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GLR 2014-05) 제2차 부천시평생학습 중장기 종합발전 ... · 2019. 7....

135
제2차 부천시 평생학습도시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2015~2019) 과제수행 경기평생교육진흥원 과제책임 원장 과제담당 평생학습정책연구실 연구책임 실장 고은현 연 구 원 김남희 연구보고서 GLR 2014-05

Transcript of (연구보고서 GLR 2014-05) 제2차 부천시평생학습 중장기 종합발전 ... · 2019. 7....

  • 제2차 부천시 평생학습도시 중장기 종합발전계획(2015~2019)

    과 제 수 행 : 경기평생교육진흥원

    과 제 책 임 : 원장 이 성

    과 제 담 당 : 평생학습정책연구실

    연 구 책 임 : 실장 고은현

    연 구 원 : 김남희

    연구보고서 GLR 2014-05

  • 이�보고서는�경기평생교육진흥원의�시� ․ 군�평생교육�중장기�발전계획수립�지원�사업에�의해�수행된�것으로�무단�복제를�금합니다.

  • 발간사

    평생교육은 인생 100세, 국민소득 3만 달러 시대의 필수 요소이자 우리의 자산입니다.

    핀란드, 스웨덴, 덴마크 등 북유럽 선진국들은 이미 평생교육을 성공적으로 정착시켰으

    며, 이는 경제 위기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국가의 경쟁력으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이

    러한 점에서 세계 속의 경기도가 갖추어야 할 경쟁력은 평생교육에서 비롯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지금까지의 평생교육은 각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개별적으로 추진되었다면, 앞으로

    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국가, 도 및 지역사회 자원을 서로 연계하여 통합체제로 도민에게

    다가갈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각 시·군에서는 유관 사업들을 조망하고 체계적인

    평생교육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을 추진해야 할 것 입니다.

    이러한 배경에 기초하여 본원에서는 지난 2012년부터 평생교육 컨설팅을 통해 시․군

    의 5개년 평생교육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본 사업을

    통해 진흥원과 시․군 담당자가 함께 지역의 정치·경제·사회·문화·교육 등 전반에 걸친

    평생교육 환경을 분석하고, 평생교육 관계자 및 지역주민의 요구를 조사함으로써 내실

    있는 발전과제를 도출하였습니다.

    부천시는 지난 2002년 경기도에서는 두 번째 평생학습도시로 선정되어 타 시 ‧ 군의

    선도 사례로 자리매김 하였으며, 특히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평생학습도시를 조

    성하였다는데 큰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2004년 평생학습도시 1차 종합발전계획이 수

    립된 후 다양한 시도들이 이어져 왔으며 이제 본 종합발전계획을 기점으로 다시 한 번

    재도약하는 기회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분주한 가운데서도 지원을 아끼지 않으신 부천시 평생학습팀 구성원 및 실무협의회

    위원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끝으로 성실히 연구를 수행한 우리 원 평생학습정책

    연구실의 고은현 실장, 김남희 연구원에게 따뜻한 격려를 표합니다.

    2014년 12월

    경기평생교육진흥원장

  • 제2차 부천시 평생학습도시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CONTENTS

    Chapter1. 서론

    1. 계획수립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내용 및 방법··································································································· 6

    3. 연구 추진체계········································································································ 8

    Chapter2. 부천시 평생교육 현황 분석

    1. 지역 환경분석········································································································11

    가. 지리적 특성 ···········································································································11

    나. 산업 및 경제적 특성 ······························································································13

    다. 교육 및 문화적 특성 ······························································································19

    2. 평생교육 현황분석··································································································24

    가. 추진체제 ················································································································24

    나. 평생교육 정책사업 및 예산 ····················································································32

    다. 평생교육 인프라 ·····································································································49

    3. SWOT 분석···········································································································52

    Chapter3. 부천시 평생교육 실태 조사

    1. 조사개요················································································································55

    가. 조사내용 및 범위 ···································································································55

    나. 조사방법 ················································································································56

    2. 조사결과················································································································58

    가. 시민 평생학습 인지도 및 참여 실태 조사 ······························································58

    나. 기관 프로그램 현황 조사 ·······················································································63

    다. 기관 참여자 학습실태 및 만족도 조사 ···································································69

  • 제2차 부천시 평생학습도시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CONTENTS

    Chapter4. 제2차 부천시 평생학습도시 발전체계

    1. 제2차 평생학습도시 종합발전계획 수립··································································75

    가. 중점방향 ················································································································75

    나. 부천시 제2차 평생학습도시 종합발전계획 비전체계 ···············································78

    다. 상위계획과의 연계성 ·····························································································80

    라. 발전모델 구축 ·······································································································82

    2. 전략과제별 실행계획······························································································83

    가. 평생학습의 변화를 선도하는 시스템 ······································································83

    나. 지역자원을 움직이는 네트워크 ··············································································90

    다. 주민이 중심이 되어 가치를 창출하는 마을학습 ·····················································97

    라. 학습장벽이 사라지는 지역공동체 조성 ·································································103

    마.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생활권 단위 학습공간 ························································108

    바. 일상에서 학습을 실천하는 문화조성 ····································································114

    Chapter5. 세부 실행계획

    1. 추진일정··········································································································· 123

  • 제2차 부천시 평생학습도시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표 목차

    부천시 인구 변화 ······················································································································3

    마을중심의 평생학습 발전단계 ···································································································5

    부천시 평생교육 통계조사 개요 ·································································································6

    계획 수립의 추진 절차 ··············································································································8

    행정구역별 평생학습권역 구분 ·································································································11

    부천시 행정구역별 인구 현황(2014) ························································································12

    부천시 인구부양비 현황 ···········································································································12

    부천시 재정규모 ······················································································································13

    2014년 일반회계 분야별현황 ··································································································14

    사회복지비 증가현황 ················································································································14

    부천시 재정자립도 ···················································································································14

    GRDP 증감률 ··························································································································15

    타 시도와 GRDP 증감률 비교 ·································································································15

    전국 및 부천시 고용률 ··········································································································16

    전국 및 부천시 고용률 ··········································································································16

    부천시 사업체 및 종사자수 현황 ···························································································16

    5인 이상 사업체 수 변화 현황 ······························································································17

    부천시 사업체 현황 ···············································································································17

    부천시 문화 인프라 현황 ·······································································································19

    부천시 생활권 기반의 문화 정책사업 현황 ············································································20

    부천시 학교 현황 ··················································································································21

    연도별 초등학교 수, 학급 수, 학생 수 변화 현황 ·································································21

    초등학교 학급 규모 별 현황 ··································································································22

    연도별 중학교 수, 학급 수, 학생 수 변화 현황 ·····································································22

    고등학교 유형별 현황 ············································································································23

    연도별 고등학교 수, 학급 수, 학생 수 변화 현황 ·································································23

    부천시 평생학습 행정전담기구의 변화 ···················································································24

    타 시군과의 행정전담기구 규모 비교 ····················································································25

    민선 6기 시민학습원 확대 조성 방안 ····················································································26

    전문 인력 운영의 변화 과정 ··································································································27

    타 시군과의 인력 규모 비교 ··································································································27

    평생학습협의회 구성원(2014년 기준) ····················································································29

    부천시 평생학습 네트워크 구축 ·····························································································30

    부천시 평생학습 실무협의회 구성 현황(2014년 기준) ···························································30

    연차별 평생학습 전담부서 예산 ·····························································································32

    타 시군과의 사업비 규모 비교 ······························································································32

  • 제2차 부천시 평생학습도시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표 목차

    타 시군과 사업별 예산 비교 ··································································································33

    부천시 평생교육 프로그램 정책사업 개황 ············································································33

    일반시민 대상과 학교 대상 사업비 규모 비교 ·······································································34

    정책사업 총괄표 ····················································································································35

    네트워크 및 연수사업 예산 총괄표 ························································································36

    전문연수 운영현황 ·················································································································37

    주제별 전문연수 현황 ············································································································37

    대상별 맞춤연수 현황 ············································································································38

    대상별 맞춤연수 세부 주제 현황 ···························································································38

    양성연수 추진 현황 ···············································································································38

    부천시 평생학습 심포지엄 운영 현황 ····················································································39

    학습공동체 조상사업 예산운용 현황 ······················································································39

    시민지도력 육성사업 추진 현황 ·····························································································40

    시민지도력 육성사업의 변화 과정 ·························································································40

    평생학습마을만들기 사업 추진 현황 ······················································································41

    부천시 평생학습동아리 활동분야별 현황 ················································································42

    우수학습동아리 지원사업 추진 현황 ······················································································42

    학습문화 진흥사업 분야 예산운용 현황 ·················································································43

    평생학습축제 운영현황 ··········································································································43

    타 지역의 차별화된 평생학습축제 사례 ·················································································44

    교육안전망 구축사업 분야 예산운영 현황 ··············································································45

    기타분야 예산운영 현황 ·········································································································46

    제1차 평생학습도시 종합발전계획 추진현황 ··········································································47

    유관부서의 평생학습 정책사업 추진현황(2014년) ··································································48

    부천시 평생교육 법령기관 현황 ·····························································································49

    부천시 평생교육 법령기관 설립시기 ······················································································50

    부천시 평생교육 법령기관 지역별 분포현황 ··········································································50

    부천시 평생교육 기타법령기관 현황 ······················································································50

    부천시 평생교육 법령기관 지역별 분포현황 ··········································································51

    응답자 특성 ·····························································································································58

    부천시민의 평생교육 참여현황 ·································································································59

    부천시민의 평생교육 참여기관(복수응답) ·················································································60

    부천시민의 평생교육 참여목적 ·································································································60

    평생교육 교육 및 강좌 선택요인 ·····························································································60

    주요 참여분야(복수응답) ··········································································································61

    평생학습 장애요인 ···················································································································61

  • 제2차 부천시 평생학습도시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표 목차

    부천시 평생교육기관의 프로그램 운영 현황 ············································································63

    프로그램 6진 분류 ··················································································································64

    생애주기별 프로그램 운영 현황 ·····························································································64

    대여가능 공간 현황 ···············································································································65

    평생학습도시 선정여부 인지도 ·······························································································65

    평생학습도시 개념 부합정도 ··································································································65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 우선순위 ···························································································66

    평생학습센터 역할 1순위 ······································································································66

    평생학습 활성화 요구사항 ·····································································································66

    기관운영 상의 어려움 ············································································································67

    평생학습동아리 육성사업 현황 ·······························································································67

    기관 별 학습동아리 육성 현황 ······························································································68

    응답자 특성 ···························································································································69

    학습자의 만족도 ····················································································································70

    교육 및 강좌 선택요인(복수응답) ···························································································70

    교육 및 강좌 수강목적(복수응답) ···························································································70

    교육 및 강좌 수강효과 ··········································································································70

    교육 및 강좌 선택요인 ··········································································································71

    교육 및 강좌 수강효과 ··········································································································71

    사회발전지표 측정의 변천사 ····································································································75

    평생학습의 5가지 영역 ············································································································76

    비전체계 구성 과제 및 도출근거 ·····························································································79

    비전 부천 2022 체계 ··············································································································80

    비전 부천 2022와의 연계과제 ·································································································80

    경기도 평생교육 중장기 진흥계획과의 연계성 ·········································································81

    전략위원회 구성(안) ·················································································································84

    평생학습 성과관리 체계 ·········································································································86

    각 주체별 주요역할 ·················································································································88

    평생학습 네트워크 단계 ·········································································································90

    단계별 추진내용 ····················································································································91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영역 ···································································································92

    주5일제 프로그램 운영사업 발전방향 ····················································································94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사업추진 단계 ·········································································95

    부천시 마을만들기의 현재 ·····································································································96

    기존 마을만들기 사업과 Golden Triangle 사업의 비교 ·························································99

    Golden Triangle 사업 추진실적 ····························································································99

  • 제2차 부천시 평생학습도시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표 목차

    평생학습축제 단계별 추진전략 ·····························································································102

    부천시 문해교육 추진실적 ·································································································103

    평생학습 신소외계층 ··········································································································106

    유휴공간 개방 추진단계 ·····································································································108

    각 단위별 기관체계 및 주요 역할 ·····················································································113

  • 제2차 부천시 평생학습도시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그림 목차

    [그림 Ⅰ-1] 평생학습 패러다임의 변화 ······································································································4

    [그림 Ⅱ-1] 부천시 인구추이 ···················································································································12

    [그림 Ⅱ-2] 부천시 인구구조 ···················································································································13

    [그림 Ⅳ-1] 부천시 비전체계 ···················································································································78

    [그림 Ⅳ-1] 부천시 평생교육의 전개모델 ································································································82

    [그림 Ⅳ-3] 평생학습 활동모형 ···············································································································87

    [그림 Ⅳ-4] 부천시 학습정보망 모델 ·······································································································89

    [그림 Ⅳ-5] 부천시 네트워크 발전모델 ····································································································91

    [그림 Ⅳ-6] 평생학습마을 운영조직도(시흥시모델) ···················································································97

    [그림 Ⅳ-7] 평생학습부천리더의 영역 ···································································································100

  • ChapterⅠ

    � 서론

  • 소통으로 창조하는 문화도시 부천 3

    Ⅰ.� 서론

    1. 계획수립의 필요성 및 목적

    □ 시민이 행복한 도시 구현을 위한 평생학습 전략적 추진

    ○ 경제적 생산가능인구(15~64세)의 절대적 감소로 경쟁력 저하

    Ÿ 노인 1인 당 부양가능 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국가적 차원에서는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0~14세

    유소년 인구를 초과하는 인구역전 현상 진행을 예상(관계부처합동, 2014)

    Ÿ 부천시의 경우에도 타 시 ․ 군에 비해 생산가능인구의 비중이 높은 편이나 최근 20년간 유소년 인구는 급속도로 감소한데 반해 고령인수는 증가하고 있어 향후 인구역적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보임

    구분 1975 1985 1995 2005 2010 2013

    0~14세 37,188 138,686 213,966 171,334 138,388 120,566

    15~64세 69,127 305,821 536,752 634,811 673,020 668,421

    65세 이상 2,751 11,641 29,027 49,214 63,796 74,733

    노인 1인당 부양가능 인구

    25.1 26.3 18.5 12.9 10.5 8.9

    출처 : 부천통계(stat.bucheon.go.kr)

    부천시 인구 변화

    ○ 복지지출의 가파른 증가와 경제성장의 둔화 전망

    Ÿ 한국의 복지지출비 증가율은 14.2%로 OECD 평균 6.3%에 비해 2.5배 빠른 속도이며 향후 고령화

    등을 감안하였을 때 막대한 사회적비용 지출이 예상됨

    Ÿ 부천시의 경우에도 전체 재정의 40.5%가 복지예산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2014년 복지예산은 2010

    년 대비 5%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Ÿ 이에 반해 경제성장률은 둔화된 양상을 보이고 있어(2011년 부천시 GDP 성장률 1.1%) 시민의 삶

    의 질을 높이고 시 경쟁력 확보를 위해 평생학습을 통한 생산가능인구의 향상을 도모 하는 것이

    필요

    ※ OECD 국가 중 경제 규모는 10위 권, 행복순위는 32위(OECD 국가 삶의 질 구조 연구, ‘12. 7)

  • 4

    부천시�평생학습도시�제2차�종합발전계획

    □ 교육 패러다임 전환으로 새로운 정책수립 필요성 증대

    ○ 교육, 직업, 여가가 분절된 것이 아닌 전 생애 연속적 활동으로 자리매김

    [그림 Ⅰ-1] 평생학습 패러다임의 변화

    ○ 교육취약계층 중심의 선별적 교육복지에서 일반인 대상의 보편적 교육복지로 전환

    Ÿ 교육과학기술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시작으로 저소득층을 포함한 교육적 배려대상자의

    교육비 경감을 위한 정책 중심으로 부천에서도 2006년부터 교육안전망 구축에 주력

    Ÿ 2011년 이후 무상급식이 실시되면서 보편적 복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소외계층에서

    점진적으로 일반대상으로 교육복지 실현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구성되고 있음

    Ÿ 이와 함께 인성과 창의성이 중시되면서 성적이 아닌 올바른 가치관을 갖춘 지역 인재 양성에 대

    한 새로운 정책 방향 제시가 필요해지고 있으며 아동 ‧ 청소년이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학교 안팎의 경계를 허물고 학교 – 지자체 – 지역사회의 네트워크 및 거버넌스 구축이 절실한 상황(서울연구원, 2012)

    ○ 자기개발활동에서 마을문화를 조성하는 평생학습활동으로 전환

    Ÿ 최근 지역을 매개로 다양한 학습과 문화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부천의 경우

    문화특별시를 표방하며 문화산업에 집중적인 투자를 추진하고 있음

    Ÿ 기존의 평생학습은 개인의 자기개발활동 중심으로 스포츠 ․ 문화예술 분야의 참여에 치중해 왔으며 이 과정에서 학습했던 것을 재학습하게 되고 개인이 가진 자원이 사회로 적절

    하게 환류 되지 못함

  • 소통으로 창조하는 문화도시 부천 5

    Ⅰ.� 서론

    Ÿ 반면 최근에는 마을기반의 평생학습이 중요하게 부각되면서 국가적 차원에서도 행복학습

    지원센터를 통해 지역기반의 학습참여를 독려하는 등 학습공간의 재편이 이루어지고 있

    는 반면 지역주민들의 교육 수요를 반영하게 되면서 여전히 마을 문화 창출 보다는 자기

    개발 단계에 머무르고 있음

    구분 자기개발활동 마을기반활동 마을문화조성 활동

    지역 개인의 학습 희망 장소 마을기반 마을기반

    활동목적 자기개발 자기개발 마을문화형성

    활동목표 개인의 수준향상 개인의 수준향상 주민과의 관계형성, 공동체 조성

    결과 개인의 만족 특정 계기나 이벤트를 통한 발표 마을축제 자발적 기획, 소통

    학습분야 개인관심분야(예술분야 치중) 개인관심분야(예술분야 치중) 개인관심분야 및 마을공동문제

    마을중심의 평생학습 발전단계(서울연구원, 2012 연구내용 재구성)

    Ÿ 마을기반활동은 평생학습축제 등과 같이 특정한 계기가 주어질 경우 학습결과를 발표하

    면서 참여에 초점을 맞추게 되지만 본격적으로 마을문화조성활동은 학습의 결과를 자발

    적으로 주민들과 공유하고자 힘쓰며 그 과정에서 소통하고 공동체 의식을 가지게 됨

    Ÿ 자기개발성격을 여전히 가지고 있을 경우 대부분 학습활동이 예술, 즉 공연이나 전시, 발

    표에 치우치는 반면 주민자치와 결합된 학습문화는 주민들이 모이게 하고 마을공동의 문

    제를 해결하는 단계에 까지 이르게 됨

    □ 제1차 평생학습도시 종합발전계획 수립 후 10년경과로 재도약의 시기 직면

    ○ 2002년 평생학습도시 조성 이후 10년간의 역사에 대한 정량적 평가 부재

    Ÿ 평생학습도시로 지정된 이후 국가적 차원에서 각 기초자치단체에 대한 사업의 성과 및

    발전도 등에 관한 종합적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아 현재 학습도시로서의 위치와 한계 파

    악의 어려움 발생

    ○ 제1차 평생학습도시 종합발전계획 완료 시점 도래로 구체적인 로드맵 재설정 필요

    Ÿ 2004년 배움과 나눔의 도시 부천이라는 비전을 설정하고 5개년 종합발전계획을 수립 한

    후 새로운 발전계획에 대한 수립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

    Ÿ 1차 종합발전계획의 실행 유무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제2의 도약을 위해 부천이 실천해

    야 될 핵심과제를 선정하는 것이 필요

  • 6

    부천시�평생학습도시�제2차�종합발전계획

    2. 연구내용 및 방법

    □ 부천시 평생교육 현황분석

    ○ 부천시 일반현황 분석

    Ÿ 행정 및 인구, 산업 및 경제, 문화 및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부천시의 현황을 정량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평생학습도시 정책사업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음

    ○ 평생학습도시로 선정된 2003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과거 약 10여 년간의 정책사업 동향

    및 추진실적을 살펴보고 향후 나아갈 방향을 도출함에 앞서 시사점을 찾고자 함

    Ÿ 문헌분석 실시 : 부천시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 결과보고서(2004 ~ 2013), 비전부천 2022 장기

    발전계획, 2014 부천시 평생학습팀 주요업무추진 계획 및 민선 6기 공약사항 등

    Ÿ 주요 분석내용 : 각 정책사업의 예산 및 주요 내용을 토대로 장점과 한계점, 현재 직면한 이슈

    사항 등을 도출함

    □ 부천시 평생교육 실태분석

    ○ 부천시 평생교육 통계조사 추진

    Ÿ 시민평생학습 인지도 및 실태조사, 기관 담당자 평생학습 인식 조사 및 기관 현황조사 실시

    (부천시 자체 추진)

    구분 조사분야 1 조사분야 2 조사분야 3

    조사대상 시민 2,056명 기관 187개 기관 참여자 973명

    조사방법시 홈페이지 설문조사365 콜센터 전화조사36개 동단위 설문조사

    기관담당자 방문조사기관참여자 대상 오프라인

    설문조사

    조사기간 2014.04.29 ~ 2014.07.18 2014.04.28.~ 2014. 07.30. 2014.04.28. ~ 2014.07.18

    조사항목평생학습 참여기관 및 분야

    참여저해요인 등기관현황, 프로그램 운영현황, 기관담당자 인식, 직원현황 등

    참여프로그램 실태 및 만족도 등

    부천시 평생교육 통계조사 개요

  • 소통으로 창조하는 문화도시 부천 7

    Ⅰ.� 서론

    □ 부천시 평생교육 전략과제 도출

    ○ 부천시 평생교육 전문가 협의회 추진

    Ÿ 실무협의회 위원을 중심으로 평생교육 중장기 발전계획 소위원회를 구성하여 자문단으로 사업

    추진과정에서 함께 논의

    Ÿ 총 3차례에 걸친 자문회의를 통해 부천시 평생교육의 비전과 주요 방향성, 목표 및 세부추진

    과제의 타당성․ 실행가능성 등을 검토함 Ÿ 각 세부추진과제별 현장 및 학계 전문가 자문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추진과제의 완성도를

    높임

  • 8

    부천시�평생학습도시�제2차�종합발전계획

    3. 연구 추진체계

    □ 추진주체

    ○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과 부천시의 공동연구로 수행

    Ÿ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전문 컨설팅단에서는 종합발전계획 수립의 방향설정을 지원하고

    평생교육의 최신 동향 및 다양한 사례를 제시

    Ÿ 부천시에서는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에 대한 총괄 행정지원과 전체 사업의 주체적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자체 통계조사를 실시하여 평생교육 현황분석을 추진함

    Ÿ 또한 부천시 내부자문단을 구성하였으며 자문위원들은 지역 평생교육 발전방향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현장중심의 발전계획 수립에 대한 자문 실시

    □ 추진절차

    구분 추진내용 추진방법추진기간

    ~7 8 9 10 11 12

    1단계조사

    ․ 평생교육 통계조사 ․ 온/오프라인 설문조사 실시․ 지역현황조사 ․ 문헌연구, 관련자료 분석․ 부천시 관계자 요구조사 ․ FGI․ 민간 관계자 요구조사 ․ 자문단 1차 자문회의 실시

    2단계 분석

    ․ 평생학습도시 정책사업 분석 ․ 연차별 성과자료집, 예산서 분석․ 종합 SWOT 분석 ․ 부천시-진흥원 협의․ 성과진단 ․ 중간결과보고회 및 관계자 토론 실시

    3단계비전구상

    ․ 비전 및 발전과제 도출 ․ 자문단 2차 자문회의 실시․ 추진목표 설정 및 전략 구상 ․ 자문단 3차 자문회의 실시

    4단계과제도출

    ․ 세부추진과제 실천방안 도출 ․ 과제별 전문가, 협의회 실시․ 발전과제 최종 검토 ․ 최종결과보고회 및 자문단 검토

    계획 수립의 추진 절차

  • Chapter Ⅱ

    � 부천시�평생교육�현황�분석�

  • 소통으로 창조하는 문화도시 부천 11

    Ⅱ.�부천시�평생교육�현황�분석

    1. 지역 환경 분석

    가. 지리적 특성

    1) 행정구역 현황

    ○ 부천시는 경기도 전체의 0.5%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체 3구 36동으로 구성

    Ÿ 서울특별시의 위성도시로서 동쪽과 북쪽으로 서울특별시, 서쪽으로 인천광역시, 남쪽으로

    시흥시와 접하고 있음

    구분 평생학습권역별 구분 행정구역별 구분

    오정구테크노파크권역 대장동, 삼정동, 내동, 오정동

    원종‧고강권역 고강동, 원종동, 작동, 여월동원미구

    중동‧상동권역 상동, 약대동, 중동, 도당동원미‧심곡권역 심곡동, 원미동, 소사동, 역곡동, 춘의동

    소사구소사권역 송내동, 심곡본동, 소사본동

    역곡권역 괴안동, 범박동, 계수동, 옥길동

    출처 : 부천시 기본통계 2014

    행정구역별 평생학습권역 구분

    Ÿ 전체 면적은 53.44㎢로 원미구 20.58㎢, 오정구 20.03㎢, 소사구 12.83㎢ 순서이며 전체의

    33.6%(17.97㎢)가 개발제한구역임

    2) 인구통계학적 현황

    ○ 1970년대에서 1980년대로 넘어오면서 폭발적인 인구증가를 경험하였으나 최근 5개년

    간 인구성장이 둔화되고 있음

    Ÿ 1973년 소사읍에서 부천시로 승격하기 이전에는 농촌지역이었으나 서울, 인천을 중심으로

    급속한 도시화를 경험하면서 수도권의 대표적인 위성도시로 성장

    Ÿ 70년대 중반 이후 경전철 개발 등 교통문제가 해결되면서 서울의 탈도시화 현상이 본격화

    되었고 급격한 인구유입이 이루어짐

  • 12

    부천시�평생학습도시�제2차�종합발전계획

    [그림 Ⅱ-1] 부천시 인구추이

    ○ 행정구역별로 살펴보면 원미구에 부천시 전체 인구의 51.5%가 거주하고 있음

    Ÿ 원미구를 중심으로 한 구시가지의 경우 기존의 토착주민 거주비율이 높은 반면 오정 지역

    등 최근 개발되고 있는 신시가지에는 새로운 인구가 유입

    Ÿ 부천지역에 대한 의식, 생활 여건 차이에 따른 신시가지와 구시가지의 지역 갈등이 대두

    (홍숙희, 2011)

    Ÿ 부천시 인구밀도는 16,398명/㎢으로 서울에 다음으로 인구밀도가 높은 상황

    행정기관 총 계인 구 수 외국인

    계 남 여 계 남 여

    합 계 876,314 857,370 429,117 428,253 18,944 9,651 9,293

    원미구 451,437 441,868 220,227 221,641 9,569 4,829 4,740

    소사구 233,927 227,977 113,561 114,416 5,950 2,927 3,023

    오정구 190,950 187,525 95,329 92,196 3,425 1,895 1,530

    출처 : 부천시 기본통계 2014

    부천시 행정구역별 인구 현황(2014)

    ○ 최근 3개년 간 노령화 지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구분 0~14세 15~64세 65세 이상 부양비(%) 노령화 지수(%)

    2011 132,257 673,546 66,649 29.5 50.4

    2012 126,578 672,446 70,920 29.4 56.0

    2013 120,566 668,437 74,717 29.2 62.0

    출처 : 부천시 2014 시정주요통계

    부천시 인구부양비 현황

  • 소통으로 창조하는 문화도시 부천 13

    Ⅱ.�부천시�평생교육�현황�분석

    ○ 인구구조의 경우 1970년대 피라미드형에서 1980년대 별형으로 전환되어 전형적인 신도시

    지역의 양상을 보이고 있음

    Ÿ 최근 들어 유소년 인구가 감소하고 중장년층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인구피라이드가 점차

    방추형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향후 인구감소가 예상됨

    1973년 1987년

    2008년 2013년

    [그림 Ⅱ-2] 부천시 인구구조

    나. 산업 및 경제적 특성

    1) 재정규모

    ○ 2014년 부천시 총 재정규모는 1조 1,734억 원으로서 경기도 내 31개 시군에서 7번째 규

    모(2014. 1. 9. 기준)

    구분 2014년 본예산(A) 2013년 본예산(B) 2012년 본예산(C) 비교증감(A-B)

    계 11,734 11,190 12,331 544

    일반회계 8,929 8,409 8,318 520

    특별회계 2,805 2,781 4,013 24

    부천시 재정규모(단위 : 억 원, %)

    (1)성남시 2조 2,281억원, (2)수원시 1조 9,616억원, (3)용인시 1조 5,952억원 (4)고양시 1조 3,636억원

    (5)화성시 1조 2,509억원, (6)안산시 1조 2,163억원, (31)과천시 1,942억원

  • 14

    부천시�평생학습도시�제2차�종합발전계획

    ○ 높은 복지예산

    Ÿ 2014년 일반회계 예산은 사회복지비 분야가 40.5%, 교육 분야는 5.31% 차지

    Ÿ 복지예산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구분(기능별)

    계일반공공행정

    공공질서안전

    교육문화관광

    환경보호

    사회복지

    보건농림해양수산

    산업중소기업

    수송교통

    국토지역개발

    예비비 기타

    예산액 8,929 476 112 474 605 640 3,620 189 65 193 535 324 146 1,550

    비율 100 5.33 1.25 5.31 6.77 7.17 40.55 2.11 0.72 2.16 6.00 3.63 1.64 17.36

    2014년 일반회계 분야별현황(단위 : 억 원, %)

    구 분 2010 2011 2012 2013 2014 비 고

    예산규모 8,364 8,295 9,151 9,399 8,9292.07배 증가

    (증가율) (△10.2) (△0.8) (10.3) (2.7) (△5.0)

    사회복지 2,690 2,803 3,186 3,800 3,6205.69배 증가

    (증가율) (△6.2) (4.2) (13.7) (19.3) (△4.7)

    ※ 2014년도는 본예산 기준, 2013년도 이하는 최종예산 기준

    사회복지비 증가현황(단위 : 억 원, %)

    ○ 재정자립도는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2014년 기준 31개 시 ‧ 군 중 13위)

    구 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재정자립도 53.4 49.9 50.6 51.5 45.9 41.6

    출처 : 경기도청 홈페이지

    부천시 재정자립도

    2) 경제환경

    □ 지역 내 총 생산(GRDP)

    ○ 부천의 GRDP는 매우 낮은 폭으로 상승하고 있음

    Ÿ 2011년 경제성장률은 2010년 대비 8.7% 감소하였으며, 외환위기에 따른 투자위축이

    수출부진으로 이어졌으며, 내수경기마저 위축되어 성장률이 크게 하락하였음

  • 소통으로 창조하는 문화도시 부천 15

    Ⅱ.�부천시�평생교육�현황�분석

    구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부천 11,495 10,140 10,357 10,750 11,442 12,564 12,707

    증감률 - -11.7 2.1 3.7 6.4 9.8 1.1

    전국 869,305 912,926 983,030 1,028,500 1,065,665 1,172,742 1,241,582

    증감률 - 5.0 7.6 4.6 3.6 10.0 5.9

    경기 169,315 180,852 193,658 198,948 208,296 232,429 243,836

    증감률 - 6.8 7.0 2.6 4.6 11.5 4.9

    GRDP 증감률(단위 : 10억 원, %)

    ○ 상대적으로 타 지역에 비해 부천시 GRDP 증감률이 낮아 저성장 형태를 보이고 있음

    구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부천 11,495,734 10,140,877 10,357,517 10,750,691 11,442,277 12,564,412 12,706,785

    증감률 -11.7 2.1 3.7 6.4 9.8 1.1

    수원 13,979,635 15,143,515 16,238,814 16,665,087 17,488,174 19,248,815 20,015,159

    증감률 8.3 7.2 2.6 13.7 10.0 4.0

    고양 8,870,823 9,911,632 10,238,384 11,174,156 11,825,432 12,470,592 12,809,580

    증감률 11.7 3.2 9.1 5.8 5.4 2.7

    용인 20,088,414 12,906,999 15,575,060 18,020,780 19,171,974 23,723,709 25,559,788

    증감률 -35.7 20.6 15.7 6.3 23.7 7.7

    성남 10,864,554 11,881,037 12,296,138 14,468,780 14,910,294 16,687,722 17,677,502

    증감률 9.3 3.4 17.6 3.0 11.9 5.9

    안산 13,183,651 13,643,910 14,709,859 14,800,917 14,199,178 15,679,896 16,586,505

    증감률 3.4 7.8 0.6 -4.0 10.4 5.8

    출처 : 경기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

    타 시도와 GRDP 증감률 비교(단위 : 백만 원, %)

    ○ 부천시 2011년 부천의 1인당 GRDP는 1,463만원으로 전국평균 2,494만원의 58.6% 수준

    Ÿ 1인당 GRDP 성장율은 2010년 대비 전국평균 증가율 5.9%보다 낮은 1.1% 증가

    ※ 1인당 GRDP 고양시 1,349만원, 성남시 1,816만원

  • 16

    부천시�평생학습도시�제2차�종합발전계획

    □ 고용지표

    ○ 부천시 고용률은 2013년 기준 56%로 전국대비 다소 낮은 수준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전국 59.5 58.6 58.7 59.1 59.4 59.5

    부천 59.3 57.7 56.5 54.4 57.1 56.0

    ※ 2008~2010년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2011~2012년 : 통계청 「지역별 고용조사」, 해당년도 4/4분기 자료

    전국 및 부천시 고용률

    ○ 청년 취업자 비중은 2013년 전국평균 15.6% 대비 0.8% 낮은 14.8%를 나타내고 있음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전국 17.6 17.3 16.7 16.4 15.8 15.6

    부천 21.1 20.3 19.8 17.8 16.7 14.8

    ※ 전체 취업자 중 15~29세 인구 취업자 비중 / 청년층 : 만15~29세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지역별 고용조사」, 해당년도 4/4분기 자료

    전국 및 부천시 고용률

    □ 경제규모

    ○ 부천시 제조업 생산액은 7조 6,912억 원으로 전국의 0.68%, 경기도의 3.26%를 차지

    부천(A) 수원 성남 고양 안산 안양 경기도(B) 전국(C)비중(%)

    A/C A/B

    제조업생산액

    76,912 78,337 65,199 21,599 260,109 72,810 2,357,530 11,258,130 0.68 3.26

    총 사업체수(제조업)

    54,767(9,415)

    57,844(3,072)

    50,923(3,192)

    49,606(3,777)

    45,278(6,192)

    40,740(3,637)

    687,020(86,420)

    3,355,470(320,374)

    1.6(2.8)

    8(10.7)

    5인 이상(제조업)

    9,734(3,516)

    9,674(9,670)

    10,592(1,484)

    9,812(1,548)

    8,701(3,468)

    7,445(1,361)

    169,972(40,878)

    631,493(117,218)

    1.5(3.0)

    5.7(8.4)

    총 종사자수(제조업)

    257,932(68,516)

    342,752(589,570)

    291,817(36,129)

    228,894(25,166)

    255,507(107,289)

    214,264(32,962)

    3,758,001(970,254)

    17,657,829(3,269,339)

    1.5(2.0)

    6.9(7.1)

    5인 이상(제조업)

    157,637(55,882)

    253,872(546,910)

    218,705(32,289)

    156,453(19,926)

    194,974(101,064)

    151,888(28,137)

    2,771,464(863,959)

    12,776,205(2,850,033)

    1.2(1.9)

    5.7(6.4)

    시장 수 20 22 24 5 4 17 185 1,517 1.3 10.8

    출처 : 통계청, 경기도, 부천시 사업체 조사(2012)

    부천시 사업체 및 종사자수 현황(단위 : 억 원, 개, 명)

  • 소통으로 창조하는 문화도시 부천 17

    Ⅱ.�부천시�평생교육�현황�분석

    Ÿ 부천시 제조업 사업체수는 경기도 전체 제조업 사업체 수의 10.7%, 제조업 종사자수 비중은

    7.1%를 차지

    Ÿ 전국 및 경기지역에서 사업체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종사자수 비율보다 높다는 것은 부

    천시의 중소기업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나타냄

    Ÿ 시장 수는 20개로 이는 전국의 1.3%, 경기도의 15.0%에 해당됨. 이는 부천시의 인구 비중을

    전국 및 경기도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

    ○ 실제로 5인 이상 사업체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음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전국 552,299 569,581 550,850 590,358 639,099

    부천 9,442 9,846 9,734 10,246 11,300

    출처 : 통계청 「전국 사업체조사」

    5인 이상 사업체 수 변화 현황

    □ 산업구조 변화

    ○ 지역면적이 협소한 반면 인구 밀도가 높아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교육 서비스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건설업, 교육 서비스업 등은 증가 추세에

    있음

    Ÿ 민선 6기 부천 시정발전과제로는 “4대 특화산업 고도화”를 표방하며 금형, 조명, 로봇,

    패키징 산업 육성에 추력

    구분 단위 2010 2013

    인구

    총인구 천명 869,9 869,9

    15세 이상 인구 천명 761,2 743,3

    경제활동 인구 천명 440,4 451,8

    취업자 천명 419,9 421,7

    유형

    도매 및 소매업사업체수 11,499 11,228

    비율(%) 21.9 21.3

    제조업사업체수 8,743 9,415

    비율(%) 16.8 15.9

    숙박 및 음식점업사업체수 8,357 7,903

    비율(%) 15.9 15.0

    협회, 단체, 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

    사업체수 6,008 6,360

    비율(%) 11.5 12.1

    부천시 사업체 현황

  • 18

    부천시�평생학습도시�제2차�종합발전계획

    구분 단위 2010 2013

    운수업사업체수 5,455 5,302

    비율(%) 10.4 10.0

    부동산업 및 임대업사업체수 2,575 2,035

    비율(%) 4.9 3.8

    교육 서비스업사업체수 2,666 3,140

    비율(%) 5.1 6.0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사업체수 1,851 1,543

    비율(%) 3.5 2.9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사업체수 1,552 1,739

    비율(%) 3.0 3.3

    건설업사업체수 1,329 1,518

    비율(%) 2.5 2.9

    출처 : 부천시 통계자료(2012)

  • 소통으로 창조하는 문화도시 부천 19

    Ⅱ.�부천시�평생교육�현황�분석

    다. 교육 및 문화적 특성

    1) 문화특성

    □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문화특별시 부천

    ○ 민선시장 1기부터 문화도시 표방

    Ÿ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부천국제학생애니메이션페스티벌, 부

    천국제만화축제, 복사골예술제 등 5대 문화사업을 집중적으로 지원 ․ 육성Ÿ 2009년 한국만화영상진흥원 건립 후 뮤지엄만화규장각, 만화도서관 등을 운영하여 만화

    산업 클러스터 구축에 주력

    ○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과 함께 작은도서관 지속 확대

    Ÿ 주민자치센터 및 복지관 등 공공건물 내 작은도서관 건립 추진

    Ÿ 18개의 작은도서관이 모여 작은도서관 협의회를 구축하여 상호 간 네트워크 활성화

    □ 문화 인프라 현황

    ○ 문화 인프라의 경우 원미구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음

    Ÿ 실제 원미구와 오정구의 인구수가 약 2.4배로 인구 밀집도에 따라 문화 인프라가 분포되

    어 있음을 알 수 있음

    Ÿ 지역 내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이 다수 분포하고 있으며 박물관이 타 지역에 비해 많

    은 편이나 미술관이 전무

    Ÿ 문화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오정권역에 도서관 및 복합 문화시설 건립 추진 중

    구분 전체 도서관 박물관 문화체육센터 문예회관 문화원

    원미구 40 8(19) 9 2 2 -

    소사구 14 2(9) 1 1 - 1

    오정구 13 1(9) 2 - 1 -

    계 67 11(37) 12 3 3 1

    출처 : 경기도 평생교육기관 분석(기본통계편)(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2014)

    부천시 문화 인프라 현황

  • 20

    부천시�평생학습도시�제2차�종합발전계획

    □ 문화 정책사업 추진현황

    ○ 생활문화예술 활동의 일상화를 통해 원도심과 신도심의 문화격차를 해소하고 경제에

    활력을 주는 공연 ․ 축제 개최에 주력(83억 2천만 원 투입예정, 2014 기준)

    분야 주요사업

    음악회

    ∙ 부천필 및 시립합창단 정통클래식 정기 공연 : 16회∙ 어린이, 청소년, 주부 등 계층별 맞춤형 기획 공연 : 34회∙ 원도심, 문화소외 계층과 함께하는 찾아가는 음악회 : 30회∙ 국제행사 및 대표축제 시 연주회 확대 운영 : PIFAN 등 4회∙ 외부 초청 출연 연주회 : 6회(예술의전당, 호암재단 초청 연주 등)∙ 배려와 소통을 위한 음악회 무료초청 : 17회 4,000명 초청

    동호회

    ∙ 동호회 활동 복합 커뮤니티 조성 : 2개소(상동 및 오정예술마당)∙ 인적 네트워크 구성 : 장르별 확대구성(4개 장르 → 10개 장르)∙ 예술강사 지역전문예술인 인력풀 확대 운영(243명 → 295명)∙ 청소년문화예술동아리 5명, 생활문화예술동호회 10명, 아트밸리 280명∙ 창의력을 기르는 학교 밖 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 청소년문화예술 공간운영, 강사(멘토)지원, 청소년예술제·페스티벌 추진

    찾아가는 문화예술 공연

    ∙ 찾아가는 작은 무대 열린 공연 : 15회(전통시장, 소공원, 백만송이장미원 등)∙ 거리로 나온 예술 : 20회(전통시장, 종합운동장 등)

    갤러리∙ 시청역 갤러리 : 기획전 및 전문예술인 전시∙ 아트센터, 문예전시관, 시의회 갤러리 : 생활문화예술인 전시

    부천시 생활권 기반의 문화 정책사업 현황

    Ÿ 이 밖에도 부천아트밸리(학교 문화예술 수업지원), 글로벌 만화창조센터 건립, 애니메이션 제작

    센터 유치, 만화영화 유네스코 창의도시 가입 추진 등 문화콘텐츠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하기 위

    한 다양한 시책사업 추진 중

  • 소통으로 창조하는 문화도시 부천 21

    Ⅱ.�부천시�평생교육�현황�분석

    2) 교육특성

    □ 교육 인프라 현황

    ○ 총 132개의 학교가 있으며 초등학교 62개교, 중학교 32개교, 고등학교 28개교, 대학교 4

    개교가 있음(2013년 기준)

    구분 전체 초등 중등 고등 및 특수학교 대학

    소사구 35 15 8 8(1) 2

    오정구 23 13 6 3

    원미구 73 34 18 17(1) 2

    계 132 62 32 28(2) 4

    출처 : 부천시교육지원청(2013). 부천교육 역사 찾기

    부천시 학교 현황

    □ 초등학교

    ○ 2009년부터 부천시 내 초등학교는 62개로 유지되고 있으며 학생 수는 1997년 80,047명

    으로 최대치를 기록한 후 계속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음

    연도 학교 수 학급 수 학생 수 학급 당 학생 수

    1974년 6개 124개 9,068명 73.1명

    1984년 15개 636개 37,511명 59.0명

    1994년 38개 1,674개 78,881명 47.1명

    2004년 53개 1,934개 78,332명 40.5명

    2009년 62개 1,901개 60,950명 32.1명

    2010년 62개 1,874개 56,519명 30.2명

    2011년 62개 1,811개 52,501명 29.0명

    2012년 62개 1,786개 48,204명 27.0명

    2013년 62개 1,725개 45,343명 26.3명

    출처 : 부천시교육지원청(2013). 부천교육 역사 찾기

    연도별 초등학교 수, 학급 수, 학생 수 변화 현황

    ○ 학령기 인구의 감소현상으로 인해 점차 폐교 위기 학교 등장

    (폐교기준 : 학생 수 60명 미만)

    Ÿ 원미구 옥산초등학교와 부천초등학교는 전체 8학급(1학년 당 1개 학급 내외)이며 각각 학

  • 22

    부천시�평생학습도시�제2차�종합발전계획

    생 수가 126명으로 62개 초등학교 중 가장 규모가 작음

    Ÿ 학생 수의 지속적인 감소로 지역 내 초등학교 내 가용 시설 수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

    상됨

    10개 학급 미만 10개 ~ 20개 학급 미만 20개 ~ 30개 학급 미만 30개 학급 이상

    2개교 12개교 20개 28개

    출처 : 부천시교육지원청(2013). 부천교육 역사 찾기

    초등학교 학급 규모 별 현황

    □ 중학교

    ○ 중학교 전체 학급 수는 899개, 학생 수는 29,974명으로 초등학생 수에 비해 15,369명이

    적은 인원 수

    Ÿ 중학교 학생 수는 2005년 40,138명으로 최대치를 기록하였고 그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2013년에는 10164명이 감소한 상황

    연도 학교 수 학급 수 학생 수 학급 당 학생 수

    1974년 3개 47개 2,959명 63.0명

    1984년 9개 186개 12,200명 65.6명

    1994년 21개 726개 36,666명 47.1명

    2004년 29개 1,007개 38,685명 50.5명

    2009년 32개 987개 36,999명 38.4명

    2010년 32개 970개 35,471명 36.6명

    2011년 32개 945개 33,623명 35.6명

    2012년 32개 922개 31,395명 34.1명

    2013년 32개 899개 29,974명 33.4명

    출처 : 부천시교육지원청(2013). 부천교육 역사 찾기

    연도별 중학교 수, 학급 수, 학생 수 변화 현황

    □ 고등학교

    ○ 19973년 부천군이 부천시로 승격할 당시 인문계교 2개, 실업계교 1개 존재

    Ÿ 농업 위주의 산업구조가 공업으로 전환되면서 소사농업고등학교가 부천공업고등학교로 전환

  • 소통으로 창조하는 문화도시 부천 23

    Ⅱ.�부천시�평생교육�현황�분석

    ○ 우수 고등학교로의 부상과 학교의 증가

    Ÿ 1975년 인천의 고등학교 평준화와 함께 부천에서도 고교 평준화시기를 맞이하였으나

    1981년 인천시와 교육행정이 분리되면서 지역 내 중학교 졸업생 전원 수용에 어려움을 맞이하

    면서 비평준화로 회귀

    Ÿ 2002년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이 다시 시행되기 전까지 고등학교 입시경쟁이 치열해 짐에

    따라 일부 학교는 전국적으로 우수한 고등학교로 자리 잡기 시작

    일반계 전문계 특수목적 계

    23개교 4개교 1개교 23개교

    출처 : 부천시교육지원청(2013). 부천교육 역사 찾기

    고등학교 유형별 현황

    연도 학교 수 학급 수 학생 수 학급 당 학생 수

    1974년 4개 56개 2,671명 47.7명

    1984년 5개 137개 7,781명 56.8명

    1994년 13개 278개 18,642명 67.1명

    2004년 24개 990개 33,779명 34.1명

    2009년 27개 1,066개 35,657명 33.4명

    2010년 27개 1,072개 37,387명 34.9명

    2011년 27개 1,066개 35,657명 33.4명

    2012년 27개 1,060개 33,869명 32.0명

    2013년 28개 1,062개 33,021명 31.1명

    출처 : 부천시교육지원청(2013). 부천교육 역사 찾기

    연도별 고등학교 수, 학급 수, 학생 수 변화 현황

  • 24

    부천시�평생학습도시�제2차�종합발전계획

    2. 평생교육 현황분석

    가. 추진체제

    1) 조직 및 인력

    □ 평생교육 행정전담조직

    ○ 2007년부터 평생학습팀 규모의 행정전담조직 체계 유지

    Ÿ 지역평생교육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진 2000년에는 직원교육과 학교교육 경비 담당업무를

    행정지원국 총무과 교육팀이 주관하여 추진

    Ÿ 2006년 자치행정팀으로 평생학습업무가 이관되었으나 2007년 평생학습팀을 신설하여 행

    정전담조직을 갖추게 됨

    Ÿ 2011년 국 단위규모의 교육정보센터를 신설하면서 교육청소년과 평생학습팀으로 조직 개

    편이 다시 이루어짐

    Ÿ 2014년 민선6기 출범과 함께 교육정보센터가 사라지고 교육청소년과가 교육지원과로 개

    편되면서 평생학습 업무는 행정지원국 산하로 이관됨

    Ÿ 평생학습팀에는 행정 6급 팀장 1인, 행정 7급 1인 배치

    시기 조직명 비고

    1999 ~ 2001 총무과 교육팀

    2006 ~ 2007 자치행정과 자치행정팀 2006년 4월 자치행정과로 업무 이관

    2007 ~ 2010 주민생활지원과 평생학습팀 2007년 3월 평생학습팀 신설

    2011 ~ 2013 교육청소년과 평생학습팀 2011년 교육정보센터 내 교육청소년과 신설

    2014 ~ 교육지원과 평생학습팀 2014년 7월 교육지원과로 개편, 행정지원국으로 이관

    부천시 평생학습 행정전담기구의 변화

    ○ 유사 규모의 타 시 ‧ 군과 비교한 결과 부천의 경우 평생학습도시 지정 후 오랜 기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전담조직 규모가 작은 편

    Ÿ 경기도 내 6개의 지역(광명, 남양주, 성남, 시흥, 안양, 용인)이 국 단위 평생학습 전담조

    직을 갖추고 있으며 11개 지역이 팀 규모의 전담조직을 갖추고 있음(2014. 09. 기준)

  • 소통으로 창조하는 문화도시 부천 25

    Ⅱ.�부천시�평생교육�현황�분석

    Ÿ 평생학습도시 1차 종합발전계획 내 전담조직 과 규모 신설이 있었으나 현재까지 미달성

    시군 조직규모 평생학습도시 지정시기 시군 조직규모 평생학습도시 지정시기

    수원시 팀 단위 2005년 용인시 국 단위 2006년

    성남시 국 단위 2013년 안양시 국 단위 2007년

    고양시 과 단위 2014년 광명시 국 단위 2001년

    타 시군과의 행정전담기구 규모 비교

    참고 | 국 단위 규모 시 ․ 군의 전담조직 현황(2014. 11. 기준) ① 광명시

    국 평생교육사업소

    과 교육청소년과, 평생학습원, 중앙도서관, 철산도서관, 하안도서관

    평생학습원 팀 구성 평생교육팀, 학습연계팀, 학습운영팀, 여성회관팀

    ② 성남시

    국 평생학습원

    과 평생학습과, 도서관지원과, 중앙도서관, 분당도서관, 구미도서관, 판교도서관

    평생학습과 팀 구성 관리운영팀, 평생교육기획팀, 평생학습연계팀, 평생학습운영팀

    ③ 안양시

    국 평생학습원

    과 평생교육과, 석수도서관, 평촌도서관

    평생교육과 팀 구성 교육운영팀, 평생학습팀, 교육시설팀, 만안교육팀, 동안교육팀

    ④ 시흥시

    국 평생교육원

    과 평생학습과, 교육청소년과, 주민자치과, 중앙도서관

    평생학습과 팀 구성 평생학습지원팀, 평생학습기획팀, 평생학습센터팀, 여정비전센터팀

    ⑤ 남양주시

    국 평생교육원

    과 평생교육과, 여성보육과, 도서관운영과, 남주도서관, 북부도서관

    평생학습과 팀 구성 평생교육팀, 평생학습센터팀, 주민자치팀, 학교지원팀

    ⑥ 용인시

    국 평생교육원

    과 평생교육과, 동부도서관, 서부도서관

    평생교육과 팀 구성 교육정책팀, 학교교육팀, 평생교육팀, 여성회관팀

  • 26

    부천시�평생학습도시�제2차�종합발전계획

    □ 평생교육 추진전담조직

    ○ 2003년 7월 평생학습센터 개소(직영운영)

    Ÿ 당시에는 평생학습업무가 기존의 일반 행정 분야에서 존재하지 않았기에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

    추진상의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음

    Ÿ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평생학습센터를 개소하고 7급 행정직 공무원 1명과 계약직 평생교

    육사 2인을 배치함

    Ÿ 시민대상의 직접적인 프로그램 운영은 최소화하고 기관 ‧ 단체 간의 연대성을 강화하여 시 전체평생학습진흥 역할 부여

    ○ 추진전담 기구의 확대(민선 6기 공약사항)

    Ÿ 3개 자치구의 시민학습원 3개소 분원 신설로 평생교육인프라 확보(현재 시민학습원은 원미구위치)

    위치 시기

    원미구 역곡문화체육센터 내 2015년 추진예정

    소사구 부천문화원 내 2015년 9월 예정

    오정구 오정도서관 내 2018년 준공예정

    민선 6기 시민학습원 확대 조성 방안

    ○ 행정조직과 추진전담조직의 이중적 구조 문제

    Ÿ 평생학습센터의 경우 조례상 별도의 기구로 규정되어 있으나 실제적으로는 센터의 소장과 전담

    인력이 평생학습팀 일원으로 포함됨

    Ÿ 행정지원국 교육지원과의 권한 내 평생학습센터가 존재하고 있음에 따라 정책사업 추진과정에서

    독립적 운영에 한계를 지님

    Ÿ 2009년 행정차원에서 평생학습센터의 민간위탁에 대한 검토가 있었으나 행정과 연계되어야 하는

    사업의 특수성에 따라 직영체제 유지

  • 소통으로 창조하는 문화도시 부천 27

    Ⅱ.�부천시�평생교육�현황�분석

    □ 평생교육 전문 인력

    ○ 전문 인력(평생교육사) 확보 노력

    Ÿ 평생학습센터 소장을 2005년에 채용한 후, 평생교육사를 지속적으로 추가 채용하고 근무

    환경 등을 개선하여 사업 추진의 안정적 인력 체제 구축

    시기 주요내용

    2005년

    ․ 평생학습센터 소장 채용․ 소장 자격 요건 : 교육학 또는 평생교육분야 석사학위 취득 후 9년 이상 해당분야 경력자, 학사학위 취득 후 12년 이상 경력자

    2006년

    ․ 평생학습센터 소장 1인 + 평생교육사 4인 체제․ 공무원 총 정원에 포함되지 않은 비전임계약직(주당 20시간 근무)으로 채용함에 따라 신분상의 불안정으로 인력 운영의 어려움 발생

    2008년

    ․ 평생학습센터 소장 1인 + 평생교육사 2인 체제․ 비전임 계약직이 시간제 계약직으로 개칭되고 2009년부터 연봉 외 수당과 주당 35시간 근무가 가능해지면서 근무환경 개선이 이루어짐

    2014년 ․ 평생학습센터 소장 1인(지방임기제 가급) + 평생교육사 3인(지방임기제 라급) 체제

    전문 인력 운영의 변화 과정

    ○ 전문 인력 운영의 한계

    Ÿ 전문 인력 확보를 위해 평생학습센터소장 자격을 조례에 명시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으나 실질적

    으로 채용 후 공무원 조직의 구성원으로 근무함에 따라 권한 미비

    Ÿ 광명시의 경우 평생학습원장(과장급) 직위에 지방임기제 가급을 임명하여 총괄 권한 부여

    수원시 성남시 고양시 용인시 부천시 안산시 광명시

    평생교육사 수 6 4 1 4 4 7 8

    출처 :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내부자료(2014. 04. 기준)

    타 시군과의 인력 규모 비교

  • 28

    부천시�평생학습도시�제2차�종합발전계획

    2) 네트워크

    □ 지역평생교육 네트워크 전개과정

    ○ 1990년대 이후 노동운동이 지역 내 주민운동으로 전환되면서 네트워크 활성화

    Ÿ 부천의 경우 경기도 내 면적이 27위로 상대적으로 좁은 지역에 다수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어 지역

    사회 내 단체 간의 상호 친숙한 문화가 오랜 기간 형성되어 왔음

    Ÿ 1990년대 후반까지 대부분 학교교육 문제에 논의가 치중되어 왔으나 범 지역사회 단위에서 평생교

    육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 된 것은 푸른부천만들기21 추진협의회 발족 이후로 볼 수 있음

    ○ (2000년 ~ 2001년) 민관 협력을 통한 평생학습에 대한 논의 전개

    Ÿ (2000년) 푸른부천만들기 21추진협의회1)가 창립된 이후 교육문화분과위원회에서 21세기를 맞이하

    는 부천의 교육의제로 ‘평생학습사회 건설을 통해 민주시민을 기르는 부천’을 선정

    Ÿ (2001년) 교육청에서 지정한 구별 평생학습관의 통합적 운영상의 한계를 직면하게 되면서 기초

    자치단체 차원의 부천시평생학습지원센터 설치 준비 추진

    ○ (2002년 ~ 2003년) 조례제정 및 평생학습도시 선정 등 기반 조성

    Ÿ (2002년) 평생학습도시 조성으로 주민자치센터, 도서관, 직업훈련기관 등 지역 내 흩어진 자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며 체계적 추진기반 마련에 박차를 가함

    Ÿ (2003년) 전국 기초자치단체 최초로 부천시평생학습조례 제정으로 평생학습센터 운영 및 설치뿐만

    아니라 평생학습협의회 구성 및 운영 등 평생학습관련 통합조례의 모습을 갖춤

    Ÿ (2003년) 부천시 평생학습협의회 및 평생학습센터 운영위원회 구성

    1) 부천경실련, 부천YMCA, 부천YWCA, 부천포럼, 민주주의민족통일부천연합, 한국노총부천시지부 등으로 구성

  • 소통으로 창조하는 문화도시 부천 29

    Ⅱ.�부천시�평생교육�현황�분석

    성명 소속 비고

    김만수 부천시장 위원장

    김문호 부천시의회 행정복지위원회

    김병전 부천시 행정지원국장

    조영숙 부천교육지원청 교수학습국장

    김성수 소사고등학교 교사

    고현주 부천지역노사민정협의회 사무국장

    이점자 고강1동 어린이집 원장

    성기선 가톨릭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임학림 부천교육지원청 교육복지 프로젝트조정자

    이희수 중앙대학교 교수

    염범석 심곡종합사회복지관장,부천시사회복지협의회장 부위원장

    이경영 진영정보공업고등학교장

    평생학습협의회 구성원(2014년 기준)

    ○ (2004년 ~ 2009년) 지역사회 네트워크와의 협의 구조 안정화

    Ÿ 2004년은 부천시 내부적으로 원해영 시장의 사퇴로 인한 변화를 겪으며 평생학습 분야에 있어

    서도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 시기로 볼 수 있음

    Ÿ 이 시기에는 사업 추진에 있어 관계기관과의 긴밀한 사전 협의를 통해 지역사회 평생학습

    네트워크 구축을 일상화하고 심포지움과 같이 전문 연수 정례화 하는 등 네트워크를 보다

    견고히 하는 발판을 마련함

    Ÿ (2004년~2005년) 평생학습도시 1차 종합발전계획 수립 후 심포지움을 통해 지역사회 기관 및

    단체와 관련 내용을 공유

    Ÿ (2007년) 평생학습협의회와 실무협의회 논의를 거쳐 사업계획을 검토하는 체계 구축하였으며

    관계 기관장 및 실무자 회의를 통해 사업이 조정됨

    Ÿ 심포지움을 통해 지역 내 의제를 적절하게 다룸으로서 지역사회 네트워크가 하나의 연결고리

    로 묶일 수 있는 토대가 조성됨

    ○ (2011년 ~ 2014년) 평생학습 네트워크 구조의 체계화

    Ÿ (2011~2012년) 평생학습 영역별 네트워크 구축사업 추진으로 네트워크 간 공동사업 추진

  • 30

    부천시�평생학습도시�제2차�종합발전계획

    영역 네트워크명 대표기관 참여기관(개)

    아동 부천지역아동센터공부방연합회 부천지역아동센터공부방 58

    청소년 청소년실무자네트워크‘푸른모임’ 부천시청소년수련관 31

    여성 부천여성네트워크‘여자만세’ 부천시여성회관 13

    장애인 장애인의 행복한 삶을 위한 공동협의체 (사)청소년사랑터 15

    노인 부천시노인복지기관연합회 부천시니어클럽 5

    문해 부천시문해교육네트워크 부천시문해교육협의회 15

    다문화 다문화네트워크 부천외국인노동자의집 22

    교육 교육복지네트워크 고리울청소년문화의집 27

    작은도서관 부천지역작은도서관협의회 부천지역작은도서관 18

    HRD HRD(인적자원개발) 네트워크 부천노사공동직업훈련지원센터 13

    계 10개 영역 217

    부천시 평생학습 네트워크 구축

    Ÿ (2013년~2014년) 평생학습실무협의회 정례회의를 격월 1회로 안정화하여 평생학습센터 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방향 논의하고 주요 사업별 소위원회를 구성하여 세부 논의 실시

    (예: 평생학습축제 소위원회, 자기주도학습 소위원회 등)

    성명 소속 성명 소속

    김기현 YMCA 사무총장 박순희 부천시노동복지회관 관장

    신상현 부천지역사회교육협의회 사무국장 송록희 부천YWCA 사무총장

    권치영 부천시니어클럽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