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식문화

9
캄캄캄캄 캄캄캄

description

캄보디아 식문화. 발표할 순서. 캄보디아에 대해서. 캄보디아의 식생활과음식들. 캄보디아의 식문화 , 식당문 화. 캄보디아에 대해서. 캄보디아 국명 : 캄보디아 왕국 (Kingdom of Cambodia) - 수도 : 프놈펜 (Phnom Penh) - 정치제도 : 입헌군주국 ( 국왕 : Norodom Sihanouk, 총리 : Hun Sen ) - 의회 : 양원제 (National Assembly 122 석 ( 임기 5 년 ), Senate 61 석 ( 임기 6 년 )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of 캄보디아 식문화

Page 1: 캄보디아  식문화

캄보디아 식문화

Page 2: 캄보디아  식문화

발표할 순서

캄보디아의 식생활과음식들

캄보디아의 식문화 , 식당문화

캄보디아에 대해서

Page 3: 캄보디아  식문화

캄보디아에 대해서캄보디아국명 : 캄보디아 왕국 (Kingdom of Cambodia) - 수도 : 프놈펜 (Phnom Penh)- 정치제도 : 입헌군주국 ( 국왕 : Norodom Sihanouk, 총리 : Hun Sen) - 의회 : 양원제 (National Assembly 122 석 ( 임기 5 년 ), Senate 61 석 ( 임기 6 년 ) - 면적 : 181,035 ㎢ ( 남한의 약 1.8 배 , 한반도 전체의 약 80%)- 위치 : 인도차이나반도 동남부 ( 베트남 , 라오스 , 태국과 접경 )- 기후 : 열대몬순 , 고온다습 - 인구 : 1,200, 만명 (2001.12) - 인종 : 크메르족 95%, 기타 소수민족 ( 중국 , 베트남 , 참 , 고산족 ) - 종교 : 소승불교 (90%), 회교

1 세기경 푸난왕국에서 시작된 캄보디아는 9 세기초에서 16 세기까지 이어진 크메르제국에서 현재의 캄보디아는 물론 태국과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영토를 통합한 인도차이나의 거대한 왕국을 건설했었으나 16 세기 타이의 침략을 받아 무너진뒤 최근까지 태국과 프랑스 , 베트남의 계속되는 지배를 받아왔다 . 1953 년 독립이 된 후에는 내전에 시달리다가 군사독재자 훈센이 등장 , 400 여년만에 처음으로 독립국가로서 정치적 , 군사적 안정을 이룸은 물론 이를 바탕으로 한 개방정책으로 급속한 경제성장을 추진하고 있다 .

Page 4: 캄보디아  식문화

캄보디아 식생활사실 캄보디아의 전통 음식을 딱 꼽기란 어려운 일이다 . 현지인들에게 물어보아도 딱히 뭐라고 대답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한다 . 이는 캄보디아 음식이 인접국인 태국과 베트남 , 그리고 중국 등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 또한 크메르 루주 정권 하에서 킬링필드의 시간을 보내면서 음식 문화 또한 함께 황폐해진 것 역시 무시할 수 없다 . 물론 각종 전통 카레나 국 등 고유 음식이 있기도 하나 캄보디아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음식은 언급하기가 애매한 것이 사실이다 .

현재 캄보디아 사람들이 즐기는 대부분의 음식들은 태국 및 중국 음식과 혼합된 형식의 것들이 주류를 이룬다 . 우리나라처럼 매운 음식은 거의 찾아 볼 수 없고 주로 기름에 볶은 것이 많으며 시거나 달다 . 특히 국류는 새콤한 맛이 많은데 캄보디아 사람들은 모든 종류의 음식에 있어서 유난히 신 맛을 좋아한다 .

Page 5: 캄보디아  식문화

캄보디아의 음식들

↑ 쁘러혹민물고기로 만든 일종의 젓갈이다 . 캄보디아 사람들은 한국인이 김치를 즐겨 먹듯 쁘러혹을 밥과 함께 비벼 먹는데 이 자체만으로도 하나의요리이며 또한 다른 요리의 재료가 되기도 한다 .

끄릉가장 기본적인 양념으로 대부분의 캄보디아 요리에 들어간다 . 라임 , 생강 , 레몬 잎 , 라이좀의 뿌리 , 마늘 , 붉은 고추 , 쁘러혹 , 그 밖의 향료와 조미료가 더해진다 . 이들을 모아 절구에 빻아서 만들어 놓은 후 각종 음식을 만들 때 사용하게 된다↓

Page 6: 캄보디아  식문화

캄보디아의 음식들놈반쪽캄보디아 사람들이 즐겨 먹는 국수로 쁘러혹과 끄릉으로 국물을 낸 후 쌀국수나 밥 , 채소 등을 넣어 말아 먹는다 . 재료에 따라여러 종류가 있는데 캄보디아 사람들은 일종의 간식으로 노점에서 즐기기도 한다 . 이름의 유래가 독특하고 재미있는데 여기에서반쪽은 ‘먹여주다’의 의미다↓

꾸이띠유↑베트남의 쌀국수와 상당히 유사하다 . 중국에서 전해온 것으로 전통 음식이라고는 할 수 없으나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즐겨 먹는 대중적인 음식이다 . 국물을 어떻게 내느냐에 따라 소고기 , 돼지고기 , 닭고기 , 해산물 꾸이띠유로 나눌 수 있는데 숙주와 소스가 기본으로 동일하게 제공된다 . 놈빵이라는 빵을 국에 넣어 함께 먹기도 한다 . 가격은 천차만별이나 대부분 1~2 달러 선이다 .

Page 7: 캄보디아  식문화

캄보디아의 음식들언썸‘놈’의 일종으로 결혼식 때나 전통 명절인 프쭘번이나 쫄츠남 ( 새해 ) 에 먹는다 . 찹쌀을 기본으로 하여 콩이나 바나나 , 고기 등을 넣어 바나나 잎에 싼 후 ( 김밥과 비슷한 모양으로 만듦 ) 쪄서 먹는다 .↓

아목잉어를 갈아 고유 양념인 끄릉과 코코넛 크림을 혼합한 후 바나나잎에 싸서 찌는 요리로 고급 요리에 속한다 . 때문에 지방 사람들은 잘 모르는 경우도 있다

Page 8: 캄보디아  식문화

캄보디아 식당문화식당문화프놈펜은 아직 관광산업이 충분히 발달하지 못한 관계로 관광을 하기에 불편한 점이 많다 . 식당에 가도 관광객을 위해 메뉴를 사진으로 설명해 놓은 곳은 일부 고급식당을 제외하곤 거의 없는 실정이다 . 음식도 우리나라 사람들입맛에는 맞지 않는 향신료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주문 시 주의해야 한다 . 현지에서 가이드가 있으면 알아서 먹을 만한 것을 주문해 주지만 ,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주문을 하기가 무척 어렵다 . 식당은 거의 대부분이 중국 화교들이 운영하는 중국식당이 대부분이고 , 크메르식이나 태국식 식당들도 많이 있다 . 서양식 레스토랑은 BAR 를 같이 운영하는 경우가 많으며 , 중국 식당 중 일부는 문 앞에 사진을 붙여 놓아 관광객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해 놓은 곳도 있습니다 . 프놈펜에도 맥도날드 같은 큰 체인은 아니지만 싱가폴 자본이 투입된 패스트푸드점 (Lucky Market) 이 있으며 . 한국식당은 대여섯 군데가 있다 .

Page 9: 캄보디아  식문화

캄보디아의 음식문화음식문화캄보디아 음식은 이웃의 태국 , 라오스 음식과 흡사하며 , 베트남 음식과도 비슷하다 . 하지만 강한 향신료를 사용하는 태국 요리에 비하면 향이 약한 편이다 . 또한 한때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탓에 프랑스 음식의 영향도 엿볼 수 있다 . 쌀이 주식이며 대부분이 바탐방 지역에서 생산된다 . 캄보디아식 전골이나 ‘꾸이띠오’라 불리는 쌀국수 , 일종의 닭고기덮밥인 ‘바이 모안’을 비롯한 각종 덮밥 등 캄보이아 전통음식은 시장에서부터 곳곳의 노점식당이나 숙소에 딸린 식당에 이르기까지 어디에서든지 쉽게 접할 수 있으며 , 바게뜨 빵에 돼지고기 햄과 캄보디아 향신료를 넣은 캄보디아식 샌드위치나 열대과일 등은 어디서나 쉽게 볼 수 있다 . 대부분의 캄보디아 음식은 ‘쯔낭 끄띠악’이라 불리는 오목한 후라이팬에서 조리된다 . ... 캄보디아 요리에는 미나리 , 박하 , 레몬의 세가지 향료가 흔히 쓰인다 . 일반적인 식사는구운 민물생선을 상치와 시금치에 싸서 발효시킨 생선 젓국에 찍어 먹는다 . 시장에 가면진열대에서 원하는 음식을 반찬으로 골라 밥과 함께 먹는 곳이 많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