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45
과과 과과 과과과 과과 과과과 과과과 과과과 과과과 과과 과과 과 과과 과과과 과과 과과과과과 과과과과 1 과과 . 2 과과 . 3 과과 . 4 과과│과과과 과과과과과과 과과과 과과과 과과과 : 과과과과과과 과과과과과과과 과과과과 과과과과 과과과과과과 과과과 과과

Transcript of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Page 1: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과학 기술 이슈와 보도 프레임

원자력 발전소 사고에 대한 매체 별 보도 프레임 분석

동영상으로 학습하기

1 차시 .

2 차시 .

3 차시 .

4 주차│사회적 갈등으로서의 재난과 여론의 프레임 : 원자력발전소 인근지역주민을 중심으로

문과대학 언론정보학과 박한우 교수

Page 2: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학습목차

학습목표

keyword

1. 매체의 보도 프레임 ( 박진우 , 이형민 , 한동섭 , 2014, < 발췌 및 인용 >)2. 사회적 갈등 사안으로서의 원자력 관련 보도

( 박진우 , 이형민 , 한동섭 , 2014, < 발췌 및 인용 >)3. 보도의 담론 구성의 특성과 프레임 연구

( 박진우 , 이형민 , 한동섭 , 2014, < 발췌 및 인용 >)4. 기사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매체 사회학적 고찰

( 박진우 , 이형민 , 한동섭 , 2014, < 발췌 및 인용 >)

과학 기술 보도의 프레임과 논조의 차이가 매체 성격 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설명할 수 있다 .

원자력 발전 이슈와 그 보도의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보도의 담론 구성의 특성과 프레임 연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기사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보도 프레임│원자력 발전│ 사회적 갈등│ 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2

Page 3: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1. 매체의 보도 프레임

1) 원자력 발전 이슈와 보도 프레임 특성

3

인식 해석 선택 강조 배제

사회적 현실 재구성– 현실에 대한 인식 · 해석 · 선택 · 강조 · 배제를 통해 이뤄지는

지속적 재해석 패턴임

Page 4: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1. 매체의 보도 프레임

1) 원자력 발전 이슈와 보도 프레임 특성

4

미디어 담론 언어적 요소 비언어적 요소

미디어 담론– 미디어 담론의 조직화

– 미디어 담론 구성의 결정 요소

객관적 사실 (facts) 이해관계 주체들이 사실이라 주장하는 바

갈등 보도의 경우

미디어 담론의 구조적 결정성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 언론 보도 프레임을 통해 재현됨

Page 5: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1. 매체의 보도 프레임

1) 원자력 발전 이슈와 보도 프레임 특성

5

원자력 기술에

관한 위험

대중의 불안

대중의 두려움

결합 사회적 이슈

원자력 발전 이슈와 보도 프레임– 원자력 기술에 관한 위험과 사회적 이슈

위험 어떤 결과의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암시 언제나 불확실성 (uncertainty) 을 동반함

– 위험의 개념

새로운 갈등 초래

Page 6: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1. 매체의 보도 프레임

1) 원자력 발전 이슈와 보도 프레임 특성

6

원자력 발전 이슈와 보도 프레임– 후쿠시마 원전 폭발 사고

그 동안 원자력 발전에 대한 막연한 공포감과 같은 위험 인식을 실제적 위험으로 받아들이게 하는 데 큰 영향을 끼침

대중들은 대부분 언론을 통한 사건보도의 형태로 원자력 발전에 대한 소식을 접함

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사고 사례원전 종사자의 안전문화 인식 결여로 벌어진 사고 종사자 한 사람의 실수가 후쿠시마 원전 폭발과 같은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각심을 일깨워줌

대중들의 사전 지식이나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 난이도는 상대적으로 높은 과학 기술 이슈의 경우 , 미디어 프레임에 의해 의견이나 태도를 형성하는 경향이 강함

Page 7: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2. 사회적 갈등 사안으로서의 원자력 관련 보도

1) 사회적 갈등과 언론 보도

7

사회적 갈등과 언론

사회적 갈등 행위 주체 간의 대립을 의미함 언론보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음

뉴스의 절반가량이 사회 갈등 보도로 채워짐 ( 김동규 , 2000)1윤리적이거나 물리적 갈등을 일으킨 집단 간의 충돌이 뉴스의 흥미성을 높여주기 때문임

갈등 보도의 특징으로 ‘단순화’ 주장함 (Cohen, Adoni, & Bantz, 1990)2

단순화 경향은 많은 집단의 이해관계를 고루 대변하지 못하고 편향적 성격을 지닌다는 문제점을 지님

Page 8: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2. 사회적 갈등 사안으로서의 원자력 관련 보도

1) 사회적 갈등과 언론 보도

8

사회적 갈등 행위 주체 간의 대립을 의미함 언론보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음

사회적 갈등과 언론

사회적 갈등을 보도할 때의 유의점3MBC 윤리 강령 : ‘ 사회적 논란이 되는 현안에 대해선 양적 · 질적 균형을 취해야 한다’고 규정함

미국의 라디오 텔레비전 뉴스 보도 책임자 협회 (Radio-Televi-sion News Directors Association): 기자는 사회적 맥락을 고려해 다양한 관점에서 의견을 보도해야 함

집단 간 갈등 양상을 부각시켜 보도하는 경향이 많이 나타남4

Page 9: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2. 사회적 갈등 사안으로서의 원자력 관련 보도

2) 사회적 갈등과 원자력 이슈

9

원자력 이슈의 특징

다양한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공공 담론이자 갈등(Gamson & Modigliani, 1989)

다양한 차원의 이슈가 상호작용하는 쟁점11970 년까지 : 개발 담론이 주를 이룸

1980 년대 후반 : 환경 담론과 개발 담론이 치열하게 대립하는 양상원자력 이슈가 다양한 이해관계 주체들과 동 시대적 사회문화적 맥락과 조응해 담론이 구성됨

다양한 이해관계 주체들이 충돌하는 쟁점2매체 성격에 따른 선택적인 취재원 활용은 매체 간 보도 프레임 차이를 나타내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함

Page 10: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2. 사회적 갈등 사안으로서의 원자력 관련 보도

2) 사회적 갈등과 원자력 이슈

10

원자력 이슈의 특징

다양한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공공 담론이자 갈등(Gamson & Modigliani, 1989)

이데올로기적 성향을 가짐3원자력 보도는 경제성과 환경보호 등과 같은 다양한 가치가 충돌함

미디어 관행 차원

특정 가치가 담긴 프레임은 선택적으로 활자화되고 갈등이 첨예한 사안이므로 각 주체 별로 경쟁적인 프레임을 가짐

예 갬슨과 동료 (Gamson & Modigliani, 1989) 의 연구 : 1970 년대 원자력 관련 뉴스 프레임이 매체 별로 차이를 보였다고 주장

매체 별 선택적 보도 프레임 구성원자력 산업의 객관적인 근거보다 , 이데올로기적인 접근임

Page 11: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2. 사회적 갈등 사안으로서의 원자력 관련 보도

2) 사회적 갈등과 원자력 이슈

11

원자력 이슈의 특징– 2014.9.26. 신문사설 : ‘ 경주방폐장 안전성 , 전면 재검증하라’

경주 방폐장 부근의 지진은 실제 1981~1990 년 연평균 0.3 회 발생하던 지진이 2011 년 ~ 현재 3.5 회로 10 배 이상 늘었음

최근 잇따라 지진이 발생하면서 진앙지 주변 월성 원전과 방폐장의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음

논란의 초점은 경주 인근 단층의 위험성이 방폐장과 원전의 안전에 과연 영향을 미치느냐 하는 데 있음

원전측은 ‘방폐장 부지 안에는 활성단층이 존재하지 않으며 , 부지 안에 존재하는 소규모 단층에 대해 안전하게 설계와 시공을 마친 만큼 안전성에 문제없다’것과 ‘방폐장 암반의 단층이 가장 최근에 움직인 게 20만 년 전이므로 활성단층이 아니다’라는 입장

출처 : 영남일보 , 2014-09-26, ‘ 경주방폐장 안전성 , 전면 재검증하라’

Page 12: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출처 : 영남일보 , 2014-09-26, ‘ 경주방폐장 안전성 , 전면 재검증하라’

2. 사회적 갈등 사안으로서의 원자력 관련 보도

2) 사회적 갈등과 원자력 이슈

12

원자력 이슈의 특징– 2014.9.26. 신문사설 : ‘ 경주방폐장 안전성 , 전면 재검증하라’

일부 전문가들은 이 기준은 원전 기준으로 임의로 정해진 것이며 , 방폐장 기준은 더 더욱 아니라고 함

지진이 잦고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만큼 , ‘ 문제 없다’는 말만 되풀이 돼선 안 됨

Page 13: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3. 보도의 담론 구성 특성과 프레임 연구

1) 보도의 담론 구성 특성

13

공공담론의 정의

공공담론 사회 현상이나 쟁점 등 공적인 이슈에 대해 형성된 담론(Gamson, 1996)

공공담론의 특징

역사성

다차원성

특정 영역에서 여러 이해관계 주체들에 의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한 결과물

갬슨과 모딜리아니 (Gamson & Modigliani, 1989) 주장의 핵심은 경쟁적인 다수의 관점 중 언론이 사회문화 담론과 적합한 것으로 결정한 하나의 프레임이 텍스트로 수용된다는 것임

Page 14: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3. 보도의 담론 구성 특성과 프레임 연구

1) 보도의 담론 구성 특성

14

공공담론의 정의

공공담론 사회 현상이나 쟁점 등 공적인 이슈에 대해 형성된 담론(Gamson, 1996)

공공담론의 특징

행위 주체들의 복합성을 의미 후원자 행위는 사회적인 현안에 관계된 여러 주체들의

영향력을 의미함

다양성

Page 15: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3. 보도의 담론 구성 특성과 프레임 연구

2) 보도 프레임

15

보도 프레임의 정의

보도 프레임인지된 현실에서의 담론 중 특정 담론을 선택해 텍스트 또는 커뮤니케이션 맥락에서 그것들을 좀 더 두드러지게 하여 강조하는 것 (Entman, 1993)

보도 프레임의 유형 : 쉐펠러 (Scheufele, 1999)

미디어 프레임(media frame)

수용자 개인 프레임(individual frame)

산발적으로 흩어진 사건들에 의미를 부여하는 중심적인 스토리를 의미함

다양한 논쟁의 핵심이 무엇인지 제시함

개인이 어떤 이슈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데 가이드라인이 되는 아이디어 조각임

Page 16: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3. 보도의 담론 구성 특성과 프레임 연구

2) 보도 프레임

16

과학 기술 보도 프레임의 특징

과학 기술 이슈 보도에 대한 선행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 결론을 염두하고 기사를 이끌어가는 사례가 많다고 주장함

원자력 발전소 관련 보도는 대부분 사건 보도 , 사고 보도 , 갈등 보도를 중심으로 이루어짐 ( 한동섭 , 2004)

Page 17: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4. 기사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매체 사회학적 고찰

2) 보도 프레임

17

이런 관점을 뒷받침하기 위해 , 출입처 제도 등 공식적 정보원에 대한 의존과 같은 취재 관행을 분석하거나 미디어 조직의 구조나 조직 문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됨

언론인 개인 차원 요인에 대한 연구

뉴스 이슈의 선택과 제시가 개별 언론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가정에서 진행됨

미디어 조직 내부적 차원 요인에 대한 연구

미디어 조직 고유의 가치 , 규범 등의 원칙과 성향이 보도 프레임을 결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함

취재 보도 행위의 관행화를 추구함

Page 18: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4. 기사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매체 사회학적 고찰

2) 보도 프레임

18

미디어 조직의 외부 요인에 대한 연구

정치단체나 시민단체 등의 대언론 활동이나 광고주 , 매체 간 경쟁 상황 , 정부규제 차원과 같은 이슈에 초점을 둠

Page 19: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학습정리

참고문헌

언론 보도에서 사회적 갈등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음

원자력 이슈는 다양한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공공 담론이자 갈등임

과학 기술 이슈 보도는 결론을 염두하고 기사를 이끌어가는 사례가 많음

보도 프레임 결정에서 미디어 조직의 내부적 요인으로 미디어 조직 고유의 가치 , 규범 등의 원칙과 성향이 영향을 미침

보도 프레임 결정에서 미디어 조직의 외부 요인은 정치단체나 시민단체 등의 대언론 활동이나 광고주 , 매체 간 경쟁 상황 , 정부규제 차원과 같은 이슈에 초점을 두는 것임

박진우 , 이형민 , 한동섭 , 2014,「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사고에 대한 매체별 보도프레임 분석」 , 언론과학연구 , 14(2), 31-74.

12

Page 20: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퀴즈 오늘 학습한 내용을 기억하여 , 아래 문제를 풀어봅시다 .

Q1 다음 내용을 읽고 내용이 옳으면 O, 틀리면 X 를 고르시오 .

원자력 기술에 관련한 위험은 대중들의 불안과 두려움이 결합되어 새로운 형태의 갈등을 초래하는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음

13

해설 :원자력 기술에 관련한 위험은 대중들의 불안과 두려움이 결합되어 새로운 형태의 갈등을 초래하는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음

Page 21: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과학 기술 이슈와 보도 프레임

원자력 발전소 사고에 대한 매체 별 보도 프레임 분석

동영상으로 학습하기

1 차시 .

2 차시 .

3 차시 .

4 주차│사회적 갈등으로서의 재난과 여론의 프레임 : 원자력발전소 인근지역주민을 중심으로

문과대학 언론정보학과 박한우 교수

Page 22: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keyword

22

학습목차

학습목표

1. 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사고에 대한 매체 별 보도 프레임 분석( 박진우 , 이형민 , 한동섭 , 2014, < 발췌 및 인용 >)

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 아웃 사고에 대한 보수언론 , 진보언론 , 지역언론의 기사를 분석하여 각각의 보도 프레임에 관해 설명할 수 있다 .

분석 결과를 통해 원자력 발전 이슈 보도에 대한 매체 별 차이와 시사점을 설명할 수 있다 .

보도 프레임│원자력 발전│ 사회적 갈등│ 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Page 23: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1. 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사고에 대한 매체 별 보도 프레임 분석

1) 연구문제

23

원자력 발전에 관한 보도를 프레임을 분석함으로써 언론 매체 간의 차이를 밝힘

2) 연구방법

1 전국 언론 (< 조선일보 >, < 동아일보 >, < 경향신문 >, < 한겨레 신문 >), 지역 언론 ( 고리 원자력 발전소 인근의 < 부산일보 >, <국제 신문 >)으로 선정함

2분석 대상은 < 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사고 > 가 일어난 2012년 2월 9 일부터 6 개월간의 원자력 관련 보도 전체를 대상으로 함

Page 24: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1. 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사고에 대한 매체 별 보도 프레임 분석

1) 연구문제

24

3분석 단위에 대한 부분으로 , 매체 성격 별 기사의 논조 (긍정 , 중립 ,

부정 ) 와 보도 프레임 , 취재원 활용 경향에 대해 분석함

4분석 대상에 대한 부분으로 , 조선일보와 동아일보가 보수적인 성향을 나타내고 , 경향 신문과 한겨레신문이 진보적인 성향을 보임

관련 보도 프레임 ( 책임 규명 프레임 · 환경 안전 프레임 · 경제 효용 프레임 · 갈등 대치 프레임 · 민주 합의 프레임 · 정책 의지 프레임

원자력 발전은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보수 진영의 담론인 개발담론과 진보 진영의 담론인 환경담론이 충돌하고 있는 대표적인 이슈로 < 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사고 > 이후 이런 경쟁은 더욱 심화됨

Page 25: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1. 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사고에 대한 매체 별 보도 프레임 분석

2) 연구방법

25

5한국언론재단의 뉴스 DB 인 <카인즈> 와 해당 언론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의 DB 를 교차 검색해서 전체 기사를 수집함

6검색은 뉴스 제목과 본문에 ‘고리 1 호기’ , ‘ 원자력’을 입력해 고리 1 호기 블랙아웃 사고 이후 원자력에 관련한 보도를 검색함

7프레임 코딩 과정에서 신뢰도는 단일 기사에서 선정된 프레임의 일치도를 중심으로 계산한 홀스티 (Holsti) 신뢰도 계수를 통해 측정함

8보수 언론 기자 2 명 , 진보 언론 기자 2 명 , 지역 언론 기자 2 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실시함

Page 26: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1. 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사고에 대한 매체 별 보도 프레임 분석

26

9양적 연구 방법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을 통해 접근하고 ,

양적 데이터가 설명해 주지 못하는 매체 별 차이에 대해 질적 연구 방법 (qualitative research method) 을 이용해 접근하는 혼합적 연구 방법 (mixed-method research) 을 이용함

2) 연구방법

출처 : 박진우 , 이형민 , 한동섭 , 2014,「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사고에 대한 매체별 보도프레임 분석」 , 언론과학연구 , 14(2), 31-74.

빈도 비율

전국 언론보수언론 71 13.7%진보언론 137 31.3%

지방 언론 284 55.0%합계 517 100%

< 표 1> 언론 매체 성격 별 원자력 관련 보도 건수

Page 27: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1. 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사고에 대한 매체 별 보도 프레임 분석

27

언론 매체의 정치적 성격에 따른 분류 전체

보수언론 진보언론

기사 본문 프레임

책임규명프레임빈도 36 35 71비율 50.7% 21.6% 30.5%

환경안전프레임빈도 3 42 45비율 4.2% 25.9% 19.3%

경제효용프레임빈도 14 6 20비율 19.7% 3.7% 8.6%

갈등대치프레임빈도 3 49 52비율 4.2% 30.2% 22.3%

민주합의프레임빈도 2 10 12비율 2.8% 6.2% 5.2%

정책의지프레임빈도 11 13 24비율 15.5% 8.0% 10.3%

기타빈도 2 7 9비율 2.8% 4.3% 3.9%

전체빈도 71 162 233비율 100.0% 100.0% 100.0%출처 : 박진우 , 이형민 , 한동섭 , 2014,「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사고에 대한 매체별 보도프레임 분석」 , 언론과학연구 , 14(2), 31-74.

< 표 2> 언론 매체의 정치 성격 차이에 따른 원자력 관련 보도 프레임 차이 검증 결과

Page 28: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1. 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사고에 대한 매체 별 보도 프레임 분석

< 표 3> 언론 매체의 정치 성격 차이에 따른 워자력 관련 보도 기사 논조 차이 검증 결과

언론 매체의 정치적 성격에 따른 분류 전체

보수언론 진보언론

기사 논조

긍정적빈도 19 1 20비율 26.8% 0.6% 8.6%

중립적빈도 21 11 32비율 29.6% 6.8% 13.7%

부정적빈도 31 150 181비율 43.7% 92.6% 77.7%

전체빈도 71 162 233비율 100.0% 100.0% 100.0%출처 : 박진우 , 이형민 , 한동섭 , 2014,「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사고에 대한 매체별 보도프레임 분석」 , 언론과학연구 , 14(2), 31-74.

28

Page 29: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1. 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사고에 대한 매체 별 보도 프레임 분석

< 표 4> 언론 매체의 정치 성격 차이에 따른 원자력 관련 보도 취재원 활용 경향

29

언론 매체의 정치적 성격에 따른 분류 전체

보수언론 진보언론

취재원 활용 경향

행정부요원총계 33 43 76비율 33.7% 21.2%

여당정치인총계 1 12 13비율 1.0% 5.9%

야당정치인총계 2 14 16비율 2.0% 6.9%

원자력관계자총계 44 32 76비율 44.9% 15.8%

시민단체총계 3 53 56비율 3.1% 26.1%

일반인총계 0 1 1비율 0% 0.5%

원전인근거주민총계 6 10 13비율 6.1% 4.9%

전문가총계 8 19 27비율 8.2% 9.4%

기 ; 타총계 1 19 20비율 1.0% 9.4%

전체 총계 98 203 301

출처 : 박진우 , 이형민 , 한동섭 , 2014,「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사고에 대한 매체별 보도프레임 분석」 , 언론과학연구 , 14(2), 31-74.

Page 30: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1. 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사고에 대한 매체 별 보도 프레임 분석

30

언론 매체의 지리적 차이에 따른 분류

전체전국 언론지역 언론

보수 언론 진보 언론

기사 본문 프레임

책임규명프레임빈도 36 35 61 132비율 50.7% 21.6% 21.5% 25.5%

환경안전프레임빈도 3 42 65 110비율 4.2% 25.9% 22.9% 21.3%

경제효용프레임빈도 14 6 1 21비율 19.7% 3.7% 0.4% 4.1%

갈등대치프레임빈도 3 49 40 92비율 4.2% 30.2% 14.1% 17.8%

민주합의프레임빈도 2 10 84 96비율 2.8% 6.2% 29.6% 18.6%

정책의지프레임빈도 11 13 33 57비율 15.5% 8.0% 11.6% 11.0%

기타빈도 2 7 0 9비율 2.8% 4.3% 0.0% 1.7%

전체빈도 71 162 284 517비율 100.0% 100.0% 100.0% 100.0%

출처 : 박진우 , 이형민 , 한동섭 , 2014,「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사고에 대한 매체별 보도프레임 분석」 , 언론과학연구 , 14(2), 31-74.

< 표 5> 언론 매체의 지리적 차이에 따른 원자력 관련 보도 프레임 차이 검증 결과

Page 31: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1. 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사고에 대한 매체 별 보도 프레임 분석

3) 연구결과

31

1 기자 개인적 차원의 기사 가치 판단이나 원자력에 대한 신념이

원자력 관련 보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언급함

하지만 보수 언론은 언론사 조직 내부적 입장 (stance) 이 원자력 관련 보도의 프레임이나 논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남

취재원 활용 역시 기사의 프레임이나 논조를 뒷받침하기 위한 도구로 이용함

보수 언론은 언론사 조직 외적인 차원인 보수 정부의 방침이 원자력 관련 기사의 프레임 , 논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보수 언론 기자 인터뷰 결과

Page 32: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1. 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사고에 대한 매체 별 보도 프레임 분석

3) 연구결과

32

2 원자력에 대한 신념과 기사 가치 판단이 일부 원자력 관련 보도

기사 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겠지만 , 그 영향력이 크지는 않을 것임

조직 내부의 분위기 , 취재원 공유 등이 보도 프레임 , 논조 , 취재원 활용 경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조직 외적인 차원에선 정부 , 시민단체 , 독자층의 반응과 같은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원자력 보도의 논조와 프레임이 결정함

진보 언론 기자 인터뷰 결과

Page 33: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1. 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사고에 대한 매체 별 보도 프레임 분석

3) 연구결과

33

3 전국 언론에 종사하는 기자들과는 달리 기자들의 원자력에 대한 신념과 기사 가치 판단이 원자력 관련 보도 건수와 논조에 큰 영향을 미침

지역 언론은 원자력 관련 보도를 진행하는 데 있어 기자 개인이 전국 언론에 종사하는 기자보다 다양한 취재원을 확보하고 있는 것이 원자력 보도 프레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짐

지역 언론은 조직 내 · 외부적 차원에서 지역 여론을 고려해 데스크에서 원자력 관련 보도의 보도 건수나 논조에 영향을 미침

지역 언론 기자 인터뷰 결과

Page 34: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1. 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사고에 대한 매체 별 보도 프레임 분석

34

출처 : 박진우 , 이형민 , 한동섭 , 2014,「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사고에 대한 매체별 보도프레임 분석」 , 언론과학연구 , 14(2), 31-74.

< 표 6> 언론 매체의 지리적 차이에 따른 원자력 관련 보도 기사 논조 차이 검증 결과

언론 매체의 정치적 성격에 따른 분류

전체전국 언론지역언론

보수언론 진보언론

기사 논조

긍정적빈도 19 1 0 20비율 26.8% 0.6% 0.0% 3.9%

중립적빈도 21 11 110 142비율 29.6% 6.8% 38.7% 27.5%

부정적빈도 31 150 174 355비율 43.7% 92.6% 61.3% 68.7%

전체빈도 71 162 284 517비율 100.0% 100.0% 100.0% 100.0%

Page 35: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1. 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사고에 대한 매체 별 보도 프레임 분석

< 표 7> 언론 매체의 지리적 차이에 따른 원자력 관련 보도 취재원 활용 경향언론 매체의 지리적 차이에 따른 분류

전체중앙일간지지역언론

보수언론 진보언론

취재원 활용 경향

행정부요원총계 33 43 58 134비율 33.7% 21.2% 16.7%

여당정치인총계 1 12 14 27비율 1.0% 5.9% 4.0%

야당정치인총계 2 14 22 38비율 2.0% 6.9% 6.3%

원자력관계자총계 44 32 84 100비율 44.9% 15.8% 24.2%

시민단체총계 3 53 112 168비율 3.1% 26.1% 32.3%

일반인총계 0 1 0 1비율 0% 0.5% 0.0%

원전인근거주민총계 6 10 25 41비율 6.1% 4.9% 7.2%

전문가총계 8 19 21 42비율 8.2% 9.4% 6.1%

기 ; 타총계 1 19 11 31비율 1.0% 9.4% 3.2%

전체 총계 98 203 347 648

출처 : 박진우 , 이형민 , 한동섭 , 2014,「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사고에 대한 매체별 보도프레임 분석」 , 언론과학연구 , 14(2), 31-74.

Page 36: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학습정리

참고문헌

보수 언론은 언론사 조직 외적인 차원인 보수 정부의 방침이 원자력 관련 기사의 프레임 , 논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침

진보 언론은 조직 내부의 분위기 , 취재원 공유 등이 보도 프레임 , 논조 , 취재원 활용 경향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 외적인 차원에선 정부 , 시민단체 , 독자층의 반응과 같은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원자력 보도의 논조와 프레임이 결정됨

지역 언론은 기자들의 원자력에 대한 신념과 기사 가치판단이 원자력 관련 보도 건수와 논조에 큰 영향을 미침

박진우 , 이형민 , 한동섭 , 2014,「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사고에 대한 매체별 보도프레임 분석」 , 언론과학연구 , 14(2), 31-74.

12

Page 37: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퀴즈 오늘 학습한 내용을 기억하여 , 아래 문제를 풀어봅시다 .

Q1 다음 내용을 읽고 내용이 옳으면 O, 틀리면 X 를 고르시오 .

보수 언론은 기자 개인적 차원의 기사 가치 판단이나 원자력에 대한 신념이 원자력 관련 보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침

13

해설 :보수 언론은 기자 개인적 차원의 기사 가치 판단이나 원자력에 대한 신념이 원자력 관련 보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언급함

Page 38: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과학 기술 이슈와 보도 프레임

원자력 발전소 사고에 대한 매체 별 보도 프레임 분석

동영상으로 학습하기

1 차시 .

2 차시 .

3 차시 .

4 주차│사회적 갈등으로서의 재난과 여론의 프레임 : 원자력발전소 인근지역주민을 중심으로

문과대학 언론정보학과 박한우 교수

Page 39: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학습목차

학습목표

keyword

1. 뉴스타파 : 블랙아웃 12 분 , 또 다른 후쿠시마2. 뉴스타파 : 원전묵시록 2014 '페센하임과 고리’3. YTN: '2017 년 ' 고리 원전 1 호기 ' 가동 중단 결론

39

원전 이슈를 다루는 언론 및 방송 사례를 통해 , 향후 과학 기술 보도의 방향을 도출할 수 있다 .

보도 프레임│원자력 발전│ 사회적 갈등│ 고리 원자력 발전소│ 블랙아웃

Page 40: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1. 뉴스타파 : 블랙아웃 12 분 , 또 다른 후쿠시마

40

우리나라 최초의 부산 기장군의 고리 원전1

동영상 내용

출처 : YouTube/ newstapa 채널 / 2013-01-21https://www.youtube.com/watch?v=ss54lvYABfc

상당수 주민은 원자로에서 1km 정도 떨어진 거리에서 생활2

고리 원전 1 호기에 전기 공급 중단 ( 블랙아웃 ) 과 폐쇄운동32012 년 고리 원전 1 호기에 전기 공급 중단 ( 블랙아웃 ) 으로 원자로의 냉각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았던 사건 이후로 주민들의 고리 원전 1 호기 폐쇄운동이 진행됨

블랙아웃이 12 분보다 더 확대됐다면4일본의 후쿠시마와 유사한 사건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음

Page 41: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41

한수원은 철저히 본 사태를 숨기고 , 한 달 후에 외부에 알려짐5정부의 원전정책 신뢰도 하락

동영상 내용

원전의 폐쇄성과 비밀주의를 극복하고자 민간환경감시기구 설치6사고현장의 조사권과 입회권이 없어 원전감시가 사실상 불가능

출처 : YouTube/ newstapa 채널 / 2013-01-21https://www.youtube.com/watch?v=ss54lvYABfc

1. 뉴스타파 : 블랙아웃 12 분 , 또 다른 후쿠시마

Page 42: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42

고리 원전 주변 거주민의 갑상선 암 발생과 한수원과의 소송1고리 원전 주변에 거주하는 한 주민이 갑산성 암에 걸린 가족들의 암 발병 원인과 관련하여 한수원과의 법정소송 사례 소개

소송에서 주민이 1 심에서 승소함

동영상 내용

출처 : YouTube/ newstapa 채널 / 2014-12-12https://www.youtube.com/watch?v=-O8GC_nM3AA

2. 뉴스타파 : 원전묵시록 2014 '페센하임과 고리’

위 사례로 고리 원전 주변의 갑산성 암 발병자의 최대 집단 소송2

Page 43: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43

동영상 내용

출처 : YouTube/ newstapa 채널 / 2014-12-12https://www.youtube.com/watch?v=-O8GC_nM3AA

2. 뉴스타파 : 원전묵시록 2014 '페센하임과 고리’

원전에서 벗어나 생명 , 안전이 돈보다 중요한 사회가 되어야 함

메가사이트 (6 기 이상의 핵발전소가 한 지역에 몰려있는 곳 ) 고리 원전

고리 원전 반경 30km 이내에 340만 명 거주

고리 원전 반경 30km 이내에 340만 명 거주

Page 44: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44

동영상 내용

출처 : YouTube/ YTN NEWS 채널 / 2015-06-12https://www.youtube.com/watch?v=j7LiYGrPAAM

3. YTN: '2017 년 ' 고리 원전 1 호기 ' 가동 중단 결론

후쿠시마 사건으로 인한 원전에 대한 불안감

2017 년 고리 원전 1 호기 가동 중단 결론

국내 최초 원전 가동 중단 결정임

후쿠시마 사건 이후 노후 원전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었고고리 원전 1 호기 수명연장은 여론의 반발을 일으킴

정부의 가동 중단 권고 결론 , 한수원에서 권고 수용

앞으로 문제는 안전하게 원전 해체 작업을 실행하고국민들의 불안감을 불식시키는 것

Page 45: 재난안전위험 사회와 정보소통4

이번 시간에는 4 주차 3 차시 동영상으로 학습하기를 통해 지난 학습내용을 되짚어 보았습니다 .

다음 시간에는 5 주차 네트워크 소통으로서의 재난관리전략 : 쇠고기 수입반대에 나타난 정부 - 시민 갈등 메커니즘에 대해 학습하겠습니다 .

수고하였습니다 .

45

차시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