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 사례...

23
敎育行政學硏究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10, Vol. 28, No. 4, pp. 233~255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 사례 연구 김 혁 연(충남대학교) 요 약 이 연구는 학력향상 중점학교의 운영 준거를 모색하고, 각 준거별 운영 방안 및 가능 요인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구조 변화, 심리 변화, 수업 개선, 교육성과의 4가지 준거를 도출하였다. 또한 각 준거별로 하위 준거들도 도출하였다. 둘째, A초등학교가 운영한 방 , 가능 요인, 성과를 분석하였다. A초등학교는 각 준거별로 다양한 방안들을 운영하였 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운영을 가능케 한 요인도 도출하였다. 또한 A초등학교는 단기적 성과는 물론 다차원적 성과도 긍정적이었다. 셋째, 선행연구 및 A초등학교의 개선점을 토 대로 다양한 방안들을 추가로 논의하였다. 그 결과 준거별로 다양한 방안들을 논의할 수 있었다. [주제어] 학력향상 중점학교, 사례 연구, 운영 준거, 운영 방안, 가능 요인 I. 서 론 이 사회의 모든 조직은 꾸준히 변화하고 발전한다. 이와 같은 추세는 학교도 예외일 수 없는데, 학교 차원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와 발전을 위한 노력이 바로 학교혁신이 . 학교혁신이란 학교교육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학교를 변화시키는 과정 또는 활동 이다(박상완, 2009: 180).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학교혁신으로는 자율학교, 대안학교, 장공모제, 교원 평가, 학력향상 중점학교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학교에 대한 변화와 혁신의 요구 중에서 가장 중요시 되는 것은 아마도 학 생의 학업성취향상일 것이다. 역사적으로 학교교육에서 학생의 학업성취향상이 최고의 목표가 아니었던 적은 없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들어 사교육 문제의 부각과 더불어 공교육에서의 학업성취는 그 어느 때보다도 가장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교육당국의 학교 정책도 학생의 학업성취 향상에 맞춰지고 있다(주삼환정일화, 2010: 5).

Transcript of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 사례...

  • 敎育行政學硏究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10, Vol. 28, No. 4, pp. 233~255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 사례 연구

    김 혁 연(충남대학교)

    요 약

    이 연구는 학력향상 중점학교의 운영 준거를 모색하고, 각 준거별 운영 방안 및 가능

    요인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구조 변화, 심리 변화, 수업 개선, 교육성과의 4가지 준거를

    도출하였다. 또한 각 준거별로 하위 준거들도 도출하였다. 둘째, A초등학교가 운영한 방

    안, 가능 요인, 성과를 분석하였다. A초등학교는 각 준거별로 다양한 방안들을 운영하였

    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운영을 가능케 한 요인도 도출하였다. 또한 A초등학교는 단기적

    성과는 물론 다차원적 성과도 긍정적이었다. 셋째, 선행연구 및 A초등학교의 개선점을 토

    대로 다양한 방안들을 추가로 논의하였다. 그 결과 준거별로 다양한 방안들을 논의할 수

    있었다.

    [주제어] 학력향상 중점학교, 사례 연구, 운영 준거, 운영 방안, 가능 요인

    I. 서 론

    이 사회의 모든 조직은 꾸준히 변화하고 발전한다. 이와 같은 추세는 학교도 예외일

    수 없는데, 학교 차원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와 발전을 위한 노력이 바로 학교혁신이

    다. 학교혁신이란 학교교육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학교를 변화시키는 과정 또는 활동

    이다(박상완, 2009: 180).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학교혁신으로는 자율학교, 대안학교, 교

    장공모제, 교원 평가, 학력향상 중점학교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학교에 대한 변화와 혁신의 요구 중에서 가장 중요시 되는 것은 아마도 학

    생의 학업성취향상일 것이다. 역사적으로 학교교육에서 학생의 학업성취향상이 최고의

    목표가 아니었던 적은 없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들어 사교육 문제의 부각과 더불어

    공교육에서의 학업성취는 그 어느 때보다도 가장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교육당국의

    학교 정책도 학생의 학업성취 향상에 맞춰지고 있다(주삼환․정일화, 2010: 5).

  • 234 敎育行政學硏究

    학력향상 중점학교 제도는 이와 같은 학교혁신과 학업성취향상의 맥락에서 볼 수 있

    다. 학력향상 중점학교 제도는 기초학력미달 학생이 밀집된 학교를 학력향상 중점학교

    로 지정하여서, 해당 학교의 학습지도 역량을 강화하고 학습부진학생을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09: 1). 따라서 학력향상 중점학교란 학생의 학업성취

    도를 개선하기 위한 학교혁신의 하나로 볼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2009년에 시작된 신생 제도인 학력향상 중점학교는 아직까지 여러 가지 문제

    점이 있어 보인다. 우선 선정 방식이다. 학력향상 중점학교는 기존의 정부 사업과는 달

    리 학교 구성원의 의지와 상관없이 정부가 정한 기준에 따라 지정한다. 이로 인해 구성

    원들의 충분한 이해와 공감을 이끌어내지 못해 문제가 될 수 있다. 강영혜․차성현․김양분(2010: 4-5, 50)도 구성원들의 공감대 형성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이와 동시에 다차원

    적이고 지속적인 지원, 차별화된 인센티브, 우수 프로그램의 개발․보급 등에 대한 필요성도 언급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교육과학기술부는 여러 가지 운영 방안들을 나열하는데 그치고 있어 단위

    학교의 운영에 충분하다고 보기 어렵다. 즉 학교별 핵심 쟁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어

    떠한 방안을 어떻게 운영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단 근거와 정보를 충분히 제공한다고 보

    기 어렵다. 교육청도 사정은 마찬가지여서, 교육과학기술부의 기본계획과 거의 같은 내

    용의 계획안을 학교에 하달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에 대한 실제적이고

    도 충분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연구와 지원은 물

    론 학교 차원의 접근도 필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볼 때 학력향상 중점학교의 우수교 사

    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학교 차원의 접근으로서 우수교의 실제 운영 사례를 살펴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는 물론 우수교의 운영 사례를 통해서 학력향상 중점

    학교의 운영 준거를 모색하고, 각 준거별 운영 방안 및 가능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아울러서 우수교의 성과를 분석하고, 우수교의 개선점과 선행연구의 강조점을 바탕으로

    운영 가능한 다양한 방안들을 각 준거별로 추가 논의하기로 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정

    부나 교육청은 물론 단위 학교의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에도 보다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Ⅱ. 학력향상 중점학교의 기본계획 및 선행연구 고찰

    제Ⅱ장에서는 학력향상 중점학교의 기본계획과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학력

    향상 중점학교의 운영 준거를 도출하기로 한다.

  •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 사례 연구 235

    1. 학력향상 중점학교의 기본계획

    학력향상 중점학교 제도는 기초학력미달 학생이 밀집된 학교를 학력향상 중점학교로

    지정, 추가로 재정을 배분하여서 해당 학교의 학습지도 역량 강화 및 학습부진 학생의

    최소화를 목적으로 하는 제도이다(교육과학기술부, 2009: 1). 2009년 학력향상 중점학교

    선정 기준은 이전년도인 2008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에서의 기초학력미달 학생수이다.

    재정 배분은 학생수에 따라 차등 지급하였는데, 초․중등학교 중에서 전문계 고등학교만 기준이 다를 뿐, 나머지 학교들은 똑같은 기준으로 배분하였다.

    우선 전문계 고등학교를 제외한 초․중등학교에는 총학생수 300명 미만일 때 5,000만원, 300명 이상일 때 8,000만원을 배분하였다. 반면에 전문계 고등학교에는 총학생수가

    아닌 미달 학생수를 기준으로, 미달 학생수가 100명 미만일 때 3,000만원, 100명 이상

    200명 미만일 때 5,000만원, 200명 이상일 때 8,000만원을 배분하였다. 하지만 상기 지원

    액은 정부의 교육청 재정 배분 기준이며, 단위 학교 실 배분액은 최대 1억 원 한도 내

    에서 교육청에서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교육과학기술부(2009)는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을 위한 방안들을 4가지 차원에

    서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과 같다.

    교육과학기술부의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 방안 예시

    운영 방안 세부 운영 방안 세부 프로그램

    예방-진단-관리

    시스템

    학습출발점 검사 입학 단계의 언어 이해, 생활 습관, 학습 의욕, 인지기능 검사

    학습 저해요인 진단 교사의 수시 진단, 전문 검사 도구, Wee 클래스 설치․운영학습 동기 관리

    개인별 교육 성공 프로그램, 자기 성장 활동 참여 기회 확대,

    학생에 대한 수시 인센티브 제공, 자아존중감 향상

    학습 이력 관리 학습 상황 및 이력 관리의 체계화, 학부모와 연계

    맞춤형

    학습지도

    서비스

    멘토링 프로그램 대학생 멘토링, 다양한 멘터-멘티 결연, 찾아가는 개인 교사제

    학습보조 인턴교사 교사의 수업 진행을 돕고, 뒤처진 학생들의 학습 지원

    보충학습 프로그램 보충학습 프로그램, 학습 결손 보충, 학습 방법 지도, 진로 지도 등

    교원의

    인식제고

    및 역량강화

    연수 지원 부진 학생 지도, 학생 평가, 학습 상담 등에 관한 연수 제공

    교수․학습 지원 교과연구회, 수업컨설팅, 평가 도구 및 보정 교육자료 개발․보급인력 지원 학습보조 인턴교사, 전문상담 인턴교사, 행정업무 지원

    인센티브 제공 학교 자체 인센티브, 승진 가산점, 성과급 반영, 표창 등

    단위 학교

    역량강화

    지역사회 연계

    재정 지원 전체 학생수를 기준으로 3,000만원에서 8,000만원까지 차등 지급

    자율학교 지정 학교장의 교원 인사 자율권, 학사 및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 확대

    학교경영 컨설팅 제공 계획 수립부터 운영 전반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 지원

    지역사회 연계학교 내에서 진단 및 관리가 어려운 학생에게 지역사회의 관련

    시설 및 프로그램을 이용, Wee 센터 내 학습클리닉 설치․운영*자료: 교육과학기술부(2009: 6-10), A교육지원청(2009a: 7-12; 2009c: 2-3)을 참고하여 작성함.

  • 236 敎育行政學硏究

    우선 예방-진단-관리 시스템이란 학생 전반에 대한 분석 및 이해를 말하고, 이러한 이

    해를 바탕으로 학생 개인별로 필요한 교육의 제공이 바로 맞춤형 학습지도 서비스이다.

    또 교원의 인식제고 및 역량 강화란 예방-진단-관리 시스템이나 맞춤형 학습지도 서비

    스 등의 운영에 필요한 교원의 인식과 역량의 강화를 말하고, 학교 역량강화 및 지역사

    회 연계는 학교에 대한 다양한 지원과 협력을 통해서 학교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에서 보듯이 세부 운영 방안도 4가지 차원별로 다양하게 제시하였는데,

    예방-진단-관리 시스템에 4가지, 맞춤형 학습지도 서비스에 3가지, 교원의 인식제고 및

    역량강화에 4가지, 단위 학교 역량강화 및 지역사회 연계에 4가지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구체적인 논의보다는 여러 방안들을 나열하는데 그치고 있어 충분하다기 보다는 예시적

    성격이 강하다. 또한 학습보조 인턴교사를 맞춤형 학습지도 서비스와 교원의 인식제고

    및 역량강화의 인력 지원에도 제시하는 등 명확히 구분하기도 어렵다.

    2. 학력향상 중점학교에 관한 선행연구

    학력향상 중점학교는 2009년부터 시행된 제도여서 이에 대한 선행연구를 찾아보기 어

    렵다. 그나마 찾을 수 있었던 연구들은 200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전수결과 분

    석의 일환으로 실시한 이화진․오상철․김태은․박소영(2010)의 ‘학력향상 중점학교의 유형별 효과 요인 분석’, KEDI-KAERA 교육 정책 공동 심포지엄에서 차성현(2010)이 발표한

    ‘한국의 학력향상 중점학교의 운영 현황과 과제’ 등이었다. 한편 강영혜 등(2010)은 학력

    격차 해소방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면서 학력향상 중점학교를 논의의 대상에 포함시켰

    다. 이러한 연구들은 연구 결과로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에 필요한 여러 방안들을 강

    조하고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와 같다.

    그런데 를 과 비교해서 살피면 매우 흡사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대부

    분의 학교가 교육과학기술부의 기본 틀 안에서 운영했음을 의미한다. 즉 학력향상 중점

    학교로 지정된 학교들은 교육과학기술부의 기본 틀을 중심으로 운영하였고, 이들 학교

    를 대상으로 연구한 선행연구들의 분석 결과도 마찬가지로 교육과학기술부의 틀에서 벗

    어나기 어려운 것이다.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에 관한 선행연구의 강조 방안

    구분 중요 운영방안

    예방-진단-관리

    시스템

    -학생의 학력에 대한 체계적인 진단(입학 단계, 재학 단계)

    -학습 이력의 체계적인 관리 및 활용

    -학부모 관련 : 정보 공유, 참여 유도, 가정 방문, 학부모 상담, 전화, 폼페

    이지, 핸드폰 문자 전송(SMS), 학부모 연수 등

    -학생 관련 : 학습 동기 및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학생 시상 및 표창,

    장학금 수여, 절대 점수가 아닌 향상율 강조 등

  •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 사례 연구 237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에 관한 선행연구의 강조 방안(계속)

    구분 중요 운영방안

    맞춤형

    학습지도

    서비스

    -운영의 다양화 : 멘토링, 방과 후, 야간, 방학 중 등

    -평가 중심 지양, 학생의 특성․요구․능력에 기반을 둔 과정 중심의 프로그램 운영-교육과학기술부나 교육청 차원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보급, 우수 학교 사례의 발굴․보급

    -다양한 특기적성 프로그램 참여 격려

    -학습보조 인턴교사의 활용

    교원의

    인식제고

    및 역량강화

    -학교장의 리더십 및 교사의 헌신적 노력

    -교과협의회, 동료장학, 자율연수, 교사 동아리 등을 지원

    -차별화된 교원 인센티브

    -학생 지도에만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인력 지원 : 학습보조, 행정 업무 전담 직원, 전문 상담 보조교사 등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연수프로그램

    단위 학교

    역량강화

    지역사회 연계

    -재정 지원 등 정부 지원 사업을 통합하여 역차별적 집중 지원

    -자율학교 : 학사 및 교육과정의 자율화, 교장공모제, 초빙교사제 등

    -지역사회의 인적 자원 : 대학생, 학부모, 지역 인사 등

    -지역사회의 물적 자원 : Wee 센터, 공부방, 지역아동센터, 도서관 등

    -지역 주민들과의 공감대 형성

    *자료: 이화진 등(2010: 167-171, 187), 차성현(2010: 128-130), 강영혜 등(2010: 50, 57-60, 71, 80, 104,

    109-120)을 참고하여 작성함.

    3. 학력향상 중점학교의 운영 준거

    앞서의 제1절과 제2절에서는 학력향상 중점학교에 대한 교육과학기술부의 기본계획과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예방-진단-관리 시스템, 맞춤형 학습지도

    서비스, 교원의 인식제고 및 역량강화, 단위 학교의 역량강화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의 4

    가지 차원에서 논의하고 있으며, 선행연구들도 교육과학기술부의 기본 틀에서 학력향상

    중점학교의 운영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교육과학기술부의 4가지 차원으로 분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

    다. 우선 분류의 어려움이다. 예를 들어서, 학습보조 인턴교사라는 운영 방안은 맞춤형

    학습지도 서비스 차원과 교원의 인식제고 및 역량강화 차원 모두에서 제시되고 있다.

    또 맞춤형 학습지도 서비스는 예방-진단-관리 시스템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어 양자를

    구분하기 어렵다. 앞서의 학력향상 중점학교에 대한 선행연구들도 교육과학기술부의 틀

    을 유지하다보니 다소의 혼란이 있어 보인다. 예를 들어서 차성현(2010: 129-130)은 학부

    모와의 정보 공유 및 연계를 예방-진단-관리 시스템과 연계 차원 모두에서 제시하고 있

    다. 또 이화진 등(2010: 187)도 예방-진단-관리 시스템과 맞춤형 학습지도를 하나의 시스

    템으로 간주하였다.

  • 238 敎育行政學硏究

    다음으로 교육과학기술부의 기본 틀로는 방안을 운영했다는 것 이상의 추가적인 논의

    가 어렵다. 예를 들어서 특정 학교가 ‘학습 동기 관리’ 방안을 운영했음을 확인한 이후

    에, 이러한 학습 동기 관리가 해당 학교의 어떠한 측면에 변화와 효과를 주었는지에 대

    한 추가 논의가 어렵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분석 틀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 학교혁신 연구를 살펴볼 필

    요가 있다. 학교혁신이란 학교를 대상으로 교육기관이 학교 교육의 성과를 위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실행에 옮기는 과정이다(이재훈, 2005: 4). 또한 박상완(2009: 180)

    은 다양한 학자들의 의견을 종합하여서 ‘학교교육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학교를 변화

    시키는 과정 또는 활동’으로 학교혁신을 정의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볼 때 학력향상

    중점학교는 기초학력미달 학생이 밀집한 학교에 대한 지원을 통해서 해당 학교의 교육

    적 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므로 학교혁신의 하나로 볼 수 있다.

    한편 학교혁신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준거는 다양하게 찾을 수 있는데, 우선 발전성과

    효과성을 생각할 수 있다(Stoll, 2002: 김성천, 2009: 61을 재인용). 즉 학교혁신이란 예전

    에 비해 발전해야 함은 물론 그 발전이 효과로 이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김성천(2009: 68-79)은 학교혁신의 3가지 핵심원리로 첫째, 네트워크를 통한 학교 역량

    강화, 둘째, 배움의 공동체를 통한 교사의 성장, 셋째, 참여와 소통의 토론과 합의를 제

    시하고 있다.

    서용희․주철안(2007: 193-195)은 첫째, 프로그램 및 혁신원리, 둘째, 혁신 주체, 셋째, 교육목표, 넷째,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다섯째, 학부모․지역사회 참여 및 외부 지원의 5가지를 학교혁신의 준거로 제시하고 있다.

    박상완(2009: 180-182)은 학교혁신의 사례로 개방형 자율학교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크

    게 4가지 차원의 학교혁신 구성요소들을 제시하고 있다. 학교혁신의 첫 번째 구성요소

    는 구조 변화이다. 구조 변화란 학교가 조직되고 운영되는 방식의 변화를 의미한다. 둘

    째는 심리적 변화이다. 심리적 변화란 학교교육의 목적과 같은 핵심적 가치를 구성원들

    이 공유함을 의미한다. 셋째는 교수․학습 실제 개선이다. 이는 수업의 개선을 의미하는 것으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적용과 같은 실천적인 변화이다. 넷째는 학교교육성과이다. 학교교육 성과는 학습 성취도나 만족도의 개선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학

    교혁신을 확인하고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이상의 학교혁신 준거들을 종합하여 볼 때, 학력향상 중점학교의 운영 준거로 구조

    변화, 심리 변화, 수업 개선, 교육성과의 4가지 준거와 함께 각 준거별 세부 준거들을

    도출할 수 있다. 즉 학력향상 중점학교는 학교혁신으로 볼 수 있으므로, 학교혁신 선행

    연구들이 제시하고 있는 학교혁신의 준거들을 바탕으로 하여서 다음의 과 같은

    학력향상 중점학교의 운영 준거들을 도출한 것이다.

  •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 사례 연구 239

    학력향상 중점학교의 운영 준거

    운영 준거 세부 운영 준거

    구조 변화-학교구성원의 참여와 소통, 토론과 합의

    -네트워크 구축(정부, 교육청, 학부모, 지역사회, 외부의 참여와 지원, 협력 체제 구축)

    심리 변화-학교교육 목적의 변화와 공유

    -학교교육 가치의 변화와 공유

    수업 개선

    -교사의 전문성 개선

    -교수․학습 방법 개선-교육 프로그램 개발․적용-성취도 평가 개선

    교육성과-성취도 개선

    -만족도 개선

    Ⅲ. A초등학교의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 분석

    제Ⅲ장에서는 제Ⅱ장에서 논의한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 준거를 이용하여서 우수교

    로 선정된 A초등학교의 운영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즉 A초등학교가 각 준거별로 어

    떠한 방안을 어떻게 운영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 해당 학교의

    내부 문서들을 분석하였다. 이어서 문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사 4명과의 인터뷰를 진

    행하고, 인터뷰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서 논의를 진행하였다.

    지면 관계상 모든 분석 내용을 제시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운영 전반에 대한 논의는

    각 준거별로 간략하게 제시하는 것으로 대체하고, 세부적인 논의는 A초등학교가 중점을

    두어서 운영한 방안 혹은 우수하거나 개선해야 할 점으로 제기되어서 집중적인 논의의

    대상이 된 운영 방안에 한정하기로 한다.

    1. A초등학교의 학력향상 중점학교 지정 배경

    A초등학교는 읍 지역에 소재한 12학급의 소규모 학교로, 총학생수가 350명 정도이다.

    학구 내 교육 관련 시설이라고는 소규모 도서관에 불과하다. 시내와의 교통편도 불편하

    여서 왕래가 어려운 실정이다. 전반적인 학업성취 수준도 낮은 편이어서 방학 중에는

    교육지원청의 지원으로 학력 캠프를 운영하고 있었다.

    또한 학구 내에는 가정폭력 피해 가정을 보호하는 시설이 있다. 이곳에는 최대 6개월

    정도 머무를 수 있어 1년에도 이들의 전입과 전출이 잦다. 특히 이 시설에 있는 학생들

    은 가정 폭력으로 인하여 장기적인 학습 결손은 물론 정신적․신체적 피해를 입은 경우가 많아서 지도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학교 특성 때문인지 2008년 국가수준

  • 240 敎育行政學硏究

    학업성취도에서 기초학력미달 학생수가 선정 기준을 상회하였고, 이에 따라 2009년에

    학력향상 중점학교로 지정되었다.

    한편 A초등학교 소속 교육청은 교육과학기술부의 재정 배분 기준을 다소 세분화 했

    다. 총학생수가 50명 미만일 때 4,000만원을 배분하였고, 40명 이상 300명 미만일 때에

    는 6,000만원, 300명 이상일 때에는 8,000만원을 배분하였다. A초등학교는 학생수가 300

    명 이상이어서 8,000만원을 지급 받았다. 하지만 8,000만원을 2009년에 모두 지급 받은

    것은 아니어서, 2009년엔 4,800만원을, 2010년에는 나머지 3,200만원을 지급 받았다.

    2. 구조 변화

    A초등학교는 교직원 참여, 학부모 참여,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서 학교의 조직 및 운

    영 방식을 변화시켰다. 이것은 구조 변화의 세부 준거들을 대부분 충족하는 것으로, 이

    에 대한 교사들의 평가도 대체로 긍정적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와 같다.

    구조 변화 차원의 운영 종합

    세부 준거 운영 방안 세부 운영 내용 효과

    학교

    구성원의

    참여 및

    소통

    교직원

    참여

    -학력향상 중점학교로 선정된 이후에 가장 먼저 교원

    협의회 실시-구성원들의 의견

    수렴 및 반영

    -구성원들의 협력

    증진

    학부모

    참여

    -가정통신문, 전화, SMS, 총회 등으로 학부모의 의

    견을 수렴하여 운영

    -학부모 동의 절차 이행

    네트워크

    구축

    교수․학습지원

    -에듀넷,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청 등에서 개발․보급한 학습 자료, 평가 자료의 활용

    -영어교과 동아리 지원, 교직원 워크숍 실시 -학습지도 개선

    -협력체제 형성

    -교사 업무 감소

    -학력 증진

    -방안 운영 가능

    학교경영

    컨설팅 -교육지원청 차원에서 학교컨설팅팀 구성․운영

    인력지원

    (학습보조

    인턴교사)

    -학습보조 인턴교사 연수, 학습보조-교사 간 멘토링

    -학습보조 인턴교사의 역할 : 학습 자료, 학습 보조, 수

    준별 학습 지원, 부진아 맞춤 지도, 과학 실험 보조 등

    재정 지원 -2009년에 4,800만원, 2010년에 3,200만원 지원

    *자료: A교육지원청(2009a; 2009b; 2009c), A초등학교(2009c; 2009d; 2009g; 2009h; 2009j; 2009k; 2009l;

    2009o; 2009q; 2009r; 2009u; 2009v; 2010d)와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함.

    그 중 논의가 활발하였던 학습보조 인턴교사와 재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특히

    학습보조 인턴교사의 경우, 학교에 처음 도입된 제도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 사례 연구 241

    가. 학습보조 인턴교사

    A초등학교(2009g: 1; 2009k: 2-12)는 학습보조 인턴교사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 채

    용부터 복무, 급여, 멘토링 등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계획을 수립했다. 하지만 최초의

    계획은 필요와 요구에 의해서 변경됐다. 다음은 1-2학년으로 재배치된 인턴교사가 직접

    작성한 사례의 일부이다.

    6학년 교실에 있다가 주어진 역할이 적었던 탓에 서로 불편함을 느끼게 된 것 같아 조정

    이 이루어져 저학년 교실로 이동했다. 학력 담당 선생님과 1-2학년 선생님이 모여 협의를 한

    끝에 1학년 한글 미해득 학생 지도와 2학년 수학과 정규수업 시간 보조, 방과 후에 요일별

    로 1-2학년 학력교실 순회라는 역할 부여를 받았다.……(고학년보다)저학년에서 보람을 느꼈

    다(A초등학교, 2009r: 1-2).

    다른 학습보조 인턴교사들도 배정된 교실에 얽매이기 보다는 필요한 학년․학급을 보조했다. 또한 학습보조 인턴교사들의 교직관을 확립하고, 교직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멘토링을 운영했다(A초등학교, 2009k: 1-2). 여기에서 주의할 점은 교육과학기술

    부의 멘토링이 학생과의 멘토링을 의미하는 반면에, A초등학교의 멘토링은 인턴교사와

    의 멘토링을 의미한다는 점이다. A초등학교는 학생과의 멘토링을 실시하지 않았는데,

    이는 학생 멘토링을 위한 인적․물적 기반의 부족 때문으로 보인다.한편 대부분의 일반교사들은 학습보조 인턴교사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교사

    의 업무 경감은 물론 학력 향상에도 도움이 됐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들의 역할이 불분

    명한 점, 학습 보조 보다는 행정 업무 전담 직원이 필요하다는 점, 인턴교사에 대한 연

    수 부족, 인턴교사의 처우 개선 등을 문제로 지적하였다.

    나. 재정 지원 및 집행

    A초등학교는 2009년 지급액인 4,800만원 전액을 집행했고, 부족한 금액에 대해서는

    자체 예산으로 충당했다. 가장 많이 지출한 항목은 인건비였다. 50분을 1시간으로, 주간

    에는 시간당 1만원을, 야간에는 1만2천원을 지급했다. 방과 후 학교 강사비가 시간당 2

    만원임을 감안할 때 많다고 볼 수 없는 금액임에도 불구하고, 가장 많은 지출 항목으로

    총 집행액의 60.6%를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는 식품비, 교통비, 교재비 등으로 집행했다. 석식의 경우 학교 급식실에

    서 운영하다가 여러 가지 문제로 도시락 업체에 위탁했다. 그러다보니 아무래도 영양이

    나 맛 면에서 아쉬웠다고 한다.

  • 242 敎育行政學硏究

    한편 종일 돌봄 운영비에서 교통비로 월 100만원씩 지원받았기 때문에 학력향상 중점

    학교 운영비를 절약했다. 만약에 종일 돌봄 운영비에서 충당하지 못했더라면 아마도 차

    량 운행이 어려웠을 것으로 보인다. 자세한 집행 내역은 다음의 와 같다.

    예산 집행 내역

    항목 집행액(원) 비율(%) 비고

    검사 도구 303,000 0.6 -3학년 다중지능검사, 4-6학년 학습종합능력 검사

    교구비 476,660 1.0 -교사의 요구를 수용하여 구입

    교재비 2,588,370 5.4 -복사, 제본, 문제집 구입 등

    교통비 6,316,000 13.1

    -월 1,600,000원

    (총 2,600,000원 중 1,000,000원을 종일 돌봄 운영비에서 충당

    하고 나머지 1,600,000원을 학력중점 운영비에서 지출)

    소모품비 1,412,700 2.9 -복사지, 프린터 및 복사기 토너 구입 등

    식품비 6,836,390 14.2 -석식, 간식

    워크숍 1,027,500 2.1 -2009.12.11~2009.12.12.(1박2일)

    인건비 29,168,180 60.6

    -주간(일일이 공부방): 시간(50분 수업)당 10,000원

    -야간(야심찬 공부방): 시간(50분 수업)당 12,000원

    -보조 강사료: 1일 40,000원

    총계 48,128,800 100.0 -지원금 보다 초과된 금액은 학교 자체 예산으로 충당함.

    * 자료 : A교육지원청(2009a: 1), A초등학교(2009p: 3; 2010d)를 참고하여 작성함.

    3. 심리 변화

    A초등학교는 학생, 교사, 학부모의 3개 차원별로 심리적 변화를 접근했다. 즉 교사에

    게는 협의회를, 학부모에게는 설명회, 총회, 학습 상담 클리닉을, 학생에게는 버츄 프로

    젝트, 진보상, 상담 등을 제공하여서 ‘학교교육의 목적과 가치의 변화 및 공유’를 도모한

    것이다. 이러한 접근은 심리 변화를 다차원적으로 접근한 것으로 그 의미가 크다. 자세

    한 내용은 과 같다.

    심리 변화 차원의 운영 종합

    세부 준거 운영 방안 세부 운영 내용 효과

    목적의

    변화․공유학생 동기 관리 -버츄 프로젝트, 진보상, 학생 상담 등

    -동기 강화

    -의식 개선

    -참여도 증진

    교사 동기 관리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 관련 협의회 등가치의

    변화․공유 학부모 동기 관리 -전화, 학부모 설명회, 학부모 총회, 학급별 학습 상담 클리닉 등*자료: A초등학교(2009c; 2009d; 2009h; 2009o; 2009q; 2009t 2009u; 2009v)와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작

    성함.

    심리 변화 차원에서 살펴볼 방안은 가장 논의가 활발하였던 학생 동기 관리이다. A초

    등학교 교사들은 학습 동기를 매우 강조했다. 학생 스스로 공부하려는 의지와 목적의식

  •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 사례 연구 243

    을 갖지 않고서는 제아무리 훌륭한 교육프로그램도 소용없다는 것이다. 특히 방과 후에

    최소 2시간에서 최대 4시간 이상의 수업을 더 받아야 했던 A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어떻

    게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유지시키고 강화시키는가에 대한 고민은 매우 심각했던 것으

    로 나타났다.

    학생 동기 관리 방안 중에서도 가장 중점을 두어 운영하였고, 논의가 활발하였던 것

    은 버츄 프로젝트이다. 버츄 프로젝트는 감사, 근면, 배려, 이해 등 미덕 문장 52가지로

    구성된 버츄 카드를 활용하여서 자연스런 대화를 나누는 인성 연마 프로그램이다. A초

    등학교는 이러한 버츄 프로젝트를 인성과 함께 학습 동기를 강화하는데 사용했다. 효과

    적인 운영을 위해서 전문가 초청 교사 연수도 실시했다. 담임교사들은 연수 내용을 바

    탕으로 자신의 학급 특성에 맞게 수정하여서 운영했는데, 다음의 은 2학년 담임

    교사의 운영 사례이다.

    학습 동기 강화를 위한 버츄 프로젝트 운영 사례

    구분 세부 운영 내용

    운영 목적 -일일이 공부방 대상 학생들의 사기 진작 및 학습 동기 강화

    세부 프로그램

    -나의 정체성을 알아 보아요

    -미덕의 언어로 말해요

    -다양한 유희 활동으로 즐겁게 시작해요

    운영 결과

    -학습 동기 강화

    -학습에 대한 재미

    -학습 방법 및 학업 성취도 개선

    *자료: A초등학교(2009t: 1-3)를 참고하여 작성함.

    2학년 담임교사는 버츄 프로젝트의 운영 결과로, 학습에 대한 동기 강화, 학습에 대한

    재미 증가, 학습 방법 및 학업성취도 개선을 꼽았다. 4학년 담임인 이00교사도 버츄 프로

    젝트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 했는데, 몇몇 학생에게는 매우 효과적이었다고 언급했다.

    4. 수업 개선

    A초등학교는 교사의 전문성 개선을 위해서 다양한 교사 연수를, 교육 프로그램 개선

    을 위해서 맞춤형 학습지도를, 교수․학습 방법 개선을 위해서 담임 책임제, 학습저해요인 진단, 학습 이력 관리를, 성취도 평가 개선을 위해서는 다양한 차원의 평가들을 실시

    하여서 수업 개선을 도모하였다. 수업 개선 운영 전반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나타내면

    다음의 과 같다.

    수업 개선 차원에서는 가장 논의가 활발하였던 교사 연수, 학습저해요인 진단, 맞춤형

    학습지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 244 敎育行政學硏究

    수업 개선 차원의 운영 종합

    세부준거 운영방안 세부 운영 내용 효과

    교사

    전문성

    개선

    교사연수

    -교내 자율연수: 교과지도, 생활지도 등

    -교내 자율장학: 자기장학, 동학년, 동료, 학부모초청

    -전문가 초청 연수: 버츄 프로젝트, NLP기법, 초등영어

    교수법

    -연수 이수율 증가

    -교실에의 적용

    -교사 전문성 및

    수업 개선

    교수․학습방법

    개선

    학습

    저해요인

    진단

    -다중지능검사, 학습종합능력 검사, 특수아 판별 검사,

    기본학력 실태 진단, 기초학력 실태 진단 등

    -학생의 정확한 진

    단 및 처방 개선

    학습

    이력관리

    -누적된 학습 관련 정보는 학년 변동 시 인계

    -학습 부진아 관리카드, 개인별 학업성취목표 카드

    -학습지도의 체계

    적 관리

    담임

    책임제

    -학력목표 담임 책임지도제를 실시하여서 단위 시간의

    수업 완성도 개선

    -교사의 책임감

    -수업의 완성도

    교육

    프로그램

    개발․적용맞춤형

    학습지도

    -한글 미해득 학생 개인별 맞춤 지도

    -방과 후: 일일이 공부방(주간), 야심찬 공부방(야간)

    -방학 중: 학력쑥쑥 공부방, 실력쑥쑥 공부방, 6학년 마무리,

    여름 영어 캠프

    -사이버학급 활용 교육

    -다양한 학습 기회

    제공

    -취약 학생 관리

    -Blended-learning

    평가

    개선

    성취도

    평가

    -학교 위주의 평가에서 국가, 교육청, 학교 등의 다차

    원에서 평가

    -평가의 양과 질

    개선

    *자료: A초등학교(2009a; 2009b; 2009d; 2009e; 2009f; 2009i; 2009m; 2009n; 2009p; 2009q; 2009s; 2010a)

    와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함.

    가. 교사 연수

    A초등학교는 생활 지도, 교과 지도, 컴퓨터, 동기 유발 등의 다양한 주제로 교내 자율

    연수를 실시했다. 또 전문가를 초청하여서도 교내 자율 연수를 실시했는데, 연수 내용은

    버츄 프로젝트, NLP기법 상담 연수, 초등영어 교수법 연수 등이었다. 교내 자율 연수와

    관련하여 이00교사는 다음과 같이 진술하였다.

    교원 연수는 다양성 보다는 질적으로 우수한 연수이어야 효과적이라 생각한다. 그런 점에

    서 전문가 초청 연수가 유용했다고 생각한다. 다만 1회로 끝나는 것보다 연간 계획에 의하

    여 지속적으로 깊이 있게 실시했으면 좋겠다. 더불어 (교내 자율 연수 실적이)학점인증제로

    이어지면 좋겠다.

    전문가 초청 연수에 대해서 질적으로 우수하였다고 평함과 동시에 연간 계획에 의거

    지속적이고 심도 있게 이루어질 필요성도 제기했다. 또 교내 자율 연수도 학점인증제나

    연수 실적 등으로 반영할 필요성도 제기했다.

    한편 자율 직무연수 이수는 학력향상 중점학교 선정 이전에 비해서 확연하게 증가했

    다. 2009학년도에 A초등학교 교사 16명이 이수한 연수는 총 49개로, 교원 1인당 3개씩

    이다. 이 중에서 교원능력개발평가 선도시범학교여서 의무적으로 이수한 28개를 제외한

  •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 사례 연구 245

    21개의 연수가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이수한 연수로, 교원 1인당 1.3개씩이다.

    자율 직무연수 이수 현황

    연수 이수 총 횟수 의무적 이수 횟수자발적 이수 횟수

    소계 중점학교 지정 전 중점학교 지정 후

    49(3.1) 28(1.8) 21(1.3) 4(0.3) 17(1.1)

    *자료: A초등학교(2009m: 1-5; 2010a: 1-2)를 참고하여 작성함.

    *( )안의 숫자는 1인당 연수 이수 횟수를 의미함.

    에서 볼 수 있듯이 학력향상 중점학교 지정 전과 비교해 볼 때 직무연수 이수

    횟수가 3배 가까이 증가했다. 교원 1인당 0.3개에서 1.1개로 증가한 것이다. 이처럼 3배

    가까이 증가한 점은 긍정적이지만, 교원 1인당 자율 직무연수 이수 횟수가 충분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나. 학습저해요인 진단 및 특수아 판별 검사

    A초등학교는 학습저해요인 진단을 여러 차례 실시했는데, 그 중에서 다중지능 검사와

    학습종합능력 검사, 특수아 판별 검사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다중지능 검사와

    학습종합능력 검사이다. A초등학교는 2009년 7월 8일에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지능

    영역, 학습 동기, 심리 및 학습 습관 등을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다중지능검사 및 학습종

    합능력검사를 부진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다중지능검사는 3학년을 대상으로, 학습종

    합능력검사는 4-6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했는데, 검사 후 전문 검사기관에 분석을 의뢰했

    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수준별 학습지도 계획 수립, 교재 제작․구입, 부진아 지도 카드 제작 등 이후의 학생 지도에 활용했다.

    다중지능 및 학습종합능력 검사 내용

    구분 세부 운영 내용

    일시 2009.07.08.(수), 5-6교시

    대상 경계선아, 기초학력 부진아, 교과학습 부진아 67명

    (3학년 12명, 4학년 13명, 5학년 18명, 6학년 24명)

    검사 도구 KMIS-E 다중지능검사, 학습종합능력검사

    * 자료: A초등학교(2009f)를 참고하여 작성함.

    이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은 다음과 같다.

    (이00교사)학습종합능력 검사는 학생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학생

    의 학습 능률을 높이는데 기여했다고 본다. 이러한 검사를 부진 학생뿐 아니라 모든 학생들

  • 246 敎育行政學硏究

    에게 실시해서 학생 개인별 맞춤형 학습 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이00교사)학습종합능력 검사 결과를 가정에도 보내어 부모 또한 학생에 대해 바르게 이

    해하고 생각하는 계기를 줄 필요가 있다. ……공교육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체계적인 진단프로그램을 통한 계획수립과 효과적인 지도 및 피드백이 필요하다고 본다.

    (강00교사)다중지능검사 결과를 학부모와 함께 공유했어야 했다. 자기 자녀의 정확한 상태

    를 부모가 알아야 협조가 가능할 것이다.

    이처럼 다중지능 및 학습종합능력 검사에 대한 인식은 매우 긍정적이다. 전체 학생을

    정확히 진단하고 학부모와의 협력 관계를 구축한다면, 학생 특성과 상황에 맞는 프로그

    램의 제공 및 학생의 학력 증진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한편 A초등학교는 다중지능 및 학습종합능력 진단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 학생 3명에게 소속 교육지원청에 의뢰하여서 특수아 판별 검사를 실시했

    다. 그 결과 3명 중 2명이 학습장애 학생으로 선정되었고(A초등학교, 2009q: 3), 2010년

    현재 특수교육을 받고 있다.

    다. 맞춤형 학습지도

    A초등학교는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했는데, 전반적인 내용은 에 제시해

    놓았다. 여기에서는 한글 미해득 학생 집중지도, 사이버학급 활용 공부사랑 동아리, 방

    과 후 보충학습 프로그램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한글 미해득 학생 집중지도

    이다. A초등학교는 학습보조 인턴교사를 활용하여서 1학년 한글 미해득 학생을 집중지

    도 했다. 1학년 2명 정도의 학생들이 한글을 읽고 쓰는데 문제가 있었는데, 이 학생들을

    특별실에서 매일 2시간씩 지도한 것이다. 이러한 한글 미해득 학생 집중지도는 학생들

    의 한글 학습에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A초등학교, 2009q: 1-3).

    둘째, 사이버학급 활용 학생지도이다. A초등학교의 12개 학급 중 5개 학급이 교육청

    에서 운영하는 사이버학급을 학생지도에 활용했다. 특히 4학년의 경우 사이버학급을 공

    부사랑 동아리로 연계시켜 Blended-learning을 실시했고(A초등학교, 2009a), 그 결과 학

    력 우수 사례로 선정되었다. 4학년 담임교사는 진단평가 및 가정환경, 개인특성을 토대

    로 6명을 선정했다(A초등학교, 2009a: 2). 학습 활동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에 걸쳐 다양

    하게 이루어졌다. 오프라인 활동으로는 도서관 활용 교육, 주말 협동 학습, 차시별 형성

    평가 결과에 따른 방과 후 보충지도 등이 있었다. 온라인 활동으로는 쪽지를 통한 친구

    간 우정 교류 및 학습 피드백, 칭찬릴레이 게시판, 학업성취에 따른 네트워크 게임방,

    공지사항 게시판의 알림장, 소속 교육청의 문자시스템(SMS)을 활용한 학부모의 참여와

    협력 유도, 학습 콘텐츠 및 평가지를 활용한 자기주도적 학습, 과제평가 메뉴, 학습 진

    도 메뉴를 통한 학생의 학습 상황 관리, 토론실, 자유 게시판, 앨범 게시판 등을 운영했

  •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 사례 연구 247

    다(A초등학교, 2009a). 담임교사 이00교사는 학생들이 재미있는 콘텐츠를 활용하여

    학습에 흥미를 갖게 된 점, 부진학생 수준에 맞는 학습을 제공할 수 있었던 점을

    효과로 언급했다.

    셋째는 방과 후 보충학습 프로그램인데, 크게 2가지로 볼 수 있다. 하나는 정규수업

    이후의 2시간을 활용한 일일이 공부방이고, 다른 하나는 일일이 공부방 이후의 2시간을

    활용한 야심찬 공부방이다. 방과 후 보충학습 프로그램에서 지도한 과목은 1-2학년의 경

    우 국어와 수학 2개 과목, 3-6학년의 경우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5개 과목이었다.

    한편 야간 학습인 야심찬 공부방은 5-6학년만을 대상으로 운영했는데, 국가수준 학업성

    취도 평가까지는 6학년을, 평가 이후에는 5학년을 대상으로 운영했다. 즉 5-6학년은 전

    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방과 후 2시간, 부진아 및 희망자들로만 추가적으로 2시간씩 더

    운영한 것이다. 물론 야심찬 공부방의 지도 내용은 일일이 공부방과는 달랐다. 일일이

    공부방이 기본 및 심화 학습에 중점을 두었다면, 야심찬 공부방은 기초 및 기본 학습에

    중점을 둔 것이다. 그러면서 저녁 식사 혹은 간식, 등․하교 차량을 운영했다(A초등학교, 2009d; A초등학교, 2009n; A초등학교, 2009p).

    방과 후 보충학습 프로그램에 의한 학년별 수업시수 증가율

    학년 보충 교과 주당 보충 수업시수주당 정규 수업시수 수업시수 증가율(%)

    전체 교과 보충 교과 전체 교과 대비 보충 교과 대비

    1-2 2개(국어, 수학) 10 25 11 40.0 90.9

    3 5개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10 29 18 34.5 55.6

    4 10 29 17 34.5 58.8

    5-6 10 32 18 31.3 55.6

    5-6(야간) 20 32 18 62.5 111.1

    은 방과 후 보충학습 프로그램에 의한 수업시수 증가율이다. 정확한 증가율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보충학습 프로그램의 전체 운영 기간에 대한 자료를 활용해야 하겠

    지만, 해당 자료를 찾을 수 없어 편제상의 주당 수업시수를 활용했다. 따라서 위의 분석

    결과를 그대로 신뢰하기는 어렵지만 대략적인 증가율과 순서를 확인하는 데에는 큰 무

    리가 없다.

    먼저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학년은 야간 학습을 한 5-6학년이다. 다음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인 학년은 1학년으로, 이는 주당 수업시수가 고학년에 비해서 적은데 비해

    보충 수업시수는 고학년과 똑같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은 전체적인 맥락에서 볼 때

    동일하게 나타나는 현상인데, 야간 학습을 한 5-6학년을 제외하면, 증가율은 1-2학년이

    가장 높고, 3학년, 4학년, 5-6학년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학년의 특성을 반영하

    지 않은 것으로, 저학년일수록 보충 수업에 의한 수업시수 증가율은 물론 수업에 대한

    부담감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 248 敎育行政學硏究

    한편 야심찬 공부방에 대해서는 긍정과 부정이 양립했다. 학구 특성상 밤에도 혼

    자 있는 학생들이 많은데 이들을 학교에서 보호하고 교육시켰다는 점은 긍정으로,

    그로 인해 학생은 물론 교사들도 체력적․정신적으로 힘들었다는 점에 대해서는 부

    정으로 나타났다. 또 저녁 급식 문제에 대해서도 저녁까지 제공해서 좋았다는 의견

    과 아무래도 도시락이다 보니 부족했다는 의견이 양립했다. 하지만 평가 위주의 운

    영에 대해선 반대 의견이 많았다. 학생의 진정한 학력을 무엇으로 볼 것인가를 고

    민해 볼 때, 그리고 학생의 특성과 능력, 상황 등을 고려해 볼 때 모든 학생을 평가

    위주로 운영하는 것에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선행연구에서도 평가 위주의 운영은

    현행 학력향상 중점학교의 문제점으로 거론되고 있으며, 문제해결력이나 창의성 같은

    고등정신능력을 개발하는 데에도 한계를 보인다(강영혜 등, 2010: 71).

    Ⅳ. A초등학교의 운영 성과 분석 및 운영 방안 추가 논의

    제Ⅳ장에서는 제Ⅲ장의 운영 분석 결과를 토대로 A초등학교의 성과 및 가능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아울러서 운영 가능한 다양한 방안들을 A초등학교의 개선점과 선행연

    구의 강조점을 바탕으로 하여서 각 준거별로 추가 논의하기로 한다.

    1. 교육성과 및 가능 요인

    제Ⅲ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A초등학교는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 준거들을 대부분

    충족하고 있었다. 즉 학교의 조직 및 운영 방식과 구성원들의 심리를 긍정적으로 변화

    시켰고, 다양한 방안들을 통해서 수업을 개선하였다.

    이러한 변화와 노력 덕분인지 A초등학교의 6학년 전체 학생들이 국가수준 학업성취

    도에서 기초학력 이상을 도달하였다. 즉 학력향상 중점학교의 궁극적인 목적인 학습부

    진 학생의 최소화를 달성한 것이다. 그 결과 학력향상 중점학교 우수교로 선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학생과 학부모의 학습 지도에 대한 만족도도 개선되었다.

    A초등학교의 단기적 교육성과 분석

    세부준거 운영방안 세부 운영 내용

    성취도 개선 학업성취도 개선 -6학년 전체 학생들이 기초학력 이상 도달

    -학력향상 중점학교 우수교로 선정

    만족도 개선 만족도 개선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및 학교교육 참여도 개선

    *자료: A교육지원청(2010), A초등학교(2009d; 2009q)와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함.

  •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 사례 연구 249

    하지만 와 같은 단기적 성과로 A초등학교의 성과를 평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학교교육의 성과는 눈에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단시일에 드러나는 것도 아니

    기 때문이다. 한편 박상완(2009: 189-190)은 이와 같은 한계를 전제하면서도 3가지 차원

    에서 학교교육의 성과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를 본 연구에 맞게 적용시키면, 첫

    째는 운영 준거의 충족 여부이고, 둘째는 지속성이며, 셋째는 일반학교로의 확산 가능성

    이다. 이와 같은 3가지 차원으로 성과를 분석하면 다음의 과 같다.

    A초등학교의 교육성과에 대한 다차원적 분석

    운영 준거의 충족 여부 지속성 확산 가능성가능 요인

    준거 세부 준거 운영 방안 가능 조건 가능 조건

    구조

    변화

    학교구성원의

    참여 및 소통

    교직원 참여 1 ․ 1 ․ -분명한 목적 설정, 교원 협의회학부모 참여 5 ․ 5 ․ -분명한 목적 설정, 교사의 노력

    네트워크 구축

    교수․학습 지원 2 2 2 2-학교 차원의 효과적인 계획과 운영-정부 및 교육청 차원의 지원

    학교경영 컨설팅 ․ 1 ․ 1인력 지원 ․ 1 ․ 1재정 지원 ․ 1 ․ 1

    소 계 8 5 8 5

    심리

    변화

    목적의 변화․공유 학생 동기 관리 2 1 2 1 -분명한 목적과 가치의 설정․공유 (학력향상 중점학교 지정)-교사의 노력

    교사 동기 관리 1 ․ 1 ․가치의 변화․공유

    학부모 동기 관리 4 1 4 1

    소 계 7 2 7 2

    수업

    개선

    교사 전문성 개선 교사 연수 2 2 2 2-분명한 목적과 가치의 설정․공유-학교 차원의 다양한 연수 제공

    교수․학습 방법 개선학습저해요인 진단 2 3 2 3 -전문 검사 도구는 추가 재정 필요

    학습이력 관리 2 ․ 2 ․ -개인별 학업성취목표 카드 제작․활용담임 책임제 1 ․ 1 ․ -교원 협의체 운영 지원 필요

    교육 프로그램 맞춤형 학습지도 1 7 1 7-학교 차원의 효과적인 계획과 운영-정부 및 교육청 차원의 지원-교사의 노력

    성취도평가 개선 성취도 평가 3 ․ 3 ․ -정부 및 교육청의 자료 개발․보급소 계 11 12 11 12

    총 계 26 19 26 19

    *지속성 및 확산 가능성의 ‘가능’과 ‘조건’의 분류 기준은 추가적인 재정이나 지원의 필요성임.*가능 요인은 A초등학교의 문서 및 인터뷰 분석 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것으로, A초등학교가 해당 방안들을 운영할 수 있었던 요인을 의미함.

    앞서의 제Ⅲ장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A초등학교는 각 준거별로 다양한 방안들을 운

    영했는데, 구체적으로는 구조 변화에 13가지, 심리 변화에 9가지, 수업 개선에 23가지

    등 총 45가지의 방안들을 운영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방안들의 운영으로 학력향상 중점

    학교의 운영 준거를 대부분 충족하고 있었으며, 교사들도 이에 대해서 대체적으로 긍정

    적인 평가를 하였다.

    한편 A초등학교의 45개 운영 방안 중에서 57.78%인 26가지의 방안들은 지속 가능하

    고 일반학교에도 확산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서 A초등학교의 심리 변화 방안들은 추가

    적인 재정이나 지원 없이도 가능하다. 또한 구성원들의 참여와 소통을 이끌어 내는 것

  • 250 敎育行政學硏究

    에도 심리 변화만으로 충분하다. 하지만 이는 학력향상 중점학교로 선정되었다는 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분명한 목적이 주어질 필요가 있다. 이와는 반

    대로 추가적인 재정이나 지원이 있어야만 운영 가능한 방안들도 있었는데, 19가지로 전

    체의 42.22%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다양한 방안들의 운영을 가능케 한 요인을 A초등학교의 문서 및 인터뷰에 근

    거하여 방안별로 도출하였다. 이에 대한 세부적인 논의는 지면 관계상 의 ‘가능

    요인’의 제시로 대체한다.

    2. 각 준거별 운영 방안에 대한 추가 논의

    A초등학교는 학력향상 중점학교의 운영 준거별로 다양한 방안들을 운영했다. 아무래

    도 전국적으로 처음 운영하는 학력향상 중점학교이기에 무엇을 우선하고 무엇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지 판단하기 어려웠기 때문으로 보인다. 하지만 다양한 방안들의 운영 사례

    는 이후의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한편 A초등학교에서는 다양한 개선점도 논의되었다. 예를 들어서 구조 변화의 세부

    준거인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서는 정부-교육청-학교-지역사회와의 유기적 연계가 필요하

    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A초등학교의 개선점과 선행연구 분석 결과에 기초하면 다음의

    와 같은 다양한 운영 방안들을 추가적으로 논의할 수 있다.

    학력향상 중점학교의 운영 방안에 대한 추가 논의

    운영 준거 세부 준거 운영 방안

    구조

    변화

    학교 구성원의

    참여 및 소통

    -학사․교육과정․교원 인사의 자율성 확보-정부 지원 사업을 통합한 역차별적 집중 지원

    -다양한 인적 자원 지원으로 학생지도에만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정부-교육청-학교-지역사회의 유기적 연계와 지원 체계 구축

    -학부모와의 연계 시스템 구축(상설 대화 창구, 가정 방문 등)

    네트워크 구축

    심리

    변화

    학교교육의

    목적과 가치의

    변화 및 공유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개인별 교육성공 프로그램, 장학금 수여

    -차별화된 교원 인센티브(수당, 승진가산점 등)

    -학부모 연수

    수업

    개선

    교사 전문성 개선-교내 연수의 질적․체계적 관리 및 직무연수 등으로 인정-분명한 목적 설정과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연수 프로그램 지원

    교수․학습 방법 개선

    -학생 전문 검사를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입학생, 재학생)

    -교과 협의회, 교사 동아리 등의 활성화 지원

    -교실 수업과 가정 학습의 연계

    교육 프로그램

    개발․적용-정부나 교육청 차원의 프로그램 개발, 우수 학교 사례를 발굴

    -학생의 특성․요구․능력을 반영한 과정 중심의 프로그램의 운영-다양한 특기적성 프로그램 참여 격려

    -학생에 대한 멘토링 운영

    평가 개선 -지필평가 위주에서 벗어난 다양한 형태의 평가

    교육

    성과

    학업성취도 개선 -단기적인 개선이 아니라 지속성 필요

    -종합적이고 지속적인 지원 필요만족도 개선

    *자료: A초등학교의 개선점과 선행연구의 강조점을 반영하여 작성함.

  •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 사례 연구 251

    Ⅴ. 결론 및 제언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A초등학교의 운영 사례를 통해서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

    준거를 모색하고, 각 준거별 운영 방안과 가능 요인을 분석하였다. 아울러서 우수교의

    성과를 분석하고, 우수교의 개선점과 선행연구의 강조점을 반영하여서 다양한 운영 방

    안을 논의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진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학력향상 중점학교의 기본계획, 학력향상 중점학교에 대한 선행연구, 학교혁신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학력향상 중점학교의 준거를 구조 변화, 심리 변화, 수업

    개선, 교육성과의 4가지로 볼 수 있었다. 또한 각 준거별로 하위 준거들도 도출할 수 있

    었다.

    둘째, A초등학교는 각 준거별로 다양한 방안들을 운영하였다. 구조 변화에 13가지, 심

    리 변화에 9가지, 수업 개선에 23가지로 총 45가지의 방안들을 운영하였다. 이러한 45가

    지의 운영 방안 중에서 추가적인 재정이나 지원 없이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은 26개로,

    전체 방안의 57.78%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구조와 심

    리의 변화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참여와 소통으로 전체 구성원들이 분명한 목적

    의식을 가지고 헌신과 노력을 기울였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따라서 학력향상 중점

    학교에 대한 지원은 재정뿐만 아니라 해당 학교 구성원들의 구조와 심리를 어떻게 변화

    시킬 것인지에 대해서도 충분히 논의되어야 한다.

    한편 추가적인 재정이나 지원이 있어야만 운영 가능한 방안들은 42.22%인 19가지로

    분석되었다. 비율로는 42.22%로서 앞서의 57.78%에 비해 낮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19

    가지의 운영 방안은 학교경영 컨설팅이나 학생에 대한 전문 검사 도구, 맞춤형 학습지

    도, 전문성 개발 등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에 상당히 중요한 방안들인데 추가적인 재

    정이나 지원 없이는 운영이 불가능하다. 실제로 A초등학교는 19가지의 방안을 운영하는

    데 2009년 지원금 4,800만원을 초과하여 지출하였다. 종일 돌봄 운영비에서 월 100만원

    씩 충당했음에도 초과된 것으로, 학력향상 중점학교에 대한 보다 집중적인 지원이 필요

    하다.

    셋째, 학력향상 중점학교의 성과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단기적인 성과뿐만 아니라 다

    양한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효과와 개선이 단기적으로 끝나지 않

    고 지속되기 위해서는 종합적이고 지속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넷째, A초등학교의 개선점과 선행연구의 강조점을 반영하면 다양한 운영 방안을 추가

    로 논의할 수 있다. 즉 학력향상 중점학교의 운영을 위해서는 이론적 접근과 실제적 접

    근이 모두 필요하다. 특히 학력향상 중점학교의 경우, 실제 현장에 적용해야 하는 제도

    이므로 이론적 접근은 물론 실제적 접근도 상당히 중요하다.

  • 252 敎育行政學硏究

    이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바탕으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력향상 중점학교의 운영 준거에 대한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학기술부의 기본계획 및 선행연구에 대한 논의의 결과로 4가지의 운영 준거 및

    세부 준거들을 제시하였는데, 보다 다양한 논의를 통해서 학력향상 중점학교의 운영 준

    거를 체계적이고 실제적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앞서의 운영 준거에 대한 논의와 함께 개별 운영 방안에 대한 심층 논의도 필

    요할 것으로 보인다. 즉 각각의 운영 방안을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 우수한 점과 개선점

    은 무엇인지에 대한 심층 논의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A초등학교가 운영

    한 방안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는데, 이러한 논의는 정부, 교육청, 학교 등 다양한 차원에

    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운영 방안들의 우선순위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여러 가지 방안들을 나열하기

    보다는 이들 간의 우선순위를 모색한다면,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학력향상 중점학

    교 운영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본다.

  •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 사례 연구 253

    참고문헌

    강영혜 ․김양분 ․류한구 ․김재철 ․강태중(2004). 교육격차의 실태 및 해소방안 연구. 수탁연구 CR 2004-48.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강영혜 ·차성현 ·김양분(2010). 학력격차 해소방안 연구. 수탁연구 CR 2010-01.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학기술부(2009). 학력향상 중점학교 지원 기본계획(안).

    김성천(2009). 학교 혁신의 핵심원리: 교장공모제를 실시한 D중학교를 중심으로. 교육

    사회학연구. 19(2). 59-89.

    박상완(2009). 개방형 자율학교의 학교혁신 사례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7(2). 177-01.

    서용희․주철안(2007). 미국의 성공적인 학교교육혁신사례 비교연구. 비교교육연구. 17(3). 191-215).

    이재훈(2005). 카오스 이론에 의한 학교 혁신 과정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3(2). 1-22.

    이화진 ․오상철 ․김태은 ․박소영(2010). 학력향상 중점학교의 유형별 효과 요인 분석. 제5회 KICE 교육과정․평가 정책포럼. 연구자료 ORM 2010-14. 141-208.

    주삼환 ․이석열 ․정일화 편역(2009). 미국의 최우수 학교 블루리본 스쿨. 서울: 학지사.주삼환 ․정일화 역(2010). Robert J. Marzano․Debra J. Pickering․Jane E. Pollock. 학업성

    취 향상 수업전략. 서울: 시그마프레스.

    차성현(2010). 한국의 학력향상 중점학교의 운영 현황과 과제. KEDI-KAERA 교육 정책

    공동 심포지엄. 연구자료 RRM 2010-03. 117-142.

    A교육지원청(2009a). 교육과학기술부 학력향상 중점학교 지원 계획 안내. 내부 자료.

    (2009b). 학력향상 중점학교 학습보조 인턴교사 연수 참석 안내. 내부 자

    료.

    (2009c). 학력향상 중점학교 8월중 지도 및 컨설팅 계획 송부. 내부 자료.

    (2010). 2009학년도 학력향상중점학교 운영 우수교 지원. 내부 자료.

    A초등학교(2009a). 2009 공부사랑 동아리 공모 계획서 제출. 내부 자료.

    (2009b). 명품수업 영어교과동아리 운영계획서 제출. 내부 자료.

    (2009c). 학력향상 학부모총회 개최 안내문 발송. 내부 자료.

    (2009d). 교육과학기술부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계획서 제출. 내부 자료.

    (2009e). 2009 A여름 영어 캠프 실시계획. 내부 자료.

    (2009f). 학력향상중점학교 운영에 따른 다중지능 및 학습종합능력 검사 실시.

    내부 자료.

    (2009g). 학력향상중점학교 학습보조 인턴교사 활용계획서 제출. 내부 자료.

    (2009h). 7,8월 학기 중 및 방학 중 'A학력교실' 참가신청을 위한 가정통신문

    발송. 내부 자료.

  • 254 敎育行政學硏究

    (2009i). 2009 방학 중 단기집중 영어교육 프로그램(영어캠프) 운영결과 제출.

    내부 자료.

    (2009j). 학력향상 중점학교 학습보조 인턴교사 연수 참석자 명단 제출. 내부

    자료.

    (2009k). 학력향상 중점학교 학습보조 인턴교사 채용 관련 교내연수. 내부 자료.

    (2009l). 학력향상 중점학교 학습보조 인턴교사 채용관련 감사원 요구자료

    제출. 내부 자료.

    (2009m). 연수 지명자 명부. 내부 자료.

    (2009n). 2학기 중 ‘A학력교실’ 운영 계획 일부 변경. 내부 자료.

    (2009o). 2009학년도 6학년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홍보 가정통신문 발송.

    내부 자료.

    (2009p). 2학기 중 ‘A학력교실’ 운영 계획 일부 변경(10월 12일 기준). 내부

    자료.

    (2009q). 학력향상 중점학교 자체평가표 제출. 내부 자료.

    (2009r). 학력향상중점학교 학습보조인턴교사 운영 우수사례(프로그램) 및 체

    험수기 제출. 내부 자료.

    (2009s). 2009 교원전문성 신장 및 학력증진을 위한 교직원 워크숍 실시.

    내부 자료.

    (2009t).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 개요 및 동기, 자신감 제고 프로그램 운영

    사례 제출. 내부 자료.

    (2009u). 겨울방학 중 'A학력교실'관련 가정통신문 발송. 내부 자료.

    (2009v). '동계교과캠프' 관련 가정통신문 발송. 내부 자료.

    (2010a). 연수 지명자 명부. 내부 자료.

    (2010b). 2010년 교육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 관련서류 제출. 내부 자료.

    (2010c). 2010학년도 학력향상중점학교(자율학교 지원) 운영계획서 제출. 내

    부 자료.

    (2010d). 2009학년도 학교회계 결산서 제출. 내부 자료.

  •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 사례 연구 255

    Abstract

    A Case Study on the Operation of an Academic Ability

    Improvement-oriented School

    Kim, Hyeok-Yeon (Chungnam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seek the criteria to achieve the purpose of an academic

    ability improvement-oriented school, and to analyze the plans to operate each

    standard and the possible factors.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we

    conducted this study as follows.

    First, we derived 4 criteria on structural changes, psychological changes,

    instructional improvement, and educational performance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Also, we derived also sub-criteria by each criterion.

    Second, we analyzed plans, possible factors and performances operated by A

    elementary school. I identified that A elementary school operated various plans

    by each criterion, and we derived also factors which made this operation

    possible. And, A elementary school was positive in the multidimensional

    performance as well as the short-term performance.

    Third, we additionally discussed various plans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and A elementary school's improvements. As a result, we were able to

    discuss various plans by each criterion.

    [Key words] Academic improvement-oriented school, case study, criteria for

    operation, plans for operation, possible factors

    ▣ 접수일(2010. 10. 31), 심사일(1차: 2010. 11. 13, 2차: 2010. 12. 11), 게재확정일(2010. 1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