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CT 3D프린팅대구센터 · 2016-06-16 · K-ICT 3D프린팅대구센터...

2
K-ICT 3D프린팅대구센터 창의공작터&맞춤제작터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 80 경북대학교 글로벌플라자 124호 창의공작터 TEL. 053)000-0000 / FAX. 053)000-0000 www.OOOOOOO.co.kr 시제품 제작 지원 장비 12종 기술확산장비 : 총 6종(81대) 3.2억원 규모 3D정밀프린터 3D컬러프린터 피코/펨토초 레이저 ·다양한 제품의 형상제작 ·다양한 제품의 형상제작 ·고정밀 가공 시편가공기 진공건조기 고출력 Nd:YAG 레이저 ·시편 가공 ·시료 진공 건조 ·고출력 레이저 가공 교육용 3D프린터 교육용 3D설계툴 모바일그래픽스 교육셋 ·3D형상 제작 교육 ·3D형상 설계 교육 ·모바일 그래픽스 실습 임베디드 시스템장비 실습용 모바일 개발KIT 3D 실습셋 ·3D형상 제작 교육 ·3D형상 설계 교육 ·모바일 그래픽스 실습

Transcript of K-ICT 3D프린팅대구센터 · 2016-06-16 · K-ICT 3D프린팅대구센터...

Page 1: K-ICT 3D프린팅대구센터 · 2016-06-16 · K-ICT 3D프린팅대구센터 창의공작터&맞춤제작터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 80 경북대학교 글로벌플라자

K-ICT 3D프린팅대구센터창의공작터&맞춤제작터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 80 경북대학교 글로벌플라자 124호 창의공작터

TEL. 053)000-0000 / FAX. 053)000-0000

www.OOOOOOO.co.kr

시제품 제작 지원 장비 12종

기술확산장비 : 총 6종(81대) 3.2억원 규모

3D정밀프린터 3D컬러프린터 피코/펨토초 레이저

·다양한 제품의 형상제작 ·다양한 제품의 형상제작 ·고정밀 가공

시편가공기 진공건조기 고출력 Nd:YAG 레이저

·시편 가공 ·시료 진공 건조 ·고출력 레이저 가공

교육용 3D프린터 교육용 3D설계툴 모바일그래픽스 교육셋

·3D형상 제작 교육 ·3D형상 설계 교육 ·모바일 그래픽스 실습

임베디드 시스템장비 실습용 모바일 개발KIT 3D 실습셋

·3D형상 제작 교육 ·3D형상 설계 교육 ·모바일 그래픽스 실습

Page 2: K-ICT 3D프린팅대구센터 · 2016-06-16 · K-ICT 3D프린팅대구센터 창의공작터&맞춤제작터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 80 경북대학교 글로벌플라자

스마트 창업 선순환 체계 구축

센터소개 수행내용 장비이용절차

대구권역 지역 수요 및 전략산업과 연계하여 패션웨어, 피규어, 전자정보,

스마트디바이스 분야의 3D프린팅 활용 지원을 위한 전문센터 구축

> 창의공작터

대구시 북구 대학로 80 경북대학교 글로벌플라자 124호

·절차에 따라 장비 및 시설이용 신청을 한 누구에게나 오픈된 창의공간

·비전문가도 3D프린팅 장비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 상주

> 맞춤제작터

대구광역시 북구 연암로 40(경북도 교육청 별관2 1층, 2층)

·3D프린팅에 관한 전문제작지원이 가능

·설계부터 후처리 공정까지 일괄 지원

·전문가 또는 기업을 대상으로 회원제로 운영

·제품화 및 사업화에 대한 선택과 집중 지원

> 체험ㆍ교육지원 (수시 & 정기)

3D프린터, 3D스캐너 활용을 위한 수준별 교육 프로그램 개설 및 3D

모델링 소프트웨어 교육 등 수요자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추진

·3D프린팅 기술과 지역특화 산업의 발전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3D프린팅의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

·기업맞춤형전문가교육 & 초·중·고·대학생 및 일반을 위한 체험교육

> 장비활용 (수시 & 정기)

지역특화산업 지원이 가능한 산업용 3D프린터 외 11종의 장비를 활용

하여 재직자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전문인력양성 및 비즈니스 모델 발굴

> 상용화 지원(정기)

스마트 디바이스와 맞춤형 생활용품 분야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

및 확산을 위해 자금지원, 경진대회 개최, 전문서비스 제공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지역 기업의 新비즈니스 모델 발굴·지원·확산

<사업화자금지원목록>

※ 세부 사업별 기업지원금액은 문의 바랍니다.

·패키지지원의 경우 기업당 연간 2,000만원 이내 지원

·공급가액을 제외한 총 금액의 80%이내 지원

(중소기업의 경우 기업분담금 20%)

창업 붐 조성 창업문화 정립 지원체계 확립 성장 토대 구축

·대규모홍보·창업콘서트·재창업/재도약 촉진

·도전정신 중시·아이디어 평가·엔터쉽/후견인 제도

·혁신적 인프라 구축·맞춤형 인프라 운영·멘토링 체계화

·글로벌 마케팅·투자연계 지원·국책사업 연계 지원

스마트 창업 선순환 체계 구축

(재)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대은경제연구소·대경창업투자·대성창업투자·KTB

·기술보증기금·신용보증기금

·특허정보원·발명진흥원·변리사

·차세대 게임협회·IT여성기업인협회·대경ICT산업협회

·창업학교·크리에이티브팩토리

(C-LAB)

(K-ICT디바이스랩)3D프린팅종합지원센터

VC

기관

특허

협회 창업기관

대구테크노파크

창조경제혁신센터

사업화,후속지원인프라활용

사업화,후속지원인프라활용

디자인 지원인프라 활용

창업투자

기술,상업성평가

기술이전,지재권 출원 등 현장실습

후견인 검토창업공동지원창업자 발굴

창업 붐 조성,아이디어 발굴

장비 활용 절차 활용대상

전문 인력

온/오프라인 신청서 작성 및 제출·온/오프라인 장비 신청서 작성 및 제출

·장비 사용 승인 후 장비 활용

·결과물 확인 및 수수료 납부

·장비 신청서 검토 및 승인

·장비 스케줄 확인 및 상담

·수수료 책정 및 장비 선정

전문가 상담 및 장비 선정

수수료 책정

장비 활용

결과물 수령 및 수수료 납부

↓↑ (장비활용지원)↓

> 장비이용절차

보급형 3D프린터 컬러 3D프린터네트웍 및 전산장비,

워크스테이션 등

·편의성을 고려한 사용법

·일반인 개방 용이

·교육 활용도 높음

·풀컬러 표현

·다양한 기술 보유

·전문인력 양성 용도

·디자인 작업 가능

·편의성을 고려한 UI/UX

·3D프린터 호환

패션웨어 피규어 전자정보 스마트디바이스

·산업용 3D프린터

·보급형 3D스캐너

·표면약품 처리장비

·대형 스캐너부스

·샌딩장비, 도색박스

·컬러 3D프린터

·산업용 3D프린터

·표면 처리장비

·표면약품 처리장비

·보급형 3D프린터

·보급형 3D스캐너

·샌딩장비지원내용 지원기간 지원형태

·(역)설계 및 모델링

·소량생산 지원

·시제품제작 지원

·지식재산권 확보 지원

최대 5개월 이내 사전공고를 통해

신청접수

·일반장비운영 : 재직자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전문인력양성 및 개방형

체험실습(오픈 플랫폼형)으로 장비 운영

·특화장비운영 : 지역특화산업 지원이 가능한 산업용 3D프린터외 7종의

장비 운영

> 기술활용기반조성

·공유플랫폼운영 : 지역 전문정보의 생산 및 공유기반 구축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

·산학연 네트워크 운영 : 3D프린팅 관련 기관의 정보 공유 및 협력

네트워크 구축

·3D모델(콘텐츠)정보, 3D프린터를 비롯한 장비정보, 3D프린팅 활용

사례 등 관련 정보 공유

·시제품 제작에 필요한 설계·디자인 파일을 수요자에게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