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원해도삶의질낮아지고일상생활복귀에어려움겪어pdf.ihalla.com/sectionpdf/20171221-73642.pdf ·...

1
기획 2017년 12월 21일 목요일 9 퇴원해도 삶의 질 낮아지고 일상생활 복귀에 어려움 겪어 <36> 중환자 치료 후 증후군 제주대학교병원 한라보 공동기획 중환자들은 오랜 간 투병을 하며 얻은 2차적 상으로 또 다른 고통을 겪도 하는데, 중환자실에서 생존한 환자 중 30~40%가 각종 장애를 경험하는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 이에 윤소희 제주대학교병원 마취통의학과 교수는 적절한 치료와 관리는 물론 이를 예방하려는 노력이 필하다고 강조한다. 사진은 제주대병원 중환자실. 윤소희 교수 술과 관련 장비들이 급속로 발전하면서 그 동안 완치가 렵던 병이 하나둘씩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있다. 하만 여전히 각 종사병 등으로 장기간 병원에서 치료 를 받는 환자들이 새롭게 발있다. 특히 중환자들이 오랜 기간 투병따른 2차적인 증 으로 인또다른 통이 수반되기한다. 제주대학교병마취통증학과 윤소희 교수도움으로 중환자들치료후 나타나는 증후군 자세히 알본다. 환자들은 대부분 반병동서적 절한 치료를 받게 된다. 그러나 간혹 중증 으로 인한 급성 악화나 심한 장기 손이 동반 된외환자 또는 수술 후 관리 등을 위환자실서 치료를 받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환자들치료는 급성기 존을 위한 치료뿐만 니라 궁극적으로 일상생활의 복귀를 목표 로 한다. 그런데 중환자실존한 환자 중 퇴원 에도 원만하게 일상생활을유하는데 어려움는 경우가 있다. 연구결과마다 다르 만 중환자실존한 환자나 보호자들 중 약 30~40%서 신체적, 정신적 혹은 인기능 장애를 경험하는 것으로 발표되있다. 중 환자 치료 후 증후군이라불리는 이러한 문 제들은 퇴원 삶의 질을 저하시키, 일상 생 활 복귀렵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 중환자 치료 후 신체능 장애 중환자 치료 후 증후군을 는 환자들은 중환 자실퇴원한후에도 수개월, 길게는 수년 동 안증속될 수 있다. 중증환 치료를 위 한 중환자서발한 전신 근력 약화 현 중환자실 획득 쇠약이라 한다. 중환 자 치료 중 진정제, 부동자세 유등으로 유발 되는 신체 쇠약은 불량한 중장기적 존률과 연 관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중환자실 획득 쇠약 퇴원 후 중장기적 예후와 관련한 주요 인자로 알져 있으며 중환자 치료 후 증후군핵심으로 80%서 2년 이, 길게는 5년 이지도 이남있는 경우가 있다. # 중환자 치료 후 인지능 장애 중환자실했던 환자들 중서 치료 전 과 비교 주집중력이나 기억력이 나빠졌다느끼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집중치료 직후대부분환자들이 인기능 저하를 보이 퇴원 게 되는 인기능저하는 단순 히 치매 등 병 전존재하던 행성 에의 한 것으로는 설명되않는다. 그렇만 중증따른 여러 요인이 인기능 손과 연관 됐을 것으로 전문들은 판단하있다. 집중치 료와 관련된 기능저하위험요인으로는 저산소증, 저혈압, 패혈증, 이혈당증, 섬망, 수 면장애 등이 있다. 적절한 진정 유와 섬망 관 리는 집중치료 이후 나타날 수 있는 인기능 문제를 예방하는 차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중환자실서 환자의의따라 수동운 동, 능동운동, 앉기, 서기, 걷기 등을 단계적으로 시행하는 조기 운동 치료는 중증따른 기능 손을 예방하는 데 있필요하 다. 신체 재은 그 자체로 뇌혈류 태를 개선 시키기능을 향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조기 운동치료는 섬망과입기간을 줄여 위험요인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 중환자 치료 후 정신과적 문제 중환자 치료 시 환자들은 호흡곤란, 통증, 기 삽관따른 불편감, 사소통의 어려움,신 체제약 및 섬망 등 극도의 신체적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불안, 초조, 공황, 불면 및 악몽 등심리적 반응을 나타내며, 섬망따른 환각, 망 정신증을 보이는 경우있다. 이러한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환자는 정신적 으로 취약퇴원 에도 장기간 속되는 정신과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만약 이러한 문제가 발할 경우 회기간 동안 치료 및 재 활의지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일상 생활복귀연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대표적 인 정신과적 문제는 우울증과 외후 스트레 스 장애이다.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중환자 의고통스러운 경험을 줄이기 위한 적절 한 진정, 통증, 및 섬망 관리와 안정적인 수면 환경을 조성하는 데노력야 한다. 이와 동 중인 환자들심리적 스트레스를 평가하, 필요시 적절한 정신심리적 지원을제 줄 필요가 있다. 또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환자의상따라 심리치료, 인행동치료 나 약물치료를 시할 수 있다. 중환자 치료 후 증후군은 증발현 시 적절 한 치료와 관리물론 중요하만 이를 예방 는 노력이 필요하다. 중환자신체 기능 개선뿐만 니라 궁극적 위한 수적인 요소로서 사, 간호사, 영양사, 약사, 물 리치료사 등으로 구성된 중환자 진료 다학제 협력과 함께 환자 및 보호자심리적 지지교육을 도움수 있다. 퇴원 이후에도 과정이 속될 수 있록 외래, 시설, 또 는 가정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적극 개발할 필요가 있다윤소희 교수는 강 조했다. 조상윤기자 [email protected] 플러스 요즘같이 찬바람이 매서워겨울떤산진미보다 따끈한 국물 한 그릇이 그 리워진다. 이 겨울 집서 즐길 수 있는 따뜻한 국물 요리를 만들보자. 두부찌개 ▷재료=배추김치 1/4포기, 두부 1/2모, 대파 1/4대, 마 늘 0.5큰술, 양파 1/2개, 멸치육수 2 컵, 참기름, 소금, 후추 약간 ▷만드는 법= ① 김치는 속을 털 3~4㎝ 크기로 썰, 양파와 대 파는 슷썰준비한다. (김치가 너무 시었을 경우한번 헹궈좋다) ②불 위냄비를 올달궈참기름을 두르김치와 양파를 넣볶는다. ③ 김치가 익투명해지면 준비한 멸치 육 수를 부자작하게 끓인다. ④찌개가 한 번 끓으면 대파와 마늘, 두부 를넣소금, 후추 등으로 간을 맞춘 후 센 불 서 바글바글 끓여낸다. 참조▷재료=참조기 3마리, 콩나물 200g, 미나리 50g, 청추 1개, 홍추 1개, 대파 1/2대, 애호 박 1/2개, 무 150g ▷양념장=멸치육수 5~6컵, 다진마늘 1큰술, 국간장 1큰술, 멸치액젓 1큰술, 맛술 1큰술, 춧가루 3큰술, 간 양파 1/2개, 새우 가루 2큰술 ▷만드는 법= ① 숙성양념장 만들기=냄비멸치육수 5~6컵을 양념장을 준다. 양념장을 약불서 5분 동안 뭉근히 끓여주면 숙성된 깊은 맛을 내줄 수 있다. ② 조기는 꼬리서 머리쪽으로 칼로 비늘 을긁제거하내장을 제거한다. 이 때 내 장 안쪽검은 막을 긁같이 제거야쓴 맛과 비린내가 나깔끔하다. ③ 무 150g을 나박하게 썬다. 애호박, 대파, 청 추, 홍추를 썰, 미나리, 콩나물을 준비한다. ④5분 동안 뭉근히 끓인 육수나박하게 썬 무를 넣는다. 무가 투명해지면손한 참조 기를 넣은 후 뚜껑을 열끓여 준다. ⑤손한 애호박, 콩나물, 청추, 홍추, 대파를 넣익힌다. 마막으로 미나리를 넣 불을 끈다. 어묵전골 ▷재료=묵 300g, 유부 5장, 당근 70g, 무 100 g, 실파 5뿌리, 물 7컵, 가쓰오부시 2큰술, 다시마 10㎝ 크기 1장, 쑥갓 약간, 소금 후춧가루 약간씩 ▷소스=간장 3큰술, 레몬즙 1큰술, 추냉이 1/2작은술, 다진 실파 1작은술 ▷만드는 법= ① 냄비다시마와 무를 큼 직하게 썰찬물을 부끓인다. 10분 끓으면 다시마를 건져내5분 정끓인다. ② 무가 물러면 건져내국물가쓰오 부시를 넣은 뒤 실온그대로 30분 정국물이 우러나록 한다. 가쓰오부시가 밑으 로 가라앉으면 체걸러 놓는다. 묵은 좋하는 것으로 준비한입 크 기로 썰꼬치꽂는다. ④ 유부는 뜨거운 물을 끼얹기름기를 뺀 다음 채를 썰놓는다. ⑤ 당근은 꽃모양 틀로 찍서 준비하파와 쑥갓은 짧게 잘라 놓는다. ⑥②국물을 다시 냄비무와 당근 을넣끓이다가 묵과 유부, 실파를 넣끓인다. 맛이 충분히 우러나면 소금과 후춧가 루로 간하쑥갓을 얹낸다. <제주대학교병원 영양집지원팀>

Transcript of 퇴원해도삶의질낮아지고일상생활복귀에어려움겪어pdf.ihalla.com/sectionpdf/20171221-73642.pdf ·...

Page 1: 퇴원해도삶의질낮아지고일상생활복귀에어려움겪어pdf.ihalla.com/sectionpdf/20171221-73642.pdf · 2017. 12. 20. · 기획 2017년12월21일목요일 9 퇴원해도삶의질낮아지고일상생활복귀에어려움겪어

기 획 2017년 12월 21일 목요일 9

퇴원해도 삶의 질 낮아지고 일상생활 복귀에 어려움 겪어

<36> 중환자 치료 후 증후군

제주대학교병원 한라일보 공동기획

중환자들은 오랜 기간 투병을 하며 얻은 2차적 증상으로 또 다른 고통을 겪기도 하는데, 중환자실에서 생존한 환자 중 약 30~40%가 각종 장애를 경험하는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

이에 윤소희 제주대학교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는 적절한 치료와 관리는 물론 이를 예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사진은 제주대병원 중환자실.

윤소희 교수

의술과 관련 장비들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그

동안 완치가 어렵던 질병이 하나둘씩 의학의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각

종 사고나 질병 등으로 장기간 병원에서 치료

를 받는 환자들이 새롭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중환자들이 오랜 기간 투병에 따른 2차적인 증

상으로 인해 또다른 고통이 수반되기도 한다.

제주대학교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윤소희 교수의

도움으로 중환자들의 치료후 나타나는 증후군

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병원 입원 환자들은 대부분 일반병동에서 적

절한 치료를 받게 된다. 그러나 간혹 중증 질환

으로 인한 급성 악화나 심한 장기 손상이 동반

된 외상 환자 또는 수술 후 관리 등을 위해 중

환자실에서 치료를 받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환자들의 치료는 급성기 생존을 위한 치료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목표

로 한다. 그런데 중환자실에서 생존한 환자 중

퇴원 후에도 원만하게 일상생활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다. 연구결과마다 다르

지만 중환자실에서 생존한 환자나 보호자들 중

약 30~40%에서 신체적, 정신적 혹은 인지기능

의 장애를 경험하는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 중

환자 치료 후 증후군이라고 불리는 이러한 문

제들은 퇴원 후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일상 생

활 복귀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 중환자 치료 후 신체기능 장애

중환자 치료 후 증후군을 겪는 환자들은 중환

자실에서 퇴원한 후에도 수개월, 길게는 수년 동

안 증상이 지속될 수 있다. 중증질환 치료를 위

해 입원한 중환자에서 발생한 전신 근력 약화 현

상을 일컬어 중환자실 획득 쇠약이라 한다. 중환

자 치료 중 진정제, 부동자세 유지 등으로 유발

되는 신체 쇠약은 불량한 중장기적 생존률과 연

관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중환자실 획득 쇠약

은 생존 퇴원 후 중장기적 예후와 관련한 주요

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중환자 치료 후 증후군의

핵심으로 80%에서 2년 이상, 길게는 5년 이상까

지도 증상이 남아있는 경우가 있다.

# 중환자 치료 후 인지기능 장애

중환자실에 입원했던 환자들 중에서 치료 전

과 비교 주의 집중력이나 기억력이 나빠졌다고

느끼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집중치료 직후에는

거의 대부분의 환자들이 인지기능 저하를 보이

지만 퇴원 후 겪게 되는 인지기능저하는 단순

히 치매 등 병 전에 존재하던 퇴행성 질환에 의

한 것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중증질

환에 따른 여러 요인이 인지기능 손상과 연관

됐을 것으로 전문의들은 판단하고 있다. 집중치

료와 관련된 인지기능저하의 위험요인으로는

저산소증, 저혈압, 패혈증, 이상혈당증, 섬망, 수

면장애 등이 있다. 적절한 진정 유지와 섬망 관

리는 집중치료 이후 나타날 수 있는 인지기능

문제를 예방하는 일차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중환자실에서 환자의 의식 상태에 따라 수동운

동, 능동운동, 앉기, 서기, 걷기 등을 단계적으로

시행하는 조기 운동 치료는 중증질환에 따른

인지기능 손상을 예방하는 데 있어서도 필요하

다. 신체 재활은 그 자체로 뇌혈류 상태를 개선

시키고 인지기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조기 운동치료는 섬망의 발생과 입원 기간을

줄여 위험요인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 중환자 치료 후 정신과적 문제

중환자 치료 시 환자들은 호흡곤란, 통증, 기

도삽관에 따른 불편감, 의사소통의 어려움, 신

체제약 및 섬망 등 극도의 신체적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불안, 초조, 공황, 불면 및 악몽 등의

심리적 반응을 나타내며, 섬망에 따른 환각, 망

상 등의 정신증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해 환자는 정신적

으로 취약해져 퇴원 후에도 장기간 지속되는

정신과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만약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경우 회복 기간 동안 치료 및 재

활의지와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일상 생활로의

복귀를 지연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대표적

인 정신과적 문제는 우울증과 외상 후 스트레

스 장애이다.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중환자

실에서의 고통스러운 경험을 줄이기 위한 적절

한 진정, 통증, 및 섬망 관리와 안정적인 수면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노력해야 한다. 이와 동

시에 입원 중인 환자들의 심리적 스트레스를

평가하고, 필요시 적절한 정신심리적 지원을 제

공해 줄 필요가 있다. 또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

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심리치료, 인지행동치료

나 약물치료를 시도할 수 있다.

중환자 치료 후 증후군은 증상 발현 시 적절

한 치료와 관리도 물론 중요하지만 이를 예방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중환자의 신체 기능

개선뿐만 아니라 궁극적

의미의 회복을 위한 필

수적인 요소로서 의사,

간호사, 영양사, 약사, 물

리치료사 등으로 구성된

중환자 진료 다학제 팀

의 협력과 함께 환자 및

보호자의 심리적 지지와

교육을 통해 도움을 줄

수 있다. 퇴원 이후에도

재활 과정이 지속될 수 있도록 외래, 시설, 또

는 가정에서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적극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윤소희 교수는 강

조했다. 조상윤기자 [email protected]

건강 플러스

요즘같이 찬바람이 매서워지는 겨울에는 그

어떤 산해진미보다 따끈한 국물 한 그릇이 그

리워진다. 이 겨울 집에서 즐길 수 있는

따뜻한 국물 요리를 만들어 보자.

▶김치두부찌개 ▷재료=배추김치

1/4포기, 두부 1/2모, 대파 1/4대, 마

늘 0.5큰술, 양파 1/2개, 멸치육수 2

컵, 참기름, 소금, 후추 약간

▷만드는 법= ①김치는 속을 털

어 3~4㎝ 크기로 썰고, 양파와 대

파는 어슷 썰어 준비한다. (김치가

너무 시었을 경우에는 물에 한번

헹궈도 좋다)

②불 위에 냄비를 올려 달궈지면

참기름을 두르고 김치와 양파를 넣고 볶는다.

③김치가 익어 투명해지면 준비한 멸치 육

수를 부어 자작하게 끓인다.

④찌개가 한 번 끓으면 대파와 마늘, 두부

를 넣고 소금, 후추 등으로 간을 맞춘 후 센 불

에서 바글바글 끓여낸다.

▶참조기탕

▷재료=참조기 3마리, 콩나물 200g, 미나리

50g, 청고추 1개, 홍고추 1개, 대파 1/2대, 애호

박 1/2개, 무 150g

▷양념장=멸치육수 5~6컵, 다진마늘 1큰술,

국간장 1큰술, 멸치액젓 1큰술, 맛술 1큰술, 고

춧가루 3큰술, 간 양파 1/2개, 새우 가루 2큰술

▷만드는 법= ①숙성양념장 만들기=냄비에

멸치육수 5~6컵을 넣고 양념장을 풀어준다.

양념장을 약불에서 5분 동안 뭉근히 끓여주면

숙성된 깊은 맛을 내줄 수 있다.

②조기는 꼬리에서 머리쪽으로 칼로 비늘

을 긁어 제거하고 내장을 제거한다. 이 때 내

장 안쪽에 검은 막을 긁어 같이 제거해야 쓴

맛과 비린내가 나지 않고 깔끔하다.

③무 150g을 나박하게 썬다. 애호박, 대파, 청

고추, 홍고추를 썰고, 미나리, 콩나물을 준비한다.

④ 5분 동안 뭉근히 끓인 육수에 나박하게

썬 무를 넣는다. 무가 투명해지면 손질한 참조

기를 넣은 후 뚜껑을 열고 끓여 준다.

⑤손질한 애호박, 콩나물, 청고추, 홍고추,

대파를 넣고 익힌다. 마지막으로 미나리를 넣

고 불을 끈다.

▶어묵전골

▷재료=어묵 300g, 유부 5장, 당근 70g, 무 100

g, 실파 5뿌리, 물 7컵, 가쓰오부시 2큰술, 다시마

10㎝ 크기 1장, 쑥갓 약간, 소금 후춧가루 약간씩

▷소스=간장 3큰술, 레몬즙 1큰술, 고추냉이

1/2작은술, 다진 실파 1작은술

▷만드는 법= ①냄비에 다시마와 무를 큼

직하게 썰어 넣고 찬물을 부어 끓인다. 10분

정도 끓으면 다시마를 건져내고 5분 정도 더

끓인다.

②무가 물러지면 건져내고 국물에 가쓰오

부시를 넣은 뒤 실온에 그대로 30분 정도 두어

국물이 우러나도록 한다. 가쓰오부시가 밑으

로 가라앉으면 체에 걸러 놓는다.

③어묵은 좋아하는 것으로 준비해 한입 크

기로 썰어 꼬치에 꽂는다.

④유부는 뜨거운 물을 끼얹어 기름기를 뺀

다음 채를 썰어 놓는다.

⑤당근은 꽃모양 틀로 찍어서 준비하고 실

파와 쑥갓은 짧게 잘라 놓는다.

⑥②의 국물을 다시 냄비에 붓고 무와 당근

을 넣어 끓이다가 어묵과 유부, 실파를 넣고

끓인다. 맛이 충분히 우러나면 소금과 후춧가

루로 간하고 쑥갓을 얹어 낸다.

<제주대학교병원 영양집중지원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