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고 8있다. 또한...

17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노진원, 1 윤효영, 2 박현춘, 3 유시은 4 1 Department of Healthcare Management, Eulji University, Seongnam; 2 Department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Yonsei University, Seoul; 3 Department of Healthcare Management, Eulji University, Seongnam; 4 의생명연구센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Corresponding author: Shi Eun Yu, Ph.D. 의생명연구센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5-Ga Anam-Dong Seongbuk-Gu, Seoul 136-701, Korea. Tel: +82-3290-1114, E-mail: [email protected] Purpose :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Materials and Methods :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생활 습관, 건강증진행위를 질문하였다. Results :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변수는 종교(t=2.30, p<.05)남한에 여부(t=2.02, p<.05), 주관적인 건강상태(t=4.96, p<.01)나타났다. 건강책임 행위는 나이가 많을수록(t=2.90, p<.01), 무연고인 경우(t=2.43, p<.05) 점수가 높았다. 신체활동 행위는 남자일 경우(t=3.32, p<.01),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을 수록(t=3.46, p<.05), BMI 지수가 저체중일수록(t=3.48, p<.05), 흡연자의 경우 (t=3.17, p<.01)높았다. 영양 행위는 종교가 있을수록(t=2.17, p<.05) 높았 . 영적성장 행위는 종교(t=4.21, p<.001)있고, 남한에 가족이 없고(t=2.04, p<.05),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을수록(5.74, p<.01) 높았다. 대인관계와 스트레스 관리 행위는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점수가 높았다.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 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다중 회귀분석 결과, 건강증진행위는 주관적인 건강상태 좋을수록 영향을 미쳤다. 건강책임 행위에는 나이가 많을수록, 비흡연자인 건강 책임활동을 많이 하였다. 신체활동과 영적 성장 활동은 주관적 건강상

Transcript of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고 8있다. 또한...

Page 1: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고 8있다. 또한 건강증진을 위한 식습관, 신체활동 및 보건을 건강이라고 보았다.10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노진원,1 윤효영,2 박현춘,3 유시은4

1Department of Healthcare Management, Eulji University, Seongnam;

2Department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Yonsei University, Seoul;

3Department of Healthcare Management, Eulji University, Seongnam;

4의생명연구센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Corresponding author: Shi Eun Yu, Ph.D.

의생명연구센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5-Ga Anam-Dong Seongbuk-Gu, Seoul

136-701, Korea. Tel: +82-3290-1114, E-mail: [email protected]

Purpose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Materials and Methods :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생활 습관, 건강증진행위를 질문하였다. Results :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변수는 종교(t=2.30, p<.05)와 남한에 가

족 여부(t=2.02, p<.05), 주관적인 건강상태(t=4.96, p<.01)로 나타났다. 건강책임

행위는 나이가 많을수록(t=2.90, p<.01), 무연고인 경우(t=2.43, p<.05) 점수가 더

높았다. 신체활동 행위는 남자일 경우(t=3.32, p<.01),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을

수록(t=3.46, p<.05), BMI 지수가 저체중일수록(t=3.48, p<.05), 흡연자의 경우

(t=3.17, p<.01)가 더 높았다. 영양 행위는 종교가 있을수록(t=2.17, p<.05) 높았

다. 영적성장 행위는 종교(t=4.21, p<.001)가 있고, 남한에 가족이 없고(t=2.04,

p<.05),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을수록(5.74, p<.01) 높았다. 대인관계와 스트레스

관리 행위는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점수가 높았다.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

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다중 회귀분석 결과, 건강증진행위는 주관적인 건강상태

가 좋을수록 더 영향을 미쳤다. 건강책임 행위에는 나이가 많을수록, 비흡연자인 경

우 건강 책임활동을 더 많이 하였다. 신체활동과 영적 성장 활동은 주관적 건강상

Page 2: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고 8있다. 또한 건강증진을 위한 식습관, 신체활동 및 보건을 건강이라고 보았다.10

태가 좋을수록 더 많이 하였다. 대인관계 행위는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고, 비흡연자

일수록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Conclusion : 연구결과를 토대로 북한이탈청소년들의

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Key Words : 북한이탈청소년, 건강증진행위, 건강

INTRODUCTION

국내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들은 2014년 말 기준 27,518명에 달하고 있다.

2002년부터 북한이탈여성들이 급증하면서 가족 단위 및 청소년의 입국이 증가하였

다.1 이중 14세 이상 중등 및 고등과정에 재학 중인 24세 미만의 청소년들은

1,055명으로 전체 3.8%를 차지하고 있다.2 북한이탈주민들은 새로운 남한 사회에

서 적응하는데 있어 건강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북한이탈청소년 또한

학업 및 적응을 하는데 있어 건강이 기반이 되고 있다.3-5

일반적으로 건강은 질병 또는 질환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건강은 절대

적 기준에 의해 정의되기 보다는 개인의 지각과 사회문화적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

해 형성되는 상대적인 개념으로 정의될 수 있다.6,7 또한 건강은 개인이 신체적 독

립 상태를 유지하고, 일상생활을 기능적으로 영위해 가며 사회생활에서 기대되는

역할수행이나 사회적 통합을 이루기 위한 기반이다.8 넓은 의미에서 볼 때 건강행

동이란 건강을 유지, 증진, 회복하기 위하여 인간이 실행하는 다양한 행동이라고 정

의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는 건강이 질병이 없는 상태라는 수동적 태도에서 벗어

나 생활습관의 변화나 운동과 같은 건강해지려는 노력 등의 능동적 태도를 강조하

고 있다.8 또한 건강증진을 위한 식습관, 신체활동 및 보건을 건강이라고 보았다.10

따라서 습관이 형성되는 시기인 청소년기에 올바른 건강행태를 가지게 된다면 생활

습관 질병을 조기에 예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청소년기에 익힌 올바른 건강습

관은 성인이 된 이후에도 교육 효과가 지속되어 개인뿐만 아니라 가정과 지역사회

Page 3: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고 8있다. 또한 건강증진을 위한 식습관, 신체활동 및 보건을 건강이라고 보았다.10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금까지 북한에서의 기아를 경험한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에 대한 실증적인 연

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북한이탈청소년들의 건강 관련 연구는 북한에서의 영양 상

태와 건강 위험 요인을 질적 연구한 것이 대부분이다. 윤인진(2009)은 북한이탈청

소년들이 북한에서의 영양결핍과 탈북과정에서 장기간 긴장된 생활을 하면서 얻은

신체적·정신적 외상이 한국 입국 이후 질병으로 유발된다고 하였다.11 전정희와 박

영숙(2012)은 북한이탈청소년들이 북한에서 민간요법 치료, 북송경험, 제3국 체류

기간의 장기화가 건강 위험 요인이라고 하였다.12 북한이탈주민의 건강과 경제적응

에 대해 연구한 윤인진(2007)은 건강이 이들의 취업을 방해하는 가장 큰 요인이라

고 하였다.3 김병창과 유시은(2010)은 북한이탈주민들의 주관적인 건강이 남한 주

민들에 비해 5배 정도 나쁘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북한이탈주민들이 앓고 있거나

치료받고 있는 질환 응답율이 일반 남한 주민에 비해 3.8배 높았으며 저소득층에

비해 1.4배 높은 수준이었다. 즉,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주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

은 신체적 질환과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었다.13 강영실 등은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증

진생활양식을 연구한 결과, 평균 1.78±0.35점(4점 만점)으로 나타났고14 이는 동

일한 도구를 이용한 이민자 또는 건강 취약 계층의 점수와 비교할 때 유의하게 낮

은 수준이라고 하였다. 즉, 캐나다의 청소년 미혼모의 HPLP는 2.8±0.39점,15 미국

의 브라질 이민자의 HPLP는 2.53±0.46점16으로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증진생활양

식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상기의 북한이탈주민들에 대한 건강 연구들은 북한이탈청소년들의 건강 문제의

심각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새로운 삶을 사는데 중요한 영향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사회문화 체제가 다른 한국에 정착한 북한이탈청소년의 인적자본인 건

강을 증진하기 위한 실증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북

한이탈청소년들에 대한 건강연구는 먼저 온 통일세대인 북한이탈청소년들의 건강

증진뿐만 아니라 통일 이후 남북한 주민들의 건강 격차 해소 방안을 모색하는데 의

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건강생활

습관, 건강증진행위를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북한이탈청소년들의 건강증진행위를 증진할 수

Page 4: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고 8있다. 또한 건강증진을 위한 식습관, 신체활동 및 보건을 건강이라고 보았다.10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MATERIALS AND METHODS

Subjects

본 연구는 2013년 12월 11일부터 2014년 2월 26일까지 북한이탈청소년 교육

기관의 협조를 받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남한에 살고 있는 만 14~24세 북한

이탈청소년 150명이다. 연구대상자 연령 범위를 24세까지로 정한 이유는 [북한이

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제45조 2항에 의거하여 초중등교육법에

적용을 받는 학령기를 기준으로 하였다.

연구팀은 설문조사를 위해 북한이탈청소년 대안학교와 지역 하나센터, 공동체 등

을 중심으로 편의표집(convenient sampling)하였다. 총 150부의 설문지 중에서 응

답이 누락되었거나 성실하게 응답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123부를 최종 분석하였

다.

Instruments

본 연구에 활용된 변인은 인구사회학적 변인,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생활 습관,

건강증진 행위 이다.

인구사회학적 변인은 성별, 나이, 현재 학년, 종교, 거주지, 국민기초생활수급여부,

남한 입국기간, 남한과 북한에 가족 여부로 구성하였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본인의 건강상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고 질문하

였으며 5점 척도로 구분하였다.

건강생활습관 문항은 BMI지수(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이하 BMI), 흡연,

음주로 구성하였다. BMI지수는 ‘18.5 이하’는 저체중, ‘23 이하’는 정상’, ‘25

이하’는 과체중’, ‘25 이상’은 비만’으로 분류하였다. 흡연은 ‘현재 피움과 현

재 피우지 않음’으로 분류하였다. 음주 또한 ‘현재 마심과 현재 마시지 않음’으

Page 5: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고 8있다. 또한 건강증진을 위한 식습관, 신체활동 및 보건을 건강이라고 보았다.10

로 분류하였다.

건강증진행위(Health-Promoting Lifestyle)는 Walker, Sechrist와

Pender(1996)가 개발한 ‘ 건강증진생활양식 프로파일 II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HPLP-II)을 토대로 Hwang(2010)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

다.29-30 총 52문항으로 건강에 대한 책임감(Health responsibility)(9문항), 운동

(Physical activity)(8문항), 영양(Nutrition)(9문항), 영적 성장(Interpersonal

interaction)(9문항), 대인관계(Spiritual growth)(9문항), 스트레스 관리(Stress

management)(8문항)로 구성되어 있다. 평균점수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 이행

정도가 높은 것이다. Walker 등(1996)이 개발할 당시 Cronbach's ⍺는 .94였으며,

Hwang (2010)의 Cronbach's ⍺는 .93이었고, 본 연구의 Cronbach's ⍺는 .799이었

다.

Ethics

본 연구는 을지대학교(EU 13-36)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진행되었

다.

Statistical analysis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북한이탈청소년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생활습관은 빈도와 백분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건강증진행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

성과 주관적 건강상태, 생활습관에 따른 건강증진행위는 t-test와 일원분산분석

(AN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다중공선성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VIF(variance inflation factors)값을 산출하였으며 종속변수의 정규분포를 확인하

기 위해 Shapiro-Wilk’s test를 실시하였다. VIF값은 모두 10 이하로 다중공선성

의 문제가 없었으며, Shapiro-Wilk’s test의 p값은 모두 0.05 이상으로 종속변수

는 모두 정규분포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하였다.

Page 6: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고 8있다. 또한 건강증진을 위한 식습관, 신체활동 및 보건을 건강이라고 보았다.10

RESULTS

건강증진행위를 분석한 결과, 전체 평균은 2.51점으로 나타났다. 6개 하위 항목의

평균은 대인관계 행위가 2.87점으로 가장 높았고, 영적성장 행위가 2.80점, 영양

행위가 2.45점, 스트레스관리 행위가 2.41점, 신체활동 행위가 2.28점, 건강책임

행위가 2.21점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

<Table 1>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 평균

북한이탈청소년들의 특성에 따라 건강증진행위를 비교해 보면, 전체 건강증진행

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종교, 남한 가족 여부, 주관적인 건강상태로 나타났다.

즉, 종교가 있고, 남한에 가족이 없으며,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건강증진행

위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건강책임 행위는 나이가 많을수록, 남한에 가족이 없

는 무연고인 경우 유의미하게 높았다. 신체활동 행위는 남자일 경우, 주관적인 건강

상태가 좋을수록, BMI 지수가 저체중일수록, 흡연자의 경우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영양 행위는 종교생활을 할수록 유의미하게 높았다. 영적성장 행위는 종교가 있고,

남한에 가족이 없고,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더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대인

관계 행위와 스트레스 관리 행위는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유의미하게 높았

다<Table 2>.

<Table 2> 북한이탈청소년의 특성과 건강증진행위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우선, 독립변수간의 다중공선성을 진단한 결

과 모든 독립변수의 VIF 값이 10 이하로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건강증진행위 전체점수 및 6개의 하위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 본

결과, 건강증진행위에는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영향을 미쳤다. 즉, 주관적 건강상태

Page 7: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고 8있다. 또한 건강증진을 위한 식습관, 신체활동 및 보건을 건강이라고 보았다.10

가 좋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건강책임 행위에는 나이가 많을수

록, 비흡연자인 경우 건강에 대한 책임활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

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신체활동 행위를 더 많이 하였으며, 종교가 있고,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영적성장 행위를 더 많이 했다.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고, 비흡

연자가 대인관계 행위가 더 좋았다<Table 3>.

<Table 3>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

DISCU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

하여 이들이 남한 사회에서 보다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는 실증적인 자료를 제시

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변수는 종교와 남한에 가족 여부, 주관적인 건강상태로 나타났다. 건강책임 행위는

나이가 많을수록, 남한에 가족이 없는 무연고인 경우 점수가 더 높았다. 신체활동

행위는 남자일 경우,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BMI 지수가 저체중일수록, 흡

연자의 경우가 더 높았다. 영양 행위는 종교생활을 하는 대상자일수록 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영적성장 행위는 종교가 있고, 남한에 가족이 없고, 주관적인 건강

상태가 좋을수록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대인관계와 스트레스 관리 행위는 주관적

인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점수가 높았다.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다중 회귀분석 결과, 건강증진행위는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더 영

향을 나타냈다. 건강책임 행위에는 나이가 많을수록, 비흡연자인 경우 더 많이 하였

다. 신체활동과 영적 성장 활동은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더 많이 하였다. 대

인관계 행위는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고, 비흡연자일수록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북한이탈주민 성인을 대상으로 동일한 연구도구(HPLP-Ⅱ)를 사

용한 선행연구들과 비교했을 때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는 평균을 비롯한

전체 항목에서 높아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북한이탈주민 성인을 대상으로 실

시한 강영실 외(2012)의 연구에서는 1.78±0.35점이, 최명애 외(2012)의 연구에

Page 8: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고 8있다. 또한 건강증진을 위한 식습관, 신체활동 및 보건을 건강이라고 보았다.10

서는 2.38±0.57점으로14, 17 이는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2.51±0.32점)가

성인들에 비해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북한이탈청소년들의 건강증

증행위는 남한 고등학생들의 평균 2.49±0.39과 비슷하였다.18 그러나 건강행위

중 남한 청소년들에 비해 아침식사 결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9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북한이탈청소년들의 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하였

다.

첫째, 북한이탈청소년들의 사회적 지지망을 증진시켜야 한다. 남한에서 연고가 없

는 북한이탈청소년들이 남한 내 가족이 있는 청소년들 보다 건강책임 활동이 높다

는 의미는 무연고 청소년들이 북한 내 가족과 만날 것을 고대하며 자신들의 건강을

더욱 관리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환경적으로 이들의 건강을 지지

해 줄 수 있는 혈연관계는 부족하나 사회적 지지망이 취약한 계층이기에 민관의 배

려를 더욱 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무연고 북한이탈청소년들은 만 20세 성인이 되

어 임대주택이 제공될 때까지 기숙형 대안학교나 특성화학교, 그룹 홈, 쉼터 등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법에 따라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의료

보호와 교육보호 이외에도 방과 후 학습지원 등 남북하나재단 및 유관 기관에서 제

공하는 장학 혜택을 받고 있다.20, 21 따라서 북한이탈청소년의 가족 외에도 사회적

지지망이 증가하여 다방면으로 지원이 가능하다면 이들의 건강증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북한이탈청소년들의 건강증진행위는 정신건강과 함께 균형감을 가지고 강

조되어야 한다. 북한이탈청소년들의 건강증진행위 중 대인관계와 영적 성장을 위한

활동이 신체활동에 비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교생활을 하는 북한이탈

청소년들이 그렇지 않은 응답자에 비해 건강증진행위를 적극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는 북한이탈청소년들이 북한에서부터 종교와 유사한 ‘주체사상’이 사회

화되어 정신적인 가치로 내재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북한이탈청소년들이 조

국을 배반하고 ‘탈출’하여 적국인 대한민국에 정착하면서 소속감을 새롭게 형성하

고 심리적인 안정감을 갖는데 있어 종교가 그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남한사회에서 새로운 인간관계를 맺음으로써 사회적인 귀속감과 지지망에 대

Page 9: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고 8있다. 또한 건강증진을 위한 식습관, 신체활동 및 보건을 건강이라고 보았다.10

한 필요가 생기게 된다. 종교는 이러한 북한이탈청소년들의 삶에 있어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가치를 추구하는데 있어 중요한 기능을 한다.22 북한이탈주민들을 대상으

로 한 연구에서도 전우택 외(2003)는 북한이탈주민들이 종교생활을 통해 마음의

평안을 얻고 삶이 방향성과 가치관을 세우며, 사람을 많이 사귀는데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23 따라서 종교생활은 건강증진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북한

이탈청소년들의 영적 생활은 심리적인 안정감과 더불어 일상생활에 긍정적인 동력

을 제공함으로써 건강한 삶을 추구하게 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북한이탈청소년들의 규칙적인 건강증진 행위를 위해 교육 및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한다. 북한이탈청소년들은 북한 및 제3국 체류기간 동안 생존을 위해 지

속적으로 이동해야 하는 불안정하고 규칙적인 삶을 살았다. 즉, 식량난 이후 교육

시스템이 붕괴되면서 교실 안에서 학업을 유지하기 보다는 장마당 또는 먹거리를

찾아 헤매야 했다. 이렇게 살아온 북한이탈청소년들에게 남한의 경쟁적인 교육 환

경은 심리적인 압박감과 신체적인 무기력을 주게 된다. 이에 북한이탈청소년들의

심리적·신체적인 건강을 증진하고 적응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즐겁게 참여할

수 있고 실천적인 프로그램 및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신체적인 건강 증진뿐만 아니라 우울 및 대인관계 등의 정신건강을 지

지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특히 운동 프로그램 등을 통한 중중도의 신체활동은 청

소년들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는 이를 입증

해준다고 볼 수 있다.24-26 따라서 탈북청소년들이 학교생활뿐만 아니라 여가활동

시간에 신체활동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개발

과 지속적인 권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북한이탈청소년들에게 규칙적이며 균형 잡힌 식생활 교육이 제공되어

야 한다. 북한이탈청소년들은 북한 및 제3국 체류기간 동안 규칙적이며 균형적인

식생활을 경험할 기회가 없었다. 황지윤 외에 의하면, 북한에 사는 동안 결식하지

않고 규칙적인 식사를 했다는 사람들이 74%였으나 대체 식량을 이용함으로써 부

족한 식품 섭취량을 대신한 것으로 나타났다.27 김묘정 외는 북한이탈주민들이 연령

이 낮을수록 짠맛을 선호하며 잡곡밥보다는 흰쌀밥을 선호하며 국수류를 자주 섭취

Page 10: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고 8있다. 또한 건강증진을 위한 식습관, 신체활동 및 보건을 건강이라고 보았다.10

한다고 하였다. 또한 남한의 식습관 및 식자재보다는 북한의 식문화를 선호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28 이러한 연구 결과는 만성적인 영양결핍을 경험한 북한이탈주민들

의 식생활이 불규칙적이며 불균형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에 북한이탈청소

년들에게 규칙적이고 균형잡힌 식습관을 구체적으로 교육함으로써 건강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한국건강증진재단에서 표방하는 한국인의 10대 건

강한 생활지표1를 북한이탈주민 가족들에게 교육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

다. 특히, 남북한 식생활 차이로 인한 균형 잡힌 식생활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건강

한 생활을 할 수 있는 정보적 지지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북한이탈청소년들의 건강증진행위는 새로운 남한사회에 정착하기 위한 토대이다.

따라서 신체건강에 대한 증진행위와 처방은 성인 이전 시기인 아동·청소년 시기부

터 이루어져야 한다. 북한이탈청소년의 경우 남한의 정규 학교에 다니지 않는 경우

도 많기 때문에 학교 차원뿐만 아니라 하나원, 하나센터, 지역별 사회복지기관 등을

통한 건강증진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북한이탈청소년들이 많이 호소하고

있는 질병에 대한 우선적인 예방 교육이 필요하며, 청소년 시기의 성장과 관련된

건강증진 행위를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제시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남한에 먼저 입국한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을 위한 연구는 향후 남북한 청소년들의

건강 격차 해소와 북한 청소년들의 건강 증진을 위한 모델로 활용될 것이다.

LIMITATION

본 연구 결과는 연구 대상자 표본 수가 적기 때문에 북한이탈청소년들의 모집단

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라고 일반화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ACKNOWLEDGEMENTS

1 한국건강증진재단 홈페이지에 의하면, 건강한 생활을 금연, 절주, 운동, 영양, 아동, 여성, 노인, 장

애인, 정신건강, 구강건강으로 규정하고 있음(www.hp.go.kr. 2014년 6월 17일 검색)

Page 11: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고 8있다. 또한 건강증진을 위한 식습관, 신체활동 및 보건을 건강이라고 보았다.10

본 연구는 2013년 을지대학교 교내연구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다.

REFERENCES

1. Korean Ministry of Unification. Accessed 9 June, 2014.

http://www.unikorea.go.kr

2. 교육부, 2015년 탈북학생 교육지원 계획 발표 보도자료, 2015. 3월 5일

3. Yoon IJ.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and Economic Adaptation of North

Korean Migrants. Health and Social Science 2007:21;65-96.

4. Kim HJ. Stress coping strategies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in

South Korea according to attribution style and defense style.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3.

5. Hwang NM. Health status and policy issues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research report 2005.

6. Ko SY. Awareness on Health Management and its Influential Factors for

Senior Citizens in Jeju Reg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6. Chung-Ang

University, Seoul.

7. Moon CJ. Sociology of Health and Medicine. Seoul;1990.

8. Lee KJ, Park HS. A Study on the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the Elderly in Urban Area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6;12:221-230.

9. World Health Organization. Skills for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WHO Document Production Services, Geneva, Switzerland. 2006.

10. So SS, Kim HK, Kim CS. Comparative Study of Gender and School Grade

Differences in Adolescent Health.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1;18:317-340.

11. Yoon IJ. North Korean Defector. Seoul: Jipmoondang; 2009.

12. Jeon JH, Park YS. The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liefs on North Korean Refugees’ Health Behavior.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2;23:82-90.

Page 12: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고 8있다. 또한 건강증진을 위한 식습관, 신체활동 및 보건을 건강이라고 보았다.10

13. Kim BC, Yu SE. North Korean defectors panel study : eoconomic

adaptation·mental health·physical health. series of research by North Korean

Refugees Foundation ;2010.

14. Kang YS, Ha YM, E Y. Health Status and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Ⅱ of North Korean Immigrant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2;23:231-243.

15. Black, C., & Ford-Gilboe, M. Adolescent mothers: Resilience, family health

work and health-promoting practic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4;48:351-360.

16. Tajik, M., Galvao, H. M., & Edurado Siqueira, C. Health survey instrument

development through a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approach: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HPLP-Ⅱ) and Brazilian immigrants in

Greater Boston. Journal of immigrant Minority Health 2012;12:390-397.

17. Choe MA, Yi MS, Choi JA, Shin GS. Health Knowledge,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J Korean Acad Nurs 2012;42:622-631.

18. Kim MS, Kang HS, Choi KJ. Factors Influencing Health-Promotion Behavior

in Adolescents. CHNR 2004, 10:4:496-503.

19. Korea Hana Foundation, 2014 The survey of North Korean youth Refugees,

2015. Korea Hana Foundation

20. Kim HK. A Qualitative Study on the Changing Expectation of Orphans

Coming from North Korea in South Korea.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2013;10:69-101.

21. Kim HA, Bang KY. The Experiences of Workers at Group Homes for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Studies on Korean Youth 2012;23:137-170.

22. Kim DG. Religion Psychology, Hakgisa; Seoul

23. Jeon WT, Cho YA. Religious Experiences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nd the Role of Churches for the Korean Unification. KOREAN

UNIFICATION STUDIES 2003;7:105-128.

24. Lee BS, Kim JS, Kim KS. Factors that Affect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3;27:64-75.

25. Kwon HJ, Cho KO, Oh JW, Lee O, Kim YS. Association Between Levels of

Physical Activity and Self-rated Health in Korean Adolescents: the 2009 Korea

Page 13: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고 8있다. 또한 건강증진을 위한 식습관, 신체활동 및 보건을 건강이라고 보았다.10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12;51:253-261.

26. Mun YH. The Stat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07;21:75-84.

27. Hwang JY, Chang NS. Dietary Patterns and Nutrient Intake in North Koreans

by Utilizing Literature Search and Survey.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01;6:371-379.

26. Kim MJ, Jeong HS. Study on Dietary Habits of North Korean Refugees.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2011;21:1-13.

Page 14: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고 8있다. 또한 건강증진을 위한 식습관, 신체활동 및 보건을 건강이라고 보았다.10

<Table 1>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 평균

Characteristics Categories Mean±SD

건강증진행위

전체 2.51±0.32

건강책임 2.21±0.41

신체활동 2.28±0.55

영양 2.45±0.39

영적성장 2.80±0.50

대인관계 2.87±0.43

스트레스 관리 2.41±0.41

SD=standard deviation

<Table 2> 북한이탈청소년의 특성과 건강증진행위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

M±SD

(Min,Max)

건강증진행위

전체 건강책임 신체활동 영양 영적성장 대인관계 스트레스

관리

M t(F) M t(F) M t(F) M t(F) M t(F) M t(F) M t(F)

성별

남 48(39.0) 2.50

-0.21

2.16

-1.09

2.47

3.32**

2.41

-0.85

2.75

-1.09

2.79

-1.79

2.42

0.07

여 75(61.0) 2.52 2.24 2.14 2.47 2.85 2.93 2.41

나이 (세) 19.9±2.4

(14,24) 1.35 2.90** 0.50 1.14 1.48 0.99 0.94

현재 학년 중학생 13(10.4) 2.54 0.32 2.25 0.39 2.40 0.21 2.51 1.28 2.68 0.59 2.79 2.18 2.65 0.07

Page 15: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고 8있다. 또한 건강증진을 위한 식습관, 신체활동 및 보건을 건강이라고 보았다.10

고등학생 82(65.6) 2.53 2.22 2.25 2.47 2.88 2.91 2.40

대학생 13(10.4) 2.50 2.13 2.26 2.42 2.72 2.97 2.48

종교

있음 82(67.2) 2.56

2.30*

2.26

1.72

2.30

2.74

2.50

2.17*

2.92

4.21***

2.92

1.25

2.43

0.13

없음 40(32.8) 2.42 2.12 2.23 2.36 2.58 2.83 2.42

거주지

서울 60(49.6) 2.54

1.09

2.25

1.31

2.25

-0.64

2.51

1.92

2.84

0.84

2.92

1.14

2.41

-0.08

서울 외 61(50.4) 2.48 2.16 2.31 2.38 2.76 2.83 2.42

국민기초생활

수급여부

예 70(60.90 2.53

0.59

2.24

1.20

2.27

-0.08

2.48

0.86

2.87

1.38

2.88

-0.52

2.39

-0.49

아니오 45(39.1) 2.49 2.15 2.28 2.42 2.74 2.92 2.43

입국 후 기간 (년) 0.57 1.17 1.15 0.54 1.10 0.91 1.04

남한에

가족여부

없음 30(25.9) 2.61

2.02*

2.36

2.43*

2.35

1.17

2.51

1.07

2.97

2.04*

2.93

0.67

2.47

0.79

있음 86(74.1) 2.47 2.15 2.22 2.43 2.75 2.87 2.40

북한에

가족여부

없음 31(26.5) 2.54

0.56

2.21

0.04

2.33

0.90

2.48

0.49

2.84

0.49

2.90

0.11

2.46

0.70

있음 86(73.5) 2.50 2.20 2.23 2.44 2.82 2.89 2.40

주관적인 건강

상태

좋음 56(45.2) 2.61

4.96**

2.26

0.45

2.38

3.46*

2.50

0.81

2.95

5.74**

3.00

5.50**

2.53

3.74* 보통 52(41.9) 2.43 2.18 2.23 2.40 2.64 2.80 2.32

나쁨 16(12.9) 2.41 2.19 2.00 2.44 2.77 2.65 2.35

BMI

(Kg/m2)

저체중 15(10.7) 2.66

1.39

2.36

1.48

2.69

3.48*

2.48

0.23

2.80

1.17

3.02

2.14

2.63

2.01

정상 96(78.7) 2.49 2.18 2.21 2.45 2.82 2.86 2.38

과체중 8(6.6) 2.51 2.37 2.45 2.35 2.54 2.78 2.59

비만 5(4.1) 2.63 2.38 2.18 2.40 3.04 3.27 2.43

흡연

흡연 21(16.8) 2.56

0.77

2.12

-1.15

2.61

3.17**

2.52

0.95

2.85

0.47

2.72

-1.74

2.49

0.96

비흡연 104(83.2) 2.50 2.23 2.21 2.43 2.79 2.90 2.40

음주 음주 37(29.6) 2.51 0.05 2.18 -0.56 2.32 0.59 2.44 -0.17 2.83 0.40 2.84 -0.53 2.40 -0.28

Page 16: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고 8있다. 또한 건강증진을 위한 식습관, 신체활동 및 보건을 건강이라고 보았다.10

비음주 88(70.4) 2.51 2.22 2.26 2.45 2.79 2.89 2.42

* p<.05 ** p<.01 ***p<.001

M=Mean, SD=standard deviation, BMI = body mass index

<Table 3>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전체 건강책임 신체활동 영양 영적성장 대인관계 스트레스

관리

Beta t Beta t Beta t Beta t Beta t Beta t Beta t

성별 -.047 -.319 -.141 -.984 -.230 -1.596 .186 1.230 .008 .059 .039 .267 -.005 -.035

나이 .201 1.488 .297 2.265* -.034 -.258 .186 1.352 .148 1.151 .132 .997 .187 1.290

현재 학년 -.179 -1.206 -.241 -1.675 -.091 -.628 -.223 -1.470 .056 .396 -.101 -.692 -.235 -1.474

종교 -.156 -1.247 -.027 -.221 -.068 -.556 -.185 -1.454 -.304 -2.562* -.084 -.687 .036 .270

거주지 -.140 -1.153 -.183 -1.560 .006 .048 -.228 -1.854 .018 .159 -.167 -1.408 -.037 -.287

국민기초생활

수급여부 .034 .276 -.078 -.654 .008 .069 -.012 -.100 .016 .135 .091 .762 .134 1.018

남한

입국기간 -.048 -.351 -.086 -.649 .048 .359 .160 1.144 -.210 -1.611 -.010 -.076 -.086 -.588

남한에

가족여부 -.209 -1.666 -.175 -1.442 -.216 -1.774 -.054 -.421 -.158 -1.329 -.123 -1.005 -.101 -.754

북한에

가족여부 .028 .227 .003 .025 .064 .531 -.028 -.224 .021 .179 .076 .625 -.060 -.453

주관적인

건강상태 -.268 -2.196* .095 .808 -.309 -2.608* -.095 -.764 -.293 -2.524* -.335 -2.812** -.130 -.997

BMI -.017 -.135 .180 1.444 -.171 -1.369 .075 .573 -.132 -1.079 .045 .359 -.022 -.157

흡연 -.046 -.328 -.303 -2.235* .159 1.166 .068 .477 .040 .298 -.286 -2.085* .065 .434

음주 .116 .884 -.005 -.042 .114 .895 .008 .058 .180 1.438 .093 .721 .023 .167

Page 17: 북한이탈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고 8있다. 또한 건강증진을 위한 식습관, 신체활동 및 보건을 건강이라고 보았다.10

R square 0.227 0.274 0.269 0.198 0.300 0.260 0.112

F for R

square 1.375 1.774 1.725 1.160 2.014 1.650 0.589

* p<.05 ** p<.01 ***p<.001

BMI = body mass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