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45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 2020. 01. 02. 부산시 북구 담당: 건강증진과(북구보건소)

Transcript of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Page 1: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

2020. 01. 02.부산시 북구

담당: 건강증진과(북구보건소)

Page 2: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I. 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 자살예방시행계획의 필요성❍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2018년 26.6명으로 OECD 회원국 평균 자살률(12.0명)과 비교하여 월등히 높은 수준이며 2017년 대비 2.3명이 증가하였음.❍ 자살은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구조적인 문제이며, 이에 따라 자살사망률을 낮추기 위해 국가 및 지자체에서는 관련법 제정 및 다양한 자살예방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자살예방사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국가적인 차원의 자살예방 전략과 정책방향을 이해하고, 지역특성을 분석하여 이에 맞는 전략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함. ❍ 2018년 북구 자살률은 부산시 평균(27.9명)보다는 낮음.❍ 2016년 26.6명으로 다시 증가하는 양상으로 보이다가 2017년 23.6명으로 감소하기 시작했으나 2018년 26.8명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OECD 평균 자살률(12.0명)로 낮추기 위해 우리 구 실정에 맞는 자살예방 대책이 필요함.(※ 2018년 우리나라 평균 자살률 26.6명 )

2. 수립 근거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 - 제7조(자살예방기본계획의 수립) - 제8조(연도별 시행계획의 수립․시행 등) - 제13조(자살예방센터의 설치) ❍ 부산광역시 북구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조례(2016.3.23.제정) - 제5조(자살예방시행계획의 수립 등)

Ⅱ. 부산시 북구의 자살 현황

1. 부산시 북구의 일반 현황 및 특성 1) 지역사회현황 가. 지역현황* (*출처: 부산 북구청 인구통계 - 2019년 12월 기준)

❍ 인구 : 291,337명 (남자 144,356명, 여자 146,981명)

❍ 가구 : 120,061세대

❍ 인구밀도 : 7,399명/㎢

❍ 면적 : 39.36㎢ (부산의 5.1%)

❍ 행정구역 : 13개동 (구포 1-3동, 금곡동, 덕천 1-3동, 만덕 1-3동, 화명1-3동)

나. 지역특성

❍ 북구는 낙동강 하류에 자리 잡고 있으며 북으로는 양산시 동면과 경계한 금곡동에서부터 남으로는 사

상구 모라동과 경계 지점인 구포2동에 이르기까지 8.9㎞에 걸친 대상형으로 도로가 형성되어 있음.

Page 3: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그림 . 부산북구 행정구역 지도〉

❍ 북구지역의 기존 중심지인 덕천·구포지역은 덕천교차로 일대를 중심으로 유통·금융서비스업 중심지로,

화명·금곡지역은 화명신시가지 조성으로 문화·교육의 중심지로 크게 성장하고 있으며, 만덕지역은 주거

환경개선사업 시행 등으로 깨끗하고 아름다운 미래지향적 도시로 거듭나고 있음.

❍ 신 대구-부산간 고속도로, 경부선 철도, 남해고속도로, 지하철2․3호선의 통과로 도심 및 외곽지역과 유

기적으로 연결되고 있으며, 다대항 배후도로와 함께 산성터널이 완공되어 명실상부한 서북부산의 관문

이자 부산교통의 요충지임.

❍ 북구에서는 낙동강 구포나루 축제, 구포장터놀이, 만덕사람들의 가을 은행잎 축제 등 각종 축제 행사가

진행되며, 최근 화명생태공원에서 2019 BOF 원아시아페스티벌이 개최되는 등 다양한 문화 행사로 각

광받고 있음.

❍ 북구 내에는 경혜여자고등학교, 금곡 고등학교 등 9개의 고등학교가 존재하며, 가람중, 구포중 등 17의

중학교, 27개의 초등학교가 존재해 교육의 지리적 편리성을 가지고 있음.

Page 4: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가) 일반 인구현황

① 북구 인구현황

(출처 : 북구청 통계자료, 2019년)

연령

북구 부산

계(2019년) 계(2018년) 계(2019년) 계(2018년)

인구(명) 구성비(%) 인구(명) 구성비(%) 인구(명) 구성비(%) 인구(명) 구성비(%)

0~9세 20,475 7.0 21,660 7.3 243,773 7.1 251,442 7.3

10~19세 25,433 8.7 27,032 9.1 284,489 8.4 296,145 8.6

20~29세 39,767 13.6 41,462 14.0 437,244 12.7 444,737 12.9

30~39세 35,484 12.1 37,519 12.6 437,460 12.9 454,711 13.2

40~49세 42,416 14.6 44,149 14.9 518,175 15.1 527,047 15.3

50~59세 56,545 19.5 57,577 19.4 585,213 17.2 593,189 17.2

60~64세 25,530 8.8 24,428 8.2 292,972 8.6 284,221 8.3

65세이상 45,687 15.7 43,125 14.5 617,395 18.0 587,943 17.1

계 291,337 100 296,952 100 3,416,721 100 3,441,453 100

② 의료취약 인구현황(자료 출처: 공공데이터포털, 2019년 10월)

독거노인수 정신장애인수 기초생활수급자 저소득 모자가정

12,342 819 47,402 986

③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현황

(자료 출처: 공공데이터포털, 2019년 10월)

맞춤형 급여 기초생계급여 기초의료급여 기초주거급여 기초교육급여

가구수 인원(명) 가구수 인원(명) 가구수 인원(명) 가구수 인원(명) 가구수 인원(명)

계 34,180 46,923 9,845 13,236 10,590 14,526 12,314 17,166 1,431 1,995

Page 5: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구분인구(명)

구성비(%)계 남 여

부산시 전체 8,190 4,246 3,944 100.00

중구 102 46 56 1.24

서구 490 299 191 5.98

동구 297 172 125 3.62

영도구 487 251 236 5.94

부산진구 791 420 371 9.65

동래구 438 227 211 5.34

남구 556 296 260 6.78

북구 819 413 406 10.00

해운대구 794 404 390 9.69

≪ 부산 북구 인구 현황 요약 ≫

■ 북구 거주 인구를 부산 시내 다른 구와 비교하면 16개 자치구 중 4번째로 큰 인구 규모임. ■ 연령별분포를 살펴보면 40대~50대가 가장 많고 65세 이상의 연령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 북구의 인구는 2005년을 정점(336,483명)으로 2006년도부터 매년 감소하고 있으나 2012년 말부터

화명동 신도시 조성으로 인해 다시 증가, 감소 반복하고 있음. ■ 의료취약계층의 인구 비율은 노인인구수를 제외하고도 전체 인구의 5.9%에 해당됨. ■ 정신장애인 수는 2017년 834명, 2018년 829명, 2019년 819명으로 감소추세를 보임.

나) 정신건강 위험인구 현황 ① 정신질환 추정 수(2019년 11월 북구인구 기준)

구분북구

추정환자수 (명)

2016년 2011년

1년 유병률(%) 1년 유병률(%)

조현병 스펙트럼장애 582 0.2 0.4

기분장애 5,826 2.0 3.5

불안장애 17,188 5.9 6.8

알코올사용 장애 11,944 4.1 4.7

모든 정신장애 37,291 12.8 15.4

(2016년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② 정신장애인 등록 수

(자료 : 2019년 6월 부산광역시청 장애인등록현황)

Page 6: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 부산 북구 정신건강 위험인구 현황 요약 ≫

■ 2016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결과 모든 정신질환 1년 유병률은 12.8%으로, 이는 2011년 기준 15.4%보다 다소 감소하였으나 유의미한 변화는 없음. 조현병 스펙트럼장애, 기분장애, 불안장애, 알코올사용 장애 대부분에서 소량 감소함.

■ 부산광역시 북구 정신질환 추정 인구수는, 북구 지역 인구 291,337명(2019년 11월 30 일 기준)을 정신질환 1년 유병률 12.8%로 계산하면 37,291명이 정신질환으로 고통 받고 있다고 추정됨.

■ 북구는 부산광역시 16개 구·군 중 2번째로 정신 장애인이 많이 거주하며, 매년 큰 폭으로 증가했으나 2019년(815명)의 경우, 2018년(828명)에 비해 1.57% 감소함. 하지만 2019년 북구의 총 인구수도 2018년(297,465명)에 비해 2.06% 감소하였기에 총 정신장애인의 수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음. 또한, 금곡동의 경우 타 동에 비해 정신장애인의 수가 북구 지역 내의 35%를 차지하고 있어 금곡동 주민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관리와 사업에 집중할 필요가 있음.

사하구 992 421 571 12.11

금정구 575 303 272 7.02

강서구 123 63 60 1.50

연제구 398 233 165 4.85

수영구 363 186 177 4.43

사상구 718 395 323 8.76

기장군 247 117 130 3.01

③ 동별 정신장애인 등록현황

(자료 : 2019년 11월 부산광역시 시청 장애인등록현황)

구분 계 구포1 구포2 구포3 금곡 덕천1 덕천2 덕천3 만덕1 만덕2 만덕3 화명1 화명2 화명3

계(명) 815 33 59 47 291 89 21 83 28 57 34 30 22 21

④ 북구 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질환 등록관리현황

(2019년 11/30 기준 부산북구정신건강복지센터)구분 계 구포동 금곡 덕천동 만덕동 화명동

계(명) 196 19 81 61 14 20

Page 7: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2018년

전국

2017년

전국

2016년

전국

2018년

부산

2017년

부산

2016년

부산

2018년

북구

2017년

북구

2016년

북구

스트레스 인지율 (%) 26.4(↓) 27.6(↑) 24 22.9(↓) 27.6(↑) 27.0 18.9(↓) 23.2(↓) 24.3

우울감 경험률 (%) 5.0(↓) 6.3(↑) 5.8 6.0(↓) 6.4(↑) 6.1 4.0(↑) 3.3(↓) 5.4

정신문제

상담경험률(%)- - - - - - 3.7 - -

➄ 정신보건 관련 지역 건강수준 (자료원 : 질병관리본부 2018년 지역사회 건강통계)

⚫ 스트레스 인지율

북구지역 내 스트레스 인지율은 2016년 24.3%, 2017년 23.2%, 2018년 18.9%로 부산광역시 22.9%에 비해 유의하게 낮음. 성별로는 남자 18.9%, 여자 18.8%이며 연령군 별로는 50대에서 가장 낮았음. (자료원 : 질병관리본부 2018년 지역사회 건강통계)

⚫ 우울감 경험률 우울감 경험률은 2016년 5.4%, 2017년 3.3%,2018년 4.0%로 증감을 반복하고 있으며, 부산시 2018년 6.7%에 비해 유의하게 낮음. 연도별로는 2008년 이후 증가 추세였으나 2017년에는 감소함. 성별로는 남자 2.9%, 여자 4.9%였으며 연령별로는 60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19-29세에서 가장 낮음.

(자료원 : 질병관리본부 2018년 지역사회 건강통계 )

⚫ 정신문제 상담 경험률 정신문제 상담경험률은 3.7%였으며 성별로는 남자 2.8%, 여자 4.7%임. 연령군별로는 50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30대에서 가장 낮음.

Page 8: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부산 북구 정신건강 위험인구 현황 요약≫

■ 스트레스 인지율은 북구에서 16년 24.3%, 17년 23.2%, 18년 18.9%으로 점점 낮아지고 있음. 전국, 부산, 북구를 비교하였을 때 점점 감소하는 추세임. 그리고 2018년 북구 내에서 40대의 스트레스 인지율이 23.5%에서 24.1.%로 상승하였고 가장 높은 연령대임. 사회생활과 직장생활을 하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한 정신건강사업이 필요함. 또한, 사회생활을 하기 전인 청년 기간부터 적극적인 정신질환 및 스트레스 관련 사업을 하여 정신질환 예방사업이 시급한 상태임.

■ 우울감 경험률은 북구에서 16년 5.4%, 17년 3.3%였으나 18년 4.0.%로 다시 증가하는 추세임. 같은 해 부산 6.0%, 전국 5.0%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음.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17년 기준 북구 주민들 30대에서 5.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18년도에는 60대에서 6.4%로 가장 높게 나타나며 70대 이상이 6.1%로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나 노인인구의 정신건강사업이 필요함.

■ 정신문제 상담 경험률은 3.7%였으며 성별로는 남자 2.8%, 여자 4.7%임. 연령별로는 50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30대에서 가장 낮게 나타나 직장인 또는 장년층 위주의 센터 홍보사업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 질병관리본부 2018년 지역사회 건강통계)

Page 9: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기 관 명 소 재 지 전화번호 비 고

금곡동 53-1 주공1단지 내 363-2063 대상자 서비스 연계 및 의뢰 / 사례관리

금곡종합사회복지관 금곡동 810-1 주공8단지 옆 332-4527 대상자 서비스 연계 및 의뢰

남산정종합사회복지관 덕천1동 산 8-9 기비골아파트내 342-8206 대상자 서비스 연계 및 의뢰

덕천종합사회복지관 덕천3동 809 덕천주공아파트내 331-4674협약 기관 / 대상자 서비스 연계

및 의뢰 / 정신장애인 사례관리 지원사업 컨소시엄

동원종합사회복지관 금곡동 98-1 주공 2단지내 361-0045 대상자 서비스 연계 및 의뢰 / 사례관리

장선종합사회복지관 구포3동 1255-2 336-7007 대상자 서비스 연계 및 의뢰

화명종합사회복지관 화명1동 2310 338-2233 대상자 서비스 연계 및 의뢰

화정종합사회복지관 금곡동 1108 주공4단지 내 362-0111협약 기관 / 대상자 서비스 연계

및 의뢰 / 정신장애인 사례관리 지원사업 컨소시엄

만덕종합사회복지관 만덕2동 949-1 332-8004 북구 CI사업 대표기관 / 대상자 서비스 연계 및 의뢰

다) 지역 자원의 현황

① 북구 내 정신의료기관 현황

기 관 명 소 재 지 전화번호 비 고

아하브병원 만덕1동 73-20 333-8600 정신과 병동, 대상자 연계 및 의뢰

이상경 정신과의원 덕천2동 336-6500

대상자 연계 및 의뢰

이상수 정신과의원 화명동 2277-3 3층 341-7721

참 정신과의원 덕천2동 400-16 상명빌딩 5층 336-8520

김윤원 정신과의원 덕천2동 399-16 5층 361-8875

부민병원 덕천1동 380-4 330-3000 정신과 외래 / 대상자 연계 및 의뢰

윤태호 정신과의원 덕천동 399-1 덕천빌딩 2층 336-7474 협약 의료기관 / 대상자 연계 및 의뢰

김규호 정신과의원 화명동 2287-3 714-1383 정신과 외래 / 대상자 연계 및 의뢰

덕천엘 정신과의원 만덕대로 16, 5층 710-7009 정신과 외래 / 대상자 연계 및 의뢰

로뎀 정신병원 화명대로 20, 대성빌딩 1001호 711-9885 정신과 병동, 대상자 연계 및 의뢰

② 사회복지시설 현황

Page 10: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집 구포동 1203-7 청호빌라 102 338-5565 장애인 공동생활가정 / 대상자 의뢰 접수

무지개 그룹홈 구포2동 1011-7 331-6617 아동․청소년 그룹홈 / 대상자 의뢰 접수

로뎀복지원 덕천2동 452-3 338-9117 서비스 연계 및 이용

로뎀 직업재활센터 덕천1동 412-3 343-7798 서비스 이용 및 연계

미네르바의 집 구포3동 1255-2 343-3866 아동복지시설 / 대상자 의뢰 접수

부산뇌병변장애인복지관 금곡동 1883 333-3888 대상자 서비스 연계 및 의뢰

부산시 맹인복지관 구포3동 1254-3 338-0017 대상자 서비스 연계 및 의뢰

부활의 집 구포2동 776-1 338-1924 노숙자 쉼터 / 대상자 의뢰 접수

북구자활후견기관 구포1동 690-3 341-9841취업기회제공 / 대상자

서비스 연계 및 의뢰

북부산수화통역센터 구포2동 932-35 337-3940 대상자 관련 서비스 연계 및 의뢰

사랑나눔의 집 덕천1동 360-16 성락교회 내 334-5712 장애인 공동생활가정 /

대상자 의뢰 접수

삼동재가노인봉사센터 덕천3동 808 343-5685 대상자 관련 서비스 연계

실버벨노인종합복지관 구포3동 1255-2 337-5959 대상자 서비스 연계 및 의뢰

장애인종합복지관

북구분관 화명동 2271-6 332-2923 대상자 서비스 연계 및 의뢰

정화양로원 화명동 298 332-3996 대상자 서비스 연계 및 의뢰

정화요양원 화명동 298 332-6810 대상자 서비스 연계 및 의뢰

진주홈 덕천3동 406 한성@1-512 552-9024 장애인 공동생활가정 / 대상자 의뢰 접수

청록복지센터 만덕2동 376-35 337-0660 서비스 이용 및 연계

평화의집 화명동 2동 254 331-4344장애인생활시설 / 대상자

의뢰 접수

③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현황

기 관 명 소 재 지 전화번호 비 고

부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남구 대연3동 246-7574

대상자 연계 및 의뢰, 교육 및 프로그램 연계해운대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해운대구 반송동 545-1172

사상구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사상구 모라동 988-1191

양산시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양산시 중부동 055-388-4000

Page 11: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기 관 명 소 재 지 전화번호 비 고

영도구 동삼동 403-4388 대상자 연계 및 의뢰, 사회재활프로그램 연계

동래직업재활센터 금정구 남산동 581-4165 대상자 연계 및 의뢰, 직업재활 및 사례관리 연계

보듬자리 금정구 장전2동 518-5849 대상자 연계 및 의뢰, 주거시설 연계

사직클럽하우스 동래구 사직2동 503-8785 대상자 연계 및 의뢰, 사회재활프로그램 연계

소테리아하우스 사상구 덕포동 302-0655대상자 연계 및 의뢰, 사회재활프로그램 및 주거시설

연계

송국클럽하우스 해운대구 우1동 747-0578 대상자 연계 및 의뢰, 사회재활프로그램 연계

아미정신건강센터 서구 아미동 244-2005대상자 연계 및 의뢰, 사회재활프로그램 및 주거시설

연계

위캔클럽 동래구 온천3동 507-8008대상자 연계 및 의뢰, 사회재활프로그램 및 직업재활

연계

참살이사회복귀시설 동래구 온천2동 554-0562대상자 연계 및 의뢰, 사회재활프로그램 및 직업재활

연계

컴·넷 하우스 수영구 망미1동 759-1268 대상자 연계 및 의뢰, 사회재활프로그램 연계

한미래사회복귀시설 진구 양정1동 646-7425 대상자 연계 및 의뢰, 사회재활프로그램 연계

행복한집 남구 문현3동 635-5548 대상자 연계 및 의뢰, 주거시설 연계

기 관 명 소 재 지 전화번호 비 고

아하브병원 북구 만덕동 051-333-8600 정신과 병동 / 대상자 연계 및 의뢰

연산병원 연제구 연산동 051-866-5050 정신과 병동 / 대상자 연계 및 의뢰

나눔과 행복병원 동래구 온천3동 051-507-7011협약 의료기관 / 낮병원, 사회복귀시설 / 대상자 연

계 및 의뢰

새안락병원 동래구 안락동 051-524-2111 정신과 병동 / 대상자 연계 및 의뢰

상록병원 동래구 온천동 051-555-8009 정신과 병동 / 대상자 연계 및 의뢰

온사랑병원 동래구 온천동 051-555-0808 알코올전문 / 대상자 연계 및 의뢰

동래병원 금정구 두구동 051-508-0011 정신과 병동 / 대상자 연계 및 의뢰

마음향기병원 금정구 장전동 051-516-1220 정신과 병동 / 대상자 연계 및 의뢰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진구 개금동 051-890-6116 정신과 병동 / 대상자 연계 및 의뢰/

④ 사회복귀시설·주거시설 현황

⑤ 정신요양시설 현황

기 관 명 소 재 지 전화번호 비 고

그리스도정신요양원 서구 아미동2가 89-155 257-0103 대상자 연계 및 의뢰

자매정신요양원 사하구 괴정3동 245 207-3845 대상자 연계 및 의뢰

⑥ 정신의료기관 - 정신전문병원 현황

Page 12: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그림 4. 2009-2018년 전국 자살자 수(10만 명당) 추이 (통계청, 2019)

그림 5. 2009-2018년 전국 자살률(10만 명당) 추이 (통계청, 2019)

기반자살시도자 관리

BH정신과의원 남구 대연동 051-633-6665 정신과 병동 / 대상자 연계 및 의뢰

대연성모병원 남구 대연동 061-622-2525 정신과 병동 / 대상자 연계 및 의뢰

가나병원 남구 대연동 051-624-6666 정신과 병동 / 대상자 연계 및 의뢰

부산시립정신병원 사상구 학장동 051-312-2288 협약 의료기관 / 대상자 연계 및 의뢰, 응급입원 의뢰

사상중앙병원 사상구삼락동 051-555-8009 대상자 연계 및 의뢰, 응급입원 의뢰

주례자연병원 사상구 학장동 051-314-2280 정신과 병동 / 대상자 연계 및 의뢰

대남병원 사상구 학장동 051-324-2228 정신과 병동 / 대상자 연계 및 의뢰

해운대 자명병원 해운대구 우2동 051-747-8350협약 의료기관 / 아동․청소년 특화 /

대상자 연계 및 의뢰

밝은마음신경정신과의원 해운대구 우동 051-746-7272 정신과 병동 / 대상자 연계 및 의뢰

해운대 백병원 해운대구 좌동 051-797-0100정신과 병동 / 대상자 연계 및 의뢰/

응급실 기반자살시도자 관리

부산대학교병원 /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서구 아미동 051-254-0171

정신과 병동 / 대상자 연계 및 의뢰/

응급실 기반자살시도자 관리

부산정신병원 사하구 장림동 051-263-8892 정신과 병동 / 대상자 연계 및 의뢰

다대자연병원 사하구 장림동 051-204-5004 정신과 병동 / 대상자 연계 및 의뢰

2. 부산시 북구의 자살 현황 및 추이 ❍ 전국 현황

☞ 2018년 우리나라 자살자는 총 13,670명으로 전년대비 1,207명 증가하였고,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은 26.6명으로 전년대비 2.3명 증가하였음. 연도별 자살률 변화추이를 보면 2013년에 감소세를 보였으나 2017년 이후 증가하는 양상임.

※ 우리나라 자살 실태 (2017 정신질환실태조사) ☞ 성인의 15.4%는 평생 한 번 이상 심각하게 자살을 생각하고, 3%는 자살을 계획하며, 2.4%는 자살을

시도함. - 최근 1년 사이에는 성인의 2.9%가 한 번 이상 심각하게 자살을 생각하고, 0.4%가 자살을 계획하며,

Page 13: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구분2016년 2017년 2018년

전국 부산 북구 전국 부산 북구 전국 부산 북구자살자 13,092 943 82 12,463 907 72 13,670 952 80자살률 25.6 27.2 26.6 24.3 26.3 23.6 26.6 27.9 26.8

2008--2018 부산 북구 자살자수와 자살률 현황 (통계청, 2018) 2012-2018 부산시 비교 북구 자살자 현황 (통계청, 2018)

2018 부산광역시 구·군별 자살률 (통계청, 2019)

0.1%가 자살을 시도함. - 최근 1년 간 자살시도를 한 사람은 10만 8천명으로 추산됨. - 자살생각을 한 경우의 50.1%, 자살계획을 한 경우의 68.7%, 자살시도를 한 경우의 75.1%에서 정신

질환 진단을 받음. - 우리나라는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자살률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북구 자살 현황

☞ 2018년 북구 자살률은 인구 10만명 당 26.8명이며, 2015년 감소하였다가 2017년부터 상승하기 시 작함. 전국, 부산 평균과 비교하여서는 낮은 수준을 유지하지만 OECD 회원국 평균 자살률 11.5명 보다는 월등히 높은 수준임.(OECD, 2018)

❍ 부산지역 구․군 자살자수/자살률

☞ 부산지역 구․군별 자살률을 비교하면 북구는 2014년에는 21.9명으로 부산지역에서 가장 낮았으나, 2018년에는 10위를 기록함.

Page 14: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북구 동별 자살자 수 (통계청, 2017)

127.1

94.8 94.9

127.8

144.5

80.8

121.1

82.7 79.8 76.4 76.7

104.9

43.8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구포1동구포2동구포3동 금곡동 덕천1동덕천2동덕천3동만덕1동만덕2동만덕3동화명1동화명2동화명3동

동별 표준화 사망비(2010-2014)

북구 동별 표준화사망비 (부산광역시 공공보건의료지원단, 2016)

❍ 동별 자살자 수(2014~2017)

※ 결과치가 5미만인 경우 0으로 표기 ☞ 최근 4년간 동별 자살자 수는 금곡동이 78명(20.5%)으로 가장 높았으며, 구포2동 60명(15.7%), 구포3동 31명(8.1%)으로 그 뒤를 이음.

❍ 동별 1)표준화사망비(2010~2014년)

☞ 2010~2014년 동별 표준화 사망비는 덕천1동(144.5)이 가장 높았고 뒤이어 금곡동(127.8), 구포1동(127.1), 덕천3동(121.1) 순으로 나타남.

1) 표준화사망비 : 전국평균을 100으로 봤을 때 상대적 사망비율(예-127은 전국보다 27%가 사망률이 높다는 의미)

Page 15: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연령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자살률(2018)

10대 2(2.3) 4(6.0) 1(1.4) 1(1.2) 1(1.4) 2(2.5) 7.1

20대 5(5.8) 8(11.9) 6(8.2) 13(15.9) 8(11.1) 10(12.5) 23.7

30대 14(16.3) 9(13.4) 8(11.0) 13(15.9) 13(18.1) 10(12.5) 26.3

40대 14(16.3) 15(22.4) 15(20.5) 13(15.9) 8(11.1) 15(18.75) 33.2

50대 23(26.7) 12(17.9) 19(26.0) 15(18.3) 18(25) 12(15) 20.9

60대 14(16.3) 6(9.0) 15(20.5) 19(23.1) 11(15.3) 16(20) 41.2

70대 14(16.3) 13(19.4) 9(12.3) 3(3.6) 7(9.7) 11(13.75) 58.6

80대 이상 - - - 5(6.1) 6(8.3) 4(5) 53.5

계86

(100.0)67

(100.0)73

(100.0)82

(100.0)72

(100.0)80

(100.0)26.8

성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남자자살자 63 47 46 58 58 60

자살률 40.9 30.8 30.2 37.8 37.8 40.6

여자자살자 23 20 27 24 24 20

자살률 14.8 13.0 17.5 15.5 15.5 13.3

학력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무학 4(4.7) 4(6.0) 2(2.7) 3(3.7) 1(1.4) 1(1.3)

❍ 연령대별 자살자수(구성비)

(자료출처 : 통계청) ☞ 북구 연령별 자살사망자수는 2013년부터 2017년까지 40대와 50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2018년은 50대, 80대 이상은 감소추세, 40대, 60대, 70대의 경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임. ☞ 2017 연령별 자살률은 40대 33.2명, 50대 20.9명, 60대 41.2명, 70대 58.6명, 80대 53.5명로 노인이

1위를 차지함. ❍ 성별 자살자수/자살률

(단위 : 명)

(자료출처: 국립정신건강센터) ☞ 성별에 따른 자살현황은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은 자살률을 보임. 자살시도는 여자가 남자보다 4 배 많고 자살성공은 남자가 여자보다 2~3배 높으므로 남녀 구분하여 개입하기 보다는 전체적으로 개 입하는 것이 중요함. ❍ 학력별 자살자(구성비)(단위 : 명/%)

Page 16: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초등학교 10(11.6) 17(25.4) 11(15.1) 11(13.4) 5(6.9) 9(11.3)

중학교 19(22.1) 8(11.9) 10(13.7) 10(12.2) 15(20.8) 13(16.3)

고등학교 38(44.2) 22(32.8) 31(42.5) 34(41.5) 34(47.2) 25(31.3)

대학(교) 13(15.1) 11(16.4) 9(12.3) 19(23.2) 14(19.4) 24(30.0)

대학원 이상 1(1.2) 2(3.0) 2(2.7) - 2(2.8) 5(6.3)

미상 1(1.2) 3(4.5) 8(11.0) 5(6.1) 1(1.4) 3(3.8)

계 97(100.0) 86(100.0) 67(100.0) 82(100.0) 72(100.0) 80(100.0)

직업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관리자 1(1.0) 3(3.5) 4(6.0) 3(4.1) 5(6.1) 2(2.8)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5(5.2) 6(7.0) 2(3.0) 1(1.4) 6(7.3) 2(2.8)

사무종사자 6(6.2) 5(5.8) 5(7.5) 4(5.5) 2(2.4) 3(4.2)서비스종사자 및

판매종사자 5(5.2) 3(3.5) 8(11.9) 4(5.5) 6(7.3) 5(6.9)

농림어업숙련종사자 - - - - 2(2.4) 2(2.8)기능원 및 관련

기능종사자 3(3.1) 3(3.5) 2(3.0) 2(2.7) 3(3.7) 1(1.4)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종사가 3(3.1) - - - 2(2.4) 3((4.2)

단순노무 9(9.3) 3(3.5) 7(10.4) 7(9.6) 2(2.4) 6(8.3)

학생, 가사, 무직 62(63.9) 58(67.4) 35(52.2) 49(67.1) 50(61.0) 46(63.9)

미상, 군인(사병제외) 3(3.1) 5(5.8) 4(6.0) 3(4.1) 4(4.9) 2(2.8)

계87

(100.0)97

(100.0)86

(100.0)67

(100.0)82

(100.0)72

(100.0)

자살수단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약물중독 3(3.1) 3(3.5) 5(7.5) 1(1.4) - -가스중독 5(5.2) 7(8.1) 10(14.9) 13(17.8) 11(13.4) 6(8.9)

농약 12(12.4) - 2(3.0) 1(1.4) 5(6.1) 2(3.0)목맴 45(46.4) 56(65.1) 33(49.3) 41(56.2) 45(54.9) 39(57.3)

(자료출처 : 통계청) ☞ 북구 자살사망자의 교육수준은 고등학교 졸업이 가장 많았으며, 대학교 졸업자가 그 뒤를 이었음. ❍ 직업별 자살자 (단위 : 명/%)

☞ 북구 자살사망자의 직업별 현황은 학생, 가사, 무직의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수단별 자살자수 (단위 : 명/%)

Page 17: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익수 4(4.1) 2(2.3) 3(4.5) 3(4.1) 5(6.1) 1(1.5)총화기 - 1(1.2) - - - -

둔기예기 2(2.1) - - - 1(1.2) 1(1.5)추락 25(25.8) 17(19.8) 13(19.4) 13(17.8) 14(17.1) 19(28.0)

자동차/기차 1(1.0) - - - - -기타 - - 1(1.5) 1(1.4) 1(1.2) -계 97(100.0) 86(100.0) 67(100.0) 73(100.0) 82(100.0) 68(100.0)

자살 장소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주거지 58(67.4) 29(43.3) 29(39.7) 36(43.9) 30(41.7) 27(33.8)

집단거주시설 - - - - - -학교기타시설 및

공공행정구역 1(1.2) 1(1.5) 2(2.7) - - -

운동장 및 경기장 - - - 1(1.2) - 2(2.5)도로 3(3.5) - - - 1(1.4) 1(1.3)

상업 및 서비스구역 4(4.7) 5(7.5) - 4(4.9) 3(4.2) 2(2.5)산업 및건설구역

1(1.2) - 1(1.4) 2(2.4) 1(1.4) 1(1.3)

농장 - - - - - 1(1.3)기타 명시된 장소 14(16.3) 23(34.3) 26(35.6) 29(35.4) 25(34.7) 33(41.3)

상세불명장소 5(5.8) - - - - -의료기관 - 8(11.9) 13(17.8) 10(12.2) 12(16.7) 10(12.5)

병원이송 중 사망 - 1(1.5) 2(2.7) - - 3(3.8)

계86

(100.0)67

(100.0)73

(100.0)82

(100.0)72

(100.0)80

(100.0)

구분

위해 취약 경감

자살사망자수

고령인구수

혼인귀화자수

음식점 및 주점업

종사자수기초

수급자수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종사자수

북구 2.35 1,174.01 12.95 243.07 501.73 255.05

전국구 평균 2.59 1,312.55 15.59 439.98 320 342.12

(자료출처 : 통계청) ☞ 수단별 자살 수는 목맴이 가장 많았고, 2017년의 경우 추락이 두 번째로 많았음.

❍ 장소별 자살자수 (단위 : 명/%)

(자료출처 : 통계청) ☞ 북구 주민의 장소별 자살자수를 보면 주거지에서 자살한 사망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 2016년 북구 지역안전지수(자살분야) : 3등급, 77.62점(전국구 평균 77.43점)

Page 18: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 부산 북구 자살 현황 요약 ≫

■(자살률) 2018년 북구 자살률은 인구 10만명 당 26.8명으로 부산(27.2명)보다 다소 낮은 수준이며, 부산의 구·군 중 10위를 기록함 ■(자살률 추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증가하였고 2016년 이후 감소하였으나, 2017년 이후부터 증가함 ■(동별 자살) 최근 5년간 동별 자살자 수는 금곡동(78명), 구포2동(60명), 구포3동(31명) 순으로 많았고, 자살 표준화사망비(2010~2014)는 덕천1동(144.5), 금곡동(127.8), 구포1동(127.1), 덕천3동(121.1)로 나타남

■(연령대별, 성별 자살) 자살사망자수는 2012년부터 2016년까지 40대와 50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2017년은 40대, 60대는 감소추세이며, 50대, 70대, 80대의 경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임. 성별에 따른 자살현황은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은 자살률을 보임. 자살시도는 여성이 높으나 자살성공은 남자가 높은 것으로 관찰됨. 자살시도와 자살성공 둘 다 예방이 필요한 부분으로 남녀 구분하여 개입하기 보다는 전체적으로 개입하는 것이 중요함.

■(학력, 직업별 자살)

구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스트레스 인지율 22.1 28.2 24.3 23.2 28.9

우울감 경험율 4.2 4.9 5.4 3.3 4.9

자살 생각률 4.0 5.3 - 6.6 -

우울증상으로 인한정신 상담률 17.2 15.3 30.8 15.2 14.8

☞ 안전지수의 위해, 취약, 경감 분야 중 자살사망자수, 고령인구수, 혼인귀화자수 등의 위해와 취약분야는 전국과 비교하여 양호하였으나, 기초수급자수가 높고,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종사자수가 부족하여 자살분야 안전등급을 낮추는 요인이 되고 있음

❍ 정신건강 (단위 : %) (자료출처 : 2018년 북구 지역사회 건강통계

※ 부산광역시 평균과 유의한 차이는 없음 ☞ 북구 성인의 스트레스 인지율 및 우울감 경험율은 전년도에 비해 증가하였고, 우울감 우울증상으로 인한 정신건강상담률은 2016년도부터 감소되고 있음.

Page 19: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고등학교 졸업이 가장 많았으나 저학력일수록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고, 직업별로는 학생, 가사, 무직이 가장 높게 나타나, 학력이 낮을수록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자살률이 높다는(2013 자살실태조사, 보건복지부) 조사와 유사한 결과를 보임.

■(수단, 장소별 자살) 수단별로는 목맴이 5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추락과 가스중독이 그 다음 순위이며 추락으로 인한 자살이 점차 증가하는 양상임. 장소는 주거지에서 자살한 사람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2016 북구 지역안전지수-자살분야) 자살자수, 노인인구 등 취약분야는 전국평균보다 양호하나 기초생활수급자수가 많고, 경감요인인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 종사자 수가 적어 자살안전지수를 낮추는 요인이 됨

■(정신건강) 2018년 북구 지역사회 건강통계에 따르면 성인의 스트레스 인지율 및 우울감 경험율은 전년도에 비해 증가하였음.

3. 부산 북구 자살 문제의 특성

◯ 북구 자살률은 부산시 평균(27.9명)보다는 낮으나 2012년 이후 감소추세로 돌아서다 2014년 급감 후 2015년부터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며 OECD 회원국 평균과 비교하면 2배정도 높은 수준이 므로 지역사회 자살률 감소를 위해 자살예방사업의 지속적인 추진이 필요함 ◯ 최근 5년 간 북구 내 지역별로 자살사망자 수가 많은 곳은 금곡동, 구포2동, 덕천3동, 화명1동 순임. 표준화 사망비는 덕천1동(144.5)이 가장 높았고 뒤이어 금곡동(127.8), 구포1동(127.1), 덕천3동(121.1) 순 으로 나타남. - 자살 다발 지역에 대한 사업이 필요함. - 자살사망자 및 표준사망비가 높은 지역 모두 사회복지관이 소재하므로 사회복지관과 연계하여 사업추진 - 특히, 금곡동 및 구포동과 덕천동은 마을건강센터와 연계하여 정신건강서비스를 제공하고, 마을활동가

및 코디네이터 등을 대상으로 게이트키퍼 양성 - 구포2동과 금곡동, 덕천3동은 취약지역 자살예방 사업 실시하여 대상자 발굴 및 사례관리 실시할 예정

임. ◯ 북구의 연령대별 자살사망자수는 40~50대가 가장 많으나, 자살률은 70대 이상의 노인에서 월등히 높음. 성별 차이는 여성보다 남성이 높음. - 청장년 자살예방을 위한 대학교, 직장과 연계하여 자살예방교육 및 검사, 상담등 정신건강서비스제공 ◯ 수단으로는 투신이 전체의 절반이상을 차지함. - 투신을 막기 위하여 자살 고위험군을 조기에 발견하는 게이트키퍼(생명사랑지킴이) 교육 활성 필요 - 자살 유가족, 우울증 환자 등 고위험군 등록 관리 - 고위험군 발견 및 조기치료, 관리를 위해 지속적인 게이트키퍼(생명사랑지킴이) 교육 필요 ◯ 북구 성인들의 우울감 경험률, 자살 생각률은 최근 3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는데 비해, 우울증상으로

Page 20: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 현황을 통해 파악된 필요 사업 요약 ≫

■ 자살 취약지역에 대한 개입 필요. 금곡동, 구포2동, 덕천3동 내 우울 고위험군 발굴 및 사례관리 필요■ 자살 위험자에 대한 조기 발견 및 대처를 위해 전문 인력을 포함한 지역주민의 게이트키퍼(생명사랑지킴이) 양성 강화■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해소와 지역사회 생명존중 문화 조성을 위한 캠페인 및 정신건강증진 교육 확대

인한 정신상담률은 15.3%(2015년)에서 2017년 15.2%로 지속적으로 감소(2017 북구 지역사회건강통계). 또한, 2014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우울증이 있는 사람 중 18.2% 만이 정신문제에 대해

상담치료 경험이 있는 등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이 저조하고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으로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에 소극적임.

-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해소 및 생명존중 문화조성을 위한 캠페인 및 정신건강증진교육 필요

Ⅲ. 추진 방향과 전략

1. 부산시 북구 자살예방사업의 추진 방향과 전략

<비전·목표·전략 체계도 양식>

1. 부산시 부구 자살예방시행계획의 방향성과 전략 ◯ 자살예방사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국가적인 차원과 광역시 차원의 자살예방 전략

Page 21: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및 정책 방향과 맥락을 같이 하여 비전과 목표, 전략을 수립하고 대상 및 추진방법 등 세부 사항 에 대해서는 지역사회 특성에 맞게 추진하고자 함

◯ 비전 : “자살로부터 안전한 건강한 북구” ☞ 2016 보건복지부“생명사랑플랜(제3차 자살예방기본계획)” 비전과 일치 ◯ 목표 : 자살예방사업의 궁극적인 지표인 지역사회 자살률을 2018년 현재 인구 10만명당 26.8명 에서 2020년 21.8명으로 매년 5%씩 감소시키는 것으로 목표를 설정함 ◯ 전략 : 보건복지부의 3대 전략과 10대 과제를 기반으로 지역사회에 적합한 사업 추진

2. 중점 추진 과제 가. 범사회적 자살예방 환경조성 ○ 주민참여형 캠페인 전개 및 확대(‘19년 43회 ➔’20년 30회) -“자살예방의 날”기념일 포함 정기적인 캠페인 실시 - 주민 참여 제고를 위해 지역 축제 연계 실시 - 대상 맞춤형 캠페인 실시(청소년, 대학생, 취약계층 등)

나.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 ○ 아동․청소년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교육 강화 (‘19년 2,767명 ➔’20년 4,967명) ○ 청장년층 자살 예방 및 정신건강교육 강화 (‘19년 701명 ➔’20년 440명) ○ 노인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교육 강화 (‘19년 1,275명 ➔’20년 782명) ○ 노인자살률 감소를 위한 보건복지 통합 자살안전망 구축 : 고위험군 전문 관리, 노인 복지시설 종사자 게이트키퍼 교육 ○ 자살유족을 위한 심리면담조사 및 심층상담, 치료비 지원 ○ 자살위기대응 및 사후관리 체계 마련을 위한 응급 네트워크 구축 다.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 ○ 전문 인력 게이트키퍼 양성 ➔ 정신건강복지센터 연계 - 정신건강 예비인력(연 17명) ○ 자살예방 인력 확충을 위한 지역 주민 게이트키퍼 양성 확대 (‘19년 4,188명 ➔’20년 3790명) - 주민대표, 청소년, 대학생, 직장인 등 다양한 대상 발굴 ○ 취약지역 마을단위 자조 모임을 통한 사회적 관계망 강화 - 마을건강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연계 정신건강서비스 제공

Page 22: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 부산북구정신건강복지센터 위탁운영

- 위탁기관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인력현황 : 센터장(비상근), 상임팀장1, 팀장

2, 팀원9

- 예 산 : 106,023,000원

( 국비 40,720,000원

시비 59,303,000원

구비 6,000,000원)

- 마을활동가 및 코디네이터 생명지킴이 양성교육 ○ 통반장대상 교육을 행정복지센터와 연계 - 생명지킴이 교육 실시, 자살고위험군 발굴, 사례관리

Ⅳ. 추진 체계 1. 추진 체계

<추진 체계도 양식>

Page 23: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구분 이름 소속 직위 연락처

위원장 이송미 부산북구보건소 보건소장 051-309-7010위원 이정석 부산북구보건소 과장 051-309-5295위원 설희주 부산북구보건소 팀장 051-309-5293위원 이아영 부산북구보건소 주무관 051-309-5292위원 문옥희 북구청 희망지원 팀장 051-309-2065위원 임현희 부산과학기술대학 간호학과 교수 051-330-7211위원 윤일주 북부교육지원청 중등교육지원과 051-330-1240위원 서정배 북부경찰서 형사과 팀장 051-792-0270위원 이순미 북부소방서 구조구급과 소방장 051-760-4412위원 박성훈 금곡행정복지센터 복지사무장 051-309-6273위원 김윤희 구포2동행정복지센터 복지사무장 051-309-6221위원 이경희 화정종합사회복지관 관장 051-362-0111위원 전성숙 부산북구정신건강복지센터 센터장 051-334-3200위원 성정애 부산북구정신건강복지센터 부센터장 051-334-3200

<지자체 자살예방위원회 표 서식>

소속 직위 이름 역할 연락처

보건소

보건소장 이정화 정신건강증진사업 총괄 051-309-4500

팀장 설희주 자살예방사업 실행 총괄 051-309-5293

담당자 정세진 정신건강복지센터 관리, 사업 기획, 평가 등 051-309-5292

정신건강복지센터

센터장 전성숙 사업 지원 및 수퍼비전

051-334-3200부센터장 성정애 자살예방사업 총괄 및 수퍼비전

팀원 권유범 위험군 조기발견, 위기개입, 유족관리, 교육

팀원 조영욱 위험군 조기발견, 위기개입, 유족관리, 교육

<지자체 자살예방사업 주요 추진 인력 표 서식>

2. 자살예방위원회(생명존중위원회)

❍ 협의체 운영 - 역할 : 자문, 정보 공유, 협조체계 구축 등을 통한 원활한 사업 추진 - 운영 : 구성 후 연 1회 운영

3. 주요 추진 인력

Page 24: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소속 직위 이름 역할 연락처행정복지센터

(13곳) - 담당자 ▪ 대상자 발견 및 의뢰▪ 고위험군 사례회의 051-309-

북구청 희망복지지원단 팀장 김석갑 ▪ 고위험군 발굴 의뢰 051-304-7501

북부경찰서 경사 양경은 ▪ 자살시도자 및 유족 정보공유 및 연계 051-792-0349

북부교육지원청 주무 김은지 ▪ 학교별 ‘생명존중교육’ 추진 협조 051-330-1283북구청소년상담

복지센터 기관장 조춘자 ▪ 청소년 대상자 발견 및 의뢰 051-334-3000

사회복지관(9곳) 관장 ○○○ ▪ 대상자 발견 및 의뢰▪ 자살예방관련 행사 협조 051-○○○ -○○○○

장애인복지관 관장 이진복 ▪ 장애인 자살고위험군 발견 및 의뢰 051-362-7755

실버벨노인복지관 관장 김희주 ▪ 노인자살고위험군 발견 및 의뢰▪ 노인 자살예방교육 협조 051-337-5959

북구지역자활센터 관장 조숙영 ▪ 대상자 발견 및 의뢰▪ 자살예방교육 협조 051-341-9841

희망터지역자활센터 관장 이운철 ▪ 대상자 발견 및 의뢰

▪ 자살예방교육 협조 051-365-0045

삼동재가노인지원센터 관장 문광임 ▪ 노인자살고위험군 발견 및 의뢰 051-343-5685

건강가정지원센터 관장 홍선영 ▪ 대상자 발견 및 의뢰▪ 위기가족상담 051-330-3406

부산노숙인지원센터 센터장 안정옥 ▪ 자살고위험군 발견 및 의뢰 051-463-7707

부산광역시아동보호종합센터 센터장 전홍임 ▪ 아동학대 대상자 발견 및 의뢰 051-240-6310

부산광역시동부노인보호전문기관 관장 이병호 ▪ 노인자살고위험군 발견 및 의뢰 051-468-8850

4. 유관 민관조직

Page 25: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과제 목록 사업명성과목표

연도별 추진 목표’16 ’17 ’18 ’19 ’20

범사회적 자살예방환경 조성 1. 자살 관련 사회인식 개선§ 생명존중 문화조성

및 자살예방홍보 강화

홍보 및 인식개선

자살예방 캠페인건수

22 30 30 31 32

생명존중서약 건수 3,795 4,175 1,850 1,940 2,0302.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 자살예방 사회복지안전망 강화

자살고위험군 발굴 및 사례관리

자살고위험군 관리인원(실인원)

46 59 60 63 66

사례관리건수 1,372 2,561 2,080 2,184 2,293희망편지 발송건수 401 490 612 615 618

§ 범부처 자살예방협력 체계 구축

자살예방협의체

협의체 구성여부 미구성 구성 운영 운영 운영

3. 자살위험 환경 개선

§ 자살수단의 접근성 차단

일산화중독 자살예방사업

MOU 체결 수 - - 7 9 9모니터링 건수 - - 20 108 64

생명존중약국사업

MOU 체결 수 - - - 3 3모니터링 건수 - - - 14 14

맞춤형 자살예방 서비스 제공4.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 아동청소년 자살예방아동청소년 자살 및 정신건강교육

참여인원 4,086 4,401 4,505 4,730 4,967

§ 청년중장년층 자살예방

성인 자살 및 정신건강교육

참여인원 261 658 433 440 440

<중장기 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 일정 표 서식>

Ⅴ. 중장기 계획 및 2019년도(전년도) 사업 평가

1. 부산시 북구 중장기 계획 및 연도별 추진 일정

Page 26: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 노인 자살예방

우울 및 자살고위험군 발굴

노인우울증 등 정신건강검사명수

1,089 2,375 2,447 2,569 2,697

경로당 생명지킴이교육

참여인원 - - 776 779 782

노인우울집단 프로그램

진행횟수 7 23 10 20 30

5. 자살 고위험군 지지체계 강화§ 자살고위험군 대상

별 자살예방대책 추진

자살유족 사례관리

자살 유족 사례관리 연인원

194 323 219 273 286

6.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체계 마련

§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자살위기대응 간담회

간담회(경찰서, 소방서 등) 신규

- - - 1 1

응급개입 응급개입 건수 8 4 3 5 5

§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체계 마련

치료비 지원 치료비 지원 횟수 2 16 9 9 10

자살예방정책 추진기반 강화7. 지역사회 자살 대응 역량 강화

§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마련

자살고위험군 상담

자살예방서비스 이용자수

243 417 475 410 430

8. 정신건강 인프라 확충§ 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기간간담회 기관간담회 회수 2 1 2 2 2

MOU 체결 MOU 체결 건수 3 9 12 4 4

9. 생명지킴이(게이트키퍼) 교육 등 자살예방 인력 확충§ Gatekeeper 양성

확대게이트키퍼 교육

참여인원 567 4,355 2,655 3,790 3,790

§ 전문가 교육 강화전문가 예비인력 교육

참여인원 19 17 17 17 17

10. 근거 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근거기반의 조사연

구 추진심리면담조사

심리부검면담 건수 11 9 0 9 10

Page 27: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사업 범주 세부 사업명 주요 내용 목표 결과 자체 평가 개선 방향

자살관련 사회인식 개선

생명존중문화 조성 및 자살예방 홍보 강화

▪부산 in마음 캠페인

7회/1,000명

6회/1,299명

▪캠페인:129%▪ 생 명 존 중 서 약서:212%

▪정신건강복지센터 및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관을 홍보할 수 있는 계기.

▪캠페인 시 선별검사를 통해 지역 내 고위험군 대상자를 조기발견하고 개입할 수 있는 기회 마련.

확대:다양한 캠페인 활동을 통해 센터 및 사업에 대해 효과적으로 홍보하여 더욱 많은 지역주민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할 계획.

▪대학생 생명존중캠페인

8회/1,300명

3회/1,152명

▪복지관 연합 캠페인

12회/700명

12회/2,047명

▪낙동강 구포나루 대축제

2회/900명

2회/944명

▪자살예방 캠페인(북구)

2회/60명

2회/283명

▪생명존중서약 1,940명 4,107명

자살예방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 고위험군 발굴

▪자살고위험군 등록 및 관리

63명 78명 ▪실인원:124%▪사례관리:111%▪희망편지:105%▪자살 및 중증 중복 카운트 불가로 자살고위험 등록자 실인원 감소.

확대:캠페인, 교육 등을 통해 보다 많은 자살 고위험군 발굴 계획

▪사례관리 2,184건 2415건

▪희망편지 발송 615건 643건

범부처 자살예방협력체계 구축

▪자살예방협의체 운영 운영

▪북구 관내 유관기관 기관장 및 실무자와 협의체 실시하여 자살예방사업에 대한 방향성 논의하고 실질적 고위험군

유지:자살예방사업의 방향성 논의

<전년도 사업 평가 표 서식>

▪지역주민에게 자살의 심각성과 생명의 소중함 홍보.

2. 2019년도 사업 평가 및 개선 방향

Page 28: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발굴 및 개입 사업 논의하는 계기.

자살위험 환경개선

일산화탄소 중독자살예방 사업

▪MOU체결 9건 16건

▪MOU체결:178%▪모니터링:100%▪북구 관내 자살률이 높았던 지역을 선정하여 실시함. 필요성 인식 낮거나, 손님들의 거부감 이유 등으로 MOU 및 모니터링 성과 저조하였음. 지역 주민 및 업주 인식개선 등 지역사회인식개선을 위한 노력 필요.

유지:MOU 체결한 마트 및 숙박업소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계획.

축소: 월1회 모니터링에서 분기별 모니터링으로 변경함에 따라 64회로 감소 예정.

▪모니터링 64회 64회

생명존중약국 사업

▪MOU체결 3건 3건

▪MOU체결:100%▪모니터링:100%▪3곳과 MOU체결하였고, 14건 모니터링 실시하였으나, 의뢰된 건수가 0건으로 실질적인 성과 미비하였음. 약사들에게 캠페인 중요성 설명 및 홍보 촉구 필요.

유지: 체결한 약국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계획.▪모니터링 14건 14건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증진교육

▪대상자별 생명존중 교육(청소년, 노인, 임산부, 직장인 등)

▪생명지킴이 교육 (청소년, 대학생, 노인, 지역주민 등)

200회/4,730명

227회/4,501명

▪교육:95%▪검사:102%▪자살예방 및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생명사랑분위기 조성

▪노인 대상 교육 및 검사, 프로그

확대:다양한 유관기관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연계기관 발굴 계획.

축소:▪노인우울 등 정 2,569명 2,628명

Page 29: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신건강검사 수 램 등을 통해 생명존중에 대한 인식개선, 고위험군 조기발견 및 개입

대상자 중복으로 인한 축소

▪경로당 생명지킴이교육

62회/779명

62회/669명

▪노인우울집단 프로그램

20회/100명

20회/169명

자살고위험군지지체계 강화

자살고위험군 대상별 자살예방대책 추진

▪자살유족사례관리상담

273건상담

303건

▪상담 :109%▪전화·방문·내소 상담 등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사례관리 실시

확대:자살유족관련키트를 제작하여 사망신고부서에 배포하여 홍보 강화할 예정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 체계 마련

자살 시도자 사후관리체계 마련

▪응급개입 5회 20회

▪응급개입건수:400%▪응급대응체계 매뉴얼에 입각하여 응급개입 실시

유지:관련기관 간 연계체계 강화하여 신속한 위기개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계 마련

지역사회 자살 대응 역량 강화

지역사회 자살예방연계체계 마련

▪자살고위험군 상담 410건 689건

▪상담건수:168%▪지역 내 유관기관과의 협조 및 센터 홍보활동 등으로 대상자 신규발굴

확대: 캠페인, 교육 등을 통해보다 많은 지역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홍보

생명지킴이교육 등 자살예방 인력 확충

생명지킴이 양성 확대

▪생명지킴이 교육 3,790명 4,188명

▪실적:111%▪북구 내 다양한 연령층가 계층의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게이트키퍼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자살고위험군을 발견했을 때 대처 및 연계

확대:유관기관 및 지역주민 대상으로 홍보를 시행하고 신규 기관 발굴 예정

Page 30: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할 수 있도록 함.

▪생명지킴이 모니터링

800명 828명

▪실적:103%▪생명지킴이 교육 후 양성된 생명지킴이를 대상으로 모니터링 실시함.

유지:생명지킴이교육을 받은 대상에게 문자 발송하고 생명지킴이 활동 지속할 수 있도록 독려

전문가 교육 강화▪전문가 예비인력 교육명수

17명 17명

▪실적:100%▪정신건강 예비인력에게 생명지킴이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정신건강에 대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

유지: 정신건강 간호, 임상심리 수련생을 대상으로 실시 예정

근거 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근거기반의 조사연구 추진

▪심리부검면담 수 9건 3건

▪심리면담조사:75%▪간담회 등을 통해 협조요청 후 심리면담조사가 진행되고 있지만 실적 다소 저조.

유지:각동 사망신고부서와 협업하여 심리부검면담 진행할 예정

Page 31: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사업 범주 세부사업명 주요 내용 성과 목표

자살관련 사회인식 개선

생명존중문화 조성 및 자살예방 홍보 강화

▪ 자살예방 캠페인 · 대상 : 대학생, 청소년, 지역주민 등 · 내용 : 정신건강 선별검사, 자살OX퀴즈, 생명

사랑 지문트리 등▪ 생명존중서약 · 대상 : 캠페인, 교육 등 참여자 · 방법 : 생명존중 서약 작성

▪ 캠페인 건수 :‘19년 43건 → 30건▪ 생명존중서약 :‘19년 4,107건 →2,030건

자살예방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

자살예방 사회복지안전망 강화

▪ 자살고위험군 등록 및 관리▪ 사례관리▪ 희망편지 발송

▪ 등록관리(실인원):‘19년 50명→78명▪ 사례관리:‘19년 2,415명→2,293명▪ 희망편지:‘19년 643명→618명

범부처 자살예방협력체계 구축

▪ 자살예방 협의체 운영 · 대상 : 북구 내 유관기관 및 관련 전문가 · 내용 : 협의체 구성 및 운영을 통해 사업의

원활한 추진 및 네트워크 강화

▪ 협의체 : 19년 운영 → 운영

자살위험 환경개선자살수단의 접근성 차단

▪ 번개탄 판매개선 캠페인▪ MOU체결▪ 모니터링

▪ 모니터링:‘19년 64회 → 64회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아동청소년 자살예방

▪ 아동∙청소년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교육 ∙ 대상 : 북구 관내 초∙중∙고등학생 ∙ 내용 : 정신건강증진, 생명존중, 생명지킴이 교육

▪ 교육인원: ‘19년 5,855명 →5,507명청년∙장년층

자살예방

▪ 직장인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교육 ∙ 대상 : 북구 관내 사업장 근로자 ∙ 내용 : 우울 및 자살위험 징후, 치료방법 등 대처방법에 대한 교육▪ 성인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교육

<지자체 자살예방사업 개요 표 서식>

Ⅵ. 세부사업 계획

1. 세부사업 개요

Page 32: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 대상 : 북구 관내 지역주민, 유관기관 이용 대상자 ∙ 내용 : 우울, 스트레스, 자살위험 징후, 치료방법 등 대처방법에 대한 교육▪ 임산부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교육 ∙ 대상 : 북구 관내 산후조리원 이용 임산부 ∙ 내용 : 산전·산후우울 증상 및 대처방법 교육

노인 자살예방

▪ 노인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교육 ∙ 대상 : 북구 관내 65세 이상 노인 ∙ 내용 : 생명존중 교육, 생명지킴이 교육 등▪ 노인 정신건강검사 ∙ 대상 : 65세 이상 노인 ∙ 내용 : 노인우울검사, 고위험군 조기발견 및 개입

▪ 노인 검사: ‘19년 2,628명 → 2,697명

▪ 경로당 지킴이 교육 ∙ 대상 : 북구 관내 경로당 이용 노인 ∙ 내용 : 생명지킴이 교육

▪ 경로당 교육: ‘19년 669명→782명

▪ 노인 우울완화 프로그램 ∙ 대상 : 노인우울검사를 통해 발굴된 고위험군 ∙ 내용 : 회상 및 미술요법 등

▪ 프로그램: ‘19년 20회→30회

지역주민자살예방

▪ 지역주민 자살예방 교육 ∙ 대상 : 북구지역주민 ∙ 내용 : 생명지킴이교육, 생명지킴이 모니터링 심화교육 및 사례회의

▪ 지킴이교육: ‘19년 15회/242명→ 15회/250명

자살 고위험군 지지체계 강화

자살 고위험군 대상별 자살예방 대책 추진

▪ 자살유족 사례관리 ∙ 내용 : 자살유족 대상 자살 위기상담

▪ 사례관리: ‘19년 303건→310건

자살 위기대응 및 사후관리 체계 마련

자살위기대응 간담회

▪간담회(신규) ∙ 내용 : 북부경찰서 및 북부소방서 연계체계 강화

▪ 간담회: ‘19년 1회→1회

응급개입▪응급개입 ∙ 내용 : 자살고위험군 위기상황 발생 시 응급개입

▪ 응급개입: ‘19년 20건→5건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체계 마련

치료비 지원▪ 치료비 지원 ∙ 대상 : 자살유족 및 자살고위험군 ∙ 내용 : 외래진료 비용 및 긴급치료비 지원

▪ 치료비지원 : ‘19년 0회→10회

지역사회 자살 대응 역량 강화

자살고위험군 상담

▪ 자살고위험군 상담 ∙ 내용 : 캠페인, 교육 등에서 선별검사를 통해 발견된 고위험군 초기 상담

▪ 자살예방서비스이용자 수 : ‘19년 689건 →430건

Page 33: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정신건강 인프라 확충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 기관간담회 ∙ 대상 : 북부경찰서 및 북구 내 유관기관 ∙ 내용 : 센터 홍보, 자살예방 및 자살유족 사

업 안내, 심리면담조사 설명을 통해 연계체계 강화

▪ MOU체결 ∙ 대상 : 북구 내 유관기관 ∙ 내용 : 협의체 구성을 통해 참여하는 기관

과 MOU체결을 통해 자살예방사업 참여 증가

▪ 기관간담회: ‘19년 5회→1회▪ MOU 체결: ‘19년 23회→4회

생명지킴이교육 등 자살예방 인력 확충

Gatekeeper 양성 확대

▪ 게이트키퍼 양성 ∙ 대상 : 지역주민 누구나 ∙ 내용 : 자살위험징후 파악, 대처방법 교육

▪ 게이트키퍼교육 : ‘19년 4,188명→3,790명

▪ 게이트키퍼 모니터링 ∙ 대상 : 게이트키퍼 교육 수료자 ∙ 내용 : 지속적인 사후관리를 위해 문자발송

▪ 모니터링:‘19년 828명→830명

전문가 교육 강화

▪ 전문가 예비인력 교육 ∙ 대상 : 간호학과, 임상심리학과 수련생 ∙ 내용 : 게이트키퍼 교육

▪ 전문가 교육 : ‘19년 17명→17명

근거 기반 자살예방 연구체계 마련

근거기반의 조사연구 추진

▪ 자살유족 대상 심리면담조사 ∙ 내용 : 심리면담조사로 자살자의 심리상태

파악

▪ 심리면담조사 : ‘19년 3건→10건

세부 사업명 홍보 및 인식개선기간 연중대상 북구 지역주민

주요 내용

▪ 자살예방 캠페인 ▹ 부산인 마음 캠페인(연8회) · 일시 : 매월 둘째주 목요일 14:00~16:00 실시 · 장소 : 덕천 지하철역 · 내용 : 정신건강선별검사, 자살OX퀴즈, 생명사랑 지문트리등 ▹ 대학생 생명존중 캠페인(연4회) · 장소 : 과학기술대학교 · 내용 : 정신건강선별검사, 자살OX퀴즈, 희망스탬프찍기 등 ▹ 복지관 연합 캠페인(연12회)

(1) 생명존중문화 조성 및 자살예방 홍보 강화

2. 세부사업 계획

Page 34: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세부 사업명 자살고위험군 발굴 및 사례관리기간 연중대상 자살 고위험군

주요 내용

▪ 등록 및 관리 ▹ 북구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보건 전문인력이 검사, 상담 및 사례관리 실시

▪ 희망편지 발송 ▹ 정신건강복지센터 등록된 자살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월 1회 희망편지 발송

목적 및 기대효과 자살 고위험군 등록∙관리를 통해 대상자 정신건강증진 및 자살 위험 감소

성과 목표▪ 등록관리(실인원) : ‘19년 78명→‘20년 66명▪ 사례관리(연인원) : ‘19년 2,415명→‘20년 2,293명▪ 희망편지 : ‘19년 643명→‘20년 618명

평가방법 실적보고추진 체계(담당자) 북구정신건강복지센터 권유범, 조영욱

(2) 자살예방 사회복지안전망 강화

· 일시 : 매월 셋째주 화요일 10:00~15:00 실시 · 장소 : 북구 내 사회복지관 · 내용 : 정신건강선별검사, 자살OX퀴즈, 희망스탬프찍기 등 ▹ 낙동강 구포나루 대축제 · 일시 : 2019년 4월 예정(연2회) · 장소 : 구포나루 ▹ 자살예방 캠페인(북구)(연2회) · 장소 : 덕천지하철역 · 내용 : 정신건강선별검사, 자살OX퀴즈, 생명사랑 지문트리 등

▪ 생명존중 서약 운동 ▹ 캠페인, 교육 후 생명존중서약 운동 추진

목적 및 기대효과지속적인 홍보를 통한 유관기관 간 접근성 향상 및 네트워크 활성화선별검사 및 정신건강상담을 통한 자살고위험군 조기발견, 생명존중 문화조성

성과 목표▪ 캠페인 건수 : ‘19년 43건 → ‘20년 30건▪ 생명존중서약 : ‘19년 4,107건 → ‘20년 2,030건

평가방법 실적보고추진 체계(담당자) 북구정신건강복지센터 권유범, 조영욱

세부 사업명 자살예방 협의체기간 2019년 연중대상 자살예방사업 유관기관 및 관련 전문가주요 내용 ▪ 구성 :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교육청, 경찰서, 소방서, 주민센터,

(3) 범부처 자살예방협력체계 구축

Page 35: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복지관, 학계 전문가 등

▪ 운영 : 연 1회 협의체 회의 개최

▪ 역할 : 자문, 협력체계 활성화, 사례관리 등을 통한 지역사회 자살률 감소

도모목적 및 기대효과 유관기관과의 원활한 연계체계 구축을 통해 신규 대상자 발굴성과 목표 ▪협의체 운영 : ‘19년 운영→‘20년 운영평가방법 실적보고추진 체계(담당자) 북구정신건강복지센터 권유범, 조영욱

세부 사업명 일산화주독 자살예방 캠페인기간 연중대상 마트 및 모텔

주요 내용

▹ 번개탄 판매개선 캠페인(연 4회) · 일시 : 분기별 1회 · 장소 : 구포동 내 MOU 체결한 마트 13곳 및 덕천동 내 MOU 체결한 모텔 3곳 · 내용 : 번개탄 판매 시 희망봉투에 담아 제공하거나 번개탄에 자살예 방 스티커 부착 후 지속적인 모니터링(마트) 감지기 부착 후 작동 점검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모텔)

목적 및 기대효과

캠페인을 통해 생명존중 분위기 조성번개탄 구입자에게 구입 의도를 물어보고 자살 위험 발견 시 관련 기관연계 번개탄을 이용한 자살 감소번개탄 감지기 설치로 자살 시도자 조기 발견 및 관련 기관 연계하여 번개탄을 이용한 자살 감소

성과 목표 ▪ 모니터링 : ‘19년 64건 → ‘20년 64건평가방법 실적보고추진 체계(담당자) 북구정신건강복지센터 권유범, 조영욱

세부 사업명 아동·청소년 자살 및 정신건강교육기간 연중대상 북구 내 아동·청소년

주요 내용

▪ 정신건강증진교육 ▹ 우울, 스트레스, 우울 등 청소년 정신건강에 관련된 내용 교육 ▹ 방법 : 부산시 교육청 또는 관내 학교 연계 추진 ▪ 생명존중교육 ▹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생명존중 관련 집단 교육▪ 생명지킴이교육 ▹ 대상 : 초·중·고등학생 중 학생 간부 및 희망 학생 ▹ 내용 : 자살위험징후, 대처하는 방법 등

(4) 자살수단의 접근성 차단

(5) 아동·청소년 자살예방

Page 36: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 방법 : 보건복지부 인증프로그램 활용 (보고·듣고·말하기 등 자료)

목적 및 기대효과청소년의 정신건강과 생명 존중에 대한 올바른 사고 정립자살위험 징후에 대한 이해 및 대처방법에 대해 인지

성과 목표 아동∙청소년 자살 및 정신건강교육(명) : ‘19년 2,767명 → ‘20년 4,967명평가방법 실적보고추진 체계(담당자) 북구정신건강복지센터 권유범, 조영욱

세부 사업명 성인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교육기간 연중대상 북구 내 직장인 및 임산부, 지역주민 등

주요 내용

▪ 직장인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교육 ▹ 사업장 근로자 대상 우울 및 자살위험 징후, 치료방법 등 대처방법에

대한 교육 실시 ▹ 간이척도검사를 통해 고위험군 선별 후 조기개입▪ 임산부 자살예방 ▹ 보건소 임산부교실 및 북구관내 산후조리원과 연계 추진 ▹ 산전·산후우울 증상 및 대처방법 교육, 간이척도검사를 통한 고위험군 선별 ▪ 대학생 및 성인 자살예방 ▹ 정신건강 이해, 조기 개입 필요성, 대처방법 등 교육, 간이검사 및 상담 ▹ 대학교 및 행정복지센터, 단체와 연계 추진 ▹ 동 주민센터와 연계 시에는 취약계층이 많고 자살률이 높은 지역 위주 우선 추진 ▪ 지역주민 자살예방 ▹지역주민 대상 우울 및 자살 위험징후, 치료 및 대처방법에 대한 교육 실시

목적 및 기대효과정신건강, 자살위험 징후에 대한 이해 및 대처방법에 대해 인지고위험군 조기 선별 및 개입을 통해 자살률 감소

성과 목표▪ 직장인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교육(명) : ‘19년 372명 → ‘20년 440명▪ 임산부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교육(명) : ’19년 87명 → ‘20년 60명▪ 지역주민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교육(명) : ‘19년 242명 → ’20년 150명

평가방법 실적보고추진 체계(담당자) 북구정신건강복지센터 권유범, 조영욱

(6) 청년·중장년층 자살예방

세부 사업명 노인 자살예방사업(검사명수, 경로당교육, 프로그램)기간 연중대상 북구 내 노인

주요 내용▪ 정신건강교육 및 생명지킴이 교육 ▹ 우울 및 자살위험 징후, 치료방법 등 대처방법 교육

(7) 노인 자살예방

Page 37: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 노인 정신건강검사 ▹ 노인 우울증 간이척도검사를 통해 고위험군 선별 후 조기개입 ▹ 사후관리 : 심층상담서비스 및 등록 관리▪ 경로당 생명지킴이 교육 ▹ 북구 관내 경로당 이용 노인을 대상으로 자살위험 징후 및 대처방법 교육 ▹ 중앙자살예방센터 인증프로그램 교육 자료 활용▪ 노인 우울 집단 프로그램(마음 지팡이) ▹ 노인 우울증 간이척도검사를 통해 발굴된 고위험군 대상 ▹ 사후관리 : 필요시 심층상담서비스 및 등록 관리※ 노인대상 사업 추진 시 노인인구 및 취약계층이 많은 지역 우선으로 실시

목적 및 기대효과자살률이 높은 노인 대상 교육 및 검사, 프로그램 등을 실시하여 생명존중에 대한 인식을 제고 하고, 고위험군 조기 선별 및 개입을 통해 노인 자살률 감소

성과 목표

▪ 정신건강 검사 : ‘19년 2,628명 → ‘19년 2,697명▪ 경로당 생명지킴이 교육 : ‘19년 629명 → ‘20년 782명▪ 경로당 정신건강교육 : ‘19년 629명 → ‘20년 782명▪ 집단프로그램 : ‘19년 20회/169명 → ‘20년 30회/150명

평가방법 실적보고추진 체계(담당자) 북구정신건강복지센터 권유범, 조영욱

세부 사업명 자살유족 사례관리기간 연중대상 자살유족

주요 내용

▪ 자살유족 사례관리 ▹ 이차적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자살 위기상담 실시 ▹ 유관기관 및 자살예방협의체를 통해 신규 유족 발굴 ▹ 유족 대상자에게 치료비 지원 서비스 ▹ 각 동의 행정복지센터 사망신고부서와 협업하여 자살유족 사업 홍보

및 신규 유족 발굴목적 및 기대효과 자살유족의 이차적 자살위험을 예방하고, 위험군 사례관리 실시성과 목표 ▪ 등록사례관리(연인원) ‘19년 303건 → ‘20년 286건 평가방법 실적보고추진 체계(담당자) 북구정신건강복지센터 권유범, 조영욱

세부 사업명 취약지역 자살예방 사업(신규사업)기간 연중대상 자살 취약지역 주민(금곡동, 구포2동, 덕천3동)

(8) 자살고위험군 대상별 자살예방대책 추진 ①

(8) 자살고위험군 대상별 자살예방대책 추진 ② (신규사업)

Page 38: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세부 사업명 응급개입기간 연중대상 자살고위험군

주요 내용▪ 응급개입 ▹ 자살고위험군 위기상황 발생 시 신속개입 및 연계

목적 및 기대효과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신속하고 체계적인 개입 실시로 지역 내 자살률 감소 도모성과 목표 ▪ 응급개입 ‘19년 20건 → ‘20년 5건 평가방법 실적보고추진 체계(담당자) 북구정신건강복지센터 권유범, 조영욱

세부 사업명 치료비 지원기간 연중대상 자살고위험군, 자살유족

주요 내용

▪ 자살고위험군 치료비 지원 ▹ 자살고위험군에게 전문치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자살 재시도 가능성 감소 ▹ 자살유족에게 사례관리 뿐만 아니라 치료비를 지원함으로써 이차적 자살위험 예방

목적 및 기대효과 자살고위험군의 자살 재시도 가능성을 감소하고 자살유족의 이차적 자살위험 예방성과 목표 ▪ 치료비지원 건수 : ‘19년 미지원 → ‘20년 지원평가방법 실적보고추진 체계(담당자) 북구정신건강복지센터 권유범, 조영욱

세부 사업명 자살고위험군 상담기간 연중대상 자살고위험군

주요 내용

▪ 취약지역 자살예방 사업 ▹ 유관기관 간 MOU 체결 ▹ 자살 취약지역주민 대상 우울 선별검사 실시 ▹ 문제 및 욕구에 따라 서비스 제공 및 연계 ▹ 연속적이고 통합적인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

목적 및 기대효과 자살취약 지역 주민의 자살률 감소

성과 목표▪ 선별검사 건수 ‘20년 300건▪ 연계 및 사례관리 건수 ‘20년 600건

평가방법 실적보고추진 체계(담당자) 북구정신건강복지센터 권유범, 조영욱

(9) 24시간 자살위기대응체계 구축

(10)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체계 마련

(11)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마련

Page 39: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주요 내용▪ 자살고위험군 상담▹교육 및 캠페인 등의 활동을 통해 고위험군을 발굴하여 정신건강 상담 제공

목적 및 기대효과홍보를 통해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자 수 증가 및 자살고위험군 발굴 및 지속상담을 통해 자살률 감소 도모

성과 목표 ▪ 자살고위험군 상담 건 수 : ‘19년 689건 → ‘20년 430건평가방법 실적보고추진 체계(담당자) 북구정신건강복지센터 권유범, 조영욱

세부 사업명 기관 간담회 및 MOU체결기간 연중대상 북부경찰서 및 유관기관

주요 내용

▪ MOU 체결 ▹ 자살예방사업 유관기관과 MOU 체결을 통해 사업 효율성 제고 ▹ 사업 확대를 위해 기존 MOU 체결기관 유지 및 지속적인 신규 발굴▪ 기관 간담회 ▹ 북부경찰서 대상으로 기관간담회 실시하여 본 센터 제공 서비스 홍보 및 유기적 협력체계 유지

목적 및 기대효과 신규 사업장과 MOU 체결하여 자살 고위험군 발굴성과 목표 ▪ MOU 체결 ‘19년 23건→ ‘20년 4건평가방법 실적보고추진 체계(담당자) 북구정신건강복지센터 권유범, 조영욱

세부 사업명 게이트키퍼 교육기간 연중대상 북구 내 지역주민

주요 내용

▪ 게이트키퍼 양성 ▹ 대상 : 북구 관내 유관기관(공공, 민간조직 등), 지역주민, 생애주기별 대상 등 ▹ 내용 : 자살 징후 파악, 대처방법 등 중앙자살예방센터 인증 프로그램 (보고·듣고·말하기, 생명배달) 교육자료 ▹ 유관기관(마을건강센터, 방문간호사, 의료급여관리사 등)를 대상으로 자살 예방 게이트키퍼 교육 진행하여 자살고위험자 발굴 및 연계

▪ 게이트키퍼 모니터링 ▹ 내용 : 양성 된 게이트키퍼들이 지속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사후관리 ▹ 방법 : 분기별로 문자 발송

목적 및 기대효과지역사회에 게이트키퍼들의 양성 확대를 통해 생명존중 문화 조성 및 자살 고위험자 발견 증가와 올바른 대처로 인한 지역사회 자살률 감소 도모

성과 목표▪ 교육 : ‘19년 4,188명 → ‘20년 3,790명▪ 모니터링 : ‘19년 828명 → ‘20년 800명

(12)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전달 체계 강화

(13) Gatekeeper 양성 확대

Page 40: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평가방법 실적보고추진 체계(담당자) 북구정신건강복지센터 권유범, 조영욱

세부 사업명 전문가 예비인력교육기간 3월대상 간호학과, 임상심리 수련생

주요 내용

▪ 전문가 예비 인력의 정신건강 교육 ▹ 자살예방의 기초지식과 자살위험성 평가 기술, 대상자별 맞춤형 상담 기술 및 대처방법 교육 ▹ 관련 학회 및 학교와 협의 진행

목적 및 기대효과정신건강관련 전문 예비 인력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을 정립하고 지역사회에서의 고위험군 발견 및 대처 기술 습득으로 정신건강 지도자로서의 지식과 기술 함양

성과 목표 전문가 교육 : ‘19년 17명 → ‘20년 17명평가방법 실적보고추진 체계(담당자) 북구정신건강복지센터 권유범, 조영욱

세부 사업명 심리면담 조사기간 2019년 연중대상 자살 유족

주요 내용

▪ 자살유족 심리면담 조사▹ 북부경찰서 및 행정복지센터 사망신고부서와 연계를 통해 심리면담 조사 실시▹ 자살자의 자살시도 방법, 자살 원인 등 자살자의 심리상태 확인

목적 및 기대효과 자살 유족 의뢰 및 연계건수 증가성과 목표 ▪ 심리면담조사 ‘19년 3건 → ‘20년 10건평가방법 실적보고추진 체계(담당자) 북구정신건강복지센터 권유범, 조영욱

(14) 전문가교육 강화

(15) 근거기반의 조사연구 추진

Page 41: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부산인마음

캠페인대학생

생명존중 캠페인

복지관 연합 캠페인낙동강

구포나루 대축제

자살예방 캠페인(북구)

생명존중 서약운동

자살고위험군 등록 및

관리사례관리

희망편지 발송

자살예방 협의체 운영

번개탄 판매개선 캠페인

아동청소년 자살예방교

육성인 자살 예방교육

노인자살예방교육

Ⅴ. 추진 일정<월별 사업 추진 일정 표 서식>

Page 42: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노인우울검사

노인우울집단 프로그램

자살유족 사례관리

간담회(경찰서, 소방서 등)응급개입

치료비 지원자살고위험

군 상담자살취약지역 사업MOU체결

게이트키퍼 양성교육

게이트키퍼 모니터링심리부검

면담

구분사업비(%) 단위: 천원

소계 국비 도/시비 시/군/구비합계 106,023(100%) 40,720(38.4%) 59,303(55%) 6,000(5.6%)

자살예방사업비 100,023 40,720 59,303자살유족지원 6,000 6,000

1. 총 예산

Ⅷ. 예산

Page 43: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2. 세부 예산

가. 자살예방사업비

편성목 통계목 사 업 명 예산액(천원) 비고

총계국비50시비50

시비100

인건비 급여 자살예방사업전담인력 2인 82,735 64,152 18,583

여비 사례관리비 대상자 발굴 및 사례관리 5,600 5,600

사업비자살예방사업비

생명존중 문화조성 및 자살예방 홍보 강화 8,600 8,600

회의비 회의비 지역사회 자살예방 연계체계 1,060 1,060 운영비 수용비 일반수용비 2,028 2,028

계 100,023 81,440 18,583

나. 자살유족지원사업비 예산

편성목 통계목 사 업 명 예산액(천원)

총 계 6,000

일반보상금 기타보상금 자살관련 사회인식 개선-생명사랑 공모전 800

사업비교육 및 프로그램

운영비

자살 고위험군 지지체계 강화-치료비 지원 1,300

자살관련 사회인식 개선 - 캠페인, 프로그램운영비, 회의비

1,900

Gatekeeper 교육 등 자살예방 사업 2,000

Ⅸ. 관리 및 평가 계획

1. 관리 계획(1) 자살예방시행계획 공개

○ 공개방법 : 북구보건소 홈페이지 게시 ○ 기 간 : 2020. 3. 9 ~ 3. 16(7일간)

(2) 관계자 의견 수렴 및 반영

Page 44: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항목 평가지표 평가기준 평가방법 배점

구조 평가(투입목표)

인력

전담인력 확보여부 투입인력수/계획인력 수 90% 이상90% 미만

53

조직의 운영성 4회 100% 이상100% 미만

53

시설의 확보성 상담실 확보 2개 이상2개 미만

53

예산 예산확보율 확보액/목표액 90% 이상90% 미만

53

과정 평가(산출목표)

사업수행

자살예방캠페인 실적/계획90% 이상80% 이상70% 이상

543

생명존중서약 실적/계획90% 이상80% 이상70% 이상

543

자살고위험군 등록 및 관리 실시인원(실인원)/계획인원90% 이상80% 이상70% 이상

1075

자살예방 협의체 운영횟수 1회이상1회미만

50

아동청소년 자살 및 정신건강교육

실적/계획90% 이상80% 이상70% 이상

543

<자체 평가 표 서식>

○ 의견수렴 - 각종 교육 및 프로그램운영 시 설문지를 통한 수렴 - 방문, 유선, 홈페이지 등 직․간접 의견 개진을 통한 수렴 ○ 반영 - 간단한 사항은 즉시 반영 - 예산 투입 등 검토가 필요한 사항은 정신건강복지센터 운영위원회 또는 자살예방협의체 등과 충분한 검토 후 결정

(3) 계획(세부사업)의 수정 및 보완 ○ 중간평가 실시 - 시기 : 매년 7월 중(※운영위원회 정기회의 시 평가 가능) - 내용 : 상반기 사업 추진 상황, 문제점, 개선사항 등을 자체 평가하여 하반기 사업 추진 시 반영

2. 평가 계획(1) 하급 지자체 평가 계획

○ 시기 : 매년 11월~12월 경 ○ 내용 : 자살예방 분야를 포함한 정신건강증진 전반 ○ 방법 : 사전 배부된 평가표 등에 의거 평가 실시

(2) 자체 평가 계획

Page 45: 2020년 부산시/북구 자살예방시행계획bmhc.ktcar.co.kr/datas/qna/1585008406.pdf · 2020-03-24 · i.부산시 북구의 자살예방시행계획 수립 배경 1.자살예방시행계획의

성인 자살 및 정신건강교육 실적/계획90% 이상80% 이상70% 이상

543

노인 우울검사 실적/계획90% 이상80% 이상70% 이상

543

자살유족 사례관리 실적/계획90% 이상80% 이상70% 이상

543

응급네트워크 간담회 수 실적/계획90% 이상80% 이상70% 이상

543

자살 예방서비스 이용자수 실적/계획90% 이상80% 이상70% 이상

543

게이트키퍼양성 실적/계획90% 이상80% 이상70% 이상

543

결과 평가 (20%)

10만 명당 자살률 21.8명(전년대비 3%감소)90%이상80%이상70%이상

201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