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강 신체비율 체형...

16
제7강 신체비율, 체형 그리고 자세의 측정평가 SPORT & LEISURE STUDIES LEE CHAE SAN

Transcript of 제7강 신체비율 체형...

제7강신체비율, 체형

그리고 자세의 측정평가

SPORT & LEISURE STUDIES LEE CHAE SAN

신체비율의 측정

몸무게의 비율

• 몸무게의 비율=몸무게(kg)/키(cm)☓100

• 신체의 너비나 두께의 발육상태를 나타냄

• 키 몸무게, 상대적 몸무게, 신체 횡단지수 형태학적 계수,

비만지수 등으로도 불리어 짐

• 신장(높이)에 해당되는 질량

• 절대적 척도

인체측정의 결과 각 대상의 측정치만으로 그 실태를 파악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보다 나은 신체의 크기를 이해하고 평가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신체

비율을 산출하여 사용하고 있다.

가슴둘레의 비율

• 가슴둘레 비율=가슴둘레(cm)/키(cm)☓100

• 체격충실지수.

• 영양상태 판정

• 비례적 가슴둘레

표1.Brugsh형태분류

형태 지수

광흉형 55이상

정상흉형 50

협흉형 50이하

Kruse 지수=[가슴둘레(cm)]2☓100

앉은 키의 비율

• 가슴둘레 비율=앉은 키(cm)/키(cm)☓100

• 윗몸의 발육상태 지수.

• 다리 길이와 비교

• 비례적 가슴둘레

• Rohrrer's 지수=몸무게(kg)/키(cm)33☓107

• 신체충실지수

• 신체의 발육 및 영양상태 평가 타당도 떨어짐

• 키의 변량에 근거하여 해석

로러 지수Rohrer’s index

체형측정

유전적 체질 및 영양 질병 등의 환경적 영향을 받아형성된 신체형태의 모습. 體格 및 體質은 유전적 요인에 의 해 좌우되고, 자세는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음

시고드(Sigaud)의 분류

• 호흡기형(respiratory type): 가슴, 목, 얼굴 등 호흡기능

과 관계되는 부분이 현저하게 발달된 체형. 가슴이 특

별히 발달 한데 비하여 허리 부분의 발달이 빈약하고

얼굴이 중앙 부분이 발달하여 코가 크며 전신이 가늘고

다리가 긴 것이 특징

• 소화기형(digestive type): 소화기 계통의 각 부위가 양호

한 체형. 목과 가슴의 부분이 짧고 배 부분이 유난히 발달

하여 앞으로 나온 상태로써 배 부위의 피하지방이 많은

것이 특징

• 근육형(muscular type): 전신의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는

체형. 얼굴의 부분이 균형 잡혀 있고 어깨너비가 넓으며

가슴 부분이 발달되어 있는 것이 특징

• 두뇌형(cerebral type): 머리 부분이 발달된 체형. 몸체의

부분이 비교적 가늘고 연약한 편인데 반해 비교적 머리

부분이 크고, 또 얼굴에 비해 눈과 귀가 크며 팔다리 부분

이 유난히 빈약한 것이 특징

크레치머(Kretschmer)의 분류

• 비만형(pyknischer type): 몸무게, 가슴둘레, 허리둘레 등

의 몸통이 크고 운동기능이 좋지 않으며 순환성 기질을

가지고 있다. 얼굴이 넓고 둥글며 목이 짧고 굵다. 가슴과

배 부분이 현저하게 발달해 있으며 비교적 팔다리가 짧은

것이 특징

• 세장형(leptosomer type): 몸이 가늘고 긴 편이며 가슴 부

분이 좁고 피하지방이 적다. 운동기능이 열세하고 분열성

기질을 가지며 있으며 내향적, 비현실적임. 머리는 작지만

코가 길고 예리하게 생겼으며, 가슴이 좁고 목과 팔다리의

뼈와 근육이 빈약한 것이 특징

• 투사형(athletischer type): 키가 평균치 이상이고 전반적으

로 뼈대가 크며 가슴이 넓고 근육이 잘 발달된 균형잡힌 몸

매. 목이 길고 어깨가 넓으며, 팔다리 뼈대가 굵고 피부색도

양호. 운동기능이 좋고 온화한 성품을 가지고 있지만 때로

는 폭발적으로 분노하는 것이 특징

• 내배엽형(endomorphy): 소화기관이 잘 발달되어 있고 전

반적으로 둥근편 이며 비만형이다. 머리가 크고 둥글며, 목

이 짧고 두꺼우며, 가슴이 넓고 지방질이 많으며, 팔이 짧고

굵으며, 배가 쳐져 있으며, 엉덩이에 살이 찌고 무겁게 보이

며, 발이 짧고 굵은 모양을 지닌 체형. 근육과 뼈의 발육이

좋지 않음은 물론 심장병, 당뇨병, 고혈압, 신장염 유병율

높음

• 중배엽형(mesomorphy): 뼈와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고 전

신이 균형 잡혀 있으며, 스포츠 활동하기에 가장 이상적인

체형. 힘이 强하고 스포츠맨처럼 强壯해 보임

셀돈(Sheldon)의 분류

• 외배엽형(ectomorphy): 피부조직, 신경 및 감각계통이 잘

발달되어 있으나 피하지방, 근육, 뼈 등의 발육이 부진하

고 가늘며 긴 體型. 팔다리의 근육이 빈약하고 소화기가

불량하여 소화기 질병, 혹은 정신질환에 걸리기 쉬움

자세관리의 배경 및 필요성

• 자세는 인체 여러 부위의 정렬과 관련, 운동과제에서 일어나는 신체 모든 관절의 위치 합성• 자세의 배치에 따라 특정 근육의 일, 각 관절에걸리는 부하의 크기가 달라 짐• 일상의 운동이나 생활동작 및 습관에 따라 일생동안 변화• 근, 뼈 계통에 미치는 영향력 큼

움직임 현장과 움직임 과학영역에서필수사항

자세의 중요성

• 신경근 효율성이란 신경계와 근육계가 최적의움직임을 적절히 생성해내며 소통하는 능력을 의미

• 올바른 자세는 최적의 신경근 효율성으로 연관되기때문에 효과적이고 안전한 운동수행에 도움

• 자세를 바로 잡음으로써 근육들로 하여금 적절한길이를 유지하며 서로 알맞게 작용하도록 힘으로써적절한 관절운동을 확보할 수 있으며, 힘의 생성력은최대화하고 부상의 위험도는 감소 시킴

엎침비틀림증후군

발이 안쪽으로 굽어지는 평발과 무릎이 안쪽으로 모이며 회전하는안짱다리로 특징지어지는 자세비틀림증후군(발바닥근막염, 앞쪽

정강근 힘줄염(정강이 통증), 무릎힘줄염, 허리통증)

하지교차증후군

골반이 있는 앞쪽을 향하는 기울임(허리굽음)으로특정 지어지는자세비틀림증후군(넙다리뒤인대 복합체 염좌, 앞쪽 무릎통증, 허

리통증)

상지교차증후군

머리가 앞쪽을 향하고 어깨가 굽은자세로 특징지어지는 자세비틀림증후군(두통, 두갈래근힘줄염, 돌림근띠의 부딪힘, 가슴문증후

군)

1) 안정법칙: 불필요한 근육의 피로를 피하고 안정감을 얻기 위해 긴장을풀고 이완 된 자세

2) 비대칭 법칙: 자연스러운 자세는 편안함을 취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나타나는 비대칭 자세

3) 교대법칙: 편안한 자세도 그 자세를 계속 유지하면 피로가 누적되어 다른 자세로 바꾸려고 함

• 중력에 저항하여 신체 각 부위의 균형에 의하여 유지 되며 신경, 근육, 골격계의 상호조화에 의함

• 성별, 연령, 인종 등에 따라 다양하지만일반적으로 적용되는 표준자세를설정하여 비교함으로써 자세에 대한 적절한 평가를 해야 함

• 주요부위의 구조 및 기능과 나쁜 자세의 원인 등을 폭넓게 살피는 것이자세 전반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나쁜 자세의 예방 및 자세교정을 위한 치

료 방법을 수립하는 데 도움 됨

Souriau의 자세법칙

좋은 자세와 나쁜 자세

감사합니다Q & A

차시 예고; 제8강 체력요인 측정

출처: 한국스포츠개발원, 김경훈 등 역(2014). 퍼스널트레이닝. 한미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