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송선 경량전철 시스템 Q&A

15
1 반반반 반반반반 반반반 Q&A 시시시 시시시시 시시시 시시시

description

반송선 경량전철 시스템 Q&A. 시민과 함께하는 초일류 공기업. - 목 차 -. 정 의. 국내 경량전철 적용사례. 경량전철의 기능. 경량전철이란 무엇인가요 ?. Q1. 경량전철은 일정한 궤도를 따라 전기를 동력으로 운행되는 소형 , 경량의 도시철도 차량이며 , 시간∙방향당 수송인원이 약 5,000 ~ 30,000 명으로 , 차량규모나 수송 인원이 버스와 지하철의 중간규모에 해당하는 도시철도시스템입니다. ● 저렴한 건설비 ( 지하철의 60~70% 수준 )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of 반송선 경량전철 시스템 Q&A

Page 1: 반송선 경량전철 시스템  Q&A

1

반송선 경량전철 시스템 Q&A

시민과 함께하는 초일류 공기업

Page 2: 반송선 경량전철 시스템  Q&A

2

- - 목 차 목 차 --

Q1. 경량전철이란 무엇인가요 ? 1

Q2. 경량전철과 기존 지하철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 2

Q3. 고무차륜형식 경량전철 시스템의 특징은 ? 3

Q4. 무인운전방식의 특징은 ? 4

Q5. 경량전철 운영현황은 어떻게 되나요 ? 5

Q6. 무인으로 운영 중 고장이 발생 할 경우 응급처치는 어떻게 하나요 ? 6

Q7. 지하구간을 무인으로 운영 할 경우 안전에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나요 ? 7

Q8. 해외에도 지하구간을 무인으로 운영하는 노선이 있는가요 ? 9

Q9. 화재 / 폭설 / 강풍 / 지진 등에 대한 안전대책은 ? 10

Q10.

무인운전을 위한 차량 안전설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 ? 11

Q11.

승객과 종합관제실간의 통신수단은 어떤 것이 있나요 ? 12

Q12.

전력을 측면에서 공급받는데 따른 안전 확보 방안은 어떻게 되나요 ? 13

Page 3: 반송선 경량전철 시스템  Q&A

3

경량전철이란 무엇인가요 경량전철이란 무엇인가요 ??

정 의

국내 경량전철 적용사례

경량전철의 기능

● 저렴한 건설비 ( 지하철의 60~70% 수준 )

● 도시환경에 적합한 환경 친화적

첨단 도시교통 시스템

● 무인자동운전을 통한 운영비 절감

● 유연한 노선계획 실현

● 전세계적으로 25 개국 , 87 개

노선에서

운행중

경량전철은 일정한 궤도를 따라 전기를 동력으로 운행되는 소형 , 경량의 도시철도 차량이며 , 시간 방향당 수송인원이 약 ∙ 5,000 ~ 30,000 명으로 , 차량규모나 수송인원이 버스와 지하철의 중간규모에 해당하는 도시철도시스템입니다 .

○ 대도시 : 도시철도와 연계한 보조 지선용 ○ 소규모 도시 : 주간선 교통축 역할 ○ 위성도시 : 위성도시간 연계선로용

고무차륜형식 부산지하철 3 호선 2 단계 반송선 의정부 경전철 , 인천공항내 스타라인

철제차륜형식 부산 - 김해 경전철

선형유도모터 (LIM) 용인 경전철

모노레일형식 대구지하철 3 호선

Page 4: 반송선 경량전철 시스템  Q&A

4

공 통 점

전기를 동력으로 하고 전용궤도에서 운영된다는 점이 공통점이며 , 이에 따라 경량전철 시스템도 일반적으로 기존 지하철시스템이 갖는 정시성 , 수송효율성 , 안전성 등의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

경량전철과 기존 지하철의 공통점과경량전철과 기존 지하철의 공통점과

항 목 경량전철 기존 지하철

운전 방식 노 면 전 차 를 제 외 하 고 대 부 분 무인운전 일반적으로 유인운전

곡선주행성 최소곡선반경이 작다 최소곡선반경이 크다

운전 시격무 인 자 동 운 전 방 식 으 로 2분까지 가능 운전효율상 보통 3 분이상 운행

수 송 량 5,000~30,000 명 / 시간 30,000~100,000 명 / 시간

건설 형태 도심에 지하구간도 있으나 낮은 소음 진동으로 고가화 지하형태가 일반적

건 설 비 토 목 구 조 물 의 비 용 이 저 렴 한 반면 시스템 비용이 고가

토 목 공 사 비 가 고 가 이 나 시 스 템 비용 저렴

운 영 비 완전자동으로 운영비 저렴 인력이 많아 운영비가 높음

급구배 주행성 최급구배 58‰ 최급구배 35‰

가감속 성능 지하철보다 우수 경량전철보다 떨어짐최고 속도 80km/h 이하 100km/h 이하차량 기지 소규모 부지 대규모 부지

차 이 점

차이점은 차이점은 ??

경량전철과 기존지하철 비교

기존 지하철보다 곡선 및 경사로 주행성능이 우수하며 , 저진동 , 저소음의 환경친화적 시스템으로 차량이 작고 가벼워 건설비가 저렴하며 , 대부분 무인운전방식으로 건설되므로 운영비용이 절감됩니다 .

Page 5: 반송선 경량전철 시스템  Q&A

5

무인운전에 적합한 시스템

점착력이 높은 고무차륜으로 미끄러지지 않아 승강장 정위치 정차 정밀도가 우수하여 세계적으로 57 개 무인운전 노선중 49 개 노선이 고무타이어형식으로 운행되고 있습니다 .

> 탈선이 불가능한 안전한 경량전철

양 측면의 궤도를 따라 안내되는 방식으로 탈선이 근본적으로 불가능한 시 스 템 이 며 , 고 무 타 이 어 펑 크 시 도 타 이 어 내 부 의 안 전 차 륜 이 있 어 정상주행이 가능합니다 .

점착계수가 철제바퀴에 비해 3 배 이상 높아 급경사 적용과 회전반경이 작아 도심지 도로를 이용한 선로선정이 용이하여 건설비가 절감되며 , 승객의 접근성 향상으로 승객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소음은 철제차륜에 비하여 5dB 정도 낮고 고무타이어의 쿠션으로 승차감이 우수하여 승객편의를 향상시켰으며 ,철제차륜의 철분진은 차량하부장치 및 선로장치 등에 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나 , 고무차륜의 고무분진으로 인해 외국의 운영노선에서 문제가발생된 적이 없는 친환경적인 시스템입니다 .

고무차륜형식 경량전철 시스템의 특징은 고무차륜형식 경량전철 시스템의 특징은 ??

> 승객의 편의 향상 및 친환경 시스템

> 급경사 , 급곡선 주행능력 탁월

Page 6: 반송선 경량전철 시스템  Q&A

6

무인운전방식의 특징은 무인운전방식의 특징은 ??

무인운전 시스템

제어 시스템 구성

현재의 경량전철 시스템은 무인운전방식이 세계적인 추세로 전세계 60 여개 노선이 무인운전방식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 철도 기술의 발전으로 정시성 , 안전성이 높아져 국내에서도 용인경전철 , 부산 -김해경전철 , 의정부경전철 등 경량전철 노선이 대부분 무인운전방식으로 건설되고있으며 , 세계적으로 이미 상용화된 시스템입니다 .

기관사 없이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정해진 운행 스케쥴에 따라 열차가 자동으로 운행되며 , 종합관제실에서 열차 운행상황과 역사 설비 등을 실시간으로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최첨단설비를 갖춘 시스템입니다 .

무인운전의 제어는 차량의 기동부터 운행에 관련하는 모든 것이 지상 신호장치와 차상 신호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기관사가 없는 상태에서 차량의 가감속 , 역정지 , 승객 승하차 , 역정보 등이 자동으로 제어되어 차량이 운행되며 ,

종합관제실에서 차량의 기기상태 및 고장정보를 신호장치에 의해 실시간 파악이 가능하고 , 객실 내의 상황을 CCTV 로 확인하여 차량제어 및 승객의 안전을 확보 할 수 있으며 ,

기기 이중계에 의한 차량 최소성능유지 , 차량동작의 실시간 감시 및

주요기능의 원격제어 구성에 의한 무인제어의 설계 및 제작 , 주요회로

부분의 Fail-Safe 구성으로 이상 발생시 승객 안전 확보가 가능합니다 .

Page 7: 반송선 경량전철 시스템  Q&A

7

경량전철 운영현황은 어떻게 되나요 경량전철 운영현황은 어떻게 되나요 ? ?

구 분 고무차륜형 철제차륜형 LIM 형

국 가 12 개국 3 개국 3 개국

노 선 49 개노선 3 개노선 5 개노선

세계의 무인경전철 노선 현황

운영 현황

경량전철은 일반적으로 소규모 도시에서는 주간선 교통축으로 , 대도시에서는 지하철과 연계한 보조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 연장이 5~20km 내외인 노선으로 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

프랑스에서는 고무차륜형 AGT 가 10 개 노선 ( 지상 / 지하구간 6개노선 , 지하구간 4 개노선 ) 이 운영중이며 , 독일 , 스위스 등 유럽에서는 노면전차가 주축을 이루어 도시내 교통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

유럽

또한 경량전철은 대규모 택지와 전철 정거장간을 연계하는 시스템으로운영되고 있으며 , 그 외 놀이공원 및 공항내 셔틀용 , 위성도시와 대도시의연계 수단으로도 운영되고 있습니다 .

미국

일본

미국은 주로 공항에서 셔틀노선으로 무인 운영되고 있습니다 .

일본에서는 우리나라와 같이 도시가 적은 면적에 많은 인구가 거주하는 특성 때문에 고무차륜형 AGT, 모노레일 , LIM형 시스템 등이 해당 도시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지하철과 조화를 이루며 교통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

Page 8: 반송선 경량전철 시스템  Q&A

8

무인으로 운영 중 고장이 발생 할 경우 무인으로 운영 중 고장이 발생 할 경우 응급처치는 어떻게 하나요 응급처치는 어떻게 하나요 ??

본선구간에서 지진이나 강풍 등의 이상상황 발생시 운행 중인 모든 열차는 자동으로 일단정지하며 , 선로의 안전이 확인된 이후 정상운행

됩니다 .본선 장애물로 인한 운행장애 예방을 위해 모든 역사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장애물 투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합니다 .지상신호설비 등 주요설비는 2 중계로 설치되어 고장발생시에도 안전하게 주행이 가능하며 , 승객의 안전확보와 이상 상황에 대한 설명을위하여 종합관제실에서 모든 승객에게 대승객 안내방송을 실시합니다 .

차량 고장 발생시

역사설비 이상 발생시

차량 운행상황 및 고장정보를 종합관제실에서 실시간 감시하여

주요장치의 고장 발생시 원격으로 고장복귀 조치를 시행 할 수

있습니다 .차량의 주요장치는 2 중계로 구성하여 고장시에도 무인운전이 가능하며 , 운행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면 인근역의 운영요원이 즉각 출동하여 신속히 복구 후 정상운행이 되도록 합니다 .

모든 역사의 스크린도어 , 에스컬레이트 , 엘리베이트 등 시설물은 운영요원이 항상 순회 점검으로 장애를 예방하며 , 종합관제실에서 CCTV 등으로 역사 설비를 상시 감시하여 장애발생시 운영요원을 신속히 파견하여 승객의 편의와 안전을 확보합니다 .

본선구간 이상 발생시

Page 9: 반송선 경량전철 시스템  Q&A

9

일본 경량전철의 경우 대부분 고가구간으로 건설하여 운영 중에 있으나 , 반송선과 같은 고무타이어 형식의 파리 14 호선 (8.4km) 은 전구간 지하노선으로 건설하여 운영중에 있으며 , 전 세계 20 개 노선이 지하구간으로 건설하여 무인운전방식으로 운영 중에 있습니다 .

국내에서 최근 건설 중인 신설노선의 경우 대부분 무인운전

경량전철시스템을 도입하는 추세로 서울도심권에 건설 계획 중인 12

개 노선 중 10 개 노선이 지하구간으로 계획되어 있으며 , 특히 ’ 11년

개통목표

로 건설중인 신분당선 (18.5km) 은 기존 지하철과 동일한 철제차륜형

대형차량이면서 무인운전 시스템으로 전구간 지하에 건설되고

있습니다 .

반송선의 경우 일부구간 (7.2km) 이 지하로 건설됨으로 외부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운행안전성 확보가 유리하고 , 화재발생시

객실의자 , 바닥재 , 내장판 등은 화재저항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여 화염전파가 되지 않으며 ,

승객안전을 위해 화재감지설비 , CCTV, 비상정지스위치 , 비상인터폰 ,

비상대피로 등이 설치됨으로써 운행 중 승객안전 확보를 위한 설비가 구축되어 있으며 , 원격으로 차량운행 및 승객안전에 필요한 모든 제어가 가능한 첨단시스템으로 승객안전에는 전혀 문제점이 없습니다 .

해외 경량전철의 경우

국내 경량전철의 경우

반송선의 경우

지하구간을 무인으로 운영 할 경우지하구간을 무인으로 운영 할 경우안전에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나요안전에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나요 ??

Page 10: 반송선 경량전철 시스템  Q&A

10

구 분

프랑스PARIS

프랑스TOULOUS

E이탈리아 스페인 말레이시아 덴마크

14 호선 툴루즈 VAL TURIN METRO

BARAIAS공항

PUTRA LRT

코펜하겐

노선거리 8.4 27.5 9.3 4.5 29 21

지상구간 - 10.8 - - 24.6 11

지하구간 8.4 16.7 9.3 4.5 4.4 10

개 통 2002 1993 2006 2004 1996 2002

차량형식 고무차륜 고무차륜 고무차륜 고무차륜 철제차륜 철제차륜

운전형태 무인운전 무인운전 무인운전 무인운전 무인운전 무인운전

차량제작사 ALSTOM

SIEMENS(MATRA)

SIEMENS(MATRA)

봄바디아 봄바디아(ADTRANZ) ANSALDO

구 분

부 산 부산 , 김해 용 인 의정부 서 울 인천공항

3 호선 2 단계반송선

부산 - 김해경전철

EVERLINE U-LINE 신분당선 STARLINE

노선거리(Km)

12.7 23.9 27.7 11 18.5 0.9

지상구간 5.5 23.9 28.7 11 - -

지하구간 7.2 - - - 18.5 0.9

개 통 2010 2011 2010 2012 2011 2008

차량형식 고무차륜 철제차륜 철제차륜 고무차륜 철제차륜 고무차륜

운전형태 무인운전 무인운전 무인운전 무인운전 무인운전 무인운전

차량제작사 우진산전 현대로템 봄바디에 지멘스 현대로템 미쯔비시

> 국내 무인운전 건설 노선

> 해외 지하구간 무인운전 대표노선

Page 11: 반송선 경량전철 시스템  Q&A

11

해외에도 지하구간을 무인으로 운영하는해외에도 지하구간을 무인으로 운영하는노선이 있는가요 노선이 있는가요 ??

전 세계 총 14 개국 57 개노선이 무인운전방식으로 운용중이며 , 이 중 지하구간을 무인운전방식으로 운영하는 곳은 8 개국 20 개 노선이 있습니다 .

전 세계 무인운전방식의 86% 이상이 반송선과 동일한 고무차륜방식경량전철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해외 운영 현황

해외 운영 사례

경제성과 편의성 , 친환경성에 의해 새로운 신교통 시스템으로 부각되고 있는 경량전철 시스템은 세계적으로 무인운전을 기본운용 형태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

○ 해외 차종별 무인운전 운영사례

Page 12: 반송선 경량전철 시스템  Q&A

12

화재 발생시 차량 객실내의 화재감지기가 작동하여 종합사령실에서 차량내부에 설치된 CCTV 와 비상통화장치를 통해 해당차량의 객실내부 상황을 확인하고 승객에게 안내방송을 실시하며 운영요원을 급파하여화재에 신속하게 대응합니다 .

종합관제실에서 폭설 , 강풍 , 지진 등 재해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수집 하며 , 열차 운행에 영향을 미치는 재해가 발생한 경우 열차의 속도를 저감하거나 정지시키는 등의 방재관리 시스템이 운용됩니다 .

화재 발생시

폭설 , 강풍 , 지진 발생시

차량객실내부차량객실내부 종합관제실종합관제실

차량감시차량감시

안내방송안내방송

차량의 객실설비는 불연 , 난연재를 적용하여 제작되어 화재 발생시 화염전파가 최대한 억제됩니다 . 화재가 발생하여 차량운행이 불가능한경우에는 출입문 개방 후 대피로를 이용하여 대피하게 됩니다 .

화재화재 // 폭설폭설 // 강풍강풍 // 지진 등에 대한 안전지진 등에 대한 안전

풍향풍속계풍향풍속계노면히터노면히터

대책은 대책은 ??

지진계지진계

Page 13: 반송선 경량전철 시스템  Q&A

13

무인운전 차량의 안전운행 확보를 위해서 자동으로 열차를 제어하는 ATP/ATO차상신호장치 , 열차의 추진력을 제어하는 추진제어장치 , 차량을 종합적으로 감시 ·점검하는 차량종합제어장치 (TCMS) 등 주요장치는 2 중계를 적용하여 고장시에도 무인운전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

무인운전을 위한 차량 안전설비는무인운전을 위한 차량 안전설비는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 ??

차내 화재 또는 이상상황발생대비 안전장치

주요기기 고장 및 보호기능동작시 필요한 보호장치

● 차 량 비 상 정 지 스 위 치 ( 승 객 취급용 )

● 화재 감지장치 ( 연기 및 열 감지 )

● 객실 CCTV 감시설비● 비상 인터폰 ( 승객 - 종합관제실간 )

● 선로 장애물 검지장치● 출입문 비상열림 감지 ( 전차선 전원 자동차단과 연계 )

● 수동운전용 간이운전대● 주요기기 고장시 원격 복귀 기능● 주요기기의 상태정보 지상 전송 기능● 보조전원장치의 자동연장급전 기능● 제동 자동절환 기능이 포함된 4 중 제동장치

무인운전 설비

열차의 안전 및 보호장치

차상 ATP/ATO 장치차상 ATP/ATO 장치

종합관제실종합관제실

지상 ATP/ATO 장치지상 ATP/ATO 장치

Page 14: 반송선 경량전철 시스템  Q&A

14

승객과 종합관제실간의 통신수단은승객과 종합관제실간의 통신수단은어떤것이 있나요 어떤것이 있나요 ??

승객과 종합관제실간 통신은 차량 당 2 대씩 설치되어 있는 비상통화

장치의 조작에 의하여 종합관제실과 승객간의 직접 통화가 가능합니다 .객실에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을 경우 객실내의 승객은 비상통화장치의

호출버튼을 누르면 종합관제실의 사령원이 호출되어 승객과 사령원간의

직접 통화가 가능하게 됩니다 .

비상인터폰 취급 등 객실 비상장치 취급시는 해당 열차의 차량에 설치된 CCTV 가 동작하여 객실상황을 실시간 동영상으로 확인하며 필요시 종합관제실에서 각 차량으로 대승객 안내방송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

수동운전시 운전자와 종합관제실과의 통화를 위해 열차무선장치가

수동운전대 내부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

사용방법

통신설비

Page 15: 반송선 경량전철 시스템  Q&A

15

전력을 측면에서 공급받는데 따른전력을 측면에서 공급받는데 따른안전 확보 방안은 어떻게 되나요 안전 확보 방안은 어떻게 되나요 ??

반송선 차량은 집전장치가 차량 궤도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측방의

전차선을 통하여 공급되는 방식으로 제 3 궤조 방식이라고 하며 ,

적절한 접촉압력 및 유동각도를 고려한 설계로 전력공급 안전성이

확보됩니다 .

차량이 운행 중 이상이 발생하면 승객의 안전사고 예방과 차량

안전운행을 위해 전차선 전원 자동차단기능이 구축되어 있어

열차분리 , 주행중 출입문 열림 등에 의해 비상경보가 발생하면

운행차량을

비상정지시키고 전차선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합니다 .

측면 급전 방식

안전확보 방안

비상경보가 발생되면 대피하는 승객의 안전을 위해 비상경보 지점에서 앞 , 뒤 역까지 전차선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 되도록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

급전차단 구간

A 역 B 역

A 역 B 역

급전차단 급전차단

급전차단 급전차단

비상경보발생

전차선

차량하부 집전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