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퇴 기원종 말매미의 형태학적 연구herba.kr/khmi/j/KHMI-7(1)-2.pdf · 2019-04-10 ·...

11
韓藥情報硏究會誌(Korean Herb. Med. Inf.) 2019;7(1):13-23. pISSN 2288-5161 / eISSN 2288-5293 13 Abstract Cicadidae Periostracum, the exuviae of Cryptotympana atrata (Fabricius, 1775), is well-known traditional medicine in Korea. The present study aims to describe in detail by using stere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or discriminating authentic of Cicadidae Periostracum in the markets. Moreover, we present here the morphological differences in the sexual morph of exuviae in Cryptotympana atrata. Our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 exuvium size differences were not found between the sexual morphs. In addi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orphological and micr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females and males except the presence of gonapophysis in female only. By the results, a full description, including synonym of Cryptotympana atrata as a Cicadidae Periostracum is provided. The results are present useful characteristics for exuviae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of morphologically related species and sexual dimorphic study of Cicadidae in the future. 선퇴 기원종 말매미의 형태학적 연구 송준호 선임연구원 양선규 선임연구원 김욱진 선임연구원 문병철 책임연구원 , , , *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Studies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species, Cryptotympana atrata as a Cicadidae Periostracum Jun-Ho Song, Sungyu Yang, Wook Jin Kim, Byeong Cheol Moon * Herbal Medicine Resources Research Center, Korean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Correspondence: Byeong Cheol Moon Herbal Medicine Resources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Naju 58245, Republic of Korea Tel: +82-61-338-7100, E-mail: [email protected] Received 2019-03-19, revised 2019-04-03, accepted 2019-04-05, available online 2019-04-10 doi:10.22674/KHMI-7-1-2 Keywords: Cicadidae Periostracum, Cryptotympana atrata, exuvium, description, sexual dimorphism, scan- 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ranscript of 선퇴 기원종 말매미의 형태학적 연구herba.kr/khmi/j/KHMI-7(1)-2.pdf · 2019-04-10 ·...

  • 韓藥情報硏究會誌(Korean Herb. Med. Inf.) 2019;7(1):13-23. pISSN 2288-5161 / eISSN 2288-5293

    13

    Abstract

    Cicadidae Periostracum, the exuviae of Cryptotympana atrata (Fabricius, 1775), is well-known traditional medicine in Korea. The present study aims to describe in detail by using stere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or discriminating authentic of Cicadidae Periostracum in the markets. Moreover, we present here the morphological differences in the sexual morph of exuviae in Cryptotympana atrata. Our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 exuvium size differences were not found between the sexual morphs. In addi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orphological and micr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females and males except the presence of gonapophysis in female only. By the results, a full description, including synonym of Cryptotympana atrata as a Cicadidae Periostracum is provided. The results are present useful characteristics for exuviae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of morphologically related species and sexual dimorphic study of Cicadidae in the future.

    선퇴 기원종 말매미의 형태학적 연구

    송준호 선임연구원 양선규 선임연구원 김욱진 선임연구원 문병철 책임연구원, , , *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Studies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species, Cryptotympana atrata as a Cicadidae Periostracum

    Jun-Ho Song, Sungyu Yang, Wook Jin Kim, Byeong Cheol Moon*

    Herbal Medicine Resources Research Center, Korean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Correspondence: Byeong Cheol MoonHerbal Medicine Resources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Naju 58245, Republic of KoreaTel: +82-61-338-7100, E-mail: [email protected]

    Received 2019-03-19, revised 2019-04-03, accepted 2019-04-05, available online 2019-04-10doi:10.22674/KHMI-7-1-2

    Keywords: Cicadidae Periostracum, Cryptotympana atrata, exuvium, description, sexual dimorphism, scan-

    ning electron microscope (SEM)

  • 송준호 외 선퇴 기원종 말매미의 형태학적 연구.

    14

    서론

    매미는 절지동물문 곤충강 유시아강 노린재목 반시목(Arthropoda) (Insecta) (Pterygota) ( , Hemiptera)

    매미아목 매미상과 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여 (Auchenorrhyncha) (Cicadoidea) , 2,000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매미상과는 크게 매미과 와 민배딱지매미과, (Cicadidae)

    개 과로 구분된다(Tettigarctidae) 2 1,2).

    한반도에는 매미과 개 과만 분포하고 진동막덮개의 유무에 따라 매미아과 좀매미아과1 , (Cicadinae),

    로 구별되어 총 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Cicadettinae) , 15 2).

    매미는 불완전변태(不完全變態 를 하는 곤충으로 알 유충, incomplete metamorphosis) , (egg),

    성충 단계의 생활사를 지니며 미성숙한 유충으로 땅 속에서 생활하는 기간이 (nymphs), (adult), 3 ,

    년 길게는 년 또는 년으로 전 생활사 중 가장 길고 성충으로 생존하는 기간은 일 1-6 , 13 17 , 5-10

    이내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2-7) 완전히 성숙한 령 또는 령 유충은 탈피 과정을 통해 . 5 (five instars, 6 )

    성충이 되며 이 때 탈피 후 남은 껍질 허물 을 탈피각 이라 한다, ( ) (exuvium) .

    특히 국내에 분포하는 분류군 중 매미아과 깽깽매미족 에 속하는 말매미, 15 , (Tibicenini)

    [Cryptotympana atrata 의 탈피각을 선퇴 (Fabricius, 1775)] (蟬退 생약명 ), Cicadidae Periostracum

    로 규정하고 있다 8) 선퇴는 한의학적으로 신량해표. (辛凉解表 의 약류로 분류되며 그 성미) , (性味 는 )

    감(甘 한), (寒 으로 무독) (無毒 하고 주로 폐) , (肺 간경), (肝經 으로 들어가 풍열) (風熱 을 흩어지게 하며) ,

    폐기(肺氣 를 소통시켜 경련을 진정시키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8,9) 한편 분석학적으로 매미 . ,

    탈피각에서 분리한 키틴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고 10) 약리학적으로는 항알레르기 ,

    효과 11) 항혈전 효과, 12) 항염 효과, 13)와 최근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증상 완화 14) 등 분석 및 효능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선퇴의 기원종 말매미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성체에 대한 기재 2,15) 및 근연종과의 비교연구 16)를 비롯

    하여 탈피 전 마지막 유충에 대한 형태학적 연구, 17)가 대부분이다 다만 약재로 사용되는 탈피각 자체. ,

    에 대한 정량·정성적 형질기재와 본 분류군의 암·수 각각을 대상으로 한 성 간 차이 미세형태학적 ,

    형질 분석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한편 유통품 내 말매미와 형태학적으로 유사한 위품이 혼용될 . ,

    가능성이 있어 이들 위품으로부터 기원종 말매미의 탈피각을 정확하게 감별하기 위한 자세한 형태학,

    적 형질 기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말매미 탈피각에 대한 형태학적 형질을 자세히 관찰하고 기재하여 정확한 , ,

    감별을 위한 기초자료를 축적하고자 하였다 또한 두 성간 정량적 형태 형질의 차이 여부와 생식기 . ,

    부위의 미세형태학적 형질을 비교 고찰하고자 하였다.

  • 韓藥情報硏究會誌(Korean Herb. Med. Inf.) 2019;7(1):13-23. pISSN 2288-5161 / eISSN 2288-5293

    15

    본론

    재료 및 방법1.

    연구 재료 1)

    본 연구를 위해 대전광역시 유성구 지족동 인근에서 탈피각을 직접 채집하여 관찰하였고 실험에 ,

    사용된 재료는 증거약재표본 관리번호 으로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표준표본관( 2-18-0196) (Index

    에 보관하였다Herbariorum code KIOM) .

    형태학적 형질 측정 2)

    형태학적 형질 측정을 위해 탈피각은 초음파세척기(Ultrasonic Cleaner; Branson Model 2800,

    를 이용하여 세척하였고 복부의 생식기 형태를 통해 두 성으로 구별하였으며Emerson, MO, USA) , ,

    실체현미경 을 이용하여 관찰 후 디지털 카메라(ST; Olympus SZX16, Olympus, Tokyo, Japan) (digital

    를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정량적 형질은 디지털 camera; Olympus DP21, Olympus, Tokyo, Japan) .

    캘리퍼스 를 이용 측정하여 평균 표준편차(digital calipers; CD-15CP, Mitutoyo, Kawasaki, Japan) , ±

    평균 최소 최대 본문 기재 으로 표기하였다 총 개체 암컷 개체 수컷 개체 탈피(Table 1), ( - )( ) . 40 ( 20 , 20 )

    각에 대한 다음의 형질을 측정 비교하였다 몸체 길이 후두순 길이, : (body length, BL), (postclypeus

    후두순 너비 안관 길이 두부 길이length, PCL), (postclypeus width, PCW), (crown length, CL), (head

    전흉배판 길이 전흉배판 너비 전중흉배판 width, HW), (pronotum length, PL), (pronotum width, PW),

    길이 날개 길이 전퇴절 길이(pro-mesonotum length, PML), (wing length, WL), (fore femur length,

    전경절 길이 퇴절돌기 각도 부리 길이FL), (fore tibiae length, TL), (femoral tooth angle, FA), (beak

    퇴절 빗판 치상돌기의 개수 퇴절 중치상돌기와 length, BK), (number of femoral comb tooth, NFC),

    빗판 첫번째 돌기 사이의 거리 전부절 길이(distance between itf and ftf, DIF), (fore tarsus length,

    중경절 길이 중부절 길이 후경절 길이FSL), (mid tibiae length, MTL), (mid tarsus length, MSL), (hind

    후부절 길이tibiae length, HTL), (hind tarsus length, HSL) (Table 1).

    통계처리 3)

    암컷과 수컷 간 정량적 형질 차이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통계프로그램을 이용 독립표본 SPSS , t

    검증(Independent t 을 수행하였으며 유의 수준은 -test) , P 로 설정하여 검정하였다 < 0.05 (IBM SPSS

    Statistics for Windows, Version 19.0., Released 2010, IBM Corp., Armonk, USA).

    미세형태학적 형질 관찰 4)

    미세형태학적 형질 관찰을 위해 완전 건조된 시료를 알루미늄 스터브 위에 올린 (aluminum stub)

    다음 이온 증착기 를 (ion-sputter; 208HR, Cressington Scientific Instruments Ltd., Watford, UK)

    이용하여 백금 으로 분간 이온 증착 후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Pt) 2 , (FE-SEM; JSM-7600F,

    을 이용하여 가속전력 작동 거리 에서 관찰JEOL, Tokyo, Japan) , 15 kV, (working distance) 8 10 mm–하였다.

  • 송준호 외 선퇴 기원종 말매미의 형태학적 연구.

    16

    결과2.

    국내에 서식하는 말매미 탈피각을 암컷과 수컷으로 구분하여 관찰하고 기재하였다, (Figs. 1-2;

    Tables 1-2).

    말매미[Cryptotympana atrata (Fabricius, 1775)](Fig. 1)

    Tettigonia atrata Fabricius, 1775: 681

    Cicada atrata (Fabricius): Goeze 1778: 149

    Tettigonia pustulata Fabricius, 1787: 266

    Cicada nigra Olivier, 1790: 750

    Fidicina bubo Walker, 1850: 82

    Fidicina atrata (Fabricius): Walker 1850: 89

    Cryptotympana atrata (Fabricius): Stål 1861: 613

    Cryptotympana pustulata (Fabricius): Stål, 1861: 613

    Cryptotympana sinensis Distant, 1887: 415

    Cryptotympana dubia Haupt, 1917: 229

    Cryptotympana coreanus Kato, 1925: 13

    Cryptotympana coreana Kato, 1927: 23

    Cryptotympana santoshonis Matsumura, 1927: 49

    Cryptotympana dubia coreana Kato, 1934: 152

    Cryptotympana wenchewensis Ouchi, 1938: 82

    Cryptotypmana pustulata castanea Liu, 1940: 82

    Cryptotympana pustulata fukienensis Liu, 1940: 82

    Fig. 1. Morphological characters of Cryptotympana atrata exuviae used for measurements. BK, beak length; BL, body length; CL, crown length; HW, head width; PCL, postclypeus length; PCW, postclypeus width; PL, pronotum length; PML, pro-mesonotum length; PW, pronotum width; WL, wing length. A-C, Female; D-F, Male. All scale bars = 1 cm.

  • 韓藥情報硏究會誌(Korean Herb. Med. Inf.) 2019;7(1):13-23. pISSN 2288-5161 / eISSN 2288-5293

    17

    정성적 형질 기재

    몸체 는 전체적으로 진갈색 내지 연갈색이며 반투명하고 광택이 있다 등쪽이 안쪽으로 다소 (body) , , .

    굽어 있어 측면 에서 볼 때 굽은 형태를 나타낸다, (lateral view) (Fig. 1C, F).

    두부 머리 는 배면 에서 다소 삼각상을 나타내며 안관 은 투명( , head) (dorsal view) (Fig. 1A, D), (crown)

    한 복안 겹눈 을 포함하여 측면으로 다소 돌출되어 있고 촉각( ) , (더듬이, antenna)은 한 쌍 진갈색 내지 ,

    연갈색으로 실 모양이다 복면 으로는 부리가 길게 돌출되어 있다 후두순. (ventral view) (Fig. 1B, E).

    은 돌출되어 있으며 가로로 줄무늬가 있고 표면에 짧은 강모가 다소 밀생한다(postclypeus) , , .

    흉부 가슴 의 전흉배판 은 안관보다 넓으며 중흉배판 과 뚜렷하게 구( , thorax) (pronotum) , (mesonotum)

    분된다 중흉배판은 전흉배판보다 약간 넓고 측면으로 한 쌍의 전시 앞날개 를 포함하며. , ( , fore wing) ,

    후흉배판 은 매우 작고 후시 뒷날개 를 포함하며 중흉배판 밑에 겹쳐져 있다(metanotum) , ( , hind wing) , .

    배면에서는 안관과 후두순 사이가 가로로 안관과 후흉배판에 걸쳐 세로로 갈라져 십자 모양으로 갈라,

    져 있다(Fig. 1A, D).

    다리는 진갈색 내지 갈색으로 전지 퇴절의 후치상돌기 은 길고 , (fore leg) (posterior tooth of femur)

    뾰족하며 안쪽으로 다소 굽어있다 후치상돌기 하단에 부속 돌기 가 존재하고 전지 , . (accessory tooth) ,

    퇴절의 중앙부에 중치상돌기 가 발달해있다 퇴절 빗판 치상돌기는 일반적으로 (intermediate tooth) .

    개이며 첫번째 돌기가 두번째 돌기보다 크다 전경절 은 아치7 , (femoral formula: 2-1-7). (fore tibiae)

    형으로 다소 납작하고 선단 치상돌기 는 길며 뾰족하다 전부절 은 선단부로 , , (apical tooth) . (fore tarsus)

    갈수록 두꺼워지고 전부절의 끝은 둘로 갈라져 예리하며 단단한 갈고리를 나타낸다 중경절, , . (mid ti-

    말단에는 개의 가시가 발달하고 후경절 말단에는 또는 개의 가시가 발달한다bia) 5 , (hind tibia) 6 7 .

    중부절 과 후부절 의 말단에는 불균등한 두 개의 갈고리가 예리하게 발달한다(mid tarsus) (hind tarsus) .

    복부 배 의 크기는 유충의 발달단계에 따라 다르며 후시의 하단부가 복부의 상부에 까지 ( , abdomen) ,

    맞닿아 있다 암컷의 경우 번째 복절 과 번째 복절 사이에 돌출된 음구편. , 8 (sternites) 9 (gonapophysis)

    을 형성하고 수컷의 경우 번째 복절이 번째 복절을 싸고있어 매우 작게 나타나 구별된다(Fig. 2A), 10 9

    (Fig. 3A).

    정량적 형질 단위 는 는 개수 평균값 최소값 최대값 [ : mm, FA , NFC ; ( - )].˚암컷(n=20) BL 32.9 (31.1-35.8), PCL 5.5 (5.3-6.0), PCW 5.2 (4.9-5.6), CL 3.1 (2.8-3.3), HW 10.8

    (10.2-11.6), PL 7.9 (7.3-9.5), PW 13.0 (12.0-14.3), PML 14.7 (15.9-17.1), WL 13.7 (12.4-14.5),

    FL 6.2 (5.5-6.8), TL 6.1 (5.6-6.9), FA 70.8 (66.5-83.9), BK 7.4 (6.7-8.0), NFC 6.9 (6.0-8.0), DIF

    1.6 (1.4-1.8), FSL 4.2 (3.9-4.7), MTL 7.5 (7.0-8.0), MSL 3.9 (3.4-4.9), HTL 7.6 (7.1-8.1), HSL

    3.4 (2.9-3.9).

    수컷(n=20) BL 32.0 (28.7-34.8), PCL 5.6 (5.0-5.9), PCW 5.1 (4.7-5.5), CL 3.0 (2.7-3.5), HW 10.7

    (10.1-11.5), PL 7.9 (7.3-8.6), PW 13.3 (12.0-14.6), PML 15.2 (13.4-17.0), WL 13.7 (12.3-15.1),

    FL 6.1 (5.5-7.0), TL 5.9 (5.2-6.5), FA 71.6 (64.0-81.2), BK 7.2 (5.5-8.6), NFC 6.6 (5.0-7.0), DIF

    1.5 (1.4-1.7), FSL 4.1 (3.5-5.0), MTL 7.5 (6.9-8.3), MSL 4.0 (3.3-4.5), HTL 7.4 (6.7-8.2), HSL

    3.5 (3.0-4.2). (Table 1).

  • 송준호 외 선퇴 기원종 말매미의 형태학적 연구.

    18

    Table 1.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quantitative morphological characters, for female and male exuviae of Cryptotympana atrata in Korea. (unit: all in mm, except FA and NFC; means ± S.D.; sample size n = 40; P, significance of difference; *, P < 0.05).

    itf, intermediate tooth of femur; ftf, first tooth of femoral comb

    퇴절 빗판 치상돌기의 변이

    기본적으로 퇴절 빗판 내 개의 치상돌기를 지니나 총 연구 분류군의 에서 개 개체7 , 25% 6 (10/40 ),

    에서 각각 개 개체 개 개체 의 돌기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2.5% 5 (1/40 ), 8 (1/40 ) .

    성적 이형화 현상

    말매미 암컷 수컷 간 성적 이형화 현상 을 확인하기 위해 총 개의 정량적 , (sexual dimorphism) 20

    형질을 비교한 결과 전중흉배판 길이, (PML: t = 2.604, P 를 제외한 모든 형질에서 유의미한 < 0.05)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복부 내 음구편 발달 여부에 따라 암컷과 수컷을 구분할 수 (Table 1). ,

    있었다(Figs. 2A, 3A).

    생식기 부위의 미세형태학적 형질 기재

    복부의 복면 생식기 개 부위의 미세형태학적 형질을 관찰하였다 암컷에만 존재하는 음구5 (Table 2).

    편 의 경우 의 표면은 평활상으로 나타났고(gonapophysis) (Fig. 2A), ventral valve (vv) (Fig. 2C), dor-

    는 사마귀형 돌기 가 다소 밀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암sal valve (dv) (verrucae) (Fig. 2D). , ·수

    Characters (abbreviation) Female Male t P

    Body length (BL) 32.9 ± 1.30 32.0 ± 1.62 1.772 0.084

    Postclypeus length (PCL) 5.5 ± 0.18 5.6 ± 0.20 -0.602 0.550

    Postclypeus width (PCW) 5.2 ± 0.20 5.1 ± 0.24 1.146 0.258

    Crown length (CL) 3.1 ± 0.14 3.0 ± 0.21 0.992 0.327

    Head width (HW) 10.8 ± 0.35 10.7 ± 0.36 0.659 0.513

    Pronotum length (PL) 7.9 ± 0.48 7.9 ± 0.36 -0.203 0.840

    Pronotum width (PW) 13.0 ± 0.57 13.3 ± 0.67 -1.336 0.189

    Pro-mesonotum length (PML) 15.9 ± 0.67 15.2 ± 1.01 2.604 0.013*

    Wing length (WL) 13.7 ± 0.62 13.7 ± 0.77 0.130 0.897

    Fore femur length (FL) 6.2 ± 0.27 6.1 ± 0.36 1.177 0.246

    Fore tibiae length (TL) 6.1 ± 0.34 5.9 ± 0.35 1.400 0.169

    Femoral tooth angle (FA) 70.8 ± 4.26 71.6 ± 4.35 -0.597 0.553

    Beak length (BK) 7.4 ± 0.37 7.2 ± 0.73 0.986 0.330

    Number of femoral comb tooth (NFC) 6.9 ± 0.48 6.6 ± 0.59 1.446 0.156

    Distance between itf and ftf (DIF) 1.6 ± 0.10 1.5 ± 0.11 1.056 0.297

    Fore tarsus length (FSL) 4.2 ± 0.20 4.1 ± 0.32 1.289 0.205

    Mid tibiae length (MTL) 7.5 ± 0.25 7.5 ± 0.43 -0.440 0.661

    Mid tarsus length (MSL) 3.9 ± 0.38 4.0 ± 0.35 -0.179 0.858

    Hind tibiae length (HTL) 7.6 ± 0.28 7.4 ± 0.45 1.374 0.177

    Hind tarsus length (HSL) 3.4 ± 0.29 3.5 ± 0.30 -1.124 0.267

  • 韓藥情報硏究會誌(Korean Herb. Med. Inf.) 2019;7(1):13-23. pISSN 2288-5161 / eISSN 2288-5293

    19

    모두 번째 복절에 지름 의 사마귀형 돌기가 밀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8 3-4 m (Figs. 2B, 3B), μ번째 복절은 평활상 번째 배절 표면에는 사마귀형 돌기와 함께 말단이 10 (Figs. 2E, 3E), 8 (tergites)

    예리한 강모 가 밀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동일 부위의 미세형태(acuminate simple setae) (Figs. 2F, 3D),

    학적 형질 역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 2. Stereomicroscope (SM)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micrographs of abdominal apex for female Cryptotympana atrata exuvium. A. Abdominal apex in ventral view. B. 8th sternite. C. Ventral valve, gonapophysis (vv). D. Dorsal valve, gonapophysis (dv). E. 10th sternite. F. 8th tergite. dv, dorsal valve, gonapophysis; st7, 7th sternite; st8, 8th sternite; st9, 9th sternite; st10, 10th sternite; st11, 11th sternite; tg7, 7th tergite; tg8, 8th tergite; tg9, 9th tergite; vv, ventral valve, gonapophysis.

  • 송준호 외 선퇴 기원종 말매미의 형태학적 연구.

    20

    Fig. 3. Stereomicroscope (SM)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micrographs of abdominal apex for male Cryptotympana atrata exuvium. A. Abdominal apex in ventral view. B. 8th sternite. C. 10th sternite. D. 8th tergite. st7, 7th sternite; st8, 8th sternite; st9, 9th sternite; st10, 10th sternite; st11, 11th sternite; tg7, 7th tergite; tg8, 8th tergite; tg9, 9th tergite.

    Table 2. Micr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bdominal apex for female and male Cryptotympana atrata exu-viae

    Characters (abbreviation) Female Male

    8th sternite (st8) verrucae verrucae

    Ventral valve, gonapophysis (vv) smooth -

    Dorsal valve, gonapophysis (dv) verrucae -

    10th sternite (st10) smooth smooth

    8th tergite (tg8)verrucae with acuminate simple

    setae

    verrucae with acuminate simple

    setae

  • 韓藥情報硏究會誌(Korean Herb. Med. Inf.) 2019;7(1):13-23. pISSN 2288-5161 / eISSN 2288-5293

    21

    고찰3.

    본 연구 결과 선퇴, (蟬退 의 기원종인 말매미의 학명을 검토하여 정명과 , Cicadidae Periostracum) ,

    그 이명을 제시하였고 실체현미경 과 주사전자현미경, (stereoscope microscope) (scanning electron

    을 이용한 현미경적 검경을 통해 외부형태학적 형질과 생식기 부위의 미세형태학적 형질microscope)

    을 자세히 기재하였다 또한 두 성간 정량적 형질 차이가 나타나는지 통계처리를 통해 그 유의성 여부. ,

    를 확인하였다.

    대한민국약전외한약 생약 규격집( ) 18)에는 선퇴의 기원종을 말매미[Cryptotympana dubia (Haupt)]

    또는 흑책(黑蚱) (C. pustulata 으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말매미의 정명 Fabricius) . , 은 C. atrata 이며 (Fabricius, 1775) , C. pustulata 는 그 이명으로 처리하고 있다 (Fabricius, 1775) 17,19).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말매미의 학명을 정명인 C. atrata 로 인식하여 정리하였으며 (Fabricius, 1775) ,

    그 이명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였다.

    한약재관능검사해설서에서는 선퇴의 감별요점을 제시하면서 해당하는 각 부위를 표기없이 기술하고

    있다 20) 이에 본 연구 결과와의 종합을 통해 기재된 해당 부위 및 측정 부위가 어떤 부위인지 정확히 .

    제시하고 자세히 기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유통품에 대한 시장조사를 통해 말매미와 함께 혼입되어 , . ,

    유통되는 위품에 대한 기재와 정보도 함께 제시될 필요가 있겠다 특히 매미류 탈피각에 대한 이전 . ,

    연구에서 주로 몸체 의 크기 및 색상 전흉배판 및 두부 의 너비 퇴절돌기(body) , (pronotum) (head) ,

    의 각도 및 퇴절 빗판 치상돌기 의 개수 등의 주요 형태학적 형질 (femoral tooth) (femoral comb tooth)

    차이를 이용하여 검색표를 제시하고 있으므로 16,21,22) 말매미 유사종 및 위품 감별 시 앞서 제시된 ,

    형질부터 우선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매미과에 속하는 분류군 내에서도 두 성간 탈피각 몸체의 크기 차이가 유의미한 분류군[Dorisiana

    viridis (Olivier, 1790), Fidicinoides determinata (Walker, 1858), Quesada gigas 이 (Olivier, 1790)]

    있는 반면 크기 차이가 없는 분류군, [Dorisiana drewseni (Stål, 1854), Fidicina mannifera (Fabricius,

    1803), Fidicinoides pronoe (Walker, 1850), Majeorona aper 도 있는 것으로 보고되 (Walker, 1850)]

    어 있다 21,22) 특히 중국 관중 분지 에 서식하는 말매미의 탈피 전 마지막 유충은 . , (Guanzhong Plain)

    두 성 간 정량적 형질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17)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

    였다 이에 크기에 대한 성적 이형화 현상이 각 분류군마다 일관성 있게 나타나는 형질인지 추가적인 .

    연구를 통해 확인하여 성적 이형화 현상이 종을 구별할 수 있는 주요 형질이 될 수 있을지 검토할 ,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 결과 말매미 탈피각은 개의 정량적 형질 중 개의 형질에서 두 성간 유의미한 차이가 , 20 19

    나타나지 않았고 암컷에서 나타나는 음구편 발달 이외에 생식기 주변의 미세형태학적 형질 역시 성간 , ,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추후 성을 구분하여 각 성간 함유하고 있는 물질에 대한 정확한 분석. ,

    학적 연구 및 약리적 평가가 수반되어야 하겠으며 본 연구결과를 통해 선퇴로 사용되는 약재의 정확한 ,

    품질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송준호 외 선퇴 기원종 말매미의 형태학적 연구.

    22

    결론

    약재로 유통되고 있는 충부약재 선퇴의 기원종 말매미에 대한 정확하고 자세한 정보를 제시하고자 ,

    하였다.

    말매미의 정명 이명을 정리하고 형태학적 감별을 위한 정성적 정량적 형질을 자세히 기재하였다1. , , , .

    암수 성간 정량적 형질의 비교분석 결과 두 성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2. , .

    생식기의 형태로 암수가 구별 가능하였고 생식기 주변부의 미세형태학적 형질 역시 차이가 나타나3. ,

    지 않았다.

    추후 유사종으로 혼용되어 유통되고 있거나 혼용될 가능성이 있는 분류군을 포함한 형태학적 이화, ,

    학적 유전적 비교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한국한의학연구원 주요사업 동의보감 충부약재 활용기반 구축 과제 의 (KSN1812410)「 」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참고문헌

    1. Lee YJ. A taxonomic review of cicadidae (insecta: homoptera) in Taiwan. Ph.D. dissertation.

    Seoul:Seoul National University. 2003.

    2. Lee YJ. Cicada of Korea. Seoul: Geobook (in Korean with some English text). 2005.

    3. Kato M. The Biology of the Cicadas. Tokyo:Iwasakishoten Co. 1956.

    4. Boulard M. Notes sur la biologie larvaire de las cigales (Hom. Cicadidae). Annales de la Société

    Entomologique de France. 1965;1(3):503 21.–5. Pachas PO. La chicharra de la yerba mate (Fidicina mannifera, Fab., 1803) su biologíae observ

    aciones sobre los métodos de control en Misiones (República Argentina). Idia. 1966;217:5 15.–6. Williams KS and Simon C. The ecology, behavior, and evolution of periodical cicadas. Annual

    Review of Entomology. 1995;40(1):269 95.–7. Logan D. Nymphal development and lifecycle length of Kikihia ochrina (Walker) (Homoptera:

    Cicadidae). The Weta. 2006;31:19 22.–8.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Defining Dictionary for Medicinal Herbs[Korean, 'Hanya

    k Giwon Sajeon'] (2019). Published on the Internet; http://boncho.kiom.re.kr/codex/ (accesse

    d 2019-03-11).

    9. 신민교 임상본초학 서울 영림사. . : . 1997:351-2.

    10. 홍성현 조경현 주완택 박노동 매미허물에서 분리한 키틴의 물리화학적 특성 한국키틴키토산학, , , . .

    회지. 2010;15(2):69-74.

  • 韓藥情報硏究會誌(Korean Herb. Med. Inf.) 2019;7(1):13-23. pISSN 2288-5161 / eISSN 2288-5293

    23

    11. 박병모 김광모 선퇴가 알레르기의 예방에 미치는 영향 동의병리학회지, . . . 1993;8(1):225-34.

    12. 한범수 우숭지 김성환 김영식 곤충 생약으로부터 항응고 및 항혈전 물질의 탐색 생약학회지, , , . . .

    1999;30(4):409-12.

    13. 김경완 조한백 김송백 최창민 서윤정 선태의 항염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 , , , . .

    지. 2011;24(1):15-26.

    14. 김빛나래 채중원 로 유발된 생쥐의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에 선태가 미치는 영향 대한한, . DNCB .

    방소아과학회지. 2015;29(2):1-15.

    15. 김선주 송재형 한국 매미 생태 도감 서울 자연과생태, . . : . 2017.

    16. Lee HY, Oh SY and Jang YK. Morphometrics of the final instar exuviae of five cicada species

    occurring in urban areas of central Korea. Journal of Asia-Pacific Entomology. 2012;15:627–30.

    17. Hou Z, Li Q and Wei C. Morphology and identification of the final instar nymphs of three

    cicadas (Hemiptera, Cicadidae) in Guanzhong Plain, China based on comparative morphometr

    ics. ZooKeys. 2014;425:33 50.–18.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orean Herbal Pharmacopoeia 4th ed. The KFDA Notif

    ication No. 2017-85. 2017:243-4.

    19. 박종철 최고야 대한민국약전 및 대한민국약전외한약 생약 규격집 수재 한약재 현황 검토 한약정, . ( ) .

    보연구회지. 2016;4(2):9-35.

    20.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The Dispensatory on the Visual and

    Organoleptic Examination of Herbal Medicine. Cheongwon, Korea. 2012:372.

    21. Motta PC. Cicadas (Hemiptera, Auchenorrhyncha, Cicadidae) from Brasília (Brazil): exuviae

    of the last instar with key of the species. Revista Brasileira de Zoologia. 2003;20(1):19-22.

    22. Maccagnan DHB and Martinelli NM. Description and key to the fifth-instars of some Cicadas

    (Hemiptera: Cicadidae) associated with coffee plants in Brazil. Neotropical entomology. 201

    1;40(4):445-51.

    The Author(s) 2019, khmi.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