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a conversgence

5

Click here to load reader

Transcript of Media conversgence

Page 1: Media conversgence

10년 후 TV , PC 가 사라진다

경영과 정보기술 - 방선화 남준호 이수복

Communications and Broadcasts, Media convergence 에 따른

미래사회 기업의 현상과 대처

Page 2: Media conversgence

IDEA 10 years later?

“유비쿼터스 시대의 도래, 유무선복합화, 방송통신의 융합, 미디어기기의 통합… “

모든 단말기의 통합 시대

기존의 고정적이고 커다란 전자제품들은 가라! 접을 수 있는 미디어 기기의 등장!

이 재질은 종이처럼 접을 수도 구길 수도 있다. 따라서 제품의 모양을 자유자재로 변형시키고,

압축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

PC와 TV가 사라진다.

지금까지 PC와 TV는 존재해왔다. 휴대용 단말기의 작은 화면과 불편한 조작이라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

이제는 화면, 패드 크기를 마음대로, 원하는 크기만큼 펼칠 수 있어더 큰 화면을 원할 경우, 렌즈를 착용하면

화면을 확대하여 볼 수 있음

종이, 카드, 현금… 모든 기능을 대처할 Super Mobile 등장

모바일 시장의 미래는 아직도 무궁무진 하고, 모바일이 진보할수록 기업과 사람들의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도

무궁무진

http://www.youtube.com/watch?v=JdJlyh76dEcMedia Convergence video link

이미 이만큼 발전했음을 보여주는 좋은 예

Page 3: Media conversgence

기술 기반 미디어 융합, 신기술 도입

http://www.beyondthefold.net/Version_2.0.html

(NOKIA CONCENPT PHONE 888) RFID sensor+

이 수퍼 스마트폰의 등장은 현재 잘나가는 기업들 –특히 제조기반 업체- 의 위치를 불확실하게 함

또한 기업들은 신기술 개발과 디자인, 업체 협력에 주안을 둘 것

Page 4: Media conversgence

기업 의식 전환과 노력 요구

▶세계는 „애플(Apple Inc.)형 기업‟에 주목한다 = 애플은 아이팟, 아이튠스의 성공에 이어 휴대전화에 인터넷과 영상기능을 결

합한 아이폰으로 전 세계 IT시장의 판도 변화를 이끈 미 애플 사. 2007년 미국 시장에 첫 출시된 아이폰은 2008년 한 해에만 전세계적으

로 18억달러어치가 팔려, 애플 사의 전체 매출은 2003년 60억달러에서 2008년 320억달러로 불과 5년 새 5배 이상 뛰어올랐다. 애플 성

공의 비결은 혁신에 있다. 2000년대 들어 MP3플레이어인 아이팟과 소프트웨어 아이튠스를 통해 기존의 전통적 LPㆍCD문화를 쇠퇴시

키고 새로운 디지털음악 및 영상시장을 열었다. 최근에는 아이폰을 통해 디지털방송 및 통신 분야에도 참여하면서 미디어산업의 구조적

변화를 이끌고 있다. 최근 골드먼삭스 조사에 따르면 온라인 미디어사업 부문에서 애플 사의 영향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개발하라 = 회계컨설팅그룹 삼정KPMG는 한국 기업들이 최근의 ‘골든 찬스’를 잡아 비약적인 도약을

이루기 위해서는 향후 수익원이 될 신사업을 발굴하고 투자를 전개해 사업영역을 확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경영일선에 복귀하면서 삼성그룹의 주력제품이 10년 후면 대다수가 바뀌거나 없어질 것이라 했던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일 것이다.

기업 내 부서 및 서비스를 모바일 위주로 통합타기업들과 협력

“진화 못하면 1등도 도태…” 영역확대+수익 새모델 찾아라”

Page 5: Media conversgence

결론

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기능의 통합화와 단순화가 추세가 됨에 따라 Nokia 888 Concept Phone과

같은 통합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기들이 실용화 되면 10년 후 미래사회의 기업은 현재 펼쳐놓

은 사업 영역을 축소하고 특정 분야에 더욱더 전문화 될 것이다.

예를 들어 핸드폰 시장을 주된 사업영역으로 삼고 MP3 시장으로 다각화를 추진하여 이익을 남기

던 기업은 핸드폰이 MP3의 기능을 완전히 대체하게 됨에 따라 MP3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투자했

던 고정비용을 회수해야 하는 등 사업 영역의 축소가 요구될 것이다.

또한 RFID 기술에 편승하여 단말기 제조로 이익을 올리던 기업도 하이패스와 같은 RFID와 단말기

통합 기술의 상용화에 따라 사업을 철수해야 하는 등 사회 전반에서 이런 통합의 추세로 말미암아

사라지는 사업영역이 대다수 일 것이다.

결국 현재 기업은 관련 다각화와 비관련 다각화로 사업 영역을 확대한 후 통합과 범위의 경제효과

로 인해 성장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앞으로는 이러한 성장 방법보다는 통합화의 추세를 따라 기

업의 몸체를 줄이고 통합된 사업영역에서 깊이를 더하는 경영을 추구하여 성장의 발판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통합화로 인한 사업 영역의 축소로 인한 부작용에 대한 대응방안이 미래사회의 기업이

떠안은 큰 과제라고 할 수 있는데 각 기업마다 사업 영역이 축소되다 보니 자연스레 일자리가 줄어

들게 될 것이고 이는 현재 실업난과는 비교 하지 못 할 만큼 파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수공업 노동자가 설 곳을 잃었듯이 통합화로 인한 일자리 감소를 새로운 일

자리 창출이 감당하지 못한다면 통합화의 부작용은 미래사회의 사회적 문제로 자리 잡을 것이다.

기업이 일자리 창출이라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변화의 전략

이 요구된다. 줄어든 사업영역 만큼 전에 없던 새로운 수요를 찾아 사업영역을 개척할 창의적인 인

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