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 구조대대응화학, 생물학, 방사선및핵물질사고의역학적특성: … · 260...

12
260 대한응급의학회지 27 권 3 호 Volume 27, Number 3, June, 2016 EMS 119 구조대 대응 화학, 생물학, 방사선 및 핵물질 사고의 역학적 특성: 구조활동일 지 기반 시범 분석 박정호 1,2 ∙박주옥 1,3� ∙정@ 1,4 ∙홍기정 1,5 ∙김태한 1,4 ∙송성욱 1,5 ∙김주현 1,6 ∙신상도 1,4 서울대학교 의생명연구원 응급의료연구실 1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2 ,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 응급의학과 3 ,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4 , 서울대학교 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5 , 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6 , 인제대학교 서울 백병원 응급의학과 7 Characteristics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Provider Responded Chemical, Biological, Radiological, and Nuclear Incidents: Pilot Analysis of National Emergency Medical Service Rescue Records Jeong Ho Park, M.D. 1,2 , Ju OK Park, M.D., Ph.D. 1,3 * , Joo Jeong, M.D. 1,4 , Ki Jeong Hong, M.D. 1,5 , Tae Han Kim, M.D. 1,4 , Sung Wook Song, M.D. 1,6 , Chu Hyun Kim, M.D. 1,7 , Sang Do Shin, M.D., Ph.D. 1,4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rac- teristics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EMS) provider responded chemical, biological, radiological, and nuclear (CBRN) incidents in Korea. Methods: Nationwide EMS rescue records from Jan 2012 to Dec 2014 were analyzed. All EMS rescue records were integrated according to the unique accident ID. Cases relat- ed to animal rescue, hive removal, and suicide-related were excluded. CBRN-associated keywords were extracted by literature review and pilot survey. In-depth review of cases containing CBRN-associated keywords in the activity sum- mary were conducted by trained emergency medical tech- nicians, and predefined information was abstracted. Descriptive analyses were performed to characterize the EMS provider responded CBRN incidents. Results: A total of 1,571,293 cases were included, and 1,335,205 cases had a unique accident ID; 515,417 cases were excluded because of their association with animal res- cue, hive removal, and suicide attempts; 19,663 cases con- tained CBRN-associated keywords in the activity summary, and in-depth review identified 1,862 cases as CBRN inci- dents. Among them 1,856 cases were chemical incidents, and 6 cases were radiological incidents; 144 cases were resulted to victims. In chemical incidents, ammonia, hydro- gen chloride, sulfuric acid, hydrogen fluoride, and nitric acid were the top 5 toxic substances. In chemical incidents with victims, the proportion of explosion/implosion, and suffoca- tion in sealed space was more prevalent than chemical inci- dents without victims. Median scene time of all CBRN inci- dents was 41 minutes (interquartile range 18.0-57.0). Conclusion: We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CBRN incidents responded by EMS in Korea. Key Words: Biohazard release, Chemical hazard release, Emergency medical services, Radioactive hazard release Laborator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1 , Seoul,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Seongnam 2 , Hallym University Dongtan Sacred Heart Hospital, Dongtan 3 ,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4 , Seoul National University Boramae Hospital, Seoul 5 ,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Jeju 6 , Inje University Seoul Paik Hospital, Seoul 7 , Korea Article Summary What is already known in the previous study Emergency Medical Service (EMS) provider has a crucial role in response of chemical, biological, radiological, and nuclear (CBRN) incidents. However, characteristics of EMS provider responded CBRN incidents was not known. What is new in the current study In Korea, most CBRN incidents were chemical incidents. In chemical incidents, ammonia, hydrogen chloride, sulfuric acid, hydrogen fluoride, nitric acid was the top 5 cause of toxic substance. 책임저자: 경기도 화성시 큰재봉길 7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 응급의학과 Tel: 031) 8086-2929, Fax: 031) 8086-2029 E-mail: [email protected] 접수일: 2016년 3월 31일, 1차 교정일: 2016년 4월 1일 게재승인일: 2016년 4월 25일

Transcript of 119 구조대대응화학, 생물학, 방사선및핵물질사고의역학적특성: … · 260...

Page 1: 119 구조대대응화학, 생물학, 방사선및핵물질사고의역학적특성: … · 260 대한응급의학회지제27 권제3 호 원저 Volume 27, Number 3, June, 2016 EMS

260

� 원 저 �한응급의학회지 제 27 권 제 3 호

Volume 27, Number 3, June, 2016

EEMMSS

119 구조 응 화학, 생물학, 방사선 및 핵물질 사고의 역학적 특성: 구조활동일지 기반 시범 분석

박정호1,2∙박주옥1,3�∙정@ 주1,4∙홍기정1,5∙김태한1,4∙송성욱1,5∙김주현1,6∙신상도1,4

서울 학교 의생명연구원 응급의료연구실1, 분당서울 학교병원 응급의학과2, 한림 학교 동탄성심병원 응급의학과3,서울 학교병원 응급의학과4, 서울 학교 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5, 제주 학교병원 응급의학과6, 인제 학교 서울백병원 응급의학과7

Characteristics of Emergency MedicalService Provider Responded Chemical,Biological, Radiological, and NuclearIncidents: Pilot Analysis of NationalEmergency Medical Service RescueRecords

Jeong Ho Park, M.D.1,2, Ju OK Park, M.D., Ph.D.1,3*,Joo Jeong, M.D.1,4, Ki Jeong Hong, M.D.1,5, Tae HanKim, M.D.1,4, Sung Wook Song, M.D.1,6, Chu HyunKim, M.D.1,7, Sang Do Shin, M.D., Ph.D.1,4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EMS) providerresponded chemical, biological, radiological, and nuclear(CBRN) incidents in Korea.Methods: Nationwide EMS rescue records from Jan 2012to Dec 2014 were analyzed. All EMS rescue records wereintegrated according to the unique accident ID. Cases relat-ed to animal rescue, hive removal, and suicide-related wereexcluded. CBRN-associated keywords were extracted byliterature review and pilot survey. In-depth review of casescontaining CBRN-associated keywords in the activity sum-mary were conducted by trained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nd predefined information was abstracted.Descriptive analyses were performed to characterize theEMS provider responded CBRN incidents.Results: A total of 1,571,293 cases were included, and1,335,205 cases had a unique accident ID; 515,417 caseswere excluded because of their association with animal res-cue, hive removal, and suicide attempts; 19,663 cases con-tained CBRN-associated keywords in the activity summary,

and in-depth review identified 1,862 cases as CBRN inci-dents. Among them 1,856 cases were chemical incidents,and 6 cases were radiological incidents; 144 cases wereresulted to victims. In chemical incidents, ammonia, hydro-gen chloride, sulfuric acid, hydrogen fluoride, and nitric acidwere the top 5 toxic substances. In chemical incidents withvictims, the proportion of explosion/implosion, and suffoca-tion in sealed space was more prevalent than chemical inci-dents without victims. Median scene time of all CBRN inci-dents was 41 minutes (interquartile range 18.0-57.0).Conclusion: We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CBRNincidents responded by EMS in Korea.

Key Words: Biohazard release, Chemical hazard release,Emergency medical services, Radioactivehazard release

Laborator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1, Seoul,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Seongnam2, Hallym University Dongtan

Sacred Heart Hospital, Dongtan3,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4, Seoul National University Boramae Hospital,

Seoul5,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Jeju6, Inje University

Seoul Paik Hospital, Seoul7, Korea

Article Summary

What is already known in the previous study

Emergency Medical Service (EMS) provider has a crucial

role in response of chemical, biological, radiological, and

nuclear (CBRN) incidents. However, characteristics of

EMS provider responded CBRN incidents was not known.

What is new in the current study

In Korea, most CBRN incidents were chemical incidents. In

chemical incidents, ammonia, hydrogen chloride, sulfuric

acid, hydrogen fluoride, nitric acid was the top 5 cause of

toxic substance.

책임저자: 박 주 옥

경기도 화성시 큰재봉길 7

한림 학교 동탄성심병원 응급의학과

Tel: 031) 8086-2929, Fax: 031) 8086-2029

E-mail: [email protected]

접수일: 2016년 3월 31일, 1차 교정일: 2016년 4월 1일

게재승인일: 2016년 4월 25일

Page 2: 119 구조대대응화학, 생물학, 방사선및핵물질사고의역학적특성: … · 260 대한응급의학회지제27 권제3 호 원저 Volume 27, Number 3, June, 2016 EMS

서 론

일상생활이나 산업 현장에서의 사고 또는 테러로 인한

유독화학물질, 급성 병원균 및 원전 핵물질 등의 누출로 인

하여 발생하는 화학, 생물학, 방사선 및 핵물질(Chemical,

Biological, Radiological and Nuclear, CBRN)에 의한 사

고(이하 CBRN 사고)의 위험은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

다1,2). 국내의 경우 1980년 중반기 이후 도시화와 더불

어 석유, 화학 등 단위 공업단지가 조성되고, 철도, 항공

등 교통수단 이용률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CBRN 사고

가 발생하 다. 2012년 경북 구미에서 발생한 불산누출사

고는 5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을 뿐 아니라 398명의 병원

치료를 요하는 환자를 발생시켰고, 2차 피해가 진행함에

따라 1,954명이 추가로 병원 치료를 받게 되었으며, 구미

제4국가산업단지 내 40개 업체가 53억의 피해를 발생시켰

는데, CBRN 사고에 의한 이러한 인명피해와 경제적 피해

는 국내의 보건의료체계 및 산업 활동에 큰 부담이 되어왔

다3).

국내 부분의 CBRN 사고에는 국민안전처 중앙소방본

부의 119 구조 가 응하고 있으며, 국가위기관리지침

및 테러 위기관리 표준메뉴얼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소방구

조 응메뉴얼에 규정된 CBRN 사고 발생시 행동지침과

역할에 따라 처치를 시행하고 있다4). 외국에서도 CBRN 사

고에 한 일차 응에 응급의료체계 종사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응급의료체계 종사자가 응

한 CBRN 사고에 한 역학적 특징에 한 연구는 거의 없

는 상태이다5). CBRN 사고 상황에서 119 구조 의 효과적

인 응과 119 구조 원들의 안전을 동시에 담보하기 위

해서는 119 구조 가 응하고 있는 CBRN 사고에 한

역학적 특성에 한 정보는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발생하고 있는 119

구조 응 CBRN 사고의 역학적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 다. 본 연구에서는 119 구조 가 작성한 구

조활동일지 분석을 기반으로 CBRN 사고 관련 119 구조

요청의 특징을 확인해보았다. 아울러 본 연구에는 CBRN

사고를 화학 사고, 생물학 사고, 방사능 사고 및 핵물질에

의한 사고로 분류하여 사고 유형별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

고, 실제 노출 피해자가 발생한 사고와 노출 피해자가 발생

하지 않은 사고 사이의 특징도 함께 비교해보았다.

상과 방법

이 후향적 관찰 연구에서는 2012년 1월 1일부터 2014

년 12월 31일까지 119 구조 에서 작성한 전국 구조활동

일지에 한 분석을 수행하 다. 국내에서는 119 구조

가 출동한 모든 구조 활동에 하여 출동한 구조 원이 구

조활동일지를 작성하는 것이 119 구조∙구급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의하여 규정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안

전처 중앙소방본부의 협력으로 연구 기간 동안 전국에서

기록된 구조활동일지 전체 자료를 이용한 분석을 시행할

수 있었다. 구조활동일지 서식은 119 구조∙구급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의 별첨 서식으로 확인할 수 있다(Supplementary

appendix A)6).

본 연구에서는 전체 구조활동일지 자료 가운데 CBRN

사고 관련 구조활동일지를 추출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구

조활동일지를 재난 번호에 따라 통합하는 작업을 시행하

다. 모든 구조활동일지에는 구조보고서번호와 재난번호가

붙어 있는데, 구조보고서번호는 개별 구조활동일지 고유의

번호이며, 재난번호는 119 상황실에서 개별 사고에 부여

하는 특수한 번호이다. 따라서 동일한 사고에 해 다수의

119 구조 가 출동한 경우 각각 고유의 구조보고서번호가

있는 구조활동일지가 작성되지만, 이러한 구조활동일지들

은 같은 재난 번호를 공유하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재

난 번호를 기반으로 통합된 구조활동일지 데이터베이스를

상으로 구조활동일지에 기록된 사고 원인 항목을 확인하

고, 22가지 사고원인 가운데 CBRN 사고가 일차적인 원

인이거나 해당 원인에 의하여 2차적으로 CBRN 사고가 발

생할 가능성이 매우 떨어질 것으로 판단되는 동물구조, 자

해범죄, 벌집제거가 사고원인인 경우는 분석에서 제외하

다. 본 연구에서는 나머지 구조활동일지 자료 가운데 활동

개요 항목에 CBRN 사고 관련 핵심어가 포함된 구조활동

일지를 추출하 다. 이러한 핵심어 기반 자료 탐색은 다수

의 자료에서 특정 사건을 추출하기 위해 의료 역에서도

이용되었던 방법으로, 최근 연구에서는 이러한 핵심어 기

반 자료 탐색 결과가 최신의 자연어 처리 기술과 정확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기도 하 다7,8). 핵심어 기반

탐색을 통해 추출된 개별 구조활동일지 전체를 상으로는

심층 조사를 시행하 으며, 이를 통하여 최종 CBRN 사고

관련 구조활동일지를 확인하고, 분석에 필요한 변수를 추

출하 다. 심층 조사를 통하여 핵심어의 동음이의어가 구

조활동일지에 포함된 경우나, 핵심어가 있으나 구조 요청

자체가 CBRN 사고와 관련이 없는 경우는 분석에서 제외

하 다.

CBRN 사고 관련 핵심어를 추출하기 위하여 문헌고찰을

이용한 핵심어 추출 방법과 구조활동일지 시범 분석을 이

용한 핵심어 추출 방법을 이용하 다. CBRN 사고의 원인

물질에 한 기존 문헌과 국내의 화학물질관리법과 위험물

안전관리법을 고찰하여 핵심어를 추출하 다7,8). 구조활동

일지 시범 분석을 이용한 핵심어 추출에서는 구조활동일지

가운데 사고 원인 항목이 CBRN 사고와 관련성이 높을 것

으로 판단되는 위험물, 폭발, 유독물질인 19,663건의 개별

구조활동일지를 확인하여 CBRN 사고와 관련된 물질, 탐

박정호 외: 119 구조 응 화학, 생물학, 방사선 및 핵물질 사고의 역학적 특성: 구조활동일지 기반 시범 분석 / 261

Page 3: 119 구조대대응화학, 생물학, 방사선및핵물질사고의역학적특성: … · 260 대한응급의학회지제27 권제3 호 원저 Volume 27, Number 3, June, 2016 EMS

262 / 한응급의학회지: 제 27 권 제 3 호 2016

지 장비, 보호복 관련 핵심어를 추출하 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이용하여 추출된 158개의 핵심어와 구조활동

일지 시범 분석을 통해 추출된 245개의 핵심어를 이용하

여 분석을 진행하 다(Supplementary appendix B, C).

본 연구에서는 구조활동일지에서 수집하고 있는 정보 중

재난번호, 사고원인, 구조요청일시, 현장도착일시, 구조완

료일시, 출동거리, 구조요청지역, 구조요청장소, 활동개요

및 구조활동결과를 수집하여 분석하 다. 수집된 자료를

통하여 구조요청 계절은 봄(3-5월), 여름(6-8월), 가을

(9-11월), 겨울(12-2월)로 나누었으며, 구조 요청 시간

은 낮(7-14시), 저녁(15-22시), 밤(23-6시)으로 나누

었다. 반응시각은 구조요청 시각부터 현장도착까지의 시간

으로 정의하 으며, 현장 시간은 현장 도착부터 현장 출발

시각까지의 시간으로 정의하 다. 출동 거리는 구조 출

발부터 현장 도착까지의 거리로 구조 원이 구조활동일지

에 기입한 거리를 그 로 이용하 다. 구조활동결과는 안

전조치만 시행한 경우, 안전조치와 무관하게 인명구조 없

이 인명 검색만 시행한 경우, 안전조치 및 인명 검색과 무

관하게 인명 구조를 시행한 경우 및 기타로 구별하 다. 최

종 추출된 구조활동일지를 상으로 한 심층 조사를 통해

서는 CBRN 사고 종류, 사고의 일차 원인, 수송 중 사고 여

부, 원인물질, 노출 피해자 여부, 탐지장비 사용 여부, 보호

복 사용 여부, 사고 응주체, 사고 응결과를 수집하 다.

화학 사고의 경우 원인물질이 화학물질관리법에서 유독물

질, 허가물질, 제한금지물질, 사고 비물질로 지정되어 유

해 화학물질로 분류되는 경우 본 연구에서도 유해 화학물

질로 분류하 고, 그렇지 않은 경우 비유해 화학물질로 분

류하 다9). 화학사고의 경우 화학 사고 유형(화재, 폭발,

누출, 폐된 공간 내 질식, 화학반응, 기타)에 한 정보도

수집하 다. CBRN 사고 종류는 화학 사고, 생물학 사고,

방사선 사고 및 핵물질 사고 및 기타로 분류하 으며, 사고

의 일차 원인은 사고의 원인이 CBRN 사고 자체인 경우와

다른 사고에 의하여 이차적으로 CBRN 사고가 발생한 경

우로 분류하 다. 노출피해자는 구조활동일지의 활동개요

에 노출피해자가 있었다고 기술된 경우를 노출피해자가 있

는 경우로 판단하 다. 탐지방지 사용 및 보호복 사용 여부

는 구조활동일지의 동원 장비나 활동개요에 탐지장비나 보

호복 사용이 명시되어 있는 경우 사용한 것으로 분류하

다. 사고 응주체는 신고자가 자체 처리한 경우 출동 구조

가 처리한 경우, 출동 구조 외의 타기관에서 처리한 경

우와 다기관이 협력해서 처리한 경우로 분류하 다. 사고

응결과는 구조활동결과와 동일하게 분류하 다.

본 연구에서는 CBRN 사고를 인간, 동물 혹은 환경에 의

한 의도하지 않은 화학, 생물학, 방사선 및 핵 물질의 노출

이 발생한 경우로 정의하 고, 심층 조사를 통해 이러한 정

의에 합당한 CBRN 사고 관련 구조활동일지를 선별하 다11). 구조활동일지 심층 조사는 응급구조사 4인에 의하여 수

행되었다. 심층 분석을 시행한 응급구조사는 1시간의 사전

교육을 통해 수집할 변수에 한 교육을 받은 후 심층 분석

을 시행하 으며, 심층 분석 과정 중 발생한 의문 사항에

해서는 저자들과 직접 토의하여 해결하 다. 최종적으로

CBRN 사고로 선별된 구조활동일지는 저자들이 전수 검토

하여, CBRN 사고 여부를 다시 확인하 다.

본 연구에서는 심층 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CBRN 사고

관련 출동으로 판단한 구조활동일지를 기반으로 CBRN 사

고와 비 CBRN 사고의 구조 관련 특징을 비교해보았다. 이

러한 비교는 개별 구조활동일지 분석을 기반으로 하 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실제 피해 노출자가 발생한 CBRN

사고와 노출자가 발생하지 않은 사고의 특징도 함께 비교해

보았다. 이러한 비교는 동일 재난번호를 이용하여 통합한

구조활동일지 데이터베이스 분석을 기반으로 하 다. 본 연

구에서는 시도별 CBRN 사고 건수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

여 시도별 CBRN 사고 건수와 시도별 인구 비 CBRN 사고

건수를 비교하 으며, 실제 노출자가 발생한 CBRN 사고에

해서도 시도별 노출자 발생 CBRN 사고 건수 및 시도별

인구 비 노출자 발생 CBRN 사고 건수를 비교하 다.

자료 분석 및 기술 통계 분석은 R 3.23 (http://www.r-

project.org) 프로그램을 사용하 으며, 연속형 자료의 비

교에는 Mann-whitney 검정을 이용하 고, 범주형 자료

의 비교에는 χ2 검정을 이용하 다. p-value 는 0.05 미만

인 경우에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 다. 본 연

구는 개인식별정보를 수집하거나 기록하지 않고 이미 국가

기관에서 조사가 완료된 자료를 후향적으로 이용하는 연구

로 institutional review board 심의 면제를 승인 받았다.

결 과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총 1,571,293건의 구조활동

일지가 수집되었으며, 이를 재난번호를 기준으로 통합한

결과 1,335,205건의 재난번호 기반 통합 구조활동일지 자

료가 구축되었다. 이 가운데 사고원인이 동물구조

(177,108건), 벌집 제거(317,493건), 자해 범죄 관련

(20,816건)인 경우를 제외한 829,788건이 선별되었고,

이 중 문헌 고찰 및 구조활동일지 시범 분석을 통하여 추출

된 핵심어가 포함되어 있는 구조활동일지는 19,663건이었

다. 19,663건의 구조활동일지에 해서는 심층 분석을 시

행하 으며, 이들 중 최종적으로 CBRN 사고로 확인한 사

고는 총 1,863건이었다(Fig. 1). CBRN 사고 1,863건에

해당하는 개별 구조활동일지는 모두 3,146건으로 1개의

사고당 평균 1.7건의 구조요청이 발생하 으며, 1개 사고

당 최 구조요청은 10건이었다. 1,863건 가운데 화학 사

고는 1,856건(99.6%)이었으며, 6건은 방사선 사고 고,

1건은 기타로 분류되었다. 생물학 사고 및 핵물질 관련 사

Page 4: 119 구조대대응화학, 생물학, 방사선및핵물질사고의역학적특성: … · 260 대한응급의학회지제27 권제3 호 원저 Volume 27, Number 3, June, 2016 EMS

고는 없었다.

전체 구조활동일지 1,571,293의 기본 특성 및 CBRN 사

고와 관련된 구조활동일지 3,146건과 그 외 구조활동일지

1,568,147건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운

송시설 및 산업시설에서 구조요청이 발생한 경우는 CBRN

사고 관련 구조 요청에서는 각각 54.5% 및 17.2%로 나타

났으며, CBRN 사고 비관련 구조 요청에서는 각각 18.2%

및 4.2%로 나타났다. CBRN 사고 관련 구조 요청은 CBRN

사고 비관련 구조요청에 비해 현장 처치 시간 및 출동 거리

가 더 길었다. 구조활동결과 인명검색을 시행한 경우는

CBRN 사고 관련 구조 요청에서는 16.3%이었으며, CBRN

사고 비관련 구조요청에서는 14.2%로 나타났다.

CBRN 사고의 거의 부분이 화학 사고 기 때문에 화

학 사고에서 노출 피해자가 발생한 사고와 그 외 사고의 특

징을 비교하 고, 그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노출 피해자

가 발생한 화학 사고의 경우 노출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은

화학 사고에 비해 운송 중 사고 비율은 낮았고, 기체에 의

한 사고 발생 비율은 높았으며, 폭발 및 폐된 공간에서

질식으로 발생한 경우가 많았고, 사고 현장에서 구조 가

탐지 장비나 개인보호장비를 사용하는 비율이 높았다.

부분의 구조활동은 출동한 구조 에 의하여 이루어졌는데,

노출 피해자가 발생한 사고에서는 인명 검색 및 인명구조

를 시행한 경우의 비율이 높았다. 노출 피해자가 발생한 사

고 중 6명 이상의 노출 피해자가 발생한 다중손상사고는

총 11건이었다.

지역별 화학 사고 발생 건수 및 노출 피해자 발생 화학

사고 발생 건수를 비교한 결과는 Fig. 2와 같다. 화학사고

발생 자체는 경기도가 전체 사고의 29.3%를 차지하여 가

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 지만, 인구 비 화학 사고 발생건

수는 울산광역시가 전국 평균의 4.3배로 가장 높았다. 경

기도는 노출 피해자가 발생한 화학 사고도 전체 사고의

27.1%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지만, 인구 비 노출 피해자

가 발생한 화학 사고 건수는 세종특별시와 울산광역시가

각각 전국 평균의 5.8배, 4.6배로 가장 높았다.

전체 화학 사고 중 정확한 화학 물질 성분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경우는 411건(22.2%)이었으며, 략적인 물질 종

류를 확인할 수 있었던 경우는 1,292건(69.6%)이었고,

153건(8.2%)은 원인 물질에 한 파악이 어려웠다. 정확

한 화학 물질 성분을 확인할 수 있었던 411건 가운데 유해

화학 물질에 의하여 사고가 발생한 경우는 202건(49.1%)

이었고, 비 유해 화학 물질에 의하여 사고가 발생한 경우는

209건(50.9%)이었다. 유해 화학 물질에 의한 사고에서는

암모니아(44건), 염산(35건), 황산(23건), 불산(21건),

질산(21건), 일산화탄소(17건), 염소(9건), 과산화수소(6

건), 톨루엔(6건), 수은(5건) 등이 주요 원인 물질이었으

며, 비 유해 화학 물질에 의한 사고에서는 산소(71건), 질

소(44건), 이산화탄소(25건), 마그네슘(15건), 아르곤(7

건), 아세트산(5건), 차아염소산칼륨(5건) 등이 주요 원인

물질이었다. 략적인 물질 성분을 알 수 있었던 1,292건

에서 유류가 1,131건이었고, 나머지는 신나(39건), 냉매

(33건), 페인트(21건), 액화석유가스(19건) 등이 차지하

다. 유류에 의한 화학 사고는 전체 화학사고의 60.9%를

차지하여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 다.

방사선 사고(6건)는 모두 방사능 누출 추정 물질에 한 신

박정호 외: 119 구조 응 화학, 생물학, 방사선 및 핵물질 사고의 역학적 특성: 구조활동일지 기반 시범 분석 / 263

Fig. 1. Schematic of data analysis.EMS: emergency medical service, CBRN: chemical, biological, radiological, and nuclear

Page 5: 119 구조대대응화학, 생물학, 방사선및핵물질사고의역학적특성: … · 260 대한응급의학회지제27 권제3 호 원저 Volume 27, Number 3, June, 2016 EMS

264 / 한응급의학회지: 제 27 권 제 3 호 2016

고로 구조 활동이 시행된 경우로 피폭이 발생한 경우는 없었

고, 모두 안전 조치 후 복귀하 다. 기타로 분류된 1건의 경우

우편물에 위험물질이 있다고 신고된 경우로 구조 가 출동하

여 레벨 A 개인보호장비를 착용하여 봉 처리 후 서울시 환

경보건연구원으로 원인 물질을 이송 조치한 경우 다.

고 찰

본 연구에서는 2012년 1월 1일부터 2014년 12월 31일

까지 전국의 119 구조 에서 작성한 157만여 건의 구조활

동일지 중 잠재적 CBRN 사고로 정의한 19,663건을 심층

분석하 고 이 중 실제 CBRN 사고는 총 1,863건으로 집

계하 다. CBRN 사고의 거의 부분(99.6%)은 화학 사

고 고 관련 사상자는 144명이었으며, 역시 부분

(88.2%)이 화학 물질에 의한 것이었다.

재난의 역학(epidemiology)에 해서 알아보는 것은 재

난의 처 방안을 만들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함에도 불구

하고, 국내에서 이것에 해서 알아본 선행 연구는 매우 부

족하다10). 2000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10년간 국

내 119 구급일지를 분석한 한 연구에 따르면 이 기간 동안

총 3,194건의 재난 또는 다중손상사고(mass casualty

incident, MCI)가 발생하 다11). 이 중 CBRN 사고는 전체

의 0.3%(11건)이었으며, 모두 화학 물질이 원인이었다.

이 연구의 자료원인 구급활동일지와 본 연구의 자료원인

구조활동일지는 같은 소방 기반이지만 서로 다른 활동에서

얻어졌다는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국내 CBRN 사고의

부분은 화학 물질에 의한 것임을 두 연구 모두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00년 이후 국내에서 발생한 재난에 해서 알

아본 9개 연구를 정리한 다른 논문에서 CBRN 사고는“삼

성 1호-허베이 스피릿호 원유 유출 사고”하나뿐이었다는

것도 이와 맥락을 같이한다10).

우리나라의 화학 물질 관리 부처는 일원화되어 있지 않

아 종합적으로 잘 정리된 화학 물질 사고 통계가 없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EMS rescue records by the relation of CBRN incidents

Variables*Total Non CBRN-related CBRN-related

p�

N=1,571,293 N=1,568,147 N=3,146

Season of call <0.01Spring 304,628 (19.4) 303,836 (19.4) 795 (25.2)Summer 590,983 (37.6) 590,011 (37.6) 972 (30.9)Fall 403,139 (25.7) 402,338 (25.7) 801 (25.5)Winter 272,543 (17.3) 271,962 (17.3) 581 (18.5)

Time of call <0.01Day 708,976 (45.1) 707,612 (45.1) 1,364 (43.4)0.Evening 596,259 (37.9) 595,092 (37.9) 1167 (37.1)0Night 266,058 (16.9) 265,443 (16.9) 615 (19.5)

Place <0.01Housing facilities 564,977 (36.8) 564,773 (36.8) 204 (06.5)Agricultural facilities 034,568 (02.2) 034,545 (02.3) 023 (00.7)Industrial facilities 064,622 (04.2) 064,083 (04.2) 539 (17.2)Educational facilities 029,135 (01.9) 029,063 (01.9) 072 (02.3)Commercial/Cultural facilities 127,469 (08.3) 127,361 (08.3) 108 (03.4)Transportation facilities 280,561 (18.3) 278,855 (18.2) 1,706 (54.5)0.Outdoors/Mountain/River/Sea 122,690 (08.0) 122,602 (08.0) 088 (02.8)Others 312,879 (20.4) 312,483 (20.4) 393 (12.5)

Response time, median (min) 8.0 (5.0-14.0) 8.0 (5.0-14.0) 9.0 (6.0-15.0) <0.01Scene time, median (min) 26.0 (15.0-42.0) 26.0 (15.0-42.0) 41.0 (24.0-73.0) <0.01Dispatch distance, median (km) 4.0 (2.0-7.0)0 4.0 (2.0-7.0)0 5.0 (2.3-8.0)0Results of rescue activity <0.01

Only safety measure 687,007 (44.4) 685,183 (44.4) 1,824 (58.4)0.Search without lifesaving 059,979 (03.9) 059,878 (03.9) 101 (03.2)Lifesaving 219,762 (14.2) 219,253 (14.2) 509 (16.3)Others 579,570 (37.5) 578,880 (37.5) 690 (22.1)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or median (interquartile range). EMS: emergency medical service, CBRN: chemical, bio-logical, radiological, and nuclear* Missing values: place (N=31,392), and results of rescue activity (N=24,975).� p-values were calculated by Mann-Whitney U test or Chi-square test, as appropriate. All p-values were less than 0.01.

Page 6: 119 구조대대응화학, 생물학, 방사선및핵물질사고의역학적특성: … · 260 대한응급의학회지제27 권제3 호 원저 Volume 27, Number 3, June, 2016 EMS

2000년부터 2006년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화학 물질 사고

를 수집한 보고서에서는 1년에 평균 45건의 화학 물질 사

고가 발생하며 이 중 10.5건에서 인명 피해가 발생하 고,

연간 79명이 다치고 19명이 사망하는 것으로 집계하 다.

이 보고에서는 42건의 주요 화학 사고 사례를 정리하 고,

인명 피해를 구체적으로 보고하지는 않았으나 손상 내용이

기록된 12건의 화학 사고 사례 중 9건이 화상, 3건이 유독

물질 중독이었다12). 최근 자료를 살펴보면, 국민안전처 중

앙소방본부에서는 2014년에 62건, 2013년에 53건의 위

험물 사고가 발생하 다고 보고하 으며, 환경부에서는

2013년에 87건의 화학 물질 사고가 발생하 다고 보고하

다13,14). 이와 같이 화학 물질 사고를 수집하는 기관이 다

양하고, 각 기관마다 조사하는 사고와 화학 물질 종류가 다

르기 때문에 사고를 중복해서 집계하거나, 집계하지 못하는

사고가 있을 수 있다15). 본 연구에서는 연간 약 600여 건의

화학 사고가 발생한다고 분석하 으며, 이는 정부 기관에서

파악하는 건수보다 훨씬 많다. 정부 기관에서는 주요 사고

에 해서 주로 파악하며, 본 연구에서는 구조 원이 출동

한 모든 사고에 해서 파악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이

와 같이 자료원이나 분석 방법에 따라 사고 건수가 크게 달

박정호 외: 119 구조 응 화학, 생물학, 방사선 및 핵물질 사고의 역학적 특성: 구조활동일지 기반 시범 분석 / 265

Table 2. Characteristics of chemical incidents by the presence of reported victim*

Variables*Total Victim (-) Victim (+)

p�

N=1,856 N=1,711 N=144

Cause of incidents <0.01Chemical incidents 0919 (50.4) 0792 (47.1) 127 (88.2)Other incidents 0905 (49.6) 0888 (52.9) 017 (11.8)

Accidents during transportation <0.01Yes 0167 (09.0) 0164 (09.6) 003 (02.1)No 1,688 (91.0), 1,547 (90.4), 141 (97.9)

Chemical subtype <0.01Solid 0020 (01.1) 0019 (01.1) 001 (00.7)Gas 0422 (23.4) 0315 (18.9) 107 (78.7)Liquid 1,355 (75.0), 1,331 (79.7), 024 (17.6)Chemical warfare agent 0009 (00.5) 0005 (00.3) 004 (02.9)

Mechanism of incidents <0.01Spill/Leak 1,642 (92.7), 1,598 (95.1), 044 (48.4)Explosion/Implosion 0033 (01.9) 0016 (01.0) 017 (18.7)Suffocation in sealed space 0018 (01.0) 0000 (00.0) 018 (19.8)Fire 0018 (01.0) 0017 (01.0) 001 (01.1)Chemical reaction 0018 (01.0) 0017 (01.0) 001 (01.1)Others 0042 (02.4) 0032 (01.9) 010 (11.0)

Detector use <0.01Yes 0109 (06.1) 0090 (05.4) 019 (16.1)No 1,690 (93.9), 1,591 (94.6), 099 (83.9)

PPE use <0.01Yes 0172 (09.6) 0152 (09.1) 020 (16.9)No 1,621 (90.4), 1,523 (90.9), 098 (83.1)

Main agents of rescue activity <0.03Reporter 0047 (02.5) 0045 (02.6) 002 (01.4)Rescue team in fire department 1,693 (91.6), 1,563 (91.7), 130 (90.9)Other agency 0059 (03.2) 0057 (03.3) 002 (01.4)Joint activity 0049 (02.7) 0040 (02.3) 009 (06.3)

Results of rescue activity <0.01Only safety measure 1,603 (86.7), 1,555 (91.1), 048 (33.6)Search without lifesaving 0016 (00.9) 0014 (00.8) 002 (01.4)Lifesaving 0133 (07.2) 0042 (02.5) 091 (63.6)Others 0097 (05.2) 0095 (05.6) 002 (01.4)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PP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Missing values: cause of incidents (n=32), chemical subtype (n=50), mechanism of incidents (n=85), detector use (n=57),

PPE use (n=63), main agents of rescue activity (n=8), and results of rescue activity (n=7).� p-values were calculated by Chi-square test.

Page 7: 119 구조대대응화학, 생물학, 방사선및핵물질사고의역학적특성: … · 260 대한응급의학회지제27 권제3 호 원저 Volume 27, Number 3, June, 2016 EMS

266 / 한응급의학회지: 제 27 권 제 3 호 2016

라질 수 있으므로, 앞으로 CBRN 사고에 관한 연구를 진행

할 경우 본 연구와 같은 병원 전 단계 구조∙구급 자료를 이

용하는 방법을 고려하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전국 단위의 소방 활동에 기반한 자료를 이용하여

CBRN 사고의 현황을 파악한 국내 연구는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장점을 꼽을 수 있다. 2만 건에 가까운

CBRN 관련 핵심어를 포함한 구조활동일지를 전수 조사하

여 CBRN 사고를 확인하 기 때문에 적어도 국내에서 구

조 가 응한 CBRN 사고는 상당히 정확하게 반 하 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구조활동일지를 기반으로 자료를 분석하 기

때문에 119 구조 가 관여하지 않은 사고에 해서는 파

악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생물학적 사고

의 경우 환자의 병원 방문 전에는 원인이 파악되지 않았을

수 있으며, 2009년 유행 인플루엔자(H1N1)나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의 경우 사회적인 측면에서 재

난이라고 부를 수 있는 사건이었지만, 일반적으로 의심 환

자의 병원 전 단계 처치 및 치료에 119 구조 가 응하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의 자료원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방사선 사고는 국내에서 1970년 부터 집계하기 시작

하 고, 현재까지 총 72건의 방사선 사고가 공식적으로 보

고되었다18). 1981년부터 2015년까지 피폭에 의해 급성

방사선 장해가 발생한 사람은 총 32명이며 공식적인 사망

자는 없고, 사고 수습 과정에서 119 구조, 구급 나 응급의

료기관이 관여하 다는 정보는 확인하기 어려웠다19). 본

연구에서 자료를 수집한 기간 동안 국가 기관에서 공식적

으로 보고한 방사선 사고는 총 6건이었으나 이 연구에 포

함된 사건과 일치하지는 않았다. 국가기관에서 보고한 6건

의 사건 중 3건은 방사선원의 분실과 관련된 사고 으며,

방사선 비파괴 작업종사자의 초과 피폭과 관련된 사고, 방

사선동위원소 사용시설 화재와 관련된 사고, 방사선동위원

소 운반 중 오염사고가 각각 1건씩 있었다. 본 연구에서 확

인한 방사선 사고 6건은 모두 방사능 누출 추정 물질에

한 신고로 구조 활동이 시행된 경우로 국가기관에서 공식

적으로 보고한 사고와 차이가 있었다. 이는 재난 유형별로

예방, 응, 처 기관이 서로 다르고 사고 자료 수집 방식

및 정의가 달라서 발생하는 일이며 향후 재난의 규모를 적

절히 파악하기 위해서라도 이러한 자료 수집에 한 일관

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우선 본 연구는

구조활동일지 기반 분석으로 임상적인 데이터를 수집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재난 및 다중손상사고에서 산출할

수 있는 보건 지표로는 환자 수(유형별), 사망자 수(시기

별), 병원 전 사망자 수, 환자 이송을 받은 병원 수, 입원 환

Fig. 2. Chemical incidents distribution by region. (A) Total chemical incidents. (B) Total chemical incidents per 100,000 pop-ulation. (C) Chemical incidents with victim. (D) Chemical incidents with victim per 100,000 population.

A B

C D

Page 8: 119 구조대대응화학, 생물학, 방사선및핵물질사고의역학적특성: … · 260 대한응급의학회지제27 권제3 호 원저 Volume 27, Number 3, June, 2016 EMS

자 수, 손상 중증도 등이 있지만, 이러한 자료는 수집되지

못하 다. 이전 연구에서 Park 등21)은 구급활동일지와 병

원 조사 자료를 연계하여 화학 생물학 재난 관련 환자들

의 임상적 특성을 밝힌바 있다20). 앞으로 119 구조활동일

지 기반 CBRN 사고 자료에 119 구급활동일지자료 및 이

와 연계된 국가응급진료정보망(NEDIS)자료를 덧붙여 보

다 구체적인 환자 상태 및 치료 내용, 진료 결과 등을 분석

하는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개별 원인 물질별로 구체적인 구조 응의 차이를 기술

하지 못하 다. 이러한 후향적 구조활동일지 분석의 한계

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구조활동 현장을 직접 조사하여 구

체적인 구조 응의 주요 항목을 전향적으로 조사하여

분석하는 연구를 시행하여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

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119 구조 가 반응한 CBRN 사

고에 한 분석을 시행한 경우로, 해당 기관에서 자체 해결

하는 등 119 구조 를 요청하지 않은 CBRN 사고가 분석

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결 론

본 연구를 통하여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전국의 119

구조활동일지 자료 중 CBRN 관련 핵심어가 포함된 약 2

만 건의 구조활동일지를 전수 분석하 을 때, 연간 약

1,800여 건의 CBRN 사고가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체 사고의 99.6%가 화학 물질 사고 으며, 극히

일부의 방사선 사고가 발생하 고, 생물학 물질 사고나 핵

물질 사고는 자료원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전체 화학 사고

건수는 경기도가 가장 많았으며, 인구 비 CBRN 사고 건

수는 울산광역시가 가장 많았다. 119 구조∙구급 활동의

효과와 안전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는 데 본 연구

가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 한다. 추후 구급 및 병

원 자료와 연계하여 CBRN 사고 관련 보건 지표를 산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감사의 말

이 연구는 국민안전처 중앙소방본부의 지원으로 진행되

었음.

참고문헌

01. Cox RD. Decontamination and management of hazardous

materials exposure victim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nn Emerg Med. 1994;23:761-70.

02. Koenig KL, Boatright CJ, Hancock JA, Denny FJ, Teeter

DS, Kahn CA, et al. Health care facilities’ “war on terror-

ism”: a deliberate process for recommending personal pro-

tective equipment. Am J Emerg Med. 2007;25:185-95.

03. Park KS, Kim TO, Kim JY, Yoo BH, Park DJ. A study on

consequence analysis of hydrofluoric acid release accident

in Gumi industrial area. Korean J Hazard Mater. 2013;1:

15-21.

04. Available at: http://www.rescue.go.kr/ ?mid=menu4

_sub1&document_srl=102656&listStyle=webzine&sort_i

ndex=readed_count&order_type=asc. Accessed March 29,

2016.

05. Plante DM, Walker JS. EMS response at a hazardous

material incident: some basic guidelines. J Emerg Med.

1989;7:55-64.

06. Available at: http://www.law.go.kr/%EB%B2%95%

EB%A0%B9/119%EA%B5%AC%EC%A1%B0%E3%86

%8D%EA%B5%AC%EA%B8%89%EC%97%90%EA%

B4%80%ED%95%9C%EB%B2%95%EB%A5%A0%EC

%8B%9C%ED%96%89%EA%B7%9C%EC%B9%99/(00

079,20140715). Accessed March 29, 2016.

07. Iyer SV, Harpaz R, LePendu P, Bauer-Mehren A, Shah

NH. Mining clinical text for signals of adverse drug-drug

interactions. J Am Med Inform Assoc. 2014;21:353-62.

08. Jung K, LePendu P, Iyer S, Bauer-Mehren A, Percha B,

Shah NH. Functional evaluation of out-of-the-box text-

mining tools for data-mining tasks. J Am Med Inform

Assoc. 2015;22:121-31.

09. Available at: http://www.law.go.kr/lsSc.do? menuId=

0&p1=&subMenu=1&nwYn=1&section =&tabNo=

&query=%EC%9C%84%ED%97%98%EB%AC%BC%E

C%95%88%EC%A0%84%EA%B4%80%EB%A6%AC%

EB%B2%95#undefined. Accessed April 10, 2016.

10. Available at: http://www.law.go.kr/lsSc.do? menuId=0&

p1=&subMenu=1&nwYn=1&section=&tabNo=&query=

%EC%9C%84%ED%97%98%EB%AC%BC%EC%95%8

8%EC%A0%84%EA%B4%80%EB%A6%AC%EB%B2

%95. Accessed March 29, 2016.

11. Chamberlain AT, Burnett LC, King JP, Whitney ES,

Kaufman SG, Berkelman RL. Biosafety training and inci-

dent-reporting practices in the United States: A 2008 sur-

vey of biosafety professionals. Appl Biosaf. 2009;14:135-

43.

12. Park JO. Disaster epidemiology in Korea. J Korean Med

Assoc. 2014;57:993-8.

13. Kim SJ, Kim CH, Shin SD, Lee SC, Park JO, Sung J.

Incidence and mortality rates of disasters and mass casual-

ty incidents in Korea: a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tudy, 2000-2009. J Korean Med Sci. 2013;28:658-66.

14. Available at: http://webbook. me.go.kr/DLi-File/NIER/06/

5000892.pdf. Accessed March 29, 2016.

박정호 외: 119 구조 응 화학, 생물학, 방사선 및 핵물질 사고의 역학적 특성: 구조활동일지 기반 시범 분석 / 267

Page 9: 119 구조대대응화학, 생물학, 방사선및핵물질사고의역학적특성: … · 260 대한응급의학회지제27 권제3 호 원저 Volume 27, Number 3, June, 2016 EMS

268 / 한응급의학회지: 제 27 권 제 3 호 2016

15. Available at: http://www.mpss.go.kr/home/policy/statis-

tics/statisticsData/?boardId=bbs_0000000000000042&mo

de=view&cntId=13&category=&pageIdx=. Accessed

March 29, 2016.

16. Available at: http://library.nier.go.kr/ search/DetailView.

ax?cid=5588561. Accessed March 29, 2016.

17. Available at: http://www.prism.go.kr/homepage/research

Common/retrieveResearchDetailPopup.do;jsession-

id=5289703CC69C8DE7E66499F5D4DE66DE.node02?r

esearch_id=1480000-201100437. Accessed March 29,

2016.

18. Available at: http://rasis.kins. re.kr/rasis/Action?act=

KMBBA001R&menu_key=M0012002. Accessed March

29, 2016.

19. Available at: http://www.kins.re.kr/nsic.do?menu_item=

library/magine/correct_nuke. Accessed March 29, 2016.

20. Kim CH, Park JO, CB Park, Kim SC. Kim SJ, Hong KJ.

Incidence and mortality rates of disasters and mass casual-

ty incidents in Korea: a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tudy, 2000-2009. J Korean Med Sci. 2013;28:658-66.

21. Park JO, Shin SD, Song KJ, Hong KJ, Kim J. Epidemiolog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Assessed Mass Casualty

Incidents according to Causes. J Korean Med Sci. 2016;31:

449-56.

Page 10: 119 구조대대응화학, 생물학, 방사선및핵물질사고의역학적특성: … · 260 대한응급의학회지제27 권제3 호 원저 Volume 27, Number 3, June, 2016 EMS

박정호 외: 119 구조 응 화학, 생물학, 방사선 및 핵물질 사고의 역학적 특성: 구조활동일지 기반 시범 분석 / 269

Appendix A. 구조활동일지

Page 11: 119 구조대대응화학, 생물학, 방사선및핵물질사고의역학적특성: … · 260 대한응급의학회지제27 권제3 호 원저 Volume 27, Number 3, June, 2016 EMS

270 / 한응급의학회지: 제 27 권 제 3 호 2016

Appendix B. 문헌고찰을 통해 추출된 키워드

유해화학물질 관리법에 기반 사고 비물질 아크롤레인, 아크릴산, 아크릴로니트릴, 알릴알코올, 아크릴일 클로라이

드, 알릴 클로라이드, 암모니아, 질산암모늄, 아르신, 벤젠, 염화벤질, 노

말-부틸아민, 이황화탄소, 일산화탄소, 염소, 이산화염소, 클로로술폰산,

염화시안, 메타-크레졸, 디보란, 아세트산에틸, 산화에틸렌, 에틸렌디아

민, 에틸렌이민, 플루오린, 포름알데하이드, 포름산, 헥사민, 염화수소, 시

안화수소, 플루오르화수소, 과산화수소, 황화수소, 디이소시안산 이소포

른, 사린, 메탄올, 메틸 아크릴레이트, 염화메틸, 메틸에틸케톤, 과산화물,

메틸 하이드라진, 메틸 비닐 케톤, 메틸아민, 질산, 산화질소, 니트로벤젠,

니트로메탄, 파라-니트로톨루엔, 페놀, 포스겐, 포스핀, 옥시염화인, 삼연

화인, 염소산칼륨, 질산칼륨, 과염소산칼륨, 과망간산칼륨, 산화프로필렌,

나트륨, 염소산나트륨, 시안화나트륨, 질산나트륨, 황산, 톨루엔, 톨루엔-

2,4-디이소시아네이트, 트라이에틸아민, 트라이메틸아민, 염화비닐, 인화

아연

위험물 관리법 기반 위험물 아염소산염류, 염소산염류, 과염소산염류, 무기과산화물, 브롬산염류, 질

산염류, 요오드산염류, 과망간산염류, 중크롬산염류, 황화린, 적린, 유황,

철분, 금속분, 마그네슘, 인화성고체, 칼륨,나트륨, 알킬알루미늄, 알킬리

튬, 황린, 알칼리금속, 알칼리토금속, 유기금속화합물, 수소화물, 인화물,

칼슘 탄화물, 알루미늄 탄화물, 특수인화물, 제1석유류, 제2석유류, 제3석

유류, 제4석유류, 동식물유류, 유기과산화물, 질산에스테르류, 니트로화합

물, 니트로소화합물, 아조화합물, 디아조화합물, 히드라진 유도체, 히드록

실아민, 히드록실아민염류, 과염소산,과산화수소, 질산

화학작용제 타분, 사린, 소만, CMPF, VX, 포스겐, 디포스겐, 클로로피크린, 시안화수

소, 염화시아노겐, 아르신, 겨자, HN-1, HN-2, HN-3, HD, 루이사이

트, 염화비소, 포스겐옥심, CN, CS, CR, 디페닐 클로로아르신, 중추신경

억제제, 중추신경 자극제

생물학 위험인자 탄저, 블루셀라, 콜레라, 페스트, 야토, Q열, 천연두, 출혈열, 보톨리늄, 리신

방사선 방사능, 방사선, 알파선, 베타선, 중양자선, 양자선, 전자선, X선, 감마선,

중성자선

Page 12: 119 구조대대응화학, 생물학, 방사선및핵물질사고의역학적특성: … · 260 대한응급의학회지제27 권제3 호 원저 Volume 27, Number 3, June, 2016 EMS

박정호 외: 119 구조 응 화학, 생물학, 방사선 및 핵물질 사고의 역학적 특성: 구조활동일지 기반 시범 분석 / 271

Appendix C. 구조활동일지 시범 분석을 통해 추출된 키워드

물질 관련 2-ethoxy ethanol, Acrylontrile, I.P.A용액, LCO2, MS유, NH4OH, SD카드, 가성소다, 갈탄,

감광액, 경유, 경화제, 고폭탄, 골탈유, 과탄산나트륨, 기름, 기체, 난방용 등유, 난방유, 냉매, 누출

통, 니트로 르세린, 다이메틸카보네이트, 단백질분석기트, 도장작업, 독가스, 디클로로 메탄, 디

클로로실란, 락스, 매탄, 메탄, 무수초산, 박격포, 방수액, 배터리액, 백린연막탄, 백색가루, 백색물

질, 번개불, 번개탄, 벙커c유, 본드, 본드융화제, 불산, 불화수소, 빙초산, 산소, 삼염화붕소, 샤프

란, 석유, 세티스, 소석통폭팔, 솔벤트, 수소, 수은, 시너, 시황산, 신나, 신너, 쏠벤트, 아르곤, 아세

톤, 아세트산, 아세틸렌, 아스콘, 아황산가스, 알곤, 액산질소, 액체(산), 액체산소, 액체질소, 액체

탄산, 액화가스, 액화산소, 액화석유가스, 액화염소, 액화질소,액화탄산, 약품, 약화산소, 에어컨

가스, 에어콤프레샤, 에칠알콜, 에코프로, 에틸렌, 에틸렌 리콜, 에포비아, 에폭시, 엔진오일, 엔

진윤활류, 연산, 연탄, 열매체유, 염료물질, 염산, 염화메틸렌, 염화슬폰산, 염화칼슘, 오일, 요오드

화암모늄, 용접용가스, 원유, 위험물, 유독가스, 유독물질, 유류, 유류저장소, 유류탱크, 유압유, 유

증기, 유해가스, 유해물질,유해화학물질, 유해화확물질, 윤활유, 이산화탄소, 이소프로필알콜, 인

산, 일산화질소, 전해액, 접착제, 제독차, 중장비혼합기어유, 진한노란색물질, 질소, 질식, 차아염

소산염, 차염산, 청산가리, 체류탄, 초산, 최루탄, 카바이트, 클로로술포산, 키크린산, 탄산가스, 탈

취 농축액, 탱그, 탱크, 토프탈산다이옥틸, 툴루엔, 트리메틸아민, 트리메틸클로로실란, 트리클로

톨루엔, 특수 응단 화학 , 페놀슐폰산, 페인트, 폐기물, 폐산성용액, 폐수, 폐유, 포름알데히드,

포소화트레일, 포탄, 폭발물, 프레온가스, 프로판가스, 프탈산디옥탈, 프틸산다이옥틸, 하론가스,

하얀분말가루, 할론가스, 항공유, 화공약품, 화학물, 화학물질, 화학보호복착용, 화학장비, 화학제

품, 화확사무실, 황화수소나트륨, 휘발유, 흡착포, 흰가루, DOP, FRP, tce, 피트층, 화학약품 시

험, 화학공장, 용광로폭발, 냉각질소, 냉동창고, 냉장고, 디젤, 슬러지, 몰다인시멘트, 가루, 실리

콘, 실험, 에틸아크릴레이트, 제4류, 삼염화인, 메틸하이드라진, 크레졸, 부틸아민, 시안화주소, 트

리에틸아민, 트리메탈아민, 아크릴,클로라이드,헥사민, 케톤, 아연, 과산화수소,메틸, 과산화물, 디

이소시안산, 이소포론, 아크릴레이트, 벤질, 아클롤레인, 알릴, 클로라이드

탐지 장비 관련 단백질 분석키트, 복합가스측정기, 유해가스농도측정기, 화학물질측정장비, PH농도

보호복 관련 개인보호장비, 개인안전장구, 안전장구, 개인안전장비, 보호장구, 보호장비, 공기호흡기, 레벨A,

레벨B, 레벨C, 레벨D, 방호복, 방화복, 생화학복, 화학구조복, 화학보호복, 화학복, 화생방보호복,

기타 군화학 , 생화학구조차, 화학구조차, 화학구조 , 생화학인명구조차, 제염, 제독, 제독차, 제염,

특수구조단, 특수구조 , 특수 응단, 화학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