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CP는 ERCP를 대체할 수 있는가? - Korean Journal of...

10
plane) l cholangiopancreato- graphy, 1974 mechanical lithotripsy, CCD 3-5% 570-180 Tel: 063-850-1077, Fax 063-855-2025 E-mail: [email protected] resonance cholan- giography, io- 132

Transcript of MRCP는 ERCP를 대체할 수 있는가? - Korean Journal of...

2002년도 대한춰l담도연구회 연수강좌 口 특 집 11 口

MRCP는 ERCP를 대체할 수 있는가?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춰l담도 질환의 진단에 사용되고 있는 비침습적

인 방법으로는 복부 초음파 검사와 복부 CT가 널

리 이용되고 있다. 복부 CT는 횡단변(axial plane)

만 촬영할 수 있으며 초음파는 보이는 부분이 제

한되고 시술자에 따라 정확도가 차이가 있어 낮

은 민감도와 특이도로 인해서 진단적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l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쉐관 조영술(endoscopic reσograde cholangiopancreato­

graphy, 이하 ERCP)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면

서 높은 진단율을 보여 쉐담도 질환의 진단에 있

어서 가장 중요한 표준 검사법으로 자리잡고 있다.

30년 전 ERCP는 단지 춰l장의 방사선적 영상을

얻기 위한 진단적 검사였으나 내시경과 내시경

accessory의 발전에 힘 입 어 진단 목적 의 ERCP가

다양한 치료적 수단으로 변화되었다. 특히, 1974

년 내시경적 유두괄약근 절개술, 1980년대 스텐트

의 담도내 유치와 담도내 거대 결석의 mechanical

lithotripsy, 1990년대 CCD 영상개발은 춰l담도 내

시경분야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하여 ERCP는 현재

담도 및 쉐장 질환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중요한

검사로 자리매검 하였다. 이 검사법은 매우 침습

적인 검사로 진정이나 마취가 필요한 경우가 있

고, X선 피폭이 많으며 검사자 술기의 숙련도에

따라 성공률이 65-97%로 매우 다양하고, 시술

후 3-5% 합병증이 보고되고 있어 시슐에 부담을

책임저자 검태현, 전북 익산시 신용동

원광의대 부속병원 소화기내과

우편번호: 570-180

Tel: 063-850-1077, Fax ‘ 063-855-2025 E-mail: [email protected]

느끼고 있다 2- 4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

면서 비침습적이면서도 진단의 정확도가 높은 직

접 담도 조영술과 유사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자

기 공명 담춰!관조영 술(magnetic resonance cholan­

giography, 이하 MRCP)이 도입되어 임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 검사법은 외부에서 조영제의

주업이 없이 담도와 쉐관을 조영할 수 있어 io­

dine에 알러지가 있는 환자에서는 이상적인 검사

법이다. 그러므로 쉐담도 질환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소화기 내과, 외과, 방사선과 의사들에 있어

서 MRCP의 안전성, 정확도, 환자의 불편함이 없

다는 점들에 매력을 느끼고 있다.

현재 MRCP는 다양한 춰l담도 질환에서 진단의

정확도가 ERCP에 근접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

지만, 질환별로 진단의 정확도가 검증되지 않은

것도 많다 많은 쉐담도 질환을 가진 환자들이 애

매모호한 적응증에서 ERCP를 받으면서 합병증이

보고되고 있는 시점에서 비침습적인 MRCP가 쉐

장과 담도의 비밀을 풀 수 있는 열죄가 될 수 있

는지는 소화기 내시경 의사들의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이에 저자는 쉐담도 질환별로 ERCP와

MRCP의 장단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MRCP으| 발전

132

MRCP는 강한 T2강조영상기 법 에 의 해 담관계

의 정체된 담즙을 고신호 강도로 영상화하고, 주

변의 기관과 혈류는 저신호 강도를 보여 명확한

신호대비를 이루게 하여 영상을 얻는다. 이러한

영상 특성의 조합은 쉐담관의 고신호 강도와 주

위 배경의 저신호 강도사이의 적당한 대비를 제

공하여 춰l담관을 선택적으로 영상화 할 수 있다

자기 공명영상은 초기에는 호흡을 정지한 채

steady-state free precession (SSFP)에 의 한 강한 T2

영상 경사에코(gradient echo) 방법으로 춰l담관의

영상을 얻었는데 이 방법은 냥은 신호대 잡음비

(low signal-to-noise ratio)로 앓은 단면의 영상을

얻기 어렵기 때문에 확장되지 않은 담쉐관의 관

찰이 어렵고, 호흉운동에 예민하여 30 - 60초 간의

호흉정지가 필요하며 환자의 협조가 어려운 경우

는 만족할 만한 영상을 얻기가 어려웠다작

다음 세대로 주로 사용되는 fast spin-echo 또는

turbo spin-echo 같은 rapid acquisition and relaxation

enhancement (RARE) 기 법 이 사용되 었다, 이 검 사

법은 높은 신호대 잡음비로 앓은(3-5 mm) 단면

영상을 얻을 수 있어 확장되지 않은 쉐담관의 영

상을 얻을 수 있다 7 - 9 이 방법은 호흡을 정지한

상태와 정지하지 않은 상태로 영상을 얻을 수 있

다. 호흡을 정지하여 영상을 얻을 때는 비교적 호

흉정지 기간이 길어(약 45초 이상) 노인이나 상태

가 나쁜 환자는 검사에 협조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고, 호흡을 정지하지 않고 영상을 얻을 경우,

영상시간이 길고(5분 이상) 호흉에 의한 인공물이

완전히 제거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일부 다른

장치에서는 3차원 기법을 사용할 경우 더 앓은

단면의 영상을 얻을 수 있어, 해상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10.1 1

최근에는 half-Fourier single-shot turbo spin echo

sequence (HASTE) 또는 single-shot fast spin-echo

(SSFSE)와 같은 single-shot half-Fourier RARE 기

깅태현 MRCP는 ERCP를 대체할 수 있는가 133

법이 MRCP에 많이 사용된다 이 기법에서는 춰l

담관 영상을 얻기 위해, 행렬크기에 따라 11 - 15

만면을 16-27초에 얻을 수 있어 환자들은 호흉

을 참는데 어려움이 없고, 영상을 얻는 동안 숨을

잘 참지 못하더라도 영상의 질이 크게 훼손되지

않아 민감도가 향상되어 ERCP와 진단율이 대등

해졌다 12 - 14

Gradient echo나 RARE에서는 3차원 조감도와

같은 담혜관촬영상을 얻기 위해서 다수의 앓은

단면영상을 구획한 다음, 최대강도투사(maximum

intensity projection, 이하 MIP) 기 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HASTE에서는 전체적 인 담쉐관 영상을 나

타내는 방법으로 다단면 획득법 이외에 한단면

획득법을 사용할 수 있다 1 5 다양한 춰l담도 질환에

서 담도 협착과 확장, 결석이 MIP 재조정 영상보

다 source 영상에서 더 잘 관찰된다 16

답도 결석

담관 결석은 폐쇄성 황달, 담도엽, 춰l장염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어 담관 결석의 정확한 진

단은 치료와 예후를 결정하는데 중요하다, 초기의

MRCP를 이용한 담관결석 진단의 민감도 81 %, 특

이도 98% ,11 경험의 축적과 진보된 half-Fourier

RARE기법을 이용한 MRCP에서는 민감도 90% ,

특이도 100%로 향상되었다 10 최근의 보고에서도17 - 19

MRCP가 ERCP에 견줄만한 정도로 정확하다고 보

고되고 있다(Table 1).

MRCP에서 담도 결석은 강한 신호강도의 담즙

에 대비되어 처신호 강도로 보이는데 MRCP를 판

17 - 19 Table 1. Results of recent studies investigating the accuracy of MRCP in choledocholisthiasis

Total patiems Number

Sensitivity (%) Specificity (%) Positive predictive Negative pr때ictive

with stones value (%) value (%)

191 34 91 98 91 98

50 32 88 94 97 81

278 76 92 97 92 97

134 2002년도 대한혜담도연구회 연수강좌

Table 2. Diagnostic pitfa l1s of MRCP

Cause Mimicry of pathological

condition

MIP reconstruction Non-visualized gal1stone or

tumour, false duct dilatation, disconnection, duplication

Extraductal causes

Metallic anifacts Pseudo-obstruction

Gas in the gastroin- Pseud앙obsπuction

testinal tract

Pulsatile vascu1ar Pseudo-obstruction

compr'않SIOn

Intraductal causes

Gas Gal1stone, tumour, pancrealIc stone

Haemob i1ia, debris Gal1stone, tumour, pancrealIc stone

Iodinated contrast Non-visualized gal1bladder, material bile, or pancreatic duct

독할 때 다음 사항들을 유의 해야 한다(Table 2)

첫째, 투사영상의 회전각도에 따라 또는 담도의

협착이 심한 경우 담도가 보이지 않을 수 있어 담

도의 결석을 발견하지 못할 수도 있다 20 둘째, 담

도 괄약근의 수축이 담도결석이나 종양으로 오인

될 수다 21 셋째, 담도 내 신호소설은 담관 결석뿐

아니라 혈액 담즙증, 용종성 종괴, 담도 내 공기,

총담관의 상부를 통과하는 우축 간동맥 등에 의

해서도 보일 수 있으므로 감별이 요구된다 21,22 담

도내 공기는 주로 최근에 담도 내 시술을 한 환자

와 장-담도 문합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많이 발생

한다. 담도 결석과의 감별은 결석이 주로 의존적

위치인데 반해 공기는 비의존적 위치에 있다 차

이점이다 넷째, 3-5 mm 보다 작은 결석들은 위

음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 23

군에서는 결석이 발견되지 않았고, 중위험군과 고

위험군에서는 각각 1/3과 2/3에서 결석이 발견되

었다. 따라서 담도 결석이 의심되는 고위험군에서

는 MRCP를 시행하지 않고 바로 진단 및 치료적

ERCP를 하여 의료비용 감소와 입원기간을 단축

시킬 수 있고, 저위험군과 중위험군의 담도결석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MRCP를 시행함으로써 진단

목적의 ERCP를 피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24,25

또한 황달이나 담도엽이 없는 경우와 복강경 담

낭 제거술 전에 MRCP를 시행하여 ERCP의 필요

성 이 각각 40%, 73%까지 감소하였다 26,27

ERCP가 과거에는 급성 춰l장염 환자에서는 절

대적 긍기로 알려져 있었으나 1988년 Neoptole­

mos 등28이 중증 급성 담석성 쉐장영 환자를 대상

으로 조기 ERCP를 시행하여 담도내 결석을 확인

한 후 내시경적 유두부 절개술(endoscopic sphinc­

terotomy, 이하 EST)을 시행한 환자군에서 실시하

지 않은 환자군에 비해 합병증의 발생률이 유의

하게 감소하였다고 보고한 이래, 급성 담석성 춰l

장염에서 조기 ERCP가 적극적으로 시행되어 왔

다. 그러나 1997년 Folsch 등29은 황달이 없는 급

성 담석춰l장엽에서는 조기 ERCP 및 EST가 효과

가 없는 것을 보고하여, 조기 ERCP의 역할을 제

한하였다, 담석 춰l장엽은 엄상 증상과 증후를 가

지고 환자가 내원하였을 때 이미 담석이 담도로

부터 통과된 경우가 흔하。~ 30 불필요한 ERCP로

인한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비침습적인 MRCP

또는 초음파 내시경을 통한 담관을 평가하는 방

법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담석성 쉐장

염은 5 mm 이하의 결석이나 답즙오니 (sludge)에

의해 발생하므로 MRCP에서 음성소견을 보이더

라도 임상적 인 증상과 혈액 검사소견을 종합하여

ERCP 여부를 결정해야 된다

Calvo 등21은 담도 결석이 의성되는 환자들을 악성 담도 폐쇄

엄상적인 증상, 혈액학적 간기능 검사, 그리고 담

도 확장 정도에 따라서 3등급(고위험군, 중위험 담관과 춰l관에서 성장하는 종양이나 간, 춰l장,

군, 저위험군)으로 구분하였고, MRCP는 민감도 담낭 악성 종양의 확장과 전이, 럼파절 비대로부

91%, 특이도 84% , 정확도 90%를 보였다 저위험 터 담쉐관의 침범에 의한 쉐담관의 폐쇄의 위치

와 원인은 치료계획을 수립하거나 예후를 결정하

는데 중요한 요인이다. ERCP는 공간 해상도가 우

수하며 담관 협착의 길이, 담관의 비대칭성이나

불규칙성 유무 등의 분석이 가능하고 또한 시술

중 조영제를 주입하여 협착부를 확장시킴으로서

악성과 양성 및 내인성과 외인성 협착의 구분 등

형태학적인 특성의 파악이 용이하다‘31 ERCP 검

사 중에 유두부 종양은 육안적으로 종양을 확인

할 수 있고 조직검사가 가능하고 3 1 ,32 웨장암의 경

우 brush cytology, fine needle aspiration을 통하여

결정 적 인 조직 학적 진단을 할 수 있고 33 ,34 수술을

할 수 없는 쉐장암은 대부분 황달을 가지고 있어

담도 폐쇄를 경감하기 위하여 스텐트를 삽입할

수 있다 35

MRCP에서는 담관 폐쇄가 있는 경우 담관이 부

분적으로 절단되어 있거나, 좁아진 모양을 나타내

고 x-선 담관 촬영술처럼 폐쇄부위의 모양으로

감별진단을 하게 된다 36 MRCP의 초기 보고에서

는 원위부 총담관의 폐쇄가 관찰되는 경우, 악성

종양과 담석의 구분 등 담관 확장의 원인 분석은

용이하였으나 원위 담관암, 쉐장암, 전이성암 등

의 감별은 어 려 웠다 37 Gradient-echo 방식 의 MRCP

를 이용한 악성 담도폐쇄를 가진 9명의 환자의

분석에서 담관 폐쇄의 원인 7명 (78 % )과 위치가 5

명 (56%)에서 정확하였다 38 진보된 RARE MRCP

를 이용한 분석에서 담관폐쇄의 위치는 84%, 원

인질환의 진단은 84%의 정확도를 보였다39 MRCP

는 해상도가 낮고, 조영제를 주입하여 담관을 확

장시키지 않으므로 폐쇄부위의 형태를 잘 관찰하

기 어려워 폐쇄의 정확한 원인은 찾기가 용이하

지 않다.

MRCP는 간문부, 우측과 좌측 담도의 분지를

침범하는 담도암의 침범정도를 평가하는데 ERCP

와 78 - 96%의 높은 일치도를 나타내어, 근치적

절제술의 가능성 여부나, 중재적 시술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40,41 ERCP에서는

원위부 폐쇄의 경우 삽관의 실패가 빈번하며 완

전 폐쇄와 협착일 경우 그 상방의 담관의 영상을

얻기가 힘들다‘ 또한 담도의 정확한 해부학적 구

깅태현 MRCP는 ERCP를 대체할 수 있는가 135

조를 알기 위해서는 강한 압력으로 조영제를 주

입하여야 조영이 가능하고 협착부위 상방에 있는

담도 부위는 내시경적드로 쉽게 배액이 안되고

무균상태가 아닌 조영제가 주입되므로 심한 담도

염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42 경피경간

담도 조영 술(percutaneous transhepatic ch이ang\O­

graphy, PTC)은 바늘에 삽입된 부위를 중심으로

조영제가 들어가므로 전체의 영상을 얻기가 어렵

다. 반면에 MRCP는 비침습적인 검사로 협착부위

상방에 있는 담도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

해 줄뿐만 아니 라 복부 MR영상으로 수술 가능성

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쉐담도 악성 종양은 복부 CT, MRCP, 초음파

내시경과 같은 비침습적인 검사방법이 발전함에

따라 순수한 진단목적의 ERCP의 사용이 제한되

고 치료목적으로 변화되고 있는 실정이며 , 수술

전 담도의 감압은 춰l장암 환자의 수술결과를 호

전시킬 수 있다는 증거가 불충분하여 다른 방사

선적 검사로 수술이 가능한 쉐장의 경우에는

ERCP없이도 춰!장절제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 다 43

기타 담도질환

담낭 절제술 후 복통 환자의 10%가 방사선 소

견과 임상적인 증상의 진단적 기준으로 볼 때

Sphincter of Oddi dysfuntion (SOD)로 알려 지 고 있

다 44 ERCP는 담도내압검사로 유두부 괄약근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고, 진단 즉시 내시경적 유두

부 괄약근 절개술로 복통의 호전을 보일 수 있다.

그러나 MRCP는 유두부 괄약근의 압력을 측정할

수 없고 담도내 조영제가 45분 이상 저류되는 소

견을 볼 수 없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어 SOD 환자

에서의 MRCP의 역할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필

요하다.

총담관 낭종(choledochal cyst)은 주로 영아나 소

아에서 발견되지만, 20 - 30%는 성인에서 발견된

다 45 수술계획을 세우기 전에 낭종 상방과 하방

담관의 해부학적 모양을 정확하게 알아보는 것이

136 2002년도 대한쉐담도연구회 연수강화

중요한데, ERCP로 낭종과 담관의 구조를 알수는

있지만, 낭종의 크기가 크면 다량의 조영제를 주

입에 따른 담관염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MRCP

는 담관냥종을 진단하는데 ERCP에 비슷한 결과

를 나타내지만 46 소아에서는 해상도가 낮으므로

담쉐관 문합부를 관찰하기 어려워 동반된 쉐담관

합류이 상(anomalous union of pancreatobiliary duct)

을 진단하기가 쉽지 않아 secretin을 주사한 후,

MRCP영상을 얻으면 진단이 용이한 경우가 있

다’47

총담관류(choledochocele)는 총담관 낭종의 아형

으로 총수담관의 십이지장내 원위부가 내부로 낭

상 확장되는 비교적 특징적인 양상의 병변을 보

이지만 쉽게 간과할 수 있다. 그러나 총담관류는

악성변화와 급성 춰l장염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정

확한 진단이 요구된다. 낭종의 크기가 큰 경우에

는 ERCP에서 육안적으로 확인되기도 하지만, 낭

종이 작은 경우는 보이지 않고 ERCP 중에 조영

제를 주입해야 풍선처럼 낭종이 부풀면서 담도

조영 에서 낭종이 진단된다 48

담관-공장 문합술 또는 Billroth 11 수술을 받은

환자들에 있어서 ERCP 실패율이 10 -48%까지

보고되고 있다 49 - 51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MRCP

는 담관과 장의 문합부위, 협착의 부위, 간내담도

를 볼 수 있어 치료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을 준 다 52,

훼장 질환

만성 춰l장염은 복부 CT, 초음파, ERCP를 이용

하여 쉐장의 형태학적인 이상에 따라 경도(mild) ,

중등도(moderate) , 고등도(severe)의 세 가지 형 태

로 분류된다 54 이 질환의 평가에 있어서 쉐관의

방사선적 소견은 진단을 확정하고, 수술 전 병기

결정, 동반된 담도질환 평가, 그리고 이 질환과

연관된 합병증을 평가하는데 중요하다 MRCP는

복부 CT나 MRI로 진단되는 악성 쉐장암의 진단

보다는 양성 춰1장질환을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

용된다. MRCP로 확인할 수 있는 춰l관의 형 태는

56 Table 3. Accuracy of MRCP in chronic pancreatitis

Sensitivity (%) Specificity (%)

Main duct dilatation 54 - 75 94-88 Main duct narrowing 69 96-97 Side branch dilatation 38-62 89 Filling defects 43-83 98

주춰l관의 확장 및 사행, 가성낭종, 측지의 확장과

둔화이고, 다른 소견들은 춰l관의 다병소성 확장과

협착 및 불규척한 윤곽, 결석, 점 액존(mucus plugs)

혹은 부스러 기 (debris) 등이 다 55 만성 쉐장엽 의 경

우에 있어 서 ERCP에 대한 MRCP의 정확도는 쉐

관의 확장 83 - 100%, 쉐관의 협착 70 - 90% , 춰l관

내의 충만 결손 92 - 100%이다 55 다른 보고에서도

Table 3과 같은 쉐관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 도를

보고하였다(Table 3).56

경도의 만성 쉐장엽의 진단에 있어서 MRCP역

할은 낮은 해상력 때문에 이상유무를 판단하기

어려워 논란이 많다 확장되지 않은 정상 춰l관은

총담관보다 작기 때문에 정확하게 MRCP로 조영

하기가 어려워 MIP 재구성 영상에서는 69% ,

source 영상 81%에서 관찰된다 57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Matos 등58은 만성 춰l장염이 의

심되는 환자에서 복부 CT와 초음파 검사에서 춰l

관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 형태학적인 모양을 선

명하게 보기 위해 secretin을 사용하는 것을 제안

하였다 Secretin은 쉐장액의 분비를 증강시켜 쉐

관과 십이지장을 확장시켜 춰l관과 담관의 융합부

위, 즉 공통관과 유두부의 해상도를 높여줄 수 있

다 59 소유두부의 춰l관에서 발생하는 낭성 확장 즉

santorinicele의 진단에 secretin-MRCP가 도움이 된

다 60

MRCP는 직경이 2 mm 정도의 작은 결석까지도

찾아낼 수 있으나, 조영제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

에 낭종이 동반되었을 때 낭종과 쉐관사이의 소

통여부는 알 수 없다 그리고 ERCP에 비해서 협

착의 길이가 과대 또는 과소평가될 수 있고 양성

질환의 쉐관협착과 악성질환으로 인한 협착을 구

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61

ERCP의 장점은 주쉐관과 측지들은 상세하게

보여주고, 세포학적 검사를 위해 춰l장액을 채취할

수 있으며 조기에 쉐관의 변화를 보여줄 수 있다

는 것이다. 가성 낭종, 쉐장 복수 등에서는 주쉐

관의 파열 유무, 주쉐관과 가성 낭종과의 교통유무

를 관찰할 수 있어 치료방침 결정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유두 절개술, 스텐트 삽관 등

과 같은 치료적 시술을 할 수 있게 한다. 쉐장의

두부에 국한된 춰l관의 협착의 경우에 내시경적

치료로 75 % 이상에서 즉시 임상적인 증상의 호전

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62,63

관내 유두상 점 액성 종양(l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tumor; 이하 IPMT)는 주춰l관이나 춰l관의

분지를 이루는 상피세포에서 점액을 분비하여 쉐

관의 확장과 폐쇄를 일으키는 드문 냥성 종양이

다 ERCP에서는 쉐관의 확장이 있고, 다수의 충

만결손이 확장된 쉐관내에 보이고, 확장된 팽대부

로부터 점액 분비를 볼 수 있어 진단에 도움이 된

다 64 풍선도관을 이용하여 주 쉐관내의 점액을 씻

어 낸 후 유두 개구부 입구를 부풀린 풍선으로 막

고 조영제를 주입하면 쉐관을 조영할 수 있으나

실제 임상에서 IPMT 환자의 쉐관을 완벽하게 조

영하는 것은 쉽지 않다 MRCP에서는 쉐관의 부

분적 확장, 여러 장소의 확장, 또는 쉐관의 미만

성 확장이 관찰될 수 있어 ERCP로 점액 때문에

완전하게 쉐관의 영상을 얻을 수 없는 경우에 점

액이 있었던 부위 하방 쉐관의 영상을 얻을 수 있 다 6S

분활쉐(pancreatic divisum)는 배측 쉐관과 복측

쉐관이 융합되지 않아 짧고 앓은 복측춰l관이 주

유두로, 굵은 배축관이 소유두부로 배출된다 이

질환은 서양의 경우 부검상 10 - 14%에서 발견되

는 선천성 기형 중 가장 흔한 질환이나66 우리나

라의 경우 서양보다는 드물다 67 분할 쉐의 엄상적

유의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으나, 일부에서는 쉐

장염, 특히 특발성 재발성 쉐장염 (idiopathic re­

current pancreatitis)의 원 인 일 수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68 ,69 ERCP에서는 주유두에서 복측쉐관이 조

깅태현 MRCP는 ERCP를 대체할 수 있는가? 137

영되며 이는 1- 4 cm 길이로 끝부분이 가늘어지

면서 많고 작은 분지를 내어 수지상 모양으로 변

한다 부유두관에 조영을 위해서는 부유두관 삽관

이 필요한데 일반적£로 삽관 성공률은 38 - 62%

로 삽관이 어렵다70 MRCP는 우세한 웨관을 지속

적으로 조영할 수 있어 분할춰l의 정확한 진단방

법으로 알려졌다 6 1 MRCP 영상에서는 주쉐관이

아래쪽으로 구부러지면서 총담관 말단부를 향해

주행하지만, 분할쉐가 있을 경우, 춰l장두부에서도

거의 수평하게 주행하면서 주쉐관과 직경의 거의

비슷한 등쪽쉐관으로 직접 연결된다, 최근에는

secretin을 주입 한 후 MRCP를 시 행하여 분할 쉐

의 진단률과 해상도를 더 높였다고 보고하였다 71

결 론

MRCP가 ERCP를 대체할 검사로 인정받기 위해

서는 쉐담도 질환에서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겠

지만, 진단적 측면에서는 ERCP와 대등한 결과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시술 후 합병증이 거의 없고

방서선 피폭이 없으며 직접 담도 조영술에서도

볼 수 없었던 폐쇄 근위부를 볼 수 있고 위절제술

로 ERCP가 어려운 환자, 선택적 담관 삽업을 실

패한 환자, 고령 및 전신상태가 불량하며 담도 조

영술이 부담스러운 환자에서도 시행이 가능하다.

또한 만성 춰l장염으로 인한 쉐관의 결석을 동반

한 협착, 그리고 악성 담도 폐쇄의 중재적 시술이

필요할 때 효과적인 접근 부위를 선택하는데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ERCP

의 진단적 기능을 대체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

로 생각한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MRCP에 관한 보고들은 증

례를 중심으로 한 후향적 보고가 많았고 전향적

인 EUS , CT, ERCP, 그리고 MRCP의 비교가 부족

한 상태이고, MRCP는 아직도 많은 제한점을 가

지고 있다. 즉 쉐관의 측지를 관찰하기에는 해상

력이 불충분하고, 담도 내 5 mm 이하의 결석을

놓칠 수 있다. 또한 심장 박동기, 뇌동맥류의 클

럽사용, 금속성 안구 내 이물질, 폐쇄 공포증 등

138 2002년도 대한웨담도연구회 연수강좌

의 장애요소가 있을 때는 시행이 제한된다. 그러

나 최근 MRCP 기술의 발달로 금속성 이물질, 호

흡문제, 쉐담도의 생리적 정보 인식부족 등이 해

결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MRCP는 고가이기 때문에 이 검사

가 부적절하게 사용되면 환자의 의료비가 매우

상승할 것이므로 임상 의사들은 자세한 병력조사,

이학적 검사, 혈액 검사와 복부초음파 또는 복부

CT를 통해 많은 정보를 얻은 다음, 정확한 진단

을 위한 검사법 (MRCP 또는 ERCP)을 결정해야

된다. 이러한 정보에서 간외 담도의 폐쇄가 의심

되면,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ERCP를 선태하고,

증거가 애매모호하고 단지 진단적 목적이라면

ERCP에 비해서 MRCP가 더 적절한 방법일 것

이다

ERCP 검사의 동의서를 환자로부터 받을 때는

검사의 필요성과 MRCP보다 더 좋은 장점과 단

점, 즉 성공률, 진단적 그리고 치료적 장점에 대

하여 자세하게 설명을 해야 한다. ERCP 숙련도에

따라서 적 절하게 비 침습적 인 MRCP를 이용하면

불필요한 ERCP를 줄일 수 있어 환자의 합병증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dyna­

mic 영상, 즉 secretin-MRCP는 쉐장의 기능적 평

가에 진단적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춰l담도

질환에서 MRCP의 정확도가 더욱 향상되어 신뢰

할 수 있는 진단법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소화기

내시경을 담당하는 의사는 MRCP에 대한 기본적

인 개념과 기술적인 문제를 숙지하고 방사선과

의사와 토의하면서 MRCP를 적극적으로 활용하

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참 고 문 헌

1. Regan F, Joel F, Ron K: Choledocholithiasis: Evalua­

tion with MR cholangiography. AJR Am J Roentgenol

1996; 167: 1441-1445

2. Frey CF, 8urbige EJ, Meinke W8, Pullos TG, Wong

HN, Hickman DM, 8 elber J: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Am J Surg 1982; 144

109-114.

3. Zirnmon DS, 8 reslaw J, Kessler RE: Endoscopy with

endoscopic cholangiopancreatography ‘ The combina­

tion as a primary diagnostic procedure. JAMA 1975;

233 ‘ 447-449

4. Cohen SA, Siegel JH, Kasmin FE: Complications of

diagnostic and therapeutic ERCP. Abdom Imaging

1996; 21 ‘ 385-394

5. Hall-Craggs MA, Allen CM, Owens CM, Theis 8A, Donald JJ, Paley M, Wilkinson !D, Chong WK , Hatfield AR, Lees WR, et al: MR cholangiography:

clinical evaluation in 40 cases. Radiology 1993; 189

423-427

6. Ishizaki Y, Wakayama T, Okada Y, Kobayashi T

Magnetic resonance cholangiography for evaluation of

obsrructive jaundice. Am J Gastroenter이 1993; 88

2072-2077.

7. Reinhold C, Guibaud L, Genin G, 8ret PM: MR cho­

langiopancreatography ’ comparison between two-di­

mensional fast spin-echo and three-dimensional grad­

ient-echo p비se sequences. J Magn Reson Imaging

1995; 5: 379-384

8. 8arish MA, Yucel EK, Soto JA, Chuttani R, Ferrucci

JT: MR ch이angiopancreatography: efficacy of three­

dimensional turbo spin-echo technique. AJR Am J

Roentgenol 1995; 165: 295-300

9. Macaulay SE, Schulte SJ, Sekijima JH, Obregon RG, Simon HE, Rohrmann CA Jr, Freeny PC, Schmiedl

UP ‘ Evaluation of a non-breath-hold MR cholangio­

graphy technique. Radiology 1995; 196 ‘ 227-232 ‘

10. Reinhold C, 8ret PM: Current status of MR cholangio­

pancreatography. AJR Am J Roentgenol 1996; 166

1285-1295

11. Guibaud L, 8ret PM, Reinhold C, Atri M, 8 arkun AN

8ile duct obstruction and choledocholithiasis: diagno

sis with MR cholangiography. Radiology 1995; 197:

109-115.

12. Irie H, Honda H, Tajima T, Kuroiwa T, Yoshimitsu

K, Makisumi K, Masuda K: Optimal MR cholangio­

pancreatographic sequence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Radiology 1998; 206: 379-387.

13. Fulcher AS , Tumer MA, Capps GW, Zfass AM, 8aker

KM: Half-Fourier RARE MR cholangiopancreato­

graphy: experience in 300 subjects. Radiology 1998;

207: 21-32.

14. Sugiyama M, Atomi Y, Hachiya J: Magnetic resonance

cholangiography using half-Fourier acquisition for

diagnosing choledocholithiasis. Am J Gastroenterol

1998; 93: 1886-1890

15. Emst 0 , Calvo M, Sergent G, Mizrahi D, Carpentier

F: Breath-hold MR cholangiopancreatography using a

HASTE sequence: comparison of single-slice and

multislice acquisition techniques. AJR Am J Roent­

genol 1997; 169: 1304-1306.

16. Yamashita Y, Abe Y, Tang Y, Urata J, Sumi S, Takahashi M: In vitro and clinical studies of image

acquisition in breath-hold MR ch이angiopancreato­

graphy: single-shot projection technique versus multi­

slice technique. AJR Am J Roentgenol 1997; 168:

1449-1454

17. Stiris MG, Tennoe B, Aadland E, Lunde OC: MR

ch이angiopancreaticography and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icography in patients with suspected

common bile duct stones. Acta Radiol 2000; 41 ‘

269-272

18. Varghese JC, Liddell RP, Farrell MA, Murray FE, Osborne DH, Lee MJ: Diagnostic accuracy of magne­

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and ultra­

sound compared with direct cholangiography in the

detection of choledocholithiasis. Clin Radiol 2000; 55

25-35.

19. Boraschi P, Neri E, Braccini G, Gigoni R, Caramella

D, Perri G, Bartolozzi C: Choledocolithiasis: diagno­

stic accuracy of MR cholangiopancreatography 까lfee­

year experience. Magn Reson Imaging 1999; 17

1245-1253.

20. Barish MA, Soto JA, Yucel EK: Magnetic resonance

ch이angiopancreatography of the biliary ducts: techni­

ques, clinical applications, and limitations. Top Magn

Reson Imaging 1996; 8: 302-311

2 1. Fulcher AS, Turner MA: Pitfalls of MR cholangio­

pancreatography (MRCP). J Comput Assist Tomogr

1998; 22: 845-850.

22. Kondo H, Kanematsu M, Shiratori Y, Moriwaki H, Hoshi H: Potential pitfall of MR cholangiopancreato­

graphy: right hepatic anerial impression of the com

mon hepatic duc t. J Comput Assist Tomogr 1999; 23:

60-62.

23. Prasad SR, Sahani D, Saini S: Clinical applications of

magnetic resonance ch이angiopancreatography. J Clin

Gastroenterol 2001; 33: 362-66.

24. Calvo MM, Bujanda L, Calderon A, Heras 1, Cabriada

JL, Bernal A, Orive V, Capelastegi A: Role of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in pa­

tients with suspected choledocholithiasis. Mayo Clin

Proc 2002; 77: 422-428

25. Sahai AV, Devonshire D; Yeoh KG, Kay C, Feldman

D, Willner 1, Farber J, Patel R, Tamasky PR, Cunningham JT, Trus T, Hawes RH, Cotton PB: πle

김태현 MRCP는 ERCP를 대체할 수 있는가 139

decision-making value of magnetic resonance chol­

angiopancreatography in patients seen in a referral

center for suspected biliary and pancreatic disease

Am J Gastroenterol 2001; 96: 2074-2080

26. Farrell RJ , Noonan N, Mahmud N, Morrin MM, Kel­

leher D, Keeling PW: Potential impact of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on endoscopic

retrograde ch이angiopancreatography workload and

complication rate in patients referred because of abdo­

minal pain ‘ Endoscopy 2001; 33: 668-675

27. Liu TH, Consoni ET, Kawashima A, Ernst RD, Black

CT, Greger PH Jr, Fischer RP, Mercer DW: The

efficacy of magnetic resonance cholangiography for

the evaluation of patients with suspected choledo­

cholithiasis before laparoscopic cholecystecromy. Arn

J Surg 1999; 178: 480-484.

28. Neoptolemos JP, Carr-Locke DL, London NJ, Bailey

IA, James D, Fossard DP: Controlled trial of urgent

endoscopic retrograde ch이angiopancreatography and

endoscopic sphincterotomy versus conservative treat­

ment for acute pancreatitis due ro gallstones. Lancet

1988; 2: 979-983.

29. Folsch UR, Nitsche R, Ludtke R, Hilgers RA, Creutz­

feldt W: Ear1y ERCP and papillotomy compar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 for acute biliary pancreatitis

The Gerrnan Study Group on Acute Biliary Pancre­

atitis. N Engl J Med 1997; 336: 237-242.

30. Acosta JM, Ledesma CL: Gallstone migration as a

cause of acute pancreatitis. N Engl J Med 1974; 290:

484-487

3 1. Soto JA, Barish MA, Yucel EK, Siegenberg D, Ferrucci JT, Chuttani R: Magnetic resonance cholan­

giography: comparison with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Gastroenter이ogy 1996;

110: 589-597

32. Kim MH, Lee SK, Seo DW, Won SY, Lee SS, Min

YI: Tumors of the major duodenal papilla. Gastro­

intest Endosc 2001; 54: 609-620

33. Pugliese V, Puj ic N, Saccomanno S, Gatteschi B, Pera

C, Aste H, Feπara GB, Nicolo G: Pancreatic intra

ductal sampling during ERCP in patients with chronic

pancreatitis and pancreatic cancer: cytologic studi않

and k-ras-2 codon 12 molecular analysis in 47 cases.

Gastrointest Endosc 2001; 54: 595-599.

34. Rumalla A, Baron TH, Leontovich 0 , Burgart LJ, Yacavone RF, Therneau Tκ1, de Groen PC, Sebo TJ

Improved diagnostic yield of endoscopic biliary brush

cytology by digital image analysis. Mayo Clin Proc

2001 ; 76: 29-33.

140 2002년도 대한쉐담도연구회 연수강화

35. Arguedas MR, Heudebert GH, Stinnell AA, Wilcox biliary junction: value of magnetic resonance cho-

CM: Biliary stents in malignant obstructive jaundice langiopancreatography. Surgery 1998; 123: 391-397. due to pancreatic carcinoma: a cost-effectiveness 47. Matos C, Nicaise N, Deviere J, Cassart M, Metens T, analysis. Am J Gastroenterol 2002; 97: 898-904. Struyven J, Cremer M: Choledochal cysts: comparison

36. Mehta SN, Reinhold C, Barkun AN. Magnetic re- of findings at MR cholangiopancreatography and

sonance ch이angiopancreatography. Gastrointest Endosc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in

Clin N Am 1997; 7: 247-270. eight patients. Radiology 1998; 209: 443-448

37. Ishizaki Y, Wakayama T, Okada Y, Kobayashi T: 48. Kim MH, Myung SJ, Lee SK, Yoo BM, Seo DW, Lee

Magnetic resonance cholangiography for evaluation of MH, Jung SA, Kim YS, Min YI: Ballooning of the

obstructive jaundice. Am J Gastroenterol 1993; 88: papilla during contrast injection: the semaphore of a

2072-2077. choledochocele. Gastrointest Endosc 1998; 48: 258-38. Wallner BK, Schumacher KA, Weidenmaier W, Frie- 262.

drich JM: Dilated biliary tract: evaluation with MR 49. Forbes A, COllon PB. ERCP and sphincterotomy after

cholangiography with a η-weighted contrast-e띠lanced Billroth II gastrectomy. Gut 1984; 25: 971-974

fast sequence. Radiology 1991; 181: 805-808. 50. Osnes M, Rosseland AR, Aabakken L: Endoscopic

39. Schwartz LH, Coakley FV, Sun Y, Blumgart LH, Fong retrograde cholangiography and endoscopic papillo-

Y, Panicek DM: Neoplastic pancreaticobiliary duct tomy in patients with a previous Billroth-II resection ‘

obstruction: evaluation with breath-hold MR cholangio- Gut 1986; 27: 1193-1198.

pancreatography. AJR Am J Roentgenol 1998; 170: 5 1. Cunningham JT: Endoscopic papillotomy and stent

1491-1495. insertion: B-II technique and limitations. In: Barkin

40. Harewood GC, Baron TH: Cost analysis of magnetic JS, 0 ’ Phelan CA, eds. Advanced therapeutic endo-

resonance cholangiography in the management of scopy. New York: Raven Press 1990: 193-200

inoperable hilar biliary obstruction. Am J Gas- 52. Soto JA, Yucel EK, Barish MA, Chuttani R, Ferrucci

troenterol 2002; 97: 1152-1158. JT: MR cholangiopancreatography after unsuccessful

41. Lopera JE, Soto JA, Munera F: Malignant hilar and or incomplete ERCP. Radiology 1996; 199: 91-98 perihilar biliary obstruction: use of MR cholan- 53. Pavone P, Laghi A, Catalano C, Broglia L, Panebianco

giog

김 태현 MRCP는 ERCP를 대체할 수 있는가? 141

59. Manfredi R, Costamagna G, Brizi MG, Spina S, with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Maresca G, Vecchioli A, Mutignani M, Marano P‘ Radiology 1998; 208: 231-237.

Pancreas divisum and “ santorinicele" : diagnosis with 65. Sugiyama M, Atomi Y, Hachiya J: Intraductal papil-

dynamic MR cholangiopancreatography with secretin lary tumors of the pancreas : evaluation with magnetic

stimulation. Radiology 2000; 217: 403-408.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Am J Gastroen

60. Cappeliez 0 , Delhaye M, Deviere J, Le Moine 0 , terol 1998; 93: 156- 159

Metens T, Nicaise N, Cremer M, Stryuven J, Matos 66. Delhaye M, Engelholm L, Cremer M: Pancreas divi-

C: Chronic pancreatitis: evaluation of pancreatic exo- sum. Congenital anatomic variant or anomaly? Gas-

crine function with MR pancreatography after secretin troenterology 1985; 85 : 951-958.

stimulation. Radiology 2000; 215: 358-364. 67 깅명환, 김현축, 장헤숙 등 부유두내 스텐트 삽입으로

6 1. Barish MA, Yucel EK, Feπucci JT: Magnetic reso- 호전왼 재발성 쉐장염을 동반한 분할 례 l예 대한소화

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N Engl J Med 1999; 기내시경학회지 1997; 17: 443-447

34 1: 258-264 ‘ 68. Bemard JD, Sahel J, Giovannini M, Sarles M: Pan-

62. Smits ME, Badiga SM, Rauws EA, Tytgat GN, Hui- creas divisum is a probable cause of acute pancrea-

bregtse K: Long-term resu!ts of pancreatic stents in titis: a report of 137 cases. Pancreas 1990; 5: 248-254.

chronic pancreatitis. Gastrointest Endosc 1995 Nov; 69. Cotton PB: Congenital anomaly of pancreas divisum

42(5): 461 -467. as cause of obstructive pain and pancreatitis. GUl

63. Binmoeller KF, Jue P, Seifert H, Nam WC, Izbicki 1980; 21: 105-114

J, Soehendra N: Endoscopic pancreatic stent drainage 70. Cotton PB: Re: Effectiveness of endoscopic drainage

in chronic pancreatitis and a dominant stricture: long- for pancreas divisum. Endoscopy 1991 ; 23: 107-108

term resu!ts. Endoscopy 1995; 27: 638-644. 71. Matos C, Metens T, Deviere J, Delhaye M, Le Moine

64. Koito K, Namieno T, Ichimura T, Yama N, Hareyama 0 , Cremer M: Pancreas divisum: evaluation with

M, Morita K, Nishi M: Mucin-producing pancreatic secretin-enhanced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

tumors: comparison of MR cholangiopancreatography creatography . Gastrointest Endosc 200; 53: 728-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