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123
ISSUE PAPER 2016-399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2016. 5. 박 훈

Transcript of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Page 1: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ISSUE PAPER 2016-399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2016. 5.

박 훈

Page 2: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Page 3: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차 례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장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12

1. 섬유산업 관련 환경변화 …………………………………………12

(1) 수요 환경 ………………………………………………………12

(2) 생산 환경 ………………………………………………………20

2. 산업구조 변화 ……………………………………………………24

(1) 의류 내수시장 현황 ……………………………………………24

(2) 매출구조 변화 …………………………………………………27

(3) 영업이익 구조변화 ……………………………………………35

(4) 산업용 섬유 생산구조 변화 ……………………………………39

3. 수출입 구조변화 …………………………………………………43

(1) 수출구조 변화 …………………………………………………43

(2) 수입구조 변화 …………………………………………………49

제3장 한·중 간 분업관계와 중국시장에서의 경쟁력 분석 ……… 56

1. 한국의 대중국 직접투자 구조변화 ……………………………56

(1) 투자 현황 ………………………………………………………56

(2) 중국 성별 직접투자 구조변화 …………………………………58

(3) 투자목적별 투자구조 변화 ……………………………………61

2. 한·중 간 교역구조 변화 ………………………………………64

(1) 대중국 무역수지 현황 …………………………………………64

(2) 대중국 수출구조 변화 …………………………………………66

(3) 대중국 수입구조 변화 …………………………………………72

3. 중국시장에서 주요 경쟁국들과의 시장점유율 비교 …………76

Page 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1) 주요국들 간 시장점유율 비교 …………………………………76

(2) 아시아 주요 경쟁국과의 세부 품목별 시장점유율 비교 ………79

4. 한·중 FTA 협정 주요 내용과 영향 ……………………………87

(1) 관세양허 내용 및 원산지 규정 …………………………………87

(2) 한·중 간 관세구조 비교 ………………………………………92

(3) 한·중 FTA 체결에 따른 영향 …………………………………95

제4장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 99

1. 국내 섬유산업의 SWOT 분석 …………………………………99

(1) 강점과 기회요인 ………………………………………………99

(2) 약점과 위협요인 ………………………………………………103

2. 국내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106

(1) 기본 방향 ………………………………………………………106

(2) 세부 추진전략 …………………………………………………108

참고문헌 ……………………………………………………………………121

Page 5: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표 차례

<표 2-1> 중국의 농촌인구 비중 전망 …………………………………………… 15

<표 2-2> 중국의 연령별 인구구조 변화 전망 …………………………………… 16

<표 2-3> 중국의 성별 성장지표 ………………………………………………… 18

<표 2-4> 아시아 주요국들의 최저임금 비교(2015) ……………………………22

<표 2-5> 중국의 성별 임금 수준 비교 ……………………………………………23

<표 2-6> 중국 SPA브랜드 매장 현황 ……………………………………………25

<표 2-7> 중국 섬유산업의 가치사슬별 매출액 구조변화 ………………………28

<표 2-8> 중국 섬유산업의 지역별 구조변화 ……………………………………33

<표 2-9> 중국 섬유산업의 품목별·지역별 구조변화 …………………………34

<표 2-10> 중국 섬유산업의 가치사슬별 영업이익 구조변화 …………………36

<표 2-11> 중국 섬유산업의 지역별 영업이익 구조변화 ………………………39

<표 2-12> 중국의 용도별 산업용 섬유 생산 현황 ………………………………42

<표 2-13> 중국 섬유산업의 수출구조 변화 ………………………………………45

<표 2-14> 중국 섬유산업의 지역별·성별 수출구조 변화 ……………………48

<표 2-15> 중국 섬유산업의 수입구조 변화 ………………………………………50

<표 2-16> 중국 섬유산업의 성별 수입구조 변화 ………………………………53

<표 3-1>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직접투자 구조변화 …………………………57

<표 3-2> 국내 섬유산업의 중국의 주요 성별 투자구조 변화(금액기준) ……59

<표 3-3>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투자목적별 구조변화 ………………………62

<표 3-4>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무역수지 현황 ………………………………65

<표 3-5>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수출증가율 현황 ……………………………67

<표 3-6>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수출 현황 ……………………………………68

<표 3-7>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지역별·성별 수출구조 변화 ………………69

<표 3-8>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수입증가율 현황 ……………………………72

<표 3-9>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수입 현황 ……………………………………73

<표 3-10>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지역별·성별 수입구조 변화 ……………75

<표 3-11> 주요국들의 중국 섬유시장 점유율 비교 ……………………………77

Page 6: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표 3-12> 주요국의 품목별 중국 섬유수입시장 점유율 현황 ………………… 81

<표 3-13> 한·중 FTA 섬유분야 관세양허안(2015) ……………………………88

<표 3-14> 한·중 간 주요 품목별 관세율 비교(2015) ……………………………93

<표 3-15> 한·중 FTA 관세양허 단계별 관세구조(2015) ………………………94

<표 4-1> 국내 섬유산업의 SWOT 분석 ………………………………………… 100

<표 4-2> 국내 섬유패션산업의 연구개발투자 현황 ………………………… 103

<표 4-3> 우리나라의 대중국 직물 수출입 비중 추이 ………………………… 109

Page 7: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그림 차례

<그림 2-1> 중국 경제성장률과 수출증가율 추이 ……………………………… 13

<그림 2-2> 중국의 가계소비지출 추이 ………………………………………… 14

<그림 2-3> 중국의 소득계층별 구성비 ………………………………………… 15

<그림 2-4> 중국의 도시별 중산층 분포 비중의 변화 ………………………… 19

<그림 2-5> 중국의 생산가능 인구 비중 전망 ……………………………………20

<그림 2-6> 중국의 월평균 인건비 추이 ………………………………………… 21

<그림 2-7> 중국 의류시장 현황 …………………………………………………25

<그림 2-8> 중국 섬유산업의 지역별 투자 비중 변화 ………………………… 31

<그림 2-9> 중국의 용도별 섬유 비중 변화 ………………………………………40

<그림 2-10> 중국 위안/달러 환율 추이 …………………………………………46

<그림 3-1>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직접투자 추이 ……………………………57

<그림 3-2>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무역수지 현황 ……………………………64

<그림 4-1> 섬유산업의 가치사슬 구조 …………………………………………100

<그림 4-2> 국내 섬유산업의 지역별 특화 연구 인프라 현황 …………………101

<그림 4-3> 국내 봉제업체의 종사자 연령별 분표 ………………………………104

<그림 4-4> 국내 봉제업체 취업 기피 요인………………………………………105

<그림 4-5> 중국의 온라인 시장 현황 ……………………………………………113

Page 8: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Page 9: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중국은 1980년대부터 유망산업 육성을 통해 섬유산업을 성장동

력산업화하면서 세계 최대의 섬유 생산 대국으로 발전

- 1980~1990년대 의류 및 천연섬유, 1990년대 후반부터 화섬직물,

2000년대 화학섬유를 육성함으로써 화학섬유 - 섬유사 - 직물 - 의

류로 이어지는 전 공급가치사슬을 구축

- 특히, 11.5계획 및 12.5계획 기간에 중국 정부가 산업용 섬유를 육

성한 데 힘입어 산업용 섬유가 높은 성장과 함께 중국 섬유산업

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부상1)

중국 산업용 섬유 수요비중은 2005년 13%에서 2010년 20%로 상

승한 데 이어 2014년 현재 24%로 더욱 상승

1) 중국 정부는 섬유산업의 구조고도화를 위해 산업용 섬유 육성정책을 추진하면서 산업용

섬유 수요 비중을 11.5계획의 정책목표로 2005년 13%에서 2010년 17%로 높일 계획이었

지만 실제로는 이보다 3%포인트 높은 20%를 달성했고, 12.5계획에서는 2015년까지 25%

로 높일 계획이었으나 2014년 현재 24%로 상승하여 계획대로 추진 중.

제1장

Page 10: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10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 동부(연안해)지역 중심에서 벗어나 중·서부(내륙)지역이 정부

의 육성정책에 힘입어 새로운 생산 집적지로 부상

중국 섬유산업의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중·서부지역의 비중

은 2005년 11.7%에서 2010년 17.6%로 상승한 데 이어 2014년 현

재 23.1%로 더욱 상승

◦ 중국은 13억명의 인구를 바탕으로 거대시장을 형성하고 있는데,

앞으로 6~7%대의 안정성장 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성장전략을

수출 중심에서 벗어나 내수 중심으로 전환하면서 내수시장이 크

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

- 농촌인구가 도시로 이동하면서 구매력이 더욱 높아지고 중상

층 가구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소비성향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예상

- 특히, 중·서부지역 소비시장이 정부의 육성정책에 힘입은 높은

성장과 함께 빠르게 신장될 것으로 예상

◦ 또한 중국 섬유산업 정책도 그동안의 양적 성장 정책에서 벗어나

질적 구조 고도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우리 섬유산업에 위협요인

으로 작용할 것으로 우려

- 특히, 중국은 높은 임금 상승 및 생산인력 조달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한 산업구조가 노동집약산업 중심에

서 벗어나 기술 및 자본집약산업으로의 재편이 가속화할 것으

로 예상

노동집약산업은 인건비가 낮은 중·서부지역으로 이전되며 새

로운 집적지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

Page 11: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 이처럼 우리 섬유산업의 최대 무역 대상국인 중국이 산업구조는

물론 시장환경이 변하면서 우리 섬유산업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

으로 예상

- 국내 섬유산업의 전체 무역액에서 차지하는 중국 비중이 2015년

현재 30.1%에 달하고 있음.

◦ 이에 본 보고서는 중국 섬유산업 관련 환경변화와 산업구조변

화를 살펴보고 양국간 분업관계 및 중국시장에서 우리 섬유산업

의 경쟁력을 분석한 다음, 우리 섬유산업의 대응전략을 제시하

고자 함.

- 더 나아가 한·중 FTA 체결에 따른 파급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

는 전략도 함께 제시

Page 12: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1. 섬유산업 관련 환경변화

(1) 수요 환경

□ 중국 경제성장률

◦ 중국은 그동안 세계 생산공장의 역할을 수행하며 높은 성장을

지속하다가 2012년부터 선진국 경기위축에 따른 수출 부진, 높은

임금 상승 등에 따른 생산여건 악화 및 투자위축 등으로 8% 이하

로 하락

◦ 이에 시진핑 정부는 2014년 12월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중국경

제가 신창타이, 즉 뉴노멀(New Normal)시대에 진입했다고 공식

선언

- 신창타이는 최근의 성장세 둔화를 용인하고 지속성장을 담보할

수 있는 새로운 성장전략을 의미

제2장

Page 13: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2장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13

- 과거의 수출과 투자 중심의 성장전략에서 벗어나 혁신을 통한

성장과 내수 중심의 성장전략을 실현하겠다는 의미

◦ 이를 반영하듯 중국 정부는 경제성장률 목표치로 2016년 6.5~7.0%

를 제시하는 등 제13차 5개년(2016~2020년) 계획 기간 동안 연평균

6.5% 이상의 안정성장 전략을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표명

□ 신창타이 시대의 주요 4대 특징

- 중고속 성장 : 과거 연평균 10% 이상의 고성장 단계에서 벗어나 2012년부터 7~8%대의 중고속 성장 단계로 진입

- 경제구조 변화 : 산업구조가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업 중심으로, 그리고 수요구조가 투자 중심에서 소비 중심으로 변화, 도농간 소득불균형 축소

- 성장동력 전환 : 노동과 자본과 같은 생산요소 투입형 성장전략에서 벗어나 과학기술혁 신을 통한 혁신주도형 성장전략으로 전환

- 불확실성 증대 : 부동산시장 버블, 지방정부 부채 확대, 그림자 금융을 비롯한 금융시장 불확실성 증대

<그림 2-1> 중국 경제성장률과 수출증가율 추이

자료 : 중국국가통계국, 중국통계연감.

60.0

50.0

40.0

30.0

20.0

10.0

0

-10.0

-20.0

16.0

14.0

12.0

10.0

8.0

6.0

4.0

(수출증가율, %)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수출증가율 경제성장률

(경제성장률, %)

10.0 10.111.3

12.7

14.2

17.3

-15.9

31.3

20.3

7.9 7.8 6.06.9

34.6 35.428.4

27.2 25.7 9.69.2 10.4

9.3

7.7 7.6 7.4-2.7

Page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 이처럼 중국 경제성장률이 앞으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직도 세계 평균 성장률을 크게 상회하는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

즉, 2016년과 2017년의 세계 경제성장률2) 3.2% 및 3.5%보다 2배

정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

◦ 중국은 앞으로 안정성장세 지속과 함께 내수 중심의 성장전략으

로 인해 내수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

- 한편, 중국의 가계소비지출은 성장률 둔화에도 불구하고 10%가

넘는 높은 증가율 유지

2) IMF(국제통화기금)의 2016년 4월 전망.

<그림 2-2> 중국의 가계소비지출 추이

자료 : 중국국가통계국, 중국통계연감.

20.0

18.0

16.0

14.0

12.0

10.0

8.0

6.0

4.0

2.0

-

21.0

19.0

17.0

15.0

13.0

11.0

9.0

7.0

5.0

(가계소비지출, 천 위안) (증가율, %)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가계소비지출 증가율

4.0 4.3 4.6 5.1 5.8 6.47.6

8.79.5 10.9

13.1

16.217.8

14.7

7.17.9

7.1

11.612.3

11.2

18.0

15.0

9.3

14.8

20.3

10.1 10.0

11.9

Page 15: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2장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15

□ 인구의 도시이동

◦ 중국은 2015년 현재 13억 7,349만명의 인구를 바탕으로 세계 최대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 농촌인구가 도시로 빠르게

이동하면서 구매력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

- 중국의 농촌인구 비중은 2010년 50.8%에서 2020년 39.0%로 낮아지

는 데 이어 2030년에는 31.3%로 더욱 하락할 것으로 예상

<표 2-1> 중국의 농촌인구 비중 전망단위 : %

1990 2000 2010 2015 2020 2030 2050

중국 73.6 64.1 50.8 44.4 39.0 31.3 24.1

아세안 68.4 61.9 55.5 52.4 49.4 44.2 35.5

세계 전체 57.1 53.4 48.4 46.0 43.8 40.0 33.6

자료 : UN,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2014.

주 : 농촌인구 비중 = 농촌인구/전체 인구.

<그림 2-3> 중국의 소득계층별 구성비

자료 : 맥킨지(Mckinsey) 보고서, KOTRA 글로벌 윈도우 해외시장정보 재인용.

주 : 고소득층은 월 소득이 3만 4,000달러 이상, 상위 중산층은 1만 6,000달러~3만

4,000달러, 일반 중산층은 6,000달러~1만 6,000달러, 빈민층은 6,000달러 미만

소득계층.

단위 : %3

29

14

54

9

16

54

22

11

16

20

54

25

5

56

14

상위 중산층

빈민층

고소득층

2012 2022 2012 2022전체 도시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 도시 가구 전체 소비액에서의 비중

일반 중산층

Page 16: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16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이와 같은 2020년과 2030년 중국 농촌인구 비중은 세계 평균

43.8% 및 40.0%보다 각각 4.8%포인트 및 8.7%포인트 낮은 수준

□ 중국의 소득계층별 구조변화

◦ 중국은 중상층 도시 가구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소비성향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예상

- 맥킨지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월 소득 3만 4,000달러 이상의

고소득층 도시 가구 비중이 2012년 3%에서 2022년에 9%로 3배 상

승할 전망

- 또한 월 소득 1만 6,000~3만 4,000달러 사이의 상위 중산층 도시 가

구 비중도 같은 기간에 14%에서 54%로 3.9배 상승할 것으로 전망

<표 2-2> 중국의 연령별 인구구조 변화 전망단위 : %

0~14 15~29 30~49 50~64 65 이상생산가능

인구

세계

2000 30.5 26.2 26.6 10.9 5.7 63.7

2010 27.1 26.1 27.4 13.2 6.2 66.7

2015 26.3 24.7 27.2 14.2 7.6 66.1

2020 25.7 23.3 27.5 15.0 8.6 65.7

2030 23.9 22.4 27.2 15.8 10.8 65.3

중국

2000 25.3 25.5 31.8 11.7 5.8 68.9

2010 17.6 25.4 33.4 16.5 7.0 75.3

2015 17.3 23.0 32.0 18.7 9.0 73.7

2020 17.2 18.6 31.6 21.1 11.4 71.3

2030 15.0 16.8 29.0 23.0 16.2 68.8

자료 : UN,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15.

주 : 수치는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연령별 비중.

Page 17: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2장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17

- 반면, 빈민층 도시 가구 비중은 같은 기간에 29%에서 16%로 13%

포인트나 하락할 전망

◦ 소비액 비중도 상위 중산층 이상의 도시 가구 비중이 같은 기간에

31%에서 81%로 2.6배 상승, 절대적인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

□ 인구 고령화

◦ 중국은 앞으로 고령화가 크게 진전되면서 소비패턴도 빠르게 변

할 것으로 예상

- 중국은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중이 2010년 7.0%에서 2030년에

16.2%로 2배 이상 상승할 것으로 전망

이는 세계 평균 10.8%보다 5.4%포인트 높은 수준

- 반면, 15세 미만 인구 비중은 같은 기간에 17.6%에서 15.0%로 2.6%

포인트 하락할 전망

이는 세계 평균 23.9%보다 8.9%포인트 낮은 수준

□ 지역별·성별 구조변화

◦ 중국의 1인당 GRP는 동부 지역이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지만,

1999년 서부대개발, 2004년 중부궐기 등 중국정부의 중·서부지역

육성 정책에 힘입어 중·서부지역이 높은 성장

- 지역별 1인당 GRP를 살펴보면 2014년 현재 동부지역이 6만 7,418

위안으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중부지역 4만 108위안, 서부지

역 3만 4,868위안 순

Page 18: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18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성별로 살펴보면 톈진 및 베이징이 각각 10만 5,231위안 및 9만

9,995위안으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장강삼각주인 상하이, 장

쑤성 및 저장성이 각각 9만 7,370위안, 8만 1,874위안 및 7만 3,002

위안으로 높은 수준

- 지역별 1인당 GRP 성장률은 2009~2014년 기간 동안 연평균 서부

지역이 16.1%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중부지역 13.8%, 동부지

역 11.2% 순

성별로 살펴보면 구이저우성이 19.2%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

로 산시(陕西)성 16.4%, 안후이성 16.0%, 충칭시 15.9%, 후베이성

15.8%, 광시성 15.6%, 칭하이성 15.3%, 신장위구르 15.3% 순

<표 2-3> 중국의 성별 성장지표

1인당 GRP(천 위안)

소매판매액(백억 위안)

고정투자액(백억 위안)

연평균 증가율(%)(2009~2014)

2009 2014 2009 2014 2009 20141인당 GRP

소매 판매액

고정 투자액

동부 39.6 67.4 763 1,516 1,069 2,280 11.2 14.7 16.3

중부 21.0 40.1 384 807 739 1,769 13.8 16.0 19.1

서부 16.5 34.9 179 396 439 1,071 16.1 17.2 19.5

전체 27.6 50.2 1,327 2,719 2,188 5,058 12.7 15.4 18.2

자료 : 중국국가통계국, 중국통계연감.

주 : 1) GRP는 Gross Regional Product(지역총생산).

2) 동부지역 : 랴오닝성, 허베이성, 베이징시, 톈진시, 산둥성, 저장성, 상하이시, 장쑤성,

푸젠성, 광둥성.

3) 중부지역 : 광시성, 장시성, 후베이성, 후난성, 안후이성, 허난성, 산시성, 네이멍구성,

헤이룽장성, 지린성.

4) 서부지역 : 구이저우성, 윈난성, 쓰촨성, 충칭시, 산시(陕西)성, 칭하이성, 간쑤성, 닝샤

성, 서장자치구(티베트), 신장위구르자치구.

Page 19: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2장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19

◦ 지역별 소매판매액도 중·서부지역이 소득수준 향상에 힘입어

높은 신장세를 나타내고 있음.

- 지역별 소매판매액 신장률은 2009~2014년 기간 동안 연평균 서

부지역이 17.2%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중부지역 16.0%, 동부

지역 14.7% 순

- 성별로 살펴보면 구이저우성, 티베트 및 충칭시가 각각 18.7%,

18.4% 및 18.2%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하이난성, 윈난성, 간쑤

성, 안후이성, 산시(陕西)성이 17%대의 높은 수준을 기록

◦ 중산층 인구 분포도 앞으로 동부지역 중심에서 벗어나 중·서부

지역으로 확대될 전망

- 중·서부지역은 그동안 정부의 중·서부지역 육성정책에 힘입어

<그림 2-4> 중국의 도시별 중산층 분포 비중의 변화

자료 : 맥킨지(Mckinsey) 보고서; KOTRA, 글로벌 윈도우, 해외시장정보 재인용.

1선 도시

2선 도시3선 도시

4선 도시

40

43

15

2002

3

16

45

31

20228

1선 도시2선 주요 도시3선 주요 도시4선 주요 도시

도시별 중산층 분포 비중의 변화, %

Page 20: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20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소득수준이 향상되면서 중산층 인구가 크게 늘어나고 있음.

중국 전체 중산층 인구에서 차지하는 중·서부지역의 비중은

2002년 13%에서 2022년 39%로 3배 상승하는 반면, 동부지역 비

중은 87%에서 61%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등 1선 도시의 중산층 비중이 같은

기간에 40%에서 16%로 크게 하락하는 반면, 2~4선 도시 비중은

각각 43%, 15% 및 3%에서 45%, 31% 및 8%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

(2) 생산 환경

□ 생산인력 공급능력

◦ 중국은 앞으로 고령화 진전과 함께 생산가능 인구 감소로 인해 앞

<그림 2-5> 중국의 생산가능 인구 비중 전망

자료 : UN,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15.

주 : 수치는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생산가능 인구(15~64세) 비중.

(%)

1990 2000 2010 2015 2020 2030 2040 2050

동남아 세계 중국

59.5

63.7

66.7 66.1 65.7 65.3

63.6

61.4

61.7

63.8

67.3 67.8 68.1

67.764.7

64.0

66.2 68.9

75.373.7

71.3

68.8

66.965.9

Page 21: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2장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21

으로 생산인력 조달에 많은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예상

- 중국의 생산가능 인구는 2015년 현재 10억 7만명에서 2020년 9억

9,310만명으로 줄어든 데 이어, 2030년에는 9억 6,263만명으로 더

욱 줄어들 것으로 전망

- 이에 따라 중국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생산가능 인구 비중

이 2015년 73.7%에서 2030년 68.8%로 하락한 데 이어 2040년에는

63.6%로 하락, 세계 평균 및 동남아보다 1.1%포인트 및 3.3%포인

트 낮은 수준 전망

□ 노동비용

◦ 중국은 그동안 생산인력 조달의 어려움 속에 높은 임금 상승 등

으로 생산여건이 악화

<그림 2-6> 중국의 월평균 인건비 추이

자료 : 중국국가통계국, 중국통계연감.

5,000

4,500

4,000

3,500

3,000

2,500

2,000

1,500

1,000

500

-

20.0

18.0

16.0

14.0

12.0

10.0

8.0

6.0

4.0

2.0

0.0

(위안)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2014

인건비 증가율

(%)

498

7.8

11.7

16.1

14.2

16.9

1,517

14.6

2,408

13.314.4

11.910.1

11.8

15.5

12.2

778

12.9

14.014.3

18.5

3,045

4,697

2,060

11.6

9.5

Page 22: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22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 특히, 중국은 최저임금이 크게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2008년

1월 노동법 개정으로 기업들의 고용계약제 의무화 및 장기고용

제 도입 등으로 업계의 인건비 부담이 크게 증가3)

- 중국의 월평균 임금은 2000년 778위안에서 2010년에 3,045위안

으로 3.9배나 상승한 데 이어 2014년 현재 4,697달러로 2010년보

다 1.5배 상승

◦ 이에 따라 중국은 인건비가 베트남,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경쟁국에 비해 크게 높은 수준을 나타냄으로써 가격경쟁

력이 크게 약화

- 중국의 최저임금 수준을 아세안 주요 경쟁국들과 비교해 보면

2015년 현재 중국이 월평균 253달러로, 인도네시아(186달러)보다

1.4배 높고 베트남(146달러)보다는 1.7배나 높은 수준

- 중국은 앞으로 지속적인 성장과 함께 생산인력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생산가능 인구 감소 등으로 인해 생산인력 조달이 더욱 어려

3) 조철·박훈 외(2014), 「주요 산업의 중국내 동북아국가들의 경쟁구조 분석」, 산업연구원.

<표 2-4> 아시아 주요국들의 최저임금 비교(2015) 단위 : 달러/월

중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최저임금 253 186 180 146 128 111

자료 : 세계은행, 각국 정부.

주 : 최저임금은 각국 수도 기준.

Page 23: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2장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23

워지고 이로 인한 임금 상승으로 산업구조가 노동집약산업에

서 벗어나 기술 및 자본집약산업으로의 재편이 가속화될 전망

◦ 지역별 임금 수준을 살펴보면 동부지역이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는 반면, 서부지역은 매우 낮은 수준

- 동부지역의 대표지역이자 중국의 최대 공업도시인 상하이, 장쑤

<표 2-5> 중국의 성별 임금 수준 비교단위 : 위안/월

순위 성별최저임금(2015)

제조업 임금(2014)

순위 성별최저임금(2015)

제조업 임금(2014)

1 선전시 2,030 - 15 장시성 1,530 30,500

2 상하이 2,020 33,895 16 안후이성 1,520 35,648

- 장쑤성 - 39,661 17 충칭시 1,500 40,739

3 광둥성 1,895 39,618 17 푸젠성 1,500 39,370

4 저장성 1,860 36,765 17 쓰촨성 1,500 31,895

5 톈진시 1,850 50,154 20 헤이룽장성 1,480 26,571

6 베이징시 1,720 46,691 - 랴오닝성 - 31,092

7 신장위구르 1,670 37,519 20 지린성 1,480 25,735

8 네이멍구 1,640 35,773 20산시성

(Shaanxi)1,480 31,542

- 허베이성 - 32,692 20 닝샤성 1,480 33,417

9산시성(Shanxi)

1,620 29,299 24 간쑤성 1,470 27,507

10 산둥성 1,600 39,112 25 광시성 1,400 32,199

10 허난성 1,600 26,867 26 후난성 1,390 30,505

10 구이저우성 1,600 30,265 27 하이난성 1,270 30,710

13 윈난성 1,570 30,123 - 칭하이성 - 29,718

14 후베이성 1,550 28,670 평균 1,707 35,653

자료 : 중국국가통계국, Chinanews.com

Page 2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2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성, 저장성 등 장강삼각주지역과 선전시를 비롯한 광둥성이 가

장 높은 수준

- 반면, 서부지역인 칭하이성, 광시성, 간쑤성, 닝샤성, 산시성(陕

西省) 등은 매우 낮은 수준

- 또한 중부지역인 후난성, 지린성, 헤이룽장성, 안후이성, 장시성

도 낮은 수준

- 이처럼 동부지역은 높은 인건비로 인해 앞으로 고기술 및 자본

집약 산업 중심으로 재편되고 노동집약 산업들은 인건비가 낮

은 중·서부지역으로의 이전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

2. 산업구조 변화

(1) 의류 내수시장 현황

◦ 중국 의류시장 규모는 소득수준 향상 및 중산층 가구 증가에 따른

구매력 향상 등에 힘입어 2014년 현재 3,090억 달러로 2010~2014년

기간 동안 연평균 17.6%의 매우 높은 증가율을 기록

- 중국은 앞으로 수출 중심에서 내수 중심의 성장전략 전환에 힘

입어 의류시장도 2016년까지 연평균 15%가 넘는 높은 신장세를

지속할 전망

◦ 중국 의류시장은 여성복이 주도하고 있는데, 여성 인구가 지속

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여성 소비자들의 영향력이 커지면

서 수요가 증가

Page 25: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2장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25

- 특히, 여성 소비자들의 소득수준 향상 및 제품 선호의 다양성 증

대로 인해 여성복시장이 더욱 세분화되고 다양화되면서 신시장

창출

- 유아복도 1자녀정책이 유지되면서 자녀들에게 고급의류를 입힘

에 따라 고급의류를 중심으로 높은 신장

<그림 2-7> 중국 의류시장 현황

자료 : Statista(2016), “Statistics portal”, http://blog.naver.com/stanza2/220704599226

450

400

350

300

250

200

150

100

50

-

21.0

20.0

19.0

18.0

17.0

16.0

15.0

14.0

13.0

12.0

(십억 달러) (%)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규모 증가율

161194 277

263

309

357

413

16.4

20.1

17.1

16.0

17.415.8 15.7

<표 2-6> 중국 SPA브랜드 매장 현황

단위 : 개

UNIQLO H&M ZARA MANGO GAP

2013년 말 260 148 131 123 57

2014년 상반기 289 209 145 129 83

2015년 상반기 341 256 162 135 90

자료 : Statista(2016), “Statistics portal”, http://blog.naver.com/stanza2/

Page 26: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26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 중국 의류소비시장은 1980년대에 태어난 바링허우(八零后) 세대

와 1990년대에 태어난 주링허우(九零后) 세대가 주도

- 바링허우 세대는 H&M, 유니클로, ZARA와 같은 SPA브랜드4)를 선

호하면서 중국 SPA시장이 빠르게 성장

중국의 글로벌 SPA브랜드 매장 수는 2015년 상반기에 유니클

로가 2013년 말보다 79개 증가한 341개로 가장 많고 H&M, ZARA

및 MANGO가 각각 256개, 162개 및 135개로 2~4위를 기록하고 있

으며, 이랜드 그룹도 후아유, 스파오, 미쏘, 슈펜 등 매장 수가

2015년 말 현재 각각 76개, 17개, 12개 및 2개로, 모두 107개에 달

하고 있음.

- 주링허우 세대는 온라인 쇼핑을 즐기면서 온라인시장을 주도

중국은 타오바오, 알리바바, 이하오디엔(Yihaodian, 티메일(T-

mail)) 등 e-commerce 마케팅을 활용한 온라인 쇼핑이 지속적으

로 증가하고 있는데, 의류 온라인 판매액은 2009년 626억 위안

에서 2014년 현재 6,153억 위안으로 연평균 62.4%의 매우 높은

증가율 기록5)

이는 2014년 중국 전체 온라인시장의 22.1%를 차지하고 2013년

의류 전체 소매시장의 38.1%를 차지

특히, 최근 들어 유니클로, ZARA, GAP 등 글로벌 SPA브랜드들이

4) SPA(Specialty retailer’s store of Private label Apparel)는 ‘제조 직매형 의류 전문점’을 의미

하고, SPA 브랜드들은 소재 조달-상품 기획-제조-물류/유통 등 전 부가가치사슬 수직 통

합화를 통해 경쟁력 강화.

5) 중국국가통계국, 국가통계연감.

Page 27: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2장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27

오프라인 판매에 그치지 않고 온라인 판매를 확대하고 있는데,

특히, 유니클로는 타오바오 내 웹사이트를 개설하여 매출액의

40% 정도를 온라인에서 달성

(2) 매출구조 변화

□ 가치사슬별 구조변화

◦ 중국 섬유산업은 2000년대 들어 의류와 천연섬유의 생산기반 및

높은 경쟁력을 바탕으로 화섬·편직물 및 화학섬유까지 육성함

으로써 화학섬유 - 방적사 - 직물 - 의류 및 기타 섬유제품에 이르

는 전 공급가치사슬 구축과 함께 세계 섬유생산 대국으로 부상

- 공급가치사슬 구조(중국 전체 섬유산업의 매출액에서 차지하

는 비중)를 살펴보면 2014년 현재 화학섬유와 방적사를 포함하

는 업스트림 비중이 36.7%, 직물과 염색·가공을 포함하는 미들

스트림 비중이 26.0%, 그리고 의류 및 기타 섬유제품을 포함하는

다운스트림 비중이 37.3% 차지

- 이에 중국은 높은 인건비에도 불구하고 전 공급가치사슬 간 시

너지 효과 극대화를 통해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경쟁국

들에 비해 높은 경쟁력 유지

특히, 의류 업체들은 자국 내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섬유소재

및 부자재를 조달함으로써 비용 절감과 함께 높은 경쟁력 유지

베트남,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미얀마 등 아시아 경쟁국들은

의류 생산기반은 구축하고 있지만 섬유소재 생산기반 미흡으

Page 28: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28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로 의류생산에 필요한 섬유소재를 수입에 의존함으로써 조달

비용이 중국보다 높은 수준

<표 2-7> 중국 섬유산업의 가치사슬별 매출액 구조변화

단위 : 개, 십억 위안, %

기업 수 매출액 연평균 증가율

2012 2014 2012 2014 기업 수 매출액

업 스트림

화학섬유 1,796 1,938 671 721 3.9 3.6

(합성섬유) 1,480 1,581 488 513 3.4 2.5

(재생섬유) 316 357 183 209 6.3 6.7

방적사 6,802 6,955 1,393 1,705 1.1 10.6

(면사) 5,585 5,693 1,217 1,481 1.0 10.3

(기타) 1,217 1,262 177 223 1.8 12.5

소계 8,598 8,893 2,065 2,426 1.7 8.4

미들 스트림

직물 8,289 8,343 1,082 1,285 0.3 9.0

(면직물) 3,266 3,525 510 579 3.9 6.6

(기타 천연직물) 917 915 149 188 -0.1 12.5

(화섬장섬유직물) 1,196 1,021 79 92 -7.6 7.4

(편직물) 1,882 1,795 193 231 -2.3 9.5

(부직포) 771 838 102 137 4.3 16.2

(코드직물) 257 249 49 57 -1.6 7.9

염색·가공 2,391 2,248 406 432 -3.0 3.1

(면섬유) 1,702 1,693 323 357 -0.3 5.2

(기타 천연섬유) 246 226 40 28 -4.2 -17.2

(화섬장섬유직물) 220 148 14 18 -18.0 10.9

(편직물) 223 181 29 30 -9.9 1.6

소계 10,680 10,591 1,489 1,717 -0.4 7.4

다운 스트림

의류 14,501 15,167 1,730 2,077 2.3 9.6

기타 섬유제품 2,888 2,948 341 387 1.0 6.5

소계 17,389 18,115 2,071 2,464 -1.7 9.1

섬유산업 36,667 37,599 5,624 6,607 1.3 8.4

자료 : 中國紡織工業協會, 「中國紡織工業發展報告」, 각호.

Page 29: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2장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29

◦ 하지만 중국 섬유산업은 2010년대 들어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수출여건 악화 속에 높은 임금 상승에 의한 베트남,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경쟁국들과의 가격경쟁력 약화 등으로 성

장세가 둔화

- 2011년 21.8%에 달했던 매출액 증가율이 2012년에 11.7%로 하락

한 데 이어 2013년과 2014년에는 각각 9.9% 및 6.9%로 한 자릿수

로 크게 하락

- 기업 수도 2012년 4.1% 증가에서 2013년 3.3% 증가로 0.8%포인트

하락한 데 이어 2014년에는 0.8% 감소

◦ 중국 섬유산업은 염색·가공분야와 화학섬유를 중심으로 매출

증가세가 둔화

- 염색·가공분야는 노후 설비를 중심으로 한 구조조정 등의 영향

으로 2012~2014년 기간 동안 연평균 3.1%의 낮은 증가에 그쳤음.

이에 따라 중국 섬유산업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같

은 기간에 7.2%에서 6.5%로 0.7%포인트 하락

중국의 염색·가공 기술수준은 한국 등 해외기술자들의 대거 영

입 등을 통해 빠르게 향상되고 있지만, 아직도 색상의 재현성

이나 다품종·소량 주문에 대한 대응력이 떨어지고 있음.

- 화학섬유는 공급과잉 및 유가하락에 따른 제품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같은 기간에 연평균 3.6% 증가에 그침.

이에 따라 중국 섬유산업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같

은 기간에 11.9%에서 10.9%로 1.0%포인트 하락

Page 30: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30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헝리화섬(恒力化纖), 장쑤성홍과기(江蘇盛虹科技), 통군집단

(桐昆集團) 등이 대표적인 기업인데, 헝리화섬은 품질관리와

최신 설비를 바탕으로 높은 품질수준의 원사를 생산하고 있

고 장쑤성홍과기는 차별화 섬유 중심으로 생산하며 높은 경

쟁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통군집단은 POY(폴리에스터 장섬유

부분 연신사), DTY, FDY 등을 생산하고 있는데, 자체 브랜드인

GOLDEN COCK는 중국 폴리에스터 장섬유업계에서 ‘중국우수

브랜드’, ‘중국검사면제품’으로 선정될 만큼 높은 품질 수준을

자랑하고 있고 제품 차별화율이 52.2%로 높은 수준6)

- 반면, 의류는 가격경쟁력이 약화된 저가 의류의 수출부진 및 수

입증가 등으로 성장세가 낮아졌지만 자가 브랜드 개발 등을 통

한 제품 품질 향상 등의 노력에 힘입어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

으로 높은 연평균 9.6% 증가

이에 따라 중국 섬유산업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같

은 기간에 30.8%에서 31.4%로 0.6%포인트 상승

- 직물은 산업용 섬유직물과 편직물을 중심으로 같은 기간에 연

평균 9.0% 증가

이에 따라 중국 섬유산업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같

은 기간에 19.2%에서 19.4%로 0.2%포인트 상승

편직물은 세계적인 편직의류 수요 증가, 그리고 산업용 섬유직

물은 정부의 산업용 섬유 육성정책에 힘입어 증가

6) 조철·박훈 외(2014), 「주요 산업의 중국 내 동북아국가들의 경쟁구조 분석(섬유산업편)」,

산업연구원.

Page 31: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2장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31

- 방적사도 편직의류 생산증가에 따른 방적사 수요증가 등에 힘입

어 같은 기간에 연평균 10.6% 증가

이에 따라 중국 섬유산업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같

은 기간에 24.8%에서 25.8%로 1.0%포인트 상승

면, 실크, 양모 등 천연섬유원료의 세계 최대 생산국인 중국은 자

국산 원료를 사용해 방적사를 생산함으로써 높은 경쟁력 유지

□ 지역별·성별 구조변화

◦ 중국 정부는 중·서부지역 육성을 위해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

- 중국 섬유산업의 투자액은 2010~2014년 기간 동안 연평균 20.1%

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여 2014년 현재 1조 363억 위안에 달하

고 있음.

- 중부지역과 서부지역이 높은 증가에 힘입어 전체 투자에서 차지

<그림 2-8> 중국 섬유산업의 지역별 투자 비중 변화

자료 : 中國紡織工業協會, 「中國紡織工業發展報告」, 각호.

동부지역 중부지역 서부지역 동북부지역

61.0

27.6

7.24.2

2010년56.031.1

9.0

3.9

2014년

단위 : %

Page 32: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32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하는 비중이 2010년 각각 27.6% 및 7.2%에서 2014년 현재 31.1% 및

9.0%로 3.5%포인트 및 1.8%포인트 상승

◦ 중국은 장쑤성, 저장성, 산둥성 등 동부(연안해) 지역이 중국 최대

의 섬유 생산 집적지를 형성하고 있는 가운데 중·서부(내륙)지역

이 정부의 투자확대 등을 통한 육성정책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하

면서 새로운 집적지로 부상

- 우선 매출액과 기업 수 증가율의 경우 중부지역은 2005~2014년

기간 동안 연평균 각각 24.3% 및 7.6%로 높은 수준을 기록하였고,

서부지역도 19.4% 및 3.3%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 기록

반면, 동부지역은 같은 기간에 연평균 각각 12.7% 및 -0.5%로 낮

은 수준 기록

- 이에 따라 중국 섬유산업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출액 기

준으로 중부지역이 같은 기간에 9.2%에서 19.4%로 2배 이상 상승

하였고, 서부지역도 2.5%에서 3.7%로 1.5배 상승

반면, 동부지역은 88.3%에서 76.9%로 11.4%포인트 하락

◦ 성별로 살펴보면 전통적인 산지인 장쑤성과 저장성 및 홍콩 자본

에 의해 형성된 광둥성이 낮은 증가와 함께 위상이 약화된 반면,

산둥성과 푸젠성 및 중·서부지역 성들이 높은 증가와 함께 위상

이 크게 상승

- 우선 장쑤성과 저장성은 업체들이 임금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

은 중·서부지역 및 아세안 등지로 생산기지를 이전하면서 성장

세가 크게 둔화

Page 33: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2장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33

중국 섬유산업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경우 장쑤성

은 2005년 25.4%에서 2014년 20.5%, 그리고 저장성은 같은 기간

에 23.8%에서 15.8%로 각각 4.9%포인트 및 8.0%포인트 하락

이들 지역은 노후설비를 폐기하고 범용 제품의 중·서부지역

및 해외로 이전하는 한편, 생산성이 높고 부가가치가 있는 제

<표 2-8> 중국 섬유산업의 지역별 구조변화

단위 : %

기업 수 구조변화 매출 구조변화 연평균 증가율

2005 2010 2014 2005 2010 2014 기업 수 매출액

지역별

동부 87.5 85.0 78.8 88.3 82.4 76.9 -0.5 12.7

중부 10.0 12.6 18.1 9.2 14.0 19.4 7.6 24.3

서부 2.5 2.4 3.1 2.5 3.6 3.7 3.3 19.4

주요성별

장쑤성 20.6 23.9 21.6 25.4 22.5 20.5 1.2 11.7

산둥성 10.3 10.2 10.7 14.2 17.0 17.5 1.1 17.1

저장성 25.0 24.1 21.0 23.8 18.8 15.8 -1.2 9.4

광둥성 12.8 12.0 12.0 10.2 10.4 9.2 -0.1 13.2

푸젠성 5.3 4.9 5.7 4.9 5.8 6.7 1.5 18.5

허난성 2.2 2.6 4.0 2.5 4.2 5.2 7.8 24.4

후베이성 2.4 3.1 4.1 1.9 2.8 4.6 6.9 26.2

장시성 1.2 1.5 2.9 1.0 1.8 3.5 10.5 31.6

허베이성 2.5 2.1 2.8 2.6 2.8 3.3 1.9 17.7

안후이성 1.5 2.9 4.2 1.0 1.6 2.7 13.0 27.6

쓰촨성 1.0 1.0 1.4 1.1 1.9 1.9 3.9 21.8

랴오닝성 2.1 2.6 2.2 1.5 2.0 1.8 1.3 16.3

후난성 1.0 0.9 1.2 0.9 1.4 1.3 2.5 19.9

상하이 6.1 3.6 1.9 3.9 2.0 1.1 -11.8 -1.1

전국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0.7 14.5

자료 : 中國紡織工業協會, 「中國紡織工業發展報告」, 각호.

주 : 수치는 중국 전체 섬유 생산액에서 차지하는 각 지역별 비중.

Page 3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3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품 중심으로 생산구조를 개편하고 있어, 앞으로 우리 섬유산업

에 큰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우려

- 홍콩기업이 대거 진출해 있는 광둥성은 인건비가 저렴한 아세

안 및 중·서부지역으로 기업들이 이전하면서 중국 섬유산업 전

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같은 기간에 10.2%에서 9.2%로

1.0%포인트 하락

<표 2-9> 중국 섬유산업의 품목별·지역별 구조변화

단위 : %

화학섬유 직물 의류

2005 2010 2014 2005 2010 2014 2005 2010 2014

지역별

동부 88.9 92.0 91.6 80.1 78.1 76.8 90.6 86.8 79.5

중부 8.2 4.7 4.3 14.7 17.0 18.8 8.9 12.3 19.1

서부 2.8 3.3 4.1 5.2 4.9 4.4 0.5 0.9 1.4

주요성별

장쑤성 28.1 33.2 29.9 14.3 13.5 13.0 17.2 14.8 15.5

산둥성 5.9 3.0 1.8 23.5 21.2 16.4 12.0 12.4 10.3

저장성 40.5 44.2 45.3 22.1 24.3 22.2 18.7 17.1 13.3

광둥성 2.9 1.4 1.3 6.6 4.3 5.4 25.8 24.6 21.3

푸젠성 4.3 6.7 10.4 5.3 4.8 9.7 5.5 10.2 12.5

허난성 2.4 1.7 1.1 4.2 6.0 3.4 1.4 2.0 4.6

후베이성 0.7 0.4 0.6 5.5 7.1 11.7 1.4 2.0 3.6

장시성 1.1 0.6 1.0 0.7 1.2 1.4 3.8 4.0 4.1

허베이성 1.4 0.8 1.3 6.2 8.4 8.7 2.0 2.2 2.0

안후이성 0.7 0.7 0.5 1.5 1.7 1.7 0.8 1.9 3.7

쓰촨성 1.6 1.7 2.5 1.9 2.3 2.7 0.2 0.3 0.6

랴오닝성 1.5 0.6 0.3 1.0 1.0 0.9 2.5 2.3 2.1

후난성 0.5 0.1 0.1 1.0 0.7 0.5 0.9 1.0 1.2

상하이 3.1 1.6 1.0 0.3 0.3 0.2 4.5 2.0 1.7

전국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 : 中國紡織工業協會, 「中國紡織工業發展報告」, 각호.

주 : 수치는 중국 전체 섬유 생산액에서 차지하는 각 지역별 비중.

Page 35: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2장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35

- 반면, 한국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산둥성과 대만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푸젠성은 동부지역 중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인건

비 등에 힘입어 업체들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면서 각각 2위 및 5

위의 생산 집적지로 부상

산둥성은 2005~2014년 기간 동안 연평균 17.1%의 높은 증가에 힘

입어 중국 섬유산업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

간에 14.2%에서 17.5%로 3.3%포인트 상승

푸젠성도 동부지역에서 가장 높은 성장과 함께 중국 섬유산업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에 4.9%에서 6.7%

로 1.8%포인트 상승

- 허난성, 후베이성, 안후이성, 장시성, 쓰촨성, 후난성 등 중·서부

지역의 비중은 정부의 중·서부지역 육성정책에 힘입어 높은 매

출 증가와 함께 크게 상승

(3) 영업이익 구조변화

□ 가치사슬별 구조변화

◦ 중국 섬유산업의 영업이익은 2012년 2,943억 위안에서 2014년 현

재 3,590억 위안으로 연평균 10.5% 증가, 매출액 증가율 8.4%보다

2.1%포인트 높은 수준

- 미들스트림이 같은 기간에 연평균 12.3%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

하였는데, 직물과 염색·가공이 각각 연평균 12.7% 및 11.1% 증가

특히, 모직물, 면직물, 부직포 및 면섬유 염색·가공이 연평균 각

Page 36: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36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표 2-10> 중국 섬유산업의 가치사슬별 영업이익 구조변화

단위 : 백만 위안, %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2012 2014연평균증가율

2012 2014

업스트림

화학섬유 22,527 27,730 11.0 3.4 3.8

(합성섬유) 15,949 18,644 8.1 3.3 3.6

(재생섬유) 6,577 9,086 17.5 3.6 4.4

방적사 75,709 91,852 10.1 5.4 5.4

(면사) 65,225 79,367 10.3 5.4 5.4

(기타) 10,485 12,485 9.1 5.9 5.6

소계 98,236 119,582 10.3 4.8 4.9

미들스트림

직물 54,232 68,844 12.7 5.0 5.4

(면직물) 23,326 31,017 15.3 4.6 5.4

(기타 천연직물) 7,211 10,853 22.7 4.8 5.8

(화섬장섬유직물) 5,394 4,323 -10.5 6.8 4.7

(편직물) 9,667 11,398 8.6 5.0 4.9

(부직포) 6,280 8,313 15.1 6.2 6.1

(코드직물) 2,355 2,940 11.7 4.8 5.1

염색·가공 18,962 23,406 11.1 4.7 5.4

(면섬유) 12,487 18,024 20.1 3.9 5.0

(기타 천연섬유) 1,503 1,346 -5.4 3.7 4.9

(화섬장섬유직물) 1,946 868 -33.2 13.5 4.9

(편직물) 3,026 3,169 2.3 10.5 10.6

소계 73,194 92,250 12.3 4.9 5.4

다운스트림

의류 101,740 124,728 10.7 5.9 6.0

기타 섬유제품 21,099 22,477 3.2 6.2 5.8

소계 122,839 147,205 9.5 5.9 6.0

섬유산업 294,269 359,037 10.5 5.2 5.4

자료 : 中國紡織工業協會, 「中國紡織工業發展報告」, 각호.

Page 37: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2장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37

각 29.2%, 15.3%, 15.1% 및 20.1%로 매우 높은 증가

- 반면, 다운스트림이 같은 기간에 연평균 9.5%의 상대적으로 낮

은 증가율을 기록

기타 섬유제품이 연평균 3.2%로 매우 낮은 증가율을 기록하였

지만, 의류는 10.7%로 평균을 상회하는 높은 증가

◦ 중국 섬유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다운스트림이 2014년 현

재 6.0%로 가장 높은 수준인 반면, 업스트림이 4.9%로 가장 낮은

수준

- 분야별로는 2014년 현재 편직물 염색·가공이 10.6%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부직포가 6.1%, 의류와 견직물이 각각 6.0%, 기타 섬

유제품이 5.8% 순

□ 지역별·성별 구조변화

◦ 중국 섬유산업의 영업이익은 동부지역이 절대적으로 많지만, 영

업이익 증가율은 동부지역이 가장 낮은 반면, 서부지역과 중부지

역이 높은 수준

- 동부지역은 2012~2014년 기간 동안 연평균 7.3%의 상대적으로 낮

은 증가에 그치면서, 전체 영업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같은

기간에 78.7%에서 74.9%로 3.8%포인트 하락

반면, 서부지역은 같은 기간에 연평균 27.6%의 매우 높은 증가

에 힘입어 전체 영업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1%에서 4.1%

로 1.0%포인트 상승

Page 38: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38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중부지역도 같은 기간에 연평균 18.0%의 높은 증가에 힘입어

전체 영업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8.2%에서 20.9%로 2.7%포

인트 상승

<표 2-11> 중국 섬유산업의 지역별 영업이익 구조변화

단위 : %

영업이익 영업이익구조 매출액 영업이익률

2012 2014연평균증가율

2012 2014 2012 2014

지역별

동부 238,455 274,438 7.3 78.7 74.9 5.3 5.3

중부 55,078 76,713 18.0 18.2 20.9 5.5 5.9

서부 9,290 15,123 27.6 3.1 4.1 4.6 6.0

주요성별

장쑤성 61,522 74,808 10.3 20.3 20.4 5.1 5.4

산둥성 60,380 67,313 5.6 19.9 18.4 6.0 5.7

저장성 42,263 52,495 11.5 14.0 14.3 4.2 5.0

광둥성 21,514 29,128 16.4 7.1 8.0 4.2 4.7

푸젠성 26,866 25,572 -2.4 8.9 7.0 7.9 5.7

허난성 19,465 25,807 15.1 6.4 7.0 7.2 7.3

후베이성 10,228 14,224 17.9 3.4 3.9 4.3 4.6

장시성 9,895 16,750 30.1 3.3 4.6 6.4 7.2

허베이성 12,236 14,565 9.1 4.0 4.0 6.4 6.5

안후이성 7,370 9,656 14.5 2.4 2.6 5.3 5.3

쓰촨성 5,869 6,426 4.6 1.9 1.8 5.4 5.0

랴오닝성 5,595 4,179 -13.6 1.8 1.1 4.6 3.5

후난성 2,378 3,219 16.4 0.8 0.9 3.1 3.6

상하이 5,018 1,947 -37.7 1.7 0.5 5.8 2.8

전국 302,823 366,273 10.0 100.0 100.0 5.3 5.4

자료 : 中國紡織工業協會, 「中國紡織工業發展報告」, 각호.

주 : 본 수치에는 섬유기계 포함 .

Page 39: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2장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39

- 주요 성별 증가율을 살펴보면 장시성이 30.1%로 가장 높은 수준

을 나타냈고, 그 다음으로 후베이성이 17.9%, 후난성과 광둥성이

각각 16.4%, 허난성이 15.1%, 안후이성이 14.5%, 저장성이 11.5% 순

◦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서부지역이 가장 높을 뿐만 아니라 크게 상

승하였고 중부지역도 상승한 반면, 동부지역이 가장 낮은 수준

- 서부지역은 높은 영업이익 증가에 힘입어 같은 기간에 4.6%에서

6.0%로 1.4%포인트나 상승

중부지역은 영업이익 증가에 힘입어 같은 기간에 5.5%에서

5.9%로 0.4%포인트나 상승

반면, 동부지역은 2014년 현재 5.3%로 가장 낮은 수준

- 주요 성별로 살펴보면 2014년 현재 허난성과 장시성이 각각 7.3%

및 7.2%로 가장 높은 수준이고, 그 다음으로 허베이성이 6.5%, 산

둥성과 푸젠성이 각각 5.7% 순

(4) 산업용 섬유 생산구조 변화

◦ 중국 정부는 제12차 5개년 계획에서 섬유산업 구조고도화를 위해

첨단 산업용 섬유 산업화 등을 추구하였는데, 이를 통해 산업용

섬유 비중을 2010년 20%에서 12.5 계획 말인 2015년에 25%로 5%포

인트 높일 계획을 수립7)

7) 박훈(2012),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고도화 정책과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산업연

구원.

Page 40: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40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 이러한 정부의 육성정책에 힘입어 산업용 섬유 비중이 2010년

20%에서 2013년 23%로 높아졌음.

반면, 의류용 섬유 비중은 같은 기간에 51%에서 48%로 3%포인

트 하락

- 중국은 그동안 나일론, 폴리에스터와 같은 범용 섬유소재 중심

에서 벗어나 아라미드 섬유, 탄소섬유 등 고성능 산업용 섬유 생

산을 확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섬유, 폴리설폰(PSA) 섬유,

아라미드섬유, 탄소섬유 등 고성능 섬유 제조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메타계 아라미드섬유 등은 대량 생산을 하고 있음.

◦ 중국 섬유산업은 구조고도화를 추진하기 위해 산업용 섬유산업

을 적극 육성한 데 힘입어 산업용 섬유 생산이 크게 증가

- 산업용 섬유 생산은 2005~2010년 기간 동안 연평균 17.6%의 매우

<그림 2-9> 중국의 용도별 섬유 비중 변화

자료 : 中國紡織工業協會, 「中國紡織工業發展報告」, 각호.

의류용 섬유 생활용 섬유 산업용 섬유

48

29

23

2013년51

29

20

2010년

단위 : %

Page 41: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2장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41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데 이어 2010~2014년 기간 동안에도 10.6%

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여 2014년 현재 1,230만톤을 기록

◦ 용도별 산업용 섬유 생산량을 살펴보면 캔버스용 섬유가 가장 많

이 생산되고 있는 가운데 토목용, 구조강화용, 필터용, 의류·위

생용, 건축용, 공업용 섬유 및 차폐용 섬유가 높은 증가세를 기록

하며 산업용 섬유의 높은 생산 증가를 주도8)

- 우선 캔버스용 섬유생산량은 2014년 현재 210만 톤으로 산업용

섬유 전체 생산량의 17.1%를 차지하는 가장 중요한 분야

대표적인 캔버스용 섬유 업체로는 산둥성에 소재한 Lichang사와

Shenda-Kobond사로, 광고용 생지, 천막, 텐트지, 트럭커버 등에

사용되는 지오테크 포백 등 혁신 캔버스 직물을 생산

-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는 분야는 토목용 섬유로, 고속

철도, 고속도로, 수로 등 인프라 건설 확대에 힘입어 2005~2010년

과 2010~2014년 기간 동안 연평균 각각 32.0% 및 17.0%의 높은 증가

대표적인 토목용 섬유 업체로는 저장성 소재 진다신소재(Jinda

New Materials)와 산둥성 홍샹(Hongxiang)을 들 수 있는데, 저장성

진다신소재는 트리코트, 각종 코팅 포백, 유리섬유 포백, 아라

미드직물 등을 생산하고 있고 톈진공과대학교와 제휴한 R&D

센터를 보유, 산둥성 홍샹은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제의 각

종 토목용 섬유와 토목용 막을 생산

8) 박훈(2013), 「섬유산업의 구조고도화를 위한 국내 산업용 섬유 발전전략」, 산업연구원을

바탕으로 중국방직협회(2015), 「중국방직공업발전보고」 내용을 추가.

Page 42: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42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 필터용 섬유 생산도 화력발전소 건설 급증, 철강, 시멘트 등의 공

장건설 증가로 인한 고성능 여과용 집진필터(Bag Filter) 수요 급

증, 화학 및 식품 생산공장에서의 여과 기능 필터 등의 수요 증가

에 힘입어 2010~2014년 기간 동안 연평균 14.7%의 높은 증가

대표적인 업체로는 자동차용 에어 및 오일필터, 전지용 폴리

프로필렌 분리막 등을 생산하는 안후이성 Aohong Superfine Fi-

<표 2-12> 중국의 용도별 산업용 섬유 생산 현황

단위 : 천톤, %

2005 2010 2012 2014연평균 증가율

2005~2010 2010~2014

캔버스 685 1,523 1,765 2,104 17.3 8.4

의료·위생용 320 703 906 1,157 17.0 13.3

구조강화용 317 611 865 1,073 14.0 15.1

합성피혁용 382 711 900 1,054 13.2 10.3

필터용 267 559 740 968 15.9 14.7

포장용 316 667 748 873 16.1 7.0

토목용 101 405 597 758 32.0 17.0

농림·수산용 310 517 577 669 10.8 6.7

코드용 130 437 510 618 27.4 9.1

수송기계용 98 422 498 616 33.9 9.9

건축용 144 356 456 565 19.8 12.2

공업용 80 253 327 400 25.9 12.1

차폐용 105 246 311 383 18.6 11.7

스포츠용 80 268 297 346 27.4 6.6

안전·방호용 105 227 264 317 16.7 8.7

기타 214 312 342 400 7.8 6.4

합계 3,654 8,217 10,103 12,301 17.6 10.6

자료 : 中國紡織工業協會, 「中國紡織工業發展報告」, 각호.

Page 43: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2장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43

ber Filtering Material, 직물 및 부직포 필터를 생산하는 랴오닝성

Bolian Filter, 부직포 필터 생산 업체인 푸젠성 Costin New Materials

Group, 불소수지 테프론(PTFE)막과 필터, PPS 필터를 생산하는

상하이 Linfion Film 등을 들 수 있음.

- 의료·위생용 섬유 생산은 기저귀, 여성용 생리대, 의료용 처치

용품을 중심으로 같은 기간에 연평균 13.3%의 높은 증가율 기록

대표적인 업체로는 병원용 의류, 기저귀, 여성용 위생용품 등

을 생산하는 JOFO Enterprises, 마스크, 의료용 캡 등 의료용 제

품 전문 업체인 Kingsafe Group, 의료용 부직포와 마스크, Bag을

생산하는 Woderful Nonwovenes, 영국의 Fiberweb사의 자회사로

Airlaid의 위생재, 병원의류용 부직포를 생산하는 Fiberweb Airlaid

등을 들 수 있음.

- 건축용 섬유 생산은 공장 및 주택건설 호조에 힘입어 같은 기간

에 연평균 12.2% 증가

대표적인 업체로는 섬유콘크리트 보강재 업체인 베이징 CTA사

와 Fiberweb Specialty Nonwovenes사를 들 수 있음.

3. 수출입 구조변화

(1) 수출구조 변화

□ 가치사슬별 구조변화

◦ 중국 섬유산업의 수출은 2007년까지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다가,

Page 4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4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2008년부터 생산여건 및 수출환경 악화 등의 영향으로 크게 둔화

- 2008년 중국의 노동법 개정에 따른 높은 임금 상승, 산업 생산 증

가에 따른 생산인력 조달의 어려움 등에 의한 생산여건 악화로

가격경쟁력이 베트남,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경쟁

국에 비해 크게 약화

또한 2007년 미국발 금융위기 및 EU 재정위기 등으로 인한 선진

국들의 수입수요 둔화 속에 중국 위안화까지 절상되면서 수출

환경이 크게 악화

- 2000~2007년 기간 동안 연평균 19.1%의 매우 높은 증가율을 기록

하였던 수출이 2007~2015년 기간 동안 연평균 6.6%의 낮은 증가

에 그치면서 2015년 현재 2,728억 달러를 기록

특히, 2014년에 5.0%의 낮은 증가에 이어 2015년에는 4.7% 감소

◦ 분야별로 살펴보면 인건비 의존도가 높은 의류가 크게 둔화된 반

면, 직물과 기타 섬유제품은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

- 의류는 EU와 일본 등을 중심으로 2007~2015년 기간 동안 연평균

5.1%, 특히 2011~2015년 기간 동안에는 3.1%의 매우 낮은 증가에

그쳤고 2015년에는 6.4% 감소

하지만 중국은 2014년 현재 아직도 세계 의류시장의 38.6%를 점

유하는 의류 수출대국

- 섬유사는 천연섬유사를 중심으로 같은 기간에 연평균 4.3%의

낮은 증가

중국은 세계 최대의 천연섬유 생산국인 동시에 세계 최대의 수

Page 45: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2장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45

입국으로, 자국 생산분은 대부분 내수시장에서 소비함으로써

낮은 수출증가를 보이고 있음.

화섬장섬유사는 생산능력 확대 및 범용 원사를 중심으로 한 높은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같은 기간에 연평균 8.1%의 지속 증가

- 반면, 직물은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었지만 편직물, 화섬직물, 부

<표 2-13> 중국 섬유산업의 수출구조 변화

단위 : 백만 달러, %

수출금액 수출구조 연평균 증가율

2000 2007 2011 2015 2007 20152000~2007

2007~2015

업스트림

화섬원료 43 924 2,063 1,689 0.6 0.6 54.8 7.8

섬유사 3,013 7,828 11,737 10,987 4.7 4.0 14.6 4.3

천연섬유사 1,625 3,149 4,002 3,193 1.9 1.2 9.9 0.2

화섬장섬유사 274 2,559 4,412 4,776 1.5 1.8 37.6 8.1

화섬방적사 739 1,583 2,638 2,246 1.0 0.8 11.5 4.5

미들스트림

직물 9,120 31,656 54,452 64,894 19.2 23.8 19.5 9.4

견직물 362 772 1,058 724 0.5 0.3 11.4 -0.8

모직물 189 615 675 542 0.4 0.2 18.3 -1.6

면직물 2,792 7,392 13,166 14,086 4.5 5.2 14.9 8.4

화섬장섬유직물 1,052 5,237 9,408 11,608 3.2 4.3 25.8 10.5

화섬단섬유직물 1,943 3,860 6,466 8,967 2.3 3.3 10.3 11.1

편직물 1,288 5,735 10,701 14,630 3.5 5.4 23.8 12.4

기타직물 1,105 7,591 12,195 13,132 4.6 4.8 31.7 7.1

다운스트림

의류 32,292 108,681 143,264 162,353 65.8 59.5 18.9 5.1

기타섬유제품 4,221 16,033 27,823 32,842 9.7 12.0 21.0 9.4

섬유소재 12,176 40,407 68,252 77,570 24.5 28.4 18.7 8.5

섬유 전체 48,689 165,122 239,339 272,764 100.0 100.0 19.1 6.5

자료 : 한국무역협회, 중국무역통계.

Page 46: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46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직포를 중심으로 같은 기간에 연평균 9.4%의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율 기록

편직물은 세계적인 편직의류 수요 증가에 대응해 생산능력 증

가를 통한 미국, 아세안, 한국, EU 등지로의 수출 증가에 힘입어

같은 기간에 연평균 12.4%의 높은 증가세 유지

화섬직물은 자급도 향상과 함께 아세안을 중심으로 수출을 늘

리면서 화섬장섬유직물과 화섬단섬유직물이 같은 기간에 각

각 연평균 10.5% 및 11.1%의 높은 증가

부직포도 범용품을 중심으로 한 높은 가격경쟁력에 힘입어 같

은 기간에 연평균 21.3%의 매우 높은 증가

□ 지역별·성별 구조변화

◦ 지역별 수출의 경우 동부지역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그림 2-10> 중국 위안/달러 환율 추이

자료 : 한국은행.

8.5

8

7.5

7

6.5

6

5.5

(위안/달러)

2005.12 2006.12 2007.12 2008.12 2009.12 2010.12 2011.12 2012.12 2013.12 2014.12 2015.12

8.0762

6.9999

6.0504

6.4490

Page 47: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2장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47

가운데 중·서부지역이 인건비가 높은 동부지역 업체들의 생산

공장 이전에 힘입어 생산 증가와 함께 수출이 크게 증가

- 동부지역이 2015년 현재 중국 전체 섬유 수출의 88.8%의 절대적

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2010~2015년 기간 동안 연평균 6.3%

의 상대적으로 낮은 증가에 머물렀음.

- 반면, 중부지역은 동부지역 업체들의 공장 이전이 빠르게 진행

되면서 같은 기간에 연평균 14.1%의 높은 증가율 기록

이로 인해 중국 섬유산업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같은

기간에 5.7%에서 8.0%로 2.3%포인트 상승

- 서부지역은 높은 생산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출확대로 이어지

지 못하고 있음.

특히, 쓰촨성 대지진 및 신장위구르의 분리독립운동 등의 영향

으로 수출이 감소

서부지역 섬유산업 전체 수출은 같은 기간에 연평균 0.9% 감소

하여 중국 섬유산업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같은 기간

에 4.5%에서 3.1%로 1.4%포인트 하락

한편, 대지진이 일어난 쓰촨성과 분리독립운동으로 생산활동

에 지장을 받고 있는 신장위구르를 제외할 경우 21.5%의 매우

높은 증가율 기록

◦ 주요 성별 수출의 경우 섬유소재를 중심으로 한 저장성과 장쑤

성, 그리고 의류를 중심으로 한 광둥성이 최대 수출지역인 가운

데 중·서부지역 성들이 크게 증가

Page 48: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48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표 2-14> 중국 섬유산업의 지역별·성별 수출구조 변화단위 : %

섬유소재 의류 섬유산업연평균 증가율(2010~2015)

2010 2015 2010 2015 2010 2015섬유 소재

의류 전체

지역별

동부 92.3 92.2 88.6 86.7 89.8 88.8 7.6 5.6 6.3

중부 4.6 5.6 6.3 9.6 5.7 8.0 12.0 15.5 14.1

서부 3.1 2.1 5.1 3.7 4.5 3.1 -0.3 -0.6 -0.9

(2개성 제외) 1.1 1.1 0.5 1.5 0.7 1.3 8.1 29.2 21.5

주요 성별

저장성 38.1 36.9 21.2 18.5 26.6 24.8 6.9 3.2 5.0

광둥성 12.6 15.2 23.5 28.4 18.8 22.8 11.8 10.1 10.7

장쑤성 21.0 21.0 15.5 14.5 17.5 17.1 7.6 4.5 6.1

산둥성 10.1 6.7 6.9 6.8 8.8 7.6 -1.0 5.7 3.5

푸젠성 2.6 5.4 6.5 7.0 5.0 6.0 24.3 7.8 10.6

상하이 4.7 3.6 9.0 5.9 7.6 5.2 1.7 -2.6 -1.2

장시성 0.4 1.3 1.6 4.4 1.2 3.1 35.5 29.0 29.6

허베이성 1.7 2.4 1.3 1.5 1.8 2.1 14.8 8.4 10.5

랴오닝성 0.8 0.6 2.5 2.4 1.9 1.7 2.5 4.6 4.1

안후이성 0.8 1.2 0.9 1.7 0.9 1.5 15.8 20.3 18.3

후베이성 0.6 0.8 1.0 1.2 0.8 1.1 15.2 10.9 11.6

허난성 1.6 1.3 0.5 0.8 0.8 0.9 3.1 14.9 8.5

베이징 0.3 0.2 1.2 1.3 0.9 0.8 -1.9 6.6 5.1

톈진시 0.5 0.3 1.0 0.5 1.0 0.6 -3.0 -5.5 -3.1

쓰촨성 1.4 0.9 0.5 0.3 0.7 0.4 -1.7 -6.4 -3.8

충칭시 0.4 0.4 0.3 0.0 0.2 0.4 7.6 40.7 23.2

헤이룽장성 0.2 0.2 1.1 0.4 0.9 0.3 0.4 -14.8 -11.4

후난성 0.2 0.2 0.2 0.4 0.3 0.3 6.8 15.4 11.7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7.6 6.0 6.5

자료 : 한국무역협회, 중국무역통계(성별 통계)를 이용해 산업연구원에서 작성.

주 : 1) 2개 성은 쓰촨성과 신장위구르.

2) 섬유산업은 섬유소재, 의류 및 기타 섬유제품 포함.

Page 49: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2장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49

- 저장성, 광둥성 및 장쑤성은 2015년 현재 중국 전체 섬유 수출의

각각 24.8%, 22.8% 및 17.1%를 차지, 1~3위의 주력 수출지역

특히, 광둥성은 생산둔화에도 불구하고 제품 품질수준 향상을

통한 경쟁력 제고를 통해 높은 수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음.

- 푸젠성도 대만 화섬소재기업들의 유입 확대에 힘입어 섬유소재

를 중심으로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면서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

는 비중이 2010년 5.0%에서 2015년 6.0%로 상승

- 중부지역인 장시성, 안후이성, 후난성, 후베이성 및 허난성, 그리

고 서부지역인 충칭시, 구이저우성(91.8%), 간쑤성(51.0%), 닝샤

성(45.0%) 등이 높은 증가율 기록

(2) 수입구조 변화

□ 가치사슬별 구조변화

◦ 중국 섬유수입은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지에서의 저가품 수입증

가 및 이탈리아 등지에서의 고급의류 수입증가 등으로 2009년 이

후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였다가, 2013년 이후 감소세로 반전

- 중국 섬유수입은 2009~2013년 기간 동안 연평균 12.3% 증가하였

다가, 2013~2015년 기간 동안 연평균 3.6% 감소

◦ 2009년 이후 중국은 높은 인건비 상승으로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개도국들에 비해 가격경쟁력 열세를 보이면서 이들 지역

으로 저가품 생산기지를 이전하였고 이로 인해 역수입 증가

Page 50: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50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 소득수준 향상 및 중산층 확대에 힘입어 이탈리아, 미국 등지에

서 고급 명품 브랜드 의류수입도 높은 증가

◦ 2013년 이후에는 EU, 일본 등 선진국으로의 의류수출 부진에 따른

섬유소재 수입수요 위축으로 감소세로 반전

- 또한 시진핑 정부의 부정척결 및 사정활동 강화 등의 영향으로

<표 2-15> 중국 섬유산업의 수입구조 변화

단위 : 백만 달러, %

수입금액 수입구조 연평균 증가율

2000 2009 2013 2015 2009 20152009~2013

2013~2015

업스트림

화섬원료 1,447 1,432 2,275 1,670 8.1 6.4 12.3 -14.3

섬유사 2,814 4,305 9,404 8,641 24.3 32.9 21.6 -4.1

천연섬유사 1,226 2,538 7,126 6,723 14.3 25.6 29.4 -2.9

(면사) 952 2,354 6,817 6,370 13.3 24.3 30.4 -3.3

화섬장섬유사 1,060 1,325 1,734 1,469 7.5 5.6 7.0 -8.0

화섬방적사 487 401 482 409 2.3 1.6 4.7 -7.8

미들스트림

직물 9,476 9,334 10,190 8,431 52.7 32.1 2.2 -9.0

천연직물 2,465 2,284 2,360 1,755 12.9 6.7 0.8 -13.7

(면직물) 1,751 1,676 1,760 1,231 9.5 4.7 1.2 -16.4

화섬장섬유직물 2,583 1,885 1,978 1,658 10.6 6.3 1.2 -8.5

화섬단섬유직물 1,177 682 636 525 3.9 2.0 -1.7 -9.1

편직물 1,339 2,138 2,322 1,849 12.1 7.0 2.1 -10.8

기타직물 1,913 2,344 2,894 2,644 13.2 10.1 5.4 -4.4

다운스트림

의류 1,136 1,651 4,807 6,005 9.3 22.9 30.6 11.8

기타섬유제품 367 990 1,538 1,494 5.6 5.7 11.6 -1.4

섬유소재 13,737 15,071 21,868 18,742 85.1 71.4 9.8 -7.4

섬유 전체 15,240 17,712 28,214 26,241 100.0 100.0 12.3 -3.6

자료 : 한국무역협회, 중국무역통계.

Page 51: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2장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51

명품의류 소비증가세도 크게 둔화

- 특히, 의류수출 감소와 함께 의류 생산용 직물수입이 2013~2015

년 기간 동안 연평균 9.0%의 큰 폭 감소

- 섬유사도 생산능력이 크게 향상된 화섬사를 중심으로 같은 기간

에 연평균 4.1% 감소

- 의류의 경우 명품의류 수입은 둔화되었지만, 베트남, 인도네시

아 등 저임금 국가로부터 저가품 의류수입이 크게 증가하면서

전체적으로 같은 기간에 연평균 11.8%의 견실한 증가

□ 지역별·성별 구조변화

◦ 지역별 수입의 경우 동부지역은 낮은 증가에 머물고 있는 반면,

중·서부지역은 크게 증가

- 우선 섬유소재의 경우 2010~2015년 기간 동안 동부지역은 의류생

산 둔화로 연평균 0.6%의 낮은 증가에 머문 반면, 중부와 서부지

역은 높은 수출용 의류생산 증가에 힘입어 연평균 각각 11.4% 및

14.8%의 높은 증가율 기록

이로 인해 중국 섬유소재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경우

동부지역은 96.6%에서 94.4%로 2.2%포인트 하락

반면, 중부지역은 같은 기간에 3.0%에서 4.9%로, 그리고 서부

지역은 0.4%에서 0.7%로 각각 1.9%포인트 및 0.3%포인트 상승

- 의류의 경우 소비시장이 1선 지역을 넘어 2선과 3선 지역으로 빠

르게 확대되면서 중·서부지역의 소비가 매우 크게 증가

Page 52: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52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중부지역은 2010~2015년 기간 동안 연평균 40.7%의 매우 높은

증가

서부지역은 대지진 등의 영향으로 낮은 증가에 머문 쓰촨성을

제외할 경우 같은 기간에 연평균 39.4%의 높은 증가

반면, 동부지역은 경기 둔화의 영향으로 같은 기간에 연평균

21.5%로 상대적으로 낮은 증가에 머물렀음.

◦ 성별로 살펴보면 의류생산이 가장 많은 광둥성이 의류생산용 섬

유소재를 중심으로 수입을 가장 많이 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 상

하이가 높은 소득수준과 함께 고급의류를 중심으로 수입을 많이

하고 있음.

- 광둥성과 상하이시는 2015년 현재 중국 전체 섬유 수입에서 차지

하는 비중이 각각 29.0% 및 21.7%로 1위와 2위 차지

그 다음으로 중국의 최대 산지인 장쑤성(11.2%)과 저장성(9.0%),

한국 업체가 가장 많이 진출해 있는 산둥성(7.0%) 순

◦ 섬유소재의 경우 광둥성, 장쑤성, 저장성 등 의류 산지가 섬유소

재 수입을 가장 많이 하고 있음.

- 광둥성, 장쑤성, 저장성의 섬유소재 수입액은 2015년 현재 65억

위안, 25억 위안 및 22억 위안으로, 중국 전체 섬유소재 수입액의

각각 34.5%, 13.3% 및 11.6%를 차지

하지만 광둥성은 의류생산 감소와 함께 섬유소재 수입도 감소

하면서 중국 섬유소재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0년

38.1%에서 2015년 현재 34.5%로 3.6%포인트 하락

Page 53: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2장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53

<표 2-16> 중국 섬유산업의 성별 수입구조 변화

단위 : %

섬유소재 의류 섬유산업연평균 증가율(2010~2015)

2010 2015 2010 2015 2010 2015섬유소재

의류 전체

지역별

동부 96.6 94.4 96.8 96.2 96.4 94.6 0.6 21.5 3.9

중부 3.0 4.9 1.4 3.0 3.0 4.7 11.4 40.7 14.0

서부 0.4 0.7 1.8 0.9 0.6 0.8 14.8 5.1 11.0

(쓰촨성 제외) 0.12 0.50 0.07 0.14 0.16 0.43 33.5 39.4 26.9

주요 성별

광둥성 38.1 34.5 20.9 14.1 35.3 29.0 -0.9 12.6 0.3

상하이 11.3 10.8 48.1 54.5 15.8 21.7 0.1 24.9 11.1

장쑤성 13.6 13.3 3.8 4.4 12.7 11.2 0.6 25.5 1.7

저장성 8.8 11.6 3.4 1.8 8.1 9.0 6.8 6.7 6.5

산둥성 8.6 9.4 2.2 0.5 8.0 7.3 2.9 -10.4 2.5

베이징 6.4 5.0 6.9 7.1 6.3 5.5 -3.6 22.7 1.6

랴오닝성 3.7 2.9 9.4 11.6 4.4 5.0 -3.6 27.2 7.1

푸젠성 4.0 4.6 0.5 0.3 3.6 3.6 4.0 12.8 4.3

안후이성 0.7 1.9 0.0 0.0 0.6 1.4 23.2 3.5 23.4

톈진시 1.4 1.4 0.9 0.8 1.6 1.4 0.0 16.7 2.2

지린성 0.3 0.4 0.7 2.6 0.4 0.9 7.9 56.7 24.7

후베이성 0.7 0.9 0.2 0.1 0.6 0.7 7.3 3.5 7.3

장시성 0.5 0.6 0.1 0.1 0.5 0.5 3.7 18.7 7.7

허베이성 0.6 0.6 0.3 0.1 0.5 0.5 4.0 -11.1 3.0

후난성 0.4 0.5 0.0 0.0 0.4 0.4 6.2 37.9 6.6

쓰촨성 0.3 0.2 1.7 0.7 0.4 0.4 -1.0 2.2 1.3

신장위구르 0.1 0.3 0.1 0.1 0.1 0.3 37.6 113.4 34.7

허난성 0.2 0.3 0.0 0.2 0.2 0.2 3.5 128.4 7.5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 21.9 4.3

자료 : 한국무역협회, 중국무역통계(성별 통계)를 이용해 산업연구원에서 작성.

주 : 섬유산업은 섬유소재, 의류 및 기타 섬유제품 포함.

Page 5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5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장쑤성은 생산능력 증강에 따른 자급도 향상 등으로 수입이 크

게 둔화되면서 중국 섬유소재 수입 비중이 같은 기간에 13.6%

에서 13.3%로 0.3%포인트 하락

반면, 저장성은 링보를 중심으로 한 의류의 고급화와 함께 고기

능성·고급 섬유소재 수입증가로 인해 중국 섬유소재 수입 비

중이 같은 기간에 8.8%에서 11.6%로 2.8%포인트 상승

- 중·서부지역들은 광둥성, 장쑤성 등 연안해지역 의류기업들이

인건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내륙으로 이전하면서 의류생산이

크게 증가함과 함께 섬유소재 수입이 크게 증가

중부지역인 안후이성, 지린성, 후베이성, 후난성 및 허난성의

수입증가율은 2010~2015년 기간 동안 연평균 각각 23.2%, 7.9%,

7.3%, 6.2% 및 3.5%로 전국 평균 1.0%를 크게 상회

서부지역인 윈난성, 닝샤성, 구이저우성 및 신장위구르의 수

입증가율은 같은 기간에 연평균 각각 144.8%, 81.9%, 39.6% 및

37.6%로 매우 높은 수준

- 반면, 한국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산둥성과 대만 기업이 주로

진출해 있는 푸젠성은 섬유소재 기업들이 본국으로의 철수 및

동남아 국가로의 이전 등으로 인해 의류생산에 필요한 섬유소

재를 수입을 통해 조달함으로써 같은 기간에 연평균 각각 2.9%

및 4.0% 증가

◦ 의류는 중국의 최대 상업도시인 동시에 소득수준이 가장 높은 상

하이가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2015년 현재 의류 전체

수입액의 절반이 넘는 54.5%를 수입

Page 55: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2장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55

- 특히, 상하이는 높은 수입증가세를 지속하며 중국 의류 전체 수

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05년 15.6%에서 2010년 48.1%로 상승

한 데 이어 2015년 현재 54.5%로 크게 상승

- 소득수준이 높은 장쑤성과 중국의 수도인 베이징도 고급 의류를

중심으로 같은 기간에 연평균 25.5% 및 22.7%의 높은 증가

이에 따라 수입 비중이 2010년 각각 3.8% 및 6.9%에서 2015년 현

재 4.4% 및 7.1%로 0.6%포인트 및 0.2%포인트 상승

- 북한과 인접해 있는 랴오닝성과 지린성은 북한을 중심으로

2010~2015년 기간 동안 연평균 각각 27.2% 및 56.7%의 매우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여 의류수입 비중이 같은 기간에 각각 9.4% 및

0.7%에서 11.6% 및 2.6%로 상승

북한은 그동안 평양을 중심으로 한국의 OEM 하청생산을 하다

가 한국과의 교역관계가 중단되면서 외화 획득을 위해 수출선

을 중국으로 전환

- 또한 중부지역인 후난성, 허난성과 서부지역인 신장위구르, 닝

샤성(77.7%) 등도 높은 수입증가와 함께 수입 비중이 상승

Page 56: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한·중 간 분업관계와 중국시장에서의 경쟁력 분석

1. 한국의 대중국 직접투자 구조변화

(1) 투자 현황

◦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직접투자는 금액기준으로 2004년을 정

점으로 감소세로 반전9)

-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크게 증가하였던 대중국 투자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줄어드는 듯하다가,

- 2001년 중국의 WTO 가입 및 2005년 미국, EU 등의 섬유쿼터 완전

폐지에 대비하기 위한 대중 투자가 다시 크게 증가하면서 2004

년에 금액기준 2억 7,220만 달러로 사상 최대치 기록

- 그러나 2004년 이후 중국의 인건비 상승, 위안화 절상 등으로 가

9) 박훈(2012),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정책과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산업연구원.

제3장

Page 57: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3장 한·중 간 분업관계와 중국시장에서의 경쟁력 분석 57

<표 3-1>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직접투자 구조변화

단위 : 천 달러, %

투자금액 투자 비중

섬유소재 의류 화섬 전체 섬유소재 의류 화섬 전체

1991 4,846 4,061 - 8,907 7.6 9.2 - 8.2

1995 79,868 55,298 - 135,166 48.0 56.5 - 51.2

2000 15,858 25,919 - 41,777 25.9 26.1 - 26.0

2004 187,433 83,502 1,264 272,199 87.0 54.4 100.0 73.5

2007 133,726 72,665 4,946 211,337 63.9 34.6 49.2 49.2

2008 45,743 61,758 1,297 108,798 31.4 26.5 48.5 28.5

2009 44,171 18,970 79 63,220 35.7 19.2 11.0 28.3

2010 108,983 46,572 21 155,576 58.4 25.8 5.8 42.3

2011 29,165 64,990 50 94,205 11.0 20.0 23.4 16.0

2012 23,899 36,896 1,337 62,132 27.3 11.7 86.5 15.3

2013 15,984 16,286 6,793 39,063 22.4 4.0 83.3 8.1

2014 10,305 19,688 1,438 31,431 8.6 8.9 8.4 8.8

2015 2,769 10,886 1,700 15,355 2.9 3.3 15.7 3.5

합계 1,353,827 1,163,778 19,531 2,537,136 38.4 27.7 31.0 32.6

최근 5년 82,122 148,746 11,318 242,186 12.9 9.3 29.9 10.6

자료 : 한국수출입은행, 해외투자통계.

주 : 국내 섬유산업 전체 해외직접투자에서 차지하는 중국 비중.

<그림 3-1>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직접투자 추이

자료 : 한국수출입은행, 해외투자통계를 활용하여 산업연구원에서 작성.

350

300

250

200

150

100

50

0

(백만 달러, 건수)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2015

213

155.6

314

17.1

신규법인 수 투자금액

135.2

3621.2 14

273.5

Page 58: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58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격경쟁력이 점차 약화되자, 업체들이 투자처를 베트남, 인도네

시아 등으로 다변화하면서 감소세로 반전되어 2015년 현재 1,536

만 달러에 머물고 있음.

신규 법인 수 기준으로는 2005년 314개를 정점으로 감소하여

2015년 현재 14개에 불과

◦ 이처럼 대중국 투자가 감소세로 반전되면서 국내 섬유산업 전

체 해외투자에서 차지하는 중국 비중도 2004년 73.5%에서 2011년

16.0%로 크게 하락한 데 이어 2015년 현재 3.5%에 그치고 있음.

- 특히, 섬유소재분야의 비중이 가장 크게 하락하였는데, 2004년

87.0%에서 2015년 현재 2.9%로 하락, 거의 추가 투자가 없는 상태

- 신규 법인 수 기준으로도 2004년 76.9%에서 2015년 현재 14.0%로

크게 하락

의류분야가 같은 기간에 80.8%에서 9.5%로 하락, 추가 진출이

거의 없는 상태이고 섬유소재분야는 67.0%에서 23.5%로 하락

(2) 중국 성별 직접투자 구조변화

◦ 우리나라 섬유산업은 아직도 동부 및 동북삼성지역에 대부분을

투자하고 중·서부지역에 대한 투자는 거의 없음.

- 9개 주요 성에 대한 투자가 2015년 말 현재(누계 기준) 신규 법

인 수 및 금액 기준으로 전체 대중국 투자의 각각 89.8% 및 93.3%

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는데, 최근 5년 동안은 92.0% 및 95.0%로 더

욱 집중

Page 59: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3장 한·중 간 분업관계와 중국시장에서의 경쟁력 분석 59

<표 3-2> 국내 섬유산업의 중국의 주요 성별 투자구조 변화(금액기준)

단위 : %

산둥 장쑤 저장 랴오닝 상하이 광둥 지린 푸젠 베이징 소계

1991 20.7 0.0 13.5 45.8 0.0 0.0 3.6 10.7 0.0 94.3

1995 50.8 10.3 2.9 6.7 4.6 0.1 3.9 0.0 2.0 81.4

2000 31.7 33.3 2.3 20.8 2.2 4.9 0.7 0.0 0.3 96.4

2004 25.4 23.3 20.7 4.5 3.6 13.5 1.6 0.8 0.3 93.8

2007 25.5 32.0 17.0 8.2 6.3 6.5 0.5 1.0 2.0 99.0

2008 36.6 28.6 10.0 10.3 3.2 0.4 0.0 6.1 2.5 97.8

2009 28.1 33.2 3.2 23.7 6.8 0.3 0.0 0.1 2.9 98.2

2010 21.7 51.0 5.2 4.6 10.1 6.2 0.0 0.0 0.2 98.9

2011 9.9 21.9 2.0 3.3 58.1 0.6 0.7 1.8 1.3 99.6

2012 15.0 24.6 0.6 6.0 43.2 3.6 0.5 0.7 3.6 97.7

2013 26.0 13.0 0.6 7.9 18.2 0.6 0.0 8.2 0.0 74.4

2014 13.6 32.5 0.6 2.6 30.0 0.7 0.0 16.7 3.2 100.0

2015 19.5 20.8 1.8 1.2 53.2 0.6 0.0 0.0 1.8 99.0

합계 34.3 22.7 10.2 8.7 7.8 3.7 3.2 1.5 1.3 93.3

최근 5년 14.9 22.5 1.2 4.5 43.9 1.4 0.4 4.4 2.0 95.0

자료 : 한국수출입은행, 해외투자통계.

주 :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전체 직접투자금액에서 차지하는 성별 비중.

◦ 우선 가장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성은 인력 및 원자재 이

동이 용이하도록 교통이 편리하고 지리적으로 인접한 산둥성임.

- 하지만 최근 높은 임금 상승으로 더 이상 임가공지역으로의 위

Page 60: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60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상이 약화되면서 크게 감소

-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전체 투자에서 차지하는 산둥성의 비중

은 2015년 말 현재(누계기준) 신규 법인 수 및 금액 기준으로 각

각 43.5% 및 34.6%의 높은 수준

하지만 최근 5년 동안의 비중은 신규 법인 수 및 금액 기준으로

각각 39.1% 및 14.9%에 그쳤음.

◦ 국내 섬유업체들은 중국 내수시장 진출을 위해 중국의 최대 상업

도시이자 소득수준이 높은 상하이에 대한 투자를 최근 크게 확대

- 상하이에 대한 직접투자 비중은 2015년 말 누계기준 7.8%에 불과

하지만, 최근 5년 동안은 43.9%에 달하고 있음.

◦ 장쑤성에 대한 투자 비중도 섬유소재를 중심으로 최근 5년 동안

22.5%로 상하이 다음으로 높은 수준

◦ 반면, 중국 진출 초기에 언어 소통이 가능한 조선족을 활용하기

위해 크게 늘렸던 동북삼성지역에 대한 투자는 투자환경 악화 및

인프라 미비 등의 영향으로 감소

- 최근 5년 동안 랴오닝성에 대한 투자 비중은 4.5%로 크게 낮아졌

고 지린성과 헤이룽장성에 대한 투자 비중은 각각 0.4% 및 0.1%

에 그치고 있음.

◦ 의류 분야의 대중국 투자가 2005년 이후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상

하이로의 투자가 집중된 반면, 주요 임가공 투자지역이었던 산둥

성과 랴오닝성에 대한 투자가 크게 감소

- 최근 5년 동안 중국 최대 상업 도시인 상하이에 대한 의류분야 투

Page 61: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3장 한·중 간 분업관계와 중국시장에서의 경쟁력 분석 61

자 금액은 대중국 전체 투자의 70.7%에 달하고 있음.

이는 중국 내수시장 진출을 위해 최대 시장인 상하이에 사무실

및 매장 개설을 확대한 데 기인

- 반면, 산둥성과 랴오닝성에 대한 투자는 대중국 전체 투자의 각

각 11.0% 및 5.3%에 그치고 있음.

이는 높은 임금 상승, 인력조달의 어려움 등에 따른 생산환경 악

화로 임가공 생산지로서의 위상이 약화된 데 기인

◦ 섬유소재 분야의 투자도 크게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우장시와

창쑤시를 중심으로 한 장쑤성에 대한 투자비중이 크게 상승

- 장쑤성에 대한 섬유소재분야 투자 금액은 최근 5년 동안 대중국

전체 섬유소재분야 투자의 57.1%에 달하고 있음.

- 반면, 저장성, 랴오닝성, 광둥성, 지린성 등 여타 지역에 대한 투

자는 크게 위축

(3) 투자목적별 투자구조 변화

◦ 한·중 수교 이전인 1991년까지 원료조달형 투자가 주류를 형성

- 대중국 섬유산업 전체 투자에서 차지하는 원료조달형 투자 비

중이 신규 법인 수 및 투자금액 기준 58.0% 및 63.4%로 높은 수준

◦ 한·중 수교 이후에는 저임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하기 위한 임

가공형 투자가 크게 증가

- 임가공형 투자 비중은 신규 법인 수 및 투자금액 기준 각각 1991

Page 62: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62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표 3-3>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투자목적별 구조변화

단위 : %

신규 법인 수 투자금액

수출촉진

저임활용

현지시장진출

기타수출촉진

저임활용

현지시장진출

기타

섬유

1991 33.3 11.1 0.0 55.6 20.9 7.3 0.0 71.7

2000 48.6 45.7 0.0 5.7 73.6 17.7 7.9 0.8

2005 20.8 51.9 3.9 23.4 17.3 35.3 24.9 22.5

2010 18.8 43.8 37.5 0.0 3.9 8.6 70.1 17.4

2014 25.0 25.0 50.0 0.0 8.5 0.2 91.3 0.0

2015 12.5 0.0 87.5 0.0 8.2 0.0 91.8 0.0

합계 34.4 42.8 9.1 13.7 24.3 28.8 24.5 22.3

최근 5년 18.4 18.4 60.5 2.6 24.4 5.2 66.2 4.2

의류

1991 62.5 12.5 0.0 25.0 65.8 6.2 0.0 28.1

2000 39.0 49.2 1.7 10.2 46.0 45.6 3.5 4.8

2005 31.6 54.0 1.3 13.1 29.1 55.0 7.1 8.8

2010 22.6 29.0 48.4 0.0 36.3 22.5 39.1 2.1

2014 0.0 27.3 72.7 0.0 42.7 4.7 52.6 0.0

2015 16.7 33.3 50.0 0.0 18.1 2.4 79.5 0.0

합 계 30.4 53.5 6.2 9.9 38.3 44.8 10.2 6.8

최근 5년 8.3 32.3 59.4 0.0 61.1 8.0 30.8 0.1

화학섬유

합계 10.0 60.0 30.0 0.0 2.9 39.9 57.2 0.0

최근 5년 0.0 25.0 75.0 0.0 0.0 1.2 98.8 0.0

전체

1991 47.1 11.8 0.0 41.2 41.4 6.8 0.0 51.8

2000 41.2 48.4 1.3 9.2 56.5 35.0 5.2 3.3

2005 29.0 53.5 1.9 15.6 23.3 45.4 15.8 15.5

2010 21.3 34.0 44.7 0.0 13.6 12.8 60.8 12.8

2014 6.3 31.3 62.5 0.0 28.2 3.1 64.2 4.4

2015 14.3 14.3 71.4 0.0 12.9 1.5 75.6 10.0

합계 31.5 50.3 7.2 11.0 30.3 35.9 18.1 15.7

최근 5년 10.9 28.3 60.1 0.7 43.7 6.4 43.9 5.9

자료 : 한국수출입은행.

주 : 수치는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직접투자에서 차지하는 투자목적별 비중.

Page 63: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3장 한·중 간 분업관계와 중국시장에서의 경쟁력 분석 63

년 11.8% 및 6.8%에서 2005년 53.5% 및 45.4%로 크게 상승

- 수출시장 개척형 투자 비중도 2005년 현재 신규 법인 수 및 투자

금액 기준 각각 29.0% 및 23.3%로 높은 수준 유지

◦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중국의 거대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현지

내수시장 진출형 투자가 빠르게 증가한 반면, 임가공형 투자와

수출시장 개척형 투자는 감소

- 내수시장 진출형 투자 비중은 신규 법인 수 및 투자금액 기준 각

각 2005년 1.9% 및 15.8%에서 2010년 44.7% 및 60.8%로 크게 상승한

데 이어 2015년 현재 71.4% 및 75.6%로 상승, 절대적인 수준

- 반면, 임가공형 투자 비중은 신규 법인 수 및 투자금액 기준 각각

2005년 53.5% 및 45.4%에서 2010년 34.0% 및 12.8%로 크게 하락한

데 이어 2015년 현재 14.3% 및 1.5%로 더욱 하락

- 수출시장 개척형 투자 비중도 신규 법인 수 및 투자금액 기준 각

각 2005년 29.0% 및 23.3%에서 2010년 21.3% 및 13.6%로 하락한 데

이어 2015년 현재 14.3% 및 12.9%로 더욱 하락

□ 해외투자 목적

① 낮은 인건비를 바탕으로 한 임가공형 투자

②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한 원료조달형 투자

③ 제3국 시장으로의 수출확대를 위한 수출시장 개척형 투자

④ 현지 내수시장 진출형 투자

⑤ 선진기술 도입을 위한 투자

⑥ 기타

Page 6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6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2. 한.중 간 교역구조 변화

(1) 대중국 무역수지 현황

◦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무역수지는 1998년 8억 9,212만 달러를 정

점으로 흑자 폭이 축소되다가 2002년부터 적자로 전환되어 2015

년 현재 42억 2,643만 달러의 대규모 적자 기록

- 특히, 2008년부터 중국의 높은 임금 상승 및 위안화 절상 등의

영향에 따른 대중 수입 감소로 적자 규모도 줄어드는 듯하다가

2010년부터 다시 증가

◦ 편직물, 화섬장섬유직물, 화섬원료, 표면처리직물, 타이어코드직

물 및 모직물이 흑자를 보인 반면, 의류를 비롯한 대부분의 분야

는 적자 기록

<그림 3-2>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무역수지 현황

7

6

5

4

3

2

1

0

2

1

0

-1

-2

-3

-4

-5

(수출입액, 십억 달러)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2015

수출 수입 무역수지

(무역수지, 십억 달러)

0.89

0.19

-2.85

-1.83

-0.41

-4.23

Page 65: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3장 한·중 간 분업관계와 중국시장에서의 경쟁력 분석 65

<표 3-4>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무역수지 현황

단위 : 백만 달러

2000 2005 2010 2013 2014 2015

화섬원료 369 253 181 178 184 133

섬유사 17 -95 -522 -535 -598 -561

천연섬유사 -47 -84 -221 -81 -107 -119

화섬장섬유사 171 145 -109 -247 -314 -270

화섬방적사 -107 -156 -191 -207 -178 -172

직물 938 1,062 822 694 493 259

견직물 -94 -58 -50 -53 -43 -39

모직물 9 2 14 4 16 12

면직물 -68 -128 -240 -187 -157 -124

화섬장섬유직물 362 315 379 300 245 179

화섬단섬유직물 -166 -3 -13 -1 -14 -19

편직물 415 564 576 514 403 316

기타직물 479 369 156 118 43 -65

(부직포) 41 66 -0 -36 -67 -131

(표면처리직물) 426 290 169 114 101 85

(타이어코드직물) 10 2 -20 14 14 12

의류 -717 -1,861 -2,489 -3,023 -3,149 -3,060

기타섬유제품 29 -278 -624 -906 -1,008 -997

포장용 포대 -12 -58 -106 -133 -134 -122

모포 및 가정용품 -17 -72 -70 -87 -113 -119

타포린 제품 및 캠핑용품

-1 -7 -27 -83 -79 -51

섬유소재 1,323 1,219 481 337 79 -169

섬유산업 전체 636 -919 -2,632 -3,592 -4,078 -4,226

자료 : 한국무역협회, 한국무역통계.

Page 66: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66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 편직물, 화섬장섬유직물, 화섬원료, 표면처리직물은 2010년대

들어 흑자 폭이 크게 감소하고 있지만, 2015년 현재 아직도 대규

모 흑자 기록

- 의류, 모포 및 가정용품, 포장용 포대, 캠핑용품 등 섬유제품들은

중국에 진출한 우리 업체들의 중국 생산 및 아웃소싱 제품의 역

수입 증가로 대규모 적자 기록

- 천연섬유소재(사/직물)는 천연섬유원료가 국내에서 생산되지

않기 때문에 세계 최대 천연섬유 원료 및 소재(사/직물) 생산국

인 중국으로부터 천연섬유소재를 수입함으로써 큰 폭의 무역

적자 실현

- 화섬장섬유사는 국내 화섬업체들이 범용 제품의 생산기지를 중

국으로 이전하면서 역수입 증가와 함께 무역적자 확대

또한 선진 기술을 습득한 중국 화섬업체들이 효율성이 높은 최

신 설비를 기반으로 한 범용품 대량 생산을 통해 한국 등지에

수출함으로써 적자규모가 증가

(2) 대중국 수출구조 변화

◦ 대중국 섬유수출은 2006년부터 감소세를 나타내다가 2010년 증

가세로 반전되는 듯하다가 2012년부터 다시 감소세로 반전되어

2015년 현재 22억 2,200만 달러 기록

- 2011~2015년 기간 동안 연평균 7.2% 감소하였는데, 이는 중국의

섬유소재 생산능력 증가에 따른 수입대체, 중국시장에서 대만

Page 67: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3장 한·중 간 분업관계와 중국시장에서의 경쟁력 분석 67

제품과의 경쟁 심화 등에 기인

또한, 중국에 진출한 우리 의류 및 기타 섬유제품 업체들의 경

영부진 및 해외이전 등으로 인해 섬유소재 조달을 줄인 것도

한 요인

특히, 2014년부터는 중국의 경기둔화, 섬유제품 수출부진에 따

른 소재 수입수요 둔화, 유가하락에 따른 수출단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크게 감소

◦ 2011~2015년 기간 동안 분야별 대중국 수출을 살펴보면 기타 섬유

제품 및 의류가 증가세를 나타낸 반면, 섬유소재는 감소

- 의류도 고부가가치 편직의류를 중심으로 같은 기간에 연평균

0.5% 증가한 3억 7,700만 달러 기록

여성 정장, 여성 드레스, 남녀 셔츠, 내의·실내복, 장갑 등이 높

은 증가

- 기타 섬유제품은 가정용품을 중심으로 같은 기간에 연평균 5.8%

<표 3-5>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수출증가율 현황

단위 : %

화섬원료 섬유사 직물 의류 기타제품 섬유산업

2010 37.7 31.3 17.5 24.2 8.7 20.5

2011 -2.0 10.3 8.0 19.9 9.2 8.9

2012 -19.9 -5.1 -10.0 -5.4 3.7 -8.8

2013 30.6 -9.3 -2.6 9.5 -0.3 0.2

2014 2.9 -11.2 -10.0 -3.6 -2.7 -7.9

2015 -29.6 -5.3 -17.2 2.2 24.5 -11.7

자료 : 한국무역협회, 한국무역통계.

Page 68: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68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표 3-6>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수출 현황

단위 : 백만 달러, %

2000 2005 2009 2011 2015연평균 증가율

2005~2009

2009~2011

2011~2015

화섬원료 374 259 144 194 147 -13.7 16.2 -6.7

섬유사 320 327 240 348 252 -7.4 20.4 -7.8

천연섬유사 25 42 35 106 83 -4.4 73.2 -5.7

화섬장섬유사 247 259 180 203 158 -8.7 6.4 -6.1

화섬단섬유사 48 26 25 39 11 -0.5 24.2 -27.5

직물 1,667 1,879 1,521 1,930 1,259 -5.2 12.7 -10.1

견직물 14 27 14 13 6 -14.9 -5.5 -17.4

모직물 22 37 30 46 32 -5.2 24.9 -8.5

면직물 97 182 89 107 63 -16.4 9.5 -12.2

화섬장섬유직물 419 378 390 526 317 0.8 16.1 -11.9

(비텍스처드 폴리에스터직물)

122 107 103 157 102 23.5 7.6 -10.3

화섬단섬유직물 87 136 96 143 116 -8.4 21.9 -5.0

편직물 429 585 532 642 373 -2.4 9.9 -12.7

(탄성직물) - 83 142 188 143 14.5 15.0 -6.7

(환편직물) - 300 297 313 137 -0.2 2.7 -18.6

기타 직물 600 534 370 453 351 -8.8 10.7 -6.2

(표면처리직물) 435 314 201 236 162 -10.6 8.6 -9.0

(부직포) 55 97 94 115 104 -0.7 10.8 -2.7

(타이어코드지) 15 23 26 36 23 2.6 18.4 -5.8

의류 153 327 248 369 377 -6.7 22.0 0.5

편직제의류 27 105 50 76 128 -16.9 23.4 13.9

직물제의류 120 216 193 279 245 -2.8 20.3 -3.2

혁제의류 6 6 5 14 4 -4.5 9.0 -28.4

기타섬유제품 139 152 126 157 187 -4.5 11.8 5.8

섬유소재 2,361 2,464 1,905 2,472 1,657 -6.2 13.9 -9.5

섬유 전체 2,653 2,943 2,278 2,998 2,222 -6.2 14.7 -7.2

자료 : 한국무역협회, 한국무역통계.

Page 69: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3장 한·중 간 분업관계와 중국시장에서의 경쟁력 분석 69

<표 3-7>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지역별·성별 수출구조 변화

단위 : %

섬유소재 의류 섬유산업연평균 증가율(2010~2015)

2010 2015 2010 2015 2010 2015 섬유소재 의류 전체

지역별

동부 97.1 95.0 99.4 96.3 97.2 95.0 -5.5 1.8 -4.4

중부 2.5 4.3 0.6 2.8 2.4 4.1 5.5 40.5 6.4

서부 0.4 0.7 0.1 0.9 0.4 0.9 6.3 73.0 13.0

주요 성별

광둥성 17.2 24.0 4.9 8.1 16.2 21.6 1.5 13.3 1.8

산둥성 27.9 17.3 25.6 6.9 28.2 18.1 -13.7 -21.1 -12.1

장쑤성 14.5 16.7 0.9 2.2 14.0 15.9 -2.4 21.4 -1.5

상하이 9.0 8.5 31.1 48.3 10.2 11.5 -6.2 12.0 -1.6

랴오닝성 11.7 11.0 10.3 13.2 11.5 10.8 -6.2 7.8 -5.2

저장성 9.1 10.2 4.6 4.9 8.5 9.1 -2.9 3.8 -2.7

베이징 2.3 1.9 14.0 9.8 2.9 2.9 -8.6 -4.7 -3.8

푸젠성 2.6 3.0 0.1 0.0 2.4 2.7 -2.5 -10.7 -1.6

톈진시 1.9 1.8 4.1 1.5 2.3 2.0 -6.2 -16.0 -6.9

안후이성 0.9 1.2 0.0 0.1 0.8 1.0 0.9 - 1.3

허난성 0.1 0.6 0.0 2.5 0.1 0.7 27.0 124.9 33.3

후베이성 0.6 0.8 0.0 0.0 0.6 0.7 -0.6 -6.9 -0.8

장시성 0.3 0.8 0.0 0.0 0.2 0.7 18.1 - 17.0

지린성 0.4 0.6 0.5 0.1 0.5 0.5 0.6 -21.7 -0.6

허베이성 0.8 0.4 3.8 1.3 0.9 0.5 -16.3 -17.3 -15.8

충칭시 0.1 0.2 0.0 0.3 0.1 0.3 17.6 - 28.8

후난성 0.1 0.3 0.0 0.1 0.2 0.3 8.1 - 9.2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5.1 2.5 -3.9

자료 : 한국무역협회, 중국무역통계(성별 통계)를 이용해 산업연구원에서 작성.

주 : 섬유산업은 섬유소재, 의류 및 기타 섬유제품 포함.

Page 70: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70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증가한 1억 8,700만 달러 기록

- 섬유소재는 중국의 의류 수출부진에 따른 소재 수입수요 둔화,

중국의 생산능력 증가 및 품질수준 향상에 따른 한국산 수입대

체 확대, 원유·원료 가격 하락에 따른 제품단가 하락 등의 영향

으로 같은 기간에 연평균 9.5% 감소하여 2015년 현재 16억 5,700

만 달러 기록

□ 지역별·성별 수출구조 변화

◦ 지역별 수출의 경우 동부지역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중부 및 서부지역으로 크게 증가

- 우선 섬유소재 수출의 경우 중부와 서부지역으로 2010~2015년 기

간 동안 연평균 각각 5.5% 및 6.3%의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율을

나타낸 반면, 동부지역으로는 5.5% 감소

이로 인해 대중국 섬유소재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경

우 중부지역은 같은 기간에 2.5%에서 4.3%로, 그리고 서부지역

은 0.4%에서 0.7%로 각각 1.8%포인트 및 0.3%포인트 상승한 반

면, 동부지역은 97.1%에서 95.0%로 2.1%포인트 하락

- 의류의 경우 소비시장이 1선 지역을 넘어 2선과 3선 지역으로 빠

르게 확대되면서 서부지역과 중부지역이 2010~2015년 기간 동안

연평균 각각 73.0% 및 40.5%의 매우 높은 증가

◦ 주요 성별로 살펴보면 중국 최대 의류생산지인 광둥성과 한국 업

체 밀집지역인 산둥성이 우리의 최대 수출지역인 가운데 허난성,

장시성, 충칭시 및 후난성은 수출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

Page 71: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3장 한·중 간 분업관계와 중국시장에서의 경쟁력 분석 71

- 광둥성에 대한 수출은 섬유소재를 중심으로 같은 기간에 연평

균 1.8% 증가하여 대중국 전체 섬유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6.2%에서 21.6%로 5.4%포인트 상승, 산둥성을 밀어내고 1위의

수출시장으로 부상

- 중국 최대의 상업도시이자 소득수준이 높은 상하이는 우리나

라의 최대 의류 수출시장일 뿐만 아니라 의류수출 증가율도 높

은 지역

대상하이 의류수출은 같은 기간에 연평균 12.0%의 매우 높은 증

가에 힘입어 대중국 전체 의류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0

년 31.1%에서 2015년에 절반 가까운 48.3%로 17.2%포인트 상승

- 허난성, 장시성, 충칭시 및 후난성에 대한 수출도 섬유소재를 중

심으로 같은 기간에 연평균 각각 33.3%, 17.0%, 28.8% 및 9.2%의 매

우 높은 증가율 기록

- 반면, 산둥성에 대한 수출은 현지 진출한 한국업체들의 경영부

진 및 해외 이전 등의 영향으로 같은 기간에 연평균 12.1%의 큰

폭 감소

이에 따라 대중국 전체 섬유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같은 기

간에 28.2%에서 18.1%로 10.1%포인트나 하락

- 랴오닝성에 대한 수출의 경우 현지 진출한 한국 의류업체들의

폐업 및 경영부진으로 섬유소재 수출이 크게 감소했지만,

의류수출은 한류 등의 영향으로 같은 기간에 연평균 7.8% 증가

Page 72: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72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3) 대중국 수입구조 변화

◦ 대중국 섬유수입은 의류, 가정용품, 화학섬유, 천연섬유사 등을

중심으로 2000~2007년 기간 동안 연평균 15.8%의 높은 증가

- 이는 중국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한 국내 섬유업체 생산제품의 역

수입 증가 등으로 중저가 제품 수입이 늘어난 데 기인

◦ 2007년 이후에는 베트남,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경쟁

국에 대한 중국 제품의 가격경쟁력 열세로 인해 의류를 중심으로

수입증가세가 크게 둔화

- 대중국 섬유수입은 2007~2015년 기간 동안 연평균 1.7%의 매우 낮

은 증가에 그침으로써 2015년 현재 64억 4,800만 달러 기록

- 특히, 2015년에는 국내경기 부진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및 원부

자재 가격 하락에 따른 제품 수입단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2.2%

감소

<표 3-8>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수입증가율 현황단위 : %

화섬원료 섬유사 직물 의류 기타제품 섬유산업

2010 24.5 45.5 33.9 25.7 32.4 30.9

2011 84.3 20.8 11.0 23.3 27.0 21.4

2012 15.5 -23.0 -12.8 -10.2 1.7 -10.7

2013 -31.2 7.1 6.6 10.0 7.9 8.4

2014 0.0 3.5 3.2 3.3 9.2 4.3

2015 -41.4 -5.9 -2.8 -2.3 2.2 -2.2

자료 : 한국무역협회, 한국무역통계.

Page 73: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3장 한·중 간 분업관계와 중국시장에서의 경쟁력 분석 73

◦ 2007~2015년 기간 동안 분야별 대중국 수입을 살펴보면 의류가 낮

은 증가에 그치면서 섬유산업 전체 수입 부진을 주도

<표 3-9>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수입 현황

단위 : 백만 달러, %

2000 2007 2010 2013 2015연평균 증가율

2000~2007

2007~2015

화섬원료 5 18 17 25 14 21.0 -2.7

섬유사 304 698 837 835 813 12.6 1.9

천연섬유사 73 220 297 198 203 17.2 -1.0

화섬장섬유사 76 229 308 411 428 17.1 8.1

화섬단섬유사 155 248 232 226 183 6.9 -3.8

직물 729 911 965 996 999 3.2 1.2

견직물 107 78 63 60 45 -4.4 -6.7

모직물 12 70 21 20 20 28.2 -14.4

면직물 165 284 342 269 187 8.1 -5.1

화섬장섬유직물 57 109 85 143 138 9.8 3.0

화섬단섬유직물 253 142 138 133 136 -7.9 -0.6

편직물 14 32 41 51 58 12.8 7.7

기타직물 121 196 276 318 416 7.1 9.9

의류 870 3,284 2,797 3,406 3,437 20.3 0.6

편직제의류 317 1,066 954 1,238 1,297 18.9 2.5

직물제의류 541 2,172 1,770 2,114 2,070 22 -0.6

혁제의류 12 46 73 54 70 20.8 5.5

기타섬유제품 110 728 761 1,061 1,185 31.4 6.3

포장용 포대 13 90 110 137 125 32.7 4.1

모포·가정용품 19 106 74 89 122 18.2 1.8

타포린 제품 및 캠핑용품 1 13 28 84 52 40.6 19.0

섬유소재 1,038 1,626 1,820 1,855 1,827 6.6 1.5

섬유 전체 2,018 5,638 5,378 6,322 6,448 15.8 1.7

자료 : 한국무역협회, 한국무역통계.

Page 7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7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 의류는 아시아 경쟁국에 대한 중국 제품의 가격경쟁력 열세로

인해 같은 기간에 연평균 0.6%의 매우 낮은 증가

- 직물 및 섬유사는 국내 의류생산 둔화에 따른 소재 수입수요 둔

화, 베트남 생산제품의 역수입 증가에 따른 대중국 수입 대체 등

의 영향으로 같은 기간에 연평균 각각 1.2% 및 1.9%의 낮은 증가

- 반면, 기타섬유제품은 산업용 섬유제품인 타포린·캠핑용품과

컨베이어벨트를 비롯한 공업용 제품을 중심으로 같은 기간에

연평균 6.3%의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

□ 지역별·성별 수입구조 변화

◦ 지역별 수입의 경우 동부지역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중·서부지역으로부터 크게 증가

- 서부지역 및 중부지역으로부터의 수입은 2010~2015년 기간 동안

연평균 각각 39.1% 및 28.1%의 매우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반면,

동부지역으로부터의 수입은 7.6%의 낮은 증가

이에 따라 중·서부지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은 같은 기간에

9.9%에서 23.7%로 상승한 반면, 동부지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

은 90.1%에서 76.3%로 13.8%포인트나 하락

- 의류의 경우 중국의 생산기지가 중·서부지역으로 이전하면서

서부지역과 중부지역으로부터 수입이 같은 기간에 연평균 각각

89.7% 및 30.6%의 매우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반면, 동부지역으

로부터 수입은 0.9%의 낮은 증가에 그쳤음.

Page 75: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3장 한·중 간 분업관계와 중국시장에서의 경쟁력 분석 75

<표 3-10>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지역별·성별 수입구조 변화

단위 : %

섬유소재 의류 섬유산업연평균 증가율(2010~2015)

2010 2015 2010 2015 2010 2015 섬유소재 의류 전체

지역별

동부 85.9 77.0 92.2 75.2 90.1 76.3 0.9 10.9 7.6

중부 6.3 13.2 6.7 12.4 6.2 12.6 19.5 30.6 28.1

서부 7.8 9.8 1.0 12.4 3.7 11.1 7.9 89.7 39.1

주요 성별

산둥성 24.9 15.8 30.0 26.1 29.5 23.8 -5.9 12.4 6.6

저장성 19.6 22.0 8.4 10.6 13.2 14.8 5.5 21.2 13.8

랴오닝성 2.6 2.7 22.9 17.7 13.3 12.2 3.9 9.8 9.3

장쑤성 24.2 23.9 9.4 7.0 15.8 11.9 2.8 9.2 5.1

장시성 0.6 6.5 1.2 6.8 0.9 6.9 64.1 63.6 67.5

광둥성 2.7 1.8 9.8 6.4 6.5 5.1 -4.8 5.9 5.8

상하이 5.1 4.4 6.6 2.9 5.8 3.5 0.1 -1.8 0.5

푸젠성 1.3 3.0 1.5 3.6 1.5 3.4 22.5 36.8 31.1

충칭시 3.7 5.0 1.0 2.0 2.0 2.7 9.8 34.0 18.7

구이저우성 0.0 1.0 0.0 3.5 0.0 2.7 - - 324.0

간쑤성 0.0 0.3 0.0 3.1 0.0 2.2 362 234 354

후베이성 1.0 2.1 0.2 1.9 0.5 1.9 20.9 83.4 45.7

쓰촨성 2.4 2.2 0.0 1.1 1.0 1.3 1.2 140.1 19.0

지린성 1.4 1.1 0.9 1.4 1.1 1.2 -2.3 24.5 13.1

안후이성 0.3 1.5 0.3 1.1 0.3 1.2 40.2 52.7 48.2

허베이성 4.0 2.3 1.5 0.5 2.6 1.0 -7.8 -8.1 -7.6

닝샤성 0.0 0.1 0.0 1.4 0.0 1.0 54.6 258 177

윈난성 0.0 0.1 0.0 1.0 0.0 0.7 7.8 208 91.6

허난성 1.4 1.3 0.2 0.6 0.6 0.7 1.9 48.2 14.1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3.1 15.5 11.3

자료 : 한국무역협회, 중국무역통계(성별 통계)를 이용해 산업연구원에서 작성.

주 : 섬유산업은 섬유소재, 의류 및 기타섬유제품 포함.

Page 76: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76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이에 따른 지역별 수입비중이 서부지역은 같은 기간에 1.0%에

서 12.4%로 12배, 그리고 중부지역은 6.7%에서 12.4%로 6.7%포

인트 상승한 반면, 동부지역은 92.2%에서 75.2%로 17.0%포인트

나 하락

- 섬유소재 수입의 경우 중부지역과 서부지역으로부터 같은 기간

에 연평균 각각 19.5% 및 7.9%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반면, 동

부지역으로부터는 0.9% 증가에 그쳤음.

◦ 주요 성별 수입비중을 살펴보면 2015년 현재 산둥성이 23.8%로 가

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고, 그 다음으로 저장성 14.8%, 랴오닝

성 12.2%, 장쑤성 11.9% 순

- 수입증가율이 매우 높은 성은 서부지역의 간쑤성, 구이저우성,

닝샤성, 윈난성이 의류를 중심으로 같은 기간에 연평균 각각

354%, 324%, 177% 및 91.6%에 달하고 있음.

또한 중부지역인 장시성, 안후이성 및 후베이성이 각각 67.5%,

48.2% 및 45.7%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는데, 의류는 물론 섬유

소재 모두 높은 증가율 기록

3. 중국시장에서 주요 경쟁국들과의 시장점유율 비교

(1) 주요국들 간 시장점유율 비교

◦ 국내 섬유산업은 중국시장에서 선진국들이 점유하고 있는 고부

가가치시장을 개척하지 못한 채 중저가품시장 잠식이 가속화되

Page 77: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3장 한·중 간 분업관계와 중국시장에서의 경쟁력 분석 77

면서 중국시장점유율이 하락세를 지속

- 대중국 섬유수출은 2010~2015년 기간 동안 연평균 3.9% 감소하

여 중국시장점유율이 같은 기간에 12.4%에서 8.2%로 4.2%포인

트 하락

<표 3-11> 주요국들의 중국 섬유시장 점유율 비교

단위 : %

화섬원료 섬유사 직물 의류 기타제품 섬유소재 전체

한국2010 10.8 6.2 17.6 6.0 10.9 13.3 12.4

2015 8.7 3.7 16.0 2.5 12.1 9.7 8.2

대만2010 11.9 15.4 18.5 1.3 6.8 16.8 14.6

2015 9.3 7.2 21.4 0.6 5.1 13.8 10.3

일본 2010 21.6 5.8 24.0 5.2 21.2 18.0 16.8

2015 25.3 3.3 21.1 1.5 13.9 13.3 10.6

미국2010 24.0 2.5 3.2 1.0 9.3 5.1 4.9

2015 17.2 2.7 3.5 0.4 10.0 4.3 3.8

이탈리아

2010 0.1 1.4 3.6 17.3 3.5 2.5 4.1

2015 0.0 1.3 5.1 14.1 3.8 2.9 5.5

베트남2010 0.1 6.7 0.5 3.4 0.4 2.4 2.4

2015 0.0 18.1 1.5 12.1 3.5 9.0 9.4

인도네시아

2010 2.5 3.4 0.8 1.7 1.9 1.8 1.8

2015 3.1 4.7 0.7 4.3 1.6 2.8 3.1

태국2010 3.9 2.6 1.5 2.3 4.8 2.1 2.3

2015 5.5 1.9 1.7 2.0 3.5 2.2 2.2

자료 : KITA Database(중국무역통계)를 이용해 산업연구원에서 작성.

Page 78: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78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 중저가품은 중국의 생산능력 증가 및 품질수준 제고 등을 통한

수입 대체 및 대만제품과의 경쟁심화, 인도네시아, 베트남의 추

격 등으로 수출 감소

특히, 중국이 자체 생산이 어려운 차별화·고급 제품 수입을 지

속적으로 늘리고 있는 반면, 중가대의 제품 생산능력 확대와

함께 한국, 대만 등으로부터의 수입을 줄이고 있음.

또한 중국은 저가품에 대해서는 베트남 등지에서 수입을 늘리

고 있는 추세

- 고부가가치제품은 차별화·신기능성 신소재 개발력 미흡, 브랜

드력 열세 등으로 이탈리아, 일본 등지의 벽을 넘지 못함으로써

수출 확대에 한계

◦ 대만은 화섬직물의 지속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우리와 마찬가지

로 중저가품을 중심으로 2010~2015년 기간 동안 연평균 2.8% 감소

- 이에 따라 중국시장점유율이 같은 기간에 14.6%에서 10.3%로

4.3%포인트 하락

◦ 일본은 미국, 독일, 이탈리아 등과의 경쟁 심화로 같은 기간에 연

평균 4.9% 감소하면서 중국시장점유율도 하락하였지만,

- 고기능성·고성능 섬유를 중심으로 중국시장점유율 1위(10.6%)

를 유지

◦ 미국은 산업용 섬유 및 직물을 중심으로 같은 기간에 연평균 1.1%

감소하여 중국시장점유율이 4.9%에서 3.8%로 1.1%포인트 하락

◦ 반면, 이탈리아는 고급 패션의류와 천연섬유소재를 중심으로 같

Page 79: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3장 한·중 간 분업관계와 중국시장에서의 경쟁력 분석 79

은 기간에 연평균 10.5%나 증가

- 이에 따라 중국시장점유율이 같은 기간에 4.1%에서 5.5%로 1.4%

포인트 상승

◦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는 면사와 의류를 중심으로 같은 기간에 연

평균 각각 36.9% 및 16.5%나 증가

- 이에 따라 중국시장점유율이 같은 기간에 2.4% 및 1.8%에서 9.4%

및 3.1%로 7.0%포인트 및 1.3%포인트 상승

◦ 태국은 일본 현지 업체 생산제품인 화학섬유 및 화섬직물이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지만,

- 천연섬유사, 의류 및 섬유제품이 베트남과의 경쟁에서 밀리면

서 중국시장점유율이 같은 기간에 2.3%에서 2.2%로 0.1%포인트

하락

(2) 아시아 주요 경쟁국과의 세부 품목별 시장점유율 비교

□ 직물

◦ 직물은 중국의 생산능력 증가에 따른 수입 대체, 대만제품과의

경쟁 심화 등으로 중국시장점유율이 2010년 17.6%에서 2015년 현

재 16.0%로 1.6%포인트 하락

- 대만은 편직물, 표면처리직물, 화섬장섬유직물, 부직포 등을 중

심으로 중국시장점유율이 같은 기간에 18.5%에서 21.4%로 2.9%

포인트 상승

Page 80: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80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 견직물은 2010~2015년 기간 동안 중국의 수입수요 급감으로 대중

국 수출이 연평균 7.4% 감소하였지만, 중국시장점유율은 같은 기

간에 11.9%에서 16.9%로 5.0%포인트 상승

- 이탈리아도 고급 직물을 중심으로 중국시장점유율이 같은 기간

에 10.0%에서 16.6%로 상승

- 우리나라와 이탈리아를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들은 중국시장점

유율이 하락하였고, 특히 대만의 중국시장점유율은 2015년 현재

0.5%로 매우 낮은 수준

◦ 모직물은 코마사 직물을 중심으로 한 중국의 수입수요 감소로 대

중국 수출이 같은 기간에 0.7% 감소하였지만, 중국시장점유율은

같은 기간에 7.8%에서 8.7%로 0.9%포인트 상승

- 이탈리아도 고급 직물을 중심으로 같은 기간에 34.2%에서 42.9%

로 상승

- 우리나라와 이탈리아를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들의 중국시장점

유율이 하락하였고, 특히 대만의 중국시장점유율은 2015년 현재

0.4%로 매우 낮은 수준

◦ 면직물은 인도, 파키스탄,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후발 개도국

들의 추격으로 중국시장점유율이 같은 기간에 6.1%에서 5.6%로

0.5%포인트 하락

- 하지만 경량 혼방직물과 경량 순면직물은 높은 경쟁력을 바탕

으로 같은 기간에 각각 20.7% 및 5.3%에서 23.6% 및 6.1%로 상승

- 대만의 중국시장점유율도 같은 기간에 5.4%에서 5.1%로 0.3%포

인트 하락

Page 81: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3장 한·중 간 분업관계와 중국시장에서의 경쟁력 분석 81

◦ 편직물은 중국의 생산능력 증가 및 품질수준 향상에 따른 수입대

체 및 대만 제품과의 경쟁심화 등으로 중국시장점유율이 같은 기

간에 20.9%에서 19.6%로 1.3%포인트 하락

<표 3-12> 주요국의 품목별 중국 섬유수입시장 점유율 현황단위 : %

한국 대만 일 본 베트남 인도네시아

2010 2015 2010 2015 2010 2015 2010 2015 2010 2015

화섬원료 10.8 8.7 11.9 9.3 21.6 25.3 0.1 0.0 2.5 3.1

섬유사 6.2 3.7 15.4 7.2 5.8 3.3 6.7 18.1 3.4 4.7

천연섬유사 2.2 1.9 7.3 3.7 1.1 0.3 9.8 21.1 2.4 4.7

(면사) 2.2 1.9 7.7 3.8 0.8 0.1 10.4 22.3 2.6 4.9

화섬장섬유사 13.7 11.5 33.3 23.2 14.0 16.2 1.5 5.3 2.4 1.5

화섬방적사 7.5 5.0 10.7 6.8 7.3 5.1 4.1 15.2 14.2 17.9

직물 17.6 16.0 18.5 21.4 24.0 21.1 0.5 1.5 0.8 0.7

견직물 11.9 16.9 0.6 0.5 12.1 8.2 0.0 0.0 0.0 0.0

모직물 7.8 8.7 0.6 0.4 41.9 34.2 0.1 0.0 0.0 0.0

면직물 6.1 5.6 5.4 5.1 21.5 18.9 0.1 0.7 1.2 1.3

화섬장섬유직물 21.8 19.8 28.5 33.2 29.9 26.9 0.8 1.3 0.5 0.5

화섬단섬유직물 23.4 20.0 13.7 14.3 35.1 31.3 0.5 0.2 2.4 4.0

편직물 20.9 19.6 23.0 30.1 16.5 14.9 0.6 4.2 0.7 0.3

기타직물 19.4 16.6 20.4 21.2 22.1 19.1 0.6 0.8 0.5 0.4

의류 6.0 2.5 1.3 0.6 5.2 1.5 3.4 12.1 1.7 4.3

편직의류 7.7 2.7 2.4 0.7 4.9 1.6 2.8 15.1 1.5 4.8

제직의류 5.0 2.4 0.7 0.5 5.4 1.4 3.7 10.3 1.7 4.0

기타섬유제품 10.9 12.1 6.8 5.1 21.2 13.9 0.4 3.5 1.9 1.6

섬유소재 13.3 9.7 16.8 13.8 18.0 13.3 2.4 9.0 1.8 2.8

섬유산업 12.4 8.2 14.6 10.3 16.8 10.6 2.4 9.4 1.8 3.1

자료 : 한국무역협회, 중국무역통계를 이용해 산업연구원에서 작성.

주 : 통계 범위는 HS 50~63류(천연섬유원료 제외)를 기준으로 작성.

Page 82: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82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 하지만 경편직물, 탄성편직물, 세폭편직물은 높은 경쟁력을 바

탕으로 중국시장점유율이 같은 기간에 각각 19.2%, 15.2% 및 6.7%

에서 21.2%, 17.4% 및 10.9%로 상승

- 반면, 대만의 중국시장점유율은 비탄성세폭직물을 제외한 모

든 품목을 중심으로 같은 기간에 23.0%에서 30.1%로 7.1%포인트

상승

◦ 화섬장섬유직물은 대만, 태국(일본의 현지 진출 업체)과의 경쟁

심화 등으로 중국시장점유율이 같은 기간에 21.8%에서 19.8%로

2.0%포인트 하락

- 하지만 사염 나일론직물, 염색한 텍스처드 폴리에스터직물, 합

성장섬유직물(HS 54077), 면혼방직물, 날염 재생·반합성직물 등

은 지속적으로 상승

- 반면, 대만과 태국의 중국시장점유율은 같은 기간에 각각 28.5%

및 2.8%에서 33.2% 및 3.5%로 4.7%포인트 및 0.7%포인트 상승

◦ 부직포는 중국시장점유율 9.0%를 유지한 가운데 합섬부직포는

같은 기간에 8.9%에서 10.3%로 1.4%포인트 상승

- 대만의 중국시장점유율은 경량 인조섬유부직포, 1㎡당 70~150g

의 합섬부직포를 중심으로 같은 기간에 11.9%에서 14.1%로 4.2%

포인트 상승

◦ 자수포는 우리나라, 대만 모두 일본제품에 대한 가격경쟁력 우위

를 바탕으로 중국시장점유율이 같은 기간에 각각 17.8% 및 13.9%

에서 22.4% 및 22.8%로 4.6%포인트 및 8.9%포인트 상승

Page 83: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3장 한·중 간 분업관계와 중국시장에서의 경쟁력 분석 83

- 일본의 중국시장점유율은 같은 기간에 13.6%에서 5.6%로 8.0%

포인트 하락

◦ 타이어코드직물은 나일론 타이어코드직물을 중심으로 중국시

장점유율이 같은 기간에 34.9%에서 25.6%로 하락하였지만,

- 폴리에스터 타이어코드직물은 같은 기간에 54.4%에서 69.1%로

14.7%포인트나 상승

- 대만의 중국시장점유율은 나일론 타이어코드직물을 중심으로

같은 기간에 19.4%에서 15.6%로 3.8%포인트 하락

□ 화학섬유/방적사

◦ 화섬장섬유사는 베트남, 태국의 추격으로 중국시장점유율이 같

은 기간에 13.7%에서 11.5%로 2.2%포인트 하락

- 하지만 고강력사인 아라미드사는 같은 기간에 연평균 25.0% 증

가하여 중국시장점유율이 8.6%에서 16.2%로 7.6%포인트 상승

POY(Pre-oriented yarn), DTY(Draw textured yarn), 1m당 50회 이하

꼬임이 있는 합성장섬유사(HS 540249), 나일론 기타 섬유사(HS

540245) 등은 중국시장점유율이 상승

또한 폴리에스터 강력사와 FDY(Fully drawn yarn)는 중국시장점

유율이 하락하고 있지만 2015년 현재 아직도 35.1% 및 31.4%로

높은 수준

- 대만도 우리와 마찬가지로 베트남, 태국의 추격으로 중국시장점

유율이 같은 기간에 33.3%에서 23.2%로 10.1%포인트나 하락

Page 8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8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 반면, 베트남과 태국은 외자 유치를 통한 생산능력 증가와 함께

수출을 늘리면서 중국시장점유율이 같은 기간에 각각 1.5% 및

4.0%에서 5.3% 및 5.8%로 3.8%포인트 및 1.8%포인트 상승

◦ 화섬방적사는 우리나라, 대만 모두 베트남, 인도네시아의 추격으

로 중국시장점유율이 같은 기간에 각각 7.5% 및 10.7%에서 5.0%

및 6.8%로 2.5%포인트 및 3.9%포인트 하락

- 하지만 우리나라는 합성방적사가 같은 기간에 2.9%에서 4.4%로

1.5%포인트 상승

- 반면,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의 중국시장점유율은 같은 기간에

각각 4.1% 및 14.2%에서 15.2% 및 17.9%로 11.1%포인트 및 2.7%포

인트 상승

◦ 면사는 우리나라, 대만 모두 베트남의 추격으로 중국시장점유율

이 같은 기간에 각각 2.2% 및 7.7%에서 1.9% 및 3.8%로 0.3%포인트

및 3.9%포인트 하락

- 반면, 베트남은 한국, 대만 등지로부터의 투자유치를 통한 생산

능력 증가와 함께 수출을 늘리면서 중국시장점유율이 같은 기

간에 10.4%에서 22.3%로 11.9%포인트나 상승

◦ 화섬원료는 중국이 생산능력 증가와 함께 한국과 대만으로부터

수입을 줄이면서 한국과 대만의 중국시장점유율이 같은 기간에

10.8% 및 11.9%에서 8.7% 및 9.3%로 2.1%포인트 및 2.6%포인트나

하락

- 하지만 우리나라는 방적준비 처리한 합성단섬유가 높은 경쟁력

을 바탕으로 같은 기간에 14.6%에서 26.3%로 11.7%포인트 상승

Page 85: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3장 한·중 간 분업관계와 중국시장에서의 경쟁력 분석 85

□ 의류

◦ 우리나라는 여성의류를 중심으로 2010~2015년 기간 동안 연평균

2.5%의 낮은 증가율을 기록하여 중국 의류시장 점유율이 같은 기

간에 6.0%에서 2.5%로 3.5%포인트 하락

◦ 편직제 의류는 같은 기간에 연평균 0.02% 감소하여 중국시장점유

율이 7.7%에서 2.7%로 5.0%포인트 하락

- 중국시장점유율이 같은 기간에 상승한 품목은 여성 편직 셔츠·

블라우스(10.6% → 14.0%), 브래지어·거들(1.5% → 3.7%), 편직 남

성셔츠(2.8% → 3.2%), 편직 장갑(5.4% → 6.7%), 의류부자재 및 부

분품(8.7% → 12.7%) 등

- 같은 기간 연평균 10%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품목은 브

래지어·거들(47.5%), 편직 스포츠의류(44.8%), 편직 남성 잠옷·

가운(21.4%), 편직 유아복(19.9%), 제직 스카프·손수건(15.4%), 제

직 여성 드레스(12.2%), 편직 장갑(12.2%) 등

◦ 직물제 의류는 같은 기간에 연평균 4.5% 증가하여 중국시장점유

율이 5.0%에서 2.4%로 절반 이하로 하락

◦ 여성의류는 같은 기간에 6.1% 증가하였지만, 중국시장점유율이

6.9%에서 3.2%로 절반 이하로 하락

- 남성의류는 같은 기간에 0.9% 감소하여 중국시장점유율이 4.2%

에서 1.7%로 2.5%포인트 하락

◦ 한편, 중국은 중저가품을 중심으로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로부터

의 의류수입이 크게 늘고 있음.

Page 86: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86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로부터의 수입은 2010~2015년 기간 동안 연

평균 각각 57.5% 및 47.4%의 매우 높은 증가율 기록

이에 따라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의 중국 의류시장 점유율이 같

은 기간에 3.4% 및 1.7%에서 12.1% 및 4.3%로 8.7%포인트 및 2.6%

포인트 상승

- 고급 제품을 중심으로 이탈리아로부터 수입을 크게 늘리다가 최

근 중국 경기부진에 따른 고급의류 소비위축 속에 시진핑 정부

의 부정부패 척결 및 사정활동 강화 등의 영향으로 증가세 둔화

이에 따라 이탈리아의 중국 의류시장 점유율이 2007년 11.1%에

서 2012년 18.6%로 상승한 이후 하락세로 반전되어 2015년 현재

14.1% 기록

□ 기타 섬유제품

◦ 기타 섬유제품은 가정용 섬유제품을 중심으로 2010~2015년 기간

동안 연평균 6.8% 증가하여 중국시장점유율이 같은 기간에 10.9%

에서 12.1%로 1.2%포인트 상승

- 대만은 같은 기간에 연평균 1.3% 감소하여 중국시장점유율이

6.8%에서 5.1%로 1.7%포인트 하락

◦ 담요 및 가정용 섬유제품은 같은 기간에 연평균 6.2% 증가하여 중

국시장점유율이 2.2%에서 9.2%로 4.2배 상승

- 침대덮개 및 가구용품이 0.4%에서 18.6%, 담요가 2.1%에서 17.4%,

커튼 및 블라인드가 9.7%에서 13.1%, 린넨제품(책상, 침대, 화장

Page 87: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3장 한·중 간 분업관계와 중국시장에서의 경쟁력 분석 87

실, 주방용)이 0.9%에서 2.2%로 상승

◦ 마루닦이포와 청소용품의 중국시장점유율도 같은 기간에 11.2%

에서 43.7%로 4배 가까이 상승

◦ 끈·로프·케이블과 어망·망제품의 중국시장점유율도 같은 기

간에 각각 12.1% 및 9.9%에서 13.8% 및 12.3%로 1.7%포인트 및 2.4%

포인트 상승

◦ 양탄자 및 바닥깔개의 중국시장점유율은 같은 기간에 13.8%에서

19.8%로 6.0%포인트 상승

- 특히, 술을 단(tufted) 바닥깔개가 같은 기간에 18.8%에서 36.8%로

2배 가까이 상승

◦ 공업용 섬유제품(5911)의 중국시장점유율도 같은 기간에 9.4%에

서 12.5%로 3.1%포인트 상승

◦ 누비제품(5811)의 중국시장점유율도 같은 기간에 32.9%에서 38.5%

로 5.6%포인트 상승

4. 한·중 FTA 협정 주요 내용과 영향

(1) 관세양허 내용 및 원산지 규정

□ 한·중 FTA 관세양허 내용

◦ 한·중 양국은 FTA 협상과정에서 자국 산업의 발전에 저해되지

않고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관세양허안을 준비하

Page 88: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88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여 협상에 임하였고 그에 맞는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상호 윈윈

(Win-win)하는 협상결과라 평가

- 우리나라는 20년 이후에도 관세가 폐지되지 않고 유지되는 초민

감 품목을 많이 확보한 반면, 중국은 10~20년의 중장기에 개방하

는 민감 품목을 많이 확보

<표 3-13> 한·중 FTA 섬유분야 관세양허안(2015)

단위 : 개, 백만 달러, %

한국 중국

관세양허 실적 비중 관세양허 실적 비중

품목수 수입액 품목수 수입액 품목수 수입액 품목수 수입액

일반

즉시 293 164.8 23.8 2.8 99 57.4 9.2 2.7

5년 153 93.2 12.4 1.6 351 347.9 32.5 16.2

10년 517 1,950.2 42.0 33.5 460 282.4 42.6 13.1

소계 963 2,208.3 78.2 38.0 910 687.8 84.3 32.0

민감

15년 113 932.7 9.2 16.0 97 333.8 9.0 15.5

20년 3 249 0.2 4.3 42 974.3 3.9 45.3

소계 116 1,181.8 9.4 20.3 139 1,308.1 12.9 60.8

초민감

PR 24 604.8 1.9 10.4 10 69.8 0.9 3.2

관세감축 10% 15 551.8 1.2 9.5 - - - -

관세감축 15% - - - - 1 4 0.1 0.2

관세감축 30% 9 53 0.7 0.9 2 0.7 0.2 0.0

관세감축 35% - - - - 7 65.1 0.6 3.0

양허제외 129 1,822.9 10.5 31.3 21 86.7 1.9 4.0

소계 153 2,427.7 12.4 41.7 31 156.5 2.9 7.3

합계 1,232 5,817.8 100.0 100.0 1,080 2,152.4 100.0 100.0

자료 : 한중 FTA 협정 내용과 한국 및 중국 무역통계를 활용해 산업연구원에서 작성.

Page 89: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3장 한·중 간 분업관계와 중국시장에서의 경쟁력 분석 89

- 특히, 중국은 시장개방 정도가 한국보다 높은 수준이지만, 기능

성 소재 및 고성능 산업용 섬유 등 미래 성장유망분야를 보호하

기 위해 개방에서 제외하거나 장기간에 걸쳐 개방

◦ 우리나라는 관세를 폐지하지 않는 초민감 품목을 가장 많이 확보

한 가운데 10년 후에 개방하는 품목도 많이 배정

- 우리나라는 중국에 대한 무역수지 적자규모가 크고 경쟁력이

취약한 품목 위주로 초민감 품목으로 분류하여 관세양허에서

제외

면사, 모사, 화섬사, 모직물, 화섬직물, 부직포, 블라우스, 스웨

터, 바지 등을 중심으로 153개 품목을 초민감 품목으로 분류하

였는데, 대중 수입액이 2015년 현재 24억 2,770만 달러로 대중 섬

유산업 전체 수입액의 41.7%에 달함.

- 또한 10년 후에 개방하는 품목도 517개 품목, 대중 수입액이 19억

5,020만 달러로 대중 섬유 전체 수입액의 33.5%에 달함.

- 반면, FTA 발효 즉시 및 5년 후에 개방하는 품목은 각각 293개 및

153개 품목인데, 대중 수입액이 각각 1억 6,480만 달러 및 9,320만

달러로 대중 섬유 전체 수입액의 각각 2.8% 및 1.6%에 불과

◦ 중국은 15~20년의 중장기에 개방하는 민감 품목을 가장 많이 확

보한 반면, 관세를 유지하는 초민감 품목은 적게 확보

- 15~20년의 중장기에 개방하는 민감 품목은 139개 품목, 대한국 수

입액이 2015년 현재 13억 810만 달러로 대한국 섬유 전체 수입액

의 60.8%에 달함.

Page 90: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90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 반면, 초민감 품목은 31개 품목, 대한국 수입액이 1억 5,650만 달

러로 대한국 섬유 전체 수입액의 7.3%에 불과

- 0~10년에 걸쳐 개방하는 품목이 섬유산업 전체의 84.3%인 910개

품목에 달하지만, 대한국 수입액이 6억 8,780만 달러로 대한국 섬

유전체 수입액의 32.0%에 그치고 있음.

특히, FTA 발효 즉시 개방하는 품목은 99개 품목, 대한국 수입

액이 5,740만 달러로 대한국 섬유 전체 수입액의 2.7%에 불과

□ 원산지 기준, 비관세장벽 및 산업협력10)11)

◦ 섬유분야의 원산지 기준은 세번 변경 기준 또는 역내 부가가치

기준 모두 선택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역내 부가가치 기준도

40%로 완화

- 섬유사는 역내 방적 또는 방사공정 수행시 원산지로 인정하고

직물은 역내산 원사를 사용해 제직 또는 편직공정을 수행하거

나 역내 부가가치 40% 이상 발생시 원산지로 인정

- 의류의 경우 원사나 원단은 제3국산 사용이 가능하고 역내에서

재단과 봉제공정을 수행하거나 부가가치 40% 이상 발생시 원산

지로 인정한다. 특히, 한반도 역외가공지역 생산품에 대해서도

국내산으로 인정

- 원산지 증명서는 별도 합의된 양식에 따라 한·중 양국 정부가 지

10) 산업통상자원부, 한중 FTA 협정문 내용.

11) 조철·박훈 외(2015), 「한중 FTA의 효율적 활용 방안 발굴 사업(섬유산업편)」, 산업연구원.

Page 91: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3장 한·중 간 분업관계와 중국시장에서의 경쟁력 분석 91

정한 기관에서 발급된 것만을 인정

다만, 700달러 이하의 물품에 대해서는 원산지 증명서 제출이 면

제된다. 원산지 검증은 수입국 정부의 의뢰를 받아 수출국 정

부가 간접적으로 원산지 검증을 실시

- 개성공단을 포함한 역외가공지역에서 생산된 제품은 원산지 기

준을 충족할 경우 특혜관세 혜택을 부여하기로 합의

대상품목은 HS 6단위 기준 총 310개 품목인데, 이 중 섬유는 의

류를 중심으로 147개 품목이 선정되어 매년 양국간 합의에 따

라 대상품목을 조정하도록 합의

역외가공 생산제품의 원산지 지위 인정기준은 비원산지 재료

의 가치가 최종상품 수출가격의 40% 이하와 원산지 재료 가치

가 총재료가치의 60% 이상 요건을 동시에 충족해야 무관세 혜

택을 받을 수 있음.

◦ 한·중 FTA에서는 비관세 장벽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들을 많이

담고 있음.

- 48시간 내 통관 및 특송화물 통관 간소화, 세관집행 일관성 증진,

지식재산권 보호, 중국정부(중앙, 성) 내 한국기업 투자 애로해

소 담당관 지정 등 다양한 무역구제를 위한 장치를 도입

□ 산업협력

◦ 한·중 FTA의 산업협력 조항 제17.11조에 섬유 협력을 명시

- 양국은 호혜적인 파트너십 구축의 수단으로서 다음의 협력을 확대

Page 92: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92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섬유 협력 분야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

니함. ① 산업용 섬유, 기능성 직물, 섬세직물 및 편직물의 개발

및 적용, ② 패션 디자인, 브랜드 마케팅 및 홍보분야의 협력 및

교환, ③ 표준화된 품질 인증 시스템 및 선진 관리 경험 등의 분

야에서 협력 및 교환, ④ 기술, 정보, 연구원, 기술자 및 그 밖의

전문가의 교류, ⑤ 양 당사국이 합의하는 그 밖의 모든 분야 등

- 양국은, ① 섬유산업 관련 정부기관, 산업단체 및 기업을 통하여

섬유 협력 확대, ② 공동 포럼, 세미나, 학회, 전시회 및 연구 사업

의 개최 촉진

(2) 한·중 간 관세구조 비교

□ 가치사슬별 관세구조 비교

◦ 한·중 간 섬유산업의 관세구조를 살펴보면 양국 모두 업스트림

으로 갈수록 낮고 다운스트림으로 갈수록 높은 상저·하고(上底

下高) 구조를 나타내고 있음.

◦ 한·중 간 섬유산업의 관세율을 비교해보면 한국은 중국보다 단

순평균은 낮지만, 가중평균은 높은 수준

- 가중평균 관세율은 한국이 11.2%로, 중국 9.4%보다 1.8%포인트

높은 수준

단순평균 관세율은 한국이 9.9%로, 중국 11.4%보다 1.5%포인트

낮은 수준

Page 93: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3장 한·중 간 분업관계와 중국시장에서의 경쟁력 분석 93

- 이는 우리나라 섬유산업이 중국에 대해 관세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의류 중심으로 수입하는 반면, 관세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섬유소재 중심으로 수출하기 때문

◦ 한·중 간 관세율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원료 성격의 업스트림으

로 갈수록 중국이 낮은 반면, 제품 성격인 다운스트림으로 갈수

록 우리나라가 낮음.

- 업스트림(up-stream)인 화섬원료와 섬유사는 중국이 우리나라

보다 낮은 수준

- 반면, 다운스트림(down-stream)인 의류는 중국이 우리나라보다

높은 수준

- 미들스트림(middle-stream)인 직물의 경우 견직물과 모직물은 중

국이 우리나라보다 낮지만, 화섬장섬유직물, 화섬단섬유직물,

부직포 등 대부분의 직물은 중국이 우리나라보다 더 높은 수준

<표 3-14> 한·중 간 주요 품목별 관세율 비교(2015)

단위 : %

화섬 원료

섬유사 직물

의류 전체천연 섬유

화섬단섬유

화섬장섬유

견/모 면화섬

단섬유화섬

장섬유편직물 부직포

단순평균

한국 7.2 7.8 8.0 7.4 13.0 10.0 10.0 8.0 10.0 8.0 12.5 9.9

중국 4.9 5.4 5.0 5.0 10.0 10.6 11.7 10.1 10.2 10.0 16.0 11.4

가중평균

한국 5.4 7.8 8.0 7.3 13.0 10.0 10.0 8.0 10.0 8.0 12.8 11.2

중국 5.0 5.0 5.0 5.0 10.0 10.1 10.4 10.0 10.0 10.0 15.9 9.4

자료 : 양국 관세율과 수입통계를 활용해 산업연구원에서 작성.

Page 9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9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 관세양허 단계별 관세구조

◦ 한·중 FTA 발효 관세가 즉시 철폐되는 품목의 관세율은 한·중 모

두 관세가 낮은 섬유사 중심으로 구성됨으로써 매우 낮은 수준

- 중국과 한국의 즉시 관세철폐되는 품목의 관세율은 가중평균 기

준 각각 4.9% 및 5.2%로, 섬유산업 평균 관세율보다 각각 4.5%포

인트 및 6.0%포인트나 낮은 수준

<표 3-15> 한·중 FTA 관세양허 단계별 관세구조(2015)

단위 : 백만 달러, %

중국 한국

수입액 단순평균 가중평균 수입액 단순평균 가중평균

일반

즉시 57.4 5.2 4.9 164.8 8.6 5.2

5년 347.9 10.1 10.2 93.2 10.0 11.0

10년 282.4 14.6 10.7 1,950.2 10.9 11.2

소계 687.8 11.9 9.9 2,208.3 10.0 10.7

민감

15년 333.8 7.4 7.9 932.7 9.3 11.1

20년 974.3 13.4 10.1 249.0 13.0 13.0

소계 1,308.1 9.2 9.5 1,181.8 9.4 11.5

초민감

PR 69.8 6.5 5.8 604.8 10.6 12.6

관세감축 10% - - - 551.8 11.7 13.0

관세감축 15% 4.0 10.0 10.0 - - -

관세감축 30% 0.7 5.0 5.0 53.0 8.8 8.1

관세감축 35% 65.1 6.4 5.6 - - -

양허 제외 86.7 5.5 6.6 1,822.9 9.6 11.0

소계 156.5 5.8 6.3 2,427.7 9.8 11.4

합계 2,152.4 11.4 9.4 5,817.8 9.9 11.2

자료 : 한·중 FTA 협정 내용과 한국 및 중국 무역통계를 활용해 산업연구원에서 작성.

Page 95: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3장 한·중 간 분업관계와 중국시장에서의 경쟁력 분석 95

◦ 5년 및 10년 후에 폐지되는 품목의 관세율의 경우 중국은 섬유산

업 평균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인 반면, 한국은 섬유산업 평

균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고 있음.

- 중국은 각각 10.2% 및 10.7%로, 평균보다 각각 0.8%포인트 및 1.3%

포인트 높은 수준

- 반면, 한국은 각각 11.0% 및 11.2%로 평균과 비슷한 수준

- 하지만 양국간 관세율을 비교할 경우 한국이 중국보다 높은 수준

◦ 민감 품목 관세율의 경우 한국은 평균을 상회하는 높은 수준인 반

면, 중국은 평균 수준을 나타내고 있음.

- 우리나라는 11.5%로, 한국 섬유산업 평균 11.2%보다 0.3%포인트

높은 수준

특히, 이는 중국 민감 품목 관세율보다 2.0%포인트나 높은 수준

◦ 초민감 품목 관세율의 경우 중국은 6.3%로 매우 낮은 수준을 나타

낸 반면, 한국은 11.4%로 평균을 소폭이나마 상회

(3) 한·중 FTA 체결에 따른 영향

◦ 양국 관세가 모두 폐지될 경우 관세 폐지에 따른 효과는 가중편

균 관세율이 높은 우리나라가 중국보다 부정적인 영향이 더 클

것으로 예상

- 우리나라 섬유산업은 양국간 수입규모에 있어 중국의 2.7배에

달할 뿐만 아니라 가중평균 관세율이 중국보다 1.8%포인트나 높

Page 96: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96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아, 모든 품목의 관세가 폐지될 경우 수입증대효과가 수출증대

효과보다 더 클 것으로 우려

◦ 하지만 협상 결과인 단계별 관세양허안 내용을 고려할 때는 우

리나라가 다소 유리한 측면이 있는 협상 결과라 평가할 수 있음.

- 우리나라는 대중국 무역수지 적자규모가 크고 경쟁력이 취약

한 품목 위주로 관세가 유지되는 초민감 품목으로 분류하여 관

세양허에서 제외하였는데, 이는 대중 섬유 전체 수입액의 41.7%

에 달함.

- 특히, 0~5년 단기간 내에 관세를 폐지하는 품목을 최소화시킴으

로써 단기 영향도 거의 없을 것으로 판단

0~5년 관세를 폐지하는 품목의 대중 수입액은 대중 섬유 전체

수입액의 4.4%에 불과

- 또한 우리나라는 관세율이 높은 품목들, 즉 폐지에 따른 영향이

큰 품목들을 중심으로 초민감 품목 및 민감 품목으로 분류함으

로써 관세 폐지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였음.

반면, 중국은 관세율이 높은 품목들을 5~10년으로 분류한 반면,

초민감 품목에는 관세율이 낮은 품목들이 포함

◦ 관세양허 단계별 영향을 살펴보면 단기적으로는 양국 모두 미미

한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

- 우리나라는 비스코스레이온사, 견사, 마직물 등과 같이 국내 생

산이 거의 없거나 대중 수입이 매우 적은 품목을 중심으로 관세

를 즉시 철폐

Page 97: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3장 한·중 간 분업관계와 중국시장에서의 경쟁력 분석 97

중국도 천연섬유사와 재생섬유사 등과 같이 한국으로부터의 수

입이 없거나 매우 소규모인 품목을 중심으로 관세를 즉시 철폐

- 5년 후에 폐지되는 품목도 우리나라는 비스코스레이온 직물, 견

직물 등과 같이 국내 생산은 물론 대중국 수입규모가 미미한 품

목을 중심으로 구성

중국도 천연섬유직물, 재생섬유직물 등과 같이 중국의 경쟁

력이 높은 품목 및 대한 수입규모가 작은 품목 중심으로 구성

- 또한 우리나라는 경쟁력이 크게 낮은 품목 및 주력 생산 품목

을 중심으로 20년 이후에도 관세가 유지되는 초민감 품목을 많

이 확보함으로써 산업 전반적인 영향을 최소화한 것으로 평가

◦ 하지만 10년 이후에 관세가 폐지되는 품목들은 양국 산업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 우리나라는 10년 후에 관세가 폐지되는 품목이 대중국 수입액

의 33.5%에 달하고 11.2%의 높은 관세율이 적용되는데, 면코마

사, 순면직물, 부직포, 합성섬유 끈·로프 및 대중 의류 수입액의

30%(10억 달러)에 달하는 의류가 포함

중국도 대한국 수입액의 13.1%가 10년 후에 관세가 폐지되는데,

면코마사, 양모코트, 여성 블라우스·셔츠, 여성 드레스, 남녀

재킷, 청소용품, 가구용품, 커튼 등이 포함

- 15~20년에 관세가 폐지되는 민감 품목에는 양국의 주력 생산 품

목들이 포함되어 있어 관세 폐지에 따른 영향이 매우 높을 것으

로 예상

Page 98: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98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 비관세장벽 완화 및 산업협력12)13)은 우리 업체들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

- 48시간 내 통관 및 특송화물 통관 간소화, 세관집행 일관성 증진

등 통관절차의 신속화·간소화는 단기간 내의 납품(QR)이 중요

한 섬유산업의 경쟁력 향상에 도움

중국은 통관절차가 복잡하고 투명하지 못하며 지역 세관 및 세

관 담당자마다 관세평가액이 다르고, 잦은 통관지연에 따른 납

품지연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

- 저작권 및 저작인접권 보호, 상표 보호 등 지식재산권 보호 조치

로 인해, 앞으로 상표 도용과 같은 지식재산권 침해가 방지되어

우리 업체들의 재산권 보호 및 매출확대 기대

- 또한 앞으로 한·중 FTA 조항에 포함된 섬유협력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양국 교역은 물론 구조고도화에 긍정적인 기여

를 할 것으로 기대

12) 산업통상자원부, 한중 FTA 협정문 내용.

13) 조철·박훈 외(2015), 「한중 FTA의 효율적 활용 방안 발굴 사업(섬유산업편)」, 산업연

구원.

Page 99: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1. 국내 섬유산업의 SWOT 분석

(1) 강점과 기회요인

◦ 국내 섬유산업은 세계 수준의 품질관리 능력 및 생산기술을 보유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계 5위의 섬유소재 공급기지 역할 수행

- 업스트림(화학섬유/방적사) - 미들스트림(직물/염색·가공) - 다

운스트림(의류/기타 섬유제품)으로 이어지는 모든 공급가치사

슬의 균형 발전으로 가치사슬 간 협력 기술개발 및 생산이 가능

- 특히, 우리나라는 다운스트림으로 갈수록 부가가치가 높아지

면서 다운스트림 부가가치 비중이 업스트림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준

- 가치사슬 구조를 살펴보면 생산기준으로 업스트림(화학섬유 및

방적사)이 20.7%, 미들스트림(직물과 염색·가공)이 31.4%, 그리

제4장

Page 100: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100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고 다운스트림(의류 및 기타 섬유제품)이 47.8%를 기록

◦ 우리나라 섬유산업은 지역별로 특화되어 있는 생산단지와 함께

지역 생산업체들의 애로기술 해소 및 연구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가치사슬별 연구 인프라가 잘 구축

<그림 4-1> 섬유산업의 가치사슬 구조

업스트림 미들스트림 다운스트림

화학섬유/방적사

20.7%(14.5%/6.2%)

36.4%(12.2%/24.3%)

한국 :

중국 :

직물/염색가공

31.4%(21.6%/9.8%)

26.8%(19.7%/7.1%)

의류/산업용제품

47.8%(39.1%/8.7%)

36.7%(30.5%/6.2%)

<표 4-1> 국내 섬유산업의 SWOT 분석

Strength(강점) Weakness(약점)

- 세계 5위의 섬유소재 공급기지 역할- 모든 가치사슬의 균형 있는 산업구조- 업체들의 품질관리 및 생산기술 축적, 후가공 기술력 우수

- 지역별·가치사슬별 특화된 연구 인프라 구축

- 20년 이상의 풍부한 경험을 가진 많은 봉제인력 보유 및 패션디자인 인력 다수 배출

- 고부가 다품종 소량생산 체제로의 전환 미흡

- R&D 투자 부진 및 연구인력 부족- 기존 생산 및 기능 인력 고령화 속에 젊은 신규 인력 유입 단절로 인력부족 심화

- 고성능 산업용 섬유 기술력 취약- 글로벌 브랜드 부재

Opportunity(기회) Threat(위협)

- 중국의 내수 중심의 산업정책으로 내수시장 확대 기대

- 한·중 FTA 체결에 따른 대중국 수출여건 개선

- 중국의 임금 상승 및 인력조달의 어려움 등에 따른 가격경쟁력 약화

- 세계적인 ICT 기술 보유- 한류에 의한 국가 브랜드 이미지 제고

- 중국의 질적 구조고도화 정책 추진과 함께 기술개발력 향상

- 패션의류 브랜드 개발을 통한 경쟁력 강화- 한·중 FTA 체결에 따른 대중국 수입증대 우려

- 중국·대만 간 경제협력 확대- 일본 화섬업체들의 대규모 투자 확대

자료 : 산업연구원.

Page 101: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4장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101

- 화학섬유 생산기반이 잘 구축된 경북지역과 미들스트림 생산기

반이 잘 구축된 대구·경북지역의 경우 화섬-제직 업체 지원기

관인 한국섬유개발연구원과 염색가공업체 지원기관인 다이텍

연구원, 그리고 의류업체 지원기관인 패션산업연구원 등 공급

가치사슬별 특화지원 연구 인프라가 잘 구축

- 천연섬유의류 및 탄소섬유 집적지인 전북에는 에코융합섬유연

구원과 한국탄소융합기술원, 실크 집적지인 경남 진주에 한국

실크연구원, 니트직물과 염색가공 집적지인 경기 북부에 한국

섬유소재연구원 등 각 지역별·공급가치사슬별 특화되어 있는

연구 인프라 구축

◦ 정부는 국내외 고부가가치 신시장 창출 산업인 첨단 산업용 섬

유 육성을 위해 지역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산업용 섬유 응용

<그림 4-2> 국내 섬유산업의 지역별 특화 연구 인프라 현황

자료 : 산업연구원.

수도권

·서울 : 패션의류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스마트의류기술센터

(패션비즈니스서비스)

- 패션비즈센터(봉제, 디자인)

- 한국섬유기술연구소(시험·분석)

·대구·경북 : 화섬, 직물, 염색가공 - 한국섬유개발연구원(화섬, 제직)

- 다이텍연구원(염색가공)

- 한국패션산업연구원(패션, 봉제)

·경기도 안산 : 염색가공 - 한국생산기술연구원(종합연구)

·경기북부 : 니트직물, 염색가공 - 한국섬유소재연구원(니트직물, 염색가공)

·부산 : 해양용 섬유 - 부울경산업용섬유산업협회(해양섬유)

·충남 유구 : 자카드직물 - 한국자카드연구원(자카드직물)

·전북 익산 : 천연의류, 탄소섬유 - 한국탄소융합기술원(탄소섬유)

- 에코융합섬유연구원(천연의류, 융합섬유)

·경남 진주 : 실크직물 - 한국실크연구원(실크직물/제품)

양주

안산

유구

대구 경북

익산

진주 부산

Page 102: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102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제품 클러스터 구축 사업을 지원하고 있고 업체들도 고성능 산업

용 섬유 기술개발을 지속하고 있어, 앞으로 차별화·고부가가치

산업용 섬유 중심의 산업구조 개편이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기대

- 즉, 2010년 대구에 “슈퍼섬유 융합제품 산업화 사업”, 2011년 전

주에 “탄소밸리 구축사업”, 2011년 경북에 “첨단메디컬 섬유소

재 개발사업”, 2015년 부산에 “해양 융복합 섬유소재 산업화 사

업”을 추진

또한 현재 전북 익산의 “안전보호 융복합 섬유제품 개발사업”

도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 중

- 코오롱, 효성, 휴비스, 태광, 동국제강 등 화섬업체들도 파라·메타

아라미드 섬유, 탄소섬유, 폴리케톤 섬유, PPS(폴리페닐렌술파이

드) 섬유, UHMWPE(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 등 고성능 섬유

기술개발과 함께 대규모 투자를 통한 생산능력을 확장하고 있음.

◦ K-pop 및 드라마 등 K-culture를 통한 한류의 영향으로 중국에서 한

국 패션브랜드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도 대중국 진출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 특히, 원단·부자재 조달-기획·디자인-패턴·샘플제작-패션제조-

도·소매 기능을 모두 갖춘 자기 완결형 산업집적지인 동대문패

션시장은 한류와 연계되어 중국 소비자들의 한국 패션에 대한 인

지도를 더욱 높일 것으로 기대

◦ 한·중 FTA 체결로 중국시장에서 일본,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등

경쟁국에 대한 우리 제품의 가격경쟁력 회복으로 수출확대에 기

여할 것으로 기대

Page 103: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4장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103

(2) 약점과 위협요인

◦ 국내 섬유산업은 우수한 품질관리 능력과 생산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나, 연구개발 투자 부진, 연구인력 부족 등으로 핵심 기술 개

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고 제품 차별화도 선진국에 비

해 미흡

- 국내 섬유산업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투자 비율은 2014년 현재

1.19%로, 국내 제조업 평균은 물론 일본의 1/3 수준도 안 되는 매

우 낮은 수준

- 종업원 1인당 연구개발비도 2014년 현재 610만원으로, 제조업

평균의 1/3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

도 7,990만원으로, 제조업 평균의 절반 수준도 안 되는 낮은 수준

◦ 이처럼 국내 섬유산업은 R&D 투자 부진, 연구인력 부족 등에 따

른 핵심 기술 개발력 열세로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좁히지 못한

채 중국과는 근소한 차이로 좁혀질 것으로 우려

<표 4-2> 국내 섬유패션산업의 연구개발투자 현황

연구개발비(십억원)

연구원 수(명)

매출액 대비연구개발비

(%)

종업원 천명당연구원 수

(명)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백만원)

종업원 1인당연구개발비(백만원)

섬유패션산업

2010 153 1,826 1.44 69.2 83.6 5.8

2014 327 4,093 1.19 76.0 79.9 6.1

제조업2010 28,737 178,440 2.80 128.8 161.0 20.7

2014 44,328 236,429 3.63 128.0 187.5 24.0

자료 :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과학기술연구활동조사보고」, 각년호.

Page 10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10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 국내 섬유산업의 기술수준은 고성능 산업용 섬유 및 고기능성·

초극세 섬유를 중심으로 일본의 85% 수준에 그치고 있음.

산업용 섬유기술이 일본의 80% 수준이고 패션소재는 유럽의

82% 수준에 머물고 있음.

- 중국은 외자유치 및 선진국으로부터의 기술 습득, 화섬소재 육

성에 힘입어 업스트림인 섬유소재와 다운스트림인 의류분야의

동반 발전 및 경쟁력 제고 등으로 우리 산업을 빠르게 추격

또한 중국은 12.5 및 13.5계획 기간에 산업구조 고도화를 위해

신기술 및 고성능 산업용 섬유 응용제품 개발을 통한 기술수준

제고, 자체 브랜드 육성을 통한 품질 수준 제고로, 앞으로 우리

나라와의 기술 및 품질 격차가 좁혀질 것으로 우려

2020년에 중국의 섬유 생산기술은 화섬소재, 산업용 섬유 등의

기술개발에 힘입어 한국과의 기술격차가 10~15% 수준으로 축

소되고 봉제분야는 우리와 거의 대등한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

<그림 4-3> 국내 봉제업체의 종사자 연령별 분표

단위 : %

자료 : 한국의류산업협회(2015), 봉제업계 실태조사를 이용해 산업연구원에서 작성.

20대 이하1.6

50대51.2

60살 이상9.4

30대6.4

40대31.4

Page 105: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4장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105

◦ 국내 패션의류산업의 비가격경쟁력은 중국보다는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지만, 선진국에 비해서는 낮은 브랜드 인지도, 디자

인 수준 미흡, 마케팅력 열세 등으로 크게 뒤지는 것으로 평가

- 우리나라의 패션디자인 수준은 이탈리아의 60%, 브랜드 이미지

는 50%에 머물고 있음.

◦ 국내 봉제업체는 20년 이상의 풍부한 경험을 가진 기술자들을 많

이 보유하고 있지만, 기존 기술인력의 고령화 속에 젊은 층 인력

의 유입 단절로 인력부족 현상이 심각

- 생산직 종사자들은 40대 이상이 전체의 92.0%로 대부분을 차지

하고 있는데, 50대가 51.2%로 절반 수준을 넘고 60대 이상도 9.4%

에 달하고 있는 반면, 20대 이하는 1.6%에 불과

- 낮은 임금수준, 봉제업체(3D 업종)에 대한 근로자들의 기피현

상, 열악한 작업환경, 미래의 불확실성 등으로 신규 인력 유입

이 단절

<그림 4-4> 국내 봉제업체 취업 기피 요인

단위 : %

자료 : 한국의류산업협회(2015), 봉제업계 실태조사를 이용해 산업연구원에서 작성.

기타0.2

낮은 임금 수준26.0

힘든 직무32.2

열악한 작업환경

22.5

3D 업종 이미지15.7

고용불안3.4

Page 106: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106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 국내 봉제업체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 결과 봉제업

체 취업 기피 요인으로 전체 응답자의 각각 32.2%, 26.0%, 22.5%

및 15.7%가 힘든 직무, 낮은 임금수준, 열악한 작업환경, 3D 업종

이미지를 지적

◦ 국내 봉제업체들은 영세업체(가내 수공업형, 가족생계형) 위주

로 구성됨으로써 독자적인 판로개척 및 기획능력 부재

- 봉제업체들의 종사자 규모별 분포를 살펴보면 종사자 5인 미만

의 가내 수공업형 업체가 전체의 67.5%로 절대적

그리고 5~9인 사이의 가족생계형 업체 비중이 21.8% 및 10~19인

업체가 6.9%에 달함.

2. 국내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1) 기본 방향

◦ 중국은 앞으로 6~7%대의 안정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

운데 내수 중심의 성장전략, 중산층 확대 및 인구의 도시이동에

따른 구매력 증가 등으로 인해 내수시장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중국 내수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 필요

- 특히, 중·서부지역이 중국 정부의 육성정책에 힘입어 높은 성장

과 함께 소비시장이 빠르게 신장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

한 대비도 필요

◦ 중국의 노동집약 산업들은 앞으로 인건비가 상대적으로 낮은

Page 107: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4장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107

중·서부지역으로의 이전이 불가피하고 동부지역은 고기술산업

중심으로 재편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응한 직접투자 및

수출정책 필요

- 특히, 화학섬유와 화섬직물산업은 최근 공급과잉문제를 해소하

기 위해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있는데, 앞으로 구조조정이 완료

된 후 살아남은 기업들의 경쟁력이 더욱 높아지면서 우리 산업

에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비해 국내

산업의 구조고도화 시급

우리나라 섬유산업은 중저가 제품을 중심으로 중국 등의 추격

을 받고 있지만, 고기능성·고성능 제품, 특수 가공제품, 고감성

제품 등 차별화·고부가가치 제품에 대해 아직도 중국에 비해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음.

앞으로 차별화·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의 산업구조 전환을 통해

중국의 추격을 극복하고 중국시장을 개척할 필요

- 또한 중국 패션의류산업들은 자체 브랜드 개발 및 선진국으로부

터의 디자인 습득 등을 통해 고부가가치화가 진전되고 있으므

로, 이들 중국 업체의 추격을 극복하고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

록 국내 패션의류산업의 경쟁력 강화 시급

◦ 중국은 양적 성장에서 벗어나 질적 구조고도화를 추진하기 위해

고성능 산업용 섬유소재 및 산업용 섬유 응용제품 육성을 강화하

고 있으므로, 중국과의 경쟁 우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성능 산

업용 섬유 및 응용제품 개발력 강화 필요

◦ 한·중 FTA 체결에 따른 중국의 대한국 수입관세 폐지, 통관절차

Page 108: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108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간소화 등으로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환경이 크게 개선될 것으

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비해 대중국 수출확대 방안 마련 필요

(2) 세부 추진전략

1) 중국시장 진출 전략

□ 중국 전문 원단 컨버터 육성

◦ 원단을 기획하고 생산하여 수출마케팅까지를 원스톱으로 담당

하는 원단 컨버터 육성을 통해 대중국 수출 활성화 지원

* 과거 대우인터내셔널, 삼성물산과 같은 무역상사들이 수출을 대행

했으나, 무역상사들이 없어지면서 무역 기능이 약한 섬유업체들의

수출에 많은 어려움 직면

- 우리나라의 대중국 최대 수출품목인 직물의 경우 대구 및 경기

북부 지역에 많은 중소 제·편직업체들이 입지해 있지만 소재 기

획력과 마케팅력 부재로 제품 고급화 및 직접 수출을 하지 못하

고 있는 상태

- 따라서 소재 기획력과 마케팅력을 보유한 대형 컨버터 육성을

통해 중소 업체들의 제품 고급화 유도 및 대중국 수출 대행

□ 수출품목의 다양화 추진

◦ 우리나라의 대중국 주력 수출 분야인 직물은 수출 품목의 다변화

Page 109: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4장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109

가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다양한 수요시장 개척에 한계

직물은 2015년 현재 우리나라의 대중국 섬유 전체 수출의 56.7%

차지

- HS 4단위 기준 상위 5개 품목의 수출 비중이 2005년 61.4%에서

2015년 현재 67.3%로 5.9%포인트나 상승

HS 6단위 기준 상위 10개 품목의 수출 비중도 2005년 51.7%에서

2015년 현재 54.7%로 3.0%포인트나 상승

- 반면, HS 4단위 기준 대중국 상위 5개 품목의 수입 비중은 같은 기

간에 65.1%에서 55.8%로 9.3%포인트나 낮아지는 등 수입 품목은

더욱 다양화되는 추세

HS 6단위 기준 대중국 상위 10개 품목의 수입 비중도 같은 기간

에 55.3%에서 48.8%로 6.5%포인트나 낮아졌음.

<표 4-3> 우리나라의 대중국 직물 수출입 비중 추이

단위 : %

수출 수입

2005 2015 2005 2015

HS 4단위 기준

상위 5대 품목 61.4 67.3 65.1 55.8

상위 10대 품목 79.9 84.3 81.3 75.9

상위 20대 품목 95.6 96.4 96.4 93.4

HS 6단위 기준

상위 10대 품목 51.7 54.7 55.3 48.8

상위 20대 품목 68.0 70.2 68.6 65.6

상위 30대 품목 77.0 78.8 75.8 75.1

자료 : 한국무역협회, 한국무역통계를 활용해 산업연구원에서 작성.

주 : 1) 우리나라의 대중국 직물 수출입에서 차지하는 상위 품목의 비중.

2) HS 4단위는 38개 품목이고 6단위는 313개 품목.

Page 110: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110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 따라서 직물업계는 텍스타일디자인(직조)직물, 고감성 염색직

물, 복합기능성·신기능성 특수직물, 산업용 직물 등 다양한 차별

화·신기능성 직물 개발 및 생산을 통한 수출 품목 다변화 및 고

급화로 신시장 개척

□ 공격적 수출마케팅 전개

◦ 대중국 전시·홍보기능 강화

- PIS(Preview in Seoul), PID(Preview in Daegu) 등 국내에서 개최되는

국제섬유전시회에 중국 바이어들의 전략적 유치인원 확대를 통

해 국산 섬유소재 홍보 및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

- 또한 상하이에서 개최되는 CHIC(China International Fashion Fair),

인터텍스타일 상해섬유전시회(Intertextile shanghai Apparel Fabrics)

및 원사전시회(Yarn Expo), 홍콩의 인터스토퍼 국제섬유전시회,

선전의 인터텍스타일 국제섬유전시회 등 중국 주요 도시에서

개최되는 국제섬유전시회 및 박람회에 우리 섬유 업체들의 참

여를 확대하여 중국 바이어들을 직접 공략

쇼룸 상하이와 같이 중국 바이어 수주 상담회에 우리나라 디자

이너 브랜드 업체들의 참여 확대를 통해 마케팅력이 부족한 디

자이너들의 중국진출을 지원

◦ 최근 생산 집적지로 부상하며 시장 잠재력이 높아지고 있는 정저

우(허난성), 우한(후베이성), 난창(장시성), 스자좡(허베이성), 허

페이(안후이성), 청두(쓰촨성) 등 주요 도시에 우리 중소 섬유업

체들의 적극적인 진출을 위한 시장개척단 파견 지원

Page 111: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4장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111

- 특히, 중국 중부지역의 중심 도시인 우한(후베이성), 서부지역의

중심도시인 청두(쓰촨성) 등에 대한민국 상설 섬유 전시·판매

장 개설을 통해 적극적인 홍보·판매 기능 강화

◦ 한류를 활용한 홍보·마케팅 강화

- K-pop 및 한류 패션에 대한 중국인들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으

므로 상하이와 베이징은 물론 항저우(저장성), 난징(장쑤성) 등

소비수준이 높은 대도시에서 패션과 K-pop의 융합화를 통한 한

류 패션쇼 등을 통해 중국인들에게 한국 패션의류의 우수성 홍

보 강화

- 또한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는 동대문패션시장에서 한류 패션

쇼를 정례화하여 중국 관광객은 물론 중국 상인들이 한국 패션

의류에 대한 호감도를 높일 수 있도록 홍보·마케팅 강화

특히, 동대문패션시장에 한국 및 동대문 패션의류의 우수성을

홍보하고 중국 바이어들의 오더를 유치할 수 있도록 Made in

Korea 상설 패션 홍보·전시장 구축

철저한 품질관리를 통해 패션 홍보·전시장에 전시된 패션의류

들의 품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 부각

◦ 한국섬유마케팅지원센터(KTC) 중국 상하이지사의 기능과 역할

을 확대해서 국내 섬유업체들의 중국시장 진출을 지원

- KTC 상하이지사는 현재 대구의 영세 중소 직물 업체들의 대중

국 수출을 도와주고 있는데, 앞으로 직물뿐만 아니라 의류로 품

목을 다변화하고 대구 업체에서 벗어나 전국 업체들까지 지원

필요

Page 112: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112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 국내 패션기업들의 편집매장 및 온라인 개설을 통한 중국진출

확대

◦ 국내 패션기업들의 편집매장14) 개설을 통한 중국진출 확대

- 중국 의류소비시장은 소비패턴이 브랜드 중심의 백화점보다 개

성을 존중하는 편집매장으로 변화

- 중국은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므로,

디자이너 브랜드는 물론 패션업체들은 편집매장 개설을 통해

중국진출 추진

디자인 역량뿐만 아니라 생산과 물류기반을 함께 갖추어야만

성공적인 중국진출이 가능하므로, 생산과 물류 업체들과의 전

략적 제휴 등을 통해 기획·디자인 - 패션제조 - 물류마케팅으로

이어지는 완결형 공급기반 구축 필요

특히, 기획·디자인 - 패션제조 - 물류마케팅으로 이어지는 완

결형 공급기반을 구축하고 있는 동대문시스템을 활용할 필요

* 한편, 우리나라 편집매장은 2013년부터 중국에 진출했는데, 2015년

2월에 편집매장 “가로수”가 상하이에 진출

* 2015년 베이징웨이타국제투자그룹유한공사에서 투자한 한국 직수

입 제품 체험점 “HAN·TIME”이 허페이(안후이성), 베이징, 청두(쓰

촨성) 등지에 3개 매장을 개설한 데 이어 5년 내에 전국에 300개의 오

프라인 매장 개설 계획15)

14) 편집매장(Multishop)이란 특정 ‘주제’ 또는 특정 ‘고객층’을 겨냥해 여러 브랜드 제품을

한 곳에 모아놓고 파는 매장.

Page 113: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4장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113

◦ 중국 온라인몰 판매망 확대

- 중국의 온라인 시장 규모는 매년 40%가 넘는 높은 증가에 힘입어

2014년 현재 2조 7,800억 위안에 달하고 있음.

- 온라인 의류시장 규모도 6,417억 위안으로 중국 전체 온라인 시

장의 22.8%에 달하고 있음.

특히, 중국 소비자들의 인터넷을 통한 의류 구매율은 2014년 현

재 14.3%로, 세계 평균 5.8%보다 2.5배나 높은 수준

- 한류 열풍에 힘입어 중국 소비자들의 한국 상품에 대한 선호도

가 높은 가운데 알리바바, 타오바오 등 온라인 대기업들이 디자

인을 바탕으로 한 고품질 제품을 생산하는 한국 패션디자이너

15) 류빈(2016.3), “편집샵, 백화점 누르고 소매업계 샛별로 떠오르다”, KOTRA 우한무역관.

<그림 4-5> 중국의 온라인 시장 현황

자료 : http://report.iresearch.cn

주 : 2015년 추정치.

4.50

4.00

3.50

3.00

2.50

2.00

1.50

1.00

0.50

0.00

80

70

60

50

40

30

20

10

0

(조 위안) (%)

2011 2012 2013 2014 2015

규모 증가율

0.78

1.19

1.89

2.78

3.8870.2

51.3

59.4

47.7

33.3

Page 1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1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및 패션기업들과의 전략적 제휴를 원하고 있음.

이들 기업들의 온라인 플랫폼 내 웹사이트 개설 등을 통해 중국

소비자들을 공략할 필요

□ 중국 중·서부지역에 대한 투자전략 마련

◦ 중국 중·서부지역은 낮은 인건비를 바탕으로 새로운 생산 집적

지로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 패션업체들도 중·서부지역에

서의 의류봉제 소싱을 확대하는 추세

- 특히, 개성공단 폐쇄 등으로 의류봉제 소싱이 어려운 패션업체

들은 최근 중·서부지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 따라서 최저 임금 수준도 상대적으로 낮으면서 우리나라의 의류

봉제 조달이 가장 많은 중부지역의 난창(장시성)과 상하이와 근

거리에 위치해 있는 허페이(안후이성) 등에 우리나라 의류봉제

업체들이 투자 진출할 수 있도록 물류시설을 갖춘 봉제단지 조

성이 필요

2) 경쟁력 강화 전략

□ 패션디자인 역량 강화 및 제조기반 재건을 통한 패션의류산업의

경쟁력 강화

◦ 패션의류업계는 중국과 경쟁우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패션디자인 역량 강화를 통해 고급 패션의류 중심의 산업구조로

의 전환 필요

Page 115: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4장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115

- 인디·신진 디자이너들의 창의적 패션역량 강화를 지원할 수 있

도록 디자이너 맞춤형 패션 신소재 개발 및 패턴·샘플 제작 등

과 같은 시제품 제작 지원사업 추진

이를 위해 인디·신진 디자이너들이 가장 많이 밀집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중국 상인들이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는 동대문패

션시장에 디자이너 시제품 제작 지원센터 구축 필요

-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 역량을 보유한 신진 디자이너들의

창업 활성화를 위해 창업에 필요한 다양한 창업지원서비스 제

공 등 창업보육 지원

특히, 자체경영 역량이 취약하고 자금력이 부족한 신진 디자이

너들을 위해 경영관리업무에 관한 애로사항 해결 지원

- 중국을 비롯한 해외 유명 패션전시회 참관 지원 등을 통해 디자

이너 브랜드들의 브랜드 가치 제고 및 중국시장 개척 유도

◦ 한·중 FTA로 수출여건이 개선된 중국의 거대시장 개척용 고급

패션의류를 생산할 수 있는 패션제조 기반 재건 필요

- 패션제조업체(패션, 봉제)들에 IT가 융합된 스마트공장 보급 확

대를 통해 생산의 효율성 제고 및 비용 최소화16)

특히, IT 융합 스마트공장 운영을 통해 숙련인력 대신 비숙련 인

력으로의 대체가 가능하고 패션제조업체의 현대화로 젊은 층

인력 유인이 가능하여 인력부족문제 해소에 기여

16) 패션의류 스마트공장이란 제품 기획·디자인 - 시제품 제작 - 봉제 - 마케팅·유통에 이르

는 전 공정을 IT기술로 통합하여 생산관리, 공정관리, 인원관리, 비용관리 등을 획기적으

로 개선할 수 있는 표준화된 패션제조공장을 의미.

Page 116: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116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 봉제 기술자들을 대상으로 품목별 차별화된 맞춤형 기술지도 제

공을 통해 봉제 기술자들의 특성화·전문화 유도

특히, 제조공장의 현장 애로기술 해결 및 불합리한 생산공정·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기술진단 및 지도사업 강화

□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을 통해 패션소재의 고급화

◦ 창의적인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과 이를 적용한 차별화·고부가

가치 직물 상업화를 통해 중국시장 공략

◦ 이를 위해 텍스타일 디자인 및 신소재 개발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텍스타일디자인 섬유소재연구센터” 구축

- 텍스타일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창의적인 텍스타일 디

자인 개발

- 텍스타일 디자이너가 없는 제·편직업체들에게 텍스타일 디자

인 시제품 제작 지원을 통해 패션소재의 품질 향상 유도

□ 기획력 있는 염색·가공업체 육성

◦ 중국시장에서 우리 원단이 중국, 대만 등 경쟁국 제품과의 경쟁

우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감성 염색 및 복합·신기능성 가공을

통한 품질 향상 및 고부가가치화 추구할 필요17)

17) 조철·박훈 외(2014), 「주요 산업의 중국 내 동북아국가들의 경쟁구조 분석(섬유산업

편)」, 산업연구원.

Page 117: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4장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117

- 고흡한·속건 기능에 온도조절 기능을 융복합한 융복합기능성

소재, 환경 변화에 대응해 자체 온도 자동조절(냉·온감 부여 기

술)이 가능한 고기능 의류소재 개발력 강화

- 라미네이팅 가공을 통한 전자파 및 자외선 차단 기능 강화

- 안전보호용 난연·방염 가공 원단 개발 확대

◦ 하지만 국내 염색·가공업체들은 대부분 기획능력 부재 및 임가

공 하청 생산에 의존함으로써 자체 기술개발 필요성을 느끼지 못

할 뿐만 아니라 기술개발 역량도 취약

◦ 따라서 고감성 염색 및 복합·신기능성 가공 직물을 기획하고 생

산한 후 판매 기능까지를 보유한 역량 있는 염색·가공업체 발

굴·육성 필요

- 역량 있는 염색·가공업체들이 고감성 염색 및 복합·신기능성

가공 직물 기획·생산을 통해 국산 직물의 고부가가치화를 리드

하고 중국 직물시장을 개척

□ 국산 섬유제품의 신뢰성 평가·인증시스템 구축

◦ 시험·분석 능력이 없는 중소 업체에서 생산된 제품의 신뢰성 평

가를 통한 경쟁력 확보 및 중국시장 개척이 가능하도록 품질 신

뢰성 평가·인증마크 부여 시스템 구축

- 최종 제품을 신뢰성 평가 없이 수출하다보니 샘플과 최종 제품

과의 성능, 기능성 및 색상 차이로 바이어들의 클레임을 당하는

사례가 중국에서 많이 발생

Page 118: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118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 따라서 시험·분석 평가 능력이 없는 우리 중소 업체들이 생산한

제품을 출하하기 전에 바이어 요구조건에 적합한 신뢰성을 평

가받을 수 있도록 신뢰성 평가시스템 강화

또한 최종 완제품 신뢰성 평가뿐만 아니라 제품 개발단계에서

부터 기능성, 성능, 색상 등의 신뢰성 평가를 함께 진행하고 이

에 부합된 최종 완제품에 대한 품질인증마크 부여 제도 도입

□ 첨단 고성능 산업용 섬유 육성을 통해 미래 성장동력 및 수출주

력산업화

◦ 전 세계적으로 의류용 섬유는 수요증가가 둔화된 가운데 중국 등

후발 개도국들이 생산능력을 늘리면서 공급과잉현상 야기

- 반면, 산업용 섬유는 자동차, 풍력 블레이드, 토목·건축, 의료·위

생분야 등 연관산업의 원료·중간재로의 사용이 확대되면서 수

요가 크게 증가

◦ 이에 미국, 일본, 독일 등 선진국들은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첨단 고성능 산업용 섬유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개

발 지원 강화

- 중국도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고성능 산업용 섬유소재

기술 및 응용제품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데, 특히 메타 아라미드

섬유, 탄소섬유 등 일부 고성능 섬유는 대량 생산을 하고 있음.

◦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도 파라·메타 아라미드섬유, 범용 탄소

섬유, UHMWPE(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 PPS(폴리페닐렌술

파이드) 섬유만 소량 생산하고 대부분의 고성능 섬유는 기술개발

Page 119: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제4장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119

및 시제품 생산 단계에 머물러 있음.

◦ 따라서 국내 섬유산업이 앞으로 중국의 추격에서 벗어나 지속적

인 성장 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고부가가치 신수요 창출이

가능한 첨단 고성능 산업용 섬유 육성을 통해 미래 성장동력화

및 수출주력산업화 필요

- 높은 수요증가를 보이고 있는 자동차 및 항공기용 섬유, 공기·액

체필터용 섬유, 의료·위생용 섬유, 전기·전자용 섬유 등의 시장

개척을 위한 기술개발력 확충을 통해 경쟁력 강화 도모

- 금속과 세라믹 대체재로 부상하고 있는 섬유강화복합소재는 소

재 및 성형비용이 너무 높아, 자동차, 산업용 기계부품 등으로의

사용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소재 및 성형비용을 낮출

수 있는 기술개발 투자 확대와 함께 전문 품목의 대량 생산체제

가 구축될 수 있도록 기업간 협력 유도

- 소재-부품-시스템 등 각 단계별 평가인증시스템 미흡으로 사업

화 리스크가 높으므로, 선진국과 상호 인증평가 협약을 체결하

여 사업화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개발비용을 단축

-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탄소섬유는 현재 T300~350 수준의 범용

섬유인데, 중국, 대만, 터키 등이 생산능력을 늘리고 있어 향후 공

급과잉 우려가 있으므로, 이들 후발 국가들보다 경쟁우위를 확

보할 수 있도록 T700 이상의 초강도·고탄성 탄소섬유 기술개발

및 조기 상용화 추진

◦ 산업용 섬유는 자동차, 해양·조선·풍력 블레이드 등 수요산업

과의 연계 기술개발이 필요함으로써 수요산업과의 전략적 제휴

Page 120: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120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를 통한 기술개발 및 마케팅 등 동반 성장모델 구축

- 예로 일본 도레이는 미국 보잉사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항공기

동체용 탄소섬유복합소재를 개발하여 보잉사에 독점 공급하고

있고, 일본 미쓰비시레이온도 프랑스 에어버스사와 전략적 제

휴를 통해 항공기 동체용 탄소섬유복합소재를 개발하여 보잉사

에 독점 공급하는 동반 성장모델 구축

Page 121: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참고문헌

1. 국내문헌

·류빈(2016.3), “편집샵, 백화점 누르고 소매업계 샛별로 떠오르다”, KOTRA

우한무역관.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과학기술연구활동조사보고」,

각년호.

·박훈(2006), 「중국 발전전략 전환에 따른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산업연구원.

·______ (2012),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고도화정책과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

략」, 산업연구원.

·______ (2013), 「섬유산업의 구조고도화를 위한 국내 산업용 섬유 발전전략」,

산업연구원.

·산업연구원(2013), 섬유업계 실태조사.

·______ (2015.11), “2016년 거시경제 전망”, e-KIET 산업경제정보.

·산업통상자원부(2015), 한중 FTA 협정문.

·조철·박훈 외(2014), 「주요 산업의 중국 내 동북아국가들의 경쟁구조 분석

(섬유산업편)」, 산업연구원.

·______ (2015), 「한중 FTA의 효율적 활용 방안 발굴 사업(섬유산업편)」, 산업

연구원.

·한국무역협회, 중국무역통계.

·______ , 한국무역통계.

·한국수출입은행, 해외투자통계.

·한국의류산업협회(2015), 봉제업계 실태조사.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KOTRA, 글로벌 윈도우, 해외시장정보.

121

Page 122: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122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2. 해외문헌

·日本化學纖維協會, 「纖維핸드북 2014」, 각 연도.

·中國國家統計局, 國家統計年監.

·中國紡織工業協會, 「中國紡織工業發展報告」, 각호.

·中國化纖協會, China Technical Textiles.

·IMF(2016.4), World Economic Outlook.

·Shengjun Zhu & John Pickles(2016.3), “Bring In, Go Up, Go West, Go Out:

Upgrading, Regionalisation and Delocalisation in China’s Apparel Pro-

duction Networks”, Journal of Contemporary Asia.

·Miao Zhang, Xin Xin Kong & Santha Chenayah Ramu(2016.3), “The transfor-

mation of the clothing industry in China”, Asia Pacific Business Review.

·Textile Intelligence Limited, Textile Outlook International, 각 연도.

·UN, Comtrade.

·______ (2015), World Population Prospects.

·______ (2014),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http://blog.naver.com/stanza2/220704599226

·http://Chinanews.com

·http://report.iresearch.cn

Page 123: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user.kotiti.re.kr/technic/kiet-1.pdf · 14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ISSUE PAPER 2016-399

중국 섬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 섬유산업의 대응전략

인쇄일

발행일

발행인

발행처

등 록

주 소

전 화

팩 스

문 의

인쇄처

2016년 5월 10일

2016년 5월 12일

유병규

산업연구원

1983년 7월 7일 제2015-000024호

30147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경제정책동

044-287-3114

044-287-3333

자료·편집팀 044-287-3215

태광인쇄

값 5,000원ISBN 978-89-5992-927-6 93320내용의 무단 복제와 전재 및 역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