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교사

39
보보보보

description

보건교사. 역할분담. 발표 - 박민수 자료조사 - 서효혜 신지혜 심현진 오혜수 우은경 자료정리 - 배혜인 백연주 PPT 정리 - 신소현 오정후 PPT 제작 - 우재현 보고서 - 손지혜 방예경 핸드아웃 & 인쇄담당 - 이경진. 서론 ……………………………………………… 본론 ……………………………………………… 1. 보건교사란 ? 2. 보건교사의 역사 3. 보건교사의 자격요건 4. 보건교사의 현황 5. 보건교사의 역할과 활동 6. 보건교사의 교육내용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of 보건교사

Page 1: 보건교사

보건교사

Page 2: 보건교사

역할분담 발표 - 박민수

자료조사 - 서효혜 신지혜 심현진 오혜수 우은경

자료정리 - 배혜인 백연주

PPT 정리 - 신소현 오정후

PPT 제작 - 우재현

보고서 - 손지혜 방예경

핸드아웃 & 인쇄담당 - 이경진

Page 3: 보건교사

서론 ………………………………………………

본론 ………………………………………………

1. 보건교사란 ? 2. 보건교사의 역사 3. 보건교사의 자격요건 4. 보건교사의 현황 5. 보건교사의 역할과 활동 6. 보건교사의 교육내용 7. 보건교사 인력부족과 관련된 기사 스크랩

결론 ……………………………………………… 조원들의 느낀점

목차

Page 4: 보건교사

보건교사란 ?

중등학교와 특수학교 등에서 학생과 교직원의 보건에 관한 일을 담당하는 교사 보건교사는 건강서비스 , 보건교육 , 건강관리 및 상담 ,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학교 보건업무에 종사함

Page 5: 보건교사

보건교사의 임무 ① 학교 보건사업에 대한 계획의 집행 ② 학교 신체검사의 실시 ③ 교직원과의 협력에 의한 신체검사 결과처리 ④ 학교의 전염병 예방사업 보조 ⑤ 안전계획 수립과 돌발사고의 구급처치

Page 6: 보건교사

⑥ 학교 급식 및 조리장의 청결 정도 ·급식준비 · 영양 · 식중독 등에 대한 조언 ⑦ 건강상담 · 건강관찰의 담당 ⑧ 성교육 , 약물오남용 예방교육 , 응급처치 ·

구강관리교육 · 시력관리교육 ·비만관리 교육 등 보건교육 실시 ⑨ 보건통계 작성과 보건사업 평가에 조력 ⑩ 필요 시 가정방문에 의한 보건지도 등

Page 7: 보건교사

보건교사의 역사 1895 년 : 우리나라 최초의 현대적 학교법규인 한성사범학교관제를 칙령으로 공포 .   1907 년 : 학생 신체검사 및 교의설정에 관한 칙령 공포 1930 년 : 이화학당에 간호사가 배치되어 학생의 건강관리를 했다는 기록 1949 년 : 교육법 제 89 조에 신체검사와 양호시설의 설비에 대한 규정을 두어 학교보건사업이 필요하고 실시되어야 함을 강조

Page 8: 보건교사

1951 년 : 학교신체검사 규칙제정 . 신체검사와 예방접종 위주의 학교보건사업 실시 1953 년 : 교사의 자격기준에 양호교사가 제도화됨 1956 년 : 문교부 자오간에 의한 양호교사자격증 발행 1961 년 : 학교 간호사가 고용직에서 교사직인 양호교사로 발령받음 1967 년 : 학교보건법 제정

Page 9: 보건교사

1969 년 : 학교보건법시행령 공포 1979 년 : 문교부 직제에 처음으로 학교보건과가 생김 . 보건과 체육의 구분 .   1981 년 : 학교 급식법시행령 제정 공포 1986 년 : 전국양호교사회 창설 .전국양호교사회 발기총회에서 정관채택 및 휘문고 재직중인 박양자 회원이 초대회장으로 선출됨 .   1993 년 : 양호교사 직무 삽입 (학교보건법 시행령 제정 )

Page 10: 보건교사

 1998 년 : 양호실이 보건실로 명칭변경( 학교보건법 제 7 차 개정 ) 양호교사가 초 , 중등교육법 시행령 제 33 조에 의해 보직교사로 임용될 수 있게 되다 .  2000 년 : 제 21 조 교원의 자격조항에서 양호교사 (2 급 ) 의 자격기준 개정 ( 간호학과 졸업자로서 재학중 교직학점을 취득하고 간호사 면허를 가진자로 함 )   2002 년 : 양호교사 명칭이 보건교사로 변경됨 . 보건교사의 전문상담교사 자격취득 가능 2003 년 : 보건과 교육실습 , 교과교육론 , 교재연구 및 지도법 등 교직과정 이수를 위한 교재 개방

Page 11: 보건교사

보건교사의 자격요건

보건 ( 양호 ) 교사가 되려면 간호사면허 소지자로 보건교사 자격을 취득한 후 교원 임용고시를 치러 합격해야 한다 . 초 ·중등교육법의 적용을 받아 4 년제 대학 졸업자도 교직과정을 이수해야만 보건교사 자격을 취득할 수 있게 된다 .   단 , 간호과는 비사범계이므로 매 학년 입학정원의 30% 정도만 교직과정을 이수할 수 있다 .

Page 12: 보건교사

보건교사 자격기준 ① 보건교사 1 급 - 보건교사 2 급 자격증을 가진 자로서 3 년 이상의 보건교사 경력을 가지고 자격 연수를 받은자 ② 보건교사 2 급 - 대학 , 산업대학의 간호학과 졸업자로서 재 학 중 소정의 교직학점을 취득하고 간호사 면허증을 가진 자 - 전문대학의 간호과 졸업자고 재학 중 소정 의 교직학점을 취득하고 간호사 면허 증을 가진 자

Page 13: 보건교사

보건교사의 현황 학교보건법 시행령 제 23 조 제 2 항은 , 보건 교육과 학생들의 건강 관리를 담당하는 보건교사를 두도록 하고 있다 . 다만 대통령이 정하는 일정 규모 이하의 학교에는 순회 보건교사를 둘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Page 14: 보건교사

전국적으로 1 만 1230 개 학교 가운데 7629 개의 학교에 보건교사가 배치돼 67.9% 를 보였다 .

국립은 84.4%(45 곳 중 38 개 ),

공립이 69.2%(9474 곳 중 6555 개 ),

사립이 60.5%(1711 곳 중 1036 개 )이다 .

 ⇒ 국공립 학교보다는 사립학교의 보건교사 배치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남 .

Page 15: 보건교사

지역별로는 서울이 96% 로 가장 높았고 , 부산 (93%), 대구 (86%), 인천 (80%), 광주 (76%) 차례로 나타났고 , 제주가 43% 로 보건교사 배치율이 가장 저조했다 . 또 충남 (47.3%), 전남 (47.6%), 강원(49.4%), 경남 (53.8%) 지역도 보건교사 배치율이 낮았다 .

 ⇒ 지역 간 2 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나 ,    대도시 지역보다는 농어촌 지역의 보건교사 배치율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남

Page 16: 보건교사

5. 보건교사의 역할과 활동 보건교사는 ‘학교보건의 관리자’와 ‘보건교육자’로서의 역할을 담당 .

학교보건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보건교사직무 ① 보건교사의 직무  - 학교보건계획의 수립 - 학교 환경위생의 유지관리 및 개선에 관한

사항  - 학생 및 교직원에 대한 건강진단실시의

준비와 실시에 관한 협조

Page 17: 보건교사

① 보건교사의 직무 ( 계속 )

- 각종 질병의 예방처치 및 보건지도 - 학생 및 교직원의 건강관찰과 학교의사의 건강상담 ·건강평가등의 실시에 관한 협조 - 신체허약 학생에 대한 보건지도 - 보건지도를 위한 학생가정의 방문

Page 18: 보건교사

① 보건교사의 직무 ( 계속 )

- 교사의 보건교육에 관한 협조와 필요시의

보건교육

- 보건실의 시설 · 설비 및 약품등의 관리

- 보건교육자료의 수집 · 관리

- 학생건강기록부의 관리

Page 19: 보건교사

① 보건교사의 직무 ( 계속 )

- 다음의 의료행위( 간호사 면허를 가진 자에 한한다 )    (1) 외상등 흔히 볼 수 있는 환자의 치료 (2) 응급을 요하는 자에 대한 응급처치 (3) 상병의 악화방지를 위한 처치 (4) 건강진단결과 발견된 질병자의 요양 지도 및 관리 (5) (1)~(4) 의 의료행위에 따르는 의약 품의 투여 - 기타 학교의 보건관리

Page 20: 보건교사

② 학교의사의 직무 - 학교보건계획의 수립에 관한 자문 - 학교 환경위생의 유지관리 및 개선에 관한 자문 - 학생 및 교직원의 건강진단과 건강평가 - 각종 질병의 예방처치 및 보건지도 - 학생 및 교직원의 건강상담 - 기타 학교보건관리에 관한 지도

Page 21: 보건교사

③ 학교약사의 직무 - 학교보건계획의 수립에 관한 자문 - 학교환경위생의 유지관리 및 개선에 관한 자문 - 학교에서 사용하는 의약품 및 독 · 극물의

관리에 관한 자문 - 학교에서 사용하는 의약품 및 독 · 극물의

실험 · 검사 - 기타 학교보건관리에 관한 지도

Page 22: 보건교사

< 칼럼을 통해 보는 보건교사의 업무 > 보건교사의 역할이 달라지고 있다 양호실의 명칭이 보건실로 바뀌고 , 양호교사의 명칭도 보건교사로 바뀐 지 오래다 . 그러나 지금도 보건실이나 보건교사라는 말은 어색하고 생소하다 . 사람들은 대부분 보건교사에 대해 아프거나 다친 아이들이 오면 약이나 주는 한가한 사람으로만 생각한다 . 그러나 요즘 보건교사들의 역할이 크게 달라지고 있다 . 최근 보건교사들은 스스로 새로운 위상을 찾아 발 벗고 나섰다 . 전북보건교사회는 전주 단오제가 열린 이달 7 일과 8일 이틀 동안 전주덕진공원에서‘전주시민을 위한 건강관리 봉사활동’을 대대적으로 펼쳤다 . 회원들은 전주 시민과 학생들의 건강생활 실천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익한 건강상담 및 건강서비스를 위해 건강측정 및 상담을 무료로 실시했다 . 보건교사들이 학교 담장을 넘어 지역사회 , 나아가 온 국민의 건강 증진에 나선 것이다 . 전북 군산교육청은 최근 관내 보건교사들을 대상으로 응급상황에서 생명을 구하는 심폐소생술 연수를 실시했다 . 학생의 건강을 담당하는 보건교사들은 반드시 응급 심폐소생술에 대해 알아둬야 한다는 인식을 한 것이다 . 학교보건도 공공의료의 한 영역이다 . 국민의 건강권 보장에 기여하는 일은 당연하다 . 보건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건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일이 필요하다 . 보건교사들은 학생건강 관리와 학교보건을 책임지는 전문가로서 역량을 스스로 키워야 한다 . 정부도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학교 보건교육 방안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 보건교사들의 역할은 매우 광범위하다 . 보건교사는 치료자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교육자와 상담자로의 역할에 더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 어딘가 아프면 무작정 보건실을 찾아와“약 주세요”하는 학생들에게 건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 . 보건교사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학교 측도 보건교사에게 교육의 권한을 적극적으로 주어야 한다 . 매년 초에 보건수업을 연간 10 시간 이상을 하라는 공문이 내려오지만 실제적으로 그렇지 않은 학교도 많다 . 일부 학교의 보건교사는 보건수업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재량시간 , 기타 관련과목 시간 , 체육시간 등을 놓고 실랑이를 벌인다 . 학생들과 직접 접촉하여 교육할 기회를 주지 않으면 보건교사는 보건실에 오는 학생에게만 국한되어 교육할 수밖에 없다 . 보건교사가 일차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좀 더 확대된 역할을 가지기 위해서 어떤 정책이 필요하며 그에 따라 어떤 인식의 변화가 요구되는지 진지하게 검토해야 할 때이다 . 한편 보건교사가 하는 일은 여러 가지다 . 겉으로 크게 드러나는 일이 없을 뿐이다 . 월별로 하는 일도 다양하다 . 2008.6.18. 수 ( 정복규 논설위원 )

Page 23: 보건교사

⇒ 이 칼럼은 보건교사의 많은 역할과 보건교사의 한계점을 지적하였으며 , 보건교사가 일차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좀 더 확대된 역할을 가지기 위해서 어떤 정책이 필요하며 그에 따라 어떤 인식의 변화가 요구되는지 보건교사의 활성화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  

☺ 보건교사가 하는 일은 겉으로 크게 드러나지 않을 뿐 하는 일은 여러 가지다 .

Page 24: 보건교사

코리안 양호선생님들 , 몽골에 ‘건강기록부’ 만들어주다 . 사랑 · 희망을 일구는 사람들 - 위생 후진국서 의료봉사 보건교사회

정충신기자 [email protected]

                             

▲ 보건교사회 임원들이 지난 22 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보건교사회 사무실에서 해외 의료 · 교육봉사단 활동을 논의하고 있다 . 왼쪽부터 배정옥 ( 구미 광평중 ) 기획이사 , 이석희 ( 서울 양강초교 ) 회장 , 박영란 ( 서울 강남초교 ) 재무이사 , 김향숙 사무처장 , 이춘희 ( 서울 오류남초교 ) 부회장 . 곽성호기자 [email protected] ( 생략 )보건교사는 중 · 장년층에게 추억의 ‘양호선생님’으로 뇌리에 각인돼있다 . 전국 초 · 중 · 고교에 근무하는 보건교사들로 16 개 시 · 도지회에 7300여명의 회원이 참여하는 보건교사회는 그동안 국내 의료봉사활동과 난치병 제자 돕기운동 등을 꾸준히 해왔다 . 보건교사회가 해외로 눈을 돌린 것은 2006 년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 의료 · 교육봉사단을 모집하면서부터다 . 두번째는 2007 년 몽골 제 2 의 도시인 다르한 , 3 회는 지난해 1 월 캄보디아 , 4 회는 지난해 8 월 몽골 다르한을 다녀왔다 . 이석희 회장은 “ 15 명 안팎의 의료 · 교육봉사단을 모집 , 방학을 이용해 보건교육이 상대적으로 낙후된 국가의 의료소외 학교를 방문해 의약품과 생필품 등을 전달하고 의료 · 교육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다”면서 “국제교류를 통해 사랑과 나눔을 실천 , 봉사활동에 참여한 보건교사 선생님들이 큰 보람과 자부심을 갖게 된다”고 말했다 . ( 생략 )

Page 25: 보건교사

봉사활동은 보건교사들의 전문성을 살릴 수 있는 신체검사와 보건교육 의료지원 등이 주를 이뤘다 . 봉사단은 7월 29 일부터 나흘간 900 명의 학생과 주민들을 건강검진하고 300 명의 환자를 진료했다 . 학교는 위생과 환경 여건이 좋지 않아 피부병과 화상 환자들이 많았다 . 특히 진료실 방문 환자 중에는 영양실조 환자와 기생충 감염자가 많았으며 근골격계 질환자도 많이 눈에 띄었다 . 보건교육팀은 학생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올바른 이닦기 등 구강청결교육 , 손씻기 등 개인위생교육 및 성교육을 실시했다 . 보건교육활동 전후에 한국문화 체험활동으로 실뜨기 , 종이접기 , 풍선아트 , 다트게임 등을 가르쳤다 . 의료약재팀장으로 참여한 최명옥 ( 한양대사대부고 ) 교사는 “아이들에게 위생관념을 깨우쳐 전염병 예방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뜻있는 활동이었다”고 말했다 . 최 교사는 “단순히 물질적인 도움보다 체계적인 교육지원을 통해 이들에게 희망을 심고 교육을 통해 미래를 여는 봉사활동으로 발전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 생략 ) 이 회장은 “보건교사들은 미래의 주역인 초 · 중 · 고교 학생들의 건강관리와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보건교육으로 학생들의 자기 건강관리능력을 향상시켜 학교와 사회의 건강은 물론 강한 국가의 기틀 마련에 앞장서고 있다”고 말했다 . 보건교사회는 학교보건 활성화를 위한 연구활동과 보건교과 신설 및 배치를 확대하기 위한 정책 연구와 학생 건강 증진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해오고 있다 . 또 학생 건강캠페인과 건강캠프를 실시하고 난치병 제자 돕기활동과 해외 의료 ·교육봉사활동을 통해 활동반경을 넓혀오고 있다 . 기사 게재 일자 2010-02-24 13:47

Page 26: 보건교사

6. 보건교사의 교육내용 추진방향 ① 학생의 체위향상 , 질병의 치료와 예방 , 음주 흡연과 약물남용의 예방 , 성교육 등을 위하여 보건교육을 실시하도록 한다 . ( 학교보건법 제 9조 )    ② 보건교육 계획을 수립하여 학교 교육계획에 포함 , 학교실정에 맞게 다양한 방법으로 보건교육을 실시한다 .    ③ 보건교사는 교사의 보건교육에 관한 협조와 필요시 보건교육을 실시한다 . ( 학교보건법 시행령 제 6조 3 항 )    ④ 보건교육 교수 학습 방법 개선 및 새로운 지식 습득 등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관련기관 교육 , 직무관련 연수 , 교과연구회 등 연수활동에 적극 참여한다 .

Page 27: 보건교사

교육 방법 ① 성교육 학교에서는 성교육 담당교사를 1 인 지정하고 성교육 계획을 교육과정 운영계획에 포함 , 10시간 이상 시수를 확보하여 성교육을 실시하도록 한다 .    ② 질병예방교육 손씻기 -1830(1 일 8회 30 초 )    전염병 예방 - 취약환경 등에 대한 적극적 관리를 통한 감염원을 사전에 차단하고 전염병 예방교육을 강화한다 .    ③ 응급처치 연 2 회 이상 학생 및 교직원을 대상으로 구조 및 응급처치 교육을 실시한다 .    ④ 시력관리 시력 저하 학생 증가에 따른 보건교육 강화로 학생의 시력을 보호한다 .

Page 28: 보건교사

보건교사 인력부족과 관련된 기사 스크랩

< 기사 1>

Page 29: 보건교사

보건교사 인력부족과 관련된 기사 스크랩

< 기사 2>

Page 30: 보건교사

보건교사 인력부족과 관련된 기사 스크랩

< 기사 3>

Page 31: 보건교사

보건교사 인력부족과 관련된 기사 스크랩

< 기사 4>

Page 32: 보건교사

⇒ 기 사 1 과 기 사 2 는 보 건 교 사 가 많이 부족함을

나타내는 기사이며 ,

기사 3 과 4 사 또한 신종플루가 만연했던 때 보건교사가 없는 학교에 간호사나 간 호 대 학 생 인턴으 로 긴급투입 했 다 는 기사들이다 .

이런 기사들을 통해 보건교사 부족의 심각성을 지각해야 한다 .

Page 33: 보건교사

결론 - 느낀점∎ 박민수 : 보건교사에 관해서 조사하면서 나는 이 직업에

관하여 새롭게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 어렸을 때를 생각하면

단순히 학교에 상주하면서 소독이나 하고 편하게 쉬는 그런

직업으로만 알았는데 , 이렇게 여러 가지 일과 생활이 있다는

것에 매우 놀랐다 . 현재 학교에서 교육학을 따로 듣고 있는데 ,

나중에 만약 학교에 간다면 제대로 된 보건교사의 모습을 보여

줄 것이다 .

∎ 이경진 : 보건교사에 대해 잘 모르고 있었으나 , 이번 기회에

그 역할이지역사회에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되었다 .

∎ 방예경 : 내가 초등학생 시절에 양호선생님에 대한 인식은 그저 불친절한 아줌마였고 , 중학생 때는 그냥 무관심하게 약만 꺼내주시는 분 , 그리고 고등학생 때 양호선생님은 그냥 가끔 성교육 해주시는 선생님 정도였다 . 그러나 이번에 보건교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면서 보건교사들이 그냥 보 건 실 에 앉아 서 약 이 나 건네주 는 사람이 아닌 것 을 깨달았다 . 보건교사는 지역사회의 건강증진에 부분적인 역할을 하는 사람으로서 비중있는 의료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 한 가지 바라는 점이 있다면 학교의 보건교사들이 여러 역할을 수행하는 간호사 중 한사람인 만큼 그 위상에 걸 맞는 인품과 친절함도 함께 갖추었으면 한다 .

Page 34: 보건교사

∎ 배혜인 : 보건교사에 대한 이번 과제를 하면서 현재 우리나라에 보건교사의 수가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고 놀랐다 . 사실 건강증진에 있어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은 성장하고 있는 우리 어린이들에 대한 교육이다 . 따라서 보건교사의 역할이 중요시 되어져야 하는데 , 실상은 그렇지 못한 것 같다 . 우리는 흔히 학창시절 양호선생님이라고 하면 그저 책상 앞에 앉아서 약을 주던 모습을 떠올린다 . 보건교사의 직무를 제대로 이행하고 있지 않은 부분도 많고 , 점점 보건교사의 수가 줄어가고 있다는 것은 보건교사의 필요성이 줄어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 간호학의 길을 걸어가고 있는 한 학생으로서 보건교사의 의무에 대해서 다시 생각하고 , 앞으로 학령기와 청소년기의 아이들이

바르고 건강한 건강신념을 가지고 성장하였으면 하는 바람이다 .

∎ 서효혜 : 보건 ( 양호 ) 교사가 되려면 간호사면허 소지자로 보건교사 자격을 취득한 후 교원 임용고시를 치러 합격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이번 과제를 통해 보건교사가 되기 위한 자격요건에 대해 알 수 있어서 정말 뜻 깊었다 .

Page 35: 보건교사

∎ 손지혜 : 보건교사에 대해 조사하면서 보건교사가 다양한 일을 하고 , 또 매우 중요한 일들을 한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다 . 생각해보면 , 중학교 고등학교 시절에 계시던 보건교사 선생님도 항상 바쁘셨던 것 같다 . 비록 양호실에 계속 계셨지만 큰 수능을 앞두고 긴장한 아이들의 심리상태나 생활리듬을 체크해주시기도 하셨고 공부에 지쳐있는 아이들에게 생활 지도도 해 주셨다 . 그리고 한편으론 보건교사로서 더욱 많은 일을 할 수도 있을 것 같다 . 이번 기회를 통해 보건교사라는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되어 뿌듯하다 .

∎ 신소현 : 평소에 양호교사라는 직업에 있어서 , 나의 전공과는 관련이 있지만 그다지 관심 있는 분야는 아니었다 . 하지만 과제를 하다 보니 학생들 가까이에서 건강에 대한 의미를 심어줄 수 있는 좋은 직업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 보건 교육의 효과가 크게 나타날 수 있고 , 일찍부터 가지는 건강에 대한 의식과 관심은 무척이나 효과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 교직을 이수하진 않았지만 분명 간호학을 전공한 사람으로서 욕심 낼 만한 분야인 것 같다 .

Page 36: 보건교사

∎ 신지혜 : 간호사라는 직업의 분 야 가 다 양 하 다 는 것 은 알았 지 만 구 체 적 으 로 는 잘 몰랐는데 , 교육자의 역할을 하 는 보 건 교 사 에 대 해 알게 되어 뜻 깊은 시간이었다 .

∎ 심현진 : 초 , 중 , 고등학교 시절에 보건교사를 단순히 보건실에 계시는 선생님이라고만 알고 있었는데 , 이번 과제를 수행하면서 간호학의 한 직업 분야인 보건교사에 대해서 잘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 앞으로 학생들에게 올바른 보건교육을 위해 보건교사의 역할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

∎ 오정후 : 초 , 중 , 고등학교를 다닐 때의 양호선생님의 이미지는 ' 세상에서 제일 편한 사람 '이었다 . 특 별히 하 는 일 도 없이 양호실에 가도 어느 병에 걸려도 아스피린 처방 하나면 끝이었다 . 간호학과에 들어와서 간호학과 출신들이 양호교사가 된다는 것을 처음알고 매우 수치스럽기까지 했 다 . 태도 , 생각을 바꿔 간 호 교 사 의 이 미 지 를 쇄신해야한다고 생각한다 . 배울 때는 다 방 면 으 로 배 우 는 데 왜 주체적으로 써먹지를 못하는지 이해가 안 간다 . 학교에서부터 훌륭한 간 호 를 펼쳐 자 라 나 는 학 생 들 에 게 간 호 의 이미지 를 바르게 심어주도록 해야 한다 .

Page 37: 보건교사

∎ 우은경 : 나는 평소 보건교사에 대해 관심이 많다 . 간호와 교육을 아우를 수 있는 직업이라 참 매력적이라 생각한다 . 이번 지역사회간호학 과제는 보건교사에 대한 정보를 자세하고 정확하게 알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 특히 학생뿐만 아니라 교직원에게도 보건교육을 제공한다는 것을 새롭게 알 수 있었다 . 그저 ‘아플 때 약만 주는 선생님’에서 ‘보건을 위한 교육자’라는 생각의 전환을 갖게 된 것 같다 .

∎ 오 혜 수 : 우 리 나 라 의 보 건 교 사 수 요 와 공 급 불균형이 심각한 줄 몰랐다 . 간 호 법 및 관 련 법 안 이 개선되었으면 좋겠다 .

∎ 우재현 : 보건교사에 대해 조사하면서 보건교사의 역할부터 그 중요성까지 많은걸 배웠다 . 반면에 그렇게 중요한 보건교사가 제 역할을 하려면 개선되어야 할 점도 많다는 것을 깨달았다 . 계속해서 관심을 지속적으로 갖고 지켜볼만 한 분야인 것 같다 .

Page 38: 보건교사

참고문헌

⁍ 지역사회간호학 , 왕명자 , 현문사 ⁍ 보건교사 부족과 관련된 기사의 출처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112148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12/13/2009121300727.htm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910852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951880 http://www.segye.com/Articles/NEWS/SOCIETY/Article.asp?aid=20091105002183&subctg1=&subctg2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36299 ⁍ 보건교사의 현황 한겨레신문 -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377315.html ⁍ 보건교사의 활동 문화일보 -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0022401031627026001 ⁍ 보건교사의 역할과 교육내용  ( 전라북도교육위원회 .) http://jmbe.jbe.go.kr/board/?doc=bbs%2Fgnuboard.php&bo_table=board7&page=1&wr_id=60

Page 39: 보건교사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