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04/1... · 2019. 1. 30. · 연구 담당...

120

Transcript of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04/1... · 2019. 1. 30. · 연구 담당...

  • 연구 담당

    김홍상︱선임연구위원︱연구 총괄채광석︱연구위원︱조사결과 정리김부영︱연구원︱조사결과 정리김관수︱서울대학교︱연구 기획안동환︱서울대학교︱연구 기획민선형︱서울대학교︱조사결과 정리정진교︱서울대학교︱조사결과 정리

    R795 연구자료-1

    밭작물의 분포 특성과 집적화 유형 분석

    등 록︱제6-0007호(1979. 5. 25.)발 행︱2016. 12.발행인︱김창길발행처︱한국농촌경제연구원

    우) 58217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01

    대표전화 1833-5500

    인쇄처︱(주)한디자인코퍼레이션(02-2269-9917)I S BN︱979-11-6149-004-5 93520∙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시하면 자유롭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전재하거나 복사하면 법에 저촉됩니다.

    이 도서의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예정도서목록(CIP)은 서지정보유통지원시스템 홈페이지(http://seoji.nl.go.kr)와

    국가자료공동목록시스템(http://www.nl.go.kr/kolisnet)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IP제어번호 : CIP2017007548)

  • i

    머 리 말

    밭농업이 재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시

    장 개방의 확대로 수입 농산물의 국내 시장 점유율이 높아지고 대내적으로는

    농업 인력이 고령화되어 농가소득이 불안정해지는 등 우리 밭농업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한·중 FTA 발효 등 지속적인 농산물 시장 개방

    의 확대에 대응한 밭농업 경쟁력 제고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속에서 밭작물 경쟁력 제고를 위해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주요 밭작물의 산지를 중심으로 농업경영체의 조직화를 이루고, 이

    를 토대로 한 밭기반정비와 기계화 등 생산시스템의 효율화를 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밭작물의 품목별 공간분포 분석을 통해 집적화 유형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기반 정비, 인력 확보, 경영체 조직화 등

    과 관련한 밭작물의 품목별 정책 방향 수립이나 관련 연구 수행의 기초자료 제

    공에 그 목적을 두었다. 아무쪼록 이 자료집이 우리나라 밭농업 관련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2016.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김 창 길

  • iii

    차 례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관련 선행연구 검토 ·····················································································3

    3. 연구의 내용 및 목적 ····················································································5

    제2장 주산지 정책 현황 ·················································································· 7

    제3장 분석 대상 품목 및 지역

    1. 분석 대상 품목의 개요 ··············································································14

    2. 지역별 분석 대상 품목 ··············································································18

    제4장 분석 방법 및 자료

    1. 유형화 분석 방법 ·······················································································27

    2. 주산지 유형화 변수 ···················································································30

    3. 품목별 지역별 주산지 특성 ······································································37

    4. 지역별 주산지 특성 ···················································································52

    제5장 주산지 유형화 분석 결과

    1. 품목 기준 주산지 유형화 분석 결과 ·······················································73

    2. 지역 기준 주산지 유형화 분석 결과 ·······················································79

    제6장 시사점 및 결론

    1. 정책적 시사점 ·····························································································85

    2. 결론 ············································································································108

    참고문헌 ············································································································111

  • iv

    표 차례

    제2장

    채소류 주산지 지정 기준 ······························································8

    밭식량작물 주산지 지정 기준 ····················································10

    재배면적 기준 주산지 대상 지역 지정(예시) ···························10

    제3장

    재배면적별 품목 분류 ·································································16

    시·도별 대분류 재배품목 현황 ···················································18

    강원도 시·군별 상위 10개 재배품목 ·········································20

    경기도 시·군별 상위 10개 재배품목 ·········································21

    경상남도 시·군별 상위 10개 재배품목 ·····································22

    경상북도 시·군별 상위 10개 재배품목 ·····································23

    전라남도 시·군별 상위 10개 재배품목 ·····································24

    전라북도 시·군별 상위 10개 재배품목 ·····································25

    충청남도 시·군별 상위 10개 재배품목 ·····································25

    충청북도 시·군별 상위 10개 재배품목 ·····································26

    기타 지역 시·군별 상위 10개 재배품목 ···································26

    제4장

    품목 기준 주산지 유형화 변수 ··················································31

    지역 기준 주산지 유형화 변수 ··················································34

    재배면적 1만 ha 이상 품목의 주산지 특성 ·····························37

    재배면적 1,000~1만 ha 품목의 주산지 특성 ····························39

    재배면적 200∼1,000ha 품목의 주산지 특성 ····························42

  • v

    재배면적 50∼200ha 품목의 주산지 특성 ·································44

    재배면적 10∼500ha 품목의 주산지 특성 ·································47

    재배면적 1∼10ha 품목의 주산지 특성 ·····································49

    강원도의 지역별 주산지 특성 ····················································53

    경기도의 지역별 주산지 특성 ····················································54

    경상북도의 지역별 주산지 특성 ················································56

    경상남도의 지역별 주산지 특성 ················································57

    충청북도의 지역별 주산지 특성 ················································58

    충청남도의 지역별 주산지 특성 ················································60

    전라북도의 지역별 주산지 특성 ················································61

    전라남도의 지역별 주산지 특성 ················································62

    기타 지역의 지역별 주산지 특성 ··············································63

    제5장

    품목 기준 주산지 유형화 변수 주성분 분석 결과 ··················73

    품목별 산지 특성에 따른 군집분석 결과 ·································76

    품목 기준 주산지 유형별 품목 분류 ·········································77

    지역 기준 주산지 유형화 변수 주성분 분석 결과 ··················79

    지역별 특성에 따른 군집분석 결과 ···········································80

    지역 기준 주산지 유형별 시·군·구 ···········································82

    제6장

    지역 유형×품목 재배면적 ···························································87

    지역 유형별 밭식량작물 재배면적 ·············································92

    지역 유형별 채소류 재배면적 ····················································94

    로컬주산지와 재배품목 ·····························································103

  • vi

    그림 차례

    제4장

    주산지 시·군별 밭농업면적 현황 ···········································64

    주산지 시·군별 농업인구 비중 현황 ·····································65

    주산지 시·군별 대규모 농업인 현황 ·····································66

    주산지 시·군 내 APC 분포 현황 ···········································67

    주산지 시·군 내 공선출하회 분포 현황 ································68

    주산지 시·군 작물집중도 현황 ···············································69

    주산지 시·군별 밭농업면적 변화율 ·······································70

    주산지 시·군의 기후변화도 ····················································71

    제5장

    주산지 지역유형화 분석 결과 ················································83

    제6장

    지역 유형 1과 2의 기존 밭식량작물 분포 ···························93

    지역 유형 1과 2의 기존 채소류 분포 ···································95

    열대과일 재배 현황 ·······························································100

    서양채소 재배 현황 ·······························································101

    아시아요리작물 재배 현황 ····················································102

  • 제1 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최근 전통적 논농업을 통한 농가소득 제고의 한계와 밭작물에 대한 개방 확

    대로 밭농업 경쟁력 강화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음.

    - 쌀 소비 감소와 재고 누적에 따른 쌀 가격 하락으로 전통적인 논농업을

    통한 농가소득 확보에 한계가 있음.

    - 벼 대체작목 재배 증가로 밭작물의 생산이 증가하고 있으나 이에 대응

    한 경쟁력 제고와 효율적 마케팅 기반이 부족한 실정임.

    - 특히 밭농업 FTA로 불리는 한·중 FTA 발효로 밭농업의 경쟁력 강화가

    시급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음.

    - 또한 밭작물 소비 구조 및 생산 여건 변화에 따라 주요 밭작물 생산 비

    중과 생산 방식(밭 외에 논과 시설재배)의 변화가 나타남.

    ○ 위와 같은 대내외 여건의 변화 속에서 밭농업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주산지 중심의 밭기반정비와 산지조직화 등 정책 지원 체계가 요구되며, 이

    를 위해 밭작물을 대상으로 과학적인 주산지 개념을 정립하고 주산지의 특

    성을 고려한 주산지 지정 및 주산지 정책 수립이 필요함.

  • 2

    ○ 하지만 현재 주산지의 개념이나 주산지 정책의 품목에 대한 엄밀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임.

    - 현재 정책 대상의 주산지는 국내 농산물의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생산 및 출하 조절이 필요한 농산물의 생산지역으로서 재배면적과

    출하량이 일정 이상인 지역으로 정의됨(「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 2016: 4조).

    - 주산지로 지정된 품목은 채소류 12개(18개 작형), 밭식량작물 16개 품목

    이며, 생산 여건의 변화에 따라 일정 기간 후 재검토하여 지정함.

    ○ 현재 주산지 정책의 경우, 지정 대상 품목의 선정 기준이 추상적이고 지정

    기준의 객관적·과학적인 근거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품목별로도 다른 기준

    이 적용되고 있음.

    - 현재 주산지 지정 대상 품목의 선정 기준은 ① 국민생활 및 민생물가와

    관련성이 밀접하거나 ② 소득작물로서의 가능성과 최소한의 국가적 기

    반 유지의 필요성이 높은 작물로 설정되어 있으나 추상적임.

    - 또한 단지지정 기준 면적과 출하량 역시 품목별로 매우 상이하며, 기준

    을 시·군·구 단위로 지정함으로써 시·군·구 내에서의 생산의 공간분포

    나 규모분포 등이 고려되기에는 어려움.

    예: 봄배추의 경우 주산지 지정 기준은 재배면적 150ha 이상이지만 봄무

    는 70ha 이상임. 한편 녹두는 20ha 이상이면 주산지로 지정됨.

    ○ 또한 지자체별로 지역특화작목을 선정하여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으나, 지

    역특화작목의 선정 기준이나 주산지 지정 품목과의 차별화가 명확하지 않음.

    - 지역특화작목 역시 대체로 재배면적이나 경쟁력 측면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우위가 있는 품목으로 볼 수 있지만,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지정 기

    준이 없음.

    - 현재 재배면적이나 경쟁력을 기준으로 지정된 특화작목도 있는 반면에

    향후 육성 계획인 작목을 지역특화 대상 작목으로 지정한 경우도 있음.

  • 3

    - 또한 어떤 지역(A)의 주산지 지정 품목이 다른 지역(B)에서는 지역특화

    품목으로 지정되어 육성될 수도 있음.

    ○ 따라서 밭농업 경쟁력 제고와 주산지 관련 정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서

    주산지의 개념을 정립하고 최근 생산 여건 변화뿐만 아니라 산지나 품목의

    특징 및 유형, 그리고 산지의 생산 환경의 동태성을 반영한 품목별 주산지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 현재의 주산지 기준은 재배면적, 생산량만을 고려하고 있으며, 주산지의

    농가분포특성이나 대규모 농가들의 분포특성, 그리고 지역집중도 등 지

    역·품목의 특성들은 고려되고 있지 않음.

    - 시장 상황, 소비 추이 등을 포함한 사회·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기후 등

    자연 환경적 측면에서도 주산지는 동적인 성격을 띨 수밖에 없으나 현재

    의 주산지 기준에는 정적인 측면만이 고려되고 있음.

    ○ 이에 다양한 지역집중도 지수 및 농가분포특성 등을 반영하여 밭작물 지역

    집중도를 측정하여 기존의 재배면적 및 생산량 기준의 주산지 개념을 재정

    립할 필요가 있음.

    2. 관련 선행연구 검토

    ○ 우리나라에서 주산지 개념 정립에 대한 연구는 최근에 들어 활발하게 진행

    되고 있는 반면에 일본에서는 주산지에 대한 연구가 오래전부터 상대적으

    로 활발하게 진행됨.

    ○ 주산지 개념 정립과 관련한 일본의 대표적 선행연구로는 홋타 다다오[堀田

    忠夫](1974)를 들 수 있으며, 堀田忠夫(1974)가 제시한 산지와 주산지에 대

    한 구분 기준은 다음과 같음.

  • 4

    - 당해 농산물을 생산하는 다수의 생산농가가 한데 모여서 존재하고 있을 것

    - 생산지역의 총판매량은 거래하는 판매시장으로부터 명산품으로 인정될

    정도로 많아야 할 것

    - 당해 농산물 생산농가의 대부분이 당해 농산물을 기간생산 부문으로 취

    급하고 있을 것

    - 생산지역의 생산농가가 생산단계 및 유통단계에 있어서 기능적 조직을

    형성하고 있을 것

    ○ 이와 달리 요리 다이라[頼平](1978)는 품목에 대해 조직된 산지로 전국에서

    시장점유율이 높은 산지를 주산지로 정의하였고, 가쓰키 도시타카[香月敏

    孝](1983)는 주산지를 지역에서 생산량을 확보하기 위한 생산·판매 조직 활동

    이 이루어지고 있는 곳으로 정의함.

    ○ 우리나라에서 주산지와 관련하여 진행된 연구로는 1960년대 이후 작물별 주

    산단지의 위치, 입지요건 등을 파악하고 주산단지 조성방향을 제시한 구천서·

    윤석원·김광진(1979), 대도시 시장권을 중심으로 축산, 과수, 시설원예, 노지

    채소작물의 생산지대 형성과정과 요인을 분석한 전창곤(1985)의 연구가 있음.

    - 이러한 연구들은 주산지를 정태적인 개념에서 접근하고 있으며, 자연적

    인 입지조건만을 고려하고 있음.

    ○ 국내에서 비교적 최근에 진행된 연구들 중 주산지의 동태적 측면을 반영하

    여 종합적인 주산지의 경쟁력 제고나 동태 변화 등을 분석한 연구로는 박현

    태·김연중·한석호(2002), 김현중·이성우(2013), 조가옥·송춘호·장동헌(2014)

    등이 있음.

    - 박현태·김연중·한석호(2002)는 주산지의 개념을 정립하고 과채류 품목의

    주산지 구조와 지역 간 경쟁력을 분석하였음.

    - 김현중·이성우(2013)은 지역별 채소의 특화 수준과 주산지의 집적지를

    분석하고 그 변화 양상에 대해 연구하였음.

  • 5

    - 조가옥·송춘호·장동헌(2014)은 자연적 요인과 사회경제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동태성을 고려하여 주산지의 지정 기준에 대해 연구한 바 있음.

    ○ 하지만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품목 생산의 공간분포와 관련한 다양한 요

    인(품목이나 지역 특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산지 정의 시 재배면적 규

    모와 생산량만을 고려함.

    - 이로 인해 경쟁력 제고를 위한 주산지 정책에 대한 시사점 도출에 한계가

    있음.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입지계수(Location Quotient: LQ), 허

    쉬만-허핀달 지수(Hirschman-Herfindahl Index: HHI) 등 다양한 지역집중도

    측정지표와 함께 기후변화, 생산농가의 규모분포 등의 요인을 고려한 밭작

    물의 집적화 유형과 특성을 분석함.

    3. 연구의 내용 및 목적

    ○ 본 연구의 분석자료로는 2015년 농업경영체등록정보(이하, 농업경영체 DB)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주산지 관련 분석 대상 품목 및 지역은 아래와 같음.

    이러한 분석 대상 품목 및 지역의 선정은 기존의 재배면적 기준으로 선정된

    주산지1와 차별화됨.

    - 농업경영체 DB에는 800여 개 이상의 밭작물이 존재하므로 분석 대상 품

    목과 지역을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제한함.

    - 분석 대상 품목은 재배면적 기준으로 선정된 주산지 시·군·구에서 1ha

    이상 재배되고 있는 494개 작목임.

    1 품목별 전국 재배면적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시·군임.

  • 6

    - 분석 대상 지역은 재배면적 기준으로 선정된 주산지 시·군·구 중 품목

    지역집중도(LQ) 지수가 1 이상인 작물이 한 가지 이상 재배되는 지역임.

    ○ 과학적인 주산지 개념의 정립과 특성 분석을 시도함. 분석 대상인 주산지를

    품목별/지역별로 구분하여 생산 및 유통환경 특성, 지역집중도, 재배면적 동

    태성, 기후변화의 영향 등을 살펴봄.

    ○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구축된 품목 및 지역의 작물 생산 관련 변수의 공간

    분포 특성을 활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고, 군집분석을 통해 품목 및 지

    역의 집적화에 대한 유형화를 시도함.

    - 재배규모, 대규모 농가분포, 농가 단위 집중도, 품목집중도, 재배면적 동

    태성, 기후변화 정도 등을 반영한 품목별/지역별 주산지 특성들을 파악

    하고, 요인·군집분석을 통해 공간집적의 특성을 고려한 작목의 유형화와

    작목의 공간분포 및 집적 특성을 고려한 지역의 유형화를 시도함.

    - 2015년 자료만으로 구축된 농업경영체 DB를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주산

    지의 동태적 변화 분석에는 어려움이 있음.

    - 따라서 주산지의 동태적 변화 분석에는 지역별 시계열 자료가 구축되어

    있는 농업면적조사와 기상청 자료를 활용함.

    ○ 본 연구는 지역특성과 농가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주산지 정책을 수립을 위

    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임.

    - 밭작물 집적화 유형의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지역 유형×품목 유형’

    Matrix를 제시함으로써 품목 또는 지역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주산지 정

    책의 대상 선정 및 면적 추정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함.

  • 제2 장

    주산지 정책 현황

    ○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산물의 생산지를 산지, 주산지, 지정주산지 등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음.

    - 농식품부가 정의한 주산지는 국내 농산물의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생산 및 출하 조절이 필요한 농산물의 생산지역으로서 재배면적과

    출하량이 일정 이상인 지역임(「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

    2016: 4조).

    - 반면 산지는 재배규모에 관계없이 해당 작물의 전체 재배지역이며, 지정

    주산지는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별도 육성하는 특정 산지를 의미함.

    ○ 주산지 및 주산단지의 개념은 지난 1969년 농어민소득증대특별사업의 일환

    으로 경제작목 육성을 적극 추진하는 과정에서 처음 소개되었으며, 이는 자

    급적 생산체계에서 상업적 생산체계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일부 작목에 한

    해 사용되었음.

    - 주산단지는 재배면적이 지정 기준 이상인 품목을 생산 및 출하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수급하기 위한 공동출하조직임.

  • 8

    ○ 그동안 정부 차원의 주산지 지정은 수급 조절을 위해 채소류 중심으로 이루

    어져 왔음.

    - 농식품부는 2014년 7월 배추·무 등 국민 식생활 및 물가와 밀접한 품목,

    주산지가 뚜렷하고 수요가 꾸준한 당근, 소득작물로의 가능성이 큰 참

    깨·땅콩 등 총 12개 품목을 주산지 지정 대상으로 선정하였음(

    참조).

    - 주산지는 시·군·구 단위로 30~1,500 ha 범위 내에서 정해졌으며, 시·도지

    사가 2014년 9월 말까지 주산지 품목을 선정하였음.

    - 품목별로 전체 재배면적의 30~60% 정도를 차지하면서 생산량이 많은 산

    지가 주산지로 선정됨.

    품 목단 지 지 정 기 준

    지 역 면 적 출하량(생산량 기준)

    배추

    봄배추 시‧군‧구 150ha 이상 12,840t 이상여름배추 시‧군‧구 450ha 이상 15,850t 이상가을배추 시‧군‧구 300ha 이상 30,860t 이상겨울배추 시‧군‧구 500ha 이상 32,350t 이상

    봄 무 시‧군‧구 70ha 이상 6,020t 이상여름무 시‧군‧구 250ha 이상 7,060t 이상가을무 시‧군‧구 150ha 이상 11,110t 이상겨울무 시‧군‧구 1,500ha 이상 92,350t 이상

    고 추 시‧군‧구 700ha 이상 1,620t 이상마 늘 시‧군‧구 1,000ha 이상 12,530t 이상양 파 시‧군‧구 800ha 이상 52,600t 이상대 파 시‧군‧구 250ha 이상 6,740t 이상생 강 시‧군‧구 100ha 이상 1,280t 이상당 근 시‧군‧구 100ha 이상 3,600t 이상참 깨 시‧군‧구 250ha 이상 100t 이상땅 콩 시‧군‧구 100ha 이상 240t 이상버섯류 시‧군‧구 (연 면적) 30ha 이상 -특작류 시‧군‧구 50ha 이상 -

    채소류 주산지 지정 기준

    자료: 농림축산식품부(2014).

  • 9

    ○ 또한 대외 여건 변화에 따라 밭작물별 주산지 중심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밭작물의 주산지 지정을 추진함.

    - 밭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조직화·규모화를 유도하는 등 정책 지원 방안

    을 마련하고자 하였음(농림축산식품부 공고 제2015-433호, 2015).

    - 이에 지난 2015년 9월,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 제4조」

    에 따라 「밭식량작물 주산지 지정 기준」을 제정하여 발표하였음.

    - 또한 기존 ‘밭식량작물 육성사업’을 폐지하고 2016년 신규 사업으로 ‘밭

    작물 공동경영체 육성사업’2을 추진하였음.

    ○ 농림축산식품부의 밭식량작물 주산지 지정 대상 품목은 맥류 4개(밀·쌀보

    리·겉보리·맥주보리), 두류 3개(콩·팥·녹두), 서류 2개(고구마·감자), 잡곡류

    6개(수수·옥수수·기장·메밀·조·귀리) 등 밭식량작물 15개와 잡곡류3 1개를

    포함하여 모두 16개임( 참조).

    - 잡곡류의 경우 재배 유동성이 큰 점을 감안하여 품목별 주산지와는 별개

    로 잡곡류 통합 주산지를 지정하였음.

    ○ 본 연구에서는 품목별 주산지 선정의 모집단으로서 전국 재배면적의 70%

    를 구성하고 있는 시·군·구(이하 ‘상위 시·군’)를 고려함.

    - 현 정책의 주산지 지정 기준 적용 시 콩, 고구마, 메밀, 조의 경우 주산지

    선정의 대상 시·군·구가 전국 재배면적의 30~45%(나머지 작물의 경우

    60~9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2 공동경영체란 주산지 내 영농조합법인·작목반·공선출하회 등을 읍·면 단위 이상으

    로 통합해 파종부터 수확·선별까지 공동으로 하는 조직이며, 국내 밭농업 공동경영

    체를 육성하여 국내 밭농업의 불리한 영농 여건과 미흡한 생산기반정비를 극복해

    나가고자 함.

    3 잡곡류 품목별 주산지와 잡곡류 통합 주산지 중복지정은 불가함.

  • 10

    ○ 따라서 본 분석에서는 모든 밭작물에 대한 재배면적 주산지 기준을 적용하

    기 위해 평균적으로 전국 재배면적의 약 70%를 차지하는 시·군·구를 주산

    지 선정을 위한 모집단지역으로 간주함.

    품 목주 산 지 정 기 준

    지 역 면 적 출하량(생산량)

    맥류

    밀 시‧군‧구 200ha 이상 656톤 이상쌀보리 시‧군‧구 500ha 이상 1,245톤 이상겉보리 시‧군‧구 200ha 이상 494톤 이상맥주보리 시‧군‧구 300ha 이상 825톤 이상

    두류

    콩 시‧군‧구 1,000ha 이상 1,680톤 이상팥 시‧군‧구 50ha 이상 54톤 이상녹두 시‧군‧구 20ha 이상 19톤 이상

    서류고구마 시‧군‧구 500ha 이상 7,550톤 이상감자 시‧군‧구 500ha 이상 12,605톤 이상

    잡곡류

    수수 시‧군‧구 50ha 이상 76톤 이상옥수수 시‧군‧구 100ha 이상 495톤 이상기장 시‧군‧구 50ha 이상 60톤 이상메밀 시‧군‧구 50ha 이상 45톤 이상조 시‧군‧구 50ha 이상 60톤 이상귀리 시‧군‧구 100ha 이상 300톤 이상

    잡곡류 통합 시‧군‧구 300ha 이상 273톤 이상

    밭식량작물 주산지 지정 기준

    자료: 농림축산식품부(2015).

    구분아몬드

    재배면적 비중 누적 비중 주산지 대상 여부

    전라북도 고창군 61.33% 61.33% 대상

    전라남도 무안군 8.69% 70.01% 대상

    전라남도 담양군 9.02% 79.03% 비대상

    충청남도 예산군 6.26% 85.29% 비대상

    ⦙ ⦙ ⦙ ⦙

    재배면적 기준 주산지 대상 지역 지정(예시)

  • 11

    ○ 면적 기준의 주산지는 농가의 영농활동, 기후변화, 시장수요 등에 따라 지속

    적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있음.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면적과 함께 품목의 집적화 특성과 집적지의 특성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주산지 정의와 유형화를 시도하였음.

  • 제3 장

    분석 대상 품목 및 지역

    ○ 본 장에서는 연구의 주요 데이터인 농업경영체등록정보(이하, 농업경영체 DB)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고 데이터상 품목별/지역별 현황을 살펴보았음.

    ○ 농업경영체 DB는 농업·농촌에 관련된 융자·보조금 등을 지원받으려는 농

    업경영체가 농업경영 관련 정보를 등록하는 것으로, 직불금 수령정보, 기초

    경영정보, 가공·유통정보 등 ‘농어업총조사’에서 조사하지 못하던 것을 조

    사하고 있음.

    ○ 농업경영체 DB는 약 160만 개 경영체를 전수조사하고 있으므로 약 2,500개

    정도의 표본만을 가지고 있는 농가경제조사와 비교하여 훨씬 해상도 높은

    분석이 가능함.

  • 14

    1. 분석 대상 품목의 개요

    ○ 전국 재배면적이 1ha 이상이면서 전체 재배면적의 70%를 차지하는 시·군에서

    재배면적이 1ha 이상인 494개 품목의 전체 재배면적은 172만 ha이며, 이 중

    노지면적이 164만 ha로 95.3%를 차지하며 시설재배면적은 4.7%인 8만 ha임.

    - 494개 품목을 재배하고 있는 농가 수는 약 508만 개로 호당 평균 재배면

    적은 0.34ha임.

    ○ 가장 재배면적이 넓은 품목은 벼로 전체 재배면적의 47.8%(약 82만 5,000ha

    를 차지함.

    - 두 번째로 재배면적이 많은 품목은 콩(8만 8,551ha)이며, 다음으로 건고

    추(5만 579ha), 사료작물(4만 8,763ha), 사과(3만 5,633ha), 밤(3만 1,408ha), 들

    깨(2만 7,744ha) 등의 순으로 나타남.

    ○ 재배면적이 1만 ha 이상인 품목은 콩, 쌀보리 등의 식량작물 6개 품목, 사과,

    밤 등을 포함하는 과일류 10개 품목, 건고추 등 채소류 3개 품목, 들깨, 참깨

    등 특/약용작물 3개 품목, 관상수 기타를 포함한 화훼류 1개 품목과 사료작

    물 및 조사료 2개 품목 등 총 25개임.

    ○ 재배면적이 1,000ha 이상 1만 ha 미만인 품목은 총 74개임.

    - 식량작물은 겉보리, 맥주보리, 밀 등을 포함한 10개 품목이며, 과일류는

    자두, 딸기 등을 포함한 14개 품목, 채소류는 대파, 가을무 등 31개 품목,

    특/약용 작물은 오미자, 복분자 등 10개 품목, 화훼류는 잔디, 소나무 등

    8개 품목과 조사료를 포함한 기타작물 1개 품목임.

    ○ 또한 재배면적이 200ha 이상 1,000ha 미만인 품목은 총 87개임.

    - 깻잎, 알타리무, 파프리카 등을 포함한 채소류가 28개 품목으로 가장 많

  • 15

    았으며, 특/약용작물은 장뇌, 옻, 하수오 등 22개 품목, 화훼류는 철쭉, 백

    일홍, 배롱나무 등 20개 품목임.

    - 식량작물은 조, 녹두, 귀리 등 9개 품목, 과일류는 무화과, 산딸기 등 8개

    품목이 포함되었음.

    ○ 재배면적이 50ha 이상 200ha 미만인 품목은 총 79개임.

    - 향나무, 선인장 등 화훼류가 총 30개 품목으로 가장 많이 포함되었고, 쌈

    추, 치커리 등의 채소류 22개 품목, 산초, 양송이, 지황 등 특/약용작물은

    18개 품목임.

    - 식량작물은 완두를 포함한 3개 품목, 과일류는 머루, 비파 등 5개 품목,

    종자류는 목초(종자류) 1개 품목으로 작은 비중을 차지하였음.

    ○ 재배면적이 10ha 이상 50ha 미만인 품목은 총 107개임.

    - 식량작물은 동부, 맥류기타, 피 등 5개 품목, 과일류는 앵두, 레몬, 망고

    등 13개 품목, 채소류는 겨자, 시금치, 토마토 등 14개 품목, 특/약용작물

    은 영지, 고수, 목이 등을 포함한 30개 품목, 화훼류는 아스파라거스, 안

    개꽃을 포함한 38개 품목, 종자류는 고추종자, 양파종자 등 6개 품목임.

    ○ 재배면적이 10ha 미만인 품목은 119개로, 가장 많은 품목이 포함되었음.

    - 식량작물은 찰옥수수, 보리 등 3개 품목, 과일류는 바나나, 오렌지 등 9개

    품목, 채소류는 무순, 무 등 13개 품목, 특/약용작물은 고추냉이, 박하 등

    31개 품목, 화훼류는 개나리, 팬지, 수련 등 55개 품목, 종자류는 토마토

    종자 등을 포함한 8개 품목임.

  • 16

    재배면적 대분류 품목명 품목 수 합계

    1만 ha

    이상

    식량 콩, 쌀보리, 고구마, 감자, 옥수수, 호밀 6

    25

    과일 사과, 밤, 떫은감, 매실, 복숭아, 감귤, 포도, 배, 단감, 수박 10

    채소 건고추, 마늘, 양파 3

    특/약용 들깨, 참깨, 인삼 3

    화훼 관상수 기타 1

    종자 - -

    기타 사료작물, 조사료 기타 2

    1천

    ~

    1만 ha

    식량 겉보리, 맥주보리, 밀, 청보리, 수수, 율무, 기장, 팥, 메밀, 발아보리 10

    74

    과일자두, 딸기, 호박, 대추, 참외, 호두, 블루베리, 과실류_기타, 만감, 방울토마토, 오디, 멜론, 참다래

    _키위, 유자14

    채소

    대파, 김장_가을_배추, 가을무, 고사리, 시금치, 풋고추, 더덕, 도라지, 오이, 상추, 토마토,

    양배추, 쪽파, 고랭지배추, 열무, 두릅, 엽경채류_기타, 당근, 얼갈이배추, 부추, 청양, 생강,

    브로콜리_녹색꽃양배추, 봄배추, 월동배추, 조미채소류_기타, 미나리, 취나물, 양상추, 연근,

    고랭지무

    31

    특/약용 오미자, 약용작물류_기타, 땅콩, 복분자, 차류, 담배, 표고버섯, 유채, 오가피, 뽕나무 10

    화훼 잔디, 왕벚나무, 묘목, 이팝나무, 주목, 소나무, 목초류, 느티나무 8

    종자 - -

    기타 조사료 1

    200

    ~

    1천 ha

    식량 조, 녹두, 귀리, 밭벼, 강낭콩, 미곡류_기타, 야콘, 돼지감자, 잡곡류_기타 9

    87

    과일 무화과, 산딸기, 석류, 살구, 은행, 체리, 아로니아, 모과 8

    채소

    깻잎, 알타리무, 파프리카, 홍고추, 봄무, 가지, 여름무, 여름배추, 마, 쑥갓, 애호박, 저장배추,

    갓, 참죽나무순, 곤드레나물, 우엉, 산마늘, 참나물, 피망_단고추, 청경채, 아욱, 봄동배추, 토란,

    쑥, 꽈리고추, 콜라비_순무양배추, 과채류_기타, 실파

    28

    특/약용장뇌, 옻, 하수오, 산수유, 황기, 참당귀, 두충, 삼, 특용작물류_기타, 은행나무, 잣나무, 두충나무,

    산채류_기타, 작약, 산약, 느타리버섯, 생취나물, 새송이, 천마, 독활, 방풍, 잣22

    화훼

    철쭉, 백일홍, 기타화훼_기타, 배롱나무, 산림종묘, 채소종자류, 채소, 국화, 회양목, 황정, 편백

    나무, 화목류_기타, 야생화, 동백나무, 장미, 관엽식물류_기타, 울금, 겹벚나무, 가시나무, 메타

    쿼이아

    20

    종자 - -

    기타 - -

    50

    ~

    200ha

    식량 서류_기타, 완두, 두류기타 3

    79

    과일 과일과채류_기타, 머루, 비파, 금감, 다래 5

    채소쌈추, 치커리, 빨간양배추, 머윗대, 저장무, 고들빼기, 달래, 근대, 기타채소종자, 비름, 비타민, 죽순,

    민들레, 콩나물, 가지_일반, 양채류_기타, 순무, 비트_붉은사탕무, 케일, 신선초, 씀바귀, 냉이22

    특/약용산초, 양송이, 지황, 구기자, 천궁, 맥문동, 우슬, 버섯류_기타, 해바라기, 엄나무, 결명자, 강활,

    팽이버섯, 어성초, 백출, 치자, 모시, 감초18

    재배면적별 품목 분류

  • 17

    (계속)

    재배면적 대분류 품목명 품목 수 합계

    화훼

    향나무, 국화_기타, 취청, 여주, 선인장, 허브, 초화류_기타, 연꽃, 선인장_다육식물류_기타, 백합_기타,

    장미_기타, 난류_기타, 홍화_잇꽃, 전나무, 측백나무, 사철나무, 수실류_기타, 목련, 단풍, 백합, 무궁화,

    산림종묘_기타, 카네이션, 코스모스, 꽃사과나무, 후박나무, 거베라, 대나무, 소엽_차조기, 야자_종려류

    30

    종자 목초_종자류 1

    기타 - -

    10

    ~

    50ha

    식량 동부, 맥류기타, 피, 찰벼, 구근류_기타 5

    107

    과일 복수박, 보리수, 망고, 수박_일반, 조생귤, 박, 선인장열매, 앵두, 개암, 야자, 버찌, 탱자, 레몬 13

    채소셀러리_양미나리, 고비, 곤달비, 방아, 돌나물, 근채류_기타, 시금치_일반, 파슬리_향미나리, 원추

    리, 겨자, 삼엽채, 토마토_일반, 콜리플라워_꽃양배추, 애기사과14

    특/약용

    시호, 구절초, 산사나무, 묘삼, 삼백초, 상황버섯, 잔대_사삼, 삼칠근, 영지버섯, 버섯종균, 수세미,

    영지, 백지, 닥나무, 석창포, 삼지구엽초, 초피, 인진호, 피마자, 일반부추, 고수, 만삼, 향부자,

    택사, 형개, 목이, 연전초, 연자, 팜파스그래스, 강황

    30

    화훼

    팥배나무, 석잠풀_초석잠, 아스파라거스, 소철, 홍화, 알로에, 심비디움, 안개꽃, 엉겅퀴, 조팝나

    무, 수국, 리시언더스, 소재, 동양란, 라일락, 고무나무, 프리지아, 구상나무, 고사리류, 분재류,

    금어초, 천문동, 백합_오리엔탈, 카네이션_기타, 후박, 노각나무, 국화_스프레이, 옥잠화, 백다다

    기, 관음죽, 홍콩야자, 쥐똥나무, 복령, 스톡, 호주매화, 자귀나무, 진달래, 산호수

    38

    종자 고추종자, 양파종자, 배추종자, 무종자, 화훼종자류, 사료작물_종자 6

    기타 보조사료 1

    10ha

    미만

    식량 숙근류_기타, 찰옥수수, 보리 3

    119

    과일 산사, 구아바, 패션프루트, 용과, 파파야, 오렌지, 중생귤, 만생귤, 바나나 9

    채소무순, 가시오이, 알로에, 비가림감귤, 양하, 질경이, 돌나물, 알파파싹, 그린빈스_껍질콩, 메밀순,

    춘채, 무, 크레송_고추무냉이13

    특/약용

    박하, 고추냉이, 고본, 꽃도라지, 고수_일반, 미선나무, 삼릉, 황금, 감국, 만가닥버섯, 전호, 자초,

    차, 현삼, 익모초, 반하, 용담, 단삼, 고삼, 율마, 꽃버섯, 잎새, 돼지류, 토사자, 비파엽, 갈근,

    천련자, 대왕초, 양귀비, 표주박, 오수유

    31

    화훼

    칼라, 천리향, 개나리, 곽향, 호엽란, 안스리움, 엽란, 아이비, 청홍, 꽃창포, 꽃기린, 명자나무, 피튜니아,

    제라늄, 팬지 ,수련, 베고니아, 수생식물, 튤립, 드라세나, 포인세티아, 장미_스프레이, 여홍, 알 스트로메

    리아, 여봉, 커피나무, 글라디올러스, 루모라고사리, 금낭화, 수미, 호야, 네트계, 스타티스, 스킨답서스,

    승마, 비자, 달리아, 극락조화, 메리골드, 임파티엔스, 만냥금, 쪽동백나무, 석죽, 청출, 군자란, 벌류,

    공작초, 왕골, 맨드라미, 카네이션_스프레이, 아나나스, 파키라, 덴드로븀, 아잘레아, 알리룸

    55

    종자 토마토종자, 화훼종자류_기타, 수박종자, 오이종자, 식물성_부산물_조사료, 파종자, 참외종자, 적성 8

    기타 - -

    자료: 농업경영체등록정보 DB.

  • 18

    2. 지역별 분석 대상 품목

    ○ 농업경영체 DB상 시·군별로 가장 많이 재배되는 품목 10개를 시·도별로 정

    리한 결과는 와 같음.

    구분 식량작물 과일류 채소류 특·약용 화훼류 종자류 기타

    강원 84 (12.2) 54 (7.2) 128 (15.9) 50 (10.6) 0 (0.0) 11 (6.9) 13 (8.1)

    경기 116 (16.9) 111 (14.8) 239 (29.6) 70 (14.8) 18 (43.9) 50 (31.4) 16 (9.9)

    경남 89 (13.0) 120 (16.0) 91 (11.3) 46 (9.7) 2 (4.9) 14 (8.8) 18 (11.2)

    경북 90 (13.1) 153 (20.4) 99 (12.3) 86 (18.2) 2 (4.9) 11 (6.9) 19 (11.8)

    전남 115 (16.7) 102 (13.6) 97 (12.0) 60 (12.7) 11 (26.8) 16 (10.1) 39 (24.2)

    전북 73 (10.6) 55 (7.3) 46 (5.7) 55 (11.7) 4 (9.8) 21 (13.2) 26 (16.1)

    충남 56 (8.2) 83 (11.1) 64 (7.9) 55 (11.7) 1 (2.4) 21 (13.2) 20 (12.4)

    충북 49 (7.1) 61 (8.1) 26 (3.2) 43 (9.1) 3 (7.3) 9 (5.7) 7 (4.3)

    기타 15 (2.2) 12 (1.6) 17 (2.1) 7 (1.5) 0 (0.0) 6 (3.8) 3 (1.9)

    전국 687 (100) 751 (100) 807 (100) 472 (100) 41 (100) 159 (100) 161 (100)

    시·도별 대분류 재배품목 현황

    단위: 개, (%)

    ○ 강원도의 경우 식량작물이 84개, 과일류 54개, 채소류 128개, 특·약용작물

    50개, 종자류 11개, 기타작물 13개임.

    ○ 경기도는 식량작물이 116개, 과일류 111개, 채소류 239개, 특·약용작물 70

    개, 종자류 50개, 기타작물 16개로 전국 대비 식량작물(16.9%), 채소류

    (29.6%), 화훼류(43.9%), 종자류(31.4%)의 재배품목 수가 가장 많음.

    ○ 경상남도의 경우 식량작물이 89개, 과일류 120개, 채소류 91개, 특·약용작물

    46개, 종자류 14개, 기타작물 18개임.

  • 19

    ○ 경상북도의 경우 식량작물이 90개, 과일류 153개, 채소류 99개, 특·약용작물

    86개, 종자류 11개, 기타작물 19개로 전국 대비 과일류(20.4%)와 특·약용작

    물(18.2%)의 품목 수가 가장 많음.

    ○ 전라남도는 식량작물이 115개, 과일류 102개, 채소류 97개, 특·약용작물 60

    개, 종자류 11개, 기타작물 39개로 전국 대비 식량작물(16.7%)과 기타작물

    (24.2%)의 재배품목 수가 가장 많음.

    ○ 충청남도는 식량작물이 56개, 과일류 83개, 채소류 64개, 특·약용작물 55개,

    종자류 21개, 기타작물 20개임.

    ○ 충청북도는 식량작물이 49개, 과일류 61개, 채소류 26개, 특·약용작물 43개,

    화훼류 3개, 종자류 9개, 기타작물 7개로 다른 도에 비해 가장 적은 품목을

    재배하고 있음.

    ○ 세종특별시, 제주시와 서귀포시가 포함되는 기타 지역은 식량작물 15개, 과

    일류 12개, 채소류 17개, 특·약용작물 7개, 종자류 6개, 기타작물 3개 품목

    을 재배 중임.

    ○ 시·군별로 가장 많이 재배되는 품목 10개를 재배면적 순으로 정리한 결과는

    과 같음.

  • 20

    시·군명 상위 10개 품목품목

    시·군 전체

    재배면적 (ha)

    강릉시 감자, 고랭지배추, 들깨, 콩, 옥수수, 고랭지무, 두릅, 건고추, 떫은감, 가을무 118 4,810

    고성군 들깨, 감자, 호밀, 콩, 옥수수, 건고추, 사료작물, 피망_단고추,밤, 블루베리 68 1,197

    동해시 콩, 옥수수, 들깨, 건고추, 감자, 김장(가을)배추, 떫은감, 고구마, 겉보리, 대파 56 813

    삼척시 고랭지배추, 콩, 옥수수, 호밀, 더덕, 건고추, 두릅, 들깨, 떫은감, 풋고추 100 4,150

    속초시 콩, 들깨, 옥수수, 건고추, 감자, 밤, 복숭아, 고구마, 김장(가을)배추, 상추 36 319

    양구군 콩, 인삼, 감자, 들깨, 수박, 사과, 옥수수, 건고추, 풋고추, 호박 96 2,472

    양양군 들깨, 콩, 옥수수, 건고추, 두릅, 사료작물, 떫은감, 감자, 복숭아, 배 75 1,437

    영월군 콩, 옥수수, 수수, 건고추, 들깨, 율무, 사과, 봄배추, 팥, 감자 115 4,858

    원주시 옥수수, 들깨, 콩, 건고추 ,복숭아, 고구마, 옻, 감자, 인삼, 참깨 131 4,741

    인제군 콩, 풋고추, 옥수수, 들깨, 감자, 오미자, 건고추, 사료작물, 더덕, 인삼 98 2,797

    정선군 콩, 고랭지배추, 더덕, 옥수수, 감자, 건고추, 고랭지무, 수수, 황기, 사과 100 6,671

    철원군 콩, 건고추, 파프리카, 들깨, 옥수수, 인삼, 토마토, 대파, 참깨, 사료작물 86 2,153

    춘천시 들깨, 옥수수, 콩, 복숭아, 오이, 인삼, 토마토, 건고추, 감자, 방울토마토 117 5,149

    태백시 고랭지배추, 옥수수, 호밀, 두릅, 더덕, 풋고추, 취나물, 콩, 건고추, 오미자 38 1,003

    평창군 감자, 목초류, 옥수수, 사료작물, 양배추, 콩, 여름무, 대파, 여름배추, 더덕 125 8,526

    홍천군 옥수수, 인삼, 콩, 감자, 들깨, 더덕, 건고추, 풋고추, 고랭지무, 호박 133 8,486

    화천군 들깨, 콩, 인삼, 호박, 옥수수, 건고추, 장뇌, 오이, 호밀, 토마토 97 2,488

    횡성군 옥수수, 콩, 들깨, 인삼, 감자, 건고추, 더덕, 양상추, 브로콜리, 토마토 117 5,201

    강원도 시·군별 상위 10개 재배품목

  • 21

    시·군명 상위 10개 품목품목

    시·군 전체

    재배면적 (ha)

    가평군 들깨, 콩, 포도, 건고추, 옥수수, 사과, 매실, 소나무, 밤, 사료작물 94 2,442

    고양시 열무, 얼갈이배추, 콩, 대파, 건고추, 시금치, 매실, 들깨, 김장(가을)배추, 고구마 120 3,661

    과천시 매실, 초화류(기타), 배, 건고추, 고구마, 콩, 철쭉, 김장(가을)배추, 관상수기타, 국화 35 167

    광명시 상추, 건고추, 고구마, 열무, 콩, 매실, 들깨, 토마토, 김장(가을)배추, 미나리 50 396

    광주시 콩, 건고추, 들깨, 김장(가을)배추, 고구마, 토마토, 상추, 감자, 엽경채류(기타), 아욱 111 2,410

    구리시 배, 대파, 부추, 매실, 참나물, 열무, 김장(가을)배추, 상추, 오이,콩 47 302

    군포시 콩, 건고추, 매실, 들깨, 고구마, 감자, 블루베리, 옥수수, 포도, 김장(가을)배추 30 165

    김포시 콩, 건고추, 들깨, 고구마, 포도, 배, 매실, 감자, 김장(가을)배추, 엽경채류(기타) 102 2,317

    남양주시 시금치, 들깨, 배, 열무, 콩, 상추, 건고추, 얼갈이배추, 대파, 김장(가을)배추 120 3,923

    동두천시 열무, 들깨, 콩, 건고추, 사료작물, 매실, 김장(가을)배추, 대파, 고구마, 참깨 44 382

    부천시 대파, 건고추, 엽경채류(기타), 복숭아, 매실, 미나리, 김장(가을)배추, 상추, 고구마, 콩 32 222

    성남시 건고추, 콩, 고구마, 김장(가을)배추, 매실, 관엽식물류(기타), 들깨, 열무, 감자, 관상수기타 58 413

    수원시 콩, 건고추, 고구마, 상추, 들깨, 매실, 토마토, 김장(가을)배추, 감자, 옥수수 55 393

    시흥시 건고추, 콩, 고구마, 들깨, 포도, 매실, 미나리, 감자, 김장(가을)배추, 상추 77 1,172

    안산시 포도, 건고추, 콩, 고구마, 사료작물, 들깨, 토마토, 매실, 오이, 열무 59 1,015

    안성시 배, 콩, 사료작물, 건고추, 들깨, 포도, 호밀, 오이, 인삼, 고구마 133 5,544

    안양시 포도, 건고추, 매실, 토마토, 고구마, 콩, 감자, 김장(가을)배추, 상추, 들깨 10 33

    양주시 콩, 들깨, 건고추, 고구마, 열무, 호박, 사료작물, 소나무, 감자, 김장(가을)배추 92 2,051

    양평군 콩, 들깨, 건고추, 인삼, 옥수수, 소나무, 고구마, 감자, 부추, 참깨 128 4,075

    여주군 고구마, 콩, 건고추, 인삼, 들깨, 복숭아, 배, 옥수수, 가지, 참깨 124 4,189

    연천군 율무, 콩, 인삼, 들깨, 건고추, 사료작물, 잔디, 참깨, 오이, 사과 93 3,544

    오산시 콩, 건고추, 들깨, 배, 고구마, 매실, 감자, 김장(가을)배추, 소나무, 오이 32 212

    용인시 콩, 건고추, 들깨, 청경채, 고구마, 엽경채류(기타), 얼갈이배추, 소나무, 매실, 김장(가을)배추 126 3,374

    의왕시 건고추, 콩, 매실, 들깨, 고구마, 소나무, 감자, 김장(가을)배추, 관상수기타, 배 50 352

    의정부시 배, 들깨, 건고추, 콩, 김장(가을)배추, 고구마, 매실, 감자, 소나무, 쑥갓 46 313

    이천시 복숭아, 콩, 고구마, 엽경채류(기타), 인삼, 건고추, 들깨, 사료작물, 상추, 옥수수 134 5,761

    파주시 콩, 들깨, 건고추, 인삼, 옥수수, 열무, 고구마, 조사료기타, 김장(가을)배추, 감자 121 4,037

    평택시 콩, 배, 건고추, 들깨, 오이, 김장(가을)배추, 고구마, 사료작물, 호박, 옥수수 114 3,678

    포천시 시금치, 콩, 들깨, 열무, 얼갈이배추, 건고추, 사료작물, 인삼, 포도, 소나무 133 6,946

    하남시 부추, 건고추, 상추, 콩, 김장(가을)배추, 치커리, 매실, 고구마, 들깨, 가지 57 617

    화성시 건고추, 콩, 포도, 들깨, 사료작물, 옥수수, 고구마, 배, 인삼, 매실 132 5,833

    경기도 시·군별 상위 10개 재배품목

  • 22

    시·군명 상위 10개 품목품목

    시·군 전체

    재배면적 (ha)

    거제시 유자, 건고추, 매실, 고구마, 참깨, 콩, 관상수기타, 김장(가을)배추, 단감, 마늘 94 2,171

    거창군 사과, 호밀, 콩, 밤, 건고추, 오미자, 들깨, 딸기, 포도, 감자 112 6,355

    고성군 사료작물, 쌀보리, 밤, 콩, 건고추, 단감, 참깨, 시금치, 참다래_키위, 호밀 120 4,571

    김해시 단감, 사료작물, 산딸기, 대파, 부추, 당근, 콩, 매실, 상추, 토마토 115 4,063

    남해군 시금치, 마늘, 고사리, 콩, 참깨, 사료작물, 건고추, 유자, 고구마, 엽경채류(기타) 80 4,679

    밀양시 겉보리, 단감, 사과, 호밀, 풋고추, 감자, 콩, 딸기, 대추, 떫은감 129 10,493

    사천시 단감, 밀, 건고추, 사료작물, 콩, 매실, 참깨, 고구마, 떫은감, 마늘 113 4,401

    산청군 떫은감, 밤, 콩, 딸기, 호밀, 단감, 건고추, 사료작물, 양파, 고사리 122 6,678

    양산시 매실, 콩, 건고추, 김장(가을)배추, 단감, 감자, 밤, 당근, 미나리, 산딸기 92 1,564

    의령군 호밀, 수박, 콩, 사료작물, 양파, 양상추, 떫은감, 건고추, 밤, 단감 97 4,023

    진주시 단감, 매실, 배, 콩, 딸기, 사료작물, 떫은감, 풋고추, 밤, 호박 137 8,930

    창녕군 마늘, 양파, 단감, 콩, 겉보리, 참깨, 감자, 건고추, 풋고추, 들깨 114 6,724

    창원시 단감, 콩, 매실, 수박, 건고추, 사료작물, 떫은감, 쌀보리, 호밀, 풋고추 131 5,634

    통영시 고구마, 마늘, 참깨, 시금치, 건고추, 매실, 콩, 김장(가을)배추, 유자, 두릅 78 1,886

    하동군 밤, 매실, 떫은감, 차류, 고사리, 콩, 호밀, 사료작물, 딸기, 건고추 124 8,395

    함안군 수박, 단감, 콩, 떫은감, 사료작물, 참깨, 건고추, 들깨, 겉보리, 밀 114 4,739

    함양군 밤, 양파, 사과, 콩, 건고추, 떫은감, 고사리, 삼, 인삼, 들깨 115 6,218

    합천군 밤, 양파, 콩, 호밀, 건고추, 사료작물, 마늘, 밀, 들깨, 참깨 132 8,306

    경상남도 시·군별 상위 10개 재배품목

  • 23

    시·군명 상위 10개 품목품목

    시·군 전체

    재배면적 (ha)

    경산시 복숭아, 포도, 대추, 자두, 콩, 과실류(기타), 사료작물, 떫은감, 관상수기타, 매실 99 5,722

    경주시 사료작물, 콩, 호밀, 건고추, 사과, 들깨, 단감, 포도, 배, 부추 136 6,186

    고령군 수박, 감자, 양파, 마늘, 딸기, 콩, 겉보리, 참외, 건고추, 들깨 98 2,767

    구미시 호밀, 사료작물, 참깨, 떫은감, 콩, 건고추, 감자, 들깨, 사과, 복숭아 113 4,814

    군위군 사과, 콩, 대추, 자두, 참깨, 건고추, 호밀, 마늘, 양파, 오이 114 4,466

    김천시 포도, 자두, 콩, 호두, 복숭아, 떫은감, 양파, 사과, 건고추, 감자 124 10,425

    문경시 사과, 콩, 오미자, 떫은감, 건고추, 들깨, 봄배추, 사료작물, 참깨, 호밀 98 6,738

    봉화군 사과, 건고추, 콩, 감자, 수박, 인삼, 호박, 도라지, 참당귀, 들깨 121 7,727

    상주시 떫은감, 포도, 콩, 배, 사과, 복숭아, 건고추, 호밀, 들깨, 감자 122 11,400

    성주군 참외, 콩, 들깨, 사과, 건고추, 참깨, 고구마, 떫은감, 상추, 자두 103 6,043

    안동시 사과, 콩, 건고추, 참깨, 산약, 생강, 수박, 도라지, 들깨, 수수 136 12,557

    영덕군 사과, 겉보리, 복숭아, 건고추, 콩, 호밀, 들깨, 김장(가을)배추, 고구마, 시금치 89 3,182

    영양군 건고추, 콩, 사과, 김장(가을)배추, 봄배추, 담배, 오미자, 천궁, 양배추, 들깨 102 4,870

    영주시 사과, 콩, 건고추, 인삼, 생강, 도라지, 수박, 참깨, 복숭아, 고구마 113 8,195

    영천시 포도, 복숭아, 마늘, 사과, 자두, 콩, 건고추, 참깨, 대추, 살구 117 9,003

    예천군 콩, 사과, 참깨, 건고추, 호박, 호두, 떫은감, 감자, 땅콩, 수박 121 7,572

    울릉군 취나물, 산마늘, 더덕, 생취나물, 옥수수, 사료작물, 산채류(기타), 약용작물류(기타), 호박, 감자 21 514

    울진군 건고추, 콩, 들깨, 감자, 옥수수, 두릅, 매실, 떫은감, 고사리, 수수 91 1,766

    의성군 사과, 자두, 마늘, 콩, 건고추, 복숭아, 참깨, 떫은감, 들깨, 대추 110 10,026

    청도군 떫은감, 복숭아, 대추, 콩, 자두, 사과, 호밀, 건고추, 미나리, 밤 83 6,589

    청송군 사과, 콩, 건고추, 양배추, 들깨, 담배, 인삼, 참깨, 자두, 복숭아 99 6,504

    칠곡군 참외, 콩, 얼갈이배추, 건고추, 참깨, 포도, 떫은감, 열무, 매실, 들깨 121 2,930

    포항시 사과, 콩, 건고추, 단감, 시금치, 사료작물, 고구마, 들깨, 부추, 매실 122 4,468

    경상북도 시·군별 상위 10개 재배품목

  • 24

    시·군명 상위 10개 품목품목

    시·군 전체

    재배면적 (ha)

    강진군 사료작물, 쌀보리, 콩, 조사료기타, 건고추, 귀리, 맥주보리, 참깨, 단감, 마늘 110 6,546

    고흥군 콩, 마늘, 조사료기타, 조사료, 유자, 양파, 건고추, 참깨, 매실, 사료작물 95 12,554

    곡성군 사료작물, 매실, 콩, 떫은감, 건고추, 밤, 참깨, 청보리, 조사료기타, 인삼 122 4,714

    광양시 매실, 밤, 고사리, 떫은감, 단감, 양상추, 콩, 수박, 관상수기타, 건고추 109 7,410

    구례군 밤, 매실, 조사료기타, 고사리, 밀, 떫은감, 단감, 사료작물, 약용작물류(기타), 산수유 94 5,589

    나주시 배, 사료작물, 콩, 쌀보리, 건고추, 떫은감, 풋고추, 고구마, 참깨, 맥주보리 96 11,109

    담양군 사료작물, 조사료기타, 딸기, 콩, 멜론, 건고추, 단감, 블루베리, 참깨, 매실 150 4,562

    목포시 무화과, 참깨, 건고추, 콩, 마늘, 고구마, 사료작물, 매실, 떫은감, 단감 110 284

    무안군 양파, 콩, 사료작물, 참깨, 고구마, 마늘, 쪽파, 건고추, 양배추, 시금치 35 13,570

    보성군 쌀보리, 감자, 조사료기타, 쪽파, 콩, 차류, 사료작물, 건고추, 맥주보리, 밤 112 9,401

    순천시 매실, 밤, 단감, 콩, 관상수기타, 조사료기타, 철쭉, 떫은감, 맥주보리, 건고추 124 10,238

    신안군 양파, 대파, 쌀보리, 콩, 마늘, 참깨, 사료작물, 시금치, 건고추, 녹두 145 10,372

    여수시 콩, 옥수수, 고구마, 갓, 방풍, 건고추, 참깨, 매실, 단감, 마늘 101 3,480

    영광군 쌀보리, 사료작물, 콩, 건고추, 청보리, 인삼, 양파, 대파, 밀, 잔디 125 8,905

    영암군 사료작물, 떫은감, 고구마, 콩, 건고추, 청보리, 배, 조사료기타, 무화과, 참깨 101 9,692

    완도군 콩, 건고추, 사료작물, 참깨, 유자, 마늘, 고구마, 단감, 김장(가을)배추, 양파 109 3,317

    장성군 잔디, 조사료기타, 사료작물, 떫은감, 단감, 콩, 건고추, 사과, 쌀보리, 밀 68 6,713

    장흥군 사료작물, 쌀보리, 콩, 표고버섯, 건고추, 맥주보리, 양파, 감자, 참깨, 밀 115 8,186

    진도군 대파, 쌀보리, 월동배추, 유채, 봄동배추, 건고추, 콩, 양배추, 조사료기타, 쑥 108 5,332

    함평군 사료작물, 양파, 콩, 잔디, 쌀보리, 참깨, 건고추, 밀, 마늘, 조사료기타 95 7,345

    해남군 맥주보리, 사료작물, 쌀보리, 고구마, 밀, 마늘, 조사료기타, 월동배추, 건고추, 콩 120 21,017

    화순군 사료작물, 콩, 조사료기타, 건고추, 복숭아, 매실, 참깨, 밤, 떫은감, 단감 136 4,571

    전라남도 시·군별 상위 10개 재배품목

  • 25

    시·군명 상위 10개 품목품목

    시·군 전체

    재배면적 (ha)

    고창군 수박, 건고추, 인삼, 사료작물, 콩, 복분자, 고구마, 조사료기타, 조사료, 땅콩 131 12,316

    군산시 쌀보리, 사료작물, 겉보리, 건고추, 콩, 청보리, 밀, 들깨, 조사료기타, 고구마 88 5,064

    김제시 쌀보리, 사료작물, 겉보리, 고구마, 감자, 건고추, 콩, 인삼, 포도, 밀 134 11,749

    남원시 사료작물, 감자, 건고추, 포도, 콩, 복숭아, 호밀, 고사리, 관상수기타, 조사료기타 129 7,044

    무주군 사과, 건고추, 호두, 인삼, 콩, 오미자, 들깨, 옥수수, 천마, 고랭지배추 101 4,142

    부안군 쌀보리, 사료작물, 겉보리, 청보리, 콩, 건고추, 밀, 오디, 양파, 참깨 111 7,959

    순창군 밤, 콩, 건고추, 매실, 복분자, 호밀, 두릅, 블루베리, 참깨, 떫은감 101 5,467

    완주군 콩, 떫은감, 관상수기타, 건고추, 들깨, 청보리, 양파, 딸기, 철쭉, 고구마 137 6,375

    익산시 사료작물, 쌀보리, 고구마, 겉보리, 조사료기타, 콩, 건고추, 밀, 유채, 인삼 137 9,195

    임실군 건고추, 콩, 사료작물, 복숭아, 매실, 독활, 조사료기타, 들깨, 관상수기타, 고구마 107 4,640

    장수군 사과, 사료작물, 오미자, 건고추, 콩, 인삼, 들깨, 호밀, 토마토, 관상수기타 105 4,127

    전주시 콩, 복숭아, 쌀보리, 떫은감, 사료작물, 배, 밀, 건고추, 미나리, 관상수기타 96 2,396

    정읍시 조사료기타, 사료작물, 건고추, 콩, 소나무, 복분자, 조사료, 겉보리, 고구마, 참깨 141 11,704

    진안군 건고추, 인삼, 콩, 들깨, 사료작물, 고사리, 고구마, 수박, 사과, 관상수기타 117 4,627

    전라북도 시·군별 상위 10개 재배품목

    시·군명 상위 10개 품목품목

    시·군 전체

    재배면적 (ha)

    계룡시 들깨, 콩, 건고추, 상추, 인삼, 딸기, 매실, 떫은감, 고구마, 잣 33 195

    공주시 밤, 콩, 들깨, 호밀, 건고추, 사료작물, 오이, 수박, 배, 매실 126 10,633

    금산군 인삼, 콩, 들깨, 깻잎, 건고추, 조사료기타, 도라지, 참깨, 고구마, 매실 112 4,699

    논산시 딸기, 상추, 수박, 콩, 들깨, 인삼, 고구마, 떫은감, 방울토마토, 배 128 7,254

    당진군 콩, 감자, 고구마, 건고추, 들깨, 사과, 김장(가을)배추, 사료작물, 인삼, 마늘 116 5,295

    보령시 콩, 건고추, 들깨, 사료작물, 고구마, 밤, 쪽파, 참깨, 김장(가을)배추, 포도 100 3,361

    부여군 밤, 수박, 콩, 건고추, 들깨, 방울토마토, 멜론, 딸기, 청보리, 표고버섯 133 11,325

    서산시 콩, 마늘, 감자, 고구마, 건고추, 인삼, 들깨, 생강, 관상수기타, 쪽파 125 6,945

    서천군 콩, 건고추, 들깨, 청보리, 밤, 쪽파, 고구마, 호밀, 사료작물, 참깨 100 3,053

    아산시 배, 콩, 들깨, 건고추, 쪽파, 고구마, 사료작물, 김장(가을)배추, 매실, 사과 125 4,672

    예산군 사과, 콩, 들깨, 쪽파, 수박, 건고추, 사료작물, 배, 고구마, 밤 125 7,010

    천안시 배, 포도, 콩, 들깨, 오이, 건고추, 사료작물, 호두, 밤, 고구마 112 6,134

    청양군 밤, 건고추, 콩, 들깨, 수박, 멜론, 참깨, 매실, 관상수기타, 인삼 104 6,265

    태안군 콩, 건고추, 마늘, 고구마, 인삼, 땅콩, 들깨, 사료작물, 생강, 관상수기타 109 5,434

    홍성군 건고추, 콩, 들깨, 사료작물, 고구마, 참깨, 감자, 딸기, 김장(가을)배추, 관상수기타 110 4,912

    충청남도 시·군별 상위 10개 재배품목

  • 26

    시·군명 상위 10개 품목품목

    시·군 전체

    재배면적 (ha)

    괴산군 콩, 옥수수, 인삼, 건고추, 사과, 들깨, 복숭아, 김장(가을)배추, 담배, 감자 117 8,261

    단양군 콩, 건고추, 수수, 들깨, 사과, 마늘, 오미자, 수박, 블루베리, 옥수수 101 4,430

    보은군 콩, 대추, 사과, 인삼, 들깨, 건고추, 옥수수, 사료작물, 호밀, 떫은감 107 4,935

    옥천군 콩, 들깨, 복숭아, 포도, 건고추, 인삼, 떫은감, 산림종묘, 참깨, 옥수수 112 5,149

    음성군 복숭아, 수박, 콩, 인삼, 건고추, 들깨, 사과, 고구마, 옥수수, 참깨 118 6,731

    제천시 콩, 사과, 들깨, 건고추, 브로콜리_녹색꽃양배추, 수수, 율무, 옥수수, 인삼, 오미자 140 6,102

    증평군 포도, 복숭아, 떫은감, 호두, 콩, 사과, 들깨, 인삼, 건고추, 자두 106 7,451

    진천군 수박, 콩, 오이, 인삼, 건고추, 들깨, 참깨, 고구마, 옥수수, 매실 94 2,771

    청주시 콩, 건고추, 들깨, 옥수수, 인삼, 관상수기타, 고구마, 대파, 참깨, 김장(가을)배추 149 7,912

    충주시 사과, 콩, 복숭아, 밤, 옥수수, 건고추, 들깨, 인삼, 고구마, 참깨 130 8,869

    충청북도 시·군별 상위 10개 재배품목

    시·도 시·군명 상위 10개 품목품목

    시·군 전체

    재배면적 (ha)

    세종특별자치시 밤, 복숭아, 콩, 들깨, 배, 건고추, 관상수기타, 사료작물, 인삼, 매실 110 3,970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감귤, 가을무, 만감, 마늘, 목초류, 콩, 감자, 관상수기타, 차류, 더덕 110 26,052

    제주시 감귤, 콩, 목초류, 사료작물, 기장, 양배추, 당근, 가을무, 마늘, 맥주보리 150 31,886

    기타 지역 시·군별 상위 10개 재배품목

  • 제4 장

    분석 방법 및 자료

    1. 유형화 분석 방법

    ○ 본 연구에서는 공간분포 및 집적화 특성을 반영하는 주산지 유형화 변수를

    활용한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통해 주요 품목과 주요 재배지역의 유형화

    를 실시함.

    - 주성분 분석을 통해 주산지 유형화 변수 간 요인분석을 실시함.

    - 주성분 요소들로 계층군집분석을 실시함.

    1.1. 요인분석

    ○ 요인분석이란 주요 재배품목과 재배지역을 대상으로 주산지를 유형화하기

    위해 구축한 다양한 변수들을 주성분으로 축소하는 작업임.

    - 주성분 분석은 전체 변수의 상관성을 고려하여 전체를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성분을 추출하는 분석 방법임.

    - 각 요인의 고유치 기준과 누적 총 분산의 정도를 통하여 주성분의 수를

    결정함.

  • 28

    ○ 즉, 도출된 주성분은 비슷한 유형의 개별 변수들의 특성을 대표하는 새로운

    변수임.

    - 주성분을 구성하는 변수들의 조합과 상관도를 통하여 주성분이 대표하

    는 특성을 해석할 수 있음.

    1.2. Z-score 표준화

    ○ Z-score(Z 점수) 모형은 자료의 표준화를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 모든 자료들을 평균 0, 표준편차 1이 되도록 만드는 작업임.

    ○ 자료의 수치가 그 분포의 평균으로부터 표준편차의 몇 배 정도 떨어져 있는

    지를 표준화된 확률변수인 Z 값으로 나타내어 자료를 표준화함.

    1.3. 군집분석

    ○ 군집분석은 관측치 간에 비슷한 특성을 나타내는 개체들을 그룹화하는 통

    계분석 방법 중 하나임.

    -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주성분과 그 외 다른 변수들의 값을 활용하여

    품목 간(지역 간)의 수치적 유사성 정도를 추정한 후 유사한 품목(지역)

    을 그룹화함.

    - 즉, 그룹(유형) 내에서는 품목(지역)의 동질성은 극대화되고 그룹 간에는

    품목(지역)의 차이성이 극대화되는 방법임.

    ○ 군집분석법은 대상을 분류하기 위한 명확한 기준이 존재하지 않거나 기준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대상을 다양한 특성에 따라 집단으로 분류하는 데 유

    용함.

  • 29

    ○ 본 연구에서는 군집을 나누기 위해 K-평균 군집분석을 시행하였음.

    - K-평균 군집분석은 n개의 관측치를 K개의 클러스터(군집)로 분할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연구자가 미리 정한 K개의 군집 수4에 따라 군집의

    중심이 임의로 선택되고, 이에 따라 관측 대상들은 각 군집 중심에 가까

    운 군집으로 할당됨.

    - 즉, 군집 중심과 관측 대상 간 유클리드 거리(Euclidean distance)가 가장

    가까운 군집으로 할당되며, 유클리드 거리는 아래 (식)과 같이 표현됨.

    (식)

    : 군집에서의 번째 관측 대상의 p차원 벡터

    : 군집의 평균 벡터

    : 군집 m에 속한 관측 대상의 수

    4 군집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 일차적으로 계층적군집분석을 수행하여 얻은 덴다이어

    그램 결과를 활용함. 계층군집분석이란 대상들의 유사성을 측정하기 위해 가장 많

    이 사용되는 방법으로 제곱유클리드 거리를 이용하여 계층이 올라감에 따라 가장

    근사한 값들을 가지는 샘플들끼리 군집으로 응집하는 방법임.

    하지만 계층적군집분석은 두 개 이상의 군집이 몇 개의 개체들로 연결된 ‘고리현상’

    이 있을 경우 부적절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음.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직접적으로 계층적군집분석 결과를 활용하지 않고 K-평균 군집분석의 군집 수

    지정을 위해 해당 결과를 참고함.

  • 30

    2. 주산지 유형화 변수

    ○ 주산지는 특정 품목의 재배면적, 생산량뿐만 아니라 지역적 특성 및 품목의

    성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정의될 수 있음.

    - 일반적으로 주산지는 특정 품목이 많이 생산되는 지역으로 이해되고 있음.

    - 농림축산식품부가 지정한 공시 기준을 살펴보면, 주산지란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특정품목이 다른 지역보다 ‘많이 재배되며(재배면적) 동시에 많

    이 생산되는(출하량)’ 지역을 의미함.

    -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산지는 해당 지역의 농업 종사자 수,

    농가소득분포 특성, 품목별 지역집중도 등 지역·품목의 특성에 따라 다

    르게 정의되고 유형화될 수 있음.

    ○ 따라서 본 연구는 재배면적 및 생산농가의 다양한 공간분포 특성을 고려하여 주

    요 재배품목과 재배지역의 유형화를 시도함.

    2.1. 품목 유형화를 위한 집적화 특성 변수

    ○ 분석 대상 품목은 전국 재배면적 70%를 차지하는 상위 시·군 재배면적이

    최소 1ha 이상 재배되는 밭작물임.

    ○ 품목 기준 주산지 유형화 분석을 위해 재배규모, 농가분포, 영농규모, 품목

    의 지역집중도 등 4개 부문의 10개 변수를 선정함( 참조).

  • 31

    구분 변수명 단위 비고

    재배

    면적

    전국 재배면적 ha 해당 품목의 전국 재배면적

    상위 시·군 재배면적 ha 품목의 전국 재배면적 중 70%를 차지하는 시·군·구의 재배면적 합

    농가

    분포

    전체 농가 수 호 품목을 재배하는 전국 농가 수

    상위 시·군 농가 수 호 품목의 전국 재배면적 중 70%를 차지하는 시·군·구의 농가 수 합

    상위 시·군 농가 비중 % 전체농가수상위시·군농가수

    영농

    규모

    전국 호당 평균 재배면적 ha 전국재배농가수호전국재배면적

    상위 시·군 호당 평균 재배면적 ha 상위시·군재배농가수개상위시·군재배면적

    상·하위 시·군 평균 재배면적 비율 ha 하위시·군평균재배면적상위시·군평균재배면적

    품목

    집중도

    HHI

    ×, 는 해당 품목의 전국 재배면적 대비

    i지역 비중임

    상위 시·군 수 개 품목의 전국 재배면적 중 70%를 차지하는 시·군·구의 수

    품목 기준 주산지 유형화 변수

    ○ 재배면적 및 농가분포는 해당 품목이 우리나라 전국 혹은 지역별로 얼마나

    재배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변수로, 해당 품목이 우리나라 전체 밭농업에

    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임.

    - 구체적으로는 전국 재배면적, 상위 시·군 재배면적, 전체 재배농가 수, 상

    위 시·군 재배농가 수, 상위 시·군 농가 비중을 포함함.

    - 전국 재배면적은 해당 품목이 전국적으로 얼마나 재배되고 있는지를 나

    타내며, 상위 시·군 재배면적은 전국 재배면적의 70%를 보유한 상위 시·

    군 지역들의 재배면적 합을 나타냄.

    - 전체 재배농가 수는 해당 품목을 재배하는 농가가 전국적으로 얼마나 되

    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이며, 상위 시·군 재배농가 수는 전국 재배면적의

    70%를 보유한 상위 시·군 지역의 재배농가 수임.

    - 상위 시·군 농가 비중은 해당 품목을 재배하는 전국 농가 수 대비 상위

    시·군에서의 농가 수의 비율로서, 해당 품목을 많이 재배하는 ‘상위 시·

    군’에 속하는 지역 농가 수가 전국에 비해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냄.

  • 32

    ‘상위 시·군’이 기존의 주산지로 속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는 주산지의

    농가규모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 영농규모는 해당 품목 생산농가의 규모화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전국

    적인 규모화 수준과 상위 시·군의 규모화 수준을 동시에 고려함.

    - 먼저 전국적인 규모화 수준은 전국 재배농가의 호당 평균 재배규모를 통

    해 나타냄.

    - 이와 달리 주산지 대상 지역의 규모화 수준을 반영하기 위해 상위 시·군

    의 호당 평균 재배규모를 포함함.

    ○ 품목의 지역집중도는 해당 품목이 전국적으로 고르게 재배되는지, 일부 지

    역에서 집중적으로 재배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임.

    - 품목의 지역집중도를 나타내는 변수로는 HHI(Hirschman-Herfindahl Index)

    와 상위 시·군 수를 사용함.

    - HHI는 해당 품목의 지역별(시·군·구) 재배면적 비중의 제곱 합으로 정의

    되며, 100에 가까울수록 해당 품목의 재배면적이 특정 지역에 집중되는

    정도가 높음을 의미함.

    - 상위 시·군 수는 해당 품목 재배면적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시·군의

    수를 나타냄.

  • 33

    2.2. 지역 유형화를 위한 집적화 특성 변수

    ○ 지역 기준 주산지 유형 분석은 품목별 전체 재배면적 70%를 설명하는 상위

    시·군이면서 LQ 값이 1 이상인 품목을 한 가지 이상 재배 중인 148개 시·

    군·구를 대상으로 진행함.

    ○ 지역 기준 주산지 유형화 분석을 위해 농업환경, 농가특성, 산지조직화 수

    준, 품목집중(전문화) 정도, 재배면적 동태성, 기후요인 등 총 6개 부문에 대

    한 16개 변수를 활용하였음( 참조).

    ○ 농업환경은 해당 지역의 전반적인 농업특성을 반영하는 지표임.

    - 농업환경을 나타내는 변수로 농업면적, 시·군 농업인구 비중, 밭기반정비

    사업 시행면적 누적비중을 선정함.

    - 농업면적은 시·군별 밭 재배면적이며, 농업인구는 지역 내 전체인구 대

    비 농업인의 비중을 의미함.

    - 밭기반정비사업 시행농지 누적 비중이란 해당 지역의 밭기반정비사업

    수혜율을 나타내는 변수로, 지역에서 최근 10년 동안 시행된 밭기반정비

    사업의 수혜지역 면적을 지역의 전체 재배면적으로 나눈 값임.

  • 34

    구분 변수명 단위 비고 출처

    농업

    환경

    농업면적 ha 시·군·구 재배면적

    ’15 농업

    경영체 DB

    시·군 농업인구 비중 % 시·군전체인구수시·군농업인수

    밭기반정비사업 시행면적 비중 % 전체재배면적밭기반정비사업시행면적

    농가

    특성

    대농 수 호 재배면적 1ha 이상 농가 수

    귀농인 비중 % 시·군전체인구수시·군귀농수

    전업농 비중 % 시·군전체인구수시·군전업농수

    평균 영농기간 시간 지역별 평균 영농기간

    산지

    조직화

    수준

    시·군 내 APC 개수 개

    aT시·군 반경 13km 내 APC 개수 개

    가장 가까운 APC와의 거리 km

    시·군 내 공선출하회 수 개 농협

    품목

    집중도

    수준

    HHI 작물집중도 지수’15 농업

    경영체 DB재배작물 수 개 시·군 내 재배작물 수

    주산지 품목 수 개 시·군 내 주산지 품목

    재배

    면적

    동태성

    밭면적 증감률 % 지난 10년간 밭면적 증감률 농업

    면적

    조사밭면적 변동성 밭면적 변동계수(CV)

    기후

    요인기후변화도(Climate Change Index: CCI) 지난 30년간 기후변화도 점수 기상청

    주: 귀농인 기준은 농업경영체 DB상 기준임.

    지역 기준 주산지 유형화 변수

    ○ 농가특성이란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농업인들의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대규모 농가의 분포, 귀농인 비중, 전업농 비중, 영농기간 등 해당 지역 농가

    들의 특성을 반영하는 변수임.

    - 농가특성을 나타내는 변수로 대규모 농업인 수, 귀농인 비중, 전업농 비

    중, 농가의 평균 영농기간을 사용함.

    - 대규모 농업인 수는 해당 지역 내에서 재배면적이 1ha 이상인 농가 수를

    나타냄.

    - 귀농인 비중은 해당 지역에서 농업활동을 하는 전체 농업인 중 귀농인이

  • 35

    어느 정도 비율을 차지하는지를 나타냄.

    - 전업농 비중은 해당 지역 내 농업인 중 전업농이 전체 농업인에서 차지

    하는 비중을 의미함.

    - 평균 영농기간은 해당 지역 내 농업인들의 평균적인 영농기간을 나타냄.

    ○ 산지조직화 수준이란 지역의 농업 특성 중 산지조직화 정도를 나타내는 지

    표로서, 지역 내 APC와 공선출하회의 접근성 정도를 고려한 산지조직화 정

    도를 파악하여 분석 대상 지역들의 산지조직화 수준 차이를 유형화에 반영

    하기 위해 사용되었음.

    - 본 연구에서 산지조직화를 나타내는 변수로는 시·군 내 APC 개수, 가장

    가까운 APC와의 거리, 시·군 반경 13km 내 APC 개수, 그리고 시·군 내

    공선출하회 수를 포함함.

    - 시·군 내 APC 개수는 해당 시·군 내의 APC 개수 총합을 나타냄.

    - 가장 가까운 APC와의 거리란 해당 지역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APC까지

    의 직선거리를 나타냄.

    - 시·군 반경 13km 내 APC 개수는 시·군 중심점으로부터 13km 반경 내에

    있는 APC 개수를 나타냄.5

    - 시·군 내 공선출하회 수는 해당 지역이 포함되는 시·군 내의 공선출하회

    개수의 총합을 의미함.

    ○ 작물집중도 변수로는 시·군별 재배작물의 집중도를 반영하기 위해 시·군별

    품목집중도 지수(HHI)와 재배작물 수, 주산지 품목 수를 활용함.

    - 재배품목 수는 해당 지역 내에서 재배 중인 모든 품목 수, 그리고 주산지

    품목 수는 해당 지역이 품목의 전체 재배면적 70%를 차지하면서 LQ 값

    이 1 이상인 품목의 수를 의미함.

    5 반경 13km는 가장 가까운 APC와의 거리 값의 평균임.

  • 36

    ○ 재배면적 동태성은 해당 지역 재배면적의 변화 정도를 반영하기 위한 변수

    이며, 최근 10년간 지역 밭면적의 절대적 증감률과 상대적 변동률이 사용됨.

    - 상대적 변동률은 전국 평균 변동성 대비 해당 지역 밭면적의 변동성의

    비율임.

    ○ 기후요인은 해당 지역의 강우량 증감과 온도변화 등을 반영한 기후변화 정도

    를 의미함.

    - 온도와 강우량의 변화는 현재 시행 중인 밭기반정비사업 내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지역 내 재배품목 선택이나 기타 농업환경에도 영향을 미

    칠 것으로 판단되어 기후변화도 점수를 변수로 활용함.

    - 기후요인을 나타내는 지표로 지난 30년간 기후변화를 점수화한 기후변

    화도(Climate Change Index: CCI)를 사용함.

    - CCI6는 온도변화, 강우량 증감 등의 극한기후 현상(extreme climate event)

    이 지난 30년간 발생한 빈도수를 바탕으로 계산되는 점수임.

    6 CCI의 공식은 다음과 같음.

  • 37

    3. 품목별 지역별 주산지 특성

    3.1. 품목별 주산지 특성

    ○ 전국 재배면적이 1만 ha 이상인 품목은 콩을 포함하여 25개 작목이며, 전체 재배

    면적 70%를 구성하는 상위 시·군은 품목별로 1개에서 63개로 다양하게 나타남.

    - 전국 재배면적 70%를 구성하는 상위 시·군의 수가 가장 많은 품목은 건

    고추(68개)이며, 가장 적은 품목은 감귤(1개)임.

    ○ 상위 시·군 내 농가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51.8%, 농가당 재배면적은

    0.54ha, HHI 값은 5.8임.

    - 상위 시·군 내 농가 비중이 가장 높은 품목은 인삼(68.6%)이며, 가장 낮

    은 품목은 마늘(32.2%)임. 또한 품목별 농가 평균 재배면적이 가장 넓은

    품목은 조사료기타(1.82ha)이며, 가장 작은 품목은 참깨(0.09ha)임.

    - 지역집중도(HHI)가 높은 품목은 감귤(53.33), 양파(8.96), 밤(7.75), 포도

    (7.17) 등이며, 가장 낮은 품목은 콩(1.26)으로 나타남.

    품목

    농업환경 농가분포 영농규모 작물집중도

    전국재배면적

    (ha)

    상위시·군

    재배면적(ha)

    전체농가 수

    상위시·군

    농가 수

    상위시·군농가비중(%)

    품목별 전국

    농가평균재배면적

    (ha)

    품목별상위 시·군농가평균재배면적

    (ha)

    HHI상위

    시·군 수

    콩 88,551 61,986 503,341 261,728 52.0 0.18 0.24 1.26 63

    건고추 50,579 35,405 481,448 257,349 53.5 0.11 0.14 1.02 68

    사료작물 48,793 34,155 32,874 18,675 56.8 1.48 1.83 2.57 26

    사과 35,633 24,943 56,823 30,847 54.3 0.63 0.81 4.45 15

    밤 31,408 21,986 36,442 17,768 48.8 0.86 1.24 7.75 9

    들깨 27,744 19,421 277,428 162,243 58.5 0.10 0.12 1.04 61

    쌀보리 21,459 15,021 16,153 8,952 55.4 1.33 1.68 7.37 8

    재배면적 1만 ha 이상 품목의 주산지 특성

  • 38

    (계속)

    품목

    농업환경 농가분포 영농규모 작물집중도

    전국재배면적

    (ha)

    상위시·군

    재배면적(ha)

    전체농가 수

    상위시·군

    농가 수

    상위시·군농가비중(%)

    품목별 전국

    농가평균재배면적

    (ha)

    품목별상위 시·군농가평균재배면적

    (ha)

    HHI상위

    시·군 수

    고구마 21,257 14,880 202,335 82,728 40.9 0.11 0.18 1.94 47

    떫은감 20,421 14,295 102,121 53,016 51.9 0.20 0.27 4.07 21

    참깨 19,666 13,766 230,361 133,652 58.0 0.09 0.10 1.49 53

    감자 19,316 13,521 115,906 39,230 33.8 0.17 0.34 2.52 32

    마늘 19,052 13,336 140,963 45,442 32.2 0.14 0.29 5.06 11

    매실 18,538 12,976 111,627 58,269 52.2 0.17 0.22 3.56 49

    복숭아 17,628 12,339 50,631 26,446 52.2 0.35 0.47 4.59 15

    인삼 17,578 12,305 16,240 11,136 68.6 1.08 1.10 2.37 33

    감귤 17,498 12,249 27,163 15,363 56.6 0.64 0.80 53.33 1

    옥수수 16,130 11,291 110,481 60,631 54.9 0.15 0.19 2.47 39

    포도 16,055 11,239 41,117 23,017 56.0 0.39 0.49 7.17 9

    양파 15,562 10,893 52,902 21,579 40.8 0.29 0.50 8.96 9

    배 14,941 10,459 32,834 15,250 46.4 0.46 0.69 4.46 23

    단감 13,895 9,726 63,388 28,549 45.0 0.22 0.34 5.00 15

    조사료기타 13,377 9,364 7,351 4,021 54.7 1.82 2.33 6.07 11

    수박 12,658 8,861 18,843 9,919 52.6 0.67 0.89 4.85 15

    호밀 11,148 7,804 9,104 5,653 62.1 1.22 1.38 3.48 21

    관상수기타 10,772 7,541 35,178 19,739 56.1 0.31 0.38 1.59 58

    ○ 재배면적이 1,000ha 이상 1만 ha 미만인 품목은 대파를 포함하여 74개이며,

    상위 시·군 내 평균 농가 비중은 48%, 농가당 평균 재배면적은 0.57ha, 평균

    HHI 값은 10.26임.

    - 상위 시·군 내 농가 비중이 가장 높음 품목은 만감(70.9%)이며, 가장 낮은

    품목은 가을무(11.8%)임. 또한 품목별 농가 평균 재배면적이 가장 넓은

    품목은 목초류(7.15ha)인 반면 가장 작은 품목은 조미채소류(0.05ha)임.

    - 또한 상위 시·군 수가 가장 많은 품목은 과실류(기타)(71개)이며, 가장 적

    은 품목은 목초류(1개)임.

    - HHI 값이 높은 품목은 만감(60.73), 참외(57.92), 기장(47.09) 등이며, 가

    장 낮은 품목은 오가피(1.06)임.

  • 39

    품목

    농업환경 농가분포 영농규모 작물집중도

    전국재배면적(ha)

    상위시·군

    재배면적(ha)

    전체농가 수

    상위시·군

    농가 수

    상위시·군농가 비중(%)

    품목별 전국

    농가평균재배면적

    (ha)

    품목별상위 시·군농가평균재배면적

    (ha)

    HHI상위

    시·군 수

    대파 8,182 5,727 52,200 13,916 26.7 0.16 0.41 6.07 21

    김장가을배추 8,134 5,693 124,793 66,598 53.4 0.07 0.09 1.21 66

    겉보리 7,919 5,543 9,011 4,372 48.5 0.88 1.27 8.87 8

    가을무 7,768 5,438 53,413 6,305 11.8 0.15 0.86 20.25 11

    맥주보리 7,287 5,101 6,789 4,066 59.9 1.07 1.25 27.18 3

    밀 7,079 4,955 6,533 3,776 57.8 1.08 1.31 5.79 15

    소나무 6,804 4,763 34,039 19,853 58.3 0.20 0.24 1.64 59

    자두 6,350 4,445 30,953 13,948 45.1 0.21 0.32 11.29 7

    딸기 6,084 4,259 14,053 8,598 61.2 0.43 0.50 5.85 13

    호박 6,041 4,228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