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일부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식습관 및 ... ·...

15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J Korean Diet Assoc 26(2):126-140, 2020 https://doi.org/10.14373/JKDA.2020.26.2.126 Original Article 접수일 : 2020년 3월 16일, 수정일 : 2020년 3월 31일, 채택일 : 2020년 4월 9일 Corresponding author : Jee-Young Yeo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eowon University, 377-3, Musimseo-ro, Seowon-gu, Cheongju 28674, Korea Tel : 82-43-299-8744, Fax : 82-43-299-8740, E-mail : [email protected], ORCID : https://orcid.org/0000-0002-9121-8229 인천지역 일부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식습관 및 식사의 질 평가 김미현이슬기 1 연지영 2공주대학교 식품과학부1 공주대학교 영양교육대학원2 서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Study on Eating Habits and Dietary Quality according to Time Spent Using Smart Devic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Incheon Mi-Hyun Kim·Seul-Ki Lee 1 ·Jee-Young Yeon 2Division of Food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Yesan 32439, Korea 1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Yesan 32439, Korea 2 Dept. of Food and Nutrition, Seowon University, Cheongju 28674, Korea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quality and smart device us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 total of 330 middle school students (171 boys and 159 girls) residing in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in June 2018. The boys and girl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daily use time of smart devices: less than 3 hours a day (3 hours) and 3 hours or more a day (3 hours). Eating habits and dietary quality were assessed using a nutrition quotient for ado- lescents (NA-Q). For boys and girls, higher consumption frequency of white milk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ess time spent using a smart device. For boys, a higher number of vegetable dishes and eating fre- quency of breakfas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ess time spent using a smart device. For girls, higher consumption frequency of processed beverages, ramyeon, and street food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ore time spent using a smart device. For boys and girls, those who spent more time using a smart de- vice had significantly lower NA-Q scores, indicating low dietary quality. To sum up, more time spent using a smart devi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may be associated with lower dietary quality. These results sug- gest the need to provide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guidelines to students who use smart devices for a long time. Key words : smart device, eating habits, dietary quality, nutrition quotient for adolescents (NA-Q), middle school students

Transcript of 인천지역 일부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식습관 및 ... ·...

Page 1: 인천지역 일부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식습관 및 ... ·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in June 2018. The boys and girls were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J Korean Diet Assoc 26(2):126-140, 2020

https://doi.org/10.14373/JKDA.2020.26.2.126

Original Article

접수일 : 2020년 3월 16일, 수정일 : 2020년 3월 31일, 채택일 : 2020년 4월 9일† Corresponding author : Jee-Young Yeo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eowon University, 377-3, Musimseo-ro,

Seowon-gu, Cheongju 28674, Korea

Tel : 82-43-299-8744, Fax : 82-43-299-8740, E-mail : [email protected], ORCID : https://orcid.org/0000-0002-9121-8229

인천지역 일부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식습관 및 식사의 질 평가

김미현ㆍ이슬기1ㆍ연지영2†

공주대학교 식품과학부ㆍ1공주대학교 영양교육대학원ㆍ2

서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Study on Eating Habits and Dietary Quality according to Time Spent Using Smart Devic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Incheon

Mi-Hyun Kim·Seul-Ki Lee1·Jee-Young Yeon2†

Division of Food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Yesan 32439, Korea1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Yesan 32439, Korea

2Dept. of Food and Nutrition, Seowon University, Cheongju 28674, Korea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quality and smart device us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 total of 330 middle school students (171 boys and 159 girls) residing in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in June 2018. The boys and girl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daily use time of smart devices: less than 3 hours a day (<3 hours) and 3 hours

or more a day (≥3 hours). Eating habits and dietary quality were assessed using a nutrition quotient for ado-

lescents (NA-Q). For boys and girls, higher consumption frequency of white milk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ess time spent using a smart device. For boys, a higher number of vegetable dishes and eating fre-

quency of breakfas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ess time spent using a smart device. For girls,

higher consumption frequency of processed beverages, ramyeon, and street food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ore time spent using a smart device. For boys and girls, those who spent more time using a smart de-

vice had significantly lower NA-Q scores, indicating low dietary quality. To sum up, more time spent using a

smart devi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may be associated with lower dietary quality. These results sug-

gest the need to provide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guidelines to students who use smart devices for

a long time.

Key words : smart device, eating habits, dietary quality, nutrition quotient for adolescents (NA-Q), middle

school students

Page 2: 인천지역 일부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식습관 및 ... ·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in June 2018. The boys and girls were

J Korean Diet Assoc 26(2):126-140, 2020 | 127

서 론

현대 사회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많은 정보들을 쉽

게 접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와 함께 스마트기기는

대중적인 기기로써 정보 전달과 사회적 소통을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Selwyn 2004).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는 휴대가 가능하고 인터넷 접속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스마트 단말기로 시간과 장소의 제한 없이 정보

검색과 콘텐츠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일상에서

의 변화를 가지게 되었다(Kim 등 2012a). 태어나면서

부터 스마트기기를 접했던 어린 세대들은 스마트기기

의 새로운 기술과 기능에 빠르게 적응하고 사용하며,

학업에 필요한 검색, 활동 등의 소통 수단으로까지

폭넓게 사용하면서 스마트기기의 사용빈도와 의존율

이 높다고 보고되었다(Kim 2013; Park 등 2014). 2018년

3세 이상 우리 국민 10명 중 9명이 스마트폰을 보유

하고 있고, 스마트기기의 보급 증가에 따른 과다 사

용으로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의 비율이 청소년의

경우 29.3%로 다른 연령대인 유아동 20.7%, 성인

18.1%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중학생은 34.0%로 고

등학생(28.3%)에 비해 높아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 예

방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Ministry of

Science and ICT &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8).

중학생 시기는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진입하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최근 우리 사회는 중학생들의

돌발적이고 반항적인 태도나 행동에 대하여 중2병이

라는 새로운 신조어를 만들어내며 그들의 문제를 공

공연히 받아들이고 있다. 따라서 현대 사회에서 새로

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스마트기기의 과다 사용 또

는 중독의 문제 또한 중학생을 중심으로 살펴볼 필요

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스마트기기 사용은 사회

적 관계의 문제뿐 아니라 개인의 식생활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Lee(2014)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에서 스마트폰 중독이 심할수록

결식 비율이 높고, 식사속도, 식사량에 변화를 가져왔

으며, 수면장애와 체중의 변화에 대한 응답이 높은

것으로 보고했다.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길고 의존도가 높을수록 올바른

식품 선택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품선택

행동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Cho 등

2018). 스마트폰의 지나친 사용은 신선식품이나 균형

적인 식사를 선택하기보다 가공식품을 선택하는 식습

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Cho 등 2018). 또

한 스마트폰 의존 정도가 높은 청소년에서 결식률이

높고, 과식, 빠른 식사속도, 불균형한 식사 등의 식습

관과 무기질 영양상태의 문제점이 보고되었다(Lim &

Kim 2018).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Choi(2016)의 연구에

서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지나친 사용은 불규칙한 식

습관과 영양불균형으로 이어져 성장에까지 영향을 미

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관련 기기의 보

급이 어린이ㆍ청소년들에게까지 빠르게 확대되면서

어린이와 청소년의 지나친 스마트기기 사용에 따른

일상생활의 균형 상실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고,

선행연구를 통해 스마트기기의 사용은 청소년의 바람

직하지 못한 식습관 형성 및 이를 통한 식사의 질 저

하와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식사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은 다양한데, 식사의 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지수는 점수로 수치화되어 개인의 식습관

실태를 손쉽게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Marshall 등

2014). 영양지수(nutrition quotient, NQ)는 타당도가 증

명된 간략한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방법으로 개인이나

집단의 영양상태 및 식사의 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하

는 방법이다(Kim 등 2017). 우리나라에서도 식사의

질을 평가하는 다양한 생애주기별 평가지수가 개발되

었으며(Kim 등 2012b; Kim 등 2017; Chung 등 2018),

2017년에 개발된 청소년 맞춤 청소년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 for adolescents, NQ-A)가 청소년 식

사의 질 평가에 활용되고 있다(Kim 등 2017). 청소년

기에 접어들면서 식습관의 자기 주도성이 증가하지만

건강에 대한 관심 부족 등으로 식생활과 영양에 소홀

하기 쉬우므로 타당도가 증명된 청소년 영양지수 평

가를 통해 청소년의 식생활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

Page 3: 인천지역 일부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식습관 및 ... ·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in June 2018. The boys and girls were

128 |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식습관 및 식사의 질

으로 예상되는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식사의 질과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기

기 사용시간에 따른 학생들의 생활습관, 식습관 및

청소년 영양지수를 활용한 식사의 질을 비교 평가하

여 청소년의 바람직한 식습관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

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 조사대상 및 기간

본 조사는 인천지역에 거주하는 중학생을 대상으

로 2018년 6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응답이 미흡하거나 미 회수된 설

문지 20부를 제외한 총 330부(분석률 94%)를 분석 자

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공주대학교 생명윤리 위

원회의 승인(KNU_IRB_2018-20)을 받아 진행하였다.

2. 조사방법 및 내용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 자료(Pae 2016; Shin

등 2017) 및 청소년 영양지수 연구(Kim 등 2017)를

참고하여 설문 문항을 재구성하였다. 연구자가 직접

학교에 방문하여 영양사 또는 담임교사에게 연구 목

적과 조사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설명을 들은 영양

사 또는 담임교사가 교실에서 학생들에게 설문 목적

을 설명한 후 설문지 작성에 동의한 학생이 학부모에

게 동의서를 받아 제출하였다. 설문에 동의한 대상자

는 설문지 항목을 직접 표시하였다. 구성 내용은 일반적

사항, 청소년 영양지수 산정을 위한 조사 항목에 포함된

식습관 및 생활습관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1) 일반사항

일반사항 조사는 성별, 연령, 학년, 어머니의 취업

여부, 한 달 용돈, 1일 평균 TV 시청시간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2) 식습관 및 생활습관

Kim 등(2017)의 연구에서 보고된 청소년 영양지수

(NQ-A) 산정에 필요한 19개 항목의 식습관 및 생활

습관을 조사하였다. 조사항목은 식품섭취빈도조사(과

일, 흰 우유, 콩ㆍ두부류, 생선), 한 번 식사 시 먹는

채소 반찬(김치 포함)의 수, 반찬 섭취의 다양성, 편

식하는 식품, 과자 또는 달거나 기름진 빵, 가공음료,

라면, 카페인 음료, 야식, 길거리 음식(편의점, 분식점,

문방구, 학교매점 등)의 섭취 빈도, 아침식사 빈도, 식

탁에 앉아서 식사하는 정도, TVㆍ스마트기기(스마트

폰ㆍ태블릿 PCㆍ컴퓨터 등) 사용시간, 영양표시 확인,

음식 먹기 전 손 씻기, 운동 빈도로 구성하였다.

3) 청소년 영양지수 산정

청소년 영양지수(NQ-A) 산정은 Kim 등(2017)의 연

구에서 제시한 방법에 따라 항목별 가중치와 점수를

이용하였으며, NQ-A 점수 및 균형, 다양, 절제, 환경,

실천의 5개 영역별 점수는 각각 100점 만점으로 산정

하였다.

4) 영양지수 영역별 등급 평가

NQ-A 점수와 각 영역별 점수의 등급 판별은 Kim

등(2017)의 연구에서 제시한 표준화된 백분위 값 분

포를 기준으로 한 등급별 기준 점수를 적용하여 상,

중, 하로 분류하여 영양지수를 평가하였다.

3. 자료 분석 방법 및 통계처리

조사된 모든 자료는 SAS 9.4 program(SAS Institute

Inc, Cary, NC, USA)을 이용하여 연속성 변수는 평균

과 표준편차, 범주형 변수는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

였다.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2018년 중학생의 평균

스마트폰 이용시간(Kim 2019), 중학생의 평일 스

마트폰 사용시간(Cho 등 2018), 스마트폰 과의존 위

Page 4: 인천지역 일부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식습관 및 ... ·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in June 2018. The boys and girls were

J Korean Diet Assoc 26(2):126-140, 2020 | 129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ime using smart devic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Boys (n=171)t value orχ

2-value

Girls (n=159)t value orχ

2-value <3 hour/day(n=79)

≥3 hour/day(n=92)

<3 hour/day(n=53)

≥3 hour/day(n=106)

Age (years) 13.3±0.91) 13.5±1.1  –1.27 13.3±0.9 14.0±0.9 –4.18***

Grade      

First 42 (53.2)2) 44 (47.8) 1.048 24 (45.3) 13 (12.3) 22.650***

Second 12 (15.2) 12 (13.0) 20 (37.7) 53 (50.0)

Third 25 (31.7) 36 (39.1) 9 (17.0) 40 (37.7)

Employment status of mother    

Housewife 34 (43.0) 29 (31.5) 2.534 25 (47.2) 41 (38.7) 1.587

Part time job 12 (15.2) 15 (16.3) 14 (26.4) 27 (25.5)

Full time job 33 (41.8) 48 (52.2) 14 (26.4) 38 (35.9)

Family number      

3 or less 16 (20.3) 18 (19.6) 1.693 8 (15.1) 20 (18.9) 0.842

4 34 (43.0) 48 (52.2) 34 (64.2) 60 (56.6)

5 and more 29 (36.7) 26 (28.3) 11 (20.8) 26 (24.5)

Monthly allowance (won)    

<50,000 34 (43.0) 36 (39.1) 0.328 36 (67.9) 62 (58.5) 1.354

50,000≤ and <100,000 26 (32.9) 31 (33.7) 14 (26.4) 37 (34.9)

≥100,000 19 (24.1) 25 (27.2) 3 ( 5.7) 7 ( 6.6)

Time spent watching TV (hour/day)

≥4 1 ( 1.3) 8 ( 8.7) 7.837 1 ( 1.9) 5 ( 4.7) 9.673*

3 4 ( 5.1) 10 (10.9) 1 ( 1.9) 14 (13.2)

2 11 (13.9) 15 (16.3) 9 (17.0) 22 (20.8)

1 21 (26.6) 19 (20.7) 20 (37.7) 22 (20.8)

<1 42 (53.2) 40 (43.5) 22 (41.5) 43 (40.6)1) Mean±SD2) n (%) Weighted column percentage is presented and may be not total 100% because of rounding*P<0.05, ***P<0.001

험군의 스마트폰 사용시간(Han 등 2017) 등을 참

고하여 본 연구대상자를 1일 스마트폰 이용시간

에 따라 3시간 미만군과 3시간 이상군으로 분류

하였다. 군에 따른 대상자의 성별 분포는 3시간

미만군의 경우 남학생 79명, 여학생 53명이었고, 3시

간 이상군은 남학생 92명, 여학생 106명이었다. 스마

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두 군 간 비교ㆍ분석은 범주

형 범수인 경우 χ2-test를 실시하였고, 연속형 변수인

경우 Students’s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모든 검정의 유

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 과

1. 일반사항

연구대상자의 일반사항에 대한 결과는 Table 1과

같이 평균 연령은 남학생의 경우 스마트기기 사용시

간에 따른 두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여

학생의 경우 3시간 미만군이 13.3세, 3시간 이상군이

14.0세로 유의적인 연령차를 보였다(P<0.001). 학년의

분포는 남학생의 경우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Page 5: 인천지역 일부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식습관 및 ... ·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in June 2018. The boys and girls were

130 |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식습관 및 식사의 질

Table 2. Balance area of NQ-A1) according to time using smart devic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Boys (n=171)

χ2-value

Girls (n=159)

χ2-value <3 hour/day

(n=79)≥3 hour/day

(n=92) <3 hour/day

(n=53)≥3 hour/day

(n=106)

Intake frequency of fruit  

≥2 times a day 12 (15.2)2) 15 (16.3) 2.497 12 (22.6) 13 (12.3) 8.548

Once a day 17 (21.5) 22 (23.9) 14 (26.4) 18 (17.0)

3∼4 times per week 33 (41.8) 29 (31.5) 19 (35.9) 43 (40.6)

Once per week 12 (15.2) 16 (17.4) 6 (11.3) 16 (15.1)

Never 5 ( 6.3) 10 (10.9) 2 ( 3.8) 16 (15.1)

Intake frequency of white milk    

≥2 times a day 18 (22.8) 17 (18.5) 10.428* 13 (24.5) 12 (11.3) 20.930***

Once a day 9 (11.4) 21 (22.8) 13 (24.5) 11 (10.4)

3∼4 times per week 30 (38.0) 22 (23.9) 5 ( 9.4) 25 (23.6)

Once per week 14 (17.7) 12 (13.0) 15 (28.3) 19 (17.9)

Never 8 (10.1) 20 (21.7) 7 (13.2) 39 (36.8)

Intake frequency of bean or bean product

≥Once a day 11 (13.9) 12 (13.0) 11.278* 10 (18.9) 14 (13.2) 10.025

3∼4 times a week 24 (30.4) 25 (27.2) 6 (11.3) 21 (19.8)

Once per week 27 (34.2) 19 (20.7) 13 (24.5) 23 (21.7)

Once every two weeks 5 ( 6.3) 13 (14.1) 9 (17.0) 13 (12.3)

Once per month 10 (12.7) 11 (12.0) 13 (24.5) 16 (15.1)

Never 2 ( 2.5) 12 (13.0)   2 ( 3.8) 19 (17.9)

Intake frequency of fish

≥Once a day 2 ( 2.5) 0 ( 0.0) 9.028 4 ( 7.6) 1 ( 0.9) 6.676

3∼4 times a week 15 (19.0) 15 (16.3) 2 ( 3.8) 7 ( 6.6)

Once per week 30 (38.0) 26 (28.3) 12 (22.6) 19 (17.9)

Once every two weeks 14 (17.7) 18 (19.6) 12 (22.6) 22 (20.8)

Once per month 16 (20.3) 22 (23.9) 16 (30.2) 38 (35.9)

Never 2 ( 2.5) 11 (12.0)   7 (13.2) 19 (17.9)1) NQ-A: nutrition quotient for adolescents2) n (%) Weighted column percentage is presented and may be not total 100% because of rounding*P<0.05, ***P<0.001

학년의 분포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으면서 두

군 모두 1학년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3학

년, 2학년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여학생의 경우 두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3시간 미만군은 1학년

의 비율이 높고, 3시간 이상군은 2학년과 3학년의 비율

이 3시간 미만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어머니의 취업 여부는 남녀 모두 군 간에 차이 없이

전일제 직장 비율이 3시간 이상군에서 3시간 미만군

에 비해 높았다. 가족 수는 남녀 모두 군 간에 차이

없이 4명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한 달 용돈의

경우도 남녀 모두 군 간의 차이 없이 5만원 미만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1일 평균 TV 시청시간은 여학생

의 3시간 이상군에서 2시간 이상 시청한다는 응답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Page 6: 인천지역 일부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식습관 및 ... ·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in June 2018. The boys and girls were

J Korean Diet Assoc 26(2):126-140, 2020 | 131

Table 3. Diversity area of NQ-A1) according to time using smart devic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Boys (n=171)

χ2-value

Girls (n=159)

χ2-value <3 hour/day

(n=79)≥3 hour/day

(n=92) <3 hour/day

(n=53)≥3 hour/day

(n=106)

Number of vegetable dishes (/meal)

≥5 15 (19.0)2) 9 ( 9.8) 9.590* 3 ( 5.7) 8 ( 7.6) 1.361

4 18 (22.8) 15 (16.3) 7 (13.2) 14 (13.2)

3 26 (32.9) 38 (41.3) 22 (41.5) 42 (39.6)

2 19 (24.1) 21 (22.8) 18 (34.0) 31 (29.3)

≤1 1 ( 1.3) 9 ( 9.8) 3 ( 5.7) 11 (10.4)

Diverse side dishes          

Always 21 (26.6) 21 (22.8) 7.263 11 (20.8) 16 (15.1) 4.039

Often 29 (36.7) 31 (33.7) 18 (34.0) 30 (28.3)

So so 27 (34.2) 27 (29.4) 17 (32.1) 50 (47.2)

Seldom 2 ( 2.5) 12 (13.0) 6 (11.3) 7 ( 6.6)

Never 0 ( 0.0) 1 ( 1.1)   1 ( 1.9) 3 ( 2.8)

Refusal of specific food items

A lot 2 ( 2.5) 2 ( 2.2) 3.065 2 ( 3.8) 6 ( 5.7) 7.221

Frequently 15 (19.0) 18 (19.6) 6 (11.3) 25 (23.6)

So so 29 (36.7) 43 (46.7) 26 (49.1) 54 (50.9)

Seldom 25 (31.7) 19 (20.7) 13 (24.5) 12 (11.3)

Never 8 (10.1) 10 (10.9)   6 (11.3) 9 ( 8.5)1) NQ-A: nutrition quotient for adolescents2) n (%) Weighted column percentage is presented and may be not total 100% because of rounding*P<0.05

2. 생활습관 및 식습관

균형 영역을 평가하는 식습관에 대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과일 섭취 빈도는 남녀 모두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두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주 3∼4회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흰 우유의 섭취 빈도는 남학생의 경우 3시간 미만군

이 3시간 이상군에 비하여 1일 2회 이상, 주 3∼4회

의 비율이 높았고(P<0.05), 여학생의 경우 1일 2회

이상, 1일 1회의 비율이 높아(P<0.001) 남녀 모두 스

마트기기 사용시간이 낮은 군에서 흰 우유 섭취 빈도

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콩ㆍ두부류의 섭취 빈도는 남

학생의 경우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3시간 미만

군이 3시간 이상군에 비하여 주 1회 이상의 섭취 항

목에서 모두 높았다(P<0.05). 생선 섭취 빈도는 남녀

모두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두 군 간에 유의적

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양성 영역을 평가하는 식습관에 대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한 번 식사 시 먹는 채소 반찬(김치

포함)의 수는 남학생의 경우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

면서 3시간 미만군이 3시간 이상군에 비하여 4가지와

5가지 이상으로 응답한 비율이 모두 높았다(P<0.05).

반찬 섭취의 다양성, 편식하는 식품은 남녀 모두 스

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두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

절제 영역을 평가하는 식습관에 대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과자 또는 달거나 기름진 빵, 카페인 음료,

야식의 섭취 빈도는 남녀 모두 스마트기기 사용시간

Page 7: 인천지역 일부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식습관 및 ... ·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in June 2018. The boys and girls were

132 |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식습관 및 식사의 질

Table 4. Moderation area of NQ-A1) according to time using smart devic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Boys (n=171)

χ2-value

Girls (n=159)

χ2-value <3 hour/day(n=79)

≥3 hour/day(n=92)

 <3 hour/day(n=53)

≥3 hour/day(n=106)

Intake frequency of cookies or sweet and greasy bread     

≥2 times a day 6 ( 7.6)2) 6 ( 6.5) 0.347 4 ( 7.6) 10 ( 9.4) 2.867

Once a day 10 (12.7) 11 (12.0) 6 (11.3) 17 (16.0)

3∼4 times per week 18 (22.8) 24 (26.1) 13 (24.5) 34 (32.1)

Once per week 39 (49.4) 45 (48.9) 26 (49.1) 39 (36.8)

Never 6 ( 7.6) 6 ( 6.5) 4 ( 7.6) 6 ( 5.7)

Intake frequency of processed beverage      

≥Once a day 23 (29.1) 32 (34.8) 6.189 6 (11.3) 20 (18.9) 12.702*

3∼4 times per week 35 (44.3) 42 (45.7) 17 (32.1) 53 (50.0)

Once per week 16 (20.3) 15 (16.3) 11 (20.8) 15 (14.2)

Once per 2 weeks 3 ( 3.8) 1 ( 1.1) 7 (13.2) 11 (10.4)

Once per month 2 ( 2.5) 0 ( 0.0) 6 (11.3) 4 ( 3.8)

Never 0 ( 0.0) 2 ( 2.2) 6 (11.3) 3 ( 2.8)

Intake frequency of ramyeon      

≥Once a day 0 ( 0.0) 6 ( 6.5) 10.036 1 ( 1.9) 4 ( 3.8) 13.267*

3∼4 times per week 23 (29.1) 38 (41.3) 6 (11.3) 35 (33.0)

Once per week 37 (46.8) 32 (34.8) 22 (41.5) 42 (39.6)

Once per 2 weeks 12 (15.2) 10 (10.9) 15 (28.3) 14 (13.2)

Once per month 6 ( 7.6) 4 ( 4.4) 7 (13.2) 10 ( 9.4)

Never 1 ( 1.3) 2 ( 2.2)   2 ( 3.8) 1 ( 0.9)

Intake frequency of caffeinated beverage

≥Once a day 4 ( 5.1) 10 (10.9) 4.646 4 ( 7.6) 4 ( 3.8) 6.394

3∼4 times per week 10 (12.7) 17 (18.5) 1 ( 1.9) 9 ( 8.5)

Once per week 19 (24.1) 22 (23.9) 7 (13.2) 23 (21.7)

Once per 2 weeks 9 (11.4) 10 (10.9) 8 (15.1) 11 (10.4)

Once per month 16 (20.3) 11 (12.0) 8 (15.1) 19 (17.9)

Never 21 (26.6) 22 (23.9)   25 (47.2) 40 (37.7)

Late-night snack intake frequency

≥Once a day 1 ( 1.3) 5 ( 5.4) 5.896 1 ( 1.9) 5 ( 4.7) 4.880

3∼4 times a week 25 (31.7) 19 (20.7) 8 (15.1) 17 (16.0)

Once per week 27 (34.2) 32 (34.8) 11 (20.8) 36 (34.0)

Once every two weeks 12 (15.2) 22 (23.9) 15 (28.3) 21 (19.8)

Never 14 (17.7) 14 (15.2)   18 (34.0) 27 (25.5)

Intake frequency of street food

Everyday 14 (17.7) 20 (21.7) 0.904 6 (11.3) 9 ( 8.5) 12.286*

3∼4 times per week 32 (40.5) 36 (39.1) 14 (26.4) 41 (38.7)

Once per week 19 (24.1) 22 (23.9) 14 (26.4) 35 (33.0)

Once every two weeks 13 (16.5) 12 (13.0) 11 (20.8) 19 (17.9)

Never 1 ( 1.3) 2 ( 2.2)   8 (15.1) 2 ( 1.9)1) NQ-A: nutrition quotient for adolescents2) n (%) Weighted column percentage is presented and may be not total 100% because of rounding*P<0.05

Page 8: 인천지역 일부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식습관 및 ... ·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in June 2018. The boys and girls were

J Korean Diet Assoc 26(2):126-140, 2020 | 133

Table 5. Environment area of NQ-A1) according to time using smart devic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Boys (n=171)

χ2-value

Girls (n=159)

χ2-value <3 hour/day

(n=79)≥3 hour/day

(n=92) <3 hour/day

(n=53)≥3 hour/day

(n=106)

Intake frequency of breakfast    

Every day 44 (55.7)2) 29 (31.5) 13.709** 26 (49.1) 36 (34.0) 4.572

5∼6 times a week 7 ( 8.9) 9 ( 9.8) 5 ( 9.4) 14 (13.2)

3∼4 times a week 5 ( 6.3) 9 ( 9.8) 3 ( 5.7) 9 ( 8.5)

1∼3 times a week 13 (16.5) 15 (16.3) 6 (11.3) 9 ( 8.5)

Never 10 (12.7) 30 (32.6) 13 (24.5) 38 (35.9)

Not moving around while eating      

Always 57 (72.2) 61 (66.3) 2.205 34 (64.2) 62 (58.5) 3.293

Often 16 (20.3) 24 (26.1) 8 (15.1) 28 (26.4)

So so 5 ( 6.3) 4 ( 4.4) 7 (13.2) 12 (11.3)

Seldom 1 ( 1.3) 2 ( 2.2) 2 ( 3.8) 2 ( 1.9)

Never 0 ( 0.0) 1 ( 1.1)   2 ( 3.8) 2 ( 1.9)

Screen time (hour/day)

≥4 9 (11.4) 78 (84.8) 108.496*** 7 (13.2) 95 (89.6) 103.836***

3 16 (20.3) 14 (15.2) 12 (22.6) 11 (10.4)

2 30 (38.0) 0 ( 0.0) 24 (45.3) 0 ( 0.0)

1 20 (25.3) 0 ( 0.0) 6 (11.3) 0 ( 0.0)

<1 4 ( 5.1) 0 ( 0.0)   4 ( 7.6) 0 ( 0.0)1) NQ-A: nutrition quotient for adolescents2) n (%) Weighted column percentage is presented and may be not total 100% because of rounding**P<0.01, ***P<0.001

에 따른 두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가공음료(P<0.05), 라면(P<0.05), 길거리 음식

(편의점, 분식점, 문방구, 학교매점)(P<0.05)의 섭취

빈도는 여학생의 경우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3시간 이상군이 3시간 미만군에 비하여 자주 섭취하

는 비율이 높았다.

환경 영역을 평가하는 식습관 및 생활습관에 대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아침식사 빈도는 남학생의 경

우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3시간 미만군이 3시간 이

상군에 비하여 매일 아침을 섭취하는 비율이 높았

다(P<0.01). 식사 중 돌아다니지 않고 식탁에 앉아서

식사하는지 여부는 남녀 모두 두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TV와 스마트기기를 사용하

는 시간의 합을 조사한 결과 남녀 모두 3시간 이상군

에서 TVㆍ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긴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각각 P<0.001).

식생활의 실천 영역을 평가하는 식습관 및 생활습

관에 대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영양표시 확인, 음

식 먹기 전 손 씻기, 운동 빈도는 남녀 모두 스마트

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두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청소년 영양지수

청소년 영양지수를 평가하기 위한 19가지 식습관

및 생활습관 조사항목을 영양지수 점수로 산출한 결

과는 Table 7과 같다. 청소년 영양지수 NQ-A는 남학

생의 경우 3시간 미만군이 58.2로 3시간 이상군의

Page 9: 인천지역 일부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식습관 및 ... ·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in June 2018. The boys and girls were

134 |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식습관 및 식사의 질

Table 6. Practice area of NQ-A1) according to time using smart devic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Boys (n=171)

χ2-value

Girls (n=159)

χ2-value <3 hour/day(n=79)

≥3 hour/day(n=92)

 <3 hour/day(n=53)

≥3 hour/day(n=106)

Check nutrition fact labelling

Always 7 ( 8.9)2) 5 ( 5.4) 3.158 4 ( 7.6) 2 ( 1.9) 7.437

Often 11 (13.9) 13 (14.1) 7 (13.2) 7 ( 6.6)

So so 37 (46.8) 36 (39.1) 15 (28.3) 23 (21.7)

Seldom 8 (10.1) 16 (17.4) 16 (30.2) 46 (43.4)

Never 16 (20.3) 22 (23.9) 11 (20.8) 28 (26.4)

Wash hands before meal      

Always 14 (17.7) 25 (27.2) 6.619 13 (24.5) 17 (16.0) 2.829

Often 39 (49.4) 32 (34.8) 17 (32.1) 34 (32.1)

So so 24 (30.4) 27 (29.4) 18 (34.0) 38 (35.9)

Seldom 1 ( 1.3) 4 ( 4.4) 4 ( 7.6) 11 (10.4)

Never 1 ( 1.3) 4 ( 4.4)   1 ( 1.9) 6 ( 5.7)

Frequency of exercise

Everyday 23 (29.1) 29 (31.5) 5.382 11 (20.8) 12 (11.3) 4.023

5∼6 times per week 18 (22.8) 10 (10.9) 7 (13.2) 9 ( 8.5)

3∼4 times per week 17 (21.5) 24 (26.1) 12 (22.6) 29 (27.4)

1∼2 times per week 17 (21.5) 20 (21.7) 15 (28.3) 34 (32.1)

Never 4 ( 5.1) 9 ( 9.8)   8 (15.1) 22 (20.8)1) NQ-A: nutrition quotient for adolescents2) n (%) Weighted column percentage is presented and may be not total 100% because of rounding

Table 7. NQ-A1) score and sub-area score according to time using smart devic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Boys (n=171)

χ2-value

Girls (n=159)

χ2-value <3 hour/day

(n=79)≥3 hour/day

(n=92) <3 hour/day

(n=53)≥3 hour/day

(n=106)

NQ-A 58.2±10.12) 51.7±10.8 4.08*** 56.5±11.6 47.5±10.8 4.8***

Balance 56.7±17.2 50.8±20.0 2.06* 52.7±19.2 41.9±20.2 3.22**

Diversity 63.6±19.3 56.6±21.4 2.23* 55.2±19.4 52.1±19.8 0.94

Moderation 44.3±13.9 41.2±15.3 1.36 56.6±18.1 47.2±15.4 3.43***

Environment 75.3±19.3 58.3±20.8 5.5*** 68.2±23.7 57.3±22.1 2.84**

Practice 60.0±18.3 56.5±19.0 1.23 52.4±20.8 43.4±18.3 2.79**1) NQ-A: nutrition quotient for adolescents2) Mean±SD *P<0.05, **P<0.01, ***P<0.001

51.7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01), 다섯

가지 하부 영역별 평가에서는 균형(P<0.05), 다양성

(P<0.05), 환경(P<0.001)의 세 영역에서 모두 3시간

미만군이 3시간 이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청소년 영양지수 NQ는 여학생의 경우 3시간 미만군

이 56.5로 3시간 이상군의 47.5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Page 10: 인천지역 일부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식습관 및 ... ·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in June 2018. The boys and girls were

J Korean Diet Assoc 26(2):126-140, 2020 | 135

Table 8. Assessment of nutrient quotient score according to time using smart devic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Boys (n=171)

χ2-value

Girls (n=159)

χ2-value <3 hour/day

(n=79)≥3 hour/day

(n=92) <3 hour/day

(n=53)≥3 hour/day

(n=106)

NQ-A1) 

Low (0∼48.9) 12 (15.2)2) 38 (41.3) 15.114*** 15 (28.3) 58 (54.7) 17.743***

Medium (49.0∼63.0) 41 (51.9) 38 (41.3) 24 (45.3) 42 (39.6)

High (63.1∼100) 26 (32.9) 16 (17.4) 14 (26.4) 6 ( 5.7)

Balance            

Low (0∼45.7) 22 (27.9) 36 (39.1) 3.179 18 (34.0) 63 (59.4) 11.077**

Medium (45.8∼71.8) 41 (51.9) 36 (39.1) 25 (47.2) 36 (34.0)

High (71.9∼100) 16 (20.3) 20 (21.7) 10 (18.9) 7 ( 6.6)

Diversity          

Low (0∼44.1) 17 (21.5) 24 (26.1) 1.537 16 (30.2) 34 (32.1) 0.909

Medium (44.2∼69.1) 30 (38.0) 39 (42.4) 23 (43.4) 51 (48.1)

High (69.2∼100) 32 (40.5) 29 (31.5) 14 (26.4) 21 (19.8)  

Moderation

Low (0∼36.5) 24 (30.4) 33 (35.9) 1.431 7 (13.2) 30 (28.3) 10.275**

Medium (36.6∼59.6) 44 (55.7) 51 (55.4) 23 (43.4) 54 (50.9)

High (59.7∼100) 11 (13.9) 8 ( 8.7) 23 (43.4) 22 (20.8)

Environment            

Low (0∼55.4) 18 (22.8) 44 (47.8) 28.974*** 19 (35.9) 54 (50.9) 27.483***

Medium (55.5∼87.8) 30 (38.0) 42 (45.7) 17 (32.1) 49 (46.2)

High (87.9∼100) 31 (39.2) 6 ( 6.5) 17 (32.1) 3 ( 2.8)

Practice

Low (0∼40.7) 8 (10.1) 18 (19.6) 3.248 17 (32.1) 44 (41.5) 3.249

Medium (40.8∼65.7) 38 (48.1) 43 (46.7) 22 (41.5) 46 (43.4)

High (65.8∼100) 33 (41.8) 31 (33.7) 14 (26.4) 16 (15.1)  1) NQ-A: nutrition quotient for adolescents2) n (%) Weighted column percentage is presented and may be not total 100% because of rounding**P<0.01, ***P<0.001

높았으며(P<0.001), 영역별 평가에서는 균형(P<0.01),

절제(P<0.001), 환경(P<0.01), 실천(P<0.01)의 네 영

역에서 모두 3시간 미만군이 3시간 이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청소년 영양지수 NQ-A와 각 영역별 점수의 등급

구분 결과는 Table 8과 같다. 남녀 학생 모두 NQ-A

의 등급 구분에서 두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3시간 미만군이 3시간 이상군에 비하여 ‘상’의 비율

이 높은 반면, ‘하’의 비율은 3시간 이상군에서 높았

다(각각 P<0.001). 영역별 등급 평가에서 남학생의

경우 환경에서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3시간 미만군

이 3시간 이상군에 비하여 ‘상’의 비율이 높은 반면,

‘하’의 비율은 3시간 이상군에서 높았다(P<0.001). 여

학생의 경우는 남학생보다 많은 영역인 균형(P<0.01),

절제(P<0.01), 환경(P<0.001)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3시간 미만군이 3시간 이상군에 비하여

‘상’의 비율이 높은 반면, ‘하’의 비율은 3시간 이상군

에서 높았다.

Page 11: 인천지역 일부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식습관 및 ... ·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in June 2018. The boys and girls were

136 |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식습관 및 식사의 질

고 찰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관련 스마트기기의 보급

확대가 청소년의 지나친 스마트기기의 사용에 따른

일상생활의 균형 상실에 대한 우려를 높이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인천지역 중학생 330명을 대상으로 스

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라 3시간 미만군과 3시간 이

상군으로 분류하여 생활습관, 식습관 및 식사의 질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군별 성별의 분류는 스

마트기기 3시간 이상군의 경우 여학생의 비율이 높았

으며, 3시간 미만군의 경우 남학생의 비율이 높았다.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도 스마트폰 사

용시간이 3시간 이상인 비율은 여학생이 높았다(Lee

2014). 또한 중학생과 고등학생 중 여학생에서 스마트폰

의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Lee 2019;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9) 본 연구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성별 차이는 남자 청소년의

경우 게임과 같은 오락 지향적 콘텐츠를 주로 이용하

는 반면, 여자 청소년은 인스턴트 메신저나 방송ㆍ동

영상 등의 관계 지향성 콘텐츠를 이용하여(Kim 등

2016) 성별에 따른 스마트기기 사용 목적이 다른 것

과 관련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여자 청소년이 스

마트폰 중독률이 높은 이유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인

스턴트 메신저나 방송ㆍ동영상의 이용률 증가(Kim

2019)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청소

년의 성별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폰 중독 예방 프로그

램의 개발 및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유아동ㆍ청소년의 경우 맞벌이 가정에서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고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8),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Kim & Pae(2017)의 연구에서도 스마트폰 사용시

간이 2시간 이상인 군에서 어머니의 취업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본 연구에서도 어머니의 직업은

남녀 모두 군 간 유의적인 차이 없이 3시간 이상군에

서 전일제 직장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직장이 있는

어머니의 경우 자녀를 관리하고 과도한 스마트폰 사

용을 통제하는 시간이 부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자

녀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

로 생각된다.

1일 평균 TV 시청시간은 여학생의 경우 3시간 이

상군에서 2시간 이상 시청한다는 응답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P<0.05) 스마트기기 사용과 TV 시청시

간 간의 관련성이 나타났다. 전국 인문계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1일 평균 TV 시청시간은 약

2시간 정도였고(Choi 2013), 중학생의 평일 TV 시청

시간은 2시간, 주말 TV 시청시간은 3.8시간으로 나타

났다(Yang 등 2018). TV 시청시간 증가는 외식 선호

도와 고지방 식사를 증가시키고, 패스트푸드와 청량

음료의 섭취를 증가시키며 과일과 채소 섭취는 감소

시키는 등 식습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

고되었다(Boynton-Jarrett 등 2003). 또한 운동량을 감

소시켜 비만을 유발하고, TV 시청시간이 2시간 이상

이면 비만 확률이 2.8배 증가하였다(Jung 2013). 본

연구에서 여학생의 경우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은 TV

시청시간의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최

근에 스마트기기를 통한 TV 프로그램의 시청이 증가

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면, 스마트기기의 과도한 사

용은 과도한 TV 시청과 관련된 부정적인 식습관, 비

만 위험 증가 및 운동 부족과도 연관될 수 있음을 인

지하고 학생들의 올바른 신체 발달 및 건강 유지를

위한 스마트기기 사용 및 TV 시청시간의 중재 등 생

활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흰 우유의 섭취 빈도는 남녀 모두 스마트기기 사

용시간이 낮은 군에서 높았다. 우유나 두유의 섭취는

체지방과 음의 상관성을 보이고, 신장과는 양의 상관

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Kim & Ryu 2008),

우유 섭취는 골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탄산음료 섭취 감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ae & Yeon 2013). 본 연구에서도 여학생의 경우

3시간 이상군에서 가공음료의 섭취가 3시간 미만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고 있어 스마트기기의 사용시간이

긴 청소년에 있어서 우유를 포함한 건강음료의 섭취

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Page 12: 인천지역 일부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식습관 및 ... ·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in June 2018. The boys and girls were

J Korean Diet Assoc 26(2):126-140, 2020 | 137

콩ㆍ두부류의 섭취 빈도는 남학생의 경우 3시간

미만군이 3시간 이상군에 비하여 주 1회 이상의 섭취

항목에서 모두 높았고(P<0.05), 생선 섭취 빈도는 남

녀 모두 군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며 섭취 빈도가

낮았다. 콩ㆍ두부류와 생선은 영양적으로 우수한 단

백질 급원식품으로 단백질 섭취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청소년에게 제공하여 영양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스마트기기의 사용시간이 긴 중학생에서 식생활의 균

형을 위해 우유, 콩ㆍ두부류와 같이 영양적으로 우수

한 식품군의 섭취를 높이기 위한 지도가 필요하다.

한 번 식사 시 먹는 채소 반찬(김치 포함)의 수는

남학생의 경우 3시간 미만군이 3시간 이상군에 비하

여 4가지와 5가지 이상의 항목에서 모두 높았다(P<0.05).

선행연구에 따르면 가정 식사에서 한 끼에 채소 반찬

을 3가지 이상 먹지 않는다고 한 청소년이 50% 이하

였고, 채소 섭취에 대한 영양지식이 부족하면 채소

섭취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해 섭취가 더 낮아질 수

있다고 하였다(Lee 2015). 기호도 조사에서 식품 중

채소 섭취에 대한 편식이 가장 심하고, 급식에서 제

공되는 채소 반찬의 섭취가 가장 낮았으며(Park &

Kim 2008; Oh & Kim 2012), 먹어본 경험이 없는 채

소의 경우 섭취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Oh & Kim

2012) 청소년의 바람직하지 못한 채소 섭취 식습관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학교급식에서 학생들이

채소를 자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될 수 있도록

선호하는 조리방법을 활용한 메뉴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이 긴 학생의 경우 채소 섭

취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이 더 강조되어야 할 필요성

이 요구된다.

가공음료(P<0.05), 라면(P<0.05), 길거리 음식

(P<0.05)의 섭취 빈도는 여학생의 3시간 이상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서울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Cho

등(2018)의 연구에서 라면류의 섭취 빈도가 주 3∼4회

16.9%와 매일 0.3%로 나타난 결과와 비교 시 본 연

구의 3시간 이상군의 라면 섭취 빈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초등학교 고학년은 전자기기(TV, 컴퓨터, 스마

트폰) 사용 시 간식을 섭취하는 경우가 2시간 이상군

이 2시간 미만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간식과 관

련 있는 전자기기로는 2시간 이상군에서 스마트폰이

56.3%로 높아 정적인 스마트폰의 사용이 간식 섭취를

증가시키는 데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되었다(Kim &

Pae 2017). 고등학생의 경우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강

할수록 간식 섭취 빈도, 식사 중 스마트폰 사용, 식사

중 스마트폰 사용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Lee 2014), 간식 섭취 장소로는 학원, 편의점, 길거리

로 응답한 비율이 스마트폰 사용시간 2시간 이상군에

서 높게 나타났다(Kim & Pae 2017). 이와 같이 다양

한 연령층에서 스마트폰 사용은 편의점 식품, 길거리

음식, 가공식품의 잦은 섭취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중학생은 초등학생에 비해 학교와 학

원에서 보내는 시간이 더 길고, 독립적으로 집 밖에

서 간식을 섭취하는 빈도가 더 높아질 수 있어 올바

른 간식의 선택과 섭취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하며,

특히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긴 학생들에 대한 보다 심

도있는 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침식사 빈도에서는 남학생의 경우 3시간 미만군

에서 3시간 이상군에 비하여 매일 아침을 섭취하는

비율이 높았다(P<0.01).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Cho

등(2018)의 연구에 따르면 스마트폰 사용으로 식사를

거른 경험이 있는 경우가 4.2%로 나타났다. 아침식사

는 뇌의 주요 에너지인 포도당 공급으로 집중력과 학

업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침결식으로 인한 다음

끼니의 섭취량 증가와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Lee &

Kwon(2018)의 연구에 따르면 아침식사를 주 5회 이

상 결식하지 않는 경우 행복감은 69.4%였으나 결식한

경우의 행복감은 62.1%로 낮다고 하였다. 따라서 스

마트폰 사용시간이 긴 학생을 대상으로 한 아침식사

의 중요성 및 규칙적인 식생활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

다.

영양표시 확인은 남녀 모두 스마트기기 사용시간

에 따른 두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

나 3시간 이상군의 ‘영양표시를 확인하지 않는다.’

Page 13: 인천지역 일부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식습관 및 ... ·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in June 2018. The boys and girls were

138 |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식습관 및 식사의 질

‘전혀 확인하지 않는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남학생

41.3%, 여학생 69.8%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여학생

의 3시간 이상군은 가공음료, 라면, 길거리 음식(편의

점, 분식점, 문방구, 학교매점) 섭취 빈도가 높아 이러

한 식품을 구입 시 영양표시를 확인하고 올바른 식품

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청소년 영양지수 평가에서 NQ-A는 남녀 학생 모

두 3시간 미만군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영역별 평가

에서 남학생은 균형, 다양성, 환경의 영역에서, 여학

생은 균형, 절제, 환경, 실천의 영역에서 모두 3시간

미만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NQ-A의 등급 구분 결과, 남녀 학생 모두 ‘상’의

비율은 3시간 미만군에서 높았고, ‘하’의 비율은 3시

간 이상군에서 높아 식사의 질과 스마트기기 사용과

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식사의 질

평가 결과는 청소년 영양지수 평가를 위한 영역별 식

습관 항목에서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이 긴 중학생군에

서 부정적인 식습관 항목이 더 많이 제시되었기 때문

이다.

이상에서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은 성별에 따

라 다소 차이를 보이긴 하였으나, 스마트기기의 사용

증가는 흰 우유와 채소 반찬 섭취 감소, 아침결식 증

가, 가공음료ㆍ라면ㆍ길거리 음식의 섭취 증가 및 식

사의 질 감소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

구는 단면적 연구이기 때문에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이 식사 질 저하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지는 밝

힐 수 없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대상자의

구분을 중학생의 평균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을 반영한

하루 3시간 미만과 3시간 이상이라는 기준을 사용하

였음에도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과 다양한 식습관

및 종합적인 식사의 질과의 관련성이 제시되었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따라서 향후 청소년기의 잘못된

식습관을 교정하고 식사의 질 향상을 위하여 스마트

기기의 사용과 같은 현대 문명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나타나게 된 문제적 요소를 함께 고려하여 지나친 스

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주의를 기울이고, 매끼 식사의

중요성과 올바른 식품 선택법을 교육하여 바람직한

식습관 행동을 이끌 수 있도록 학교와 가정에서의 관

심과 재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요약 및 결론

중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학생들의 식습관, 생활습관 및 청소년 영양지수를 활

용한 식사의 질을 비교 평가하여 청소년의 바람직한

식습관 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한

본 조사에는 인천지역에 거주하는 중학생 330명이 참

여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스마트폰ㆍ

태블릿 PCㆍ컴퓨터 등) 사용시간에 따라 하루 3시

간 미만군(남학생 79명, 여학생 53명)과 3시간 이상군

(남학생 92명, 여학생 106명)으로 분류하였다.

1.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여학생의 경우 3시간

이상군에서 3시간 미만군에 비해 연령이 유의적으

로 높은(P<0.001) 반면, 남학생은 유의적인 차이

가 없었다.

2.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이 3시간 미만인 남학생의 경

우 흰 우유(P<0.05)와 콩ㆍ두부류(P<0.05)의 섭취

빈도가 높았고, 한 번 식사 시 먹는 채소 반찬 수

(P<0.05)가 많았으며, 매일 아침 식사(P<0.01)를

하는 비율이 높았다. 여학생은 3시간 미만군에서

흰 우유(P<0.001) 섭취 빈도가 높은 반면, 가공음

료(P<0.05), 라면(P<0.05), 길거리 음식(P<0.05)

섭취 빈도가 낮았다. 과일 섭취 빈도, 영양표시 확

인, 음식 먹기 전 손 씻기, 운동 빈도는 남녀 모두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두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청소년 영양지수의 영역별 평가에서 남학생은 균

형(P<0.05), 다양성(P<0.05), 환경(P<0.001) 영역

에서, 여학생은 균형(P<0.01), 절제(P<0.001), 환경

(P<0.01), 실천(P<0.01) 영역에서 3시간 미만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NQ-A 역시 남녀 학

생 모두 3시간 미만군이 3시간 이상군에 비하여 유

의적으로 높았다(각 P<0.001). NQ-A의 등급 구분에

Page 14: 인천지역 일부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식습관 및 ... ·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in June 2018. The boys and girls were

J Korean Diet Assoc 26(2):126-140, 2020 | 139

서 남녀 학생 모두 3시간 미만군은 ‘상’의 비율이

높은 반면, 3시간 이상군은 ‘하’의 비율이 높았다

(각각 P<0.001).

이상의 결과와 같이 생활환경의 변화와 함께 청소

년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중학

생의 스마트기기 3시간 이상 과다 사용은 남녀 모두

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식습관 및 생활습관, 식사의

질 감소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의 건

강한 성장 발달을 위한 생활습관과 식사 지도 및 환

경 조성이 필요하다.

ORCID

김미현: https://orcid.org/0000-0002-0805-0630

이슬기: https://orcid.org/0000-0001-7221-2043

연지영: https://orcid.org/0000-0002-9121-8229

REFERENCES

Bae YJ, Yeon JY (2013):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and diet

quality according to beverage consumption status of elemen-

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2007-2008. Korean J Nutr 46(1):34-49

Boynton-Jarrett R, Thomas TN, Peterson KE, Wiecha J, Sobol

AM, Gortmaker SL (2003): Impact of television viewing

patterns on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mong adolescents.

Pediatrics 112(6 Pt 1):1321-1326

Cho SJ, Kim JN, Park SJ, Shin WS (2018): Smartphone usage

influences the eating habits of middle school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24(3):199-211

Choi JO (2016): Influence of computer/samrtphone game addic-

tion on ADHD tendency: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leep

and dietary problems. J Korean Pract Arts Educ 29(1):

115-131

Choi KI (2013): An effect on body image of time of television

watching and internet use for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J Adolesc Welf 15(3):173-191

Chung MJ, Kwak TK, Kim HY, Kang MH, Lee JS, Chung

HR, Kwon S, Hwang JY, Choi YS (2018): Development of

NQ-E,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elderly: item selection

and validation of factor structure. J Nutr Health 51(1):

87-102

Han SH, Park SH, Lee EY, Chang KJ (2017): Dietary attitudes,

dietary behaviors, and smartphone usage-related dietary hab-

its according to risk level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Siheung and Ansan areas.

J Korean Soc Food Cult 32(5):437-445

Jung SY (2013): Effects of maternal employment on adoles-

cents’ overweight and obesity. J Korean Soc Child Welf 41:

39-66

Kim BN (2013):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youth’s so-

ciality development. J Korea Contents Assoc 13(4):208-217

Kim EM, Shim MS, Kim BY, Oh HY (2012a): The media-

tization of everyday life: focus group interviews of “Smart”

media users. Korean J Journal Commun Stud 56(4):133-159

Kim H, Pae M (2017): Lifestyle, dietary behavior and snack

preference of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eongju according to the usage time of smartphones.

Korean J Community Nutr 22(1):40-52

Kim HY, Kwon S, Lee JS, Choi YS, Chung HR, Kwak TK,

Park J, Kang MH (2012b): Development of a nutrition quo-

tient (NQ) equation modeling for children and the evaluation

of its construct validity. Korean J Nutr 45(4):390-399

Kim HY, Lee JS, Hwang JY, Kwon S, Chung HR, Kwak TK,

Kang MH, Choi YS (2017): Development of NQ-A, nu-

trition quotient for Korean adolescents, to assess dietary

quality and food behavior. J Nutr Health 50(2):142-157

Kim K, Lee H, Moon SI (2016): Exploring the effects of net-

work size, usage behaviors, and assimilation for peer rela-

tions o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symptoms. Korean

J Broadcast Telecommun Stud 30(4):5-40

Kim SY, Ryu SA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beverage

consumption, nutrient intake and body mass index in ele-

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nam area. Korean J Nutr

41(6):530-538

Kim YH (2019): The analysis of smartphone held and use be-

havio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incheon: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2019 Sep. Report No.: KISDI

Page 15: 인천지역 일부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식습관 및 ... ·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in June 2018. The boys and girls were

140 | 중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식습관 및 식사의 질

STAT Report 19-18

Lee EJ (2019): Comparison of factors related to smartphone de-

pendency among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seventh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Child Health Nurs Res 25(2):165-174

Lee J, Kwon M (2018): The effect of eating behaviors on sub-

jective happiness in adolescents. J Korean Soc Sch Health

31(1):39-47

Lee KA (2015): Comparisons of the eating habit, preferences

and intake frequency of vegetable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J Korean Home Econ Educ Assoc

27(4):93-107

Lee NN (2014): A research on the impact of eating behavior

and food intake according to the gender and smartphone

addiction. Masters degree thesis. Kyunghee University.

pp.21, 81-82

Lim HS, Kim SK (2018): Analysis of health habit and hair

mineral nutrition status of media addicted adolescent. J Nutr

Health 51(4):295-306

Marshall S, Burrows T, Collins CE (2014): Systematic review

of diet quality indice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health-re-

lated outcom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Hum Nutr

Diet 27(6):577-598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9): Press release: 2019

internet and smartphone use habit diagnosis survey. Available

from: http://www.mogef.go.kr/nw/rpd/nw_rpd_s001d.do?mid=

news405&bbtSn=706358. Accessed February 18, 2020

Ministry of Science and ICT,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8): The survey on smart phone overdependence

2018. Gwacheon, Daegu: Ministry of Science and ICT,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8 Dec. Report

No.: NIA VI-RSE-C-18060

Oh MH, Kim KN (2012): Preferences, frequency and con-

sumption of vegetables, fruits & milk, and practices of diet-

ary guidelin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gbuk

area. J Hum Ecol 16(2):43-54

Pae M (2016): Dietary habits and perception toward food addi-

tive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consumption of con-

venience food at convenience stores among university stu-

dents in Cheongju. Korean J Community Nutr 21(2):140-151

Park S, Kwon MA, Baek MJ, Han NR (2014): Relation be-

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J Korea Contents

Assoc 14(5):289-297

Park SH, Kim MJ (2008): Acceptance and preference of vege-

tables in menus for middle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2):1660-1666

Selwyn N (2004): The information aged: a qualitative study of

older adults’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J Aging Stud 18(4):369-384

Shin GN, Kim YR, Kim MH (2017): Nutritional evaluation of

convenience meals in convenience stores near the universities.

Korean J Community Nutr 22(5):375-386

Yang MH, Kang EJ, Lee DH (2018):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s and inattention, hyper-

activity/impulsivity, internet overuse in elementary and mid-

dle school students. J Korea Contents Assoc 18(11):171-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