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67

Transcript of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Page 1: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과

상지 운동의

편측무시 감소 효과 비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재 활 학 과

최 희 선

Page 2: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과

상지 운동의

편측무시 감소 효과 비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재 활 학 과

최 희 선

Page 3: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과

상지 운동의

편측무시 감소 효과 비교

지도 정 민 예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11년 6월

연세대학교 대학원

재 활 학 과

최 희 선

Page 4: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최희선의 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년 월 일

Page 5: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감사의 글

먼저, 논문의 완성까지 긴 시간 동안 격려해주시고 지도해 주신 정민예 교수님

께 머리 숙여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바쁜 일상과 논문이라는 과중한 업무 안

에서 나 스스로를 다잡지 못할 때에도 언제나 환한 웃음으로 저를 먼저 걱정해

주시고 따스하게 어루만져 주시던 교수님께 가슴 깊이 감사드립니다. 논문 진행

을 위해 처음으로 힘을 불어넣어 주신 정보인 교수님, 언제나 온화한 미소로 저

를 사랑해주셨습니다. 대학생활 동안 교수님의 따뜻한 사랑을 받으면서 임상의

실제를 느끼게 해주셨고, 연구의 진행을 북돋아 주신 덕에 자신감으로 연구를 시

작할 수 있었고, 무사히 마칠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부족한 연구로 논문 진

행에 조언을 아끼지 않고 지도해 주신 유은영 교수님과 박수현 교수님께도 감사

드립니다. 관련 연구동안 힘이 되어 주었던 보바스 기념병원의 동료들과 논문 진

행에 항상 힘이 되어 주시고 대학원 생활을 무사히 마칠 수 있도록 격려를 아끼

지 않으셨던 송보경 과장님과 손진철 부장님께도 머리 숙여 감사드립니다.

4학기 동안의 대학원 수업을 무사히 마칠 수 있도록 늦은 밤 늘 장거리 운전

으로 저를 도와주었던 우수가 언제나 고맙습니다. 항상 묵묵히 저에게 힘이 되어

주었던 올리브 정양희 선생님, 작은 부탁에도 변함없이 저에게 손을 내주었던 차

미선 선생님, 논문 막바지에 이르러 바쁜 업무에도 항상 변함없이 저를 도와주던

이윤진 선생님, 정신없는 업무로 힘들어 할 때 뒤에서 조용히 저를 감싸주신 정

상용 선생님과 바쁜 하루로 뛰어다니는 저를 따뜻한 마음으로 보듬어주었던 재

활치료부 5팀 식구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대학원 생활을 수월하게 진행

할 수 있도록 항상 격려해주었던 나의 친구 김수정 교수에게도 고마움을 전합니

다. 대학원 수업이 의미있는 시간이 되도록 함께 수업에 참여해주셨던 많은 선생

님들과 선후배님들께도 감사드립니다.

논문을 쓰는 동안 힘들고 지칠 때가 많았습니다. 대학원 생활 4학기가 지나 배

안에 있는 아들이 혹여나 다칠까 싶어 피곤한 몸을 이끌며 논문을 펼쳐보다 포

기한 적이 한 두 번이 아니었고, 쉽지 않은 연구 진행으로 실험을 번복하며 육아

Page 6: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와 함께 논문을 병행했던 지난 1년이 저에겐 그저 꿈같이 느껴지기만 합니다. 복

직을 시작하며 나태해진 나를 다시 채찍질하자며 시작한 많은 일들로 논문 진행

이 힘들어 질 때 마다 육체적인 한계를 느끼며 힘들어할 때 가슴깊이 저를 보듬

어 주시던 가족과 이 기쁨을 나누고 싶습니다. 친정이 오고 싶어 찾아올 때 마다

바쁜 언니의 일상으로 엄마의 도움을 받지 못해 푹 쉬지 못하고 더 힘들어했던

동생 윤선과 제부 호선씨에게 고마움을 전하며, 이모의 부족함에 정신없이 신생

아 시절을 보냈던 조카 지태에게도 고맙습니다. 정신없는 친손녀 때문에 편하기

쉬지 못하시고 아프셨던 우리 할머니, 변함없이 항상 응원해 주셔서 감사드리며

항상 건강하시길 기원합니다. 많은 환자를 치료하면서도 정작 도움을 드리지 못

하는, 병상에서 항상 저를 사랑하는 눈빛으로 지켜봐 주시던 외할아버지, 저의

바쁜 일상과 강의, 육아로 외할아버지보단 외손자를 챙겨야했던 엄마의 시간을

많이 빼앗았던 작년과 올해 초 오랜 기간 동안 효도하지 못해 죄송스럽습니다.

더불어 시골에 계시는 사랑하는 외할머니, 외할아버지를 도와드리지 못한 채 큰

외손녀 이제 논문이 정리되어 갑니다.

그리고 항상 변하지 않는 사랑으로 말없이 저를 응원해주시던 시아버님과 시

어머님께 죄송스럽고 감사합니다. 늘 부족하던 며느리를 언제나 따뜻한 밥상으로

사랑을 채워주셨고, 따뜻한 눈빛으로 저를 감싸주셨습니다. 바쁘다는 핑계로 많

은 시간 함께 하지 못했던 저를 별탈없이 이끌어주셨던 시댁식구들께도 너무 감

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항상 공부에 힘이 되도록 격려해주시고 제 삶의 원동력이 되어주시

는 사랑하는 부모님께 이 작은 결실을 바칩니다. 언제나 든든한 후원자로서 연구

진행을 위해 작은 실수에도 한 번의 다그침 없이 저를 도와주고 이끌어준 사랑

하는 남편 예택, 부족한 엄마와 함께 정신없는 어린 시절을 보냈던 한없이 사랑

스러운 아들 수호와 이 기쁨을 나누고 싶습니다.

2011년 6월

최 희 선 드림

Page 7: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차 례

그림 차례 ······························································································································ i

표 차례 ································································································································· ii

국문 요약 ······························································································································ iii

제1장 서론 ·····························································································································1

제2장 연구방법 ·····················································································································6

2.1 연구 대상 ····················································································································6

2.2 연구의 설계 ··············································································································9

2.3 평가도구 ····················································································································10

2.3.1 무시 판별을 위한 평가 도구 ·······································································10

1)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MVPT) ·········································10

2.3.2 개별과제 선정을 위한 평가도구 ···································································11

1)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11

2.3.3 무시 검사 도구 ·································································································16

1) 알버트 검사 (Albert test) ············································································16

2) 선 나누기 검사 (Line-bisection test) ························································17

3) 별 지우기 검사 (Star cancellation test) ···················································18

2.4 연구 과정 ··················································································································19

2.4.1 실험 내용 ···········································································································19

2.4.2 평가 자세 ···········································································································21

2.5 분석 방법 ··················································································································22

제3장 연구결과 ···················································································································23

Page 8: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3.1 시각적 분석 ········································································································23

3.1.1 알버트 검사 (Albert test) ··············································································23

3.1.2 선 나누기 검사 (Line-bisection test) ·························································25

3.1.3 별 지우기 검사 (Star cancellation test) ·····················································26

3.2 통계적 분석 ··············································································································27

제4장 고찰 ···························································································································29

제5장 결론 ···························································································································37

참고문헌 ·······························································································································39

부록 1 ···································································································································45

부록 2 ·································································································································46

영문 요약 ·····························································································································54

Page 9: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i -

그림 차례

그림 1. 알버트 검사 ··········································································································16

그림 2. 선 나누기 검사 ··································································································17

그림 3. 별 지우기 검사 ··································································································18

그림 4. ‘알버트 검사’의 참여자 전체 평균 추이 ························································24

그림 5. ‘선 나누기 검사’의 참여자 전체평균 추이 ····················································25

그림 6. ‘별 지우기 검사’의 참여자 전체 평균 추이 ··················································26

Page 10: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ii -

표 차례

표 1.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인 특성 ················································································8

표 2. 실험 순서 ····················································································································9

표 3. 과제 지향적 상지훈련을 위한 개별 일상생활 과제 ········································13

표 4. 상지 운동과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의 정의 ····················································20

표 5. 검사 별 편측 무시 변화 비교 ··············································································28

Page 11: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iii -

국문 요약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과 상지 운동의

편측무시 감소 효과 비교

본 연구는 편측 무시를 보이는 좌측 편마비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과제 지향

적 상지 훈련과 상지 운동을 통한 무시 감소 효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대상은 편

측 무시를 진단받은 좌측 편마비 환자 15명으로 개별사례 실험 연구방법(single

subject experimental design)중 동시 중재교차 연구(alternating treatments

design)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이 상지 운동보다 무시 감

소에 더욱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중재 방법은 상지 운동과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으로써 각 중재에 대해 주 5회

매일 30분씩 실시하였다. 두 가지 중재의 순서는 무작위로 할당하여 첫째 주에 7

명의 참여자는 상지운동부터, 8명의 참여자는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부터 실시하

였고, 둘째 주는 훈련 방법을 바꾸어 실시하였다. 편측 무시 정도의 변화를 보기

위해 중재 후 매일 알버트 검사, 선 나누기 검사, 별 지우기 검사를 실시하였고,

결과 분석은 매일 모든 참여자의 검사 평균값을 이용하여 그래프를 통한 변화

추세의 시각적 비교와 두 중재 방법의 평균값을 이용한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

하였다.

연구 결과 상지 운동과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 시 편측 무시에 대한 검사의 평

Page 12: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iv -

균값을 비교하였을 때, 알버트 검사의 평균값은 과제 지향적 상지훈련이 상지 운

동보다 12% 높았으며, 선 나누기 검사는 22.9%, 별 지우기 검사에서도 27% 높

게 나타났다. 또한 3가지 무시 검사에서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을 실시한 주의

편측 무시 증상에 대한 통계적 분석 결과, 알버트 검사(p=.008), 선나누기 검사

(p=.000), 별지우기 검사(p=.002) 모두 그 차이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편측 무시 환자의 무시 감소를 위한 중재 방법 중 상지 운

동 방법 보다 과제 지향적 접근 중재 방법이 더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

었다. 따라서 과제 지향적 상지훈련은 편측 무시 환자의 무시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 방법으로 유용할 것이다.

핵심되는 말 :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 뇌졸중, 상지 운동, 편측 무시

Page 13: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1 -

제1장 서론

편마비로 인한 시지각 장애는 행동 장애 및 정서 장애와 함께 환자의 재활에

가장 문제가 되는 장애로, 재활 치료에 참여하는 의욕과 동기 및 운동 기능 회복

에 영향을 미친다(신승훈, 고명환과 김연희, 2002; 위정선, 한재영과 이상규, 2002).

특히 편측 무시는 뇌 병변 반대 측에 의미 있는 자극을 제시하였을 때, 이 자극에

대한 감지를 못하거나 반응 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Heilman & Valenstein, 1972).

무시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동의어로는 편측 공간무시(hemispatial neglect),

편측 부주의(hemi-inattention), 편측 감각무시(hemisensory neglect), 편측 무시

(hemineglect) 등이 있으며 아직까지 편측 무시 현상을 정확히 정의할 수 있는 용

어는 없다(Kerkhoff, 2001). 최근에는 편측 무시 증상을 편측 시야에 대한 뇌 표상

능력의 감소 및 손상으로 표상경쟁력이 저하되어 공간인식력이 감소된 결과로 설

명하기도 한다(Frassinetti, Rossi, & Làdavas, 2001).

편측 무시는 우측 대뇌 반구 손상 시 왼쪽 대뇌반구 손상보다 심각하며, 편측

무시가 있는 환자는 좌측 부분에 대한 형상의 지각 표상(perceptual

representation)을 적절히 구성하지 못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Marotta, Mckeeff,

& Behrmann, 2003). 이 같은 무시현상은 병변 초기에 자주 나타나서, 시기가 지

날수록 차츰 소실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만약 이 같은 증상이 계속되면 좌측 공간

에 있는 사물을 지속적으로 인식하지 못하며, 기능적인 회복이 매우 어려워 일상

생활 활동에 큰 어려움을 가져온다(Goldon, Leslie, & Christopher, 2004;

Robertson & Halligan, 1999). 따라서 편측 무시가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환자의

경우, 독립적인 이동 및 개별 활동이나 과제 등에서 보호자의 보호가 필요하여 의

Page 14: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2 -

존하는 경향이 높아진다.

보통 편측 무시 현상을 가진 뇌졸중 환자는 환측 사지의 운동능력 소실을 나타

내는데, 상지 움직임에서도 좌측 목표물을 향한 움직임 수행이 느리거나 거의 일

어나지 않는다(Bartolomeo, D'Erme, Perri, & Gainotti, 1998). 이러한 편측 무시

환자의 저하된 환측 상지 운동성의 특성을 토대로 능동운동 및 수동 운동을 통한

무시 변화를 확인한 연구들이 있었다. Làdavas, Berti, Ruozzi와 Barboni (1997)

와 Robertson과 North (1992)는 사지의 자세에 따른 고유 수용성 감각 정보가 활

성화되면 개인외공간(extrapersonal space)과 관련하여 손상된 뇌 표상 능력이 조

절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Frassinetti 등 (2001)은 편측무시 증후군 환자에게

팔의 벌림, 굽힘 등을 적용한 좌측 상지 수동움직임을 통해 고유수용감각 촉진하

면 우뇌 활성화정도가 우측 움직임에 의한 좌뇌 활성화 정도를 이길 만큼 강력하

여 무시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Cubelli, Paganelli 와 Achilli (1999)는

10명의 좌, 우 또는 양손의 능동적인 움직임을 비교한 결과 오직 왼손의 능동적인

움직임을 한 환자에서만 편측 무시의 감소를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Robertson과

North(1994)는 양손의 능동적인 움직임과 좌측 상지의 능동적 움직임을 비교한 결

과, 좌측 상지의 움직임에서만 편측 무시의 감소를 보인다고 하였다. Eskes,

Butler, Mcdonald, Harrison과 Phillips (2003)의 연구에서는 좌측 편측무시 환자

에게 환측 공간에서 환측 손을 이용해 화면의 자극을 보고 버튼 누르기를 실시한

실험에서 환측 상지의 능동적 움직임에 대한 반응 정도를 확인하고 수동적 움직

임 효과를 위한 기능적 전기 자극을 적용하였는데, 두 방법 모두에서 제한된 공간

을 인식하는 능력이 향상되어 편측 무시증후군을 감소시켰다. 추가 연구에서 상지

움직임이 없을 때, 우측 상지 움직임을 적용했을 때와 기능적 전기 자극을 통한

좌측 상지의 수동적 움직임을 이끌어내는 3가지 조건에서 무시 변화를 확인하여,

Page 15: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3 -

수동움직임과 능동적인 움직임이 무시 환자의 시각 스캐닝(visual scanning) 과제

향상에 유의한 증진을 보였음을 확인해주었다. 상지 움직임 촉진을 이용한 이와

같은 여러 연구들에서 상지의 위치와 관련한 무시 감소 효과도 보고되었다.

Baxbaum과 Permaul (2001)은 무시를 가진 환자들이 좌측 공간에 손을 위치한 채

팔을 뻗어 표적으로 움직이는 시작 시간이 우측 공간에 놓아져 있을 때보다 빠르

다는 것을 확인하면서, 시각 집중성과 관련한 무시 증상에 대해 좌, 우 선택적 비

대칭성이 손의 중심(hand-center)에 따라 달라진다고 제안하였다. 즉, 상지를 움직

이는 다양한 범위에서 상대적인 몸통의 방향 및 자세는 상지나 손이 이용하는 과

제를 처리하는 시지각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이다. 결국 몸통을 중심으로

환측 방향(상지의 공간적 위치)에 위치한 상지를 운동하는 방법이 무시현상을 감

소시키는데 더 효과가 있다는 의미로 판단된다.

최근에는 사지의 자세지각능력 및 사지 주변공간이 시각, 촉각, 고유수용감각간

의 다감각(multisensory) 상호작용과 관련되어 위치에 따라 직접 도구를 이용하여

상지를 움직이면 다양한 감각들을 경험하여 시지각 능력이 변화할 수 있다는 연

구 결과들이 있다. 능동적으로 도구를 직접적으로 다루어 사용하면 동일한 거리에

서 시각 자극으로만 받아들이는 것 보다 동시에 손으로 제공되는 촉각 자극이 시

각자극을 함께 처리하여 주변 공간(peripersonal space) 인식을 증가시킨다

(Holmes, Calvert, & Spence, 2004). Maravita, Spence와 Driver (2003)는 손의 위

치 및 움직임에 따라 시공간 인식능력이 달라지는데 손을 이용하여 도구를 사용

하였을 때 닿는 범위까지 인식할 수 있는 시공간 능력이 증가하게 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뇌손상 환자의 신경 심리학적 연구에서도 도구사용과 공간 표상

(spatial representation)의 변화를 연구하였는데, 이와 관련하여 Berti와 Frassinetti

(2000)는 무시증상을 보이는 우뇌 손상환자에게 긴 막대를 이용하여 팔이 뻗어지

Page 16: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4 -

는 공간 내에서 선 나누기 과제를 실시하였을 때 레이저 펜을 이용하여 중심선

을 그을 때 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Dobler 등 (2001)은 익숙하게 사용하는

도구와 신체인식력(body-schema)의 관계를 설명하며, 손의 사용과 활동이 무시증

상을 감소시키는데 적용할만한 흥미로운 것이라고 하였다.

뇌손상 환자의 무시 현상은 복잡한 시공간 인식의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정상인

의 일상생활은 상지를 활용하는 과제가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든 뇌손

상 환자에게 적용되는 치료적 과제도 상지 움직임을 통한 일상생활 내에서 적용

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상지 운동 방법보다는 상지 움직임이 동반된 과

제를 일상생활 내에서 활용하는 방법이 시공간 인식을 변화시켜 편측 무시를 변

화시킬 수 있다면 매우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것이다. 그러나 선행 연구들에서는

무시 감소를 위한 과제로 단순히 막대나 펜을 이용하여 중심선을 확인하거나 물

건 잡기 및 가리키기 등만을 실시하여 다양한 일상 생활영역에서 적용되지는 못

하였다. 뿐만 아니라, 개인적 적응성이 제한된 연구로서 의미 있는 과제로 활용하

지 못했으며, 실험의 객관성 및 다양한 과제의 제한으로 일상생활 내 활동을 직접

적으로 적용하지 못했다. Dobler 등 (2001)은 익숙하게 사용하는 도구의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실제 학습되거나 사용하는 물건의 활용이 중요함을 확인하고, 편측 무

시 환자는 일상생활 안에서 좌측 상지와 손의 격려된 사용을 통해 병적인 집중력

양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실제 작업치료 임상에서도 환측 상지를

이용하여 일상생활 내에서 사용하기 쉬운 자가 물건이나 환경을 활용하고 과제를

직접적으로 훈련함으로써 환자의 독립성을 향상시키고 자발적인 참여를 도와 신

체의 기능을 높이고 있다. 즉 무시 환자를 위해서도 상지의 기능을 활용한 동일한

접근 방법을 활용하여 과제 훈련을 통한 무시 효과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뇌손상 환자는 개별적인 신체 인식력과 신체 개념, 수행 특성이 각각 다르고, 사

Page 17: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5 -

회 활동 및 경력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그에 따른 치료 내용과 적용 과제는 다

양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무시 감소를 위한 치료에서는 환자에 맞는 개별적

접근방법이 적용된 적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도구를 이용하여 연구 되었

기 때문에 과제 지향적인 상지 훈련을 통해 편측 무시 변화를 확인한 논문은 찾

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련 문헌들의 제안 방법들을 응용하여 다수 적

용되었던 상지 운동방법과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을 비교하여 어떤 방법이 무시

증상을 더욱 감소시키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일반적인 임상에서 적용되

는 무의미한 과제보다 개별적인 과제 훈련이 중요성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신경학

적 손상 환자들의 작업 치료적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Page 18: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6 -

제2장 연구 방법

2.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재활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인하여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좌측

편마비 환자 중 편측 무시를 진단 받은 자로, 자연 회복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

하여 발병 기간이 6개월 이상 경과하고 3년을 넘지 않은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은 모두 연구 참여자 선정을 위해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MVPT)를 통해 평가 도구의 무시 판별 기준에 포함된 경우 무시 증상이 있다고

판단하여 참여자로 판별하였다. 실험을 위해 선별된 참여자들은 편측 무시로 인한

주의 집중력의 손상으로 나타나는 경미한 인지 문제 외 다른 인지 능력에 큰 문

제가 없어 검사와 치료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자로 선정하였고 나이의 제한은

없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실험의 내용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참여 의사를

밝혀 동의하에 시행되었다. 대상자의 선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전산화 단층촬영 등을 통해 방사선과 전문의로부터 뇌졸중 진단을 받은 좌측

편마비 환자

2) MVPT평가 시 편측 무시로 의심되는 자

3) 시각적 장애 및 시야 결손이 없고, 노인의 경우 백내장, 녹내장과 같은 안과 질

환으로 인한 시력장애가 없는 자

4) 1일간 재활치료(운동치료, 작업치료, 전기치료)를 받는 횟수와 처방 종류, 치료

시간 양이 동일한 자

Page 19: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7 -

참여자의 정보는 손상된 뇌손상 유형, 유병기간, 인지 기능(MMSE-K)과 일상생

활 동작 기능(MBI) 점수을 기록하였고, 일반적 특성은 성별 및 나이, 우세 손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에 참가한 대상자는 성비가 남성이 8명, 여성이 7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전체 59.27세이며 연령별로 70대가 3명, 60대가 5명, 50대가 5명, 40대가 1

명, 20대가 1명 이었다. 참여자의 연구방법에 따른 분배는 무시증상의 기준을 충족

한 자로 선별되어 1주차에 상지 운동을 먼저 하는 자 부터 1주차에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을 하는 자 순서로 참여자로 보고되는 차례대로 무작위로 나뉘었다. 참

여자의 마비 원인은 뇌경색이 총 2명, 13명이 뇌출혈이었고, 모든 참여자는 좌측

편마비를 가지고 있었다. 전체 참여자의 유병기간은 평균 10개월 25일이다. 우세

손은 실험 참가자 15명 중 1명을 제외하고 모두 오른손을 우세 손으로 사용하였

다. MMSE-K의 경우 평균 점수 24.87±3.29점을 보였고, MBI점수는 51±21.81 점

을 얻었다(표 1).

최초 참여 인원은 초기 참가자 17명 중 1주차에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을 실시

하는 참여자 1명과 2주차에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을 실시하는 참여자 1명이 각

각 탈락하면서, 총 인원은 15명으로 수정되었다.

Page 20: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8 -

참여자 나이 유병기간(일) 발생원인 마비측 우세손 MMSE-Ka

MBIb

MVPTc(반응점수)

1 74 273 뇌출혈 좌측 오른손 15 19 5/21. 31/15

2 68 540 뇌출혈 좌측 왼손 25 37 16/21. 20/15

3 23 270 뇌경색 좌측 오른손 23 91 17/21. 19/15

4 56 408 뇌출혈 좌측 오른손 28 63 17/21. 19/15

5 55 862 동맥류 좌측 오른손 25 42 12/21. 24/15

6 72 120 뇌출혈 좌측 오른손 28 57 14/21. 22/15

7 52 492 동맥류 좌측 오른손 28 55 16/21. 20/15

8 62 191 뇌출혈 좌측 오른손 26 74 15/21. 21/15

9 56 290 뇌출혈 좌측 오른손 28 66 15/21. 21/15

10 59 203 뇌출혈 좌측 오른손 24 43 15/21. 21/15

11 65 263 뇌출혈 좌측 오른손 26 71 16/21. 20/15

12 63 173 뇌출혈 좌측 오른손 25 21 8/21. 28/15

13 73 221 뇌출혈 좌측 오른손 23 17 14/21. 22/15

14 64 461 뇌경색 좌측 오른손 26 66 7/21. 29/15

15 47 276 뇌출혈 좌측 오른손 23 43 10/21. 26/15

평균 59.3 336 24.87 51aMMSE-K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 : 간이정신상태 검사-한국판

bMBI (Modified Barthel Index) : 수정 바델 지수

cMVPT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 운동 시지각 검사 도구

표 1.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인 특성 (N=15)

Page 21: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9 -

2.2 연구의 설계

본 연구는 개별사례 연구방법(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에서 동시 중재 교차 연구(alternating treatments design)를 이용하였다. 중재 방

법에 따라 상지 운동과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으로 구분하였으며, 중재 적용의 시

간적 효과를 제거하기 위하여 적용 시기를 전후로 달리하여 실시하였다. 총 실험

회기는 10회기로 첫 주 치료에 의한 무시 감소 효과를 배제하기 위하여 순서를

달리하여 연구에 참여토록 하였다. 실험순서는 무작위로 설정 되었으며 연구 참여

자 1-7은 2주차에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을 위한 개별 일상생활 과제를, 참여자

8-15는 1주차에 과제가 실시되었다. 모든 대상자는 각 중재 과정을 5회기로 통일

하여 2주 동안 주중에만 실시하였다. 실험의 순서는 표 2와 같다.

표 2. 실험 순서

대상1주차

(30분/일1회/5일)

2주차

(30분/일1회/5일)

참여자

1-7상지 운동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

참여자

8-15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 상지 운동

Page 22: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10 -

2.3 평가 도구

참여자들은 MVPT를 통해 무시 증상의 유무가 판별되었다. 실험에 참가하는 모

든 참여자들은 실험이 시작되기 전 COPM을 적용하여 과제 지향적 상지훈련을

위해 개인에 맞는 일상생활 과제를 선정하였다. 매일 치료 직후 알버트 검사

(Albert test), 선 나누기 검사(Line-bisection test), 별 지우기 검사(Star

cancellation test) 총 3가지의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무시 증상을 확인하였다.

2.3.1 무시 판별을 위한 평가 도구

1)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MVPT)

MVPT는 대상자의 시야 결손 또는 편측 무시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

로서, 총 36개의 문항과 5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Bouska & Kwatny, 1983).

5가지 영역은 시지각 능력을 보는 전경-배경 능력, 시각적 구분, 시각 기억력, 시

각 완성, 공간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도구의 검사-재검사간 신뢰도 범위는

.77-.82이다. 결과는 전체 맞춘 개수를 알아보는 원점수와 왼쪽, 오른쪽 반응개수

를 알아보는 반응 행동 점수를 측정한다. MVPT의 편측 무시 판별의 기준은 평가

도구 내 반응 점수(response score)가 18-69세의 경우 17개 이하, 70-80세는 16개

이하이다.

Page 23: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11 -

2.3.2 개별과제 선정을 위한 평가도구

1)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본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들은 실험 전 과제 지향적 상지훈련을 위한 개별 과제

선정을 위하여 COPM으로 평가 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COPM은 작업치료사들

에 의해 개발된 작업수행 평가도구로 자연환경에서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작업수

행 기술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평가도구로 여러 나라

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Kielhofner, 2002). COPM은 자기관리, 생산성, 여가생활에

대한 수행도와 만족도를 클라이언트 스스로 인식하여 측정하는 방법으로, 클라이

언트 자신이 변화를 직접 평가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실험 전

대상자들에게 스스로 원하고 필요로 하며 기대되는 작업수행영역(자기관리, 생산

적인 활동, 여가활동)중에서 어려움이 있는 과제들을 밝혀내고 각각에 대한 현재

의 수행도와 만족도를 자가 인식에 근거하여 수치(1점-10점)로 기록하였다.

COPM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참여자에게 가장 필요한 항목과 문제점을 중요도

순으로 정리하였고, 실험에 적용할 과제를 선정하기 위해 먼저 중요도의 점수가

높은 순으로 선정한 후 수행도와 만족도의 합이 낮은 순으로 다시 정리하여 보호

자 및 참여자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선택한 과제의 점수는 참여자가 선정한 과

제의 범위가 광범위할 경우 인터뷰 하에 과제를 세분화하여 한 가지로 정하였다.

모든 과제는 반드시 환측 상지가 사용되고, 치료사의 움직임 보조가 항상 동반되

도록 설정하였다. 과제의 조건은 병원 환경 내에서 가능해야하는 제한점이 있으므

로 중요도가 매우 높거나 혹은 수행도와 만족도의 합이 낮아도 선정되지 못한 경

우도 있었다. 개별 일상생활 과제는 표3에 제시되었다.

개별과제의 개별적 특성에 따라 과제가 적용되는 환경과 장소 및 자세는 참여

Page 24: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12 -

자마다 모두 달랐다. 또한 참여자 각각의 과제 수행 습관과 신체 움직임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과제라 하더라도 방법도 모두 달랐다. 1주차에 과제를 병행

한 참여자1 의 경우 개별적으로 선정된 COPM 과제인 ‘신문보기’를 2회 실시 한

후, 치료에 흥미를 잃어 자신이 원하는 ‘시장보기’ 과제로 변경하여 실시하였다. 참

여자가 수행한 과제는 표 3에 제시되었다.

Page 25: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13 -

과제 내용

참여자 1. 서서 환측 손 씻기

치료사의 보조를 받아 선 상태에서 환측 손을 세

면대 좌측 위에 위치 시키고 건측 손을 이용해 좌

측 손, 손목, 아래팔 주변을 비누로 씻고 닦는다.

치료사는 참여자가 서서 닦는 동안 하지가 안정되

도록 허리를 구부리거나 다리를 받쳐주는 등의 보

조 및 언어 지시를 이용하기도 한다. 우측 손으로

핸드 타올을 이용해 물기를 닦는다.

참여자 2.샤워하기

샤워 의자에 앉아 환측 상지를 세면대 위에 걸쳐

놓고 건측 손으로 거품 타올을 이용해 몸을 구부

려 환측 발부터 머리까지 닦는다. 이때 환측 상지

는 동작에 맞추어 자발적인 움직임이 허용되도록

치료사는 상지의 비자발적인 경직이나 움직임을

조절하여 보조한다.

참여자 3. 화장실에서 옷 벗고 입기

치료사는 참여자의 환측 손을 보조하여 벽에 있는

안전 바를 잡게 해주고 잡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트랩으로 손을 고정시킨다. 치료사는 환측 하지

를 보조하고 참여자는 천천히 일어나 바지를 내리

고 앉는다. 내려간 바지를 잡으면서 치료사의 보

조를 받아 올리면서 일어나 바지를 입는다.

참여자 4. 매트에서 좌측으로 물건 옮기기

치료사는 환측 방향으로 몸을 비스듬히 구부려 앉아

참여자의 마비측 아래 팔 바닥이 매트에 닿을 수 있

도록 상지를 구부려 환측 어깨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좌측 상지를 디딘 상태로 건측 손을 이용

해 환측손 앞에 있는 다양한 물건들을 구분하여 환측

상지 너머에 있는 상자에 넣는다. 이때 환측 몸통 움

직임이 용이하도록 치료사의 보조가 필요하다.

참여자 5. 환측 상지로 신문넘겨 보기

참여자는 책상에 신문을 올려놓고, 건측으로 신문

우측을 지지한 상태로 치료사의 보조를 받아 손가

락 움직임을 이용해 신문을 잡고 왼편으로 넘기면

서 신문을 읽는다. 신문을 읽으며 읽고자 하는 제

목이나 내용이 있는 부분을 환측 두 번째 손가락

등으로 가리키면서 읽을 수 있도록 치료사의 보조

가 필요하다.

표 3. 과제 지향적 상지훈련을 위한 개별 일상생활 과제

Page 26: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14 -

과제 내용

참여자 6. 서서 하의 입고 벗기

치료사는 참여자가 앉은 상태에서 양손을 이용해

바지단을 잡고 양쪽 다리가 바지 구멍에 들어갈

수 있도록 돕는다. 무릎 아래 걸친 바지 허리단을

양손으로 잡고 일어나면서 올려 바지를 입을 수

있도록 한다. 다시 선 상태에서 환측 손과 건측

손이 바지 허리단을 잡고 무릎 아래로 내릴 수 있

도록 보조한다. 치료사는 환측 바지를 잘 올릴 수

있도록 언어 지시를 이용하여 입고 벗기를 촉진한

다.

참여자 7. 휠체어와 침대 이동하기

이동시 참여자의 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자리를 잡고, 치료사는 참여자의 환측 손이 옮길

자리를 잡고 지지할 수 있도록 상지를 보조한다.

환측 상지를 보조한 상태로 환측 방향으로 엉덩

이를 들고 돌려서 옮긴다. 휠체어로 옮길 때에는

휠체어 팔 걸이를 잡을 수 있도록 보조하여 옮긴

다.

참여자 8. 시장보기

치료사는 참여자의 환측 손이나 손목 또는 아래팔

에 장바구니를 잡도록 보조한다. 시장보기를 위한

물건 리스트를 받아 작업치료실 내 원하는 공간에

서 물건을 담아 장바구니에 넣는다. 환측 상지로

들고 있는 장바구니에 물건을 담을 때 담기가 용

이하도록 팔을 들어 올리거나 장바구니를 아래로

내리는 등의 움직임이 수월하도록 치료사는 참여

자의 상지를 지속적으로 보조, 동반하여 이동한다.

참여자 9. 세면대 환측 손과 팔 씻기

치료사는 참여자가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환측

팔과 손을 세면대 좌측에 위치시켜 모서리를 잡을

수 있도록 보조한다. 환측 손을 세면대 좌측 위에

위치 시키고 건측 손을 이용해 좌측 손, 손목, 아

래팔 주변을 비누로 씻고 닦는다. 우측 손으로 핸

드 타올을 이용해 물기를 닦는다.

참여자 10. 휠체어와 침대 이동하기

이동시 참여자가 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휠체어의 자리를 잡고, 치료사는 참여자의 환측

손이 옮길 자리를 잡고 지지할 수 있도록 상지를

보조한다. 환측 상지를 보조한 상태로 환측 방향

으로 엉덩이를 들고 돌려서 옮긴다. 휠체어로 옮

길 때에는 휠체어 팔 걸이를 잡을 수 있도록 보조

하여 옮긴다.

표 3. 과제 지향적 상지훈련을 위한 개별 일상생활 과제 (계속)

Page 27: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15 -

과제 내용

참여자 11. 상의 입고 벗기

참여자는 매트에 앉아 환측 손과 팔을 가슴높이

보조 테이블 위에 올려놓는다. 치료사는 참여자의

손과 팔이 보조 테이블에서 떨어지거나 경직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움직임이 나타나지 않도록 팔을

자연스럽게 걸치고 손이 테이블을 잘 잡을 수 있

도록 움직임을 조절해준다. 환자는 상의 뒤쪽을

잡아 올려 목부터 벗고 건측 팔까지 모두 벗은 후

천천히 환측 팔로 옷을 내린다. 반대의 순서로 옷

을 다시 입는다.

참여자 12. 세면대에서 환측 손과

팔 씻기

치료사는 참여자가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환측

팔과 손을 세면대 좌측에 위치시켜 모서리를 잡을

수 있도록 보조한다. 환측 손을 세면대 좌측 위에

위치 시키고 건측 손을 이용해 좌측 손, 손목, 아

래팔 주변을 비누로 씻고 닦는다. 우측 손으로 핸

드 타올을 이용해 물기를 닦는다.

참여자 13. 상의 입고 벗기

의자 환측 방향에 보조테이블을 높고 환측 상지를

올려놓아 환측 손부터 옷을 입는다. 팔이 떨어지

지 않도록 참여자의 체중을 충분히 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목과 건측 팔을 끼워 옷입기를 완성한

다. 치료사는 팔을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도록 경직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조

절해준다. 벗기는 반대의 방향으로 진행된다.

참여자 14. 휠체어와 침대 이동하기

참여자의 휠체어를 침대 대각선 방향에 놓고 양

손이 침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치료사는 환측 상

지를 어깨 아래부터 팔꿈치를 받쳐 손을 딛도록

보조한다. 양 손으로 침대를 딛고 엉덩이를 들고

일어나 돌려 침대로 앉는다. 돌려 앉으면서 발생

하는 환측 상지의 움직임이 자연스럽도록 치료사

는 지속적으로 상지를 보조해주어야 한다.

참여자는 치료사의 보조를 받아 침대 정면에 휠

체어를 두고 환측 손이 대각선방향의 휠체어 팔걸

이를 잡는다. 환자는 엉덩이를 들어 몸을 돌려 휠

체어에 앉는다. 몸을 회전하여 앉는 동안 치료사

는 참여자의 상지 움직임을 조절한다.

참여자 15. 화장실에서 이동하기

치료사는 참여자의 환측 손을 이용해 화장실 입구

칸막이를 잡도록 돕는다. 칸막이를 잡은 상태에서

몸을 세워 일어나 건측 몸이 화장실 안으로 먼저

들어가도록 회전하여 변기에 앉는다. 치료사는 이

동하는 동안 환측 손과 상지가 칸막이 잡기를 놓

치지 않도록 손 중심으로 상지 움직임을 보조한

다.

표 3. 과제 지향적 상지훈련을 위한 개별 일상생활 과제 (계속)

Page 28: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16 -

2.3.3 무시 검사 도구

1) 알버트 검사 (Albert test)

알버트 검사의 평가지는 26cm × 20cm의 용지로 편측무시 증상의 정도를 확인

해보는 평가도구이다(Albert, 1973). 각 길이가 2.5cm인 총 40개의 선이 6행(좌2행,

중 2행, 우2행) × 6열 + 1행(정중앙) × 4열로 구성된다. 평가자는 평가 전 정중앙

열의 선 1개를 그어 시범으로 보여주고, 모든 선에 표시하라고 지시한다. “모든 선

을 다 표시하였나요?”라는 질문으로 확인한다. 머리의 움직임은 제한하지 않는다.

일반적인 점수 측정 방법은 (무시한 선의 개수/총 선의 개수)×100 으로 편위 정도

를 기록하거나 표시된 개수를 확인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편위 정

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전체 표시된 선의 개수로 확인하였다. 검사-재검사자

간 신뢰도는 .99이다.

그림 1. 알버트 검사

Page 29: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17 -

2) 선 나누기 검사 (Line-bisection test)

선 나누기 검사는 Schenkenberg, Bradford과 Ajax (1980)에 의해 고안된 검사

로써, 21.5cm×29cm의 흰 용지 위에 중앙, 왼쪽, 오른쪽으로 무작위로 배열되어 있

는 선들로 구성되어 있다. 맨 위와 맨 아래의 선은 연습용으로 사용하고, 왼쪽 6개

의 선은 각각 100mm, 120mm, 140mm, 160mm, 180mm이며, 오른쪽 6개의 선은

200mm이다. 검사 방법은 종이를 대상자의 중앙에 위치시키고, 펜을 이용하여 각

선의 중심 점을 표시한다. 본 실험에서는 재평가 시 종이를 180°돌려 사용하였다.

점수는 각 선의 실제 중앙점과 표시한 중앙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선마다 값

들을 모두 더하여 선 개수로 나누어 구한다. 검사 해석은 중앙에서 벗어난 길이가

평균 6.33mm미만인 경우 정상, 6.33mm이상인 경우는 경한 편측무시, 12.5mm이상

인 경우 심한 편측 무시로 판별된다(Zoltan 1996). 검사자간 신뢰도는 .82이다.

그림 2. 선 나누기 검사

Page 30: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18 -

3) 별 지우기 검사 (Star cancellation test)

별 지우기 검사는 56개의 작은 별, 52개의 큰 별과 단어와 문자로 구성된 A4

크기의 검사지로 만들어져 있다. 검사자는 가운데 작은 별 2개를 표시하여 시범을

보여주고, 참여자에게 나머지 작은 별들을 표시하도록 한다. 점수는 좌우 각각의

반쪽 공간에 대해 [지운 작은 별 개수 / 전체 작은 별 개수] × 100으로 비율을 확

인한다(Na et al., 2000).

그림 3. 별 지우기 검사

Page 31: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19 -

2.4 연구 과정

2.4.1 실험 내용

실험은 2011년 7월부터 11월까지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각각 월요일부터 금

요일까지 5일 실험을 2주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MVPT 평가를 통해 무시

증상이 확인된 자 15명으로, 대상자로 선정되는 순서로 일상생활 과제 지향적 상

지 훈련을 실시하는 주를 무작위 분배하여 진행하였다. 참여자의 과제 지향적 상

지훈련을 위한 개별 일상생활 과제를 선정하기 위한 사전 평가로 COPM(부록참

조)을 실시하였다.

모든 참여자는 동일한 시간과 횟수로 물리, 전기, 기구치료를 받았으며, 실험은

참여자의 작업치료 시간을 이용하여 시행하되 시간은 작업치료 30분과 정리 및

평가시간 15분으로 이루어졌다. 작업치료 직후 실시된 3가지 무시 검사는 모두 각

참여자의 해당 치료사에 의해 검사되었고 선 나누기 검사의 경우 날마다 방향을

바꾸어 평가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치료사는 참여자의 상지 운동을 위한 참여자의

신체 조건 및 특징에 대해 사전에 충분히 숙지하였고, 선정된 개별 과제를 적용하

기 위한 방법도 연구자와 함께 자세히 토론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작업치료사는

참여한 개인의 움직임 특성을 고려하여 상지 운동 방법을 적절히 적용할 만한 방

법을 알고,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비할 수 있는 자로 매일 같은 치료사가 실

시하였다. 치료는 작업치료 시간 내에 적용하였으며, 치료사가 왼편에 위치하여 진

행하였다.

모든 참여자에게 적용된 상지 운동과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의 정의는 표4와

같다.

Page 32: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20 -

표 4. 상지 운동과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의 정의

정 의

상지 운동

-앉은 자세에서 치료사에 의한 환측 체 중심 이동, 위쪽

몸통 및 어깨뼈, 팔, 손목과 손가락 운동

-참여자의 자발적인 근 활동과 능동 움직임 및 치료사

보조를 이용한 상지 움직임 촉진과 수동 운동 포함하며

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자세의 제한은 없음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

-참여자의 과제에 맞도록 환측 상지의 근 긴장도를 조

절하고 관절 범위를 허용하기 위하여 치료사에 의한 상

지 움직임 준비 과정이 포함됨

-과제를 수행할 때 치료사는 참여자의 움직임 특성을

고려하여 환측 상지가 반드시 참여할 수 있도록 보조하

였으며 개별 훈련 방법은 표 3과 동일함

Page 33: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21 -

2.4.2 평가 자세

참여자는 매일 치료 직후 동일한 의자와 책상에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앉은

자세에서 전동 책상을 가슴 높이에 맞추고 정면 중앙에 평가지를 두었다. 평가지

는 가슴으로부터 중앙점이 30cm 떨어진 위치에 놓이도록 동일한 위치를 설정하였

으며, 선 표시 및 중심선 표시 등은 오른손을 이용하였다. 평가 시 참여자의 환측

손의 위치를 제한하지 않았고, 평가를 위한 자발적인 머리 회전은 허용하였다. 평

가 도중 간단한 확인을 위한 질문이나 진행 상황을 물어볼 경우 간단히 예/아니오

로 대답하여 평가를 지속시키는 경우도 있었다.

Page 34: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22 -

2.5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그래프와 기술 통계량인 평균값을 통해 연구 대상자의

편측 무시 정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상지 운동과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에

따른 편측 무시 증상의 시각적 차이는 중재에 따른 변동성에 따라 시각적 그래프

경향선과 평균 수준으로 확인하였다. 각 연구 대상자의 통계량을 추가로 분석하기

위하여 각각 환자의 평가 결과 데이터를 기술 통계분석을 통해 정규성을 확인하

였으며, 평가 검사 마다 상지 운동과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에 따라 나뉜 주간 개

인 점수의 평균을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으로 분석하였고, 모든 통계처리

는 α=.05 유의수준에서 검정하였다.

Page 35: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23 -

제3장 연구 결과

3.1 시각적 분석

시각적 분석은 각 무시 검사마다 참여자 전체의 일별 평균 점수를 이용하였으

며, 그래프를 통해 상지 운동과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의 무시 증상 차이를 비교

하였다. 개인의 검사별 점수 변화 추이를 확인할 수 있는 그림을 부록으로 추가하

였다.

3.1.1 알버트 검사 (Albert test)

참여자들의 알버트 검사 결과에서 상지 운동 시 표시된 평균 선의 개수는 33.31

개 (범위: 32.27-34.60),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 시 표시된 선의 개수는 37.39개 (범

위: 36.47-38.13)를 보였다. 참여자들은 과제 지향적 상지훈련을 실시했을 때 평균

4.08개의 선을 더 많이 표시함으로써 12% 더 높은 표시율을 보였다.

Page 36: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24 -

그림 4. ‘알버트 검사’의 참여자 전체 평균 추이

Page 37: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25 -

그림 5. ‘선 나누기 검사’의 참여자 전체 평균 추이

3.1.2 선 나누기 검사 (Line-bisection test)

참여자들의 선 나누기 검사 결과에서 상지 운동 시 실제 중심점과 표시된 중심

점 의 차이는 평균 22mm (범위: 19.97-23.15),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 시 중심선

의 차이는 16.97mm (범위: 14.69-19.94)를 보여 실제 중심과 표시한 중심의 차이

는 상지 운동보다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을 실시했을 때가 평균 5.03mm로 더 적

었고, 중심점 간의 차는 22.9%더 줄어들었다(그림 5).

Page 38: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26 -

그림 6. ‘별 지우기 검사’의 참여자 전체 평균 추이

3.1.3 별 지우기 검사 (Star cancellation test)

참여자들의 별 지우기 검사 결과에서 상지 운동 시 검사지 왼편에 표시된 별의

비율은 평균 59% (범위: 52-66),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 시 검사지 왼편에 표시된

별의 비율은 평균 75% (범위: 73-77)로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을 실시했을 때가

평균 16% 높게 표시되었다.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으로 인한 검사지 왼편에 표시

된 별의 비율은 상지 운동을 적용했을 때 보다 평균 27%의 증가율을 보였다(그림

6).

Page 39: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27 -

3.2 통계적 분석

알버트 검사에서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 시 1주 동안 표시된 선의 개수가 평균

36.12±6.02개, 상지 운동을 실시했을 경우 평균 33.31±8.62개로 나타났다. 과제를

이용한 상지 훈련을 했을 때와 그렇지 않았을 때 알버트 검사의 표시한 선 개수

는 평균 2.81±3.56개 차이가 났다. 통계 유의 확률은 .008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p<.05)(표 5).

선 나누기 검사에서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을 했을 때 선 나누기 검사 시 실제

중심과 표시된 중심점의 차이는 평균 16.80±5.21이며, 상지 운동 시 실제 중심과

표시된 중심점의 차이는 평균 22.05±5.69으로 나타났다. 상지 운동과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 에 따른 차이는 평균 -5.25±2.48로 상지 운동을 실시했을 경우 중심선

을 인식하는 오른쪽 치우침이 더 크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실험 조건의 유의

확률은 .000으로 결과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표 5).

별 지우기 검사에서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을 실시했을 때 인식한 검사지 왼편

의 별의 비율은 평균 75.87±27.10%, 상지 운동을 실시되었을 경우 인식한 별의 비

율은 59.47±30.46%로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에 의해 왼편의 별을 인식하는 비율

이 16.40±16.72% 더 높게 나타났다. 실험 조건 사이의 유의확률은 .002로 결과 값

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표 5).

Page 40: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28 -

표 5. 검사 별 편측 무시 변화 비교 (N=15)

검사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

(M ± SD)

상지 운동

(M ± SD)

두 조건에

따른 차이t p

알버트 검사

(선의 개수)36.12 ± 6.02 33.31 ± 8.62 2.81 ± 3.56 3.06 .008

*

선 나누기 검사

(mm)16.80 ± 5.21 22.05 ± 5.69 -5.25 ± 2.48 -8.185 .000

*

별 지우기 검사

(표시된 왼쪽별의

비율)

75.87 ± 27.10 59.47 ± 30.46 16.40 ± 16.72 3.799 .002*

* p<.05

Page 41: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29 -

제4장 고찰

본 연구에서는 상지 운동과 일상생활 과제를 이용한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의

편측 무시 변화를 확인하고, 시각적이고 통계적인 분석을 통해 무시 증상의 감소

를 비교하였다. 연구는 2주간 평일에 작업치료 시간동안 실시되었으며, 참여 대상

자는 좌측 편마비 환자 15명으로 편측 무시 검사 3가지를 이용해 확인했다. 총 45

개의 검사별 데이터를 얻어 전체 참여자의 치료 방법에 따른 데이터 평균을 이용

해 무시 검사마다 전체 그래프로 나타내고, 각 참여자의 주간 데이터 평균이 통계

분석에 사용되었다. 3가지 검사 결과에서 편측 무시 환자를 위한 두 가지 방법 중

일상생활 과제를 적용한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이 상지 운동보다 더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전후 시기와 상관없이 무시 증상을 더욱 감소시킴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편측 무시 증상을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질적인 무시 감소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단일 설계연구를 이용하였다. 단일 설계연구는 일반적인

집단 연구에서 무시될 수 있는 각 사례들의 특성을 고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

다(Kazdin, 1982). 이번 연구는 기초선 없이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과 상지 운동의

전후 순서를 무작위로 나뉘어 동시 중재 교차 연구 설계를 사 용하였는데, 이는

각 치료와 무시 검사지의 시간적 학습효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용되었다. 또한

본 연구의 참여자 인원은 기존 단일 설계연구 대상자보다 많아 연구의 의미가 높

고, 다양한 사례별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나 일반화 할 수는 없었

다. 그러나 치료에 의한 변화의 폭이 안정적인 추세를 나타내지 못하여 정확한 경

향을 알아내기 어려웠다는 점 때문에 참여자 전체의 평균을 이용해 검사 결과를

Page 42: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30 -

얻어야 했다. 뿐만 아니라 짧은 실험기간 동안 시행되었기 때문에 치료 직후의 무

시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장기적인 치료 효과에 대한 경향을 명확히 예상할

수 없었다는 문제가 있었다.

알버트 검사에서는 상지 운동과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을 적용하였을 때 두 방

법 간 무시 변화의 추세는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평균 표시개수는 확연히 다르게

나타났다. 상지 운동 시 선의 개수가 33.31개였고,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 시 표시

된 선은 12% 증가한 37.39개를 보였는데, 각 치료 방법을 적용한 5일째 모두 표시

된 선의 개수의 차는 조금 더 감소하였다. 참여자 1의 경우 알버트 검사에서 나타

난 두 치료 방법의 차이가 가장 컸는데, 선을 표시한 개수가 30개 이상 차이나기

도 했다. 반면, 참여자 2의 경우 과제 지향적 상지훈련을 적용한 첫날과 상지 운동

을 적용한 이틀째부터 각각 만점을 기록해 그 이후의 편측 무시 감소 변화를 파

악하기 어려웠다. 참여자 9, 10도 3일째부터 선을 모두 표시하여 점수 변화를 볼

수 없었다. 반면 참여자 14와 15는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이 적용된 5일째 표시된

선의 개수가 다시 감소하였는데, 특히 당일 참여자 14는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된

일상생활 과제에서 어려움을 보였다.

선 나누기 검사에서는 상지 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보다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

을 실시하였을 때 중심점 간 차의 변화율이 더 컸다. 선 나누기 검사의 일일 검사

값은 모두 우측 치우침을 보이는 양의 값을 나타냈으며, 상지 운동 시 표시된 중

심점 의 차이는 평균 22mm,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 시 중심선의 차이는 16.97mm

를 보여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 시 평균 5.03mm 더 적게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일일 검사 값에서는 평균적인 중심점 간의 차가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을 적용한

경우 더 적게 나타났으나 매일 변화 추이가 안정되지 않아 상지 운동을 실시하였

을 때 중심점의 차가 더 적게 나타난 날이 있을 만큼 다른 검사 결과에 비교하여

Page 43: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31 -

치료 방법 간 그래프의 변화가 크게 발생하였다. 또한 참여자 8과 14는 각 치료방

법이 적용된 첫 날 상지 운동이 편측 무시 감소에 더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

으나 평균적인 편측 무시 감소는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

다. 전체 참여자의 선 나누기 검사 결과 대부분 선 나누기 검사 해석 기준에 따라

12.5mm 이상 표시되어 심한 편측 무시로 판별되었다.

별 지우기 검사는 전체 참여자의 평균 결과를 이용한 그래프에서 과제 지향적

상지훈련의 효과가 확연히 나타났는데, 상지 운동 시 별의 표시보다 평균 27% 증

가율을 보이며 무시 감소의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개별적인 검사 결과에서

는 무시 검사 결과 중 상지 운동과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 간의 무시 감소 차이

가 시각적으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나, 두 치료 방법 모두 안정된 무시 감소

추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참여자 1의 경우는 치료 후 별 지우기 전체 별의 개수

가 증가한 특징을 보였다. 그러나 별 지우기 검사의 중심을 넘어 왼편을 인식하지

못하여 연구 기간 동안 좌측 별을 표시한 날이 없었다. 이 때문에 상지 운동과 과

제 지향적 상지 훈련 두 방법 모두에서 검사 결과 0%를 보였다. 반면 참여자 3, 4

는 짧은 기간 동안 왼쪽 면의 작은 별을 모두 표시할 수 있었는데, 특히 과제 지

향적 상지 훈련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참여자 4는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동안 지

속적으로 100%를 획득하여 무시 검사의 변화를 더 이상 볼 수 없었다는 단점이

있었다. 참여자 3, 4, 9는 왼편의 별을 모두 표시되어 100%를 기록한 날이 많아

전체 참여자를 대상으로 평균 비율의 차는 있었지만 개인의 점수 변화 추이는 변

화가 있다고 언급하기가 어려웠다. 특징적으로 전체 참여자 중 14번 환자는 무시

정도가 심한 것에 비해 실제 마비된 정도는 적어 상지 약화 증상만 보일 정도로

상대적인 강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무시증상은 지속적으로 보이는 자였다. 14번 참

여자의 전체적인 검사 결과는 환측 상지가 함께 쓰이는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이

Page 44: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32 -

적용된 주가 언제든 상관없이 무시가 더 많이 감소되는 결과를 보였다. 즉, 일상적

으로 적용되는 상지 운동보다 직접적인 상지의 활동성을 활용한 과제가 무시를

변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편측 무시를 검사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본 실험에서 사용한 검사는

알버트 검사, 선 나누기 검사, 별 지우기 검사 이다. 본 연구 결과는 부록에서 확

인할 수 있는 참여자 개인의 알버트 검사와 별 지우기 검사를 보았을 때 결과의

100%를 나타낸 경우가 많아 무시 변화를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던 반면 선

나누기 검사는 변화의 폭을 가장 자세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Butter와

Kirsch(1992)의 연구에서도 편측 무시를 확인할 수 있는 임상 검사인 선 자르기

검사, 선 제거 검사, 문자 제거 검사, 글 읽기 검사, 시계 그리기 검사 중에 선 자

르기 검사를 가장 민감한 검사로 꼽았다.

편측 무시 환자들은 종종 접시의 좌측에 있는 음식 먹기에 실패하거나, 얼굴 좌

측부분의 면도를 하지 못하고, 걷거나 휠체어 이동 시 좌측 장애물을 피하지 못하

는 등의 일상생활 활동에 큰 어려움을 가져올 수 있다(Robertson & Halligan,

1999). 따라서 편측 무시는 기능 회복의 예후를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된

다(장기연, 1996). 특히 뇌졸중 환자는 대부분 신체기능 저하가 동반되기 때문에

편측 무시를 가지고 있는 경우 감소된 신체 인식력으로 인하여 좌측 환부를 자발

적으로 사용하기가 더욱 어려워지고, 이는 개인 활동의 의존도를 높이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과거 연구들에서는 좌측 신체 인식능력과 관

련하여 다양한 상지 운동 방법들이 연구되었다. Halligan, Manning과 Marshall

(1991)에 의하면 개인외공간(extrapersonal space) 내에서 상지 움직임을 통한 고

유수용성 감각을 제공함으로써 좌측 자극을 인식하는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하였고, Robertson과 North (1993)는 단일 사례연구에서 손과 발에 수동과 능동

Page 45: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33 -

운동을 실시한 결과 왼쪽 공간에서 손과 발의 능동적인 운동에서만 유의한 효과

를 나타냈다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도 상지 운동에 대한 편측 무시의

감소는 그래프의 변화 추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 제안

한 상지 과제 훈련 방법은 단순한 상지 운동 방법보다 무시 감소에 더욱 효과적

이었으며, 참여자 개별 과제 수행의 중요성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

Chiba, Nishihara, Yamaguchi와 Haga (2008)은 편측무시 환자의 특별한 증상

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임상적으로 나타나는 결함의 특징들을 각각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따라 적절한 재활 프로그램이 선택되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은 신경학적 손상을 가진 환자를 위한 기

능적 접근방법 중 하나로 사용되는 것으로 다양한 상황에서의 적응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Carr 와 Shepherd (2003)은 과제 지향적 접근 방법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동작의 증진을 위한 방법으로 움직임의 정상적 패턴을 반복

적으로 학습시키는 것보다 더 높은 향상성을 가져다 줄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Ma와 Trombly (2002)는 뇌졸중 환자에 대한 작업치료의 효과 연구에서 과제를

이용한 접근법이 편측 무시에 대한 인식 및 인지에 더 많은 향상을 보였음을 입

증하였다. 방요순 (2007)의 연구에서도 과제 지향적 활동이 인지 능력 중 편측 무

시와 관련 있는 시지각 능력 영역 항목에서 전통적인 인지재활 방법보다 높은 효

과를 보여주었다고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Dobler 등 (2001)은 편측 무시증상을

갖고 있는 환자는 일상생활 안에서 환측 상지의 격려된 사용을 통해 병적인 집중

력 양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고 보고함으로써 상지 과제의 중요성을 언급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과제 지향적 활동을 촉진하고 환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위

하여 COPM을 통해 익숙한 개별 과제를 선정하였으며, 과제는 모두 환측 상지를

이용하는 조건으로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을 실시하였다. 즉, 마비된 상지가 능동

Page 46: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34 -

적인 참여를 통해 사용될 수 있도록 기능적인 과제를 실시하였는데 모든 과제는

일상생활 내에서 사용되는 기능적 운동성을 활용하거나 세수하기 및 옷 입고 벗

기 등 매일 참여자에게 치료적으로 적용할 만한 것으로 익숙한 동작을 훈련하는

것이었다. 참여자들은 각각 부위는 달랐으나 부분적인 능동적 근 활동이 가능하여

과제를 위한 상지의 움직임을 능동적 기능으로 연결하고자 하였다. 이는 무의미한

치료적 도구나 작업을 활용한 작업치료보다 매우 의미 있는 과제로 보이며, 편측

무시 감소에도 더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Napier (1956)의 연구에서

말하는 성공적인 도구의 사용은 적어도 시각, 촉각, 수용성 감각 및 운동성의 통합

이 요구되는 방법이라고 하였으므로, 일상생활 과제를 적용한 도구의 활용하여 무

시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보다 더 직접적인 도구 이용을 위해 환측

손을 활용하는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신경학적으로도 과제 사용과 시공간

상호작용의 연구에서 실제 위치하고 있는 상지 및 손이 도구를 통해 느끼는 과제

의 촉각이 시각적인 인식 능력과 다른 경우, 이에 반응하는 시각-촉각 신경세포의

반응도 감소하였다는 보고도 있었다(Maravita et al., 2003).

손을 이용한 능동적인 도구의 사용은 시공간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고 보고

되면서 무시 증상과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Edwards & Humphreys, 1999). 이들은

손의 잡기 효과가 가리키기(pointing)보다 무시 현상을 덜 일으키는지 설명하면서,

활동(action)을 위한 시각적 정보가 공간적 판단으로 사용되고, 각성 효과를 더 크

게 일으켜 무시를 감소시키는 것이라고 보고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활용된 환측

상지를 이용한 일상생활 과제 훈련 방법은 능동적인 도구를 조작하기 어렵기 때

문에 주변 환경을 잡고 이용하는 과정 안에서 상지의 기능을 적용하는 방법으로

무시 증상을 감소시켜보고자 하였다. 때문에 모든 과제에서 환측 상지는 무조건

이용되어야 했고, 부분적인 몸통과 하지의 움직임을 동반해 환측 상지를 일상생활

Page 47: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35 -

과제에 접목시키는 능동적인 운동 및 과제로 적용하기 위해 자발적인 움직임이

불충분한 경우 치료사가 보조할 수 있도록 환자마다 도움 방법과 신체적 보조 위

치를 모두 다르게 적용하였다. 또한 환측 상지는 대부분 경직이나 무감각 및 운동

성 저하의 특징을 보여 일반적인 일상생활 과제보다 시간이 더욱 지체되고 자세

하게 진행되었다.

기존에 임상에서 다수 적용되어 치료되던 상지 운동 방법이 편측 무시를 감소시

킬 수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본 연구에서 적용한 과제는 환측 상지를 이용하여

참여자들의 기능을 수행 반복했다는 면에서 작업 치료적 의미가 있다. 작업치료

프로그램은 수행 영역에서 참여자의 능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하여 기능

적 독립을 유도, 작업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작업치료

사는 환자의 일상생활 동작뿐만 아니라 일, 생산적인 활동 및 여가에 대한 적절한

과제를 각 개인이 작업적 역할을 만족하게 이행할 수 있도록 개인적 발달 단계

및 문화와 환경에 맞추어 학습과 훈련을 통해 적용된 과제를 수행하도록 한다(고

승연 등, 2002). 따라서 작업치료는 선택된 과제에 대한 환자의 능동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다. 과제 지향적 접근은 뇌졸중 환자의 인지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의 증

진을 위해 환자에게 정상 움직임 패턴들을 반복적으로 연습시키는 것보다 기능적

과제를 제공하여 문제해결을 능동적으로 시도하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

적이라고 가정한다. Keith 등 (2005)은 기능적인 과제를 통한 중재가 아닌 직접적

인 인지훈련은 훈련과제에서 수행이 증진되지만 일상생활 활동 등의 기능적 수행

의 양상으로 연계되지 못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환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촉진하기 위하여 COPM이 익숙한 개별 과제를 선정하는데 이용되어, 과제 훈련

동안 상지를 참여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검사 결과는 전체 참여자의 상지 운동과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에

Page 48: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36 -

따른 편측 무시의 시각적인 변화를 확인하고, 통계적으로 비교한 것이다. 모든 참

여자들은 세 가지 검사에서 검사결과가 매일 유동적이고 변화가 컸고 치료 기간

이 2주간 각 1주씩 2가지 방법으로 매우 짧게 적용되어 치료에 따른 지속적인 무

시 감소는 정확히 확인할 수 없었으나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이 무시 변화에 영

향을 미칠 수 있는지는 정확히 확인하였다. 그러나 편측 무시 변화의 다양성은 참

여자의 치료 후 평가시 집중력 변화와 개별 신체 조건이 달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여타 치료 효과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 때문에 과제수행에도 질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또한 치료에 의한 불안정한 변화 추세로 참여자 전체의

평균을 이용해 검사 결과를 얻었고 짧은 실험기간 동안 시행되었기 때문에 치료

직후의 무시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장기적인 치료 효과에 대한 경향을 명확

히 예상할 수 없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실시된 상지 운동과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 시 나타나는 무시 반

응의 차이는 뇌졸중 후 환자의 개인 기능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또한 무시 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해 기존에 많이 사용되던 상지 운동 방법이 어떤 과제 지향적 훈련

과 연결되느냐에 따라 개인적 변화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과제 지향

적 상지 훈련에 적용되는 일상생활 과제에 관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여 더욱

다양하고 반복적인 실험 효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환자의 발

병 이후 잔존한 신체 기능의 평가가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으며, 장기간 적용하여

무시 변화를 정확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에 사용하던 간단한 종

이-무시 검사 방법 외에 다양한 검사 도구를 응용하여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을

활용한 치료의 객관성을 확인해보는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Page 49: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37 -

제5장 결론

본 연구의 목적은 편측 무시를 보이는 좌측 편마비 환자에게 상지 운동과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을 통해 무시 증상의 감소 효과를 확인해 보는 것이었다. 연구는

경기도 분당에 소재한 재활 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좌측 편마비 환자 15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연구 디자인은 개별 실험 연구방법 중에서 동시 중재

교차 연구(alternating treatments design)를 사용하였다. 추가로 일상생활 과제 지

향적 상지 훈련의 효과를 통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각 연구 대상자의 주간 무

시 검사평균을 비교하였다.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을 위한 참여자의 일상생활 과제는 COPM을 이용하여

원하는 과제를 확인하고, 연구 참여자 및 보호자와 치료사간 충분한 면담을 통해

과제를 한가지 씩 선정하였다. 일상생활 과제는 개인의 신체 상태와 일상생활 패

턴에 따랐으므로 참여자 모두 같은 과제였지만 방법이 다르게 적용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2주간 평일을 이용하여 매일 총 10회기 해당 작업치료 시간 동안 상지

운동 또는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을 집중적으로 훈련하였고, 첫 주의 연구 효과가

둘째 주에 미치는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순서를 달리하여 참여자를 무작위로

분배 한 후 연구에 참여토록 하였다. 편측 무시 평가는 알버트 검사, 선나누기 검

사, 별 지우기 검사를 이용하였다.

Page 50: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38 -

일상생활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 유무에 따른 편측 무시 증상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편마비 환자 개인에게 맞는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을 편측 무시 증상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알버트 검사에서 상지 운동과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을 실시했을 때 상지

운동 방법보다 환측 상지를 활용한 일상생활 과제 훈련에서 무시 증상이

더 크게 감소하였다.

셋째, 선 나누기 검사에서 상지 운동과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을 실시했을 때

상지 운동 방법보다 환측 상지를 활용한 일상생활 과제 훈련에서 무시 증

상이 더 크게 감소하였다.

넷째, 별 지우기 검사에서 상지 운동과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을 실시했을 때

상지 운동 방법보다 환측 상지를 활용한 일상생활 과제 훈련에서 무시 증

상이 더 크게 감소하였다.

다섯째, 상지 운동을 실시한 주와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을 실시한 주의 3가지

무시 검사에 대한 주간 평균 점수를 비교한 결과,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시

무시 증상이 더 크게 감소하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 과제 지향적 상지 훈련이 기존에 다수 적용되던 상지 운동 방법

보다 편측 무시 감소에 더욱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

로 향후 작업 치료에서 시행되는 편측 무시 환자를 위한 치료는 단순히 환측 상

지 운동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 보다 환측 상지를 직접 적용하여 개인에 맞는 일

상생활 과제를 함께 수행하는 방법이 적극 활용되어야 할 것이며, 실제 작업치료

실에서 적용할 수 있는 과제 지향적 방법의 근거를 제시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Page 51: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39 -

참고문헌

방요순. (2007). 과제 지향적 활동이 성인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에 미치는 영향. (3), 49-61.

신승훈, 고명환, 김연희. (2002). 컴퓨터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이용한 뇌손상

환자의 인지치료 효과. (1), 1-8.

위정선, 한재영, 이삼규. (2002). 뇌졸중 후 정신상태 및 시공간 검사와 인지능력

및 기능적 결과와의 관계. (5), 237-242.

장기연. (1996). 뇌졸중 환자의 감각 및 지각 기능과 일상생활동작 능력에 관한

연구. (1), 35-44.

Albert, M. L. (1973). A simple test of visual neglect. Neurology, 23, 658-664.

Bartolomeo, P., D'Erme, P., Perri, R., & Gainotti, G. (1998). Perception and

action in hemispatial neglect. Neuropsychologia, 36(3), 227-237.

Berti, A., & Frassinetti, F. (2000). When far becomes near: Remapping of

space by tool use.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12(3), 415-420.

Page 52: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40 -

Butter C. M., & Kirsch, N. (1992). Combined and separate effects of eye

patching and visual stimulation on unilateral neglect following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3(11), 1133-1139.

Buxbaum, L. J., & Permaul, P. (2001). Hand-centered attentional and motor

asymmetries in unilateral neglect. Neuropsychologia, 39(7), 653-664.

Carr, J. H., & Shepherd, R. B. (2003). Stroke rehabiitation. Newton, MA:

Butterworth Helenemann.

Chiba, Y., Nishihara, K., Yamaguchi, A., & Haga, N. (2008). Midpoint fixation

task: Quantitative assessment of visual neglect. Journal of Clinical

Neuroscience, 15(6), 647-649.

Cubelli, R., Paganelli, N., & Achilli, D. (1999). Is one hand always better than

two? A replication study. Neurocase, 5(2), 143-151.

Dobler, V., Manly, T., Atkinson, J., Wilson, B. A., Ioannou, K., & Robertson, I.

H. (2001). Interaction of hand use and spatial selective attention in

children. Neuropsychologia, 39(10), 1055-1064.

Edwards, M. G., & Humphreys, G. W. (1999). Pointing and grasping in

unilateral visual neglect: Effect of on-line visual feedback in grasping.

Neuropsychologia, 37(1), 959-973.

Page 53: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41 -

Eskes, G. A., Butler, B., Mcdonald, A., Harrison, E. R., & Phillips, S. J. (2003).

Limb activation effects in hemispatial neglect.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4(3), 323-328.

Frassinetti, F., Rossi, M., & Làdavasa, E. (2001). Passive limb movements

improve visual neglect. Neuropsychologia, 39(7), 725-733.

Goldon, C., Leslie, L., & Christopher, L. (2004). Visual neglect can be

object-based or scene-based depending on task representation. Cortex,

40(2), 237-246.

Halligan, P. W., Manning, L., & Marshall, J. C. (1991). Hemispheric activation

vs spatio-motor cueing in visual neglect: A case study. Neurospychologia,

29(2), 165-176.

Heilman, K. M., & Valenstein, E. (1972). Frontal lobe neglect in man.

Neurology, 22, 660-664.

Holmes, N. P., Calvert, G. A., & Spence, C. (2004). Extending or projecting

peripersonal space with tools? Multisensory interactions highlight only the

distal and proximal ends of tools. Neuroscience Letters, 372(1-2), 62-67.

Page 54: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42 -

Kazdin, A. E. (1982). Single-case research designs: Meghod for clinical and

applied setting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Keith, D. C., Dahlberg, C., Malec, J. F., Langenbahn, D., Felicetti, T., Kneipp,

S., et al. (2005). Evidence-based cognition rehabilitation: Updated review of

the literature from 1998 through 2002.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6(6), 1681-1691.

Kerkhoff, G. (2001). Spatial hemineglect in humans. P rogress in Neurobiology,

63, 1-27.

Kielhofner, G. (2002). A model of human occupation: Theory and application

(3r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Làdavas, E., Berti, A., Ruozzi, E., & Barboni, F. (1997). Neglect as a deficit

determined by an imbalance between multiple spatial representations.

Experimental Brain Research, 116(3), 493-500.

Ma, H. I., & Trombly, C. A. (2002). A synthesis of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for persons with stroke, Part II: Remediation of impairment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6(3), 260-274.

Maravita, A., Spence, C., & Driver, J. (2003). Multisensory integration and the

body schema: Close to hand and within reach. Current Biology, 13(13),

Page 55: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43 -

531-539.

Marotta, J. J., Mckeeff, T. J., & Behrmann, M. (2003). Hemispatial neglect: Its

effects on visual perception and visually guided grasping.

Neuropsychologia, 41(9), 1262-1271.

Na, Adair, Choi, Seo, Kang & Heilman, K. M. (2000). Ipsilateral versus

contralesional neglect dependes on attentional demands. Cortex, 36,

455-467.

Napier, J. R. (1956). The prehensile movements of the human hand.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38, 902-913.

Robertson, I. H., & Halligan, P. W. (1999). Spatial neglect. A clinical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Philadelphia: Taylor & Francis.

Robertson, I. H., & North, N. (1992). Spatio-motor cueing in unilateral

leftneglect: The role of hemispace, hand and motor activation.

Neuropsychologia, 30(6), 553-563.

Robertson, I. H., & North, N. (1993). Active and passive activation of left

limbs: Influence on visual and sensory and sensory neglect.

Neuropsychologia, 31(3), 293-300.

Page 56: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44 -

Robertson, I. H., & North, N. (1994). One hand is better than two: Motor

extinction of left hand advantage in unilateral neglect. Neuropsychologia,

32(1), 1-11.

Schenkenberg, T., Bradford, D. C., & Ajax, E. T. (1980). Line bisection and

unilateral visual neglect in patients with neurologicimpairment. Neurology,

30(5), 509-517.

Zoltan, B. (1996). Vision, perception, and cognition: A manual for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the neurologically impaired adult (3rd ed.).

New Jersey: Slack.

Page 57: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45 -

성명 평가일

수행영역 항목 예시문제점

선택중요도 수행도 만족도

자기관리

개인관리옷입고벗기, 목욕,

식사, 위생처리 등

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7.

8.

9.

10.

기능적이동옮기기, 실내,

실외의 이동

사회생활활동

교통수단이용

쇼핑,

금융기관이용

생산적 활동

생산적활동직업 및 직업관련

업무, 자원봉사

가사 청소,세탁,요리 등

놀이 및

학교생활

여가

정적 오락취미, 수공예,독서

동적 오락스포츠, 산책,

여행 등

사교모임, 전화, 파티

부록 1. COPM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Page 58: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46 -

1. 참여자 1의 편측 무시 변화 추이 2. 참여자 2의 편측 무시 변화 추이

1) ‘알버트 검사’ 변화 추이

2) ‘선 나누기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1

[선나누기검사]

mm

3) ‘별 지우기 검사’ 변화 추이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1

[별지우기검사]

1) ‘알버트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2

[알버트검사]

2) ‘선 나누기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2

[선나누기검사]mm

3) ‘별 지우기 검사’ 변화 추이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2

[별지우기검사]

부록 2. 참여자의 무시 검사 변화 추이

Page 59: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47 -

3. 참여자 3의 편측 무시 변화 추이 4. 참여자 4의 편측 무시 변화 추이

1) ‘알버트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3

[알버트검사]

2) ‘선 나누기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3

[선나누기검사]

mm

3) ‘별 지우기 검사’ 변화 추이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3

[별지우기검사]

1) ‘알버트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4

[알버트검사]

2) ‘선 나누기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4

[선나누기검사]

mm

3) ‘별 지우기 검사’ 변화 추이

94%

95%

96%

97%

98%

99%

10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4

[별지우기검사]

Page 60: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48 -

5. 참여자 5의 편측 무시 변화 추이 6. 참여자 6의 편측 무시 변화 추이

1) ‘알버트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5

[알버트검사]

2) ‘선 나누기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5

[선나누기검사]

mm

3) ‘별 지우기 검사’ 변화 추이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5

[별지우기검사]

1) ‘알버트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6

[알버트검사]

2) ‘선 나누기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mm 참여자6

[선나누기검사]

3) ‘별 지우기 검사’ 변화 추이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6

[별지우기검사]

Page 61: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49 -

7. 참여자 7의 편측 무시 변화 추이 8. 참여자 8의 편측 무시 변화 추이

1) ‘알버트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7

[알버트검사]

2) ‘선 나누기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7

[선나누기검사]

mm

3) ‘별 지우기 검사’ 변화 추이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7

[별지우기검사]

1) ‘알버트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8

[알버트검사]

2) ‘선 나누기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8

[선나누기검사]

mm

3) ‘별 지우기 검사’ 변화 추이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8

[별지우기검사]

Page 62: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50 -

9. 참여자 9의 편측 무시 변화 추이 10. 참여자 10의 편측 무시 변화 추이

1) ‘알버트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9

[알버트검사]

2) ‘선 나누기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mm 참여자9

[선나누기검사]

3) ‘별 지우기 검사’ 변화 추이

82%

84%

86%

88%

90%

92%

94%

96%

98%

10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9

[별지우기검사]

1) ‘알버트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10

[알버트검사]

2) ‘선 나누기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10

[선나누기검사]

mm

3) ‘별 지우기 검사’ 변화 추이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10

[별지우기검사]

Page 63: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51 -

11. 참여자 11의 편측 무시 변화 추이 12. 참여자 12의 편측 무시 변화 추이

1) ‘알버트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11

[알버트검사]

2) ‘선 나누기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11

[선나누기검사]

mm

3) ‘별 지우기 검사’ 변화 추이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11

[별지우기검사]

1) ‘알버트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12

[알버트검사]

2) ‘선 나누기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mm 참여자12

[선나누기검사]

3) ‘별 지우기 검사’ 변화 추이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12

[별지우기검사]

Page 64: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52 -

13. 참여자 13의 편측 무시 변화 추이 14. 참여자 14의 편측 무시 변화 추이

1) ‘알버트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13

[알버트검사]

2) ‘선 나누기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13

[선나누기검사]

mm

3) ‘별 지우기 검사’ 변화 추이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13

[별지우기검사]

1) ‘알버트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14

[알버트검사]

2) ‘선 나누기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14

[선나누기검사]mm

3) ‘별 지우기 검사’ 변화 추이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14

[별지우기검사]

Page 65: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53 -

15. 참여자 15의 편측 무시 변화 추이

1) ‘알버트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15

[알버트검사]

2) ‘선 나누기 검사’ 변화 추이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mm 참여자15

[선나누기검사]

3) ‘별 지우기 검사’ 변화 추이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 2 3 4 5

상지운동

과제지향적 상지훈련

참여자15

[별지우기검사]

Page 66: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54 -

ABSTRACT

Comparison of Effects of Task-oriented Upper Limb

Training and Upper Limb Exercise in Decreasing

Unilateral Spatial Neglect in Hemiplegic Patients

Heesun Choi

Dept. of Rehabilitation Therapy

(Occupational Therapy Major)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decrease effects of upper limb exercise and

task-oriented upper limb training for the unilateral spatial neglect patients as

another approach of occupational therapy.

Fifteen patients diagnosed with left hemispatial neglect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and the single-subject(alternating treatments design)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he treatment procedures of occupational therapy had been

done for thirty minutes for two weeks from Mon. to Fri. Each week, 5 days

of upper limb exercise and 5 days of task-oriented upper limb training were

conducted in random order. Patients' changes of neglect were measured by

Page 67: 좌측 상지 운동이 편측무시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 2019-06-28 · ª& Ù%ª&'''''()ª&'''''(

- 55 -

Albert test, Line-bisection test and Star cancellation test. To compare the

decrease effects, we used a visual graph and a statical analysis(paired t-test).

The comparison graph of two treatments showed significant decrease of

neglect in task-oriented upper limb training compared to upper limb excercise.

Also we found that there was statical difference in two treatment type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ask-oriented upper limb training was

more effective than upper limb exercise itself. Based on above results, it

proved that the proposed method could be applied to occupational therapy for

task oriented training using activity of daily living.

Key Words : Stroke, Task-oriented upper limb training, Unilateral spatial

neglect, Upper limb exerc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