀리–클로버

    2) 윤작에서의 작물선택

    윤작방식은 지방 실정에 따라 다양하게 발달되어 있지만, 윤작하는 작물을 선택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한다.

    가) 주 작물은 지역사정에 따라 선택한다.

    나) 용도의 균형을 위해서는 주 작물이 특수해도 식량과 사료생산이 병행되는 것

    이 좋다.

    다) 지력유지를 위하여 콩과작물이나 다비작물(多肥作物)을 반드시 포함한다.

    라) 잡초경감을 위해서는 중경작물이나 피복작물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마) 토지이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여름작물과 겨울 작물을 결합한다.

    바) 토양보호를 위하여 피복작물이 포함되도록 한다.

    사) 이용성과 수익성이 높은 작물을 선택한다(평야지-벼, 산간지-감자).

    아) 기지현상을 회피하도록 작물을 배치한다(화본과작물과 콩과작물, 근경작물의

    교대배치).

    3) 윤작의 효과

    가) 지력의 유지증강

    (1)�질소고정�: 클로버 같은 콩과작물은 공중질소를 고정한다.

    (2)�잔비량(殘肥量)�증가�: 감자 · 순무 같은 다비작물을 재배하면 잔비량이

    많아진다.

  • 제2장 작물재배의 주요 환경 요인과 작부체계 37

    (3)�토양구조�개선�: 근채류·알팔파·레드클로버 등은 뿌리가 깊게 발달함

    으로써 토양의 입단형성을 조장하여 그 구조를 좋게 한다.

    (4)�토양유기물�증대�: 녹비작물·콩과작물을 재배하면 토양유기물이 증대

    하며, 목초류도 잔비량이 많다.

    (5)�구비(廐肥)�생산증대�: 윤작으로 사료작물을 재배하면 구비의 생산이

    많아져서 지력을 증진한다.

    나)�토양보호�: 피복작물이 토양의 침식을 방지한다.

    다)��기지의�회피�: 윤작을 하면 기지현상이 회피된다. 볏과목초는 토양선충을

    경감시킨다.

    라)��병충해의�경감�: 연작을 하면 기지의 원인이 아닌 병충해들도 많이 발생하는

    데, 윤작에 의하여 경감된다.

    마)�잡초의�경감�: 중경작물·피복작물은 경지의 잡초를 경감시킨다.

    바)��수량증대�: 윤작을 하면 지력증강, 기지회피, 병충해 및 잡초의 경감 등에

    의하여 수량이 증대한다.

    사)��노력분배의�합리화�: 여러 작물을 재배하게 되면 노력의 시기적인 집중화를

    경감하고, 노력분배를 시기적으로 합리화할 수 있다.

    아)��농업경영의�안정성�증대�: 여러 작물을 고루 재배하면 자연재해나 시장변동

    에 의한 피해가 분산 또는 경감되어 농업경영의 안정성이 증대한다.

    다. 답전윤환

    논을 몇 해마다 담수한 논 상태와 배수한 밭 상태로 돌려가며 이용하는 것을 답

    전윤환(畓田輪換)이라고 하며, 벼가 생육하지 않는 기간만 맥류나 감자를 재배하는

    답리작이나 답전작과는 다르다. 답전윤환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1)�지력증강�: 밭 기간 동안은 논 기간에 비하여 토양의 입단화 및 건토효과가

    진전하고, 미량요소 등의 용탈이 적으며, 환원성인 유해물질의 생성이 억

    제되고, 채소나 콩과목초는 토양을 비옥하게 하여 지력이 증강된다.

  • 38 제1부 재배작물의 선택

    2)�기지의�회피�: 벼를 재배하다가 채소를 재배하면 채소의 기지현상이 회피

    된다.

    3)�잡초의�감소�: 담수상태에서는 건생 잡초의 발생이 경감되고, 배수상태에

    서는 습생잡초의 발생이 경감된다.

    4)�수량증가�: 클로버 등을 2~3년 재배하였다가 벼를 재배하면 벼의 수량이

    첫해보다 30%가량 늘고, 또 질소질 비료 시용량이 절반 이하로 절약된

    다. 벼의 수량은 밭 기간을 2~3년 이상 해도 더 증가되지 않으며, 또 논

    으로 돌렸을 때의 증수효과도 2~3년 이상 지속되지 않는다.

    답전윤환의 한계는 벼의 수익성을 능가하는 작물의 성립 문제와 2모작 체계보다

    답전윤환 체계의 유리함이 발견되어야 한다.

    라. 혼파

    목야지(牧野地)를 조성할 때에는 보통 화본과와 콩과의 목초종자를 함께 섞어서

    뿌리는데 이와 같이 두 종류 이상의 작물 종자를 함께 섞어서 뿌리는 방식을 혼파

    라고 한다.

    혼파의 방식은 형편에 따라 다양하게 분화되어 있다. 화본과목초와 콩과목초의

    종자를 8~9 : 1~2 정도로 섞는 것이 보통인데, 이는 콩과목초는 초기에 드물게 발

    생해도 생장력이 강하므로 점차 그 비율이 증가하며, 또 콩과 목초가 혼파 목야지

    의 50% 정도까지 번성하면 가축을 방목할 때 고창증(鼓脹症)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혼파의 이점은 다음과 같다

    1)�가축영양상의�이점�: 화본과목초와 콩과목초가 섞이면 가축의 영양상 유

    리하다.

    2)�공간의�효율적�이용�: 상번초(上繁草)와 하번초(下繁草) 또는 심근성(深根性)

    작물과 천근성(淺根性) 작물이 섞이면 지상·지하를 입체적으로 더 잘 이용

  • 제2장 작물재배의 주요 환경 요인과 작부체계 39

    할 수 있다.

    3)�비료성분의�효율적�이용�: 작물에 따라 흡수성분의 질과 양, 그리고 토양의

    흡수층에 차이가 있으므로, 혼파에 의하여 토양의 비료성분을 더욱 효율

    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4)�질소질�비료의�절약�: 콩과목초가 고정한 질소가 볏과목초에도 이용되므로

    질소질 비료가 절약된다.

    5)�잡초의�경감�: 오처드그라스 같은 주형(株型)의 목초밭에서는 잡초가 침

    입하기 쉬운데, 클로버가 혼파되어 공간을 메우면 잡초의 발생이 적어

    진다.

    6)�재해에�대한�안정성�증대�: 여러 종류의 목초가 함께 생육하면 불량환경이

    나 병충해에 대한 안정성이 증대한다.

    7)�산초량의�평준화�: 혼파한 목초는 서로 생장의 상태가 각기 다르므로 혼파

    목야지의 산초량이 시기적으로 평준화된다.

    8)�건초�제조상의�이점�: 콩과목초는 수분함량이 많아서 건초를 만들기가 불

    편한데, 화본과목초가 함께 섞이면 건초를 만들기가 용이해진다.

    혼파의 단점은 파종작업과 목초별로 생장이 달라 시비, 병충해 방제, 수확작업

    등이 불편하다. 또한 채종이 곤란한 점이다.

    마. 그 밖의 작부체계

    1) 간작

    한 가지 작물이 생육하고 있는 고랑사이에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 것을 간작(間

    作)이라고 한다. 맥류의 줄 사이에 콩을 간작할 때에는 맥류가 앞작물이 되고, 콩

    은 간작물(間作物)이 된다. 이러한 간작은 생육의 일부 기간만 함께 자라게 되며,

    따라서 앞작물(맥류)에 큰 피해 없이 간작물(콩)의 생육기간을 앞으로 연장시켜 간

    작물(콩)의 증수를 꾀할 수 있다.

  • 40 제1부 재배작물의 선택

    간작물의 생육을 좋게 하려면 주 작물·앞작물의 품종이나 재배법을 고려해야 한

    다. 예를 들면, 맥류의 단간조숙인 품종을 넓은 이랑에 재배해야 간작물인 콩에 좋다.

    2) 혼작

    생육기간이 거의 같은 두 종류 이상의 작물을 동시에 같은 포장에 섞어서 재배

    하는 것을 혼작(混作)이라고 한다. 콩밭에 수수나 옥수수를 일정한 간격으로 질서

    있게 점점이 혼작하면 점혼작(點混作)이 되는데, 콩이 주 작물이고, 수수·옥수수는

    혼작물이다. 콩밭에 수수나 조 등을 질서 없이 혼작하면 난혼작(亂混作)이 된다.

    두 작물의 여러 가지 생태적 특성에 의하여 혼작을 하는 것이 따로따로 재배하

    는 것보다 전체 수량이 많을 때 혼작의 의미가 있다.

    3) 교호작

    생육기간이 비슷한 작물들을 교호로 재배하는 방식을 교호작(交互作)이라고 한

    다. 예를 들어, 콩 두 이랑에 옥수수 한 이랑씩 재배하는 것이다. 옥수수와 콩은 각

    각 키가 크고 작으며, 그늘에 못 견디며, 질소질 비료를 탐내고 탐내지 않으며, 지

    력을 수탈하고 증강하며, 산성토양에 견디고 못 견디는 등의 차이가 있다. 따라서

    옥수수와 콩의 교호작은 공간의 이용을 향상시키고 지력을 유지하며 생산물을 다

    양화할 수 있다.

    4) 주위작

    포장의 주위에 포장 내의 작물과는 다른 작물들을 재배하는 것을 주위작(周圍作)

    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논두렁콩이 대표적인 예이며, 강낭콩은 주로 여름작물의

    주위작으로 재배되고 있다. 참외·수박밭의 둘레에 옥수수·수수 등을 심으면 방풍

    효과가 있다.

  • 오늘날 지구상의 농경지는 거의 18,000,000km2(대략 남아메리카의 면적), 목초지는

    34,000,000km2(아프리카 크기의 면적), 도시지역은 약 2,500,000km2(유럽의 1/3 크기의

    면적)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아래 표 3-1은 세계적으로 18대 주요작물과 이들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을 나타

    낸 것으로 밀이 4,028,000km2 면적으로 전체 22%를 차지하여 1위이며 뒤이어 옥수

    수가 2,210,000km2 로 13%를 차지하며 2위, 벼가 3번째로 가장 많이 재배되었다.

    표 3-1. 세계 18대작물의 재배면적 및 비율

    작물 면적(1,000km2) 비중 (%)

    밀 4,028 22

    옥수수 2,271 13

    벼 1,956 11

    보리 1,580 9

    대두 927 5

    두류 794 4

    면화 534 3

    감자 501 3

    수수 501 3

    기장 331 2

    해바라기 290 2

    호밀 288 2

    제3장 세계 주요 작물의 지리적 재배 분포

    김현순 _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농업연구관

  • 42 제1부 재배작물의 선택

    작물 면적(1,000km2) 비중 (%)

    유채 283 2

    사탕수수 265 1

    땅콩 247 1

    카사바 235 1

    사탕무 154 1

    기름 야자열매 72

  • 제3장 세계 주요 작물의 지리적 재배 분포 43

    두 지대에서 우세하다고는 하나 다양한 보조 작물(secondary crop)이 재배되고 있다.

    보리, 유채는 북미의 밀 지대 북쪽지방에서 옥수수는 중앙에서, 수수와 면화는 남

    부지역에서 재배된다.

    그림 3-1. 세계의 작물재배 지대(북미, 중미 및 카리브 해, 남미)

    자료 : Leff 등, 2004

  • 44 제1부 재배작물의 선택

    옥수수 지대는 미주리 강 유역의 하부와 미시시피의 동쪽 전체지역이다. 여기에

    서 옥수수는 4월~5월에 심어 11월~12월에 수확한다. 전체 옥수수 지대에는 보조

    작물로 단작물인 대두가 있는데 이는 종종 옥수수와 경합된다. 중서부에서는 위스

    콘신의 옥수수 지대는 아이오와와 일리노이에서 옥수수~대두 지대로 변하고 이후

    미조리에서는 대두지대로 변한다. 대두는 북미에서 세 번째로 가장 눈에 띄는 작

    물지대를 만든다. 이 작물은 멀리 동쪽으로는 캐롤라이나와 미시시피의 아래쪽에

    서 우세하다. 이 지역은 서로 비슷하지만 옥수수지대보다 좀 습하고 온화한 기후

    이다. 대두는 옥수수보다 약간 늦은 5월~6월에 심지만 거의 같은 시기인 10월~11

    월에 수확한다. 대두 지대에서 2차 작물은 면화와 밀이다.

    북미의 다른 중요한 작물은 보리와 면화이다. 플로리다는 사탕수수가 우세한데

    이 지역은 농업적으로 북미대륙이라기보다는 카리브 해와 비슷하다. 조지아주 또

    한 작은 땅콩 지대를 포함하고 있다.

    나. 중미 및 카리브 해

    중미의 농업기후는 다양하지만 단일 작물은 옥수수로 포괄적으로 중앙멕시코에

    서 니카라과에 걸쳐서 재배되고 있다. 북서 멕시코의 건조기후에서 옥수수는 9월

    ~10월에 심어 다음해 1월~ 3월에 걸쳐 수확을 한다. 멕시코에서 옥수수는 수수,

    두류, 밀과 함께 작물 지대를 형성한다. 중미의 옥수수 지대 전체 구역에서 두류는

    2번째 주요작물이며 그 다음은 사탕수수이다.

    코스타리카 경작지는 옥수수와 두류의 혼합 재배로 변하고 있고, 벼는 전 국토

    에서 재배되고 있다. 이 벼는 보조 작물인 옥수수와 함께 코스타리카와 파나마에

    서 아주 작은 보조 작물 지대를 형성하고 있는 데 이 지역의 연평균 온도와 강우량

    은 북쪽지방과 그리 크게 다르지는 않다. 카리브 해는 사탕수수가 주 작물로 이 지

    역에서는 1년 내내 변함없는 날씨로 연중 사탕수수를 심고 수확한다. 여기서는 벼

    와 옥수수는 2차작물이 된다. 참고로 카리브 해에서 주요 상품은 커피이며 이는 재

    배면적의 7%를 차지하여 3번째 주 작물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 제3장 세계 주요 작물의 지리적 재배 분포 45

    다. 남미

    남미는 북미와 중미보다 훨씬 다양한 작물이 재배되고 있다. 대륙의 북부에서는

    옥수수와 대두가 주 작물의 경합을 벌이는 반면, 남쪽에서는 밀이 주 작물이다.

    하나의 옥수수 지대는 전 안데스산맥과 콜롬비아의 고지 전면에서 아르헨티나

    의 파타고니아, 그리고 남동부 브라질의 브라질 고원에서 다른 중심까지 서쪽 저

    지대에 걸쳐 있다. 옥수수는 3월에서 5월까지 심고 수확은 10월~12월에 한다. 옥

    수수가 중앙아메리카, 안데스 산맥, 그리고 브라질 고원의 주요 작물이지만, 이는

    남미의 라 플라타(La Plata) 지역에서 밀과 대두에는 밀린다. 안데스에 걸친 옥수수

    지대의 보조 작물은 벼(안데스의 콜롬비아와 에콰도르 서부 저지대), 감자(페루와 볼리비아

    의 안데스 전역) 및 해바라기(아르헨티나 남부 안데스)이다. 브라질 고원에서는 사탕수수

    와 대두가 옥수수지대를 보완한다.

    대두는 남미에서 옥수수 다음으로 큰 지대를 형성한다. 이 작물은 널리 광범위

    하게 재배되고 있는데 북쪽 마토 그로소(Mato Grosso)의 브라질주로부터 남쪽의 코

    르도바(Cordoba) 아르헨티나 주와, 그란 차코(Gran Chaco) 지역과 동부까지 대륙의

    중앙부에서 재배되고 있다. 대두는 이 지역에서 우기(10월~12월)가 시작할 때 심어

    서 다음해 3월~5월에 수확한다. 이 대두지대 전역에 걸친 보조 작물은 브라질의

    옥수수, 파라과이의 면화, 아르헨티나의 밀, 옥수수와 해바라기의 조합이다.

    밀은 남미에서 세 번째로 큰 작물 지대를 형성하지만, 이는 아르헨티나와 칠레

    의 대륙 남부의 주요 작물이다. 밀은 아르헨티나와 칠레 서부 해안 평야의 초원지

    대에서 재배된다.

    남미의 옥수수수와 대두 재배면적과는 대조적으로 이 지역에서 밀 재배기는 서

    리가 오기 때문에 6월에 심어서 11월 중순에서 다음해 1월 중순까지 수확한다. 남

    미 전체에 걸쳐 아르헨티나 팜파스에서의 밀 지대에서는 콩, 해바라기가 보조 작

    물로 형성되는 반면, 남미 칠레의 밀 지역에서 보조 작물은 옥수수이다. 덧붙여 남

    미에는 옥수수, 콩, 밀 이외에 몇 가지 다른 주요 작물 지대가 있다. 비록 해바라기

    는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으나 중미에서만 해바라기 지대가 있으며, 남

  • 46 제1부 재배작물의 선택

    부의 남미에서 해바라기는 3위 작물로 기록된다.

    라. 유럽

    유럽은 북미, 중미와 같이 대단위의 균일한 농업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대륙의

    상위 5위 작물(밀, 보리, 옥수수, 감자 및 해바라기)은 경작지의 63%를 차지한다. 유럽

    대부분 지역에서는 두 번의 수확으로 이득을 얻을 수가 있다. 겨울 곡물(겨울 밀, 겨

    울 보리, 호밀)은 9월~10월에 심고 다음해 6월 중순~8월까지 수확한다. 봄 곡물(옥

    수수, 봄보리, 귀리)은 4월~5월에 심고 9월~10월에 수확한다.

    밀은 이베리아(Iberian) 반도, 벨라루스(Belarus), 발트 공화국(Baltic Republics)을 제

    외하고는 전 유럽 대륙 전체에 재배되고 있다(그림 3-2). 이 지역 전체에서 대부분

    밀이 재배되는 데 겨울 밀이 재배되나, 듀럼밀 또한 이 지역에서 재배된다. 겨울 밀

    은 대부분 겨울 보리, 호밀과 함께 재배하고, 2모작으로 옥수수, 귀리를 재배하고

    있으며, 봄보리는 보다 작은 면적이 재배된다. 남부유럽 전체, 프랑스, 이탈리아,

    헝가리, 몰도바 및 남부지역 국가의 보조 작물은 옥수수이다.

    또한 유럽에서는 두 번째로 큰 면적으로 보리가 재배된다. 겨울 보리가 이베리

    아반도에서 주 작물이며 특히, 스페인에서는 보리-밀, 밀 단독지대로 둘러싸여 있

    다. 봄보리 지대는 벨라루스, 발트 공화국과 러시아의 유럽지역에서 볼 수 있다. 전

    보리지대에서 보조 작물은 밀, 감자, 귀리이다.

    지중해 연안지역은 뚜렷한 기후를 가지고 있는데 밀과 보리가 상위 작물인 반면

    올리브는 하위작물(minor crop)이나 이 지역 경작지에서는 큰 비중(43,000 km2이상,

    15%)을 차지한다.

    마. 아프리카

    전 세계 수확 면적의 13%를 차지하고 있는 아프리카는 세계의 다른 지역에 비하

    여 경지면적이 그리 많지 않다. 농업기후대는 매우 다양하여 건조지대에서부터 척

  • 제3장 세계 주요 작물의 지리적 재배 분포 47

    박한 사막지대까지 있고, 열곡, 나일강, 니제르유역의 비옥한 토양에서 남부의 극도

    로 척박한 토양까지 다양하다. 그러나 아프리카에는 세계의 다른 지역과 달리 대단

    위 작물 지대는 형성되지 않았으나 재배작물의 조합이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북아

    프리카는 확연한 온난건조와 냉습윤 계절이 교대하는 지중해 기후로 특징지어진다.

    모로코, 알제리, 리비아, 튀니지는 해안을 따라 대 면적을 가지고 있는데 밀과

    보리가 주 작물이다. 단일 재배기간에 겨울 밀과 보리를 11월~12월에 심고 다음

    해 5월~6월에 수확한다. 나일 삼각주와 나일 계곡에서의 밀, 옥수수, 벼는 독특한

    농업지대를 형성한다. 남유럽과 유사하게 이 지역에서 주 작물은 올리브로 경작지

    의 11%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3-2. 세계의 작물재배 지대(유럽, 아프리카 및 중동)

    자료 : Leff 등, 2004

  • 사헬 지역은 강우가 적은데 내건성 기장과 수수가 주 작물이다. 세네갈, 감비아,

    기니-사우에서의 또 다른 내건성 작물은 땅콩이다. 옥수수와 혼작이 북부 나이지

    리아에서 발견된다. 사헬 지역에서 단일 재배기간에 대부분 작물들은 5월~7월에

    심고 10월~11월에 수확한다. 아프리카 서부 연안은 해양영향으로 온화한 기후로

    두 번의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주 작물은 친수성인 벼를 기니에서 라

    이베리아까지, 옥수수는 코트디부아르에서 나이지리아에 걸쳐 재배된다. 여기서

    벼는 4월~5월에 심어 8월~10월에 수확하고, 다른 작물은 11월~12월에 심어 다

    음해 3월~4월에 수확한다.

    옥수수 또한 2기작을 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3~4월에 파종해서 6~8월에 수확

    하고, 두 번째는 8월~9월에 심어서 12월~1월에 수확한다. 아프리카 서해안 벼 지

    대 전체의 보조 작물은 카사바인 반면, 옥수수 지대에서는 수수, 벼, 면화 및 기장

    과 혼작한다. 한편 아프리카의 서해안을 따라 농업지대가 사헬 지역의 농업지대보

    다 훨씬 작기 때문에 벼는 아프리카 사헬 지역에서 상위 5개 작물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옥수수는 수수와 기장 다음의 세 번째 주 작물로 이 지역에서 경작지의 11%

    를 차지한다. 에티오피아에서 사헬의 바로 동쪽은 아프리카 지구대의 북쪽 끝으로

    전 지구대에 걸쳐 옥수수가 주 작물이다.

    동 아프리카 전체에서 옥수수는 겨울 작물로 일반적으로 3월~6월에 심어 8월

    ~12월에 수확한다. 반면 남아프리카에서 옥수수는 여름작물로 10월~12월에 심어

    다음해 4월~6월에 수확한다. 동아프리카지역은 물이 부족하기 때문에 보조 작물

    은 카사바(탄자니아, 앙골라, 잠비아, 모잠비크) 이며, 두류(우간다, 탄자니아), 수수(모잠비

    크) 및 어느 정도의 나은 관개 시설이 있는 곳은 면화(짐바브웨)가 재배된다. 다른 한

    편으로 남아프리카는 보조 작물로서 겨울 밀을 5월~6월에 심어 10월~12월에 수

    확하여 이득을 보고 있다.

    마다가스카르 섬 또한 두 번의 재배기간으로 이익을 보는데 주 작물은 벼에 이어

    카사바와 옥수수가 재배된다. 벼는 11월~다음해 1월 중순에 심고 수확은 4월~6월

    에 한다. 이 지역에서의 두 겨울 작물은 밀과 고구마이다. 밀은 5월에 심어 11월에

    수확하고, 고구마는 1월 중순~5월 중순에 심어 5월 중순~12월 중순에 수확한다.

  • 제3장 세계 주요 작물의 지리적 재배 분포 49

    바. 중동

    중동의 주 작물은 밀로서 서쪽의 터키부터 동쪽의 이란과 지중해연안까지 재배

    되는데 짧게 시리아에서 보리와 밀의 조합지대에 가로막힌다. 겨울 밀과 보리는 9

    월 중순~12월에 심어 다음해 4월~8월에 수확한다. 가장 작은 경지면적(7%)을 차

    지하는 두류는 중동에서 3순위 작물로 여름철 북부 터키에서는 옥수수와, 터키-시

    리아 접경지역에서는 면화와, 서부 터키에서는 해바라기와 함께 재배된다.

    사. 아시아

    벼는 아시아 지역에서 경작지의 24%를 차지하고 있는 주 작물이다. 아시아의 벼

    재배지대는 서쪽으로는 인도와 네팔에서부터 동쪽의 일본, 한국, 대만까지, 북쪽

    으로는 양쯔강에서 남쪽의 티모르 섬까지 걸쳐 있다. 이 지역은 우기(장마철)로 강

    수량이 많아 4월~5월에 단작으로 벼를 심고 8월~10월에 수확한다. 몇몇 작은 지

    역에서는 벼를 다모작하기도 한다.

    벼 이모작을 중국 동서부, 인도차이나 반도, 인도 동부의 절반과 갠지스강의 범

    람지대와 자바섬에서 재배하고 있다. 갠지스 브라마푸트라(Ganges- Brahmaputra) 범

    람지대의 방글라데시 일부에서는 벼를 세 번 경작한다. 이 대단위 작물지대는 다

    양한 보조 작물을 경작하는데 중국에서는 밀, 옥수수, 땅콩, 사탕수수를, 인도차이

    나반도에서는 옥수수, 카사바, 두류를, 네팔에서는 밀을, 인도에서는 땅콩을, 인도

    네시아에서는 옥수수가 재배된다.

    아시아에서 밀은 벼보다 약간 작은 면적(경작지의 19%)으로 두 번째로 큰 작물 지

    대를 이루고 있다. 밀은 파키스탄에서는 인더스(Indus)강 유역, 중국의 황허강 유역,

    투르크메니스탄(Turkmenistan), 우즈베키스탄을 제외한 중앙아시아의 대부분과 카

    자흐스탄 남부지역으로 특징지어진다(그림 3-3).

  • 50 제1부 재배작물의 선택

    그림 3-3. 세계의 작물재배 지대 (아시아, 호주 및 뉴질랜드)

    자료 : Leff 등, 2004

    파키스탄과 인도 북서부에서 겨울 밀은 10월~12월에 심어 12월에서 다음해 3월

    ~5월에 수확한다. 황허강 유역에서는 봄밀은 3월~4월에 심어 7월 중순~8월 중순

    에 수확하지만 밀의 85~90%가 겨울 밀이라 9월 중순~10월에 심어 이듬해 6월에

    수확한다. 카자흐스탄과 러시아 북부 주에서는 겨울 밀은 9월에 심어 다음해 7월

    중순~8월에 수확하지만 봄밀은 5월에 심어 8월 중순~9월에 수확한다. 아시아 벼

    지대와는 달리 밀 지대에서의 보조 작물은 작다. 인더스강 유역에서의 보조 작물

  • 제3장 세계 주요 작물의 지리적 재배 분포 51

    은 면화, 황허강 유역은 옥수수, 카자흐스탄과 러시아 북부 주에서는 보리이다.

    아시아에서 옥수수는 작은 지역에서 주 작물로 집단으로 재배되고 있다. 이 옥

    수수는 중국 북동부의 길림성과 요녕성에서 주 작물이다. 이 지역은 북쪽까지 옥

    수수-밀-대두지역으로 전환되어 대두-옥수수-밀 재배지역으로 되는 반면, 서쪽

    까지는 밀-옥수수로 바뀌어 후에 밀 재배지역이 된다. 이 지역 전체에서 보조 작

    물은 벼이다. 중국은 윈난 남부지방의 또 다른 옥수수 재배지역이 있는데 아시아

    중간에 홀로 존재하는 벼 지대에 보조 작물은 밀이다. 마지막으로, 벼와 함께 옥수

    수는 필리핀에서는 주 작물 조합을 형성하고 카사바와 사탕수수가 3. 4번째 작물

    이 된다. 아시아 전체에서 옥수수는 경작지의 7%를 차지하지만 이는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는 상위 5작물 중의 하나이다.

    두류는 벼와 밀과 함께 서부 인디아에서 주력 작물집단을 형성한다. 아시아 전

    체에서 두류는 경지면적의 6%를 차지하나 인도에서는 12%를 차지하여 벼와 밀에

    이어 주요한 3번째 작물로 그 면적은 벼 면적의 1/2과 밀 면적과 동일한 면적이다.

    두류는 또한 미얀마에서는 보조 작물로, 북한과 여러 남부 러시아주에서는 제 3의

    작물이다. 또한 다양한 작물들이 작은 작물 지대를 이룬다. 감자는 극동러시아에

    서, 보리는 카자흐스탄 남동부에서 주 작물이며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면화와 밀의

    조합, 말레이시아에서는 기름야자열매가 눈에 띈다.

    아. 호주 및 뉴질랜드

    이 지역의 농업은 세계의 다른 온대 지역과 거의 비슷하다. 호주에서 밀은 주 작

    물로 남부의 애들레이드(Adelaide) 부근에서 밀과 보리의 조합 작물 지대에 가로막

    힌다. 여기에서 겨울 밀은 5월~6월에 심어 10월~12월에 수확한다. 호주의 밀 지

    대 서부에서는 두류가 가장 두드러진 보조 작물이며 보리는 동부지역에서의 보조

    작물이다. 겨울 보리 또한 뉴질랜드에서 가장 두드러진 작물로 그 자체로 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이는 4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