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방향 · 2018-02-06 · –지역내 2-3차 의료기관과의...

20
국가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방향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장 정 은 경

Transcript of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방향 · 2018-02-06 · –지역내 2-3차 의료기관과의...

Page 1: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방향 · 2018-02-06 · –지역내 2-3차 의료기관과의 연계 –지역사회 자원 연계 활성화 방안 등 검토 –등록 및 교육관리를

국가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방향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장

정 은 경

Page 2: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방향 · 2018-02-06 · –지역내 2-3차 의료기관과의 연계 –지역사회 자원 연계 활성화 방안 등 검토 –등록 및 교육관리를

I. 배경 및 현황 : 왜 만성질환 인가?

II. 만성질환 예방관리 추진 전략

III. 주요 정책 방향

목차

Page 3: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방향 · 2018-02-06 · –지역내 2-3차 의료기관과의 연계 –지역사회 자원 연계 활성화 방안 등 검토 –등록 및 교육관리를

I. 배경 및 현황 : 왜 만성질환인가?

Page 4: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방향 · 2018-02-06 · –지역내 2-3차 의료기관과의 연계 –지역사회 자원 연계 활성화 방안 등 검토 –등록 및 교육관리를

왜 만성질환 인가?

• 비감염성질환(만성질환)이 더 이상 보건의료만의 문제가 아

닌 사회경제적 발전을 저해하는 주요 개발의제로 대두

• 전 세계적으로 감염성 질환 보다

비감염성질환으로 인한 질병

부담이 높은 상황

– 비감염성질환 사망 3,800만명

(전 세계 사망의 64%)

• 만성질환은 경제적 생산성 등 사회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중

대한 요인이며,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요인 – 만성질환으로 인한 노동력과 자본 손실은 전 세계 GDP의 5% (World Economic Forum, ’10)

178

539

73

0

200

400

600

십만명당 사망 수

감염성질환

비감염성질환

손상

▲ NCD Country profiles. World Health Statistics 2014. WHO

Page 5: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방향 · 2018-02-06 · –지역내 2-3차 의료기관과의 연계 –지역사회 자원 연계 활성화 방안 등 검토 –등록 및 교육관리를

왜 만성질환 인가?

• (UN) 비감염성 질환의 예방·관리에 대한 유엔총회 고위급

회의 정치적 선언

– 만성질환 문제를 21세기 주요 개발의제로 공인

– 만성질환 예방관리 국가적 정책 수립 및 성과지표 관리 촉구

• (WHO) 만성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글로벌

액션플랜 2013-2020 개발

– 9개의 자발적 목표치 선정

– 비용-효과적인 만성질환 중재 방안 제안

Page 6: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방향 · 2018-02-06 · –지역내 2-3차 의료기관과의 연계 –지역사회 자원 연계 활성화 방안 등 검토 –등록 및 교육관리를

만성질환 현황

• 그 간의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사업으로 소기의 성과 관찰 – 건강증진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 조성 및 국가적 차원의 조사감시체계 구축

등 만성질환 예방관리사업 기반 구축 측면의 성과 관찰

• 소기의 성과에도 불구, 여전히 만성질환의 질병 부담 높음

순위 사망원인 사망자수 구성비(%)

1 악성신생물(암) 75,334 28.3

2 뇌혈관질환 25,447 9.6

3 심장질환 25,365 9.5

4 고의적 자해(자살) 14,427 5.4

5 당뇨병 10,888 4.1

6 폐렴 10,809 4.1

7 만성하기도질환 7,074 2.7

8 간질환 6,665 2.5

9 운수사고 6,028 2.3

10 고혈압성 질환 4,732 1.8

사망원인 상위 10위 중 7개가 만성질환

통계청. 사망원인 2013 (단위: 인구10만명 표준화)

전체사망의 81% 차지

통계청. 사망원인 2013 (단위: 인구10만명 표준화)

당뇨병, 뇌혈관질환 사망률: OECD 평균보다 높음

통계청. 사망원인 2013 (단위: 인구10만명 표준화)

Page 7: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방향 · 2018-02-06 · –지역내 2-3차 의료기관과의 연계 –지역사회 자원 연계 활성화 방안 등 검토 –등록 및 교육관리를

II. 만성질환 예방관리 기본 전략

Page 8: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방향 · 2018-02-06 · –지역내 2-3차 의료기관과의 연계 –지역사회 자원 연계 활성화 방안 등 검토 –등록 및 교육관리를

대상 질환

• 질병부담이 가장 높은 4개 만성질환을 지정, 중재 권고(WHO)

- 이들 만성질환은 위험인자와 선행 단계의 질환을 공유하므로

공통의 전략으로 대응 가능

* 흡연, 비만, 고혈압 등의 위험요인을 조절하면 만성질환의 80%는 예방 가능

․ 흡연

․ 음주

․ 나쁜 식습관

․ 신체활동 부족

․ 고혈압

․ 이상지혈증

․ 비만

․ 당뇨병 전단계

․ 심뇌혈관질환

․ 당뇨병

․ 만성호흡기질환

․ 암

생활습관 위험요인 선행단계(고위험군) 4개 주요 만성질환

Page 9: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방향 · 2018-02-06 · –지역내 2-3차 의료기관과의 연계 –지역사회 자원 연계 활성화 방안 등 검토 –등록 및 교육관리를

만성질환 예방관리 기본 전략

• 만성질환의 특성에 맞는 보다 효과적인 전략 필요

질환별 수직적,

분과별 서비스

질환 이환 후

관리에 집중

획일적, 일방적

만성질환 관리

공통의 위험요인·선행질환 관리

1-2-3차 서비스의 유기성 확보

질환 발생 억제 및 조기발견 등

사전 예방적 서비스

개인의 위험요인 고려

환자의 자가관리 능력 향상

현 상황 개선 방향 및 전략

Page 10: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방향 · 2018-02-06 · –지역내 2-3차 의료기관과의 연계 –지역사회 자원 연계 활성화 방안 등 검토 –등록 및 교육관리를

III. 만성질환 예방관리 주요 정책 방향

Page 11: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방향 · 2018-02-06 · –지역내 2-3차 의료기관과의 연계 –지역사회 자원 연계 활성화 방안 등 검토 –등록 및 교육관리를

주요 정책방향 : 1. 대국민 인식개선

• (현황) 만성질환의 증가 추세에도 불구, 국민들의 인지도는

일부 질환에서 여전히 낮고 잘못된 정보가 만연

• 질환에 대한 인지율 개선은

관리율 향상과 연관

만성질환에 대한 인식 개선 및 인지율 향상을 통한 질환 예방 및 적정 관리 유도

목표

▲ 주요 만성질환 유병률과 미인지율

Page 12: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방향 · 2018-02-06 · –지역내 2-3차 의료기관과의 연계 –지역사회 자원 연계 활성화 방안 등 검토 –등록 및 교육관리를

주요 정책방향 : 1. 대국민 인식개선

• 지속적인 만성질환 이슈화

– 만성질환 Factbook 지속 발간

– 대국민용 인포그래픽 등 제작 및 배포

• 집중 홍보 기간을 지정, 공동의 메시지로

지자체·민간기업 참여 합동 캠페인 진행

→ 향후 다양한 질환으로 확대

• 다양한 접점에서의 신규매체 지속발굴

• 인식 개선 사업의 효과 평가 체계화

정책방향

Page 13: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방향 · 2018-02-06 · –지역내 2-3차 의료기관과의 연계 –지역사회 자원 연계 활성화 방안 등 검토 –등록 및 교육관리를

주요 정책방향 : 2. 질환 전단계 대상 예방

• 주요 만성질환은 생활습관교정 및 위험요인 교정 등을 통해 상당부분 예방 가능

* 금연 시 허혈성심질환 유병의 40-57% 감소(Lancet. ‘04)

* 당뇨병에 대한 비만의 기여율 58% (보건사회연구원. ‘06)

• 이환 경로에서 선행질환이 기여하는 바가 큼 * 내당능장애 등 당뇨병 전단계는 1년에 약 5-10%, 10년에는 거의 대부분

2형 당뇨병으로 이환

• 많은 국가에서 고위험군을 선별하여 만성질환 예방 서비스를 연계 제공하는 것의 비용-효과성 입증

* 국가적 차원의 ‘당뇨병 예방 프로그램’ (미국 등)

치료, 합병증 관리 등 사후 대응적 접근에서 벗어나, 질병 위험이 높은 사람들을 선별·관리하여 만성질환 발생 예방

목표

Page 14: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방향 · 2018-02-06 · –지역내 2-3차 의료기관과의 연계 –지역사회 자원 연계 활성화 방안 등 검토 –등록 및 교육관리를

주요 정책방향 : 2. 질환 전단계 대상 예방

• 만성질환 전 단계 대상 만성질환 예방 프로그램 개발․운영

– 내당능장애․공복혈당장애 등의 당뇨병 전단계 또는 대사 증후군 등 만성질환 고위험군 대상으로 만성질환 예방 서비스 제공

– 국내 상황에 맞는 고위험군 대상자 선정, 근거 기반의 예방 프로그램 개발 후 국가건강검진 사후관리 등과 연계하여 제공

정책방향

당뇨병 고혈압 등 만성질환

예방

국가 건강 검진

․대사증후군 ․당뇨병 전단계 등 위험요인 보유군

․생활습관관리 ․금연서비스와의 연계 ․교육 및 상담 등 ․ICT 및 지역자원 활용

고위험군 선별 예방중재 제공

Page 15: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방향 · 2018-02-06 · –지역내 2-3차 의료기관과의 연계 –지역사회 자원 연계 활성화 방안 등 검토 –등록 및 교육관리를

주요 정책방향 : 3. 적정 관리로 중증 질환으로의 이행 방지

• 만성질환의 적정관리: 지속적·체계적·다학제적 환자 진료·상담, 환자의 자가관리 능력 향상, 합병증 검사의 시의적절성 향상 등

• 다양한 형태의 일차의료 기반 만성질환 관리 모형 운영 중

고혈압, 당뇨병 등의 적정관리 강화를 통해 심근경색, 뇌졸중 등 중증질환 단계로 이행하는 것을 방지

목표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 사업의 성과> 1. 지속치료율 개선

(고혈압) 등록 전 1년 47.3% →등록 후 2년 69.3% (당뇨병) 등록 전 1년 42.8% →등록 후 2년 60.8%

2. 고혈압 조절율 향상(등록시 71.8%→3년 후 83.9%) 3. 건강행태 개선

혈압수치 인지율 증가(전 64.9%→후 73.1%) 자가혈당검사 증가(전 45.5%→후 51.5%) 당뇨병 관리 교육 경험 증가 (전 12.5%→후 23.5%)

Page 16: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방향 · 2018-02-06 · –지역내 2-3차 의료기관과의 연계 –지역사회 자원 연계 활성화 방안 등 검토 –등록 및 교육관리를

• 시범 적용 중인 다양한 일차의료 기반 모형에 대한 효과 평가

– 교육상담 및 예방서비스 급여 제도화

– 지역내 2-3차 의료기관과의 연계

– 지역사회 자원 연계 활성화 방안 등 검토

– 등록 및 교육관리를 위한 전산 인프라 강화

– 만성질환관리 컨텐츠 개발 및 정보 플랫폼 구축

– 관련 전문인력의 양성 및 활용

– 맞춤형 자가관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등

정책방향

전국 확산 모형 개발

주요 정책방향 : 3. 적정 관리로 중증 질환으로의 이행 방지

Page 17: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방향 · 2018-02-06 · –지역내 2-3차 의료기관과의 연계 –지역사회 자원 연계 활성화 방안 등 검토 –등록 및 교육관리를

주요 정책방향 : 4. 질환별 필수 서비스 및 재활 활성화

• 질환 별 필수 서비스 개발 – (고혈압·당뇨) 망막병증, 콩팥 기능 저하 등 합병증 예방을 위한 검사 지원 및

자가 관리 가이드라인 개발

– (COPD ·천식) 가정 산소 관리 지원 서비스 개발, 호흡 재활 서비스 활성화

• 권역심뇌혈관질환․호흡기질환센터 기능 강화 – 증상 시작 후 병원도착까지의 시간 단축 및 병원 전 처치 등의 개선 등 응급의

료 서비스 전달체계에서 병원 전 단계 서비스의 강화

– 뇌졸중 지역사회 네트워크 등 심뇌혈관질환 재활 및 재발방지 체계 구축

* 병원 전․후 단계 서비스 연계, 퇴원 후 지속관리,지역 내 재활치료 서비스 의뢰

질환별 필수 서비스 및 재활 활성화를 통한 재발 및 합병증 감소

목표

Page 18: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방향 · 2018-02-06 · –지역내 2-3차 의료기관과의 연계 –지역사회 자원 연계 활성화 방안 등 검토 –등록 및 교육관리를

주요 정책방향 : 5. 근거기반의 만성질환 서비스 개발 및 제공

• 만성질환 관련 통계의 체계적 생산 및 관리 – 만성질환 주요 이슈 및 정책적 현황에 대한 Factbook 주기적 발간

– 국민건강영양조사, 지역사회건강조사, 청소년 건강조사, 각종 코호트,

공단자료 등의 연계 분석 활성화

• 효과적인 공중보건사업 및 예방서비스

근거 검토 및 창출 체계 마련 – 질병관리본부 내 ‘질병예방서비스위원회’

구성하여 예방서비스 근거 검토 및 권고

체계적인 근거 검토 과정을 통해 효과가 입증된 만성질환 예방관리 서비스 개발 및 제공

목표

Page 19: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방향 · 2018-02-06 · –지역내 2-3차 의료기관과의 연계 –지역사회 자원 연계 활성화 방안 등 검토 –등록 및 교육관리를

요약 정리

대국민 인식 개선을 통한 질환 예방 및 적정 관리 유도

- 지속적 이슈화, 다양한 접점 개발을 통한 효과 극대화

고위험군 대상 만성질환을 예방∙지연하는 전략의 도입

- 동기부여 및 생활습관변화로 이어질 수 있는 예방 중재 제공

일차의료∙지역사회 기반 당뇨병 예방 관리 강화

- 효과적인 전국 확산 모형의 개발 필요

합병증 발생∙재발 감소, 재활, 자가 관리 등

- 환자의 삶의 질 향상 및 patient centered care

근거 기반의 만성질환 예방관리 서비스 개발

-체계적인 근거 검토를 통해 효과가 검증된 사업의 도입

Page 20: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방향 · 2018-02-06 · –지역내 2-3차 의료기관과의 연계 –지역사회 자원 연계 활성화 방안 등 검토 –등록 및 교육관리를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