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119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 수시 연구 보고서 18-02 www.keei.re.kr 심 성 희

Transcript of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Page 1: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7000원

배출

권거

래시

장 연

계의

최신

논의

동향

과 시

사점

2018

수시18-02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

수시연구 보고서

18-02

wwwkeeirekr

심 성 희

참여연구진

연구책임자 연 구 위 원 심성희

연구참여자 경북대학교 김현석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박순철

요약 i

lt요 약gt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파리협정(Paris Agreement) 제6조에 근거하여 탄소시장 메커니

즘에 관한 국제사회의 논의가 진행 중이다 우리 정부도 이러한 국제

사회의 논의에 발맞추어 ldquo국제 탄소시장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국제기

준에 부합rdquo하도록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하고 ldquo장기적으로 배출권거래

제 국제 연계를 추진rdquo할 계획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최근 한-중-일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 지역의 탄소

시장 연계와 한국-EU 탄소시장 협력체계 등 배출권 시장의 국제 연계

에 관한 논의가 전문가 차원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배출권

수급 불균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

시장의 국제 연계는 시장의 규모화를 통한 거래 활성화 및 국내 기업

감축비용 완화를 위한 매력적인 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배출권 시장 연계는 편익뿐만 아니라 발생 가능한 다양한 부

작용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결정해야 하는 다면적인 정책 의사결정

과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를 둘러싼 다양한

이론적middot실증적 논의와 파리협정하의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최근 협상 동향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을

주요국(EU) 배출권 시장과 연계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쟁점들

연계의 잠재적 편익과 비용을 전망해보고 시장 연계의 바람직한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ii

2 주요 내용 및 정책 제언

배출권 시장 간 연계가 성공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연계하는 두

시장의 다양한 설계요소들에 한 조율이 필수적이다 감축목표 강도

할당방식 이월middot차입middot상쇄 등 유연성 기제 배출권 가격 및 공급량 관리

제도 MRV 체계 페널티 제도 등이 고려해야 할 주요 설계요소들이

다 특히 감축목표의 강도 유상할당의 규모 상쇄제도 MRV 체계는

연계 과정에서 핵심 쟁점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

배출권 시장 간 연계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사례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퀘벡-캘리포니아 및 스위스-EU의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는 연계를 통해 두 시장이 상호간 혜택을

보아야 하고(상호 호혜성) 연계되는 두 시장의 배출권 설계요소가

동소이하며(핵심 설계요소의 일치성) 당사국들의 강한 정책적

의지가 수반되어야 성공적인 시장 연계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배출권 시장 연계는 유형별로 lsquo완전통합형rsquo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 외부 크레딧을 통한 lsquo간접 연계rsquo lsquo단방향

연계형rsquo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시장의 완전통합형에

가까울수록 비용효과성과 시장 유동성 및 가격 안정성은 높아지는데

반해 정책 자율성은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K-ETS와 EU-ETS와의 연계하는 시나리오를 상정하여 연계

시 발생가능한 주요 쟁점사항과 바람직한 연계 방식에 해 검토해

보았다

EU-ETS와 연계할 경우 감축목표 강도 및 유상할당 규모의 상응성

간접배출에 한 할당 등이 쟁점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

인다 이월 차입 시장관리 MRV 등은 EU-ETS와 큰 차이를 보이지

요약 iii

않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양한 연계 방식 중 가장 유력한 안은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와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 방식이다 이중 어떤 방식이 우리 현실에 더

적합한지는 연계 이전에 두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가

그리고 배출권 가격의 차이가 실질적인 감축목표의 강도로 받아들여

질 수 있는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은 비용효과성과 유동성 확보의

측면에서 다소 유리하지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정책 자율

성 확보 업계 부담 최소화 및 수용성 확보의 차원에서 다소 불리하다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낮게 형성된다

면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보다 적합하다 왜냐하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을 채택하더라도 K-ETS의 고질적인 유동성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높고 그러한 높은 시장 가격을 근거로

실질적인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충분히 받아들여진다면 lsquo완전 쌍

방향rsquo 연계방식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은 시장 가격에도 불구하고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받아들여지지 못한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국내 참여업체들의 비용부담을 가중시키고 제도의 수용성을

떨어뜨릴 우려가 있다

결론적으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서 완전한 쌍방향 연계로

전환할 때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이 크지 않다면 정책 자율성 확보에

유리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가 더 바람직한 연계 방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처음부터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EU-ETS와 연계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 초기 단계에서는 적절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EU-ETS

iv

배출권을 구매해서 의무이행에 활용하는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배출권

시장을 연계한 후 점진적으로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높여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끝으로 최근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으로 논의되는 협력적 접

근법이나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에 의한 감축실적도 상쇄배출권으로

허용하도록 함으로써 간접적인 형태의 연계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시

장 메커니즘에 한 지침이 확정되면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이들 접근

법을 활용한 다양한 감축사업들이 전개될 수 있으며 연계 상이 되는

EU-ETS도 시장 메커니즘과 연계할 가능성이 높다 간접연계와 병행할

경우 국제적으로 공인된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함과 동시에 lsquo부분 쌍방

향 연계 방식rsquo와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i

ABSTRACT

1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The carbon market mechanism under Article 6 of the Paris

Agreement has recently become one of hot issues in the UNFCCC

negotiations talk In line with the discussions of the international

climate negotiations the Korean government has a future plan to link

its emission trading system with the international carbon market and

furthermore considers to promote international linkage with foreign

emission trading systems in the long term

Against this backdrop the international linkage of emission trading

markets such as the carbon market linkage of Northeast Asia carbon

markets or Korea-EU carbon markets have been actively discussed at

the expert level In particular an international linkage of the emission

trading market in Korea which is suffering from imbalances in

supply and demand for emissions allowances has been mentioned as

an attractive alternative for expanding trade volumes and reducing

domestic carbon mitigation costs through enlarging the market size

However a linkage of emission trading markets is a multi-faceted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that should take into account a range of possible

side-effects as well as benefi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various

theoretical and empirical discussions surrounding the linkage of emission

ii

trading markets and recent negotiations on the international carbon market

mechanism under the Paris Agreement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ossible issues that may arise when linking Korean emission

trading market with the EU-ETS in the future its potential benefits and

costs of linkage and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sirable direction

of emissions trading market linkage

2 Summary and Implications

The coordination of the various design elements of the two emissions

trading markets that would be linked is essential for a successful linkage

between emissions trading markets The stringency of GHG reductions

targets allocation methods flexibility mechanisms such as banking

borrowing and carbon offset emission allowances price and supply

management schemes MRV and penalty schemes and so on are key design

factors to consider to link with other emissions trading schmes In

particular the stringency of GHG reductions targets the size of auctioned

units offset schemes and MRV systems are likely to emerge as key issues

in the linking process

We can learn some policy implications from examples of successful

linkages between emissions trading markets such as Quebec-California and

Switzerland-EU linkages ① linking the two markets are mutually beneficial

from each other ② the key design elements of the two emissions trading

markets that be linked are similar ③ It shows that the strong policy will

of the Parties is accompanied by successful market linkage

Abstract iii

Emission trading market linkages can be categorized into lsquofull

integrationrsquo lsquofull direct linkrsquo lsquopartial direct linkrsquo lsquoindirect linkrsquo through

carbon offset credits Basically the closer the market is to a fully

integrated type the higher the cost effectiveness market liquidity and price

stability while lowering policy autonomy

Next a scenario of linking K-ETS and EU-ETS was considered and the

main issues of the linkage scenario and desirable linking methods were

examined

In connection with the EU-ETS it is highly likely that issues such as

the stringency of GHG reduction targets the size of auctioned units and

the allocation of indirect emissions will be highlighted Banking borrowing

market management and MRV are not expected to be a big problem as

the design features between the two emissions trading schemes are not

quite different The most promising alternatives among the various linking

methods are lsquofull direct linkrsquo and lsquopartial direct linrsquo Which of these

methods is better suited to Korean emissions trading scheme depends on

the differences in emissions allowancesrsquos prices in the two markets

In general a lsquofull two-way direct linkrsquo is somewhat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effectiveness and market liquidity but it is somewhat

disadvantageous in terms of securing policy autonomy minimizing the

burden on the industry and securing social acceptance If the K-ETSrsquos

emissions allowances price is lower than that of EU-ETS compared to

without the linkage the lsquopartial two-way direct linkagersquo is more

appropriate This is because it will be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of

iv

K-ETSrsquos lack of liquidity even if it adopts the lsquofull two-way direct linkagersquo

method On the other hand if the emissions allowances price of K-ETS is

higher than that of EU-ETS before the market linkage and if counter-part

market planner would accept the high emissions allowances price as a

signal of the corresponding stringency of Korearsquos GHG reductions target a

full two-way direct linkage could be advantageous However despite the

high market price if it is not acceptable as a signal of an high ambition of

GHG reductions a full two-way direct linkage may only increase the cost

burden of domestic participants and reduce the acceptability of the system

In conclusion if the additional benefits of transition from a partial

two-way direct linkage to a full two-way direct linkage are not significant

the partial two-way direct linkage which is advantageous for securing

policy autonomy will be a more desirable way Thus we recommend that

it is not advisable to link with the EU-ETS in a full two-way direct

manner from the outset In the early stages it would be advisable to link

the markets in a partial two-way direct manner in which EU-ETS

allowances are freely purchased and used to fulfill their obligations within

an appropriate range and then gradually increase the share of obligations

of the other allowances

Finally indirect linkage need to be paralleled by allowing the GHG

reductions credits by cooperative approaches or sustainable development

mechanisms under Article 6 of the Paris Agreement Once the guidelines

for market mechanisms are finalized in the near future various mitigation

activities can be developed at the global level In fact EU-ETS is also

Abstract v

likely to allow some credits from the market mechanisms Thus in parallel

with indirect linkages the market mechanisms under Article 6 of the

Paris Agreement also need to be utilized in parallel with a lsquopartial two

way direct linkagersquo between K-ETS and EU-ETS that would create

synergistic effects of the carbon market linkage

차례 i

제목 차례

제1장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제2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편익과 비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가 비용효과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나 시장 유동성과 가격 안정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다 동태적 효율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라 환경 건전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마 정치적 편익과 비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2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주요 고려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나 상쇄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다 배출권 가격 및 공급관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라 배출권 할당방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마 상 온실가스 및 적용 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

바 이월 및 차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

사 기타 고려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가 직접 연계 완전 통합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ii

나 직접 연계 쌍방향 연계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

다 직접 연계 단방향 연계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라 간접 연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

2 배출권 시장 연계의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가 스위스 배출권거래제와 EU-ETS의 연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나 퀘벡과 캘리포니아 배출권거래제의 연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

다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추진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3 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

가 상호 호혜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

나 핵심 설계요소의 유사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

다 정책적 의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 동향과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1 파리협정 이후의 탄소시장 논의 동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가 주요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나 후속협상 주요 경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다 주요 쟁점 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2 Post-2020 탄소시장 전망과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1 우리나라 ETS와 EU-ETS의 주요 설계요소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나 할당방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다 유연성 메커니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

라 의무이행 관련 사항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

차례 iii

2 K-ETS와 EU-ETS 연계 시 예상 쟁점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가 감축목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나 할당방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8

다 상쇄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9

라 기타 사항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3 배출권 시장 연계 방식별 편익 비용 그리고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3

가 시장 연계 유형별 편익 비용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3

나 K-ETS와 EU-ETS 간 연계를 위한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제6장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iv

표 차례

lt표 Ⅲ-1gt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표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

lt표 Ⅲ-2gt 스위스와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

lt표 Ⅲ-3gt 캘리포니아-퀘벡과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

lt표 Ⅳ-1gt 파리협정 제6조 주요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

lt표 Ⅴ-1gt 우리나라와 EU의 배출권거래제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차례 v

그림 차례

[그림 Ⅱ-1] A국과 B국의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에 따른 가격결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제1장 서론 1

제1장 서 론

최근 파리협정(Paris Agreement) 제6조에 근거하여 2020년 이후 국

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의 구체적인 정의 구조 기능 활용방법 절차 및

거버넌스 등에 관한 국제사회의 논의가 진행 중이다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활발한 논의의 배경은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할 경우

비용효과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 출발한다 이

와 같은 국제사회의 논의와 발맞추어 우리 정부도 2030년까지 BAU

비 37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제시하면서 목표 감축량의 45를 산

림흡수원 및 해외 감축분을 통해 달성하겠다고 밝히고 있다(관계부처

합동 2018)

한편 우리나라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비용효과적으로 달성하

기 위해 2015년부터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도입middot운영 중이다 지난

2017년에 발표된 제2차 계획기간(2018~2020년) 동안의 배출권거래제

운영방향을 제시한 제2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은 5가지 배출권거래

제 운영의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정부는 ldquo국제 탄소시장

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국제기준에 부합rdquo하도록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할

계획이며 특히 ldquo장기적으로 배출권거래제 국제 연계를 통한 해외 상

쇄 등 활성화로 유연성 제고 및 감축비용 절감 도모rdquo를 천명하였다

(기획재정부 2017) 이러한 기본계획의 방향성을 이어받아 최근 한-중

-일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 지역의 탄소시장 연계와 한국-EU 탄소시장

협력체계 등 배출권 시장의 국제 연계에 관한 논의가 전문가 차원에서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배출권 수급 불균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

2

는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 시장의 국제 연계는 시장의 규모

화를 통한 거래활성화 및 국내 기업 감축비용 완화를 위한 매력적인

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잘 알다시피 배출권거래제는 이론적으로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한

가장 비용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EU-ETS를 시작으로 여러

국가에서 배출권거래시장이 운영되고 있는 가운데 각 국가의 배출권거

래시장의 연계는 이론적으로 배출권 시장의 규모화를 통해 비용절감

효과를 극 화시키고 참여 국가들의 편익을 증가시킬 것으로 여겨진

다 그러나 Flachsland et al(2009) Ranson and Stavins(2015) 등의 기

존 연구들은 배출권 시장의 국제적 연계가 비록 이론적으로는 경제적

효율성을 증 시키지만 경제성만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매우 다면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론이 예상하는 바와 다른 다양한 부작용이 존

재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를 둘러싼 다양한 이론적middot실증적

논의와 파리협정하의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최근 협상 동향

을 검토해보기로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을 주요

국(EU) 배출권 시장과 연계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쟁점들 연계

의 잠재적 편익과 비용을 전망해보고 시장 연계의 바람직한 방향에 관

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의 편익

과 비용에 관한 그간의 이론적middot실증적 논의를 검토하고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해 논의한다 제3장에서는 배출권 시장이 연계

되는 다양한 유형과 더불어 퀘벡-캘리포니아 스위스-EU 등 배출권 시

장 연계의 해외 사례를 살펴보고 그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

제1장 서론 3

점을 도출하였다 제4장은 파리협정하의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최근 협상동향과 전망에 해 논의한다 제5장에서는 표적인 배출권

시장인 EU-ETS와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K-ETS)의 연계를 상정한 정

성적인 사례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EU-ETS와 K-ETS의 연계

시 부각될 수 있는 다양한 쟁점들과 시장 연계에 따라 우리가 얻을 수

있는 편익과 비용에 해 전망해보고 K-ETS의 입장에서 바라본 바람

직한 배출권 시장 연계의 방향에 해 모색해 보았다 끝으로 제6장에

서는 앞선 논의들을 종합 정리하면서 보고서를 매듭짓기로 한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5

제2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본 장에서는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배출권 시장 연계와 관련한 이론

적 실증적 논의 동향을 살펴본다 그간 배출권 시장 연계와 관련된 무

수히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하나의 축은 배출권 시장을 연계

할 경우 얻을 수 있는 편익과 비용에 관한 논의이며 다른 하나는 배출

권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요소에 한 논의로 별된다(Helm

2003 Anger 2008 Babiker et al 2004 Jaffe and Stavins 2008

Carbone et al 2009 Flachsland et al 2009 등) 또한 편익 비용 그

리고 연계 시 두될 쟁점들을 종합적으로 다룬 연구들도 다수 존재한

다(Tuerk et al 2009 Flachsland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박수경 외 2018 등)

여기서는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이 다른 시장과 연계될 경우 얻을 수

있는 잠재적 편익과 비용 그리고 연계 시 반드시 짚고 가야할 고려요소

들이 무엇이 있는지에 하여 기존 연구들에서 논의하고 있는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에 해 고찰해보기로 한다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편익과 비용

가 비용효과성

서로 다른 배출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발생 가능한 표적인 경제적

편익으로 비용효과성을 꼽을 수 있다 서로 다른 두 시장의 배출권 가

격이 연계 이후 균등화되면서 두 시장의 감축비용의 총합이 줄어들기

6

때문이다(Chichilnsky and Heal 1995 Anger 2008 Flachsland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아

래와 같은 상황을 고려해보자1)

배출권거래시장이 연계된 두 국가 A와 B가 있는데 A국은 B국에

비해 상 적으로 온실가스 감축기술이 발달하여 온실가스 감축의 한계

비용이 낮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각 국의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은 [그림 -1]와 같이 그려질 수 있다 여기서 A국과 B

국의 규제 이전의 배출총량은 로 동일하다고 가정하며 A국의

배출상한은 B국의 배출상한은 라고 하자 또한 두 국가의

배출권 시장은 완전경쟁적이라고 가정하자

[그림 Ⅱ-1] A국과 B국의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에 따른 가격결정

A국 배출상한

B국 배출상한

Y

X

자료 Anger(2008 p2032) 및 Flachsland et al(2009 p362)를 참조하여 저자 재작성

1) 여기서는 Flachsland et al(2009 p362)의 도면 분석(graphical analysis)을 저자가 약간 변형하여 제시하기로 한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7

그러면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 이전 각국의 배출권 가격은 각각

와 에서 형성될 것이다 이때 각 국의 배출권 가격의 격차는 배출

권거래시장의 연계 유인이 될 수 있다 B국의 경우 상 적으로 배출권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더 낮은 비용으로 온실가스 감축하기 위해 A국

으로부터 배출권을 구매하기 원할 것이고 A국의 경우 배출권을 판매함

으로써 이익이 발생하기 때문에 배출권 시장 연계가 가능할 것이다

배출권거래 시장이 연계될 경우 A국 배출권의 수요는 증가하기 때

문에 A국에서의 배출권 가격은 상승하게 되고 B국의 경우 A국으로

부터의 배출권 유입으로 배출권 공급이 증가하므로 배출권 가격은 하

락하게 된다 즉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의 차이에 따라 A국에서 B국

으로 배출권이 이전되고 결과적으로 두 국가의 배출권 가격이 로 동

등해지는 까지 지속된다 즉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의 차이에 따른

배출권 이전으로 연계시장에서 배출권의 균형가격은 수준으로 결정

된다 이 때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에 따른 비용은 전체적으로 X와 Y

면적만큼 감소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비용효과성이 항상 달성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도 언급

하였듯이 시장 연계가 가져다주는 비용효과성을 논의할 때 두 국가의

배출권 시장이 완전경쟁적인 상황을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연계되는

두 시장에 외부성이나 왜곡적 조세체계 등으로 인한 시장 왜곡이 존재

할 경우 배출권 시장 연계는 기존의 왜곡을 오히려 강화시킴으로써 비

용효과성을 저해할 가능성도 있다(Flachsland et al 2009) 예를 들어

어떤 사유(또는 특정 목적)로 인해 에너지원 간 조세체계가 사회적으

로 바람직한 상 가격체계를 따르지 못하지만 배출권거래제를 통해 효

율적 배분이 달성되고 있는 상황을 생각해보자 이때 배출권 시장 연

계로 인해 배출권 가격이 변할 경우 에너지원 간 소비 왜곡으로 인한

8

비효율성이 발생한다 만일 배출권 시장 연계로 인한 감축비용의 감소

에 비해 그러한 비효율성이 더 크다면 배출권 시장 연계는 사회 후생

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2)

나 시장 유동성과 가격 안정성

서로 다른 배출권 시장이 연계되면 개별 배출권 시장이 독립적으로

병존할 때에 비해 전체 시장 규모는 확 되며 그로 인해 배출권 시장

의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다 시장 규모가 커지게 되면 배출권 시장에

서 유동성(liquidity)이 커지게 되며 배출권 가격의 안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Flachsland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특히 유동성 확 와 그로 인한 배출권 가격 안정의 효과는 연계 이전

에 시장 규모가 상 적으로 작은 시장에서 크게 나타난다 시장을 연계

하기 이전에 두 시장 모두 규모가 작을 경우 양쪽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시장 규모가 비 칭적인 경우 상 적으로 규모가 작은

시장에서 이와 같은 효과를 크게 누리게 된다 시장 규모가 협소하여 배

출권 수급 불균형이 자주 나타나는 시장이 보다 큰 시장과 연계할 경우

수급 불균형에 따른 문제를 크게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장 연계가 반드시 규모가 상 적으로 작은 시장의 가격 안

정성을 증 시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특정 배출권 시장의 변동성이

다른 배출권 시장으로 전이될 수도 있다(Mckibbin et al 2008) 만일

연계하는 큰 규모의 상 편 배출권 시장에서 과다 할당 과다한 상쇄

배출권의 유입 등의 이유로 규모 시장에서 급격한 시장 가격 변동이

발생할 경우 배출권 시장 연계는 소규모 배출권 시장의 가격 불안정성

2) Babiker et al(2004)와 Mckibbin et al(1999) 등은 기존 시장에서의 왜곡이 존재할 경우 배출권 시장 연계가 반드시 효율성을 가져다주는 것은 아님을 보여주었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9

을 오히려 크게 확 될 것이다 결국 배출권 시장 연계가 가격 안정성

에 미치는 효과는 연계되는 시장의 규모에 따라 다르며 수급 불균형

에 따른 효과의 동태적 경로 또한 가격 충격의 근원지가 어디냐에 따

라 비 칭적으로 나타날 것이다

다 동태적 효율성

온실가스로 인한 기후변화는 국지적이며 단기적인 이슈가 아닌 글로

벌한 장기적인 이슈이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 정책 당국자들이 매우

높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강도 높은 감축수단의 이행을 약

속했다고 하더라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러한 감축목표와 수단의 강

도를 낮추고자 하는 유인에 직면할 수 있다3)

이때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동태적 비일관성의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다(Flachsland et al 2009) 기후변화 정책의 동

태적 비일관성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정책 당국자가 재량적 의사결정

을 할 여지가 늘어나기 때문에 발생한다 만일 두 국가(또는 지역)의

배출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특정 국가의 배출권거래제도와 관련된 재

량적 의사결정(배출상한의 설정 배출권의 할당 상쇄제도 등)은 연계

된 전체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일단 시장이 연계되고 난

이후에는 그러한 의사결정 시 다른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하는 국가(또

는 지역)와 충분한 사전협의를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상 국가(또

는 지역)의 명시적 또는 암묵적 압력에 직면하게 되며 독자적인 배출

권 시장을 운영하는 경우에 비해서 감축의 강도를 낮추는 방향으로 재

3) 이른바 동태적 비일관성(time inconsistency problem)의 문제로서 Helm et al(2003)은 기후변화정책에서의 동태적 비일관성을 다루고 있다

10

량적 의사결정하기가 더 어렵다 이처럼 배출권 시장 연계는 특정 국

가에서 재량적 의사결정을 할 여지를 낮춤으로써 안정적인 탄소가격

신호를 전달하고 감축투자를 촉진하는데 도움이 된다4)

물론 배출권 시장 연계의 구체적인 유형에 따라 동태적 효율성의 크

기는 달라질 수 있다 상 편 시장의 배출권을 의무이행에 일부 허용

하는 방식의 느슨한 연계보다는 전체 감축목표 및 배출상한을 상호 협

의하는 방식의 연계가 동태적 효율성 확보에 유리할 것이다

라 환경 건전성

선행 연구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 연계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일률적이지 않다 Carbone et al(2009)에 따르면 배출

권 시장 연계는 그렇지 않을 때에 비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 환경

건전성에 도움을 준다 Carbone et al(2009)은 한계감축비용과 감축의

환경적 편익이 높아서 배출권의 순 구매자가 되는 국가들과 한계감축

비용이 낮고 배출의 한계편익이 낮아 배출권의 순 판매자가 될 소수의

규모 배출권 판매 국가들이 서로 연계하는 상황을 상정하여 분석하

였다5) 이때 배출권 할당량은 참여하는 국가들이 합의해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 주권국가로서 독자적으로 결정한다

4) 한편 항상 배출권 시장 연계가 동태적 효율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 만일 특정 국가(또는 지역)의 한계감축비용이 상당히 높아 배출권 시장 연계 이후 상당량의 배출권을 구매하는 경우 자체적인 감축노력보다는 연계된 시장에서 배출권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목표를 충당함으로써 자체 감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다양한 공편익(co-benefits) 예를 들어 기오염 저감 에너지 안보 강화 감축기술 촉진 등을 장기적으로 내재화하지 못할 가능성도 상존한다(Flachsland et al 2009)

5) 가령 배출권 순 구매자로서 EU와 배출권 순 판매자로서 개발도상국인 중국 및 러시아가 상호 연계하는 상황을 상정해보라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1

배출권 판매국가의 입장에서는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이 높은 수준으

로 유지되어 얻는 이익과 높은 배출권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배출권

할당량을 제한함으로써 잃게 되는 비용을 상호 비교하여 최적의 의사

결정을 하게 된다 만일 소수의 규모 배출권 판매국가가 공급독점자

로서 시장지배력을 가질 경우 배출권 가격 하락을 억제하기 위해 할당

량을 낮출 유인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수준은 줄

어드는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특히 Carbone et al(2009)은 EU-중

국-구소련연방이 서로 배출권 시장을 연계하는 상황에 한 연산가능

일반균형(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모형 기반 시뮬레이

션 분석을 통해 연계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서 두 배 이상의 온실가스

감축이 가능함을 보였다

반면 Helm(2003)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이 연계됨으로써 오히려 배출

권 할당량이 늘어나 환경 건전성을 저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은 배

출권 할당량을 늘임으로써 발생하는 추가적인 환경적 피해와 배출권 가

격 하락에 따른 손해에 비해 배출권 판매량의 증 에 따른 수입 증

효과가 더 큰 경우에 발생한다 이 경우 시장 연계에 따라 배출권의 순

판매국이 되는 국가는 자국의 배출권 할당량을 연계 이전에 비해 늘리

고자 하는 유인을 가지며 이로 인해 두 시장의 전체 배출권 할당량 총합

은 연계되기 전에 비해 늘어날 경우 환경 건전성을 해칠 수 있다6)

전술한 두 가지 경우 중 어느 경우가 더 현실적인 시나리오인지는

일률적으로 답하기 곤란하다 결론적으로 배출권 시장 연계가 환경

건전성에 미치는 효과는 연계되는 국가들의 한계감축비용 및 한계환경

편익의 구조 각국의 배출권 시장구조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6) 이때 순 효과의 크기는 한계감축비용 및 한계환경편익에 따라 달라진다 자세한 사항은 Helm(2003)을 참조하라

12

마 정치적 편익과 비용

배출권 시장 연계는 근본적으로 서로 다른 두 시장의 국제적인 상호

협력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국제정치적 전략의 관점에서 긍정적인 효과

를 가진다(Ranson and Stavins 2015) Ranson and Stavins(2015)가 주

장한 바와 같이 배출권 시장 연계는 기후변화 응에 한 참여 국가

의 적극적인 의사를 국제적으로 천명하는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 응과 관련한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고 국제적

인 신뢰를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7)

배출권 시장 연계가 정치적 측면의 편익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그

이면에는 치러야 할 또 다른 가가 존재한다 특정 국가가 자국의 단

일한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는 경우 정부 당국은 해당 시장에 한 배

타적인 통제권을 가지며 정책 환경 변화에 따라 유연한 응이 가능하

다 그러나 다른 배출권 시장과 연계될 경우 구속력을 가지는 국내 규

제정책에 한 국가의 개입 범위가 줄어들어 규제의 유연성을 제 로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다(Jaffe and Stavins 2008 Flachsland et al

2009)

7) 한편 Ranson and Stavins(2015)은 배출권 시장 연계가 특정 국가의 배출권 시장의 도입에 영향을 준 도구로서 활용되기도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EU-ETS는 제3기에서 최빈개도국(Least Developing Countries LDCrsquos) 국가에서 나온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 배출권만을 상쇄로 허용하겠다는 결정을 하였다 그런데 이로 인해 당시 EU 시장에서 청정개발체제 배출권 공급의 상당량을 차지하던 중국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의 시장 공급이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중국이 독자적인 자국 내 배출권 시장을 도입하게 된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물론 중국의 배출권 시장 도입이 자국의 청정개발체제 배출권 해결을 위한 방편이었다는 Ranson and Stavins(2015)의 해석에는 다소 이견이 있을 수 있으나 중국의 배출권 시장 도입이 자국의 잉여 청정개발체제 배출권 해소에 일정 부분 기여했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 이것은 배출권 시장의 연계가 아닌 lsquo연계의 단절rsquo이 특정 국가의 적극적인 기후변화 응 정책수단 도입을 이끌어낸 흥미로운 사례라고 하겠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3

후술하겠지만 배출권 시장 연계과정에서 감축목표의 강도 가격상한

여부 상쇄제도의 설계 방식 이월과 차입의 허용 정도 등 다양한 설계

요소에 따라 배출권 시장 연계 전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

다 이러한 맥락에서 배출권 시장 연계 사전에 그러한 설계요소별로

양 시장간 긴 한 협력과 조정이 필요하며 이는 결국 배출권거래제도

설계에 있어서 배타적 통제권과 규제 당국의 유연성에 해 일정 정도

의 양보가 뒤따를 수 있다8) 결과적으로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는 국

가 주권의 부분적 양도라는 정치적 도전에 직면할 우려가 있음에 유의

할 필요가 있다

2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주요 고려사항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는 경제적 정치적 측

면 등에서 연계에 따른 잠재적 편익과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배출권거래시장을 연계하여 잠재적 편익을 극 화하면서 비용을 최소

화하기 위해서는 시장 연계의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

라서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를 설계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본 절에서는 배출권거

래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할 주요 사항들에 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에 있어서 감축목표는 배출권의 가격뿐만 아

8) Flachsland et al(2009)은 ldquo연계는 기본적으로 효율성 증 와 규제적 개입의 감소 간의 상충관계를 내포한다rdquo고 지적하였다

14

니라 감축비용의 효율성 증 및 분배효과의 크기 등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배출권 시장 연

계를 다룬 여러 선행 연구들은 감축목표의 상 적 격차가 클 경우 배

출권 시장 연계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Tuerk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감축목표의 엄격성 차이가 배

출권 시장 연계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이유는 연계를 통한

경제적 편익에도 불구하고 정치적middot분배적 관점에서의 쟁점들을 부각시

켜 제도의 수용성을 낮추기 때문이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배출권 시장을 연계하는 가장 큰 논거는 비용

효과성에 있다 비용효과성은 연계하는 두 시장 간 감축비용의 차이에

서 나온다 그러나 반 로 배출권 시장이 연계된 이후 높은 감축목표

를 설정한 국가의 기업들이 상 적으로 낮은 감축목표를 설정한 국가

의 기업들로부터 거 배출권을 구입하여 자본이동이 발생하게 되면

고강도 감축목표 설정 국가의 기업들로부터 국가 간 감축목표의 형평

성 관점에서 제기되는 상당한 정치적 저항에 부딪힐 수 있다9) 또한

연계 이전에 고강도 감축목표 국가의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의 순 판

매자인 기업이 시장 연계 이후에 배출권 판매규모가 줄어들게 되고

그로 인해 연계 이전에 비해 순 편익이 줄어들 경우 분배적 이슈가 부

각될 가능성도 있다10)

9) 두 시장의 감축목표의 강도나 감축비용이 유사한 경우에는 이러한 쟁점은 사라지는 반면에 시장 연계로 인한 경제적 편익은 줄어들게 된다는 역설적인 측면이 존재한다(Ranson and Stavins 2015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10) 한편 감축목표의 상당한 차이가 나더라도 양 시장이 이를 감안한 적절한 교환비율을 설정한다면 이론적으로는 시장 연계에 큰 장애요인이 되지 않을 수 있다(Burtraw et al 2013 Ranson and Stavins 2015) 그럼에도 불구하고 Ranson and Stavins(2015)는 감축목표와 배출권 가격에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경우 시장 연계에 큰 장애요인이 될 수 있으며 ClimateWire(2013)을 인용하면서 EU-ETS 배출권 가격의 급락이 캘리포니아 배출권 시장과의 연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5

따라서 배출권시장의 연계를 추진할 경우 연계를 통한 경제적 편익

이외에도 감축목표의 엄격성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국가 간의

자본 이동 문제와 이에 따른 분배 문제에 해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

요가 있다 또한 감축목표의 강도에 해 연계 이전 양 당국자간의 충

분한 사전 논의와 조율이 선행되어야 하며 필요할 경우 시장 연계로

인해 영향을 받는 경제주체들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중요할

것이다

나 상쇄제도

상쇄제도는 배출권 시장의 공급량 및 이를 통한 시장 가격에 직접적

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자 국내적 감축활동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설계요소이다 상쇄제도가 크게 차이가 나는 서로 다른 두 시장

이 서로 연계될 때 상쇄제도의 차이로 인해 배출권의 공급 및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Teurk et al 2009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예를 들어 세계 최 배출권거래시장인 EU-ETS는 2020년 이후부터

역내 온실가스 감축노력 강화를 위해 역외 탄소상쇄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기로 하였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EU-ETS

와 다른 배출권 시장이 서로 연계되고 연계된 다른 배출권거래시장에

서 탄소상쇄의 사용을 허용할 경우 여기서 발생되는 상쇄배출권은 사

실상 EU-ETS에서 사용가능한 상황이 된다 연계된 다른 배출권거래제

의 할당배출권을 EU-ETS에 판매하는 신 그에 해당하는 양만큼의

상쇄배출권을 유입시키면 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할당배출권과 상쇄배출권은 통상적으로 상호 호환이 가

16

능하기 때문에 연계된 시장 간 상쇄의 활용에 한 다른 인식을 가지

고 있다고 하더라도 한 국가에서 상쇄제도를 허용할 경우 상쇄제도를

허용하지 않는 국가 또한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다 만일 연계를

고려중인 두 시장이 서로 다른 상쇄제도를 운영하고 있고 연계 시 상

쇄제도의 시장 수급 영향이 크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국가 간 상쇄제

도의 인식 및 활용 허용 여부 등에 한 사전 논의와 조율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될 것이다

다 배출권 가격 및 공급관리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하는 주체는 배출권 시장의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 배출권의 가격 및 공급에 관한 사항을 별도의 규정을 두어 관리

하기도 한다 여러 배출권 시장에서 도입하고 있는 배출권 가격 상middot하

한제도나 EU-ETS의 배출권 경매 연기(Back-loading of auctions) 조치

와 같은 배출권 공급량 조절 장치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11) 만약 가격

상한제 또는 하한제와 같은 배출권 가격 또는 공급량 관리 규정이 한

국가의 배출권 시장에 존재하거나 도입될 경우 이 시장과 연계되는

다른 국가의 배출권 시장에서 동일한 규정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연계

된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배출권 가격 상middot하한제도가 한 시장에 존재하고 다른 시장에는 존재

하지 않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경우 배출권 시장이 연계되어 있다

면 참여주체들의 재정거래(Arbitrage)를 통해 연계된 시장의 배출권 가

11) 배출권 경매 연기(Back-loading of auctions)는 EU 배출권 시장의 수급 안정화를 위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총 9억톤의 배출권 경매를 2019년 이후로 연기하는 조치로서 EU-ETS 경매 규제에 한 수정의 일환으로 2014년부터 시행되었다(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reform_en)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7

격은 결국 배출권 가격 상middot하한 범위 내로 수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연계된 시장의 모두에서 배출권 가격의 상middot하한제도를 도입한 것과 동

일한 결과를 가져다줄 공산이 크다

다음으로 공급량 관리 조치가 존재하는 상황을 EU-ETS 사례를 통

해 살펴보자 EU는 배출권 경매 연기에 뒤이어 배출권거래시장의 안

정화를 위해 배출권 비축제도(Market Stability Reserve 이하 MSR)를

도입하였다12) 만약 EU-ETS가 다른 시장과 연계되었다고 할 때 EU의

배출권 비축제도는 연계된 배출권 시장 전체를 상으로 한 배출권 공

급량을 기준으로 준칙이 설정되어야 배출권 시장 수급 안정화에 이상

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연계된 두 배출권 시장은 하나의 배출권 시장

으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연계된 두 시장의 전체적인 수급 불균형

이 아닌 한 시장의 수급 불균형만을 고려하여 제도를 운용할 경우 배

출권 수급 불균형 해결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를 위해서는 각

국가 간 배출권 공급과 배출권 가격에 관한 효율적인 관리 제도에 관

해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라 배출권의 할당방식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배출허용총량이 주어진 상황에서 배출권의 할

12) MSR은 배출권 경매량 조절을 통해 수급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배출권의 공급량이 사전에 정한 특정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배출권의 경매 규모를 감소시키고 그 감소분만큼을 비축하며 반 로 배출권시장 내에 배출권이 과소 공급될 경우에는 비축분의 방출하여 경매 규모를 증가시켜 공급량을 늘리는 방식으로 운용한다 현재 배출권 경매 연기 조치를 통해 확보된 9억톤이 MSR에 비축될 예정이며 추가 비축분은 2020년 이후 배출권 시장 상황에 따라 정해진 준칙에 의거 결정될 예정이다 아직까지 비축을 위한 구체적인 준칙은 확정되지 않았다(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reform_en)

18

당방식은 비용효과성에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한다(Mongomery 1972

Tietenberg 2006 Hahn and Stavins 2011) 물론 배출권거래시장의

참여주체에게 분배적 관점에서 영향을 미칠 수는 있다 그러나 국가

간 배출권 할당방식의 차이에 따른 영향은 두 시장의 연계 여부에 상

관없이 존재하기 때문에 비용효과성의 측면에서는 할당방식이 배출권

거래시장의 연계에 있어 직접적인 함의를 가지지 않는다13) 다만 연계

된 두 시장 모두 경매를 통한 배출권 할당을 할 경우 연계 이전에 배

출권 가격이 높게 형성된 국가의 경우 연계에 따라 가격이 낮아져 상

적으로 적은 경매수입을 얻을 수 있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경매수입이 다시 감축을 위한 활동에 중립적으

로 사용된다고 한다면 그 영향도 매우 제한적일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고려해야 할 점은 한 국가는 경매를 통해 할당하고

다른 국가는 무상으로 배출권을 할당하는 상황에서 두 시장이 서로 연

계되는 경우이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할당방식의 차이 자체가 배

출권 시장에 주는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다14) 그러나 일단 시장이 서

로 연계된 이후엔 유middot무상할당 방식의 차이로 인해 두 국가 간 산업경

쟁력이 정치적 쟁점으로 부각될 수 있다 즉 무상할당 방식을 취하는

13) 다시 말해 A라는 할당방식(국가 1에는 a1 국가 2에는 a2라는 할당방식)을 B라는 할당방식(국가 1에는 b1 국가 2에는 b2라는 할당방식)으로 변경하더라도 연계 전과 연계 후의 비용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동일하다 왜냐하면 연계가 없을 경우 최초 할당 이후 두 시장의 배출권 최종 균형가격은 A와 B 할당방식 모두에서 동일하며 연계된 경우에도 배출권 최종 균형가격은 할당방식에 관계없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할당방식을 어떻게 하든 할당방식에 따른 연계 전과 후의 비용효과성 변화의 크기는 동일하므로 할당방식이 배출권 시장 연계에 주는 직접적 함의는 제한적이다

14) 경매를 주된 할당방식으로 택하는 국가의 기업들이 무상할당을 주된 방식으로 채택한 국가로 생산시설을 이전하는 탄소누출(carbon leakage)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사실 이러한 탄소누출은 시장이 독자적으로 운영되더라도 유사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시장 연계가 추가적인 탄소누출을 야기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9

국가에 해 유상할당으로 할당방식 변경을 요구하는 명시적 또는 묵

시적 압력이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15) 따라서 할당방식에

있어서 유middot무상의 차이가 나는 경우 국가 간 상호조율과 양해가 전제

되지 않는다면 시장 연계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마 대상 온실가스 및 적용대상

배출권거래제의 적용을 받는 기업의 범위 및 배출제한 적용을 받는

상 온실가스는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소들이다 상 온실가

스 및 적용 상의 차이가 적용할 수 있는 온실가스 감축옵션이나 배출

권 할당 규모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기는 하지만 이는 시장 연계와

상관없이 영향을 주는 요소이므로 시장 연계 전후의 차이에 영향을 주

는데 제한적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이들은 적용여부에 따라 해당 산업의 경쟁력에 직접적인 영

향을 미치는 요소이므로 시장 연계 이후 배출권 가격 변화를 통해 간

접적으로 산업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이러한 경쟁력 변화는 특정 국가의 참여기업들의 수용

성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나아가 동태적인 관점에서 제도적 변화에

한 정치적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간과해선 안 된다

예를 들어 한 시장에서는 NF3를 규제 상 온실가스에 포함하는데

반해 다른 국가에서는 이를 규제 상에서 제외한다고 하자 이 경우

NF3가 규제 상에서 제외된 국가의 배출기업들은 그렇치 않는 경우

에 비해 상 적으로 유리한 입장이 된다 이들 두 국가의 배출권 시장

15) 물론 시장 연계 이전에도 이 문제는 국가 간 쟁점이 될 수 있으나 배출권 시장이 독자적으로 운영될 때보다는 연결된 경우에 쟁점화될 개연성이 더 높다

20

이 연계될 때 규제 상의 차이가 연계 전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은 매우 제한적이다 그러나 앞서 유middot무상할당 방식에서와 같이 일단

연계된 이후에는 상 적으로 불리한 입장의 기업들을 중심으로 제도적

형평성에 한 이의를 제기할 수 있고 중장기적으로는 제도적 수렴을

요구하는 경제 외적 압력을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

요컨 상 온실가스와 적용 상의 차이는 단기적으로는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핵심 쟁점은 아니다 그러나 앞선 예처럼 중장기적으

로는 연계 이후 참여 상자들의 수용성 및 형평성에 한 문제 제기 및

제도 수렴에 한 정치적 압력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바 이월 및 차입

이월(banking)은 해당 연도의 배출권 잉여분을 이후 연도에 의무이

행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두 국가 간 배출

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한 국가에서 배출권의 이월을 허용하고 있을

경우 연계된 다른 국가가 이월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간접적으로 이월

제도를 허용한 것과 유사하게 된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국가 A가 배출권 이월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국가 A의 기업들

은 해당 연도 배출권을 이월을 허용하는 국가 B의 이후 연도 배출권과

교환하여 이를 이후 연도 이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

서 어떤 시장에서 이월을 허용하지 않아야 하는 특별한 사유가 있다면

배출권 시장 연계 이전에 이월 관련 규정에 한 국가 간 상호 조율이

필요하다16)

16) 참고로 현재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한 부분의 국가는 배출권의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고 있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21

배출권의 차입(borrowing)은 이월과 반 되는 개념으로 배출권거래

제에 참여하는 업체가 해당 거래 연도에 배출허용량을 초과해서 배출

했을 때 다음 연도 배출권 할당량 중 일부를 차입하여 사용하는 제도

이다 차입 역시 이월과 유사한 논리로 두 국가 간 배출권 시장이 연계

되어 있다면 한 국가에서 배출권의 차입을 허용하고 있을 경우 연계된

다른 국가가 차입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이 국가에서 간접적으로 차입

제도를 허용한 것과 사실상 동일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배출권의 차입

은 현재 시점에서의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을 이연시키

는 효과를 가지므로 환경 건전성 관점에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

다 이로 인해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한 부분의 국가는 차입을 허용하

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일 어떤 시장에서 특정한 사유로

인해 차입을 허용하는 경우엔 배출권 시장 연계 이전에 차입 관련 규

정에 한 국가 간 상호 조율이 필수적이다

사 기타 고려사항

온실가스 배출량의 측정 및 보고 검증(Measurement Reporting and

Verification MRV) 기준은 두 배출권 시장 연계에 있어서 중요하다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연계된 두 시장의 MRV 기준

및 강도 등에서 상당한 차이가 날 경우 두 배출권의 상호 호환성

(fungibility) 및 등가성에 한 논란이 커질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그

러나 서로 다른 MRV체계가 반드시 시장 연계의 장애요소가 되는 것

은 아니며 양 국가 간 합의만 전제된다면 등가비율의 조정을 통해 연

계가 가능하다(Tuerk et al 2009)17)

17) 물론 Tuerk(2009)가 지적하듯이 MRV체계의 투명성(transparancy)과 비교가능성

22

또한 연계된 배출권시장 간의 배출권 이전이 가능하기 위해서 배출

권거래시장의 등록소는 두 시장 간 호환 가능해야 하는데 이는 다분

히 기술적인 요소로 시장 연계에 있어서 장애요인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연계된 배출권시장 간에 신뢰 구축을 위하여 감축목표

불이행에 따른 페널티와 의무이행 체계는 연계된 시장 간에 유사해야

할 것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comparability)이 보장되어야 하며 기준과 강도 그리고 등가비율 등에 한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3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

두 배출권 시장이 서로 연계되는 방식은 다양한데 크게 나누어 보면

직접 연계(direct link)와 간접 연계(indirect link)로 구분된다(Tuerk et

al 2009) 직접 연계는 두 배출권 시장 간 직접적인 배출권 거래가 가

능한 경우를 의미하며 간접 연계는 두 시장 간 직접적 거래가 가능하

지 않지만 제3의 시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된 경우를 뜻한다(Tuerk

et al 2009 Flachsland et al 2009) 다시 직middot간접 연계는 몇 가지 서로

다른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아래에서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가 직접 연계 완전 통합형

완전 통합형 직접 연계는 서로 다른 별개로 운영되던 배출권 시장이

하나의 배출권 시장으로 통합되는 유형을 말한다 이 경우 서로 다른

할당배출권이 하나로 통합되며 개별적으로 진행되던 배출권 할당 또한

전체 시장을 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선 감축목표의 설정 및

배출권 할당 상쇄제도 등 다양한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소들

에 해 두 시장간 완전한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감축목표

의 설정 등과 관련하여 완전한 합의를 이루기 위해선 국가 주권의 일

정 부분을 양도한다는 국내 정치적 도전과 정책적 자율성 손실에 따른

비용 부담이 불가피하다는 단점이 있다

완전 통합형 직접 연계는 현실에서 사례를 찾기 매우 힘들지만 표

24

적인 사례로는 EU-ETS와 노르웨이 ETS의 연계를 꼽을 수 있다

EU-ETS 제1기(2005~2007)만 하더라도 양 국가의 배출권 시장은 별도

의 시장으로 존재해왔다 그러나 EU-ETS 제2기(2008~2012) 이후부터

노르웨이 ETS 시장은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과 함께 EU-ETS 시장

으로 편입되어 EU ETS Directive 하에서 운영되는 시장으로 완전 통

합되었다(Royal Norwegi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08)

나 직접 연계 쌍방향 연계형

쌍방향 연계 방식의 직접 연계는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각자

배출상한 목표를 가지고 개별적으로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되 서로 간

의 할당배출권이나 상쇄배출권이 자유롭게 거래되고 상 편 시장의 배

출권을 자신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게 허용되는 연계 방식을 말한

다(Haites and Mullins 2001 Tuerk et al 2009) 두 개의 시장이 하

나의 시장으로 완전히 통합되는 방식에 비해서 각자 독자적인 배출권

시장을 유지middot운영하기 때문에 각 시장을 운영하는 주체의 정책적 자율

성이 일정 부분 보장된다 또한 시장 연계의 수준을 두 시장이 가진 고

유한 상황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다 경우에 따라 해당 시

장에서 의무 이행 시 활용 가능한 상 편 시장의 배출권 수량에 일정

한 제한을 가할 수도 있고 제한 없이 상 편 시장에서 구매한 배출권

을 자신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도 있어서 제도 운

영의 자유도가 완전 통합형에 비해서 높은 편이다18)

18) 만일 제한 없이 상 편 시장에서 구매한 배출권을 자신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경우 완전 통합형 직접 연계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쌍방향 연계형은 배출상한 목표(즉 배출권 할당량) 등 주요 설계요소를 결정함에 있어서 각 시장 운영주체가 독자적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완전 통합형과 차별성을 가진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5

현존하는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는 모두 쌍방향 직접 연계의 유형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와 퀘벡 간의 배출권 시장 연계와

최근 협정을 체결한 EU-ETS와 스위스 ETS 간의 연계가 표적인 쌍

방향 직접연계 방식을 취하고 있다 목표의 강도 할당방식 적용 상

상쇄제도 등 주요 배출권거래제 설계요소에서 나름의 독자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배출권 거래 및 의무이행에 있어서 상호 호환을 허용하고 있다

이들 사례에 해서는 후술하는 소절에서 자세하게 다루기로 한다

다 직접 연계 단방향 연계형

단방향 연계는 한 시장에서는 상 방의 할당배출권이나 상쇄배출권

을 구매하여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지만 다른 시장에서는 이를 허용

하지 않는 방식이다(Tuerk et al 2009) 통상적으로 시장 연계는 상호

간 순 편익이 늘어날 경우에 성사될 수 있으므로 단방향 연계 방식의

직접 연계는 현실에서 보기 어렵다 다만 쌍방향 연계에 합의했더라도

제도적middot기술적 요인들로 인해 일정 기간 유예가 필요한 경우 서로 간

의 합의하에 본격적인 쌍방향 연계 전의 중간 단계로서 단방향 연계가

일어나기도 한다

단방향 연계의 사례로 노르웨이 ETS는 EU-ETS 제1기에 EU-ETS

배출권을 의무이행에 허용하였던 반면 EU는 노르웨이 ETS 배출권을

받아들이지 않았다(Tuerk et al 2009)19) 또한 비록 성사되지는 않았

지만 호주와 EU-ETS 간의 배출권 시장 연계 시도에서도 단방향 연계

의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지난 2012년 호주와 EU는 양 국가의 배출

권거래제를 연계하기로 발표하면서 2018년 7월 이후에 본격적으로 쌍

19) 이후 EU-ETS 제2기부터 노르웨이 ETS는 EU-ETS에 편입되었다

26

방향 연계하되 2015년 7월부터 한시적으로 호주 기업들이 EU-ETS의

배출권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합의한 바 있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이상의 사례는 단방향 연계 방식이 주로 소규모 시장이 규모 시장

과 연계할 때 과도기적 조치로 사용되어 왔음을 보여준다 결국 단방

향 연계는 규모 시장과의 연계로 인해 소규모 시장 참여자들이 입을

지도 모를 시장 충격에 미리 비하고 본격적인 쌍방향 시장 연계에

앞서 두 시장의 제반 제도적middot기술적 여건을 조화시키기 위한 준비기가

필요할 경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유형이다

라 간접 연계

두 시장이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지 않더라도 제3의 시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될 수도 있다(Tuerk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이때 제3의 시장은 할당배출권이 거래되는 시장이 될 수도 있

고 탄소상쇄 배출권(carbon offsets credit)이 거래되는 시장이 될 수도

있다 이때 제3의 시장은 다른 두 시장과 쌍방향 혹은 단방향으로 직

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어야 한다 이 경우 특정 시장에서의 배출권 수

급 변화는 제3의 시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다른 시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Tuerk et al 2009)

간접 연계의 한 사례로서 쌍방향 연계 이전에는 스위스 ETS와

EU-ETS를 들 수 있다 두 시장은 비록 직접 연계되어 있지는 않았으

나 탄소상쇄로서 교토의정서 상의 크레딧(CDM JI 등)을 허용하고 있

었으며 동 크레딧 시스템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아직까지는 제3의 시장이 할당배출권 시장이 되는 방식의 간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7

접연계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향후 여러 국가 혹은 지역 단위

에서 배출권 시장이 도입되고 서로 간의 이해에 따라 국가 혹은 지역

단위 배출권 시장 간 연계가 늘어나게 된다면 제3의 시장이 할당배출

권 시장이 되는 방식의 간접 연계 유형도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논의한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그에 해당하는 실제 사

례를 정리하면 아래 lt표 -1gt과 같다

구분 유형 표 사례

직접 연계

완전통합형EU-ETS(Phase II~)와 노르웨이 ETS

간의 연계

쌍방형 연계형

EU-ETS와 스위스 ETS 간의 연계(lsquo17년 협정 체결)

캘리포니아와 퀘벡 간의 ETS 연계

단방향 연계형

EU-ETS(Phase I)와 노르웨이 ETS 간의 연계

(연계 추진)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20157월~20186월)

간접 연계

크레딧 시스템을 통한 연계

EU-ETS와 스위스 ETS (쌍방향 연계 이전)

제3의 할당배출권 시장을 통한 연계

해당 없음

자료 Ranson and Stavins(2015)를 참조하여 저자가 재구성

lt표 Ⅲ-1gt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대표 사례

28

2 배출권 시장 연계의 사례20)

가 스위스 배출권거래제와 EU-ETS의 연계

2010년 11월 EU 집행위원회는 EU-ETS와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에 한 협상 개시를 제안했고 이사회를 통해 협상에 한 위임을

받았다 EU와 스위스는 두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 기준과 방식에 해

합의하고 2017년 11월 협약서에 서명함으로서 두 시장의 연계 이행 작

업에 들어갔다 EU-ETS와 스위스 배출권시장과의 연계는 EU-ETS와

제3국의 배출권시장이 연계되는 최초의 공식적인 사례이다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제는 제1차 계획기간인 2008년부터 5년간은 자

발적 참여 단계로 시작하였다 2013~2020년까지인 제2차 계획기간

동안 EU-ETS와의 연계를 위해 2020년까지 감축목표를 EU와 동일한

수준인 1990년 비 20 감축으로 정하는 중요한 변화를 배출권 시

장에 도입하였다

1999년 스위스는 난방 산업공정 수송연료에 탄소 부담금을 부과하

고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했다 연간 25000tCO2e 이상의 이산

화탄소를 배출하는 기업들은 직접적으로 배출권거래제에 참여 가능하

도록 하였으며 참여 기업들은 상향식 접근방법을 기반으로 배출권을

무상할당 받았다 제1차 계획기간 동안 기업은 조림사업과 같은 카본

싱크 프로젝트를 통한 RMUs(Removal Units)를 사용 가능하도록 하

였다 스위스의 페널티 제도는 EU의 페널티 제도와 확연한 차이를 보

이는데 배출권거래제를 참여기업이 감축목표 수준을 준수하지 못했을

20) 본 절은 Carbon Market Watch(2015)의 pp8-13까지의 내용과 박수경 외(2018)의 pp479~ 482까지 내용을 참조하여 재구성한 것이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9

경우의 페널티는 배출권의 상한가격에 해당하는 탄소 부담금과 이자의

합이었다

스위스와 EU 간 배출권거래시장 연계 협상은 공식적으로 2011년 3

월 시작되었다 이에 스위스는 2013년 1월 1일을 시장 연계 시 잠재적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는 요소들을 수정하여 배출권거래제를 개정하였

다 수정된 배출권거래제의 획기적인 변화 중 가장 괄목한만한 점은

배출권거래제 자발적 단계에서 의무적 단계로의 전환된 부분이다 따

라서 제2차 계획기간(2013~2020년)에는 스위스의 온실가스 배출 집약

적 산업부문의 시설들은 배출권거래제에 의무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또한 스위스는 수정된 배출권거래제의 페널티 제도 및 무상할당 방식

그리고 국가 간 탄소 상쇄제도를 EU-ETS와 조화시키기 위해 노력하

였다 그러나 여전히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제는 몇몇 사소한 부분에서

EU-ETS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EU의 경우 배출권거래제

참여 기업이 연간 배출량을 측정하여 당국에 보고하고 독립적으로 검

증 받아야 한다 그러나 스위스는 배출권거래제 참여 업체들이 측정한

연간 배출량을 당국에 보고해야 하지만 EU와 다르게 이를 독립적으로

검증 받지는 않아도 된다 다만 스위스 당국은 사안에 따라 이들에

한 검증을 요청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또 다른 차이점은 EU는 배

출허용량을 집행위원회에서 설정하는 반면 스위스는 상향식(배출허용

총량의 합계) 방법으로 결정한다 두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에 있어서

항공부문의 배출권거래제 편입과 서로 다른 온실가스 감축목표 또한

여전히 논쟁되는 이슈이다 lt표 -2gt는 스위스와 EU의 배출권거래제

를 비교 정리한 것이다

30

lt표 Ⅲ-2gt 스위스와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국가 스위스 EU

목표의 엄격성2013년 배출 상한량부터 매년 174 감축

2008~2012년의 연간 평균 감축량의 174 감축

배출량 제한 2013년 56 MtCO2e 2013년 2084 MtCO2e

탄소상쇄 수량

2012~2020년 기간 간 할당된 배출권의 최 11에서 동 기간 사용된 상쇄 크레딧을 차감한 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가능신규 참여기업은 2013~2020년 간 배출량의 45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

2008~2020년 기간 간 할당된 배출권의 최 11의 에서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신규 참여기업은 2013~2020년 간 배출량의 45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

탄소상쇄 품질

최빈국들로부터의 청정개발체제(CDM) 크레딧은 사용 가능하며 기타 CDM 및 공동 이행제도(JI) 크레딧은 2013년 이전에 등록된 것에 한해서 사용 가능

최빈국들로부터의 청정개발체제(CDM) 크레딧은 사용 가능하며 기타 CDM 및 공동 이행제도(JI) 크레딧은 2013년 이전에 등록된 것에 한해서 사용 가능

가격 및 공급관리

시장의 과잉공급 정도에 따라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배출권 공급량 조정

배출권 할당

EU-ETS와 유사한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적용범위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CO2 및 기타 온실가스

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EU 역내 항공 CO2 및 N2O PFCs

준수기간 2013~2020 2013~2020

규제방식 하향식 방식 하향식 방식

이월 무제한 이월 가능 무제한 이월 가능

페널티 제도

1톤당 약 125 CHF (104 유로)의 벌금 부과 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 해에 공제

1톤당 100 Euro의 벌금 부과 사라진 배출권은 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 해에 공제

자료 Carbon Market Watch Report(2015)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1

나 퀘벡과 캘리포니아 배출권거래제의 연계

2014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퀘벡과 캘리포니아의 배출권시장 연계

는 현존하는 세계 최초의 탄소시장 연계 사례이다 두 시장의 연계로

각 주(州)는 두 시장에서 모두 배출권이나 상쇄분을 판매 혹은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이들 두 시장의 연계 이전 두 시장 사이에 다양한 차

이점이 존재하였으나 WCI21)는 캘리포니아와 퀘벡 배출권거래시장의

조화로운 연계를 도출하였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은 유사한 배출권 가

격과 공급관리 적용범위 이행 기간 이월과 패널티 등을 채택하였다

캘리포니아는 주 자체가 세계에서 가장 큰 경제시장 중 하나로 총

온실가스 배출량은 퀘벡의 6배에 달한다 2012년 캘리포니아는 459

MtCO2-eq의 온실가스를 배출한 반면 퀘벡은 78MtCO2-eq의 온실가스

를 배출하였다 양 주 모두 운송부문이 가장 큰 배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캘리포니아에서는 발전부문이 두 번째로 큰 배출 비중을 차지

하는 반면 퀘벡의 경우 수력발전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발전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미미하다 한편 캘리포니아는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수준으로 안정화시키는 목표를 가진 반면 퀘벡은

2020년까지 총 배출량의 20 감축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이들 감

축목표를 비교해보면 2005년 배출량을 기준으로 퀘벡의 감축목표는

22인데 비해 캘리포니아는 11로 퀘벡의 감축목표가 캘리포니아보

다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두 시장은 모두 상쇄분의 최 사용량을 해당 이행 기간의 총 감축

21) 서부 기후 이니셔티브(Western Climate Initiative WCI)는 이 시장에 참여하는 북미 륙 서부 주들이 2020년까지 총 배출량의 15를 줄이는데 지역적으로 협력하기 위해서 형성된 배출권거래시장 운영기구이다(httpsenwikipediaorgwikiWestern_Climate_Initiative 참조)

32

목표의 8로 제한하고 있고 국제 상쇄의 사용량 또한 제한하고 있다

는 공통점을 가진다 그러나 두 시장 간에는 캘리포니아는 산림의 탄

소 흡수에 의한 상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퀘벡은 산림부문의

상쇄를 인정하지 않는 등의 차이점이 존재한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배출권거래시장은 경매가격 하한제와 유연한

가격 상한제를 시행하는데 합의하였다 캘리포니아의 경매가격 하한은

USD 1134이며 퀘벡의 경매가격 하한은 CAD 1282이며 이들의 환

율은 가장 최근시점 정오의 구매 환율로 정해져있다 경매가격 하한선

은 매년 5 + 물가상승분만큼 상승한다 가격 상한제의 경우 WCI에

참여하는 주들에 의해 독립적으로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들은 2013~2014년에는 할당량의 1 2015~2017년에는 7 2018~

2020년에는 7를 비축할 수 있고 시장에서 배출권가격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상호 간의 합의를 통해 비축분의 판매를 통해

가격안정화를 꾀한다

캘리포니아와 퀘벡 모두 2013~2014년의 제1차 계획기간에는 배출권

의 부분이 무상할당 되었으나 2015~2020년에는 무상할당 되는 배

출권의 양을 줄이는 동시에 점차 경매방식으로 배출권을 할당하게 된다

캘리포니아는 생산수준 배출량 벤치마크 상한 조정요소 및 산업 보조

요소22) 등을 바탕으로 하여 산업시설의 무상할당 수준을 결정한다

퀘벡은 2015~2020년 산업별로 차이가 있는 배출집약도 목표에 기초해

산업별 배출권의 무상할당량을 결정한다 퀘벡에서는 2015년부터 무상

할당량이 매년 1~2 감소한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에서는 2013~2014년 까지는 각각 총 온실가스 배

22) 상한 조정요소는 배출권 상한을 보다 엄격하게 하기 위한 조정을 말하며 산업 보조요소는 특정 산업의 탄소누출 가능성에 따른 보조를 의미한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3

출량의 약 36와 약 29를 차지하는 에너지 및 산업부문의 배출량만

규제되었으나 2015년부터는 적용범위가 확 되어 연료부문도 포함되

어 총 배출량의 87와 77가 적용범위에 포함되게 되었다 배출권의

이월은 두 시장 모두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는 동시에 보유 제한을 설

정하여 미래에 사용할 수 있는 있는 배출권 양을 제한하고 있다

lt표 -3gt은 캘리포니아 및 퀘벡의 배출권거래제와 EU-ETS를 비교

정리한 표이다

lt표 Ⅲ-3gt 캘리포니아-퀘벡과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지역 캘리포니아-퀘벡 EU

목표의 엄격성

(캘) 2015년 이후 연간 평균 감축량의 31 감축

(퀘) 2015년 이후 연간 평균 감축량의 32 감축

2008~2012 동안 연간 평균 174 감축

배출량 제한

(캘) 3945 MtCO2e (2015) 3342 MtCO2e (2020)(퀘) 653 MtCO2e (2015) 5475 MtCO2e (2020)

2013년 2084 MtCO2e

탄소상쇄 수량 총 배출권 할당량의 8

2008~2020년 기간 간 할당된 배출권의 최 11의 에서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신규 참여기업은 2013~2020년 간 배출량의 45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

탄소상쇄 품질

(캘middot퀘) 국내 탄소 상쇄로 제한(캘) 산림 프로토콜을 포함한

다양한 프로토콜 사용가능 구매자 책임 원칙

최빈국들로부터의 청정개발체제(CDM) 크레딧은 사용 가능하며 기타 CDM 및 공동 이행제도(JI) 크레딧은 2013년 이전에 등록된 것에 한해서 사용 가능

가격 및 공급관리

2014년 경매가격 하한제로 1톤당 $1134t 연간 5+ 물가반영분 인상 전략적 비축을 통한 가격 상한

시장의 과잉공급 정도에 따라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배출권 공급량 조정

34

자료 Carbon Market Watch Report(2015)

다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추진 사례

호주 정부는 국제 기후 협상의 일환으로서 2020년까지 2000년 비

5 온실가스 감축을 약속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호주는 2012

년 7월부터 탄소가격제도(carbon pricing mechanism CPM)를 도입하

였으나 2014년 호주 정권의 교체로 동년 7월에 폐기되었다 이 제도

는 2012년부터 2015년까지는 탄소 가격을 고정가격으로 2015년 7월

부터는 유연가격으로 변경하여 시행하기로 계획되어 있었다 또한 호

주는 2012년 EU와의 탄소시장 연계를 발표하고 그 해 7월부터 잠정

적으로 호주 탄소시장에서 EU 배출권을 사용할 수 있는 한방향 연계

가 시행되었으며 쌍방향 연계는 2018년부터 시행하기로 계획하였다

호주 정부는 원래 탄소가격의 상한을 AUD20(약 13유로)로 설정하

고 매년 5 인상하기로 계획하고 있었으며 하한은 AUD15(10유로)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EU-ETS와의 연계를 위해 유연가격제를 시행하기

로 한 2015년부터는 가격 하한제의 도입 계획을 철회하기로 하였고

지역 캘리포니아-퀘벡 EU

배출권 할당산업 및 발전부문 무상할당 점차 줄어드는 추세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적용범위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난방과 수송연료 CO2 및 N2O PFCs

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EU 역내 항공 CO2 및 N2O PFCs

규제방식 상향식+하향식 방식 하향식 방식이월 무제한 이월 가능 보유제한 무제한 이월 가능

페널티 제도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해에 공제

1톤당 100 Euro의 벌금 부과 사라진 배출권은 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 해에 공제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5

양국의 시장 연계가 시행되는 2018년에는 가격 상한제마저 폐지하기

로 하였다 또한 두 시장의 연계를 위해 호주 정부는 EU의 규정과 부

합하지 않는 원자력 사업 산업용 가스의 분해 및 형 수력발전 사업

의 탄소상쇄를 제외시켰다 하지만 두 배출권시장의 연계를 위한 이러

한 정책의 변경은 호주 정부에 정치적 부담을 안겨 주었고 2014년 7

월 탄소 가격제가 폐지됨에 따라 두 배출권시장의 연계는 실패로 마감

되었다 그 밖에도 호주의 탄소가격제는 메탄가스를 규제하고 있는 반

면 EU-ETS는 메탄가스를 규제하고 있지 않다는 점과 두 시장의 연계

를 위해 호주 탄소가격제의 페널티가 기존 고정가격의 13배에서 당해

연도의 평균 경매가격의 2배로 증가함에 따른 정치적 부담도 시장연계

실패의 원인이었다고 볼 수 있다

3 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앞서 살펴보았듯이 캘리포니아 ETS와 퀘벡 ETS 그리고 스위스

ETS와 EU-ETS의 연계는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성공적으로 연

계한 표적인 사례이다 여기서는 위 두 사례로부터 배출권 시장 연

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던 요인과 시사점을 간략히 살펴보

기로 한다

가 상호 호혜성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성공적으로 연계되기 위해선 우선 연계

이후에 서로간의 이해관계가 크게 상충되지 않으면서 상호 호혜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앞의 두 사례에서 보면 퀘벡 및 스위스 배출권 시장

36

은 연계된 캘리포니아와 EU 배출권 시장과 비교해 시장 규모 측면에

서 훨씬 작은 편이다 따라서 이들 시장 운영자들은 자신들의 시장에

참여하는 규제 상 기업들이 풍부한 유동성을 가진 큰 규모의 시장에

한 접근성을 제고하고 통합된 시장에서 다른 기업들과 동등한 경쟁

조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었다23) 특히 스위스 ETS의 할당배출권 가격

은 EUA 가격에 비해 거의 5배나 높은 상황에서 시장 연계는 스위스

배출권 가격을 EUA 가격에 근접시키는 효과가 기 되므로 스위스 입

장에서는 시장을 연계시킬 유인이 컸다(IETA 2015 p54)

한편 캘리포니아는 자신의 배출권 시장 외연을 확 하고 배출원들

의 온실가스 감축 이행 비용 부담을 완화하려는 목적으로 연계를 선호

하였다 이와는 별개로 스위스에 비해 훨씬 큰 규모의 시장을 가진 EU

는 주로 경제적 요인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의해 연계를 선호하였다24)

이처럼 양자의 이해가 맞아떨어지면서 배출권 시장 연계 논의가 시

작되었고 결국 성공적인 시장 연계로 이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연계

하는 두 시장의 이해관계가 일치한다고 하더라도 최종적으로 연계 합

의에 이르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서로 다른 두 시장의 주요

23) 스위스의 연계 유인에 해서는 ldquoLinking of the Swiss and European emissions trading systems big step forwardrdquo(httpswwwbafuadminchbafuenhometopicsclimatenews- releasesmsg-id-67745html) 및 IETA(2015)를 참조하라 퀘벡의 연계 유인은 Gouvernement du Queacutebec(2018)「Quebec cap-and-trade system for greenhouse gas emission allowances (CampT) Historical Overview」(p7)을 참조하였다

24) 캘리포니아 ETS의 연계 유인은 ldquoCALIF FORGING AHEAD WITH EMISSIONS TRADING NEXT MONTH AIR CHIEF CONFIRMSrdquo(httpswwwexchangemonitor comcalif-forging-ahead-with-emissions-trading-next-month-air-chief-confirmsprintmode=1) 을 참조하라 EU와 스위스 시장은 워낙 규모에 차이가 나서 연계 시 스위스 시장이 사실상 EU 시장에 편입되어 EU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EU는 연계에 따른 경제적 편익에 한 고려보다는 기후변화 응을 위한 리더십을 확보하고 시장의 외연을 확장하는 첫 단추로서 스위스와의 시장 연계를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IETA 2015 p54)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7

설계요소의 차이가 야기하는 시장 연계 전후의 영향에 조율이 필수적

이다 다음은 위 두 사례로부터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인의 관

점에서 바라본 성공요인에 해 논의해 보기로 한다

나 핵심 설계요소의 유사성

앞의 두 사례 모두 시장들 간 배출권거래제도의 핵심 설계요소에 있

어서 상당한 유사성을 가지고 있어서 이들을 조율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첫째 캘리포니아-퀘벡 ETS 그리고 스위스-EU ETS는 감축목표의

엄격성 측면에서 서로 유사하여 감축목표를 둘러싼 이견이 적었다 일

견 캘리포니아는 2020년까지 1990년 배출량 수준으로 감축하는 목표

를 가지고 있었고 퀘벡은 2020년까지 1990년 배출량 비 20까지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목표를 세워 퀘벡이 다소 높은 강도의 감축목표

를 설정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lt표 -3gt에서 보듯이 2015년도 ETS 적용 상 배출량 기준으

로 보면 2020년까지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연 평균 감축률은 각각

31 32로 거의 동소이하다 스위스 ETS는 2013년 배출상한

비 2020년까지 매년 174씩 EU-ETS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의

연 평균 배출량에 비 2020년까지 매년 174씩 감축하는 목표를 가

지고 있었다 이처럼 비록 절 적 감축량이나 배출허용량의 크기에 있

어서 두 시장간 차이는 컸지만 상 적인 감축목표의 엄격성 측면에서

유사해서 ETS 운영주체 간 상호 신뢰성이나 참여 상 기업들의 수용

성이 높아 시장 연계를 추진하는데 훨씬 수월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두 사례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한 탄소상쇄제도를 가지고 있어

38

상쇄배출권의 유입에 의한 시장 교란이 작동할 여지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lt표 -2gt에서 알 수 있듯이 스위스와 EU는 상쇄배출권 허용

비율 및 사용가능 종류에 있어서 사실상 동일하기 때문에 상쇄제도의

차이로부터 비롯되는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캘리포니아와 퀘

벡 배출권거래제의 경우에는 상쇄배출권 허용수량은 동일하나 상쇄배

출권의 생성 및 사용에 있어서 약간 차이가 있다 가령 퀘벡의 경우 산

림상쇄를 허용하지 않으나 캘리포니아는 산림 흡수원에 의한 상쇄배출

권을 허용한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두 제도

모두 부분의 해외 상쇄사업을 허용하지 않고 있고 전체 수량에서 차

이가 나지 않아 시장 연계 시 상쇄 프로토콜의 차이로 인한 시장 교란

보다 연계의 이득이 훨씬 크므로 그러한 사소한 차이가 시장 연계의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았다25)

셋째 배출권의 할당방식에 있어서도 두 사례의 국가들은 유사한 체

계를 갖추고 있었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경우 배출권 할당방식의 기

술적인 부분에서 일부 차이가 존재하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산업부문에

해선 무상할당 발전부문에 해선 유상할당을 적용하고 무상할당

의 비중을 점진적으로 줄여가는 방향성에 해서 체로 일치하였다

(ICAP 2019a ICAP 2019b) 마찬가지로 스위스와 EU도 거의 유사한

할당방식을 가지고 있었다 두 연계 사례 모두 유middot무상할당 방식을 혼

용하되 유middot무상이 적용되는 부문에 해서는 동일하였기 때문에 사소

한 할당방식의 차이는 연계 시 쟁점으로 부각되지 않았다

넷째 배출권 가격 및 공급량 관리 제도와 관련해서도 연계된 사례

25) 퀘벡은 해외 상쇄를 허용하지 않으나 캘리포니아의 경우 브라질 등 일부 국제 산림 상쇄크레딧을 허용한다 그러나 그 양은 매우 미미해서 시장에 미치는 영향 또한 극히 제한적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9

의 국가들은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은 동일

한 배출권 가격 및 공급량 관리 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스위스와 EU

의 경우 EU의 배출권 비축제도가 유일한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러나 IETA(2015)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스위스 ETS의 할당배출권 가

격이 EUA 가격에 비해 상당히 높았기 때문에 EU의 배출권 비축제도

도입 자체가 시장 연계에 장애요인이 되지 못하였다

그 외 이월과 차입 MRV 체계 등 시장 연계 시 고려될 주요 설계요

소들에 있어서 두 성공사례의 국가들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처럼 앞서 언급한 배출권 시장 연계 시 고려되어야 할 주요 설계요

소에 있어서 연계하는 시장들은 상당히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고

이것이 시장 연계의 논의와 조율이 매끄럽게 전개될 수 있도록 한 원

동력이 되었다고 판단된다

다 정책적 의지

배출권 시장의 연계가 상호간 이해에 부합하고 앞서 논의한 제도의

설계요소 관점에서 본 기술적middot경제적 쟁점들이 상당 부분 해소된다고

하더라도 정책적 의지가 수반되지 않는다면 시장 연계의 논의는 진전

되기 어렵다 그러한 측면에서 제도 설계요소의 상호 호환성 이슈는

성공적인 시장 연계의 필요조건은 될 수 있을지언정 충분조건은 될 수

없다(IETA 2015) 2010년부터 시작된 스위스와 EU-ETS 연계가 7여

년에 걸친 논의 끝에 성공적으로 매듭지을 수 있었던 것도 스위스 정

책 당국의 의지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스위스

-EU ETS 연계 논의과정에서 항공부문의 포함여부가 중요한 쟁점 중

하나였고 이민쿼터의 도입 등을 둘러싼 EU와의 정치적 이슈와 결부되

40

면서 자칫 좌초될 뻔했던 양 시장의 연계가 끝내 성사될 수 있었던 것

도 정책 당국의 강력한 의지가 있었기 때문이다(IETA 2015) 퀘벡 정

부에서 발간한 보고서에서도 일부 서로 다른 규제 틀을 가지고 있던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연계가 성사될 수 있었던 이유로 상호 신뢰와 개

방적 소통을 통해 두 주 정부가 긴 한 협업을 해나간 것이 주효했다

고 적시하고 있다(Gouvernement du Queacutebec 2018)

반 로 호주 석탄 사업자들의 메탄 배출량 포함 여부를 둘러싼 이

슈 농업 및 토지이용 관련 상쇄제도의 허용 여부 등 다양한 이슈에도

불구하고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논의가 끝내 좌초되었던 것도 정

권 교체 이후 새롭게 들어선 정부 당국이 시장 연계에 회의적이었기

때문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권 시장 연계의 제반 조건이 충족되

었을 때 이를 최종적으로 매듭짓는 요소는 결국 정책적 의지이며 충

분한 시간을 가지며 상호 신뢰와 개방적 소통 하에서 협력해나가는 노

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1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 동향과 전망

서로 다른 배출권거래시장 간의 상호 연계는 한 국가 혹은 한 지역

내에서 작동하던 탄소시장의 외연을 확 하는 것으로서 국지적 탄소시

장의 글로벌화와 맥이 닿아있다 배출권 시장 연계는 본질적으로 당사

국 간의 자율성에 기반을 하고 있기는 하나 국제 탄소시장을 규율하

는 원칙과 규정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다 파리협정에서는

감축의 비용효과성을 증진시켜 당사국들이 보다 상향된 감축목표를 제

시하도록 하기 위해 시장 메커니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와 관련

해서 현재 파리협정 이후의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가 한창 진

행 중이다 이에 본 장에서는 파리협정하의 탄소시장 논의 동향과 배

출권 시장의 연계와 관련한 시사점에 해 살펴보기로 한다

1 파리협정 이후의 탄소시장 논의 동향

가 주요 내용

파리협정에서 시장 메커니즘은 파리협정문 제6조에 규정되어 있다

파리협정에는 시장(market)이라는 용어가 명시되어 있지는 않은데 이

는 시장 메커니즘의 설립을 반 하는 일부 당사국들이 lsquo시장rsquo이라는

용어가 파리협정 내에 포함되는 것에 반 하였기 때문이다(산업통상자

원부 2016b)

사실 파리협정하의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사항들은 파리협정 체결

이전부터 논의해왔던 Post-2012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의 결과물

42

이다 기존의 Post-2012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 내용들이 파리협

정을 통해 반영되면서 협력적 접근법(Cooperative Approach) 지속가능

발전 메커니즘(Sustainable Development Mechanism SDM) 비시장 접근

법(non-Market Approach)의 3가지 개념이 제6조에 포함되었다

제6조는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 하위 개념을 포괄하는

원칙인 제61조와 협력적 접근법에 관한 내용인 제62 63조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의 내용을 담고 있는 제64 67조 비시장 접근법에

관한 제68 69조로 구성되어 있다

제61조에는 시장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목적과 기본원칙이 포함되어 있

다 시장 메커니즘은 온실가스 감축비용 부담을 완화시켜 당사국들의

국가온실가스감축기여분(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NDC)

의 상향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NDC의 상향에 기여함

은 제6조의 활용을 포함하여 더 높은 목표의 설정을 고려해야 함을 의

미한다 이때 시장 메커니즘의 활용은 지속가능한 발전과 환경적 건전

성이 증진되도록 한다는 원칙 하에서 이행되어야 한다 지속가능한 발전

과 환경적 건전성은 이중계산(double counting)의 방지와 함께 시장 메

커니즘 활용의 3가지 주요 원칙에 해당한다26)

협력적 접근법(제62 63)은 당사국들 간의 자발적 협력을 통해 감

축실적(mitigation outcome)이 발생하여 국제적으로 이전된 경우

(Internationally Transferred Mitigation Outcome ITMO)에는 NDC의

이행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ITMO의 활용은

참여 당사국들의 자발적 승인을 통해 이루어진다 파리협정 결정문

(Decision1CP21)에 따르면 이중계산 방지를 포함하여 협력적 접근법

의 이행에 필요한 지침을 개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26) 하지만 각 용어의 정의에 해서는 명시적으로 합의된 바 없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3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제64 67)은 파리협정 당사국총회(CMA)가

지정한 기구에서 감독하며 지속가능발전의 촉진 전 지구적인 온실가

스 감축에의 기여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결정문에는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의 운영에 필요한 규정(Rules) 방법(Modalities) 절차

(Procedures) 등에 관한 지침의 개발을 명시하고 있다

비시장 접근법(68 69)은 지속가능발전을 위해서 비시장 접근법의

프레임워크 설립을 명시하고 있으며 결정문에는 작업 프로그램의 개

최를 통해서 감축 적응 기술이전 재원 능력 배양 등 주요 요소들 간

의 시너지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논의하도록 하고 있다

lt표 Ⅳ-1gt 파리협정 제6조 주요 내용

구 분 주요 내용

61

당사국은 일부 당사국의 자국의 감축과 적응 행동에 있어서 더 야심찬 노력

을 설명하고 지속가능한 개발과 환경적 건전성을 증진하기 위해 국가별 기

여방안 이행에 자발적인 협력을 추구할 것을 인지한다

62

당사국이 국가별 기여방안에 국제적으로 거래되는 감축 성과를 이용한

협력적 접근법에 자유의사에 따라 참여한다면 거버넌스 내에서 지속가능

한 개발을 증진하고 환경 보전과 투명성을 보장하며 파리협정의 당사자회

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총회에서 채택된 지침에 따라 견고한 회계방식

을 준영하여 이중계산을 피하도록 해야 한다

63본 협정 하에서 국가별 기여방안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제적으로 거래되는

감축성과의 이용은 참여당사국에 의해 자발적으로 승인받는다

64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지지하는 메커니즘은 당

사국의 자유의사에 따라 이용하도록 파리협정의 당사국 회의의 역할을 수

행하는 당사국 총회 권한과 지침 하에 세워진다 파리협정의 당사자 회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가 지정한 기관에 의해 감독되며 다음을 목표

로 한다

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조성하면서 온실가스 감축을 증진할 것

나 당사국의 권한으로 공공과 민간 부문이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하도록

장려하고 촉진할 것

44

나 후속협상 주요 경과

COP21 결정문(Decision1CP21)에 따라서 2016년부터 과학기술자

문부속기구(SBSTA)에서 파리협정 제6조와 관련한 지침의 개발을 위

한 협상이 진행되었다 본 소절과 뒤따르는 소절에서는 산업통상자원

구 분 주요 내용

다 유치국의 배출 수준의 감축에 기여하며 국가별 기여방안을 성취하기

위해 타 당사국이 이용할 수 있는 감축 활동으로부터 편익을 얻을 것

라 세계 배출량의 전반적 감축에 기여할 것

65

상기 4항에 명시된 메커니즘을 통한 감축방안이 또다른 당사국의 국가

별 기여방안의 달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이용되었다면 그 유치국의 국가별

기여방안의 달성을 증명함에 있어서 그 방안을 이용할 수 없다

66

파리협정의 당사자 회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는 상기 4항에

명시된 체제 하에서 이루어진 활동 수익의 몫은 적응 비용을 충당하기 위하

여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에 특히 취약한 개발도상국인 당사국을 지원하

고 행정비용을 마련하는데 사용됨을 보장한다

67파리협정의 당사자회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 제1차 회기에서

제4항에 명시된 체제에 한 규칙 방식 절차를 채택한다

68

당사국은 조직적이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감축 적응 재정 기술이전 역량강화를 포함하여 지속가능한 개발 및 빈곤 근절의 맥락에서 자국의 국가

별 기여방안을 이행하는데 이용 가능하고 통합적이고 전체적이며 균형적인

비시장 접근의 중요성을 인지한다 이 접근 방식은 다음을 목표로 한다

가 감축과 적응 노력을 증진

나 국가별 기여방안 이행에 해 공공 및 민간 부문의 참여 강화

다 제도 및 관련된 제도적 장치를 통한 조정의 기회를 활성화

69지속가능한 발전에 한 비시장 접근의 틀은 본 조 제8항에 명시된 비시

장 접근을 증진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자료 UNFCCC(2015) 및 수원의제21실천협의회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2016) 산업통상자원부(2016a)에서 재인용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5

부(2016b) DEHSt(2016) 및 Bodansky et al(2016)의 주요 내용을 바

탕으로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국제 협상의 논의 경과와 부각된 주요

쟁점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1) 협력적 접근법

2016년에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회의(SBSTA 제44차 및 제

45차 회의)는 주로 파리협정 내 포함되어 있는 협력적 접근법(제62

63)의 문안 내용에 한 해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파리협정

문안에 해 당사국들 간에 상호 상이한 해석의 가능성을 줄여서 공통

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한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4차 회의에서는 주로 협력적 접근법 관련

지침의 범위(scope) 협력적 접근법과 NDC와의 관계 ITMO의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었다

지침에 포함될 범위와 관련하여 파리협정의 협력적 접근법에서 규정

하고 있는 의무사항들 - 견고한 회계방식 지속가능한 발전의 증진 환경

건전성과 투명성의 보장 - 을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에는 공통적인 견해를

보였다 NDC와의 관계에서 협력적 접근법의 사용은 견고한 회계방식

(robust accounting)의 원칙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과 흡수량에 한 상

응하는 조정(corresponding adjustment)을 통한 이중계산 방지가 필요하

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다만 당사국들이 제출한 NDC가 단일연도

목표 다년도 목표 정책과 감축행동 중심의 목표 등 다양한 형태가 존

재하므로 협력적 접근법에 의한 감축실적을 NDC에 어떻게 가감할 것

인가가 중요한 쟁점이 될 수 있다(DEHSt 2016) 그에 따라 단일연도

목표의 경우 목표 설정 당해 연도의 NDC만 충족하면 되기 때문에 다

46

년도 목표를 제시한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달성여부를 점검하는 것

은 타당하지 않으므로 상응하는 조정이 반영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

기되었다 아울러 ITMO의 개념에 해서도 배출권의 형태인지 단순 감

축실적의 결과(산출물)인지에 해 개념 정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

기되었다27)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5차 회의에서는 2018년 말(SBSTA 제49

차 회의)까지 후속협상을 종결시킨다는 목표 하에 후속협상을 위한 작

업계획을 공유하고 당사국들이 제출한 국가제안서(submission)에 기초

하여 공통의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협력적 접근법의 인센티브

와 관련하여 EU는 양자와 다자 형태로 운영하면서 민간부문을 포함한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도

서국가연합(AOSIS)은 경제 전반에 한 NDC 목표 상향을 위해 추가

적인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파리협정의 타 조항과의 관

계에서 부분의 당사국들은 감축(파리협정 제4조)과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이 시장 메커니즘과 연관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투명성 하에서

시장 메커니즘 활동에 한 보고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는 점에 공통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EU는 협력적 접근법과 감축(파리

협정 제4조)은 NDC의 이행 관점에서 ITMO의 산정과 연계되어 있는

이슈이며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과는 감축분의 이전 획득 NDC 사

용 등과 관련된 보고와 상호 연계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환경

적 건전성과 관련하여 환경건전성그룹(EIG)에서는 감축산출물의 품질

27) 배출권과 감축실적은 이전 가능하다는 점에선 유사하지만 엄 하게 말해 서로 다른 개념이다 배출권은 정해진 배출허용량에 상응하여 배분된 후 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되는 배출허가권인데 반해 ITMO는 특정한 감축활동의 결과로서 주어지는 인증된 감축실적이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DEHSt(2016 p12)를 참조하라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7

보장을 위해 ITMO에 영속성과 추가성의 개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개진한데 반해 EU는 상응하는 조정을 통해서 환경적 건전성이 보장

될 수 있다는 다소 완화된 입장을 피력하였다

2017년에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회의(SBSTA 제46차 및 제

47차 회의)는 당사국들 간의 이해증진을 바탕으로 지침의 주요 요소들

에 한 도출을 위한 세부 협상을 진행하였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6차 회의에서 공동의장은 지침의 기본 목

차와 주요 요소에 관한 문서를 제시하였고 당사국들은 라운드 테이블

회의와 비공식 회의 등을 통해서 누락된 요소에 한 의견들을 제시하

였다 이러한 논의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공식 정보노트(informal

information note)가 도출되었다

이어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7차 회의에서는 공동의장이

배포한 비공식 노트에 해 당사국들이 의견을 개진하는 방식으로 진

행되었다 여기에는 지침의 목차와 하위 소목차 옵션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비공식 노트에 해 선진국들은 판매국과 구매국이 구분되어

있는 지침 목차에 불만을 제기하며 이를 통합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

하였고 개도국들은 지침에 수익금의 배분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당사국들은 차기 회의 이전에 과학기술자문부속기

구 의장이 비공식 문서(informal document)를 작성하여 회람하기로 합

의하였다 의장명의의 비공식 문서는 2018년 3월에 회람되었는데 비

공식 노트를 기반으로 중복요소의 간소화와 옵션과 잠재 요소 목록이

제시된 수준이었다

2018년에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1차 및 제48-2차 회의

(SBSTA 제48-1 SBSTA 제48-2)는 동 문서에 기초하여 협상이 진행

48

되었고 협상문서 초안이 도출되었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1차 회의에서는 의장명의의 비공식 문

서에 한 당사국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공동의

장 명의로 수정된 비공식 노트(Revised Informal Note)가 채택되었다

수정된 비공식 노트는 기존 비공식 문서에서 개념을 보다 명확히 하고

일부 잘못 표현되거나 누락된 내용들을 반영하는 형태로 합의되었다

다음으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2차에서는 2018년 말까지 설

정한 후속협상 작업계획의 일정을 수정하여 2019년 말까지 작업 기간

을 연장하고 수정된 비공식 노트에 기반하여 당사국들의 의견을 청취

하였다 이를 통해 2018년 말까지 합의가 필요한 사항을 부속문서 1

2019년 말까지 합의가 필요한 사항을 부속문서 2로 구분하여 각각 시기

별로 합의될 내용을 구분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협상문서 초안(Drafting Negotiation Text)을 도출하였다

2)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4차 회의에서는 교토 메커니즘과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 간의 차이점과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적용 범위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양 메커니즘 간 비교에서는 주로 메커니즘 자체

에 한 시각 차이보다는 교토의정서와 파리협정 간의 차이점에 해

당사국들 간에 상이한 입장 차이가 드러났다 일부 당사국은 청정개발

체제와 공동이행제도를 중심으로 사용되었던 방법 절차 등의 지침이

파리협정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고 지적한 반면 선진국을 중심으로 파

리협정은 사업 수행국의 역할과 책임이 교토의정서보다 강화되었기 때

문에 교토 메커니즘과는 근원적인 차이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적용 범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9

위와 관련해서 교토 메커니즘이 프로젝트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반해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은 프로젝트나 프로그램의 범위를 넘어

더 폭 넓게 적용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5차 회의에서는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운영체계 추가성의 개념 전 지구적인 전반적 감축의 이행방식 현존

메커니즘의 경험과 교훈 등에 해 논의하였다 일본은 교토의정서와는

달리 파리협정에서 모든 당사국이 NDC 목표가 존재하므로 NDC 이행

에 관해서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결과물도 협력적 접근법에서 개발

된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반면 중국은 운영체계와 관련

하여 청정개발체제의 운영방식보다 유연하게 설계될 필요가 있다고 주

장하였다 추가성 개념과 관련하여 EU는 방법론의 경우 새로운 국제

적인 표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으며 미국은 교토메커니즘에

이미 추가성 개념이 존재하므로 이를 기반으로 논의하는 것이 효율적

이라고 강조하였다 반면 브라질은 추가성과 전 지구적 전반적 감축은

연관성을 갖고 있으며 교토 메커니즘의 운영체계를 기반으로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의 운영체계를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듬해 열린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6차 회의에서는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과 청정개발체제의 관계에 해 논의가 이어졌다 주로 개

도국들은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을 청정개발체제의 연장선에서 접근

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선진국들은 새로운 접근과 설계가 필요하다

며 양 진영 간에 립이 형성되었다

속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7차 회의에서는 앞선 회의에서 제

기된 청정개발체제와의 관계에 관한 사항이 계속 쟁점화되었다 브라

질은 청정개발체제에서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으로 전환의 필요성과

50

당위성에 해 강하게 주장하였고 이중계산의 허용 필요성까지 제기

하였다 반면 일본은 2020년 이전에 기 발행된 배출권의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으로의 전환과 관련한 이슈를 제기하여 메커니즘 전환과

관련된 이슈가 배출권의 전환으로 확장되는 계기가 되었다 한편 도서

국가연합(AOSIS)는 전 지구적 전반적 감축의 이행 방안으로 기 발행

된 배출권의 일정 비율을 취소하자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협력

적 접근법과 동일하게 차기 회의 전까지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의장

명의로 비공식 문서를 발행하여 회람하기로 합의하였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1차 회의에서는 2018년 3월에 회람된

비공식 문서에 해 당사국들의 의견을 청취한 후에 공동의장 명의의

수정된 비공식 노트(Revised Informal Note)가 채택되었다 이후 과학

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2차 회의에서는 협력적 접근법 논의와 동일하

게 2018년 말까지 설정한 후속협상 작업계획의 일정을 수정하여 2019

년 말까지로 기간을 연장하고 수정된 비공식 노트에 기반하여 당사국

들의 의견을 청취하였다 또한 교토 메커니즘의 전환에 관한 이슈사항

은 처음에는 부속문서 3으로 별도 분리해 놓았으나 개도국들의 주장

에 따라 2018년 말까지 결정할 사항들을 포함하는 부속문서 1에 수록

하였다

다 주요 쟁점 사항

1) 협력적 접근법

시장 메커니즘과 관련된 지침의 내용에 한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지침의 서문과 원칙에 관한 사항이다 선 개도국 간에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1

발생하고 있는 쟁점을 중심으로 원칙 부분을 별도로 구분함으로써

선 개도국 간의 차별화 요소를 반영하려는 개도국과 이에 반 하여

서문과 원칙을 하나로 통합하여 서문에 포함하자고 주장하는 선진국

입장으로 별된다

두 번째는 거버넌스에 관한 사항이다 협력적 접근법이 기본적으로

당사국 간의 자발적 협력을 통해 감축산출물을 발생시키고 국제적 이

전을 통해 NDC에 활용하자는 개념이므로 과연 국제적인 거버넌스 설

립이 필요한가가 그리고 필요하다면 어떤 수준에서 운영되어야 하는가

가 쟁점이 되고 있다 일부 당사국들은 비록 당사국 간의 자발적 협력

에 의한 감축활동이지만 협력적 접근법에 의한 전 지구적 활동들을 관

할하는 별도의 기구 설립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반면 일부 당사국

들은 협력적 접근법만을 관할하는 별도의 기구를 만들기보다는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의 감독기구에서 협력적 접근법에서 필요한 기능을 통

합해서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28)

28) DEHSt(2016)에 따르면 협력적 접근법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는 (1) 완전히 분권화된 형태로 운영하고 결과만 보고하는 방식 (2) 관련된 모든 운영사항을 규정에 담아 UNFCCC 같은 중앙집권적 기구를 통해 관리하는 방식 (3) 견고한 회계방식 투명성 보장 등을 위해 공통의 레지스트리를 중앙집권적 감독기구에서 운영하되 최소한의 기준만 충족되면 당사국의 자율에 맡기는 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의 논의는 (2)안 또는 (3)안으로 하되 협력적 접근법만을 위한 별도의 중앙집권적 감독기구를 설립할지 아니면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을 관할하는 감독기구에서 협력적 접근법 관련 사항까지 관할하도록 할지에 해 의견을 조율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한편 Bodansky et al(2016)의 주장에 빗 어 해석하면 (2)안은 통일적 접근법(uniform approach)에 가까운 방식이다 (2)안은 거래비용과 정책 불확실성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는 반면 당사국들의 개별적 상황을 반영하는 유연성이 떨어지며 합의에 이르는데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조화적 접근법(harmonized approach)은 당사국들의 개별적 상황을 포괄할 수 있는 보다 일반적인 기준만 제정하여 이를 준수하기만 하면 되도록 하는 방식을 말한다 사실 DEHSt(2016)에서 제시하고 있는 (3)안은 통일적 접근법과 조화적 접근법이 혼합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Bodansky et al(2016)가 지적한 바와 같이 ITMO의 발생과 이전을 추적하고 NDC 활용 여부를 확인하는 규칙과 시스템은 중앙집권적 기구에서 통일적으로 관리하되 MRV 기준이나

52

세 번째는 시장 참여의 조건에 관한 사항이다 당사국들 간에 자발

적 협력이라는 원칙하에 NDC의 유형이 영향을 줄 수 있는가가 쟁점

이다 DEHSt(2016)에서 보여주듯이 온실가스 배출량 상한이나 감축량

같이 tCO2eq로 측정가능한 NDC 형태가 많긴 하지만 감축정책이나 감

축 관련 활동 자체를 NDC로 제출한 국가들도 존재하기 때문에 그러

한 국가들의 시장 참여 여부가 쟁점이 될 수 있다 아랍그룹 LMDC

등은 NDC 유형에 관계없는 참여 보장을 요구하는데 반해 선진국들은

시장 참여를 위한 조건으로서 NDC 계량화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네 번째는 상응하는 조정의 적용 상에 관한 사항이다 주로 언급되

고 있는 상에는 NDC에 포함되지 않은 외부(outside)감축활동에서

발생한 감축사업 Pre-2020에서 전환된 교토 메커니즘 하의 배출권에

해 상응하는 조정을 적용할 필요성이 있는가가 주요 쟁점이 되고 있

으며 당사국 별로 입장이 제각각인 특징이 있다

다섯 번째는 단일연도 NDC에 한 상응하는 조정의 적용방식이다

단일년도 NDC에 한 상응하는 조정 여부에 자체에 해선 큰 이견

이 없으나 상응하는 조정을 어떻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해선 당

사국별로 입장이 엇갈린다 단일년도 NDC의 특성이 중간연도에 해

서는 별도의 목표를 수립하고 있지 않은 방식인데 목표연도 이전에

감축하여 보유하고 있는 감축실적은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그리고

마지막 년도에 관한 NDC 달성 여부를 증명하는 과정에서 상응하는

조정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등이 쟁점사항이 되고 있다29)

ITMO의 부여 등은 최저 기준만 충족하도록 하는 조화적 접근법을 혼용하는 방식에 가깝다

29) 동 이슈는 감축(파리협정 제4조)의 lsquoNDC 산정rsquo과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의 lsquo연계된 산정rsquo과 관련되어 있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3

이 외에도 ITMO를 발생 이전 획득한 경우에 중간년도에 해서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체계 하에서 어떤 정보를 보고해야 하는지에

한 이슈 또한 존재한다

2)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협력적 접근법과 달리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은 감독기구를 중심으로

중앙집권적 방식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상 적으로 이슈가 적다

첫 번째는 감독기구의 운영구조에 관한 사항이다 이 논의에는 기존

운영구조인 청정개발체제의 집행위원회와 운영구조 상에서 어떤 차이

를 둘 것인가에 관한 논의로 귀결된다 특히 위원회의 구성과 관련하

여 청정개발체제와 같이 선진국과 개도국을 구분해 위원회를 구성할

것인지 여부가 쟁점이 되고 있다

두 번째는 전 지구적인 전반적 감축에 관한 사항이다 전 지구적인

전반적 감축을 이행하는 방안으로 발행시점에서 조치를 취할지(판매국

중심) NDC 이행시점에서 조치를 취할지(구매국 중심) 등이 쟁점이

되고 있다

세 번째는 교토 메커니즘의 전환에 관한 사항이다 주로 2020년 이

후에 교토의정서 상의 교토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을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하에서의 실적으로 인정할지 여부 인정하더라도 특정한 전

환조건을 설정할 것인지 여부 Pre-2020에서 발행된 배출권의 전환을 인

정할지 여부 교토 메커니즘 상에서 승인된 방법론을 계속해서 사용할

지 여부 등이 이에 해당한다

54

2 Post-2020 탄소시장 전망과 시사점

파리협정 후속 협상을 통해 협상문서 초안이 도출됨에 따라서 향후

적용될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지침의 전체적인 구조를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쟁점 사항으로 제기된 몇 가지 사안들은 기술적인 이슈

보다는 정치적인 이슈의 성격이 많아서 후속 협상 과정에서 실무자들

간의 논의보다 고위급 논의 과정에서 정치적 타결이 될 개연성이 더

높다

교토 메커니즘과 비교하여 파리협정에 따른 시장은 모든 당사국이

감축목표를 보유한 상태에서 시장을 형성한다는 제약조건이 존재한다

이는 이중계산 방지의 중요성과 함께 상응하는 조정의 문제가 필연적

으로 부가된다 과거 개도국 입장에서는 청정개발체제 사업을 자국 내

에서 시행하더라도 감축목표가 없는 상태였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적인

부담이 존재하지 않았다 반면 파리협정에서는 이중계산 방지를 위해

자국 내 실제 배출량에서 국외로 순 이전된 ITMO의 양만큼을 가산하

여 배출량을 산정한 후에 NDC의 목표 배출량과 비교하여 이행 여부

를 점검받는다는 부담이 존재한다30) 여기에 전 지구적 전반적 감축의

개념을 적용한다면 실제로 NDC에 ITMO를 사용하는데 제약 조건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국가 감축목표 이행적 측면에서도 후속협상의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단일년도 NDC에 관한 상응하는 조정의 적용 시

기와 방법에 따라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의 증빙 과정

30) 만일 NDC가 목표 감축량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ITMO의 순 국외 이전량 만큼 실제 감축량에서 차감한 후에 NDC에서 정한 목표 감축량과 비교하여 이행 여부를 점검하게 된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5

에서 해외 감축분의 필요량이 결정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이슈가 될

전망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본다면 파리협정에 따른 국제 탄소시장

은 교토 메커니즘 하의 시장보다 상 적으로 규모가 작아질 것으로 예

상된다

한편 국내 배출권거래제에서는 2018년부터 외부사업에 해 해외

온실가스 감축분을 인정하고 있다 청정개발체제에 따른 사업들을 상

쇄배출권으로 인정하고 있는데 2020년 이후 교토 메커니즘의 전환 여

부가 아직 확정되지 않아서 사업 활성화 측면에서 불확실성을 내포하

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국내 배출권 시장에서 교토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의 활용 여부는 전환 여부에 한 국제 협상 결과에 따라 결

정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반면 협력적 접근법이나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등 파리협정에 따

른 시장 메커니즘은 국내 배출권거래제도 상의 운영 목적에 비추어 볼

때 국내 배출권거래제도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 국내 배출권거래제의

도입목적(제2조)이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비용효과적인 이행이고

이들 시장 메커니즘 또한 당사국들의 NDC 이행과 명시적으로 연계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은 국내 배

출권거래제도에서 인정되는 해외 온실가스 감축분으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

다만 한 가지 유의할 점은 파리협정의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

적분이 국내 배출권과 직접적으로 연계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분은 국가 차원의 목표 이행에서 의미를 가

지는데 반해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권은 비록 국가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이긴 하나 개별 사업자 차원의 목표 이행과 관련이

56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분을 민간에서 획

득한 경우 이를 우리나라 정부에서 발급하는 배출권과 교환을 통해 간

접적으로 배출권 시장에서 활용할 수 있다31) 이때 다른 당사국이 자

국의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고 있고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에 따

른 실적을 상쇄로 인정하는 경우라면 결국 국내 배출권 시장과 해당

국가 배출권 시장은 협력적 접근법 또는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체

계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된다

협력적 접근법의 경우 양자 또는 다자간 협력 체계를 필요로 하므로

정부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밖에 없지만 지속가능발전 메커

니즘은 민간 중심의 시장이 될 개연성이 높다 다만 제도의 시행에 있

어 감독기구의 설립 이후에도 제도 운영을 위해 필요한 추가적인 세부

지침의 개발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 사업으로 진행되기까지는 상

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협력적 접근법의 경우 양자 방식으로 운영한다면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보다 다소 이른 시기에 사업이 진행될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양자 협력의 체결 국가 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운영을 위한 행

31) 현재 교토 메커니즘의 청정개발체제에 의한 감축량도 외부감축인증실적(Korean Offset Credit KOC)을 상쇄배출권으로 전환해야 배출권 시장에서 사용가능하다 다만 외부사업 감축량으로 인증받은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은 중복 사용 방지를 위해 소각된다 이에 반해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해외외부사업감축인증실적은 우리나라의 NDC 이행 여부 점검 시 필요하다 따라서 만일 민간에서 이를 획득하여 국내 배출권 시장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부에서 발급하는 상쇄배출권(Korean Credit Unit KCU)과 교환하도록 하고 이를 별도의 레지스트리에 등록middot보관해 두어야 할 것이다 정부가 직접 추진한 협력 사업의 감축실적을 시장안정화 조치 등의 이유로 국내 배출권 시장에 유입시킬 경우도 동일한 논리가 적용될 것이다 다만 배출권 시장에 유입된 만큼 배출권거래제 적용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7

정적 시간적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협력적 접근법의 경우에는

체결 국가 수를 무작정 늘리는 방식보다는 전략적으로 필요한 국가와

선별적으로 체결하는 방식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필요한 국가의 선

정 기준에는 기후변화 측면도 있지만 사회 정치적인 사안들의 고려도

필요할 수 있으므로 현 단계에서 필요한 사안이 무엇이고 이를 위해선

누구와 협력할 것인가에 한 사회적 합의를 우선적으로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59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본 장에서는 앞서 검토한 배출권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연계 사례에서의 시사점 그리고 국제 탄소시장 동향 논의 전망을 토

로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과 해외 시장과 연계할 경우 두될 것으로

보이는 주요 쟁점사항과 시사점에 해 살펴보기로 한다 특히 본 연

구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를 논할 때 가장 빈번하게 거론되는

EU-ETS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기로 한다32)

1 우리나라 ETS와 EU-ETS의 주요 설계요소 비교33)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이하 K-ETS)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국내적 정책 수단으로서 도입middot시행되고

32) 최근 논의되고 있는 한-중-일 배출권 시장 연계의 경우 중국 및 일본 모두 국가 전체 차원의 배출권거래제가 아닌 일부 지역을 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적용 범위도 서로 상이한 점이 많아 사례 분석의 상으로 적합하지 않다고 보고 본 고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EU-ETS의 경우 EU 회원국이 참여하는 가장 큰 규모의 시장이며 오랜 배출권 시장 운영 경험을 가지고 있고 국내 배출권거래제도 설계 시 벤치마크로 활용되어 제도적 유사성이 상 적으로 높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사례분석의 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EU-ETS와 국내 배출권 시장 간의 연계를 분석한 국내 문헌이 거의 전무하다는 것도 EU-ETS를 사례 연구 상으로 삼은 중요한 이유 중 하나이다 국내 배출권 시장과 타 국가 배출권 시장의 연계를 다룬 국내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데 최근 박수경 외(2018)의 연구가 중국 배출권 시장과의 연계를 다루고 있으니 참조하기 바란다

33) 후술하는 우리나라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소에 관한 내용은 환경부(2019)를 주로 참고하였다

60

있다 따라서 K-ETS의 감축목표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로 설정된

2030년 BAU 비 37 감축과 연동되어 설정된다 제2차 계획기간

(2018년부터 2020년)동안 K-ETS는 매년 5477백만톤(3개년 총 1643

백만톤)을 사전할당하였는데 이는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02를 차지한다34)

EU 역시 역내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을 위한 정책 수단으로 ETS

를 도입middot운영하고 있으며 역내 국가들의 감축목표 총합을 고려하여 할

당계획을 수립한다는 점에서 한국과 유사하다 EU는 2020년까지 90년

비 20 2030년까지 90년 비 40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였

다 EU-ETS 제3기 할당계획에 따르면 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역내

전체 배출량의 약 45에 달하는 ETS 부문에서 2013년도 배출허용량

2084백만톤을 기준으로 2020년까지 매년 3826백만톤씩 배출허용량

을 일률 감축하도록 하고 있다35)

2020년까지 기간을 고려하면 EU-ETS가 K-ETS에 비해 엄격한 감축

목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K-ETS의 경우 2015년도 할당량을

기준으로 2020년까지 연평균 07이내로 감축하는 수준이므로

EU-ETS가 K-ETS에 비해 감축의 강도가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36)

그럼에도 불구하고 EU-ETS의 경우 제2기(2008~2012)에 발생한 잉여

배출권의 상당량이 제3기로 넘어와 시장 내 배출권 공급 과잉과 그로

34) 환경부 보도자료(2018724) 및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2019) 참조35) 2008년에서 2012년까지의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의 174에 달하는 감축량을 매년

동일하게 감축하는 것으로서 이는 2013년도 배출허용치 비 2020년까지 연평균 194 감축에 해당한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홈페이지(httpswwwemissions-euets comcarbon-market-glossary872-european-union-emissions-trading-system-eu-ets)를 참조하라

36) K-ETS 제1차 할당계획의 2015년도 사전할당량에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에 따른 2017년 추가할당량과 조기감축실적 3개년 평균을 적용한 값과 2019년 2차 계획기간 할당계획 변경안의 2020년 사전할당량을 비교하였다(환경부 2014 관계부처합동 2017 환경부 2019 참조)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1

인해 배출권 가격이 비교적 낮게 형성되고 있다37) 따라서 감축목표

엄격성의 절 적 수준이 아닌 그로 인한 배출권 시장의 영향이라는 관

점에서 본다면 현재까지는 두 시장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고 단정 짓

기는 곤란하다

나 할당방식

K-ETS와 EU-ETS 간 할당방식에 있어서 특징적인 차이는 (i) 유상

할당의 규모 (ii) 간접배출에 한 할당 여부에 있다

먼저 K-ETS는 무상할당이 기본이 되는 할당방식을 가진데 비해

EU-ETS는 상당 수준의 배출권을 유상으로 할당한다 K-ETS는 제2차

계획기간부터 일부 유상할당의 요소를 도입하고는 있으나 2020년까지

는 전체 할당량의 3 이내에서 유상할당하며 2020년 이후에는 전체

할당량의 10 이상을 유상으로 할당할 계획이다 K-ETS의 무상할당

은 기본적으로 과거 실적에 기반한 할당(Grandfathering)방식을 따르지

만 발전 집단에너지 산업단지 정유 시멘트 항공 폐기물 등 7개 업

종에 한해 벤치마크 방식에 기반한 할당을 적용하고 있다(환경부

2019) 반면 EU-ETS는 기본적으로 경매에 기반한 유상할당 방식을

따르고 있다 제3기 총 배출권의 약 57가 유상할당으로 배분되는데

발전부문은 거의 부분 유상할당하며 국제경쟁에 노출되는 산업부문

37) EU-ETS 할당배출권 가격은 2013년 이후 부분의 기간에서 10유로 미만으로 형성되어 오다가 최근 들어서야 20유로를 넘어섰다 반면 K-ETS의 KAU17 평균거래가격은 약 22천원 수준으로 현재(2018년 12월말 기준) EUA 가격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홈페이지 httpssandbagorgukcarbon-price-viewer 및 삼정KPMG Issue Monitor 제87호 참조)

62

은 상당량을 무상으로 할당하고 있다38)

K-ETS가 다른 ETS 시장과 구분되는 큰 특징 중 하나는 전력 열 등

의 최종소비자의 간접배출에 해서도 배출권을 할당하고 규제를 한다

는 점이다 부분의 ETS 시장은 직접 배출만을 규제 상으로 삼고

배출권을 할당한다 K-ETS에서 간접 배출을 규제하는 이유는 전력이

나 열 소매요금에 발전사들의 배출권 비용을 전가하기 어려운 구조이

기 때문이다

다 유연성 메커니즘

1) 상쇄제도

K-ETS의 상쇄는 국내에서 시행된 외부감축사업에서 획득한 감축실

적과 국내 업체가 해외에서 직접 시행하여 획득한 CDM 사업에 한해

인정된다 이때 의무이행에 사용할 수 있는 외부감축실적은 할당업체

별로 전체 배출권의 10 이내에서 인정되는데 이중 해외에서 시행해

서 획득한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은 각 이행연도 의무이행량의 5까지

만 인정된다(환경부 2019)

반면 EU-ETS는 지난 제2기(2008~2012)에 국가별 할당계획(NAP

National Allocation Plan)에 따라 결정된 국가별 상쇄한도 중 사용하

고 남은 양은 모두 제3기로 이전해 사용가능하다 그러나 예외적인 조

치로서 HFC-23이나 아디핀산 N2O 관련 프로젝트에서 나온 상쇄배출

권은 통용되지 않으며 제3기부터는 최빈개도국에서 시행된 CDM 프

로젝트의 크레딧만 허용한다 전체적으로 EU-ETS는 역내 상쇄배출권

38) 자세한 사항은 다음 웹사이트를 참조하라(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allowances_en) 산업부문에 한 무상할당은 2020년 30까지 점진적으로 줄여나갈 예정이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3

의 허용량이 2008년부터 2020년까지 역내 총 감축량의 50 이내가

되도록 한다는 원칙을 견지하고 있다(IETA 2014 ICAP 2019c)

EU는 역내 온실가스 감축노력 증진을 위해 제3기에는 상쇄를 엄격

히 제한해 왔으나 2021년 이후의 상쇄 제도에 해서는 아직 K-ETS

및 EU-ETS 모두 결정된 바 없다(ICAP 2019c)

2) 이월

K-ETS는 당초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였으나 시장 유동성 확보 차원

에서 제2차 계획기간 부터는 이월을 일정 수준에서 제한하고 있다 제

1차 이행연도의 경우 배출권(할당 및 상쇄) 순 매도량의 3배 이내이거

나 125만톤 이상 배출업체의 경우 75만KAU 25만톤 이상 배출 사

업장을 가진 업체의 경우 15만KAU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 이월을

허용한다 제2차 이행연도에는 배출권 순 매도량의 2배 이내 또는

125만톤 이상 배출업체의 경우 5만KAU 25만톤 이상 배출 사업장을

가진 업체의 경우 1만KAU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 이월을 허용한다

마지막 3차 이행연도에는 제2차 계획기간 연 평균 배출권 순 매도량

또는 125만톤 이상 배출업체의 경우 25만KAU 25만톤 이상 배출 사

업장을 가진 업체의 경우 05만KAU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 3차 계획

기간의 첫 번째 이행연도로만 이월을 허용하고 있다(환경부 2019) 반

면 EU-ETS는 별도 제한없이 전량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고 있다

3) 차입

K-ETS는 제2차 계획기간의 제1차 이행연도에는 배출권의 15 이

내에서 그리고 제2차 이행연도에는 배출권의 15에서 직전년도 차입

64

비율의 절반을 제한 비율까지 차입을 허용한다 그러나 계획기간 간

차입은 허용하지 않는다(환경부 2019) EU-ETS는 원칙적으로 차입을 허

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EU-ETS는 계획기간 내 이행연도별로 할당배출

권을 구분하여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의무이행 시점과 배출권 할당 시

점 간 차이를 활용하면 배출권 차입이 사실상 가능한 구조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EU-ETS의 배출권 할당은 매년 2월말에 이루어지는데 반

해 직전년도 이행실적에 한 배출권의 제출은 매년 4월말까지 이므로

당해 연도에 할당된 배출권을 직전년도 의무 이행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39) 이는 K-ETS처럼 배출권을 할당연도별로 관리하지 않기 때문

이다 따라서 비록 EU-ETS가 형식적으로는 계획기간 내 차입을 허용

하고 있지 않으나 실질적으로는 계획기간 내 차입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4) 가격 및 공급관리

K-ETS는 배출권 가격이 단기간에 급격히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경

우 그리고 배출권 수요에 비해 공급이 현저히 적은 경우 시장안정화를

위해 규제 당국이 시장에 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배출

허용총량 이외에 별도로 시장안정화 조치에 사용할 수 있도록 14백만

톤의 배출권을 예비분으로 배정해두고 있다 또한 시장 유동성 제고를

통한 거래 촉진을 유도하기 위해 시장조성을 위한 예비분 5백만톤을

추가로 배정하여 배출권 시장의 가격 및 수급을 관리하고 있다(환경부

2019)

39) 자세한 사항은 다음 웹사이트(httpswwwemissions-euetscomborrowing)를 참조하기 바란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5

한편 EU-ETS는 K-ETS와 같은 직접적인 시장 개입을 하고 있지는

않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상할당 배출권의 경매 연기조치

(Backloading)과 2020년 이후 본격적으로 도입될 배출권 비축제도

(Market Stability Reserve MSR) 등을 통해 배출권 가격 및 공급을 관

리하고 있다

라 의무이행 관련 사항들

K-ETS는 도입 당시부터 EU-ETS에서 적용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

정 방식을 상당부분 차용하였기 때문에 배출량의 산정middot보고 및 검middot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일부 차이는 있지만 거의 유사한 수준이라고 해도 과

언이 아니다

페널티의 경우 K-ETS는 배출권 평균 가격의 3배 또는 최 톤당 10

만원에서 결정되며 EU-ETS는 톤당 100유로 수준이므로 큰 차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다만 K-ETS는 과징금을 납부할 경우 의무미준수량에

한 별도의 추가 제출 의무가 없는데 비해 EU-ETS는 과징금과 별도

로 후속연도에 미준수량에 한 배출권 제출 의무가 부과된다는 차이

를 가진다(박수경 외 2018)

lt표 -1gt은 지금까지 살펴본 우리나라와 EU의 배출권거래제를 상

세하게 요약middot비교한 것이다

66

lt표 Ⅴ-1gt 우리나라와 EU의 배출권거래제 비교

국가 한국 EU

목표의 엄격성2020년까지 2015년도 할당량 기준 연평균 07 감축

2020년까지 2008-2012년의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의 174 균등 감축

배출량 제한 2018~2020년 5477MtCO2e2013년 2084 MtCO2e 2020년까지 매년 3826MtCO2e 감축

탄소상쇄 수량

할당된 배출권의 최 10 국내 탄소상쇄 및 CDM 사업에 한해 인정해외 상쇄는 5까지 인정

전체 EU-ETS 상쇄 허용량이 2008년~2020년 총 감축량의 50 이내로 관리제3기부터 최빈국의 청정개발체제 배출권만 사용 가능

가격 및 공급관리

비축분의 최 25까지 조기 경매 정부 시장 개입 가능

시장의 과잉공급 정도에 따라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배출권 공급량 조정

배출권 할당1단계 100 무상할당2단계 97 무상할당3단계 90 무상할당

산업부문은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적용범위발전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건물 폐기물 국내 항공 CO2

및 5 온실가스

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EU 역내 항공 CO2 및 N2O PFCs

준수기간 2015~2025 2013~2020

규제방식 하향식 방식 직접+간접배출 하향식 방식

이월차입이월제한 있음계획기간 내 차입 가능(기업 할당량의 최 10)

무제한 이월 가능차입은 원칙상 허용되지 않으나 계획기간 내 차입이 가능한 구조

페널티 제도배출권 가격의 3배 최 1톤당 10만원

1톤당 100 Euro의무 미준수량만큼 할당에서 공제

자료 Carbon Market Watch Report(2015) 박수경 외(2018) 등의 구성을 참고하여 국내외 문헌 및 웹사이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저자가 직접 재구성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7

2 K-ETS와 EU-ETS 연계 시 예상 쟁점들

가 감축목표

앞서 지적하였듯이 EU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2030년까지 1990년

배출량 비 4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어 BAU 비 37 감축목표

를 제시한 우리나라에 비해 더 엄격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두

시장의 연계에 한 논의가 본격화될 경우 EU 측에서 한국의 국가 감

축목표를 EU 수준에 근접하게 상향하거나 ETS 상 부문에 해 국

가 전체 감축률을 상회하도록 할당규모를 조정할 것을 요구할 수 있

다 물론 우리나라 정부의 입장에선 이러한 EU측의 요구를 전적으로

수용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 경우 한국의 제조업middot에너지다소비업종

중심의 산업구조로 인해 외견상 감축목표 수준과 달리 상당히 높은 한

계감축비용에 직면하고 있음을 적극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해서 한 가지 주목할 점은 한국에 비해 강한 감축목표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EU-ETS의 배출권 가격이 감축목표 강도를 제 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EU-ETS와 비교해 본다면 K-ETS

는 외견상 감축목표에 비해 배출권 가격이 상당히 높은 수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여기에는 감축목표의 지속적인 강화에 한 기 가

미친 영향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배출권 가격은 참여기업

들이 직면하는 한계감축비용의 수준을 투영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외

견상의 감축목표 강도에 비해 K-ETS 참여기업들의 실제 감축부담은

상당히 높은 편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추후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제기될 것으로 예상되는 EU측의 감축목표 상향 요구에 한

응논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40)

40) 이와 함께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하는 추세인데 반해 EU는 감소하는

68

나 할당방식

1) 간접배출의 포함 여부

K-ETS는 발전부문의 직접배출뿐만 아니라 전력이나 열 수요자의

간접배출에 해서도 배출권을 할당한다 이는 (i) 전력이나 열 소비

요금에 배출권 제반 비용을 전가하기 용이치 않은 우리나라 전력middot열

시장의 구조적 한계를 보완하고 (ii) 적정 수의 시장참여자를 보장하기

위해서이다41) 간접배출의 포함 여부가 직접적으로 배출권 시장 연계

전후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은 극히 제한적이므로 일견 시장 연계 시

쟁점사항이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간접배출에 해 할당을 할 경우

(i) 이중계산(double counting)의 문제 (ii) 횡재이윤(windfall profits)의

문제점이 제기될 가능성이 높다

먼저 전력이나 열의 생산자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도 배출권을 할당

하므로 이중계산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부문에서

100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였다고 할 때 100톤의 감축량 중 발전부문

자체의 노력(전원믹스 개선 발전효율개선 등)의 기여분과 최종소비자

의 수요 감축 노력의 기여분을 명확하게 분별할 수 없다면 이중계산의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42)

다른 한편 횡재이윤의 발생도 가능하다 발전부문에 한 배출권 할

당량은 발전부문 자체의 노력을 감안한 목표 감축량과 수요 측의 절감

추세에 있으므로 단순히 외견상의 감축률만으로 감축의 강도를 판단해선 안되며 K-ETS의 높은 탄소가격에는 그러한 측면이 반영되어 있다는 주장도 유용한 응논리가 될 수 있다 이를 지적해준 익명의 심사위원께 감사드린다

41) 만일 간접배출을 할당에 포함시키지 않을 경우 전력이나 열 등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다수의 기업들이 배출권거래제 적용 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다

42) 실제 감축량은 직접배출 기준으로 계산한 전체 감축량에서 최종소비자의 간접배출 부문 감축량을 제외해야만 이중계산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9

노력을 반영한 목표 감축량을 함께 고려하여 정해진다 만일 발전부문

의 자체 노력에 따른 감축량이 목표량에 미달하더라도 수요 측 절감노

력이 목표량을 초과할 경우 목표를 충족시키거나 초과달성할 수 있으

므로 횡재이윤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상의 문제는 EU-ETS와 연계 과정에서 제기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그러나 간접배출에 한 할당의 포함여부에 관한 논의는 궁극적

으로는 우리나라의 전력 또는 열 시장에 한 제도적 변화에까지 이어

지기 때문에 에너지 정책의 자율성과도 직결된 문제이므로 시장 연계

시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2) 유상할당의 수준

2020년 이후 EU-ETS는 기본적으로 발전부문뿐만 아니라 산업부문

에 해서도 유상할당이 중심이 되는데 비해 K-ETS는 여전히 부분

을 무상으로 할당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EU-ETS 참여 기업들을

중심으로 산업경쟁력 및 탄소누출의 우려를 제기하면서 K-ETS에 유

상할당의 비중을 상당 수준으로 높일 것으로 요구할 가능성을 배제하

기 어렵다 우리나라 업체들은 산업경쟁력 유지를 위해 온실가스 배출

권거래제도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최소 유상할당 비율 유지를 강하게

주장할 것이므로 K-ETS에서의 유상할당 비율은 매우 첨예한 쟁점사항

으로 부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 상쇄제도

아직 글로벌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에

70

서 두 시장의 상쇄제도의 차이가 시장 연계에 걸림돌로 작용할지는 현

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2021년부터 2030년까지 EU는 ETS 분야에서

1990년 비 43 Non-ETS 분야에서 30 감축을 통해 EU 자체적

(domestic)으로 최소 4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43) EU 자체 노력

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최소 목표치를 공식적으로 선언하였으므로

EU-ETS 할당 시 적어도 동 목표에 해당하는 수준까지는 역외 크레딧

사용을 허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44)

여기서 주목할 사항은 만일 EU가 배출권 시장 연계를 허용한다는

것은 결국 자신의 온실가스 최소 감축목표치를 사전에 공표한 수치 이

상으로 설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배출권 연계는

기본적으로 역외의 타 시장 배출권을 역내 의무사용에 활용하는 것이

므로 역내 최소 감축 목표치보다 목표를 상향해서 할당하지 않을 경우

엔 사전에 공표한 자체 감축노력에 의한 최소 감축목표를 근본적으로

달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EU와의 배출권 시장 연계가 논의되는 이상 EU-ETS는 적어도

이미 공표된 온실가스 감축 최저 목표치를 상회하는 목표를 설정할 공

산이 크다 EU-ETS가 도전적인 목표치를 설정하고 배출권 시장 연계

를 허용한다고 할 때 일정한 제약(예를 들어 최저 목표치에 해당하는

감축량을 초과하는 한도) 하에서 연계된 시장의 배출권과 더불어 역외

크레딧을 허용할 가능성이 높다 여기서 역외 크레딧에는 현재 논의되

43) European Commission COM(2016) 482 final 참조44) 여기서 EU가 제시한 온실가스 배출량의 40 자체 감축(ldquoa 40 domestic reduction

in economy-wide greenhouse gas emissionsrdquo)의 의미를 이중계산(double counting)이 허용되지 않는 상황에서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해 최종적으로 정산한 이후 EU가 자체적으로 레지스트리에 보유하고 있는 배출량을 기준으로 한다고 해석할 여지도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자체 감축(domestic reduction)의 의미를 순수하게 자신의 노력을 통해 감축한 역내 배출량으로 간주하기로 한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1

고 있는 시장 메커니즘인 UNFCCC의 관리middot감독 하에 운영되는 지속

가능발전 메커니즘과 협력적 접근법에 따라 EU와 자발적 협력 체결을

통해 발생한 감축실적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45)

한 가지 유의할 점은 EU뿐 아니라 우리나라와도 동시에 자발적 협

약을 체결한 국가에서 감축한 실적의 경우는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겠

지만 우리나라와만 자발적 협약을 체결한 경우에 해당 국가에서의 감

축실적을 K-ETS에서 상쇄로 허용하는 것이 또 다른 쟁점이 될 수 있

다는 점이다 만일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시장 메커니즘이 포괄적인

원칙에 해서만 합의가 이루어지고 세부 사항은 국가 간 자발적 협약

에 맡기는 방식이 될 경우 EU에서는 자신의 기준에 맞지 않는 자발적

협약에 따른 감축실적을 상쇄로 허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46) 이는

EU-ETS 제3기에 UNFCCC하의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을 최빈개도국가

들에서 만들어진 것 이외에는 허용하지 않는 사례에서 보듯이 충분히

생각해볼 수 있는 시나리오이다 그러할 경우 상쇄제도의 국가 간 세

45) 연계된 시장의 배출권을 EU-ETS의 의무이행에 활용한다는 것이 파리협정 하의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ITMO를 활용하는 것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배출권거래제도의 연계가 두 당사국 간의 상호 자발적인 협력 체결을 통해 이루어지며 중요한 감축수단의 하나라는 점에선 유사하지만 엄 한 의미에서 배출권거래제의 연계가 파리협정의 협력적 접근법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지 않는다 협력적 접근법에서 말하는 ITMO는 감축활동의 결과물로서 나온 감축실적인데 반해 배출권거래제도 상의 배출권은 배출을 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므로 양자의 성격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감축실적과 배출허가권이 일 일로 매칭될 수 없기 때문이다 배출권거래제도는 자국의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국내적 정책 수단의 하나이지 파리협정이라는 국제 협약의 틀 내에서 논의되는 시장 메커니즘과는 서로 다른 차원의 제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리협정에서의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감축실적은 배출권거래제도의 상쇄배출권의 형태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배출권 시장 연계가 협력적 접근법에 따라 자발적 협력 체결이 이루어진 국가들 간에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관점에서 배출권 시장 연계와 협력적 접근법이 직접적 연관성을 가지지는 않지만 서로 간에 높은 연관성이 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된다

46) 반 로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시장 메커니즘이 국가 간 자발적 협약에 한 구체적인 사항까지 규정하는 방식으로 합의가 된다면 논란의 여지는 훨씬 줄어들 것이다

72

부적 차이는 배출권 시장 연계에 있어서 쟁점사항으로 부각될 것이다

다만 K-ETS의 경우 해외상쇄를 전체 배출권의 5이내로 제한하고 있

어서 EU-ETS 시장에 한 공급 충격이 크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EU와 스위스 간의 ETS 연계 사례에서 보듯이 상쇄제도의 차이가 심

각한 장애요인은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라 기타 사항들

앞서 논의한 쟁점들 이외에 이월 차입 시장관리 등 여타의 사항들

은 이론적으로는 시장 연계 시 쟁점이 될 수 있으나 적어도 K-ETS와

EU-ETS 간의 연계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첫째 이월의 경우 현재 EU-ETS는 제한없이 허용하는데 반해

K-ETS는 이월에 한 제한을 두고 있다 그러나 2021년부터 2030년

까지의 계획에 따르면 EU는 이월을 허용하되 누적 이월량이 일정 수

준을 넘어 과도할 경우 제한을 둘 계획이다47) 따라서 양 시장에서 이

월 제도의 약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할 것이므로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쟁점으로 부각되지 않을 것이다

둘째 차입의 경우에도 2021년부터 2030년까지의 계획에 따르면 EU

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차입을 허용할 방침이므로 K-ETS의 차입 허용

이 연계 시 큰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48)

셋째 배출권 가격 및 공급 관리의 관점에서 보면 EU-ETS에 비해

K-ETS가 정부의 시장개입이 더 용이한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그 이

47) 다음의 홈페이지(httpseceuropaeuclimapolicieseffortregulation_en)를 참조하라48) 다음의 홈페이지(httpseceuropaeuclimapolicieseffortregulation_en)를 참조하라 또

한 앞서도 언급하였지만 EU-ETS는 현재 차입을 허용하고 있지 않지만 배출권 할당 시점과 제출 시점의 차이로 인해 사실상 차입이 허용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3

유는 K-ETS의 낮은 시장 유동성에 따른 배출권 공급물량 부족이 주요

원인이다 따라서 보다 큰 규모를 가진 EU-ETS 시장과 연계하는 경우

구태여 현재와 같은 K-ETS의 가격 및 공급 관리 제도를 유지하지 않

아도 무방하므로 두 시장 간의 연계 과정에서 장애요인이 되지 못할

것이다

3 배출권 시장 연계 방식별 편익 비용 그리고 시사점

가 시장 연계 유형별 편익 비용 비교

K-ETS와 EU-ETS 시장을 서로 연계한다고 할 때 연계하는 방식은

앞의 제3장에서 제시한 것들 중 하나가 될 것이다 그 중에서 완전통

합형 방식의 직접 연계는 사실상 현실적으로 가능한 안이 아니라고

보고 여기서는 쌍방향 연계 방식의 직접 연계와 단방향 연계 외부 크

레딧을 통한 간접 연계 등의 장middot단점을 비교해보기로 하자49)

1) 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배출권거래제는 사실상 자국의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자발적 감

축행동이다 배출권 시장의 쌍방향 직접 연계는 두 당사국이 자발적으

로 협력하여 이중계산 방지의 원칙 하에서 서로의 배출권 레지스트리

를 연계하여 서로의 배출권이 자유롭게 거래되고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49) 완전 통합형의 경우 두 시장을 하나의 시장으로 완전히 통합하는 것이므로 각 시장을 관할하던 정부들의 자율성이 전혀 보장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의 연계를 우리나라 정부에서 용인할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이므로 여기서는 완전통합형 연계 방식은 다루지 않기로 한다

74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은 크게 보면 다시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rsquo과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rsquo으로 나뉠 수 있다50) lsquo완전 쌍

방향 직접 연계 방식(이하 완전 쌍방향 방식)rsquo은 두 시장의 규제 당국

이 일정한 자율성을 가지고 배출권거래제도의 설계요소를 결정하되

각 시장의 배출권이 어느 시장에서든지 수량에 제한없이 의무이행에

전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연계 방식이다 스위스-EU 캘리포니아-퀘벡

등 현존하는 배출권거래시장 연계 사례는 모두 lsquo완전 쌍방향 방식rsquo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K-ETS가 EU-ETS와 이러한 방식으로 연계할 경우 예상되는 일차적

인 편익은 비용효과성 제고 및 규모 시장에 한 접근성 제고를 통

한 유동성 확 와 이를 통한 시장 가격 안정성 확보이다 앞에서도 살

펴보았듯이 배출권 시장의 연계는 기본적으로 두 당사국의 참여업체

비용부담을 완화시켜 준다 또한 시장 규모의 확 로 인해 시장 유동

성이 확 되고 배출권 시장가격의 변동성을 낮출 수 있다

이상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완전 쌍방향 방식이 가진 다음과 같은 단

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완전통합형에 비해서는 정도가 덜하지만 규제 당국의 정책 자

율성이 일정 수준 침해받을 우려가 있다 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의 특성 상 ETS 부문 감축목표 설정 할당방식 등 주요 배출권거래제

도 설계요소를 완전히 일치시킬 필요는 없지만 연계 상 방과 상당 수

준까지 보조를 맞추어야 한다 만약 양측의 설계요소 간 차이가 크다

면 이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핵심 설계요소를 조정해야 하는 당사국의

경우 일정 수준의 정책 자율성을 포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50) Ranson and Stavins(2015)를 비롯한 기존의 연구는 쌍방향 연계를 여기에서처럼 다시 두 가지로 구분하지 않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5

둘째 할당방식에 차이가 있을 때 특히 참여업체들의 비용과 직결되

는 유상할당의 규모 면에서 차이가 클 경우 연계 과정에서 쟁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두 시장간 유상 할당 비중의 차이가 클 경우

유상할당 중심의 국가에서 탄소누출 등을 이유로 유상할당 비중에

한 조정을 요구하고 이로 인해 유상할당의 비중이 늘어날 경우 연계

이전에 비해 무상할당 중심 시장의 참여업체들 비용부담이 크게 늘어

날 수 있다

K-ETS와 EU-ETS 간 연계를 상으로 생각해보면 K-ETS와

EU-ETS는 시장 규모 등의 측면에서 큰 차이가 나므로 시장 연계 과

정에서 K-ETS의 주요 설계요소를 EU-ETS와 근접하게 가져가야 할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ETS 부문의 감축목표 상향 간접배출에

한 할당방식의 조정 등 주요 설계요소에 해 EU-ETS와 유사하게 수

정해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에너지 및 온실가스 감축정책에 한 한

국 정부의 자율성이 침해받을 우려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유상

할당 중심의 EU-ETS와 달리 K-ETS는 무상할당이 주가 되므로 EU측

에서는 역내 산업경쟁력 및 탄소누출을 우려하여 K-ETS에도 상응하

는 수준의 유상할당을 요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끝으로 이론적 논의에서 잠깐 살펴보았듯이 lsquo완전 쌍방향 연계rsquo 방

식이 환경적 편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불분명하다51) 만일 시장 연

계 과정에서 한 당사국에서 상 편의 온실가스 감축목표가 자신과 상

응하지 못하다고 판단하여 감축목표 상향 조정을 요구하고 시장 연계

의 협의 과정에서 이것이 받아들여진다면 두 시장을 합한 전체 온실

가스 감축목표가 강화되어 lsquo온실가스 감축rsquo이라는 환경적 편익이 증

51) 제2장에서 논의한 Helm(2003) 및 Carbone et al(2009)의 연구 결과에 한 소개를 참고하라

76

할 수 있다 하지만 반 로 연계 이후의 국내 업체들의 감축비용 부담

이 늘어날 경우 규제가 상 적으로 느슨한 제3의 국가로 생산설비를

이전하는 탄소누출이 일어날 수 있다 이때 배출집약도가 높은 제3국

가로 생산설비가 이전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글로벌 차원에서는 온실가

스 배출량이 늘어날 수도 있다52) 즉 연계에 따른 감축목표의 상향이

업체의 부담을 높이고 이로 인한 탄소누출로 인해 오히려 전 지구적

인 차원에서 환경건전성은 나빠질 수도 있다 EU-ETS와의 연계에 따

른 환경건전성의 득실은 일률적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시장 연계의

환경적 편익을 예단하기 어렵다53)

2) 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 방식(이하 부분 쌍방향 방식)은 두 시장의

규제 당국이 자율성을 가지고 배출권거래제도의 설계요소를 결정하며

각 시장의 배출권을 어느 시장에서도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

에선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과 동일하나 의무이행에 활용되는 배출권의

수량에 제한을 두는 방식을 말한다 이는 사실상 두 시장이 서로 상

방의 배출권을 일정 비율 내에서 상쇄배출권처럼 활용하는 상황과 동

일하다

52) 예를 들어 상 적으로 친환경적인 전원믹스를 가진 국가에서 생산하던 업체가 유상할당 비중 증가로 인한 감축비용부담 상승으로 인해 제3의 국가로 생산설비를 이전한다고 하자 이 경우 설령 생산설비 이전과 이후에 동일한 에너지 투입 비 생산효율을 보인다고 가정하더라도 제3 국가의 전원믹스가 덜 환경친화적이라면 해당 업체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늘어나게 된다 이때 제3국으로 이전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분이 배출권 연계 이후 감축목표 상향에 따른 감축량 증가분을 초과한다면 전 지구적인 관점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은 순증하게 된다 결국 배출권 시장이 연계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연계 이후의 환경적 건전성은 오히려 악화된다

53) 이처럼 환경건전성과 관련한 연계 유형별 득실은 모호한 부분이 크므로 이후의 편익 비용 비교에 관한 논의에서 환경건전성은 제외하기로 한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7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의 경우에도 비록 제한된 수량 범위 내이긴 하나

연계를 통해 전체 시장 규모가 확 되므로 연계 이전에 비해 시장 유

동성을 제고하고 배출권 가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두 시

장의 배출권 가격 차이를 이용해 거래를 통한 비용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다 다만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과는 달리 활용가능한 상 편 배출권의

수량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두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하나의 가격으로

수렴되지는 못하고 일정한 차이를 두면서 각 시장가격의 자율성이 일

정 수준에서 유지되는 움직임을 보이게 된다54) 다만 경제적 효율성의

관점에서 보면 거래가능 수량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

식에 비해 일정 정도의 비효율성은 불가피하다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의 연계는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과는 달리 일정 범

위 내에서만 서로의 배출권의 활용을 허용하므로 가격 공급량 등에서

각 시장이 가진 독자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중계산의 문제

MRV의 투명성과 등가성 등의 기본 원칙이 준수되는 한 상 편 시장

은 상쇄배출권 거래를 위해 활용가능한 일종의 유연성 기제로서 간주

될 수 있다 따라서 두 시장을 합쳐 하나의 시장으로 바라보는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각 시장 운영의 자율성을 확보하기가 용이

하다 유사한 맥락에서 유상할당 규모에 차이가 존재하더라도 상 편

의 시장을 상쇄배출권 활용을 위한 기제로 간주하는 이상 할당방식의

차이를 상응되게 조정하고자 하는 정치적 압력도 크지 않을 것으로 전

망된다

54)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의 경우도 거래비용 등으로 인해 두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완전히 하나로 수렴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의 경우 두 시장의 가격 차이는 거래비용 등의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는 차이를 넘어선 수준에서 각 시장가격이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

78

요컨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연계할 경우 상 편 배출권의 활용

가능 비율이 줄어들수록 경제적 비효율성은 커지는 반면 시장 운영 및

제도 설계의 자율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이는 소규모 시장인

K-ETS가 규모 시장인 EU-ETS와 연계할 때도 유사하게 적용될 것

으로 전망된다

3) 단방향 연계 방식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방향 연계 방식은 어느 한 배출권 시장에

서는 상 편 시장의 배출권을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으나 그 반 는

허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단방향 연계는 타 시장의 배출권을 허용하는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허용하지 않는 시장의 배출권 가격에 비해 낮을

경우에만 실효성을 가지며 그렇치 않을 경우엔 실효성이 떨어진다 타

시장 배출권을 허용하지 않는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높게 형성되고 있

다면 단방향 연계에 따른 배출권 거래가 일어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55)

그러나 그 반 의 경우엔 상 편의 저렴한 배출권을 의무 이행에 활용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향상된 시장 접근성을 가질 수 있고 그로 인

해 시장 유동성 제고 가격 안정성 확보 및 감축비용 부담 완화라는 편

55) 이러한 경우에는 사실상 두 배출권 시장이 독립적으로 작동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우에 따라 시장 연계가 실효성있게 작동하는 상황도 발생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계가 허용된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 공급량이 부족할 경우엔 의무 이행을 위해 비싸더라도 배출권을 구매하려는 수요가 생길 수 있다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낮게 형성되고 K-ETS만 EU-ETS 시장과 일방향으로 연계된 상황을 상정해보자 통상적으로는 K-ETS 참여업체들은 비싼 EU-ETS 시장의 배출권을 구매하지 않으려 하겠지만 만일 K-ETS 시장에서 부분의 업체들이 잉여배출권을 이월하려고 해서 의무이행을 위한 배출권 구입 자체가 어려울 경우엔 단방향 연계 방식도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장에서 배출권 구입이 어려운 업체들은 비싸더라도 EU-ETS에서 배출권을 구매해서 의무이행을 할 것이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9

익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단방향 연계가 실효적인 상황 즉 연계를 허용하지 않은 국가

의 배출권 가격이 더 낮게 형성되는 경우엔 연계를 허용하는 국가의

정책 자율성이 보장받기 용이할 것으로 평가된다 왜냐면 연계를 허용

하지 않는 국가의 배출권 가격이 낮다는 의미는 ETS 부문의 감축목표

의 강도가 상 적으로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계를 허용치

않는 측에서 허용하는 측에 감축목표의 상향 등 주요 설계요소의 변화

를 덜 요구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단방향 연계는 다른 여타의 방식에 비해 연계를 허용하는 측

에 상당히 유리한 연계 방식이다 그러나 연계를 허용치 않는 시장에

서 얻는 편익이 거의 없기 때문에 앞서 살펴본 EU-호주 배출권 시장

연계 시도 사례에서 보듯이 본격적인 쌍방향 연계를 위한 준비기에 일

시적으로 운영되는 경우를 제외하곤 지속되기 어려운 실현 가능성이

낮은 방식이다

4) 외부 크레딧을 통한 간접 연계

끝으로 각 시장이 완전히 독자적으로 운영되면서 외부 크레딧을 통

해 간접적으로만 연계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현재 파리협정 하에서

의 시장 메커니즘 중 하나인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이나 협력적 접근

법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실적을 K-ETS와 EU-ETS가 상쇄배출권으로

활용하도록 할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 경우 양 시장을 운영하는 정부의 정책 자율성은 완전히 보장되는

반면 시장이 사실상 분리되어 있으므로 연계를 통한 직접적인 경제적

편익은 발생하지 않는다 상쇄배출권의 유입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서

80

로 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배출권 연계의 효과가 제한적이다 특히

상쇄로 활용 가능한 외부감축사업은 사업 발굴부터 크레딧의 발생 및

활용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K-ETS와 같이 수급 불

균형에 따른 유동성 부족 및 배출권 가격 불안정성을 경험하고 있는

경우엔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연계의 실질적인 효과를 기 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리협정에 따른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지침이

마련이 되고 감축사업이 본격화될 경우 이를 K-ETS에 연계시킬 필요

는 있다 물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의 시장 메커니즘은 이중계

산이 허용되지 않은 상황에서 모든 국가가 자국의 감축목표를 충족시

켜야 하므로 배출권 시장에서 활용 가능한 배출권 규모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앞에서 다룬 쌍방형 직접 연계와 함께 보조적

으로 사용된다면 효과성은 커질 것이다

나 K-ETS와 EU-ETS 간 연계를 위한 시사점

여기서는 다양한 연계 유형별 편익과 비용에 한 논의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과 EU 배출권 시장 간의 연계를 위한 시사점을

검토해보기로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가장 바람직한 연계의

방식은 시장 유동성과 비용효과성도 제고하면서 에너지 및 기후정책의

자율성을 최 한 확보할 수 있는 단방향 연계일 것으로 전망된다 즉

K-ETS는 EU-ETS 시장에 한 접근성을 가지나 EU-ETS는 K-ETS에

한 접근성을 허용하지 않는 방식이 가장 K-ETS에 유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시장 연계는 본격적인 시장 연계를 위한 준비기와 같은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81

예외적인 상황을 제외하고는 EU측에서 연계에 동의하지 않을 가능성

이 높아 실현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보인다

K-ETS를 운영하는 우리 정부 입장에서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과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 중 어느 쪽이 더 바람직한지 여부는 두 시장

의 시장 연계 전 배출권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따라 함의하는

바가 달라질 수 있다

먼저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

격에 비해 낮은 경우에 해 고려해보자 이 경우 시장 연계 이후에는

K-ETS 배출권 수요 증가로 K-ETS 가격은 상승하고 EU-ETS 배출권

의 가격은 낮아지게 된다 비용효과성의 측면에서 비록 K-ETS 참여업

체 중 배출권 순 구매자들의 구매 비용은 증가하겠지만 순 판매자들은

높아진 가격 상승의 혜택을 보게 되며 이론적으로는 전체적인 비용효

과성은 향상된다 그러나 연계 이전에 배출권 공급량 부족으로 유동성

문제에 고질적으로 시달리는 K-ETS의 입장에서 유동성 제고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 왜냐하면 K-ETS 배출권 가격이 상 적으로 낮기

때문에 K-ETS 배출권 수요가 늘어나고 이로 인해 K-ETS 배출권 확보

가 더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책 자율성의 측면에서 K-ETS 배

출권 가격이 상 적으로 낮다는 것이 EU측에 외형상뿐만 아니라 실질

적으로도 한국의 감축목표 강도가 약하다는 신호로 작용하여 감축목표

상향에 한 요구가 강해질 수 있다 한편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EU측이 유상할당의 비중을 상응하게 조정하자고 요구할 때 이를 거부

할 논거가 마땅치 않다 특히 한국의 감축목표 강도가 낮다는 선입견

은 유상할당 비중의 확 를 뒷받침해주는 또 다른 논거로 작용할 가능

성이 있다 만약 연계 이후 그러한 정치적 압력의 결과로서 실제로 유

82

상할당 비중이 늘어날 경우 참여업체의 경제적 부담이 커지게 되며 시

장 연계에 한 국내 업체들의 수용성은 크게 악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낮은 경우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일부 비용효과성 제고라는 편익

이 존재하지만 유동성 제고나 정책 자율성 확보 등의 측면에서 지불해

야 하는 비용이 더 클 가능성이 크다 한편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의 연계

는 비록 비용효과성의 제고에는 제한적일 수 있으나 감축목표의 상향

유상할당 비중 확 등 참여업체에 직접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외부의

정치적 압박에 보다 유연하게 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으로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

권 가격에 비해 높은 경우를 살펴보자 이 경우 시장 연계 이후에는

K-ETS 배출권 수요의 일부가 EU-ETS로 이전하여 K-ETS 가격은 낮

아지고 EU-ETS 배출권의 가격은 상승한다 비용효과성의 측면에서

K-ETS 참여업체 중 배출권 순 구매자들의 구매 비용은 줄어들게 되

며 비록 순 판매자의 배출권 판매 수입은 줄어드는 부분이 있지만 전

체적인 비용효과성은 증 된다 한편 K-ETS가 현재 겪고 있는 유동

성 부족 문제는 보다 저렴한 규모 EU-ETS 시장에 한 접근성이

커짐에 따라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책 자율성과 관련한

사항은 다소 분명치 않다 K-ETS 배출권 가격이 상 적으로 높기 때

문에 실질적인 감축목표의 강도가 높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가질 수 있

는 반면 외형상의 감축목표의 강도가 비교적 낮은 편이므로 감축목표

의 강도를 상응하게 조정해야 한다는 EU측의 정치적 압박에 자유롭기

쉽지 않을 수 있다 이와 함께 유상할당의 비중을 EU측과 상응하게 조

정해야 한다는 압력에서도 자유롭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83

결과적으로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높은 경우엔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

해 비용효과성 및 유동성 제고 등에서 더 큰 편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만 정책 자율성 확보나 유상할당 비중 최소화를 통

한 업계 부담 완화 및 수용성 확보의 관점에선 여전히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유리하다 물론 K-ETS 배출권의 높은 가격을 실질적인

높은 감축목표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을 통

해서도 정책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

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연계 이후 외부로부터의 정치적 압력

에 응하기 여의치 않을 경우엔 정책 자율성과 관련한 손실을 감수해

야 한다 만일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

이 크지 않다면 정책 자율성과 업계의 경쟁력을 고려한 부담 최소화

및 제도 수용성 확보가 더 용이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여전히

설득력 있는 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면 시장 연계 전 양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어

떻게 형성되는지 배출권 가격의 차이가 실질적인 감축목표 강도로

EU-ETS 측에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 질 수 있는지 등에 따라 바람직

한 시장 연계의 방식은 달라질 수 있다56) 전체적으로 lsquo완전 쌍방향rsquo

56) 실제로 K-ETS와 EU-ETS의 배출권 가격이 향후 어떻게 전개될 지는 현재로선 예측하기 어렵다 톰슨로이터의 전망에 따르면 EU의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경매연기 배출권의 배출권 비축 시나리오 하에서 2030년까지 EUA의 가격은 약 60유로(한화로 약 78000원선)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Point Carbon 2014) K-ETS의 배출권 가격 전망 자료는 찾기 어려우나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의 목표를 기준으로 할 때 2030년까지 현 수준보다 크게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외견상의 감축목표의 강도를 볼 때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낮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산업middot발전부문의 한계감축비용을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2030년 기준으로 한계감축비용이 톤당 10만원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안영환

84

연계방식은 비용효과성과 유동성 확보의 측면에서 다소 유리하지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정책 자율성 확보 업계 부담 최소화

및 수용성 확보의 차원에서 다소 불리할 수 있다 결국 우리 정부가 시

장 연계에 따라 어떤 가치를 더 보호할 필요가 있는지에 관한 정책적

판단에 따라 연계의 방식은 달라질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지적하고 싶은 것은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도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적절히 설정할 경우 상당한 비용효과성

및 유동성 제고의 편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만

일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서 설정한 lsquo비중rsquo을 넘어 완전한 쌍방향

연계로 전환할 때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이 그리 크지 않다면 정

책 자율성 확보에 유리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가 더 바람직한 연계 방식

이 될 수 있다 다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시 바람직한 상 편 배출권

의무 활용 비중이나 레지스트리 등과 같은 기술적인 부분은 본 연구의

범위를 벗어나는 문제이므로 후속 연구로 남겨두기로 한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에 맞는 연계의 방식은 캘리포니아

-퀘벡 또는 스위스-EU-ETS와 같은 해외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와는

달리 완전 쌍방향 연계 방식보다는 부분 쌍방향 연계 방식이 더 적합

할 수 있다 처음부터 완전 쌍방향 연계 방식을 취하기보다는 단계적middot

점진적으로 완전 쌍방향 연계로 확 해나가는 방향이 정책적 자율성을

확보하고 K-ETS가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좋은 안이 될 수 있

다 EU의 입장에서도 배출권 시장 규모를 확 하고 기후변화에 한

middot 김동구 2017) 물론 저렴한 비용에 다량의 감축이 가능한 산업공정 및 폐기물 건물 부문 등에 한 분석이 제외되었다는 한계가 있지만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높게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눈여겨볼만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85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한다는 차원에서 연계에 부정적이지는 않을 것으

로 보인다 특히 자체적 노력을 통해 감축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EU

의 입장에서도 스위스에 비해 상 적으로 큰 규모의 K-ETS와 완전 쌍

방향 직접 연계 방식보다는 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이 보다 바람

직한 연계 방식이다 왜냐하면 규모가 큰 시장과의 연계로 인해 자체

감축 수요보다 타 시장 배출권 구입을 통해 목표를 충당하려 할 경우

목표로 하는 자체 노력에 의한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에 차질을 빚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은 단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EU의 이해와도 부합되는 측면이 있고

따라서 정책 방안의 실현가능성 또한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6장 결론 87

제6장 결 론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도는 시장 기제를 활용하여 비용효과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표적인 감축 수단으로서 우리나라를 포함

하여 EU 캘리포니아 등 여러 국가에서 채택하여 시행하고 있다 특히

파리협정 이후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와 맞물려 그간 독

자적으로 운영되어 오던 배출권 시장을 서로 연계하여 비용효과성을 극

화하고 시장 유동성을 제고하며 기후변화 응 관련 국제적 리더십을

확보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배출권 시장 연계는

단순히 전문가 차원의 관심을 뛰어 넘어 퀘벡-캘리포니아 배출권거래제

도 및 스위스-EU 배출권거래제도의 연계 사례를 통해 실현되고 있다

배출권 시장 연계에 한 그간의 여러 연구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의

연계가 시장 규모의 확 를 통해 비용효과성을 제고하고 유동성 확

및 가격 안정화 등의 여러 가지 편익을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국 내 정책에 한 규제당국의 개입 범위를 축소시켜 정책 자율성을

저해하며 자국 내 기업들의 비용부담을 오히려 증 시키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환경건전성까지 악화시킬 가능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배출권

시장 연계는 편익뿐만 아니라 발생 가능한 다양한 부작용들을 종합적

으로 고려해서 결정해야 하는 다면적인 정책 의사결정 과정임에 유념

해야 한다

배출권 시장 간 연계가 성공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연계하는 두

시장의 제도적 설계요소들을 적절히 맞추어나갈 필요가 있다 상 부

문의 감축목표 강도 할당방식 이월middot차입middot상쇄 등 유연성 기제 배출권

88

가격 및 공급량 관리제도 MRV 체계 페널티 제도 등 고려해야 할 다

양한 설계요소들이 있다 특히 감축목표의 강도 유상할당의 규모 상

쇄제도 MRV 체계 등은 연계 과정에서 핵심 쟁점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연계 과정에서 규제 당국 간의 적절한 조율이 필요하다

배출권 시장 간 연계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사례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퀘벡-캘리포니아 및 스위스-EU의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는 연계를 통해 두 시장이 상호간 혜택을 보

아야 하고(상호 호혜성) 연계되는 두 시장의 배출권 설계요소가

동소이하며(핵심 설계요소의 일치성) 당사국들의 강한 정책적 의지가

수반되어야 성공적인 시장 연계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배출권 시장 연계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유형별로

는 lsquo완전통합형rsquo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형rsquo 외부 크레딧을 통한 lsquo간접 연계rsquo lsquo단방향 연계형rsquo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 연계 유형별로 가지는 장middot단점이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시

장의 완전통합형에 가까울수록 비용효과성과 시장 유동성 및 가격 안

정성은 높아지는데 반해 정책 자율성은 낮아진다 단방향 연계형은 연

계가 허용된 시장에는 비용효과성 유동성 및 가격 안정성을 제공하면

서 정책 자율성까지 보장하는 장점이 있으나 연계를 허용하지 않은 시

장에서는 연계의 혜택을 누리기 어려우므로 상호 호혜성의 측면에서

실현되기 어려운 방식이다 다만 두 시장을 직접적으로 연계하기 전에

다양한 설계요소를 조정하기 위한 중간 단계로서 단방향 연계 방식이

채택될 수는 있을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의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타 배출권 시장과의 연계가 논의되고 있는 상황에서 가장 유력하게

제6장 결론 89

거론되고 있는 EU-ETS와의 연계를 상정하여 주요 쟁점사항과 바람직

한 연계 방식에 해 검토해 보았다

EU-ETS와 연계할 경우 가장 첨예한 쟁점사항으로 부각될 수 있는

요소로는 감축목표 강도 및 유상할당 규모의 상응성 간접배출에 한

할당 등을 꼽을 수 있다 실질적인 체감도와는 무관하게 외형상의 EU

와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할당방식에 있어서 EU-ETS와 달리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은 무상할당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EU-ETS와의 유상할당 규모의 차이는

2030년까지 상당 수준에서 차이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EU-ETS와 연계를 논의할 때 산업경쟁력 및 탄소누출에 한 우려를

들어 감축목표의 강도와 유상할당 규모의 상응성이 핵심 쟁점으로 부

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간접배출에 한 할당도 이중계산 및 횡

재이윤의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쟁점사항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월 차입 시장관리 MRV 등의 요소는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긴 하나 EU-ETS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기 때문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할 때 다양한 시장 연계의 유형 중 어떤 방식이

우리에게 보다 적합할지 살펴보았다 lsquo완전 통합형rsquo은 사실상 정책 결

정에 우리 정부가 개입할 여지를 없애는 방식이므로 적합지 않은 방식

이며 외부 크레딧을 통한 lsquo간접 연계rsquo 방식만으로는 유동성 부족에 고질

적으로 시달리는 국내 배출권 시장의 문제를 해결하기에 모자람이 많

다 다만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와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 방식 중

어떤 방식이 우리 현실에 더 적합한지는 연계 이전에 두 시장의 배출

권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가 그리고 배출권 가격의 차이가 실질적인

90

감축목표의 강도로 받아들여 질 수 있는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은 비용효과성과 유동성 확보의

측면에서 다소 유리하지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정책 자율

성 확보 업계 부담 최소화 및 수용성 확보의 차원에서 다소 불리하다

먼저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낮게

형성된다면 국내 배출권에 한 외부 수요가 증 되므로 lsquo완전 쌍방

향rsquo 연계방식을 채택하더라도 K-ETS의 고질적인 유동성 부족을 해결

하는데 큰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다 반면 정책 자율성에 있어서 손실

을 감수해야 하므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보다 적합하다

다음으로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

해 높고 그러한 높은 시장 가격을 근거로 실질적인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충분히 받아들여진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은 시장 가격에도 불구하고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받아들여지지 못한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은 국내 참여업체들의

비용부담을 가중시키고 제도의 수용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도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적절

히 설정할 경우 상당한 비용효과성 및 유동성 제고의 편익을 얻을 수

있다 만일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서 완전한 쌍방향 연계로 전환할

때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이 그리 크지 않다면 정책 자율성 확보

에 유리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가 더 바람직한 연계 방식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해외 주요국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에서처럼 처음부터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EU-ETS와 연계하기 보다는 초기 단계에서는 적절

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EU-ETS 배출권을 구매해서 의무이행에 활

용하는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배출권 시장을 연계한 후 점진적으로

제6장 결론 91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높여나가는 방식이 바람직할 것으

로 판단된다

또한 최근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으로 논의되는 협력적 접근

법이나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에 의한 감축실적도 상쇄배출권으로 허

용하도록 함으로써 간접적인 연계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시장 메커니

즘에 한 지침이 확정되면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이들 접근법을 활용

한 다양한 감축사업들이 전개될 수 있으며 연계 상이 되는 타 시장

(예를 들어 EU-ETS)도 그러한 시장 메커니즘을 자국의 배출권 시장과

연계시킬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간접연계는 국제적으로 공인된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함과 동시에 lsquo부분 쌍방향 연계 방식rsquo의 효과를 제고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93

참고문헌

lt국내 문헌gt

관계부처합동 2017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1차 계획기간 제3차 이행

연도 배출권 할당계획 변경(안)

관계부처합동 2018 보도참고자료 ldquo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전략 새롭게 만들어 갑니다rdquo

기획재정부 2017 제2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안)

박수경middot박순철middot송철호middot임철희middot이수정middot이우균 2018 ldquo한middot중 배출권거래제

연계를 위한 설계요소 및 장애요인 분석rdquo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9(4) 471-485

산업통상자원부 2016a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 수립 연구

산업통상자원부 2016b 협력적 접근법에 활용가능한 국제 규범 마련 연구

삼정 KPMG 2018 진화하는 배출권거래제(ETS) 시장과 기업의 탄소비용

응방향 삼정 KPMG Issue Monitor 제87호

수원의제21실천협의회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 2016 ldquo제21차 기후변화

협약당사국총회 파리협정문 국문번역본rdquo

안영환middot김동구 2017 산업 발전부문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 연구 산업

통상자원부

환경부 2014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1차 계획기간 국가 배출권 할당

계획

환경부 2018 보도자료 ldquo2030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안 및 2018~2020년

배출권 할당계획 확정rdquo

94

환경부 2019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2차 계획기간 국가 배출권 할당

계획

lt해외 문헌gt

Anger N 2008 ldquoEmissions Trading beyond Europe Linking Schemes

in a Post-Kyoto Worldrdquo Energy Economics 30 2028-2049

Babiker M Reilly J and Viguier L 2004 ldquoIs international emissions

trading always beneficialrdquo Energy Journal 25(2) 33-56

Bodansky DM Hoe이 SA Metcalf GE and Stavins RN 2016

ldquoFacilitating linkage of climate policies through the Paris

outcomerdquo Climate Policy 16(8) 956-972

Burtraw D Palmer KL Munnings C Weber P and Woerman M

2013 Linking by degrees incremental alignment of cap-and-trade

markets Discussion Paper 13-04 Resource for the Future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Towards a Global Carbon Market

Prospects for Linking the EU ETS to Other Carbon Markets

Carbone JC Helm C Rutherford TF 2009 ldquoThe case for

international emission trade in the absence of cooperative climate

policyrdquo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57

266-280

Chichilnsky G and Heal G 1995 Markets with tradable CO2

emission quotas principles and practice OECD Economics

Department Working Paper No 153

DEHSt 2016 International market mechanisms after Paris

참고문헌 95

European Commission 2016 COM(2016) 482 Final

Flachsland C Marschinski R and Edenhofer O 2009 ldquoTo limk or

not to link benefits and disadvantages of linking cap-and-trade

systemsrdquo Climate Policy 9(4) 358-372

Gouvernement du Queacutebec 2018 Quebec cap-and-trade system for

greenhouse gas emission allowances(CampT) Historical Overview

Hahn R W and Stavins R 2011 ldquoThe Effect of Allowance

Allocations on Cap-and-Trade System Performance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54(4) s267-s294

Haites E and Mullins F 2001 Linking domestic and industry

greenhouse gas emission trading systems EPRImiddotIEAmiddotIETA

Helm C 2003 ldquoInternational emissions trading with endogenous

allowance choicesrdquo Journal of Public Economics 87 2737-2747

Helm D Hepburn C and Mash R 2003 ldquoCredible carbon policyrdquo

Oxford Review of Economic Policy 19(3) 420-437

IETA 2014 USE OF OFFSET CREDITS ACROSS EMISSION

TRADING SYSTEMS and CARBON PRICING MECHANISMS

IETA 2015 Case Study Linking the Swiss and EU ETS Greenhouse

Gas Market 20152016 Report

ICAP 2019a Canada - Queacutebec Cap-and-Trade System

ICAP 2019b USA - California Cap-and-Trade Program

ICAP 2019c EU Emissions Trading System (EU ETS)

Jaffe J and Stavins RN 2008 Linkage of tradable permit systems

in international climate policy architecture Discussion Paper

08-07 Harvard Project on International Climate Agreements

96

McKibbin WJ Shackleton R and Wilcoxen PJ 1999 ldquoWhat to

expect from an international system of tradable permits for carbon

emissionsrdquo Resource and Energy Economics 21 319-346

McKibbin WJ Morris A and Wilcoxen PJ 2008 Expecting the

unexpected macroeconomic volatility and climate policy Discussion

Paper 08-16 Belfer Center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Affairs

Harvard Kennedy School

Montgomery W D 1972 ldquoMarkets in Licenses and Efficient Pollution

Control Programsrdquo Journal of Economic Theory 5 395-418

Point Carbon 2014 The MSR Impact on market balance and prices

Thomson Reuters

Ranson M and Stavins RN 2015 ldquoLinkag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trading systems learning from experiencerdquo Climate

Policy 16(3) 284-300

Royal Norweigi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08 The Norwegian

Emissions Trading System Presentation to ICAO Workshop

Tietenberg T H 2006 Emission Trading Principles and Practice 2nd

Ed RFF Press

Tuerk A Mehling M Flachsland C and Sterk W 2009 ldquoLinking

carbon markets concepts case studies and pathwaysrdquo Climate

Policy 9(4) 341-357

UNFCCC 2015 Paris Agreement

UNFCCC 2016 Decision1CP21

참고문헌 97

lt기사 및 웹사이트gt

ClimateWire 2013 ldquoEU market troubles will prevent emissions trading

linkage - Califairchiefrdquo

EC 홈페이지 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reform_en

EC 홈페이지 httpseceuropaeuclimapolicieseffortregulation_en

EC 홈페이지 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allowances_en

Emissions-ETScom 홈페이지 httpswwwemissions-euetscomcarbon-

market-glossary872-european-union-emissions-trading-system-eu-ets

Emissions-ETScom 홈페이지 httpswwwemissions-euetscomborrowing

Exchange Monitor 홈페이지 ldquoCALIF FORGING AHEAD WITH EMI

SSIONS TRADING NEXT MONTH AIR CHIEF CONFIRMSrdquo

httpswwwexchangemonitorcomcalif-forging-ahead-with-emissions

-trading-next-month-air-chief-confirmsprintmode=1

Federal Office for the Environment Switzerland ldquoLinking of the Swiss

and European emissions trading systems big step forwardrdquo

httpswwwbafuadminchbafuenhometopicsclimatenews-releases

msg-id-67745html

Sandbag Carbon Price Viewer httpssandbagorgukcarbon-price-viewer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Western_Climate_Initiative

심 성 희

現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lt주요저서 및 논문gt

985172배출권거래제의 최적 운영을 위한 사회 여건 연구985173 에너지경제

연구원 기본연구 2012

985172배출권 경매의 이론과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 연구985173 에너지경제

연구원 기본연구 2013

985172우리나라 배출권거래제 진단과 개선방안985173 에너지경제연구원 기본

연구 2017

수시연구보고서 18-02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

2019년 1월 31일 인쇄

2019년 1월 31일 발행

저 자 심 성 희

발행인 조 용 성

발행처 에너지경제연구원

983732983732983733983732983731 울산광역시 종가로 405-11

전화 (052)714-2114(代) 팩시 리 (052)-714-2028

등 록 제 369-2016-000001호(2016년 1월 22일)

인 쇄 디자인 범신

에너지경제연구원 2019 ISBN 978-89-5504-725-7 93320

파본은 교환해 드립니다 값 7000원

본 연구에 포함된 정책 안 등 주요 내용은 에너지경제연구원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닌 연구진의 개인 견해임을 밝혀 둡니다

Page 2: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참여연구진

연구책임자 연 구 위 원 심성희

연구참여자 경북대학교 김현석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박순철

요약 i

lt요 약gt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파리협정(Paris Agreement) 제6조에 근거하여 탄소시장 메커니

즘에 관한 국제사회의 논의가 진행 중이다 우리 정부도 이러한 국제

사회의 논의에 발맞추어 ldquo국제 탄소시장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국제기

준에 부합rdquo하도록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하고 ldquo장기적으로 배출권거래

제 국제 연계를 추진rdquo할 계획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최근 한-중-일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 지역의 탄소

시장 연계와 한국-EU 탄소시장 협력체계 등 배출권 시장의 국제 연계

에 관한 논의가 전문가 차원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배출권

수급 불균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

시장의 국제 연계는 시장의 규모화를 통한 거래 활성화 및 국내 기업

감축비용 완화를 위한 매력적인 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배출권 시장 연계는 편익뿐만 아니라 발생 가능한 다양한 부

작용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결정해야 하는 다면적인 정책 의사결정

과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를 둘러싼 다양한

이론적middot실증적 논의와 파리협정하의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최근 협상 동향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을

주요국(EU) 배출권 시장과 연계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쟁점들

연계의 잠재적 편익과 비용을 전망해보고 시장 연계의 바람직한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ii

2 주요 내용 및 정책 제언

배출권 시장 간 연계가 성공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연계하는 두

시장의 다양한 설계요소들에 한 조율이 필수적이다 감축목표 강도

할당방식 이월middot차입middot상쇄 등 유연성 기제 배출권 가격 및 공급량 관리

제도 MRV 체계 페널티 제도 등이 고려해야 할 주요 설계요소들이

다 특히 감축목표의 강도 유상할당의 규모 상쇄제도 MRV 체계는

연계 과정에서 핵심 쟁점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

배출권 시장 간 연계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사례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퀘벡-캘리포니아 및 스위스-EU의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는 연계를 통해 두 시장이 상호간 혜택을

보아야 하고(상호 호혜성) 연계되는 두 시장의 배출권 설계요소가

동소이하며(핵심 설계요소의 일치성) 당사국들의 강한 정책적

의지가 수반되어야 성공적인 시장 연계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배출권 시장 연계는 유형별로 lsquo완전통합형rsquo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 외부 크레딧을 통한 lsquo간접 연계rsquo lsquo단방향

연계형rsquo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시장의 완전통합형에

가까울수록 비용효과성과 시장 유동성 및 가격 안정성은 높아지는데

반해 정책 자율성은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K-ETS와 EU-ETS와의 연계하는 시나리오를 상정하여 연계

시 발생가능한 주요 쟁점사항과 바람직한 연계 방식에 해 검토해

보았다

EU-ETS와 연계할 경우 감축목표 강도 및 유상할당 규모의 상응성

간접배출에 한 할당 등이 쟁점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

인다 이월 차입 시장관리 MRV 등은 EU-ETS와 큰 차이를 보이지

요약 iii

않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양한 연계 방식 중 가장 유력한 안은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와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 방식이다 이중 어떤 방식이 우리 현실에 더

적합한지는 연계 이전에 두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가

그리고 배출권 가격의 차이가 실질적인 감축목표의 강도로 받아들여

질 수 있는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은 비용효과성과 유동성 확보의

측면에서 다소 유리하지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정책 자율

성 확보 업계 부담 최소화 및 수용성 확보의 차원에서 다소 불리하다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낮게 형성된다

면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보다 적합하다 왜냐하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을 채택하더라도 K-ETS의 고질적인 유동성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높고 그러한 높은 시장 가격을 근거로

실질적인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충분히 받아들여진다면 lsquo완전 쌍

방향rsquo 연계방식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은 시장 가격에도 불구하고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받아들여지지 못한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국내 참여업체들의 비용부담을 가중시키고 제도의 수용성을

떨어뜨릴 우려가 있다

결론적으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서 완전한 쌍방향 연계로

전환할 때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이 크지 않다면 정책 자율성 확보에

유리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가 더 바람직한 연계 방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처음부터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EU-ETS와 연계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 초기 단계에서는 적절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EU-ETS

iv

배출권을 구매해서 의무이행에 활용하는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배출권

시장을 연계한 후 점진적으로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높여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끝으로 최근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으로 논의되는 협력적 접

근법이나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에 의한 감축실적도 상쇄배출권으로

허용하도록 함으로써 간접적인 형태의 연계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시

장 메커니즘에 한 지침이 확정되면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이들 접근

법을 활용한 다양한 감축사업들이 전개될 수 있으며 연계 상이 되는

EU-ETS도 시장 메커니즘과 연계할 가능성이 높다 간접연계와 병행할

경우 국제적으로 공인된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함과 동시에 lsquo부분 쌍방

향 연계 방식rsquo와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i

ABSTRACT

1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The carbon market mechanism under Article 6 of the Paris

Agreement has recently become one of hot issues in the UNFCCC

negotiations talk In line with the discussions of the international

climate negotiations the Korean government has a future plan to link

its emission trading system with the international carbon market and

furthermore considers to promote international linkage with foreign

emission trading systems in the long term

Against this backdrop the international linkage of emission trading

markets such as the carbon market linkage of Northeast Asia carbon

markets or Korea-EU carbon markets have been actively discussed at

the expert level In particular an international linkage of the emission

trading market in Korea which is suffering from imbalances in

supply and demand for emissions allowances has been mentioned as

an attractive alternative for expanding trade volumes and reducing

domestic carbon mitigation costs through enlarging the market size

However a linkage of emission trading markets is a multi-faceted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that should take into account a range of possible

side-effects as well as benefi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various

theoretical and empirical discussions surrounding the linkage of emission

ii

trading markets and recent negotiations on the international carbon market

mechanism under the Paris Agreement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ossible issues that may arise when linking Korean emission

trading market with the EU-ETS in the future its potential benefits and

costs of linkage and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sirable direction

of emissions trading market linkage

2 Summary and Implications

The coordination of the various design elements of the two emissions

trading markets that would be linked is essential for a successful linkage

between emissions trading markets The stringency of GHG reductions

targets allocation methods flexibility mechanisms such as banking

borrowing and carbon offset emission allowances price and supply

management schemes MRV and penalty schemes and so on are key design

factors to consider to link with other emissions trading schmes In

particular the stringency of GHG reductions targets the size of auctioned

units offset schemes and MRV systems are likely to emerge as key issues

in the linking process

We can learn some policy implications from examples of successful

linkages between emissions trading markets such as Quebec-California and

Switzerland-EU linkages ① linking the two markets are mutually beneficial

from each other ② the key design elements of the two emissions trading

markets that be linked are similar ③ It shows that the strong policy will

of the Parties is accompanied by successful market linkage

Abstract iii

Emission trading market linkages can be categorized into lsquofull

integrationrsquo lsquofull direct linkrsquo lsquopartial direct linkrsquo lsquoindirect linkrsquo through

carbon offset credits Basically the closer the market is to a fully

integrated type the higher the cost effectiveness market liquidity and price

stability while lowering policy autonomy

Next a scenario of linking K-ETS and EU-ETS was considered and the

main issues of the linkage scenario and desirable linking methods were

examined

In connection with the EU-ETS it is highly likely that issues such as

the stringency of GHG reduction targets the size of auctioned units and

the allocation of indirect emissions will be highlighted Banking borrowing

market management and MRV are not expected to be a big problem as

the design features between the two emissions trading schemes are not

quite different The most promising alternatives among the various linking

methods are lsquofull direct linkrsquo and lsquopartial direct linrsquo Which of these

methods is better suited to Korean emissions trading scheme depends on

the differences in emissions allowancesrsquos prices in the two markets

In general a lsquofull two-way direct linkrsquo is somewhat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effectiveness and market liquidity but it is somewhat

disadvantageous in terms of securing policy autonomy minimizing the

burden on the industry and securing social acceptance If the K-ETSrsquos

emissions allowances price is lower than that of EU-ETS compared to

without the linkage the lsquopartial two-way direct linkagersquo is more

appropriate This is because it will be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of

iv

K-ETSrsquos lack of liquidity even if it adopts the lsquofull two-way direct linkagersquo

method On the other hand if the emissions allowances price of K-ETS is

higher than that of EU-ETS before the market linkage and if counter-part

market planner would accept the high emissions allowances price as a

signal of the corresponding stringency of Korearsquos GHG reductions target a

full two-way direct linkage could be advantageous However despite the

high market price if it is not acceptable as a signal of an high ambition of

GHG reductions a full two-way direct linkage may only increase the cost

burden of domestic participants and reduce the acceptability of the system

In conclusion if the additional benefits of transition from a partial

two-way direct linkage to a full two-way direct linkage are not significant

the partial two-way direct linkage which is advantageous for securing

policy autonomy will be a more desirable way Thus we recommend that

it is not advisable to link with the EU-ETS in a full two-way direct

manner from the outset In the early stages it would be advisable to link

the markets in a partial two-way direct manner in which EU-ETS

allowances are freely purchased and used to fulfill their obligations within

an appropriate range and then gradually increase the share of obligations

of the other allowances

Finally indirect linkage need to be paralleled by allowing the GHG

reductions credits by cooperative approaches or sustainable development

mechanisms under Article 6 of the Paris Agreement Once the guidelines

for market mechanisms are finalized in the near future various mitigation

activities can be developed at the global level In fact EU-ETS is also

Abstract v

likely to allow some credits from the market mechanisms Thus in parallel

with indirect linkages the market mechanisms under Article 6 of the

Paris Agreement also need to be utilized in parallel with a lsquopartial two

way direct linkagersquo between K-ETS and EU-ETS that would create

synergistic effects of the carbon market linkage

차례 i

제목 차례

제1장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제2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편익과 비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가 비용효과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나 시장 유동성과 가격 안정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다 동태적 효율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라 환경 건전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마 정치적 편익과 비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2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주요 고려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나 상쇄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다 배출권 가격 및 공급관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라 배출권 할당방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마 상 온실가스 및 적용 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

바 이월 및 차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

사 기타 고려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가 직접 연계 완전 통합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ii

나 직접 연계 쌍방향 연계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

다 직접 연계 단방향 연계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라 간접 연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

2 배출권 시장 연계의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가 스위스 배출권거래제와 EU-ETS의 연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나 퀘벡과 캘리포니아 배출권거래제의 연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

다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추진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3 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

가 상호 호혜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

나 핵심 설계요소의 유사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

다 정책적 의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 동향과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1 파리협정 이후의 탄소시장 논의 동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가 주요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나 후속협상 주요 경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다 주요 쟁점 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2 Post-2020 탄소시장 전망과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1 우리나라 ETS와 EU-ETS의 주요 설계요소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나 할당방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다 유연성 메커니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

라 의무이행 관련 사항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

차례 iii

2 K-ETS와 EU-ETS 연계 시 예상 쟁점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가 감축목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나 할당방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8

다 상쇄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9

라 기타 사항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3 배출권 시장 연계 방식별 편익 비용 그리고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3

가 시장 연계 유형별 편익 비용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3

나 K-ETS와 EU-ETS 간 연계를 위한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제6장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iv

표 차례

lt표 Ⅲ-1gt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표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

lt표 Ⅲ-2gt 스위스와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

lt표 Ⅲ-3gt 캘리포니아-퀘벡과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

lt표 Ⅳ-1gt 파리협정 제6조 주요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

lt표 Ⅴ-1gt 우리나라와 EU의 배출권거래제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차례 v

그림 차례

[그림 Ⅱ-1] A국과 B국의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에 따른 가격결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제1장 서론 1

제1장 서 론

최근 파리협정(Paris Agreement) 제6조에 근거하여 2020년 이후 국

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의 구체적인 정의 구조 기능 활용방법 절차 및

거버넌스 등에 관한 국제사회의 논의가 진행 중이다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활발한 논의의 배경은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할 경우

비용효과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 출발한다 이

와 같은 국제사회의 논의와 발맞추어 우리 정부도 2030년까지 BAU

비 37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제시하면서 목표 감축량의 45를 산

림흡수원 및 해외 감축분을 통해 달성하겠다고 밝히고 있다(관계부처

합동 2018)

한편 우리나라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비용효과적으로 달성하

기 위해 2015년부터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도입middot운영 중이다 지난

2017년에 발표된 제2차 계획기간(2018~2020년) 동안의 배출권거래제

운영방향을 제시한 제2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은 5가지 배출권거래

제 운영의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정부는 ldquo국제 탄소시장

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국제기준에 부합rdquo하도록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할

계획이며 특히 ldquo장기적으로 배출권거래제 국제 연계를 통한 해외 상

쇄 등 활성화로 유연성 제고 및 감축비용 절감 도모rdquo를 천명하였다

(기획재정부 2017) 이러한 기본계획의 방향성을 이어받아 최근 한-중

-일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 지역의 탄소시장 연계와 한국-EU 탄소시장

협력체계 등 배출권 시장의 국제 연계에 관한 논의가 전문가 차원에서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배출권 수급 불균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

2

는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 시장의 국제 연계는 시장의 규모

화를 통한 거래활성화 및 국내 기업 감축비용 완화를 위한 매력적인

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잘 알다시피 배출권거래제는 이론적으로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한

가장 비용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EU-ETS를 시작으로 여러

국가에서 배출권거래시장이 운영되고 있는 가운데 각 국가의 배출권거

래시장의 연계는 이론적으로 배출권 시장의 규모화를 통해 비용절감

효과를 극 화시키고 참여 국가들의 편익을 증가시킬 것으로 여겨진

다 그러나 Flachsland et al(2009) Ranson and Stavins(2015) 등의 기

존 연구들은 배출권 시장의 국제적 연계가 비록 이론적으로는 경제적

효율성을 증 시키지만 경제성만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매우 다면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론이 예상하는 바와 다른 다양한 부작용이 존

재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를 둘러싼 다양한 이론적middot실증적

논의와 파리협정하의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최근 협상 동향

을 검토해보기로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을 주요

국(EU) 배출권 시장과 연계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쟁점들 연계

의 잠재적 편익과 비용을 전망해보고 시장 연계의 바람직한 방향에 관

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의 편익

과 비용에 관한 그간의 이론적middot실증적 논의를 검토하고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해 논의한다 제3장에서는 배출권 시장이 연계

되는 다양한 유형과 더불어 퀘벡-캘리포니아 스위스-EU 등 배출권 시

장 연계의 해외 사례를 살펴보고 그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

제1장 서론 3

점을 도출하였다 제4장은 파리협정하의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최근 협상동향과 전망에 해 논의한다 제5장에서는 표적인 배출권

시장인 EU-ETS와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K-ETS)의 연계를 상정한 정

성적인 사례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EU-ETS와 K-ETS의 연계

시 부각될 수 있는 다양한 쟁점들과 시장 연계에 따라 우리가 얻을 수

있는 편익과 비용에 해 전망해보고 K-ETS의 입장에서 바라본 바람

직한 배출권 시장 연계의 방향에 해 모색해 보았다 끝으로 제6장에

서는 앞선 논의들을 종합 정리하면서 보고서를 매듭짓기로 한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5

제2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본 장에서는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배출권 시장 연계와 관련한 이론

적 실증적 논의 동향을 살펴본다 그간 배출권 시장 연계와 관련된 무

수히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하나의 축은 배출권 시장을 연계

할 경우 얻을 수 있는 편익과 비용에 관한 논의이며 다른 하나는 배출

권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요소에 한 논의로 별된다(Helm

2003 Anger 2008 Babiker et al 2004 Jaffe and Stavins 2008

Carbone et al 2009 Flachsland et al 2009 등) 또한 편익 비용 그

리고 연계 시 두될 쟁점들을 종합적으로 다룬 연구들도 다수 존재한

다(Tuerk et al 2009 Flachsland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박수경 외 2018 등)

여기서는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이 다른 시장과 연계될 경우 얻을 수

있는 잠재적 편익과 비용 그리고 연계 시 반드시 짚고 가야할 고려요소

들이 무엇이 있는지에 하여 기존 연구들에서 논의하고 있는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에 해 고찰해보기로 한다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편익과 비용

가 비용효과성

서로 다른 배출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발생 가능한 표적인 경제적

편익으로 비용효과성을 꼽을 수 있다 서로 다른 두 시장의 배출권 가

격이 연계 이후 균등화되면서 두 시장의 감축비용의 총합이 줄어들기

6

때문이다(Chichilnsky and Heal 1995 Anger 2008 Flachsland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아

래와 같은 상황을 고려해보자1)

배출권거래시장이 연계된 두 국가 A와 B가 있는데 A국은 B국에

비해 상 적으로 온실가스 감축기술이 발달하여 온실가스 감축의 한계

비용이 낮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각 국의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은 [그림 -1]와 같이 그려질 수 있다 여기서 A국과 B

국의 규제 이전의 배출총량은 로 동일하다고 가정하며 A국의

배출상한은 B국의 배출상한은 라고 하자 또한 두 국가의

배출권 시장은 완전경쟁적이라고 가정하자

[그림 Ⅱ-1] A국과 B국의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에 따른 가격결정

A국 배출상한

B국 배출상한

Y

X

자료 Anger(2008 p2032) 및 Flachsland et al(2009 p362)를 참조하여 저자 재작성

1) 여기서는 Flachsland et al(2009 p362)의 도면 분석(graphical analysis)을 저자가 약간 변형하여 제시하기로 한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7

그러면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 이전 각국의 배출권 가격은 각각

와 에서 형성될 것이다 이때 각 국의 배출권 가격의 격차는 배출

권거래시장의 연계 유인이 될 수 있다 B국의 경우 상 적으로 배출권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더 낮은 비용으로 온실가스 감축하기 위해 A국

으로부터 배출권을 구매하기 원할 것이고 A국의 경우 배출권을 판매함

으로써 이익이 발생하기 때문에 배출권 시장 연계가 가능할 것이다

배출권거래 시장이 연계될 경우 A국 배출권의 수요는 증가하기 때

문에 A국에서의 배출권 가격은 상승하게 되고 B국의 경우 A국으로

부터의 배출권 유입으로 배출권 공급이 증가하므로 배출권 가격은 하

락하게 된다 즉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의 차이에 따라 A국에서 B국

으로 배출권이 이전되고 결과적으로 두 국가의 배출권 가격이 로 동

등해지는 까지 지속된다 즉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의 차이에 따른

배출권 이전으로 연계시장에서 배출권의 균형가격은 수준으로 결정

된다 이 때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에 따른 비용은 전체적으로 X와 Y

면적만큼 감소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비용효과성이 항상 달성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도 언급

하였듯이 시장 연계가 가져다주는 비용효과성을 논의할 때 두 국가의

배출권 시장이 완전경쟁적인 상황을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연계되는

두 시장에 외부성이나 왜곡적 조세체계 등으로 인한 시장 왜곡이 존재

할 경우 배출권 시장 연계는 기존의 왜곡을 오히려 강화시킴으로써 비

용효과성을 저해할 가능성도 있다(Flachsland et al 2009) 예를 들어

어떤 사유(또는 특정 목적)로 인해 에너지원 간 조세체계가 사회적으

로 바람직한 상 가격체계를 따르지 못하지만 배출권거래제를 통해 효

율적 배분이 달성되고 있는 상황을 생각해보자 이때 배출권 시장 연

계로 인해 배출권 가격이 변할 경우 에너지원 간 소비 왜곡으로 인한

8

비효율성이 발생한다 만일 배출권 시장 연계로 인한 감축비용의 감소

에 비해 그러한 비효율성이 더 크다면 배출권 시장 연계는 사회 후생

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2)

나 시장 유동성과 가격 안정성

서로 다른 배출권 시장이 연계되면 개별 배출권 시장이 독립적으로

병존할 때에 비해 전체 시장 규모는 확 되며 그로 인해 배출권 시장

의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다 시장 규모가 커지게 되면 배출권 시장에

서 유동성(liquidity)이 커지게 되며 배출권 가격의 안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Flachsland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특히 유동성 확 와 그로 인한 배출권 가격 안정의 효과는 연계 이전

에 시장 규모가 상 적으로 작은 시장에서 크게 나타난다 시장을 연계

하기 이전에 두 시장 모두 규모가 작을 경우 양쪽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시장 규모가 비 칭적인 경우 상 적으로 규모가 작은

시장에서 이와 같은 효과를 크게 누리게 된다 시장 규모가 협소하여 배

출권 수급 불균형이 자주 나타나는 시장이 보다 큰 시장과 연계할 경우

수급 불균형에 따른 문제를 크게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장 연계가 반드시 규모가 상 적으로 작은 시장의 가격 안

정성을 증 시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특정 배출권 시장의 변동성이

다른 배출권 시장으로 전이될 수도 있다(Mckibbin et al 2008) 만일

연계하는 큰 규모의 상 편 배출권 시장에서 과다 할당 과다한 상쇄

배출권의 유입 등의 이유로 규모 시장에서 급격한 시장 가격 변동이

발생할 경우 배출권 시장 연계는 소규모 배출권 시장의 가격 불안정성

2) Babiker et al(2004)와 Mckibbin et al(1999) 등은 기존 시장에서의 왜곡이 존재할 경우 배출권 시장 연계가 반드시 효율성을 가져다주는 것은 아님을 보여주었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9

을 오히려 크게 확 될 것이다 결국 배출권 시장 연계가 가격 안정성

에 미치는 효과는 연계되는 시장의 규모에 따라 다르며 수급 불균형

에 따른 효과의 동태적 경로 또한 가격 충격의 근원지가 어디냐에 따

라 비 칭적으로 나타날 것이다

다 동태적 효율성

온실가스로 인한 기후변화는 국지적이며 단기적인 이슈가 아닌 글로

벌한 장기적인 이슈이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 정책 당국자들이 매우

높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강도 높은 감축수단의 이행을 약

속했다고 하더라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러한 감축목표와 수단의 강

도를 낮추고자 하는 유인에 직면할 수 있다3)

이때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동태적 비일관성의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다(Flachsland et al 2009) 기후변화 정책의 동

태적 비일관성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정책 당국자가 재량적 의사결정

을 할 여지가 늘어나기 때문에 발생한다 만일 두 국가(또는 지역)의

배출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특정 국가의 배출권거래제도와 관련된 재

량적 의사결정(배출상한의 설정 배출권의 할당 상쇄제도 등)은 연계

된 전체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일단 시장이 연계되고 난

이후에는 그러한 의사결정 시 다른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하는 국가(또

는 지역)와 충분한 사전협의를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상 국가(또

는 지역)의 명시적 또는 암묵적 압력에 직면하게 되며 독자적인 배출

권 시장을 운영하는 경우에 비해서 감축의 강도를 낮추는 방향으로 재

3) 이른바 동태적 비일관성(time inconsistency problem)의 문제로서 Helm et al(2003)은 기후변화정책에서의 동태적 비일관성을 다루고 있다

10

량적 의사결정하기가 더 어렵다 이처럼 배출권 시장 연계는 특정 국

가에서 재량적 의사결정을 할 여지를 낮춤으로써 안정적인 탄소가격

신호를 전달하고 감축투자를 촉진하는데 도움이 된다4)

물론 배출권 시장 연계의 구체적인 유형에 따라 동태적 효율성의 크

기는 달라질 수 있다 상 편 시장의 배출권을 의무이행에 일부 허용

하는 방식의 느슨한 연계보다는 전체 감축목표 및 배출상한을 상호 협

의하는 방식의 연계가 동태적 효율성 확보에 유리할 것이다

라 환경 건전성

선행 연구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 연계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일률적이지 않다 Carbone et al(2009)에 따르면 배출

권 시장 연계는 그렇지 않을 때에 비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 환경

건전성에 도움을 준다 Carbone et al(2009)은 한계감축비용과 감축의

환경적 편익이 높아서 배출권의 순 구매자가 되는 국가들과 한계감축

비용이 낮고 배출의 한계편익이 낮아 배출권의 순 판매자가 될 소수의

규모 배출권 판매 국가들이 서로 연계하는 상황을 상정하여 분석하

였다5) 이때 배출권 할당량은 참여하는 국가들이 합의해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 주권국가로서 독자적으로 결정한다

4) 한편 항상 배출권 시장 연계가 동태적 효율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 만일 특정 국가(또는 지역)의 한계감축비용이 상당히 높아 배출권 시장 연계 이후 상당량의 배출권을 구매하는 경우 자체적인 감축노력보다는 연계된 시장에서 배출권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목표를 충당함으로써 자체 감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다양한 공편익(co-benefits) 예를 들어 기오염 저감 에너지 안보 강화 감축기술 촉진 등을 장기적으로 내재화하지 못할 가능성도 상존한다(Flachsland et al 2009)

5) 가령 배출권 순 구매자로서 EU와 배출권 순 판매자로서 개발도상국인 중국 및 러시아가 상호 연계하는 상황을 상정해보라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1

배출권 판매국가의 입장에서는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이 높은 수준으

로 유지되어 얻는 이익과 높은 배출권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배출권

할당량을 제한함으로써 잃게 되는 비용을 상호 비교하여 최적의 의사

결정을 하게 된다 만일 소수의 규모 배출권 판매국가가 공급독점자

로서 시장지배력을 가질 경우 배출권 가격 하락을 억제하기 위해 할당

량을 낮출 유인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수준은 줄

어드는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특히 Carbone et al(2009)은 EU-중

국-구소련연방이 서로 배출권 시장을 연계하는 상황에 한 연산가능

일반균형(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모형 기반 시뮬레이

션 분석을 통해 연계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서 두 배 이상의 온실가스

감축이 가능함을 보였다

반면 Helm(2003)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이 연계됨으로써 오히려 배출

권 할당량이 늘어나 환경 건전성을 저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은 배

출권 할당량을 늘임으로써 발생하는 추가적인 환경적 피해와 배출권 가

격 하락에 따른 손해에 비해 배출권 판매량의 증 에 따른 수입 증

효과가 더 큰 경우에 발생한다 이 경우 시장 연계에 따라 배출권의 순

판매국이 되는 국가는 자국의 배출권 할당량을 연계 이전에 비해 늘리

고자 하는 유인을 가지며 이로 인해 두 시장의 전체 배출권 할당량 총합

은 연계되기 전에 비해 늘어날 경우 환경 건전성을 해칠 수 있다6)

전술한 두 가지 경우 중 어느 경우가 더 현실적인 시나리오인지는

일률적으로 답하기 곤란하다 결론적으로 배출권 시장 연계가 환경

건전성에 미치는 효과는 연계되는 국가들의 한계감축비용 및 한계환경

편익의 구조 각국의 배출권 시장구조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6) 이때 순 효과의 크기는 한계감축비용 및 한계환경편익에 따라 달라진다 자세한 사항은 Helm(2003)을 참조하라

12

마 정치적 편익과 비용

배출권 시장 연계는 근본적으로 서로 다른 두 시장의 국제적인 상호

협력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국제정치적 전략의 관점에서 긍정적인 효과

를 가진다(Ranson and Stavins 2015) Ranson and Stavins(2015)가 주

장한 바와 같이 배출권 시장 연계는 기후변화 응에 한 참여 국가

의 적극적인 의사를 국제적으로 천명하는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 응과 관련한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고 국제적

인 신뢰를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7)

배출권 시장 연계가 정치적 측면의 편익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그

이면에는 치러야 할 또 다른 가가 존재한다 특정 국가가 자국의 단

일한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는 경우 정부 당국은 해당 시장에 한 배

타적인 통제권을 가지며 정책 환경 변화에 따라 유연한 응이 가능하

다 그러나 다른 배출권 시장과 연계될 경우 구속력을 가지는 국내 규

제정책에 한 국가의 개입 범위가 줄어들어 규제의 유연성을 제 로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다(Jaffe and Stavins 2008 Flachsland et al

2009)

7) 한편 Ranson and Stavins(2015)은 배출권 시장 연계가 특정 국가의 배출권 시장의 도입에 영향을 준 도구로서 활용되기도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EU-ETS는 제3기에서 최빈개도국(Least Developing Countries LDCrsquos) 국가에서 나온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 배출권만을 상쇄로 허용하겠다는 결정을 하였다 그런데 이로 인해 당시 EU 시장에서 청정개발체제 배출권 공급의 상당량을 차지하던 중국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의 시장 공급이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중국이 독자적인 자국 내 배출권 시장을 도입하게 된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물론 중국의 배출권 시장 도입이 자국의 청정개발체제 배출권 해결을 위한 방편이었다는 Ranson and Stavins(2015)의 해석에는 다소 이견이 있을 수 있으나 중국의 배출권 시장 도입이 자국의 잉여 청정개발체제 배출권 해소에 일정 부분 기여했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 이것은 배출권 시장의 연계가 아닌 lsquo연계의 단절rsquo이 특정 국가의 적극적인 기후변화 응 정책수단 도입을 이끌어낸 흥미로운 사례라고 하겠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3

후술하겠지만 배출권 시장 연계과정에서 감축목표의 강도 가격상한

여부 상쇄제도의 설계 방식 이월과 차입의 허용 정도 등 다양한 설계

요소에 따라 배출권 시장 연계 전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

다 이러한 맥락에서 배출권 시장 연계 사전에 그러한 설계요소별로

양 시장간 긴 한 협력과 조정이 필요하며 이는 결국 배출권거래제도

설계에 있어서 배타적 통제권과 규제 당국의 유연성에 해 일정 정도

의 양보가 뒤따를 수 있다8) 결과적으로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는 국

가 주권의 부분적 양도라는 정치적 도전에 직면할 우려가 있음에 유의

할 필요가 있다

2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주요 고려사항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는 경제적 정치적 측

면 등에서 연계에 따른 잠재적 편익과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배출권거래시장을 연계하여 잠재적 편익을 극 화하면서 비용을 최소

화하기 위해서는 시장 연계의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

라서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를 설계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본 절에서는 배출권거

래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할 주요 사항들에 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에 있어서 감축목표는 배출권의 가격뿐만 아

8) Flachsland et al(2009)은 ldquo연계는 기본적으로 효율성 증 와 규제적 개입의 감소 간의 상충관계를 내포한다rdquo고 지적하였다

14

니라 감축비용의 효율성 증 및 분배효과의 크기 등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배출권 시장 연

계를 다룬 여러 선행 연구들은 감축목표의 상 적 격차가 클 경우 배

출권 시장 연계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Tuerk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감축목표의 엄격성 차이가 배

출권 시장 연계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이유는 연계를 통한

경제적 편익에도 불구하고 정치적middot분배적 관점에서의 쟁점들을 부각시

켜 제도의 수용성을 낮추기 때문이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배출권 시장을 연계하는 가장 큰 논거는 비용

효과성에 있다 비용효과성은 연계하는 두 시장 간 감축비용의 차이에

서 나온다 그러나 반 로 배출권 시장이 연계된 이후 높은 감축목표

를 설정한 국가의 기업들이 상 적으로 낮은 감축목표를 설정한 국가

의 기업들로부터 거 배출권을 구입하여 자본이동이 발생하게 되면

고강도 감축목표 설정 국가의 기업들로부터 국가 간 감축목표의 형평

성 관점에서 제기되는 상당한 정치적 저항에 부딪힐 수 있다9) 또한

연계 이전에 고강도 감축목표 국가의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의 순 판

매자인 기업이 시장 연계 이후에 배출권 판매규모가 줄어들게 되고

그로 인해 연계 이전에 비해 순 편익이 줄어들 경우 분배적 이슈가 부

각될 가능성도 있다10)

9) 두 시장의 감축목표의 강도나 감축비용이 유사한 경우에는 이러한 쟁점은 사라지는 반면에 시장 연계로 인한 경제적 편익은 줄어들게 된다는 역설적인 측면이 존재한다(Ranson and Stavins 2015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10) 한편 감축목표의 상당한 차이가 나더라도 양 시장이 이를 감안한 적절한 교환비율을 설정한다면 이론적으로는 시장 연계에 큰 장애요인이 되지 않을 수 있다(Burtraw et al 2013 Ranson and Stavins 2015) 그럼에도 불구하고 Ranson and Stavins(2015)는 감축목표와 배출권 가격에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경우 시장 연계에 큰 장애요인이 될 수 있으며 ClimateWire(2013)을 인용하면서 EU-ETS 배출권 가격의 급락이 캘리포니아 배출권 시장과의 연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5

따라서 배출권시장의 연계를 추진할 경우 연계를 통한 경제적 편익

이외에도 감축목표의 엄격성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국가 간의

자본 이동 문제와 이에 따른 분배 문제에 해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

요가 있다 또한 감축목표의 강도에 해 연계 이전 양 당국자간의 충

분한 사전 논의와 조율이 선행되어야 하며 필요할 경우 시장 연계로

인해 영향을 받는 경제주체들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중요할

것이다

나 상쇄제도

상쇄제도는 배출권 시장의 공급량 및 이를 통한 시장 가격에 직접적

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자 국내적 감축활동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설계요소이다 상쇄제도가 크게 차이가 나는 서로 다른 두 시장

이 서로 연계될 때 상쇄제도의 차이로 인해 배출권의 공급 및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Teurk et al 2009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예를 들어 세계 최 배출권거래시장인 EU-ETS는 2020년 이후부터

역내 온실가스 감축노력 강화를 위해 역외 탄소상쇄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기로 하였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EU-ETS

와 다른 배출권 시장이 서로 연계되고 연계된 다른 배출권거래시장에

서 탄소상쇄의 사용을 허용할 경우 여기서 발생되는 상쇄배출권은 사

실상 EU-ETS에서 사용가능한 상황이 된다 연계된 다른 배출권거래제

의 할당배출권을 EU-ETS에 판매하는 신 그에 해당하는 양만큼의

상쇄배출권을 유입시키면 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할당배출권과 상쇄배출권은 통상적으로 상호 호환이 가

16

능하기 때문에 연계된 시장 간 상쇄의 활용에 한 다른 인식을 가지

고 있다고 하더라도 한 국가에서 상쇄제도를 허용할 경우 상쇄제도를

허용하지 않는 국가 또한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다 만일 연계를

고려중인 두 시장이 서로 다른 상쇄제도를 운영하고 있고 연계 시 상

쇄제도의 시장 수급 영향이 크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국가 간 상쇄제

도의 인식 및 활용 허용 여부 등에 한 사전 논의와 조율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될 것이다

다 배출권 가격 및 공급관리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하는 주체는 배출권 시장의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 배출권의 가격 및 공급에 관한 사항을 별도의 규정을 두어 관리

하기도 한다 여러 배출권 시장에서 도입하고 있는 배출권 가격 상middot하

한제도나 EU-ETS의 배출권 경매 연기(Back-loading of auctions) 조치

와 같은 배출권 공급량 조절 장치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11) 만약 가격

상한제 또는 하한제와 같은 배출권 가격 또는 공급량 관리 규정이 한

국가의 배출권 시장에 존재하거나 도입될 경우 이 시장과 연계되는

다른 국가의 배출권 시장에서 동일한 규정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연계

된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배출권 가격 상middot하한제도가 한 시장에 존재하고 다른 시장에는 존재

하지 않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경우 배출권 시장이 연계되어 있다

면 참여주체들의 재정거래(Arbitrage)를 통해 연계된 시장의 배출권 가

11) 배출권 경매 연기(Back-loading of auctions)는 EU 배출권 시장의 수급 안정화를 위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총 9억톤의 배출권 경매를 2019년 이후로 연기하는 조치로서 EU-ETS 경매 규제에 한 수정의 일환으로 2014년부터 시행되었다(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reform_en)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7

격은 결국 배출권 가격 상middot하한 범위 내로 수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연계된 시장의 모두에서 배출권 가격의 상middot하한제도를 도입한 것과 동

일한 결과를 가져다줄 공산이 크다

다음으로 공급량 관리 조치가 존재하는 상황을 EU-ETS 사례를 통

해 살펴보자 EU는 배출권 경매 연기에 뒤이어 배출권거래시장의 안

정화를 위해 배출권 비축제도(Market Stability Reserve 이하 MSR)를

도입하였다12) 만약 EU-ETS가 다른 시장과 연계되었다고 할 때 EU의

배출권 비축제도는 연계된 배출권 시장 전체를 상으로 한 배출권 공

급량을 기준으로 준칙이 설정되어야 배출권 시장 수급 안정화에 이상

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연계된 두 배출권 시장은 하나의 배출권 시장

으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연계된 두 시장의 전체적인 수급 불균형

이 아닌 한 시장의 수급 불균형만을 고려하여 제도를 운용할 경우 배

출권 수급 불균형 해결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를 위해서는 각

국가 간 배출권 공급과 배출권 가격에 관한 효율적인 관리 제도에 관

해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라 배출권의 할당방식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배출허용총량이 주어진 상황에서 배출권의 할

12) MSR은 배출권 경매량 조절을 통해 수급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배출권의 공급량이 사전에 정한 특정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배출권의 경매 규모를 감소시키고 그 감소분만큼을 비축하며 반 로 배출권시장 내에 배출권이 과소 공급될 경우에는 비축분의 방출하여 경매 규모를 증가시켜 공급량을 늘리는 방식으로 운용한다 현재 배출권 경매 연기 조치를 통해 확보된 9억톤이 MSR에 비축될 예정이며 추가 비축분은 2020년 이후 배출권 시장 상황에 따라 정해진 준칙에 의거 결정될 예정이다 아직까지 비축을 위한 구체적인 준칙은 확정되지 않았다(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reform_en)

18

당방식은 비용효과성에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한다(Mongomery 1972

Tietenberg 2006 Hahn and Stavins 2011) 물론 배출권거래시장의

참여주체에게 분배적 관점에서 영향을 미칠 수는 있다 그러나 국가

간 배출권 할당방식의 차이에 따른 영향은 두 시장의 연계 여부에 상

관없이 존재하기 때문에 비용효과성의 측면에서는 할당방식이 배출권

거래시장의 연계에 있어 직접적인 함의를 가지지 않는다13) 다만 연계

된 두 시장 모두 경매를 통한 배출권 할당을 할 경우 연계 이전에 배

출권 가격이 높게 형성된 국가의 경우 연계에 따라 가격이 낮아져 상

적으로 적은 경매수입을 얻을 수 있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경매수입이 다시 감축을 위한 활동에 중립적으

로 사용된다고 한다면 그 영향도 매우 제한적일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고려해야 할 점은 한 국가는 경매를 통해 할당하고

다른 국가는 무상으로 배출권을 할당하는 상황에서 두 시장이 서로 연

계되는 경우이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할당방식의 차이 자체가 배

출권 시장에 주는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다14) 그러나 일단 시장이 서

로 연계된 이후엔 유middot무상할당 방식의 차이로 인해 두 국가 간 산업경

쟁력이 정치적 쟁점으로 부각될 수 있다 즉 무상할당 방식을 취하는

13) 다시 말해 A라는 할당방식(국가 1에는 a1 국가 2에는 a2라는 할당방식)을 B라는 할당방식(국가 1에는 b1 국가 2에는 b2라는 할당방식)으로 변경하더라도 연계 전과 연계 후의 비용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동일하다 왜냐하면 연계가 없을 경우 최초 할당 이후 두 시장의 배출권 최종 균형가격은 A와 B 할당방식 모두에서 동일하며 연계된 경우에도 배출권 최종 균형가격은 할당방식에 관계없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할당방식을 어떻게 하든 할당방식에 따른 연계 전과 후의 비용효과성 변화의 크기는 동일하므로 할당방식이 배출권 시장 연계에 주는 직접적 함의는 제한적이다

14) 경매를 주된 할당방식으로 택하는 국가의 기업들이 무상할당을 주된 방식으로 채택한 국가로 생산시설을 이전하는 탄소누출(carbon leakage)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사실 이러한 탄소누출은 시장이 독자적으로 운영되더라도 유사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시장 연계가 추가적인 탄소누출을 야기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9

국가에 해 유상할당으로 할당방식 변경을 요구하는 명시적 또는 묵

시적 압력이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15) 따라서 할당방식에

있어서 유middot무상의 차이가 나는 경우 국가 간 상호조율과 양해가 전제

되지 않는다면 시장 연계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마 대상 온실가스 및 적용대상

배출권거래제의 적용을 받는 기업의 범위 및 배출제한 적용을 받는

상 온실가스는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소들이다 상 온실가

스 및 적용 상의 차이가 적용할 수 있는 온실가스 감축옵션이나 배출

권 할당 규모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기는 하지만 이는 시장 연계와

상관없이 영향을 주는 요소이므로 시장 연계 전후의 차이에 영향을 주

는데 제한적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이들은 적용여부에 따라 해당 산업의 경쟁력에 직접적인 영

향을 미치는 요소이므로 시장 연계 이후 배출권 가격 변화를 통해 간

접적으로 산업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이러한 경쟁력 변화는 특정 국가의 참여기업들의 수용

성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나아가 동태적인 관점에서 제도적 변화에

한 정치적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간과해선 안 된다

예를 들어 한 시장에서는 NF3를 규제 상 온실가스에 포함하는데

반해 다른 국가에서는 이를 규제 상에서 제외한다고 하자 이 경우

NF3가 규제 상에서 제외된 국가의 배출기업들은 그렇치 않는 경우

에 비해 상 적으로 유리한 입장이 된다 이들 두 국가의 배출권 시장

15) 물론 시장 연계 이전에도 이 문제는 국가 간 쟁점이 될 수 있으나 배출권 시장이 독자적으로 운영될 때보다는 연결된 경우에 쟁점화될 개연성이 더 높다

20

이 연계될 때 규제 상의 차이가 연계 전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은 매우 제한적이다 그러나 앞서 유middot무상할당 방식에서와 같이 일단

연계된 이후에는 상 적으로 불리한 입장의 기업들을 중심으로 제도적

형평성에 한 이의를 제기할 수 있고 중장기적으로는 제도적 수렴을

요구하는 경제 외적 압력을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

요컨 상 온실가스와 적용 상의 차이는 단기적으로는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핵심 쟁점은 아니다 그러나 앞선 예처럼 중장기적으

로는 연계 이후 참여 상자들의 수용성 및 형평성에 한 문제 제기 및

제도 수렴에 한 정치적 압력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바 이월 및 차입

이월(banking)은 해당 연도의 배출권 잉여분을 이후 연도에 의무이

행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두 국가 간 배출

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한 국가에서 배출권의 이월을 허용하고 있을

경우 연계된 다른 국가가 이월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간접적으로 이월

제도를 허용한 것과 유사하게 된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국가 A가 배출권 이월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국가 A의 기업들

은 해당 연도 배출권을 이월을 허용하는 국가 B의 이후 연도 배출권과

교환하여 이를 이후 연도 이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

서 어떤 시장에서 이월을 허용하지 않아야 하는 특별한 사유가 있다면

배출권 시장 연계 이전에 이월 관련 규정에 한 국가 간 상호 조율이

필요하다16)

16) 참고로 현재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한 부분의 국가는 배출권의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고 있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21

배출권의 차입(borrowing)은 이월과 반 되는 개념으로 배출권거래

제에 참여하는 업체가 해당 거래 연도에 배출허용량을 초과해서 배출

했을 때 다음 연도 배출권 할당량 중 일부를 차입하여 사용하는 제도

이다 차입 역시 이월과 유사한 논리로 두 국가 간 배출권 시장이 연계

되어 있다면 한 국가에서 배출권의 차입을 허용하고 있을 경우 연계된

다른 국가가 차입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이 국가에서 간접적으로 차입

제도를 허용한 것과 사실상 동일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배출권의 차입

은 현재 시점에서의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을 이연시키

는 효과를 가지므로 환경 건전성 관점에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

다 이로 인해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한 부분의 국가는 차입을 허용하

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일 어떤 시장에서 특정한 사유로

인해 차입을 허용하는 경우엔 배출권 시장 연계 이전에 차입 관련 규

정에 한 국가 간 상호 조율이 필수적이다

사 기타 고려사항

온실가스 배출량의 측정 및 보고 검증(Measurement Reporting and

Verification MRV) 기준은 두 배출권 시장 연계에 있어서 중요하다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연계된 두 시장의 MRV 기준

및 강도 등에서 상당한 차이가 날 경우 두 배출권의 상호 호환성

(fungibility) 및 등가성에 한 논란이 커질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그

러나 서로 다른 MRV체계가 반드시 시장 연계의 장애요소가 되는 것

은 아니며 양 국가 간 합의만 전제된다면 등가비율의 조정을 통해 연

계가 가능하다(Tuerk et al 2009)17)

17) 물론 Tuerk(2009)가 지적하듯이 MRV체계의 투명성(transparancy)과 비교가능성

22

또한 연계된 배출권시장 간의 배출권 이전이 가능하기 위해서 배출

권거래시장의 등록소는 두 시장 간 호환 가능해야 하는데 이는 다분

히 기술적인 요소로 시장 연계에 있어서 장애요인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연계된 배출권시장 간에 신뢰 구축을 위하여 감축목표

불이행에 따른 페널티와 의무이행 체계는 연계된 시장 간에 유사해야

할 것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comparability)이 보장되어야 하며 기준과 강도 그리고 등가비율 등에 한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3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

두 배출권 시장이 서로 연계되는 방식은 다양한데 크게 나누어 보면

직접 연계(direct link)와 간접 연계(indirect link)로 구분된다(Tuerk et

al 2009) 직접 연계는 두 배출권 시장 간 직접적인 배출권 거래가 가

능한 경우를 의미하며 간접 연계는 두 시장 간 직접적 거래가 가능하

지 않지만 제3의 시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된 경우를 뜻한다(Tuerk

et al 2009 Flachsland et al 2009) 다시 직middot간접 연계는 몇 가지 서로

다른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아래에서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가 직접 연계 완전 통합형

완전 통합형 직접 연계는 서로 다른 별개로 운영되던 배출권 시장이

하나의 배출권 시장으로 통합되는 유형을 말한다 이 경우 서로 다른

할당배출권이 하나로 통합되며 개별적으로 진행되던 배출권 할당 또한

전체 시장을 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선 감축목표의 설정 및

배출권 할당 상쇄제도 등 다양한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소들

에 해 두 시장간 완전한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감축목표

의 설정 등과 관련하여 완전한 합의를 이루기 위해선 국가 주권의 일

정 부분을 양도한다는 국내 정치적 도전과 정책적 자율성 손실에 따른

비용 부담이 불가피하다는 단점이 있다

완전 통합형 직접 연계는 현실에서 사례를 찾기 매우 힘들지만 표

24

적인 사례로는 EU-ETS와 노르웨이 ETS의 연계를 꼽을 수 있다

EU-ETS 제1기(2005~2007)만 하더라도 양 국가의 배출권 시장은 별도

의 시장으로 존재해왔다 그러나 EU-ETS 제2기(2008~2012) 이후부터

노르웨이 ETS 시장은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과 함께 EU-ETS 시장

으로 편입되어 EU ETS Directive 하에서 운영되는 시장으로 완전 통

합되었다(Royal Norwegi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08)

나 직접 연계 쌍방향 연계형

쌍방향 연계 방식의 직접 연계는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각자

배출상한 목표를 가지고 개별적으로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되 서로 간

의 할당배출권이나 상쇄배출권이 자유롭게 거래되고 상 편 시장의 배

출권을 자신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게 허용되는 연계 방식을 말한

다(Haites and Mullins 2001 Tuerk et al 2009) 두 개의 시장이 하

나의 시장으로 완전히 통합되는 방식에 비해서 각자 독자적인 배출권

시장을 유지middot운영하기 때문에 각 시장을 운영하는 주체의 정책적 자율

성이 일정 부분 보장된다 또한 시장 연계의 수준을 두 시장이 가진 고

유한 상황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다 경우에 따라 해당 시

장에서 의무 이행 시 활용 가능한 상 편 시장의 배출권 수량에 일정

한 제한을 가할 수도 있고 제한 없이 상 편 시장에서 구매한 배출권

을 자신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도 있어서 제도 운

영의 자유도가 완전 통합형에 비해서 높은 편이다18)

18) 만일 제한 없이 상 편 시장에서 구매한 배출권을 자신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경우 완전 통합형 직접 연계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쌍방향 연계형은 배출상한 목표(즉 배출권 할당량) 등 주요 설계요소를 결정함에 있어서 각 시장 운영주체가 독자적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완전 통합형과 차별성을 가진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5

현존하는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는 모두 쌍방향 직접 연계의 유형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와 퀘벡 간의 배출권 시장 연계와

최근 협정을 체결한 EU-ETS와 스위스 ETS 간의 연계가 표적인 쌍

방향 직접연계 방식을 취하고 있다 목표의 강도 할당방식 적용 상

상쇄제도 등 주요 배출권거래제 설계요소에서 나름의 독자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배출권 거래 및 의무이행에 있어서 상호 호환을 허용하고 있다

이들 사례에 해서는 후술하는 소절에서 자세하게 다루기로 한다

다 직접 연계 단방향 연계형

단방향 연계는 한 시장에서는 상 방의 할당배출권이나 상쇄배출권

을 구매하여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지만 다른 시장에서는 이를 허용

하지 않는 방식이다(Tuerk et al 2009) 통상적으로 시장 연계는 상호

간 순 편익이 늘어날 경우에 성사될 수 있으므로 단방향 연계 방식의

직접 연계는 현실에서 보기 어렵다 다만 쌍방향 연계에 합의했더라도

제도적middot기술적 요인들로 인해 일정 기간 유예가 필요한 경우 서로 간

의 합의하에 본격적인 쌍방향 연계 전의 중간 단계로서 단방향 연계가

일어나기도 한다

단방향 연계의 사례로 노르웨이 ETS는 EU-ETS 제1기에 EU-ETS

배출권을 의무이행에 허용하였던 반면 EU는 노르웨이 ETS 배출권을

받아들이지 않았다(Tuerk et al 2009)19) 또한 비록 성사되지는 않았

지만 호주와 EU-ETS 간의 배출권 시장 연계 시도에서도 단방향 연계

의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지난 2012년 호주와 EU는 양 국가의 배출

권거래제를 연계하기로 발표하면서 2018년 7월 이후에 본격적으로 쌍

19) 이후 EU-ETS 제2기부터 노르웨이 ETS는 EU-ETS에 편입되었다

26

방향 연계하되 2015년 7월부터 한시적으로 호주 기업들이 EU-ETS의

배출권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합의한 바 있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이상의 사례는 단방향 연계 방식이 주로 소규모 시장이 규모 시장

과 연계할 때 과도기적 조치로 사용되어 왔음을 보여준다 결국 단방

향 연계는 규모 시장과의 연계로 인해 소규모 시장 참여자들이 입을

지도 모를 시장 충격에 미리 비하고 본격적인 쌍방향 시장 연계에

앞서 두 시장의 제반 제도적middot기술적 여건을 조화시키기 위한 준비기가

필요할 경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유형이다

라 간접 연계

두 시장이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지 않더라도 제3의 시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될 수도 있다(Tuerk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이때 제3의 시장은 할당배출권이 거래되는 시장이 될 수도 있

고 탄소상쇄 배출권(carbon offsets credit)이 거래되는 시장이 될 수도

있다 이때 제3의 시장은 다른 두 시장과 쌍방향 혹은 단방향으로 직

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어야 한다 이 경우 특정 시장에서의 배출권 수

급 변화는 제3의 시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다른 시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Tuerk et al 2009)

간접 연계의 한 사례로서 쌍방향 연계 이전에는 스위스 ETS와

EU-ETS를 들 수 있다 두 시장은 비록 직접 연계되어 있지는 않았으

나 탄소상쇄로서 교토의정서 상의 크레딧(CDM JI 등)을 허용하고 있

었으며 동 크레딧 시스템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아직까지는 제3의 시장이 할당배출권 시장이 되는 방식의 간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7

접연계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향후 여러 국가 혹은 지역 단위

에서 배출권 시장이 도입되고 서로 간의 이해에 따라 국가 혹은 지역

단위 배출권 시장 간 연계가 늘어나게 된다면 제3의 시장이 할당배출

권 시장이 되는 방식의 간접 연계 유형도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논의한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그에 해당하는 실제 사

례를 정리하면 아래 lt표 -1gt과 같다

구분 유형 표 사례

직접 연계

완전통합형EU-ETS(Phase II~)와 노르웨이 ETS

간의 연계

쌍방형 연계형

EU-ETS와 스위스 ETS 간의 연계(lsquo17년 협정 체결)

캘리포니아와 퀘벡 간의 ETS 연계

단방향 연계형

EU-ETS(Phase I)와 노르웨이 ETS 간의 연계

(연계 추진)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20157월~20186월)

간접 연계

크레딧 시스템을 통한 연계

EU-ETS와 스위스 ETS (쌍방향 연계 이전)

제3의 할당배출권 시장을 통한 연계

해당 없음

자료 Ranson and Stavins(2015)를 참조하여 저자가 재구성

lt표 Ⅲ-1gt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대표 사례

28

2 배출권 시장 연계의 사례20)

가 스위스 배출권거래제와 EU-ETS의 연계

2010년 11월 EU 집행위원회는 EU-ETS와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에 한 협상 개시를 제안했고 이사회를 통해 협상에 한 위임을

받았다 EU와 스위스는 두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 기준과 방식에 해

합의하고 2017년 11월 협약서에 서명함으로서 두 시장의 연계 이행 작

업에 들어갔다 EU-ETS와 스위스 배출권시장과의 연계는 EU-ETS와

제3국의 배출권시장이 연계되는 최초의 공식적인 사례이다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제는 제1차 계획기간인 2008년부터 5년간은 자

발적 참여 단계로 시작하였다 2013~2020년까지인 제2차 계획기간

동안 EU-ETS와의 연계를 위해 2020년까지 감축목표를 EU와 동일한

수준인 1990년 비 20 감축으로 정하는 중요한 변화를 배출권 시

장에 도입하였다

1999년 스위스는 난방 산업공정 수송연료에 탄소 부담금을 부과하

고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했다 연간 25000tCO2e 이상의 이산

화탄소를 배출하는 기업들은 직접적으로 배출권거래제에 참여 가능하

도록 하였으며 참여 기업들은 상향식 접근방법을 기반으로 배출권을

무상할당 받았다 제1차 계획기간 동안 기업은 조림사업과 같은 카본

싱크 프로젝트를 통한 RMUs(Removal Units)를 사용 가능하도록 하

였다 스위스의 페널티 제도는 EU의 페널티 제도와 확연한 차이를 보

이는데 배출권거래제를 참여기업이 감축목표 수준을 준수하지 못했을

20) 본 절은 Carbon Market Watch(2015)의 pp8-13까지의 내용과 박수경 외(2018)의 pp479~ 482까지 내용을 참조하여 재구성한 것이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9

경우의 페널티는 배출권의 상한가격에 해당하는 탄소 부담금과 이자의

합이었다

스위스와 EU 간 배출권거래시장 연계 협상은 공식적으로 2011년 3

월 시작되었다 이에 스위스는 2013년 1월 1일을 시장 연계 시 잠재적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는 요소들을 수정하여 배출권거래제를 개정하였

다 수정된 배출권거래제의 획기적인 변화 중 가장 괄목한만한 점은

배출권거래제 자발적 단계에서 의무적 단계로의 전환된 부분이다 따

라서 제2차 계획기간(2013~2020년)에는 스위스의 온실가스 배출 집약

적 산업부문의 시설들은 배출권거래제에 의무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또한 스위스는 수정된 배출권거래제의 페널티 제도 및 무상할당 방식

그리고 국가 간 탄소 상쇄제도를 EU-ETS와 조화시키기 위해 노력하

였다 그러나 여전히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제는 몇몇 사소한 부분에서

EU-ETS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EU의 경우 배출권거래제

참여 기업이 연간 배출량을 측정하여 당국에 보고하고 독립적으로 검

증 받아야 한다 그러나 스위스는 배출권거래제 참여 업체들이 측정한

연간 배출량을 당국에 보고해야 하지만 EU와 다르게 이를 독립적으로

검증 받지는 않아도 된다 다만 스위스 당국은 사안에 따라 이들에

한 검증을 요청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또 다른 차이점은 EU는 배

출허용량을 집행위원회에서 설정하는 반면 스위스는 상향식(배출허용

총량의 합계) 방법으로 결정한다 두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에 있어서

항공부문의 배출권거래제 편입과 서로 다른 온실가스 감축목표 또한

여전히 논쟁되는 이슈이다 lt표 -2gt는 스위스와 EU의 배출권거래제

를 비교 정리한 것이다

30

lt표 Ⅲ-2gt 스위스와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국가 스위스 EU

목표의 엄격성2013년 배출 상한량부터 매년 174 감축

2008~2012년의 연간 평균 감축량의 174 감축

배출량 제한 2013년 56 MtCO2e 2013년 2084 MtCO2e

탄소상쇄 수량

2012~2020년 기간 간 할당된 배출권의 최 11에서 동 기간 사용된 상쇄 크레딧을 차감한 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가능신규 참여기업은 2013~2020년 간 배출량의 45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

2008~2020년 기간 간 할당된 배출권의 최 11의 에서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신규 참여기업은 2013~2020년 간 배출량의 45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

탄소상쇄 품질

최빈국들로부터의 청정개발체제(CDM) 크레딧은 사용 가능하며 기타 CDM 및 공동 이행제도(JI) 크레딧은 2013년 이전에 등록된 것에 한해서 사용 가능

최빈국들로부터의 청정개발체제(CDM) 크레딧은 사용 가능하며 기타 CDM 및 공동 이행제도(JI) 크레딧은 2013년 이전에 등록된 것에 한해서 사용 가능

가격 및 공급관리

시장의 과잉공급 정도에 따라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배출권 공급량 조정

배출권 할당

EU-ETS와 유사한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적용범위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CO2 및 기타 온실가스

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EU 역내 항공 CO2 및 N2O PFCs

준수기간 2013~2020 2013~2020

규제방식 하향식 방식 하향식 방식

이월 무제한 이월 가능 무제한 이월 가능

페널티 제도

1톤당 약 125 CHF (104 유로)의 벌금 부과 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 해에 공제

1톤당 100 Euro의 벌금 부과 사라진 배출권은 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 해에 공제

자료 Carbon Market Watch Report(2015)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1

나 퀘벡과 캘리포니아 배출권거래제의 연계

2014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퀘벡과 캘리포니아의 배출권시장 연계

는 현존하는 세계 최초의 탄소시장 연계 사례이다 두 시장의 연계로

각 주(州)는 두 시장에서 모두 배출권이나 상쇄분을 판매 혹은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이들 두 시장의 연계 이전 두 시장 사이에 다양한 차

이점이 존재하였으나 WCI21)는 캘리포니아와 퀘벡 배출권거래시장의

조화로운 연계를 도출하였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은 유사한 배출권 가

격과 공급관리 적용범위 이행 기간 이월과 패널티 등을 채택하였다

캘리포니아는 주 자체가 세계에서 가장 큰 경제시장 중 하나로 총

온실가스 배출량은 퀘벡의 6배에 달한다 2012년 캘리포니아는 459

MtCO2-eq의 온실가스를 배출한 반면 퀘벡은 78MtCO2-eq의 온실가스

를 배출하였다 양 주 모두 운송부문이 가장 큰 배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캘리포니아에서는 발전부문이 두 번째로 큰 배출 비중을 차지

하는 반면 퀘벡의 경우 수력발전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발전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미미하다 한편 캘리포니아는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수준으로 안정화시키는 목표를 가진 반면 퀘벡은

2020년까지 총 배출량의 20 감축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이들 감

축목표를 비교해보면 2005년 배출량을 기준으로 퀘벡의 감축목표는

22인데 비해 캘리포니아는 11로 퀘벡의 감축목표가 캘리포니아보

다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두 시장은 모두 상쇄분의 최 사용량을 해당 이행 기간의 총 감축

21) 서부 기후 이니셔티브(Western Climate Initiative WCI)는 이 시장에 참여하는 북미 륙 서부 주들이 2020년까지 총 배출량의 15를 줄이는데 지역적으로 협력하기 위해서 형성된 배출권거래시장 운영기구이다(httpsenwikipediaorgwikiWestern_Climate_Initiative 참조)

32

목표의 8로 제한하고 있고 국제 상쇄의 사용량 또한 제한하고 있다

는 공통점을 가진다 그러나 두 시장 간에는 캘리포니아는 산림의 탄

소 흡수에 의한 상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퀘벡은 산림부문의

상쇄를 인정하지 않는 등의 차이점이 존재한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배출권거래시장은 경매가격 하한제와 유연한

가격 상한제를 시행하는데 합의하였다 캘리포니아의 경매가격 하한은

USD 1134이며 퀘벡의 경매가격 하한은 CAD 1282이며 이들의 환

율은 가장 최근시점 정오의 구매 환율로 정해져있다 경매가격 하한선

은 매년 5 + 물가상승분만큼 상승한다 가격 상한제의 경우 WCI에

참여하는 주들에 의해 독립적으로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들은 2013~2014년에는 할당량의 1 2015~2017년에는 7 2018~

2020년에는 7를 비축할 수 있고 시장에서 배출권가격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상호 간의 합의를 통해 비축분의 판매를 통해

가격안정화를 꾀한다

캘리포니아와 퀘벡 모두 2013~2014년의 제1차 계획기간에는 배출권

의 부분이 무상할당 되었으나 2015~2020년에는 무상할당 되는 배

출권의 양을 줄이는 동시에 점차 경매방식으로 배출권을 할당하게 된다

캘리포니아는 생산수준 배출량 벤치마크 상한 조정요소 및 산업 보조

요소22) 등을 바탕으로 하여 산업시설의 무상할당 수준을 결정한다

퀘벡은 2015~2020년 산업별로 차이가 있는 배출집약도 목표에 기초해

산업별 배출권의 무상할당량을 결정한다 퀘벡에서는 2015년부터 무상

할당량이 매년 1~2 감소한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에서는 2013~2014년 까지는 각각 총 온실가스 배

22) 상한 조정요소는 배출권 상한을 보다 엄격하게 하기 위한 조정을 말하며 산업 보조요소는 특정 산업의 탄소누출 가능성에 따른 보조를 의미한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3

출량의 약 36와 약 29를 차지하는 에너지 및 산업부문의 배출량만

규제되었으나 2015년부터는 적용범위가 확 되어 연료부문도 포함되

어 총 배출량의 87와 77가 적용범위에 포함되게 되었다 배출권의

이월은 두 시장 모두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는 동시에 보유 제한을 설

정하여 미래에 사용할 수 있는 있는 배출권 양을 제한하고 있다

lt표 -3gt은 캘리포니아 및 퀘벡의 배출권거래제와 EU-ETS를 비교

정리한 표이다

lt표 Ⅲ-3gt 캘리포니아-퀘벡과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지역 캘리포니아-퀘벡 EU

목표의 엄격성

(캘) 2015년 이후 연간 평균 감축량의 31 감축

(퀘) 2015년 이후 연간 평균 감축량의 32 감축

2008~2012 동안 연간 평균 174 감축

배출량 제한

(캘) 3945 MtCO2e (2015) 3342 MtCO2e (2020)(퀘) 653 MtCO2e (2015) 5475 MtCO2e (2020)

2013년 2084 MtCO2e

탄소상쇄 수량 총 배출권 할당량의 8

2008~2020년 기간 간 할당된 배출권의 최 11의 에서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신규 참여기업은 2013~2020년 간 배출량의 45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

탄소상쇄 품질

(캘middot퀘) 국내 탄소 상쇄로 제한(캘) 산림 프로토콜을 포함한

다양한 프로토콜 사용가능 구매자 책임 원칙

최빈국들로부터의 청정개발체제(CDM) 크레딧은 사용 가능하며 기타 CDM 및 공동 이행제도(JI) 크레딧은 2013년 이전에 등록된 것에 한해서 사용 가능

가격 및 공급관리

2014년 경매가격 하한제로 1톤당 $1134t 연간 5+ 물가반영분 인상 전략적 비축을 통한 가격 상한

시장의 과잉공급 정도에 따라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배출권 공급량 조정

34

자료 Carbon Market Watch Report(2015)

다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추진 사례

호주 정부는 국제 기후 협상의 일환으로서 2020년까지 2000년 비

5 온실가스 감축을 약속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호주는 2012

년 7월부터 탄소가격제도(carbon pricing mechanism CPM)를 도입하

였으나 2014년 호주 정권의 교체로 동년 7월에 폐기되었다 이 제도

는 2012년부터 2015년까지는 탄소 가격을 고정가격으로 2015년 7월

부터는 유연가격으로 변경하여 시행하기로 계획되어 있었다 또한 호

주는 2012년 EU와의 탄소시장 연계를 발표하고 그 해 7월부터 잠정

적으로 호주 탄소시장에서 EU 배출권을 사용할 수 있는 한방향 연계

가 시행되었으며 쌍방향 연계는 2018년부터 시행하기로 계획하였다

호주 정부는 원래 탄소가격의 상한을 AUD20(약 13유로)로 설정하

고 매년 5 인상하기로 계획하고 있었으며 하한은 AUD15(10유로)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EU-ETS와의 연계를 위해 유연가격제를 시행하기

로 한 2015년부터는 가격 하한제의 도입 계획을 철회하기로 하였고

지역 캘리포니아-퀘벡 EU

배출권 할당산업 및 발전부문 무상할당 점차 줄어드는 추세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적용범위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난방과 수송연료 CO2 및 N2O PFCs

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EU 역내 항공 CO2 및 N2O PFCs

규제방식 상향식+하향식 방식 하향식 방식이월 무제한 이월 가능 보유제한 무제한 이월 가능

페널티 제도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해에 공제

1톤당 100 Euro의 벌금 부과 사라진 배출권은 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 해에 공제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5

양국의 시장 연계가 시행되는 2018년에는 가격 상한제마저 폐지하기

로 하였다 또한 두 시장의 연계를 위해 호주 정부는 EU의 규정과 부

합하지 않는 원자력 사업 산업용 가스의 분해 및 형 수력발전 사업

의 탄소상쇄를 제외시켰다 하지만 두 배출권시장의 연계를 위한 이러

한 정책의 변경은 호주 정부에 정치적 부담을 안겨 주었고 2014년 7

월 탄소 가격제가 폐지됨에 따라 두 배출권시장의 연계는 실패로 마감

되었다 그 밖에도 호주의 탄소가격제는 메탄가스를 규제하고 있는 반

면 EU-ETS는 메탄가스를 규제하고 있지 않다는 점과 두 시장의 연계

를 위해 호주 탄소가격제의 페널티가 기존 고정가격의 13배에서 당해

연도의 평균 경매가격의 2배로 증가함에 따른 정치적 부담도 시장연계

실패의 원인이었다고 볼 수 있다

3 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앞서 살펴보았듯이 캘리포니아 ETS와 퀘벡 ETS 그리고 스위스

ETS와 EU-ETS의 연계는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성공적으로 연

계한 표적인 사례이다 여기서는 위 두 사례로부터 배출권 시장 연

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던 요인과 시사점을 간략히 살펴보

기로 한다

가 상호 호혜성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성공적으로 연계되기 위해선 우선 연계

이후에 서로간의 이해관계가 크게 상충되지 않으면서 상호 호혜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앞의 두 사례에서 보면 퀘벡 및 스위스 배출권 시장

36

은 연계된 캘리포니아와 EU 배출권 시장과 비교해 시장 규모 측면에

서 훨씬 작은 편이다 따라서 이들 시장 운영자들은 자신들의 시장에

참여하는 규제 상 기업들이 풍부한 유동성을 가진 큰 규모의 시장에

한 접근성을 제고하고 통합된 시장에서 다른 기업들과 동등한 경쟁

조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었다23) 특히 스위스 ETS의 할당배출권 가격

은 EUA 가격에 비해 거의 5배나 높은 상황에서 시장 연계는 스위스

배출권 가격을 EUA 가격에 근접시키는 효과가 기 되므로 스위스 입

장에서는 시장을 연계시킬 유인이 컸다(IETA 2015 p54)

한편 캘리포니아는 자신의 배출권 시장 외연을 확 하고 배출원들

의 온실가스 감축 이행 비용 부담을 완화하려는 목적으로 연계를 선호

하였다 이와는 별개로 스위스에 비해 훨씬 큰 규모의 시장을 가진 EU

는 주로 경제적 요인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의해 연계를 선호하였다24)

이처럼 양자의 이해가 맞아떨어지면서 배출권 시장 연계 논의가 시

작되었고 결국 성공적인 시장 연계로 이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연계

하는 두 시장의 이해관계가 일치한다고 하더라도 최종적으로 연계 합

의에 이르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서로 다른 두 시장의 주요

23) 스위스의 연계 유인에 해서는 ldquoLinking of the Swiss and European emissions trading systems big step forwardrdquo(httpswwwbafuadminchbafuenhometopicsclimatenews- releasesmsg-id-67745html) 및 IETA(2015)를 참조하라 퀘벡의 연계 유인은 Gouvernement du Queacutebec(2018)「Quebec cap-and-trade system for greenhouse gas emission allowances (CampT) Historical Overview」(p7)을 참조하였다

24) 캘리포니아 ETS의 연계 유인은 ldquoCALIF FORGING AHEAD WITH EMISSIONS TRADING NEXT MONTH AIR CHIEF CONFIRMSrdquo(httpswwwexchangemonitor comcalif-forging-ahead-with-emissions-trading-next-month-air-chief-confirmsprintmode=1) 을 참조하라 EU와 스위스 시장은 워낙 규모에 차이가 나서 연계 시 스위스 시장이 사실상 EU 시장에 편입되어 EU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EU는 연계에 따른 경제적 편익에 한 고려보다는 기후변화 응을 위한 리더십을 확보하고 시장의 외연을 확장하는 첫 단추로서 스위스와의 시장 연계를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IETA 2015 p54)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7

설계요소의 차이가 야기하는 시장 연계 전후의 영향에 조율이 필수적

이다 다음은 위 두 사례로부터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인의 관

점에서 바라본 성공요인에 해 논의해 보기로 한다

나 핵심 설계요소의 유사성

앞의 두 사례 모두 시장들 간 배출권거래제도의 핵심 설계요소에 있

어서 상당한 유사성을 가지고 있어서 이들을 조율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첫째 캘리포니아-퀘벡 ETS 그리고 스위스-EU ETS는 감축목표의

엄격성 측면에서 서로 유사하여 감축목표를 둘러싼 이견이 적었다 일

견 캘리포니아는 2020년까지 1990년 배출량 수준으로 감축하는 목표

를 가지고 있었고 퀘벡은 2020년까지 1990년 배출량 비 20까지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목표를 세워 퀘벡이 다소 높은 강도의 감축목표

를 설정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lt표 -3gt에서 보듯이 2015년도 ETS 적용 상 배출량 기준으

로 보면 2020년까지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연 평균 감축률은 각각

31 32로 거의 동소이하다 스위스 ETS는 2013년 배출상한

비 2020년까지 매년 174씩 EU-ETS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의

연 평균 배출량에 비 2020년까지 매년 174씩 감축하는 목표를 가

지고 있었다 이처럼 비록 절 적 감축량이나 배출허용량의 크기에 있

어서 두 시장간 차이는 컸지만 상 적인 감축목표의 엄격성 측면에서

유사해서 ETS 운영주체 간 상호 신뢰성이나 참여 상 기업들의 수용

성이 높아 시장 연계를 추진하는데 훨씬 수월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두 사례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한 탄소상쇄제도를 가지고 있어

38

상쇄배출권의 유입에 의한 시장 교란이 작동할 여지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lt표 -2gt에서 알 수 있듯이 스위스와 EU는 상쇄배출권 허용

비율 및 사용가능 종류에 있어서 사실상 동일하기 때문에 상쇄제도의

차이로부터 비롯되는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캘리포니아와 퀘

벡 배출권거래제의 경우에는 상쇄배출권 허용수량은 동일하나 상쇄배

출권의 생성 및 사용에 있어서 약간 차이가 있다 가령 퀘벡의 경우 산

림상쇄를 허용하지 않으나 캘리포니아는 산림 흡수원에 의한 상쇄배출

권을 허용한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두 제도

모두 부분의 해외 상쇄사업을 허용하지 않고 있고 전체 수량에서 차

이가 나지 않아 시장 연계 시 상쇄 프로토콜의 차이로 인한 시장 교란

보다 연계의 이득이 훨씬 크므로 그러한 사소한 차이가 시장 연계의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았다25)

셋째 배출권의 할당방식에 있어서도 두 사례의 국가들은 유사한 체

계를 갖추고 있었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경우 배출권 할당방식의 기

술적인 부분에서 일부 차이가 존재하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산업부문에

해선 무상할당 발전부문에 해선 유상할당을 적용하고 무상할당

의 비중을 점진적으로 줄여가는 방향성에 해서 체로 일치하였다

(ICAP 2019a ICAP 2019b) 마찬가지로 스위스와 EU도 거의 유사한

할당방식을 가지고 있었다 두 연계 사례 모두 유middot무상할당 방식을 혼

용하되 유middot무상이 적용되는 부문에 해서는 동일하였기 때문에 사소

한 할당방식의 차이는 연계 시 쟁점으로 부각되지 않았다

넷째 배출권 가격 및 공급량 관리 제도와 관련해서도 연계된 사례

25) 퀘벡은 해외 상쇄를 허용하지 않으나 캘리포니아의 경우 브라질 등 일부 국제 산림 상쇄크레딧을 허용한다 그러나 그 양은 매우 미미해서 시장에 미치는 영향 또한 극히 제한적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9

의 국가들은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은 동일

한 배출권 가격 및 공급량 관리 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스위스와 EU

의 경우 EU의 배출권 비축제도가 유일한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러나 IETA(2015)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스위스 ETS의 할당배출권 가

격이 EUA 가격에 비해 상당히 높았기 때문에 EU의 배출권 비축제도

도입 자체가 시장 연계에 장애요인이 되지 못하였다

그 외 이월과 차입 MRV 체계 등 시장 연계 시 고려될 주요 설계요

소들에 있어서 두 성공사례의 국가들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처럼 앞서 언급한 배출권 시장 연계 시 고려되어야 할 주요 설계요

소에 있어서 연계하는 시장들은 상당히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고

이것이 시장 연계의 논의와 조율이 매끄럽게 전개될 수 있도록 한 원

동력이 되었다고 판단된다

다 정책적 의지

배출권 시장의 연계가 상호간 이해에 부합하고 앞서 논의한 제도의

설계요소 관점에서 본 기술적middot경제적 쟁점들이 상당 부분 해소된다고

하더라도 정책적 의지가 수반되지 않는다면 시장 연계의 논의는 진전

되기 어렵다 그러한 측면에서 제도 설계요소의 상호 호환성 이슈는

성공적인 시장 연계의 필요조건은 될 수 있을지언정 충분조건은 될 수

없다(IETA 2015) 2010년부터 시작된 스위스와 EU-ETS 연계가 7여

년에 걸친 논의 끝에 성공적으로 매듭지을 수 있었던 것도 스위스 정

책 당국의 의지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스위스

-EU ETS 연계 논의과정에서 항공부문의 포함여부가 중요한 쟁점 중

하나였고 이민쿼터의 도입 등을 둘러싼 EU와의 정치적 이슈와 결부되

40

면서 자칫 좌초될 뻔했던 양 시장의 연계가 끝내 성사될 수 있었던 것

도 정책 당국의 강력한 의지가 있었기 때문이다(IETA 2015) 퀘벡 정

부에서 발간한 보고서에서도 일부 서로 다른 규제 틀을 가지고 있던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연계가 성사될 수 있었던 이유로 상호 신뢰와 개

방적 소통을 통해 두 주 정부가 긴 한 협업을 해나간 것이 주효했다

고 적시하고 있다(Gouvernement du Queacutebec 2018)

반 로 호주 석탄 사업자들의 메탄 배출량 포함 여부를 둘러싼 이

슈 농업 및 토지이용 관련 상쇄제도의 허용 여부 등 다양한 이슈에도

불구하고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논의가 끝내 좌초되었던 것도 정

권 교체 이후 새롭게 들어선 정부 당국이 시장 연계에 회의적이었기

때문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권 시장 연계의 제반 조건이 충족되

었을 때 이를 최종적으로 매듭짓는 요소는 결국 정책적 의지이며 충

분한 시간을 가지며 상호 신뢰와 개방적 소통 하에서 협력해나가는 노

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1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 동향과 전망

서로 다른 배출권거래시장 간의 상호 연계는 한 국가 혹은 한 지역

내에서 작동하던 탄소시장의 외연을 확 하는 것으로서 국지적 탄소시

장의 글로벌화와 맥이 닿아있다 배출권 시장 연계는 본질적으로 당사

국 간의 자율성에 기반을 하고 있기는 하나 국제 탄소시장을 규율하

는 원칙과 규정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다 파리협정에서는

감축의 비용효과성을 증진시켜 당사국들이 보다 상향된 감축목표를 제

시하도록 하기 위해 시장 메커니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와 관련

해서 현재 파리협정 이후의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가 한창 진

행 중이다 이에 본 장에서는 파리협정하의 탄소시장 논의 동향과 배

출권 시장의 연계와 관련한 시사점에 해 살펴보기로 한다

1 파리협정 이후의 탄소시장 논의 동향

가 주요 내용

파리협정에서 시장 메커니즘은 파리협정문 제6조에 규정되어 있다

파리협정에는 시장(market)이라는 용어가 명시되어 있지는 않은데 이

는 시장 메커니즘의 설립을 반 하는 일부 당사국들이 lsquo시장rsquo이라는

용어가 파리협정 내에 포함되는 것에 반 하였기 때문이다(산업통상자

원부 2016b)

사실 파리협정하의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사항들은 파리협정 체결

이전부터 논의해왔던 Post-2012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의 결과물

42

이다 기존의 Post-2012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 내용들이 파리협

정을 통해 반영되면서 협력적 접근법(Cooperative Approach) 지속가능

발전 메커니즘(Sustainable Development Mechanism SDM) 비시장 접근

법(non-Market Approach)의 3가지 개념이 제6조에 포함되었다

제6조는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 하위 개념을 포괄하는

원칙인 제61조와 협력적 접근법에 관한 내용인 제62 63조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의 내용을 담고 있는 제64 67조 비시장 접근법에

관한 제68 69조로 구성되어 있다

제61조에는 시장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목적과 기본원칙이 포함되어 있

다 시장 메커니즘은 온실가스 감축비용 부담을 완화시켜 당사국들의

국가온실가스감축기여분(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NDC)

의 상향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NDC의 상향에 기여함

은 제6조의 활용을 포함하여 더 높은 목표의 설정을 고려해야 함을 의

미한다 이때 시장 메커니즘의 활용은 지속가능한 발전과 환경적 건전

성이 증진되도록 한다는 원칙 하에서 이행되어야 한다 지속가능한 발전

과 환경적 건전성은 이중계산(double counting)의 방지와 함께 시장 메

커니즘 활용의 3가지 주요 원칙에 해당한다26)

협력적 접근법(제62 63)은 당사국들 간의 자발적 협력을 통해 감

축실적(mitigation outcome)이 발생하여 국제적으로 이전된 경우

(Internationally Transferred Mitigation Outcome ITMO)에는 NDC의

이행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ITMO의 활용은

참여 당사국들의 자발적 승인을 통해 이루어진다 파리협정 결정문

(Decision1CP21)에 따르면 이중계산 방지를 포함하여 협력적 접근법

의 이행에 필요한 지침을 개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26) 하지만 각 용어의 정의에 해서는 명시적으로 합의된 바 없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3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제64 67)은 파리협정 당사국총회(CMA)가

지정한 기구에서 감독하며 지속가능발전의 촉진 전 지구적인 온실가

스 감축에의 기여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결정문에는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의 운영에 필요한 규정(Rules) 방법(Modalities) 절차

(Procedures) 등에 관한 지침의 개발을 명시하고 있다

비시장 접근법(68 69)은 지속가능발전을 위해서 비시장 접근법의

프레임워크 설립을 명시하고 있으며 결정문에는 작업 프로그램의 개

최를 통해서 감축 적응 기술이전 재원 능력 배양 등 주요 요소들 간

의 시너지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논의하도록 하고 있다

lt표 Ⅳ-1gt 파리협정 제6조 주요 내용

구 분 주요 내용

61

당사국은 일부 당사국의 자국의 감축과 적응 행동에 있어서 더 야심찬 노력

을 설명하고 지속가능한 개발과 환경적 건전성을 증진하기 위해 국가별 기

여방안 이행에 자발적인 협력을 추구할 것을 인지한다

62

당사국이 국가별 기여방안에 국제적으로 거래되는 감축 성과를 이용한

협력적 접근법에 자유의사에 따라 참여한다면 거버넌스 내에서 지속가능

한 개발을 증진하고 환경 보전과 투명성을 보장하며 파리협정의 당사자회

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총회에서 채택된 지침에 따라 견고한 회계방식

을 준영하여 이중계산을 피하도록 해야 한다

63본 협정 하에서 국가별 기여방안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제적으로 거래되는

감축성과의 이용은 참여당사국에 의해 자발적으로 승인받는다

64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지지하는 메커니즘은 당

사국의 자유의사에 따라 이용하도록 파리협정의 당사국 회의의 역할을 수

행하는 당사국 총회 권한과 지침 하에 세워진다 파리협정의 당사자 회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가 지정한 기관에 의해 감독되며 다음을 목표

로 한다

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조성하면서 온실가스 감축을 증진할 것

나 당사국의 권한으로 공공과 민간 부문이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하도록

장려하고 촉진할 것

44

나 후속협상 주요 경과

COP21 결정문(Decision1CP21)에 따라서 2016년부터 과학기술자

문부속기구(SBSTA)에서 파리협정 제6조와 관련한 지침의 개발을 위

한 협상이 진행되었다 본 소절과 뒤따르는 소절에서는 산업통상자원

구 분 주요 내용

다 유치국의 배출 수준의 감축에 기여하며 국가별 기여방안을 성취하기

위해 타 당사국이 이용할 수 있는 감축 활동으로부터 편익을 얻을 것

라 세계 배출량의 전반적 감축에 기여할 것

65

상기 4항에 명시된 메커니즘을 통한 감축방안이 또다른 당사국의 국가

별 기여방안의 달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이용되었다면 그 유치국의 국가별

기여방안의 달성을 증명함에 있어서 그 방안을 이용할 수 없다

66

파리협정의 당사자 회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는 상기 4항에

명시된 체제 하에서 이루어진 활동 수익의 몫은 적응 비용을 충당하기 위하

여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에 특히 취약한 개발도상국인 당사국을 지원하

고 행정비용을 마련하는데 사용됨을 보장한다

67파리협정의 당사자회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 제1차 회기에서

제4항에 명시된 체제에 한 규칙 방식 절차를 채택한다

68

당사국은 조직적이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감축 적응 재정 기술이전 역량강화를 포함하여 지속가능한 개발 및 빈곤 근절의 맥락에서 자국의 국가

별 기여방안을 이행하는데 이용 가능하고 통합적이고 전체적이며 균형적인

비시장 접근의 중요성을 인지한다 이 접근 방식은 다음을 목표로 한다

가 감축과 적응 노력을 증진

나 국가별 기여방안 이행에 해 공공 및 민간 부문의 참여 강화

다 제도 및 관련된 제도적 장치를 통한 조정의 기회를 활성화

69지속가능한 발전에 한 비시장 접근의 틀은 본 조 제8항에 명시된 비시

장 접근을 증진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자료 UNFCCC(2015) 및 수원의제21실천협의회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2016) 산업통상자원부(2016a)에서 재인용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5

부(2016b) DEHSt(2016) 및 Bodansky et al(2016)의 주요 내용을 바

탕으로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국제 협상의 논의 경과와 부각된 주요

쟁점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1) 협력적 접근법

2016년에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회의(SBSTA 제44차 및 제

45차 회의)는 주로 파리협정 내 포함되어 있는 협력적 접근법(제62

63)의 문안 내용에 한 해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파리협정

문안에 해 당사국들 간에 상호 상이한 해석의 가능성을 줄여서 공통

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한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4차 회의에서는 주로 협력적 접근법 관련

지침의 범위(scope) 협력적 접근법과 NDC와의 관계 ITMO의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었다

지침에 포함될 범위와 관련하여 파리협정의 협력적 접근법에서 규정

하고 있는 의무사항들 - 견고한 회계방식 지속가능한 발전의 증진 환경

건전성과 투명성의 보장 - 을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에는 공통적인 견해를

보였다 NDC와의 관계에서 협력적 접근법의 사용은 견고한 회계방식

(robust accounting)의 원칙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과 흡수량에 한 상

응하는 조정(corresponding adjustment)을 통한 이중계산 방지가 필요하

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다만 당사국들이 제출한 NDC가 단일연도

목표 다년도 목표 정책과 감축행동 중심의 목표 등 다양한 형태가 존

재하므로 협력적 접근법에 의한 감축실적을 NDC에 어떻게 가감할 것

인가가 중요한 쟁점이 될 수 있다(DEHSt 2016) 그에 따라 단일연도

목표의 경우 목표 설정 당해 연도의 NDC만 충족하면 되기 때문에 다

46

년도 목표를 제시한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달성여부를 점검하는 것

은 타당하지 않으므로 상응하는 조정이 반영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

기되었다 아울러 ITMO의 개념에 해서도 배출권의 형태인지 단순 감

축실적의 결과(산출물)인지에 해 개념 정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

기되었다27)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5차 회의에서는 2018년 말(SBSTA 제49

차 회의)까지 후속협상을 종결시킨다는 목표 하에 후속협상을 위한 작

업계획을 공유하고 당사국들이 제출한 국가제안서(submission)에 기초

하여 공통의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협력적 접근법의 인센티브

와 관련하여 EU는 양자와 다자 형태로 운영하면서 민간부문을 포함한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도

서국가연합(AOSIS)은 경제 전반에 한 NDC 목표 상향을 위해 추가

적인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파리협정의 타 조항과의 관

계에서 부분의 당사국들은 감축(파리협정 제4조)과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이 시장 메커니즘과 연관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투명성 하에서

시장 메커니즘 활동에 한 보고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는 점에 공통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EU는 협력적 접근법과 감축(파리

협정 제4조)은 NDC의 이행 관점에서 ITMO의 산정과 연계되어 있는

이슈이며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과는 감축분의 이전 획득 NDC 사

용 등과 관련된 보고와 상호 연계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환경

적 건전성과 관련하여 환경건전성그룹(EIG)에서는 감축산출물의 품질

27) 배출권과 감축실적은 이전 가능하다는 점에선 유사하지만 엄 하게 말해 서로 다른 개념이다 배출권은 정해진 배출허용량에 상응하여 배분된 후 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되는 배출허가권인데 반해 ITMO는 특정한 감축활동의 결과로서 주어지는 인증된 감축실적이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DEHSt(2016 p12)를 참조하라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7

보장을 위해 ITMO에 영속성과 추가성의 개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개진한데 반해 EU는 상응하는 조정을 통해서 환경적 건전성이 보장

될 수 있다는 다소 완화된 입장을 피력하였다

2017년에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회의(SBSTA 제46차 및 제

47차 회의)는 당사국들 간의 이해증진을 바탕으로 지침의 주요 요소들

에 한 도출을 위한 세부 협상을 진행하였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6차 회의에서 공동의장은 지침의 기본 목

차와 주요 요소에 관한 문서를 제시하였고 당사국들은 라운드 테이블

회의와 비공식 회의 등을 통해서 누락된 요소에 한 의견들을 제시하

였다 이러한 논의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공식 정보노트(informal

information note)가 도출되었다

이어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7차 회의에서는 공동의장이

배포한 비공식 노트에 해 당사국들이 의견을 개진하는 방식으로 진

행되었다 여기에는 지침의 목차와 하위 소목차 옵션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비공식 노트에 해 선진국들은 판매국과 구매국이 구분되어

있는 지침 목차에 불만을 제기하며 이를 통합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

하였고 개도국들은 지침에 수익금의 배분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당사국들은 차기 회의 이전에 과학기술자문부속기

구 의장이 비공식 문서(informal document)를 작성하여 회람하기로 합

의하였다 의장명의의 비공식 문서는 2018년 3월에 회람되었는데 비

공식 노트를 기반으로 중복요소의 간소화와 옵션과 잠재 요소 목록이

제시된 수준이었다

2018년에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1차 및 제48-2차 회의

(SBSTA 제48-1 SBSTA 제48-2)는 동 문서에 기초하여 협상이 진행

48

되었고 협상문서 초안이 도출되었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1차 회의에서는 의장명의의 비공식 문

서에 한 당사국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공동의

장 명의로 수정된 비공식 노트(Revised Informal Note)가 채택되었다

수정된 비공식 노트는 기존 비공식 문서에서 개념을 보다 명확히 하고

일부 잘못 표현되거나 누락된 내용들을 반영하는 형태로 합의되었다

다음으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2차에서는 2018년 말까지 설

정한 후속협상 작업계획의 일정을 수정하여 2019년 말까지 작업 기간

을 연장하고 수정된 비공식 노트에 기반하여 당사국들의 의견을 청취

하였다 이를 통해 2018년 말까지 합의가 필요한 사항을 부속문서 1

2019년 말까지 합의가 필요한 사항을 부속문서 2로 구분하여 각각 시기

별로 합의될 내용을 구분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협상문서 초안(Drafting Negotiation Text)을 도출하였다

2)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4차 회의에서는 교토 메커니즘과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 간의 차이점과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적용 범위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양 메커니즘 간 비교에서는 주로 메커니즘 자체

에 한 시각 차이보다는 교토의정서와 파리협정 간의 차이점에 해

당사국들 간에 상이한 입장 차이가 드러났다 일부 당사국은 청정개발

체제와 공동이행제도를 중심으로 사용되었던 방법 절차 등의 지침이

파리협정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고 지적한 반면 선진국을 중심으로 파

리협정은 사업 수행국의 역할과 책임이 교토의정서보다 강화되었기 때

문에 교토 메커니즘과는 근원적인 차이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적용 범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9

위와 관련해서 교토 메커니즘이 프로젝트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반해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은 프로젝트나 프로그램의 범위를 넘어

더 폭 넓게 적용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5차 회의에서는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운영체계 추가성의 개념 전 지구적인 전반적 감축의 이행방식 현존

메커니즘의 경험과 교훈 등에 해 논의하였다 일본은 교토의정서와는

달리 파리협정에서 모든 당사국이 NDC 목표가 존재하므로 NDC 이행

에 관해서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결과물도 협력적 접근법에서 개발

된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반면 중국은 운영체계와 관련

하여 청정개발체제의 운영방식보다 유연하게 설계될 필요가 있다고 주

장하였다 추가성 개념과 관련하여 EU는 방법론의 경우 새로운 국제

적인 표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으며 미국은 교토메커니즘에

이미 추가성 개념이 존재하므로 이를 기반으로 논의하는 것이 효율적

이라고 강조하였다 반면 브라질은 추가성과 전 지구적 전반적 감축은

연관성을 갖고 있으며 교토 메커니즘의 운영체계를 기반으로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의 운영체계를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듬해 열린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6차 회의에서는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과 청정개발체제의 관계에 해 논의가 이어졌다 주로 개

도국들은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을 청정개발체제의 연장선에서 접근

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선진국들은 새로운 접근과 설계가 필요하다

며 양 진영 간에 립이 형성되었다

속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7차 회의에서는 앞선 회의에서 제

기된 청정개발체제와의 관계에 관한 사항이 계속 쟁점화되었다 브라

질은 청정개발체제에서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으로 전환의 필요성과

50

당위성에 해 강하게 주장하였고 이중계산의 허용 필요성까지 제기

하였다 반면 일본은 2020년 이전에 기 발행된 배출권의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으로의 전환과 관련한 이슈를 제기하여 메커니즘 전환과

관련된 이슈가 배출권의 전환으로 확장되는 계기가 되었다 한편 도서

국가연합(AOSIS)는 전 지구적 전반적 감축의 이행 방안으로 기 발행

된 배출권의 일정 비율을 취소하자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협력

적 접근법과 동일하게 차기 회의 전까지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의장

명의로 비공식 문서를 발행하여 회람하기로 합의하였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1차 회의에서는 2018년 3월에 회람된

비공식 문서에 해 당사국들의 의견을 청취한 후에 공동의장 명의의

수정된 비공식 노트(Revised Informal Note)가 채택되었다 이후 과학

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2차 회의에서는 협력적 접근법 논의와 동일하

게 2018년 말까지 설정한 후속협상 작업계획의 일정을 수정하여 2019

년 말까지로 기간을 연장하고 수정된 비공식 노트에 기반하여 당사국

들의 의견을 청취하였다 또한 교토 메커니즘의 전환에 관한 이슈사항

은 처음에는 부속문서 3으로 별도 분리해 놓았으나 개도국들의 주장

에 따라 2018년 말까지 결정할 사항들을 포함하는 부속문서 1에 수록

하였다

다 주요 쟁점 사항

1) 협력적 접근법

시장 메커니즘과 관련된 지침의 내용에 한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지침의 서문과 원칙에 관한 사항이다 선 개도국 간에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1

발생하고 있는 쟁점을 중심으로 원칙 부분을 별도로 구분함으로써

선 개도국 간의 차별화 요소를 반영하려는 개도국과 이에 반 하여

서문과 원칙을 하나로 통합하여 서문에 포함하자고 주장하는 선진국

입장으로 별된다

두 번째는 거버넌스에 관한 사항이다 협력적 접근법이 기본적으로

당사국 간의 자발적 협력을 통해 감축산출물을 발생시키고 국제적 이

전을 통해 NDC에 활용하자는 개념이므로 과연 국제적인 거버넌스 설

립이 필요한가가 그리고 필요하다면 어떤 수준에서 운영되어야 하는가

가 쟁점이 되고 있다 일부 당사국들은 비록 당사국 간의 자발적 협력

에 의한 감축활동이지만 협력적 접근법에 의한 전 지구적 활동들을 관

할하는 별도의 기구 설립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반면 일부 당사국

들은 협력적 접근법만을 관할하는 별도의 기구를 만들기보다는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의 감독기구에서 협력적 접근법에서 필요한 기능을 통

합해서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28)

28) DEHSt(2016)에 따르면 협력적 접근법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는 (1) 완전히 분권화된 형태로 운영하고 결과만 보고하는 방식 (2) 관련된 모든 운영사항을 규정에 담아 UNFCCC 같은 중앙집권적 기구를 통해 관리하는 방식 (3) 견고한 회계방식 투명성 보장 등을 위해 공통의 레지스트리를 중앙집권적 감독기구에서 운영하되 최소한의 기준만 충족되면 당사국의 자율에 맡기는 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의 논의는 (2)안 또는 (3)안으로 하되 협력적 접근법만을 위한 별도의 중앙집권적 감독기구를 설립할지 아니면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을 관할하는 감독기구에서 협력적 접근법 관련 사항까지 관할하도록 할지에 해 의견을 조율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한편 Bodansky et al(2016)의 주장에 빗 어 해석하면 (2)안은 통일적 접근법(uniform approach)에 가까운 방식이다 (2)안은 거래비용과 정책 불확실성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는 반면 당사국들의 개별적 상황을 반영하는 유연성이 떨어지며 합의에 이르는데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조화적 접근법(harmonized approach)은 당사국들의 개별적 상황을 포괄할 수 있는 보다 일반적인 기준만 제정하여 이를 준수하기만 하면 되도록 하는 방식을 말한다 사실 DEHSt(2016)에서 제시하고 있는 (3)안은 통일적 접근법과 조화적 접근법이 혼합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Bodansky et al(2016)가 지적한 바와 같이 ITMO의 발생과 이전을 추적하고 NDC 활용 여부를 확인하는 규칙과 시스템은 중앙집권적 기구에서 통일적으로 관리하되 MRV 기준이나

52

세 번째는 시장 참여의 조건에 관한 사항이다 당사국들 간에 자발

적 협력이라는 원칙하에 NDC의 유형이 영향을 줄 수 있는가가 쟁점

이다 DEHSt(2016)에서 보여주듯이 온실가스 배출량 상한이나 감축량

같이 tCO2eq로 측정가능한 NDC 형태가 많긴 하지만 감축정책이나 감

축 관련 활동 자체를 NDC로 제출한 국가들도 존재하기 때문에 그러

한 국가들의 시장 참여 여부가 쟁점이 될 수 있다 아랍그룹 LMDC

등은 NDC 유형에 관계없는 참여 보장을 요구하는데 반해 선진국들은

시장 참여를 위한 조건으로서 NDC 계량화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네 번째는 상응하는 조정의 적용 상에 관한 사항이다 주로 언급되

고 있는 상에는 NDC에 포함되지 않은 외부(outside)감축활동에서

발생한 감축사업 Pre-2020에서 전환된 교토 메커니즘 하의 배출권에

해 상응하는 조정을 적용할 필요성이 있는가가 주요 쟁점이 되고 있

으며 당사국 별로 입장이 제각각인 특징이 있다

다섯 번째는 단일연도 NDC에 한 상응하는 조정의 적용방식이다

단일년도 NDC에 한 상응하는 조정 여부에 자체에 해선 큰 이견

이 없으나 상응하는 조정을 어떻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해선 당

사국별로 입장이 엇갈린다 단일년도 NDC의 특성이 중간연도에 해

서는 별도의 목표를 수립하고 있지 않은 방식인데 목표연도 이전에

감축하여 보유하고 있는 감축실적은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그리고

마지막 년도에 관한 NDC 달성 여부를 증명하는 과정에서 상응하는

조정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등이 쟁점사항이 되고 있다29)

ITMO의 부여 등은 최저 기준만 충족하도록 하는 조화적 접근법을 혼용하는 방식에 가깝다

29) 동 이슈는 감축(파리협정 제4조)의 lsquoNDC 산정rsquo과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의 lsquo연계된 산정rsquo과 관련되어 있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3

이 외에도 ITMO를 발생 이전 획득한 경우에 중간년도에 해서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체계 하에서 어떤 정보를 보고해야 하는지에

한 이슈 또한 존재한다

2)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협력적 접근법과 달리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은 감독기구를 중심으로

중앙집권적 방식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상 적으로 이슈가 적다

첫 번째는 감독기구의 운영구조에 관한 사항이다 이 논의에는 기존

운영구조인 청정개발체제의 집행위원회와 운영구조 상에서 어떤 차이

를 둘 것인가에 관한 논의로 귀결된다 특히 위원회의 구성과 관련하

여 청정개발체제와 같이 선진국과 개도국을 구분해 위원회를 구성할

것인지 여부가 쟁점이 되고 있다

두 번째는 전 지구적인 전반적 감축에 관한 사항이다 전 지구적인

전반적 감축을 이행하는 방안으로 발행시점에서 조치를 취할지(판매국

중심) NDC 이행시점에서 조치를 취할지(구매국 중심) 등이 쟁점이

되고 있다

세 번째는 교토 메커니즘의 전환에 관한 사항이다 주로 2020년 이

후에 교토의정서 상의 교토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을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하에서의 실적으로 인정할지 여부 인정하더라도 특정한 전

환조건을 설정할 것인지 여부 Pre-2020에서 발행된 배출권의 전환을 인

정할지 여부 교토 메커니즘 상에서 승인된 방법론을 계속해서 사용할

지 여부 등이 이에 해당한다

54

2 Post-2020 탄소시장 전망과 시사점

파리협정 후속 협상을 통해 협상문서 초안이 도출됨에 따라서 향후

적용될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지침의 전체적인 구조를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쟁점 사항으로 제기된 몇 가지 사안들은 기술적인 이슈

보다는 정치적인 이슈의 성격이 많아서 후속 협상 과정에서 실무자들

간의 논의보다 고위급 논의 과정에서 정치적 타결이 될 개연성이 더

높다

교토 메커니즘과 비교하여 파리협정에 따른 시장은 모든 당사국이

감축목표를 보유한 상태에서 시장을 형성한다는 제약조건이 존재한다

이는 이중계산 방지의 중요성과 함께 상응하는 조정의 문제가 필연적

으로 부가된다 과거 개도국 입장에서는 청정개발체제 사업을 자국 내

에서 시행하더라도 감축목표가 없는 상태였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적인

부담이 존재하지 않았다 반면 파리협정에서는 이중계산 방지를 위해

자국 내 실제 배출량에서 국외로 순 이전된 ITMO의 양만큼을 가산하

여 배출량을 산정한 후에 NDC의 목표 배출량과 비교하여 이행 여부

를 점검받는다는 부담이 존재한다30) 여기에 전 지구적 전반적 감축의

개념을 적용한다면 실제로 NDC에 ITMO를 사용하는데 제약 조건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국가 감축목표 이행적 측면에서도 후속협상의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단일년도 NDC에 관한 상응하는 조정의 적용 시

기와 방법에 따라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의 증빙 과정

30) 만일 NDC가 목표 감축량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ITMO의 순 국외 이전량 만큼 실제 감축량에서 차감한 후에 NDC에서 정한 목표 감축량과 비교하여 이행 여부를 점검하게 된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5

에서 해외 감축분의 필요량이 결정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이슈가 될

전망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본다면 파리협정에 따른 국제 탄소시장

은 교토 메커니즘 하의 시장보다 상 적으로 규모가 작아질 것으로 예

상된다

한편 국내 배출권거래제에서는 2018년부터 외부사업에 해 해외

온실가스 감축분을 인정하고 있다 청정개발체제에 따른 사업들을 상

쇄배출권으로 인정하고 있는데 2020년 이후 교토 메커니즘의 전환 여

부가 아직 확정되지 않아서 사업 활성화 측면에서 불확실성을 내포하

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국내 배출권 시장에서 교토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의 활용 여부는 전환 여부에 한 국제 협상 결과에 따라 결

정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반면 협력적 접근법이나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등 파리협정에 따

른 시장 메커니즘은 국내 배출권거래제도 상의 운영 목적에 비추어 볼

때 국내 배출권거래제도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 국내 배출권거래제의

도입목적(제2조)이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비용효과적인 이행이고

이들 시장 메커니즘 또한 당사국들의 NDC 이행과 명시적으로 연계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은 국내 배

출권거래제도에서 인정되는 해외 온실가스 감축분으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

다만 한 가지 유의할 점은 파리협정의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

적분이 국내 배출권과 직접적으로 연계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분은 국가 차원의 목표 이행에서 의미를 가

지는데 반해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권은 비록 국가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이긴 하나 개별 사업자 차원의 목표 이행과 관련이

56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분을 민간에서 획

득한 경우 이를 우리나라 정부에서 발급하는 배출권과 교환을 통해 간

접적으로 배출권 시장에서 활용할 수 있다31) 이때 다른 당사국이 자

국의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고 있고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에 따

른 실적을 상쇄로 인정하는 경우라면 결국 국내 배출권 시장과 해당

국가 배출권 시장은 협력적 접근법 또는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체

계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된다

협력적 접근법의 경우 양자 또는 다자간 협력 체계를 필요로 하므로

정부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밖에 없지만 지속가능발전 메커

니즘은 민간 중심의 시장이 될 개연성이 높다 다만 제도의 시행에 있

어 감독기구의 설립 이후에도 제도 운영을 위해 필요한 추가적인 세부

지침의 개발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 사업으로 진행되기까지는 상

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협력적 접근법의 경우 양자 방식으로 운영한다면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보다 다소 이른 시기에 사업이 진행될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양자 협력의 체결 국가 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운영을 위한 행

31) 현재 교토 메커니즘의 청정개발체제에 의한 감축량도 외부감축인증실적(Korean Offset Credit KOC)을 상쇄배출권으로 전환해야 배출권 시장에서 사용가능하다 다만 외부사업 감축량으로 인증받은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은 중복 사용 방지를 위해 소각된다 이에 반해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해외외부사업감축인증실적은 우리나라의 NDC 이행 여부 점검 시 필요하다 따라서 만일 민간에서 이를 획득하여 국내 배출권 시장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부에서 발급하는 상쇄배출권(Korean Credit Unit KCU)과 교환하도록 하고 이를 별도의 레지스트리에 등록middot보관해 두어야 할 것이다 정부가 직접 추진한 협력 사업의 감축실적을 시장안정화 조치 등의 이유로 국내 배출권 시장에 유입시킬 경우도 동일한 논리가 적용될 것이다 다만 배출권 시장에 유입된 만큼 배출권거래제 적용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7

정적 시간적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협력적 접근법의 경우에는

체결 국가 수를 무작정 늘리는 방식보다는 전략적으로 필요한 국가와

선별적으로 체결하는 방식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필요한 국가의 선

정 기준에는 기후변화 측면도 있지만 사회 정치적인 사안들의 고려도

필요할 수 있으므로 현 단계에서 필요한 사안이 무엇이고 이를 위해선

누구와 협력할 것인가에 한 사회적 합의를 우선적으로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59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본 장에서는 앞서 검토한 배출권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연계 사례에서의 시사점 그리고 국제 탄소시장 동향 논의 전망을 토

로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과 해외 시장과 연계할 경우 두될 것으로

보이는 주요 쟁점사항과 시사점에 해 살펴보기로 한다 특히 본 연

구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를 논할 때 가장 빈번하게 거론되는

EU-ETS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기로 한다32)

1 우리나라 ETS와 EU-ETS의 주요 설계요소 비교33)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이하 K-ETS)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국내적 정책 수단으로서 도입middot시행되고

32) 최근 논의되고 있는 한-중-일 배출권 시장 연계의 경우 중국 및 일본 모두 국가 전체 차원의 배출권거래제가 아닌 일부 지역을 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적용 범위도 서로 상이한 점이 많아 사례 분석의 상으로 적합하지 않다고 보고 본 고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EU-ETS의 경우 EU 회원국이 참여하는 가장 큰 규모의 시장이며 오랜 배출권 시장 운영 경험을 가지고 있고 국내 배출권거래제도 설계 시 벤치마크로 활용되어 제도적 유사성이 상 적으로 높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사례분석의 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EU-ETS와 국내 배출권 시장 간의 연계를 분석한 국내 문헌이 거의 전무하다는 것도 EU-ETS를 사례 연구 상으로 삼은 중요한 이유 중 하나이다 국내 배출권 시장과 타 국가 배출권 시장의 연계를 다룬 국내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데 최근 박수경 외(2018)의 연구가 중국 배출권 시장과의 연계를 다루고 있으니 참조하기 바란다

33) 후술하는 우리나라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소에 관한 내용은 환경부(2019)를 주로 참고하였다

60

있다 따라서 K-ETS의 감축목표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로 설정된

2030년 BAU 비 37 감축과 연동되어 설정된다 제2차 계획기간

(2018년부터 2020년)동안 K-ETS는 매년 5477백만톤(3개년 총 1643

백만톤)을 사전할당하였는데 이는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02를 차지한다34)

EU 역시 역내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을 위한 정책 수단으로 ETS

를 도입middot운영하고 있으며 역내 국가들의 감축목표 총합을 고려하여 할

당계획을 수립한다는 점에서 한국과 유사하다 EU는 2020년까지 90년

비 20 2030년까지 90년 비 40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였

다 EU-ETS 제3기 할당계획에 따르면 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역내

전체 배출량의 약 45에 달하는 ETS 부문에서 2013년도 배출허용량

2084백만톤을 기준으로 2020년까지 매년 3826백만톤씩 배출허용량

을 일률 감축하도록 하고 있다35)

2020년까지 기간을 고려하면 EU-ETS가 K-ETS에 비해 엄격한 감축

목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K-ETS의 경우 2015년도 할당량을

기준으로 2020년까지 연평균 07이내로 감축하는 수준이므로

EU-ETS가 K-ETS에 비해 감축의 강도가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36)

그럼에도 불구하고 EU-ETS의 경우 제2기(2008~2012)에 발생한 잉여

배출권의 상당량이 제3기로 넘어와 시장 내 배출권 공급 과잉과 그로

34) 환경부 보도자료(2018724) 및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2019) 참조35) 2008년에서 2012년까지의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의 174에 달하는 감축량을 매년

동일하게 감축하는 것으로서 이는 2013년도 배출허용치 비 2020년까지 연평균 194 감축에 해당한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홈페이지(httpswwwemissions-euets comcarbon-market-glossary872-european-union-emissions-trading-system-eu-ets)를 참조하라

36) K-ETS 제1차 할당계획의 2015년도 사전할당량에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에 따른 2017년 추가할당량과 조기감축실적 3개년 평균을 적용한 값과 2019년 2차 계획기간 할당계획 변경안의 2020년 사전할당량을 비교하였다(환경부 2014 관계부처합동 2017 환경부 2019 참조)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1

인해 배출권 가격이 비교적 낮게 형성되고 있다37) 따라서 감축목표

엄격성의 절 적 수준이 아닌 그로 인한 배출권 시장의 영향이라는 관

점에서 본다면 현재까지는 두 시장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고 단정 짓

기는 곤란하다

나 할당방식

K-ETS와 EU-ETS 간 할당방식에 있어서 특징적인 차이는 (i) 유상

할당의 규모 (ii) 간접배출에 한 할당 여부에 있다

먼저 K-ETS는 무상할당이 기본이 되는 할당방식을 가진데 비해

EU-ETS는 상당 수준의 배출권을 유상으로 할당한다 K-ETS는 제2차

계획기간부터 일부 유상할당의 요소를 도입하고는 있으나 2020년까지

는 전체 할당량의 3 이내에서 유상할당하며 2020년 이후에는 전체

할당량의 10 이상을 유상으로 할당할 계획이다 K-ETS의 무상할당

은 기본적으로 과거 실적에 기반한 할당(Grandfathering)방식을 따르지

만 발전 집단에너지 산업단지 정유 시멘트 항공 폐기물 등 7개 업

종에 한해 벤치마크 방식에 기반한 할당을 적용하고 있다(환경부

2019) 반면 EU-ETS는 기본적으로 경매에 기반한 유상할당 방식을

따르고 있다 제3기 총 배출권의 약 57가 유상할당으로 배분되는데

발전부문은 거의 부분 유상할당하며 국제경쟁에 노출되는 산업부문

37) EU-ETS 할당배출권 가격은 2013년 이후 부분의 기간에서 10유로 미만으로 형성되어 오다가 최근 들어서야 20유로를 넘어섰다 반면 K-ETS의 KAU17 평균거래가격은 약 22천원 수준으로 현재(2018년 12월말 기준) EUA 가격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홈페이지 httpssandbagorgukcarbon-price-viewer 및 삼정KPMG Issue Monitor 제87호 참조)

62

은 상당량을 무상으로 할당하고 있다38)

K-ETS가 다른 ETS 시장과 구분되는 큰 특징 중 하나는 전력 열 등

의 최종소비자의 간접배출에 해서도 배출권을 할당하고 규제를 한다

는 점이다 부분의 ETS 시장은 직접 배출만을 규제 상으로 삼고

배출권을 할당한다 K-ETS에서 간접 배출을 규제하는 이유는 전력이

나 열 소매요금에 발전사들의 배출권 비용을 전가하기 어려운 구조이

기 때문이다

다 유연성 메커니즘

1) 상쇄제도

K-ETS의 상쇄는 국내에서 시행된 외부감축사업에서 획득한 감축실

적과 국내 업체가 해외에서 직접 시행하여 획득한 CDM 사업에 한해

인정된다 이때 의무이행에 사용할 수 있는 외부감축실적은 할당업체

별로 전체 배출권의 10 이내에서 인정되는데 이중 해외에서 시행해

서 획득한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은 각 이행연도 의무이행량의 5까지

만 인정된다(환경부 2019)

반면 EU-ETS는 지난 제2기(2008~2012)에 국가별 할당계획(NAP

National Allocation Plan)에 따라 결정된 국가별 상쇄한도 중 사용하

고 남은 양은 모두 제3기로 이전해 사용가능하다 그러나 예외적인 조

치로서 HFC-23이나 아디핀산 N2O 관련 프로젝트에서 나온 상쇄배출

권은 통용되지 않으며 제3기부터는 최빈개도국에서 시행된 CDM 프

로젝트의 크레딧만 허용한다 전체적으로 EU-ETS는 역내 상쇄배출권

38) 자세한 사항은 다음 웹사이트를 참조하라(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allowances_en) 산업부문에 한 무상할당은 2020년 30까지 점진적으로 줄여나갈 예정이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3

의 허용량이 2008년부터 2020년까지 역내 총 감축량의 50 이내가

되도록 한다는 원칙을 견지하고 있다(IETA 2014 ICAP 2019c)

EU는 역내 온실가스 감축노력 증진을 위해 제3기에는 상쇄를 엄격

히 제한해 왔으나 2021년 이후의 상쇄 제도에 해서는 아직 K-ETS

및 EU-ETS 모두 결정된 바 없다(ICAP 2019c)

2) 이월

K-ETS는 당초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였으나 시장 유동성 확보 차원

에서 제2차 계획기간 부터는 이월을 일정 수준에서 제한하고 있다 제

1차 이행연도의 경우 배출권(할당 및 상쇄) 순 매도량의 3배 이내이거

나 125만톤 이상 배출업체의 경우 75만KAU 25만톤 이상 배출 사

업장을 가진 업체의 경우 15만KAU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 이월을

허용한다 제2차 이행연도에는 배출권 순 매도량의 2배 이내 또는

125만톤 이상 배출업체의 경우 5만KAU 25만톤 이상 배출 사업장을

가진 업체의 경우 1만KAU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 이월을 허용한다

마지막 3차 이행연도에는 제2차 계획기간 연 평균 배출권 순 매도량

또는 125만톤 이상 배출업체의 경우 25만KAU 25만톤 이상 배출 사

업장을 가진 업체의 경우 05만KAU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 3차 계획

기간의 첫 번째 이행연도로만 이월을 허용하고 있다(환경부 2019) 반

면 EU-ETS는 별도 제한없이 전량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고 있다

3) 차입

K-ETS는 제2차 계획기간의 제1차 이행연도에는 배출권의 15 이

내에서 그리고 제2차 이행연도에는 배출권의 15에서 직전년도 차입

64

비율의 절반을 제한 비율까지 차입을 허용한다 그러나 계획기간 간

차입은 허용하지 않는다(환경부 2019) EU-ETS는 원칙적으로 차입을 허

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EU-ETS는 계획기간 내 이행연도별로 할당배출

권을 구분하여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의무이행 시점과 배출권 할당 시

점 간 차이를 활용하면 배출권 차입이 사실상 가능한 구조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EU-ETS의 배출권 할당은 매년 2월말에 이루어지는데 반

해 직전년도 이행실적에 한 배출권의 제출은 매년 4월말까지 이므로

당해 연도에 할당된 배출권을 직전년도 의무 이행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39) 이는 K-ETS처럼 배출권을 할당연도별로 관리하지 않기 때문

이다 따라서 비록 EU-ETS가 형식적으로는 계획기간 내 차입을 허용

하고 있지 않으나 실질적으로는 계획기간 내 차입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4) 가격 및 공급관리

K-ETS는 배출권 가격이 단기간에 급격히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경

우 그리고 배출권 수요에 비해 공급이 현저히 적은 경우 시장안정화를

위해 규제 당국이 시장에 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배출

허용총량 이외에 별도로 시장안정화 조치에 사용할 수 있도록 14백만

톤의 배출권을 예비분으로 배정해두고 있다 또한 시장 유동성 제고를

통한 거래 촉진을 유도하기 위해 시장조성을 위한 예비분 5백만톤을

추가로 배정하여 배출권 시장의 가격 및 수급을 관리하고 있다(환경부

2019)

39) 자세한 사항은 다음 웹사이트(httpswwwemissions-euetscomborrowing)를 참조하기 바란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5

한편 EU-ETS는 K-ETS와 같은 직접적인 시장 개입을 하고 있지는

않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상할당 배출권의 경매 연기조치

(Backloading)과 2020년 이후 본격적으로 도입될 배출권 비축제도

(Market Stability Reserve MSR) 등을 통해 배출권 가격 및 공급을 관

리하고 있다

라 의무이행 관련 사항들

K-ETS는 도입 당시부터 EU-ETS에서 적용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

정 방식을 상당부분 차용하였기 때문에 배출량의 산정middot보고 및 검middot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일부 차이는 있지만 거의 유사한 수준이라고 해도 과

언이 아니다

페널티의 경우 K-ETS는 배출권 평균 가격의 3배 또는 최 톤당 10

만원에서 결정되며 EU-ETS는 톤당 100유로 수준이므로 큰 차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다만 K-ETS는 과징금을 납부할 경우 의무미준수량에

한 별도의 추가 제출 의무가 없는데 비해 EU-ETS는 과징금과 별도

로 후속연도에 미준수량에 한 배출권 제출 의무가 부과된다는 차이

를 가진다(박수경 외 2018)

lt표 -1gt은 지금까지 살펴본 우리나라와 EU의 배출권거래제를 상

세하게 요약middot비교한 것이다

66

lt표 Ⅴ-1gt 우리나라와 EU의 배출권거래제 비교

국가 한국 EU

목표의 엄격성2020년까지 2015년도 할당량 기준 연평균 07 감축

2020년까지 2008-2012년의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의 174 균등 감축

배출량 제한 2018~2020년 5477MtCO2e2013년 2084 MtCO2e 2020년까지 매년 3826MtCO2e 감축

탄소상쇄 수량

할당된 배출권의 최 10 국내 탄소상쇄 및 CDM 사업에 한해 인정해외 상쇄는 5까지 인정

전체 EU-ETS 상쇄 허용량이 2008년~2020년 총 감축량의 50 이내로 관리제3기부터 최빈국의 청정개발체제 배출권만 사용 가능

가격 및 공급관리

비축분의 최 25까지 조기 경매 정부 시장 개입 가능

시장의 과잉공급 정도에 따라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배출권 공급량 조정

배출권 할당1단계 100 무상할당2단계 97 무상할당3단계 90 무상할당

산업부문은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적용범위발전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건물 폐기물 국내 항공 CO2

및 5 온실가스

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EU 역내 항공 CO2 및 N2O PFCs

준수기간 2015~2025 2013~2020

규제방식 하향식 방식 직접+간접배출 하향식 방식

이월차입이월제한 있음계획기간 내 차입 가능(기업 할당량의 최 10)

무제한 이월 가능차입은 원칙상 허용되지 않으나 계획기간 내 차입이 가능한 구조

페널티 제도배출권 가격의 3배 최 1톤당 10만원

1톤당 100 Euro의무 미준수량만큼 할당에서 공제

자료 Carbon Market Watch Report(2015) 박수경 외(2018) 등의 구성을 참고하여 국내외 문헌 및 웹사이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저자가 직접 재구성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7

2 K-ETS와 EU-ETS 연계 시 예상 쟁점들

가 감축목표

앞서 지적하였듯이 EU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2030년까지 1990년

배출량 비 4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어 BAU 비 37 감축목표

를 제시한 우리나라에 비해 더 엄격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두

시장의 연계에 한 논의가 본격화될 경우 EU 측에서 한국의 국가 감

축목표를 EU 수준에 근접하게 상향하거나 ETS 상 부문에 해 국

가 전체 감축률을 상회하도록 할당규모를 조정할 것을 요구할 수 있

다 물론 우리나라 정부의 입장에선 이러한 EU측의 요구를 전적으로

수용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 경우 한국의 제조업middot에너지다소비업종

중심의 산업구조로 인해 외견상 감축목표 수준과 달리 상당히 높은 한

계감축비용에 직면하고 있음을 적극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해서 한 가지 주목할 점은 한국에 비해 강한 감축목표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EU-ETS의 배출권 가격이 감축목표 강도를 제 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EU-ETS와 비교해 본다면 K-ETS

는 외견상 감축목표에 비해 배출권 가격이 상당히 높은 수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여기에는 감축목표의 지속적인 강화에 한 기 가

미친 영향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배출권 가격은 참여기업

들이 직면하는 한계감축비용의 수준을 투영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외

견상의 감축목표 강도에 비해 K-ETS 참여기업들의 실제 감축부담은

상당히 높은 편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추후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제기될 것으로 예상되는 EU측의 감축목표 상향 요구에 한

응논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40)

40) 이와 함께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하는 추세인데 반해 EU는 감소하는

68

나 할당방식

1) 간접배출의 포함 여부

K-ETS는 발전부문의 직접배출뿐만 아니라 전력이나 열 수요자의

간접배출에 해서도 배출권을 할당한다 이는 (i) 전력이나 열 소비

요금에 배출권 제반 비용을 전가하기 용이치 않은 우리나라 전력middot열

시장의 구조적 한계를 보완하고 (ii) 적정 수의 시장참여자를 보장하기

위해서이다41) 간접배출의 포함 여부가 직접적으로 배출권 시장 연계

전후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은 극히 제한적이므로 일견 시장 연계 시

쟁점사항이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간접배출에 해 할당을 할 경우

(i) 이중계산(double counting)의 문제 (ii) 횡재이윤(windfall profits)의

문제점이 제기될 가능성이 높다

먼저 전력이나 열의 생산자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도 배출권을 할당

하므로 이중계산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부문에서

100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였다고 할 때 100톤의 감축량 중 발전부문

자체의 노력(전원믹스 개선 발전효율개선 등)의 기여분과 최종소비자

의 수요 감축 노력의 기여분을 명확하게 분별할 수 없다면 이중계산의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42)

다른 한편 횡재이윤의 발생도 가능하다 발전부문에 한 배출권 할

당량은 발전부문 자체의 노력을 감안한 목표 감축량과 수요 측의 절감

추세에 있으므로 단순히 외견상의 감축률만으로 감축의 강도를 판단해선 안되며 K-ETS의 높은 탄소가격에는 그러한 측면이 반영되어 있다는 주장도 유용한 응논리가 될 수 있다 이를 지적해준 익명의 심사위원께 감사드린다

41) 만일 간접배출을 할당에 포함시키지 않을 경우 전력이나 열 등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다수의 기업들이 배출권거래제 적용 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다

42) 실제 감축량은 직접배출 기준으로 계산한 전체 감축량에서 최종소비자의 간접배출 부문 감축량을 제외해야만 이중계산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9

노력을 반영한 목표 감축량을 함께 고려하여 정해진다 만일 발전부문

의 자체 노력에 따른 감축량이 목표량에 미달하더라도 수요 측 절감노

력이 목표량을 초과할 경우 목표를 충족시키거나 초과달성할 수 있으

므로 횡재이윤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상의 문제는 EU-ETS와 연계 과정에서 제기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그러나 간접배출에 한 할당의 포함여부에 관한 논의는 궁극적

으로는 우리나라의 전력 또는 열 시장에 한 제도적 변화에까지 이어

지기 때문에 에너지 정책의 자율성과도 직결된 문제이므로 시장 연계

시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2) 유상할당의 수준

2020년 이후 EU-ETS는 기본적으로 발전부문뿐만 아니라 산업부문

에 해서도 유상할당이 중심이 되는데 비해 K-ETS는 여전히 부분

을 무상으로 할당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EU-ETS 참여 기업들을

중심으로 산업경쟁력 및 탄소누출의 우려를 제기하면서 K-ETS에 유

상할당의 비중을 상당 수준으로 높일 것으로 요구할 가능성을 배제하

기 어렵다 우리나라 업체들은 산업경쟁력 유지를 위해 온실가스 배출

권거래제도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최소 유상할당 비율 유지를 강하게

주장할 것이므로 K-ETS에서의 유상할당 비율은 매우 첨예한 쟁점사항

으로 부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 상쇄제도

아직 글로벌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에

70

서 두 시장의 상쇄제도의 차이가 시장 연계에 걸림돌로 작용할지는 현

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2021년부터 2030년까지 EU는 ETS 분야에서

1990년 비 43 Non-ETS 분야에서 30 감축을 통해 EU 자체적

(domestic)으로 최소 4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43) EU 자체 노력

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최소 목표치를 공식적으로 선언하였으므로

EU-ETS 할당 시 적어도 동 목표에 해당하는 수준까지는 역외 크레딧

사용을 허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44)

여기서 주목할 사항은 만일 EU가 배출권 시장 연계를 허용한다는

것은 결국 자신의 온실가스 최소 감축목표치를 사전에 공표한 수치 이

상으로 설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배출권 연계는

기본적으로 역외의 타 시장 배출권을 역내 의무사용에 활용하는 것이

므로 역내 최소 감축 목표치보다 목표를 상향해서 할당하지 않을 경우

엔 사전에 공표한 자체 감축노력에 의한 최소 감축목표를 근본적으로

달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EU와의 배출권 시장 연계가 논의되는 이상 EU-ETS는 적어도

이미 공표된 온실가스 감축 최저 목표치를 상회하는 목표를 설정할 공

산이 크다 EU-ETS가 도전적인 목표치를 설정하고 배출권 시장 연계

를 허용한다고 할 때 일정한 제약(예를 들어 최저 목표치에 해당하는

감축량을 초과하는 한도) 하에서 연계된 시장의 배출권과 더불어 역외

크레딧을 허용할 가능성이 높다 여기서 역외 크레딧에는 현재 논의되

43) European Commission COM(2016) 482 final 참조44) 여기서 EU가 제시한 온실가스 배출량의 40 자체 감축(ldquoa 40 domestic reduction

in economy-wide greenhouse gas emissionsrdquo)의 의미를 이중계산(double counting)이 허용되지 않는 상황에서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해 최종적으로 정산한 이후 EU가 자체적으로 레지스트리에 보유하고 있는 배출량을 기준으로 한다고 해석할 여지도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자체 감축(domestic reduction)의 의미를 순수하게 자신의 노력을 통해 감축한 역내 배출량으로 간주하기로 한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1

고 있는 시장 메커니즘인 UNFCCC의 관리middot감독 하에 운영되는 지속

가능발전 메커니즘과 협력적 접근법에 따라 EU와 자발적 협력 체결을

통해 발생한 감축실적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45)

한 가지 유의할 점은 EU뿐 아니라 우리나라와도 동시에 자발적 협

약을 체결한 국가에서 감축한 실적의 경우는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겠

지만 우리나라와만 자발적 협약을 체결한 경우에 해당 국가에서의 감

축실적을 K-ETS에서 상쇄로 허용하는 것이 또 다른 쟁점이 될 수 있

다는 점이다 만일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시장 메커니즘이 포괄적인

원칙에 해서만 합의가 이루어지고 세부 사항은 국가 간 자발적 협약

에 맡기는 방식이 될 경우 EU에서는 자신의 기준에 맞지 않는 자발적

협약에 따른 감축실적을 상쇄로 허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46) 이는

EU-ETS 제3기에 UNFCCC하의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을 최빈개도국가

들에서 만들어진 것 이외에는 허용하지 않는 사례에서 보듯이 충분히

생각해볼 수 있는 시나리오이다 그러할 경우 상쇄제도의 국가 간 세

45) 연계된 시장의 배출권을 EU-ETS의 의무이행에 활용한다는 것이 파리협정 하의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ITMO를 활용하는 것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배출권거래제도의 연계가 두 당사국 간의 상호 자발적인 협력 체결을 통해 이루어지며 중요한 감축수단의 하나라는 점에선 유사하지만 엄 한 의미에서 배출권거래제의 연계가 파리협정의 협력적 접근법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지 않는다 협력적 접근법에서 말하는 ITMO는 감축활동의 결과물로서 나온 감축실적인데 반해 배출권거래제도 상의 배출권은 배출을 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므로 양자의 성격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감축실적과 배출허가권이 일 일로 매칭될 수 없기 때문이다 배출권거래제도는 자국의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국내적 정책 수단의 하나이지 파리협정이라는 국제 협약의 틀 내에서 논의되는 시장 메커니즘과는 서로 다른 차원의 제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리협정에서의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감축실적은 배출권거래제도의 상쇄배출권의 형태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배출권 시장 연계가 협력적 접근법에 따라 자발적 협력 체결이 이루어진 국가들 간에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관점에서 배출권 시장 연계와 협력적 접근법이 직접적 연관성을 가지지는 않지만 서로 간에 높은 연관성이 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된다

46) 반 로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시장 메커니즘이 국가 간 자발적 협약에 한 구체적인 사항까지 규정하는 방식으로 합의가 된다면 논란의 여지는 훨씬 줄어들 것이다

72

부적 차이는 배출권 시장 연계에 있어서 쟁점사항으로 부각될 것이다

다만 K-ETS의 경우 해외상쇄를 전체 배출권의 5이내로 제한하고 있

어서 EU-ETS 시장에 한 공급 충격이 크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EU와 스위스 간의 ETS 연계 사례에서 보듯이 상쇄제도의 차이가 심

각한 장애요인은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라 기타 사항들

앞서 논의한 쟁점들 이외에 이월 차입 시장관리 등 여타의 사항들

은 이론적으로는 시장 연계 시 쟁점이 될 수 있으나 적어도 K-ETS와

EU-ETS 간의 연계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첫째 이월의 경우 현재 EU-ETS는 제한없이 허용하는데 반해

K-ETS는 이월에 한 제한을 두고 있다 그러나 2021년부터 2030년

까지의 계획에 따르면 EU는 이월을 허용하되 누적 이월량이 일정 수

준을 넘어 과도할 경우 제한을 둘 계획이다47) 따라서 양 시장에서 이

월 제도의 약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할 것이므로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쟁점으로 부각되지 않을 것이다

둘째 차입의 경우에도 2021년부터 2030년까지의 계획에 따르면 EU

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차입을 허용할 방침이므로 K-ETS의 차입 허용

이 연계 시 큰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48)

셋째 배출권 가격 및 공급 관리의 관점에서 보면 EU-ETS에 비해

K-ETS가 정부의 시장개입이 더 용이한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그 이

47) 다음의 홈페이지(httpseceuropaeuclimapolicieseffortregulation_en)를 참조하라48) 다음의 홈페이지(httpseceuropaeuclimapolicieseffortregulation_en)를 참조하라 또

한 앞서도 언급하였지만 EU-ETS는 현재 차입을 허용하고 있지 않지만 배출권 할당 시점과 제출 시점의 차이로 인해 사실상 차입이 허용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3

유는 K-ETS의 낮은 시장 유동성에 따른 배출권 공급물량 부족이 주요

원인이다 따라서 보다 큰 규모를 가진 EU-ETS 시장과 연계하는 경우

구태여 현재와 같은 K-ETS의 가격 및 공급 관리 제도를 유지하지 않

아도 무방하므로 두 시장 간의 연계 과정에서 장애요인이 되지 못할

것이다

3 배출권 시장 연계 방식별 편익 비용 그리고 시사점

가 시장 연계 유형별 편익 비용 비교

K-ETS와 EU-ETS 시장을 서로 연계한다고 할 때 연계하는 방식은

앞의 제3장에서 제시한 것들 중 하나가 될 것이다 그 중에서 완전통

합형 방식의 직접 연계는 사실상 현실적으로 가능한 안이 아니라고

보고 여기서는 쌍방향 연계 방식의 직접 연계와 단방향 연계 외부 크

레딧을 통한 간접 연계 등의 장middot단점을 비교해보기로 하자49)

1) 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배출권거래제는 사실상 자국의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자발적 감

축행동이다 배출권 시장의 쌍방향 직접 연계는 두 당사국이 자발적으

로 협력하여 이중계산 방지의 원칙 하에서 서로의 배출권 레지스트리

를 연계하여 서로의 배출권이 자유롭게 거래되고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49) 완전 통합형의 경우 두 시장을 하나의 시장으로 완전히 통합하는 것이므로 각 시장을 관할하던 정부들의 자율성이 전혀 보장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의 연계를 우리나라 정부에서 용인할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이므로 여기서는 완전통합형 연계 방식은 다루지 않기로 한다

74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은 크게 보면 다시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rsquo과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rsquo으로 나뉠 수 있다50) lsquo완전 쌍

방향 직접 연계 방식(이하 완전 쌍방향 방식)rsquo은 두 시장의 규제 당국

이 일정한 자율성을 가지고 배출권거래제도의 설계요소를 결정하되

각 시장의 배출권이 어느 시장에서든지 수량에 제한없이 의무이행에

전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연계 방식이다 스위스-EU 캘리포니아-퀘벡

등 현존하는 배출권거래시장 연계 사례는 모두 lsquo완전 쌍방향 방식rsquo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K-ETS가 EU-ETS와 이러한 방식으로 연계할 경우 예상되는 일차적

인 편익은 비용효과성 제고 및 규모 시장에 한 접근성 제고를 통

한 유동성 확 와 이를 통한 시장 가격 안정성 확보이다 앞에서도 살

펴보았듯이 배출권 시장의 연계는 기본적으로 두 당사국의 참여업체

비용부담을 완화시켜 준다 또한 시장 규모의 확 로 인해 시장 유동

성이 확 되고 배출권 시장가격의 변동성을 낮출 수 있다

이상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완전 쌍방향 방식이 가진 다음과 같은 단

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완전통합형에 비해서는 정도가 덜하지만 규제 당국의 정책 자

율성이 일정 수준 침해받을 우려가 있다 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의 특성 상 ETS 부문 감축목표 설정 할당방식 등 주요 배출권거래제

도 설계요소를 완전히 일치시킬 필요는 없지만 연계 상 방과 상당 수

준까지 보조를 맞추어야 한다 만약 양측의 설계요소 간 차이가 크다

면 이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핵심 설계요소를 조정해야 하는 당사국의

경우 일정 수준의 정책 자율성을 포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50) Ranson and Stavins(2015)를 비롯한 기존의 연구는 쌍방향 연계를 여기에서처럼 다시 두 가지로 구분하지 않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5

둘째 할당방식에 차이가 있을 때 특히 참여업체들의 비용과 직결되

는 유상할당의 규모 면에서 차이가 클 경우 연계 과정에서 쟁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두 시장간 유상 할당 비중의 차이가 클 경우

유상할당 중심의 국가에서 탄소누출 등을 이유로 유상할당 비중에

한 조정을 요구하고 이로 인해 유상할당의 비중이 늘어날 경우 연계

이전에 비해 무상할당 중심 시장의 참여업체들 비용부담이 크게 늘어

날 수 있다

K-ETS와 EU-ETS 간 연계를 상으로 생각해보면 K-ETS와

EU-ETS는 시장 규모 등의 측면에서 큰 차이가 나므로 시장 연계 과

정에서 K-ETS의 주요 설계요소를 EU-ETS와 근접하게 가져가야 할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ETS 부문의 감축목표 상향 간접배출에

한 할당방식의 조정 등 주요 설계요소에 해 EU-ETS와 유사하게 수

정해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에너지 및 온실가스 감축정책에 한 한

국 정부의 자율성이 침해받을 우려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유상

할당 중심의 EU-ETS와 달리 K-ETS는 무상할당이 주가 되므로 EU측

에서는 역내 산업경쟁력 및 탄소누출을 우려하여 K-ETS에도 상응하

는 수준의 유상할당을 요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끝으로 이론적 논의에서 잠깐 살펴보았듯이 lsquo완전 쌍방향 연계rsquo 방

식이 환경적 편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불분명하다51) 만일 시장 연

계 과정에서 한 당사국에서 상 편의 온실가스 감축목표가 자신과 상

응하지 못하다고 판단하여 감축목표 상향 조정을 요구하고 시장 연계

의 협의 과정에서 이것이 받아들여진다면 두 시장을 합한 전체 온실

가스 감축목표가 강화되어 lsquo온실가스 감축rsquo이라는 환경적 편익이 증

51) 제2장에서 논의한 Helm(2003) 및 Carbone et al(2009)의 연구 결과에 한 소개를 참고하라

76

할 수 있다 하지만 반 로 연계 이후의 국내 업체들의 감축비용 부담

이 늘어날 경우 규제가 상 적으로 느슨한 제3의 국가로 생산설비를

이전하는 탄소누출이 일어날 수 있다 이때 배출집약도가 높은 제3국

가로 생산설비가 이전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글로벌 차원에서는 온실가

스 배출량이 늘어날 수도 있다52) 즉 연계에 따른 감축목표의 상향이

업체의 부담을 높이고 이로 인한 탄소누출로 인해 오히려 전 지구적

인 차원에서 환경건전성은 나빠질 수도 있다 EU-ETS와의 연계에 따

른 환경건전성의 득실은 일률적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시장 연계의

환경적 편익을 예단하기 어렵다53)

2) 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 방식(이하 부분 쌍방향 방식)은 두 시장의

규제 당국이 자율성을 가지고 배출권거래제도의 설계요소를 결정하며

각 시장의 배출권을 어느 시장에서도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

에선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과 동일하나 의무이행에 활용되는 배출권의

수량에 제한을 두는 방식을 말한다 이는 사실상 두 시장이 서로 상

방의 배출권을 일정 비율 내에서 상쇄배출권처럼 활용하는 상황과 동

일하다

52) 예를 들어 상 적으로 친환경적인 전원믹스를 가진 국가에서 생산하던 업체가 유상할당 비중 증가로 인한 감축비용부담 상승으로 인해 제3의 국가로 생산설비를 이전한다고 하자 이 경우 설령 생산설비 이전과 이후에 동일한 에너지 투입 비 생산효율을 보인다고 가정하더라도 제3 국가의 전원믹스가 덜 환경친화적이라면 해당 업체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늘어나게 된다 이때 제3국으로 이전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분이 배출권 연계 이후 감축목표 상향에 따른 감축량 증가분을 초과한다면 전 지구적인 관점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은 순증하게 된다 결국 배출권 시장이 연계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연계 이후의 환경적 건전성은 오히려 악화된다

53) 이처럼 환경건전성과 관련한 연계 유형별 득실은 모호한 부분이 크므로 이후의 편익 비용 비교에 관한 논의에서 환경건전성은 제외하기로 한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7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의 경우에도 비록 제한된 수량 범위 내이긴 하나

연계를 통해 전체 시장 규모가 확 되므로 연계 이전에 비해 시장 유

동성을 제고하고 배출권 가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두 시

장의 배출권 가격 차이를 이용해 거래를 통한 비용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다 다만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과는 달리 활용가능한 상 편 배출권의

수량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두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하나의 가격으로

수렴되지는 못하고 일정한 차이를 두면서 각 시장가격의 자율성이 일

정 수준에서 유지되는 움직임을 보이게 된다54) 다만 경제적 효율성의

관점에서 보면 거래가능 수량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

식에 비해 일정 정도의 비효율성은 불가피하다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의 연계는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과는 달리 일정 범

위 내에서만 서로의 배출권의 활용을 허용하므로 가격 공급량 등에서

각 시장이 가진 독자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중계산의 문제

MRV의 투명성과 등가성 등의 기본 원칙이 준수되는 한 상 편 시장

은 상쇄배출권 거래를 위해 활용가능한 일종의 유연성 기제로서 간주

될 수 있다 따라서 두 시장을 합쳐 하나의 시장으로 바라보는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각 시장 운영의 자율성을 확보하기가 용이

하다 유사한 맥락에서 유상할당 규모에 차이가 존재하더라도 상 편

의 시장을 상쇄배출권 활용을 위한 기제로 간주하는 이상 할당방식의

차이를 상응되게 조정하고자 하는 정치적 압력도 크지 않을 것으로 전

망된다

54)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의 경우도 거래비용 등으로 인해 두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완전히 하나로 수렴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의 경우 두 시장의 가격 차이는 거래비용 등의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는 차이를 넘어선 수준에서 각 시장가격이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

78

요컨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연계할 경우 상 편 배출권의 활용

가능 비율이 줄어들수록 경제적 비효율성은 커지는 반면 시장 운영 및

제도 설계의 자율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이는 소규모 시장인

K-ETS가 규모 시장인 EU-ETS와 연계할 때도 유사하게 적용될 것

으로 전망된다

3) 단방향 연계 방식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방향 연계 방식은 어느 한 배출권 시장에

서는 상 편 시장의 배출권을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으나 그 반 는

허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단방향 연계는 타 시장의 배출권을 허용하는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허용하지 않는 시장의 배출권 가격에 비해 낮을

경우에만 실효성을 가지며 그렇치 않을 경우엔 실효성이 떨어진다 타

시장 배출권을 허용하지 않는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높게 형성되고 있

다면 단방향 연계에 따른 배출권 거래가 일어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55)

그러나 그 반 의 경우엔 상 편의 저렴한 배출권을 의무 이행에 활용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향상된 시장 접근성을 가질 수 있고 그로 인

해 시장 유동성 제고 가격 안정성 확보 및 감축비용 부담 완화라는 편

55) 이러한 경우에는 사실상 두 배출권 시장이 독립적으로 작동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우에 따라 시장 연계가 실효성있게 작동하는 상황도 발생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계가 허용된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 공급량이 부족할 경우엔 의무 이행을 위해 비싸더라도 배출권을 구매하려는 수요가 생길 수 있다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낮게 형성되고 K-ETS만 EU-ETS 시장과 일방향으로 연계된 상황을 상정해보자 통상적으로는 K-ETS 참여업체들은 비싼 EU-ETS 시장의 배출권을 구매하지 않으려 하겠지만 만일 K-ETS 시장에서 부분의 업체들이 잉여배출권을 이월하려고 해서 의무이행을 위한 배출권 구입 자체가 어려울 경우엔 단방향 연계 방식도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장에서 배출권 구입이 어려운 업체들은 비싸더라도 EU-ETS에서 배출권을 구매해서 의무이행을 할 것이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9

익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단방향 연계가 실효적인 상황 즉 연계를 허용하지 않은 국가

의 배출권 가격이 더 낮게 형성되는 경우엔 연계를 허용하는 국가의

정책 자율성이 보장받기 용이할 것으로 평가된다 왜냐면 연계를 허용

하지 않는 국가의 배출권 가격이 낮다는 의미는 ETS 부문의 감축목표

의 강도가 상 적으로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계를 허용치

않는 측에서 허용하는 측에 감축목표의 상향 등 주요 설계요소의 변화

를 덜 요구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단방향 연계는 다른 여타의 방식에 비해 연계를 허용하는 측

에 상당히 유리한 연계 방식이다 그러나 연계를 허용치 않는 시장에

서 얻는 편익이 거의 없기 때문에 앞서 살펴본 EU-호주 배출권 시장

연계 시도 사례에서 보듯이 본격적인 쌍방향 연계를 위한 준비기에 일

시적으로 운영되는 경우를 제외하곤 지속되기 어려운 실현 가능성이

낮은 방식이다

4) 외부 크레딧을 통한 간접 연계

끝으로 각 시장이 완전히 독자적으로 운영되면서 외부 크레딧을 통

해 간접적으로만 연계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현재 파리협정 하에서

의 시장 메커니즘 중 하나인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이나 협력적 접근

법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실적을 K-ETS와 EU-ETS가 상쇄배출권으로

활용하도록 할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 경우 양 시장을 운영하는 정부의 정책 자율성은 완전히 보장되는

반면 시장이 사실상 분리되어 있으므로 연계를 통한 직접적인 경제적

편익은 발생하지 않는다 상쇄배출권의 유입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서

80

로 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배출권 연계의 효과가 제한적이다 특히

상쇄로 활용 가능한 외부감축사업은 사업 발굴부터 크레딧의 발생 및

활용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K-ETS와 같이 수급 불

균형에 따른 유동성 부족 및 배출권 가격 불안정성을 경험하고 있는

경우엔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연계의 실질적인 효과를 기 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리협정에 따른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지침이

마련이 되고 감축사업이 본격화될 경우 이를 K-ETS에 연계시킬 필요

는 있다 물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의 시장 메커니즘은 이중계

산이 허용되지 않은 상황에서 모든 국가가 자국의 감축목표를 충족시

켜야 하므로 배출권 시장에서 활용 가능한 배출권 규모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앞에서 다룬 쌍방형 직접 연계와 함께 보조적

으로 사용된다면 효과성은 커질 것이다

나 K-ETS와 EU-ETS 간 연계를 위한 시사점

여기서는 다양한 연계 유형별 편익과 비용에 한 논의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과 EU 배출권 시장 간의 연계를 위한 시사점을

검토해보기로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가장 바람직한 연계의

방식은 시장 유동성과 비용효과성도 제고하면서 에너지 및 기후정책의

자율성을 최 한 확보할 수 있는 단방향 연계일 것으로 전망된다 즉

K-ETS는 EU-ETS 시장에 한 접근성을 가지나 EU-ETS는 K-ETS에

한 접근성을 허용하지 않는 방식이 가장 K-ETS에 유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시장 연계는 본격적인 시장 연계를 위한 준비기와 같은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81

예외적인 상황을 제외하고는 EU측에서 연계에 동의하지 않을 가능성

이 높아 실현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보인다

K-ETS를 운영하는 우리 정부 입장에서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과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 중 어느 쪽이 더 바람직한지 여부는 두 시장

의 시장 연계 전 배출권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따라 함의하는

바가 달라질 수 있다

먼저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

격에 비해 낮은 경우에 해 고려해보자 이 경우 시장 연계 이후에는

K-ETS 배출권 수요 증가로 K-ETS 가격은 상승하고 EU-ETS 배출권

의 가격은 낮아지게 된다 비용효과성의 측면에서 비록 K-ETS 참여업

체 중 배출권 순 구매자들의 구매 비용은 증가하겠지만 순 판매자들은

높아진 가격 상승의 혜택을 보게 되며 이론적으로는 전체적인 비용효

과성은 향상된다 그러나 연계 이전에 배출권 공급량 부족으로 유동성

문제에 고질적으로 시달리는 K-ETS의 입장에서 유동성 제고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 왜냐하면 K-ETS 배출권 가격이 상 적으로 낮기

때문에 K-ETS 배출권 수요가 늘어나고 이로 인해 K-ETS 배출권 확보

가 더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책 자율성의 측면에서 K-ETS 배

출권 가격이 상 적으로 낮다는 것이 EU측에 외형상뿐만 아니라 실질

적으로도 한국의 감축목표 강도가 약하다는 신호로 작용하여 감축목표

상향에 한 요구가 강해질 수 있다 한편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EU측이 유상할당의 비중을 상응하게 조정하자고 요구할 때 이를 거부

할 논거가 마땅치 않다 특히 한국의 감축목표 강도가 낮다는 선입견

은 유상할당 비중의 확 를 뒷받침해주는 또 다른 논거로 작용할 가능

성이 있다 만약 연계 이후 그러한 정치적 압력의 결과로서 실제로 유

82

상할당 비중이 늘어날 경우 참여업체의 경제적 부담이 커지게 되며 시

장 연계에 한 국내 업체들의 수용성은 크게 악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낮은 경우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일부 비용효과성 제고라는 편익

이 존재하지만 유동성 제고나 정책 자율성 확보 등의 측면에서 지불해

야 하는 비용이 더 클 가능성이 크다 한편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의 연계

는 비록 비용효과성의 제고에는 제한적일 수 있으나 감축목표의 상향

유상할당 비중 확 등 참여업체에 직접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외부의

정치적 압박에 보다 유연하게 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으로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

권 가격에 비해 높은 경우를 살펴보자 이 경우 시장 연계 이후에는

K-ETS 배출권 수요의 일부가 EU-ETS로 이전하여 K-ETS 가격은 낮

아지고 EU-ETS 배출권의 가격은 상승한다 비용효과성의 측면에서

K-ETS 참여업체 중 배출권 순 구매자들의 구매 비용은 줄어들게 되

며 비록 순 판매자의 배출권 판매 수입은 줄어드는 부분이 있지만 전

체적인 비용효과성은 증 된다 한편 K-ETS가 현재 겪고 있는 유동

성 부족 문제는 보다 저렴한 규모 EU-ETS 시장에 한 접근성이

커짐에 따라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책 자율성과 관련한

사항은 다소 분명치 않다 K-ETS 배출권 가격이 상 적으로 높기 때

문에 실질적인 감축목표의 강도가 높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가질 수 있

는 반면 외형상의 감축목표의 강도가 비교적 낮은 편이므로 감축목표

의 강도를 상응하게 조정해야 한다는 EU측의 정치적 압박에 자유롭기

쉽지 않을 수 있다 이와 함께 유상할당의 비중을 EU측과 상응하게 조

정해야 한다는 압력에서도 자유롭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83

결과적으로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높은 경우엔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

해 비용효과성 및 유동성 제고 등에서 더 큰 편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만 정책 자율성 확보나 유상할당 비중 최소화를 통

한 업계 부담 완화 및 수용성 확보의 관점에선 여전히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유리하다 물론 K-ETS 배출권의 높은 가격을 실질적인

높은 감축목표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을 통

해서도 정책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

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연계 이후 외부로부터의 정치적 압력

에 응하기 여의치 않을 경우엔 정책 자율성과 관련한 손실을 감수해

야 한다 만일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

이 크지 않다면 정책 자율성과 업계의 경쟁력을 고려한 부담 최소화

및 제도 수용성 확보가 더 용이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여전히

설득력 있는 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면 시장 연계 전 양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어

떻게 형성되는지 배출권 가격의 차이가 실질적인 감축목표 강도로

EU-ETS 측에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 질 수 있는지 등에 따라 바람직

한 시장 연계의 방식은 달라질 수 있다56) 전체적으로 lsquo완전 쌍방향rsquo

56) 실제로 K-ETS와 EU-ETS의 배출권 가격이 향후 어떻게 전개될 지는 현재로선 예측하기 어렵다 톰슨로이터의 전망에 따르면 EU의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경매연기 배출권의 배출권 비축 시나리오 하에서 2030년까지 EUA의 가격은 약 60유로(한화로 약 78000원선)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Point Carbon 2014) K-ETS의 배출권 가격 전망 자료는 찾기 어려우나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의 목표를 기준으로 할 때 2030년까지 현 수준보다 크게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외견상의 감축목표의 강도를 볼 때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낮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산업middot발전부문의 한계감축비용을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2030년 기준으로 한계감축비용이 톤당 10만원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안영환

84

연계방식은 비용효과성과 유동성 확보의 측면에서 다소 유리하지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정책 자율성 확보 업계 부담 최소화

및 수용성 확보의 차원에서 다소 불리할 수 있다 결국 우리 정부가 시

장 연계에 따라 어떤 가치를 더 보호할 필요가 있는지에 관한 정책적

판단에 따라 연계의 방식은 달라질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지적하고 싶은 것은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도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적절히 설정할 경우 상당한 비용효과성

및 유동성 제고의 편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만

일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서 설정한 lsquo비중rsquo을 넘어 완전한 쌍방향

연계로 전환할 때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이 그리 크지 않다면 정

책 자율성 확보에 유리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가 더 바람직한 연계 방식

이 될 수 있다 다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시 바람직한 상 편 배출권

의무 활용 비중이나 레지스트리 등과 같은 기술적인 부분은 본 연구의

범위를 벗어나는 문제이므로 후속 연구로 남겨두기로 한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에 맞는 연계의 방식은 캘리포니아

-퀘벡 또는 스위스-EU-ETS와 같은 해외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와는

달리 완전 쌍방향 연계 방식보다는 부분 쌍방향 연계 방식이 더 적합

할 수 있다 처음부터 완전 쌍방향 연계 방식을 취하기보다는 단계적middot

점진적으로 완전 쌍방향 연계로 확 해나가는 방향이 정책적 자율성을

확보하고 K-ETS가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좋은 안이 될 수 있

다 EU의 입장에서도 배출권 시장 규모를 확 하고 기후변화에 한

middot 김동구 2017) 물론 저렴한 비용에 다량의 감축이 가능한 산업공정 및 폐기물 건물 부문 등에 한 분석이 제외되었다는 한계가 있지만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높게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눈여겨볼만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85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한다는 차원에서 연계에 부정적이지는 않을 것으

로 보인다 특히 자체적 노력을 통해 감축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EU

의 입장에서도 스위스에 비해 상 적으로 큰 규모의 K-ETS와 완전 쌍

방향 직접 연계 방식보다는 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이 보다 바람

직한 연계 방식이다 왜냐하면 규모가 큰 시장과의 연계로 인해 자체

감축 수요보다 타 시장 배출권 구입을 통해 목표를 충당하려 할 경우

목표로 하는 자체 노력에 의한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에 차질을 빚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은 단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EU의 이해와도 부합되는 측면이 있고

따라서 정책 방안의 실현가능성 또한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6장 결론 87

제6장 결 론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도는 시장 기제를 활용하여 비용효과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표적인 감축 수단으로서 우리나라를 포함

하여 EU 캘리포니아 등 여러 국가에서 채택하여 시행하고 있다 특히

파리협정 이후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와 맞물려 그간 독

자적으로 운영되어 오던 배출권 시장을 서로 연계하여 비용효과성을 극

화하고 시장 유동성을 제고하며 기후변화 응 관련 국제적 리더십을

확보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배출권 시장 연계는

단순히 전문가 차원의 관심을 뛰어 넘어 퀘벡-캘리포니아 배출권거래제

도 및 스위스-EU 배출권거래제도의 연계 사례를 통해 실현되고 있다

배출권 시장 연계에 한 그간의 여러 연구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의

연계가 시장 규모의 확 를 통해 비용효과성을 제고하고 유동성 확

및 가격 안정화 등의 여러 가지 편익을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국 내 정책에 한 규제당국의 개입 범위를 축소시켜 정책 자율성을

저해하며 자국 내 기업들의 비용부담을 오히려 증 시키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환경건전성까지 악화시킬 가능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배출권

시장 연계는 편익뿐만 아니라 발생 가능한 다양한 부작용들을 종합적

으로 고려해서 결정해야 하는 다면적인 정책 의사결정 과정임에 유념

해야 한다

배출권 시장 간 연계가 성공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연계하는 두

시장의 제도적 설계요소들을 적절히 맞추어나갈 필요가 있다 상 부

문의 감축목표 강도 할당방식 이월middot차입middot상쇄 등 유연성 기제 배출권

88

가격 및 공급량 관리제도 MRV 체계 페널티 제도 등 고려해야 할 다

양한 설계요소들이 있다 특히 감축목표의 강도 유상할당의 규모 상

쇄제도 MRV 체계 등은 연계 과정에서 핵심 쟁점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연계 과정에서 규제 당국 간의 적절한 조율이 필요하다

배출권 시장 간 연계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사례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퀘벡-캘리포니아 및 스위스-EU의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는 연계를 통해 두 시장이 상호간 혜택을 보

아야 하고(상호 호혜성) 연계되는 두 시장의 배출권 설계요소가

동소이하며(핵심 설계요소의 일치성) 당사국들의 강한 정책적 의지가

수반되어야 성공적인 시장 연계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배출권 시장 연계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유형별로

는 lsquo완전통합형rsquo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형rsquo 외부 크레딧을 통한 lsquo간접 연계rsquo lsquo단방향 연계형rsquo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 연계 유형별로 가지는 장middot단점이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시

장의 완전통합형에 가까울수록 비용효과성과 시장 유동성 및 가격 안

정성은 높아지는데 반해 정책 자율성은 낮아진다 단방향 연계형은 연

계가 허용된 시장에는 비용효과성 유동성 및 가격 안정성을 제공하면

서 정책 자율성까지 보장하는 장점이 있으나 연계를 허용하지 않은 시

장에서는 연계의 혜택을 누리기 어려우므로 상호 호혜성의 측면에서

실현되기 어려운 방식이다 다만 두 시장을 직접적으로 연계하기 전에

다양한 설계요소를 조정하기 위한 중간 단계로서 단방향 연계 방식이

채택될 수는 있을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의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타 배출권 시장과의 연계가 논의되고 있는 상황에서 가장 유력하게

제6장 결론 89

거론되고 있는 EU-ETS와의 연계를 상정하여 주요 쟁점사항과 바람직

한 연계 방식에 해 검토해 보았다

EU-ETS와 연계할 경우 가장 첨예한 쟁점사항으로 부각될 수 있는

요소로는 감축목표 강도 및 유상할당 규모의 상응성 간접배출에 한

할당 등을 꼽을 수 있다 실질적인 체감도와는 무관하게 외형상의 EU

와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할당방식에 있어서 EU-ETS와 달리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은 무상할당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EU-ETS와의 유상할당 규모의 차이는

2030년까지 상당 수준에서 차이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EU-ETS와 연계를 논의할 때 산업경쟁력 및 탄소누출에 한 우려를

들어 감축목표의 강도와 유상할당 규모의 상응성이 핵심 쟁점으로 부

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간접배출에 한 할당도 이중계산 및 횡

재이윤의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쟁점사항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월 차입 시장관리 MRV 등의 요소는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긴 하나 EU-ETS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기 때문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할 때 다양한 시장 연계의 유형 중 어떤 방식이

우리에게 보다 적합할지 살펴보았다 lsquo완전 통합형rsquo은 사실상 정책 결

정에 우리 정부가 개입할 여지를 없애는 방식이므로 적합지 않은 방식

이며 외부 크레딧을 통한 lsquo간접 연계rsquo 방식만으로는 유동성 부족에 고질

적으로 시달리는 국내 배출권 시장의 문제를 해결하기에 모자람이 많

다 다만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와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 방식 중

어떤 방식이 우리 현실에 더 적합한지는 연계 이전에 두 시장의 배출

권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가 그리고 배출권 가격의 차이가 실질적인

90

감축목표의 강도로 받아들여 질 수 있는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은 비용효과성과 유동성 확보의

측면에서 다소 유리하지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정책 자율

성 확보 업계 부담 최소화 및 수용성 확보의 차원에서 다소 불리하다

먼저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낮게

형성된다면 국내 배출권에 한 외부 수요가 증 되므로 lsquo완전 쌍방

향rsquo 연계방식을 채택하더라도 K-ETS의 고질적인 유동성 부족을 해결

하는데 큰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다 반면 정책 자율성에 있어서 손실

을 감수해야 하므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보다 적합하다

다음으로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

해 높고 그러한 높은 시장 가격을 근거로 실질적인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충분히 받아들여진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은 시장 가격에도 불구하고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받아들여지지 못한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은 국내 참여업체들의

비용부담을 가중시키고 제도의 수용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도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적절

히 설정할 경우 상당한 비용효과성 및 유동성 제고의 편익을 얻을 수

있다 만일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서 완전한 쌍방향 연계로 전환할

때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이 그리 크지 않다면 정책 자율성 확보

에 유리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가 더 바람직한 연계 방식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해외 주요국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에서처럼 처음부터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EU-ETS와 연계하기 보다는 초기 단계에서는 적절

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EU-ETS 배출권을 구매해서 의무이행에 활

용하는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배출권 시장을 연계한 후 점진적으로

제6장 결론 91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높여나가는 방식이 바람직할 것으

로 판단된다

또한 최근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으로 논의되는 협력적 접근

법이나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에 의한 감축실적도 상쇄배출권으로 허

용하도록 함으로써 간접적인 연계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시장 메커니

즘에 한 지침이 확정되면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이들 접근법을 활용

한 다양한 감축사업들이 전개될 수 있으며 연계 상이 되는 타 시장

(예를 들어 EU-ETS)도 그러한 시장 메커니즘을 자국의 배출권 시장과

연계시킬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간접연계는 국제적으로 공인된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함과 동시에 lsquo부분 쌍방향 연계 방식rsquo의 효과를 제고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93

참고문헌

lt국내 문헌gt

관계부처합동 2017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1차 계획기간 제3차 이행

연도 배출권 할당계획 변경(안)

관계부처합동 2018 보도참고자료 ldquo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전략 새롭게 만들어 갑니다rdquo

기획재정부 2017 제2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안)

박수경middot박순철middot송철호middot임철희middot이수정middot이우균 2018 ldquo한middot중 배출권거래제

연계를 위한 설계요소 및 장애요인 분석rdquo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9(4) 471-485

산업통상자원부 2016a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 수립 연구

산업통상자원부 2016b 협력적 접근법에 활용가능한 국제 규범 마련 연구

삼정 KPMG 2018 진화하는 배출권거래제(ETS) 시장과 기업의 탄소비용

응방향 삼정 KPMG Issue Monitor 제87호

수원의제21실천협의회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 2016 ldquo제21차 기후변화

협약당사국총회 파리협정문 국문번역본rdquo

안영환middot김동구 2017 산업 발전부문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 연구 산업

통상자원부

환경부 2014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1차 계획기간 국가 배출권 할당

계획

환경부 2018 보도자료 ldquo2030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안 및 2018~2020년

배출권 할당계획 확정rdquo

94

환경부 2019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2차 계획기간 국가 배출권 할당

계획

lt해외 문헌gt

Anger N 2008 ldquoEmissions Trading beyond Europe Linking Schemes

in a Post-Kyoto Worldrdquo Energy Economics 30 2028-2049

Babiker M Reilly J and Viguier L 2004 ldquoIs international emissions

trading always beneficialrdquo Energy Journal 25(2) 33-56

Bodansky DM Hoe이 SA Metcalf GE and Stavins RN 2016

ldquoFacilitating linkage of climate policies through the Paris

outcomerdquo Climate Policy 16(8) 956-972

Burtraw D Palmer KL Munnings C Weber P and Woerman M

2013 Linking by degrees incremental alignment of cap-and-trade

markets Discussion Paper 13-04 Resource for the Future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Towards a Global Carbon Market

Prospects for Linking the EU ETS to Other Carbon Markets

Carbone JC Helm C Rutherford TF 2009 ldquoThe case for

international emission trade in the absence of cooperative climate

policyrdquo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57

266-280

Chichilnsky G and Heal G 1995 Markets with tradable CO2

emission quotas principles and practice OECD Economics

Department Working Paper No 153

DEHSt 2016 International market mechanisms after Paris

참고문헌 95

European Commission 2016 COM(2016) 482 Final

Flachsland C Marschinski R and Edenhofer O 2009 ldquoTo limk or

not to link benefits and disadvantages of linking cap-and-trade

systemsrdquo Climate Policy 9(4) 358-372

Gouvernement du Queacutebec 2018 Quebec cap-and-trade system for

greenhouse gas emission allowances(CampT) Historical Overview

Hahn R W and Stavins R 2011 ldquoThe Effect of Allowance

Allocations on Cap-and-Trade System Performance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54(4) s267-s294

Haites E and Mullins F 2001 Linking domestic and industry

greenhouse gas emission trading systems EPRImiddotIEAmiddotIETA

Helm C 2003 ldquoInternational emissions trading with endogenous

allowance choicesrdquo Journal of Public Economics 87 2737-2747

Helm D Hepburn C and Mash R 2003 ldquoCredible carbon policyrdquo

Oxford Review of Economic Policy 19(3) 420-437

IETA 2014 USE OF OFFSET CREDITS ACROSS EMISSION

TRADING SYSTEMS and CARBON PRICING MECHANISMS

IETA 2015 Case Study Linking the Swiss and EU ETS Greenhouse

Gas Market 20152016 Report

ICAP 2019a Canada - Queacutebec Cap-and-Trade System

ICAP 2019b USA - California Cap-and-Trade Program

ICAP 2019c EU Emissions Trading System (EU ETS)

Jaffe J and Stavins RN 2008 Linkage of tradable permit systems

in international climate policy architecture Discussion Paper

08-07 Harvard Project on International Climate Agreements

96

McKibbin WJ Shackleton R and Wilcoxen PJ 1999 ldquoWhat to

expect from an international system of tradable permits for carbon

emissionsrdquo Resource and Energy Economics 21 319-346

McKibbin WJ Morris A and Wilcoxen PJ 2008 Expecting the

unexpected macroeconomic volatility and climate policy Discussion

Paper 08-16 Belfer Center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Affairs

Harvard Kennedy School

Montgomery W D 1972 ldquoMarkets in Licenses and Efficient Pollution

Control Programsrdquo Journal of Economic Theory 5 395-418

Point Carbon 2014 The MSR Impact on market balance and prices

Thomson Reuters

Ranson M and Stavins RN 2015 ldquoLinkag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trading systems learning from experiencerdquo Climate

Policy 16(3) 284-300

Royal Norweigi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08 The Norwegian

Emissions Trading System Presentation to ICAO Workshop

Tietenberg T H 2006 Emission Trading Principles and Practice 2nd

Ed RFF Press

Tuerk A Mehling M Flachsland C and Sterk W 2009 ldquoLinking

carbon markets concepts case studies and pathwaysrdquo Climate

Policy 9(4) 341-357

UNFCCC 2015 Paris Agreement

UNFCCC 2016 Decision1CP21

참고문헌 97

lt기사 및 웹사이트gt

ClimateWire 2013 ldquoEU market troubles will prevent emissions trading

linkage - Califairchiefrdquo

EC 홈페이지 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reform_en

EC 홈페이지 httpseceuropaeuclimapolicieseffortregulation_en

EC 홈페이지 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allowances_en

Emissions-ETScom 홈페이지 httpswwwemissions-euetscomcarbon-

market-glossary872-european-union-emissions-trading-system-eu-ets

Emissions-ETScom 홈페이지 httpswwwemissions-euetscomborrowing

Exchange Monitor 홈페이지 ldquoCALIF FORGING AHEAD WITH EMI

SSIONS TRADING NEXT MONTH AIR CHIEF CONFIRMSrdquo

httpswwwexchangemonitorcomcalif-forging-ahead-with-emissions

-trading-next-month-air-chief-confirmsprintmode=1

Federal Office for the Environment Switzerland ldquoLinking of the Swiss

and European emissions trading systems big step forwardrdquo

httpswwwbafuadminchbafuenhometopicsclimatenews-releases

msg-id-67745html

Sandbag Carbon Price Viewer httpssandbagorgukcarbon-price-viewer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Western_Climate_Initiative

심 성 희

現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lt주요저서 및 논문gt

985172배출권거래제의 최적 운영을 위한 사회 여건 연구985173 에너지경제

연구원 기본연구 2012

985172배출권 경매의 이론과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 연구985173 에너지경제

연구원 기본연구 2013

985172우리나라 배출권거래제 진단과 개선방안985173 에너지경제연구원 기본

연구 2017

수시연구보고서 18-02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

2019년 1월 31일 인쇄

2019년 1월 31일 발행

저 자 심 성 희

발행인 조 용 성

발행처 에너지경제연구원

983732983732983733983732983731 울산광역시 종가로 405-11

전화 (052)714-2114(代) 팩시 리 (052)-714-2028

등 록 제 369-2016-000001호(2016년 1월 22일)

인 쇄 디자인 범신

에너지경제연구원 2019 ISBN 978-89-5504-725-7 93320

파본은 교환해 드립니다 값 7000원

본 연구에 포함된 정책 안 등 주요 내용은 에너지경제연구원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닌 연구진의 개인 견해임을 밝혀 둡니다

Page 3: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요약 i

lt요 약gt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파리협정(Paris Agreement) 제6조에 근거하여 탄소시장 메커니

즘에 관한 국제사회의 논의가 진행 중이다 우리 정부도 이러한 국제

사회의 논의에 발맞추어 ldquo국제 탄소시장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국제기

준에 부합rdquo하도록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하고 ldquo장기적으로 배출권거래

제 국제 연계를 추진rdquo할 계획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최근 한-중-일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 지역의 탄소

시장 연계와 한국-EU 탄소시장 협력체계 등 배출권 시장의 국제 연계

에 관한 논의가 전문가 차원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배출권

수급 불균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

시장의 국제 연계는 시장의 규모화를 통한 거래 활성화 및 국내 기업

감축비용 완화를 위한 매력적인 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배출권 시장 연계는 편익뿐만 아니라 발생 가능한 다양한 부

작용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결정해야 하는 다면적인 정책 의사결정

과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를 둘러싼 다양한

이론적middot실증적 논의와 파리협정하의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최근 협상 동향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을

주요국(EU) 배출권 시장과 연계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쟁점들

연계의 잠재적 편익과 비용을 전망해보고 시장 연계의 바람직한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ii

2 주요 내용 및 정책 제언

배출권 시장 간 연계가 성공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연계하는 두

시장의 다양한 설계요소들에 한 조율이 필수적이다 감축목표 강도

할당방식 이월middot차입middot상쇄 등 유연성 기제 배출권 가격 및 공급량 관리

제도 MRV 체계 페널티 제도 등이 고려해야 할 주요 설계요소들이

다 특히 감축목표의 강도 유상할당의 규모 상쇄제도 MRV 체계는

연계 과정에서 핵심 쟁점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

배출권 시장 간 연계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사례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퀘벡-캘리포니아 및 스위스-EU의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는 연계를 통해 두 시장이 상호간 혜택을

보아야 하고(상호 호혜성) 연계되는 두 시장의 배출권 설계요소가

동소이하며(핵심 설계요소의 일치성) 당사국들의 강한 정책적

의지가 수반되어야 성공적인 시장 연계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배출권 시장 연계는 유형별로 lsquo완전통합형rsquo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 외부 크레딧을 통한 lsquo간접 연계rsquo lsquo단방향

연계형rsquo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시장의 완전통합형에

가까울수록 비용효과성과 시장 유동성 및 가격 안정성은 높아지는데

반해 정책 자율성은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K-ETS와 EU-ETS와의 연계하는 시나리오를 상정하여 연계

시 발생가능한 주요 쟁점사항과 바람직한 연계 방식에 해 검토해

보았다

EU-ETS와 연계할 경우 감축목표 강도 및 유상할당 규모의 상응성

간접배출에 한 할당 등이 쟁점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

인다 이월 차입 시장관리 MRV 등은 EU-ETS와 큰 차이를 보이지

요약 iii

않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양한 연계 방식 중 가장 유력한 안은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와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 방식이다 이중 어떤 방식이 우리 현실에 더

적합한지는 연계 이전에 두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가

그리고 배출권 가격의 차이가 실질적인 감축목표의 강도로 받아들여

질 수 있는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은 비용효과성과 유동성 확보의

측면에서 다소 유리하지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정책 자율

성 확보 업계 부담 최소화 및 수용성 확보의 차원에서 다소 불리하다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낮게 형성된다

면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보다 적합하다 왜냐하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을 채택하더라도 K-ETS의 고질적인 유동성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높고 그러한 높은 시장 가격을 근거로

실질적인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충분히 받아들여진다면 lsquo완전 쌍

방향rsquo 연계방식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은 시장 가격에도 불구하고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받아들여지지 못한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국내 참여업체들의 비용부담을 가중시키고 제도의 수용성을

떨어뜨릴 우려가 있다

결론적으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서 완전한 쌍방향 연계로

전환할 때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이 크지 않다면 정책 자율성 확보에

유리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가 더 바람직한 연계 방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처음부터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EU-ETS와 연계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 초기 단계에서는 적절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EU-ETS

iv

배출권을 구매해서 의무이행에 활용하는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배출권

시장을 연계한 후 점진적으로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높여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끝으로 최근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으로 논의되는 협력적 접

근법이나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에 의한 감축실적도 상쇄배출권으로

허용하도록 함으로써 간접적인 형태의 연계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시

장 메커니즘에 한 지침이 확정되면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이들 접근

법을 활용한 다양한 감축사업들이 전개될 수 있으며 연계 상이 되는

EU-ETS도 시장 메커니즘과 연계할 가능성이 높다 간접연계와 병행할

경우 국제적으로 공인된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함과 동시에 lsquo부분 쌍방

향 연계 방식rsquo와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i

ABSTRACT

1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The carbon market mechanism under Article 6 of the Paris

Agreement has recently become one of hot issues in the UNFCCC

negotiations talk In line with the discussions of the international

climate negotiations the Korean government has a future plan to link

its emission trading system with the international carbon market and

furthermore considers to promote international linkage with foreign

emission trading systems in the long term

Against this backdrop the international linkage of emission trading

markets such as the carbon market linkage of Northeast Asia carbon

markets or Korea-EU carbon markets have been actively discussed at

the expert level In particular an international linkage of the emission

trading market in Korea which is suffering from imbalances in

supply and demand for emissions allowances has been mentioned as

an attractive alternative for expanding trade volumes and reducing

domestic carbon mitigation costs through enlarging the market size

However a linkage of emission trading markets is a multi-faceted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that should take into account a range of possible

side-effects as well as benefi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various

theoretical and empirical discussions surrounding the linkage of emission

ii

trading markets and recent negotiations on the international carbon market

mechanism under the Paris Agreement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ossible issues that may arise when linking Korean emission

trading market with the EU-ETS in the future its potential benefits and

costs of linkage and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sirable direction

of emissions trading market linkage

2 Summary and Implications

The coordination of the various design elements of the two emissions

trading markets that would be linked is essential for a successful linkage

between emissions trading markets The stringency of GHG reductions

targets allocation methods flexibility mechanisms such as banking

borrowing and carbon offset emission allowances price and supply

management schemes MRV and penalty schemes and so on are key design

factors to consider to link with other emissions trading schmes In

particular the stringency of GHG reductions targets the size of auctioned

units offset schemes and MRV systems are likely to emerge as key issues

in the linking process

We can learn some policy implications from examples of successful

linkages between emissions trading markets such as Quebec-California and

Switzerland-EU linkages ① linking the two markets are mutually beneficial

from each other ② the key design elements of the two emissions trading

markets that be linked are similar ③ It shows that the strong policy will

of the Parties is accompanied by successful market linkage

Abstract iii

Emission trading market linkages can be categorized into lsquofull

integrationrsquo lsquofull direct linkrsquo lsquopartial direct linkrsquo lsquoindirect linkrsquo through

carbon offset credits Basically the closer the market is to a fully

integrated type the higher the cost effectiveness market liquidity and price

stability while lowering policy autonomy

Next a scenario of linking K-ETS and EU-ETS was considered and the

main issues of the linkage scenario and desirable linking methods were

examined

In connection with the EU-ETS it is highly likely that issues such as

the stringency of GHG reduction targets the size of auctioned units and

the allocation of indirect emissions will be highlighted Banking borrowing

market management and MRV are not expected to be a big problem as

the design features between the two emissions trading schemes are not

quite different The most promising alternatives among the various linking

methods are lsquofull direct linkrsquo and lsquopartial direct linrsquo Which of these

methods is better suited to Korean emissions trading scheme depends on

the differences in emissions allowancesrsquos prices in the two markets

In general a lsquofull two-way direct linkrsquo is somewhat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effectiveness and market liquidity but it is somewhat

disadvantageous in terms of securing policy autonomy minimizing the

burden on the industry and securing social acceptance If the K-ETSrsquos

emissions allowances price is lower than that of EU-ETS compared to

without the linkage the lsquopartial two-way direct linkagersquo is more

appropriate This is because it will be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of

iv

K-ETSrsquos lack of liquidity even if it adopts the lsquofull two-way direct linkagersquo

method On the other hand if the emissions allowances price of K-ETS is

higher than that of EU-ETS before the market linkage and if counter-part

market planner would accept the high emissions allowances price as a

signal of the corresponding stringency of Korearsquos GHG reductions target a

full two-way direct linkage could be advantageous However despite the

high market price if it is not acceptable as a signal of an high ambition of

GHG reductions a full two-way direct linkage may only increase the cost

burden of domestic participants and reduce the acceptability of the system

In conclusion if the additional benefits of transition from a partial

two-way direct linkage to a full two-way direct linkage are not significant

the partial two-way direct linkage which is advantageous for securing

policy autonomy will be a more desirable way Thus we recommend that

it is not advisable to link with the EU-ETS in a full two-way direct

manner from the outset In the early stages it would be advisable to link

the markets in a partial two-way direct manner in which EU-ETS

allowances are freely purchased and used to fulfill their obligations within

an appropriate range and then gradually increase the share of obligations

of the other allowances

Finally indirect linkage need to be paralleled by allowing the GHG

reductions credits by cooperative approaches or sustainable development

mechanisms under Article 6 of the Paris Agreement Once the guidelines

for market mechanisms are finalized in the near future various mitigation

activities can be developed at the global level In fact EU-ETS is also

Abstract v

likely to allow some credits from the market mechanisms Thus in parallel

with indirect linkages the market mechanisms under Article 6 of the

Paris Agreement also need to be utilized in parallel with a lsquopartial two

way direct linkagersquo between K-ETS and EU-ETS that would create

synergistic effects of the carbon market linkage

차례 i

제목 차례

제1장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제2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편익과 비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가 비용효과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나 시장 유동성과 가격 안정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다 동태적 효율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라 환경 건전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마 정치적 편익과 비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2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주요 고려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나 상쇄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다 배출권 가격 및 공급관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라 배출권 할당방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마 상 온실가스 및 적용 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

바 이월 및 차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

사 기타 고려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가 직접 연계 완전 통합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ii

나 직접 연계 쌍방향 연계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

다 직접 연계 단방향 연계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라 간접 연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

2 배출권 시장 연계의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가 스위스 배출권거래제와 EU-ETS의 연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나 퀘벡과 캘리포니아 배출권거래제의 연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

다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추진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3 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

가 상호 호혜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

나 핵심 설계요소의 유사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

다 정책적 의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 동향과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1 파리협정 이후의 탄소시장 논의 동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가 주요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나 후속협상 주요 경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다 주요 쟁점 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2 Post-2020 탄소시장 전망과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1 우리나라 ETS와 EU-ETS의 주요 설계요소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나 할당방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다 유연성 메커니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

라 의무이행 관련 사항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

차례 iii

2 K-ETS와 EU-ETS 연계 시 예상 쟁점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가 감축목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나 할당방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8

다 상쇄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9

라 기타 사항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3 배출권 시장 연계 방식별 편익 비용 그리고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3

가 시장 연계 유형별 편익 비용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3

나 K-ETS와 EU-ETS 간 연계를 위한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제6장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iv

표 차례

lt표 Ⅲ-1gt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표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

lt표 Ⅲ-2gt 스위스와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

lt표 Ⅲ-3gt 캘리포니아-퀘벡과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

lt표 Ⅳ-1gt 파리협정 제6조 주요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

lt표 Ⅴ-1gt 우리나라와 EU의 배출권거래제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차례 v

그림 차례

[그림 Ⅱ-1] A국과 B국의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에 따른 가격결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제1장 서론 1

제1장 서 론

최근 파리협정(Paris Agreement) 제6조에 근거하여 2020년 이후 국

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의 구체적인 정의 구조 기능 활용방법 절차 및

거버넌스 등에 관한 국제사회의 논의가 진행 중이다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활발한 논의의 배경은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할 경우

비용효과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 출발한다 이

와 같은 국제사회의 논의와 발맞추어 우리 정부도 2030년까지 BAU

비 37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제시하면서 목표 감축량의 45를 산

림흡수원 및 해외 감축분을 통해 달성하겠다고 밝히고 있다(관계부처

합동 2018)

한편 우리나라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비용효과적으로 달성하

기 위해 2015년부터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도입middot운영 중이다 지난

2017년에 발표된 제2차 계획기간(2018~2020년) 동안의 배출권거래제

운영방향을 제시한 제2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은 5가지 배출권거래

제 운영의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정부는 ldquo국제 탄소시장

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국제기준에 부합rdquo하도록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할

계획이며 특히 ldquo장기적으로 배출권거래제 국제 연계를 통한 해외 상

쇄 등 활성화로 유연성 제고 및 감축비용 절감 도모rdquo를 천명하였다

(기획재정부 2017) 이러한 기본계획의 방향성을 이어받아 최근 한-중

-일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 지역의 탄소시장 연계와 한국-EU 탄소시장

협력체계 등 배출권 시장의 국제 연계에 관한 논의가 전문가 차원에서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배출권 수급 불균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

2

는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 시장의 국제 연계는 시장의 규모

화를 통한 거래활성화 및 국내 기업 감축비용 완화를 위한 매력적인

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잘 알다시피 배출권거래제는 이론적으로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한

가장 비용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EU-ETS를 시작으로 여러

국가에서 배출권거래시장이 운영되고 있는 가운데 각 국가의 배출권거

래시장의 연계는 이론적으로 배출권 시장의 규모화를 통해 비용절감

효과를 극 화시키고 참여 국가들의 편익을 증가시킬 것으로 여겨진

다 그러나 Flachsland et al(2009) Ranson and Stavins(2015) 등의 기

존 연구들은 배출권 시장의 국제적 연계가 비록 이론적으로는 경제적

효율성을 증 시키지만 경제성만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매우 다면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론이 예상하는 바와 다른 다양한 부작용이 존

재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를 둘러싼 다양한 이론적middot실증적

논의와 파리협정하의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최근 협상 동향

을 검토해보기로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을 주요

국(EU) 배출권 시장과 연계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쟁점들 연계

의 잠재적 편익과 비용을 전망해보고 시장 연계의 바람직한 방향에 관

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의 편익

과 비용에 관한 그간의 이론적middot실증적 논의를 검토하고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해 논의한다 제3장에서는 배출권 시장이 연계

되는 다양한 유형과 더불어 퀘벡-캘리포니아 스위스-EU 등 배출권 시

장 연계의 해외 사례를 살펴보고 그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

제1장 서론 3

점을 도출하였다 제4장은 파리협정하의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최근 협상동향과 전망에 해 논의한다 제5장에서는 표적인 배출권

시장인 EU-ETS와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K-ETS)의 연계를 상정한 정

성적인 사례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EU-ETS와 K-ETS의 연계

시 부각될 수 있는 다양한 쟁점들과 시장 연계에 따라 우리가 얻을 수

있는 편익과 비용에 해 전망해보고 K-ETS의 입장에서 바라본 바람

직한 배출권 시장 연계의 방향에 해 모색해 보았다 끝으로 제6장에

서는 앞선 논의들을 종합 정리하면서 보고서를 매듭짓기로 한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5

제2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본 장에서는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배출권 시장 연계와 관련한 이론

적 실증적 논의 동향을 살펴본다 그간 배출권 시장 연계와 관련된 무

수히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하나의 축은 배출권 시장을 연계

할 경우 얻을 수 있는 편익과 비용에 관한 논의이며 다른 하나는 배출

권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요소에 한 논의로 별된다(Helm

2003 Anger 2008 Babiker et al 2004 Jaffe and Stavins 2008

Carbone et al 2009 Flachsland et al 2009 등) 또한 편익 비용 그

리고 연계 시 두될 쟁점들을 종합적으로 다룬 연구들도 다수 존재한

다(Tuerk et al 2009 Flachsland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박수경 외 2018 등)

여기서는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이 다른 시장과 연계될 경우 얻을 수

있는 잠재적 편익과 비용 그리고 연계 시 반드시 짚고 가야할 고려요소

들이 무엇이 있는지에 하여 기존 연구들에서 논의하고 있는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에 해 고찰해보기로 한다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편익과 비용

가 비용효과성

서로 다른 배출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발생 가능한 표적인 경제적

편익으로 비용효과성을 꼽을 수 있다 서로 다른 두 시장의 배출권 가

격이 연계 이후 균등화되면서 두 시장의 감축비용의 총합이 줄어들기

6

때문이다(Chichilnsky and Heal 1995 Anger 2008 Flachsland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아

래와 같은 상황을 고려해보자1)

배출권거래시장이 연계된 두 국가 A와 B가 있는데 A국은 B국에

비해 상 적으로 온실가스 감축기술이 발달하여 온실가스 감축의 한계

비용이 낮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각 국의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은 [그림 -1]와 같이 그려질 수 있다 여기서 A국과 B

국의 규제 이전의 배출총량은 로 동일하다고 가정하며 A국의

배출상한은 B국의 배출상한은 라고 하자 또한 두 국가의

배출권 시장은 완전경쟁적이라고 가정하자

[그림 Ⅱ-1] A국과 B국의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에 따른 가격결정

A국 배출상한

B국 배출상한

Y

X

자료 Anger(2008 p2032) 및 Flachsland et al(2009 p362)를 참조하여 저자 재작성

1) 여기서는 Flachsland et al(2009 p362)의 도면 분석(graphical analysis)을 저자가 약간 변형하여 제시하기로 한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7

그러면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 이전 각국의 배출권 가격은 각각

와 에서 형성될 것이다 이때 각 국의 배출권 가격의 격차는 배출

권거래시장의 연계 유인이 될 수 있다 B국의 경우 상 적으로 배출권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더 낮은 비용으로 온실가스 감축하기 위해 A국

으로부터 배출권을 구매하기 원할 것이고 A국의 경우 배출권을 판매함

으로써 이익이 발생하기 때문에 배출권 시장 연계가 가능할 것이다

배출권거래 시장이 연계될 경우 A국 배출권의 수요는 증가하기 때

문에 A국에서의 배출권 가격은 상승하게 되고 B국의 경우 A국으로

부터의 배출권 유입으로 배출권 공급이 증가하므로 배출권 가격은 하

락하게 된다 즉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의 차이에 따라 A국에서 B국

으로 배출권이 이전되고 결과적으로 두 국가의 배출권 가격이 로 동

등해지는 까지 지속된다 즉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의 차이에 따른

배출권 이전으로 연계시장에서 배출권의 균형가격은 수준으로 결정

된다 이 때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에 따른 비용은 전체적으로 X와 Y

면적만큼 감소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비용효과성이 항상 달성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도 언급

하였듯이 시장 연계가 가져다주는 비용효과성을 논의할 때 두 국가의

배출권 시장이 완전경쟁적인 상황을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연계되는

두 시장에 외부성이나 왜곡적 조세체계 등으로 인한 시장 왜곡이 존재

할 경우 배출권 시장 연계는 기존의 왜곡을 오히려 강화시킴으로써 비

용효과성을 저해할 가능성도 있다(Flachsland et al 2009) 예를 들어

어떤 사유(또는 특정 목적)로 인해 에너지원 간 조세체계가 사회적으

로 바람직한 상 가격체계를 따르지 못하지만 배출권거래제를 통해 효

율적 배분이 달성되고 있는 상황을 생각해보자 이때 배출권 시장 연

계로 인해 배출권 가격이 변할 경우 에너지원 간 소비 왜곡으로 인한

8

비효율성이 발생한다 만일 배출권 시장 연계로 인한 감축비용의 감소

에 비해 그러한 비효율성이 더 크다면 배출권 시장 연계는 사회 후생

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2)

나 시장 유동성과 가격 안정성

서로 다른 배출권 시장이 연계되면 개별 배출권 시장이 독립적으로

병존할 때에 비해 전체 시장 규모는 확 되며 그로 인해 배출권 시장

의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다 시장 규모가 커지게 되면 배출권 시장에

서 유동성(liquidity)이 커지게 되며 배출권 가격의 안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Flachsland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특히 유동성 확 와 그로 인한 배출권 가격 안정의 효과는 연계 이전

에 시장 규모가 상 적으로 작은 시장에서 크게 나타난다 시장을 연계

하기 이전에 두 시장 모두 규모가 작을 경우 양쪽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시장 규모가 비 칭적인 경우 상 적으로 규모가 작은

시장에서 이와 같은 효과를 크게 누리게 된다 시장 규모가 협소하여 배

출권 수급 불균형이 자주 나타나는 시장이 보다 큰 시장과 연계할 경우

수급 불균형에 따른 문제를 크게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장 연계가 반드시 규모가 상 적으로 작은 시장의 가격 안

정성을 증 시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특정 배출권 시장의 변동성이

다른 배출권 시장으로 전이될 수도 있다(Mckibbin et al 2008) 만일

연계하는 큰 규모의 상 편 배출권 시장에서 과다 할당 과다한 상쇄

배출권의 유입 등의 이유로 규모 시장에서 급격한 시장 가격 변동이

발생할 경우 배출권 시장 연계는 소규모 배출권 시장의 가격 불안정성

2) Babiker et al(2004)와 Mckibbin et al(1999) 등은 기존 시장에서의 왜곡이 존재할 경우 배출권 시장 연계가 반드시 효율성을 가져다주는 것은 아님을 보여주었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9

을 오히려 크게 확 될 것이다 결국 배출권 시장 연계가 가격 안정성

에 미치는 효과는 연계되는 시장의 규모에 따라 다르며 수급 불균형

에 따른 효과의 동태적 경로 또한 가격 충격의 근원지가 어디냐에 따

라 비 칭적으로 나타날 것이다

다 동태적 효율성

온실가스로 인한 기후변화는 국지적이며 단기적인 이슈가 아닌 글로

벌한 장기적인 이슈이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 정책 당국자들이 매우

높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강도 높은 감축수단의 이행을 약

속했다고 하더라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러한 감축목표와 수단의 강

도를 낮추고자 하는 유인에 직면할 수 있다3)

이때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동태적 비일관성의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다(Flachsland et al 2009) 기후변화 정책의 동

태적 비일관성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정책 당국자가 재량적 의사결정

을 할 여지가 늘어나기 때문에 발생한다 만일 두 국가(또는 지역)의

배출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특정 국가의 배출권거래제도와 관련된 재

량적 의사결정(배출상한의 설정 배출권의 할당 상쇄제도 등)은 연계

된 전체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일단 시장이 연계되고 난

이후에는 그러한 의사결정 시 다른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하는 국가(또

는 지역)와 충분한 사전협의를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상 국가(또

는 지역)의 명시적 또는 암묵적 압력에 직면하게 되며 독자적인 배출

권 시장을 운영하는 경우에 비해서 감축의 강도를 낮추는 방향으로 재

3) 이른바 동태적 비일관성(time inconsistency problem)의 문제로서 Helm et al(2003)은 기후변화정책에서의 동태적 비일관성을 다루고 있다

10

량적 의사결정하기가 더 어렵다 이처럼 배출권 시장 연계는 특정 국

가에서 재량적 의사결정을 할 여지를 낮춤으로써 안정적인 탄소가격

신호를 전달하고 감축투자를 촉진하는데 도움이 된다4)

물론 배출권 시장 연계의 구체적인 유형에 따라 동태적 효율성의 크

기는 달라질 수 있다 상 편 시장의 배출권을 의무이행에 일부 허용

하는 방식의 느슨한 연계보다는 전체 감축목표 및 배출상한을 상호 협

의하는 방식의 연계가 동태적 효율성 확보에 유리할 것이다

라 환경 건전성

선행 연구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 연계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일률적이지 않다 Carbone et al(2009)에 따르면 배출

권 시장 연계는 그렇지 않을 때에 비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 환경

건전성에 도움을 준다 Carbone et al(2009)은 한계감축비용과 감축의

환경적 편익이 높아서 배출권의 순 구매자가 되는 국가들과 한계감축

비용이 낮고 배출의 한계편익이 낮아 배출권의 순 판매자가 될 소수의

규모 배출권 판매 국가들이 서로 연계하는 상황을 상정하여 분석하

였다5) 이때 배출권 할당량은 참여하는 국가들이 합의해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 주권국가로서 독자적으로 결정한다

4) 한편 항상 배출권 시장 연계가 동태적 효율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 만일 특정 국가(또는 지역)의 한계감축비용이 상당히 높아 배출권 시장 연계 이후 상당량의 배출권을 구매하는 경우 자체적인 감축노력보다는 연계된 시장에서 배출권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목표를 충당함으로써 자체 감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다양한 공편익(co-benefits) 예를 들어 기오염 저감 에너지 안보 강화 감축기술 촉진 등을 장기적으로 내재화하지 못할 가능성도 상존한다(Flachsland et al 2009)

5) 가령 배출권 순 구매자로서 EU와 배출권 순 판매자로서 개발도상국인 중국 및 러시아가 상호 연계하는 상황을 상정해보라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1

배출권 판매국가의 입장에서는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이 높은 수준으

로 유지되어 얻는 이익과 높은 배출권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배출권

할당량을 제한함으로써 잃게 되는 비용을 상호 비교하여 최적의 의사

결정을 하게 된다 만일 소수의 규모 배출권 판매국가가 공급독점자

로서 시장지배력을 가질 경우 배출권 가격 하락을 억제하기 위해 할당

량을 낮출 유인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수준은 줄

어드는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특히 Carbone et al(2009)은 EU-중

국-구소련연방이 서로 배출권 시장을 연계하는 상황에 한 연산가능

일반균형(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모형 기반 시뮬레이

션 분석을 통해 연계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서 두 배 이상의 온실가스

감축이 가능함을 보였다

반면 Helm(2003)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이 연계됨으로써 오히려 배출

권 할당량이 늘어나 환경 건전성을 저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은 배

출권 할당량을 늘임으로써 발생하는 추가적인 환경적 피해와 배출권 가

격 하락에 따른 손해에 비해 배출권 판매량의 증 에 따른 수입 증

효과가 더 큰 경우에 발생한다 이 경우 시장 연계에 따라 배출권의 순

판매국이 되는 국가는 자국의 배출권 할당량을 연계 이전에 비해 늘리

고자 하는 유인을 가지며 이로 인해 두 시장의 전체 배출권 할당량 총합

은 연계되기 전에 비해 늘어날 경우 환경 건전성을 해칠 수 있다6)

전술한 두 가지 경우 중 어느 경우가 더 현실적인 시나리오인지는

일률적으로 답하기 곤란하다 결론적으로 배출권 시장 연계가 환경

건전성에 미치는 효과는 연계되는 국가들의 한계감축비용 및 한계환경

편익의 구조 각국의 배출권 시장구조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6) 이때 순 효과의 크기는 한계감축비용 및 한계환경편익에 따라 달라진다 자세한 사항은 Helm(2003)을 참조하라

12

마 정치적 편익과 비용

배출권 시장 연계는 근본적으로 서로 다른 두 시장의 국제적인 상호

협력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국제정치적 전략의 관점에서 긍정적인 효과

를 가진다(Ranson and Stavins 2015) Ranson and Stavins(2015)가 주

장한 바와 같이 배출권 시장 연계는 기후변화 응에 한 참여 국가

의 적극적인 의사를 국제적으로 천명하는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 응과 관련한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고 국제적

인 신뢰를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7)

배출권 시장 연계가 정치적 측면의 편익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그

이면에는 치러야 할 또 다른 가가 존재한다 특정 국가가 자국의 단

일한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는 경우 정부 당국은 해당 시장에 한 배

타적인 통제권을 가지며 정책 환경 변화에 따라 유연한 응이 가능하

다 그러나 다른 배출권 시장과 연계될 경우 구속력을 가지는 국내 규

제정책에 한 국가의 개입 범위가 줄어들어 규제의 유연성을 제 로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다(Jaffe and Stavins 2008 Flachsland et al

2009)

7) 한편 Ranson and Stavins(2015)은 배출권 시장 연계가 특정 국가의 배출권 시장의 도입에 영향을 준 도구로서 활용되기도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EU-ETS는 제3기에서 최빈개도국(Least Developing Countries LDCrsquos) 국가에서 나온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 배출권만을 상쇄로 허용하겠다는 결정을 하였다 그런데 이로 인해 당시 EU 시장에서 청정개발체제 배출권 공급의 상당량을 차지하던 중국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의 시장 공급이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중국이 독자적인 자국 내 배출권 시장을 도입하게 된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물론 중국의 배출권 시장 도입이 자국의 청정개발체제 배출권 해결을 위한 방편이었다는 Ranson and Stavins(2015)의 해석에는 다소 이견이 있을 수 있으나 중국의 배출권 시장 도입이 자국의 잉여 청정개발체제 배출권 해소에 일정 부분 기여했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 이것은 배출권 시장의 연계가 아닌 lsquo연계의 단절rsquo이 특정 국가의 적극적인 기후변화 응 정책수단 도입을 이끌어낸 흥미로운 사례라고 하겠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3

후술하겠지만 배출권 시장 연계과정에서 감축목표의 강도 가격상한

여부 상쇄제도의 설계 방식 이월과 차입의 허용 정도 등 다양한 설계

요소에 따라 배출권 시장 연계 전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

다 이러한 맥락에서 배출권 시장 연계 사전에 그러한 설계요소별로

양 시장간 긴 한 협력과 조정이 필요하며 이는 결국 배출권거래제도

설계에 있어서 배타적 통제권과 규제 당국의 유연성에 해 일정 정도

의 양보가 뒤따를 수 있다8) 결과적으로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는 국

가 주권의 부분적 양도라는 정치적 도전에 직면할 우려가 있음에 유의

할 필요가 있다

2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주요 고려사항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는 경제적 정치적 측

면 등에서 연계에 따른 잠재적 편익과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배출권거래시장을 연계하여 잠재적 편익을 극 화하면서 비용을 최소

화하기 위해서는 시장 연계의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

라서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를 설계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본 절에서는 배출권거

래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할 주요 사항들에 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에 있어서 감축목표는 배출권의 가격뿐만 아

8) Flachsland et al(2009)은 ldquo연계는 기본적으로 효율성 증 와 규제적 개입의 감소 간의 상충관계를 내포한다rdquo고 지적하였다

14

니라 감축비용의 효율성 증 및 분배효과의 크기 등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배출권 시장 연

계를 다룬 여러 선행 연구들은 감축목표의 상 적 격차가 클 경우 배

출권 시장 연계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Tuerk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감축목표의 엄격성 차이가 배

출권 시장 연계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이유는 연계를 통한

경제적 편익에도 불구하고 정치적middot분배적 관점에서의 쟁점들을 부각시

켜 제도의 수용성을 낮추기 때문이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배출권 시장을 연계하는 가장 큰 논거는 비용

효과성에 있다 비용효과성은 연계하는 두 시장 간 감축비용의 차이에

서 나온다 그러나 반 로 배출권 시장이 연계된 이후 높은 감축목표

를 설정한 국가의 기업들이 상 적으로 낮은 감축목표를 설정한 국가

의 기업들로부터 거 배출권을 구입하여 자본이동이 발생하게 되면

고강도 감축목표 설정 국가의 기업들로부터 국가 간 감축목표의 형평

성 관점에서 제기되는 상당한 정치적 저항에 부딪힐 수 있다9) 또한

연계 이전에 고강도 감축목표 국가의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의 순 판

매자인 기업이 시장 연계 이후에 배출권 판매규모가 줄어들게 되고

그로 인해 연계 이전에 비해 순 편익이 줄어들 경우 분배적 이슈가 부

각될 가능성도 있다10)

9) 두 시장의 감축목표의 강도나 감축비용이 유사한 경우에는 이러한 쟁점은 사라지는 반면에 시장 연계로 인한 경제적 편익은 줄어들게 된다는 역설적인 측면이 존재한다(Ranson and Stavins 2015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10) 한편 감축목표의 상당한 차이가 나더라도 양 시장이 이를 감안한 적절한 교환비율을 설정한다면 이론적으로는 시장 연계에 큰 장애요인이 되지 않을 수 있다(Burtraw et al 2013 Ranson and Stavins 2015) 그럼에도 불구하고 Ranson and Stavins(2015)는 감축목표와 배출권 가격에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경우 시장 연계에 큰 장애요인이 될 수 있으며 ClimateWire(2013)을 인용하면서 EU-ETS 배출권 가격의 급락이 캘리포니아 배출권 시장과의 연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5

따라서 배출권시장의 연계를 추진할 경우 연계를 통한 경제적 편익

이외에도 감축목표의 엄격성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국가 간의

자본 이동 문제와 이에 따른 분배 문제에 해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

요가 있다 또한 감축목표의 강도에 해 연계 이전 양 당국자간의 충

분한 사전 논의와 조율이 선행되어야 하며 필요할 경우 시장 연계로

인해 영향을 받는 경제주체들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중요할

것이다

나 상쇄제도

상쇄제도는 배출권 시장의 공급량 및 이를 통한 시장 가격에 직접적

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자 국내적 감축활동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설계요소이다 상쇄제도가 크게 차이가 나는 서로 다른 두 시장

이 서로 연계될 때 상쇄제도의 차이로 인해 배출권의 공급 및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Teurk et al 2009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예를 들어 세계 최 배출권거래시장인 EU-ETS는 2020년 이후부터

역내 온실가스 감축노력 강화를 위해 역외 탄소상쇄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기로 하였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EU-ETS

와 다른 배출권 시장이 서로 연계되고 연계된 다른 배출권거래시장에

서 탄소상쇄의 사용을 허용할 경우 여기서 발생되는 상쇄배출권은 사

실상 EU-ETS에서 사용가능한 상황이 된다 연계된 다른 배출권거래제

의 할당배출권을 EU-ETS에 판매하는 신 그에 해당하는 양만큼의

상쇄배출권을 유입시키면 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할당배출권과 상쇄배출권은 통상적으로 상호 호환이 가

16

능하기 때문에 연계된 시장 간 상쇄의 활용에 한 다른 인식을 가지

고 있다고 하더라도 한 국가에서 상쇄제도를 허용할 경우 상쇄제도를

허용하지 않는 국가 또한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다 만일 연계를

고려중인 두 시장이 서로 다른 상쇄제도를 운영하고 있고 연계 시 상

쇄제도의 시장 수급 영향이 크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국가 간 상쇄제

도의 인식 및 활용 허용 여부 등에 한 사전 논의와 조율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될 것이다

다 배출권 가격 및 공급관리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하는 주체는 배출권 시장의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 배출권의 가격 및 공급에 관한 사항을 별도의 규정을 두어 관리

하기도 한다 여러 배출권 시장에서 도입하고 있는 배출권 가격 상middot하

한제도나 EU-ETS의 배출권 경매 연기(Back-loading of auctions) 조치

와 같은 배출권 공급량 조절 장치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11) 만약 가격

상한제 또는 하한제와 같은 배출권 가격 또는 공급량 관리 규정이 한

국가의 배출권 시장에 존재하거나 도입될 경우 이 시장과 연계되는

다른 국가의 배출권 시장에서 동일한 규정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연계

된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배출권 가격 상middot하한제도가 한 시장에 존재하고 다른 시장에는 존재

하지 않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경우 배출권 시장이 연계되어 있다

면 참여주체들의 재정거래(Arbitrage)를 통해 연계된 시장의 배출권 가

11) 배출권 경매 연기(Back-loading of auctions)는 EU 배출권 시장의 수급 안정화를 위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총 9억톤의 배출권 경매를 2019년 이후로 연기하는 조치로서 EU-ETS 경매 규제에 한 수정의 일환으로 2014년부터 시행되었다(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reform_en)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7

격은 결국 배출권 가격 상middot하한 범위 내로 수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연계된 시장의 모두에서 배출권 가격의 상middot하한제도를 도입한 것과 동

일한 결과를 가져다줄 공산이 크다

다음으로 공급량 관리 조치가 존재하는 상황을 EU-ETS 사례를 통

해 살펴보자 EU는 배출권 경매 연기에 뒤이어 배출권거래시장의 안

정화를 위해 배출권 비축제도(Market Stability Reserve 이하 MSR)를

도입하였다12) 만약 EU-ETS가 다른 시장과 연계되었다고 할 때 EU의

배출권 비축제도는 연계된 배출권 시장 전체를 상으로 한 배출권 공

급량을 기준으로 준칙이 설정되어야 배출권 시장 수급 안정화에 이상

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연계된 두 배출권 시장은 하나의 배출권 시장

으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연계된 두 시장의 전체적인 수급 불균형

이 아닌 한 시장의 수급 불균형만을 고려하여 제도를 운용할 경우 배

출권 수급 불균형 해결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를 위해서는 각

국가 간 배출권 공급과 배출권 가격에 관한 효율적인 관리 제도에 관

해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라 배출권의 할당방식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배출허용총량이 주어진 상황에서 배출권의 할

12) MSR은 배출권 경매량 조절을 통해 수급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배출권의 공급량이 사전에 정한 특정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배출권의 경매 규모를 감소시키고 그 감소분만큼을 비축하며 반 로 배출권시장 내에 배출권이 과소 공급될 경우에는 비축분의 방출하여 경매 규모를 증가시켜 공급량을 늘리는 방식으로 운용한다 현재 배출권 경매 연기 조치를 통해 확보된 9억톤이 MSR에 비축될 예정이며 추가 비축분은 2020년 이후 배출권 시장 상황에 따라 정해진 준칙에 의거 결정될 예정이다 아직까지 비축을 위한 구체적인 준칙은 확정되지 않았다(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reform_en)

18

당방식은 비용효과성에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한다(Mongomery 1972

Tietenberg 2006 Hahn and Stavins 2011) 물론 배출권거래시장의

참여주체에게 분배적 관점에서 영향을 미칠 수는 있다 그러나 국가

간 배출권 할당방식의 차이에 따른 영향은 두 시장의 연계 여부에 상

관없이 존재하기 때문에 비용효과성의 측면에서는 할당방식이 배출권

거래시장의 연계에 있어 직접적인 함의를 가지지 않는다13) 다만 연계

된 두 시장 모두 경매를 통한 배출권 할당을 할 경우 연계 이전에 배

출권 가격이 높게 형성된 국가의 경우 연계에 따라 가격이 낮아져 상

적으로 적은 경매수입을 얻을 수 있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경매수입이 다시 감축을 위한 활동에 중립적으

로 사용된다고 한다면 그 영향도 매우 제한적일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고려해야 할 점은 한 국가는 경매를 통해 할당하고

다른 국가는 무상으로 배출권을 할당하는 상황에서 두 시장이 서로 연

계되는 경우이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할당방식의 차이 자체가 배

출권 시장에 주는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다14) 그러나 일단 시장이 서

로 연계된 이후엔 유middot무상할당 방식의 차이로 인해 두 국가 간 산업경

쟁력이 정치적 쟁점으로 부각될 수 있다 즉 무상할당 방식을 취하는

13) 다시 말해 A라는 할당방식(국가 1에는 a1 국가 2에는 a2라는 할당방식)을 B라는 할당방식(국가 1에는 b1 국가 2에는 b2라는 할당방식)으로 변경하더라도 연계 전과 연계 후의 비용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동일하다 왜냐하면 연계가 없을 경우 최초 할당 이후 두 시장의 배출권 최종 균형가격은 A와 B 할당방식 모두에서 동일하며 연계된 경우에도 배출권 최종 균형가격은 할당방식에 관계없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할당방식을 어떻게 하든 할당방식에 따른 연계 전과 후의 비용효과성 변화의 크기는 동일하므로 할당방식이 배출권 시장 연계에 주는 직접적 함의는 제한적이다

14) 경매를 주된 할당방식으로 택하는 국가의 기업들이 무상할당을 주된 방식으로 채택한 국가로 생산시설을 이전하는 탄소누출(carbon leakage)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사실 이러한 탄소누출은 시장이 독자적으로 운영되더라도 유사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시장 연계가 추가적인 탄소누출을 야기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9

국가에 해 유상할당으로 할당방식 변경을 요구하는 명시적 또는 묵

시적 압력이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15) 따라서 할당방식에

있어서 유middot무상의 차이가 나는 경우 국가 간 상호조율과 양해가 전제

되지 않는다면 시장 연계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마 대상 온실가스 및 적용대상

배출권거래제의 적용을 받는 기업의 범위 및 배출제한 적용을 받는

상 온실가스는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소들이다 상 온실가

스 및 적용 상의 차이가 적용할 수 있는 온실가스 감축옵션이나 배출

권 할당 규모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기는 하지만 이는 시장 연계와

상관없이 영향을 주는 요소이므로 시장 연계 전후의 차이에 영향을 주

는데 제한적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이들은 적용여부에 따라 해당 산업의 경쟁력에 직접적인 영

향을 미치는 요소이므로 시장 연계 이후 배출권 가격 변화를 통해 간

접적으로 산업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이러한 경쟁력 변화는 특정 국가의 참여기업들의 수용

성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나아가 동태적인 관점에서 제도적 변화에

한 정치적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간과해선 안 된다

예를 들어 한 시장에서는 NF3를 규제 상 온실가스에 포함하는데

반해 다른 국가에서는 이를 규제 상에서 제외한다고 하자 이 경우

NF3가 규제 상에서 제외된 국가의 배출기업들은 그렇치 않는 경우

에 비해 상 적으로 유리한 입장이 된다 이들 두 국가의 배출권 시장

15) 물론 시장 연계 이전에도 이 문제는 국가 간 쟁점이 될 수 있으나 배출권 시장이 독자적으로 운영될 때보다는 연결된 경우에 쟁점화될 개연성이 더 높다

20

이 연계될 때 규제 상의 차이가 연계 전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은 매우 제한적이다 그러나 앞서 유middot무상할당 방식에서와 같이 일단

연계된 이후에는 상 적으로 불리한 입장의 기업들을 중심으로 제도적

형평성에 한 이의를 제기할 수 있고 중장기적으로는 제도적 수렴을

요구하는 경제 외적 압력을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

요컨 상 온실가스와 적용 상의 차이는 단기적으로는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핵심 쟁점은 아니다 그러나 앞선 예처럼 중장기적으

로는 연계 이후 참여 상자들의 수용성 및 형평성에 한 문제 제기 및

제도 수렴에 한 정치적 압력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바 이월 및 차입

이월(banking)은 해당 연도의 배출권 잉여분을 이후 연도에 의무이

행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두 국가 간 배출

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한 국가에서 배출권의 이월을 허용하고 있을

경우 연계된 다른 국가가 이월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간접적으로 이월

제도를 허용한 것과 유사하게 된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국가 A가 배출권 이월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국가 A의 기업들

은 해당 연도 배출권을 이월을 허용하는 국가 B의 이후 연도 배출권과

교환하여 이를 이후 연도 이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

서 어떤 시장에서 이월을 허용하지 않아야 하는 특별한 사유가 있다면

배출권 시장 연계 이전에 이월 관련 규정에 한 국가 간 상호 조율이

필요하다16)

16) 참고로 현재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한 부분의 국가는 배출권의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고 있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21

배출권의 차입(borrowing)은 이월과 반 되는 개념으로 배출권거래

제에 참여하는 업체가 해당 거래 연도에 배출허용량을 초과해서 배출

했을 때 다음 연도 배출권 할당량 중 일부를 차입하여 사용하는 제도

이다 차입 역시 이월과 유사한 논리로 두 국가 간 배출권 시장이 연계

되어 있다면 한 국가에서 배출권의 차입을 허용하고 있을 경우 연계된

다른 국가가 차입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이 국가에서 간접적으로 차입

제도를 허용한 것과 사실상 동일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배출권의 차입

은 현재 시점에서의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을 이연시키

는 효과를 가지므로 환경 건전성 관점에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

다 이로 인해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한 부분의 국가는 차입을 허용하

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일 어떤 시장에서 특정한 사유로

인해 차입을 허용하는 경우엔 배출권 시장 연계 이전에 차입 관련 규

정에 한 국가 간 상호 조율이 필수적이다

사 기타 고려사항

온실가스 배출량의 측정 및 보고 검증(Measurement Reporting and

Verification MRV) 기준은 두 배출권 시장 연계에 있어서 중요하다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연계된 두 시장의 MRV 기준

및 강도 등에서 상당한 차이가 날 경우 두 배출권의 상호 호환성

(fungibility) 및 등가성에 한 논란이 커질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그

러나 서로 다른 MRV체계가 반드시 시장 연계의 장애요소가 되는 것

은 아니며 양 국가 간 합의만 전제된다면 등가비율의 조정을 통해 연

계가 가능하다(Tuerk et al 2009)17)

17) 물론 Tuerk(2009)가 지적하듯이 MRV체계의 투명성(transparancy)과 비교가능성

22

또한 연계된 배출권시장 간의 배출권 이전이 가능하기 위해서 배출

권거래시장의 등록소는 두 시장 간 호환 가능해야 하는데 이는 다분

히 기술적인 요소로 시장 연계에 있어서 장애요인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연계된 배출권시장 간에 신뢰 구축을 위하여 감축목표

불이행에 따른 페널티와 의무이행 체계는 연계된 시장 간에 유사해야

할 것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comparability)이 보장되어야 하며 기준과 강도 그리고 등가비율 등에 한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3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

두 배출권 시장이 서로 연계되는 방식은 다양한데 크게 나누어 보면

직접 연계(direct link)와 간접 연계(indirect link)로 구분된다(Tuerk et

al 2009) 직접 연계는 두 배출권 시장 간 직접적인 배출권 거래가 가

능한 경우를 의미하며 간접 연계는 두 시장 간 직접적 거래가 가능하

지 않지만 제3의 시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된 경우를 뜻한다(Tuerk

et al 2009 Flachsland et al 2009) 다시 직middot간접 연계는 몇 가지 서로

다른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아래에서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가 직접 연계 완전 통합형

완전 통합형 직접 연계는 서로 다른 별개로 운영되던 배출권 시장이

하나의 배출권 시장으로 통합되는 유형을 말한다 이 경우 서로 다른

할당배출권이 하나로 통합되며 개별적으로 진행되던 배출권 할당 또한

전체 시장을 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선 감축목표의 설정 및

배출권 할당 상쇄제도 등 다양한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소들

에 해 두 시장간 완전한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감축목표

의 설정 등과 관련하여 완전한 합의를 이루기 위해선 국가 주권의 일

정 부분을 양도한다는 국내 정치적 도전과 정책적 자율성 손실에 따른

비용 부담이 불가피하다는 단점이 있다

완전 통합형 직접 연계는 현실에서 사례를 찾기 매우 힘들지만 표

24

적인 사례로는 EU-ETS와 노르웨이 ETS의 연계를 꼽을 수 있다

EU-ETS 제1기(2005~2007)만 하더라도 양 국가의 배출권 시장은 별도

의 시장으로 존재해왔다 그러나 EU-ETS 제2기(2008~2012) 이후부터

노르웨이 ETS 시장은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과 함께 EU-ETS 시장

으로 편입되어 EU ETS Directive 하에서 운영되는 시장으로 완전 통

합되었다(Royal Norwegi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08)

나 직접 연계 쌍방향 연계형

쌍방향 연계 방식의 직접 연계는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각자

배출상한 목표를 가지고 개별적으로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되 서로 간

의 할당배출권이나 상쇄배출권이 자유롭게 거래되고 상 편 시장의 배

출권을 자신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게 허용되는 연계 방식을 말한

다(Haites and Mullins 2001 Tuerk et al 2009) 두 개의 시장이 하

나의 시장으로 완전히 통합되는 방식에 비해서 각자 독자적인 배출권

시장을 유지middot운영하기 때문에 각 시장을 운영하는 주체의 정책적 자율

성이 일정 부분 보장된다 또한 시장 연계의 수준을 두 시장이 가진 고

유한 상황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다 경우에 따라 해당 시

장에서 의무 이행 시 활용 가능한 상 편 시장의 배출권 수량에 일정

한 제한을 가할 수도 있고 제한 없이 상 편 시장에서 구매한 배출권

을 자신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도 있어서 제도 운

영의 자유도가 완전 통합형에 비해서 높은 편이다18)

18) 만일 제한 없이 상 편 시장에서 구매한 배출권을 자신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경우 완전 통합형 직접 연계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쌍방향 연계형은 배출상한 목표(즉 배출권 할당량) 등 주요 설계요소를 결정함에 있어서 각 시장 운영주체가 독자적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완전 통합형과 차별성을 가진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5

현존하는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는 모두 쌍방향 직접 연계의 유형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와 퀘벡 간의 배출권 시장 연계와

최근 협정을 체결한 EU-ETS와 스위스 ETS 간의 연계가 표적인 쌍

방향 직접연계 방식을 취하고 있다 목표의 강도 할당방식 적용 상

상쇄제도 등 주요 배출권거래제 설계요소에서 나름의 독자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배출권 거래 및 의무이행에 있어서 상호 호환을 허용하고 있다

이들 사례에 해서는 후술하는 소절에서 자세하게 다루기로 한다

다 직접 연계 단방향 연계형

단방향 연계는 한 시장에서는 상 방의 할당배출권이나 상쇄배출권

을 구매하여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지만 다른 시장에서는 이를 허용

하지 않는 방식이다(Tuerk et al 2009) 통상적으로 시장 연계는 상호

간 순 편익이 늘어날 경우에 성사될 수 있으므로 단방향 연계 방식의

직접 연계는 현실에서 보기 어렵다 다만 쌍방향 연계에 합의했더라도

제도적middot기술적 요인들로 인해 일정 기간 유예가 필요한 경우 서로 간

의 합의하에 본격적인 쌍방향 연계 전의 중간 단계로서 단방향 연계가

일어나기도 한다

단방향 연계의 사례로 노르웨이 ETS는 EU-ETS 제1기에 EU-ETS

배출권을 의무이행에 허용하였던 반면 EU는 노르웨이 ETS 배출권을

받아들이지 않았다(Tuerk et al 2009)19) 또한 비록 성사되지는 않았

지만 호주와 EU-ETS 간의 배출권 시장 연계 시도에서도 단방향 연계

의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지난 2012년 호주와 EU는 양 국가의 배출

권거래제를 연계하기로 발표하면서 2018년 7월 이후에 본격적으로 쌍

19) 이후 EU-ETS 제2기부터 노르웨이 ETS는 EU-ETS에 편입되었다

26

방향 연계하되 2015년 7월부터 한시적으로 호주 기업들이 EU-ETS의

배출권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합의한 바 있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이상의 사례는 단방향 연계 방식이 주로 소규모 시장이 규모 시장

과 연계할 때 과도기적 조치로 사용되어 왔음을 보여준다 결국 단방

향 연계는 규모 시장과의 연계로 인해 소규모 시장 참여자들이 입을

지도 모를 시장 충격에 미리 비하고 본격적인 쌍방향 시장 연계에

앞서 두 시장의 제반 제도적middot기술적 여건을 조화시키기 위한 준비기가

필요할 경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유형이다

라 간접 연계

두 시장이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지 않더라도 제3의 시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될 수도 있다(Tuerk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이때 제3의 시장은 할당배출권이 거래되는 시장이 될 수도 있

고 탄소상쇄 배출권(carbon offsets credit)이 거래되는 시장이 될 수도

있다 이때 제3의 시장은 다른 두 시장과 쌍방향 혹은 단방향으로 직

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어야 한다 이 경우 특정 시장에서의 배출권 수

급 변화는 제3의 시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다른 시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Tuerk et al 2009)

간접 연계의 한 사례로서 쌍방향 연계 이전에는 스위스 ETS와

EU-ETS를 들 수 있다 두 시장은 비록 직접 연계되어 있지는 않았으

나 탄소상쇄로서 교토의정서 상의 크레딧(CDM JI 등)을 허용하고 있

었으며 동 크레딧 시스템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아직까지는 제3의 시장이 할당배출권 시장이 되는 방식의 간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7

접연계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향후 여러 국가 혹은 지역 단위

에서 배출권 시장이 도입되고 서로 간의 이해에 따라 국가 혹은 지역

단위 배출권 시장 간 연계가 늘어나게 된다면 제3의 시장이 할당배출

권 시장이 되는 방식의 간접 연계 유형도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논의한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그에 해당하는 실제 사

례를 정리하면 아래 lt표 -1gt과 같다

구분 유형 표 사례

직접 연계

완전통합형EU-ETS(Phase II~)와 노르웨이 ETS

간의 연계

쌍방형 연계형

EU-ETS와 스위스 ETS 간의 연계(lsquo17년 협정 체결)

캘리포니아와 퀘벡 간의 ETS 연계

단방향 연계형

EU-ETS(Phase I)와 노르웨이 ETS 간의 연계

(연계 추진)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20157월~20186월)

간접 연계

크레딧 시스템을 통한 연계

EU-ETS와 스위스 ETS (쌍방향 연계 이전)

제3의 할당배출권 시장을 통한 연계

해당 없음

자료 Ranson and Stavins(2015)를 참조하여 저자가 재구성

lt표 Ⅲ-1gt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대표 사례

28

2 배출권 시장 연계의 사례20)

가 스위스 배출권거래제와 EU-ETS의 연계

2010년 11월 EU 집행위원회는 EU-ETS와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에 한 협상 개시를 제안했고 이사회를 통해 협상에 한 위임을

받았다 EU와 스위스는 두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 기준과 방식에 해

합의하고 2017년 11월 협약서에 서명함으로서 두 시장의 연계 이행 작

업에 들어갔다 EU-ETS와 스위스 배출권시장과의 연계는 EU-ETS와

제3국의 배출권시장이 연계되는 최초의 공식적인 사례이다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제는 제1차 계획기간인 2008년부터 5년간은 자

발적 참여 단계로 시작하였다 2013~2020년까지인 제2차 계획기간

동안 EU-ETS와의 연계를 위해 2020년까지 감축목표를 EU와 동일한

수준인 1990년 비 20 감축으로 정하는 중요한 변화를 배출권 시

장에 도입하였다

1999년 스위스는 난방 산업공정 수송연료에 탄소 부담금을 부과하

고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했다 연간 25000tCO2e 이상의 이산

화탄소를 배출하는 기업들은 직접적으로 배출권거래제에 참여 가능하

도록 하였으며 참여 기업들은 상향식 접근방법을 기반으로 배출권을

무상할당 받았다 제1차 계획기간 동안 기업은 조림사업과 같은 카본

싱크 프로젝트를 통한 RMUs(Removal Units)를 사용 가능하도록 하

였다 스위스의 페널티 제도는 EU의 페널티 제도와 확연한 차이를 보

이는데 배출권거래제를 참여기업이 감축목표 수준을 준수하지 못했을

20) 본 절은 Carbon Market Watch(2015)의 pp8-13까지의 내용과 박수경 외(2018)의 pp479~ 482까지 내용을 참조하여 재구성한 것이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9

경우의 페널티는 배출권의 상한가격에 해당하는 탄소 부담금과 이자의

합이었다

스위스와 EU 간 배출권거래시장 연계 협상은 공식적으로 2011년 3

월 시작되었다 이에 스위스는 2013년 1월 1일을 시장 연계 시 잠재적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는 요소들을 수정하여 배출권거래제를 개정하였

다 수정된 배출권거래제의 획기적인 변화 중 가장 괄목한만한 점은

배출권거래제 자발적 단계에서 의무적 단계로의 전환된 부분이다 따

라서 제2차 계획기간(2013~2020년)에는 스위스의 온실가스 배출 집약

적 산업부문의 시설들은 배출권거래제에 의무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또한 스위스는 수정된 배출권거래제의 페널티 제도 및 무상할당 방식

그리고 국가 간 탄소 상쇄제도를 EU-ETS와 조화시키기 위해 노력하

였다 그러나 여전히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제는 몇몇 사소한 부분에서

EU-ETS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EU의 경우 배출권거래제

참여 기업이 연간 배출량을 측정하여 당국에 보고하고 독립적으로 검

증 받아야 한다 그러나 스위스는 배출권거래제 참여 업체들이 측정한

연간 배출량을 당국에 보고해야 하지만 EU와 다르게 이를 독립적으로

검증 받지는 않아도 된다 다만 스위스 당국은 사안에 따라 이들에

한 검증을 요청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또 다른 차이점은 EU는 배

출허용량을 집행위원회에서 설정하는 반면 스위스는 상향식(배출허용

총량의 합계) 방법으로 결정한다 두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에 있어서

항공부문의 배출권거래제 편입과 서로 다른 온실가스 감축목표 또한

여전히 논쟁되는 이슈이다 lt표 -2gt는 스위스와 EU의 배출권거래제

를 비교 정리한 것이다

30

lt표 Ⅲ-2gt 스위스와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국가 스위스 EU

목표의 엄격성2013년 배출 상한량부터 매년 174 감축

2008~2012년의 연간 평균 감축량의 174 감축

배출량 제한 2013년 56 MtCO2e 2013년 2084 MtCO2e

탄소상쇄 수량

2012~2020년 기간 간 할당된 배출권의 최 11에서 동 기간 사용된 상쇄 크레딧을 차감한 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가능신규 참여기업은 2013~2020년 간 배출량의 45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

2008~2020년 기간 간 할당된 배출권의 최 11의 에서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신규 참여기업은 2013~2020년 간 배출량의 45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

탄소상쇄 품질

최빈국들로부터의 청정개발체제(CDM) 크레딧은 사용 가능하며 기타 CDM 및 공동 이행제도(JI) 크레딧은 2013년 이전에 등록된 것에 한해서 사용 가능

최빈국들로부터의 청정개발체제(CDM) 크레딧은 사용 가능하며 기타 CDM 및 공동 이행제도(JI) 크레딧은 2013년 이전에 등록된 것에 한해서 사용 가능

가격 및 공급관리

시장의 과잉공급 정도에 따라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배출권 공급량 조정

배출권 할당

EU-ETS와 유사한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적용범위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CO2 및 기타 온실가스

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EU 역내 항공 CO2 및 N2O PFCs

준수기간 2013~2020 2013~2020

규제방식 하향식 방식 하향식 방식

이월 무제한 이월 가능 무제한 이월 가능

페널티 제도

1톤당 약 125 CHF (104 유로)의 벌금 부과 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 해에 공제

1톤당 100 Euro의 벌금 부과 사라진 배출권은 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 해에 공제

자료 Carbon Market Watch Report(2015)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1

나 퀘벡과 캘리포니아 배출권거래제의 연계

2014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퀘벡과 캘리포니아의 배출권시장 연계

는 현존하는 세계 최초의 탄소시장 연계 사례이다 두 시장의 연계로

각 주(州)는 두 시장에서 모두 배출권이나 상쇄분을 판매 혹은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이들 두 시장의 연계 이전 두 시장 사이에 다양한 차

이점이 존재하였으나 WCI21)는 캘리포니아와 퀘벡 배출권거래시장의

조화로운 연계를 도출하였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은 유사한 배출권 가

격과 공급관리 적용범위 이행 기간 이월과 패널티 등을 채택하였다

캘리포니아는 주 자체가 세계에서 가장 큰 경제시장 중 하나로 총

온실가스 배출량은 퀘벡의 6배에 달한다 2012년 캘리포니아는 459

MtCO2-eq의 온실가스를 배출한 반면 퀘벡은 78MtCO2-eq의 온실가스

를 배출하였다 양 주 모두 운송부문이 가장 큰 배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캘리포니아에서는 발전부문이 두 번째로 큰 배출 비중을 차지

하는 반면 퀘벡의 경우 수력발전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발전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미미하다 한편 캘리포니아는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수준으로 안정화시키는 목표를 가진 반면 퀘벡은

2020년까지 총 배출량의 20 감축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이들 감

축목표를 비교해보면 2005년 배출량을 기준으로 퀘벡의 감축목표는

22인데 비해 캘리포니아는 11로 퀘벡의 감축목표가 캘리포니아보

다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두 시장은 모두 상쇄분의 최 사용량을 해당 이행 기간의 총 감축

21) 서부 기후 이니셔티브(Western Climate Initiative WCI)는 이 시장에 참여하는 북미 륙 서부 주들이 2020년까지 총 배출량의 15를 줄이는데 지역적으로 협력하기 위해서 형성된 배출권거래시장 운영기구이다(httpsenwikipediaorgwikiWestern_Climate_Initiative 참조)

32

목표의 8로 제한하고 있고 국제 상쇄의 사용량 또한 제한하고 있다

는 공통점을 가진다 그러나 두 시장 간에는 캘리포니아는 산림의 탄

소 흡수에 의한 상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퀘벡은 산림부문의

상쇄를 인정하지 않는 등의 차이점이 존재한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배출권거래시장은 경매가격 하한제와 유연한

가격 상한제를 시행하는데 합의하였다 캘리포니아의 경매가격 하한은

USD 1134이며 퀘벡의 경매가격 하한은 CAD 1282이며 이들의 환

율은 가장 최근시점 정오의 구매 환율로 정해져있다 경매가격 하한선

은 매년 5 + 물가상승분만큼 상승한다 가격 상한제의 경우 WCI에

참여하는 주들에 의해 독립적으로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들은 2013~2014년에는 할당량의 1 2015~2017년에는 7 2018~

2020년에는 7를 비축할 수 있고 시장에서 배출권가격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상호 간의 합의를 통해 비축분의 판매를 통해

가격안정화를 꾀한다

캘리포니아와 퀘벡 모두 2013~2014년의 제1차 계획기간에는 배출권

의 부분이 무상할당 되었으나 2015~2020년에는 무상할당 되는 배

출권의 양을 줄이는 동시에 점차 경매방식으로 배출권을 할당하게 된다

캘리포니아는 생산수준 배출량 벤치마크 상한 조정요소 및 산업 보조

요소22) 등을 바탕으로 하여 산업시설의 무상할당 수준을 결정한다

퀘벡은 2015~2020년 산업별로 차이가 있는 배출집약도 목표에 기초해

산업별 배출권의 무상할당량을 결정한다 퀘벡에서는 2015년부터 무상

할당량이 매년 1~2 감소한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에서는 2013~2014년 까지는 각각 총 온실가스 배

22) 상한 조정요소는 배출권 상한을 보다 엄격하게 하기 위한 조정을 말하며 산업 보조요소는 특정 산업의 탄소누출 가능성에 따른 보조를 의미한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3

출량의 약 36와 약 29를 차지하는 에너지 및 산업부문의 배출량만

규제되었으나 2015년부터는 적용범위가 확 되어 연료부문도 포함되

어 총 배출량의 87와 77가 적용범위에 포함되게 되었다 배출권의

이월은 두 시장 모두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는 동시에 보유 제한을 설

정하여 미래에 사용할 수 있는 있는 배출권 양을 제한하고 있다

lt표 -3gt은 캘리포니아 및 퀘벡의 배출권거래제와 EU-ETS를 비교

정리한 표이다

lt표 Ⅲ-3gt 캘리포니아-퀘벡과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지역 캘리포니아-퀘벡 EU

목표의 엄격성

(캘) 2015년 이후 연간 평균 감축량의 31 감축

(퀘) 2015년 이후 연간 평균 감축량의 32 감축

2008~2012 동안 연간 평균 174 감축

배출량 제한

(캘) 3945 MtCO2e (2015) 3342 MtCO2e (2020)(퀘) 653 MtCO2e (2015) 5475 MtCO2e (2020)

2013년 2084 MtCO2e

탄소상쇄 수량 총 배출권 할당량의 8

2008~2020년 기간 간 할당된 배출권의 최 11의 에서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신규 참여기업은 2013~2020년 간 배출량의 45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

탄소상쇄 품질

(캘middot퀘) 국내 탄소 상쇄로 제한(캘) 산림 프로토콜을 포함한

다양한 프로토콜 사용가능 구매자 책임 원칙

최빈국들로부터의 청정개발체제(CDM) 크레딧은 사용 가능하며 기타 CDM 및 공동 이행제도(JI) 크레딧은 2013년 이전에 등록된 것에 한해서 사용 가능

가격 및 공급관리

2014년 경매가격 하한제로 1톤당 $1134t 연간 5+ 물가반영분 인상 전략적 비축을 통한 가격 상한

시장의 과잉공급 정도에 따라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배출권 공급량 조정

34

자료 Carbon Market Watch Report(2015)

다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추진 사례

호주 정부는 국제 기후 협상의 일환으로서 2020년까지 2000년 비

5 온실가스 감축을 약속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호주는 2012

년 7월부터 탄소가격제도(carbon pricing mechanism CPM)를 도입하

였으나 2014년 호주 정권의 교체로 동년 7월에 폐기되었다 이 제도

는 2012년부터 2015년까지는 탄소 가격을 고정가격으로 2015년 7월

부터는 유연가격으로 변경하여 시행하기로 계획되어 있었다 또한 호

주는 2012년 EU와의 탄소시장 연계를 발표하고 그 해 7월부터 잠정

적으로 호주 탄소시장에서 EU 배출권을 사용할 수 있는 한방향 연계

가 시행되었으며 쌍방향 연계는 2018년부터 시행하기로 계획하였다

호주 정부는 원래 탄소가격의 상한을 AUD20(약 13유로)로 설정하

고 매년 5 인상하기로 계획하고 있었으며 하한은 AUD15(10유로)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EU-ETS와의 연계를 위해 유연가격제를 시행하기

로 한 2015년부터는 가격 하한제의 도입 계획을 철회하기로 하였고

지역 캘리포니아-퀘벡 EU

배출권 할당산업 및 발전부문 무상할당 점차 줄어드는 추세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적용범위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난방과 수송연료 CO2 및 N2O PFCs

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EU 역내 항공 CO2 및 N2O PFCs

규제방식 상향식+하향식 방식 하향식 방식이월 무제한 이월 가능 보유제한 무제한 이월 가능

페널티 제도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해에 공제

1톤당 100 Euro의 벌금 부과 사라진 배출권은 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 해에 공제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5

양국의 시장 연계가 시행되는 2018년에는 가격 상한제마저 폐지하기

로 하였다 또한 두 시장의 연계를 위해 호주 정부는 EU의 규정과 부

합하지 않는 원자력 사업 산업용 가스의 분해 및 형 수력발전 사업

의 탄소상쇄를 제외시켰다 하지만 두 배출권시장의 연계를 위한 이러

한 정책의 변경은 호주 정부에 정치적 부담을 안겨 주었고 2014년 7

월 탄소 가격제가 폐지됨에 따라 두 배출권시장의 연계는 실패로 마감

되었다 그 밖에도 호주의 탄소가격제는 메탄가스를 규제하고 있는 반

면 EU-ETS는 메탄가스를 규제하고 있지 않다는 점과 두 시장의 연계

를 위해 호주 탄소가격제의 페널티가 기존 고정가격의 13배에서 당해

연도의 평균 경매가격의 2배로 증가함에 따른 정치적 부담도 시장연계

실패의 원인이었다고 볼 수 있다

3 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앞서 살펴보았듯이 캘리포니아 ETS와 퀘벡 ETS 그리고 스위스

ETS와 EU-ETS의 연계는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성공적으로 연

계한 표적인 사례이다 여기서는 위 두 사례로부터 배출권 시장 연

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던 요인과 시사점을 간략히 살펴보

기로 한다

가 상호 호혜성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성공적으로 연계되기 위해선 우선 연계

이후에 서로간의 이해관계가 크게 상충되지 않으면서 상호 호혜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앞의 두 사례에서 보면 퀘벡 및 스위스 배출권 시장

36

은 연계된 캘리포니아와 EU 배출권 시장과 비교해 시장 규모 측면에

서 훨씬 작은 편이다 따라서 이들 시장 운영자들은 자신들의 시장에

참여하는 규제 상 기업들이 풍부한 유동성을 가진 큰 규모의 시장에

한 접근성을 제고하고 통합된 시장에서 다른 기업들과 동등한 경쟁

조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었다23) 특히 스위스 ETS의 할당배출권 가격

은 EUA 가격에 비해 거의 5배나 높은 상황에서 시장 연계는 스위스

배출권 가격을 EUA 가격에 근접시키는 효과가 기 되므로 스위스 입

장에서는 시장을 연계시킬 유인이 컸다(IETA 2015 p54)

한편 캘리포니아는 자신의 배출권 시장 외연을 확 하고 배출원들

의 온실가스 감축 이행 비용 부담을 완화하려는 목적으로 연계를 선호

하였다 이와는 별개로 스위스에 비해 훨씬 큰 규모의 시장을 가진 EU

는 주로 경제적 요인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의해 연계를 선호하였다24)

이처럼 양자의 이해가 맞아떨어지면서 배출권 시장 연계 논의가 시

작되었고 결국 성공적인 시장 연계로 이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연계

하는 두 시장의 이해관계가 일치한다고 하더라도 최종적으로 연계 합

의에 이르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서로 다른 두 시장의 주요

23) 스위스의 연계 유인에 해서는 ldquoLinking of the Swiss and European emissions trading systems big step forwardrdquo(httpswwwbafuadminchbafuenhometopicsclimatenews- releasesmsg-id-67745html) 및 IETA(2015)를 참조하라 퀘벡의 연계 유인은 Gouvernement du Queacutebec(2018)「Quebec cap-and-trade system for greenhouse gas emission allowances (CampT) Historical Overview」(p7)을 참조하였다

24) 캘리포니아 ETS의 연계 유인은 ldquoCALIF FORGING AHEAD WITH EMISSIONS TRADING NEXT MONTH AIR CHIEF CONFIRMSrdquo(httpswwwexchangemonitor comcalif-forging-ahead-with-emissions-trading-next-month-air-chief-confirmsprintmode=1) 을 참조하라 EU와 스위스 시장은 워낙 규모에 차이가 나서 연계 시 스위스 시장이 사실상 EU 시장에 편입되어 EU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EU는 연계에 따른 경제적 편익에 한 고려보다는 기후변화 응을 위한 리더십을 확보하고 시장의 외연을 확장하는 첫 단추로서 스위스와의 시장 연계를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IETA 2015 p54)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7

설계요소의 차이가 야기하는 시장 연계 전후의 영향에 조율이 필수적

이다 다음은 위 두 사례로부터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인의 관

점에서 바라본 성공요인에 해 논의해 보기로 한다

나 핵심 설계요소의 유사성

앞의 두 사례 모두 시장들 간 배출권거래제도의 핵심 설계요소에 있

어서 상당한 유사성을 가지고 있어서 이들을 조율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첫째 캘리포니아-퀘벡 ETS 그리고 스위스-EU ETS는 감축목표의

엄격성 측면에서 서로 유사하여 감축목표를 둘러싼 이견이 적었다 일

견 캘리포니아는 2020년까지 1990년 배출량 수준으로 감축하는 목표

를 가지고 있었고 퀘벡은 2020년까지 1990년 배출량 비 20까지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목표를 세워 퀘벡이 다소 높은 강도의 감축목표

를 설정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lt표 -3gt에서 보듯이 2015년도 ETS 적용 상 배출량 기준으

로 보면 2020년까지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연 평균 감축률은 각각

31 32로 거의 동소이하다 스위스 ETS는 2013년 배출상한

비 2020년까지 매년 174씩 EU-ETS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의

연 평균 배출량에 비 2020년까지 매년 174씩 감축하는 목표를 가

지고 있었다 이처럼 비록 절 적 감축량이나 배출허용량의 크기에 있

어서 두 시장간 차이는 컸지만 상 적인 감축목표의 엄격성 측면에서

유사해서 ETS 운영주체 간 상호 신뢰성이나 참여 상 기업들의 수용

성이 높아 시장 연계를 추진하는데 훨씬 수월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두 사례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한 탄소상쇄제도를 가지고 있어

38

상쇄배출권의 유입에 의한 시장 교란이 작동할 여지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lt표 -2gt에서 알 수 있듯이 스위스와 EU는 상쇄배출권 허용

비율 및 사용가능 종류에 있어서 사실상 동일하기 때문에 상쇄제도의

차이로부터 비롯되는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캘리포니아와 퀘

벡 배출권거래제의 경우에는 상쇄배출권 허용수량은 동일하나 상쇄배

출권의 생성 및 사용에 있어서 약간 차이가 있다 가령 퀘벡의 경우 산

림상쇄를 허용하지 않으나 캘리포니아는 산림 흡수원에 의한 상쇄배출

권을 허용한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두 제도

모두 부분의 해외 상쇄사업을 허용하지 않고 있고 전체 수량에서 차

이가 나지 않아 시장 연계 시 상쇄 프로토콜의 차이로 인한 시장 교란

보다 연계의 이득이 훨씬 크므로 그러한 사소한 차이가 시장 연계의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았다25)

셋째 배출권의 할당방식에 있어서도 두 사례의 국가들은 유사한 체

계를 갖추고 있었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경우 배출권 할당방식의 기

술적인 부분에서 일부 차이가 존재하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산업부문에

해선 무상할당 발전부문에 해선 유상할당을 적용하고 무상할당

의 비중을 점진적으로 줄여가는 방향성에 해서 체로 일치하였다

(ICAP 2019a ICAP 2019b) 마찬가지로 스위스와 EU도 거의 유사한

할당방식을 가지고 있었다 두 연계 사례 모두 유middot무상할당 방식을 혼

용하되 유middot무상이 적용되는 부문에 해서는 동일하였기 때문에 사소

한 할당방식의 차이는 연계 시 쟁점으로 부각되지 않았다

넷째 배출권 가격 및 공급량 관리 제도와 관련해서도 연계된 사례

25) 퀘벡은 해외 상쇄를 허용하지 않으나 캘리포니아의 경우 브라질 등 일부 국제 산림 상쇄크레딧을 허용한다 그러나 그 양은 매우 미미해서 시장에 미치는 영향 또한 극히 제한적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9

의 국가들은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은 동일

한 배출권 가격 및 공급량 관리 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스위스와 EU

의 경우 EU의 배출권 비축제도가 유일한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러나 IETA(2015)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스위스 ETS의 할당배출권 가

격이 EUA 가격에 비해 상당히 높았기 때문에 EU의 배출권 비축제도

도입 자체가 시장 연계에 장애요인이 되지 못하였다

그 외 이월과 차입 MRV 체계 등 시장 연계 시 고려될 주요 설계요

소들에 있어서 두 성공사례의 국가들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처럼 앞서 언급한 배출권 시장 연계 시 고려되어야 할 주요 설계요

소에 있어서 연계하는 시장들은 상당히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고

이것이 시장 연계의 논의와 조율이 매끄럽게 전개될 수 있도록 한 원

동력이 되었다고 판단된다

다 정책적 의지

배출권 시장의 연계가 상호간 이해에 부합하고 앞서 논의한 제도의

설계요소 관점에서 본 기술적middot경제적 쟁점들이 상당 부분 해소된다고

하더라도 정책적 의지가 수반되지 않는다면 시장 연계의 논의는 진전

되기 어렵다 그러한 측면에서 제도 설계요소의 상호 호환성 이슈는

성공적인 시장 연계의 필요조건은 될 수 있을지언정 충분조건은 될 수

없다(IETA 2015) 2010년부터 시작된 스위스와 EU-ETS 연계가 7여

년에 걸친 논의 끝에 성공적으로 매듭지을 수 있었던 것도 스위스 정

책 당국의 의지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스위스

-EU ETS 연계 논의과정에서 항공부문의 포함여부가 중요한 쟁점 중

하나였고 이민쿼터의 도입 등을 둘러싼 EU와의 정치적 이슈와 결부되

40

면서 자칫 좌초될 뻔했던 양 시장의 연계가 끝내 성사될 수 있었던 것

도 정책 당국의 강력한 의지가 있었기 때문이다(IETA 2015) 퀘벡 정

부에서 발간한 보고서에서도 일부 서로 다른 규제 틀을 가지고 있던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연계가 성사될 수 있었던 이유로 상호 신뢰와 개

방적 소통을 통해 두 주 정부가 긴 한 협업을 해나간 것이 주효했다

고 적시하고 있다(Gouvernement du Queacutebec 2018)

반 로 호주 석탄 사업자들의 메탄 배출량 포함 여부를 둘러싼 이

슈 농업 및 토지이용 관련 상쇄제도의 허용 여부 등 다양한 이슈에도

불구하고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논의가 끝내 좌초되었던 것도 정

권 교체 이후 새롭게 들어선 정부 당국이 시장 연계에 회의적이었기

때문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권 시장 연계의 제반 조건이 충족되

었을 때 이를 최종적으로 매듭짓는 요소는 결국 정책적 의지이며 충

분한 시간을 가지며 상호 신뢰와 개방적 소통 하에서 협력해나가는 노

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1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 동향과 전망

서로 다른 배출권거래시장 간의 상호 연계는 한 국가 혹은 한 지역

내에서 작동하던 탄소시장의 외연을 확 하는 것으로서 국지적 탄소시

장의 글로벌화와 맥이 닿아있다 배출권 시장 연계는 본질적으로 당사

국 간의 자율성에 기반을 하고 있기는 하나 국제 탄소시장을 규율하

는 원칙과 규정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다 파리협정에서는

감축의 비용효과성을 증진시켜 당사국들이 보다 상향된 감축목표를 제

시하도록 하기 위해 시장 메커니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와 관련

해서 현재 파리협정 이후의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가 한창 진

행 중이다 이에 본 장에서는 파리협정하의 탄소시장 논의 동향과 배

출권 시장의 연계와 관련한 시사점에 해 살펴보기로 한다

1 파리협정 이후의 탄소시장 논의 동향

가 주요 내용

파리협정에서 시장 메커니즘은 파리협정문 제6조에 규정되어 있다

파리협정에는 시장(market)이라는 용어가 명시되어 있지는 않은데 이

는 시장 메커니즘의 설립을 반 하는 일부 당사국들이 lsquo시장rsquo이라는

용어가 파리협정 내에 포함되는 것에 반 하였기 때문이다(산업통상자

원부 2016b)

사실 파리협정하의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사항들은 파리협정 체결

이전부터 논의해왔던 Post-2012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의 결과물

42

이다 기존의 Post-2012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 내용들이 파리협

정을 통해 반영되면서 협력적 접근법(Cooperative Approach) 지속가능

발전 메커니즘(Sustainable Development Mechanism SDM) 비시장 접근

법(non-Market Approach)의 3가지 개념이 제6조에 포함되었다

제6조는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 하위 개념을 포괄하는

원칙인 제61조와 협력적 접근법에 관한 내용인 제62 63조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의 내용을 담고 있는 제64 67조 비시장 접근법에

관한 제68 69조로 구성되어 있다

제61조에는 시장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목적과 기본원칙이 포함되어 있

다 시장 메커니즘은 온실가스 감축비용 부담을 완화시켜 당사국들의

국가온실가스감축기여분(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NDC)

의 상향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NDC의 상향에 기여함

은 제6조의 활용을 포함하여 더 높은 목표의 설정을 고려해야 함을 의

미한다 이때 시장 메커니즘의 활용은 지속가능한 발전과 환경적 건전

성이 증진되도록 한다는 원칙 하에서 이행되어야 한다 지속가능한 발전

과 환경적 건전성은 이중계산(double counting)의 방지와 함께 시장 메

커니즘 활용의 3가지 주요 원칙에 해당한다26)

협력적 접근법(제62 63)은 당사국들 간의 자발적 협력을 통해 감

축실적(mitigation outcome)이 발생하여 국제적으로 이전된 경우

(Internationally Transferred Mitigation Outcome ITMO)에는 NDC의

이행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ITMO의 활용은

참여 당사국들의 자발적 승인을 통해 이루어진다 파리협정 결정문

(Decision1CP21)에 따르면 이중계산 방지를 포함하여 협력적 접근법

의 이행에 필요한 지침을 개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26) 하지만 각 용어의 정의에 해서는 명시적으로 합의된 바 없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3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제64 67)은 파리협정 당사국총회(CMA)가

지정한 기구에서 감독하며 지속가능발전의 촉진 전 지구적인 온실가

스 감축에의 기여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결정문에는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의 운영에 필요한 규정(Rules) 방법(Modalities) 절차

(Procedures) 등에 관한 지침의 개발을 명시하고 있다

비시장 접근법(68 69)은 지속가능발전을 위해서 비시장 접근법의

프레임워크 설립을 명시하고 있으며 결정문에는 작업 프로그램의 개

최를 통해서 감축 적응 기술이전 재원 능력 배양 등 주요 요소들 간

의 시너지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논의하도록 하고 있다

lt표 Ⅳ-1gt 파리협정 제6조 주요 내용

구 분 주요 내용

61

당사국은 일부 당사국의 자국의 감축과 적응 행동에 있어서 더 야심찬 노력

을 설명하고 지속가능한 개발과 환경적 건전성을 증진하기 위해 국가별 기

여방안 이행에 자발적인 협력을 추구할 것을 인지한다

62

당사국이 국가별 기여방안에 국제적으로 거래되는 감축 성과를 이용한

협력적 접근법에 자유의사에 따라 참여한다면 거버넌스 내에서 지속가능

한 개발을 증진하고 환경 보전과 투명성을 보장하며 파리협정의 당사자회

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총회에서 채택된 지침에 따라 견고한 회계방식

을 준영하여 이중계산을 피하도록 해야 한다

63본 협정 하에서 국가별 기여방안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제적으로 거래되는

감축성과의 이용은 참여당사국에 의해 자발적으로 승인받는다

64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지지하는 메커니즘은 당

사국의 자유의사에 따라 이용하도록 파리협정의 당사국 회의의 역할을 수

행하는 당사국 총회 권한과 지침 하에 세워진다 파리협정의 당사자 회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가 지정한 기관에 의해 감독되며 다음을 목표

로 한다

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조성하면서 온실가스 감축을 증진할 것

나 당사국의 권한으로 공공과 민간 부문이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하도록

장려하고 촉진할 것

44

나 후속협상 주요 경과

COP21 결정문(Decision1CP21)에 따라서 2016년부터 과학기술자

문부속기구(SBSTA)에서 파리협정 제6조와 관련한 지침의 개발을 위

한 협상이 진행되었다 본 소절과 뒤따르는 소절에서는 산업통상자원

구 분 주요 내용

다 유치국의 배출 수준의 감축에 기여하며 국가별 기여방안을 성취하기

위해 타 당사국이 이용할 수 있는 감축 활동으로부터 편익을 얻을 것

라 세계 배출량의 전반적 감축에 기여할 것

65

상기 4항에 명시된 메커니즘을 통한 감축방안이 또다른 당사국의 국가

별 기여방안의 달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이용되었다면 그 유치국의 국가별

기여방안의 달성을 증명함에 있어서 그 방안을 이용할 수 없다

66

파리협정의 당사자 회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는 상기 4항에

명시된 체제 하에서 이루어진 활동 수익의 몫은 적응 비용을 충당하기 위하

여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에 특히 취약한 개발도상국인 당사국을 지원하

고 행정비용을 마련하는데 사용됨을 보장한다

67파리협정의 당사자회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 제1차 회기에서

제4항에 명시된 체제에 한 규칙 방식 절차를 채택한다

68

당사국은 조직적이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감축 적응 재정 기술이전 역량강화를 포함하여 지속가능한 개발 및 빈곤 근절의 맥락에서 자국의 국가

별 기여방안을 이행하는데 이용 가능하고 통합적이고 전체적이며 균형적인

비시장 접근의 중요성을 인지한다 이 접근 방식은 다음을 목표로 한다

가 감축과 적응 노력을 증진

나 국가별 기여방안 이행에 해 공공 및 민간 부문의 참여 강화

다 제도 및 관련된 제도적 장치를 통한 조정의 기회를 활성화

69지속가능한 발전에 한 비시장 접근의 틀은 본 조 제8항에 명시된 비시

장 접근을 증진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자료 UNFCCC(2015) 및 수원의제21실천협의회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2016) 산업통상자원부(2016a)에서 재인용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5

부(2016b) DEHSt(2016) 및 Bodansky et al(2016)의 주요 내용을 바

탕으로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국제 협상의 논의 경과와 부각된 주요

쟁점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1) 협력적 접근법

2016년에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회의(SBSTA 제44차 및 제

45차 회의)는 주로 파리협정 내 포함되어 있는 협력적 접근법(제62

63)의 문안 내용에 한 해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파리협정

문안에 해 당사국들 간에 상호 상이한 해석의 가능성을 줄여서 공통

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한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4차 회의에서는 주로 협력적 접근법 관련

지침의 범위(scope) 협력적 접근법과 NDC와의 관계 ITMO의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었다

지침에 포함될 범위와 관련하여 파리협정의 협력적 접근법에서 규정

하고 있는 의무사항들 - 견고한 회계방식 지속가능한 발전의 증진 환경

건전성과 투명성의 보장 - 을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에는 공통적인 견해를

보였다 NDC와의 관계에서 협력적 접근법의 사용은 견고한 회계방식

(robust accounting)의 원칙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과 흡수량에 한 상

응하는 조정(corresponding adjustment)을 통한 이중계산 방지가 필요하

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다만 당사국들이 제출한 NDC가 단일연도

목표 다년도 목표 정책과 감축행동 중심의 목표 등 다양한 형태가 존

재하므로 협력적 접근법에 의한 감축실적을 NDC에 어떻게 가감할 것

인가가 중요한 쟁점이 될 수 있다(DEHSt 2016) 그에 따라 단일연도

목표의 경우 목표 설정 당해 연도의 NDC만 충족하면 되기 때문에 다

46

년도 목표를 제시한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달성여부를 점검하는 것

은 타당하지 않으므로 상응하는 조정이 반영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

기되었다 아울러 ITMO의 개념에 해서도 배출권의 형태인지 단순 감

축실적의 결과(산출물)인지에 해 개념 정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

기되었다27)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5차 회의에서는 2018년 말(SBSTA 제49

차 회의)까지 후속협상을 종결시킨다는 목표 하에 후속협상을 위한 작

업계획을 공유하고 당사국들이 제출한 국가제안서(submission)에 기초

하여 공통의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협력적 접근법의 인센티브

와 관련하여 EU는 양자와 다자 형태로 운영하면서 민간부문을 포함한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도

서국가연합(AOSIS)은 경제 전반에 한 NDC 목표 상향을 위해 추가

적인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파리협정의 타 조항과의 관

계에서 부분의 당사국들은 감축(파리협정 제4조)과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이 시장 메커니즘과 연관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투명성 하에서

시장 메커니즘 활동에 한 보고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는 점에 공통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EU는 협력적 접근법과 감축(파리

협정 제4조)은 NDC의 이행 관점에서 ITMO의 산정과 연계되어 있는

이슈이며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과는 감축분의 이전 획득 NDC 사

용 등과 관련된 보고와 상호 연계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환경

적 건전성과 관련하여 환경건전성그룹(EIG)에서는 감축산출물의 품질

27) 배출권과 감축실적은 이전 가능하다는 점에선 유사하지만 엄 하게 말해 서로 다른 개념이다 배출권은 정해진 배출허용량에 상응하여 배분된 후 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되는 배출허가권인데 반해 ITMO는 특정한 감축활동의 결과로서 주어지는 인증된 감축실적이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DEHSt(2016 p12)를 참조하라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7

보장을 위해 ITMO에 영속성과 추가성의 개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개진한데 반해 EU는 상응하는 조정을 통해서 환경적 건전성이 보장

될 수 있다는 다소 완화된 입장을 피력하였다

2017년에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회의(SBSTA 제46차 및 제

47차 회의)는 당사국들 간의 이해증진을 바탕으로 지침의 주요 요소들

에 한 도출을 위한 세부 협상을 진행하였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6차 회의에서 공동의장은 지침의 기본 목

차와 주요 요소에 관한 문서를 제시하였고 당사국들은 라운드 테이블

회의와 비공식 회의 등을 통해서 누락된 요소에 한 의견들을 제시하

였다 이러한 논의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공식 정보노트(informal

information note)가 도출되었다

이어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7차 회의에서는 공동의장이

배포한 비공식 노트에 해 당사국들이 의견을 개진하는 방식으로 진

행되었다 여기에는 지침의 목차와 하위 소목차 옵션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비공식 노트에 해 선진국들은 판매국과 구매국이 구분되어

있는 지침 목차에 불만을 제기하며 이를 통합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

하였고 개도국들은 지침에 수익금의 배분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당사국들은 차기 회의 이전에 과학기술자문부속기

구 의장이 비공식 문서(informal document)를 작성하여 회람하기로 합

의하였다 의장명의의 비공식 문서는 2018년 3월에 회람되었는데 비

공식 노트를 기반으로 중복요소의 간소화와 옵션과 잠재 요소 목록이

제시된 수준이었다

2018년에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1차 및 제48-2차 회의

(SBSTA 제48-1 SBSTA 제48-2)는 동 문서에 기초하여 협상이 진행

48

되었고 협상문서 초안이 도출되었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1차 회의에서는 의장명의의 비공식 문

서에 한 당사국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공동의

장 명의로 수정된 비공식 노트(Revised Informal Note)가 채택되었다

수정된 비공식 노트는 기존 비공식 문서에서 개념을 보다 명확히 하고

일부 잘못 표현되거나 누락된 내용들을 반영하는 형태로 합의되었다

다음으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2차에서는 2018년 말까지 설

정한 후속협상 작업계획의 일정을 수정하여 2019년 말까지 작업 기간

을 연장하고 수정된 비공식 노트에 기반하여 당사국들의 의견을 청취

하였다 이를 통해 2018년 말까지 합의가 필요한 사항을 부속문서 1

2019년 말까지 합의가 필요한 사항을 부속문서 2로 구분하여 각각 시기

별로 합의될 내용을 구분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협상문서 초안(Drafting Negotiation Text)을 도출하였다

2)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4차 회의에서는 교토 메커니즘과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 간의 차이점과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적용 범위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양 메커니즘 간 비교에서는 주로 메커니즘 자체

에 한 시각 차이보다는 교토의정서와 파리협정 간의 차이점에 해

당사국들 간에 상이한 입장 차이가 드러났다 일부 당사국은 청정개발

체제와 공동이행제도를 중심으로 사용되었던 방법 절차 등의 지침이

파리협정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고 지적한 반면 선진국을 중심으로 파

리협정은 사업 수행국의 역할과 책임이 교토의정서보다 강화되었기 때

문에 교토 메커니즘과는 근원적인 차이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적용 범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9

위와 관련해서 교토 메커니즘이 프로젝트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반해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은 프로젝트나 프로그램의 범위를 넘어

더 폭 넓게 적용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5차 회의에서는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운영체계 추가성의 개념 전 지구적인 전반적 감축의 이행방식 현존

메커니즘의 경험과 교훈 등에 해 논의하였다 일본은 교토의정서와는

달리 파리협정에서 모든 당사국이 NDC 목표가 존재하므로 NDC 이행

에 관해서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결과물도 협력적 접근법에서 개발

된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반면 중국은 운영체계와 관련

하여 청정개발체제의 운영방식보다 유연하게 설계될 필요가 있다고 주

장하였다 추가성 개념과 관련하여 EU는 방법론의 경우 새로운 국제

적인 표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으며 미국은 교토메커니즘에

이미 추가성 개념이 존재하므로 이를 기반으로 논의하는 것이 효율적

이라고 강조하였다 반면 브라질은 추가성과 전 지구적 전반적 감축은

연관성을 갖고 있으며 교토 메커니즘의 운영체계를 기반으로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의 운영체계를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듬해 열린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6차 회의에서는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과 청정개발체제의 관계에 해 논의가 이어졌다 주로 개

도국들은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을 청정개발체제의 연장선에서 접근

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선진국들은 새로운 접근과 설계가 필요하다

며 양 진영 간에 립이 형성되었다

속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7차 회의에서는 앞선 회의에서 제

기된 청정개발체제와의 관계에 관한 사항이 계속 쟁점화되었다 브라

질은 청정개발체제에서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으로 전환의 필요성과

50

당위성에 해 강하게 주장하였고 이중계산의 허용 필요성까지 제기

하였다 반면 일본은 2020년 이전에 기 발행된 배출권의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으로의 전환과 관련한 이슈를 제기하여 메커니즘 전환과

관련된 이슈가 배출권의 전환으로 확장되는 계기가 되었다 한편 도서

국가연합(AOSIS)는 전 지구적 전반적 감축의 이행 방안으로 기 발행

된 배출권의 일정 비율을 취소하자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협력

적 접근법과 동일하게 차기 회의 전까지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의장

명의로 비공식 문서를 발행하여 회람하기로 합의하였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1차 회의에서는 2018년 3월에 회람된

비공식 문서에 해 당사국들의 의견을 청취한 후에 공동의장 명의의

수정된 비공식 노트(Revised Informal Note)가 채택되었다 이후 과학

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2차 회의에서는 협력적 접근법 논의와 동일하

게 2018년 말까지 설정한 후속협상 작업계획의 일정을 수정하여 2019

년 말까지로 기간을 연장하고 수정된 비공식 노트에 기반하여 당사국

들의 의견을 청취하였다 또한 교토 메커니즘의 전환에 관한 이슈사항

은 처음에는 부속문서 3으로 별도 분리해 놓았으나 개도국들의 주장

에 따라 2018년 말까지 결정할 사항들을 포함하는 부속문서 1에 수록

하였다

다 주요 쟁점 사항

1) 협력적 접근법

시장 메커니즘과 관련된 지침의 내용에 한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지침의 서문과 원칙에 관한 사항이다 선 개도국 간에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1

발생하고 있는 쟁점을 중심으로 원칙 부분을 별도로 구분함으로써

선 개도국 간의 차별화 요소를 반영하려는 개도국과 이에 반 하여

서문과 원칙을 하나로 통합하여 서문에 포함하자고 주장하는 선진국

입장으로 별된다

두 번째는 거버넌스에 관한 사항이다 협력적 접근법이 기본적으로

당사국 간의 자발적 협력을 통해 감축산출물을 발생시키고 국제적 이

전을 통해 NDC에 활용하자는 개념이므로 과연 국제적인 거버넌스 설

립이 필요한가가 그리고 필요하다면 어떤 수준에서 운영되어야 하는가

가 쟁점이 되고 있다 일부 당사국들은 비록 당사국 간의 자발적 협력

에 의한 감축활동이지만 협력적 접근법에 의한 전 지구적 활동들을 관

할하는 별도의 기구 설립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반면 일부 당사국

들은 협력적 접근법만을 관할하는 별도의 기구를 만들기보다는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의 감독기구에서 협력적 접근법에서 필요한 기능을 통

합해서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28)

28) DEHSt(2016)에 따르면 협력적 접근법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는 (1) 완전히 분권화된 형태로 운영하고 결과만 보고하는 방식 (2) 관련된 모든 운영사항을 규정에 담아 UNFCCC 같은 중앙집권적 기구를 통해 관리하는 방식 (3) 견고한 회계방식 투명성 보장 등을 위해 공통의 레지스트리를 중앙집권적 감독기구에서 운영하되 최소한의 기준만 충족되면 당사국의 자율에 맡기는 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의 논의는 (2)안 또는 (3)안으로 하되 협력적 접근법만을 위한 별도의 중앙집권적 감독기구를 설립할지 아니면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을 관할하는 감독기구에서 협력적 접근법 관련 사항까지 관할하도록 할지에 해 의견을 조율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한편 Bodansky et al(2016)의 주장에 빗 어 해석하면 (2)안은 통일적 접근법(uniform approach)에 가까운 방식이다 (2)안은 거래비용과 정책 불확실성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는 반면 당사국들의 개별적 상황을 반영하는 유연성이 떨어지며 합의에 이르는데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조화적 접근법(harmonized approach)은 당사국들의 개별적 상황을 포괄할 수 있는 보다 일반적인 기준만 제정하여 이를 준수하기만 하면 되도록 하는 방식을 말한다 사실 DEHSt(2016)에서 제시하고 있는 (3)안은 통일적 접근법과 조화적 접근법이 혼합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Bodansky et al(2016)가 지적한 바와 같이 ITMO의 발생과 이전을 추적하고 NDC 활용 여부를 확인하는 규칙과 시스템은 중앙집권적 기구에서 통일적으로 관리하되 MRV 기준이나

52

세 번째는 시장 참여의 조건에 관한 사항이다 당사국들 간에 자발

적 협력이라는 원칙하에 NDC의 유형이 영향을 줄 수 있는가가 쟁점

이다 DEHSt(2016)에서 보여주듯이 온실가스 배출량 상한이나 감축량

같이 tCO2eq로 측정가능한 NDC 형태가 많긴 하지만 감축정책이나 감

축 관련 활동 자체를 NDC로 제출한 국가들도 존재하기 때문에 그러

한 국가들의 시장 참여 여부가 쟁점이 될 수 있다 아랍그룹 LMDC

등은 NDC 유형에 관계없는 참여 보장을 요구하는데 반해 선진국들은

시장 참여를 위한 조건으로서 NDC 계량화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네 번째는 상응하는 조정의 적용 상에 관한 사항이다 주로 언급되

고 있는 상에는 NDC에 포함되지 않은 외부(outside)감축활동에서

발생한 감축사업 Pre-2020에서 전환된 교토 메커니즘 하의 배출권에

해 상응하는 조정을 적용할 필요성이 있는가가 주요 쟁점이 되고 있

으며 당사국 별로 입장이 제각각인 특징이 있다

다섯 번째는 단일연도 NDC에 한 상응하는 조정의 적용방식이다

단일년도 NDC에 한 상응하는 조정 여부에 자체에 해선 큰 이견

이 없으나 상응하는 조정을 어떻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해선 당

사국별로 입장이 엇갈린다 단일년도 NDC의 특성이 중간연도에 해

서는 별도의 목표를 수립하고 있지 않은 방식인데 목표연도 이전에

감축하여 보유하고 있는 감축실적은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그리고

마지막 년도에 관한 NDC 달성 여부를 증명하는 과정에서 상응하는

조정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등이 쟁점사항이 되고 있다29)

ITMO의 부여 등은 최저 기준만 충족하도록 하는 조화적 접근법을 혼용하는 방식에 가깝다

29) 동 이슈는 감축(파리협정 제4조)의 lsquoNDC 산정rsquo과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의 lsquo연계된 산정rsquo과 관련되어 있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3

이 외에도 ITMO를 발생 이전 획득한 경우에 중간년도에 해서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체계 하에서 어떤 정보를 보고해야 하는지에

한 이슈 또한 존재한다

2)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협력적 접근법과 달리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은 감독기구를 중심으로

중앙집권적 방식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상 적으로 이슈가 적다

첫 번째는 감독기구의 운영구조에 관한 사항이다 이 논의에는 기존

운영구조인 청정개발체제의 집행위원회와 운영구조 상에서 어떤 차이

를 둘 것인가에 관한 논의로 귀결된다 특히 위원회의 구성과 관련하

여 청정개발체제와 같이 선진국과 개도국을 구분해 위원회를 구성할

것인지 여부가 쟁점이 되고 있다

두 번째는 전 지구적인 전반적 감축에 관한 사항이다 전 지구적인

전반적 감축을 이행하는 방안으로 발행시점에서 조치를 취할지(판매국

중심) NDC 이행시점에서 조치를 취할지(구매국 중심) 등이 쟁점이

되고 있다

세 번째는 교토 메커니즘의 전환에 관한 사항이다 주로 2020년 이

후에 교토의정서 상의 교토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을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하에서의 실적으로 인정할지 여부 인정하더라도 특정한 전

환조건을 설정할 것인지 여부 Pre-2020에서 발행된 배출권의 전환을 인

정할지 여부 교토 메커니즘 상에서 승인된 방법론을 계속해서 사용할

지 여부 등이 이에 해당한다

54

2 Post-2020 탄소시장 전망과 시사점

파리협정 후속 협상을 통해 협상문서 초안이 도출됨에 따라서 향후

적용될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지침의 전체적인 구조를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쟁점 사항으로 제기된 몇 가지 사안들은 기술적인 이슈

보다는 정치적인 이슈의 성격이 많아서 후속 협상 과정에서 실무자들

간의 논의보다 고위급 논의 과정에서 정치적 타결이 될 개연성이 더

높다

교토 메커니즘과 비교하여 파리협정에 따른 시장은 모든 당사국이

감축목표를 보유한 상태에서 시장을 형성한다는 제약조건이 존재한다

이는 이중계산 방지의 중요성과 함께 상응하는 조정의 문제가 필연적

으로 부가된다 과거 개도국 입장에서는 청정개발체제 사업을 자국 내

에서 시행하더라도 감축목표가 없는 상태였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적인

부담이 존재하지 않았다 반면 파리협정에서는 이중계산 방지를 위해

자국 내 실제 배출량에서 국외로 순 이전된 ITMO의 양만큼을 가산하

여 배출량을 산정한 후에 NDC의 목표 배출량과 비교하여 이행 여부

를 점검받는다는 부담이 존재한다30) 여기에 전 지구적 전반적 감축의

개념을 적용한다면 실제로 NDC에 ITMO를 사용하는데 제약 조건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국가 감축목표 이행적 측면에서도 후속협상의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단일년도 NDC에 관한 상응하는 조정의 적용 시

기와 방법에 따라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의 증빙 과정

30) 만일 NDC가 목표 감축량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ITMO의 순 국외 이전량 만큼 실제 감축량에서 차감한 후에 NDC에서 정한 목표 감축량과 비교하여 이행 여부를 점검하게 된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5

에서 해외 감축분의 필요량이 결정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이슈가 될

전망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본다면 파리협정에 따른 국제 탄소시장

은 교토 메커니즘 하의 시장보다 상 적으로 규모가 작아질 것으로 예

상된다

한편 국내 배출권거래제에서는 2018년부터 외부사업에 해 해외

온실가스 감축분을 인정하고 있다 청정개발체제에 따른 사업들을 상

쇄배출권으로 인정하고 있는데 2020년 이후 교토 메커니즘의 전환 여

부가 아직 확정되지 않아서 사업 활성화 측면에서 불확실성을 내포하

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국내 배출권 시장에서 교토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의 활용 여부는 전환 여부에 한 국제 협상 결과에 따라 결

정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반면 협력적 접근법이나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등 파리협정에 따

른 시장 메커니즘은 국내 배출권거래제도 상의 운영 목적에 비추어 볼

때 국내 배출권거래제도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 국내 배출권거래제의

도입목적(제2조)이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비용효과적인 이행이고

이들 시장 메커니즘 또한 당사국들의 NDC 이행과 명시적으로 연계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은 국내 배

출권거래제도에서 인정되는 해외 온실가스 감축분으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

다만 한 가지 유의할 점은 파리협정의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

적분이 국내 배출권과 직접적으로 연계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분은 국가 차원의 목표 이행에서 의미를 가

지는데 반해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권은 비록 국가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이긴 하나 개별 사업자 차원의 목표 이행과 관련이

56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분을 민간에서 획

득한 경우 이를 우리나라 정부에서 발급하는 배출권과 교환을 통해 간

접적으로 배출권 시장에서 활용할 수 있다31) 이때 다른 당사국이 자

국의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고 있고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에 따

른 실적을 상쇄로 인정하는 경우라면 결국 국내 배출권 시장과 해당

국가 배출권 시장은 협력적 접근법 또는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체

계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된다

협력적 접근법의 경우 양자 또는 다자간 협력 체계를 필요로 하므로

정부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밖에 없지만 지속가능발전 메커

니즘은 민간 중심의 시장이 될 개연성이 높다 다만 제도의 시행에 있

어 감독기구의 설립 이후에도 제도 운영을 위해 필요한 추가적인 세부

지침의 개발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 사업으로 진행되기까지는 상

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협력적 접근법의 경우 양자 방식으로 운영한다면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보다 다소 이른 시기에 사업이 진행될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양자 협력의 체결 국가 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운영을 위한 행

31) 현재 교토 메커니즘의 청정개발체제에 의한 감축량도 외부감축인증실적(Korean Offset Credit KOC)을 상쇄배출권으로 전환해야 배출권 시장에서 사용가능하다 다만 외부사업 감축량으로 인증받은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은 중복 사용 방지를 위해 소각된다 이에 반해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해외외부사업감축인증실적은 우리나라의 NDC 이행 여부 점검 시 필요하다 따라서 만일 민간에서 이를 획득하여 국내 배출권 시장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부에서 발급하는 상쇄배출권(Korean Credit Unit KCU)과 교환하도록 하고 이를 별도의 레지스트리에 등록middot보관해 두어야 할 것이다 정부가 직접 추진한 협력 사업의 감축실적을 시장안정화 조치 등의 이유로 국내 배출권 시장에 유입시킬 경우도 동일한 논리가 적용될 것이다 다만 배출권 시장에 유입된 만큼 배출권거래제 적용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7

정적 시간적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협력적 접근법의 경우에는

체결 국가 수를 무작정 늘리는 방식보다는 전략적으로 필요한 국가와

선별적으로 체결하는 방식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필요한 국가의 선

정 기준에는 기후변화 측면도 있지만 사회 정치적인 사안들의 고려도

필요할 수 있으므로 현 단계에서 필요한 사안이 무엇이고 이를 위해선

누구와 협력할 것인가에 한 사회적 합의를 우선적으로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59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본 장에서는 앞서 검토한 배출권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연계 사례에서의 시사점 그리고 국제 탄소시장 동향 논의 전망을 토

로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과 해외 시장과 연계할 경우 두될 것으로

보이는 주요 쟁점사항과 시사점에 해 살펴보기로 한다 특히 본 연

구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를 논할 때 가장 빈번하게 거론되는

EU-ETS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기로 한다32)

1 우리나라 ETS와 EU-ETS의 주요 설계요소 비교33)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이하 K-ETS)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국내적 정책 수단으로서 도입middot시행되고

32) 최근 논의되고 있는 한-중-일 배출권 시장 연계의 경우 중국 및 일본 모두 국가 전체 차원의 배출권거래제가 아닌 일부 지역을 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적용 범위도 서로 상이한 점이 많아 사례 분석의 상으로 적합하지 않다고 보고 본 고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EU-ETS의 경우 EU 회원국이 참여하는 가장 큰 규모의 시장이며 오랜 배출권 시장 운영 경험을 가지고 있고 국내 배출권거래제도 설계 시 벤치마크로 활용되어 제도적 유사성이 상 적으로 높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사례분석의 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EU-ETS와 국내 배출권 시장 간의 연계를 분석한 국내 문헌이 거의 전무하다는 것도 EU-ETS를 사례 연구 상으로 삼은 중요한 이유 중 하나이다 국내 배출권 시장과 타 국가 배출권 시장의 연계를 다룬 국내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데 최근 박수경 외(2018)의 연구가 중국 배출권 시장과의 연계를 다루고 있으니 참조하기 바란다

33) 후술하는 우리나라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소에 관한 내용은 환경부(2019)를 주로 참고하였다

60

있다 따라서 K-ETS의 감축목표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로 설정된

2030년 BAU 비 37 감축과 연동되어 설정된다 제2차 계획기간

(2018년부터 2020년)동안 K-ETS는 매년 5477백만톤(3개년 총 1643

백만톤)을 사전할당하였는데 이는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02를 차지한다34)

EU 역시 역내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을 위한 정책 수단으로 ETS

를 도입middot운영하고 있으며 역내 국가들의 감축목표 총합을 고려하여 할

당계획을 수립한다는 점에서 한국과 유사하다 EU는 2020년까지 90년

비 20 2030년까지 90년 비 40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였

다 EU-ETS 제3기 할당계획에 따르면 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역내

전체 배출량의 약 45에 달하는 ETS 부문에서 2013년도 배출허용량

2084백만톤을 기준으로 2020년까지 매년 3826백만톤씩 배출허용량

을 일률 감축하도록 하고 있다35)

2020년까지 기간을 고려하면 EU-ETS가 K-ETS에 비해 엄격한 감축

목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K-ETS의 경우 2015년도 할당량을

기준으로 2020년까지 연평균 07이내로 감축하는 수준이므로

EU-ETS가 K-ETS에 비해 감축의 강도가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36)

그럼에도 불구하고 EU-ETS의 경우 제2기(2008~2012)에 발생한 잉여

배출권의 상당량이 제3기로 넘어와 시장 내 배출권 공급 과잉과 그로

34) 환경부 보도자료(2018724) 및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2019) 참조35) 2008년에서 2012년까지의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의 174에 달하는 감축량을 매년

동일하게 감축하는 것으로서 이는 2013년도 배출허용치 비 2020년까지 연평균 194 감축에 해당한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홈페이지(httpswwwemissions-euets comcarbon-market-glossary872-european-union-emissions-trading-system-eu-ets)를 참조하라

36) K-ETS 제1차 할당계획의 2015년도 사전할당량에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에 따른 2017년 추가할당량과 조기감축실적 3개년 평균을 적용한 값과 2019년 2차 계획기간 할당계획 변경안의 2020년 사전할당량을 비교하였다(환경부 2014 관계부처합동 2017 환경부 2019 참조)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1

인해 배출권 가격이 비교적 낮게 형성되고 있다37) 따라서 감축목표

엄격성의 절 적 수준이 아닌 그로 인한 배출권 시장의 영향이라는 관

점에서 본다면 현재까지는 두 시장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고 단정 짓

기는 곤란하다

나 할당방식

K-ETS와 EU-ETS 간 할당방식에 있어서 특징적인 차이는 (i) 유상

할당의 규모 (ii) 간접배출에 한 할당 여부에 있다

먼저 K-ETS는 무상할당이 기본이 되는 할당방식을 가진데 비해

EU-ETS는 상당 수준의 배출권을 유상으로 할당한다 K-ETS는 제2차

계획기간부터 일부 유상할당의 요소를 도입하고는 있으나 2020년까지

는 전체 할당량의 3 이내에서 유상할당하며 2020년 이후에는 전체

할당량의 10 이상을 유상으로 할당할 계획이다 K-ETS의 무상할당

은 기본적으로 과거 실적에 기반한 할당(Grandfathering)방식을 따르지

만 발전 집단에너지 산업단지 정유 시멘트 항공 폐기물 등 7개 업

종에 한해 벤치마크 방식에 기반한 할당을 적용하고 있다(환경부

2019) 반면 EU-ETS는 기본적으로 경매에 기반한 유상할당 방식을

따르고 있다 제3기 총 배출권의 약 57가 유상할당으로 배분되는데

발전부문은 거의 부분 유상할당하며 국제경쟁에 노출되는 산업부문

37) EU-ETS 할당배출권 가격은 2013년 이후 부분의 기간에서 10유로 미만으로 형성되어 오다가 최근 들어서야 20유로를 넘어섰다 반면 K-ETS의 KAU17 평균거래가격은 약 22천원 수준으로 현재(2018년 12월말 기준) EUA 가격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홈페이지 httpssandbagorgukcarbon-price-viewer 및 삼정KPMG Issue Monitor 제87호 참조)

62

은 상당량을 무상으로 할당하고 있다38)

K-ETS가 다른 ETS 시장과 구분되는 큰 특징 중 하나는 전력 열 등

의 최종소비자의 간접배출에 해서도 배출권을 할당하고 규제를 한다

는 점이다 부분의 ETS 시장은 직접 배출만을 규제 상으로 삼고

배출권을 할당한다 K-ETS에서 간접 배출을 규제하는 이유는 전력이

나 열 소매요금에 발전사들의 배출권 비용을 전가하기 어려운 구조이

기 때문이다

다 유연성 메커니즘

1) 상쇄제도

K-ETS의 상쇄는 국내에서 시행된 외부감축사업에서 획득한 감축실

적과 국내 업체가 해외에서 직접 시행하여 획득한 CDM 사업에 한해

인정된다 이때 의무이행에 사용할 수 있는 외부감축실적은 할당업체

별로 전체 배출권의 10 이내에서 인정되는데 이중 해외에서 시행해

서 획득한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은 각 이행연도 의무이행량의 5까지

만 인정된다(환경부 2019)

반면 EU-ETS는 지난 제2기(2008~2012)에 국가별 할당계획(NAP

National Allocation Plan)에 따라 결정된 국가별 상쇄한도 중 사용하

고 남은 양은 모두 제3기로 이전해 사용가능하다 그러나 예외적인 조

치로서 HFC-23이나 아디핀산 N2O 관련 프로젝트에서 나온 상쇄배출

권은 통용되지 않으며 제3기부터는 최빈개도국에서 시행된 CDM 프

로젝트의 크레딧만 허용한다 전체적으로 EU-ETS는 역내 상쇄배출권

38) 자세한 사항은 다음 웹사이트를 참조하라(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allowances_en) 산업부문에 한 무상할당은 2020년 30까지 점진적으로 줄여나갈 예정이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3

의 허용량이 2008년부터 2020년까지 역내 총 감축량의 50 이내가

되도록 한다는 원칙을 견지하고 있다(IETA 2014 ICAP 2019c)

EU는 역내 온실가스 감축노력 증진을 위해 제3기에는 상쇄를 엄격

히 제한해 왔으나 2021년 이후의 상쇄 제도에 해서는 아직 K-ETS

및 EU-ETS 모두 결정된 바 없다(ICAP 2019c)

2) 이월

K-ETS는 당초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였으나 시장 유동성 확보 차원

에서 제2차 계획기간 부터는 이월을 일정 수준에서 제한하고 있다 제

1차 이행연도의 경우 배출권(할당 및 상쇄) 순 매도량의 3배 이내이거

나 125만톤 이상 배출업체의 경우 75만KAU 25만톤 이상 배출 사

업장을 가진 업체의 경우 15만KAU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 이월을

허용한다 제2차 이행연도에는 배출권 순 매도량의 2배 이내 또는

125만톤 이상 배출업체의 경우 5만KAU 25만톤 이상 배출 사업장을

가진 업체의 경우 1만KAU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 이월을 허용한다

마지막 3차 이행연도에는 제2차 계획기간 연 평균 배출권 순 매도량

또는 125만톤 이상 배출업체의 경우 25만KAU 25만톤 이상 배출 사

업장을 가진 업체의 경우 05만KAU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 3차 계획

기간의 첫 번째 이행연도로만 이월을 허용하고 있다(환경부 2019) 반

면 EU-ETS는 별도 제한없이 전량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고 있다

3) 차입

K-ETS는 제2차 계획기간의 제1차 이행연도에는 배출권의 15 이

내에서 그리고 제2차 이행연도에는 배출권의 15에서 직전년도 차입

64

비율의 절반을 제한 비율까지 차입을 허용한다 그러나 계획기간 간

차입은 허용하지 않는다(환경부 2019) EU-ETS는 원칙적으로 차입을 허

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EU-ETS는 계획기간 내 이행연도별로 할당배출

권을 구분하여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의무이행 시점과 배출권 할당 시

점 간 차이를 활용하면 배출권 차입이 사실상 가능한 구조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EU-ETS의 배출권 할당은 매년 2월말에 이루어지는데 반

해 직전년도 이행실적에 한 배출권의 제출은 매년 4월말까지 이므로

당해 연도에 할당된 배출권을 직전년도 의무 이행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39) 이는 K-ETS처럼 배출권을 할당연도별로 관리하지 않기 때문

이다 따라서 비록 EU-ETS가 형식적으로는 계획기간 내 차입을 허용

하고 있지 않으나 실질적으로는 계획기간 내 차입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4) 가격 및 공급관리

K-ETS는 배출권 가격이 단기간에 급격히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경

우 그리고 배출권 수요에 비해 공급이 현저히 적은 경우 시장안정화를

위해 규제 당국이 시장에 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배출

허용총량 이외에 별도로 시장안정화 조치에 사용할 수 있도록 14백만

톤의 배출권을 예비분으로 배정해두고 있다 또한 시장 유동성 제고를

통한 거래 촉진을 유도하기 위해 시장조성을 위한 예비분 5백만톤을

추가로 배정하여 배출권 시장의 가격 및 수급을 관리하고 있다(환경부

2019)

39) 자세한 사항은 다음 웹사이트(httpswwwemissions-euetscomborrowing)를 참조하기 바란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5

한편 EU-ETS는 K-ETS와 같은 직접적인 시장 개입을 하고 있지는

않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상할당 배출권의 경매 연기조치

(Backloading)과 2020년 이후 본격적으로 도입될 배출권 비축제도

(Market Stability Reserve MSR) 등을 통해 배출권 가격 및 공급을 관

리하고 있다

라 의무이행 관련 사항들

K-ETS는 도입 당시부터 EU-ETS에서 적용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

정 방식을 상당부분 차용하였기 때문에 배출량의 산정middot보고 및 검middot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일부 차이는 있지만 거의 유사한 수준이라고 해도 과

언이 아니다

페널티의 경우 K-ETS는 배출권 평균 가격의 3배 또는 최 톤당 10

만원에서 결정되며 EU-ETS는 톤당 100유로 수준이므로 큰 차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다만 K-ETS는 과징금을 납부할 경우 의무미준수량에

한 별도의 추가 제출 의무가 없는데 비해 EU-ETS는 과징금과 별도

로 후속연도에 미준수량에 한 배출권 제출 의무가 부과된다는 차이

를 가진다(박수경 외 2018)

lt표 -1gt은 지금까지 살펴본 우리나라와 EU의 배출권거래제를 상

세하게 요약middot비교한 것이다

66

lt표 Ⅴ-1gt 우리나라와 EU의 배출권거래제 비교

국가 한국 EU

목표의 엄격성2020년까지 2015년도 할당량 기준 연평균 07 감축

2020년까지 2008-2012년의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의 174 균등 감축

배출량 제한 2018~2020년 5477MtCO2e2013년 2084 MtCO2e 2020년까지 매년 3826MtCO2e 감축

탄소상쇄 수량

할당된 배출권의 최 10 국내 탄소상쇄 및 CDM 사업에 한해 인정해외 상쇄는 5까지 인정

전체 EU-ETS 상쇄 허용량이 2008년~2020년 총 감축량의 50 이내로 관리제3기부터 최빈국의 청정개발체제 배출권만 사용 가능

가격 및 공급관리

비축분의 최 25까지 조기 경매 정부 시장 개입 가능

시장의 과잉공급 정도에 따라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배출권 공급량 조정

배출권 할당1단계 100 무상할당2단계 97 무상할당3단계 90 무상할당

산업부문은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적용범위발전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건물 폐기물 국내 항공 CO2

및 5 온실가스

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EU 역내 항공 CO2 및 N2O PFCs

준수기간 2015~2025 2013~2020

규제방식 하향식 방식 직접+간접배출 하향식 방식

이월차입이월제한 있음계획기간 내 차입 가능(기업 할당량의 최 10)

무제한 이월 가능차입은 원칙상 허용되지 않으나 계획기간 내 차입이 가능한 구조

페널티 제도배출권 가격의 3배 최 1톤당 10만원

1톤당 100 Euro의무 미준수량만큼 할당에서 공제

자료 Carbon Market Watch Report(2015) 박수경 외(2018) 등의 구성을 참고하여 국내외 문헌 및 웹사이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저자가 직접 재구성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7

2 K-ETS와 EU-ETS 연계 시 예상 쟁점들

가 감축목표

앞서 지적하였듯이 EU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2030년까지 1990년

배출량 비 4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어 BAU 비 37 감축목표

를 제시한 우리나라에 비해 더 엄격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두

시장의 연계에 한 논의가 본격화될 경우 EU 측에서 한국의 국가 감

축목표를 EU 수준에 근접하게 상향하거나 ETS 상 부문에 해 국

가 전체 감축률을 상회하도록 할당규모를 조정할 것을 요구할 수 있

다 물론 우리나라 정부의 입장에선 이러한 EU측의 요구를 전적으로

수용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 경우 한국의 제조업middot에너지다소비업종

중심의 산업구조로 인해 외견상 감축목표 수준과 달리 상당히 높은 한

계감축비용에 직면하고 있음을 적극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해서 한 가지 주목할 점은 한국에 비해 강한 감축목표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EU-ETS의 배출권 가격이 감축목표 강도를 제 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EU-ETS와 비교해 본다면 K-ETS

는 외견상 감축목표에 비해 배출권 가격이 상당히 높은 수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여기에는 감축목표의 지속적인 강화에 한 기 가

미친 영향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배출권 가격은 참여기업

들이 직면하는 한계감축비용의 수준을 투영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외

견상의 감축목표 강도에 비해 K-ETS 참여기업들의 실제 감축부담은

상당히 높은 편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추후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제기될 것으로 예상되는 EU측의 감축목표 상향 요구에 한

응논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40)

40) 이와 함께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하는 추세인데 반해 EU는 감소하는

68

나 할당방식

1) 간접배출의 포함 여부

K-ETS는 발전부문의 직접배출뿐만 아니라 전력이나 열 수요자의

간접배출에 해서도 배출권을 할당한다 이는 (i) 전력이나 열 소비

요금에 배출권 제반 비용을 전가하기 용이치 않은 우리나라 전력middot열

시장의 구조적 한계를 보완하고 (ii) 적정 수의 시장참여자를 보장하기

위해서이다41) 간접배출의 포함 여부가 직접적으로 배출권 시장 연계

전후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은 극히 제한적이므로 일견 시장 연계 시

쟁점사항이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간접배출에 해 할당을 할 경우

(i) 이중계산(double counting)의 문제 (ii) 횡재이윤(windfall profits)의

문제점이 제기될 가능성이 높다

먼저 전력이나 열의 생산자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도 배출권을 할당

하므로 이중계산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부문에서

100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였다고 할 때 100톤의 감축량 중 발전부문

자체의 노력(전원믹스 개선 발전효율개선 등)의 기여분과 최종소비자

의 수요 감축 노력의 기여분을 명확하게 분별할 수 없다면 이중계산의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42)

다른 한편 횡재이윤의 발생도 가능하다 발전부문에 한 배출권 할

당량은 발전부문 자체의 노력을 감안한 목표 감축량과 수요 측의 절감

추세에 있으므로 단순히 외견상의 감축률만으로 감축의 강도를 판단해선 안되며 K-ETS의 높은 탄소가격에는 그러한 측면이 반영되어 있다는 주장도 유용한 응논리가 될 수 있다 이를 지적해준 익명의 심사위원께 감사드린다

41) 만일 간접배출을 할당에 포함시키지 않을 경우 전력이나 열 등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다수의 기업들이 배출권거래제 적용 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다

42) 실제 감축량은 직접배출 기준으로 계산한 전체 감축량에서 최종소비자의 간접배출 부문 감축량을 제외해야만 이중계산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9

노력을 반영한 목표 감축량을 함께 고려하여 정해진다 만일 발전부문

의 자체 노력에 따른 감축량이 목표량에 미달하더라도 수요 측 절감노

력이 목표량을 초과할 경우 목표를 충족시키거나 초과달성할 수 있으

므로 횡재이윤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상의 문제는 EU-ETS와 연계 과정에서 제기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그러나 간접배출에 한 할당의 포함여부에 관한 논의는 궁극적

으로는 우리나라의 전력 또는 열 시장에 한 제도적 변화에까지 이어

지기 때문에 에너지 정책의 자율성과도 직결된 문제이므로 시장 연계

시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2) 유상할당의 수준

2020년 이후 EU-ETS는 기본적으로 발전부문뿐만 아니라 산업부문

에 해서도 유상할당이 중심이 되는데 비해 K-ETS는 여전히 부분

을 무상으로 할당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EU-ETS 참여 기업들을

중심으로 산업경쟁력 및 탄소누출의 우려를 제기하면서 K-ETS에 유

상할당의 비중을 상당 수준으로 높일 것으로 요구할 가능성을 배제하

기 어렵다 우리나라 업체들은 산업경쟁력 유지를 위해 온실가스 배출

권거래제도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최소 유상할당 비율 유지를 강하게

주장할 것이므로 K-ETS에서의 유상할당 비율은 매우 첨예한 쟁점사항

으로 부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 상쇄제도

아직 글로벌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에

70

서 두 시장의 상쇄제도의 차이가 시장 연계에 걸림돌로 작용할지는 현

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2021년부터 2030년까지 EU는 ETS 분야에서

1990년 비 43 Non-ETS 분야에서 30 감축을 통해 EU 자체적

(domestic)으로 최소 4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43) EU 자체 노력

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최소 목표치를 공식적으로 선언하였으므로

EU-ETS 할당 시 적어도 동 목표에 해당하는 수준까지는 역외 크레딧

사용을 허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44)

여기서 주목할 사항은 만일 EU가 배출권 시장 연계를 허용한다는

것은 결국 자신의 온실가스 최소 감축목표치를 사전에 공표한 수치 이

상으로 설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배출권 연계는

기본적으로 역외의 타 시장 배출권을 역내 의무사용에 활용하는 것이

므로 역내 최소 감축 목표치보다 목표를 상향해서 할당하지 않을 경우

엔 사전에 공표한 자체 감축노력에 의한 최소 감축목표를 근본적으로

달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EU와의 배출권 시장 연계가 논의되는 이상 EU-ETS는 적어도

이미 공표된 온실가스 감축 최저 목표치를 상회하는 목표를 설정할 공

산이 크다 EU-ETS가 도전적인 목표치를 설정하고 배출권 시장 연계

를 허용한다고 할 때 일정한 제약(예를 들어 최저 목표치에 해당하는

감축량을 초과하는 한도) 하에서 연계된 시장의 배출권과 더불어 역외

크레딧을 허용할 가능성이 높다 여기서 역외 크레딧에는 현재 논의되

43) European Commission COM(2016) 482 final 참조44) 여기서 EU가 제시한 온실가스 배출량의 40 자체 감축(ldquoa 40 domestic reduction

in economy-wide greenhouse gas emissionsrdquo)의 의미를 이중계산(double counting)이 허용되지 않는 상황에서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해 최종적으로 정산한 이후 EU가 자체적으로 레지스트리에 보유하고 있는 배출량을 기준으로 한다고 해석할 여지도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자체 감축(domestic reduction)의 의미를 순수하게 자신의 노력을 통해 감축한 역내 배출량으로 간주하기로 한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1

고 있는 시장 메커니즘인 UNFCCC의 관리middot감독 하에 운영되는 지속

가능발전 메커니즘과 협력적 접근법에 따라 EU와 자발적 협력 체결을

통해 발생한 감축실적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45)

한 가지 유의할 점은 EU뿐 아니라 우리나라와도 동시에 자발적 협

약을 체결한 국가에서 감축한 실적의 경우는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겠

지만 우리나라와만 자발적 협약을 체결한 경우에 해당 국가에서의 감

축실적을 K-ETS에서 상쇄로 허용하는 것이 또 다른 쟁점이 될 수 있

다는 점이다 만일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시장 메커니즘이 포괄적인

원칙에 해서만 합의가 이루어지고 세부 사항은 국가 간 자발적 협약

에 맡기는 방식이 될 경우 EU에서는 자신의 기준에 맞지 않는 자발적

협약에 따른 감축실적을 상쇄로 허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46) 이는

EU-ETS 제3기에 UNFCCC하의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을 최빈개도국가

들에서 만들어진 것 이외에는 허용하지 않는 사례에서 보듯이 충분히

생각해볼 수 있는 시나리오이다 그러할 경우 상쇄제도의 국가 간 세

45) 연계된 시장의 배출권을 EU-ETS의 의무이행에 활용한다는 것이 파리협정 하의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ITMO를 활용하는 것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배출권거래제도의 연계가 두 당사국 간의 상호 자발적인 협력 체결을 통해 이루어지며 중요한 감축수단의 하나라는 점에선 유사하지만 엄 한 의미에서 배출권거래제의 연계가 파리협정의 협력적 접근법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지 않는다 협력적 접근법에서 말하는 ITMO는 감축활동의 결과물로서 나온 감축실적인데 반해 배출권거래제도 상의 배출권은 배출을 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므로 양자의 성격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감축실적과 배출허가권이 일 일로 매칭될 수 없기 때문이다 배출권거래제도는 자국의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국내적 정책 수단의 하나이지 파리협정이라는 국제 협약의 틀 내에서 논의되는 시장 메커니즘과는 서로 다른 차원의 제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리협정에서의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감축실적은 배출권거래제도의 상쇄배출권의 형태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배출권 시장 연계가 협력적 접근법에 따라 자발적 협력 체결이 이루어진 국가들 간에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관점에서 배출권 시장 연계와 협력적 접근법이 직접적 연관성을 가지지는 않지만 서로 간에 높은 연관성이 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된다

46) 반 로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시장 메커니즘이 국가 간 자발적 협약에 한 구체적인 사항까지 규정하는 방식으로 합의가 된다면 논란의 여지는 훨씬 줄어들 것이다

72

부적 차이는 배출권 시장 연계에 있어서 쟁점사항으로 부각될 것이다

다만 K-ETS의 경우 해외상쇄를 전체 배출권의 5이내로 제한하고 있

어서 EU-ETS 시장에 한 공급 충격이 크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EU와 스위스 간의 ETS 연계 사례에서 보듯이 상쇄제도의 차이가 심

각한 장애요인은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라 기타 사항들

앞서 논의한 쟁점들 이외에 이월 차입 시장관리 등 여타의 사항들

은 이론적으로는 시장 연계 시 쟁점이 될 수 있으나 적어도 K-ETS와

EU-ETS 간의 연계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첫째 이월의 경우 현재 EU-ETS는 제한없이 허용하는데 반해

K-ETS는 이월에 한 제한을 두고 있다 그러나 2021년부터 2030년

까지의 계획에 따르면 EU는 이월을 허용하되 누적 이월량이 일정 수

준을 넘어 과도할 경우 제한을 둘 계획이다47) 따라서 양 시장에서 이

월 제도의 약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할 것이므로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쟁점으로 부각되지 않을 것이다

둘째 차입의 경우에도 2021년부터 2030년까지의 계획에 따르면 EU

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차입을 허용할 방침이므로 K-ETS의 차입 허용

이 연계 시 큰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48)

셋째 배출권 가격 및 공급 관리의 관점에서 보면 EU-ETS에 비해

K-ETS가 정부의 시장개입이 더 용이한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그 이

47) 다음의 홈페이지(httpseceuropaeuclimapolicieseffortregulation_en)를 참조하라48) 다음의 홈페이지(httpseceuropaeuclimapolicieseffortregulation_en)를 참조하라 또

한 앞서도 언급하였지만 EU-ETS는 현재 차입을 허용하고 있지 않지만 배출권 할당 시점과 제출 시점의 차이로 인해 사실상 차입이 허용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3

유는 K-ETS의 낮은 시장 유동성에 따른 배출권 공급물량 부족이 주요

원인이다 따라서 보다 큰 규모를 가진 EU-ETS 시장과 연계하는 경우

구태여 현재와 같은 K-ETS의 가격 및 공급 관리 제도를 유지하지 않

아도 무방하므로 두 시장 간의 연계 과정에서 장애요인이 되지 못할

것이다

3 배출권 시장 연계 방식별 편익 비용 그리고 시사점

가 시장 연계 유형별 편익 비용 비교

K-ETS와 EU-ETS 시장을 서로 연계한다고 할 때 연계하는 방식은

앞의 제3장에서 제시한 것들 중 하나가 될 것이다 그 중에서 완전통

합형 방식의 직접 연계는 사실상 현실적으로 가능한 안이 아니라고

보고 여기서는 쌍방향 연계 방식의 직접 연계와 단방향 연계 외부 크

레딧을 통한 간접 연계 등의 장middot단점을 비교해보기로 하자49)

1) 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배출권거래제는 사실상 자국의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자발적 감

축행동이다 배출권 시장의 쌍방향 직접 연계는 두 당사국이 자발적으

로 협력하여 이중계산 방지의 원칙 하에서 서로의 배출권 레지스트리

를 연계하여 서로의 배출권이 자유롭게 거래되고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49) 완전 통합형의 경우 두 시장을 하나의 시장으로 완전히 통합하는 것이므로 각 시장을 관할하던 정부들의 자율성이 전혀 보장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의 연계를 우리나라 정부에서 용인할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이므로 여기서는 완전통합형 연계 방식은 다루지 않기로 한다

74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은 크게 보면 다시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rsquo과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rsquo으로 나뉠 수 있다50) lsquo완전 쌍

방향 직접 연계 방식(이하 완전 쌍방향 방식)rsquo은 두 시장의 규제 당국

이 일정한 자율성을 가지고 배출권거래제도의 설계요소를 결정하되

각 시장의 배출권이 어느 시장에서든지 수량에 제한없이 의무이행에

전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연계 방식이다 스위스-EU 캘리포니아-퀘벡

등 현존하는 배출권거래시장 연계 사례는 모두 lsquo완전 쌍방향 방식rsquo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K-ETS가 EU-ETS와 이러한 방식으로 연계할 경우 예상되는 일차적

인 편익은 비용효과성 제고 및 규모 시장에 한 접근성 제고를 통

한 유동성 확 와 이를 통한 시장 가격 안정성 확보이다 앞에서도 살

펴보았듯이 배출권 시장의 연계는 기본적으로 두 당사국의 참여업체

비용부담을 완화시켜 준다 또한 시장 규모의 확 로 인해 시장 유동

성이 확 되고 배출권 시장가격의 변동성을 낮출 수 있다

이상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완전 쌍방향 방식이 가진 다음과 같은 단

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완전통합형에 비해서는 정도가 덜하지만 규제 당국의 정책 자

율성이 일정 수준 침해받을 우려가 있다 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의 특성 상 ETS 부문 감축목표 설정 할당방식 등 주요 배출권거래제

도 설계요소를 완전히 일치시킬 필요는 없지만 연계 상 방과 상당 수

준까지 보조를 맞추어야 한다 만약 양측의 설계요소 간 차이가 크다

면 이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핵심 설계요소를 조정해야 하는 당사국의

경우 일정 수준의 정책 자율성을 포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50) Ranson and Stavins(2015)를 비롯한 기존의 연구는 쌍방향 연계를 여기에서처럼 다시 두 가지로 구분하지 않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5

둘째 할당방식에 차이가 있을 때 특히 참여업체들의 비용과 직결되

는 유상할당의 규모 면에서 차이가 클 경우 연계 과정에서 쟁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두 시장간 유상 할당 비중의 차이가 클 경우

유상할당 중심의 국가에서 탄소누출 등을 이유로 유상할당 비중에

한 조정을 요구하고 이로 인해 유상할당의 비중이 늘어날 경우 연계

이전에 비해 무상할당 중심 시장의 참여업체들 비용부담이 크게 늘어

날 수 있다

K-ETS와 EU-ETS 간 연계를 상으로 생각해보면 K-ETS와

EU-ETS는 시장 규모 등의 측면에서 큰 차이가 나므로 시장 연계 과

정에서 K-ETS의 주요 설계요소를 EU-ETS와 근접하게 가져가야 할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ETS 부문의 감축목표 상향 간접배출에

한 할당방식의 조정 등 주요 설계요소에 해 EU-ETS와 유사하게 수

정해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에너지 및 온실가스 감축정책에 한 한

국 정부의 자율성이 침해받을 우려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유상

할당 중심의 EU-ETS와 달리 K-ETS는 무상할당이 주가 되므로 EU측

에서는 역내 산업경쟁력 및 탄소누출을 우려하여 K-ETS에도 상응하

는 수준의 유상할당을 요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끝으로 이론적 논의에서 잠깐 살펴보았듯이 lsquo완전 쌍방향 연계rsquo 방

식이 환경적 편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불분명하다51) 만일 시장 연

계 과정에서 한 당사국에서 상 편의 온실가스 감축목표가 자신과 상

응하지 못하다고 판단하여 감축목표 상향 조정을 요구하고 시장 연계

의 협의 과정에서 이것이 받아들여진다면 두 시장을 합한 전체 온실

가스 감축목표가 강화되어 lsquo온실가스 감축rsquo이라는 환경적 편익이 증

51) 제2장에서 논의한 Helm(2003) 및 Carbone et al(2009)의 연구 결과에 한 소개를 참고하라

76

할 수 있다 하지만 반 로 연계 이후의 국내 업체들의 감축비용 부담

이 늘어날 경우 규제가 상 적으로 느슨한 제3의 국가로 생산설비를

이전하는 탄소누출이 일어날 수 있다 이때 배출집약도가 높은 제3국

가로 생산설비가 이전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글로벌 차원에서는 온실가

스 배출량이 늘어날 수도 있다52) 즉 연계에 따른 감축목표의 상향이

업체의 부담을 높이고 이로 인한 탄소누출로 인해 오히려 전 지구적

인 차원에서 환경건전성은 나빠질 수도 있다 EU-ETS와의 연계에 따

른 환경건전성의 득실은 일률적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시장 연계의

환경적 편익을 예단하기 어렵다53)

2) 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 방식(이하 부분 쌍방향 방식)은 두 시장의

규제 당국이 자율성을 가지고 배출권거래제도의 설계요소를 결정하며

각 시장의 배출권을 어느 시장에서도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

에선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과 동일하나 의무이행에 활용되는 배출권의

수량에 제한을 두는 방식을 말한다 이는 사실상 두 시장이 서로 상

방의 배출권을 일정 비율 내에서 상쇄배출권처럼 활용하는 상황과 동

일하다

52) 예를 들어 상 적으로 친환경적인 전원믹스를 가진 국가에서 생산하던 업체가 유상할당 비중 증가로 인한 감축비용부담 상승으로 인해 제3의 국가로 생산설비를 이전한다고 하자 이 경우 설령 생산설비 이전과 이후에 동일한 에너지 투입 비 생산효율을 보인다고 가정하더라도 제3 국가의 전원믹스가 덜 환경친화적이라면 해당 업체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늘어나게 된다 이때 제3국으로 이전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분이 배출권 연계 이후 감축목표 상향에 따른 감축량 증가분을 초과한다면 전 지구적인 관점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은 순증하게 된다 결국 배출권 시장이 연계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연계 이후의 환경적 건전성은 오히려 악화된다

53) 이처럼 환경건전성과 관련한 연계 유형별 득실은 모호한 부분이 크므로 이후의 편익 비용 비교에 관한 논의에서 환경건전성은 제외하기로 한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7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의 경우에도 비록 제한된 수량 범위 내이긴 하나

연계를 통해 전체 시장 규모가 확 되므로 연계 이전에 비해 시장 유

동성을 제고하고 배출권 가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두 시

장의 배출권 가격 차이를 이용해 거래를 통한 비용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다 다만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과는 달리 활용가능한 상 편 배출권의

수량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두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하나의 가격으로

수렴되지는 못하고 일정한 차이를 두면서 각 시장가격의 자율성이 일

정 수준에서 유지되는 움직임을 보이게 된다54) 다만 경제적 효율성의

관점에서 보면 거래가능 수량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

식에 비해 일정 정도의 비효율성은 불가피하다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의 연계는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과는 달리 일정 범

위 내에서만 서로의 배출권의 활용을 허용하므로 가격 공급량 등에서

각 시장이 가진 독자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중계산의 문제

MRV의 투명성과 등가성 등의 기본 원칙이 준수되는 한 상 편 시장

은 상쇄배출권 거래를 위해 활용가능한 일종의 유연성 기제로서 간주

될 수 있다 따라서 두 시장을 합쳐 하나의 시장으로 바라보는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각 시장 운영의 자율성을 확보하기가 용이

하다 유사한 맥락에서 유상할당 규모에 차이가 존재하더라도 상 편

의 시장을 상쇄배출권 활용을 위한 기제로 간주하는 이상 할당방식의

차이를 상응되게 조정하고자 하는 정치적 압력도 크지 않을 것으로 전

망된다

54)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의 경우도 거래비용 등으로 인해 두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완전히 하나로 수렴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의 경우 두 시장의 가격 차이는 거래비용 등의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는 차이를 넘어선 수준에서 각 시장가격이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

78

요컨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연계할 경우 상 편 배출권의 활용

가능 비율이 줄어들수록 경제적 비효율성은 커지는 반면 시장 운영 및

제도 설계의 자율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이는 소규모 시장인

K-ETS가 규모 시장인 EU-ETS와 연계할 때도 유사하게 적용될 것

으로 전망된다

3) 단방향 연계 방식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방향 연계 방식은 어느 한 배출권 시장에

서는 상 편 시장의 배출권을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으나 그 반 는

허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단방향 연계는 타 시장의 배출권을 허용하는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허용하지 않는 시장의 배출권 가격에 비해 낮을

경우에만 실효성을 가지며 그렇치 않을 경우엔 실효성이 떨어진다 타

시장 배출권을 허용하지 않는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높게 형성되고 있

다면 단방향 연계에 따른 배출권 거래가 일어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55)

그러나 그 반 의 경우엔 상 편의 저렴한 배출권을 의무 이행에 활용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향상된 시장 접근성을 가질 수 있고 그로 인

해 시장 유동성 제고 가격 안정성 확보 및 감축비용 부담 완화라는 편

55) 이러한 경우에는 사실상 두 배출권 시장이 독립적으로 작동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우에 따라 시장 연계가 실효성있게 작동하는 상황도 발생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계가 허용된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 공급량이 부족할 경우엔 의무 이행을 위해 비싸더라도 배출권을 구매하려는 수요가 생길 수 있다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낮게 형성되고 K-ETS만 EU-ETS 시장과 일방향으로 연계된 상황을 상정해보자 통상적으로는 K-ETS 참여업체들은 비싼 EU-ETS 시장의 배출권을 구매하지 않으려 하겠지만 만일 K-ETS 시장에서 부분의 업체들이 잉여배출권을 이월하려고 해서 의무이행을 위한 배출권 구입 자체가 어려울 경우엔 단방향 연계 방식도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장에서 배출권 구입이 어려운 업체들은 비싸더라도 EU-ETS에서 배출권을 구매해서 의무이행을 할 것이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9

익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단방향 연계가 실효적인 상황 즉 연계를 허용하지 않은 국가

의 배출권 가격이 더 낮게 형성되는 경우엔 연계를 허용하는 국가의

정책 자율성이 보장받기 용이할 것으로 평가된다 왜냐면 연계를 허용

하지 않는 국가의 배출권 가격이 낮다는 의미는 ETS 부문의 감축목표

의 강도가 상 적으로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계를 허용치

않는 측에서 허용하는 측에 감축목표의 상향 등 주요 설계요소의 변화

를 덜 요구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단방향 연계는 다른 여타의 방식에 비해 연계를 허용하는 측

에 상당히 유리한 연계 방식이다 그러나 연계를 허용치 않는 시장에

서 얻는 편익이 거의 없기 때문에 앞서 살펴본 EU-호주 배출권 시장

연계 시도 사례에서 보듯이 본격적인 쌍방향 연계를 위한 준비기에 일

시적으로 운영되는 경우를 제외하곤 지속되기 어려운 실현 가능성이

낮은 방식이다

4) 외부 크레딧을 통한 간접 연계

끝으로 각 시장이 완전히 독자적으로 운영되면서 외부 크레딧을 통

해 간접적으로만 연계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현재 파리협정 하에서

의 시장 메커니즘 중 하나인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이나 협력적 접근

법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실적을 K-ETS와 EU-ETS가 상쇄배출권으로

활용하도록 할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 경우 양 시장을 운영하는 정부의 정책 자율성은 완전히 보장되는

반면 시장이 사실상 분리되어 있으므로 연계를 통한 직접적인 경제적

편익은 발생하지 않는다 상쇄배출권의 유입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서

80

로 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배출권 연계의 효과가 제한적이다 특히

상쇄로 활용 가능한 외부감축사업은 사업 발굴부터 크레딧의 발생 및

활용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K-ETS와 같이 수급 불

균형에 따른 유동성 부족 및 배출권 가격 불안정성을 경험하고 있는

경우엔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연계의 실질적인 효과를 기 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리협정에 따른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지침이

마련이 되고 감축사업이 본격화될 경우 이를 K-ETS에 연계시킬 필요

는 있다 물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의 시장 메커니즘은 이중계

산이 허용되지 않은 상황에서 모든 국가가 자국의 감축목표를 충족시

켜야 하므로 배출권 시장에서 활용 가능한 배출권 규모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앞에서 다룬 쌍방형 직접 연계와 함께 보조적

으로 사용된다면 효과성은 커질 것이다

나 K-ETS와 EU-ETS 간 연계를 위한 시사점

여기서는 다양한 연계 유형별 편익과 비용에 한 논의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과 EU 배출권 시장 간의 연계를 위한 시사점을

검토해보기로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가장 바람직한 연계의

방식은 시장 유동성과 비용효과성도 제고하면서 에너지 및 기후정책의

자율성을 최 한 확보할 수 있는 단방향 연계일 것으로 전망된다 즉

K-ETS는 EU-ETS 시장에 한 접근성을 가지나 EU-ETS는 K-ETS에

한 접근성을 허용하지 않는 방식이 가장 K-ETS에 유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시장 연계는 본격적인 시장 연계를 위한 준비기와 같은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81

예외적인 상황을 제외하고는 EU측에서 연계에 동의하지 않을 가능성

이 높아 실현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보인다

K-ETS를 운영하는 우리 정부 입장에서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과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 중 어느 쪽이 더 바람직한지 여부는 두 시장

의 시장 연계 전 배출권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따라 함의하는

바가 달라질 수 있다

먼저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

격에 비해 낮은 경우에 해 고려해보자 이 경우 시장 연계 이후에는

K-ETS 배출권 수요 증가로 K-ETS 가격은 상승하고 EU-ETS 배출권

의 가격은 낮아지게 된다 비용효과성의 측면에서 비록 K-ETS 참여업

체 중 배출권 순 구매자들의 구매 비용은 증가하겠지만 순 판매자들은

높아진 가격 상승의 혜택을 보게 되며 이론적으로는 전체적인 비용효

과성은 향상된다 그러나 연계 이전에 배출권 공급량 부족으로 유동성

문제에 고질적으로 시달리는 K-ETS의 입장에서 유동성 제고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 왜냐하면 K-ETS 배출권 가격이 상 적으로 낮기

때문에 K-ETS 배출권 수요가 늘어나고 이로 인해 K-ETS 배출권 확보

가 더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책 자율성의 측면에서 K-ETS 배

출권 가격이 상 적으로 낮다는 것이 EU측에 외형상뿐만 아니라 실질

적으로도 한국의 감축목표 강도가 약하다는 신호로 작용하여 감축목표

상향에 한 요구가 강해질 수 있다 한편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EU측이 유상할당의 비중을 상응하게 조정하자고 요구할 때 이를 거부

할 논거가 마땅치 않다 특히 한국의 감축목표 강도가 낮다는 선입견

은 유상할당 비중의 확 를 뒷받침해주는 또 다른 논거로 작용할 가능

성이 있다 만약 연계 이후 그러한 정치적 압력의 결과로서 실제로 유

82

상할당 비중이 늘어날 경우 참여업체의 경제적 부담이 커지게 되며 시

장 연계에 한 국내 업체들의 수용성은 크게 악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낮은 경우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일부 비용효과성 제고라는 편익

이 존재하지만 유동성 제고나 정책 자율성 확보 등의 측면에서 지불해

야 하는 비용이 더 클 가능성이 크다 한편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의 연계

는 비록 비용효과성의 제고에는 제한적일 수 있으나 감축목표의 상향

유상할당 비중 확 등 참여업체에 직접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외부의

정치적 압박에 보다 유연하게 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으로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

권 가격에 비해 높은 경우를 살펴보자 이 경우 시장 연계 이후에는

K-ETS 배출권 수요의 일부가 EU-ETS로 이전하여 K-ETS 가격은 낮

아지고 EU-ETS 배출권의 가격은 상승한다 비용효과성의 측면에서

K-ETS 참여업체 중 배출권 순 구매자들의 구매 비용은 줄어들게 되

며 비록 순 판매자의 배출권 판매 수입은 줄어드는 부분이 있지만 전

체적인 비용효과성은 증 된다 한편 K-ETS가 현재 겪고 있는 유동

성 부족 문제는 보다 저렴한 규모 EU-ETS 시장에 한 접근성이

커짐에 따라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책 자율성과 관련한

사항은 다소 분명치 않다 K-ETS 배출권 가격이 상 적으로 높기 때

문에 실질적인 감축목표의 강도가 높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가질 수 있

는 반면 외형상의 감축목표의 강도가 비교적 낮은 편이므로 감축목표

의 강도를 상응하게 조정해야 한다는 EU측의 정치적 압박에 자유롭기

쉽지 않을 수 있다 이와 함께 유상할당의 비중을 EU측과 상응하게 조

정해야 한다는 압력에서도 자유롭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83

결과적으로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높은 경우엔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

해 비용효과성 및 유동성 제고 등에서 더 큰 편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만 정책 자율성 확보나 유상할당 비중 최소화를 통

한 업계 부담 완화 및 수용성 확보의 관점에선 여전히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유리하다 물론 K-ETS 배출권의 높은 가격을 실질적인

높은 감축목표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을 통

해서도 정책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

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연계 이후 외부로부터의 정치적 압력

에 응하기 여의치 않을 경우엔 정책 자율성과 관련한 손실을 감수해

야 한다 만일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

이 크지 않다면 정책 자율성과 업계의 경쟁력을 고려한 부담 최소화

및 제도 수용성 확보가 더 용이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여전히

설득력 있는 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면 시장 연계 전 양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어

떻게 형성되는지 배출권 가격의 차이가 실질적인 감축목표 강도로

EU-ETS 측에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 질 수 있는지 등에 따라 바람직

한 시장 연계의 방식은 달라질 수 있다56) 전체적으로 lsquo완전 쌍방향rsquo

56) 실제로 K-ETS와 EU-ETS의 배출권 가격이 향후 어떻게 전개될 지는 현재로선 예측하기 어렵다 톰슨로이터의 전망에 따르면 EU의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경매연기 배출권의 배출권 비축 시나리오 하에서 2030년까지 EUA의 가격은 약 60유로(한화로 약 78000원선)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Point Carbon 2014) K-ETS의 배출권 가격 전망 자료는 찾기 어려우나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의 목표를 기준으로 할 때 2030년까지 현 수준보다 크게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외견상의 감축목표의 강도를 볼 때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낮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산업middot발전부문의 한계감축비용을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2030년 기준으로 한계감축비용이 톤당 10만원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안영환

84

연계방식은 비용효과성과 유동성 확보의 측면에서 다소 유리하지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정책 자율성 확보 업계 부담 최소화

및 수용성 확보의 차원에서 다소 불리할 수 있다 결국 우리 정부가 시

장 연계에 따라 어떤 가치를 더 보호할 필요가 있는지에 관한 정책적

판단에 따라 연계의 방식은 달라질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지적하고 싶은 것은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도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적절히 설정할 경우 상당한 비용효과성

및 유동성 제고의 편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만

일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서 설정한 lsquo비중rsquo을 넘어 완전한 쌍방향

연계로 전환할 때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이 그리 크지 않다면 정

책 자율성 확보에 유리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가 더 바람직한 연계 방식

이 될 수 있다 다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시 바람직한 상 편 배출권

의무 활용 비중이나 레지스트리 등과 같은 기술적인 부분은 본 연구의

범위를 벗어나는 문제이므로 후속 연구로 남겨두기로 한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에 맞는 연계의 방식은 캘리포니아

-퀘벡 또는 스위스-EU-ETS와 같은 해외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와는

달리 완전 쌍방향 연계 방식보다는 부분 쌍방향 연계 방식이 더 적합

할 수 있다 처음부터 완전 쌍방향 연계 방식을 취하기보다는 단계적middot

점진적으로 완전 쌍방향 연계로 확 해나가는 방향이 정책적 자율성을

확보하고 K-ETS가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좋은 안이 될 수 있

다 EU의 입장에서도 배출권 시장 규모를 확 하고 기후변화에 한

middot 김동구 2017) 물론 저렴한 비용에 다량의 감축이 가능한 산업공정 및 폐기물 건물 부문 등에 한 분석이 제외되었다는 한계가 있지만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높게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눈여겨볼만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85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한다는 차원에서 연계에 부정적이지는 않을 것으

로 보인다 특히 자체적 노력을 통해 감축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EU

의 입장에서도 스위스에 비해 상 적으로 큰 규모의 K-ETS와 완전 쌍

방향 직접 연계 방식보다는 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이 보다 바람

직한 연계 방식이다 왜냐하면 규모가 큰 시장과의 연계로 인해 자체

감축 수요보다 타 시장 배출권 구입을 통해 목표를 충당하려 할 경우

목표로 하는 자체 노력에 의한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에 차질을 빚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은 단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EU의 이해와도 부합되는 측면이 있고

따라서 정책 방안의 실현가능성 또한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6장 결론 87

제6장 결 론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도는 시장 기제를 활용하여 비용효과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표적인 감축 수단으로서 우리나라를 포함

하여 EU 캘리포니아 등 여러 국가에서 채택하여 시행하고 있다 특히

파리협정 이후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와 맞물려 그간 독

자적으로 운영되어 오던 배출권 시장을 서로 연계하여 비용효과성을 극

화하고 시장 유동성을 제고하며 기후변화 응 관련 국제적 리더십을

확보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배출권 시장 연계는

단순히 전문가 차원의 관심을 뛰어 넘어 퀘벡-캘리포니아 배출권거래제

도 및 스위스-EU 배출권거래제도의 연계 사례를 통해 실현되고 있다

배출권 시장 연계에 한 그간의 여러 연구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의

연계가 시장 규모의 확 를 통해 비용효과성을 제고하고 유동성 확

및 가격 안정화 등의 여러 가지 편익을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국 내 정책에 한 규제당국의 개입 범위를 축소시켜 정책 자율성을

저해하며 자국 내 기업들의 비용부담을 오히려 증 시키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환경건전성까지 악화시킬 가능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배출권

시장 연계는 편익뿐만 아니라 발생 가능한 다양한 부작용들을 종합적

으로 고려해서 결정해야 하는 다면적인 정책 의사결정 과정임에 유념

해야 한다

배출권 시장 간 연계가 성공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연계하는 두

시장의 제도적 설계요소들을 적절히 맞추어나갈 필요가 있다 상 부

문의 감축목표 강도 할당방식 이월middot차입middot상쇄 등 유연성 기제 배출권

88

가격 및 공급량 관리제도 MRV 체계 페널티 제도 등 고려해야 할 다

양한 설계요소들이 있다 특히 감축목표의 강도 유상할당의 규모 상

쇄제도 MRV 체계 등은 연계 과정에서 핵심 쟁점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연계 과정에서 규제 당국 간의 적절한 조율이 필요하다

배출권 시장 간 연계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사례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퀘벡-캘리포니아 및 스위스-EU의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는 연계를 통해 두 시장이 상호간 혜택을 보

아야 하고(상호 호혜성) 연계되는 두 시장의 배출권 설계요소가

동소이하며(핵심 설계요소의 일치성) 당사국들의 강한 정책적 의지가

수반되어야 성공적인 시장 연계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배출권 시장 연계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유형별로

는 lsquo완전통합형rsquo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형rsquo 외부 크레딧을 통한 lsquo간접 연계rsquo lsquo단방향 연계형rsquo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 연계 유형별로 가지는 장middot단점이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시

장의 완전통합형에 가까울수록 비용효과성과 시장 유동성 및 가격 안

정성은 높아지는데 반해 정책 자율성은 낮아진다 단방향 연계형은 연

계가 허용된 시장에는 비용효과성 유동성 및 가격 안정성을 제공하면

서 정책 자율성까지 보장하는 장점이 있으나 연계를 허용하지 않은 시

장에서는 연계의 혜택을 누리기 어려우므로 상호 호혜성의 측면에서

실현되기 어려운 방식이다 다만 두 시장을 직접적으로 연계하기 전에

다양한 설계요소를 조정하기 위한 중간 단계로서 단방향 연계 방식이

채택될 수는 있을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의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타 배출권 시장과의 연계가 논의되고 있는 상황에서 가장 유력하게

제6장 결론 89

거론되고 있는 EU-ETS와의 연계를 상정하여 주요 쟁점사항과 바람직

한 연계 방식에 해 검토해 보았다

EU-ETS와 연계할 경우 가장 첨예한 쟁점사항으로 부각될 수 있는

요소로는 감축목표 강도 및 유상할당 규모의 상응성 간접배출에 한

할당 등을 꼽을 수 있다 실질적인 체감도와는 무관하게 외형상의 EU

와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할당방식에 있어서 EU-ETS와 달리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은 무상할당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EU-ETS와의 유상할당 규모의 차이는

2030년까지 상당 수준에서 차이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EU-ETS와 연계를 논의할 때 산업경쟁력 및 탄소누출에 한 우려를

들어 감축목표의 강도와 유상할당 규모의 상응성이 핵심 쟁점으로 부

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간접배출에 한 할당도 이중계산 및 횡

재이윤의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쟁점사항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월 차입 시장관리 MRV 등의 요소는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긴 하나 EU-ETS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기 때문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할 때 다양한 시장 연계의 유형 중 어떤 방식이

우리에게 보다 적합할지 살펴보았다 lsquo완전 통합형rsquo은 사실상 정책 결

정에 우리 정부가 개입할 여지를 없애는 방식이므로 적합지 않은 방식

이며 외부 크레딧을 통한 lsquo간접 연계rsquo 방식만으로는 유동성 부족에 고질

적으로 시달리는 국내 배출권 시장의 문제를 해결하기에 모자람이 많

다 다만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와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 방식 중

어떤 방식이 우리 현실에 더 적합한지는 연계 이전에 두 시장의 배출

권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가 그리고 배출권 가격의 차이가 실질적인

90

감축목표의 강도로 받아들여 질 수 있는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은 비용효과성과 유동성 확보의

측면에서 다소 유리하지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정책 자율

성 확보 업계 부담 최소화 및 수용성 확보의 차원에서 다소 불리하다

먼저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낮게

형성된다면 국내 배출권에 한 외부 수요가 증 되므로 lsquo완전 쌍방

향rsquo 연계방식을 채택하더라도 K-ETS의 고질적인 유동성 부족을 해결

하는데 큰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다 반면 정책 자율성에 있어서 손실

을 감수해야 하므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보다 적합하다

다음으로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

해 높고 그러한 높은 시장 가격을 근거로 실질적인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충분히 받아들여진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은 시장 가격에도 불구하고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받아들여지지 못한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은 국내 참여업체들의

비용부담을 가중시키고 제도의 수용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도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적절

히 설정할 경우 상당한 비용효과성 및 유동성 제고의 편익을 얻을 수

있다 만일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서 완전한 쌍방향 연계로 전환할

때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이 그리 크지 않다면 정책 자율성 확보

에 유리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가 더 바람직한 연계 방식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해외 주요국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에서처럼 처음부터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EU-ETS와 연계하기 보다는 초기 단계에서는 적절

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EU-ETS 배출권을 구매해서 의무이행에 활

용하는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배출권 시장을 연계한 후 점진적으로

제6장 결론 91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높여나가는 방식이 바람직할 것으

로 판단된다

또한 최근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으로 논의되는 협력적 접근

법이나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에 의한 감축실적도 상쇄배출권으로 허

용하도록 함으로써 간접적인 연계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시장 메커니

즘에 한 지침이 확정되면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이들 접근법을 활용

한 다양한 감축사업들이 전개될 수 있으며 연계 상이 되는 타 시장

(예를 들어 EU-ETS)도 그러한 시장 메커니즘을 자국의 배출권 시장과

연계시킬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간접연계는 국제적으로 공인된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함과 동시에 lsquo부분 쌍방향 연계 방식rsquo의 효과를 제고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93

참고문헌

lt국내 문헌gt

관계부처합동 2017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1차 계획기간 제3차 이행

연도 배출권 할당계획 변경(안)

관계부처합동 2018 보도참고자료 ldquo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전략 새롭게 만들어 갑니다rdquo

기획재정부 2017 제2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안)

박수경middot박순철middot송철호middot임철희middot이수정middot이우균 2018 ldquo한middot중 배출권거래제

연계를 위한 설계요소 및 장애요인 분석rdquo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9(4) 471-485

산업통상자원부 2016a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 수립 연구

산업통상자원부 2016b 협력적 접근법에 활용가능한 국제 규범 마련 연구

삼정 KPMG 2018 진화하는 배출권거래제(ETS) 시장과 기업의 탄소비용

응방향 삼정 KPMG Issue Monitor 제87호

수원의제21실천협의회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 2016 ldquo제21차 기후변화

협약당사국총회 파리협정문 국문번역본rdquo

안영환middot김동구 2017 산업 발전부문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 연구 산업

통상자원부

환경부 2014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1차 계획기간 국가 배출권 할당

계획

환경부 2018 보도자료 ldquo2030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안 및 2018~2020년

배출권 할당계획 확정rdquo

94

환경부 2019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2차 계획기간 국가 배출권 할당

계획

lt해외 문헌gt

Anger N 2008 ldquoEmissions Trading beyond Europe Linking Schemes

in a Post-Kyoto Worldrdquo Energy Economics 30 2028-2049

Babiker M Reilly J and Viguier L 2004 ldquoIs international emissions

trading always beneficialrdquo Energy Journal 25(2) 33-56

Bodansky DM Hoe이 SA Metcalf GE and Stavins RN 2016

ldquoFacilitating linkage of climate policies through the Paris

outcomerdquo Climate Policy 16(8) 956-972

Burtraw D Palmer KL Munnings C Weber P and Woerman M

2013 Linking by degrees incremental alignment of cap-and-trade

markets Discussion Paper 13-04 Resource for the Future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Towards a Global Carbon Market

Prospects for Linking the EU ETS to Other Carbon Markets

Carbone JC Helm C Rutherford TF 2009 ldquoThe case for

international emission trade in the absence of cooperative climate

policyrdquo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57

266-280

Chichilnsky G and Heal G 1995 Markets with tradable CO2

emission quotas principles and practice OECD Economics

Department Working Paper No 153

DEHSt 2016 International market mechanisms after Paris

참고문헌 95

European Commission 2016 COM(2016) 482 Final

Flachsland C Marschinski R and Edenhofer O 2009 ldquoTo limk or

not to link benefits and disadvantages of linking cap-and-trade

systemsrdquo Climate Policy 9(4) 358-372

Gouvernement du Queacutebec 2018 Quebec cap-and-trade system for

greenhouse gas emission allowances(CampT) Historical Overview

Hahn R W and Stavins R 2011 ldquoThe Effect of Allowance

Allocations on Cap-and-Trade System Performance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54(4) s267-s294

Haites E and Mullins F 2001 Linking domestic and industry

greenhouse gas emission trading systems EPRImiddotIEAmiddotIETA

Helm C 2003 ldquoInternational emissions trading with endogenous

allowance choicesrdquo Journal of Public Economics 87 2737-2747

Helm D Hepburn C and Mash R 2003 ldquoCredible carbon policyrdquo

Oxford Review of Economic Policy 19(3) 420-437

IETA 2014 USE OF OFFSET CREDITS ACROSS EMISSION

TRADING SYSTEMS and CARBON PRICING MECHANISMS

IETA 2015 Case Study Linking the Swiss and EU ETS Greenhouse

Gas Market 20152016 Report

ICAP 2019a Canada - Queacutebec Cap-and-Trade System

ICAP 2019b USA - California Cap-and-Trade Program

ICAP 2019c EU Emissions Trading System (EU ETS)

Jaffe J and Stavins RN 2008 Linkage of tradable permit systems

in international climate policy architecture Discussion Paper

08-07 Harvard Project on International Climate Agreements

96

McKibbin WJ Shackleton R and Wilcoxen PJ 1999 ldquoWhat to

expect from an international system of tradable permits for carbon

emissionsrdquo Resource and Energy Economics 21 319-346

McKibbin WJ Morris A and Wilcoxen PJ 2008 Expecting the

unexpected macroeconomic volatility and climate policy Discussion

Paper 08-16 Belfer Center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Affairs

Harvard Kennedy School

Montgomery W D 1972 ldquoMarkets in Licenses and Efficient Pollution

Control Programsrdquo Journal of Economic Theory 5 395-418

Point Carbon 2014 The MSR Impact on market balance and prices

Thomson Reuters

Ranson M and Stavins RN 2015 ldquoLinkag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trading systems learning from experiencerdquo Climate

Policy 16(3) 284-300

Royal Norweigi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08 The Norwegian

Emissions Trading System Presentation to ICAO Workshop

Tietenberg T H 2006 Emission Trading Principles and Practice 2nd

Ed RFF Press

Tuerk A Mehling M Flachsland C and Sterk W 2009 ldquoLinking

carbon markets concepts case studies and pathwaysrdquo Climate

Policy 9(4) 341-357

UNFCCC 2015 Paris Agreement

UNFCCC 2016 Decision1CP21

참고문헌 97

lt기사 및 웹사이트gt

ClimateWire 2013 ldquoEU market troubles will prevent emissions trading

linkage - Califairchiefrdquo

EC 홈페이지 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reform_en

EC 홈페이지 httpseceuropaeuclimapolicieseffortregulation_en

EC 홈페이지 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allowances_en

Emissions-ETScom 홈페이지 httpswwwemissions-euetscomcarbon-

market-glossary872-european-union-emissions-trading-system-eu-ets

Emissions-ETScom 홈페이지 httpswwwemissions-euetscomborrowing

Exchange Monitor 홈페이지 ldquoCALIF FORGING AHEAD WITH EMI

SSIONS TRADING NEXT MONTH AIR CHIEF CONFIRMSrdquo

httpswwwexchangemonitorcomcalif-forging-ahead-with-emissions

-trading-next-month-air-chief-confirmsprintmode=1

Federal Office for the Environment Switzerland ldquoLinking of the Swiss

and European emissions trading systems big step forwardrdquo

httpswwwbafuadminchbafuenhometopicsclimatenews-releases

msg-id-67745html

Sandbag Carbon Price Viewer httpssandbagorgukcarbon-price-viewer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Western_Climate_Initiative

심 성 희

現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lt주요저서 및 논문gt

985172배출권거래제의 최적 운영을 위한 사회 여건 연구985173 에너지경제

연구원 기본연구 2012

985172배출권 경매의 이론과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 연구985173 에너지경제

연구원 기본연구 2013

985172우리나라 배출권거래제 진단과 개선방안985173 에너지경제연구원 기본

연구 2017

수시연구보고서 18-02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

2019년 1월 31일 인쇄

2019년 1월 31일 발행

저 자 심 성 희

발행인 조 용 성

발행처 에너지경제연구원

983732983732983733983732983731 울산광역시 종가로 405-11

전화 (052)714-2114(代) 팩시 리 (052)-714-2028

등 록 제 369-2016-000001호(2016년 1월 22일)

인 쇄 디자인 범신

에너지경제연구원 2019 ISBN 978-89-5504-725-7 93320

파본은 교환해 드립니다 값 7000원

본 연구에 포함된 정책 안 등 주요 내용은 에너지경제연구원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닌 연구진의 개인 견해임을 밝혀 둡니다

Page 4: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ii

2 주요 내용 및 정책 제언

배출권 시장 간 연계가 성공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연계하는 두

시장의 다양한 설계요소들에 한 조율이 필수적이다 감축목표 강도

할당방식 이월middot차입middot상쇄 등 유연성 기제 배출권 가격 및 공급량 관리

제도 MRV 체계 페널티 제도 등이 고려해야 할 주요 설계요소들이

다 특히 감축목표의 강도 유상할당의 규모 상쇄제도 MRV 체계는

연계 과정에서 핵심 쟁점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

배출권 시장 간 연계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사례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퀘벡-캘리포니아 및 스위스-EU의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는 연계를 통해 두 시장이 상호간 혜택을

보아야 하고(상호 호혜성) 연계되는 두 시장의 배출권 설계요소가

동소이하며(핵심 설계요소의 일치성) 당사국들의 강한 정책적

의지가 수반되어야 성공적인 시장 연계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배출권 시장 연계는 유형별로 lsquo완전통합형rsquo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 외부 크레딧을 통한 lsquo간접 연계rsquo lsquo단방향

연계형rsquo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시장의 완전통합형에

가까울수록 비용효과성과 시장 유동성 및 가격 안정성은 높아지는데

반해 정책 자율성은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K-ETS와 EU-ETS와의 연계하는 시나리오를 상정하여 연계

시 발생가능한 주요 쟁점사항과 바람직한 연계 방식에 해 검토해

보았다

EU-ETS와 연계할 경우 감축목표 강도 및 유상할당 규모의 상응성

간접배출에 한 할당 등이 쟁점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

인다 이월 차입 시장관리 MRV 등은 EU-ETS와 큰 차이를 보이지

요약 iii

않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양한 연계 방식 중 가장 유력한 안은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와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 방식이다 이중 어떤 방식이 우리 현실에 더

적합한지는 연계 이전에 두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가

그리고 배출권 가격의 차이가 실질적인 감축목표의 강도로 받아들여

질 수 있는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은 비용효과성과 유동성 확보의

측면에서 다소 유리하지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정책 자율

성 확보 업계 부담 최소화 및 수용성 확보의 차원에서 다소 불리하다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낮게 형성된다

면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보다 적합하다 왜냐하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을 채택하더라도 K-ETS의 고질적인 유동성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높고 그러한 높은 시장 가격을 근거로

실질적인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충분히 받아들여진다면 lsquo완전 쌍

방향rsquo 연계방식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은 시장 가격에도 불구하고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받아들여지지 못한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국내 참여업체들의 비용부담을 가중시키고 제도의 수용성을

떨어뜨릴 우려가 있다

결론적으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서 완전한 쌍방향 연계로

전환할 때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이 크지 않다면 정책 자율성 확보에

유리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가 더 바람직한 연계 방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처음부터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EU-ETS와 연계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 초기 단계에서는 적절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EU-ETS

iv

배출권을 구매해서 의무이행에 활용하는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배출권

시장을 연계한 후 점진적으로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높여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끝으로 최근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으로 논의되는 협력적 접

근법이나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에 의한 감축실적도 상쇄배출권으로

허용하도록 함으로써 간접적인 형태의 연계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시

장 메커니즘에 한 지침이 확정되면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이들 접근

법을 활용한 다양한 감축사업들이 전개될 수 있으며 연계 상이 되는

EU-ETS도 시장 메커니즘과 연계할 가능성이 높다 간접연계와 병행할

경우 국제적으로 공인된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함과 동시에 lsquo부분 쌍방

향 연계 방식rsquo와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i

ABSTRACT

1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The carbon market mechanism under Article 6 of the Paris

Agreement has recently become one of hot issues in the UNFCCC

negotiations talk In line with the discussions of the international

climate negotiations the Korean government has a future plan to link

its emission trading system with the international carbon market and

furthermore considers to promote international linkage with foreign

emission trading systems in the long term

Against this backdrop the international linkage of emission trading

markets such as the carbon market linkage of Northeast Asia carbon

markets or Korea-EU carbon markets have been actively discussed at

the expert level In particular an international linkage of the emission

trading market in Korea which is suffering from imbalances in

supply and demand for emissions allowances has been mentioned as

an attractive alternative for expanding trade volumes and reducing

domestic carbon mitigation costs through enlarging the market size

However a linkage of emission trading markets is a multi-faceted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that should take into account a range of possible

side-effects as well as benefi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various

theoretical and empirical discussions surrounding the linkage of emission

ii

trading markets and recent negotiations on the international carbon market

mechanism under the Paris Agreement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ossible issues that may arise when linking Korean emission

trading market with the EU-ETS in the future its potential benefits and

costs of linkage and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sirable direction

of emissions trading market linkage

2 Summary and Implications

The coordination of the various design elements of the two emissions

trading markets that would be linked is essential for a successful linkage

between emissions trading markets The stringency of GHG reductions

targets allocation methods flexibility mechanisms such as banking

borrowing and carbon offset emission allowances price and supply

management schemes MRV and penalty schemes and so on are key design

factors to consider to link with other emissions trading schmes In

particular the stringency of GHG reductions targets the size of auctioned

units offset schemes and MRV systems are likely to emerge as key issues

in the linking process

We can learn some policy implications from examples of successful

linkages between emissions trading markets such as Quebec-California and

Switzerland-EU linkages ① linking the two markets are mutually beneficial

from each other ② the key design elements of the two emissions trading

markets that be linked are similar ③ It shows that the strong policy will

of the Parties is accompanied by successful market linkage

Abstract iii

Emission trading market linkages can be categorized into lsquofull

integrationrsquo lsquofull direct linkrsquo lsquopartial direct linkrsquo lsquoindirect linkrsquo through

carbon offset credits Basically the closer the market is to a fully

integrated type the higher the cost effectiveness market liquidity and price

stability while lowering policy autonomy

Next a scenario of linking K-ETS and EU-ETS was considered and the

main issues of the linkage scenario and desirable linking methods were

examined

In connection with the EU-ETS it is highly likely that issues such as

the stringency of GHG reduction targets the size of auctioned units and

the allocation of indirect emissions will be highlighted Banking borrowing

market management and MRV are not expected to be a big problem as

the design features between the two emissions trading schemes are not

quite different The most promising alternatives among the various linking

methods are lsquofull direct linkrsquo and lsquopartial direct linrsquo Which of these

methods is better suited to Korean emissions trading scheme depends on

the differences in emissions allowancesrsquos prices in the two markets

In general a lsquofull two-way direct linkrsquo is somewhat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effectiveness and market liquidity but it is somewhat

disadvantageous in terms of securing policy autonomy minimizing the

burden on the industry and securing social acceptance If the K-ETSrsquos

emissions allowances price is lower than that of EU-ETS compared to

without the linkage the lsquopartial two-way direct linkagersquo is more

appropriate This is because it will be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of

iv

K-ETSrsquos lack of liquidity even if it adopts the lsquofull two-way direct linkagersquo

method On the other hand if the emissions allowances price of K-ETS is

higher than that of EU-ETS before the market linkage and if counter-part

market planner would accept the high emissions allowances price as a

signal of the corresponding stringency of Korearsquos GHG reductions target a

full two-way direct linkage could be advantageous However despite the

high market price if it is not acceptable as a signal of an high ambition of

GHG reductions a full two-way direct linkage may only increase the cost

burden of domestic participants and reduce the acceptability of the system

In conclusion if the additional benefits of transition from a partial

two-way direct linkage to a full two-way direct linkage are not significant

the partial two-way direct linkage which is advantageous for securing

policy autonomy will be a more desirable way Thus we recommend that

it is not advisable to link with the EU-ETS in a full two-way direct

manner from the outset In the early stages it would be advisable to link

the markets in a partial two-way direct manner in which EU-ETS

allowances are freely purchased and used to fulfill their obligations within

an appropriate range and then gradually increase the share of obligations

of the other allowances

Finally indirect linkage need to be paralleled by allowing the GHG

reductions credits by cooperative approaches or sustainable development

mechanisms under Article 6 of the Paris Agreement Once the guidelines

for market mechanisms are finalized in the near future various mitigation

activities can be developed at the global level In fact EU-ETS is also

Abstract v

likely to allow some credits from the market mechanisms Thus in parallel

with indirect linkages the market mechanisms under Article 6 of the

Paris Agreement also need to be utilized in parallel with a lsquopartial two

way direct linkagersquo between K-ETS and EU-ETS that would create

synergistic effects of the carbon market linkage

차례 i

제목 차례

제1장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제2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편익과 비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가 비용효과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나 시장 유동성과 가격 안정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다 동태적 효율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라 환경 건전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마 정치적 편익과 비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2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주요 고려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나 상쇄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다 배출권 가격 및 공급관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라 배출권 할당방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마 상 온실가스 및 적용 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

바 이월 및 차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

사 기타 고려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가 직접 연계 완전 통합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ii

나 직접 연계 쌍방향 연계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

다 직접 연계 단방향 연계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라 간접 연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

2 배출권 시장 연계의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가 스위스 배출권거래제와 EU-ETS의 연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나 퀘벡과 캘리포니아 배출권거래제의 연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

다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추진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3 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

가 상호 호혜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

나 핵심 설계요소의 유사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

다 정책적 의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 동향과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1 파리협정 이후의 탄소시장 논의 동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가 주요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나 후속협상 주요 경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다 주요 쟁점 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2 Post-2020 탄소시장 전망과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1 우리나라 ETS와 EU-ETS의 주요 설계요소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나 할당방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다 유연성 메커니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

라 의무이행 관련 사항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

차례 iii

2 K-ETS와 EU-ETS 연계 시 예상 쟁점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가 감축목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나 할당방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8

다 상쇄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9

라 기타 사항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3 배출권 시장 연계 방식별 편익 비용 그리고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3

가 시장 연계 유형별 편익 비용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3

나 K-ETS와 EU-ETS 간 연계를 위한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제6장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iv

표 차례

lt표 Ⅲ-1gt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표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

lt표 Ⅲ-2gt 스위스와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

lt표 Ⅲ-3gt 캘리포니아-퀘벡과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

lt표 Ⅳ-1gt 파리협정 제6조 주요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

lt표 Ⅴ-1gt 우리나라와 EU의 배출권거래제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차례 v

그림 차례

[그림 Ⅱ-1] A국과 B국의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에 따른 가격결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제1장 서론 1

제1장 서 론

최근 파리협정(Paris Agreement) 제6조에 근거하여 2020년 이후 국

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의 구체적인 정의 구조 기능 활용방법 절차 및

거버넌스 등에 관한 국제사회의 논의가 진행 중이다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활발한 논의의 배경은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할 경우

비용효과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 출발한다 이

와 같은 국제사회의 논의와 발맞추어 우리 정부도 2030년까지 BAU

비 37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제시하면서 목표 감축량의 45를 산

림흡수원 및 해외 감축분을 통해 달성하겠다고 밝히고 있다(관계부처

합동 2018)

한편 우리나라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비용효과적으로 달성하

기 위해 2015년부터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도입middot운영 중이다 지난

2017년에 발표된 제2차 계획기간(2018~2020년) 동안의 배출권거래제

운영방향을 제시한 제2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은 5가지 배출권거래

제 운영의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정부는 ldquo국제 탄소시장

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국제기준에 부합rdquo하도록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할

계획이며 특히 ldquo장기적으로 배출권거래제 국제 연계를 통한 해외 상

쇄 등 활성화로 유연성 제고 및 감축비용 절감 도모rdquo를 천명하였다

(기획재정부 2017) 이러한 기본계획의 방향성을 이어받아 최근 한-중

-일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 지역의 탄소시장 연계와 한국-EU 탄소시장

협력체계 등 배출권 시장의 국제 연계에 관한 논의가 전문가 차원에서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배출권 수급 불균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

2

는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 시장의 국제 연계는 시장의 규모

화를 통한 거래활성화 및 국내 기업 감축비용 완화를 위한 매력적인

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잘 알다시피 배출권거래제는 이론적으로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한

가장 비용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EU-ETS를 시작으로 여러

국가에서 배출권거래시장이 운영되고 있는 가운데 각 국가의 배출권거

래시장의 연계는 이론적으로 배출권 시장의 규모화를 통해 비용절감

효과를 극 화시키고 참여 국가들의 편익을 증가시킬 것으로 여겨진

다 그러나 Flachsland et al(2009) Ranson and Stavins(2015) 등의 기

존 연구들은 배출권 시장의 국제적 연계가 비록 이론적으로는 경제적

효율성을 증 시키지만 경제성만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매우 다면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론이 예상하는 바와 다른 다양한 부작용이 존

재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를 둘러싼 다양한 이론적middot실증적

논의와 파리협정하의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최근 협상 동향

을 검토해보기로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을 주요

국(EU) 배출권 시장과 연계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쟁점들 연계

의 잠재적 편익과 비용을 전망해보고 시장 연계의 바람직한 방향에 관

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의 편익

과 비용에 관한 그간의 이론적middot실증적 논의를 검토하고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해 논의한다 제3장에서는 배출권 시장이 연계

되는 다양한 유형과 더불어 퀘벡-캘리포니아 스위스-EU 등 배출권 시

장 연계의 해외 사례를 살펴보고 그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

제1장 서론 3

점을 도출하였다 제4장은 파리협정하의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최근 협상동향과 전망에 해 논의한다 제5장에서는 표적인 배출권

시장인 EU-ETS와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K-ETS)의 연계를 상정한 정

성적인 사례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EU-ETS와 K-ETS의 연계

시 부각될 수 있는 다양한 쟁점들과 시장 연계에 따라 우리가 얻을 수

있는 편익과 비용에 해 전망해보고 K-ETS의 입장에서 바라본 바람

직한 배출권 시장 연계의 방향에 해 모색해 보았다 끝으로 제6장에

서는 앞선 논의들을 종합 정리하면서 보고서를 매듭짓기로 한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5

제2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본 장에서는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배출권 시장 연계와 관련한 이론

적 실증적 논의 동향을 살펴본다 그간 배출권 시장 연계와 관련된 무

수히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하나의 축은 배출권 시장을 연계

할 경우 얻을 수 있는 편익과 비용에 관한 논의이며 다른 하나는 배출

권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요소에 한 논의로 별된다(Helm

2003 Anger 2008 Babiker et al 2004 Jaffe and Stavins 2008

Carbone et al 2009 Flachsland et al 2009 등) 또한 편익 비용 그

리고 연계 시 두될 쟁점들을 종합적으로 다룬 연구들도 다수 존재한

다(Tuerk et al 2009 Flachsland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박수경 외 2018 등)

여기서는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이 다른 시장과 연계될 경우 얻을 수

있는 잠재적 편익과 비용 그리고 연계 시 반드시 짚고 가야할 고려요소

들이 무엇이 있는지에 하여 기존 연구들에서 논의하고 있는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에 해 고찰해보기로 한다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편익과 비용

가 비용효과성

서로 다른 배출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발생 가능한 표적인 경제적

편익으로 비용효과성을 꼽을 수 있다 서로 다른 두 시장의 배출권 가

격이 연계 이후 균등화되면서 두 시장의 감축비용의 총합이 줄어들기

6

때문이다(Chichilnsky and Heal 1995 Anger 2008 Flachsland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아

래와 같은 상황을 고려해보자1)

배출권거래시장이 연계된 두 국가 A와 B가 있는데 A국은 B국에

비해 상 적으로 온실가스 감축기술이 발달하여 온실가스 감축의 한계

비용이 낮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각 국의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은 [그림 -1]와 같이 그려질 수 있다 여기서 A국과 B

국의 규제 이전의 배출총량은 로 동일하다고 가정하며 A국의

배출상한은 B국의 배출상한은 라고 하자 또한 두 국가의

배출권 시장은 완전경쟁적이라고 가정하자

[그림 Ⅱ-1] A국과 B국의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에 따른 가격결정

A국 배출상한

B국 배출상한

Y

X

자료 Anger(2008 p2032) 및 Flachsland et al(2009 p362)를 참조하여 저자 재작성

1) 여기서는 Flachsland et al(2009 p362)의 도면 분석(graphical analysis)을 저자가 약간 변형하여 제시하기로 한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7

그러면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 이전 각국의 배출권 가격은 각각

와 에서 형성될 것이다 이때 각 국의 배출권 가격의 격차는 배출

권거래시장의 연계 유인이 될 수 있다 B국의 경우 상 적으로 배출권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더 낮은 비용으로 온실가스 감축하기 위해 A국

으로부터 배출권을 구매하기 원할 것이고 A국의 경우 배출권을 판매함

으로써 이익이 발생하기 때문에 배출권 시장 연계가 가능할 것이다

배출권거래 시장이 연계될 경우 A국 배출권의 수요는 증가하기 때

문에 A국에서의 배출권 가격은 상승하게 되고 B국의 경우 A국으로

부터의 배출권 유입으로 배출권 공급이 증가하므로 배출권 가격은 하

락하게 된다 즉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의 차이에 따라 A국에서 B국

으로 배출권이 이전되고 결과적으로 두 국가의 배출권 가격이 로 동

등해지는 까지 지속된다 즉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의 차이에 따른

배출권 이전으로 연계시장에서 배출권의 균형가격은 수준으로 결정

된다 이 때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에 따른 비용은 전체적으로 X와 Y

면적만큼 감소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비용효과성이 항상 달성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도 언급

하였듯이 시장 연계가 가져다주는 비용효과성을 논의할 때 두 국가의

배출권 시장이 완전경쟁적인 상황을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연계되는

두 시장에 외부성이나 왜곡적 조세체계 등으로 인한 시장 왜곡이 존재

할 경우 배출권 시장 연계는 기존의 왜곡을 오히려 강화시킴으로써 비

용효과성을 저해할 가능성도 있다(Flachsland et al 2009) 예를 들어

어떤 사유(또는 특정 목적)로 인해 에너지원 간 조세체계가 사회적으

로 바람직한 상 가격체계를 따르지 못하지만 배출권거래제를 통해 효

율적 배분이 달성되고 있는 상황을 생각해보자 이때 배출권 시장 연

계로 인해 배출권 가격이 변할 경우 에너지원 간 소비 왜곡으로 인한

8

비효율성이 발생한다 만일 배출권 시장 연계로 인한 감축비용의 감소

에 비해 그러한 비효율성이 더 크다면 배출권 시장 연계는 사회 후생

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2)

나 시장 유동성과 가격 안정성

서로 다른 배출권 시장이 연계되면 개별 배출권 시장이 독립적으로

병존할 때에 비해 전체 시장 규모는 확 되며 그로 인해 배출권 시장

의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다 시장 규모가 커지게 되면 배출권 시장에

서 유동성(liquidity)이 커지게 되며 배출권 가격의 안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Flachsland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특히 유동성 확 와 그로 인한 배출권 가격 안정의 효과는 연계 이전

에 시장 규모가 상 적으로 작은 시장에서 크게 나타난다 시장을 연계

하기 이전에 두 시장 모두 규모가 작을 경우 양쪽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시장 규모가 비 칭적인 경우 상 적으로 규모가 작은

시장에서 이와 같은 효과를 크게 누리게 된다 시장 규모가 협소하여 배

출권 수급 불균형이 자주 나타나는 시장이 보다 큰 시장과 연계할 경우

수급 불균형에 따른 문제를 크게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장 연계가 반드시 규모가 상 적으로 작은 시장의 가격 안

정성을 증 시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특정 배출권 시장의 변동성이

다른 배출권 시장으로 전이될 수도 있다(Mckibbin et al 2008) 만일

연계하는 큰 규모의 상 편 배출권 시장에서 과다 할당 과다한 상쇄

배출권의 유입 등의 이유로 규모 시장에서 급격한 시장 가격 변동이

발생할 경우 배출권 시장 연계는 소규모 배출권 시장의 가격 불안정성

2) Babiker et al(2004)와 Mckibbin et al(1999) 등은 기존 시장에서의 왜곡이 존재할 경우 배출권 시장 연계가 반드시 효율성을 가져다주는 것은 아님을 보여주었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9

을 오히려 크게 확 될 것이다 결국 배출권 시장 연계가 가격 안정성

에 미치는 효과는 연계되는 시장의 규모에 따라 다르며 수급 불균형

에 따른 효과의 동태적 경로 또한 가격 충격의 근원지가 어디냐에 따

라 비 칭적으로 나타날 것이다

다 동태적 효율성

온실가스로 인한 기후변화는 국지적이며 단기적인 이슈가 아닌 글로

벌한 장기적인 이슈이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 정책 당국자들이 매우

높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강도 높은 감축수단의 이행을 약

속했다고 하더라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러한 감축목표와 수단의 강

도를 낮추고자 하는 유인에 직면할 수 있다3)

이때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동태적 비일관성의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다(Flachsland et al 2009) 기후변화 정책의 동

태적 비일관성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정책 당국자가 재량적 의사결정

을 할 여지가 늘어나기 때문에 발생한다 만일 두 국가(또는 지역)의

배출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특정 국가의 배출권거래제도와 관련된 재

량적 의사결정(배출상한의 설정 배출권의 할당 상쇄제도 등)은 연계

된 전체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일단 시장이 연계되고 난

이후에는 그러한 의사결정 시 다른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하는 국가(또

는 지역)와 충분한 사전협의를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상 국가(또

는 지역)의 명시적 또는 암묵적 압력에 직면하게 되며 독자적인 배출

권 시장을 운영하는 경우에 비해서 감축의 강도를 낮추는 방향으로 재

3) 이른바 동태적 비일관성(time inconsistency problem)의 문제로서 Helm et al(2003)은 기후변화정책에서의 동태적 비일관성을 다루고 있다

10

량적 의사결정하기가 더 어렵다 이처럼 배출권 시장 연계는 특정 국

가에서 재량적 의사결정을 할 여지를 낮춤으로써 안정적인 탄소가격

신호를 전달하고 감축투자를 촉진하는데 도움이 된다4)

물론 배출권 시장 연계의 구체적인 유형에 따라 동태적 효율성의 크

기는 달라질 수 있다 상 편 시장의 배출권을 의무이행에 일부 허용

하는 방식의 느슨한 연계보다는 전체 감축목표 및 배출상한을 상호 협

의하는 방식의 연계가 동태적 효율성 확보에 유리할 것이다

라 환경 건전성

선행 연구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 연계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일률적이지 않다 Carbone et al(2009)에 따르면 배출

권 시장 연계는 그렇지 않을 때에 비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 환경

건전성에 도움을 준다 Carbone et al(2009)은 한계감축비용과 감축의

환경적 편익이 높아서 배출권의 순 구매자가 되는 국가들과 한계감축

비용이 낮고 배출의 한계편익이 낮아 배출권의 순 판매자가 될 소수의

규모 배출권 판매 국가들이 서로 연계하는 상황을 상정하여 분석하

였다5) 이때 배출권 할당량은 참여하는 국가들이 합의해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 주권국가로서 독자적으로 결정한다

4) 한편 항상 배출권 시장 연계가 동태적 효율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 만일 특정 국가(또는 지역)의 한계감축비용이 상당히 높아 배출권 시장 연계 이후 상당량의 배출권을 구매하는 경우 자체적인 감축노력보다는 연계된 시장에서 배출권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목표를 충당함으로써 자체 감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다양한 공편익(co-benefits) 예를 들어 기오염 저감 에너지 안보 강화 감축기술 촉진 등을 장기적으로 내재화하지 못할 가능성도 상존한다(Flachsland et al 2009)

5) 가령 배출권 순 구매자로서 EU와 배출권 순 판매자로서 개발도상국인 중국 및 러시아가 상호 연계하는 상황을 상정해보라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1

배출권 판매국가의 입장에서는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이 높은 수준으

로 유지되어 얻는 이익과 높은 배출권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배출권

할당량을 제한함으로써 잃게 되는 비용을 상호 비교하여 최적의 의사

결정을 하게 된다 만일 소수의 규모 배출권 판매국가가 공급독점자

로서 시장지배력을 가질 경우 배출권 가격 하락을 억제하기 위해 할당

량을 낮출 유인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수준은 줄

어드는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특히 Carbone et al(2009)은 EU-중

국-구소련연방이 서로 배출권 시장을 연계하는 상황에 한 연산가능

일반균형(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모형 기반 시뮬레이

션 분석을 통해 연계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서 두 배 이상의 온실가스

감축이 가능함을 보였다

반면 Helm(2003)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이 연계됨으로써 오히려 배출

권 할당량이 늘어나 환경 건전성을 저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은 배

출권 할당량을 늘임으로써 발생하는 추가적인 환경적 피해와 배출권 가

격 하락에 따른 손해에 비해 배출권 판매량의 증 에 따른 수입 증

효과가 더 큰 경우에 발생한다 이 경우 시장 연계에 따라 배출권의 순

판매국이 되는 국가는 자국의 배출권 할당량을 연계 이전에 비해 늘리

고자 하는 유인을 가지며 이로 인해 두 시장의 전체 배출권 할당량 총합

은 연계되기 전에 비해 늘어날 경우 환경 건전성을 해칠 수 있다6)

전술한 두 가지 경우 중 어느 경우가 더 현실적인 시나리오인지는

일률적으로 답하기 곤란하다 결론적으로 배출권 시장 연계가 환경

건전성에 미치는 효과는 연계되는 국가들의 한계감축비용 및 한계환경

편익의 구조 각국의 배출권 시장구조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6) 이때 순 효과의 크기는 한계감축비용 및 한계환경편익에 따라 달라진다 자세한 사항은 Helm(2003)을 참조하라

12

마 정치적 편익과 비용

배출권 시장 연계는 근본적으로 서로 다른 두 시장의 국제적인 상호

협력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국제정치적 전략의 관점에서 긍정적인 효과

를 가진다(Ranson and Stavins 2015) Ranson and Stavins(2015)가 주

장한 바와 같이 배출권 시장 연계는 기후변화 응에 한 참여 국가

의 적극적인 의사를 국제적으로 천명하는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 응과 관련한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고 국제적

인 신뢰를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7)

배출권 시장 연계가 정치적 측면의 편익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그

이면에는 치러야 할 또 다른 가가 존재한다 특정 국가가 자국의 단

일한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는 경우 정부 당국은 해당 시장에 한 배

타적인 통제권을 가지며 정책 환경 변화에 따라 유연한 응이 가능하

다 그러나 다른 배출권 시장과 연계될 경우 구속력을 가지는 국내 규

제정책에 한 국가의 개입 범위가 줄어들어 규제의 유연성을 제 로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다(Jaffe and Stavins 2008 Flachsland et al

2009)

7) 한편 Ranson and Stavins(2015)은 배출권 시장 연계가 특정 국가의 배출권 시장의 도입에 영향을 준 도구로서 활용되기도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EU-ETS는 제3기에서 최빈개도국(Least Developing Countries LDCrsquos) 국가에서 나온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 배출권만을 상쇄로 허용하겠다는 결정을 하였다 그런데 이로 인해 당시 EU 시장에서 청정개발체제 배출권 공급의 상당량을 차지하던 중국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의 시장 공급이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중국이 독자적인 자국 내 배출권 시장을 도입하게 된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물론 중국의 배출권 시장 도입이 자국의 청정개발체제 배출권 해결을 위한 방편이었다는 Ranson and Stavins(2015)의 해석에는 다소 이견이 있을 수 있으나 중국의 배출권 시장 도입이 자국의 잉여 청정개발체제 배출권 해소에 일정 부분 기여했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 이것은 배출권 시장의 연계가 아닌 lsquo연계의 단절rsquo이 특정 국가의 적극적인 기후변화 응 정책수단 도입을 이끌어낸 흥미로운 사례라고 하겠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3

후술하겠지만 배출권 시장 연계과정에서 감축목표의 강도 가격상한

여부 상쇄제도의 설계 방식 이월과 차입의 허용 정도 등 다양한 설계

요소에 따라 배출권 시장 연계 전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

다 이러한 맥락에서 배출권 시장 연계 사전에 그러한 설계요소별로

양 시장간 긴 한 협력과 조정이 필요하며 이는 결국 배출권거래제도

설계에 있어서 배타적 통제권과 규제 당국의 유연성에 해 일정 정도

의 양보가 뒤따를 수 있다8) 결과적으로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는 국

가 주권의 부분적 양도라는 정치적 도전에 직면할 우려가 있음에 유의

할 필요가 있다

2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주요 고려사항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는 경제적 정치적 측

면 등에서 연계에 따른 잠재적 편익과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배출권거래시장을 연계하여 잠재적 편익을 극 화하면서 비용을 최소

화하기 위해서는 시장 연계의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

라서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를 설계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본 절에서는 배출권거

래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할 주요 사항들에 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에 있어서 감축목표는 배출권의 가격뿐만 아

8) Flachsland et al(2009)은 ldquo연계는 기본적으로 효율성 증 와 규제적 개입의 감소 간의 상충관계를 내포한다rdquo고 지적하였다

14

니라 감축비용의 효율성 증 및 분배효과의 크기 등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배출권 시장 연

계를 다룬 여러 선행 연구들은 감축목표의 상 적 격차가 클 경우 배

출권 시장 연계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Tuerk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감축목표의 엄격성 차이가 배

출권 시장 연계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이유는 연계를 통한

경제적 편익에도 불구하고 정치적middot분배적 관점에서의 쟁점들을 부각시

켜 제도의 수용성을 낮추기 때문이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배출권 시장을 연계하는 가장 큰 논거는 비용

효과성에 있다 비용효과성은 연계하는 두 시장 간 감축비용의 차이에

서 나온다 그러나 반 로 배출권 시장이 연계된 이후 높은 감축목표

를 설정한 국가의 기업들이 상 적으로 낮은 감축목표를 설정한 국가

의 기업들로부터 거 배출권을 구입하여 자본이동이 발생하게 되면

고강도 감축목표 설정 국가의 기업들로부터 국가 간 감축목표의 형평

성 관점에서 제기되는 상당한 정치적 저항에 부딪힐 수 있다9) 또한

연계 이전에 고강도 감축목표 국가의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의 순 판

매자인 기업이 시장 연계 이후에 배출권 판매규모가 줄어들게 되고

그로 인해 연계 이전에 비해 순 편익이 줄어들 경우 분배적 이슈가 부

각될 가능성도 있다10)

9) 두 시장의 감축목표의 강도나 감축비용이 유사한 경우에는 이러한 쟁점은 사라지는 반면에 시장 연계로 인한 경제적 편익은 줄어들게 된다는 역설적인 측면이 존재한다(Ranson and Stavins 2015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10) 한편 감축목표의 상당한 차이가 나더라도 양 시장이 이를 감안한 적절한 교환비율을 설정한다면 이론적으로는 시장 연계에 큰 장애요인이 되지 않을 수 있다(Burtraw et al 2013 Ranson and Stavins 2015) 그럼에도 불구하고 Ranson and Stavins(2015)는 감축목표와 배출권 가격에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경우 시장 연계에 큰 장애요인이 될 수 있으며 ClimateWire(2013)을 인용하면서 EU-ETS 배출권 가격의 급락이 캘리포니아 배출권 시장과의 연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5

따라서 배출권시장의 연계를 추진할 경우 연계를 통한 경제적 편익

이외에도 감축목표의 엄격성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국가 간의

자본 이동 문제와 이에 따른 분배 문제에 해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

요가 있다 또한 감축목표의 강도에 해 연계 이전 양 당국자간의 충

분한 사전 논의와 조율이 선행되어야 하며 필요할 경우 시장 연계로

인해 영향을 받는 경제주체들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중요할

것이다

나 상쇄제도

상쇄제도는 배출권 시장의 공급량 및 이를 통한 시장 가격에 직접적

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자 국내적 감축활동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설계요소이다 상쇄제도가 크게 차이가 나는 서로 다른 두 시장

이 서로 연계될 때 상쇄제도의 차이로 인해 배출권의 공급 및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Teurk et al 2009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예를 들어 세계 최 배출권거래시장인 EU-ETS는 2020년 이후부터

역내 온실가스 감축노력 강화를 위해 역외 탄소상쇄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기로 하였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EU-ETS

와 다른 배출권 시장이 서로 연계되고 연계된 다른 배출권거래시장에

서 탄소상쇄의 사용을 허용할 경우 여기서 발생되는 상쇄배출권은 사

실상 EU-ETS에서 사용가능한 상황이 된다 연계된 다른 배출권거래제

의 할당배출권을 EU-ETS에 판매하는 신 그에 해당하는 양만큼의

상쇄배출권을 유입시키면 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할당배출권과 상쇄배출권은 통상적으로 상호 호환이 가

16

능하기 때문에 연계된 시장 간 상쇄의 활용에 한 다른 인식을 가지

고 있다고 하더라도 한 국가에서 상쇄제도를 허용할 경우 상쇄제도를

허용하지 않는 국가 또한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다 만일 연계를

고려중인 두 시장이 서로 다른 상쇄제도를 운영하고 있고 연계 시 상

쇄제도의 시장 수급 영향이 크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국가 간 상쇄제

도의 인식 및 활용 허용 여부 등에 한 사전 논의와 조율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될 것이다

다 배출권 가격 및 공급관리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하는 주체는 배출권 시장의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 배출권의 가격 및 공급에 관한 사항을 별도의 규정을 두어 관리

하기도 한다 여러 배출권 시장에서 도입하고 있는 배출권 가격 상middot하

한제도나 EU-ETS의 배출권 경매 연기(Back-loading of auctions) 조치

와 같은 배출권 공급량 조절 장치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11) 만약 가격

상한제 또는 하한제와 같은 배출권 가격 또는 공급량 관리 규정이 한

국가의 배출권 시장에 존재하거나 도입될 경우 이 시장과 연계되는

다른 국가의 배출권 시장에서 동일한 규정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연계

된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배출권 가격 상middot하한제도가 한 시장에 존재하고 다른 시장에는 존재

하지 않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경우 배출권 시장이 연계되어 있다

면 참여주체들의 재정거래(Arbitrage)를 통해 연계된 시장의 배출권 가

11) 배출권 경매 연기(Back-loading of auctions)는 EU 배출권 시장의 수급 안정화를 위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총 9억톤의 배출권 경매를 2019년 이후로 연기하는 조치로서 EU-ETS 경매 규제에 한 수정의 일환으로 2014년부터 시행되었다(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reform_en)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7

격은 결국 배출권 가격 상middot하한 범위 내로 수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연계된 시장의 모두에서 배출권 가격의 상middot하한제도를 도입한 것과 동

일한 결과를 가져다줄 공산이 크다

다음으로 공급량 관리 조치가 존재하는 상황을 EU-ETS 사례를 통

해 살펴보자 EU는 배출권 경매 연기에 뒤이어 배출권거래시장의 안

정화를 위해 배출권 비축제도(Market Stability Reserve 이하 MSR)를

도입하였다12) 만약 EU-ETS가 다른 시장과 연계되었다고 할 때 EU의

배출권 비축제도는 연계된 배출권 시장 전체를 상으로 한 배출권 공

급량을 기준으로 준칙이 설정되어야 배출권 시장 수급 안정화에 이상

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연계된 두 배출권 시장은 하나의 배출권 시장

으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연계된 두 시장의 전체적인 수급 불균형

이 아닌 한 시장의 수급 불균형만을 고려하여 제도를 운용할 경우 배

출권 수급 불균형 해결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를 위해서는 각

국가 간 배출권 공급과 배출권 가격에 관한 효율적인 관리 제도에 관

해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라 배출권의 할당방식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배출허용총량이 주어진 상황에서 배출권의 할

12) MSR은 배출권 경매량 조절을 통해 수급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배출권의 공급량이 사전에 정한 특정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배출권의 경매 규모를 감소시키고 그 감소분만큼을 비축하며 반 로 배출권시장 내에 배출권이 과소 공급될 경우에는 비축분의 방출하여 경매 규모를 증가시켜 공급량을 늘리는 방식으로 운용한다 현재 배출권 경매 연기 조치를 통해 확보된 9억톤이 MSR에 비축될 예정이며 추가 비축분은 2020년 이후 배출권 시장 상황에 따라 정해진 준칙에 의거 결정될 예정이다 아직까지 비축을 위한 구체적인 준칙은 확정되지 않았다(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reform_en)

18

당방식은 비용효과성에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한다(Mongomery 1972

Tietenberg 2006 Hahn and Stavins 2011) 물론 배출권거래시장의

참여주체에게 분배적 관점에서 영향을 미칠 수는 있다 그러나 국가

간 배출권 할당방식의 차이에 따른 영향은 두 시장의 연계 여부에 상

관없이 존재하기 때문에 비용효과성의 측면에서는 할당방식이 배출권

거래시장의 연계에 있어 직접적인 함의를 가지지 않는다13) 다만 연계

된 두 시장 모두 경매를 통한 배출권 할당을 할 경우 연계 이전에 배

출권 가격이 높게 형성된 국가의 경우 연계에 따라 가격이 낮아져 상

적으로 적은 경매수입을 얻을 수 있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경매수입이 다시 감축을 위한 활동에 중립적으

로 사용된다고 한다면 그 영향도 매우 제한적일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고려해야 할 점은 한 국가는 경매를 통해 할당하고

다른 국가는 무상으로 배출권을 할당하는 상황에서 두 시장이 서로 연

계되는 경우이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할당방식의 차이 자체가 배

출권 시장에 주는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다14) 그러나 일단 시장이 서

로 연계된 이후엔 유middot무상할당 방식의 차이로 인해 두 국가 간 산업경

쟁력이 정치적 쟁점으로 부각될 수 있다 즉 무상할당 방식을 취하는

13) 다시 말해 A라는 할당방식(국가 1에는 a1 국가 2에는 a2라는 할당방식)을 B라는 할당방식(국가 1에는 b1 국가 2에는 b2라는 할당방식)으로 변경하더라도 연계 전과 연계 후의 비용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동일하다 왜냐하면 연계가 없을 경우 최초 할당 이후 두 시장의 배출권 최종 균형가격은 A와 B 할당방식 모두에서 동일하며 연계된 경우에도 배출권 최종 균형가격은 할당방식에 관계없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할당방식을 어떻게 하든 할당방식에 따른 연계 전과 후의 비용효과성 변화의 크기는 동일하므로 할당방식이 배출권 시장 연계에 주는 직접적 함의는 제한적이다

14) 경매를 주된 할당방식으로 택하는 국가의 기업들이 무상할당을 주된 방식으로 채택한 국가로 생산시설을 이전하는 탄소누출(carbon leakage)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사실 이러한 탄소누출은 시장이 독자적으로 운영되더라도 유사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시장 연계가 추가적인 탄소누출을 야기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9

국가에 해 유상할당으로 할당방식 변경을 요구하는 명시적 또는 묵

시적 압력이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15) 따라서 할당방식에

있어서 유middot무상의 차이가 나는 경우 국가 간 상호조율과 양해가 전제

되지 않는다면 시장 연계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마 대상 온실가스 및 적용대상

배출권거래제의 적용을 받는 기업의 범위 및 배출제한 적용을 받는

상 온실가스는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소들이다 상 온실가

스 및 적용 상의 차이가 적용할 수 있는 온실가스 감축옵션이나 배출

권 할당 규모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기는 하지만 이는 시장 연계와

상관없이 영향을 주는 요소이므로 시장 연계 전후의 차이에 영향을 주

는데 제한적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이들은 적용여부에 따라 해당 산업의 경쟁력에 직접적인 영

향을 미치는 요소이므로 시장 연계 이후 배출권 가격 변화를 통해 간

접적으로 산업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이러한 경쟁력 변화는 특정 국가의 참여기업들의 수용

성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나아가 동태적인 관점에서 제도적 변화에

한 정치적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간과해선 안 된다

예를 들어 한 시장에서는 NF3를 규제 상 온실가스에 포함하는데

반해 다른 국가에서는 이를 규제 상에서 제외한다고 하자 이 경우

NF3가 규제 상에서 제외된 국가의 배출기업들은 그렇치 않는 경우

에 비해 상 적으로 유리한 입장이 된다 이들 두 국가의 배출권 시장

15) 물론 시장 연계 이전에도 이 문제는 국가 간 쟁점이 될 수 있으나 배출권 시장이 독자적으로 운영될 때보다는 연결된 경우에 쟁점화될 개연성이 더 높다

20

이 연계될 때 규제 상의 차이가 연계 전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은 매우 제한적이다 그러나 앞서 유middot무상할당 방식에서와 같이 일단

연계된 이후에는 상 적으로 불리한 입장의 기업들을 중심으로 제도적

형평성에 한 이의를 제기할 수 있고 중장기적으로는 제도적 수렴을

요구하는 경제 외적 압력을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

요컨 상 온실가스와 적용 상의 차이는 단기적으로는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핵심 쟁점은 아니다 그러나 앞선 예처럼 중장기적으

로는 연계 이후 참여 상자들의 수용성 및 형평성에 한 문제 제기 및

제도 수렴에 한 정치적 압력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바 이월 및 차입

이월(banking)은 해당 연도의 배출권 잉여분을 이후 연도에 의무이

행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두 국가 간 배출

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한 국가에서 배출권의 이월을 허용하고 있을

경우 연계된 다른 국가가 이월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간접적으로 이월

제도를 허용한 것과 유사하게 된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국가 A가 배출권 이월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국가 A의 기업들

은 해당 연도 배출권을 이월을 허용하는 국가 B의 이후 연도 배출권과

교환하여 이를 이후 연도 이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

서 어떤 시장에서 이월을 허용하지 않아야 하는 특별한 사유가 있다면

배출권 시장 연계 이전에 이월 관련 규정에 한 국가 간 상호 조율이

필요하다16)

16) 참고로 현재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한 부분의 국가는 배출권의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고 있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21

배출권의 차입(borrowing)은 이월과 반 되는 개념으로 배출권거래

제에 참여하는 업체가 해당 거래 연도에 배출허용량을 초과해서 배출

했을 때 다음 연도 배출권 할당량 중 일부를 차입하여 사용하는 제도

이다 차입 역시 이월과 유사한 논리로 두 국가 간 배출권 시장이 연계

되어 있다면 한 국가에서 배출권의 차입을 허용하고 있을 경우 연계된

다른 국가가 차입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이 국가에서 간접적으로 차입

제도를 허용한 것과 사실상 동일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배출권의 차입

은 현재 시점에서의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을 이연시키

는 효과를 가지므로 환경 건전성 관점에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

다 이로 인해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한 부분의 국가는 차입을 허용하

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일 어떤 시장에서 특정한 사유로

인해 차입을 허용하는 경우엔 배출권 시장 연계 이전에 차입 관련 규

정에 한 국가 간 상호 조율이 필수적이다

사 기타 고려사항

온실가스 배출량의 측정 및 보고 검증(Measurement Reporting and

Verification MRV) 기준은 두 배출권 시장 연계에 있어서 중요하다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연계된 두 시장의 MRV 기준

및 강도 등에서 상당한 차이가 날 경우 두 배출권의 상호 호환성

(fungibility) 및 등가성에 한 논란이 커질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그

러나 서로 다른 MRV체계가 반드시 시장 연계의 장애요소가 되는 것

은 아니며 양 국가 간 합의만 전제된다면 등가비율의 조정을 통해 연

계가 가능하다(Tuerk et al 2009)17)

17) 물론 Tuerk(2009)가 지적하듯이 MRV체계의 투명성(transparancy)과 비교가능성

22

또한 연계된 배출권시장 간의 배출권 이전이 가능하기 위해서 배출

권거래시장의 등록소는 두 시장 간 호환 가능해야 하는데 이는 다분

히 기술적인 요소로 시장 연계에 있어서 장애요인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연계된 배출권시장 간에 신뢰 구축을 위하여 감축목표

불이행에 따른 페널티와 의무이행 체계는 연계된 시장 간에 유사해야

할 것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comparability)이 보장되어야 하며 기준과 강도 그리고 등가비율 등에 한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3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

두 배출권 시장이 서로 연계되는 방식은 다양한데 크게 나누어 보면

직접 연계(direct link)와 간접 연계(indirect link)로 구분된다(Tuerk et

al 2009) 직접 연계는 두 배출권 시장 간 직접적인 배출권 거래가 가

능한 경우를 의미하며 간접 연계는 두 시장 간 직접적 거래가 가능하

지 않지만 제3의 시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된 경우를 뜻한다(Tuerk

et al 2009 Flachsland et al 2009) 다시 직middot간접 연계는 몇 가지 서로

다른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아래에서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가 직접 연계 완전 통합형

완전 통합형 직접 연계는 서로 다른 별개로 운영되던 배출권 시장이

하나의 배출권 시장으로 통합되는 유형을 말한다 이 경우 서로 다른

할당배출권이 하나로 통합되며 개별적으로 진행되던 배출권 할당 또한

전체 시장을 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선 감축목표의 설정 및

배출권 할당 상쇄제도 등 다양한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소들

에 해 두 시장간 완전한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감축목표

의 설정 등과 관련하여 완전한 합의를 이루기 위해선 국가 주권의 일

정 부분을 양도한다는 국내 정치적 도전과 정책적 자율성 손실에 따른

비용 부담이 불가피하다는 단점이 있다

완전 통합형 직접 연계는 현실에서 사례를 찾기 매우 힘들지만 표

24

적인 사례로는 EU-ETS와 노르웨이 ETS의 연계를 꼽을 수 있다

EU-ETS 제1기(2005~2007)만 하더라도 양 국가의 배출권 시장은 별도

의 시장으로 존재해왔다 그러나 EU-ETS 제2기(2008~2012) 이후부터

노르웨이 ETS 시장은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과 함께 EU-ETS 시장

으로 편입되어 EU ETS Directive 하에서 운영되는 시장으로 완전 통

합되었다(Royal Norwegi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08)

나 직접 연계 쌍방향 연계형

쌍방향 연계 방식의 직접 연계는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각자

배출상한 목표를 가지고 개별적으로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되 서로 간

의 할당배출권이나 상쇄배출권이 자유롭게 거래되고 상 편 시장의 배

출권을 자신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게 허용되는 연계 방식을 말한

다(Haites and Mullins 2001 Tuerk et al 2009) 두 개의 시장이 하

나의 시장으로 완전히 통합되는 방식에 비해서 각자 독자적인 배출권

시장을 유지middot운영하기 때문에 각 시장을 운영하는 주체의 정책적 자율

성이 일정 부분 보장된다 또한 시장 연계의 수준을 두 시장이 가진 고

유한 상황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다 경우에 따라 해당 시

장에서 의무 이행 시 활용 가능한 상 편 시장의 배출권 수량에 일정

한 제한을 가할 수도 있고 제한 없이 상 편 시장에서 구매한 배출권

을 자신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도 있어서 제도 운

영의 자유도가 완전 통합형에 비해서 높은 편이다18)

18) 만일 제한 없이 상 편 시장에서 구매한 배출권을 자신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경우 완전 통합형 직접 연계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쌍방향 연계형은 배출상한 목표(즉 배출권 할당량) 등 주요 설계요소를 결정함에 있어서 각 시장 운영주체가 독자적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완전 통합형과 차별성을 가진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5

현존하는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는 모두 쌍방향 직접 연계의 유형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와 퀘벡 간의 배출권 시장 연계와

최근 협정을 체결한 EU-ETS와 스위스 ETS 간의 연계가 표적인 쌍

방향 직접연계 방식을 취하고 있다 목표의 강도 할당방식 적용 상

상쇄제도 등 주요 배출권거래제 설계요소에서 나름의 독자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배출권 거래 및 의무이행에 있어서 상호 호환을 허용하고 있다

이들 사례에 해서는 후술하는 소절에서 자세하게 다루기로 한다

다 직접 연계 단방향 연계형

단방향 연계는 한 시장에서는 상 방의 할당배출권이나 상쇄배출권

을 구매하여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지만 다른 시장에서는 이를 허용

하지 않는 방식이다(Tuerk et al 2009) 통상적으로 시장 연계는 상호

간 순 편익이 늘어날 경우에 성사될 수 있으므로 단방향 연계 방식의

직접 연계는 현실에서 보기 어렵다 다만 쌍방향 연계에 합의했더라도

제도적middot기술적 요인들로 인해 일정 기간 유예가 필요한 경우 서로 간

의 합의하에 본격적인 쌍방향 연계 전의 중간 단계로서 단방향 연계가

일어나기도 한다

단방향 연계의 사례로 노르웨이 ETS는 EU-ETS 제1기에 EU-ETS

배출권을 의무이행에 허용하였던 반면 EU는 노르웨이 ETS 배출권을

받아들이지 않았다(Tuerk et al 2009)19) 또한 비록 성사되지는 않았

지만 호주와 EU-ETS 간의 배출권 시장 연계 시도에서도 단방향 연계

의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지난 2012년 호주와 EU는 양 국가의 배출

권거래제를 연계하기로 발표하면서 2018년 7월 이후에 본격적으로 쌍

19) 이후 EU-ETS 제2기부터 노르웨이 ETS는 EU-ETS에 편입되었다

26

방향 연계하되 2015년 7월부터 한시적으로 호주 기업들이 EU-ETS의

배출권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합의한 바 있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이상의 사례는 단방향 연계 방식이 주로 소규모 시장이 규모 시장

과 연계할 때 과도기적 조치로 사용되어 왔음을 보여준다 결국 단방

향 연계는 규모 시장과의 연계로 인해 소규모 시장 참여자들이 입을

지도 모를 시장 충격에 미리 비하고 본격적인 쌍방향 시장 연계에

앞서 두 시장의 제반 제도적middot기술적 여건을 조화시키기 위한 준비기가

필요할 경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유형이다

라 간접 연계

두 시장이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지 않더라도 제3의 시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될 수도 있다(Tuerk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이때 제3의 시장은 할당배출권이 거래되는 시장이 될 수도 있

고 탄소상쇄 배출권(carbon offsets credit)이 거래되는 시장이 될 수도

있다 이때 제3의 시장은 다른 두 시장과 쌍방향 혹은 단방향으로 직

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어야 한다 이 경우 특정 시장에서의 배출권 수

급 변화는 제3의 시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다른 시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Tuerk et al 2009)

간접 연계의 한 사례로서 쌍방향 연계 이전에는 스위스 ETS와

EU-ETS를 들 수 있다 두 시장은 비록 직접 연계되어 있지는 않았으

나 탄소상쇄로서 교토의정서 상의 크레딧(CDM JI 등)을 허용하고 있

었으며 동 크레딧 시스템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아직까지는 제3의 시장이 할당배출권 시장이 되는 방식의 간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7

접연계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향후 여러 국가 혹은 지역 단위

에서 배출권 시장이 도입되고 서로 간의 이해에 따라 국가 혹은 지역

단위 배출권 시장 간 연계가 늘어나게 된다면 제3의 시장이 할당배출

권 시장이 되는 방식의 간접 연계 유형도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논의한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그에 해당하는 실제 사

례를 정리하면 아래 lt표 -1gt과 같다

구분 유형 표 사례

직접 연계

완전통합형EU-ETS(Phase II~)와 노르웨이 ETS

간의 연계

쌍방형 연계형

EU-ETS와 스위스 ETS 간의 연계(lsquo17년 협정 체결)

캘리포니아와 퀘벡 간의 ETS 연계

단방향 연계형

EU-ETS(Phase I)와 노르웨이 ETS 간의 연계

(연계 추진)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20157월~20186월)

간접 연계

크레딧 시스템을 통한 연계

EU-ETS와 스위스 ETS (쌍방향 연계 이전)

제3의 할당배출권 시장을 통한 연계

해당 없음

자료 Ranson and Stavins(2015)를 참조하여 저자가 재구성

lt표 Ⅲ-1gt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대표 사례

28

2 배출권 시장 연계의 사례20)

가 스위스 배출권거래제와 EU-ETS의 연계

2010년 11월 EU 집행위원회는 EU-ETS와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에 한 협상 개시를 제안했고 이사회를 통해 협상에 한 위임을

받았다 EU와 스위스는 두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 기준과 방식에 해

합의하고 2017년 11월 협약서에 서명함으로서 두 시장의 연계 이행 작

업에 들어갔다 EU-ETS와 스위스 배출권시장과의 연계는 EU-ETS와

제3국의 배출권시장이 연계되는 최초의 공식적인 사례이다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제는 제1차 계획기간인 2008년부터 5년간은 자

발적 참여 단계로 시작하였다 2013~2020년까지인 제2차 계획기간

동안 EU-ETS와의 연계를 위해 2020년까지 감축목표를 EU와 동일한

수준인 1990년 비 20 감축으로 정하는 중요한 변화를 배출권 시

장에 도입하였다

1999년 스위스는 난방 산업공정 수송연료에 탄소 부담금을 부과하

고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했다 연간 25000tCO2e 이상의 이산

화탄소를 배출하는 기업들은 직접적으로 배출권거래제에 참여 가능하

도록 하였으며 참여 기업들은 상향식 접근방법을 기반으로 배출권을

무상할당 받았다 제1차 계획기간 동안 기업은 조림사업과 같은 카본

싱크 프로젝트를 통한 RMUs(Removal Units)를 사용 가능하도록 하

였다 스위스의 페널티 제도는 EU의 페널티 제도와 확연한 차이를 보

이는데 배출권거래제를 참여기업이 감축목표 수준을 준수하지 못했을

20) 본 절은 Carbon Market Watch(2015)의 pp8-13까지의 내용과 박수경 외(2018)의 pp479~ 482까지 내용을 참조하여 재구성한 것이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9

경우의 페널티는 배출권의 상한가격에 해당하는 탄소 부담금과 이자의

합이었다

스위스와 EU 간 배출권거래시장 연계 협상은 공식적으로 2011년 3

월 시작되었다 이에 스위스는 2013년 1월 1일을 시장 연계 시 잠재적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는 요소들을 수정하여 배출권거래제를 개정하였

다 수정된 배출권거래제의 획기적인 변화 중 가장 괄목한만한 점은

배출권거래제 자발적 단계에서 의무적 단계로의 전환된 부분이다 따

라서 제2차 계획기간(2013~2020년)에는 스위스의 온실가스 배출 집약

적 산업부문의 시설들은 배출권거래제에 의무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또한 스위스는 수정된 배출권거래제의 페널티 제도 및 무상할당 방식

그리고 국가 간 탄소 상쇄제도를 EU-ETS와 조화시키기 위해 노력하

였다 그러나 여전히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제는 몇몇 사소한 부분에서

EU-ETS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EU의 경우 배출권거래제

참여 기업이 연간 배출량을 측정하여 당국에 보고하고 독립적으로 검

증 받아야 한다 그러나 스위스는 배출권거래제 참여 업체들이 측정한

연간 배출량을 당국에 보고해야 하지만 EU와 다르게 이를 독립적으로

검증 받지는 않아도 된다 다만 스위스 당국은 사안에 따라 이들에

한 검증을 요청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또 다른 차이점은 EU는 배

출허용량을 집행위원회에서 설정하는 반면 스위스는 상향식(배출허용

총량의 합계) 방법으로 결정한다 두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에 있어서

항공부문의 배출권거래제 편입과 서로 다른 온실가스 감축목표 또한

여전히 논쟁되는 이슈이다 lt표 -2gt는 스위스와 EU의 배출권거래제

를 비교 정리한 것이다

30

lt표 Ⅲ-2gt 스위스와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국가 스위스 EU

목표의 엄격성2013년 배출 상한량부터 매년 174 감축

2008~2012년의 연간 평균 감축량의 174 감축

배출량 제한 2013년 56 MtCO2e 2013년 2084 MtCO2e

탄소상쇄 수량

2012~2020년 기간 간 할당된 배출권의 최 11에서 동 기간 사용된 상쇄 크레딧을 차감한 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가능신규 참여기업은 2013~2020년 간 배출량의 45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

2008~2020년 기간 간 할당된 배출권의 최 11의 에서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신규 참여기업은 2013~2020년 간 배출량의 45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

탄소상쇄 품질

최빈국들로부터의 청정개발체제(CDM) 크레딧은 사용 가능하며 기타 CDM 및 공동 이행제도(JI) 크레딧은 2013년 이전에 등록된 것에 한해서 사용 가능

최빈국들로부터의 청정개발체제(CDM) 크레딧은 사용 가능하며 기타 CDM 및 공동 이행제도(JI) 크레딧은 2013년 이전에 등록된 것에 한해서 사용 가능

가격 및 공급관리

시장의 과잉공급 정도에 따라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배출권 공급량 조정

배출권 할당

EU-ETS와 유사한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적용범위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CO2 및 기타 온실가스

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EU 역내 항공 CO2 및 N2O PFCs

준수기간 2013~2020 2013~2020

규제방식 하향식 방식 하향식 방식

이월 무제한 이월 가능 무제한 이월 가능

페널티 제도

1톤당 약 125 CHF (104 유로)의 벌금 부과 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 해에 공제

1톤당 100 Euro의 벌금 부과 사라진 배출권은 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 해에 공제

자료 Carbon Market Watch Report(2015)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1

나 퀘벡과 캘리포니아 배출권거래제의 연계

2014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퀘벡과 캘리포니아의 배출권시장 연계

는 현존하는 세계 최초의 탄소시장 연계 사례이다 두 시장의 연계로

각 주(州)는 두 시장에서 모두 배출권이나 상쇄분을 판매 혹은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이들 두 시장의 연계 이전 두 시장 사이에 다양한 차

이점이 존재하였으나 WCI21)는 캘리포니아와 퀘벡 배출권거래시장의

조화로운 연계를 도출하였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은 유사한 배출권 가

격과 공급관리 적용범위 이행 기간 이월과 패널티 등을 채택하였다

캘리포니아는 주 자체가 세계에서 가장 큰 경제시장 중 하나로 총

온실가스 배출량은 퀘벡의 6배에 달한다 2012년 캘리포니아는 459

MtCO2-eq의 온실가스를 배출한 반면 퀘벡은 78MtCO2-eq의 온실가스

를 배출하였다 양 주 모두 운송부문이 가장 큰 배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캘리포니아에서는 발전부문이 두 번째로 큰 배출 비중을 차지

하는 반면 퀘벡의 경우 수력발전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발전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미미하다 한편 캘리포니아는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수준으로 안정화시키는 목표를 가진 반면 퀘벡은

2020년까지 총 배출량의 20 감축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이들 감

축목표를 비교해보면 2005년 배출량을 기준으로 퀘벡의 감축목표는

22인데 비해 캘리포니아는 11로 퀘벡의 감축목표가 캘리포니아보

다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두 시장은 모두 상쇄분의 최 사용량을 해당 이행 기간의 총 감축

21) 서부 기후 이니셔티브(Western Climate Initiative WCI)는 이 시장에 참여하는 북미 륙 서부 주들이 2020년까지 총 배출량의 15를 줄이는데 지역적으로 협력하기 위해서 형성된 배출권거래시장 운영기구이다(httpsenwikipediaorgwikiWestern_Climate_Initiative 참조)

32

목표의 8로 제한하고 있고 국제 상쇄의 사용량 또한 제한하고 있다

는 공통점을 가진다 그러나 두 시장 간에는 캘리포니아는 산림의 탄

소 흡수에 의한 상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퀘벡은 산림부문의

상쇄를 인정하지 않는 등의 차이점이 존재한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배출권거래시장은 경매가격 하한제와 유연한

가격 상한제를 시행하는데 합의하였다 캘리포니아의 경매가격 하한은

USD 1134이며 퀘벡의 경매가격 하한은 CAD 1282이며 이들의 환

율은 가장 최근시점 정오의 구매 환율로 정해져있다 경매가격 하한선

은 매년 5 + 물가상승분만큼 상승한다 가격 상한제의 경우 WCI에

참여하는 주들에 의해 독립적으로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들은 2013~2014년에는 할당량의 1 2015~2017년에는 7 2018~

2020년에는 7를 비축할 수 있고 시장에서 배출권가격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상호 간의 합의를 통해 비축분의 판매를 통해

가격안정화를 꾀한다

캘리포니아와 퀘벡 모두 2013~2014년의 제1차 계획기간에는 배출권

의 부분이 무상할당 되었으나 2015~2020년에는 무상할당 되는 배

출권의 양을 줄이는 동시에 점차 경매방식으로 배출권을 할당하게 된다

캘리포니아는 생산수준 배출량 벤치마크 상한 조정요소 및 산업 보조

요소22) 등을 바탕으로 하여 산업시설의 무상할당 수준을 결정한다

퀘벡은 2015~2020년 산업별로 차이가 있는 배출집약도 목표에 기초해

산업별 배출권의 무상할당량을 결정한다 퀘벡에서는 2015년부터 무상

할당량이 매년 1~2 감소한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에서는 2013~2014년 까지는 각각 총 온실가스 배

22) 상한 조정요소는 배출권 상한을 보다 엄격하게 하기 위한 조정을 말하며 산업 보조요소는 특정 산업의 탄소누출 가능성에 따른 보조를 의미한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3

출량의 약 36와 약 29를 차지하는 에너지 및 산업부문의 배출량만

규제되었으나 2015년부터는 적용범위가 확 되어 연료부문도 포함되

어 총 배출량의 87와 77가 적용범위에 포함되게 되었다 배출권의

이월은 두 시장 모두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는 동시에 보유 제한을 설

정하여 미래에 사용할 수 있는 있는 배출권 양을 제한하고 있다

lt표 -3gt은 캘리포니아 및 퀘벡의 배출권거래제와 EU-ETS를 비교

정리한 표이다

lt표 Ⅲ-3gt 캘리포니아-퀘벡과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지역 캘리포니아-퀘벡 EU

목표의 엄격성

(캘) 2015년 이후 연간 평균 감축량의 31 감축

(퀘) 2015년 이후 연간 평균 감축량의 32 감축

2008~2012 동안 연간 평균 174 감축

배출량 제한

(캘) 3945 MtCO2e (2015) 3342 MtCO2e (2020)(퀘) 653 MtCO2e (2015) 5475 MtCO2e (2020)

2013년 2084 MtCO2e

탄소상쇄 수량 총 배출권 할당량의 8

2008~2020년 기간 간 할당된 배출권의 최 11의 에서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신규 참여기업은 2013~2020년 간 배출량의 45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

탄소상쇄 품질

(캘middot퀘) 국내 탄소 상쇄로 제한(캘) 산림 프로토콜을 포함한

다양한 프로토콜 사용가능 구매자 책임 원칙

최빈국들로부터의 청정개발체제(CDM) 크레딧은 사용 가능하며 기타 CDM 및 공동 이행제도(JI) 크레딧은 2013년 이전에 등록된 것에 한해서 사용 가능

가격 및 공급관리

2014년 경매가격 하한제로 1톤당 $1134t 연간 5+ 물가반영분 인상 전략적 비축을 통한 가격 상한

시장의 과잉공급 정도에 따라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배출권 공급량 조정

34

자료 Carbon Market Watch Report(2015)

다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추진 사례

호주 정부는 국제 기후 협상의 일환으로서 2020년까지 2000년 비

5 온실가스 감축을 약속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호주는 2012

년 7월부터 탄소가격제도(carbon pricing mechanism CPM)를 도입하

였으나 2014년 호주 정권의 교체로 동년 7월에 폐기되었다 이 제도

는 2012년부터 2015년까지는 탄소 가격을 고정가격으로 2015년 7월

부터는 유연가격으로 변경하여 시행하기로 계획되어 있었다 또한 호

주는 2012년 EU와의 탄소시장 연계를 발표하고 그 해 7월부터 잠정

적으로 호주 탄소시장에서 EU 배출권을 사용할 수 있는 한방향 연계

가 시행되었으며 쌍방향 연계는 2018년부터 시행하기로 계획하였다

호주 정부는 원래 탄소가격의 상한을 AUD20(약 13유로)로 설정하

고 매년 5 인상하기로 계획하고 있었으며 하한은 AUD15(10유로)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EU-ETS와의 연계를 위해 유연가격제를 시행하기

로 한 2015년부터는 가격 하한제의 도입 계획을 철회하기로 하였고

지역 캘리포니아-퀘벡 EU

배출권 할당산업 및 발전부문 무상할당 점차 줄어드는 추세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적용범위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난방과 수송연료 CO2 및 N2O PFCs

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EU 역내 항공 CO2 및 N2O PFCs

규제방식 상향식+하향식 방식 하향식 방식이월 무제한 이월 가능 보유제한 무제한 이월 가능

페널티 제도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해에 공제

1톤당 100 Euro의 벌금 부과 사라진 배출권은 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 해에 공제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5

양국의 시장 연계가 시행되는 2018년에는 가격 상한제마저 폐지하기

로 하였다 또한 두 시장의 연계를 위해 호주 정부는 EU의 규정과 부

합하지 않는 원자력 사업 산업용 가스의 분해 및 형 수력발전 사업

의 탄소상쇄를 제외시켰다 하지만 두 배출권시장의 연계를 위한 이러

한 정책의 변경은 호주 정부에 정치적 부담을 안겨 주었고 2014년 7

월 탄소 가격제가 폐지됨에 따라 두 배출권시장의 연계는 실패로 마감

되었다 그 밖에도 호주의 탄소가격제는 메탄가스를 규제하고 있는 반

면 EU-ETS는 메탄가스를 규제하고 있지 않다는 점과 두 시장의 연계

를 위해 호주 탄소가격제의 페널티가 기존 고정가격의 13배에서 당해

연도의 평균 경매가격의 2배로 증가함에 따른 정치적 부담도 시장연계

실패의 원인이었다고 볼 수 있다

3 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앞서 살펴보았듯이 캘리포니아 ETS와 퀘벡 ETS 그리고 스위스

ETS와 EU-ETS의 연계는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성공적으로 연

계한 표적인 사례이다 여기서는 위 두 사례로부터 배출권 시장 연

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던 요인과 시사점을 간략히 살펴보

기로 한다

가 상호 호혜성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성공적으로 연계되기 위해선 우선 연계

이후에 서로간의 이해관계가 크게 상충되지 않으면서 상호 호혜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앞의 두 사례에서 보면 퀘벡 및 스위스 배출권 시장

36

은 연계된 캘리포니아와 EU 배출권 시장과 비교해 시장 규모 측면에

서 훨씬 작은 편이다 따라서 이들 시장 운영자들은 자신들의 시장에

참여하는 규제 상 기업들이 풍부한 유동성을 가진 큰 규모의 시장에

한 접근성을 제고하고 통합된 시장에서 다른 기업들과 동등한 경쟁

조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었다23) 특히 스위스 ETS의 할당배출권 가격

은 EUA 가격에 비해 거의 5배나 높은 상황에서 시장 연계는 스위스

배출권 가격을 EUA 가격에 근접시키는 효과가 기 되므로 스위스 입

장에서는 시장을 연계시킬 유인이 컸다(IETA 2015 p54)

한편 캘리포니아는 자신의 배출권 시장 외연을 확 하고 배출원들

의 온실가스 감축 이행 비용 부담을 완화하려는 목적으로 연계를 선호

하였다 이와는 별개로 스위스에 비해 훨씬 큰 규모의 시장을 가진 EU

는 주로 경제적 요인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의해 연계를 선호하였다24)

이처럼 양자의 이해가 맞아떨어지면서 배출권 시장 연계 논의가 시

작되었고 결국 성공적인 시장 연계로 이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연계

하는 두 시장의 이해관계가 일치한다고 하더라도 최종적으로 연계 합

의에 이르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서로 다른 두 시장의 주요

23) 스위스의 연계 유인에 해서는 ldquoLinking of the Swiss and European emissions trading systems big step forwardrdquo(httpswwwbafuadminchbafuenhometopicsclimatenews- releasesmsg-id-67745html) 및 IETA(2015)를 참조하라 퀘벡의 연계 유인은 Gouvernement du Queacutebec(2018)「Quebec cap-and-trade system for greenhouse gas emission allowances (CampT) Historical Overview」(p7)을 참조하였다

24) 캘리포니아 ETS의 연계 유인은 ldquoCALIF FORGING AHEAD WITH EMISSIONS TRADING NEXT MONTH AIR CHIEF CONFIRMSrdquo(httpswwwexchangemonitor comcalif-forging-ahead-with-emissions-trading-next-month-air-chief-confirmsprintmode=1) 을 참조하라 EU와 스위스 시장은 워낙 규모에 차이가 나서 연계 시 스위스 시장이 사실상 EU 시장에 편입되어 EU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EU는 연계에 따른 경제적 편익에 한 고려보다는 기후변화 응을 위한 리더십을 확보하고 시장의 외연을 확장하는 첫 단추로서 스위스와의 시장 연계를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IETA 2015 p54)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7

설계요소의 차이가 야기하는 시장 연계 전후의 영향에 조율이 필수적

이다 다음은 위 두 사례로부터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인의 관

점에서 바라본 성공요인에 해 논의해 보기로 한다

나 핵심 설계요소의 유사성

앞의 두 사례 모두 시장들 간 배출권거래제도의 핵심 설계요소에 있

어서 상당한 유사성을 가지고 있어서 이들을 조율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첫째 캘리포니아-퀘벡 ETS 그리고 스위스-EU ETS는 감축목표의

엄격성 측면에서 서로 유사하여 감축목표를 둘러싼 이견이 적었다 일

견 캘리포니아는 2020년까지 1990년 배출량 수준으로 감축하는 목표

를 가지고 있었고 퀘벡은 2020년까지 1990년 배출량 비 20까지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목표를 세워 퀘벡이 다소 높은 강도의 감축목표

를 설정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lt표 -3gt에서 보듯이 2015년도 ETS 적용 상 배출량 기준으

로 보면 2020년까지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연 평균 감축률은 각각

31 32로 거의 동소이하다 스위스 ETS는 2013년 배출상한

비 2020년까지 매년 174씩 EU-ETS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의

연 평균 배출량에 비 2020년까지 매년 174씩 감축하는 목표를 가

지고 있었다 이처럼 비록 절 적 감축량이나 배출허용량의 크기에 있

어서 두 시장간 차이는 컸지만 상 적인 감축목표의 엄격성 측면에서

유사해서 ETS 운영주체 간 상호 신뢰성이나 참여 상 기업들의 수용

성이 높아 시장 연계를 추진하는데 훨씬 수월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두 사례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한 탄소상쇄제도를 가지고 있어

38

상쇄배출권의 유입에 의한 시장 교란이 작동할 여지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lt표 -2gt에서 알 수 있듯이 스위스와 EU는 상쇄배출권 허용

비율 및 사용가능 종류에 있어서 사실상 동일하기 때문에 상쇄제도의

차이로부터 비롯되는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캘리포니아와 퀘

벡 배출권거래제의 경우에는 상쇄배출권 허용수량은 동일하나 상쇄배

출권의 생성 및 사용에 있어서 약간 차이가 있다 가령 퀘벡의 경우 산

림상쇄를 허용하지 않으나 캘리포니아는 산림 흡수원에 의한 상쇄배출

권을 허용한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두 제도

모두 부분의 해외 상쇄사업을 허용하지 않고 있고 전체 수량에서 차

이가 나지 않아 시장 연계 시 상쇄 프로토콜의 차이로 인한 시장 교란

보다 연계의 이득이 훨씬 크므로 그러한 사소한 차이가 시장 연계의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았다25)

셋째 배출권의 할당방식에 있어서도 두 사례의 국가들은 유사한 체

계를 갖추고 있었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경우 배출권 할당방식의 기

술적인 부분에서 일부 차이가 존재하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산업부문에

해선 무상할당 발전부문에 해선 유상할당을 적용하고 무상할당

의 비중을 점진적으로 줄여가는 방향성에 해서 체로 일치하였다

(ICAP 2019a ICAP 2019b) 마찬가지로 스위스와 EU도 거의 유사한

할당방식을 가지고 있었다 두 연계 사례 모두 유middot무상할당 방식을 혼

용하되 유middot무상이 적용되는 부문에 해서는 동일하였기 때문에 사소

한 할당방식의 차이는 연계 시 쟁점으로 부각되지 않았다

넷째 배출권 가격 및 공급량 관리 제도와 관련해서도 연계된 사례

25) 퀘벡은 해외 상쇄를 허용하지 않으나 캘리포니아의 경우 브라질 등 일부 국제 산림 상쇄크레딧을 허용한다 그러나 그 양은 매우 미미해서 시장에 미치는 영향 또한 극히 제한적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9

의 국가들은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은 동일

한 배출권 가격 및 공급량 관리 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스위스와 EU

의 경우 EU의 배출권 비축제도가 유일한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러나 IETA(2015)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스위스 ETS의 할당배출권 가

격이 EUA 가격에 비해 상당히 높았기 때문에 EU의 배출권 비축제도

도입 자체가 시장 연계에 장애요인이 되지 못하였다

그 외 이월과 차입 MRV 체계 등 시장 연계 시 고려될 주요 설계요

소들에 있어서 두 성공사례의 국가들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처럼 앞서 언급한 배출권 시장 연계 시 고려되어야 할 주요 설계요

소에 있어서 연계하는 시장들은 상당히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고

이것이 시장 연계의 논의와 조율이 매끄럽게 전개될 수 있도록 한 원

동력이 되었다고 판단된다

다 정책적 의지

배출권 시장의 연계가 상호간 이해에 부합하고 앞서 논의한 제도의

설계요소 관점에서 본 기술적middot경제적 쟁점들이 상당 부분 해소된다고

하더라도 정책적 의지가 수반되지 않는다면 시장 연계의 논의는 진전

되기 어렵다 그러한 측면에서 제도 설계요소의 상호 호환성 이슈는

성공적인 시장 연계의 필요조건은 될 수 있을지언정 충분조건은 될 수

없다(IETA 2015) 2010년부터 시작된 스위스와 EU-ETS 연계가 7여

년에 걸친 논의 끝에 성공적으로 매듭지을 수 있었던 것도 스위스 정

책 당국의 의지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스위스

-EU ETS 연계 논의과정에서 항공부문의 포함여부가 중요한 쟁점 중

하나였고 이민쿼터의 도입 등을 둘러싼 EU와의 정치적 이슈와 결부되

40

면서 자칫 좌초될 뻔했던 양 시장의 연계가 끝내 성사될 수 있었던 것

도 정책 당국의 강력한 의지가 있었기 때문이다(IETA 2015) 퀘벡 정

부에서 발간한 보고서에서도 일부 서로 다른 규제 틀을 가지고 있던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연계가 성사될 수 있었던 이유로 상호 신뢰와 개

방적 소통을 통해 두 주 정부가 긴 한 협업을 해나간 것이 주효했다

고 적시하고 있다(Gouvernement du Queacutebec 2018)

반 로 호주 석탄 사업자들의 메탄 배출량 포함 여부를 둘러싼 이

슈 농업 및 토지이용 관련 상쇄제도의 허용 여부 등 다양한 이슈에도

불구하고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논의가 끝내 좌초되었던 것도 정

권 교체 이후 새롭게 들어선 정부 당국이 시장 연계에 회의적이었기

때문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권 시장 연계의 제반 조건이 충족되

었을 때 이를 최종적으로 매듭짓는 요소는 결국 정책적 의지이며 충

분한 시간을 가지며 상호 신뢰와 개방적 소통 하에서 협력해나가는 노

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1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 동향과 전망

서로 다른 배출권거래시장 간의 상호 연계는 한 국가 혹은 한 지역

내에서 작동하던 탄소시장의 외연을 확 하는 것으로서 국지적 탄소시

장의 글로벌화와 맥이 닿아있다 배출권 시장 연계는 본질적으로 당사

국 간의 자율성에 기반을 하고 있기는 하나 국제 탄소시장을 규율하

는 원칙과 규정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다 파리협정에서는

감축의 비용효과성을 증진시켜 당사국들이 보다 상향된 감축목표를 제

시하도록 하기 위해 시장 메커니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와 관련

해서 현재 파리협정 이후의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가 한창 진

행 중이다 이에 본 장에서는 파리협정하의 탄소시장 논의 동향과 배

출권 시장의 연계와 관련한 시사점에 해 살펴보기로 한다

1 파리협정 이후의 탄소시장 논의 동향

가 주요 내용

파리협정에서 시장 메커니즘은 파리협정문 제6조에 규정되어 있다

파리협정에는 시장(market)이라는 용어가 명시되어 있지는 않은데 이

는 시장 메커니즘의 설립을 반 하는 일부 당사국들이 lsquo시장rsquo이라는

용어가 파리협정 내에 포함되는 것에 반 하였기 때문이다(산업통상자

원부 2016b)

사실 파리협정하의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사항들은 파리협정 체결

이전부터 논의해왔던 Post-2012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의 결과물

42

이다 기존의 Post-2012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 내용들이 파리협

정을 통해 반영되면서 협력적 접근법(Cooperative Approach) 지속가능

발전 메커니즘(Sustainable Development Mechanism SDM) 비시장 접근

법(non-Market Approach)의 3가지 개념이 제6조에 포함되었다

제6조는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 하위 개념을 포괄하는

원칙인 제61조와 협력적 접근법에 관한 내용인 제62 63조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의 내용을 담고 있는 제64 67조 비시장 접근법에

관한 제68 69조로 구성되어 있다

제61조에는 시장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목적과 기본원칙이 포함되어 있

다 시장 메커니즘은 온실가스 감축비용 부담을 완화시켜 당사국들의

국가온실가스감축기여분(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NDC)

의 상향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NDC의 상향에 기여함

은 제6조의 활용을 포함하여 더 높은 목표의 설정을 고려해야 함을 의

미한다 이때 시장 메커니즘의 활용은 지속가능한 발전과 환경적 건전

성이 증진되도록 한다는 원칙 하에서 이행되어야 한다 지속가능한 발전

과 환경적 건전성은 이중계산(double counting)의 방지와 함께 시장 메

커니즘 활용의 3가지 주요 원칙에 해당한다26)

협력적 접근법(제62 63)은 당사국들 간의 자발적 협력을 통해 감

축실적(mitigation outcome)이 발생하여 국제적으로 이전된 경우

(Internationally Transferred Mitigation Outcome ITMO)에는 NDC의

이행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ITMO의 활용은

참여 당사국들의 자발적 승인을 통해 이루어진다 파리협정 결정문

(Decision1CP21)에 따르면 이중계산 방지를 포함하여 협력적 접근법

의 이행에 필요한 지침을 개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26) 하지만 각 용어의 정의에 해서는 명시적으로 합의된 바 없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3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제64 67)은 파리협정 당사국총회(CMA)가

지정한 기구에서 감독하며 지속가능발전의 촉진 전 지구적인 온실가

스 감축에의 기여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결정문에는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의 운영에 필요한 규정(Rules) 방법(Modalities) 절차

(Procedures) 등에 관한 지침의 개발을 명시하고 있다

비시장 접근법(68 69)은 지속가능발전을 위해서 비시장 접근법의

프레임워크 설립을 명시하고 있으며 결정문에는 작업 프로그램의 개

최를 통해서 감축 적응 기술이전 재원 능력 배양 등 주요 요소들 간

의 시너지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논의하도록 하고 있다

lt표 Ⅳ-1gt 파리협정 제6조 주요 내용

구 분 주요 내용

61

당사국은 일부 당사국의 자국의 감축과 적응 행동에 있어서 더 야심찬 노력

을 설명하고 지속가능한 개발과 환경적 건전성을 증진하기 위해 국가별 기

여방안 이행에 자발적인 협력을 추구할 것을 인지한다

62

당사국이 국가별 기여방안에 국제적으로 거래되는 감축 성과를 이용한

협력적 접근법에 자유의사에 따라 참여한다면 거버넌스 내에서 지속가능

한 개발을 증진하고 환경 보전과 투명성을 보장하며 파리협정의 당사자회

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총회에서 채택된 지침에 따라 견고한 회계방식

을 준영하여 이중계산을 피하도록 해야 한다

63본 협정 하에서 국가별 기여방안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제적으로 거래되는

감축성과의 이용은 참여당사국에 의해 자발적으로 승인받는다

64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지지하는 메커니즘은 당

사국의 자유의사에 따라 이용하도록 파리협정의 당사국 회의의 역할을 수

행하는 당사국 총회 권한과 지침 하에 세워진다 파리협정의 당사자 회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가 지정한 기관에 의해 감독되며 다음을 목표

로 한다

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조성하면서 온실가스 감축을 증진할 것

나 당사국의 권한으로 공공과 민간 부문이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하도록

장려하고 촉진할 것

44

나 후속협상 주요 경과

COP21 결정문(Decision1CP21)에 따라서 2016년부터 과학기술자

문부속기구(SBSTA)에서 파리협정 제6조와 관련한 지침의 개발을 위

한 협상이 진행되었다 본 소절과 뒤따르는 소절에서는 산업통상자원

구 분 주요 내용

다 유치국의 배출 수준의 감축에 기여하며 국가별 기여방안을 성취하기

위해 타 당사국이 이용할 수 있는 감축 활동으로부터 편익을 얻을 것

라 세계 배출량의 전반적 감축에 기여할 것

65

상기 4항에 명시된 메커니즘을 통한 감축방안이 또다른 당사국의 국가

별 기여방안의 달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이용되었다면 그 유치국의 국가별

기여방안의 달성을 증명함에 있어서 그 방안을 이용할 수 없다

66

파리협정의 당사자 회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는 상기 4항에

명시된 체제 하에서 이루어진 활동 수익의 몫은 적응 비용을 충당하기 위하

여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에 특히 취약한 개발도상국인 당사국을 지원하

고 행정비용을 마련하는데 사용됨을 보장한다

67파리협정의 당사자회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 제1차 회기에서

제4항에 명시된 체제에 한 규칙 방식 절차를 채택한다

68

당사국은 조직적이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감축 적응 재정 기술이전 역량강화를 포함하여 지속가능한 개발 및 빈곤 근절의 맥락에서 자국의 국가

별 기여방안을 이행하는데 이용 가능하고 통합적이고 전체적이며 균형적인

비시장 접근의 중요성을 인지한다 이 접근 방식은 다음을 목표로 한다

가 감축과 적응 노력을 증진

나 국가별 기여방안 이행에 해 공공 및 민간 부문의 참여 강화

다 제도 및 관련된 제도적 장치를 통한 조정의 기회를 활성화

69지속가능한 발전에 한 비시장 접근의 틀은 본 조 제8항에 명시된 비시

장 접근을 증진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자료 UNFCCC(2015) 및 수원의제21실천협의회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2016) 산업통상자원부(2016a)에서 재인용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5

부(2016b) DEHSt(2016) 및 Bodansky et al(2016)의 주요 내용을 바

탕으로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국제 협상의 논의 경과와 부각된 주요

쟁점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1) 협력적 접근법

2016년에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회의(SBSTA 제44차 및 제

45차 회의)는 주로 파리협정 내 포함되어 있는 협력적 접근법(제62

63)의 문안 내용에 한 해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파리협정

문안에 해 당사국들 간에 상호 상이한 해석의 가능성을 줄여서 공통

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한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4차 회의에서는 주로 협력적 접근법 관련

지침의 범위(scope) 협력적 접근법과 NDC와의 관계 ITMO의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었다

지침에 포함될 범위와 관련하여 파리협정의 협력적 접근법에서 규정

하고 있는 의무사항들 - 견고한 회계방식 지속가능한 발전의 증진 환경

건전성과 투명성의 보장 - 을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에는 공통적인 견해를

보였다 NDC와의 관계에서 협력적 접근법의 사용은 견고한 회계방식

(robust accounting)의 원칙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과 흡수량에 한 상

응하는 조정(corresponding adjustment)을 통한 이중계산 방지가 필요하

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다만 당사국들이 제출한 NDC가 단일연도

목표 다년도 목표 정책과 감축행동 중심의 목표 등 다양한 형태가 존

재하므로 협력적 접근법에 의한 감축실적을 NDC에 어떻게 가감할 것

인가가 중요한 쟁점이 될 수 있다(DEHSt 2016) 그에 따라 단일연도

목표의 경우 목표 설정 당해 연도의 NDC만 충족하면 되기 때문에 다

46

년도 목표를 제시한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달성여부를 점검하는 것

은 타당하지 않으므로 상응하는 조정이 반영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

기되었다 아울러 ITMO의 개념에 해서도 배출권의 형태인지 단순 감

축실적의 결과(산출물)인지에 해 개념 정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

기되었다27)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5차 회의에서는 2018년 말(SBSTA 제49

차 회의)까지 후속협상을 종결시킨다는 목표 하에 후속협상을 위한 작

업계획을 공유하고 당사국들이 제출한 국가제안서(submission)에 기초

하여 공통의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협력적 접근법의 인센티브

와 관련하여 EU는 양자와 다자 형태로 운영하면서 민간부문을 포함한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도

서국가연합(AOSIS)은 경제 전반에 한 NDC 목표 상향을 위해 추가

적인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파리협정의 타 조항과의 관

계에서 부분의 당사국들은 감축(파리협정 제4조)과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이 시장 메커니즘과 연관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투명성 하에서

시장 메커니즘 활동에 한 보고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는 점에 공통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EU는 협력적 접근법과 감축(파리

협정 제4조)은 NDC의 이행 관점에서 ITMO의 산정과 연계되어 있는

이슈이며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과는 감축분의 이전 획득 NDC 사

용 등과 관련된 보고와 상호 연계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환경

적 건전성과 관련하여 환경건전성그룹(EIG)에서는 감축산출물의 품질

27) 배출권과 감축실적은 이전 가능하다는 점에선 유사하지만 엄 하게 말해 서로 다른 개념이다 배출권은 정해진 배출허용량에 상응하여 배분된 후 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되는 배출허가권인데 반해 ITMO는 특정한 감축활동의 결과로서 주어지는 인증된 감축실적이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DEHSt(2016 p12)를 참조하라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7

보장을 위해 ITMO에 영속성과 추가성의 개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개진한데 반해 EU는 상응하는 조정을 통해서 환경적 건전성이 보장

될 수 있다는 다소 완화된 입장을 피력하였다

2017년에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회의(SBSTA 제46차 및 제

47차 회의)는 당사국들 간의 이해증진을 바탕으로 지침의 주요 요소들

에 한 도출을 위한 세부 협상을 진행하였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6차 회의에서 공동의장은 지침의 기본 목

차와 주요 요소에 관한 문서를 제시하였고 당사국들은 라운드 테이블

회의와 비공식 회의 등을 통해서 누락된 요소에 한 의견들을 제시하

였다 이러한 논의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공식 정보노트(informal

information note)가 도출되었다

이어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7차 회의에서는 공동의장이

배포한 비공식 노트에 해 당사국들이 의견을 개진하는 방식으로 진

행되었다 여기에는 지침의 목차와 하위 소목차 옵션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비공식 노트에 해 선진국들은 판매국과 구매국이 구분되어

있는 지침 목차에 불만을 제기하며 이를 통합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

하였고 개도국들은 지침에 수익금의 배분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당사국들은 차기 회의 이전에 과학기술자문부속기

구 의장이 비공식 문서(informal document)를 작성하여 회람하기로 합

의하였다 의장명의의 비공식 문서는 2018년 3월에 회람되었는데 비

공식 노트를 기반으로 중복요소의 간소화와 옵션과 잠재 요소 목록이

제시된 수준이었다

2018년에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1차 및 제48-2차 회의

(SBSTA 제48-1 SBSTA 제48-2)는 동 문서에 기초하여 협상이 진행

48

되었고 협상문서 초안이 도출되었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1차 회의에서는 의장명의의 비공식 문

서에 한 당사국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공동의

장 명의로 수정된 비공식 노트(Revised Informal Note)가 채택되었다

수정된 비공식 노트는 기존 비공식 문서에서 개념을 보다 명확히 하고

일부 잘못 표현되거나 누락된 내용들을 반영하는 형태로 합의되었다

다음으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2차에서는 2018년 말까지 설

정한 후속협상 작업계획의 일정을 수정하여 2019년 말까지 작업 기간

을 연장하고 수정된 비공식 노트에 기반하여 당사국들의 의견을 청취

하였다 이를 통해 2018년 말까지 합의가 필요한 사항을 부속문서 1

2019년 말까지 합의가 필요한 사항을 부속문서 2로 구분하여 각각 시기

별로 합의될 내용을 구분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협상문서 초안(Drafting Negotiation Text)을 도출하였다

2)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4차 회의에서는 교토 메커니즘과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 간의 차이점과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적용 범위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양 메커니즘 간 비교에서는 주로 메커니즘 자체

에 한 시각 차이보다는 교토의정서와 파리협정 간의 차이점에 해

당사국들 간에 상이한 입장 차이가 드러났다 일부 당사국은 청정개발

체제와 공동이행제도를 중심으로 사용되었던 방법 절차 등의 지침이

파리협정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고 지적한 반면 선진국을 중심으로 파

리협정은 사업 수행국의 역할과 책임이 교토의정서보다 강화되었기 때

문에 교토 메커니즘과는 근원적인 차이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적용 범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9

위와 관련해서 교토 메커니즘이 프로젝트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반해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은 프로젝트나 프로그램의 범위를 넘어

더 폭 넓게 적용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5차 회의에서는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운영체계 추가성의 개념 전 지구적인 전반적 감축의 이행방식 현존

메커니즘의 경험과 교훈 등에 해 논의하였다 일본은 교토의정서와는

달리 파리협정에서 모든 당사국이 NDC 목표가 존재하므로 NDC 이행

에 관해서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결과물도 협력적 접근법에서 개발

된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반면 중국은 운영체계와 관련

하여 청정개발체제의 운영방식보다 유연하게 설계될 필요가 있다고 주

장하였다 추가성 개념과 관련하여 EU는 방법론의 경우 새로운 국제

적인 표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으며 미국은 교토메커니즘에

이미 추가성 개념이 존재하므로 이를 기반으로 논의하는 것이 효율적

이라고 강조하였다 반면 브라질은 추가성과 전 지구적 전반적 감축은

연관성을 갖고 있으며 교토 메커니즘의 운영체계를 기반으로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의 운영체계를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듬해 열린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6차 회의에서는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과 청정개발체제의 관계에 해 논의가 이어졌다 주로 개

도국들은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을 청정개발체제의 연장선에서 접근

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선진국들은 새로운 접근과 설계가 필요하다

며 양 진영 간에 립이 형성되었다

속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7차 회의에서는 앞선 회의에서 제

기된 청정개발체제와의 관계에 관한 사항이 계속 쟁점화되었다 브라

질은 청정개발체제에서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으로 전환의 필요성과

50

당위성에 해 강하게 주장하였고 이중계산의 허용 필요성까지 제기

하였다 반면 일본은 2020년 이전에 기 발행된 배출권의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으로의 전환과 관련한 이슈를 제기하여 메커니즘 전환과

관련된 이슈가 배출권의 전환으로 확장되는 계기가 되었다 한편 도서

국가연합(AOSIS)는 전 지구적 전반적 감축의 이행 방안으로 기 발행

된 배출권의 일정 비율을 취소하자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협력

적 접근법과 동일하게 차기 회의 전까지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의장

명의로 비공식 문서를 발행하여 회람하기로 합의하였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1차 회의에서는 2018년 3월에 회람된

비공식 문서에 해 당사국들의 의견을 청취한 후에 공동의장 명의의

수정된 비공식 노트(Revised Informal Note)가 채택되었다 이후 과학

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2차 회의에서는 협력적 접근법 논의와 동일하

게 2018년 말까지 설정한 후속협상 작업계획의 일정을 수정하여 2019

년 말까지로 기간을 연장하고 수정된 비공식 노트에 기반하여 당사국

들의 의견을 청취하였다 또한 교토 메커니즘의 전환에 관한 이슈사항

은 처음에는 부속문서 3으로 별도 분리해 놓았으나 개도국들의 주장

에 따라 2018년 말까지 결정할 사항들을 포함하는 부속문서 1에 수록

하였다

다 주요 쟁점 사항

1) 협력적 접근법

시장 메커니즘과 관련된 지침의 내용에 한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지침의 서문과 원칙에 관한 사항이다 선 개도국 간에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1

발생하고 있는 쟁점을 중심으로 원칙 부분을 별도로 구분함으로써

선 개도국 간의 차별화 요소를 반영하려는 개도국과 이에 반 하여

서문과 원칙을 하나로 통합하여 서문에 포함하자고 주장하는 선진국

입장으로 별된다

두 번째는 거버넌스에 관한 사항이다 협력적 접근법이 기본적으로

당사국 간의 자발적 협력을 통해 감축산출물을 발생시키고 국제적 이

전을 통해 NDC에 활용하자는 개념이므로 과연 국제적인 거버넌스 설

립이 필요한가가 그리고 필요하다면 어떤 수준에서 운영되어야 하는가

가 쟁점이 되고 있다 일부 당사국들은 비록 당사국 간의 자발적 협력

에 의한 감축활동이지만 협력적 접근법에 의한 전 지구적 활동들을 관

할하는 별도의 기구 설립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반면 일부 당사국

들은 협력적 접근법만을 관할하는 별도의 기구를 만들기보다는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의 감독기구에서 협력적 접근법에서 필요한 기능을 통

합해서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28)

28) DEHSt(2016)에 따르면 협력적 접근법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는 (1) 완전히 분권화된 형태로 운영하고 결과만 보고하는 방식 (2) 관련된 모든 운영사항을 규정에 담아 UNFCCC 같은 중앙집권적 기구를 통해 관리하는 방식 (3) 견고한 회계방식 투명성 보장 등을 위해 공통의 레지스트리를 중앙집권적 감독기구에서 운영하되 최소한의 기준만 충족되면 당사국의 자율에 맡기는 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의 논의는 (2)안 또는 (3)안으로 하되 협력적 접근법만을 위한 별도의 중앙집권적 감독기구를 설립할지 아니면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을 관할하는 감독기구에서 협력적 접근법 관련 사항까지 관할하도록 할지에 해 의견을 조율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한편 Bodansky et al(2016)의 주장에 빗 어 해석하면 (2)안은 통일적 접근법(uniform approach)에 가까운 방식이다 (2)안은 거래비용과 정책 불확실성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는 반면 당사국들의 개별적 상황을 반영하는 유연성이 떨어지며 합의에 이르는데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조화적 접근법(harmonized approach)은 당사국들의 개별적 상황을 포괄할 수 있는 보다 일반적인 기준만 제정하여 이를 준수하기만 하면 되도록 하는 방식을 말한다 사실 DEHSt(2016)에서 제시하고 있는 (3)안은 통일적 접근법과 조화적 접근법이 혼합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Bodansky et al(2016)가 지적한 바와 같이 ITMO의 발생과 이전을 추적하고 NDC 활용 여부를 확인하는 규칙과 시스템은 중앙집권적 기구에서 통일적으로 관리하되 MRV 기준이나

52

세 번째는 시장 참여의 조건에 관한 사항이다 당사국들 간에 자발

적 협력이라는 원칙하에 NDC의 유형이 영향을 줄 수 있는가가 쟁점

이다 DEHSt(2016)에서 보여주듯이 온실가스 배출량 상한이나 감축량

같이 tCO2eq로 측정가능한 NDC 형태가 많긴 하지만 감축정책이나 감

축 관련 활동 자체를 NDC로 제출한 국가들도 존재하기 때문에 그러

한 국가들의 시장 참여 여부가 쟁점이 될 수 있다 아랍그룹 LMDC

등은 NDC 유형에 관계없는 참여 보장을 요구하는데 반해 선진국들은

시장 참여를 위한 조건으로서 NDC 계량화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네 번째는 상응하는 조정의 적용 상에 관한 사항이다 주로 언급되

고 있는 상에는 NDC에 포함되지 않은 외부(outside)감축활동에서

발생한 감축사업 Pre-2020에서 전환된 교토 메커니즘 하의 배출권에

해 상응하는 조정을 적용할 필요성이 있는가가 주요 쟁점이 되고 있

으며 당사국 별로 입장이 제각각인 특징이 있다

다섯 번째는 단일연도 NDC에 한 상응하는 조정의 적용방식이다

단일년도 NDC에 한 상응하는 조정 여부에 자체에 해선 큰 이견

이 없으나 상응하는 조정을 어떻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해선 당

사국별로 입장이 엇갈린다 단일년도 NDC의 특성이 중간연도에 해

서는 별도의 목표를 수립하고 있지 않은 방식인데 목표연도 이전에

감축하여 보유하고 있는 감축실적은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그리고

마지막 년도에 관한 NDC 달성 여부를 증명하는 과정에서 상응하는

조정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등이 쟁점사항이 되고 있다29)

ITMO의 부여 등은 최저 기준만 충족하도록 하는 조화적 접근법을 혼용하는 방식에 가깝다

29) 동 이슈는 감축(파리협정 제4조)의 lsquoNDC 산정rsquo과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의 lsquo연계된 산정rsquo과 관련되어 있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3

이 외에도 ITMO를 발생 이전 획득한 경우에 중간년도에 해서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체계 하에서 어떤 정보를 보고해야 하는지에

한 이슈 또한 존재한다

2)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협력적 접근법과 달리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은 감독기구를 중심으로

중앙집권적 방식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상 적으로 이슈가 적다

첫 번째는 감독기구의 운영구조에 관한 사항이다 이 논의에는 기존

운영구조인 청정개발체제의 집행위원회와 운영구조 상에서 어떤 차이

를 둘 것인가에 관한 논의로 귀결된다 특히 위원회의 구성과 관련하

여 청정개발체제와 같이 선진국과 개도국을 구분해 위원회를 구성할

것인지 여부가 쟁점이 되고 있다

두 번째는 전 지구적인 전반적 감축에 관한 사항이다 전 지구적인

전반적 감축을 이행하는 방안으로 발행시점에서 조치를 취할지(판매국

중심) NDC 이행시점에서 조치를 취할지(구매국 중심) 등이 쟁점이

되고 있다

세 번째는 교토 메커니즘의 전환에 관한 사항이다 주로 2020년 이

후에 교토의정서 상의 교토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을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하에서의 실적으로 인정할지 여부 인정하더라도 특정한 전

환조건을 설정할 것인지 여부 Pre-2020에서 발행된 배출권의 전환을 인

정할지 여부 교토 메커니즘 상에서 승인된 방법론을 계속해서 사용할

지 여부 등이 이에 해당한다

54

2 Post-2020 탄소시장 전망과 시사점

파리협정 후속 협상을 통해 협상문서 초안이 도출됨에 따라서 향후

적용될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지침의 전체적인 구조를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쟁점 사항으로 제기된 몇 가지 사안들은 기술적인 이슈

보다는 정치적인 이슈의 성격이 많아서 후속 협상 과정에서 실무자들

간의 논의보다 고위급 논의 과정에서 정치적 타결이 될 개연성이 더

높다

교토 메커니즘과 비교하여 파리협정에 따른 시장은 모든 당사국이

감축목표를 보유한 상태에서 시장을 형성한다는 제약조건이 존재한다

이는 이중계산 방지의 중요성과 함께 상응하는 조정의 문제가 필연적

으로 부가된다 과거 개도국 입장에서는 청정개발체제 사업을 자국 내

에서 시행하더라도 감축목표가 없는 상태였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적인

부담이 존재하지 않았다 반면 파리협정에서는 이중계산 방지를 위해

자국 내 실제 배출량에서 국외로 순 이전된 ITMO의 양만큼을 가산하

여 배출량을 산정한 후에 NDC의 목표 배출량과 비교하여 이행 여부

를 점검받는다는 부담이 존재한다30) 여기에 전 지구적 전반적 감축의

개념을 적용한다면 실제로 NDC에 ITMO를 사용하는데 제약 조건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국가 감축목표 이행적 측면에서도 후속협상의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단일년도 NDC에 관한 상응하는 조정의 적용 시

기와 방법에 따라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의 증빙 과정

30) 만일 NDC가 목표 감축량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ITMO의 순 국외 이전량 만큼 실제 감축량에서 차감한 후에 NDC에서 정한 목표 감축량과 비교하여 이행 여부를 점검하게 된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5

에서 해외 감축분의 필요량이 결정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이슈가 될

전망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본다면 파리협정에 따른 국제 탄소시장

은 교토 메커니즘 하의 시장보다 상 적으로 규모가 작아질 것으로 예

상된다

한편 국내 배출권거래제에서는 2018년부터 외부사업에 해 해외

온실가스 감축분을 인정하고 있다 청정개발체제에 따른 사업들을 상

쇄배출권으로 인정하고 있는데 2020년 이후 교토 메커니즘의 전환 여

부가 아직 확정되지 않아서 사업 활성화 측면에서 불확실성을 내포하

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국내 배출권 시장에서 교토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의 활용 여부는 전환 여부에 한 국제 협상 결과에 따라 결

정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반면 협력적 접근법이나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등 파리협정에 따

른 시장 메커니즘은 국내 배출권거래제도 상의 운영 목적에 비추어 볼

때 국내 배출권거래제도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 국내 배출권거래제의

도입목적(제2조)이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비용효과적인 이행이고

이들 시장 메커니즘 또한 당사국들의 NDC 이행과 명시적으로 연계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은 국내 배

출권거래제도에서 인정되는 해외 온실가스 감축분으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

다만 한 가지 유의할 점은 파리협정의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

적분이 국내 배출권과 직접적으로 연계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분은 국가 차원의 목표 이행에서 의미를 가

지는데 반해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권은 비록 국가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이긴 하나 개별 사업자 차원의 목표 이행과 관련이

56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분을 민간에서 획

득한 경우 이를 우리나라 정부에서 발급하는 배출권과 교환을 통해 간

접적으로 배출권 시장에서 활용할 수 있다31) 이때 다른 당사국이 자

국의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고 있고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에 따

른 실적을 상쇄로 인정하는 경우라면 결국 국내 배출권 시장과 해당

국가 배출권 시장은 협력적 접근법 또는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체

계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된다

협력적 접근법의 경우 양자 또는 다자간 협력 체계를 필요로 하므로

정부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밖에 없지만 지속가능발전 메커

니즘은 민간 중심의 시장이 될 개연성이 높다 다만 제도의 시행에 있

어 감독기구의 설립 이후에도 제도 운영을 위해 필요한 추가적인 세부

지침의 개발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 사업으로 진행되기까지는 상

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협력적 접근법의 경우 양자 방식으로 운영한다면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보다 다소 이른 시기에 사업이 진행될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양자 협력의 체결 국가 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운영을 위한 행

31) 현재 교토 메커니즘의 청정개발체제에 의한 감축량도 외부감축인증실적(Korean Offset Credit KOC)을 상쇄배출권으로 전환해야 배출권 시장에서 사용가능하다 다만 외부사업 감축량으로 인증받은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은 중복 사용 방지를 위해 소각된다 이에 반해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해외외부사업감축인증실적은 우리나라의 NDC 이행 여부 점검 시 필요하다 따라서 만일 민간에서 이를 획득하여 국내 배출권 시장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부에서 발급하는 상쇄배출권(Korean Credit Unit KCU)과 교환하도록 하고 이를 별도의 레지스트리에 등록middot보관해 두어야 할 것이다 정부가 직접 추진한 협력 사업의 감축실적을 시장안정화 조치 등의 이유로 국내 배출권 시장에 유입시킬 경우도 동일한 논리가 적용될 것이다 다만 배출권 시장에 유입된 만큼 배출권거래제 적용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7

정적 시간적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협력적 접근법의 경우에는

체결 국가 수를 무작정 늘리는 방식보다는 전략적으로 필요한 국가와

선별적으로 체결하는 방식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필요한 국가의 선

정 기준에는 기후변화 측면도 있지만 사회 정치적인 사안들의 고려도

필요할 수 있으므로 현 단계에서 필요한 사안이 무엇이고 이를 위해선

누구와 협력할 것인가에 한 사회적 합의를 우선적으로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59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본 장에서는 앞서 검토한 배출권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연계 사례에서의 시사점 그리고 국제 탄소시장 동향 논의 전망을 토

로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과 해외 시장과 연계할 경우 두될 것으로

보이는 주요 쟁점사항과 시사점에 해 살펴보기로 한다 특히 본 연

구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를 논할 때 가장 빈번하게 거론되는

EU-ETS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기로 한다32)

1 우리나라 ETS와 EU-ETS의 주요 설계요소 비교33)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이하 K-ETS)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국내적 정책 수단으로서 도입middot시행되고

32) 최근 논의되고 있는 한-중-일 배출권 시장 연계의 경우 중국 및 일본 모두 국가 전체 차원의 배출권거래제가 아닌 일부 지역을 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적용 범위도 서로 상이한 점이 많아 사례 분석의 상으로 적합하지 않다고 보고 본 고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EU-ETS의 경우 EU 회원국이 참여하는 가장 큰 규모의 시장이며 오랜 배출권 시장 운영 경험을 가지고 있고 국내 배출권거래제도 설계 시 벤치마크로 활용되어 제도적 유사성이 상 적으로 높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사례분석의 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EU-ETS와 국내 배출권 시장 간의 연계를 분석한 국내 문헌이 거의 전무하다는 것도 EU-ETS를 사례 연구 상으로 삼은 중요한 이유 중 하나이다 국내 배출권 시장과 타 국가 배출권 시장의 연계를 다룬 국내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데 최근 박수경 외(2018)의 연구가 중국 배출권 시장과의 연계를 다루고 있으니 참조하기 바란다

33) 후술하는 우리나라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소에 관한 내용은 환경부(2019)를 주로 참고하였다

60

있다 따라서 K-ETS의 감축목표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로 설정된

2030년 BAU 비 37 감축과 연동되어 설정된다 제2차 계획기간

(2018년부터 2020년)동안 K-ETS는 매년 5477백만톤(3개년 총 1643

백만톤)을 사전할당하였는데 이는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02를 차지한다34)

EU 역시 역내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을 위한 정책 수단으로 ETS

를 도입middot운영하고 있으며 역내 국가들의 감축목표 총합을 고려하여 할

당계획을 수립한다는 점에서 한국과 유사하다 EU는 2020년까지 90년

비 20 2030년까지 90년 비 40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였

다 EU-ETS 제3기 할당계획에 따르면 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역내

전체 배출량의 약 45에 달하는 ETS 부문에서 2013년도 배출허용량

2084백만톤을 기준으로 2020년까지 매년 3826백만톤씩 배출허용량

을 일률 감축하도록 하고 있다35)

2020년까지 기간을 고려하면 EU-ETS가 K-ETS에 비해 엄격한 감축

목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K-ETS의 경우 2015년도 할당량을

기준으로 2020년까지 연평균 07이내로 감축하는 수준이므로

EU-ETS가 K-ETS에 비해 감축의 강도가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36)

그럼에도 불구하고 EU-ETS의 경우 제2기(2008~2012)에 발생한 잉여

배출권의 상당량이 제3기로 넘어와 시장 내 배출권 공급 과잉과 그로

34) 환경부 보도자료(2018724) 및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2019) 참조35) 2008년에서 2012년까지의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의 174에 달하는 감축량을 매년

동일하게 감축하는 것으로서 이는 2013년도 배출허용치 비 2020년까지 연평균 194 감축에 해당한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홈페이지(httpswwwemissions-euets comcarbon-market-glossary872-european-union-emissions-trading-system-eu-ets)를 참조하라

36) K-ETS 제1차 할당계획의 2015년도 사전할당량에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에 따른 2017년 추가할당량과 조기감축실적 3개년 평균을 적용한 값과 2019년 2차 계획기간 할당계획 변경안의 2020년 사전할당량을 비교하였다(환경부 2014 관계부처합동 2017 환경부 2019 참조)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1

인해 배출권 가격이 비교적 낮게 형성되고 있다37) 따라서 감축목표

엄격성의 절 적 수준이 아닌 그로 인한 배출권 시장의 영향이라는 관

점에서 본다면 현재까지는 두 시장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고 단정 짓

기는 곤란하다

나 할당방식

K-ETS와 EU-ETS 간 할당방식에 있어서 특징적인 차이는 (i) 유상

할당의 규모 (ii) 간접배출에 한 할당 여부에 있다

먼저 K-ETS는 무상할당이 기본이 되는 할당방식을 가진데 비해

EU-ETS는 상당 수준의 배출권을 유상으로 할당한다 K-ETS는 제2차

계획기간부터 일부 유상할당의 요소를 도입하고는 있으나 2020년까지

는 전체 할당량의 3 이내에서 유상할당하며 2020년 이후에는 전체

할당량의 10 이상을 유상으로 할당할 계획이다 K-ETS의 무상할당

은 기본적으로 과거 실적에 기반한 할당(Grandfathering)방식을 따르지

만 발전 집단에너지 산업단지 정유 시멘트 항공 폐기물 등 7개 업

종에 한해 벤치마크 방식에 기반한 할당을 적용하고 있다(환경부

2019) 반면 EU-ETS는 기본적으로 경매에 기반한 유상할당 방식을

따르고 있다 제3기 총 배출권의 약 57가 유상할당으로 배분되는데

발전부문은 거의 부분 유상할당하며 국제경쟁에 노출되는 산업부문

37) EU-ETS 할당배출권 가격은 2013년 이후 부분의 기간에서 10유로 미만으로 형성되어 오다가 최근 들어서야 20유로를 넘어섰다 반면 K-ETS의 KAU17 평균거래가격은 약 22천원 수준으로 현재(2018년 12월말 기준) EUA 가격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홈페이지 httpssandbagorgukcarbon-price-viewer 및 삼정KPMG Issue Monitor 제87호 참조)

62

은 상당량을 무상으로 할당하고 있다38)

K-ETS가 다른 ETS 시장과 구분되는 큰 특징 중 하나는 전력 열 등

의 최종소비자의 간접배출에 해서도 배출권을 할당하고 규제를 한다

는 점이다 부분의 ETS 시장은 직접 배출만을 규제 상으로 삼고

배출권을 할당한다 K-ETS에서 간접 배출을 규제하는 이유는 전력이

나 열 소매요금에 발전사들의 배출권 비용을 전가하기 어려운 구조이

기 때문이다

다 유연성 메커니즘

1) 상쇄제도

K-ETS의 상쇄는 국내에서 시행된 외부감축사업에서 획득한 감축실

적과 국내 업체가 해외에서 직접 시행하여 획득한 CDM 사업에 한해

인정된다 이때 의무이행에 사용할 수 있는 외부감축실적은 할당업체

별로 전체 배출권의 10 이내에서 인정되는데 이중 해외에서 시행해

서 획득한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은 각 이행연도 의무이행량의 5까지

만 인정된다(환경부 2019)

반면 EU-ETS는 지난 제2기(2008~2012)에 국가별 할당계획(NAP

National Allocation Plan)에 따라 결정된 국가별 상쇄한도 중 사용하

고 남은 양은 모두 제3기로 이전해 사용가능하다 그러나 예외적인 조

치로서 HFC-23이나 아디핀산 N2O 관련 프로젝트에서 나온 상쇄배출

권은 통용되지 않으며 제3기부터는 최빈개도국에서 시행된 CDM 프

로젝트의 크레딧만 허용한다 전체적으로 EU-ETS는 역내 상쇄배출권

38) 자세한 사항은 다음 웹사이트를 참조하라(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allowances_en) 산업부문에 한 무상할당은 2020년 30까지 점진적으로 줄여나갈 예정이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3

의 허용량이 2008년부터 2020년까지 역내 총 감축량의 50 이내가

되도록 한다는 원칙을 견지하고 있다(IETA 2014 ICAP 2019c)

EU는 역내 온실가스 감축노력 증진을 위해 제3기에는 상쇄를 엄격

히 제한해 왔으나 2021년 이후의 상쇄 제도에 해서는 아직 K-ETS

및 EU-ETS 모두 결정된 바 없다(ICAP 2019c)

2) 이월

K-ETS는 당초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였으나 시장 유동성 확보 차원

에서 제2차 계획기간 부터는 이월을 일정 수준에서 제한하고 있다 제

1차 이행연도의 경우 배출권(할당 및 상쇄) 순 매도량의 3배 이내이거

나 125만톤 이상 배출업체의 경우 75만KAU 25만톤 이상 배출 사

업장을 가진 업체의 경우 15만KAU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 이월을

허용한다 제2차 이행연도에는 배출권 순 매도량의 2배 이내 또는

125만톤 이상 배출업체의 경우 5만KAU 25만톤 이상 배출 사업장을

가진 업체의 경우 1만KAU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 이월을 허용한다

마지막 3차 이행연도에는 제2차 계획기간 연 평균 배출권 순 매도량

또는 125만톤 이상 배출업체의 경우 25만KAU 25만톤 이상 배출 사

업장을 가진 업체의 경우 05만KAU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 3차 계획

기간의 첫 번째 이행연도로만 이월을 허용하고 있다(환경부 2019) 반

면 EU-ETS는 별도 제한없이 전량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고 있다

3) 차입

K-ETS는 제2차 계획기간의 제1차 이행연도에는 배출권의 15 이

내에서 그리고 제2차 이행연도에는 배출권의 15에서 직전년도 차입

64

비율의 절반을 제한 비율까지 차입을 허용한다 그러나 계획기간 간

차입은 허용하지 않는다(환경부 2019) EU-ETS는 원칙적으로 차입을 허

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EU-ETS는 계획기간 내 이행연도별로 할당배출

권을 구분하여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의무이행 시점과 배출권 할당 시

점 간 차이를 활용하면 배출권 차입이 사실상 가능한 구조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EU-ETS의 배출권 할당은 매년 2월말에 이루어지는데 반

해 직전년도 이행실적에 한 배출권의 제출은 매년 4월말까지 이므로

당해 연도에 할당된 배출권을 직전년도 의무 이행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39) 이는 K-ETS처럼 배출권을 할당연도별로 관리하지 않기 때문

이다 따라서 비록 EU-ETS가 형식적으로는 계획기간 내 차입을 허용

하고 있지 않으나 실질적으로는 계획기간 내 차입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4) 가격 및 공급관리

K-ETS는 배출권 가격이 단기간에 급격히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경

우 그리고 배출권 수요에 비해 공급이 현저히 적은 경우 시장안정화를

위해 규제 당국이 시장에 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배출

허용총량 이외에 별도로 시장안정화 조치에 사용할 수 있도록 14백만

톤의 배출권을 예비분으로 배정해두고 있다 또한 시장 유동성 제고를

통한 거래 촉진을 유도하기 위해 시장조성을 위한 예비분 5백만톤을

추가로 배정하여 배출권 시장의 가격 및 수급을 관리하고 있다(환경부

2019)

39) 자세한 사항은 다음 웹사이트(httpswwwemissions-euetscomborrowing)를 참조하기 바란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5

한편 EU-ETS는 K-ETS와 같은 직접적인 시장 개입을 하고 있지는

않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상할당 배출권의 경매 연기조치

(Backloading)과 2020년 이후 본격적으로 도입될 배출권 비축제도

(Market Stability Reserve MSR) 등을 통해 배출권 가격 및 공급을 관

리하고 있다

라 의무이행 관련 사항들

K-ETS는 도입 당시부터 EU-ETS에서 적용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

정 방식을 상당부분 차용하였기 때문에 배출량의 산정middot보고 및 검middot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일부 차이는 있지만 거의 유사한 수준이라고 해도 과

언이 아니다

페널티의 경우 K-ETS는 배출권 평균 가격의 3배 또는 최 톤당 10

만원에서 결정되며 EU-ETS는 톤당 100유로 수준이므로 큰 차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다만 K-ETS는 과징금을 납부할 경우 의무미준수량에

한 별도의 추가 제출 의무가 없는데 비해 EU-ETS는 과징금과 별도

로 후속연도에 미준수량에 한 배출권 제출 의무가 부과된다는 차이

를 가진다(박수경 외 2018)

lt표 -1gt은 지금까지 살펴본 우리나라와 EU의 배출권거래제를 상

세하게 요약middot비교한 것이다

66

lt표 Ⅴ-1gt 우리나라와 EU의 배출권거래제 비교

국가 한국 EU

목표의 엄격성2020년까지 2015년도 할당량 기준 연평균 07 감축

2020년까지 2008-2012년의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의 174 균등 감축

배출량 제한 2018~2020년 5477MtCO2e2013년 2084 MtCO2e 2020년까지 매년 3826MtCO2e 감축

탄소상쇄 수량

할당된 배출권의 최 10 국내 탄소상쇄 및 CDM 사업에 한해 인정해외 상쇄는 5까지 인정

전체 EU-ETS 상쇄 허용량이 2008년~2020년 총 감축량의 50 이내로 관리제3기부터 최빈국의 청정개발체제 배출권만 사용 가능

가격 및 공급관리

비축분의 최 25까지 조기 경매 정부 시장 개입 가능

시장의 과잉공급 정도에 따라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배출권 공급량 조정

배출권 할당1단계 100 무상할당2단계 97 무상할당3단계 90 무상할당

산업부문은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적용범위발전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건물 폐기물 국내 항공 CO2

및 5 온실가스

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EU 역내 항공 CO2 및 N2O PFCs

준수기간 2015~2025 2013~2020

규제방식 하향식 방식 직접+간접배출 하향식 방식

이월차입이월제한 있음계획기간 내 차입 가능(기업 할당량의 최 10)

무제한 이월 가능차입은 원칙상 허용되지 않으나 계획기간 내 차입이 가능한 구조

페널티 제도배출권 가격의 3배 최 1톤당 10만원

1톤당 100 Euro의무 미준수량만큼 할당에서 공제

자료 Carbon Market Watch Report(2015) 박수경 외(2018) 등의 구성을 참고하여 국내외 문헌 및 웹사이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저자가 직접 재구성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7

2 K-ETS와 EU-ETS 연계 시 예상 쟁점들

가 감축목표

앞서 지적하였듯이 EU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2030년까지 1990년

배출량 비 4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어 BAU 비 37 감축목표

를 제시한 우리나라에 비해 더 엄격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두

시장의 연계에 한 논의가 본격화될 경우 EU 측에서 한국의 국가 감

축목표를 EU 수준에 근접하게 상향하거나 ETS 상 부문에 해 국

가 전체 감축률을 상회하도록 할당규모를 조정할 것을 요구할 수 있

다 물론 우리나라 정부의 입장에선 이러한 EU측의 요구를 전적으로

수용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 경우 한국의 제조업middot에너지다소비업종

중심의 산업구조로 인해 외견상 감축목표 수준과 달리 상당히 높은 한

계감축비용에 직면하고 있음을 적극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해서 한 가지 주목할 점은 한국에 비해 강한 감축목표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EU-ETS의 배출권 가격이 감축목표 강도를 제 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EU-ETS와 비교해 본다면 K-ETS

는 외견상 감축목표에 비해 배출권 가격이 상당히 높은 수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여기에는 감축목표의 지속적인 강화에 한 기 가

미친 영향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배출권 가격은 참여기업

들이 직면하는 한계감축비용의 수준을 투영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외

견상의 감축목표 강도에 비해 K-ETS 참여기업들의 실제 감축부담은

상당히 높은 편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추후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제기될 것으로 예상되는 EU측의 감축목표 상향 요구에 한

응논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40)

40) 이와 함께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하는 추세인데 반해 EU는 감소하는

68

나 할당방식

1) 간접배출의 포함 여부

K-ETS는 발전부문의 직접배출뿐만 아니라 전력이나 열 수요자의

간접배출에 해서도 배출권을 할당한다 이는 (i) 전력이나 열 소비

요금에 배출권 제반 비용을 전가하기 용이치 않은 우리나라 전력middot열

시장의 구조적 한계를 보완하고 (ii) 적정 수의 시장참여자를 보장하기

위해서이다41) 간접배출의 포함 여부가 직접적으로 배출권 시장 연계

전후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은 극히 제한적이므로 일견 시장 연계 시

쟁점사항이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간접배출에 해 할당을 할 경우

(i) 이중계산(double counting)의 문제 (ii) 횡재이윤(windfall profits)의

문제점이 제기될 가능성이 높다

먼저 전력이나 열의 생산자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도 배출권을 할당

하므로 이중계산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부문에서

100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였다고 할 때 100톤의 감축량 중 발전부문

자체의 노력(전원믹스 개선 발전효율개선 등)의 기여분과 최종소비자

의 수요 감축 노력의 기여분을 명확하게 분별할 수 없다면 이중계산의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42)

다른 한편 횡재이윤의 발생도 가능하다 발전부문에 한 배출권 할

당량은 발전부문 자체의 노력을 감안한 목표 감축량과 수요 측의 절감

추세에 있으므로 단순히 외견상의 감축률만으로 감축의 강도를 판단해선 안되며 K-ETS의 높은 탄소가격에는 그러한 측면이 반영되어 있다는 주장도 유용한 응논리가 될 수 있다 이를 지적해준 익명의 심사위원께 감사드린다

41) 만일 간접배출을 할당에 포함시키지 않을 경우 전력이나 열 등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다수의 기업들이 배출권거래제 적용 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다

42) 실제 감축량은 직접배출 기준으로 계산한 전체 감축량에서 최종소비자의 간접배출 부문 감축량을 제외해야만 이중계산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9

노력을 반영한 목표 감축량을 함께 고려하여 정해진다 만일 발전부문

의 자체 노력에 따른 감축량이 목표량에 미달하더라도 수요 측 절감노

력이 목표량을 초과할 경우 목표를 충족시키거나 초과달성할 수 있으

므로 횡재이윤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상의 문제는 EU-ETS와 연계 과정에서 제기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그러나 간접배출에 한 할당의 포함여부에 관한 논의는 궁극적

으로는 우리나라의 전력 또는 열 시장에 한 제도적 변화에까지 이어

지기 때문에 에너지 정책의 자율성과도 직결된 문제이므로 시장 연계

시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2) 유상할당의 수준

2020년 이후 EU-ETS는 기본적으로 발전부문뿐만 아니라 산업부문

에 해서도 유상할당이 중심이 되는데 비해 K-ETS는 여전히 부분

을 무상으로 할당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EU-ETS 참여 기업들을

중심으로 산업경쟁력 및 탄소누출의 우려를 제기하면서 K-ETS에 유

상할당의 비중을 상당 수준으로 높일 것으로 요구할 가능성을 배제하

기 어렵다 우리나라 업체들은 산업경쟁력 유지를 위해 온실가스 배출

권거래제도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최소 유상할당 비율 유지를 강하게

주장할 것이므로 K-ETS에서의 유상할당 비율은 매우 첨예한 쟁점사항

으로 부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 상쇄제도

아직 글로벌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에

70

서 두 시장의 상쇄제도의 차이가 시장 연계에 걸림돌로 작용할지는 현

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2021년부터 2030년까지 EU는 ETS 분야에서

1990년 비 43 Non-ETS 분야에서 30 감축을 통해 EU 자체적

(domestic)으로 최소 4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43) EU 자체 노력

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최소 목표치를 공식적으로 선언하였으므로

EU-ETS 할당 시 적어도 동 목표에 해당하는 수준까지는 역외 크레딧

사용을 허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44)

여기서 주목할 사항은 만일 EU가 배출권 시장 연계를 허용한다는

것은 결국 자신의 온실가스 최소 감축목표치를 사전에 공표한 수치 이

상으로 설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배출권 연계는

기본적으로 역외의 타 시장 배출권을 역내 의무사용에 활용하는 것이

므로 역내 최소 감축 목표치보다 목표를 상향해서 할당하지 않을 경우

엔 사전에 공표한 자체 감축노력에 의한 최소 감축목표를 근본적으로

달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EU와의 배출권 시장 연계가 논의되는 이상 EU-ETS는 적어도

이미 공표된 온실가스 감축 최저 목표치를 상회하는 목표를 설정할 공

산이 크다 EU-ETS가 도전적인 목표치를 설정하고 배출권 시장 연계

를 허용한다고 할 때 일정한 제약(예를 들어 최저 목표치에 해당하는

감축량을 초과하는 한도) 하에서 연계된 시장의 배출권과 더불어 역외

크레딧을 허용할 가능성이 높다 여기서 역외 크레딧에는 현재 논의되

43) European Commission COM(2016) 482 final 참조44) 여기서 EU가 제시한 온실가스 배출량의 40 자체 감축(ldquoa 40 domestic reduction

in economy-wide greenhouse gas emissionsrdquo)의 의미를 이중계산(double counting)이 허용되지 않는 상황에서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해 최종적으로 정산한 이후 EU가 자체적으로 레지스트리에 보유하고 있는 배출량을 기준으로 한다고 해석할 여지도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자체 감축(domestic reduction)의 의미를 순수하게 자신의 노력을 통해 감축한 역내 배출량으로 간주하기로 한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1

고 있는 시장 메커니즘인 UNFCCC의 관리middot감독 하에 운영되는 지속

가능발전 메커니즘과 협력적 접근법에 따라 EU와 자발적 협력 체결을

통해 발생한 감축실적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45)

한 가지 유의할 점은 EU뿐 아니라 우리나라와도 동시에 자발적 협

약을 체결한 국가에서 감축한 실적의 경우는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겠

지만 우리나라와만 자발적 협약을 체결한 경우에 해당 국가에서의 감

축실적을 K-ETS에서 상쇄로 허용하는 것이 또 다른 쟁점이 될 수 있

다는 점이다 만일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시장 메커니즘이 포괄적인

원칙에 해서만 합의가 이루어지고 세부 사항은 국가 간 자발적 협약

에 맡기는 방식이 될 경우 EU에서는 자신의 기준에 맞지 않는 자발적

협약에 따른 감축실적을 상쇄로 허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46) 이는

EU-ETS 제3기에 UNFCCC하의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을 최빈개도국가

들에서 만들어진 것 이외에는 허용하지 않는 사례에서 보듯이 충분히

생각해볼 수 있는 시나리오이다 그러할 경우 상쇄제도의 국가 간 세

45) 연계된 시장의 배출권을 EU-ETS의 의무이행에 활용한다는 것이 파리협정 하의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ITMO를 활용하는 것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배출권거래제도의 연계가 두 당사국 간의 상호 자발적인 협력 체결을 통해 이루어지며 중요한 감축수단의 하나라는 점에선 유사하지만 엄 한 의미에서 배출권거래제의 연계가 파리협정의 협력적 접근법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지 않는다 협력적 접근법에서 말하는 ITMO는 감축활동의 결과물로서 나온 감축실적인데 반해 배출권거래제도 상의 배출권은 배출을 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므로 양자의 성격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감축실적과 배출허가권이 일 일로 매칭될 수 없기 때문이다 배출권거래제도는 자국의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국내적 정책 수단의 하나이지 파리협정이라는 국제 협약의 틀 내에서 논의되는 시장 메커니즘과는 서로 다른 차원의 제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리협정에서의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감축실적은 배출권거래제도의 상쇄배출권의 형태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배출권 시장 연계가 협력적 접근법에 따라 자발적 협력 체결이 이루어진 국가들 간에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관점에서 배출권 시장 연계와 협력적 접근법이 직접적 연관성을 가지지는 않지만 서로 간에 높은 연관성이 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된다

46) 반 로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시장 메커니즘이 국가 간 자발적 협약에 한 구체적인 사항까지 규정하는 방식으로 합의가 된다면 논란의 여지는 훨씬 줄어들 것이다

72

부적 차이는 배출권 시장 연계에 있어서 쟁점사항으로 부각될 것이다

다만 K-ETS의 경우 해외상쇄를 전체 배출권의 5이내로 제한하고 있

어서 EU-ETS 시장에 한 공급 충격이 크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EU와 스위스 간의 ETS 연계 사례에서 보듯이 상쇄제도의 차이가 심

각한 장애요인은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라 기타 사항들

앞서 논의한 쟁점들 이외에 이월 차입 시장관리 등 여타의 사항들

은 이론적으로는 시장 연계 시 쟁점이 될 수 있으나 적어도 K-ETS와

EU-ETS 간의 연계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첫째 이월의 경우 현재 EU-ETS는 제한없이 허용하는데 반해

K-ETS는 이월에 한 제한을 두고 있다 그러나 2021년부터 2030년

까지의 계획에 따르면 EU는 이월을 허용하되 누적 이월량이 일정 수

준을 넘어 과도할 경우 제한을 둘 계획이다47) 따라서 양 시장에서 이

월 제도의 약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할 것이므로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쟁점으로 부각되지 않을 것이다

둘째 차입의 경우에도 2021년부터 2030년까지의 계획에 따르면 EU

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차입을 허용할 방침이므로 K-ETS의 차입 허용

이 연계 시 큰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48)

셋째 배출권 가격 및 공급 관리의 관점에서 보면 EU-ETS에 비해

K-ETS가 정부의 시장개입이 더 용이한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그 이

47) 다음의 홈페이지(httpseceuropaeuclimapolicieseffortregulation_en)를 참조하라48) 다음의 홈페이지(httpseceuropaeuclimapolicieseffortregulation_en)를 참조하라 또

한 앞서도 언급하였지만 EU-ETS는 현재 차입을 허용하고 있지 않지만 배출권 할당 시점과 제출 시점의 차이로 인해 사실상 차입이 허용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3

유는 K-ETS의 낮은 시장 유동성에 따른 배출권 공급물량 부족이 주요

원인이다 따라서 보다 큰 규모를 가진 EU-ETS 시장과 연계하는 경우

구태여 현재와 같은 K-ETS의 가격 및 공급 관리 제도를 유지하지 않

아도 무방하므로 두 시장 간의 연계 과정에서 장애요인이 되지 못할

것이다

3 배출권 시장 연계 방식별 편익 비용 그리고 시사점

가 시장 연계 유형별 편익 비용 비교

K-ETS와 EU-ETS 시장을 서로 연계한다고 할 때 연계하는 방식은

앞의 제3장에서 제시한 것들 중 하나가 될 것이다 그 중에서 완전통

합형 방식의 직접 연계는 사실상 현실적으로 가능한 안이 아니라고

보고 여기서는 쌍방향 연계 방식의 직접 연계와 단방향 연계 외부 크

레딧을 통한 간접 연계 등의 장middot단점을 비교해보기로 하자49)

1) 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배출권거래제는 사실상 자국의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자발적 감

축행동이다 배출권 시장의 쌍방향 직접 연계는 두 당사국이 자발적으

로 협력하여 이중계산 방지의 원칙 하에서 서로의 배출권 레지스트리

를 연계하여 서로의 배출권이 자유롭게 거래되고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49) 완전 통합형의 경우 두 시장을 하나의 시장으로 완전히 통합하는 것이므로 각 시장을 관할하던 정부들의 자율성이 전혀 보장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의 연계를 우리나라 정부에서 용인할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이므로 여기서는 완전통합형 연계 방식은 다루지 않기로 한다

74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은 크게 보면 다시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rsquo과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rsquo으로 나뉠 수 있다50) lsquo완전 쌍

방향 직접 연계 방식(이하 완전 쌍방향 방식)rsquo은 두 시장의 규제 당국

이 일정한 자율성을 가지고 배출권거래제도의 설계요소를 결정하되

각 시장의 배출권이 어느 시장에서든지 수량에 제한없이 의무이행에

전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연계 방식이다 스위스-EU 캘리포니아-퀘벡

등 현존하는 배출권거래시장 연계 사례는 모두 lsquo완전 쌍방향 방식rsquo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K-ETS가 EU-ETS와 이러한 방식으로 연계할 경우 예상되는 일차적

인 편익은 비용효과성 제고 및 규모 시장에 한 접근성 제고를 통

한 유동성 확 와 이를 통한 시장 가격 안정성 확보이다 앞에서도 살

펴보았듯이 배출권 시장의 연계는 기본적으로 두 당사국의 참여업체

비용부담을 완화시켜 준다 또한 시장 규모의 확 로 인해 시장 유동

성이 확 되고 배출권 시장가격의 변동성을 낮출 수 있다

이상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완전 쌍방향 방식이 가진 다음과 같은 단

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완전통합형에 비해서는 정도가 덜하지만 규제 당국의 정책 자

율성이 일정 수준 침해받을 우려가 있다 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의 특성 상 ETS 부문 감축목표 설정 할당방식 등 주요 배출권거래제

도 설계요소를 완전히 일치시킬 필요는 없지만 연계 상 방과 상당 수

준까지 보조를 맞추어야 한다 만약 양측의 설계요소 간 차이가 크다

면 이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핵심 설계요소를 조정해야 하는 당사국의

경우 일정 수준의 정책 자율성을 포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50) Ranson and Stavins(2015)를 비롯한 기존의 연구는 쌍방향 연계를 여기에서처럼 다시 두 가지로 구분하지 않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5

둘째 할당방식에 차이가 있을 때 특히 참여업체들의 비용과 직결되

는 유상할당의 규모 면에서 차이가 클 경우 연계 과정에서 쟁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두 시장간 유상 할당 비중의 차이가 클 경우

유상할당 중심의 국가에서 탄소누출 등을 이유로 유상할당 비중에

한 조정을 요구하고 이로 인해 유상할당의 비중이 늘어날 경우 연계

이전에 비해 무상할당 중심 시장의 참여업체들 비용부담이 크게 늘어

날 수 있다

K-ETS와 EU-ETS 간 연계를 상으로 생각해보면 K-ETS와

EU-ETS는 시장 규모 등의 측면에서 큰 차이가 나므로 시장 연계 과

정에서 K-ETS의 주요 설계요소를 EU-ETS와 근접하게 가져가야 할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ETS 부문의 감축목표 상향 간접배출에

한 할당방식의 조정 등 주요 설계요소에 해 EU-ETS와 유사하게 수

정해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에너지 및 온실가스 감축정책에 한 한

국 정부의 자율성이 침해받을 우려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유상

할당 중심의 EU-ETS와 달리 K-ETS는 무상할당이 주가 되므로 EU측

에서는 역내 산업경쟁력 및 탄소누출을 우려하여 K-ETS에도 상응하

는 수준의 유상할당을 요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끝으로 이론적 논의에서 잠깐 살펴보았듯이 lsquo완전 쌍방향 연계rsquo 방

식이 환경적 편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불분명하다51) 만일 시장 연

계 과정에서 한 당사국에서 상 편의 온실가스 감축목표가 자신과 상

응하지 못하다고 판단하여 감축목표 상향 조정을 요구하고 시장 연계

의 협의 과정에서 이것이 받아들여진다면 두 시장을 합한 전체 온실

가스 감축목표가 강화되어 lsquo온실가스 감축rsquo이라는 환경적 편익이 증

51) 제2장에서 논의한 Helm(2003) 및 Carbone et al(2009)의 연구 결과에 한 소개를 참고하라

76

할 수 있다 하지만 반 로 연계 이후의 국내 업체들의 감축비용 부담

이 늘어날 경우 규제가 상 적으로 느슨한 제3의 국가로 생산설비를

이전하는 탄소누출이 일어날 수 있다 이때 배출집약도가 높은 제3국

가로 생산설비가 이전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글로벌 차원에서는 온실가

스 배출량이 늘어날 수도 있다52) 즉 연계에 따른 감축목표의 상향이

업체의 부담을 높이고 이로 인한 탄소누출로 인해 오히려 전 지구적

인 차원에서 환경건전성은 나빠질 수도 있다 EU-ETS와의 연계에 따

른 환경건전성의 득실은 일률적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시장 연계의

환경적 편익을 예단하기 어렵다53)

2) 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 방식(이하 부분 쌍방향 방식)은 두 시장의

규제 당국이 자율성을 가지고 배출권거래제도의 설계요소를 결정하며

각 시장의 배출권을 어느 시장에서도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

에선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과 동일하나 의무이행에 활용되는 배출권의

수량에 제한을 두는 방식을 말한다 이는 사실상 두 시장이 서로 상

방의 배출권을 일정 비율 내에서 상쇄배출권처럼 활용하는 상황과 동

일하다

52) 예를 들어 상 적으로 친환경적인 전원믹스를 가진 국가에서 생산하던 업체가 유상할당 비중 증가로 인한 감축비용부담 상승으로 인해 제3의 국가로 생산설비를 이전한다고 하자 이 경우 설령 생산설비 이전과 이후에 동일한 에너지 투입 비 생산효율을 보인다고 가정하더라도 제3 국가의 전원믹스가 덜 환경친화적이라면 해당 업체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늘어나게 된다 이때 제3국으로 이전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분이 배출권 연계 이후 감축목표 상향에 따른 감축량 증가분을 초과한다면 전 지구적인 관점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은 순증하게 된다 결국 배출권 시장이 연계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연계 이후의 환경적 건전성은 오히려 악화된다

53) 이처럼 환경건전성과 관련한 연계 유형별 득실은 모호한 부분이 크므로 이후의 편익 비용 비교에 관한 논의에서 환경건전성은 제외하기로 한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7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의 경우에도 비록 제한된 수량 범위 내이긴 하나

연계를 통해 전체 시장 규모가 확 되므로 연계 이전에 비해 시장 유

동성을 제고하고 배출권 가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두 시

장의 배출권 가격 차이를 이용해 거래를 통한 비용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다 다만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과는 달리 활용가능한 상 편 배출권의

수량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두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하나의 가격으로

수렴되지는 못하고 일정한 차이를 두면서 각 시장가격의 자율성이 일

정 수준에서 유지되는 움직임을 보이게 된다54) 다만 경제적 효율성의

관점에서 보면 거래가능 수량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

식에 비해 일정 정도의 비효율성은 불가피하다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의 연계는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과는 달리 일정 범

위 내에서만 서로의 배출권의 활용을 허용하므로 가격 공급량 등에서

각 시장이 가진 독자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중계산의 문제

MRV의 투명성과 등가성 등의 기본 원칙이 준수되는 한 상 편 시장

은 상쇄배출권 거래를 위해 활용가능한 일종의 유연성 기제로서 간주

될 수 있다 따라서 두 시장을 합쳐 하나의 시장으로 바라보는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각 시장 운영의 자율성을 확보하기가 용이

하다 유사한 맥락에서 유상할당 규모에 차이가 존재하더라도 상 편

의 시장을 상쇄배출권 활용을 위한 기제로 간주하는 이상 할당방식의

차이를 상응되게 조정하고자 하는 정치적 압력도 크지 않을 것으로 전

망된다

54)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의 경우도 거래비용 등으로 인해 두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완전히 하나로 수렴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의 경우 두 시장의 가격 차이는 거래비용 등의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는 차이를 넘어선 수준에서 각 시장가격이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

78

요컨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연계할 경우 상 편 배출권의 활용

가능 비율이 줄어들수록 경제적 비효율성은 커지는 반면 시장 운영 및

제도 설계의 자율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이는 소규모 시장인

K-ETS가 규모 시장인 EU-ETS와 연계할 때도 유사하게 적용될 것

으로 전망된다

3) 단방향 연계 방식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방향 연계 방식은 어느 한 배출권 시장에

서는 상 편 시장의 배출권을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으나 그 반 는

허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단방향 연계는 타 시장의 배출권을 허용하는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허용하지 않는 시장의 배출권 가격에 비해 낮을

경우에만 실효성을 가지며 그렇치 않을 경우엔 실효성이 떨어진다 타

시장 배출권을 허용하지 않는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높게 형성되고 있

다면 단방향 연계에 따른 배출권 거래가 일어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55)

그러나 그 반 의 경우엔 상 편의 저렴한 배출권을 의무 이행에 활용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향상된 시장 접근성을 가질 수 있고 그로 인

해 시장 유동성 제고 가격 안정성 확보 및 감축비용 부담 완화라는 편

55) 이러한 경우에는 사실상 두 배출권 시장이 독립적으로 작동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우에 따라 시장 연계가 실효성있게 작동하는 상황도 발생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계가 허용된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 공급량이 부족할 경우엔 의무 이행을 위해 비싸더라도 배출권을 구매하려는 수요가 생길 수 있다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낮게 형성되고 K-ETS만 EU-ETS 시장과 일방향으로 연계된 상황을 상정해보자 통상적으로는 K-ETS 참여업체들은 비싼 EU-ETS 시장의 배출권을 구매하지 않으려 하겠지만 만일 K-ETS 시장에서 부분의 업체들이 잉여배출권을 이월하려고 해서 의무이행을 위한 배출권 구입 자체가 어려울 경우엔 단방향 연계 방식도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장에서 배출권 구입이 어려운 업체들은 비싸더라도 EU-ETS에서 배출권을 구매해서 의무이행을 할 것이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9

익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단방향 연계가 실효적인 상황 즉 연계를 허용하지 않은 국가

의 배출권 가격이 더 낮게 형성되는 경우엔 연계를 허용하는 국가의

정책 자율성이 보장받기 용이할 것으로 평가된다 왜냐면 연계를 허용

하지 않는 국가의 배출권 가격이 낮다는 의미는 ETS 부문의 감축목표

의 강도가 상 적으로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계를 허용치

않는 측에서 허용하는 측에 감축목표의 상향 등 주요 설계요소의 변화

를 덜 요구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단방향 연계는 다른 여타의 방식에 비해 연계를 허용하는 측

에 상당히 유리한 연계 방식이다 그러나 연계를 허용치 않는 시장에

서 얻는 편익이 거의 없기 때문에 앞서 살펴본 EU-호주 배출권 시장

연계 시도 사례에서 보듯이 본격적인 쌍방향 연계를 위한 준비기에 일

시적으로 운영되는 경우를 제외하곤 지속되기 어려운 실현 가능성이

낮은 방식이다

4) 외부 크레딧을 통한 간접 연계

끝으로 각 시장이 완전히 독자적으로 운영되면서 외부 크레딧을 통

해 간접적으로만 연계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현재 파리협정 하에서

의 시장 메커니즘 중 하나인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이나 협력적 접근

법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실적을 K-ETS와 EU-ETS가 상쇄배출권으로

활용하도록 할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 경우 양 시장을 운영하는 정부의 정책 자율성은 완전히 보장되는

반면 시장이 사실상 분리되어 있으므로 연계를 통한 직접적인 경제적

편익은 발생하지 않는다 상쇄배출권의 유입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서

80

로 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배출권 연계의 효과가 제한적이다 특히

상쇄로 활용 가능한 외부감축사업은 사업 발굴부터 크레딧의 발생 및

활용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K-ETS와 같이 수급 불

균형에 따른 유동성 부족 및 배출권 가격 불안정성을 경험하고 있는

경우엔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연계의 실질적인 효과를 기 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리협정에 따른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지침이

마련이 되고 감축사업이 본격화될 경우 이를 K-ETS에 연계시킬 필요

는 있다 물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의 시장 메커니즘은 이중계

산이 허용되지 않은 상황에서 모든 국가가 자국의 감축목표를 충족시

켜야 하므로 배출권 시장에서 활용 가능한 배출권 규모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앞에서 다룬 쌍방형 직접 연계와 함께 보조적

으로 사용된다면 효과성은 커질 것이다

나 K-ETS와 EU-ETS 간 연계를 위한 시사점

여기서는 다양한 연계 유형별 편익과 비용에 한 논의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과 EU 배출권 시장 간의 연계를 위한 시사점을

검토해보기로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가장 바람직한 연계의

방식은 시장 유동성과 비용효과성도 제고하면서 에너지 및 기후정책의

자율성을 최 한 확보할 수 있는 단방향 연계일 것으로 전망된다 즉

K-ETS는 EU-ETS 시장에 한 접근성을 가지나 EU-ETS는 K-ETS에

한 접근성을 허용하지 않는 방식이 가장 K-ETS에 유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시장 연계는 본격적인 시장 연계를 위한 준비기와 같은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81

예외적인 상황을 제외하고는 EU측에서 연계에 동의하지 않을 가능성

이 높아 실현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보인다

K-ETS를 운영하는 우리 정부 입장에서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과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 중 어느 쪽이 더 바람직한지 여부는 두 시장

의 시장 연계 전 배출권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따라 함의하는

바가 달라질 수 있다

먼저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

격에 비해 낮은 경우에 해 고려해보자 이 경우 시장 연계 이후에는

K-ETS 배출권 수요 증가로 K-ETS 가격은 상승하고 EU-ETS 배출권

의 가격은 낮아지게 된다 비용효과성의 측면에서 비록 K-ETS 참여업

체 중 배출권 순 구매자들의 구매 비용은 증가하겠지만 순 판매자들은

높아진 가격 상승의 혜택을 보게 되며 이론적으로는 전체적인 비용효

과성은 향상된다 그러나 연계 이전에 배출권 공급량 부족으로 유동성

문제에 고질적으로 시달리는 K-ETS의 입장에서 유동성 제고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 왜냐하면 K-ETS 배출권 가격이 상 적으로 낮기

때문에 K-ETS 배출권 수요가 늘어나고 이로 인해 K-ETS 배출권 확보

가 더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책 자율성의 측면에서 K-ETS 배

출권 가격이 상 적으로 낮다는 것이 EU측에 외형상뿐만 아니라 실질

적으로도 한국의 감축목표 강도가 약하다는 신호로 작용하여 감축목표

상향에 한 요구가 강해질 수 있다 한편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EU측이 유상할당의 비중을 상응하게 조정하자고 요구할 때 이를 거부

할 논거가 마땅치 않다 특히 한국의 감축목표 강도가 낮다는 선입견

은 유상할당 비중의 확 를 뒷받침해주는 또 다른 논거로 작용할 가능

성이 있다 만약 연계 이후 그러한 정치적 압력의 결과로서 실제로 유

82

상할당 비중이 늘어날 경우 참여업체의 경제적 부담이 커지게 되며 시

장 연계에 한 국내 업체들의 수용성은 크게 악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낮은 경우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일부 비용효과성 제고라는 편익

이 존재하지만 유동성 제고나 정책 자율성 확보 등의 측면에서 지불해

야 하는 비용이 더 클 가능성이 크다 한편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의 연계

는 비록 비용효과성의 제고에는 제한적일 수 있으나 감축목표의 상향

유상할당 비중 확 등 참여업체에 직접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외부의

정치적 압박에 보다 유연하게 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으로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

권 가격에 비해 높은 경우를 살펴보자 이 경우 시장 연계 이후에는

K-ETS 배출권 수요의 일부가 EU-ETS로 이전하여 K-ETS 가격은 낮

아지고 EU-ETS 배출권의 가격은 상승한다 비용효과성의 측면에서

K-ETS 참여업체 중 배출권 순 구매자들의 구매 비용은 줄어들게 되

며 비록 순 판매자의 배출권 판매 수입은 줄어드는 부분이 있지만 전

체적인 비용효과성은 증 된다 한편 K-ETS가 현재 겪고 있는 유동

성 부족 문제는 보다 저렴한 규모 EU-ETS 시장에 한 접근성이

커짐에 따라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책 자율성과 관련한

사항은 다소 분명치 않다 K-ETS 배출권 가격이 상 적으로 높기 때

문에 실질적인 감축목표의 강도가 높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가질 수 있

는 반면 외형상의 감축목표의 강도가 비교적 낮은 편이므로 감축목표

의 강도를 상응하게 조정해야 한다는 EU측의 정치적 압박에 자유롭기

쉽지 않을 수 있다 이와 함께 유상할당의 비중을 EU측과 상응하게 조

정해야 한다는 압력에서도 자유롭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83

결과적으로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높은 경우엔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

해 비용효과성 및 유동성 제고 등에서 더 큰 편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만 정책 자율성 확보나 유상할당 비중 최소화를 통

한 업계 부담 완화 및 수용성 확보의 관점에선 여전히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유리하다 물론 K-ETS 배출권의 높은 가격을 실질적인

높은 감축목표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을 통

해서도 정책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

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연계 이후 외부로부터의 정치적 압력

에 응하기 여의치 않을 경우엔 정책 자율성과 관련한 손실을 감수해

야 한다 만일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

이 크지 않다면 정책 자율성과 업계의 경쟁력을 고려한 부담 최소화

및 제도 수용성 확보가 더 용이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여전히

설득력 있는 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면 시장 연계 전 양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어

떻게 형성되는지 배출권 가격의 차이가 실질적인 감축목표 강도로

EU-ETS 측에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 질 수 있는지 등에 따라 바람직

한 시장 연계의 방식은 달라질 수 있다56) 전체적으로 lsquo완전 쌍방향rsquo

56) 실제로 K-ETS와 EU-ETS의 배출권 가격이 향후 어떻게 전개될 지는 현재로선 예측하기 어렵다 톰슨로이터의 전망에 따르면 EU의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경매연기 배출권의 배출권 비축 시나리오 하에서 2030년까지 EUA의 가격은 약 60유로(한화로 약 78000원선)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Point Carbon 2014) K-ETS의 배출권 가격 전망 자료는 찾기 어려우나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의 목표를 기준으로 할 때 2030년까지 현 수준보다 크게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외견상의 감축목표의 강도를 볼 때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낮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산업middot발전부문의 한계감축비용을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2030년 기준으로 한계감축비용이 톤당 10만원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안영환

84

연계방식은 비용효과성과 유동성 확보의 측면에서 다소 유리하지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정책 자율성 확보 업계 부담 최소화

및 수용성 확보의 차원에서 다소 불리할 수 있다 결국 우리 정부가 시

장 연계에 따라 어떤 가치를 더 보호할 필요가 있는지에 관한 정책적

판단에 따라 연계의 방식은 달라질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지적하고 싶은 것은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도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적절히 설정할 경우 상당한 비용효과성

및 유동성 제고의 편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만

일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서 설정한 lsquo비중rsquo을 넘어 완전한 쌍방향

연계로 전환할 때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이 그리 크지 않다면 정

책 자율성 확보에 유리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가 더 바람직한 연계 방식

이 될 수 있다 다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시 바람직한 상 편 배출권

의무 활용 비중이나 레지스트리 등과 같은 기술적인 부분은 본 연구의

범위를 벗어나는 문제이므로 후속 연구로 남겨두기로 한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에 맞는 연계의 방식은 캘리포니아

-퀘벡 또는 스위스-EU-ETS와 같은 해외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와는

달리 완전 쌍방향 연계 방식보다는 부분 쌍방향 연계 방식이 더 적합

할 수 있다 처음부터 완전 쌍방향 연계 방식을 취하기보다는 단계적middot

점진적으로 완전 쌍방향 연계로 확 해나가는 방향이 정책적 자율성을

확보하고 K-ETS가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좋은 안이 될 수 있

다 EU의 입장에서도 배출권 시장 규모를 확 하고 기후변화에 한

middot 김동구 2017) 물론 저렴한 비용에 다량의 감축이 가능한 산업공정 및 폐기물 건물 부문 등에 한 분석이 제외되었다는 한계가 있지만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높게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눈여겨볼만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85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한다는 차원에서 연계에 부정적이지는 않을 것으

로 보인다 특히 자체적 노력을 통해 감축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EU

의 입장에서도 스위스에 비해 상 적으로 큰 규모의 K-ETS와 완전 쌍

방향 직접 연계 방식보다는 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이 보다 바람

직한 연계 방식이다 왜냐하면 규모가 큰 시장과의 연계로 인해 자체

감축 수요보다 타 시장 배출권 구입을 통해 목표를 충당하려 할 경우

목표로 하는 자체 노력에 의한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에 차질을 빚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은 단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EU의 이해와도 부합되는 측면이 있고

따라서 정책 방안의 실현가능성 또한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6장 결론 87

제6장 결 론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도는 시장 기제를 활용하여 비용효과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표적인 감축 수단으로서 우리나라를 포함

하여 EU 캘리포니아 등 여러 국가에서 채택하여 시행하고 있다 특히

파리협정 이후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와 맞물려 그간 독

자적으로 운영되어 오던 배출권 시장을 서로 연계하여 비용효과성을 극

화하고 시장 유동성을 제고하며 기후변화 응 관련 국제적 리더십을

확보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배출권 시장 연계는

단순히 전문가 차원의 관심을 뛰어 넘어 퀘벡-캘리포니아 배출권거래제

도 및 스위스-EU 배출권거래제도의 연계 사례를 통해 실현되고 있다

배출권 시장 연계에 한 그간의 여러 연구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의

연계가 시장 규모의 확 를 통해 비용효과성을 제고하고 유동성 확

및 가격 안정화 등의 여러 가지 편익을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국 내 정책에 한 규제당국의 개입 범위를 축소시켜 정책 자율성을

저해하며 자국 내 기업들의 비용부담을 오히려 증 시키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환경건전성까지 악화시킬 가능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배출권

시장 연계는 편익뿐만 아니라 발생 가능한 다양한 부작용들을 종합적

으로 고려해서 결정해야 하는 다면적인 정책 의사결정 과정임에 유념

해야 한다

배출권 시장 간 연계가 성공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연계하는 두

시장의 제도적 설계요소들을 적절히 맞추어나갈 필요가 있다 상 부

문의 감축목표 강도 할당방식 이월middot차입middot상쇄 등 유연성 기제 배출권

88

가격 및 공급량 관리제도 MRV 체계 페널티 제도 등 고려해야 할 다

양한 설계요소들이 있다 특히 감축목표의 강도 유상할당의 규모 상

쇄제도 MRV 체계 등은 연계 과정에서 핵심 쟁점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연계 과정에서 규제 당국 간의 적절한 조율이 필요하다

배출권 시장 간 연계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사례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퀘벡-캘리포니아 및 스위스-EU의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는 연계를 통해 두 시장이 상호간 혜택을 보

아야 하고(상호 호혜성) 연계되는 두 시장의 배출권 설계요소가

동소이하며(핵심 설계요소의 일치성) 당사국들의 강한 정책적 의지가

수반되어야 성공적인 시장 연계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배출권 시장 연계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유형별로

는 lsquo완전통합형rsquo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형rsquo 외부 크레딧을 통한 lsquo간접 연계rsquo lsquo단방향 연계형rsquo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 연계 유형별로 가지는 장middot단점이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시

장의 완전통합형에 가까울수록 비용효과성과 시장 유동성 및 가격 안

정성은 높아지는데 반해 정책 자율성은 낮아진다 단방향 연계형은 연

계가 허용된 시장에는 비용효과성 유동성 및 가격 안정성을 제공하면

서 정책 자율성까지 보장하는 장점이 있으나 연계를 허용하지 않은 시

장에서는 연계의 혜택을 누리기 어려우므로 상호 호혜성의 측면에서

실현되기 어려운 방식이다 다만 두 시장을 직접적으로 연계하기 전에

다양한 설계요소를 조정하기 위한 중간 단계로서 단방향 연계 방식이

채택될 수는 있을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의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타 배출권 시장과의 연계가 논의되고 있는 상황에서 가장 유력하게

제6장 결론 89

거론되고 있는 EU-ETS와의 연계를 상정하여 주요 쟁점사항과 바람직

한 연계 방식에 해 검토해 보았다

EU-ETS와 연계할 경우 가장 첨예한 쟁점사항으로 부각될 수 있는

요소로는 감축목표 강도 및 유상할당 규모의 상응성 간접배출에 한

할당 등을 꼽을 수 있다 실질적인 체감도와는 무관하게 외형상의 EU

와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할당방식에 있어서 EU-ETS와 달리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은 무상할당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EU-ETS와의 유상할당 규모의 차이는

2030년까지 상당 수준에서 차이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EU-ETS와 연계를 논의할 때 산업경쟁력 및 탄소누출에 한 우려를

들어 감축목표의 강도와 유상할당 규모의 상응성이 핵심 쟁점으로 부

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간접배출에 한 할당도 이중계산 및 횡

재이윤의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쟁점사항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월 차입 시장관리 MRV 등의 요소는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긴 하나 EU-ETS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기 때문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할 때 다양한 시장 연계의 유형 중 어떤 방식이

우리에게 보다 적합할지 살펴보았다 lsquo완전 통합형rsquo은 사실상 정책 결

정에 우리 정부가 개입할 여지를 없애는 방식이므로 적합지 않은 방식

이며 외부 크레딧을 통한 lsquo간접 연계rsquo 방식만으로는 유동성 부족에 고질

적으로 시달리는 국내 배출권 시장의 문제를 해결하기에 모자람이 많

다 다만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와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 방식 중

어떤 방식이 우리 현실에 더 적합한지는 연계 이전에 두 시장의 배출

권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가 그리고 배출권 가격의 차이가 실질적인

90

감축목표의 강도로 받아들여 질 수 있는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은 비용효과성과 유동성 확보의

측면에서 다소 유리하지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정책 자율

성 확보 업계 부담 최소화 및 수용성 확보의 차원에서 다소 불리하다

먼저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낮게

형성된다면 국내 배출권에 한 외부 수요가 증 되므로 lsquo완전 쌍방

향rsquo 연계방식을 채택하더라도 K-ETS의 고질적인 유동성 부족을 해결

하는데 큰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다 반면 정책 자율성에 있어서 손실

을 감수해야 하므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보다 적합하다

다음으로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

해 높고 그러한 높은 시장 가격을 근거로 실질적인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충분히 받아들여진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은 시장 가격에도 불구하고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받아들여지지 못한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은 국내 참여업체들의

비용부담을 가중시키고 제도의 수용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도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적절

히 설정할 경우 상당한 비용효과성 및 유동성 제고의 편익을 얻을 수

있다 만일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서 완전한 쌍방향 연계로 전환할

때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이 그리 크지 않다면 정책 자율성 확보

에 유리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가 더 바람직한 연계 방식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해외 주요국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에서처럼 처음부터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EU-ETS와 연계하기 보다는 초기 단계에서는 적절

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EU-ETS 배출권을 구매해서 의무이행에 활

용하는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배출권 시장을 연계한 후 점진적으로

제6장 결론 91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높여나가는 방식이 바람직할 것으

로 판단된다

또한 최근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으로 논의되는 협력적 접근

법이나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에 의한 감축실적도 상쇄배출권으로 허

용하도록 함으로써 간접적인 연계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시장 메커니

즘에 한 지침이 확정되면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이들 접근법을 활용

한 다양한 감축사업들이 전개될 수 있으며 연계 상이 되는 타 시장

(예를 들어 EU-ETS)도 그러한 시장 메커니즘을 자국의 배출권 시장과

연계시킬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간접연계는 국제적으로 공인된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함과 동시에 lsquo부분 쌍방향 연계 방식rsquo의 효과를 제고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93

참고문헌

lt국내 문헌gt

관계부처합동 2017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1차 계획기간 제3차 이행

연도 배출권 할당계획 변경(안)

관계부처합동 2018 보도참고자료 ldquo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전략 새롭게 만들어 갑니다rdquo

기획재정부 2017 제2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안)

박수경middot박순철middot송철호middot임철희middot이수정middot이우균 2018 ldquo한middot중 배출권거래제

연계를 위한 설계요소 및 장애요인 분석rdquo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9(4) 471-485

산업통상자원부 2016a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 수립 연구

산업통상자원부 2016b 협력적 접근법에 활용가능한 국제 규범 마련 연구

삼정 KPMG 2018 진화하는 배출권거래제(ETS) 시장과 기업의 탄소비용

응방향 삼정 KPMG Issue Monitor 제87호

수원의제21실천협의회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 2016 ldquo제21차 기후변화

협약당사국총회 파리협정문 국문번역본rdquo

안영환middot김동구 2017 산업 발전부문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 연구 산업

통상자원부

환경부 2014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1차 계획기간 국가 배출권 할당

계획

환경부 2018 보도자료 ldquo2030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안 및 2018~2020년

배출권 할당계획 확정rdquo

94

환경부 2019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2차 계획기간 국가 배출권 할당

계획

lt해외 문헌gt

Anger N 2008 ldquoEmissions Trading beyond Europe Linking Schemes

in a Post-Kyoto Worldrdquo Energy Economics 30 2028-2049

Babiker M Reilly J and Viguier L 2004 ldquoIs international emissions

trading always beneficialrdquo Energy Journal 25(2) 33-56

Bodansky DM Hoe이 SA Metcalf GE and Stavins RN 2016

ldquoFacilitating linkage of climate policies through the Paris

outcomerdquo Climate Policy 16(8) 956-972

Burtraw D Palmer KL Munnings C Weber P and Woerman M

2013 Linking by degrees incremental alignment of cap-and-trade

markets Discussion Paper 13-04 Resource for the Future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Towards a Global Carbon Market

Prospects for Linking the EU ETS to Other Carbon Markets

Carbone JC Helm C Rutherford TF 2009 ldquoThe case for

international emission trade in the absence of cooperative climate

policyrdquo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57

266-280

Chichilnsky G and Heal G 1995 Markets with tradable CO2

emission quotas principles and practice OECD Economics

Department Working Paper No 153

DEHSt 2016 International market mechanisms after Paris

참고문헌 95

European Commission 2016 COM(2016) 482 Final

Flachsland C Marschinski R and Edenhofer O 2009 ldquoTo limk or

not to link benefits and disadvantages of linking cap-and-trade

systemsrdquo Climate Policy 9(4) 358-372

Gouvernement du Queacutebec 2018 Quebec cap-and-trade system for

greenhouse gas emission allowances(CampT) Historical Overview

Hahn R W and Stavins R 2011 ldquoThe Effect of Allowance

Allocations on Cap-and-Trade System Performance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54(4) s267-s294

Haites E and Mullins F 2001 Linking domestic and industry

greenhouse gas emission trading systems EPRImiddotIEAmiddotIETA

Helm C 2003 ldquoInternational emissions trading with endogenous

allowance choicesrdquo Journal of Public Economics 87 2737-2747

Helm D Hepburn C and Mash R 2003 ldquoCredible carbon policyrdquo

Oxford Review of Economic Policy 19(3) 420-437

IETA 2014 USE OF OFFSET CREDITS ACROSS EMISSION

TRADING SYSTEMS and CARBON PRICING MECHANISMS

IETA 2015 Case Study Linking the Swiss and EU ETS Greenhouse

Gas Market 20152016 Report

ICAP 2019a Canada - Queacutebec Cap-and-Trade System

ICAP 2019b USA - California Cap-and-Trade Program

ICAP 2019c EU Emissions Trading System (EU ETS)

Jaffe J and Stavins RN 2008 Linkage of tradable permit systems

in international climate policy architecture Discussion Paper

08-07 Harvard Project on International Climate Agreements

96

McKibbin WJ Shackleton R and Wilcoxen PJ 1999 ldquoWhat to

expect from an international system of tradable permits for carbon

emissionsrdquo Resource and Energy Economics 21 319-346

McKibbin WJ Morris A and Wilcoxen PJ 2008 Expecting the

unexpected macroeconomic volatility and climate policy Discussion

Paper 08-16 Belfer Center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Affairs

Harvard Kennedy School

Montgomery W D 1972 ldquoMarkets in Licenses and Efficient Pollution

Control Programsrdquo Journal of Economic Theory 5 395-418

Point Carbon 2014 The MSR Impact on market balance and prices

Thomson Reuters

Ranson M and Stavins RN 2015 ldquoLinkag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trading systems learning from experiencerdquo Climate

Policy 16(3) 284-300

Royal Norweigi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08 The Norwegian

Emissions Trading System Presentation to ICAO Workshop

Tietenberg T H 2006 Emission Trading Principles and Practice 2nd

Ed RFF Press

Tuerk A Mehling M Flachsland C and Sterk W 2009 ldquoLinking

carbon markets concepts case studies and pathwaysrdquo Climate

Policy 9(4) 341-357

UNFCCC 2015 Paris Agreement

UNFCCC 2016 Decision1CP21

참고문헌 97

lt기사 및 웹사이트gt

ClimateWire 2013 ldquoEU market troubles will prevent emissions trading

linkage - Califairchiefrdquo

EC 홈페이지 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reform_en

EC 홈페이지 httpseceuropaeuclimapolicieseffortregulation_en

EC 홈페이지 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allowances_en

Emissions-ETScom 홈페이지 httpswwwemissions-euetscomcarbon-

market-glossary872-european-union-emissions-trading-system-eu-ets

Emissions-ETScom 홈페이지 httpswwwemissions-euetscomborrowing

Exchange Monitor 홈페이지 ldquoCALIF FORGING AHEAD WITH EMI

SSIONS TRADING NEXT MONTH AIR CHIEF CONFIRMSrdquo

httpswwwexchangemonitorcomcalif-forging-ahead-with-emissions

-trading-next-month-air-chief-confirmsprintmode=1

Federal Office for the Environment Switzerland ldquoLinking of the Swiss

and European emissions trading systems big step forwardrdquo

httpswwwbafuadminchbafuenhometopicsclimatenews-releases

msg-id-67745html

Sandbag Carbon Price Viewer httpssandbagorgukcarbon-price-viewer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Western_Climate_Initiative

심 성 희

現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lt주요저서 및 논문gt

985172배출권거래제의 최적 운영을 위한 사회 여건 연구985173 에너지경제

연구원 기본연구 2012

985172배출권 경매의 이론과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 연구985173 에너지경제

연구원 기본연구 2013

985172우리나라 배출권거래제 진단과 개선방안985173 에너지경제연구원 기본

연구 2017

수시연구보고서 18-02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

2019년 1월 31일 인쇄

2019년 1월 31일 발행

저 자 심 성 희

발행인 조 용 성

발행처 에너지경제연구원

983732983732983733983732983731 울산광역시 종가로 405-11

전화 (052)714-2114(代) 팩시 리 (052)-714-2028

등 록 제 369-2016-000001호(2016년 1월 22일)

인 쇄 디자인 범신

에너지경제연구원 2019 ISBN 978-89-5504-725-7 93320

파본은 교환해 드립니다 값 7000원

본 연구에 포함된 정책 안 등 주요 내용은 에너지경제연구원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닌 연구진의 개인 견해임을 밝혀 둡니다

Page 5: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요약 iii

않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양한 연계 방식 중 가장 유력한 안은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와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 방식이다 이중 어떤 방식이 우리 현실에 더

적합한지는 연계 이전에 두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가

그리고 배출권 가격의 차이가 실질적인 감축목표의 강도로 받아들여

질 수 있는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은 비용효과성과 유동성 확보의

측면에서 다소 유리하지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정책 자율

성 확보 업계 부담 최소화 및 수용성 확보의 차원에서 다소 불리하다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낮게 형성된다

면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보다 적합하다 왜냐하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을 채택하더라도 K-ETS의 고질적인 유동성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높고 그러한 높은 시장 가격을 근거로

실질적인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충분히 받아들여진다면 lsquo완전 쌍

방향rsquo 연계방식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은 시장 가격에도 불구하고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받아들여지지 못한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국내 참여업체들의 비용부담을 가중시키고 제도의 수용성을

떨어뜨릴 우려가 있다

결론적으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서 완전한 쌍방향 연계로

전환할 때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이 크지 않다면 정책 자율성 확보에

유리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가 더 바람직한 연계 방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처음부터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EU-ETS와 연계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 초기 단계에서는 적절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EU-ETS

iv

배출권을 구매해서 의무이행에 활용하는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배출권

시장을 연계한 후 점진적으로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높여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끝으로 최근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으로 논의되는 협력적 접

근법이나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에 의한 감축실적도 상쇄배출권으로

허용하도록 함으로써 간접적인 형태의 연계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시

장 메커니즘에 한 지침이 확정되면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이들 접근

법을 활용한 다양한 감축사업들이 전개될 수 있으며 연계 상이 되는

EU-ETS도 시장 메커니즘과 연계할 가능성이 높다 간접연계와 병행할

경우 국제적으로 공인된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함과 동시에 lsquo부분 쌍방

향 연계 방식rsquo와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i

ABSTRACT

1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The carbon market mechanism under Article 6 of the Paris

Agreement has recently become one of hot issues in the UNFCCC

negotiations talk In line with the discussions of the international

climate negotiations the Korean government has a future plan to link

its emission trading system with the international carbon market and

furthermore considers to promote international linkage with foreign

emission trading systems in the long term

Against this backdrop the international linkage of emission trading

markets such as the carbon market linkage of Northeast Asia carbon

markets or Korea-EU carbon markets have been actively discussed at

the expert level In particular an international linkage of the emission

trading market in Korea which is suffering from imbalances in

supply and demand for emissions allowances has been mentioned as

an attractive alternative for expanding trade volumes and reducing

domestic carbon mitigation costs through enlarging the market size

However a linkage of emission trading markets is a multi-faceted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that should take into account a range of possible

side-effects as well as benefi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various

theoretical and empirical discussions surrounding the linkage of emission

ii

trading markets and recent negotiations on the international carbon market

mechanism under the Paris Agreement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ossible issues that may arise when linking Korean emission

trading market with the EU-ETS in the future its potential benefits and

costs of linkage and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sirable direction

of emissions trading market linkage

2 Summary and Implications

The coordination of the various design elements of the two emissions

trading markets that would be linked is essential for a successful linkage

between emissions trading markets The stringency of GHG reductions

targets allocation methods flexibility mechanisms such as banking

borrowing and carbon offset emission allowances price and supply

management schemes MRV and penalty schemes and so on are key design

factors to consider to link with other emissions trading schmes In

particular the stringency of GHG reductions targets the size of auctioned

units offset schemes and MRV systems are likely to emerge as key issues

in the linking process

We can learn some policy implications from examples of successful

linkages between emissions trading markets such as Quebec-California and

Switzerland-EU linkages ① linking the two markets are mutually beneficial

from each other ② the key design elements of the two emissions trading

markets that be linked are similar ③ It shows that the strong policy will

of the Parties is accompanied by successful market linkage

Abstract iii

Emission trading market linkages can be categorized into lsquofull

integrationrsquo lsquofull direct linkrsquo lsquopartial direct linkrsquo lsquoindirect linkrsquo through

carbon offset credits Basically the closer the market is to a fully

integrated type the higher the cost effectiveness market liquidity and price

stability while lowering policy autonomy

Next a scenario of linking K-ETS and EU-ETS was considered and the

main issues of the linkage scenario and desirable linking methods were

examined

In connection with the EU-ETS it is highly likely that issues such as

the stringency of GHG reduction targets the size of auctioned units and

the allocation of indirect emissions will be highlighted Banking borrowing

market management and MRV are not expected to be a big problem as

the design features between the two emissions trading schemes are not

quite different The most promising alternatives among the various linking

methods are lsquofull direct linkrsquo and lsquopartial direct linrsquo Which of these

methods is better suited to Korean emissions trading scheme depends on

the differences in emissions allowancesrsquos prices in the two markets

In general a lsquofull two-way direct linkrsquo is somewhat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effectiveness and market liquidity but it is somewhat

disadvantageous in terms of securing policy autonomy minimizing the

burden on the industry and securing social acceptance If the K-ETSrsquos

emissions allowances price is lower than that of EU-ETS compared to

without the linkage the lsquopartial two-way direct linkagersquo is more

appropriate This is because it will be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of

iv

K-ETSrsquos lack of liquidity even if it adopts the lsquofull two-way direct linkagersquo

method On the other hand if the emissions allowances price of K-ETS is

higher than that of EU-ETS before the market linkage and if counter-part

market planner would accept the high emissions allowances price as a

signal of the corresponding stringency of Korearsquos GHG reductions target a

full two-way direct linkage could be advantageous However despite the

high market price if it is not acceptable as a signal of an high ambition of

GHG reductions a full two-way direct linkage may only increase the cost

burden of domestic participants and reduce the acceptability of the system

In conclusion if the additional benefits of transition from a partial

two-way direct linkage to a full two-way direct linkage are not significant

the partial two-way direct linkage which is advantageous for securing

policy autonomy will be a more desirable way Thus we recommend that

it is not advisable to link with the EU-ETS in a full two-way direct

manner from the outset In the early stages it would be advisable to link

the markets in a partial two-way direct manner in which EU-ETS

allowances are freely purchased and used to fulfill their obligations within

an appropriate range and then gradually increase the share of obligations

of the other allowances

Finally indirect linkage need to be paralleled by allowing the GHG

reductions credits by cooperative approaches or sustainable development

mechanisms under Article 6 of the Paris Agreement Once the guidelines

for market mechanisms are finalized in the near future various mitigation

activities can be developed at the global level In fact EU-ETS is also

Abstract v

likely to allow some credits from the market mechanisms Thus in parallel

with indirect linkages the market mechanisms under Article 6 of the

Paris Agreement also need to be utilized in parallel with a lsquopartial two

way direct linkagersquo between K-ETS and EU-ETS that would create

synergistic effects of the carbon market linkage

차례 i

제목 차례

제1장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제2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편익과 비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가 비용효과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나 시장 유동성과 가격 안정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다 동태적 효율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라 환경 건전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마 정치적 편익과 비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2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주요 고려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나 상쇄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다 배출권 가격 및 공급관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라 배출권 할당방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마 상 온실가스 및 적용 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

바 이월 및 차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

사 기타 고려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가 직접 연계 완전 통합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ii

나 직접 연계 쌍방향 연계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

다 직접 연계 단방향 연계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라 간접 연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

2 배출권 시장 연계의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가 스위스 배출권거래제와 EU-ETS의 연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나 퀘벡과 캘리포니아 배출권거래제의 연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

다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추진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3 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

가 상호 호혜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

나 핵심 설계요소의 유사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

다 정책적 의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 동향과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1 파리협정 이후의 탄소시장 논의 동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가 주요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나 후속협상 주요 경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다 주요 쟁점 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2 Post-2020 탄소시장 전망과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1 우리나라 ETS와 EU-ETS의 주요 설계요소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나 할당방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다 유연성 메커니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

라 의무이행 관련 사항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

차례 iii

2 K-ETS와 EU-ETS 연계 시 예상 쟁점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가 감축목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나 할당방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8

다 상쇄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9

라 기타 사항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3 배출권 시장 연계 방식별 편익 비용 그리고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3

가 시장 연계 유형별 편익 비용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3

나 K-ETS와 EU-ETS 간 연계를 위한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제6장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iv

표 차례

lt표 Ⅲ-1gt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표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

lt표 Ⅲ-2gt 스위스와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

lt표 Ⅲ-3gt 캘리포니아-퀘벡과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

lt표 Ⅳ-1gt 파리협정 제6조 주요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

lt표 Ⅴ-1gt 우리나라와 EU의 배출권거래제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차례 v

그림 차례

[그림 Ⅱ-1] A국과 B국의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에 따른 가격결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제1장 서론 1

제1장 서 론

최근 파리협정(Paris Agreement) 제6조에 근거하여 2020년 이후 국

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의 구체적인 정의 구조 기능 활용방법 절차 및

거버넌스 등에 관한 국제사회의 논의가 진행 중이다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활발한 논의의 배경은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할 경우

비용효과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 출발한다 이

와 같은 국제사회의 논의와 발맞추어 우리 정부도 2030년까지 BAU

비 37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제시하면서 목표 감축량의 45를 산

림흡수원 및 해외 감축분을 통해 달성하겠다고 밝히고 있다(관계부처

합동 2018)

한편 우리나라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비용효과적으로 달성하

기 위해 2015년부터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도입middot운영 중이다 지난

2017년에 발표된 제2차 계획기간(2018~2020년) 동안의 배출권거래제

운영방향을 제시한 제2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은 5가지 배출권거래

제 운영의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정부는 ldquo국제 탄소시장

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국제기준에 부합rdquo하도록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할

계획이며 특히 ldquo장기적으로 배출권거래제 국제 연계를 통한 해외 상

쇄 등 활성화로 유연성 제고 및 감축비용 절감 도모rdquo를 천명하였다

(기획재정부 2017) 이러한 기본계획의 방향성을 이어받아 최근 한-중

-일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 지역의 탄소시장 연계와 한국-EU 탄소시장

협력체계 등 배출권 시장의 국제 연계에 관한 논의가 전문가 차원에서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배출권 수급 불균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

2

는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 시장의 국제 연계는 시장의 규모

화를 통한 거래활성화 및 국내 기업 감축비용 완화를 위한 매력적인

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잘 알다시피 배출권거래제는 이론적으로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한

가장 비용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EU-ETS를 시작으로 여러

국가에서 배출권거래시장이 운영되고 있는 가운데 각 국가의 배출권거

래시장의 연계는 이론적으로 배출권 시장의 규모화를 통해 비용절감

효과를 극 화시키고 참여 국가들의 편익을 증가시킬 것으로 여겨진

다 그러나 Flachsland et al(2009) Ranson and Stavins(2015) 등의 기

존 연구들은 배출권 시장의 국제적 연계가 비록 이론적으로는 경제적

효율성을 증 시키지만 경제성만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매우 다면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론이 예상하는 바와 다른 다양한 부작용이 존

재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를 둘러싼 다양한 이론적middot실증적

논의와 파리협정하의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최근 협상 동향

을 검토해보기로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을 주요

국(EU) 배출권 시장과 연계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쟁점들 연계

의 잠재적 편익과 비용을 전망해보고 시장 연계의 바람직한 방향에 관

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의 편익

과 비용에 관한 그간의 이론적middot실증적 논의를 검토하고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해 논의한다 제3장에서는 배출권 시장이 연계

되는 다양한 유형과 더불어 퀘벡-캘리포니아 스위스-EU 등 배출권 시

장 연계의 해외 사례를 살펴보고 그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

제1장 서론 3

점을 도출하였다 제4장은 파리협정하의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최근 협상동향과 전망에 해 논의한다 제5장에서는 표적인 배출권

시장인 EU-ETS와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K-ETS)의 연계를 상정한 정

성적인 사례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EU-ETS와 K-ETS의 연계

시 부각될 수 있는 다양한 쟁점들과 시장 연계에 따라 우리가 얻을 수

있는 편익과 비용에 해 전망해보고 K-ETS의 입장에서 바라본 바람

직한 배출권 시장 연계의 방향에 해 모색해 보았다 끝으로 제6장에

서는 앞선 논의들을 종합 정리하면서 보고서를 매듭짓기로 한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5

제2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본 장에서는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배출권 시장 연계와 관련한 이론

적 실증적 논의 동향을 살펴본다 그간 배출권 시장 연계와 관련된 무

수히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하나의 축은 배출권 시장을 연계

할 경우 얻을 수 있는 편익과 비용에 관한 논의이며 다른 하나는 배출

권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요소에 한 논의로 별된다(Helm

2003 Anger 2008 Babiker et al 2004 Jaffe and Stavins 2008

Carbone et al 2009 Flachsland et al 2009 등) 또한 편익 비용 그

리고 연계 시 두될 쟁점들을 종합적으로 다룬 연구들도 다수 존재한

다(Tuerk et al 2009 Flachsland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박수경 외 2018 등)

여기서는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이 다른 시장과 연계될 경우 얻을 수

있는 잠재적 편익과 비용 그리고 연계 시 반드시 짚고 가야할 고려요소

들이 무엇이 있는지에 하여 기존 연구들에서 논의하고 있는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에 해 고찰해보기로 한다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편익과 비용

가 비용효과성

서로 다른 배출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발생 가능한 표적인 경제적

편익으로 비용효과성을 꼽을 수 있다 서로 다른 두 시장의 배출권 가

격이 연계 이후 균등화되면서 두 시장의 감축비용의 총합이 줄어들기

6

때문이다(Chichilnsky and Heal 1995 Anger 2008 Flachsland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아

래와 같은 상황을 고려해보자1)

배출권거래시장이 연계된 두 국가 A와 B가 있는데 A국은 B국에

비해 상 적으로 온실가스 감축기술이 발달하여 온실가스 감축의 한계

비용이 낮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각 국의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은 [그림 -1]와 같이 그려질 수 있다 여기서 A국과 B

국의 규제 이전의 배출총량은 로 동일하다고 가정하며 A국의

배출상한은 B국의 배출상한은 라고 하자 또한 두 국가의

배출권 시장은 완전경쟁적이라고 가정하자

[그림 Ⅱ-1] A국과 B국의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에 따른 가격결정

A국 배출상한

B국 배출상한

Y

X

자료 Anger(2008 p2032) 및 Flachsland et al(2009 p362)를 참조하여 저자 재작성

1) 여기서는 Flachsland et al(2009 p362)의 도면 분석(graphical analysis)을 저자가 약간 변형하여 제시하기로 한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7

그러면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 이전 각국의 배출권 가격은 각각

와 에서 형성될 것이다 이때 각 국의 배출권 가격의 격차는 배출

권거래시장의 연계 유인이 될 수 있다 B국의 경우 상 적으로 배출권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더 낮은 비용으로 온실가스 감축하기 위해 A국

으로부터 배출권을 구매하기 원할 것이고 A국의 경우 배출권을 판매함

으로써 이익이 발생하기 때문에 배출권 시장 연계가 가능할 것이다

배출권거래 시장이 연계될 경우 A국 배출권의 수요는 증가하기 때

문에 A국에서의 배출권 가격은 상승하게 되고 B국의 경우 A국으로

부터의 배출권 유입으로 배출권 공급이 증가하므로 배출권 가격은 하

락하게 된다 즉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의 차이에 따라 A국에서 B국

으로 배출권이 이전되고 결과적으로 두 국가의 배출권 가격이 로 동

등해지는 까지 지속된다 즉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의 차이에 따른

배출권 이전으로 연계시장에서 배출권의 균형가격은 수준으로 결정

된다 이 때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에 따른 비용은 전체적으로 X와 Y

면적만큼 감소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비용효과성이 항상 달성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도 언급

하였듯이 시장 연계가 가져다주는 비용효과성을 논의할 때 두 국가의

배출권 시장이 완전경쟁적인 상황을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연계되는

두 시장에 외부성이나 왜곡적 조세체계 등으로 인한 시장 왜곡이 존재

할 경우 배출권 시장 연계는 기존의 왜곡을 오히려 강화시킴으로써 비

용효과성을 저해할 가능성도 있다(Flachsland et al 2009) 예를 들어

어떤 사유(또는 특정 목적)로 인해 에너지원 간 조세체계가 사회적으

로 바람직한 상 가격체계를 따르지 못하지만 배출권거래제를 통해 효

율적 배분이 달성되고 있는 상황을 생각해보자 이때 배출권 시장 연

계로 인해 배출권 가격이 변할 경우 에너지원 간 소비 왜곡으로 인한

8

비효율성이 발생한다 만일 배출권 시장 연계로 인한 감축비용의 감소

에 비해 그러한 비효율성이 더 크다면 배출권 시장 연계는 사회 후생

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2)

나 시장 유동성과 가격 안정성

서로 다른 배출권 시장이 연계되면 개별 배출권 시장이 독립적으로

병존할 때에 비해 전체 시장 규모는 확 되며 그로 인해 배출권 시장

의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다 시장 규모가 커지게 되면 배출권 시장에

서 유동성(liquidity)이 커지게 되며 배출권 가격의 안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Flachsland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특히 유동성 확 와 그로 인한 배출권 가격 안정의 효과는 연계 이전

에 시장 규모가 상 적으로 작은 시장에서 크게 나타난다 시장을 연계

하기 이전에 두 시장 모두 규모가 작을 경우 양쪽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시장 규모가 비 칭적인 경우 상 적으로 규모가 작은

시장에서 이와 같은 효과를 크게 누리게 된다 시장 규모가 협소하여 배

출권 수급 불균형이 자주 나타나는 시장이 보다 큰 시장과 연계할 경우

수급 불균형에 따른 문제를 크게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장 연계가 반드시 규모가 상 적으로 작은 시장의 가격 안

정성을 증 시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특정 배출권 시장의 변동성이

다른 배출권 시장으로 전이될 수도 있다(Mckibbin et al 2008) 만일

연계하는 큰 규모의 상 편 배출권 시장에서 과다 할당 과다한 상쇄

배출권의 유입 등의 이유로 규모 시장에서 급격한 시장 가격 변동이

발생할 경우 배출권 시장 연계는 소규모 배출권 시장의 가격 불안정성

2) Babiker et al(2004)와 Mckibbin et al(1999) 등은 기존 시장에서의 왜곡이 존재할 경우 배출권 시장 연계가 반드시 효율성을 가져다주는 것은 아님을 보여주었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9

을 오히려 크게 확 될 것이다 결국 배출권 시장 연계가 가격 안정성

에 미치는 효과는 연계되는 시장의 규모에 따라 다르며 수급 불균형

에 따른 효과의 동태적 경로 또한 가격 충격의 근원지가 어디냐에 따

라 비 칭적으로 나타날 것이다

다 동태적 효율성

온실가스로 인한 기후변화는 국지적이며 단기적인 이슈가 아닌 글로

벌한 장기적인 이슈이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 정책 당국자들이 매우

높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강도 높은 감축수단의 이행을 약

속했다고 하더라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러한 감축목표와 수단의 강

도를 낮추고자 하는 유인에 직면할 수 있다3)

이때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동태적 비일관성의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다(Flachsland et al 2009) 기후변화 정책의 동

태적 비일관성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정책 당국자가 재량적 의사결정

을 할 여지가 늘어나기 때문에 발생한다 만일 두 국가(또는 지역)의

배출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특정 국가의 배출권거래제도와 관련된 재

량적 의사결정(배출상한의 설정 배출권의 할당 상쇄제도 등)은 연계

된 전체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일단 시장이 연계되고 난

이후에는 그러한 의사결정 시 다른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하는 국가(또

는 지역)와 충분한 사전협의를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상 국가(또

는 지역)의 명시적 또는 암묵적 압력에 직면하게 되며 독자적인 배출

권 시장을 운영하는 경우에 비해서 감축의 강도를 낮추는 방향으로 재

3) 이른바 동태적 비일관성(time inconsistency problem)의 문제로서 Helm et al(2003)은 기후변화정책에서의 동태적 비일관성을 다루고 있다

10

량적 의사결정하기가 더 어렵다 이처럼 배출권 시장 연계는 특정 국

가에서 재량적 의사결정을 할 여지를 낮춤으로써 안정적인 탄소가격

신호를 전달하고 감축투자를 촉진하는데 도움이 된다4)

물론 배출권 시장 연계의 구체적인 유형에 따라 동태적 효율성의 크

기는 달라질 수 있다 상 편 시장의 배출권을 의무이행에 일부 허용

하는 방식의 느슨한 연계보다는 전체 감축목표 및 배출상한을 상호 협

의하는 방식의 연계가 동태적 효율성 확보에 유리할 것이다

라 환경 건전성

선행 연구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 연계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일률적이지 않다 Carbone et al(2009)에 따르면 배출

권 시장 연계는 그렇지 않을 때에 비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 환경

건전성에 도움을 준다 Carbone et al(2009)은 한계감축비용과 감축의

환경적 편익이 높아서 배출권의 순 구매자가 되는 국가들과 한계감축

비용이 낮고 배출의 한계편익이 낮아 배출권의 순 판매자가 될 소수의

규모 배출권 판매 국가들이 서로 연계하는 상황을 상정하여 분석하

였다5) 이때 배출권 할당량은 참여하는 국가들이 합의해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 주권국가로서 독자적으로 결정한다

4) 한편 항상 배출권 시장 연계가 동태적 효율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 만일 특정 국가(또는 지역)의 한계감축비용이 상당히 높아 배출권 시장 연계 이후 상당량의 배출권을 구매하는 경우 자체적인 감축노력보다는 연계된 시장에서 배출권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목표를 충당함으로써 자체 감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다양한 공편익(co-benefits) 예를 들어 기오염 저감 에너지 안보 강화 감축기술 촉진 등을 장기적으로 내재화하지 못할 가능성도 상존한다(Flachsland et al 2009)

5) 가령 배출권 순 구매자로서 EU와 배출권 순 판매자로서 개발도상국인 중국 및 러시아가 상호 연계하는 상황을 상정해보라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1

배출권 판매국가의 입장에서는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이 높은 수준으

로 유지되어 얻는 이익과 높은 배출권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배출권

할당량을 제한함으로써 잃게 되는 비용을 상호 비교하여 최적의 의사

결정을 하게 된다 만일 소수의 규모 배출권 판매국가가 공급독점자

로서 시장지배력을 가질 경우 배출권 가격 하락을 억제하기 위해 할당

량을 낮출 유인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수준은 줄

어드는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특히 Carbone et al(2009)은 EU-중

국-구소련연방이 서로 배출권 시장을 연계하는 상황에 한 연산가능

일반균형(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모형 기반 시뮬레이

션 분석을 통해 연계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서 두 배 이상의 온실가스

감축이 가능함을 보였다

반면 Helm(2003)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이 연계됨으로써 오히려 배출

권 할당량이 늘어나 환경 건전성을 저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은 배

출권 할당량을 늘임으로써 발생하는 추가적인 환경적 피해와 배출권 가

격 하락에 따른 손해에 비해 배출권 판매량의 증 에 따른 수입 증

효과가 더 큰 경우에 발생한다 이 경우 시장 연계에 따라 배출권의 순

판매국이 되는 국가는 자국의 배출권 할당량을 연계 이전에 비해 늘리

고자 하는 유인을 가지며 이로 인해 두 시장의 전체 배출권 할당량 총합

은 연계되기 전에 비해 늘어날 경우 환경 건전성을 해칠 수 있다6)

전술한 두 가지 경우 중 어느 경우가 더 현실적인 시나리오인지는

일률적으로 답하기 곤란하다 결론적으로 배출권 시장 연계가 환경

건전성에 미치는 효과는 연계되는 국가들의 한계감축비용 및 한계환경

편익의 구조 각국의 배출권 시장구조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6) 이때 순 효과의 크기는 한계감축비용 및 한계환경편익에 따라 달라진다 자세한 사항은 Helm(2003)을 참조하라

12

마 정치적 편익과 비용

배출권 시장 연계는 근본적으로 서로 다른 두 시장의 국제적인 상호

협력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국제정치적 전략의 관점에서 긍정적인 효과

를 가진다(Ranson and Stavins 2015) Ranson and Stavins(2015)가 주

장한 바와 같이 배출권 시장 연계는 기후변화 응에 한 참여 국가

의 적극적인 의사를 국제적으로 천명하는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 응과 관련한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고 국제적

인 신뢰를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7)

배출권 시장 연계가 정치적 측면의 편익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그

이면에는 치러야 할 또 다른 가가 존재한다 특정 국가가 자국의 단

일한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는 경우 정부 당국은 해당 시장에 한 배

타적인 통제권을 가지며 정책 환경 변화에 따라 유연한 응이 가능하

다 그러나 다른 배출권 시장과 연계될 경우 구속력을 가지는 국내 규

제정책에 한 국가의 개입 범위가 줄어들어 규제의 유연성을 제 로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다(Jaffe and Stavins 2008 Flachsland et al

2009)

7) 한편 Ranson and Stavins(2015)은 배출권 시장 연계가 특정 국가의 배출권 시장의 도입에 영향을 준 도구로서 활용되기도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EU-ETS는 제3기에서 최빈개도국(Least Developing Countries LDCrsquos) 국가에서 나온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 배출권만을 상쇄로 허용하겠다는 결정을 하였다 그런데 이로 인해 당시 EU 시장에서 청정개발체제 배출권 공급의 상당량을 차지하던 중국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의 시장 공급이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중국이 독자적인 자국 내 배출권 시장을 도입하게 된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물론 중국의 배출권 시장 도입이 자국의 청정개발체제 배출권 해결을 위한 방편이었다는 Ranson and Stavins(2015)의 해석에는 다소 이견이 있을 수 있으나 중국의 배출권 시장 도입이 자국의 잉여 청정개발체제 배출권 해소에 일정 부분 기여했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 이것은 배출권 시장의 연계가 아닌 lsquo연계의 단절rsquo이 특정 국가의 적극적인 기후변화 응 정책수단 도입을 이끌어낸 흥미로운 사례라고 하겠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3

후술하겠지만 배출권 시장 연계과정에서 감축목표의 강도 가격상한

여부 상쇄제도의 설계 방식 이월과 차입의 허용 정도 등 다양한 설계

요소에 따라 배출권 시장 연계 전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

다 이러한 맥락에서 배출권 시장 연계 사전에 그러한 설계요소별로

양 시장간 긴 한 협력과 조정이 필요하며 이는 결국 배출권거래제도

설계에 있어서 배타적 통제권과 규제 당국의 유연성에 해 일정 정도

의 양보가 뒤따를 수 있다8) 결과적으로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는 국

가 주권의 부분적 양도라는 정치적 도전에 직면할 우려가 있음에 유의

할 필요가 있다

2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주요 고려사항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는 경제적 정치적 측

면 등에서 연계에 따른 잠재적 편익과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배출권거래시장을 연계하여 잠재적 편익을 극 화하면서 비용을 최소

화하기 위해서는 시장 연계의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

라서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를 설계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본 절에서는 배출권거

래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할 주요 사항들에 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에 있어서 감축목표는 배출권의 가격뿐만 아

8) Flachsland et al(2009)은 ldquo연계는 기본적으로 효율성 증 와 규제적 개입의 감소 간의 상충관계를 내포한다rdquo고 지적하였다

14

니라 감축비용의 효율성 증 및 분배효과의 크기 등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배출권 시장 연

계를 다룬 여러 선행 연구들은 감축목표의 상 적 격차가 클 경우 배

출권 시장 연계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Tuerk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감축목표의 엄격성 차이가 배

출권 시장 연계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이유는 연계를 통한

경제적 편익에도 불구하고 정치적middot분배적 관점에서의 쟁점들을 부각시

켜 제도의 수용성을 낮추기 때문이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배출권 시장을 연계하는 가장 큰 논거는 비용

효과성에 있다 비용효과성은 연계하는 두 시장 간 감축비용의 차이에

서 나온다 그러나 반 로 배출권 시장이 연계된 이후 높은 감축목표

를 설정한 국가의 기업들이 상 적으로 낮은 감축목표를 설정한 국가

의 기업들로부터 거 배출권을 구입하여 자본이동이 발생하게 되면

고강도 감축목표 설정 국가의 기업들로부터 국가 간 감축목표의 형평

성 관점에서 제기되는 상당한 정치적 저항에 부딪힐 수 있다9) 또한

연계 이전에 고강도 감축목표 국가의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의 순 판

매자인 기업이 시장 연계 이후에 배출권 판매규모가 줄어들게 되고

그로 인해 연계 이전에 비해 순 편익이 줄어들 경우 분배적 이슈가 부

각될 가능성도 있다10)

9) 두 시장의 감축목표의 강도나 감축비용이 유사한 경우에는 이러한 쟁점은 사라지는 반면에 시장 연계로 인한 경제적 편익은 줄어들게 된다는 역설적인 측면이 존재한다(Ranson and Stavins 2015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10) 한편 감축목표의 상당한 차이가 나더라도 양 시장이 이를 감안한 적절한 교환비율을 설정한다면 이론적으로는 시장 연계에 큰 장애요인이 되지 않을 수 있다(Burtraw et al 2013 Ranson and Stavins 2015) 그럼에도 불구하고 Ranson and Stavins(2015)는 감축목표와 배출권 가격에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경우 시장 연계에 큰 장애요인이 될 수 있으며 ClimateWire(2013)을 인용하면서 EU-ETS 배출권 가격의 급락이 캘리포니아 배출권 시장과의 연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5

따라서 배출권시장의 연계를 추진할 경우 연계를 통한 경제적 편익

이외에도 감축목표의 엄격성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국가 간의

자본 이동 문제와 이에 따른 분배 문제에 해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

요가 있다 또한 감축목표의 강도에 해 연계 이전 양 당국자간의 충

분한 사전 논의와 조율이 선행되어야 하며 필요할 경우 시장 연계로

인해 영향을 받는 경제주체들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중요할

것이다

나 상쇄제도

상쇄제도는 배출권 시장의 공급량 및 이를 통한 시장 가격에 직접적

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자 국내적 감축활동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설계요소이다 상쇄제도가 크게 차이가 나는 서로 다른 두 시장

이 서로 연계될 때 상쇄제도의 차이로 인해 배출권의 공급 및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Teurk et al 2009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예를 들어 세계 최 배출권거래시장인 EU-ETS는 2020년 이후부터

역내 온실가스 감축노력 강화를 위해 역외 탄소상쇄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기로 하였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EU-ETS

와 다른 배출권 시장이 서로 연계되고 연계된 다른 배출권거래시장에

서 탄소상쇄의 사용을 허용할 경우 여기서 발생되는 상쇄배출권은 사

실상 EU-ETS에서 사용가능한 상황이 된다 연계된 다른 배출권거래제

의 할당배출권을 EU-ETS에 판매하는 신 그에 해당하는 양만큼의

상쇄배출권을 유입시키면 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할당배출권과 상쇄배출권은 통상적으로 상호 호환이 가

16

능하기 때문에 연계된 시장 간 상쇄의 활용에 한 다른 인식을 가지

고 있다고 하더라도 한 국가에서 상쇄제도를 허용할 경우 상쇄제도를

허용하지 않는 국가 또한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다 만일 연계를

고려중인 두 시장이 서로 다른 상쇄제도를 운영하고 있고 연계 시 상

쇄제도의 시장 수급 영향이 크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국가 간 상쇄제

도의 인식 및 활용 허용 여부 등에 한 사전 논의와 조율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될 것이다

다 배출권 가격 및 공급관리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하는 주체는 배출권 시장의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 배출권의 가격 및 공급에 관한 사항을 별도의 규정을 두어 관리

하기도 한다 여러 배출권 시장에서 도입하고 있는 배출권 가격 상middot하

한제도나 EU-ETS의 배출권 경매 연기(Back-loading of auctions) 조치

와 같은 배출권 공급량 조절 장치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11) 만약 가격

상한제 또는 하한제와 같은 배출권 가격 또는 공급량 관리 규정이 한

국가의 배출권 시장에 존재하거나 도입될 경우 이 시장과 연계되는

다른 국가의 배출권 시장에서 동일한 규정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연계

된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배출권 가격 상middot하한제도가 한 시장에 존재하고 다른 시장에는 존재

하지 않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경우 배출권 시장이 연계되어 있다

면 참여주체들의 재정거래(Arbitrage)를 통해 연계된 시장의 배출권 가

11) 배출권 경매 연기(Back-loading of auctions)는 EU 배출권 시장의 수급 안정화를 위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총 9억톤의 배출권 경매를 2019년 이후로 연기하는 조치로서 EU-ETS 경매 규제에 한 수정의 일환으로 2014년부터 시행되었다(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reform_en)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7

격은 결국 배출권 가격 상middot하한 범위 내로 수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연계된 시장의 모두에서 배출권 가격의 상middot하한제도를 도입한 것과 동

일한 결과를 가져다줄 공산이 크다

다음으로 공급량 관리 조치가 존재하는 상황을 EU-ETS 사례를 통

해 살펴보자 EU는 배출권 경매 연기에 뒤이어 배출권거래시장의 안

정화를 위해 배출권 비축제도(Market Stability Reserve 이하 MSR)를

도입하였다12) 만약 EU-ETS가 다른 시장과 연계되었다고 할 때 EU의

배출권 비축제도는 연계된 배출권 시장 전체를 상으로 한 배출권 공

급량을 기준으로 준칙이 설정되어야 배출권 시장 수급 안정화에 이상

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연계된 두 배출권 시장은 하나의 배출권 시장

으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연계된 두 시장의 전체적인 수급 불균형

이 아닌 한 시장의 수급 불균형만을 고려하여 제도를 운용할 경우 배

출권 수급 불균형 해결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를 위해서는 각

국가 간 배출권 공급과 배출권 가격에 관한 효율적인 관리 제도에 관

해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라 배출권의 할당방식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배출허용총량이 주어진 상황에서 배출권의 할

12) MSR은 배출권 경매량 조절을 통해 수급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배출권의 공급량이 사전에 정한 특정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배출권의 경매 규모를 감소시키고 그 감소분만큼을 비축하며 반 로 배출권시장 내에 배출권이 과소 공급될 경우에는 비축분의 방출하여 경매 규모를 증가시켜 공급량을 늘리는 방식으로 운용한다 현재 배출권 경매 연기 조치를 통해 확보된 9억톤이 MSR에 비축될 예정이며 추가 비축분은 2020년 이후 배출권 시장 상황에 따라 정해진 준칙에 의거 결정될 예정이다 아직까지 비축을 위한 구체적인 준칙은 확정되지 않았다(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reform_en)

18

당방식은 비용효과성에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한다(Mongomery 1972

Tietenberg 2006 Hahn and Stavins 2011) 물론 배출권거래시장의

참여주체에게 분배적 관점에서 영향을 미칠 수는 있다 그러나 국가

간 배출권 할당방식의 차이에 따른 영향은 두 시장의 연계 여부에 상

관없이 존재하기 때문에 비용효과성의 측면에서는 할당방식이 배출권

거래시장의 연계에 있어 직접적인 함의를 가지지 않는다13) 다만 연계

된 두 시장 모두 경매를 통한 배출권 할당을 할 경우 연계 이전에 배

출권 가격이 높게 형성된 국가의 경우 연계에 따라 가격이 낮아져 상

적으로 적은 경매수입을 얻을 수 있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경매수입이 다시 감축을 위한 활동에 중립적으

로 사용된다고 한다면 그 영향도 매우 제한적일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고려해야 할 점은 한 국가는 경매를 통해 할당하고

다른 국가는 무상으로 배출권을 할당하는 상황에서 두 시장이 서로 연

계되는 경우이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할당방식의 차이 자체가 배

출권 시장에 주는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다14) 그러나 일단 시장이 서

로 연계된 이후엔 유middot무상할당 방식의 차이로 인해 두 국가 간 산업경

쟁력이 정치적 쟁점으로 부각될 수 있다 즉 무상할당 방식을 취하는

13) 다시 말해 A라는 할당방식(국가 1에는 a1 국가 2에는 a2라는 할당방식)을 B라는 할당방식(국가 1에는 b1 국가 2에는 b2라는 할당방식)으로 변경하더라도 연계 전과 연계 후의 비용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동일하다 왜냐하면 연계가 없을 경우 최초 할당 이후 두 시장의 배출권 최종 균형가격은 A와 B 할당방식 모두에서 동일하며 연계된 경우에도 배출권 최종 균형가격은 할당방식에 관계없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할당방식을 어떻게 하든 할당방식에 따른 연계 전과 후의 비용효과성 변화의 크기는 동일하므로 할당방식이 배출권 시장 연계에 주는 직접적 함의는 제한적이다

14) 경매를 주된 할당방식으로 택하는 국가의 기업들이 무상할당을 주된 방식으로 채택한 국가로 생산시설을 이전하는 탄소누출(carbon leakage)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사실 이러한 탄소누출은 시장이 독자적으로 운영되더라도 유사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시장 연계가 추가적인 탄소누출을 야기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9

국가에 해 유상할당으로 할당방식 변경을 요구하는 명시적 또는 묵

시적 압력이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15) 따라서 할당방식에

있어서 유middot무상의 차이가 나는 경우 국가 간 상호조율과 양해가 전제

되지 않는다면 시장 연계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마 대상 온실가스 및 적용대상

배출권거래제의 적용을 받는 기업의 범위 및 배출제한 적용을 받는

상 온실가스는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소들이다 상 온실가

스 및 적용 상의 차이가 적용할 수 있는 온실가스 감축옵션이나 배출

권 할당 규모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기는 하지만 이는 시장 연계와

상관없이 영향을 주는 요소이므로 시장 연계 전후의 차이에 영향을 주

는데 제한적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이들은 적용여부에 따라 해당 산업의 경쟁력에 직접적인 영

향을 미치는 요소이므로 시장 연계 이후 배출권 가격 변화를 통해 간

접적으로 산업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이러한 경쟁력 변화는 특정 국가의 참여기업들의 수용

성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나아가 동태적인 관점에서 제도적 변화에

한 정치적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간과해선 안 된다

예를 들어 한 시장에서는 NF3를 규제 상 온실가스에 포함하는데

반해 다른 국가에서는 이를 규제 상에서 제외한다고 하자 이 경우

NF3가 규제 상에서 제외된 국가의 배출기업들은 그렇치 않는 경우

에 비해 상 적으로 유리한 입장이 된다 이들 두 국가의 배출권 시장

15) 물론 시장 연계 이전에도 이 문제는 국가 간 쟁점이 될 수 있으나 배출권 시장이 독자적으로 운영될 때보다는 연결된 경우에 쟁점화될 개연성이 더 높다

20

이 연계될 때 규제 상의 차이가 연계 전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은 매우 제한적이다 그러나 앞서 유middot무상할당 방식에서와 같이 일단

연계된 이후에는 상 적으로 불리한 입장의 기업들을 중심으로 제도적

형평성에 한 이의를 제기할 수 있고 중장기적으로는 제도적 수렴을

요구하는 경제 외적 압력을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

요컨 상 온실가스와 적용 상의 차이는 단기적으로는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핵심 쟁점은 아니다 그러나 앞선 예처럼 중장기적으

로는 연계 이후 참여 상자들의 수용성 및 형평성에 한 문제 제기 및

제도 수렴에 한 정치적 압력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바 이월 및 차입

이월(banking)은 해당 연도의 배출권 잉여분을 이후 연도에 의무이

행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두 국가 간 배출

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한 국가에서 배출권의 이월을 허용하고 있을

경우 연계된 다른 국가가 이월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간접적으로 이월

제도를 허용한 것과 유사하게 된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국가 A가 배출권 이월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국가 A의 기업들

은 해당 연도 배출권을 이월을 허용하는 국가 B의 이후 연도 배출권과

교환하여 이를 이후 연도 이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

서 어떤 시장에서 이월을 허용하지 않아야 하는 특별한 사유가 있다면

배출권 시장 연계 이전에 이월 관련 규정에 한 국가 간 상호 조율이

필요하다16)

16) 참고로 현재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한 부분의 국가는 배출권의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고 있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21

배출권의 차입(borrowing)은 이월과 반 되는 개념으로 배출권거래

제에 참여하는 업체가 해당 거래 연도에 배출허용량을 초과해서 배출

했을 때 다음 연도 배출권 할당량 중 일부를 차입하여 사용하는 제도

이다 차입 역시 이월과 유사한 논리로 두 국가 간 배출권 시장이 연계

되어 있다면 한 국가에서 배출권의 차입을 허용하고 있을 경우 연계된

다른 국가가 차입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이 국가에서 간접적으로 차입

제도를 허용한 것과 사실상 동일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배출권의 차입

은 현재 시점에서의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을 이연시키

는 효과를 가지므로 환경 건전성 관점에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

다 이로 인해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한 부분의 국가는 차입을 허용하

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일 어떤 시장에서 특정한 사유로

인해 차입을 허용하는 경우엔 배출권 시장 연계 이전에 차입 관련 규

정에 한 국가 간 상호 조율이 필수적이다

사 기타 고려사항

온실가스 배출량의 측정 및 보고 검증(Measurement Reporting and

Verification MRV) 기준은 두 배출권 시장 연계에 있어서 중요하다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연계된 두 시장의 MRV 기준

및 강도 등에서 상당한 차이가 날 경우 두 배출권의 상호 호환성

(fungibility) 및 등가성에 한 논란이 커질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그

러나 서로 다른 MRV체계가 반드시 시장 연계의 장애요소가 되는 것

은 아니며 양 국가 간 합의만 전제된다면 등가비율의 조정을 통해 연

계가 가능하다(Tuerk et al 2009)17)

17) 물론 Tuerk(2009)가 지적하듯이 MRV체계의 투명성(transparancy)과 비교가능성

22

또한 연계된 배출권시장 간의 배출권 이전이 가능하기 위해서 배출

권거래시장의 등록소는 두 시장 간 호환 가능해야 하는데 이는 다분

히 기술적인 요소로 시장 연계에 있어서 장애요인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연계된 배출권시장 간에 신뢰 구축을 위하여 감축목표

불이행에 따른 페널티와 의무이행 체계는 연계된 시장 간에 유사해야

할 것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comparability)이 보장되어야 하며 기준과 강도 그리고 등가비율 등에 한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3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

두 배출권 시장이 서로 연계되는 방식은 다양한데 크게 나누어 보면

직접 연계(direct link)와 간접 연계(indirect link)로 구분된다(Tuerk et

al 2009) 직접 연계는 두 배출권 시장 간 직접적인 배출권 거래가 가

능한 경우를 의미하며 간접 연계는 두 시장 간 직접적 거래가 가능하

지 않지만 제3의 시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된 경우를 뜻한다(Tuerk

et al 2009 Flachsland et al 2009) 다시 직middot간접 연계는 몇 가지 서로

다른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아래에서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가 직접 연계 완전 통합형

완전 통합형 직접 연계는 서로 다른 별개로 운영되던 배출권 시장이

하나의 배출권 시장으로 통합되는 유형을 말한다 이 경우 서로 다른

할당배출권이 하나로 통합되며 개별적으로 진행되던 배출권 할당 또한

전체 시장을 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선 감축목표의 설정 및

배출권 할당 상쇄제도 등 다양한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소들

에 해 두 시장간 완전한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감축목표

의 설정 등과 관련하여 완전한 합의를 이루기 위해선 국가 주권의 일

정 부분을 양도한다는 국내 정치적 도전과 정책적 자율성 손실에 따른

비용 부담이 불가피하다는 단점이 있다

완전 통합형 직접 연계는 현실에서 사례를 찾기 매우 힘들지만 표

24

적인 사례로는 EU-ETS와 노르웨이 ETS의 연계를 꼽을 수 있다

EU-ETS 제1기(2005~2007)만 하더라도 양 국가의 배출권 시장은 별도

의 시장으로 존재해왔다 그러나 EU-ETS 제2기(2008~2012) 이후부터

노르웨이 ETS 시장은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과 함께 EU-ETS 시장

으로 편입되어 EU ETS Directive 하에서 운영되는 시장으로 완전 통

합되었다(Royal Norwegi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08)

나 직접 연계 쌍방향 연계형

쌍방향 연계 방식의 직접 연계는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각자

배출상한 목표를 가지고 개별적으로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되 서로 간

의 할당배출권이나 상쇄배출권이 자유롭게 거래되고 상 편 시장의 배

출권을 자신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게 허용되는 연계 방식을 말한

다(Haites and Mullins 2001 Tuerk et al 2009) 두 개의 시장이 하

나의 시장으로 완전히 통합되는 방식에 비해서 각자 독자적인 배출권

시장을 유지middot운영하기 때문에 각 시장을 운영하는 주체의 정책적 자율

성이 일정 부분 보장된다 또한 시장 연계의 수준을 두 시장이 가진 고

유한 상황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다 경우에 따라 해당 시

장에서 의무 이행 시 활용 가능한 상 편 시장의 배출권 수량에 일정

한 제한을 가할 수도 있고 제한 없이 상 편 시장에서 구매한 배출권

을 자신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도 있어서 제도 운

영의 자유도가 완전 통합형에 비해서 높은 편이다18)

18) 만일 제한 없이 상 편 시장에서 구매한 배출권을 자신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경우 완전 통합형 직접 연계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쌍방향 연계형은 배출상한 목표(즉 배출권 할당량) 등 주요 설계요소를 결정함에 있어서 각 시장 운영주체가 독자적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완전 통합형과 차별성을 가진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5

현존하는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는 모두 쌍방향 직접 연계의 유형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와 퀘벡 간의 배출권 시장 연계와

최근 협정을 체결한 EU-ETS와 스위스 ETS 간의 연계가 표적인 쌍

방향 직접연계 방식을 취하고 있다 목표의 강도 할당방식 적용 상

상쇄제도 등 주요 배출권거래제 설계요소에서 나름의 독자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배출권 거래 및 의무이행에 있어서 상호 호환을 허용하고 있다

이들 사례에 해서는 후술하는 소절에서 자세하게 다루기로 한다

다 직접 연계 단방향 연계형

단방향 연계는 한 시장에서는 상 방의 할당배출권이나 상쇄배출권

을 구매하여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지만 다른 시장에서는 이를 허용

하지 않는 방식이다(Tuerk et al 2009) 통상적으로 시장 연계는 상호

간 순 편익이 늘어날 경우에 성사될 수 있으므로 단방향 연계 방식의

직접 연계는 현실에서 보기 어렵다 다만 쌍방향 연계에 합의했더라도

제도적middot기술적 요인들로 인해 일정 기간 유예가 필요한 경우 서로 간

의 합의하에 본격적인 쌍방향 연계 전의 중간 단계로서 단방향 연계가

일어나기도 한다

단방향 연계의 사례로 노르웨이 ETS는 EU-ETS 제1기에 EU-ETS

배출권을 의무이행에 허용하였던 반면 EU는 노르웨이 ETS 배출권을

받아들이지 않았다(Tuerk et al 2009)19) 또한 비록 성사되지는 않았

지만 호주와 EU-ETS 간의 배출권 시장 연계 시도에서도 단방향 연계

의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지난 2012년 호주와 EU는 양 국가의 배출

권거래제를 연계하기로 발표하면서 2018년 7월 이후에 본격적으로 쌍

19) 이후 EU-ETS 제2기부터 노르웨이 ETS는 EU-ETS에 편입되었다

26

방향 연계하되 2015년 7월부터 한시적으로 호주 기업들이 EU-ETS의

배출권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합의한 바 있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이상의 사례는 단방향 연계 방식이 주로 소규모 시장이 규모 시장

과 연계할 때 과도기적 조치로 사용되어 왔음을 보여준다 결국 단방

향 연계는 규모 시장과의 연계로 인해 소규모 시장 참여자들이 입을

지도 모를 시장 충격에 미리 비하고 본격적인 쌍방향 시장 연계에

앞서 두 시장의 제반 제도적middot기술적 여건을 조화시키기 위한 준비기가

필요할 경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유형이다

라 간접 연계

두 시장이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지 않더라도 제3의 시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될 수도 있다(Tuerk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이때 제3의 시장은 할당배출권이 거래되는 시장이 될 수도 있

고 탄소상쇄 배출권(carbon offsets credit)이 거래되는 시장이 될 수도

있다 이때 제3의 시장은 다른 두 시장과 쌍방향 혹은 단방향으로 직

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어야 한다 이 경우 특정 시장에서의 배출권 수

급 변화는 제3의 시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다른 시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Tuerk et al 2009)

간접 연계의 한 사례로서 쌍방향 연계 이전에는 스위스 ETS와

EU-ETS를 들 수 있다 두 시장은 비록 직접 연계되어 있지는 않았으

나 탄소상쇄로서 교토의정서 상의 크레딧(CDM JI 등)을 허용하고 있

었으며 동 크레딧 시스템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아직까지는 제3의 시장이 할당배출권 시장이 되는 방식의 간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7

접연계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향후 여러 국가 혹은 지역 단위

에서 배출권 시장이 도입되고 서로 간의 이해에 따라 국가 혹은 지역

단위 배출권 시장 간 연계가 늘어나게 된다면 제3의 시장이 할당배출

권 시장이 되는 방식의 간접 연계 유형도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논의한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그에 해당하는 실제 사

례를 정리하면 아래 lt표 -1gt과 같다

구분 유형 표 사례

직접 연계

완전통합형EU-ETS(Phase II~)와 노르웨이 ETS

간의 연계

쌍방형 연계형

EU-ETS와 스위스 ETS 간의 연계(lsquo17년 협정 체결)

캘리포니아와 퀘벡 간의 ETS 연계

단방향 연계형

EU-ETS(Phase I)와 노르웨이 ETS 간의 연계

(연계 추진)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20157월~20186월)

간접 연계

크레딧 시스템을 통한 연계

EU-ETS와 스위스 ETS (쌍방향 연계 이전)

제3의 할당배출권 시장을 통한 연계

해당 없음

자료 Ranson and Stavins(2015)를 참조하여 저자가 재구성

lt표 Ⅲ-1gt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대표 사례

28

2 배출권 시장 연계의 사례20)

가 스위스 배출권거래제와 EU-ETS의 연계

2010년 11월 EU 집행위원회는 EU-ETS와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에 한 협상 개시를 제안했고 이사회를 통해 협상에 한 위임을

받았다 EU와 스위스는 두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 기준과 방식에 해

합의하고 2017년 11월 협약서에 서명함으로서 두 시장의 연계 이행 작

업에 들어갔다 EU-ETS와 스위스 배출권시장과의 연계는 EU-ETS와

제3국의 배출권시장이 연계되는 최초의 공식적인 사례이다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제는 제1차 계획기간인 2008년부터 5년간은 자

발적 참여 단계로 시작하였다 2013~2020년까지인 제2차 계획기간

동안 EU-ETS와의 연계를 위해 2020년까지 감축목표를 EU와 동일한

수준인 1990년 비 20 감축으로 정하는 중요한 변화를 배출권 시

장에 도입하였다

1999년 스위스는 난방 산업공정 수송연료에 탄소 부담금을 부과하

고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했다 연간 25000tCO2e 이상의 이산

화탄소를 배출하는 기업들은 직접적으로 배출권거래제에 참여 가능하

도록 하였으며 참여 기업들은 상향식 접근방법을 기반으로 배출권을

무상할당 받았다 제1차 계획기간 동안 기업은 조림사업과 같은 카본

싱크 프로젝트를 통한 RMUs(Removal Units)를 사용 가능하도록 하

였다 스위스의 페널티 제도는 EU의 페널티 제도와 확연한 차이를 보

이는데 배출권거래제를 참여기업이 감축목표 수준을 준수하지 못했을

20) 본 절은 Carbon Market Watch(2015)의 pp8-13까지의 내용과 박수경 외(2018)의 pp479~ 482까지 내용을 참조하여 재구성한 것이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9

경우의 페널티는 배출권의 상한가격에 해당하는 탄소 부담금과 이자의

합이었다

스위스와 EU 간 배출권거래시장 연계 협상은 공식적으로 2011년 3

월 시작되었다 이에 스위스는 2013년 1월 1일을 시장 연계 시 잠재적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는 요소들을 수정하여 배출권거래제를 개정하였

다 수정된 배출권거래제의 획기적인 변화 중 가장 괄목한만한 점은

배출권거래제 자발적 단계에서 의무적 단계로의 전환된 부분이다 따

라서 제2차 계획기간(2013~2020년)에는 스위스의 온실가스 배출 집약

적 산업부문의 시설들은 배출권거래제에 의무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또한 스위스는 수정된 배출권거래제의 페널티 제도 및 무상할당 방식

그리고 국가 간 탄소 상쇄제도를 EU-ETS와 조화시키기 위해 노력하

였다 그러나 여전히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제는 몇몇 사소한 부분에서

EU-ETS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EU의 경우 배출권거래제

참여 기업이 연간 배출량을 측정하여 당국에 보고하고 독립적으로 검

증 받아야 한다 그러나 스위스는 배출권거래제 참여 업체들이 측정한

연간 배출량을 당국에 보고해야 하지만 EU와 다르게 이를 독립적으로

검증 받지는 않아도 된다 다만 스위스 당국은 사안에 따라 이들에

한 검증을 요청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또 다른 차이점은 EU는 배

출허용량을 집행위원회에서 설정하는 반면 스위스는 상향식(배출허용

총량의 합계) 방법으로 결정한다 두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에 있어서

항공부문의 배출권거래제 편입과 서로 다른 온실가스 감축목표 또한

여전히 논쟁되는 이슈이다 lt표 -2gt는 스위스와 EU의 배출권거래제

를 비교 정리한 것이다

30

lt표 Ⅲ-2gt 스위스와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국가 스위스 EU

목표의 엄격성2013년 배출 상한량부터 매년 174 감축

2008~2012년의 연간 평균 감축량의 174 감축

배출량 제한 2013년 56 MtCO2e 2013년 2084 MtCO2e

탄소상쇄 수량

2012~2020년 기간 간 할당된 배출권의 최 11에서 동 기간 사용된 상쇄 크레딧을 차감한 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가능신규 참여기업은 2013~2020년 간 배출량의 45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

2008~2020년 기간 간 할당된 배출권의 최 11의 에서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신규 참여기업은 2013~2020년 간 배출량의 45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

탄소상쇄 품질

최빈국들로부터의 청정개발체제(CDM) 크레딧은 사용 가능하며 기타 CDM 및 공동 이행제도(JI) 크레딧은 2013년 이전에 등록된 것에 한해서 사용 가능

최빈국들로부터의 청정개발체제(CDM) 크레딧은 사용 가능하며 기타 CDM 및 공동 이행제도(JI) 크레딧은 2013년 이전에 등록된 것에 한해서 사용 가능

가격 및 공급관리

시장의 과잉공급 정도에 따라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배출권 공급량 조정

배출권 할당

EU-ETS와 유사한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적용범위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CO2 및 기타 온실가스

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EU 역내 항공 CO2 및 N2O PFCs

준수기간 2013~2020 2013~2020

규제방식 하향식 방식 하향식 방식

이월 무제한 이월 가능 무제한 이월 가능

페널티 제도

1톤당 약 125 CHF (104 유로)의 벌금 부과 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 해에 공제

1톤당 100 Euro의 벌금 부과 사라진 배출권은 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 해에 공제

자료 Carbon Market Watch Report(2015)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1

나 퀘벡과 캘리포니아 배출권거래제의 연계

2014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퀘벡과 캘리포니아의 배출권시장 연계

는 현존하는 세계 최초의 탄소시장 연계 사례이다 두 시장의 연계로

각 주(州)는 두 시장에서 모두 배출권이나 상쇄분을 판매 혹은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이들 두 시장의 연계 이전 두 시장 사이에 다양한 차

이점이 존재하였으나 WCI21)는 캘리포니아와 퀘벡 배출권거래시장의

조화로운 연계를 도출하였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은 유사한 배출권 가

격과 공급관리 적용범위 이행 기간 이월과 패널티 등을 채택하였다

캘리포니아는 주 자체가 세계에서 가장 큰 경제시장 중 하나로 총

온실가스 배출량은 퀘벡의 6배에 달한다 2012년 캘리포니아는 459

MtCO2-eq의 온실가스를 배출한 반면 퀘벡은 78MtCO2-eq의 온실가스

를 배출하였다 양 주 모두 운송부문이 가장 큰 배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캘리포니아에서는 발전부문이 두 번째로 큰 배출 비중을 차지

하는 반면 퀘벡의 경우 수력발전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발전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미미하다 한편 캘리포니아는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수준으로 안정화시키는 목표를 가진 반면 퀘벡은

2020년까지 총 배출량의 20 감축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이들 감

축목표를 비교해보면 2005년 배출량을 기준으로 퀘벡의 감축목표는

22인데 비해 캘리포니아는 11로 퀘벡의 감축목표가 캘리포니아보

다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두 시장은 모두 상쇄분의 최 사용량을 해당 이행 기간의 총 감축

21) 서부 기후 이니셔티브(Western Climate Initiative WCI)는 이 시장에 참여하는 북미 륙 서부 주들이 2020년까지 총 배출량의 15를 줄이는데 지역적으로 협력하기 위해서 형성된 배출권거래시장 운영기구이다(httpsenwikipediaorgwikiWestern_Climate_Initiative 참조)

32

목표의 8로 제한하고 있고 국제 상쇄의 사용량 또한 제한하고 있다

는 공통점을 가진다 그러나 두 시장 간에는 캘리포니아는 산림의 탄

소 흡수에 의한 상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퀘벡은 산림부문의

상쇄를 인정하지 않는 등의 차이점이 존재한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배출권거래시장은 경매가격 하한제와 유연한

가격 상한제를 시행하는데 합의하였다 캘리포니아의 경매가격 하한은

USD 1134이며 퀘벡의 경매가격 하한은 CAD 1282이며 이들의 환

율은 가장 최근시점 정오의 구매 환율로 정해져있다 경매가격 하한선

은 매년 5 + 물가상승분만큼 상승한다 가격 상한제의 경우 WCI에

참여하는 주들에 의해 독립적으로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들은 2013~2014년에는 할당량의 1 2015~2017년에는 7 2018~

2020년에는 7를 비축할 수 있고 시장에서 배출권가격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상호 간의 합의를 통해 비축분의 판매를 통해

가격안정화를 꾀한다

캘리포니아와 퀘벡 모두 2013~2014년의 제1차 계획기간에는 배출권

의 부분이 무상할당 되었으나 2015~2020년에는 무상할당 되는 배

출권의 양을 줄이는 동시에 점차 경매방식으로 배출권을 할당하게 된다

캘리포니아는 생산수준 배출량 벤치마크 상한 조정요소 및 산업 보조

요소22) 등을 바탕으로 하여 산업시설의 무상할당 수준을 결정한다

퀘벡은 2015~2020년 산업별로 차이가 있는 배출집약도 목표에 기초해

산업별 배출권의 무상할당량을 결정한다 퀘벡에서는 2015년부터 무상

할당량이 매년 1~2 감소한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에서는 2013~2014년 까지는 각각 총 온실가스 배

22) 상한 조정요소는 배출권 상한을 보다 엄격하게 하기 위한 조정을 말하며 산업 보조요소는 특정 산업의 탄소누출 가능성에 따른 보조를 의미한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3

출량의 약 36와 약 29를 차지하는 에너지 및 산업부문의 배출량만

규제되었으나 2015년부터는 적용범위가 확 되어 연료부문도 포함되

어 총 배출량의 87와 77가 적용범위에 포함되게 되었다 배출권의

이월은 두 시장 모두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는 동시에 보유 제한을 설

정하여 미래에 사용할 수 있는 있는 배출권 양을 제한하고 있다

lt표 -3gt은 캘리포니아 및 퀘벡의 배출권거래제와 EU-ETS를 비교

정리한 표이다

lt표 Ⅲ-3gt 캘리포니아-퀘벡과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지역 캘리포니아-퀘벡 EU

목표의 엄격성

(캘) 2015년 이후 연간 평균 감축량의 31 감축

(퀘) 2015년 이후 연간 평균 감축량의 32 감축

2008~2012 동안 연간 평균 174 감축

배출량 제한

(캘) 3945 MtCO2e (2015) 3342 MtCO2e (2020)(퀘) 653 MtCO2e (2015) 5475 MtCO2e (2020)

2013년 2084 MtCO2e

탄소상쇄 수량 총 배출권 할당량의 8

2008~2020년 기간 간 할당된 배출권의 최 11의 에서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신규 참여기업은 2013~2020년 간 배출량의 45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

탄소상쇄 품질

(캘middot퀘) 국내 탄소 상쇄로 제한(캘) 산림 프로토콜을 포함한

다양한 프로토콜 사용가능 구매자 책임 원칙

최빈국들로부터의 청정개발체제(CDM) 크레딧은 사용 가능하며 기타 CDM 및 공동 이행제도(JI) 크레딧은 2013년 이전에 등록된 것에 한해서 사용 가능

가격 및 공급관리

2014년 경매가격 하한제로 1톤당 $1134t 연간 5+ 물가반영분 인상 전략적 비축을 통한 가격 상한

시장의 과잉공급 정도에 따라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배출권 공급량 조정

34

자료 Carbon Market Watch Report(2015)

다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추진 사례

호주 정부는 국제 기후 협상의 일환으로서 2020년까지 2000년 비

5 온실가스 감축을 약속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호주는 2012

년 7월부터 탄소가격제도(carbon pricing mechanism CPM)를 도입하

였으나 2014년 호주 정권의 교체로 동년 7월에 폐기되었다 이 제도

는 2012년부터 2015년까지는 탄소 가격을 고정가격으로 2015년 7월

부터는 유연가격으로 변경하여 시행하기로 계획되어 있었다 또한 호

주는 2012년 EU와의 탄소시장 연계를 발표하고 그 해 7월부터 잠정

적으로 호주 탄소시장에서 EU 배출권을 사용할 수 있는 한방향 연계

가 시행되었으며 쌍방향 연계는 2018년부터 시행하기로 계획하였다

호주 정부는 원래 탄소가격의 상한을 AUD20(약 13유로)로 설정하

고 매년 5 인상하기로 계획하고 있었으며 하한은 AUD15(10유로)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EU-ETS와의 연계를 위해 유연가격제를 시행하기

로 한 2015년부터는 가격 하한제의 도입 계획을 철회하기로 하였고

지역 캘리포니아-퀘벡 EU

배출권 할당산업 및 발전부문 무상할당 점차 줄어드는 추세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적용범위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난방과 수송연료 CO2 및 N2O PFCs

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EU 역내 항공 CO2 및 N2O PFCs

규제방식 상향식+하향식 방식 하향식 방식이월 무제한 이월 가능 보유제한 무제한 이월 가능

페널티 제도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해에 공제

1톤당 100 Euro의 벌금 부과 사라진 배출권은 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 해에 공제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5

양국의 시장 연계가 시행되는 2018년에는 가격 상한제마저 폐지하기

로 하였다 또한 두 시장의 연계를 위해 호주 정부는 EU의 규정과 부

합하지 않는 원자력 사업 산업용 가스의 분해 및 형 수력발전 사업

의 탄소상쇄를 제외시켰다 하지만 두 배출권시장의 연계를 위한 이러

한 정책의 변경은 호주 정부에 정치적 부담을 안겨 주었고 2014년 7

월 탄소 가격제가 폐지됨에 따라 두 배출권시장의 연계는 실패로 마감

되었다 그 밖에도 호주의 탄소가격제는 메탄가스를 규제하고 있는 반

면 EU-ETS는 메탄가스를 규제하고 있지 않다는 점과 두 시장의 연계

를 위해 호주 탄소가격제의 페널티가 기존 고정가격의 13배에서 당해

연도의 평균 경매가격의 2배로 증가함에 따른 정치적 부담도 시장연계

실패의 원인이었다고 볼 수 있다

3 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앞서 살펴보았듯이 캘리포니아 ETS와 퀘벡 ETS 그리고 스위스

ETS와 EU-ETS의 연계는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성공적으로 연

계한 표적인 사례이다 여기서는 위 두 사례로부터 배출권 시장 연

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던 요인과 시사점을 간략히 살펴보

기로 한다

가 상호 호혜성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성공적으로 연계되기 위해선 우선 연계

이후에 서로간의 이해관계가 크게 상충되지 않으면서 상호 호혜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앞의 두 사례에서 보면 퀘벡 및 스위스 배출권 시장

36

은 연계된 캘리포니아와 EU 배출권 시장과 비교해 시장 규모 측면에

서 훨씬 작은 편이다 따라서 이들 시장 운영자들은 자신들의 시장에

참여하는 규제 상 기업들이 풍부한 유동성을 가진 큰 규모의 시장에

한 접근성을 제고하고 통합된 시장에서 다른 기업들과 동등한 경쟁

조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었다23) 특히 스위스 ETS의 할당배출권 가격

은 EUA 가격에 비해 거의 5배나 높은 상황에서 시장 연계는 스위스

배출권 가격을 EUA 가격에 근접시키는 효과가 기 되므로 스위스 입

장에서는 시장을 연계시킬 유인이 컸다(IETA 2015 p54)

한편 캘리포니아는 자신의 배출권 시장 외연을 확 하고 배출원들

의 온실가스 감축 이행 비용 부담을 완화하려는 목적으로 연계를 선호

하였다 이와는 별개로 스위스에 비해 훨씬 큰 규모의 시장을 가진 EU

는 주로 경제적 요인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의해 연계를 선호하였다24)

이처럼 양자의 이해가 맞아떨어지면서 배출권 시장 연계 논의가 시

작되었고 결국 성공적인 시장 연계로 이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연계

하는 두 시장의 이해관계가 일치한다고 하더라도 최종적으로 연계 합

의에 이르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서로 다른 두 시장의 주요

23) 스위스의 연계 유인에 해서는 ldquoLinking of the Swiss and European emissions trading systems big step forwardrdquo(httpswwwbafuadminchbafuenhometopicsclimatenews- releasesmsg-id-67745html) 및 IETA(2015)를 참조하라 퀘벡의 연계 유인은 Gouvernement du Queacutebec(2018)「Quebec cap-and-trade system for greenhouse gas emission allowances (CampT) Historical Overview」(p7)을 참조하였다

24) 캘리포니아 ETS의 연계 유인은 ldquoCALIF FORGING AHEAD WITH EMISSIONS TRADING NEXT MONTH AIR CHIEF CONFIRMSrdquo(httpswwwexchangemonitor comcalif-forging-ahead-with-emissions-trading-next-month-air-chief-confirmsprintmode=1) 을 참조하라 EU와 스위스 시장은 워낙 규모에 차이가 나서 연계 시 스위스 시장이 사실상 EU 시장에 편입되어 EU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EU는 연계에 따른 경제적 편익에 한 고려보다는 기후변화 응을 위한 리더십을 확보하고 시장의 외연을 확장하는 첫 단추로서 스위스와의 시장 연계를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IETA 2015 p54)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7

설계요소의 차이가 야기하는 시장 연계 전후의 영향에 조율이 필수적

이다 다음은 위 두 사례로부터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인의 관

점에서 바라본 성공요인에 해 논의해 보기로 한다

나 핵심 설계요소의 유사성

앞의 두 사례 모두 시장들 간 배출권거래제도의 핵심 설계요소에 있

어서 상당한 유사성을 가지고 있어서 이들을 조율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첫째 캘리포니아-퀘벡 ETS 그리고 스위스-EU ETS는 감축목표의

엄격성 측면에서 서로 유사하여 감축목표를 둘러싼 이견이 적었다 일

견 캘리포니아는 2020년까지 1990년 배출량 수준으로 감축하는 목표

를 가지고 있었고 퀘벡은 2020년까지 1990년 배출량 비 20까지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목표를 세워 퀘벡이 다소 높은 강도의 감축목표

를 설정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lt표 -3gt에서 보듯이 2015년도 ETS 적용 상 배출량 기준으

로 보면 2020년까지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연 평균 감축률은 각각

31 32로 거의 동소이하다 스위스 ETS는 2013년 배출상한

비 2020년까지 매년 174씩 EU-ETS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의

연 평균 배출량에 비 2020년까지 매년 174씩 감축하는 목표를 가

지고 있었다 이처럼 비록 절 적 감축량이나 배출허용량의 크기에 있

어서 두 시장간 차이는 컸지만 상 적인 감축목표의 엄격성 측면에서

유사해서 ETS 운영주체 간 상호 신뢰성이나 참여 상 기업들의 수용

성이 높아 시장 연계를 추진하는데 훨씬 수월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두 사례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한 탄소상쇄제도를 가지고 있어

38

상쇄배출권의 유입에 의한 시장 교란이 작동할 여지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lt표 -2gt에서 알 수 있듯이 스위스와 EU는 상쇄배출권 허용

비율 및 사용가능 종류에 있어서 사실상 동일하기 때문에 상쇄제도의

차이로부터 비롯되는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캘리포니아와 퀘

벡 배출권거래제의 경우에는 상쇄배출권 허용수량은 동일하나 상쇄배

출권의 생성 및 사용에 있어서 약간 차이가 있다 가령 퀘벡의 경우 산

림상쇄를 허용하지 않으나 캘리포니아는 산림 흡수원에 의한 상쇄배출

권을 허용한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두 제도

모두 부분의 해외 상쇄사업을 허용하지 않고 있고 전체 수량에서 차

이가 나지 않아 시장 연계 시 상쇄 프로토콜의 차이로 인한 시장 교란

보다 연계의 이득이 훨씬 크므로 그러한 사소한 차이가 시장 연계의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았다25)

셋째 배출권의 할당방식에 있어서도 두 사례의 국가들은 유사한 체

계를 갖추고 있었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경우 배출권 할당방식의 기

술적인 부분에서 일부 차이가 존재하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산업부문에

해선 무상할당 발전부문에 해선 유상할당을 적용하고 무상할당

의 비중을 점진적으로 줄여가는 방향성에 해서 체로 일치하였다

(ICAP 2019a ICAP 2019b) 마찬가지로 스위스와 EU도 거의 유사한

할당방식을 가지고 있었다 두 연계 사례 모두 유middot무상할당 방식을 혼

용하되 유middot무상이 적용되는 부문에 해서는 동일하였기 때문에 사소

한 할당방식의 차이는 연계 시 쟁점으로 부각되지 않았다

넷째 배출권 가격 및 공급량 관리 제도와 관련해서도 연계된 사례

25) 퀘벡은 해외 상쇄를 허용하지 않으나 캘리포니아의 경우 브라질 등 일부 국제 산림 상쇄크레딧을 허용한다 그러나 그 양은 매우 미미해서 시장에 미치는 영향 또한 극히 제한적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9

의 국가들은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은 동일

한 배출권 가격 및 공급량 관리 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스위스와 EU

의 경우 EU의 배출권 비축제도가 유일한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러나 IETA(2015)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스위스 ETS의 할당배출권 가

격이 EUA 가격에 비해 상당히 높았기 때문에 EU의 배출권 비축제도

도입 자체가 시장 연계에 장애요인이 되지 못하였다

그 외 이월과 차입 MRV 체계 등 시장 연계 시 고려될 주요 설계요

소들에 있어서 두 성공사례의 국가들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처럼 앞서 언급한 배출권 시장 연계 시 고려되어야 할 주요 설계요

소에 있어서 연계하는 시장들은 상당히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고

이것이 시장 연계의 논의와 조율이 매끄럽게 전개될 수 있도록 한 원

동력이 되었다고 판단된다

다 정책적 의지

배출권 시장의 연계가 상호간 이해에 부합하고 앞서 논의한 제도의

설계요소 관점에서 본 기술적middot경제적 쟁점들이 상당 부분 해소된다고

하더라도 정책적 의지가 수반되지 않는다면 시장 연계의 논의는 진전

되기 어렵다 그러한 측면에서 제도 설계요소의 상호 호환성 이슈는

성공적인 시장 연계의 필요조건은 될 수 있을지언정 충분조건은 될 수

없다(IETA 2015) 2010년부터 시작된 스위스와 EU-ETS 연계가 7여

년에 걸친 논의 끝에 성공적으로 매듭지을 수 있었던 것도 스위스 정

책 당국의 의지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스위스

-EU ETS 연계 논의과정에서 항공부문의 포함여부가 중요한 쟁점 중

하나였고 이민쿼터의 도입 등을 둘러싼 EU와의 정치적 이슈와 결부되

40

면서 자칫 좌초될 뻔했던 양 시장의 연계가 끝내 성사될 수 있었던 것

도 정책 당국의 강력한 의지가 있었기 때문이다(IETA 2015) 퀘벡 정

부에서 발간한 보고서에서도 일부 서로 다른 규제 틀을 가지고 있던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연계가 성사될 수 있었던 이유로 상호 신뢰와 개

방적 소통을 통해 두 주 정부가 긴 한 협업을 해나간 것이 주효했다

고 적시하고 있다(Gouvernement du Queacutebec 2018)

반 로 호주 석탄 사업자들의 메탄 배출량 포함 여부를 둘러싼 이

슈 농업 및 토지이용 관련 상쇄제도의 허용 여부 등 다양한 이슈에도

불구하고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논의가 끝내 좌초되었던 것도 정

권 교체 이후 새롭게 들어선 정부 당국이 시장 연계에 회의적이었기

때문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권 시장 연계의 제반 조건이 충족되

었을 때 이를 최종적으로 매듭짓는 요소는 결국 정책적 의지이며 충

분한 시간을 가지며 상호 신뢰와 개방적 소통 하에서 협력해나가는 노

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1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 동향과 전망

서로 다른 배출권거래시장 간의 상호 연계는 한 국가 혹은 한 지역

내에서 작동하던 탄소시장의 외연을 확 하는 것으로서 국지적 탄소시

장의 글로벌화와 맥이 닿아있다 배출권 시장 연계는 본질적으로 당사

국 간의 자율성에 기반을 하고 있기는 하나 국제 탄소시장을 규율하

는 원칙과 규정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다 파리협정에서는

감축의 비용효과성을 증진시켜 당사국들이 보다 상향된 감축목표를 제

시하도록 하기 위해 시장 메커니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와 관련

해서 현재 파리협정 이후의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가 한창 진

행 중이다 이에 본 장에서는 파리협정하의 탄소시장 논의 동향과 배

출권 시장의 연계와 관련한 시사점에 해 살펴보기로 한다

1 파리협정 이후의 탄소시장 논의 동향

가 주요 내용

파리협정에서 시장 메커니즘은 파리협정문 제6조에 규정되어 있다

파리협정에는 시장(market)이라는 용어가 명시되어 있지는 않은데 이

는 시장 메커니즘의 설립을 반 하는 일부 당사국들이 lsquo시장rsquo이라는

용어가 파리협정 내에 포함되는 것에 반 하였기 때문이다(산업통상자

원부 2016b)

사실 파리협정하의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사항들은 파리협정 체결

이전부터 논의해왔던 Post-2012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의 결과물

42

이다 기존의 Post-2012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 내용들이 파리협

정을 통해 반영되면서 협력적 접근법(Cooperative Approach) 지속가능

발전 메커니즘(Sustainable Development Mechanism SDM) 비시장 접근

법(non-Market Approach)의 3가지 개념이 제6조에 포함되었다

제6조는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 하위 개념을 포괄하는

원칙인 제61조와 협력적 접근법에 관한 내용인 제62 63조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의 내용을 담고 있는 제64 67조 비시장 접근법에

관한 제68 69조로 구성되어 있다

제61조에는 시장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목적과 기본원칙이 포함되어 있

다 시장 메커니즘은 온실가스 감축비용 부담을 완화시켜 당사국들의

국가온실가스감축기여분(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NDC)

의 상향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NDC의 상향에 기여함

은 제6조의 활용을 포함하여 더 높은 목표의 설정을 고려해야 함을 의

미한다 이때 시장 메커니즘의 활용은 지속가능한 발전과 환경적 건전

성이 증진되도록 한다는 원칙 하에서 이행되어야 한다 지속가능한 발전

과 환경적 건전성은 이중계산(double counting)의 방지와 함께 시장 메

커니즘 활용의 3가지 주요 원칙에 해당한다26)

협력적 접근법(제62 63)은 당사국들 간의 자발적 협력을 통해 감

축실적(mitigation outcome)이 발생하여 국제적으로 이전된 경우

(Internationally Transferred Mitigation Outcome ITMO)에는 NDC의

이행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ITMO의 활용은

참여 당사국들의 자발적 승인을 통해 이루어진다 파리협정 결정문

(Decision1CP21)에 따르면 이중계산 방지를 포함하여 협력적 접근법

의 이행에 필요한 지침을 개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26) 하지만 각 용어의 정의에 해서는 명시적으로 합의된 바 없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3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제64 67)은 파리협정 당사국총회(CMA)가

지정한 기구에서 감독하며 지속가능발전의 촉진 전 지구적인 온실가

스 감축에의 기여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결정문에는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의 운영에 필요한 규정(Rules) 방법(Modalities) 절차

(Procedures) 등에 관한 지침의 개발을 명시하고 있다

비시장 접근법(68 69)은 지속가능발전을 위해서 비시장 접근법의

프레임워크 설립을 명시하고 있으며 결정문에는 작업 프로그램의 개

최를 통해서 감축 적응 기술이전 재원 능력 배양 등 주요 요소들 간

의 시너지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논의하도록 하고 있다

lt표 Ⅳ-1gt 파리협정 제6조 주요 내용

구 분 주요 내용

61

당사국은 일부 당사국의 자국의 감축과 적응 행동에 있어서 더 야심찬 노력

을 설명하고 지속가능한 개발과 환경적 건전성을 증진하기 위해 국가별 기

여방안 이행에 자발적인 협력을 추구할 것을 인지한다

62

당사국이 국가별 기여방안에 국제적으로 거래되는 감축 성과를 이용한

협력적 접근법에 자유의사에 따라 참여한다면 거버넌스 내에서 지속가능

한 개발을 증진하고 환경 보전과 투명성을 보장하며 파리협정의 당사자회

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총회에서 채택된 지침에 따라 견고한 회계방식

을 준영하여 이중계산을 피하도록 해야 한다

63본 협정 하에서 국가별 기여방안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제적으로 거래되는

감축성과의 이용은 참여당사국에 의해 자발적으로 승인받는다

64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지지하는 메커니즘은 당

사국의 자유의사에 따라 이용하도록 파리협정의 당사국 회의의 역할을 수

행하는 당사국 총회 권한과 지침 하에 세워진다 파리협정의 당사자 회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가 지정한 기관에 의해 감독되며 다음을 목표

로 한다

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조성하면서 온실가스 감축을 증진할 것

나 당사국의 권한으로 공공과 민간 부문이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하도록

장려하고 촉진할 것

44

나 후속협상 주요 경과

COP21 결정문(Decision1CP21)에 따라서 2016년부터 과학기술자

문부속기구(SBSTA)에서 파리협정 제6조와 관련한 지침의 개발을 위

한 협상이 진행되었다 본 소절과 뒤따르는 소절에서는 산업통상자원

구 분 주요 내용

다 유치국의 배출 수준의 감축에 기여하며 국가별 기여방안을 성취하기

위해 타 당사국이 이용할 수 있는 감축 활동으로부터 편익을 얻을 것

라 세계 배출량의 전반적 감축에 기여할 것

65

상기 4항에 명시된 메커니즘을 통한 감축방안이 또다른 당사국의 국가

별 기여방안의 달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이용되었다면 그 유치국의 국가별

기여방안의 달성을 증명함에 있어서 그 방안을 이용할 수 없다

66

파리협정의 당사자 회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는 상기 4항에

명시된 체제 하에서 이루어진 활동 수익의 몫은 적응 비용을 충당하기 위하

여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에 특히 취약한 개발도상국인 당사국을 지원하

고 행정비용을 마련하는데 사용됨을 보장한다

67파리협정의 당사자회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 제1차 회기에서

제4항에 명시된 체제에 한 규칙 방식 절차를 채택한다

68

당사국은 조직적이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감축 적응 재정 기술이전 역량강화를 포함하여 지속가능한 개발 및 빈곤 근절의 맥락에서 자국의 국가

별 기여방안을 이행하는데 이용 가능하고 통합적이고 전체적이며 균형적인

비시장 접근의 중요성을 인지한다 이 접근 방식은 다음을 목표로 한다

가 감축과 적응 노력을 증진

나 국가별 기여방안 이행에 해 공공 및 민간 부문의 참여 강화

다 제도 및 관련된 제도적 장치를 통한 조정의 기회를 활성화

69지속가능한 발전에 한 비시장 접근의 틀은 본 조 제8항에 명시된 비시

장 접근을 증진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자료 UNFCCC(2015) 및 수원의제21실천협의회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2016) 산업통상자원부(2016a)에서 재인용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5

부(2016b) DEHSt(2016) 및 Bodansky et al(2016)의 주요 내용을 바

탕으로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국제 협상의 논의 경과와 부각된 주요

쟁점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1) 협력적 접근법

2016년에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회의(SBSTA 제44차 및 제

45차 회의)는 주로 파리협정 내 포함되어 있는 협력적 접근법(제62

63)의 문안 내용에 한 해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파리협정

문안에 해 당사국들 간에 상호 상이한 해석의 가능성을 줄여서 공통

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한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4차 회의에서는 주로 협력적 접근법 관련

지침의 범위(scope) 협력적 접근법과 NDC와의 관계 ITMO의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었다

지침에 포함될 범위와 관련하여 파리협정의 협력적 접근법에서 규정

하고 있는 의무사항들 - 견고한 회계방식 지속가능한 발전의 증진 환경

건전성과 투명성의 보장 - 을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에는 공통적인 견해를

보였다 NDC와의 관계에서 협력적 접근법의 사용은 견고한 회계방식

(robust accounting)의 원칙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과 흡수량에 한 상

응하는 조정(corresponding adjustment)을 통한 이중계산 방지가 필요하

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다만 당사국들이 제출한 NDC가 단일연도

목표 다년도 목표 정책과 감축행동 중심의 목표 등 다양한 형태가 존

재하므로 협력적 접근법에 의한 감축실적을 NDC에 어떻게 가감할 것

인가가 중요한 쟁점이 될 수 있다(DEHSt 2016) 그에 따라 단일연도

목표의 경우 목표 설정 당해 연도의 NDC만 충족하면 되기 때문에 다

46

년도 목표를 제시한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달성여부를 점검하는 것

은 타당하지 않으므로 상응하는 조정이 반영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

기되었다 아울러 ITMO의 개념에 해서도 배출권의 형태인지 단순 감

축실적의 결과(산출물)인지에 해 개념 정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

기되었다27)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5차 회의에서는 2018년 말(SBSTA 제49

차 회의)까지 후속협상을 종결시킨다는 목표 하에 후속협상을 위한 작

업계획을 공유하고 당사국들이 제출한 국가제안서(submission)에 기초

하여 공통의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협력적 접근법의 인센티브

와 관련하여 EU는 양자와 다자 형태로 운영하면서 민간부문을 포함한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도

서국가연합(AOSIS)은 경제 전반에 한 NDC 목표 상향을 위해 추가

적인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파리협정의 타 조항과의 관

계에서 부분의 당사국들은 감축(파리협정 제4조)과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이 시장 메커니즘과 연관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투명성 하에서

시장 메커니즘 활동에 한 보고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는 점에 공통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EU는 협력적 접근법과 감축(파리

협정 제4조)은 NDC의 이행 관점에서 ITMO의 산정과 연계되어 있는

이슈이며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과는 감축분의 이전 획득 NDC 사

용 등과 관련된 보고와 상호 연계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환경

적 건전성과 관련하여 환경건전성그룹(EIG)에서는 감축산출물의 품질

27) 배출권과 감축실적은 이전 가능하다는 점에선 유사하지만 엄 하게 말해 서로 다른 개념이다 배출권은 정해진 배출허용량에 상응하여 배분된 후 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되는 배출허가권인데 반해 ITMO는 특정한 감축활동의 결과로서 주어지는 인증된 감축실적이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DEHSt(2016 p12)를 참조하라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7

보장을 위해 ITMO에 영속성과 추가성의 개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개진한데 반해 EU는 상응하는 조정을 통해서 환경적 건전성이 보장

될 수 있다는 다소 완화된 입장을 피력하였다

2017년에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회의(SBSTA 제46차 및 제

47차 회의)는 당사국들 간의 이해증진을 바탕으로 지침의 주요 요소들

에 한 도출을 위한 세부 협상을 진행하였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6차 회의에서 공동의장은 지침의 기본 목

차와 주요 요소에 관한 문서를 제시하였고 당사국들은 라운드 테이블

회의와 비공식 회의 등을 통해서 누락된 요소에 한 의견들을 제시하

였다 이러한 논의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공식 정보노트(informal

information note)가 도출되었다

이어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7차 회의에서는 공동의장이

배포한 비공식 노트에 해 당사국들이 의견을 개진하는 방식으로 진

행되었다 여기에는 지침의 목차와 하위 소목차 옵션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비공식 노트에 해 선진국들은 판매국과 구매국이 구분되어

있는 지침 목차에 불만을 제기하며 이를 통합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

하였고 개도국들은 지침에 수익금의 배분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당사국들은 차기 회의 이전에 과학기술자문부속기

구 의장이 비공식 문서(informal document)를 작성하여 회람하기로 합

의하였다 의장명의의 비공식 문서는 2018년 3월에 회람되었는데 비

공식 노트를 기반으로 중복요소의 간소화와 옵션과 잠재 요소 목록이

제시된 수준이었다

2018년에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1차 및 제48-2차 회의

(SBSTA 제48-1 SBSTA 제48-2)는 동 문서에 기초하여 협상이 진행

48

되었고 협상문서 초안이 도출되었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1차 회의에서는 의장명의의 비공식 문

서에 한 당사국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공동의

장 명의로 수정된 비공식 노트(Revised Informal Note)가 채택되었다

수정된 비공식 노트는 기존 비공식 문서에서 개념을 보다 명확히 하고

일부 잘못 표현되거나 누락된 내용들을 반영하는 형태로 합의되었다

다음으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2차에서는 2018년 말까지 설

정한 후속협상 작업계획의 일정을 수정하여 2019년 말까지 작업 기간

을 연장하고 수정된 비공식 노트에 기반하여 당사국들의 의견을 청취

하였다 이를 통해 2018년 말까지 합의가 필요한 사항을 부속문서 1

2019년 말까지 합의가 필요한 사항을 부속문서 2로 구분하여 각각 시기

별로 합의될 내용을 구분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협상문서 초안(Drafting Negotiation Text)을 도출하였다

2)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4차 회의에서는 교토 메커니즘과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 간의 차이점과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적용 범위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양 메커니즘 간 비교에서는 주로 메커니즘 자체

에 한 시각 차이보다는 교토의정서와 파리협정 간의 차이점에 해

당사국들 간에 상이한 입장 차이가 드러났다 일부 당사국은 청정개발

체제와 공동이행제도를 중심으로 사용되었던 방법 절차 등의 지침이

파리협정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고 지적한 반면 선진국을 중심으로 파

리협정은 사업 수행국의 역할과 책임이 교토의정서보다 강화되었기 때

문에 교토 메커니즘과는 근원적인 차이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적용 범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9

위와 관련해서 교토 메커니즘이 프로젝트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반해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은 프로젝트나 프로그램의 범위를 넘어

더 폭 넓게 적용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5차 회의에서는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운영체계 추가성의 개념 전 지구적인 전반적 감축의 이행방식 현존

메커니즘의 경험과 교훈 등에 해 논의하였다 일본은 교토의정서와는

달리 파리협정에서 모든 당사국이 NDC 목표가 존재하므로 NDC 이행

에 관해서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결과물도 협력적 접근법에서 개발

된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반면 중국은 운영체계와 관련

하여 청정개발체제의 운영방식보다 유연하게 설계될 필요가 있다고 주

장하였다 추가성 개념과 관련하여 EU는 방법론의 경우 새로운 국제

적인 표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으며 미국은 교토메커니즘에

이미 추가성 개념이 존재하므로 이를 기반으로 논의하는 것이 효율적

이라고 강조하였다 반면 브라질은 추가성과 전 지구적 전반적 감축은

연관성을 갖고 있으며 교토 메커니즘의 운영체계를 기반으로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의 운영체계를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듬해 열린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6차 회의에서는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과 청정개발체제의 관계에 해 논의가 이어졌다 주로 개

도국들은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을 청정개발체제의 연장선에서 접근

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선진국들은 새로운 접근과 설계가 필요하다

며 양 진영 간에 립이 형성되었다

속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7차 회의에서는 앞선 회의에서 제

기된 청정개발체제와의 관계에 관한 사항이 계속 쟁점화되었다 브라

질은 청정개발체제에서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으로 전환의 필요성과

50

당위성에 해 강하게 주장하였고 이중계산의 허용 필요성까지 제기

하였다 반면 일본은 2020년 이전에 기 발행된 배출권의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으로의 전환과 관련한 이슈를 제기하여 메커니즘 전환과

관련된 이슈가 배출권의 전환으로 확장되는 계기가 되었다 한편 도서

국가연합(AOSIS)는 전 지구적 전반적 감축의 이행 방안으로 기 발행

된 배출권의 일정 비율을 취소하자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협력

적 접근법과 동일하게 차기 회의 전까지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의장

명의로 비공식 문서를 발행하여 회람하기로 합의하였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1차 회의에서는 2018년 3월에 회람된

비공식 문서에 해 당사국들의 의견을 청취한 후에 공동의장 명의의

수정된 비공식 노트(Revised Informal Note)가 채택되었다 이후 과학

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2차 회의에서는 협력적 접근법 논의와 동일하

게 2018년 말까지 설정한 후속협상 작업계획의 일정을 수정하여 2019

년 말까지로 기간을 연장하고 수정된 비공식 노트에 기반하여 당사국

들의 의견을 청취하였다 또한 교토 메커니즘의 전환에 관한 이슈사항

은 처음에는 부속문서 3으로 별도 분리해 놓았으나 개도국들의 주장

에 따라 2018년 말까지 결정할 사항들을 포함하는 부속문서 1에 수록

하였다

다 주요 쟁점 사항

1) 협력적 접근법

시장 메커니즘과 관련된 지침의 내용에 한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지침의 서문과 원칙에 관한 사항이다 선 개도국 간에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1

발생하고 있는 쟁점을 중심으로 원칙 부분을 별도로 구분함으로써

선 개도국 간의 차별화 요소를 반영하려는 개도국과 이에 반 하여

서문과 원칙을 하나로 통합하여 서문에 포함하자고 주장하는 선진국

입장으로 별된다

두 번째는 거버넌스에 관한 사항이다 협력적 접근법이 기본적으로

당사국 간의 자발적 협력을 통해 감축산출물을 발생시키고 국제적 이

전을 통해 NDC에 활용하자는 개념이므로 과연 국제적인 거버넌스 설

립이 필요한가가 그리고 필요하다면 어떤 수준에서 운영되어야 하는가

가 쟁점이 되고 있다 일부 당사국들은 비록 당사국 간의 자발적 협력

에 의한 감축활동이지만 협력적 접근법에 의한 전 지구적 활동들을 관

할하는 별도의 기구 설립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반면 일부 당사국

들은 협력적 접근법만을 관할하는 별도의 기구를 만들기보다는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의 감독기구에서 협력적 접근법에서 필요한 기능을 통

합해서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28)

28) DEHSt(2016)에 따르면 협력적 접근법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는 (1) 완전히 분권화된 형태로 운영하고 결과만 보고하는 방식 (2) 관련된 모든 운영사항을 규정에 담아 UNFCCC 같은 중앙집권적 기구를 통해 관리하는 방식 (3) 견고한 회계방식 투명성 보장 등을 위해 공통의 레지스트리를 중앙집권적 감독기구에서 운영하되 최소한의 기준만 충족되면 당사국의 자율에 맡기는 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의 논의는 (2)안 또는 (3)안으로 하되 협력적 접근법만을 위한 별도의 중앙집권적 감독기구를 설립할지 아니면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을 관할하는 감독기구에서 협력적 접근법 관련 사항까지 관할하도록 할지에 해 의견을 조율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한편 Bodansky et al(2016)의 주장에 빗 어 해석하면 (2)안은 통일적 접근법(uniform approach)에 가까운 방식이다 (2)안은 거래비용과 정책 불확실성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는 반면 당사국들의 개별적 상황을 반영하는 유연성이 떨어지며 합의에 이르는데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조화적 접근법(harmonized approach)은 당사국들의 개별적 상황을 포괄할 수 있는 보다 일반적인 기준만 제정하여 이를 준수하기만 하면 되도록 하는 방식을 말한다 사실 DEHSt(2016)에서 제시하고 있는 (3)안은 통일적 접근법과 조화적 접근법이 혼합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Bodansky et al(2016)가 지적한 바와 같이 ITMO의 발생과 이전을 추적하고 NDC 활용 여부를 확인하는 규칙과 시스템은 중앙집권적 기구에서 통일적으로 관리하되 MRV 기준이나

52

세 번째는 시장 참여의 조건에 관한 사항이다 당사국들 간에 자발

적 협력이라는 원칙하에 NDC의 유형이 영향을 줄 수 있는가가 쟁점

이다 DEHSt(2016)에서 보여주듯이 온실가스 배출량 상한이나 감축량

같이 tCO2eq로 측정가능한 NDC 형태가 많긴 하지만 감축정책이나 감

축 관련 활동 자체를 NDC로 제출한 국가들도 존재하기 때문에 그러

한 국가들의 시장 참여 여부가 쟁점이 될 수 있다 아랍그룹 LMDC

등은 NDC 유형에 관계없는 참여 보장을 요구하는데 반해 선진국들은

시장 참여를 위한 조건으로서 NDC 계량화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네 번째는 상응하는 조정의 적용 상에 관한 사항이다 주로 언급되

고 있는 상에는 NDC에 포함되지 않은 외부(outside)감축활동에서

발생한 감축사업 Pre-2020에서 전환된 교토 메커니즘 하의 배출권에

해 상응하는 조정을 적용할 필요성이 있는가가 주요 쟁점이 되고 있

으며 당사국 별로 입장이 제각각인 특징이 있다

다섯 번째는 단일연도 NDC에 한 상응하는 조정의 적용방식이다

단일년도 NDC에 한 상응하는 조정 여부에 자체에 해선 큰 이견

이 없으나 상응하는 조정을 어떻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해선 당

사국별로 입장이 엇갈린다 단일년도 NDC의 특성이 중간연도에 해

서는 별도의 목표를 수립하고 있지 않은 방식인데 목표연도 이전에

감축하여 보유하고 있는 감축실적은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그리고

마지막 년도에 관한 NDC 달성 여부를 증명하는 과정에서 상응하는

조정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등이 쟁점사항이 되고 있다29)

ITMO의 부여 등은 최저 기준만 충족하도록 하는 조화적 접근법을 혼용하는 방식에 가깝다

29) 동 이슈는 감축(파리협정 제4조)의 lsquoNDC 산정rsquo과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의 lsquo연계된 산정rsquo과 관련되어 있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3

이 외에도 ITMO를 발생 이전 획득한 경우에 중간년도에 해서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체계 하에서 어떤 정보를 보고해야 하는지에

한 이슈 또한 존재한다

2)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협력적 접근법과 달리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은 감독기구를 중심으로

중앙집권적 방식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상 적으로 이슈가 적다

첫 번째는 감독기구의 운영구조에 관한 사항이다 이 논의에는 기존

운영구조인 청정개발체제의 집행위원회와 운영구조 상에서 어떤 차이

를 둘 것인가에 관한 논의로 귀결된다 특히 위원회의 구성과 관련하

여 청정개발체제와 같이 선진국과 개도국을 구분해 위원회를 구성할

것인지 여부가 쟁점이 되고 있다

두 번째는 전 지구적인 전반적 감축에 관한 사항이다 전 지구적인

전반적 감축을 이행하는 방안으로 발행시점에서 조치를 취할지(판매국

중심) NDC 이행시점에서 조치를 취할지(구매국 중심) 등이 쟁점이

되고 있다

세 번째는 교토 메커니즘의 전환에 관한 사항이다 주로 2020년 이

후에 교토의정서 상의 교토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을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하에서의 실적으로 인정할지 여부 인정하더라도 특정한 전

환조건을 설정할 것인지 여부 Pre-2020에서 발행된 배출권의 전환을 인

정할지 여부 교토 메커니즘 상에서 승인된 방법론을 계속해서 사용할

지 여부 등이 이에 해당한다

54

2 Post-2020 탄소시장 전망과 시사점

파리협정 후속 협상을 통해 협상문서 초안이 도출됨에 따라서 향후

적용될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지침의 전체적인 구조를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쟁점 사항으로 제기된 몇 가지 사안들은 기술적인 이슈

보다는 정치적인 이슈의 성격이 많아서 후속 협상 과정에서 실무자들

간의 논의보다 고위급 논의 과정에서 정치적 타결이 될 개연성이 더

높다

교토 메커니즘과 비교하여 파리협정에 따른 시장은 모든 당사국이

감축목표를 보유한 상태에서 시장을 형성한다는 제약조건이 존재한다

이는 이중계산 방지의 중요성과 함께 상응하는 조정의 문제가 필연적

으로 부가된다 과거 개도국 입장에서는 청정개발체제 사업을 자국 내

에서 시행하더라도 감축목표가 없는 상태였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적인

부담이 존재하지 않았다 반면 파리협정에서는 이중계산 방지를 위해

자국 내 실제 배출량에서 국외로 순 이전된 ITMO의 양만큼을 가산하

여 배출량을 산정한 후에 NDC의 목표 배출량과 비교하여 이행 여부

를 점검받는다는 부담이 존재한다30) 여기에 전 지구적 전반적 감축의

개념을 적용한다면 실제로 NDC에 ITMO를 사용하는데 제약 조건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국가 감축목표 이행적 측면에서도 후속협상의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단일년도 NDC에 관한 상응하는 조정의 적용 시

기와 방법에 따라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의 증빙 과정

30) 만일 NDC가 목표 감축량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ITMO의 순 국외 이전량 만큼 실제 감축량에서 차감한 후에 NDC에서 정한 목표 감축량과 비교하여 이행 여부를 점검하게 된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5

에서 해외 감축분의 필요량이 결정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이슈가 될

전망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본다면 파리협정에 따른 국제 탄소시장

은 교토 메커니즘 하의 시장보다 상 적으로 규모가 작아질 것으로 예

상된다

한편 국내 배출권거래제에서는 2018년부터 외부사업에 해 해외

온실가스 감축분을 인정하고 있다 청정개발체제에 따른 사업들을 상

쇄배출권으로 인정하고 있는데 2020년 이후 교토 메커니즘의 전환 여

부가 아직 확정되지 않아서 사업 활성화 측면에서 불확실성을 내포하

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국내 배출권 시장에서 교토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의 활용 여부는 전환 여부에 한 국제 협상 결과에 따라 결

정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반면 협력적 접근법이나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등 파리협정에 따

른 시장 메커니즘은 국내 배출권거래제도 상의 운영 목적에 비추어 볼

때 국내 배출권거래제도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 국내 배출권거래제의

도입목적(제2조)이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비용효과적인 이행이고

이들 시장 메커니즘 또한 당사국들의 NDC 이행과 명시적으로 연계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은 국내 배

출권거래제도에서 인정되는 해외 온실가스 감축분으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

다만 한 가지 유의할 점은 파리협정의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

적분이 국내 배출권과 직접적으로 연계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분은 국가 차원의 목표 이행에서 의미를 가

지는데 반해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권은 비록 국가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이긴 하나 개별 사업자 차원의 목표 이행과 관련이

56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분을 민간에서 획

득한 경우 이를 우리나라 정부에서 발급하는 배출권과 교환을 통해 간

접적으로 배출권 시장에서 활용할 수 있다31) 이때 다른 당사국이 자

국의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고 있고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에 따

른 실적을 상쇄로 인정하는 경우라면 결국 국내 배출권 시장과 해당

국가 배출권 시장은 협력적 접근법 또는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체

계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된다

협력적 접근법의 경우 양자 또는 다자간 협력 체계를 필요로 하므로

정부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밖에 없지만 지속가능발전 메커

니즘은 민간 중심의 시장이 될 개연성이 높다 다만 제도의 시행에 있

어 감독기구의 설립 이후에도 제도 운영을 위해 필요한 추가적인 세부

지침의 개발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 사업으로 진행되기까지는 상

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협력적 접근법의 경우 양자 방식으로 운영한다면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보다 다소 이른 시기에 사업이 진행될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양자 협력의 체결 국가 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운영을 위한 행

31) 현재 교토 메커니즘의 청정개발체제에 의한 감축량도 외부감축인증실적(Korean Offset Credit KOC)을 상쇄배출권으로 전환해야 배출권 시장에서 사용가능하다 다만 외부사업 감축량으로 인증받은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은 중복 사용 방지를 위해 소각된다 이에 반해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해외외부사업감축인증실적은 우리나라의 NDC 이행 여부 점검 시 필요하다 따라서 만일 민간에서 이를 획득하여 국내 배출권 시장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부에서 발급하는 상쇄배출권(Korean Credit Unit KCU)과 교환하도록 하고 이를 별도의 레지스트리에 등록middot보관해 두어야 할 것이다 정부가 직접 추진한 협력 사업의 감축실적을 시장안정화 조치 등의 이유로 국내 배출권 시장에 유입시킬 경우도 동일한 논리가 적용될 것이다 다만 배출권 시장에 유입된 만큼 배출권거래제 적용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7

정적 시간적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협력적 접근법의 경우에는

체결 국가 수를 무작정 늘리는 방식보다는 전략적으로 필요한 국가와

선별적으로 체결하는 방식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필요한 국가의 선

정 기준에는 기후변화 측면도 있지만 사회 정치적인 사안들의 고려도

필요할 수 있으므로 현 단계에서 필요한 사안이 무엇이고 이를 위해선

누구와 협력할 것인가에 한 사회적 합의를 우선적으로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59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본 장에서는 앞서 검토한 배출권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연계 사례에서의 시사점 그리고 국제 탄소시장 동향 논의 전망을 토

로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과 해외 시장과 연계할 경우 두될 것으로

보이는 주요 쟁점사항과 시사점에 해 살펴보기로 한다 특히 본 연

구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를 논할 때 가장 빈번하게 거론되는

EU-ETS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기로 한다32)

1 우리나라 ETS와 EU-ETS의 주요 설계요소 비교33)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이하 K-ETS)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국내적 정책 수단으로서 도입middot시행되고

32) 최근 논의되고 있는 한-중-일 배출권 시장 연계의 경우 중국 및 일본 모두 국가 전체 차원의 배출권거래제가 아닌 일부 지역을 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적용 범위도 서로 상이한 점이 많아 사례 분석의 상으로 적합하지 않다고 보고 본 고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EU-ETS의 경우 EU 회원국이 참여하는 가장 큰 규모의 시장이며 오랜 배출권 시장 운영 경험을 가지고 있고 국내 배출권거래제도 설계 시 벤치마크로 활용되어 제도적 유사성이 상 적으로 높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사례분석의 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EU-ETS와 국내 배출권 시장 간의 연계를 분석한 국내 문헌이 거의 전무하다는 것도 EU-ETS를 사례 연구 상으로 삼은 중요한 이유 중 하나이다 국내 배출권 시장과 타 국가 배출권 시장의 연계를 다룬 국내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데 최근 박수경 외(2018)의 연구가 중국 배출권 시장과의 연계를 다루고 있으니 참조하기 바란다

33) 후술하는 우리나라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소에 관한 내용은 환경부(2019)를 주로 참고하였다

60

있다 따라서 K-ETS의 감축목표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로 설정된

2030년 BAU 비 37 감축과 연동되어 설정된다 제2차 계획기간

(2018년부터 2020년)동안 K-ETS는 매년 5477백만톤(3개년 총 1643

백만톤)을 사전할당하였는데 이는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02를 차지한다34)

EU 역시 역내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을 위한 정책 수단으로 ETS

를 도입middot운영하고 있으며 역내 국가들의 감축목표 총합을 고려하여 할

당계획을 수립한다는 점에서 한국과 유사하다 EU는 2020년까지 90년

비 20 2030년까지 90년 비 40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였

다 EU-ETS 제3기 할당계획에 따르면 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역내

전체 배출량의 약 45에 달하는 ETS 부문에서 2013년도 배출허용량

2084백만톤을 기준으로 2020년까지 매년 3826백만톤씩 배출허용량

을 일률 감축하도록 하고 있다35)

2020년까지 기간을 고려하면 EU-ETS가 K-ETS에 비해 엄격한 감축

목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K-ETS의 경우 2015년도 할당량을

기준으로 2020년까지 연평균 07이내로 감축하는 수준이므로

EU-ETS가 K-ETS에 비해 감축의 강도가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36)

그럼에도 불구하고 EU-ETS의 경우 제2기(2008~2012)에 발생한 잉여

배출권의 상당량이 제3기로 넘어와 시장 내 배출권 공급 과잉과 그로

34) 환경부 보도자료(2018724) 및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2019) 참조35) 2008년에서 2012년까지의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의 174에 달하는 감축량을 매년

동일하게 감축하는 것으로서 이는 2013년도 배출허용치 비 2020년까지 연평균 194 감축에 해당한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홈페이지(httpswwwemissions-euets comcarbon-market-glossary872-european-union-emissions-trading-system-eu-ets)를 참조하라

36) K-ETS 제1차 할당계획의 2015년도 사전할당량에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에 따른 2017년 추가할당량과 조기감축실적 3개년 평균을 적용한 값과 2019년 2차 계획기간 할당계획 변경안의 2020년 사전할당량을 비교하였다(환경부 2014 관계부처합동 2017 환경부 2019 참조)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1

인해 배출권 가격이 비교적 낮게 형성되고 있다37) 따라서 감축목표

엄격성의 절 적 수준이 아닌 그로 인한 배출권 시장의 영향이라는 관

점에서 본다면 현재까지는 두 시장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고 단정 짓

기는 곤란하다

나 할당방식

K-ETS와 EU-ETS 간 할당방식에 있어서 특징적인 차이는 (i) 유상

할당의 규모 (ii) 간접배출에 한 할당 여부에 있다

먼저 K-ETS는 무상할당이 기본이 되는 할당방식을 가진데 비해

EU-ETS는 상당 수준의 배출권을 유상으로 할당한다 K-ETS는 제2차

계획기간부터 일부 유상할당의 요소를 도입하고는 있으나 2020년까지

는 전체 할당량의 3 이내에서 유상할당하며 2020년 이후에는 전체

할당량의 10 이상을 유상으로 할당할 계획이다 K-ETS의 무상할당

은 기본적으로 과거 실적에 기반한 할당(Grandfathering)방식을 따르지

만 발전 집단에너지 산업단지 정유 시멘트 항공 폐기물 등 7개 업

종에 한해 벤치마크 방식에 기반한 할당을 적용하고 있다(환경부

2019) 반면 EU-ETS는 기본적으로 경매에 기반한 유상할당 방식을

따르고 있다 제3기 총 배출권의 약 57가 유상할당으로 배분되는데

발전부문은 거의 부분 유상할당하며 국제경쟁에 노출되는 산업부문

37) EU-ETS 할당배출권 가격은 2013년 이후 부분의 기간에서 10유로 미만으로 형성되어 오다가 최근 들어서야 20유로를 넘어섰다 반면 K-ETS의 KAU17 평균거래가격은 약 22천원 수준으로 현재(2018년 12월말 기준) EUA 가격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홈페이지 httpssandbagorgukcarbon-price-viewer 및 삼정KPMG Issue Monitor 제87호 참조)

62

은 상당량을 무상으로 할당하고 있다38)

K-ETS가 다른 ETS 시장과 구분되는 큰 특징 중 하나는 전력 열 등

의 최종소비자의 간접배출에 해서도 배출권을 할당하고 규제를 한다

는 점이다 부분의 ETS 시장은 직접 배출만을 규제 상으로 삼고

배출권을 할당한다 K-ETS에서 간접 배출을 규제하는 이유는 전력이

나 열 소매요금에 발전사들의 배출권 비용을 전가하기 어려운 구조이

기 때문이다

다 유연성 메커니즘

1) 상쇄제도

K-ETS의 상쇄는 국내에서 시행된 외부감축사업에서 획득한 감축실

적과 국내 업체가 해외에서 직접 시행하여 획득한 CDM 사업에 한해

인정된다 이때 의무이행에 사용할 수 있는 외부감축실적은 할당업체

별로 전체 배출권의 10 이내에서 인정되는데 이중 해외에서 시행해

서 획득한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은 각 이행연도 의무이행량의 5까지

만 인정된다(환경부 2019)

반면 EU-ETS는 지난 제2기(2008~2012)에 국가별 할당계획(NAP

National Allocation Plan)에 따라 결정된 국가별 상쇄한도 중 사용하

고 남은 양은 모두 제3기로 이전해 사용가능하다 그러나 예외적인 조

치로서 HFC-23이나 아디핀산 N2O 관련 프로젝트에서 나온 상쇄배출

권은 통용되지 않으며 제3기부터는 최빈개도국에서 시행된 CDM 프

로젝트의 크레딧만 허용한다 전체적으로 EU-ETS는 역내 상쇄배출권

38) 자세한 사항은 다음 웹사이트를 참조하라(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allowances_en) 산업부문에 한 무상할당은 2020년 30까지 점진적으로 줄여나갈 예정이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3

의 허용량이 2008년부터 2020년까지 역내 총 감축량의 50 이내가

되도록 한다는 원칙을 견지하고 있다(IETA 2014 ICAP 2019c)

EU는 역내 온실가스 감축노력 증진을 위해 제3기에는 상쇄를 엄격

히 제한해 왔으나 2021년 이후의 상쇄 제도에 해서는 아직 K-ETS

및 EU-ETS 모두 결정된 바 없다(ICAP 2019c)

2) 이월

K-ETS는 당초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였으나 시장 유동성 확보 차원

에서 제2차 계획기간 부터는 이월을 일정 수준에서 제한하고 있다 제

1차 이행연도의 경우 배출권(할당 및 상쇄) 순 매도량의 3배 이내이거

나 125만톤 이상 배출업체의 경우 75만KAU 25만톤 이상 배출 사

업장을 가진 업체의 경우 15만KAU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 이월을

허용한다 제2차 이행연도에는 배출권 순 매도량의 2배 이내 또는

125만톤 이상 배출업체의 경우 5만KAU 25만톤 이상 배출 사업장을

가진 업체의 경우 1만KAU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 이월을 허용한다

마지막 3차 이행연도에는 제2차 계획기간 연 평균 배출권 순 매도량

또는 125만톤 이상 배출업체의 경우 25만KAU 25만톤 이상 배출 사

업장을 가진 업체의 경우 05만KAU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 3차 계획

기간의 첫 번째 이행연도로만 이월을 허용하고 있다(환경부 2019) 반

면 EU-ETS는 별도 제한없이 전량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고 있다

3) 차입

K-ETS는 제2차 계획기간의 제1차 이행연도에는 배출권의 15 이

내에서 그리고 제2차 이행연도에는 배출권의 15에서 직전년도 차입

64

비율의 절반을 제한 비율까지 차입을 허용한다 그러나 계획기간 간

차입은 허용하지 않는다(환경부 2019) EU-ETS는 원칙적으로 차입을 허

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EU-ETS는 계획기간 내 이행연도별로 할당배출

권을 구분하여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의무이행 시점과 배출권 할당 시

점 간 차이를 활용하면 배출권 차입이 사실상 가능한 구조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EU-ETS의 배출권 할당은 매년 2월말에 이루어지는데 반

해 직전년도 이행실적에 한 배출권의 제출은 매년 4월말까지 이므로

당해 연도에 할당된 배출권을 직전년도 의무 이행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39) 이는 K-ETS처럼 배출권을 할당연도별로 관리하지 않기 때문

이다 따라서 비록 EU-ETS가 형식적으로는 계획기간 내 차입을 허용

하고 있지 않으나 실질적으로는 계획기간 내 차입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4) 가격 및 공급관리

K-ETS는 배출권 가격이 단기간에 급격히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경

우 그리고 배출권 수요에 비해 공급이 현저히 적은 경우 시장안정화를

위해 규제 당국이 시장에 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배출

허용총량 이외에 별도로 시장안정화 조치에 사용할 수 있도록 14백만

톤의 배출권을 예비분으로 배정해두고 있다 또한 시장 유동성 제고를

통한 거래 촉진을 유도하기 위해 시장조성을 위한 예비분 5백만톤을

추가로 배정하여 배출권 시장의 가격 및 수급을 관리하고 있다(환경부

2019)

39) 자세한 사항은 다음 웹사이트(httpswwwemissions-euetscomborrowing)를 참조하기 바란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5

한편 EU-ETS는 K-ETS와 같은 직접적인 시장 개입을 하고 있지는

않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상할당 배출권의 경매 연기조치

(Backloading)과 2020년 이후 본격적으로 도입될 배출권 비축제도

(Market Stability Reserve MSR) 등을 통해 배출권 가격 및 공급을 관

리하고 있다

라 의무이행 관련 사항들

K-ETS는 도입 당시부터 EU-ETS에서 적용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

정 방식을 상당부분 차용하였기 때문에 배출량의 산정middot보고 및 검middot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일부 차이는 있지만 거의 유사한 수준이라고 해도 과

언이 아니다

페널티의 경우 K-ETS는 배출권 평균 가격의 3배 또는 최 톤당 10

만원에서 결정되며 EU-ETS는 톤당 100유로 수준이므로 큰 차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다만 K-ETS는 과징금을 납부할 경우 의무미준수량에

한 별도의 추가 제출 의무가 없는데 비해 EU-ETS는 과징금과 별도

로 후속연도에 미준수량에 한 배출권 제출 의무가 부과된다는 차이

를 가진다(박수경 외 2018)

lt표 -1gt은 지금까지 살펴본 우리나라와 EU의 배출권거래제를 상

세하게 요약middot비교한 것이다

66

lt표 Ⅴ-1gt 우리나라와 EU의 배출권거래제 비교

국가 한국 EU

목표의 엄격성2020년까지 2015년도 할당량 기준 연평균 07 감축

2020년까지 2008-2012년의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의 174 균등 감축

배출량 제한 2018~2020년 5477MtCO2e2013년 2084 MtCO2e 2020년까지 매년 3826MtCO2e 감축

탄소상쇄 수량

할당된 배출권의 최 10 국내 탄소상쇄 및 CDM 사업에 한해 인정해외 상쇄는 5까지 인정

전체 EU-ETS 상쇄 허용량이 2008년~2020년 총 감축량의 50 이내로 관리제3기부터 최빈국의 청정개발체제 배출권만 사용 가능

가격 및 공급관리

비축분의 최 25까지 조기 경매 정부 시장 개입 가능

시장의 과잉공급 정도에 따라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배출권 공급량 조정

배출권 할당1단계 100 무상할당2단계 97 무상할당3단계 90 무상할당

산업부문은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적용범위발전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건물 폐기물 국내 항공 CO2

및 5 온실가스

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EU 역내 항공 CO2 및 N2O PFCs

준수기간 2015~2025 2013~2020

규제방식 하향식 방식 직접+간접배출 하향식 방식

이월차입이월제한 있음계획기간 내 차입 가능(기업 할당량의 최 10)

무제한 이월 가능차입은 원칙상 허용되지 않으나 계획기간 내 차입이 가능한 구조

페널티 제도배출권 가격의 3배 최 1톤당 10만원

1톤당 100 Euro의무 미준수량만큼 할당에서 공제

자료 Carbon Market Watch Report(2015) 박수경 외(2018) 등의 구성을 참고하여 국내외 문헌 및 웹사이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저자가 직접 재구성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7

2 K-ETS와 EU-ETS 연계 시 예상 쟁점들

가 감축목표

앞서 지적하였듯이 EU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2030년까지 1990년

배출량 비 4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어 BAU 비 37 감축목표

를 제시한 우리나라에 비해 더 엄격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두

시장의 연계에 한 논의가 본격화될 경우 EU 측에서 한국의 국가 감

축목표를 EU 수준에 근접하게 상향하거나 ETS 상 부문에 해 국

가 전체 감축률을 상회하도록 할당규모를 조정할 것을 요구할 수 있

다 물론 우리나라 정부의 입장에선 이러한 EU측의 요구를 전적으로

수용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 경우 한국의 제조업middot에너지다소비업종

중심의 산업구조로 인해 외견상 감축목표 수준과 달리 상당히 높은 한

계감축비용에 직면하고 있음을 적극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해서 한 가지 주목할 점은 한국에 비해 강한 감축목표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EU-ETS의 배출권 가격이 감축목표 강도를 제 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EU-ETS와 비교해 본다면 K-ETS

는 외견상 감축목표에 비해 배출권 가격이 상당히 높은 수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여기에는 감축목표의 지속적인 강화에 한 기 가

미친 영향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배출권 가격은 참여기업

들이 직면하는 한계감축비용의 수준을 투영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외

견상의 감축목표 강도에 비해 K-ETS 참여기업들의 실제 감축부담은

상당히 높은 편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추후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제기될 것으로 예상되는 EU측의 감축목표 상향 요구에 한

응논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40)

40) 이와 함께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하는 추세인데 반해 EU는 감소하는

68

나 할당방식

1) 간접배출의 포함 여부

K-ETS는 발전부문의 직접배출뿐만 아니라 전력이나 열 수요자의

간접배출에 해서도 배출권을 할당한다 이는 (i) 전력이나 열 소비

요금에 배출권 제반 비용을 전가하기 용이치 않은 우리나라 전력middot열

시장의 구조적 한계를 보완하고 (ii) 적정 수의 시장참여자를 보장하기

위해서이다41) 간접배출의 포함 여부가 직접적으로 배출권 시장 연계

전후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은 극히 제한적이므로 일견 시장 연계 시

쟁점사항이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간접배출에 해 할당을 할 경우

(i) 이중계산(double counting)의 문제 (ii) 횡재이윤(windfall profits)의

문제점이 제기될 가능성이 높다

먼저 전력이나 열의 생산자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도 배출권을 할당

하므로 이중계산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부문에서

100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였다고 할 때 100톤의 감축량 중 발전부문

자체의 노력(전원믹스 개선 발전효율개선 등)의 기여분과 최종소비자

의 수요 감축 노력의 기여분을 명확하게 분별할 수 없다면 이중계산의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42)

다른 한편 횡재이윤의 발생도 가능하다 발전부문에 한 배출권 할

당량은 발전부문 자체의 노력을 감안한 목표 감축량과 수요 측의 절감

추세에 있으므로 단순히 외견상의 감축률만으로 감축의 강도를 판단해선 안되며 K-ETS의 높은 탄소가격에는 그러한 측면이 반영되어 있다는 주장도 유용한 응논리가 될 수 있다 이를 지적해준 익명의 심사위원께 감사드린다

41) 만일 간접배출을 할당에 포함시키지 않을 경우 전력이나 열 등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다수의 기업들이 배출권거래제 적용 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다

42) 실제 감축량은 직접배출 기준으로 계산한 전체 감축량에서 최종소비자의 간접배출 부문 감축량을 제외해야만 이중계산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9

노력을 반영한 목표 감축량을 함께 고려하여 정해진다 만일 발전부문

의 자체 노력에 따른 감축량이 목표량에 미달하더라도 수요 측 절감노

력이 목표량을 초과할 경우 목표를 충족시키거나 초과달성할 수 있으

므로 횡재이윤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상의 문제는 EU-ETS와 연계 과정에서 제기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그러나 간접배출에 한 할당의 포함여부에 관한 논의는 궁극적

으로는 우리나라의 전력 또는 열 시장에 한 제도적 변화에까지 이어

지기 때문에 에너지 정책의 자율성과도 직결된 문제이므로 시장 연계

시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2) 유상할당의 수준

2020년 이후 EU-ETS는 기본적으로 발전부문뿐만 아니라 산업부문

에 해서도 유상할당이 중심이 되는데 비해 K-ETS는 여전히 부분

을 무상으로 할당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EU-ETS 참여 기업들을

중심으로 산업경쟁력 및 탄소누출의 우려를 제기하면서 K-ETS에 유

상할당의 비중을 상당 수준으로 높일 것으로 요구할 가능성을 배제하

기 어렵다 우리나라 업체들은 산업경쟁력 유지를 위해 온실가스 배출

권거래제도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최소 유상할당 비율 유지를 강하게

주장할 것이므로 K-ETS에서의 유상할당 비율은 매우 첨예한 쟁점사항

으로 부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 상쇄제도

아직 글로벌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에

70

서 두 시장의 상쇄제도의 차이가 시장 연계에 걸림돌로 작용할지는 현

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2021년부터 2030년까지 EU는 ETS 분야에서

1990년 비 43 Non-ETS 분야에서 30 감축을 통해 EU 자체적

(domestic)으로 최소 4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43) EU 자체 노력

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최소 목표치를 공식적으로 선언하였으므로

EU-ETS 할당 시 적어도 동 목표에 해당하는 수준까지는 역외 크레딧

사용을 허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44)

여기서 주목할 사항은 만일 EU가 배출권 시장 연계를 허용한다는

것은 결국 자신의 온실가스 최소 감축목표치를 사전에 공표한 수치 이

상으로 설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배출권 연계는

기본적으로 역외의 타 시장 배출권을 역내 의무사용에 활용하는 것이

므로 역내 최소 감축 목표치보다 목표를 상향해서 할당하지 않을 경우

엔 사전에 공표한 자체 감축노력에 의한 최소 감축목표를 근본적으로

달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EU와의 배출권 시장 연계가 논의되는 이상 EU-ETS는 적어도

이미 공표된 온실가스 감축 최저 목표치를 상회하는 목표를 설정할 공

산이 크다 EU-ETS가 도전적인 목표치를 설정하고 배출권 시장 연계

를 허용한다고 할 때 일정한 제약(예를 들어 최저 목표치에 해당하는

감축량을 초과하는 한도) 하에서 연계된 시장의 배출권과 더불어 역외

크레딧을 허용할 가능성이 높다 여기서 역외 크레딧에는 현재 논의되

43) European Commission COM(2016) 482 final 참조44) 여기서 EU가 제시한 온실가스 배출량의 40 자체 감축(ldquoa 40 domestic reduction

in economy-wide greenhouse gas emissionsrdquo)의 의미를 이중계산(double counting)이 허용되지 않는 상황에서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해 최종적으로 정산한 이후 EU가 자체적으로 레지스트리에 보유하고 있는 배출량을 기준으로 한다고 해석할 여지도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자체 감축(domestic reduction)의 의미를 순수하게 자신의 노력을 통해 감축한 역내 배출량으로 간주하기로 한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1

고 있는 시장 메커니즘인 UNFCCC의 관리middot감독 하에 운영되는 지속

가능발전 메커니즘과 협력적 접근법에 따라 EU와 자발적 협력 체결을

통해 발생한 감축실적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45)

한 가지 유의할 점은 EU뿐 아니라 우리나라와도 동시에 자발적 협

약을 체결한 국가에서 감축한 실적의 경우는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겠

지만 우리나라와만 자발적 협약을 체결한 경우에 해당 국가에서의 감

축실적을 K-ETS에서 상쇄로 허용하는 것이 또 다른 쟁점이 될 수 있

다는 점이다 만일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시장 메커니즘이 포괄적인

원칙에 해서만 합의가 이루어지고 세부 사항은 국가 간 자발적 협약

에 맡기는 방식이 될 경우 EU에서는 자신의 기준에 맞지 않는 자발적

협약에 따른 감축실적을 상쇄로 허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46) 이는

EU-ETS 제3기에 UNFCCC하의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을 최빈개도국가

들에서 만들어진 것 이외에는 허용하지 않는 사례에서 보듯이 충분히

생각해볼 수 있는 시나리오이다 그러할 경우 상쇄제도의 국가 간 세

45) 연계된 시장의 배출권을 EU-ETS의 의무이행에 활용한다는 것이 파리협정 하의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ITMO를 활용하는 것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배출권거래제도의 연계가 두 당사국 간의 상호 자발적인 협력 체결을 통해 이루어지며 중요한 감축수단의 하나라는 점에선 유사하지만 엄 한 의미에서 배출권거래제의 연계가 파리협정의 협력적 접근법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지 않는다 협력적 접근법에서 말하는 ITMO는 감축활동의 결과물로서 나온 감축실적인데 반해 배출권거래제도 상의 배출권은 배출을 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므로 양자의 성격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감축실적과 배출허가권이 일 일로 매칭될 수 없기 때문이다 배출권거래제도는 자국의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국내적 정책 수단의 하나이지 파리협정이라는 국제 협약의 틀 내에서 논의되는 시장 메커니즘과는 서로 다른 차원의 제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리협정에서의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감축실적은 배출권거래제도의 상쇄배출권의 형태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배출권 시장 연계가 협력적 접근법에 따라 자발적 협력 체결이 이루어진 국가들 간에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관점에서 배출권 시장 연계와 협력적 접근법이 직접적 연관성을 가지지는 않지만 서로 간에 높은 연관성이 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된다

46) 반 로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시장 메커니즘이 국가 간 자발적 협약에 한 구체적인 사항까지 규정하는 방식으로 합의가 된다면 논란의 여지는 훨씬 줄어들 것이다

72

부적 차이는 배출권 시장 연계에 있어서 쟁점사항으로 부각될 것이다

다만 K-ETS의 경우 해외상쇄를 전체 배출권의 5이내로 제한하고 있

어서 EU-ETS 시장에 한 공급 충격이 크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EU와 스위스 간의 ETS 연계 사례에서 보듯이 상쇄제도의 차이가 심

각한 장애요인은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라 기타 사항들

앞서 논의한 쟁점들 이외에 이월 차입 시장관리 등 여타의 사항들

은 이론적으로는 시장 연계 시 쟁점이 될 수 있으나 적어도 K-ETS와

EU-ETS 간의 연계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첫째 이월의 경우 현재 EU-ETS는 제한없이 허용하는데 반해

K-ETS는 이월에 한 제한을 두고 있다 그러나 2021년부터 2030년

까지의 계획에 따르면 EU는 이월을 허용하되 누적 이월량이 일정 수

준을 넘어 과도할 경우 제한을 둘 계획이다47) 따라서 양 시장에서 이

월 제도의 약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할 것이므로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쟁점으로 부각되지 않을 것이다

둘째 차입의 경우에도 2021년부터 2030년까지의 계획에 따르면 EU

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차입을 허용할 방침이므로 K-ETS의 차입 허용

이 연계 시 큰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48)

셋째 배출권 가격 및 공급 관리의 관점에서 보면 EU-ETS에 비해

K-ETS가 정부의 시장개입이 더 용이한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그 이

47) 다음의 홈페이지(httpseceuropaeuclimapolicieseffortregulation_en)를 참조하라48) 다음의 홈페이지(httpseceuropaeuclimapolicieseffortregulation_en)를 참조하라 또

한 앞서도 언급하였지만 EU-ETS는 현재 차입을 허용하고 있지 않지만 배출권 할당 시점과 제출 시점의 차이로 인해 사실상 차입이 허용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3

유는 K-ETS의 낮은 시장 유동성에 따른 배출권 공급물량 부족이 주요

원인이다 따라서 보다 큰 규모를 가진 EU-ETS 시장과 연계하는 경우

구태여 현재와 같은 K-ETS의 가격 및 공급 관리 제도를 유지하지 않

아도 무방하므로 두 시장 간의 연계 과정에서 장애요인이 되지 못할

것이다

3 배출권 시장 연계 방식별 편익 비용 그리고 시사점

가 시장 연계 유형별 편익 비용 비교

K-ETS와 EU-ETS 시장을 서로 연계한다고 할 때 연계하는 방식은

앞의 제3장에서 제시한 것들 중 하나가 될 것이다 그 중에서 완전통

합형 방식의 직접 연계는 사실상 현실적으로 가능한 안이 아니라고

보고 여기서는 쌍방향 연계 방식의 직접 연계와 단방향 연계 외부 크

레딧을 통한 간접 연계 등의 장middot단점을 비교해보기로 하자49)

1) 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배출권거래제는 사실상 자국의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자발적 감

축행동이다 배출권 시장의 쌍방향 직접 연계는 두 당사국이 자발적으

로 협력하여 이중계산 방지의 원칙 하에서 서로의 배출권 레지스트리

를 연계하여 서로의 배출권이 자유롭게 거래되고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49) 완전 통합형의 경우 두 시장을 하나의 시장으로 완전히 통합하는 것이므로 각 시장을 관할하던 정부들의 자율성이 전혀 보장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의 연계를 우리나라 정부에서 용인할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이므로 여기서는 완전통합형 연계 방식은 다루지 않기로 한다

74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은 크게 보면 다시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rsquo과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rsquo으로 나뉠 수 있다50) lsquo완전 쌍

방향 직접 연계 방식(이하 완전 쌍방향 방식)rsquo은 두 시장의 규제 당국

이 일정한 자율성을 가지고 배출권거래제도의 설계요소를 결정하되

각 시장의 배출권이 어느 시장에서든지 수량에 제한없이 의무이행에

전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연계 방식이다 스위스-EU 캘리포니아-퀘벡

등 현존하는 배출권거래시장 연계 사례는 모두 lsquo완전 쌍방향 방식rsquo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K-ETS가 EU-ETS와 이러한 방식으로 연계할 경우 예상되는 일차적

인 편익은 비용효과성 제고 및 규모 시장에 한 접근성 제고를 통

한 유동성 확 와 이를 통한 시장 가격 안정성 확보이다 앞에서도 살

펴보았듯이 배출권 시장의 연계는 기본적으로 두 당사국의 참여업체

비용부담을 완화시켜 준다 또한 시장 규모의 확 로 인해 시장 유동

성이 확 되고 배출권 시장가격의 변동성을 낮출 수 있다

이상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완전 쌍방향 방식이 가진 다음과 같은 단

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완전통합형에 비해서는 정도가 덜하지만 규제 당국의 정책 자

율성이 일정 수준 침해받을 우려가 있다 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의 특성 상 ETS 부문 감축목표 설정 할당방식 등 주요 배출권거래제

도 설계요소를 완전히 일치시킬 필요는 없지만 연계 상 방과 상당 수

준까지 보조를 맞추어야 한다 만약 양측의 설계요소 간 차이가 크다

면 이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핵심 설계요소를 조정해야 하는 당사국의

경우 일정 수준의 정책 자율성을 포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50) Ranson and Stavins(2015)를 비롯한 기존의 연구는 쌍방향 연계를 여기에서처럼 다시 두 가지로 구분하지 않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5

둘째 할당방식에 차이가 있을 때 특히 참여업체들의 비용과 직결되

는 유상할당의 규모 면에서 차이가 클 경우 연계 과정에서 쟁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두 시장간 유상 할당 비중의 차이가 클 경우

유상할당 중심의 국가에서 탄소누출 등을 이유로 유상할당 비중에

한 조정을 요구하고 이로 인해 유상할당의 비중이 늘어날 경우 연계

이전에 비해 무상할당 중심 시장의 참여업체들 비용부담이 크게 늘어

날 수 있다

K-ETS와 EU-ETS 간 연계를 상으로 생각해보면 K-ETS와

EU-ETS는 시장 규모 등의 측면에서 큰 차이가 나므로 시장 연계 과

정에서 K-ETS의 주요 설계요소를 EU-ETS와 근접하게 가져가야 할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ETS 부문의 감축목표 상향 간접배출에

한 할당방식의 조정 등 주요 설계요소에 해 EU-ETS와 유사하게 수

정해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에너지 및 온실가스 감축정책에 한 한

국 정부의 자율성이 침해받을 우려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유상

할당 중심의 EU-ETS와 달리 K-ETS는 무상할당이 주가 되므로 EU측

에서는 역내 산업경쟁력 및 탄소누출을 우려하여 K-ETS에도 상응하

는 수준의 유상할당을 요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끝으로 이론적 논의에서 잠깐 살펴보았듯이 lsquo완전 쌍방향 연계rsquo 방

식이 환경적 편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불분명하다51) 만일 시장 연

계 과정에서 한 당사국에서 상 편의 온실가스 감축목표가 자신과 상

응하지 못하다고 판단하여 감축목표 상향 조정을 요구하고 시장 연계

의 협의 과정에서 이것이 받아들여진다면 두 시장을 합한 전체 온실

가스 감축목표가 강화되어 lsquo온실가스 감축rsquo이라는 환경적 편익이 증

51) 제2장에서 논의한 Helm(2003) 및 Carbone et al(2009)의 연구 결과에 한 소개를 참고하라

76

할 수 있다 하지만 반 로 연계 이후의 국내 업체들의 감축비용 부담

이 늘어날 경우 규제가 상 적으로 느슨한 제3의 국가로 생산설비를

이전하는 탄소누출이 일어날 수 있다 이때 배출집약도가 높은 제3국

가로 생산설비가 이전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글로벌 차원에서는 온실가

스 배출량이 늘어날 수도 있다52) 즉 연계에 따른 감축목표의 상향이

업체의 부담을 높이고 이로 인한 탄소누출로 인해 오히려 전 지구적

인 차원에서 환경건전성은 나빠질 수도 있다 EU-ETS와의 연계에 따

른 환경건전성의 득실은 일률적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시장 연계의

환경적 편익을 예단하기 어렵다53)

2) 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 방식(이하 부분 쌍방향 방식)은 두 시장의

규제 당국이 자율성을 가지고 배출권거래제도의 설계요소를 결정하며

각 시장의 배출권을 어느 시장에서도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

에선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과 동일하나 의무이행에 활용되는 배출권의

수량에 제한을 두는 방식을 말한다 이는 사실상 두 시장이 서로 상

방의 배출권을 일정 비율 내에서 상쇄배출권처럼 활용하는 상황과 동

일하다

52) 예를 들어 상 적으로 친환경적인 전원믹스를 가진 국가에서 생산하던 업체가 유상할당 비중 증가로 인한 감축비용부담 상승으로 인해 제3의 국가로 생산설비를 이전한다고 하자 이 경우 설령 생산설비 이전과 이후에 동일한 에너지 투입 비 생산효율을 보인다고 가정하더라도 제3 국가의 전원믹스가 덜 환경친화적이라면 해당 업체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늘어나게 된다 이때 제3국으로 이전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분이 배출권 연계 이후 감축목표 상향에 따른 감축량 증가분을 초과한다면 전 지구적인 관점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은 순증하게 된다 결국 배출권 시장이 연계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연계 이후의 환경적 건전성은 오히려 악화된다

53) 이처럼 환경건전성과 관련한 연계 유형별 득실은 모호한 부분이 크므로 이후의 편익 비용 비교에 관한 논의에서 환경건전성은 제외하기로 한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7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의 경우에도 비록 제한된 수량 범위 내이긴 하나

연계를 통해 전체 시장 규모가 확 되므로 연계 이전에 비해 시장 유

동성을 제고하고 배출권 가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두 시

장의 배출권 가격 차이를 이용해 거래를 통한 비용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다 다만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과는 달리 활용가능한 상 편 배출권의

수량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두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하나의 가격으로

수렴되지는 못하고 일정한 차이를 두면서 각 시장가격의 자율성이 일

정 수준에서 유지되는 움직임을 보이게 된다54) 다만 경제적 효율성의

관점에서 보면 거래가능 수량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

식에 비해 일정 정도의 비효율성은 불가피하다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의 연계는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과는 달리 일정 범

위 내에서만 서로의 배출권의 활용을 허용하므로 가격 공급량 등에서

각 시장이 가진 독자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중계산의 문제

MRV의 투명성과 등가성 등의 기본 원칙이 준수되는 한 상 편 시장

은 상쇄배출권 거래를 위해 활용가능한 일종의 유연성 기제로서 간주

될 수 있다 따라서 두 시장을 합쳐 하나의 시장으로 바라보는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각 시장 운영의 자율성을 확보하기가 용이

하다 유사한 맥락에서 유상할당 규모에 차이가 존재하더라도 상 편

의 시장을 상쇄배출권 활용을 위한 기제로 간주하는 이상 할당방식의

차이를 상응되게 조정하고자 하는 정치적 압력도 크지 않을 것으로 전

망된다

54)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의 경우도 거래비용 등으로 인해 두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완전히 하나로 수렴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의 경우 두 시장의 가격 차이는 거래비용 등의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는 차이를 넘어선 수준에서 각 시장가격이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

78

요컨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연계할 경우 상 편 배출권의 활용

가능 비율이 줄어들수록 경제적 비효율성은 커지는 반면 시장 운영 및

제도 설계의 자율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이는 소규모 시장인

K-ETS가 규모 시장인 EU-ETS와 연계할 때도 유사하게 적용될 것

으로 전망된다

3) 단방향 연계 방식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방향 연계 방식은 어느 한 배출권 시장에

서는 상 편 시장의 배출권을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으나 그 반 는

허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단방향 연계는 타 시장의 배출권을 허용하는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허용하지 않는 시장의 배출권 가격에 비해 낮을

경우에만 실효성을 가지며 그렇치 않을 경우엔 실효성이 떨어진다 타

시장 배출권을 허용하지 않는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높게 형성되고 있

다면 단방향 연계에 따른 배출권 거래가 일어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55)

그러나 그 반 의 경우엔 상 편의 저렴한 배출권을 의무 이행에 활용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향상된 시장 접근성을 가질 수 있고 그로 인

해 시장 유동성 제고 가격 안정성 확보 및 감축비용 부담 완화라는 편

55) 이러한 경우에는 사실상 두 배출권 시장이 독립적으로 작동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우에 따라 시장 연계가 실효성있게 작동하는 상황도 발생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계가 허용된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 공급량이 부족할 경우엔 의무 이행을 위해 비싸더라도 배출권을 구매하려는 수요가 생길 수 있다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낮게 형성되고 K-ETS만 EU-ETS 시장과 일방향으로 연계된 상황을 상정해보자 통상적으로는 K-ETS 참여업체들은 비싼 EU-ETS 시장의 배출권을 구매하지 않으려 하겠지만 만일 K-ETS 시장에서 부분의 업체들이 잉여배출권을 이월하려고 해서 의무이행을 위한 배출권 구입 자체가 어려울 경우엔 단방향 연계 방식도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장에서 배출권 구입이 어려운 업체들은 비싸더라도 EU-ETS에서 배출권을 구매해서 의무이행을 할 것이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9

익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단방향 연계가 실효적인 상황 즉 연계를 허용하지 않은 국가

의 배출권 가격이 더 낮게 형성되는 경우엔 연계를 허용하는 국가의

정책 자율성이 보장받기 용이할 것으로 평가된다 왜냐면 연계를 허용

하지 않는 국가의 배출권 가격이 낮다는 의미는 ETS 부문의 감축목표

의 강도가 상 적으로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계를 허용치

않는 측에서 허용하는 측에 감축목표의 상향 등 주요 설계요소의 변화

를 덜 요구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단방향 연계는 다른 여타의 방식에 비해 연계를 허용하는 측

에 상당히 유리한 연계 방식이다 그러나 연계를 허용치 않는 시장에

서 얻는 편익이 거의 없기 때문에 앞서 살펴본 EU-호주 배출권 시장

연계 시도 사례에서 보듯이 본격적인 쌍방향 연계를 위한 준비기에 일

시적으로 운영되는 경우를 제외하곤 지속되기 어려운 실현 가능성이

낮은 방식이다

4) 외부 크레딧을 통한 간접 연계

끝으로 각 시장이 완전히 독자적으로 운영되면서 외부 크레딧을 통

해 간접적으로만 연계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현재 파리협정 하에서

의 시장 메커니즘 중 하나인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이나 협력적 접근

법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실적을 K-ETS와 EU-ETS가 상쇄배출권으로

활용하도록 할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 경우 양 시장을 운영하는 정부의 정책 자율성은 완전히 보장되는

반면 시장이 사실상 분리되어 있으므로 연계를 통한 직접적인 경제적

편익은 발생하지 않는다 상쇄배출권의 유입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서

80

로 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배출권 연계의 효과가 제한적이다 특히

상쇄로 활용 가능한 외부감축사업은 사업 발굴부터 크레딧의 발생 및

활용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K-ETS와 같이 수급 불

균형에 따른 유동성 부족 및 배출권 가격 불안정성을 경험하고 있는

경우엔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연계의 실질적인 효과를 기 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리협정에 따른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지침이

마련이 되고 감축사업이 본격화될 경우 이를 K-ETS에 연계시킬 필요

는 있다 물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의 시장 메커니즘은 이중계

산이 허용되지 않은 상황에서 모든 국가가 자국의 감축목표를 충족시

켜야 하므로 배출권 시장에서 활용 가능한 배출권 규모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앞에서 다룬 쌍방형 직접 연계와 함께 보조적

으로 사용된다면 효과성은 커질 것이다

나 K-ETS와 EU-ETS 간 연계를 위한 시사점

여기서는 다양한 연계 유형별 편익과 비용에 한 논의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과 EU 배출권 시장 간의 연계를 위한 시사점을

검토해보기로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가장 바람직한 연계의

방식은 시장 유동성과 비용효과성도 제고하면서 에너지 및 기후정책의

자율성을 최 한 확보할 수 있는 단방향 연계일 것으로 전망된다 즉

K-ETS는 EU-ETS 시장에 한 접근성을 가지나 EU-ETS는 K-ETS에

한 접근성을 허용하지 않는 방식이 가장 K-ETS에 유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시장 연계는 본격적인 시장 연계를 위한 준비기와 같은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81

예외적인 상황을 제외하고는 EU측에서 연계에 동의하지 않을 가능성

이 높아 실현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보인다

K-ETS를 운영하는 우리 정부 입장에서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과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 중 어느 쪽이 더 바람직한지 여부는 두 시장

의 시장 연계 전 배출권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따라 함의하는

바가 달라질 수 있다

먼저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

격에 비해 낮은 경우에 해 고려해보자 이 경우 시장 연계 이후에는

K-ETS 배출권 수요 증가로 K-ETS 가격은 상승하고 EU-ETS 배출권

의 가격은 낮아지게 된다 비용효과성의 측면에서 비록 K-ETS 참여업

체 중 배출권 순 구매자들의 구매 비용은 증가하겠지만 순 판매자들은

높아진 가격 상승의 혜택을 보게 되며 이론적으로는 전체적인 비용효

과성은 향상된다 그러나 연계 이전에 배출권 공급량 부족으로 유동성

문제에 고질적으로 시달리는 K-ETS의 입장에서 유동성 제고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 왜냐하면 K-ETS 배출권 가격이 상 적으로 낮기

때문에 K-ETS 배출권 수요가 늘어나고 이로 인해 K-ETS 배출권 확보

가 더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책 자율성의 측면에서 K-ETS 배

출권 가격이 상 적으로 낮다는 것이 EU측에 외형상뿐만 아니라 실질

적으로도 한국의 감축목표 강도가 약하다는 신호로 작용하여 감축목표

상향에 한 요구가 강해질 수 있다 한편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EU측이 유상할당의 비중을 상응하게 조정하자고 요구할 때 이를 거부

할 논거가 마땅치 않다 특히 한국의 감축목표 강도가 낮다는 선입견

은 유상할당 비중의 확 를 뒷받침해주는 또 다른 논거로 작용할 가능

성이 있다 만약 연계 이후 그러한 정치적 압력의 결과로서 실제로 유

82

상할당 비중이 늘어날 경우 참여업체의 경제적 부담이 커지게 되며 시

장 연계에 한 국내 업체들의 수용성은 크게 악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낮은 경우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일부 비용효과성 제고라는 편익

이 존재하지만 유동성 제고나 정책 자율성 확보 등의 측면에서 지불해

야 하는 비용이 더 클 가능성이 크다 한편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의 연계

는 비록 비용효과성의 제고에는 제한적일 수 있으나 감축목표의 상향

유상할당 비중 확 등 참여업체에 직접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외부의

정치적 압박에 보다 유연하게 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으로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

권 가격에 비해 높은 경우를 살펴보자 이 경우 시장 연계 이후에는

K-ETS 배출권 수요의 일부가 EU-ETS로 이전하여 K-ETS 가격은 낮

아지고 EU-ETS 배출권의 가격은 상승한다 비용효과성의 측면에서

K-ETS 참여업체 중 배출권 순 구매자들의 구매 비용은 줄어들게 되

며 비록 순 판매자의 배출권 판매 수입은 줄어드는 부분이 있지만 전

체적인 비용효과성은 증 된다 한편 K-ETS가 현재 겪고 있는 유동

성 부족 문제는 보다 저렴한 규모 EU-ETS 시장에 한 접근성이

커짐에 따라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책 자율성과 관련한

사항은 다소 분명치 않다 K-ETS 배출권 가격이 상 적으로 높기 때

문에 실질적인 감축목표의 강도가 높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가질 수 있

는 반면 외형상의 감축목표의 강도가 비교적 낮은 편이므로 감축목표

의 강도를 상응하게 조정해야 한다는 EU측의 정치적 압박에 자유롭기

쉽지 않을 수 있다 이와 함께 유상할당의 비중을 EU측과 상응하게 조

정해야 한다는 압력에서도 자유롭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83

결과적으로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높은 경우엔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

해 비용효과성 및 유동성 제고 등에서 더 큰 편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만 정책 자율성 확보나 유상할당 비중 최소화를 통

한 업계 부담 완화 및 수용성 확보의 관점에선 여전히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유리하다 물론 K-ETS 배출권의 높은 가격을 실질적인

높은 감축목표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을 통

해서도 정책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

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연계 이후 외부로부터의 정치적 압력

에 응하기 여의치 않을 경우엔 정책 자율성과 관련한 손실을 감수해

야 한다 만일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

이 크지 않다면 정책 자율성과 업계의 경쟁력을 고려한 부담 최소화

및 제도 수용성 확보가 더 용이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여전히

설득력 있는 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면 시장 연계 전 양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어

떻게 형성되는지 배출권 가격의 차이가 실질적인 감축목표 강도로

EU-ETS 측에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 질 수 있는지 등에 따라 바람직

한 시장 연계의 방식은 달라질 수 있다56) 전체적으로 lsquo완전 쌍방향rsquo

56) 실제로 K-ETS와 EU-ETS의 배출권 가격이 향후 어떻게 전개될 지는 현재로선 예측하기 어렵다 톰슨로이터의 전망에 따르면 EU의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경매연기 배출권의 배출권 비축 시나리오 하에서 2030년까지 EUA의 가격은 약 60유로(한화로 약 78000원선)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Point Carbon 2014) K-ETS의 배출권 가격 전망 자료는 찾기 어려우나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의 목표를 기준으로 할 때 2030년까지 현 수준보다 크게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외견상의 감축목표의 강도를 볼 때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낮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산업middot발전부문의 한계감축비용을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2030년 기준으로 한계감축비용이 톤당 10만원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안영환

84

연계방식은 비용효과성과 유동성 확보의 측면에서 다소 유리하지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정책 자율성 확보 업계 부담 최소화

및 수용성 확보의 차원에서 다소 불리할 수 있다 결국 우리 정부가 시

장 연계에 따라 어떤 가치를 더 보호할 필요가 있는지에 관한 정책적

판단에 따라 연계의 방식은 달라질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지적하고 싶은 것은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도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적절히 설정할 경우 상당한 비용효과성

및 유동성 제고의 편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만

일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서 설정한 lsquo비중rsquo을 넘어 완전한 쌍방향

연계로 전환할 때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이 그리 크지 않다면 정

책 자율성 확보에 유리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가 더 바람직한 연계 방식

이 될 수 있다 다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시 바람직한 상 편 배출권

의무 활용 비중이나 레지스트리 등과 같은 기술적인 부분은 본 연구의

범위를 벗어나는 문제이므로 후속 연구로 남겨두기로 한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에 맞는 연계의 방식은 캘리포니아

-퀘벡 또는 스위스-EU-ETS와 같은 해외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와는

달리 완전 쌍방향 연계 방식보다는 부분 쌍방향 연계 방식이 더 적합

할 수 있다 처음부터 완전 쌍방향 연계 방식을 취하기보다는 단계적middot

점진적으로 완전 쌍방향 연계로 확 해나가는 방향이 정책적 자율성을

확보하고 K-ETS가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좋은 안이 될 수 있

다 EU의 입장에서도 배출권 시장 규모를 확 하고 기후변화에 한

middot 김동구 2017) 물론 저렴한 비용에 다량의 감축이 가능한 산업공정 및 폐기물 건물 부문 등에 한 분석이 제외되었다는 한계가 있지만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높게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눈여겨볼만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85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한다는 차원에서 연계에 부정적이지는 않을 것으

로 보인다 특히 자체적 노력을 통해 감축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EU

의 입장에서도 스위스에 비해 상 적으로 큰 규모의 K-ETS와 완전 쌍

방향 직접 연계 방식보다는 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이 보다 바람

직한 연계 방식이다 왜냐하면 규모가 큰 시장과의 연계로 인해 자체

감축 수요보다 타 시장 배출권 구입을 통해 목표를 충당하려 할 경우

목표로 하는 자체 노력에 의한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에 차질을 빚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은 단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EU의 이해와도 부합되는 측면이 있고

따라서 정책 방안의 실현가능성 또한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6장 결론 87

제6장 결 론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도는 시장 기제를 활용하여 비용효과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표적인 감축 수단으로서 우리나라를 포함

하여 EU 캘리포니아 등 여러 국가에서 채택하여 시행하고 있다 특히

파리협정 이후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와 맞물려 그간 독

자적으로 운영되어 오던 배출권 시장을 서로 연계하여 비용효과성을 극

화하고 시장 유동성을 제고하며 기후변화 응 관련 국제적 리더십을

확보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배출권 시장 연계는

단순히 전문가 차원의 관심을 뛰어 넘어 퀘벡-캘리포니아 배출권거래제

도 및 스위스-EU 배출권거래제도의 연계 사례를 통해 실현되고 있다

배출권 시장 연계에 한 그간의 여러 연구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의

연계가 시장 규모의 확 를 통해 비용효과성을 제고하고 유동성 확

및 가격 안정화 등의 여러 가지 편익을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국 내 정책에 한 규제당국의 개입 범위를 축소시켜 정책 자율성을

저해하며 자국 내 기업들의 비용부담을 오히려 증 시키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환경건전성까지 악화시킬 가능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배출권

시장 연계는 편익뿐만 아니라 발생 가능한 다양한 부작용들을 종합적

으로 고려해서 결정해야 하는 다면적인 정책 의사결정 과정임에 유념

해야 한다

배출권 시장 간 연계가 성공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연계하는 두

시장의 제도적 설계요소들을 적절히 맞추어나갈 필요가 있다 상 부

문의 감축목표 강도 할당방식 이월middot차입middot상쇄 등 유연성 기제 배출권

88

가격 및 공급량 관리제도 MRV 체계 페널티 제도 등 고려해야 할 다

양한 설계요소들이 있다 특히 감축목표의 강도 유상할당의 규모 상

쇄제도 MRV 체계 등은 연계 과정에서 핵심 쟁점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연계 과정에서 규제 당국 간의 적절한 조율이 필요하다

배출권 시장 간 연계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사례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퀘벡-캘리포니아 및 스위스-EU의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는 연계를 통해 두 시장이 상호간 혜택을 보

아야 하고(상호 호혜성) 연계되는 두 시장의 배출권 설계요소가

동소이하며(핵심 설계요소의 일치성) 당사국들의 강한 정책적 의지가

수반되어야 성공적인 시장 연계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배출권 시장 연계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유형별로

는 lsquo완전통합형rsquo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형rsquo 외부 크레딧을 통한 lsquo간접 연계rsquo lsquo단방향 연계형rsquo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 연계 유형별로 가지는 장middot단점이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시

장의 완전통합형에 가까울수록 비용효과성과 시장 유동성 및 가격 안

정성은 높아지는데 반해 정책 자율성은 낮아진다 단방향 연계형은 연

계가 허용된 시장에는 비용효과성 유동성 및 가격 안정성을 제공하면

서 정책 자율성까지 보장하는 장점이 있으나 연계를 허용하지 않은 시

장에서는 연계의 혜택을 누리기 어려우므로 상호 호혜성의 측면에서

실현되기 어려운 방식이다 다만 두 시장을 직접적으로 연계하기 전에

다양한 설계요소를 조정하기 위한 중간 단계로서 단방향 연계 방식이

채택될 수는 있을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의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타 배출권 시장과의 연계가 논의되고 있는 상황에서 가장 유력하게

제6장 결론 89

거론되고 있는 EU-ETS와의 연계를 상정하여 주요 쟁점사항과 바람직

한 연계 방식에 해 검토해 보았다

EU-ETS와 연계할 경우 가장 첨예한 쟁점사항으로 부각될 수 있는

요소로는 감축목표 강도 및 유상할당 규모의 상응성 간접배출에 한

할당 등을 꼽을 수 있다 실질적인 체감도와는 무관하게 외형상의 EU

와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할당방식에 있어서 EU-ETS와 달리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은 무상할당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EU-ETS와의 유상할당 규모의 차이는

2030년까지 상당 수준에서 차이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EU-ETS와 연계를 논의할 때 산업경쟁력 및 탄소누출에 한 우려를

들어 감축목표의 강도와 유상할당 규모의 상응성이 핵심 쟁점으로 부

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간접배출에 한 할당도 이중계산 및 횡

재이윤의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쟁점사항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월 차입 시장관리 MRV 등의 요소는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긴 하나 EU-ETS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기 때문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할 때 다양한 시장 연계의 유형 중 어떤 방식이

우리에게 보다 적합할지 살펴보았다 lsquo완전 통합형rsquo은 사실상 정책 결

정에 우리 정부가 개입할 여지를 없애는 방식이므로 적합지 않은 방식

이며 외부 크레딧을 통한 lsquo간접 연계rsquo 방식만으로는 유동성 부족에 고질

적으로 시달리는 국내 배출권 시장의 문제를 해결하기에 모자람이 많

다 다만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와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 방식 중

어떤 방식이 우리 현실에 더 적합한지는 연계 이전에 두 시장의 배출

권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가 그리고 배출권 가격의 차이가 실질적인

90

감축목표의 강도로 받아들여 질 수 있는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은 비용효과성과 유동성 확보의

측면에서 다소 유리하지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정책 자율

성 확보 업계 부담 최소화 및 수용성 확보의 차원에서 다소 불리하다

먼저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낮게

형성된다면 국내 배출권에 한 외부 수요가 증 되므로 lsquo완전 쌍방

향rsquo 연계방식을 채택하더라도 K-ETS의 고질적인 유동성 부족을 해결

하는데 큰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다 반면 정책 자율성에 있어서 손실

을 감수해야 하므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보다 적합하다

다음으로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

해 높고 그러한 높은 시장 가격을 근거로 실질적인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충분히 받아들여진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은 시장 가격에도 불구하고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받아들여지지 못한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은 국내 참여업체들의

비용부담을 가중시키고 제도의 수용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도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적절

히 설정할 경우 상당한 비용효과성 및 유동성 제고의 편익을 얻을 수

있다 만일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서 완전한 쌍방향 연계로 전환할

때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이 그리 크지 않다면 정책 자율성 확보

에 유리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가 더 바람직한 연계 방식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해외 주요국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에서처럼 처음부터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EU-ETS와 연계하기 보다는 초기 단계에서는 적절

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EU-ETS 배출권을 구매해서 의무이행에 활

용하는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배출권 시장을 연계한 후 점진적으로

제6장 결론 91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높여나가는 방식이 바람직할 것으

로 판단된다

또한 최근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으로 논의되는 협력적 접근

법이나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에 의한 감축실적도 상쇄배출권으로 허

용하도록 함으로써 간접적인 연계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시장 메커니

즘에 한 지침이 확정되면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이들 접근법을 활용

한 다양한 감축사업들이 전개될 수 있으며 연계 상이 되는 타 시장

(예를 들어 EU-ETS)도 그러한 시장 메커니즘을 자국의 배출권 시장과

연계시킬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간접연계는 국제적으로 공인된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함과 동시에 lsquo부분 쌍방향 연계 방식rsquo의 효과를 제고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93

참고문헌

lt국내 문헌gt

관계부처합동 2017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1차 계획기간 제3차 이행

연도 배출권 할당계획 변경(안)

관계부처합동 2018 보도참고자료 ldquo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전략 새롭게 만들어 갑니다rdquo

기획재정부 2017 제2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안)

박수경middot박순철middot송철호middot임철희middot이수정middot이우균 2018 ldquo한middot중 배출권거래제

연계를 위한 설계요소 및 장애요인 분석rdquo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9(4) 471-485

산업통상자원부 2016a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 수립 연구

산업통상자원부 2016b 협력적 접근법에 활용가능한 국제 규범 마련 연구

삼정 KPMG 2018 진화하는 배출권거래제(ETS) 시장과 기업의 탄소비용

응방향 삼정 KPMG Issue Monitor 제87호

수원의제21실천협의회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 2016 ldquo제21차 기후변화

협약당사국총회 파리협정문 국문번역본rdquo

안영환middot김동구 2017 산업 발전부문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 연구 산업

통상자원부

환경부 2014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1차 계획기간 국가 배출권 할당

계획

환경부 2018 보도자료 ldquo2030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안 및 2018~2020년

배출권 할당계획 확정rdquo

94

환경부 2019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2차 계획기간 국가 배출권 할당

계획

lt해외 문헌gt

Anger N 2008 ldquoEmissions Trading beyond Europe Linking Schemes

in a Post-Kyoto Worldrdquo Energy Economics 30 2028-2049

Babiker M Reilly J and Viguier L 2004 ldquoIs international emissions

trading always beneficialrdquo Energy Journal 25(2) 33-56

Bodansky DM Hoe이 SA Metcalf GE and Stavins RN 2016

ldquoFacilitating linkage of climate policies through the Paris

outcomerdquo Climate Policy 16(8) 956-972

Burtraw D Palmer KL Munnings C Weber P and Woerman M

2013 Linking by degrees incremental alignment of cap-and-trade

markets Discussion Paper 13-04 Resource for the Future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Towards a Global Carbon Market

Prospects for Linking the EU ETS to Other Carbon Markets

Carbone JC Helm C Rutherford TF 2009 ldquoThe case for

international emission trade in the absence of cooperative climate

policyrdquo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57

266-280

Chichilnsky G and Heal G 1995 Markets with tradable CO2

emission quotas principles and practice OECD Economics

Department Working Paper No 153

DEHSt 2016 International market mechanisms after Paris

참고문헌 95

European Commission 2016 COM(2016) 482 Final

Flachsland C Marschinski R and Edenhofer O 2009 ldquoTo limk or

not to link benefits and disadvantages of linking cap-and-trade

systemsrdquo Climate Policy 9(4) 358-372

Gouvernement du Queacutebec 2018 Quebec cap-and-trade system for

greenhouse gas emission allowances(CampT) Historical Overview

Hahn R W and Stavins R 2011 ldquoThe Effect of Allowance

Allocations on Cap-and-Trade System Performance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54(4) s267-s294

Haites E and Mullins F 2001 Linking domestic and industry

greenhouse gas emission trading systems EPRImiddotIEAmiddotIETA

Helm C 2003 ldquoInternational emissions trading with endogenous

allowance choicesrdquo Journal of Public Economics 87 2737-2747

Helm D Hepburn C and Mash R 2003 ldquoCredible carbon policyrdquo

Oxford Review of Economic Policy 19(3) 420-437

IETA 2014 USE OF OFFSET CREDITS ACROSS EMISSION

TRADING SYSTEMS and CARBON PRICING MECHANISMS

IETA 2015 Case Study Linking the Swiss and EU ETS Greenhouse

Gas Market 20152016 Report

ICAP 2019a Canada - Queacutebec Cap-and-Trade System

ICAP 2019b USA - California Cap-and-Trade Program

ICAP 2019c EU Emissions Trading System (EU ETS)

Jaffe J and Stavins RN 2008 Linkage of tradable permit systems

in international climate policy architecture Discussion Paper

08-07 Harvard Project on International Climate Agreements

96

McKibbin WJ Shackleton R and Wilcoxen PJ 1999 ldquoWhat to

expect from an international system of tradable permits for carbon

emissionsrdquo Resource and Energy Economics 21 319-346

McKibbin WJ Morris A and Wilcoxen PJ 2008 Expecting the

unexpected macroeconomic volatility and climate policy Discussion

Paper 08-16 Belfer Center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Affairs

Harvard Kennedy School

Montgomery W D 1972 ldquoMarkets in Licenses and Efficient Pollution

Control Programsrdquo Journal of Economic Theory 5 395-418

Point Carbon 2014 The MSR Impact on market balance and prices

Thomson Reuters

Ranson M and Stavins RN 2015 ldquoLinkag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trading systems learning from experiencerdquo Climate

Policy 16(3) 284-300

Royal Norweigi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08 The Norwegian

Emissions Trading System Presentation to ICAO Workshop

Tietenberg T H 2006 Emission Trading Principles and Practice 2nd

Ed RFF Press

Tuerk A Mehling M Flachsland C and Sterk W 2009 ldquoLinking

carbon markets concepts case studies and pathwaysrdquo Climate

Policy 9(4) 341-357

UNFCCC 2015 Paris Agreement

UNFCCC 2016 Decision1CP21

참고문헌 97

lt기사 및 웹사이트gt

ClimateWire 2013 ldquoEU market troubles will prevent emissions trading

linkage - Califairchiefrdquo

EC 홈페이지 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reform_en

EC 홈페이지 httpseceuropaeuclimapolicieseffortregulation_en

EC 홈페이지 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allowances_en

Emissions-ETScom 홈페이지 httpswwwemissions-euetscomcarbon-

market-glossary872-european-union-emissions-trading-system-eu-ets

Emissions-ETScom 홈페이지 httpswwwemissions-euetscomborrowing

Exchange Monitor 홈페이지 ldquoCALIF FORGING AHEAD WITH EMI

SSIONS TRADING NEXT MONTH AIR CHIEF CONFIRMSrdquo

httpswwwexchangemonitorcomcalif-forging-ahead-with-emissions

-trading-next-month-air-chief-confirmsprintmode=1

Federal Office for the Environment Switzerland ldquoLinking of the Swiss

and European emissions trading systems big step forwardrdquo

httpswwwbafuadminchbafuenhometopicsclimatenews-releases

msg-id-67745html

Sandbag Carbon Price Viewer httpssandbagorgukcarbon-price-viewer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Western_Climate_Initiative

심 성 희

現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lt주요저서 및 논문gt

985172배출권거래제의 최적 운영을 위한 사회 여건 연구985173 에너지경제

연구원 기본연구 2012

985172배출권 경매의 이론과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 연구985173 에너지경제

연구원 기본연구 2013

985172우리나라 배출권거래제 진단과 개선방안985173 에너지경제연구원 기본

연구 2017

수시연구보고서 18-02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

2019년 1월 31일 인쇄

2019년 1월 31일 발행

저 자 심 성 희

발행인 조 용 성

발행처 에너지경제연구원

983732983732983733983732983731 울산광역시 종가로 405-11

전화 (052)714-2114(代) 팩시 리 (052)-714-2028

등 록 제 369-2016-000001호(2016년 1월 22일)

인 쇄 디자인 범신

에너지경제연구원 2019 ISBN 978-89-5504-725-7 93320

파본은 교환해 드립니다 값 7000원

본 연구에 포함된 정책 안 등 주요 내용은 에너지경제연구원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닌 연구진의 개인 견해임을 밝혀 둡니다

Page 6: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iv

배출권을 구매해서 의무이행에 활용하는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배출권

시장을 연계한 후 점진적으로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높여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끝으로 최근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으로 논의되는 협력적 접

근법이나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에 의한 감축실적도 상쇄배출권으로

허용하도록 함으로써 간접적인 형태의 연계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시

장 메커니즘에 한 지침이 확정되면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이들 접근

법을 활용한 다양한 감축사업들이 전개될 수 있으며 연계 상이 되는

EU-ETS도 시장 메커니즘과 연계할 가능성이 높다 간접연계와 병행할

경우 국제적으로 공인된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함과 동시에 lsquo부분 쌍방

향 연계 방식rsquo와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i

ABSTRACT

1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The carbon market mechanism under Article 6 of the Paris

Agreement has recently become one of hot issues in the UNFCCC

negotiations talk In line with the discussions of the international

climate negotiations the Korean government has a future plan to link

its emission trading system with the international carbon market and

furthermore considers to promote international linkage with foreign

emission trading systems in the long term

Against this backdrop the international linkage of emission trading

markets such as the carbon market linkage of Northeast Asia carbon

markets or Korea-EU carbon markets have been actively discussed at

the expert level In particular an international linkage of the emission

trading market in Korea which is suffering from imbalances in

supply and demand for emissions allowances has been mentioned as

an attractive alternative for expanding trade volumes and reducing

domestic carbon mitigation costs through enlarging the market size

However a linkage of emission trading markets is a multi-faceted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that should take into account a range of possible

side-effects as well as benefi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various

theoretical and empirical discussions surrounding the linkage of emission

ii

trading markets and recent negotiations on the international carbon market

mechanism under the Paris Agreement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ossible issues that may arise when linking Korean emission

trading market with the EU-ETS in the future its potential benefits and

costs of linkage and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sirable direction

of emissions trading market linkage

2 Summary and Implications

The coordination of the various design elements of the two emissions

trading markets that would be linked is essential for a successful linkage

between emissions trading markets The stringency of GHG reductions

targets allocation methods flexibility mechanisms such as banking

borrowing and carbon offset emission allowances price and supply

management schemes MRV and penalty schemes and so on are key design

factors to consider to link with other emissions trading schmes In

particular the stringency of GHG reductions targets the size of auctioned

units offset schemes and MRV systems are likely to emerge as key issues

in the linking process

We can learn some policy implications from examples of successful

linkages between emissions trading markets such as Quebec-California and

Switzerland-EU linkages ① linking the two markets are mutually beneficial

from each other ② the key design elements of the two emissions trading

markets that be linked are similar ③ It shows that the strong policy will

of the Parties is accompanied by successful market linkage

Abstract iii

Emission trading market linkages can be categorized into lsquofull

integrationrsquo lsquofull direct linkrsquo lsquopartial direct linkrsquo lsquoindirect linkrsquo through

carbon offset credits Basically the closer the market is to a fully

integrated type the higher the cost effectiveness market liquidity and price

stability while lowering policy autonomy

Next a scenario of linking K-ETS and EU-ETS was considered and the

main issues of the linkage scenario and desirable linking methods were

examined

In connection with the EU-ETS it is highly likely that issues such as

the stringency of GHG reduction targets the size of auctioned units and

the allocation of indirect emissions will be highlighted Banking borrowing

market management and MRV are not expected to be a big problem as

the design features between the two emissions trading schemes are not

quite different The most promising alternatives among the various linking

methods are lsquofull direct linkrsquo and lsquopartial direct linrsquo Which of these

methods is better suited to Korean emissions trading scheme depends on

the differences in emissions allowancesrsquos prices in the two markets

In general a lsquofull two-way direct linkrsquo is somewhat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effectiveness and market liquidity but it is somewhat

disadvantageous in terms of securing policy autonomy minimizing the

burden on the industry and securing social acceptance If the K-ETSrsquos

emissions allowances price is lower than that of EU-ETS compared to

without the linkage the lsquopartial two-way direct linkagersquo is more

appropriate This is because it will be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of

iv

K-ETSrsquos lack of liquidity even if it adopts the lsquofull two-way direct linkagersquo

method On the other hand if the emissions allowances price of K-ETS is

higher than that of EU-ETS before the market linkage and if counter-part

market planner would accept the high emissions allowances price as a

signal of the corresponding stringency of Korearsquos GHG reductions target a

full two-way direct linkage could be advantageous However despite the

high market price if it is not acceptable as a signal of an high ambition of

GHG reductions a full two-way direct linkage may only increase the cost

burden of domestic participants and reduce the acceptability of the system

In conclusion if the additional benefits of transition from a partial

two-way direct linkage to a full two-way direct linkage are not significant

the partial two-way direct linkage which is advantageous for securing

policy autonomy will be a more desirable way Thus we recommend that

it is not advisable to link with the EU-ETS in a full two-way direct

manner from the outset In the early stages it would be advisable to link

the markets in a partial two-way direct manner in which EU-ETS

allowances are freely purchased and used to fulfill their obligations within

an appropriate range and then gradually increase the share of obligations

of the other allowances

Finally indirect linkage need to be paralleled by allowing the GHG

reductions credits by cooperative approaches or sustainable development

mechanisms under Article 6 of the Paris Agreement Once the guidelines

for market mechanisms are finalized in the near future various mitigation

activities can be developed at the global level In fact EU-ETS is also

Abstract v

likely to allow some credits from the market mechanisms Thus in parallel

with indirect linkages the market mechanisms under Article 6 of the

Paris Agreement also need to be utilized in parallel with a lsquopartial two

way direct linkagersquo between K-ETS and EU-ETS that would create

synergistic effects of the carbon market linkage

차례 i

제목 차례

제1장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제2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편익과 비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가 비용효과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나 시장 유동성과 가격 안정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다 동태적 효율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라 환경 건전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마 정치적 편익과 비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2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주요 고려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나 상쇄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다 배출권 가격 및 공급관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라 배출권 할당방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마 상 온실가스 및 적용 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

바 이월 및 차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

사 기타 고려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가 직접 연계 완전 통합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ii

나 직접 연계 쌍방향 연계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

다 직접 연계 단방향 연계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라 간접 연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

2 배출권 시장 연계의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가 스위스 배출권거래제와 EU-ETS의 연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나 퀘벡과 캘리포니아 배출권거래제의 연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

다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추진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3 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

가 상호 호혜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

나 핵심 설계요소의 유사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

다 정책적 의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 동향과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1 파리협정 이후의 탄소시장 논의 동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가 주요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나 후속협상 주요 경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다 주요 쟁점 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2 Post-2020 탄소시장 전망과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1 우리나라 ETS와 EU-ETS의 주요 설계요소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나 할당방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다 유연성 메커니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

라 의무이행 관련 사항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

차례 iii

2 K-ETS와 EU-ETS 연계 시 예상 쟁점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가 감축목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나 할당방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8

다 상쇄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9

라 기타 사항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3 배출권 시장 연계 방식별 편익 비용 그리고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3

가 시장 연계 유형별 편익 비용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3

나 K-ETS와 EU-ETS 간 연계를 위한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제6장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iv

표 차례

lt표 Ⅲ-1gt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표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

lt표 Ⅲ-2gt 스위스와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

lt표 Ⅲ-3gt 캘리포니아-퀘벡과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

lt표 Ⅳ-1gt 파리협정 제6조 주요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

lt표 Ⅴ-1gt 우리나라와 EU의 배출권거래제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차례 v

그림 차례

[그림 Ⅱ-1] A국과 B국의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에 따른 가격결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제1장 서론 1

제1장 서 론

최근 파리협정(Paris Agreement) 제6조에 근거하여 2020년 이후 국

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의 구체적인 정의 구조 기능 활용방법 절차 및

거버넌스 등에 관한 국제사회의 논의가 진행 중이다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활발한 논의의 배경은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할 경우

비용효과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 출발한다 이

와 같은 국제사회의 논의와 발맞추어 우리 정부도 2030년까지 BAU

비 37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제시하면서 목표 감축량의 45를 산

림흡수원 및 해외 감축분을 통해 달성하겠다고 밝히고 있다(관계부처

합동 2018)

한편 우리나라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비용효과적으로 달성하

기 위해 2015년부터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도입middot운영 중이다 지난

2017년에 발표된 제2차 계획기간(2018~2020년) 동안의 배출권거래제

운영방향을 제시한 제2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은 5가지 배출권거래

제 운영의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정부는 ldquo국제 탄소시장

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국제기준에 부합rdquo하도록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할

계획이며 특히 ldquo장기적으로 배출권거래제 국제 연계를 통한 해외 상

쇄 등 활성화로 유연성 제고 및 감축비용 절감 도모rdquo를 천명하였다

(기획재정부 2017) 이러한 기본계획의 방향성을 이어받아 최근 한-중

-일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 지역의 탄소시장 연계와 한국-EU 탄소시장

협력체계 등 배출권 시장의 국제 연계에 관한 논의가 전문가 차원에서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배출권 수급 불균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

2

는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 시장의 국제 연계는 시장의 규모

화를 통한 거래활성화 및 국내 기업 감축비용 완화를 위한 매력적인

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잘 알다시피 배출권거래제는 이론적으로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한

가장 비용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EU-ETS를 시작으로 여러

국가에서 배출권거래시장이 운영되고 있는 가운데 각 국가의 배출권거

래시장의 연계는 이론적으로 배출권 시장의 규모화를 통해 비용절감

효과를 극 화시키고 참여 국가들의 편익을 증가시킬 것으로 여겨진

다 그러나 Flachsland et al(2009) Ranson and Stavins(2015) 등의 기

존 연구들은 배출권 시장의 국제적 연계가 비록 이론적으로는 경제적

효율성을 증 시키지만 경제성만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매우 다면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론이 예상하는 바와 다른 다양한 부작용이 존

재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를 둘러싼 다양한 이론적middot실증적

논의와 파리협정하의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최근 협상 동향

을 검토해보기로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을 주요

국(EU) 배출권 시장과 연계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쟁점들 연계

의 잠재적 편익과 비용을 전망해보고 시장 연계의 바람직한 방향에 관

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의 편익

과 비용에 관한 그간의 이론적middot실증적 논의를 검토하고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해 논의한다 제3장에서는 배출권 시장이 연계

되는 다양한 유형과 더불어 퀘벡-캘리포니아 스위스-EU 등 배출권 시

장 연계의 해외 사례를 살펴보고 그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

제1장 서론 3

점을 도출하였다 제4장은 파리협정하의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최근 협상동향과 전망에 해 논의한다 제5장에서는 표적인 배출권

시장인 EU-ETS와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K-ETS)의 연계를 상정한 정

성적인 사례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EU-ETS와 K-ETS의 연계

시 부각될 수 있는 다양한 쟁점들과 시장 연계에 따라 우리가 얻을 수

있는 편익과 비용에 해 전망해보고 K-ETS의 입장에서 바라본 바람

직한 배출권 시장 연계의 방향에 해 모색해 보았다 끝으로 제6장에

서는 앞선 논의들을 종합 정리하면서 보고서를 매듭짓기로 한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5

제2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본 장에서는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배출권 시장 연계와 관련한 이론

적 실증적 논의 동향을 살펴본다 그간 배출권 시장 연계와 관련된 무

수히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하나의 축은 배출권 시장을 연계

할 경우 얻을 수 있는 편익과 비용에 관한 논의이며 다른 하나는 배출

권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요소에 한 논의로 별된다(Helm

2003 Anger 2008 Babiker et al 2004 Jaffe and Stavins 2008

Carbone et al 2009 Flachsland et al 2009 등) 또한 편익 비용 그

리고 연계 시 두될 쟁점들을 종합적으로 다룬 연구들도 다수 존재한

다(Tuerk et al 2009 Flachsland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박수경 외 2018 등)

여기서는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이 다른 시장과 연계될 경우 얻을 수

있는 잠재적 편익과 비용 그리고 연계 시 반드시 짚고 가야할 고려요소

들이 무엇이 있는지에 하여 기존 연구들에서 논의하고 있는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에 해 고찰해보기로 한다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편익과 비용

가 비용효과성

서로 다른 배출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발생 가능한 표적인 경제적

편익으로 비용효과성을 꼽을 수 있다 서로 다른 두 시장의 배출권 가

격이 연계 이후 균등화되면서 두 시장의 감축비용의 총합이 줄어들기

6

때문이다(Chichilnsky and Heal 1995 Anger 2008 Flachsland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아

래와 같은 상황을 고려해보자1)

배출권거래시장이 연계된 두 국가 A와 B가 있는데 A국은 B국에

비해 상 적으로 온실가스 감축기술이 발달하여 온실가스 감축의 한계

비용이 낮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각 국의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은 [그림 -1]와 같이 그려질 수 있다 여기서 A국과 B

국의 규제 이전의 배출총량은 로 동일하다고 가정하며 A국의

배출상한은 B국의 배출상한은 라고 하자 또한 두 국가의

배출권 시장은 완전경쟁적이라고 가정하자

[그림 Ⅱ-1] A국과 B국의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에 따른 가격결정

A국 배출상한

B국 배출상한

Y

X

자료 Anger(2008 p2032) 및 Flachsland et al(2009 p362)를 참조하여 저자 재작성

1) 여기서는 Flachsland et al(2009 p362)의 도면 분석(graphical analysis)을 저자가 약간 변형하여 제시하기로 한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7

그러면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 이전 각국의 배출권 가격은 각각

와 에서 형성될 것이다 이때 각 국의 배출권 가격의 격차는 배출

권거래시장의 연계 유인이 될 수 있다 B국의 경우 상 적으로 배출권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더 낮은 비용으로 온실가스 감축하기 위해 A국

으로부터 배출권을 구매하기 원할 것이고 A국의 경우 배출권을 판매함

으로써 이익이 발생하기 때문에 배출권 시장 연계가 가능할 것이다

배출권거래 시장이 연계될 경우 A국 배출권의 수요는 증가하기 때

문에 A국에서의 배출권 가격은 상승하게 되고 B국의 경우 A국으로

부터의 배출권 유입으로 배출권 공급이 증가하므로 배출권 가격은 하

락하게 된다 즉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의 차이에 따라 A국에서 B국

으로 배출권이 이전되고 결과적으로 두 국가의 배출권 가격이 로 동

등해지는 까지 지속된다 즉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의 차이에 따른

배출권 이전으로 연계시장에서 배출권의 균형가격은 수준으로 결정

된다 이 때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에 따른 비용은 전체적으로 X와 Y

면적만큼 감소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비용효과성이 항상 달성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도 언급

하였듯이 시장 연계가 가져다주는 비용효과성을 논의할 때 두 국가의

배출권 시장이 완전경쟁적인 상황을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연계되는

두 시장에 외부성이나 왜곡적 조세체계 등으로 인한 시장 왜곡이 존재

할 경우 배출권 시장 연계는 기존의 왜곡을 오히려 강화시킴으로써 비

용효과성을 저해할 가능성도 있다(Flachsland et al 2009) 예를 들어

어떤 사유(또는 특정 목적)로 인해 에너지원 간 조세체계가 사회적으

로 바람직한 상 가격체계를 따르지 못하지만 배출권거래제를 통해 효

율적 배분이 달성되고 있는 상황을 생각해보자 이때 배출권 시장 연

계로 인해 배출권 가격이 변할 경우 에너지원 간 소비 왜곡으로 인한

8

비효율성이 발생한다 만일 배출권 시장 연계로 인한 감축비용의 감소

에 비해 그러한 비효율성이 더 크다면 배출권 시장 연계는 사회 후생

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2)

나 시장 유동성과 가격 안정성

서로 다른 배출권 시장이 연계되면 개별 배출권 시장이 독립적으로

병존할 때에 비해 전체 시장 규모는 확 되며 그로 인해 배출권 시장

의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다 시장 규모가 커지게 되면 배출권 시장에

서 유동성(liquidity)이 커지게 되며 배출권 가격의 안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Flachsland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특히 유동성 확 와 그로 인한 배출권 가격 안정의 효과는 연계 이전

에 시장 규모가 상 적으로 작은 시장에서 크게 나타난다 시장을 연계

하기 이전에 두 시장 모두 규모가 작을 경우 양쪽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시장 규모가 비 칭적인 경우 상 적으로 규모가 작은

시장에서 이와 같은 효과를 크게 누리게 된다 시장 규모가 협소하여 배

출권 수급 불균형이 자주 나타나는 시장이 보다 큰 시장과 연계할 경우

수급 불균형에 따른 문제를 크게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장 연계가 반드시 규모가 상 적으로 작은 시장의 가격 안

정성을 증 시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특정 배출권 시장의 변동성이

다른 배출권 시장으로 전이될 수도 있다(Mckibbin et al 2008) 만일

연계하는 큰 규모의 상 편 배출권 시장에서 과다 할당 과다한 상쇄

배출권의 유입 등의 이유로 규모 시장에서 급격한 시장 가격 변동이

발생할 경우 배출권 시장 연계는 소규모 배출권 시장의 가격 불안정성

2) Babiker et al(2004)와 Mckibbin et al(1999) 등은 기존 시장에서의 왜곡이 존재할 경우 배출권 시장 연계가 반드시 효율성을 가져다주는 것은 아님을 보여주었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9

을 오히려 크게 확 될 것이다 결국 배출권 시장 연계가 가격 안정성

에 미치는 효과는 연계되는 시장의 규모에 따라 다르며 수급 불균형

에 따른 효과의 동태적 경로 또한 가격 충격의 근원지가 어디냐에 따

라 비 칭적으로 나타날 것이다

다 동태적 효율성

온실가스로 인한 기후변화는 국지적이며 단기적인 이슈가 아닌 글로

벌한 장기적인 이슈이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 정책 당국자들이 매우

높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강도 높은 감축수단의 이행을 약

속했다고 하더라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러한 감축목표와 수단의 강

도를 낮추고자 하는 유인에 직면할 수 있다3)

이때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동태적 비일관성의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다(Flachsland et al 2009) 기후변화 정책의 동

태적 비일관성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정책 당국자가 재량적 의사결정

을 할 여지가 늘어나기 때문에 발생한다 만일 두 국가(또는 지역)의

배출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특정 국가의 배출권거래제도와 관련된 재

량적 의사결정(배출상한의 설정 배출권의 할당 상쇄제도 등)은 연계

된 전체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일단 시장이 연계되고 난

이후에는 그러한 의사결정 시 다른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하는 국가(또

는 지역)와 충분한 사전협의를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상 국가(또

는 지역)의 명시적 또는 암묵적 압력에 직면하게 되며 독자적인 배출

권 시장을 운영하는 경우에 비해서 감축의 강도를 낮추는 방향으로 재

3) 이른바 동태적 비일관성(time inconsistency problem)의 문제로서 Helm et al(2003)은 기후변화정책에서의 동태적 비일관성을 다루고 있다

10

량적 의사결정하기가 더 어렵다 이처럼 배출권 시장 연계는 특정 국

가에서 재량적 의사결정을 할 여지를 낮춤으로써 안정적인 탄소가격

신호를 전달하고 감축투자를 촉진하는데 도움이 된다4)

물론 배출권 시장 연계의 구체적인 유형에 따라 동태적 효율성의 크

기는 달라질 수 있다 상 편 시장의 배출권을 의무이행에 일부 허용

하는 방식의 느슨한 연계보다는 전체 감축목표 및 배출상한을 상호 협

의하는 방식의 연계가 동태적 효율성 확보에 유리할 것이다

라 환경 건전성

선행 연구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 연계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일률적이지 않다 Carbone et al(2009)에 따르면 배출

권 시장 연계는 그렇지 않을 때에 비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 환경

건전성에 도움을 준다 Carbone et al(2009)은 한계감축비용과 감축의

환경적 편익이 높아서 배출권의 순 구매자가 되는 국가들과 한계감축

비용이 낮고 배출의 한계편익이 낮아 배출권의 순 판매자가 될 소수의

규모 배출권 판매 국가들이 서로 연계하는 상황을 상정하여 분석하

였다5) 이때 배출권 할당량은 참여하는 국가들이 합의해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 주권국가로서 독자적으로 결정한다

4) 한편 항상 배출권 시장 연계가 동태적 효율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 만일 특정 국가(또는 지역)의 한계감축비용이 상당히 높아 배출권 시장 연계 이후 상당량의 배출권을 구매하는 경우 자체적인 감축노력보다는 연계된 시장에서 배출권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목표를 충당함으로써 자체 감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다양한 공편익(co-benefits) 예를 들어 기오염 저감 에너지 안보 강화 감축기술 촉진 등을 장기적으로 내재화하지 못할 가능성도 상존한다(Flachsland et al 2009)

5) 가령 배출권 순 구매자로서 EU와 배출권 순 판매자로서 개발도상국인 중국 및 러시아가 상호 연계하는 상황을 상정해보라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1

배출권 판매국가의 입장에서는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이 높은 수준으

로 유지되어 얻는 이익과 높은 배출권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배출권

할당량을 제한함으로써 잃게 되는 비용을 상호 비교하여 최적의 의사

결정을 하게 된다 만일 소수의 규모 배출권 판매국가가 공급독점자

로서 시장지배력을 가질 경우 배출권 가격 하락을 억제하기 위해 할당

량을 낮출 유인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수준은 줄

어드는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특히 Carbone et al(2009)은 EU-중

국-구소련연방이 서로 배출권 시장을 연계하는 상황에 한 연산가능

일반균형(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모형 기반 시뮬레이

션 분석을 통해 연계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서 두 배 이상의 온실가스

감축이 가능함을 보였다

반면 Helm(2003)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이 연계됨으로써 오히려 배출

권 할당량이 늘어나 환경 건전성을 저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은 배

출권 할당량을 늘임으로써 발생하는 추가적인 환경적 피해와 배출권 가

격 하락에 따른 손해에 비해 배출권 판매량의 증 에 따른 수입 증

효과가 더 큰 경우에 발생한다 이 경우 시장 연계에 따라 배출권의 순

판매국이 되는 국가는 자국의 배출권 할당량을 연계 이전에 비해 늘리

고자 하는 유인을 가지며 이로 인해 두 시장의 전체 배출권 할당량 총합

은 연계되기 전에 비해 늘어날 경우 환경 건전성을 해칠 수 있다6)

전술한 두 가지 경우 중 어느 경우가 더 현실적인 시나리오인지는

일률적으로 답하기 곤란하다 결론적으로 배출권 시장 연계가 환경

건전성에 미치는 효과는 연계되는 국가들의 한계감축비용 및 한계환경

편익의 구조 각국의 배출권 시장구조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6) 이때 순 효과의 크기는 한계감축비용 및 한계환경편익에 따라 달라진다 자세한 사항은 Helm(2003)을 참조하라

12

마 정치적 편익과 비용

배출권 시장 연계는 근본적으로 서로 다른 두 시장의 국제적인 상호

협력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국제정치적 전략의 관점에서 긍정적인 효과

를 가진다(Ranson and Stavins 2015) Ranson and Stavins(2015)가 주

장한 바와 같이 배출권 시장 연계는 기후변화 응에 한 참여 국가

의 적극적인 의사를 국제적으로 천명하는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 응과 관련한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고 국제적

인 신뢰를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7)

배출권 시장 연계가 정치적 측면의 편익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그

이면에는 치러야 할 또 다른 가가 존재한다 특정 국가가 자국의 단

일한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는 경우 정부 당국은 해당 시장에 한 배

타적인 통제권을 가지며 정책 환경 변화에 따라 유연한 응이 가능하

다 그러나 다른 배출권 시장과 연계될 경우 구속력을 가지는 국내 규

제정책에 한 국가의 개입 범위가 줄어들어 규제의 유연성을 제 로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다(Jaffe and Stavins 2008 Flachsland et al

2009)

7) 한편 Ranson and Stavins(2015)은 배출권 시장 연계가 특정 국가의 배출권 시장의 도입에 영향을 준 도구로서 활용되기도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EU-ETS는 제3기에서 최빈개도국(Least Developing Countries LDCrsquos) 국가에서 나온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 배출권만을 상쇄로 허용하겠다는 결정을 하였다 그런데 이로 인해 당시 EU 시장에서 청정개발체제 배출권 공급의 상당량을 차지하던 중국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의 시장 공급이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중국이 독자적인 자국 내 배출권 시장을 도입하게 된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물론 중국의 배출권 시장 도입이 자국의 청정개발체제 배출권 해결을 위한 방편이었다는 Ranson and Stavins(2015)의 해석에는 다소 이견이 있을 수 있으나 중국의 배출권 시장 도입이 자국의 잉여 청정개발체제 배출권 해소에 일정 부분 기여했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 이것은 배출권 시장의 연계가 아닌 lsquo연계의 단절rsquo이 특정 국가의 적극적인 기후변화 응 정책수단 도입을 이끌어낸 흥미로운 사례라고 하겠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3

후술하겠지만 배출권 시장 연계과정에서 감축목표의 강도 가격상한

여부 상쇄제도의 설계 방식 이월과 차입의 허용 정도 등 다양한 설계

요소에 따라 배출권 시장 연계 전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

다 이러한 맥락에서 배출권 시장 연계 사전에 그러한 설계요소별로

양 시장간 긴 한 협력과 조정이 필요하며 이는 결국 배출권거래제도

설계에 있어서 배타적 통제권과 규제 당국의 유연성에 해 일정 정도

의 양보가 뒤따를 수 있다8) 결과적으로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는 국

가 주권의 부분적 양도라는 정치적 도전에 직면할 우려가 있음에 유의

할 필요가 있다

2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주요 고려사항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는 경제적 정치적 측

면 등에서 연계에 따른 잠재적 편익과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배출권거래시장을 연계하여 잠재적 편익을 극 화하면서 비용을 최소

화하기 위해서는 시장 연계의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

라서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를 설계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본 절에서는 배출권거

래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할 주요 사항들에 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에 있어서 감축목표는 배출권의 가격뿐만 아

8) Flachsland et al(2009)은 ldquo연계는 기본적으로 효율성 증 와 규제적 개입의 감소 간의 상충관계를 내포한다rdquo고 지적하였다

14

니라 감축비용의 효율성 증 및 분배효과의 크기 등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배출권 시장 연

계를 다룬 여러 선행 연구들은 감축목표의 상 적 격차가 클 경우 배

출권 시장 연계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Tuerk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감축목표의 엄격성 차이가 배

출권 시장 연계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이유는 연계를 통한

경제적 편익에도 불구하고 정치적middot분배적 관점에서의 쟁점들을 부각시

켜 제도의 수용성을 낮추기 때문이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배출권 시장을 연계하는 가장 큰 논거는 비용

효과성에 있다 비용효과성은 연계하는 두 시장 간 감축비용의 차이에

서 나온다 그러나 반 로 배출권 시장이 연계된 이후 높은 감축목표

를 설정한 국가의 기업들이 상 적으로 낮은 감축목표를 설정한 국가

의 기업들로부터 거 배출권을 구입하여 자본이동이 발생하게 되면

고강도 감축목표 설정 국가의 기업들로부터 국가 간 감축목표의 형평

성 관점에서 제기되는 상당한 정치적 저항에 부딪힐 수 있다9) 또한

연계 이전에 고강도 감축목표 국가의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의 순 판

매자인 기업이 시장 연계 이후에 배출권 판매규모가 줄어들게 되고

그로 인해 연계 이전에 비해 순 편익이 줄어들 경우 분배적 이슈가 부

각될 가능성도 있다10)

9) 두 시장의 감축목표의 강도나 감축비용이 유사한 경우에는 이러한 쟁점은 사라지는 반면에 시장 연계로 인한 경제적 편익은 줄어들게 된다는 역설적인 측면이 존재한다(Ranson and Stavins 2015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10) 한편 감축목표의 상당한 차이가 나더라도 양 시장이 이를 감안한 적절한 교환비율을 설정한다면 이론적으로는 시장 연계에 큰 장애요인이 되지 않을 수 있다(Burtraw et al 2013 Ranson and Stavins 2015) 그럼에도 불구하고 Ranson and Stavins(2015)는 감축목표와 배출권 가격에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경우 시장 연계에 큰 장애요인이 될 수 있으며 ClimateWire(2013)을 인용하면서 EU-ETS 배출권 가격의 급락이 캘리포니아 배출권 시장과의 연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5

따라서 배출권시장의 연계를 추진할 경우 연계를 통한 경제적 편익

이외에도 감축목표의 엄격성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국가 간의

자본 이동 문제와 이에 따른 분배 문제에 해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

요가 있다 또한 감축목표의 강도에 해 연계 이전 양 당국자간의 충

분한 사전 논의와 조율이 선행되어야 하며 필요할 경우 시장 연계로

인해 영향을 받는 경제주체들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중요할

것이다

나 상쇄제도

상쇄제도는 배출권 시장의 공급량 및 이를 통한 시장 가격에 직접적

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자 국내적 감축활동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설계요소이다 상쇄제도가 크게 차이가 나는 서로 다른 두 시장

이 서로 연계될 때 상쇄제도의 차이로 인해 배출권의 공급 및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Teurk et al 2009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예를 들어 세계 최 배출권거래시장인 EU-ETS는 2020년 이후부터

역내 온실가스 감축노력 강화를 위해 역외 탄소상쇄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기로 하였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EU-ETS

와 다른 배출권 시장이 서로 연계되고 연계된 다른 배출권거래시장에

서 탄소상쇄의 사용을 허용할 경우 여기서 발생되는 상쇄배출권은 사

실상 EU-ETS에서 사용가능한 상황이 된다 연계된 다른 배출권거래제

의 할당배출권을 EU-ETS에 판매하는 신 그에 해당하는 양만큼의

상쇄배출권을 유입시키면 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할당배출권과 상쇄배출권은 통상적으로 상호 호환이 가

16

능하기 때문에 연계된 시장 간 상쇄의 활용에 한 다른 인식을 가지

고 있다고 하더라도 한 국가에서 상쇄제도를 허용할 경우 상쇄제도를

허용하지 않는 국가 또한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다 만일 연계를

고려중인 두 시장이 서로 다른 상쇄제도를 운영하고 있고 연계 시 상

쇄제도의 시장 수급 영향이 크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국가 간 상쇄제

도의 인식 및 활용 허용 여부 등에 한 사전 논의와 조율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될 것이다

다 배출권 가격 및 공급관리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하는 주체는 배출권 시장의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 배출권의 가격 및 공급에 관한 사항을 별도의 규정을 두어 관리

하기도 한다 여러 배출권 시장에서 도입하고 있는 배출권 가격 상middot하

한제도나 EU-ETS의 배출권 경매 연기(Back-loading of auctions) 조치

와 같은 배출권 공급량 조절 장치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11) 만약 가격

상한제 또는 하한제와 같은 배출권 가격 또는 공급량 관리 규정이 한

국가의 배출권 시장에 존재하거나 도입될 경우 이 시장과 연계되는

다른 국가의 배출권 시장에서 동일한 규정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연계

된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배출권 가격 상middot하한제도가 한 시장에 존재하고 다른 시장에는 존재

하지 않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경우 배출권 시장이 연계되어 있다

면 참여주체들의 재정거래(Arbitrage)를 통해 연계된 시장의 배출권 가

11) 배출권 경매 연기(Back-loading of auctions)는 EU 배출권 시장의 수급 안정화를 위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총 9억톤의 배출권 경매를 2019년 이후로 연기하는 조치로서 EU-ETS 경매 규제에 한 수정의 일환으로 2014년부터 시행되었다(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reform_en)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7

격은 결국 배출권 가격 상middot하한 범위 내로 수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연계된 시장의 모두에서 배출권 가격의 상middot하한제도를 도입한 것과 동

일한 결과를 가져다줄 공산이 크다

다음으로 공급량 관리 조치가 존재하는 상황을 EU-ETS 사례를 통

해 살펴보자 EU는 배출권 경매 연기에 뒤이어 배출권거래시장의 안

정화를 위해 배출권 비축제도(Market Stability Reserve 이하 MSR)를

도입하였다12) 만약 EU-ETS가 다른 시장과 연계되었다고 할 때 EU의

배출권 비축제도는 연계된 배출권 시장 전체를 상으로 한 배출권 공

급량을 기준으로 준칙이 설정되어야 배출권 시장 수급 안정화에 이상

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연계된 두 배출권 시장은 하나의 배출권 시장

으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연계된 두 시장의 전체적인 수급 불균형

이 아닌 한 시장의 수급 불균형만을 고려하여 제도를 운용할 경우 배

출권 수급 불균형 해결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를 위해서는 각

국가 간 배출권 공급과 배출권 가격에 관한 효율적인 관리 제도에 관

해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라 배출권의 할당방식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배출허용총량이 주어진 상황에서 배출권의 할

12) MSR은 배출권 경매량 조절을 통해 수급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배출권의 공급량이 사전에 정한 특정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배출권의 경매 규모를 감소시키고 그 감소분만큼을 비축하며 반 로 배출권시장 내에 배출권이 과소 공급될 경우에는 비축분의 방출하여 경매 규모를 증가시켜 공급량을 늘리는 방식으로 운용한다 현재 배출권 경매 연기 조치를 통해 확보된 9억톤이 MSR에 비축될 예정이며 추가 비축분은 2020년 이후 배출권 시장 상황에 따라 정해진 준칙에 의거 결정될 예정이다 아직까지 비축을 위한 구체적인 준칙은 확정되지 않았다(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reform_en)

18

당방식은 비용효과성에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한다(Mongomery 1972

Tietenberg 2006 Hahn and Stavins 2011) 물론 배출권거래시장의

참여주체에게 분배적 관점에서 영향을 미칠 수는 있다 그러나 국가

간 배출권 할당방식의 차이에 따른 영향은 두 시장의 연계 여부에 상

관없이 존재하기 때문에 비용효과성의 측면에서는 할당방식이 배출권

거래시장의 연계에 있어 직접적인 함의를 가지지 않는다13) 다만 연계

된 두 시장 모두 경매를 통한 배출권 할당을 할 경우 연계 이전에 배

출권 가격이 높게 형성된 국가의 경우 연계에 따라 가격이 낮아져 상

적으로 적은 경매수입을 얻을 수 있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경매수입이 다시 감축을 위한 활동에 중립적으

로 사용된다고 한다면 그 영향도 매우 제한적일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고려해야 할 점은 한 국가는 경매를 통해 할당하고

다른 국가는 무상으로 배출권을 할당하는 상황에서 두 시장이 서로 연

계되는 경우이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할당방식의 차이 자체가 배

출권 시장에 주는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다14) 그러나 일단 시장이 서

로 연계된 이후엔 유middot무상할당 방식의 차이로 인해 두 국가 간 산업경

쟁력이 정치적 쟁점으로 부각될 수 있다 즉 무상할당 방식을 취하는

13) 다시 말해 A라는 할당방식(국가 1에는 a1 국가 2에는 a2라는 할당방식)을 B라는 할당방식(국가 1에는 b1 국가 2에는 b2라는 할당방식)으로 변경하더라도 연계 전과 연계 후의 비용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동일하다 왜냐하면 연계가 없을 경우 최초 할당 이후 두 시장의 배출권 최종 균형가격은 A와 B 할당방식 모두에서 동일하며 연계된 경우에도 배출권 최종 균형가격은 할당방식에 관계없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할당방식을 어떻게 하든 할당방식에 따른 연계 전과 후의 비용효과성 변화의 크기는 동일하므로 할당방식이 배출권 시장 연계에 주는 직접적 함의는 제한적이다

14) 경매를 주된 할당방식으로 택하는 국가의 기업들이 무상할당을 주된 방식으로 채택한 국가로 생산시설을 이전하는 탄소누출(carbon leakage)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사실 이러한 탄소누출은 시장이 독자적으로 운영되더라도 유사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시장 연계가 추가적인 탄소누출을 야기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9

국가에 해 유상할당으로 할당방식 변경을 요구하는 명시적 또는 묵

시적 압력이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15) 따라서 할당방식에

있어서 유middot무상의 차이가 나는 경우 국가 간 상호조율과 양해가 전제

되지 않는다면 시장 연계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마 대상 온실가스 및 적용대상

배출권거래제의 적용을 받는 기업의 범위 및 배출제한 적용을 받는

상 온실가스는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소들이다 상 온실가

스 및 적용 상의 차이가 적용할 수 있는 온실가스 감축옵션이나 배출

권 할당 규모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기는 하지만 이는 시장 연계와

상관없이 영향을 주는 요소이므로 시장 연계 전후의 차이에 영향을 주

는데 제한적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이들은 적용여부에 따라 해당 산업의 경쟁력에 직접적인 영

향을 미치는 요소이므로 시장 연계 이후 배출권 가격 변화를 통해 간

접적으로 산업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이러한 경쟁력 변화는 특정 국가의 참여기업들의 수용

성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나아가 동태적인 관점에서 제도적 변화에

한 정치적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간과해선 안 된다

예를 들어 한 시장에서는 NF3를 규제 상 온실가스에 포함하는데

반해 다른 국가에서는 이를 규제 상에서 제외한다고 하자 이 경우

NF3가 규제 상에서 제외된 국가의 배출기업들은 그렇치 않는 경우

에 비해 상 적으로 유리한 입장이 된다 이들 두 국가의 배출권 시장

15) 물론 시장 연계 이전에도 이 문제는 국가 간 쟁점이 될 수 있으나 배출권 시장이 독자적으로 운영될 때보다는 연결된 경우에 쟁점화될 개연성이 더 높다

20

이 연계될 때 규제 상의 차이가 연계 전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은 매우 제한적이다 그러나 앞서 유middot무상할당 방식에서와 같이 일단

연계된 이후에는 상 적으로 불리한 입장의 기업들을 중심으로 제도적

형평성에 한 이의를 제기할 수 있고 중장기적으로는 제도적 수렴을

요구하는 경제 외적 압력을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

요컨 상 온실가스와 적용 상의 차이는 단기적으로는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핵심 쟁점은 아니다 그러나 앞선 예처럼 중장기적으

로는 연계 이후 참여 상자들의 수용성 및 형평성에 한 문제 제기 및

제도 수렴에 한 정치적 압력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바 이월 및 차입

이월(banking)은 해당 연도의 배출권 잉여분을 이후 연도에 의무이

행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두 국가 간 배출

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한 국가에서 배출권의 이월을 허용하고 있을

경우 연계된 다른 국가가 이월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간접적으로 이월

제도를 허용한 것과 유사하게 된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국가 A가 배출권 이월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국가 A의 기업들

은 해당 연도 배출권을 이월을 허용하는 국가 B의 이후 연도 배출권과

교환하여 이를 이후 연도 이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

서 어떤 시장에서 이월을 허용하지 않아야 하는 특별한 사유가 있다면

배출권 시장 연계 이전에 이월 관련 규정에 한 국가 간 상호 조율이

필요하다16)

16) 참고로 현재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한 부분의 국가는 배출권의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고 있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21

배출권의 차입(borrowing)은 이월과 반 되는 개념으로 배출권거래

제에 참여하는 업체가 해당 거래 연도에 배출허용량을 초과해서 배출

했을 때 다음 연도 배출권 할당량 중 일부를 차입하여 사용하는 제도

이다 차입 역시 이월과 유사한 논리로 두 국가 간 배출권 시장이 연계

되어 있다면 한 국가에서 배출권의 차입을 허용하고 있을 경우 연계된

다른 국가가 차입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이 국가에서 간접적으로 차입

제도를 허용한 것과 사실상 동일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배출권의 차입

은 현재 시점에서의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을 이연시키

는 효과를 가지므로 환경 건전성 관점에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

다 이로 인해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한 부분의 국가는 차입을 허용하

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일 어떤 시장에서 특정한 사유로

인해 차입을 허용하는 경우엔 배출권 시장 연계 이전에 차입 관련 규

정에 한 국가 간 상호 조율이 필수적이다

사 기타 고려사항

온실가스 배출량의 측정 및 보고 검증(Measurement Reporting and

Verification MRV) 기준은 두 배출권 시장 연계에 있어서 중요하다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연계된 두 시장의 MRV 기준

및 강도 등에서 상당한 차이가 날 경우 두 배출권의 상호 호환성

(fungibility) 및 등가성에 한 논란이 커질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그

러나 서로 다른 MRV체계가 반드시 시장 연계의 장애요소가 되는 것

은 아니며 양 국가 간 합의만 전제된다면 등가비율의 조정을 통해 연

계가 가능하다(Tuerk et al 2009)17)

17) 물론 Tuerk(2009)가 지적하듯이 MRV체계의 투명성(transparancy)과 비교가능성

22

또한 연계된 배출권시장 간의 배출권 이전이 가능하기 위해서 배출

권거래시장의 등록소는 두 시장 간 호환 가능해야 하는데 이는 다분

히 기술적인 요소로 시장 연계에 있어서 장애요인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연계된 배출권시장 간에 신뢰 구축을 위하여 감축목표

불이행에 따른 페널티와 의무이행 체계는 연계된 시장 간에 유사해야

할 것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comparability)이 보장되어야 하며 기준과 강도 그리고 등가비율 등에 한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3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

두 배출권 시장이 서로 연계되는 방식은 다양한데 크게 나누어 보면

직접 연계(direct link)와 간접 연계(indirect link)로 구분된다(Tuerk et

al 2009) 직접 연계는 두 배출권 시장 간 직접적인 배출권 거래가 가

능한 경우를 의미하며 간접 연계는 두 시장 간 직접적 거래가 가능하

지 않지만 제3의 시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된 경우를 뜻한다(Tuerk

et al 2009 Flachsland et al 2009) 다시 직middot간접 연계는 몇 가지 서로

다른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아래에서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가 직접 연계 완전 통합형

완전 통합형 직접 연계는 서로 다른 별개로 운영되던 배출권 시장이

하나의 배출권 시장으로 통합되는 유형을 말한다 이 경우 서로 다른

할당배출권이 하나로 통합되며 개별적으로 진행되던 배출권 할당 또한

전체 시장을 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선 감축목표의 설정 및

배출권 할당 상쇄제도 등 다양한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소들

에 해 두 시장간 완전한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감축목표

의 설정 등과 관련하여 완전한 합의를 이루기 위해선 국가 주권의 일

정 부분을 양도한다는 국내 정치적 도전과 정책적 자율성 손실에 따른

비용 부담이 불가피하다는 단점이 있다

완전 통합형 직접 연계는 현실에서 사례를 찾기 매우 힘들지만 표

24

적인 사례로는 EU-ETS와 노르웨이 ETS의 연계를 꼽을 수 있다

EU-ETS 제1기(2005~2007)만 하더라도 양 국가의 배출권 시장은 별도

의 시장으로 존재해왔다 그러나 EU-ETS 제2기(2008~2012) 이후부터

노르웨이 ETS 시장은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과 함께 EU-ETS 시장

으로 편입되어 EU ETS Directive 하에서 운영되는 시장으로 완전 통

합되었다(Royal Norwegi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08)

나 직접 연계 쌍방향 연계형

쌍방향 연계 방식의 직접 연계는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각자

배출상한 목표를 가지고 개별적으로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되 서로 간

의 할당배출권이나 상쇄배출권이 자유롭게 거래되고 상 편 시장의 배

출권을 자신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게 허용되는 연계 방식을 말한

다(Haites and Mullins 2001 Tuerk et al 2009) 두 개의 시장이 하

나의 시장으로 완전히 통합되는 방식에 비해서 각자 독자적인 배출권

시장을 유지middot운영하기 때문에 각 시장을 운영하는 주체의 정책적 자율

성이 일정 부분 보장된다 또한 시장 연계의 수준을 두 시장이 가진 고

유한 상황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다 경우에 따라 해당 시

장에서 의무 이행 시 활용 가능한 상 편 시장의 배출권 수량에 일정

한 제한을 가할 수도 있고 제한 없이 상 편 시장에서 구매한 배출권

을 자신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도 있어서 제도 운

영의 자유도가 완전 통합형에 비해서 높은 편이다18)

18) 만일 제한 없이 상 편 시장에서 구매한 배출권을 자신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경우 완전 통합형 직접 연계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쌍방향 연계형은 배출상한 목표(즉 배출권 할당량) 등 주요 설계요소를 결정함에 있어서 각 시장 운영주체가 독자적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완전 통합형과 차별성을 가진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5

현존하는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는 모두 쌍방향 직접 연계의 유형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와 퀘벡 간의 배출권 시장 연계와

최근 협정을 체결한 EU-ETS와 스위스 ETS 간의 연계가 표적인 쌍

방향 직접연계 방식을 취하고 있다 목표의 강도 할당방식 적용 상

상쇄제도 등 주요 배출권거래제 설계요소에서 나름의 독자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배출권 거래 및 의무이행에 있어서 상호 호환을 허용하고 있다

이들 사례에 해서는 후술하는 소절에서 자세하게 다루기로 한다

다 직접 연계 단방향 연계형

단방향 연계는 한 시장에서는 상 방의 할당배출권이나 상쇄배출권

을 구매하여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지만 다른 시장에서는 이를 허용

하지 않는 방식이다(Tuerk et al 2009) 통상적으로 시장 연계는 상호

간 순 편익이 늘어날 경우에 성사될 수 있으므로 단방향 연계 방식의

직접 연계는 현실에서 보기 어렵다 다만 쌍방향 연계에 합의했더라도

제도적middot기술적 요인들로 인해 일정 기간 유예가 필요한 경우 서로 간

의 합의하에 본격적인 쌍방향 연계 전의 중간 단계로서 단방향 연계가

일어나기도 한다

단방향 연계의 사례로 노르웨이 ETS는 EU-ETS 제1기에 EU-ETS

배출권을 의무이행에 허용하였던 반면 EU는 노르웨이 ETS 배출권을

받아들이지 않았다(Tuerk et al 2009)19) 또한 비록 성사되지는 않았

지만 호주와 EU-ETS 간의 배출권 시장 연계 시도에서도 단방향 연계

의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지난 2012년 호주와 EU는 양 국가의 배출

권거래제를 연계하기로 발표하면서 2018년 7월 이후에 본격적으로 쌍

19) 이후 EU-ETS 제2기부터 노르웨이 ETS는 EU-ETS에 편입되었다

26

방향 연계하되 2015년 7월부터 한시적으로 호주 기업들이 EU-ETS의

배출권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합의한 바 있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이상의 사례는 단방향 연계 방식이 주로 소규모 시장이 규모 시장

과 연계할 때 과도기적 조치로 사용되어 왔음을 보여준다 결국 단방

향 연계는 규모 시장과의 연계로 인해 소규모 시장 참여자들이 입을

지도 모를 시장 충격에 미리 비하고 본격적인 쌍방향 시장 연계에

앞서 두 시장의 제반 제도적middot기술적 여건을 조화시키기 위한 준비기가

필요할 경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유형이다

라 간접 연계

두 시장이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지 않더라도 제3의 시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될 수도 있다(Tuerk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이때 제3의 시장은 할당배출권이 거래되는 시장이 될 수도 있

고 탄소상쇄 배출권(carbon offsets credit)이 거래되는 시장이 될 수도

있다 이때 제3의 시장은 다른 두 시장과 쌍방향 혹은 단방향으로 직

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어야 한다 이 경우 특정 시장에서의 배출권 수

급 변화는 제3의 시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다른 시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Tuerk et al 2009)

간접 연계의 한 사례로서 쌍방향 연계 이전에는 스위스 ETS와

EU-ETS를 들 수 있다 두 시장은 비록 직접 연계되어 있지는 않았으

나 탄소상쇄로서 교토의정서 상의 크레딧(CDM JI 등)을 허용하고 있

었으며 동 크레딧 시스템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아직까지는 제3의 시장이 할당배출권 시장이 되는 방식의 간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7

접연계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향후 여러 국가 혹은 지역 단위

에서 배출권 시장이 도입되고 서로 간의 이해에 따라 국가 혹은 지역

단위 배출권 시장 간 연계가 늘어나게 된다면 제3의 시장이 할당배출

권 시장이 되는 방식의 간접 연계 유형도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논의한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그에 해당하는 실제 사

례를 정리하면 아래 lt표 -1gt과 같다

구분 유형 표 사례

직접 연계

완전통합형EU-ETS(Phase II~)와 노르웨이 ETS

간의 연계

쌍방형 연계형

EU-ETS와 스위스 ETS 간의 연계(lsquo17년 협정 체결)

캘리포니아와 퀘벡 간의 ETS 연계

단방향 연계형

EU-ETS(Phase I)와 노르웨이 ETS 간의 연계

(연계 추진)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20157월~20186월)

간접 연계

크레딧 시스템을 통한 연계

EU-ETS와 스위스 ETS (쌍방향 연계 이전)

제3의 할당배출권 시장을 통한 연계

해당 없음

자료 Ranson and Stavins(2015)를 참조하여 저자가 재구성

lt표 Ⅲ-1gt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대표 사례

28

2 배출권 시장 연계의 사례20)

가 스위스 배출권거래제와 EU-ETS의 연계

2010년 11월 EU 집행위원회는 EU-ETS와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에 한 협상 개시를 제안했고 이사회를 통해 협상에 한 위임을

받았다 EU와 스위스는 두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 기준과 방식에 해

합의하고 2017년 11월 협약서에 서명함으로서 두 시장의 연계 이행 작

업에 들어갔다 EU-ETS와 스위스 배출권시장과의 연계는 EU-ETS와

제3국의 배출권시장이 연계되는 최초의 공식적인 사례이다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제는 제1차 계획기간인 2008년부터 5년간은 자

발적 참여 단계로 시작하였다 2013~2020년까지인 제2차 계획기간

동안 EU-ETS와의 연계를 위해 2020년까지 감축목표를 EU와 동일한

수준인 1990년 비 20 감축으로 정하는 중요한 변화를 배출권 시

장에 도입하였다

1999년 스위스는 난방 산업공정 수송연료에 탄소 부담금을 부과하

고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했다 연간 25000tCO2e 이상의 이산

화탄소를 배출하는 기업들은 직접적으로 배출권거래제에 참여 가능하

도록 하였으며 참여 기업들은 상향식 접근방법을 기반으로 배출권을

무상할당 받았다 제1차 계획기간 동안 기업은 조림사업과 같은 카본

싱크 프로젝트를 통한 RMUs(Removal Units)를 사용 가능하도록 하

였다 스위스의 페널티 제도는 EU의 페널티 제도와 확연한 차이를 보

이는데 배출권거래제를 참여기업이 감축목표 수준을 준수하지 못했을

20) 본 절은 Carbon Market Watch(2015)의 pp8-13까지의 내용과 박수경 외(2018)의 pp479~ 482까지 내용을 참조하여 재구성한 것이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9

경우의 페널티는 배출권의 상한가격에 해당하는 탄소 부담금과 이자의

합이었다

스위스와 EU 간 배출권거래시장 연계 협상은 공식적으로 2011년 3

월 시작되었다 이에 스위스는 2013년 1월 1일을 시장 연계 시 잠재적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는 요소들을 수정하여 배출권거래제를 개정하였

다 수정된 배출권거래제의 획기적인 변화 중 가장 괄목한만한 점은

배출권거래제 자발적 단계에서 의무적 단계로의 전환된 부분이다 따

라서 제2차 계획기간(2013~2020년)에는 스위스의 온실가스 배출 집약

적 산업부문의 시설들은 배출권거래제에 의무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또한 스위스는 수정된 배출권거래제의 페널티 제도 및 무상할당 방식

그리고 국가 간 탄소 상쇄제도를 EU-ETS와 조화시키기 위해 노력하

였다 그러나 여전히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제는 몇몇 사소한 부분에서

EU-ETS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EU의 경우 배출권거래제

참여 기업이 연간 배출량을 측정하여 당국에 보고하고 독립적으로 검

증 받아야 한다 그러나 스위스는 배출권거래제 참여 업체들이 측정한

연간 배출량을 당국에 보고해야 하지만 EU와 다르게 이를 독립적으로

검증 받지는 않아도 된다 다만 스위스 당국은 사안에 따라 이들에

한 검증을 요청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또 다른 차이점은 EU는 배

출허용량을 집행위원회에서 설정하는 반면 스위스는 상향식(배출허용

총량의 합계) 방법으로 결정한다 두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에 있어서

항공부문의 배출권거래제 편입과 서로 다른 온실가스 감축목표 또한

여전히 논쟁되는 이슈이다 lt표 -2gt는 스위스와 EU의 배출권거래제

를 비교 정리한 것이다

30

lt표 Ⅲ-2gt 스위스와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국가 스위스 EU

목표의 엄격성2013년 배출 상한량부터 매년 174 감축

2008~2012년의 연간 평균 감축량의 174 감축

배출량 제한 2013년 56 MtCO2e 2013년 2084 MtCO2e

탄소상쇄 수량

2012~2020년 기간 간 할당된 배출권의 최 11에서 동 기간 사용된 상쇄 크레딧을 차감한 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가능신규 참여기업은 2013~2020년 간 배출량의 45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

2008~2020년 기간 간 할당된 배출권의 최 11의 에서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신규 참여기업은 2013~2020년 간 배출량의 45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

탄소상쇄 품질

최빈국들로부터의 청정개발체제(CDM) 크레딧은 사용 가능하며 기타 CDM 및 공동 이행제도(JI) 크레딧은 2013년 이전에 등록된 것에 한해서 사용 가능

최빈국들로부터의 청정개발체제(CDM) 크레딧은 사용 가능하며 기타 CDM 및 공동 이행제도(JI) 크레딧은 2013년 이전에 등록된 것에 한해서 사용 가능

가격 및 공급관리

시장의 과잉공급 정도에 따라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배출권 공급량 조정

배출권 할당

EU-ETS와 유사한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적용범위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CO2 및 기타 온실가스

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EU 역내 항공 CO2 및 N2O PFCs

준수기간 2013~2020 2013~2020

규제방식 하향식 방식 하향식 방식

이월 무제한 이월 가능 무제한 이월 가능

페널티 제도

1톤당 약 125 CHF (104 유로)의 벌금 부과 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 해에 공제

1톤당 100 Euro의 벌금 부과 사라진 배출권은 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 해에 공제

자료 Carbon Market Watch Report(2015)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1

나 퀘벡과 캘리포니아 배출권거래제의 연계

2014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퀘벡과 캘리포니아의 배출권시장 연계

는 현존하는 세계 최초의 탄소시장 연계 사례이다 두 시장의 연계로

각 주(州)는 두 시장에서 모두 배출권이나 상쇄분을 판매 혹은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이들 두 시장의 연계 이전 두 시장 사이에 다양한 차

이점이 존재하였으나 WCI21)는 캘리포니아와 퀘벡 배출권거래시장의

조화로운 연계를 도출하였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은 유사한 배출권 가

격과 공급관리 적용범위 이행 기간 이월과 패널티 등을 채택하였다

캘리포니아는 주 자체가 세계에서 가장 큰 경제시장 중 하나로 총

온실가스 배출량은 퀘벡의 6배에 달한다 2012년 캘리포니아는 459

MtCO2-eq의 온실가스를 배출한 반면 퀘벡은 78MtCO2-eq의 온실가스

를 배출하였다 양 주 모두 운송부문이 가장 큰 배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캘리포니아에서는 발전부문이 두 번째로 큰 배출 비중을 차지

하는 반면 퀘벡의 경우 수력발전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발전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미미하다 한편 캘리포니아는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수준으로 안정화시키는 목표를 가진 반면 퀘벡은

2020년까지 총 배출량의 20 감축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이들 감

축목표를 비교해보면 2005년 배출량을 기준으로 퀘벡의 감축목표는

22인데 비해 캘리포니아는 11로 퀘벡의 감축목표가 캘리포니아보

다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두 시장은 모두 상쇄분의 최 사용량을 해당 이행 기간의 총 감축

21) 서부 기후 이니셔티브(Western Climate Initiative WCI)는 이 시장에 참여하는 북미 륙 서부 주들이 2020년까지 총 배출량의 15를 줄이는데 지역적으로 협력하기 위해서 형성된 배출권거래시장 운영기구이다(httpsenwikipediaorgwikiWestern_Climate_Initiative 참조)

32

목표의 8로 제한하고 있고 국제 상쇄의 사용량 또한 제한하고 있다

는 공통점을 가진다 그러나 두 시장 간에는 캘리포니아는 산림의 탄

소 흡수에 의한 상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퀘벡은 산림부문의

상쇄를 인정하지 않는 등의 차이점이 존재한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배출권거래시장은 경매가격 하한제와 유연한

가격 상한제를 시행하는데 합의하였다 캘리포니아의 경매가격 하한은

USD 1134이며 퀘벡의 경매가격 하한은 CAD 1282이며 이들의 환

율은 가장 최근시점 정오의 구매 환율로 정해져있다 경매가격 하한선

은 매년 5 + 물가상승분만큼 상승한다 가격 상한제의 경우 WCI에

참여하는 주들에 의해 독립적으로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들은 2013~2014년에는 할당량의 1 2015~2017년에는 7 2018~

2020년에는 7를 비축할 수 있고 시장에서 배출권가격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상호 간의 합의를 통해 비축분의 판매를 통해

가격안정화를 꾀한다

캘리포니아와 퀘벡 모두 2013~2014년의 제1차 계획기간에는 배출권

의 부분이 무상할당 되었으나 2015~2020년에는 무상할당 되는 배

출권의 양을 줄이는 동시에 점차 경매방식으로 배출권을 할당하게 된다

캘리포니아는 생산수준 배출량 벤치마크 상한 조정요소 및 산업 보조

요소22) 등을 바탕으로 하여 산업시설의 무상할당 수준을 결정한다

퀘벡은 2015~2020년 산업별로 차이가 있는 배출집약도 목표에 기초해

산업별 배출권의 무상할당량을 결정한다 퀘벡에서는 2015년부터 무상

할당량이 매년 1~2 감소한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에서는 2013~2014년 까지는 각각 총 온실가스 배

22) 상한 조정요소는 배출권 상한을 보다 엄격하게 하기 위한 조정을 말하며 산업 보조요소는 특정 산업의 탄소누출 가능성에 따른 보조를 의미한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3

출량의 약 36와 약 29를 차지하는 에너지 및 산업부문의 배출량만

규제되었으나 2015년부터는 적용범위가 확 되어 연료부문도 포함되

어 총 배출량의 87와 77가 적용범위에 포함되게 되었다 배출권의

이월은 두 시장 모두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는 동시에 보유 제한을 설

정하여 미래에 사용할 수 있는 있는 배출권 양을 제한하고 있다

lt표 -3gt은 캘리포니아 및 퀘벡의 배출권거래제와 EU-ETS를 비교

정리한 표이다

lt표 Ⅲ-3gt 캘리포니아-퀘벡과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지역 캘리포니아-퀘벡 EU

목표의 엄격성

(캘) 2015년 이후 연간 평균 감축량의 31 감축

(퀘) 2015년 이후 연간 평균 감축량의 32 감축

2008~2012 동안 연간 평균 174 감축

배출량 제한

(캘) 3945 MtCO2e (2015) 3342 MtCO2e (2020)(퀘) 653 MtCO2e (2015) 5475 MtCO2e (2020)

2013년 2084 MtCO2e

탄소상쇄 수량 총 배출권 할당량의 8

2008~2020년 기간 간 할당된 배출권의 최 11의 에서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신규 참여기업은 2013~2020년 간 배출량의 45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

탄소상쇄 품질

(캘middot퀘) 국내 탄소 상쇄로 제한(캘) 산림 프로토콜을 포함한

다양한 프로토콜 사용가능 구매자 책임 원칙

최빈국들로부터의 청정개발체제(CDM) 크레딧은 사용 가능하며 기타 CDM 및 공동 이행제도(JI) 크레딧은 2013년 이전에 등록된 것에 한해서 사용 가능

가격 및 공급관리

2014년 경매가격 하한제로 1톤당 $1134t 연간 5+ 물가반영분 인상 전략적 비축을 통한 가격 상한

시장의 과잉공급 정도에 따라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배출권 공급량 조정

34

자료 Carbon Market Watch Report(2015)

다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추진 사례

호주 정부는 국제 기후 협상의 일환으로서 2020년까지 2000년 비

5 온실가스 감축을 약속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호주는 2012

년 7월부터 탄소가격제도(carbon pricing mechanism CPM)를 도입하

였으나 2014년 호주 정권의 교체로 동년 7월에 폐기되었다 이 제도

는 2012년부터 2015년까지는 탄소 가격을 고정가격으로 2015년 7월

부터는 유연가격으로 변경하여 시행하기로 계획되어 있었다 또한 호

주는 2012년 EU와의 탄소시장 연계를 발표하고 그 해 7월부터 잠정

적으로 호주 탄소시장에서 EU 배출권을 사용할 수 있는 한방향 연계

가 시행되었으며 쌍방향 연계는 2018년부터 시행하기로 계획하였다

호주 정부는 원래 탄소가격의 상한을 AUD20(약 13유로)로 설정하

고 매년 5 인상하기로 계획하고 있었으며 하한은 AUD15(10유로)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EU-ETS와의 연계를 위해 유연가격제를 시행하기

로 한 2015년부터는 가격 하한제의 도입 계획을 철회하기로 하였고

지역 캘리포니아-퀘벡 EU

배출권 할당산업 및 발전부문 무상할당 점차 줄어드는 추세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적용범위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난방과 수송연료 CO2 및 N2O PFCs

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EU 역내 항공 CO2 및 N2O PFCs

규제방식 상향식+하향식 방식 하향식 방식이월 무제한 이월 가능 보유제한 무제한 이월 가능

페널티 제도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해에 공제

1톤당 100 Euro의 벌금 부과 사라진 배출권은 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 해에 공제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5

양국의 시장 연계가 시행되는 2018년에는 가격 상한제마저 폐지하기

로 하였다 또한 두 시장의 연계를 위해 호주 정부는 EU의 규정과 부

합하지 않는 원자력 사업 산업용 가스의 분해 및 형 수력발전 사업

의 탄소상쇄를 제외시켰다 하지만 두 배출권시장의 연계를 위한 이러

한 정책의 변경은 호주 정부에 정치적 부담을 안겨 주었고 2014년 7

월 탄소 가격제가 폐지됨에 따라 두 배출권시장의 연계는 실패로 마감

되었다 그 밖에도 호주의 탄소가격제는 메탄가스를 규제하고 있는 반

면 EU-ETS는 메탄가스를 규제하고 있지 않다는 점과 두 시장의 연계

를 위해 호주 탄소가격제의 페널티가 기존 고정가격의 13배에서 당해

연도의 평균 경매가격의 2배로 증가함에 따른 정치적 부담도 시장연계

실패의 원인이었다고 볼 수 있다

3 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앞서 살펴보았듯이 캘리포니아 ETS와 퀘벡 ETS 그리고 스위스

ETS와 EU-ETS의 연계는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성공적으로 연

계한 표적인 사례이다 여기서는 위 두 사례로부터 배출권 시장 연

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던 요인과 시사점을 간략히 살펴보

기로 한다

가 상호 호혜성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성공적으로 연계되기 위해선 우선 연계

이후에 서로간의 이해관계가 크게 상충되지 않으면서 상호 호혜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앞의 두 사례에서 보면 퀘벡 및 스위스 배출권 시장

36

은 연계된 캘리포니아와 EU 배출권 시장과 비교해 시장 규모 측면에

서 훨씬 작은 편이다 따라서 이들 시장 운영자들은 자신들의 시장에

참여하는 규제 상 기업들이 풍부한 유동성을 가진 큰 규모의 시장에

한 접근성을 제고하고 통합된 시장에서 다른 기업들과 동등한 경쟁

조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었다23) 특히 스위스 ETS의 할당배출권 가격

은 EUA 가격에 비해 거의 5배나 높은 상황에서 시장 연계는 스위스

배출권 가격을 EUA 가격에 근접시키는 효과가 기 되므로 스위스 입

장에서는 시장을 연계시킬 유인이 컸다(IETA 2015 p54)

한편 캘리포니아는 자신의 배출권 시장 외연을 확 하고 배출원들

의 온실가스 감축 이행 비용 부담을 완화하려는 목적으로 연계를 선호

하였다 이와는 별개로 스위스에 비해 훨씬 큰 규모의 시장을 가진 EU

는 주로 경제적 요인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의해 연계를 선호하였다24)

이처럼 양자의 이해가 맞아떨어지면서 배출권 시장 연계 논의가 시

작되었고 결국 성공적인 시장 연계로 이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연계

하는 두 시장의 이해관계가 일치한다고 하더라도 최종적으로 연계 합

의에 이르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서로 다른 두 시장의 주요

23) 스위스의 연계 유인에 해서는 ldquoLinking of the Swiss and European emissions trading systems big step forwardrdquo(httpswwwbafuadminchbafuenhometopicsclimatenews- releasesmsg-id-67745html) 및 IETA(2015)를 참조하라 퀘벡의 연계 유인은 Gouvernement du Queacutebec(2018)「Quebec cap-and-trade system for greenhouse gas emission allowances (CampT) Historical Overview」(p7)을 참조하였다

24) 캘리포니아 ETS의 연계 유인은 ldquoCALIF FORGING AHEAD WITH EMISSIONS TRADING NEXT MONTH AIR CHIEF CONFIRMSrdquo(httpswwwexchangemonitor comcalif-forging-ahead-with-emissions-trading-next-month-air-chief-confirmsprintmode=1) 을 참조하라 EU와 스위스 시장은 워낙 규모에 차이가 나서 연계 시 스위스 시장이 사실상 EU 시장에 편입되어 EU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EU는 연계에 따른 경제적 편익에 한 고려보다는 기후변화 응을 위한 리더십을 확보하고 시장의 외연을 확장하는 첫 단추로서 스위스와의 시장 연계를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IETA 2015 p54)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7

설계요소의 차이가 야기하는 시장 연계 전후의 영향에 조율이 필수적

이다 다음은 위 두 사례로부터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인의 관

점에서 바라본 성공요인에 해 논의해 보기로 한다

나 핵심 설계요소의 유사성

앞의 두 사례 모두 시장들 간 배출권거래제도의 핵심 설계요소에 있

어서 상당한 유사성을 가지고 있어서 이들을 조율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첫째 캘리포니아-퀘벡 ETS 그리고 스위스-EU ETS는 감축목표의

엄격성 측면에서 서로 유사하여 감축목표를 둘러싼 이견이 적었다 일

견 캘리포니아는 2020년까지 1990년 배출량 수준으로 감축하는 목표

를 가지고 있었고 퀘벡은 2020년까지 1990년 배출량 비 20까지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목표를 세워 퀘벡이 다소 높은 강도의 감축목표

를 설정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lt표 -3gt에서 보듯이 2015년도 ETS 적용 상 배출량 기준으

로 보면 2020년까지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연 평균 감축률은 각각

31 32로 거의 동소이하다 스위스 ETS는 2013년 배출상한

비 2020년까지 매년 174씩 EU-ETS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의

연 평균 배출량에 비 2020년까지 매년 174씩 감축하는 목표를 가

지고 있었다 이처럼 비록 절 적 감축량이나 배출허용량의 크기에 있

어서 두 시장간 차이는 컸지만 상 적인 감축목표의 엄격성 측면에서

유사해서 ETS 운영주체 간 상호 신뢰성이나 참여 상 기업들의 수용

성이 높아 시장 연계를 추진하는데 훨씬 수월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두 사례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한 탄소상쇄제도를 가지고 있어

38

상쇄배출권의 유입에 의한 시장 교란이 작동할 여지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lt표 -2gt에서 알 수 있듯이 스위스와 EU는 상쇄배출권 허용

비율 및 사용가능 종류에 있어서 사실상 동일하기 때문에 상쇄제도의

차이로부터 비롯되는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캘리포니아와 퀘

벡 배출권거래제의 경우에는 상쇄배출권 허용수량은 동일하나 상쇄배

출권의 생성 및 사용에 있어서 약간 차이가 있다 가령 퀘벡의 경우 산

림상쇄를 허용하지 않으나 캘리포니아는 산림 흡수원에 의한 상쇄배출

권을 허용한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두 제도

모두 부분의 해외 상쇄사업을 허용하지 않고 있고 전체 수량에서 차

이가 나지 않아 시장 연계 시 상쇄 프로토콜의 차이로 인한 시장 교란

보다 연계의 이득이 훨씬 크므로 그러한 사소한 차이가 시장 연계의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았다25)

셋째 배출권의 할당방식에 있어서도 두 사례의 국가들은 유사한 체

계를 갖추고 있었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경우 배출권 할당방식의 기

술적인 부분에서 일부 차이가 존재하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산업부문에

해선 무상할당 발전부문에 해선 유상할당을 적용하고 무상할당

의 비중을 점진적으로 줄여가는 방향성에 해서 체로 일치하였다

(ICAP 2019a ICAP 2019b) 마찬가지로 스위스와 EU도 거의 유사한

할당방식을 가지고 있었다 두 연계 사례 모두 유middot무상할당 방식을 혼

용하되 유middot무상이 적용되는 부문에 해서는 동일하였기 때문에 사소

한 할당방식의 차이는 연계 시 쟁점으로 부각되지 않았다

넷째 배출권 가격 및 공급량 관리 제도와 관련해서도 연계된 사례

25) 퀘벡은 해외 상쇄를 허용하지 않으나 캘리포니아의 경우 브라질 등 일부 국제 산림 상쇄크레딧을 허용한다 그러나 그 양은 매우 미미해서 시장에 미치는 영향 또한 극히 제한적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9

의 국가들은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은 동일

한 배출권 가격 및 공급량 관리 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스위스와 EU

의 경우 EU의 배출권 비축제도가 유일한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러나 IETA(2015)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스위스 ETS의 할당배출권 가

격이 EUA 가격에 비해 상당히 높았기 때문에 EU의 배출권 비축제도

도입 자체가 시장 연계에 장애요인이 되지 못하였다

그 외 이월과 차입 MRV 체계 등 시장 연계 시 고려될 주요 설계요

소들에 있어서 두 성공사례의 국가들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처럼 앞서 언급한 배출권 시장 연계 시 고려되어야 할 주요 설계요

소에 있어서 연계하는 시장들은 상당히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고

이것이 시장 연계의 논의와 조율이 매끄럽게 전개될 수 있도록 한 원

동력이 되었다고 판단된다

다 정책적 의지

배출권 시장의 연계가 상호간 이해에 부합하고 앞서 논의한 제도의

설계요소 관점에서 본 기술적middot경제적 쟁점들이 상당 부분 해소된다고

하더라도 정책적 의지가 수반되지 않는다면 시장 연계의 논의는 진전

되기 어렵다 그러한 측면에서 제도 설계요소의 상호 호환성 이슈는

성공적인 시장 연계의 필요조건은 될 수 있을지언정 충분조건은 될 수

없다(IETA 2015) 2010년부터 시작된 스위스와 EU-ETS 연계가 7여

년에 걸친 논의 끝에 성공적으로 매듭지을 수 있었던 것도 스위스 정

책 당국의 의지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스위스

-EU ETS 연계 논의과정에서 항공부문의 포함여부가 중요한 쟁점 중

하나였고 이민쿼터의 도입 등을 둘러싼 EU와의 정치적 이슈와 결부되

40

면서 자칫 좌초될 뻔했던 양 시장의 연계가 끝내 성사될 수 있었던 것

도 정책 당국의 강력한 의지가 있었기 때문이다(IETA 2015) 퀘벡 정

부에서 발간한 보고서에서도 일부 서로 다른 규제 틀을 가지고 있던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연계가 성사될 수 있었던 이유로 상호 신뢰와 개

방적 소통을 통해 두 주 정부가 긴 한 협업을 해나간 것이 주효했다

고 적시하고 있다(Gouvernement du Queacutebec 2018)

반 로 호주 석탄 사업자들의 메탄 배출량 포함 여부를 둘러싼 이

슈 농업 및 토지이용 관련 상쇄제도의 허용 여부 등 다양한 이슈에도

불구하고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논의가 끝내 좌초되었던 것도 정

권 교체 이후 새롭게 들어선 정부 당국이 시장 연계에 회의적이었기

때문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권 시장 연계의 제반 조건이 충족되

었을 때 이를 최종적으로 매듭짓는 요소는 결국 정책적 의지이며 충

분한 시간을 가지며 상호 신뢰와 개방적 소통 하에서 협력해나가는 노

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1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 동향과 전망

서로 다른 배출권거래시장 간의 상호 연계는 한 국가 혹은 한 지역

내에서 작동하던 탄소시장의 외연을 확 하는 것으로서 국지적 탄소시

장의 글로벌화와 맥이 닿아있다 배출권 시장 연계는 본질적으로 당사

국 간의 자율성에 기반을 하고 있기는 하나 국제 탄소시장을 규율하

는 원칙과 규정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다 파리협정에서는

감축의 비용효과성을 증진시켜 당사국들이 보다 상향된 감축목표를 제

시하도록 하기 위해 시장 메커니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와 관련

해서 현재 파리협정 이후의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가 한창 진

행 중이다 이에 본 장에서는 파리협정하의 탄소시장 논의 동향과 배

출권 시장의 연계와 관련한 시사점에 해 살펴보기로 한다

1 파리협정 이후의 탄소시장 논의 동향

가 주요 내용

파리협정에서 시장 메커니즘은 파리협정문 제6조에 규정되어 있다

파리협정에는 시장(market)이라는 용어가 명시되어 있지는 않은데 이

는 시장 메커니즘의 설립을 반 하는 일부 당사국들이 lsquo시장rsquo이라는

용어가 파리협정 내에 포함되는 것에 반 하였기 때문이다(산업통상자

원부 2016b)

사실 파리협정하의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사항들은 파리협정 체결

이전부터 논의해왔던 Post-2012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의 결과물

42

이다 기존의 Post-2012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 내용들이 파리협

정을 통해 반영되면서 협력적 접근법(Cooperative Approach) 지속가능

발전 메커니즘(Sustainable Development Mechanism SDM) 비시장 접근

법(non-Market Approach)의 3가지 개념이 제6조에 포함되었다

제6조는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 하위 개념을 포괄하는

원칙인 제61조와 협력적 접근법에 관한 내용인 제62 63조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의 내용을 담고 있는 제64 67조 비시장 접근법에

관한 제68 69조로 구성되어 있다

제61조에는 시장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목적과 기본원칙이 포함되어 있

다 시장 메커니즘은 온실가스 감축비용 부담을 완화시켜 당사국들의

국가온실가스감축기여분(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NDC)

의 상향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NDC의 상향에 기여함

은 제6조의 활용을 포함하여 더 높은 목표의 설정을 고려해야 함을 의

미한다 이때 시장 메커니즘의 활용은 지속가능한 발전과 환경적 건전

성이 증진되도록 한다는 원칙 하에서 이행되어야 한다 지속가능한 발전

과 환경적 건전성은 이중계산(double counting)의 방지와 함께 시장 메

커니즘 활용의 3가지 주요 원칙에 해당한다26)

협력적 접근법(제62 63)은 당사국들 간의 자발적 협력을 통해 감

축실적(mitigation outcome)이 발생하여 국제적으로 이전된 경우

(Internationally Transferred Mitigation Outcome ITMO)에는 NDC의

이행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ITMO의 활용은

참여 당사국들의 자발적 승인을 통해 이루어진다 파리협정 결정문

(Decision1CP21)에 따르면 이중계산 방지를 포함하여 협력적 접근법

의 이행에 필요한 지침을 개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26) 하지만 각 용어의 정의에 해서는 명시적으로 합의된 바 없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3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제64 67)은 파리협정 당사국총회(CMA)가

지정한 기구에서 감독하며 지속가능발전의 촉진 전 지구적인 온실가

스 감축에의 기여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결정문에는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의 운영에 필요한 규정(Rules) 방법(Modalities) 절차

(Procedures) 등에 관한 지침의 개발을 명시하고 있다

비시장 접근법(68 69)은 지속가능발전을 위해서 비시장 접근법의

프레임워크 설립을 명시하고 있으며 결정문에는 작업 프로그램의 개

최를 통해서 감축 적응 기술이전 재원 능력 배양 등 주요 요소들 간

의 시너지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논의하도록 하고 있다

lt표 Ⅳ-1gt 파리협정 제6조 주요 내용

구 분 주요 내용

61

당사국은 일부 당사국의 자국의 감축과 적응 행동에 있어서 더 야심찬 노력

을 설명하고 지속가능한 개발과 환경적 건전성을 증진하기 위해 국가별 기

여방안 이행에 자발적인 협력을 추구할 것을 인지한다

62

당사국이 국가별 기여방안에 국제적으로 거래되는 감축 성과를 이용한

협력적 접근법에 자유의사에 따라 참여한다면 거버넌스 내에서 지속가능

한 개발을 증진하고 환경 보전과 투명성을 보장하며 파리협정의 당사자회

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총회에서 채택된 지침에 따라 견고한 회계방식

을 준영하여 이중계산을 피하도록 해야 한다

63본 협정 하에서 국가별 기여방안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제적으로 거래되는

감축성과의 이용은 참여당사국에 의해 자발적으로 승인받는다

64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지지하는 메커니즘은 당

사국의 자유의사에 따라 이용하도록 파리협정의 당사국 회의의 역할을 수

행하는 당사국 총회 권한과 지침 하에 세워진다 파리협정의 당사자 회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가 지정한 기관에 의해 감독되며 다음을 목표

로 한다

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조성하면서 온실가스 감축을 증진할 것

나 당사국의 권한으로 공공과 민간 부문이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하도록

장려하고 촉진할 것

44

나 후속협상 주요 경과

COP21 결정문(Decision1CP21)에 따라서 2016년부터 과학기술자

문부속기구(SBSTA)에서 파리협정 제6조와 관련한 지침의 개발을 위

한 협상이 진행되었다 본 소절과 뒤따르는 소절에서는 산업통상자원

구 분 주요 내용

다 유치국의 배출 수준의 감축에 기여하며 국가별 기여방안을 성취하기

위해 타 당사국이 이용할 수 있는 감축 활동으로부터 편익을 얻을 것

라 세계 배출량의 전반적 감축에 기여할 것

65

상기 4항에 명시된 메커니즘을 통한 감축방안이 또다른 당사국의 국가

별 기여방안의 달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이용되었다면 그 유치국의 국가별

기여방안의 달성을 증명함에 있어서 그 방안을 이용할 수 없다

66

파리협정의 당사자 회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는 상기 4항에

명시된 체제 하에서 이루어진 활동 수익의 몫은 적응 비용을 충당하기 위하

여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에 특히 취약한 개발도상국인 당사국을 지원하

고 행정비용을 마련하는데 사용됨을 보장한다

67파리협정의 당사자회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 제1차 회기에서

제4항에 명시된 체제에 한 규칙 방식 절차를 채택한다

68

당사국은 조직적이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감축 적응 재정 기술이전 역량강화를 포함하여 지속가능한 개발 및 빈곤 근절의 맥락에서 자국의 국가

별 기여방안을 이행하는데 이용 가능하고 통합적이고 전체적이며 균형적인

비시장 접근의 중요성을 인지한다 이 접근 방식은 다음을 목표로 한다

가 감축과 적응 노력을 증진

나 국가별 기여방안 이행에 해 공공 및 민간 부문의 참여 강화

다 제도 및 관련된 제도적 장치를 통한 조정의 기회를 활성화

69지속가능한 발전에 한 비시장 접근의 틀은 본 조 제8항에 명시된 비시

장 접근을 증진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자료 UNFCCC(2015) 및 수원의제21실천협의회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2016) 산업통상자원부(2016a)에서 재인용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5

부(2016b) DEHSt(2016) 및 Bodansky et al(2016)의 주요 내용을 바

탕으로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국제 협상의 논의 경과와 부각된 주요

쟁점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1) 협력적 접근법

2016년에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회의(SBSTA 제44차 및 제

45차 회의)는 주로 파리협정 내 포함되어 있는 협력적 접근법(제62

63)의 문안 내용에 한 해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파리협정

문안에 해 당사국들 간에 상호 상이한 해석의 가능성을 줄여서 공통

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한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4차 회의에서는 주로 협력적 접근법 관련

지침의 범위(scope) 협력적 접근법과 NDC와의 관계 ITMO의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었다

지침에 포함될 범위와 관련하여 파리협정의 협력적 접근법에서 규정

하고 있는 의무사항들 - 견고한 회계방식 지속가능한 발전의 증진 환경

건전성과 투명성의 보장 - 을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에는 공통적인 견해를

보였다 NDC와의 관계에서 협력적 접근법의 사용은 견고한 회계방식

(robust accounting)의 원칙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과 흡수량에 한 상

응하는 조정(corresponding adjustment)을 통한 이중계산 방지가 필요하

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다만 당사국들이 제출한 NDC가 단일연도

목표 다년도 목표 정책과 감축행동 중심의 목표 등 다양한 형태가 존

재하므로 협력적 접근법에 의한 감축실적을 NDC에 어떻게 가감할 것

인가가 중요한 쟁점이 될 수 있다(DEHSt 2016) 그에 따라 단일연도

목표의 경우 목표 설정 당해 연도의 NDC만 충족하면 되기 때문에 다

46

년도 목표를 제시한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달성여부를 점검하는 것

은 타당하지 않으므로 상응하는 조정이 반영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

기되었다 아울러 ITMO의 개념에 해서도 배출권의 형태인지 단순 감

축실적의 결과(산출물)인지에 해 개념 정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

기되었다27)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5차 회의에서는 2018년 말(SBSTA 제49

차 회의)까지 후속협상을 종결시킨다는 목표 하에 후속협상을 위한 작

업계획을 공유하고 당사국들이 제출한 국가제안서(submission)에 기초

하여 공통의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협력적 접근법의 인센티브

와 관련하여 EU는 양자와 다자 형태로 운영하면서 민간부문을 포함한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도

서국가연합(AOSIS)은 경제 전반에 한 NDC 목표 상향을 위해 추가

적인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파리협정의 타 조항과의 관

계에서 부분의 당사국들은 감축(파리협정 제4조)과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이 시장 메커니즘과 연관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투명성 하에서

시장 메커니즘 활동에 한 보고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는 점에 공통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EU는 협력적 접근법과 감축(파리

협정 제4조)은 NDC의 이행 관점에서 ITMO의 산정과 연계되어 있는

이슈이며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과는 감축분의 이전 획득 NDC 사

용 등과 관련된 보고와 상호 연계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환경

적 건전성과 관련하여 환경건전성그룹(EIG)에서는 감축산출물의 품질

27) 배출권과 감축실적은 이전 가능하다는 점에선 유사하지만 엄 하게 말해 서로 다른 개념이다 배출권은 정해진 배출허용량에 상응하여 배분된 후 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되는 배출허가권인데 반해 ITMO는 특정한 감축활동의 결과로서 주어지는 인증된 감축실적이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DEHSt(2016 p12)를 참조하라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7

보장을 위해 ITMO에 영속성과 추가성의 개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개진한데 반해 EU는 상응하는 조정을 통해서 환경적 건전성이 보장

될 수 있다는 다소 완화된 입장을 피력하였다

2017년에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회의(SBSTA 제46차 및 제

47차 회의)는 당사국들 간의 이해증진을 바탕으로 지침의 주요 요소들

에 한 도출을 위한 세부 협상을 진행하였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6차 회의에서 공동의장은 지침의 기본 목

차와 주요 요소에 관한 문서를 제시하였고 당사국들은 라운드 테이블

회의와 비공식 회의 등을 통해서 누락된 요소에 한 의견들을 제시하

였다 이러한 논의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공식 정보노트(informal

information note)가 도출되었다

이어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7차 회의에서는 공동의장이

배포한 비공식 노트에 해 당사국들이 의견을 개진하는 방식으로 진

행되었다 여기에는 지침의 목차와 하위 소목차 옵션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비공식 노트에 해 선진국들은 판매국과 구매국이 구분되어

있는 지침 목차에 불만을 제기하며 이를 통합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

하였고 개도국들은 지침에 수익금의 배분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당사국들은 차기 회의 이전에 과학기술자문부속기

구 의장이 비공식 문서(informal document)를 작성하여 회람하기로 합

의하였다 의장명의의 비공식 문서는 2018년 3월에 회람되었는데 비

공식 노트를 기반으로 중복요소의 간소화와 옵션과 잠재 요소 목록이

제시된 수준이었다

2018년에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1차 및 제48-2차 회의

(SBSTA 제48-1 SBSTA 제48-2)는 동 문서에 기초하여 협상이 진행

48

되었고 협상문서 초안이 도출되었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1차 회의에서는 의장명의의 비공식 문

서에 한 당사국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공동의

장 명의로 수정된 비공식 노트(Revised Informal Note)가 채택되었다

수정된 비공식 노트는 기존 비공식 문서에서 개념을 보다 명확히 하고

일부 잘못 표현되거나 누락된 내용들을 반영하는 형태로 합의되었다

다음으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2차에서는 2018년 말까지 설

정한 후속협상 작업계획의 일정을 수정하여 2019년 말까지 작업 기간

을 연장하고 수정된 비공식 노트에 기반하여 당사국들의 의견을 청취

하였다 이를 통해 2018년 말까지 합의가 필요한 사항을 부속문서 1

2019년 말까지 합의가 필요한 사항을 부속문서 2로 구분하여 각각 시기

별로 합의될 내용을 구분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협상문서 초안(Drafting Negotiation Text)을 도출하였다

2)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4차 회의에서는 교토 메커니즘과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 간의 차이점과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적용 범위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양 메커니즘 간 비교에서는 주로 메커니즘 자체

에 한 시각 차이보다는 교토의정서와 파리협정 간의 차이점에 해

당사국들 간에 상이한 입장 차이가 드러났다 일부 당사국은 청정개발

체제와 공동이행제도를 중심으로 사용되었던 방법 절차 등의 지침이

파리협정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고 지적한 반면 선진국을 중심으로 파

리협정은 사업 수행국의 역할과 책임이 교토의정서보다 강화되었기 때

문에 교토 메커니즘과는 근원적인 차이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적용 범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9

위와 관련해서 교토 메커니즘이 프로젝트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반해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은 프로젝트나 프로그램의 범위를 넘어

더 폭 넓게 적용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5차 회의에서는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운영체계 추가성의 개념 전 지구적인 전반적 감축의 이행방식 현존

메커니즘의 경험과 교훈 등에 해 논의하였다 일본은 교토의정서와는

달리 파리협정에서 모든 당사국이 NDC 목표가 존재하므로 NDC 이행

에 관해서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결과물도 협력적 접근법에서 개발

된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반면 중국은 운영체계와 관련

하여 청정개발체제의 운영방식보다 유연하게 설계될 필요가 있다고 주

장하였다 추가성 개념과 관련하여 EU는 방법론의 경우 새로운 국제

적인 표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으며 미국은 교토메커니즘에

이미 추가성 개념이 존재하므로 이를 기반으로 논의하는 것이 효율적

이라고 강조하였다 반면 브라질은 추가성과 전 지구적 전반적 감축은

연관성을 갖고 있으며 교토 메커니즘의 운영체계를 기반으로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의 운영체계를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듬해 열린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6차 회의에서는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과 청정개발체제의 관계에 해 논의가 이어졌다 주로 개

도국들은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을 청정개발체제의 연장선에서 접근

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선진국들은 새로운 접근과 설계가 필요하다

며 양 진영 간에 립이 형성되었다

속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7차 회의에서는 앞선 회의에서 제

기된 청정개발체제와의 관계에 관한 사항이 계속 쟁점화되었다 브라

질은 청정개발체제에서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으로 전환의 필요성과

50

당위성에 해 강하게 주장하였고 이중계산의 허용 필요성까지 제기

하였다 반면 일본은 2020년 이전에 기 발행된 배출권의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으로의 전환과 관련한 이슈를 제기하여 메커니즘 전환과

관련된 이슈가 배출권의 전환으로 확장되는 계기가 되었다 한편 도서

국가연합(AOSIS)는 전 지구적 전반적 감축의 이행 방안으로 기 발행

된 배출권의 일정 비율을 취소하자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협력

적 접근법과 동일하게 차기 회의 전까지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의장

명의로 비공식 문서를 발행하여 회람하기로 합의하였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1차 회의에서는 2018년 3월에 회람된

비공식 문서에 해 당사국들의 의견을 청취한 후에 공동의장 명의의

수정된 비공식 노트(Revised Informal Note)가 채택되었다 이후 과학

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2차 회의에서는 협력적 접근법 논의와 동일하

게 2018년 말까지 설정한 후속협상 작업계획의 일정을 수정하여 2019

년 말까지로 기간을 연장하고 수정된 비공식 노트에 기반하여 당사국

들의 의견을 청취하였다 또한 교토 메커니즘의 전환에 관한 이슈사항

은 처음에는 부속문서 3으로 별도 분리해 놓았으나 개도국들의 주장

에 따라 2018년 말까지 결정할 사항들을 포함하는 부속문서 1에 수록

하였다

다 주요 쟁점 사항

1) 협력적 접근법

시장 메커니즘과 관련된 지침의 내용에 한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지침의 서문과 원칙에 관한 사항이다 선 개도국 간에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1

발생하고 있는 쟁점을 중심으로 원칙 부분을 별도로 구분함으로써

선 개도국 간의 차별화 요소를 반영하려는 개도국과 이에 반 하여

서문과 원칙을 하나로 통합하여 서문에 포함하자고 주장하는 선진국

입장으로 별된다

두 번째는 거버넌스에 관한 사항이다 협력적 접근법이 기본적으로

당사국 간의 자발적 협력을 통해 감축산출물을 발생시키고 국제적 이

전을 통해 NDC에 활용하자는 개념이므로 과연 국제적인 거버넌스 설

립이 필요한가가 그리고 필요하다면 어떤 수준에서 운영되어야 하는가

가 쟁점이 되고 있다 일부 당사국들은 비록 당사국 간의 자발적 협력

에 의한 감축활동이지만 협력적 접근법에 의한 전 지구적 활동들을 관

할하는 별도의 기구 설립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반면 일부 당사국

들은 협력적 접근법만을 관할하는 별도의 기구를 만들기보다는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의 감독기구에서 협력적 접근법에서 필요한 기능을 통

합해서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28)

28) DEHSt(2016)에 따르면 협력적 접근법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는 (1) 완전히 분권화된 형태로 운영하고 결과만 보고하는 방식 (2) 관련된 모든 운영사항을 규정에 담아 UNFCCC 같은 중앙집권적 기구를 통해 관리하는 방식 (3) 견고한 회계방식 투명성 보장 등을 위해 공통의 레지스트리를 중앙집권적 감독기구에서 운영하되 최소한의 기준만 충족되면 당사국의 자율에 맡기는 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의 논의는 (2)안 또는 (3)안으로 하되 협력적 접근법만을 위한 별도의 중앙집권적 감독기구를 설립할지 아니면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을 관할하는 감독기구에서 협력적 접근법 관련 사항까지 관할하도록 할지에 해 의견을 조율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한편 Bodansky et al(2016)의 주장에 빗 어 해석하면 (2)안은 통일적 접근법(uniform approach)에 가까운 방식이다 (2)안은 거래비용과 정책 불확실성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는 반면 당사국들의 개별적 상황을 반영하는 유연성이 떨어지며 합의에 이르는데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조화적 접근법(harmonized approach)은 당사국들의 개별적 상황을 포괄할 수 있는 보다 일반적인 기준만 제정하여 이를 준수하기만 하면 되도록 하는 방식을 말한다 사실 DEHSt(2016)에서 제시하고 있는 (3)안은 통일적 접근법과 조화적 접근법이 혼합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Bodansky et al(2016)가 지적한 바와 같이 ITMO의 발생과 이전을 추적하고 NDC 활용 여부를 확인하는 규칙과 시스템은 중앙집권적 기구에서 통일적으로 관리하되 MRV 기준이나

52

세 번째는 시장 참여의 조건에 관한 사항이다 당사국들 간에 자발

적 협력이라는 원칙하에 NDC의 유형이 영향을 줄 수 있는가가 쟁점

이다 DEHSt(2016)에서 보여주듯이 온실가스 배출량 상한이나 감축량

같이 tCO2eq로 측정가능한 NDC 형태가 많긴 하지만 감축정책이나 감

축 관련 활동 자체를 NDC로 제출한 국가들도 존재하기 때문에 그러

한 국가들의 시장 참여 여부가 쟁점이 될 수 있다 아랍그룹 LMDC

등은 NDC 유형에 관계없는 참여 보장을 요구하는데 반해 선진국들은

시장 참여를 위한 조건으로서 NDC 계량화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네 번째는 상응하는 조정의 적용 상에 관한 사항이다 주로 언급되

고 있는 상에는 NDC에 포함되지 않은 외부(outside)감축활동에서

발생한 감축사업 Pre-2020에서 전환된 교토 메커니즘 하의 배출권에

해 상응하는 조정을 적용할 필요성이 있는가가 주요 쟁점이 되고 있

으며 당사국 별로 입장이 제각각인 특징이 있다

다섯 번째는 단일연도 NDC에 한 상응하는 조정의 적용방식이다

단일년도 NDC에 한 상응하는 조정 여부에 자체에 해선 큰 이견

이 없으나 상응하는 조정을 어떻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해선 당

사국별로 입장이 엇갈린다 단일년도 NDC의 특성이 중간연도에 해

서는 별도의 목표를 수립하고 있지 않은 방식인데 목표연도 이전에

감축하여 보유하고 있는 감축실적은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그리고

마지막 년도에 관한 NDC 달성 여부를 증명하는 과정에서 상응하는

조정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등이 쟁점사항이 되고 있다29)

ITMO의 부여 등은 최저 기준만 충족하도록 하는 조화적 접근법을 혼용하는 방식에 가깝다

29) 동 이슈는 감축(파리협정 제4조)의 lsquoNDC 산정rsquo과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의 lsquo연계된 산정rsquo과 관련되어 있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3

이 외에도 ITMO를 발생 이전 획득한 경우에 중간년도에 해서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체계 하에서 어떤 정보를 보고해야 하는지에

한 이슈 또한 존재한다

2)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협력적 접근법과 달리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은 감독기구를 중심으로

중앙집권적 방식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상 적으로 이슈가 적다

첫 번째는 감독기구의 운영구조에 관한 사항이다 이 논의에는 기존

운영구조인 청정개발체제의 집행위원회와 운영구조 상에서 어떤 차이

를 둘 것인가에 관한 논의로 귀결된다 특히 위원회의 구성과 관련하

여 청정개발체제와 같이 선진국과 개도국을 구분해 위원회를 구성할

것인지 여부가 쟁점이 되고 있다

두 번째는 전 지구적인 전반적 감축에 관한 사항이다 전 지구적인

전반적 감축을 이행하는 방안으로 발행시점에서 조치를 취할지(판매국

중심) NDC 이행시점에서 조치를 취할지(구매국 중심) 등이 쟁점이

되고 있다

세 번째는 교토 메커니즘의 전환에 관한 사항이다 주로 2020년 이

후에 교토의정서 상의 교토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을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하에서의 실적으로 인정할지 여부 인정하더라도 특정한 전

환조건을 설정할 것인지 여부 Pre-2020에서 발행된 배출권의 전환을 인

정할지 여부 교토 메커니즘 상에서 승인된 방법론을 계속해서 사용할

지 여부 등이 이에 해당한다

54

2 Post-2020 탄소시장 전망과 시사점

파리협정 후속 협상을 통해 협상문서 초안이 도출됨에 따라서 향후

적용될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지침의 전체적인 구조를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쟁점 사항으로 제기된 몇 가지 사안들은 기술적인 이슈

보다는 정치적인 이슈의 성격이 많아서 후속 협상 과정에서 실무자들

간의 논의보다 고위급 논의 과정에서 정치적 타결이 될 개연성이 더

높다

교토 메커니즘과 비교하여 파리협정에 따른 시장은 모든 당사국이

감축목표를 보유한 상태에서 시장을 형성한다는 제약조건이 존재한다

이는 이중계산 방지의 중요성과 함께 상응하는 조정의 문제가 필연적

으로 부가된다 과거 개도국 입장에서는 청정개발체제 사업을 자국 내

에서 시행하더라도 감축목표가 없는 상태였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적인

부담이 존재하지 않았다 반면 파리협정에서는 이중계산 방지를 위해

자국 내 실제 배출량에서 국외로 순 이전된 ITMO의 양만큼을 가산하

여 배출량을 산정한 후에 NDC의 목표 배출량과 비교하여 이행 여부

를 점검받는다는 부담이 존재한다30) 여기에 전 지구적 전반적 감축의

개념을 적용한다면 실제로 NDC에 ITMO를 사용하는데 제약 조건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국가 감축목표 이행적 측면에서도 후속협상의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단일년도 NDC에 관한 상응하는 조정의 적용 시

기와 방법에 따라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의 증빙 과정

30) 만일 NDC가 목표 감축량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ITMO의 순 국외 이전량 만큼 실제 감축량에서 차감한 후에 NDC에서 정한 목표 감축량과 비교하여 이행 여부를 점검하게 된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5

에서 해외 감축분의 필요량이 결정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이슈가 될

전망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본다면 파리협정에 따른 국제 탄소시장

은 교토 메커니즘 하의 시장보다 상 적으로 규모가 작아질 것으로 예

상된다

한편 국내 배출권거래제에서는 2018년부터 외부사업에 해 해외

온실가스 감축분을 인정하고 있다 청정개발체제에 따른 사업들을 상

쇄배출권으로 인정하고 있는데 2020년 이후 교토 메커니즘의 전환 여

부가 아직 확정되지 않아서 사업 활성화 측면에서 불확실성을 내포하

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국내 배출권 시장에서 교토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의 활용 여부는 전환 여부에 한 국제 협상 결과에 따라 결

정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반면 협력적 접근법이나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등 파리협정에 따

른 시장 메커니즘은 국내 배출권거래제도 상의 운영 목적에 비추어 볼

때 국내 배출권거래제도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 국내 배출권거래제의

도입목적(제2조)이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비용효과적인 이행이고

이들 시장 메커니즘 또한 당사국들의 NDC 이행과 명시적으로 연계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은 국내 배

출권거래제도에서 인정되는 해외 온실가스 감축분으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

다만 한 가지 유의할 점은 파리협정의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

적분이 국내 배출권과 직접적으로 연계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분은 국가 차원의 목표 이행에서 의미를 가

지는데 반해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권은 비록 국가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이긴 하나 개별 사업자 차원의 목표 이행과 관련이

56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분을 민간에서 획

득한 경우 이를 우리나라 정부에서 발급하는 배출권과 교환을 통해 간

접적으로 배출권 시장에서 활용할 수 있다31) 이때 다른 당사국이 자

국의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고 있고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에 따

른 실적을 상쇄로 인정하는 경우라면 결국 국내 배출권 시장과 해당

국가 배출권 시장은 협력적 접근법 또는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체

계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된다

협력적 접근법의 경우 양자 또는 다자간 협력 체계를 필요로 하므로

정부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밖에 없지만 지속가능발전 메커

니즘은 민간 중심의 시장이 될 개연성이 높다 다만 제도의 시행에 있

어 감독기구의 설립 이후에도 제도 운영을 위해 필요한 추가적인 세부

지침의 개발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 사업으로 진행되기까지는 상

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협력적 접근법의 경우 양자 방식으로 운영한다면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보다 다소 이른 시기에 사업이 진행될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양자 협력의 체결 국가 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운영을 위한 행

31) 현재 교토 메커니즘의 청정개발체제에 의한 감축량도 외부감축인증실적(Korean Offset Credit KOC)을 상쇄배출권으로 전환해야 배출권 시장에서 사용가능하다 다만 외부사업 감축량으로 인증받은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은 중복 사용 방지를 위해 소각된다 이에 반해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해외외부사업감축인증실적은 우리나라의 NDC 이행 여부 점검 시 필요하다 따라서 만일 민간에서 이를 획득하여 국내 배출권 시장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부에서 발급하는 상쇄배출권(Korean Credit Unit KCU)과 교환하도록 하고 이를 별도의 레지스트리에 등록middot보관해 두어야 할 것이다 정부가 직접 추진한 협력 사업의 감축실적을 시장안정화 조치 등의 이유로 국내 배출권 시장에 유입시킬 경우도 동일한 논리가 적용될 것이다 다만 배출권 시장에 유입된 만큼 배출권거래제 적용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7

정적 시간적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협력적 접근법의 경우에는

체결 국가 수를 무작정 늘리는 방식보다는 전략적으로 필요한 국가와

선별적으로 체결하는 방식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필요한 국가의 선

정 기준에는 기후변화 측면도 있지만 사회 정치적인 사안들의 고려도

필요할 수 있으므로 현 단계에서 필요한 사안이 무엇이고 이를 위해선

누구와 협력할 것인가에 한 사회적 합의를 우선적으로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59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본 장에서는 앞서 검토한 배출권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연계 사례에서의 시사점 그리고 국제 탄소시장 동향 논의 전망을 토

로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과 해외 시장과 연계할 경우 두될 것으로

보이는 주요 쟁점사항과 시사점에 해 살펴보기로 한다 특히 본 연

구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를 논할 때 가장 빈번하게 거론되는

EU-ETS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기로 한다32)

1 우리나라 ETS와 EU-ETS의 주요 설계요소 비교33)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이하 K-ETS)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국내적 정책 수단으로서 도입middot시행되고

32) 최근 논의되고 있는 한-중-일 배출권 시장 연계의 경우 중국 및 일본 모두 국가 전체 차원의 배출권거래제가 아닌 일부 지역을 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적용 범위도 서로 상이한 점이 많아 사례 분석의 상으로 적합하지 않다고 보고 본 고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EU-ETS의 경우 EU 회원국이 참여하는 가장 큰 규모의 시장이며 오랜 배출권 시장 운영 경험을 가지고 있고 국내 배출권거래제도 설계 시 벤치마크로 활용되어 제도적 유사성이 상 적으로 높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사례분석의 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EU-ETS와 국내 배출권 시장 간의 연계를 분석한 국내 문헌이 거의 전무하다는 것도 EU-ETS를 사례 연구 상으로 삼은 중요한 이유 중 하나이다 국내 배출권 시장과 타 국가 배출권 시장의 연계를 다룬 국내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데 최근 박수경 외(2018)의 연구가 중국 배출권 시장과의 연계를 다루고 있으니 참조하기 바란다

33) 후술하는 우리나라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소에 관한 내용은 환경부(2019)를 주로 참고하였다

60

있다 따라서 K-ETS의 감축목표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로 설정된

2030년 BAU 비 37 감축과 연동되어 설정된다 제2차 계획기간

(2018년부터 2020년)동안 K-ETS는 매년 5477백만톤(3개년 총 1643

백만톤)을 사전할당하였는데 이는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02를 차지한다34)

EU 역시 역내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을 위한 정책 수단으로 ETS

를 도입middot운영하고 있으며 역내 국가들의 감축목표 총합을 고려하여 할

당계획을 수립한다는 점에서 한국과 유사하다 EU는 2020년까지 90년

비 20 2030년까지 90년 비 40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였

다 EU-ETS 제3기 할당계획에 따르면 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역내

전체 배출량의 약 45에 달하는 ETS 부문에서 2013년도 배출허용량

2084백만톤을 기준으로 2020년까지 매년 3826백만톤씩 배출허용량

을 일률 감축하도록 하고 있다35)

2020년까지 기간을 고려하면 EU-ETS가 K-ETS에 비해 엄격한 감축

목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K-ETS의 경우 2015년도 할당량을

기준으로 2020년까지 연평균 07이내로 감축하는 수준이므로

EU-ETS가 K-ETS에 비해 감축의 강도가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36)

그럼에도 불구하고 EU-ETS의 경우 제2기(2008~2012)에 발생한 잉여

배출권의 상당량이 제3기로 넘어와 시장 내 배출권 공급 과잉과 그로

34) 환경부 보도자료(2018724) 및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2019) 참조35) 2008년에서 2012년까지의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의 174에 달하는 감축량을 매년

동일하게 감축하는 것으로서 이는 2013년도 배출허용치 비 2020년까지 연평균 194 감축에 해당한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홈페이지(httpswwwemissions-euets comcarbon-market-glossary872-european-union-emissions-trading-system-eu-ets)를 참조하라

36) K-ETS 제1차 할당계획의 2015년도 사전할당량에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에 따른 2017년 추가할당량과 조기감축실적 3개년 평균을 적용한 값과 2019년 2차 계획기간 할당계획 변경안의 2020년 사전할당량을 비교하였다(환경부 2014 관계부처합동 2017 환경부 2019 참조)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1

인해 배출권 가격이 비교적 낮게 형성되고 있다37) 따라서 감축목표

엄격성의 절 적 수준이 아닌 그로 인한 배출권 시장의 영향이라는 관

점에서 본다면 현재까지는 두 시장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고 단정 짓

기는 곤란하다

나 할당방식

K-ETS와 EU-ETS 간 할당방식에 있어서 특징적인 차이는 (i) 유상

할당의 규모 (ii) 간접배출에 한 할당 여부에 있다

먼저 K-ETS는 무상할당이 기본이 되는 할당방식을 가진데 비해

EU-ETS는 상당 수준의 배출권을 유상으로 할당한다 K-ETS는 제2차

계획기간부터 일부 유상할당의 요소를 도입하고는 있으나 2020년까지

는 전체 할당량의 3 이내에서 유상할당하며 2020년 이후에는 전체

할당량의 10 이상을 유상으로 할당할 계획이다 K-ETS의 무상할당

은 기본적으로 과거 실적에 기반한 할당(Grandfathering)방식을 따르지

만 발전 집단에너지 산업단지 정유 시멘트 항공 폐기물 등 7개 업

종에 한해 벤치마크 방식에 기반한 할당을 적용하고 있다(환경부

2019) 반면 EU-ETS는 기본적으로 경매에 기반한 유상할당 방식을

따르고 있다 제3기 총 배출권의 약 57가 유상할당으로 배분되는데

발전부문은 거의 부분 유상할당하며 국제경쟁에 노출되는 산업부문

37) EU-ETS 할당배출권 가격은 2013년 이후 부분의 기간에서 10유로 미만으로 형성되어 오다가 최근 들어서야 20유로를 넘어섰다 반면 K-ETS의 KAU17 평균거래가격은 약 22천원 수준으로 현재(2018년 12월말 기준) EUA 가격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홈페이지 httpssandbagorgukcarbon-price-viewer 및 삼정KPMG Issue Monitor 제87호 참조)

62

은 상당량을 무상으로 할당하고 있다38)

K-ETS가 다른 ETS 시장과 구분되는 큰 특징 중 하나는 전력 열 등

의 최종소비자의 간접배출에 해서도 배출권을 할당하고 규제를 한다

는 점이다 부분의 ETS 시장은 직접 배출만을 규제 상으로 삼고

배출권을 할당한다 K-ETS에서 간접 배출을 규제하는 이유는 전력이

나 열 소매요금에 발전사들의 배출권 비용을 전가하기 어려운 구조이

기 때문이다

다 유연성 메커니즘

1) 상쇄제도

K-ETS의 상쇄는 국내에서 시행된 외부감축사업에서 획득한 감축실

적과 국내 업체가 해외에서 직접 시행하여 획득한 CDM 사업에 한해

인정된다 이때 의무이행에 사용할 수 있는 외부감축실적은 할당업체

별로 전체 배출권의 10 이내에서 인정되는데 이중 해외에서 시행해

서 획득한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은 각 이행연도 의무이행량의 5까지

만 인정된다(환경부 2019)

반면 EU-ETS는 지난 제2기(2008~2012)에 국가별 할당계획(NAP

National Allocation Plan)에 따라 결정된 국가별 상쇄한도 중 사용하

고 남은 양은 모두 제3기로 이전해 사용가능하다 그러나 예외적인 조

치로서 HFC-23이나 아디핀산 N2O 관련 프로젝트에서 나온 상쇄배출

권은 통용되지 않으며 제3기부터는 최빈개도국에서 시행된 CDM 프

로젝트의 크레딧만 허용한다 전체적으로 EU-ETS는 역내 상쇄배출권

38) 자세한 사항은 다음 웹사이트를 참조하라(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allowances_en) 산업부문에 한 무상할당은 2020년 30까지 점진적으로 줄여나갈 예정이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3

의 허용량이 2008년부터 2020년까지 역내 총 감축량의 50 이내가

되도록 한다는 원칙을 견지하고 있다(IETA 2014 ICAP 2019c)

EU는 역내 온실가스 감축노력 증진을 위해 제3기에는 상쇄를 엄격

히 제한해 왔으나 2021년 이후의 상쇄 제도에 해서는 아직 K-ETS

및 EU-ETS 모두 결정된 바 없다(ICAP 2019c)

2) 이월

K-ETS는 당초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였으나 시장 유동성 확보 차원

에서 제2차 계획기간 부터는 이월을 일정 수준에서 제한하고 있다 제

1차 이행연도의 경우 배출권(할당 및 상쇄) 순 매도량의 3배 이내이거

나 125만톤 이상 배출업체의 경우 75만KAU 25만톤 이상 배출 사

업장을 가진 업체의 경우 15만KAU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 이월을

허용한다 제2차 이행연도에는 배출권 순 매도량의 2배 이내 또는

125만톤 이상 배출업체의 경우 5만KAU 25만톤 이상 배출 사업장을

가진 업체의 경우 1만KAU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 이월을 허용한다

마지막 3차 이행연도에는 제2차 계획기간 연 평균 배출권 순 매도량

또는 125만톤 이상 배출업체의 경우 25만KAU 25만톤 이상 배출 사

업장을 가진 업체의 경우 05만KAU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 3차 계획

기간의 첫 번째 이행연도로만 이월을 허용하고 있다(환경부 2019) 반

면 EU-ETS는 별도 제한없이 전량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고 있다

3) 차입

K-ETS는 제2차 계획기간의 제1차 이행연도에는 배출권의 15 이

내에서 그리고 제2차 이행연도에는 배출권의 15에서 직전년도 차입

64

비율의 절반을 제한 비율까지 차입을 허용한다 그러나 계획기간 간

차입은 허용하지 않는다(환경부 2019) EU-ETS는 원칙적으로 차입을 허

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EU-ETS는 계획기간 내 이행연도별로 할당배출

권을 구분하여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의무이행 시점과 배출권 할당 시

점 간 차이를 활용하면 배출권 차입이 사실상 가능한 구조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EU-ETS의 배출권 할당은 매년 2월말에 이루어지는데 반

해 직전년도 이행실적에 한 배출권의 제출은 매년 4월말까지 이므로

당해 연도에 할당된 배출권을 직전년도 의무 이행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39) 이는 K-ETS처럼 배출권을 할당연도별로 관리하지 않기 때문

이다 따라서 비록 EU-ETS가 형식적으로는 계획기간 내 차입을 허용

하고 있지 않으나 실질적으로는 계획기간 내 차입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4) 가격 및 공급관리

K-ETS는 배출권 가격이 단기간에 급격히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경

우 그리고 배출권 수요에 비해 공급이 현저히 적은 경우 시장안정화를

위해 규제 당국이 시장에 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배출

허용총량 이외에 별도로 시장안정화 조치에 사용할 수 있도록 14백만

톤의 배출권을 예비분으로 배정해두고 있다 또한 시장 유동성 제고를

통한 거래 촉진을 유도하기 위해 시장조성을 위한 예비분 5백만톤을

추가로 배정하여 배출권 시장의 가격 및 수급을 관리하고 있다(환경부

2019)

39) 자세한 사항은 다음 웹사이트(httpswwwemissions-euetscomborrowing)를 참조하기 바란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5

한편 EU-ETS는 K-ETS와 같은 직접적인 시장 개입을 하고 있지는

않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상할당 배출권의 경매 연기조치

(Backloading)과 2020년 이후 본격적으로 도입될 배출권 비축제도

(Market Stability Reserve MSR) 등을 통해 배출권 가격 및 공급을 관

리하고 있다

라 의무이행 관련 사항들

K-ETS는 도입 당시부터 EU-ETS에서 적용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

정 방식을 상당부분 차용하였기 때문에 배출량의 산정middot보고 및 검middot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일부 차이는 있지만 거의 유사한 수준이라고 해도 과

언이 아니다

페널티의 경우 K-ETS는 배출권 평균 가격의 3배 또는 최 톤당 10

만원에서 결정되며 EU-ETS는 톤당 100유로 수준이므로 큰 차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다만 K-ETS는 과징금을 납부할 경우 의무미준수량에

한 별도의 추가 제출 의무가 없는데 비해 EU-ETS는 과징금과 별도

로 후속연도에 미준수량에 한 배출권 제출 의무가 부과된다는 차이

를 가진다(박수경 외 2018)

lt표 -1gt은 지금까지 살펴본 우리나라와 EU의 배출권거래제를 상

세하게 요약middot비교한 것이다

66

lt표 Ⅴ-1gt 우리나라와 EU의 배출권거래제 비교

국가 한국 EU

목표의 엄격성2020년까지 2015년도 할당량 기준 연평균 07 감축

2020년까지 2008-2012년의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의 174 균등 감축

배출량 제한 2018~2020년 5477MtCO2e2013년 2084 MtCO2e 2020년까지 매년 3826MtCO2e 감축

탄소상쇄 수량

할당된 배출권의 최 10 국내 탄소상쇄 및 CDM 사업에 한해 인정해외 상쇄는 5까지 인정

전체 EU-ETS 상쇄 허용량이 2008년~2020년 총 감축량의 50 이내로 관리제3기부터 최빈국의 청정개발체제 배출권만 사용 가능

가격 및 공급관리

비축분의 최 25까지 조기 경매 정부 시장 개입 가능

시장의 과잉공급 정도에 따라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배출권 공급량 조정

배출권 할당1단계 100 무상할당2단계 97 무상할당3단계 90 무상할당

산업부문은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적용범위발전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건물 폐기물 국내 항공 CO2

및 5 온실가스

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EU 역내 항공 CO2 및 N2O PFCs

준수기간 2015~2025 2013~2020

규제방식 하향식 방식 직접+간접배출 하향식 방식

이월차입이월제한 있음계획기간 내 차입 가능(기업 할당량의 최 10)

무제한 이월 가능차입은 원칙상 허용되지 않으나 계획기간 내 차입이 가능한 구조

페널티 제도배출권 가격의 3배 최 1톤당 10만원

1톤당 100 Euro의무 미준수량만큼 할당에서 공제

자료 Carbon Market Watch Report(2015) 박수경 외(2018) 등의 구성을 참고하여 국내외 문헌 및 웹사이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저자가 직접 재구성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7

2 K-ETS와 EU-ETS 연계 시 예상 쟁점들

가 감축목표

앞서 지적하였듯이 EU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2030년까지 1990년

배출량 비 4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어 BAU 비 37 감축목표

를 제시한 우리나라에 비해 더 엄격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두

시장의 연계에 한 논의가 본격화될 경우 EU 측에서 한국의 국가 감

축목표를 EU 수준에 근접하게 상향하거나 ETS 상 부문에 해 국

가 전체 감축률을 상회하도록 할당규모를 조정할 것을 요구할 수 있

다 물론 우리나라 정부의 입장에선 이러한 EU측의 요구를 전적으로

수용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 경우 한국의 제조업middot에너지다소비업종

중심의 산업구조로 인해 외견상 감축목표 수준과 달리 상당히 높은 한

계감축비용에 직면하고 있음을 적극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해서 한 가지 주목할 점은 한국에 비해 강한 감축목표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EU-ETS의 배출권 가격이 감축목표 강도를 제 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EU-ETS와 비교해 본다면 K-ETS

는 외견상 감축목표에 비해 배출권 가격이 상당히 높은 수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여기에는 감축목표의 지속적인 강화에 한 기 가

미친 영향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배출권 가격은 참여기업

들이 직면하는 한계감축비용의 수준을 투영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외

견상의 감축목표 강도에 비해 K-ETS 참여기업들의 실제 감축부담은

상당히 높은 편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추후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제기될 것으로 예상되는 EU측의 감축목표 상향 요구에 한

응논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40)

40) 이와 함께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하는 추세인데 반해 EU는 감소하는

68

나 할당방식

1) 간접배출의 포함 여부

K-ETS는 발전부문의 직접배출뿐만 아니라 전력이나 열 수요자의

간접배출에 해서도 배출권을 할당한다 이는 (i) 전력이나 열 소비

요금에 배출권 제반 비용을 전가하기 용이치 않은 우리나라 전력middot열

시장의 구조적 한계를 보완하고 (ii) 적정 수의 시장참여자를 보장하기

위해서이다41) 간접배출의 포함 여부가 직접적으로 배출권 시장 연계

전후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은 극히 제한적이므로 일견 시장 연계 시

쟁점사항이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간접배출에 해 할당을 할 경우

(i) 이중계산(double counting)의 문제 (ii) 횡재이윤(windfall profits)의

문제점이 제기될 가능성이 높다

먼저 전력이나 열의 생산자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도 배출권을 할당

하므로 이중계산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부문에서

100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였다고 할 때 100톤의 감축량 중 발전부문

자체의 노력(전원믹스 개선 발전효율개선 등)의 기여분과 최종소비자

의 수요 감축 노력의 기여분을 명확하게 분별할 수 없다면 이중계산의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42)

다른 한편 횡재이윤의 발생도 가능하다 발전부문에 한 배출권 할

당량은 발전부문 자체의 노력을 감안한 목표 감축량과 수요 측의 절감

추세에 있으므로 단순히 외견상의 감축률만으로 감축의 강도를 판단해선 안되며 K-ETS의 높은 탄소가격에는 그러한 측면이 반영되어 있다는 주장도 유용한 응논리가 될 수 있다 이를 지적해준 익명의 심사위원께 감사드린다

41) 만일 간접배출을 할당에 포함시키지 않을 경우 전력이나 열 등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다수의 기업들이 배출권거래제 적용 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다

42) 실제 감축량은 직접배출 기준으로 계산한 전체 감축량에서 최종소비자의 간접배출 부문 감축량을 제외해야만 이중계산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9

노력을 반영한 목표 감축량을 함께 고려하여 정해진다 만일 발전부문

의 자체 노력에 따른 감축량이 목표량에 미달하더라도 수요 측 절감노

력이 목표량을 초과할 경우 목표를 충족시키거나 초과달성할 수 있으

므로 횡재이윤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상의 문제는 EU-ETS와 연계 과정에서 제기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그러나 간접배출에 한 할당의 포함여부에 관한 논의는 궁극적

으로는 우리나라의 전력 또는 열 시장에 한 제도적 변화에까지 이어

지기 때문에 에너지 정책의 자율성과도 직결된 문제이므로 시장 연계

시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2) 유상할당의 수준

2020년 이후 EU-ETS는 기본적으로 발전부문뿐만 아니라 산업부문

에 해서도 유상할당이 중심이 되는데 비해 K-ETS는 여전히 부분

을 무상으로 할당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EU-ETS 참여 기업들을

중심으로 산업경쟁력 및 탄소누출의 우려를 제기하면서 K-ETS에 유

상할당의 비중을 상당 수준으로 높일 것으로 요구할 가능성을 배제하

기 어렵다 우리나라 업체들은 산업경쟁력 유지를 위해 온실가스 배출

권거래제도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최소 유상할당 비율 유지를 강하게

주장할 것이므로 K-ETS에서의 유상할당 비율은 매우 첨예한 쟁점사항

으로 부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 상쇄제도

아직 글로벌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에

70

서 두 시장의 상쇄제도의 차이가 시장 연계에 걸림돌로 작용할지는 현

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2021년부터 2030년까지 EU는 ETS 분야에서

1990년 비 43 Non-ETS 분야에서 30 감축을 통해 EU 자체적

(domestic)으로 최소 4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43) EU 자체 노력

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최소 목표치를 공식적으로 선언하였으므로

EU-ETS 할당 시 적어도 동 목표에 해당하는 수준까지는 역외 크레딧

사용을 허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44)

여기서 주목할 사항은 만일 EU가 배출권 시장 연계를 허용한다는

것은 결국 자신의 온실가스 최소 감축목표치를 사전에 공표한 수치 이

상으로 설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배출권 연계는

기본적으로 역외의 타 시장 배출권을 역내 의무사용에 활용하는 것이

므로 역내 최소 감축 목표치보다 목표를 상향해서 할당하지 않을 경우

엔 사전에 공표한 자체 감축노력에 의한 최소 감축목표를 근본적으로

달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EU와의 배출권 시장 연계가 논의되는 이상 EU-ETS는 적어도

이미 공표된 온실가스 감축 최저 목표치를 상회하는 목표를 설정할 공

산이 크다 EU-ETS가 도전적인 목표치를 설정하고 배출권 시장 연계

를 허용한다고 할 때 일정한 제약(예를 들어 최저 목표치에 해당하는

감축량을 초과하는 한도) 하에서 연계된 시장의 배출권과 더불어 역외

크레딧을 허용할 가능성이 높다 여기서 역외 크레딧에는 현재 논의되

43) European Commission COM(2016) 482 final 참조44) 여기서 EU가 제시한 온실가스 배출량의 40 자체 감축(ldquoa 40 domestic reduction

in economy-wide greenhouse gas emissionsrdquo)의 의미를 이중계산(double counting)이 허용되지 않는 상황에서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해 최종적으로 정산한 이후 EU가 자체적으로 레지스트리에 보유하고 있는 배출량을 기준으로 한다고 해석할 여지도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자체 감축(domestic reduction)의 의미를 순수하게 자신의 노력을 통해 감축한 역내 배출량으로 간주하기로 한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1

고 있는 시장 메커니즘인 UNFCCC의 관리middot감독 하에 운영되는 지속

가능발전 메커니즘과 협력적 접근법에 따라 EU와 자발적 협력 체결을

통해 발생한 감축실적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45)

한 가지 유의할 점은 EU뿐 아니라 우리나라와도 동시에 자발적 협

약을 체결한 국가에서 감축한 실적의 경우는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겠

지만 우리나라와만 자발적 협약을 체결한 경우에 해당 국가에서의 감

축실적을 K-ETS에서 상쇄로 허용하는 것이 또 다른 쟁점이 될 수 있

다는 점이다 만일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시장 메커니즘이 포괄적인

원칙에 해서만 합의가 이루어지고 세부 사항은 국가 간 자발적 협약

에 맡기는 방식이 될 경우 EU에서는 자신의 기준에 맞지 않는 자발적

협약에 따른 감축실적을 상쇄로 허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46) 이는

EU-ETS 제3기에 UNFCCC하의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을 최빈개도국가

들에서 만들어진 것 이외에는 허용하지 않는 사례에서 보듯이 충분히

생각해볼 수 있는 시나리오이다 그러할 경우 상쇄제도의 국가 간 세

45) 연계된 시장의 배출권을 EU-ETS의 의무이행에 활용한다는 것이 파리협정 하의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ITMO를 활용하는 것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배출권거래제도의 연계가 두 당사국 간의 상호 자발적인 협력 체결을 통해 이루어지며 중요한 감축수단의 하나라는 점에선 유사하지만 엄 한 의미에서 배출권거래제의 연계가 파리협정의 협력적 접근법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지 않는다 협력적 접근법에서 말하는 ITMO는 감축활동의 결과물로서 나온 감축실적인데 반해 배출권거래제도 상의 배출권은 배출을 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므로 양자의 성격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감축실적과 배출허가권이 일 일로 매칭될 수 없기 때문이다 배출권거래제도는 자국의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국내적 정책 수단의 하나이지 파리협정이라는 국제 협약의 틀 내에서 논의되는 시장 메커니즘과는 서로 다른 차원의 제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리협정에서의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감축실적은 배출권거래제도의 상쇄배출권의 형태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배출권 시장 연계가 협력적 접근법에 따라 자발적 협력 체결이 이루어진 국가들 간에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관점에서 배출권 시장 연계와 협력적 접근법이 직접적 연관성을 가지지는 않지만 서로 간에 높은 연관성이 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된다

46) 반 로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시장 메커니즘이 국가 간 자발적 협약에 한 구체적인 사항까지 규정하는 방식으로 합의가 된다면 논란의 여지는 훨씬 줄어들 것이다

72

부적 차이는 배출권 시장 연계에 있어서 쟁점사항으로 부각될 것이다

다만 K-ETS의 경우 해외상쇄를 전체 배출권의 5이내로 제한하고 있

어서 EU-ETS 시장에 한 공급 충격이 크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EU와 스위스 간의 ETS 연계 사례에서 보듯이 상쇄제도의 차이가 심

각한 장애요인은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라 기타 사항들

앞서 논의한 쟁점들 이외에 이월 차입 시장관리 등 여타의 사항들

은 이론적으로는 시장 연계 시 쟁점이 될 수 있으나 적어도 K-ETS와

EU-ETS 간의 연계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첫째 이월의 경우 현재 EU-ETS는 제한없이 허용하는데 반해

K-ETS는 이월에 한 제한을 두고 있다 그러나 2021년부터 2030년

까지의 계획에 따르면 EU는 이월을 허용하되 누적 이월량이 일정 수

준을 넘어 과도할 경우 제한을 둘 계획이다47) 따라서 양 시장에서 이

월 제도의 약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할 것이므로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쟁점으로 부각되지 않을 것이다

둘째 차입의 경우에도 2021년부터 2030년까지의 계획에 따르면 EU

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차입을 허용할 방침이므로 K-ETS의 차입 허용

이 연계 시 큰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48)

셋째 배출권 가격 및 공급 관리의 관점에서 보면 EU-ETS에 비해

K-ETS가 정부의 시장개입이 더 용이한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그 이

47) 다음의 홈페이지(httpseceuropaeuclimapolicieseffortregulation_en)를 참조하라48) 다음의 홈페이지(httpseceuropaeuclimapolicieseffortregulation_en)를 참조하라 또

한 앞서도 언급하였지만 EU-ETS는 현재 차입을 허용하고 있지 않지만 배출권 할당 시점과 제출 시점의 차이로 인해 사실상 차입이 허용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3

유는 K-ETS의 낮은 시장 유동성에 따른 배출권 공급물량 부족이 주요

원인이다 따라서 보다 큰 규모를 가진 EU-ETS 시장과 연계하는 경우

구태여 현재와 같은 K-ETS의 가격 및 공급 관리 제도를 유지하지 않

아도 무방하므로 두 시장 간의 연계 과정에서 장애요인이 되지 못할

것이다

3 배출권 시장 연계 방식별 편익 비용 그리고 시사점

가 시장 연계 유형별 편익 비용 비교

K-ETS와 EU-ETS 시장을 서로 연계한다고 할 때 연계하는 방식은

앞의 제3장에서 제시한 것들 중 하나가 될 것이다 그 중에서 완전통

합형 방식의 직접 연계는 사실상 현실적으로 가능한 안이 아니라고

보고 여기서는 쌍방향 연계 방식의 직접 연계와 단방향 연계 외부 크

레딧을 통한 간접 연계 등의 장middot단점을 비교해보기로 하자49)

1) 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배출권거래제는 사실상 자국의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자발적 감

축행동이다 배출권 시장의 쌍방향 직접 연계는 두 당사국이 자발적으

로 협력하여 이중계산 방지의 원칙 하에서 서로의 배출권 레지스트리

를 연계하여 서로의 배출권이 자유롭게 거래되고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49) 완전 통합형의 경우 두 시장을 하나의 시장으로 완전히 통합하는 것이므로 각 시장을 관할하던 정부들의 자율성이 전혀 보장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의 연계를 우리나라 정부에서 용인할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이므로 여기서는 완전통합형 연계 방식은 다루지 않기로 한다

74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은 크게 보면 다시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rsquo과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rsquo으로 나뉠 수 있다50) lsquo완전 쌍

방향 직접 연계 방식(이하 완전 쌍방향 방식)rsquo은 두 시장의 규제 당국

이 일정한 자율성을 가지고 배출권거래제도의 설계요소를 결정하되

각 시장의 배출권이 어느 시장에서든지 수량에 제한없이 의무이행에

전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연계 방식이다 스위스-EU 캘리포니아-퀘벡

등 현존하는 배출권거래시장 연계 사례는 모두 lsquo완전 쌍방향 방식rsquo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K-ETS가 EU-ETS와 이러한 방식으로 연계할 경우 예상되는 일차적

인 편익은 비용효과성 제고 및 규모 시장에 한 접근성 제고를 통

한 유동성 확 와 이를 통한 시장 가격 안정성 확보이다 앞에서도 살

펴보았듯이 배출권 시장의 연계는 기본적으로 두 당사국의 참여업체

비용부담을 완화시켜 준다 또한 시장 규모의 확 로 인해 시장 유동

성이 확 되고 배출권 시장가격의 변동성을 낮출 수 있다

이상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완전 쌍방향 방식이 가진 다음과 같은 단

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완전통합형에 비해서는 정도가 덜하지만 규제 당국의 정책 자

율성이 일정 수준 침해받을 우려가 있다 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의 특성 상 ETS 부문 감축목표 설정 할당방식 등 주요 배출권거래제

도 설계요소를 완전히 일치시킬 필요는 없지만 연계 상 방과 상당 수

준까지 보조를 맞추어야 한다 만약 양측의 설계요소 간 차이가 크다

면 이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핵심 설계요소를 조정해야 하는 당사국의

경우 일정 수준의 정책 자율성을 포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50) Ranson and Stavins(2015)를 비롯한 기존의 연구는 쌍방향 연계를 여기에서처럼 다시 두 가지로 구분하지 않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5

둘째 할당방식에 차이가 있을 때 특히 참여업체들의 비용과 직결되

는 유상할당의 규모 면에서 차이가 클 경우 연계 과정에서 쟁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두 시장간 유상 할당 비중의 차이가 클 경우

유상할당 중심의 국가에서 탄소누출 등을 이유로 유상할당 비중에

한 조정을 요구하고 이로 인해 유상할당의 비중이 늘어날 경우 연계

이전에 비해 무상할당 중심 시장의 참여업체들 비용부담이 크게 늘어

날 수 있다

K-ETS와 EU-ETS 간 연계를 상으로 생각해보면 K-ETS와

EU-ETS는 시장 규모 등의 측면에서 큰 차이가 나므로 시장 연계 과

정에서 K-ETS의 주요 설계요소를 EU-ETS와 근접하게 가져가야 할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ETS 부문의 감축목표 상향 간접배출에

한 할당방식의 조정 등 주요 설계요소에 해 EU-ETS와 유사하게 수

정해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에너지 및 온실가스 감축정책에 한 한

국 정부의 자율성이 침해받을 우려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유상

할당 중심의 EU-ETS와 달리 K-ETS는 무상할당이 주가 되므로 EU측

에서는 역내 산업경쟁력 및 탄소누출을 우려하여 K-ETS에도 상응하

는 수준의 유상할당을 요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끝으로 이론적 논의에서 잠깐 살펴보았듯이 lsquo완전 쌍방향 연계rsquo 방

식이 환경적 편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불분명하다51) 만일 시장 연

계 과정에서 한 당사국에서 상 편의 온실가스 감축목표가 자신과 상

응하지 못하다고 판단하여 감축목표 상향 조정을 요구하고 시장 연계

의 협의 과정에서 이것이 받아들여진다면 두 시장을 합한 전체 온실

가스 감축목표가 강화되어 lsquo온실가스 감축rsquo이라는 환경적 편익이 증

51) 제2장에서 논의한 Helm(2003) 및 Carbone et al(2009)의 연구 결과에 한 소개를 참고하라

76

할 수 있다 하지만 반 로 연계 이후의 국내 업체들의 감축비용 부담

이 늘어날 경우 규제가 상 적으로 느슨한 제3의 국가로 생산설비를

이전하는 탄소누출이 일어날 수 있다 이때 배출집약도가 높은 제3국

가로 생산설비가 이전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글로벌 차원에서는 온실가

스 배출량이 늘어날 수도 있다52) 즉 연계에 따른 감축목표의 상향이

업체의 부담을 높이고 이로 인한 탄소누출로 인해 오히려 전 지구적

인 차원에서 환경건전성은 나빠질 수도 있다 EU-ETS와의 연계에 따

른 환경건전성의 득실은 일률적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시장 연계의

환경적 편익을 예단하기 어렵다53)

2) 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 방식(이하 부분 쌍방향 방식)은 두 시장의

규제 당국이 자율성을 가지고 배출권거래제도의 설계요소를 결정하며

각 시장의 배출권을 어느 시장에서도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

에선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과 동일하나 의무이행에 활용되는 배출권의

수량에 제한을 두는 방식을 말한다 이는 사실상 두 시장이 서로 상

방의 배출권을 일정 비율 내에서 상쇄배출권처럼 활용하는 상황과 동

일하다

52) 예를 들어 상 적으로 친환경적인 전원믹스를 가진 국가에서 생산하던 업체가 유상할당 비중 증가로 인한 감축비용부담 상승으로 인해 제3의 국가로 생산설비를 이전한다고 하자 이 경우 설령 생산설비 이전과 이후에 동일한 에너지 투입 비 생산효율을 보인다고 가정하더라도 제3 국가의 전원믹스가 덜 환경친화적이라면 해당 업체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늘어나게 된다 이때 제3국으로 이전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분이 배출권 연계 이후 감축목표 상향에 따른 감축량 증가분을 초과한다면 전 지구적인 관점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은 순증하게 된다 결국 배출권 시장이 연계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연계 이후의 환경적 건전성은 오히려 악화된다

53) 이처럼 환경건전성과 관련한 연계 유형별 득실은 모호한 부분이 크므로 이후의 편익 비용 비교에 관한 논의에서 환경건전성은 제외하기로 한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7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의 경우에도 비록 제한된 수량 범위 내이긴 하나

연계를 통해 전체 시장 규모가 확 되므로 연계 이전에 비해 시장 유

동성을 제고하고 배출권 가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두 시

장의 배출권 가격 차이를 이용해 거래를 통한 비용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다 다만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과는 달리 활용가능한 상 편 배출권의

수량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두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하나의 가격으로

수렴되지는 못하고 일정한 차이를 두면서 각 시장가격의 자율성이 일

정 수준에서 유지되는 움직임을 보이게 된다54) 다만 경제적 효율성의

관점에서 보면 거래가능 수량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

식에 비해 일정 정도의 비효율성은 불가피하다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의 연계는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과는 달리 일정 범

위 내에서만 서로의 배출권의 활용을 허용하므로 가격 공급량 등에서

각 시장이 가진 독자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중계산의 문제

MRV의 투명성과 등가성 등의 기본 원칙이 준수되는 한 상 편 시장

은 상쇄배출권 거래를 위해 활용가능한 일종의 유연성 기제로서 간주

될 수 있다 따라서 두 시장을 합쳐 하나의 시장으로 바라보는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각 시장 운영의 자율성을 확보하기가 용이

하다 유사한 맥락에서 유상할당 규모에 차이가 존재하더라도 상 편

의 시장을 상쇄배출권 활용을 위한 기제로 간주하는 이상 할당방식의

차이를 상응되게 조정하고자 하는 정치적 압력도 크지 않을 것으로 전

망된다

54)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의 경우도 거래비용 등으로 인해 두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완전히 하나로 수렴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의 경우 두 시장의 가격 차이는 거래비용 등의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는 차이를 넘어선 수준에서 각 시장가격이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

78

요컨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연계할 경우 상 편 배출권의 활용

가능 비율이 줄어들수록 경제적 비효율성은 커지는 반면 시장 운영 및

제도 설계의 자율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이는 소규모 시장인

K-ETS가 규모 시장인 EU-ETS와 연계할 때도 유사하게 적용될 것

으로 전망된다

3) 단방향 연계 방식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방향 연계 방식은 어느 한 배출권 시장에

서는 상 편 시장의 배출권을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으나 그 반 는

허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단방향 연계는 타 시장의 배출권을 허용하는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허용하지 않는 시장의 배출권 가격에 비해 낮을

경우에만 실효성을 가지며 그렇치 않을 경우엔 실효성이 떨어진다 타

시장 배출권을 허용하지 않는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높게 형성되고 있

다면 단방향 연계에 따른 배출권 거래가 일어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55)

그러나 그 반 의 경우엔 상 편의 저렴한 배출권을 의무 이행에 활용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향상된 시장 접근성을 가질 수 있고 그로 인

해 시장 유동성 제고 가격 안정성 확보 및 감축비용 부담 완화라는 편

55) 이러한 경우에는 사실상 두 배출권 시장이 독립적으로 작동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우에 따라 시장 연계가 실효성있게 작동하는 상황도 발생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계가 허용된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 공급량이 부족할 경우엔 의무 이행을 위해 비싸더라도 배출권을 구매하려는 수요가 생길 수 있다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낮게 형성되고 K-ETS만 EU-ETS 시장과 일방향으로 연계된 상황을 상정해보자 통상적으로는 K-ETS 참여업체들은 비싼 EU-ETS 시장의 배출권을 구매하지 않으려 하겠지만 만일 K-ETS 시장에서 부분의 업체들이 잉여배출권을 이월하려고 해서 의무이행을 위한 배출권 구입 자체가 어려울 경우엔 단방향 연계 방식도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장에서 배출권 구입이 어려운 업체들은 비싸더라도 EU-ETS에서 배출권을 구매해서 의무이행을 할 것이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9

익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단방향 연계가 실효적인 상황 즉 연계를 허용하지 않은 국가

의 배출권 가격이 더 낮게 형성되는 경우엔 연계를 허용하는 국가의

정책 자율성이 보장받기 용이할 것으로 평가된다 왜냐면 연계를 허용

하지 않는 국가의 배출권 가격이 낮다는 의미는 ETS 부문의 감축목표

의 강도가 상 적으로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계를 허용치

않는 측에서 허용하는 측에 감축목표의 상향 등 주요 설계요소의 변화

를 덜 요구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단방향 연계는 다른 여타의 방식에 비해 연계를 허용하는 측

에 상당히 유리한 연계 방식이다 그러나 연계를 허용치 않는 시장에

서 얻는 편익이 거의 없기 때문에 앞서 살펴본 EU-호주 배출권 시장

연계 시도 사례에서 보듯이 본격적인 쌍방향 연계를 위한 준비기에 일

시적으로 운영되는 경우를 제외하곤 지속되기 어려운 실현 가능성이

낮은 방식이다

4) 외부 크레딧을 통한 간접 연계

끝으로 각 시장이 완전히 독자적으로 운영되면서 외부 크레딧을 통

해 간접적으로만 연계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현재 파리협정 하에서

의 시장 메커니즘 중 하나인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이나 협력적 접근

법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실적을 K-ETS와 EU-ETS가 상쇄배출권으로

활용하도록 할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 경우 양 시장을 운영하는 정부의 정책 자율성은 완전히 보장되는

반면 시장이 사실상 분리되어 있으므로 연계를 통한 직접적인 경제적

편익은 발생하지 않는다 상쇄배출권의 유입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서

80

로 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배출권 연계의 효과가 제한적이다 특히

상쇄로 활용 가능한 외부감축사업은 사업 발굴부터 크레딧의 발생 및

활용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K-ETS와 같이 수급 불

균형에 따른 유동성 부족 및 배출권 가격 불안정성을 경험하고 있는

경우엔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연계의 실질적인 효과를 기 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리협정에 따른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지침이

마련이 되고 감축사업이 본격화될 경우 이를 K-ETS에 연계시킬 필요

는 있다 물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의 시장 메커니즘은 이중계

산이 허용되지 않은 상황에서 모든 국가가 자국의 감축목표를 충족시

켜야 하므로 배출권 시장에서 활용 가능한 배출권 규모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앞에서 다룬 쌍방형 직접 연계와 함께 보조적

으로 사용된다면 효과성은 커질 것이다

나 K-ETS와 EU-ETS 간 연계를 위한 시사점

여기서는 다양한 연계 유형별 편익과 비용에 한 논의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과 EU 배출권 시장 간의 연계를 위한 시사점을

검토해보기로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가장 바람직한 연계의

방식은 시장 유동성과 비용효과성도 제고하면서 에너지 및 기후정책의

자율성을 최 한 확보할 수 있는 단방향 연계일 것으로 전망된다 즉

K-ETS는 EU-ETS 시장에 한 접근성을 가지나 EU-ETS는 K-ETS에

한 접근성을 허용하지 않는 방식이 가장 K-ETS에 유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시장 연계는 본격적인 시장 연계를 위한 준비기와 같은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81

예외적인 상황을 제외하고는 EU측에서 연계에 동의하지 않을 가능성

이 높아 실현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보인다

K-ETS를 운영하는 우리 정부 입장에서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과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 중 어느 쪽이 더 바람직한지 여부는 두 시장

의 시장 연계 전 배출권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따라 함의하는

바가 달라질 수 있다

먼저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

격에 비해 낮은 경우에 해 고려해보자 이 경우 시장 연계 이후에는

K-ETS 배출권 수요 증가로 K-ETS 가격은 상승하고 EU-ETS 배출권

의 가격은 낮아지게 된다 비용효과성의 측면에서 비록 K-ETS 참여업

체 중 배출권 순 구매자들의 구매 비용은 증가하겠지만 순 판매자들은

높아진 가격 상승의 혜택을 보게 되며 이론적으로는 전체적인 비용효

과성은 향상된다 그러나 연계 이전에 배출권 공급량 부족으로 유동성

문제에 고질적으로 시달리는 K-ETS의 입장에서 유동성 제고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 왜냐하면 K-ETS 배출권 가격이 상 적으로 낮기

때문에 K-ETS 배출권 수요가 늘어나고 이로 인해 K-ETS 배출권 확보

가 더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책 자율성의 측면에서 K-ETS 배

출권 가격이 상 적으로 낮다는 것이 EU측에 외형상뿐만 아니라 실질

적으로도 한국의 감축목표 강도가 약하다는 신호로 작용하여 감축목표

상향에 한 요구가 강해질 수 있다 한편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EU측이 유상할당의 비중을 상응하게 조정하자고 요구할 때 이를 거부

할 논거가 마땅치 않다 특히 한국의 감축목표 강도가 낮다는 선입견

은 유상할당 비중의 확 를 뒷받침해주는 또 다른 논거로 작용할 가능

성이 있다 만약 연계 이후 그러한 정치적 압력의 결과로서 실제로 유

82

상할당 비중이 늘어날 경우 참여업체의 경제적 부담이 커지게 되며 시

장 연계에 한 국내 업체들의 수용성은 크게 악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낮은 경우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일부 비용효과성 제고라는 편익

이 존재하지만 유동성 제고나 정책 자율성 확보 등의 측면에서 지불해

야 하는 비용이 더 클 가능성이 크다 한편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의 연계

는 비록 비용효과성의 제고에는 제한적일 수 있으나 감축목표의 상향

유상할당 비중 확 등 참여업체에 직접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외부의

정치적 압박에 보다 유연하게 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으로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

권 가격에 비해 높은 경우를 살펴보자 이 경우 시장 연계 이후에는

K-ETS 배출권 수요의 일부가 EU-ETS로 이전하여 K-ETS 가격은 낮

아지고 EU-ETS 배출권의 가격은 상승한다 비용효과성의 측면에서

K-ETS 참여업체 중 배출권 순 구매자들의 구매 비용은 줄어들게 되

며 비록 순 판매자의 배출권 판매 수입은 줄어드는 부분이 있지만 전

체적인 비용효과성은 증 된다 한편 K-ETS가 현재 겪고 있는 유동

성 부족 문제는 보다 저렴한 규모 EU-ETS 시장에 한 접근성이

커짐에 따라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책 자율성과 관련한

사항은 다소 분명치 않다 K-ETS 배출권 가격이 상 적으로 높기 때

문에 실질적인 감축목표의 강도가 높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가질 수 있

는 반면 외형상의 감축목표의 강도가 비교적 낮은 편이므로 감축목표

의 강도를 상응하게 조정해야 한다는 EU측의 정치적 압박에 자유롭기

쉽지 않을 수 있다 이와 함께 유상할당의 비중을 EU측과 상응하게 조

정해야 한다는 압력에서도 자유롭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83

결과적으로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높은 경우엔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

해 비용효과성 및 유동성 제고 등에서 더 큰 편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만 정책 자율성 확보나 유상할당 비중 최소화를 통

한 업계 부담 완화 및 수용성 확보의 관점에선 여전히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유리하다 물론 K-ETS 배출권의 높은 가격을 실질적인

높은 감축목표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을 통

해서도 정책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

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연계 이후 외부로부터의 정치적 압력

에 응하기 여의치 않을 경우엔 정책 자율성과 관련한 손실을 감수해

야 한다 만일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

이 크지 않다면 정책 자율성과 업계의 경쟁력을 고려한 부담 최소화

및 제도 수용성 확보가 더 용이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여전히

설득력 있는 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면 시장 연계 전 양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어

떻게 형성되는지 배출권 가격의 차이가 실질적인 감축목표 강도로

EU-ETS 측에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 질 수 있는지 등에 따라 바람직

한 시장 연계의 방식은 달라질 수 있다56) 전체적으로 lsquo완전 쌍방향rsquo

56) 실제로 K-ETS와 EU-ETS의 배출권 가격이 향후 어떻게 전개될 지는 현재로선 예측하기 어렵다 톰슨로이터의 전망에 따르면 EU의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경매연기 배출권의 배출권 비축 시나리오 하에서 2030년까지 EUA의 가격은 약 60유로(한화로 약 78000원선)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Point Carbon 2014) K-ETS의 배출권 가격 전망 자료는 찾기 어려우나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의 목표를 기준으로 할 때 2030년까지 현 수준보다 크게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외견상의 감축목표의 강도를 볼 때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낮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산업middot발전부문의 한계감축비용을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2030년 기준으로 한계감축비용이 톤당 10만원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안영환

84

연계방식은 비용효과성과 유동성 확보의 측면에서 다소 유리하지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정책 자율성 확보 업계 부담 최소화

및 수용성 확보의 차원에서 다소 불리할 수 있다 결국 우리 정부가 시

장 연계에 따라 어떤 가치를 더 보호할 필요가 있는지에 관한 정책적

판단에 따라 연계의 방식은 달라질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지적하고 싶은 것은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도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적절히 설정할 경우 상당한 비용효과성

및 유동성 제고의 편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만

일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서 설정한 lsquo비중rsquo을 넘어 완전한 쌍방향

연계로 전환할 때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이 그리 크지 않다면 정

책 자율성 확보에 유리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가 더 바람직한 연계 방식

이 될 수 있다 다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시 바람직한 상 편 배출권

의무 활용 비중이나 레지스트리 등과 같은 기술적인 부분은 본 연구의

범위를 벗어나는 문제이므로 후속 연구로 남겨두기로 한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에 맞는 연계의 방식은 캘리포니아

-퀘벡 또는 스위스-EU-ETS와 같은 해외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와는

달리 완전 쌍방향 연계 방식보다는 부분 쌍방향 연계 방식이 더 적합

할 수 있다 처음부터 완전 쌍방향 연계 방식을 취하기보다는 단계적middot

점진적으로 완전 쌍방향 연계로 확 해나가는 방향이 정책적 자율성을

확보하고 K-ETS가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좋은 안이 될 수 있

다 EU의 입장에서도 배출권 시장 규모를 확 하고 기후변화에 한

middot 김동구 2017) 물론 저렴한 비용에 다량의 감축이 가능한 산업공정 및 폐기물 건물 부문 등에 한 분석이 제외되었다는 한계가 있지만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높게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눈여겨볼만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85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한다는 차원에서 연계에 부정적이지는 않을 것으

로 보인다 특히 자체적 노력을 통해 감축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EU

의 입장에서도 스위스에 비해 상 적으로 큰 규모의 K-ETS와 완전 쌍

방향 직접 연계 방식보다는 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이 보다 바람

직한 연계 방식이다 왜냐하면 규모가 큰 시장과의 연계로 인해 자체

감축 수요보다 타 시장 배출권 구입을 통해 목표를 충당하려 할 경우

목표로 하는 자체 노력에 의한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에 차질을 빚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은 단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EU의 이해와도 부합되는 측면이 있고

따라서 정책 방안의 실현가능성 또한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6장 결론 87

제6장 결 론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도는 시장 기제를 활용하여 비용효과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표적인 감축 수단으로서 우리나라를 포함

하여 EU 캘리포니아 등 여러 국가에서 채택하여 시행하고 있다 특히

파리협정 이후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와 맞물려 그간 독

자적으로 운영되어 오던 배출권 시장을 서로 연계하여 비용효과성을 극

화하고 시장 유동성을 제고하며 기후변화 응 관련 국제적 리더십을

확보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배출권 시장 연계는

단순히 전문가 차원의 관심을 뛰어 넘어 퀘벡-캘리포니아 배출권거래제

도 및 스위스-EU 배출권거래제도의 연계 사례를 통해 실현되고 있다

배출권 시장 연계에 한 그간의 여러 연구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의

연계가 시장 규모의 확 를 통해 비용효과성을 제고하고 유동성 확

및 가격 안정화 등의 여러 가지 편익을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국 내 정책에 한 규제당국의 개입 범위를 축소시켜 정책 자율성을

저해하며 자국 내 기업들의 비용부담을 오히려 증 시키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환경건전성까지 악화시킬 가능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배출권

시장 연계는 편익뿐만 아니라 발생 가능한 다양한 부작용들을 종합적

으로 고려해서 결정해야 하는 다면적인 정책 의사결정 과정임에 유념

해야 한다

배출권 시장 간 연계가 성공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연계하는 두

시장의 제도적 설계요소들을 적절히 맞추어나갈 필요가 있다 상 부

문의 감축목표 강도 할당방식 이월middot차입middot상쇄 등 유연성 기제 배출권

88

가격 및 공급량 관리제도 MRV 체계 페널티 제도 등 고려해야 할 다

양한 설계요소들이 있다 특히 감축목표의 강도 유상할당의 규모 상

쇄제도 MRV 체계 등은 연계 과정에서 핵심 쟁점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연계 과정에서 규제 당국 간의 적절한 조율이 필요하다

배출권 시장 간 연계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사례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퀘벡-캘리포니아 및 스위스-EU의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는 연계를 통해 두 시장이 상호간 혜택을 보

아야 하고(상호 호혜성) 연계되는 두 시장의 배출권 설계요소가

동소이하며(핵심 설계요소의 일치성) 당사국들의 강한 정책적 의지가

수반되어야 성공적인 시장 연계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배출권 시장 연계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유형별로

는 lsquo완전통합형rsquo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형rsquo 외부 크레딧을 통한 lsquo간접 연계rsquo lsquo단방향 연계형rsquo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 연계 유형별로 가지는 장middot단점이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시

장의 완전통합형에 가까울수록 비용효과성과 시장 유동성 및 가격 안

정성은 높아지는데 반해 정책 자율성은 낮아진다 단방향 연계형은 연

계가 허용된 시장에는 비용효과성 유동성 및 가격 안정성을 제공하면

서 정책 자율성까지 보장하는 장점이 있으나 연계를 허용하지 않은 시

장에서는 연계의 혜택을 누리기 어려우므로 상호 호혜성의 측면에서

실현되기 어려운 방식이다 다만 두 시장을 직접적으로 연계하기 전에

다양한 설계요소를 조정하기 위한 중간 단계로서 단방향 연계 방식이

채택될 수는 있을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의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타 배출권 시장과의 연계가 논의되고 있는 상황에서 가장 유력하게

제6장 결론 89

거론되고 있는 EU-ETS와의 연계를 상정하여 주요 쟁점사항과 바람직

한 연계 방식에 해 검토해 보았다

EU-ETS와 연계할 경우 가장 첨예한 쟁점사항으로 부각될 수 있는

요소로는 감축목표 강도 및 유상할당 규모의 상응성 간접배출에 한

할당 등을 꼽을 수 있다 실질적인 체감도와는 무관하게 외형상의 EU

와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할당방식에 있어서 EU-ETS와 달리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은 무상할당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EU-ETS와의 유상할당 규모의 차이는

2030년까지 상당 수준에서 차이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EU-ETS와 연계를 논의할 때 산업경쟁력 및 탄소누출에 한 우려를

들어 감축목표의 강도와 유상할당 규모의 상응성이 핵심 쟁점으로 부

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간접배출에 한 할당도 이중계산 및 횡

재이윤의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쟁점사항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월 차입 시장관리 MRV 등의 요소는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긴 하나 EU-ETS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기 때문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할 때 다양한 시장 연계의 유형 중 어떤 방식이

우리에게 보다 적합할지 살펴보았다 lsquo완전 통합형rsquo은 사실상 정책 결

정에 우리 정부가 개입할 여지를 없애는 방식이므로 적합지 않은 방식

이며 외부 크레딧을 통한 lsquo간접 연계rsquo 방식만으로는 유동성 부족에 고질

적으로 시달리는 국내 배출권 시장의 문제를 해결하기에 모자람이 많

다 다만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와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 방식 중

어떤 방식이 우리 현실에 더 적합한지는 연계 이전에 두 시장의 배출

권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가 그리고 배출권 가격의 차이가 실질적인

90

감축목표의 강도로 받아들여 질 수 있는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은 비용효과성과 유동성 확보의

측면에서 다소 유리하지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정책 자율

성 확보 업계 부담 최소화 및 수용성 확보의 차원에서 다소 불리하다

먼저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낮게

형성된다면 국내 배출권에 한 외부 수요가 증 되므로 lsquo완전 쌍방

향rsquo 연계방식을 채택하더라도 K-ETS의 고질적인 유동성 부족을 해결

하는데 큰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다 반면 정책 자율성에 있어서 손실

을 감수해야 하므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보다 적합하다

다음으로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

해 높고 그러한 높은 시장 가격을 근거로 실질적인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충분히 받아들여진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은 시장 가격에도 불구하고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받아들여지지 못한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은 국내 참여업체들의

비용부담을 가중시키고 제도의 수용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도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적절

히 설정할 경우 상당한 비용효과성 및 유동성 제고의 편익을 얻을 수

있다 만일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서 완전한 쌍방향 연계로 전환할

때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이 그리 크지 않다면 정책 자율성 확보

에 유리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가 더 바람직한 연계 방식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해외 주요국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에서처럼 처음부터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EU-ETS와 연계하기 보다는 초기 단계에서는 적절

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EU-ETS 배출권을 구매해서 의무이행에 활

용하는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배출권 시장을 연계한 후 점진적으로

제6장 결론 91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높여나가는 방식이 바람직할 것으

로 판단된다

또한 최근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으로 논의되는 협력적 접근

법이나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에 의한 감축실적도 상쇄배출권으로 허

용하도록 함으로써 간접적인 연계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시장 메커니

즘에 한 지침이 확정되면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이들 접근법을 활용

한 다양한 감축사업들이 전개될 수 있으며 연계 상이 되는 타 시장

(예를 들어 EU-ETS)도 그러한 시장 메커니즘을 자국의 배출권 시장과

연계시킬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간접연계는 국제적으로 공인된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함과 동시에 lsquo부분 쌍방향 연계 방식rsquo의 효과를 제고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93

참고문헌

lt국내 문헌gt

관계부처합동 2017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1차 계획기간 제3차 이행

연도 배출권 할당계획 변경(안)

관계부처합동 2018 보도참고자료 ldquo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전략 새롭게 만들어 갑니다rdquo

기획재정부 2017 제2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안)

박수경middot박순철middot송철호middot임철희middot이수정middot이우균 2018 ldquo한middot중 배출권거래제

연계를 위한 설계요소 및 장애요인 분석rdquo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9(4) 471-485

산업통상자원부 2016a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 수립 연구

산업통상자원부 2016b 협력적 접근법에 활용가능한 국제 규범 마련 연구

삼정 KPMG 2018 진화하는 배출권거래제(ETS) 시장과 기업의 탄소비용

응방향 삼정 KPMG Issue Monitor 제87호

수원의제21실천협의회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 2016 ldquo제21차 기후변화

협약당사국총회 파리협정문 국문번역본rdquo

안영환middot김동구 2017 산업 발전부문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 연구 산업

통상자원부

환경부 2014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1차 계획기간 국가 배출권 할당

계획

환경부 2018 보도자료 ldquo2030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안 및 2018~2020년

배출권 할당계획 확정rdquo

94

환경부 2019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2차 계획기간 국가 배출권 할당

계획

lt해외 문헌gt

Anger N 2008 ldquoEmissions Trading beyond Europe Linking Schemes

in a Post-Kyoto Worldrdquo Energy Economics 30 2028-2049

Babiker M Reilly J and Viguier L 2004 ldquoIs international emissions

trading always beneficialrdquo Energy Journal 25(2) 33-56

Bodansky DM Hoe이 SA Metcalf GE and Stavins RN 2016

ldquoFacilitating linkage of climate policies through the Paris

outcomerdquo Climate Policy 16(8) 956-972

Burtraw D Palmer KL Munnings C Weber P and Woerman M

2013 Linking by degrees incremental alignment of cap-and-trade

markets Discussion Paper 13-04 Resource for the Future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Towards a Global Carbon Market

Prospects for Linking the EU ETS to Other Carbon Markets

Carbone JC Helm C Rutherford TF 2009 ldquoThe case for

international emission trade in the absence of cooperative climate

policyrdquo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57

266-280

Chichilnsky G and Heal G 1995 Markets with tradable CO2

emission quotas principles and practice OECD Economics

Department Working Paper No 153

DEHSt 2016 International market mechanisms after Paris

참고문헌 95

European Commission 2016 COM(2016) 482 Final

Flachsland C Marschinski R and Edenhofer O 2009 ldquoTo limk or

not to link benefits and disadvantages of linking cap-and-trade

systemsrdquo Climate Policy 9(4) 358-372

Gouvernement du Queacutebec 2018 Quebec cap-and-trade system for

greenhouse gas emission allowances(CampT) Historical Overview

Hahn R W and Stavins R 2011 ldquoThe Effect of Allowance

Allocations on Cap-and-Trade System Performance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54(4) s267-s294

Haites E and Mullins F 2001 Linking domestic and industry

greenhouse gas emission trading systems EPRImiddotIEAmiddotIETA

Helm C 2003 ldquoInternational emissions trading with endogenous

allowance choicesrdquo Journal of Public Economics 87 2737-2747

Helm D Hepburn C and Mash R 2003 ldquoCredible carbon policyrdquo

Oxford Review of Economic Policy 19(3) 420-437

IETA 2014 USE OF OFFSET CREDITS ACROSS EMISSION

TRADING SYSTEMS and CARBON PRICING MECHANISMS

IETA 2015 Case Study Linking the Swiss and EU ETS Greenhouse

Gas Market 20152016 Report

ICAP 2019a Canada - Queacutebec Cap-and-Trade System

ICAP 2019b USA - California Cap-and-Trade Program

ICAP 2019c EU Emissions Trading System (EU ETS)

Jaffe J and Stavins RN 2008 Linkage of tradable permit systems

in international climate policy architecture Discussion Paper

08-07 Harvard Project on International Climate Agreements

96

McKibbin WJ Shackleton R and Wilcoxen PJ 1999 ldquoWhat to

expect from an international system of tradable permits for carbon

emissionsrdquo Resource and Energy Economics 21 319-346

McKibbin WJ Morris A and Wilcoxen PJ 2008 Expecting the

unexpected macroeconomic volatility and climate policy Discussion

Paper 08-16 Belfer Center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Affairs

Harvard Kennedy School

Montgomery W D 1972 ldquoMarkets in Licenses and Efficient Pollution

Control Programsrdquo Journal of Economic Theory 5 395-418

Point Carbon 2014 The MSR Impact on market balance and prices

Thomson Reuters

Ranson M and Stavins RN 2015 ldquoLinkag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trading systems learning from experiencerdquo Climate

Policy 16(3) 284-300

Royal Norweigi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08 The Norwegian

Emissions Trading System Presentation to ICAO Workshop

Tietenberg T H 2006 Emission Trading Principles and Practice 2nd

Ed RFF Press

Tuerk A Mehling M Flachsland C and Sterk W 2009 ldquoLinking

carbon markets concepts case studies and pathwaysrdquo Climate

Policy 9(4) 341-357

UNFCCC 2015 Paris Agreement

UNFCCC 2016 Decision1CP21

참고문헌 97

lt기사 및 웹사이트gt

ClimateWire 2013 ldquoEU market troubles will prevent emissions trading

linkage - Califairchiefrdquo

EC 홈페이지 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reform_en

EC 홈페이지 httpseceuropaeuclimapolicieseffortregulation_en

EC 홈페이지 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allowances_en

Emissions-ETScom 홈페이지 httpswwwemissions-euetscomcarbon-

market-glossary872-european-union-emissions-trading-system-eu-ets

Emissions-ETScom 홈페이지 httpswwwemissions-euetscomborrowing

Exchange Monitor 홈페이지 ldquoCALIF FORGING AHEAD WITH EMI

SSIONS TRADING NEXT MONTH AIR CHIEF CONFIRMSrdquo

httpswwwexchangemonitorcomcalif-forging-ahead-with-emissions

-trading-next-month-air-chief-confirmsprintmode=1

Federal Office for the Environment Switzerland ldquoLinking of the Swiss

and European emissions trading systems big step forwardrdquo

httpswwwbafuadminchbafuenhometopicsclimatenews-releases

msg-id-67745html

Sandbag Carbon Price Viewer httpssandbagorgukcarbon-price-viewer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Western_Climate_Initiative

심 성 희

現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lt주요저서 및 논문gt

985172배출권거래제의 최적 운영을 위한 사회 여건 연구985173 에너지경제

연구원 기본연구 2012

985172배출권 경매의 이론과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 연구985173 에너지경제

연구원 기본연구 2013

985172우리나라 배출권거래제 진단과 개선방안985173 에너지경제연구원 기본

연구 2017

수시연구보고서 18-02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

2019년 1월 31일 인쇄

2019년 1월 31일 발행

저 자 심 성 희

발행인 조 용 성

발행처 에너지경제연구원

983732983732983733983732983731 울산광역시 종가로 405-11

전화 (052)714-2114(代) 팩시 리 (052)-714-2028

등 록 제 369-2016-000001호(2016년 1월 22일)

인 쇄 디자인 범신

에너지경제연구원 2019 ISBN 978-89-5504-725-7 93320

파본은 교환해 드립니다 값 7000원

본 연구에 포함된 정책 안 등 주요 내용은 에너지경제연구원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닌 연구진의 개인 견해임을 밝혀 둡니다

Page 7: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Abstract i

ABSTRACT

1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The carbon market mechanism under Article 6 of the Paris

Agreement has recently become one of hot issues in the UNFCCC

negotiations talk In line with the discussions of the international

climate negotiations the Korean government has a future plan to link

its emission trading system with the international carbon market and

furthermore considers to promote international linkage with foreign

emission trading systems in the long term

Against this backdrop the international linkage of emission trading

markets such as the carbon market linkage of Northeast Asia carbon

markets or Korea-EU carbon markets have been actively discussed at

the expert level In particular an international linkage of the emission

trading market in Korea which is suffering from imbalances in

supply and demand for emissions allowances has been mentioned as

an attractive alternative for expanding trade volumes and reducing

domestic carbon mitigation costs through enlarging the market size

However a linkage of emission trading markets is a multi-faceted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that should take into account a range of possible

side-effects as well as benefi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various

theoretical and empirical discussions surrounding the linkage of emission

ii

trading markets and recent negotiations on the international carbon market

mechanism under the Paris Agreement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ossible issues that may arise when linking Korean emission

trading market with the EU-ETS in the future its potential benefits and

costs of linkage and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sirable direction

of emissions trading market linkage

2 Summary and Implications

The coordination of the various design elements of the two emissions

trading markets that would be linked is essential for a successful linkage

between emissions trading markets The stringency of GHG reductions

targets allocation methods flexibility mechanisms such as banking

borrowing and carbon offset emission allowances price and supply

management schemes MRV and penalty schemes and so on are key design

factors to consider to link with other emissions trading schmes In

particular the stringency of GHG reductions targets the size of auctioned

units offset schemes and MRV systems are likely to emerge as key issues

in the linking process

We can learn some policy implications from examples of successful

linkages between emissions trading markets such as Quebec-California and

Switzerland-EU linkages ① linking the two markets are mutually beneficial

from each other ② the key design elements of the two emissions trading

markets that be linked are similar ③ It shows that the strong policy will

of the Parties is accompanied by successful market linkage

Abstract iii

Emission trading market linkages can be categorized into lsquofull

integrationrsquo lsquofull direct linkrsquo lsquopartial direct linkrsquo lsquoindirect linkrsquo through

carbon offset credits Basically the closer the market is to a fully

integrated type the higher the cost effectiveness market liquidity and price

stability while lowering policy autonomy

Next a scenario of linking K-ETS and EU-ETS was considered and the

main issues of the linkage scenario and desirable linking methods were

examined

In connection with the EU-ETS it is highly likely that issues such as

the stringency of GHG reduction targets the size of auctioned units and

the allocation of indirect emissions will be highlighted Banking borrowing

market management and MRV are not expected to be a big problem as

the design features between the two emissions trading schemes are not

quite different The most promising alternatives among the various linking

methods are lsquofull direct linkrsquo and lsquopartial direct linrsquo Which of these

methods is better suited to Korean emissions trading scheme depends on

the differences in emissions allowancesrsquos prices in the two markets

In general a lsquofull two-way direct linkrsquo is somewhat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effectiveness and market liquidity but it is somewhat

disadvantageous in terms of securing policy autonomy minimizing the

burden on the industry and securing social acceptance If the K-ETSrsquos

emissions allowances price is lower than that of EU-ETS compared to

without the linkage the lsquopartial two-way direct linkagersquo is more

appropriate This is because it will be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of

iv

K-ETSrsquos lack of liquidity even if it adopts the lsquofull two-way direct linkagersquo

method On the other hand if the emissions allowances price of K-ETS is

higher than that of EU-ETS before the market linkage and if counter-part

market planner would accept the high emissions allowances price as a

signal of the corresponding stringency of Korearsquos GHG reductions target a

full two-way direct linkage could be advantageous However despite the

high market price if it is not acceptable as a signal of an high ambition of

GHG reductions a full two-way direct linkage may only increase the cost

burden of domestic participants and reduce the acceptability of the system

In conclusion if the additional benefits of transition from a partial

two-way direct linkage to a full two-way direct linkage are not significant

the partial two-way direct linkage which is advantageous for securing

policy autonomy will be a more desirable way Thus we recommend that

it is not advisable to link with the EU-ETS in a full two-way direct

manner from the outset In the early stages it would be advisable to link

the markets in a partial two-way direct manner in which EU-ETS

allowances are freely purchased and used to fulfill their obligations within

an appropriate range and then gradually increase the share of obligations

of the other allowances

Finally indirect linkage need to be paralleled by allowing the GHG

reductions credits by cooperative approaches or sustainable development

mechanisms under Article 6 of the Paris Agreement Once the guidelines

for market mechanisms are finalized in the near future various mitigation

activities can be developed at the global level In fact EU-ETS is also

Abstract v

likely to allow some credits from the market mechanisms Thus in parallel

with indirect linkages the market mechanisms under Article 6 of the

Paris Agreement also need to be utilized in parallel with a lsquopartial two

way direct linkagersquo between K-ETS and EU-ETS that would create

synergistic effects of the carbon market linkage

차례 i

제목 차례

제1장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제2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편익과 비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가 비용효과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나 시장 유동성과 가격 안정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다 동태적 효율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라 환경 건전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마 정치적 편익과 비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2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주요 고려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나 상쇄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다 배출권 가격 및 공급관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라 배출권 할당방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마 상 온실가스 및 적용 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

바 이월 및 차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

사 기타 고려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가 직접 연계 완전 통합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ii

나 직접 연계 쌍방향 연계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

다 직접 연계 단방향 연계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라 간접 연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

2 배출권 시장 연계의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가 스위스 배출권거래제와 EU-ETS의 연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나 퀘벡과 캘리포니아 배출권거래제의 연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

다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추진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3 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

가 상호 호혜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

나 핵심 설계요소의 유사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

다 정책적 의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 동향과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1 파리협정 이후의 탄소시장 논의 동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가 주요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나 후속협상 주요 경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다 주요 쟁점 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2 Post-2020 탄소시장 전망과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1 우리나라 ETS와 EU-ETS의 주요 설계요소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나 할당방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다 유연성 메커니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

라 의무이행 관련 사항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

차례 iii

2 K-ETS와 EU-ETS 연계 시 예상 쟁점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가 감축목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나 할당방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8

다 상쇄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9

라 기타 사항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3 배출권 시장 연계 방식별 편익 비용 그리고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3

가 시장 연계 유형별 편익 비용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3

나 K-ETS와 EU-ETS 간 연계를 위한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제6장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iv

표 차례

lt표 Ⅲ-1gt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표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

lt표 Ⅲ-2gt 스위스와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

lt표 Ⅲ-3gt 캘리포니아-퀘벡과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

lt표 Ⅳ-1gt 파리협정 제6조 주요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

lt표 Ⅴ-1gt 우리나라와 EU의 배출권거래제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차례 v

그림 차례

[그림 Ⅱ-1] A국과 B국의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에 따른 가격결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제1장 서론 1

제1장 서 론

최근 파리협정(Paris Agreement) 제6조에 근거하여 2020년 이후 국

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의 구체적인 정의 구조 기능 활용방법 절차 및

거버넌스 등에 관한 국제사회의 논의가 진행 중이다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활발한 논의의 배경은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할 경우

비용효과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 출발한다 이

와 같은 국제사회의 논의와 발맞추어 우리 정부도 2030년까지 BAU

비 37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제시하면서 목표 감축량의 45를 산

림흡수원 및 해외 감축분을 통해 달성하겠다고 밝히고 있다(관계부처

합동 2018)

한편 우리나라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비용효과적으로 달성하

기 위해 2015년부터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도입middot운영 중이다 지난

2017년에 발표된 제2차 계획기간(2018~2020년) 동안의 배출권거래제

운영방향을 제시한 제2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은 5가지 배출권거래

제 운영의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정부는 ldquo국제 탄소시장

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국제기준에 부합rdquo하도록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할

계획이며 특히 ldquo장기적으로 배출권거래제 국제 연계를 통한 해외 상

쇄 등 활성화로 유연성 제고 및 감축비용 절감 도모rdquo를 천명하였다

(기획재정부 2017) 이러한 기본계획의 방향성을 이어받아 최근 한-중

-일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 지역의 탄소시장 연계와 한국-EU 탄소시장

협력체계 등 배출권 시장의 국제 연계에 관한 논의가 전문가 차원에서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배출권 수급 불균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

2

는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 시장의 국제 연계는 시장의 규모

화를 통한 거래활성화 및 국내 기업 감축비용 완화를 위한 매력적인

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잘 알다시피 배출권거래제는 이론적으로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한

가장 비용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EU-ETS를 시작으로 여러

국가에서 배출권거래시장이 운영되고 있는 가운데 각 국가의 배출권거

래시장의 연계는 이론적으로 배출권 시장의 규모화를 통해 비용절감

효과를 극 화시키고 참여 국가들의 편익을 증가시킬 것으로 여겨진

다 그러나 Flachsland et al(2009) Ranson and Stavins(2015) 등의 기

존 연구들은 배출권 시장의 국제적 연계가 비록 이론적으로는 경제적

효율성을 증 시키지만 경제성만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매우 다면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론이 예상하는 바와 다른 다양한 부작용이 존

재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를 둘러싼 다양한 이론적middot실증적

논의와 파리협정하의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최근 협상 동향

을 검토해보기로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을 주요

국(EU) 배출권 시장과 연계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쟁점들 연계

의 잠재적 편익과 비용을 전망해보고 시장 연계의 바람직한 방향에 관

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의 편익

과 비용에 관한 그간의 이론적middot실증적 논의를 검토하고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해 논의한다 제3장에서는 배출권 시장이 연계

되는 다양한 유형과 더불어 퀘벡-캘리포니아 스위스-EU 등 배출권 시

장 연계의 해외 사례를 살펴보고 그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

제1장 서론 3

점을 도출하였다 제4장은 파리협정하의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최근 협상동향과 전망에 해 논의한다 제5장에서는 표적인 배출권

시장인 EU-ETS와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K-ETS)의 연계를 상정한 정

성적인 사례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EU-ETS와 K-ETS의 연계

시 부각될 수 있는 다양한 쟁점들과 시장 연계에 따라 우리가 얻을 수

있는 편익과 비용에 해 전망해보고 K-ETS의 입장에서 바라본 바람

직한 배출권 시장 연계의 방향에 해 모색해 보았다 끝으로 제6장에

서는 앞선 논의들을 종합 정리하면서 보고서를 매듭짓기로 한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5

제2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본 장에서는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배출권 시장 연계와 관련한 이론

적 실증적 논의 동향을 살펴본다 그간 배출권 시장 연계와 관련된 무

수히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하나의 축은 배출권 시장을 연계

할 경우 얻을 수 있는 편익과 비용에 관한 논의이며 다른 하나는 배출

권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요소에 한 논의로 별된다(Helm

2003 Anger 2008 Babiker et al 2004 Jaffe and Stavins 2008

Carbone et al 2009 Flachsland et al 2009 등) 또한 편익 비용 그

리고 연계 시 두될 쟁점들을 종합적으로 다룬 연구들도 다수 존재한

다(Tuerk et al 2009 Flachsland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박수경 외 2018 등)

여기서는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이 다른 시장과 연계될 경우 얻을 수

있는 잠재적 편익과 비용 그리고 연계 시 반드시 짚고 가야할 고려요소

들이 무엇이 있는지에 하여 기존 연구들에서 논의하고 있는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에 해 고찰해보기로 한다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편익과 비용

가 비용효과성

서로 다른 배출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발생 가능한 표적인 경제적

편익으로 비용효과성을 꼽을 수 있다 서로 다른 두 시장의 배출권 가

격이 연계 이후 균등화되면서 두 시장의 감축비용의 총합이 줄어들기

6

때문이다(Chichilnsky and Heal 1995 Anger 2008 Flachsland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아

래와 같은 상황을 고려해보자1)

배출권거래시장이 연계된 두 국가 A와 B가 있는데 A국은 B국에

비해 상 적으로 온실가스 감축기술이 발달하여 온실가스 감축의 한계

비용이 낮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각 국의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은 [그림 -1]와 같이 그려질 수 있다 여기서 A국과 B

국의 규제 이전의 배출총량은 로 동일하다고 가정하며 A국의

배출상한은 B국의 배출상한은 라고 하자 또한 두 국가의

배출권 시장은 완전경쟁적이라고 가정하자

[그림 Ⅱ-1] A국과 B국의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에 따른 가격결정

A국 배출상한

B국 배출상한

Y

X

자료 Anger(2008 p2032) 및 Flachsland et al(2009 p362)를 참조하여 저자 재작성

1) 여기서는 Flachsland et al(2009 p362)의 도면 분석(graphical analysis)을 저자가 약간 변형하여 제시하기로 한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7

그러면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 이전 각국의 배출권 가격은 각각

와 에서 형성될 것이다 이때 각 국의 배출권 가격의 격차는 배출

권거래시장의 연계 유인이 될 수 있다 B국의 경우 상 적으로 배출권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더 낮은 비용으로 온실가스 감축하기 위해 A국

으로부터 배출권을 구매하기 원할 것이고 A국의 경우 배출권을 판매함

으로써 이익이 발생하기 때문에 배출권 시장 연계가 가능할 것이다

배출권거래 시장이 연계될 경우 A국 배출권의 수요는 증가하기 때

문에 A국에서의 배출권 가격은 상승하게 되고 B국의 경우 A국으로

부터의 배출권 유입으로 배출권 공급이 증가하므로 배출권 가격은 하

락하게 된다 즉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의 차이에 따라 A국에서 B국

으로 배출권이 이전되고 결과적으로 두 국가의 배출권 가격이 로 동

등해지는 까지 지속된다 즉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의 차이에 따른

배출권 이전으로 연계시장에서 배출권의 균형가격은 수준으로 결정

된다 이 때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에 따른 비용은 전체적으로 X와 Y

면적만큼 감소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비용효과성이 항상 달성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도 언급

하였듯이 시장 연계가 가져다주는 비용효과성을 논의할 때 두 국가의

배출권 시장이 완전경쟁적인 상황을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연계되는

두 시장에 외부성이나 왜곡적 조세체계 등으로 인한 시장 왜곡이 존재

할 경우 배출권 시장 연계는 기존의 왜곡을 오히려 강화시킴으로써 비

용효과성을 저해할 가능성도 있다(Flachsland et al 2009) 예를 들어

어떤 사유(또는 특정 목적)로 인해 에너지원 간 조세체계가 사회적으

로 바람직한 상 가격체계를 따르지 못하지만 배출권거래제를 통해 효

율적 배분이 달성되고 있는 상황을 생각해보자 이때 배출권 시장 연

계로 인해 배출권 가격이 변할 경우 에너지원 간 소비 왜곡으로 인한

8

비효율성이 발생한다 만일 배출권 시장 연계로 인한 감축비용의 감소

에 비해 그러한 비효율성이 더 크다면 배출권 시장 연계는 사회 후생

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2)

나 시장 유동성과 가격 안정성

서로 다른 배출권 시장이 연계되면 개별 배출권 시장이 독립적으로

병존할 때에 비해 전체 시장 규모는 확 되며 그로 인해 배출권 시장

의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다 시장 규모가 커지게 되면 배출권 시장에

서 유동성(liquidity)이 커지게 되며 배출권 가격의 안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Flachsland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특히 유동성 확 와 그로 인한 배출권 가격 안정의 효과는 연계 이전

에 시장 규모가 상 적으로 작은 시장에서 크게 나타난다 시장을 연계

하기 이전에 두 시장 모두 규모가 작을 경우 양쪽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시장 규모가 비 칭적인 경우 상 적으로 규모가 작은

시장에서 이와 같은 효과를 크게 누리게 된다 시장 규모가 협소하여 배

출권 수급 불균형이 자주 나타나는 시장이 보다 큰 시장과 연계할 경우

수급 불균형에 따른 문제를 크게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장 연계가 반드시 규모가 상 적으로 작은 시장의 가격 안

정성을 증 시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특정 배출권 시장의 변동성이

다른 배출권 시장으로 전이될 수도 있다(Mckibbin et al 2008) 만일

연계하는 큰 규모의 상 편 배출권 시장에서 과다 할당 과다한 상쇄

배출권의 유입 등의 이유로 규모 시장에서 급격한 시장 가격 변동이

발생할 경우 배출권 시장 연계는 소규모 배출권 시장의 가격 불안정성

2) Babiker et al(2004)와 Mckibbin et al(1999) 등은 기존 시장에서의 왜곡이 존재할 경우 배출권 시장 연계가 반드시 효율성을 가져다주는 것은 아님을 보여주었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9

을 오히려 크게 확 될 것이다 결국 배출권 시장 연계가 가격 안정성

에 미치는 효과는 연계되는 시장의 규모에 따라 다르며 수급 불균형

에 따른 효과의 동태적 경로 또한 가격 충격의 근원지가 어디냐에 따

라 비 칭적으로 나타날 것이다

다 동태적 효율성

온실가스로 인한 기후변화는 국지적이며 단기적인 이슈가 아닌 글로

벌한 장기적인 이슈이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 정책 당국자들이 매우

높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강도 높은 감축수단의 이행을 약

속했다고 하더라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러한 감축목표와 수단의 강

도를 낮추고자 하는 유인에 직면할 수 있다3)

이때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동태적 비일관성의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다(Flachsland et al 2009) 기후변화 정책의 동

태적 비일관성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정책 당국자가 재량적 의사결정

을 할 여지가 늘어나기 때문에 발생한다 만일 두 국가(또는 지역)의

배출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특정 국가의 배출권거래제도와 관련된 재

량적 의사결정(배출상한의 설정 배출권의 할당 상쇄제도 등)은 연계

된 전체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일단 시장이 연계되고 난

이후에는 그러한 의사결정 시 다른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하는 국가(또

는 지역)와 충분한 사전협의를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상 국가(또

는 지역)의 명시적 또는 암묵적 압력에 직면하게 되며 독자적인 배출

권 시장을 운영하는 경우에 비해서 감축의 강도를 낮추는 방향으로 재

3) 이른바 동태적 비일관성(time inconsistency problem)의 문제로서 Helm et al(2003)은 기후변화정책에서의 동태적 비일관성을 다루고 있다

10

량적 의사결정하기가 더 어렵다 이처럼 배출권 시장 연계는 특정 국

가에서 재량적 의사결정을 할 여지를 낮춤으로써 안정적인 탄소가격

신호를 전달하고 감축투자를 촉진하는데 도움이 된다4)

물론 배출권 시장 연계의 구체적인 유형에 따라 동태적 효율성의 크

기는 달라질 수 있다 상 편 시장의 배출권을 의무이행에 일부 허용

하는 방식의 느슨한 연계보다는 전체 감축목표 및 배출상한을 상호 협

의하는 방식의 연계가 동태적 효율성 확보에 유리할 것이다

라 환경 건전성

선행 연구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 연계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일률적이지 않다 Carbone et al(2009)에 따르면 배출

권 시장 연계는 그렇지 않을 때에 비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 환경

건전성에 도움을 준다 Carbone et al(2009)은 한계감축비용과 감축의

환경적 편익이 높아서 배출권의 순 구매자가 되는 국가들과 한계감축

비용이 낮고 배출의 한계편익이 낮아 배출권의 순 판매자가 될 소수의

규모 배출권 판매 국가들이 서로 연계하는 상황을 상정하여 분석하

였다5) 이때 배출권 할당량은 참여하는 국가들이 합의해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 주권국가로서 독자적으로 결정한다

4) 한편 항상 배출권 시장 연계가 동태적 효율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 만일 특정 국가(또는 지역)의 한계감축비용이 상당히 높아 배출권 시장 연계 이후 상당량의 배출권을 구매하는 경우 자체적인 감축노력보다는 연계된 시장에서 배출권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목표를 충당함으로써 자체 감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다양한 공편익(co-benefits) 예를 들어 기오염 저감 에너지 안보 강화 감축기술 촉진 등을 장기적으로 내재화하지 못할 가능성도 상존한다(Flachsland et al 2009)

5) 가령 배출권 순 구매자로서 EU와 배출권 순 판매자로서 개발도상국인 중국 및 러시아가 상호 연계하는 상황을 상정해보라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1

배출권 판매국가의 입장에서는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이 높은 수준으

로 유지되어 얻는 이익과 높은 배출권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배출권

할당량을 제한함으로써 잃게 되는 비용을 상호 비교하여 최적의 의사

결정을 하게 된다 만일 소수의 규모 배출권 판매국가가 공급독점자

로서 시장지배력을 가질 경우 배출권 가격 하락을 억제하기 위해 할당

량을 낮출 유인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수준은 줄

어드는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특히 Carbone et al(2009)은 EU-중

국-구소련연방이 서로 배출권 시장을 연계하는 상황에 한 연산가능

일반균형(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모형 기반 시뮬레이

션 분석을 통해 연계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서 두 배 이상의 온실가스

감축이 가능함을 보였다

반면 Helm(2003)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이 연계됨으로써 오히려 배출

권 할당량이 늘어나 환경 건전성을 저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은 배

출권 할당량을 늘임으로써 발생하는 추가적인 환경적 피해와 배출권 가

격 하락에 따른 손해에 비해 배출권 판매량의 증 에 따른 수입 증

효과가 더 큰 경우에 발생한다 이 경우 시장 연계에 따라 배출권의 순

판매국이 되는 국가는 자국의 배출권 할당량을 연계 이전에 비해 늘리

고자 하는 유인을 가지며 이로 인해 두 시장의 전체 배출권 할당량 총합

은 연계되기 전에 비해 늘어날 경우 환경 건전성을 해칠 수 있다6)

전술한 두 가지 경우 중 어느 경우가 더 현실적인 시나리오인지는

일률적으로 답하기 곤란하다 결론적으로 배출권 시장 연계가 환경

건전성에 미치는 효과는 연계되는 국가들의 한계감축비용 및 한계환경

편익의 구조 각국의 배출권 시장구조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6) 이때 순 효과의 크기는 한계감축비용 및 한계환경편익에 따라 달라진다 자세한 사항은 Helm(2003)을 참조하라

12

마 정치적 편익과 비용

배출권 시장 연계는 근본적으로 서로 다른 두 시장의 국제적인 상호

협력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국제정치적 전략의 관점에서 긍정적인 효과

를 가진다(Ranson and Stavins 2015) Ranson and Stavins(2015)가 주

장한 바와 같이 배출권 시장 연계는 기후변화 응에 한 참여 국가

의 적극적인 의사를 국제적으로 천명하는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 응과 관련한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고 국제적

인 신뢰를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7)

배출권 시장 연계가 정치적 측면의 편익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그

이면에는 치러야 할 또 다른 가가 존재한다 특정 국가가 자국의 단

일한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는 경우 정부 당국은 해당 시장에 한 배

타적인 통제권을 가지며 정책 환경 변화에 따라 유연한 응이 가능하

다 그러나 다른 배출권 시장과 연계될 경우 구속력을 가지는 국내 규

제정책에 한 국가의 개입 범위가 줄어들어 규제의 유연성을 제 로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다(Jaffe and Stavins 2008 Flachsland et al

2009)

7) 한편 Ranson and Stavins(2015)은 배출권 시장 연계가 특정 국가의 배출권 시장의 도입에 영향을 준 도구로서 활용되기도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EU-ETS는 제3기에서 최빈개도국(Least Developing Countries LDCrsquos) 국가에서 나온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 배출권만을 상쇄로 허용하겠다는 결정을 하였다 그런데 이로 인해 당시 EU 시장에서 청정개발체제 배출권 공급의 상당량을 차지하던 중국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의 시장 공급이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중국이 독자적인 자국 내 배출권 시장을 도입하게 된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물론 중국의 배출권 시장 도입이 자국의 청정개발체제 배출권 해결을 위한 방편이었다는 Ranson and Stavins(2015)의 해석에는 다소 이견이 있을 수 있으나 중국의 배출권 시장 도입이 자국의 잉여 청정개발체제 배출권 해소에 일정 부분 기여했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 이것은 배출권 시장의 연계가 아닌 lsquo연계의 단절rsquo이 특정 국가의 적극적인 기후변화 응 정책수단 도입을 이끌어낸 흥미로운 사례라고 하겠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3

후술하겠지만 배출권 시장 연계과정에서 감축목표의 강도 가격상한

여부 상쇄제도의 설계 방식 이월과 차입의 허용 정도 등 다양한 설계

요소에 따라 배출권 시장 연계 전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

다 이러한 맥락에서 배출권 시장 연계 사전에 그러한 설계요소별로

양 시장간 긴 한 협력과 조정이 필요하며 이는 결국 배출권거래제도

설계에 있어서 배타적 통제권과 규제 당국의 유연성에 해 일정 정도

의 양보가 뒤따를 수 있다8) 결과적으로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는 국

가 주권의 부분적 양도라는 정치적 도전에 직면할 우려가 있음에 유의

할 필요가 있다

2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주요 고려사항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는 경제적 정치적 측

면 등에서 연계에 따른 잠재적 편익과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배출권거래시장을 연계하여 잠재적 편익을 극 화하면서 비용을 최소

화하기 위해서는 시장 연계의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

라서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를 설계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본 절에서는 배출권거

래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할 주요 사항들에 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에 있어서 감축목표는 배출권의 가격뿐만 아

8) Flachsland et al(2009)은 ldquo연계는 기본적으로 효율성 증 와 규제적 개입의 감소 간의 상충관계를 내포한다rdquo고 지적하였다

14

니라 감축비용의 효율성 증 및 분배효과의 크기 등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배출권 시장 연

계를 다룬 여러 선행 연구들은 감축목표의 상 적 격차가 클 경우 배

출권 시장 연계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Tuerk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감축목표의 엄격성 차이가 배

출권 시장 연계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이유는 연계를 통한

경제적 편익에도 불구하고 정치적middot분배적 관점에서의 쟁점들을 부각시

켜 제도의 수용성을 낮추기 때문이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배출권 시장을 연계하는 가장 큰 논거는 비용

효과성에 있다 비용효과성은 연계하는 두 시장 간 감축비용의 차이에

서 나온다 그러나 반 로 배출권 시장이 연계된 이후 높은 감축목표

를 설정한 국가의 기업들이 상 적으로 낮은 감축목표를 설정한 국가

의 기업들로부터 거 배출권을 구입하여 자본이동이 발생하게 되면

고강도 감축목표 설정 국가의 기업들로부터 국가 간 감축목표의 형평

성 관점에서 제기되는 상당한 정치적 저항에 부딪힐 수 있다9) 또한

연계 이전에 고강도 감축목표 국가의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의 순 판

매자인 기업이 시장 연계 이후에 배출권 판매규모가 줄어들게 되고

그로 인해 연계 이전에 비해 순 편익이 줄어들 경우 분배적 이슈가 부

각될 가능성도 있다10)

9) 두 시장의 감축목표의 강도나 감축비용이 유사한 경우에는 이러한 쟁점은 사라지는 반면에 시장 연계로 인한 경제적 편익은 줄어들게 된다는 역설적인 측면이 존재한다(Ranson and Stavins 2015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10) 한편 감축목표의 상당한 차이가 나더라도 양 시장이 이를 감안한 적절한 교환비율을 설정한다면 이론적으로는 시장 연계에 큰 장애요인이 되지 않을 수 있다(Burtraw et al 2013 Ranson and Stavins 2015) 그럼에도 불구하고 Ranson and Stavins(2015)는 감축목표와 배출권 가격에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경우 시장 연계에 큰 장애요인이 될 수 있으며 ClimateWire(2013)을 인용하면서 EU-ETS 배출권 가격의 급락이 캘리포니아 배출권 시장과의 연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5

따라서 배출권시장의 연계를 추진할 경우 연계를 통한 경제적 편익

이외에도 감축목표의 엄격성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국가 간의

자본 이동 문제와 이에 따른 분배 문제에 해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

요가 있다 또한 감축목표의 강도에 해 연계 이전 양 당국자간의 충

분한 사전 논의와 조율이 선행되어야 하며 필요할 경우 시장 연계로

인해 영향을 받는 경제주체들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중요할

것이다

나 상쇄제도

상쇄제도는 배출권 시장의 공급량 및 이를 통한 시장 가격에 직접적

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자 국내적 감축활동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설계요소이다 상쇄제도가 크게 차이가 나는 서로 다른 두 시장

이 서로 연계될 때 상쇄제도의 차이로 인해 배출권의 공급 및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Teurk et al 2009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예를 들어 세계 최 배출권거래시장인 EU-ETS는 2020년 이후부터

역내 온실가스 감축노력 강화를 위해 역외 탄소상쇄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기로 하였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EU-ETS

와 다른 배출권 시장이 서로 연계되고 연계된 다른 배출권거래시장에

서 탄소상쇄의 사용을 허용할 경우 여기서 발생되는 상쇄배출권은 사

실상 EU-ETS에서 사용가능한 상황이 된다 연계된 다른 배출권거래제

의 할당배출권을 EU-ETS에 판매하는 신 그에 해당하는 양만큼의

상쇄배출권을 유입시키면 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할당배출권과 상쇄배출권은 통상적으로 상호 호환이 가

16

능하기 때문에 연계된 시장 간 상쇄의 활용에 한 다른 인식을 가지

고 있다고 하더라도 한 국가에서 상쇄제도를 허용할 경우 상쇄제도를

허용하지 않는 국가 또한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다 만일 연계를

고려중인 두 시장이 서로 다른 상쇄제도를 운영하고 있고 연계 시 상

쇄제도의 시장 수급 영향이 크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국가 간 상쇄제

도의 인식 및 활용 허용 여부 등에 한 사전 논의와 조율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될 것이다

다 배출권 가격 및 공급관리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하는 주체는 배출권 시장의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 배출권의 가격 및 공급에 관한 사항을 별도의 규정을 두어 관리

하기도 한다 여러 배출권 시장에서 도입하고 있는 배출권 가격 상middot하

한제도나 EU-ETS의 배출권 경매 연기(Back-loading of auctions) 조치

와 같은 배출권 공급량 조절 장치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11) 만약 가격

상한제 또는 하한제와 같은 배출권 가격 또는 공급량 관리 규정이 한

국가의 배출권 시장에 존재하거나 도입될 경우 이 시장과 연계되는

다른 국가의 배출권 시장에서 동일한 규정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연계

된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배출권 가격 상middot하한제도가 한 시장에 존재하고 다른 시장에는 존재

하지 않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경우 배출권 시장이 연계되어 있다

면 참여주체들의 재정거래(Arbitrage)를 통해 연계된 시장의 배출권 가

11) 배출권 경매 연기(Back-loading of auctions)는 EU 배출권 시장의 수급 안정화를 위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총 9억톤의 배출권 경매를 2019년 이후로 연기하는 조치로서 EU-ETS 경매 규제에 한 수정의 일환으로 2014년부터 시행되었다(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reform_en)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7

격은 결국 배출권 가격 상middot하한 범위 내로 수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연계된 시장의 모두에서 배출권 가격의 상middot하한제도를 도입한 것과 동

일한 결과를 가져다줄 공산이 크다

다음으로 공급량 관리 조치가 존재하는 상황을 EU-ETS 사례를 통

해 살펴보자 EU는 배출권 경매 연기에 뒤이어 배출권거래시장의 안

정화를 위해 배출권 비축제도(Market Stability Reserve 이하 MSR)를

도입하였다12) 만약 EU-ETS가 다른 시장과 연계되었다고 할 때 EU의

배출권 비축제도는 연계된 배출권 시장 전체를 상으로 한 배출권 공

급량을 기준으로 준칙이 설정되어야 배출권 시장 수급 안정화에 이상

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연계된 두 배출권 시장은 하나의 배출권 시장

으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연계된 두 시장의 전체적인 수급 불균형

이 아닌 한 시장의 수급 불균형만을 고려하여 제도를 운용할 경우 배

출권 수급 불균형 해결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를 위해서는 각

국가 간 배출권 공급과 배출권 가격에 관한 효율적인 관리 제도에 관

해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라 배출권의 할당방식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배출허용총량이 주어진 상황에서 배출권의 할

12) MSR은 배출권 경매량 조절을 통해 수급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배출권의 공급량이 사전에 정한 특정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배출권의 경매 규모를 감소시키고 그 감소분만큼을 비축하며 반 로 배출권시장 내에 배출권이 과소 공급될 경우에는 비축분의 방출하여 경매 규모를 증가시켜 공급량을 늘리는 방식으로 운용한다 현재 배출권 경매 연기 조치를 통해 확보된 9억톤이 MSR에 비축될 예정이며 추가 비축분은 2020년 이후 배출권 시장 상황에 따라 정해진 준칙에 의거 결정될 예정이다 아직까지 비축을 위한 구체적인 준칙은 확정되지 않았다(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reform_en)

18

당방식은 비용효과성에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한다(Mongomery 1972

Tietenberg 2006 Hahn and Stavins 2011) 물론 배출권거래시장의

참여주체에게 분배적 관점에서 영향을 미칠 수는 있다 그러나 국가

간 배출권 할당방식의 차이에 따른 영향은 두 시장의 연계 여부에 상

관없이 존재하기 때문에 비용효과성의 측면에서는 할당방식이 배출권

거래시장의 연계에 있어 직접적인 함의를 가지지 않는다13) 다만 연계

된 두 시장 모두 경매를 통한 배출권 할당을 할 경우 연계 이전에 배

출권 가격이 높게 형성된 국가의 경우 연계에 따라 가격이 낮아져 상

적으로 적은 경매수입을 얻을 수 있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경매수입이 다시 감축을 위한 활동에 중립적으

로 사용된다고 한다면 그 영향도 매우 제한적일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고려해야 할 점은 한 국가는 경매를 통해 할당하고

다른 국가는 무상으로 배출권을 할당하는 상황에서 두 시장이 서로 연

계되는 경우이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할당방식의 차이 자체가 배

출권 시장에 주는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다14) 그러나 일단 시장이 서

로 연계된 이후엔 유middot무상할당 방식의 차이로 인해 두 국가 간 산업경

쟁력이 정치적 쟁점으로 부각될 수 있다 즉 무상할당 방식을 취하는

13) 다시 말해 A라는 할당방식(국가 1에는 a1 국가 2에는 a2라는 할당방식)을 B라는 할당방식(국가 1에는 b1 국가 2에는 b2라는 할당방식)으로 변경하더라도 연계 전과 연계 후의 비용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동일하다 왜냐하면 연계가 없을 경우 최초 할당 이후 두 시장의 배출권 최종 균형가격은 A와 B 할당방식 모두에서 동일하며 연계된 경우에도 배출권 최종 균형가격은 할당방식에 관계없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할당방식을 어떻게 하든 할당방식에 따른 연계 전과 후의 비용효과성 변화의 크기는 동일하므로 할당방식이 배출권 시장 연계에 주는 직접적 함의는 제한적이다

14) 경매를 주된 할당방식으로 택하는 국가의 기업들이 무상할당을 주된 방식으로 채택한 국가로 생산시설을 이전하는 탄소누출(carbon leakage)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사실 이러한 탄소누출은 시장이 독자적으로 운영되더라도 유사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시장 연계가 추가적인 탄소누출을 야기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9

국가에 해 유상할당으로 할당방식 변경을 요구하는 명시적 또는 묵

시적 압력이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15) 따라서 할당방식에

있어서 유middot무상의 차이가 나는 경우 국가 간 상호조율과 양해가 전제

되지 않는다면 시장 연계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마 대상 온실가스 및 적용대상

배출권거래제의 적용을 받는 기업의 범위 및 배출제한 적용을 받는

상 온실가스는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소들이다 상 온실가

스 및 적용 상의 차이가 적용할 수 있는 온실가스 감축옵션이나 배출

권 할당 규모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기는 하지만 이는 시장 연계와

상관없이 영향을 주는 요소이므로 시장 연계 전후의 차이에 영향을 주

는데 제한적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이들은 적용여부에 따라 해당 산업의 경쟁력에 직접적인 영

향을 미치는 요소이므로 시장 연계 이후 배출권 가격 변화를 통해 간

접적으로 산업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이러한 경쟁력 변화는 특정 국가의 참여기업들의 수용

성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나아가 동태적인 관점에서 제도적 변화에

한 정치적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간과해선 안 된다

예를 들어 한 시장에서는 NF3를 규제 상 온실가스에 포함하는데

반해 다른 국가에서는 이를 규제 상에서 제외한다고 하자 이 경우

NF3가 규제 상에서 제외된 국가의 배출기업들은 그렇치 않는 경우

에 비해 상 적으로 유리한 입장이 된다 이들 두 국가의 배출권 시장

15) 물론 시장 연계 이전에도 이 문제는 국가 간 쟁점이 될 수 있으나 배출권 시장이 독자적으로 운영될 때보다는 연결된 경우에 쟁점화될 개연성이 더 높다

20

이 연계될 때 규제 상의 차이가 연계 전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은 매우 제한적이다 그러나 앞서 유middot무상할당 방식에서와 같이 일단

연계된 이후에는 상 적으로 불리한 입장의 기업들을 중심으로 제도적

형평성에 한 이의를 제기할 수 있고 중장기적으로는 제도적 수렴을

요구하는 경제 외적 압력을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

요컨 상 온실가스와 적용 상의 차이는 단기적으로는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핵심 쟁점은 아니다 그러나 앞선 예처럼 중장기적으

로는 연계 이후 참여 상자들의 수용성 및 형평성에 한 문제 제기 및

제도 수렴에 한 정치적 압력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바 이월 및 차입

이월(banking)은 해당 연도의 배출권 잉여분을 이후 연도에 의무이

행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두 국가 간 배출

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한 국가에서 배출권의 이월을 허용하고 있을

경우 연계된 다른 국가가 이월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간접적으로 이월

제도를 허용한 것과 유사하게 된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국가 A가 배출권 이월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국가 A의 기업들

은 해당 연도 배출권을 이월을 허용하는 국가 B의 이후 연도 배출권과

교환하여 이를 이후 연도 이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

서 어떤 시장에서 이월을 허용하지 않아야 하는 특별한 사유가 있다면

배출권 시장 연계 이전에 이월 관련 규정에 한 국가 간 상호 조율이

필요하다16)

16) 참고로 현재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한 부분의 국가는 배출권의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고 있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21

배출권의 차입(borrowing)은 이월과 반 되는 개념으로 배출권거래

제에 참여하는 업체가 해당 거래 연도에 배출허용량을 초과해서 배출

했을 때 다음 연도 배출권 할당량 중 일부를 차입하여 사용하는 제도

이다 차입 역시 이월과 유사한 논리로 두 국가 간 배출권 시장이 연계

되어 있다면 한 국가에서 배출권의 차입을 허용하고 있을 경우 연계된

다른 국가가 차입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이 국가에서 간접적으로 차입

제도를 허용한 것과 사실상 동일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배출권의 차입

은 현재 시점에서의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을 이연시키

는 효과를 가지므로 환경 건전성 관점에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

다 이로 인해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한 부분의 국가는 차입을 허용하

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일 어떤 시장에서 특정한 사유로

인해 차입을 허용하는 경우엔 배출권 시장 연계 이전에 차입 관련 규

정에 한 국가 간 상호 조율이 필수적이다

사 기타 고려사항

온실가스 배출량의 측정 및 보고 검증(Measurement Reporting and

Verification MRV) 기준은 두 배출권 시장 연계에 있어서 중요하다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연계된 두 시장의 MRV 기준

및 강도 등에서 상당한 차이가 날 경우 두 배출권의 상호 호환성

(fungibility) 및 등가성에 한 논란이 커질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그

러나 서로 다른 MRV체계가 반드시 시장 연계의 장애요소가 되는 것

은 아니며 양 국가 간 합의만 전제된다면 등가비율의 조정을 통해 연

계가 가능하다(Tuerk et al 2009)17)

17) 물론 Tuerk(2009)가 지적하듯이 MRV체계의 투명성(transparancy)과 비교가능성

22

또한 연계된 배출권시장 간의 배출권 이전이 가능하기 위해서 배출

권거래시장의 등록소는 두 시장 간 호환 가능해야 하는데 이는 다분

히 기술적인 요소로 시장 연계에 있어서 장애요인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연계된 배출권시장 간에 신뢰 구축을 위하여 감축목표

불이행에 따른 페널티와 의무이행 체계는 연계된 시장 간에 유사해야

할 것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comparability)이 보장되어야 하며 기준과 강도 그리고 등가비율 등에 한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3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

두 배출권 시장이 서로 연계되는 방식은 다양한데 크게 나누어 보면

직접 연계(direct link)와 간접 연계(indirect link)로 구분된다(Tuerk et

al 2009) 직접 연계는 두 배출권 시장 간 직접적인 배출권 거래가 가

능한 경우를 의미하며 간접 연계는 두 시장 간 직접적 거래가 가능하

지 않지만 제3의 시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된 경우를 뜻한다(Tuerk

et al 2009 Flachsland et al 2009) 다시 직middot간접 연계는 몇 가지 서로

다른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아래에서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가 직접 연계 완전 통합형

완전 통합형 직접 연계는 서로 다른 별개로 운영되던 배출권 시장이

하나의 배출권 시장으로 통합되는 유형을 말한다 이 경우 서로 다른

할당배출권이 하나로 통합되며 개별적으로 진행되던 배출권 할당 또한

전체 시장을 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선 감축목표의 설정 및

배출권 할당 상쇄제도 등 다양한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소들

에 해 두 시장간 완전한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감축목표

의 설정 등과 관련하여 완전한 합의를 이루기 위해선 국가 주권의 일

정 부분을 양도한다는 국내 정치적 도전과 정책적 자율성 손실에 따른

비용 부담이 불가피하다는 단점이 있다

완전 통합형 직접 연계는 현실에서 사례를 찾기 매우 힘들지만 표

24

적인 사례로는 EU-ETS와 노르웨이 ETS의 연계를 꼽을 수 있다

EU-ETS 제1기(2005~2007)만 하더라도 양 국가의 배출권 시장은 별도

의 시장으로 존재해왔다 그러나 EU-ETS 제2기(2008~2012) 이후부터

노르웨이 ETS 시장은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과 함께 EU-ETS 시장

으로 편입되어 EU ETS Directive 하에서 운영되는 시장으로 완전 통

합되었다(Royal Norwegi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08)

나 직접 연계 쌍방향 연계형

쌍방향 연계 방식의 직접 연계는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각자

배출상한 목표를 가지고 개별적으로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되 서로 간

의 할당배출권이나 상쇄배출권이 자유롭게 거래되고 상 편 시장의 배

출권을 자신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게 허용되는 연계 방식을 말한

다(Haites and Mullins 2001 Tuerk et al 2009) 두 개의 시장이 하

나의 시장으로 완전히 통합되는 방식에 비해서 각자 독자적인 배출권

시장을 유지middot운영하기 때문에 각 시장을 운영하는 주체의 정책적 자율

성이 일정 부분 보장된다 또한 시장 연계의 수준을 두 시장이 가진 고

유한 상황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다 경우에 따라 해당 시

장에서 의무 이행 시 활용 가능한 상 편 시장의 배출권 수량에 일정

한 제한을 가할 수도 있고 제한 없이 상 편 시장에서 구매한 배출권

을 자신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도 있어서 제도 운

영의 자유도가 완전 통합형에 비해서 높은 편이다18)

18) 만일 제한 없이 상 편 시장에서 구매한 배출권을 자신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경우 완전 통합형 직접 연계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쌍방향 연계형은 배출상한 목표(즉 배출권 할당량) 등 주요 설계요소를 결정함에 있어서 각 시장 운영주체가 독자적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완전 통합형과 차별성을 가진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5

현존하는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는 모두 쌍방향 직접 연계의 유형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와 퀘벡 간의 배출권 시장 연계와

최근 협정을 체결한 EU-ETS와 스위스 ETS 간의 연계가 표적인 쌍

방향 직접연계 방식을 취하고 있다 목표의 강도 할당방식 적용 상

상쇄제도 등 주요 배출권거래제 설계요소에서 나름의 독자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배출권 거래 및 의무이행에 있어서 상호 호환을 허용하고 있다

이들 사례에 해서는 후술하는 소절에서 자세하게 다루기로 한다

다 직접 연계 단방향 연계형

단방향 연계는 한 시장에서는 상 방의 할당배출권이나 상쇄배출권

을 구매하여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지만 다른 시장에서는 이를 허용

하지 않는 방식이다(Tuerk et al 2009) 통상적으로 시장 연계는 상호

간 순 편익이 늘어날 경우에 성사될 수 있으므로 단방향 연계 방식의

직접 연계는 현실에서 보기 어렵다 다만 쌍방향 연계에 합의했더라도

제도적middot기술적 요인들로 인해 일정 기간 유예가 필요한 경우 서로 간

의 합의하에 본격적인 쌍방향 연계 전의 중간 단계로서 단방향 연계가

일어나기도 한다

단방향 연계의 사례로 노르웨이 ETS는 EU-ETS 제1기에 EU-ETS

배출권을 의무이행에 허용하였던 반면 EU는 노르웨이 ETS 배출권을

받아들이지 않았다(Tuerk et al 2009)19) 또한 비록 성사되지는 않았

지만 호주와 EU-ETS 간의 배출권 시장 연계 시도에서도 단방향 연계

의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지난 2012년 호주와 EU는 양 국가의 배출

권거래제를 연계하기로 발표하면서 2018년 7월 이후에 본격적으로 쌍

19) 이후 EU-ETS 제2기부터 노르웨이 ETS는 EU-ETS에 편입되었다

26

방향 연계하되 2015년 7월부터 한시적으로 호주 기업들이 EU-ETS의

배출권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합의한 바 있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이상의 사례는 단방향 연계 방식이 주로 소규모 시장이 규모 시장

과 연계할 때 과도기적 조치로 사용되어 왔음을 보여준다 결국 단방

향 연계는 규모 시장과의 연계로 인해 소규모 시장 참여자들이 입을

지도 모를 시장 충격에 미리 비하고 본격적인 쌍방향 시장 연계에

앞서 두 시장의 제반 제도적middot기술적 여건을 조화시키기 위한 준비기가

필요할 경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유형이다

라 간접 연계

두 시장이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지 않더라도 제3의 시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될 수도 있다(Tuerk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이때 제3의 시장은 할당배출권이 거래되는 시장이 될 수도 있

고 탄소상쇄 배출권(carbon offsets credit)이 거래되는 시장이 될 수도

있다 이때 제3의 시장은 다른 두 시장과 쌍방향 혹은 단방향으로 직

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어야 한다 이 경우 특정 시장에서의 배출권 수

급 변화는 제3의 시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다른 시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Tuerk et al 2009)

간접 연계의 한 사례로서 쌍방향 연계 이전에는 스위스 ETS와

EU-ETS를 들 수 있다 두 시장은 비록 직접 연계되어 있지는 않았으

나 탄소상쇄로서 교토의정서 상의 크레딧(CDM JI 등)을 허용하고 있

었으며 동 크레딧 시스템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아직까지는 제3의 시장이 할당배출권 시장이 되는 방식의 간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7

접연계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향후 여러 국가 혹은 지역 단위

에서 배출권 시장이 도입되고 서로 간의 이해에 따라 국가 혹은 지역

단위 배출권 시장 간 연계가 늘어나게 된다면 제3의 시장이 할당배출

권 시장이 되는 방식의 간접 연계 유형도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논의한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그에 해당하는 실제 사

례를 정리하면 아래 lt표 -1gt과 같다

구분 유형 표 사례

직접 연계

완전통합형EU-ETS(Phase II~)와 노르웨이 ETS

간의 연계

쌍방형 연계형

EU-ETS와 스위스 ETS 간의 연계(lsquo17년 협정 체결)

캘리포니아와 퀘벡 간의 ETS 연계

단방향 연계형

EU-ETS(Phase I)와 노르웨이 ETS 간의 연계

(연계 추진)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20157월~20186월)

간접 연계

크레딧 시스템을 통한 연계

EU-ETS와 스위스 ETS (쌍방향 연계 이전)

제3의 할당배출권 시장을 통한 연계

해당 없음

자료 Ranson and Stavins(2015)를 참조하여 저자가 재구성

lt표 Ⅲ-1gt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대표 사례

28

2 배출권 시장 연계의 사례20)

가 스위스 배출권거래제와 EU-ETS의 연계

2010년 11월 EU 집행위원회는 EU-ETS와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에 한 협상 개시를 제안했고 이사회를 통해 협상에 한 위임을

받았다 EU와 스위스는 두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 기준과 방식에 해

합의하고 2017년 11월 협약서에 서명함으로서 두 시장의 연계 이행 작

업에 들어갔다 EU-ETS와 스위스 배출권시장과의 연계는 EU-ETS와

제3국의 배출권시장이 연계되는 최초의 공식적인 사례이다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제는 제1차 계획기간인 2008년부터 5년간은 자

발적 참여 단계로 시작하였다 2013~2020년까지인 제2차 계획기간

동안 EU-ETS와의 연계를 위해 2020년까지 감축목표를 EU와 동일한

수준인 1990년 비 20 감축으로 정하는 중요한 변화를 배출권 시

장에 도입하였다

1999년 스위스는 난방 산업공정 수송연료에 탄소 부담금을 부과하

고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했다 연간 25000tCO2e 이상의 이산

화탄소를 배출하는 기업들은 직접적으로 배출권거래제에 참여 가능하

도록 하였으며 참여 기업들은 상향식 접근방법을 기반으로 배출권을

무상할당 받았다 제1차 계획기간 동안 기업은 조림사업과 같은 카본

싱크 프로젝트를 통한 RMUs(Removal Units)를 사용 가능하도록 하

였다 스위스의 페널티 제도는 EU의 페널티 제도와 확연한 차이를 보

이는데 배출권거래제를 참여기업이 감축목표 수준을 준수하지 못했을

20) 본 절은 Carbon Market Watch(2015)의 pp8-13까지의 내용과 박수경 외(2018)의 pp479~ 482까지 내용을 참조하여 재구성한 것이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9

경우의 페널티는 배출권의 상한가격에 해당하는 탄소 부담금과 이자의

합이었다

스위스와 EU 간 배출권거래시장 연계 협상은 공식적으로 2011년 3

월 시작되었다 이에 스위스는 2013년 1월 1일을 시장 연계 시 잠재적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는 요소들을 수정하여 배출권거래제를 개정하였

다 수정된 배출권거래제의 획기적인 변화 중 가장 괄목한만한 점은

배출권거래제 자발적 단계에서 의무적 단계로의 전환된 부분이다 따

라서 제2차 계획기간(2013~2020년)에는 스위스의 온실가스 배출 집약

적 산업부문의 시설들은 배출권거래제에 의무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또한 스위스는 수정된 배출권거래제의 페널티 제도 및 무상할당 방식

그리고 국가 간 탄소 상쇄제도를 EU-ETS와 조화시키기 위해 노력하

였다 그러나 여전히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제는 몇몇 사소한 부분에서

EU-ETS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EU의 경우 배출권거래제

참여 기업이 연간 배출량을 측정하여 당국에 보고하고 독립적으로 검

증 받아야 한다 그러나 스위스는 배출권거래제 참여 업체들이 측정한

연간 배출량을 당국에 보고해야 하지만 EU와 다르게 이를 독립적으로

검증 받지는 않아도 된다 다만 스위스 당국은 사안에 따라 이들에

한 검증을 요청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또 다른 차이점은 EU는 배

출허용량을 집행위원회에서 설정하는 반면 스위스는 상향식(배출허용

총량의 합계) 방법으로 결정한다 두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에 있어서

항공부문의 배출권거래제 편입과 서로 다른 온실가스 감축목표 또한

여전히 논쟁되는 이슈이다 lt표 -2gt는 스위스와 EU의 배출권거래제

를 비교 정리한 것이다

30

lt표 Ⅲ-2gt 스위스와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국가 스위스 EU

목표의 엄격성2013년 배출 상한량부터 매년 174 감축

2008~2012년의 연간 평균 감축량의 174 감축

배출량 제한 2013년 56 MtCO2e 2013년 2084 MtCO2e

탄소상쇄 수량

2012~2020년 기간 간 할당된 배출권의 최 11에서 동 기간 사용된 상쇄 크레딧을 차감한 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가능신규 참여기업은 2013~2020년 간 배출량의 45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

2008~2020년 기간 간 할당된 배출권의 최 11의 에서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신규 참여기업은 2013~2020년 간 배출량의 45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

탄소상쇄 품질

최빈국들로부터의 청정개발체제(CDM) 크레딧은 사용 가능하며 기타 CDM 및 공동 이행제도(JI) 크레딧은 2013년 이전에 등록된 것에 한해서 사용 가능

최빈국들로부터의 청정개발체제(CDM) 크레딧은 사용 가능하며 기타 CDM 및 공동 이행제도(JI) 크레딧은 2013년 이전에 등록된 것에 한해서 사용 가능

가격 및 공급관리

시장의 과잉공급 정도에 따라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배출권 공급량 조정

배출권 할당

EU-ETS와 유사한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적용범위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CO2 및 기타 온실가스

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EU 역내 항공 CO2 및 N2O PFCs

준수기간 2013~2020 2013~2020

규제방식 하향식 방식 하향식 방식

이월 무제한 이월 가능 무제한 이월 가능

페널티 제도

1톤당 약 125 CHF (104 유로)의 벌금 부과 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 해에 공제

1톤당 100 Euro의 벌금 부과 사라진 배출권은 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 해에 공제

자료 Carbon Market Watch Report(2015)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1

나 퀘벡과 캘리포니아 배출권거래제의 연계

2014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퀘벡과 캘리포니아의 배출권시장 연계

는 현존하는 세계 최초의 탄소시장 연계 사례이다 두 시장의 연계로

각 주(州)는 두 시장에서 모두 배출권이나 상쇄분을 판매 혹은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이들 두 시장의 연계 이전 두 시장 사이에 다양한 차

이점이 존재하였으나 WCI21)는 캘리포니아와 퀘벡 배출권거래시장의

조화로운 연계를 도출하였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은 유사한 배출권 가

격과 공급관리 적용범위 이행 기간 이월과 패널티 등을 채택하였다

캘리포니아는 주 자체가 세계에서 가장 큰 경제시장 중 하나로 총

온실가스 배출량은 퀘벡의 6배에 달한다 2012년 캘리포니아는 459

MtCO2-eq의 온실가스를 배출한 반면 퀘벡은 78MtCO2-eq의 온실가스

를 배출하였다 양 주 모두 운송부문이 가장 큰 배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캘리포니아에서는 발전부문이 두 번째로 큰 배출 비중을 차지

하는 반면 퀘벡의 경우 수력발전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발전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미미하다 한편 캘리포니아는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수준으로 안정화시키는 목표를 가진 반면 퀘벡은

2020년까지 총 배출량의 20 감축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이들 감

축목표를 비교해보면 2005년 배출량을 기준으로 퀘벡의 감축목표는

22인데 비해 캘리포니아는 11로 퀘벡의 감축목표가 캘리포니아보

다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두 시장은 모두 상쇄분의 최 사용량을 해당 이행 기간의 총 감축

21) 서부 기후 이니셔티브(Western Climate Initiative WCI)는 이 시장에 참여하는 북미 륙 서부 주들이 2020년까지 총 배출량의 15를 줄이는데 지역적으로 협력하기 위해서 형성된 배출권거래시장 운영기구이다(httpsenwikipediaorgwikiWestern_Climate_Initiative 참조)

32

목표의 8로 제한하고 있고 국제 상쇄의 사용량 또한 제한하고 있다

는 공통점을 가진다 그러나 두 시장 간에는 캘리포니아는 산림의 탄

소 흡수에 의한 상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퀘벡은 산림부문의

상쇄를 인정하지 않는 등의 차이점이 존재한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배출권거래시장은 경매가격 하한제와 유연한

가격 상한제를 시행하는데 합의하였다 캘리포니아의 경매가격 하한은

USD 1134이며 퀘벡의 경매가격 하한은 CAD 1282이며 이들의 환

율은 가장 최근시점 정오의 구매 환율로 정해져있다 경매가격 하한선

은 매년 5 + 물가상승분만큼 상승한다 가격 상한제의 경우 WCI에

참여하는 주들에 의해 독립적으로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들은 2013~2014년에는 할당량의 1 2015~2017년에는 7 2018~

2020년에는 7를 비축할 수 있고 시장에서 배출권가격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상호 간의 합의를 통해 비축분의 판매를 통해

가격안정화를 꾀한다

캘리포니아와 퀘벡 모두 2013~2014년의 제1차 계획기간에는 배출권

의 부분이 무상할당 되었으나 2015~2020년에는 무상할당 되는 배

출권의 양을 줄이는 동시에 점차 경매방식으로 배출권을 할당하게 된다

캘리포니아는 생산수준 배출량 벤치마크 상한 조정요소 및 산업 보조

요소22) 등을 바탕으로 하여 산업시설의 무상할당 수준을 결정한다

퀘벡은 2015~2020년 산업별로 차이가 있는 배출집약도 목표에 기초해

산업별 배출권의 무상할당량을 결정한다 퀘벡에서는 2015년부터 무상

할당량이 매년 1~2 감소한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에서는 2013~2014년 까지는 각각 총 온실가스 배

22) 상한 조정요소는 배출권 상한을 보다 엄격하게 하기 위한 조정을 말하며 산업 보조요소는 특정 산업의 탄소누출 가능성에 따른 보조를 의미한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3

출량의 약 36와 약 29를 차지하는 에너지 및 산업부문의 배출량만

규제되었으나 2015년부터는 적용범위가 확 되어 연료부문도 포함되

어 총 배출량의 87와 77가 적용범위에 포함되게 되었다 배출권의

이월은 두 시장 모두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는 동시에 보유 제한을 설

정하여 미래에 사용할 수 있는 있는 배출권 양을 제한하고 있다

lt표 -3gt은 캘리포니아 및 퀘벡의 배출권거래제와 EU-ETS를 비교

정리한 표이다

lt표 Ⅲ-3gt 캘리포니아-퀘벡과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지역 캘리포니아-퀘벡 EU

목표의 엄격성

(캘) 2015년 이후 연간 평균 감축량의 31 감축

(퀘) 2015년 이후 연간 평균 감축량의 32 감축

2008~2012 동안 연간 평균 174 감축

배출량 제한

(캘) 3945 MtCO2e (2015) 3342 MtCO2e (2020)(퀘) 653 MtCO2e (2015) 5475 MtCO2e (2020)

2013년 2084 MtCO2e

탄소상쇄 수량 총 배출권 할당량의 8

2008~2020년 기간 간 할당된 배출권의 최 11의 에서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신규 참여기업은 2013~2020년 간 배출량의 45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

탄소상쇄 품질

(캘middot퀘) 국내 탄소 상쇄로 제한(캘) 산림 프로토콜을 포함한

다양한 프로토콜 사용가능 구매자 책임 원칙

최빈국들로부터의 청정개발체제(CDM) 크레딧은 사용 가능하며 기타 CDM 및 공동 이행제도(JI) 크레딧은 2013년 이전에 등록된 것에 한해서 사용 가능

가격 및 공급관리

2014년 경매가격 하한제로 1톤당 $1134t 연간 5+ 물가반영분 인상 전략적 비축을 통한 가격 상한

시장의 과잉공급 정도에 따라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배출권 공급량 조정

34

자료 Carbon Market Watch Report(2015)

다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추진 사례

호주 정부는 국제 기후 협상의 일환으로서 2020년까지 2000년 비

5 온실가스 감축을 약속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호주는 2012

년 7월부터 탄소가격제도(carbon pricing mechanism CPM)를 도입하

였으나 2014년 호주 정권의 교체로 동년 7월에 폐기되었다 이 제도

는 2012년부터 2015년까지는 탄소 가격을 고정가격으로 2015년 7월

부터는 유연가격으로 변경하여 시행하기로 계획되어 있었다 또한 호

주는 2012년 EU와의 탄소시장 연계를 발표하고 그 해 7월부터 잠정

적으로 호주 탄소시장에서 EU 배출권을 사용할 수 있는 한방향 연계

가 시행되었으며 쌍방향 연계는 2018년부터 시행하기로 계획하였다

호주 정부는 원래 탄소가격의 상한을 AUD20(약 13유로)로 설정하

고 매년 5 인상하기로 계획하고 있었으며 하한은 AUD15(10유로)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EU-ETS와의 연계를 위해 유연가격제를 시행하기

로 한 2015년부터는 가격 하한제의 도입 계획을 철회하기로 하였고

지역 캘리포니아-퀘벡 EU

배출권 할당산업 및 발전부문 무상할당 점차 줄어드는 추세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적용범위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난방과 수송연료 CO2 및 N2O PFCs

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EU 역내 항공 CO2 및 N2O PFCs

규제방식 상향식+하향식 방식 하향식 방식이월 무제한 이월 가능 보유제한 무제한 이월 가능

페널티 제도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해에 공제

1톤당 100 Euro의 벌금 부과 사라진 배출권은 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 해에 공제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5

양국의 시장 연계가 시행되는 2018년에는 가격 상한제마저 폐지하기

로 하였다 또한 두 시장의 연계를 위해 호주 정부는 EU의 규정과 부

합하지 않는 원자력 사업 산업용 가스의 분해 및 형 수력발전 사업

의 탄소상쇄를 제외시켰다 하지만 두 배출권시장의 연계를 위한 이러

한 정책의 변경은 호주 정부에 정치적 부담을 안겨 주었고 2014년 7

월 탄소 가격제가 폐지됨에 따라 두 배출권시장의 연계는 실패로 마감

되었다 그 밖에도 호주의 탄소가격제는 메탄가스를 규제하고 있는 반

면 EU-ETS는 메탄가스를 규제하고 있지 않다는 점과 두 시장의 연계

를 위해 호주 탄소가격제의 페널티가 기존 고정가격의 13배에서 당해

연도의 평균 경매가격의 2배로 증가함에 따른 정치적 부담도 시장연계

실패의 원인이었다고 볼 수 있다

3 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앞서 살펴보았듯이 캘리포니아 ETS와 퀘벡 ETS 그리고 스위스

ETS와 EU-ETS의 연계는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성공적으로 연

계한 표적인 사례이다 여기서는 위 두 사례로부터 배출권 시장 연

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던 요인과 시사점을 간략히 살펴보

기로 한다

가 상호 호혜성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성공적으로 연계되기 위해선 우선 연계

이후에 서로간의 이해관계가 크게 상충되지 않으면서 상호 호혜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앞의 두 사례에서 보면 퀘벡 및 스위스 배출권 시장

36

은 연계된 캘리포니아와 EU 배출권 시장과 비교해 시장 규모 측면에

서 훨씬 작은 편이다 따라서 이들 시장 운영자들은 자신들의 시장에

참여하는 규제 상 기업들이 풍부한 유동성을 가진 큰 규모의 시장에

한 접근성을 제고하고 통합된 시장에서 다른 기업들과 동등한 경쟁

조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었다23) 특히 스위스 ETS의 할당배출권 가격

은 EUA 가격에 비해 거의 5배나 높은 상황에서 시장 연계는 스위스

배출권 가격을 EUA 가격에 근접시키는 효과가 기 되므로 스위스 입

장에서는 시장을 연계시킬 유인이 컸다(IETA 2015 p54)

한편 캘리포니아는 자신의 배출권 시장 외연을 확 하고 배출원들

의 온실가스 감축 이행 비용 부담을 완화하려는 목적으로 연계를 선호

하였다 이와는 별개로 스위스에 비해 훨씬 큰 규모의 시장을 가진 EU

는 주로 경제적 요인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의해 연계를 선호하였다24)

이처럼 양자의 이해가 맞아떨어지면서 배출권 시장 연계 논의가 시

작되었고 결국 성공적인 시장 연계로 이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연계

하는 두 시장의 이해관계가 일치한다고 하더라도 최종적으로 연계 합

의에 이르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서로 다른 두 시장의 주요

23) 스위스의 연계 유인에 해서는 ldquoLinking of the Swiss and European emissions trading systems big step forwardrdquo(httpswwwbafuadminchbafuenhometopicsclimatenews- releasesmsg-id-67745html) 및 IETA(2015)를 참조하라 퀘벡의 연계 유인은 Gouvernement du Queacutebec(2018)「Quebec cap-and-trade system for greenhouse gas emission allowances (CampT) Historical Overview」(p7)을 참조하였다

24) 캘리포니아 ETS의 연계 유인은 ldquoCALIF FORGING AHEAD WITH EMISSIONS TRADING NEXT MONTH AIR CHIEF CONFIRMSrdquo(httpswwwexchangemonitor comcalif-forging-ahead-with-emissions-trading-next-month-air-chief-confirmsprintmode=1) 을 참조하라 EU와 스위스 시장은 워낙 규모에 차이가 나서 연계 시 스위스 시장이 사실상 EU 시장에 편입되어 EU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EU는 연계에 따른 경제적 편익에 한 고려보다는 기후변화 응을 위한 리더십을 확보하고 시장의 외연을 확장하는 첫 단추로서 스위스와의 시장 연계를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IETA 2015 p54)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7

설계요소의 차이가 야기하는 시장 연계 전후의 영향에 조율이 필수적

이다 다음은 위 두 사례로부터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인의 관

점에서 바라본 성공요인에 해 논의해 보기로 한다

나 핵심 설계요소의 유사성

앞의 두 사례 모두 시장들 간 배출권거래제도의 핵심 설계요소에 있

어서 상당한 유사성을 가지고 있어서 이들을 조율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첫째 캘리포니아-퀘벡 ETS 그리고 스위스-EU ETS는 감축목표의

엄격성 측면에서 서로 유사하여 감축목표를 둘러싼 이견이 적었다 일

견 캘리포니아는 2020년까지 1990년 배출량 수준으로 감축하는 목표

를 가지고 있었고 퀘벡은 2020년까지 1990년 배출량 비 20까지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목표를 세워 퀘벡이 다소 높은 강도의 감축목표

를 설정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lt표 -3gt에서 보듯이 2015년도 ETS 적용 상 배출량 기준으

로 보면 2020년까지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연 평균 감축률은 각각

31 32로 거의 동소이하다 스위스 ETS는 2013년 배출상한

비 2020년까지 매년 174씩 EU-ETS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의

연 평균 배출량에 비 2020년까지 매년 174씩 감축하는 목표를 가

지고 있었다 이처럼 비록 절 적 감축량이나 배출허용량의 크기에 있

어서 두 시장간 차이는 컸지만 상 적인 감축목표의 엄격성 측면에서

유사해서 ETS 운영주체 간 상호 신뢰성이나 참여 상 기업들의 수용

성이 높아 시장 연계를 추진하는데 훨씬 수월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두 사례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한 탄소상쇄제도를 가지고 있어

38

상쇄배출권의 유입에 의한 시장 교란이 작동할 여지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lt표 -2gt에서 알 수 있듯이 스위스와 EU는 상쇄배출권 허용

비율 및 사용가능 종류에 있어서 사실상 동일하기 때문에 상쇄제도의

차이로부터 비롯되는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캘리포니아와 퀘

벡 배출권거래제의 경우에는 상쇄배출권 허용수량은 동일하나 상쇄배

출권의 생성 및 사용에 있어서 약간 차이가 있다 가령 퀘벡의 경우 산

림상쇄를 허용하지 않으나 캘리포니아는 산림 흡수원에 의한 상쇄배출

권을 허용한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두 제도

모두 부분의 해외 상쇄사업을 허용하지 않고 있고 전체 수량에서 차

이가 나지 않아 시장 연계 시 상쇄 프로토콜의 차이로 인한 시장 교란

보다 연계의 이득이 훨씬 크므로 그러한 사소한 차이가 시장 연계의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았다25)

셋째 배출권의 할당방식에 있어서도 두 사례의 국가들은 유사한 체

계를 갖추고 있었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경우 배출권 할당방식의 기

술적인 부분에서 일부 차이가 존재하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산업부문에

해선 무상할당 발전부문에 해선 유상할당을 적용하고 무상할당

의 비중을 점진적으로 줄여가는 방향성에 해서 체로 일치하였다

(ICAP 2019a ICAP 2019b) 마찬가지로 스위스와 EU도 거의 유사한

할당방식을 가지고 있었다 두 연계 사례 모두 유middot무상할당 방식을 혼

용하되 유middot무상이 적용되는 부문에 해서는 동일하였기 때문에 사소

한 할당방식의 차이는 연계 시 쟁점으로 부각되지 않았다

넷째 배출권 가격 및 공급량 관리 제도와 관련해서도 연계된 사례

25) 퀘벡은 해외 상쇄를 허용하지 않으나 캘리포니아의 경우 브라질 등 일부 국제 산림 상쇄크레딧을 허용한다 그러나 그 양은 매우 미미해서 시장에 미치는 영향 또한 극히 제한적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9

의 국가들은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은 동일

한 배출권 가격 및 공급량 관리 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스위스와 EU

의 경우 EU의 배출권 비축제도가 유일한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러나 IETA(2015)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스위스 ETS의 할당배출권 가

격이 EUA 가격에 비해 상당히 높았기 때문에 EU의 배출권 비축제도

도입 자체가 시장 연계에 장애요인이 되지 못하였다

그 외 이월과 차입 MRV 체계 등 시장 연계 시 고려될 주요 설계요

소들에 있어서 두 성공사례의 국가들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처럼 앞서 언급한 배출권 시장 연계 시 고려되어야 할 주요 설계요

소에 있어서 연계하는 시장들은 상당히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고

이것이 시장 연계의 논의와 조율이 매끄럽게 전개될 수 있도록 한 원

동력이 되었다고 판단된다

다 정책적 의지

배출권 시장의 연계가 상호간 이해에 부합하고 앞서 논의한 제도의

설계요소 관점에서 본 기술적middot경제적 쟁점들이 상당 부분 해소된다고

하더라도 정책적 의지가 수반되지 않는다면 시장 연계의 논의는 진전

되기 어렵다 그러한 측면에서 제도 설계요소의 상호 호환성 이슈는

성공적인 시장 연계의 필요조건은 될 수 있을지언정 충분조건은 될 수

없다(IETA 2015) 2010년부터 시작된 스위스와 EU-ETS 연계가 7여

년에 걸친 논의 끝에 성공적으로 매듭지을 수 있었던 것도 스위스 정

책 당국의 의지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스위스

-EU ETS 연계 논의과정에서 항공부문의 포함여부가 중요한 쟁점 중

하나였고 이민쿼터의 도입 등을 둘러싼 EU와의 정치적 이슈와 결부되

40

면서 자칫 좌초될 뻔했던 양 시장의 연계가 끝내 성사될 수 있었던 것

도 정책 당국의 강력한 의지가 있었기 때문이다(IETA 2015) 퀘벡 정

부에서 발간한 보고서에서도 일부 서로 다른 규제 틀을 가지고 있던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연계가 성사될 수 있었던 이유로 상호 신뢰와 개

방적 소통을 통해 두 주 정부가 긴 한 협업을 해나간 것이 주효했다

고 적시하고 있다(Gouvernement du Queacutebec 2018)

반 로 호주 석탄 사업자들의 메탄 배출량 포함 여부를 둘러싼 이

슈 농업 및 토지이용 관련 상쇄제도의 허용 여부 등 다양한 이슈에도

불구하고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논의가 끝내 좌초되었던 것도 정

권 교체 이후 새롭게 들어선 정부 당국이 시장 연계에 회의적이었기

때문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권 시장 연계의 제반 조건이 충족되

었을 때 이를 최종적으로 매듭짓는 요소는 결국 정책적 의지이며 충

분한 시간을 가지며 상호 신뢰와 개방적 소통 하에서 협력해나가는 노

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1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 동향과 전망

서로 다른 배출권거래시장 간의 상호 연계는 한 국가 혹은 한 지역

내에서 작동하던 탄소시장의 외연을 확 하는 것으로서 국지적 탄소시

장의 글로벌화와 맥이 닿아있다 배출권 시장 연계는 본질적으로 당사

국 간의 자율성에 기반을 하고 있기는 하나 국제 탄소시장을 규율하

는 원칙과 규정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다 파리협정에서는

감축의 비용효과성을 증진시켜 당사국들이 보다 상향된 감축목표를 제

시하도록 하기 위해 시장 메커니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와 관련

해서 현재 파리협정 이후의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가 한창 진

행 중이다 이에 본 장에서는 파리협정하의 탄소시장 논의 동향과 배

출권 시장의 연계와 관련한 시사점에 해 살펴보기로 한다

1 파리협정 이후의 탄소시장 논의 동향

가 주요 내용

파리협정에서 시장 메커니즘은 파리협정문 제6조에 규정되어 있다

파리협정에는 시장(market)이라는 용어가 명시되어 있지는 않은데 이

는 시장 메커니즘의 설립을 반 하는 일부 당사국들이 lsquo시장rsquo이라는

용어가 파리협정 내에 포함되는 것에 반 하였기 때문이다(산업통상자

원부 2016b)

사실 파리협정하의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사항들은 파리협정 체결

이전부터 논의해왔던 Post-2012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의 결과물

42

이다 기존의 Post-2012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 내용들이 파리협

정을 통해 반영되면서 협력적 접근법(Cooperative Approach) 지속가능

발전 메커니즘(Sustainable Development Mechanism SDM) 비시장 접근

법(non-Market Approach)의 3가지 개념이 제6조에 포함되었다

제6조는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 하위 개념을 포괄하는

원칙인 제61조와 협력적 접근법에 관한 내용인 제62 63조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의 내용을 담고 있는 제64 67조 비시장 접근법에

관한 제68 69조로 구성되어 있다

제61조에는 시장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목적과 기본원칙이 포함되어 있

다 시장 메커니즘은 온실가스 감축비용 부담을 완화시켜 당사국들의

국가온실가스감축기여분(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NDC)

의 상향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NDC의 상향에 기여함

은 제6조의 활용을 포함하여 더 높은 목표의 설정을 고려해야 함을 의

미한다 이때 시장 메커니즘의 활용은 지속가능한 발전과 환경적 건전

성이 증진되도록 한다는 원칙 하에서 이행되어야 한다 지속가능한 발전

과 환경적 건전성은 이중계산(double counting)의 방지와 함께 시장 메

커니즘 활용의 3가지 주요 원칙에 해당한다26)

협력적 접근법(제62 63)은 당사국들 간의 자발적 협력을 통해 감

축실적(mitigation outcome)이 발생하여 국제적으로 이전된 경우

(Internationally Transferred Mitigation Outcome ITMO)에는 NDC의

이행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ITMO의 활용은

참여 당사국들의 자발적 승인을 통해 이루어진다 파리협정 결정문

(Decision1CP21)에 따르면 이중계산 방지를 포함하여 협력적 접근법

의 이행에 필요한 지침을 개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26) 하지만 각 용어의 정의에 해서는 명시적으로 합의된 바 없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3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제64 67)은 파리협정 당사국총회(CMA)가

지정한 기구에서 감독하며 지속가능발전의 촉진 전 지구적인 온실가

스 감축에의 기여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결정문에는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의 운영에 필요한 규정(Rules) 방법(Modalities) 절차

(Procedures) 등에 관한 지침의 개발을 명시하고 있다

비시장 접근법(68 69)은 지속가능발전을 위해서 비시장 접근법의

프레임워크 설립을 명시하고 있으며 결정문에는 작업 프로그램의 개

최를 통해서 감축 적응 기술이전 재원 능력 배양 등 주요 요소들 간

의 시너지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논의하도록 하고 있다

lt표 Ⅳ-1gt 파리협정 제6조 주요 내용

구 분 주요 내용

61

당사국은 일부 당사국의 자국의 감축과 적응 행동에 있어서 더 야심찬 노력

을 설명하고 지속가능한 개발과 환경적 건전성을 증진하기 위해 국가별 기

여방안 이행에 자발적인 협력을 추구할 것을 인지한다

62

당사국이 국가별 기여방안에 국제적으로 거래되는 감축 성과를 이용한

협력적 접근법에 자유의사에 따라 참여한다면 거버넌스 내에서 지속가능

한 개발을 증진하고 환경 보전과 투명성을 보장하며 파리협정의 당사자회

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총회에서 채택된 지침에 따라 견고한 회계방식

을 준영하여 이중계산을 피하도록 해야 한다

63본 협정 하에서 국가별 기여방안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제적으로 거래되는

감축성과의 이용은 참여당사국에 의해 자발적으로 승인받는다

64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지지하는 메커니즘은 당

사국의 자유의사에 따라 이용하도록 파리협정의 당사국 회의의 역할을 수

행하는 당사국 총회 권한과 지침 하에 세워진다 파리협정의 당사자 회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가 지정한 기관에 의해 감독되며 다음을 목표

로 한다

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조성하면서 온실가스 감축을 증진할 것

나 당사국의 권한으로 공공과 민간 부문이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하도록

장려하고 촉진할 것

44

나 후속협상 주요 경과

COP21 결정문(Decision1CP21)에 따라서 2016년부터 과학기술자

문부속기구(SBSTA)에서 파리협정 제6조와 관련한 지침의 개발을 위

한 협상이 진행되었다 본 소절과 뒤따르는 소절에서는 산업통상자원

구 분 주요 내용

다 유치국의 배출 수준의 감축에 기여하며 국가별 기여방안을 성취하기

위해 타 당사국이 이용할 수 있는 감축 활동으로부터 편익을 얻을 것

라 세계 배출량의 전반적 감축에 기여할 것

65

상기 4항에 명시된 메커니즘을 통한 감축방안이 또다른 당사국의 국가

별 기여방안의 달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이용되었다면 그 유치국의 국가별

기여방안의 달성을 증명함에 있어서 그 방안을 이용할 수 없다

66

파리협정의 당사자 회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는 상기 4항에

명시된 체제 하에서 이루어진 활동 수익의 몫은 적응 비용을 충당하기 위하

여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에 특히 취약한 개발도상국인 당사국을 지원하

고 행정비용을 마련하는데 사용됨을 보장한다

67파리협정의 당사자회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 제1차 회기에서

제4항에 명시된 체제에 한 규칙 방식 절차를 채택한다

68

당사국은 조직적이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감축 적응 재정 기술이전 역량강화를 포함하여 지속가능한 개발 및 빈곤 근절의 맥락에서 자국의 국가

별 기여방안을 이행하는데 이용 가능하고 통합적이고 전체적이며 균형적인

비시장 접근의 중요성을 인지한다 이 접근 방식은 다음을 목표로 한다

가 감축과 적응 노력을 증진

나 국가별 기여방안 이행에 해 공공 및 민간 부문의 참여 강화

다 제도 및 관련된 제도적 장치를 통한 조정의 기회를 활성화

69지속가능한 발전에 한 비시장 접근의 틀은 본 조 제8항에 명시된 비시

장 접근을 증진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자료 UNFCCC(2015) 및 수원의제21실천협의회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2016) 산업통상자원부(2016a)에서 재인용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5

부(2016b) DEHSt(2016) 및 Bodansky et al(2016)의 주요 내용을 바

탕으로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국제 협상의 논의 경과와 부각된 주요

쟁점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1) 협력적 접근법

2016년에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회의(SBSTA 제44차 및 제

45차 회의)는 주로 파리협정 내 포함되어 있는 협력적 접근법(제62

63)의 문안 내용에 한 해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파리협정

문안에 해 당사국들 간에 상호 상이한 해석의 가능성을 줄여서 공통

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한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4차 회의에서는 주로 협력적 접근법 관련

지침의 범위(scope) 협력적 접근법과 NDC와의 관계 ITMO의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었다

지침에 포함될 범위와 관련하여 파리협정의 협력적 접근법에서 규정

하고 있는 의무사항들 - 견고한 회계방식 지속가능한 발전의 증진 환경

건전성과 투명성의 보장 - 을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에는 공통적인 견해를

보였다 NDC와의 관계에서 협력적 접근법의 사용은 견고한 회계방식

(robust accounting)의 원칙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과 흡수량에 한 상

응하는 조정(corresponding adjustment)을 통한 이중계산 방지가 필요하

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다만 당사국들이 제출한 NDC가 단일연도

목표 다년도 목표 정책과 감축행동 중심의 목표 등 다양한 형태가 존

재하므로 협력적 접근법에 의한 감축실적을 NDC에 어떻게 가감할 것

인가가 중요한 쟁점이 될 수 있다(DEHSt 2016) 그에 따라 단일연도

목표의 경우 목표 설정 당해 연도의 NDC만 충족하면 되기 때문에 다

46

년도 목표를 제시한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달성여부를 점검하는 것

은 타당하지 않으므로 상응하는 조정이 반영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

기되었다 아울러 ITMO의 개념에 해서도 배출권의 형태인지 단순 감

축실적의 결과(산출물)인지에 해 개념 정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

기되었다27)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5차 회의에서는 2018년 말(SBSTA 제49

차 회의)까지 후속협상을 종결시킨다는 목표 하에 후속협상을 위한 작

업계획을 공유하고 당사국들이 제출한 국가제안서(submission)에 기초

하여 공통의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협력적 접근법의 인센티브

와 관련하여 EU는 양자와 다자 형태로 운영하면서 민간부문을 포함한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도

서국가연합(AOSIS)은 경제 전반에 한 NDC 목표 상향을 위해 추가

적인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파리협정의 타 조항과의 관

계에서 부분의 당사국들은 감축(파리협정 제4조)과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이 시장 메커니즘과 연관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투명성 하에서

시장 메커니즘 활동에 한 보고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는 점에 공통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EU는 협력적 접근법과 감축(파리

협정 제4조)은 NDC의 이행 관점에서 ITMO의 산정과 연계되어 있는

이슈이며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과는 감축분의 이전 획득 NDC 사

용 등과 관련된 보고와 상호 연계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환경

적 건전성과 관련하여 환경건전성그룹(EIG)에서는 감축산출물의 품질

27) 배출권과 감축실적은 이전 가능하다는 점에선 유사하지만 엄 하게 말해 서로 다른 개념이다 배출권은 정해진 배출허용량에 상응하여 배분된 후 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되는 배출허가권인데 반해 ITMO는 특정한 감축활동의 결과로서 주어지는 인증된 감축실적이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DEHSt(2016 p12)를 참조하라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7

보장을 위해 ITMO에 영속성과 추가성의 개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개진한데 반해 EU는 상응하는 조정을 통해서 환경적 건전성이 보장

될 수 있다는 다소 완화된 입장을 피력하였다

2017년에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회의(SBSTA 제46차 및 제

47차 회의)는 당사국들 간의 이해증진을 바탕으로 지침의 주요 요소들

에 한 도출을 위한 세부 협상을 진행하였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6차 회의에서 공동의장은 지침의 기본 목

차와 주요 요소에 관한 문서를 제시하였고 당사국들은 라운드 테이블

회의와 비공식 회의 등을 통해서 누락된 요소에 한 의견들을 제시하

였다 이러한 논의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공식 정보노트(informal

information note)가 도출되었다

이어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7차 회의에서는 공동의장이

배포한 비공식 노트에 해 당사국들이 의견을 개진하는 방식으로 진

행되었다 여기에는 지침의 목차와 하위 소목차 옵션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비공식 노트에 해 선진국들은 판매국과 구매국이 구분되어

있는 지침 목차에 불만을 제기하며 이를 통합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

하였고 개도국들은 지침에 수익금의 배분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당사국들은 차기 회의 이전에 과학기술자문부속기

구 의장이 비공식 문서(informal document)를 작성하여 회람하기로 합

의하였다 의장명의의 비공식 문서는 2018년 3월에 회람되었는데 비

공식 노트를 기반으로 중복요소의 간소화와 옵션과 잠재 요소 목록이

제시된 수준이었다

2018년에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1차 및 제48-2차 회의

(SBSTA 제48-1 SBSTA 제48-2)는 동 문서에 기초하여 협상이 진행

48

되었고 협상문서 초안이 도출되었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1차 회의에서는 의장명의의 비공식 문

서에 한 당사국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공동의

장 명의로 수정된 비공식 노트(Revised Informal Note)가 채택되었다

수정된 비공식 노트는 기존 비공식 문서에서 개념을 보다 명확히 하고

일부 잘못 표현되거나 누락된 내용들을 반영하는 형태로 합의되었다

다음으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2차에서는 2018년 말까지 설

정한 후속협상 작업계획의 일정을 수정하여 2019년 말까지 작업 기간

을 연장하고 수정된 비공식 노트에 기반하여 당사국들의 의견을 청취

하였다 이를 통해 2018년 말까지 합의가 필요한 사항을 부속문서 1

2019년 말까지 합의가 필요한 사항을 부속문서 2로 구분하여 각각 시기

별로 합의될 내용을 구분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협상문서 초안(Drafting Negotiation Text)을 도출하였다

2)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4차 회의에서는 교토 메커니즘과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 간의 차이점과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적용 범위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양 메커니즘 간 비교에서는 주로 메커니즘 자체

에 한 시각 차이보다는 교토의정서와 파리협정 간의 차이점에 해

당사국들 간에 상이한 입장 차이가 드러났다 일부 당사국은 청정개발

체제와 공동이행제도를 중심으로 사용되었던 방법 절차 등의 지침이

파리협정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고 지적한 반면 선진국을 중심으로 파

리협정은 사업 수행국의 역할과 책임이 교토의정서보다 강화되었기 때

문에 교토 메커니즘과는 근원적인 차이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적용 범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9

위와 관련해서 교토 메커니즘이 프로젝트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반해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은 프로젝트나 프로그램의 범위를 넘어

더 폭 넓게 적용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5차 회의에서는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운영체계 추가성의 개념 전 지구적인 전반적 감축의 이행방식 현존

메커니즘의 경험과 교훈 등에 해 논의하였다 일본은 교토의정서와는

달리 파리협정에서 모든 당사국이 NDC 목표가 존재하므로 NDC 이행

에 관해서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결과물도 협력적 접근법에서 개발

된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반면 중국은 운영체계와 관련

하여 청정개발체제의 운영방식보다 유연하게 설계될 필요가 있다고 주

장하였다 추가성 개념과 관련하여 EU는 방법론의 경우 새로운 국제

적인 표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으며 미국은 교토메커니즘에

이미 추가성 개념이 존재하므로 이를 기반으로 논의하는 것이 효율적

이라고 강조하였다 반면 브라질은 추가성과 전 지구적 전반적 감축은

연관성을 갖고 있으며 교토 메커니즘의 운영체계를 기반으로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의 운영체계를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듬해 열린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6차 회의에서는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과 청정개발체제의 관계에 해 논의가 이어졌다 주로 개

도국들은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을 청정개발체제의 연장선에서 접근

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선진국들은 새로운 접근과 설계가 필요하다

며 양 진영 간에 립이 형성되었다

속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7차 회의에서는 앞선 회의에서 제

기된 청정개발체제와의 관계에 관한 사항이 계속 쟁점화되었다 브라

질은 청정개발체제에서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으로 전환의 필요성과

50

당위성에 해 강하게 주장하였고 이중계산의 허용 필요성까지 제기

하였다 반면 일본은 2020년 이전에 기 발행된 배출권의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으로의 전환과 관련한 이슈를 제기하여 메커니즘 전환과

관련된 이슈가 배출권의 전환으로 확장되는 계기가 되었다 한편 도서

국가연합(AOSIS)는 전 지구적 전반적 감축의 이행 방안으로 기 발행

된 배출권의 일정 비율을 취소하자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협력

적 접근법과 동일하게 차기 회의 전까지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의장

명의로 비공식 문서를 발행하여 회람하기로 합의하였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1차 회의에서는 2018년 3월에 회람된

비공식 문서에 해 당사국들의 의견을 청취한 후에 공동의장 명의의

수정된 비공식 노트(Revised Informal Note)가 채택되었다 이후 과학

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2차 회의에서는 협력적 접근법 논의와 동일하

게 2018년 말까지 설정한 후속협상 작업계획의 일정을 수정하여 2019

년 말까지로 기간을 연장하고 수정된 비공식 노트에 기반하여 당사국

들의 의견을 청취하였다 또한 교토 메커니즘의 전환에 관한 이슈사항

은 처음에는 부속문서 3으로 별도 분리해 놓았으나 개도국들의 주장

에 따라 2018년 말까지 결정할 사항들을 포함하는 부속문서 1에 수록

하였다

다 주요 쟁점 사항

1) 협력적 접근법

시장 메커니즘과 관련된 지침의 내용에 한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지침의 서문과 원칙에 관한 사항이다 선 개도국 간에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1

발생하고 있는 쟁점을 중심으로 원칙 부분을 별도로 구분함으로써

선 개도국 간의 차별화 요소를 반영하려는 개도국과 이에 반 하여

서문과 원칙을 하나로 통합하여 서문에 포함하자고 주장하는 선진국

입장으로 별된다

두 번째는 거버넌스에 관한 사항이다 협력적 접근법이 기본적으로

당사국 간의 자발적 협력을 통해 감축산출물을 발생시키고 국제적 이

전을 통해 NDC에 활용하자는 개념이므로 과연 국제적인 거버넌스 설

립이 필요한가가 그리고 필요하다면 어떤 수준에서 운영되어야 하는가

가 쟁점이 되고 있다 일부 당사국들은 비록 당사국 간의 자발적 협력

에 의한 감축활동이지만 협력적 접근법에 의한 전 지구적 활동들을 관

할하는 별도의 기구 설립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반면 일부 당사국

들은 협력적 접근법만을 관할하는 별도의 기구를 만들기보다는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의 감독기구에서 협력적 접근법에서 필요한 기능을 통

합해서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28)

28) DEHSt(2016)에 따르면 협력적 접근법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는 (1) 완전히 분권화된 형태로 운영하고 결과만 보고하는 방식 (2) 관련된 모든 운영사항을 규정에 담아 UNFCCC 같은 중앙집권적 기구를 통해 관리하는 방식 (3) 견고한 회계방식 투명성 보장 등을 위해 공통의 레지스트리를 중앙집권적 감독기구에서 운영하되 최소한의 기준만 충족되면 당사국의 자율에 맡기는 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의 논의는 (2)안 또는 (3)안으로 하되 협력적 접근법만을 위한 별도의 중앙집권적 감독기구를 설립할지 아니면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을 관할하는 감독기구에서 협력적 접근법 관련 사항까지 관할하도록 할지에 해 의견을 조율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한편 Bodansky et al(2016)의 주장에 빗 어 해석하면 (2)안은 통일적 접근법(uniform approach)에 가까운 방식이다 (2)안은 거래비용과 정책 불확실성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는 반면 당사국들의 개별적 상황을 반영하는 유연성이 떨어지며 합의에 이르는데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조화적 접근법(harmonized approach)은 당사국들의 개별적 상황을 포괄할 수 있는 보다 일반적인 기준만 제정하여 이를 준수하기만 하면 되도록 하는 방식을 말한다 사실 DEHSt(2016)에서 제시하고 있는 (3)안은 통일적 접근법과 조화적 접근법이 혼합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Bodansky et al(2016)가 지적한 바와 같이 ITMO의 발생과 이전을 추적하고 NDC 활용 여부를 확인하는 규칙과 시스템은 중앙집권적 기구에서 통일적으로 관리하되 MRV 기준이나

52

세 번째는 시장 참여의 조건에 관한 사항이다 당사국들 간에 자발

적 협력이라는 원칙하에 NDC의 유형이 영향을 줄 수 있는가가 쟁점

이다 DEHSt(2016)에서 보여주듯이 온실가스 배출량 상한이나 감축량

같이 tCO2eq로 측정가능한 NDC 형태가 많긴 하지만 감축정책이나 감

축 관련 활동 자체를 NDC로 제출한 국가들도 존재하기 때문에 그러

한 국가들의 시장 참여 여부가 쟁점이 될 수 있다 아랍그룹 LMDC

등은 NDC 유형에 관계없는 참여 보장을 요구하는데 반해 선진국들은

시장 참여를 위한 조건으로서 NDC 계량화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네 번째는 상응하는 조정의 적용 상에 관한 사항이다 주로 언급되

고 있는 상에는 NDC에 포함되지 않은 외부(outside)감축활동에서

발생한 감축사업 Pre-2020에서 전환된 교토 메커니즘 하의 배출권에

해 상응하는 조정을 적용할 필요성이 있는가가 주요 쟁점이 되고 있

으며 당사국 별로 입장이 제각각인 특징이 있다

다섯 번째는 단일연도 NDC에 한 상응하는 조정의 적용방식이다

단일년도 NDC에 한 상응하는 조정 여부에 자체에 해선 큰 이견

이 없으나 상응하는 조정을 어떻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해선 당

사국별로 입장이 엇갈린다 단일년도 NDC의 특성이 중간연도에 해

서는 별도의 목표를 수립하고 있지 않은 방식인데 목표연도 이전에

감축하여 보유하고 있는 감축실적은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그리고

마지막 년도에 관한 NDC 달성 여부를 증명하는 과정에서 상응하는

조정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등이 쟁점사항이 되고 있다29)

ITMO의 부여 등은 최저 기준만 충족하도록 하는 조화적 접근법을 혼용하는 방식에 가깝다

29) 동 이슈는 감축(파리협정 제4조)의 lsquoNDC 산정rsquo과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의 lsquo연계된 산정rsquo과 관련되어 있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3

이 외에도 ITMO를 발생 이전 획득한 경우에 중간년도에 해서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체계 하에서 어떤 정보를 보고해야 하는지에

한 이슈 또한 존재한다

2)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협력적 접근법과 달리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은 감독기구를 중심으로

중앙집권적 방식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상 적으로 이슈가 적다

첫 번째는 감독기구의 운영구조에 관한 사항이다 이 논의에는 기존

운영구조인 청정개발체제의 집행위원회와 운영구조 상에서 어떤 차이

를 둘 것인가에 관한 논의로 귀결된다 특히 위원회의 구성과 관련하

여 청정개발체제와 같이 선진국과 개도국을 구분해 위원회를 구성할

것인지 여부가 쟁점이 되고 있다

두 번째는 전 지구적인 전반적 감축에 관한 사항이다 전 지구적인

전반적 감축을 이행하는 방안으로 발행시점에서 조치를 취할지(판매국

중심) NDC 이행시점에서 조치를 취할지(구매국 중심) 등이 쟁점이

되고 있다

세 번째는 교토 메커니즘의 전환에 관한 사항이다 주로 2020년 이

후에 교토의정서 상의 교토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을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하에서의 실적으로 인정할지 여부 인정하더라도 특정한 전

환조건을 설정할 것인지 여부 Pre-2020에서 발행된 배출권의 전환을 인

정할지 여부 교토 메커니즘 상에서 승인된 방법론을 계속해서 사용할

지 여부 등이 이에 해당한다

54

2 Post-2020 탄소시장 전망과 시사점

파리협정 후속 협상을 통해 협상문서 초안이 도출됨에 따라서 향후

적용될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지침의 전체적인 구조를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쟁점 사항으로 제기된 몇 가지 사안들은 기술적인 이슈

보다는 정치적인 이슈의 성격이 많아서 후속 협상 과정에서 실무자들

간의 논의보다 고위급 논의 과정에서 정치적 타결이 될 개연성이 더

높다

교토 메커니즘과 비교하여 파리협정에 따른 시장은 모든 당사국이

감축목표를 보유한 상태에서 시장을 형성한다는 제약조건이 존재한다

이는 이중계산 방지의 중요성과 함께 상응하는 조정의 문제가 필연적

으로 부가된다 과거 개도국 입장에서는 청정개발체제 사업을 자국 내

에서 시행하더라도 감축목표가 없는 상태였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적인

부담이 존재하지 않았다 반면 파리협정에서는 이중계산 방지를 위해

자국 내 실제 배출량에서 국외로 순 이전된 ITMO의 양만큼을 가산하

여 배출량을 산정한 후에 NDC의 목표 배출량과 비교하여 이행 여부

를 점검받는다는 부담이 존재한다30) 여기에 전 지구적 전반적 감축의

개념을 적용한다면 실제로 NDC에 ITMO를 사용하는데 제약 조건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국가 감축목표 이행적 측면에서도 후속협상의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단일년도 NDC에 관한 상응하는 조정의 적용 시

기와 방법에 따라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의 증빙 과정

30) 만일 NDC가 목표 감축량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ITMO의 순 국외 이전량 만큼 실제 감축량에서 차감한 후에 NDC에서 정한 목표 감축량과 비교하여 이행 여부를 점검하게 된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5

에서 해외 감축분의 필요량이 결정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이슈가 될

전망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본다면 파리협정에 따른 국제 탄소시장

은 교토 메커니즘 하의 시장보다 상 적으로 규모가 작아질 것으로 예

상된다

한편 국내 배출권거래제에서는 2018년부터 외부사업에 해 해외

온실가스 감축분을 인정하고 있다 청정개발체제에 따른 사업들을 상

쇄배출권으로 인정하고 있는데 2020년 이후 교토 메커니즘의 전환 여

부가 아직 확정되지 않아서 사업 활성화 측면에서 불확실성을 내포하

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국내 배출권 시장에서 교토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의 활용 여부는 전환 여부에 한 국제 협상 결과에 따라 결

정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반면 협력적 접근법이나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등 파리협정에 따

른 시장 메커니즘은 국내 배출권거래제도 상의 운영 목적에 비추어 볼

때 국내 배출권거래제도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 국내 배출권거래제의

도입목적(제2조)이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비용효과적인 이행이고

이들 시장 메커니즘 또한 당사국들의 NDC 이행과 명시적으로 연계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은 국내 배

출권거래제도에서 인정되는 해외 온실가스 감축분으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

다만 한 가지 유의할 점은 파리협정의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

적분이 국내 배출권과 직접적으로 연계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분은 국가 차원의 목표 이행에서 의미를 가

지는데 반해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권은 비록 국가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이긴 하나 개별 사업자 차원의 목표 이행과 관련이

56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분을 민간에서 획

득한 경우 이를 우리나라 정부에서 발급하는 배출권과 교환을 통해 간

접적으로 배출권 시장에서 활용할 수 있다31) 이때 다른 당사국이 자

국의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고 있고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에 따

른 실적을 상쇄로 인정하는 경우라면 결국 국내 배출권 시장과 해당

국가 배출권 시장은 협력적 접근법 또는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체

계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된다

협력적 접근법의 경우 양자 또는 다자간 협력 체계를 필요로 하므로

정부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밖에 없지만 지속가능발전 메커

니즘은 민간 중심의 시장이 될 개연성이 높다 다만 제도의 시행에 있

어 감독기구의 설립 이후에도 제도 운영을 위해 필요한 추가적인 세부

지침의 개발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 사업으로 진행되기까지는 상

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협력적 접근법의 경우 양자 방식으로 운영한다면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보다 다소 이른 시기에 사업이 진행될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양자 협력의 체결 국가 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운영을 위한 행

31) 현재 교토 메커니즘의 청정개발체제에 의한 감축량도 외부감축인증실적(Korean Offset Credit KOC)을 상쇄배출권으로 전환해야 배출권 시장에서 사용가능하다 다만 외부사업 감축량으로 인증받은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은 중복 사용 방지를 위해 소각된다 이에 반해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해외외부사업감축인증실적은 우리나라의 NDC 이행 여부 점검 시 필요하다 따라서 만일 민간에서 이를 획득하여 국내 배출권 시장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부에서 발급하는 상쇄배출권(Korean Credit Unit KCU)과 교환하도록 하고 이를 별도의 레지스트리에 등록middot보관해 두어야 할 것이다 정부가 직접 추진한 협력 사업의 감축실적을 시장안정화 조치 등의 이유로 국내 배출권 시장에 유입시킬 경우도 동일한 논리가 적용될 것이다 다만 배출권 시장에 유입된 만큼 배출권거래제 적용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7

정적 시간적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협력적 접근법의 경우에는

체결 국가 수를 무작정 늘리는 방식보다는 전략적으로 필요한 국가와

선별적으로 체결하는 방식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필요한 국가의 선

정 기준에는 기후변화 측면도 있지만 사회 정치적인 사안들의 고려도

필요할 수 있으므로 현 단계에서 필요한 사안이 무엇이고 이를 위해선

누구와 협력할 것인가에 한 사회적 합의를 우선적으로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59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본 장에서는 앞서 검토한 배출권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연계 사례에서의 시사점 그리고 국제 탄소시장 동향 논의 전망을 토

로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과 해외 시장과 연계할 경우 두될 것으로

보이는 주요 쟁점사항과 시사점에 해 살펴보기로 한다 특히 본 연

구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를 논할 때 가장 빈번하게 거론되는

EU-ETS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기로 한다32)

1 우리나라 ETS와 EU-ETS의 주요 설계요소 비교33)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이하 K-ETS)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국내적 정책 수단으로서 도입middot시행되고

32) 최근 논의되고 있는 한-중-일 배출권 시장 연계의 경우 중국 및 일본 모두 국가 전체 차원의 배출권거래제가 아닌 일부 지역을 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적용 범위도 서로 상이한 점이 많아 사례 분석의 상으로 적합하지 않다고 보고 본 고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EU-ETS의 경우 EU 회원국이 참여하는 가장 큰 규모의 시장이며 오랜 배출권 시장 운영 경험을 가지고 있고 국내 배출권거래제도 설계 시 벤치마크로 활용되어 제도적 유사성이 상 적으로 높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사례분석의 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EU-ETS와 국내 배출권 시장 간의 연계를 분석한 국내 문헌이 거의 전무하다는 것도 EU-ETS를 사례 연구 상으로 삼은 중요한 이유 중 하나이다 국내 배출권 시장과 타 국가 배출권 시장의 연계를 다룬 국내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데 최근 박수경 외(2018)의 연구가 중국 배출권 시장과의 연계를 다루고 있으니 참조하기 바란다

33) 후술하는 우리나라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소에 관한 내용은 환경부(2019)를 주로 참고하였다

60

있다 따라서 K-ETS의 감축목표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로 설정된

2030년 BAU 비 37 감축과 연동되어 설정된다 제2차 계획기간

(2018년부터 2020년)동안 K-ETS는 매년 5477백만톤(3개년 총 1643

백만톤)을 사전할당하였는데 이는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02를 차지한다34)

EU 역시 역내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을 위한 정책 수단으로 ETS

를 도입middot운영하고 있으며 역내 국가들의 감축목표 총합을 고려하여 할

당계획을 수립한다는 점에서 한국과 유사하다 EU는 2020년까지 90년

비 20 2030년까지 90년 비 40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였

다 EU-ETS 제3기 할당계획에 따르면 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역내

전체 배출량의 약 45에 달하는 ETS 부문에서 2013년도 배출허용량

2084백만톤을 기준으로 2020년까지 매년 3826백만톤씩 배출허용량

을 일률 감축하도록 하고 있다35)

2020년까지 기간을 고려하면 EU-ETS가 K-ETS에 비해 엄격한 감축

목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K-ETS의 경우 2015년도 할당량을

기준으로 2020년까지 연평균 07이내로 감축하는 수준이므로

EU-ETS가 K-ETS에 비해 감축의 강도가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36)

그럼에도 불구하고 EU-ETS의 경우 제2기(2008~2012)에 발생한 잉여

배출권의 상당량이 제3기로 넘어와 시장 내 배출권 공급 과잉과 그로

34) 환경부 보도자료(2018724) 및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2019) 참조35) 2008년에서 2012년까지의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의 174에 달하는 감축량을 매년

동일하게 감축하는 것으로서 이는 2013년도 배출허용치 비 2020년까지 연평균 194 감축에 해당한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홈페이지(httpswwwemissions-euets comcarbon-market-glossary872-european-union-emissions-trading-system-eu-ets)를 참조하라

36) K-ETS 제1차 할당계획의 2015년도 사전할당량에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에 따른 2017년 추가할당량과 조기감축실적 3개년 평균을 적용한 값과 2019년 2차 계획기간 할당계획 변경안의 2020년 사전할당량을 비교하였다(환경부 2014 관계부처합동 2017 환경부 2019 참조)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1

인해 배출권 가격이 비교적 낮게 형성되고 있다37) 따라서 감축목표

엄격성의 절 적 수준이 아닌 그로 인한 배출권 시장의 영향이라는 관

점에서 본다면 현재까지는 두 시장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고 단정 짓

기는 곤란하다

나 할당방식

K-ETS와 EU-ETS 간 할당방식에 있어서 특징적인 차이는 (i) 유상

할당의 규모 (ii) 간접배출에 한 할당 여부에 있다

먼저 K-ETS는 무상할당이 기본이 되는 할당방식을 가진데 비해

EU-ETS는 상당 수준의 배출권을 유상으로 할당한다 K-ETS는 제2차

계획기간부터 일부 유상할당의 요소를 도입하고는 있으나 2020년까지

는 전체 할당량의 3 이내에서 유상할당하며 2020년 이후에는 전체

할당량의 10 이상을 유상으로 할당할 계획이다 K-ETS의 무상할당

은 기본적으로 과거 실적에 기반한 할당(Grandfathering)방식을 따르지

만 발전 집단에너지 산업단지 정유 시멘트 항공 폐기물 등 7개 업

종에 한해 벤치마크 방식에 기반한 할당을 적용하고 있다(환경부

2019) 반면 EU-ETS는 기본적으로 경매에 기반한 유상할당 방식을

따르고 있다 제3기 총 배출권의 약 57가 유상할당으로 배분되는데

발전부문은 거의 부분 유상할당하며 국제경쟁에 노출되는 산업부문

37) EU-ETS 할당배출권 가격은 2013년 이후 부분의 기간에서 10유로 미만으로 형성되어 오다가 최근 들어서야 20유로를 넘어섰다 반면 K-ETS의 KAU17 평균거래가격은 약 22천원 수준으로 현재(2018년 12월말 기준) EUA 가격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홈페이지 httpssandbagorgukcarbon-price-viewer 및 삼정KPMG Issue Monitor 제87호 참조)

62

은 상당량을 무상으로 할당하고 있다38)

K-ETS가 다른 ETS 시장과 구분되는 큰 특징 중 하나는 전력 열 등

의 최종소비자의 간접배출에 해서도 배출권을 할당하고 규제를 한다

는 점이다 부분의 ETS 시장은 직접 배출만을 규제 상으로 삼고

배출권을 할당한다 K-ETS에서 간접 배출을 규제하는 이유는 전력이

나 열 소매요금에 발전사들의 배출권 비용을 전가하기 어려운 구조이

기 때문이다

다 유연성 메커니즘

1) 상쇄제도

K-ETS의 상쇄는 국내에서 시행된 외부감축사업에서 획득한 감축실

적과 국내 업체가 해외에서 직접 시행하여 획득한 CDM 사업에 한해

인정된다 이때 의무이행에 사용할 수 있는 외부감축실적은 할당업체

별로 전체 배출권의 10 이내에서 인정되는데 이중 해외에서 시행해

서 획득한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은 각 이행연도 의무이행량의 5까지

만 인정된다(환경부 2019)

반면 EU-ETS는 지난 제2기(2008~2012)에 국가별 할당계획(NAP

National Allocation Plan)에 따라 결정된 국가별 상쇄한도 중 사용하

고 남은 양은 모두 제3기로 이전해 사용가능하다 그러나 예외적인 조

치로서 HFC-23이나 아디핀산 N2O 관련 프로젝트에서 나온 상쇄배출

권은 통용되지 않으며 제3기부터는 최빈개도국에서 시행된 CDM 프

로젝트의 크레딧만 허용한다 전체적으로 EU-ETS는 역내 상쇄배출권

38) 자세한 사항은 다음 웹사이트를 참조하라(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allowances_en) 산업부문에 한 무상할당은 2020년 30까지 점진적으로 줄여나갈 예정이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3

의 허용량이 2008년부터 2020년까지 역내 총 감축량의 50 이내가

되도록 한다는 원칙을 견지하고 있다(IETA 2014 ICAP 2019c)

EU는 역내 온실가스 감축노력 증진을 위해 제3기에는 상쇄를 엄격

히 제한해 왔으나 2021년 이후의 상쇄 제도에 해서는 아직 K-ETS

및 EU-ETS 모두 결정된 바 없다(ICAP 2019c)

2) 이월

K-ETS는 당초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였으나 시장 유동성 확보 차원

에서 제2차 계획기간 부터는 이월을 일정 수준에서 제한하고 있다 제

1차 이행연도의 경우 배출권(할당 및 상쇄) 순 매도량의 3배 이내이거

나 125만톤 이상 배출업체의 경우 75만KAU 25만톤 이상 배출 사

업장을 가진 업체의 경우 15만KAU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 이월을

허용한다 제2차 이행연도에는 배출권 순 매도량의 2배 이내 또는

125만톤 이상 배출업체의 경우 5만KAU 25만톤 이상 배출 사업장을

가진 업체의 경우 1만KAU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 이월을 허용한다

마지막 3차 이행연도에는 제2차 계획기간 연 평균 배출권 순 매도량

또는 125만톤 이상 배출업체의 경우 25만KAU 25만톤 이상 배출 사

업장을 가진 업체의 경우 05만KAU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 3차 계획

기간의 첫 번째 이행연도로만 이월을 허용하고 있다(환경부 2019) 반

면 EU-ETS는 별도 제한없이 전량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고 있다

3) 차입

K-ETS는 제2차 계획기간의 제1차 이행연도에는 배출권의 15 이

내에서 그리고 제2차 이행연도에는 배출권의 15에서 직전년도 차입

64

비율의 절반을 제한 비율까지 차입을 허용한다 그러나 계획기간 간

차입은 허용하지 않는다(환경부 2019) EU-ETS는 원칙적으로 차입을 허

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EU-ETS는 계획기간 내 이행연도별로 할당배출

권을 구분하여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의무이행 시점과 배출권 할당 시

점 간 차이를 활용하면 배출권 차입이 사실상 가능한 구조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EU-ETS의 배출권 할당은 매년 2월말에 이루어지는데 반

해 직전년도 이행실적에 한 배출권의 제출은 매년 4월말까지 이므로

당해 연도에 할당된 배출권을 직전년도 의무 이행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39) 이는 K-ETS처럼 배출권을 할당연도별로 관리하지 않기 때문

이다 따라서 비록 EU-ETS가 형식적으로는 계획기간 내 차입을 허용

하고 있지 않으나 실질적으로는 계획기간 내 차입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4) 가격 및 공급관리

K-ETS는 배출권 가격이 단기간에 급격히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경

우 그리고 배출권 수요에 비해 공급이 현저히 적은 경우 시장안정화를

위해 규제 당국이 시장에 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배출

허용총량 이외에 별도로 시장안정화 조치에 사용할 수 있도록 14백만

톤의 배출권을 예비분으로 배정해두고 있다 또한 시장 유동성 제고를

통한 거래 촉진을 유도하기 위해 시장조성을 위한 예비분 5백만톤을

추가로 배정하여 배출권 시장의 가격 및 수급을 관리하고 있다(환경부

2019)

39) 자세한 사항은 다음 웹사이트(httpswwwemissions-euetscomborrowing)를 참조하기 바란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5

한편 EU-ETS는 K-ETS와 같은 직접적인 시장 개입을 하고 있지는

않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상할당 배출권의 경매 연기조치

(Backloading)과 2020년 이후 본격적으로 도입될 배출권 비축제도

(Market Stability Reserve MSR) 등을 통해 배출권 가격 및 공급을 관

리하고 있다

라 의무이행 관련 사항들

K-ETS는 도입 당시부터 EU-ETS에서 적용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

정 방식을 상당부분 차용하였기 때문에 배출량의 산정middot보고 및 검middot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일부 차이는 있지만 거의 유사한 수준이라고 해도 과

언이 아니다

페널티의 경우 K-ETS는 배출권 평균 가격의 3배 또는 최 톤당 10

만원에서 결정되며 EU-ETS는 톤당 100유로 수준이므로 큰 차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다만 K-ETS는 과징금을 납부할 경우 의무미준수량에

한 별도의 추가 제출 의무가 없는데 비해 EU-ETS는 과징금과 별도

로 후속연도에 미준수량에 한 배출권 제출 의무가 부과된다는 차이

를 가진다(박수경 외 2018)

lt표 -1gt은 지금까지 살펴본 우리나라와 EU의 배출권거래제를 상

세하게 요약middot비교한 것이다

66

lt표 Ⅴ-1gt 우리나라와 EU의 배출권거래제 비교

국가 한국 EU

목표의 엄격성2020년까지 2015년도 할당량 기준 연평균 07 감축

2020년까지 2008-2012년의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의 174 균등 감축

배출량 제한 2018~2020년 5477MtCO2e2013년 2084 MtCO2e 2020년까지 매년 3826MtCO2e 감축

탄소상쇄 수량

할당된 배출권의 최 10 국내 탄소상쇄 및 CDM 사업에 한해 인정해외 상쇄는 5까지 인정

전체 EU-ETS 상쇄 허용량이 2008년~2020년 총 감축량의 50 이내로 관리제3기부터 최빈국의 청정개발체제 배출권만 사용 가능

가격 및 공급관리

비축분의 최 25까지 조기 경매 정부 시장 개입 가능

시장의 과잉공급 정도에 따라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배출권 공급량 조정

배출권 할당1단계 100 무상할당2단계 97 무상할당3단계 90 무상할당

산업부문은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적용범위발전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건물 폐기물 국내 항공 CO2

및 5 온실가스

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EU 역내 항공 CO2 및 N2O PFCs

준수기간 2015~2025 2013~2020

규제방식 하향식 방식 직접+간접배출 하향식 방식

이월차입이월제한 있음계획기간 내 차입 가능(기업 할당량의 최 10)

무제한 이월 가능차입은 원칙상 허용되지 않으나 계획기간 내 차입이 가능한 구조

페널티 제도배출권 가격의 3배 최 1톤당 10만원

1톤당 100 Euro의무 미준수량만큼 할당에서 공제

자료 Carbon Market Watch Report(2015) 박수경 외(2018) 등의 구성을 참고하여 국내외 문헌 및 웹사이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저자가 직접 재구성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7

2 K-ETS와 EU-ETS 연계 시 예상 쟁점들

가 감축목표

앞서 지적하였듯이 EU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2030년까지 1990년

배출량 비 4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어 BAU 비 37 감축목표

를 제시한 우리나라에 비해 더 엄격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두

시장의 연계에 한 논의가 본격화될 경우 EU 측에서 한국의 국가 감

축목표를 EU 수준에 근접하게 상향하거나 ETS 상 부문에 해 국

가 전체 감축률을 상회하도록 할당규모를 조정할 것을 요구할 수 있

다 물론 우리나라 정부의 입장에선 이러한 EU측의 요구를 전적으로

수용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 경우 한국의 제조업middot에너지다소비업종

중심의 산업구조로 인해 외견상 감축목표 수준과 달리 상당히 높은 한

계감축비용에 직면하고 있음을 적극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해서 한 가지 주목할 점은 한국에 비해 강한 감축목표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EU-ETS의 배출권 가격이 감축목표 강도를 제 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EU-ETS와 비교해 본다면 K-ETS

는 외견상 감축목표에 비해 배출권 가격이 상당히 높은 수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여기에는 감축목표의 지속적인 강화에 한 기 가

미친 영향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배출권 가격은 참여기업

들이 직면하는 한계감축비용의 수준을 투영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외

견상의 감축목표 강도에 비해 K-ETS 참여기업들의 실제 감축부담은

상당히 높은 편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추후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제기될 것으로 예상되는 EU측의 감축목표 상향 요구에 한

응논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40)

40) 이와 함께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하는 추세인데 반해 EU는 감소하는

68

나 할당방식

1) 간접배출의 포함 여부

K-ETS는 발전부문의 직접배출뿐만 아니라 전력이나 열 수요자의

간접배출에 해서도 배출권을 할당한다 이는 (i) 전력이나 열 소비

요금에 배출권 제반 비용을 전가하기 용이치 않은 우리나라 전력middot열

시장의 구조적 한계를 보완하고 (ii) 적정 수의 시장참여자를 보장하기

위해서이다41) 간접배출의 포함 여부가 직접적으로 배출권 시장 연계

전후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은 극히 제한적이므로 일견 시장 연계 시

쟁점사항이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간접배출에 해 할당을 할 경우

(i) 이중계산(double counting)의 문제 (ii) 횡재이윤(windfall profits)의

문제점이 제기될 가능성이 높다

먼저 전력이나 열의 생산자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도 배출권을 할당

하므로 이중계산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부문에서

100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였다고 할 때 100톤의 감축량 중 발전부문

자체의 노력(전원믹스 개선 발전효율개선 등)의 기여분과 최종소비자

의 수요 감축 노력의 기여분을 명확하게 분별할 수 없다면 이중계산의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42)

다른 한편 횡재이윤의 발생도 가능하다 발전부문에 한 배출권 할

당량은 발전부문 자체의 노력을 감안한 목표 감축량과 수요 측의 절감

추세에 있으므로 단순히 외견상의 감축률만으로 감축의 강도를 판단해선 안되며 K-ETS의 높은 탄소가격에는 그러한 측면이 반영되어 있다는 주장도 유용한 응논리가 될 수 있다 이를 지적해준 익명의 심사위원께 감사드린다

41) 만일 간접배출을 할당에 포함시키지 않을 경우 전력이나 열 등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다수의 기업들이 배출권거래제 적용 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다

42) 실제 감축량은 직접배출 기준으로 계산한 전체 감축량에서 최종소비자의 간접배출 부문 감축량을 제외해야만 이중계산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9

노력을 반영한 목표 감축량을 함께 고려하여 정해진다 만일 발전부문

의 자체 노력에 따른 감축량이 목표량에 미달하더라도 수요 측 절감노

력이 목표량을 초과할 경우 목표를 충족시키거나 초과달성할 수 있으

므로 횡재이윤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상의 문제는 EU-ETS와 연계 과정에서 제기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그러나 간접배출에 한 할당의 포함여부에 관한 논의는 궁극적

으로는 우리나라의 전력 또는 열 시장에 한 제도적 변화에까지 이어

지기 때문에 에너지 정책의 자율성과도 직결된 문제이므로 시장 연계

시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2) 유상할당의 수준

2020년 이후 EU-ETS는 기본적으로 발전부문뿐만 아니라 산업부문

에 해서도 유상할당이 중심이 되는데 비해 K-ETS는 여전히 부분

을 무상으로 할당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EU-ETS 참여 기업들을

중심으로 산업경쟁력 및 탄소누출의 우려를 제기하면서 K-ETS에 유

상할당의 비중을 상당 수준으로 높일 것으로 요구할 가능성을 배제하

기 어렵다 우리나라 업체들은 산업경쟁력 유지를 위해 온실가스 배출

권거래제도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최소 유상할당 비율 유지를 강하게

주장할 것이므로 K-ETS에서의 유상할당 비율은 매우 첨예한 쟁점사항

으로 부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 상쇄제도

아직 글로벌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에

70

서 두 시장의 상쇄제도의 차이가 시장 연계에 걸림돌로 작용할지는 현

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2021년부터 2030년까지 EU는 ETS 분야에서

1990년 비 43 Non-ETS 분야에서 30 감축을 통해 EU 자체적

(domestic)으로 최소 4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43) EU 자체 노력

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최소 목표치를 공식적으로 선언하였으므로

EU-ETS 할당 시 적어도 동 목표에 해당하는 수준까지는 역외 크레딧

사용을 허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44)

여기서 주목할 사항은 만일 EU가 배출권 시장 연계를 허용한다는

것은 결국 자신의 온실가스 최소 감축목표치를 사전에 공표한 수치 이

상으로 설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배출권 연계는

기본적으로 역외의 타 시장 배출권을 역내 의무사용에 활용하는 것이

므로 역내 최소 감축 목표치보다 목표를 상향해서 할당하지 않을 경우

엔 사전에 공표한 자체 감축노력에 의한 최소 감축목표를 근본적으로

달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EU와의 배출권 시장 연계가 논의되는 이상 EU-ETS는 적어도

이미 공표된 온실가스 감축 최저 목표치를 상회하는 목표를 설정할 공

산이 크다 EU-ETS가 도전적인 목표치를 설정하고 배출권 시장 연계

를 허용한다고 할 때 일정한 제약(예를 들어 최저 목표치에 해당하는

감축량을 초과하는 한도) 하에서 연계된 시장의 배출권과 더불어 역외

크레딧을 허용할 가능성이 높다 여기서 역외 크레딧에는 현재 논의되

43) European Commission COM(2016) 482 final 참조44) 여기서 EU가 제시한 온실가스 배출량의 40 자체 감축(ldquoa 40 domestic reduction

in economy-wide greenhouse gas emissionsrdquo)의 의미를 이중계산(double counting)이 허용되지 않는 상황에서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해 최종적으로 정산한 이후 EU가 자체적으로 레지스트리에 보유하고 있는 배출량을 기준으로 한다고 해석할 여지도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자체 감축(domestic reduction)의 의미를 순수하게 자신의 노력을 통해 감축한 역내 배출량으로 간주하기로 한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1

고 있는 시장 메커니즘인 UNFCCC의 관리middot감독 하에 운영되는 지속

가능발전 메커니즘과 협력적 접근법에 따라 EU와 자발적 협력 체결을

통해 발생한 감축실적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45)

한 가지 유의할 점은 EU뿐 아니라 우리나라와도 동시에 자발적 협

약을 체결한 국가에서 감축한 실적의 경우는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겠

지만 우리나라와만 자발적 협약을 체결한 경우에 해당 국가에서의 감

축실적을 K-ETS에서 상쇄로 허용하는 것이 또 다른 쟁점이 될 수 있

다는 점이다 만일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시장 메커니즘이 포괄적인

원칙에 해서만 합의가 이루어지고 세부 사항은 국가 간 자발적 협약

에 맡기는 방식이 될 경우 EU에서는 자신의 기준에 맞지 않는 자발적

협약에 따른 감축실적을 상쇄로 허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46) 이는

EU-ETS 제3기에 UNFCCC하의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을 최빈개도국가

들에서 만들어진 것 이외에는 허용하지 않는 사례에서 보듯이 충분히

생각해볼 수 있는 시나리오이다 그러할 경우 상쇄제도의 국가 간 세

45) 연계된 시장의 배출권을 EU-ETS의 의무이행에 활용한다는 것이 파리협정 하의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ITMO를 활용하는 것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배출권거래제도의 연계가 두 당사국 간의 상호 자발적인 협력 체결을 통해 이루어지며 중요한 감축수단의 하나라는 점에선 유사하지만 엄 한 의미에서 배출권거래제의 연계가 파리협정의 협력적 접근법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지 않는다 협력적 접근법에서 말하는 ITMO는 감축활동의 결과물로서 나온 감축실적인데 반해 배출권거래제도 상의 배출권은 배출을 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므로 양자의 성격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감축실적과 배출허가권이 일 일로 매칭될 수 없기 때문이다 배출권거래제도는 자국의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국내적 정책 수단의 하나이지 파리협정이라는 국제 협약의 틀 내에서 논의되는 시장 메커니즘과는 서로 다른 차원의 제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리협정에서의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감축실적은 배출권거래제도의 상쇄배출권의 형태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배출권 시장 연계가 협력적 접근법에 따라 자발적 협력 체결이 이루어진 국가들 간에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관점에서 배출권 시장 연계와 협력적 접근법이 직접적 연관성을 가지지는 않지만 서로 간에 높은 연관성이 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된다

46) 반 로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시장 메커니즘이 국가 간 자발적 협약에 한 구체적인 사항까지 규정하는 방식으로 합의가 된다면 논란의 여지는 훨씬 줄어들 것이다

72

부적 차이는 배출권 시장 연계에 있어서 쟁점사항으로 부각될 것이다

다만 K-ETS의 경우 해외상쇄를 전체 배출권의 5이내로 제한하고 있

어서 EU-ETS 시장에 한 공급 충격이 크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EU와 스위스 간의 ETS 연계 사례에서 보듯이 상쇄제도의 차이가 심

각한 장애요인은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라 기타 사항들

앞서 논의한 쟁점들 이외에 이월 차입 시장관리 등 여타의 사항들

은 이론적으로는 시장 연계 시 쟁점이 될 수 있으나 적어도 K-ETS와

EU-ETS 간의 연계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첫째 이월의 경우 현재 EU-ETS는 제한없이 허용하는데 반해

K-ETS는 이월에 한 제한을 두고 있다 그러나 2021년부터 2030년

까지의 계획에 따르면 EU는 이월을 허용하되 누적 이월량이 일정 수

준을 넘어 과도할 경우 제한을 둘 계획이다47) 따라서 양 시장에서 이

월 제도의 약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할 것이므로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쟁점으로 부각되지 않을 것이다

둘째 차입의 경우에도 2021년부터 2030년까지의 계획에 따르면 EU

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차입을 허용할 방침이므로 K-ETS의 차입 허용

이 연계 시 큰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48)

셋째 배출권 가격 및 공급 관리의 관점에서 보면 EU-ETS에 비해

K-ETS가 정부의 시장개입이 더 용이한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그 이

47) 다음의 홈페이지(httpseceuropaeuclimapolicieseffortregulation_en)를 참조하라48) 다음의 홈페이지(httpseceuropaeuclimapolicieseffortregulation_en)를 참조하라 또

한 앞서도 언급하였지만 EU-ETS는 현재 차입을 허용하고 있지 않지만 배출권 할당 시점과 제출 시점의 차이로 인해 사실상 차입이 허용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3

유는 K-ETS의 낮은 시장 유동성에 따른 배출권 공급물량 부족이 주요

원인이다 따라서 보다 큰 규모를 가진 EU-ETS 시장과 연계하는 경우

구태여 현재와 같은 K-ETS의 가격 및 공급 관리 제도를 유지하지 않

아도 무방하므로 두 시장 간의 연계 과정에서 장애요인이 되지 못할

것이다

3 배출권 시장 연계 방식별 편익 비용 그리고 시사점

가 시장 연계 유형별 편익 비용 비교

K-ETS와 EU-ETS 시장을 서로 연계한다고 할 때 연계하는 방식은

앞의 제3장에서 제시한 것들 중 하나가 될 것이다 그 중에서 완전통

합형 방식의 직접 연계는 사실상 현실적으로 가능한 안이 아니라고

보고 여기서는 쌍방향 연계 방식의 직접 연계와 단방향 연계 외부 크

레딧을 통한 간접 연계 등의 장middot단점을 비교해보기로 하자49)

1) 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배출권거래제는 사실상 자국의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자발적 감

축행동이다 배출권 시장의 쌍방향 직접 연계는 두 당사국이 자발적으

로 협력하여 이중계산 방지의 원칙 하에서 서로의 배출권 레지스트리

를 연계하여 서로의 배출권이 자유롭게 거래되고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49) 완전 통합형의 경우 두 시장을 하나의 시장으로 완전히 통합하는 것이므로 각 시장을 관할하던 정부들의 자율성이 전혀 보장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의 연계를 우리나라 정부에서 용인할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이므로 여기서는 완전통합형 연계 방식은 다루지 않기로 한다

74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은 크게 보면 다시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rsquo과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rsquo으로 나뉠 수 있다50) lsquo완전 쌍

방향 직접 연계 방식(이하 완전 쌍방향 방식)rsquo은 두 시장의 규제 당국

이 일정한 자율성을 가지고 배출권거래제도의 설계요소를 결정하되

각 시장의 배출권이 어느 시장에서든지 수량에 제한없이 의무이행에

전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연계 방식이다 스위스-EU 캘리포니아-퀘벡

등 현존하는 배출권거래시장 연계 사례는 모두 lsquo완전 쌍방향 방식rsquo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K-ETS가 EU-ETS와 이러한 방식으로 연계할 경우 예상되는 일차적

인 편익은 비용효과성 제고 및 규모 시장에 한 접근성 제고를 통

한 유동성 확 와 이를 통한 시장 가격 안정성 확보이다 앞에서도 살

펴보았듯이 배출권 시장의 연계는 기본적으로 두 당사국의 참여업체

비용부담을 완화시켜 준다 또한 시장 규모의 확 로 인해 시장 유동

성이 확 되고 배출권 시장가격의 변동성을 낮출 수 있다

이상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완전 쌍방향 방식이 가진 다음과 같은 단

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완전통합형에 비해서는 정도가 덜하지만 규제 당국의 정책 자

율성이 일정 수준 침해받을 우려가 있다 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의 특성 상 ETS 부문 감축목표 설정 할당방식 등 주요 배출권거래제

도 설계요소를 완전히 일치시킬 필요는 없지만 연계 상 방과 상당 수

준까지 보조를 맞추어야 한다 만약 양측의 설계요소 간 차이가 크다

면 이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핵심 설계요소를 조정해야 하는 당사국의

경우 일정 수준의 정책 자율성을 포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50) Ranson and Stavins(2015)를 비롯한 기존의 연구는 쌍방향 연계를 여기에서처럼 다시 두 가지로 구분하지 않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5

둘째 할당방식에 차이가 있을 때 특히 참여업체들의 비용과 직결되

는 유상할당의 규모 면에서 차이가 클 경우 연계 과정에서 쟁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두 시장간 유상 할당 비중의 차이가 클 경우

유상할당 중심의 국가에서 탄소누출 등을 이유로 유상할당 비중에

한 조정을 요구하고 이로 인해 유상할당의 비중이 늘어날 경우 연계

이전에 비해 무상할당 중심 시장의 참여업체들 비용부담이 크게 늘어

날 수 있다

K-ETS와 EU-ETS 간 연계를 상으로 생각해보면 K-ETS와

EU-ETS는 시장 규모 등의 측면에서 큰 차이가 나므로 시장 연계 과

정에서 K-ETS의 주요 설계요소를 EU-ETS와 근접하게 가져가야 할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ETS 부문의 감축목표 상향 간접배출에

한 할당방식의 조정 등 주요 설계요소에 해 EU-ETS와 유사하게 수

정해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에너지 및 온실가스 감축정책에 한 한

국 정부의 자율성이 침해받을 우려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유상

할당 중심의 EU-ETS와 달리 K-ETS는 무상할당이 주가 되므로 EU측

에서는 역내 산업경쟁력 및 탄소누출을 우려하여 K-ETS에도 상응하

는 수준의 유상할당을 요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끝으로 이론적 논의에서 잠깐 살펴보았듯이 lsquo완전 쌍방향 연계rsquo 방

식이 환경적 편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불분명하다51) 만일 시장 연

계 과정에서 한 당사국에서 상 편의 온실가스 감축목표가 자신과 상

응하지 못하다고 판단하여 감축목표 상향 조정을 요구하고 시장 연계

의 협의 과정에서 이것이 받아들여진다면 두 시장을 합한 전체 온실

가스 감축목표가 강화되어 lsquo온실가스 감축rsquo이라는 환경적 편익이 증

51) 제2장에서 논의한 Helm(2003) 및 Carbone et al(2009)의 연구 결과에 한 소개를 참고하라

76

할 수 있다 하지만 반 로 연계 이후의 국내 업체들의 감축비용 부담

이 늘어날 경우 규제가 상 적으로 느슨한 제3의 국가로 생산설비를

이전하는 탄소누출이 일어날 수 있다 이때 배출집약도가 높은 제3국

가로 생산설비가 이전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글로벌 차원에서는 온실가

스 배출량이 늘어날 수도 있다52) 즉 연계에 따른 감축목표의 상향이

업체의 부담을 높이고 이로 인한 탄소누출로 인해 오히려 전 지구적

인 차원에서 환경건전성은 나빠질 수도 있다 EU-ETS와의 연계에 따

른 환경건전성의 득실은 일률적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시장 연계의

환경적 편익을 예단하기 어렵다53)

2) 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 방식(이하 부분 쌍방향 방식)은 두 시장의

규제 당국이 자율성을 가지고 배출권거래제도의 설계요소를 결정하며

각 시장의 배출권을 어느 시장에서도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

에선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과 동일하나 의무이행에 활용되는 배출권의

수량에 제한을 두는 방식을 말한다 이는 사실상 두 시장이 서로 상

방의 배출권을 일정 비율 내에서 상쇄배출권처럼 활용하는 상황과 동

일하다

52) 예를 들어 상 적으로 친환경적인 전원믹스를 가진 국가에서 생산하던 업체가 유상할당 비중 증가로 인한 감축비용부담 상승으로 인해 제3의 국가로 생산설비를 이전한다고 하자 이 경우 설령 생산설비 이전과 이후에 동일한 에너지 투입 비 생산효율을 보인다고 가정하더라도 제3 국가의 전원믹스가 덜 환경친화적이라면 해당 업체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늘어나게 된다 이때 제3국으로 이전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분이 배출권 연계 이후 감축목표 상향에 따른 감축량 증가분을 초과한다면 전 지구적인 관점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은 순증하게 된다 결국 배출권 시장이 연계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연계 이후의 환경적 건전성은 오히려 악화된다

53) 이처럼 환경건전성과 관련한 연계 유형별 득실은 모호한 부분이 크므로 이후의 편익 비용 비교에 관한 논의에서 환경건전성은 제외하기로 한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7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의 경우에도 비록 제한된 수량 범위 내이긴 하나

연계를 통해 전체 시장 규모가 확 되므로 연계 이전에 비해 시장 유

동성을 제고하고 배출권 가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두 시

장의 배출권 가격 차이를 이용해 거래를 통한 비용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다 다만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과는 달리 활용가능한 상 편 배출권의

수량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두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하나의 가격으로

수렴되지는 못하고 일정한 차이를 두면서 각 시장가격의 자율성이 일

정 수준에서 유지되는 움직임을 보이게 된다54) 다만 경제적 효율성의

관점에서 보면 거래가능 수량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

식에 비해 일정 정도의 비효율성은 불가피하다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의 연계는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과는 달리 일정 범

위 내에서만 서로의 배출권의 활용을 허용하므로 가격 공급량 등에서

각 시장이 가진 독자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중계산의 문제

MRV의 투명성과 등가성 등의 기본 원칙이 준수되는 한 상 편 시장

은 상쇄배출권 거래를 위해 활용가능한 일종의 유연성 기제로서 간주

될 수 있다 따라서 두 시장을 합쳐 하나의 시장으로 바라보는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각 시장 운영의 자율성을 확보하기가 용이

하다 유사한 맥락에서 유상할당 규모에 차이가 존재하더라도 상 편

의 시장을 상쇄배출권 활용을 위한 기제로 간주하는 이상 할당방식의

차이를 상응되게 조정하고자 하는 정치적 압력도 크지 않을 것으로 전

망된다

54)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의 경우도 거래비용 등으로 인해 두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완전히 하나로 수렴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의 경우 두 시장의 가격 차이는 거래비용 등의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는 차이를 넘어선 수준에서 각 시장가격이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

78

요컨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연계할 경우 상 편 배출권의 활용

가능 비율이 줄어들수록 경제적 비효율성은 커지는 반면 시장 운영 및

제도 설계의 자율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이는 소규모 시장인

K-ETS가 규모 시장인 EU-ETS와 연계할 때도 유사하게 적용될 것

으로 전망된다

3) 단방향 연계 방식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방향 연계 방식은 어느 한 배출권 시장에

서는 상 편 시장의 배출권을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으나 그 반 는

허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단방향 연계는 타 시장의 배출권을 허용하는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허용하지 않는 시장의 배출권 가격에 비해 낮을

경우에만 실효성을 가지며 그렇치 않을 경우엔 실효성이 떨어진다 타

시장 배출권을 허용하지 않는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높게 형성되고 있

다면 단방향 연계에 따른 배출권 거래가 일어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55)

그러나 그 반 의 경우엔 상 편의 저렴한 배출권을 의무 이행에 활용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향상된 시장 접근성을 가질 수 있고 그로 인

해 시장 유동성 제고 가격 안정성 확보 및 감축비용 부담 완화라는 편

55) 이러한 경우에는 사실상 두 배출권 시장이 독립적으로 작동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우에 따라 시장 연계가 실효성있게 작동하는 상황도 발생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계가 허용된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 공급량이 부족할 경우엔 의무 이행을 위해 비싸더라도 배출권을 구매하려는 수요가 생길 수 있다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낮게 형성되고 K-ETS만 EU-ETS 시장과 일방향으로 연계된 상황을 상정해보자 통상적으로는 K-ETS 참여업체들은 비싼 EU-ETS 시장의 배출권을 구매하지 않으려 하겠지만 만일 K-ETS 시장에서 부분의 업체들이 잉여배출권을 이월하려고 해서 의무이행을 위한 배출권 구입 자체가 어려울 경우엔 단방향 연계 방식도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장에서 배출권 구입이 어려운 업체들은 비싸더라도 EU-ETS에서 배출권을 구매해서 의무이행을 할 것이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9

익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단방향 연계가 실효적인 상황 즉 연계를 허용하지 않은 국가

의 배출권 가격이 더 낮게 형성되는 경우엔 연계를 허용하는 국가의

정책 자율성이 보장받기 용이할 것으로 평가된다 왜냐면 연계를 허용

하지 않는 국가의 배출권 가격이 낮다는 의미는 ETS 부문의 감축목표

의 강도가 상 적으로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계를 허용치

않는 측에서 허용하는 측에 감축목표의 상향 등 주요 설계요소의 변화

를 덜 요구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단방향 연계는 다른 여타의 방식에 비해 연계를 허용하는 측

에 상당히 유리한 연계 방식이다 그러나 연계를 허용치 않는 시장에

서 얻는 편익이 거의 없기 때문에 앞서 살펴본 EU-호주 배출권 시장

연계 시도 사례에서 보듯이 본격적인 쌍방향 연계를 위한 준비기에 일

시적으로 운영되는 경우를 제외하곤 지속되기 어려운 실현 가능성이

낮은 방식이다

4) 외부 크레딧을 통한 간접 연계

끝으로 각 시장이 완전히 독자적으로 운영되면서 외부 크레딧을 통

해 간접적으로만 연계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현재 파리협정 하에서

의 시장 메커니즘 중 하나인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이나 협력적 접근

법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실적을 K-ETS와 EU-ETS가 상쇄배출권으로

활용하도록 할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 경우 양 시장을 운영하는 정부의 정책 자율성은 완전히 보장되는

반면 시장이 사실상 분리되어 있으므로 연계를 통한 직접적인 경제적

편익은 발생하지 않는다 상쇄배출권의 유입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서

80

로 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배출권 연계의 효과가 제한적이다 특히

상쇄로 활용 가능한 외부감축사업은 사업 발굴부터 크레딧의 발생 및

활용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K-ETS와 같이 수급 불

균형에 따른 유동성 부족 및 배출권 가격 불안정성을 경험하고 있는

경우엔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연계의 실질적인 효과를 기 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리협정에 따른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지침이

마련이 되고 감축사업이 본격화될 경우 이를 K-ETS에 연계시킬 필요

는 있다 물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의 시장 메커니즘은 이중계

산이 허용되지 않은 상황에서 모든 국가가 자국의 감축목표를 충족시

켜야 하므로 배출권 시장에서 활용 가능한 배출권 규모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앞에서 다룬 쌍방형 직접 연계와 함께 보조적

으로 사용된다면 효과성은 커질 것이다

나 K-ETS와 EU-ETS 간 연계를 위한 시사점

여기서는 다양한 연계 유형별 편익과 비용에 한 논의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과 EU 배출권 시장 간의 연계를 위한 시사점을

검토해보기로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가장 바람직한 연계의

방식은 시장 유동성과 비용효과성도 제고하면서 에너지 및 기후정책의

자율성을 최 한 확보할 수 있는 단방향 연계일 것으로 전망된다 즉

K-ETS는 EU-ETS 시장에 한 접근성을 가지나 EU-ETS는 K-ETS에

한 접근성을 허용하지 않는 방식이 가장 K-ETS에 유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시장 연계는 본격적인 시장 연계를 위한 준비기와 같은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81

예외적인 상황을 제외하고는 EU측에서 연계에 동의하지 않을 가능성

이 높아 실현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보인다

K-ETS를 운영하는 우리 정부 입장에서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과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 중 어느 쪽이 더 바람직한지 여부는 두 시장

의 시장 연계 전 배출권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따라 함의하는

바가 달라질 수 있다

먼저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

격에 비해 낮은 경우에 해 고려해보자 이 경우 시장 연계 이후에는

K-ETS 배출권 수요 증가로 K-ETS 가격은 상승하고 EU-ETS 배출권

의 가격은 낮아지게 된다 비용효과성의 측면에서 비록 K-ETS 참여업

체 중 배출권 순 구매자들의 구매 비용은 증가하겠지만 순 판매자들은

높아진 가격 상승의 혜택을 보게 되며 이론적으로는 전체적인 비용효

과성은 향상된다 그러나 연계 이전에 배출권 공급량 부족으로 유동성

문제에 고질적으로 시달리는 K-ETS의 입장에서 유동성 제고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 왜냐하면 K-ETS 배출권 가격이 상 적으로 낮기

때문에 K-ETS 배출권 수요가 늘어나고 이로 인해 K-ETS 배출권 확보

가 더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책 자율성의 측면에서 K-ETS 배

출권 가격이 상 적으로 낮다는 것이 EU측에 외형상뿐만 아니라 실질

적으로도 한국의 감축목표 강도가 약하다는 신호로 작용하여 감축목표

상향에 한 요구가 강해질 수 있다 한편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EU측이 유상할당의 비중을 상응하게 조정하자고 요구할 때 이를 거부

할 논거가 마땅치 않다 특히 한국의 감축목표 강도가 낮다는 선입견

은 유상할당 비중의 확 를 뒷받침해주는 또 다른 논거로 작용할 가능

성이 있다 만약 연계 이후 그러한 정치적 압력의 결과로서 실제로 유

82

상할당 비중이 늘어날 경우 참여업체의 경제적 부담이 커지게 되며 시

장 연계에 한 국내 업체들의 수용성은 크게 악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낮은 경우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일부 비용효과성 제고라는 편익

이 존재하지만 유동성 제고나 정책 자율성 확보 등의 측면에서 지불해

야 하는 비용이 더 클 가능성이 크다 한편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의 연계

는 비록 비용효과성의 제고에는 제한적일 수 있으나 감축목표의 상향

유상할당 비중 확 등 참여업체에 직접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외부의

정치적 압박에 보다 유연하게 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으로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

권 가격에 비해 높은 경우를 살펴보자 이 경우 시장 연계 이후에는

K-ETS 배출권 수요의 일부가 EU-ETS로 이전하여 K-ETS 가격은 낮

아지고 EU-ETS 배출권의 가격은 상승한다 비용효과성의 측면에서

K-ETS 참여업체 중 배출권 순 구매자들의 구매 비용은 줄어들게 되

며 비록 순 판매자의 배출권 판매 수입은 줄어드는 부분이 있지만 전

체적인 비용효과성은 증 된다 한편 K-ETS가 현재 겪고 있는 유동

성 부족 문제는 보다 저렴한 규모 EU-ETS 시장에 한 접근성이

커짐에 따라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책 자율성과 관련한

사항은 다소 분명치 않다 K-ETS 배출권 가격이 상 적으로 높기 때

문에 실질적인 감축목표의 강도가 높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가질 수 있

는 반면 외형상의 감축목표의 강도가 비교적 낮은 편이므로 감축목표

의 강도를 상응하게 조정해야 한다는 EU측의 정치적 압박에 자유롭기

쉽지 않을 수 있다 이와 함께 유상할당의 비중을 EU측과 상응하게 조

정해야 한다는 압력에서도 자유롭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83

결과적으로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높은 경우엔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

해 비용효과성 및 유동성 제고 등에서 더 큰 편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만 정책 자율성 확보나 유상할당 비중 최소화를 통

한 업계 부담 완화 및 수용성 확보의 관점에선 여전히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유리하다 물론 K-ETS 배출권의 높은 가격을 실질적인

높은 감축목표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을 통

해서도 정책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

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연계 이후 외부로부터의 정치적 압력

에 응하기 여의치 않을 경우엔 정책 자율성과 관련한 손실을 감수해

야 한다 만일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

이 크지 않다면 정책 자율성과 업계의 경쟁력을 고려한 부담 최소화

및 제도 수용성 확보가 더 용이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여전히

설득력 있는 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면 시장 연계 전 양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어

떻게 형성되는지 배출권 가격의 차이가 실질적인 감축목표 강도로

EU-ETS 측에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 질 수 있는지 등에 따라 바람직

한 시장 연계의 방식은 달라질 수 있다56) 전체적으로 lsquo완전 쌍방향rsquo

56) 실제로 K-ETS와 EU-ETS의 배출권 가격이 향후 어떻게 전개될 지는 현재로선 예측하기 어렵다 톰슨로이터의 전망에 따르면 EU의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경매연기 배출권의 배출권 비축 시나리오 하에서 2030년까지 EUA의 가격은 약 60유로(한화로 약 78000원선)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Point Carbon 2014) K-ETS의 배출권 가격 전망 자료는 찾기 어려우나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의 목표를 기준으로 할 때 2030년까지 현 수준보다 크게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외견상의 감축목표의 강도를 볼 때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낮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산업middot발전부문의 한계감축비용을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2030년 기준으로 한계감축비용이 톤당 10만원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안영환

84

연계방식은 비용효과성과 유동성 확보의 측면에서 다소 유리하지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정책 자율성 확보 업계 부담 최소화

및 수용성 확보의 차원에서 다소 불리할 수 있다 결국 우리 정부가 시

장 연계에 따라 어떤 가치를 더 보호할 필요가 있는지에 관한 정책적

판단에 따라 연계의 방식은 달라질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지적하고 싶은 것은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도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적절히 설정할 경우 상당한 비용효과성

및 유동성 제고의 편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만

일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서 설정한 lsquo비중rsquo을 넘어 완전한 쌍방향

연계로 전환할 때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이 그리 크지 않다면 정

책 자율성 확보에 유리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가 더 바람직한 연계 방식

이 될 수 있다 다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시 바람직한 상 편 배출권

의무 활용 비중이나 레지스트리 등과 같은 기술적인 부분은 본 연구의

범위를 벗어나는 문제이므로 후속 연구로 남겨두기로 한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에 맞는 연계의 방식은 캘리포니아

-퀘벡 또는 스위스-EU-ETS와 같은 해외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와는

달리 완전 쌍방향 연계 방식보다는 부분 쌍방향 연계 방식이 더 적합

할 수 있다 처음부터 완전 쌍방향 연계 방식을 취하기보다는 단계적middot

점진적으로 완전 쌍방향 연계로 확 해나가는 방향이 정책적 자율성을

확보하고 K-ETS가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좋은 안이 될 수 있

다 EU의 입장에서도 배출권 시장 규모를 확 하고 기후변화에 한

middot 김동구 2017) 물론 저렴한 비용에 다량의 감축이 가능한 산업공정 및 폐기물 건물 부문 등에 한 분석이 제외되었다는 한계가 있지만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높게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눈여겨볼만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85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한다는 차원에서 연계에 부정적이지는 않을 것으

로 보인다 특히 자체적 노력을 통해 감축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EU

의 입장에서도 스위스에 비해 상 적으로 큰 규모의 K-ETS와 완전 쌍

방향 직접 연계 방식보다는 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이 보다 바람

직한 연계 방식이다 왜냐하면 규모가 큰 시장과의 연계로 인해 자체

감축 수요보다 타 시장 배출권 구입을 통해 목표를 충당하려 할 경우

목표로 하는 자체 노력에 의한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에 차질을 빚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은 단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EU의 이해와도 부합되는 측면이 있고

따라서 정책 방안의 실현가능성 또한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6장 결론 87

제6장 결 론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도는 시장 기제를 활용하여 비용효과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표적인 감축 수단으로서 우리나라를 포함

하여 EU 캘리포니아 등 여러 국가에서 채택하여 시행하고 있다 특히

파리협정 이후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와 맞물려 그간 독

자적으로 운영되어 오던 배출권 시장을 서로 연계하여 비용효과성을 극

화하고 시장 유동성을 제고하며 기후변화 응 관련 국제적 리더십을

확보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배출권 시장 연계는

단순히 전문가 차원의 관심을 뛰어 넘어 퀘벡-캘리포니아 배출권거래제

도 및 스위스-EU 배출권거래제도의 연계 사례를 통해 실현되고 있다

배출권 시장 연계에 한 그간의 여러 연구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의

연계가 시장 규모의 확 를 통해 비용효과성을 제고하고 유동성 확

및 가격 안정화 등의 여러 가지 편익을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국 내 정책에 한 규제당국의 개입 범위를 축소시켜 정책 자율성을

저해하며 자국 내 기업들의 비용부담을 오히려 증 시키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환경건전성까지 악화시킬 가능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배출권

시장 연계는 편익뿐만 아니라 발생 가능한 다양한 부작용들을 종합적

으로 고려해서 결정해야 하는 다면적인 정책 의사결정 과정임에 유념

해야 한다

배출권 시장 간 연계가 성공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연계하는 두

시장의 제도적 설계요소들을 적절히 맞추어나갈 필요가 있다 상 부

문의 감축목표 강도 할당방식 이월middot차입middot상쇄 등 유연성 기제 배출권

88

가격 및 공급량 관리제도 MRV 체계 페널티 제도 등 고려해야 할 다

양한 설계요소들이 있다 특히 감축목표의 강도 유상할당의 규모 상

쇄제도 MRV 체계 등은 연계 과정에서 핵심 쟁점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연계 과정에서 규제 당국 간의 적절한 조율이 필요하다

배출권 시장 간 연계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사례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퀘벡-캘리포니아 및 스위스-EU의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는 연계를 통해 두 시장이 상호간 혜택을 보

아야 하고(상호 호혜성) 연계되는 두 시장의 배출권 설계요소가

동소이하며(핵심 설계요소의 일치성) 당사국들의 강한 정책적 의지가

수반되어야 성공적인 시장 연계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배출권 시장 연계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유형별로

는 lsquo완전통합형rsquo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형rsquo 외부 크레딧을 통한 lsquo간접 연계rsquo lsquo단방향 연계형rsquo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 연계 유형별로 가지는 장middot단점이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시

장의 완전통합형에 가까울수록 비용효과성과 시장 유동성 및 가격 안

정성은 높아지는데 반해 정책 자율성은 낮아진다 단방향 연계형은 연

계가 허용된 시장에는 비용효과성 유동성 및 가격 안정성을 제공하면

서 정책 자율성까지 보장하는 장점이 있으나 연계를 허용하지 않은 시

장에서는 연계의 혜택을 누리기 어려우므로 상호 호혜성의 측면에서

실현되기 어려운 방식이다 다만 두 시장을 직접적으로 연계하기 전에

다양한 설계요소를 조정하기 위한 중간 단계로서 단방향 연계 방식이

채택될 수는 있을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의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타 배출권 시장과의 연계가 논의되고 있는 상황에서 가장 유력하게

제6장 결론 89

거론되고 있는 EU-ETS와의 연계를 상정하여 주요 쟁점사항과 바람직

한 연계 방식에 해 검토해 보았다

EU-ETS와 연계할 경우 가장 첨예한 쟁점사항으로 부각될 수 있는

요소로는 감축목표 강도 및 유상할당 규모의 상응성 간접배출에 한

할당 등을 꼽을 수 있다 실질적인 체감도와는 무관하게 외형상의 EU

와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할당방식에 있어서 EU-ETS와 달리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은 무상할당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EU-ETS와의 유상할당 규모의 차이는

2030년까지 상당 수준에서 차이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EU-ETS와 연계를 논의할 때 산업경쟁력 및 탄소누출에 한 우려를

들어 감축목표의 강도와 유상할당 규모의 상응성이 핵심 쟁점으로 부

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간접배출에 한 할당도 이중계산 및 횡

재이윤의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쟁점사항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월 차입 시장관리 MRV 등의 요소는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긴 하나 EU-ETS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기 때문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할 때 다양한 시장 연계의 유형 중 어떤 방식이

우리에게 보다 적합할지 살펴보았다 lsquo완전 통합형rsquo은 사실상 정책 결

정에 우리 정부가 개입할 여지를 없애는 방식이므로 적합지 않은 방식

이며 외부 크레딧을 통한 lsquo간접 연계rsquo 방식만으로는 유동성 부족에 고질

적으로 시달리는 국내 배출권 시장의 문제를 해결하기에 모자람이 많

다 다만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와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 방식 중

어떤 방식이 우리 현실에 더 적합한지는 연계 이전에 두 시장의 배출

권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가 그리고 배출권 가격의 차이가 실질적인

90

감축목표의 강도로 받아들여 질 수 있는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은 비용효과성과 유동성 확보의

측면에서 다소 유리하지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정책 자율

성 확보 업계 부담 최소화 및 수용성 확보의 차원에서 다소 불리하다

먼저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낮게

형성된다면 국내 배출권에 한 외부 수요가 증 되므로 lsquo완전 쌍방

향rsquo 연계방식을 채택하더라도 K-ETS의 고질적인 유동성 부족을 해결

하는데 큰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다 반면 정책 자율성에 있어서 손실

을 감수해야 하므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보다 적합하다

다음으로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

해 높고 그러한 높은 시장 가격을 근거로 실질적인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충분히 받아들여진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은 시장 가격에도 불구하고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받아들여지지 못한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은 국내 참여업체들의

비용부담을 가중시키고 제도의 수용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도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적절

히 설정할 경우 상당한 비용효과성 및 유동성 제고의 편익을 얻을 수

있다 만일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서 완전한 쌍방향 연계로 전환할

때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이 그리 크지 않다면 정책 자율성 확보

에 유리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가 더 바람직한 연계 방식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해외 주요국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에서처럼 처음부터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EU-ETS와 연계하기 보다는 초기 단계에서는 적절

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EU-ETS 배출권을 구매해서 의무이행에 활

용하는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배출권 시장을 연계한 후 점진적으로

제6장 결론 91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높여나가는 방식이 바람직할 것으

로 판단된다

또한 최근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으로 논의되는 협력적 접근

법이나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에 의한 감축실적도 상쇄배출권으로 허

용하도록 함으로써 간접적인 연계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시장 메커니

즘에 한 지침이 확정되면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이들 접근법을 활용

한 다양한 감축사업들이 전개될 수 있으며 연계 상이 되는 타 시장

(예를 들어 EU-ETS)도 그러한 시장 메커니즘을 자국의 배출권 시장과

연계시킬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간접연계는 국제적으로 공인된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함과 동시에 lsquo부분 쌍방향 연계 방식rsquo의 효과를 제고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93

참고문헌

lt국내 문헌gt

관계부처합동 2017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1차 계획기간 제3차 이행

연도 배출권 할당계획 변경(안)

관계부처합동 2018 보도참고자료 ldquo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전략 새롭게 만들어 갑니다rdquo

기획재정부 2017 제2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안)

박수경middot박순철middot송철호middot임철희middot이수정middot이우균 2018 ldquo한middot중 배출권거래제

연계를 위한 설계요소 및 장애요인 분석rdquo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9(4) 471-485

산업통상자원부 2016a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 수립 연구

산업통상자원부 2016b 협력적 접근법에 활용가능한 국제 규범 마련 연구

삼정 KPMG 2018 진화하는 배출권거래제(ETS) 시장과 기업의 탄소비용

응방향 삼정 KPMG Issue Monitor 제87호

수원의제21실천협의회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 2016 ldquo제21차 기후변화

협약당사국총회 파리협정문 국문번역본rdquo

안영환middot김동구 2017 산업 발전부문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 연구 산업

통상자원부

환경부 2014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1차 계획기간 국가 배출권 할당

계획

환경부 2018 보도자료 ldquo2030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안 및 2018~2020년

배출권 할당계획 확정rdquo

94

환경부 2019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2차 계획기간 국가 배출권 할당

계획

lt해외 문헌gt

Anger N 2008 ldquoEmissions Trading beyond Europe Linking Schemes

in a Post-Kyoto Worldrdquo Energy Economics 30 2028-2049

Babiker M Reilly J and Viguier L 2004 ldquoIs international emissions

trading always beneficialrdquo Energy Journal 25(2) 33-56

Bodansky DM Hoe이 SA Metcalf GE and Stavins RN 2016

ldquoFacilitating linkage of climate policies through the Paris

outcomerdquo Climate Policy 16(8) 956-972

Burtraw D Palmer KL Munnings C Weber P and Woerman M

2013 Linking by degrees incremental alignment of cap-and-trade

markets Discussion Paper 13-04 Resource for the Future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Towards a Global Carbon Market

Prospects for Linking the EU ETS to Other Carbon Markets

Carbone JC Helm C Rutherford TF 2009 ldquoThe case for

international emission trade in the absence of cooperative climate

policyrdquo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57

266-280

Chichilnsky G and Heal G 1995 Markets with tradable CO2

emission quotas principles and practice OECD Economics

Department Working Paper No 153

DEHSt 2016 International market mechanisms after Paris

참고문헌 95

European Commission 2016 COM(2016) 482 Final

Flachsland C Marschinski R and Edenhofer O 2009 ldquoTo limk or

not to link benefits and disadvantages of linking cap-and-trade

systemsrdquo Climate Policy 9(4) 358-372

Gouvernement du Queacutebec 2018 Quebec cap-and-trade system for

greenhouse gas emission allowances(CampT) Historical Overview

Hahn R W and Stavins R 2011 ldquoThe Effect of Allowance

Allocations on Cap-and-Trade System Performance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54(4) s267-s294

Haites E and Mullins F 2001 Linking domestic and industry

greenhouse gas emission trading systems EPRImiddotIEAmiddotIETA

Helm C 2003 ldquoInternational emissions trading with endogenous

allowance choicesrdquo Journal of Public Economics 87 2737-2747

Helm D Hepburn C and Mash R 2003 ldquoCredible carbon policyrdquo

Oxford Review of Economic Policy 19(3) 420-437

IETA 2014 USE OF OFFSET CREDITS ACROSS EMISSION

TRADING SYSTEMS and CARBON PRICING MECHANISMS

IETA 2015 Case Study Linking the Swiss and EU ETS Greenhouse

Gas Market 20152016 Report

ICAP 2019a Canada - Queacutebec Cap-and-Trade System

ICAP 2019b USA - California Cap-and-Trade Program

ICAP 2019c EU Emissions Trading System (EU ETS)

Jaffe J and Stavins RN 2008 Linkage of tradable permit systems

in international climate policy architecture Discussion Paper

08-07 Harvard Project on International Climate Agreements

96

McKibbin WJ Shackleton R and Wilcoxen PJ 1999 ldquoWhat to

expect from an international system of tradable permits for carbon

emissionsrdquo Resource and Energy Economics 21 319-346

McKibbin WJ Morris A and Wilcoxen PJ 2008 Expecting the

unexpected macroeconomic volatility and climate policy Discussion

Paper 08-16 Belfer Center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Affairs

Harvard Kennedy School

Montgomery W D 1972 ldquoMarkets in Licenses and Efficient Pollution

Control Programsrdquo Journal of Economic Theory 5 395-418

Point Carbon 2014 The MSR Impact on market balance and prices

Thomson Reuters

Ranson M and Stavins RN 2015 ldquoLinkag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trading systems learning from experiencerdquo Climate

Policy 16(3) 284-300

Royal Norweigi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08 The Norwegian

Emissions Trading System Presentation to ICAO Workshop

Tietenberg T H 2006 Emission Trading Principles and Practice 2nd

Ed RFF Press

Tuerk A Mehling M Flachsland C and Sterk W 2009 ldquoLinking

carbon markets concepts case studies and pathwaysrdquo Climate

Policy 9(4) 341-357

UNFCCC 2015 Paris Agreement

UNFCCC 2016 Decision1CP21

참고문헌 97

lt기사 및 웹사이트gt

ClimateWire 2013 ldquoEU market troubles will prevent emissions trading

linkage - Califairchiefrdquo

EC 홈페이지 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reform_en

EC 홈페이지 httpseceuropaeuclimapolicieseffortregulation_en

EC 홈페이지 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allowances_en

Emissions-ETScom 홈페이지 httpswwwemissions-euetscomcarbon-

market-glossary872-european-union-emissions-trading-system-eu-ets

Emissions-ETScom 홈페이지 httpswwwemissions-euetscomborrowing

Exchange Monitor 홈페이지 ldquoCALIF FORGING AHEAD WITH EMI

SSIONS TRADING NEXT MONTH AIR CHIEF CONFIRMSrdquo

httpswwwexchangemonitorcomcalif-forging-ahead-with-emissions

-trading-next-month-air-chief-confirmsprintmode=1

Federal Office for the Environment Switzerland ldquoLinking of the Swiss

and European emissions trading systems big step forwardrdquo

httpswwwbafuadminchbafuenhometopicsclimatenews-releases

msg-id-67745html

Sandbag Carbon Price Viewer httpssandbagorgukcarbon-price-viewer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Western_Climate_Initiative

심 성 희

現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lt주요저서 및 논문gt

985172배출권거래제의 최적 운영을 위한 사회 여건 연구985173 에너지경제

연구원 기본연구 2012

985172배출권 경매의 이론과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 연구985173 에너지경제

연구원 기본연구 2013

985172우리나라 배출권거래제 진단과 개선방안985173 에너지경제연구원 기본

연구 2017

수시연구보고서 18-02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

2019년 1월 31일 인쇄

2019년 1월 31일 발행

저 자 심 성 희

발행인 조 용 성

발행처 에너지경제연구원

983732983732983733983732983731 울산광역시 종가로 405-11

전화 (052)714-2114(代) 팩시 리 (052)-714-2028

등 록 제 369-2016-000001호(2016년 1월 22일)

인 쇄 디자인 범신

에너지경제연구원 2019 ISBN 978-89-5504-725-7 93320

파본은 교환해 드립니다 값 7000원

본 연구에 포함된 정책 안 등 주요 내용은 에너지경제연구원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닌 연구진의 개인 견해임을 밝혀 둡니다

Page 8: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ii

trading markets and recent negotiations on the international carbon market

mechanism under the Paris Agreement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ossible issues that may arise when linking Korean emission

trading market with the EU-ETS in the future its potential benefits and

costs of linkage and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sirable direction

of emissions trading market linkage

2 Summary and Implications

The coordination of the various design elements of the two emissions

trading markets that would be linked is essential for a successful linkage

between emissions trading markets The stringency of GHG reductions

targets allocation methods flexibility mechanisms such as banking

borrowing and carbon offset emission allowances price and supply

management schemes MRV and penalty schemes and so on are key design

factors to consider to link with other emissions trading schmes In

particular the stringency of GHG reductions targets the size of auctioned

units offset schemes and MRV systems are likely to emerge as key issues

in the linking process

We can learn some policy implications from examples of successful

linkages between emissions trading markets such as Quebec-California and

Switzerland-EU linkages ① linking the two markets are mutually beneficial

from each other ② the key design elements of the two emissions trading

markets that be linked are similar ③ It shows that the strong policy will

of the Parties is accompanied by successful market linkage

Abstract iii

Emission trading market linkages can be categorized into lsquofull

integrationrsquo lsquofull direct linkrsquo lsquopartial direct linkrsquo lsquoindirect linkrsquo through

carbon offset credits Basically the closer the market is to a fully

integrated type the higher the cost effectiveness market liquidity and price

stability while lowering policy autonomy

Next a scenario of linking K-ETS and EU-ETS was considered and the

main issues of the linkage scenario and desirable linking methods were

examined

In connection with the EU-ETS it is highly likely that issues such as

the stringency of GHG reduction targets the size of auctioned units and

the allocation of indirect emissions will be highlighted Banking borrowing

market management and MRV are not expected to be a big problem as

the design features between the two emissions trading schemes are not

quite different The most promising alternatives among the various linking

methods are lsquofull direct linkrsquo and lsquopartial direct linrsquo Which of these

methods is better suited to Korean emissions trading scheme depends on

the differences in emissions allowancesrsquos prices in the two markets

In general a lsquofull two-way direct linkrsquo is somewhat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effectiveness and market liquidity but it is somewhat

disadvantageous in terms of securing policy autonomy minimizing the

burden on the industry and securing social acceptance If the K-ETSrsquos

emissions allowances price is lower than that of EU-ETS compared to

without the linkage the lsquopartial two-way direct linkagersquo is more

appropriate This is because it will be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of

iv

K-ETSrsquos lack of liquidity even if it adopts the lsquofull two-way direct linkagersquo

method On the other hand if the emissions allowances price of K-ETS is

higher than that of EU-ETS before the market linkage and if counter-part

market planner would accept the high emissions allowances price as a

signal of the corresponding stringency of Korearsquos GHG reductions target a

full two-way direct linkage could be advantageous However despite the

high market price if it is not acceptable as a signal of an high ambition of

GHG reductions a full two-way direct linkage may only increase the cost

burden of domestic participants and reduce the acceptability of the system

In conclusion if the additional benefits of transition from a partial

two-way direct linkage to a full two-way direct linkage are not significant

the partial two-way direct linkage which is advantageous for securing

policy autonomy will be a more desirable way Thus we recommend that

it is not advisable to link with the EU-ETS in a full two-way direct

manner from the outset In the early stages it would be advisable to link

the markets in a partial two-way direct manner in which EU-ETS

allowances are freely purchased and used to fulfill their obligations within

an appropriate range and then gradually increase the share of obligations

of the other allowances

Finally indirect linkage need to be paralleled by allowing the GHG

reductions credits by cooperative approaches or sustainable development

mechanisms under Article 6 of the Paris Agreement Once the guidelines

for market mechanisms are finalized in the near future various mitigation

activities can be developed at the global level In fact EU-ETS is also

Abstract v

likely to allow some credits from the market mechanisms Thus in parallel

with indirect linkages the market mechanisms under Article 6 of the

Paris Agreement also need to be utilized in parallel with a lsquopartial two

way direct linkagersquo between K-ETS and EU-ETS that would create

synergistic effects of the carbon market linkage

차례 i

제목 차례

제1장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제2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편익과 비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가 비용효과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나 시장 유동성과 가격 안정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다 동태적 효율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라 환경 건전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마 정치적 편익과 비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2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주요 고려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나 상쇄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다 배출권 가격 및 공급관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라 배출권 할당방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마 상 온실가스 및 적용 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

바 이월 및 차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

사 기타 고려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가 직접 연계 완전 통합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ii

나 직접 연계 쌍방향 연계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

다 직접 연계 단방향 연계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라 간접 연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

2 배출권 시장 연계의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가 스위스 배출권거래제와 EU-ETS의 연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나 퀘벡과 캘리포니아 배출권거래제의 연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

다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추진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3 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

가 상호 호혜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

나 핵심 설계요소의 유사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

다 정책적 의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 동향과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1 파리협정 이후의 탄소시장 논의 동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가 주요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나 후속협상 주요 경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다 주요 쟁점 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2 Post-2020 탄소시장 전망과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1 우리나라 ETS와 EU-ETS의 주요 설계요소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나 할당방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다 유연성 메커니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

라 의무이행 관련 사항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

차례 iii

2 K-ETS와 EU-ETS 연계 시 예상 쟁점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가 감축목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나 할당방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8

다 상쇄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9

라 기타 사항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3 배출권 시장 연계 방식별 편익 비용 그리고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3

가 시장 연계 유형별 편익 비용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3

나 K-ETS와 EU-ETS 간 연계를 위한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제6장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iv

표 차례

lt표 Ⅲ-1gt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표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

lt표 Ⅲ-2gt 스위스와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

lt표 Ⅲ-3gt 캘리포니아-퀘벡과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

lt표 Ⅳ-1gt 파리협정 제6조 주요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

lt표 Ⅴ-1gt 우리나라와 EU의 배출권거래제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차례 v

그림 차례

[그림 Ⅱ-1] A국과 B국의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에 따른 가격결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제1장 서론 1

제1장 서 론

최근 파리협정(Paris Agreement) 제6조에 근거하여 2020년 이후 국

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의 구체적인 정의 구조 기능 활용방법 절차 및

거버넌스 등에 관한 국제사회의 논의가 진행 중이다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활발한 논의의 배경은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할 경우

비용효과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 출발한다 이

와 같은 국제사회의 논의와 발맞추어 우리 정부도 2030년까지 BAU

비 37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제시하면서 목표 감축량의 45를 산

림흡수원 및 해외 감축분을 통해 달성하겠다고 밝히고 있다(관계부처

합동 2018)

한편 우리나라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비용효과적으로 달성하

기 위해 2015년부터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도입middot운영 중이다 지난

2017년에 발표된 제2차 계획기간(2018~2020년) 동안의 배출권거래제

운영방향을 제시한 제2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은 5가지 배출권거래

제 운영의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정부는 ldquo국제 탄소시장

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국제기준에 부합rdquo하도록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할

계획이며 특히 ldquo장기적으로 배출권거래제 국제 연계를 통한 해외 상

쇄 등 활성화로 유연성 제고 및 감축비용 절감 도모rdquo를 천명하였다

(기획재정부 2017) 이러한 기본계획의 방향성을 이어받아 최근 한-중

-일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 지역의 탄소시장 연계와 한국-EU 탄소시장

협력체계 등 배출권 시장의 국제 연계에 관한 논의가 전문가 차원에서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배출권 수급 불균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

2

는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 시장의 국제 연계는 시장의 규모

화를 통한 거래활성화 및 국내 기업 감축비용 완화를 위한 매력적인

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잘 알다시피 배출권거래제는 이론적으로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한

가장 비용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EU-ETS를 시작으로 여러

국가에서 배출권거래시장이 운영되고 있는 가운데 각 국가의 배출권거

래시장의 연계는 이론적으로 배출권 시장의 규모화를 통해 비용절감

효과를 극 화시키고 참여 국가들의 편익을 증가시킬 것으로 여겨진

다 그러나 Flachsland et al(2009) Ranson and Stavins(2015) 등의 기

존 연구들은 배출권 시장의 국제적 연계가 비록 이론적으로는 경제적

효율성을 증 시키지만 경제성만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매우 다면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론이 예상하는 바와 다른 다양한 부작용이 존

재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를 둘러싼 다양한 이론적middot실증적

논의와 파리협정하의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최근 협상 동향

을 검토해보기로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을 주요

국(EU) 배출권 시장과 연계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쟁점들 연계

의 잠재적 편익과 비용을 전망해보고 시장 연계의 바람직한 방향에 관

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의 편익

과 비용에 관한 그간의 이론적middot실증적 논의를 검토하고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해 논의한다 제3장에서는 배출권 시장이 연계

되는 다양한 유형과 더불어 퀘벡-캘리포니아 스위스-EU 등 배출권 시

장 연계의 해외 사례를 살펴보고 그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

제1장 서론 3

점을 도출하였다 제4장은 파리협정하의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최근 협상동향과 전망에 해 논의한다 제5장에서는 표적인 배출권

시장인 EU-ETS와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K-ETS)의 연계를 상정한 정

성적인 사례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EU-ETS와 K-ETS의 연계

시 부각될 수 있는 다양한 쟁점들과 시장 연계에 따라 우리가 얻을 수

있는 편익과 비용에 해 전망해보고 K-ETS의 입장에서 바라본 바람

직한 배출권 시장 연계의 방향에 해 모색해 보았다 끝으로 제6장에

서는 앞선 논의들을 종합 정리하면서 보고서를 매듭짓기로 한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5

제2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본 장에서는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배출권 시장 연계와 관련한 이론

적 실증적 논의 동향을 살펴본다 그간 배출권 시장 연계와 관련된 무

수히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하나의 축은 배출권 시장을 연계

할 경우 얻을 수 있는 편익과 비용에 관한 논의이며 다른 하나는 배출

권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요소에 한 논의로 별된다(Helm

2003 Anger 2008 Babiker et al 2004 Jaffe and Stavins 2008

Carbone et al 2009 Flachsland et al 2009 등) 또한 편익 비용 그

리고 연계 시 두될 쟁점들을 종합적으로 다룬 연구들도 다수 존재한

다(Tuerk et al 2009 Flachsland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박수경 외 2018 등)

여기서는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이 다른 시장과 연계될 경우 얻을 수

있는 잠재적 편익과 비용 그리고 연계 시 반드시 짚고 가야할 고려요소

들이 무엇이 있는지에 하여 기존 연구들에서 논의하고 있는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에 해 고찰해보기로 한다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편익과 비용

가 비용효과성

서로 다른 배출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발생 가능한 표적인 경제적

편익으로 비용효과성을 꼽을 수 있다 서로 다른 두 시장의 배출권 가

격이 연계 이후 균등화되면서 두 시장의 감축비용의 총합이 줄어들기

6

때문이다(Chichilnsky and Heal 1995 Anger 2008 Flachsland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아

래와 같은 상황을 고려해보자1)

배출권거래시장이 연계된 두 국가 A와 B가 있는데 A국은 B국에

비해 상 적으로 온실가스 감축기술이 발달하여 온실가스 감축의 한계

비용이 낮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각 국의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은 [그림 -1]와 같이 그려질 수 있다 여기서 A국과 B

국의 규제 이전의 배출총량은 로 동일하다고 가정하며 A국의

배출상한은 B국의 배출상한은 라고 하자 또한 두 국가의

배출권 시장은 완전경쟁적이라고 가정하자

[그림 Ⅱ-1] A국과 B국의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에 따른 가격결정

A국 배출상한

B국 배출상한

Y

X

자료 Anger(2008 p2032) 및 Flachsland et al(2009 p362)를 참조하여 저자 재작성

1) 여기서는 Flachsland et al(2009 p362)의 도면 분석(graphical analysis)을 저자가 약간 변형하여 제시하기로 한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7

그러면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 이전 각국의 배출권 가격은 각각

와 에서 형성될 것이다 이때 각 국의 배출권 가격의 격차는 배출

권거래시장의 연계 유인이 될 수 있다 B국의 경우 상 적으로 배출권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더 낮은 비용으로 온실가스 감축하기 위해 A국

으로부터 배출권을 구매하기 원할 것이고 A국의 경우 배출권을 판매함

으로써 이익이 발생하기 때문에 배출권 시장 연계가 가능할 것이다

배출권거래 시장이 연계될 경우 A국 배출권의 수요는 증가하기 때

문에 A국에서의 배출권 가격은 상승하게 되고 B국의 경우 A국으로

부터의 배출권 유입으로 배출권 공급이 증가하므로 배출권 가격은 하

락하게 된다 즉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의 차이에 따라 A국에서 B국

으로 배출권이 이전되고 결과적으로 두 국가의 배출권 가격이 로 동

등해지는 까지 지속된다 즉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의 차이에 따른

배출권 이전으로 연계시장에서 배출권의 균형가격은 수준으로 결정

된다 이 때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에 따른 비용은 전체적으로 X와 Y

면적만큼 감소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비용효과성이 항상 달성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도 언급

하였듯이 시장 연계가 가져다주는 비용효과성을 논의할 때 두 국가의

배출권 시장이 완전경쟁적인 상황을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연계되는

두 시장에 외부성이나 왜곡적 조세체계 등으로 인한 시장 왜곡이 존재

할 경우 배출권 시장 연계는 기존의 왜곡을 오히려 강화시킴으로써 비

용효과성을 저해할 가능성도 있다(Flachsland et al 2009) 예를 들어

어떤 사유(또는 특정 목적)로 인해 에너지원 간 조세체계가 사회적으

로 바람직한 상 가격체계를 따르지 못하지만 배출권거래제를 통해 효

율적 배분이 달성되고 있는 상황을 생각해보자 이때 배출권 시장 연

계로 인해 배출권 가격이 변할 경우 에너지원 간 소비 왜곡으로 인한

8

비효율성이 발생한다 만일 배출권 시장 연계로 인한 감축비용의 감소

에 비해 그러한 비효율성이 더 크다면 배출권 시장 연계는 사회 후생

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2)

나 시장 유동성과 가격 안정성

서로 다른 배출권 시장이 연계되면 개별 배출권 시장이 독립적으로

병존할 때에 비해 전체 시장 규모는 확 되며 그로 인해 배출권 시장

의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다 시장 규모가 커지게 되면 배출권 시장에

서 유동성(liquidity)이 커지게 되며 배출권 가격의 안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Flachsland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특히 유동성 확 와 그로 인한 배출권 가격 안정의 효과는 연계 이전

에 시장 규모가 상 적으로 작은 시장에서 크게 나타난다 시장을 연계

하기 이전에 두 시장 모두 규모가 작을 경우 양쪽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시장 규모가 비 칭적인 경우 상 적으로 규모가 작은

시장에서 이와 같은 효과를 크게 누리게 된다 시장 규모가 협소하여 배

출권 수급 불균형이 자주 나타나는 시장이 보다 큰 시장과 연계할 경우

수급 불균형에 따른 문제를 크게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장 연계가 반드시 규모가 상 적으로 작은 시장의 가격 안

정성을 증 시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특정 배출권 시장의 변동성이

다른 배출권 시장으로 전이될 수도 있다(Mckibbin et al 2008) 만일

연계하는 큰 규모의 상 편 배출권 시장에서 과다 할당 과다한 상쇄

배출권의 유입 등의 이유로 규모 시장에서 급격한 시장 가격 변동이

발생할 경우 배출권 시장 연계는 소규모 배출권 시장의 가격 불안정성

2) Babiker et al(2004)와 Mckibbin et al(1999) 등은 기존 시장에서의 왜곡이 존재할 경우 배출권 시장 연계가 반드시 효율성을 가져다주는 것은 아님을 보여주었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9

을 오히려 크게 확 될 것이다 결국 배출권 시장 연계가 가격 안정성

에 미치는 효과는 연계되는 시장의 규모에 따라 다르며 수급 불균형

에 따른 효과의 동태적 경로 또한 가격 충격의 근원지가 어디냐에 따

라 비 칭적으로 나타날 것이다

다 동태적 효율성

온실가스로 인한 기후변화는 국지적이며 단기적인 이슈가 아닌 글로

벌한 장기적인 이슈이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 정책 당국자들이 매우

높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강도 높은 감축수단의 이행을 약

속했다고 하더라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러한 감축목표와 수단의 강

도를 낮추고자 하는 유인에 직면할 수 있다3)

이때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동태적 비일관성의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다(Flachsland et al 2009) 기후변화 정책의 동

태적 비일관성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정책 당국자가 재량적 의사결정

을 할 여지가 늘어나기 때문에 발생한다 만일 두 국가(또는 지역)의

배출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특정 국가의 배출권거래제도와 관련된 재

량적 의사결정(배출상한의 설정 배출권의 할당 상쇄제도 등)은 연계

된 전체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일단 시장이 연계되고 난

이후에는 그러한 의사결정 시 다른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하는 국가(또

는 지역)와 충분한 사전협의를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상 국가(또

는 지역)의 명시적 또는 암묵적 압력에 직면하게 되며 독자적인 배출

권 시장을 운영하는 경우에 비해서 감축의 강도를 낮추는 방향으로 재

3) 이른바 동태적 비일관성(time inconsistency problem)의 문제로서 Helm et al(2003)은 기후변화정책에서의 동태적 비일관성을 다루고 있다

10

량적 의사결정하기가 더 어렵다 이처럼 배출권 시장 연계는 특정 국

가에서 재량적 의사결정을 할 여지를 낮춤으로써 안정적인 탄소가격

신호를 전달하고 감축투자를 촉진하는데 도움이 된다4)

물론 배출권 시장 연계의 구체적인 유형에 따라 동태적 효율성의 크

기는 달라질 수 있다 상 편 시장의 배출권을 의무이행에 일부 허용

하는 방식의 느슨한 연계보다는 전체 감축목표 및 배출상한을 상호 협

의하는 방식의 연계가 동태적 효율성 확보에 유리할 것이다

라 환경 건전성

선행 연구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 연계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일률적이지 않다 Carbone et al(2009)에 따르면 배출

권 시장 연계는 그렇지 않을 때에 비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 환경

건전성에 도움을 준다 Carbone et al(2009)은 한계감축비용과 감축의

환경적 편익이 높아서 배출권의 순 구매자가 되는 국가들과 한계감축

비용이 낮고 배출의 한계편익이 낮아 배출권의 순 판매자가 될 소수의

규모 배출권 판매 국가들이 서로 연계하는 상황을 상정하여 분석하

였다5) 이때 배출권 할당량은 참여하는 국가들이 합의해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 주권국가로서 독자적으로 결정한다

4) 한편 항상 배출권 시장 연계가 동태적 효율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 만일 특정 국가(또는 지역)의 한계감축비용이 상당히 높아 배출권 시장 연계 이후 상당량의 배출권을 구매하는 경우 자체적인 감축노력보다는 연계된 시장에서 배출권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목표를 충당함으로써 자체 감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다양한 공편익(co-benefits) 예를 들어 기오염 저감 에너지 안보 강화 감축기술 촉진 등을 장기적으로 내재화하지 못할 가능성도 상존한다(Flachsland et al 2009)

5) 가령 배출권 순 구매자로서 EU와 배출권 순 판매자로서 개발도상국인 중국 및 러시아가 상호 연계하는 상황을 상정해보라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1

배출권 판매국가의 입장에서는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이 높은 수준으

로 유지되어 얻는 이익과 높은 배출권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배출권

할당량을 제한함으로써 잃게 되는 비용을 상호 비교하여 최적의 의사

결정을 하게 된다 만일 소수의 규모 배출권 판매국가가 공급독점자

로서 시장지배력을 가질 경우 배출권 가격 하락을 억제하기 위해 할당

량을 낮출 유인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수준은 줄

어드는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특히 Carbone et al(2009)은 EU-중

국-구소련연방이 서로 배출권 시장을 연계하는 상황에 한 연산가능

일반균형(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모형 기반 시뮬레이

션 분석을 통해 연계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서 두 배 이상의 온실가스

감축이 가능함을 보였다

반면 Helm(2003)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이 연계됨으로써 오히려 배출

권 할당량이 늘어나 환경 건전성을 저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은 배

출권 할당량을 늘임으로써 발생하는 추가적인 환경적 피해와 배출권 가

격 하락에 따른 손해에 비해 배출권 판매량의 증 에 따른 수입 증

효과가 더 큰 경우에 발생한다 이 경우 시장 연계에 따라 배출권의 순

판매국이 되는 국가는 자국의 배출권 할당량을 연계 이전에 비해 늘리

고자 하는 유인을 가지며 이로 인해 두 시장의 전체 배출권 할당량 총합

은 연계되기 전에 비해 늘어날 경우 환경 건전성을 해칠 수 있다6)

전술한 두 가지 경우 중 어느 경우가 더 현실적인 시나리오인지는

일률적으로 답하기 곤란하다 결론적으로 배출권 시장 연계가 환경

건전성에 미치는 효과는 연계되는 국가들의 한계감축비용 및 한계환경

편익의 구조 각국의 배출권 시장구조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6) 이때 순 효과의 크기는 한계감축비용 및 한계환경편익에 따라 달라진다 자세한 사항은 Helm(2003)을 참조하라

12

마 정치적 편익과 비용

배출권 시장 연계는 근본적으로 서로 다른 두 시장의 국제적인 상호

협력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국제정치적 전략의 관점에서 긍정적인 효과

를 가진다(Ranson and Stavins 2015) Ranson and Stavins(2015)가 주

장한 바와 같이 배출권 시장 연계는 기후변화 응에 한 참여 국가

의 적극적인 의사를 국제적으로 천명하는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 응과 관련한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고 국제적

인 신뢰를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7)

배출권 시장 연계가 정치적 측면의 편익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그

이면에는 치러야 할 또 다른 가가 존재한다 특정 국가가 자국의 단

일한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는 경우 정부 당국은 해당 시장에 한 배

타적인 통제권을 가지며 정책 환경 변화에 따라 유연한 응이 가능하

다 그러나 다른 배출권 시장과 연계될 경우 구속력을 가지는 국내 규

제정책에 한 국가의 개입 범위가 줄어들어 규제의 유연성을 제 로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다(Jaffe and Stavins 2008 Flachsland et al

2009)

7) 한편 Ranson and Stavins(2015)은 배출권 시장 연계가 특정 국가의 배출권 시장의 도입에 영향을 준 도구로서 활용되기도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EU-ETS는 제3기에서 최빈개도국(Least Developing Countries LDCrsquos) 국가에서 나온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 배출권만을 상쇄로 허용하겠다는 결정을 하였다 그런데 이로 인해 당시 EU 시장에서 청정개발체제 배출권 공급의 상당량을 차지하던 중국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의 시장 공급이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중국이 독자적인 자국 내 배출권 시장을 도입하게 된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물론 중국의 배출권 시장 도입이 자국의 청정개발체제 배출권 해결을 위한 방편이었다는 Ranson and Stavins(2015)의 해석에는 다소 이견이 있을 수 있으나 중국의 배출권 시장 도입이 자국의 잉여 청정개발체제 배출권 해소에 일정 부분 기여했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 이것은 배출권 시장의 연계가 아닌 lsquo연계의 단절rsquo이 특정 국가의 적극적인 기후변화 응 정책수단 도입을 이끌어낸 흥미로운 사례라고 하겠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3

후술하겠지만 배출권 시장 연계과정에서 감축목표의 강도 가격상한

여부 상쇄제도의 설계 방식 이월과 차입의 허용 정도 등 다양한 설계

요소에 따라 배출권 시장 연계 전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

다 이러한 맥락에서 배출권 시장 연계 사전에 그러한 설계요소별로

양 시장간 긴 한 협력과 조정이 필요하며 이는 결국 배출권거래제도

설계에 있어서 배타적 통제권과 규제 당국의 유연성에 해 일정 정도

의 양보가 뒤따를 수 있다8) 결과적으로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는 국

가 주권의 부분적 양도라는 정치적 도전에 직면할 우려가 있음에 유의

할 필요가 있다

2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주요 고려사항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는 경제적 정치적 측

면 등에서 연계에 따른 잠재적 편익과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배출권거래시장을 연계하여 잠재적 편익을 극 화하면서 비용을 최소

화하기 위해서는 시장 연계의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

라서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를 설계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본 절에서는 배출권거

래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할 주요 사항들에 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에 있어서 감축목표는 배출권의 가격뿐만 아

8) Flachsland et al(2009)은 ldquo연계는 기본적으로 효율성 증 와 규제적 개입의 감소 간의 상충관계를 내포한다rdquo고 지적하였다

14

니라 감축비용의 효율성 증 및 분배효과의 크기 등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배출권 시장 연

계를 다룬 여러 선행 연구들은 감축목표의 상 적 격차가 클 경우 배

출권 시장 연계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Tuerk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감축목표의 엄격성 차이가 배

출권 시장 연계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이유는 연계를 통한

경제적 편익에도 불구하고 정치적middot분배적 관점에서의 쟁점들을 부각시

켜 제도의 수용성을 낮추기 때문이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배출권 시장을 연계하는 가장 큰 논거는 비용

효과성에 있다 비용효과성은 연계하는 두 시장 간 감축비용의 차이에

서 나온다 그러나 반 로 배출권 시장이 연계된 이후 높은 감축목표

를 설정한 국가의 기업들이 상 적으로 낮은 감축목표를 설정한 국가

의 기업들로부터 거 배출권을 구입하여 자본이동이 발생하게 되면

고강도 감축목표 설정 국가의 기업들로부터 국가 간 감축목표의 형평

성 관점에서 제기되는 상당한 정치적 저항에 부딪힐 수 있다9) 또한

연계 이전에 고강도 감축목표 국가의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의 순 판

매자인 기업이 시장 연계 이후에 배출권 판매규모가 줄어들게 되고

그로 인해 연계 이전에 비해 순 편익이 줄어들 경우 분배적 이슈가 부

각될 가능성도 있다10)

9) 두 시장의 감축목표의 강도나 감축비용이 유사한 경우에는 이러한 쟁점은 사라지는 반면에 시장 연계로 인한 경제적 편익은 줄어들게 된다는 역설적인 측면이 존재한다(Ranson and Stavins 2015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10) 한편 감축목표의 상당한 차이가 나더라도 양 시장이 이를 감안한 적절한 교환비율을 설정한다면 이론적으로는 시장 연계에 큰 장애요인이 되지 않을 수 있다(Burtraw et al 2013 Ranson and Stavins 2015) 그럼에도 불구하고 Ranson and Stavins(2015)는 감축목표와 배출권 가격에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경우 시장 연계에 큰 장애요인이 될 수 있으며 ClimateWire(2013)을 인용하면서 EU-ETS 배출권 가격의 급락이 캘리포니아 배출권 시장과의 연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5

따라서 배출권시장의 연계를 추진할 경우 연계를 통한 경제적 편익

이외에도 감축목표의 엄격성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국가 간의

자본 이동 문제와 이에 따른 분배 문제에 해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

요가 있다 또한 감축목표의 강도에 해 연계 이전 양 당국자간의 충

분한 사전 논의와 조율이 선행되어야 하며 필요할 경우 시장 연계로

인해 영향을 받는 경제주체들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중요할

것이다

나 상쇄제도

상쇄제도는 배출권 시장의 공급량 및 이를 통한 시장 가격에 직접적

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자 국내적 감축활동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설계요소이다 상쇄제도가 크게 차이가 나는 서로 다른 두 시장

이 서로 연계될 때 상쇄제도의 차이로 인해 배출권의 공급 및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Teurk et al 2009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예를 들어 세계 최 배출권거래시장인 EU-ETS는 2020년 이후부터

역내 온실가스 감축노력 강화를 위해 역외 탄소상쇄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기로 하였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EU-ETS

와 다른 배출권 시장이 서로 연계되고 연계된 다른 배출권거래시장에

서 탄소상쇄의 사용을 허용할 경우 여기서 발생되는 상쇄배출권은 사

실상 EU-ETS에서 사용가능한 상황이 된다 연계된 다른 배출권거래제

의 할당배출권을 EU-ETS에 판매하는 신 그에 해당하는 양만큼의

상쇄배출권을 유입시키면 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할당배출권과 상쇄배출권은 통상적으로 상호 호환이 가

16

능하기 때문에 연계된 시장 간 상쇄의 활용에 한 다른 인식을 가지

고 있다고 하더라도 한 국가에서 상쇄제도를 허용할 경우 상쇄제도를

허용하지 않는 국가 또한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다 만일 연계를

고려중인 두 시장이 서로 다른 상쇄제도를 운영하고 있고 연계 시 상

쇄제도의 시장 수급 영향이 크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국가 간 상쇄제

도의 인식 및 활용 허용 여부 등에 한 사전 논의와 조율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될 것이다

다 배출권 가격 및 공급관리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하는 주체는 배출권 시장의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 배출권의 가격 및 공급에 관한 사항을 별도의 규정을 두어 관리

하기도 한다 여러 배출권 시장에서 도입하고 있는 배출권 가격 상middot하

한제도나 EU-ETS의 배출권 경매 연기(Back-loading of auctions) 조치

와 같은 배출권 공급량 조절 장치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11) 만약 가격

상한제 또는 하한제와 같은 배출권 가격 또는 공급량 관리 규정이 한

국가의 배출권 시장에 존재하거나 도입될 경우 이 시장과 연계되는

다른 국가의 배출권 시장에서 동일한 규정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연계

된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배출권 가격 상middot하한제도가 한 시장에 존재하고 다른 시장에는 존재

하지 않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경우 배출권 시장이 연계되어 있다

면 참여주체들의 재정거래(Arbitrage)를 통해 연계된 시장의 배출권 가

11) 배출권 경매 연기(Back-loading of auctions)는 EU 배출권 시장의 수급 안정화를 위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총 9억톤의 배출권 경매를 2019년 이후로 연기하는 조치로서 EU-ETS 경매 규제에 한 수정의 일환으로 2014년부터 시행되었다(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reform_en)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7

격은 결국 배출권 가격 상middot하한 범위 내로 수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연계된 시장의 모두에서 배출권 가격의 상middot하한제도를 도입한 것과 동

일한 결과를 가져다줄 공산이 크다

다음으로 공급량 관리 조치가 존재하는 상황을 EU-ETS 사례를 통

해 살펴보자 EU는 배출권 경매 연기에 뒤이어 배출권거래시장의 안

정화를 위해 배출권 비축제도(Market Stability Reserve 이하 MSR)를

도입하였다12) 만약 EU-ETS가 다른 시장과 연계되었다고 할 때 EU의

배출권 비축제도는 연계된 배출권 시장 전체를 상으로 한 배출권 공

급량을 기준으로 준칙이 설정되어야 배출권 시장 수급 안정화에 이상

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연계된 두 배출권 시장은 하나의 배출권 시장

으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연계된 두 시장의 전체적인 수급 불균형

이 아닌 한 시장의 수급 불균형만을 고려하여 제도를 운용할 경우 배

출권 수급 불균형 해결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를 위해서는 각

국가 간 배출권 공급과 배출권 가격에 관한 효율적인 관리 제도에 관

해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라 배출권의 할당방식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배출허용총량이 주어진 상황에서 배출권의 할

12) MSR은 배출권 경매량 조절을 통해 수급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배출권의 공급량이 사전에 정한 특정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배출권의 경매 규모를 감소시키고 그 감소분만큼을 비축하며 반 로 배출권시장 내에 배출권이 과소 공급될 경우에는 비축분의 방출하여 경매 규모를 증가시켜 공급량을 늘리는 방식으로 운용한다 현재 배출권 경매 연기 조치를 통해 확보된 9억톤이 MSR에 비축될 예정이며 추가 비축분은 2020년 이후 배출권 시장 상황에 따라 정해진 준칙에 의거 결정될 예정이다 아직까지 비축을 위한 구체적인 준칙은 확정되지 않았다(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reform_en)

18

당방식은 비용효과성에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한다(Mongomery 1972

Tietenberg 2006 Hahn and Stavins 2011) 물론 배출권거래시장의

참여주체에게 분배적 관점에서 영향을 미칠 수는 있다 그러나 국가

간 배출권 할당방식의 차이에 따른 영향은 두 시장의 연계 여부에 상

관없이 존재하기 때문에 비용효과성의 측면에서는 할당방식이 배출권

거래시장의 연계에 있어 직접적인 함의를 가지지 않는다13) 다만 연계

된 두 시장 모두 경매를 통한 배출권 할당을 할 경우 연계 이전에 배

출권 가격이 높게 형성된 국가의 경우 연계에 따라 가격이 낮아져 상

적으로 적은 경매수입을 얻을 수 있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경매수입이 다시 감축을 위한 활동에 중립적으

로 사용된다고 한다면 그 영향도 매우 제한적일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고려해야 할 점은 한 국가는 경매를 통해 할당하고

다른 국가는 무상으로 배출권을 할당하는 상황에서 두 시장이 서로 연

계되는 경우이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할당방식의 차이 자체가 배

출권 시장에 주는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다14) 그러나 일단 시장이 서

로 연계된 이후엔 유middot무상할당 방식의 차이로 인해 두 국가 간 산업경

쟁력이 정치적 쟁점으로 부각될 수 있다 즉 무상할당 방식을 취하는

13) 다시 말해 A라는 할당방식(국가 1에는 a1 국가 2에는 a2라는 할당방식)을 B라는 할당방식(국가 1에는 b1 국가 2에는 b2라는 할당방식)으로 변경하더라도 연계 전과 연계 후의 비용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동일하다 왜냐하면 연계가 없을 경우 최초 할당 이후 두 시장의 배출권 최종 균형가격은 A와 B 할당방식 모두에서 동일하며 연계된 경우에도 배출권 최종 균형가격은 할당방식에 관계없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할당방식을 어떻게 하든 할당방식에 따른 연계 전과 후의 비용효과성 변화의 크기는 동일하므로 할당방식이 배출권 시장 연계에 주는 직접적 함의는 제한적이다

14) 경매를 주된 할당방식으로 택하는 국가의 기업들이 무상할당을 주된 방식으로 채택한 국가로 생산시설을 이전하는 탄소누출(carbon leakage)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사실 이러한 탄소누출은 시장이 독자적으로 운영되더라도 유사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시장 연계가 추가적인 탄소누출을 야기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9

국가에 해 유상할당으로 할당방식 변경을 요구하는 명시적 또는 묵

시적 압력이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15) 따라서 할당방식에

있어서 유middot무상의 차이가 나는 경우 국가 간 상호조율과 양해가 전제

되지 않는다면 시장 연계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마 대상 온실가스 및 적용대상

배출권거래제의 적용을 받는 기업의 범위 및 배출제한 적용을 받는

상 온실가스는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소들이다 상 온실가

스 및 적용 상의 차이가 적용할 수 있는 온실가스 감축옵션이나 배출

권 할당 규모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기는 하지만 이는 시장 연계와

상관없이 영향을 주는 요소이므로 시장 연계 전후의 차이에 영향을 주

는데 제한적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이들은 적용여부에 따라 해당 산업의 경쟁력에 직접적인 영

향을 미치는 요소이므로 시장 연계 이후 배출권 가격 변화를 통해 간

접적으로 산업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이러한 경쟁력 변화는 특정 국가의 참여기업들의 수용

성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나아가 동태적인 관점에서 제도적 변화에

한 정치적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간과해선 안 된다

예를 들어 한 시장에서는 NF3를 규제 상 온실가스에 포함하는데

반해 다른 국가에서는 이를 규제 상에서 제외한다고 하자 이 경우

NF3가 규제 상에서 제외된 국가의 배출기업들은 그렇치 않는 경우

에 비해 상 적으로 유리한 입장이 된다 이들 두 국가의 배출권 시장

15) 물론 시장 연계 이전에도 이 문제는 국가 간 쟁점이 될 수 있으나 배출권 시장이 독자적으로 운영될 때보다는 연결된 경우에 쟁점화될 개연성이 더 높다

20

이 연계될 때 규제 상의 차이가 연계 전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은 매우 제한적이다 그러나 앞서 유middot무상할당 방식에서와 같이 일단

연계된 이후에는 상 적으로 불리한 입장의 기업들을 중심으로 제도적

형평성에 한 이의를 제기할 수 있고 중장기적으로는 제도적 수렴을

요구하는 경제 외적 압력을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

요컨 상 온실가스와 적용 상의 차이는 단기적으로는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핵심 쟁점은 아니다 그러나 앞선 예처럼 중장기적으

로는 연계 이후 참여 상자들의 수용성 및 형평성에 한 문제 제기 및

제도 수렴에 한 정치적 압력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바 이월 및 차입

이월(banking)은 해당 연도의 배출권 잉여분을 이후 연도에 의무이

행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두 국가 간 배출

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한 국가에서 배출권의 이월을 허용하고 있을

경우 연계된 다른 국가가 이월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간접적으로 이월

제도를 허용한 것과 유사하게 된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국가 A가 배출권 이월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국가 A의 기업들

은 해당 연도 배출권을 이월을 허용하는 국가 B의 이후 연도 배출권과

교환하여 이를 이후 연도 이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

서 어떤 시장에서 이월을 허용하지 않아야 하는 특별한 사유가 있다면

배출권 시장 연계 이전에 이월 관련 규정에 한 국가 간 상호 조율이

필요하다16)

16) 참고로 현재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한 부분의 국가는 배출권의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고 있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21

배출권의 차입(borrowing)은 이월과 반 되는 개념으로 배출권거래

제에 참여하는 업체가 해당 거래 연도에 배출허용량을 초과해서 배출

했을 때 다음 연도 배출권 할당량 중 일부를 차입하여 사용하는 제도

이다 차입 역시 이월과 유사한 논리로 두 국가 간 배출권 시장이 연계

되어 있다면 한 국가에서 배출권의 차입을 허용하고 있을 경우 연계된

다른 국가가 차입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이 국가에서 간접적으로 차입

제도를 허용한 것과 사실상 동일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배출권의 차입

은 현재 시점에서의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을 이연시키

는 효과를 가지므로 환경 건전성 관점에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

다 이로 인해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한 부분의 국가는 차입을 허용하

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일 어떤 시장에서 특정한 사유로

인해 차입을 허용하는 경우엔 배출권 시장 연계 이전에 차입 관련 규

정에 한 국가 간 상호 조율이 필수적이다

사 기타 고려사항

온실가스 배출량의 측정 및 보고 검증(Measurement Reporting and

Verification MRV) 기준은 두 배출권 시장 연계에 있어서 중요하다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연계된 두 시장의 MRV 기준

및 강도 등에서 상당한 차이가 날 경우 두 배출권의 상호 호환성

(fungibility) 및 등가성에 한 논란이 커질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그

러나 서로 다른 MRV체계가 반드시 시장 연계의 장애요소가 되는 것

은 아니며 양 국가 간 합의만 전제된다면 등가비율의 조정을 통해 연

계가 가능하다(Tuerk et al 2009)17)

17) 물론 Tuerk(2009)가 지적하듯이 MRV체계의 투명성(transparancy)과 비교가능성

22

또한 연계된 배출권시장 간의 배출권 이전이 가능하기 위해서 배출

권거래시장의 등록소는 두 시장 간 호환 가능해야 하는데 이는 다분

히 기술적인 요소로 시장 연계에 있어서 장애요인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연계된 배출권시장 간에 신뢰 구축을 위하여 감축목표

불이행에 따른 페널티와 의무이행 체계는 연계된 시장 간에 유사해야

할 것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comparability)이 보장되어야 하며 기준과 강도 그리고 등가비율 등에 한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3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

두 배출권 시장이 서로 연계되는 방식은 다양한데 크게 나누어 보면

직접 연계(direct link)와 간접 연계(indirect link)로 구분된다(Tuerk et

al 2009) 직접 연계는 두 배출권 시장 간 직접적인 배출권 거래가 가

능한 경우를 의미하며 간접 연계는 두 시장 간 직접적 거래가 가능하

지 않지만 제3의 시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된 경우를 뜻한다(Tuerk

et al 2009 Flachsland et al 2009) 다시 직middot간접 연계는 몇 가지 서로

다른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아래에서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가 직접 연계 완전 통합형

완전 통합형 직접 연계는 서로 다른 별개로 운영되던 배출권 시장이

하나의 배출권 시장으로 통합되는 유형을 말한다 이 경우 서로 다른

할당배출권이 하나로 통합되며 개별적으로 진행되던 배출권 할당 또한

전체 시장을 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선 감축목표의 설정 및

배출권 할당 상쇄제도 등 다양한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소들

에 해 두 시장간 완전한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감축목표

의 설정 등과 관련하여 완전한 합의를 이루기 위해선 국가 주권의 일

정 부분을 양도한다는 국내 정치적 도전과 정책적 자율성 손실에 따른

비용 부담이 불가피하다는 단점이 있다

완전 통합형 직접 연계는 현실에서 사례를 찾기 매우 힘들지만 표

24

적인 사례로는 EU-ETS와 노르웨이 ETS의 연계를 꼽을 수 있다

EU-ETS 제1기(2005~2007)만 하더라도 양 국가의 배출권 시장은 별도

의 시장으로 존재해왔다 그러나 EU-ETS 제2기(2008~2012) 이후부터

노르웨이 ETS 시장은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과 함께 EU-ETS 시장

으로 편입되어 EU ETS Directive 하에서 운영되는 시장으로 완전 통

합되었다(Royal Norwegi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08)

나 직접 연계 쌍방향 연계형

쌍방향 연계 방식의 직접 연계는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각자

배출상한 목표를 가지고 개별적으로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되 서로 간

의 할당배출권이나 상쇄배출권이 자유롭게 거래되고 상 편 시장의 배

출권을 자신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게 허용되는 연계 방식을 말한

다(Haites and Mullins 2001 Tuerk et al 2009) 두 개의 시장이 하

나의 시장으로 완전히 통합되는 방식에 비해서 각자 독자적인 배출권

시장을 유지middot운영하기 때문에 각 시장을 운영하는 주체의 정책적 자율

성이 일정 부분 보장된다 또한 시장 연계의 수준을 두 시장이 가진 고

유한 상황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다 경우에 따라 해당 시

장에서 의무 이행 시 활용 가능한 상 편 시장의 배출권 수량에 일정

한 제한을 가할 수도 있고 제한 없이 상 편 시장에서 구매한 배출권

을 자신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도 있어서 제도 운

영의 자유도가 완전 통합형에 비해서 높은 편이다18)

18) 만일 제한 없이 상 편 시장에서 구매한 배출권을 자신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경우 완전 통합형 직접 연계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쌍방향 연계형은 배출상한 목표(즉 배출권 할당량) 등 주요 설계요소를 결정함에 있어서 각 시장 운영주체가 독자적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완전 통합형과 차별성을 가진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5

현존하는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는 모두 쌍방향 직접 연계의 유형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와 퀘벡 간의 배출권 시장 연계와

최근 협정을 체결한 EU-ETS와 스위스 ETS 간의 연계가 표적인 쌍

방향 직접연계 방식을 취하고 있다 목표의 강도 할당방식 적용 상

상쇄제도 등 주요 배출권거래제 설계요소에서 나름의 독자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배출권 거래 및 의무이행에 있어서 상호 호환을 허용하고 있다

이들 사례에 해서는 후술하는 소절에서 자세하게 다루기로 한다

다 직접 연계 단방향 연계형

단방향 연계는 한 시장에서는 상 방의 할당배출권이나 상쇄배출권

을 구매하여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지만 다른 시장에서는 이를 허용

하지 않는 방식이다(Tuerk et al 2009) 통상적으로 시장 연계는 상호

간 순 편익이 늘어날 경우에 성사될 수 있으므로 단방향 연계 방식의

직접 연계는 현실에서 보기 어렵다 다만 쌍방향 연계에 합의했더라도

제도적middot기술적 요인들로 인해 일정 기간 유예가 필요한 경우 서로 간

의 합의하에 본격적인 쌍방향 연계 전의 중간 단계로서 단방향 연계가

일어나기도 한다

단방향 연계의 사례로 노르웨이 ETS는 EU-ETS 제1기에 EU-ETS

배출권을 의무이행에 허용하였던 반면 EU는 노르웨이 ETS 배출권을

받아들이지 않았다(Tuerk et al 2009)19) 또한 비록 성사되지는 않았

지만 호주와 EU-ETS 간의 배출권 시장 연계 시도에서도 단방향 연계

의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지난 2012년 호주와 EU는 양 국가의 배출

권거래제를 연계하기로 발표하면서 2018년 7월 이후에 본격적으로 쌍

19) 이후 EU-ETS 제2기부터 노르웨이 ETS는 EU-ETS에 편입되었다

26

방향 연계하되 2015년 7월부터 한시적으로 호주 기업들이 EU-ETS의

배출권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합의한 바 있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이상의 사례는 단방향 연계 방식이 주로 소규모 시장이 규모 시장

과 연계할 때 과도기적 조치로 사용되어 왔음을 보여준다 결국 단방

향 연계는 규모 시장과의 연계로 인해 소규모 시장 참여자들이 입을

지도 모를 시장 충격에 미리 비하고 본격적인 쌍방향 시장 연계에

앞서 두 시장의 제반 제도적middot기술적 여건을 조화시키기 위한 준비기가

필요할 경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유형이다

라 간접 연계

두 시장이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지 않더라도 제3의 시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될 수도 있다(Tuerk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이때 제3의 시장은 할당배출권이 거래되는 시장이 될 수도 있

고 탄소상쇄 배출권(carbon offsets credit)이 거래되는 시장이 될 수도

있다 이때 제3의 시장은 다른 두 시장과 쌍방향 혹은 단방향으로 직

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어야 한다 이 경우 특정 시장에서의 배출권 수

급 변화는 제3의 시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다른 시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Tuerk et al 2009)

간접 연계의 한 사례로서 쌍방향 연계 이전에는 스위스 ETS와

EU-ETS를 들 수 있다 두 시장은 비록 직접 연계되어 있지는 않았으

나 탄소상쇄로서 교토의정서 상의 크레딧(CDM JI 등)을 허용하고 있

었으며 동 크레딧 시스템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아직까지는 제3의 시장이 할당배출권 시장이 되는 방식의 간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7

접연계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향후 여러 국가 혹은 지역 단위

에서 배출권 시장이 도입되고 서로 간의 이해에 따라 국가 혹은 지역

단위 배출권 시장 간 연계가 늘어나게 된다면 제3의 시장이 할당배출

권 시장이 되는 방식의 간접 연계 유형도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논의한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그에 해당하는 실제 사

례를 정리하면 아래 lt표 -1gt과 같다

구분 유형 표 사례

직접 연계

완전통합형EU-ETS(Phase II~)와 노르웨이 ETS

간의 연계

쌍방형 연계형

EU-ETS와 스위스 ETS 간의 연계(lsquo17년 협정 체결)

캘리포니아와 퀘벡 간의 ETS 연계

단방향 연계형

EU-ETS(Phase I)와 노르웨이 ETS 간의 연계

(연계 추진)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20157월~20186월)

간접 연계

크레딧 시스템을 통한 연계

EU-ETS와 스위스 ETS (쌍방향 연계 이전)

제3의 할당배출권 시장을 통한 연계

해당 없음

자료 Ranson and Stavins(2015)를 참조하여 저자가 재구성

lt표 Ⅲ-1gt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대표 사례

28

2 배출권 시장 연계의 사례20)

가 스위스 배출권거래제와 EU-ETS의 연계

2010년 11월 EU 집행위원회는 EU-ETS와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에 한 협상 개시를 제안했고 이사회를 통해 협상에 한 위임을

받았다 EU와 스위스는 두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 기준과 방식에 해

합의하고 2017년 11월 협약서에 서명함으로서 두 시장의 연계 이행 작

업에 들어갔다 EU-ETS와 스위스 배출권시장과의 연계는 EU-ETS와

제3국의 배출권시장이 연계되는 최초의 공식적인 사례이다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제는 제1차 계획기간인 2008년부터 5년간은 자

발적 참여 단계로 시작하였다 2013~2020년까지인 제2차 계획기간

동안 EU-ETS와의 연계를 위해 2020년까지 감축목표를 EU와 동일한

수준인 1990년 비 20 감축으로 정하는 중요한 변화를 배출권 시

장에 도입하였다

1999년 스위스는 난방 산업공정 수송연료에 탄소 부담금을 부과하

고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했다 연간 25000tCO2e 이상의 이산

화탄소를 배출하는 기업들은 직접적으로 배출권거래제에 참여 가능하

도록 하였으며 참여 기업들은 상향식 접근방법을 기반으로 배출권을

무상할당 받았다 제1차 계획기간 동안 기업은 조림사업과 같은 카본

싱크 프로젝트를 통한 RMUs(Removal Units)를 사용 가능하도록 하

였다 스위스의 페널티 제도는 EU의 페널티 제도와 확연한 차이를 보

이는데 배출권거래제를 참여기업이 감축목표 수준을 준수하지 못했을

20) 본 절은 Carbon Market Watch(2015)의 pp8-13까지의 내용과 박수경 외(2018)의 pp479~ 482까지 내용을 참조하여 재구성한 것이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9

경우의 페널티는 배출권의 상한가격에 해당하는 탄소 부담금과 이자의

합이었다

스위스와 EU 간 배출권거래시장 연계 협상은 공식적으로 2011년 3

월 시작되었다 이에 스위스는 2013년 1월 1일을 시장 연계 시 잠재적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는 요소들을 수정하여 배출권거래제를 개정하였

다 수정된 배출권거래제의 획기적인 변화 중 가장 괄목한만한 점은

배출권거래제 자발적 단계에서 의무적 단계로의 전환된 부분이다 따

라서 제2차 계획기간(2013~2020년)에는 스위스의 온실가스 배출 집약

적 산업부문의 시설들은 배출권거래제에 의무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또한 스위스는 수정된 배출권거래제의 페널티 제도 및 무상할당 방식

그리고 국가 간 탄소 상쇄제도를 EU-ETS와 조화시키기 위해 노력하

였다 그러나 여전히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제는 몇몇 사소한 부분에서

EU-ETS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EU의 경우 배출권거래제

참여 기업이 연간 배출량을 측정하여 당국에 보고하고 독립적으로 검

증 받아야 한다 그러나 스위스는 배출권거래제 참여 업체들이 측정한

연간 배출량을 당국에 보고해야 하지만 EU와 다르게 이를 독립적으로

검증 받지는 않아도 된다 다만 스위스 당국은 사안에 따라 이들에

한 검증을 요청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또 다른 차이점은 EU는 배

출허용량을 집행위원회에서 설정하는 반면 스위스는 상향식(배출허용

총량의 합계) 방법으로 결정한다 두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에 있어서

항공부문의 배출권거래제 편입과 서로 다른 온실가스 감축목표 또한

여전히 논쟁되는 이슈이다 lt표 -2gt는 스위스와 EU의 배출권거래제

를 비교 정리한 것이다

30

lt표 Ⅲ-2gt 스위스와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국가 스위스 EU

목표의 엄격성2013년 배출 상한량부터 매년 174 감축

2008~2012년의 연간 평균 감축량의 174 감축

배출량 제한 2013년 56 MtCO2e 2013년 2084 MtCO2e

탄소상쇄 수량

2012~2020년 기간 간 할당된 배출권의 최 11에서 동 기간 사용된 상쇄 크레딧을 차감한 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가능신규 참여기업은 2013~2020년 간 배출량의 45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

2008~2020년 기간 간 할당된 배출권의 최 11의 에서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신규 참여기업은 2013~2020년 간 배출량의 45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

탄소상쇄 품질

최빈국들로부터의 청정개발체제(CDM) 크레딧은 사용 가능하며 기타 CDM 및 공동 이행제도(JI) 크레딧은 2013년 이전에 등록된 것에 한해서 사용 가능

최빈국들로부터의 청정개발체제(CDM) 크레딧은 사용 가능하며 기타 CDM 및 공동 이행제도(JI) 크레딧은 2013년 이전에 등록된 것에 한해서 사용 가능

가격 및 공급관리

시장의 과잉공급 정도에 따라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배출권 공급량 조정

배출권 할당

EU-ETS와 유사한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적용범위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CO2 및 기타 온실가스

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EU 역내 항공 CO2 및 N2O PFCs

준수기간 2013~2020 2013~2020

규제방식 하향식 방식 하향식 방식

이월 무제한 이월 가능 무제한 이월 가능

페널티 제도

1톤당 약 125 CHF (104 유로)의 벌금 부과 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 해에 공제

1톤당 100 Euro의 벌금 부과 사라진 배출권은 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 해에 공제

자료 Carbon Market Watch Report(2015)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1

나 퀘벡과 캘리포니아 배출권거래제의 연계

2014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퀘벡과 캘리포니아의 배출권시장 연계

는 현존하는 세계 최초의 탄소시장 연계 사례이다 두 시장의 연계로

각 주(州)는 두 시장에서 모두 배출권이나 상쇄분을 판매 혹은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이들 두 시장의 연계 이전 두 시장 사이에 다양한 차

이점이 존재하였으나 WCI21)는 캘리포니아와 퀘벡 배출권거래시장의

조화로운 연계를 도출하였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은 유사한 배출권 가

격과 공급관리 적용범위 이행 기간 이월과 패널티 등을 채택하였다

캘리포니아는 주 자체가 세계에서 가장 큰 경제시장 중 하나로 총

온실가스 배출량은 퀘벡의 6배에 달한다 2012년 캘리포니아는 459

MtCO2-eq의 온실가스를 배출한 반면 퀘벡은 78MtCO2-eq의 온실가스

를 배출하였다 양 주 모두 운송부문이 가장 큰 배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캘리포니아에서는 발전부문이 두 번째로 큰 배출 비중을 차지

하는 반면 퀘벡의 경우 수력발전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발전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미미하다 한편 캘리포니아는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수준으로 안정화시키는 목표를 가진 반면 퀘벡은

2020년까지 총 배출량의 20 감축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이들 감

축목표를 비교해보면 2005년 배출량을 기준으로 퀘벡의 감축목표는

22인데 비해 캘리포니아는 11로 퀘벡의 감축목표가 캘리포니아보

다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두 시장은 모두 상쇄분의 최 사용량을 해당 이행 기간의 총 감축

21) 서부 기후 이니셔티브(Western Climate Initiative WCI)는 이 시장에 참여하는 북미 륙 서부 주들이 2020년까지 총 배출량의 15를 줄이는데 지역적으로 협력하기 위해서 형성된 배출권거래시장 운영기구이다(httpsenwikipediaorgwikiWestern_Climate_Initiative 참조)

32

목표의 8로 제한하고 있고 국제 상쇄의 사용량 또한 제한하고 있다

는 공통점을 가진다 그러나 두 시장 간에는 캘리포니아는 산림의 탄

소 흡수에 의한 상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퀘벡은 산림부문의

상쇄를 인정하지 않는 등의 차이점이 존재한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배출권거래시장은 경매가격 하한제와 유연한

가격 상한제를 시행하는데 합의하였다 캘리포니아의 경매가격 하한은

USD 1134이며 퀘벡의 경매가격 하한은 CAD 1282이며 이들의 환

율은 가장 최근시점 정오의 구매 환율로 정해져있다 경매가격 하한선

은 매년 5 + 물가상승분만큼 상승한다 가격 상한제의 경우 WCI에

참여하는 주들에 의해 독립적으로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들은 2013~2014년에는 할당량의 1 2015~2017년에는 7 2018~

2020년에는 7를 비축할 수 있고 시장에서 배출권가격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상호 간의 합의를 통해 비축분의 판매를 통해

가격안정화를 꾀한다

캘리포니아와 퀘벡 모두 2013~2014년의 제1차 계획기간에는 배출권

의 부분이 무상할당 되었으나 2015~2020년에는 무상할당 되는 배

출권의 양을 줄이는 동시에 점차 경매방식으로 배출권을 할당하게 된다

캘리포니아는 생산수준 배출량 벤치마크 상한 조정요소 및 산업 보조

요소22) 등을 바탕으로 하여 산업시설의 무상할당 수준을 결정한다

퀘벡은 2015~2020년 산업별로 차이가 있는 배출집약도 목표에 기초해

산업별 배출권의 무상할당량을 결정한다 퀘벡에서는 2015년부터 무상

할당량이 매년 1~2 감소한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에서는 2013~2014년 까지는 각각 총 온실가스 배

22) 상한 조정요소는 배출권 상한을 보다 엄격하게 하기 위한 조정을 말하며 산업 보조요소는 특정 산업의 탄소누출 가능성에 따른 보조를 의미한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3

출량의 약 36와 약 29를 차지하는 에너지 및 산업부문의 배출량만

규제되었으나 2015년부터는 적용범위가 확 되어 연료부문도 포함되

어 총 배출량의 87와 77가 적용범위에 포함되게 되었다 배출권의

이월은 두 시장 모두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는 동시에 보유 제한을 설

정하여 미래에 사용할 수 있는 있는 배출권 양을 제한하고 있다

lt표 -3gt은 캘리포니아 및 퀘벡의 배출권거래제와 EU-ETS를 비교

정리한 표이다

lt표 Ⅲ-3gt 캘리포니아-퀘벡과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지역 캘리포니아-퀘벡 EU

목표의 엄격성

(캘) 2015년 이후 연간 평균 감축량의 31 감축

(퀘) 2015년 이후 연간 평균 감축량의 32 감축

2008~2012 동안 연간 평균 174 감축

배출량 제한

(캘) 3945 MtCO2e (2015) 3342 MtCO2e (2020)(퀘) 653 MtCO2e (2015) 5475 MtCO2e (2020)

2013년 2084 MtCO2e

탄소상쇄 수량 총 배출권 할당량의 8

2008~2020년 기간 간 할당된 배출권의 최 11의 에서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신규 참여기업은 2013~2020년 간 배출량의 45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

탄소상쇄 품질

(캘middot퀘) 국내 탄소 상쇄로 제한(캘) 산림 프로토콜을 포함한

다양한 프로토콜 사용가능 구매자 책임 원칙

최빈국들로부터의 청정개발체제(CDM) 크레딧은 사용 가능하며 기타 CDM 및 공동 이행제도(JI) 크레딧은 2013년 이전에 등록된 것에 한해서 사용 가능

가격 및 공급관리

2014년 경매가격 하한제로 1톤당 $1134t 연간 5+ 물가반영분 인상 전략적 비축을 통한 가격 상한

시장의 과잉공급 정도에 따라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배출권 공급량 조정

34

자료 Carbon Market Watch Report(2015)

다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추진 사례

호주 정부는 국제 기후 협상의 일환으로서 2020년까지 2000년 비

5 온실가스 감축을 약속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호주는 2012

년 7월부터 탄소가격제도(carbon pricing mechanism CPM)를 도입하

였으나 2014년 호주 정권의 교체로 동년 7월에 폐기되었다 이 제도

는 2012년부터 2015년까지는 탄소 가격을 고정가격으로 2015년 7월

부터는 유연가격으로 변경하여 시행하기로 계획되어 있었다 또한 호

주는 2012년 EU와의 탄소시장 연계를 발표하고 그 해 7월부터 잠정

적으로 호주 탄소시장에서 EU 배출권을 사용할 수 있는 한방향 연계

가 시행되었으며 쌍방향 연계는 2018년부터 시행하기로 계획하였다

호주 정부는 원래 탄소가격의 상한을 AUD20(약 13유로)로 설정하

고 매년 5 인상하기로 계획하고 있었으며 하한은 AUD15(10유로)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EU-ETS와의 연계를 위해 유연가격제를 시행하기

로 한 2015년부터는 가격 하한제의 도입 계획을 철회하기로 하였고

지역 캘리포니아-퀘벡 EU

배출권 할당산업 및 발전부문 무상할당 점차 줄어드는 추세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적용범위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난방과 수송연료 CO2 및 N2O PFCs

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EU 역내 항공 CO2 및 N2O PFCs

규제방식 상향식+하향식 방식 하향식 방식이월 무제한 이월 가능 보유제한 무제한 이월 가능

페널티 제도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해에 공제

1톤당 100 Euro의 벌금 부과 사라진 배출권은 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 해에 공제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5

양국의 시장 연계가 시행되는 2018년에는 가격 상한제마저 폐지하기

로 하였다 또한 두 시장의 연계를 위해 호주 정부는 EU의 규정과 부

합하지 않는 원자력 사업 산업용 가스의 분해 및 형 수력발전 사업

의 탄소상쇄를 제외시켰다 하지만 두 배출권시장의 연계를 위한 이러

한 정책의 변경은 호주 정부에 정치적 부담을 안겨 주었고 2014년 7

월 탄소 가격제가 폐지됨에 따라 두 배출권시장의 연계는 실패로 마감

되었다 그 밖에도 호주의 탄소가격제는 메탄가스를 규제하고 있는 반

면 EU-ETS는 메탄가스를 규제하고 있지 않다는 점과 두 시장의 연계

를 위해 호주 탄소가격제의 페널티가 기존 고정가격의 13배에서 당해

연도의 평균 경매가격의 2배로 증가함에 따른 정치적 부담도 시장연계

실패의 원인이었다고 볼 수 있다

3 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앞서 살펴보았듯이 캘리포니아 ETS와 퀘벡 ETS 그리고 스위스

ETS와 EU-ETS의 연계는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성공적으로 연

계한 표적인 사례이다 여기서는 위 두 사례로부터 배출권 시장 연

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던 요인과 시사점을 간략히 살펴보

기로 한다

가 상호 호혜성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성공적으로 연계되기 위해선 우선 연계

이후에 서로간의 이해관계가 크게 상충되지 않으면서 상호 호혜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앞의 두 사례에서 보면 퀘벡 및 스위스 배출권 시장

36

은 연계된 캘리포니아와 EU 배출권 시장과 비교해 시장 규모 측면에

서 훨씬 작은 편이다 따라서 이들 시장 운영자들은 자신들의 시장에

참여하는 규제 상 기업들이 풍부한 유동성을 가진 큰 규모의 시장에

한 접근성을 제고하고 통합된 시장에서 다른 기업들과 동등한 경쟁

조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었다23) 특히 스위스 ETS의 할당배출권 가격

은 EUA 가격에 비해 거의 5배나 높은 상황에서 시장 연계는 스위스

배출권 가격을 EUA 가격에 근접시키는 효과가 기 되므로 스위스 입

장에서는 시장을 연계시킬 유인이 컸다(IETA 2015 p54)

한편 캘리포니아는 자신의 배출권 시장 외연을 확 하고 배출원들

의 온실가스 감축 이행 비용 부담을 완화하려는 목적으로 연계를 선호

하였다 이와는 별개로 스위스에 비해 훨씬 큰 규모의 시장을 가진 EU

는 주로 경제적 요인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의해 연계를 선호하였다24)

이처럼 양자의 이해가 맞아떨어지면서 배출권 시장 연계 논의가 시

작되었고 결국 성공적인 시장 연계로 이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연계

하는 두 시장의 이해관계가 일치한다고 하더라도 최종적으로 연계 합

의에 이르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서로 다른 두 시장의 주요

23) 스위스의 연계 유인에 해서는 ldquoLinking of the Swiss and European emissions trading systems big step forwardrdquo(httpswwwbafuadminchbafuenhometopicsclimatenews- releasesmsg-id-67745html) 및 IETA(2015)를 참조하라 퀘벡의 연계 유인은 Gouvernement du Queacutebec(2018)「Quebec cap-and-trade system for greenhouse gas emission allowances (CampT) Historical Overview」(p7)을 참조하였다

24) 캘리포니아 ETS의 연계 유인은 ldquoCALIF FORGING AHEAD WITH EMISSIONS TRADING NEXT MONTH AIR CHIEF CONFIRMSrdquo(httpswwwexchangemonitor comcalif-forging-ahead-with-emissions-trading-next-month-air-chief-confirmsprintmode=1) 을 참조하라 EU와 스위스 시장은 워낙 규모에 차이가 나서 연계 시 스위스 시장이 사실상 EU 시장에 편입되어 EU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EU는 연계에 따른 경제적 편익에 한 고려보다는 기후변화 응을 위한 리더십을 확보하고 시장의 외연을 확장하는 첫 단추로서 스위스와의 시장 연계를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IETA 2015 p54)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7

설계요소의 차이가 야기하는 시장 연계 전후의 영향에 조율이 필수적

이다 다음은 위 두 사례로부터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인의 관

점에서 바라본 성공요인에 해 논의해 보기로 한다

나 핵심 설계요소의 유사성

앞의 두 사례 모두 시장들 간 배출권거래제도의 핵심 설계요소에 있

어서 상당한 유사성을 가지고 있어서 이들을 조율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첫째 캘리포니아-퀘벡 ETS 그리고 스위스-EU ETS는 감축목표의

엄격성 측면에서 서로 유사하여 감축목표를 둘러싼 이견이 적었다 일

견 캘리포니아는 2020년까지 1990년 배출량 수준으로 감축하는 목표

를 가지고 있었고 퀘벡은 2020년까지 1990년 배출량 비 20까지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목표를 세워 퀘벡이 다소 높은 강도의 감축목표

를 설정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lt표 -3gt에서 보듯이 2015년도 ETS 적용 상 배출량 기준으

로 보면 2020년까지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연 평균 감축률은 각각

31 32로 거의 동소이하다 스위스 ETS는 2013년 배출상한

비 2020년까지 매년 174씩 EU-ETS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의

연 평균 배출량에 비 2020년까지 매년 174씩 감축하는 목표를 가

지고 있었다 이처럼 비록 절 적 감축량이나 배출허용량의 크기에 있

어서 두 시장간 차이는 컸지만 상 적인 감축목표의 엄격성 측면에서

유사해서 ETS 운영주체 간 상호 신뢰성이나 참여 상 기업들의 수용

성이 높아 시장 연계를 추진하는데 훨씬 수월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두 사례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한 탄소상쇄제도를 가지고 있어

38

상쇄배출권의 유입에 의한 시장 교란이 작동할 여지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lt표 -2gt에서 알 수 있듯이 스위스와 EU는 상쇄배출권 허용

비율 및 사용가능 종류에 있어서 사실상 동일하기 때문에 상쇄제도의

차이로부터 비롯되는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캘리포니아와 퀘

벡 배출권거래제의 경우에는 상쇄배출권 허용수량은 동일하나 상쇄배

출권의 생성 및 사용에 있어서 약간 차이가 있다 가령 퀘벡의 경우 산

림상쇄를 허용하지 않으나 캘리포니아는 산림 흡수원에 의한 상쇄배출

권을 허용한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두 제도

모두 부분의 해외 상쇄사업을 허용하지 않고 있고 전체 수량에서 차

이가 나지 않아 시장 연계 시 상쇄 프로토콜의 차이로 인한 시장 교란

보다 연계의 이득이 훨씬 크므로 그러한 사소한 차이가 시장 연계의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았다25)

셋째 배출권의 할당방식에 있어서도 두 사례의 국가들은 유사한 체

계를 갖추고 있었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경우 배출권 할당방식의 기

술적인 부분에서 일부 차이가 존재하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산업부문에

해선 무상할당 발전부문에 해선 유상할당을 적용하고 무상할당

의 비중을 점진적으로 줄여가는 방향성에 해서 체로 일치하였다

(ICAP 2019a ICAP 2019b) 마찬가지로 스위스와 EU도 거의 유사한

할당방식을 가지고 있었다 두 연계 사례 모두 유middot무상할당 방식을 혼

용하되 유middot무상이 적용되는 부문에 해서는 동일하였기 때문에 사소

한 할당방식의 차이는 연계 시 쟁점으로 부각되지 않았다

넷째 배출권 가격 및 공급량 관리 제도와 관련해서도 연계된 사례

25) 퀘벡은 해외 상쇄를 허용하지 않으나 캘리포니아의 경우 브라질 등 일부 국제 산림 상쇄크레딧을 허용한다 그러나 그 양은 매우 미미해서 시장에 미치는 영향 또한 극히 제한적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9

의 국가들은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은 동일

한 배출권 가격 및 공급량 관리 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스위스와 EU

의 경우 EU의 배출권 비축제도가 유일한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러나 IETA(2015)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스위스 ETS의 할당배출권 가

격이 EUA 가격에 비해 상당히 높았기 때문에 EU의 배출권 비축제도

도입 자체가 시장 연계에 장애요인이 되지 못하였다

그 외 이월과 차입 MRV 체계 등 시장 연계 시 고려될 주요 설계요

소들에 있어서 두 성공사례의 국가들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처럼 앞서 언급한 배출권 시장 연계 시 고려되어야 할 주요 설계요

소에 있어서 연계하는 시장들은 상당히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고

이것이 시장 연계의 논의와 조율이 매끄럽게 전개될 수 있도록 한 원

동력이 되었다고 판단된다

다 정책적 의지

배출권 시장의 연계가 상호간 이해에 부합하고 앞서 논의한 제도의

설계요소 관점에서 본 기술적middot경제적 쟁점들이 상당 부분 해소된다고

하더라도 정책적 의지가 수반되지 않는다면 시장 연계의 논의는 진전

되기 어렵다 그러한 측면에서 제도 설계요소의 상호 호환성 이슈는

성공적인 시장 연계의 필요조건은 될 수 있을지언정 충분조건은 될 수

없다(IETA 2015) 2010년부터 시작된 스위스와 EU-ETS 연계가 7여

년에 걸친 논의 끝에 성공적으로 매듭지을 수 있었던 것도 스위스 정

책 당국의 의지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스위스

-EU ETS 연계 논의과정에서 항공부문의 포함여부가 중요한 쟁점 중

하나였고 이민쿼터의 도입 등을 둘러싼 EU와의 정치적 이슈와 결부되

40

면서 자칫 좌초될 뻔했던 양 시장의 연계가 끝내 성사될 수 있었던 것

도 정책 당국의 강력한 의지가 있었기 때문이다(IETA 2015) 퀘벡 정

부에서 발간한 보고서에서도 일부 서로 다른 규제 틀을 가지고 있던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연계가 성사될 수 있었던 이유로 상호 신뢰와 개

방적 소통을 통해 두 주 정부가 긴 한 협업을 해나간 것이 주효했다

고 적시하고 있다(Gouvernement du Queacutebec 2018)

반 로 호주 석탄 사업자들의 메탄 배출량 포함 여부를 둘러싼 이

슈 농업 및 토지이용 관련 상쇄제도의 허용 여부 등 다양한 이슈에도

불구하고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논의가 끝내 좌초되었던 것도 정

권 교체 이후 새롭게 들어선 정부 당국이 시장 연계에 회의적이었기

때문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권 시장 연계의 제반 조건이 충족되

었을 때 이를 최종적으로 매듭짓는 요소는 결국 정책적 의지이며 충

분한 시간을 가지며 상호 신뢰와 개방적 소통 하에서 협력해나가는 노

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1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 동향과 전망

서로 다른 배출권거래시장 간의 상호 연계는 한 국가 혹은 한 지역

내에서 작동하던 탄소시장의 외연을 확 하는 것으로서 국지적 탄소시

장의 글로벌화와 맥이 닿아있다 배출권 시장 연계는 본질적으로 당사

국 간의 자율성에 기반을 하고 있기는 하나 국제 탄소시장을 규율하

는 원칙과 규정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다 파리협정에서는

감축의 비용효과성을 증진시켜 당사국들이 보다 상향된 감축목표를 제

시하도록 하기 위해 시장 메커니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와 관련

해서 현재 파리협정 이후의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가 한창 진

행 중이다 이에 본 장에서는 파리협정하의 탄소시장 논의 동향과 배

출권 시장의 연계와 관련한 시사점에 해 살펴보기로 한다

1 파리협정 이후의 탄소시장 논의 동향

가 주요 내용

파리협정에서 시장 메커니즘은 파리협정문 제6조에 규정되어 있다

파리협정에는 시장(market)이라는 용어가 명시되어 있지는 않은데 이

는 시장 메커니즘의 설립을 반 하는 일부 당사국들이 lsquo시장rsquo이라는

용어가 파리협정 내에 포함되는 것에 반 하였기 때문이다(산업통상자

원부 2016b)

사실 파리협정하의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사항들은 파리협정 체결

이전부터 논의해왔던 Post-2012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의 결과물

42

이다 기존의 Post-2012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 내용들이 파리협

정을 통해 반영되면서 협력적 접근법(Cooperative Approach) 지속가능

발전 메커니즘(Sustainable Development Mechanism SDM) 비시장 접근

법(non-Market Approach)의 3가지 개념이 제6조에 포함되었다

제6조는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 하위 개념을 포괄하는

원칙인 제61조와 협력적 접근법에 관한 내용인 제62 63조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의 내용을 담고 있는 제64 67조 비시장 접근법에

관한 제68 69조로 구성되어 있다

제61조에는 시장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목적과 기본원칙이 포함되어 있

다 시장 메커니즘은 온실가스 감축비용 부담을 완화시켜 당사국들의

국가온실가스감축기여분(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NDC)

의 상향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NDC의 상향에 기여함

은 제6조의 활용을 포함하여 더 높은 목표의 설정을 고려해야 함을 의

미한다 이때 시장 메커니즘의 활용은 지속가능한 발전과 환경적 건전

성이 증진되도록 한다는 원칙 하에서 이행되어야 한다 지속가능한 발전

과 환경적 건전성은 이중계산(double counting)의 방지와 함께 시장 메

커니즘 활용의 3가지 주요 원칙에 해당한다26)

협력적 접근법(제62 63)은 당사국들 간의 자발적 협력을 통해 감

축실적(mitigation outcome)이 발생하여 국제적으로 이전된 경우

(Internationally Transferred Mitigation Outcome ITMO)에는 NDC의

이행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ITMO의 활용은

참여 당사국들의 자발적 승인을 통해 이루어진다 파리협정 결정문

(Decision1CP21)에 따르면 이중계산 방지를 포함하여 협력적 접근법

의 이행에 필요한 지침을 개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26) 하지만 각 용어의 정의에 해서는 명시적으로 합의된 바 없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3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제64 67)은 파리협정 당사국총회(CMA)가

지정한 기구에서 감독하며 지속가능발전의 촉진 전 지구적인 온실가

스 감축에의 기여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결정문에는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의 운영에 필요한 규정(Rules) 방법(Modalities) 절차

(Procedures) 등에 관한 지침의 개발을 명시하고 있다

비시장 접근법(68 69)은 지속가능발전을 위해서 비시장 접근법의

프레임워크 설립을 명시하고 있으며 결정문에는 작업 프로그램의 개

최를 통해서 감축 적응 기술이전 재원 능력 배양 등 주요 요소들 간

의 시너지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논의하도록 하고 있다

lt표 Ⅳ-1gt 파리협정 제6조 주요 내용

구 분 주요 내용

61

당사국은 일부 당사국의 자국의 감축과 적응 행동에 있어서 더 야심찬 노력

을 설명하고 지속가능한 개발과 환경적 건전성을 증진하기 위해 국가별 기

여방안 이행에 자발적인 협력을 추구할 것을 인지한다

62

당사국이 국가별 기여방안에 국제적으로 거래되는 감축 성과를 이용한

협력적 접근법에 자유의사에 따라 참여한다면 거버넌스 내에서 지속가능

한 개발을 증진하고 환경 보전과 투명성을 보장하며 파리협정의 당사자회

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총회에서 채택된 지침에 따라 견고한 회계방식

을 준영하여 이중계산을 피하도록 해야 한다

63본 협정 하에서 국가별 기여방안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제적으로 거래되는

감축성과의 이용은 참여당사국에 의해 자발적으로 승인받는다

64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지지하는 메커니즘은 당

사국의 자유의사에 따라 이용하도록 파리협정의 당사국 회의의 역할을 수

행하는 당사국 총회 권한과 지침 하에 세워진다 파리협정의 당사자 회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가 지정한 기관에 의해 감독되며 다음을 목표

로 한다

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조성하면서 온실가스 감축을 증진할 것

나 당사국의 권한으로 공공과 민간 부문이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하도록

장려하고 촉진할 것

44

나 후속협상 주요 경과

COP21 결정문(Decision1CP21)에 따라서 2016년부터 과학기술자

문부속기구(SBSTA)에서 파리협정 제6조와 관련한 지침의 개발을 위

한 협상이 진행되었다 본 소절과 뒤따르는 소절에서는 산업통상자원

구 분 주요 내용

다 유치국의 배출 수준의 감축에 기여하며 국가별 기여방안을 성취하기

위해 타 당사국이 이용할 수 있는 감축 활동으로부터 편익을 얻을 것

라 세계 배출량의 전반적 감축에 기여할 것

65

상기 4항에 명시된 메커니즘을 통한 감축방안이 또다른 당사국의 국가

별 기여방안의 달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이용되었다면 그 유치국의 국가별

기여방안의 달성을 증명함에 있어서 그 방안을 이용할 수 없다

66

파리협정의 당사자 회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는 상기 4항에

명시된 체제 하에서 이루어진 활동 수익의 몫은 적응 비용을 충당하기 위하

여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에 특히 취약한 개발도상국인 당사국을 지원하

고 행정비용을 마련하는데 사용됨을 보장한다

67파리협정의 당사자회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 제1차 회기에서

제4항에 명시된 체제에 한 규칙 방식 절차를 채택한다

68

당사국은 조직적이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감축 적응 재정 기술이전 역량강화를 포함하여 지속가능한 개발 및 빈곤 근절의 맥락에서 자국의 국가

별 기여방안을 이행하는데 이용 가능하고 통합적이고 전체적이며 균형적인

비시장 접근의 중요성을 인지한다 이 접근 방식은 다음을 목표로 한다

가 감축과 적응 노력을 증진

나 국가별 기여방안 이행에 해 공공 및 민간 부문의 참여 강화

다 제도 및 관련된 제도적 장치를 통한 조정의 기회를 활성화

69지속가능한 발전에 한 비시장 접근의 틀은 본 조 제8항에 명시된 비시

장 접근을 증진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자료 UNFCCC(2015) 및 수원의제21실천협의회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2016) 산업통상자원부(2016a)에서 재인용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5

부(2016b) DEHSt(2016) 및 Bodansky et al(2016)의 주요 내용을 바

탕으로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국제 협상의 논의 경과와 부각된 주요

쟁점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1) 협력적 접근법

2016년에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회의(SBSTA 제44차 및 제

45차 회의)는 주로 파리협정 내 포함되어 있는 협력적 접근법(제62

63)의 문안 내용에 한 해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파리협정

문안에 해 당사국들 간에 상호 상이한 해석의 가능성을 줄여서 공통

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한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4차 회의에서는 주로 협력적 접근법 관련

지침의 범위(scope) 협력적 접근법과 NDC와의 관계 ITMO의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었다

지침에 포함될 범위와 관련하여 파리협정의 협력적 접근법에서 규정

하고 있는 의무사항들 - 견고한 회계방식 지속가능한 발전의 증진 환경

건전성과 투명성의 보장 - 을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에는 공통적인 견해를

보였다 NDC와의 관계에서 협력적 접근법의 사용은 견고한 회계방식

(robust accounting)의 원칙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과 흡수량에 한 상

응하는 조정(corresponding adjustment)을 통한 이중계산 방지가 필요하

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다만 당사국들이 제출한 NDC가 단일연도

목표 다년도 목표 정책과 감축행동 중심의 목표 등 다양한 형태가 존

재하므로 협력적 접근법에 의한 감축실적을 NDC에 어떻게 가감할 것

인가가 중요한 쟁점이 될 수 있다(DEHSt 2016) 그에 따라 단일연도

목표의 경우 목표 설정 당해 연도의 NDC만 충족하면 되기 때문에 다

46

년도 목표를 제시한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달성여부를 점검하는 것

은 타당하지 않으므로 상응하는 조정이 반영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

기되었다 아울러 ITMO의 개념에 해서도 배출권의 형태인지 단순 감

축실적의 결과(산출물)인지에 해 개념 정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

기되었다27)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5차 회의에서는 2018년 말(SBSTA 제49

차 회의)까지 후속협상을 종결시킨다는 목표 하에 후속협상을 위한 작

업계획을 공유하고 당사국들이 제출한 국가제안서(submission)에 기초

하여 공통의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협력적 접근법의 인센티브

와 관련하여 EU는 양자와 다자 형태로 운영하면서 민간부문을 포함한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도

서국가연합(AOSIS)은 경제 전반에 한 NDC 목표 상향을 위해 추가

적인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파리협정의 타 조항과의 관

계에서 부분의 당사국들은 감축(파리협정 제4조)과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이 시장 메커니즘과 연관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투명성 하에서

시장 메커니즘 활동에 한 보고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는 점에 공통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EU는 협력적 접근법과 감축(파리

협정 제4조)은 NDC의 이행 관점에서 ITMO의 산정과 연계되어 있는

이슈이며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과는 감축분의 이전 획득 NDC 사

용 등과 관련된 보고와 상호 연계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환경

적 건전성과 관련하여 환경건전성그룹(EIG)에서는 감축산출물의 품질

27) 배출권과 감축실적은 이전 가능하다는 점에선 유사하지만 엄 하게 말해 서로 다른 개념이다 배출권은 정해진 배출허용량에 상응하여 배분된 후 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되는 배출허가권인데 반해 ITMO는 특정한 감축활동의 결과로서 주어지는 인증된 감축실적이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DEHSt(2016 p12)를 참조하라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7

보장을 위해 ITMO에 영속성과 추가성의 개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개진한데 반해 EU는 상응하는 조정을 통해서 환경적 건전성이 보장

될 수 있다는 다소 완화된 입장을 피력하였다

2017년에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회의(SBSTA 제46차 및 제

47차 회의)는 당사국들 간의 이해증진을 바탕으로 지침의 주요 요소들

에 한 도출을 위한 세부 협상을 진행하였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6차 회의에서 공동의장은 지침의 기본 목

차와 주요 요소에 관한 문서를 제시하였고 당사국들은 라운드 테이블

회의와 비공식 회의 등을 통해서 누락된 요소에 한 의견들을 제시하

였다 이러한 논의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공식 정보노트(informal

information note)가 도출되었다

이어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7차 회의에서는 공동의장이

배포한 비공식 노트에 해 당사국들이 의견을 개진하는 방식으로 진

행되었다 여기에는 지침의 목차와 하위 소목차 옵션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비공식 노트에 해 선진국들은 판매국과 구매국이 구분되어

있는 지침 목차에 불만을 제기하며 이를 통합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

하였고 개도국들은 지침에 수익금의 배분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당사국들은 차기 회의 이전에 과학기술자문부속기

구 의장이 비공식 문서(informal document)를 작성하여 회람하기로 합

의하였다 의장명의의 비공식 문서는 2018년 3월에 회람되었는데 비

공식 노트를 기반으로 중복요소의 간소화와 옵션과 잠재 요소 목록이

제시된 수준이었다

2018년에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1차 및 제48-2차 회의

(SBSTA 제48-1 SBSTA 제48-2)는 동 문서에 기초하여 협상이 진행

48

되었고 협상문서 초안이 도출되었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1차 회의에서는 의장명의의 비공식 문

서에 한 당사국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공동의

장 명의로 수정된 비공식 노트(Revised Informal Note)가 채택되었다

수정된 비공식 노트는 기존 비공식 문서에서 개념을 보다 명확히 하고

일부 잘못 표현되거나 누락된 내용들을 반영하는 형태로 합의되었다

다음으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2차에서는 2018년 말까지 설

정한 후속협상 작업계획의 일정을 수정하여 2019년 말까지 작업 기간

을 연장하고 수정된 비공식 노트에 기반하여 당사국들의 의견을 청취

하였다 이를 통해 2018년 말까지 합의가 필요한 사항을 부속문서 1

2019년 말까지 합의가 필요한 사항을 부속문서 2로 구분하여 각각 시기

별로 합의될 내용을 구분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협상문서 초안(Drafting Negotiation Text)을 도출하였다

2)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4차 회의에서는 교토 메커니즘과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 간의 차이점과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적용 범위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양 메커니즘 간 비교에서는 주로 메커니즘 자체

에 한 시각 차이보다는 교토의정서와 파리협정 간의 차이점에 해

당사국들 간에 상이한 입장 차이가 드러났다 일부 당사국은 청정개발

체제와 공동이행제도를 중심으로 사용되었던 방법 절차 등의 지침이

파리협정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고 지적한 반면 선진국을 중심으로 파

리협정은 사업 수행국의 역할과 책임이 교토의정서보다 강화되었기 때

문에 교토 메커니즘과는 근원적인 차이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적용 범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9

위와 관련해서 교토 메커니즘이 프로젝트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반해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은 프로젝트나 프로그램의 범위를 넘어

더 폭 넓게 적용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5차 회의에서는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운영체계 추가성의 개념 전 지구적인 전반적 감축의 이행방식 현존

메커니즘의 경험과 교훈 등에 해 논의하였다 일본은 교토의정서와는

달리 파리협정에서 모든 당사국이 NDC 목표가 존재하므로 NDC 이행

에 관해서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결과물도 협력적 접근법에서 개발

된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반면 중국은 운영체계와 관련

하여 청정개발체제의 운영방식보다 유연하게 설계될 필요가 있다고 주

장하였다 추가성 개념과 관련하여 EU는 방법론의 경우 새로운 국제

적인 표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으며 미국은 교토메커니즘에

이미 추가성 개념이 존재하므로 이를 기반으로 논의하는 것이 효율적

이라고 강조하였다 반면 브라질은 추가성과 전 지구적 전반적 감축은

연관성을 갖고 있으며 교토 메커니즘의 운영체계를 기반으로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의 운영체계를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듬해 열린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6차 회의에서는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과 청정개발체제의 관계에 해 논의가 이어졌다 주로 개

도국들은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을 청정개발체제의 연장선에서 접근

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선진국들은 새로운 접근과 설계가 필요하다

며 양 진영 간에 립이 형성되었다

속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7차 회의에서는 앞선 회의에서 제

기된 청정개발체제와의 관계에 관한 사항이 계속 쟁점화되었다 브라

질은 청정개발체제에서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으로 전환의 필요성과

50

당위성에 해 강하게 주장하였고 이중계산의 허용 필요성까지 제기

하였다 반면 일본은 2020년 이전에 기 발행된 배출권의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으로의 전환과 관련한 이슈를 제기하여 메커니즘 전환과

관련된 이슈가 배출권의 전환으로 확장되는 계기가 되었다 한편 도서

국가연합(AOSIS)는 전 지구적 전반적 감축의 이행 방안으로 기 발행

된 배출권의 일정 비율을 취소하자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협력

적 접근법과 동일하게 차기 회의 전까지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의장

명의로 비공식 문서를 발행하여 회람하기로 합의하였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1차 회의에서는 2018년 3월에 회람된

비공식 문서에 해 당사국들의 의견을 청취한 후에 공동의장 명의의

수정된 비공식 노트(Revised Informal Note)가 채택되었다 이후 과학

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2차 회의에서는 협력적 접근법 논의와 동일하

게 2018년 말까지 설정한 후속협상 작업계획의 일정을 수정하여 2019

년 말까지로 기간을 연장하고 수정된 비공식 노트에 기반하여 당사국

들의 의견을 청취하였다 또한 교토 메커니즘의 전환에 관한 이슈사항

은 처음에는 부속문서 3으로 별도 분리해 놓았으나 개도국들의 주장

에 따라 2018년 말까지 결정할 사항들을 포함하는 부속문서 1에 수록

하였다

다 주요 쟁점 사항

1) 협력적 접근법

시장 메커니즘과 관련된 지침의 내용에 한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지침의 서문과 원칙에 관한 사항이다 선 개도국 간에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1

발생하고 있는 쟁점을 중심으로 원칙 부분을 별도로 구분함으로써

선 개도국 간의 차별화 요소를 반영하려는 개도국과 이에 반 하여

서문과 원칙을 하나로 통합하여 서문에 포함하자고 주장하는 선진국

입장으로 별된다

두 번째는 거버넌스에 관한 사항이다 협력적 접근법이 기본적으로

당사국 간의 자발적 협력을 통해 감축산출물을 발생시키고 국제적 이

전을 통해 NDC에 활용하자는 개념이므로 과연 국제적인 거버넌스 설

립이 필요한가가 그리고 필요하다면 어떤 수준에서 운영되어야 하는가

가 쟁점이 되고 있다 일부 당사국들은 비록 당사국 간의 자발적 협력

에 의한 감축활동이지만 협력적 접근법에 의한 전 지구적 활동들을 관

할하는 별도의 기구 설립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반면 일부 당사국

들은 협력적 접근법만을 관할하는 별도의 기구를 만들기보다는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의 감독기구에서 협력적 접근법에서 필요한 기능을 통

합해서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28)

28) DEHSt(2016)에 따르면 협력적 접근법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는 (1) 완전히 분권화된 형태로 운영하고 결과만 보고하는 방식 (2) 관련된 모든 운영사항을 규정에 담아 UNFCCC 같은 중앙집권적 기구를 통해 관리하는 방식 (3) 견고한 회계방식 투명성 보장 등을 위해 공통의 레지스트리를 중앙집권적 감독기구에서 운영하되 최소한의 기준만 충족되면 당사국의 자율에 맡기는 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의 논의는 (2)안 또는 (3)안으로 하되 협력적 접근법만을 위한 별도의 중앙집권적 감독기구를 설립할지 아니면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을 관할하는 감독기구에서 협력적 접근법 관련 사항까지 관할하도록 할지에 해 의견을 조율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한편 Bodansky et al(2016)의 주장에 빗 어 해석하면 (2)안은 통일적 접근법(uniform approach)에 가까운 방식이다 (2)안은 거래비용과 정책 불확실성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는 반면 당사국들의 개별적 상황을 반영하는 유연성이 떨어지며 합의에 이르는데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조화적 접근법(harmonized approach)은 당사국들의 개별적 상황을 포괄할 수 있는 보다 일반적인 기준만 제정하여 이를 준수하기만 하면 되도록 하는 방식을 말한다 사실 DEHSt(2016)에서 제시하고 있는 (3)안은 통일적 접근법과 조화적 접근법이 혼합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Bodansky et al(2016)가 지적한 바와 같이 ITMO의 발생과 이전을 추적하고 NDC 활용 여부를 확인하는 규칙과 시스템은 중앙집권적 기구에서 통일적으로 관리하되 MRV 기준이나

52

세 번째는 시장 참여의 조건에 관한 사항이다 당사국들 간에 자발

적 협력이라는 원칙하에 NDC의 유형이 영향을 줄 수 있는가가 쟁점

이다 DEHSt(2016)에서 보여주듯이 온실가스 배출량 상한이나 감축량

같이 tCO2eq로 측정가능한 NDC 형태가 많긴 하지만 감축정책이나 감

축 관련 활동 자체를 NDC로 제출한 국가들도 존재하기 때문에 그러

한 국가들의 시장 참여 여부가 쟁점이 될 수 있다 아랍그룹 LMDC

등은 NDC 유형에 관계없는 참여 보장을 요구하는데 반해 선진국들은

시장 참여를 위한 조건으로서 NDC 계량화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네 번째는 상응하는 조정의 적용 상에 관한 사항이다 주로 언급되

고 있는 상에는 NDC에 포함되지 않은 외부(outside)감축활동에서

발생한 감축사업 Pre-2020에서 전환된 교토 메커니즘 하의 배출권에

해 상응하는 조정을 적용할 필요성이 있는가가 주요 쟁점이 되고 있

으며 당사국 별로 입장이 제각각인 특징이 있다

다섯 번째는 단일연도 NDC에 한 상응하는 조정의 적용방식이다

단일년도 NDC에 한 상응하는 조정 여부에 자체에 해선 큰 이견

이 없으나 상응하는 조정을 어떻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해선 당

사국별로 입장이 엇갈린다 단일년도 NDC의 특성이 중간연도에 해

서는 별도의 목표를 수립하고 있지 않은 방식인데 목표연도 이전에

감축하여 보유하고 있는 감축실적은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그리고

마지막 년도에 관한 NDC 달성 여부를 증명하는 과정에서 상응하는

조정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등이 쟁점사항이 되고 있다29)

ITMO의 부여 등은 최저 기준만 충족하도록 하는 조화적 접근법을 혼용하는 방식에 가깝다

29) 동 이슈는 감축(파리협정 제4조)의 lsquoNDC 산정rsquo과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의 lsquo연계된 산정rsquo과 관련되어 있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3

이 외에도 ITMO를 발생 이전 획득한 경우에 중간년도에 해서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체계 하에서 어떤 정보를 보고해야 하는지에

한 이슈 또한 존재한다

2)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협력적 접근법과 달리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은 감독기구를 중심으로

중앙집권적 방식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상 적으로 이슈가 적다

첫 번째는 감독기구의 운영구조에 관한 사항이다 이 논의에는 기존

운영구조인 청정개발체제의 집행위원회와 운영구조 상에서 어떤 차이

를 둘 것인가에 관한 논의로 귀결된다 특히 위원회의 구성과 관련하

여 청정개발체제와 같이 선진국과 개도국을 구분해 위원회를 구성할

것인지 여부가 쟁점이 되고 있다

두 번째는 전 지구적인 전반적 감축에 관한 사항이다 전 지구적인

전반적 감축을 이행하는 방안으로 발행시점에서 조치를 취할지(판매국

중심) NDC 이행시점에서 조치를 취할지(구매국 중심) 등이 쟁점이

되고 있다

세 번째는 교토 메커니즘의 전환에 관한 사항이다 주로 2020년 이

후에 교토의정서 상의 교토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을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하에서의 실적으로 인정할지 여부 인정하더라도 특정한 전

환조건을 설정할 것인지 여부 Pre-2020에서 발행된 배출권의 전환을 인

정할지 여부 교토 메커니즘 상에서 승인된 방법론을 계속해서 사용할

지 여부 등이 이에 해당한다

54

2 Post-2020 탄소시장 전망과 시사점

파리협정 후속 협상을 통해 협상문서 초안이 도출됨에 따라서 향후

적용될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지침의 전체적인 구조를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쟁점 사항으로 제기된 몇 가지 사안들은 기술적인 이슈

보다는 정치적인 이슈의 성격이 많아서 후속 협상 과정에서 실무자들

간의 논의보다 고위급 논의 과정에서 정치적 타결이 될 개연성이 더

높다

교토 메커니즘과 비교하여 파리협정에 따른 시장은 모든 당사국이

감축목표를 보유한 상태에서 시장을 형성한다는 제약조건이 존재한다

이는 이중계산 방지의 중요성과 함께 상응하는 조정의 문제가 필연적

으로 부가된다 과거 개도국 입장에서는 청정개발체제 사업을 자국 내

에서 시행하더라도 감축목표가 없는 상태였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적인

부담이 존재하지 않았다 반면 파리협정에서는 이중계산 방지를 위해

자국 내 실제 배출량에서 국외로 순 이전된 ITMO의 양만큼을 가산하

여 배출량을 산정한 후에 NDC의 목표 배출량과 비교하여 이행 여부

를 점검받는다는 부담이 존재한다30) 여기에 전 지구적 전반적 감축의

개념을 적용한다면 실제로 NDC에 ITMO를 사용하는데 제약 조건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국가 감축목표 이행적 측면에서도 후속협상의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단일년도 NDC에 관한 상응하는 조정의 적용 시

기와 방법에 따라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의 증빙 과정

30) 만일 NDC가 목표 감축량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ITMO의 순 국외 이전량 만큼 실제 감축량에서 차감한 후에 NDC에서 정한 목표 감축량과 비교하여 이행 여부를 점검하게 된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5

에서 해외 감축분의 필요량이 결정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이슈가 될

전망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본다면 파리협정에 따른 국제 탄소시장

은 교토 메커니즘 하의 시장보다 상 적으로 규모가 작아질 것으로 예

상된다

한편 국내 배출권거래제에서는 2018년부터 외부사업에 해 해외

온실가스 감축분을 인정하고 있다 청정개발체제에 따른 사업들을 상

쇄배출권으로 인정하고 있는데 2020년 이후 교토 메커니즘의 전환 여

부가 아직 확정되지 않아서 사업 활성화 측면에서 불확실성을 내포하

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국내 배출권 시장에서 교토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의 활용 여부는 전환 여부에 한 국제 협상 결과에 따라 결

정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반면 협력적 접근법이나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등 파리협정에 따

른 시장 메커니즘은 국내 배출권거래제도 상의 운영 목적에 비추어 볼

때 국내 배출권거래제도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 국내 배출권거래제의

도입목적(제2조)이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비용효과적인 이행이고

이들 시장 메커니즘 또한 당사국들의 NDC 이행과 명시적으로 연계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은 국내 배

출권거래제도에서 인정되는 해외 온실가스 감축분으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

다만 한 가지 유의할 점은 파리협정의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

적분이 국내 배출권과 직접적으로 연계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분은 국가 차원의 목표 이행에서 의미를 가

지는데 반해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권은 비록 국가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이긴 하나 개별 사업자 차원의 목표 이행과 관련이

56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분을 민간에서 획

득한 경우 이를 우리나라 정부에서 발급하는 배출권과 교환을 통해 간

접적으로 배출권 시장에서 활용할 수 있다31) 이때 다른 당사국이 자

국의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고 있고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에 따

른 실적을 상쇄로 인정하는 경우라면 결국 국내 배출권 시장과 해당

국가 배출권 시장은 협력적 접근법 또는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체

계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된다

협력적 접근법의 경우 양자 또는 다자간 협력 체계를 필요로 하므로

정부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밖에 없지만 지속가능발전 메커

니즘은 민간 중심의 시장이 될 개연성이 높다 다만 제도의 시행에 있

어 감독기구의 설립 이후에도 제도 운영을 위해 필요한 추가적인 세부

지침의 개발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 사업으로 진행되기까지는 상

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협력적 접근법의 경우 양자 방식으로 운영한다면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보다 다소 이른 시기에 사업이 진행될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양자 협력의 체결 국가 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운영을 위한 행

31) 현재 교토 메커니즘의 청정개발체제에 의한 감축량도 외부감축인증실적(Korean Offset Credit KOC)을 상쇄배출권으로 전환해야 배출권 시장에서 사용가능하다 다만 외부사업 감축량으로 인증받은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은 중복 사용 방지를 위해 소각된다 이에 반해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해외외부사업감축인증실적은 우리나라의 NDC 이행 여부 점검 시 필요하다 따라서 만일 민간에서 이를 획득하여 국내 배출권 시장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부에서 발급하는 상쇄배출권(Korean Credit Unit KCU)과 교환하도록 하고 이를 별도의 레지스트리에 등록middot보관해 두어야 할 것이다 정부가 직접 추진한 협력 사업의 감축실적을 시장안정화 조치 등의 이유로 국내 배출권 시장에 유입시킬 경우도 동일한 논리가 적용될 것이다 다만 배출권 시장에 유입된 만큼 배출권거래제 적용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7

정적 시간적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협력적 접근법의 경우에는

체결 국가 수를 무작정 늘리는 방식보다는 전략적으로 필요한 국가와

선별적으로 체결하는 방식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필요한 국가의 선

정 기준에는 기후변화 측면도 있지만 사회 정치적인 사안들의 고려도

필요할 수 있으므로 현 단계에서 필요한 사안이 무엇이고 이를 위해선

누구와 협력할 것인가에 한 사회적 합의를 우선적으로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59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본 장에서는 앞서 검토한 배출권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연계 사례에서의 시사점 그리고 국제 탄소시장 동향 논의 전망을 토

로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과 해외 시장과 연계할 경우 두될 것으로

보이는 주요 쟁점사항과 시사점에 해 살펴보기로 한다 특히 본 연

구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를 논할 때 가장 빈번하게 거론되는

EU-ETS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기로 한다32)

1 우리나라 ETS와 EU-ETS의 주요 설계요소 비교33)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이하 K-ETS)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국내적 정책 수단으로서 도입middot시행되고

32) 최근 논의되고 있는 한-중-일 배출권 시장 연계의 경우 중국 및 일본 모두 국가 전체 차원의 배출권거래제가 아닌 일부 지역을 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적용 범위도 서로 상이한 점이 많아 사례 분석의 상으로 적합하지 않다고 보고 본 고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EU-ETS의 경우 EU 회원국이 참여하는 가장 큰 규모의 시장이며 오랜 배출권 시장 운영 경험을 가지고 있고 국내 배출권거래제도 설계 시 벤치마크로 활용되어 제도적 유사성이 상 적으로 높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사례분석의 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EU-ETS와 국내 배출권 시장 간의 연계를 분석한 국내 문헌이 거의 전무하다는 것도 EU-ETS를 사례 연구 상으로 삼은 중요한 이유 중 하나이다 국내 배출권 시장과 타 국가 배출권 시장의 연계를 다룬 국내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데 최근 박수경 외(2018)의 연구가 중국 배출권 시장과의 연계를 다루고 있으니 참조하기 바란다

33) 후술하는 우리나라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소에 관한 내용은 환경부(2019)를 주로 참고하였다

60

있다 따라서 K-ETS의 감축목표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로 설정된

2030년 BAU 비 37 감축과 연동되어 설정된다 제2차 계획기간

(2018년부터 2020년)동안 K-ETS는 매년 5477백만톤(3개년 총 1643

백만톤)을 사전할당하였는데 이는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02를 차지한다34)

EU 역시 역내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을 위한 정책 수단으로 ETS

를 도입middot운영하고 있으며 역내 국가들의 감축목표 총합을 고려하여 할

당계획을 수립한다는 점에서 한국과 유사하다 EU는 2020년까지 90년

비 20 2030년까지 90년 비 40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였

다 EU-ETS 제3기 할당계획에 따르면 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역내

전체 배출량의 약 45에 달하는 ETS 부문에서 2013년도 배출허용량

2084백만톤을 기준으로 2020년까지 매년 3826백만톤씩 배출허용량

을 일률 감축하도록 하고 있다35)

2020년까지 기간을 고려하면 EU-ETS가 K-ETS에 비해 엄격한 감축

목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K-ETS의 경우 2015년도 할당량을

기준으로 2020년까지 연평균 07이내로 감축하는 수준이므로

EU-ETS가 K-ETS에 비해 감축의 강도가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36)

그럼에도 불구하고 EU-ETS의 경우 제2기(2008~2012)에 발생한 잉여

배출권의 상당량이 제3기로 넘어와 시장 내 배출권 공급 과잉과 그로

34) 환경부 보도자료(2018724) 및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2019) 참조35) 2008년에서 2012년까지의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의 174에 달하는 감축량을 매년

동일하게 감축하는 것으로서 이는 2013년도 배출허용치 비 2020년까지 연평균 194 감축에 해당한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홈페이지(httpswwwemissions-euets comcarbon-market-glossary872-european-union-emissions-trading-system-eu-ets)를 참조하라

36) K-ETS 제1차 할당계획의 2015년도 사전할당량에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에 따른 2017년 추가할당량과 조기감축실적 3개년 평균을 적용한 값과 2019년 2차 계획기간 할당계획 변경안의 2020년 사전할당량을 비교하였다(환경부 2014 관계부처합동 2017 환경부 2019 참조)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1

인해 배출권 가격이 비교적 낮게 형성되고 있다37) 따라서 감축목표

엄격성의 절 적 수준이 아닌 그로 인한 배출권 시장의 영향이라는 관

점에서 본다면 현재까지는 두 시장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고 단정 짓

기는 곤란하다

나 할당방식

K-ETS와 EU-ETS 간 할당방식에 있어서 특징적인 차이는 (i) 유상

할당의 규모 (ii) 간접배출에 한 할당 여부에 있다

먼저 K-ETS는 무상할당이 기본이 되는 할당방식을 가진데 비해

EU-ETS는 상당 수준의 배출권을 유상으로 할당한다 K-ETS는 제2차

계획기간부터 일부 유상할당의 요소를 도입하고는 있으나 2020년까지

는 전체 할당량의 3 이내에서 유상할당하며 2020년 이후에는 전체

할당량의 10 이상을 유상으로 할당할 계획이다 K-ETS의 무상할당

은 기본적으로 과거 실적에 기반한 할당(Grandfathering)방식을 따르지

만 발전 집단에너지 산업단지 정유 시멘트 항공 폐기물 등 7개 업

종에 한해 벤치마크 방식에 기반한 할당을 적용하고 있다(환경부

2019) 반면 EU-ETS는 기본적으로 경매에 기반한 유상할당 방식을

따르고 있다 제3기 총 배출권의 약 57가 유상할당으로 배분되는데

발전부문은 거의 부분 유상할당하며 국제경쟁에 노출되는 산업부문

37) EU-ETS 할당배출권 가격은 2013년 이후 부분의 기간에서 10유로 미만으로 형성되어 오다가 최근 들어서야 20유로를 넘어섰다 반면 K-ETS의 KAU17 평균거래가격은 약 22천원 수준으로 현재(2018년 12월말 기준) EUA 가격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홈페이지 httpssandbagorgukcarbon-price-viewer 및 삼정KPMG Issue Monitor 제87호 참조)

62

은 상당량을 무상으로 할당하고 있다38)

K-ETS가 다른 ETS 시장과 구분되는 큰 특징 중 하나는 전력 열 등

의 최종소비자의 간접배출에 해서도 배출권을 할당하고 규제를 한다

는 점이다 부분의 ETS 시장은 직접 배출만을 규제 상으로 삼고

배출권을 할당한다 K-ETS에서 간접 배출을 규제하는 이유는 전력이

나 열 소매요금에 발전사들의 배출권 비용을 전가하기 어려운 구조이

기 때문이다

다 유연성 메커니즘

1) 상쇄제도

K-ETS의 상쇄는 국내에서 시행된 외부감축사업에서 획득한 감축실

적과 국내 업체가 해외에서 직접 시행하여 획득한 CDM 사업에 한해

인정된다 이때 의무이행에 사용할 수 있는 외부감축실적은 할당업체

별로 전체 배출권의 10 이내에서 인정되는데 이중 해외에서 시행해

서 획득한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은 각 이행연도 의무이행량의 5까지

만 인정된다(환경부 2019)

반면 EU-ETS는 지난 제2기(2008~2012)에 국가별 할당계획(NAP

National Allocation Plan)에 따라 결정된 국가별 상쇄한도 중 사용하

고 남은 양은 모두 제3기로 이전해 사용가능하다 그러나 예외적인 조

치로서 HFC-23이나 아디핀산 N2O 관련 프로젝트에서 나온 상쇄배출

권은 통용되지 않으며 제3기부터는 최빈개도국에서 시행된 CDM 프

로젝트의 크레딧만 허용한다 전체적으로 EU-ETS는 역내 상쇄배출권

38) 자세한 사항은 다음 웹사이트를 참조하라(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allowances_en) 산업부문에 한 무상할당은 2020년 30까지 점진적으로 줄여나갈 예정이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3

의 허용량이 2008년부터 2020년까지 역내 총 감축량의 50 이내가

되도록 한다는 원칙을 견지하고 있다(IETA 2014 ICAP 2019c)

EU는 역내 온실가스 감축노력 증진을 위해 제3기에는 상쇄를 엄격

히 제한해 왔으나 2021년 이후의 상쇄 제도에 해서는 아직 K-ETS

및 EU-ETS 모두 결정된 바 없다(ICAP 2019c)

2) 이월

K-ETS는 당초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였으나 시장 유동성 확보 차원

에서 제2차 계획기간 부터는 이월을 일정 수준에서 제한하고 있다 제

1차 이행연도의 경우 배출권(할당 및 상쇄) 순 매도량의 3배 이내이거

나 125만톤 이상 배출업체의 경우 75만KAU 25만톤 이상 배출 사

업장을 가진 업체의 경우 15만KAU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 이월을

허용한다 제2차 이행연도에는 배출권 순 매도량의 2배 이내 또는

125만톤 이상 배출업체의 경우 5만KAU 25만톤 이상 배출 사업장을

가진 업체의 경우 1만KAU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 이월을 허용한다

마지막 3차 이행연도에는 제2차 계획기간 연 평균 배출권 순 매도량

또는 125만톤 이상 배출업체의 경우 25만KAU 25만톤 이상 배출 사

업장을 가진 업체의 경우 05만KAU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 3차 계획

기간의 첫 번째 이행연도로만 이월을 허용하고 있다(환경부 2019) 반

면 EU-ETS는 별도 제한없이 전량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고 있다

3) 차입

K-ETS는 제2차 계획기간의 제1차 이행연도에는 배출권의 15 이

내에서 그리고 제2차 이행연도에는 배출권의 15에서 직전년도 차입

64

비율의 절반을 제한 비율까지 차입을 허용한다 그러나 계획기간 간

차입은 허용하지 않는다(환경부 2019) EU-ETS는 원칙적으로 차입을 허

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EU-ETS는 계획기간 내 이행연도별로 할당배출

권을 구분하여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의무이행 시점과 배출권 할당 시

점 간 차이를 활용하면 배출권 차입이 사실상 가능한 구조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EU-ETS의 배출권 할당은 매년 2월말에 이루어지는데 반

해 직전년도 이행실적에 한 배출권의 제출은 매년 4월말까지 이므로

당해 연도에 할당된 배출권을 직전년도 의무 이행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39) 이는 K-ETS처럼 배출권을 할당연도별로 관리하지 않기 때문

이다 따라서 비록 EU-ETS가 형식적으로는 계획기간 내 차입을 허용

하고 있지 않으나 실질적으로는 계획기간 내 차입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4) 가격 및 공급관리

K-ETS는 배출권 가격이 단기간에 급격히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경

우 그리고 배출권 수요에 비해 공급이 현저히 적은 경우 시장안정화를

위해 규제 당국이 시장에 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배출

허용총량 이외에 별도로 시장안정화 조치에 사용할 수 있도록 14백만

톤의 배출권을 예비분으로 배정해두고 있다 또한 시장 유동성 제고를

통한 거래 촉진을 유도하기 위해 시장조성을 위한 예비분 5백만톤을

추가로 배정하여 배출권 시장의 가격 및 수급을 관리하고 있다(환경부

2019)

39) 자세한 사항은 다음 웹사이트(httpswwwemissions-euetscomborrowing)를 참조하기 바란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5

한편 EU-ETS는 K-ETS와 같은 직접적인 시장 개입을 하고 있지는

않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상할당 배출권의 경매 연기조치

(Backloading)과 2020년 이후 본격적으로 도입될 배출권 비축제도

(Market Stability Reserve MSR) 등을 통해 배출권 가격 및 공급을 관

리하고 있다

라 의무이행 관련 사항들

K-ETS는 도입 당시부터 EU-ETS에서 적용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

정 방식을 상당부분 차용하였기 때문에 배출량의 산정middot보고 및 검middot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일부 차이는 있지만 거의 유사한 수준이라고 해도 과

언이 아니다

페널티의 경우 K-ETS는 배출권 평균 가격의 3배 또는 최 톤당 10

만원에서 결정되며 EU-ETS는 톤당 100유로 수준이므로 큰 차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다만 K-ETS는 과징금을 납부할 경우 의무미준수량에

한 별도의 추가 제출 의무가 없는데 비해 EU-ETS는 과징금과 별도

로 후속연도에 미준수량에 한 배출권 제출 의무가 부과된다는 차이

를 가진다(박수경 외 2018)

lt표 -1gt은 지금까지 살펴본 우리나라와 EU의 배출권거래제를 상

세하게 요약middot비교한 것이다

66

lt표 Ⅴ-1gt 우리나라와 EU의 배출권거래제 비교

국가 한국 EU

목표의 엄격성2020년까지 2015년도 할당량 기준 연평균 07 감축

2020년까지 2008-2012년의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의 174 균등 감축

배출량 제한 2018~2020년 5477MtCO2e2013년 2084 MtCO2e 2020년까지 매년 3826MtCO2e 감축

탄소상쇄 수량

할당된 배출권의 최 10 국내 탄소상쇄 및 CDM 사업에 한해 인정해외 상쇄는 5까지 인정

전체 EU-ETS 상쇄 허용량이 2008년~2020년 총 감축량의 50 이내로 관리제3기부터 최빈국의 청정개발체제 배출권만 사용 가능

가격 및 공급관리

비축분의 최 25까지 조기 경매 정부 시장 개입 가능

시장의 과잉공급 정도에 따라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배출권 공급량 조정

배출권 할당1단계 100 무상할당2단계 97 무상할당3단계 90 무상할당

산업부문은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적용범위발전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건물 폐기물 국내 항공 CO2

및 5 온실가스

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EU 역내 항공 CO2 및 N2O PFCs

준수기간 2015~2025 2013~2020

규제방식 하향식 방식 직접+간접배출 하향식 방식

이월차입이월제한 있음계획기간 내 차입 가능(기업 할당량의 최 10)

무제한 이월 가능차입은 원칙상 허용되지 않으나 계획기간 내 차입이 가능한 구조

페널티 제도배출권 가격의 3배 최 1톤당 10만원

1톤당 100 Euro의무 미준수량만큼 할당에서 공제

자료 Carbon Market Watch Report(2015) 박수경 외(2018) 등의 구성을 참고하여 국내외 문헌 및 웹사이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저자가 직접 재구성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7

2 K-ETS와 EU-ETS 연계 시 예상 쟁점들

가 감축목표

앞서 지적하였듯이 EU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2030년까지 1990년

배출량 비 4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어 BAU 비 37 감축목표

를 제시한 우리나라에 비해 더 엄격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두

시장의 연계에 한 논의가 본격화될 경우 EU 측에서 한국의 국가 감

축목표를 EU 수준에 근접하게 상향하거나 ETS 상 부문에 해 국

가 전체 감축률을 상회하도록 할당규모를 조정할 것을 요구할 수 있

다 물론 우리나라 정부의 입장에선 이러한 EU측의 요구를 전적으로

수용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 경우 한국의 제조업middot에너지다소비업종

중심의 산업구조로 인해 외견상 감축목표 수준과 달리 상당히 높은 한

계감축비용에 직면하고 있음을 적극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해서 한 가지 주목할 점은 한국에 비해 강한 감축목표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EU-ETS의 배출권 가격이 감축목표 강도를 제 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EU-ETS와 비교해 본다면 K-ETS

는 외견상 감축목표에 비해 배출권 가격이 상당히 높은 수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여기에는 감축목표의 지속적인 강화에 한 기 가

미친 영향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배출권 가격은 참여기업

들이 직면하는 한계감축비용의 수준을 투영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외

견상의 감축목표 강도에 비해 K-ETS 참여기업들의 실제 감축부담은

상당히 높은 편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추후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제기될 것으로 예상되는 EU측의 감축목표 상향 요구에 한

응논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40)

40) 이와 함께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하는 추세인데 반해 EU는 감소하는

68

나 할당방식

1) 간접배출의 포함 여부

K-ETS는 발전부문의 직접배출뿐만 아니라 전력이나 열 수요자의

간접배출에 해서도 배출권을 할당한다 이는 (i) 전력이나 열 소비

요금에 배출권 제반 비용을 전가하기 용이치 않은 우리나라 전력middot열

시장의 구조적 한계를 보완하고 (ii) 적정 수의 시장참여자를 보장하기

위해서이다41) 간접배출의 포함 여부가 직접적으로 배출권 시장 연계

전후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은 극히 제한적이므로 일견 시장 연계 시

쟁점사항이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간접배출에 해 할당을 할 경우

(i) 이중계산(double counting)의 문제 (ii) 횡재이윤(windfall profits)의

문제점이 제기될 가능성이 높다

먼저 전력이나 열의 생산자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도 배출권을 할당

하므로 이중계산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부문에서

100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였다고 할 때 100톤의 감축량 중 발전부문

자체의 노력(전원믹스 개선 발전효율개선 등)의 기여분과 최종소비자

의 수요 감축 노력의 기여분을 명확하게 분별할 수 없다면 이중계산의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42)

다른 한편 횡재이윤의 발생도 가능하다 발전부문에 한 배출권 할

당량은 발전부문 자체의 노력을 감안한 목표 감축량과 수요 측의 절감

추세에 있으므로 단순히 외견상의 감축률만으로 감축의 강도를 판단해선 안되며 K-ETS의 높은 탄소가격에는 그러한 측면이 반영되어 있다는 주장도 유용한 응논리가 될 수 있다 이를 지적해준 익명의 심사위원께 감사드린다

41) 만일 간접배출을 할당에 포함시키지 않을 경우 전력이나 열 등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다수의 기업들이 배출권거래제 적용 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다

42) 실제 감축량은 직접배출 기준으로 계산한 전체 감축량에서 최종소비자의 간접배출 부문 감축량을 제외해야만 이중계산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9

노력을 반영한 목표 감축량을 함께 고려하여 정해진다 만일 발전부문

의 자체 노력에 따른 감축량이 목표량에 미달하더라도 수요 측 절감노

력이 목표량을 초과할 경우 목표를 충족시키거나 초과달성할 수 있으

므로 횡재이윤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상의 문제는 EU-ETS와 연계 과정에서 제기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그러나 간접배출에 한 할당의 포함여부에 관한 논의는 궁극적

으로는 우리나라의 전력 또는 열 시장에 한 제도적 변화에까지 이어

지기 때문에 에너지 정책의 자율성과도 직결된 문제이므로 시장 연계

시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2) 유상할당의 수준

2020년 이후 EU-ETS는 기본적으로 발전부문뿐만 아니라 산업부문

에 해서도 유상할당이 중심이 되는데 비해 K-ETS는 여전히 부분

을 무상으로 할당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EU-ETS 참여 기업들을

중심으로 산업경쟁력 및 탄소누출의 우려를 제기하면서 K-ETS에 유

상할당의 비중을 상당 수준으로 높일 것으로 요구할 가능성을 배제하

기 어렵다 우리나라 업체들은 산업경쟁력 유지를 위해 온실가스 배출

권거래제도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최소 유상할당 비율 유지를 강하게

주장할 것이므로 K-ETS에서의 유상할당 비율은 매우 첨예한 쟁점사항

으로 부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 상쇄제도

아직 글로벌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에

70

서 두 시장의 상쇄제도의 차이가 시장 연계에 걸림돌로 작용할지는 현

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2021년부터 2030년까지 EU는 ETS 분야에서

1990년 비 43 Non-ETS 분야에서 30 감축을 통해 EU 자체적

(domestic)으로 최소 4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43) EU 자체 노력

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최소 목표치를 공식적으로 선언하였으므로

EU-ETS 할당 시 적어도 동 목표에 해당하는 수준까지는 역외 크레딧

사용을 허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44)

여기서 주목할 사항은 만일 EU가 배출권 시장 연계를 허용한다는

것은 결국 자신의 온실가스 최소 감축목표치를 사전에 공표한 수치 이

상으로 설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배출권 연계는

기본적으로 역외의 타 시장 배출권을 역내 의무사용에 활용하는 것이

므로 역내 최소 감축 목표치보다 목표를 상향해서 할당하지 않을 경우

엔 사전에 공표한 자체 감축노력에 의한 최소 감축목표를 근본적으로

달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EU와의 배출권 시장 연계가 논의되는 이상 EU-ETS는 적어도

이미 공표된 온실가스 감축 최저 목표치를 상회하는 목표를 설정할 공

산이 크다 EU-ETS가 도전적인 목표치를 설정하고 배출권 시장 연계

를 허용한다고 할 때 일정한 제약(예를 들어 최저 목표치에 해당하는

감축량을 초과하는 한도) 하에서 연계된 시장의 배출권과 더불어 역외

크레딧을 허용할 가능성이 높다 여기서 역외 크레딧에는 현재 논의되

43) European Commission COM(2016) 482 final 참조44) 여기서 EU가 제시한 온실가스 배출량의 40 자체 감축(ldquoa 40 domestic reduction

in economy-wide greenhouse gas emissionsrdquo)의 의미를 이중계산(double counting)이 허용되지 않는 상황에서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해 최종적으로 정산한 이후 EU가 자체적으로 레지스트리에 보유하고 있는 배출량을 기준으로 한다고 해석할 여지도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자체 감축(domestic reduction)의 의미를 순수하게 자신의 노력을 통해 감축한 역내 배출량으로 간주하기로 한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1

고 있는 시장 메커니즘인 UNFCCC의 관리middot감독 하에 운영되는 지속

가능발전 메커니즘과 협력적 접근법에 따라 EU와 자발적 협력 체결을

통해 발생한 감축실적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45)

한 가지 유의할 점은 EU뿐 아니라 우리나라와도 동시에 자발적 협

약을 체결한 국가에서 감축한 실적의 경우는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겠

지만 우리나라와만 자발적 협약을 체결한 경우에 해당 국가에서의 감

축실적을 K-ETS에서 상쇄로 허용하는 것이 또 다른 쟁점이 될 수 있

다는 점이다 만일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시장 메커니즘이 포괄적인

원칙에 해서만 합의가 이루어지고 세부 사항은 국가 간 자발적 협약

에 맡기는 방식이 될 경우 EU에서는 자신의 기준에 맞지 않는 자발적

협약에 따른 감축실적을 상쇄로 허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46) 이는

EU-ETS 제3기에 UNFCCC하의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을 최빈개도국가

들에서 만들어진 것 이외에는 허용하지 않는 사례에서 보듯이 충분히

생각해볼 수 있는 시나리오이다 그러할 경우 상쇄제도의 국가 간 세

45) 연계된 시장의 배출권을 EU-ETS의 의무이행에 활용한다는 것이 파리협정 하의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ITMO를 활용하는 것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배출권거래제도의 연계가 두 당사국 간의 상호 자발적인 협력 체결을 통해 이루어지며 중요한 감축수단의 하나라는 점에선 유사하지만 엄 한 의미에서 배출권거래제의 연계가 파리협정의 협력적 접근법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지 않는다 협력적 접근법에서 말하는 ITMO는 감축활동의 결과물로서 나온 감축실적인데 반해 배출권거래제도 상의 배출권은 배출을 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므로 양자의 성격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감축실적과 배출허가권이 일 일로 매칭될 수 없기 때문이다 배출권거래제도는 자국의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국내적 정책 수단의 하나이지 파리협정이라는 국제 협약의 틀 내에서 논의되는 시장 메커니즘과는 서로 다른 차원의 제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리협정에서의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감축실적은 배출권거래제도의 상쇄배출권의 형태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배출권 시장 연계가 협력적 접근법에 따라 자발적 협력 체결이 이루어진 국가들 간에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관점에서 배출권 시장 연계와 협력적 접근법이 직접적 연관성을 가지지는 않지만 서로 간에 높은 연관성이 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된다

46) 반 로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시장 메커니즘이 국가 간 자발적 협약에 한 구체적인 사항까지 규정하는 방식으로 합의가 된다면 논란의 여지는 훨씬 줄어들 것이다

72

부적 차이는 배출권 시장 연계에 있어서 쟁점사항으로 부각될 것이다

다만 K-ETS의 경우 해외상쇄를 전체 배출권의 5이내로 제한하고 있

어서 EU-ETS 시장에 한 공급 충격이 크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EU와 스위스 간의 ETS 연계 사례에서 보듯이 상쇄제도의 차이가 심

각한 장애요인은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라 기타 사항들

앞서 논의한 쟁점들 이외에 이월 차입 시장관리 등 여타의 사항들

은 이론적으로는 시장 연계 시 쟁점이 될 수 있으나 적어도 K-ETS와

EU-ETS 간의 연계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첫째 이월의 경우 현재 EU-ETS는 제한없이 허용하는데 반해

K-ETS는 이월에 한 제한을 두고 있다 그러나 2021년부터 2030년

까지의 계획에 따르면 EU는 이월을 허용하되 누적 이월량이 일정 수

준을 넘어 과도할 경우 제한을 둘 계획이다47) 따라서 양 시장에서 이

월 제도의 약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할 것이므로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쟁점으로 부각되지 않을 것이다

둘째 차입의 경우에도 2021년부터 2030년까지의 계획에 따르면 EU

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차입을 허용할 방침이므로 K-ETS의 차입 허용

이 연계 시 큰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48)

셋째 배출권 가격 및 공급 관리의 관점에서 보면 EU-ETS에 비해

K-ETS가 정부의 시장개입이 더 용이한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그 이

47) 다음의 홈페이지(httpseceuropaeuclimapolicieseffortregulation_en)를 참조하라48) 다음의 홈페이지(httpseceuropaeuclimapolicieseffortregulation_en)를 참조하라 또

한 앞서도 언급하였지만 EU-ETS는 현재 차입을 허용하고 있지 않지만 배출권 할당 시점과 제출 시점의 차이로 인해 사실상 차입이 허용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3

유는 K-ETS의 낮은 시장 유동성에 따른 배출권 공급물량 부족이 주요

원인이다 따라서 보다 큰 규모를 가진 EU-ETS 시장과 연계하는 경우

구태여 현재와 같은 K-ETS의 가격 및 공급 관리 제도를 유지하지 않

아도 무방하므로 두 시장 간의 연계 과정에서 장애요인이 되지 못할

것이다

3 배출권 시장 연계 방식별 편익 비용 그리고 시사점

가 시장 연계 유형별 편익 비용 비교

K-ETS와 EU-ETS 시장을 서로 연계한다고 할 때 연계하는 방식은

앞의 제3장에서 제시한 것들 중 하나가 될 것이다 그 중에서 완전통

합형 방식의 직접 연계는 사실상 현실적으로 가능한 안이 아니라고

보고 여기서는 쌍방향 연계 방식의 직접 연계와 단방향 연계 외부 크

레딧을 통한 간접 연계 등의 장middot단점을 비교해보기로 하자49)

1) 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배출권거래제는 사실상 자국의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자발적 감

축행동이다 배출권 시장의 쌍방향 직접 연계는 두 당사국이 자발적으

로 협력하여 이중계산 방지의 원칙 하에서 서로의 배출권 레지스트리

를 연계하여 서로의 배출권이 자유롭게 거래되고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49) 완전 통합형의 경우 두 시장을 하나의 시장으로 완전히 통합하는 것이므로 각 시장을 관할하던 정부들의 자율성이 전혀 보장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의 연계를 우리나라 정부에서 용인할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이므로 여기서는 완전통합형 연계 방식은 다루지 않기로 한다

74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은 크게 보면 다시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rsquo과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rsquo으로 나뉠 수 있다50) lsquo완전 쌍

방향 직접 연계 방식(이하 완전 쌍방향 방식)rsquo은 두 시장의 규제 당국

이 일정한 자율성을 가지고 배출권거래제도의 설계요소를 결정하되

각 시장의 배출권이 어느 시장에서든지 수량에 제한없이 의무이행에

전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연계 방식이다 스위스-EU 캘리포니아-퀘벡

등 현존하는 배출권거래시장 연계 사례는 모두 lsquo완전 쌍방향 방식rsquo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K-ETS가 EU-ETS와 이러한 방식으로 연계할 경우 예상되는 일차적

인 편익은 비용효과성 제고 및 규모 시장에 한 접근성 제고를 통

한 유동성 확 와 이를 통한 시장 가격 안정성 확보이다 앞에서도 살

펴보았듯이 배출권 시장의 연계는 기본적으로 두 당사국의 참여업체

비용부담을 완화시켜 준다 또한 시장 규모의 확 로 인해 시장 유동

성이 확 되고 배출권 시장가격의 변동성을 낮출 수 있다

이상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완전 쌍방향 방식이 가진 다음과 같은 단

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완전통합형에 비해서는 정도가 덜하지만 규제 당국의 정책 자

율성이 일정 수준 침해받을 우려가 있다 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의 특성 상 ETS 부문 감축목표 설정 할당방식 등 주요 배출권거래제

도 설계요소를 완전히 일치시킬 필요는 없지만 연계 상 방과 상당 수

준까지 보조를 맞추어야 한다 만약 양측의 설계요소 간 차이가 크다

면 이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핵심 설계요소를 조정해야 하는 당사국의

경우 일정 수준의 정책 자율성을 포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50) Ranson and Stavins(2015)를 비롯한 기존의 연구는 쌍방향 연계를 여기에서처럼 다시 두 가지로 구분하지 않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5

둘째 할당방식에 차이가 있을 때 특히 참여업체들의 비용과 직결되

는 유상할당의 규모 면에서 차이가 클 경우 연계 과정에서 쟁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두 시장간 유상 할당 비중의 차이가 클 경우

유상할당 중심의 국가에서 탄소누출 등을 이유로 유상할당 비중에

한 조정을 요구하고 이로 인해 유상할당의 비중이 늘어날 경우 연계

이전에 비해 무상할당 중심 시장의 참여업체들 비용부담이 크게 늘어

날 수 있다

K-ETS와 EU-ETS 간 연계를 상으로 생각해보면 K-ETS와

EU-ETS는 시장 규모 등의 측면에서 큰 차이가 나므로 시장 연계 과

정에서 K-ETS의 주요 설계요소를 EU-ETS와 근접하게 가져가야 할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ETS 부문의 감축목표 상향 간접배출에

한 할당방식의 조정 등 주요 설계요소에 해 EU-ETS와 유사하게 수

정해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에너지 및 온실가스 감축정책에 한 한

국 정부의 자율성이 침해받을 우려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유상

할당 중심의 EU-ETS와 달리 K-ETS는 무상할당이 주가 되므로 EU측

에서는 역내 산업경쟁력 및 탄소누출을 우려하여 K-ETS에도 상응하

는 수준의 유상할당을 요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끝으로 이론적 논의에서 잠깐 살펴보았듯이 lsquo완전 쌍방향 연계rsquo 방

식이 환경적 편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불분명하다51) 만일 시장 연

계 과정에서 한 당사국에서 상 편의 온실가스 감축목표가 자신과 상

응하지 못하다고 판단하여 감축목표 상향 조정을 요구하고 시장 연계

의 협의 과정에서 이것이 받아들여진다면 두 시장을 합한 전체 온실

가스 감축목표가 강화되어 lsquo온실가스 감축rsquo이라는 환경적 편익이 증

51) 제2장에서 논의한 Helm(2003) 및 Carbone et al(2009)의 연구 결과에 한 소개를 참고하라

76

할 수 있다 하지만 반 로 연계 이후의 국내 업체들의 감축비용 부담

이 늘어날 경우 규제가 상 적으로 느슨한 제3의 국가로 생산설비를

이전하는 탄소누출이 일어날 수 있다 이때 배출집약도가 높은 제3국

가로 생산설비가 이전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글로벌 차원에서는 온실가

스 배출량이 늘어날 수도 있다52) 즉 연계에 따른 감축목표의 상향이

업체의 부담을 높이고 이로 인한 탄소누출로 인해 오히려 전 지구적

인 차원에서 환경건전성은 나빠질 수도 있다 EU-ETS와의 연계에 따

른 환경건전성의 득실은 일률적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시장 연계의

환경적 편익을 예단하기 어렵다53)

2) 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 방식(이하 부분 쌍방향 방식)은 두 시장의

규제 당국이 자율성을 가지고 배출권거래제도의 설계요소를 결정하며

각 시장의 배출권을 어느 시장에서도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

에선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과 동일하나 의무이행에 활용되는 배출권의

수량에 제한을 두는 방식을 말한다 이는 사실상 두 시장이 서로 상

방의 배출권을 일정 비율 내에서 상쇄배출권처럼 활용하는 상황과 동

일하다

52) 예를 들어 상 적으로 친환경적인 전원믹스를 가진 국가에서 생산하던 업체가 유상할당 비중 증가로 인한 감축비용부담 상승으로 인해 제3의 국가로 생산설비를 이전한다고 하자 이 경우 설령 생산설비 이전과 이후에 동일한 에너지 투입 비 생산효율을 보인다고 가정하더라도 제3 국가의 전원믹스가 덜 환경친화적이라면 해당 업체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늘어나게 된다 이때 제3국으로 이전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분이 배출권 연계 이후 감축목표 상향에 따른 감축량 증가분을 초과한다면 전 지구적인 관점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은 순증하게 된다 결국 배출권 시장이 연계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연계 이후의 환경적 건전성은 오히려 악화된다

53) 이처럼 환경건전성과 관련한 연계 유형별 득실은 모호한 부분이 크므로 이후의 편익 비용 비교에 관한 논의에서 환경건전성은 제외하기로 한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7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의 경우에도 비록 제한된 수량 범위 내이긴 하나

연계를 통해 전체 시장 규모가 확 되므로 연계 이전에 비해 시장 유

동성을 제고하고 배출권 가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두 시

장의 배출권 가격 차이를 이용해 거래를 통한 비용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다 다만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과는 달리 활용가능한 상 편 배출권의

수량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두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하나의 가격으로

수렴되지는 못하고 일정한 차이를 두면서 각 시장가격의 자율성이 일

정 수준에서 유지되는 움직임을 보이게 된다54) 다만 경제적 효율성의

관점에서 보면 거래가능 수량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

식에 비해 일정 정도의 비효율성은 불가피하다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의 연계는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과는 달리 일정 범

위 내에서만 서로의 배출권의 활용을 허용하므로 가격 공급량 등에서

각 시장이 가진 독자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중계산의 문제

MRV의 투명성과 등가성 등의 기본 원칙이 준수되는 한 상 편 시장

은 상쇄배출권 거래를 위해 활용가능한 일종의 유연성 기제로서 간주

될 수 있다 따라서 두 시장을 합쳐 하나의 시장으로 바라보는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각 시장 운영의 자율성을 확보하기가 용이

하다 유사한 맥락에서 유상할당 규모에 차이가 존재하더라도 상 편

의 시장을 상쇄배출권 활용을 위한 기제로 간주하는 이상 할당방식의

차이를 상응되게 조정하고자 하는 정치적 압력도 크지 않을 것으로 전

망된다

54)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의 경우도 거래비용 등으로 인해 두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완전히 하나로 수렴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의 경우 두 시장의 가격 차이는 거래비용 등의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는 차이를 넘어선 수준에서 각 시장가격이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

78

요컨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연계할 경우 상 편 배출권의 활용

가능 비율이 줄어들수록 경제적 비효율성은 커지는 반면 시장 운영 및

제도 설계의 자율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이는 소규모 시장인

K-ETS가 규모 시장인 EU-ETS와 연계할 때도 유사하게 적용될 것

으로 전망된다

3) 단방향 연계 방식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방향 연계 방식은 어느 한 배출권 시장에

서는 상 편 시장의 배출권을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으나 그 반 는

허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단방향 연계는 타 시장의 배출권을 허용하는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허용하지 않는 시장의 배출권 가격에 비해 낮을

경우에만 실효성을 가지며 그렇치 않을 경우엔 실효성이 떨어진다 타

시장 배출권을 허용하지 않는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높게 형성되고 있

다면 단방향 연계에 따른 배출권 거래가 일어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55)

그러나 그 반 의 경우엔 상 편의 저렴한 배출권을 의무 이행에 활용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향상된 시장 접근성을 가질 수 있고 그로 인

해 시장 유동성 제고 가격 안정성 확보 및 감축비용 부담 완화라는 편

55) 이러한 경우에는 사실상 두 배출권 시장이 독립적으로 작동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우에 따라 시장 연계가 실효성있게 작동하는 상황도 발생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계가 허용된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 공급량이 부족할 경우엔 의무 이행을 위해 비싸더라도 배출권을 구매하려는 수요가 생길 수 있다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낮게 형성되고 K-ETS만 EU-ETS 시장과 일방향으로 연계된 상황을 상정해보자 통상적으로는 K-ETS 참여업체들은 비싼 EU-ETS 시장의 배출권을 구매하지 않으려 하겠지만 만일 K-ETS 시장에서 부분의 업체들이 잉여배출권을 이월하려고 해서 의무이행을 위한 배출권 구입 자체가 어려울 경우엔 단방향 연계 방식도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장에서 배출권 구입이 어려운 업체들은 비싸더라도 EU-ETS에서 배출권을 구매해서 의무이행을 할 것이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9

익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단방향 연계가 실효적인 상황 즉 연계를 허용하지 않은 국가

의 배출권 가격이 더 낮게 형성되는 경우엔 연계를 허용하는 국가의

정책 자율성이 보장받기 용이할 것으로 평가된다 왜냐면 연계를 허용

하지 않는 국가의 배출권 가격이 낮다는 의미는 ETS 부문의 감축목표

의 강도가 상 적으로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계를 허용치

않는 측에서 허용하는 측에 감축목표의 상향 등 주요 설계요소의 변화

를 덜 요구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단방향 연계는 다른 여타의 방식에 비해 연계를 허용하는 측

에 상당히 유리한 연계 방식이다 그러나 연계를 허용치 않는 시장에

서 얻는 편익이 거의 없기 때문에 앞서 살펴본 EU-호주 배출권 시장

연계 시도 사례에서 보듯이 본격적인 쌍방향 연계를 위한 준비기에 일

시적으로 운영되는 경우를 제외하곤 지속되기 어려운 실현 가능성이

낮은 방식이다

4) 외부 크레딧을 통한 간접 연계

끝으로 각 시장이 완전히 독자적으로 운영되면서 외부 크레딧을 통

해 간접적으로만 연계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현재 파리협정 하에서

의 시장 메커니즘 중 하나인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이나 협력적 접근

법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실적을 K-ETS와 EU-ETS가 상쇄배출권으로

활용하도록 할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 경우 양 시장을 운영하는 정부의 정책 자율성은 완전히 보장되는

반면 시장이 사실상 분리되어 있으므로 연계를 통한 직접적인 경제적

편익은 발생하지 않는다 상쇄배출권의 유입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서

80

로 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배출권 연계의 효과가 제한적이다 특히

상쇄로 활용 가능한 외부감축사업은 사업 발굴부터 크레딧의 발생 및

활용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K-ETS와 같이 수급 불

균형에 따른 유동성 부족 및 배출권 가격 불안정성을 경험하고 있는

경우엔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연계의 실질적인 효과를 기 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리협정에 따른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지침이

마련이 되고 감축사업이 본격화될 경우 이를 K-ETS에 연계시킬 필요

는 있다 물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의 시장 메커니즘은 이중계

산이 허용되지 않은 상황에서 모든 국가가 자국의 감축목표를 충족시

켜야 하므로 배출권 시장에서 활용 가능한 배출권 규모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앞에서 다룬 쌍방형 직접 연계와 함께 보조적

으로 사용된다면 효과성은 커질 것이다

나 K-ETS와 EU-ETS 간 연계를 위한 시사점

여기서는 다양한 연계 유형별 편익과 비용에 한 논의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과 EU 배출권 시장 간의 연계를 위한 시사점을

검토해보기로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가장 바람직한 연계의

방식은 시장 유동성과 비용효과성도 제고하면서 에너지 및 기후정책의

자율성을 최 한 확보할 수 있는 단방향 연계일 것으로 전망된다 즉

K-ETS는 EU-ETS 시장에 한 접근성을 가지나 EU-ETS는 K-ETS에

한 접근성을 허용하지 않는 방식이 가장 K-ETS에 유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시장 연계는 본격적인 시장 연계를 위한 준비기와 같은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81

예외적인 상황을 제외하고는 EU측에서 연계에 동의하지 않을 가능성

이 높아 실현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보인다

K-ETS를 운영하는 우리 정부 입장에서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과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 중 어느 쪽이 더 바람직한지 여부는 두 시장

의 시장 연계 전 배출권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따라 함의하는

바가 달라질 수 있다

먼저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

격에 비해 낮은 경우에 해 고려해보자 이 경우 시장 연계 이후에는

K-ETS 배출권 수요 증가로 K-ETS 가격은 상승하고 EU-ETS 배출권

의 가격은 낮아지게 된다 비용효과성의 측면에서 비록 K-ETS 참여업

체 중 배출권 순 구매자들의 구매 비용은 증가하겠지만 순 판매자들은

높아진 가격 상승의 혜택을 보게 되며 이론적으로는 전체적인 비용효

과성은 향상된다 그러나 연계 이전에 배출권 공급량 부족으로 유동성

문제에 고질적으로 시달리는 K-ETS의 입장에서 유동성 제고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 왜냐하면 K-ETS 배출권 가격이 상 적으로 낮기

때문에 K-ETS 배출권 수요가 늘어나고 이로 인해 K-ETS 배출권 확보

가 더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책 자율성의 측면에서 K-ETS 배

출권 가격이 상 적으로 낮다는 것이 EU측에 외형상뿐만 아니라 실질

적으로도 한국의 감축목표 강도가 약하다는 신호로 작용하여 감축목표

상향에 한 요구가 강해질 수 있다 한편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EU측이 유상할당의 비중을 상응하게 조정하자고 요구할 때 이를 거부

할 논거가 마땅치 않다 특히 한국의 감축목표 강도가 낮다는 선입견

은 유상할당 비중의 확 를 뒷받침해주는 또 다른 논거로 작용할 가능

성이 있다 만약 연계 이후 그러한 정치적 압력의 결과로서 실제로 유

82

상할당 비중이 늘어날 경우 참여업체의 경제적 부담이 커지게 되며 시

장 연계에 한 국내 업체들의 수용성은 크게 악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낮은 경우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일부 비용효과성 제고라는 편익

이 존재하지만 유동성 제고나 정책 자율성 확보 등의 측면에서 지불해

야 하는 비용이 더 클 가능성이 크다 한편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의 연계

는 비록 비용효과성의 제고에는 제한적일 수 있으나 감축목표의 상향

유상할당 비중 확 등 참여업체에 직접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외부의

정치적 압박에 보다 유연하게 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으로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

권 가격에 비해 높은 경우를 살펴보자 이 경우 시장 연계 이후에는

K-ETS 배출권 수요의 일부가 EU-ETS로 이전하여 K-ETS 가격은 낮

아지고 EU-ETS 배출권의 가격은 상승한다 비용효과성의 측면에서

K-ETS 참여업체 중 배출권 순 구매자들의 구매 비용은 줄어들게 되

며 비록 순 판매자의 배출권 판매 수입은 줄어드는 부분이 있지만 전

체적인 비용효과성은 증 된다 한편 K-ETS가 현재 겪고 있는 유동

성 부족 문제는 보다 저렴한 규모 EU-ETS 시장에 한 접근성이

커짐에 따라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책 자율성과 관련한

사항은 다소 분명치 않다 K-ETS 배출권 가격이 상 적으로 높기 때

문에 실질적인 감축목표의 강도가 높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가질 수 있

는 반면 외형상의 감축목표의 강도가 비교적 낮은 편이므로 감축목표

의 강도를 상응하게 조정해야 한다는 EU측의 정치적 압박에 자유롭기

쉽지 않을 수 있다 이와 함께 유상할당의 비중을 EU측과 상응하게 조

정해야 한다는 압력에서도 자유롭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83

결과적으로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높은 경우엔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

해 비용효과성 및 유동성 제고 등에서 더 큰 편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만 정책 자율성 확보나 유상할당 비중 최소화를 통

한 업계 부담 완화 및 수용성 확보의 관점에선 여전히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유리하다 물론 K-ETS 배출권의 높은 가격을 실질적인

높은 감축목표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을 통

해서도 정책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

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연계 이후 외부로부터의 정치적 압력

에 응하기 여의치 않을 경우엔 정책 자율성과 관련한 손실을 감수해

야 한다 만일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

이 크지 않다면 정책 자율성과 업계의 경쟁력을 고려한 부담 최소화

및 제도 수용성 확보가 더 용이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여전히

설득력 있는 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면 시장 연계 전 양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어

떻게 형성되는지 배출권 가격의 차이가 실질적인 감축목표 강도로

EU-ETS 측에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 질 수 있는지 등에 따라 바람직

한 시장 연계의 방식은 달라질 수 있다56) 전체적으로 lsquo완전 쌍방향rsquo

56) 실제로 K-ETS와 EU-ETS의 배출권 가격이 향후 어떻게 전개될 지는 현재로선 예측하기 어렵다 톰슨로이터의 전망에 따르면 EU의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경매연기 배출권의 배출권 비축 시나리오 하에서 2030년까지 EUA의 가격은 약 60유로(한화로 약 78000원선)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Point Carbon 2014) K-ETS의 배출권 가격 전망 자료는 찾기 어려우나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의 목표를 기준으로 할 때 2030년까지 현 수준보다 크게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외견상의 감축목표의 강도를 볼 때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낮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산업middot발전부문의 한계감축비용을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2030년 기준으로 한계감축비용이 톤당 10만원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안영환

84

연계방식은 비용효과성과 유동성 확보의 측면에서 다소 유리하지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정책 자율성 확보 업계 부담 최소화

및 수용성 확보의 차원에서 다소 불리할 수 있다 결국 우리 정부가 시

장 연계에 따라 어떤 가치를 더 보호할 필요가 있는지에 관한 정책적

판단에 따라 연계의 방식은 달라질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지적하고 싶은 것은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도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적절히 설정할 경우 상당한 비용효과성

및 유동성 제고의 편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만

일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서 설정한 lsquo비중rsquo을 넘어 완전한 쌍방향

연계로 전환할 때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이 그리 크지 않다면 정

책 자율성 확보에 유리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가 더 바람직한 연계 방식

이 될 수 있다 다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시 바람직한 상 편 배출권

의무 활용 비중이나 레지스트리 등과 같은 기술적인 부분은 본 연구의

범위를 벗어나는 문제이므로 후속 연구로 남겨두기로 한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에 맞는 연계의 방식은 캘리포니아

-퀘벡 또는 스위스-EU-ETS와 같은 해외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와는

달리 완전 쌍방향 연계 방식보다는 부분 쌍방향 연계 방식이 더 적합

할 수 있다 처음부터 완전 쌍방향 연계 방식을 취하기보다는 단계적middot

점진적으로 완전 쌍방향 연계로 확 해나가는 방향이 정책적 자율성을

확보하고 K-ETS가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좋은 안이 될 수 있

다 EU의 입장에서도 배출권 시장 규모를 확 하고 기후변화에 한

middot 김동구 2017) 물론 저렴한 비용에 다량의 감축이 가능한 산업공정 및 폐기물 건물 부문 등에 한 분석이 제외되었다는 한계가 있지만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높게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눈여겨볼만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85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한다는 차원에서 연계에 부정적이지는 않을 것으

로 보인다 특히 자체적 노력을 통해 감축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EU

의 입장에서도 스위스에 비해 상 적으로 큰 규모의 K-ETS와 완전 쌍

방향 직접 연계 방식보다는 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이 보다 바람

직한 연계 방식이다 왜냐하면 규모가 큰 시장과의 연계로 인해 자체

감축 수요보다 타 시장 배출권 구입을 통해 목표를 충당하려 할 경우

목표로 하는 자체 노력에 의한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에 차질을 빚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은 단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EU의 이해와도 부합되는 측면이 있고

따라서 정책 방안의 실현가능성 또한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6장 결론 87

제6장 결 론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도는 시장 기제를 활용하여 비용효과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표적인 감축 수단으로서 우리나라를 포함

하여 EU 캘리포니아 등 여러 국가에서 채택하여 시행하고 있다 특히

파리협정 이후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와 맞물려 그간 독

자적으로 운영되어 오던 배출권 시장을 서로 연계하여 비용효과성을 극

화하고 시장 유동성을 제고하며 기후변화 응 관련 국제적 리더십을

확보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배출권 시장 연계는

단순히 전문가 차원의 관심을 뛰어 넘어 퀘벡-캘리포니아 배출권거래제

도 및 스위스-EU 배출권거래제도의 연계 사례를 통해 실현되고 있다

배출권 시장 연계에 한 그간의 여러 연구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의

연계가 시장 규모의 확 를 통해 비용효과성을 제고하고 유동성 확

및 가격 안정화 등의 여러 가지 편익을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국 내 정책에 한 규제당국의 개입 범위를 축소시켜 정책 자율성을

저해하며 자국 내 기업들의 비용부담을 오히려 증 시키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환경건전성까지 악화시킬 가능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배출권

시장 연계는 편익뿐만 아니라 발생 가능한 다양한 부작용들을 종합적

으로 고려해서 결정해야 하는 다면적인 정책 의사결정 과정임에 유념

해야 한다

배출권 시장 간 연계가 성공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연계하는 두

시장의 제도적 설계요소들을 적절히 맞추어나갈 필요가 있다 상 부

문의 감축목표 강도 할당방식 이월middot차입middot상쇄 등 유연성 기제 배출권

88

가격 및 공급량 관리제도 MRV 체계 페널티 제도 등 고려해야 할 다

양한 설계요소들이 있다 특히 감축목표의 강도 유상할당의 규모 상

쇄제도 MRV 체계 등은 연계 과정에서 핵심 쟁점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연계 과정에서 규제 당국 간의 적절한 조율이 필요하다

배출권 시장 간 연계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사례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퀘벡-캘리포니아 및 스위스-EU의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는 연계를 통해 두 시장이 상호간 혜택을 보

아야 하고(상호 호혜성) 연계되는 두 시장의 배출권 설계요소가

동소이하며(핵심 설계요소의 일치성) 당사국들의 강한 정책적 의지가

수반되어야 성공적인 시장 연계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배출권 시장 연계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유형별로

는 lsquo완전통합형rsquo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형rsquo 외부 크레딧을 통한 lsquo간접 연계rsquo lsquo단방향 연계형rsquo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 연계 유형별로 가지는 장middot단점이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시

장의 완전통합형에 가까울수록 비용효과성과 시장 유동성 및 가격 안

정성은 높아지는데 반해 정책 자율성은 낮아진다 단방향 연계형은 연

계가 허용된 시장에는 비용효과성 유동성 및 가격 안정성을 제공하면

서 정책 자율성까지 보장하는 장점이 있으나 연계를 허용하지 않은 시

장에서는 연계의 혜택을 누리기 어려우므로 상호 호혜성의 측면에서

실현되기 어려운 방식이다 다만 두 시장을 직접적으로 연계하기 전에

다양한 설계요소를 조정하기 위한 중간 단계로서 단방향 연계 방식이

채택될 수는 있을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의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타 배출권 시장과의 연계가 논의되고 있는 상황에서 가장 유력하게

제6장 결론 89

거론되고 있는 EU-ETS와의 연계를 상정하여 주요 쟁점사항과 바람직

한 연계 방식에 해 검토해 보았다

EU-ETS와 연계할 경우 가장 첨예한 쟁점사항으로 부각될 수 있는

요소로는 감축목표 강도 및 유상할당 규모의 상응성 간접배출에 한

할당 등을 꼽을 수 있다 실질적인 체감도와는 무관하게 외형상의 EU

와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할당방식에 있어서 EU-ETS와 달리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은 무상할당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EU-ETS와의 유상할당 규모의 차이는

2030년까지 상당 수준에서 차이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EU-ETS와 연계를 논의할 때 산업경쟁력 및 탄소누출에 한 우려를

들어 감축목표의 강도와 유상할당 규모의 상응성이 핵심 쟁점으로 부

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간접배출에 한 할당도 이중계산 및 횡

재이윤의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쟁점사항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월 차입 시장관리 MRV 등의 요소는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긴 하나 EU-ETS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기 때문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할 때 다양한 시장 연계의 유형 중 어떤 방식이

우리에게 보다 적합할지 살펴보았다 lsquo완전 통합형rsquo은 사실상 정책 결

정에 우리 정부가 개입할 여지를 없애는 방식이므로 적합지 않은 방식

이며 외부 크레딧을 통한 lsquo간접 연계rsquo 방식만으로는 유동성 부족에 고질

적으로 시달리는 국내 배출권 시장의 문제를 해결하기에 모자람이 많

다 다만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와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 방식 중

어떤 방식이 우리 현실에 더 적합한지는 연계 이전에 두 시장의 배출

권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가 그리고 배출권 가격의 차이가 실질적인

90

감축목표의 강도로 받아들여 질 수 있는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은 비용효과성과 유동성 확보의

측면에서 다소 유리하지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정책 자율

성 확보 업계 부담 최소화 및 수용성 확보의 차원에서 다소 불리하다

먼저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낮게

형성된다면 국내 배출권에 한 외부 수요가 증 되므로 lsquo완전 쌍방

향rsquo 연계방식을 채택하더라도 K-ETS의 고질적인 유동성 부족을 해결

하는데 큰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다 반면 정책 자율성에 있어서 손실

을 감수해야 하므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보다 적합하다

다음으로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

해 높고 그러한 높은 시장 가격을 근거로 실질적인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충분히 받아들여진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은 시장 가격에도 불구하고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받아들여지지 못한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은 국내 참여업체들의

비용부담을 가중시키고 제도의 수용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도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적절

히 설정할 경우 상당한 비용효과성 및 유동성 제고의 편익을 얻을 수

있다 만일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서 완전한 쌍방향 연계로 전환할

때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이 그리 크지 않다면 정책 자율성 확보

에 유리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가 더 바람직한 연계 방식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해외 주요국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에서처럼 처음부터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EU-ETS와 연계하기 보다는 초기 단계에서는 적절

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EU-ETS 배출권을 구매해서 의무이행에 활

용하는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배출권 시장을 연계한 후 점진적으로

제6장 결론 91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높여나가는 방식이 바람직할 것으

로 판단된다

또한 최근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으로 논의되는 협력적 접근

법이나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에 의한 감축실적도 상쇄배출권으로 허

용하도록 함으로써 간접적인 연계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시장 메커니

즘에 한 지침이 확정되면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이들 접근법을 활용

한 다양한 감축사업들이 전개될 수 있으며 연계 상이 되는 타 시장

(예를 들어 EU-ETS)도 그러한 시장 메커니즘을 자국의 배출권 시장과

연계시킬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간접연계는 국제적으로 공인된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함과 동시에 lsquo부분 쌍방향 연계 방식rsquo의 효과를 제고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93

참고문헌

lt국내 문헌gt

관계부처합동 2017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1차 계획기간 제3차 이행

연도 배출권 할당계획 변경(안)

관계부처합동 2018 보도참고자료 ldquo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전략 새롭게 만들어 갑니다rdquo

기획재정부 2017 제2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안)

박수경middot박순철middot송철호middot임철희middot이수정middot이우균 2018 ldquo한middot중 배출권거래제

연계를 위한 설계요소 및 장애요인 분석rdquo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9(4) 471-485

산업통상자원부 2016a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 수립 연구

산업통상자원부 2016b 협력적 접근법에 활용가능한 국제 규범 마련 연구

삼정 KPMG 2018 진화하는 배출권거래제(ETS) 시장과 기업의 탄소비용

응방향 삼정 KPMG Issue Monitor 제87호

수원의제21실천협의회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 2016 ldquo제21차 기후변화

협약당사국총회 파리협정문 국문번역본rdquo

안영환middot김동구 2017 산업 발전부문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 연구 산업

통상자원부

환경부 2014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1차 계획기간 국가 배출권 할당

계획

환경부 2018 보도자료 ldquo2030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안 및 2018~2020년

배출권 할당계획 확정rdquo

94

환경부 2019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2차 계획기간 국가 배출권 할당

계획

lt해외 문헌gt

Anger N 2008 ldquoEmissions Trading beyond Europe Linking Schemes

in a Post-Kyoto Worldrdquo Energy Economics 30 2028-2049

Babiker M Reilly J and Viguier L 2004 ldquoIs international emissions

trading always beneficialrdquo Energy Journal 25(2) 33-56

Bodansky DM Hoe이 SA Metcalf GE and Stavins RN 2016

ldquoFacilitating linkage of climate policies through the Paris

outcomerdquo Climate Policy 16(8) 956-972

Burtraw D Palmer KL Munnings C Weber P and Woerman M

2013 Linking by degrees incremental alignment of cap-and-trade

markets Discussion Paper 13-04 Resource for the Future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Towards a Global Carbon Market

Prospects for Linking the EU ETS to Other Carbon Markets

Carbone JC Helm C Rutherford TF 2009 ldquoThe case for

international emission trade in the absence of cooperative climate

policyrdquo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57

266-280

Chichilnsky G and Heal G 1995 Markets with tradable CO2

emission quotas principles and practice OECD Economics

Department Working Paper No 153

DEHSt 2016 International market mechanisms after Paris

참고문헌 95

European Commission 2016 COM(2016) 482 Final

Flachsland C Marschinski R and Edenhofer O 2009 ldquoTo limk or

not to link benefits and disadvantages of linking cap-and-trade

systemsrdquo Climate Policy 9(4) 358-372

Gouvernement du Queacutebec 2018 Quebec cap-and-trade system for

greenhouse gas emission allowances(CampT) Historical Overview

Hahn R W and Stavins R 2011 ldquoThe Effect of Allowance

Allocations on Cap-and-Trade System Performance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54(4) s267-s294

Haites E and Mullins F 2001 Linking domestic and industry

greenhouse gas emission trading systems EPRImiddotIEAmiddotIETA

Helm C 2003 ldquoInternational emissions trading with endogenous

allowance choicesrdquo Journal of Public Economics 87 2737-2747

Helm D Hepburn C and Mash R 2003 ldquoCredible carbon policyrdquo

Oxford Review of Economic Policy 19(3) 420-437

IETA 2014 USE OF OFFSET CREDITS ACROSS EMISSION

TRADING SYSTEMS and CARBON PRICING MECHANISMS

IETA 2015 Case Study Linking the Swiss and EU ETS Greenhouse

Gas Market 20152016 Report

ICAP 2019a Canada - Queacutebec Cap-and-Trade System

ICAP 2019b USA - California Cap-and-Trade Program

ICAP 2019c EU Emissions Trading System (EU ETS)

Jaffe J and Stavins RN 2008 Linkage of tradable permit systems

in international climate policy architecture Discussion Paper

08-07 Harvard Project on International Climate Agreements

96

McKibbin WJ Shackleton R and Wilcoxen PJ 1999 ldquoWhat to

expect from an international system of tradable permits for carbon

emissionsrdquo Resource and Energy Economics 21 319-346

McKibbin WJ Morris A and Wilcoxen PJ 2008 Expecting the

unexpected macroeconomic volatility and climate policy Discussion

Paper 08-16 Belfer Center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Affairs

Harvard Kennedy School

Montgomery W D 1972 ldquoMarkets in Licenses and Efficient Pollution

Control Programsrdquo Journal of Economic Theory 5 395-418

Point Carbon 2014 The MSR Impact on market balance and prices

Thomson Reuters

Ranson M and Stavins RN 2015 ldquoLinkag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trading systems learning from experiencerdquo Climate

Policy 16(3) 284-300

Royal Norweigi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08 The Norwegian

Emissions Trading System Presentation to ICAO Workshop

Tietenberg T H 2006 Emission Trading Principles and Practice 2nd

Ed RFF Press

Tuerk A Mehling M Flachsland C and Sterk W 2009 ldquoLinking

carbon markets concepts case studies and pathwaysrdquo Climate

Policy 9(4) 341-357

UNFCCC 2015 Paris Agreement

UNFCCC 2016 Decision1CP21

참고문헌 97

lt기사 및 웹사이트gt

ClimateWire 2013 ldquoEU market troubles will prevent emissions trading

linkage - Califairchiefrdquo

EC 홈페이지 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reform_en

EC 홈페이지 httpseceuropaeuclimapolicieseffortregulation_en

EC 홈페이지 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allowances_en

Emissions-ETScom 홈페이지 httpswwwemissions-euetscomcarbon-

market-glossary872-european-union-emissions-trading-system-eu-ets

Emissions-ETScom 홈페이지 httpswwwemissions-euetscomborrowing

Exchange Monitor 홈페이지 ldquoCALIF FORGING AHEAD WITH EMI

SSIONS TRADING NEXT MONTH AIR CHIEF CONFIRMSrdquo

httpswwwexchangemonitorcomcalif-forging-ahead-with-emissions

-trading-next-month-air-chief-confirmsprintmode=1

Federal Office for the Environment Switzerland ldquoLinking of the Swiss

and European emissions trading systems big step forwardrdquo

httpswwwbafuadminchbafuenhometopicsclimatenews-releases

msg-id-67745html

Sandbag Carbon Price Viewer httpssandbagorgukcarbon-price-viewer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Western_Climate_Initiative

심 성 희

現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lt주요저서 및 논문gt

985172배출권거래제의 최적 운영을 위한 사회 여건 연구985173 에너지경제

연구원 기본연구 2012

985172배출권 경매의 이론과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 연구985173 에너지경제

연구원 기본연구 2013

985172우리나라 배출권거래제 진단과 개선방안985173 에너지경제연구원 기본

연구 2017

수시연구보고서 18-02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

2019년 1월 31일 인쇄

2019년 1월 31일 발행

저 자 심 성 희

발행인 조 용 성

발행처 에너지경제연구원

983732983732983733983732983731 울산광역시 종가로 405-11

전화 (052)714-2114(代) 팩시 리 (052)-714-2028

등 록 제 369-2016-000001호(2016년 1월 22일)

인 쇄 디자인 범신

에너지경제연구원 2019 ISBN 978-89-5504-725-7 93320

파본은 교환해 드립니다 값 7000원

본 연구에 포함된 정책 안 등 주요 내용은 에너지경제연구원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닌 연구진의 개인 견해임을 밝혀 둡니다

Page 9: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Abstract iii

Emission trading market linkages can be categorized into lsquofull

integrationrsquo lsquofull direct linkrsquo lsquopartial direct linkrsquo lsquoindirect linkrsquo through

carbon offset credits Basically the closer the market is to a fully

integrated type the higher the cost effectiveness market liquidity and price

stability while lowering policy autonomy

Next a scenario of linking K-ETS and EU-ETS was considered and the

main issues of the linkage scenario and desirable linking methods were

examined

In connection with the EU-ETS it is highly likely that issues such as

the stringency of GHG reduction targets the size of auctioned units and

the allocation of indirect emissions will be highlighted Banking borrowing

market management and MRV are not expected to be a big problem as

the design features between the two emissions trading schemes are not

quite different The most promising alternatives among the various linking

methods are lsquofull direct linkrsquo and lsquopartial direct linrsquo Which of these

methods is better suited to Korean emissions trading scheme depends on

the differences in emissions allowancesrsquos prices in the two markets

In general a lsquofull two-way direct linkrsquo is somewhat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effectiveness and market liquidity but it is somewhat

disadvantageous in terms of securing policy autonomy minimizing the

burden on the industry and securing social acceptance If the K-ETSrsquos

emissions allowances price is lower than that of EU-ETS compared to

without the linkage the lsquopartial two-way direct linkagersquo is more

appropriate This is because it will be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of

iv

K-ETSrsquos lack of liquidity even if it adopts the lsquofull two-way direct linkagersquo

method On the other hand if the emissions allowances price of K-ETS is

higher than that of EU-ETS before the market linkage and if counter-part

market planner would accept the high emissions allowances price as a

signal of the corresponding stringency of Korearsquos GHG reductions target a

full two-way direct linkage could be advantageous However despite the

high market price if it is not acceptable as a signal of an high ambition of

GHG reductions a full two-way direct linkage may only increase the cost

burden of domestic participants and reduce the acceptability of the system

In conclusion if the additional benefits of transition from a partial

two-way direct linkage to a full two-way direct linkage are not significant

the partial two-way direct linkage which is advantageous for securing

policy autonomy will be a more desirable way Thus we recommend that

it is not advisable to link with the EU-ETS in a full two-way direct

manner from the outset In the early stages it would be advisable to link

the markets in a partial two-way direct manner in which EU-ETS

allowances are freely purchased and used to fulfill their obligations within

an appropriate range and then gradually increase the share of obligations

of the other allowances

Finally indirect linkage need to be paralleled by allowing the GHG

reductions credits by cooperative approaches or sustainable development

mechanisms under Article 6 of the Paris Agreement Once the guidelines

for market mechanisms are finalized in the near future various mitigation

activities can be developed at the global level In fact EU-ETS is also

Abstract v

likely to allow some credits from the market mechanisms Thus in parallel

with indirect linkages the market mechanisms under Article 6 of the

Paris Agreement also need to be utilized in parallel with a lsquopartial two

way direct linkagersquo between K-ETS and EU-ETS that would create

synergistic effects of the carbon market linkage

차례 i

제목 차례

제1장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제2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편익과 비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가 비용효과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나 시장 유동성과 가격 안정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다 동태적 효율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

라 환경 건전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마 정치적 편익과 비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2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주요 고려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나 상쇄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다 배출권 가격 및 공급관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라 배출권 할당방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마 상 온실가스 및 적용 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

바 이월 및 차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

사 기타 고려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가 직접 연계 완전 통합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

ii

나 직접 연계 쌍방향 연계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

다 직접 연계 단방향 연계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라 간접 연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

2 배출권 시장 연계의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가 스위스 배출권거래제와 EU-ETS의 연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나 퀘벡과 캘리포니아 배출권거래제의 연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

다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추진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3 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

가 상호 호혜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

나 핵심 설계요소의 유사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

다 정책적 의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 동향과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1 파리협정 이후의 탄소시장 논의 동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가 주요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나 후속협상 주요 경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다 주요 쟁점 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2 Post-2020 탄소시장 전망과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1 우리나라 ETS와 EU-ETS의 주요 설계요소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나 할당방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다 유연성 메커니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

라 의무이행 관련 사항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

차례 iii

2 K-ETS와 EU-ETS 연계 시 예상 쟁점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가 감축목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나 할당방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8

다 상쇄제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9

라 기타 사항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3 배출권 시장 연계 방식별 편익 비용 그리고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3

가 시장 연계 유형별 편익 비용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3

나 K-ETS와 EU-ETS 간 연계를 위한 시사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제6장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3

iv

표 차례

lt표 Ⅲ-1gt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표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

lt표 Ⅲ-2gt 스위스와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

lt표 Ⅲ-3gt 캘리포니아-퀘벡과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

lt표 Ⅳ-1gt 파리협정 제6조 주요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

lt표 Ⅴ-1gt 우리나라와 EU의 배출권거래제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차례 v

그림 차례

[그림 Ⅱ-1] A국과 B국의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에 따른 가격결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제1장 서론 1

제1장 서 론

최근 파리협정(Paris Agreement) 제6조에 근거하여 2020년 이후 국

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의 구체적인 정의 구조 기능 활용방법 절차 및

거버넌스 등에 관한 국제사회의 논의가 진행 중이다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활발한 논의의 배경은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할 경우

비용효과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 출발한다 이

와 같은 국제사회의 논의와 발맞추어 우리 정부도 2030년까지 BAU

비 37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제시하면서 목표 감축량의 45를 산

림흡수원 및 해외 감축분을 통해 달성하겠다고 밝히고 있다(관계부처

합동 2018)

한편 우리나라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비용효과적으로 달성하

기 위해 2015년부터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도입middot운영 중이다 지난

2017년에 발표된 제2차 계획기간(2018~2020년) 동안의 배출권거래제

운영방향을 제시한 제2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은 5가지 배출권거래

제 운영의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정부는 ldquo국제 탄소시장

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국제기준에 부합rdquo하도록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할

계획이며 특히 ldquo장기적으로 배출권거래제 국제 연계를 통한 해외 상

쇄 등 활성화로 유연성 제고 및 감축비용 절감 도모rdquo를 천명하였다

(기획재정부 2017) 이러한 기본계획의 방향성을 이어받아 최근 한-중

-일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 지역의 탄소시장 연계와 한국-EU 탄소시장

협력체계 등 배출권 시장의 국제 연계에 관한 논의가 전문가 차원에서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배출권 수급 불균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

2

는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 시장의 국제 연계는 시장의 규모

화를 통한 거래활성화 및 국내 기업 감축비용 완화를 위한 매력적인

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잘 알다시피 배출권거래제는 이론적으로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한

가장 비용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EU-ETS를 시작으로 여러

국가에서 배출권거래시장이 운영되고 있는 가운데 각 국가의 배출권거

래시장의 연계는 이론적으로 배출권 시장의 규모화를 통해 비용절감

효과를 극 화시키고 참여 국가들의 편익을 증가시킬 것으로 여겨진

다 그러나 Flachsland et al(2009) Ranson and Stavins(2015) 등의 기

존 연구들은 배출권 시장의 국제적 연계가 비록 이론적으로는 경제적

효율성을 증 시키지만 경제성만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매우 다면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론이 예상하는 바와 다른 다양한 부작용이 존

재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를 둘러싼 다양한 이론적middot실증적

논의와 파리협정하의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최근 협상 동향

을 검토해보기로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을 주요

국(EU) 배출권 시장과 연계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쟁점들 연계

의 잠재적 편익과 비용을 전망해보고 시장 연계의 바람직한 방향에 관

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의 편익

과 비용에 관한 그간의 이론적middot실증적 논의를 검토하고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해 논의한다 제3장에서는 배출권 시장이 연계

되는 다양한 유형과 더불어 퀘벡-캘리포니아 스위스-EU 등 배출권 시

장 연계의 해외 사례를 살펴보고 그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

제1장 서론 3

점을 도출하였다 제4장은 파리협정하의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최근 협상동향과 전망에 해 논의한다 제5장에서는 표적인 배출권

시장인 EU-ETS와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K-ETS)의 연계를 상정한 정

성적인 사례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EU-ETS와 K-ETS의 연계

시 부각될 수 있는 다양한 쟁점들과 시장 연계에 따라 우리가 얻을 수

있는 편익과 비용에 해 전망해보고 K-ETS의 입장에서 바라본 바람

직한 배출권 시장 연계의 방향에 해 모색해 보았다 끝으로 제6장에

서는 앞선 논의들을 종합 정리하면서 보고서를 매듭짓기로 한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5

제2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본 장에서는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배출권 시장 연계와 관련한 이론

적 실증적 논의 동향을 살펴본다 그간 배출권 시장 연계와 관련된 무

수히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하나의 축은 배출권 시장을 연계

할 경우 얻을 수 있는 편익과 비용에 관한 논의이며 다른 하나는 배출

권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요소에 한 논의로 별된다(Helm

2003 Anger 2008 Babiker et al 2004 Jaffe and Stavins 2008

Carbone et al 2009 Flachsland et al 2009 등) 또한 편익 비용 그

리고 연계 시 두될 쟁점들을 종합적으로 다룬 연구들도 다수 존재한

다(Tuerk et al 2009 Flachsland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박수경 외 2018 등)

여기서는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이 다른 시장과 연계될 경우 얻을 수

있는 잠재적 편익과 비용 그리고 연계 시 반드시 짚고 가야할 고려요소

들이 무엇이 있는지에 하여 기존 연구들에서 논의하고 있는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에 해 고찰해보기로 한다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편익과 비용

가 비용효과성

서로 다른 배출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발생 가능한 표적인 경제적

편익으로 비용효과성을 꼽을 수 있다 서로 다른 두 시장의 배출권 가

격이 연계 이후 균등화되면서 두 시장의 감축비용의 총합이 줄어들기

6

때문이다(Chichilnsky and Heal 1995 Anger 2008 Flachsland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아

래와 같은 상황을 고려해보자1)

배출권거래시장이 연계된 두 국가 A와 B가 있는데 A국은 B국에

비해 상 적으로 온실가스 감축기술이 발달하여 온실가스 감축의 한계

비용이 낮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각 국의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은 [그림 -1]와 같이 그려질 수 있다 여기서 A국과 B

국의 규제 이전의 배출총량은 로 동일하다고 가정하며 A국의

배출상한은 B국의 배출상한은 라고 하자 또한 두 국가의

배출권 시장은 완전경쟁적이라고 가정하자

[그림 Ⅱ-1] A국과 B국의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에 따른 가격결정

A국 배출상한

B국 배출상한

Y

X

자료 Anger(2008 p2032) 및 Flachsland et al(2009 p362)를 참조하여 저자 재작성

1) 여기서는 Flachsland et al(2009 p362)의 도면 분석(graphical analysis)을 저자가 약간 변형하여 제시하기로 한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7

그러면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 이전 각국의 배출권 가격은 각각

와 에서 형성될 것이다 이때 각 국의 배출권 가격의 격차는 배출

권거래시장의 연계 유인이 될 수 있다 B국의 경우 상 적으로 배출권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더 낮은 비용으로 온실가스 감축하기 위해 A국

으로부터 배출권을 구매하기 원할 것이고 A국의 경우 배출권을 판매함

으로써 이익이 발생하기 때문에 배출권 시장 연계가 가능할 것이다

배출권거래 시장이 연계될 경우 A국 배출권의 수요는 증가하기 때

문에 A국에서의 배출권 가격은 상승하게 되고 B국의 경우 A국으로

부터의 배출권 유입으로 배출권 공급이 증가하므로 배출권 가격은 하

락하게 된다 즉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의 차이에 따라 A국에서 B국

으로 배출권이 이전되고 결과적으로 두 국가의 배출권 가격이 로 동

등해지는 까지 지속된다 즉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의 차이에 따른

배출권 이전으로 연계시장에서 배출권의 균형가격은 수준으로 결정

된다 이 때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에 따른 비용은 전체적으로 X와 Y

면적만큼 감소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비용효과성이 항상 달성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도 언급

하였듯이 시장 연계가 가져다주는 비용효과성을 논의할 때 두 국가의

배출권 시장이 완전경쟁적인 상황을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연계되는

두 시장에 외부성이나 왜곡적 조세체계 등으로 인한 시장 왜곡이 존재

할 경우 배출권 시장 연계는 기존의 왜곡을 오히려 강화시킴으로써 비

용효과성을 저해할 가능성도 있다(Flachsland et al 2009) 예를 들어

어떤 사유(또는 특정 목적)로 인해 에너지원 간 조세체계가 사회적으

로 바람직한 상 가격체계를 따르지 못하지만 배출권거래제를 통해 효

율적 배분이 달성되고 있는 상황을 생각해보자 이때 배출권 시장 연

계로 인해 배출권 가격이 변할 경우 에너지원 간 소비 왜곡으로 인한

8

비효율성이 발생한다 만일 배출권 시장 연계로 인한 감축비용의 감소

에 비해 그러한 비효율성이 더 크다면 배출권 시장 연계는 사회 후생

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2)

나 시장 유동성과 가격 안정성

서로 다른 배출권 시장이 연계되면 개별 배출권 시장이 독립적으로

병존할 때에 비해 전체 시장 규모는 확 되며 그로 인해 배출권 시장

의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다 시장 규모가 커지게 되면 배출권 시장에

서 유동성(liquidity)이 커지게 되며 배출권 가격의 안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Flachsland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특히 유동성 확 와 그로 인한 배출권 가격 안정의 효과는 연계 이전

에 시장 규모가 상 적으로 작은 시장에서 크게 나타난다 시장을 연계

하기 이전에 두 시장 모두 규모가 작을 경우 양쪽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시장 규모가 비 칭적인 경우 상 적으로 규모가 작은

시장에서 이와 같은 효과를 크게 누리게 된다 시장 규모가 협소하여 배

출권 수급 불균형이 자주 나타나는 시장이 보다 큰 시장과 연계할 경우

수급 불균형에 따른 문제를 크게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장 연계가 반드시 규모가 상 적으로 작은 시장의 가격 안

정성을 증 시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특정 배출권 시장의 변동성이

다른 배출권 시장으로 전이될 수도 있다(Mckibbin et al 2008) 만일

연계하는 큰 규모의 상 편 배출권 시장에서 과다 할당 과다한 상쇄

배출권의 유입 등의 이유로 규모 시장에서 급격한 시장 가격 변동이

발생할 경우 배출권 시장 연계는 소규모 배출권 시장의 가격 불안정성

2) Babiker et al(2004)와 Mckibbin et al(1999) 등은 기존 시장에서의 왜곡이 존재할 경우 배출권 시장 연계가 반드시 효율성을 가져다주는 것은 아님을 보여주었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9

을 오히려 크게 확 될 것이다 결국 배출권 시장 연계가 가격 안정성

에 미치는 효과는 연계되는 시장의 규모에 따라 다르며 수급 불균형

에 따른 효과의 동태적 경로 또한 가격 충격의 근원지가 어디냐에 따

라 비 칭적으로 나타날 것이다

다 동태적 효율성

온실가스로 인한 기후변화는 국지적이며 단기적인 이슈가 아닌 글로

벌한 장기적인 이슈이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 정책 당국자들이 매우

높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강도 높은 감축수단의 이행을 약

속했다고 하더라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러한 감축목표와 수단의 강

도를 낮추고자 하는 유인에 직면할 수 있다3)

이때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동태적 비일관성의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다(Flachsland et al 2009) 기후변화 정책의 동

태적 비일관성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정책 당국자가 재량적 의사결정

을 할 여지가 늘어나기 때문에 발생한다 만일 두 국가(또는 지역)의

배출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특정 국가의 배출권거래제도와 관련된 재

량적 의사결정(배출상한의 설정 배출권의 할당 상쇄제도 등)은 연계

된 전체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일단 시장이 연계되고 난

이후에는 그러한 의사결정 시 다른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하는 국가(또

는 지역)와 충분한 사전협의를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상 국가(또

는 지역)의 명시적 또는 암묵적 압력에 직면하게 되며 독자적인 배출

권 시장을 운영하는 경우에 비해서 감축의 강도를 낮추는 방향으로 재

3) 이른바 동태적 비일관성(time inconsistency problem)의 문제로서 Helm et al(2003)은 기후변화정책에서의 동태적 비일관성을 다루고 있다

10

량적 의사결정하기가 더 어렵다 이처럼 배출권 시장 연계는 특정 국

가에서 재량적 의사결정을 할 여지를 낮춤으로써 안정적인 탄소가격

신호를 전달하고 감축투자를 촉진하는데 도움이 된다4)

물론 배출권 시장 연계의 구체적인 유형에 따라 동태적 효율성의 크

기는 달라질 수 있다 상 편 시장의 배출권을 의무이행에 일부 허용

하는 방식의 느슨한 연계보다는 전체 감축목표 및 배출상한을 상호 협

의하는 방식의 연계가 동태적 효율성 확보에 유리할 것이다

라 환경 건전성

선행 연구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 연계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일률적이지 않다 Carbone et al(2009)에 따르면 배출

권 시장 연계는 그렇지 않을 때에 비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 환경

건전성에 도움을 준다 Carbone et al(2009)은 한계감축비용과 감축의

환경적 편익이 높아서 배출권의 순 구매자가 되는 국가들과 한계감축

비용이 낮고 배출의 한계편익이 낮아 배출권의 순 판매자가 될 소수의

규모 배출권 판매 국가들이 서로 연계하는 상황을 상정하여 분석하

였다5) 이때 배출권 할당량은 참여하는 국가들이 합의해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 주권국가로서 독자적으로 결정한다

4) 한편 항상 배출권 시장 연계가 동태적 효율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 만일 특정 국가(또는 지역)의 한계감축비용이 상당히 높아 배출권 시장 연계 이후 상당량의 배출권을 구매하는 경우 자체적인 감축노력보다는 연계된 시장에서 배출권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목표를 충당함으로써 자체 감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다양한 공편익(co-benefits) 예를 들어 기오염 저감 에너지 안보 강화 감축기술 촉진 등을 장기적으로 내재화하지 못할 가능성도 상존한다(Flachsland et al 2009)

5) 가령 배출권 순 구매자로서 EU와 배출권 순 판매자로서 개발도상국인 중국 및 러시아가 상호 연계하는 상황을 상정해보라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1

배출권 판매국가의 입장에서는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이 높은 수준으

로 유지되어 얻는 이익과 높은 배출권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배출권

할당량을 제한함으로써 잃게 되는 비용을 상호 비교하여 최적의 의사

결정을 하게 된다 만일 소수의 규모 배출권 판매국가가 공급독점자

로서 시장지배력을 가질 경우 배출권 가격 하락을 억제하기 위해 할당

량을 낮출 유인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수준은 줄

어드는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특히 Carbone et al(2009)은 EU-중

국-구소련연방이 서로 배출권 시장을 연계하는 상황에 한 연산가능

일반균형(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모형 기반 시뮬레이

션 분석을 통해 연계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서 두 배 이상의 온실가스

감축이 가능함을 보였다

반면 Helm(2003)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이 연계됨으로써 오히려 배출

권 할당량이 늘어나 환경 건전성을 저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은 배

출권 할당량을 늘임으로써 발생하는 추가적인 환경적 피해와 배출권 가

격 하락에 따른 손해에 비해 배출권 판매량의 증 에 따른 수입 증

효과가 더 큰 경우에 발생한다 이 경우 시장 연계에 따라 배출권의 순

판매국이 되는 국가는 자국의 배출권 할당량을 연계 이전에 비해 늘리

고자 하는 유인을 가지며 이로 인해 두 시장의 전체 배출권 할당량 총합

은 연계되기 전에 비해 늘어날 경우 환경 건전성을 해칠 수 있다6)

전술한 두 가지 경우 중 어느 경우가 더 현실적인 시나리오인지는

일률적으로 답하기 곤란하다 결론적으로 배출권 시장 연계가 환경

건전성에 미치는 효과는 연계되는 국가들의 한계감축비용 및 한계환경

편익의 구조 각국의 배출권 시장구조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6) 이때 순 효과의 크기는 한계감축비용 및 한계환경편익에 따라 달라진다 자세한 사항은 Helm(2003)을 참조하라

12

마 정치적 편익과 비용

배출권 시장 연계는 근본적으로 서로 다른 두 시장의 국제적인 상호

협력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국제정치적 전략의 관점에서 긍정적인 효과

를 가진다(Ranson and Stavins 2015) Ranson and Stavins(2015)가 주

장한 바와 같이 배출권 시장 연계는 기후변화 응에 한 참여 국가

의 적극적인 의사를 국제적으로 천명하는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 응과 관련한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고 국제적

인 신뢰를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7)

배출권 시장 연계가 정치적 측면의 편익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그

이면에는 치러야 할 또 다른 가가 존재한다 특정 국가가 자국의 단

일한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는 경우 정부 당국은 해당 시장에 한 배

타적인 통제권을 가지며 정책 환경 변화에 따라 유연한 응이 가능하

다 그러나 다른 배출권 시장과 연계될 경우 구속력을 가지는 국내 규

제정책에 한 국가의 개입 범위가 줄어들어 규제의 유연성을 제 로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다(Jaffe and Stavins 2008 Flachsland et al

2009)

7) 한편 Ranson and Stavins(2015)은 배출권 시장 연계가 특정 국가의 배출권 시장의 도입에 영향을 준 도구로서 활용되기도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EU-ETS는 제3기에서 최빈개도국(Least Developing Countries LDCrsquos) 국가에서 나온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 배출권만을 상쇄로 허용하겠다는 결정을 하였다 그런데 이로 인해 당시 EU 시장에서 청정개발체제 배출권 공급의 상당량을 차지하던 중국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의 시장 공급이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중국이 독자적인 자국 내 배출권 시장을 도입하게 된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물론 중국의 배출권 시장 도입이 자국의 청정개발체제 배출권 해결을 위한 방편이었다는 Ranson and Stavins(2015)의 해석에는 다소 이견이 있을 수 있으나 중국의 배출권 시장 도입이 자국의 잉여 청정개발체제 배출권 해소에 일정 부분 기여했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 이것은 배출권 시장의 연계가 아닌 lsquo연계의 단절rsquo이 특정 국가의 적극적인 기후변화 응 정책수단 도입을 이끌어낸 흥미로운 사례라고 하겠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3

후술하겠지만 배출권 시장 연계과정에서 감축목표의 강도 가격상한

여부 상쇄제도의 설계 방식 이월과 차입의 허용 정도 등 다양한 설계

요소에 따라 배출권 시장 연계 전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

다 이러한 맥락에서 배출권 시장 연계 사전에 그러한 설계요소별로

양 시장간 긴 한 협력과 조정이 필요하며 이는 결국 배출권거래제도

설계에 있어서 배타적 통제권과 규제 당국의 유연성에 해 일정 정도

의 양보가 뒤따를 수 있다8) 결과적으로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는 국

가 주권의 부분적 양도라는 정치적 도전에 직면할 우려가 있음에 유의

할 필요가 있다

2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주요 고려사항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는 경제적 정치적 측

면 등에서 연계에 따른 잠재적 편익과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배출권거래시장을 연계하여 잠재적 편익을 극 화하면서 비용을 최소

화하기 위해서는 시장 연계의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

라서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를 설계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본 절에서는 배출권거

래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할 주요 사항들에 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에 있어서 감축목표는 배출권의 가격뿐만 아

8) Flachsland et al(2009)은 ldquo연계는 기본적으로 효율성 증 와 규제적 개입의 감소 간의 상충관계를 내포한다rdquo고 지적하였다

14

니라 감축비용의 효율성 증 및 분배효과의 크기 등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배출권 시장 연

계를 다룬 여러 선행 연구들은 감축목표의 상 적 격차가 클 경우 배

출권 시장 연계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Tuerk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감축목표의 엄격성 차이가 배

출권 시장 연계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이유는 연계를 통한

경제적 편익에도 불구하고 정치적middot분배적 관점에서의 쟁점들을 부각시

켜 제도의 수용성을 낮추기 때문이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배출권 시장을 연계하는 가장 큰 논거는 비용

효과성에 있다 비용효과성은 연계하는 두 시장 간 감축비용의 차이에

서 나온다 그러나 반 로 배출권 시장이 연계된 이후 높은 감축목표

를 설정한 국가의 기업들이 상 적으로 낮은 감축목표를 설정한 국가

의 기업들로부터 거 배출권을 구입하여 자본이동이 발생하게 되면

고강도 감축목표 설정 국가의 기업들로부터 국가 간 감축목표의 형평

성 관점에서 제기되는 상당한 정치적 저항에 부딪힐 수 있다9) 또한

연계 이전에 고강도 감축목표 국가의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의 순 판

매자인 기업이 시장 연계 이후에 배출권 판매규모가 줄어들게 되고

그로 인해 연계 이전에 비해 순 편익이 줄어들 경우 분배적 이슈가 부

각될 가능성도 있다10)

9) 두 시장의 감축목표의 강도나 감축비용이 유사한 경우에는 이러한 쟁점은 사라지는 반면에 시장 연계로 인한 경제적 편익은 줄어들게 된다는 역설적인 측면이 존재한다(Ranson and Stavins 2015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10) 한편 감축목표의 상당한 차이가 나더라도 양 시장이 이를 감안한 적절한 교환비율을 설정한다면 이론적으로는 시장 연계에 큰 장애요인이 되지 않을 수 있다(Burtraw et al 2013 Ranson and Stavins 2015) 그럼에도 불구하고 Ranson and Stavins(2015)는 감축목표와 배출권 가격에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경우 시장 연계에 큰 장애요인이 될 수 있으며 ClimateWire(2013)을 인용하면서 EU-ETS 배출권 가격의 급락이 캘리포니아 배출권 시장과의 연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5

따라서 배출권시장의 연계를 추진할 경우 연계를 통한 경제적 편익

이외에도 감축목표의 엄격성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국가 간의

자본 이동 문제와 이에 따른 분배 문제에 해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

요가 있다 또한 감축목표의 강도에 해 연계 이전 양 당국자간의 충

분한 사전 논의와 조율이 선행되어야 하며 필요할 경우 시장 연계로

인해 영향을 받는 경제주체들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중요할

것이다

나 상쇄제도

상쇄제도는 배출권 시장의 공급량 및 이를 통한 시장 가격에 직접적

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자 국내적 감축활동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설계요소이다 상쇄제도가 크게 차이가 나는 서로 다른 두 시장

이 서로 연계될 때 상쇄제도의 차이로 인해 배출권의 공급 및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Teurk et al 2009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예를 들어 세계 최 배출권거래시장인 EU-ETS는 2020년 이후부터

역내 온실가스 감축노력 강화를 위해 역외 탄소상쇄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기로 하였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EU-ETS

와 다른 배출권 시장이 서로 연계되고 연계된 다른 배출권거래시장에

서 탄소상쇄의 사용을 허용할 경우 여기서 발생되는 상쇄배출권은 사

실상 EU-ETS에서 사용가능한 상황이 된다 연계된 다른 배출권거래제

의 할당배출권을 EU-ETS에 판매하는 신 그에 해당하는 양만큼의

상쇄배출권을 유입시키면 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할당배출권과 상쇄배출권은 통상적으로 상호 호환이 가

16

능하기 때문에 연계된 시장 간 상쇄의 활용에 한 다른 인식을 가지

고 있다고 하더라도 한 국가에서 상쇄제도를 허용할 경우 상쇄제도를

허용하지 않는 국가 또한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다 만일 연계를

고려중인 두 시장이 서로 다른 상쇄제도를 운영하고 있고 연계 시 상

쇄제도의 시장 수급 영향이 크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국가 간 상쇄제

도의 인식 및 활용 허용 여부 등에 한 사전 논의와 조율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될 것이다

다 배출권 가격 및 공급관리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하는 주체는 배출권 시장의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 배출권의 가격 및 공급에 관한 사항을 별도의 규정을 두어 관리

하기도 한다 여러 배출권 시장에서 도입하고 있는 배출권 가격 상middot하

한제도나 EU-ETS의 배출권 경매 연기(Back-loading of auctions) 조치

와 같은 배출권 공급량 조절 장치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11) 만약 가격

상한제 또는 하한제와 같은 배출권 가격 또는 공급량 관리 규정이 한

국가의 배출권 시장에 존재하거나 도입될 경우 이 시장과 연계되는

다른 국가의 배출권 시장에서 동일한 규정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연계

된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배출권 가격 상middot하한제도가 한 시장에 존재하고 다른 시장에는 존재

하지 않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경우 배출권 시장이 연계되어 있다

면 참여주체들의 재정거래(Arbitrage)를 통해 연계된 시장의 배출권 가

11) 배출권 경매 연기(Back-loading of auctions)는 EU 배출권 시장의 수급 안정화를 위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총 9억톤의 배출권 경매를 2019년 이후로 연기하는 조치로서 EU-ETS 경매 규제에 한 수정의 일환으로 2014년부터 시행되었다(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reform_en)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7

격은 결국 배출권 가격 상middot하한 범위 내로 수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연계된 시장의 모두에서 배출권 가격의 상middot하한제도를 도입한 것과 동

일한 결과를 가져다줄 공산이 크다

다음으로 공급량 관리 조치가 존재하는 상황을 EU-ETS 사례를 통

해 살펴보자 EU는 배출권 경매 연기에 뒤이어 배출권거래시장의 안

정화를 위해 배출권 비축제도(Market Stability Reserve 이하 MSR)를

도입하였다12) 만약 EU-ETS가 다른 시장과 연계되었다고 할 때 EU의

배출권 비축제도는 연계된 배출권 시장 전체를 상으로 한 배출권 공

급량을 기준으로 준칙이 설정되어야 배출권 시장 수급 안정화에 이상

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연계된 두 배출권 시장은 하나의 배출권 시장

으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연계된 두 시장의 전체적인 수급 불균형

이 아닌 한 시장의 수급 불균형만을 고려하여 제도를 운용할 경우 배

출권 수급 불균형 해결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를 위해서는 각

국가 간 배출권 공급과 배출권 가격에 관한 효율적인 관리 제도에 관

해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라 배출권의 할당방식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배출허용총량이 주어진 상황에서 배출권의 할

12) MSR은 배출권 경매량 조절을 통해 수급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배출권의 공급량이 사전에 정한 특정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배출권의 경매 규모를 감소시키고 그 감소분만큼을 비축하며 반 로 배출권시장 내에 배출권이 과소 공급될 경우에는 비축분의 방출하여 경매 규모를 증가시켜 공급량을 늘리는 방식으로 운용한다 현재 배출권 경매 연기 조치를 통해 확보된 9억톤이 MSR에 비축될 예정이며 추가 비축분은 2020년 이후 배출권 시장 상황에 따라 정해진 준칙에 의거 결정될 예정이다 아직까지 비축을 위한 구체적인 준칙은 확정되지 않았다(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reform_en)

18

당방식은 비용효과성에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한다(Mongomery 1972

Tietenberg 2006 Hahn and Stavins 2011) 물론 배출권거래시장의

참여주체에게 분배적 관점에서 영향을 미칠 수는 있다 그러나 국가

간 배출권 할당방식의 차이에 따른 영향은 두 시장의 연계 여부에 상

관없이 존재하기 때문에 비용효과성의 측면에서는 할당방식이 배출권

거래시장의 연계에 있어 직접적인 함의를 가지지 않는다13) 다만 연계

된 두 시장 모두 경매를 통한 배출권 할당을 할 경우 연계 이전에 배

출권 가격이 높게 형성된 국가의 경우 연계에 따라 가격이 낮아져 상

적으로 적은 경매수입을 얻을 수 있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경매수입이 다시 감축을 위한 활동에 중립적으

로 사용된다고 한다면 그 영향도 매우 제한적일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고려해야 할 점은 한 국가는 경매를 통해 할당하고

다른 국가는 무상으로 배출권을 할당하는 상황에서 두 시장이 서로 연

계되는 경우이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할당방식의 차이 자체가 배

출권 시장에 주는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다14) 그러나 일단 시장이 서

로 연계된 이후엔 유middot무상할당 방식의 차이로 인해 두 국가 간 산업경

쟁력이 정치적 쟁점으로 부각될 수 있다 즉 무상할당 방식을 취하는

13) 다시 말해 A라는 할당방식(국가 1에는 a1 국가 2에는 a2라는 할당방식)을 B라는 할당방식(국가 1에는 b1 국가 2에는 b2라는 할당방식)으로 변경하더라도 연계 전과 연계 후의 비용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동일하다 왜냐하면 연계가 없을 경우 최초 할당 이후 두 시장의 배출권 최종 균형가격은 A와 B 할당방식 모두에서 동일하며 연계된 경우에도 배출권 최종 균형가격은 할당방식에 관계없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할당방식을 어떻게 하든 할당방식에 따른 연계 전과 후의 비용효과성 변화의 크기는 동일하므로 할당방식이 배출권 시장 연계에 주는 직접적 함의는 제한적이다

14) 경매를 주된 할당방식으로 택하는 국가의 기업들이 무상할당을 주된 방식으로 채택한 국가로 생산시설을 이전하는 탄소누출(carbon leakage)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사실 이러한 탄소누출은 시장이 독자적으로 운영되더라도 유사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시장 연계가 추가적인 탄소누출을 야기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19

국가에 해 유상할당으로 할당방식 변경을 요구하는 명시적 또는 묵

시적 압력이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15) 따라서 할당방식에

있어서 유middot무상의 차이가 나는 경우 국가 간 상호조율과 양해가 전제

되지 않는다면 시장 연계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마 대상 온실가스 및 적용대상

배출권거래제의 적용을 받는 기업의 범위 및 배출제한 적용을 받는

상 온실가스는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소들이다 상 온실가

스 및 적용 상의 차이가 적용할 수 있는 온실가스 감축옵션이나 배출

권 할당 규모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기는 하지만 이는 시장 연계와

상관없이 영향을 주는 요소이므로 시장 연계 전후의 차이에 영향을 주

는데 제한적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이들은 적용여부에 따라 해당 산업의 경쟁력에 직접적인 영

향을 미치는 요소이므로 시장 연계 이후 배출권 가격 변화를 통해 간

접적으로 산업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이러한 경쟁력 변화는 특정 국가의 참여기업들의 수용

성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나아가 동태적인 관점에서 제도적 변화에

한 정치적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간과해선 안 된다

예를 들어 한 시장에서는 NF3를 규제 상 온실가스에 포함하는데

반해 다른 국가에서는 이를 규제 상에서 제외한다고 하자 이 경우

NF3가 규제 상에서 제외된 국가의 배출기업들은 그렇치 않는 경우

에 비해 상 적으로 유리한 입장이 된다 이들 두 국가의 배출권 시장

15) 물론 시장 연계 이전에도 이 문제는 국가 간 쟁점이 될 수 있으나 배출권 시장이 독자적으로 운영될 때보다는 연결된 경우에 쟁점화될 개연성이 더 높다

20

이 연계될 때 규제 상의 차이가 연계 전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은 매우 제한적이다 그러나 앞서 유middot무상할당 방식에서와 같이 일단

연계된 이후에는 상 적으로 불리한 입장의 기업들을 중심으로 제도적

형평성에 한 이의를 제기할 수 있고 중장기적으로는 제도적 수렴을

요구하는 경제 외적 압력을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

요컨 상 온실가스와 적용 상의 차이는 단기적으로는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핵심 쟁점은 아니다 그러나 앞선 예처럼 중장기적으

로는 연계 이후 참여 상자들의 수용성 및 형평성에 한 문제 제기 및

제도 수렴에 한 정치적 압력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바 이월 및 차입

이월(banking)은 해당 연도의 배출권 잉여분을 이후 연도에 의무이

행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두 국가 간 배출

권 시장이 연계될 경우 한 국가에서 배출권의 이월을 허용하고 있을

경우 연계된 다른 국가가 이월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간접적으로 이월

제도를 허용한 것과 유사하게 된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국가 A가 배출권 이월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국가 A의 기업들

은 해당 연도 배출권을 이월을 허용하는 국가 B의 이후 연도 배출권과

교환하여 이를 이후 연도 이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

서 어떤 시장에서 이월을 허용하지 않아야 하는 특별한 사유가 있다면

배출권 시장 연계 이전에 이월 관련 규정에 한 국가 간 상호 조율이

필요하다16)

16) 참고로 현재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한 부분의 국가는 배출권의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고 있다

제2장 배출권시장 연계의 논의 동향 21

배출권의 차입(borrowing)은 이월과 반 되는 개념으로 배출권거래

제에 참여하는 업체가 해당 거래 연도에 배출허용량을 초과해서 배출

했을 때 다음 연도 배출권 할당량 중 일부를 차입하여 사용하는 제도

이다 차입 역시 이월과 유사한 논리로 두 국가 간 배출권 시장이 연계

되어 있다면 한 국가에서 배출권의 차입을 허용하고 있을 경우 연계된

다른 국가가 차입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이 국가에서 간접적으로 차입

제도를 허용한 것과 사실상 동일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배출권의 차입

은 현재 시점에서의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을 이연시키

는 효과를 가지므로 환경 건전성 관점에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

다 이로 인해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한 부분의 국가는 차입을 허용하

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일 어떤 시장에서 특정한 사유로

인해 차입을 허용하는 경우엔 배출권 시장 연계 이전에 차입 관련 규

정에 한 국가 간 상호 조율이 필수적이다

사 기타 고려사항

온실가스 배출량의 측정 및 보고 검증(Measurement Reporting and

Verification MRV) 기준은 두 배출권 시장 연계에 있어서 중요하다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연계된 두 시장의 MRV 기준

및 강도 등에서 상당한 차이가 날 경우 두 배출권의 상호 호환성

(fungibility) 및 등가성에 한 논란이 커질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그

러나 서로 다른 MRV체계가 반드시 시장 연계의 장애요소가 되는 것

은 아니며 양 국가 간 합의만 전제된다면 등가비율의 조정을 통해 연

계가 가능하다(Tuerk et al 2009)17)

17) 물론 Tuerk(2009)가 지적하듯이 MRV체계의 투명성(transparancy)과 비교가능성

22

또한 연계된 배출권시장 간의 배출권 이전이 가능하기 위해서 배출

권거래시장의 등록소는 두 시장 간 호환 가능해야 하는데 이는 다분

히 기술적인 요소로 시장 연계에 있어서 장애요인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연계된 배출권시장 간에 신뢰 구축을 위하여 감축목표

불이행에 따른 페널티와 의무이행 체계는 연계된 시장 간에 유사해야

할 것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comparability)이 보장되어야 하며 기준과 강도 그리고 등가비율 등에 한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3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1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

두 배출권 시장이 서로 연계되는 방식은 다양한데 크게 나누어 보면

직접 연계(direct link)와 간접 연계(indirect link)로 구분된다(Tuerk et

al 2009) 직접 연계는 두 배출권 시장 간 직접적인 배출권 거래가 가

능한 경우를 의미하며 간접 연계는 두 시장 간 직접적 거래가 가능하

지 않지만 제3의 시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된 경우를 뜻한다(Tuerk

et al 2009 Flachsland et al 2009) 다시 직middot간접 연계는 몇 가지 서로

다른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아래에서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가 직접 연계 완전 통합형

완전 통합형 직접 연계는 서로 다른 별개로 운영되던 배출권 시장이

하나의 배출권 시장으로 통합되는 유형을 말한다 이 경우 서로 다른

할당배출권이 하나로 통합되며 개별적으로 진행되던 배출권 할당 또한

전체 시장을 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선 감축목표의 설정 및

배출권 할당 상쇄제도 등 다양한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소들

에 해 두 시장간 완전한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감축목표

의 설정 등과 관련하여 완전한 합의를 이루기 위해선 국가 주권의 일

정 부분을 양도한다는 국내 정치적 도전과 정책적 자율성 손실에 따른

비용 부담이 불가피하다는 단점이 있다

완전 통합형 직접 연계는 현실에서 사례를 찾기 매우 힘들지만 표

24

적인 사례로는 EU-ETS와 노르웨이 ETS의 연계를 꼽을 수 있다

EU-ETS 제1기(2005~2007)만 하더라도 양 국가의 배출권 시장은 별도

의 시장으로 존재해왔다 그러나 EU-ETS 제2기(2008~2012) 이후부터

노르웨이 ETS 시장은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과 함께 EU-ETS 시장

으로 편입되어 EU ETS Directive 하에서 운영되는 시장으로 완전 통

합되었다(Royal Norwegi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08)

나 직접 연계 쌍방향 연계형

쌍방향 연계 방식의 직접 연계는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각자

배출상한 목표를 가지고 개별적으로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되 서로 간

의 할당배출권이나 상쇄배출권이 자유롭게 거래되고 상 편 시장의 배

출권을 자신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게 허용되는 연계 방식을 말한

다(Haites and Mullins 2001 Tuerk et al 2009) 두 개의 시장이 하

나의 시장으로 완전히 통합되는 방식에 비해서 각자 독자적인 배출권

시장을 유지middot운영하기 때문에 각 시장을 운영하는 주체의 정책적 자율

성이 일정 부분 보장된다 또한 시장 연계의 수준을 두 시장이 가진 고

유한 상황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다 경우에 따라 해당 시

장에서 의무 이행 시 활용 가능한 상 편 시장의 배출권 수량에 일정

한 제한을 가할 수도 있고 제한 없이 상 편 시장에서 구매한 배출권

을 자신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도 있어서 제도 운

영의 자유도가 완전 통합형에 비해서 높은 편이다18)

18) 만일 제한 없이 상 편 시장에서 구매한 배출권을 자신의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경우 완전 통합형 직접 연계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쌍방향 연계형은 배출상한 목표(즉 배출권 할당량) 등 주요 설계요소를 결정함에 있어서 각 시장 운영주체가 독자적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완전 통합형과 차별성을 가진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5

현존하는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는 모두 쌍방향 직접 연계의 유형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와 퀘벡 간의 배출권 시장 연계와

최근 협정을 체결한 EU-ETS와 스위스 ETS 간의 연계가 표적인 쌍

방향 직접연계 방식을 취하고 있다 목표의 강도 할당방식 적용 상

상쇄제도 등 주요 배출권거래제 설계요소에서 나름의 독자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배출권 거래 및 의무이행에 있어서 상호 호환을 허용하고 있다

이들 사례에 해서는 후술하는 소절에서 자세하게 다루기로 한다

다 직접 연계 단방향 연계형

단방향 연계는 한 시장에서는 상 방의 할당배출권이나 상쇄배출권

을 구매하여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지만 다른 시장에서는 이를 허용

하지 않는 방식이다(Tuerk et al 2009) 통상적으로 시장 연계는 상호

간 순 편익이 늘어날 경우에 성사될 수 있으므로 단방향 연계 방식의

직접 연계는 현실에서 보기 어렵다 다만 쌍방향 연계에 합의했더라도

제도적middot기술적 요인들로 인해 일정 기간 유예가 필요한 경우 서로 간

의 합의하에 본격적인 쌍방향 연계 전의 중간 단계로서 단방향 연계가

일어나기도 한다

단방향 연계의 사례로 노르웨이 ETS는 EU-ETS 제1기에 EU-ETS

배출권을 의무이행에 허용하였던 반면 EU는 노르웨이 ETS 배출권을

받아들이지 않았다(Tuerk et al 2009)19) 또한 비록 성사되지는 않았

지만 호주와 EU-ETS 간의 배출권 시장 연계 시도에서도 단방향 연계

의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지난 2012년 호주와 EU는 양 국가의 배출

권거래제를 연계하기로 발표하면서 2018년 7월 이후에 본격적으로 쌍

19) 이후 EU-ETS 제2기부터 노르웨이 ETS는 EU-ETS에 편입되었다

26

방향 연계하되 2015년 7월부터 한시적으로 호주 기업들이 EU-ETS의

배출권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합의한 바 있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이상의 사례는 단방향 연계 방식이 주로 소규모 시장이 규모 시장

과 연계할 때 과도기적 조치로 사용되어 왔음을 보여준다 결국 단방

향 연계는 규모 시장과의 연계로 인해 소규모 시장 참여자들이 입을

지도 모를 시장 충격에 미리 비하고 본격적인 쌍방향 시장 연계에

앞서 두 시장의 제반 제도적middot기술적 여건을 조화시키기 위한 준비기가

필요할 경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유형이다

라 간접 연계

두 시장이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지 않더라도 제3의 시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될 수도 있다(Tuerk et al 2009 Ranson and Stavins

2015) 이때 제3의 시장은 할당배출권이 거래되는 시장이 될 수도 있

고 탄소상쇄 배출권(carbon offsets credit)이 거래되는 시장이 될 수도

있다 이때 제3의 시장은 다른 두 시장과 쌍방향 혹은 단방향으로 직

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어야 한다 이 경우 특정 시장에서의 배출권 수

급 변화는 제3의 시장을 통해 간접적으로 다른 시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Tuerk et al 2009)

간접 연계의 한 사례로서 쌍방향 연계 이전에는 스위스 ETS와

EU-ETS를 들 수 있다 두 시장은 비록 직접 연계되어 있지는 않았으

나 탄소상쇄로서 교토의정서 상의 크레딧(CDM JI 등)을 허용하고 있

었으며 동 크레딧 시스템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아직까지는 제3의 시장이 할당배출권 시장이 되는 방식의 간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7

접연계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향후 여러 국가 혹은 지역 단위

에서 배출권 시장이 도입되고 서로 간의 이해에 따라 국가 혹은 지역

단위 배출권 시장 간 연계가 늘어나게 된다면 제3의 시장이 할당배출

권 시장이 되는 방식의 간접 연계 유형도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논의한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그에 해당하는 실제 사

례를 정리하면 아래 lt표 -1gt과 같다

구분 유형 표 사례

직접 연계

완전통합형EU-ETS(Phase II~)와 노르웨이 ETS

간의 연계

쌍방형 연계형

EU-ETS와 스위스 ETS 간의 연계(lsquo17년 협정 체결)

캘리포니아와 퀘벡 간의 ETS 연계

단방향 연계형

EU-ETS(Phase I)와 노르웨이 ETS 간의 연계

(연계 추진)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20157월~20186월)

간접 연계

크레딧 시스템을 통한 연계

EU-ETS와 스위스 ETS (쌍방향 연계 이전)

제3의 할당배출권 시장을 통한 연계

해당 없음

자료 Ranson and Stavins(2015)를 참조하여 저자가 재구성

lt표 Ⅲ-1gt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대표 사례

28

2 배출권 시장 연계의 사례20)

가 스위스 배출권거래제와 EU-ETS의 연계

2010년 11월 EU 집행위원회는 EU-ETS와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에 한 협상 개시를 제안했고 이사회를 통해 협상에 한 위임을

받았다 EU와 스위스는 두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 기준과 방식에 해

합의하고 2017년 11월 협약서에 서명함으로서 두 시장의 연계 이행 작

업에 들어갔다 EU-ETS와 스위스 배출권시장과의 연계는 EU-ETS와

제3국의 배출권시장이 연계되는 최초의 공식적인 사례이다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제는 제1차 계획기간인 2008년부터 5년간은 자

발적 참여 단계로 시작하였다 2013~2020년까지인 제2차 계획기간

동안 EU-ETS와의 연계를 위해 2020년까지 감축목표를 EU와 동일한

수준인 1990년 비 20 감축으로 정하는 중요한 변화를 배출권 시

장에 도입하였다

1999년 스위스는 난방 산업공정 수송연료에 탄소 부담금을 부과하

고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했다 연간 25000tCO2e 이상의 이산

화탄소를 배출하는 기업들은 직접적으로 배출권거래제에 참여 가능하

도록 하였으며 참여 기업들은 상향식 접근방법을 기반으로 배출권을

무상할당 받았다 제1차 계획기간 동안 기업은 조림사업과 같은 카본

싱크 프로젝트를 통한 RMUs(Removal Units)를 사용 가능하도록 하

였다 스위스의 페널티 제도는 EU의 페널티 제도와 확연한 차이를 보

이는데 배출권거래제를 참여기업이 감축목표 수준을 준수하지 못했을

20) 본 절은 Carbon Market Watch(2015)의 pp8-13까지의 내용과 박수경 외(2018)의 pp479~ 482까지 내용을 참조하여 재구성한 것이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29

경우의 페널티는 배출권의 상한가격에 해당하는 탄소 부담금과 이자의

합이었다

스위스와 EU 간 배출권거래시장 연계 협상은 공식적으로 2011년 3

월 시작되었다 이에 스위스는 2013년 1월 1일을 시장 연계 시 잠재적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는 요소들을 수정하여 배출권거래제를 개정하였

다 수정된 배출권거래제의 획기적인 변화 중 가장 괄목한만한 점은

배출권거래제 자발적 단계에서 의무적 단계로의 전환된 부분이다 따

라서 제2차 계획기간(2013~2020년)에는 스위스의 온실가스 배출 집약

적 산업부문의 시설들은 배출권거래제에 의무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또한 스위스는 수정된 배출권거래제의 페널티 제도 및 무상할당 방식

그리고 국가 간 탄소 상쇄제도를 EU-ETS와 조화시키기 위해 노력하

였다 그러나 여전히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제는 몇몇 사소한 부분에서

EU-ETS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EU의 경우 배출권거래제

참여 기업이 연간 배출량을 측정하여 당국에 보고하고 독립적으로 검

증 받아야 한다 그러나 스위스는 배출권거래제 참여 업체들이 측정한

연간 배출량을 당국에 보고해야 하지만 EU와 다르게 이를 독립적으로

검증 받지는 않아도 된다 다만 스위스 당국은 사안에 따라 이들에

한 검증을 요청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또 다른 차이점은 EU는 배

출허용량을 집행위원회에서 설정하는 반면 스위스는 상향식(배출허용

총량의 합계) 방법으로 결정한다 두 배출권거래시장의 연계에 있어서

항공부문의 배출권거래제 편입과 서로 다른 온실가스 감축목표 또한

여전히 논쟁되는 이슈이다 lt표 -2gt는 스위스와 EU의 배출권거래제

를 비교 정리한 것이다

30

lt표 Ⅲ-2gt 스위스와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국가 스위스 EU

목표의 엄격성2013년 배출 상한량부터 매년 174 감축

2008~2012년의 연간 평균 감축량의 174 감축

배출량 제한 2013년 56 MtCO2e 2013년 2084 MtCO2e

탄소상쇄 수량

2012~2020년 기간 간 할당된 배출권의 최 11에서 동 기간 사용된 상쇄 크레딧을 차감한 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가능신규 참여기업은 2013~2020년 간 배출량의 45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

2008~2020년 기간 간 할당된 배출권의 최 11의 에서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신규 참여기업은 2013~2020년 간 배출량의 45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

탄소상쇄 품질

최빈국들로부터의 청정개발체제(CDM) 크레딧은 사용 가능하며 기타 CDM 및 공동 이행제도(JI) 크레딧은 2013년 이전에 등록된 것에 한해서 사용 가능

최빈국들로부터의 청정개발체제(CDM) 크레딧은 사용 가능하며 기타 CDM 및 공동 이행제도(JI) 크레딧은 2013년 이전에 등록된 것에 한해서 사용 가능

가격 및 공급관리

시장의 과잉공급 정도에 따라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배출권 공급량 조정

배출권 할당

EU-ETS와 유사한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적용범위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CO2 및 기타 온실가스

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EU 역내 항공 CO2 및 N2O PFCs

준수기간 2013~2020 2013~2020

규제방식 하향식 방식 하향식 방식

이월 무제한 이월 가능 무제한 이월 가능

페널티 제도

1톤당 약 125 CHF (104 유로)의 벌금 부과 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 해에 공제

1톤당 100 Euro의 벌금 부과 사라진 배출권은 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 해에 공제

자료 Carbon Market Watch Report(2015)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1

나 퀘벡과 캘리포니아 배출권거래제의 연계

2014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퀘벡과 캘리포니아의 배출권시장 연계

는 현존하는 세계 최초의 탄소시장 연계 사례이다 두 시장의 연계로

각 주(州)는 두 시장에서 모두 배출권이나 상쇄분을 판매 혹은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이들 두 시장의 연계 이전 두 시장 사이에 다양한 차

이점이 존재하였으나 WCI21)는 캘리포니아와 퀘벡 배출권거래시장의

조화로운 연계를 도출하였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은 유사한 배출권 가

격과 공급관리 적용범위 이행 기간 이월과 패널티 등을 채택하였다

캘리포니아는 주 자체가 세계에서 가장 큰 경제시장 중 하나로 총

온실가스 배출량은 퀘벡의 6배에 달한다 2012년 캘리포니아는 459

MtCO2-eq의 온실가스를 배출한 반면 퀘벡은 78MtCO2-eq의 온실가스

를 배출하였다 양 주 모두 운송부문이 가장 큰 배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캘리포니아에서는 발전부문이 두 번째로 큰 배출 비중을 차지

하는 반면 퀘벡의 경우 수력발전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발전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미미하다 한편 캘리포니아는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수준으로 안정화시키는 목표를 가진 반면 퀘벡은

2020년까지 총 배출량의 20 감축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이들 감

축목표를 비교해보면 2005년 배출량을 기준으로 퀘벡의 감축목표는

22인데 비해 캘리포니아는 11로 퀘벡의 감축목표가 캘리포니아보

다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두 시장은 모두 상쇄분의 최 사용량을 해당 이행 기간의 총 감축

21) 서부 기후 이니셔티브(Western Climate Initiative WCI)는 이 시장에 참여하는 북미 륙 서부 주들이 2020년까지 총 배출량의 15를 줄이는데 지역적으로 협력하기 위해서 형성된 배출권거래시장 운영기구이다(httpsenwikipediaorgwikiWestern_Climate_Initiative 참조)

32

목표의 8로 제한하고 있고 국제 상쇄의 사용량 또한 제한하고 있다

는 공통점을 가진다 그러나 두 시장 간에는 캘리포니아는 산림의 탄

소 흡수에 의한 상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퀘벡은 산림부문의

상쇄를 인정하지 않는 등의 차이점이 존재한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배출권거래시장은 경매가격 하한제와 유연한

가격 상한제를 시행하는데 합의하였다 캘리포니아의 경매가격 하한은

USD 1134이며 퀘벡의 경매가격 하한은 CAD 1282이며 이들의 환

율은 가장 최근시점 정오의 구매 환율로 정해져있다 경매가격 하한선

은 매년 5 + 물가상승분만큼 상승한다 가격 상한제의 경우 WCI에

참여하는 주들에 의해 독립적으로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들은 2013~2014년에는 할당량의 1 2015~2017년에는 7 2018~

2020년에는 7를 비축할 수 있고 시장에서 배출권가격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상호 간의 합의를 통해 비축분의 판매를 통해

가격안정화를 꾀한다

캘리포니아와 퀘벡 모두 2013~2014년의 제1차 계획기간에는 배출권

의 부분이 무상할당 되었으나 2015~2020년에는 무상할당 되는 배

출권의 양을 줄이는 동시에 점차 경매방식으로 배출권을 할당하게 된다

캘리포니아는 생산수준 배출량 벤치마크 상한 조정요소 및 산업 보조

요소22) 등을 바탕으로 하여 산업시설의 무상할당 수준을 결정한다

퀘벡은 2015~2020년 산업별로 차이가 있는 배출집약도 목표에 기초해

산업별 배출권의 무상할당량을 결정한다 퀘벡에서는 2015년부터 무상

할당량이 매년 1~2 감소한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에서는 2013~2014년 까지는 각각 총 온실가스 배

22) 상한 조정요소는 배출권 상한을 보다 엄격하게 하기 위한 조정을 말하며 산업 보조요소는 특정 산업의 탄소누출 가능성에 따른 보조를 의미한다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3

출량의 약 36와 약 29를 차지하는 에너지 및 산업부문의 배출량만

규제되었으나 2015년부터는 적용범위가 확 되어 연료부문도 포함되

어 총 배출량의 87와 77가 적용범위에 포함되게 되었다 배출권의

이월은 두 시장 모두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는 동시에 보유 제한을 설

정하여 미래에 사용할 수 있는 있는 배출권 양을 제한하고 있다

lt표 -3gt은 캘리포니아 및 퀘벡의 배출권거래제와 EU-ETS를 비교

정리한 표이다

lt표 Ⅲ-3gt 캘리포니아-퀘벡과 EU의 배출권거래제의 비교

지역 캘리포니아-퀘벡 EU

목표의 엄격성

(캘) 2015년 이후 연간 평균 감축량의 31 감축

(퀘) 2015년 이후 연간 평균 감축량의 32 감축

2008~2012 동안 연간 평균 174 감축

배출량 제한

(캘) 3945 MtCO2e (2015) 3342 MtCO2e (2020)(퀘) 653 MtCO2e (2015) 5475 MtCO2e (2020)

2013년 2084 MtCO2e

탄소상쇄 수량 총 배출권 할당량의 8

2008~2020년 기간 간 할당된 배출권의 최 11의 에서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신규 참여기업은 2013~2020년 간 배출량의 45만큼의 탄소 상쇄분 사용 가능

탄소상쇄 품질

(캘middot퀘) 국내 탄소 상쇄로 제한(캘) 산림 프로토콜을 포함한

다양한 프로토콜 사용가능 구매자 책임 원칙

최빈국들로부터의 청정개발체제(CDM) 크레딧은 사용 가능하며 기타 CDM 및 공동 이행제도(JI) 크레딧은 2013년 이전에 등록된 것에 한해서 사용 가능

가격 및 공급관리

2014년 경매가격 하한제로 1톤당 $1134t 연간 5+ 물가반영분 인상 전략적 비축을 통한 가격 상한

시장의 과잉공급 정도에 따라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배출권 공급량 조정

34

자료 Carbon Market Watch Report(2015)

다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추진 사례

호주 정부는 국제 기후 협상의 일환으로서 2020년까지 2000년 비

5 온실가스 감축을 약속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호주는 2012

년 7월부터 탄소가격제도(carbon pricing mechanism CPM)를 도입하

였으나 2014년 호주 정권의 교체로 동년 7월에 폐기되었다 이 제도

는 2012년부터 2015년까지는 탄소 가격을 고정가격으로 2015년 7월

부터는 유연가격으로 변경하여 시행하기로 계획되어 있었다 또한 호

주는 2012년 EU와의 탄소시장 연계를 발표하고 그 해 7월부터 잠정

적으로 호주 탄소시장에서 EU 배출권을 사용할 수 있는 한방향 연계

가 시행되었으며 쌍방향 연계는 2018년부터 시행하기로 계획하였다

호주 정부는 원래 탄소가격의 상한을 AUD20(약 13유로)로 설정하

고 매년 5 인상하기로 계획하고 있었으며 하한은 AUD15(10유로)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EU-ETS와의 연계를 위해 유연가격제를 시행하기

로 한 2015년부터는 가격 하한제의 도입 계획을 철회하기로 하였고

지역 캘리포니아-퀘벡 EU

배출권 할당산업 및 발전부문 무상할당 점차 줄어드는 추세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적용범위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난방과 수송연료 CO2 및 N2O PFCs

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EU 역내 항공 CO2 및 N2O PFCs

규제방식 상향식+하향식 방식 하향식 방식이월 무제한 이월 가능 보유제한 무제한 이월 가능

페널티 제도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해에 공제

1톤당 100 Euro의 벌금 부과 사라진 배출권은 배출권 추가 사용 시 사용된 배출권 양만큼 다음 해에 공제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5

양국의 시장 연계가 시행되는 2018년에는 가격 상한제마저 폐지하기

로 하였다 또한 두 시장의 연계를 위해 호주 정부는 EU의 규정과 부

합하지 않는 원자력 사업 산업용 가스의 분해 및 형 수력발전 사업

의 탄소상쇄를 제외시켰다 하지만 두 배출권시장의 연계를 위한 이러

한 정책의 변경은 호주 정부에 정치적 부담을 안겨 주었고 2014년 7

월 탄소 가격제가 폐지됨에 따라 두 배출권시장의 연계는 실패로 마감

되었다 그 밖에도 호주의 탄소가격제는 메탄가스를 규제하고 있는 반

면 EU-ETS는 메탄가스를 규제하고 있지 않다는 점과 두 시장의 연계

를 위해 호주 탄소가격제의 페널티가 기존 고정가격의 13배에서 당해

연도의 평균 경매가격의 2배로 증가함에 따른 정치적 부담도 시장연계

실패의 원인이었다고 볼 수 있다

3 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앞서 살펴보았듯이 캘리포니아 ETS와 퀘벡 ETS 그리고 스위스

ETS와 EU-ETS의 연계는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성공적으로 연

계한 표적인 사례이다 여기서는 위 두 사례로부터 배출권 시장 연

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던 요인과 시사점을 간략히 살펴보

기로 한다

가 상호 호혜성

서로 다른 두 배출권 시장이 성공적으로 연계되기 위해선 우선 연계

이후에 서로간의 이해관계가 크게 상충되지 않으면서 상호 호혜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앞의 두 사례에서 보면 퀘벡 및 스위스 배출권 시장

36

은 연계된 캘리포니아와 EU 배출권 시장과 비교해 시장 규모 측면에

서 훨씬 작은 편이다 따라서 이들 시장 운영자들은 자신들의 시장에

참여하는 규제 상 기업들이 풍부한 유동성을 가진 큰 규모의 시장에

한 접근성을 제고하고 통합된 시장에서 다른 기업들과 동등한 경쟁

조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었다23) 특히 스위스 ETS의 할당배출권 가격

은 EUA 가격에 비해 거의 5배나 높은 상황에서 시장 연계는 스위스

배출권 가격을 EUA 가격에 근접시키는 효과가 기 되므로 스위스 입

장에서는 시장을 연계시킬 유인이 컸다(IETA 2015 p54)

한편 캘리포니아는 자신의 배출권 시장 외연을 확 하고 배출원들

의 온실가스 감축 이행 비용 부담을 완화하려는 목적으로 연계를 선호

하였다 이와는 별개로 스위스에 비해 훨씬 큰 규모의 시장을 가진 EU

는 주로 경제적 요인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의해 연계를 선호하였다24)

이처럼 양자의 이해가 맞아떨어지면서 배출권 시장 연계 논의가 시

작되었고 결국 성공적인 시장 연계로 이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연계

하는 두 시장의 이해관계가 일치한다고 하더라도 최종적으로 연계 합

의에 이르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서로 다른 두 시장의 주요

23) 스위스의 연계 유인에 해서는 ldquoLinking of the Swiss and European emissions trading systems big step forwardrdquo(httpswwwbafuadminchbafuenhometopicsclimatenews- releasesmsg-id-67745html) 및 IETA(2015)를 참조하라 퀘벡의 연계 유인은 Gouvernement du Queacutebec(2018)「Quebec cap-and-trade system for greenhouse gas emission allowances (CampT) Historical Overview」(p7)을 참조하였다

24) 캘리포니아 ETS의 연계 유인은 ldquoCALIF FORGING AHEAD WITH EMISSIONS TRADING NEXT MONTH AIR CHIEF CONFIRMSrdquo(httpswwwexchangemonitor comcalif-forging-ahead-with-emissions-trading-next-month-air-chief-confirmsprintmode=1) 을 참조하라 EU와 스위스 시장은 워낙 규모에 차이가 나서 연계 시 스위스 시장이 사실상 EU 시장에 편입되어 EU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EU는 연계에 따른 경제적 편익에 한 고려보다는 기후변화 응을 위한 리더십을 확보하고 시장의 외연을 확장하는 첫 단추로서 스위스와의 시장 연계를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IETA 2015 p54)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7

설계요소의 차이가 야기하는 시장 연계 전후의 영향에 조율이 필수적

이다 다음은 위 두 사례로부터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인의 관

점에서 바라본 성공요인에 해 논의해 보기로 한다

나 핵심 설계요소의 유사성

앞의 두 사례 모두 시장들 간 배출권거래제도의 핵심 설계요소에 있

어서 상당한 유사성을 가지고 있어서 이들을 조율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첫째 캘리포니아-퀘벡 ETS 그리고 스위스-EU ETS는 감축목표의

엄격성 측면에서 서로 유사하여 감축목표를 둘러싼 이견이 적었다 일

견 캘리포니아는 2020년까지 1990년 배출량 수준으로 감축하는 목표

를 가지고 있었고 퀘벡은 2020년까지 1990년 배출량 비 20까지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목표를 세워 퀘벡이 다소 높은 강도의 감축목표

를 설정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lt표 -3gt에서 보듯이 2015년도 ETS 적용 상 배출량 기준으

로 보면 2020년까지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연 평균 감축률은 각각

31 32로 거의 동소이하다 스위스 ETS는 2013년 배출상한

비 2020년까지 매년 174씩 EU-ETS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의

연 평균 배출량에 비 2020년까지 매년 174씩 감축하는 목표를 가

지고 있었다 이처럼 비록 절 적 감축량이나 배출허용량의 크기에 있

어서 두 시장간 차이는 컸지만 상 적인 감축목표의 엄격성 측면에서

유사해서 ETS 운영주체 간 상호 신뢰성이나 참여 상 기업들의 수용

성이 높아 시장 연계를 추진하는데 훨씬 수월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두 사례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한 탄소상쇄제도를 가지고 있어

38

상쇄배출권의 유입에 의한 시장 교란이 작동할 여지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lt표 -2gt에서 알 수 있듯이 스위스와 EU는 상쇄배출권 허용

비율 및 사용가능 종류에 있어서 사실상 동일하기 때문에 상쇄제도의

차이로부터 비롯되는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캘리포니아와 퀘

벡 배출권거래제의 경우에는 상쇄배출권 허용수량은 동일하나 상쇄배

출권의 생성 및 사용에 있어서 약간 차이가 있다 가령 퀘벡의 경우 산

림상쇄를 허용하지 않으나 캘리포니아는 산림 흡수원에 의한 상쇄배출

권을 허용한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그러나 두 제도

모두 부분의 해외 상쇄사업을 허용하지 않고 있고 전체 수량에서 차

이가 나지 않아 시장 연계 시 상쇄 프로토콜의 차이로 인한 시장 교란

보다 연계의 이득이 훨씬 크므로 그러한 사소한 차이가 시장 연계의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았다25)

셋째 배출권의 할당방식에 있어서도 두 사례의 국가들은 유사한 체

계를 갖추고 있었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경우 배출권 할당방식의 기

술적인 부분에서 일부 차이가 존재하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산업부문에

해선 무상할당 발전부문에 해선 유상할당을 적용하고 무상할당

의 비중을 점진적으로 줄여가는 방향성에 해서 체로 일치하였다

(ICAP 2019a ICAP 2019b) 마찬가지로 스위스와 EU도 거의 유사한

할당방식을 가지고 있었다 두 연계 사례 모두 유middot무상할당 방식을 혼

용하되 유middot무상이 적용되는 부문에 해서는 동일하였기 때문에 사소

한 할당방식의 차이는 연계 시 쟁점으로 부각되지 않았다

넷째 배출권 가격 및 공급량 관리 제도와 관련해서도 연계된 사례

25) 퀘벡은 해외 상쇄를 허용하지 않으나 캘리포니아의 경우 브라질 등 일부 국제 산림 상쇄크레딧을 허용한다 그러나 그 양은 매우 미미해서 시장에 미치는 영향 또한 극히 제한적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제3장 배출권 시장 연계의 유형과 사례 39

의 국가들은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캘리포니아와 퀘벡은 동일

한 배출권 가격 및 공급량 관리 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스위스와 EU

의 경우 EU의 배출권 비축제도가 유일한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러나 IETA(2015)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스위스 ETS의 할당배출권 가

격이 EUA 가격에 비해 상당히 높았기 때문에 EU의 배출권 비축제도

도입 자체가 시장 연계에 장애요인이 되지 못하였다

그 외 이월과 차입 MRV 체계 등 시장 연계 시 고려될 주요 설계요

소들에 있어서 두 성공사례의 국가들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처럼 앞서 언급한 배출권 시장 연계 시 고려되어야 할 주요 설계요

소에 있어서 연계하는 시장들은 상당히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고

이것이 시장 연계의 논의와 조율이 매끄럽게 전개될 수 있도록 한 원

동력이 되었다고 판단된다

다 정책적 의지

배출권 시장의 연계가 상호간 이해에 부합하고 앞서 논의한 제도의

설계요소 관점에서 본 기술적middot경제적 쟁점들이 상당 부분 해소된다고

하더라도 정책적 의지가 수반되지 않는다면 시장 연계의 논의는 진전

되기 어렵다 그러한 측면에서 제도 설계요소의 상호 호환성 이슈는

성공적인 시장 연계의 필요조건은 될 수 있을지언정 충분조건은 될 수

없다(IETA 2015) 2010년부터 시작된 스위스와 EU-ETS 연계가 7여

년에 걸친 논의 끝에 성공적으로 매듭지을 수 있었던 것도 스위스 정

책 당국의 의지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스위스

-EU ETS 연계 논의과정에서 항공부문의 포함여부가 중요한 쟁점 중

하나였고 이민쿼터의 도입 등을 둘러싼 EU와의 정치적 이슈와 결부되

40

면서 자칫 좌초될 뻔했던 양 시장의 연계가 끝내 성사될 수 있었던 것

도 정책 당국의 강력한 의지가 있었기 때문이다(IETA 2015) 퀘벡 정

부에서 발간한 보고서에서도 일부 서로 다른 규제 틀을 가지고 있던

캘리포니아와 퀘벡의 연계가 성사될 수 있었던 이유로 상호 신뢰와 개

방적 소통을 통해 두 주 정부가 긴 한 협업을 해나간 것이 주효했다

고 적시하고 있다(Gouvernement du Queacutebec 2018)

반 로 호주 석탄 사업자들의 메탄 배출량 포함 여부를 둘러싼 이

슈 농업 및 토지이용 관련 상쇄제도의 허용 여부 등 다양한 이슈에도

불구하고 호주와 EU-ETS 간의 연계 논의가 끝내 좌초되었던 것도 정

권 교체 이후 새롭게 들어선 정부 당국이 시장 연계에 회의적이었기

때문이다(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권 시장 연계의 제반 조건이 충족되

었을 때 이를 최종적으로 매듭짓는 요소는 결국 정책적 의지이며 충

분한 시간을 가지며 상호 신뢰와 개방적 소통 하에서 협력해나가는 노

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1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 동향과 전망

서로 다른 배출권거래시장 간의 상호 연계는 한 국가 혹은 한 지역

내에서 작동하던 탄소시장의 외연을 확 하는 것으로서 국지적 탄소시

장의 글로벌화와 맥이 닿아있다 배출권 시장 연계는 본질적으로 당사

국 간의 자율성에 기반을 하고 있기는 하나 국제 탄소시장을 규율하

는 원칙과 규정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다 파리협정에서는

감축의 비용효과성을 증진시켜 당사국들이 보다 상향된 감축목표를 제

시하도록 하기 위해 시장 메커니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와 관련

해서 현재 파리협정 이후의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가 한창 진

행 중이다 이에 본 장에서는 파리협정하의 탄소시장 논의 동향과 배

출권 시장의 연계와 관련한 시사점에 해 살펴보기로 한다

1 파리협정 이후의 탄소시장 논의 동향

가 주요 내용

파리협정에서 시장 메커니즘은 파리협정문 제6조에 규정되어 있다

파리협정에는 시장(market)이라는 용어가 명시되어 있지는 않은데 이

는 시장 메커니즘의 설립을 반 하는 일부 당사국들이 lsquo시장rsquo이라는

용어가 파리협정 내에 포함되는 것에 반 하였기 때문이다(산업통상자

원부 2016b)

사실 파리협정하의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사항들은 파리협정 체결

이전부터 논의해왔던 Post-2012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의 결과물

42

이다 기존의 Post-2012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 내용들이 파리협

정을 통해 반영되면서 협력적 접근법(Cooperative Approach) 지속가능

발전 메커니즘(Sustainable Development Mechanism SDM) 비시장 접근

법(non-Market Approach)의 3가지 개념이 제6조에 포함되었다

제6조는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 하위 개념을 포괄하는

원칙인 제61조와 협력적 접근법에 관한 내용인 제62 63조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의 내용을 담고 있는 제64 67조 비시장 접근법에

관한 제68 69조로 구성되어 있다

제61조에는 시장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목적과 기본원칙이 포함되어 있

다 시장 메커니즘은 온실가스 감축비용 부담을 완화시켜 당사국들의

국가온실가스감축기여분(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NDC)

의 상향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NDC의 상향에 기여함

은 제6조의 활용을 포함하여 더 높은 목표의 설정을 고려해야 함을 의

미한다 이때 시장 메커니즘의 활용은 지속가능한 발전과 환경적 건전

성이 증진되도록 한다는 원칙 하에서 이행되어야 한다 지속가능한 발전

과 환경적 건전성은 이중계산(double counting)의 방지와 함께 시장 메

커니즘 활용의 3가지 주요 원칙에 해당한다26)

협력적 접근법(제62 63)은 당사국들 간의 자발적 협력을 통해 감

축실적(mitigation outcome)이 발생하여 국제적으로 이전된 경우

(Internationally Transferred Mitigation Outcome ITMO)에는 NDC의

이행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ITMO의 활용은

참여 당사국들의 자발적 승인을 통해 이루어진다 파리협정 결정문

(Decision1CP21)에 따르면 이중계산 방지를 포함하여 협력적 접근법

의 이행에 필요한 지침을 개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26) 하지만 각 용어의 정의에 해서는 명시적으로 합의된 바 없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3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제64 67)은 파리협정 당사국총회(CMA)가

지정한 기구에서 감독하며 지속가능발전의 촉진 전 지구적인 온실가

스 감축에의 기여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결정문에는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의 운영에 필요한 규정(Rules) 방법(Modalities) 절차

(Procedures) 등에 관한 지침의 개발을 명시하고 있다

비시장 접근법(68 69)은 지속가능발전을 위해서 비시장 접근법의

프레임워크 설립을 명시하고 있으며 결정문에는 작업 프로그램의 개

최를 통해서 감축 적응 기술이전 재원 능력 배양 등 주요 요소들 간

의 시너지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논의하도록 하고 있다

lt표 Ⅳ-1gt 파리협정 제6조 주요 내용

구 분 주요 내용

61

당사국은 일부 당사국의 자국의 감축과 적응 행동에 있어서 더 야심찬 노력

을 설명하고 지속가능한 개발과 환경적 건전성을 증진하기 위해 국가별 기

여방안 이행에 자발적인 협력을 추구할 것을 인지한다

62

당사국이 국가별 기여방안에 국제적으로 거래되는 감축 성과를 이용한

협력적 접근법에 자유의사에 따라 참여한다면 거버넌스 내에서 지속가능

한 개발을 증진하고 환경 보전과 투명성을 보장하며 파리협정의 당사자회

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총회에서 채택된 지침에 따라 견고한 회계방식

을 준영하여 이중계산을 피하도록 해야 한다

63본 협정 하에서 국가별 기여방안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제적으로 거래되는

감축성과의 이용은 참여당사국에 의해 자발적으로 승인받는다

64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지지하는 메커니즘은 당

사국의 자유의사에 따라 이용하도록 파리협정의 당사국 회의의 역할을 수

행하는 당사국 총회 권한과 지침 하에 세워진다 파리협정의 당사자 회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가 지정한 기관에 의해 감독되며 다음을 목표

로 한다

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조성하면서 온실가스 감축을 증진할 것

나 당사국의 권한으로 공공과 민간 부문이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하도록

장려하고 촉진할 것

44

나 후속협상 주요 경과

COP21 결정문(Decision1CP21)에 따라서 2016년부터 과학기술자

문부속기구(SBSTA)에서 파리협정 제6조와 관련한 지침의 개발을 위

한 협상이 진행되었다 본 소절과 뒤따르는 소절에서는 산업통상자원

구 분 주요 내용

다 유치국의 배출 수준의 감축에 기여하며 국가별 기여방안을 성취하기

위해 타 당사국이 이용할 수 있는 감축 활동으로부터 편익을 얻을 것

라 세계 배출량의 전반적 감축에 기여할 것

65

상기 4항에 명시된 메커니즘을 통한 감축방안이 또다른 당사국의 국가

별 기여방안의 달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이용되었다면 그 유치국의 국가별

기여방안의 달성을 증명함에 있어서 그 방안을 이용할 수 없다

66

파리협정의 당사자 회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는 상기 4항에

명시된 체제 하에서 이루어진 활동 수익의 몫은 적응 비용을 충당하기 위하

여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에 특히 취약한 개발도상국인 당사국을 지원하

고 행정비용을 마련하는데 사용됨을 보장한다

67파리협정의 당사자회의의 역할을 수행하는 당사국 총회 제1차 회기에서

제4항에 명시된 체제에 한 규칙 방식 절차를 채택한다

68

당사국은 조직적이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감축 적응 재정 기술이전 역량강화를 포함하여 지속가능한 개발 및 빈곤 근절의 맥락에서 자국의 국가

별 기여방안을 이행하는데 이용 가능하고 통합적이고 전체적이며 균형적인

비시장 접근의 중요성을 인지한다 이 접근 방식은 다음을 목표로 한다

가 감축과 적응 노력을 증진

나 국가별 기여방안 이행에 해 공공 및 민간 부문의 참여 강화

다 제도 및 관련된 제도적 장치를 통한 조정의 기회를 활성화

69지속가능한 발전에 한 비시장 접근의 틀은 본 조 제8항에 명시된 비시

장 접근을 증진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자료 UNFCCC(2015) 및 수원의제21실천협의회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2016) 산업통상자원부(2016a)에서 재인용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5

부(2016b) DEHSt(2016) 및 Bodansky et al(2016)의 주요 내용을 바

탕으로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국제 협상의 논의 경과와 부각된 주요

쟁점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1) 협력적 접근법

2016년에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회의(SBSTA 제44차 및 제

45차 회의)는 주로 파리협정 내 포함되어 있는 협력적 접근법(제62

63)의 문안 내용에 한 해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파리협정

문안에 해 당사국들 간에 상호 상이한 해석의 가능성을 줄여서 공통

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한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4차 회의에서는 주로 협력적 접근법 관련

지침의 범위(scope) 협력적 접근법과 NDC와의 관계 ITMO의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었다

지침에 포함될 범위와 관련하여 파리협정의 협력적 접근법에서 규정

하고 있는 의무사항들 - 견고한 회계방식 지속가능한 발전의 증진 환경

건전성과 투명성의 보장 - 을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에는 공통적인 견해를

보였다 NDC와의 관계에서 협력적 접근법의 사용은 견고한 회계방식

(robust accounting)의 원칙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과 흡수량에 한 상

응하는 조정(corresponding adjustment)을 통한 이중계산 방지가 필요하

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다만 당사국들이 제출한 NDC가 단일연도

목표 다년도 목표 정책과 감축행동 중심의 목표 등 다양한 형태가 존

재하므로 협력적 접근법에 의한 감축실적을 NDC에 어떻게 가감할 것

인가가 중요한 쟁점이 될 수 있다(DEHSt 2016) 그에 따라 단일연도

목표의 경우 목표 설정 당해 연도의 NDC만 충족하면 되기 때문에 다

46

년도 목표를 제시한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달성여부를 점검하는 것

은 타당하지 않으므로 상응하는 조정이 반영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

기되었다 아울러 ITMO의 개념에 해서도 배출권의 형태인지 단순 감

축실적의 결과(산출물)인지에 해 개념 정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

기되었다27)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5차 회의에서는 2018년 말(SBSTA 제49

차 회의)까지 후속협상을 종결시킨다는 목표 하에 후속협상을 위한 작

업계획을 공유하고 당사국들이 제출한 국가제안서(submission)에 기초

하여 공통의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협력적 접근법의 인센티브

와 관련하여 EU는 양자와 다자 형태로 운영하면서 민간부문을 포함한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도

서국가연합(AOSIS)은 경제 전반에 한 NDC 목표 상향을 위해 추가

적인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파리협정의 타 조항과의 관

계에서 부분의 당사국들은 감축(파리협정 제4조)과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이 시장 메커니즘과 연관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투명성 하에서

시장 메커니즘 활동에 한 보고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는 점에 공통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EU는 협력적 접근법과 감축(파리

협정 제4조)은 NDC의 이행 관점에서 ITMO의 산정과 연계되어 있는

이슈이며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과는 감축분의 이전 획득 NDC 사

용 등과 관련된 보고와 상호 연계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환경

적 건전성과 관련하여 환경건전성그룹(EIG)에서는 감축산출물의 품질

27) 배출권과 감축실적은 이전 가능하다는 점에선 유사하지만 엄 하게 말해 서로 다른 개념이다 배출권은 정해진 배출허용량에 상응하여 배분된 후 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되는 배출허가권인데 반해 ITMO는 특정한 감축활동의 결과로서 주어지는 인증된 감축실적이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DEHSt(2016 p12)를 참조하라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7

보장을 위해 ITMO에 영속성과 추가성의 개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개진한데 반해 EU는 상응하는 조정을 통해서 환경적 건전성이 보장

될 수 있다는 다소 완화된 입장을 피력하였다

2017년에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회의(SBSTA 제46차 및 제

47차 회의)는 당사국들 간의 이해증진을 바탕으로 지침의 주요 요소들

에 한 도출을 위한 세부 협상을 진행하였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6차 회의에서 공동의장은 지침의 기본 목

차와 주요 요소에 관한 문서를 제시하였고 당사국들은 라운드 테이블

회의와 비공식 회의 등을 통해서 누락된 요소에 한 의견들을 제시하

였다 이러한 논의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공식 정보노트(informal

information note)가 도출되었다

이어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7차 회의에서는 공동의장이

배포한 비공식 노트에 해 당사국들이 의견을 개진하는 방식으로 진

행되었다 여기에는 지침의 목차와 하위 소목차 옵션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비공식 노트에 해 선진국들은 판매국과 구매국이 구분되어

있는 지침 목차에 불만을 제기하며 이를 통합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

하였고 개도국들은 지침에 수익금의 배분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당사국들은 차기 회의 이전에 과학기술자문부속기

구 의장이 비공식 문서(informal document)를 작성하여 회람하기로 합

의하였다 의장명의의 비공식 문서는 2018년 3월에 회람되었는데 비

공식 노트를 기반으로 중복요소의 간소화와 옵션과 잠재 요소 목록이

제시된 수준이었다

2018년에 개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1차 및 제48-2차 회의

(SBSTA 제48-1 SBSTA 제48-2)는 동 문서에 기초하여 협상이 진행

48

되었고 협상문서 초안이 도출되었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1차 회의에서는 의장명의의 비공식 문

서에 한 당사국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공동의

장 명의로 수정된 비공식 노트(Revised Informal Note)가 채택되었다

수정된 비공식 노트는 기존 비공식 문서에서 개념을 보다 명확히 하고

일부 잘못 표현되거나 누락된 내용들을 반영하는 형태로 합의되었다

다음으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2차에서는 2018년 말까지 설

정한 후속협상 작업계획의 일정을 수정하여 2019년 말까지 작업 기간

을 연장하고 수정된 비공식 노트에 기반하여 당사국들의 의견을 청취

하였다 이를 통해 2018년 말까지 합의가 필요한 사항을 부속문서 1

2019년 말까지 합의가 필요한 사항을 부속문서 2로 구분하여 각각 시기

별로 합의될 내용을 구분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협상문서 초안(Drafting Negotiation Text)을 도출하였다

2)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4차 회의에서는 교토 메커니즘과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 간의 차이점과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적용 범위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양 메커니즘 간 비교에서는 주로 메커니즘 자체

에 한 시각 차이보다는 교토의정서와 파리협정 간의 차이점에 해

당사국들 간에 상이한 입장 차이가 드러났다 일부 당사국은 청정개발

체제와 공동이행제도를 중심으로 사용되었던 방법 절차 등의 지침이

파리협정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고 지적한 반면 선진국을 중심으로 파

리협정은 사업 수행국의 역할과 책임이 교토의정서보다 강화되었기 때

문에 교토 메커니즘과는 근원적인 차이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적용 범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49

위와 관련해서 교토 메커니즘이 프로젝트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반해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은 프로젝트나 프로그램의 범위를 넘어

더 폭 넓게 적용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5차 회의에서는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운영체계 추가성의 개념 전 지구적인 전반적 감축의 이행방식 현존

메커니즘의 경험과 교훈 등에 해 논의하였다 일본은 교토의정서와는

달리 파리협정에서 모든 당사국이 NDC 목표가 존재하므로 NDC 이행

에 관해서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결과물도 협력적 접근법에서 개발

된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반면 중국은 운영체계와 관련

하여 청정개발체제의 운영방식보다 유연하게 설계될 필요가 있다고 주

장하였다 추가성 개념과 관련하여 EU는 방법론의 경우 새로운 국제

적인 표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으며 미국은 교토메커니즘에

이미 추가성 개념이 존재하므로 이를 기반으로 논의하는 것이 효율적

이라고 강조하였다 반면 브라질은 추가성과 전 지구적 전반적 감축은

연관성을 갖고 있으며 교토 메커니즘의 운영체계를 기반으로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의 운영체계를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듬해 열린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6차 회의에서는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과 청정개발체제의 관계에 해 논의가 이어졌다 주로 개

도국들은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을 청정개발체제의 연장선에서 접근

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선진국들은 새로운 접근과 설계가 필요하다

며 양 진영 간에 립이 형성되었다

속개된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7차 회의에서는 앞선 회의에서 제

기된 청정개발체제와의 관계에 관한 사항이 계속 쟁점화되었다 브라

질은 청정개발체제에서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으로 전환의 필요성과

50

당위성에 해 강하게 주장하였고 이중계산의 허용 필요성까지 제기

하였다 반면 일본은 2020년 이전에 기 발행된 배출권의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으로의 전환과 관련한 이슈를 제기하여 메커니즘 전환과

관련된 이슈가 배출권의 전환으로 확장되는 계기가 되었다 한편 도서

국가연합(AOSIS)는 전 지구적 전반적 감축의 이행 방안으로 기 발행

된 배출권의 일정 비율을 취소하자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협력

적 접근법과 동일하게 차기 회의 전까지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의장

명의로 비공식 문서를 발행하여 회람하기로 합의하였다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1차 회의에서는 2018년 3월에 회람된

비공식 문서에 해 당사국들의 의견을 청취한 후에 공동의장 명의의

수정된 비공식 노트(Revised Informal Note)가 채택되었다 이후 과학

기술자문부속기구 제48-2차 회의에서는 협력적 접근법 논의와 동일하

게 2018년 말까지 설정한 후속협상 작업계획의 일정을 수정하여 2019

년 말까지로 기간을 연장하고 수정된 비공식 노트에 기반하여 당사국

들의 의견을 청취하였다 또한 교토 메커니즘의 전환에 관한 이슈사항

은 처음에는 부속문서 3으로 별도 분리해 놓았으나 개도국들의 주장

에 따라 2018년 말까지 결정할 사항들을 포함하는 부속문서 1에 수록

하였다

다 주요 쟁점 사항

1) 협력적 접근법

시장 메커니즘과 관련된 지침의 내용에 한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지침의 서문과 원칙에 관한 사항이다 선 개도국 간에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1

발생하고 있는 쟁점을 중심으로 원칙 부분을 별도로 구분함으로써

선 개도국 간의 차별화 요소를 반영하려는 개도국과 이에 반 하여

서문과 원칙을 하나로 통합하여 서문에 포함하자고 주장하는 선진국

입장으로 별된다

두 번째는 거버넌스에 관한 사항이다 협력적 접근법이 기본적으로

당사국 간의 자발적 협력을 통해 감축산출물을 발생시키고 국제적 이

전을 통해 NDC에 활용하자는 개념이므로 과연 국제적인 거버넌스 설

립이 필요한가가 그리고 필요하다면 어떤 수준에서 운영되어야 하는가

가 쟁점이 되고 있다 일부 당사국들은 비록 당사국 간의 자발적 협력

에 의한 감축활동이지만 협력적 접근법에 의한 전 지구적 활동들을 관

할하는 별도의 기구 설립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반면 일부 당사국

들은 협력적 접근법만을 관할하는 별도의 기구를 만들기보다는 지속가

능발전 메커니즘의 감독기구에서 협력적 접근법에서 필요한 기능을 통

합해서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28)

28) DEHSt(2016)에 따르면 협력적 접근법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는 (1) 완전히 분권화된 형태로 운영하고 결과만 보고하는 방식 (2) 관련된 모든 운영사항을 규정에 담아 UNFCCC 같은 중앙집권적 기구를 통해 관리하는 방식 (3) 견고한 회계방식 투명성 보장 등을 위해 공통의 레지스트리를 중앙집권적 감독기구에서 운영하되 최소한의 기준만 충족되면 당사국의 자율에 맡기는 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의 논의는 (2)안 또는 (3)안으로 하되 협력적 접근법만을 위한 별도의 중앙집권적 감독기구를 설립할지 아니면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을 관할하는 감독기구에서 협력적 접근법 관련 사항까지 관할하도록 할지에 해 의견을 조율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한편 Bodansky et al(2016)의 주장에 빗 어 해석하면 (2)안은 통일적 접근법(uniform approach)에 가까운 방식이다 (2)안은 거래비용과 정책 불확실성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는 반면 당사국들의 개별적 상황을 반영하는 유연성이 떨어지며 합의에 이르는데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조화적 접근법(harmonized approach)은 당사국들의 개별적 상황을 포괄할 수 있는 보다 일반적인 기준만 제정하여 이를 준수하기만 하면 되도록 하는 방식을 말한다 사실 DEHSt(2016)에서 제시하고 있는 (3)안은 통일적 접근법과 조화적 접근법이 혼합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Bodansky et al(2016)가 지적한 바와 같이 ITMO의 발생과 이전을 추적하고 NDC 활용 여부를 확인하는 규칙과 시스템은 중앙집권적 기구에서 통일적으로 관리하되 MRV 기준이나

52

세 번째는 시장 참여의 조건에 관한 사항이다 당사국들 간에 자발

적 협력이라는 원칙하에 NDC의 유형이 영향을 줄 수 있는가가 쟁점

이다 DEHSt(2016)에서 보여주듯이 온실가스 배출량 상한이나 감축량

같이 tCO2eq로 측정가능한 NDC 형태가 많긴 하지만 감축정책이나 감

축 관련 활동 자체를 NDC로 제출한 국가들도 존재하기 때문에 그러

한 국가들의 시장 참여 여부가 쟁점이 될 수 있다 아랍그룹 LMDC

등은 NDC 유형에 관계없는 참여 보장을 요구하는데 반해 선진국들은

시장 참여를 위한 조건으로서 NDC 계량화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네 번째는 상응하는 조정의 적용 상에 관한 사항이다 주로 언급되

고 있는 상에는 NDC에 포함되지 않은 외부(outside)감축활동에서

발생한 감축사업 Pre-2020에서 전환된 교토 메커니즘 하의 배출권에

해 상응하는 조정을 적용할 필요성이 있는가가 주요 쟁점이 되고 있

으며 당사국 별로 입장이 제각각인 특징이 있다

다섯 번째는 단일연도 NDC에 한 상응하는 조정의 적용방식이다

단일년도 NDC에 한 상응하는 조정 여부에 자체에 해선 큰 이견

이 없으나 상응하는 조정을 어떻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해선 당

사국별로 입장이 엇갈린다 단일년도 NDC의 특성이 중간연도에 해

서는 별도의 목표를 수립하고 있지 않은 방식인데 목표연도 이전에

감축하여 보유하고 있는 감축실적은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그리고

마지막 년도에 관한 NDC 달성 여부를 증명하는 과정에서 상응하는

조정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등이 쟁점사항이 되고 있다29)

ITMO의 부여 등은 최저 기준만 충족하도록 하는 조화적 접근법을 혼용하는 방식에 가깝다

29) 동 이슈는 감축(파리협정 제4조)의 lsquoNDC 산정rsquo과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의 lsquo연계된 산정rsquo과 관련되어 있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3

이 외에도 ITMO를 발생 이전 획득한 경우에 중간년도에 해서

투명성(파리협정 제13조)체계 하에서 어떤 정보를 보고해야 하는지에

한 이슈 또한 존재한다

2)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협력적 접근법과 달리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은 감독기구를 중심으로

중앙집권적 방식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상 적으로 이슈가 적다

첫 번째는 감독기구의 운영구조에 관한 사항이다 이 논의에는 기존

운영구조인 청정개발체제의 집행위원회와 운영구조 상에서 어떤 차이

를 둘 것인가에 관한 논의로 귀결된다 특히 위원회의 구성과 관련하

여 청정개발체제와 같이 선진국과 개도국을 구분해 위원회를 구성할

것인지 여부가 쟁점이 되고 있다

두 번째는 전 지구적인 전반적 감축에 관한 사항이다 전 지구적인

전반적 감축을 이행하는 방안으로 발행시점에서 조치를 취할지(판매국

중심) NDC 이행시점에서 조치를 취할지(구매국 중심) 등이 쟁점이

되고 있다

세 번째는 교토 메커니즘의 전환에 관한 사항이다 주로 2020년 이

후에 교토의정서 상의 교토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을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하에서의 실적으로 인정할지 여부 인정하더라도 특정한 전

환조건을 설정할 것인지 여부 Pre-2020에서 발행된 배출권의 전환을 인

정할지 여부 교토 메커니즘 상에서 승인된 방법론을 계속해서 사용할

지 여부 등이 이에 해당한다

54

2 Post-2020 탄소시장 전망과 시사점

파리협정 후속 협상을 통해 협상문서 초안이 도출됨에 따라서 향후

적용될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지침의 전체적인 구조를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쟁점 사항으로 제기된 몇 가지 사안들은 기술적인 이슈

보다는 정치적인 이슈의 성격이 많아서 후속 협상 과정에서 실무자들

간의 논의보다 고위급 논의 과정에서 정치적 타결이 될 개연성이 더

높다

교토 메커니즘과 비교하여 파리협정에 따른 시장은 모든 당사국이

감축목표를 보유한 상태에서 시장을 형성한다는 제약조건이 존재한다

이는 이중계산 방지의 중요성과 함께 상응하는 조정의 문제가 필연적

으로 부가된다 과거 개도국 입장에서는 청정개발체제 사업을 자국 내

에서 시행하더라도 감축목표가 없는 상태였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적인

부담이 존재하지 않았다 반면 파리협정에서는 이중계산 방지를 위해

자국 내 실제 배출량에서 국외로 순 이전된 ITMO의 양만큼을 가산하

여 배출량을 산정한 후에 NDC의 목표 배출량과 비교하여 이행 여부

를 점검받는다는 부담이 존재한다30) 여기에 전 지구적 전반적 감축의

개념을 적용한다면 실제로 NDC에 ITMO를 사용하는데 제약 조건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국가 감축목표 이행적 측면에서도 후속협상의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단일년도 NDC에 관한 상응하는 조정의 적용 시

기와 방법에 따라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의 증빙 과정

30) 만일 NDC가 목표 감축량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ITMO의 순 국외 이전량 만큼 실제 감축량에서 차감한 후에 NDC에서 정한 목표 감축량과 비교하여 이행 여부를 점검하게 된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5

에서 해외 감축분의 필요량이 결정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이슈가 될

전망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본다면 파리협정에 따른 국제 탄소시장

은 교토 메커니즘 하의 시장보다 상 적으로 규모가 작아질 것으로 예

상된다

한편 국내 배출권거래제에서는 2018년부터 외부사업에 해 해외

온실가스 감축분을 인정하고 있다 청정개발체제에 따른 사업들을 상

쇄배출권으로 인정하고 있는데 2020년 이후 교토 메커니즘의 전환 여

부가 아직 확정되지 않아서 사업 활성화 측면에서 불확실성을 내포하

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국내 배출권 시장에서 교토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의 활용 여부는 전환 여부에 한 국제 협상 결과에 따라 결

정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반면 협력적 접근법이나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 등 파리협정에 따

른 시장 메커니즘은 국내 배출권거래제도 상의 운영 목적에 비추어 볼

때 국내 배출권거래제도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 국내 배출권거래제의

도입목적(제2조)이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비용효과적인 이행이고

이들 시장 메커니즘 또한 당사국들의 NDC 이행과 명시적으로 연계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은 국내 배

출권거래제도에서 인정되는 해외 온실가스 감축분으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

다만 한 가지 유의할 점은 파리협정의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

적분이 국내 배출권과 직접적으로 연계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분은 국가 차원의 목표 이행에서 의미를 가

지는데 반해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권은 비록 국가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이긴 하나 개별 사업자 차원의 목표 이행과 관련이

56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감축실적분을 민간에서 획

득한 경우 이를 우리나라 정부에서 발급하는 배출권과 교환을 통해 간

접적으로 배출권 시장에서 활용할 수 있다31) 이때 다른 당사국이 자

국의 배출권 시장을 운영하고 있고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에 따

른 실적을 상쇄로 인정하는 경우라면 결국 국내 배출권 시장과 해당

국가 배출권 시장은 협력적 접근법 또는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의 체

계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된다

협력적 접근법의 경우 양자 또는 다자간 협력 체계를 필요로 하므로

정부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밖에 없지만 지속가능발전 메커

니즘은 민간 중심의 시장이 될 개연성이 높다 다만 제도의 시행에 있

어 감독기구의 설립 이후에도 제도 운영을 위해 필요한 추가적인 세부

지침의 개발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 사업으로 진행되기까지는 상

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협력적 접근법의 경우 양자 방식으로 운영한다면 지속가능발

전 메커니즘보다 다소 이른 시기에 사업이 진행될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양자 협력의 체결 국가 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운영을 위한 행

31) 현재 교토 메커니즘의 청정개발체제에 의한 감축량도 외부감축인증실적(Korean Offset Credit KOC)을 상쇄배출권으로 전환해야 배출권 시장에서 사용가능하다 다만 외부사업 감축량으로 인증받은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은 중복 사용 방지를 위해 소각된다 이에 반해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해외외부사업감축인증실적은 우리나라의 NDC 이행 여부 점검 시 필요하다 따라서 만일 민간에서 이를 획득하여 국내 배출권 시장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부에서 발급하는 상쇄배출권(Korean Credit Unit KCU)과 교환하도록 하고 이를 별도의 레지스트리에 등록middot보관해 두어야 할 것이다 정부가 직접 추진한 협력 사업의 감축실적을 시장안정화 조치 등의 이유로 국내 배출권 시장에 유입시킬 경우도 동일한 논리가 적용될 것이다 다만 배출권 시장에 유입된 만큼 배출권거래제 적용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제4장 Post 2020 국제 탄소시장 논의동향과 전망 57

정적 시간적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협력적 접근법의 경우에는

체결 국가 수를 무작정 늘리는 방식보다는 전략적으로 필요한 국가와

선별적으로 체결하는 방식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필요한 국가의 선

정 기준에는 기후변화 측면도 있지만 사회 정치적인 사안들의 고려도

필요할 수 있으므로 현 단계에서 필요한 사안이 무엇이고 이를 위해선

누구와 협력할 것인가에 한 사회적 합의를 우선적으로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59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본 장에서는 앞서 검토한 배출권 시장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연계 사례에서의 시사점 그리고 국제 탄소시장 동향 논의 전망을 토

로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과 해외 시장과 연계할 경우 두될 것으로

보이는 주요 쟁점사항과 시사점에 해 살펴보기로 한다 특히 본 연

구에서는 배출권 시장 연계를 논할 때 가장 빈번하게 거론되는

EU-ETS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기로 한다32)

1 우리나라 ETS와 EU-ETS의 주요 설계요소 비교33)

가 감축목표의 엄격성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이하 K-ETS)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국내적 정책 수단으로서 도입middot시행되고

32) 최근 논의되고 있는 한-중-일 배출권 시장 연계의 경우 중국 및 일본 모두 국가 전체 차원의 배출권거래제가 아닌 일부 지역을 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적용 범위도 서로 상이한 점이 많아 사례 분석의 상으로 적합하지 않다고 보고 본 고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EU-ETS의 경우 EU 회원국이 참여하는 가장 큰 규모의 시장이며 오랜 배출권 시장 운영 경험을 가지고 있고 국내 배출권거래제도 설계 시 벤치마크로 활용되어 제도적 유사성이 상 적으로 높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사례분석의 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EU-ETS와 국내 배출권 시장 간의 연계를 분석한 국내 문헌이 거의 전무하다는 것도 EU-ETS를 사례 연구 상으로 삼은 중요한 이유 중 하나이다 국내 배출권 시장과 타 국가 배출권 시장의 연계를 다룬 국내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데 최근 박수경 외(2018)의 연구가 중국 배출권 시장과의 연계를 다루고 있으니 참조하기 바란다

33) 후술하는 우리나라 배출권거래제도의 주요 설계요소에 관한 내용은 환경부(2019)를 주로 참고하였다

60

있다 따라서 K-ETS의 감축목표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로 설정된

2030년 BAU 비 37 감축과 연동되어 설정된다 제2차 계획기간

(2018년부터 2020년)동안 K-ETS는 매년 5477백만톤(3개년 총 1643

백만톤)을 사전할당하였는데 이는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02를 차지한다34)

EU 역시 역내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을 위한 정책 수단으로 ETS

를 도입middot운영하고 있으며 역내 국가들의 감축목표 총합을 고려하여 할

당계획을 수립한다는 점에서 한국과 유사하다 EU는 2020년까지 90년

비 20 2030년까지 90년 비 40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였

다 EU-ETS 제3기 할당계획에 따르면 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역내

전체 배출량의 약 45에 달하는 ETS 부문에서 2013년도 배출허용량

2084백만톤을 기준으로 2020년까지 매년 3826백만톤씩 배출허용량

을 일률 감축하도록 하고 있다35)

2020년까지 기간을 고려하면 EU-ETS가 K-ETS에 비해 엄격한 감축

목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K-ETS의 경우 2015년도 할당량을

기준으로 2020년까지 연평균 07이내로 감축하는 수준이므로

EU-ETS가 K-ETS에 비해 감축의 강도가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36)

그럼에도 불구하고 EU-ETS의 경우 제2기(2008~2012)에 발생한 잉여

배출권의 상당량이 제3기로 넘어와 시장 내 배출권 공급 과잉과 그로

34) 환경부 보도자료(2018724) 및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2019) 참조35) 2008년에서 2012년까지의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의 174에 달하는 감축량을 매년

동일하게 감축하는 것으로서 이는 2013년도 배출허용치 비 2020년까지 연평균 194 감축에 해당한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홈페이지(httpswwwemissions-euets comcarbon-market-glossary872-european-union-emissions-trading-system-eu-ets)를 참조하라

36) K-ETS 제1차 할당계획의 2015년도 사전할당량에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에 따른 2017년 추가할당량과 조기감축실적 3개년 평균을 적용한 값과 2019년 2차 계획기간 할당계획 변경안의 2020년 사전할당량을 비교하였다(환경부 2014 관계부처합동 2017 환경부 2019 참조)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1

인해 배출권 가격이 비교적 낮게 형성되고 있다37) 따라서 감축목표

엄격성의 절 적 수준이 아닌 그로 인한 배출권 시장의 영향이라는 관

점에서 본다면 현재까지는 두 시장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고 단정 짓

기는 곤란하다

나 할당방식

K-ETS와 EU-ETS 간 할당방식에 있어서 특징적인 차이는 (i) 유상

할당의 규모 (ii) 간접배출에 한 할당 여부에 있다

먼저 K-ETS는 무상할당이 기본이 되는 할당방식을 가진데 비해

EU-ETS는 상당 수준의 배출권을 유상으로 할당한다 K-ETS는 제2차

계획기간부터 일부 유상할당의 요소를 도입하고는 있으나 2020년까지

는 전체 할당량의 3 이내에서 유상할당하며 2020년 이후에는 전체

할당량의 10 이상을 유상으로 할당할 계획이다 K-ETS의 무상할당

은 기본적으로 과거 실적에 기반한 할당(Grandfathering)방식을 따르지

만 발전 집단에너지 산업단지 정유 시멘트 항공 폐기물 등 7개 업

종에 한해 벤치마크 방식에 기반한 할당을 적용하고 있다(환경부

2019) 반면 EU-ETS는 기본적으로 경매에 기반한 유상할당 방식을

따르고 있다 제3기 총 배출권의 약 57가 유상할당으로 배분되는데

발전부문은 거의 부분 유상할당하며 국제경쟁에 노출되는 산업부문

37) EU-ETS 할당배출권 가격은 2013년 이후 부분의 기간에서 10유로 미만으로 형성되어 오다가 최근 들어서야 20유로를 넘어섰다 반면 K-ETS의 KAU17 평균거래가격은 약 22천원 수준으로 현재(2018년 12월말 기준) EUA 가격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홈페이지 httpssandbagorgukcarbon-price-viewer 및 삼정KPMG Issue Monitor 제87호 참조)

62

은 상당량을 무상으로 할당하고 있다38)

K-ETS가 다른 ETS 시장과 구분되는 큰 특징 중 하나는 전력 열 등

의 최종소비자의 간접배출에 해서도 배출권을 할당하고 규제를 한다

는 점이다 부분의 ETS 시장은 직접 배출만을 규제 상으로 삼고

배출권을 할당한다 K-ETS에서 간접 배출을 규제하는 이유는 전력이

나 열 소매요금에 발전사들의 배출권 비용을 전가하기 어려운 구조이

기 때문이다

다 유연성 메커니즘

1) 상쇄제도

K-ETS의 상쇄는 국내에서 시행된 외부감축사업에서 획득한 감축실

적과 국내 업체가 해외에서 직접 시행하여 획득한 CDM 사업에 한해

인정된다 이때 의무이행에 사용할 수 있는 외부감축실적은 할당업체

별로 전체 배출권의 10 이내에서 인정되는데 이중 해외에서 시행해

서 획득한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은 각 이행연도 의무이행량의 5까지

만 인정된다(환경부 2019)

반면 EU-ETS는 지난 제2기(2008~2012)에 국가별 할당계획(NAP

National Allocation Plan)에 따라 결정된 국가별 상쇄한도 중 사용하

고 남은 양은 모두 제3기로 이전해 사용가능하다 그러나 예외적인 조

치로서 HFC-23이나 아디핀산 N2O 관련 프로젝트에서 나온 상쇄배출

권은 통용되지 않으며 제3기부터는 최빈개도국에서 시행된 CDM 프

로젝트의 크레딧만 허용한다 전체적으로 EU-ETS는 역내 상쇄배출권

38) 자세한 사항은 다음 웹사이트를 참조하라(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allowances_en) 산업부문에 한 무상할당은 2020년 30까지 점진적으로 줄여나갈 예정이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3

의 허용량이 2008년부터 2020년까지 역내 총 감축량의 50 이내가

되도록 한다는 원칙을 견지하고 있다(IETA 2014 ICAP 2019c)

EU는 역내 온실가스 감축노력 증진을 위해 제3기에는 상쇄를 엄격

히 제한해 왔으나 2021년 이후의 상쇄 제도에 해서는 아직 K-ETS

및 EU-ETS 모두 결정된 바 없다(ICAP 2019c)

2) 이월

K-ETS는 당초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였으나 시장 유동성 확보 차원

에서 제2차 계획기간 부터는 이월을 일정 수준에서 제한하고 있다 제

1차 이행연도의 경우 배출권(할당 및 상쇄) 순 매도량의 3배 이내이거

나 125만톤 이상 배출업체의 경우 75만KAU 25만톤 이상 배출 사

업장을 가진 업체의 경우 15만KAU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 이월을

허용한다 제2차 이행연도에는 배출권 순 매도량의 2배 이내 또는

125만톤 이상 배출업체의 경우 5만KAU 25만톤 이상 배출 사업장을

가진 업체의 경우 1만KAU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 이월을 허용한다

마지막 3차 이행연도에는 제2차 계획기간 연 평균 배출권 순 매도량

또는 125만톤 이상 배출업체의 경우 25만KAU 25만톤 이상 배출 사

업장을 가진 업체의 경우 05만KAU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 3차 계획

기간의 첫 번째 이행연도로만 이월을 허용하고 있다(환경부 2019) 반

면 EU-ETS는 별도 제한없이 전량 무제한 이월을 허용하고 있다

3) 차입

K-ETS는 제2차 계획기간의 제1차 이행연도에는 배출권의 15 이

내에서 그리고 제2차 이행연도에는 배출권의 15에서 직전년도 차입

64

비율의 절반을 제한 비율까지 차입을 허용한다 그러나 계획기간 간

차입은 허용하지 않는다(환경부 2019) EU-ETS는 원칙적으로 차입을 허

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EU-ETS는 계획기간 내 이행연도별로 할당배출

권을 구분하여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의무이행 시점과 배출권 할당 시

점 간 차이를 활용하면 배출권 차입이 사실상 가능한 구조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EU-ETS의 배출권 할당은 매년 2월말에 이루어지는데 반

해 직전년도 이행실적에 한 배출권의 제출은 매년 4월말까지 이므로

당해 연도에 할당된 배출권을 직전년도 의무 이행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39) 이는 K-ETS처럼 배출권을 할당연도별로 관리하지 않기 때문

이다 따라서 비록 EU-ETS가 형식적으로는 계획기간 내 차입을 허용

하고 있지 않으나 실질적으로는 계획기간 내 차입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4) 가격 및 공급관리

K-ETS는 배출권 가격이 단기간에 급격히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경

우 그리고 배출권 수요에 비해 공급이 현저히 적은 경우 시장안정화를

위해 규제 당국이 시장에 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배출

허용총량 이외에 별도로 시장안정화 조치에 사용할 수 있도록 14백만

톤의 배출권을 예비분으로 배정해두고 있다 또한 시장 유동성 제고를

통한 거래 촉진을 유도하기 위해 시장조성을 위한 예비분 5백만톤을

추가로 배정하여 배출권 시장의 가격 및 수급을 관리하고 있다(환경부

2019)

39) 자세한 사항은 다음 웹사이트(httpswwwemissions-euetscomborrowing)를 참조하기 바란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5

한편 EU-ETS는 K-ETS와 같은 직접적인 시장 개입을 하고 있지는

않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상할당 배출권의 경매 연기조치

(Backloading)과 2020년 이후 본격적으로 도입될 배출권 비축제도

(Market Stability Reserve MSR) 등을 통해 배출권 가격 및 공급을 관

리하고 있다

라 의무이행 관련 사항들

K-ETS는 도입 당시부터 EU-ETS에서 적용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

정 방식을 상당부분 차용하였기 때문에 배출량의 산정middot보고 및 검middot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일부 차이는 있지만 거의 유사한 수준이라고 해도 과

언이 아니다

페널티의 경우 K-ETS는 배출권 평균 가격의 3배 또는 최 톤당 10

만원에서 결정되며 EU-ETS는 톤당 100유로 수준이므로 큰 차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다만 K-ETS는 과징금을 납부할 경우 의무미준수량에

한 별도의 추가 제출 의무가 없는데 비해 EU-ETS는 과징금과 별도

로 후속연도에 미준수량에 한 배출권 제출 의무가 부과된다는 차이

를 가진다(박수경 외 2018)

lt표 -1gt은 지금까지 살펴본 우리나라와 EU의 배출권거래제를 상

세하게 요약middot비교한 것이다

66

lt표 Ⅴ-1gt 우리나라와 EU의 배출권거래제 비교

국가 한국 EU

목표의 엄격성2020년까지 2015년도 할당량 기준 연평균 07 감축

2020년까지 2008-2012년의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의 174 균등 감축

배출량 제한 2018~2020년 5477MtCO2e2013년 2084 MtCO2e 2020년까지 매년 3826MtCO2e 감축

탄소상쇄 수량

할당된 배출권의 최 10 국내 탄소상쇄 및 CDM 사업에 한해 인정해외 상쇄는 5까지 인정

전체 EU-ETS 상쇄 허용량이 2008년~2020년 총 감축량의 50 이내로 관리제3기부터 최빈국의 청정개발체제 배출권만 사용 가능

가격 및 공급관리

비축분의 최 25까지 조기 경매 정부 시장 개입 가능

시장의 과잉공급 정도에 따라 배출권 비축제도를 통해 배출권 공급량 조정

배출권 할당1단계 100 무상할당2단계 97 무상할당3단계 90 무상할당

산업부문은 부문별 벤치마킹에 기초해 무상할당하며 발전부문 할당은 전면 경매를 통해 이루어짐

적용범위발전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건물 폐기물 국내 항공 CO2

및 5 온실가스

전력부문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분야 및 EU 역내 항공 CO2 및 N2O PFCs

준수기간 2015~2025 2013~2020

규제방식 하향식 방식 직접+간접배출 하향식 방식

이월차입이월제한 있음계획기간 내 차입 가능(기업 할당량의 최 10)

무제한 이월 가능차입은 원칙상 허용되지 않으나 계획기간 내 차입이 가능한 구조

페널티 제도배출권 가격의 3배 최 1톤당 10만원

1톤당 100 Euro의무 미준수량만큼 할당에서 공제

자료 Carbon Market Watch Report(2015) 박수경 외(2018) 등의 구성을 참고하여 국내외 문헌 및 웹사이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저자가 직접 재구성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7

2 K-ETS와 EU-ETS 연계 시 예상 쟁점들

가 감축목표

앞서 지적하였듯이 EU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2030년까지 1990년

배출량 비 4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어 BAU 비 37 감축목표

를 제시한 우리나라에 비해 더 엄격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두

시장의 연계에 한 논의가 본격화될 경우 EU 측에서 한국의 국가 감

축목표를 EU 수준에 근접하게 상향하거나 ETS 상 부문에 해 국

가 전체 감축률을 상회하도록 할당규모를 조정할 것을 요구할 수 있

다 물론 우리나라 정부의 입장에선 이러한 EU측의 요구를 전적으로

수용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 경우 한국의 제조업middot에너지다소비업종

중심의 산업구조로 인해 외견상 감축목표 수준과 달리 상당히 높은 한

계감축비용에 직면하고 있음을 적극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해서 한 가지 주목할 점은 한국에 비해 강한 감축목표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EU-ETS의 배출권 가격이 감축목표 강도를 제 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EU-ETS와 비교해 본다면 K-ETS

는 외견상 감축목표에 비해 배출권 가격이 상당히 높은 수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여기에는 감축목표의 지속적인 강화에 한 기 가

미친 영향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배출권 가격은 참여기업

들이 직면하는 한계감축비용의 수준을 투영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외

견상의 감축목표 강도에 비해 K-ETS 참여기업들의 실제 감축부담은

상당히 높은 편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추후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제기될 것으로 예상되는 EU측의 감축목표 상향 요구에 한

응논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40)

40) 이와 함께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하는 추세인데 반해 EU는 감소하는

68

나 할당방식

1) 간접배출의 포함 여부

K-ETS는 발전부문의 직접배출뿐만 아니라 전력이나 열 수요자의

간접배출에 해서도 배출권을 할당한다 이는 (i) 전력이나 열 소비

요금에 배출권 제반 비용을 전가하기 용이치 않은 우리나라 전력middot열

시장의 구조적 한계를 보완하고 (ii) 적정 수의 시장참여자를 보장하기

위해서이다41) 간접배출의 포함 여부가 직접적으로 배출권 시장 연계

전후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은 극히 제한적이므로 일견 시장 연계 시

쟁점사항이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간접배출에 해 할당을 할 경우

(i) 이중계산(double counting)의 문제 (ii) 횡재이윤(windfall profits)의

문제점이 제기될 가능성이 높다

먼저 전력이나 열의 생산자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도 배출권을 할당

하므로 이중계산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부문에서

100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였다고 할 때 100톤의 감축량 중 발전부문

자체의 노력(전원믹스 개선 발전효율개선 등)의 기여분과 최종소비자

의 수요 감축 노력의 기여분을 명확하게 분별할 수 없다면 이중계산의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42)

다른 한편 횡재이윤의 발생도 가능하다 발전부문에 한 배출권 할

당량은 발전부문 자체의 노력을 감안한 목표 감축량과 수요 측의 절감

추세에 있으므로 단순히 외견상의 감축률만으로 감축의 강도를 판단해선 안되며 K-ETS의 높은 탄소가격에는 그러한 측면이 반영되어 있다는 주장도 유용한 응논리가 될 수 있다 이를 지적해준 익명의 심사위원께 감사드린다

41) 만일 간접배출을 할당에 포함시키지 않을 경우 전력이나 열 등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다수의 기업들이 배출권거래제 적용 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다

42) 실제 감축량은 직접배출 기준으로 계산한 전체 감축량에서 최종소비자의 간접배출 부문 감축량을 제외해야만 이중계산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69

노력을 반영한 목표 감축량을 함께 고려하여 정해진다 만일 발전부문

의 자체 노력에 따른 감축량이 목표량에 미달하더라도 수요 측 절감노

력이 목표량을 초과할 경우 목표를 충족시키거나 초과달성할 수 있으

므로 횡재이윤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상의 문제는 EU-ETS와 연계 과정에서 제기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그러나 간접배출에 한 할당의 포함여부에 관한 논의는 궁극적

으로는 우리나라의 전력 또는 열 시장에 한 제도적 변화에까지 이어

지기 때문에 에너지 정책의 자율성과도 직결된 문제이므로 시장 연계

시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2) 유상할당의 수준

2020년 이후 EU-ETS는 기본적으로 발전부문뿐만 아니라 산업부문

에 해서도 유상할당이 중심이 되는데 비해 K-ETS는 여전히 부분

을 무상으로 할당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EU-ETS 참여 기업들을

중심으로 산업경쟁력 및 탄소누출의 우려를 제기하면서 K-ETS에 유

상할당의 비중을 상당 수준으로 높일 것으로 요구할 가능성을 배제하

기 어렵다 우리나라 업체들은 산업경쟁력 유지를 위해 온실가스 배출

권거래제도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최소 유상할당 비율 유지를 강하게

주장할 것이므로 K-ETS에서의 유상할당 비율은 매우 첨예한 쟁점사항

으로 부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 상쇄제도

아직 글로벌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에

70

서 두 시장의 상쇄제도의 차이가 시장 연계에 걸림돌로 작용할지는 현

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2021년부터 2030년까지 EU는 ETS 분야에서

1990년 비 43 Non-ETS 분야에서 30 감축을 통해 EU 자체적

(domestic)으로 최소 4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43) EU 자체 노력

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최소 목표치를 공식적으로 선언하였으므로

EU-ETS 할당 시 적어도 동 목표에 해당하는 수준까지는 역외 크레딧

사용을 허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44)

여기서 주목할 사항은 만일 EU가 배출권 시장 연계를 허용한다는

것은 결국 자신의 온실가스 최소 감축목표치를 사전에 공표한 수치 이

상으로 설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배출권 연계는

기본적으로 역외의 타 시장 배출권을 역내 의무사용에 활용하는 것이

므로 역내 최소 감축 목표치보다 목표를 상향해서 할당하지 않을 경우

엔 사전에 공표한 자체 감축노력에 의한 최소 감축목표를 근본적으로

달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EU와의 배출권 시장 연계가 논의되는 이상 EU-ETS는 적어도

이미 공표된 온실가스 감축 최저 목표치를 상회하는 목표를 설정할 공

산이 크다 EU-ETS가 도전적인 목표치를 설정하고 배출권 시장 연계

를 허용한다고 할 때 일정한 제약(예를 들어 최저 목표치에 해당하는

감축량을 초과하는 한도) 하에서 연계된 시장의 배출권과 더불어 역외

크레딧을 허용할 가능성이 높다 여기서 역외 크레딧에는 현재 논의되

43) European Commission COM(2016) 482 final 참조44) 여기서 EU가 제시한 온실가스 배출량의 40 자체 감축(ldquoa 40 domestic reduction

in economy-wide greenhouse gas emissionsrdquo)의 의미를 이중계산(double counting)이 허용되지 않는 상황에서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해 최종적으로 정산한 이후 EU가 자체적으로 레지스트리에 보유하고 있는 배출량을 기준으로 한다고 해석할 여지도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자체 감축(domestic reduction)의 의미를 순수하게 자신의 노력을 통해 감축한 역내 배출량으로 간주하기로 한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1

고 있는 시장 메커니즘인 UNFCCC의 관리middot감독 하에 운영되는 지속

가능발전 메커니즘과 협력적 접근법에 따라 EU와 자발적 협력 체결을

통해 발생한 감축실적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45)

한 가지 유의할 점은 EU뿐 아니라 우리나라와도 동시에 자발적 협

약을 체결한 국가에서 감축한 실적의 경우는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겠

지만 우리나라와만 자발적 협약을 체결한 경우에 해당 국가에서의 감

축실적을 K-ETS에서 상쇄로 허용하는 것이 또 다른 쟁점이 될 수 있

다는 점이다 만일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시장 메커니즘이 포괄적인

원칙에 해서만 합의가 이루어지고 세부 사항은 국가 간 자발적 협약

에 맡기는 방식이 될 경우 EU에서는 자신의 기준에 맞지 않는 자발적

협약에 따른 감축실적을 상쇄로 허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46) 이는

EU-ETS 제3기에 UNFCCC하의 청정개발체제 배출권을 최빈개도국가

들에서 만들어진 것 이외에는 허용하지 않는 사례에서 보듯이 충분히

생각해볼 수 있는 시나리오이다 그러할 경우 상쇄제도의 국가 간 세

45) 연계된 시장의 배출권을 EU-ETS의 의무이행에 활용한다는 것이 파리협정 하의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ITMO를 활용하는 것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배출권거래제도의 연계가 두 당사국 간의 상호 자발적인 협력 체결을 통해 이루어지며 중요한 감축수단의 하나라는 점에선 유사하지만 엄 한 의미에서 배출권거래제의 연계가 파리협정의 협력적 접근법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지 않는다 협력적 접근법에서 말하는 ITMO는 감축활동의 결과물로서 나온 감축실적인데 반해 배출권거래제도 상의 배출권은 배출을 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므로 양자의 성격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감축실적과 배출허가권이 일 일로 매칭될 수 없기 때문이다 배출권거래제도는 자국의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국내적 정책 수단의 하나이지 파리협정이라는 국제 협약의 틀 내에서 논의되는 시장 메커니즘과는 서로 다른 차원의 제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리협정에서의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감축실적은 배출권거래제도의 상쇄배출권의 형태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배출권 시장 연계가 협력적 접근법에 따라 자발적 협력 체결이 이루어진 국가들 간에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관점에서 배출권 시장 연계와 협력적 접근법이 직접적 연관성을 가지지는 않지만 서로 간에 높은 연관성이 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된다

46) 반 로 협력적 접근법에 따른 시장 메커니즘이 국가 간 자발적 협약에 한 구체적인 사항까지 규정하는 방식으로 합의가 된다면 논란의 여지는 훨씬 줄어들 것이다

72

부적 차이는 배출권 시장 연계에 있어서 쟁점사항으로 부각될 것이다

다만 K-ETS의 경우 해외상쇄를 전체 배출권의 5이내로 제한하고 있

어서 EU-ETS 시장에 한 공급 충격이 크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EU와 스위스 간의 ETS 연계 사례에서 보듯이 상쇄제도의 차이가 심

각한 장애요인은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라 기타 사항들

앞서 논의한 쟁점들 이외에 이월 차입 시장관리 등 여타의 사항들

은 이론적으로는 시장 연계 시 쟁점이 될 수 있으나 적어도 K-ETS와

EU-ETS 간의 연계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첫째 이월의 경우 현재 EU-ETS는 제한없이 허용하는데 반해

K-ETS는 이월에 한 제한을 두고 있다 그러나 2021년부터 2030년

까지의 계획에 따르면 EU는 이월을 허용하되 누적 이월량이 일정 수

준을 넘어 과도할 경우 제한을 둘 계획이다47) 따라서 양 시장에서 이

월 제도의 약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할 것이므로

배출권 시장 연계 시 쟁점으로 부각되지 않을 것이다

둘째 차입의 경우에도 2021년부터 2030년까지의 계획에 따르면 EU

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차입을 허용할 방침이므로 K-ETS의 차입 허용

이 연계 시 큰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48)

셋째 배출권 가격 및 공급 관리의 관점에서 보면 EU-ETS에 비해

K-ETS가 정부의 시장개입이 더 용이한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그 이

47) 다음의 홈페이지(httpseceuropaeuclimapolicieseffortregulation_en)를 참조하라48) 다음의 홈페이지(httpseceuropaeuclimapolicieseffortregulation_en)를 참조하라 또

한 앞서도 언급하였지만 EU-ETS는 현재 차입을 허용하고 있지 않지만 배출권 할당 시점과 제출 시점의 차이로 인해 사실상 차입이 허용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3

유는 K-ETS의 낮은 시장 유동성에 따른 배출권 공급물량 부족이 주요

원인이다 따라서 보다 큰 규모를 가진 EU-ETS 시장과 연계하는 경우

구태여 현재와 같은 K-ETS의 가격 및 공급 관리 제도를 유지하지 않

아도 무방하므로 두 시장 간의 연계 과정에서 장애요인이 되지 못할

것이다

3 배출권 시장 연계 방식별 편익 비용 그리고 시사점

가 시장 연계 유형별 편익 비용 비교

K-ETS와 EU-ETS 시장을 서로 연계한다고 할 때 연계하는 방식은

앞의 제3장에서 제시한 것들 중 하나가 될 것이다 그 중에서 완전통

합형 방식의 직접 연계는 사실상 현실적으로 가능한 안이 아니라고

보고 여기서는 쌍방향 연계 방식의 직접 연계와 단방향 연계 외부 크

레딧을 통한 간접 연계 등의 장middot단점을 비교해보기로 하자49)

1) 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배출권거래제는 사실상 자국의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자발적 감

축행동이다 배출권 시장의 쌍방향 직접 연계는 두 당사국이 자발적으

로 협력하여 이중계산 방지의 원칙 하에서 서로의 배출권 레지스트리

를 연계하여 서로의 배출권이 자유롭게 거래되고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49) 완전 통합형의 경우 두 시장을 하나의 시장으로 완전히 통합하는 것이므로 각 시장을 관할하던 정부들의 자율성이 전혀 보장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의 연계를 우리나라 정부에서 용인할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이므로 여기서는 완전통합형 연계 방식은 다루지 않기로 한다

74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은 크게 보면 다시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rsquo과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rsquo으로 나뉠 수 있다50) lsquo완전 쌍

방향 직접 연계 방식(이하 완전 쌍방향 방식)rsquo은 두 시장의 규제 당국

이 일정한 자율성을 가지고 배출권거래제도의 설계요소를 결정하되

각 시장의 배출권이 어느 시장에서든지 수량에 제한없이 의무이행에

전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연계 방식이다 스위스-EU 캘리포니아-퀘벡

등 현존하는 배출권거래시장 연계 사례는 모두 lsquo완전 쌍방향 방식rsquo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K-ETS가 EU-ETS와 이러한 방식으로 연계할 경우 예상되는 일차적

인 편익은 비용효과성 제고 및 규모 시장에 한 접근성 제고를 통

한 유동성 확 와 이를 통한 시장 가격 안정성 확보이다 앞에서도 살

펴보았듯이 배출권 시장의 연계는 기본적으로 두 당사국의 참여업체

비용부담을 완화시켜 준다 또한 시장 규모의 확 로 인해 시장 유동

성이 확 되고 배출권 시장가격의 변동성을 낮출 수 있다

이상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완전 쌍방향 방식이 가진 다음과 같은 단

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완전통합형에 비해서는 정도가 덜하지만 규제 당국의 정책 자

율성이 일정 수준 침해받을 우려가 있다 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의 특성 상 ETS 부문 감축목표 설정 할당방식 등 주요 배출권거래제

도 설계요소를 완전히 일치시킬 필요는 없지만 연계 상 방과 상당 수

준까지 보조를 맞추어야 한다 만약 양측의 설계요소 간 차이가 크다

면 이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핵심 설계요소를 조정해야 하는 당사국의

경우 일정 수준의 정책 자율성을 포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50) Ranson and Stavins(2015)를 비롯한 기존의 연구는 쌍방향 연계를 여기에서처럼 다시 두 가지로 구분하지 않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5

둘째 할당방식에 차이가 있을 때 특히 참여업체들의 비용과 직결되

는 유상할당의 규모 면에서 차이가 클 경우 연계 과정에서 쟁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두 시장간 유상 할당 비중의 차이가 클 경우

유상할당 중심의 국가에서 탄소누출 등을 이유로 유상할당 비중에

한 조정을 요구하고 이로 인해 유상할당의 비중이 늘어날 경우 연계

이전에 비해 무상할당 중심 시장의 참여업체들 비용부담이 크게 늘어

날 수 있다

K-ETS와 EU-ETS 간 연계를 상으로 생각해보면 K-ETS와

EU-ETS는 시장 규모 등의 측면에서 큰 차이가 나므로 시장 연계 과

정에서 K-ETS의 주요 설계요소를 EU-ETS와 근접하게 가져가야 할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ETS 부문의 감축목표 상향 간접배출에

한 할당방식의 조정 등 주요 설계요소에 해 EU-ETS와 유사하게 수

정해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에너지 및 온실가스 감축정책에 한 한

국 정부의 자율성이 침해받을 우려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유상

할당 중심의 EU-ETS와 달리 K-ETS는 무상할당이 주가 되므로 EU측

에서는 역내 산업경쟁력 및 탄소누출을 우려하여 K-ETS에도 상응하

는 수준의 유상할당을 요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끝으로 이론적 논의에서 잠깐 살펴보았듯이 lsquo완전 쌍방향 연계rsquo 방

식이 환경적 편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불분명하다51) 만일 시장 연

계 과정에서 한 당사국에서 상 편의 온실가스 감축목표가 자신과 상

응하지 못하다고 판단하여 감축목표 상향 조정을 요구하고 시장 연계

의 협의 과정에서 이것이 받아들여진다면 두 시장을 합한 전체 온실

가스 감축목표가 강화되어 lsquo온실가스 감축rsquo이라는 환경적 편익이 증

51) 제2장에서 논의한 Helm(2003) 및 Carbone et al(2009)의 연구 결과에 한 소개를 참고하라

76

할 수 있다 하지만 반 로 연계 이후의 국내 업체들의 감축비용 부담

이 늘어날 경우 규제가 상 적으로 느슨한 제3의 국가로 생산설비를

이전하는 탄소누출이 일어날 수 있다 이때 배출집약도가 높은 제3국

가로 생산설비가 이전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글로벌 차원에서는 온실가

스 배출량이 늘어날 수도 있다52) 즉 연계에 따른 감축목표의 상향이

업체의 부담을 높이고 이로 인한 탄소누출로 인해 오히려 전 지구적

인 차원에서 환경건전성은 나빠질 수도 있다 EU-ETS와의 연계에 따

른 환경건전성의 득실은 일률적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시장 연계의

환경적 편익을 예단하기 어렵다53)

2) 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 방식(이하 부분 쌍방향 방식)은 두 시장의

규제 당국이 자율성을 가지고 배출권거래제도의 설계요소를 결정하며

각 시장의 배출권을 어느 시장에서도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

에선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과 동일하나 의무이행에 활용되는 배출권의

수량에 제한을 두는 방식을 말한다 이는 사실상 두 시장이 서로 상

방의 배출권을 일정 비율 내에서 상쇄배출권처럼 활용하는 상황과 동

일하다

52) 예를 들어 상 적으로 친환경적인 전원믹스를 가진 국가에서 생산하던 업체가 유상할당 비중 증가로 인한 감축비용부담 상승으로 인해 제3의 국가로 생산설비를 이전한다고 하자 이 경우 설령 생산설비 이전과 이후에 동일한 에너지 투입 비 생산효율을 보인다고 가정하더라도 제3 국가의 전원믹스가 덜 환경친화적이라면 해당 업체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늘어나게 된다 이때 제3국으로 이전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분이 배출권 연계 이후 감축목표 상향에 따른 감축량 증가분을 초과한다면 전 지구적인 관점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은 순증하게 된다 결국 배출권 시장이 연계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연계 이후의 환경적 건전성은 오히려 악화된다

53) 이처럼 환경건전성과 관련한 연계 유형별 득실은 모호한 부분이 크므로 이후의 편익 비용 비교에 관한 논의에서 환경건전성은 제외하기로 한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7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의 경우에도 비록 제한된 수량 범위 내이긴 하나

연계를 통해 전체 시장 규모가 확 되므로 연계 이전에 비해 시장 유

동성을 제고하고 배출권 가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두 시

장의 배출권 가격 차이를 이용해 거래를 통한 비용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다 다만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과는 달리 활용가능한 상 편 배출권의

수량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두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하나의 가격으로

수렴되지는 못하고 일정한 차이를 두면서 각 시장가격의 자율성이 일

정 수준에서 유지되는 움직임을 보이게 된다54) 다만 경제적 효율성의

관점에서 보면 거래가능 수량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

식에 비해 일정 정도의 비효율성은 불가피하다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의 연계는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과는 달리 일정 범

위 내에서만 서로의 배출권의 활용을 허용하므로 가격 공급량 등에서

각 시장이 가진 독자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중계산의 문제

MRV의 투명성과 등가성 등의 기본 원칙이 준수되는 한 상 편 시장

은 상쇄배출권 거래를 위해 활용가능한 일종의 유연성 기제로서 간주

될 수 있다 따라서 두 시장을 합쳐 하나의 시장으로 바라보는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각 시장 운영의 자율성을 확보하기가 용이

하다 유사한 맥락에서 유상할당 규모에 차이가 존재하더라도 상 편

의 시장을 상쇄배출권 활용을 위한 기제로 간주하는 이상 할당방식의

차이를 상응되게 조정하고자 하는 정치적 압력도 크지 않을 것으로 전

망된다

54)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의 경우도 거래비용 등으로 인해 두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완전히 하나로 수렴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의 경우 두 시장의 가격 차이는 거래비용 등의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는 차이를 넘어선 수준에서 각 시장가격이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

78

요컨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연계할 경우 상 편 배출권의 활용

가능 비율이 줄어들수록 경제적 비효율성은 커지는 반면 시장 운영 및

제도 설계의 자율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이는 소규모 시장인

K-ETS가 규모 시장인 EU-ETS와 연계할 때도 유사하게 적용될 것

으로 전망된다

3) 단방향 연계 방식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방향 연계 방식은 어느 한 배출권 시장에

서는 상 편 시장의 배출권을 의무이행에 활용할 수 있으나 그 반 는

허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단방향 연계는 타 시장의 배출권을 허용하는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허용하지 않는 시장의 배출권 가격에 비해 낮을

경우에만 실효성을 가지며 그렇치 않을 경우엔 실효성이 떨어진다 타

시장 배출권을 허용하지 않는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높게 형성되고 있

다면 단방향 연계에 따른 배출권 거래가 일어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55)

그러나 그 반 의 경우엔 상 편의 저렴한 배출권을 의무 이행에 활용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향상된 시장 접근성을 가질 수 있고 그로 인

해 시장 유동성 제고 가격 안정성 확보 및 감축비용 부담 완화라는 편

55) 이러한 경우에는 사실상 두 배출권 시장이 독립적으로 작동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우에 따라 시장 연계가 실효성있게 작동하는 상황도 발생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계가 허용된 배출권 시장에서 배출권 공급량이 부족할 경우엔 의무 이행을 위해 비싸더라도 배출권을 구매하려는 수요가 생길 수 있다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낮게 형성되고 K-ETS만 EU-ETS 시장과 일방향으로 연계된 상황을 상정해보자 통상적으로는 K-ETS 참여업체들은 비싼 EU-ETS 시장의 배출권을 구매하지 않으려 하겠지만 만일 K-ETS 시장에서 부분의 업체들이 잉여배출권을 이월하려고 해서 의무이행을 위한 배출권 구입 자체가 어려울 경우엔 단방향 연계 방식도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장에서 배출권 구입이 어려운 업체들은 비싸더라도 EU-ETS에서 배출권을 구매해서 의무이행을 할 것이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79

익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단방향 연계가 실효적인 상황 즉 연계를 허용하지 않은 국가

의 배출권 가격이 더 낮게 형성되는 경우엔 연계를 허용하는 국가의

정책 자율성이 보장받기 용이할 것으로 평가된다 왜냐면 연계를 허용

하지 않는 국가의 배출권 가격이 낮다는 의미는 ETS 부문의 감축목표

의 강도가 상 적으로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계를 허용치

않는 측에서 허용하는 측에 감축목표의 상향 등 주요 설계요소의 변화

를 덜 요구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단방향 연계는 다른 여타의 방식에 비해 연계를 허용하는 측

에 상당히 유리한 연계 방식이다 그러나 연계를 허용치 않는 시장에

서 얻는 편익이 거의 없기 때문에 앞서 살펴본 EU-호주 배출권 시장

연계 시도 사례에서 보듯이 본격적인 쌍방향 연계를 위한 준비기에 일

시적으로 운영되는 경우를 제외하곤 지속되기 어려운 실현 가능성이

낮은 방식이다

4) 외부 크레딧을 통한 간접 연계

끝으로 각 시장이 완전히 독자적으로 운영되면서 외부 크레딧을 통

해 간접적으로만 연계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현재 파리협정 하에서

의 시장 메커니즘 중 하나인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이나 협력적 접근

법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실적을 K-ETS와 EU-ETS가 상쇄배출권으로

활용하도록 할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 경우 양 시장을 운영하는 정부의 정책 자율성은 완전히 보장되는

반면 시장이 사실상 분리되어 있으므로 연계를 통한 직접적인 경제적

편익은 발생하지 않는다 상쇄배출권의 유입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서

80

로 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배출권 연계의 효과가 제한적이다 특히

상쇄로 활용 가능한 외부감축사업은 사업 발굴부터 크레딧의 발생 및

활용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K-ETS와 같이 수급 불

균형에 따른 유동성 부족 및 배출권 가격 불안정성을 경험하고 있는

경우엔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연계의 실질적인 효과를 기 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리협정에 따른 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지침이

마련이 되고 감축사업이 본격화될 경우 이를 K-ETS에 연계시킬 필요

는 있다 물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의 시장 메커니즘은 이중계

산이 허용되지 않은 상황에서 모든 국가가 자국의 감축목표를 충족시

켜야 하므로 배출권 시장에서 활용 가능한 배출권 규모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앞에서 다룬 쌍방형 직접 연계와 함께 보조적

으로 사용된다면 효과성은 커질 것이다

나 K-ETS와 EU-ETS 간 연계를 위한 시사점

여기서는 다양한 연계 유형별 편익과 비용에 한 논의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과 EU 배출권 시장 간의 연계를 위한 시사점을

검토해보기로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가장 바람직한 연계의

방식은 시장 유동성과 비용효과성도 제고하면서 에너지 및 기후정책의

자율성을 최 한 확보할 수 있는 단방향 연계일 것으로 전망된다 즉

K-ETS는 EU-ETS 시장에 한 접근성을 가지나 EU-ETS는 K-ETS에

한 접근성을 허용하지 않는 방식이 가장 K-ETS에 유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시장 연계는 본격적인 시장 연계를 위한 준비기와 같은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81

예외적인 상황을 제외하고는 EU측에서 연계에 동의하지 않을 가능성

이 높아 실현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보인다

K-ETS를 운영하는 우리 정부 입장에서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과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 중 어느 쪽이 더 바람직한지 여부는 두 시장

의 시장 연계 전 배출권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따라 함의하는

바가 달라질 수 있다

먼저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

격에 비해 낮은 경우에 해 고려해보자 이 경우 시장 연계 이후에는

K-ETS 배출권 수요 증가로 K-ETS 가격은 상승하고 EU-ETS 배출권

의 가격은 낮아지게 된다 비용효과성의 측면에서 비록 K-ETS 참여업

체 중 배출권 순 구매자들의 구매 비용은 증가하겠지만 순 판매자들은

높아진 가격 상승의 혜택을 보게 되며 이론적으로는 전체적인 비용효

과성은 향상된다 그러나 연계 이전에 배출권 공급량 부족으로 유동성

문제에 고질적으로 시달리는 K-ETS의 입장에서 유동성 제고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 왜냐하면 K-ETS 배출권 가격이 상 적으로 낮기

때문에 K-ETS 배출권 수요가 늘어나고 이로 인해 K-ETS 배출권 확보

가 더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책 자율성의 측면에서 K-ETS 배

출권 가격이 상 적으로 낮다는 것이 EU측에 외형상뿐만 아니라 실질

적으로도 한국의 감축목표 강도가 약하다는 신호로 작용하여 감축목표

상향에 한 요구가 강해질 수 있다 한편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EU측이 유상할당의 비중을 상응하게 조정하자고 요구할 때 이를 거부

할 논거가 마땅치 않다 특히 한국의 감축목표 강도가 낮다는 선입견

은 유상할당 비중의 확 를 뒷받침해주는 또 다른 논거로 작용할 가능

성이 있다 만약 연계 이후 그러한 정치적 압력의 결과로서 실제로 유

82

상할당 비중이 늘어날 경우 참여업체의 경제적 부담이 커지게 되며 시

장 연계에 한 국내 업체들의 수용성은 크게 악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낮은 경우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일부 비용효과성 제고라는 편익

이 존재하지만 유동성 제고나 정책 자율성 확보 등의 측면에서 지불해

야 하는 비용이 더 클 가능성이 크다 한편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의 연계

는 비록 비용효과성의 제고에는 제한적일 수 있으나 감축목표의 상향

유상할당 비중 확 등 참여업체에 직접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외부의

정치적 압박에 보다 유연하게 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으로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

권 가격에 비해 높은 경우를 살펴보자 이 경우 시장 연계 이후에는

K-ETS 배출권 수요의 일부가 EU-ETS로 이전하여 K-ETS 가격은 낮

아지고 EU-ETS 배출권의 가격은 상승한다 비용효과성의 측면에서

K-ETS 참여업체 중 배출권 순 구매자들의 구매 비용은 줄어들게 되

며 비록 순 판매자의 배출권 판매 수입은 줄어드는 부분이 있지만 전

체적인 비용효과성은 증 된다 한편 K-ETS가 현재 겪고 있는 유동

성 부족 문제는 보다 저렴한 규모 EU-ETS 시장에 한 접근성이

커짐에 따라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책 자율성과 관련한

사항은 다소 분명치 않다 K-ETS 배출권 가격이 상 적으로 높기 때

문에 실질적인 감축목표의 강도가 높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가질 수 있

는 반면 외형상의 감축목표의 강도가 비교적 낮은 편이므로 감축목표

의 강도를 상응하게 조정해야 한다는 EU측의 정치적 압박에 자유롭기

쉽지 않을 수 있다 이와 함께 유상할당의 비중을 EU측과 상응하게 조

정해야 한다는 압력에서도 자유롭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83

결과적으로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높은 경우엔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은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

해 비용효과성 및 유동성 제고 등에서 더 큰 편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만 정책 자율성 확보나 유상할당 비중 최소화를 통

한 업계 부담 완화 및 수용성 확보의 관점에선 여전히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유리하다 물론 K-ETS 배출권의 높은 가격을 실질적인

높은 감축목표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을 통

해서도 정책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

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연계 이후 외부로부터의 정치적 압력

에 응하기 여의치 않을 경우엔 정책 자율성과 관련한 손실을 감수해

야 한다 만일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

이 크지 않다면 정책 자율성과 업계의 경쟁력을 고려한 부담 최소화

및 제도 수용성 확보가 더 용이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여전히

설득력 있는 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면 시장 연계 전 양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어

떻게 형성되는지 배출권 가격의 차이가 실질적인 감축목표 강도로

EU-ETS 측에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 질 수 있는지 등에 따라 바람직

한 시장 연계의 방식은 달라질 수 있다56) 전체적으로 lsquo완전 쌍방향rsquo

56) 실제로 K-ETS와 EU-ETS의 배출권 가격이 향후 어떻게 전개될 지는 현재로선 예측하기 어렵다 톰슨로이터의 전망에 따르면 EU의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경매연기 배출권의 배출권 비축 시나리오 하에서 2030년까지 EUA의 가격은 약 60유로(한화로 약 78000원선)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Point Carbon 2014) K-ETS의 배출권 가격 전망 자료는 찾기 어려우나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의 목표를 기준으로 할 때 2030년까지 현 수준보다 크게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외견상의 감축목표의 강도를 볼 때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낮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산업middot발전부문의 한계감축비용을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2030년 기준으로 한계감축비용이 톤당 10만원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안영환

84

연계방식은 비용효과성과 유동성 확보의 측면에서 다소 유리하지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정책 자율성 확보 업계 부담 최소화

및 수용성 확보의 차원에서 다소 불리할 수 있다 결국 우리 정부가 시

장 연계에 따라 어떤 가치를 더 보호할 필요가 있는지에 관한 정책적

판단에 따라 연계의 방식은 달라질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지적하고 싶은 것은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도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적절히 설정할 경우 상당한 비용효과성

및 유동성 제고의 편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만

일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서 설정한 lsquo비중rsquo을 넘어 완전한 쌍방향

연계로 전환할 때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이 그리 크지 않다면 정

책 자율성 확보에 유리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가 더 바람직한 연계 방식

이 될 수 있다 다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시 바람직한 상 편 배출권

의무 활용 비중이나 레지스트리 등과 같은 기술적인 부분은 본 연구의

범위를 벗어나는 문제이므로 후속 연구로 남겨두기로 한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에 맞는 연계의 방식은 캘리포니아

-퀘벡 또는 스위스-EU-ETS와 같은 해외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와는

달리 완전 쌍방향 연계 방식보다는 부분 쌍방향 연계 방식이 더 적합

할 수 있다 처음부터 완전 쌍방향 연계 방식을 취하기보다는 단계적middot

점진적으로 완전 쌍방향 연계로 확 해나가는 방향이 정책적 자율성을

확보하고 K-ETS가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좋은 안이 될 수 있

다 EU의 입장에서도 배출권 시장 규모를 확 하고 기후변화에 한

middot 김동구 2017) 물론 저렴한 비용에 다량의 감축이 가능한 산업공정 및 폐기물 건물 부문 등에 한 분석이 제외되었다는 한계가 있지만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 배출권 가격에 비해 높게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눈여겨볼만하다

제5장 해외 시장과의 연계 전망 및 시사점 85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한다는 차원에서 연계에 부정적이지는 않을 것으

로 보인다 특히 자체적 노력을 통해 감축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EU

의 입장에서도 스위스에 비해 상 적으로 큰 규모의 K-ETS와 완전 쌍

방향 직접 연계 방식보다는 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이 보다 바람

직한 연계 방식이다 왜냐하면 규모가 큰 시장과의 연계로 인해 자체

감축 수요보다 타 시장 배출권 구입을 통해 목표를 충당하려 할 경우

목표로 하는 자체 노력에 의한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에 차질을 빚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방식

은 단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EU의 이해와도 부합되는 측면이 있고

따라서 정책 방안의 실현가능성 또한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6장 결론 87

제6장 결 론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도는 시장 기제를 활용하여 비용효과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표적인 감축 수단으로서 우리나라를 포함

하여 EU 캘리포니아 등 여러 국가에서 채택하여 시행하고 있다 특히

파리협정 이후 국제 탄소시장 메커니즘에 관한 논의와 맞물려 그간 독

자적으로 운영되어 오던 배출권 시장을 서로 연계하여 비용효과성을 극

화하고 시장 유동성을 제고하며 기후변화 응 관련 국제적 리더십을

확보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배출권 시장 연계는

단순히 전문가 차원의 관심을 뛰어 넘어 퀘벡-캘리포니아 배출권거래제

도 및 스위스-EU 배출권거래제도의 연계 사례를 통해 실현되고 있다

배출권 시장 연계에 한 그간의 여러 연구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의

연계가 시장 규모의 확 를 통해 비용효과성을 제고하고 유동성 확

및 가격 안정화 등의 여러 가지 편익을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국 내 정책에 한 규제당국의 개입 범위를 축소시켜 정책 자율성을

저해하며 자국 내 기업들의 비용부담을 오히려 증 시키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환경건전성까지 악화시킬 가능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배출권

시장 연계는 편익뿐만 아니라 발생 가능한 다양한 부작용들을 종합적

으로 고려해서 결정해야 하는 다면적인 정책 의사결정 과정임에 유념

해야 한다

배출권 시장 간 연계가 성공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연계하는 두

시장의 제도적 설계요소들을 적절히 맞추어나갈 필요가 있다 상 부

문의 감축목표 강도 할당방식 이월middot차입middot상쇄 등 유연성 기제 배출권

88

가격 및 공급량 관리제도 MRV 체계 페널티 제도 등 고려해야 할 다

양한 설계요소들이 있다 특히 감축목표의 강도 유상할당의 규모 상

쇄제도 MRV 체계 등은 연계 과정에서 핵심 쟁점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연계 과정에서 규제 당국 간의 적절한 조율이 필요하다

배출권 시장 간 연계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사례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퀘벡-캘리포니아 및 스위스-EU의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는 연계를 통해 두 시장이 상호간 혜택을 보

아야 하고(상호 호혜성) 연계되는 두 시장의 배출권 설계요소가

동소이하며(핵심 설계요소의 일치성) 당사국들의 강한 정책적 의지가

수반되어야 성공적인 시장 연계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배출권 시장 연계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유형별로

는 lsquo완전통합형rsquo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형rsquo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

형rsquo 외부 크레딧을 통한 lsquo간접 연계rsquo lsquo단방향 연계형rsquo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 연계 유형별로 가지는 장middot단점이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시

장의 완전통합형에 가까울수록 비용효과성과 시장 유동성 및 가격 안

정성은 높아지는데 반해 정책 자율성은 낮아진다 단방향 연계형은 연

계가 허용된 시장에는 비용효과성 유동성 및 가격 안정성을 제공하면

서 정책 자율성까지 보장하는 장점이 있으나 연계를 허용하지 않은 시

장에서는 연계의 혜택을 누리기 어려우므로 상호 호혜성의 측면에서

실현되기 어려운 방식이다 다만 두 시장을 직접적으로 연계하기 전에

다양한 설계요소를 조정하기 위한 중간 단계로서 단방향 연계 방식이

채택될 수는 있을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의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타 배출권 시장과의 연계가 논의되고 있는 상황에서 가장 유력하게

제6장 결론 89

거론되고 있는 EU-ETS와의 연계를 상정하여 주요 쟁점사항과 바람직

한 연계 방식에 해 검토해 보았다

EU-ETS와 연계할 경우 가장 첨예한 쟁점사항으로 부각될 수 있는

요소로는 감축목표 강도 및 유상할당 규모의 상응성 간접배출에 한

할당 등을 꼽을 수 있다 실질적인 체감도와는 무관하게 외형상의 EU

와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할당방식에 있어서 EU-ETS와 달리 우리나라 배출권 시장은 무상할당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EU-ETS와의 유상할당 규모의 차이는

2030년까지 상당 수준에서 차이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EU-ETS와 연계를 논의할 때 산업경쟁력 및 탄소누출에 한 우려를

들어 감축목표의 강도와 유상할당 규모의 상응성이 핵심 쟁점으로 부

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간접배출에 한 할당도 이중계산 및 횡

재이윤의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쟁점사항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월 차입 시장관리 MRV 등의 요소는 연계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긴 하나 EU-ETS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기 때문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할 때 다양한 시장 연계의 유형 중 어떤 방식이

우리에게 보다 적합할지 살펴보았다 lsquo완전 통합형rsquo은 사실상 정책 결

정에 우리 정부가 개입할 여지를 없애는 방식이므로 적합지 않은 방식

이며 외부 크레딧을 통한 lsquo간접 연계rsquo 방식만으로는 유동성 부족에 고질

적으로 시달리는 국내 배출권 시장의 문제를 해결하기에 모자람이 많

다 다만 lsquo완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와 lsquo부분 쌍방향 직접 연계rsquo 방식 중

어떤 방식이 우리 현실에 더 적합한지는 연계 이전에 두 시장의 배출

권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가 그리고 배출권 가격의 차이가 실질적인

90

감축목표의 강도로 받아들여 질 수 있는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은 비용효과성과 유동성 확보의

측면에서 다소 유리하지만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 비해 정책 자율

성 확보 업계 부담 최소화 및 수용성 확보의 차원에서 다소 불리하다

먼저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해 낮게

형성된다면 국내 배출권에 한 외부 수요가 증 되므로 lsquo완전 쌍방

향rsquo 연계방식을 채택하더라도 K-ETS의 고질적인 유동성 부족을 해결

하는데 큰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다 반면 정책 자율성에 있어서 손실

을 감수해야 하므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이 보다 적합하다

다음으로 시장 연계 이전에 K-ETS의 배출권 가격이 EU-ETS에 비

해 높고 그러한 높은 시장 가격을 근거로 실질적인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충분히 받아들여진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은 시장 가격에도 불구하고 감축목표 강도의 상응성이

받아들여지지 못한다면 lsquo완전 쌍방향rsquo 연계방식은 국내 참여업체들의

비용부담을 가중시키고 제도의 수용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도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적절

히 설정할 경우 상당한 비용효과성 및 유동성 제고의 편익을 얻을 수

있다 만일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 방식에서 완전한 쌍방향 연계로 전환할

때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익이 그리 크지 않다면 정책 자율성 확보

에 유리한 lsquo부분 쌍방향rsquo 연계가 더 바람직한 연계 방식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해외 주요국 배출권 시장 연계 사례에서처럼 처음부터 lsquo완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EU-ETS와 연계하기 보다는 초기 단계에서는 적절

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EU-ETS 배출권을 구매해서 의무이행에 활

용하는 lsquo부분 쌍방향rsquo 방식으로 배출권 시장을 연계한 후 점진적으로

제6장 결론 91

상 편 배출권의 의무 활용 비중을 높여나가는 방식이 바람직할 것으

로 판단된다

또한 최근 파리협정 하의 시장 메커니즘으로 논의되는 협력적 접근

법이나 지속가능발전 메커니즘에 의한 감축실적도 상쇄배출권으로 허

용하도록 함으로써 간접적인 연계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시장 메커니

즘에 한 지침이 확정되면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이들 접근법을 활용

한 다양한 감축사업들이 전개될 수 있으며 연계 상이 되는 타 시장

(예를 들어 EU-ETS)도 그러한 시장 메커니즘을 자국의 배출권 시장과

연계시킬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간접연계는 국제적으로 공인된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함과 동시에 lsquo부분 쌍방향 연계 방식rsquo의 효과를 제고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93

참고문헌

lt국내 문헌gt

관계부처합동 2017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1차 계획기간 제3차 이행

연도 배출권 할당계획 변경(안)

관계부처합동 2018 보도참고자료 ldquo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전략 새롭게 만들어 갑니다rdquo

기획재정부 2017 제2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안)

박수경middot박순철middot송철호middot임철희middot이수정middot이우균 2018 ldquo한middot중 배출권거래제

연계를 위한 설계요소 및 장애요인 분석rdquo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9(4) 471-485

산업통상자원부 2016a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 수립 연구

산업통상자원부 2016b 협력적 접근법에 활용가능한 국제 규범 마련 연구

삼정 KPMG 2018 진화하는 배출권거래제(ETS) 시장과 기업의 탄소비용

응방향 삼정 KPMG Issue Monitor 제87호

수원의제21실천협의회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 2016 ldquo제21차 기후변화

협약당사국총회 파리협정문 국문번역본rdquo

안영환middot김동구 2017 산업 발전부문 온실가스 한계감축비용 연구 산업

통상자원부

환경부 2014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1차 계획기간 국가 배출권 할당

계획

환경부 2018 보도자료 ldquo2030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안 및 2018~2020년

배출권 할당계획 확정rdquo

94

환경부 2019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2차 계획기간 국가 배출권 할당

계획

lt해외 문헌gt

Anger N 2008 ldquoEmissions Trading beyond Europe Linking Schemes

in a Post-Kyoto Worldrdquo Energy Economics 30 2028-2049

Babiker M Reilly J and Viguier L 2004 ldquoIs international emissions

trading always beneficialrdquo Energy Journal 25(2) 33-56

Bodansky DM Hoe이 SA Metcalf GE and Stavins RN 2016

ldquoFacilitating linkage of climate policies through the Paris

outcomerdquo Climate Policy 16(8) 956-972

Burtraw D Palmer KL Munnings C Weber P and Woerman M

2013 Linking by degrees incremental alignment of cap-and-trade

markets Discussion Paper 13-04 Resource for the Future

Carbon Market Watch Report 2015 Towards a Global Carbon Market

Prospects for Linking the EU ETS to Other Carbon Markets

Carbone JC Helm C Rutherford TF 2009 ldquoThe case for

international emission trade in the absence of cooperative climate

policyrdquo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57

266-280

Chichilnsky G and Heal G 1995 Markets with tradable CO2

emission quotas principles and practice OECD Economics

Department Working Paper No 153

DEHSt 2016 International market mechanisms after Paris

참고문헌 95

European Commission 2016 COM(2016) 482 Final

Flachsland C Marschinski R and Edenhofer O 2009 ldquoTo limk or

not to link benefits and disadvantages of linking cap-and-trade

systemsrdquo Climate Policy 9(4) 358-372

Gouvernement du Queacutebec 2018 Quebec cap-and-trade system for

greenhouse gas emission allowances(CampT) Historical Overview

Hahn R W and Stavins R 2011 ldquoThe Effect of Allowance

Allocations on Cap-and-Trade System Performance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54(4) s267-s294

Haites E and Mullins F 2001 Linking domestic and industry

greenhouse gas emission trading systems EPRImiddotIEAmiddotIETA

Helm C 2003 ldquoInternational emissions trading with endogenous

allowance choicesrdquo Journal of Public Economics 87 2737-2747

Helm D Hepburn C and Mash R 2003 ldquoCredible carbon policyrdquo

Oxford Review of Economic Policy 19(3) 420-437

IETA 2014 USE OF OFFSET CREDITS ACROSS EMISSION

TRADING SYSTEMS and CARBON PRICING MECHANISMS

IETA 2015 Case Study Linking the Swiss and EU ETS Greenhouse

Gas Market 20152016 Report

ICAP 2019a Canada - Queacutebec Cap-and-Trade System

ICAP 2019b USA - California Cap-and-Trade Program

ICAP 2019c EU Emissions Trading System (EU ETS)

Jaffe J and Stavins RN 2008 Linkage of tradable permit systems

in international climate policy architecture Discussion Paper

08-07 Harvard Project on International Climate Agreements

96

McKibbin WJ Shackleton R and Wilcoxen PJ 1999 ldquoWhat to

expect from an international system of tradable permits for carbon

emissionsrdquo Resource and Energy Economics 21 319-346

McKibbin WJ Morris A and Wilcoxen PJ 2008 Expecting the

unexpected macroeconomic volatility and climate policy Discussion

Paper 08-16 Belfer Center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Affairs

Harvard Kennedy School

Montgomery W D 1972 ldquoMarkets in Licenses and Efficient Pollution

Control Programsrdquo Journal of Economic Theory 5 395-418

Point Carbon 2014 The MSR Impact on market balance and prices

Thomson Reuters

Ranson M and Stavins RN 2015 ldquoLinkag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trading systems learning from experiencerdquo Climate

Policy 16(3) 284-300

Royal Norweigi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08 The Norwegian

Emissions Trading System Presentation to ICAO Workshop

Tietenberg T H 2006 Emission Trading Principles and Practice 2nd

Ed RFF Press

Tuerk A Mehling M Flachsland C and Sterk W 2009 ldquoLinking

carbon markets concepts case studies and pathwaysrdquo Climate

Policy 9(4) 341-357

UNFCCC 2015 Paris Agreement

UNFCCC 2016 Decision1CP21

참고문헌 97

lt기사 및 웹사이트gt

ClimateWire 2013 ldquoEU market troubles will prevent emissions trading

linkage - Califairchiefrdquo

EC 홈페이지 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reform_en

EC 홈페이지 httpseceuropaeuclimapolicieseffortregulation_en

EC 홈페이지 httpseceuropaeuclimapoliciesetsallowances_en

Emissions-ETScom 홈페이지 httpswwwemissions-euetscomcarbon-

market-glossary872-european-union-emissions-trading-system-eu-ets

Emissions-ETScom 홈페이지 httpswwwemissions-euetscomborrowing

Exchange Monitor 홈페이지 ldquoCALIF FORGING AHEAD WITH EMI

SSIONS TRADING NEXT MONTH AIR CHIEF CONFIRMSrdquo

httpswwwexchangemonitorcomcalif-forging-ahead-with-emissions

-trading-next-month-air-chief-confirmsprintmode=1

Federal Office for the Environment Switzerland ldquoLinking of the Swiss

and European emissions trading systems big step forwardrdquo

httpswwwbafuadminchbafuenhometopicsclimatenews-releases

msg-id-67745html

Sandbag Carbon Price Viewer httpssandbagorgukcarbon-price-viewer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Western_Climate_Initiative

심 성 희

現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lt주요저서 및 논문gt

985172배출권거래제의 최적 운영을 위한 사회 여건 연구985173 에너지경제

연구원 기본연구 2012

985172배출권 경매의 이론과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 연구985173 에너지경제

연구원 기본연구 2013

985172우리나라 배출권거래제 진단과 개선방안985173 에너지경제연구원 기본

연구 2017

수시연구보고서 18-02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

2019년 1월 31일 인쇄

2019년 1월 31일 발행

저 자 심 성 희

발행인 조 용 성

발행처 에너지경제연구원

983732983732983733983732983731 울산광역시 종가로 405-11

전화 (052)714-2114(代) 팩시 리 (052)-714-2028

등 록 제 369-2016-000001호(2016년 1월 22일)

인 쇄 디자인 범신

에너지경제연구원 2019 ISBN 978-89-5504-725-7 93320

파본은 교환해 드립니다 값 7000원

본 연구에 포함된 정책 안 등 주요 내용은 에너지경제연구원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닌 연구진의 개인 견해임을 밝혀 둡니다

Page 10: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11: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12: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13: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14: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15: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16: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17: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18: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19: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20: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21: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22: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23: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24: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25: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26: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27: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28: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29: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30: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31: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32: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33: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34: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35: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36: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37: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38: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39: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40: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41: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42: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43: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44: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45: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46: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47: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48: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49: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50: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51: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52: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53: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54: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55: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56: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57: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58: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59: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60: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61: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62: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63: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64: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65: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66: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67: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68: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69: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70: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71: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72: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73: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74: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75: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76: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77: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78: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79: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80: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81: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82: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83: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84: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85: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86: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87: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88: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89: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90: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91: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92: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93: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94: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95: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96: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97: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98: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99: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100: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101: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102: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103: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104: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105: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106: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107: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108: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109: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
Page 110: 배출권거래시장 연계의 최신 논의 동향과 시사점...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TEL I 052. 714. 2114 ZIP I 44543 ISBN 978-89-5504-7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