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공존_탐방 계획서

15
조합 , 창업말하다! l Global Frontier 2012 영국에서 찾는 사회적 협동조합의 미래 Contents I. Intro 나는 대학생 예비창업자입니다 II. Why? 협동조합이란 무엇인가 국내 탐방 내용 정리 탐방 국가 탐색 및 선택 왜 영국으로 가는가? III. How? 탐방 중 수행 Mission 탐방 기관 탐방 일정 및 예산 IV. Outro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참고 자료 목록
  • Upload

    -
  • Category

    Career

  • view

    6.288
  • download

    6

description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 공존팀의 탐방 계획서 : 협동조합, 창업을 말하다! : 영국에서 찾는 사회적 협동조합의 미래

Transcript of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공존_탐방 계획서

Page 1: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공존_탐방 계획서

조합 , 협 동 창업을 말하다!

l Global Frontier 2012

영국에서 찾는 사회적 협동조합의 미래

Contents

I. Intro

나는 대학생 예비창업자입니다

II. Why?

협동조합이란 무엇인가 국내 탐방 내용 정리

탐방 국가 탐색 및 선택 왜 영국으로 가는가?

III. How?

탐방 중 수행 Mission 탐방 기관

탐방 일정 및 예산

IV. Outro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참고 자료 목록

Page 2: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공존_탐방 계획서

나는 대학생 예비창업자입니다

창업을 하게 된 이유? 비전에 목말라 있었습니다. 삶의 이유를 찾아야 했습니다. 그래서 책상 아래 있던 다리를 세상으로 꺼내 놓고 목표를 찾기 위해 불철주야 노력했습니다. 한 학기 동안 100시간이 넘는 봉사활동을 했습니다. 온전히 나를 위한 삶은 없으며, 삶의 모든 의미는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만 찾아야 한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부지런히 여행을 다녀오고 대외 활동을 하며 캠퍼스 밖을 나돌아 다녔습니다. 캠퍼스 밖에는 세상을 더 아름답게 가꾸기 위해 노력하는 많은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막 보노보 혁명이 일기 시작한 때였습니다. 지구촌 곳곳에서 사랑을 실천하는 사회적 기업, 즉 제4섹터가 생겨났습니다. 사회적 기업은 이윤극대화를 최선으로 생각하는 기업 및 기업가들이 무한경쟁으로 생겨난 사회적 빈틈을 메우며 사회적 약자들에게 자활의 손길을 내밀었습니다. 한국에서도 아름다운 기업을 필두로 많은 사회적 기업이 생겨났습니다. 바로 저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비즈니스를 통해 세상을 아름답게 바꾸는 일. 한번쯤 인생을 걸고 도전해볼 만한 일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비즈니스를 시작하기 위해선 세 가지 요소가 필수적입니다. 바로 자본, 사람, 아이디어입니다. 처음에 창업을 하려 하자 무엇부터 해야 할지 막막했습니다. 마음을 터놓고 고민을 나눌 사람이 필요하다는 생각에 평소 친하게 지내던 친구들에게 말했습니다. 친구들은 제 이야기를 듣고 같이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주기적으로 모여 머리를 맞대고 아이디어를 짜냈습니다. 세상에서 실현해보고 싶은 기획 몇 개가 탄생했습니다. 다음 문제는 돈이었습니다. 하지만 돈을 구하기는 하늘에 별 따기였습니다. 경험 없는 대학생들에게 선뜻 투자하려는 사람이 없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했습니다. 각고의 노력 끝에 몇 백만원을 마련했습니다. 인터넷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사람을 찾아 다녔습니다. 제 아이디어에 관심을 보이는 사람은 없었습니다. 돈을 주고 프리랜서를 구하려고 했습니다. 그들이 부르는 몸값은 상상초월이었습니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발만 동동 구르다가 애초 정해놓았던 계획을 실현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포기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친구들이 하나 둘 떠나가기 시작했습니다. 아버지의 은퇴 시기가 가까워지고 있었고 어머니는 취업은 어디에 할 생각이냐고 계속해서 물어봤습니다. 걱정하실까봐 창업한다는 말은 하지 않고 다른 핑계만 대고 있었는데, 어머니의 말을 들으니 앞길이 막막해졌습니다. 이제 그만해야 되지 않고 남들처럼 살아야 하지 않을까? 잠 못 이루는 밤이 계속됐습니다.

Page 3: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공존_탐방 계획서

창업을 통해 무엇을 얻고 싶나요?

왜 창업을 하고 싶은가?

따뜻함

상생

소셜 디자이너

아름다움

함께하는 가치

나눔 희망

연대 명예

보노보 사회

창업을 통해 세상을 바꾸고 싶다.

이를 통해 따뜻한 기업가 정신이 퍼질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고 싶다.

점점 획일화 되어가는 사회에 또 다른 다양성을 더하고 싶다.

무한 경쟁의 룰렛에서 벗어나 함께 하는 기업을 만들고 싶다.

Page 4: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공존_탐방 계획서

홀로 창업하기에는 환경이 너무도 어렵다

사라

진 도

전 정

신…

열악

한 창

업환

경이

원인

이는

국내외

경제불안으로

창업

환경이

열악해진

데다

창업이

급격하게

위축되고

있다

.

2002~

2003년

이후

최초로

지난해

5월

이후

벤처

기업의

수가

크게

줄어들고

있다

.

기업가적인

도전

정신이

사라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벤처

창업의

양뿐

아니라

질도

떨어지고

있다

.

핵심

기술을

보유한

고급

인력들의

벤처

창업도

줄어

850개

신생기업

소멸

, 코스닥

상장

창업

기업

52개에서

31개로

감소

문화일보

, 민병기

기자

함께 창업하는 새로운 방법은 없을까?

창업 자본을 홀로 조달하려니 너무나도 힘들다..

창업 방식은 왜 이리 획일적인지.. 다양한 방법이 없는 걸까? 모르는 걸까?

정부도 그렇고 창업 컨설턴트도 그렇고 많은 도움을 받지는 못하고 있어.

사회가 나의 실패를 용인해줄까? 실패해도 함께 해 줄 이들은 없는지..

Page 5: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공존_탐방 계획서

5

2012년은 국제연합(UN)이 지정한 세계협동조합의 해

2009년 12월, UN 총회에서는 2012년을 세계협동조합의 해로 지정하고 각국 정부가 협동조합 활성화에

동참해줄 것을 권고했다. 이는 “협동조합은 빈곤을 낮추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매우 독특하고 가치 있는 기업

모델”로서 최근 세계적인 경제침체를 겪고 있는 자본주의 경제의 취약성을 보완하고 위기회복에 효과적으

로 기여할 수 있는 제 3섹터로서의 협동조합 역할을 재인식한 것이다.

협동조합이 어떻게 대안적 창업모델로 기능하는가?

현재 젊은이들이 창업을 기피하는 이유는 패자부

활이 어렵고 정부나 전문가들의 지원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협동조합은 단기적인 이윤극대

화에 치중하기보다는 장기적인 혜택을 목표로 하

기 때문에 성장에 있어 안정적이다. 또한 협동조합

생태계를 통한 상호 협력 구조는 체계적인 성장 지

원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혁신은 그 자체로 사회

전체에 긍정적인 외부효과를 창출한다. 즉, 협동조

합이 '시장의 실패'와 '정부의 실패'를 치료하는 도

구가 되는 것이다.

↑ 한국협동조합학술대회에서 만난

손학규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의 격려

사적 이익을 추구하는 자본주의 기업만이

유일한 기업 형태라는 고집을 이제는 버려야 할 것.

한겨례 김현대 선임기자 (한겨레 HERI Review 협동조합 주작성자)

협동조합은 시장과 정부실패의 대안이며,

시장 중심 경제와 정부 주도 경제체제의 극단이 갖는 한계를 보완,

우리는 두레, 품앗이 등 협력의 DNA가 발달해 있어

세계 어느 나라보다 협동조합이 발전할 수 있는 토양을 가짐.

기획재정부 박재완 장관 (협동조합 기본법 제정을 주도)

새로운 경제주체, 대안적 창업모델로서 협동조합

협동조합은 이용자 소유 기업으로서 단기적인 이

윤추구보다는 장기적인 이익에 관심을 두어 안정

적인 경영이 가능하고, 인적자원을 중심으로 운영

되므로 일자리 확충과 고용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사회 양극화와 빈부격차 등 사회갈등 요인을

치유하는 공생발전을 이뤄낼 수 있는 새로운 경제

사회 발전의 대안이다.

” “

협동조합이란 무엇인가? 왜 협동조합이 대안적 창업모델로 기능하는가?

Page 6: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공존_탐방 계획서

6

국내에서 배울 수 있었던 점 국내 사정을 알아야 해외에서 배운다!

이 정 주

아이쿱협동조합연구소 이사장

[email protected]

국내 협동조합의 현황

1. 협동조합의 틀을 가지고 영리

회사를 세우는 등 악용 사례 발생

하고 있다.

2.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는 조합

원의 주체 의식과 자발성이 필요

하다.

3. 체계적인 교육 체계가 없어 도

입이 시급하다.

협동조합은 이익 창출과 사회적

환원을 동시에 잡는 대안적 창업/

기업 모델이다.

이 범 선

중소기업청 창업성장지원과 주무관

[email protected]

한국 창업환경의 문제

1. 기업 관련 정책이 연계성 없이

남발되고 있다.

2. 체계적, 지속적인 창업 지원정

책의 감소 및 정책 모니터링이 부

재하다.

3. 실제 창업 잠재력을 가진 이들

에 대한 정책 전달력 및 홍보가 부

족하다.

자율적 창업 모델의 새로운 대안

으로 협동조합이 바람직한 방향이

라고 생각된다.

박 주 희

한국협동조합연구소 조사연구부 연구원

[email protected]

협동조합의 특장점

1. 기여 배당으로 인해 구성원들

간의 임금 격차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2. 원가 경영으로 단가 절감 및 창

업, 소생산자의 경쟁력을 증진할

수 있다.

3. 시장지배력 확보 및 공정거래

법 준수가 가능하다.

협동조합 경쟁력의 핵심은 공익성

의 확보와 선순환적 경제 생태계

의 조성이다.

2012년은 국제연합(UN)이 지정한 세계협동조합의 해

한국은 현재 사회적 협동조합 기업의 볼모지이다!

함께하는 창업, 주식회사 형태 이외의 창업, 사횐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따뜻한 창업은 불가능하지 않다. 행정

학과 교수로 재직중인 이명섭 교수는 협동조합의 적용요건으로 법/제도, 행동 경험, 여론 선도자의 필요성을

꼽았다. 특히 한국의 경우에는 협동의 문화가 예로부터 정착되어 있긴 하지만 앞에 제시한 3가지의 요건이

부족하여 새로운 형태의 창업 방식이 적용되지 않고 있다고 설명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직접 협동조합의 선

진 국가에서 사회적 협동조합을 설립해 보는 경험과 동시에 어떻게 사회문화적으로 협동조합의 분위기가 녹

아 있고, 이러한 형태의 기업이 어떻게 성공하고 있는가를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Page 7: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공존_탐방 계획서

7

미국

캐나다

일본

유럽 연합

일본

일본 경제의 펀더멘털이 탄탄하다고 평가 받는 원인 중 하나를 중소기업에서 찾곤 한다. 이러한 일본 중소기업의 대부분이 협동조합으로 이뤄져 있다. 또한 일본의 경제 위기로 인해 협동조합이 지속적으로 감소추세에 있는데 반해 기업조합은 미미하지만 증가추세에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협동조합기본법에 의거 14개 종류의 조합이 운영되고 있다.

유럽 연합

27개 회원 국가로 이뤄져 있는 유럽 연합은 국가별로 특성화된 다양한 종류의 협동조합 시스템을 갖고 있다. 특히 영국,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등의 국가는 협동조합의 메카로 꼽힌다. 또한 자유주의와 사회주의 경제체제 국가들이 각자 상이한 협동조합의 모델을 갖고 있어 여러 협동조합의 시스템을 한 눈에 파악하는데 최적화된 지역이라 평가된다.

미국

자유기업체제의 중심지인 미국에서도 다양한 협동조합이 운영되고 있다. 수많은 사람들이 협동조합을 통해서 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특히 도시 중심가에서 지역소유로 운영되는 작은 사업(식료품, 하드웨어, 문방구, 패스트푸드)은 대부분 협동조합 형태로 운영되 고 있 다 . AP, Sunkist 등의 기업이 대표적이며 45000여 개 조합, 1억 명의 회원을 갖고 있다.

캐나다

캐나다는 협동조합에 관한 선진적인 법률체계를 갖고 있다. 협동조합법에 의한 지원은 사업을 확장하는 협동조합이나 신규조합에 대해 1만 달러까지 지원하는 ‘협동조합 개발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 지역별로 특성화된 중소 협동조합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으며 북미 지역에서 성행하고 있는 ‘신세대 협동조합’이 특히 활성화되어 있다.

영국 :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의 메카

영국의 협동조합들은 신생 협동조합 및 사회적 기업들이 경제 체계 내에서 자생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결과적으로 경제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영국의 협동조합들의 훈련, 연구, 네트워킹, 컨설팅 제공 시스템들을 참고하여, 협동조합을 통한 창업과 그에 따른 지원이 우리나라에서는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지 알아본다. 또한 영국의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공익을 향상, 사람들의 기회를 확장하고,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타났다. 영국과 같이 사회적 기업이 협동조합을 통해 발전한 사례는 전세계적으로 특수한 사례이기 때문에 탐방 가치가 매우 높다.

어느 나라에서 배워야 하는가? 해외 협동조합 강국 비교 및 탐방 국가 확정

Page 8: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공존_탐방 계획서

8

영국을 어떻게 볼 것인가? 세계적으로 유일한 사회적 협동조합 기업의 메카

협동조합이 영국 경제를 견인하다

UK Coop Economy 2012에서 발간한 인포그래픽을 통해 영국 경제와 협동조합의 관계를 간단히 살펴보

도록 하자. 주목해서 살펴볼 점은 영국에서의 협동조합 성장이 국가 경제의 성장을 도모하고 이를 지속적으

로 이끌어가고 있다는 점이다.

영국의 협동조합 기업 수는 2008년 4820개에서 2011년 기준 5933개까지 증가했다. 같은 기간 동안 협동조합 조합원은 1130만 명에서 1350만 명으로 증가했다.

또한 2008년 영국의 경제 성장 지표는 1.1% 후퇴하는데 협동조합이 성장함과 동시에 경제 지표 역시 호전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협동조합이 영국 경제를 견인함으로 해석할 수 있음과 동시에 영국의 협동조합이 불경기에도 불구하고 굳건히 성장하고 있다는 점으로 볼 수 있다.

Page 9: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공존_탐방 계획서

9

탐방 중 수행 Mission 국가간 창업 비교 프로젝트 및 이정표 만들기

1. 국가간 협동조합 창업 비교 프로젝트

한국에서의 협동조합 설립 프로세스와 영국에서

의 협동조합 프로세스를 비교 분석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한국과 영국의 장단점을

결합하여 완성판에 해당하는 ‘사회적 협동조합 창

업 지도’를 그린다. 이 지도는 현재 협동조합을 통

해 사회적 기업을 창업하는 후배 예비 창업자들에

게 유의미한 가이드가 되리라 확신한다. 또한 각종

대학생 사회적 기업 연합 동아리들과의 정기 포럼,

시민 사회와 정부로의 제안에 있어서도 유용한 자

료로 남게 된다.

한국에서 협동조합을 통한 창업 실행

시간, 인원, 자본, 법규 등을 상세히 기록

한국 협동조합 창업 지도를 그림

영국 탐방

탐방기관과 함께 한국 창업 지도 피드백

영국에서 협동조합을 통한 창업 실행

한국 제도와의 비교분석

각각의 장단점을 합친 최종 창업지도 그림

2.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한 창업 이정표 작성

영국에서의 탐방 및 기존에 진행한 국내 탐방은 페

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정리되고 생중계된다.

이렇게 남은 탐방 사진과 동영상, 기록들은 적절한

편집을 통해 유튜브, 블로그 등 각종 SNS 페이지

에 공유될 뿐만 아니라 출판 작업까지 진행하여 한

국에서 따뜻한 형태의 창업을 꿈꾸는 사람들이 많

아질 수 있도록 돕는다. 세부 정리 분야는 다음과

같다.

기록/사진 부문

① 탐방 기관 정리

② 사회적 협동조합 창업 절차 정리

③ 지역적 협동조합 특성 정리

④ 권위자, 경영자의 어록 정리

동영상 부문

① 탐방 기관의 모습 및 인터뷰 내용

② 탐방 기업의 현황

③ 그 외 다수의 번외편을 통한 프로모션 진행

Page 10: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공존_탐방 계획서

10

탐방 Focus

협동조합 컨설팅 지원 방식에 대한 탐구

- 컨설턴트의 네트워크 관리 및 컨설팅 방법

- 지속 가능한 협동조합 경영 방법의 연구

협동조합과 사회적 기업의 시너지 효과 탐구

- 성공적인 사회적 기업 비즈니스 모델 확인

- 맞춤형 매칭 모델의 실현 가능성 연구

협동조합을 통한 사회적 공익 실현 가능성 탐구

- 사회 취약계층 및 녹색 성장의 실현 방안 연구

런던

맨체스터

탐방 기관 소개 : 런던 런던 탐방 기관

SEUK

SEUK(Social Enterprise UK)은 영국 전역에서

3100여개의 사회적 기업 멤버들을 거느린 전국적

단위의 기구다. 이 기관이 가장 특화된 분야는 사

회적 기업을 대상으로 한 컨설팅 및 교육이다. 경

제적, 사회적으로 다양한 분야의 집단들과 우수한

연계를 구성하고 있으며 사회적 기업들의 허브 기

능도 담당하고 있다. 사회적 기업이 아니더라도 지

방정부, 자선단체 및 일반 사기업들도 이 기관을

경유해 사회적 가치 창출 요소들을 제공받을 수 있

다. 사회적 기업을 고려하는 예비 창업자에게는 초

기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중견 사회적 기업가도

비즈니스 전반에 걸친 진단을 받을 수 있다. 글로

벌 경제위기가 심화된 2008년 이후에는 사회적

기업의 협동조합과의 결합을 연구하여 실제로 전

역에 많은 사회적 성격의 협동조합들을 출범시킨

바 있다. 최근에는 상업적 프랜차이즈 요소를 사회

적 가치 창출과 융합시킨 소셜 프랜차이징 프로그

램을 새롭게 도입, 운영하여 장애인을 비롯한 사회

적 소수자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Hackney Co-operative Development

Hackney Co-operative Development는 사회적

기업과 협동조합의 접점을 이루는 단체이다.

1982년 설립된 지역 공동체에 기반한 경제개발전

문 협동조합이다. 런던 소재의 주요 기업들과 공동

지역사회 비즈니스 재건 프로젝트 사업을 진행하

여 주요 수익을 창출한다. 이 수익은 다시 지역사

회에 재투자된다. 주로 이들은 소규모 기업 및 상

가에게 맞춤형 경영 컨설팅을 지원한다. 또한 지역

주민들의 아이디어를 현실적으로 비즈니스화하는

방안을 수립하여 창업을 장려한다. 주요 타겟은 흑

인 및 소수인종이 운영하는 사업체며 마찬가지로

열악한 환경에 놓인 여성 기업가, 청년 벤처들도

여기에 포함된다. 협동조합이나 창업에 관심 있는

누구라면 멤버로 등록할 수 있다.

Page 11: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공존_탐방 계획서

11

런던

맨체스터

탐방 기관 소개 : 맨체스터 맨체스터 탐방 기관

Co-operatives UK

Co-operatives UK는 전국적 규모의 동업조합

(trade body)이다. 협동조합 캠페인을 전개하여

영국 경제의 풀뿌리 기반에 정착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인다. 그 결과 소비자 협동조합에서부터 축구

클럽, 농업, 의료 등에 이르기까지 경제의 다양한

섹터에 협동조합을 확대할 수 있었다. 또한 전국적

인 협동조합들을 한데 이어주는 네트워크적 강점

을 바탕으로 영국 전반의 협동조합 체계를 대표한

다. 영국 정부의 협동조합 관련 정책 수립에 자문

을 제공하는 한편 강력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

는 집단이기도 하다. 협동조합을 창업하는 시민들

에게는 법적 컨설팅과 협동조합 윤리를 교육하며

매달 페스티벌 및 간담회를 개최하여 상호 정보 교

류 및 협동조합 의식을 고양한다. 현재 영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협동조합 연합체로서 332억 파운

드 규모의 경제적 가치를 보유하고 있으며 1280

만명의 조합원이 소속되어 있다.

Co-operative enterprise hub

이 곳은 영국 전역의 예비/현행 협동조합에게 교

육과 자금 지원을 동시에 제공하는 기관이다. 예비

협동조합인은 이 기관을 경유해 협동조합을 시작

할 수 있다. 특기할 만한 점은 ‘함께함의 가치’하에

협동조합에 관심 있는 사람들을 매치 메이킹

(match-making)시켜 협동조합을 구성하는 점이

다. 현행 협동조합인은 멘토링을 통해 기존의 조합

규모 및 경영 구조, 전략 등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조언, 교육, 트레이닝, 자금 지원 등은 최대 4일간

무료로 이루어지며 향후 베테랑 협동조합 전문가

들이 이들의 성장 및 변화를 지속적으로 보조한다.

또한 이 허브는 협동조합 기반 경제에 대대적으로

투자하여 ‘협동조합’의 가치를 확대하는데 주력한

다. 대표적으로 1) 백만 파운드 규모의 펀드를 3년

간에 걸쳐 조성하여 지역 공동체 주도의 재생에너

지 계획을 지원 2) 저가의 그린에너지 개발 3) 공

동체가 공유하는 사회적 문제를 협동 조합론(loan)

과의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지원 4) 젊은 협동조합

구성원들을 지원이 있다. 이러한 활동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협동조합 경제를 활성화 시킨다.

탐방 Focus

협동조합 생태계 및 네트워크의 탐구

- 협동조합 캠페인 및 장려 네트워크 확인

- 서로 다른 분야의 조합간의 연대 방법 연구

협동조합의 지속 가능한 경영 방식 탐구

- 체계적인 컨설팅 및 컨설턴트의 존재 확인

- 성장과 배분의 성공적 밸런스 유지 방법 연구

협동조합을 통한 국가 경제의 견인 가능성 탐구

- 지역 경제 활성화를 통한 국가 경제 성장 확인

Page 12: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공존_탐방 계획서

12

탐방 일정 및 예산 탐방 세부 일정 및 예산 내역

예산 내역

구분 내용 단가 비용 비고

항공료 인천 – 런던 왕복 1,200,원 4,800, 원 단가 X 4

교통 비용 런던-맨체스터 왕복 / 현지 교통비 110, 원 600, 원 5일 기준

숙박 비용 기관 근처 중저가 호텔 1박 기준 책정 50,원 300, 원 4인 기준

식사 비용 지역 물가를 고려하여 하루 3끼 기준 책정 7,원 588, 원 단가 X 84

총계 6,288,원 단위 (천원)

일차 탐방 일정 및 세부 내용

1 출국

오전: 인천공항에서 출국 오후: 런던 히드로 공항 도착(현지 시각 기준)

2 휴식, 다음날 탐방준비

오전: 시차 적응 및 휴식. 오후: 런던 시내 관광. 그리고 팀 사업기획서 영문 버전 및 PPT를 점검하고 발표 예행연습을 한다.

3

사회적 기업은 어떻게 영국에서 형성되는지 분석한다. 오전: 런던의 시차적응 및 휴식 오후: 첫 번째 탐방기관 SEUK 방문. 이 탐방기관의 방문 목적은 크게 두 가지다. 먼저 팀 사업 기획서를 탐방기관의 지원 가이드라인에 근거해서 검토 받고 두 번째는 탄탄한 사회적 기업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한 SEUK의 역량과 영국의 사회적 배경을 파악하는데 있다. 팀 PT 이후 컨설턴트에게 우리의 사업계획이 사회적 기업과 협동조합의 성격에 부합하는지 검토 받는다. 이후 SEUK의 신규 창업 서비스에 따른 모의 컨설팅을 받는다. 이를 통해 우리 사업이 지닌 약점을 분석하고 보완한다.

4

사회적 기업 + 협동조합이 결합된 실제 사례를 알아보고 이들에게 우리의 아이디어를 PR한다. 오전: 사회 소수층의 영세 사업을 지원하는 협동조합 HCD에서 사회 공익적 가치에 헌신하게 된 계기와 그간의 성과들을 알아보고 한국 사회에서 협동조합이 나아가야 할 방안들을 모색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또한 SEUK와는 어떤 다른 차별점으로 창업 멘토링을 지원하는지 알아본다. 오후: 20여년간 일관된 환경친화적 경영을 추구한 동시에 모범적인 협동조합 방식을 고수해 온 Calverts에서 회사 이윤과 공익의 두 마리 토끼를 어떻게 성취했는지 알아 본다. 또한 우리 팀이 지향하는 사회적 기업 성격의 협동조합 출범에 앞서 이 회사의 어떤 점을 벤치마킹 할 것인지 검토해본다. 이후 맨체스터로 가는 기차 탑승, 맨체스터 시내에서 투숙.

5

협동조합 교육은 어떻게 기업가정신과 협동의식을 고루 결합하여 이루어지는가? 오전: Co-operative Enterprise Hub를 방문하여 우리의 협동조합 마스터플랜을 제시한 후 그들의 기본적인 멘토링과 교육을 듣는다. 협동조합 본연의 가치인 ‘함께함’과 경쟁우위 전략을 도출하는 비즈니스를 결합한 그들의 교육 방식이 어떻게 효율적인 협동조합 모델을 구성하는지 생각해본다. 또한 한국 사전 탐방에서 경험했던 협동조합 교육과 비교해 본다. 오후: Co-operative Enterprise Hub의 주요 교육 커리큘럼인 Leadership Program에서 기관에서 지정해준 비슷한 아이템을 가진 영국인 예비 협동조합 인원들과 오후 내내 그룹활동을 한다. 다양한 비즈니스적 상황에서 협동조합의 프레임으로 어떻게 대응하며, 어떤 전략을 설계할 것인지 결과물을 도출해 본다.

6

영국 협동조합 네트워크를 대표하는 기관에서 협동조합의 상호 연계성을 보다. 오전: 영국을 대표하는 기관 Co-operative UK에서 협동조합들이 파편적이고 영세한 조직에 머물지 않고 강건한 고리로 결합하여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는지 알아본다. 이를 통해 일부 대형 협동조합 조직에 전반적으로 집중되어있는 한국 협동조합 상황에 대한 부분적인 답을 구해본다. 또한 영국 협동조합의 전반적으로 높은 실적과 신생-중견 협동조합들과의 교류간 상관관계가 성립하는지 알아본다. 오후: 맨체스터에서 런던행 열차 탑승. 런던 도착 후 히드로 공항 인근에서 투숙.

7 귀국

오전: 히드로 공항에서 인천행 귀국 비행기 탑승 오후: 인천 도착

Page 13: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공존_탐방 계획서

13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한국에 찾아오는 따뜻한 기업의 바람

사회적 협동조합 대학 연계 포럼을 세우겠습니다

사회적 기업을 지원하고 창업을 도모하는 국내 대

학생 연합동아리들이 여럿 존재하고 있다. 우리는

탐방 내용을 바탕으로 이러한 동아리들을 묶어 협

동조합을 통해 사회적 기업을 설립하는 새로운 방

안을 창출하는 연계 포럼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국내 사회적 기업의 창업방식 역시 다변화될 것이

며,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취지에 맞는 형태의

기업 설립이 늘어나리라 예상된다. 또한 이를 토대

로 시민 사회와 정부, 이미 탐방한 국내 탐방기관

으로 지속적인 정책 제안 및 상호 의사소통 기회를

확대해 나갈 것이다.

협동조합으로 사회적 기업을 세우겠습니다

국내에 불고 있는 대학생들의 사회적 기업 열풍이

뜨겁지만 이러한 노력들이 실제 지속 가능한 기업

으로 나아가는 사례는 극히 드물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우리는 네트워크와 상호 협력이 전제가

된 협동조합의 형태로 사회적 기업을 설립하여 함

께 나누는 따뜻한 기업환경이 국내에 창출될 수 있

는 단초를 마련할 것이다. 이와 동시에 페이스북

페이지로 진행되었던 탐방 생중계의 출판 작업 역

시 진행한다. 가칭 ‘협동조합으로 창업하라’로 출

판될 이 책은 사회적 협동조합 창업에 있어 국내

예비 창업자들에게 가이드를 제시할 것이다.

우리는 사회적 협동조합 창업 모델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며 이를 통해 사회가 바뀌길 희망합니다

정부는 협동조합법을 실행하며 정규 교육을 통해 사회적 인식을 형성한다. 가칭 HUB는 체계적인 교육 및 창업 컨설팅을 제공하고, 건전한 생태계 구축을 위한 모니터링을 담당한다. 협동조합은 일정수익을 환원하여 상호 조합을 지원하며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자본 구축, 공익 기여, 일자리 창출, 창업환경 조성을 통한 경제 활성화가 기대된다.

Page 14: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공존_탐방 계획서

14

혼자?

함께!

공존하는 한국형 사회적 협동조합을 꿈꾸다

약육강식

경쟁

실패

성공

공존

협동

Page 15: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공존_탐방 계획서

15

참고 논문 및 발간 자료

청년 일자리 창출의 베스트 프렉티스, 이서원, LG경제연구원, 2007

기업의 대학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양승실 외 2명, 한국교육개발원, 2004

덴마크 중소기업 지원제도 및 육성시책 연구, 중소기업연구원 외 1명, 중소기업연구원

협동조합론, 농협중앙회, 2006

중소기업협동조합 백서, 중소기업중앙회, 2007

사회적 기업 육성법 제정의 의의와 현황, 과제, 김혜원, 한일 사회적 기업 심포지엄, 2008

한국의 대안기업을 이야기하다, 남원호, 모심과 살림 포럼 발제 자료, 2010

제 5장 노동자 협동조합 사례, 김동배, 한국학술진흥재단, 2001

생활협동운동과 생활협동조합활동, 조완형, 모심과 살림 포럼 발표문, 2010

협동적 노동자 소유에 대한 세계 선언, CICOPA, 한글번역본, 2005

참고 기사

한겨례, '2012년은 UN이 정한 '세계협동조합의 해', 김현대 선임기자

문화일보, '사라진 도전 정신...벤처기업 급감, 민병기 기자

세계일보, 협동조합법 의미...승자독식서 연대,자립 토대 마련, 신상미 기자

참고 웹페이지

http://www.coop-atlantique.fr/

http://www.mondragon-corporation.com/

http://www.sel.org.uk/

http://www.cooperatives-london.coop/

http://www.envie.org/

http://www.icoop.or.kr/

References 참고 논문 및 자료, 기사, 웹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