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po의제네트워크구축지원사업

11
[ 사사사사사 사사 ] 2016 NPO 사사 사사사사 사사 사사 사사

Transcript of npo의제네트워크구축지원사업

Page 1: npo의제네트워크구축지원사업

[ 사업설명회 자료 ]

2016 NPO 의제 네트워크 구축 지원 사업

Page 2: npo의제네트워크구축지원사업

1. 의제 네트워크 구축 지원 사업이란 ?

○ 복잡한 사회문제를 올바르게 정의하는 과정을 통해 , 보다 혁신적인 문제 해결 방안을 발굴함으로써 , NPO 와 지역사회의 의제 해결력 강화가 목적 .

Page 3: npo의제네트워크구축지원사업

2. 의제 네트워크 구축 지원 사업 진행 과정

현상 파악 해결책확정문제 정의 해결책모색원인 진단

가설 수립과 검증네트워크파티

5 why Logic tree

○ 지역 주민 / 이해관계자○ 100 인의 시민 의견 청취 ○ 기획자문위원회 등의 관점 반영 피드백 반복

○ 파트너십 후보군○ 전문가 / 이해관계자 ○ 기획자문위원회 등의 관점 반영 피드백 반복

의제 포럼서울

Design thinkingAgile 등

Page 4: npo의제네트워크구축지원사업

3. 이 사업을 통해 강화된 NPO 의 역량은 무엇인가 ?

① 공감의 힘 , 당사자의 시각을 가지는 힘 : 객관적 시각의 유지를 중시하다 보니 , 그 문제를 직접 겪는 당사자의 시각을 놓치는 경우가 많이 발생 , 따라서 당사자의 호응이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시각 변화 필요 .

Page 5: npo의제네트워크구축지원사업

3. 이 사업을 통해 강화된 NPO 의 역량은 무엇인가 ?

② 현장 관찰을 바탕으로 가설을 세우고 입증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힘 : 현장에 답이 있다는 오래된 진리처럼 자세한 현장 관찰을 통해 문제의 가설을 세우고 이를 입증하는 반복 과정을 통해 수박 겉 핥기 식 진단이 아닌 문제의 본질에 접근하는 과정 필요 .

Page 6: npo의제네트워크구축지원사업

3. 이 사업을 통해 강화된 NPO 의 역량은 무엇인가 ?

③ 질문의 틀을 다시 짜는 힘 : “ 어떻게 하면 도구를 가볍게 할 수 있을까 ? 질문과 “ 어떻게 하면 오랜 시간 수술을 할 때 손이 더 편한 외과 도구를 만들 수 있을까요 ?” 라는 질문의 차이 : 해법의 상상력을 구속하지 않는 질문 ,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게 만드는 질문 도출

Page 7: npo의제네트워크구축지원사업

3. 이 사업을 통해 강화된 NPO 의 역량은 무엇인가 ?

④ 새로운 주체를 등장시키고 관계 맺는 힘

Page 8: npo의제네트워크구축지원사업

4. 무엇을 통해 역량강화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가 ?

① 매력적인 기획위원들의 조언 - 당사자들의 시각이라는 측면에서 놓치고 있는 지점에 대한 조언 - 현장에서 좀 더 들여다 봤으면 하는 지점에 대한 조언 - 가설의 설정은 적절한지 , 또 다른 가설은 무엇이 있는가에 대한 조언 - 질문의 틀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조언 - 새로운 주체 발굴과 파트너십 형성 , 콜라보레이션 과정에 대한 조언 - 매력적인 기획위원 : 명호 , 방대욱 , 오승훈 , 이승훈 , 정보연 + α

② 100 인의 시민의견청취단

Page 9: npo의제네트워크구축지원사업

4. 무엇을 통해 역량강화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가 ?

③ 문제 진단과 해결책 도출을 위한 다양한 분석틀 활용

Page 10: npo의제네트워크구축지원사업

5. 어떤 사업이 진행되는가 ?

① 2015 의제 후속 지원 - 1 인 가구 주거복지서비스 접근성 강화를 위한 기반 확대 : 민달팽이유니온 - 중소건물에너지효율화 파일럿 프로그램 진행 :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② 지역 의제 - 관악 , 광진 , 동작 + α - 외국인 이주민과 선주민의 갈등 - 폐지 줍는 노인으로 대표되는 어르신들의 경제활동과 건강문제 - 청년으로 대표되는 1 인 주거의 열악한 현실 - 복지사각지대 해결을 위한 민간 활동 1 기 점검과 2 기 비전 수립

Page 11: npo의제네트워크구축지원사업

5. 어떤 사업이 진행되는가 ?

③ 광역 의제 - 서울의 변화를 가져올 5 가지 질문을 선정 - 현상에서 문제 정의 , 해결책 도출 , 문제 해결을 위한 실행네트워크 구축예시 ) 현상 : 아토피로 친환경먹을거리를 찾는 부모들이 늘어남 , 미세먼지 , 초미세먼지 경보가 빈번하게 발령됨 화학제품을 살 때 , 유해물질 유무에 대한 걱정을 많이 함 문제 : 아이들에게 환경성질환으로부터 자유로운 생활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 원인 : 중국 발 황사 , 서해안 화력발전단지 , 자동차 이용 증가 , 특히 디젤 자동차 증가 , 바람길 미비로 특정지역 대기 정체로 인한 오염 증가 , 농약사용 증가 , 화학처리된 수입농산물 증가 , GMO 농산물 증가 , 유해화학물질이 들어간 제품 유통 , 중금속이 들어간 제품 유통 등등 문제 정의 : 똑똑한 소비자의 선택을 통해 환경성질환을 일으킬 위험성이 있는 제품들의 유통을 줄이자 . 해결책 도출 : 스마트폰으로 제품 사진을 찍어 현명하게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어플 개발 보급 쌍방향기반 , 전문가의 관여 여건 마련 , 시민사회기반 구축을 위한 방안 탑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