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동맥류의 파열에 의한 지주막하출혈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

9
26 4 pp. 682 - 690 , 1990 Jou rn al of Kor ea n Radio log ical Society. 26(4) 682 - 690 1990 - Abstract- CT Findings of Subarachnoid Hemorrhage due to Ruptured Cerebral Aneurysm Pyo Nyun Kim, M.D. , Won Kyung Bae , M.D. , Il Young Kim, M.D. , Kyung 800 Lee , M.D. , Byoung Ho Lee , M.D. , Ki Jung Kim , M.D. Department o[ Radiology, College o[ Medicine , Soonchunhyang University CT scans were analysed retrospectively in 130 patients with subarachnoid hemor- rhage(SAH) due to ruptured cerebral an e urysm to evaluate the rela tionship of the loca- tions of aneurysms and the patterns of hemorrhage. Hemorrhage corresponded to the site of aneurysmal origin in a general way and in more specific ways to anterior com- municating and middle cerebral artery aneurysms when there was parenchymal or cister nal hemorrhage. In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aneurysm. SAH in the interhemis pheric fissure , both sylvian fissures , a nd basal cistern was usually noted and intrac ereb ral hemorrhage in anteroinferior frontal lobe was sometimes associated. In cases of mid dle cerebral artery aneurysm , hemorrhage in the ipsilateral sylvian fissure , interh e mis- pheric fissure , and ipsilateral basal cist e rn was usu a l. Intracerebral hemorrhage in later- aI temporal lobe was sometimes associated. 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an e urysm demonstrated SAH in the ipsilateral basal cistern or in entire cisternal spaces specifical- Iy , so with higher incidence of involvement of the quadrigeminal and superior cerebellar cistern than anterior cere bral or middle cerebral a rtery aneurysm We suggest the locations of aneurysm might be predicted with patterns of SAH and / or associated intracerebral he morrhage with CT. Index Words: Subarachnoid space , Hemorrhage , CT 168.1214 An eurysm , intracranial, CT 17.73 Brain CT 10.1214 ? %

Transcript of 뇌동맥류의 파열에 의한 지주막하출혈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

Page 1: 뇌동맥류의 파열에 의한 지주막하출혈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 2016-12-29 · 大韓放껴f 線열§ 學會픔 第26 卷第4 號pp. 682 - 690, 1990 Journ al

大 韓 放껴f 線 열§ 學 會 픔 第 26 卷 第 4 號 pp. 682 - 690 , 1990 Jou rn al of Korean Radio log ical Society. 26(4) 682 - 690 ‘ 1990

뇌동맥류의 파열에 의한 지주막하출혈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순천향대학교 의과대 학 방사선과학교실

김 표 년·배 원 경·김 일 영·이 경 수·이 병 호·김 기 정

- Abstract-

CT Findings of Subarachnoid Hemorrhage due to

Ruptured Cerebral Aneurysm

Pyo Nyun Kim, M.D. , Won Kyung Bae, M.D. , Il Young Kim, M.D. , Kyung 800 Lee, M.D. , Byoung Ho Lee, M.D. , Ki Jung Kim , M.D.

Department o[ Radiology, College o[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CT scans were analysed retrospectively in 130 patients with subarachnoid hemor­

rhage(SAH) due to ruptured cerebral aneurysm to evaluate the rela tionship of the loca­

tions of aneurysms and the patterns of hemorrhage. Hemorrhage corresponded to the

site of aneurysmal origin in a general way and in more specific ways to anterior com­

municating and middle cerebral artery aneurysms when there was parenchymal or cister

nal hemorrhage. In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aneurysm. SAH in the interhemis

pheric fissure , both sylvian fissures , and basal cistern was usually noted and intracereb

ral hemorrhage in anteroinferior frontal lobe was sometimes associated. In cases of mid

dle cerebral artery aneurysm , hemorrhage in the ipsilateral sylvian fissure , interhemis­

pheric fissure , and ipsilateral basal cistern was usua l. Intracerebral hemorrhage in la ter­

aI temporal lobe was sometimes associated. 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aneurysm

demonstrated SAH in the ipsilateral basal cistern or in entire cisternal spaces specifical­

Iy , so with higher incidence of involvement of the quadrigeminal and superior cerebellar

cistern than anterior cerebral or middle cerebral a rtery aneurysm

We suggest the locations of aneurysm might be predicted with patterns of SAH and/ or

associated intracerebral hemorrhage with CT.

Index Words: Subarachnoid space , Hemorrhage , CT 168.1214

Aneurysm , intracranial, CT 17.73

Brain CT 10.1214

이 논문은 1 990년 5월 1 7일 접수하여 1 990년 7월 30일에 채택되었음

? ι

%

Page 2: 뇌동맥류의 파열에 의한 지주막하출혈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 2016-12-29 · 大韓放껴f 線열§ 學會픔 第26 卷第4 號pp. 682 - 690, 1990 Journ al

김표년 외 뇌동맥류의 파열에 의한 지주악하출혈 의 전산화단충활영 소견 -

이싱인 것도 7에있었디

1 54에의 뇌동백류를 위치별로 보면 전교통동맥애

48예 ( 3 1. 2% ), 중대뇌동맥 의 분기접에 43예 ( 27.9% ) ,

후교통동맥에 38예 (23. 7% ) 의 순이었다(Tab l e 1 ).

뇌 동맥류의 위치에 따른 크기 를 보만 평 균적으로 후

교통동펙류가 평균 8 . 9m m로 전교통동맥류나 중대뇌

동맥류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130에 중 디 발성 뇌 핑맥류를 보인 20에 를 제외한 11 0

에의 부위별 CT소견은 다음과 같았다 ( Tab le 2) . 전

대뇌 동맥 류중 특히 전교통동맥류는 주로 반구간열

( inle rh emi sph eri c fÍ ss ure) , 양측 실비안열 ( sy l vian

fi ss ure ) 및 뇌기저조 ( bas a l c i ste rn ) 에 ( F ig . 1 ) 중대

뇌 동맥 류는 편측 실비안열, 반구간열및 뇌기저 조에

( Fig 2 ), 후교통동맥류는 펀측 뇌기 저조및 환조

(am bien t cis tern ) , 반구간열과 실 비 안열에 지주막하

출혈을 보였다( Fig 3 ). 내 경동맥류에서 사구조 ( qua .

drigemin a l cistern ) 와 supereior cerebe llar c i stern의

뇌동맥류의 파열로 발생하는 지주막하출혈 환자는

대개 급한 신경학적 증세 를 보이기 때 문에 빠른 진단

과 처치를 필요로 한다. 이경우 전산화단층촬영 ( 이하

CT라고 함 ) 은 지주막하출혈의 위치와 범위 및 동반

된 뇌실질내출혈이나 뇌실내출혈을 잘 보여 준다1. 2)

또한 뇌혈관조영술은 뇌동맥 류의 위치 , 크기 , 돌출뱅

향 및 뇌혈관의 수축을 알려주기 때문에 수술진 필요

한 신경방사선학적 검사방법이다

이에 저자들은 CT에서 보이 는 지 주박하출혈의 위

치와 정도를 분석하여 뇌동맥류의 위치에 따른 특성 을

찾고자하였다.

II. 대상 및 방법

르르 」1. 서

Table 1. Location of Cerebral Aneurysms

No 154

1) A.C.A

ACo

F-P

P-C

Ophth

2) M.C.A

Ml

M2

Terr

3) I. C.A. +P.C.A

Cer

Cav

S.cl

PCo

A.ch

B.tip

Terr

%

%

2

3

1

2

섭 2

53 1

2

4

8

4

3

1

Site Location

1 986년 1월부터 1 989년 1 2월까지 4년간 순천 향대 학

천안병원에 내원하여 CT상 지주막하출혈을 보인 환

자중 뇌혈관조영술및 수술을 시행하여 뇌동맥 류로 진

단받은 1 30애 를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한 CT는 Omnimedi ca l 400 1 파 omn imedi cal

6000이 었으며 일부 외부 벙원에서 시행한 검사도 포

함되어 있었다. CT촬영방법은 간격없 이 10mm절펀

두께 로 촬영하였고 조영증강을 하지않는깃을 원칙으

로 하였으며 지주막하출혈이 뚜랫하지않은 경우에만

조영증강을 하였다.

증상 발현후 2일이내에 CT를 , CT후 2일 이내에 뇌

혈관조영술을 시행하였다. 혈관조영검사는 Seldinge r

씨 방법으로 양측 경동백과 추골동맥을 모두 포함하여

실시하였다.

ACo : anterior communicating a rtery. F-P: fronto pollar a rtery. P-C : pericallosal a rtery. Ophth: Op­h thalmic artery ‘ M 1 : bifurcation on ICA and MCA, M2 : MCA bifu rcat ion ‘ Terr: territory. Cer: cervical portion of ICA. Cav: cavernous portion ‘ S. cl: su­praclinoid portion. PCo : 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 A. ch : an te rior choroidal artery. B. tip: basi­Iar tip.

잉 ω

환자의 연령분포는 6세부터 77세사이였으며 41세에

서 70세끼지가 108/130( 83.1 % )로 높은 발생빈도를

나타냈고 30세이전애서는 납자에. 30세이후에 는 여자

에 호발하였다. 남여비는 44 : 86으로 여자에 많았다

130예중 두개이상의 다발성 뇌 동맥 류를 보인 20에

(1 5 .4% ) 가 있어 총 1 54예의 뇌 동맥류가 발견되었다.

뇌동백류의 크기 는 3 - 6111m 가 76애 ( 4 9 . 4% )로 가정 많

았고 그 다음이 7 - 10111111로 52애 (33. 8% ) 였으며 15m l11

과 m. 걸

Page 3: 뇌동맥류의 파열에 의한 지주막하출혈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 2016-12-29 · 大韓放껴f 線열§ 學會픔 第26 卷第4 號pp. 682 - 690, 1990 Journ al

- 大韓放射線醫學會옮 . 第 26 卷 第 4 號 1990

Table 2. Analysis of SAH due to Aneurysmal Rupture

No BSC lPC IHF Syl Amb QGC SCC

1) A.C .A.

ACo 41 32 31 36 33 22 14 10

F-P l 0 O 0

P-C 2 l 1 l 0 0 0

Total 44 34 33 35 35 22 14 10

2) M.C.A

M2 30 19 17 22 26 15 5 8

Terr 2 2 2 2 2 2 l

Total 3 2 21 19 24 28 17 7 9

3) I. C.A + P.C.A

PCo 28 23 22 23 23 20 18 18

A. ch 3 3 3 2 3 3 3 2

S.cl l l l l 1 o 0

BA O 0 o 0 0 0 0

Terr 0 0 O O 0 o o . Total 34 27 26 26 27 24 21 20

BSC : basal cistern . lPC : interpeduncular cistern. IHF: interhemispheric fissure . Syl : sylvian fissure. Amb : ambient cistern. QGC : quadrigeminal cistern. SCC : superior cerebellar cistern .ACo: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F-P: frontopollar artery. P-C: pericallosal artery. M2 ’ MCA bifurcation ‘ Terr : territory. PCo: 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A.ch : anterior choroidal artery. S.cl : supraclinoid portion. BA : basilar tip.

a b

출혈 빈도는 각각 59. 4 %, 56. 3 %로 전대뇌동맥류의

31. 8 %, 22 . 7 % 나 중대뇌 동맥 류의 2 1. 9% , 28 .1 % 보

다 많았다 ( Fig.4 ) . 뇌조혈종이 뇌동맥류의 위치를 판

별하는데 중요하였으며 전대뇌동맥류는 반구간열 에,

중대뇌동맥류는 편측실비안열에 , 그리고 내 경동맥류

는 편측뇌기저조에 혈종을 보였다 뇌실질내헬종은

1 30예중 37예 ( 28.5% ) 에서 동반되었다. 전대뇌동맥류

중 1 9예 ( 44.2% ) , 중대뇌동맥류중 1 3예 ( 40.6% ) , 그

라 고 내 경동맥류중 3예 ( 9.8% ) 에서 뇌 실질내헬종이

동반되었다. 전교통동맥주변의 동맥 류에서 보인 뇌 실

Fig. 1. a. Subarachnoid hemor­rhage in interhemispheric fissure and anterior part of suprasellar cistern ‘ b. Saccular aneurysm ari­sing from anterior communicat ing artery.

질내 혈종은 9예에 서 전두엽 의 내하부에 , 6예 에서 중

격에 보였으며 두가지를 모두 보인 경우가 4예 있었다

( Fig.5 ). 중대뇌동맥류에서는 펀측 실비안열및 외측

측두엽 에 혈종이 보였고 ( Fig 6 ) 내 경동맥류및 후대

뇌동맥류에서는 뇌동맥류의 위치에 따라 뇌 실질내혈

종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2예에서는 심부 측두엽에,

1예에서는 소뇌에 서 보였다. 그외 뇌 실질내 혈종이 심

했던 3예에서 경박하혈종이 동반되었다(Tab l e 3 ).

1 30예중 59예에서 뇌실확장이 나타났으며 이 중 뇌

실내출혈이 통바뭔 경우가 3 1 예 ( 52 . 5% ) 였고 뇌 실 내

- 684 -

Page 4: 뇌동맥류의 파열에 의한 지주막하출혈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 2016-12-29 · 大韓放껴f 線열§ 學會픔 第26 卷第4 號pp. 682 - 690, 1990 Journ al

김표년 외 뇌동맥류의 파열에 의한 지주악하출혈의 진산화단충할영 소견 -

Fig. 2. a . Hemorrhage in !eft sy! vian fi ssure ‘ a nd basal cistern. b. Hematom a in !eft sy!via n fis­sure

b a

출혈이 있지딴 뇌실확장이 동반되지않은 경우가 8예

。 l o-l r l λλ λλ '-1

due to with SAH gJ

F 서m m

d

t 았 빼

A

a

qd

S

e j 뻐

“m

V.Di lVH SDH ICH No

뇌동맥 류는 지주믹하촬힐의 주요 원인이 며 Loc

ksley ‘ 에 의하띤 78% 의 규명펀 지주악하출혈의 원 91

증 51 %를 치지힌다고 하였 다.

지주익하출혈은 요추천자로 진단이 가능하며 뇌헬

관조영 윤로 뇌 핑 l끽 류륜 진 단할 가능성 을 Pe rre t t와

Bull' 유 89% , !-'ool 괴 Poits "' 는 96% 로 각 각 보고하

고 있다

:>:: f ξ긍 N. 고 m

α 냐 mω m

5

6

1

7

--ηι 1i

nU

nU

mm

떠 3

2

”싼 앓 %

UJ

C

A

M

M

r M

짜 ω

ICH : intracerebra! h emorrhage. SDH : subdura! h ematoma. IVH : intraventricu!a r hemorrhage. V.D i : ventricu!ar d ilata tion

59 39 3 37 130 Tota!

Page 5: 뇌동맥류의 파열에 의한 지주막하출혈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 2016-12-29 · 大韓放껴f 線열§ 學會픔 第26 卷第4 號pp. 682 - 690, 1990 Journ al

大햄放射線醫學會등f 第 26 卷 第 4 號 1990

a b c Fig. 4. Posterior communicati ng a rtery aneurysm. a . Prominent in suprasellar and perimesencephalic cistern b. Hemorrhage on superior cerebella r cistern and b ila teral sylvian fissure c. Saccula r aneurysm on posterior communicating a rtery.

a b c Fig. 5. An terior communicating a rtery aneurysm a. Hemorrhage in r ight inferomedial aspect of fronta l lobe ‘

b. Septal hema toma with intraventricular hemorrhage. c. Small a neurysm on anterior communicating a r tery

디 발성 뇌동맥류의 빈도는 B ige l ow6 1에 의히면 33 . 8% 였 디. 1 5 m01 이 상인 갓도 7예 였으며 증대뇌 동 1객

2237예 의 뇌동맥류 환자증 10. 2% , 김 등ïI은 10. 8% , 에 4에 , 후교통동 l객에 2 예, 그리 고 s uprac lino id 에 ]

l nagawa8 )는 1 8% 로 각각 보고하였으며 저자들의 경 예였다.

우에서는 15 . 4% 였 다 뇌동맥류의 위치벨 분포는 B u l l Y 1 에 의하띤 1 769애

뇌 동맥류의 크기는 김 등71 의 경우 3-6mm기 43. 의 뇌 동맥 류풍 전교통동맥에 가정 많아 27 . " % , 후교

8% , 다음이 7- ] 0 0101로 41. ] %를 치지하였으나 ln a. 통동맥이I 26. 4 % , 중내 뇌 동맥의 첫분지 부위에 19.

gawa8 1 는 5-9mm가 46% , 1 0mm이상이 38% 로 보고히 7% , 내 경동 l객의 운지부위가 6 . 2% 였고 김 등71 의 경

였 다. 저 자들의 경우 3.6mm 가 49.4% , 7 - J Om m 7~ 우 진교통동맥이I 34.8% . 후교통동 l객에 23 . 5% , 중대

686 -

Page 6: 뇌동맥류의 파열에 의한 지주막하출혈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 2016-12-29 · 大韓放껴f 線열§ 學會픔 第26 卷第4 號pp. 682 - 690, 1990 Journ al

겸표년 외 : 뇌동맥류의 파열애 의한 지주악하출혈의 전산화단층촬 영 소진

“ b

Fig. 6. a . lntrace rebra l h ematoma in la teral aspec t of left tempora l lobe. b. Aneurys m a ri s ing from middle cerebra l a r te ry a n eurysm

뇌 똥맥의 첫분지 부위에 17. 4% , 내정동백의 분지 부 na termi nalis c i ste r n를 통해 제 3뇌 실로 출혈 이 들어

위에 7 . 8% 였다 저자들의 경우는 전교통똥맥에 31 가기도 한디. 세 3뇌실의 출혈은 위 로는 fo ramen o f

2% , 중대뇌 동맥 의 분기점에 27. 9% , 후교통동맥에 Monro를 통해 측뇌 실로, 아래로는 Aquedu ct를 통해

24 . 7% 로 디 른 보고자들파 달리 후교통동맥보다 중대 지'1 4 뇌실로 퍼진디 또힌 지주막히출혈은 fo ra men of

뇌동맥이1 호말하였다 Mage ndi e와 Luschka를 통해 역류에 의해 제 4뇌 실로

뇌동맥류의 파열시 보이 는 CT소견은 지주막하 출 들어낀디 - 잔대뇌동맥류중 외내량통맥 류는 뇌량조에

혈 , 혈종 , 뇌 실획장, 동맥류의 조영 증강, 뇌 기조의 조 지주막히 출헬 을 보인다LO I 외뇌량조의 앞쪽의 출혈은

영 증깅 , 뇌 경색 , 뇌 실내 출혈및 경딱하출혈등이 다 1 0 1 잔교통동맥을 포함한 전대뇌동액이)샤의 출혈을 의심

뇌 동맥류가 석회화퍼거나 조영증깅을 보이떤 동펙류 할 수 있으나 반구간열의 출혈은 벨 의의가 없다고 한

의 위치판정에 어려 룹이 없으나 지주막하강내애 출혈 다. 전대뇌 동맥류로 인한 외뇌량이나 반구간열의 출

음영만 보이는 경우기 많다 지주막하출혈의 양이 적 헐 이 없으띤 실 1~1 안열의 출혈은 내 경동맥류 , 후교통

으띤 줍혈이 CT 스캔으로 보이지 않을 수 있으며 지 동백류나 중대뇌 동맥류를 생각할 수 있다2 1 )

주막하출헬의 양은 주변 혈관의 수축정도애 따라 결 정 증대뇌 동맥류는 펀측 실비안열 좋혈과 측두엽헐총

될 수 있디 1 1 - 1 5 ) 지주악하출혈을 찾으펴떤 출혈시직 을 동빈하기도 한다. 중대 뇌 동백류는 측두엽으로 파

후 24 -4 8시간내에서 CT 스캔을 시행해야 한다 출힐 열펀 경우 측두염 내 응혈 이 없이 뇌 실내 출혈을 초래하

후 2주내애 주벤 혈관의 수축이 발생하므로 지주박하 지 않는다고 한다 1 9 1 하지만 저자들의 경우 중미뇌 동

에 응혈 이 크게 국소적으로 보이띤 혈관수축의 가능생 맥 분지의 뇌동맥류의 파엘로 인해 뇌 실질내혈종은 동

이 크다 1 .1 1 또한 시간이 지님에 따라 출힐이 흡수되기 반되 지 않았으나 뇌실내 출헐 이 동반된 1 예 를 경힘하

때문에 이의 발견은 동맥류의 파열시기와 띨집힌 관계 였다.

가 있다. 일반적으로 CT상 고음영으로 관칠되는 시 후교통통맥과 전맥락동맥은 편측뇌기자조외 뇌실이1

기는 ] 주일까지 지속될수 있으며, 3-5 일 이내에는 출혈을 초래할 수 있다. 이때 뇌동맥 류 가 후방 또는

75 - 95 %가 발견되나 6-2 1 일 사이에 는 29% 정 도에서만 상방으로 있으면 맥락열을 통해 측두각으로 출혈이 들

관찰된다고 히였다 l G- 1 8 ) 어간다. 내 경동맥분지의 동맥류는 편측 지 주막하출혈

B r i smar l 9 1 에 의하떤 지주박하출 혈 이 가장 많은 곳 바로위애 뇌실 질내 룹 헬을 초미l 한다. 기자 동맥 침 부동

에 뇌동맥 류가 위치할 가능성이 높디고 히였고 특히 맥류는 각긴조 ( In l e rpedun c ular c i st e rn ) 외 교조 ( pon-

전교통동맥류애 서 특징적이라고 히였다. 선 교통동맥 l i ne c i s le rn ) 에 촬혈 및 헐종을 보이 고 천딱을 따라 출

류가 파열되떤 대 놔민 구간열의 잔히부와 투 I굉중격 헐 이 니티나띠 띠1 로 7c114놔 실 출혈도 광빈된디 후하소

( se plum pe llu c iclum ) 에 지주띄하출힐 이 보이 고 lami 뇌 동맥 류및 척추콩맥 류는 지14 뇌 실 , 소뇌 곡 ( va ll e-

- 687-

Page 7: 뇌동맥류의 파열에 의한 지주막하출혈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 2016-12-29 · 大韓放껴f 線열§ 學會픔 第26 卷第4 號pp. 682 - 690, 1990 Journ al

- 大韓放射線훌훌學會註‘ 第 26 卷 第 4 號 1990 -

cu la). c isternal magna와 연수교조 ( medullary-pon­

tine ciste rn ) 에 출혈을 보인다. 그외 소뇌교조(ce re­

be llopontine c i stern) 에 혈종을 형성시킬 수 있다20 )

저자들의 경우 전교통동맥류에서는 주로 반구간열,

양측실비안열 및 뇌기저조에 출혈이 보였으며 중대뇌

동맥류에서는 편측실비안열에, 내경동맥류는 편측뇌

기저조, 실비안열 및 펀측외중뇌조에 출혈및 혈종을

보였다 또한 내경동액류에서 사구조 및 supenor

cerebe llar ciste rn 의 출혈빈도가 전대뇌동맥류나 중대

뇌동맥류에서보다 많았으며 이것은 전교통동맥류로

인한 소량의 출혈이 모든 뇌액조에서 보인 경우와의

감별에 유용하였다.

대부분의 뇌동맥류는 연뇌막하에 존재하고 있어 파

열되면 지주막하출혈을 일으키며 출혈 이 심하면 뇌기

저부의 기저액조에 지주막하혈종을 형성하게 된다.

Tomlinson과 Crompton이 지적하였듯이 액조혈종은

기저액조를 지나는 소혈관들을 압박하기도 하며 주위

뇌피질을 손상시키고 혈류를 차단시키므로 뇌경색 및

괴사를 야기시킨다. 이러한 액조혈종은 뇌동맥류로

인하여 사망한 환자의 30%에서 발견되었다고 한다

또한 액조혈종은 뇌실질내까지 파급되어 뇌실질내혈

종을 만틀기도하지만 대부분의 뇌실질내혈종은 동맥

류의 전부 또는 일부가 뇌조직에 배볼되고 또 동맥류

를 덮 는 지주막의 유착 때문에 출혈 이 뇌실질내로 직

접 유출되어 형성하게 된다201 이런 뇌실질내출혈이

뇌동맥류의 위치를 알기 위해서는 뇌조의 출혈보다 더

의의가 있다고 한다. 중격혈종은 전교통동맥류를 의

미하며 전두엽의 내하부의 출혈도 주로 전교통동맥류

애서 보인다 앞쪽 뇌량(corpus callosum) 의 출혈 이

외뇌량동맥류에서 보였다고하며 심부 전두엽, 외측

전두엽 및 측두엽 의 출혈은 중대뇌동맥류, 후교통동

맥류 및 내경동맥류에 의해 생길 수 있다. 후교통동맥

류에 의한 측두엽출혈은 중대뇌동맥류에 의한 것보다

좀더 내 측에 위 치 한다. 외 중뇌 조 ( Perimesencephalic

c iste rn ) 나 각간조의 출혈은 기저동맥 첨단부의 동맥

류에서 종종 냐타난다'~ I 1 뇌실 질내혈종은 대부분이

전두엽과 측두엽에 호발하며 특히 중대뇌통맥류의 파

열시는 상 혹은 중 측두회 ( temporal gyrus ) 에 , 내경동

맥 분지 에 발생 한 동맥 류는 lateral fronto-orbital lobe

에, 그리 고 외뇌량동맥류에서는 대회 ( c ingulate gy­

rus ) 에 형성펀다22 ) 드물게는 중대뇌동맥류의 파열이

섬 ( in s ula ) 이나 전두엽에 혈종을 형성시키기도 한다.

또 뇌실질내혈종이 커지면 뇌실내혈종을 만들수도 있

다. To ronto ge neral hospita l 의 통계 에 의 하면 중대

뇌동맥류 파열시는 48.8%. 전대뇌 동맥 류에서는 20

2%. 그리고 내경동맥류는 파열시 15.1 %에서 뇌실질

내 혈종을 보였다고 한다221 또한 이 동23)은 내경통맥

류에서 9.2%. 전대뇌동맥류에서 19.6 %. 중대뇌동맥

류에서 62.5%. 그리고 후대뇌동맥류에서 50% 의 뇌

실질내혈종이 발생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저자들의 경

우 전대뇌동맥류의 44 . 2%. 중대뇌동맥류의 40.6% •

내경동맥 및 후대뇌동맥류의 9 . 8%에서 뇌실질내출혈

을 보였다. 뇌실질내출혈이 특히 전교통동맥류에서는

전두엽의 내하부나 중격에 , 중대뇌동맥류에서는 외측

측두엽에, 내경동맥류는 심부 측두엽이나 소뇌에 동

반되기도 하였으며 이것이 뇌동맥류의 위치 를 추정하

는데 매우 유용하였다.

이같은 지주막하강내의 출혈분포나 혈종형성, 조영

증강된 소결절 등을 창조하여 출혈된 뇌동맥류의 위치

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 퉁 10 )은 전교통동맥류의 62%.

중대뇌동맥류의 70%. 내경동맥류의 50 %. 후교통동

맥류의 10% 에서 가능하였다고 하였고 In o ue 등 1 7)은

전교통동맥류의 92% . 중대뇌동맥류의 70%. 내 경동

액류의 47%에서 정확한 진단을 할수있다고 하였다.

이외에도 경막하출혈과 뇌실출혈퉁도 적은 빈도이

나 중요한 합병증으로서 Williams 동24 J에 의하면 지

주막하출혈 환자의 0. 5-10.7% 에서 경막하출혈이 발

생할 수 있고 특히 내경동맥과 중대뇌동맥류 환자에서

호발한다고 하였다. 저자들의 경우, 경막하출혈이 2.

3%에서 동반되었고 전교통동맥류에서 2예, 중대뇌동

맥류에서 1예 였다.

지주막하출혈후에 급성 폐쇄성 뇌수종 이 초래될 수

있다. 측두각의 확장이 보이면 급성 뇌수종을 의심해

야 한다. 이런 급성 뇌수종은 대개 4일정도 지속되며

1주일후에 교통성 뇌수종이 초래될 수 있다. 그 원언

은 정확히 알수 없지만 발생빈도가 출혈의 정도 및 위

치와는 무관한 것 같다고 한다1 6 1 그러 나 전대뇌동맥

류의 파열시 호발하기 때문에 예후 판정 외에도 동맥

류의 위치판단에 좋은 지표가 될 수 있다25 1

뇌동맥류로 인한 지주막하출혈이 의심이 되연 뇌혈

관조영술이 뇌동맥류를 찾기위해 시행되어야 한다.

이때 다발성뇌동맥류가 있을 수 있으므로 양측 경통맥

과 척추동맥의 조영술이 모두 시행되어야 한다.

688 -

Page 8: 뇌동맥류의 파열에 의한 지주막하출혈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 2016-12-29 · 大韓放껴f 線열§ 學會픔 第26 卷第4 號pp. 682 - 690, 1990 Journ al

- 김표년 외 뇌 동 맥 류의 파열에 의한 지주막하출혈의 전산화단층촬영 소진 -

V. 결 흐료 」

1 986년 1 월부터 1 989년 12월까지 4년간 순천향대 학

천안병원에 내원하여 CT상 지주막하출혈을 보인 환

자중 뇌혈관조영 술 및 수술을 시행하여 뇌 동맥류로 진

단받은 1 30예를 대상으로 CT상 보인 지주막하출혈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파를 얻었다.

1. 호발연령은 4 1 세부터 70세로 1 30예 중 108예 ( 83

1 % ) 를 차지하였으며, 남녀 비 는 44 : 86로 여자에 많

았다.

2. 두개이상의 다발성 뇌 동맥류를 보인 환자는 130

에중 20애 ( 1 5 .4 % ) 였으며 총 J 54예의 뇌동맥류가 발

견되었다.

3. 뇌 동맥류의 크기는 1 54예중 3-6mm가 76예 ( 49 .

4% ) 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7-10mm로 52애 (33.

8% ) 였 다.

4. 1 54예의 뇌동맥류를 위 치별로 보면 전교통동맥

에 48애 ( 3 1. 2% ), 중대뇌동맥의 분기점에 43예( 27 .

9% ) , 후교통동맥에 38예 ( 24.7% ) 의 순이 었다.

5. 평균적으로 후교통동맥류가 전교통동맥 류나 중

대뇌 동맥류꾀다 큰것으로 나타났다.

6. 뇌동맥류의 위치에 따른 CT소견은 다음과 같

다 전대뇌동맥류중 전교통동백류는 주로 반구간열 ,

양측실비안열 및 뇌가 저조에 지주막하출혈을 보였고

중격이나 진두엽에 뇌 실질내 혈종을 동반하기도 하였

다. 중대뇌 동맥류는 편측실비 안열에 지주막하출혈 및

혈종을 특징적으로 보였으며 반구간열 및 뇌기자조에

도 지주박하출혈을 보였다 또한 실비안열 및 외 측 측

두엽에 뇌 실질내 혈증을 동반하길도 하였다. 후교통동

맥 류는 편측뇌기저조 및 환조 ( ambi e nt c i s te rn ) 에 다

량의 지주막하출혈을 보였으며 반구간열과 편측실 비

안열에서도 지주막하출혈이 보이기도 하였다. 또한

내 경 동맥 류와 후교통통맥 류에 서 사구조 ( quadrige

min al) 와 s uperi o r cerebe llar c i s lern에의 출혈 빈도가

진대뇌동맥류나 중대뇌동맥류에서보다 높았다

7. CT상 보이 는 지주막하출혈의 댐위 및 정도, 그

리 고 통반펀 뇌 실질내 혈종의 위치등으로 지주막하출

혈의 원인이 되는 뇌동맥류의 위치 를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펀디.

REFERENCES

1. Davis KR ‘ New PFJ. Ojemann RG et a l. Compu­

ted tomographic eva luation of hemorrhage

secondary to intracranial a neurysm . AJR 1976:

127: 143- 153

2 . Ghshhajra K. Ma rasco J , 8agh a i-naiini P. CT

detection of intracranial a neurysms in subar­

achnoid hemorrhage. AJR 1979: 132 : 6 13-6 16

3 ‘ Locksley HB. Report on the cooperat ive study of

in tracranial a neurys m s a nd subarachnoid

h einorrhage. Section V. Part l. Natural history

of s ubarachnoid h emorrhage. intracran ial aneu

rysms and a r teriovenous malformations. 8 ases

on 6368 cases in the cooperative study. J

Neuros urg 1966: 25 : 219-239

4. Perrett LV. 8ull JWD. Accuracy of radiology in

demonstrating ruptured intracrania l aneu­

rysms. 8 1' J Radiol 19 59 ‘ 32: 85

5. Pool JL , Potts DG. Accuracy of a rteriography

Aneurysms a nd arteriovenous a nomalies of the

brain. New York . Evanston a nd London : Hoeber

medica l division , Ha rper & Row Publishers

1965: 145

6. 8 igelow NH. Multiple intracrania l a rteria l aneu­

rysm. An a n alys is of thei r significance. Arch

n eurol Psychiat 1955 ‘ 73: 76-99

7 김호균, 윤인숙, 박창윤 릉. 두개 내 동맥류에 대한

방사선학적 고찰. 대한땅사선의 학회지 1976 :1 2 :

291- 298

8. lnagawa T , Hirano A. Ruptured intracrania l

aneurys ms ‘ An autopsy study of 133 patients

Surg Neurol 1990 : 117-1 23

9. 8ull JWD . Contribution of ra diology to the stu­

dy of intracranial a neurysm . Br Med J 1962 ‘ 2

1701-1708

10 이종두, 서정호, 김동익 - 뇌 동맥류성 지주막하출혈

의 방사선학적 고칠 . 대한망사선의 학회지 1988;24. :

48-56

11. 8ell BA. Kendall 8E , Symon L. Computed tomo­

graphy in a neu rysmal subarachnoid h emor­

rhage ‘ J Neurol Neurosurg. Psych iatry. 1980 ‘

43 : 522

12. Davis JM , Davis KR. Crowell RM . Subarachnoid

- 689-

Page 9: 뇌동맥류의 파열에 의한 지주막하출혈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 2016-12-29 · 大韓放껴f 線열§ 學會픔 第26 卷第4 號pp. 682 - 690, 1990 Journ al

- 大햄放射線흉흉쩔會註 : 第 26 卷 第 4 號 1990 -

h emorrhage secondary to ruptured in t racranial 520-521

aneurysm : Prognostic significance of cranial C- 19. Brismar J. Computed tomography as the pri-

T. AJR 1980: 134: 711 mary radiologic precedure in acute subarach-

13. Davis JM. Ploetz J. Davis KR et a l. Crania l com- noid hemorrhage . Act Radiol(Diagn . ). 1979 ‘ 20

puted tomography in subarachnoid h emorrhage ‘ 849

: Relationship between blood detected by CT 20 . Northfield DWC. The surgeη of the central n er

and lumba r puncture. J Comput Assist Tomogr vous system. Blackwell scientific publica tions.

1980 ‘ 4 : 794 Oxford London 1st ed 1973 : 364-401

14. Fisher CM. Kistler JP. Davis JM. Relation o f 2 1. S ilver AJ. Pederson J r. ME. Ganti SR e t a l. CT

cerebral vasospasm to subarachnoid h emor- of suba rachnoid h emorrhage due to rup lured

rhage visualized by computed tomographic aneurysm. AJNR 198 1: 2: 13-22

scanning. Neurosurgery 1980 ‘ 6: 19 22 . Yasargil MG. S mith RD ‘ Casser C. Microsurgery

15. Turnbull 1W. Computed tomographic poin ters of the a n eu rysm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y

to the prognosis of subarachnoid hemorrhage. and its bra nch es. Prog Neurol Surg 1978 : 9 :

Brit J Radiol 1980; 53: 416 58-121

16. Davis KR. Kistler JP. Heros RC et a l. A neuro- 23 이헌재, 한윤션 , 이 규 장 등. 뇌 동 맥 류 수술 1 58예에

radiolog ic approach to the patien t with a dia 내한 임싱적 고찰, 대한신 경 외 괴학회지 1976:5 :

gnosis of subarachnoid hemorrhage. Radio Clin 75-89

North Am 1982 ‘ 20: 87-94 24. William s JP. Jos lyn J N. Wh ite JL e t a l. Subar

17. Inoue Y. Saiwai S . Miyamoto T et a l. Postcon- achnoid hematoma secondary lo ruptured in -

trast computed tomography in subarachnoid tracranial aneurysms. Computed Tomog raphi c

hemorrhage from ruptured an eurysm. J Com- Diagnosis 1983: 7: 149-153

put Ass ist Tomogr 1981 ‘ 5: 34 1-344 25. Graeb DA. Rober tson WD. Lapoin te JS et a l

18. Moran CJ. Naid ich TP. Gado MH e t a l. Lepto- Computed tomographic diagnosis of intravent ri -

m eningeal findings in CT of subarachnoid cula r h emorrhage. Radiology 1982: 143: 9 1-96

h emorrhage. J Comþut Assist Tomogr 19 78 : 2 :

m

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