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 이 연구의...

24
지역산업연구Ⅰ제40권 제2호Ⅰpp. 29 52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 3) 4)5)6) 홍서연 (Seo-Yeon Hong) * 윤순덕 (Soon-Duck Yoon) ** 김경희 (Kyung-Hee Kim) *** 국문요약 농촌 사회적기업의 당면과제는 사회적기업의 주요 활동인 사회적 목적 실현 활동을 바탕으로, 영업을 통한 이윤 추구를 수단으로 하여 지속가능한 자립경영과 기업 차별화를 이루어 지역의 내 발적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내발적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 내 자원의 활용과 지역 내 경제의 순 환이 필요하며, 지역 전통자원의 활용은 농촌 사회적기업이 내발적 발전에 기여하는 방안으로서 그 중요성이 있다. 농촌지역의 사회적기업을 주제로 하는 연구는 2010년을 전후하여 집중적으로 나타났으나 지속심화되지는 못했으며, 사회적기업과 전통자원의 활용을 관련시킨 연구는 더더욱 부족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의 전통자원 활용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 현황 을 조사분석함으로써 지역 경제에 기여하는 지속적이고 자립적인 사회적기업의 육성과 역량 강화 에 필요한 기초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농촌 사회적기업은 농림축수산물 재배가공, 유통 과 농촌체험, 숙박 운영 등의 사업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 기능과 함께 농업농촌의 가치 실현과 지역 자원의 보전순환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인건비 지원 종료 후 자금조달 방안의 협소함, 사업확장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전통자원은 사업규모기간에 관계없이 지속적, 전문적으로 활용되고 있었으며 새로운 활용 방법의 창안, 재배방법 및 가공법의 개발, 차별화 등 혁신을 위한 노력과 발굴 의지가 필요한 것으 로 나타났다. | 주제어 | 사회적기업, 농촌, 전통자원, 내발적 발전 . 사회적기업육성법에 따른 사회적기업의 정의는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 리를 제공하거나 지역사회에 공헌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사회적 목 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 판매 등 영업활동을 하는 기업으로서 제7조에 따 * 본 연구는 2015-2016년도 국립농업과학원의 연구사업(과제번호 : PJ01131001)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 (주저자), 국립농업과학원 박사후연구원, [email protected] *** (교신저자),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연구관, [email protected] **** (공동저자), 농촌진흥청 농업연구사, [email protected]

Transcript of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 이 연구의...

Page 1: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 이 연구의 사례 분석은 공업적 저발 전 지역이었던 전북지역에서 사회적기업

지역산업연구Ⅰ제40권 제2호Ⅰpp. 29~52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3)

4)5)6)홍서연(Seo-Yeon Hong)*․윤순덕(Soon-Duck Yoon)**․김경희(Kyung-Hee Kim)***

5

국문요약

농촌 사회적기업의 당면과제는 사회적기업의 주요 활동인 사회적 목적 실현 활동을 바탕으로,

영업을 통한 이윤 추구를 수단으로 하여 지속가능한 자립경영과 기업 차별화를 이루어 지역의 내

발적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내발적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 내 자원의 활용과 지역 내 경제의 순

환이 필요하며, 지역 전통자원의 활용은 농촌 사회적기업이 내발적 발전에 기여하는 방안으로서

그 중요성이 있다. 농촌지역의 사회적기업을 주제로 하는 연구는 2010년을 전후하여 집중적으로

나타났으나 지속‧심화되지는 못했으며, 사회적기업과 전통자원의 활용을 관련시킨 연구는 더더욱

부족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의 전통자원 활용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 현황

을 조사‧분석함으로써 지역 경제에 기여하는 지속적이고 자립적인 사회적기업의 육성과 역량 강화

에 필요한 기초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농촌 사회적기업은 농림축수산물 재배‧가공, 유통

과 농촌체험, 숙박 운영 등의 사업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 기능과 함께 농업‧농촌의 가치 실현과 지역 자원의 보전‧순환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인건비 지원 종료 후 자금조달 방안의 협소함, 사업확장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전통자원은 사업규모‧기간에 관계없이 지속적, 전문적으로 활용되고 있었으며 새로운 활용

방법의 창안, 재배방법 및 가공법의 개발, 차별화 등 혁신을 위한 노력과 발굴 의지가 필요한 것으

로 나타났다.

| 주제어 | 사회적기업, 농촌, 전통자원, 내발적 발전

Ⅰ. 서 론

사회적기업육성법에 따른 사회적기업의 정의는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

리를 제공하거나 지역사회에 공헌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사회적 목

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 판매 등 영업활동을 하는 기업으로서 제7조에 따

* 본 연구는 2015-2016년도 국립농업과학원의 연구사업(과제번호: PJ01131001)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주저자), 국립농업과학원 박사후연구원, [email protected]*** (교신저자),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연구관, [email protected]**** (공동저자), 농촌진흥청 농업연구사, [email protected]

Page 2: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 이 연구의 사례 분석은 공업적 저발 전 지역이었던 전북지역에서 사회적기업

30 지역산업연구|제40권 제2호|2017.5

라 인증받은 자”이다(육성법 제2조(정의)). 이러한 규정은 기업성과 사회적 목적성이라는

어느 정도 합의된 국제적 사회적기업의 개념에 더하여 인증제를 통해 자격을 부여받아야

함을 명시하고 있으며, 사회적기업의 지역사회 공헌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사회적기업의 지역사회 공헌 기능은 농촌의 내발적 발전(Endogenous Development)을 목

표로 하는 지역 개발의 관점에서 특히 강조된다. 내발적 발전은 외부에 의한 개발이 주민

참여의 결여, 지역자원의 고갈 등 환경문제, 지속가능성의 문제를 일으킨다는 반성으로부

터 출발한 개념이다(정기환 송미령 김태곤, 2006). 내발적 발전은 지역 발전의 동력을 지

역 내부에서 찾고 개발의 주체를 자발적이고 자율적인 지역 구성원으로 설정하며, 지역 내

의 자원과 그것을 활용한 결과물이 순환을 이루어 발전의 성과가 지역 내에 보전되도록 하

는 것을 중시한다(박진도, 2006). 이러한 농촌개발 전략에서는 지역의 전통자원을 새롭게

인식하고 재구성하여 가치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같은 맥락에서 박덕병(2003)은 내발적 농

촌개발을 위한 전통자원 개발은 지역의 문화나 전통자원을 산업체와 연계하여 상품화하

고, 농촌관광과 같이 도시 소비자를 유인할 수 있는 자원으로 개발하며, 지역주민이 전통

자원 개발 과정에 주체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가능하다고 하였다.

국내 사회적기업 제도화 과정의 시초는 1980년대 빈민지역운동과 지역공동체 운동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96년에 복지부는 자활사업을 시범운영했으며, 1998년 IMF 체제로 귀

결된 외환위기와 실업 확대에 따라 공공근로사업 정책이 도입되었고 2000년에 자활지원

센터가 설립되었다. IMF 체제에서 벗어난 2001년부터 유럽형 사회적기업 개념이 도입되

었으며, 실업 및 사회적 양극화의 심화로 2003년 사회적 일자리 정책이 강화되었고 2006년

법 제정 논의가 확산되어 2007년 사회적기업육성법이 제정되었다. 지자체 조례가 제정되

고 사회적 일자리 창출 사업이 확대됨과 함께 행자부의 마을기업, 농식품부의 농어촌공동

체회사 등 유사 정책이 도입되었다. 2010년에는 사회적기업육성법이 개정되어 인증요건

이 완화되고 예비 사회적기업이 도입되었으며, 사회적 목적 실현 유형으로 ‘일자리제공

형’, ‘사회서비스 제공형’, ‘혼합형’, ‘기타형’ 외에 ‘지역사회공헌형’이 신설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중앙정부 주도적인 사회적기업 육성이 사회적기업의 정부의존도를 높인다는

비판이 제기되자 육성정책의 방향을 지역 시장친화적으로 전환한 결과였다. 2011년에는

협동조합기본법이 제정되었고 2012년에는 도 단위 지원기관이 통합되어 지역사회에 공헌

하는 사업 조직의 운영 지원 방안이 정비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복지 일자리 정책으로 시작된 사회적기업 제도에서 점차 지역 경

제에 기여하는 지속적이고 자립적인 사회적기업 육성이 강조되고 있다. 사회적기업의 역

할 중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이라는 측면은 농촌 지역에서 더욱 중요하다. 농촌에서는 여타

지역에 비해 일자리와 소득 창출의 기회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노령화로 인해 사회서

Page 3: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 이 연구의 사례 분석은 공업적 저발 전 지역이었던 전북지역에서 사회적기업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Ⅰ홍서연․윤순덕․김경희 31

비스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하고 있다. 농업, 농촌의 다면적 가치가 증대하고 있지만 활동

의 주체와 역량은 부족한 형편이다(박진도, 2006). 농촌 사회적기업의 당면과제는 사회적

기업의 주요 활동인 사회적 목적 실현 활동을 바탕으로, 영업을 통한 이윤 추구를 수단으

로 하여 지속가능한 자립경영과 기업 차별화를 이루어 지역의 내발적 발전에 기여하는 것

이라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지역 내의 전통자원 활

용 현황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경험적 연구에 기초하여, 농촌에 소재하

며 지역의 전통자원을 토대로 사업을 하고 있는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

을 조사 분석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적기업 선행연구

사회적기업과 지역의 인적 물적 자원과의 연계는 2010년 이후 정책운영과 연구 분야에

서 논의되어 왔다. 국가의 책임 영역으로 여겨졌던 다양한 공공영역에서 사회적기업의 역

할이 강조되었으며, 지역사회의 다중이해 당사자들이 참여하여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역발전전략의 하나로 관심이 모아졌다.

홍현미라(2008)는 지역사회가 사회적기업의 모체이자 인력 수급 및 재정 지원의 원천지

임을 강조하면서, 사회적 기업이 사회서비스의 제공과 일자리 창출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지역사회 접근 전략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저자는 그러한 접근 전략으로서 사회적 기업

의 신뢰 형성과 호혜적 문화 확산을 통한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재구조화를 제안하였다. 류

만희(2012)는 사회적기업의 활성화는 지역혁신과 지역발전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음

을 강조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범위를 확대하여 지역 내 사회적기업, 시민사회단체

(NGO), 사회단체 전문가, 대학교수 등이 사회적기업 육성에 동참할 수 있는 협력적 거버넌

스가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사회적기업과 지역사회의 연계는 사회적 경제 및 사회적기업에 관한 고전적인 연구에

서도 중요한 핵심으로 지적되어 왔다. Borzaga & Defourny(2001)는 사회적기업 현상을 추동

하는 핵심적 아이디어는 공익활동을 한다는 것 자체가 아니라 이를 통해 지역사회에 새로

운 연대적 관계를 창출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으며, 지역사회의 새로운 연대관계는 사회적

기업의 토대가 되고, 동시에 사회적기업은 연대적 관계를 재생산하는 수단이 된다고 설명

하였다. Nyssens(2006)는, 사회적기업은 경제적 목적과 공익활동이라는 다중의 목적을 실현

Page 4: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 이 연구의 사례 분석은 공업적 저발 전 지역이었던 전북지역에서 사회적기업

32 지역산업연구|제40권 제2호|2017.5

하기 위해 시장에서 다양한 자원을 동원하며, ‘자원혼합’으로 부를 수 있는 이러한 자원 동

원 방식은 기업, 국가, 비공식적 근린관계와 같이 각각의 자원에만 국한된 경제 주체들만

으로는 실현할 수 없는 경제적 효율성과 효과를 갖게 된다고 하였다.

농촌지역의 사회적기업을 주제로 하는 연구는 사회적기업 정책의 방향이 지역친화적

으로 전환된 2010년을 전후하여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보고서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나

타났으나(박진도 김태연 장종익 유정규 박창규, 2009; 김광선, 2011; 김광선 권인혜 김

창호 오세익, 2010; 오내원 김창호, 2011; 오내원 김창호 권인혜, 2010; 오내원 마상진 김

광선 김창호 권인혜, 2010; 이규천 김광선, 2011; 이규천 김창호, 2011), 그 이후의 연구는

일회적이고 분산적인 경향을 보인다(김경희, 2013; 김종수 홍성효, 2013; 유일 최혁라 김

선영, 2013; 윤병선 박대호 송원규 홍형석 곽재윤, 201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 홍서

연 이상영 김경희, 2015).

김정원(2009)의 연구는 전북지역 사례를 통해 지역 차원에서의 사회적 기업의 조직화 가

능성을 짚어보고 한국의 사회적기업 현황을 검토했다. 이 연구의 사례 분석은 공업적 저발

전 지역이었던 전북지역에서 사회적기업 ‘전북네트워크’를 통해 시민사회가 조직되어 ‘사

회적기업 육성법’ 시행 초기부터 활발한 활동을 통해 지역 사회적기업을 효율적으로 지원

했음을 보여주었다.

농촌 사회적기업의 사업 내용 및 모델에 관련된 오내원 김창호(2011)의 연구는 농촌지

역 사회적기업의 실태와 발전과제를 분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농촌 사회적기업의 사업

모델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업종별 사업모델을 분석했다. 분석틀은 사업환경(사회적 과제,

시장 여건, 관련 정책과 지원), 평가(사례, 사회적 목적의 달성, 경제적 지속성, 경영역량),

개선책 및 정책지원 방향으로 구성되었다.

농촌 사회적기업의 특수성과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 오내원 김창호 권인혜(2010)는

농촌형 사회적기업의 의의를 짚어보고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문제점으로 역량 있는 인

력의 부족과 건물, 시설, 장비 등 고정자산 취득을 위한 투자자금 확보의 어려움을 지적했

다. 투자자금 확보가 어려운 원인을 내부적으로는 사업수익의 취약성에 의한 자금조달의

어려움, 외부적으로는 낮은 사업성 평가와 담보력에 기인한 금융기관 접근의 어려움에서

찾았다.

2. 전통자원의 개념 정의 및 선행연구

농촌개발 및 지역개발과 관련된 국내 선행연구 중 ‘전통자원’ 개념을 중심으로 한 것은

보이지 않으나 ‘전통’, ‘전통지식’, ‘전통지식기술’, ‘전통 직물’, ‘전통한옥’, ‘전통공예산업’,

Page 5: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 이 연구의 사례 분석은 공업적 저발 전 지역이었던 전북지역에서 사회적기업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Ⅰ홍서연․윤순덕․김경희 33

‘전통산물’, ‘전통문화’, ‘역사문화전통’, ‘전통문화산업’ 등을 통한 전통의 자원화 방안에 관

한 논문은 다수 발견된다(표 1). 이 연구들은 지역 혹은 농촌지역에서 전통문화·지식·기술

요소들을 자원화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이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의 해결방안을 모색하

거나, 그 소비 현상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경제조직과 전통자원 활용 방안을 연결시킨 연구는 거의 없으며, 경북지

역의 유무형 향토자원을 조사 발굴하여 사회적기업화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 나중규

정회훈(2012)의 연구가 유일하다. 이 연구에서 지적하듯이 ‘향토’의 개념에는 “기후, 토양,

지리적 위치 등 타지역과 구분되는 지정학적인 차별성으로서의 지역성과 오랜 세월 동안

지역사회에서 형성된 그 지역만의 생활양식이나 관습으로서의 전통성”이 포함되어 있으

며(나중규 정회훈, 2012:12), 따라서 향토자원은 지역의 고유한 전통자원과 외연적, 내포적

의미의 교차점을 갖는 개념이다.

자원이란 생활과 경제활동에 이용되는 물질과 노동력 및 기술을 말한다. 전통자원이란

경제활동에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어 자원의 역할을 하는 전통을 말한다. ‘전통’ 개념은

매우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다. 홉스봄과 랑거는 세계의 여러 나라, 여러 지역에서 ‘전통’이

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많은 것이, 흔히 생각하듯 수천 년 동안 내려온 것이 아니라 겨우

몇백 년 사이에 만들어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이렇게 전통을 만들어낸 과정은 민족국

가의 정체성을 창조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설명했다(홉스봄, 2004). 홉스봄과 랑거 이후 전

선행연구전통자원 관련

중심 개념연구 개요

박경용(2001) 전통공예산업지역의 전통공예산업이 지역의 역사문화적 배경과 관련하여 관광자원으로

서 어떻게 활용가능한지를 분석하여 경제적 가치창출에 대한 시사점 도출

이한기‧박덕병‧박은식

(2002)전통문화, 전통지식

농촌공간이 가지고 있는 전통문화 및 전통지식이 지역 활성화를 통해 내생

적 농촌 개발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요소 연구

박경용(2002) 역사문화전통, 전통역사문화전통을 공적으로 생산, 유통, 소비하는 축제를 통해 전통을 창출하

고 계승하는 관광자원화 전략 연구

김행란‧최배영‧유명님‧김미희‧강경하(2003)

전통지식 자원 전통지식 자원의 활용실태 파악 및 이용의 활성화 방안 제시

김미희‧박덕병‧안윤수‧유명님‧정현영(2004)

전통산물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상품 소재인 전통산물을 활용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에 기여하는 방안 연구

김미희‧박덕병‧안윤수‧전영미(2006)

세시풍속 관련

전통지식기술

고문헌 자료에 나타난 세시풍속 관련 전통지식기술의 개발가치를 델파이 조

사를 통해 평가하고 활용방안을 도출

이상현(2009) 지역 전통전승이 거의 단절된 농산어촌의 민속을 마을 사업 및 체험 프로그램에 이용

할 때의 문제점 및 해결을 위한 제언

<표 1>‘전통자원’유사 개념을 중심으로 한 선행연구

Page 6: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 이 연구의 사례 분석은 공업적 저발 전 지역이었던 전북지역에서 사회적기업

34 지역산업연구|제40권 제2호|2017.5

통은 더 이상 순수한 과거의 것, 또는 이미 이루어져서 더 이상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단순

하게 정의될 수 없게 되었다. 한편, ‘전통의 발명’ 담론이 전통의 가치를 부정하거나, ‘만들

어진 전통’들이 진정성이 결여된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었지만, ‘발명된 전통’을 거

짓된 것으로 여기는 경향이 나타났고(Trask, 1991), ‘가짜민속’(fakelore)에 대한 비판도 나타

났다(Dorson, 2005). 이러한 논쟁을 거치면서 인류학, 민속학에서는 변화하는 과정으로서의

전통 개념이 제기되고 지지되었으며(Sims & Stephens, 2011; Glassie, 1995; Cashman et al, 2011),

“과거로부터 미래를 이끌어내는 수단”으로 정의되기도 하였다(Cashman et al, 2011:3). 이러

한 정의가 시사하듯이, 전통은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라 현재 변화를 겪고 있는 문화를 포

함하는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맥락을 고려하여 “어떤 집단, 지역,

공동체의 문화가 지닌 역동적이고 생명력 있는 특징”(Sims & Stephens, 2011:69)이라는 전통

의 정의를 받아들이기로 한다.

이러한 정의에 따르면 전통은 변화를 겪으면서 집단 구성원들의 삶과 긴밀한 관계를 맺

으며 역동적으로 살아있게 된다. 박경용(2002)에 의하면 전통자원을 활용하는 축제는 전통

을 이용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전통을 창출한다. 현재적 활용의 맥락에서 전통은 한 집단

을 구성하는 사람들의 삶과 관련을 맺으면서 새로운 형태로 재생되거나 부활, 재평가, 변

형, 재구조화된다.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농어촌공동체회사 등 사회적 경제조직에 의해 활용되는 전통자

원의 범위에는 전통적인 농촌의 산업인 농업을 통해 재배되어 온 작물 및 토종작물, 축산

물, 그 가공품과 재래 농업기술 농업지식이 속하며, 농촌지역에서 전승되어 온 공예, 민속,

생활문화, 역사·문화·예술이 포함된다. 사회적기업의 활동과 농촌 전통자원의 결합은 주로

농축산·수산·가공업 및 농촌관광, 지역개발 분야의 사업 속에서 나타난다. 농촌이 가지고

있는 전통자원은 내발적 발전을 위한 지역적 원천이자 농촌의 다원적 기능을 실험할 수 있

게 하는 원동력으로 평가받으며(이한기 박덕병 박은식 2002), 농촌다움(rural amenity)을 기

반으로 지속가능한 개발을 가능하게 해주는 자원이라는 데에 그 중요성이 있다.

Ⅲ. 연구방법

1. 설문조사

농촌 사회적기업의 전반적인 현황을 고찰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고용노동

부 산하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서 제공하는 사회적기업 목록(최종 확정 2015. 8. 13. 기

Page 7: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 이 연구의 사례 분석은 공업적 저발 전 지역이었던 전북지역에서 사회적기업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Ⅰ홍서연․윤순덕․김경희 35

준)과 각 광역지방자치단체 사회적경제지원센터 홈페이지7)에서 수집한 예비 사회적기업

목록(2015. 6. 1. 기준)을 대상으로 전통자원을 활용하는 농촌 사회적기업을 추출하였다. 선

별기준은 농촌지역(군 및 도농복합시)에 소재하거나8) 농촌지역의 요구를 반영한 사업을

수행하는 (예비)사회적기업으로, 농촌의 전통적인 산업인 농업에 종사하거나 전통자원을

활용하는 기업으로 하였다. 예비 사회적기업을 포함한 사회적기업 총 3,100개소 중 전통자

원을 활용하는 농촌 사회적기업으로 225개소(7.3%)가 추출되었다.

연구대상 사회적기업의 인증/예비 비율은 인증 사회적기업이 66.7%, 예비 사회적기업

이 33.3%이며, 지역별로는 전라남도 18.2%, 충청남도 15.6%, 전라북도 15.1%, 경상북도

11.6%, 강원도 11.1%, 경상남도 7.6%, 경기도 5.8%, 충청북도 및 제주특별자치도 각각 5.3%,

인천광역시 2.2%, 대전광역시 1.8%, 울산광역시 1.3%의 비율을 보였다.

설문조사는 2015. 4. 24.∼10. 29.(6개월)까지 실시되었으며 225개소 (예비)사회적기업의

운영자에게 전자우편, 팩스 발송과 연구자에 의한 직접 방문을 병행한 자기기입식 설문조

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177부(78.7%)를 회수하였고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

도분석과 기술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선행 연구 및 사전조사를 토대로 작성되었으

며, 운영현황, 지역 내 자원 활용, 사회적기업 인증 관련 어려움, 사업규모에 대한 문항들로

구성하였다.

2. 심층면접조사

설문조사만으로 조사되지 않는 세부와 맥락을 파악하기 위해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

였다. 전통자원 활용 농촌 사회적기업 225개소 중 사회적 목적이 뚜렷하고 성공적으로 사

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43개소(2015년 23개소, 2016년 20개소)의 운영자를 대상으

로 2015. 4. 24.∼10. 7.(5개월), 2016. 6. 1.∼8. 4.(2개월)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심층면접을

통해 활용하고 있는 전통자원이 구체적으로 무엇이며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조사하였

7) 인천광역시사회적기업(se.incheon.go.kr), 대전광역시사회적기업(www.djse.or.kr), 커뮤니티와경제사회적기업

지원센터(www.cne.or.kr), 경기도사회적기업(se.gg.go.kr), 강원도산업경제진흥원 강원도사회적경제지원센터

(www.gwcs.or.kr), (사)충북사회적경제센터(www.cbse.or.kr), (사)충남사회경제네트워크(www.sechungnam.org),

전북사회경제포럼 전라북도사회적기업·협동조합통합지원센터(www.jbse.or.kr), (사)전남지역발전포럼 전남

사회적기업·협동조합통합지원센터(www.jnsec.co.kr), 경북사회적경제(socialbiz.gb.go.kr), 경남사회적기업

(se.gndo.kr), 제주특별자치도사회적기업협의회(jcse.kr)8) 농촌지역은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제3조 및 삶의 질 향상법 제3조에 ‘시와 군 지역 중 ① 읍·면 전지

역, ② 동 지역 중 ’국토계획법‘에 규정된 주거지역 및 상업지역·공업지역을 제외한 지역으로 정의되어 있

다.

Page 8: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 이 연구의 사례 분석은 공업적 저발 전 지역이었던 전북지역에서 사회적기업

36 지역산업연구|제40권 제2호|2017.5

다. 조사대상 사회적기업의 지역, 사회적기업 인증 현황, 사업내용, 피면담자 직위, 면담일

은 <표 2>와 같다.

사회적기업 지역 인증/

예비 사업내용 피면담자 직위 면담일

1 인천 강화 인증친환경농산물(강화 토종쑥) 재배 및 가공품 제조(화장품, 차 등) 및 유통

대표이사 2016. 6. 30.

2 인천 강화 인증 농산물 가공(두부 등), 영농지원대표이사, 상무이사

2016. 6. 30.

3 강원 원주 인증 도자기 체험 및 도자기 제품 판매, 생태체험·교육 사무국장 2015. 10. 7.

4 강원 원주 예비 전통공연예술 창작·공연 및 강습 사무장 2015. 10. 7.

5 강원 춘천 예비농산물 생산, 가공, 유통농촌체험 운영, 주택 신축, 증축, 개축

사무국장 2016. 7. 1.

6 충북 보은 인증 생태체험 운영, 친환경 제품 제조·판매 관리부장 2015. 10. 6.

7 충남 당진 인증농산물 가공 및 판매(약과, 유과, 한과등)체험 운영

대표이사 2016. 6. 21.

8 충남 태안 예비 농산물 재배, 가공, 농어촌 인성학교 운영, 농촌체험 운영대표이사, 사무국장

2016. 8. 3.

9 충남 아산 인증 무농약 콩나물 생산, 토종밀 가공, 토종종자 보존 및 보급 상무 2016. 8. 3.

10 충남 홍성 인증 도라지 재배, 수매, 가공, 유통 및 판매 실장 2016. 6. 1.

11 충남 홍성 인증 친환경 농축산물 생산 및 유통 대표이사 2015. 4. 24.

12 충남 홍성 인증 절임류(장류, 피클류) 제조 판매, 체험프로그램 운영 이사 2015. 4. 24.

13 충남 보령 예비 서각제품 제작, 교육, 문화상품 개발 제조 판매 대표이사 2016. 8. 4.

14 충남 서천 예비 도자기공예 및 판매, 교육농장 및 체험 운영 대표이사 2015. 6. 18.

15 충남 서천 예비 농산물 재배, 한과 가공, 체험 및 숙박 운영대표이사, 사무장

2015. 6. 18.

16 충남 서천 인증농산물 가공 유통(모시떡, 장아찌), 체험 및 숙박 운영, 향토음식점 운영

총괄본부장 2015. 7. 1.

17 전북 익산 인증 된장, 간장 제조 및 판매 대표이사 2016. 6. 3.

18 전북 진안 인증 공공급식, 농산물생산, 홍삼 가공 대표이사 2015. 5. 6.

19 전북 완주 인증 지역내 농산물 유통 판매 본부장 2015. 5. 6.

20 전북 정읍 인증 다도·예절·인성교육 및 농촌체험 대표이사 2015. 10. 2.

21 전남 화순 인증전통식품(장류, 장아찌류) 제조 판매팥류 제품 제조 판매전통문화체험학습장 운영

대표이사, 감사

2016. 6. 29.

22 전남 나주 인증 쪽재배, 쪽염색, 봉제, 교육농장 및 체험 운영 대표이사 2016. 6. 11.

23 전남 구례 인증 친환경 농산물 재배 및 유통·판매 전무 2015. 9. 8.

24 전남 화순 인증문화관광상품(전통 합죽선) 판매, 여성건강센터 운영, 공연예술 서비스(판소리, 사물놀이, 스포츠댄스)

대표이사 2015. 9. 8.

25 전남 진도 예비 울금 생산·가공·유통·판매 대표이사 2015. 9. 9.

26 전남 고흥 인증 발효음료 및 자염 제조 대표이사 2016. 7. 22.

<표 2> 심층면접조사 대상 농촌 사회적기업

Page 9: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 이 연구의 사례 분석은 공업적 저발 전 지역이었던 전북지역에서 사회적기업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Ⅰ홍서연․윤순덕․김경희 37

Ⅳ. 연구결과

1.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

설문조사 결과 나타난 운영 현황을 사업 내용 및 기간, 사회적 목적 실현 유형 및 활동,

직원 고용, 투자 및 매출, 인증 관련 어려움, 자원 활용으로 나누어 분석 고찰하였다.

전통자원을 활용하는 농촌 사회적기업의 사업 내용을 다중응답으로 분석한 결과(표 2),

‘농림축수산물 유통 판매’가 84개소(47.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농림축수산물

재배 생산’ 61개소(34.7%), ‘농림축수산물 가공’ 61개소(34.7%), ‘농촌체험 및 교육농장 운영’

52개소(29.5%), ‘숙박 또는 캠핑장 운영’ 22개소(12.5%), ‘농촌관광 지원 사업’ 13개소(7.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타 사업내용은 ‘도자기 상품 유통’, ‘목재 가구 제조’, ‘집수리’, ‘무

료 북카페 운영’, ‘의류 제조’, ‘공연’, ‘복지 서비스’ 등이었다. 농업과 함께 두 가지 이상의 사

업을 수행하고 있는 사회적기업이 대부분으로 나타나, 전통자원 활용 농촌 사회적기업 활

사회적기업 지역 인증/

예비 사업내용 피면담자 직위 면담일

27 경북 예천 인증 참기름, 들기름 유통, 판매 부장 2016. 7. 15.

28 경북 예천 인증 종자산업(채종, 육종, R&D) 대표이사 2016. 7. 13.

29 경북 영주 인증천연염색, 인견제품 제조 및 판매천연염색 교육

대표이사 2016. 7. 14.

30 경북 영주 인증 전통농악 공연, 선비촌 위탁 운영 및 공예품 제작 판매 대표이사 2015. 8. 21.

31 경북 상주 예비 전통음식 연구·개발 및 체험 운영, 민박 연계 대표이사 2015. 8. 20.

32 경북 청송 인증 전통장류 제조 대표이사 2016. 7. 7.

33 경북 칠곡 예비 풍물, 농악 공연, 조사·발굴 대표이사 2015. 8. 20.

34 경북 포항 인증 천연염색제품 생산 및 판매, 체험 운영, 염료식물 재배 대표이사 2016. 7. 6.

35 경북 포항 인증 친환경 농산물 유통 지원(농산물 포장) 사무차장 2016. 7. 7.

36 경북 영천 인증농산물 가공품(곤약, 다시마, 뽕잎, 오디 등을 원료로 한 국수) 생산, 판매

과장 2016. 7. 8.

37 경남 거창 인증 부각류, 전통식품 생산 판매 대표이사 2016. 7. 13.

38 경남 경주 인증 전통음식 체험 운영 대표이사 2016. 7. 14.

39 제주 제주 인증 친환경 농산물 재배·가공·유통·판매 상무 2015. 9. 16.

40 제주 제주 인증 친환경 농산물 재배·축산 간사 2015. 9. 16.

41 제주 제주 인증 전통식품 개발 및 체험교육 대표이사 2015. 9. 17.

42 제주 서귀포 예비 친환경 농산물 재배·가공, 양잠체험, 전통문화체험 운영 대표이사 2015. 9. 17.

43 제주 서귀포 인증 농산물 재배·유통·판매 전무 2015. 9. 17.

Page 10: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 이 연구의 사례 분석은 공업적 저발 전 지역이었던 전북지역에서 사회적기업

38 지역산업연구|제40권 제2호|2017.5

동의 복합성을 고찰할 수 있었다.

사업기간은 ‘5∼10년 미만’ 76개소(43.3%), ‘2∼5년 미만’ 69개소(39.4%)가 높은 비중을 차

지하여 2년에서 10년 동안 사업을 해온 사회적기업이 절대적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10∼15년 미만’이 16개소(9.1%), ‘15년 이상’이 10개소(5.7%), ‘2년 미만’이 4개소(2.3%)였다.

무응답으로 변수별로 사례수가 다를 수 있으며, *은 다중응답 문항임.

사회적 목적 실현 유형은 사회적기업육성법 시행령 제9조에 의해 정의되어 조직의 주된

목적과 취약계층 일자리 제공 비율 등의 사회서비스 제공을 규정하며, 사회적기업으로 인

증받기 위해서는 유형별 인증요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일자리제공형’이 133개소(75.1)로

절대 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지역사회공헌형’ 25개소(14.1%), ‘혼합형’ 11개소(6.2%), ‘기타

형’ 6개소(3.4%), ‘사회서비스제공형’ 2개소(1.1%) 순으로 나타났다(표 3). 많은 농업 농촌 사

회적기업이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기제를 지니고 있는데도 ‘지역사회공헌형’으로 분류되

는 경우가 ‘일자리제공형’에 훨씬 못미쳐, ‘지역사회공헌형’이 충분한 실질성을 가지고 기

능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 의문을 제기하게 된다. 사회적기업 제도가 일자리 창출

사업으로 기능하고 있는 측면이 크다는 사실을 고려하더라도, 지나친 치우침은 농촌 사회

적기업의 다양성과 확장성을 제한하는 결과를 낳을 것이다.

사회적 목적 실현 활동을 다중응답으로 분석한 결과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 162개소

(91.5%), ‘지역주민 일자리 창출 및 소득 향상’ 147개소(83.1%), ‘지역사회 및 지역경제 활성

화’ 121개소(68.4%), ‘취약계층 후원’ 99개소(55.9%), ‘도농간 교류와 연계 활성화’ 68개소

(38.4%), ‘대안농업 활성화’ 55개소(31.1%), ‘전통문화 계승 제공 창조’ 42개소(23.7%), ‘다문

화, 귀농인 등 지역주민 통합’ 27개소(15.3%), ‘토종종자 등 농업자원 보존’ 17개소(9.6%), ‘농

어촌 생태공간 보존’ 14개소(7.9%) 순이었다. 기타 활동은 ‘교육사업’, ‘근대화 유산 보존 관

리’ 등이었다. 활동의 측면에서도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이 현실적으로 큰 기능을 하고 있

음을 고찰할 수 있으나, 농촌 사회적기업의 활동이 그밖에도 다양한 사회적 목적을 실현하

변수 구분 N(%) 변수 구분 N(%)

사업내용*

농림축수산물 유통‧판매

농림축수산물 재배‧생산

농림축수산물 가공

농촌체험 및 교육농장 운영

숙박 또는 캠핑장 운영

농촌관광 지원 사업

기타

84(47.7)

61(34.7)

61(34.7)

52(29.5)

22(12.5)

13( 7.4)

47(26.7)

사업기간

2년 미만

2~5년 미만

5~10년 미만

10~15년 미만

15년 이상

4( 2.3)

69(39.4)

76(43.3)

16( 9.1)

10( 5.7)

<표 2> 전통자원 활용 농촌 사회적기업의 사업 내용 및 기간(N=177)

Page 11: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 이 연구의 사례 분석은 공업적 저발 전 지역이었던 전북지역에서 사회적기업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Ⅰ홍서연․윤순덕․김경희 39

는 기능을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무응답으로 변수별로 사례수가 다를 수 있으며, *은 다중응답 문항임.

일자리 창출의 강조는 농촌 사회적기업에 대한 주민 참여 방법(다중응답)에서도 드러나

서, 108개소(61.0%)의 운영자가 ‘직원으로 근무’를 꼽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원료 생산 및

공급’ 76개소(42.9%), ‘유통 및 판매’ 18개소(10.2%)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주민 참여 방법은

‘생태교육 서비스 제공’, ‘농촌체험 강사’, ‘동아리 활동’ 등이었다(표 4).

다중응답 문항인 직원 고용 고려사항으로는 ‘취약계층’ 여부가 102개소(58.0%), ‘지역주

민’ 여부가 60개소(34.1%)인데 비해 ‘기능 기술 보유’ 여부는 27개소(15.3%)에 그쳐, 인건비

지원에 맞는 고용 창출에 치우쳐 농촌 사회적기업에 필요한 능력을 갖춘 인력을 충분히 확

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고려사항은 ‘긍정적, 적극적 마인드’, ‘일을 하

겠다는 의지’ 등이었다.

변수 구분 N(%) 변수 구분 N(%)

주민

참여

방법*

직원으로 근무

원료 생산 및 공급

유통 및 판매

기타

108(61.0)

76(42.9)

18(10.2)

18(10.2)

직원 고용

고려사항

사항*

취약계층

지역주민

기능‧기술 보유

기타

102(58.0)

60(34.1)

27(15.3)

12( 6.8)

상근

고용

인원

5명 미만

5~10명 미만

10~15명 미만

15~25명 미만

25명 이상

34(19.3)

68(38.6)

37(21.0)

32(18.2)

5(2.8)

비상근 고용

인원

5명 미만

5~10명 미만

10~15명 미만

15~25명 미만

25명 이상

30(60.0)

9(18.0)

5(10.0)

2( 4.0)

4( 8.0)

<표 4> 전통자원 활용 농촌 사회적기업의 직원 고용(N=177)

무응답으로 변수별로 사례수가 다를 수 있으며, *은 다중응답 문항임.

변수 구분 N(%) 변수 구분 N(%)

사회적

목적

실현

유형

일자리제공형

지역사회공헌형

혼합형

기타형

사회서비스제공형

133(75.1)

25(14.1)

11( 6.2)

6( 3.4)

2( 1.1)

사회적

목적

실현

활동*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

지역주민 일자리 창출 및 소득 향상

지역사회 및 지역경제 활성화

취약계층 후원

도농간 교류와 연계 활성화

대안농업 활성화

전통문화 계승‧제공‧창조

다문화, 귀농인등지역주민 통합

토종종자 등 농업자원 보존

농어촌 생태공간 보존

기타

162(91.5)

147(83.1)

121(68.4)

99(55.9)

68(38.4)

55(31.1)

42(23.7)

27(15.3)

17( 9.6)

14( 7.9)

4( 2.3)

<표 3> 전통자원 활용 농촌 사회적 목적 실현 유형 및 활동(N=177)

Page 12: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 이 연구의 사례 분석은 공업적 저발 전 지역이었던 전북지역에서 사회적기업

40 지역산업연구|제40권 제2호|2017.5

사업 개시 후 현재까지의 총투자액은 ‘2억5천만∼5억원 미만’이 54개소(31.8%), ‘5억∼10

억원 미만’ 41개소(23.2%), ‘1억∼2억5천만원 미만’ 33개소(19.4%), ‘10억원 이상’ 26개소

(14.7%), ‘1억원 미만’ 16개소(9.4%) 순이었으며, 2014년 연간 매출액은 ‘1억∼2억5천만원 미

만’ 51개소(28.8%), ‘2억5천만∼5억원 미만’ 42개소(23.7%), ‘5억∼10억원 미만’ 27개소

(15.3%), ‘10억∼20억원 미만’ 26개소(14.7%), ‘1억원 미만’ 19개소(10.7%) 순으로 나타나, 연

매출액 1억∼5억원 미만의 소규모 업체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표 5).

지원 종료 후 자금조달 방안(다중응답)으로는 ‘대표가 부담’이 78개소(45.1%)로 가장 높

은 비율을 보였으며, ‘은행으로부터 차입’ 70개소(40.5%), ‘사업 규모 축소’ 21개소(12.1%),

‘구체적 계획 없음’ 18개소(10.4%, ‘연계 기관이 부담’ 14개소(8.1%), ‘임금 삭감’ 5개소(2.9%)

순으로 나타났다(표 5). 기타 방안은 ‘고용 조정’, ‘판로 확보’, ‘매출 확대’, ‘제품 개발’, ‘지인

차입’, ‘조합원 출자금 증액’, ‘주식 증좌’, ‘지원기간 내 수익구조 안정화’, ‘사업 확대’, ‘보완

사업 이익금으로 충당’ 등이었다. ‘대표가 부담’과 ‘은행으로부터 차입’에서 각각 70% 이상

의 높은 비율이 나타남은 운영자들이 사업 규모 축소 또는 임금·고용 삭감과 같은 소극적

인 방안보다는 적극적인 타개책을 선호함을 보여준다. ‘기타’에 나타난 다양한 방안 또한

적극적인 방법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자금조달이 대표이사와 은행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외부 투자 등 다양한 조달 창구가 부족함을 알 수 있다.

무응답으로 변수별로 사례수가 다를 수 있으며, *은 다중응답 문항임.

사회적기업 인증에 소요된 기간은 준비부터 인증까지 ‘1년 미만’ 소요가 70개소(51.9%)

로 가장 많았으며, ‘1∼2년 미만’ 42개소(31.1%), ‘2∼3년 미만’ 19개소(14.1%), ‘3년 이상’ 4개

소(2.9%) 순으로 나타났다(표 6). 인증과정의 불편함(다중응답)으로는 ‘행정절차가 복잡함’

변수 구분 N(%) 변수 구분 N(%)

투자액

1억원 미만

1억∼2억5천만원 미만

2억5천만∼5억원 미만

5억∼10억원 미만

10억원 이상

16( 9.4)

33(19.4)

54(31.8)

41(23.2)

26(14.7) 지원 종료 후

자금조달

방안*

대표가 부담

은행으로부터 차입

사업 규모 축소

구체적 계획 없음

연계 기관이 부담

임금 삭감

기타

78(45.1)

70(40.5)

21(12.1)

18(10.4)

14( 8.1)

5( 2.9)

42(24.3)

2014년 연간

매출액

1억원 미만

1억∼2억5천만원 미만

2억5천만∼5억원 미만

5억∼10억원 미만

10억∼20억원 미만

20억원 이상

19(10.7)

51(28.8)

42(23.7)

27(15.3)

26(14.7)

12( 6.8)

<표 5> 전통자원 활용 농촌 사회적기업의 투자 및 매출(N=177)

Page 13: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 이 연구의 사례 분석은 공업적 저발 전 지역이었던 전북지역에서 사회적기업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Ⅰ홍서연․윤순덕․김경희 41

이 101개소(63.5%)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인증기준 충족’의 어려움(62개소, 39.0%),

‘인증신청 정보 미흡’(24개소, 15.1%) 등이 불편함의 요소로 나타났다. 기타 불편 요소로는

‘불편함이 없음’ 등이 나타났다.

인증과정의 불편함에 대해 ‘인증기준 충족’을 꼽은 62개소 운영자를 대상으로 인증기준

충족의 어려움을 다중응답으로 물은 결과 어려움의 요소들은 ‘취약계층 고용’(21개소,

34.4%), ‘취약계층 사회서비스 제공’(19개소, 31.1%), ‘독립 조직 구성’(18개소, 29.5%), ‘유급

근로자 고용’(16개소, 26.2%) 순으로 나타났고, 기타 어려움으로는 ‘신청 기간과 매출 성과

기간의 불일치’, ‘영업 매출’ 등이 나타났다. 사회적목적 실현 유형 중 ‘일자리제공형’의 경

우 사회적기업으로 인증받기 위해서는 5명 이상의 근로자를 고용해야 하며 전체 근로자

중 취약계층의 고용비율이 50% 이상이어야 한다(2018년까지는 30%). 취약계층 고용이 인

증기준을 충족하기 어려운 요소로 여겨진다는 사실은 취약계층 고용이 사업에서 필요한

다른 요소들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무응답으로 변수별로 사례수가 다를 수 있으며, *은 다중응답 문항임.

자원 활용 현황을 다중응답으로 물은 결과 생산원료로는 ‘농산물’이 141개소(81.0%)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축산물’ 23개소(13.2%), ‘수산물’ 22개소(12.6%), ‘화훼작물’ 11

개소(6.3%), ‘목재’ 11개소(6.3%), ‘황토 및 점토’ 7개소(4.0%) 순으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표 7). 기타 생산원료는 ‘재활용품’, ‘폐기물’, 종이 등의 ‘공산품’이었다. 체험 프로그램의 소

재(다중응답)는 ‘농림축수산물 가공품’(54개소, 52.4%), ‘문화자원’(46개소, 44.7%), ‘농림축

수산물’(44개소, 42.7%), ‘생태공간’(36개소, 35.0%)이었으며, 기타 소재는 ‘건강자료’, ‘교육

자료’, ‘폐교’, ‘자연물’, ‘자전거’ 등이었다.

원료의 수급범위(다중응답)는 ‘사업체가 위치한 시 군 내’ 64개소(36.6%), ‘사업체가 위치

한 읍 면 동 내’ 56개소(32.0%), ‘전국’ 43개소(24.6%), ‘도내’ 24개소(13.7%), ‘외국’ 4개소

변수 구분 N(%) 변수 구분 N(%)

인증

소요기간

1년 미만

1∼2년 미만

2∼3년 미만

3년 이상

70(51.9)

42(31.1)

19(14.1)

4( 2.9) 인증기준

충족 어려움*

(N=62)

취약계층 고용

취약계층 사회서비스 제공

독립 조직 구성

유급 근로자 고용

기타

21(34.4)

19(31.1)

18(29.5)

16(26.2)

13(21.3)인증과정

불편함*

행정절차가 복잡함

인증기준 충족

인증신청정보 미흡

기타

101(63.5)

62(39.0)

24(15.1)

11( 6.9)

<표 6> 전통자원 활용 농촌 사회적기업의 인증 관련 어려움(N=177)

Page 14: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 이 연구의 사례 분석은 공업적 저발 전 지역이었던 전북지역에서 사회적기업

42 지역산업연구|제40권 제2호|2017.5

(2.3%) 순으로 나타나, 시 군 이내의 근린 지역에서 빈번하게 원료를 수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무응답으로 변수별로 사례수가 다를 수 있으며, *은 다중응답 문항임.

2. 농촌 사회적기업의 전통자원 활용

변수 구분 N(%) 변수 구분 N(%)

생산원료*

농산물(특용작물 포함)

축산물

수산물

화훼작물

목재

황토 및 점토

기타

141(81.0)

23(13.2)

22(12.6)

11( 6.3)

11( 6.3)

7( 4.0)

24(13.8)

체험 프로그램

소재*

농림축수산물 가공품

문화자원

농림축수산물

생태공간

기타

54(52.4)

46(44.7)

44(42.7)

36(35.0)

14(13.6)

원료

수급범위*

사업체가 위치한 시·군 내

사업체가 위치한 읍·면·동 내

전국

도내

외국

64(36.6)

56(32.0)

43(24.6)

24(13.7)

4( 2.3)

<표 7> 전통자원 활용 농촌 사회적기업의 자원 활용(N=177)

사회적기업

사회적목적 실현 유형

인증/지정연도

사업기간(년)

근로자 수(명)

연매출액(원) 활용 전통자원

1 일자리제공형 2013 6 7 2억 토종쑥 및 가공품2 일자리제공형 2008 11 20 19억 콩 및 가공품, 두부3 혼합형 2013 4 4 2억5천만-5억 미만 도자기, 도예4 혼합형 2013 21 10 2억5천만-5억 미만 풍물, 소리, 농악5 지역사회공헌형 2014 4 3 1억5천만 농산물, 지역 역사6 일자리제공형 2014 5 11 1억1천만 생태자원7 일자리제공형 2015 4 20 6억1천만 한과, 매실 및 가공품8 일자리제공형 2014 9 2 3억5백만 농산물, 활터9 일자리제공형 2015 4 7 5억4천만 콩, 콩나물, 토종밀 및 가공품10 일자리제공형 2014 20 6 2억 도라지 및 가공품11 지역사회공헌형 2012 10 17 28억 농축산물12 지역사회공헌형 2012 5 22 5억2천만 콩, 장류, 고택, 전통예절 콘텐츠13 일자리제공형 2013 5 1 1억 미만 목재, 서각제품14 일자리제공형 2012 10 2 1억 미만 도자기, 도예, 지역 역사15 일자리제공형 2013 2 8 1억 미만 농산물, 한과16 일자리제공형 2013 4 14 4억4천만 모시, 모시떡, 장아찌, 재래김제조법17 일자리제공형 2014 9 8 5억-10억 미만 콩, 된장, 간장18 혼합형 2008 7 16 12억3천만 농산물, 홍삼 및 가공품19 일자리제공형 2013 5 10 10억 농산물

20사회서비스

제공형2015 10 5 1억 미만 다도, 감, 양파, 전통염색, 고추장

21 일자리제공형 2014 8 10 2억5천만-5억 미만 장류, 장아찌, 팥 및 가공품

<표 8>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 및 활용 전통자원

Page 15: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 이 연구의 사례 분석은 공업적 저발 전 지역이었던 전북지역에서 사회적기업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Ⅰ홍서연․윤순덕․김경희 43

심층면접조사를 통해 조사한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활용 전통자원을 <표 8>

과 같이 제시하였다. 전통자원을 주요 외부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는 43개소의 농촌 사회적

기업은 근로자 수(1∼22명) 및 연매출액(1억원 미만∼55억)에서 다양한 규모였고, 3∼21년

에 걸쳐 전통자원 활용 사업을 전문적으로 수행하고 있었으며, 2008년∼2015년 사이에 사

회적기업 인증 또는 예비사회적기업 지정을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예비 기간을

포함하여 5년 동안 지속되는 인건비 지원이 종료된 사회적기업(1, 2, 11, 12, 18, 32, 35, 36)과

인증 조기 종료를 계획하고 있는 사회적기업(16)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는 인건비 지원

이 종료된 후 사업을 접거나 도산하는 농촌 소재 사회적기업이 적지 않다는 점을 감안할

때 주목할 만하다.

전통자원 활용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전통자원의 유형을 구분하였다. 유형분류 체계를

위한 전제는, 전통자원의 활용이 유·무형이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는 점이었다. 예를

들어 사회적기업 2의 전통자원 활용은 콩과 두부라는 유형의 자원임과 동시에 재래식 두

부제조법이라는 무형의 지식자원이기도 하다. 사회적기업 12가 활용하는 고택은 일차적

으로는 유형의 자원이지만 각 부분의 기능에 따른 다양한 생활문화, 가옥을 건축하고 거주

한 사람들의 역사와 같은 무형의 자원과 결합되어 있다(이해준, 2011). 이에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

사회적목적 실현 유형

인증/지정연도

사업기간(년)

근로자 수(명)

연매출액(원) 활용 전통자원

22 일자리제공형 2014 3 7 1억-2억5천만 미만 쪽, 전통천연염색23 일자리제공형 2014 4 12 5억-10억 미만 농산물24 일자리제공형 2013 3 12 1억-2억5천만 미만 합죽선, 판소리, 사물놀이25 지역사회공헌형 2014 5 4 1억5천만 울금 및 가공품26 일자리제공형 2015 3 9 2억 농산물, 발효음료, 자염27 지역사회공헌형 2014 6 4 2억 참기름, 들기름28 일자리제공형 2014 4 8 2억5천만 농산물29 일자리제공형 2014 8 13 4억 천연염색, 인견, 쪽, 감, 양파30 기타형 2013 5 17 5억-10억 미만 농악, 공예품31 혼합형 2014 5 5 1억 미만 전통음식32 일자리제공형 2010 10 15 1억 미만 콩, 된장, 간장33 기타형 2013 3 4 1억 미만 풍물, 농악34 일자리제공형 2013 9 5 2억5천만 천연염색, 쪽, 감, 양파35 일자리제공형 2011 9 6 1억2천만 농산물36 일자리제공형 2012 14 3 1억3천만 다시마, 뽕잎, 오디, 국수

37 일자리제공형 2015 5 8 3억3백만김, 다시마, 감자, 고추, 무, 우엉,

부각·튀각, 차38 일자리제공형 2014 10 8 1억-2억5천만 전통음식39 지역사회공헌형 2012 20 17 55억 농산물40 일자리제공형 2013 7 6 10억 농축산물41 혼합형 2013 13 6 1억 콩, 된장42 일자리제공형 2013 8 1 7천만 양잠, 뽕나무, 누에43 일자리제공형 2015 4 16 15억 농산물, 산채

Page 16: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 이 연구의 사례 분석은 공업적 저발 전 지역이었던 전북지역에서 사회적기업

44 지역산업연구|제40권 제2호|2017.5

유형/무형의 분류법을 지양하고 한국전통지식자원분류(kTKRC)안(농촌진흥청, 2003)을 토

대로 자원의 기능에 따른 분류체계를 고안하고(표 9), 이에 따라 생활기술, 생업기술, 사회

생활로 나누어 분류하였다(표 10, 11, 2).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은 전통자원을 제품 차

별화와 마케팅에 활용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이었으며, 원료 또는 체험프로그램

소재로 지역 내 자원의 활용이 활발함을 고찰할 수 있었다.

구분 분류 내용

생활기

의 의재료(가공, 직조, 염색), 의복 제조, 의복 관리‧보관, 의생활 용품 등

식 식품 가공, 조리(주식류, 부식류, 떡‧과정류), 저장(건조, 절임, 냉장, 저장고 등)

주 가옥‧구조물, 주생활 용품(가구, 장식, 집기 등), 주거환경 등

의약 진단‧진맥‧처치, 의료기구, 의약용 천연물 제제, 의약용 화합물 제제 등

생업기

농업 토작업기구, 육종‧육묘‧정지‧파종‧이식, 시비‧관리‧재해방제, 수확 등

축산업 개량‧번식, 사육‧사료‧관리‧이용, 포획‧도축‧가공 등

임업 수작업기구 등

어업 개량‧번식, 사육‧관리‧이용 등

염업 제염, 작업기구 등

공예 도구‧공예품 제작 등

사회생

가정생활 조상제사, 일생의례(탄생, 혼인, 입관, 회갑, 상례) 등

공동체생활 공동체조직(두레, 계), 설화, 시장, 마을의례, 신앙 공간, 민속예술 등

국가생활 성곽, 고궁, 산성, 비, 관제, 예술 등

<표 9> 전통자원의 분류

생활기술 분야에서는 의 식 주 영역, 특히 ‘식’의 영역에서 많은 전통자원의 활용이 이

루어지고 있었으나 새로운 활용방법의 창안은 활발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의 영

역에서는 지역색이 강한 풍기인견을 천연염색에 결합하거나, 현재는 쇠퇴했으나 과거에

융성했던 지역산업인 양잠의 잔존자원을 발굴하여 활용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표 10). 생업기술 분야에서는 농업, 임업, 어업, 염업, 공예의 영역에서 활용이 나타나며 특

히 농업의 영역에서 농산물의 활용이 가장 두드러졌다. 농산물의 경우 생산성을 높이는 재

배방법 또는 부가가치를 높이는 가공방법의 개발, 토종자원을 통한 차별화, 과거 이용하지

않던 부산물 이용방법의 개발이 주요 활용방법으로 나타났다(표 11). 사회생활 분야에서는

모든 분류 범주에 걸쳐 전통자원이 활용되고 있었으며, 사회적기업의 근간을 구성하는 지

역 단체가 보유하고 있는 자원의 성격과 발굴 의지가 활용의 관건으로 나타났다(표 12).

Page 17: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 이 연구의 사례 분석은 공업적 저발 전 지역이었던 전북지역에서 사회적기업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Ⅰ홍서연․윤순덕․김경희 45

분류전통자원

활용방법의 특징유형 자원사례

양잠 양잠 지역 양잠기술 보유자를 조사하여 전통양잠을 전승‧보존‧활용

염색 천연염색전통방식의 천연염색 제품을 현대화한 의류 및 잡화 제조

발효쪽염색을 비롯한 전통염색을 활용하여 체험 운영

직조 풍기인견 천연염색으로 제품 차별화. 인견과 천연염색의 결합

두부 두부 소포제, 유화제, 보존제 대신 천연간수로 응고시키는 전통방식 고수

떡 모시떡 전통 지역산업인 모시와 지역 쌀을 활용해 모시떡 생산

음료 발효음료 조합원이 보유한 발효음료 제조 지식을 사업화

차 우엉차 등 우엉, 연근, 무 등 근채류로 차 제품 개발

부각‧튀각

부각‧튀각

산골마을 특성상 겨울 저장음식, 삼국시대 절터였던 지리적 위치로 사찰음식,

왕가 친인척 마을거주로 기름 사용의 조리법 발달

장아찌 장아찌류 텃밭에서 재배한 다양한 채소를 장아찌로 담가 농가맛집에서 활용

조리음식 전통음식 전통음식 활용 고급식당 운영 및 음식체험‧교육으로 고부가가치 창출

장 전통장류지속적인 차별화된 제품 및 지역자원(귤, 성게) 활용 된장상품 개발

소비자 신뢰를 위하여 인증획득, 마케팅, 판로개척, 체험 운영

기름 참‧들기름 자활센터가 조합원 생산 참‧들깨 수매해 가공하고, 기업은 유통‧판매

과줄 한과 공동사업화과정에서 여성노인의 보유지식‧기술을 활용하고자 한과 선택

주 전통가옥 고택 마을에 있는 세거가문의 고택을 체험교육과 숙박에 활용

<표 10> 농촌 사회적기업의 전통자원 활용 사례 및 분류 (1) 생활기술

<표 11> 농촌 사회적기업의 전통자원 활용 사례 및 분류 (2) 생업기술

분류전통자원

활용방법의 특징유형 자원사례

농업 농산물

감감따기체험, 곶감체험, 천연염색체험 및 천연염색 제품 제조에 활용

감조청, 감고추장을 만들어 체험객에게 제공

감귤감귤작황에 따라 수익이 일정하지 않아 가공사업 시작. 작황이 좋을 때 남는 것

을 냉동했다가 작황이 나쁠 때 이를 가공업체에 납품

도라지재배방법 개발로 생산성 향상. 액상차, 청, 환, 장아찌‧피클, 요리 당 등 다양한

상품 개발로 손실분 발생 해결

마늘지역특산물 육쪽마늘을 된장제조(마을사업) 시 첨가하여 제품 차별화

학교급식지원센터에 깐 마늘(전처리농산물) 납품으로 노인일자리 창출

매실 10년 전 심은 마을의 10만 그루 이상의 왕매실나무 활용

산수유 사업 확장을 위해 산수유 엑기스 등 가공사업 확대

밤 밤 줍기체험, 부산물인 밤송이 껍질을 수매하여 천연염색체험에 활용

뽕잎‧오디 양잠산업 부산물 이용 제품 개발, 지역특화산업‧지역연고육성사업과 연계

콩 조합원, 작목반 등 지역 생산자의 콩 농사 지원 및 수매

콩나물 무농약 콩나물로 제품 차별화

Page 18: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 이 연구의 사례 분석은 공업적 저발 전 지역이었던 전북지역에서 사회적기업

46 지역산업연구|제40권 제2호|2017.5

<표 12> 농촌 사회적기업의 전통자원 활용 사례 및 분류 (3) 사회생활

Ⅴ. 결 론

설문조사 결과, 전통자원을 활용하는 농촌 사회적기업은 농림축수산물 재배 생산, 가

공, 유통과 농촌체험, 숙박 운영 등의 사업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5∼10

년 미만의 사업체가 가장 높은 비율로 영업을 하고 있었다. 사회적기업육성법에 의한 사회

분류전통자원

활용방법의 특징유형 자원사례

가정

생활전통예절 전통예절 마을 종가의 예절교육을 콘텐츠화 하여 농어촌인성학교에서 교육

공동체생

지역의

역사‧문화

마을의

역사‧문화

통일신라 최북단 지역의 역사·문화자원 조사‧발굴 및 마을신문 제작

조합이 포괄하는 6개 마을의 정체성 확립과 교류, 활성화에 기여

성곽 읍성 사적으로 지정된 읍성 및 읍성에 얽힌 역사‧문화를 체험관광에 활용

농악 풍물‧농악풍물, 탈춤, 판소리, 사물놀이 공연 및 강습

지역 전통 농악 발굴‧조사

공연예술연희극 전통 연희극 및 창작 연희극 공연

무용 전통 무용 공연

국가

생활역사 활쏘기 마을에 소재한 태종의 활터에 체험장을 만들어 활쏘기체험 운영

분류전통자원

활용방법의 특징유형 자원사례

토종밀 생산자조합원이 콩 재배기간 아닌 때 앉은뱅이밀을 재배하게 하여 수매

토종쑥강화 토종쑥으로 보급된 사자발쑥의 원종인 싸주아리쑥만을 재배

3년의 자연발효건조와 지장수 사용 원칙을 지켜 제품 제조

홍삼 지역 생산 수삼을 구매해 홍삼절편, 홍삼액, 홍삼정 등으로 가공

임업 산채

고사리 마을에서 나는 친환경고사리를 수매, 1차 가공·포장하여 납품

곤드레 지역에서 생산되는 곤드레나물을 수매해서 1차 가공하여 유통

취나물 지역에서 생산되는 취나물을 수매해서 1차 가공하여 유통

어업 해초채취‧건조 재래김제조 지역출신 대표가 재래식 ‘손김체험’ 운영, 경험 있는 노인인력 활용

염업 소금생산 자염 상품화를 위해 전통 제조방식을 변형하여 항아리를 이용해 개발

공예

도예 도자기도예 체험을 중심으로 교육농장 운영

도자기 제품 제조

공예합죽선 합죽선에 작가들이 그림을 그리게 해 문화상품으로 판매

짚풀공예 새끼꼬기, 짚신 만들기 등 짚풀공예체험 운영

목공예서각공예 전통방식 현판, 주련, 경판 제작, 서각 응용 공예품 및 문화상품 개발

목제품 나무로 깎은 목제품 판매

Page 19: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 이 연구의 사례 분석은 공업적 저발 전 지역이었던 전북지역에서 사회적기업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Ⅰ홍서연․윤순덕․김경희 47

적 목적 실현 유형은 ‘일자리제공형’이 절대적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사회적 목적 실

현 활동으로도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나 일자리 창출이 현실적으

로 큰 기능을 하고 있음과 동시에, 그밖의 다양한 기능도 수행되고 있음을 고찰할 수 있었

다. 주민 참여 방법으로는 직원으로 근무가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었으며, 직원 고용

고려사항으로는 취약계층 여부가 가장 비중 있게 고려되고 있었다. 총투자액 2억 5천만∼

5억원 미만, 연매출액 1억∼2억5천만원 미만의 소규모 업체가 다수였으며, 지원 종료 후

자금조달 방안은 대표가 부담함이 가장 높게 나타나, 적극적 투자를 통한 자립을 추구하지

만 자금조달 창구가 다양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인증 소요 기간은 1년 미만이 가장 빈

번했지만 행정절차의 복잡성으로 인해 인증과정을 불편하고 어렵게 느끼는 운영자가 많

았다. 이는 인증과정이 사무 행정 능력을 갖춘 인력을 고용하기 어려운 농촌의 현실에서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생산원료로는 농산물을, 체험 프로그램의

소재로는 농림축수산물 가공품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으며, 원료의 수급 범위는 시

군 이내의 근린지역이 주요하여, 농촌 사회적기업이 지역자원의 순환에 일정한 역할을 하

고 있음이 고찰되었다.

심층면접조사 결과, 사업규모와 사업기간에서 다양한 농촌 사회적기업들이 전통자원

을 지속적, 전문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의 기능에 따른 유형 분류체

계를 고안하여 분석한 결과, 활용되고 있는 전통자원들은 생활기술, 생업기술, 사회생활

분야에 걸쳐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었으며, 특히 생활기술에서는 의 식 주 중 ‘식’의 영역

에서 빈번한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새로운 활용방법의 창안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

었고, 생업기술에서는 농산물의 활용이 두드러졌으며 재배방법 및 가공법의 개발, 토종자

원을 통한 차별화 등 혁신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온 업소에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생활 분야에서는 전통자원의 발굴 의지가 중요한 요소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역 내 전통자원을 활용하는 농촌 사회적기업이 농촌과 지역의 내

발적 발전에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사회적기업 관리 운영에 농촌 지역의 특수성으로

인한 어려움이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위하여 지원 조직과 교육 프로그램의

강화, 성과 평가 체계의 보완, 지원 방식의 다양화 등이 정책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논문투고일 ■ 논문 최종심사일 ■ 논문게재확정일

2017. 02. 182017. 05. 102017. 05. 25

Page 20: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 이 연구의 사례 분석은 공업적 저발 전 지역이었던 전북지역에서 사회적기업

48 지역산업연구|제40권 제2호|2017.5

참고문헌

강석훈 이지은(2012), “전통지식 발굴조사 방법론 구축과 지식재산권 연계 방안”, 문화정책논총,

26(2), 80-105.

고용노동부(2016), 2016년도 (예비)사회적기업 재정지원사업 업무매뉴얼.

______(2015), 2015년도 사회적기업 인증 업무매뉴얼.

______(2015), 2015년도 (예비)사회적기업 재정지원사업 업무매뉴얼.

권혁희(2014), “내셔널리즘과 ‘전통의 발명’: ‘전통의 발명’ 담론을 둘러싼 인류학의 논쟁과 민속학에

서의 포크로리즘 논의를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20(2), 95-138.

김경희(2013), “사회적 경제를 통한 지역혁신의 가능성과 한계: 마을기업과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공공사회연구, 3(2), 126-150.

김광선(2011),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유형별 특성과 발전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

서.

김광선 권인혜 김창호 오세익(2010), 농촌지역개발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기업의 발전방향과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김미희 박덕병 안윤수 전영미(2006), “세시풍속 전통지식기술의 개발가치 평가와 활용방안 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7(4), 175-197.

김미희 박덕병 안윤수 유명님 정현영(2004), “지역문화행사를 통한 전통산물 판매활성화 방안”, 한

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5(4), 127-136.

김성기 외(2014), 사회적경제의 이해와 전망, 아르케.

김정원(2008), “농촌형 사회적 일자리에 대한 사례 연구: 진안군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16(2),

3-28.

______(2009), “사회적 기업과 지역시민사회: 전북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시민과세계, 15, 187-206.

김행란 최배영 유명님 김미희 강경하(2003), “전통지식 자원의 활용실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

과학회지, 14(2), 93(106).

김희숙(2012), “안동 지역 전통 작물의 문화산업적 활용 방안”, 문화정책논총, 26(1), 201-225.

나중규 정회훈(2012), 경북지역 향토자원을 활용한 사회적기업 사업모델 개발. 대구경북연구원 보

고서.

농촌진흥청(2003), 전통지식자원 활용 실태 조사 보고서.

______(2011), 전통지식도 재산이다.

류만희(2012), “사회적기업의 지역개발 기능과 시장형성에 관한 연구: 원주 협동사회경제네트워크

를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36, 75-104.

마상진 김창호 권인혜 오세익(2010),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

원 기본연구보고서.

Page 21: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 이 연구의 사례 분석은 공업적 저발 전 지역이었던 전북지역에서 사회적기업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Ⅰ홍서연․윤순덕․김경희 49

모세종(2011), 사회적기업 지원정책 현황 및 개선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자료.

모세종 채혜영(2010), 사회적기업 관련 조사 기초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자료.

박경용(2001), “경주의 전통공예산업과 관광자원화: 경주민속공예촌을 중심으로”, 고문화, 57,

233-261.

______(2002), “문화관광축제의 ‘전통’ 창출과 관광자원화: 경주 ‘한국의 술과 떡 축제’를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5(1), 95-147.

박덕병(2003), “농촌의 내생적 발전을 위한 전통지식 개발전략”, 농촌사회, 13(2), 161-205.

박진도(2011), 순환과 공생의 지역만들기: 농촌지역의 내발전 발전의 이론과 실제, 교우사.

박진도 김태연 장종익 유정규 박창규(2009), 농어촌형 사회적기업 육성방안 연구. 농림수산식품

부 보고서.

오내원·김창호(2011),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사업모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보고서 .

오내원 김창호 권인혜(2010),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성과 평가와 지원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오내원 마상진 김광선(2010),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현황과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자료

.

오내원 마상진 김광선 김창호 권인혜(2010), 농촌지역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기업

육성방안 연구(1/2차연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유일·최혁라·김선영(2013), “농촌지역 사회적기업 활성화 방안: 전남 보성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13(11), 332-346.

윤병선·박대호·송원규·홍형석·곽재윤(2013), 괴산군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한 지역자원 조사 및 발전

방안 연구. 괴산군 보고서.

이규천 김광선(2011), 한국의 사회적기업과 농촌지역 활성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자료,

52-91.

이규천 김창호(2011),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발전을 위한 지원 및 제도 개선 방안. 한국농촌경제

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이상현(2009), “마을만들기 사업에 있어서 산촌민속과 지역 전통의 창조적 활용: 신리 ‘너와마을’ 사

례를 중심으로”, 민속연구, 18, 129-152.

이진교(2014), “상품화된 ‘전통’ 소비의 문화적 의미: ‘한국민속촌’의 사례연구”, 실천민속학연구, 23,

193-224.

이한기 박덕병 박은식(2002), “전통문화와 전통지식을 통한 농촌의 내생적 발전 요인에 관한 연구”,

농촌사회, 12(2), 51-74.

이해준(2011), “전통한옥의 활용과 기초자료정리 문제”, 역사민속학, 37, 375-396.

이해준 외(1982), 전통사회와 생활문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정기환·송미령·김태곤(2006), 농촌의 내발적 지역활성화에 관한 한·일간 비교연구: 지역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보고서.

Page 22: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 이 연구의 사례 분석은 공업적 저발 전 지역이었던 전북지역에서 사회적기업

50 지역산업연구|제40권 제2호|2017.5

하승우(2007), “한국의 지역사회와 새로운 변화전략의 필요성”, 경제와 사회, 75(3), 76-105.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15), 농촌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경제’의 역할. 제1차

KREI 현장토론회.

홉스봄(2004), 만들어진 전통, 박지향 외 옮김, 휴머니스트.

홍서연·이상영·김경희(2015), “사회적 경제의 과제와 농촌 사회적기업의 실천: 농업 연계 사회적기업

을 중심으로”, 공공사회연구, 5(3), 29-64.

홍현미라(2008), “사회적 기업의 지역사회 접근전략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지역사회자본(Community

Social Capital) 재구조화”, 사회과학논총, 23(2), 135-155.

Alver, Brynjulf(2005), “Folkloristics: the science about tradition and society”, in Alan Dundes(ed.)(2005), Folklore:

Critical Concepts in Literary and Cultural Studies, Vol. I(Abingdon: Routledge).

Ben-Amos, Dan(1984), “The Seven Strands of ‘Tradition’: Varieties in Its Meaning in American Flklore Studies”,

The Journal of Folklore Research, 21, 97-131.

Borzaga, Carlo & Jacques Defourny(eds.)(2001), The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London and N. Y.: Routledge).

Cashman, Ray et al(ed.)(2011), “Introduction: The Individual and Tradition”, in The Individual and Tradition:

Folkloristic Perspectives(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Dorson, Richard M.(2005), “Fakelore”, in Alan Dundes(ed.)(2005), Folklore: Critical Concepts in Literary and

Cultural Studies, Vol. I(Abingdon: Routledge).

Glassie, Henry(1995), “Tradition”, The Journal of American Folklore Society, 108(430), 395-412.

Handler, Richard, and Jocelyn Linnekin(1984), “Tradition, Genuine or Spurious”, Journal of American Folklore, 97,

273-290.

Nyssens, Marthe(ed.)(2006), Social Enterprise: At the crossroads of Market, Public Policies and Civil Society(London

and N. Y.: Routledge).

Sims, Martha C. & Martine Stephens(2011), Living Folklore: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People and Their

Traditions(Logan: Utah State University Press).

Trask, Haunani-Kay(1991), “Native and Anthropologists: The Colonial Struggle”, Contemporary Pacific, 3,

159-167.

Page 23: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 이 연구의 사례 분석은 공업적 저발 전 지역이었던 전북지역에서 사회적기업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Ⅰ홍서연․윤순덕․김경희 51

ABSTRACT

A Study on Current Management Status and Utilization of Traditional Resources in Rural Social Enterprises

9)10)11)Seo-Yeon Hong* · Soon-Duck Yoon** · Kyung-Hee Kim***

An urgent task for rural social enterprises is to contribute to endogenous development by means of

sustainable and self-reliant management and differentiated corporate identity. In view of endogenous

development, it is important to utilize local resources and to make circulate the economy of the

region. It is in this context that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resources is signific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analysis on the current management status and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resources in rural social enterprises. The survey shows that rural social enterprises run

business in more than two complex fields as like agriculture, food processing, distribution and green

tourism, and that their most important role is to create jobs for vulnerable social groups and to

preserve the local resources. The outcomes of this study also show that their capital supply plan after

the end of the support for the labor costs is too restricted, that the possibility of the expansion of

business is limited, and that the traditional resources is utilized in a continuous and specialized ways

without reference of business scale and period of business. Finally, the analysis show that the

innovation is important in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resources, for instance, the differentiation, the

creation of new applications, the development of methods of cultivation and processing methods.

|Key words| Social Enterprise, Rural Area, Traditional Resources, Endogenous Developement

* Postdoctoral researcher,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email protected]** Senior researcher,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email protected]*** Junior researcher,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email protected]

Page 24: 농촌 사회적기업의 운영 현황과 전통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 · 이 연구의 사례 분석은 공업적 저발 전 지역이었던 전북지역에서 사회적기업

52 지역산업연구|제40권 제2호|2017.5

1. 주저자

홍서연(Seo Yeon Hong) [email protected]

현재 국민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프랑스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

에서 문명사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전통지식, 농촌사회, 농촌경제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2. 공동저자

윤순덕(Soon-Duck Yoon) : [email protected]

현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촌환경자원과에서 농업연구관으로 재

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에서 생활과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

으며, 도시민의 농촌이주의사 결정요인, 고령농업인의 은퇴와 경영이양

의사에 관한 연구, 농촌지역 사회적 노노돌봄의 문제점 등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주요 관심분야는 귀농귀촌, 농촌 고령화와 과소화에 따른 사

회문제해결형 연구이다.

3. 공동저자

김경희(Kyung-Hee Kim) : [email protected]

현재 농촌진흥청 농업연구사로 재직중이며,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농촌 지역사회개발, 농촌체험관광, 전통자

원 활용 콘텐츠 개발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