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정cfs6.blog.daum.net/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 · 2015. 1. 21. · 4 6 9 11 17...

142
12:40-13:00 등록 13:00-13:20 축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송재호 원장 13:20-14:00 기조 국가경쟁력향상을 위한 여가정책의 역할 발표자: 조동성(서울대학교 교수) 14:00-14:20 주제발표① 한국인의 여가생활: <2007 국민여가활동조사> 결과 발표 윤소영(한국문화관광연구원 책임연구원) 14:20-14:40 토론 토론자: 정준영(방송통신대 문화교양학과 교수) 이창현(국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유지곤(체육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14:40-15:00 휴식시간 1 한국인의 여가실태와 국가경쟁력 사회: 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여가정책연구실장) 2 대중 여가시대의 여가정책 방향 사회: 유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여가정책연구팀장) 15:00-15:20 주제발표② 한국의 여가문화와 여가정책 발표자: 윤은기(서울과학종합대학원 총장) 15:20-15:40 주제발표③ 지자체의 여가정책 사례-춘천시의 여가정책 발표자: 정우철(계명대학교 교수) 15:40-16:00 주제발표④ 해외여가정책 사례-대만의 여가정책 발표자: Jerry C. Y. Liu(Taiwan) 16:00-16:20 토론 토론자: 라도삼(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위원) 최석호(서울과학종합대학원 교수) 이강욱(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16:20-16:40 토론 종합토론 16:40 폐회

Transcript of 일 정cfs6.blog.daum.net/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 · 2015. 1. 21. · 4 6 9 11 17...

  • 12:40-13:00 등록

    13:00-13:20 축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송재호 원장

    13:20-14:00 기조국가경쟁력향상을 위한 여가정책의 역할

    ․ 발표자: 조동성(서울대학교 교수)14:00-14:20 주제발표①

    한국인의 여가생활: 결과 발표

    ․ 윤소영(한국문화관광연구원 책임연구원)

    14:20-14:40 토론

    ․ 토론자: 정준영(방송통신대 문화교양학과 교수) 이창현(국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유지곤(체육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14:40-15:00 휴식시간

    일 정

    제1부 한국인의 여가실태와 국가경쟁력사회: 김 향 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여가정책연구실장)

    제2부 대중 여가시대의 여가정책 방향사회: 유 지 윤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여가정책연구팀장)

    15:00-15:20 주제발표②한국의 여가문화와 여가정책

    ․ 발표자: 윤은기(서울과학종합대학원 총장)15:20-15:40 주제발표③

    지자체의 여가정책 사례-춘천시의 여가정책

    ․ 발표자: 정우철(계명대학교 교수)15:40-16:00 주제발표④

    해외여가정책 사례-대만의 여가정책

    ․ 발표자: Jerry C. Y. Liu(Taiwan)

    16:00-16:20 토론

    ․ 토론자: 라도삼(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위원) 최석호(서울과학종합대학원 교수)

    이강욱(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16:20-16:40 토론 종합토론

    16:40 폐회

  • 목 차

    제 1 부 한국인의 여가실태와 국가경쟁력

    기 조 : 국가경쟁력향상을 위한 여가정책의 역할

    조동성❙서울대학교 교수 ··············································3

    주제발표① : 한국인의 여가생활: 결과 발표윤소영❙한국문화관광연구원 책임연구원 ················ 27

    토 론

    정준영❙방송통신대 문화교양학과 교수 ·················· 67이창현❙국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 71유지곤❙체육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74

    제 2 부 대중 여가시대의 여가정책 방향

    주제발표② : 한국의 여가문화와 여가정책윤은기❙서울과학종합대학원 총장 ····························85

    주제발표③ :지자체의 여가정책 사례-춘천시의 여가정책정우철❙계명대학교 교수 ·············································91

    주제발표④ : 해외여가정책 사례-대만의 여가정책Jerry C. Y. Liu❙Taiwan ········································· 103

    토 론

    라도삼❙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위원 ·················· 145최석호❙서울과학종합대학원 교수이강욱❙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 151

  • 한국인의 여가실태와 국가경쟁력

    제1부

    기 조

    주제발표①

    토 론

  • 기조국가경쟁력향상을 위한 여가정책의 역할

    조 동 성(서울대학교 교수)

  • 1

    한국의 여가경쟁력

    2007.6.28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조 동 성

    2

    차례

    연구 소개

    여가경쟁력지수 설계

    여가경쟁력지수 결과

    여가경쟁력지수 분석

    정책 제안

    맺음말

    조 동 성 ❙ 5

  • 3

    연구 소개

    4

    여가의 기본 개념

    여가(餘暇, leisure)

    개인이 하루 24시간 가운데 생리적 필수 활동이나 의무 활동을 하고

    난 이후의 잔여적인 특징을 가지는 자유시간에 이루어지는 활동으로

    개인의 ‘자유의지’에 대한 의미를 포함

    일차적으로 즐거움, 휴식, 원기회복, 또는 레크리에이션의 목적을 가

    지고, 인간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광범위한 활동을 지칭

    정책대상으로서의 여가

    여가는 국민의 권리이자 욕구임

    ‘모든 사람은 합리적인 노동시간과, 유급생리휴가를 포함하는 휴식과

    여가의 권리를 가진다’

    6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 5

    한국의 여가 실태

    주당 평균 노동시간 – 50시간 이상으로 세계 최고 수준

    Source: OECD, 2005, Employment Outlook.

    6

    한국의 여가 실태

    국가별 주당 평균 일과 여가시간: 세계평균에 비해 주당 10시간 더 일하고 8.5시간 더 적게 여가생활을 즐김

    39.240.6세계평균

    48.342.8아르헨티나

    36.436.7스웨덴

    40.440.9중국

    37.337.8스페인

    41.738.3미국

    39.236.1영국

    39.140.1이탈리아

    33.134.1프랑스

    47.550.9대만

    38.034.8캐나다

    34.338.9일본

    36.241.6멕시코

    31.637.1독일

    34.944.1싱가포르

    35.145.4인도

    42.356.8터키

    34.848.6홍콩

    30.750.7한국

    여가일국가

    Source: 2006 여가백서, 문화관광부 한국문화관

    광정책연구원

    조 동 성 ❙ 7

  • 7

    한국의 여가 실태

    16.9

    17.7

    18.3

    20.4

    20.5

    22.1

    22.9

    23.4

    23.6

    68.3

    0 10 20 30 40 50 60 70 80

    10위: 산책

    9위: 쇼핑

    8위: 계모임/동창회/사교모임

    7위: 영화보기

    6위: 신문/잡지보기

    5위: 음주

    4위: 목욕/사우나

    3위: 게임

    2위: 잡담/통화하기

    1위: TV 시청/라디오 청취

    국민들의 주 여가활동 10순위* :TV 시청/라디오 청취 등 휴식활동 참여도가 문화예술 참여, 스포츠활동 참여, 취미 오락 활동 비중에 비해 월등히 높음

    Source: 2006 여가백서, 문화관광부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조사 응답자는 여가시간동안 주로 하는 여가활동에 대해 개방형으로 최대 5개까지 응답하였으며, 이를 집계하여 통계적으로 계산함

    8

    문제 제기

    한국사회의 변화

    한국의 현재 여가경쟁력과 여가 정책의 미래 발전 방향은?

    과거

    노동중심사회

    -노동형 인간

    -일의 양 중시

    -직장 중심의 생활

    미래

    여가중심사회

    -여가형 인간

    -일의 질 중시

    -가족 중심의 생활

    현재 (과도기)

    근로시간단축: 주 40시간 근무제 도입

    고령화와 저출산

    인터넷, 모바일의 발달: 유비쿼터스

    가계소비구조 변화:소득의 양극화

    8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 9

    연구 목적

    - 국민들의 수준높은 여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지표 선정

    - 선정된 지표의 값을 통한 한국과 주요 국가의 여가경쟁력지수 산출

    - 여가경쟁력지수 비교를 통해 국내 여가활동환경 및 현황의 국제적 위상 파악

    여가경쟁력지수 산출

    -국내 여가환경의 강점과 약점 파악

    -국가별 지수 비교 및 전략적 벤치마킹을 통한 국내 여가경쟁력 강화 전략 도출

    -여가경쟁력 강화 전략을 통한 한국의 국가경쟁력 강화 모색

    여가경쟁력 강화 전략 도출

    10

    여가경쟁력지수 설계

    조 동 성 ❙ 9

  • 11

    여가경쟁력지수: 다이아몬드 모델

    다이아몬드 모델 (Michael Porter, 1990)

    정치사회적 기반

    여가경쟁력

    여가 연관 산업및 인프라

    여가 수요의 질여가생산조건

    (시간, 돈)

    12

    지표 선정: IPS 국가경쟁력연구보고서

    IMD, WEF 국가경쟁력연구보고서를 보완하고자 2001년부터 산업정책연구원에서 발간

    M. Porter의 다이아몬드 이론을 토대로 발전시킨 이중더블다이아몬드모델(Cho, Moon, and Kim, 2006)을 기본으로 전세계 66개국의 국가경쟁력 평가

    총 9개 팩터, 23개 서브팩터, 275개 하위지표로 구성137개 경성자료 (UN, IMF, World Bank 등의 통계자료이용)138개 연성자료 (KOTRA의 해외무역관을 통한 설문각국별 수집)

    Background Information: 63

    연성자료: 137

    경성자료: 138

    10❙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 13

    IPS 국가경쟁력연구보고서의 국가군분류

    Weak-Large Countries(弱大國)

    Weak-Medium Countries(弱中國)

    Weak-Small Countries(弱小國)

    Intermediary-Large

    Countries(中大國)

    Intermediary-Medium

    Countries(中中國)

    Intermediary-Small

    Countries(中小國)

    Strong-Large Countries(强大國)

    Strong-Medium Countries(强中國)

    Strong-SmallCountries(强小國)

    Weak(弱)

    Intermediary(中)

    Strong(强)

    경쟁력강도

    국가절대규모Large(大)

    Medium(中)

    Small(小)

    37.89루마니아10

    39.99오만9

    41.02말레이시아8

    43.89폴란드7

    44.40필리핀6

    45.01태국5

    45.49이탈리아4

    45.76칠레3

    45.77한국2

    45.92스페인1

    Index국가순위

    중중국(中中國)-10개국

    60.14스웨덴1

    49.67대만7

    50.86프랑스6

    51.25뉴질랜드5

    54.82영국4

    56.58노르웨이3

    57.28핀란드2

    Index국가순위

    강중국(强中國)-7개국

    14

    다이아몬드 모델에 기초한 지표 선정

    결정요인

    하위구분

    지표

    여가생산조건여가 연관산업

    및 인프라여가 수요의 질

    정치사회적기반

    시간

    총 9개 지표

    소비자의세련도

    소비자의교육 수준

    총 10개 지표

    정보통신

    교통

    해외서비스

    국내관광인프라

    총 13개 지표

    정부정책

    사회환경

    공교육

    총 12개 지표

    조 동 성 ❙ 11

  • 15

    여가경쟁력지수 지표 구성

    연성교육수준

    경성문맹률 (%)교육 수준

    연성소비자 세련도-지적재산권

    연성소비자 세련도-건강 및 환경 이슈

    연성소비자 세련도-신제품

    연성소비자 세련도-디자인

    연성소비자 세련도-브랜드

    연성소비자 세련도-가격

    연성소비자 세련도-질

    연성소비자 세련도-정보

    소비자 세련도

    여가수요의 질

    경성인간개발지수 (Human Development Index)돈+시간

    경성근무시간 (일주일당)

    경성평균수명 (년)시간

    경성시간당 임금 (US$/hr)

    경성고용률 (1-실업률)

    경성생계비 지수 (뉴욕=100)

    경성국내총저축 (US$ billion)

    경성1인당 GDP (US$)

    경성

    IPS 국가경쟁력연구보고서

    GDP (US$ billion)

    여가생산조건

    지표종류자료출처세부지표하위구분구분

    16

    여가경쟁력지수 지표 구성

    연성수입배분 정책

    연성교육정책

    연성자원배분에 대한 정부정책

    정부정책

    연성노사관계

    연성보상

    연성혁신과 창조

    연성민족문화

    연성정치적 위험도

    사회환경

    연성IT 교육

    연성영어교육

    경성고등교육 취학률 (%)

    경성

    IPS 국가경쟁력연구보고서

    중등교육 취학률 (%)

    공교육

    정치사회적 기반

    경성국내 해외여행객 관광수입 (US$ million)국내 관광인프라

    연성국제 통신

    경성통신산업에 대한 연간 투자액 (US$ million)

    경성E-readiness 지수 (점수)

    경성인터넷 이용자 (1만명 당)

    경성개인용 컴퓨터 (1000명 당)

    정보통신

    연성해외 교통 수단

    경성해외 여행 (1000명)

    경성민간 항공 수송 (1000명-km)

    경성철도 수송 (100만 명-km)

    경성자동차 (1000명 당)

    경성도로 포장률 (%)

    교통

    경성

    IPS국가경쟁력연구보고서

    서비스 산업 해외개방도 ((수입+수출)/(GDPx2))해외 서비스 산업 수입

    여가 연관산업및

    인프라

    지표종류자료출처세부지표하위구분구분

    12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 17

    여가경쟁력지수 산출 방법

    하위부문별 지수

    세부지표 인덱스

    세부지표 인덱스

    세부지표 인덱스

    세부지표 인덱스

    세부지표 인덱스

    세부지표 인덱스

    세부지표 인덱스

    세부지표 인덱스

    세부지표 인덱스

    하위부문별 지수

    여가경쟁력지수

    평균 평균

    18

    여가경쟁력지수 결과

    조 동 성 ❙ 13

  • 19

    강중국 7개국과 한국의 여가경쟁력지수

    61.86

    13

    뉴질랜드

    23221711964여가경쟁력 순위(66개국 중)

    62.97

    노르웨이 한국대만핀란드프랑스영국스웨덴

    여가경쟁력 지수 52.6953.4960.9164.0564.2666.76

    6

    21

    21

    2

    464751219143정치사회적 기반순위 (66개국 중)

    192024143413여가 연관산업 및

    인프라 순위(66개국 중)

    82216149136여가수요의 질순위 (66개국 중)

    403919116133여가생산조건

    순위 (66개국 중)

    * 빨간색은 강중국 7개국+한국 중 최고 순위

    * 파란색은 강중국 7개국+한국 중 최저 순위

    20

    여가경쟁력과 국가경쟁력

    폴란드30요르단29필리핀28

    쿠웨이트27태국26

    이탈리아25칠레24한국23

    스페인22중국21일본20대만19독일18

    프랑스17뉴질랜드16

    오스트리아15이스라엘14

    호주13영국12

    싱가포르11스위스10벨기에9홍콩8

    노르웨이7핀란드6스웨덴5덴마크4캐나다3미국2

    네덜란드1

    국가2007년 순위

    IPS

    국가경쟁력연구보고서

    국가경쟁력

    순위

    여가경쟁력

    순위

    크로아티아29헝가리28

    포르투갈27그리스26

    체코공화국25폴란드24한국23대만22

    스페인21홍콩20

    싱가포르19호주18

    핀란드17독일16

    캐나다15이탈리아14뉴질랜드13벨기에12

    노르웨이11이스라엘10프랑스9일본8

    스위스7영국6

    오스트리아5스웨덴4덴마크3미국2

    네덜란드1국가여가경쟁력순위

    14❙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 21

    여가경쟁력과 국가경쟁력

    한국

    뉴질랜드

    핀란드

    프랑스

    영국

    스웨덴

    대만

    노르웨이

    회귀분석에 의한 상관관계

    (Sig. 0.020)

    Y=0.705X+10.317

    여가경쟁력과 국가경쟁력 간에는 유의미한 양의 상관 관계가 있음

    22

    한국의 여가경쟁력 상대비교

    강중국 7개국* 의여가경쟁력지수

    평균 = 100

    강중국 7개국 평균을100으로 환산

    한국의여가경쟁력지수 = ?

    전략적벤치마킹

    조 동 성 ❙ 15

  • 23

    한국의 여가경쟁력 상대비교

    여가수요의 질

    100

    60

    40

    20

    0

    80

    여가생산조건

    정치사회적 기반

    여가 연관산업 및 인프라

    강중국 7개국 평균

    한국

    107.10

    93.30

    57.85

    63.11

    24

    여가경쟁력지수 분석

    16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 25

    여가생산조건: 시간

    87.20 84.19 86.84 83.85 85.74

    74.51

    63.69

    0.0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90.00

    100.00

    프랑스 핀란드 노르웨이 뉴질랜드 스웨덴 영국 한국

    시간 (평균근로시간, 평균수명)

    (지수)

    26

    여가생산조건: 금전

    금전적 여유 (생계비 수준, 1인당 GDP, 시간당 임금, 저축량 등)

    55.52

    47.24

    59.91

    52.12

    58.8953.93

    38.16

    0.0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프랑스 핀란드 노르웨이 뉴질랜드 스웨덴 영국 한국

    (지수)

    조 동 성 ❙ 17

  • 27

    여가수요의 질: 소비자 세련도

    73.0166.23

    60.9067.64

    76.99

    67.1072.45

    0.0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90.00

    프랑스 핀란드 노르웨이 뉴질랜드 스웨덴 영국 한국

    소비자 세련도 (질, 가격, 신제품, 브랜드, 디자인, 환경, 지적재산권 등)

    (지수)

    28

    여가 연관산업 및 인프라: 교통

    교통 (도로포장률, 자동차 수, 철도 수송, 민간항공기 수송, 해외 여행 등)

    (지수)

    61.44

    31.92

    39.60

    45.76

    53.77

    31.1134.04

    0

    10

    20

    30

    40

    50

    60

    70

    프랑스 핀란드 노르웨이 뉴질랜드 스웨덴 영국 한국

    18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 29

    여가 연관산업 및 인프라: 정보통신

    정보통신 (개인용 컴퓨터, 인터넷 이용자, E-readiness 지수, 통신산업 연간투자액 등)

    (지수)

    62.41 62.91 60.90 60.10

    76.7572.40 70.99

    0

    10

    20

    30

    40

    50

    60

    70

    80

    프랑스 핀란드 노르웨이 뉴질랜드 스웨덴 영국 한국

    30

    정치사회적 기반: 공교육

    공교육 (중등, 고등교육 취학률, 영어교육, IT교육 등)

    (지수)

    61.13

    80.8986.30

    76.19

    85.55

    67.46

    59.24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프랑스 핀란드 노르웨이 뉴질랜드 스웨덴 영국 한국

    조 동 성 ❙ 19

  • 31

    정치사회적 기반: 사회환경

    사회환경 (정치적 위험도, 민족문화, 혁신과 창조, 보상, 노사관계 등)

    (지수)

    64.7570.70

    73.9769.98

    80.61

    70.16

    45.97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프랑스 핀란드 노르웨이 뉴질랜드 스웨덴 영국 한국

    32

    정치사회적 기반: 정부정책

    여가에 영향을 미치는 정부정책 (자원배분 정책, 교육 정책, 수입분배 정책 등)

    (지수)

    50.52

    76.86

    63.9059.53

    67.81 65.36

    20.27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프랑스 핀란드 노르웨이 뉴질랜드 스웨덴 영국 한국

    20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 33

    한국의 여가경쟁력지수 분석

    강중국에 비해 한국은 여가경쟁력지수 낮음

    여가경쟁력지수의 구성요소별 불균형이 심함

    -수준 높은 여가 생활에 대한 국민들의 욕구가 높으며 관련 산업 및 인프라가 잘 갖추어진 편

    -그러나 여가 활동에 필요한 시간이 부족하고 금전적 부담이 크며 사회적으로 질적, 양적으로

    수준 높은 여가를 장려하는 문화가 정착하지 못함

    수준 높은 여가에 대한 욕구와 이를 충족하지 못하는 사회적 여건으로 인한 괴리가 생산성 하

    락과 국가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음

    -노동시간 단축을 통한 여가시간 확보

    -정부가 주택, 의료, 노후 보장 등 사회보장재정 확충을 통해 일반 국민의 여가 소비 확보

    -공교육을 통한 여가교육 확대, 노동에 대한 사회적 보상 증진, 양적 노동보다 질적 노동에 초점

    34

    정책 제안

    조 동 성 ❙ 21

  • 35

    여가시간 총량제

    해외사례: 중국/일본의 여가시간총량제

    중국 및 일본은 동양문화권에서 유사한 휴일 및 명절 체계를 갖고 있어 여가시간총량제에대한 실질적인 함의를 도출할 수 있음

    ○ 중국의 국경절(2005년 10월)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2 3 4 5 6 7 89 10 11 12 13 14 15

    법정휴일 1-2일이 주휴일과 겹치므로 4-5일을 휴무, 또한 6-7일을 휴무로하는 대신 주휴일인 8-9일을정상근무하여 연속휴가 보장

    ○ 일본의 황금연휴(2005년 5월)

    샌드위치데이였던 4일을 1992년부터 법정공휴일로 지정, 회사에 따라서 최장 7-10일의 연속휴가 보장

    일 월 화 수 목 금 토

    4/301 2 3 4 5 6 7

    4/29

    Source: 미래경쟁려연구자료, 산업정책연구원, 2007

    36

    여가시간 총량제

    한국의 추석 (2006년 10월)

    일 월 화 수 목 금 토

    7

    8 9 10 11 12 13 14

    연휴일 7일이 주휴일과 겹치므로 4일을 휴일로 지정하고 샌드위치데이인 10/2일을 연휴로하는 대신 다음 주휴일을 14일 정상근무하여 연속휴가를 보장

    한국의 추석 (여가시간총량제 도입의 경우)

    1 2 3 4 5 6

    일 월 화 수 목 금 토

    7

    8 9 10 11 12 13 14

    1 2 3 4 5 6

    한국에 여가시간총량제를 도입하는 경우 예시: 2006년 추석

    Source: 미래경쟁려연구자료, 산업정책연구원, 2007

    22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 37

    일과 삶의 균형▪통합 정책

    해외사례: 아일랜드 정부의 Work-Life Balance 위원회 설립

    위원회 구성: 아일랜드 국회, 총리실, 재정부, 법무부, 국무부, 기업⋅무역⋅고용부 등 정부부처 대표

    위원회 목표: 근로자에게는 고용과 삶의 다른 부분들을 균형있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 제시 및 실행하고 고용주에게는 근로자들의 생산성 향상을 통해 이익을 증진하

    도록 함

    위원회 활동: 기업에 Work-Life Balance 프로젝트 추진을 제시하고 지원함

    Work-Life Balance 프로젝트의 범주연간근로총시간제, 출퇴근시간 탄력제, 안식년제, 자진노동시간단축제, 온라인 근무, 아버지 육아휴직제도

    인재모집 용이

    근로연속성 증가, 이직률 하락에 따른 비용절감

    생산성 증가

    고용주

    Work-Balance 위원회가

    제시하는 프로젝트 참여 유인

    Source: 아일랜드 Work-Life Balace 위원회 홈페이지 www.worklifebalance.ie

    38

    일과 삶의 균형▪통합 정책

    국내사례: 유한킴벌리 4조2교대

    운용 방법: 두 조가 12시간씩 근무하고 맞교대하는 동안 나머지 두 조는 휴식을 취함. 그 다음에는 쉬고 있던 두 조가 작업에 투입되고 이전에 근무한 조는 쉬는 시스템.

    회사측

    4조 2교대제 실시 효과: 인력 고용과 감원 예방, 생산성 향상, 불량률 감소, 제품의질 향상, 팀 의식 고취, 직원들의 심리적 안정감

    4조 2교대제 실시 비용: 실시 전에 비해 인건비 부담 50% 상승

    근로자측

    여가시간 증가로 가정과 일상을 되찾음

    4조 2교대제로 증가한 여가시간을 이용해 회사에서 실시하는 직무교육과 교양교육을 받음

    조 동 성 ❙ 23

  • 39

    맺음말

    40

    결론

    한국은 노동 중심의 산업사회를 벗어나는 기로에 있으며 여가는 한국이 미래사회로 가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마주하게 되는 화두임

    -여가시간총량제

    -일과 삶의 균형 프로젝트

    여가경쟁력 강화는 궁극적으로 국가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지며 정부는 바람직한 여가경쟁력강화 전략을제시할 필요가 있음

    정책 제안 예시

    24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 41

    향후 연구 방향

    비교대상국가군의 확대를 통한 국가별 사회▪정치적 특징과 여가경쟁력 간의 분석

    여가경쟁력이 국가경쟁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화 연구

    해외 국가들의 여가정책 관련 벤치마킹 사례 추가 발굴

    국내 기업의 일과 삶 균형 정책 현황 조사

    조 동 성 ❙ 25

  • 주제발표 1한국인의 여가생활: 결과 발표

    윤 소 영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책임연구원)

  • 윤 소 영 ❙ 29

    Ⅰ.「2007 국민여가활동조사」의 개요

    □ 조사대상 - 10세 이상 전국민(제주도 제외)을 모집단으로 3000명 추출, 설문조사 실시

    □ 조사방법 - 조사원이 응답자중 직접 면접하여 조사표를 작성하는 1:1 직접면접조사

    □ 조사시기 - 2007년 5월 7일 ~ 6월 5일

    □ 표본설계방법 - 다단계집락표본 추출방법(multi-stage cluster sampling)

    □ 조사내용

    조사 내용

    □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 전체 조사대상자(N=3,000) 가운데 초·중·고등학교 재학생(N=473)과 그 외 성인

    (N=2527)으로 구분됨

  • 30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 전체 3,000명 중 남성이 49.5%, 여성이 50.5%로 여성이 남성의 비율보다 조금

    높고, 30, 40대의 비율이 다른 연령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으며, 기혼자가

    73.3%로 미혼자 23.1%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음

    - 주40시간근무제를 실시하는 직장인이 36%, 비실시 직장인이 64%로 주40시간근

    무제를 실시하지 않는 직장인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음

    - 고졸 이하의 학력소지자가 전체의 48.9%를 차지였으며, 직업은 서비스/판매직이

    31.3%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주부 18.3%, 사무직 11%의 순으로 높음.

    - 월평균 가구소득은 전체 평균 406만원 정도로, 통계청의 가계조사에 따른 전체

    평균인 325만 1천원1)보다 약 81만원 정도 높게 나타남

    인구통계학적 특성

    1) 가계조사 (2007년 1/4분기 가계수지 동향), 통계청.

  • 윤 소 영 ❙ 31

    Ⅱ. 「2007 국민여가활동조사」의 결과

    1. 여가에 대한 인식과 여가활동 참여실태

    1) 여가인식

    □ 여가인식은 여가에 대해 현재 주관적으로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가와 관련된 것으로, 학문적으로 정의되어지는 여가의 개념과 실제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여가

    의 개념을 비교하고자 직관적으로 연상되는 여가의 이미지를 조사함

    □ 여가인식은 여가활동, 여가개념, 주관적 느낌, 기능성, 자원인지 등 다양하게 나타남

    - 학문적으로 여가개념은 자유시간, 활동, 경험 등의 요소로 개념화 하는 것이 일

    반적임

    - 본 조사대상자들의 경우 여가이미지는 취미․오락활동, 관광활동, 스포츠활동, 휴식활동, 문화예술활동, 기타사회활동 등의 구체적인 ‘여가활동’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41.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휴식, 자유시간, 활동의 ‘여가개념’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31.9%, 여유로움, 자유로움, 즐거움 등의 ‘주관적 느낌’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20.1%로 나타났으며, 그 외 ‘기능성’이나 ‘여가자원’으로 인식하는 경우도 5% 미만의 비율로 나타남

    (N=3000)

    1. 취미오락활동 (40.6%)

    2. 관광활동 (26.9%)

    3. 스포츠활동 (16.5%)

    4. 휴식활동 (7.7%)

    5. 문화예술활동 (5.5%)

    6. 기타사회활동 (2.8%)

    여가의여가의 이미지이미지

    1. 휴식 (67.5%)

    2. 자유시간 (26.5%)

    3. 활동 (6.0%)

    1. 시간 (55.6%)

    2. 비용 (30.2%)

    3. 시설 (14.3%)

    1. 기분전환 (36.8%)

    2. 삶의질향상 (24.8%)

    3. 건강관리 (21.1%)

    4. 자기계발 (17.3%)

    1. 여유로움 (26.5%)

    2. 즐거움 (26.0%)

    3. 자유로움 (20.2%)

    4. 편안함 (18.4%)

    5. 상쾌함 (3.3%)

    6. 사치스러움 (3.0%)

    7. 설레임 (2.5%)

    여가개념

    31.9%

    여가자원

    2.1%

    기능및효용

    4.4%

    주관적느낌

    20.1%

    여가활동

    41.5%

    여가의 이미지(자유연상)

  • 32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 2006년 국민여가조사에서 국민들의 여가인식은 추상적인 ‘주관적 느낌’으로 여가를 인식하는 경우가 34.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2007년 국민여가조사에

    서는 구체적인 ‘여가활동’에 대한 비율이 작년의 31.4%에서 41.5%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여가의 이미지비교 (2006년․2007년 국민여가조사)

    - 이는 추상적이고 주관적이었던 국민들의 여가 인식이 구체적인 활동이라는 인

    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여가에 대한 관심과 여가활용에 대한

    실질적인 여가활동이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함

    - 여가인식의 순위에 있어서도 개별 응답으로는 2006년의 ‘휴식’이 총 3000명의 응답자 중 565명(18.8%)으로 압도적으로 높은 순위를 보인데 이어 2007년에도

    ‘휴식’의 개념이 643(21.4%)명으로 1위를 차지하고는 있으나, ‘여가활동’유형 중 취미․오락활동(n=509)과 관광활동(n=337)에 속하는 반응이 높게 나타남

    여가이미지(여가활동)

  • 윤 소 영 ❙ 33

    □ 여가인식에 대한 성별 비교- 성별에 따른 여가인식의 비교에 있어서는 남성(41.1%)과 여성(41.9%) 모두 여

    가를 구체적인 ‘여가활동’으로 가장 많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그룹 모두 여가활동 중 취미․오락활동에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냄

    - 특히, 여성(29.7%)은 남성(24.0%)에 비해 관광활동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

    고, 남성(19.7%)은 여성(13.4%)에 비해 스포츠활동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남

    - 구체적인 여가활동 비교에 있어서 2006년 조사에서 성별에 차이 없이 여행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던 반면 2007년 조사 결과, 성별에 차이 없이 취미․오락활동에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냄

    성별에 따른 여가인식(여가활동)

    □ 여가인식에 대한 성인․청소년 세대간 비교- 세대간에 따른 여가개념의 비교에 있어서는 성인(40.3%)과 청소년(48.1%) 모

    두 여가를 구체적인 ‘여가활동’으로 가장 많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청소년이 여가라는 개념을 ‘구체적인 활동’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았음

    - 두 그룹 모두 ‘여가활동’ 중 ‘취미․오락활동’에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특히 성인집단에서는 취미․오락활동(37.0%)과 관광활동(29.7%), 스포츠활동(17.5%)에서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는 반면 청소년들은 취미․오락활동(56.9%)에서 압도적으로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음

  • 34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성인․청소년에 따른 여가인식(여가활동)

    2) 가장 많이 경험한 여가활동

    □ 국민들이 현재 경험하고 있는 여가활동 전체를 파악하기 위하여 표로 제시된 여가활동에서 지난 1년 동안(2006년 5월 ~ 2007년 4월) 한번 이상 경험한 여가활

    동을 모두 표시하게 하였음

    - 표로 제시된 여가활동은 기존의 여가관련 실태조사와 여가관련 문헌에서 제시

    된 모든 활동들을 취합하여 중복되는 활동과 2006년 국민여가조사에서 1%미만

    으로 체크된 여가활동을 제외하고 총 90개(기타1항목 포함)를 제시하였음

    □ 지난 1년 동안 경험한 여가활동 중에서 TV시청/라디오 청취(95.2%)가 가장 많은 참여율을 보이고 있으며, 그 뒤를 목욕/사우나(84.2%) 낮잠(79.5%), 외식(76.6%),

    신문/잡지보기(70%), 가족 및 친지방문(66.3%), 산책(65.8%), 영화보기(62%),

    쇼핑61.6%), 찜질방(60.2%)이 차지

    - 상위 10위 안에 드는 이러한 활동들은 TV시청/라디오 청취, 목욕/사우나, 낮잠

    등 ‘휴식형 여가활동’과 외식, 가족 및 친지방문 등 ‘사교지향적 여가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어, 취미활동이나 체험형 여가활동에 대한 참여가 높지 않은 것으

    로 분석됨

    ⇒ “휴식 및 사교지향형 여가”- 2006년 국민여가조사 결과와 비교해보면, 큰 변화가 없는 가운데 가족 및 친지

    방문, 쇼핑, 찜질방이 새롭게 10순위 안에 진입하였음. 주40시간근무제의 확대

    시행 및 여가시간의 확대 등으로 여가활동이 가족들과 함께 이루어지는 ‘가족중심형 여가활동’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됨. 이와 함께 웰빙이라는 사회적 트렌드

  • 윤 소 영 ❙ 35

    의 영향으로 주로 이용하는 여가공간이 노래방에서 목욕 및 사우나와 기타 여

    가활동들을 함께 할 수 있는 멀티레저공간으로서 찜질방이 등장한 것이 눈에 띔

    ⇒ “가족중심 및 건강지향형 여가”- 이외에 TV시청/라디오 청취, 목욕/사우나, 낮잠, 외식, 신문/잡지보기, 영화보

    기, 산책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가장 많이 경험한 여가활동 10순위 안에 들어

    국민들이 주로 경험하는 여가활동으로 볼 수 있음

    2007년 여가활동별 경험여부 비율(지난 1년간)

    2006년 여가활동별 경험여부 비율(2005.5~2006.4)

  • 36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 작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 국민들은 한번이라도 경험한 여가활동을 8가지 여가활동 유형으로 분류했을 때, 취미․오락활동(31.4%), 휴식활동(22.8%), 관광활동(15.7%)의 순으로 여가활동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음

    2007년 여가활동 유형별 참여비율(지난 1년간)

    ▣ 문화예술활동 순위 : 영화보기(1순위), 사진촬영(2순위), 박물관관람(3순위)▣ 관광활동 순위 : 소풍/야유회(1순위), 드라이브(2순위) , 해수욕/바다감상(3순위)▣ 스포츠활동 순위 : 축구(1순위), 맨손체조/줄넘기(2순위), 당구/포켓볼(3순위)▣ 휴식활동 순위 : TV시청/라디오청취(1순위), 목욕/사우나(2순위), 낮잠(3순위)▣ 취미․ 오락활동 순위 : 외식(1순위), 쇼핑(2순위), 노래방가기(3순위)▣ 기타사회활동 순위 : 가족 및 친지방문(1순위), 계모임/동창회/사교모임(2순위), 잡담/통화하기(3순위)

    - 이는 여가에 대한 인식조사에서 국민들이 여가의 개념을 구체적인 활동 중 ‘취미․오락활동’으로 가장 많이 인식한 것과 일치되는 결과임

    - 즉, 우리나라 국민들은 여가활동 중 휴식활동, 사교지향형 활동을 가장 많이 하

    고 있지만, 전체 경험율을 살펴보았을 경우 취미오락활동의 비중이 가장 큰 것

    으로 조사됨

  • 윤 소 영 ❙ 37

    3) 스스로 인지한 가장 많이 하는 여가활동

    □ 비정기적 또는 참여도가 낮은 여가활동을 배제하기 위해 주로 경험하는 여가활동 5가지를 가장 빈도수가 높은 활동 순으로 5순위까지 표기하게 하였음. 또한

    그 활동에 대한 동반인, 참여빈도, 소요시간, 참여장소, 참여의지, 참여목적, 참

    여비용 등을 함께 조사하였음

    □ 상기의 방식으로 5순위까지의 여가경험을 집계한 결과, ‘TV시청/라디오 청취’(61.2%)가 가장 많고, ‘목욕/사우나’(26.9%), ‘영화보기’(22.7%), ‘등산’(21.2%), ‘음주’(19.3%) 의 순으로 나타남

    주여가활동 참여실태

    □ ‘TV시청/라디오 청취’는 모든 연령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특히 40대이상 연령층에서 타연령층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20대가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음. 또한, 미혼자보다는 기혼자들, 주40시간 근무제 실시자들보다는

    비실시자들의 ‘TV시청/라디오 청취’활동 비중이 높게 나타남

  • 38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 여가활동으로서의 TV 시청 ■

    □ 미국의 다국적 여론조사기관인 NOP월드는 2005년 6월 세계 30개국, 13세이상, 30,000명을 대상으로 조사된 ‘미디어 이용행태(Media Habits)’를 발표

    □ 이것은 한 주 동안의 TV시청, 라디오 청취, 인터넷 이용, 독서 평균 시간을 조사한 것으로서, 세계평균은 TV시청은 주당 16.6시간, 라디오 청취는 주당 8시간

    □ 우리나라의 주당 평균 TV시청시간은 미국, 영국, 일본, 프랑스에 비하여 상대적은 적은 15.4시간으로 31개국중 19위를 차지하였음

    국가별 주당 평균 미디어 이용 시간

    출처: NOP World 홈페이지,( 2005.6.15 발표)

    (http://www.nopworld.com/news.asp?go=news_item&key=179)

    NOP World Culture Score(TM) Index : Global Media Habits

    ■ 여가활동으로서의 TV 시청 ■

    □ 유럽 13개국의 시간사용에 관한 유럽통계연합(EUROSTAT)의『Time use at differrent stages of life』(2003)에서 유럽인의 ‘여가시간(자유시간)’은 하루에 평균 약 4시간 반에서 6시간 반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

  • 윤 소 영 ❙ 39

    □ 여기서 여가시간이란, ‘텔레비전-비디오 및 기타 매체 이용시간’, ‘레저시간(스포츠, 취미, 휴식, 그 외 기타 레저시간)’, ‘사교시간(사회참여활동, 사회생활, 오락과 문화)’, ‘자원봉사와 가족을 돕는 시간’을 의미

    □ 유럽 13개국 대부분의 나라에서 여가시간의 40%정도를 텔레비전 시청으로 보내고 있어, 텔레비전 시청이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여가시간의 중요한 부분을 차

    지하고 있음

    유럽 남녀의 여가시간과 비율

    벨기에 영국 노르웨이 덴마크 프랑스 핀란드 스웨덴

    연령 12-95세 8세 이상 10-79세 16-74세 15세이상 10세이상 20-84세

    시간 시간 시간 시간 시간 시간 시간

    자원봉사

    전체 0:09 0:10 0:09 0:13 0:13 0:14 0:12

    여성 0:08 0:12 0:09 0:11 0:12 0:14 0:12

    남성 0:09 0:09 0:09 0:16 0:15 0:15 0:13

    사교생활

    전체 1:02 1:07 2:02 1:21 0:55 1:04 1:10

    여성 1:05 1:13 2:15 1:26 0:55 1:08 1:15

    남성 0:59 1:02 1:49 1:16 0:54 1:00 1:04

    레저시간

    전체 1:13 1:06 1:18 1:00 0:53 1:23 1:20

    여성 1:08 0:57 1:13 0:51 0:41 1:12 1:13

    남성 1:18 1:15 1:23 1:11 1:06 1:36 1:27

    TV,

    비디오

    전체 2:18 2:26 1:57 1:58 2:07 2:16 1:53

    여성 2:12 2:16 1:45 1:51 2:02 2:08 1:45

    남성 2:24 2:37 2:10 2:06 2:12 2:26 2:02

    라디오,

    음악듣기,

    독서

    전체 0:39 0:33 0:44 0:34 0:29 0:58 0:43

    여성 0:34 0:33 0:47 0:34 0:28 1:00 0:45

    남성 0:44 0:33 0:41 0:33 0:30 0:56 0:41

    여행

    전체 1:23 1:24 1:15 1:15 0:55 1:08 1:23

    여성 1:16 1:21 1:10 1:14 0:51 1:06 1:20

    남성 1:31 1:27 1::20 1:15 1:00 1:11 1:27

    기타

    활동

    전체 0:05 0:11 0:09 0:03 0:03 0:14 0:06

    여성 0:07 0:12 0:06 0:04 0:02 0:12 0:06

    남성 0:05 0:08 0:09 0:04 0:02 0:13 0:06

    출처: European commission, ‘Time use at differrent stages of life - Results from 13 European countries', Eurostat, 2003, 7

    □ 통계청은 우리나라 국민의 주 당 TV시청 평균 시간을 조사하여 사회통계조사에 발표함

    □ 2004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은 주당 평균 TV시청시간은 22.2시간임

  • 40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우리나라 주 당 TV시청 시간

    (단위:시간)

    2004 평일 토요일 일요일

    전국 22.2 2.9 3.6 4.2

    출처 :통계청, [사회통계조사], 2004

    □ ‘목욕/사우나’는 청소년보다는 성인, 남성보다는 여성들의 여가활동 비중이 높았으며, 연령대별로는 30대이상에서 높은 비중을 보였고 특히, 60대이상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음. 또한, 미혼자보다는 기혼자들, 주40시간 근무제 실시자들

    보다는 비실시자들의 비중이 높게 나타남

    □ ‘영화보기’활동은 성인보다는 청소년, 남성보다는 여성들의 여가활동 비중이 높았으며, 연령대별로는 10-30대의 비중이 높았고 특히, 20대에서 비중이 가장 높

    았음. 한편, ‘영화보기’활동은 앞의 ‘TV시청/라디오 청취’, ‘목욕/사우나’와는 달리 기혼자보다는 미혼자들, 주40시간 근무제 비실시자들보다는 실시자들의 비중

    이 높게 나타남

    □ ‘등산’활동은 청소년에 비하여 성인의 비중이 월등히 높았으며, 여성보다는 남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음. 연령대별로는 40대의 비중이 높았고 특

    히, 50대에서 비중이 가장 높았음. 또한, 미혼자보다는 기혼자들, 주40시간 근

    무제 비실시자들보다는 실시자들의 비중이 높게 나타남

    □ ‘음주’활동은 여성에 비하여 남성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20-50대에서 골고루 높게 나타남. 기혼보다는 미혼자들의 ‘음주’활동 비중이 높았으며, 주로 친구나 직장동료와 하는 것으로 나타남

    - 음주는 대부분 대인관계와 스트레스 해소를 목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모든

    연령층에서 ‘어쩔 수 없이 참여한다’라는 응답이 다른 여가활동에 비하여 높게 나타남

    □ 주40시간 근무제를 실시하지 않는 응답자들의 경우 ‘TV시청/라디오 청취’, ‘목욕/사우나’ 등 휴식지향형 여가활동의 비중이 주40시간 근무제 실시하는 응답자들에 비하여 높았음

  • 윤 소 영 ❙ 41

    ▣ 여가활동 참여 특성 ▣

    (1) 성별 여가활동 특성

    □ 성별 여가활동 특성을 살펴보면, 남성은 ‘신문/잡지보기’, ‘등산’활동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여성은 ‘목욕/사우나’, ‘산책’ 활동의 비중이 높음

    - 남성들은 음주(38.3%), 신문/잡지보기(29.8%), 등산(29.2%) 등의 여가활동에

    여자보다 더 많이 참여하는 경향을 나타냄

    - 여성들은 목욕/사우나(36.1%), 산책(26.1%), 계모임/동창회/사교모임(24%)

    등의 활동에서 남성보다 더 많이 참여하는 경향을 나타냄

    성별 여가활동 특성

    0.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목욕/사우나 등산 음주 산책신문/

    잡지보기

    계모임/동창회/

    사교모임

    (단위: %)

    21.4

    36.1

    29.2

    19.9

    38.3

    8.0

    19.4

    26.1

    29.8

    12.4

    16.7

    24.0

    남자

    여자

    남자

    여자

    □ 남성 - 여가생활에 일이 미치는 영향 더 커 (일과 여가의 관련성이 큼)- 남성들은 일이 여가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여성보다 더 큰 경향

    - 주중에는 직장생활의 연장선에서 음주, 자기계발을 위한 신문/잡지보기를 하

    며, 주말에 하는 여가활동(예를 들어 등산)에 있어서도 직장동료와의 활동 비

    율이 여자보다 높음

    - 따라서 일이 여가에 미치는 영향이 여자보다 크다고 볼 수 있으며, 대인관계

    관리나 자기계발의 측면에서 여가생활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음

  • 42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 여성 - 가족, 친구들 등 사적영역에서의 여가활동 중시 - 반면 여자들은 일과의 연관성이 적은 여가활동에 있어서 남성들보다 상대적

    으로 높은 활동 비율을 보이며, 주요한 여가활동들이 개인의 영역안에서 이루

    어짐- 일이 여가에 미치는 영향이 남성에 비해 적은 여성들은 개인의 즐거움

    과 휴식 등 보다 여가 본연의 목적에 충실한 여가활동을 영위하고 있음

    - 계모임/동창회/사교모임의 경우도 남성이 인맥관리를 위한 목적이 큰 것에 비

    해 여성들은 스트레스해소를 위해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남

    (2) 세대별 여가활동 특성

    □ 10대 - 온라인 중심, 가족․친구들과 함께 하는 활동 많아 - 10대 청소년은 TV시청 및 라디오 청취(58.8%), 게임(50.7%), 인터넷 서핑

    (32.6%), 미니홈피 및 블로그 관리(29.2%) 순으로 나타나 ‘온라인 공간’에서의 여가활동 비율이 다른 세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으며, 이러한 여가활동을

    주로 또래집단인 친구들과 하고 있음

    - 한편, 목욕/사우나, 등산이나 외식과 같은 여가활동은 주로 가족들과 함께 하

    는 경우가 많은 것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10대의 경우는 동반자에 따라 활

    동영역이 달라짐

    동반자에 따른 청소년 여가활동 특성

    0.0

    10.0

    20.0

    30.0

    40.0

    50.0

    27.6

    64.5

    5.9

    72.5

    3.6

    85.7

    (단위: %)

    목욕/사우나 등산 외식

    혼자

    60.0

    70.0

    80.0

    90.0

    7.9

    17.6

    10.7

    가족 친구

  • 윤 소 영 ❙ 43

    □ 20대 - 친구들과의 여가활동이 증가, 온라인에서 outdoor로 이동 - 학업에서 해방되고 미혼인 경우가 많은 20대의 경우 10대에 비해서 가족과 함께

    즐기는 여가활동이 줄어들고, 동반인으로서 친구들이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됨

    - 10대들이 목욕/사우나, 산책을 가족과 하는 것에 반해, 20대들은 혼자서 즐기

    고 있어 가족의 테두리에서 벗어서 여가시간을 보내는 경향을 보임

    - 입시에서 해방된 20대들은 개방된 실외공간에서 다양하고 새로운 여가활동을

    체험하고 있어, 온라인 공간과 실외공간 모두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음

    - 주로 친구들과 영화보기(83.6%), 등산(55.0%), 음주(84.0%), 외식(50.0%) 등

    의 여가활동을 즐김

    □ 30대 - 다양하고 적극적인 여가활동 즐겨 - 30대는 활발한 사회활동과 건강한 체력, 독립적인 경제력을 바탕으로 적극적

    이고 다양한 여가활동을 즐김

    -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다양하고 새로운 여가활동에 많이 도전함

    - 주40시간 근무제 실시자들이 상당수가 포함된 30대는 주말 뿐 아니라 직장에

    서 퇴근 후의 여가시간을 활용하여 자신에게 맞는 다양한 취미 활동을 즐기고

    있음

    □ 40대 - 사교적 여가활동 참여비율 높아, 동료와 가족과 여가활동 즐김 - 40대는 청년기에서 중년기로 넘어가는 과도기로서 사회적인 활동의 범위가

    절정에 이르는 시기. 등산, 음주, 계모임/동창회/사교모임의 비율이 높아지

    고, 동시에 가족들과의 여가활동 비율도 높음

    □ 50대 - 여가활동이 소극적으로 변해 - 50대는 신체적으로 쇠퇴하고 사회적 활동의 폭도 줄어들기 시작하며 자녀들

    의 교육비가 급격히 증가하는 시기로 여가활동에 있어서도 참여율이 낮아지

    는 소극적인 여가행태를 보임

    □ 60대 - 은퇴 후 늘어난 여가시간, 사적모임 증가 - 60대에는 사회적인 은퇴기에 접어들었고 신체적으로 쇠락하고 경제력도 감소

    하기 때문에 적극적 여가활동은 줄어들지만 늘어난 여가시간을 활용하기 위

    해서 TV시청/라디오청취, 목욕/사우나, 낮잠 등의 소극적인 여가활동, 그리

    고 사적이고 익숙한 사람들과의 여가활동이 증가

    - 외식과 영화보기는 비자발적인 동기에 의해서 참여하는 비중이 높았음

  • 44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세대별 여가활동 특성

    10대의 여가활동 특성

    T VT V시청시청 //

    라디오라디오 청취청취

    (58.8%)(58.8%)

    10대

    게임게임

    (50.7%)(50.7%)

    인터넷인터넷 서핑서핑

    (32.6%)(32.6%)

    미니홈피미니홈피 //

    블로그블로그 관리관리

    (29.2%)(29.2%)

  • 윤 소 영 ❙ 45

    (3) 소득별 여가활동 실태

    □ 전체적으로는 소득이 증가할수록 휴식활동이나 기타사회활동을 제외한 대부분의 여가활동에 있어서 절대적인 여가경험의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

    다. 즉, 월평균가구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응답자는 지난 1년간 전체 여가활동

    (90가지) 중 평균 11.5가지의 여가경험을 하였고, 500만원 이상의 소득자들은

    전체 여가활동 중 평균 22.6가지의 여가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남

    소득에 따른 여가활동 참여

    □ 월평균 가구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응답자의 경우 집단 내에서 문화예술관람활동, 스포츠참여활동, 취미․오락활동 등 여가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활동이 다른 집단에 비해서 현저히 낮은 반면 휴식활동의 비율은 월등히 높은 경향을 보였음

  • 46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소득에 따른 여가활동 유형별 참여비율

    (4) 동반인․참여빈도․참여장소․참여목적에 따른 여가활동 특성 □ 여가활동에 따라서 동반인의 형태가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10순위 이내의 여가

    활동 중에서 낮잠(97.1%), 신문/잡지 보기(93.3%) 등의 개인적인 활동을 제외

    하고는 대부분의 경우에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여가를 즐기는 것으로 나타남

    - 직장동료는 20대에 직장생활을 시작하면서부터 여가활동 동반인으로 새롭게

    등장하여, 30~50대까지 등산, 음주 등의 여가활동의 주요한 동반자로 나타

    남. 은퇴 후인 60대에 들어서는 직장동료 대신 친구들로 동반자가 대체됨

    □ 동반인에 따른 여가활동 특성을 살펴보면, ‘TV시청/라디오 청취’활동은 가족과 함께(55.7%)하거나 혼자서(42.9%)하는 비중이 높았고, 기혼자는 가족과 함께

    하는 비중이 높았으며, 미혼자는 친구들과 하는 비중이 높았음.

    - ‘목욕/사우나’의 경우는 혼자서(55.5%)하는 경우와 가족과 하는 경우(31.5%)가 높았음

    - ‘영화보기’는 친구(61.9%)와 함께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10대(80.9%), 20대(83.6%)는 친구와 영화보는 비율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기혼자는

    가족과 미혼자는 친구와 활동을 하고 있었음

    - ‘등산’의 경우는 친구, 가족과 함께하는 비중이 높았으며, 10대의 경우는 가족과(72.5%), 20대는 친구와(55.0%)와 하는 비중이 높았음.

  • 윤 소 영 ❙ 47

    - 음주의 경우 친구(72.2%), 직장동료(19%)들과 하는 비중이 높았음

    - 산책은 ‘가족(43.3%)과 함께’ 또는 혼자서(37.4%)하는 비중이 컸으며, 미혼자의 경우는 혼자서(52%)산책을 하는 경우가 많았음

    - 외식은 대부분 가족(80.3%)과 함께 하고 있었으며, 20대의 경우는 친구와

    (50%)의 비율 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미혼자는 가족보다 친구(56.5%)와 외

    식을 하는 경우가 많았음

    □ 참여빈도에 따라 살펴보면, ‘TV시청/라디오 청취’활동(82.2%)과 ‘신문/잡지보기’(70.8%)는 매일 이루어지는 여가활동으로 나타났고, ‘TV시청/라디오 청취’의 경우는 연령이 높을수록 매일 하는 비율이 높았음

    - ‘목욕/사우나’(74.7%), ‘등산’(50.2%), 산책(42.1%), 계모임/동창회(70.8%)의 경우는 주기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음

    - 이외에 ‘영화’(60.4%), ‘음주(61.6%)’, ‘낮잠(51.9%)’, ‘외식’(56.6%)의 경우는 비정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높았음

    □ 주요여가활동들은 일정한 장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음. 여가활동 참여장소에 따라 살펴보면, ‘목욕/사우나’, ‘영화’, ‘음주’, ‘외식’, ‘계모임/동창회’의 경우는 실내여가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으며, ‘TV시청/라디오 청취’와 ‘신문/잡지’는 집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음

    □ 여가활동 목적별로 살펴보면, ‘TV시청/라디오 청취’의 경우는 ‘개인의 즐거움(52.1%)’, ‘시간 때우기가(19.8%)’가 높은 비중을 차지함

    - ‘목욕/사우나’(53.2), ‘등산’, ‘산책’의 경우는 ‘건강을 위해서’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음.

    - ‘영화’, ‘외식’의 경우는 ‘개인의 즐거움을 위해서’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됨 - ‘음주’의 경우는 ‘대인관계(43.3)’, ‘스트레스 해소(36.7)’가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함

    - ‘낮잠’의 경우는 ‘마음의 안정과 휴식(44.7)’, ‘건강(35.7)을 위해서’ 하는 경우가 많은 비중을 나타냈음

    - ‘신문/잡지’는 ‘자기발전/자기계발(57.2)을 위해서’ 하는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50대(16.4), 60대(12.1)의 경우 ‘시간을 때우기 위해서’가 상대적으로 높음

    - ‘계모임/동창회’의 경우는 ‘대인관계/교제를 위해(77.6)’의 경우가 높은 비중을 보임

  • 48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2. 주40시간 근무제의 영향

    1) 주40시간 근무제와 삶의 질

    □ 주40시간 근무제의 실시유무에 대한 질문은 직업분류(통계청, ’한국표준직업분류‘)상의 직업 중 주부, 농업/어업, 학생, 정년퇴직, 연금생활자, 무직을 제외한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비실시 집단에는 이들을 제외한 근로자 중 주40

    시간근무제에 해당되지 않는 사람들이 속함

    □ 주 40시간 근무제 실시 경험율은 전체의 36% 정도임- 주40시간 근무제를 많이 경험하고 있는 집단은 40대 남성 집단으로 나타나, 30

    대 남성 집단이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던 2006 국민여가활동조사와 차이를 보임

    - 작년에 이어 남성(37.7%)이 여성(33.3%)보다 높은 주 40시간 근무제 경험율을 보임

    주40시간 근무제 실시율

    □ 자신이 행복하다고 느끼는 정도를 측정(10점 척도)한 결과, 주 40시간 근무제를 실시하는 응답자의 행복정도(7.15)가 실시하지 않는 응답자(6.77)에 비해 상대적

    으로 높게 나타남

    행복 정도

  • 윤 소 영 ❙ 49

    □ 여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주40시간 근무제 실시자들(98.1%)은 미실시자들(92.4%)에 비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음

    여가와 삶의 질

    □ 여가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 대해 주40시간 근무제 실시자들(40.7%)은 미실시자들(33.6%)에 비해 여가생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음. 또

    한, 주 40시간 근무제 실시자들의 59.5%는 주40시간 근무제 실시 이후 여가생

    활 만족도가 증가

    여가생활 만족도

  • 50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주40시간근무제 실시이후의 여가생활 만족도

    □ 따라서 주40시간 근무제라는 제도적 여가환경이 국민의 삶과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됨

    2) 주40시간 근무제 실시자들의 여가활동

    □ 주 40시간 근무제를 실시하고 있는 집단의 68.1%가 주 40시간 근무제로 인하여 전체 여가시간이 증가하였다고 응답함

    주 40시간 근무제 실시에 따른 전체 여가시간의 변화

  • 윤 소 영 ❙ 51

    - 30대 응답자와 기혼응답자의 경우 전체 여가시간이 증가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음

    - 시간에 따른 여가활동의 변화여부는, 응답자의 49.7%가 ‘휴일의 여가활동이 증가’ 하였다고 응답함

    □ 스스로 인지한 가장 많이 하는 여가활동에 대한 참여 실태를 비교해 본 결과 주40시간 근무제 실시자는 비실시자들보다 ‘영화보기’, ‘등산’활동과 같은 문화예술관람, 취미, 오락 활동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고 비실시자는 ‘TV시청/라디오 청취’, ‘목욕/사우나’활동과 같은 휴식활동의 비중이 높게 나타남

    스스로 인지한 가장 많이 하는 여가활동 참여 실태

    □ 주40시간 근무제에 따른 긍정적인 변화로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의 증가’를 꼽았음 - 이러한 응답은 주 40시간 근무제를 실시하는 연령이 가장 많은 30대~50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주 40시간 근무제 이후 ‘가족 중심형 여가활동’ 경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임

    - 한편, 20대 연령층과 60대 이상 연령층의 경우 ‘자기 계발을 위한 시간’이 증가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다른 연령 대에 비해 높게 나타남

    - 현재 주40시간 근무제를 실시하고 있지 않은 집단이 주40시간 근무제 시행 후

  • 52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예상되는 긍정적인 효과로 미혼 응답자의 52.8%는 ‘자기계발을 위한 시간의 증가’를, 기혼 응답자의 46.8%는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 증가’를 꼽았음

    -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 증가’라고 응답한 응답자는 30-50대 응답자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함

    주40시간 근무제로 인한 긍정적인 변화

    □ 주 40시간 근무제 새롭게 시작한 여가활동이 있는 응답자의 경우, 스포츠참여활동과 취미․오락활동에 대한 응답이 높게 나타남.

    -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 스포츠참여 활동이, 여성의 경우 취미․오락활동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남. 결혼여부에 따른 결과에서는 미혼의 경우 스포츠

    참여 활동을, 기혼의 경우 오락․취미활동에 대한 선호차이를 보임.

  • 윤 소 영 ❙ 53

    주 40시간 근무제 실시 후 새로 시작한 여가활동

    □ 주 40시간 근무제에 따른 부정적인 변화로는 ‘가계소비지출의 증가’를 꼽았다 - 주 40시간 근무제를 실시하는 30대 응답자와 미혼 응답자의 경우 ‘월요일이 피

    곤’ 하다는 응답을 각 11.4%와 10.8%로 응답함. 이는 앞에서 논의한 30대 응답자와 미혼 응답자의 적극적인 여가활동 참여가 높기 때문으로 보임

    - 주 40시간 근무제를 실시하는 기혼 응답자와 여성 응답자의 경우, 다른 응답자

    와 다르게 주 40시간 근무제 실시 이후 ‘가사 일이 많아졌다’ 는 응답이 나타남

    주 40시간 근무제로 인한 부정적인 변화

  • 54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3) 주5일 수업제 도입과 청소년의 여가환경

    주5일 수업제의 도입; 주5일 수업제는 2004년 일부 학교에서의 시범기간을 거쳤고,

    전국의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2005년에는 월 1회, 2006년부터 2007년 현재까지 월2회씩 시행하고 있음(교육인적자원부, 2006.11. “07학년도 주5일 수업제 시행계획”)

    (1) 여가시간의 증가

    □ 주5일 수업제의 도입으로 청소년들의 여가시간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주5일 수업제가 실시되는 토요일을 포함하는 휴일의 여가활동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음

    주5일 수업제에 따른 여가시간의 변화

    (2) 여가 만족도의 증가

    □ 주5일 수업제의 실시이후, 여가생활 만족도에 있어서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는 비율은 51.6%(크게 증가; 8.9%, 약간 증가; 42.7%)로 대체로 여가생활 만족도가

    증가하였음. 이는 2006년의 40.8%(크게 증가; 9.4%, 약간 증가; 31.4%)보다 증

    가한 수치임

  • 윤 소 영 ❙ 55

    주5일 수업제에 따른 여가 만족도 변화

    (3) 주5일 수업제에 따른 청소년 여가활동실태

    □ 주5일 수업제의 실시 후 새로운 여가활동을 시작한 비율은 13.7%인데 반해 새로운 여가활동을 시작하지 못한 비율은 86.3%를 차지.

    주5일 수업제 이후 새로 시작한 여가활동 유무

  • 56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 원하던 여가활동을 시작하지 못한 이유로는 ‘다른 일을 해야 한다는 심리적 부담감(28.2%)’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여가활동비용 부담(20.1%)’ 등의 응답이 있었음.

    - 이는 2006년에 새로 시작한 여가활동이 없는 이유에 대해서 ‘비용 때문에(25.6%)’, ‘마땅히 할 장소가 없어서(18.0%)’, ‘다른 일을 해야 한다는 심리적 부담감(17.5%)’의 순서로 나타난 것과는 차이가 있음

    새로 여가활동을 시작하지 못하는 이유

    - 학년이 올라갈수록 새로운 여가활동을 시작한 경험은 줄어드는 반면, ‘다른 일을 해야 한다는 부담감’을 그 이유로 응답한 비율이 높아지는 것을 종합하여 판단한다면, 학업과 관련한 부담감이 청소년들의 여가활동에 많은 제약을 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청소년들이 새로운 여가활동을 하지 못하는 이유인 “다른 일”을 해야 한다는 부담감은 바로 사교육에 대한 부담감으로 볼 수 있음. 현대리서치연구

    소가 2006년 9월 실시한 ‘주5일 수업제 만족도 조사’에 따르면 토요 휴무일에 학원이나 개인과외를 수강하는 학생이 그 전에 비해 32.8%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윤 소 영 ❙ 57

    ■ 초․중․고생 주5일 수업제 실시 후 ■

    청소년들이 주5일 수업제 이후 남는 여가시간을 대부분 사교육에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국가청소년위원회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지난해 11월 전국 초·중·고생 3205명을 대상으로 청소년활동참가실태를 조사한 결과 방과 후 여가시간의 활용은

    학원, 과외 등 사교육이 57.9%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집에서 무료하게 지내거나

    (15.9%) 게임(10.2%)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청소년시설이나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및 동아리 등의 참

    여비율은 전체의 4.7%에 불과했다. 학교의 방과 후 프로그램(5.1%)을 포함해도 순수

    활동 참가는 10%를 밑돌았다.

    주5일 수업제 실시 후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횟수에 대해 별로 달라지

    지 않았다는 응답(62.5%)이 과반수를 넘었다.

    청소년활동이 늘지 않은 이유로는 사교육 비중이 늘었기 때문(25.6%), 마땅한 프로

    그램이 없기 때문(25.1%)으로 분석됐다. 특히 학원에 가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30.6%

    로 중학교 1학년에서 가장 높게 나왔다. 적합한 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대답은 고교

    2학년에서 32.7%를 차지하는 등 학령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같은 참여활동 저조는 학생과 학부모가 여전히 학교성적과 입시에 대해 큰 부

    담을 안고 있어 상대적으로 여가활동에 대해 비중을 두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자료: http://www.daejonilbo.com/)

    => 그러나 상기 내용과 같은 2007년 여가조사의 결과에 따른다면 학생들은 여

    전히 증가한 여가시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체험의 기회를 갖지 못하고 있으

    며, 여가시간의 활용에 있어서 자기 주도적인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부담감

    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남. 이러한 결과에 따르면 교육인적자원부의 주5일 수

    업제의 도입 목적에서의 이상과 현실은 거리가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음

    ■ 07학년도 주5일 수업제 시행계획(교육인적자원부. 2006.11) ■ -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

    - 개인의 행복과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미래 지향적 교육 실시

    - 가족간 유대 증진, 사회체험을 통한 바람직한 인성 함양

  • 58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4. 여가정책의 방향

    1) 여가정책의 필요성

    □ 여가생활을 위한 정부의 정책이 ‘반드시 필요하다’(63.7%)라는 응답이 ‘필요없다’(4%)라는 응답에 비해 월등히 높은 응답율을 보여, 정부의 적극적인 여가정책 실행을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됨

    여가정책의 필요성

    2) 여가정책의 방향

    □ 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여가시설 확충 및 개방’(45.9%)이 필요하다라는 응답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뒤로 ‘건전한 여가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21%), ‘소외계층을 위한 여가생활 지원’(12.2%), ‘여가관련 전문인력 양성 및 배치’(7.4%)로 조사됨

  • 윤 소 영 ❙ 59

    여가정책의 방향

    3) 생활권 건립 희망시설

    □ 향후 정부에서 생활권내 시설을 건립하고자 할 때, 가장 우선적으로 배치되어야 할 시설로 복지시설(39%)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그 다음으로 여가시설(28%),

    의료시설(22.8%)의 순으로 나타남

    건립 희망 시설

  • 60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 가장 많이 이용하는 공공여가시설로 전체 68.8%의 응답자가 ‘근린공원/생활체육공원’이라고 응답하였으며, 그 다음 순위로 나타난 ‘국민체육센터(23.7%)’, ‘문화예술회관(22.0%)’, 국공립도서관(21.6%)’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비중임

    - 세대별로 살펴보면, 10대는 국공립도서관, 20대는 문화예술회관, 30대는 동물

    원/식물원, 40대는 국민체육센터․산림욕장, 50대는 근린공원/생활체육공원, 60대는 종합사회복지관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세대별 특성화된 서비스

    제공이 요구됨

    □ 특정 여가시설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이유로는 집과의 근접성, 그 다음으로 저렴한 비용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남

    □ 가장 이용하기를 희망하는 공공 여가시설에 대해 근린공원/생활체육공원(25.7%), 국민체육센터(16.1),문화예술회관(11.8%)순으로 나타나 현재 가장 많이 이용하는

    시설과 향후 이용희망 시설이 동일하게 조사됨

    1순위 공공 여가시설 이용율, 이용희망율

  • 윤 소 영 ❙ 61

    Ⅲ. 결 론

    □ 한국인은 여가로 인해 얼마나 행복할까?○ 주40시간 근무제를 실시하는 응답자들은 주40시간 근무제를 실시하지 않는 응답

    자에 비해 자신이 행복하다고 느끼는 행복정도, 삶의 만족도, 여가만족도에서 모

    두 높게 나타나 주40시간 근무제라는 제도적 여가환경이 국민의 삶과 행복에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음

    - 자신이 행복하다고 느끼는 정도를 측정한 결과, 주 40시간 근무제를 실시하는

    응답자의 행복정도(7.15)가 주40시간 근무제를 실시하지 않는 응답자(6.77)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음(10점 척도)

    - 여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주40시간 근무제 실시자들(98.1%)은

    미실시자들(92.4%)에 비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음

    - 여가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 주40시간 근무제 실시자들(40.7%)은

    미실시자들(33.6%)에 비해 여가생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음. 또한,

    주 40시간 근무제 실시자들의 59.5%는 주40시간 근무제 실시 이후 여가생활

    만족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음

    □ 여가인식과 여가활동 실태○ 2006년에는 여가를 추상적이고 주관적인 개념(34.5%)으로 가장 많이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2007년 국민여가조사에서는 여가를 ‘구체적인 활동’(41.5%)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여가에 대한 인식이 보다 구체적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음

    - 구성개념의 순위에 있어서도 2006년의 ‘휴식’이 총 3000명의 응답자 중 565명(18.8%)으로 압도적으로 높은 순위를 보인데 이어, 2007년에도 ‘휴식’의 개념이 643명(21.4%)으로 1위를 차지하고는 있으나 취미․오락활동(n=509)과 관광활동(n=337)과 같은 구체적인 여가활동에 대한 인지도가 크게 상승함

    ○ 이는 추상적이고 주관적이었던 국민들의 여가의 개념이 구체적인 활동이라는 인식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여가에 대한 관심과 여가활용을 위한 실질적

    인 활동이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함

    ○ 지난 1년동안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많이 경험한 여가활동은 TV시청/라디오 청취, 목욕/사우나, 낮잠 등 ‘휴식형 여가활동’과 외식, 가족 및 친지방문 등 ‘사교지향적 여가활동’으로 나타났으며, 주40시간근무제의 확대시행 및 여가시간의

  • 62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증가 등으로 ‘가족중심형 여가활동’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됨 - 이와 함께 웰빙이라는 사회적 트렌드의 영향으로 주로 이용하는 여가공간이 노

    래방에서 목욕 및 사우나와 기타 여가활동들을 함께 할 수 있는 다목적 복합여

    가공간으로서 찜질방이 등장한 것이 눈에 띠는 현상

    ○ 작년 한 해 동안 한번이라도 경험한 여가활동을 문화예술활동, 관광활동, 스포츠활동, 휴식활동, 취미․오락활동, 기타사회활동 등 여가활동 유형으로 분류했을 때, 우리나라 국민들은 취미․오락활동(31.4%), 휴식활동(22.8%), 관광활동(15.7%)의 순으로 여가활동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음

    ○ 여가활동 참여특징을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들은 직장생활의 연장선에서 여가활동을 하며 여성들은 가족, 친구들 등 사적영역에서의 여가활동을 중시하는 것으

    로 나타났음

    - 남성들은 일이 여가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여자보다 더 큰 경향을 나타내 주중

    에는 직장생활의 연장선에서 음주, 자기계발을 위한 신문/잡지보기를 하며, 주

    말에 하는 여가활동(예를 들어 등산)에 있어서도 직장동료와의 활동 비율이 여

    자보다 높음. 따라서 일이 여가에 미치는 영향이 여성보다 크다고 볼 수 있으

    며, 대인관계 관리나 자기계발의 측면에서 여가생활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음

    - 반면, 여성들은 일과의 연관성이 적은 여가활동에 있어서 남성들보다 상대적으

    로 높은 활동 비율을 보이며, 주요한 여가활동들이 개인의 영역 안에서 이루어

    짐. 일이 여가에 미치는 영향이 남성에 비해 적은 여성들은 개인의 즐거움과 휴

    식 등 보다 여가 본연의 목적에 충실한 여가활동을 영위하고 있음

    ○ 여가활동 참여특징을 세대별로 살펴보면, 10대는 온라인 중심, 20대는 온라인에서 실외(outdoor)로 이동, 30대는 다양하고 적극적인 여가활동, 40대는 사교적

    여가활동, 50대는 소극적 여가활동, 60대는 사적모임 중심으로 여가활동이 이루

    어져 세대별로 여가활동 특성이 뚜렷한 것으로 분석되었음

    - 10대 : 온라인 중심, 가족․친구들과 함께 하는 활동 많아- 20대 : 친구들과의 여가활동이 증가, outdoor중심 여가

    - 30대 : 다양하고 적극적인 여가활동 즐겨

    - 40대 : 사교적 여가활동 참여비율 높아, 동료와 가족과 여가활동 즐김

    - 50대 : 여가활동이 소극적으로 변해

    - 60대 : 은퇴 후 늘어난 여가시간, 사적모임 증가

    ○ 여가활동 참여특징을 소득별로 살펴보면, 소득이 많을수록 보다 적극적으로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난 1년간 월평균가구소득이 500만원 이상의

  • 윤 소 영 ❙ 63

    응답자들(평균 22.6가지)은 100만원미만인 응답자들(평균 11.5가지)에 비해 2배

    이상 많은 여가경험을 한 것으로 조사되었음. 아울러 월평균가구소득 100만원미

    만인 응답자들은 다른 집단에 비해서 휴식활동의 비율은 현저히 높은 경향을 나

    타내었음

    - 전체적으로는 소득이 증가할수록 휴식활동이나 기타사회활동을 제외한 대부분

    의 여가활동에 있어서 절대적인 여가경험의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

    음. 또한, 월평균 가구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응답자들은 문화예술관람활동,

    스포츠참여활동, 취미․오락활동 등 여가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활동이 다른 집단에 비해 현저히 낮은 반면 휴식활동의 비율은 현저히 높았음

    ○ 주5일 수업제의 도입으로 청소년들의 여가시간과 여가만족도는 증가하였으나, ‘다른일을 해야한다는 심리적 부담’으로 적극적인 여가활동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 주5일 수업제의 실시이후, 여가생활 만족도에 있어서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는

    비율은 51.6%(크게 증가; 8.9%, 약간 증가; 42.7%)로 대체로 여가생활 만족도

    가 증가하였음

    - 주5일 수업제의 실시 후 새로운 여가활동을 시작한 비율은 13.7%인데 반해 새

    로운 여가활동을 시작하지 못한 비율은 86.3%를 차지하였으며, 원하던 여가활

    동을 시작하지 못한 이유로는 ‘다른 일을 해야 한다는 심리적 부담감(28.2%)’이 가장 많았음

    □ 여가시대의 여가정책의 방향○ 여가생활을 위한 정부의 정책이 ‘반드시 필요하다’(63.7%)라는 응답이 ‘필요없

    다’(4%)라는 응답에 비해 월등히 높은 응답율을 보여, 정부의 적극적인 여가정책 실행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여가시설 확충 및 개방’(45.9%)이 필요하다라는 응답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뒤로 ‘건전한 여가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21%), ‘소외계층을 위한 여가생활 지원’(12.2%), ‘여가관련 전문인력 양성 및 배치’(7.4%)로 조사되었음

    ○ 향후 정부에서 생활권내 시설을 건립하고자 할 때, 가장 우선적으로 배치되어야 할 시설로 복지시설(39%)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그 다음으로 여가시설(28%),

    의료시설(22.8%)의 순으로 나타남

    ○ 가장 많이 이용하는 공공여가시설로 전체 68.8%의 응답자가 ‘근린공원/생활체육

  • 64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공원’이라고 응답하였으며, 그 다음 순위로 나타난 ‘국민체육센터(23.7%)’, ‘문화예술회관(22.0%)’, 국공립도서관(21.6%)’이 차지하였음. 가장 이용하기를 희망하는 공공 여가시설에 대해 근린공원/생활체육공원(25.7%), 국민체육센터(16.1),문

    화예술회관(11.8%)순으로 나타나 현재 가장 많이 이용하는 시설과 향후 이용희

    망 시설이 동일하게 조사됨

  • 토 론

    ․ 토론자: 정 준 영(방송통신대 문화교양학과 교수) 이 창 현(국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유 지 곤(체육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정 준 영 ❙ 67

    ❙토론 ①❙

    [2007 여가활동조사]에 대한 토론문

    정 준 영

    (방송통신대 문화교양학과 교수)

    Ⅰ. 연구의 의의

    1. 본격 여가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우리 사회의 여가현실에 대해 적절히 추적

    2. 여가에 대한 주관적 의식의 변화를 추적하고 있는 것이 매우 유용. 주관적 의식의

    변화를 측정하기에는 조사주기가 다소 짧을 수 있지만 현재 우리 사회가 여가관련

    의식의 급격한 변화가 이루어지는 시기라는 점을 감안해 본다면 연단위의 조사도

    충분한 의미를 지닐 수 있을 것으로 보임.

    Ⅱ. 결과의 해석

    1. 여가의 질적 고도화

    - 추상적으로 막연하게 여가를 그리는 것이 아니라 활동중심으로 여가를 인식하는

    것에서 그 단초를 볼 수 있음. 이런 변화는 서구 사회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던 것.

    - 변화의 방향은 두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음. 활동 종류의 변화와 활동 내용의 변

    화. 전자와 관련해서는 좁은 의미의 문화적 부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

    상됨. 후자와 관련해서는 같은 여행이라도 단순 관광이 아니라 고급한 휴식이나

    주제별 여행, 스포츠와 관련해서는 관람(관람 중에서는 가족 관람의 증가 가능성)

    뿐 아니라 참여에 대한 요구가 늘어날 가능성이 큼.

    - 전체적으로는 단순관광이 줄어들고 스포츠, 문화활동, 개인취미오락활동이 증가

    될 가능성. 또 활동의 종류가 매우 세분화될 가능성이 높음.

    - 따라서 여가 프로그램이나 시설을 마련할 때 양극화된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 68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목표로 해야 할 것으로 보임. 한편으로 다수의 사람들을 위한 아주 일반적인 프

    로그램과 다른 한편으로 특정 소수를 겨냥한 매우 특수화되고 다양한 프로그램.

    - 두 가지 모두를 정부에서 만족시키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존재. 잠재적 수

    용자의 수가 많은 일반적 프로그램의 제공을 정부가 맡고 소수를 위해 특화된 프

    로그램은 상업적인 부문에서 수요를 충족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이 경우 비

    용이 매우 높아져 여가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낳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세금 정

    책 등을 통해 비용을 낮추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또 여가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여가 스킬의 교육기회를

    저렴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방안도 강구할 필요. 기본적으로는 이 부분도 상업적

    부문에서 맡아야 하겠지만 문화센터 등의 여가시설을 활용한다면 중저소득층에

    게도 적절한 비용으로 교육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

    2. 트렌드의 변화를 염두에 둘 때 약화되어 갈 여가의 형태와 강화되어 갈 여가

    의 형태를 구분해 볼 필요가 있음

    - 휴식형 여가는 현재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노동조건의 극적인 변화가 없

    는 한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지만 점차 약화될 형태라고 할 수 있음. 반면 서

    구의 경험을 돌이켜 볼 때 가족 중심의 여가는 강화될 형태로 보는 것이 타당. 따

    라서 이들의 수요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여가 형태의 발굴과 보급이 긴요. 예를

    들어 관광 프로그램을 짜거나 여가시설을 마련할 때에도 가족 지향적 프로그램과

    시설을 일차적으로 고려할 필요.

    - 한편 가족 해체의 영향으로 독신자 가구의 비율이 늘어날 것으로도 전망됨. 이들

    은 상대적으로 활동적 여가에 대한 요구가 높은 집단. 따라서 가족지향적 여가와

    함께 독신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여가가 일종의 쌍두마차로서 여가정책의 타겟이

    되어야 할 것. 조사결과에서 나타나듯 이들은 친구를 동반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

    에서 이 수요에 대한 파악이 필요.

    - 여기에 하나를 덧붙인다면 노인가구의 여가 수요. 조사에서 드러나듯이 노인들은

    비교적 비활동적인 여가를 선호하는 편이지만 평균수명의 증가를 고려해 볼 때 은

    퇴 초기의 노인들은 활동적 여가에 대해서도 상당한 수요집단이 될 가능성이 높음.

    - 결과적으로 앞으로 여가 프로그램이나 시설을 마련할 때에는 가족지향, 독신가

    구, 노인가구를 위한 프로그램과 시설이 세 개의 주요 범주로 설정될 필요가 있음.

  • 정 준 영 ❙ 69

    3. 여가활동의 빈익빈 부익부에 대한 인식은 비록 주관적인 것이기는 하지만

    사회갈등의 소지가 될 가능성이 있는 것.

    - 여가활동을 즐기지 못하는 이유로 비용과 정보부족이 1, 2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저렴하게 즐길 수 있는 여가활동을 발굴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

    - 다양한 공공 여가관련 시설(국민체육센터, 문화센터, 사회복지관 등)의 프로그램

    을 종합적으로 조율하여 이용자별 특성에 맞게 적절한 여가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

    4. 여가시설에서 근린공원/체육공원의 이용율이 높게 나타난 것은 주목할만한

    결과.

    - 이는 이들 시설이 가깝고 저렴하다는 데 일차적 요인이 있지만 다른 면에서 보자

    면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하다는 것과도 연관. 즉 지나치게 한정적인 목적을 지니

    고 있는 여가시설은 그 활동에 대해 선호도를 가지고 있는 있는 사람들의 만족도

    를 높일 수는 있지만 전반적인 활용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것.

    - 따라서 융통성있는 시설을 많이 늘리면서 이들 시설에 많은 수요가 있는 여가활

    동이 가능하도록 설비를 마련해 놓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됨

    Ⅲ. 추후의 조사를 위한 제언

    1. 특히 주관적 의식의 변화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응답자를 대상으로 시간에

    따른 변화를 질적인 방법으로 조사하는 것을 병행하는 것도 유용할 것으로 보임.

    이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여가 관련 의식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변

    수(예를 들어 주40시간 근무제의 도입)에 초점을 맞춰 이 변수의 영향으로 여가 관

    련 의식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측정하는 간접적 방법도 사용해 볼 수 있을 것.

    2. 샘플조사로는 한계가 있겠지만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는 주요 여가활동 외에 소수의

    사람들이 참여하는 여가활동의 변화에 대해서도 세밀한 추적이 필요. 이런 자료는 정

    책 담당자에게도 유용성을 지니겠지만 특히 상업적 부문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 70 ❙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3.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 가구소득과 개인소득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

    하고 실제 결과 분석에서는 계층을 변수로 한 분석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음. 특

    히 여가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에 대한 인식이 팽배해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본다면

    이 차이에 대한 분석도 필요할 것으로 보임.

  • 이 창 현 ❙ 71

    ❙토론 ②❙

    2007 국민여가활동조사에 대한 몇 가지 제언

    이 창 현

    (국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본 국민여가활동조사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여가의 개념은 물론이고, 여가의 실질적

    인 이용행태와 만족도, 그리고 주40시간근무제 및 주5일제 수업 실시에 따른 여가활동

    의 변화, 여가자원의 이용실태, 여가정책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연구로서, 향후 여가정책

    의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아주 의미 있는 조사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이 조사연구

    는 주기성을 갖고 진행됨으로써 사회적 변화에 따른 여가행태의 변용을 통시적으로 파

    악할 수 있을 것이며, 해외의 조사결과와 함께 비교된다면, 국제적인 비교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앞으로도 여가개념 및 이용실태에 대한 다양한 지수 및 측정척도의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향후 패널스터디로서 한국의 여가조사패널을 운영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