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Value of Double-sided Foldable Smartphone(더블스크린 폴더형 스마트폰의 가치)

19
The Value of Double-sided Foldable Smartphone (더블스크린 폴더형 스마트폰의 가치) 한국디자인학회 2016 봄 국제학술대회(2016년 5월 21일) 최병호([email protected])

Transcript of The Value of Double-sided Foldable Smartphone(더블스크린 폴더형 스마트폰의 가치)

Page 1: The Value of Double-sided Foldable Smartphone(더블스크린 폴더형 스마트폰의 가치)

The Value of Double-sided Foldable Smartphone

(더블스크린 폴더형 스마트폰의 가치)

한국디자인학회 2016 봄 국제학술대회(2016년 5월 21일)최병호([email protected])

Page 2: The Value of Double-sided Foldable Smartphone(더블스크린 폴더형 스마트폰의 가치)

Table of Contents

• 목적• 배경• 방법• 연구 내용(사용자 리서치 결과 분석)• 결론

1

Page 3: The Value of Double-sided Foldable Smartphone(더블스크린 폴더형 스마트폰의 가치)

연구 목적

• 차세대 스마트폰의 형태와 새롭게 제시해야 할 사용자경험(user experience)의 가치 도출

2

Page 4: The Value of Double-sided Foldable Smartphone(더블스크린 폴더형 스마트폰의 가치)

연구 배경

• 세계 주요 시장의 스마트폰 보급률 평균 약 70% 상회(칸타월드패널 컴텍의 2016년 조사)• 미국은 65%, 유럽은 74%, 중국 도시는 72% 등으로 이미 포화상태

• 스마트폰 제조회사 등 관련 생태계는 심각한 위협• 가상현실이나 플렉시블 스크린 등의 새로운 대안 공격적으로모색

3

Page 5: The Value of Double-sided Foldable Smartphone(더블스크린 폴더형 스마트폰의 가치)

연구 방법

• 본 연구의 프레임워크는 총 3단계로, • 1단계는 새로운 스마트폰의 형태와 가치의 단서를 발견하기위해서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사용자’와 사용자의 ‘환경’에주목하여 관찰하고, • 2단계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해서 발견된사용자의 ‘상황(context)’에 기반한 ‘태스크’를 현존하는스마트폰과 결합시켜 도전적인 발상을 시도하며, • 3단계는 아이디어의 실효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프로토타이핑과역할극(role playing)을 수행한다.

4

Page 6: The Value of Double-sided Foldable Smartphone(더블스크린 폴더형 스마트폰의 가치)

연구 방법(cont.)

• 본 연구에서 채택한 구체적인 수행방법들은 정성적인 리서치 연구방법으로,

• 1단계에서는 ‘사진 연구(photo studies)’ 방법 중에 하나인 ‘개인물품 목록도출(personal inventories)’ 그리고 그 결과를 그룹인터뷰 및 1:1 심층인터뷰로 분석한다.

• 2단계에서는 ‘이노베이션 게임’ 방법 중에 ‘뜨거운 맛보이기(give them a hot tub)’ 그리고 그 결과를 그룹인터뷰로 분석한다.

• 3단계에서는 ‘이노베이션 게임’ 방법인 프로토타이핑 및바디스토밍(bodystorming) 목적의 ‘제품상자(product box)’ 그리고 그결과를 그룹인터뷰로 분석한다.

5

Page 7: The Value of Double-sided Foldable Smartphone(더블스크린 폴더형 스마트폰의 가치)

연구 방법(cont.)

• 실험 참가자는 스마트폰의 활용도가 높은 30대 직장인 24명을선발하여, 2개의 세션으로 조직하였다. • 1개의 세션 당 12명• 3명씩 1개의 팀

6

Page 8: The Value of Double-sided Foldable Smartphone(더블스크린 폴더형 스마트폰의 가치)

연구 내용

• 본 연구 내용은 3단계로 진행한 사용자 리서치 결과로서, • 1단계에서는 최근에 변화된 직장 환경, 집 환경, 이동 환경에서달라진 라이프스타일을 규명하였고, • 2단계에서는 1단계를 기반으로 최근에 익숙해진 사용 패턴을현존하는 스마트폰에서 시연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 3단계에서는 2단계에서 조사된 갭(gap) 결과를 극복할 수 있는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직장 환경, 집 환경, 이동 환경에서 수용여부를 분석하였다.

7

Page 9: The Value of Double-sided Foldable Smartphone(더블스크린 폴더형 스마트폰의 가치)

연구 내용: 1단계 리서치 분석

• 1단계 사용자 리서치는 직장과 집 그리고 이동 등의일상생활에서 사용자에게 의미 있는 물건을 발견하고, 그 중에최근 라이프스타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개인물품목록 도출(personal inventories)’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 24명의 직장인은 각각 직장이나 집 등에서 자주 활용하는물품을 사진으로 찍어서 목록화하였다.

8

Page 10: The Value of Double-sided Foldable Smartphone(더블스크린 폴더형 스마트폰의 가치)

연구 내용: 1단계 리서치 분석(cont.)

• 각 환경별로 수집된 목록 중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물품을검토한 결과, • 직장에서는 스크린과 PC, 포스트잇, 문서 등이 상위 랭킹되었고, • 집에서는 TV, 스마트폰, 리모컨, 소파, 책 등이었다. • 이동할 때에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이었다.

9

Page 11: The Value of Double-sided Foldable Smartphone(더블스크린 폴더형 스마트폰의 가치)

연구 내용: 1단계 리서치 분석(cont.)

• 이 중 최근 라이프스타일에 변화를 제공한 물품이 있는지 확인한 결과, • 직장에서는 스크린, 집에서는 TV와 스마트폰, 이동할 때에는 스마트폰과 태블릿PC라는

결과가 나왔다. • 그 이유는 직장에서는, 1인당 스크린을 1개에서 2개로 제공하는 추세에 있고, 이것

때문에 업무 스타일이 적지 않게 변화되고 있었다. 그 중에서 특히 주목할 사항은하나의 스크린(secondary screen)에서는 특정한 문서를 열람(review)하는 용도로, 또다른 스크린(primary screen)에서는 열람하고 있는 문서를 보면서 작업(work)하는용도로 역할분담을 할 수 있어서 작업효율성이 그 이전보다 향상되었다는 인식이었다.

• 집에서는, TV 프로그램을 보면서 스마트폰의 SNS앱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때론,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의견을 개진하는 등 소통을 즐기는 패턴이 서서히 등장하고있었다.

• 이동 시에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로 e북이나 SNS앱의 글을 읽으면서 다양한방식으로 기록하려는 시도가 대중화되고 있었다.

10

Page 12: The Value of Double-sided Foldable Smartphone(더블스크린 폴더형 스마트폰의 가치)

연구 내용: 2단계 리서치 분석

• 2단계 사용자 리서치는 사용자의 행동패턴에 영향을 미칠정도로 애착 형성된 물건과 스마트폰을 결부하여 혁신적인아이디어를 발상하는 ‘뜨거운 맛보이기(give them a hot tub)’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 직장 근무 상황일 때의 2개 스크린과 그 용도, • 집에 있을 때의 TV와 SNS앱의 관계, • 이동 상황일 때의 e북이나 SNS앱으로 탐독 및 메모 행위를 스마트폰과

결합시켜 혁신적인 아이디어 발상을 수행하였다.

11

Page 13: The Value of Double-sided Foldable Smartphone(더블스크린 폴더형 스마트폰의 가치)

연구 내용: 2단계 리서치 분석(cont.)

• 문서 열람, 영상 시청, 독서 행위와 동시에 문서 작업, 소통, 기록의 태스크를 수행하기에는 1개의 스크린은 제약점이있다는 공감대가 상당수 형성되었다.• 그래서 아이디어로 스마트폰에 2개의 스크린을 탑재하면, 한계점을 어느 정도는 보완할 수 있다는 의견에 중지가모아졌다.

12

Page 14: The Value of Double-sided Foldable Smartphone(더블스크린 폴더형 스마트폰의 가치)

연구 내용: 3단계 리서치 분석

• 3단계 사용자 리서치는 도출된 아이디어를 구체적인 형태로만들어보고 가치를 도출하는 ‘제품상자(product box)’ 방법을적용하여 분석하였다. • 8개 팀이 2개의 스크린을 탑재한 스마트폰을 각각 1개씩만들었다. 그리고 1개의 팀은 나머지 7개 팀에게 번갈아가면서자체 제작한 차세대 스마트폰 프로토타입을 세일즈하였다.

13

Page 15: The Value of Double-sided Foldable Smartphone(더블스크린 폴더형 스마트폰의 가치)

연구 내용: 3단계 리서치 분석(cont.)

• 공통적으로 접근했던 형태가 등장했다. • 첫 번째는 폴더형(foldable)이었고, • 두 번째는 2개의 스크린을 세로로 아닌 가로로

배치하는 것이었다. • 그 이유는, 스마트폰과 커버의 관계 때문이었다.

대체적으로 커버로 스마트폰을 덮는 방식에익숙해져있어서 가장 유사한 폴더형을 선택하였다.

• 또한, 직장 내에서 2개의 스크린이 배치된 방식과독서 행위 시 책의 양면이 배치된 방식에친숙해져서 세로형 폴더가 아닌 가로형 폴더를선호하였다.

14

Page 16: The Value of Double-sided Foldable Smartphone(더블스크린 폴더형 스마트폰의 가치)

결론

• 사용자로부터 도출한 차세대 스마트폰의 형태는 2개의 스크린을 탑재한가로 배치 방식의 폴더형 폰이었다.

• 이것이 가능하였던 배경은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부터 적응한 사용자의멘탈모델(mental model)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 직장 내에서의 스크린 개수와 활용의 변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의 새로운 방식으로 형성된 독서행위와 기록문화의 변화• TV프로그램의 새로운 소비방식과 소통의 변화

• 이러한 경험의 축적은 결국, 스마트폰 행태의 변화를 촉발하고, 새로운행동패턴을 견인하며, 파괴적인 가치를 구축하는데 결정적인 동인이 될 수있다.

15

Page 17: The Value of Double-sided Foldable Smartphone(더블스크린 폴더형 스마트폰의 가치)

결론(cont.)

• 대표적으로 사용자들이 예시했던 시나리오는• 2개의 스크린이 각각 고유의 역할분담으로 가치를 창출하고, 새로운 습관을

형성하여 돌이킬 수 없는 긍정적인 경험의 변곡점을 만들 것이라는예측이었다.

• 다양한 형식의 자료를 열람하면서 동시에 효과적으로 독창적인 창조 작업• 영상 등의 몰입도가 높은 비디오 형식의 클립을 시청하면서 동시에

효율적으로 SNS을 활용하여 소통• 어린이집에 있는 아이의 모습이나 요양시설에 있는 부모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동시에 통화• 기업의 실시간 경영상태를 주시하면서 동시에 경영전략을 제고할 수 있는

지시• 이렇듯, 각각의 스크린은 독립적으로 때론, 유기적으로 역할분담을 수행하여

기존의 라이프스타일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볼 수 있다.

16

Page 18: The Value of Double-sided Foldable Smartphone(더블스크린 폴더형 스마트폰의 가치)

결론(cont.)

• 그러나 1개의 스크린을 탑재했던 스마트폰보다 두껍거나무겁다면, 차세대 스마트폰의 버전으로서 수용되지 않을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 사용자들의 공통적인 목소리이었음을놓쳐서는 안 될 것이다.

17

Page 19: The Value of Double-sided Foldable Smartphone(더블스크린 폴더형 스마트폰의 가치)

The Value of Double-sided Foldable Smartphone(더블스크린 폴더형 스마트폰의 가치)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