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42
필리핀과 이집트의 군사적 종속타파에 관한 비교연구 * 백 태 열|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 강사 , 본 논문은 대표적 제 세계 국가인 필리핀과 이집트가 자국의 군사적 종속상황을 타파하는 과정과 3 결과를 비교분석한다 필리핀은 년대부터 년대 초까지 미국에 군사적으로 극심하게 의 . 1950 1990 존되었고 이집트 역시 년대 중반부터 년대 중반까지 소련으로부터 막대한 군사원조와 1950 1970 지원을 통해 예속되어 있었다 이집트와 필리핀은 소련과 미국에 군사적으로 종속되었던 공통점을 . 갖고 있다 동시에 그 후에 이 두 국가는 자생적 의지 국내적 합의 그리고 지도력의 선택과 결정 . , , 등에 의해 지배국인 소련과 미국으로부터 군사적 예속을 타파하는 경험을 갖게 된다 양국의 사례에 . 나타난 필리핀 미국과 이집트 소련의 군사적 관계는 힘의 불균형 정치의 전형을 보여준다 본 논문 - - . 을 통해 저자는 종속타파의 개념과 분석틀을 통해 필리핀과 이집트의 사례를 분석하고 평가한다 . 구와 조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 는 종속타파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필리핀과 이집트 (findings) 는 특정한 국가에 대한 과도한 의존이 군사적 경제적 사회적 문제와 반향을 일으킬 수 있으며 장기 , , 적 관점에서 국익에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이었다 또 다른 측면은 양국 모두 지배국가의 반대와 저 . 항에도 불구하고 군사적으로 예속을 탈피 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즉 자생적 종속타파를 이루었다는 . 점이며 종속국의 의지와 선택에 의해 군사적 종속을 탈피할 수 있음을 본 연구결과는 극명하게 보여 준다 필리핀과 이집트의 사례에서 나타난 주된 차이점은 전자의 경우 국내적 차원에서의 집합적 노 . 력을 통해 미국에 대한 군사적 예속을 극복하였지만 후자의 경우 그러한 국내적 노력 특히 민족주의 에 기초한 공감대와 자주권 확보의 욕구는 상대적 취약하였지만 사다트의 정치적 판단과 지도력이 종속타파의 주요한 변수가 된다. 주제어 필리핀 미국 이집트 소련 지배와피지배의 관계 군사적 종속과 타파 민족주의 : , , , , , , , 주권과 자주권의 회복 * 이 논문은 학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2004 (KRF-2004-043- B00003). 국제 지역연구 여름 15 2 2006 pp. 115 - 156

Transcript of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Page 1: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

관한13 비교연구

백태열|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본 논문은 대표적 제 세계 국가인 필리핀과 이집트가 자국의 군사적 종속상황을 타파하는 과정과 3결과를 비교분석한다 필리핀은 년대부터 년대 초까지 미국에 군사적으로 극심하게 의 1950 1990존되었고 이집트 역시 년대 중반부터 년대 중반까지 소련으로부터 막대한 군사원조와 1950 1970지원을 통해 예속되어 있었다 이집트와 필리핀은 소련과 미국에 군사적으로 종속되었던 공통점을 갖고 있다 동시에 그 후에 이 두 국가는 자생적 의지 국내적 합의 그리고 지도력의 선택과 결정 등에 의해 지배국인 소련과 미국으로부터 군사적 예속을 타파하는 경험을 갖게 된다 양국의 사례에 나타난 필리핀 미국과 이집트 소련의 군사적 관계는 힘의 불균형 정치의 전형을 보여준다 본 논문- - 을 통해 저자는 종속타파의 개념과 분석틀을 통해 필리핀과 이집트의 사례를 분석하고 평가한다 연 구와 조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 는 종속타파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필리핀과 이집트(findings)는 특정한 국가에 대한 과도한 의존이 군사적 경제적 사회적 문제와 반향을 일으킬 수 있으며 장기 적 관점에서 국익에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이었다 또 다른 측면은 양국 모두 지배국가의 반대와 저 항에도 불구하고 군사적으로 예속을 탈피 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즉 자생적 종속타파를 이루었다는 점이며 종속국의 의지와 선택에 의해 군사적 종속을 탈피할 수 있음을 본 연구결과는 극명하게 보여준다 필리핀과 이집트의 사례에서 나타난 주된 차이점은 전자의 경우 국내적 차원에서의 집합적 노 력을 통해 미국에 대한 군사적 예속을 극복하였지만 후자의 경우 그러한 국내적 노력 특히 민족주의에 기초한 공감대와 자주권 확보의 욕구는 상대적 취약하였지만 사다트의 정치적 판단과 지도력이 종속타파의 주요한 변수가 된다

주제어 필리핀 미국 이집트 소련 지배와13 피지배의13 관계 군사적13 종속과13 타파 민족주의13 13 13 13 13 13 13 13

주권과13 자주권의13 회복13

이13 논문은13 학년도13 한국학술진흥재단의13 지원에13 의하여13 연구되었음 2004 (KRF-2004-043-

B00003)

국제지역연구13 권13 호13 여름13 15 2 200613 pp 115-156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16 백태열

서13 론I

오늘날13 제 세계13 국가들의13 공통된13 관심사중의13 하나는13 강대국과의13 관계를13 3

재정립하는13 것이었다 년13 이후13 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은13 법적으로13 독립을13 1945 3

유지하고13 있지만13 현실적으로13 강대국13 혹은13 선진국과13 의존상태에13 놓여13 있다

제 세계13 국가들이13 의존하는13 영역은13 경제 외교 군사13 및13 안보 그리고13 심지어13 3

정보와13 문화13 등13 다양하다 필리핀은13 미국의13 식민지를13 경험한13 이후13 년의13 1947

군사기지협정과13 년의13 상호방위조약을13 통해13 미국에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게13 1951

되었다 그13 이후13 필리핀은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원조를13 받았고13 미국의13 해군과13

공군이13 필리핀에13 주둔하게13 되었으며13 이로13 인해13 필리핀은13 독자적이고13 독립적

인13 군사안보정책을13 추구하는데13 어려움이13 많았다 그러나13 년대13 중반에13 접 1980

어들면서13 미군기지에13 반대여론이13 비등하면서13 필리핀13 상원은13 년13 월13 미1991 9

국과의13 기지연장법안을13 부결시켰다 이와13 함께13 미국은13 미군을13 철수시켰다

이집트의13 경우13 나세르(Gamal Abdel- 가13 년13 군사쿠데타를13 통해13 Nasser) 1952

실질적13 권력을13 장악한13 이후13 소련과13 접한13 관계를13 유지하면서13 군사적으로13 의

존하기13 시작하였다 사실상1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1950 1970

군사적으로13 소련의13 영향력13 하에13 놓여13 있었다 동시에13 소련은13 중동과13 아프리

카에서13 군사적13 이익과13 미소의13 경쟁의13 우위를13 확보하기13 위한13 교두보로서13 이집

트에13 대한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그러나13 년13 월13 안와르13 사다트 1970 10

(Anwar al- 가13 새롭게13 대통령에13 취임하면서13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Sadat)

월관계를13 청산하고13 군사적13 종속에서13 탈피하려고13 시도하였다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제 세계의13 군사적13 여건과13 현실에13 비추어13 볼13 때13 독특한13 3

경험을13 가지고13 있다 왜냐하면13 양국은13 특정국가와의13 군사적13 종속상황을13 극복

할13 수13 있었기13 때문이다 과연13 이13 두13 나라의13 사례는13 어떻게13 평가될13 수13 있는가

이13 질문에13 대한13 답변과13 해석은13 다양할13 수13 있다 그러나13 이13 의문을13 보다13 체계

적이고13 이론적인13 관점에서13 분석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 따라서13 본13 논문의13 목적

은13 이집트와13 필리핀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비교분석하는데13 있다 보다13 구체적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17

으로13 말하면13 이집트-소련과13 필리핀-미국의13 군사적13 동맹관계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종속타파의13 원인과13 과정 그리고13 정치적13 의미를13 분석하고13 평가하고자13 한다

이13 논문의13 원활한13 수행을13 위해13 저자는13 다음과13 같이13 가지13 세부적13 문제를13 제4

기한다

bull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원인과13 배경은13 무엇인가

bull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영역과13 분야는13 무엇인가

bull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여건 및13 정책13 등은13 무엇이

며13 어떠한13 전개과정을13 거쳤는가

bull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공통점과13 차이점은13 각각13 무엇인

그러면13 왜13 이집트와13 필리핀인가 이13 두13 국가의13 경우13 다른13 어떤13 나라13 보다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비교적13 확연하게13 분석 평가할13 수13 있기13 때문이다 즉13 이집

트와13 필리핀의13 경우13 소련과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예속을13 벗어난13 구체적인13 사

례이다 따라서13 이13 두13 국가를13 기존의13 이론적13 분석틀에13 의해13 비교 평가하는13

것은13 의미13 있는13 작업이다 또13 다른13 중요성은13 본13 연구의13 이론적13 분석틀이다

종속타파 의13 이론을13 구체적인13 사례에13 실제적으로13 적용(Counterdependence)

시킴으로써13 본13 논문은13 이론적13 유용성과13 한계점을13 평가하는데13 있다

이론적13 분석틀II (Theoretical Framework)

이론적13 검토와13 평가13 1

본13 연구의13 핵심개념인13 종속타파는13 국제정치13 분야에서13 비교적13 생경한13 개념

이다 종속이론에13 관한13 논의는13 광범위하지만13 종속타파와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이론적13 시도는13 극도로13 미약하다 그러나13 종속타파와13 간접적인13 연결성을13

118 백태열

갖는13 이론적13 연구는13 지난13 수십13 년13 동안13 지속적으로13 존재하여13 왔다 이와13 관

련된13 이론적13 논의를13 간략하게13 검토하기로13 한다 헨델13 은13 강대 (Handel 1981)

국-약소국의13 관계는13 기본적으로13 ldquo비공식13 불평등한13 관계유형rdquo으로13 규정한다1

그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약소국은13 거의13 대부분13 강대국의13 입장을13 따르기13 때문에13

독자적13 선택과13 행동에13 제약을13 받는다고13 강조한다 슈메이커와13 스페니어

(Shoemaker and Spanier 1984 13- 는13 헨델과13 유사한13 관점에서13 강대국15) -

약소국의13 관계에13 대한13 이론적13 접근을13 시도한다 그들은13 강대국 -약소국의13 관

계를13 보호자-피보호자의13 관계(Patron- 로13 정의한다 그들Client Relationships)

의13 설명은13 보호자-피호보자의13 관계는13 기본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능력의13 현저

한13 차이에서13 기인하며13 보호자 보호국는13 피보호자피보호국에13 대해13 막대한13 ( ) ( )

영향력을13 행사한다고13 지적한다 또13 다른13 학자들의13 입장도13 유사하다 아버니

티13 (Abernethy 1984 105- 는13 지배108) -종속의13 관계(Dominant-Subordinate

의13 개념을13 사용하여13 설명을13 시도한다 그는13 지배Relationships) -종속의13 관계

의13 결과에13 초점을13 맞추어13 논의를13 전개한다 그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지배국과13 종

속국은13 다양한13 영역에서13 상호작용을13 하고13 있으며13 그13 결과는13 종속국의13 국내외

정책에13 부정적13 영향을13 미친다고13 평가한다 또13 다른13 논의는13 강대국 -약소국의13

관계를13 영향력13 이론의13 시각에13 초점을13 맞추고13 있다 루빈스타인 (Rubinstein

은13 자신의13 저서에서13 소련과13 이집트의13 관계를13 그러한13 맥락에서13 분석하1977)

고13 있다 영향력은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에13 대해13 원하고자13 하는13 것을13 획득할13

때13 명백하게13 확인된다2 그러나13 다른13 연구들은13 그러한13 타당성을13 수용하면서13

영향력13 이론은13 반드시13 강대국-약소국의13 관계에13 국한되어13 적용되는13 것이13 아니

라13 국가간의13 국력의13 편차가13 적은13 양국관계에서도13 적용될13 수13 있음을13 보여준다

(Lee and Sato 1982)3

1 Michael Handel 1981 Weak States in the International System Totowa NJ F

저자는13 영문원본을13 입수하지13 못하였기13 때문에13 번역본을13 사용하였음 번역본은13 Cass

저13 김진호13 역13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를13 Michael Handel 1995 pp 148-149985172 985173참조

2 이와13 관련하여13 Alvin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Princeton NJ

의13 를13 참조 이13 부분에서13 이론적13 논의와13 주장을13 요Princeton University Press Preface (

약하였음)

3 Chae-Jin Lee and Hideo Sat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19

지금까지13 제시된13 학자들의13 이론적13 검토를13 통해서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들의13

이론은13 일반적13 차원에서13 강대국과13 약소국의13 관계의13 실상에13 대한13 유용한13 설명

을13 제공한다는13 점이다 그러나13 가장13 취약한13 부분은13 종속국의13 입장과13 상황에

서13 충분하게13 논의를13 전개하지13 못했다는13 점이다 즉13 종속국이13 타국과의13 관계

에서13 다양한13 제약과13 어려움을13 겪는다면13 이를13 극복할13 수13 있는13 이론적13 논의가13

필요하다 몇몇13 연구들은13 그러한13 문제점을13 극복하려는13 시도를13 보인다 싱거

(Singer 1972 273- 의13 군사적13 종속에13 관한13 이론적13 접근은13 종속타파에13 309)

대한13 새로운13 지평을13 제공한다 즉13 종속국은13 종속의13 상황을13 극복하려는13 의지

와13 욕구를13 보이면서13 종속국-피종속국13 관계의13 본질을13 변화시키려고13 노력한다

그러한13 맥락에서13 존슨 은13 약소국의13 종속극복에13 관한13 전(Johnson 1986 286)

략을13 논의한다 약소국은13 강대국과13 관계를13 맺고13 있는13 과정에서13 다양한13 어려

움을13 겪고13 있는데13 이는13 궁극적으로13 ldquo진정한13 주권rdquo을13 얻기13 위한13 외교목표를13 설정하게13 되며13 약소국은13 민족자결주의의13 가치와13 규범을13 확산시키고자13 한다

는13 것이다 다시13 말하면13 이러한13 논의의13 중심은13 종속의13 극복을13 위한13 동력과13

추진력을13 암시하고13 있다 종속타파의13 이론적13 핵심을13 간단히13 요약하면13 타국의13

군사적13 예속13 하에13 있는13 약소국은13 자주권의13 손상 내정간섭 대외군사정책의13

제약 종속국의13 영향력13 증대13 등으로13 인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려는13 의지와13

욕구를13 발전시키며13 이는13 궁극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로13 연결될13 수13 있다는13 점

이다 본13 논문의13 주제에13 비추어13 볼13 때13 싱거의13 이론적13 접근이13 가장13 적절하게13

사용될13 수13 있다

그러면13 종속타파 는13 무엇인가 싱거는13 종속타파를13 (Counterdependence)

ldquo의존적이거나13 혹은13 열등한13 관계를13 동등한13 관계로13 전환시키고자13 하는13 과정에13 있는13 개인이나13 집단의13 심리적13 상태rdquo 라고13 정의한다 그의13 (Singer 1972 42)

정의는13 두13 가지13 측면을13 함축하고13 있다 첫째 종속타파는13 정적인13 개념이13 아니

라13 동적인13 개념이라는13 점이다 즉13 종속타파는13 종속된13 상황에서13 벗어나는13 과

정13 혹은13 진행을13 강조한다 둘째 종속타파는13 심리적13 상태를13 나타낸다 달리13

해석하면13 종속타파는13 의존적13 상태를13 극복하려는13 의지 욕구 그리고13 열망13 등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을13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reface

참조

120 백태열

을13 포함한다 개념적으로13 볼13 때13 종속타파는13 설명력을13 가지고13 있지만13 인식적13

상황인지13 혹은13 실제적13 극복인지13 불분명하다 그러한13 의미에서13 볼13 때13 종속타

파의13 개념은13 다소13 논쟁적일13 수13 있다 전체적인13 맥락에서13 보면13 종속타파는13 과

정과13 결과의13 두13 가지13 단계를13 모두13 포함하고13 있다고13 보는13 것이13 보다13 적절하

다4

군사적13 종속타파는13 어떻게13 정의될13 수13 있는가 싱거는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개념을13 별도로13 정의하고13 있지13 않지만13 종속타파의13 정의를13 활용하여13 개념은13 정

리될13 수13 있다 군사적13 종속타파 는13 한13 국가가13 (Military Counterdependence)

다른13 국가에13 군사적으로13 예속된13 상태에서13 이를13 극복하고13 벗어나는13 상황13 혹은13

상태로서13 정의될13 수13 있다 따라서13 군사적13 종속타파는13 예속을13 벗어나려는13 과

정과13 이를13 완전히13 실현한13 결과의13 상황을13 모두13 포함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과정과13

결과13 모두를13 검토하고13 분석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 따라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총체적인13 진행과정과13 관련하여13 싱거의13 이론적13 논거는13 본13 논문에13 상당히13 도움

이13 된다 즉13 그의13 분석틀에13 따르면13 크게13 군사적13 종속의13 원인과13 상황13 그리고13

종속의13 범위와13 내용13 등을13 통해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에13 군사적으로13 예속된13 상

황에13 대한13 평가를13 시도하고13 있다 각13 사항을13 구체적으로13 설명하면13 단계로13 3

요약된다 첫13 번째13 단계는13 한13 국가가13 군사적으로13 다른13 국가에13 의존되는13 상황

이다 이13 부분과13 관련하여13 싱거는13 제 세계의13 국가들이13 가지고13 있는13 공통된13 3

취약점13 즉13 외부로부터의13 공격과13 침략가능성 군사적13 지도력의13 부재 낮은13 경

제수준과13 이로13 인한13 국방력의13 저하13 등을13 제시하고13 있다 그러나13 싱거는13 보다13

명확한13 국내외적13 상황에13 대한13 검토와13 분석을13 결여하고13 있다 두13 번째13 단계는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와의13 군사13 안보적13 관계에서13 어떤13 부분과13 영역에13 예속되

어13 있는가에13 관한13 부분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싱거는13 비교적13 상세한13 분석틀을13

제시하고13 있으며13 이는13 본13 연구의13 이론적13 및13 방법론적13 그림을13 그리는데13 상당

히13 적합한13 것으로13 보인다 즉13 군사적13 종속의13 주된13 지표혹은13 기준는13 크게13 ( )

4 종속과13 의존은13 개념적으로13 차이가13 있다 일반적으로13 종속은13 의존보다13 예속의13 정도가13

극심한13 상황을13 의미한다 이13 논문에서13 군사적13 종속의13 개념은13 안보13 및13 국방13 부분에서13

여러13 영역이13 의존된13 상태로서13 구조적 제도적13 성격을13 의미하는13 것으로13 받아들인다

의13 번역도13 다양할13 수13 있으나13 학계에서13 일반적으로13 합의된13 용어가13 Counterdependence

없기13 때문에13 저자는13 이를13 종속타파로서13 번역한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1

다음과13 같은13 가지이다4 (Singer 1972 274-309)5

bull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조약의13 체결

bull 군사기지13 및13 주둔군인13

bull 피종속국13 으로부터의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수입13

bull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인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이러한13 구성요소들은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에13 어떤13 영역에서13 어느13 정도13 군

사적으로13 종속되어13 있는가를13 측정할13 수13 있는13 지표가13 된다 이와13 관련하여13 제

기할13 수13 한13 가지13 주장은13 군사적13 종속은13 결국13 정도의13 문제이며13 따라서13 군사적13

종속타파13 역시13 정도의13 문제가13 될13 수밖에13 없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론적13 전개

를13 고려해13 볼13 때13 본13 연구에13 적절하게13 적용될13 수13 있는13 유용성이13 있다고13 판단

된다

마지막13 단계는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누구의13 주도로13 이루어13 졌는가에13 관한13

논의이다 즉13 종속타파가13 종속국의13 주도에13 이루어졌는가 혹은13 피종속국의13

주도에13 의해13 이루어졌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13 부분과13 관련하여13 싱거는13 구체적

인13 논의와13 설명을13 제공하지13 않고13 있다 종속타파의13 전체적인13 흐름을13 정확히13

평가하기13 위하여13 그와13 관련된13 별도의13 분석틀이13 필요하다고13 생각한다 그13 내

용은13 대략13 다음과13 같다 첫째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상황이다 이13 부분은13 어

떠한13 상황과13 여건13 하에서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에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것을13 구성하는13 세부적13 상황은13 크게13 다음의13 종속대상국의13 (i)

국가안보의13 위기상황내란 외부의13 침략 전쟁 혹은13 기타13 안보상의13 위기( ) (ii)

피종속국의13 정치 외교 안보의13 이해와13 이익이13 추구 이13 경우13 다시13 해당국가와13 (

해당지역에13 대한13 이해관계로13 구분할13 수13 있다 둘째 종속타파가13 이루어지는13 )

상황과13 여건을13 상정할13 수13 있다 이13 경우13 크게13 두13 가지13 방식으로13 정리된다

ldquo자생적13 여건에13 의한13 종속타파rdquo와13 ldquo타생적13 여건에13 의한13 종속타파rdquo이며13 이를13

5 싱거는13 자신의13 저서에서13 지표13 혹은13 기준이라는13 표현보다13 연결고리 의13 표현을13 주ldquotie( )rdquo로13 사용하고13 있으나13 그의13 주장에13 나타난13 전체적인13 맥락에서13 볼13 때13 지표13 혹은13 기준의13

의미와13 유사하다

122 백태열

간단하게13 요약하면13 lt표13 1gt과13 같다

표13 종속타파의13 여건lt 1gt13

자생적13 종속타파종속국의주도( ) 타생적13 종속타파13 피종속국의13 주도( )

민족주의의13 증대주권13 및13 자주권의13 회복

피종속국의13 국내적13 변화

군사 안보13 여건의13 변화 피종속국의13 지역적 국제적13 변화

종속국의13 국내적13 변화 피종속국13 정부 지도자의13 선택과13 결정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종속국의13 의지와13 선택에13 의해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이루

어지는13 경우이다 그13 요인독립변수은13 외국주둔13 군대에13 대한13 종속국의13 강한13 ( )

거부감과13 저항감13 등이13 고조되거나13 혹은13 자주적 자립적13 국가방위에13 대한13 국

민의13 의지가13 증대되는13 요인이다 두13 번째13 요인은13 종속국의13 국내적13 여건의13 관

점에서13 볼13 때13 더13 이상13 특정13 국가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될13 수13 있는13 원인이13 소

멸된13 경우이다 따라서13 종속국은13 더13 이상의13 타국의13 국방력에13 의존하여13 자국

의13 국가방위를13 유지할13 필요가13 없다고13 판단한다 마지막13 요인은13 종속국의13 특

정한13 지도자가13 외부혹은13 타국에13 의존하는13 경우를13 더13 이상13 용납하지13 않고13 ( )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선택하고13 이를13 실행에13 옮기는13 경우이다

반면에13 타생적13 종속타파는13 종속타파의13 상황이13 피종속국의13 의지와13 주도로13

이루어지는13 경우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상황의13 반대의13 경우가13 고려될13 수13 있다

첫13 번째13 요인은13 피종속국의13 국내적13 여건이다 피종속국이13 종속국에게13 제공하

던13 군사적13 원조와13 지원을13 중단하는13 경우13 종속국과의13 관계는13 종료된다 두13 번

째13 요인은13 종속국가의13 국내적13 변화이다 피종속국은13 종속국에서13 발생한13 국내

적13 변화로13 인해13 군사적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불가능하다고13 판단하여13 양국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종료할13 수13 있다 마지막13 요인은13 피종속국의13 정부의13 판단과13 선

택이다 피종속국의13 지도자13 혹은13 정부는13 스스로의13 판단과13 선택에13 의해13 종속

국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정리하기를13 원했을13 때13 종속13 관계는13 종료된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3

접근13 및13 분석13 방법2

본13 연구의13 성격과13 주제에13 비추어13 볼13 때13 저자가13 사용하고자13 하는13 연구방법

은13 비교분석이다 구체적인13 내용은13 다음과13 같이13 요약된다 첫째 필리핀의13 對미13 군사적13 종속과13 이집트의13 소13 군사적13 종속의13 발생원인과13 상황을13 각각13 논對의한다 이를13 위해13 저자는13 군사적13 종속의13 발생원인을13 국내적13 여건과13 국제적13

여건으로13 나누어13 접근하기로13 한다 둘째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군사적으로13 어

떤13 분야에서13 구체적으로13 예속되었는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한다 이것을13 확인하기13

위한13 방법으로13 저자는13 네13 가지13 영역13 ldquo 군사원조의13 양과13 범위13 상호방(1) (2)

위조약의13 체결여부13 피종속국13 으로부터의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구매와13 수입13 (3)

그리고13 피종속국에서의13 군사훈련과13 교육(4) rdquo 등을13 중심으로13 종속의13 상황과13

실체를13 규명하고자13 한다 셋째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각각13 어떤13 상황에서13 그리

고13 어떤13 방식을13 통해서13 지배국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고13 타파했는가

에13 대한13 설명을13 시도한다 이러한13 작업을13 위해13 저자는13 양국에서13 나타난13 군사

적13 종속타파의13 움직임과13 활동에13 초점을13 맞추어13 접근하고자13 한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과13 전개에13 대한13 비교분석을13 하고

자13 한다 비교분석의13 대상은13 ldquo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의13 자생적13 종속과13 타생적13 종속에13 대한13 평가rdquo 등13 가지13 항목이며13 이러 4

한13 가지13 사항을13 중심으로13 논의한다 이러한13 논의를13 진행하는데13 있어서13 저자4

는13 필리핀의13 경우에는13 년13 이후부터13 년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영토에서13 1947 1991

떠날13 때까지의13 시기를13 다룬다 이집트의13 경우에는13 년13 나세르가13 등장한13 1952

이후부터13 년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군사적13 관계가13 사실상13 종료되었던13 시점까1976

지13 논의된다 그러나13 본13 논문과13 관련하여13 추가적13 논의가13 필요한13 경우에13 저자

는13 이러한13 시기를13 제외한13 시기에13 대해서도13 부분적으로13 논의할13 계획이다

124 백태열

필리핀과13 이집트 군사적13 종속상황과13 종속타파의13 전개III

이13 장에서는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상황에13 대한13 배경을13 먼저13 개

관하기로13 한다 우선13 저자는13 필리핀 -미국 이집트 -소련의13 일반적13 및13 군사적13

관계에13 초점을13 맞추기로13 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가13 검토된다

필리핀13 1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

필리핀은13 년13 동안의13 미국의13 식민지배에서13 벗어나13 년13 월13 일13 독립48 1946 7 4

을13 이루었다 그13 후에도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였고13 미국의13 정체

제도와13 특성을13 모방하였고13 양국의13 경제관계도13 활발하였다 전후13 그13 어느13 나

라보다도13 필리핀은13 미국적13 색체가13 강하였다 년13 월13 양국은13 군사기지협 1947 3

정 년13 월13 상호방위조약(Military Bases Agreement) 1951 8 (Mutual Security

을13 각각13 체결하였다Treaty) 6 이러한13 일련의13 조약체결로13 인해13 양국은13 군사적13

동맹관계를13 형성하게13 되었다 이러한13 배경은13 무엇인가 저자는13 미국과13 필리

핀의13 관점에서13 각각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미국의13 시각에서13 보면13 년13 종전 1945

과13 함께13 소련의13 팽창주의적13 공산화정책은13 전13 세계의13 도처에서13 발생하기13 시작

하였다 소련은13 그리스의13 내전에13 개입하였고13 중동의13 아제르바이젠에서13 친공

산정권의13 수립을13 지원하였다 특히13 년13 이후13 북한은13 소련의13 후원하에13 공 1946

산정권을13 수립하고13 있었다 이와13 같이13 년부터13 년대13 후반에13 이르는13 1945 1940

국제정세는13 냉전이13 서서히13 형성되고13 있었다 년13 월13 중화13 인민공화국 1949 10

(the Peoplersquo 의13 출범은13 미국으로13 하여금13 공산세력을13 견s Republic of China)

제하기13 위한13 필요성을13 절실히13 느꼈다 특히13 한국전쟁의13 발발로13 인해13 미국은13

6 그13 밖에도13 미국은13 일본 년 한국 년 그리고13 대만 년 과13 각각13 상호방(1951 ) (1953 ) (1954 )

위조약을13 체결하였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5

동북아뿐만13 아니라13 서남아의13 안보와13 안정의13 중요성을13 심각하게13 고려하기13 시

작하였다 그13 결과13 미국은13 아시아의13 안보역량을13 강화하고13 소련을13 중심으로13

한13 공산주의세력과13 대항할13 수13 있는13 안보체제를13 공고히13 하려는13 노력을13 가시화

하였다 그13 결과13 미국은13 년13 필리핀과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였다 미국 1951

의13 목적은13 전13 세계적으로13 확산되는13 공산주의세력의13 준동과13 움직임에13 적절하

게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아시아의13 안보이익과13 군사적13 영향력을13 구축하는13 것이었

다 냉전의13 상황에13 접어들면서13 미국은13 세력권의13 확대와13 군사적13 동맹군이13 절

실히13 필요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동안13 스페인의13 식민통치를13 받았고13 그13 후13 미국의13 식민13 지400

배를13 받았다 년13 독립을13 쟁취한13 이후13 필리핀은13 새로운13 시대를13 맞게13 되었 1947

다 전후13 필리핀대통령이었던13 마누엘13 로하스 는13 미국으로 (Manuel A Roxas)

부터13 경제원조와13 지원을13 받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제 차13 세계대전13 이후13 독립을13 2

쟁취한13 거의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필리핀은13 안보 경제3

교육 제도13 등13 여러13 부분이13 극도로13 열악한13 상황이었고13 따라서13 국가건설과정

에서13 강력한13 후원자가13 필요하였다 독립이후에도13 양국의13 관계는13 지배 -피지배

의13 종속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정착되기13 시작하였다 군사와13 안보13 부분에서의13 상

황은13 군사기지협정과13 군사원조협정으로13 확인된다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협

정을13 체결한13 배경은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요약된다 첫째 냉전의13 상황이다 1940

년대13 말13 이미13 전13 세계로13 확대된13 냉전의13 상황에서13 필리핀13 역시13 안보상의13 불안

감을13 가졌다 아시아에서의13 공산주의13 정권의13 등장과13 역내의13 불안정은13 필리핀13

지도자들로13 하여금13 미국과의13 동맹관계를13 형성할13 필요성을13 절감하였다 필리

핀은13 미국으로부터의13 군사원조를13 통해13 미약한13 국방력을13 회복하려고13 하였다

더13 나아가서13 년의13 한국전쟁과13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전쟁을13 지켜보면1950 1960

서13 필리핀13 지도자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유착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필리핀의13

안보와13 안정을13 위해서13 필요하다고13 판단하였다 둘째 필리핀의13 국내적13 여건

과13 상황이다 필리핀의13 독립과13 함께13 국내에서는13 후크 가13 조직되었다 (Huks)

이13 단체는13 사실상13 공산주의노선을13 지지하면서13 필리핀의13 팜파간 불라칸 탈

락13 등에서13 강력한13 영향력을13 가지고13 있는13 국민농민연맹(National Peasant

과13 깊게13 연결되어13 있었다Union) 7 독립13 이후13 이들의13 반란이13 일어나고13 로하스13

126 백태열

대통령은13 이를13 진압하기13 위해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적 기술적13 도움을13 받았다13

양승윤( 2003 69- 이13 반란은13 독립이후13 극심한13 분열과13 갈등을13 초래하였70)

고13 향후13 반정부집단의13 정치세력화를13 예고하고13 있었다 이러한13 점에서13 필리핀

정부는13 미국과13 군사동맹관계를13 통해서13 국내의13 소요와13 반란을13 효율적으로13 진

압할13 수13 있는13 안보체계를13 구축하는13 작업이13 필요하였다 간단히13 말하면13 냉전

의13 상황과13 국내의13 공산주의의13 준동에13 적절히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필리핀은13 미국

과의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유지해야13 하는13 절박한13 상황에13 직면하였다

년대에13 접어들면서13 막사이사이 가르시아1950 (Ramon Magsaysay) (Carlos

마카파갈 등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들은13 친미적13 Garcia) (Diodado Macapagal)

성향을13 가졌고13 이러한13 점은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이러

한13 배경에는13 여전히13 아시아에서13 냉전의13 열기가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국내의13 안보

상황도13 크게13 개선되지13 않았기13 때문으로13 풀이된다 마르코스가13 년에13 대통 1965

령에13 당선된13 이후13 미국-필리핀의13 관계는13 군사적 경제적으로13 안정된13 모습을13

보였고13 마르코스는13 집권초기에13 미국에13 대한13 일방적인13 대외관계를13 개선하기13

위하여13 다변화13 외교정책을13 추구하기도13 하였지만13 미국의13 대군사의존의13 상황

은13 크게13 변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마르코스는13 친미성향이13 강했고13 양국관계

를13 필리핀의13 외교의13 중심축으로13 삼았기13 때문이다 마르코스의13 친미적13 성향은13

필리핀의13 국내적13 상황과13 연결된다 필리핀에서13 발생한13 두13 가지13 상황을13 지적

할13 수13 있다 첫째 년에13 결성된13 신인민군대 1969 (New Peoplersquo 이다s Army)

이13 조직은13 공산주의의13 게릴라13 집단으로13 테러활동을13 통한13 사회주의의13 노선을13

확립하려는13 집단이며13 필리핀의13 마오주의13 공산당(the Maoist Communist

과13 정치적으로13 깊게13 연관되어13 있다Party) 8 둘째 년대에13 결성된13 모로13 회 1960

교해방전선 이다 이13 단계는13 사실상13 (the Moro Islamic Liberation Front) Kuk

조직의13 전신으로13 필리핀을13 회교사회로13 만들기13 위해13 투쟁하는13 집단이다 공교

롭게도13 이13 집단은13 모두13 마르코스13 대통령이13 재임하던13 시기인13 년대13 말에13 1960

결성되어13 테러13 활동을13 통한13 국내적13 상황을13 어렵게13 만들었다 마르코스의13 입

7 이13 부분에13 관해서는13 을13 참조httpwwwcomwfb2001philippines

8 이13 부분에13 관해서는13 를13 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7

장에서13 보면13 이러한13 국내적13 불안정과13 좌익13 활동은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시켰

고13 미국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불가피하였다 그13 결과13 필리핀은13 안

보분야에서13 자연스럽게13 미국에게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이들13 반13 정부단체의13

활동은13 마르코스가13 재임하고13 있는13 동안13 국내적으로13 커다란13 정치적 사회적13

도전이었고13 필리핀의13 국내안정과13 직결되어13 있었다 그러나13 필리핀의13 국내정

치적13 상황은13 년13 마르코스가13 재선되고13 계엄령을13 선포함으로써13 악화되기13 1972

시작하였다 마르코스대통령은13 국민들에13 대한13 탄압을13 강화하였다 필리핀13 국

내에서13 독재정권을13 무너뜨리고13 민주주의를13 운동을13 강화하려는13 노력은13 지속

되었지만13 미국과13 군사동맹관계를13 변화시키려는13 활동과13 노력은13 간헐적으로13

이루어졌다 마르코스13 대통령은13 미국과13 체결한13 일련의13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

조약을13 필리핀의13 대외관계의13 주축을13 이루었고13 따라서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

속상태는13 고착화되었다 간단하게13 요약하면13 필리핀이13 미국에13 군사적으로13 예

속된13 주된13 배경은13 국내안보상황의13 불확실성과13 공산주의의13 위협13 때문이었다

필리핀의13 대미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전개(2)

필리핀1) -미국의13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조약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확인할13 수13 있는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양국이13 체

결한13 일련의13 군사동맹조약이다 양국은13 년13 월에13 체결된13 군사기지협정 1947 3

과13 군사원조협정(Military Bases Agreement) (The RP-US Military Assistance

그리고13 년13 월의13 상호방위조약 을13 Agreement) 1951 8 (Mutual Defense Treaty)

각각13 체결하였다 먼저13 저자는13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체결한13 군사기지협 1947 3 14

정의13 내용을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이13 협정은13 미국이13 필리핀에13 군사기지의13 설

치 운영13 등에13 관한13 권리를13 확보할13 수13 있도록13 하였다 미국은13 클라크13 공군기

지와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및13 기타시설13 등을13 포함한13 개의13 군사시설을13 년13 동23 99

안13 무상으로13 사용할13 수13 있도록13 하였다 사실상13 미국정부는13 필리핀내의13 군사

시설에13 대한13 완전한13 통제권을13 갖게13 되었다 이13 협정은13 필리핀이13 군사안보13 부

분에서13 미국에게13 의존하게13 만든13 법적13 기초였다 필리핀의13 미13 군사적13 의존 對

을13 확인할13 수13 있는13 또13 다른13 협정은13 군사원조협정이다 이13 협정은13 군사기지협

정이13 체결된13 직후13 년13 월13 일에13 체결된13 부속협정 이1947 3 21 (Sister agreement)

128 백태열

다9 이13 협정의13 전문은13 ldquo독립13 이후13 필리핀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 그리고13 군장

비의13 구입13 등에13 대한13 필리핀13 정부의13 여망을13 고려하여13 미국13 대통령은13 공동방

위의13 문제에서13 양국의13 상호13 이익의13 관점에서13 국가안보를13 유지하기13 위하여13 필

리핀13 정부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는13 것을13 허락한다helliprdquo10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협정은13 모두13 개의13 세부적인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으며13 거의13 대부분23

의13 조항은13 필리핀에13 대한13 미국의13 군사원조에13 국한되어13 있다 보다13 상세한13 내

용을13 파악하기13 위해13 저자는13 몇몇13 조항을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동13 협정의13 제 1

조는13 ldquo상호협정에13 따라서13 미국정부는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을13 위해13 필리핀정부에게13 군사원조를13 제공할13 것13 이다helliprdquo11고13 명시되어13 있다 또13 다른13 조항은13 군

사고문단 의13 기능과13 역할에13 관한13 것이다 동13 협정(Military Advisory Group)

의13 조는13 8 ldquo군사고문단의13 기능은13 국가안보와13 관련된13 목적을13 수행하는데13 필요한13 것으로13 필리핀에13 조언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다helliprdquo12고13 적고13 있다 이러한13

점은13 필리핀이13 안보정책을13 수립하거나13 군사적13 역할을13 하는데13 있어서13 독자성

이13 크게13 훼손될13 수13 있다 일반적으로13 강대국과13 약소국의13 상호방위조약은13 약

소국의13 독립적이고13 자주적인13 대외군사정책을13 추구하는데13 있어13 제약이13 많고13

군사적13 자주권을13 종종13 훼손시킨다 따라서13 필리핀과13 미국과의13 군사원조협정

도13 같은13 맥락에서13 볼13 수13 있다 또한13 동13 협정의13 조는13 일반적인13 군사원조의13 6

내용을13 담고13 있다 이13 조항에13 따르면13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군대에게13 무기 탄

약 군사장비 전투기와13 전함13 등을13 제공하게13 된다고13 명시하고13 있다 협정의13

조는13 군사훈련지원 에13 관한13 것이다 필리핀에13 대한13 군21 (Training assistance)

사원조의13 일부로서13 선발된13 필리핀13 학생들을13 미국에13 보내13 육군 해군 그리고13

공군13 부대에서13 기술13 및13 군사훈련을13 받도록13 하는13 내용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과13 미국은13 년13 월13 일13 상호방위조약1951 8 13 (Mutual Security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전문과13 개의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Treaty) 13

9 이13 협정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 저자는13 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인쇄본을13 입수하지13 못하여13 대신에13 인터넷13 사이트의13 정보를13 인용함

10 상게서

11 상게서

12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9

이13 조약에서13 양국은13 ldquo외부의13 군사적13 전략에13 대해13 공동으로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양국의13 단결과13 공동의13 결의를13 공개적으로13 그리고13 공식적으로13 선언하면서rdquo13

개13 조항에13 합의하였다 이13 조약의13 13 조는13 외부의13 군사적13 침략에13 대해13 공동13 3

으로13 방어하기13 위한13 대응태세를13 강조하고13 있으며13 조는13 당사국중의13 한13 국가4

가13 외부의13 공격을13 받을13 경우13 이를13 자국에13 대한13 공격으로13 간주한다고13 규정함

으로써13 공동방위를13 구축하고13 있다

양국이13 체결한13 개의13 군사13 및13 방위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볼13 때13 현실적으로13 3

필리핀의13 국가안보를13 강화하고13 양국이13 공동의13 외부적13 위협에13 대응하도록13 구

성되어13 있다 그러나13 이13 조약들은13 양국의13 평등성에13 기초하고13 있기13 보다는13 필

리핀이13 일방적으로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받도록13 되어13 있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군군대의13 주둔2)

싱거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외국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시설이다 년13 양국의13 협정에13 따라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군대를13 주둔시키 1947

고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필리핀에는13 미국의13 군사방위공약을13 실천하기13

위하여13 년부터13 미군이13 주군하고13 대규모의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대1947

표적인13 군사시설은13 클라크13 공군기지(Clark Air Base in Pampanga and

수빅만13 해군기지 죤13 Tarlac) (Subic Naval Base in Bataan and Zambales)

헤이13 공군13 이착륙장 월레스13 공군13 이(John Hay Air Station in Baguio City)

착륙장 그리고13 산13 미구엘13 통신소(Wallace Air Station in La Union) (San

등이다Miguel Station in Zambales) 14 그13 외에도13 소규모의13 미국군사기지13

및13 시설은13 대략13 개이다 클라크13 공군기지는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규모15

이며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역시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해군기지이다 이러한13

미군기지와13 시설에13 주둔하고13 미국병사는13 년13 기준으로13 대략13 육군은13 1979 28

명 공군은13 명 해군은13 그리고13 해병대13 명이13 각각13 필리핀에13 주 8005 4594 786

13 이13 조약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14 이와13 관련하여13 상세한13 내용은13 다음의13 자료를13 참조바람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130 백태열

둔하였고13 전체13 미군의13 수는13 명이다13413 15 이와13 관련된13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13 기준을13 기준으로13 필리핀의13 모든13 미군기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병력은13 1988

명이다17870 16 년13 당시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의13 수는13 명의13 군인과13 1991 15000

명의13 군무원이13 주둔하고13 있었다1000

이러한13 군사기지의13 설치는13 앞서13 설명된13 양국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방위조약

에13 따른13 부수적13 결과일13 뿐이다 외군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기지의13 허용은13 종속

국의13 국방력이13 취약하다는13 반증이다 종속국은13 외국군대의13 도움이13 없이는13 자

국의13 안보상황을13 개선할13 수13 없다는13 것을13 의미하며13 이는13 군사적13 예속의13 또13 다

른13 측면이다 외국군대의13 기지와13 주둔군은13 해당국민과13 가장13 직접적인13 마찰과13

갈등을13 빚는13 부분이고13 법적 사회적 문제를13 가장13 많이13 야기시켰다

미국의13 필리핀13 무기13 공여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검증하기13 위하여13 사용되는13 또13 다른13 증거는13 군사장

비13 및13 무기의13 공여이다 피종속국은13 현실적으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자체적으

로13 개발하는데13 필요한13 기술력과13 경제력을13 결여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타국으로부

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유상으로13 혹은13 무상으로13 공여13 받는다 특히13 이러한13 무

기의13 지원으로13 인해13 보다13 심각한13 상황은13 특정한13 국가로부터13 무기지원을13 받는

다는13 점에서13 의존적13 성격을13 갖고13 있다는13 점이다 따라서13 피종속국이13 종속국

에게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하거나13 수출하지13 않을13 경우13 종속국의13 국가안보

는13 어려움을13 겪거나13 혹은13 심각한13 위험에13 직면할13 수도13 있다 필리핀의13 경우13

년대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의13 대부분을13 공여13 받았다1950 17 이

와13 관련하여13 몇13 가지13 사례를13 들어13 보기로13 한다 필리핀은13 년대13 초부터13 1950

년까지13 미국으로부터13 다양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13 받거나13 혹은13 구매1973

하였다 군사용13 비행기예를13 들면 ( Lockheed T-33 Gruman HU-16A

군사용13 선박예를13 들면 그Albatross) ( patrol boat Infantry landing craft)

리고13 장갑차 예를13 들면( M- 등이다4 Sherman) 18

15 United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p 145

16 이와13 관련된13 자료는13 김경숙13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13 참1988 10 p 76 「 」 985172 985173조

17 년대13 초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제외한13 일본 독일 호주 이탈1950 1970

리아13 등으로부터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미국의13 비중이13 압도적으로13 많았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1

필리핀13 군인의13 미국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13 4)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종속국가의13 군인13 혹은13 영관급13 장교들이13 피

종속국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러한13 지표는13 종속국의13 군인

들의13 질적13 취약성에13 기초한다 종속국의13 군인들은13 안보와13 전쟁에13 필요한13 현

대식의13 훈련과13 전투능력을13 배양하지13 못했기13 때문에13 국가안보의13 문제와13 위기

가13 발생했을13 때13 적절하게13 대처할13 수13 있는13 있는13 군사적13 능력을13 갖추고13 있지13

못하다 이러한13 측면은13 종속국의13 군사력13 하락으로13 연결된다 필리핀군인들은13

의13 프로그램의13 후원13 IMET(International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하에13 미국본토13 혹은13 미국본토이외의13 군사훈련소에서13 군사훈련13 혹은13 교육을13

받았다 자료에13 따르면13 필리핀13 군인들은13 년부터13 년까지13 명이13 1950 1968 12217

훈련을13 받았다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부터13 년13 초까(Singer 1972 301) 1950 1980

지13 대략13 의13 필리핀13 군인들이13 미국의13 재정적13 지원13 하에13 미국의13 군사학17000

교와13 훈련소에13 훈련을13 받았음을13 보여준다19

간단히13 정리하면13 앞서13 제시된13 가지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살펴13 본13 결과13 4

필리핀은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되어13 있음을13 보여준다

필리핀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13 (3)

필리핀의13 정부지도자와13 국민들이13 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상태를13 타파해야13

한다는13 목소리를13 강화한13 것은13 마르코스13 대통령의13 독재정치가13 절정에13 달했을13

때였다 그의13 탄압과13 독재정치에13 대해13 많은13 필리핀국민들이13 저항하였고13 반마

르코스의13 열기가13 확대되었다 년에13 일어난13 필리핀의13 민중의13 혁명 1986

(Peoplersquo 은13 마르코스를13 권좌에13 내쫒았다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의존s Power)

의13 타파는13 사실상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와13 궤를13 같이13 한다 마르코스에13 대한13

비판은13 민주주의를13 강하게13 염원하게13 되었고13 동시에13 그의13 정권하에서13 오래13 동

안13 유지되었던13 필리핀-미국의13 동맹관계의13 실체를13 재평가하려는13 움직임으로13

빠르게13 전환되었다 년13 월13 코라손13 아퀴노 가13 대통령 1986 2 (Corazon Aquino)

18 이와13 관련하여13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참조Stockholm 1975 Sweden SIPRI pp 17-19

19 를13 참조httpIcweb2locgovcgi-binquery

132 백태열

에13 취임하면서13 필리핀에서는13 본격적으로13 미군의13 철수문제가13 공론화되기13 시

작하였다 필리핀국민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동맹체제로부터13 발생하는13 다양한13 불

이익과13 불편을13 종식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개시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추진력 은13 무엇인가 대략13 두13 가지13 요인(Driving force)

으로13 설명된다 첫13 번째는13 민족주의이다 민족주의는13 식민지13 상태에서13 해방

과13 독립을13 쟁취하기13 위한13 이데올로기로서13 작동하였고13 독립이후13 민족주의는13

외세의13 지배와13 간섭을13 배격하기13 위한13 무기로서13 전환된다 필리핀은13 스페인과13

미국의13 식민지를13 경험하면서13 강한13 민족주의를13 발전시켰다 살바도르13 마르티

네그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13 역사는13 세(Salvador Martineg) 16

기13 초에13 시작되어13 년대13 이래13 유지되었고13 년대에는13 클라로13 렉토13 등1950 1960

에13 의해13 활성화되었다20 결국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는13 반미주의와13 강하게13 연결

되어13 있으며13 이는13 미국의13 간섭과13 영향력을13 배제하고13 자국의13 자존심을13 회복하

려는13 노력으로13 승화되었다 동시에13 민족주의의13 열기는13 필리핀국민들에게13 미

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에서13 기인하는13 지배국의13 독선과13 횡포 그리고13 내정간섭에13

대한13 저항을13 강하게13 표출할13 수13 있는13 통로를13 제공하였다 두13 번째는13 주권과13

자주권의13 회복이다 주권과13 자주권은13 민족주의와13 깊은13 연관성을13 갖고13 있다

전후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유지하는데13 있어서13 국민적13 자존

심과13 주권이13 손상되었다는13 인식을13 강하게13 갖고13 있다 에드13 가르시아 (Ed

와13 프란시스코13 네멘쯔 는13 다음과13 같이13 지적한다13 Garcia) (Francisco Nemenz)

(Garcia and Nemenz 1987 4)

독립은13 단지13 자기13 확신의13 문제가13 아니다 국가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이13 아 hellip13 니라13 자주적13 행위자로서13 인식되어야13 한다 모든13 국제회의에서13 우리의13 독립을13

확인하기13 위하여13 용기를13 갖고13 노력하여13 왔다 그러나13 우리가13 실제적인13 독립을13

갖고13 있었을13 때조차도13 우리가13 제안을13 발의해도13 제 세계의13 대표들은13 그13 뒤에는13 3

미국이13 있다는13 점을13 의심하여13 왔다 이러한13 의미에서13 필리핀은13 자국의13 땅위에

서13 거대한13 군사기지를13 유지하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으로13 보여진다

20 이러한13 주장에13 대해서는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사Salvador Martineg 1983 「 」 985172상 월 을13 참조함5 pp 45-48 98517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3

그들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체계가13 필리핀의13 대

외정책에도13 부정적13 영향을13 미쳤음을13 암시하고13 있다 국제무대에서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의식하거나13 혹은13 미국의13 정책과13 보조를13 맞출13 수밖에13 없는13 상황을13 초

래했다고13 보고13 있다 이러한13 관점에13 대해13 일부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자국의13 주권

이나13 자주권이13 어느13 정도13 훼손되었다는13 생각을13 갖고13 있는13 것으로13 보인다 동

시에13 미군철수를13 둘러싼13 필리핀13 국민의13 반감은13 미국의13 마르코스13 체제에13 대한13

옹호에서13 기인하였다는13 점도13 지적될13 수13 있다 그들은13 마르코스13 집권이후13 필

리핀의13 인권상황이13 악화되고13 독재정치가13 유지되고13 있음에13 불구하고13 미국이13

이를13 개선하기13 위한13 적절한13 역할을13 하지13 못한13 것에13 대해13 깊은13 불신과13 반감을13

갖고13 있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13 국민들이13 미군철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를13 요구

하는13 보다13 현실적인13 이유들이13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필리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으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각종13 사회적13 문제와13

갈등이다 미군이13 주둔하고13 있는13 기지주변에서13 발생되는13 각종13 범죄 현지인

과13 미군사이의13 마찰13 등은13 외국군대를13 수용하고13 있는13 필리핀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군기지에13 대한13 반감과13 저항을13 일으킬13 수13 있다 둘째 필리핀13 국내에13 설치된13

핵무기이다 년대13 초에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핵무기가13 설치한13 것으로13 알려져13 1970

있으며13 년까지13 핵무기의13 수는13 대략13 정도에13 달하였다 년을13 기준1973 260 1985

으로13 미국은13 필리핀에13 개의13 핵무기를13 설치하였으며13 그중13 개는13 반잠수227 32

함13 핵폭탄이며13 개는13 해군용13 핵무기 그리고13 그밖에13 개의13 핵폭탄이13 있80 115

는13 것으로13 알려졌다21 핵무기의13 설치와13 사용의13 목적은13 아시아13 지역의13 군사

적13 충돌이나13 전쟁이13 발발할13 경우13 사용되기13 위함이며13 어떤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

는13 필리핀의13 안보를13 위한13 것이라기보다는13 미국의13 군사적13 목적을13 위해13 설치된13

것이다 미국이13 아시아에서13 전쟁을13 수행할13 경우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핵위협에13

노출되어13 있고13 이로13 인해13 여러13 가지13 피해가13 발생할13 수13 있다고13 보고13 핵무기의13

설치와13 시설에13 민감하지13 않을13 수밖에13 없다 이러한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일차적으

로13 공격의13 목표가13 되었던13 것은13 미군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이다

21 Ronald G Simbulan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1989 Manila Philippines

와13 을13 참고 이13 책에는13 필리핀의13 미국핵무기와13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p 78

관련된13 정보와13 내용이13 상세하게13 기록되어13 있음

134 백태열

그러면13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종료시키기13 위한13 구체적인13

움직임 조치 및13 정책은13 무엇인가 마르코스가13 축출당한13 이후인13 년13 월 1986 2

부터13 년대13 초까지13 필리핀의13 국내13 상황은13 급박하게13 돌아가고13 있었다 이1990

와13 관련하여13 가장13 주목을13 끄는13 점은13 년13 월13 일13 필리핀13 상원을13 통과한13 1988 6 6

ldquo반핵병기13 법rdquo이다 이13 법안은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기지와13 군사시설 그리고13 양

국동맹관계의13 근간을13 흔들13 수13 있을13 만큼13 강력한13 내용을13 담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이13 법안의13 조는13 금지행위에13 관한13 것으로13 5 ldquo어떤13 사람도13 운송이나13 하역을13 불문하고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과13 그13 구성부분을13 필리핀13 영역내로13 가지고13

들어오거나13 또는13 소유 보유할13 수13 없다 필리핀13 군사기지13 내13 미합중국의13 기존13

군사13 설비를13 포함하여13 필리핀영역의13 상13 하 상공13 어느13 곳에서도13 본13 제 조13 4 1

항에13 해당하는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 구성부분13 및13 핵병기관련설비의13 개발 제

조 입수 실험 이용 도입 비축 보관을13 금지하며 helliprdquo22라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조항과13 함께13 다른13 조항13 역시13 필리핀에서의13 일체의13 핵무기13 개발 설치 비

축 보관 하역13 등을13 금지시키고13 있다 이13 법안의13 통과는13 필리핀 -미국의13 군사

동맹관계의13 분수령이13 된다 역시13 가장13 커다란13 시사점은13 미국은13 필리핀의13 영

토13 안에13 핵무기와13 관련된13 일체의13 접근이13 불허된다는13 점이며13 동시에13 필리핀의13

모든13 군사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가13 불가피하게13 되었다는13 점이다

년13 월13 미국과의13 군사기지협정을13 년13 연장하기13 위한13 법안이13 상원에13 1991 9 10

게류13 되었을13 때13 필리핀13 국내정세는13 극도로13 혼란스러웠다 이13 혼란의13 중심은13

미군13 기지를13 그대로13 유지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과13 법안을13 거부함으로써13 미군13 기

지를13 폐쇄해야13 한다는13 입장으로13 크게13 나뉘어져13 있었다 이13 협정의13 연장을13 찬

성하는13 집단의13 중심에는13 아키노13 대통령이13 있었다 아키노13 대통령은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쇄될13 경우13 양국관계의13 약화 경제13 투자의13 감소 그리고13 불안정

한13 국내13 상황13 등을13 크게13 우려하였다 무엇보다도13 필리핀13 정부는13 양국이13 오랫

동안13 여러13 부분에서13 구축된13 양국의13 군사적 외교적13 우호관계가13 크게13 악화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우려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13 상원은13 미국과13 협정을13 반대하는

데13 선두집단중의13 하나였다 상원의원들의13 상당수는13 민족주의13 정신이13 강한13 정

22 본13 법안의13 내용에13 관해서는13 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를13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5

치인들이었고13 미군은13 필리핀13 땅에서13 떠나가야13 한다고13 믿었다 미군기지13 임대

의13 연장13 법안의13 반대에13 대한13 보다13 구체적인13 이유는13 무엇인가 가장13 커다란13

이유는13 무엇보다도13 필리핀의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복원이었다 당시13 필리핀13

상원의원인13 아가피토13 아키노 는13 (Agapito Aquino) ldquo이13 투표는13 진정으로13 주권을13 갖고13 독립적인13 필리핀13 국민을13 위한13 것이며13 이13 투표는13 미국의13 조종끈에13 매

어진13 정치적13 청년기13 즉13 극심한13 종속을13 종식하기13 위한13 것이다rdquo23라고13 상원에

서13 역설하였다 종속타파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종속타파의13 견인적인13 메커니즘은13

이론적13 검토에서13 제시된13 것처럼13 역시13 주권의13 회복과13 민족적13 자존심의13 회복이

다 필리핀13 정치인들의13 판단과13 요구가13 대다수13 모든13 필리핀13 국민들의13 견해와13

동일하다고13 볼13 수13 없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협정13 그리고13 상

호방위조약에서13 기인하는13 다양한13 폐해를13 인식하고13 있으며13 미군은13 철수되어

야13 한다는13 공감대를13 발전시켜13 왔다는13 점은13 부인할13 수13 없다 또13 다른13 견해는13

필리핀13 정치권에서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기지사용료가13 너무13 적다는13 이유도13 제시

되고13 있다24 필리핀13 상원의13 강력한13 반대13 움직임13 속에13 아키노13 대통령은13 이13

법안을13 국민투표에13 회부하는13 방안을13 추진하였지만13 무산되고13 결국은13 미군기

지협정의13 연장법안은13 년13 월13 일13 상원에서13 대13 로13 부결되었다1991 9 16 12 11

필리핀13 상원의13 이러한13 결정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년13 미국과13 맺은13 군 1947

사기지협정은13 자동적으로13 무효화되었으며13 필리핀에서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

쇄되고13 미군이13 더13 이상13 주둔하지13 않게13 되었다 미군은13 년13 말13 이전에13 필 1992

리핀의13 영토를13 떠나도록13 권고13 받았다 이러한13 점은13 상징적인13 측면이13 강하지

만13 필리핀은1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고13 볼13 수13 있다

미국의13 반응과13 입장13 (4)

필리핀에서의13 극적인13 변화에13 대해13 미국은13 어떤13 반응을13 보였으며13 기본13 입

장은13 무엇인가 미국은13 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13 이후13 필리핀의13 민주화13 운동과13

23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아키노13 상원의원은13 미군기지문제와13 관 1991 9 16 A1

련하여13 형수이자13 대통령이었던13 코라손13 아퀴노와13 극심한13 마찰과13 갈등을13 겪었다

24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벌인13 협상에서13 미국은13 필리핀에 1991 9 11 A3

게13 수빅만13 해군기지를13 사용하는13 대가로13 일년에13 억불을13 제공하기로13 합의하였다203

136 백태열

새로운13 정권의13 창출을13 고무적으로13 평가하였다 그러나13 동시에13 워싱턴은13 그곳

에서13 미군의13 기지와13 군대의13 철수문제 그리고13 지속적인13 반미운동의13 고조13 등

에13 대해13 깊은13 우려감을13 가졌다 특히13 군사기지협정의13 연장을13 앞13 둔13 시점에서13

미국정부의13 불안감은13 증대되었다 국무장관13 조지13 슐츠 는13 미 (George Shultz)

국은13 필리핀13 관리들과13 정치인들이13 기지연장을13 승인하지13 않을13 경우13 다른13 장소

를13 물색해야13 할지13 모른다는13 입장을13 밝혔다25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국내에서13

벌어지는13 반미운동이13 궁극적으로13 미군기지의13 철폐로13 연결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크게13 우려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필리핀13 상원의13 표결이13 있기13 전에13 미국정부는13

부결가능성을13 기대하고13 있었고13 이를13 위해13 직간접적으로13 필리핀정부에13 회유

와13 압력을13 가하였다

필리핀에서의13 결정은13 미국정부를13 크게13 실망시켰지만13 기지연장을13 둘러싼13

필리핀의13 정책결정과정에13 대해13 특별한13 영향력을13 행사할13 수13 없었다 미국은13

필리핀이13 기지연장13 협정을13 원하지13 않는다면13 이를13 수용하지13 않을13 수13 없다 미

국의13 기본13 입장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연장협정을13 지속하는13 것이었다 그13 이유는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와13 미군의13 주둔은13 년이13 넘은13 동안13 아시아에서13 방어적13 40

역할을13 충실히13 하였기13 때문이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결정은13 대

략13 가지13 파급효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다고13 보았다 첫째 년대13 말에13 냉전이13 2 1980

서서히13 종식되고13 있었지만13 미국은13 아시아에서의13 군사적13 임무와13 역할이13 여전

히13 필요하였다 따라서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의13 철수는13 안보적13 공백이13 발생할13

수13 있으며13 이로13 인한13 군사적13 전략변화가13 요구되고13 있기13 때문이다 둘째는13 간

접적13 파급효과이다 필리핀의13 미군기지13 철수가13 다른13 주둔지역13 특히13 한국과13

일본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기지의13 철수로13 연결될13 수13 있는13 파급효과를13 우려하

였다 반면에13 다른13 측면에서13 보면13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다소13 위안을13 찾을13

수13 있는13 부분도13 있다 필리핀은13 결코13 미국과의13 상호방위조약13 자체를13 폐기한13

것이13 아니기13 때문에13 향후13 양국의13 군사적13 동맹관계는13 유지될13 수13 있으며13 미국

의13 군사적13 영향력도13 어느13 정도13 유효할13 것이라는13 기대감을13 가졌다

25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88 6 17 p 7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7

이집트2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3 (1)

년13 영국의13 식민지에서13 벗어난13 이집트는13 국내외적으로13 커다란13 도전에13 1952

직면하였다 국내적으로13 정치세력간의13 권력투쟁으로13 불안한13 정국이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그13 과정에서13 군사13 쿠데타를13 통해13 실질적인13 권력을13 장악한13 나세르는13

아랍사회주의를13 표방하면서13 국정을13 운영하기13 시작하였다 대외적으로13 국제사

회에는13 이미13 냉전의13 열기가13 정점에13 올랐고13 그13 여파는13 중동에도13 도달하였다

이집트를13 둘러싼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복잡하게13 얽혀가고13 있었다 이와13 관련

하여13 주목할13 부분은13 미국과13 소련은13 중동지역에서13 패권경쟁을13 격화하고13 있었

다는13 점이다 소련은13 미국을13 견제하기13 위하여13 에13 버금가는13 지역안보 NATO

체제를13 구축하려고13 하였고13 이는13 바그다드13 조약 으로13 실현되고13 (Baghdad Pact)

있었다 미국은13 이집트를13 지역안보체제에13 끌어13 들이려는13 계획을13 갖고13 이집트

에13 접근하였다 마찬가지로13 소련은13 이집트와13 접한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중동지역에서의13 교두보를13 확보할13 수13 있다고13 판단하였다 미국과13 소련은13 이집

트가13 아프리카와13 중동을13 연결하는13 지역에13 위치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전략적13 가치

를13 중시하였고13 아랍세계의13 위상13 때문에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근을13 추구하는13 것이13

중요한13 목표중의13 하나였다

나세르가13 집권13 이후13 이집트가13 당면한13 최대13 현안은13 이스라엘과13 갈등과13 분

쟁이었다 년13 월13 이스라엘군대가13 이집트13 통제지역인13 가자해협의13 군사 1955 2

시설을13 공격하면서13 명이13 사망하는13 사건이13 일어났다 이스라엘의13 공격으로13 38

인해13 양국은13 본격적인13 대립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이집트는13 이러한13 상황에13 대처

하기13 위해13 자국의13 군사력의13 증강이13 무엇보다도13 절실한13 과제였다 이집트는13

처음에13 서방측에게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으나13 거부당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시도하였다 이집트가13 소련을13 선택한13 구체적인13 배경은13 무엇인

가 무엇보다도13 나세르는13 기본적으로13 반서방주의13 성향이13 강하였고13 당시의13 국

제정세로13 볼13 때13 이스라엘을13 지원하는13 영국과13 미국13 보다는13 소련에게13 무기를13

요청하는13 것이13 적합하다고13 판단하였다 년13 이집트는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1955

138 백태열

내세운13 소련과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26 이13 무기협정을13 통해13 사실상13 이집트

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어13 가는13 계기가13 되었고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주공급자가13 되었다 그러나13 이집트는13 소련과13 상호군사조

약을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나세르가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맹관계를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기13 때문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찰스13 크레멘

스 는13 (Charles Cremeans) ldquo군사공약이13 포함되지13 않는13 한13 이집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받을13 수13 있었고13 그리고13 필요하다면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는데13

발생할13 수13 있는13 위험을13 감수할13 준비가13 되었다고13 나세르는13 항상13 주장하였다rdquo고13 지적한다 나세르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공여13 받는13 것에13 부(1963 281)

담을13 느꼈던13 것은13 분명하다 그13 이유는13 자신이13 강력한13 비동맹노선을13 표방하

였고13 따라서13 소련과13 연계를13 통해13 의존의13 상황이13 형성되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기13

때문이었다 결국13 나세르는13 적어도13 집권초기에는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

맹관계13 혹은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려고13 하지13 않았다 그러나13 이스라엘의13 군

사적13 위협13 때문에13 이집트가13 무기를13 제공받기로13 한13 결정은13 불가피한13 선택이었

다 전후13 독립을13 획득한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신생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 3

의13 국방력은13 취약하였다 따라서13 이집트의13 대외적13 여건은13 군사대국인13 소련에

게13 자연스럽게13 군사적13 도움을13 요구하게13 되고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그러면13 소련의13 이집트의13 접근배경은13 무엇인가 무엇보다도13 모스크바는13 對

전후13 중동지역에서13 미국과의13 경쟁에서13 우위를13 선점하기13 위한13 목적을13 갖고13 있

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국과의13 냉전13 구도13 하에서13 중동에서의13 영향력

을13 확보하고13 상대적으로13 미국의13 접근을13 어렵게13 하기13 위해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

근을13 시도하였다 즉13 중동에서13 가능한13 많은13 우방국13 혹은13 동맹국을13 만드는13 작

업은13 미국과13 마찬가지로13 소련의13 대외정책의13 우선순위의13 하나였다 더13 나아가

서13 소련은13 이집트뿐만13 아니라13 중동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국가에13 대해13 접한13 관

계를13 구축하고자13 하였다 이러한13 주장은13 년대를13 거치면서13 소련이13 시리 1960

아 요르단13 등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고13 일련의13 군사협정을13 체결하였다는13 사실

에13 의해13 뒷받침13 된다 년13 월13 일13 소련13 외무성은13 1955 4 16 ldquo소련은13 근동13 및13 중

26 이13 협정을13 통해13 양국은13 억불의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45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9

동지역에서13 전개되는13 상황에13 무관심한13 채13 남아13 있을13 수13 없다 그13 이유는13 그13

지역에13 있는13 외국의13 군사기지시설과13 블록화13 현상은13 소련의13 안보에13 직접적인13

연관성이13 있기13 때문이다rdquo27는13 입장을13 표명하였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친 한13 관계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이해관계를13 둘러싸고13 더욱13

발전하게13 되었다 년13 월13 나세르는13 수에즈운하에13 대한13 국유화를13 선언하 1956 7

였고13 이러한13 결정에13 대해13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13 이집트를13 공격하였다 이

로13 인해13 제 차13 중동전쟁이13 발발하였다 운하를13 둘러싼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13 그2

리고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첨예하게13 얽혀있었다 제 차13 중동전쟁은13 이집트 2 -

소련의13 관계에서13 또13 다른13 분수령이13 되었다 년13 이집트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1960

완전한13 통제와13 관리를13 위해13 소련으로부터13 에스완13 댐13 건설비용13 억13 천13 달러3 5

를13 받기로13 결정하였다 그13 후13 이집트는13 다양한13 형태의13 지원을13 소련으로13 받기13

시작하였다 년13 월13 이집트를13 방문한13 후르시초프 서기장은13 1964 5 (Khrushchev)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억13 천 백만13 불을13 융자하겠다는13 발표를13 하였다2 7 7 28

이13 비용은13 이집트가13 년부터13 추진하는13 개년13 개발계획에13 사용될13 예정이1965 5

라고13 덧붙였다 이러한13 재정적13 지원을13 통해13 이집트는13 점진적으로13 의존하였고13

의존의13 내용은13 경제원조의13 영역으로13 확대되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년13 1966 5

월13 일13 소련13 수상13 알렉세이13 코시긴 은13 카이로에서13 가11 (Aleksei M Kosygin)

진13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미국의13 베트남13 공격을13 비난하면서13 ldquo양국의13 국민은13 평화 사회적13 전진 그리고13 사회주의를13 위한13 투쟁에서13 공동13 목적과13 이념으로13

함께13 협력13 한다rdquo고13 선언하였다29 양국의13 우호관계는13 점진적으로13 확대되었다

이집트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스라엘과의13 분쟁은13 여전히13 미해결된13 채13 남아13 있었

고13 소련으로부터13 추가적인13 군사지원은13 불가피하였다

년의13 차13 중동13 전쟁혹은13 일13 전쟁에서13 이집트는13 이스라엘에게13 참패1967 3 ( 6 )

한13 후13 시나이13 반도와13 가지지구13 등을13 빼앗기게13 되었다 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

로13 하여금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더욱13 필요하게13 되었고13 결과적으로13 군

27 Alvin Z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에서13 재인용

2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4 5 25 p 1

29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6 5 11 p 2

140 백태열

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월터13 라퀘르 는13 다음과13 같이13 설 (Walter Laqueur)

명13 한다(1972 62)

일13 전쟁은13 소련6 -이집트13 관계의13 이정표를13 기록하였다 그13 전쟁은13 분실되거

나13 혹은13 파괴된13 모든13 군사13 장비를13 빨리13 대체하기13 위한13 필요성13 때문에13 소련에13

대한13 이집트의13 종속을13 극적으로13 심화시켰고13 낫세르의13 요청에13 따라13 소련군hellip13 인이13 탑승한13 SAM- 과13 2 SAM- 로13 구성된13 거대한13 미사일13 방어체계가13 13 이집트3

에13 설치되었다 소련조종사들이13 이집트내의13 개의13 공군비행장에서13 전투임무 15

를13 갖고13 전투기를13 발진시켰다

이집트는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있어서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

기13 위하여13 소련의13 군사적13 지원을13 지속적으로13 받았다 특히13 년에13 발생한13 1967

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과정에서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위해13 간접적13 방식으로13 전6

쟁에13 개입하였다 소련의13 군사고문단이13 이집트에13 상주하면서13 막후에서13 이집

트에서13 전술적 전략적13 도움을13 제공하고13 협력했을13 가능성은13 상당히13 높다 30

년13 가을에13 발생한13 나세르의13 갑작스런13 죽음과13 함께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1970

사다트는13 나세르의13 이념적 정책적13 계승자였다 따라서13 그는13 적어도13 외형적

으로13 소련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고자13 하였다 그의13 선택은13 당연하였다 일13 6

전쟁은13 휴전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전쟁은13 언제든지13 다시13 발발할13 개연성이13 높았

고13 따라서13 군사력의13 보강은13 그의13 주된13 목표였다 그는13 년13 월13 모스크바 1971 3

를13 방문하여13 소련에13 대한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다 그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1971

년13 월13 일13 양국사이의13 우호조약으로13 발전되었다 이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자리7 28

에서13 사다트는13 ldquo우리국민은13 아랍-소련의13 우정을13 소중하게13 생각하며13 그리고13 진정으로13 아랍전체13 국가들은13 이13 우정을13 우리13 정책의13 가장13 중용한13 기초중의13

하나로13 간주13 한다rdquo 고13 역설하였다 31 양국은13 년의13 유효기간을13 설정하고13 우 15

30 년13 동안13 이집트의13 군복으로13 위장한13 소련군13 조종사들이13 이집트13 영공에서13 이스라1970

엘의13 공습에13 대항하여13 공중전투에13 참여하였다 이13 부분에13 대해서13 Craig A Daigle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을13 참 8(1) March p 3

31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1 5 28 p 2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1

호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에13 어떤13 의미를13 갖고13

있는가 이와13 관련하여13 두13 가지13 사항이13 언급될13 수13 있다 첫째 이집트는13 오래13 13

동안13 공식적인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것을13 주저하였다 그것은13 특정국가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이13 나세르와13 사다트의13 정치철학에13 위배된다고13 판단하였기13 때문

이다 그러나13 나세르의13 죽음과13 완결되지13 않은13 중동전쟁의13 상황을13 고려할13 때13

다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보다13 강화할13 필요성을13 느꼈기13 때문이다

둘째 이13 조약은13 사실상13 외형적으로13 상호13 협력13 및13 우호를13 강조하고13 있지만13

조약의13 세부적13 내용을13 면 히13 검토해13 보면13 사실상13 군사원조와13 무기지원을13 포

함한13 일방적13 방위조약의13 성격이13 강하다 따라서13 향후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방위공약의13 의무를13 갖게13 되고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은13 보다13 제도적13 성격

을13 갖게13 되었다

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상황(2) 對이집트1) -소련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우호13 조약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이집트가13 군사적으로13 소련에13 예속된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년13 월13 이집트와13 1955 9

체코의13 무기매매협정에서13 찾을13 수13 있다 이13 협정은13 사실상13 소련과13 이집트사

이에13 체결된13 것으로13 소련이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내세워13 체결하였다(Cremeans

이13 협정을13 통해13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무기를13 공여하기13 시작하였고13 1963 146)

이집트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는13 계기가13 되었다 년13 월13 일13 1971 5 27

이집트와13 소련의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the Egyptian-Soviet Treaty of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년13 양국의13 무기Friendship and Cooperation) 1955

협정이후13 체결되었다 이13 조약은13 전문을13 포함하여13 모두13 개13 조항으로13 구성 12

되었다 이13 조약의13 전문은13 ldquo소련과13 이집트는13 양국의13 발전을13 촉진하고13 모든13 부분에서의13 협력을13 확고하게13 강화할13 것을13 확신하며13 양국은13 평화로운13 외hellip13 교정책의13 변함없는13 진행에13 따라서13 보다13 강력한13 국제평화와13 안보를13 위한13 투쟁

을13 지속적으로13 수행13 할13 것을13 결의하며helliprdquo32로13 되어13 있다 이13 조약은13 년13 1955

년13 양국이13 맺은13 무기협정13 보다13 여러13 부분에서13 포괄적인13 교류와13 협력을13 강조

32 Julian J Landau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참조Communications p 165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2: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116 백태열

서13 론I

오늘날13 제 세계13 국가들의13 공통된13 관심사중의13 하나는13 강대국과의13 관계를13 3

재정립하는13 것이었다 년13 이후13 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은13 법적으로13 독립을13 1945 3

유지하고13 있지만13 현실적으로13 강대국13 혹은13 선진국과13 의존상태에13 놓여13 있다

제 세계13 국가들이13 의존하는13 영역은13 경제 외교 군사13 및13 안보 그리고13 심지어13 3

정보와13 문화13 등13 다양하다 필리핀은13 미국의13 식민지를13 경험한13 이후13 년의13 1947

군사기지협정과13 년의13 상호방위조약을13 통해13 미국에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게13 1951

되었다 그13 이후13 필리핀은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원조를13 받았고13 미국의13 해군과13

공군이13 필리핀에13 주둔하게13 되었으며13 이로13 인해13 필리핀은13 독자적이고13 독립적

인13 군사안보정책을13 추구하는데13 어려움이13 많았다 그러나13 년대13 중반에13 접 1980

어들면서13 미군기지에13 반대여론이13 비등하면서13 필리핀13 상원은13 년13 월13 미1991 9

국과의13 기지연장법안을13 부결시켰다 이와13 함께13 미국은13 미군을13 철수시켰다

이집트의13 경우13 나세르(Gamal Abdel- 가13 년13 군사쿠데타를13 통해13 Nasser) 1952

실질적13 권력을13 장악한13 이후13 소련과13 접한13 관계를13 유지하면서13 군사적으로13 의

존하기13 시작하였다 사실상1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1950 1970

군사적으로13 소련의13 영향력13 하에13 놓여13 있었다 동시에13 소련은13 중동과13 아프리

카에서13 군사적13 이익과13 미소의13 경쟁의13 우위를13 확보하기13 위한13 교두보로서13 이집

트에13 대한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그러나13 년13 월13 안와르13 사다트 1970 10

(Anwar al- 가13 새롭게13 대통령에13 취임하면서13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Sadat)

월관계를13 청산하고13 군사적13 종속에서13 탈피하려고13 시도하였다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제 세계의13 군사적13 여건과13 현실에13 비추어13 볼13 때13 독특한13 3

경험을13 가지고13 있다 왜냐하면13 양국은13 특정국가와의13 군사적13 종속상황을13 극복

할13 수13 있었기13 때문이다 과연13 이13 두13 나라의13 사례는13 어떻게13 평가될13 수13 있는가

이13 질문에13 대한13 답변과13 해석은13 다양할13 수13 있다 그러나13 이13 의문을13 보다13 체계

적이고13 이론적인13 관점에서13 분석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 따라서13 본13 논문의13 목적

은13 이집트와13 필리핀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비교분석하는데13 있다 보다13 구체적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17

으로13 말하면13 이집트-소련과13 필리핀-미국의13 군사적13 동맹관계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종속타파의13 원인과13 과정 그리고13 정치적13 의미를13 분석하고13 평가하고자13 한다

이13 논문의13 원활한13 수행을13 위해13 저자는13 다음과13 같이13 가지13 세부적13 문제를13 제4

기한다

bull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원인과13 배경은13 무엇인가

bull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영역과13 분야는13 무엇인가

bull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여건 및13 정책13 등은13 무엇이

며13 어떠한13 전개과정을13 거쳤는가

bull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공통점과13 차이점은13 각각13 무엇인

그러면13 왜13 이집트와13 필리핀인가 이13 두13 국가의13 경우13 다른13 어떤13 나라13 보다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비교적13 확연하게13 분석 평가할13 수13 있기13 때문이다 즉13 이집

트와13 필리핀의13 경우13 소련과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예속을13 벗어난13 구체적인13 사

례이다 따라서13 이13 두13 국가를13 기존의13 이론적13 분석틀에13 의해13 비교 평가하는13

것은13 의미13 있는13 작업이다 또13 다른13 중요성은13 본13 연구의13 이론적13 분석틀이다

종속타파 의13 이론을13 구체적인13 사례에13 실제적으로13 적용(Counterdependence)

시킴으로써13 본13 논문은13 이론적13 유용성과13 한계점을13 평가하는데13 있다

이론적13 분석틀II (Theoretical Framework)

이론적13 검토와13 평가13 1

본13 연구의13 핵심개념인13 종속타파는13 국제정치13 분야에서13 비교적13 생경한13 개념

이다 종속이론에13 관한13 논의는13 광범위하지만13 종속타파와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이론적13 시도는13 극도로13 미약하다 그러나13 종속타파와13 간접적인13 연결성을13

118 백태열

갖는13 이론적13 연구는13 지난13 수십13 년13 동안13 지속적으로13 존재하여13 왔다 이와13 관

련된13 이론적13 논의를13 간략하게13 검토하기로13 한다 헨델13 은13 강대 (Handel 1981)

국-약소국의13 관계는13 기본적으로13 ldquo비공식13 불평등한13 관계유형rdquo으로13 규정한다1

그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약소국은13 거의13 대부분13 강대국의13 입장을13 따르기13 때문에13

독자적13 선택과13 행동에13 제약을13 받는다고13 강조한다 슈메이커와13 스페니어

(Shoemaker and Spanier 1984 13- 는13 헨델과13 유사한13 관점에서13 강대국15) -

약소국의13 관계에13 대한13 이론적13 접근을13 시도한다 그들은13 강대국 -약소국의13 관

계를13 보호자-피보호자의13 관계(Patron- 로13 정의한다 그들Client Relationships)

의13 설명은13 보호자-피호보자의13 관계는13 기본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능력의13 현저

한13 차이에서13 기인하며13 보호자 보호국는13 피보호자피보호국에13 대해13 막대한13 ( ) ( )

영향력을13 행사한다고13 지적한다 또13 다른13 학자들의13 입장도13 유사하다 아버니

티13 (Abernethy 1984 105- 는13 지배108) -종속의13 관계(Dominant-Subordinate

의13 개념을13 사용하여13 설명을13 시도한다 그는13 지배Relationships) -종속의13 관계

의13 결과에13 초점을13 맞추어13 논의를13 전개한다 그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지배국과13 종

속국은13 다양한13 영역에서13 상호작용을13 하고13 있으며13 그13 결과는13 종속국의13 국내외

정책에13 부정적13 영향을13 미친다고13 평가한다 또13 다른13 논의는13 강대국 -약소국의13

관계를13 영향력13 이론의13 시각에13 초점을13 맞추고13 있다 루빈스타인 (Rubinstein

은13 자신의13 저서에서13 소련과13 이집트의13 관계를13 그러한13 맥락에서13 분석하1977)

고13 있다 영향력은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에13 대해13 원하고자13 하는13 것을13 획득할13

때13 명백하게13 확인된다2 그러나13 다른13 연구들은13 그러한13 타당성을13 수용하면서13

영향력13 이론은13 반드시13 강대국-약소국의13 관계에13 국한되어13 적용되는13 것이13 아니

라13 국가간의13 국력의13 편차가13 적은13 양국관계에서도13 적용될13 수13 있음을13 보여준다

(Lee and Sato 1982)3

1 Michael Handel 1981 Weak States in the International System Totowa NJ F

저자는13 영문원본을13 입수하지13 못하였기13 때문에13 번역본을13 사용하였음 번역본은13 Cass

저13 김진호13 역13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를13 Michael Handel 1995 pp 148-149985172 985173참조

2 이와13 관련하여13 Alvin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Princeton NJ

의13 를13 참조 이13 부분에서13 이론적13 논의와13 주장을13 요Princeton University Press Preface (

약하였음)

3 Chae-Jin Lee and Hideo Sat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19

지금까지13 제시된13 학자들의13 이론적13 검토를13 통해서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들의13

이론은13 일반적13 차원에서13 강대국과13 약소국의13 관계의13 실상에13 대한13 유용한13 설명

을13 제공한다는13 점이다 그러나13 가장13 취약한13 부분은13 종속국의13 입장과13 상황에

서13 충분하게13 논의를13 전개하지13 못했다는13 점이다 즉13 종속국이13 타국과의13 관계

에서13 다양한13 제약과13 어려움을13 겪는다면13 이를13 극복할13 수13 있는13 이론적13 논의가13

필요하다 몇몇13 연구들은13 그러한13 문제점을13 극복하려는13 시도를13 보인다 싱거

(Singer 1972 273- 의13 군사적13 종속에13 관한13 이론적13 접근은13 종속타파에13 309)

대한13 새로운13 지평을13 제공한다 즉13 종속국은13 종속의13 상황을13 극복하려는13 의지

와13 욕구를13 보이면서13 종속국-피종속국13 관계의13 본질을13 변화시키려고13 노력한다

그러한13 맥락에서13 존슨 은13 약소국의13 종속극복에13 관한13 전(Johnson 1986 286)

략을13 논의한다 약소국은13 강대국과13 관계를13 맺고13 있는13 과정에서13 다양한13 어려

움을13 겪고13 있는데13 이는13 궁극적으로13 ldquo진정한13 주권rdquo을13 얻기13 위한13 외교목표를13 설정하게13 되며13 약소국은13 민족자결주의의13 가치와13 규범을13 확산시키고자13 한다

는13 것이다 다시13 말하면13 이러한13 논의의13 중심은13 종속의13 극복을13 위한13 동력과13

추진력을13 암시하고13 있다 종속타파의13 이론적13 핵심을13 간단히13 요약하면13 타국의13

군사적13 예속13 하에13 있는13 약소국은13 자주권의13 손상 내정간섭 대외군사정책의13

제약 종속국의13 영향력13 증대13 등으로13 인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려는13 의지와13

욕구를13 발전시키며13 이는13 궁극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로13 연결될13 수13 있다는13 점

이다 본13 논문의13 주제에13 비추어13 볼13 때13 싱거의13 이론적13 접근이13 가장13 적절하게13

사용될13 수13 있다

그러면13 종속타파 는13 무엇인가 싱거는13 종속타파를13 (Counterdependence)

ldquo의존적이거나13 혹은13 열등한13 관계를13 동등한13 관계로13 전환시키고자13 하는13 과정에13 있는13 개인이나13 집단의13 심리적13 상태rdquo 라고13 정의한다 그의13 (Singer 1972 42)

정의는13 두13 가지13 측면을13 함축하고13 있다 첫째 종속타파는13 정적인13 개념이13 아니

라13 동적인13 개념이라는13 점이다 즉13 종속타파는13 종속된13 상황에서13 벗어나는13 과

정13 혹은13 진행을13 강조한다 둘째 종속타파는13 심리적13 상태를13 나타낸다 달리13

해석하면13 종속타파는13 의존적13 상태를13 극복하려는13 의지 욕구 그리고13 열망13 등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을13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reface

참조

120 백태열

을13 포함한다 개념적으로13 볼13 때13 종속타파는13 설명력을13 가지고13 있지만13 인식적13

상황인지13 혹은13 실제적13 극복인지13 불분명하다 그러한13 의미에서13 볼13 때13 종속타

파의13 개념은13 다소13 논쟁적일13 수13 있다 전체적인13 맥락에서13 보면13 종속타파는13 과

정과13 결과의13 두13 가지13 단계를13 모두13 포함하고13 있다고13 보는13 것이13 보다13 적절하

다4

군사적13 종속타파는13 어떻게13 정의될13 수13 있는가 싱거는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개념을13 별도로13 정의하고13 있지13 않지만13 종속타파의13 정의를13 활용하여13 개념은13 정

리될13 수13 있다 군사적13 종속타파 는13 한13 국가가13 (Military Counterdependence)

다른13 국가에13 군사적으로13 예속된13 상태에서13 이를13 극복하고13 벗어나는13 상황13 혹은13

상태로서13 정의될13 수13 있다 따라서13 군사적13 종속타파는13 예속을13 벗어나려는13 과

정과13 이를13 완전히13 실현한13 결과의13 상황을13 모두13 포함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과정과13

결과13 모두를13 검토하고13 분석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 따라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총체적인13 진행과정과13 관련하여13 싱거의13 이론적13 논거는13 본13 논문에13 상당히13 도움

이13 된다 즉13 그의13 분석틀에13 따르면13 크게13 군사적13 종속의13 원인과13 상황13 그리고13

종속의13 범위와13 내용13 등을13 통해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에13 군사적으로13 예속된13 상

황에13 대한13 평가를13 시도하고13 있다 각13 사항을13 구체적으로13 설명하면13 단계로13 3

요약된다 첫13 번째13 단계는13 한13 국가가13 군사적으로13 다른13 국가에13 의존되는13 상황

이다 이13 부분과13 관련하여13 싱거는13 제 세계의13 국가들이13 가지고13 있는13 공통된13 3

취약점13 즉13 외부로부터의13 공격과13 침략가능성 군사적13 지도력의13 부재 낮은13 경

제수준과13 이로13 인한13 국방력의13 저하13 등을13 제시하고13 있다 그러나13 싱거는13 보다13

명확한13 국내외적13 상황에13 대한13 검토와13 분석을13 결여하고13 있다 두13 번째13 단계는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와의13 군사13 안보적13 관계에서13 어떤13 부분과13 영역에13 예속되

어13 있는가에13 관한13 부분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싱거는13 비교적13 상세한13 분석틀을13

제시하고13 있으며13 이는13 본13 연구의13 이론적13 및13 방법론적13 그림을13 그리는데13 상당

히13 적합한13 것으로13 보인다 즉13 군사적13 종속의13 주된13 지표혹은13 기준는13 크게13 ( )

4 종속과13 의존은13 개념적으로13 차이가13 있다 일반적으로13 종속은13 의존보다13 예속의13 정도가13

극심한13 상황을13 의미한다 이13 논문에서13 군사적13 종속의13 개념은13 안보13 및13 국방13 부분에서13

여러13 영역이13 의존된13 상태로서13 구조적 제도적13 성격을13 의미하는13 것으로13 받아들인다

의13 번역도13 다양할13 수13 있으나13 학계에서13 일반적으로13 합의된13 용어가13 Counterdependence

없기13 때문에13 저자는13 이를13 종속타파로서13 번역한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1

다음과13 같은13 가지이다4 (Singer 1972 274-309)5

bull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조약의13 체결

bull 군사기지13 및13 주둔군인13

bull 피종속국13 으로부터의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수입13

bull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인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이러한13 구성요소들은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에13 어떤13 영역에서13 어느13 정도13 군

사적으로13 종속되어13 있는가를13 측정할13 수13 있는13 지표가13 된다 이와13 관련하여13 제

기할13 수13 한13 가지13 주장은13 군사적13 종속은13 결국13 정도의13 문제이며13 따라서13 군사적13

종속타파13 역시13 정도의13 문제가13 될13 수밖에13 없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론적13 전개

를13 고려해13 볼13 때13 본13 연구에13 적절하게13 적용될13 수13 있는13 유용성이13 있다고13 판단

된다

마지막13 단계는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누구의13 주도로13 이루어13 졌는가에13 관한13

논의이다 즉13 종속타파가13 종속국의13 주도에13 이루어졌는가 혹은13 피종속국의13

주도에13 의해13 이루어졌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13 부분과13 관련하여13 싱거는13 구체적

인13 논의와13 설명을13 제공하지13 않고13 있다 종속타파의13 전체적인13 흐름을13 정확히13

평가하기13 위하여13 그와13 관련된13 별도의13 분석틀이13 필요하다고13 생각한다 그13 내

용은13 대략13 다음과13 같다 첫째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상황이다 이13 부분은13 어

떠한13 상황과13 여건13 하에서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에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것을13 구성하는13 세부적13 상황은13 크게13 다음의13 종속대상국의13 (i)

국가안보의13 위기상황내란 외부의13 침략 전쟁 혹은13 기타13 안보상의13 위기( ) (ii)

피종속국의13 정치 외교 안보의13 이해와13 이익이13 추구 이13 경우13 다시13 해당국가와13 (

해당지역에13 대한13 이해관계로13 구분할13 수13 있다 둘째 종속타파가13 이루어지는13 )

상황과13 여건을13 상정할13 수13 있다 이13 경우13 크게13 두13 가지13 방식으로13 정리된다

ldquo자생적13 여건에13 의한13 종속타파rdquo와13 ldquo타생적13 여건에13 의한13 종속타파rdquo이며13 이를13

5 싱거는13 자신의13 저서에서13 지표13 혹은13 기준이라는13 표현보다13 연결고리 의13 표현을13 주ldquotie( )rdquo로13 사용하고13 있으나13 그의13 주장에13 나타난13 전체적인13 맥락에서13 볼13 때13 지표13 혹은13 기준의13

의미와13 유사하다

122 백태열

간단하게13 요약하면13 lt표13 1gt과13 같다

표13 종속타파의13 여건lt 1gt13

자생적13 종속타파종속국의주도( ) 타생적13 종속타파13 피종속국의13 주도( )

민족주의의13 증대주권13 및13 자주권의13 회복

피종속국의13 국내적13 변화

군사 안보13 여건의13 변화 피종속국의13 지역적 국제적13 변화

종속국의13 국내적13 변화 피종속국13 정부 지도자의13 선택과13 결정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종속국의13 의지와13 선택에13 의해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이루

어지는13 경우이다 그13 요인독립변수은13 외국주둔13 군대에13 대한13 종속국의13 강한13 ( )

거부감과13 저항감13 등이13 고조되거나13 혹은13 자주적 자립적13 국가방위에13 대한13 국

민의13 의지가13 증대되는13 요인이다 두13 번째13 요인은13 종속국의13 국내적13 여건의13 관

점에서13 볼13 때13 더13 이상13 특정13 국가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될13 수13 있는13 원인이13 소

멸된13 경우이다 따라서13 종속국은13 더13 이상의13 타국의13 국방력에13 의존하여13 자국

의13 국가방위를13 유지할13 필요가13 없다고13 판단한다 마지막13 요인은13 종속국의13 특

정한13 지도자가13 외부혹은13 타국에13 의존하는13 경우를13 더13 이상13 용납하지13 않고13 ( )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선택하고13 이를13 실행에13 옮기는13 경우이다

반면에13 타생적13 종속타파는13 종속타파의13 상황이13 피종속국의13 의지와13 주도로13

이루어지는13 경우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상황의13 반대의13 경우가13 고려될13 수13 있다

첫13 번째13 요인은13 피종속국의13 국내적13 여건이다 피종속국이13 종속국에게13 제공하

던13 군사적13 원조와13 지원을13 중단하는13 경우13 종속국과의13 관계는13 종료된다 두13 번

째13 요인은13 종속국가의13 국내적13 변화이다 피종속국은13 종속국에서13 발생한13 국내

적13 변화로13 인해13 군사적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불가능하다고13 판단하여13 양국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종료할13 수13 있다 마지막13 요인은13 피종속국의13 정부의13 판단과13 선

택이다 피종속국의13 지도자13 혹은13 정부는13 스스로의13 판단과13 선택에13 의해13 종속

국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정리하기를13 원했을13 때13 종속13 관계는13 종료된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3

접근13 및13 분석13 방법2

본13 연구의13 성격과13 주제에13 비추어13 볼13 때13 저자가13 사용하고자13 하는13 연구방법

은13 비교분석이다 구체적인13 내용은13 다음과13 같이13 요약된다 첫째 필리핀의13 對미13 군사적13 종속과13 이집트의13 소13 군사적13 종속의13 발생원인과13 상황을13 각각13 논對의한다 이를13 위해13 저자는13 군사적13 종속의13 발생원인을13 국내적13 여건과13 국제적13

여건으로13 나누어13 접근하기로13 한다 둘째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군사적으로13 어

떤13 분야에서13 구체적으로13 예속되었는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한다 이것을13 확인하기13

위한13 방법으로13 저자는13 네13 가지13 영역13 ldquo 군사원조의13 양과13 범위13 상호방(1) (2)

위조약의13 체결여부13 피종속국13 으로부터의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구매와13 수입13 (3)

그리고13 피종속국에서의13 군사훈련과13 교육(4) rdquo 등을13 중심으로13 종속의13 상황과13

실체를13 규명하고자13 한다 셋째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각각13 어떤13 상황에서13 그리

고13 어떤13 방식을13 통해서13 지배국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고13 타파했는가

에13 대한13 설명을13 시도한다 이러한13 작업을13 위해13 저자는13 양국에서13 나타난13 군사

적13 종속타파의13 움직임과13 활동에13 초점을13 맞추어13 접근하고자13 한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과13 전개에13 대한13 비교분석을13 하고

자13 한다 비교분석의13 대상은13 ldquo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의13 자생적13 종속과13 타생적13 종속에13 대한13 평가rdquo 등13 가지13 항목이며13 이러 4

한13 가지13 사항을13 중심으로13 논의한다 이러한13 논의를13 진행하는데13 있어서13 저자4

는13 필리핀의13 경우에는13 년13 이후부터13 년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영토에서13 1947 1991

떠날13 때까지의13 시기를13 다룬다 이집트의13 경우에는13 년13 나세르가13 등장한13 1952

이후부터13 년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군사적13 관계가13 사실상13 종료되었던13 시점까1976

지13 논의된다 그러나13 본13 논문과13 관련하여13 추가적13 논의가13 필요한13 경우에13 저자

는13 이러한13 시기를13 제외한13 시기에13 대해서도13 부분적으로13 논의할13 계획이다

124 백태열

필리핀과13 이집트 군사적13 종속상황과13 종속타파의13 전개III

이13 장에서는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상황에13 대한13 배경을13 먼저13 개

관하기로13 한다 우선13 저자는13 필리핀 -미국 이집트 -소련의13 일반적13 및13 군사적13

관계에13 초점을13 맞추기로13 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가13 검토된다

필리핀13 1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

필리핀은13 년13 동안의13 미국의13 식민지배에서13 벗어나13 년13 월13 일13 독립48 1946 7 4

을13 이루었다 그13 후에도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였고13 미국의13 정체

제도와13 특성을13 모방하였고13 양국의13 경제관계도13 활발하였다 전후13 그13 어느13 나

라보다도13 필리핀은13 미국적13 색체가13 강하였다 년13 월13 양국은13 군사기지협 1947 3

정 년13 월13 상호방위조약(Military Bases Agreement) 1951 8 (Mutual Security

을13 각각13 체결하였다Treaty) 6 이러한13 일련의13 조약체결로13 인해13 양국은13 군사적13

동맹관계를13 형성하게13 되었다 이러한13 배경은13 무엇인가 저자는13 미국과13 필리

핀의13 관점에서13 각각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미국의13 시각에서13 보면13 년13 종전 1945

과13 함께13 소련의13 팽창주의적13 공산화정책은13 전13 세계의13 도처에서13 발생하기13 시작

하였다 소련은13 그리스의13 내전에13 개입하였고13 중동의13 아제르바이젠에서13 친공

산정권의13 수립을13 지원하였다 특히13 년13 이후13 북한은13 소련의13 후원하에13 공 1946

산정권을13 수립하고13 있었다 이와13 같이13 년부터13 년대13 후반에13 이르는13 1945 1940

국제정세는13 냉전이13 서서히13 형성되고13 있었다 년13 월13 중화13 인민공화국 1949 10

(the Peoplersquo 의13 출범은13 미국으로13 하여금13 공산세력을13 견s Republic of China)

제하기13 위한13 필요성을13 절실히13 느꼈다 특히13 한국전쟁의13 발발로13 인해13 미국은13

6 그13 밖에도13 미국은13 일본 년 한국 년 그리고13 대만 년 과13 각각13 상호방(1951 ) (1953 ) (1954 )

위조약을13 체결하였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5

동북아뿐만13 아니라13 서남아의13 안보와13 안정의13 중요성을13 심각하게13 고려하기13 시

작하였다 그13 결과13 미국은13 아시아의13 안보역량을13 강화하고13 소련을13 중심으로13

한13 공산주의세력과13 대항할13 수13 있는13 안보체제를13 공고히13 하려는13 노력을13 가시화

하였다 그13 결과13 미국은13 년13 필리핀과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였다 미국 1951

의13 목적은13 전13 세계적으로13 확산되는13 공산주의세력의13 준동과13 움직임에13 적절하

게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아시아의13 안보이익과13 군사적13 영향력을13 구축하는13 것이었

다 냉전의13 상황에13 접어들면서13 미국은13 세력권의13 확대와13 군사적13 동맹군이13 절

실히13 필요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동안13 스페인의13 식민통치를13 받았고13 그13 후13 미국의13 식민13 지400

배를13 받았다 년13 독립을13 쟁취한13 이후13 필리핀은13 새로운13 시대를13 맞게13 되었 1947

다 전후13 필리핀대통령이었던13 마누엘13 로하스 는13 미국으로 (Manuel A Roxas)

부터13 경제원조와13 지원을13 받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제 차13 세계대전13 이후13 독립을13 2

쟁취한13 거의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필리핀은13 안보 경제3

교육 제도13 등13 여러13 부분이13 극도로13 열악한13 상황이었고13 따라서13 국가건설과정

에서13 강력한13 후원자가13 필요하였다 독립이후에도13 양국의13 관계는13 지배 -피지배

의13 종속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정착되기13 시작하였다 군사와13 안보13 부분에서의13 상

황은13 군사기지협정과13 군사원조협정으로13 확인된다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협

정을13 체결한13 배경은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요약된다 첫째 냉전의13 상황이다 1940

년대13 말13 이미13 전13 세계로13 확대된13 냉전의13 상황에서13 필리핀13 역시13 안보상의13 불안

감을13 가졌다 아시아에서의13 공산주의13 정권의13 등장과13 역내의13 불안정은13 필리핀13

지도자들로13 하여금13 미국과의13 동맹관계를13 형성할13 필요성을13 절감하였다 필리

핀은13 미국으로부터의13 군사원조를13 통해13 미약한13 국방력을13 회복하려고13 하였다

더13 나아가서13 년의13 한국전쟁과13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전쟁을13 지켜보면1950 1960

서13 필리핀13 지도자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유착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필리핀의13

안보와13 안정을13 위해서13 필요하다고13 판단하였다 둘째 필리핀의13 국내적13 여건

과13 상황이다 필리핀의13 독립과13 함께13 국내에서는13 후크 가13 조직되었다 (Huks)

이13 단체는13 사실상13 공산주의노선을13 지지하면서13 필리핀의13 팜파간 불라칸 탈

락13 등에서13 강력한13 영향력을13 가지고13 있는13 국민농민연맹(National Peasant

과13 깊게13 연결되어13 있었다Union) 7 독립13 이후13 이들의13 반란이13 일어나고13 로하스13

126 백태열

대통령은13 이를13 진압하기13 위해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적 기술적13 도움을13 받았다13

양승윤( 2003 69- 이13 반란은13 독립이후13 극심한13 분열과13 갈등을13 초래하였70)

고13 향후13 반정부집단의13 정치세력화를13 예고하고13 있었다 이러한13 점에서13 필리핀

정부는13 미국과13 군사동맹관계를13 통해서13 국내의13 소요와13 반란을13 효율적으로13 진

압할13 수13 있는13 안보체계를13 구축하는13 작업이13 필요하였다 간단히13 말하면13 냉전

의13 상황과13 국내의13 공산주의의13 준동에13 적절히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필리핀은13 미국

과의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유지해야13 하는13 절박한13 상황에13 직면하였다

년대에13 접어들면서13 막사이사이 가르시아1950 (Ramon Magsaysay) (Carlos

마카파갈 등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들은13 친미적13 Garcia) (Diodado Macapagal)

성향을13 가졌고13 이러한13 점은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이러

한13 배경에는13 여전히13 아시아에서13 냉전의13 열기가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국내의13 안보

상황도13 크게13 개선되지13 않았기13 때문으로13 풀이된다 마르코스가13 년에13 대통 1965

령에13 당선된13 이후13 미국-필리핀의13 관계는13 군사적 경제적으로13 안정된13 모습을13

보였고13 마르코스는13 집권초기에13 미국에13 대한13 일방적인13 대외관계를13 개선하기13

위하여13 다변화13 외교정책을13 추구하기도13 하였지만13 미국의13 대군사의존의13 상황

은13 크게13 변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마르코스는13 친미성향이13 강했고13 양국관계

를13 필리핀의13 외교의13 중심축으로13 삼았기13 때문이다 마르코스의13 친미적13 성향은13

필리핀의13 국내적13 상황과13 연결된다 필리핀에서13 발생한13 두13 가지13 상황을13 지적

할13 수13 있다 첫째 년에13 결성된13 신인민군대 1969 (New Peoplersquo 이다s Army)

이13 조직은13 공산주의의13 게릴라13 집단으로13 테러활동을13 통한13 사회주의의13 노선을13

확립하려는13 집단이며13 필리핀의13 마오주의13 공산당(the Maoist Communist

과13 정치적으로13 깊게13 연관되어13 있다Party) 8 둘째 년대에13 결성된13 모로13 회 1960

교해방전선 이다 이13 단계는13 사실상13 (the Moro Islamic Liberation Front) Kuk

조직의13 전신으로13 필리핀을13 회교사회로13 만들기13 위해13 투쟁하는13 집단이다 공교

롭게도13 이13 집단은13 모두13 마르코스13 대통령이13 재임하던13 시기인13 년대13 말에13 1960

결성되어13 테러13 활동을13 통한13 국내적13 상황을13 어렵게13 만들었다 마르코스의13 입

7 이13 부분에13 관해서는13 을13 참조httpwwwcomwfb2001philippines

8 이13 부분에13 관해서는13 를13 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7

장에서13 보면13 이러한13 국내적13 불안정과13 좌익13 활동은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시켰

고13 미국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불가피하였다 그13 결과13 필리핀은13 안

보분야에서13 자연스럽게13 미국에게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이들13 반13 정부단체의13

활동은13 마르코스가13 재임하고13 있는13 동안13 국내적으로13 커다란13 정치적 사회적13

도전이었고13 필리핀의13 국내안정과13 직결되어13 있었다 그러나13 필리핀의13 국내정

치적13 상황은13 년13 마르코스가13 재선되고13 계엄령을13 선포함으로써13 악화되기13 1972

시작하였다 마르코스대통령은13 국민들에13 대한13 탄압을13 강화하였다 필리핀13 국

내에서13 독재정권을13 무너뜨리고13 민주주의를13 운동을13 강화하려는13 노력은13 지속

되었지만13 미국과13 군사동맹관계를13 변화시키려는13 활동과13 노력은13 간헐적으로13

이루어졌다 마르코스13 대통령은13 미국과13 체결한13 일련의13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

조약을13 필리핀의13 대외관계의13 주축을13 이루었고13 따라서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

속상태는13 고착화되었다 간단하게13 요약하면13 필리핀이13 미국에13 군사적으로13 예

속된13 주된13 배경은13 국내안보상황의13 불확실성과13 공산주의의13 위협13 때문이었다

필리핀의13 대미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전개(2)

필리핀1) -미국의13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조약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확인할13 수13 있는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양국이13 체

결한13 일련의13 군사동맹조약이다 양국은13 년13 월에13 체결된13 군사기지협정 1947 3

과13 군사원조협정(Military Bases Agreement) (The RP-US Military Assistance

그리고13 년13 월의13 상호방위조약 을13 Agreement) 1951 8 (Mutual Defense Treaty)

각각13 체결하였다 먼저13 저자는13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체결한13 군사기지협 1947 3 14

정의13 내용을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이13 협정은13 미국이13 필리핀에13 군사기지의13 설

치 운영13 등에13 관한13 권리를13 확보할13 수13 있도록13 하였다 미국은13 클라크13 공군기

지와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및13 기타시설13 등을13 포함한13 개의13 군사시설을13 년13 동23 99

안13 무상으로13 사용할13 수13 있도록13 하였다 사실상13 미국정부는13 필리핀내의13 군사

시설에13 대한13 완전한13 통제권을13 갖게13 되었다 이13 협정은13 필리핀이13 군사안보13 부

분에서13 미국에게13 의존하게13 만든13 법적13 기초였다 필리핀의13 미13 군사적13 의존 對

을13 확인할13 수13 있는13 또13 다른13 협정은13 군사원조협정이다 이13 협정은13 군사기지협

정이13 체결된13 직후13 년13 월13 일에13 체결된13 부속협정 이1947 3 21 (Sister agreement)

128 백태열

다9 이13 협정의13 전문은13 ldquo독립13 이후13 필리핀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 그리고13 군장

비의13 구입13 등에13 대한13 필리핀13 정부의13 여망을13 고려하여13 미국13 대통령은13 공동방

위의13 문제에서13 양국의13 상호13 이익의13 관점에서13 국가안보를13 유지하기13 위하여13 필

리핀13 정부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는13 것을13 허락한다helliprdquo10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협정은13 모두13 개의13 세부적인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으며13 거의13 대부분23

의13 조항은13 필리핀에13 대한13 미국의13 군사원조에13 국한되어13 있다 보다13 상세한13 내

용을13 파악하기13 위해13 저자는13 몇몇13 조항을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동13 협정의13 제 1

조는13 ldquo상호협정에13 따라서13 미국정부는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을13 위해13 필리핀정부에게13 군사원조를13 제공할13 것13 이다helliprdquo11고13 명시되어13 있다 또13 다른13 조항은13 군

사고문단 의13 기능과13 역할에13 관한13 것이다 동13 협정(Military Advisory Group)

의13 조는13 8 ldquo군사고문단의13 기능은13 국가안보와13 관련된13 목적을13 수행하는데13 필요한13 것으로13 필리핀에13 조언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다helliprdquo12고13 적고13 있다 이러한13

점은13 필리핀이13 안보정책을13 수립하거나13 군사적13 역할을13 하는데13 있어서13 독자성

이13 크게13 훼손될13 수13 있다 일반적으로13 강대국과13 약소국의13 상호방위조약은13 약

소국의13 독립적이고13 자주적인13 대외군사정책을13 추구하는데13 있어13 제약이13 많고13

군사적13 자주권을13 종종13 훼손시킨다 따라서13 필리핀과13 미국과의13 군사원조협정

도13 같은13 맥락에서13 볼13 수13 있다 또한13 동13 협정의13 조는13 일반적인13 군사원조의13 6

내용을13 담고13 있다 이13 조항에13 따르면13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군대에게13 무기 탄

약 군사장비 전투기와13 전함13 등을13 제공하게13 된다고13 명시하고13 있다 협정의13

조는13 군사훈련지원 에13 관한13 것이다 필리핀에13 대한13 군21 (Training assistance)

사원조의13 일부로서13 선발된13 필리핀13 학생들을13 미국에13 보내13 육군 해군 그리고13

공군13 부대에서13 기술13 및13 군사훈련을13 받도록13 하는13 내용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과13 미국은13 년13 월13 일13 상호방위조약1951 8 13 (Mutual Security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전문과13 개의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Treaty) 13

9 이13 협정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 저자는13 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인쇄본을13 입수하지13 못하여13 대신에13 인터넷13 사이트의13 정보를13 인용함

10 상게서

11 상게서

12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9

이13 조약에서13 양국은13 ldquo외부의13 군사적13 전략에13 대해13 공동으로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양국의13 단결과13 공동의13 결의를13 공개적으로13 그리고13 공식적으로13 선언하면서rdquo13

개13 조항에13 합의하였다 이13 조약의13 13 조는13 외부의13 군사적13 침략에13 대해13 공동13 3

으로13 방어하기13 위한13 대응태세를13 강조하고13 있으며13 조는13 당사국중의13 한13 국가4

가13 외부의13 공격을13 받을13 경우13 이를13 자국에13 대한13 공격으로13 간주한다고13 규정함

으로써13 공동방위를13 구축하고13 있다

양국이13 체결한13 개의13 군사13 및13 방위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볼13 때13 현실적으로13 3

필리핀의13 국가안보를13 강화하고13 양국이13 공동의13 외부적13 위협에13 대응하도록13 구

성되어13 있다 그러나13 이13 조약들은13 양국의13 평등성에13 기초하고13 있기13 보다는13 필

리핀이13 일방적으로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받도록13 되어13 있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군군대의13 주둔2)

싱거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외국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시설이다 년13 양국의13 협정에13 따라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군대를13 주둔시키 1947

고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필리핀에는13 미국의13 군사방위공약을13 실천하기13

위하여13 년부터13 미군이13 주군하고13 대규모의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대1947

표적인13 군사시설은13 클라크13 공군기지(Clark Air Base in Pampanga and

수빅만13 해군기지 죤13 Tarlac) (Subic Naval Base in Bataan and Zambales)

헤이13 공군13 이착륙장 월레스13 공군13 이(John Hay Air Station in Baguio City)

착륙장 그리고13 산13 미구엘13 통신소(Wallace Air Station in La Union) (San

등이다Miguel Station in Zambales) 14 그13 외에도13 소규모의13 미국군사기지13

및13 시설은13 대략13 개이다 클라크13 공군기지는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규모15

이며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역시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해군기지이다 이러한13

미군기지와13 시설에13 주둔하고13 미국병사는13 년13 기준으로13 대략13 육군은13 1979 28

명 공군은13 명 해군은13 그리고13 해병대13 명이13 각각13 필리핀에13 주 8005 4594 786

13 이13 조약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14 이와13 관련하여13 상세한13 내용은13 다음의13 자료를13 참조바람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130 백태열

둔하였고13 전체13 미군의13 수는13 명이다13413 15 이와13 관련된13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13 기준을13 기준으로13 필리핀의13 모든13 미군기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병력은13 1988

명이다17870 16 년13 당시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의13 수는13 명의13 군인과13 1991 15000

명의13 군무원이13 주둔하고13 있었다1000

이러한13 군사기지의13 설치는13 앞서13 설명된13 양국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방위조약

에13 따른13 부수적13 결과일13 뿐이다 외군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기지의13 허용은13 종속

국의13 국방력이13 취약하다는13 반증이다 종속국은13 외국군대의13 도움이13 없이는13 자

국의13 안보상황을13 개선할13 수13 없다는13 것을13 의미하며13 이는13 군사적13 예속의13 또13 다

른13 측면이다 외국군대의13 기지와13 주둔군은13 해당국민과13 가장13 직접적인13 마찰과13

갈등을13 빚는13 부분이고13 법적 사회적 문제를13 가장13 많이13 야기시켰다

미국의13 필리핀13 무기13 공여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검증하기13 위하여13 사용되는13 또13 다른13 증거는13 군사장

비13 및13 무기의13 공여이다 피종속국은13 현실적으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자체적으

로13 개발하는데13 필요한13 기술력과13 경제력을13 결여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타국으로부

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유상으로13 혹은13 무상으로13 공여13 받는다 특히13 이러한13 무

기의13 지원으로13 인해13 보다13 심각한13 상황은13 특정한13 국가로부터13 무기지원을13 받는

다는13 점에서13 의존적13 성격을13 갖고13 있다는13 점이다 따라서13 피종속국이13 종속국

에게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하거나13 수출하지13 않을13 경우13 종속국의13 국가안보

는13 어려움을13 겪거나13 혹은13 심각한13 위험에13 직면할13 수도13 있다 필리핀의13 경우13

년대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의13 대부분을13 공여13 받았다1950 17 이

와13 관련하여13 몇13 가지13 사례를13 들어13 보기로13 한다 필리핀은13 년대13 초부터13 1950

년까지13 미국으로부터13 다양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13 받거나13 혹은13 구매1973

하였다 군사용13 비행기예를13 들면 ( Lockheed T-33 Gruman HU-16A

군사용13 선박예를13 들면 그Albatross) ( patrol boat Infantry landing craft)

리고13 장갑차 예를13 들면( M- 등이다4 Sherman) 18

15 United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p 145

16 이와13 관련된13 자료는13 김경숙13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13 참1988 10 p 76 「 」 985172 985173조

17 년대13 초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제외한13 일본 독일 호주 이탈1950 1970

리아13 등으로부터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미국의13 비중이13 압도적으로13 많았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1

필리핀13 군인의13 미국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13 4)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종속국가의13 군인13 혹은13 영관급13 장교들이13 피

종속국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러한13 지표는13 종속국의13 군인

들의13 질적13 취약성에13 기초한다 종속국의13 군인들은13 안보와13 전쟁에13 필요한13 현

대식의13 훈련과13 전투능력을13 배양하지13 못했기13 때문에13 국가안보의13 문제와13 위기

가13 발생했을13 때13 적절하게13 대처할13 수13 있는13 있는13 군사적13 능력을13 갖추고13 있지13

못하다 이러한13 측면은13 종속국의13 군사력13 하락으로13 연결된다 필리핀군인들은13

의13 프로그램의13 후원13 IMET(International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하에13 미국본토13 혹은13 미국본토이외의13 군사훈련소에서13 군사훈련13 혹은13 교육을13

받았다 자료에13 따르면13 필리핀13 군인들은13 년부터13 년까지13 명이13 1950 1968 12217

훈련을13 받았다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부터13 년13 초까(Singer 1972 301) 1950 1980

지13 대략13 의13 필리핀13 군인들이13 미국의13 재정적13 지원13 하에13 미국의13 군사학17000

교와13 훈련소에13 훈련을13 받았음을13 보여준다19

간단히13 정리하면13 앞서13 제시된13 가지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살펴13 본13 결과13 4

필리핀은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되어13 있음을13 보여준다

필리핀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13 (3)

필리핀의13 정부지도자와13 국민들이13 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상태를13 타파해야13

한다는13 목소리를13 강화한13 것은13 마르코스13 대통령의13 독재정치가13 절정에13 달했을13

때였다 그의13 탄압과13 독재정치에13 대해13 많은13 필리핀국민들이13 저항하였고13 반마

르코스의13 열기가13 확대되었다 년에13 일어난13 필리핀의13 민중의13 혁명 1986

(Peoplersquo 은13 마르코스를13 권좌에13 내쫒았다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의존s Power)

의13 타파는13 사실상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와13 궤를13 같이13 한다 마르코스에13 대한13

비판은13 민주주의를13 강하게13 염원하게13 되었고13 동시에13 그의13 정권하에서13 오래13 동

안13 유지되었던13 필리핀-미국의13 동맹관계의13 실체를13 재평가하려는13 움직임으로13

빠르게13 전환되었다 년13 월13 코라손13 아퀴노 가13 대통령 1986 2 (Corazon Aquino)

18 이와13 관련하여13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참조Stockholm 1975 Sweden SIPRI pp 17-19

19 를13 참조httpIcweb2locgovcgi-binquery

132 백태열

에13 취임하면서13 필리핀에서는13 본격적으로13 미군의13 철수문제가13 공론화되기13 시

작하였다 필리핀국민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동맹체제로부터13 발생하는13 다양한13 불

이익과13 불편을13 종식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개시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추진력 은13 무엇인가 대략13 두13 가지13 요인(Driving force)

으로13 설명된다 첫13 번째는13 민족주의이다 민족주의는13 식민지13 상태에서13 해방

과13 독립을13 쟁취하기13 위한13 이데올로기로서13 작동하였고13 독립이후13 민족주의는13

외세의13 지배와13 간섭을13 배격하기13 위한13 무기로서13 전환된다 필리핀은13 스페인과13

미국의13 식민지를13 경험하면서13 강한13 민족주의를13 발전시켰다 살바도르13 마르티

네그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13 역사는13 세(Salvador Martineg) 16

기13 초에13 시작되어13 년대13 이래13 유지되었고13 년대에는13 클라로13 렉토13 등1950 1960

에13 의해13 활성화되었다20 결국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는13 반미주의와13 강하게13 연결

되어13 있으며13 이는13 미국의13 간섭과13 영향력을13 배제하고13 자국의13 자존심을13 회복하

려는13 노력으로13 승화되었다 동시에13 민족주의의13 열기는13 필리핀국민들에게13 미

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에서13 기인하는13 지배국의13 독선과13 횡포 그리고13 내정간섭에13

대한13 저항을13 강하게13 표출할13 수13 있는13 통로를13 제공하였다 두13 번째는13 주권과13

자주권의13 회복이다 주권과13 자주권은13 민족주의와13 깊은13 연관성을13 갖고13 있다

전후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유지하는데13 있어서13 국민적13 자존

심과13 주권이13 손상되었다는13 인식을13 강하게13 갖고13 있다 에드13 가르시아 (Ed

와13 프란시스코13 네멘쯔 는13 다음과13 같이13 지적한다13 Garcia) (Francisco Nemenz)

(Garcia and Nemenz 1987 4)

독립은13 단지13 자기13 확신의13 문제가13 아니다 국가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이13 아 hellip13 니라13 자주적13 행위자로서13 인식되어야13 한다 모든13 국제회의에서13 우리의13 독립을13

확인하기13 위하여13 용기를13 갖고13 노력하여13 왔다 그러나13 우리가13 실제적인13 독립을13

갖고13 있었을13 때조차도13 우리가13 제안을13 발의해도13 제 세계의13 대표들은13 그13 뒤에는13 3

미국이13 있다는13 점을13 의심하여13 왔다 이러한13 의미에서13 필리핀은13 자국의13 땅위에

서13 거대한13 군사기지를13 유지하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으로13 보여진다

20 이러한13 주장에13 대해서는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사Salvador Martineg 1983 「 」 985172상 월 을13 참조함5 pp 45-48 98517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3

그들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체계가13 필리핀의13 대

외정책에도13 부정적13 영향을13 미쳤음을13 암시하고13 있다 국제무대에서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의식하거나13 혹은13 미국의13 정책과13 보조를13 맞출13 수밖에13 없는13 상황을13 초

래했다고13 보고13 있다 이러한13 관점에13 대해13 일부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자국의13 주권

이나13 자주권이13 어느13 정도13 훼손되었다는13 생각을13 갖고13 있는13 것으로13 보인다 동

시에13 미군철수를13 둘러싼13 필리핀13 국민의13 반감은13 미국의13 마르코스13 체제에13 대한13

옹호에서13 기인하였다는13 점도13 지적될13 수13 있다 그들은13 마르코스13 집권이후13 필

리핀의13 인권상황이13 악화되고13 독재정치가13 유지되고13 있음에13 불구하고13 미국이13

이를13 개선하기13 위한13 적절한13 역할을13 하지13 못한13 것에13 대해13 깊은13 불신과13 반감을13

갖고13 있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13 국민들이13 미군철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를13 요구

하는13 보다13 현실적인13 이유들이13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필리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으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각종13 사회적13 문제와13

갈등이다 미군이13 주둔하고13 있는13 기지주변에서13 발생되는13 각종13 범죄 현지인

과13 미군사이의13 마찰13 등은13 외국군대를13 수용하고13 있는13 필리핀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군기지에13 대한13 반감과13 저항을13 일으킬13 수13 있다 둘째 필리핀13 국내에13 설치된13

핵무기이다 년대13 초에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핵무기가13 설치한13 것으로13 알려져13 1970

있으며13 년까지13 핵무기의13 수는13 대략13 정도에13 달하였다 년을13 기준1973 260 1985

으로13 미국은13 필리핀에13 개의13 핵무기를13 설치하였으며13 그중13 개는13 반잠수227 32

함13 핵폭탄이며13 개는13 해군용13 핵무기 그리고13 그밖에13 개의13 핵폭탄이13 있80 115

는13 것으로13 알려졌다21 핵무기의13 설치와13 사용의13 목적은13 아시아13 지역의13 군사

적13 충돌이나13 전쟁이13 발발할13 경우13 사용되기13 위함이며13 어떤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

는13 필리핀의13 안보를13 위한13 것이라기보다는13 미국의13 군사적13 목적을13 위해13 설치된13

것이다 미국이13 아시아에서13 전쟁을13 수행할13 경우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핵위협에13

노출되어13 있고13 이로13 인해13 여러13 가지13 피해가13 발생할13 수13 있다고13 보고13 핵무기의13

설치와13 시설에13 민감하지13 않을13 수밖에13 없다 이러한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일차적으

로13 공격의13 목표가13 되었던13 것은13 미군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이다

21 Ronald G Simbulan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1989 Manila Philippines

와13 을13 참고 이13 책에는13 필리핀의13 미국핵무기와13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p 78

관련된13 정보와13 내용이13 상세하게13 기록되어13 있음

134 백태열

그러면13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종료시키기13 위한13 구체적인13

움직임 조치 및13 정책은13 무엇인가 마르코스가13 축출당한13 이후인13 년13 월 1986 2

부터13 년대13 초까지13 필리핀의13 국내13 상황은13 급박하게13 돌아가고13 있었다 이1990

와13 관련하여13 가장13 주목을13 끄는13 점은13 년13 월13 일13 필리핀13 상원을13 통과한13 1988 6 6

ldquo반핵병기13 법rdquo이다 이13 법안은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기지와13 군사시설 그리고13 양

국동맹관계의13 근간을13 흔들13 수13 있을13 만큼13 강력한13 내용을13 담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이13 법안의13 조는13 금지행위에13 관한13 것으로13 5 ldquo어떤13 사람도13 운송이나13 하역을13 불문하고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과13 그13 구성부분을13 필리핀13 영역내로13 가지고13

들어오거나13 또는13 소유 보유할13 수13 없다 필리핀13 군사기지13 내13 미합중국의13 기존13

군사13 설비를13 포함하여13 필리핀영역의13 상13 하 상공13 어느13 곳에서도13 본13 제 조13 4 1

항에13 해당하는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 구성부분13 및13 핵병기관련설비의13 개발 제

조 입수 실험 이용 도입 비축 보관을13 금지하며 helliprdquo22라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조항과13 함께13 다른13 조항13 역시13 필리핀에서의13 일체의13 핵무기13 개발 설치 비

축 보관 하역13 등을13 금지시키고13 있다 이13 법안의13 통과는13 필리핀 -미국의13 군사

동맹관계의13 분수령이13 된다 역시13 가장13 커다란13 시사점은13 미국은13 필리핀의13 영

토13 안에13 핵무기와13 관련된13 일체의13 접근이13 불허된다는13 점이며13 동시에13 필리핀의13

모든13 군사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가13 불가피하게13 되었다는13 점이다

년13 월13 미국과의13 군사기지협정을13 년13 연장하기13 위한13 법안이13 상원에13 1991 9 10

게류13 되었을13 때13 필리핀13 국내정세는13 극도로13 혼란스러웠다 이13 혼란의13 중심은13

미군13 기지를13 그대로13 유지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과13 법안을13 거부함으로써13 미군13 기

지를13 폐쇄해야13 한다는13 입장으로13 크게13 나뉘어져13 있었다 이13 협정의13 연장을13 찬

성하는13 집단의13 중심에는13 아키노13 대통령이13 있었다 아키노13 대통령은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쇄될13 경우13 양국관계의13 약화 경제13 투자의13 감소 그리고13 불안정

한13 국내13 상황13 등을13 크게13 우려하였다 무엇보다도13 필리핀13 정부는13 양국이13 오랫

동안13 여러13 부분에서13 구축된13 양국의13 군사적 외교적13 우호관계가13 크게13 악화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우려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13 상원은13 미국과13 협정을13 반대하는

데13 선두집단중의13 하나였다 상원의원들의13 상당수는13 민족주의13 정신이13 강한13 정

22 본13 법안의13 내용에13 관해서는13 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를13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5

치인들이었고13 미군은13 필리핀13 땅에서13 떠나가야13 한다고13 믿었다 미군기지13 임대

의13 연장13 법안의13 반대에13 대한13 보다13 구체적인13 이유는13 무엇인가 가장13 커다란13

이유는13 무엇보다도13 필리핀의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복원이었다 당시13 필리핀13

상원의원인13 아가피토13 아키노 는13 (Agapito Aquino) ldquo이13 투표는13 진정으로13 주권을13 갖고13 독립적인13 필리핀13 국민을13 위한13 것이며13 이13 투표는13 미국의13 조종끈에13 매

어진13 정치적13 청년기13 즉13 극심한13 종속을13 종식하기13 위한13 것이다rdquo23라고13 상원에

서13 역설하였다 종속타파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종속타파의13 견인적인13 메커니즘은13

이론적13 검토에서13 제시된13 것처럼13 역시13 주권의13 회복과13 민족적13 자존심의13 회복이

다 필리핀13 정치인들의13 판단과13 요구가13 대다수13 모든13 필리핀13 국민들의13 견해와13

동일하다고13 볼13 수13 없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협정13 그리고13 상

호방위조약에서13 기인하는13 다양한13 폐해를13 인식하고13 있으며13 미군은13 철수되어

야13 한다는13 공감대를13 발전시켜13 왔다는13 점은13 부인할13 수13 없다 또13 다른13 견해는13

필리핀13 정치권에서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기지사용료가13 너무13 적다는13 이유도13 제시

되고13 있다24 필리핀13 상원의13 강력한13 반대13 움직임13 속에13 아키노13 대통령은13 이13

법안을13 국민투표에13 회부하는13 방안을13 추진하였지만13 무산되고13 결국은13 미군기

지협정의13 연장법안은13 년13 월13 일13 상원에서13 대13 로13 부결되었다1991 9 16 12 11

필리핀13 상원의13 이러한13 결정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년13 미국과13 맺은13 군 1947

사기지협정은13 자동적으로13 무효화되었으며13 필리핀에서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

쇄되고13 미군이13 더13 이상13 주둔하지13 않게13 되었다 미군은13 년13 말13 이전에13 필 1992

리핀의13 영토를13 떠나도록13 권고13 받았다 이러한13 점은13 상징적인13 측면이13 강하지

만13 필리핀은1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고13 볼13 수13 있다

미국의13 반응과13 입장13 (4)

필리핀에서의13 극적인13 변화에13 대해13 미국은13 어떤13 반응을13 보였으며13 기본13 입

장은13 무엇인가 미국은13 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13 이후13 필리핀의13 민주화13 운동과13

23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아키노13 상원의원은13 미군기지문제와13 관 1991 9 16 A1

련하여13 형수이자13 대통령이었던13 코라손13 아퀴노와13 극심한13 마찰과13 갈등을13 겪었다

24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벌인13 협상에서13 미국은13 필리핀에 1991 9 11 A3

게13 수빅만13 해군기지를13 사용하는13 대가로13 일년에13 억불을13 제공하기로13 합의하였다203

136 백태열

새로운13 정권의13 창출을13 고무적으로13 평가하였다 그러나13 동시에13 워싱턴은13 그곳

에서13 미군의13 기지와13 군대의13 철수문제 그리고13 지속적인13 반미운동의13 고조13 등

에13 대해13 깊은13 우려감을13 가졌다 특히13 군사기지협정의13 연장을13 앞13 둔13 시점에서13

미국정부의13 불안감은13 증대되었다 국무장관13 조지13 슐츠 는13 미 (George Shultz)

국은13 필리핀13 관리들과13 정치인들이13 기지연장을13 승인하지13 않을13 경우13 다른13 장소

를13 물색해야13 할지13 모른다는13 입장을13 밝혔다25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국내에서13

벌어지는13 반미운동이13 궁극적으로13 미군기지의13 철폐로13 연결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크게13 우려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필리핀13 상원의13 표결이13 있기13 전에13 미국정부는13

부결가능성을13 기대하고13 있었고13 이를13 위해13 직간접적으로13 필리핀정부에13 회유

와13 압력을13 가하였다

필리핀에서의13 결정은13 미국정부를13 크게13 실망시켰지만13 기지연장을13 둘러싼13

필리핀의13 정책결정과정에13 대해13 특별한13 영향력을13 행사할13 수13 없었다 미국은13

필리핀이13 기지연장13 협정을13 원하지13 않는다면13 이를13 수용하지13 않을13 수13 없다 미

국의13 기본13 입장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연장협정을13 지속하는13 것이었다 그13 이유는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와13 미군의13 주둔은13 년이13 넘은13 동안13 아시아에서13 방어적13 40

역할을13 충실히13 하였기13 때문이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결정은13 대

략13 가지13 파급효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다고13 보았다 첫째 년대13 말에13 냉전이13 2 1980

서서히13 종식되고13 있었지만13 미국은13 아시아에서의13 군사적13 임무와13 역할이13 여전

히13 필요하였다 따라서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의13 철수는13 안보적13 공백이13 발생할13

수13 있으며13 이로13 인한13 군사적13 전략변화가13 요구되고13 있기13 때문이다 둘째는13 간

접적13 파급효과이다 필리핀의13 미군기지13 철수가13 다른13 주둔지역13 특히13 한국과13

일본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기지의13 철수로13 연결될13 수13 있는13 파급효과를13 우려하

였다 반면에13 다른13 측면에서13 보면13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다소13 위안을13 찾을13

수13 있는13 부분도13 있다 필리핀은13 결코13 미국과의13 상호방위조약13 자체를13 폐기한13

것이13 아니기13 때문에13 향후13 양국의13 군사적13 동맹관계는13 유지될13 수13 있으며13 미국

의13 군사적13 영향력도13 어느13 정도13 유효할13 것이라는13 기대감을13 가졌다

25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88 6 17 p 7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7

이집트2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3 (1)

년13 영국의13 식민지에서13 벗어난13 이집트는13 국내외적으로13 커다란13 도전에13 1952

직면하였다 국내적으로13 정치세력간의13 권력투쟁으로13 불안한13 정국이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그13 과정에서13 군사13 쿠데타를13 통해13 실질적인13 권력을13 장악한13 나세르는13

아랍사회주의를13 표방하면서13 국정을13 운영하기13 시작하였다 대외적으로13 국제사

회에는13 이미13 냉전의13 열기가13 정점에13 올랐고13 그13 여파는13 중동에도13 도달하였다

이집트를13 둘러싼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복잡하게13 얽혀가고13 있었다 이와13 관련

하여13 주목할13 부분은13 미국과13 소련은13 중동지역에서13 패권경쟁을13 격화하고13 있었

다는13 점이다 소련은13 미국을13 견제하기13 위하여13 에13 버금가는13 지역안보 NATO

체제를13 구축하려고13 하였고13 이는13 바그다드13 조약 으로13 실현되고13 (Baghdad Pact)

있었다 미국은13 이집트를13 지역안보체제에13 끌어13 들이려는13 계획을13 갖고13 이집트

에13 접근하였다 마찬가지로13 소련은13 이집트와13 접한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중동지역에서의13 교두보를13 확보할13 수13 있다고13 판단하였다 미국과13 소련은13 이집

트가13 아프리카와13 중동을13 연결하는13 지역에13 위치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전략적13 가치

를13 중시하였고13 아랍세계의13 위상13 때문에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근을13 추구하는13 것이13

중요한13 목표중의13 하나였다

나세르가13 집권13 이후13 이집트가13 당면한13 최대13 현안은13 이스라엘과13 갈등과13 분

쟁이었다 년13 월13 이스라엘군대가13 이집트13 통제지역인13 가자해협의13 군사 1955 2

시설을13 공격하면서13 명이13 사망하는13 사건이13 일어났다 이스라엘의13 공격으로13 38

인해13 양국은13 본격적인13 대립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이집트는13 이러한13 상황에13 대처

하기13 위해13 자국의13 군사력의13 증강이13 무엇보다도13 절실한13 과제였다 이집트는13

처음에13 서방측에게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으나13 거부당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시도하였다 이집트가13 소련을13 선택한13 구체적인13 배경은13 무엇인

가 무엇보다도13 나세르는13 기본적으로13 반서방주의13 성향이13 강하였고13 당시의13 국

제정세로13 볼13 때13 이스라엘을13 지원하는13 영국과13 미국13 보다는13 소련에게13 무기를13

요청하는13 것이13 적합하다고13 판단하였다 년13 이집트는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1955

138 백태열

내세운13 소련과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26 이13 무기협정을13 통해13 사실상13 이집트

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어13 가는13 계기가13 되었고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주공급자가13 되었다 그러나13 이집트는13 소련과13 상호군사조

약을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나세르가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맹관계를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기13 때문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찰스13 크레멘

스 는13 (Charles Cremeans) ldquo군사공약이13 포함되지13 않는13 한13 이집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받을13 수13 있었고13 그리고13 필요하다면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는데13

발생할13 수13 있는13 위험을13 감수할13 준비가13 되었다고13 나세르는13 항상13 주장하였다rdquo고13 지적한다 나세르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공여13 받는13 것에13 부(1963 281)

담을13 느꼈던13 것은13 분명하다 그13 이유는13 자신이13 강력한13 비동맹노선을13 표방하

였고13 따라서13 소련과13 연계를13 통해13 의존의13 상황이13 형성되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기13

때문이었다 결국13 나세르는13 적어도13 집권초기에는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

맹관계13 혹은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려고13 하지13 않았다 그러나13 이스라엘의13 군

사적13 위협13 때문에13 이집트가13 무기를13 제공받기로13 한13 결정은13 불가피한13 선택이었

다 전후13 독립을13 획득한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신생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 3

의13 국방력은13 취약하였다 따라서13 이집트의13 대외적13 여건은13 군사대국인13 소련에

게13 자연스럽게13 군사적13 도움을13 요구하게13 되고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그러면13 소련의13 이집트의13 접근배경은13 무엇인가 무엇보다도13 모스크바는13 對

전후13 중동지역에서13 미국과의13 경쟁에서13 우위를13 선점하기13 위한13 목적을13 갖고13 있

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국과의13 냉전13 구도13 하에서13 중동에서의13 영향력

을13 확보하고13 상대적으로13 미국의13 접근을13 어렵게13 하기13 위해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

근을13 시도하였다 즉13 중동에서13 가능한13 많은13 우방국13 혹은13 동맹국을13 만드는13 작

업은13 미국과13 마찬가지로13 소련의13 대외정책의13 우선순위의13 하나였다 더13 나아가

서13 소련은13 이집트뿐만13 아니라13 중동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국가에13 대해13 접한13 관

계를13 구축하고자13 하였다 이러한13 주장은13 년대를13 거치면서13 소련이13 시리 1960

아 요르단13 등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고13 일련의13 군사협정을13 체결하였다는13 사실

에13 의해13 뒷받침13 된다 년13 월13 일13 소련13 외무성은13 1955 4 16 ldquo소련은13 근동13 및13 중

26 이13 협정을13 통해13 양국은13 억불의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45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9

동지역에서13 전개되는13 상황에13 무관심한13 채13 남아13 있을13 수13 없다 그13 이유는13 그13

지역에13 있는13 외국의13 군사기지시설과13 블록화13 현상은13 소련의13 안보에13 직접적인13

연관성이13 있기13 때문이다rdquo27는13 입장을13 표명하였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친 한13 관계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이해관계를13 둘러싸고13 더욱13

발전하게13 되었다 년13 월13 나세르는13 수에즈운하에13 대한13 국유화를13 선언하 1956 7

였고13 이러한13 결정에13 대해13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13 이집트를13 공격하였다 이

로13 인해13 제 차13 중동전쟁이13 발발하였다 운하를13 둘러싼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13 그2

리고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첨예하게13 얽혀있었다 제 차13 중동전쟁은13 이집트 2 -

소련의13 관계에서13 또13 다른13 분수령이13 되었다 년13 이집트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1960

완전한13 통제와13 관리를13 위해13 소련으로부터13 에스완13 댐13 건설비용13 억13 천13 달러3 5

를13 받기로13 결정하였다 그13 후13 이집트는13 다양한13 형태의13 지원을13 소련으로13 받기13

시작하였다 년13 월13 이집트를13 방문한13 후르시초프 서기장은13 1964 5 (Khrushchev)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억13 천 백만13 불을13 융자하겠다는13 발표를13 하였다2 7 7 28

이13 비용은13 이집트가13 년부터13 추진하는13 개년13 개발계획에13 사용될13 예정이1965 5

라고13 덧붙였다 이러한13 재정적13 지원을13 통해13 이집트는13 점진적으로13 의존하였고13

의존의13 내용은13 경제원조의13 영역으로13 확대되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년13 1966 5

월13 일13 소련13 수상13 알렉세이13 코시긴 은13 카이로에서13 가11 (Aleksei M Kosygin)

진13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미국의13 베트남13 공격을13 비난하면서13 ldquo양국의13 국민은13 평화 사회적13 전진 그리고13 사회주의를13 위한13 투쟁에서13 공동13 목적과13 이념으로13

함께13 협력13 한다rdquo고13 선언하였다29 양국의13 우호관계는13 점진적으로13 확대되었다

이집트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스라엘과의13 분쟁은13 여전히13 미해결된13 채13 남아13 있었

고13 소련으로부터13 추가적인13 군사지원은13 불가피하였다

년의13 차13 중동13 전쟁혹은13 일13 전쟁에서13 이집트는13 이스라엘에게13 참패1967 3 ( 6 )

한13 후13 시나이13 반도와13 가지지구13 등을13 빼앗기게13 되었다 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

로13 하여금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더욱13 필요하게13 되었고13 결과적으로13 군

27 Alvin Z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에서13 재인용

2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4 5 25 p 1

29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6 5 11 p 2

140 백태열

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월터13 라퀘르 는13 다음과13 같이13 설 (Walter Laqueur)

명13 한다(1972 62)

일13 전쟁은13 소련6 -이집트13 관계의13 이정표를13 기록하였다 그13 전쟁은13 분실되거

나13 혹은13 파괴된13 모든13 군사13 장비를13 빨리13 대체하기13 위한13 필요성13 때문에13 소련에13

대한13 이집트의13 종속을13 극적으로13 심화시켰고13 낫세르의13 요청에13 따라13 소련군hellip13 인이13 탑승한13 SAM- 과13 2 SAM- 로13 구성된13 거대한13 미사일13 방어체계가13 13 이집트3

에13 설치되었다 소련조종사들이13 이집트내의13 개의13 공군비행장에서13 전투임무 15

를13 갖고13 전투기를13 발진시켰다

이집트는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있어서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

기13 위하여13 소련의13 군사적13 지원을13 지속적으로13 받았다 특히13 년에13 발생한13 1967

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과정에서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위해13 간접적13 방식으로13 전6

쟁에13 개입하였다 소련의13 군사고문단이13 이집트에13 상주하면서13 막후에서13 이집

트에서13 전술적 전략적13 도움을13 제공하고13 협력했을13 가능성은13 상당히13 높다 30

년13 가을에13 발생한13 나세르의13 갑작스런13 죽음과13 함께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1970

사다트는13 나세르의13 이념적 정책적13 계승자였다 따라서13 그는13 적어도13 외형적

으로13 소련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고자13 하였다 그의13 선택은13 당연하였다 일13 6

전쟁은13 휴전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전쟁은13 언제든지13 다시13 발발할13 개연성이13 높았

고13 따라서13 군사력의13 보강은13 그의13 주된13 목표였다 그는13 년13 월13 모스크바 1971 3

를13 방문하여13 소련에13 대한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다 그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1971

년13 월13 일13 양국사이의13 우호조약으로13 발전되었다 이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자리7 28

에서13 사다트는13 ldquo우리국민은13 아랍-소련의13 우정을13 소중하게13 생각하며13 그리고13 진정으로13 아랍전체13 국가들은13 이13 우정을13 우리13 정책의13 가장13 중용한13 기초중의13

하나로13 간주13 한다rdquo 고13 역설하였다 31 양국은13 년의13 유효기간을13 설정하고13 우 15

30 년13 동안13 이집트의13 군복으로13 위장한13 소련군13 조종사들이13 이집트13 영공에서13 이스라1970

엘의13 공습에13 대항하여13 공중전투에13 참여하였다 이13 부분에13 대해서13 Craig A Daigle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을13 참 8(1) March p 3

31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1 5 28 p 2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1

호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에13 어떤13 의미를13 갖고13

있는가 이와13 관련하여13 두13 가지13 사항이13 언급될13 수13 있다 첫째 이집트는13 오래13 13

동안13 공식적인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것을13 주저하였다 그것은13 특정국가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이13 나세르와13 사다트의13 정치철학에13 위배된다고13 판단하였기13 때문

이다 그러나13 나세르의13 죽음과13 완결되지13 않은13 중동전쟁의13 상황을13 고려할13 때13

다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보다13 강화할13 필요성을13 느꼈기13 때문이다

둘째 이13 조약은13 사실상13 외형적으로13 상호13 협력13 및13 우호를13 강조하고13 있지만13

조약의13 세부적13 내용을13 면 히13 검토해13 보면13 사실상13 군사원조와13 무기지원을13 포

함한13 일방적13 방위조약의13 성격이13 강하다 따라서13 향후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방위공약의13 의무를13 갖게13 되고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은13 보다13 제도적13 성격

을13 갖게13 되었다

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상황(2) 對이집트1) -소련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우호13 조약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이집트가13 군사적으로13 소련에13 예속된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년13 월13 이집트와13 1955 9

체코의13 무기매매협정에서13 찾을13 수13 있다 이13 협정은13 사실상13 소련과13 이집트사

이에13 체결된13 것으로13 소련이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내세워13 체결하였다(Cremeans

이13 협정을13 통해13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무기를13 공여하기13 시작하였고13 1963 146)

이집트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는13 계기가13 되었다 년13 월13 일13 1971 5 27

이집트와13 소련의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the Egyptian-Soviet Treaty of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년13 양국의13 무기Friendship and Cooperation) 1955

협정이후13 체결되었다 이13 조약은13 전문을13 포함하여13 모두13 개13 조항으로13 구성 12

되었다 이13 조약의13 전문은13 ldquo소련과13 이집트는13 양국의13 발전을13 촉진하고13 모든13 부분에서의13 협력을13 확고하게13 강화할13 것을13 확신하며13 양국은13 평화로운13 외hellip13 교정책의13 변함없는13 진행에13 따라서13 보다13 강력한13 국제평화와13 안보를13 위한13 투쟁

을13 지속적으로13 수행13 할13 것을13 결의하며helliprdquo32로13 되어13 있다 이13 조약은13 년13 1955

년13 양국이13 맺은13 무기협정13 보다13 여러13 부분에서13 포괄적인13 교류와13 협력을13 강조

32 Julian J Landau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참조Communications p 165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3: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17

으로13 말하면13 이집트-소련과13 필리핀-미국의13 군사적13 동맹관계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종속타파의13 원인과13 과정 그리고13 정치적13 의미를13 분석하고13 평가하고자13 한다

이13 논문의13 원활한13 수행을13 위해13 저자는13 다음과13 같이13 가지13 세부적13 문제를13 제4

기한다

bull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원인과13 배경은13 무엇인가

bull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영역과13 분야는13 무엇인가

bull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여건 및13 정책13 등은13 무엇이

며13 어떠한13 전개과정을13 거쳤는가

bull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공통점과13 차이점은13 각각13 무엇인

그러면13 왜13 이집트와13 필리핀인가 이13 두13 국가의13 경우13 다른13 어떤13 나라13 보다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비교적13 확연하게13 분석 평가할13 수13 있기13 때문이다 즉13 이집

트와13 필리핀의13 경우13 소련과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예속을13 벗어난13 구체적인13 사

례이다 따라서13 이13 두13 국가를13 기존의13 이론적13 분석틀에13 의해13 비교 평가하는13

것은13 의미13 있는13 작업이다 또13 다른13 중요성은13 본13 연구의13 이론적13 분석틀이다

종속타파 의13 이론을13 구체적인13 사례에13 실제적으로13 적용(Counterdependence)

시킴으로써13 본13 논문은13 이론적13 유용성과13 한계점을13 평가하는데13 있다

이론적13 분석틀II (Theoretical Framework)

이론적13 검토와13 평가13 1

본13 연구의13 핵심개념인13 종속타파는13 국제정치13 분야에서13 비교적13 생경한13 개념

이다 종속이론에13 관한13 논의는13 광범위하지만13 종속타파와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이론적13 시도는13 극도로13 미약하다 그러나13 종속타파와13 간접적인13 연결성을13

118 백태열

갖는13 이론적13 연구는13 지난13 수십13 년13 동안13 지속적으로13 존재하여13 왔다 이와13 관

련된13 이론적13 논의를13 간략하게13 검토하기로13 한다 헨델13 은13 강대 (Handel 1981)

국-약소국의13 관계는13 기본적으로13 ldquo비공식13 불평등한13 관계유형rdquo으로13 규정한다1

그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약소국은13 거의13 대부분13 강대국의13 입장을13 따르기13 때문에13

독자적13 선택과13 행동에13 제약을13 받는다고13 강조한다 슈메이커와13 스페니어

(Shoemaker and Spanier 1984 13- 는13 헨델과13 유사한13 관점에서13 강대국15) -

약소국의13 관계에13 대한13 이론적13 접근을13 시도한다 그들은13 강대국 -약소국의13 관

계를13 보호자-피보호자의13 관계(Patron- 로13 정의한다 그들Client Relationships)

의13 설명은13 보호자-피호보자의13 관계는13 기본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능력의13 현저

한13 차이에서13 기인하며13 보호자 보호국는13 피보호자피보호국에13 대해13 막대한13 ( ) ( )

영향력을13 행사한다고13 지적한다 또13 다른13 학자들의13 입장도13 유사하다 아버니

티13 (Abernethy 1984 105- 는13 지배108) -종속의13 관계(Dominant-Subordinate

의13 개념을13 사용하여13 설명을13 시도한다 그는13 지배Relationships) -종속의13 관계

의13 결과에13 초점을13 맞추어13 논의를13 전개한다 그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지배국과13 종

속국은13 다양한13 영역에서13 상호작용을13 하고13 있으며13 그13 결과는13 종속국의13 국내외

정책에13 부정적13 영향을13 미친다고13 평가한다 또13 다른13 논의는13 강대국 -약소국의13

관계를13 영향력13 이론의13 시각에13 초점을13 맞추고13 있다 루빈스타인 (Rubinstein

은13 자신의13 저서에서13 소련과13 이집트의13 관계를13 그러한13 맥락에서13 분석하1977)

고13 있다 영향력은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에13 대해13 원하고자13 하는13 것을13 획득할13

때13 명백하게13 확인된다2 그러나13 다른13 연구들은13 그러한13 타당성을13 수용하면서13

영향력13 이론은13 반드시13 강대국-약소국의13 관계에13 국한되어13 적용되는13 것이13 아니

라13 국가간의13 국력의13 편차가13 적은13 양국관계에서도13 적용될13 수13 있음을13 보여준다

(Lee and Sato 1982)3

1 Michael Handel 1981 Weak States in the International System Totowa NJ F

저자는13 영문원본을13 입수하지13 못하였기13 때문에13 번역본을13 사용하였음 번역본은13 Cass

저13 김진호13 역13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를13 Michael Handel 1995 pp 148-149985172 985173참조

2 이와13 관련하여13 Alvin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Princeton NJ

의13 를13 참조 이13 부분에서13 이론적13 논의와13 주장을13 요Princeton University Press Preface (

약하였음)

3 Chae-Jin Lee and Hideo Sat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19

지금까지13 제시된13 학자들의13 이론적13 검토를13 통해서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들의13

이론은13 일반적13 차원에서13 강대국과13 약소국의13 관계의13 실상에13 대한13 유용한13 설명

을13 제공한다는13 점이다 그러나13 가장13 취약한13 부분은13 종속국의13 입장과13 상황에

서13 충분하게13 논의를13 전개하지13 못했다는13 점이다 즉13 종속국이13 타국과의13 관계

에서13 다양한13 제약과13 어려움을13 겪는다면13 이를13 극복할13 수13 있는13 이론적13 논의가13

필요하다 몇몇13 연구들은13 그러한13 문제점을13 극복하려는13 시도를13 보인다 싱거

(Singer 1972 273- 의13 군사적13 종속에13 관한13 이론적13 접근은13 종속타파에13 309)

대한13 새로운13 지평을13 제공한다 즉13 종속국은13 종속의13 상황을13 극복하려는13 의지

와13 욕구를13 보이면서13 종속국-피종속국13 관계의13 본질을13 변화시키려고13 노력한다

그러한13 맥락에서13 존슨 은13 약소국의13 종속극복에13 관한13 전(Johnson 1986 286)

략을13 논의한다 약소국은13 강대국과13 관계를13 맺고13 있는13 과정에서13 다양한13 어려

움을13 겪고13 있는데13 이는13 궁극적으로13 ldquo진정한13 주권rdquo을13 얻기13 위한13 외교목표를13 설정하게13 되며13 약소국은13 민족자결주의의13 가치와13 규범을13 확산시키고자13 한다

는13 것이다 다시13 말하면13 이러한13 논의의13 중심은13 종속의13 극복을13 위한13 동력과13

추진력을13 암시하고13 있다 종속타파의13 이론적13 핵심을13 간단히13 요약하면13 타국의13

군사적13 예속13 하에13 있는13 약소국은13 자주권의13 손상 내정간섭 대외군사정책의13

제약 종속국의13 영향력13 증대13 등으로13 인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려는13 의지와13

욕구를13 발전시키며13 이는13 궁극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로13 연결될13 수13 있다는13 점

이다 본13 논문의13 주제에13 비추어13 볼13 때13 싱거의13 이론적13 접근이13 가장13 적절하게13

사용될13 수13 있다

그러면13 종속타파 는13 무엇인가 싱거는13 종속타파를13 (Counterdependence)

ldquo의존적이거나13 혹은13 열등한13 관계를13 동등한13 관계로13 전환시키고자13 하는13 과정에13 있는13 개인이나13 집단의13 심리적13 상태rdquo 라고13 정의한다 그의13 (Singer 1972 42)

정의는13 두13 가지13 측면을13 함축하고13 있다 첫째 종속타파는13 정적인13 개념이13 아니

라13 동적인13 개념이라는13 점이다 즉13 종속타파는13 종속된13 상황에서13 벗어나는13 과

정13 혹은13 진행을13 강조한다 둘째 종속타파는13 심리적13 상태를13 나타낸다 달리13

해석하면13 종속타파는13 의존적13 상태를13 극복하려는13 의지 욕구 그리고13 열망13 등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을13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reface

참조

120 백태열

을13 포함한다 개념적으로13 볼13 때13 종속타파는13 설명력을13 가지고13 있지만13 인식적13

상황인지13 혹은13 실제적13 극복인지13 불분명하다 그러한13 의미에서13 볼13 때13 종속타

파의13 개념은13 다소13 논쟁적일13 수13 있다 전체적인13 맥락에서13 보면13 종속타파는13 과

정과13 결과의13 두13 가지13 단계를13 모두13 포함하고13 있다고13 보는13 것이13 보다13 적절하

다4

군사적13 종속타파는13 어떻게13 정의될13 수13 있는가 싱거는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개념을13 별도로13 정의하고13 있지13 않지만13 종속타파의13 정의를13 활용하여13 개념은13 정

리될13 수13 있다 군사적13 종속타파 는13 한13 국가가13 (Military Counterdependence)

다른13 국가에13 군사적으로13 예속된13 상태에서13 이를13 극복하고13 벗어나는13 상황13 혹은13

상태로서13 정의될13 수13 있다 따라서13 군사적13 종속타파는13 예속을13 벗어나려는13 과

정과13 이를13 완전히13 실현한13 결과의13 상황을13 모두13 포함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과정과13

결과13 모두를13 검토하고13 분석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 따라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총체적인13 진행과정과13 관련하여13 싱거의13 이론적13 논거는13 본13 논문에13 상당히13 도움

이13 된다 즉13 그의13 분석틀에13 따르면13 크게13 군사적13 종속의13 원인과13 상황13 그리고13

종속의13 범위와13 내용13 등을13 통해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에13 군사적으로13 예속된13 상

황에13 대한13 평가를13 시도하고13 있다 각13 사항을13 구체적으로13 설명하면13 단계로13 3

요약된다 첫13 번째13 단계는13 한13 국가가13 군사적으로13 다른13 국가에13 의존되는13 상황

이다 이13 부분과13 관련하여13 싱거는13 제 세계의13 국가들이13 가지고13 있는13 공통된13 3

취약점13 즉13 외부로부터의13 공격과13 침략가능성 군사적13 지도력의13 부재 낮은13 경

제수준과13 이로13 인한13 국방력의13 저하13 등을13 제시하고13 있다 그러나13 싱거는13 보다13

명확한13 국내외적13 상황에13 대한13 검토와13 분석을13 결여하고13 있다 두13 번째13 단계는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와의13 군사13 안보적13 관계에서13 어떤13 부분과13 영역에13 예속되

어13 있는가에13 관한13 부분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싱거는13 비교적13 상세한13 분석틀을13

제시하고13 있으며13 이는13 본13 연구의13 이론적13 및13 방법론적13 그림을13 그리는데13 상당

히13 적합한13 것으로13 보인다 즉13 군사적13 종속의13 주된13 지표혹은13 기준는13 크게13 ( )

4 종속과13 의존은13 개념적으로13 차이가13 있다 일반적으로13 종속은13 의존보다13 예속의13 정도가13

극심한13 상황을13 의미한다 이13 논문에서13 군사적13 종속의13 개념은13 안보13 및13 국방13 부분에서13

여러13 영역이13 의존된13 상태로서13 구조적 제도적13 성격을13 의미하는13 것으로13 받아들인다

의13 번역도13 다양할13 수13 있으나13 학계에서13 일반적으로13 합의된13 용어가13 Counterdependence

없기13 때문에13 저자는13 이를13 종속타파로서13 번역한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1

다음과13 같은13 가지이다4 (Singer 1972 274-309)5

bull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조약의13 체결

bull 군사기지13 및13 주둔군인13

bull 피종속국13 으로부터의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수입13

bull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인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이러한13 구성요소들은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에13 어떤13 영역에서13 어느13 정도13 군

사적으로13 종속되어13 있는가를13 측정할13 수13 있는13 지표가13 된다 이와13 관련하여13 제

기할13 수13 한13 가지13 주장은13 군사적13 종속은13 결국13 정도의13 문제이며13 따라서13 군사적13

종속타파13 역시13 정도의13 문제가13 될13 수밖에13 없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론적13 전개

를13 고려해13 볼13 때13 본13 연구에13 적절하게13 적용될13 수13 있는13 유용성이13 있다고13 판단

된다

마지막13 단계는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누구의13 주도로13 이루어13 졌는가에13 관한13

논의이다 즉13 종속타파가13 종속국의13 주도에13 이루어졌는가 혹은13 피종속국의13

주도에13 의해13 이루어졌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13 부분과13 관련하여13 싱거는13 구체적

인13 논의와13 설명을13 제공하지13 않고13 있다 종속타파의13 전체적인13 흐름을13 정확히13

평가하기13 위하여13 그와13 관련된13 별도의13 분석틀이13 필요하다고13 생각한다 그13 내

용은13 대략13 다음과13 같다 첫째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상황이다 이13 부분은13 어

떠한13 상황과13 여건13 하에서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에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것을13 구성하는13 세부적13 상황은13 크게13 다음의13 종속대상국의13 (i)

국가안보의13 위기상황내란 외부의13 침략 전쟁 혹은13 기타13 안보상의13 위기( ) (ii)

피종속국의13 정치 외교 안보의13 이해와13 이익이13 추구 이13 경우13 다시13 해당국가와13 (

해당지역에13 대한13 이해관계로13 구분할13 수13 있다 둘째 종속타파가13 이루어지는13 )

상황과13 여건을13 상정할13 수13 있다 이13 경우13 크게13 두13 가지13 방식으로13 정리된다

ldquo자생적13 여건에13 의한13 종속타파rdquo와13 ldquo타생적13 여건에13 의한13 종속타파rdquo이며13 이를13

5 싱거는13 자신의13 저서에서13 지표13 혹은13 기준이라는13 표현보다13 연결고리 의13 표현을13 주ldquotie( )rdquo로13 사용하고13 있으나13 그의13 주장에13 나타난13 전체적인13 맥락에서13 볼13 때13 지표13 혹은13 기준의13

의미와13 유사하다

122 백태열

간단하게13 요약하면13 lt표13 1gt과13 같다

표13 종속타파의13 여건lt 1gt13

자생적13 종속타파종속국의주도( ) 타생적13 종속타파13 피종속국의13 주도( )

민족주의의13 증대주권13 및13 자주권의13 회복

피종속국의13 국내적13 변화

군사 안보13 여건의13 변화 피종속국의13 지역적 국제적13 변화

종속국의13 국내적13 변화 피종속국13 정부 지도자의13 선택과13 결정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종속국의13 의지와13 선택에13 의해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이루

어지는13 경우이다 그13 요인독립변수은13 외국주둔13 군대에13 대한13 종속국의13 강한13 ( )

거부감과13 저항감13 등이13 고조되거나13 혹은13 자주적 자립적13 국가방위에13 대한13 국

민의13 의지가13 증대되는13 요인이다 두13 번째13 요인은13 종속국의13 국내적13 여건의13 관

점에서13 볼13 때13 더13 이상13 특정13 국가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될13 수13 있는13 원인이13 소

멸된13 경우이다 따라서13 종속국은13 더13 이상의13 타국의13 국방력에13 의존하여13 자국

의13 국가방위를13 유지할13 필요가13 없다고13 판단한다 마지막13 요인은13 종속국의13 특

정한13 지도자가13 외부혹은13 타국에13 의존하는13 경우를13 더13 이상13 용납하지13 않고13 ( )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선택하고13 이를13 실행에13 옮기는13 경우이다

반면에13 타생적13 종속타파는13 종속타파의13 상황이13 피종속국의13 의지와13 주도로13

이루어지는13 경우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상황의13 반대의13 경우가13 고려될13 수13 있다

첫13 번째13 요인은13 피종속국의13 국내적13 여건이다 피종속국이13 종속국에게13 제공하

던13 군사적13 원조와13 지원을13 중단하는13 경우13 종속국과의13 관계는13 종료된다 두13 번

째13 요인은13 종속국가의13 국내적13 변화이다 피종속국은13 종속국에서13 발생한13 국내

적13 변화로13 인해13 군사적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불가능하다고13 판단하여13 양국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종료할13 수13 있다 마지막13 요인은13 피종속국의13 정부의13 판단과13 선

택이다 피종속국의13 지도자13 혹은13 정부는13 스스로의13 판단과13 선택에13 의해13 종속

국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정리하기를13 원했을13 때13 종속13 관계는13 종료된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3

접근13 및13 분석13 방법2

본13 연구의13 성격과13 주제에13 비추어13 볼13 때13 저자가13 사용하고자13 하는13 연구방법

은13 비교분석이다 구체적인13 내용은13 다음과13 같이13 요약된다 첫째 필리핀의13 對미13 군사적13 종속과13 이집트의13 소13 군사적13 종속의13 발생원인과13 상황을13 각각13 논對의한다 이를13 위해13 저자는13 군사적13 종속의13 발생원인을13 국내적13 여건과13 국제적13

여건으로13 나누어13 접근하기로13 한다 둘째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군사적으로13 어

떤13 분야에서13 구체적으로13 예속되었는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한다 이것을13 확인하기13

위한13 방법으로13 저자는13 네13 가지13 영역13 ldquo 군사원조의13 양과13 범위13 상호방(1) (2)

위조약의13 체결여부13 피종속국13 으로부터의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구매와13 수입13 (3)

그리고13 피종속국에서의13 군사훈련과13 교육(4) rdquo 등을13 중심으로13 종속의13 상황과13

실체를13 규명하고자13 한다 셋째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각각13 어떤13 상황에서13 그리

고13 어떤13 방식을13 통해서13 지배국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고13 타파했는가

에13 대한13 설명을13 시도한다 이러한13 작업을13 위해13 저자는13 양국에서13 나타난13 군사

적13 종속타파의13 움직임과13 활동에13 초점을13 맞추어13 접근하고자13 한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과13 전개에13 대한13 비교분석을13 하고

자13 한다 비교분석의13 대상은13 ldquo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의13 자생적13 종속과13 타생적13 종속에13 대한13 평가rdquo 등13 가지13 항목이며13 이러 4

한13 가지13 사항을13 중심으로13 논의한다 이러한13 논의를13 진행하는데13 있어서13 저자4

는13 필리핀의13 경우에는13 년13 이후부터13 년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영토에서13 1947 1991

떠날13 때까지의13 시기를13 다룬다 이집트의13 경우에는13 년13 나세르가13 등장한13 1952

이후부터13 년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군사적13 관계가13 사실상13 종료되었던13 시점까1976

지13 논의된다 그러나13 본13 논문과13 관련하여13 추가적13 논의가13 필요한13 경우에13 저자

는13 이러한13 시기를13 제외한13 시기에13 대해서도13 부분적으로13 논의할13 계획이다

124 백태열

필리핀과13 이집트 군사적13 종속상황과13 종속타파의13 전개III

이13 장에서는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상황에13 대한13 배경을13 먼저13 개

관하기로13 한다 우선13 저자는13 필리핀 -미국 이집트 -소련의13 일반적13 및13 군사적13

관계에13 초점을13 맞추기로13 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가13 검토된다

필리핀13 1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

필리핀은13 년13 동안의13 미국의13 식민지배에서13 벗어나13 년13 월13 일13 독립48 1946 7 4

을13 이루었다 그13 후에도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였고13 미국의13 정체

제도와13 특성을13 모방하였고13 양국의13 경제관계도13 활발하였다 전후13 그13 어느13 나

라보다도13 필리핀은13 미국적13 색체가13 강하였다 년13 월13 양국은13 군사기지협 1947 3

정 년13 월13 상호방위조약(Military Bases Agreement) 1951 8 (Mutual Security

을13 각각13 체결하였다Treaty) 6 이러한13 일련의13 조약체결로13 인해13 양국은13 군사적13

동맹관계를13 형성하게13 되었다 이러한13 배경은13 무엇인가 저자는13 미국과13 필리

핀의13 관점에서13 각각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미국의13 시각에서13 보면13 년13 종전 1945

과13 함께13 소련의13 팽창주의적13 공산화정책은13 전13 세계의13 도처에서13 발생하기13 시작

하였다 소련은13 그리스의13 내전에13 개입하였고13 중동의13 아제르바이젠에서13 친공

산정권의13 수립을13 지원하였다 특히13 년13 이후13 북한은13 소련의13 후원하에13 공 1946

산정권을13 수립하고13 있었다 이와13 같이13 년부터13 년대13 후반에13 이르는13 1945 1940

국제정세는13 냉전이13 서서히13 형성되고13 있었다 년13 월13 중화13 인민공화국 1949 10

(the Peoplersquo 의13 출범은13 미국으로13 하여금13 공산세력을13 견s Republic of China)

제하기13 위한13 필요성을13 절실히13 느꼈다 특히13 한국전쟁의13 발발로13 인해13 미국은13

6 그13 밖에도13 미국은13 일본 년 한국 년 그리고13 대만 년 과13 각각13 상호방(1951 ) (1953 ) (1954 )

위조약을13 체결하였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5

동북아뿐만13 아니라13 서남아의13 안보와13 안정의13 중요성을13 심각하게13 고려하기13 시

작하였다 그13 결과13 미국은13 아시아의13 안보역량을13 강화하고13 소련을13 중심으로13

한13 공산주의세력과13 대항할13 수13 있는13 안보체제를13 공고히13 하려는13 노력을13 가시화

하였다 그13 결과13 미국은13 년13 필리핀과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였다 미국 1951

의13 목적은13 전13 세계적으로13 확산되는13 공산주의세력의13 준동과13 움직임에13 적절하

게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아시아의13 안보이익과13 군사적13 영향력을13 구축하는13 것이었

다 냉전의13 상황에13 접어들면서13 미국은13 세력권의13 확대와13 군사적13 동맹군이13 절

실히13 필요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동안13 스페인의13 식민통치를13 받았고13 그13 후13 미국의13 식민13 지400

배를13 받았다 년13 독립을13 쟁취한13 이후13 필리핀은13 새로운13 시대를13 맞게13 되었 1947

다 전후13 필리핀대통령이었던13 마누엘13 로하스 는13 미국으로 (Manuel A Roxas)

부터13 경제원조와13 지원을13 받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제 차13 세계대전13 이후13 독립을13 2

쟁취한13 거의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필리핀은13 안보 경제3

교육 제도13 등13 여러13 부분이13 극도로13 열악한13 상황이었고13 따라서13 국가건설과정

에서13 강력한13 후원자가13 필요하였다 독립이후에도13 양국의13 관계는13 지배 -피지배

의13 종속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정착되기13 시작하였다 군사와13 안보13 부분에서의13 상

황은13 군사기지협정과13 군사원조협정으로13 확인된다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협

정을13 체결한13 배경은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요약된다 첫째 냉전의13 상황이다 1940

년대13 말13 이미13 전13 세계로13 확대된13 냉전의13 상황에서13 필리핀13 역시13 안보상의13 불안

감을13 가졌다 아시아에서의13 공산주의13 정권의13 등장과13 역내의13 불안정은13 필리핀13

지도자들로13 하여금13 미국과의13 동맹관계를13 형성할13 필요성을13 절감하였다 필리

핀은13 미국으로부터의13 군사원조를13 통해13 미약한13 국방력을13 회복하려고13 하였다

더13 나아가서13 년의13 한국전쟁과13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전쟁을13 지켜보면1950 1960

서13 필리핀13 지도자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유착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필리핀의13

안보와13 안정을13 위해서13 필요하다고13 판단하였다 둘째 필리핀의13 국내적13 여건

과13 상황이다 필리핀의13 독립과13 함께13 국내에서는13 후크 가13 조직되었다 (Huks)

이13 단체는13 사실상13 공산주의노선을13 지지하면서13 필리핀의13 팜파간 불라칸 탈

락13 등에서13 강력한13 영향력을13 가지고13 있는13 국민농민연맹(National Peasant

과13 깊게13 연결되어13 있었다Union) 7 독립13 이후13 이들의13 반란이13 일어나고13 로하스13

126 백태열

대통령은13 이를13 진압하기13 위해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적 기술적13 도움을13 받았다13

양승윤( 2003 69- 이13 반란은13 독립이후13 극심한13 분열과13 갈등을13 초래하였70)

고13 향후13 반정부집단의13 정치세력화를13 예고하고13 있었다 이러한13 점에서13 필리핀

정부는13 미국과13 군사동맹관계를13 통해서13 국내의13 소요와13 반란을13 효율적으로13 진

압할13 수13 있는13 안보체계를13 구축하는13 작업이13 필요하였다 간단히13 말하면13 냉전

의13 상황과13 국내의13 공산주의의13 준동에13 적절히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필리핀은13 미국

과의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유지해야13 하는13 절박한13 상황에13 직면하였다

년대에13 접어들면서13 막사이사이 가르시아1950 (Ramon Magsaysay) (Carlos

마카파갈 등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들은13 친미적13 Garcia) (Diodado Macapagal)

성향을13 가졌고13 이러한13 점은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이러

한13 배경에는13 여전히13 아시아에서13 냉전의13 열기가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국내의13 안보

상황도13 크게13 개선되지13 않았기13 때문으로13 풀이된다 마르코스가13 년에13 대통 1965

령에13 당선된13 이후13 미국-필리핀의13 관계는13 군사적 경제적으로13 안정된13 모습을13

보였고13 마르코스는13 집권초기에13 미국에13 대한13 일방적인13 대외관계를13 개선하기13

위하여13 다변화13 외교정책을13 추구하기도13 하였지만13 미국의13 대군사의존의13 상황

은13 크게13 변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마르코스는13 친미성향이13 강했고13 양국관계

를13 필리핀의13 외교의13 중심축으로13 삼았기13 때문이다 마르코스의13 친미적13 성향은13

필리핀의13 국내적13 상황과13 연결된다 필리핀에서13 발생한13 두13 가지13 상황을13 지적

할13 수13 있다 첫째 년에13 결성된13 신인민군대 1969 (New Peoplersquo 이다s Army)

이13 조직은13 공산주의의13 게릴라13 집단으로13 테러활동을13 통한13 사회주의의13 노선을13

확립하려는13 집단이며13 필리핀의13 마오주의13 공산당(the Maoist Communist

과13 정치적으로13 깊게13 연관되어13 있다Party) 8 둘째 년대에13 결성된13 모로13 회 1960

교해방전선 이다 이13 단계는13 사실상13 (the Moro Islamic Liberation Front) Kuk

조직의13 전신으로13 필리핀을13 회교사회로13 만들기13 위해13 투쟁하는13 집단이다 공교

롭게도13 이13 집단은13 모두13 마르코스13 대통령이13 재임하던13 시기인13 년대13 말에13 1960

결성되어13 테러13 활동을13 통한13 국내적13 상황을13 어렵게13 만들었다 마르코스의13 입

7 이13 부분에13 관해서는13 을13 참조httpwwwcomwfb2001philippines

8 이13 부분에13 관해서는13 를13 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7

장에서13 보면13 이러한13 국내적13 불안정과13 좌익13 활동은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시켰

고13 미국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불가피하였다 그13 결과13 필리핀은13 안

보분야에서13 자연스럽게13 미국에게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이들13 반13 정부단체의13

활동은13 마르코스가13 재임하고13 있는13 동안13 국내적으로13 커다란13 정치적 사회적13

도전이었고13 필리핀의13 국내안정과13 직결되어13 있었다 그러나13 필리핀의13 국내정

치적13 상황은13 년13 마르코스가13 재선되고13 계엄령을13 선포함으로써13 악화되기13 1972

시작하였다 마르코스대통령은13 국민들에13 대한13 탄압을13 강화하였다 필리핀13 국

내에서13 독재정권을13 무너뜨리고13 민주주의를13 운동을13 강화하려는13 노력은13 지속

되었지만13 미국과13 군사동맹관계를13 변화시키려는13 활동과13 노력은13 간헐적으로13

이루어졌다 마르코스13 대통령은13 미국과13 체결한13 일련의13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

조약을13 필리핀의13 대외관계의13 주축을13 이루었고13 따라서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

속상태는13 고착화되었다 간단하게13 요약하면13 필리핀이13 미국에13 군사적으로13 예

속된13 주된13 배경은13 국내안보상황의13 불확실성과13 공산주의의13 위협13 때문이었다

필리핀의13 대미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전개(2)

필리핀1) -미국의13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조약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확인할13 수13 있는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양국이13 체

결한13 일련의13 군사동맹조약이다 양국은13 년13 월에13 체결된13 군사기지협정 1947 3

과13 군사원조협정(Military Bases Agreement) (The RP-US Military Assistance

그리고13 년13 월의13 상호방위조약 을13 Agreement) 1951 8 (Mutual Defense Treaty)

각각13 체결하였다 먼저13 저자는13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체결한13 군사기지협 1947 3 14

정의13 내용을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이13 협정은13 미국이13 필리핀에13 군사기지의13 설

치 운영13 등에13 관한13 권리를13 확보할13 수13 있도록13 하였다 미국은13 클라크13 공군기

지와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및13 기타시설13 등을13 포함한13 개의13 군사시설을13 년13 동23 99

안13 무상으로13 사용할13 수13 있도록13 하였다 사실상13 미국정부는13 필리핀내의13 군사

시설에13 대한13 완전한13 통제권을13 갖게13 되었다 이13 협정은13 필리핀이13 군사안보13 부

분에서13 미국에게13 의존하게13 만든13 법적13 기초였다 필리핀의13 미13 군사적13 의존 對

을13 확인할13 수13 있는13 또13 다른13 협정은13 군사원조협정이다 이13 협정은13 군사기지협

정이13 체결된13 직후13 년13 월13 일에13 체결된13 부속협정 이1947 3 21 (Sister agreement)

128 백태열

다9 이13 협정의13 전문은13 ldquo독립13 이후13 필리핀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 그리고13 군장

비의13 구입13 등에13 대한13 필리핀13 정부의13 여망을13 고려하여13 미국13 대통령은13 공동방

위의13 문제에서13 양국의13 상호13 이익의13 관점에서13 국가안보를13 유지하기13 위하여13 필

리핀13 정부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는13 것을13 허락한다helliprdquo10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협정은13 모두13 개의13 세부적인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으며13 거의13 대부분23

의13 조항은13 필리핀에13 대한13 미국의13 군사원조에13 국한되어13 있다 보다13 상세한13 내

용을13 파악하기13 위해13 저자는13 몇몇13 조항을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동13 협정의13 제 1

조는13 ldquo상호협정에13 따라서13 미국정부는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을13 위해13 필리핀정부에게13 군사원조를13 제공할13 것13 이다helliprdquo11고13 명시되어13 있다 또13 다른13 조항은13 군

사고문단 의13 기능과13 역할에13 관한13 것이다 동13 협정(Military Advisory Group)

의13 조는13 8 ldquo군사고문단의13 기능은13 국가안보와13 관련된13 목적을13 수행하는데13 필요한13 것으로13 필리핀에13 조언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다helliprdquo12고13 적고13 있다 이러한13

점은13 필리핀이13 안보정책을13 수립하거나13 군사적13 역할을13 하는데13 있어서13 독자성

이13 크게13 훼손될13 수13 있다 일반적으로13 강대국과13 약소국의13 상호방위조약은13 약

소국의13 독립적이고13 자주적인13 대외군사정책을13 추구하는데13 있어13 제약이13 많고13

군사적13 자주권을13 종종13 훼손시킨다 따라서13 필리핀과13 미국과의13 군사원조협정

도13 같은13 맥락에서13 볼13 수13 있다 또한13 동13 협정의13 조는13 일반적인13 군사원조의13 6

내용을13 담고13 있다 이13 조항에13 따르면13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군대에게13 무기 탄

약 군사장비 전투기와13 전함13 등을13 제공하게13 된다고13 명시하고13 있다 협정의13

조는13 군사훈련지원 에13 관한13 것이다 필리핀에13 대한13 군21 (Training assistance)

사원조의13 일부로서13 선발된13 필리핀13 학생들을13 미국에13 보내13 육군 해군 그리고13

공군13 부대에서13 기술13 및13 군사훈련을13 받도록13 하는13 내용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과13 미국은13 년13 월13 일13 상호방위조약1951 8 13 (Mutual Security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전문과13 개의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Treaty) 13

9 이13 협정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 저자는13 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인쇄본을13 입수하지13 못하여13 대신에13 인터넷13 사이트의13 정보를13 인용함

10 상게서

11 상게서

12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9

이13 조약에서13 양국은13 ldquo외부의13 군사적13 전략에13 대해13 공동으로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양국의13 단결과13 공동의13 결의를13 공개적으로13 그리고13 공식적으로13 선언하면서rdquo13

개13 조항에13 합의하였다 이13 조약의13 13 조는13 외부의13 군사적13 침략에13 대해13 공동13 3

으로13 방어하기13 위한13 대응태세를13 강조하고13 있으며13 조는13 당사국중의13 한13 국가4

가13 외부의13 공격을13 받을13 경우13 이를13 자국에13 대한13 공격으로13 간주한다고13 규정함

으로써13 공동방위를13 구축하고13 있다

양국이13 체결한13 개의13 군사13 및13 방위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볼13 때13 현실적으로13 3

필리핀의13 국가안보를13 강화하고13 양국이13 공동의13 외부적13 위협에13 대응하도록13 구

성되어13 있다 그러나13 이13 조약들은13 양국의13 평등성에13 기초하고13 있기13 보다는13 필

리핀이13 일방적으로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받도록13 되어13 있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군군대의13 주둔2)

싱거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외국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시설이다 년13 양국의13 협정에13 따라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군대를13 주둔시키 1947

고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필리핀에는13 미국의13 군사방위공약을13 실천하기13

위하여13 년부터13 미군이13 주군하고13 대규모의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대1947

표적인13 군사시설은13 클라크13 공군기지(Clark Air Base in Pampanga and

수빅만13 해군기지 죤13 Tarlac) (Subic Naval Base in Bataan and Zambales)

헤이13 공군13 이착륙장 월레스13 공군13 이(John Hay Air Station in Baguio City)

착륙장 그리고13 산13 미구엘13 통신소(Wallace Air Station in La Union) (San

등이다Miguel Station in Zambales) 14 그13 외에도13 소규모의13 미국군사기지13

및13 시설은13 대략13 개이다 클라크13 공군기지는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규모15

이며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역시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해군기지이다 이러한13

미군기지와13 시설에13 주둔하고13 미국병사는13 년13 기준으로13 대략13 육군은13 1979 28

명 공군은13 명 해군은13 그리고13 해병대13 명이13 각각13 필리핀에13 주 8005 4594 786

13 이13 조약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14 이와13 관련하여13 상세한13 내용은13 다음의13 자료를13 참조바람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130 백태열

둔하였고13 전체13 미군의13 수는13 명이다13413 15 이와13 관련된13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13 기준을13 기준으로13 필리핀의13 모든13 미군기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병력은13 1988

명이다17870 16 년13 당시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의13 수는13 명의13 군인과13 1991 15000

명의13 군무원이13 주둔하고13 있었다1000

이러한13 군사기지의13 설치는13 앞서13 설명된13 양국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방위조약

에13 따른13 부수적13 결과일13 뿐이다 외군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기지의13 허용은13 종속

국의13 국방력이13 취약하다는13 반증이다 종속국은13 외국군대의13 도움이13 없이는13 자

국의13 안보상황을13 개선할13 수13 없다는13 것을13 의미하며13 이는13 군사적13 예속의13 또13 다

른13 측면이다 외국군대의13 기지와13 주둔군은13 해당국민과13 가장13 직접적인13 마찰과13

갈등을13 빚는13 부분이고13 법적 사회적 문제를13 가장13 많이13 야기시켰다

미국의13 필리핀13 무기13 공여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검증하기13 위하여13 사용되는13 또13 다른13 증거는13 군사장

비13 및13 무기의13 공여이다 피종속국은13 현실적으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자체적으

로13 개발하는데13 필요한13 기술력과13 경제력을13 결여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타국으로부

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유상으로13 혹은13 무상으로13 공여13 받는다 특히13 이러한13 무

기의13 지원으로13 인해13 보다13 심각한13 상황은13 특정한13 국가로부터13 무기지원을13 받는

다는13 점에서13 의존적13 성격을13 갖고13 있다는13 점이다 따라서13 피종속국이13 종속국

에게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하거나13 수출하지13 않을13 경우13 종속국의13 국가안보

는13 어려움을13 겪거나13 혹은13 심각한13 위험에13 직면할13 수도13 있다 필리핀의13 경우13

년대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의13 대부분을13 공여13 받았다1950 17 이

와13 관련하여13 몇13 가지13 사례를13 들어13 보기로13 한다 필리핀은13 년대13 초부터13 1950

년까지13 미국으로부터13 다양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13 받거나13 혹은13 구매1973

하였다 군사용13 비행기예를13 들면 ( Lockheed T-33 Gruman HU-16A

군사용13 선박예를13 들면 그Albatross) ( patrol boat Infantry landing craft)

리고13 장갑차 예를13 들면( M- 등이다4 Sherman) 18

15 United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p 145

16 이와13 관련된13 자료는13 김경숙13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13 참1988 10 p 76 「 」 985172 985173조

17 년대13 초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제외한13 일본 독일 호주 이탈1950 1970

리아13 등으로부터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미국의13 비중이13 압도적으로13 많았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1

필리핀13 군인의13 미국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13 4)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종속국가의13 군인13 혹은13 영관급13 장교들이13 피

종속국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러한13 지표는13 종속국의13 군인

들의13 질적13 취약성에13 기초한다 종속국의13 군인들은13 안보와13 전쟁에13 필요한13 현

대식의13 훈련과13 전투능력을13 배양하지13 못했기13 때문에13 국가안보의13 문제와13 위기

가13 발생했을13 때13 적절하게13 대처할13 수13 있는13 있는13 군사적13 능력을13 갖추고13 있지13

못하다 이러한13 측면은13 종속국의13 군사력13 하락으로13 연결된다 필리핀군인들은13

의13 프로그램의13 후원13 IMET(International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하에13 미국본토13 혹은13 미국본토이외의13 군사훈련소에서13 군사훈련13 혹은13 교육을13

받았다 자료에13 따르면13 필리핀13 군인들은13 년부터13 년까지13 명이13 1950 1968 12217

훈련을13 받았다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부터13 년13 초까(Singer 1972 301) 1950 1980

지13 대략13 의13 필리핀13 군인들이13 미국의13 재정적13 지원13 하에13 미국의13 군사학17000

교와13 훈련소에13 훈련을13 받았음을13 보여준다19

간단히13 정리하면13 앞서13 제시된13 가지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살펴13 본13 결과13 4

필리핀은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되어13 있음을13 보여준다

필리핀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13 (3)

필리핀의13 정부지도자와13 국민들이13 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상태를13 타파해야13

한다는13 목소리를13 강화한13 것은13 마르코스13 대통령의13 독재정치가13 절정에13 달했을13

때였다 그의13 탄압과13 독재정치에13 대해13 많은13 필리핀국민들이13 저항하였고13 반마

르코스의13 열기가13 확대되었다 년에13 일어난13 필리핀의13 민중의13 혁명 1986

(Peoplersquo 은13 마르코스를13 권좌에13 내쫒았다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의존s Power)

의13 타파는13 사실상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와13 궤를13 같이13 한다 마르코스에13 대한13

비판은13 민주주의를13 강하게13 염원하게13 되었고13 동시에13 그의13 정권하에서13 오래13 동

안13 유지되었던13 필리핀-미국의13 동맹관계의13 실체를13 재평가하려는13 움직임으로13

빠르게13 전환되었다 년13 월13 코라손13 아퀴노 가13 대통령 1986 2 (Corazon Aquino)

18 이와13 관련하여13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참조Stockholm 1975 Sweden SIPRI pp 17-19

19 를13 참조httpIcweb2locgovcgi-binquery

132 백태열

에13 취임하면서13 필리핀에서는13 본격적으로13 미군의13 철수문제가13 공론화되기13 시

작하였다 필리핀국민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동맹체제로부터13 발생하는13 다양한13 불

이익과13 불편을13 종식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개시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추진력 은13 무엇인가 대략13 두13 가지13 요인(Driving force)

으로13 설명된다 첫13 번째는13 민족주의이다 민족주의는13 식민지13 상태에서13 해방

과13 독립을13 쟁취하기13 위한13 이데올로기로서13 작동하였고13 독립이후13 민족주의는13

외세의13 지배와13 간섭을13 배격하기13 위한13 무기로서13 전환된다 필리핀은13 스페인과13

미국의13 식민지를13 경험하면서13 강한13 민족주의를13 발전시켰다 살바도르13 마르티

네그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13 역사는13 세(Salvador Martineg) 16

기13 초에13 시작되어13 년대13 이래13 유지되었고13 년대에는13 클라로13 렉토13 등1950 1960

에13 의해13 활성화되었다20 결국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는13 반미주의와13 강하게13 연결

되어13 있으며13 이는13 미국의13 간섭과13 영향력을13 배제하고13 자국의13 자존심을13 회복하

려는13 노력으로13 승화되었다 동시에13 민족주의의13 열기는13 필리핀국민들에게13 미

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에서13 기인하는13 지배국의13 독선과13 횡포 그리고13 내정간섭에13

대한13 저항을13 강하게13 표출할13 수13 있는13 통로를13 제공하였다 두13 번째는13 주권과13

자주권의13 회복이다 주권과13 자주권은13 민족주의와13 깊은13 연관성을13 갖고13 있다

전후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유지하는데13 있어서13 국민적13 자존

심과13 주권이13 손상되었다는13 인식을13 강하게13 갖고13 있다 에드13 가르시아 (Ed

와13 프란시스코13 네멘쯔 는13 다음과13 같이13 지적한다13 Garcia) (Francisco Nemenz)

(Garcia and Nemenz 1987 4)

독립은13 단지13 자기13 확신의13 문제가13 아니다 국가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이13 아 hellip13 니라13 자주적13 행위자로서13 인식되어야13 한다 모든13 국제회의에서13 우리의13 독립을13

확인하기13 위하여13 용기를13 갖고13 노력하여13 왔다 그러나13 우리가13 실제적인13 독립을13

갖고13 있었을13 때조차도13 우리가13 제안을13 발의해도13 제 세계의13 대표들은13 그13 뒤에는13 3

미국이13 있다는13 점을13 의심하여13 왔다 이러한13 의미에서13 필리핀은13 자국의13 땅위에

서13 거대한13 군사기지를13 유지하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으로13 보여진다

20 이러한13 주장에13 대해서는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사Salvador Martineg 1983 「 」 985172상 월 을13 참조함5 pp 45-48 98517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3

그들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체계가13 필리핀의13 대

외정책에도13 부정적13 영향을13 미쳤음을13 암시하고13 있다 국제무대에서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의식하거나13 혹은13 미국의13 정책과13 보조를13 맞출13 수밖에13 없는13 상황을13 초

래했다고13 보고13 있다 이러한13 관점에13 대해13 일부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자국의13 주권

이나13 자주권이13 어느13 정도13 훼손되었다는13 생각을13 갖고13 있는13 것으로13 보인다 동

시에13 미군철수를13 둘러싼13 필리핀13 국민의13 반감은13 미국의13 마르코스13 체제에13 대한13

옹호에서13 기인하였다는13 점도13 지적될13 수13 있다 그들은13 마르코스13 집권이후13 필

리핀의13 인권상황이13 악화되고13 독재정치가13 유지되고13 있음에13 불구하고13 미국이13

이를13 개선하기13 위한13 적절한13 역할을13 하지13 못한13 것에13 대해13 깊은13 불신과13 반감을13

갖고13 있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13 국민들이13 미군철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를13 요구

하는13 보다13 현실적인13 이유들이13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필리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으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각종13 사회적13 문제와13

갈등이다 미군이13 주둔하고13 있는13 기지주변에서13 발생되는13 각종13 범죄 현지인

과13 미군사이의13 마찰13 등은13 외국군대를13 수용하고13 있는13 필리핀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군기지에13 대한13 반감과13 저항을13 일으킬13 수13 있다 둘째 필리핀13 국내에13 설치된13

핵무기이다 년대13 초에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핵무기가13 설치한13 것으로13 알려져13 1970

있으며13 년까지13 핵무기의13 수는13 대략13 정도에13 달하였다 년을13 기준1973 260 1985

으로13 미국은13 필리핀에13 개의13 핵무기를13 설치하였으며13 그중13 개는13 반잠수227 32

함13 핵폭탄이며13 개는13 해군용13 핵무기 그리고13 그밖에13 개의13 핵폭탄이13 있80 115

는13 것으로13 알려졌다21 핵무기의13 설치와13 사용의13 목적은13 아시아13 지역의13 군사

적13 충돌이나13 전쟁이13 발발할13 경우13 사용되기13 위함이며13 어떤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

는13 필리핀의13 안보를13 위한13 것이라기보다는13 미국의13 군사적13 목적을13 위해13 설치된13

것이다 미국이13 아시아에서13 전쟁을13 수행할13 경우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핵위협에13

노출되어13 있고13 이로13 인해13 여러13 가지13 피해가13 발생할13 수13 있다고13 보고13 핵무기의13

설치와13 시설에13 민감하지13 않을13 수밖에13 없다 이러한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일차적으

로13 공격의13 목표가13 되었던13 것은13 미군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이다

21 Ronald G Simbulan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1989 Manila Philippines

와13 을13 참고 이13 책에는13 필리핀의13 미국핵무기와13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p 78

관련된13 정보와13 내용이13 상세하게13 기록되어13 있음

134 백태열

그러면13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종료시키기13 위한13 구체적인13

움직임 조치 및13 정책은13 무엇인가 마르코스가13 축출당한13 이후인13 년13 월 1986 2

부터13 년대13 초까지13 필리핀의13 국내13 상황은13 급박하게13 돌아가고13 있었다 이1990

와13 관련하여13 가장13 주목을13 끄는13 점은13 년13 월13 일13 필리핀13 상원을13 통과한13 1988 6 6

ldquo반핵병기13 법rdquo이다 이13 법안은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기지와13 군사시설 그리고13 양

국동맹관계의13 근간을13 흔들13 수13 있을13 만큼13 강력한13 내용을13 담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이13 법안의13 조는13 금지행위에13 관한13 것으로13 5 ldquo어떤13 사람도13 운송이나13 하역을13 불문하고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과13 그13 구성부분을13 필리핀13 영역내로13 가지고13

들어오거나13 또는13 소유 보유할13 수13 없다 필리핀13 군사기지13 내13 미합중국의13 기존13

군사13 설비를13 포함하여13 필리핀영역의13 상13 하 상공13 어느13 곳에서도13 본13 제 조13 4 1

항에13 해당하는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 구성부분13 및13 핵병기관련설비의13 개발 제

조 입수 실험 이용 도입 비축 보관을13 금지하며 helliprdquo22라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조항과13 함께13 다른13 조항13 역시13 필리핀에서의13 일체의13 핵무기13 개발 설치 비

축 보관 하역13 등을13 금지시키고13 있다 이13 법안의13 통과는13 필리핀 -미국의13 군사

동맹관계의13 분수령이13 된다 역시13 가장13 커다란13 시사점은13 미국은13 필리핀의13 영

토13 안에13 핵무기와13 관련된13 일체의13 접근이13 불허된다는13 점이며13 동시에13 필리핀의13

모든13 군사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가13 불가피하게13 되었다는13 점이다

년13 월13 미국과의13 군사기지협정을13 년13 연장하기13 위한13 법안이13 상원에13 1991 9 10

게류13 되었을13 때13 필리핀13 국내정세는13 극도로13 혼란스러웠다 이13 혼란의13 중심은13

미군13 기지를13 그대로13 유지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과13 법안을13 거부함으로써13 미군13 기

지를13 폐쇄해야13 한다는13 입장으로13 크게13 나뉘어져13 있었다 이13 협정의13 연장을13 찬

성하는13 집단의13 중심에는13 아키노13 대통령이13 있었다 아키노13 대통령은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쇄될13 경우13 양국관계의13 약화 경제13 투자의13 감소 그리고13 불안정

한13 국내13 상황13 등을13 크게13 우려하였다 무엇보다도13 필리핀13 정부는13 양국이13 오랫

동안13 여러13 부분에서13 구축된13 양국의13 군사적 외교적13 우호관계가13 크게13 악화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우려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13 상원은13 미국과13 협정을13 반대하는

데13 선두집단중의13 하나였다 상원의원들의13 상당수는13 민족주의13 정신이13 강한13 정

22 본13 법안의13 내용에13 관해서는13 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를13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5

치인들이었고13 미군은13 필리핀13 땅에서13 떠나가야13 한다고13 믿었다 미군기지13 임대

의13 연장13 법안의13 반대에13 대한13 보다13 구체적인13 이유는13 무엇인가 가장13 커다란13

이유는13 무엇보다도13 필리핀의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복원이었다 당시13 필리핀13

상원의원인13 아가피토13 아키노 는13 (Agapito Aquino) ldquo이13 투표는13 진정으로13 주권을13 갖고13 독립적인13 필리핀13 국민을13 위한13 것이며13 이13 투표는13 미국의13 조종끈에13 매

어진13 정치적13 청년기13 즉13 극심한13 종속을13 종식하기13 위한13 것이다rdquo23라고13 상원에

서13 역설하였다 종속타파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종속타파의13 견인적인13 메커니즘은13

이론적13 검토에서13 제시된13 것처럼13 역시13 주권의13 회복과13 민족적13 자존심의13 회복이

다 필리핀13 정치인들의13 판단과13 요구가13 대다수13 모든13 필리핀13 국민들의13 견해와13

동일하다고13 볼13 수13 없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협정13 그리고13 상

호방위조약에서13 기인하는13 다양한13 폐해를13 인식하고13 있으며13 미군은13 철수되어

야13 한다는13 공감대를13 발전시켜13 왔다는13 점은13 부인할13 수13 없다 또13 다른13 견해는13

필리핀13 정치권에서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기지사용료가13 너무13 적다는13 이유도13 제시

되고13 있다24 필리핀13 상원의13 강력한13 반대13 움직임13 속에13 아키노13 대통령은13 이13

법안을13 국민투표에13 회부하는13 방안을13 추진하였지만13 무산되고13 결국은13 미군기

지협정의13 연장법안은13 년13 월13 일13 상원에서13 대13 로13 부결되었다1991 9 16 12 11

필리핀13 상원의13 이러한13 결정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년13 미국과13 맺은13 군 1947

사기지협정은13 자동적으로13 무효화되었으며13 필리핀에서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

쇄되고13 미군이13 더13 이상13 주둔하지13 않게13 되었다 미군은13 년13 말13 이전에13 필 1992

리핀의13 영토를13 떠나도록13 권고13 받았다 이러한13 점은13 상징적인13 측면이13 강하지

만13 필리핀은1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고13 볼13 수13 있다

미국의13 반응과13 입장13 (4)

필리핀에서의13 극적인13 변화에13 대해13 미국은13 어떤13 반응을13 보였으며13 기본13 입

장은13 무엇인가 미국은13 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13 이후13 필리핀의13 민주화13 운동과13

23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아키노13 상원의원은13 미군기지문제와13 관 1991 9 16 A1

련하여13 형수이자13 대통령이었던13 코라손13 아퀴노와13 극심한13 마찰과13 갈등을13 겪었다

24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벌인13 협상에서13 미국은13 필리핀에 1991 9 11 A3

게13 수빅만13 해군기지를13 사용하는13 대가로13 일년에13 억불을13 제공하기로13 합의하였다203

136 백태열

새로운13 정권의13 창출을13 고무적으로13 평가하였다 그러나13 동시에13 워싱턴은13 그곳

에서13 미군의13 기지와13 군대의13 철수문제 그리고13 지속적인13 반미운동의13 고조13 등

에13 대해13 깊은13 우려감을13 가졌다 특히13 군사기지협정의13 연장을13 앞13 둔13 시점에서13

미국정부의13 불안감은13 증대되었다 국무장관13 조지13 슐츠 는13 미 (George Shultz)

국은13 필리핀13 관리들과13 정치인들이13 기지연장을13 승인하지13 않을13 경우13 다른13 장소

를13 물색해야13 할지13 모른다는13 입장을13 밝혔다25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국내에서13

벌어지는13 반미운동이13 궁극적으로13 미군기지의13 철폐로13 연결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크게13 우려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필리핀13 상원의13 표결이13 있기13 전에13 미국정부는13

부결가능성을13 기대하고13 있었고13 이를13 위해13 직간접적으로13 필리핀정부에13 회유

와13 압력을13 가하였다

필리핀에서의13 결정은13 미국정부를13 크게13 실망시켰지만13 기지연장을13 둘러싼13

필리핀의13 정책결정과정에13 대해13 특별한13 영향력을13 행사할13 수13 없었다 미국은13

필리핀이13 기지연장13 협정을13 원하지13 않는다면13 이를13 수용하지13 않을13 수13 없다 미

국의13 기본13 입장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연장협정을13 지속하는13 것이었다 그13 이유는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와13 미군의13 주둔은13 년이13 넘은13 동안13 아시아에서13 방어적13 40

역할을13 충실히13 하였기13 때문이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결정은13 대

략13 가지13 파급효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다고13 보았다 첫째 년대13 말에13 냉전이13 2 1980

서서히13 종식되고13 있었지만13 미국은13 아시아에서의13 군사적13 임무와13 역할이13 여전

히13 필요하였다 따라서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의13 철수는13 안보적13 공백이13 발생할13

수13 있으며13 이로13 인한13 군사적13 전략변화가13 요구되고13 있기13 때문이다 둘째는13 간

접적13 파급효과이다 필리핀의13 미군기지13 철수가13 다른13 주둔지역13 특히13 한국과13

일본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기지의13 철수로13 연결될13 수13 있는13 파급효과를13 우려하

였다 반면에13 다른13 측면에서13 보면13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다소13 위안을13 찾을13

수13 있는13 부분도13 있다 필리핀은13 결코13 미국과의13 상호방위조약13 자체를13 폐기한13

것이13 아니기13 때문에13 향후13 양국의13 군사적13 동맹관계는13 유지될13 수13 있으며13 미국

의13 군사적13 영향력도13 어느13 정도13 유효할13 것이라는13 기대감을13 가졌다

25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88 6 17 p 7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7

이집트2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3 (1)

년13 영국의13 식민지에서13 벗어난13 이집트는13 국내외적으로13 커다란13 도전에13 1952

직면하였다 국내적으로13 정치세력간의13 권력투쟁으로13 불안한13 정국이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그13 과정에서13 군사13 쿠데타를13 통해13 실질적인13 권력을13 장악한13 나세르는13

아랍사회주의를13 표방하면서13 국정을13 운영하기13 시작하였다 대외적으로13 국제사

회에는13 이미13 냉전의13 열기가13 정점에13 올랐고13 그13 여파는13 중동에도13 도달하였다

이집트를13 둘러싼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복잡하게13 얽혀가고13 있었다 이와13 관련

하여13 주목할13 부분은13 미국과13 소련은13 중동지역에서13 패권경쟁을13 격화하고13 있었

다는13 점이다 소련은13 미국을13 견제하기13 위하여13 에13 버금가는13 지역안보 NATO

체제를13 구축하려고13 하였고13 이는13 바그다드13 조약 으로13 실현되고13 (Baghdad Pact)

있었다 미국은13 이집트를13 지역안보체제에13 끌어13 들이려는13 계획을13 갖고13 이집트

에13 접근하였다 마찬가지로13 소련은13 이집트와13 접한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중동지역에서의13 교두보를13 확보할13 수13 있다고13 판단하였다 미국과13 소련은13 이집

트가13 아프리카와13 중동을13 연결하는13 지역에13 위치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전략적13 가치

를13 중시하였고13 아랍세계의13 위상13 때문에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근을13 추구하는13 것이13

중요한13 목표중의13 하나였다

나세르가13 집권13 이후13 이집트가13 당면한13 최대13 현안은13 이스라엘과13 갈등과13 분

쟁이었다 년13 월13 이스라엘군대가13 이집트13 통제지역인13 가자해협의13 군사 1955 2

시설을13 공격하면서13 명이13 사망하는13 사건이13 일어났다 이스라엘의13 공격으로13 38

인해13 양국은13 본격적인13 대립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이집트는13 이러한13 상황에13 대처

하기13 위해13 자국의13 군사력의13 증강이13 무엇보다도13 절실한13 과제였다 이집트는13

처음에13 서방측에게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으나13 거부당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시도하였다 이집트가13 소련을13 선택한13 구체적인13 배경은13 무엇인

가 무엇보다도13 나세르는13 기본적으로13 반서방주의13 성향이13 강하였고13 당시의13 국

제정세로13 볼13 때13 이스라엘을13 지원하는13 영국과13 미국13 보다는13 소련에게13 무기를13

요청하는13 것이13 적합하다고13 판단하였다 년13 이집트는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1955

138 백태열

내세운13 소련과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26 이13 무기협정을13 통해13 사실상13 이집트

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어13 가는13 계기가13 되었고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주공급자가13 되었다 그러나13 이집트는13 소련과13 상호군사조

약을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나세르가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맹관계를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기13 때문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찰스13 크레멘

스 는13 (Charles Cremeans) ldquo군사공약이13 포함되지13 않는13 한13 이집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받을13 수13 있었고13 그리고13 필요하다면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는데13

발생할13 수13 있는13 위험을13 감수할13 준비가13 되었다고13 나세르는13 항상13 주장하였다rdquo고13 지적한다 나세르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공여13 받는13 것에13 부(1963 281)

담을13 느꼈던13 것은13 분명하다 그13 이유는13 자신이13 강력한13 비동맹노선을13 표방하

였고13 따라서13 소련과13 연계를13 통해13 의존의13 상황이13 형성되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기13

때문이었다 결국13 나세르는13 적어도13 집권초기에는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

맹관계13 혹은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려고13 하지13 않았다 그러나13 이스라엘의13 군

사적13 위협13 때문에13 이집트가13 무기를13 제공받기로13 한13 결정은13 불가피한13 선택이었

다 전후13 독립을13 획득한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신생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 3

의13 국방력은13 취약하였다 따라서13 이집트의13 대외적13 여건은13 군사대국인13 소련에

게13 자연스럽게13 군사적13 도움을13 요구하게13 되고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그러면13 소련의13 이집트의13 접근배경은13 무엇인가 무엇보다도13 모스크바는13 對

전후13 중동지역에서13 미국과의13 경쟁에서13 우위를13 선점하기13 위한13 목적을13 갖고13 있

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국과의13 냉전13 구도13 하에서13 중동에서의13 영향력

을13 확보하고13 상대적으로13 미국의13 접근을13 어렵게13 하기13 위해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

근을13 시도하였다 즉13 중동에서13 가능한13 많은13 우방국13 혹은13 동맹국을13 만드는13 작

업은13 미국과13 마찬가지로13 소련의13 대외정책의13 우선순위의13 하나였다 더13 나아가

서13 소련은13 이집트뿐만13 아니라13 중동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국가에13 대해13 접한13 관

계를13 구축하고자13 하였다 이러한13 주장은13 년대를13 거치면서13 소련이13 시리 1960

아 요르단13 등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고13 일련의13 군사협정을13 체결하였다는13 사실

에13 의해13 뒷받침13 된다 년13 월13 일13 소련13 외무성은13 1955 4 16 ldquo소련은13 근동13 및13 중

26 이13 협정을13 통해13 양국은13 억불의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45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9

동지역에서13 전개되는13 상황에13 무관심한13 채13 남아13 있을13 수13 없다 그13 이유는13 그13

지역에13 있는13 외국의13 군사기지시설과13 블록화13 현상은13 소련의13 안보에13 직접적인13

연관성이13 있기13 때문이다rdquo27는13 입장을13 표명하였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친 한13 관계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이해관계를13 둘러싸고13 더욱13

발전하게13 되었다 년13 월13 나세르는13 수에즈운하에13 대한13 국유화를13 선언하 1956 7

였고13 이러한13 결정에13 대해13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13 이집트를13 공격하였다 이

로13 인해13 제 차13 중동전쟁이13 발발하였다 운하를13 둘러싼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13 그2

리고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첨예하게13 얽혀있었다 제 차13 중동전쟁은13 이집트 2 -

소련의13 관계에서13 또13 다른13 분수령이13 되었다 년13 이집트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1960

완전한13 통제와13 관리를13 위해13 소련으로부터13 에스완13 댐13 건설비용13 억13 천13 달러3 5

를13 받기로13 결정하였다 그13 후13 이집트는13 다양한13 형태의13 지원을13 소련으로13 받기13

시작하였다 년13 월13 이집트를13 방문한13 후르시초프 서기장은13 1964 5 (Khrushchev)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억13 천 백만13 불을13 융자하겠다는13 발표를13 하였다2 7 7 28

이13 비용은13 이집트가13 년부터13 추진하는13 개년13 개발계획에13 사용될13 예정이1965 5

라고13 덧붙였다 이러한13 재정적13 지원을13 통해13 이집트는13 점진적으로13 의존하였고13

의존의13 내용은13 경제원조의13 영역으로13 확대되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년13 1966 5

월13 일13 소련13 수상13 알렉세이13 코시긴 은13 카이로에서13 가11 (Aleksei M Kosygin)

진13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미국의13 베트남13 공격을13 비난하면서13 ldquo양국의13 국민은13 평화 사회적13 전진 그리고13 사회주의를13 위한13 투쟁에서13 공동13 목적과13 이념으로13

함께13 협력13 한다rdquo고13 선언하였다29 양국의13 우호관계는13 점진적으로13 확대되었다

이집트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스라엘과의13 분쟁은13 여전히13 미해결된13 채13 남아13 있었

고13 소련으로부터13 추가적인13 군사지원은13 불가피하였다

년의13 차13 중동13 전쟁혹은13 일13 전쟁에서13 이집트는13 이스라엘에게13 참패1967 3 ( 6 )

한13 후13 시나이13 반도와13 가지지구13 등을13 빼앗기게13 되었다 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

로13 하여금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더욱13 필요하게13 되었고13 결과적으로13 군

27 Alvin Z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에서13 재인용

2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4 5 25 p 1

29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6 5 11 p 2

140 백태열

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월터13 라퀘르 는13 다음과13 같이13 설 (Walter Laqueur)

명13 한다(1972 62)

일13 전쟁은13 소련6 -이집트13 관계의13 이정표를13 기록하였다 그13 전쟁은13 분실되거

나13 혹은13 파괴된13 모든13 군사13 장비를13 빨리13 대체하기13 위한13 필요성13 때문에13 소련에13

대한13 이집트의13 종속을13 극적으로13 심화시켰고13 낫세르의13 요청에13 따라13 소련군hellip13 인이13 탑승한13 SAM- 과13 2 SAM- 로13 구성된13 거대한13 미사일13 방어체계가13 13 이집트3

에13 설치되었다 소련조종사들이13 이집트내의13 개의13 공군비행장에서13 전투임무 15

를13 갖고13 전투기를13 발진시켰다

이집트는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있어서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

기13 위하여13 소련의13 군사적13 지원을13 지속적으로13 받았다 특히13 년에13 발생한13 1967

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과정에서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위해13 간접적13 방식으로13 전6

쟁에13 개입하였다 소련의13 군사고문단이13 이집트에13 상주하면서13 막후에서13 이집

트에서13 전술적 전략적13 도움을13 제공하고13 협력했을13 가능성은13 상당히13 높다 30

년13 가을에13 발생한13 나세르의13 갑작스런13 죽음과13 함께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1970

사다트는13 나세르의13 이념적 정책적13 계승자였다 따라서13 그는13 적어도13 외형적

으로13 소련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고자13 하였다 그의13 선택은13 당연하였다 일13 6

전쟁은13 휴전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전쟁은13 언제든지13 다시13 발발할13 개연성이13 높았

고13 따라서13 군사력의13 보강은13 그의13 주된13 목표였다 그는13 년13 월13 모스크바 1971 3

를13 방문하여13 소련에13 대한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다 그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1971

년13 월13 일13 양국사이의13 우호조약으로13 발전되었다 이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자리7 28

에서13 사다트는13 ldquo우리국민은13 아랍-소련의13 우정을13 소중하게13 생각하며13 그리고13 진정으로13 아랍전체13 국가들은13 이13 우정을13 우리13 정책의13 가장13 중용한13 기초중의13

하나로13 간주13 한다rdquo 고13 역설하였다 31 양국은13 년의13 유효기간을13 설정하고13 우 15

30 년13 동안13 이집트의13 군복으로13 위장한13 소련군13 조종사들이13 이집트13 영공에서13 이스라1970

엘의13 공습에13 대항하여13 공중전투에13 참여하였다 이13 부분에13 대해서13 Craig A Daigle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을13 참 8(1) March p 3

31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1 5 28 p 2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1

호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에13 어떤13 의미를13 갖고13

있는가 이와13 관련하여13 두13 가지13 사항이13 언급될13 수13 있다 첫째 이집트는13 오래13 13

동안13 공식적인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것을13 주저하였다 그것은13 특정국가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이13 나세르와13 사다트의13 정치철학에13 위배된다고13 판단하였기13 때문

이다 그러나13 나세르의13 죽음과13 완결되지13 않은13 중동전쟁의13 상황을13 고려할13 때13

다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보다13 강화할13 필요성을13 느꼈기13 때문이다

둘째 이13 조약은13 사실상13 외형적으로13 상호13 협력13 및13 우호를13 강조하고13 있지만13

조약의13 세부적13 내용을13 면 히13 검토해13 보면13 사실상13 군사원조와13 무기지원을13 포

함한13 일방적13 방위조약의13 성격이13 강하다 따라서13 향후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방위공약의13 의무를13 갖게13 되고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은13 보다13 제도적13 성격

을13 갖게13 되었다

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상황(2) 對이집트1) -소련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우호13 조약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이집트가13 군사적으로13 소련에13 예속된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년13 월13 이집트와13 1955 9

체코의13 무기매매협정에서13 찾을13 수13 있다 이13 협정은13 사실상13 소련과13 이집트사

이에13 체결된13 것으로13 소련이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내세워13 체결하였다(Cremeans

이13 협정을13 통해13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무기를13 공여하기13 시작하였고13 1963 146)

이집트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는13 계기가13 되었다 년13 월13 일13 1971 5 27

이집트와13 소련의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the Egyptian-Soviet Treaty of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년13 양국의13 무기Friendship and Cooperation) 1955

협정이후13 체결되었다 이13 조약은13 전문을13 포함하여13 모두13 개13 조항으로13 구성 12

되었다 이13 조약의13 전문은13 ldquo소련과13 이집트는13 양국의13 발전을13 촉진하고13 모든13 부분에서의13 협력을13 확고하게13 강화할13 것을13 확신하며13 양국은13 평화로운13 외hellip13 교정책의13 변함없는13 진행에13 따라서13 보다13 강력한13 국제평화와13 안보를13 위한13 투쟁

을13 지속적으로13 수행13 할13 것을13 결의하며helliprdquo32로13 되어13 있다 이13 조약은13 년13 1955

년13 양국이13 맺은13 무기협정13 보다13 여러13 부분에서13 포괄적인13 교류와13 협력을13 강조

32 Julian J Landau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참조Communications p 165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4: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118 백태열

갖는13 이론적13 연구는13 지난13 수십13 년13 동안13 지속적으로13 존재하여13 왔다 이와13 관

련된13 이론적13 논의를13 간략하게13 검토하기로13 한다 헨델13 은13 강대 (Handel 1981)

국-약소국의13 관계는13 기본적으로13 ldquo비공식13 불평등한13 관계유형rdquo으로13 규정한다1

그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약소국은13 거의13 대부분13 강대국의13 입장을13 따르기13 때문에13

독자적13 선택과13 행동에13 제약을13 받는다고13 강조한다 슈메이커와13 스페니어

(Shoemaker and Spanier 1984 13- 는13 헨델과13 유사한13 관점에서13 강대국15) -

약소국의13 관계에13 대한13 이론적13 접근을13 시도한다 그들은13 강대국 -약소국의13 관

계를13 보호자-피보호자의13 관계(Patron- 로13 정의한다 그들Client Relationships)

의13 설명은13 보호자-피호보자의13 관계는13 기본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능력의13 현저

한13 차이에서13 기인하며13 보호자 보호국는13 피보호자피보호국에13 대해13 막대한13 ( ) ( )

영향력을13 행사한다고13 지적한다 또13 다른13 학자들의13 입장도13 유사하다 아버니

티13 (Abernethy 1984 105- 는13 지배108) -종속의13 관계(Dominant-Subordinate

의13 개념을13 사용하여13 설명을13 시도한다 그는13 지배Relationships) -종속의13 관계

의13 결과에13 초점을13 맞추어13 논의를13 전개한다 그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지배국과13 종

속국은13 다양한13 영역에서13 상호작용을13 하고13 있으며13 그13 결과는13 종속국의13 국내외

정책에13 부정적13 영향을13 미친다고13 평가한다 또13 다른13 논의는13 강대국 -약소국의13

관계를13 영향력13 이론의13 시각에13 초점을13 맞추고13 있다 루빈스타인 (Rubinstein

은13 자신의13 저서에서13 소련과13 이집트의13 관계를13 그러한13 맥락에서13 분석하1977)

고13 있다 영향력은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에13 대해13 원하고자13 하는13 것을13 획득할13

때13 명백하게13 확인된다2 그러나13 다른13 연구들은13 그러한13 타당성을13 수용하면서13

영향력13 이론은13 반드시13 강대국-약소국의13 관계에13 국한되어13 적용되는13 것이13 아니

라13 국가간의13 국력의13 편차가13 적은13 양국관계에서도13 적용될13 수13 있음을13 보여준다

(Lee and Sato 1982)3

1 Michael Handel 1981 Weak States in the International System Totowa NJ F

저자는13 영문원본을13 입수하지13 못하였기13 때문에13 번역본을13 사용하였음 번역본은13 Cass

저13 김진호13 역13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를13 Michael Handel 1995 pp 148-149985172 985173참조

2 이와13 관련하여13 Alvin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Princeton NJ

의13 를13 참조 이13 부분에서13 이론적13 논의와13 주장을13 요Princeton University Press Preface (

약하였음)

3 Chae-Jin Lee and Hideo Sat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19

지금까지13 제시된13 학자들의13 이론적13 검토를13 통해서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들의13

이론은13 일반적13 차원에서13 강대국과13 약소국의13 관계의13 실상에13 대한13 유용한13 설명

을13 제공한다는13 점이다 그러나13 가장13 취약한13 부분은13 종속국의13 입장과13 상황에

서13 충분하게13 논의를13 전개하지13 못했다는13 점이다 즉13 종속국이13 타국과의13 관계

에서13 다양한13 제약과13 어려움을13 겪는다면13 이를13 극복할13 수13 있는13 이론적13 논의가13

필요하다 몇몇13 연구들은13 그러한13 문제점을13 극복하려는13 시도를13 보인다 싱거

(Singer 1972 273- 의13 군사적13 종속에13 관한13 이론적13 접근은13 종속타파에13 309)

대한13 새로운13 지평을13 제공한다 즉13 종속국은13 종속의13 상황을13 극복하려는13 의지

와13 욕구를13 보이면서13 종속국-피종속국13 관계의13 본질을13 변화시키려고13 노력한다

그러한13 맥락에서13 존슨 은13 약소국의13 종속극복에13 관한13 전(Johnson 1986 286)

략을13 논의한다 약소국은13 강대국과13 관계를13 맺고13 있는13 과정에서13 다양한13 어려

움을13 겪고13 있는데13 이는13 궁극적으로13 ldquo진정한13 주권rdquo을13 얻기13 위한13 외교목표를13 설정하게13 되며13 약소국은13 민족자결주의의13 가치와13 규범을13 확산시키고자13 한다

는13 것이다 다시13 말하면13 이러한13 논의의13 중심은13 종속의13 극복을13 위한13 동력과13

추진력을13 암시하고13 있다 종속타파의13 이론적13 핵심을13 간단히13 요약하면13 타국의13

군사적13 예속13 하에13 있는13 약소국은13 자주권의13 손상 내정간섭 대외군사정책의13

제약 종속국의13 영향력13 증대13 등으로13 인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려는13 의지와13

욕구를13 발전시키며13 이는13 궁극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로13 연결될13 수13 있다는13 점

이다 본13 논문의13 주제에13 비추어13 볼13 때13 싱거의13 이론적13 접근이13 가장13 적절하게13

사용될13 수13 있다

그러면13 종속타파 는13 무엇인가 싱거는13 종속타파를13 (Counterdependence)

ldquo의존적이거나13 혹은13 열등한13 관계를13 동등한13 관계로13 전환시키고자13 하는13 과정에13 있는13 개인이나13 집단의13 심리적13 상태rdquo 라고13 정의한다 그의13 (Singer 1972 42)

정의는13 두13 가지13 측면을13 함축하고13 있다 첫째 종속타파는13 정적인13 개념이13 아니

라13 동적인13 개념이라는13 점이다 즉13 종속타파는13 종속된13 상황에서13 벗어나는13 과

정13 혹은13 진행을13 강조한다 둘째 종속타파는13 심리적13 상태를13 나타낸다 달리13

해석하면13 종속타파는13 의존적13 상태를13 극복하려는13 의지 욕구 그리고13 열망13 등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을13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reface

참조

120 백태열

을13 포함한다 개념적으로13 볼13 때13 종속타파는13 설명력을13 가지고13 있지만13 인식적13

상황인지13 혹은13 실제적13 극복인지13 불분명하다 그러한13 의미에서13 볼13 때13 종속타

파의13 개념은13 다소13 논쟁적일13 수13 있다 전체적인13 맥락에서13 보면13 종속타파는13 과

정과13 결과의13 두13 가지13 단계를13 모두13 포함하고13 있다고13 보는13 것이13 보다13 적절하

다4

군사적13 종속타파는13 어떻게13 정의될13 수13 있는가 싱거는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개념을13 별도로13 정의하고13 있지13 않지만13 종속타파의13 정의를13 활용하여13 개념은13 정

리될13 수13 있다 군사적13 종속타파 는13 한13 국가가13 (Military Counterdependence)

다른13 국가에13 군사적으로13 예속된13 상태에서13 이를13 극복하고13 벗어나는13 상황13 혹은13

상태로서13 정의될13 수13 있다 따라서13 군사적13 종속타파는13 예속을13 벗어나려는13 과

정과13 이를13 완전히13 실현한13 결과의13 상황을13 모두13 포함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과정과13

결과13 모두를13 검토하고13 분석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 따라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총체적인13 진행과정과13 관련하여13 싱거의13 이론적13 논거는13 본13 논문에13 상당히13 도움

이13 된다 즉13 그의13 분석틀에13 따르면13 크게13 군사적13 종속의13 원인과13 상황13 그리고13

종속의13 범위와13 내용13 등을13 통해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에13 군사적으로13 예속된13 상

황에13 대한13 평가를13 시도하고13 있다 각13 사항을13 구체적으로13 설명하면13 단계로13 3

요약된다 첫13 번째13 단계는13 한13 국가가13 군사적으로13 다른13 국가에13 의존되는13 상황

이다 이13 부분과13 관련하여13 싱거는13 제 세계의13 국가들이13 가지고13 있는13 공통된13 3

취약점13 즉13 외부로부터의13 공격과13 침략가능성 군사적13 지도력의13 부재 낮은13 경

제수준과13 이로13 인한13 국방력의13 저하13 등을13 제시하고13 있다 그러나13 싱거는13 보다13

명확한13 국내외적13 상황에13 대한13 검토와13 분석을13 결여하고13 있다 두13 번째13 단계는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와의13 군사13 안보적13 관계에서13 어떤13 부분과13 영역에13 예속되

어13 있는가에13 관한13 부분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싱거는13 비교적13 상세한13 분석틀을13

제시하고13 있으며13 이는13 본13 연구의13 이론적13 및13 방법론적13 그림을13 그리는데13 상당

히13 적합한13 것으로13 보인다 즉13 군사적13 종속의13 주된13 지표혹은13 기준는13 크게13 ( )

4 종속과13 의존은13 개념적으로13 차이가13 있다 일반적으로13 종속은13 의존보다13 예속의13 정도가13

극심한13 상황을13 의미한다 이13 논문에서13 군사적13 종속의13 개념은13 안보13 및13 국방13 부분에서13

여러13 영역이13 의존된13 상태로서13 구조적 제도적13 성격을13 의미하는13 것으로13 받아들인다

의13 번역도13 다양할13 수13 있으나13 학계에서13 일반적으로13 합의된13 용어가13 Counterdependence

없기13 때문에13 저자는13 이를13 종속타파로서13 번역한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1

다음과13 같은13 가지이다4 (Singer 1972 274-309)5

bull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조약의13 체결

bull 군사기지13 및13 주둔군인13

bull 피종속국13 으로부터의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수입13

bull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인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이러한13 구성요소들은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에13 어떤13 영역에서13 어느13 정도13 군

사적으로13 종속되어13 있는가를13 측정할13 수13 있는13 지표가13 된다 이와13 관련하여13 제

기할13 수13 한13 가지13 주장은13 군사적13 종속은13 결국13 정도의13 문제이며13 따라서13 군사적13

종속타파13 역시13 정도의13 문제가13 될13 수밖에13 없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론적13 전개

를13 고려해13 볼13 때13 본13 연구에13 적절하게13 적용될13 수13 있는13 유용성이13 있다고13 판단

된다

마지막13 단계는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누구의13 주도로13 이루어13 졌는가에13 관한13

논의이다 즉13 종속타파가13 종속국의13 주도에13 이루어졌는가 혹은13 피종속국의13

주도에13 의해13 이루어졌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13 부분과13 관련하여13 싱거는13 구체적

인13 논의와13 설명을13 제공하지13 않고13 있다 종속타파의13 전체적인13 흐름을13 정확히13

평가하기13 위하여13 그와13 관련된13 별도의13 분석틀이13 필요하다고13 생각한다 그13 내

용은13 대략13 다음과13 같다 첫째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상황이다 이13 부분은13 어

떠한13 상황과13 여건13 하에서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에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것을13 구성하는13 세부적13 상황은13 크게13 다음의13 종속대상국의13 (i)

국가안보의13 위기상황내란 외부의13 침략 전쟁 혹은13 기타13 안보상의13 위기( ) (ii)

피종속국의13 정치 외교 안보의13 이해와13 이익이13 추구 이13 경우13 다시13 해당국가와13 (

해당지역에13 대한13 이해관계로13 구분할13 수13 있다 둘째 종속타파가13 이루어지는13 )

상황과13 여건을13 상정할13 수13 있다 이13 경우13 크게13 두13 가지13 방식으로13 정리된다

ldquo자생적13 여건에13 의한13 종속타파rdquo와13 ldquo타생적13 여건에13 의한13 종속타파rdquo이며13 이를13

5 싱거는13 자신의13 저서에서13 지표13 혹은13 기준이라는13 표현보다13 연결고리 의13 표현을13 주ldquotie( )rdquo로13 사용하고13 있으나13 그의13 주장에13 나타난13 전체적인13 맥락에서13 볼13 때13 지표13 혹은13 기준의13

의미와13 유사하다

122 백태열

간단하게13 요약하면13 lt표13 1gt과13 같다

표13 종속타파의13 여건lt 1gt13

자생적13 종속타파종속국의주도( ) 타생적13 종속타파13 피종속국의13 주도( )

민족주의의13 증대주권13 및13 자주권의13 회복

피종속국의13 국내적13 변화

군사 안보13 여건의13 변화 피종속국의13 지역적 국제적13 변화

종속국의13 국내적13 변화 피종속국13 정부 지도자의13 선택과13 결정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종속국의13 의지와13 선택에13 의해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이루

어지는13 경우이다 그13 요인독립변수은13 외국주둔13 군대에13 대한13 종속국의13 강한13 ( )

거부감과13 저항감13 등이13 고조되거나13 혹은13 자주적 자립적13 국가방위에13 대한13 국

민의13 의지가13 증대되는13 요인이다 두13 번째13 요인은13 종속국의13 국내적13 여건의13 관

점에서13 볼13 때13 더13 이상13 특정13 국가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될13 수13 있는13 원인이13 소

멸된13 경우이다 따라서13 종속국은13 더13 이상의13 타국의13 국방력에13 의존하여13 자국

의13 국가방위를13 유지할13 필요가13 없다고13 판단한다 마지막13 요인은13 종속국의13 특

정한13 지도자가13 외부혹은13 타국에13 의존하는13 경우를13 더13 이상13 용납하지13 않고13 ( )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선택하고13 이를13 실행에13 옮기는13 경우이다

반면에13 타생적13 종속타파는13 종속타파의13 상황이13 피종속국의13 의지와13 주도로13

이루어지는13 경우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상황의13 반대의13 경우가13 고려될13 수13 있다

첫13 번째13 요인은13 피종속국의13 국내적13 여건이다 피종속국이13 종속국에게13 제공하

던13 군사적13 원조와13 지원을13 중단하는13 경우13 종속국과의13 관계는13 종료된다 두13 번

째13 요인은13 종속국가의13 국내적13 변화이다 피종속국은13 종속국에서13 발생한13 국내

적13 변화로13 인해13 군사적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불가능하다고13 판단하여13 양국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종료할13 수13 있다 마지막13 요인은13 피종속국의13 정부의13 판단과13 선

택이다 피종속국의13 지도자13 혹은13 정부는13 스스로의13 판단과13 선택에13 의해13 종속

국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정리하기를13 원했을13 때13 종속13 관계는13 종료된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3

접근13 및13 분석13 방법2

본13 연구의13 성격과13 주제에13 비추어13 볼13 때13 저자가13 사용하고자13 하는13 연구방법

은13 비교분석이다 구체적인13 내용은13 다음과13 같이13 요약된다 첫째 필리핀의13 對미13 군사적13 종속과13 이집트의13 소13 군사적13 종속의13 발생원인과13 상황을13 각각13 논對의한다 이를13 위해13 저자는13 군사적13 종속의13 발생원인을13 국내적13 여건과13 국제적13

여건으로13 나누어13 접근하기로13 한다 둘째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군사적으로13 어

떤13 분야에서13 구체적으로13 예속되었는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한다 이것을13 확인하기13

위한13 방법으로13 저자는13 네13 가지13 영역13 ldquo 군사원조의13 양과13 범위13 상호방(1) (2)

위조약의13 체결여부13 피종속국13 으로부터의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구매와13 수입13 (3)

그리고13 피종속국에서의13 군사훈련과13 교육(4) rdquo 등을13 중심으로13 종속의13 상황과13

실체를13 규명하고자13 한다 셋째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각각13 어떤13 상황에서13 그리

고13 어떤13 방식을13 통해서13 지배국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고13 타파했는가

에13 대한13 설명을13 시도한다 이러한13 작업을13 위해13 저자는13 양국에서13 나타난13 군사

적13 종속타파의13 움직임과13 활동에13 초점을13 맞추어13 접근하고자13 한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과13 전개에13 대한13 비교분석을13 하고

자13 한다 비교분석의13 대상은13 ldquo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의13 자생적13 종속과13 타생적13 종속에13 대한13 평가rdquo 등13 가지13 항목이며13 이러 4

한13 가지13 사항을13 중심으로13 논의한다 이러한13 논의를13 진행하는데13 있어서13 저자4

는13 필리핀의13 경우에는13 년13 이후부터13 년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영토에서13 1947 1991

떠날13 때까지의13 시기를13 다룬다 이집트의13 경우에는13 년13 나세르가13 등장한13 1952

이후부터13 년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군사적13 관계가13 사실상13 종료되었던13 시점까1976

지13 논의된다 그러나13 본13 논문과13 관련하여13 추가적13 논의가13 필요한13 경우에13 저자

는13 이러한13 시기를13 제외한13 시기에13 대해서도13 부분적으로13 논의할13 계획이다

124 백태열

필리핀과13 이집트 군사적13 종속상황과13 종속타파의13 전개III

이13 장에서는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상황에13 대한13 배경을13 먼저13 개

관하기로13 한다 우선13 저자는13 필리핀 -미국 이집트 -소련의13 일반적13 및13 군사적13

관계에13 초점을13 맞추기로13 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가13 검토된다

필리핀13 1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

필리핀은13 년13 동안의13 미국의13 식민지배에서13 벗어나13 년13 월13 일13 독립48 1946 7 4

을13 이루었다 그13 후에도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였고13 미국의13 정체

제도와13 특성을13 모방하였고13 양국의13 경제관계도13 활발하였다 전후13 그13 어느13 나

라보다도13 필리핀은13 미국적13 색체가13 강하였다 년13 월13 양국은13 군사기지협 1947 3

정 년13 월13 상호방위조약(Military Bases Agreement) 1951 8 (Mutual Security

을13 각각13 체결하였다Treaty) 6 이러한13 일련의13 조약체결로13 인해13 양국은13 군사적13

동맹관계를13 형성하게13 되었다 이러한13 배경은13 무엇인가 저자는13 미국과13 필리

핀의13 관점에서13 각각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미국의13 시각에서13 보면13 년13 종전 1945

과13 함께13 소련의13 팽창주의적13 공산화정책은13 전13 세계의13 도처에서13 발생하기13 시작

하였다 소련은13 그리스의13 내전에13 개입하였고13 중동의13 아제르바이젠에서13 친공

산정권의13 수립을13 지원하였다 특히13 년13 이후13 북한은13 소련의13 후원하에13 공 1946

산정권을13 수립하고13 있었다 이와13 같이13 년부터13 년대13 후반에13 이르는13 1945 1940

국제정세는13 냉전이13 서서히13 형성되고13 있었다 년13 월13 중화13 인민공화국 1949 10

(the Peoplersquo 의13 출범은13 미국으로13 하여금13 공산세력을13 견s Republic of China)

제하기13 위한13 필요성을13 절실히13 느꼈다 특히13 한국전쟁의13 발발로13 인해13 미국은13

6 그13 밖에도13 미국은13 일본 년 한국 년 그리고13 대만 년 과13 각각13 상호방(1951 ) (1953 ) (1954 )

위조약을13 체결하였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5

동북아뿐만13 아니라13 서남아의13 안보와13 안정의13 중요성을13 심각하게13 고려하기13 시

작하였다 그13 결과13 미국은13 아시아의13 안보역량을13 강화하고13 소련을13 중심으로13

한13 공산주의세력과13 대항할13 수13 있는13 안보체제를13 공고히13 하려는13 노력을13 가시화

하였다 그13 결과13 미국은13 년13 필리핀과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였다 미국 1951

의13 목적은13 전13 세계적으로13 확산되는13 공산주의세력의13 준동과13 움직임에13 적절하

게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아시아의13 안보이익과13 군사적13 영향력을13 구축하는13 것이었

다 냉전의13 상황에13 접어들면서13 미국은13 세력권의13 확대와13 군사적13 동맹군이13 절

실히13 필요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동안13 스페인의13 식민통치를13 받았고13 그13 후13 미국의13 식민13 지400

배를13 받았다 년13 독립을13 쟁취한13 이후13 필리핀은13 새로운13 시대를13 맞게13 되었 1947

다 전후13 필리핀대통령이었던13 마누엘13 로하스 는13 미국으로 (Manuel A Roxas)

부터13 경제원조와13 지원을13 받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제 차13 세계대전13 이후13 독립을13 2

쟁취한13 거의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필리핀은13 안보 경제3

교육 제도13 등13 여러13 부분이13 극도로13 열악한13 상황이었고13 따라서13 국가건설과정

에서13 강력한13 후원자가13 필요하였다 독립이후에도13 양국의13 관계는13 지배 -피지배

의13 종속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정착되기13 시작하였다 군사와13 안보13 부분에서의13 상

황은13 군사기지협정과13 군사원조협정으로13 확인된다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협

정을13 체결한13 배경은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요약된다 첫째 냉전의13 상황이다 1940

년대13 말13 이미13 전13 세계로13 확대된13 냉전의13 상황에서13 필리핀13 역시13 안보상의13 불안

감을13 가졌다 아시아에서의13 공산주의13 정권의13 등장과13 역내의13 불안정은13 필리핀13

지도자들로13 하여금13 미국과의13 동맹관계를13 형성할13 필요성을13 절감하였다 필리

핀은13 미국으로부터의13 군사원조를13 통해13 미약한13 국방력을13 회복하려고13 하였다

더13 나아가서13 년의13 한국전쟁과13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전쟁을13 지켜보면1950 1960

서13 필리핀13 지도자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유착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필리핀의13

안보와13 안정을13 위해서13 필요하다고13 판단하였다 둘째 필리핀의13 국내적13 여건

과13 상황이다 필리핀의13 독립과13 함께13 국내에서는13 후크 가13 조직되었다 (Huks)

이13 단체는13 사실상13 공산주의노선을13 지지하면서13 필리핀의13 팜파간 불라칸 탈

락13 등에서13 강력한13 영향력을13 가지고13 있는13 국민농민연맹(National Peasant

과13 깊게13 연결되어13 있었다Union) 7 독립13 이후13 이들의13 반란이13 일어나고13 로하스13

126 백태열

대통령은13 이를13 진압하기13 위해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적 기술적13 도움을13 받았다13

양승윤( 2003 69- 이13 반란은13 독립이후13 극심한13 분열과13 갈등을13 초래하였70)

고13 향후13 반정부집단의13 정치세력화를13 예고하고13 있었다 이러한13 점에서13 필리핀

정부는13 미국과13 군사동맹관계를13 통해서13 국내의13 소요와13 반란을13 효율적으로13 진

압할13 수13 있는13 안보체계를13 구축하는13 작업이13 필요하였다 간단히13 말하면13 냉전

의13 상황과13 국내의13 공산주의의13 준동에13 적절히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필리핀은13 미국

과의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유지해야13 하는13 절박한13 상황에13 직면하였다

년대에13 접어들면서13 막사이사이 가르시아1950 (Ramon Magsaysay) (Carlos

마카파갈 등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들은13 친미적13 Garcia) (Diodado Macapagal)

성향을13 가졌고13 이러한13 점은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이러

한13 배경에는13 여전히13 아시아에서13 냉전의13 열기가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국내의13 안보

상황도13 크게13 개선되지13 않았기13 때문으로13 풀이된다 마르코스가13 년에13 대통 1965

령에13 당선된13 이후13 미국-필리핀의13 관계는13 군사적 경제적으로13 안정된13 모습을13

보였고13 마르코스는13 집권초기에13 미국에13 대한13 일방적인13 대외관계를13 개선하기13

위하여13 다변화13 외교정책을13 추구하기도13 하였지만13 미국의13 대군사의존의13 상황

은13 크게13 변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마르코스는13 친미성향이13 강했고13 양국관계

를13 필리핀의13 외교의13 중심축으로13 삼았기13 때문이다 마르코스의13 친미적13 성향은13

필리핀의13 국내적13 상황과13 연결된다 필리핀에서13 발생한13 두13 가지13 상황을13 지적

할13 수13 있다 첫째 년에13 결성된13 신인민군대 1969 (New Peoplersquo 이다s Army)

이13 조직은13 공산주의의13 게릴라13 집단으로13 테러활동을13 통한13 사회주의의13 노선을13

확립하려는13 집단이며13 필리핀의13 마오주의13 공산당(the Maoist Communist

과13 정치적으로13 깊게13 연관되어13 있다Party) 8 둘째 년대에13 결성된13 모로13 회 1960

교해방전선 이다 이13 단계는13 사실상13 (the Moro Islamic Liberation Front) Kuk

조직의13 전신으로13 필리핀을13 회교사회로13 만들기13 위해13 투쟁하는13 집단이다 공교

롭게도13 이13 집단은13 모두13 마르코스13 대통령이13 재임하던13 시기인13 년대13 말에13 1960

결성되어13 테러13 활동을13 통한13 국내적13 상황을13 어렵게13 만들었다 마르코스의13 입

7 이13 부분에13 관해서는13 을13 참조httpwwwcomwfb2001philippines

8 이13 부분에13 관해서는13 를13 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7

장에서13 보면13 이러한13 국내적13 불안정과13 좌익13 활동은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시켰

고13 미국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불가피하였다 그13 결과13 필리핀은13 안

보분야에서13 자연스럽게13 미국에게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이들13 반13 정부단체의13

활동은13 마르코스가13 재임하고13 있는13 동안13 국내적으로13 커다란13 정치적 사회적13

도전이었고13 필리핀의13 국내안정과13 직결되어13 있었다 그러나13 필리핀의13 국내정

치적13 상황은13 년13 마르코스가13 재선되고13 계엄령을13 선포함으로써13 악화되기13 1972

시작하였다 마르코스대통령은13 국민들에13 대한13 탄압을13 강화하였다 필리핀13 국

내에서13 독재정권을13 무너뜨리고13 민주주의를13 운동을13 강화하려는13 노력은13 지속

되었지만13 미국과13 군사동맹관계를13 변화시키려는13 활동과13 노력은13 간헐적으로13

이루어졌다 마르코스13 대통령은13 미국과13 체결한13 일련의13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

조약을13 필리핀의13 대외관계의13 주축을13 이루었고13 따라서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

속상태는13 고착화되었다 간단하게13 요약하면13 필리핀이13 미국에13 군사적으로13 예

속된13 주된13 배경은13 국내안보상황의13 불확실성과13 공산주의의13 위협13 때문이었다

필리핀의13 대미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전개(2)

필리핀1) -미국의13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조약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확인할13 수13 있는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양국이13 체

결한13 일련의13 군사동맹조약이다 양국은13 년13 월에13 체결된13 군사기지협정 1947 3

과13 군사원조협정(Military Bases Agreement) (The RP-US Military Assistance

그리고13 년13 월의13 상호방위조약 을13 Agreement) 1951 8 (Mutual Defense Treaty)

각각13 체결하였다 먼저13 저자는13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체결한13 군사기지협 1947 3 14

정의13 내용을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이13 협정은13 미국이13 필리핀에13 군사기지의13 설

치 운영13 등에13 관한13 권리를13 확보할13 수13 있도록13 하였다 미국은13 클라크13 공군기

지와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및13 기타시설13 등을13 포함한13 개의13 군사시설을13 년13 동23 99

안13 무상으로13 사용할13 수13 있도록13 하였다 사실상13 미국정부는13 필리핀내의13 군사

시설에13 대한13 완전한13 통제권을13 갖게13 되었다 이13 협정은13 필리핀이13 군사안보13 부

분에서13 미국에게13 의존하게13 만든13 법적13 기초였다 필리핀의13 미13 군사적13 의존 對

을13 확인할13 수13 있는13 또13 다른13 협정은13 군사원조협정이다 이13 협정은13 군사기지협

정이13 체결된13 직후13 년13 월13 일에13 체결된13 부속협정 이1947 3 21 (Sister agreement)

128 백태열

다9 이13 협정의13 전문은13 ldquo독립13 이후13 필리핀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 그리고13 군장

비의13 구입13 등에13 대한13 필리핀13 정부의13 여망을13 고려하여13 미국13 대통령은13 공동방

위의13 문제에서13 양국의13 상호13 이익의13 관점에서13 국가안보를13 유지하기13 위하여13 필

리핀13 정부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는13 것을13 허락한다helliprdquo10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협정은13 모두13 개의13 세부적인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으며13 거의13 대부분23

의13 조항은13 필리핀에13 대한13 미국의13 군사원조에13 국한되어13 있다 보다13 상세한13 내

용을13 파악하기13 위해13 저자는13 몇몇13 조항을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동13 협정의13 제 1

조는13 ldquo상호협정에13 따라서13 미국정부는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을13 위해13 필리핀정부에게13 군사원조를13 제공할13 것13 이다helliprdquo11고13 명시되어13 있다 또13 다른13 조항은13 군

사고문단 의13 기능과13 역할에13 관한13 것이다 동13 협정(Military Advisory Group)

의13 조는13 8 ldquo군사고문단의13 기능은13 국가안보와13 관련된13 목적을13 수행하는데13 필요한13 것으로13 필리핀에13 조언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다helliprdquo12고13 적고13 있다 이러한13

점은13 필리핀이13 안보정책을13 수립하거나13 군사적13 역할을13 하는데13 있어서13 독자성

이13 크게13 훼손될13 수13 있다 일반적으로13 강대국과13 약소국의13 상호방위조약은13 약

소국의13 독립적이고13 자주적인13 대외군사정책을13 추구하는데13 있어13 제약이13 많고13

군사적13 자주권을13 종종13 훼손시킨다 따라서13 필리핀과13 미국과의13 군사원조협정

도13 같은13 맥락에서13 볼13 수13 있다 또한13 동13 협정의13 조는13 일반적인13 군사원조의13 6

내용을13 담고13 있다 이13 조항에13 따르면13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군대에게13 무기 탄

약 군사장비 전투기와13 전함13 등을13 제공하게13 된다고13 명시하고13 있다 협정의13

조는13 군사훈련지원 에13 관한13 것이다 필리핀에13 대한13 군21 (Training assistance)

사원조의13 일부로서13 선발된13 필리핀13 학생들을13 미국에13 보내13 육군 해군 그리고13

공군13 부대에서13 기술13 및13 군사훈련을13 받도록13 하는13 내용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과13 미국은13 년13 월13 일13 상호방위조약1951 8 13 (Mutual Security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전문과13 개의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Treaty) 13

9 이13 협정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 저자는13 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인쇄본을13 입수하지13 못하여13 대신에13 인터넷13 사이트의13 정보를13 인용함

10 상게서

11 상게서

12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9

이13 조약에서13 양국은13 ldquo외부의13 군사적13 전략에13 대해13 공동으로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양국의13 단결과13 공동의13 결의를13 공개적으로13 그리고13 공식적으로13 선언하면서rdquo13

개13 조항에13 합의하였다 이13 조약의13 13 조는13 외부의13 군사적13 침략에13 대해13 공동13 3

으로13 방어하기13 위한13 대응태세를13 강조하고13 있으며13 조는13 당사국중의13 한13 국가4

가13 외부의13 공격을13 받을13 경우13 이를13 자국에13 대한13 공격으로13 간주한다고13 규정함

으로써13 공동방위를13 구축하고13 있다

양국이13 체결한13 개의13 군사13 및13 방위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볼13 때13 현실적으로13 3

필리핀의13 국가안보를13 강화하고13 양국이13 공동의13 외부적13 위협에13 대응하도록13 구

성되어13 있다 그러나13 이13 조약들은13 양국의13 평등성에13 기초하고13 있기13 보다는13 필

리핀이13 일방적으로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받도록13 되어13 있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군군대의13 주둔2)

싱거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외국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시설이다 년13 양국의13 협정에13 따라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군대를13 주둔시키 1947

고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필리핀에는13 미국의13 군사방위공약을13 실천하기13

위하여13 년부터13 미군이13 주군하고13 대규모의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대1947

표적인13 군사시설은13 클라크13 공군기지(Clark Air Base in Pampanga and

수빅만13 해군기지 죤13 Tarlac) (Subic Naval Base in Bataan and Zambales)

헤이13 공군13 이착륙장 월레스13 공군13 이(John Hay Air Station in Baguio City)

착륙장 그리고13 산13 미구엘13 통신소(Wallace Air Station in La Union) (San

등이다Miguel Station in Zambales) 14 그13 외에도13 소규모의13 미국군사기지13

및13 시설은13 대략13 개이다 클라크13 공군기지는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규모15

이며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역시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해군기지이다 이러한13

미군기지와13 시설에13 주둔하고13 미국병사는13 년13 기준으로13 대략13 육군은13 1979 28

명 공군은13 명 해군은13 그리고13 해병대13 명이13 각각13 필리핀에13 주 8005 4594 786

13 이13 조약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14 이와13 관련하여13 상세한13 내용은13 다음의13 자료를13 참조바람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130 백태열

둔하였고13 전체13 미군의13 수는13 명이다13413 15 이와13 관련된13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13 기준을13 기준으로13 필리핀의13 모든13 미군기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병력은13 1988

명이다17870 16 년13 당시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의13 수는13 명의13 군인과13 1991 15000

명의13 군무원이13 주둔하고13 있었다1000

이러한13 군사기지의13 설치는13 앞서13 설명된13 양국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방위조약

에13 따른13 부수적13 결과일13 뿐이다 외군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기지의13 허용은13 종속

국의13 국방력이13 취약하다는13 반증이다 종속국은13 외국군대의13 도움이13 없이는13 자

국의13 안보상황을13 개선할13 수13 없다는13 것을13 의미하며13 이는13 군사적13 예속의13 또13 다

른13 측면이다 외국군대의13 기지와13 주둔군은13 해당국민과13 가장13 직접적인13 마찰과13

갈등을13 빚는13 부분이고13 법적 사회적 문제를13 가장13 많이13 야기시켰다

미국의13 필리핀13 무기13 공여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검증하기13 위하여13 사용되는13 또13 다른13 증거는13 군사장

비13 및13 무기의13 공여이다 피종속국은13 현실적으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자체적으

로13 개발하는데13 필요한13 기술력과13 경제력을13 결여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타국으로부

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유상으로13 혹은13 무상으로13 공여13 받는다 특히13 이러한13 무

기의13 지원으로13 인해13 보다13 심각한13 상황은13 특정한13 국가로부터13 무기지원을13 받는

다는13 점에서13 의존적13 성격을13 갖고13 있다는13 점이다 따라서13 피종속국이13 종속국

에게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하거나13 수출하지13 않을13 경우13 종속국의13 국가안보

는13 어려움을13 겪거나13 혹은13 심각한13 위험에13 직면할13 수도13 있다 필리핀의13 경우13

년대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의13 대부분을13 공여13 받았다1950 17 이

와13 관련하여13 몇13 가지13 사례를13 들어13 보기로13 한다 필리핀은13 년대13 초부터13 1950

년까지13 미국으로부터13 다양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13 받거나13 혹은13 구매1973

하였다 군사용13 비행기예를13 들면 ( Lockheed T-33 Gruman HU-16A

군사용13 선박예를13 들면 그Albatross) ( patrol boat Infantry landing craft)

리고13 장갑차 예를13 들면( M- 등이다4 Sherman) 18

15 United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p 145

16 이와13 관련된13 자료는13 김경숙13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13 참1988 10 p 76 「 」 985172 985173조

17 년대13 초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제외한13 일본 독일 호주 이탈1950 1970

리아13 등으로부터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미국의13 비중이13 압도적으로13 많았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1

필리핀13 군인의13 미국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13 4)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종속국가의13 군인13 혹은13 영관급13 장교들이13 피

종속국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러한13 지표는13 종속국의13 군인

들의13 질적13 취약성에13 기초한다 종속국의13 군인들은13 안보와13 전쟁에13 필요한13 현

대식의13 훈련과13 전투능력을13 배양하지13 못했기13 때문에13 국가안보의13 문제와13 위기

가13 발생했을13 때13 적절하게13 대처할13 수13 있는13 있는13 군사적13 능력을13 갖추고13 있지13

못하다 이러한13 측면은13 종속국의13 군사력13 하락으로13 연결된다 필리핀군인들은13

의13 프로그램의13 후원13 IMET(International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하에13 미국본토13 혹은13 미국본토이외의13 군사훈련소에서13 군사훈련13 혹은13 교육을13

받았다 자료에13 따르면13 필리핀13 군인들은13 년부터13 년까지13 명이13 1950 1968 12217

훈련을13 받았다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부터13 년13 초까(Singer 1972 301) 1950 1980

지13 대략13 의13 필리핀13 군인들이13 미국의13 재정적13 지원13 하에13 미국의13 군사학17000

교와13 훈련소에13 훈련을13 받았음을13 보여준다19

간단히13 정리하면13 앞서13 제시된13 가지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살펴13 본13 결과13 4

필리핀은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되어13 있음을13 보여준다

필리핀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13 (3)

필리핀의13 정부지도자와13 국민들이13 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상태를13 타파해야13

한다는13 목소리를13 강화한13 것은13 마르코스13 대통령의13 독재정치가13 절정에13 달했을13

때였다 그의13 탄압과13 독재정치에13 대해13 많은13 필리핀국민들이13 저항하였고13 반마

르코스의13 열기가13 확대되었다 년에13 일어난13 필리핀의13 민중의13 혁명 1986

(Peoplersquo 은13 마르코스를13 권좌에13 내쫒았다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의존s Power)

의13 타파는13 사실상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와13 궤를13 같이13 한다 마르코스에13 대한13

비판은13 민주주의를13 강하게13 염원하게13 되었고13 동시에13 그의13 정권하에서13 오래13 동

안13 유지되었던13 필리핀-미국의13 동맹관계의13 실체를13 재평가하려는13 움직임으로13

빠르게13 전환되었다 년13 월13 코라손13 아퀴노 가13 대통령 1986 2 (Corazon Aquino)

18 이와13 관련하여13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참조Stockholm 1975 Sweden SIPRI pp 17-19

19 를13 참조httpIcweb2locgovcgi-binquery

132 백태열

에13 취임하면서13 필리핀에서는13 본격적으로13 미군의13 철수문제가13 공론화되기13 시

작하였다 필리핀국민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동맹체제로부터13 발생하는13 다양한13 불

이익과13 불편을13 종식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개시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추진력 은13 무엇인가 대략13 두13 가지13 요인(Driving force)

으로13 설명된다 첫13 번째는13 민족주의이다 민족주의는13 식민지13 상태에서13 해방

과13 독립을13 쟁취하기13 위한13 이데올로기로서13 작동하였고13 독립이후13 민족주의는13

외세의13 지배와13 간섭을13 배격하기13 위한13 무기로서13 전환된다 필리핀은13 스페인과13

미국의13 식민지를13 경험하면서13 강한13 민족주의를13 발전시켰다 살바도르13 마르티

네그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13 역사는13 세(Salvador Martineg) 16

기13 초에13 시작되어13 년대13 이래13 유지되었고13 년대에는13 클라로13 렉토13 등1950 1960

에13 의해13 활성화되었다20 결국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는13 반미주의와13 강하게13 연결

되어13 있으며13 이는13 미국의13 간섭과13 영향력을13 배제하고13 자국의13 자존심을13 회복하

려는13 노력으로13 승화되었다 동시에13 민족주의의13 열기는13 필리핀국민들에게13 미

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에서13 기인하는13 지배국의13 독선과13 횡포 그리고13 내정간섭에13

대한13 저항을13 강하게13 표출할13 수13 있는13 통로를13 제공하였다 두13 번째는13 주권과13

자주권의13 회복이다 주권과13 자주권은13 민족주의와13 깊은13 연관성을13 갖고13 있다

전후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유지하는데13 있어서13 국민적13 자존

심과13 주권이13 손상되었다는13 인식을13 강하게13 갖고13 있다 에드13 가르시아 (Ed

와13 프란시스코13 네멘쯔 는13 다음과13 같이13 지적한다13 Garcia) (Francisco Nemenz)

(Garcia and Nemenz 1987 4)

독립은13 단지13 자기13 확신의13 문제가13 아니다 국가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이13 아 hellip13 니라13 자주적13 행위자로서13 인식되어야13 한다 모든13 국제회의에서13 우리의13 독립을13

확인하기13 위하여13 용기를13 갖고13 노력하여13 왔다 그러나13 우리가13 실제적인13 독립을13

갖고13 있었을13 때조차도13 우리가13 제안을13 발의해도13 제 세계의13 대표들은13 그13 뒤에는13 3

미국이13 있다는13 점을13 의심하여13 왔다 이러한13 의미에서13 필리핀은13 자국의13 땅위에

서13 거대한13 군사기지를13 유지하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으로13 보여진다

20 이러한13 주장에13 대해서는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사Salvador Martineg 1983 「 」 985172상 월 을13 참조함5 pp 45-48 98517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3

그들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체계가13 필리핀의13 대

외정책에도13 부정적13 영향을13 미쳤음을13 암시하고13 있다 국제무대에서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의식하거나13 혹은13 미국의13 정책과13 보조를13 맞출13 수밖에13 없는13 상황을13 초

래했다고13 보고13 있다 이러한13 관점에13 대해13 일부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자국의13 주권

이나13 자주권이13 어느13 정도13 훼손되었다는13 생각을13 갖고13 있는13 것으로13 보인다 동

시에13 미군철수를13 둘러싼13 필리핀13 국민의13 반감은13 미국의13 마르코스13 체제에13 대한13

옹호에서13 기인하였다는13 점도13 지적될13 수13 있다 그들은13 마르코스13 집권이후13 필

리핀의13 인권상황이13 악화되고13 독재정치가13 유지되고13 있음에13 불구하고13 미국이13

이를13 개선하기13 위한13 적절한13 역할을13 하지13 못한13 것에13 대해13 깊은13 불신과13 반감을13

갖고13 있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13 국민들이13 미군철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를13 요구

하는13 보다13 현실적인13 이유들이13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필리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으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각종13 사회적13 문제와13

갈등이다 미군이13 주둔하고13 있는13 기지주변에서13 발생되는13 각종13 범죄 현지인

과13 미군사이의13 마찰13 등은13 외국군대를13 수용하고13 있는13 필리핀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군기지에13 대한13 반감과13 저항을13 일으킬13 수13 있다 둘째 필리핀13 국내에13 설치된13

핵무기이다 년대13 초에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핵무기가13 설치한13 것으로13 알려져13 1970

있으며13 년까지13 핵무기의13 수는13 대략13 정도에13 달하였다 년을13 기준1973 260 1985

으로13 미국은13 필리핀에13 개의13 핵무기를13 설치하였으며13 그중13 개는13 반잠수227 32

함13 핵폭탄이며13 개는13 해군용13 핵무기 그리고13 그밖에13 개의13 핵폭탄이13 있80 115

는13 것으로13 알려졌다21 핵무기의13 설치와13 사용의13 목적은13 아시아13 지역의13 군사

적13 충돌이나13 전쟁이13 발발할13 경우13 사용되기13 위함이며13 어떤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

는13 필리핀의13 안보를13 위한13 것이라기보다는13 미국의13 군사적13 목적을13 위해13 설치된13

것이다 미국이13 아시아에서13 전쟁을13 수행할13 경우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핵위협에13

노출되어13 있고13 이로13 인해13 여러13 가지13 피해가13 발생할13 수13 있다고13 보고13 핵무기의13

설치와13 시설에13 민감하지13 않을13 수밖에13 없다 이러한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일차적으

로13 공격의13 목표가13 되었던13 것은13 미군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이다

21 Ronald G Simbulan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1989 Manila Philippines

와13 을13 참고 이13 책에는13 필리핀의13 미국핵무기와13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p 78

관련된13 정보와13 내용이13 상세하게13 기록되어13 있음

134 백태열

그러면13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종료시키기13 위한13 구체적인13

움직임 조치 및13 정책은13 무엇인가 마르코스가13 축출당한13 이후인13 년13 월 1986 2

부터13 년대13 초까지13 필리핀의13 국내13 상황은13 급박하게13 돌아가고13 있었다 이1990

와13 관련하여13 가장13 주목을13 끄는13 점은13 년13 월13 일13 필리핀13 상원을13 통과한13 1988 6 6

ldquo반핵병기13 법rdquo이다 이13 법안은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기지와13 군사시설 그리고13 양

국동맹관계의13 근간을13 흔들13 수13 있을13 만큼13 강력한13 내용을13 담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이13 법안의13 조는13 금지행위에13 관한13 것으로13 5 ldquo어떤13 사람도13 운송이나13 하역을13 불문하고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과13 그13 구성부분을13 필리핀13 영역내로13 가지고13

들어오거나13 또는13 소유 보유할13 수13 없다 필리핀13 군사기지13 내13 미합중국의13 기존13

군사13 설비를13 포함하여13 필리핀영역의13 상13 하 상공13 어느13 곳에서도13 본13 제 조13 4 1

항에13 해당하는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 구성부분13 및13 핵병기관련설비의13 개발 제

조 입수 실험 이용 도입 비축 보관을13 금지하며 helliprdquo22라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조항과13 함께13 다른13 조항13 역시13 필리핀에서의13 일체의13 핵무기13 개발 설치 비

축 보관 하역13 등을13 금지시키고13 있다 이13 법안의13 통과는13 필리핀 -미국의13 군사

동맹관계의13 분수령이13 된다 역시13 가장13 커다란13 시사점은13 미국은13 필리핀의13 영

토13 안에13 핵무기와13 관련된13 일체의13 접근이13 불허된다는13 점이며13 동시에13 필리핀의13

모든13 군사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가13 불가피하게13 되었다는13 점이다

년13 월13 미국과의13 군사기지협정을13 년13 연장하기13 위한13 법안이13 상원에13 1991 9 10

게류13 되었을13 때13 필리핀13 국내정세는13 극도로13 혼란스러웠다 이13 혼란의13 중심은13

미군13 기지를13 그대로13 유지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과13 법안을13 거부함으로써13 미군13 기

지를13 폐쇄해야13 한다는13 입장으로13 크게13 나뉘어져13 있었다 이13 협정의13 연장을13 찬

성하는13 집단의13 중심에는13 아키노13 대통령이13 있었다 아키노13 대통령은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쇄될13 경우13 양국관계의13 약화 경제13 투자의13 감소 그리고13 불안정

한13 국내13 상황13 등을13 크게13 우려하였다 무엇보다도13 필리핀13 정부는13 양국이13 오랫

동안13 여러13 부분에서13 구축된13 양국의13 군사적 외교적13 우호관계가13 크게13 악화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우려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13 상원은13 미국과13 협정을13 반대하는

데13 선두집단중의13 하나였다 상원의원들의13 상당수는13 민족주의13 정신이13 강한13 정

22 본13 법안의13 내용에13 관해서는13 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를13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5

치인들이었고13 미군은13 필리핀13 땅에서13 떠나가야13 한다고13 믿었다 미군기지13 임대

의13 연장13 법안의13 반대에13 대한13 보다13 구체적인13 이유는13 무엇인가 가장13 커다란13

이유는13 무엇보다도13 필리핀의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복원이었다 당시13 필리핀13

상원의원인13 아가피토13 아키노 는13 (Agapito Aquino) ldquo이13 투표는13 진정으로13 주권을13 갖고13 독립적인13 필리핀13 국민을13 위한13 것이며13 이13 투표는13 미국의13 조종끈에13 매

어진13 정치적13 청년기13 즉13 극심한13 종속을13 종식하기13 위한13 것이다rdquo23라고13 상원에

서13 역설하였다 종속타파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종속타파의13 견인적인13 메커니즘은13

이론적13 검토에서13 제시된13 것처럼13 역시13 주권의13 회복과13 민족적13 자존심의13 회복이

다 필리핀13 정치인들의13 판단과13 요구가13 대다수13 모든13 필리핀13 국민들의13 견해와13

동일하다고13 볼13 수13 없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협정13 그리고13 상

호방위조약에서13 기인하는13 다양한13 폐해를13 인식하고13 있으며13 미군은13 철수되어

야13 한다는13 공감대를13 발전시켜13 왔다는13 점은13 부인할13 수13 없다 또13 다른13 견해는13

필리핀13 정치권에서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기지사용료가13 너무13 적다는13 이유도13 제시

되고13 있다24 필리핀13 상원의13 강력한13 반대13 움직임13 속에13 아키노13 대통령은13 이13

법안을13 국민투표에13 회부하는13 방안을13 추진하였지만13 무산되고13 결국은13 미군기

지협정의13 연장법안은13 년13 월13 일13 상원에서13 대13 로13 부결되었다1991 9 16 12 11

필리핀13 상원의13 이러한13 결정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년13 미국과13 맺은13 군 1947

사기지협정은13 자동적으로13 무효화되었으며13 필리핀에서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

쇄되고13 미군이13 더13 이상13 주둔하지13 않게13 되었다 미군은13 년13 말13 이전에13 필 1992

리핀의13 영토를13 떠나도록13 권고13 받았다 이러한13 점은13 상징적인13 측면이13 강하지

만13 필리핀은1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고13 볼13 수13 있다

미국의13 반응과13 입장13 (4)

필리핀에서의13 극적인13 변화에13 대해13 미국은13 어떤13 반응을13 보였으며13 기본13 입

장은13 무엇인가 미국은13 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13 이후13 필리핀의13 민주화13 운동과13

23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아키노13 상원의원은13 미군기지문제와13 관 1991 9 16 A1

련하여13 형수이자13 대통령이었던13 코라손13 아퀴노와13 극심한13 마찰과13 갈등을13 겪었다

24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벌인13 협상에서13 미국은13 필리핀에 1991 9 11 A3

게13 수빅만13 해군기지를13 사용하는13 대가로13 일년에13 억불을13 제공하기로13 합의하였다203

136 백태열

새로운13 정권의13 창출을13 고무적으로13 평가하였다 그러나13 동시에13 워싱턴은13 그곳

에서13 미군의13 기지와13 군대의13 철수문제 그리고13 지속적인13 반미운동의13 고조13 등

에13 대해13 깊은13 우려감을13 가졌다 특히13 군사기지협정의13 연장을13 앞13 둔13 시점에서13

미국정부의13 불안감은13 증대되었다 국무장관13 조지13 슐츠 는13 미 (George Shultz)

국은13 필리핀13 관리들과13 정치인들이13 기지연장을13 승인하지13 않을13 경우13 다른13 장소

를13 물색해야13 할지13 모른다는13 입장을13 밝혔다25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국내에서13

벌어지는13 반미운동이13 궁극적으로13 미군기지의13 철폐로13 연결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크게13 우려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필리핀13 상원의13 표결이13 있기13 전에13 미국정부는13

부결가능성을13 기대하고13 있었고13 이를13 위해13 직간접적으로13 필리핀정부에13 회유

와13 압력을13 가하였다

필리핀에서의13 결정은13 미국정부를13 크게13 실망시켰지만13 기지연장을13 둘러싼13

필리핀의13 정책결정과정에13 대해13 특별한13 영향력을13 행사할13 수13 없었다 미국은13

필리핀이13 기지연장13 협정을13 원하지13 않는다면13 이를13 수용하지13 않을13 수13 없다 미

국의13 기본13 입장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연장협정을13 지속하는13 것이었다 그13 이유는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와13 미군의13 주둔은13 년이13 넘은13 동안13 아시아에서13 방어적13 40

역할을13 충실히13 하였기13 때문이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결정은13 대

략13 가지13 파급효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다고13 보았다 첫째 년대13 말에13 냉전이13 2 1980

서서히13 종식되고13 있었지만13 미국은13 아시아에서의13 군사적13 임무와13 역할이13 여전

히13 필요하였다 따라서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의13 철수는13 안보적13 공백이13 발생할13

수13 있으며13 이로13 인한13 군사적13 전략변화가13 요구되고13 있기13 때문이다 둘째는13 간

접적13 파급효과이다 필리핀의13 미군기지13 철수가13 다른13 주둔지역13 특히13 한국과13

일본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기지의13 철수로13 연결될13 수13 있는13 파급효과를13 우려하

였다 반면에13 다른13 측면에서13 보면13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다소13 위안을13 찾을13

수13 있는13 부분도13 있다 필리핀은13 결코13 미국과의13 상호방위조약13 자체를13 폐기한13

것이13 아니기13 때문에13 향후13 양국의13 군사적13 동맹관계는13 유지될13 수13 있으며13 미국

의13 군사적13 영향력도13 어느13 정도13 유효할13 것이라는13 기대감을13 가졌다

25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88 6 17 p 7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7

이집트2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3 (1)

년13 영국의13 식민지에서13 벗어난13 이집트는13 국내외적으로13 커다란13 도전에13 1952

직면하였다 국내적으로13 정치세력간의13 권력투쟁으로13 불안한13 정국이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그13 과정에서13 군사13 쿠데타를13 통해13 실질적인13 권력을13 장악한13 나세르는13

아랍사회주의를13 표방하면서13 국정을13 운영하기13 시작하였다 대외적으로13 국제사

회에는13 이미13 냉전의13 열기가13 정점에13 올랐고13 그13 여파는13 중동에도13 도달하였다

이집트를13 둘러싼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복잡하게13 얽혀가고13 있었다 이와13 관련

하여13 주목할13 부분은13 미국과13 소련은13 중동지역에서13 패권경쟁을13 격화하고13 있었

다는13 점이다 소련은13 미국을13 견제하기13 위하여13 에13 버금가는13 지역안보 NATO

체제를13 구축하려고13 하였고13 이는13 바그다드13 조약 으로13 실현되고13 (Baghdad Pact)

있었다 미국은13 이집트를13 지역안보체제에13 끌어13 들이려는13 계획을13 갖고13 이집트

에13 접근하였다 마찬가지로13 소련은13 이집트와13 접한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중동지역에서의13 교두보를13 확보할13 수13 있다고13 판단하였다 미국과13 소련은13 이집

트가13 아프리카와13 중동을13 연결하는13 지역에13 위치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전략적13 가치

를13 중시하였고13 아랍세계의13 위상13 때문에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근을13 추구하는13 것이13

중요한13 목표중의13 하나였다

나세르가13 집권13 이후13 이집트가13 당면한13 최대13 현안은13 이스라엘과13 갈등과13 분

쟁이었다 년13 월13 이스라엘군대가13 이집트13 통제지역인13 가자해협의13 군사 1955 2

시설을13 공격하면서13 명이13 사망하는13 사건이13 일어났다 이스라엘의13 공격으로13 38

인해13 양국은13 본격적인13 대립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이집트는13 이러한13 상황에13 대처

하기13 위해13 자국의13 군사력의13 증강이13 무엇보다도13 절실한13 과제였다 이집트는13

처음에13 서방측에게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으나13 거부당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시도하였다 이집트가13 소련을13 선택한13 구체적인13 배경은13 무엇인

가 무엇보다도13 나세르는13 기본적으로13 반서방주의13 성향이13 강하였고13 당시의13 국

제정세로13 볼13 때13 이스라엘을13 지원하는13 영국과13 미국13 보다는13 소련에게13 무기를13

요청하는13 것이13 적합하다고13 판단하였다 년13 이집트는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1955

138 백태열

내세운13 소련과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26 이13 무기협정을13 통해13 사실상13 이집트

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어13 가는13 계기가13 되었고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주공급자가13 되었다 그러나13 이집트는13 소련과13 상호군사조

약을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나세르가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맹관계를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기13 때문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찰스13 크레멘

스 는13 (Charles Cremeans) ldquo군사공약이13 포함되지13 않는13 한13 이집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받을13 수13 있었고13 그리고13 필요하다면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는데13

발생할13 수13 있는13 위험을13 감수할13 준비가13 되었다고13 나세르는13 항상13 주장하였다rdquo고13 지적한다 나세르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공여13 받는13 것에13 부(1963 281)

담을13 느꼈던13 것은13 분명하다 그13 이유는13 자신이13 강력한13 비동맹노선을13 표방하

였고13 따라서13 소련과13 연계를13 통해13 의존의13 상황이13 형성되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기13

때문이었다 결국13 나세르는13 적어도13 집권초기에는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

맹관계13 혹은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려고13 하지13 않았다 그러나13 이스라엘의13 군

사적13 위협13 때문에13 이집트가13 무기를13 제공받기로13 한13 결정은13 불가피한13 선택이었

다 전후13 독립을13 획득한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신생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 3

의13 국방력은13 취약하였다 따라서13 이집트의13 대외적13 여건은13 군사대국인13 소련에

게13 자연스럽게13 군사적13 도움을13 요구하게13 되고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그러면13 소련의13 이집트의13 접근배경은13 무엇인가 무엇보다도13 모스크바는13 對

전후13 중동지역에서13 미국과의13 경쟁에서13 우위를13 선점하기13 위한13 목적을13 갖고13 있

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국과의13 냉전13 구도13 하에서13 중동에서의13 영향력

을13 확보하고13 상대적으로13 미국의13 접근을13 어렵게13 하기13 위해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

근을13 시도하였다 즉13 중동에서13 가능한13 많은13 우방국13 혹은13 동맹국을13 만드는13 작

업은13 미국과13 마찬가지로13 소련의13 대외정책의13 우선순위의13 하나였다 더13 나아가

서13 소련은13 이집트뿐만13 아니라13 중동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국가에13 대해13 접한13 관

계를13 구축하고자13 하였다 이러한13 주장은13 년대를13 거치면서13 소련이13 시리 1960

아 요르단13 등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고13 일련의13 군사협정을13 체결하였다는13 사실

에13 의해13 뒷받침13 된다 년13 월13 일13 소련13 외무성은13 1955 4 16 ldquo소련은13 근동13 및13 중

26 이13 협정을13 통해13 양국은13 억불의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45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9

동지역에서13 전개되는13 상황에13 무관심한13 채13 남아13 있을13 수13 없다 그13 이유는13 그13

지역에13 있는13 외국의13 군사기지시설과13 블록화13 현상은13 소련의13 안보에13 직접적인13

연관성이13 있기13 때문이다rdquo27는13 입장을13 표명하였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친 한13 관계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이해관계를13 둘러싸고13 더욱13

발전하게13 되었다 년13 월13 나세르는13 수에즈운하에13 대한13 국유화를13 선언하 1956 7

였고13 이러한13 결정에13 대해13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13 이집트를13 공격하였다 이

로13 인해13 제 차13 중동전쟁이13 발발하였다 운하를13 둘러싼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13 그2

리고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첨예하게13 얽혀있었다 제 차13 중동전쟁은13 이집트 2 -

소련의13 관계에서13 또13 다른13 분수령이13 되었다 년13 이집트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1960

완전한13 통제와13 관리를13 위해13 소련으로부터13 에스완13 댐13 건설비용13 억13 천13 달러3 5

를13 받기로13 결정하였다 그13 후13 이집트는13 다양한13 형태의13 지원을13 소련으로13 받기13

시작하였다 년13 월13 이집트를13 방문한13 후르시초프 서기장은13 1964 5 (Khrushchev)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억13 천 백만13 불을13 융자하겠다는13 발표를13 하였다2 7 7 28

이13 비용은13 이집트가13 년부터13 추진하는13 개년13 개발계획에13 사용될13 예정이1965 5

라고13 덧붙였다 이러한13 재정적13 지원을13 통해13 이집트는13 점진적으로13 의존하였고13

의존의13 내용은13 경제원조의13 영역으로13 확대되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년13 1966 5

월13 일13 소련13 수상13 알렉세이13 코시긴 은13 카이로에서13 가11 (Aleksei M Kosygin)

진13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미국의13 베트남13 공격을13 비난하면서13 ldquo양국의13 국민은13 평화 사회적13 전진 그리고13 사회주의를13 위한13 투쟁에서13 공동13 목적과13 이념으로13

함께13 협력13 한다rdquo고13 선언하였다29 양국의13 우호관계는13 점진적으로13 확대되었다

이집트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스라엘과의13 분쟁은13 여전히13 미해결된13 채13 남아13 있었

고13 소련으로부터13 추가적인13 군사지원은13 불가피하였다

년의13 차13 중동13 전쟁혹은13 일13 전쟁에서13 이집트는13 이스라엘에게13 참패1967 3 ( 6 )

한13 후13 시나이13 반도와13 가지지구13 등을13 빼앗기게13 되었다 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

로13 하여금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더욱13 필요하게13 되었고13 결과적으로13 군

27 Alvin Z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에서13 재인용

2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4 5 25 p 1

29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6 5 11 p 2

140 백태열

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월터13 라퀘르 는13 다음과13 같이13 설 (Walter Laqueur)

명13 한다(1972 62)

일13 전쟁은13 소련6 -이집트13 관계의13 이정표를13 기록하였다 그13 전쟁은13 분실되거

나13 혹은13 파괴된13 모든13 군사13 장비를13 빨리13 대체하기13 위한13 필요성13 때문에13 소련에13

대한13 이집트의13 종속을13 극적으로13 심화시켰고13 낫세르의13 요청에13 따라13 소련군hellip13 인이13 탑승한13 SAM- 과13 2 SAM- 로13 구성된13 거대한13 미사일13 방어체계가13 13 이집트3

에13 설치되었다 소련조종사들이13 이집트내의13 개의13 공군비행장에서13 전투임무 15

를13 갖고13 전투기를13 발진시켰다

이집트는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있어서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

기13 위하여13 소련의13 군사적13 지원을13 지속적으로13 받았다 특히13 년에13 발생한13 1967

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과정에서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위해13 간접적13 방식으로13 전6

쟁에13 개입하였다 소련의13 군사고문단이13 이집트에13 상주하면서13 막후에서13 이집

트에서13 전술적 전략적13 도움을13 제공하고13 협력했을13 가능성은13 상당히13 높다 30

년13 가을에13 발생한13 나세르의13 갑작스런13 죽음과13 함께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1970

사다트는13 나세르의13 이념적 정책적13 계승자였다 따라서13 그는13 적어도13 외형적

으로13 소련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고자13 하였다 그의13 선택은13 당연하였다 일13 6

전쟁은13 휴전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전쟁은13 언제든지13 다시13 발발할13 개연성이13 높았

고13 따라서13 군사력의13 보강은13 그의13 주된13 목표였다 그는13 년13 월13 모스크바 1971 3

를13 방문하여13 소련에13 대한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다 그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1971

년13 월13 일13 양국사이의13 우호조약으로13 발전되었다 이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자리7 28

에서13 사다트는13 ldquo우리국민은13 아랍-소련의13 우정을13 소중하게13 생각하며13 그리고13 진정으로13 아랍전체13 국가들은13 이13 우정을13 우리13 정책의13 가장13 중용한13 기초중의13

하나로13 간주13 한다rdquo 고13 역설하였다 31 양국은13 년의13 유효기간을13 설정하고13 우 15

30 년13 동안13 이집트의13 군복으로13 위장한13 소련군13 조종사들이13 이집트13 영공에서13 이스라1970

엘의13 공습에13 대항하여13 공중전투에13 참여하였다 이13 부분에13 대해서13 Craig A Daigle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을13 참 8(1) March p 3

31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1 5 28 p 2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1

호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에13 어떤13 의미를13 갖고13

있는가 이와13 관련하여13 두13 가지13 사항이13 언급될13 수13 있다 첫째 이집트는13 오래13 13

동안13 공식적인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것을13 주저하였다 그것은13 특정국가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이13 나세르와13 사다트의13 정치철학에13 위배된다고13 판단하였기13 때문

이다 그러나13 나세르의13 죽음과13 완결되지13 않은13 중동전쟁의13 상황을13 고려할13 때13

다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보다13 강화할13 필요성을13 느꼈기13 때문이다

둘째 이13 조약은13 사실상13 외형적으로13 상호13 협력13 및13 우호를13 강조하고13 있지만13

조약의13 세부적13 내용을13 면 히13 검토해13 보면13 사실상13 군사원조와13 무기지원을13 포

함한13 일방적13 방위조약의13 성격이13 강하다 따라서13 향후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방위공약의13 의무를13 갖게13 되고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은13 보다13 제도적13 성격

을13 갖게13 되었다

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상황(2) 對이집트1) -소련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우호13 조약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이집트가13 군사적으로13 소련에13 예속된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년13 월13 이집트와13 1955 9

체코의13 무기매매협정에서13 찾을13 수13 있다 이13 협정은13 사실상13 소련과13 이집트사

이에13 체결된13 것으로13 소련이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내세워13 체결하였다(Cremeans

이13 협정을13 통해13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무기를13 공여하기13 시작하였고13 1963 146)

이집트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는13 계기가13 되었다 년13 월13 일13 1971 5 27

이집트와13 소련의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the Egyptian-Soviet Treaty of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년13 양국의13 무기Friendship and Cooperation) 1955

협정이후13 체결되었다 이13 조약은13 전문을13 포함하여13 모두13 개13 조항으로13 구성 12

되었다 이13 조약의13 전문은13 ldquo소련과13 이집트는13 양국의13 발전을13 촉진하고13 모든13 부분에서의13 협력을13 확고하게13 강화할13 것을13 확신하며13 양국은13 평화로운13 외hellip13 교정책의13 변함없는13 진행에13 따라서13 보다13 강력한13 국제평화와13 안보를13 위한13 투쟁

을13 지속적으로13 수행13 할13 것을13 결의하며helliprdquo32로13 되어13 있다 이13 조약은13 년13 1955

년13 양국이13 맺은13 무기협정13 보다13 여러13 부분에서13 포괄적인13 교류와13 협력을13 강조

32 Julian J Landau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참조Communications p 165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5: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19

지금까지13 제시된13 학자들의13 이론적13 검토를13 통해서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그들의13

이론은13 일반적13 차원에서13 강대국과13 약소국의13 관계의13 실상에13 대한13 유용한13 설명

을13 제공한다는13 점이다 그러나13 가장13 취약한13 부분은13 종속국의13 입장과13 상황에

서13 충분하게13 논의를13 전개하지13 못했다는13 점이다 즉13 종속국이13 타국과의13 관계

에서13 다양한13 제약과13 어려움을13 겪는다면13 이를13 극복할13 수13 있는13 이론적13 논의가13

필요하다 몇몇13 연구들은13 그러한13 문제점을13 극복하려는13 시도를13 보인다 싱거

(Singer 1972 273- 의13 군사적13 종속에13 관한13 이론적13 접근은13 종속타파에13 309)

대한13 새로운13 지평을13 제공한다 즉13 종속국은13 종속의13 상황을13 극복하려는13 의지

와13 욕구를13 보이면서13 종속국-피종속국13 관계의13 본질을13 변화시키려고13 노력한다

그러한13 맥락에서13 존슨 은13 약소국의13 종속극복에13 관한13 전(Johnson 1986 286)

략을13 논의한다 약소국은13 강대국과13 관계를13 맺고13 있는13 과정에서13 다양한13 어려

움을13 겪고13 있는데13 이는13 궁극적으로13 ldquo진정한13 주권rdquo을13 얻기13 위한13 외교목표를13 설정하게13 되며13 약소국은13 민족자결주의의13 가치와13 규범을13 확산시키고자13 한다

는13 것이다 다시13 말하면13 이러한13 논의의13 중심은13 종속의13 극복을13 위한13 동력과13

추진력을13 암시하고13 있다 종속타파의13 이론적13 핵심을13 간단히13 요약하면13 타국의13

군사적13 예속13 하에13 있는13 약소국은13 자주권의13 손상 내정간섭 대외군사정책의13

제약 종속국의13 영향력13 증대13 등으로13 인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려는13 의지와13

욕구를13 발전시키며13 이는13 궁극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로13 연결될13 수13 있다는13 점

이다 본13 논문의13 주제에13 비추어13 볼13 때13 싱거의13 이론적13 접근이13 가장13 적절하게13

사용될13 수13 있다

그러면13 종속타파 는13 무엇인가 싱거는13 종속타파를13 (Counterdependence)

ldquo의존적이거나13 혹은13 열등한13 관계를13 동등한13 관계로13 전환시키고자13 하는13 과정에13 있는13 개인이나13 집단의13 심리적13 상태rdquo 라고13 정의한다 그의13 (Singer 1972 42)

정의는13 두13 가지13 측면을13 함축하고13 있다 첫째 종속타파는13 정적인13 개념이13 아니

라13 동적인13 개념이라는13 점이다 즉13 종속타파는13 종속된13 상황에서13 벗어나는13 과

정13 혹은13 진행을13 강조한다 둘째 종속타파는13 심리적13 상태를13 나타낸다 달리13

해석하면13 종속타파는13 의존적13 상태를13 극복하려는13 의지 욕구 그리고13 열망13 등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을13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reface

참조

120 백태열

을13 포함한다 개념적으로13 볼13 때13 종속타파는13 설명력을13 가지고13 있지만13 인식적13

상황인지13 혹은13 실제적13 극복인지13 불분명하다 그러한13 의미에서13 볼13 때13 종속타

파의13 개념은13 다소13 논쟁적일13 수13 있다 전체적인13 맥락에서13 보면13 종속타파는13 과

정과13 결과의13 두13 가지13 단계를13 모두13 포함하고13 있다고13 보는13 것이13 보다13 적절하

다4

군사적13 종속타파는13 어떻게13 정의될13 수13 있는가 싱거는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개념을13 별도로13 정의하고13 있지13 않지만13 종속타파의13 정의를13 활용하여13 개념은13 정

리될13 수13 있다 군사적13 종속타파 는13 한13 국가가13 (Military Counterdependence)

다른13 국가에13 군사적으로13 예속된13 상태에서13 이를13 극복하고13 벗어나는13 상황13 혹은13

상태로서13 정의될13 수13 있다 따라서13 군사적13 종속타파는13 예속을13 벗어나려는13 과

정과13 이를13 완전히13 실현한13 결과의13 상황을13 모두13 포함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과정과13

결과13 모두를13 검토하고13 분석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 따라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총체적인13 진행과정과13 관련하여13 싱거의13 이론적13 논거는13 본13 논문에13 상당히13 도움

이13 된다 즉13 그의13 분석틀에13 따르면13 크게13 군사적13 종속의13 원인과13 상황13 그리고13

종속의13 범위와13 내용13 등을13 통해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에13 군사적으로13 예속된13 상

황에13 대한13 평가를13 시도하고13 있다 각13 사항을13 구체적으로13 설명하면13 단계로13 3

요약된다 첫13 번째13 단계는13 한13 국가가13 군사적으로13 다른13 국가에13 의존되는13 상황

이다 이13 부분과13 관련하여13 싱거는13 제 세계의13 국가들이13 가지고13 있는13 공통된13 3

취약점13 즉13 외부로부터의13 공격과13 침략가능성 군사적13 지도력의13 부재 낮은13 경

제수준과13 이로13 인한13 국방력의13 저하13 등을13 제시하고13 있다 그러나13 싱거는13 보다13

명확한13 국내외적13 상황에13 대한13 검토와13 분석을13 결여하고13 있다 두13 번째13 단계는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와의13 군사13 안보적13 관계에서13 어떤13 부분과13 영역에13 예속되

어13 있는가에13 관한13 부분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싱거는13 비교적13 상세한13 분석틀을13

제시하고13 있으며13 이는13 본13 연구의13 이론적13 및13 방법론적13 그림을13 그리는데13 상당

히13 적합한13 것으로13 보인다 즉13 군사적13 종속의13 주된13 지표혹은13 기준는13 크게13 ( )

4 종속과13 의존은13 개념적으로13 차이가13 있다 일반적으로13 종속은13 의존보다13 예속의13 정도가13

극심한13 상황을13 의미한다 이13 논문에서13 군사적13 종속의13 개념은13 안보13 및13 국방13 부분에서13

여러13 영역이13 의존된13 상태로서13 구조적 제도적13 성격을13 의미하는13 것으로13 받아들인다

의13 번역도13 다양할13 수13 있으나13 학계에서13 일반적으로13 합의된13 용어가13 Counterdependence

없기13 때문에13 저자는13 이를13 종속타파로서13 번역한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1

다음과13 같은13 가지이다4 (Singer 1972 274-309)5

bull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조약의13 체결

bull 군사기지13 및13 주둔군인13

bull 피종속국13 으로부터의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수입13

bull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인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이러한13 구성요소들은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에13 어떤13 영역에서13 어느13 정도13 군

사적으로13 종속되어13 있는가를13 측정할13 수13 있는13 지표가13 된다 이와13 관련하여13 제

기할13 수13 한13 가지13 주장은13 군사적13 종속은13 결국13 정도의13 문제이며13 따라서13 군사적13

종속타파13 역시13 정도의13 문제가13 될13 수밖에13 없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론적13 전개

를13 고려해13 볼13 때13 본13 연구에13 적절하게13 적용될13 수13 있는13 유용성이13 있다고13 판단

된다

마지막13 단계는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누구의13 주도로13 이루어13 졌는가에13 관한13

논의이다 즉13 종속타파가13 종속국의13 주도에13 이루어졌는가 혹은13 피종속국의13

주도에13 의해13 이루어졌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13 부분과13 관련하여13 싱거는13 구체적

인13 논의와13 설명을13 제공하지13 않고13 있다 종속타파의13 전체적인13 흐름을13 정확히13

평가하기13 위하여13 그와13 관련된13 별도의13 분석틀이13 필요하다고13 생각한다 그13 내

용은13 대략13 다음과13 같다 첫째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상황이다 이13 부분은13 어

떠한13 상황과13 여건13 하에서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에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것을13 구성하는13 세부적13 상황은13 크게13 다음의13 종속대상국의13 (i)

국가안보의13 위기상황내란 외부의13 침략 전쟁 혹은13 기타13 안보상의13 위기( ) (ii)

피종속국의13 정치 외교 안보의13 이해와13 이익이13 추구 이13 경우13 다시13 해당국가와13 (

해당지역에13 대한13 이해관계로13 구분할13 수13 있다 둘째 종속타파가13 이루어지는13 )

상황과13 여건을13 상정할13 수13 있다 이13 경우13 크게13 두13 가지13 방식으로13 정리된다

ldquo자생적13 여건에13 의한13 종속타파rdquo와13 ldquo타생적13 여건에13 의한13 종속타파rdquo이며13 이를13

5 싱거는13 자신의13 저서에서13 지표13 혹은13 기준이라는13 표현보다13 연결고리 의13 표현을13 주ldquotie( )rdquo로13 사용하고13 있으나13 그의13 주장에13 나타난13 전체적인13 맥락에서13 볼13 때13 지표13 혹은13 기준의13

의미와13 유사하다

122 백태열

간단하게13 요약하면13 lt표13 1gt과13 같다

표13 종속타파의13 여건lt 1gt13

자생적13 종속타파종속국의주도( ) 타생적13 종속타파13 피종속국의13 주도( )

민족주의의13 증대주권13 및13 자주권의13 회복

피종속국의13 국내적13 변화

군사 안보13 여건의13 변화 피종속국의13 지역적 국제적13 변화

종속국의13 국내적13 변화 피종속국13 정부 지도자의13 선택과13 결정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종속국의13 의지와13 선택에13 의해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이루

어지는13 경우이다 그13 요인독립변수은13 외국주둔13 군대에13 대한13 종속국의13 강한13 ( )

거부감과13 저항감13 등이13 고조되거나13 혹은13 자주적 자립적13 국가방위에13 대한13 국

민의13 의지가13 증대되는13 요인이다 두13 번째13 요인은13 종속국의13 국내적13 여건의13 관

점에서13 볼13 때13 더13 이상13 특정13 국가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될13 수13 있는13 원인이13 소

멸된13 경우이다 따라서13 종속국은13 더13 이상의13 타국의13 국방력에13 의존하여13 자국

의13 국가방위를13 유지할13 필요가13 없다고13 판단한다 마지막13 요인은13 종속국의13 특

정한13 지도자가13 외부혹은13 타국에13 의존하는13 경우를13 더13 이상13 용납하지13 않고13 ( )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선택하고13 이를13 실행에13 옮기는13 경우이다

반면에13 타생적13 종속타파는13 종속타파의13 상황이13 피종속국의13 의지와13 주도로13

이루어지는13 경우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상황의13 반대의13 경우가13 고려될13 수13 있다

첫13 번째13 요인은13 피종속국의13 국내적13 여건이다 피종속국이13 종속국에게13 제공하

던13 군사적13 원조와13 지원을13 중단하는13 경우13 종속국과의13 관계는13 종료된다 두13 번

째13 요인은13 종속국가의13 국내적13 변화이다 피종속국은13 종속국에서13 발생한13 국내

적13 변화로13 인해13 군사적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불가능하다고13 판단하여13 양국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종료할13 수13 있다 마지막13 요인은13 피종속국의13 정부의13 판단과13 선

택이다 피종속국의13 지도자13 혹은13 정부는13 스스로의13 판단과13 선택에13 의해13 종속

국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정리하기를13 원했을13 때13 종속13 관계는13 종료된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3

접근13 및13 분석13 방법2

본13 연구의13 성격과13 주제에13 비추어13 볼13 때13 저자가13 사용하고자13 하는13 연구방법

은13 비교분석이다 구체적인13 내용은13 다음과13 같이13 요약된다 첫째 필리핀의13 對미13 군사적13 종속과13 이집트의13 소13 군사적13 종속의13 발생원인과13 상황을13 각각13 논對의한다 이를13 위해13 저자는13 군사적13 종속의13 발생원인을13 국내적13 여건과13 국제적13

여건으로13 나누어13 접근하기로13 한다 둘째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군사적으로13 어

떤13 분야에서13 구체적으로13 예속되었는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한다 이것을13 확인하기13

위한13 방법으로13 저자는13 네13 가지13 영역13 ldquo 군사원조의13 양과13 범위13 상호방(1) (2)

위조약의13 체결여부13 피종속국13 으로부터의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구매와13 수입13 (3)

그리고13 피종속국에서의13 군사훈련과13 교육(4) rdquo 등을13 중심으로13 종속의13 상황과13

실체를13 규명하고자13 한다 셋째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각각13 어떤13 상황에서13 그리

고13 어떤13 방식을13 통해서13 지배국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고13 타파했는가

에13 대한13 설명을13 시도한다 이러한13 작업을13 위해13 저자는13 양국에서13 나타난13 군사

적13 종속타파의13 움직임과13 활동에13 초점을13 맞추어13 접근하고자13 한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과13 전개에13 대한13 비교분석을13 하고

자13 한다 비교분석의13 대상은13 ldquo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의13 자생적13 종속과13 타생적13 종속에13 대한13 평가rdquo 등13 가지13 항목이며13 이러 4

한13 가지13 사항을13 중심으로13 논의한다 이러한13 논의를13 진행하는데13 있어서13 저자4

는13 필리핀의13 경우에는13 년13 이후부터13 년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영토에서13 1947 1991

떠날13 때까지의13 시기를13 다룬다 이집트의13 경우에는13 년13 나세르가13 등장한13 1952

이후부터13 년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군사적13 관계가13 사실상13 종료되었던13 시점까1976

지13 논의된다 그러나13 본13 논문과13 관련하여13 추가적13 논의가13 필요한13 경우에13 저자

는13 이러한13 시기를13 제외한13 시기에13 대해서도13 부분적으로13 논의할13 계획이다

124 백태열

필리핀과13 이집트 군사적13 종속상황과13 종속타파의13 전개III

이13 장에서는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상황에13 대한13 배경을13 먼저13 개

관하기로13 한다 우선13 저자는13 필리핀 -미국 이집트 -소련의13 일반적13 및13 군사적13

관계에13 초점을13 맞추기로13 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가13 검토된다

필리핀13 1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

필리핀은13 년13 동안의13 미국의13 식민지배에서13 벗어나13 년13 월13 일13 독립48 1946 7 4

을13 이루었다 그13 후에도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였고13 미국의13 정체

제도와13 특성을13 모방하였고13 양국의13 경제관계도13 활발하였다 전후13 그13 어느13 나

라보다도13 필리핀은13 미국적13 색체가13 강하였다 년13 월13 양국은13 군사기지협 1947 3

정 년13 월13 상호방위조약(Military Bases Agreement) 1951 8 (Mutual Security

을13 각각13 체결하였다Treaty) 6 이러한13 일련의13 조약체결로13 인해13 양국은13 군사적13

동맹관계를13 형성하게13 되었다 이러한13 배경은13 무엇인가 저자는13 미국과13 필리

핀의13 관점에서13 각각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미국의13 시각에서13 보면13 년13 종전 1945

과13 함께13 소련의13 팽창주의적13 공산화정책은13 전13 세계의13 도처에서13 발생하기13 시작

하였다 소련은13 그리스의13 내전에13 개입하였고13 중동의13 아제르바이젠에서13 친공

산정권의13 수립을13 지원하였다 특히13 년13 이후13 북한은13 소련의13 후원하에13 공 1946

산정권을13 수립하고13 있었다 이와13 같이13 년부터13 년대13 후반에13 이르는13 1945 1940

국제정세는13 냉전이13 서서히13 형성되고13 있었다 년13 월13 중화13 인민공화국 1949 10

(the Peoplersquo 의13 출범은13 미국으로13 하여금13 공산세력을13 견s Republic of China)

제하기13 위한13 필요성을13 절실히13 느꼈다 특히13 한국전쟁의13 발발로13 인해13 미국은13

6 그13 밖에도13 미국은13 일본 년 한국 년 그리고13 대만 년 과13 각각13 상호방(1951 ) (1953 ) (1954 )

위조약을13 체결하였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5

동북아뿐만13 아니라13 서남아의13 안보와13 안정의13 중요성을13 심각하게13 고려하기13 시

작하였다 그13 결과13 미국은13 아시아의13 안보역량을13 강화하고13 소련을13 중심으로13

한13 공산주의세력과13 대항할13 수13 있는13 안보체제를13 공고히13 하려는13 노력을13 가시화

하였다 그13 결과13 미국은13 년13 필리핀과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였다 미국 1951

의13 목적은13 전13 세계적으로13 확산되는13 공산주의세력의13 준동과13 움직임에13 적절하

게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아시아의13 안보이익과13 군사적13 영향력을13 구축하는13 것이었

다 냉전의13 상황에13 접어들면서13 미국은13 세력권의13 확대와13 군사적13 동맹군이13 절

실히13 필요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동안13 스페인의13 식민통치를13 받았고13 그13 후13 미국의13 식민13 지400

배를13 받았다 년13 독립을13 쟁취한13 이후13 필리핀은13 새로운13 시대를13 맞게13 되었 1947

다 전후13 필리핀대통령이었던13 마누엘13 로하스 는13 미국으로 (Manuel A Roxas)

부터13 경제원조와13 지원을13 받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제 차13 세계대전13 이후13 독립을13 2

쟁취한13 거의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필리핀은13 안보 경제3

교육 제도13 등13 여러13 부분이13 극도로13 열악한13 상황이었고13 따라서13 국가건설과정

에서13 강력한13 후원자가13 필요하였다 독립이후에도13 양국의13 관계는13 지배 -피지배

의13 종속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정착되기13 시작하였다 군사와13 안보13 부분에서의13 상

황은13 군사기지협정과13 군사원조협정으로13 확인된다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협

정을13 체결한13 배경은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요약된다 첫째 냉전의13 상황이다 1940

년대13 말13 이미13 전13 세계로13 확대된13 냉전의13 상황에서13 필리핀13 역시13 안보상의13 불안

감을13 가졌다 아시아에서의13 공산주의13 정권의13 등장과13 역내의13 불안정은13 필리핀13

지도자들로13 하여금13 미국과의13 동맹관계를13 형성할13 필요성을13 절감하였다 필리

핀은13 미국으로부터의13 군사원조를13 통해13 미약한13 국방력을13 회복하려고13 하였다

더13 나아가서13 년의13 한국전쟁과13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전쟁을13 지켜보면1950 1960

서13 필리핀13 지도자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유착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필리핀의13

안보와13 안정을13 위해서13 필요하다고13 판단하였다 둘째 필리핀의13 국내적13 여건

과13 상황이다 필리핀의13 독립과13 함께13 국내에서는13 후크 가13 조직되었다 (Huks)

이13 단체는13 사실상13 공산주의노선을13 지지하면서13 필리핀의13 팜파간 불라칸 탈

락13 등에서13 강력한13 영향력을13 가지고13 있는13 국민농민연맹(National Peasant

과13 깊게13 연결되어13 있었다Union) 7 독립13 이후13 이들의13 반란이13 일어나고13 로하스13

126 백태열

대통령은13 이를13 진압하기13 위해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적 기술적13 도움을13 받았다13

양승윤( 2003 69- 이13 반란은13 독립이후13 극심한13 분열과13 갈등을13 초래하였70)

고13 향후13 반정부집단의13 정치세력화를13 예고하고13 있었다 이러한13 점에서13 필리핀

정부는13 미국과13 군사동맹관계를13 통해서13 국내의13 소요와13 반란을13 효율적으로13 진

압할13 수13 있는13 안보체계를13 구축하는13 작업이13 필요하였다 간단히13 말하면13 냉전

의13 상황과13 국내의13 공산주의의13 준동에13 적절히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필리핀은13 미국

과의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유지해야13 하는13 절박한13 상황에13 직면하였다

년대에13 접어들면서13 막사이사이 가르시아1950 (Ramon Magsaysay) (Carlos

마카파갈 등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들은13 친미적13 Garcia) (Diodado Macapagal)

성향을13 가졌고13 이러한13 점은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이러

한13 배경에는13 여전히13 아시아에서13 냉전의13 열기가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국내의13 안보

상황도13 크게13 개선되지13 않았기13 때문으로13 풀이된다 마르코스가13 년에13 대통 1965

령에13 당선된13 이후13 미국-필리핀의13 관계는13 군사적 경제적으로13 안정된13 모습을13

보였고13 마르코스는13 집권초기에13 미국에13 대한13 일방적인13 대외관계를13 개선하기13

위하여13 다변화13 외교정책을13 추구하기도13 하였지만13 미국의13 대군사의존의13 상황

은13 크게13 변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마르코스는13 친미성향이13 강했고13 양국관계

를13 필리핀의13 외교의13 중심축으로13 삼았기13 때문이다 마르코스의13 친미적13 성향은13

필리핀의13 국내적13 상황과13 연결된다 필리핀에서13 발생한13 두13 가지13 상황을13 지적

할13 수13 있다 첫째 년에13 결성된13 신인민군대 1969 (New Peoplersquo 이다s Army)

이13 조직은13 공산주의의13 게릴라13 집단으로13 테러활동을13 통한13 사회주의의13 노선을13

확립하려는13 집단이며13 필리핀의13 마오주의13 공산당(the Maoist Communist

과13 정치적으로13 깊게13 연관되어13 있다Party) 8 둘째 년대에13 결성된13 모로13 회 1960

교해방전선 이다 이13 단계는13 사실상13 (the Moro Islamic Liberation Front) Kuk

조직의13 전신으로13 필리핀을13 회교사회로13 만들기13 위해13 투쟁하는13 집단이다 공교

롭게도13 이13 집단은13 모두13 마르코스13 대통령이13 재임하던13 시기인13 년대13 말에13 1960

결성되어13 테러13 활동을13 통한13 국내적13 상황을13 어렵게13 만들었다 마르코스의13 입

7 이13 부분에13 관해서는13 을13 참조httpwwwcomwfb2001philippines

8 이13 부분에13 관해서는13 를13 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7

장에서13 보면13 이러한13 국내적13 불안정과13 좌익13 활동은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시켰

고13 미국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불가피하였다 그13 결과13 필리핀은13 안

보분야에서13 자연스럽게13 미국에게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이들13 반13 정부단체의13

활동은13 마르코스가13 재임하고13 있는13 동안13 국내적으로13 커다란13 정치적 사회적13

도전이었고13 필리핀의13 국내안정과13 직결되어13 있었다 그러나13 필리핀의13 국내정

치적13 상황은13 년13 마르코스가13 재선되고13 계엄령을13 선포함으로써13 악화되기13 1972

시작하였다 마르코스대통령은13 국민들에13 대한13 탄압을13 강화하였다 필리핀13 국

내에서13 독재정권을13 무너뜨리고13 민주주의를13 운동을13 강화하려는13 노력은13 지속

되었지만13 미국과13 군사동맹관계를13 변화시키려는13 활동과13 노력은13 간헐적으로13

이루어졌다 마르코스13 대통령은13 미국과13 체결한13 일련의13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

조약을13 필리핀의13 대외관계의13 주축을13 이루었고13 따라서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

속상태는13 고착화되었다 간단하게13 요약하면13 필리핀이13 미국에13 군사적으로13 예

속된13 주된13 배경은13 국내안보상황의13 불확실성과13 공산주의의13 위협13 때문이었다

필리핀의13 대미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전개(2)

필리핀1) -미국의13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조약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확인할13 수13 있는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양국이13 체

결한13 일련의13 군사동맹조약이다 양국은13 년13 월에13 체결된13 군사기지협정 1947 3

과13 군사원조협정(Military Bases Agreement) (The RP-US Military Assistance

그리고13 년13 월의13 상호방위조약 을13 Agreement) 1951 8 (Mutual Defense Treaty)

각각13 체결하였다 먼저13 저자는13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체결한13 군사기지협 1947 3 14

정의13 내용을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이13 협정은13 미국이13 필리핀에13 군사기지의13 설

치 운영13 등에13 관한13 권리를13 확보할13 수13 있도록13 하였다 미국은13 클라크13 공군기

지와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및13 기타시설13 등을13 포함한13 개의13 군사시설을13 년13 동23 99

안13 무상으로13 사용할13 수13 있도록13 하였다 사실상13 미국정부는13 필리핀내의13 군사

시설에13 대한13 완전한13 통제권을13 갖게13 되었다 이13 협정은13 필리핀이13 군사안보13 부

분에서13 미국에게13 의존하게13 만든13 법적13 기초였다 필리핀의13 미13 군사적13 의존 對

을13 확인할13 수13 있는13 또13 다른13 협정은13 군사원조협정이다 이13 협정은13 군사기지협

정이13 체결된13 직후13 년13 월13 일에13 체결된13 부속협정 이1947 3 21 (Sister agreement)

128 백태열

다9 이13 협정의13 전문은13 ldquo독립13 이후13 필리핀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 그리고13 군장

비의13 구입13 등에13 대한13 필리핀13 정부의13 여망을13 고려하여13 미국13 대통령은13 공동방

위의13 문제에서13 양국의13 상호13 이익의13 관점에서13 국가안보를13 유지하기13 위하여13 필

리핀13 정부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는13 것을13 허락한다helliprdquo10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협정은13 모두13 개의13 세부적인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으며13 거의13 대부분23

의13 조항은13 필리핀에13 대한13 미국의13 군사원조에13 국한되어13 있다 보다13 상세한13 내

용을13 파악하기13 위해13 저자는13 몇몇13 조항을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동13 협정의13 제 1

조는13 ldquo상호협정에13 따라서13 미국정부는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을13 위해13 필리핀정부에게13 군사원조를13 제공할13 것13 이다helliprdquo11고13 명시되어13 있다 또13 다른13 조항은13 군

사고문단 의13 기능과13 역할에13 관한13 것이다 동13 협정(Military Advisory Group)

의13 조는13 8 ldquo군사고문단의13 기능은13 국가안보와13 관련된13 목적을13 수행하는데13 필요한13 것으로13 필리핀에13 조언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다helliprdquo12고13 적고13 있다 이러한13

점은13 필리핀이13 안보정책을13 수립하거나13 군사적13 역할을13 하는데13 있어서13 독자성

이13 크게13 훼손될13 수13 있다 일반적으로13 강대국과13 약소국의13 상호방위조약은13 약

소국의13 독립적이고13 자주적인13 대외군사정책을13 추구하는데13 있어13 제약이13 많고13

군사적13 자주권을13 종종13 훼손시킨다 따라서13 필리핀과13 미국과의13 군사원조협정

도13 같은13 맥락에서13 볼13 수13 있다 또한13 동13 협정의13 조는13 일반적인13 군사원조의13 6

내용을13 담고13 있다 이13 조항에13 따르면13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군대에게13 무기 탄

약 군사장비 전투기와13 전함13 등을13 제공하게13 된다고13 명시하고13 있다 협정의13

조는13 군사훈련지원 에13 관한13 것이다 필리핀에13 대한13 군21 (Training assistance)

사원조의13 일부로서13 선발된13 필리핀13 학생들을13 미국에13 보내13 육군 해군 그리고13

공군13 부대에서13 기술13 및13 군사훈련을13 받도록13 하는13 내용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과13 미국은13 년13 월13 일13 상호방위조약1951 8 13 (Mutual Security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전문과13 개의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Treaty) 13

9 이13 협정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 저자는13 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인쇄본을13 입수하지13 못하여13 대신에13 인터넷13 사이트의13 정보를13 인용함

10 상게서

11 상게서

12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9

이13 조약에서13 양국은13 ldquo외부의13 군사적13 전략에13 대해13 공동으로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양국의13 단결과13 공동의13 결의를13 공개적으로13 그리고13 공식적으로13 선언하면서rdquo13

개13 조항에13 합의하였다 이13 조약의13 13 조는13 외부의13 군사적13 침략에13 대해13 공동13 3

으로13 방어하기13 위한13 대응태세를13 강조하고13 있으며13 조는13 당사국중의13 한13 국가4

가13 외부의13 공격을13 받을13 경우13 이를13 자국에13 대한13 공격으로13 간주한다고13 규정함

으로써13 공동방위를13 구축하고13 있다

양국이13 체결한13 개의13 군사13 및13 방위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볼13 때13 현실적으로13 3

필리핀의13 국가안보를13 강화하고13 양국이13 공동의13 외부적13 위협에13 대응하도록13 구

성되어13 있다 그러나13 이13 조약들은13 양국의13 평등성에13 기초하고13 있기13 보다는13 필

리핀이13 일방적으로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받도록13 되어13 있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군군대의13 주둔2)

싱거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외국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시설이다 년13 양국의13 협정에13 따라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군대를13 주둔시키 1947

고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필리핀에는13 미국의13 군사방위공약을13 실천하기13

위하여13 년부터13 미군이13 주군하고13 대규모의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대1947

표적인13 군사시설은13 클라크13 공군기지(Clark Air Base in Pampanga and

수빅만13 해군기지 죤13 Tarlac) (Subic Naval Base in Bataan and Zambales)

헤이13 공군13 이착륙장 월레스13 공군13 이(John Hay Air Station in Baguio City)

착륙장 그리고13 산13 미구엘13 통신소(Wallace Air Station in La Union) (San

등이다Miguel Station in Zambales) 14 그13 외에도13 소규모의13 미국군사기지13

및13 시설은13 대략13 개이다 클라크13 공군기지는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규모15

이며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역시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해군기지이다 이러한13

미군기지와13 시설에13 주둔하고13 미국병사는13 년13 기준으로13 대략13 육군은13 1979 28

명 공군은13 명 해군은13 그리고13 해병대13 명이13 각각13 필리핀에13 주 8005 4594 786

13 이13 조약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14 이와13 관련하여13 상세한13 내용은13 다음의13 자료를13 참조바람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130 백태열

둔하였고13 전체13 미군의13 수는13 명이다13413 15 이와13 관련된13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13 기준을13 기준으로13 필리핀의13 모든13 미군기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병력은13 1988

명이다17870 16 년13 당시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의13 수는13 명의13 군인과13 1991 15000

명의13 군무원이13 주둔하고13 있었다1000

이러한13 군사기지의13 설치는13 앞서13 설명된13 양국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방위조약

에13 따른13 부수적13 결과일13 뿐이다 외군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기지의13 허용은13 종속

국의13 국방력이13 취약하다는13 반증이다 종속국은13 외국군대의13 도움이13 없이는13 자

국의13 안보상황을13 개선할13 수13 없다는13 것을13 의미하며13 이는13 군사적13 예속의13 또13 다

른13 측면이다 외국군대의13 기지와13 주둔군은13 해당국민과13 가장13 직접적인13 마찰과13

갈등을13 빚는13 부분이고13 법적 사회적 문제를13 가장13 많이13 야기시켰다

미국의13 필리핀13 무기13 공여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검증하기13 위하여13 사용되는13 또13 다른13 증거는13 군사장

비13 및13 무기의13 공여이다 피종속국은13 현실적으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자체적으

로13 개발하는데13 필요한13 기술력과13 경제력을13 결여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타국으로부

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유상으로13 혹은13 무상으로13 공여13 받는다 특히13 이러한13 무

기의13 지원으로13 인해13 보다13 심각한13 상황은13 특정한13 국가로부터13 무기지원을13 받는

다는13 점에서13 의존적13 성격을13 갖고13 있다는13 점이다 따라서13 피종속국이13 종속국

에게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하거나13 수출하지13 않을13 경우13 종속국의13 국가안보

는13 어려움을13 겪거나13 혹은13 심각한13 위험에13 직면할13 수도13 있다 필리핀의13 경우13

년대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의13 대부분을13 공여13 받았다1950 17 이

와13 관련하여13 몇13 가지13 사례를13 들어13 보기로13 한다 필리핀은13 년대13 초부터13 1950

년까지13 미국으로부터13 다양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13 받거나13 혹은13 구매1973

하였다 군사용13 비행기예를13 들면 ( Lockheed T-33 Gruman HU-16A

군사용13 선박예를13 들면 그Albatross) ( patrol boat Infantry landing craft)

리고13 장갑차 예를13 들면( M- 등이다4 Sherman) 18

15 United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p 145

16 이와13 관련된13 자료는13 김경숙13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13 참1988 10 p 76 「 」 985172 985173조

17 년대13 초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제외한13 일본 독일 호주 이탈1950 1970

리아13 등으로부터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미국의13 비중이13 압도적으로13 많았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1

필리핀13 군인의13 미국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13 4)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종속국가의13 군인13 혹은13 영관급13 장교들이13 피

종속국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러한13 지표는13 종속국의13 군인

들의13 질적13 취약성에13 기초한다 종속국의13 군인들은13 안보와13 전쟁에13 필요한13 현

대식의13 훈련과13 전투능력을13 배양하지13 못했기13 때문에13 국가안보의13 문제와13 위기

가13 발생했을13 때13 적절하게13 대처할13 수13 있는13 있는13 군사적13 능력을13 갖추고13 있지13

못하다 이러한13 측면은13 종속국의13 군사력13 하락으로13 연결된다 필리핀군인들은13

의13 프로그램의13 후원13 IMET(International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하에13 미국본토13 혹은13 미국본토이외의13 군사훈련소에서13 군사훈련13 혹은13 교육을13

받았다 자료에13 따르면13 필리핀13 군인들은13 년부터13 년까지13 명이13 1950 1968 12217

훈련을13 받았다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부터13 년13 초까(Singer 1972 301) 1950 1980

지13 대략13 의13 필리핀13 군인들이13 미국의13 재정적13 지원13 하에13 미국의13 군사학17000

교와13 훈련소에13 훈련을13 받았음을13 보여준다19

간단히13 정리하면13 앞서13 제시된13 가지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살펴13 본13 결과13 4

필리핀은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되어13 있음을13 보여준다

필리핀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13 (3)

필리핀의13 정부지도자와13 국민들이13 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상태를13 타파해야13

한다는13 목소리를13 강화한13 것은13 마르코스13 대통령의13 독재정치가13 절정에13 달했을13

때였다 그의13 탄압과13 독재정치에13 대해13 많은13 필리핀국민들이13 저항하였고13 반마

르코스의13 열기가13 확대되었다 년에13 일어난13 필리핀의13 민중의13 혁명 1986

(Peoplersquo 은13 마르코스를13 권좌에13 내쫒았다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의존s Power)

의13 타파는13 사실상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와13 궤를13 같이13 한다 마르코스에13 대한13

비판은13 민주주의를13 강하게13 염원하게13 되었고13 동시에13 그의13 정권하에서13 오래13 동

안13 유지되었던13 필리핀-미국의13 동맹관계의13 실체를13 재평가하려는13 움직임으로13

빠르게13 전환되었다 년13 월13 코라손13 아퀴노 가13 대통령 1986 2 (Corazon Aquino)

18 이와13 관련하여13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참조Stockholm 1975 Sweden SIPRI pp 17-19

19 를13 참조httpIcweb2locgovcgi-binquery

132 백태열

에13 취임하면서13 필리핀에서는13 본격적으로13 미군의13 철수문제가13 공론화되기13 시

작하였다 필리핀국민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동맹체제로부터13 발생하는13 다양한13 불

이익과13 불편을13 종식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개시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추진력 은13 무엇인가 대략13 두13 가지13 요인(Driving force)

으로13 설명된다 첫13 번째는13 민족주의이다 민족주의는13 식민지13 상태에서13 해방

과13 독립을13 쟁취하기13 위한13 이데올로기로서13 작동하였고13 독립이후13 민족주의는13

외세의13 지배와13 간섭을13 배격하기13 위한13 무기로서13 전환된다 필리핀은13 스페인과13

미국의13 식민지를13 경험하면서13 강한13 민족주의를13 발전시켰다 살바도르13 마르티

네그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13 역사는13 세(Salvador Martineg) 16

기13 초에13 시작되어13 년대13 이래13 유지되었고13 년대에는13 클라로13 렉토13 등1950 1960

에13 의해13 활성화되었다20 결국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는13 반미주의와13 강하게13 연결

되어13 있으며13 이는13 미국의13 간섭과13 영향력을13 배제하고13 자국의13 자존심을13 회복하

려는13 노력으로13 승화되었다 동시에13 민족주의의13 열기는13 필리핀국민들에게13 미

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에서13 기인하는13 지배국의13 독선과13 횡포 그리고13 내정간섭에13

대한13 저항을13 강하게13 표출할13 수13 있는13 통로를13 제공하였다 두13 번째는13 주권과13

자주권의13 회복이다 주권과13 자주권은13 민족주의와13 깊은13 연관성을13 갖고13 있다

전후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유지하는데13 있어서13 국민적13 자존

심과13 주권이13 손상되었다는13 인식을13 강하게13 갖고13 있다 에드13 가르시아 (Ed

와13 프란시스코13 네멘쯔 는13 다음과13 같이13 지적한다13 Garcia) (Francisco Nemenz)

(Garcia and Nemenz 1987 4)

독립은13 단지13 자기13 확신의13 문제가13 아니다 국가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이13 아 hellip13 니라13 자주적13 행위자로서13 인식되어야13 한다 모든13 국제회의에서13 우리의13 독립을13

확인하기13 위하여13 용기를13 갖고13 노력하여13 왔다 그러나13 우리가13 실제적인13 독립을13

갖고13 있었을13 때조차도13 우리가13 제안을13 발의해도13 제 세계의13 대표들은13 그13 뒤에는13 3

미국이13 있다는13 점을13 의심하여13 왔다 이러한13 의미에서13 필리핀은13 자국의13 땅위에

서13 거대한13 군사기지를13 유지하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으로13 보여진다

20 이러한13 주장에13 대해서는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사Salvador Martineg 1983 「 」 985172상 월 을13 참조함5 pp 45-48 98517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3

그들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체계가13 필리핀의13 대

외정책에도13 부정적13 영향을13 미쳤음을13 암시하고13 있다 국제무대에서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의식하거나13 혹은13 미국의13 정책과13 보조를13 맞출13 수밖에13 없는13 상황을13 초

래했다고13 보고13 있다 이러한13 관점에13 대해13 일부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자국의13 주권

이나13 자주권이13 어느13 정도13 훼손되었다는13 생각을13 갖고13 있는13 것으로13 보인다 동

시에13 미군철수를13 둘러싼13 필리핀13 국민의13 반감은13 미국의13 마르코스13 체제에13 대한13

옹호에서13 기인하였다는13 점도13 지적될13 수13 있다 그들은13 마르코스13 집권이후13 필

리핀의13 인권상황이13 악화되고13 독재정치가13 유지되고13 있음에13 불구하고13 미국이13

이를13 개선하기13 위한13 적절한13 역할을13 하지13 못한13 것에13 대해13 깊은13 불신과13 반감을13

갖고13 있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13 국민들이13 미군철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를13 요구

하는13 보다13 현실적인13 이유들이13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필리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으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각종13 사회적13 문제와13

갈등이다 미군이13 주둔하고13 있는13 기지주변에서13 발생되는13 각종13 범죄 현지인

과13 미군사이의13 마찰13 등은13 외국군대를13 수용하고13 있는13 필리핀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군기지에13 대한13 반감과13 저항을13 일으킬13 수13 있다 둘째 필리핀13 국내에13 설치된13

핵무기이다 년대13 초에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핵무기가13 설치한13 것으로13 알려져13 1970

있으며13 년까지13 핵무기의13 수는13 대략13 정도에13 달하였다 년을13 기준1973 260 1985

으로13 미국은13 필리핀에13 개의13 핵무기를13 설치하였으며13 그중13 개는13 반잠수227 32

함13 핵폭탄이며13 개는13 해군용13 핵무기 그리고13 그밖에13 개의13 핵폭탄이13 있80 115

는13 것으로13 알려졌다21 핵무기의13 설치와13 사용의13 목적은13 아시아13 지역의13 군사

적13 충돌이나13 전쟁이13 발발할13 경우13 사용되기13 위함이며13 어떤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

는13 필리핀의13 안보를13 위한13 것이라기보다는13 미국의13 군사적13 목적을13 위해13 설치된13

것이다 미국이13 아시아에서13 전쟁을13 수행할13 경우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핵위협에13

노출되어13 있고13 이로13 인해13 여러13 가지13 피해가13 발생할13 수13 있다고13 보고13 핵무기의13

설치와13 시설에13 민감하지13 않을13 수밖에13 없다 이러한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일차적으

로13 공격의13 목표가13 되었던13 것은13 미군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이다

21 Ronald G Simbulan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1989 Manila Philippines

와13 을13 참고 이13 책에는13 필리핀의13 미국핵무기와13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p 78

관련된13 정보와13 내용이13 상세하게13 기록되어13 있음

134 백태열

그러면13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종료시키기13 위한13 구체적인13

움직임 조치 및13 정책은13 무엇인가 마르코스가13 축출당한13 이후인13 년13 월 1986 2

부터13 년대13 초까지13 필리핀의13 국내13 상황은13 급박하게13 돌아가고13 있었다 이1990

와13 관련하여13 가장13 주목을13 끄는13 점은13 년13 월13 일13 필리핀13 상원을13 통과한13 1988 6 6

ldquo반핵병기13 법rdquo이다 이13 법안은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기지와13 군사시설 그리고13 양

국동맹관계의13 근간을13 흔들13 수13 있을13 만큼13 강력한13 내용을13 담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이13 법안의13 조는13 금지행위에13 관한13 것으로13 5 ldquo어떤13 사람도13 운송이나13 하역을13 불문하고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과13 그13 구성부분을13 필리핀13 영역내로13 가지고13

들어오거나13 또는13 소유 보유할13 수13 없다 필리핀13 군사기지13 내13 미합중국의13 기존13

군사13 설비를13 포함하여13 필리핀영역의13 상13 하 상공13 어느13 곳에서도13 본13 제 조13 4 1

항에13 해당하는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 구성부분13 및13 핵병기관련설비의13 개발 제

조 입수 실험 이용 도입 비축 보관을13 금지하며 helliprdquo22라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조항과13 함께13 다른13 조항13 역시13 필리핀에서의13 일체의13 핵무기13 개발 설치 비

축 보관 하역13 등을13 금지시키고13 있다 이13 법안의13 통과는13 필리핀 -미국의13 군사

동맹관계의13 분수령이13 된다 역시13 가장13 커다란13 시사점은13 미국은13 필리핀의13 영

토13 안에13 핵무기와13 관련된13 일체의13 접근이13 불허된다는13 점이며13 동시에13 필리핀의13

모든13 군사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가13 불가피하게13 되었다는13 점이다

년13 월13 미국과의13 군사기지협정을13 년13 연장하기13 위한13 법안이13 상원에13 1991 9 10

게류13 되었을13 때13 필리핀13 국내정세는13 극도로13 혼란스러웠다 이13 혼란의13 중심은13

미군13 기지를13 그대로13 유지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과13 법안을13 거부함으로써13 미군13 기

지를13 폐쇄해야13 한다는13 입장으로13 크게13 나뉘어져13 있었다 이13 협정의13 연장을13 찬

성하는13 집단의13 중심에는13 아키노13 대통령이13 있었다 아키노13 대통령은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쇄될13 경우13 양국관계의13 약화 경제13 투자의13 감소 그리고13 불안정

한13 국내13 상황13 등을13 크게13 우려하였다 무엇보다도13 필리핀13 정부는13 양국이13 오랫

동안13 여러13 부분에서13 구축된13 양국의13 군사적 외교적13 우호관계가13 크게13 악화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우려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13 상원은13 미국과13 협정을13 반대하는

데13 선두집단중의13 하나였다 상원의원들의13 상당수는13 민족주의13 정신이13 강한13 정

22 본13 법안의13 내용에13 관해서는13 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를13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5

치인들이었고13 미군은13 필리핀13 땅에서13 떠나가야13 한다고13 믿었다 미군기지13 임대

의13 연장13 법안의13 반대에13 대한13 보다13 구체적인13 이유는13 무엇인가 가장13 커다란13

이유는13 무엇보다도13 필리핀의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복원이었다 당시13 필리핀13

상원의원인13 아가피토13 아키노 는13 (Agapito Aquino) ldquo이13 투표는13 진정으로13 주권을13 갖고13 독립적인13 필리핀13 국민을13 위한13 것이며13 이13 투표는13 미국의13 조종끈에13 매

어진13 정치적13 청년기13 즉13 극심한13 종속을13 종식하기13 위한13 것이다rdquo23라고13 상원에

서13 역설하였다 종속타파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종속타파의13 견인적인13 메커니즘은13

이론적13 검토에서13 제시된13 것처럼13 역시13 주권의13 회복과13 민족적13 자존심의13 회복이

다 필리핀13 정치인들의13 판단과13 요구가13 대다수13 모든13 필리핀13 국민들의13 견해와13

동일하다고13 볼13 수13 없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협정13 그리고13 상

호방위조약에서13 기인하는13 다양한13 폐해를13 인식하고13 있으며13 미군은13 철수되어

야13 한다는13 공감대를13 발전시켜13 왔다는13 점은13 부인할13 수13 없다 또13 다른13 견해는13

필리핀13 정치권에서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기지사용료가13 너무13 적다는13 이유도13 제시

되고13 있다24 필리핀13 상원의13 강력한13 반대13 움직임13 속에13 아키노13 대통령은13 이13

법안을13 국민투표에13 회부하는13 방안을13 추진하였지만13 무산되고13 결국은13 미군기

지협정의13 연장법안은13 년13 월13 일13 상원에서13 대13 로13 부결되었다1991 9 16 12 11

필리핀13 상원의13 이러한13 결정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년13 미국과13 맺은13 군 1947

사기지협정은13 자동적으로13 무효화되었으며13 필리핀에서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

쇄되고13 미군이13 더13 이상13 주둔하지13 않게13 되었다 미군은13 년13 말13 이전에13 필 1992

리핀의13 영토를13 떠나도록13 권고13 받았다 이러한13 점은13 상징적인13 측면이13 강하지

만13 필리핀은1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고13 볼13 수13 있다

미국의13 반응과13 입장13 (4)

필리핀에서의13 극적인13 변화에13 대해13 미국은13 어떤13 반응을13 보였으며13 기본13 입

장은13 무엇인가 미국은13 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13 이후13 필리핀의13 민주화13 운동과13

23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아키노13 상원의원은13 미군기지문제와13 관 1991 9 16 A1

련하여13 형수이자13 대통령이었던13 코라손13 아퀴노와13 극심한13 마찰과13 갈등을13 겪었다

24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벌인13 협상에서13 미국은13 필리핀에 1991 9 11 A3

게13 수빅만13 해군기지를13 사용하는13 대가로13 일년에13 억불을13 제공하기로13 합의하였다203

136 백태열

새로운13 정권의13 창출을13 고무적으로13 평가하였다 그러나13 동시에13 워싱턴은13 그곳

에서13 미군의13 기지와13 군대의13 철수문제 그리고13 지속적인13 반미운동의13 고조13 등

에13 대해13 깊은13 우려감을13 가졌다 특히13 군사기지협정의13 연장을13 앞13 둔13 시점에서13

미국정부의13 불안감은13 증대되었다 국무장관13 조지13 슐츠 는13 미 (George Shultz)

국은13 필리핀13 관리들과13 정치인들이13 기지연장을13 승인하지13 않을13 경우13 다른13 장소

를13 물색해야13 할지13 모른다는13 입장을13 밝혔다25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국내에서13

벌어지는13 반미운동이13 궁극적으로13 미군기지의13 철폐로13 연결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크게13 우려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필리핀13 상원의13 표결이13 있기13 전에13 미국정부는13

부결가능성을13 기대하고13 있었고13 이를13 위해13 직간접적으로13 필리핀정부에13 회유

와13 압력을13 가하였다

필리핀에서의13 결정은13 미국정부를13 크게13 실망시켰지만13 기지연장을13 둘러싼13

필리핀의13 정책결정과정에13 대해13 특별한13 영향력을13 행사할13 수13 없었다 미국은13

필리핀이13 기지연장13 협정을13 원하지13 않는다면13 이를13 수용하지13 않을13 수13 없다 미

국의13 기본13 입장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연장협정을13 지속하는13 것이었다 그13 이유는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와13 미군의13 주둔은13 년이13 넘은13 동안13 아시아에서13 방어적13 40

역할을13 충실히13 하였기13 때문이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결정은13 대

략13 가지13 파급효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다고13 보았다 첫째 년대13 말에13 냉전이13 2 1980

서서히13 종식되고13 있었지만13 미국은13 아시아에서의13 군사적13 임무와13 역할이13 여전

히13 필요하였다 따라서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의13 철수는13 안보적13 공백이13 발생할13

수13 있으며13 이로13 인한13 군사적13 전략변화가13 요구되고13 있기13 때문이다 둘째는13 간

접적13 파급효과이다 필리핀의13 미군기지13 철수가13 다른13 주둔지역13 특히13 한국과13

일본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기지의13 철수로13 연결될13 수13 있는13 파급효과를13 우려하

였다 반면에13 다른13 측면에서13 보면13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다소13 위안을13 찾을13

수13 있는13 부분도13 있다 필리핀은13 결코13 미국과의13 상호방위조약13 자체를13 폐기한13

것이13 아니기13 때문에13 향후13 양국의13 군사적13 동맹관계는13 유지될13 수13 있으며13 미국

의13 군사적13 영향력도13 어느13 정도13 유효할13 것이라는13 기대감을13 가졌다

25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88 6 17 p 7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7

이집트2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3 (1)

년13 영국의13 식민지에서13 벗어난13 이집트는13 국내외적으로13 커다란13 도전에13 1952

직면하였다 국내적으로13 정치세력간의13 권력투쟁으로13 불안한13 정국이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그13 과정에서13 군사13 쿠데타를13 통해13 실질적인13 권력을13 장악한13 나세르는13

아랍사회주의를13 표방하면서13 국정을13 운영하기13 시작하였다 대외적으로13 국제사

회에는13 이미13 냉전의13 열기가13 정점에13 올랐고13 그13 여파는13 중동에도13 도달하였다

이집트를13 둘러싼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복잡하게13 얽혀가고13 있었다 이와13 관련

하여13 주목할13 부분은13 미국과13 소련은13 중동지역에서13 패권경쟁을13 격화하고13 있었

다는13 점이다 소련은13 미국을13 견제하기13 위하여13 에13 버금가는13 지역안보 NATO

체제를13 구축하려고13 하였고13 이는13 바그다드13 조약 으로13 실현되고13 (Baghdad Pact)

있었다 미국은13 이집트를13 지역안보체제에13 끌어13 들이려는13 계획을13 갖고13 이집트

에13 접근하였다 마찬가지로13 소련은13 이집트와13 접한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중동지역에서의13 교두보를13 확보할13 수13 있다고13 판단하였다 미국과13 소련은13 이집

트가13 아프리카와13 중동을13 연결하는13 지역에13 위치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전략적13 가치

를13 중시하였고13 아랍세계의13 위상13 때문에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근을13 추구하는13 것이13

중요한13 목표중의13 하나였다

나세르가13 집권13 이후13 이집트가13 당면한13 최대13 현안은13 이스라엘과13 갈등과13 분

쟁이었다 년13 월13 이스라엘군대가13 이집트13 통제지역인13 가자해협의13 군사 1955 2

시설을13 공격하면서13 명이13 사망하는13 사건이13 일어났다 이스라엘의13 공격으로13 38

인해13 양국은13 본격적인13 대립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이집트는13 이러한13 상황에13 대처

하기13 위해13 자국의13 군사력의13 증강이13 무엇보다도13 절실한13 과제였다 이집트는13

처음에13 서방측에게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으나13 거부당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시도하였다 이집트가13 소련을13 선택한13 구체적인13 배경은13 무엇인

가 무엇보다도13 나세르는13 기본적으로13 반서방주의13 성향이13 강하였고13 당시의13 국

제정세로13 볼13 때13 이스라엘을13 지원하는13 영국과13 미국13 보다는13 소련에게13 무기를13

요청하는13 것이13 적합하다고13 판단하였다 년13 이집트는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1955

138 백태열

내세운13 소련과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26 이13 무기협정을13 통해13 사실상13 이집트

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어13 가는13 계기가13 되었고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주공급자가13 되었다 그러나13 이집트는13 소련과13 상호군사조

약을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나세르가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맹관계를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기13 때문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찰스13 크레멘

스 는13 (Charles Cremeans) ldquo군사공약이13 포함되지13 않는13 한13 이집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받을13 수13 있었고13 그리고13 필요하다면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는데13

발생할13 수13 있는13 위험을13 감수할13 준비가13 되었다고13 나세르는13 항상13 주장하였다rdquo고13 지적한다 나세르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공여13 받는13 것에13 부(1963 281)

담을13 느꼈던13 것은13 분명하다 그13 이유는13 자신이13 강력한13 비동맹노선을13 표방하

였고13 따라서13 소련과13 연계를13 통해13 의존의13 상황이13 형성되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기13

때문이었다 결국13 나세르는13 적어도13 집권초기에는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

맹관계13 혹은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려고13 하지13 않았다 그러나13 이스라엘의13 군

사적13 위협13 때문에13 이집트가13 무기를13 제공받기로13 한13 결정은13 불가피한13 선택이었

다 전후13 독립을13 획득한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신생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 3

의13 국방력은13 취약하였다 따라서13 이집트의13 대외적13 여건은13 군사대국인13 소련에

게13 자연스럽게13 군사적13 도움을13 요구하게13 되고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그러면13 소련의13 이집트의13 접근배경은13 무엇인가 무엇보다도13 모스크바는13 對

전후13 중동지역에서13 미국과의13 경쟁에서13 우위를13 선점하기13 위한13 목적을13 갖고13 있

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국과의13 냉전13 구도13 하에서13 중동에서의13 영향력

을13 확보하고13 상대적으로13 미국의13 접근을13 어렵게13 하기13 위해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

근을13 시도하였다 즉13 중동에서13 가능한13 많은13 우방국13 혹은13 동맹국을13 만드는13 작

업은13 미국과13 마찬가지로13 소련의13 대외정책의13 우선순위의13 하나였다 더13 나아가

서13 소련은13 이집트뿐만13 아니라13 중동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국가에13 대해13 접한13 관

계를13 구축하고자13 하였다 이러한13 주장은13 년대를13 거치면서13 소련이13 시리 1960

아 요르단13 등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고13 일련의13 군사협정을13 체결하였다는13 사실

에13 의해13 뒷받침13 된다 년13 월13 일13 소련13 외무성은13 1955 4 16 ldquo소련은13 근동13 및13 중

26 이13 협정을13 통해13 양국은13 억불의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45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9

동지역에서13 전개되는13 상황에13 무관심한13 채13 남아13 있을13 수13 없다 그13 이유는13 그13

지역에13 있는13 외국의13 군사기지시설과13 블록화13 현상은13 소련의13 안보에13 직접적인13

연관성이13 있기13 때문이다rdquo27는13 입장을13 표명하였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친 한13 관계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이해관계를13 둘러싸고13 더욱13

발전하게13 되었다 년13 월13 나세르는13 수에즈운하에13 대한13 국유화를13 선언하 1956 7

였고13 이러한13 결정에13 대해13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13 이집트를13 공격하였다 이

로13 인해13 제 차13 중동전쟁이13 발발하였다 운하를13 둘러싼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13 그2

리고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첨예하게13 얽혀있었다 제 차13 중동전쟁은13 이집트 2 -

소련의13 관계에서13 또13 다른13 분수령이13 되었다 년13 이집트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1960

완전한13 통제와13 관리를13 위해13 소련으로부터13 에스완13 댐13 건설비용13 억13 천13 달러3 5

를13 받기로13 결정하였다 그13 후13 이집트는13 다양한13 형태의13 지원을13 소련으로13 받기13

시작하였다 년13 월13 이집트를13 방문한13 후르시초프 서기장은13 1964 5 (Khrushchev)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억13 천 백만13 불을13 융자하겠다는13 발표를13 하였다2 7 7 28

이13 비용은13 이집트가13 년부터13 추진하는13 개년13 개발계획에13 사용될13 예정이1965 5

라고13 덧붙였다 이러한13 재정적13 지원을13 통해13 이집트는13 점진적으로13 의존하였고13

의존의13 내용은13 경제원조의13 영역으로13 확대되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년13 1966 5

월13 일13 소련13 수상13 알렉세이13 코시긴 은13 카이로에서13 가11 (Aleksei M Kosygin)

진13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미국의13 베트남13 공격을13 비난하면서13 ldquo양국의13 국민은13 평화 사회적13 전진 그리고13 사회주의를13 위한13 투쟁에서13 공동13 목적과13 이념으로13

함께13 협력13 한다rdquo고13 선언하였다29 양국의13 우호관계는13 점진적으로13 확대되었다

이집트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스라엘과의13 분쟁은13 여전히13 미해결된13 채13 남아13 있었

고13 소련으로부터13 추가적인13 군사지원은13 불가피하였다

년의13 차13 중동13 전쟁혹은13 일13 전쟁에서13 이집트는13 이스라엘에게13 참패1967 3 ( 6 )

한13 후13 시나이13 반도와13 가지지구13 등을13 빼앗기게13 되었다 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

로13 하여금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더욱13 필요하게13 되었고13 결과적으로13 군

27 Alvin Z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에서13 재인용

2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4 5 25 p 1

29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6 5 11 p 2

140 백태열

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월터13 라퀘르 는13 다음과13 같이13 설 (Walter Laqueur)

명13 한다(1972 62)

일13 전쟁은13 소련6 -이집트13 관계의13 이정표를13 기록하였다 그13 전쟁은13 분실되거

나13 혹은13 파괴된13 모든13 군사13 장비를13 빨리13 대체하기13 위한13 필요성13 때문에13 소련에13

대한13 이집트의13 종속을13 극적으로13 심화시켰고13 낫세르의13 요청에13 따라13 소련군hellip13 인이13 탑승한13 SAM- 과13 2 SAM- 로13 구성된13 거대한13 미사일13 방어체계가13 13 이집트3

에13 설치되었다 소련조종사들이13 이집트내의13 개의13 공군비행장에서13 전투임무 15

를13 갖고13 전투기를13 발진시켰다

이집트는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있어서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

기13 위하여13 소련의13 군사적13 지원을13 지속적으로13 받았다 특히13 년에13 발생한13 1967

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과정에서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위해13 간접적13 방식으로13 전6

쟁에13 개입하였다 소련의13 군사고문단이13 이집트에13 상주하면서13 막후에서13 이집

트에서13 전술적 전략적13 도움을13 제공하고13 협력했을13 가능성은13 상당히13 높다 30

년13 가을에13 발생한13 나세르의13 갑작스런13 죽음과13 함께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1970

사다트는13 나세르의13 이념적 정책적13 계승자였다 따라서13 그는13 적어도13 외형적

으로13 소련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고자13 하였다 그의13 선택은13 당연하였다 일13 6

전쟁은13 휴전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전쟁은13 언제든지13 다시13 발발할13 개연성이13 높았

고13 따라서13 군사력의13 보강은13 그의13 주된13 목표였다 그는13 년13 월13 모스크바 1971 3

를13 방문하여13 소련에13 대한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다 그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1971

년13 월13 일13 양국사이의13 우호조약으로13 발전되었다 이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자리7 28

에서13 사다트는13 ldquo우리국민은13 아랍-소련의13 우정을13 소중하게13 생각하며13 그리고13 진정으로13 아랍전체13 국가들은13 이13 우정을13 우리13 정책의13 가장13 중용한13 기초중의13

하나로13 간주13 한다rdquo 고13 역설하였다 31 양국은13 년의13 유효기간을13 설정하고13 우 15

30 년13 동안13 이집트의13 군복으로13 위장한13 소련군13 조종사들이13 이집트13 영공에서13 이스라1970

엘의13 공습에13 대항하여13 공중전투에13 참여하였다 이13 부분에13 대해서13 Craig A Daigle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을13 참 8(1) March p 3

31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1 5 28 p 2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1

호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에13 어떤13 의미를13 갖고13

있는가 이와13 관련하여13 두13 가지13 사항이13 언급될13 수13 있다 첫째 이집트는13 오래13 13

동안13 공식적인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것을13 주저하였다 그것은13 특정국가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이13 나세르와13 사다트의13 정치철학에13 위배된다고13 판단하였기13 때문

이다 그러나13 나세르의13 죽음과13 완결되지13 않은13 중동전쟁의13 상황을13 고려할13 때13

다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보다13 강화할13 필요성을13 느꼈기13 때문이다

둘째 이13 조약은13 사실상13 외형적으로13 상호13 협력13 및13 우호를13 강조하고13 있지만13

조약의13 세부적13 내용을13 면 히13 검토해13 보면13 사실상13 군사원조와13 무기지원을13 포

함한13 일방적13 방위조약의13 성격이13 강하다 따라서13 향후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방위공약의13 의무를13 갖게13 되고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은13 보다13 제도적13 성격

을13 갖게13 되었다

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상황(2) 對이집트1) -소련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우호13 조약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이집트가13 군사적으로13 소련에13 예속된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년13 월13 이집트와13 1955 9

체코의13 무기매매협정에서13 찾을13 수13 있다 이13 협정은13 사실상13 소련과13 이집트사

이에13 체결된13 것으로13 소련이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내세워13 체결하였다(Cremeans

이13 협정을13 통해13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무기를13 공여하기13 시작하였고13 1963 146)

이집트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는13 계기가13 되었다 년13 월13 일13 1971 5 27

이집트와13 소련의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the Egyptian-Soviet Treaty of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년13 양국의13 무기Friendship and Cooperation) 1955

협정이후13 체결되었다 이13 조약은13 전문을13 포함하여13 모두13 개13 조항으로13 구성 12

되었다 이13 조약의13 전문은13 ldquo소련과13 이집트는13 양국의13 발전을13 촉진하고13 모든13 부분에서의13 협력을13 확고하게13 강화할13 것을13 확신하며13 양국은13 평화로운13 외hellip13 교정책의13 변함없는13 진행에13 따라서13 보다13 강력한13 국제평화와13 안보를13 위한13 투쟁

을13 지속적으로13 수행13 할13 것을13 결의하며helliprdquo32로13 되어13 있다 이13 조약은13 년13 1955

년13 양국이13 맺은13 무기협정13 보다13 여러13 부분에서13 포괄적인13 교류와13 협력을13 강조

32 Julian J Landau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참조Communications p 165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6: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120 백태열

을13 포함한다 개념적으로13 볼13 때13 종속타파는13 설명력을13 가지고13 있지만13 인식적13

상황인지13 혹은13 실제적13 극복인지13 불분명하다 그러한13 의미에서13 볼13 때13 종속타

파의13 개념은13 다소13 논쟁적일13 수13 있다 전체적인13 맥락에서13 보면13 종속타파는13 과

정과13 결과의13 두13 가지13 단계를13 모두13 포함하고13 있다고13 보는13 것이13 보다13 적절하

다4

군사적13 종속타파는13 어떻게13 정의될13 수13 있는가 싱거는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개념을13 별도로13 정의하고13 있지13 않지만13 종속타파의13 정의를13 활용하여13 개념은13 정

리될13 수13 있다 군사적13 종속타파 는13 한13 국가가13 (Military Counterdependence)

다른13 국가에13 군사적으로13 예속된13 상태에서13 이를13 극복하고13 벗어나는13 상황13 혹은13

상태로서13 정의될13 수13 있다 따라서13 군사적13 종속타파는13 예속을13 벗어나려는13 과

정과13 이를13 완전히13 실현한13 결과의13 상황을13 모두13 포함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과정과13

결과13 모두를13 검토하고13 분석하는13 것이13 필요하다 따라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총체적인13 진행과정과13 관련하여13 싱거의13 이론적13 논거는13 본13 논문에13 상당히13 도움

이13 된다 즉13 그의13 분석틀에13 따르면13 크게13 군사적13 종속의13 원인과13 상황13 그리고13

종속의13 범위와13 내용13 등을13 통해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에13 군사적으로13 예속된13 상

황에13 대한13 평가를13 시도하고13 있다 각13 사항을13 구체적으로13 설명하면13 단계로13 3

요약된다 첫13 번째13 단계는13 한13 국가가13 군사적으로13 다른13 국가에13 의존되는13 상황

이다 이13 부분과13 관련하여13 싱거는13 제 세계의13 국가들이13 가지고13 있는13 공통된13 3

취약점13 즉13 외부로부터의13 공격과13 침략가능성 군사적13 지도력의13 부재 낮은13 경

제수준과13 이로13 인한13 국방력의13 저하13 등을13 제시하고13 있다 그러나13 싱거는13 보다13

명확한13 국내외적13 상황에13 대한13 검토와13 분석을13 결여하고13 있다 두13 번째13 단계는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와의13 군사13 안보적13 관계에서13 어떤13 부분과13 영역에13 예속되

어13 있는가에13 관한13 부분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싱거는13 비교적13 상세한13 분석틀을13

제시하고13 있으며13 이는13 본13 연구의13 이론적13 및13 방법론적13 그림을13 그리는데13 상당

히13 적합한13 것으로13 보인다 즉13 군사적13 종속의13 주된13 지표혹은13 기준는13 크게13 ( )

4 종속과13 의존은13 개념적으로13 차이가13 있다 일반적으로13 종속은13 의존보다13 예속의13 정도가13

극심한13 상황을13 의미한다 이13 논문에서13 군사적13 종속의13 개념은13 안보13 및13 국방13 부분에서13

여러13 영역이13 의존된13 상태로서13 구조적 제도적13 성격을13 의미하는13 것으로13 받아들인다

의13 번역도13 다양할13 수13 있으나13 학계에서13 일반적으로13 합의된13 용어가13 Counterdependence

없기13 때문에13 저자는13 이를13 종속타파로서13 번역한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1

다음과13 같은13 가지이다4 (Singer 1972 274-309)5

bull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조약의13 체결

bull 군사기지13 및13 주둔군인13

bull 피종속국13 으로부터의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수입13

bull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인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이러한13 구성요소들은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에13 어떤13 영역에서13 어느13 정도13 군

사적으로13 종속되어13 있는가를13 측정할13 수13 있는13 지표가13 된다 이와13 관련하여13 제

기할13 수13 한13 가지13 주장은13 군사적13 종속은13 결국13 정도의13 문제이며13 따라서13 군사적13

종속타파13 역시13 정도의13 문제가13 될13 수밖에13 없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론적13 전개

를13 고려해13 볼13 때13 본13 연구에13 적절하게13 적용될13 수13 있는13 유용성이13 있다고13 판단

된다

마지막13 단계는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누구의13 주도로13 이루어13 졌는가에13 관한13

논의이다 즉13 종속타파가13 종속국의13 주도에13 이루어졌는가 혹은13 피종속국의13

주도에13 의해13 이루어졌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13 부분과13 관련하여13 싱거는13 구체적

인13 논의와13 설명을13 제공하지13 않고13 있다 종속타파의13 전체적인13 흐름을13 정확히13

평가하기13 위하여13 그와13 관련된13 별도의13 분석틀이13 필요하다고13 생각한다 그13 내

용은13 대략13 다음과13 같다 첫째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상황이다 이13 부분은13 어

떠한13 상황과13 여건13 하에서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에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것을13 구성하는13 세부적13 상황은13 크게13 다음의13 종속대상국의13 (i)

국가안보의13 위기상황내란 외부의13 침략 전쟁 혹은13 기타13 안보상의13 위기( ) (ii)

피종속국의13 정치 외교 안보의13 이해와13 이익이13 추구 이13 경우13 다시13 해당국가와13 (

해당지역에13 대한13 이해관계로13 구분할13 수13 있다 둘째 종속타파가13 이루어지는13 )

상황과13 여건을13 상정할13 수13 있다 이13 경우13 크게13 두13 가지13 방식으로13 정리된다

ldquo자생적13 여건에13 의한13 종속타파rdquo와13 ldquo타생적13 여건에13 의한13 종속타파rdquo이며13 이를13

5 싱거는13 자신의13 저서에서13 지표13 혹은13 기준이라는13 표현보다13 연결고리 의13 표현을13 주ldquotie( )rdquo로13 사용하고13 있으나13 그의13 주장에13 나타난13 전체적인13 맥락에서13 볼13 때13 지표13 혹은13 기준의13

의미와13 유사하다

122 백태열

간단하게13 요약하면13 lt표13 1gt과13 같다

표13 종속타파의13 여건lt 1gt13

자생적13 종속타파종속국의주도( ) 타생적13 종속타파13 피종속국의13 주도( )

민족주의의13 증대주권13 및13 자주권의13 회복

피종속국의13 국내적13 변화

군사 안보13 여건의13 변화 피종속국의13 지역적 국제적13 변화

종속국의13 국내적13 변화 피종속국13 정부 지도자의13 선택과13 결정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종속국의13 의지와13 선택에13 의해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이루

어지는13 경우이다 그13 요인독립변수은13 외국주둔13 군대에13 대한13 종속국의13 강한13 ( )

거부감과13 저항감13 등이13 고조되거나13 혹은13 자주적 자립적13 국가방위에13 대한13 국

민의13 의지가13 증대되는13 요인이다 두13 번째13 요인은13 종속국의13 국내적13 여건의13 관

점에서13 볼13 때13 더13 이상13 특정13 국가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될13 수13 있는13 원인이13 소

멸된13 경우이다 따라서13 종속국은13 더13 이상의13 타국의13 국방력에13 의존하여13 자국

의13 국가방위를13 유지할13 필요가13 없다고13 판단한다 마지막13 요인은13 종속국의13 특

정한13 지도자가13 외부혹은13 타국에13 의존하는13 경우를13 더13 이상13 용납하지13 않고13 ( )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선택하고13 이를13 실행에13 옮기는13 경우이다

반면에13 타생적13 종속타파는13 종속타파의13 상황이13 피종속국의13 의지와13 주도로13

이루어지는13 경우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상황의13 반대의13 경우가13 고려될13 수13 있다

첫13 번째13 요인은13 피종속국의13 국내적13 여건이다 피종속국이13 종속국에게13 제공하

던13 군사적13 원조와13 지원을13 중단하는13 경우13 종속국과의13 관계는13 종료된다 두13 번

째13 요인은13 종속국가의13 국내적13 변화이다 피종속국은13 종속국에서13 발생한13 국내

적13 변화로13 인해13 군사적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불가능하다고13 판단하여13 양국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종료할13 수13 있다 마지막13 요인은13 피종속국의13 정부의13 판단과13 선

택이다 피종속국의13 지도자13 혹은13 정부는13 스스로의13 판단과13 선택에13 의해13 종속

국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정리하기를13 원했을13 때13 종속13 관계는13 종료된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3

접근13 및13 분석13 방법2

본13 연구의13 성격과13 주제에13 비추어13 볼13 때13 저자가13 사용하고자13 하는13 연구방법

은13 비교분석이다 구체적인13 내용은13 다음과13 같이13 요약된다 첫째 필리핀의13 對미13 군사적13 종속과13 이집트의13 소13 군사적13 종속의13 발생원인과13 상황을13 각각13 논對의한다 이를13 위해13 저자는13 군사적13 종속의13 발생원인을13 국내적13 여건과13 국제적13

여건으로13 나누어13 접근하기로13 한다 둘째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군사적으로13 어

떤13 분야에서13 구체적으로13 예속되었는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한다 이것을13 확인하기13

위한13 방법으로13 저자는13 네13 가지13 영역13 ldquo 군사원조의13 양과13 범위13 상호방(1) (2)

위조약의13 체결여부13 피종속국13 으로부터의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구매와13 수입13 (3)

그리고13 피종속국에서의13 군사훈련과13 교육(4) rdquo 등을13 중심으로13 종속의13 상황과13

실체를13 규명하고자13 한다 셋째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각각13 어떤13 상황에서13 그리

고13 어떤13 방식을13 통해서13 지배국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고13 타파했는가

에13 대한13 설명을13 시도한다 이러한13 작업을13 위해13 저자는13 양국에서13 나타난13 군사

적13 종속타파의13 움직임과13 활동에13 초점을13 맞추어13 접근하고자13 한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과13 전개에13 대한13 비교분석을13 하고

자13 한다 비교분석의13 대상은13 ldquo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의13 자생적13 종속과13 타생적13 종속에13 대한13 평가rdquo 등13 가지13 항목이며13 이러 4

한13 가지13 사항을13 중심으로13 논의한다 이러한13 논의를13 진행하는데13 있어서13 저자4

는13 필리핀의13 경우에는13 년13 이후부터13 년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영토에서13 1947 1991

떠날13 때까지의13 시기를13 다룬다 이집트의13 경우에는13 년13 나세르가13 등장한13 1952

이후부터13 년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군사적13 관계가13 사실상13 종료되었던13 시점까1976

지13 논의된다 그러나13 본13 논문과13 관련하여13 추가적13 논의가13 필요한13 경우에13 저자

는13 이러한13 시기를13 제외한13 시기에13 대해서도13 부분적으로13 논의할13 계획이다

124 백태열

필리핀과13 이집트 군사적13 종속상황과13 종속타파의13 전개III

이13 장에서는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상황에13 대한13 배경을13 먼저13 개

관하기로13 한다 우선13 저자는13 필리핀 -미국 이집트 -소련의13 일반적13 및13 군사적13

관계에13 초점을13 맞추기로13 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가13 검토된다

필리핀13 1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

필리핀은13 년13 동안의13 미국의13 식민지배에서13 벗어나13 년13 월13 일13 독립48 1946 7 4

을13 이루었다 그13 후에도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였고13 미국의13 정체

제도와13 특성을13 모방하였고13 양국의13 경제관계도13 활발하였다 전후13 그13 어느13 나

라보다도13 필리핀은13 미국적13 색체가13 강하였다 년13 월13 양국은13 군사기지협 1947 3

정 년13 월13 상호방위조약(Military Bases Agreement) 1951 8 (Mutual Security

을13 각각13 체결하였다Treaty) 6 이러한13 일련의13 조약체결로13 인해13 양국은13 군사적13

동맹관계를13 형성하게13 되었다 이러한13 배경은13 무엇인가 저자는13 미국과13 필리

핀의13 관점에서13 각각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미국의13 시각에서13 보면13 년13 종전 1945

과13 함께13 소련의13 팽창주의적13 공산화정책은13 전13 세계의13 도처에서13 발생하기13 시작

하였다 소련은13 그리스의13 내전에13 개입하였고13 중동의13 아제르바이젠에서13 친공

산정권의13 수립을13 지원하였다 특히13 년13 이후13 북한은13 소련의13 후원하에13 공 1946

산정권을13 수립하고13 있었다 이와13 같이13 년부터13 년대13 후반에13 이르는13 1945 1940

국제정세는13 냉전이13 서서히13 형성되고13 있었다 년13 월13 중화13 인민공화국 1949 10

(the Peoplersquo 의13 출범은13 미국으로13 하여금13 공산세력을13 견s Republic of China)

제하기13 위한13 필요성을13 절실히13 느꼈다 특히13 한국전쟁의13 발발로13 인해13 미국은13

6 그13 밖에도13 미국은13 일본 년 한국 년 그리고13 대만 년 과13 각각13 상호방(1951 ) (1953 ) (1954 )

위조약을13 체결하였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5

동북아뿐만13 아니라13 서남아의13 안보와13 안정의13 중요성을13 심각하게13 고려하기13 시

작하였다 그13 결과13 미국은13 아시아의13 안보역량을13 강화하고13 소련을13 중심으로13

한13 공산주의세력과13 대항할13 수13 있는13 안보체제를13 공고히13 하려는13 노력을13 가시화

하였다 그13 결과13 미국은13 년13 필리핀과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였다 미국 1951

의13 목적은13 전13 세계적으로13 확산되는13 공산주의세력의13 준동과13 움직임에13 적절하

게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아시아의13 안보이익과13 군사적13 영향력을13 구축하는13 것이었

다 냉전의13 상황에13 접어들면서13 미국은13 세력권의13 확대와13 군사적13 동맹군이13 절

실히13 필요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동안13 스페인의13 식민통치를13 받았고13 그13 후13 미국의13 식민13 지400

배를13 받았다 년13 독립을13 쟁취한13 이후13 필리핀은13 새로운13 시대를13 맞게13 되었 1947

다 전후13 필리핀대통령이었던13 마누엘13 로하스 는13 미국으로 (Manuel A Roxas)

부터13 경제원조와13 지원을13 받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제 차13 세계대전13 이후13 독립을13 2

쟁취한13 거의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필리핀은13 안보 경제3

교육 제도13 등13 여러13 부분이13 극도로13 열악한13 상황이었고13 따라서13 국가건설과정

에서13 강력한13 후원자가13 필요하였다 독립이후에도13 양국의13 관계는13 지배 -피지배

의13 종속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정착되기13 시작하였다 군사와13 안보13 부분에서의13 상

황은13 군사기지협정과13 군사원조협정으로13 확인된다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협

정을13 체결한13 배경은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요약된다 첫째 냉전의13 상황이다 1940

년대13 말13 이미13 전13 세계로13 확대된13 냉전의13 상황에서13 필리핀13 역시13 안보상의13 불안

감을13 가졌다 아시아에서의13 공산주의13 정권의13 등장과13 역내의13 불안정은13 필리핀13

지도자들로13 하여금13 미국과의13 동맹관계를13 형성할13 필요성을13 절감하였다 필리

핀은13 미국으로부터의13 군사원조를13 통해13 미약한13 국방력을13 회복하려고13 하였다

더13 나아가서13 년의13 한국전쟁과13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전쟁을13 지켜보면1950 1960

서13 필리핀13 지도자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유착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필리핀의13

안보와13 안정을13 위해서13 필요하다고13 판단하였다 둘째 필리핀의13 국내적13 여건

과13 상황이다 필리핀의13 독립과13 함께13 국내에서는13 후크 가13 조직되었다 (Huks)

이13 단체는13 사실상13 공산주의노선을13 지지하면서13 필리핀의13 팜파간 불라칸 탈

락13 등에서13 강력한13 영향력을13 가지고13 있는13 국민농민연맹(National Peasant

과13 깊게13 연결되어13 있었다Union) 7 독립13 이후13 이들의13 반란이13 일어나고13 로하스13

126 백태열

대통령은13 이를13 진압하기13 위해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적 기술적13 도움을13 받았다13

양승윤( 2003 69- 이13 반란은13 독립이후13 극심한13 분열과13 갈등을13 초래하였70)

고13 향후13 반정부집단의13 정치세력화를13 예고하고13 있었다 이러한13 점에서13 필리핀

정부는13 미국과13 군사동맹관계를13 통해서13 국내의13 소요와13 반란을13 효율적으로13 진

압할13 수13 있는13 안보체계를13 구축하는13 작업이13 필요하였다 간단히13 말하면13 냉전

의13 상황과13 국내의13 공산주의의13 준동에13 적절히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필리핀은13 미국

과의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유지해야13 하는13 절박한13 상황에13 직면하였다

년대에13 접어들면서13 막사이사이 가르시아1950 (Ramon Magsaysay) (Carlos

마카파갈 등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들은13 친미적13 Garcia) (Diodado Macapagal)

성향을13 가졌고13 이러한13 점은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이러

한13 배경에는13 여전히13 아시아에서13 냉전의13 열기가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국내의13 안보

상황도13 크게13 개선되지13 않았기13 때문으로13 풀이된다 마르코스가13 년에13 대통 1965

령에13 당선된13 이후13 미국-필리핀의13 관계는13 군사적 경제적으로13 안정된13 모습을13

보였고13 마르코스는13 집권초기에13 미국에13 대한13 일방적인13 대외관계를13 개선하기13

위하여13 다변화13 외교정책을13 추구하기도13 하였지만13 미국의13 대군사의존의13 상황

은13 크게13 변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마르코스는13 친미성향이13 강했고13 양국관계

를13 필리핀의13 외교의13 중심축으로13 삼았기13 때문이다 마르코스의13 친미적13 성향은13

필리핀의13 국내적13 상황과13 연결된다 필리핀에서13 발생한13 두13 가지13 상황을13 지적

할13 수13 있다 첫째 년에13 결성된13 신인민군대 1969 (New Peoplersquo 이다s Army)

이13 조직은13 공산주의의13 게릴라13 집단으로13 테러활동을13 통한13 사회주의의13 노선을13

확립하려는13 집단이며13 필리핀의13 마오주의13 공산당(the Maoist Communist

과13 정치적으로13 깊게13 연관되어13 있다Party) 8 둘째 년대에13 결성된13 모로13 회 1960

교해방전선 이다 이13 단계는13 사실상13 (the Moro Islamic Liberation Front) Kuk

조직의13 전신으로13 필리핀을13 회교사회로13 만들기13 위해13 투쟁하는13 집단이다 공교

롭게도13 이13 집단은13 모두13 마르코스13 대통령이13 재임하던13 시기인13 년대13 말에13 1960

결성되어13 테러13 활동을13 통한13 국내적13 상황을13 어렵게13 만들었다 마르코스의13 입

7 이13 부분에13 관해서는13 을13 참조httpwwwcomwfb2001philippines

8 이13 부분에13 관해서는13 를13 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7

장에서13 보면13 이러한13 국내적13 불안정과13 좌익13 활동은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시켰

고13 미국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불가피하였다 그13 결과13 필리핀은13 안

보분야에서13 자연스럽게13 미국에게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이들13 반13 정부단체의13

활동은13 마르코스가13 재임하고13 있는13 동안13 국내적으로13 커다란13 정치적 사회적13

도전이었고13 필리핀의13 국내안정과13 직결되어13 있었다 그러나13 필리핀의13 국내정

치적13 상황은13 년13 마르코스가13 재선되고13 계엄령을13 선포함으로써13 악화되기13 1972

시작하였다 마르코스대통령은13 국민들에13 대한13 탄압을13 강화하였다 필리핀13 국

내에서13 독재정권을13 무너뜨리고13 민주주의를13 운동을13 강화하려는13 노력은13 지속

되었지만13 미국과13 군사동맹관계를13 변화시키려는13 활동과13 노력은13 간헐적으로13

이루어졌다 마르코스13 대통령은13 미국과13 체결한13 일련의13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

조약을13 필리핀의13 대외관계의13 주축을13 이루었고13 따라서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

속상태는13 고착화되었다 간단하게13 요약하면13 필리핀이13 미국에13 군사적으로13 예

속된13 주된13 배경은13 국내안보상황의13 불확실성과13 공산주의의13 위협13 때문이었다

필리핀의13 대미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전개(2)

필리핀1) -미국의13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조약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확인할13 수13 있는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양국이13 체

결한13 일련의13 군사동맹조약이다 양국은13 년13 월에13 체결된13 군사기지협정 1947 3

과13 군사원조협정(Military Bases Agreement) (The RP-US Military Assistance

그리고13 년13 월의13 상호방위조약 을13 Agreement) 1951 8 (Mutual Defense Treaty)

각각13 체결하였다 먼저13 저자는13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체결한13 군사기지협 1947 3 14

정의13 내용을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이13 협정은13 미국이13 필리핀에13 군사기지의13 설

치 운영13 등에13 관한13 권리를13 확보할13 수13 있도록13 하였다 미국은13 클라크13 공군기

지와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및13 기타시설13 등을13 포함한13 개의13 군사시설을13 년13 동23 99

안13 무상으로13 사용할13 수13 있도록13 하였다 사실상13 미국정부는13 필리핀내의13 군사

시설에13 대한13 완전한13 통제권을13 갖게13 되었다 이13 협정은13 필리핀이13 군사안보13 부

분에서13 미국에게13 의존하게13 만든13 법적13 기초였다 필리핀의13 미13 군사적13 의존 對

을13 확인할13 수13 있는13 또13 다른13 협정은13 군사원조협정이다 이13 협정은13 군사기지협

정이13 체결된13 직후13 년13 월13 일에13 체결된13 부속협정 이1947 3 21 (Sister agreement)

128 백태열

다9 이13 협정의13 전문은13 ldquo독립13 이후13 필리핀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 그리고13 군장

비의13 구입13 등에13 대한13 필리핀13 정부의13 여망을13 고려하여13 미국13 대통령은13 공동방

위의13 문제에서13 양국의13 상호13 이익의13 관점에서13 국가안보를13 유지하기13 위하여13 필

리핀13 정부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는13 것을13 허락한다helliprdquo10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협정은13 모두13 개의13 세부적인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으며13 거의13 대부분23

의13 조항은13 필리핀에13 대한13 미국의13 군사원조에13 국한되어13 있다 보다13 상세한13 내

용을13 파악하기13 위해13 저자는13 몇몇13 조항을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동13 협정의13 제 1

조는13 ldquo상호협정에13 따라서13 미국정부는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을13 위해13 필리핀정부에게13 군사원조를13 제공할13 것13 이다helliprdquo11고13 명시되어13 있다 또13 다른13 조항은13 군

사고문단 의13 기능과13 역할에13 관한13 것이다 동13 협정(Military Advisory Group)

의13 조는13 8 ldquo군사고문단의13 기능은13 국가안보와13 관련된13 목적을13 수행하는데13 필요한13 것으로13 필리핀에13 조언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다helliprdquo12고13 적고13 있다 이러한13

점은13 필리핀이13 안보정책을13 수립하거나13 군사적13 역할을13 하는데13 있어서13 독자성

이13 크게13 훼손될13 수13 있다 일반적으로13 강대국과13 약소국의13 상호방위조약은13 약

소국의13 독립적이고13 자주적인13 대외군사정책을13 추구하는데13 있어13 제약이13 많고13

군사적13 자주권을13 종종13 훼손시킨다 따라서13 필리핀과13 미국과의13 군사원조협정

도13 같은13 맥락에서13 볼13 수13 있다 또한13 동13 협정의13 조는13 일반적인13 군사원조의13 6

내용을13 담고13 있다 이13 조항에13 따르면13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군대에게13 무기 탄

약 군사장비 전투기와13 전함13 등을13 제공하게13 된다고13 명시하고13 있다 협정의13

조는13 군사훈련지원 에13 관한13 것이다 필리핀에13 대한13 군21 (Training assistance)

사원조의13 일부로서13 선발된13 필리핀13 학생들을13 미국에13 보내13 육군 해군 그리고13

공군13 부대에서13 기술13 및13 군사훈련을13 받도록13 하는13 내용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과13 미국은13 년13 월13 일13 상호방위조약1951 8 13 (Mutual Security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전문과13 개의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Treaty) 13

9 이13 협정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 저자는13 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인쇄본을13 입수하지13 못하여13 대신에13 인터넷13 사이트의13 정보를13 인용함

10 상게서

11 상게서

12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9

이13 조약에서13 양국은13 ldquo외부의13 군사적13 전략에13 대해13 공동으로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양국의13 단결과13 공동의13 결의를13 공개적으로13 그리고13 공식적으로13 선언하면서rdquo13

개13 조항에13 합의하였다 이13 조약의13 13 조는13 외부의13 군사적13 침략에13 대해13 공동13 3

으로13 방어하기13 위한13 대응태세를13 강조하고13 있으며13 조는13 당사국중의13 한13 국가4

가13 외부의13 공격을13 받을13 경우13 이를13 자국에13 대한13 공격으로13 간주한다고13 규정함

으로써13 공동방위를13 구축하고13 있다

양국이13 체결한13 개의13 군사13 및13 방위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볼13 때13 현실적으로13 3

필리핀의13 국가안보를13 강화하고13 양국이13 공동의13 외부적13 위협에13 대응하도록13 구

성되어13 있다 그러나13 이13 조약들은13 양국의13 평등성에13 기초하고13 있기13 보다는13 필

리핀이13 일방적으로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받도록13 되어13 있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군군대의13 주둔2)

싱거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외국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시설이다 년13 양국의13 협정에13 따라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군대를13 주둔시키 1947

고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필리핀에는13 미국의13 군사방위공약을13 실천하기13

위하여13 년부터13 미군이13 주군하고13 대규모의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대1947

표적인13 군사시설은13 클라크13 공군기지(Clark Air Base in Pampanga and

수빅만13 해군기지 죤13 Tarlac) (Subic Naval Base in Bataan and Zambales)

헤이13 공군13 이착륙장 월레스13 공군13 이(John Hay Air Station in Baguio City)

착륙장 그리고13 산13 미구엘13 통신소(Wallace Air Station in La Union) (San

등이다Miguel Station in Zambales) 14 그13 외에도13 소규모의13 미국군사기지13

및13 시설은13 대략13 개이다 클라크13 공군기지는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규모15

이며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역시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해군기지이다 이러한13

미군기지와13 시설에13 주둔하고13 미국병사는13 년13 기준으로13 대략13 육군은13 1979 28

명 공군은13 명 해군은13 그리고13 해병대13 명이13 각각13 필리핀에13 주 8005 4594 786

13 이13 조약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14 이와13 관련하여13 상세한13 내용은13 다음의13 자료를13 참조바람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130 백태열

둔하였고13 전체13 미군의13 수는13 명이다13413 15 이와13 관련된13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13 기준을13 기준으로13 필리핀의13 모든13 미군기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병력은13 1988

명이다17870 16 년13 당시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의13 수는13 명의13 군인과13 1991 15000

명의13 군무원이13 주둔하고13 있었다1000

이러한13 군사기지의13 설치는13 앞서13 설명된13 양국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방위조약

에13 따른13 부수적13 결과일13 뿐이다 외군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기지의13 허용은13 종속

국의13 국방력이13 취약하다는13 반증이다 종속국은13 외국군대의13 도움이13 없이는13 자

국의13 안보상황을13 개선할13 수13 없다는13 것을13 의미하며13 이는13 군사적13 예속의13 또13 다

른13 측면이다 외국군대의13 기지와13 주둔군은13 해당국민과13 가장13 직접적인13 마찰과13

갈등을13 빚는13 부분이고13 법적 사회적 문제를13 가장13 많이13 야기시켰다

미국의13 필리핀13 무기13 공여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검증하기13 위하여13 사용되는13 또13 다른13 증거는13 군사장

비13 및13 무기의13 공여이다 피종속국은13 현실적으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자체적으

로13 개발하는데13 필요한13 기술력과13 경제력을13 결여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타국으로부

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유상으로13 혹은13 무상으로13 공여13 받는다 특히13 이러한13 무

기의13 지원으로13 인해13 보다13 심각한13 상황은13 특정한13 국가로부터13 무기지원을13 받는

다는13 점에서13 의존적13 성격을13 갖고13 있다는13 점이다 따라서13 피종속국이13 종속국

에게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하거나13 수출하지13 않을13 경우13 종속국의13 국가안보

는13 어려움을13 겪거나13 혹은13 심각한13 위험에13 직면할13 수도13 있다 필리핀의13 경우13

년대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의13 대부분을13 공여13 받았다1950 17 이

와13 관련하여13 몇13 가지13 사례를13 들어13 보기로13 한다 필리핀은13 년대13 초부터13 1950

년까지13 미국으로부터13 다양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13 받거나13 혹은13 구매1973

하였다 군사용13 비행기예를13 들면 ( Lockheed T-33 Gruman HU-16A

군사용13 선박예를13 들면 그Albatross) ( patrol boat Infantry landing craft)

리고13 장갑차 예를13 들면( M- 등이다4 Sherman) 18

15 United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p 145

16 이와13 관련된13 자료는13 김경숙13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13 참1988 10 p 76 「 」 985172 985173조

17 년대13 초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제외한13 일본 독일 호주 이탈1950 1970

리아13 등으로부터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미국의13 비중이13 압도적으로13 많았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1

필리핀13 군인의13 미국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13 4)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종속국가의13 군인13 혹은13 영관급13 장교들이13 피

종속국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러한13 지표는13 종속국의13 군인

들의13 질적13 취약성에13 기초한다 종속국의13 군인들은13 안보와13 전쟁에13 필요한13 현

대식의13 훈련과13 전투능력을13 배양하지13 못했기13 때문에13 국가안보의13 문제와13 위기

가13 발생했을13 때13 적절하게13 대처할13 수13 있는13 있는13 군사적13 능력을13 갖추고13 있지13

못하다 이러한13 측면은13 종속국의13 군사력13 하락으로13 연결된다 필리핀군인들은13

의13 프로그램의13 후원13 IMET(International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하에13 미국본토13 혹은13 미국본토이외의13 군사훈련소에서13 군사훈련13 혹은13 교육을13

받았다 자료에13 따르면13 필리핀13 군인들은13 년부터13 년까지13 명이13 1950 1968 12217

훈련을13 받았다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부터13 년13 초까(Singer 1972 301) 1950 1980

지13 대략13 의13 필리핀13 군인들이13 미국의13 재정적13 지원13 하에13 미국의13 군사학17000

교와13 훈련소에13 훈련을13 받았음을13 보여준다19

간단히13 정리하면13 앞서13 제시된13 가지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살펴13 본13 결과13 4

필리핀은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되어13 있음을13 보여준다

필리핀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13 (3)

필리핀의13 정부지도자와13 국민들이13 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상태를13 타파해야13

한다는13 목소리를13 강화한13 것은13 마르코스13 대통령의13 독재정치가13 절정에13 달했을13

때였다 그의13 탄압과13 독재정치에13 대해13 많은13 필리핀국민들이13 저항하였고13 반마

르코스의13 열기가13 확대되었다 년에13 일어난13 필리핀의13 민중의13 혁명 1986

(Peoplersquo 은13 마르코스를13 권좌에13 내쫒았다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의존s Power)

의13 타파는13 사실상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와13 궤를13 같이13 한다 마르코스에13 대한13

비판은13 민주주의를13 강하게13 염원하게13 되었고13 동시에13 그의13 정권하에서13 오래13 동

안13 유지되었던13 필리핀-미국의13 동맹관계의13 실체를13 재평가하려는13 움직임으로13

빠르게13 전환되었다 년13 월13 코라손13 아퀴노 가13 대통령 1986 2 (Corazon Aquino)

18 이와13 관련하여13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참조Stockholm 1975 Sweden SIPRI pp 17-19

19 를13 참조httpIcweb2locgovcgi-binquery

132 백태열

에13 취임하면서13 필리핀에서는13 본격적으로13 미군의13 철수문제가13 공론화되기13 시

작하였다 필리핀국민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동맹체제로부터13 발생하는13 다양한13 불

이익과13 불편을13 종식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개시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추진력 은13 무엇인가 대략13 두13 가지13 요인(Driving force)

으로13 설명된다 첫13 번째는13 민족주의이다 민족주의는13 식민지13 상태에서13 해방

과13 독립을13 쟁취하기13 위한13 이데올로기로서13 작동하였고13 독립이후13 민족주의는13

외세의13 지배와13 간섭을13 배격하기13 위한13 무기로서13 전환된다 필리핀은13 스페인과13

미국의13 식민지를13 경험하면서13 강한13 민족주의를13 발전시켰다 살바도르13 마르티

네그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13 역사는13 세(Salvador Martineg) 16

기13 초에13 시작되어13 년대13 이래13 유지되었고13 년대에는13 클라로13 렉토13 등1950 1960

에13 의해13 활성화되었다20 결국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는13 반미주의와13 강하게13 연결

되어13 있으며13 이는13 미국의13 간섭과13 영향력을13 배제하고13 자국의13 자존심을13 회복하

려는13 노력으로13 승화되었다 동시에13 민족주의의13 열기는13 필리핀국민들에게13 미

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에서13 기인하는13 지배국의13 독선과13 횡포 그리고13 내정간섭에13

대한13 저항을13 강하게13 표출할13 수13 있는13 통로를13 제공하였다 두13 번째는13 주권과13

자주권의13 회복이다 주권과13 자주권은13 민족주의와13 깊은13 연관성을13 갖고13 있다

전후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유지하는데13 있어서13 국민적13 자존

심과13 주권이13 손상되었다는13 인식을13 강하게13 갖고13 있다 에드13 가르시아 (Ed

와13 프란시스코13 네멘쯔 는13 다음과13 같이13 지적한다13 Garcia) (Francisco Nemenz)

(Garcia and Nemenz 1987 4)

독립은13 단지13 자기13 확신의13 문제가13 아니다 국가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이13 아 hellip13 니라13 자주적13 행위자로서13 인식되어야13 한다 모든13 국제회의에서13 우리의13 독립을13

확인하기13 위하여13 용기를13 갖고13 노력하여13 왔다 그러나13 우리가13 실제적인13 독립을13

갖고13 있었을13 때조차도13 우리가13 제안을13 발의해도13 제 세계의13 대표들은13 그13 뒤에는13 3

미국이13 있다는13 점을13 의심하여13 왔다 이러한13 의미에서13 필리핀은13 자국의13 땅위에

서13 거대한13 군사기지를13 유지하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으로13 보여진다

20 이러한13 주장에13 대해서는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사Salvador Martineg 1983 「 」 985172상 월 을13 참조함5 pp 45-48 98517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3

그들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체계가13 필리핀의13 대

외정책에도13 부정적13 영향을13 미쳤음을13 암시하고13 있다 국제무대에서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의식하거나13 혹은13 미국의13 정책과13 보조를13 맞출13 수밖에13 없는13 상황을13 초

래했다고13 보고13 있다 이러한13 관점에13 대해13 일부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자국의13 주권

이나13 자주권이13 어느13 정도13 훼손되었다는13 생각을13 갖고13 있는13 것으로13 보인다 동

시에13 미군철수를13 둘러싼13 필리핀13 국민의13 반감은13 미국의13 마르코스13 체제에13 대한13

옹호에서13 기인하였다는13 점도13 지적될13 수13 있다 그들은13 마르코스13 집권이후13 필

리핀의13 인권상황이13 악화되고13 독재정치가13 유지되고13 있음에13 불구하고13 미국이13

이를13 개선하기13 위한13 적절한13 역할을13 하지13 못한13 것에13 대해13 깊은13 불신과13 반감을13

갖고13 있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13 국민들이13 미군철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를13 요구

하는13 보다13 현실적인13 이유들이13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필리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으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각종13 사회적13 문제와13

갈등이다 미군이13 주둔하고13 있는13 기지주변에서13 발생되는13 각종13 범죄 현지인

과13 미군사이의13 마찰13 등은13 외국군대를13 수용하고13 있는13 필리핀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군기지에13 대한13 반감과13 저항을13 일으킬13 수13 있다 둘째 필리핀13 국내에13 설치된13

핵무기이다 년대13 초에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핵무기가13 설치한13 것으로13 알려져13 1970

있으며13 년까지13 핵무기의13 수는13 대략13 정도에13 달하였다 년을13 기준1973 260 1985

으로13 미국은13 필리핀에13 개의13 핵무기를13 설치하였으며13 그중13 개는13 반잠수227 32

함13 핵폭탄이며13 개는13 해군용13 핵무기 그리고13 그밖에13 개의13 핵폭탄이13 있80 115

는13 것으로13 알려졌다21 핵무기의13 설치와13 사용의13 목적은13 아시아13 지역의13 군사

적13 충돌이나13 전쟁이13 발발할13 경우13 사용되기13 위함이며13 어떤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

는13 필리핀의13 안보를13 위한13 것이라기보다는13 미국의13 군사적13 목적을13 위해13 설치된13

것이다 미국이13 아시아에서13 전쟁을13 수행할13 경우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핵위협에13

노출되어13 있고13 이로13 인해13 여러13 가지13 피해가13 발생할13 수13 있다고13 보고13 핵무기의13

설치와13 시설에13 민감하지13 않을13 수밖에13 없다 이러한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일차적으

로13 공격의13 목표가13 되었던13 것은13 미군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이다

21 Ronald G Simbulan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1989 Manila Philippines

와13 을13 참고 이13 책에는13 필리핀의13 미국핵무기와13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p 78

관련된13 정보와13 내용이13 상세하게13 기록되어13 있음

134 백태열

그러면13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종료시키기13 위한13 구체적인13

움직임 조치 및13 정책은13 무엇인가 마르코스가13 축출당한13 이후인13 년13 월 1986 2

부터13 년대13 초까지13 필리핀의13 국내13 상황은13 급박하게13 돌아가고13 있었다 이1990

와13 관련하여13 가장13 주목을13 끄는13 점은13 년13 월13 일13 필리핀13 상원을13 통과한13 1988 6 6

ldquo반핵병기13 법rdquo이다 이13 법안은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기지와13 군사시설 그리고13 양

국동맹관계의13 근간을13 흔들13 수13 있을13 만큼13 강력한13 내용을13 담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이13 법안의13 조는13 금지행위에13 관한13 것으로13 5 ldquo어떤13 사람도13 운송이나13 하역을13 불문하고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과13 그13 구성부분을13 필리핀13 영역내로13 가지고13

들어오거나13 또는13 소유 보유할13 수13 없다 필리핀13 군사기지13 내13 미합중국의13 기존13

군사13 설비를13 포함하여13 필리핀영역의13 상13 하 상공13 어느13 곳에서도13 본13 제 조13 4 1

항에13 해당하는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 구성부분13 및13 핵병기관련설비의13 개발 제

조 입수 실험 이용 도입 비축 보관을13 금지하며 helliprdquo22라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조항과13 함께13 다른13 조항13 역시13 필리핀에서의13 일체의13 핵무기13 개발 설치 비

축 보관 하역13 등을13 금지시키고13 있다 이13 법안의13 통과는13 필리핀 -미국의13 군사

동맹관계의13 분수령이13 된다 역시13 가장13 커다란13 시사점은13 미국은13 필리핀의13 영

토13 안에13 핵무기와13 관련된13 일체의13 접근이13 불허된다는13 점이며13 동시에13 필리핀의13

모든13 군사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가13 불가피하게13 되었다는13 점이다

년13 월13 미국과의13 군사기지협정을13 년13 연장하기13 위한13 법안이13 상원에13 1991 9 10

게류13 되었을13 때13 필리핀13 국내정세는13 극도로13 혼란스러웠다 이13 혼란의13 중심은13

미군13 기지를13 그대로13 유지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과13 법안을13 거부함으로써13 미군13 기

지를13 폐쇄해야13 한다는13 입장으로13 크게13 나뉘어져13 있었다 이13 협정의13 연장을13 찬

성하는13 집단의13 중심에는13 아키노13 대통령이13 있었다 아키노13 대통령은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쇄될13 경우13 양국관계의13 약화 경제13 투자의13 감소 그리고13 불안정

한13 국내13 상황13 등을13 크게13 우려하였다 무엇보다도13 필리핀13 정부는13 양국이13 오랫

동안13 여러13 부분에서13 구축된13 양국의13 군사적 외교적13 우호관계가13 크게13 악화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우려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13 상원은13 미국과13 협정을13 반대하는

데13 선두집단중의13 하나였다 상원의원들의13 상당수는13 민족주의13 정신이13 강한13 정

22 본13 법안의13 내용에13 관해서는13 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를13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5

치인들이었고13 미군은13 필리핀13 땅에서13 떠나가야13 한다고13 믿었다 미군기지13 임대

의13 연장13 법안의13 반대에13 대한13 보다13 구체적인13 이유는13 무엇인가 가장13 커다란13

이유는13 무엇보다도13 필리핀의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복원이었다 당시13 필리핀13

상원의원인13 아가피토13 아키노 는13 (Agapito Aquino) ldquo이13 투표는13 진정으로13 주권을13 갖고13 독립적인13 필리핀13 국민을13 위한13 것이며13 이13 투표는13 미국의13 조종끈에13 매

어진13 정치적13 청년기13 즉13 극심한13 종속을13 종식하기13 위한13 것이다rdquo23라고13 상원에

서13 역설하였다 종속타파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종속타파의13 견인적인13 메커니즘은13

이론적13 검토에서13 제시된13 것처럼13 역시13 주권의13 회복과13 민족적13 자존심의13 회복이

다 필리핀13 정치인들의13 판단과13 요구가13 대다수13 모든13 필리핀13 국민들의13 견해와13

동일하다고13 볼13 수13 없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협정13 그리고13 상

호방위조약에서13 기인하는13 다양한13 폐해를13 인식하고13 있으며13 미군은13 철수되어

야13 한다는13 공감대를13 발전시켜13 왔다는13 점은13 부인할13 수13 없다 또13 다른13 견해는13

필리핀13 정치권에서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기지사용료가13 너무13 적다는13 이유도13 제시

되고13 있다24 필리핀13 상원의13 강력한13 반대13 움직임13 속에13 아키노13 대통령은13 이13

법안을13 국민투표에13 회부하는13 방안을13 추진하였지만13 무산되고13 결국은13 미군기

지협정의13 연장법안은13 년13 월13 일13 상원에서13 대13 로13 부결되었다1991 9 16 12 11

필리핀13 상원의13 이러한13 결정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년13 미국과13 맺은13 군 1947

사기지협정은13 자동적으로13 무효화되었으며13 필리핀에서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

쇄되고13 미군이13 더13 이상13 주둔하지13 않게13 되었다 미군은13 년13 말13 이전에13 필 1992

리핀의13 영토를13 떠나도록13 권고13 받았다 이러한13 점은13 상징적인13 측면이13 강하지

만13 필리핀은1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고13 볼13 수13 있다

미국의13 반응과13 입장13 (4)

필리핀에서의13 극적인13 변화에13 대해13 미국은13 어떤13 반응을13 보였으며13 기본13 입

장은13 무엇인가 미국은13 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13 이후13 필리핀의13 민주화13 운동과13

23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아키노13 상원의원은13 미군기지문제와13 관 1991 9 16 A1

련하여13 형수이자13 대통령이었던13 코라손13 아퀴노와13 극심한13 마찰과13 갈등을13 겪었다

24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벌인13 협상에서13 미국은13 필리핀에 1991 9 11 A3

게13 수빅만13 해군기지를13 사용하는13 대가로13 일년에13 억불을13 제공하기로13 합의하였다203

136 백태열

새로운13 정권의13 창출을13 고무적으로13 평가하였다 그러나13 동시에13 워싱턴은13 그곳

에서13 미군의13 기지와13 군대의13 철수문제 그리고13 지속적인13 반미운동의13 고조13 등

에13 대해13 깊은13 우려감을13 가졌다 특히13 군사기지협정의13 연장을13 앞13 둔13 시점에서13

미국정부의13 불안감은13 증대되었다 국무장관13 조지13 슐츠 는13 미 (George Shultz)

국은13 필리핀13 관리들과13 정치인들이13 기지연장을13 승인하지13 않을13 경우13 다른13 장소

를13 물색해야13 할지13 모른다는13 입장을13 밝혔다25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국내에서13

벌어지는13 반미운동이13 궁극적으로13 미군기지의13 철폐로13 연결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크게13 우려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필리핀13 상원의13 표결이13 있기13 전에13 미국정부는13

부결가능성을13 기대하고13 있었고13 이를13 위해13 직간접적으로13 필리핀정부에13 회유

와13 압력을13 가하였다

필리핀에서의13 결정은13 미국정부를13 크게13 실망시켰지만13 기지연장을13 둘러싼13

필리핀의13 정책결정과정에13 대해13 특별한13 영향력을13 행사할13 수13 없었다 미국은13

필리핀이13 기지연장13 협정을13 원하지13 않는다면13 이를13 수용하지13 않을13 수13 없다 미

국의13 기본13 입장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연장협정을13 지속하는13 것이었다 그13 이유는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와13 미군의13 주둔은13 년이13 넘은13 동안13 아시아에서13 방어적13 40

역할을13 충실히13 하였기13 때문이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결정은13 대

략13 가지13 파급효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다고13 보았다 첫째 년대13 말에13 냉전이13 2 1980

서서히13 종식되고13 있었지만13 미국은13 아시아에서의13 군사적13 임무와13 역할이13 여전

히13 필요하였다 따라서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의13 철수는13 안보적13 공백이13 발생할13

수13 있으며13 이로13 인한13 군사적13 전략변화가13 요구되고13 있기13 때문이다 둘째는13 간

접적13 파급효과이다 필리핀의13 미군기지13 철수가13 다른13 주둔지역13 특히13 한국과13

일본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기지의13 철수로13 연결될13 수13 있는13 파급효과를13 우려하

였다 반면에13 다른13 측면에서13 보면13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다소13 위안을13 찾을13

수13 있는13 부분도13 있다 필리핀은13 결코13 미국과의13 상호방위조약13 자체를13 폐기한13

것이13 아니기13 때문에13 향후13 양국의13 군사적13 동맹관계는13 유지될13 수13 있으며13 미국

의13 군사적13 영향력도13 어느13 정도13 유효할13 것이라는13 기대감을13 가졌다

25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88 6 17 p 7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7

이집트2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3 (1)

년13 영국의13 식민지에서13 벗어난13 이집트는13 국내외적으로13 커다란13 도전에13 1952

직면하였다 국내적으로13 정치세력간의13 권력투쟁으로13 불안한13 정국이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그13 과정에서13 군사13 쿠데타를13 통해13 실질적인13 권력을13 장악한13 나세르는13

아랍사회주의를13 표방하면서13 국정을13 운영하기13 시작하였다 대외적으로13 국제사

회에는13 이미13 냉전의13 열기가13 정점에13 올랐고13 그13 여파는13 중동에도13 도달하였다

이집트를13 둘러싼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복잡하게13 얽혀가고13 있었다 이와13 관련

하여13 주목할13 부분은13 미국과13 소련은13 중동지역에서13 패권경쟁을13 격화하고13 있었

다는13 점이다 소련은13 미국을13 견제하기13 위하여13 에13 버금가는13 지역안보 NATO

체제를13 구축하려고13 하였고13 이는13 바그다드13 조약 으로13 실현되고13 (Baghdad Pact)

있었다 미국은13 이집트를13 지역안보체제에13 끌어13 들이려는13 계획을13 갖고13 이집트

에13 접근하였다 마찬가지로13 소련은13 이집트와13 접한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중동지역에서의13 교두보를13 확보할13 수13 있다고13 판단하였다 미국과13 소련은13 이집

트가13 아프리카와13 중동을13 연결하는13 지역에13 위치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전략적13 가치

를13 중시하였고13 아랍세계의13 위상13 때문에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근을13 추구하는13 것이13

중요한13 목표중의13 하나였다

나세르가13 집권13 이후13 이집트가13 당면한13 최대13 현안은13 이스라엘과13 갈등과13 분

쟁이었다 년13 월13 이스라엘군대가13 이집트13 통제지역인13 가자해협의13 군사 1955 2

시설을13 공격하면서13 명이13 사망하는13 사건이13 일어났다 이스라엘의13 공격으로13 38

인해13 양국은13 본격적인13 대립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이집트는13 이러한13 상황에13 대처

하기13 위해13 자국의13 군사력의13 증강이13 무엇보다도13 절실한13 과제였다 이집트는13

처음에13 서방측에게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으나13 거부당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시도하였다 이집트가13 소련을13 선택한13 구체적인13 배경은13 무엇인

가 무엇보다도13 나세르는13 기본적으로13 반서방주의13 성향이13 강하였고13 당시의13 국

제정세로13 볼13 때13 이스라엘을13 지원하는13 영국과13 미국13 보다는13 소련에게13 무기를13

요청하는13 것이13 적합하다고13 판단하였다 년13 이집트는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1955

138 백태열

내세운13 소련과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26 이13 무기협정을13 통해13 사실상13 이집트

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어13 가는13 계기가13 되었고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주공급자가13 되었다 그러나13 이집트는13 소련과13 상호군사조

약을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나세르가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맹관계를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기13 때문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찰스13 크레멘

스 는13 (Charles Cremeans) ldquo군사공약이13 포함되지13 않는13 한13 이집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받을13 수13 있었고13 그리고13 필요하다면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는데13

발생할13 수13 있는13 위험을13 감수할13 준비가13 되었다고13 나세르는13 항상13 주장하였다rdquo고13 지적한다 나세르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공여13 받는13 것에13 부(1963 281)

담을13 느꼈던13 것은13 분명하다 그13 이유는13 자신이13 강력한13 비동맹노선을13 표방하

였고13 따라서13 소련과13 연계를13 통해13 의존의13 상황이13 형성되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기13

때문이었다 결국13 나세르는13 적어도13 집권초기에는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

맹관계13 혹은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려고13 하지13 않았다 그러나13 이스라엘의13 군

사적13 위협13 때문에13 이집트가13 무기를13 제공받기로13 한13 결정은13 불가피한13 선택이었

다 전후13 독립을13 획득한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신생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 3

의13 국방력은13 취약하였다 따라서13 이집트의13 대외적13 여건은13 군사대국인13 소련에

게13 자연스럽게13 군사적13 도움을13 요구하게13 되고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그러면13 소련의13 이집트의13 접근배경은13 무엇인가 무엇보다도13 모스크바는13 對

전후13 중동지역에서13 미국과의13 경쟁에서13 우위를13 선점하기13 위한13 목적을13 갖고13 있

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국과의13 냉전13 구도13 하에서13 중동에서의13 영향력

을13 확보하고13 상대적으로13 미국의13 접근을13 어렵게13 하기13 위해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

근을13 시도하였다 즉13 중동에서13 가능한13 많은13 우방국13 혹은13 동맹국을13 만드는13 작

업은13 미국과13 마찬가지로13 소련의13 대외정책의13 우선순위의13 하나였다 더13 나아가

서13 소련은13 이집트뿐만13 아니라13 중동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국가에13 대해13 접한13 관

계를13 구축하고자13 하였다 이러한13 주장은13 년대를13 거치면서13 소련이13 시리 1960

아 요르단13 등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고13 일련의13 군사협정을13 체결하였다는13 사실

에13 의해13 뒷받침13 된다 년13 월13 일13 소련13 외무성은13 1955 4 16 ldquo소련은13 근동13 및13 중

26 이13 협정을13 통해13 양국은13 억불의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45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9

동지역에서13 전개되는13 상황에13 무관심한13 채13 남아13 있을13 수13 없다 그13 이유는13 그13

지역에13 있는13 외국의13 군사기지시설과13 블록화13 현상은13 소련의13 안보에13 직접적인13

연관성이13 있기13 때문이다rdquo27는13 입장을13 표명하였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친 한13 관계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이해관계를13 둘러싸고13 더욱13

발전하게13 되었다 년13 월13 나세르는13 수에즈운하에13 대한13 국유화를13 선언하 1956 7

였고13 이러한13 결정에13 대해13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13 이집트를13 공격하였다 이

로13 인해13 제 차13 중동전쟁이13 발발하였다 운하를13 둘러싼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13 그2

리고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첨예하게13 얽혀있었다 제 차13 중동전쟁은13 이집트 2 -

소련의13 관계에서13 또13 다른13 분수령이13 되었다 년13 이집트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1960

완전한13 통제와13 관리를13 위해13 소련으로부터13 에스완13 댐13 건설비용13 억13 천13 달러3 5

를13 받기로13 결정하였다 그13 후13 이집트는13 다양한13 형태의13 지원을13 소련으로13 받기13

시작하였다 년13 월13 이집트를13 방문한13 후르시초프 서기장은13 1964 5 (Khrushchev)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억13 천 백만13 불을13 융자하겠다는13 발표를13 하였다2 7 7 28

이13 비용은13 이집트가13 년부터13 추진하는13 개년13 개발계획에13 사용될13 예정이1965 5

라고13 덧붙였다 이러한13 재정적13 지원을13 통해13 이집트는13 점진적으로13 의존하였고13

의존의13 내용은13 경제원조의13 영역으로13 확대되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년13 1966 5

월13 일13 소련13 수상13 알렉세이13 코시긴 은13 카이로에서13 가11 (Aleksei M Kosygin)

진13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미국의13 베트남13 공격을13 비난하면서13 ldquo양국의13 국민은13 평화 사회적13 전진 그리고13 사회주의를13 위한13 투쟁에서13 공동13 목적과13 이념으로13

함께13 협력13 한다rdquo고13 선언하였다29 양국의13 우호관계는13 점진적으로13 확대되었다

이집트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스라엘과의13 분쟁은13 여전히13 미해결된13 채13 남아13 있었

고13 소련으로부터13 추가적인13 군사지원은13 불가피하였다

년의13 차13 중동13 전쟁혹은13 일13 전쟁에서13 이집트는13 이스라엘에게13 참패1967 3 ( 6 )

한13 후13 시나이13 반도와13 가지지구13 등을13 빼앗기게13 되었다 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

로13 하여금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더욱13 필요하게13 되었고13 결과적으로13 군

27 Alvin Z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에서13 재인용

2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4 5 25 p 1

29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6 5 11 p 2

140 백태열

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월터13 라퀘르 는13 다음과13 같이13 설 (Walter Laqueur)

명13 한다(1972 62)

일13 전쟁은13 소련6 -이집트13 관계의13 이정표를13 기록하였다 그13 전쟁은13 분실되거

나13 혹은13 파괴된13 모든13 군사13 장비를13 빨리13 대체하기13 위한13 필요성13 때문에13 소련에13

대한13 이집트의13 종속을13 극적으로13 심화시켰고13 낫세르의13 요청에13 따라13 소련군hellip13 인이13 탑승한13 SAM- 과13 2 SAM- 로13 구성된13 거대한13 미사일13 방어체계가13 13 이집트3

에13 설치되었다 소련조종사들이13 이집트내의13 개의13 공군비행장에서13 전투임무 15

를13 갖고13 전투기를13 발진시켰다

이집트는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있어서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

기13 위하여13 소련의13 군사적13 지원을13 지속적으로13 받았다 특히13 년에13 발생한13 1967

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과정에서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위해13 간접적13 방식으로13 전6

쟁에13 개입하였다 소련의13 군사고문단이13 이집트에13 상주하면서13 막후에서13 이집

트에서13 전술적 전략적13 도움을13 제공하고13 협력했을13 가능성은13 상당히13 높다 30

년13 가을에13 발생한13 나세르의13 갑작스런13 죽음과13 함께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1970

사다트는13 나세르의13 이념적 정책적13 계승자였다 따라서13 그는13 적어도13 외형적

으로13 소련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고자13 하였다 그의13 선택은13 당연하였다 일13 6

전쟁은13 휴전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전쟁은13 언제든지13 다시13 발발할13 개연성이13 높았

고13 따라서13 군사력의13 보강은13 그의13 주된13 목표였다 그는13 년13 월13 모스크바 1971 3

를13 방문하여13 소련에13 대한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다 그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1971

년13 월13 일13 양국사이의13 우호조약으로13 발전되었다 이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자리7 28

에서13 사다트는13 ldquo우리국민은13 아랍-소련의13 우정을13 소중하게13 생각하며13 그리고13 진정으로13 아랍전체13 국가들은13 이13 우정을13 우리13 정책의13 가장13 중용한13 기초중의13

하나로13 간주13 한다rdquo 고13 역설하였다 31 양국은13 년의13 유효기간을13 설정하고13 우 15

30 년13 동안13 이집트의13 군복으로13 위장한13 소련군13 조종사들이13 이집트13 영공에서13 이스라1970

엘의13 공습에13 대항하여13 공중전투에13 참여하였다 이13 부분에13 대해서13 Craig A Daigle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을13 참 8(1) March p 3

31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1 5 28 p 2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1

호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에13 어떤13 의미를13 갖고13

있는가 이와13 관련하여13 두13 가지13 사항이13 언급될13 수13 있다 첫째 이집트는13 오래13 13

동안13 공식적인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것을13 주저하였다 그것은13 특정국가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이13 나세르와13 사다트의13 정치철학에13 위배된다고13 판단하였기13 때문

이다 그러나13 나세르의13 죽음과13 완결되지13 않은13 중동전쟁의13 상황을13 고려할13 때13

다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보다13 강화할13 필요성을13 느꼈기13 때문이다

둘째 이13 조약은13 사실상13 외형적으로13 상호13 협력13 및13 우호를13 강조하고13 있지만13

조약의13 세부적13 내용을13 면 히13 검토해13 보면13 사실상13 군사원조와13 무기지원을13 포

함한13 일방적13 방위조약의13 성격이13 강하다 따라서13 향후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방위공약의13 의무를13 갖게13 되고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은13 보다13 제도적13 성격

을13 갖게13 되었다

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상황(2) 對이집트1) -소련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우호13 조약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이집트가13 군사적으로13 소련에13 예속된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년13 월13 이집트와13 1955 9

체코의13 무기매매협정에서13 찾을13 수13 있다 이13 협정은13 사실상13 소련과13 이집트사

이에13 체결된13 것으로13 소련이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내세워13 체결하였다(Cremeans

이13 협정을13 통해13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무기를13 공여하기13 시작하였고13 1963 146)

이집트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는13 계기가13 되었다 년13 월13 일13 1971 5 27

이집트와13 소련의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the Egyptian-Soviet Treaty of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년13 양국의13 무기Friendship and Cooperation) 1955

협정이후13 체결되었다 이13 조약은13 전문을13 포함하여13 모두13 개13 조항으로13 구성 12

되었다 이13 조약의13 전문은13 ldquo소련과13 이집트는13 양국의13 발전을13 촉진하고13 모든13 부분에서의13 협력을13 확고하게13 강화할13 것을13 확신하며13 양국은13 평화로운13 외hellip13 교정책의13 변함없는13 진행에13 따라서13 보다13 강력한13 국제평화와13 안보를13 위한13 투쟁

을13 지속적으로13 수행13 할13 것을13 결의하며helliprdquo32로13 되어13 있다 이13 조약은13 년13 1955

년13 양국이13 맺은13 무기협정13 보다13 여러13 부분에서13 포괄적인13 교류와13 협력을13 강조

32 Julian J Landau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참조Communications p 165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7: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1

다음과13 같은13 가지이다4 (Singer 1972 274-309)5

bull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조약의13 체결

bull 군사기지13 및13 주둔군인13

bull 피종속국13 으로부터의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수입13

bull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인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이러한13 구성요소들은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에13 어떤13 영역에서13 어느13 정도13 군

사적으로13 종속되어13 있는가를13 측정할13 수13 있는13 지표가13 된다 이와13 관련하여13 제

기할13 수13 한13 가지13 주장은13 군사적13 종속은13 결국13 정도의13 문제이며13 따라서13 군사적13

종속타파13 역시13 정도의13 문제가13 될13 수밖에13 없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론적13 전개

를13 고려해13 볼13 때13 본13 연구에13 적절하게13 적용될13 수13 있는13 유용성이13 있다고13 판단

된다

마지막13 단계는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누구의13 주도로13 이루어13 졌는가에13 관한13

논의이다 즉13 종속타파가13 종속국의13 주도에13 이루어졌는가 혹은13 피종속국의13

주도에13 의해13 이루어졌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13 부분과13 관련하여13 싱거는13 구체적

인13 논의와13 설명을13 제공하지13 않고13 있다 종속타파의13 전체적인13 흐름을13 정확히13

평가하기13 위하여13 그와13 관련된13 별도의13 분석틀이13 필요하다고13 생각한다 그13 내

용은13 대략13 다음과13 같다 첫째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상황이다 이13 부분은13 어

떠한13 상황과13 여건13 하에서13 한13 국가가13 다른13 국가에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것을13 구성하는13 세부적13 상황은13 크게13 다음의13 종속대상국의13 (i)

국가안보의13 위기상황내란 외부의13 침략 전쟁 혹은13 기타13 안보상의13 위기( ) (ii)

피종속국의13 정치 외교 안보의13 이해와13 이익이13 추구 이13 경우13 다시13 해당국가와13 (

해당지역에13 대한13 이해관계로13 구분할13 수13 있다 둘째 종속타파가13 이루어지는13 )

상황과13 여건을13 상정할13 수13 있다 이13 경우13 크게13 두13 가지13 방식으로13 정리된다

ldquo자생적13 여건에13 의한13 종속타파rdquo와13 ldquo타생적13 여건에13 의한13 종속타파rdquo이며13 이를13

5 싱거는13 자신의13 저서에서13 지표13 혹은13 기준이라는13 표현보다13 연결고리 의13 표현을13 주ldquotie( )rdquo로13 사용하고13 있으나13 그의13 주장에13 나타난13 전체적인13 맥락에서13 볼13 때13 지표13 혹은13 기준의13

의미와13 유사하다

122 백태열

간단하게13 요약하면13 lt표13 1gt과13 같다

표13 종속타파의13 여건lt 1gt13

자생적13 종속타파종속국의주도( ) 타생적13 종속타파13 피종속국의13 주도( )

민족주의의13 증대주권13 및13 자주권의13 회복

피종속국의13 국내적13 변화

군사 안보13 여건의13 변화 피종속국의13 지역적 국제적13 변화

종속국의13 국내적13 변화 피종속국13 정부 지도자의13 선택과13 결정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종속국의13 의지와13 선택에13 의해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이루

어지는13 경우이다 그13 요인독립변수은13 외국주둔13 군대에13 대한13 종속국의13 강한13 ( )

거부감과13 저항감13 등이13 고조되거나13 혹은13 자주적 자립적13 국가방위에13 대한13 국

민의13 의지가13 증대되는13 요인이다 두13 번째13 요인은13 종속국의13 국내적13 여건의13 관

점에서13 볼13 때13 더13 이상13 특정13 국가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될13 수13 있는13 원인이13 소

멸된13 경우이다 따라서13 종속국은13 더13 이상의13 타국의13 국방력에13 의존하여13 자국

의13 국가방위를13 유지할13 필요가13 없다고13 판단한다 마지막13 요인은13 종속국의13 특

정한13 지도자가13 외부혹은13 타국에13 의존하는13 경우를13 더13 이상13 용납하지13 않고13 ( )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선택하고13 이를13 실행에13 옮기는13 경우이다

반면에13 타생적13 종속타파는13 종속타파의13 상황이13 피종속국의13 의지와13 주도로13

이루어지는13 경우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상황의13 반대의13 경우가13 고려될13 수13 있다

첫13 번째13 요인은13 피종속국의13 국내적13 여건이다 피종속국이13 종속국에게13 제공하

던13 군사적13 원조와13 지원을13 중단하는13 경우13 종속국과의13 관계는13 종료된다 두13 번

째13 요인은13 종속국가의13 국내적13 변화이다 피종속국은13 종속국에서13 발생한13 국내

적13 변화로13 인해13 군사적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불가능하다고13 판단하여13 양국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종료할13 수13 있다 마지막13 요인은13 피종속국의13 정부의13 판단과13 선

택이다 피종속국의13 지도자13 혹은13 정부는13 스스로의13 판단과13 선택에13 의해13 종속

국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정리하기를13 원했을13 때13 종속13 관계는13 종료된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3

접근13 및13 분석13 방법2

본13 연구의13 성격과13 주제에13 비추어13 볼13 때13 저자가13 사용하고자13 하는13 연구방법

은13 비교분석이다 구체적인13 내용은13 다음과13 같이13 요약된다 첫째 필리핀의13 對미13 군사적13 종속과13 이집트의13 소13 군사적13 종속의13 발생원인과13 상황을13 각각13 논對의한다 이를13 위해13 저자는13 군사적13 종속의13 발생원인을13 국내적13 여건과13 국제적13

여건으로13 나누어13 접근하기로13 한다 둘째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군사적으로13 어

떤13 분야에서13 구체적으로13 예속되었는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한다 이것을13 확인하기13

위한13 방법으로13 저자는13 네13 가지13 영역13 ldquo 군사원조의13 양과13 범위13 상호방(1) (2)

위조약의13 체결여부13 피종속국13 으로부터의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구매와13 수입13 (3)

그리고13 피종속국에서의13 군사훈련과13 교육(4) rdquo 등을13 중심으로13 종속의13 상황과13

실체를13 규명하고자13 한다 셋째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각각13 어떤13 상황에서13 그리

고13 어떤13 방식을13 통해서13 지배국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고13 타파했는가

에13 대한13 설명을13 시도한다 이러한13 작업을13 위해13 저자는13 양국에서13 나타난13 군사

적13 종속타파의13 움직임과13 활동에13 초점을13 맞추어13 접근하고자13 한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과13 전개에13 대한13 비교분석을13 하고

자13 한다 비교분석의13 대상은13 ldquo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의13 자생적13 종속과13 타생적13 종속에13 대한13 평가rdquo 등13 가지13 항목이며13 이러 4

한13 가지13 사항을13 중심으로13 논의한다 이러한13 논의를13 진행하는데13 있어서13 저자4

는13 필리핀의13 경우에는13 년13 이후부터13 년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영토에서13 1947 1991

떠날13 때까지의13 시기를13 다룬다 이집트의13 경우에는13 년13 나세르가13 등장한13 1952

이후부터13 년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군사적13 관계가13 사실상13 종료되었던13 시점까1976

지13 논의된다 그러나13 본13 논문과13 관련하여13 추가적13 논의가13 필요한13 경우에13 저자

는13 이러한13 시기를13 제외한13 시기에13 대해서도13 부분적으로13 논의할13 계획이다

124 백태열

필리핀과13 이집트 군사적13 종속상황과13 종속타파의13 전개III

이13 장에서는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상황에13 대한13 배경을13 먼저13 개

관하기로13 한다 우선13 저자는13 필리핀 -미국 이집트 -소련의13 일반적13 및13 군사적13

관계에13 초점을13 맞추기로13 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가13 검토된다

필리핀13 1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

필리핀은13 년13 동안의13 미국의13 식민지배에서13 벗어나13 년13 월13 일13 독립48 1946 7 4

을13 이루었다 그13 후에도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였고13 미국의13 정체

제도와13 특성을13 모방하였고13 양국의13 경제관계도13 활발하였다 전후13 그13 어느13 나

라보다도13 필리핀은13 미국적13 색체가13 강하였다 년13 월13 양국은13 군사기지협 1947 3

정 년13 월13 상호방위조약(Military Bases Agreement) 1951 8 (Mutual Security

을13 각각13 체결하였다Treaty) 6 이러한13 일련의13 조약체결로13 인해13 양국은13 군사적13

동맹관계를13 형성하게13 되었다 이러한13 배경은13 무엇인가 저자는13 미국과13 필리

핀의13 관점에서13 각각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미국의13 시각에서13 보면13 년13 종전 1945

과13 함께13 소련의13 팽창주의적13 공산화정책은13 전13 세계의13 도처에서13 발생하기13 시작

하였다 소련은13 그리스의13 내전에13 개입하였고13 중동의13 아제르바이젠에서13 친공

산정권의13 수립을13 지원하였다 특히13 년13 이후13 북한은13 소련의13 후원하에13 공 1946

산정권을13 수립하고13 있었다 이와13 같이13 년부터13 년대13 후반에13 이르는13 1945 1940

국제정세는13 냉전이13 서서히13 형성되고13 있었다 년13 월13 중화13 인민공화국 1949 10

(the Peoplersquo 의13 출범은13 미국으로13 하여금13 공산세력을13 견s Republic of China)

제하기13 위한13 필요성을13 절실히13 느꼈다 특히13 한국전쟁의13 발발로13 인해13 미국은13

6 그13 밖에도13 미국은13 일본 년 한국 년 그리고13 대만 년 과13 각각13 상호방(1951 ) (1953 ) (1954 )

위조약을13 체결하였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5

동북아뿐만13 아니라13 서남아의13 안보와13 안정의13 중요성을13 심각하게13 고려하기13 시

작하였다 그13 결과13 미국은13 아시아의13 안보역량을13 강화하고13 소련을13 중심으로13

한13 공산주의세력과13 대항할13 수13 있는13 안보체제를13 공고히13 하려는13 노력을13 가시화

하였다 그13 결과13 미국은13 년13 필리핀과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였다 미국 1951

의13 목적은13 전13 세계적으로13 확산되는13 공산주의세력의13 준동과13 움직임에13 적절하

게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아시아의13 안보이익과13 군사적13 영향력을13 구축하는13 것이었

다 냉전의13 상황에13 접어들면서13 미국은13 세력권의13 확대와13 군사적13 동맹군이13 절

실히13 필요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동안13 스페인의13 식민통치를13 받았고13 그13 후13 미국의13 식민13 지400

배를13 받았다 년13 독립을13 쟁취한13 이후13 필리핀은13 새로운13 시대를13 맞게13 되었 1947

다 전후13 필리핀대통령이었던13 마누엘13 로하스 는13 미국으로 (Manuel A Roxas)

부터13 경제원조와13 지원을13 받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제 차13 세계대전13 이후13 독립을13 2

쟁취한13 거의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필리핀은13 안보 경제3

교육 제도13 등13 여러13 부분이13 극도로13 열악한13 상황이었고13 따라서13 국가건설과정

에서13 강력한13 후원자가13 필요하였다 독립이후에도13 양국의13 관계는13 지배 -피지배

의13 종속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정착되기13 시작하였다 군사와13 안보13 부분에서의13 상

황은13 군사기지협정과13 군사원조협정으로13 확인된다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협

정을13 체결한13 배경은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요약된다 첫째 냉전의13 상황이다 1940

년대13 말13 이미13 전13 세계로13 확대된13 냉전의13 상황에서13 필리핀13 역시13 안보상의13 불안

감을13 가졌다 아시아에서의13 공산주의13 정권의13 등장과13 역내의13 불안정은13 필리핀13

지도자들로13 하여금13 미국과의13 동맹관계를13 형성할13 필요성을13 절감하였다 필리

핀은13 미국으로부터의13 군사원조를13 통해13 미약한13 국방력을13 회복하려고13 하였다

더13 나아가서13 년의13 한국전쟁과13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전쟁을13 지켜보면1950 1960

서13 필리핀13 지도자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유착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필리핀의13

안보와13 안정을13 위해서13 필요하다고13 판단하였다 둘째 필리핀의13 국내적13 여건

과13 상황이다 필리핀의13 독립과13 함께13 국내에서는13 후크 가13 조직되었다 (Huks)

이13 단체는13 사실상13 공산주의노선을13 지지하면서13 필리핀의13 팜파간 불라칸 탈

락13 등에서13 강력한13 영향력을13 가지고13 있는13 국민농민연맹(National Peasant

과13 깊게13 연결되어13 있었다Union) 7 독립13 이후13 이들의13 반란이13 일어나고13 로하스13

126 백태열

대통령은13 이를13 진압하기13 위해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적 기술적13 도움을13 받았다13

양승윤( 2003 69- 이13 반란은13 독립이후13 극심한13 분열과13 갈등을13 초래하였70)

고13 향후13 반정부집단의13 정치세력화를13 예고하고13 있었다 이러한13 점에서13 필리핀

정부는13 미국과13 군사동맹관계를13 통해서13 국내의13 소요와13 반란을13 효율적으로13 진

압할13 수13 있는13 안보체계를13 구축하는13 작업이13 필요하였다 간단히13 말하면13 냉전

의13 상황과13 국내의13 공산주의의13 준동에13 적절히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필리핀은13 미국

과의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유지해야13 하는13 절박한13 상황에13 직면하였다

년대에13 접어들면서13 막사이사이 가르시아1950 (Ramon Magsaysay) (Carlos

마카파갈 등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들은13 친미적13 Garcia) (Diodado Macapagal)

성향을13 가졌고13 이러한13 점은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이러

한13 배경에는13 여전히13 아시아에서13 냉전의13 열기가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국내의13 안보

상황도13 크게13 개선되지13 않았기13 때문으로13 풀이된다 마르코스가13 년에13 대통 1965

령에13 당선된13 이후13 미국-필리핀의13 관계는13 군사적 경제적으로13 안정된13 모습을13

보였고13 마르코스는13 집권초기에13 미국에13 대한13 일방적인13 대외관계를13 개선하기13

위하여13 다변화13 외교정책을13 추구하기도13 하였지만13 미국의13 대군사의존의13 상황

은13 크게13 변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마르코스는13 친미성향이13 강했고13 양국관계

를13 필리핀의13 외교의13 중심축으로13 삼았기13 때문이다 마르코스의13 친미적13 성향은13

필리핀의13 국내적13 상황과13 연결된다 필리핀에서13 발생한13 두13 가지13 상황을13 지적

할13 수13 있다 첫째 년에13 결성된13 신인민군대 1969 (New Peoplersquo 이다s Army)

이13 조직은13 공산주의의13 게릴라13 집단으로13 테러활동을13 통한13 사회주의의13 노선을13

확립하려는13 집단이며13 필리핀의13 마오주의13 공산당(the Maoist Communist

과13 정치적으로13 깊게13 연관되어13 있다Party) 8 둘째 년대에13 결성된13 모로13 회 1960

교해방전선 이다 이13 단계는13 사실상13 (the Moro Islamic Liberation Front) Kuk

조직의13 전신으로13 필리핀을13 회교사회로13 만들기13 위해13 투쟁하는13 집단이다 공교

롭게도13 이13 집단은13 모두13 마르코스13 대통령이13 재임하던13 시기인13 년대13 말에13 1960

결성되어13 테러13 활동을13 통한13 국내적13 상황을13 어렵게13 만들었다 마르코스의13 입

7 이13 부분에13 관해서는13 을13 참조httpwwwcomwfb2001philippines

8 이13 부분에13 관해서는13 를13 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7

장에서13 보면13 이러한13 국내적13 불안정과13 좌익13 활동은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시켰

고13 미국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불가피하였다 그13 결과13 필리핀은13 안

보분야에서13 자연스럽게13 미국에게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이들13 반13 정부단체의13

활동은13 마르코스가13 재임하고13 있는13 동안13 국내적으로13 커다란13 정치적 사회적13

도전이었고13 필리핀의13 국내안정과13 직결되어13 있었다 그러나13 필리핀의13 국내정

치적13 상황은13 년13 마르코스가13 재선되고13 계엄령을13 선포함으로써13 악화되기13 1972

시작하였다 마르코스대통령은13 국민들에13 대한13 탄압을13 강화하였다 필리핀13 국

내에서13 독재정권을13 무너뜨리고13 민주주의를13 운동을13 강화하려는13 노력은13 지속

되었지만13 미국과13 군사동맹관계를13 변화시키려는13 활동과13 노력은13 간헐적으로13

이루어졌다 마르코스13 대통령은13 미국과13 체결한13 일련의13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

조약을13 필리핀의13 대외관계의13 주축을13 이루었고13 따라서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

속상태는13 고착화되었다 간단하게13 요약하면13 필리핀이13 미국에13 군사적으로13 예

속된13 주된13 배경은13 국내안보상황의13 불확실성과13 공산주의의13 위협13 때문이었다

필리핀의13 대미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전개(2)

필리핀1) -미국의13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조약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확인할13 수13 있는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양국이13 체

결한13 일련의13 군사동맹조약이다 양국은13 년13 월에13 체결된13 군사기지협정 1947 3

과13 군사원조협정(Military Bases Agreement) (The RP-US Military Assistance

그리고13 년13 월의13 상호방위조약 을13 Agreement) 1951 8 (Mutual Defense Treaty)

각각13 체결하였다 먼저13 저자는13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체결한13 군사기지협 1947 3 14

정의13 내용을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이13 협정은13 미국이13 필리핀에13 군사기지의13 설

치 운영13 등에13 관한13 권리를13 확보할13 수13 있도록13 하였다 미국은13 클라크13 공군기

지와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및13 기타시설13 등을13 포함한13 개의13 군사시설을13 년13 동23 99

안13 무상으로13 사용할13 수13 있도록13 하였다 사실상13 미국정부는13 필리핀내의13 군사

시설에13 대한13 완전한13 통제권을13 갖게13 되었다 이13 협정은13 필리핀이13 군사안보13 부

분에서13 미국에게13 의존하게13 만든13 법적13 기초였다 필리핀의13 미13 군사적13 의존 對

을13 확인할13 수13 있는13 또13 다른13 협정은13 군사원조협정이다 이13 협정은13 군사기지협

정이13 체결된13 직후13 년13 월13 일에13 체결된13 부속협정 이1947 3 21 (Sister agreement)

128 백태열

다9 이13 협정의13 전문은13 ldquo독립13 이후13 필리핀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 그리고13 군장

비의13 구입13 등에13 대한13 필리핀13 정부의13 여망을13 고려하여13 미국13 대통령은13 공동방

위의13 문제에서13 양국의13 상호13 이익의13 관점에서13 국가안보를13 유지하기13 위하여13 필

리핀13 정부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는13 것을13 허락한다helliprdquo10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협정은13 모두13 개의13 세부적인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으며13 거의13 대부분23

의13 조항은13 필리핀에13 대한13 미국의13 군사원조에13 국한되어13 있다 보다13 상세한13 내

용을13 파악하기13 위해13 저자는13 몇몇13 조항을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동13 협정의13 제 1

조는13 ldquo상호협정에13 따라서13 미국정부는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을13 위해13 필리핀정부에게13 군사원조를13 제공할13 것13 이다helliprdquo11고13 명시되어13 있다 또13 다른13 조항은13 군

사고문단 의13 기능과13 역할에13 관한13 것이다 동13 협정(Military Advisory Group)

의13 조는13 8 ldquo군사고문단의13 기능은13 국가안보와13 관련된13 목적을13 수행하는데13 필요한13 것으로13 필리핀에13 조언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다helliprdquo12고13 적고13 있다 이러한13

점은13 필리핀이13 안보정책을13 수립하거나13 군사적13 역할을13 하는데13 있어서13 독자성

이13 크게13 훼손될13 수13 있다 일반적으로13 강대국과13 약소국의13 상호방위조약은13 약

소국의13 독립적이고13 자주적인13 대외군사정책을13 추구하는데13 있어13 제약이13 많고13

군사적13 자주권을13 종종13 훼손시킨다 따라서13 필리핀과13 미국과의13 군사원조협정

도13 같은13 맥락에서13 볼13 수13 있다 또한13 동13 협정의13 조는13 일반적인13 군사원조의13 6

내용을13 담고13 있다 이13 조항에13 따르면13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군대에게13 무기 탄

약 군사장비 전투기와13 전함13 등을13 제공하게13 된다고13 명시하고13 있다 협정의13

조는13 군사훈련지원 에13 관한13 것이다 필리핀에13 대한13 군21 (Training assistance)

사원조의13 일부로서13 선발된13 필리핀13 학생들을13 미국에13 보내13 육군 해군 그리고13

공군13 부대에서13 기술13 및13 군사훈련을13 받도록13 하는13 내용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과13 미국은13 년13 월13 일13 상호방위조약1951 8 13 (Mutual Security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전문과13 개의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Treaty) 13

9 이13 협정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 저자는13 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인쇄본을13 입수하지13 못하여13 대신에13 인터넷13 사이트의13 정보를13 인용함

10 상게서

11 상게서

12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9

이13 조약에서13 양국은13 ldquo외부의13 군사적13 전략에13 대해13 공동으로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양국의13 단결과13 공동의13 결의를13 공개적으로13 그리고13 공식적으로13 선언하면서rdquo13

개13 조항에13 합의하였다 이13 조약의13 13 조는13 외부의13 군사적13 침략에13 대해13 공동13 3

으로13 방어하기13 위한13 대응태세를13 강조하고13 있으며13 조는13 당사국중의13 한13 국가4

가13 외부의13 공격을13 받을13 경우13 이를13 자국에13 대한13 공격으로13 간주한다고13 규정함

으로써13 공동방위를13 구축하고13 있다

양국이13 체결한13 개의13 군사13 및13 방위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볼13 때13 현실적으로13 3

필리핀의13 국가안보를13 강화하고13 양국이13 공동의13 외부적13 위협에13 대응하도록13 구

성되어13 있다 그러나13 이13 조약들은13 양국의13 평등성에13 기초하고13 있기13 보다는13 필

리핀이13 일방적으로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받도록13 되어13 있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군군대의13 주둔2)

싱거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외국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시설이다 년13 양국의13 협정에13 따라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군대를13 주둔시키 1947

고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필리핀에는13 미국의13 군사방위공약을13 실천하기13

위하여13 년부터13 미군이13 주군하고13 대규모의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대1947

표적인13 군사시설은13 클라크13 공군기지(Clark Air Base in Pampanga and

수빅만13 해군기지 죤13 Tarlac) (Subic Naval Base in Bataan and Zambales)

헤이13 공군13 이착륙장 월레스13 공군13 이(John Hay Air Station in Baguio City)

착륙장 그리고13 산13 미구엘13 통신소(Wallace Air Station in La Union) (San

등이다Miguel Station in Zambales) 14 그13 외에도13 소규모의13 미국군사기지13

및13 시설은13 대략13 개이다 클라크13 공군기지는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규모15

이며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역시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해군기지이다 이러한13

미군기지와13 시설에13 주둔하고13 미국병사는13 년13 기준으로13 대략13 육군은13 1979 28

명 공군은13 명 해군은13 그리고13 해병대13 명이13 각각13 필리핀에13 주 8005 4594 786

13 이13 조약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14 이와13 관련하여13 상세한13 내용은13 다음의13 자료를13 참조바람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130 백태열

둔하였고13 전체13 미군의13 수는13 명이다13413 15 이와13 관련된13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13 기준을13 기준으로13 필리핀의13 모든13 미군기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병력은13 1988

명이다17870 16 년13 당시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의13 수는13 명의13 군인과13 1991 15000

명의13 군무원이13 주둔하고13 있었다1000

이러한13 군사기지의13 설치는13 앞서13 설명된13 양국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방위조약

에13 따른13 부수적13 결과일13 뿐이다 외군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기지의13 허용은13 종속

국의13 국방력이13 취약하다는13 반증이다 종속국은13 외국군대의13 도움이13 없이는13 자

국의13 안보상황을13 개선할13 수13 없다는13 것을13 의미하며13 이는13 군사적13 예속의13 또13 다

른13 측면이다 외국군대의13 기지와13 주둔군은13 해당국민과13 가장13 직접적인13 마찰과13

갈등을13 빚는13 부분이고13 법적 사회적 문제를13 가장13 많이13 야기시켰다

미국의13 필리핀13 무기13 공여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검증하기13 위하여13 사용되는13 또13 다른13 증거는13 군사장

비13 및13 무기의13 공여이다 피종속국은13 현실적으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자체적으

로13 개발하는데13 필요한13 기술력과13 경제력을13 결여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타국으로부

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유상으로13 혹은13 무상으로13 공여13 받는다 특히13 이러한13 무

기의13 지원으로13 인해13 보다13 심각한13 상황은13 특정한13 국가로부터13 무기지원을13 받는

다는13 점에서13 의존적13 성격을13 갖고13 있다는13 점이다 따라서13 피종속국이13 종속국

에게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하거나13 수출하지13 않을13 경우13 종속국의13 국가안보

는13 어려움을13 겪거나13 혹은13 심각한13 위험에13 직면할13 수도13 있다 필리핀의13 경우13

년대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의13 대부분을13 공여13 받았다1950 17 이

와13 관련하여13 몇13 가지13 사례를13 들어13 보기로13 한다 필리핀은13 년대13 초부터13 1950

년까지13 미국으로부터13 다양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13 받거나13 혹은13 구매1973

하였다 군사용13 비행기예를13 들면 ( Lockheed T-33 Gruman HU-16A

군사용13 선박예를13 들면 그Albatross) ( patrol boat Infantry landing craft)

리고13 장갑차 예를13 들면( M- 등이다4 Sherman) 18

15 United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p 145

16 이와13 관련된13 자료는13 김경숙13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13 참1988 10 p 76 「 」 985172 985173조

17 년대13 초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제외한13 일본 독일 호주 이탈1950 1970

리아13 등으로부터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미국의13 비중이13 압도적으로13 많았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1

필리핀13 군인의13 미국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13 4)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종속국가의13 군인13 혹은13 영관급13 장교들이13 피

종속국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러한13 지표는13 종속국의13 군인

들의13 질적13 취약성에13 기초한다 종속국의13 군인들은13 안보와13 전쟁에13 필요한13 현

대식의13 훈련과13 전투능력을13 배양하지13 못했기13 때문에13 국가안보의13 문제와13 위기

가13 발생했을13 때13 적절하게13 대처할13 수13 있는13 있는13 군사적13 능력을13 갖추고13 있지13

못하다 이러한13 측면은13 종속국의13 군사력13 하락으로13 연결된다 필리핀군인들은13

의13 프로그램의13 후원13 IMET(International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하에13 미국본토13 혹은13 미국본토이외의13 군사훈련소에서13 군사훈련13 혹은13 교육을13

받았다 자료에13 따르면13 필리핀13 군인들은13 년부터13 년까지13 명이13 1950 1968 12217

훈련을13 받았다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부터13 년13 초까(Singer 1972 301) 1950 1980

지13 대략13 의13 필리핀13 군인들이13 미국의13 재정적13 지원13 하에13 미국의13 군사학17000

교와13 훈련소에13 훈련을13 받았음을13 보여준다19

간단히13 정리하면13 앞서13 제시된13 가지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살펴13 본13 결과13 4

필리핀은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되어13 있음을13 보여준다

필리핀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13 (3)

필리핀의13 정부지도자와13 국민들이13 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상태를13 타파해야13

한다는13 목소리를13 강화한13 것은13 마르코스13 대통령의13 독재정치가13 절정에13 달했을13

때였다 그의13 탄압과13 독재정치에13 대해13 많은13 필리핀국민들이13 저항하였고13 반마

르코스의13 열기가13 확대되었다 년에13 일어난13 필리핀의13 민중의13 혁명 1986

(Peoplersquo 은13 마르코스를13 권좌에13 내쫒았다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의존s Power)

의13 타파는13 사실상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와13 궤를13 같이13 한다 마르코스에13 대한13

비판은13 민주주의를13 강하게13 염원하게13 되었고13 동시에13 그의13 정권하에서13 오래13 동

안13 유지되었던13 필리핀-미국의13 동맹관계의13 실체를13 재평가하려는13 움직임으로13

빠르게13 전환되었다 년13 월13 코라손13 아퀴노 가13 대통령 1986 2 (Corazon Aquino)

18 이와13 관련하여13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참조Stockholm 1975 Sweden SIPRI pp 17-19

19 를13 참조httpIcweb2locgovcgi-binquery

132 백태열

에13 취임하면서13 필리핀에서는13 본격적으로13 미군의13 철수문제가13 공론화되기13 시

작하였다 필리핀국민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동맹체제로부터13 발생하는13 다양한13 불

이익과13 불편을13 종식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개시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추진력 은13 무엇인가 대략13 두13 가지13 요인(Driving force)

으로13 설명된다 첫13 번째는13 민족주의이다 민족주의는13 식민지13 상태에서13 해방

과13 독립을13 쟁취하기13 위한13 이데올로기로서13 작동하였고13 독립이후13 민족주의는13

외세의13 지배와13 간섭을13 배격하기13 위한13 무기로서13 전환된다 필리핀은13 스페인과13

미국의13 식민지를13 경험하면서13 강한13 민족주의를13 발전시켰다 살바도르13 마르티

네그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13 역사는13 세(Salvador Martineg) 16

기13 초에13 시작되어13 년대13 이래13 유지되었고13 년대에는13 클라로13 렉토13 등1950 1960

에13 의해13 활성화되었다20 결국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는13 반미주의와13 강하게13 연결

되어13 있으며13 이는13 미국의13 간섭과13 영향력을13 배제하고13 자국의13 자존심을13 회복하

려는13 노력으로13 승화되었다 동시에13 민족주의의13 열기는13 필리핀국민들에게13 미

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에서13 기인하는13 지배국의13 독선과13 횡포 그리고13 내정간섭에13

대한13 저항을13 강하게13 표출할13 수13 있는13 통로를13 제공하였다 두13 번째는13 주권과13

자주권의13 회복이다 주권과13 자주권은13 민족주의와13 깊은13 연관성을13 갖고13 있다

전후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유지하는데13 있어서13 국민적13 자존

심과13 주권이13 손상되었다는13 인식을13 강하게13 갖고13 있다 에드13 가르시아 (Ed

와13 프란시스코13 네멘쯔 는13 다음과13 같이13 지적한다13 Garcia) (Francisco Nemenz)

(Garcia and Nemenz 1987 4)

독립은13 단지13 자기13 확신의13 문제가13 아니다 국가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이13 아 hellip13 니라13 자주적13 행위자로서13 인식되어야13 한다 모든13 국제회의에서13 우리의13 독립을13

확인하기13 위하여13 용기를13 갖고13 노력하여13 왔다 그러나13 우리가13 실제적인13 독립을13

갖고13 있었을13 때조차도13 우리가13 제안을13 발의해도13 제 세계의13 대표들은13 그13 뒤에는13 3

미국이13 있다는13 점을13 의심하여13 왔다 이러한13 의미에서13 필리핀은13 자국의13 땅위에

서13 거대한13 군사기지를13 유지하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으로13 보여진다

20 이러한13 주장에13 대해서는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사Salvador Martineg 1983 「 」 985172상 월 을13 참조함5 pp 45-48 98517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3

그들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체계가13 필리핀의13 대

외정책에도13 부정적13 영향을13 미쳤음을13 암시하고13 있다 국제무대에서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의식하거나13 혹은13 미국의13 정책과13 보조를13 맞출13 수밖에13 없는13 상황을13 초

래했다고13 보고13 있다 이러한13 관점에13 대해13 일부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자국의13 주권

이나13 자주권이13 어느13 정도13 훼손되었다는13 생각을13 갖고13 있는13 것으로13 보인다 동

시에13 미군철수를13 둘러싼13 필리핀13 국민의13 반감은13 미국의13 마르코스13 체제에13 대한13

옹호에서13 기인하였다는13 점도13 지적될13 수13 있다 그들은13 마르코스13 집권이후13 필

리핀의13 인권상황이13 악화되고13 독재정치가13 유지되고13 있음에13 불구하고13 미국이13

이를13 개선하기13 위한13 적절한13 역할을13 하지13 못한13 것에13 대해13 깊은13 불신과13 반감을13

갖고13 있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13 국민들이13 미군철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를13 요구

하는13 보다13 현실적인13 이유들이13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필리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으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각종13 사회적13 문제와13

갈등이다 미군이13 주둔하고13 있는13 기지주변에서13 발생되는13 각종13 범죄 현지인

과13 미군사이의13 마찰13 등은13 외국군대를13 수용하고13 있는13 필리핀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군기지에13 대한13 반감과13 저항을13 일으킬13 수13 있다 둘째 필리핀13 국내에13 설치된13

핵무기이다 년대13 초에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핵무기가13 설치한13 것으로13 알려져13 1970

있으며13 년까지13 핵무기의13 수는13 대략13 정도에13 달하였다 년을13 기준1973 260 1985

으로13 미국은13 필리핀에13 개의13 핵무기를13 설치하였으며13 그중13 개는13 반잠수227 32

함13 핵폭탄이며13 개는13 해군용13 핵무기 그리고13 그밖에13 개의13 핵폭탄이13 있80 115

는13 것으로13 알려졌다21 핵무기의13 설치와13 사용의13 목적은13 아시아13 지역의13 군사

적13 충돌이나13 전쟁이13 발발할13 경우13 사용되기13 위함이며13 어떤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

는13 필리핀의13 안보를13 위한13 것이라기보다는13 미국의13 군사적13 목적을13 위해13 설치된13

것이다 미국이13 아시아에서13 전쟁을13 수행할13 경우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핵위협에13

노출되어13 있고13 이로13 인해13 여러13 가지13 피해가13 발생할13 수13 있다고13 보고13 핵무기의13

설치와13 시설에13 민감하지13 않을13 수밖에13 없다 이러한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일차적으

로13 공격의13 목표가13 되었던13 것은13 미군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이다

21 Ronald G Simbulan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1989 Manila Philippines

와13 을13 참고 이13 책에는13 필리핀의13 미국핵무기와13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p 78

관련된13 정보와13 내용이13 상세하게13 기록되어13 있음

134 백태열

그러면13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종료시키기13 위한13 구체적인13

움직임 조치 및13 정책은13 무엇인가 마르코스가13 축출당한13 이후인13 년13 월 1986 2

부터13 년대13 초까지13 필리핀의13 국내13 상황은13 급박하게13 돌아가고13 있었다 이1990

와13 관련하여13 가장13 주목을13 끄는13 점은13 년13 월13 일13 필리핀13 상원을13 통과한13 1988 6 6

ldquo반핵병기13 법rdquo이다 이13 법안은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기지와13 군사시설 그리고13 양

국동맹관계의13 근간을13 흔들13 수13 있을13 만큼13 강력한13 내용을13 담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이13 법안의13 조는13 금지행위에13 관한13 것으로13 5 ldquo어떤13 사람도13 운송이나13 하역을13 불문하고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과13 그13 구성부분을13 필리핀13 영역내로13 가지고13

들어오거나13 또는13 소유 보유할13 수13 없다 필리핀13 군사기지13 내13 미합중국의13 기존13

군사13 설비를13 포함하여13 필리핀영역의13 상13 하 상공13 어느13 곳에서도13 본13 제 조13 4 1

항에13 해당하는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 구성부분13 및13 핵병기관련설비의13 개발 제

조 입수 실험 이용 도입 비축 보관을13 금지하며 helliprdquo22라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조항과13 함께13 다른13 조항13 역시13 필리핀에서의13 일체의13 핵무기13 개발 설치 비

축 보관 하역13 등을13 금지시키고13 있다 이13 법안의13 통과는13 필리핀 -미국의13 군사

동맹관계의13 분수령이13 된다 역시13 가장13 커다란13 시사점은13 미국은13 필리핀의13 영

토13 안에13 핵무기와13 관련된13 일체의13 접근이13 불허된다는13 점이며13 동시에13 필리핀의13

모든13 군사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가13 불가피하게13 되었다는13 점이다

년13 월13 미국과의13 군사기지협정을13 년13 연장하기13 위한13 법안이13 상원에13 1991 9 10

게류13 되었을13 때13 필리핀13 국내정세는13 극도로13 혼란스러웠다 이13 혼란의13 중심은13

미군13 기지를13 그대로13 유지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과13 법안을13 거부함으로써13 미군13 기

지를13 폐쇄해야13 한다는13 입장으로13 크게13 나뉘어져13 있었다 이13 협정의13 연장을13 찬

성하는13 집단의13 중심에는13 아키노13 대통령이13 있었다 아키노13 대통령은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쇄될13 경우13 양국관계의13 약화 경제13 투자의13 감소 그리고13 불안정

한13 국내13 상황13 등을13 크게13 우려하였다 무엇보다도13 필리핀13 정부는13 양국이13 오랫

동안13 여러13 부분에서13 구축된13 양국의13 군사적 외교적13 우호관계가13 크게13 악화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우려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13 상원은13 미국과13 협정을13 반대하는

데13 선두집단중의13 하나였다 상원의원들의13 상당수는13 민족주의13 정신이13 강한13 정

22 본13 법안의13 내용에13 관해서는13 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를13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5

치인들이었고13 미군은13 필리핀13 땅에서13 떠나가야13 한다고13 믿었다 미군기지13 임대

의13 연장13 법안의13 반대에13 대한13 보다13 구체적인13 이유는13 무엇인가 가장13 커다란13

이유는13 무엇보다도13 필리핀의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복원이었다 당시13 필리핀13

상원의원인13 아가피토13 아키노 는13 (Agapito Aquino) ldquo이13 투표는13 진정으로13 주권을13 갖고13 독립적인13 필리핀13 국민을13 위한13 것이며13 이13 투표는13 미국의13 조종끈에13 매

어진13 정치적13 청년기13 즉13 극심한13 종속을13 종식하기13 위한13 것이다rdquo23라고13 상원에

서13 역설하였다 종속타파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종속타파의13 견인적인13 메커니즘은13

이론적13 검토에서13 제시된13 것처럼13 역시13 주권의13 회복과13 민족적13 자존심의13 회복이

다 필리핀13 정치인들의13 판단과13 요구가13 대다수13 모든13 필리핀13 국민들의13 견해와13

동일하다고13 볼13 수13 없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협정13 그리고13 상

호방위조약에서13 기인하는13 다양한13 폐해를13 인식하고13 있으며13 미군은13 철수되어

야13 한다는13 공감대를13 발전시켜13 왔다는13 점은13 부인할13 수13 없다 또13 다른13 견해는13

필리핀13 정치권에서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기지사용료가13 너무13 적다는13 이유도13 제시

되고13 있다24 필리핀13 상원의13 강력한13 반대13 움직임13 속에13 아키노13 대통령은13 이13

법안을13 국민투표에13 회부하는13 방안을13 추진하였지만13 무산되고13 결국은13 미군기

지협정의13 연장법안은13 년13 월13 일13 상원에서13 대13 로13 부결되었다1991 9 16 12 11

필리핀13 상원의13 이러한13 결정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년13 미국과13 맺은13 군 1947

사기지협정은13 자동적으로13 무효화되었으며13 필리핀에서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

쇄되고13 미군이13 더13 이상13 주둔하지13 않게13 되었다 미군은13 년13 말13 이전에13 필 1992

리핀의13 영토를13 떠나도록13 권고13 받았다 이러한13 점은13 상징적인13 측면이13 강하지

만13 필리핀은1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고13 볼13 수13 있다

미국의13 반응과13 입장13 (4)

필리핀에서의13 극적인13 변화에13 대해13 미국은13 어떤13 반응을13 보였으며13 기본13 입

장은13 무엇인가 미국은13 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13 이후13 필리핀의13 민주화13 운동과13

23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아키노13 상원의원은13 미군기지문제와13 관 1991 9 16 A1

련하여13 형수이자13 대통령이었던13 코라손13 아퀴노와13 극심한13 마찰과13 갈등을13 겪었다

24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벌인13 협상에서13 미국은13 필리핀에 1991 9 11 A3

게13 수빅만13 해군기지를13 사용하는13 대가로13 일년에13 억불을13 제공하기로13 합의하였다203

136 백태열

새로운13 정권의13 창출을13 고무적으로13 평가하였다 그러나13 동시에13 워싱턴은13 그곳

에서13 미군의13 기지와13 군대의13 철수문제 그리고13 지속적인13 반미운동의13 고조13 등

에13 대해13 깊은13 우려감을13 가졌다 특히13 군사기지협정의13 연장을13 앞13 둔13 시점에서13

미국정부의13 불안감은13 증대되었다 국무장관13 조지13 슐츠 는13 미 (George Shultz)

국은13 필리핀13 관리들과13 정치인들이13 기지연장을13 승인하지13 않을13 경우13 다른13 장소

를13 물색해야13 할지13 모른다는13 입장을13 밝혔다25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국내에서13

벌어지는13 반미운동이13 궁극적으로13 미군기지의13 철폐로13 연결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크게13 우려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필리핀13 상원의13 표결이13 있기13 전에13 미국정부는13

부결가능성을13 기대하고13 있었고13 이를13 위해13 직간접적으로13 필리핀정부에13 회유

와13 압력을13 가하였다

필리핀에서의13 결정은13 미국정부를13 크게13 실망시켰지만13 기지연장을13 둘러싼13

필리핀의13 정책결정과정에13 대해13 특별한13 영향력을13 행사할13 수13 없었다 미국은13

필리핀이13 기지연장13 협정을13 원하지13 않는다면13 이를13 수용하지13 않을13 수13 없다 미

국의13 기본13 입장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연장협정을13 지속하는13 것이었다 그13 이유는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와13 미군의13 주둔은13 년이13 넘은13 동안13 아시아에서13 방어적13 40

역할을13 충실히13 하였기13 때문이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결정은13 대

략13 가지13 파급효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다고13 보았다 첫째 년대13 말에13 냉전이13 2 1980

서서히13 종식되고13 있었지만13 미국은13 아시아에서의13 군사적13 임무와13 역할이13 여전

히13 필요하였다 따라서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의13 철수는13 안보적13 공백이13 발생할13

수13 있으며13 이로13 인한13 군사적13 전략변화가13 요구되고13 있기13 때문이다 둘째는13 간

접적13 파급효과이다 필리핀의13 미군기지13 철수가13 다른13 주둔지역13 특히13 한국과13

일본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기지의13 철수로13 연결될13 수13 있는13 파급효과를13 우려하

였다 반면에13 다른13 측면에서13 보면13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다소13 위안을13 찾을13

수13 있는13 부분도13 있다 필리핀은13 결코13 미국과의13 상호방위조약13 자체를13 폐기한13

것이13 아니기13 때문에13 향후13 양국의13 군사적13 동맹관계는13 유지될13 수13 있으며13 미국

의13 군사적13 영향력도13 어느13 정도13 유효할13 것이라는13 기대감을13 가졌다

25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88 6 17 p 7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7

이집트2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3 (1)

년13 영국의13 식민지에서13 벗어난13 이집트는13 국내외적으로13 커다란13 도전에13 1952

직면하였다 국내적으로13 정치세력간의13 권력투쟁으로13 불안한13 정국이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그13 과정에서13 군사13 쿠데타를13 통해13 실질적인13 권력을13 장악한13 나세르는13

아랍사회주의를13 표방하면서13 국정을13 운영하기13 시작하였다 대외적으로13 국제사

회에는13 이미13 냉전의13 열기가13 정점에13 올랐고13 그13 여파는13 중동에도13 도달하였다

이집트를13 둘러싼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복잡하게13 얽혀가고13 있었다 이와13 관련

하여13 주목할13 부분은13 미국과13 소련은13 중동지역에서13 패권경쟁을13 격화하고13 있었

다는13 점이다 소련은13 미국을13 견제하기13 위하여13 에13 버금가는13 지역안보 NATO

체제를13 구축하려고13 하였고13 이는13 바그다드13 조약 으로13 실현되고13 (Baghdad Pact)

있었다 미국은13 이집트를13 지역안보체제에13 끌어13 들이려는13 계획을13 갖고13 이집트

에13 접근하였다 마찬가지로13 소련은13 이집트와13 접한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중동지역에서의13 교두보를13 확보할13 수13 있다고13 판단하였다 미국과13 소련은13 이집

트가13 아프리카와13 중동을13 연결하는13 지역에13 위치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전략적13 가치

를13 중시하였고13 아랍세계의13 위상13 때문에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근을13 추구하는13 것이13

중요한13 목표중의13 하나였다

나세르가13 집권13 이후13 이집트가13 당면한13 최대13 현안은13 이스라엘과13 갈등과13 분

쟁이었다 년13 월13 이스라엘군대가13 이집트13 통제지역인13 가자해협의13 군사 1955 2

시설을13 공격하면서13 명이13 사망하는13 사건이13 일어났다 이스라엘의13 공격으로13 38

인해13 양국은13 본격적인13 대립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이집트는13 이러한13 상황에13 대처

하기13 위해13 자국의13 군사력의13 증강이13 무엇보다도13 절실한13 과제였다 이집트는13

처음에13 서방측에게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으나13 거부당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시도하였다 이집트가13 소련을13 선택한13 구체적인13 배경은13 무엇인

가 무엇보다도13 나세르는13 기본적으로13 반서방주의13 성향이13 강하였고13 당시의13 국

제정세로13 볼13 때13 이스라엘을13 지원하는13 영국과13 미국13 보다는13 소련에게13 무기를13

요청하는13 것이13 적합하다고13 판단하였다 년13 이집트는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1955

138 백태열

내세운13 소련과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26 이13 무기협정을13 통해13 사실상13 이집트

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어13 가는13 계기가13 되었고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주공급자가13 되었다 그러나13 이집트는13 소련과13 상호군사조

약을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나세르가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맹관계를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기13 때문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찰스13 크레멘

스 는13 (Charles Cremeans) ldquo군사공약이13 포함되지13 않는13 한13 이집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받을13 수13 있었고13 그리고13 필요하다면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는데13

발생할13 수13 있는13 위험을13 감수할13 준비가13 되었다고13 나세르는13 항상13 주장하였다rdquo고13 지적한다 나세르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공여13 받는13 것에13 부(1963 281)

담을13 느꼈던13 것은13 분명하다 그13 이유는13 자신이13 강력한13 비동맹노선을13 표방하

였고13 따라서13 소련과13 연계를13 통해13 의존의13 상황이13 형성되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기13

때문이었다 결국13 나세르는13 적어도13 집권초기에는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

맹관계13 혹은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려고13 하지13 않았다 그러나13 이스라엘의13 군

사적13 위협13 때문에13 이집트가13 무기를13 제공받기로13 한13 결정은13 불가피한13 선택이었

다 전후13 독립을13 획득한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신생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 3

의13 국방력은13 취약하였다 따라서13 이집트의13 대외적13 여건은13 군사대국인13 소련에

게13 자연스럽게13 군사적13 도움을13 요구하게13 되고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그러면13 소련의13 이집트의13 접근배경은13 무엇인가 무엇보다도13 모스크바는13 對

전후13 중동지역에서13 미국과의13 경쟁에서13 우위를13 선점하기13 위한13 목적을13 갖고13 있

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국과의13 냉전13 구도13 하에서13 중동에서의13 영향력

을13 확보하고13 상대적으로13 미국의13 접근을13 어렵게13 하기13 위해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

근을13 시도하였다 즉13 중동에서13 가능한13 많은13 우방국13 혹은13 동맹국을13 만드는13 작

업은13 미국과13 마찬가지로13 소련의13 대외정책의13 우선순위의13 하나였다 더13 나아가

서13 소련은13 이집트뿐만13 아니라13 중동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국가에13 대해13 접한13 관

계를13 구축하고자13 하였다 이러한13 주장은13 년대를13 거치면서13 소련이13 시리 1960

아 요르단13 등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고13 일련의13 군사협정을13 체결하였다는13 사실

에13 의해13 뒷받침13 된다 년13 월13 일13 소련13 외무성은13 1955 4 16 ldquo소련은13 근동13 및13 중

26 이13 협정을13 통해13 양국은13 억불의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45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9

동지역에서13 전개되는13 상황에13 무관심한13 채13 남아13 있을13 수13 없다 그13 이유는13 그13

지역에13 있는13 외국의13 군사기지시설과13 블록화13 현상은13 소련의13 안보에13 직접적인13

연관성이13 있기13 때문이다rdquo27는13 입장을13 표명하였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친 한13 관계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이해관계를13 둘러싸고13 더욱13

발전하게13 되었다 년13 월13 나세르는13 수에즈운하에13 대한13 국유화를13 선언하 1956 7

였고13 이러한13 결정에13 대해13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13 이집트를13 공격하였다 이

로13 인해13 제 차13 중동전쟁이13 발발하였다 운하를13 둘러싼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13 그2

리고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첨예하게13 얽혀있었다 제 차13 중동전쟁은13 이집트 2 -

소련의13 관계에서13 또13 다른13 분수령이13 되었다 년13 이집트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1960

완전한13 통제와13 관리를13 위해13 소련으로부터13 에스완13 댐13 건설비용13 억13 천13 달러3 5

를13 받기로13 결정하였다 그13 후13 이집트는13 다양한13 형태의13 지원을13 소련으로13 받기13

시작하였다 년13 월13 이집트를13 방문한13 후르시초프 서기장은13 1964 5 (Khrushchev)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억13 천 백만13 불을13 융자하겠다는13 발표를13 하였다2 7 7 28

이13 비용은13 이집트가13 년부터13 추진하는13 개년13 개발계획에13 사용될13 예정이1965 5

라고13 덧붙였다 이러한13 재정적13 지원을13 통해13 이집트는13 점진적으로13 의존하였고13

의존의13 내용은13 경제원조의13 영역으로13 확대되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년13 1966 5

월13 일13 소련13 수상13 알렉세이13 코시긴 은13 카이로에서13 가11 (Aleksei M Kosygin)

진13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미국의13 베트남13 공격을13 비난하면서13 ldquo양국의13 국민은13 평화 사회적13 전진 그리고13 사회주의를13 위한13 투쟁에서13 공동13 목적과13 이념으로13

함께13 협력13 한다rdquo고13 선언하였다29 양국의13 우호관계는13 점진적으로13 확대되었다

이집트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스라엘과의13 분쟁은13 여전히13 미해결된13 채13 남아13 있었

고13 소련으로부터13 추가적인13 군사지원은13 불가피하였다

년의13 차13 중동13 전쟁혹은13 일13 전쟁에서13 이집트는13 이스라엘에게13 참패1967 3 ( 6 )

한13 후13 시나이13 반도와13 가지지구13 등을13 빼앗기게13 되었다 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

로13 하여금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더욱13 필요하게13 되었고13 결과적으로13 군

27 Alvin Z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에서13 재인용

2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4 5 25 p 1

29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6 5 11 p 2

140 백태열

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월터13 라퀘르 는13 다음과13 같이13 설 (Walter Laqueur)

명13 한다(1972 62)

일13 전쟁은13 소련6 -이집트13 관계의13 이정표를13 기록하였다 그13 전쟁은13 분실되거

나13 혹은13 파괴된13 모든13 군사13 장비를13 빨리13 대체하기13 위한13 필요성13 때문에13 소련에13

대한13 이집트의13 종속을13 극적으로13 심화시켰고13 낫세르의13 요청에13 따라13 소련군hellip13 인이13 탑승한13 SAM- 과13 2 SAM- 로13 구성된13 거대한13 미사일13 방어체계가13 13 이집트3

에13 설치되었다 소련조종사들이13 이집트내의13 개의13 공군비행장에서13 전투임무 15

를13 갖고13 전투기를13 발진시켰다

이집트는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있어서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

기13 위하여13 소련의13 군사적13 지원을13 지속적으로13 받았다 특히13 년에13 발생한13 1967

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과정에서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위해13 간접적13 방식으로13 전6

쟁에13 개입하였다 소련의13 군사고문단이13 이집트에13 상주하면서13 막후에서13 이집

트에서13 전술적 전략적13 도움을13 제공하고13 협력했을13 가능성은13 상당히13 높다 30

년13 가을에13 발생한13 나세르의13 갑작스런13 죽음과13 함께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1970

사다트는13 나세르의13 이념적 정책적13 계승자였다 따라서13 그는13 적어도13 외형적

으로13 소련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고자13 하였다 그의13 선택은13 당연하였다 일13 6

전쟁은13 휴전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전쟁은13 언제든지13 다시13 발발할13 개연성이13 높았

고13 따라서13 군사력의13 보강은13 그의13 주된13 목표였다 그는13 년13 월13 모스크바 1971 3

를13 방문하여13 소련에13 대한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다 그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1971

년13 월13 일13 양국사이의13 우호조약으로13 발전되었다 이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자리7 28

에서13 사다트는13 ldquo우리국민은13 아랍-소련의13 우정을13 소중하게13 생각하며13 그리고13 진정으로13 아랍전체13 국가들은13 이13 우정을13 우리13 정책의13 가장13 중용한13 기초중의13

하나로13 간주13 한다rdquo 고13 역설하였다 31 양국은13 년의13 유효기간을13 설정하고13 우 15

30 년13 동안13 이집트의13 군복으로13 위장한13 소련군13 조종사들이13 이집트13 영공에서13 이스라1970

엘의13 공습에13 대항하여13 공중전투에13 참여하였다 이13 부분에13 대해서13 Craig A Daigle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을13 참 8(1) March p 3

31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1 5 28 p 2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1

호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에13 어떤13 의미를13 갖고13

있는가 이와13 관련하여13 두13 가지13 사항이13 언급될13 수13 있다 첫째 이집트는13 오래13 13

동안13 공식적인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것을13 주저하였다 그것은13 특정국가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이13 나세르와13 사다트의13 정치철학에13 위배된다고13 판단하였기13 때문

이다 그러나13 나세르의13 죽음과13 완결되지13 않은13 중동전쟁의13 상황을13 고려할13 때13

다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보다13 강화할13 필요성을13 느꼈기13 때문이다

둘째 이13 조약은13 사실상13 외형적으로13 상호13 협력13 및13 우호를13 강조하고13 있지만13

조약의13 세부적13 내용을13 면 히13 검토해13 보면13 사실상13 군사원조와13 무기지원을13 포

함한13 일방적13 방위조약의13 성격이13 강하다 따라서13 향후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방위공약의13 의무를13 갖게13 되고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은13 보다13 제도적13 성격

을13 갖게13 되었다

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상황(2) 對이집트1) -소련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우호13 조약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이집트가13 군사적으로13 소련에13 예속된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년13 월13 이집트와13 1955 9

체코의13 무기매매협정에서13 찾을13 수13 있다 이13 협정은13 사실상13 소련과13 이집트사

이에13 체결된13 것으로13 소련이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내세워13 체결하였다(Cremeans

이13 협정을13 통해13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무기를13 공여하기13 시작하였고13 1963 146)

이집트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는13 계기가13 되었다 년13 월13 일13 1971 5 27

이집트와13 소련의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the Egyptian-Soviet Treaty of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년13 양국의13 무기Friendship and Cooperation) 1955

협정이후13 체결되었다 이13 조약은13 전문을13 포함하여13 모두13 개13 조항으로13 구성 12

되었다 이13 조약의13 전문은13 ldquo소련과13 이집트는13 양국의13 발전을13 촉진하고13 모든13 부분에서의13 협력을13 확고하게13 강화할13 것을13 확신하며13 양국은13 평화로운13 외hellip13 교정책의13 변함없는13 진행에13 따라서13 보다13 강력한13 국제평화와13 안보를13 위한13 투쟁

을13 지속적으로13 수행13 할13 것을13 결의하며helliprdquo32로13 되어13 있다 이13 조약은13 년13 1955

년13 양국이13 맺은13 무기협정13 보다13 여러13 부분에서13 포괄적인13 교류와13 협력을13 강조

32 Julian J Landau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참조Communications p 165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8: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122 백태열

간단하게13 요약하면13 lt표13 1gt과13 같다

표13 종속타파의13 여건lt 1gt13

자생적13 종속타파종속국의주도( ) 타생적13 종속타파13 피종속국의13 주도( )

민족주의의13 증대주권13 및13 자주권의13 회복

피종속국의13 국내적13 변화

군사 안보13 여건의13 변화 피종속국의13 지역적 국제적13 변화

종속국의13 국내적13 변화 피종속국13 정부 지도자의13 선택과13 결정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종속국의13 의지와13 선택에13 의해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이루

어지는13 경우이다 그13 요인독립변수은13 외국주둔13 군대에13 대한13 종속국의13 강한13 ( )

거부감과13 저항감13 등이13 고조되거나13 혹은13 자주적 자립적13 국가방위에13 대한13 국

민의13 의지가13 증대되는13 요인이다 두13 번째13 요인은13 종속국의13 국내적13 여건의13 관

점에서13 볼13 때13 더13 이상13 특정13 국가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될13 수13 있는13 원인이13 소

멸된13 경우이다 따라서13 종속국은13 더13 이상의13 타국의13 국방력에13 의존하여13 자국

의13 국가방위를13 유지할13 필요가13 없다고13 판단한다 마지막13 요인은13 종속국의13 특

정한13 지도자가13 외부혹은13 타국에13 의존하는13 경우를13 더13 이상13 용납하지13 않고13 ( )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선택하고13 이를13 실행에13 옮기는13 경우이다

반면에13 타생적13 종속타파는13 종속타파의13 상황이13 피종속국의13 의지와13 주도로13

이루어지는13 경우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상황의13 반대의13 경우가13 고려될13 수13 있다

첫13 번째13 요인은13 피종속국의13 국내적13 여건이다 피종속국이13 종속국에게13 제공하

던13 군사적13 원조와13 지원을13 중단하는13 경우13 종속국과의13 관계는13 종료된다 두13 번

째13 요인은13 종속국가의13 국내적13 변화이다 피종속국은13 종속국에서13 발생한13 국내

적13 변화로13 인해13 군사적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불가능하다고13 판단하여13 양국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종료할13 수13 있다 마지막13 요인은13 피종속국의13 정부의13 판단과13 선

택이다 피종속국의13 지도자13 혹은13 정부는13 스스로의13 판단과13 선택에13 의해13 종속

국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정리하기를13 원했을13 때13 종속13 관계는13 종료된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3

접근13 및13 분석13 방법2

본13 연구의13 성격과13 주제에13 비추어13 볼13 때13 저자가13 사용하고자13 하는13 연구방법

은13 비교분석이다 구체적인13 내용은13 다음과13 같이13 요약된다 첫째 필리핀의13 對미13 군사적13 종속과13 이집트의13 소13 군사적13 종속의13 발생원인과13 상황을13 각각13 논對의한다 이를13 위해13 저자는13 군사적13 종속의13 발생원인을13 국내적13 여건과13 국제적13

여건으로13 나누어13 접근하기로13 한다 둘째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군사적으로13 어

떤13 분야에서13 구체적으로13 예속되었는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한다 이것을13 확인하기13

위한13 방법으로13 저자는13 네13 가지13 영역13 ldquo 군사원조의13 양과13 범위13 상호방(1) (2)

위조약의13 체결여부13 피종속국13 으로부터의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구매와13 수입13 (3)

그리고13 피종속국에서의13 군사훈련과13 교육(4) rdquo 등을13 중심으로13 종속의13 상황과13

실체를13 규명하고자13 한다 셋째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각각13 어떤13 상황에서13 그리

고13 어떤13 방식을13 통해서13 지배국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고13 타파했는가

에13 대한13 설명을13 시도한다 이러한13 작업을13 위해13 저자는13 양국에서13 나타난13 군사

적13 종속타파의13 움직임과13 활동에13 초점을13 맞추어13 접근하고자13 한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과13 전개에13 대한13 비교분석을13 하고

자13 한다 비교분석의13 대상은13 ldquo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의13 자생적13 종속과13 타생적13 종속에13 대한13 평가rdquo 등13 가지13 항목이며13 이러 4

한13 가지13 사항을13 중심으로13 논의한다 이러한13 논의를13 진행하는데13 있어서13 저자4

는13 필리핀의13 경우에는13 년13 이후부터13 년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영토에서13 1947 1991

떠날13 때까지의13 시기를13 다룬다 이집트의13 경우에는13 년13 나세르가13 등장한13 1952

이후부터13 년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군사적13 관계가13 사실상13 종료되었던13 시점까1976

지13 논의된다 그러나13 본13 논문과13 관련하여13 추가적13 논의가13 필요한13 경우에13 저자

는13 이러한13 시기를13 제외한13 시기에13 대해서도13 부분적으로13 논의할13 계획이다

124 백태열

필리핀과13 이집트 군사적13 종속상황과13 종속타파의13 전개III

이13 장에서는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상황에13 대한13 배경을13 먼저13 개

관하기로13 한다 우선13 저자는13 필리핀 -미국 이집트 -소련의13 일반적13 및13 군사적13

관계에13 초점을13 맞추기로13 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가13 검토된다

필리핀13 1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

필리핀은13 년13 동안의13 미국의13 식민지배에서13 벗어나13 년13 월13 일13 독립48 1946 7 4

을13 이루었다 그13 후에도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였고13 미국의13 정체

제도와13 특성을13 모방하였고13 양국의13 경제관계도13 활발하였다 전후13 그13 어느13 나

라보다도13 필리핀은13 미국적13 색체가13 강하였다 년13 월13 양국은13 군사기지협 1947 3

정 년13 월13 상호방위조약(Military Bases Agreement) 1951 8 (Mutual Security

을13 각각13 체결하였다Treaty) 6 이러한13 일련의13 조약체결로13 인해13 양국은13 군사적13

동맹관계를13 형성하게13 되었다 이러한13 배경은13 무엇인가 저자는13 미국과13 필리

핀의13 관점에서13 각각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미국의13 시각에서13 보면13 년13 종전 1945

과13 함께13 소련의13 팽창주의적13 공산화정책은13 전13 세계의13 도처에서13 발생하기13 시작

하였다 소련은13 그리스의13 내전에13 개입하였고13 중동의13 아제르바이젠에서13 친공

산정권의13 수립을13 지원하였다 특히13 년13 이후13 북한은13 소련의13 후원하에13 공 1946

산정권을13 수립하고13 있었다 이와13 같이13 년부터13 년대13 후반에13 이르는13 1945 1940

국제정세는13 냉전이13 서서히13 형성되고13 있었다 년13 월13 중화13 인민공화국 1949 10

(the Peoplersquo 의13 출범은13 미국으로13 하여금13 공산세력을13 견s Republic of China)

제하기13 위한13 필요성을13 절실히13 느꼈다 특히13 한국전쟁의13 발발로13 인해13 미국은13

6 그13 밖에도13 미국은13 일본 년 한국 년 그리고13 대만 년 과13 각각13 상호방(1951 ) (1953 ) (1954 )

위조약을13 체결하였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5

동북아뿐만13 아니라13 서남아의13 안보와13 안정의13 중요성을13 심각하게13 고려하기13 시

작하였다 그13 결과13 미국은13 아시아의13 안보역량을13 강화하고13 소련을13 중심으로13

한13 공산주의세력과13 대항할13 수13 있는13 안보체제를13 공고히13 하려는13 노력을13 가시화

하였다 그13 결과13 미국은13 년13 필리핀과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였다 미국 1951

의13 목적은13 전13 세계적으로13 확산되는13 공산주의세력의13 준동과13 움직임에13 적절하

게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아시아의13 안보이익과13 군사적13 영향력을13 구축하는13 것이었

다 냉전의13 상황에13 접어들면서13 미국은13 세력권의13 확대와13 군사적13 동맹군이13 절

실히13 필요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동안13 스페인의13 식민통치를13 받았고13 그13 후13 미국의13 식민13 지400

배를13 받았다 년13 독립을13 쟁취한13 이후13 필리핀은13 새로운13 시대를13 맞게13 되었 1947

다 전후13 필리핀대통령이었던13 마누엘13 로하스 는13 미국으로 (Manuel A Roxas)

부터13 경제원조와13 지원을13 받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제 차13 세계대전13 이후13 독립을13 2

쟁취한13 거의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필리핀은13 안보 경제3

교육 제도13 등13 여러13 부분이13 극도로13 열악한13 상황이었고13 따라서13 국가건설과정

에서13 강력한13 후원자가13 필요하였다 독립이후에도13 양국의13 관계는13 지배 -피지배

의13 종속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정착되기13 시작하였다 군사와13 안보13 부분에서의13 상

황은13 군사기지협정과13 군사원조협정으로13 확인된다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협

정을13 체결한13 배경은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요약된다 첫째 냉전의13 상황이다 1940

년대13 말13 이미13 전13 세계로13 확대된13 냉전의13 상황에서13 필리핀13 역시13 안보상의13 불안

감을13 가졌다 아시아에서의13 공산주의13 정권의13 등장과13 역내의13 불안정은13 필리핀13

지도자들로13 하여금13 미국과의13 동맹관계를13 형성할13 필요성을13 절감하였다 필리

핀은13 미국으로부터의13 군사원조를13 통해13 미약한13 국방력을13 회복하려고13 하였다

더13 나아가서13 년의13 한국전쟁과13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전쟁을13 지켜보면1950 1960

서13 필리핀13 지도자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유착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필리핀의13

안보와13 안정을13 위해서13 필요하다고13 판단하였다 둘째 필리핀의13 국내적13 여건

과13 상황이다 필리핀의13 독립과13 함께13 국내에서는13 후크 가13 조직되었다 (Huks)

이13 단체는13 사실상13 공산주의노선을13 지지하면서13 필리핀의13 팜파간 불라칸 탈

락13 등에서13 강력한13 영향력을13 가지고13 있는13 국민농민연맹(National Peasant

과13 깊게13 연결되어13 있었다Union) 7 독립13 이후13 이들의13 반란이13 일어나고13 로하스13

126 백태열

대통령은13 이를13 진압하기13 위해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적 기술적13 도움을13 받았다13

양승윤( 2003 69- 이13 반란은13 독립이후13 극심한13 분열과13 갈등을13 초래하였70)

고13 향후13 반정부집단의13 정치세력화를13 예고하고13 있었다 이러한13 점에서13 필리핀

정부는13 미국과13 군사동맹관계를13 통해서13 국내의13 소요와13 반란을13 효율적으로13 진

압할13 수13 있는13 안보체계를13 구축하는13 작업이13 필요하였다 간단히13 말하면13 냉전

의13 상황과13 국내의13 공산주의의13 준동에13 적절히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필리핀은13 미국

과의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유지해야13 하는13 절박한13 상황에13 직면하였다

년대에13 접어들면서13 막사이사이 가르시아1950 (Ramon Magsaysay) (Carlos

마카파갈 등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들은13 친미적13 Garcia) (Diodado Macapagal)

성향을13 가졌고13 이러한13 점은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이러

한13 배경에는13 여전히13 아시아에서13 냉전의13 열기가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국내의13 안보

상황도13 크게13 개선되지13 않았기13 때문으로13 풀이된다 마르코스가13 년에13 대통 1965

령에13 당선된13 이후13 미국-필리핀의13 관계는13 군사적 경제적으로13 안정된13 모습을13

보였고13 마르코스는13 집권초기에13 미국에13 대한13 일방적인13 대외관계를13 개선하기13

위하여13 다변화13 외교정책을13 추구하기도13 하였지만13 미국의13 대군사의존의13 상황

은13 크게13 변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마르코스는13 친미성향이13 강했고13 양국관계

를13 필리핀의13 외교의13 중심축으로13 삼았기13 때문이다 마르코스의13 친미적13 성향은13

필리핀의13 국내적13 상황과13 연결된다 필리핀에서13 발생한13 두13 가지13 상황을13 지적

할13 수13 있다 첫째 년에13 결성된13 신인민군대 1969 (New Peoplersquo 이다s Army)

이13 조직은13 공산주의의13 게릴라13 집단으로13 테러활동을13 통한13 사회주의의13 노선을13

확립하려는13 집단이며13 필리핀의13 마오주의13 공산당(the Maoist Communist

과13 정치적으로13 깊게13 연관되어13 있다Party) 8 둘째 년대에13 결성된13 모로13 회 1960

교해방전선 이다 이13 단계는13 사실상13 (the Moro Islamic Liberation Front) Kuk

조직의13 전신으로13 필리핀을13 회교사회로13 만들기13 위해13 투쟁하는13 집단이다 공교

롭게도13 이13 집단은13 모두13 마르코스13 대통령이13 재임하던13 시기인13 년대13 말에13 1960

결성되어13 테러13 활동을13 통한13 국내적13 상황을13 어렵게13 만들었다 마르코스의13 입

7 이13 부분에13 관해서는13 을13 참조httpwwwcomwfb2001philippines

8 이13 부분에13 관해서는13 를13 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7

장에서13 보면13 이러한13 국내적13 불안정과13 좌익13 활동은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시켰

고13 미국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불가피하였다 그13 결과13 필리핀은13 안

보분야에서13 자연스럽게13 미국에게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이들13 반13 정부단체의13

활동은13 마르코스가13 재임하고13 있는13 동안13 국내적으로13 커다란13 정치적 사회적13

도전이었고13 필리핀의13 국내안정과13 직결되어13 있었다 그러나13 필리핀의13 국내정

치적13 상황은13 년13 마르코스가13 재선되고13 계엄령을13 선포함으로써13 악화되기13 1972

시작하였다 마르코스대통령은13 국민들에13 대한13 탄압을13 강화하였다 필리핀13 국

내에서13 독재정권을13 무너뜨리고13 민주주의를13 운동을13 강화하려는13 노력은13 지속

되었지만13 미국과13 군사동맹관계를13 변화시키려는13 활동과13 노력은13 간헐적으로13

이루어졌다 마르코스13 대통령은13 미국과13 체결한13 일련의13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

조약을13 필리핀의13 대외관계의13 주축을13 이루었고13 따라서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

속상태는13 고착화되었다 간단하게13 요약하면13 필리핀이13 미국에13 군사적으로13 예

속된13 주된13 배경은13 국내안보상황의13 불확실성과13 공산주의의13 위협13 때문이었다

필리핀의13 대미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전개(2)

필리핀1) -미국의13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조약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확인할13 수13 있는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양국이13 체

결한13 일련의13 군사동맹조약이다 양국은13 년13 월에13 체결된13 군사기지협정 1947 3

과13 군사원조협정(Military Bases Agreement) (The RP-US Military Assistance

그리고13 년13 월의13 상호방위조약 을13 Agreement) 1951 8 (Mutual Defense Treaty)

각각13 체결하였다 먼저13 저자는13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체결한13 군사기지협 1947 3 14

정의13 내용을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이13 협정은13 미국이13 필리핀에13 군사기지의13 설

치 운영13 등에13 관한13 권리를13 확보할13 수13 있도록13 하였다 미국은13 클라크13 공군기

지와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및13 기타시설13 등을13 포함한13 개의13 군사시설을13 년13 동23 99

안13 무상으로13 사용할13 수13 있도록13 하였다 사실상13 미국정부는13 필리핀내의13 군사

시설에13 대한13 완전한13 통제권을13 갖게13 되었다 이13 협정은13 필리핀이13 군사안보13 부

분에서13 미국에게13 의존하게13 만든13 법적13 기초였다 필리핀의13 미13 군사적13 의존 對

을13 확인할13 수13 있는13 또13 다른13 협정은13 군사원조협정이다 이13 협정은13 군사기지협

정이13 체결된13 직후13 년13 월13 일에13 체결된13 부속협정 이1947 3 21 (Sister agreement)

128 백태열

다9 이13 협정의13 전문은13 ldquo독립13 이후13 필리핀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 그리고13 군장

비의13 구입13 등에13 대한13 필리핀13 정부의13 여망을13 고려하여13 미국13 대통령은13 공동방

위의13 문제에서13 양국의13 상호13 이익의13 관점에서13 국가안보를13 유지하기13 위하여13 필

리핀13 정부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는13 것을13 허락한다helliprdquo10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협정은13 모두13 개의13 세부적인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으며13 거의13 대부분23

의13 조항은13 필리핀에13 대한13 미국의13 군사원조에13 국한되어13 있다 보다13 상세한13 내

용을13 파악하기13 위해13 저자는13 몇몇13 조항을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동13 협정의13 제 1

조는13 ldquo상호협정에13 따라서13 미국정부는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을13 위해13 필리핀정부에게13 군사원조를13 제공할13 것13 이다helliprdquo11고13 명시되어13 있다 또13 다른13 조항은13 군

사고문단 의13 기능과13 역할에13 관한13 것이다 동13 협정(Military Advisory Group)

의13 조는13 8 ldquo군사고문단의13 기능은13 국가안보와13 관련된13 목적을13 수행하는데13 필요한13 것으로13 필리핀에13 조언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다helliprdquo12고13 적고13 있다 이러한13

점은13 필리핀이13 안보정책을13 수립하거나13 군사적13 역할을13 하는데13 있어서13 독자성

이13 크게13 훼손될13 수13 있다 일반적으로13 강대국과13 약소국의13 상호방위조약은13 약

소국의13 독립적이고13 자주적인13 대외군사정책을13 추구하는데13 있어13 제약이13 많고13

군사적13 자주권을13 종종13 훼손시킨다 따라서13 필리핀과13 미국과의13 군사원조협정

도13 같은13 맥락에서13 볼13 수13 있다 또한13 동13 협정의13 조는13 일반적인13 군사원조의13 6

내용을13 담고13 있다 이13 조항에13 따르면13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군대에게13 무기 탄

약 군사장비 전투기와13 전함13 등을13 제공하게13 된다고13 명시하고13 있다 협정의13

조는13 군사훈련지원 에13 관한13 것이다 필리핀에13 대한13 군21 (Training assistance)

사원조의13 일부로서13 선발된13 필리핀13 학생들을13 미국에13 보내13 육군 해군 그리고13

공군13 부대에서13 기술13 및13 군사훈련을13 받도록13 하는13 내용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과13 미국은13 년13 월13 일13 상호방위조약1951 8 13 (Mutual Security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전문과13 개의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Treaty) 13

9 이13 협정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 저자는13 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인쇄본을13 입수하지13 못하여13 대신에13 인터넷13 사이트의13 정보를13 인용함

10 상게서

11 상게서

12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9

이13 조약에서13 양국은13 ldquo외부의13 군사적13 전략에13 대해13 공동으로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양국의13 단결과13 공동의13 결의를13 공개적으로13 그리고13 공식적으로13 선언하면서rdquo13

개13 조항에13 합의하였다 이13 조약의13 13 조는13 외부의13 군사적13 침략에13 대해13 공동13 3

으로13 방어하기13 위한13 대응태세를13 강조하고13 있으며13 조는13 당사국중의13 한13 국가4

가13 외부의13 공격을13 받을13 경우13 이를13 자국에13 대한13 공격으로13 간주한다고13 규정함

으로써13 공동방위를13 구축하고13 있다

양국이13 체결한13 개의13 군사13 및13 방위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볼13 때13 현실적으로13 3

필리핀의13 국가안보를13 강화하고13 양국이13 공동의13 외부적13 위협에13 대응하도록13 구

성되어13 있다 그러나13 이13 조약들은13 양국의13 평등성에13 기초하고13 있기13 보다는13 필

리핀이13 일방적으로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받도록13 되어13 있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군군대의13 주둔2)

싱거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외국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시설이다 년13 양국의13 협정에13 따라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군대를13 주둔시키 1947

고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필리핀에는13 미국의13 군사방위공약을13 실천하기13

위하여13 년부터13 미군이13 주군하고13 대규모의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대1947

표적인13 군사시설은13 클라크13 공군기지(Clark Air Base in Pampanga and

수빅만13 해군기지 죤13 Tarlac) (Subic Naval Base in Bataan and Zambales)

헤이13 공군13 이착륙장 월레스13 공군13 이(John Hay Air Station in Baguio City)

착륙장 그리고13 산13 미구엘13 통신소(Wallace Air Station in La Union) (San

등이다Miguel Station in Zambales) 14 그13 외에도13 소규모의13 미국군사기지13

및13 시설은13 대략13 개이다 클라크13 공군기지는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규모15

이며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역시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해군기지이다 이러한13

미군기지와13 시설에13 주둔하고13 미국병사는13 년13 기준으로13 대략13 육군은13 1979 28

명 공군은13 명 해군은13 그리고13 해병대13 명이13 각각13 필리핀에13 주 8005 4594 786

13 이13 조약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14 이와13 관련하여13 상세한13 내용은13 다음의13 자료를13 참조바람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130 백태열

둔하였고13 전체13 미군의13 수는13 명이다13413 15 이와13 관련된13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13 기준을13 기준으로13 필리핀의13 모든13 미군기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병력은13 1988

명이다17870 16 년13 당시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의13 수는13 명의13 군인과13 1991 15000

명의13 군무원이13 주둔하고13 있었다1000

이러한13 군사기지의13 설치는13 앞서13 설명된13 양국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방위조약

에13 따른13 부수적13 결과일13 뿐이다 외군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기지의13 허용은13 종속

국의13 국방력이13 취약하다는13 반증이다 종속국은13 외국군대의13 도움이13 없이는13 자

국의13 안보상황을13 개선할13 수13 없다는13 것을13 의미하며13 이는13 군사적13 예속의13 또13 다

른13 측면이다 외국군대의13 기지와13 주둔군은13 해당국민과13 가장13 직접적인13 마찰과13

갈등을13 빚는13 부분이고13 법적 사회적 문제를13 가장13 많이13 야기시켰다

미국의13 필리핀13 무기13 공여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검증하기13 위하여13 사용되는13 또13 다른13 증거는13 군사장

비13 및13 무기의13 공여이다 피종속국은13 현실적으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자체적으

로13 개발하는데13 필요한13 기술력과13 경제력을13 결여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타국으로부

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유상으로13 혹은13 무상으로13 공여13 받는다 특히13 이러한13 무

기의13 지원으로13 인해13 보다13 심각한13 상황은13 특정한13 국가로부터13 무기지원을13 받는

다는13 점에서13 의존적13 성격을13 갖고13 있다는13 점이다 따라서13 피종속국이13 종속국

에게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하거나13 수출하지13 않을13 경우13 종속국의13 국가안보

는13 어려움을13 겪거나13 혹은13 심각한13 위험에13 직면할13 수도13 있다 필리핀의13 경우13

년대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의13 대부분을13 공여13 받았다1950 17 이

와13 관련하여13 몇13 가지13 사례를13 들어13 보기로13 한다 필리핀은13 년대13 초부터13 1950

년까지13 미국으로부터13 다양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13 받거나13 혹은13 구매1973

하였다 군사용13 비행기예를13 들면 ( Lockheed T-33 Gruman HU-16A

군사용13 선박예를13 들면 그Albatross) ( patrol boat Infantry landing craft)

리고13 장갑차 예를13 들면( M- 등이다4 Sherman) 18

15 United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p 145

16 이와13 관련된13 자료는13 김경숙13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13 참1988 10 p 76 「 」 985172 985173조

17 년대13 초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제외한13 일본 독일 호주 이탈1950 1970

리아13 등으로부터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미국의13 비중이13 압도적으로13 많았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1

필리핀13 군인의13 미국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13 4)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종속국가의13 군인13 혹은13 영관급13 장교들이13 피

종속국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러한13 지표는13 종속국의13 군인

들의13 질적13 취약성에13 기초한다 종속국의13 군인들은13 안보와13 전쟁에13 필요한13 현

대식의13 훈련과13 전투능력을13 배양하지13 못했기13 때문에13 국가안보의13 문제와13 위기

가13 발생했을13 때13 적절하게13 대처할13 수13 있는13 있는13 군사적13 능력을13 갖추고13 있지13

못하다 이러한13 측면은13 종속국의13 군사력13 하락으로13 연결된다 필리핀군인들은13

의13 프로그램의13 후원13 IMET(International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하에13 미국본토13 혹은13 미국본토이외의13 군사훈련소에서13 군사훈련13 혹은13 교육을13

받았다 자료에13 따르면13 필리핀13 군인들은13 년부터13 년까지13 명이13 1950 1968 12217

훈련을13 받았다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부터13 년13 초까(Singer 1972 301) 1950 1980

지13 대략13 의13 필리핀13 군인들이13 미국의13 재정적13 지원13 하에13 미국의13 군사학17000

교와13 훈련소에13 훈련을13 받았음을13 보여준다19

간단히13 정리하면13 앞서13 제시된13 가지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살펴13 본13 결과13 4

필리핀은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되어13 있음을13 보여준다

필리핀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13 (3)

필리핀의13 정부지도자와13 국민들이13 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상태를13 타파해야13

한다는13 목소리를13 강화한13 것은13 마르코스13 대통령의13 독재정치가13 절정에13 달했을13

때였다 그의13 탄압과13 독재정치에13 대해13 많은13 필리핀국민들이13 저항하였고13 반마

르코스의13 열기가13 확대되었다 년에13 일어난13 필리핀의13 민중의13 혁명 1986

(Peoplersquo 은13 마르코스를13 권좌에13 내쫒았다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의존s Power)

의13 타파는13 사실상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와13 궤를13 같이13 한다 마르코스에13 대한13

비판은13 민주주의를13 강하게13 염원하게13 되었고13 동시에13 그의13 정권하에서13 오래13 동

안13 유지되었던13 필리핀-미국의13 동맹관계의13 실체를13 재평가하려는13 움직임으로13

빠르게13 전환되었다 년13 월13 코라손13 아퀴노 가13 대통령 1986 2 (Corazon Aquino)

18 이와13 관련하여13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참조Stockholm 1975 Sweden SIPRI pp 17-19

19 를13 참조httpIcweb2locgovcgi-binquery

132 백태열

에13 취임하면서13 필리핀에서는13 본격적으로13 미군의13 철수문제가13 공론화되기13 시

작하였다 필리핀국민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동맹체제로부터13 발생하는13 다양한13 불

이익과13 불편을13 종식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개시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추진력 은13 무엇인가 대략13 두13 가지13 요인(Driving force)

으로13 설명된다 첫13 번째는13 민족주의이다 민족주의는13 식민지13 상태에서13 해방

과13 독립을13 쟁취하기13 위한13 이데올로기로서13 작동하였고13 독립이후13 민족주의는13

외세의13 지배와13 간섭을13 배격하기13 위한13 무기로서13 전환된다 필리핀은13 스페인과13

미국의13 식민지를13 경험하면서13 강한13 민족주의를13 발전시켰다 살바도르13 마르티

네그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13 역사는13 세(Salvador Martineg) 16

기13 초에13 시작되어13 년대13 이래13 유지되었고13 년대에는13 클라로13 렉토13 등1950 1960

에13 의해13 활성화되었다20 결국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는13 반미주의와13 강하게13 연결

되어13 있으며13 이는13 미국의13 간섭과13 영향력을13 배제하고13 자국의13 자존심을13 회복하

려는13 노력으로13 승화되었다 동시에13 민족주의의13 열기는13 필리핀국민들에게13 미

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에서13 기인하는13 지배국의13 독선과13 횡포 그리고13 내정간섭에13

대한13 저항을13 강하게13 표출할13 수13 있는13 통로를13 제공하였다 두13 번째는13 주권과13

자주권의13 회복이다 주권과13 자주권은13 민족주의와13 깊은13 연관성을13 갖고13 있다

전후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유지하는데13 있어서13 국민적13 자존

심과13 주권이13 손상되었다는13 인식을13 강하게13 갖고13 있다 에드13 가르시아 (Ed

와13 프란시스코13 네멘쯔 는13 다음과13 같이13 지적한다13 Garcia) (Francisco Nemenz)

(Garcia and Nemenz 1987 4)

독립은13 단지13 자기13 확신의13 문제가13 아니다 국가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이13 아 hellip13 니라13 자주적13 행위자로서13 인식되어야13 한다 모든13 국제회의에서13 우리의13 독립을13

확인하기13 위하여13 용기를13 갖고13 노력하여13 왔다 그러나13 우리가13 실제적인13 독립을13

갖고13 있었을13 때조차도13 우리가13 제안을13 발의해도13 제 세계의13 대표들은13 그13 뒤에는13 3

미국이13 있다는13 점을13 의심하여13 왔다 이러한13 의미에서13 필리핀은13 자국의13 땅위에

서13 거대한13 군사기지를13 유지하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으로13 보여진다

20 이러한13 주장에13 대해서는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사Salvador Martineg 1983 「 」 985172상 월 을13 참조함5 pp 45-48 98517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3

그들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체계가13 필리핀의13 대

외정책에도13 부정적13 영향을13 미쳤음을13 암시하고13 있다 국제무대에서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의식하거나13 혹은13 미국의13 정책과13 보조를13 맞출13 수밖에13 없는13 상황을13 초

래했다고13 보고13 있다 이러한13 관점에13 대해13 일부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자국의13 주권

이나13 자주권이13 어느13 정도13 훼손되었다는13 생각을13 갖고13 있는13 것으로13 보인다 동

시에13 미군철수를13 둘러싼13 필리핀13 국민의13 반감은13 미국의13 마르코스13 체제에13 대한13

옹호에서13 기인하였다는13 점도13 지적될13 수13 있다 그들은13 마르코스13 집권이후13 필

리핀의13 인권상황이13 악화되고13 독재정치가13 유지되고13 있음에13 불구하고13 미국이13

이를13 개선하기13 위한13 적절한13 역할을13 하지13 못한13 것에13 대해13 깊은13 불신과13 반감을13

갖고13 있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13 국민들이13 미군철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를13 요구

하는13 보다13 현실적인13 이유들이13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필리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으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각종13 사회적13 문제와13

갈등이다 미군이13 주둔하고13 있는13 기지주변에서13 발생되는13 각종13 범죄 현지인

과13 미군사이의13 마찰13 등은13 외국군대를13 수용하고13 있는13 필리핀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군기지에13 대한13 반감과13 저항을13 일으킬13 수13 있다 둘째 필리핀13 국내에13 설치된13

핵무기이다 년대13 초에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핵무기가13 설치한13 것으로13 알려져13 1970

있으며13 년까지13 핵무기의13 수는13 대략13 정도에13 달하였다 년을13 기준1973 260 1985

으로13 미국은13 필리핀에13 개의13 핵무기를13 설치하였으며13 그중13 개는13 반잠수227 32

함13 핵폭탄이며13 개는13 해군용13 핵무기 그리고13 그밖에13 개의13 핵폭탄이13 있80 115

는13 것으로13 알려졌다21 핵무기의13 설치와13 사용의13 목적은13 아시아13 지역의13 군사

적13 충돌이나13 전쟁이13 발발할13 경우13 사용되기13 위함이며13 어떤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

는13 필리핀의13 안보를13 위한13 것이라기보다는13 미국의13 군사적13 목적을13 위해13 설치된13

것이다 미국이13 아시아에서13 전쟁을13 수행할13 경우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핵위협에13

노출되어13 있고13 이로13 인해13 여러13 가지13 피해가13 발생할13 수13 있다고13 보고13 핵무기의13

설치와13 시설에13 민감하지13 않을13 수밖에13 없다 이러한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일차적으

로13 공격의13 목표가13 되었던13 것은13 미군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이다

21 Ronald G Simbulan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1989 Manila Philippines

와13 을13 참고 이13 책에는13 필리핀의13 미국핵무기와13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p 78

관련된13 정보와13 내용이13 상세하게13 기록되어13 있음

134 백태열

그러면13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종료시키기13 위한13 구체적인13

움직임 조치 및13 정책은13 무엇인가 마르코스가13 축출당한13 이후인13 년13 월 1986 2

부터13 년대13 초까지13 필리핀의13 국내13 상황은13 급박하게13 돌아가고13 있었다 이1990

와13 관련하여13 가장13 주목을13 끄는13 점은13 년13 월13 일13 필리핀13 상원을13 통과한13 1988 6 6

ldquo반핵병기13 법rdquo이다 이13 법안은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기지와13 군사시설 그리고13 양

국동맹관계의13 근간을13 흔들13 수13 있을13 만큼13 강력한13 내용을13 담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이13 법안의13 조는13 금지행위에13 관한13 것으로13 5 ldquo어떤13 사람도13 운송이나13 하역을13 불문하고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과13 그13 구성부분을13 필리핀13 영역내로13 가지고13

들어오거나13 또는13 소유 보유할13 수13 없다 필리핀13 군사기지13 내13 미합중국의13 기존13

군사13 설비를13 포함하여13 필리핀영역의13 상13 하 상공13 어느13 곳에서도13 본13 제 조13 4 1

항에13 해당하는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 구성부분13 및13 핵병기관련설비의13 개발 제

조 입수 실험 이용 도입 비축 보관을13 금지하며 helliprdquo22라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조항과13 함께13 다른13 조항13 역시13 필리핀에서의13 일체의13 핵무기13 개발 설치 비

축 보관 하역13 등을13 금지시키고13 있다 이13 법안의13 통과는13 필리핀 -미국의13 군사

동맹관계의13 분수령이13 된다 역시13 가장13 커다란13 시사점은13 미국은13 필리핀의13 영

토13 안에13 핵무기와13 관련된13 일체의13 접근이13 불허된다는13 점이며13 동시에13 필리핀의13

모든13 군사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가13 불가피하게13 되었다는13 점이다

년13 월13 미국과의13 군사기지협정을13 년13 연장하기13 위한13 법안이13 상원에13 1991 9 10

게류13 되었을13 때13 필리핀13 국내정세는13 극도로13 혼란스러웠다 이13 혼란의13 중심은13

미군13 기지를13 그대로13 유지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과13 법안을13 거부함으로써13 미군13 기

지를13 폐쇄해야13 한다는13 입장으로13 크게13 나뉘어져13 있었다 이13 협정의13 연장을13 찬

성하는13 집단의13 중심에는13 아키노13 대통령이13 있었다 아키노13 대통령은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쇄될13 경우13 양국관계의13 약화 경제13 투자의13 감소 그리고13 불안정

한13 국내13 상황13 등을13 크게13 우려하였다 무엇보다도13 필리핀13 정부는13 양국이13 오랫

동안13 여러13 부분에서13 구축된13 양국의13 군사적 외교적13 우호관계가13 크게13 악화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우려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13 상원은13 미국과13 협정을13 반대하는

데13 선두집단중의13 하나였다 상원의원들의13 상당수는13 민족주의13 정신이13 강한13 정

22 본13 법안의13 내용에13 관해서는13 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를13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5

치인들이었고13 미군은13 필리핀13 땅에서13 떠나가야13 한다고13 믿었다 미군기지13 임대

의13 연장13 법안의13 반대에13 대한13 보다13 구체적인13 이유는13 무엇인가 가장13 커다란13

이유는13 무엇보다도13 필리핀의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복원이었다 당시13 필리핀13

상원의원인13 아가피토13 아키노 는13 (Agapito Aquino) ldquo이13 투표는13 진정으로13 주권을13 갖고13 독립적인13 필리핀13 국민을13 위한13 것이며13 이13 투표는13 미국의13 조종끈에13 매

어진13 정치적13 청년기13 즉13 극심한13 종속을13 종식하기13 위한13 것이다rdquo23라고13 상원에

서13 역설하였다 종속타파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종속타파의13 견인적인13 메커니즘은13

이론적13 검토에서13 제시된13 것처럼13 역시13 주권의13 회복과13 민족적13 자존심의13 회복이

다 필리핀13 정치인들의13 판단과13 요구가13 대다수13 모든13 필리핀13 국민들의13 견해와13

동일하다고13 볼13 수13 없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협정13 그리고13 상

호방위조약에서13 기인하는13 다양한13 폐해를13 인식하고13 있으며13 미군은13 철수되어

야13 한다는13 공감대를13 발전시켜13 왔다는13 점은13 부인할13 수13 없다 또13 다른13 견해는13

필리핀13 정치권에서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기지사용료가13 너무13 적다는13 이유도13 제시

되고13 있다24 필리핀13 상원의13 강력한13 반대13 움직임13 속에13 아키노13 대통령은13 이13

법안을13 국민투표에13 회부하는13 방안을13 추진하였지만13 무산되고13 결국은13 미군기

지협정의13 연장법안은13 년13 월13 일13 상원에서13 대13 로13 부결되었다1991 9 16 12 11

필리핀13 상원의13 이러한13 결정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년13 미국과13 맺은13 군 1947

사기지협정은13 자동적으로13 무효화되었으며13 필리핀에서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

쇄되고13 미군이13 더13 이상13 주둔하지13 않게13 되었다 미군은13 년13 말13 이전에13 필 1992

리핀의13 영토를13 떠나도록13 권고13 받았다 이러한13 점은13 상징적인13 측면이13 강하지

만13 필리핀은1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고13 볼13 수13 있다

미국의13 반응과13 입장13 (4)

필리핀에서의13 극적인13 변화에13 대해13 미국은13 어떤13 반응을13 보였으며13 기본13 입

장은13 무엇인가 미국은13 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13 이후13 필리핀의13 민주화13 운동과13

23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아키노13 상원의원은13 미군기지문제와13 관 1991 9 16 A1

련하여13 형수이자13 대통령이었던13 코라손13 아퀴노와13 극심한13 마찰과13 갈등을13 겪었다

24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벌인13 협상에서13 미국은13 필리핀에 1991 9 11 A3

게13 수빅만13 해군기지를13 사용하는13 대가로13 일년에13 억불을13 제공하기로13 합의하였다203

136 백태열

새로운13 정권의13 창출을13 고무적으로13 평가하였다 그러나13 동시에13 워싱턴은13 그곳

에서13 미군의13 기지와13 군대의13 철수문제 그리고13 지속적인13 반미운동의13 고조13 등

에13 대해13 깊은13 우려감을13 가졌다 특히13 군사기지협정의13 연장을13 앞13 둔13 시점에서13

미국정부의13 불안감은13 증대되었다 국무장관13 조지13 슐츠 는13 미 (George Shultz)

국은13 필리핀13 관리들과13 정치인들이13 기지연장을13 승인하지13 않을13 경우13 다른13 장소

를13 물색해야13 할지13 모른다는13 입장을13 밝혔다25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국내에서13

벌어지는13 반미운동이13 궁극적으로13 미군기지의13 철폐로13 연결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크게13 우려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필리핀13 상원의13 표결이13 있기13 전에13 미국정부는13

부결가능성을13 기대하고13 있었고13 이를13 위해13 직간접적으로13 필리핀정부에13 회유

와13 압력을13 가하였다

필리핀에서의13 결정은13 미국정부를13 크게13 실망시켰지만13 기지연장을13 둘러싼13

필리핀의13 정책결정과정에13 대해13 특별한13 영향력을13 행사할13 수13 없었다 미국은13

필리핀이13 기지연장13 협정을13 원하지13 않는다면13 이를13 수용하지13 않을13 수13 없다 미

국의13 기본13 입장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연장협정을13 지속하는13 것이었다 그13 이유는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와13 미군의13 주둔은13 년이13 넘은13 동안13 아시아에서13 방어적13 40

역할을13 충실히13 하였기13 때문이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결정은13 대

략13 가지13 파급효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다고13 보았다 첫째 년대13 말에13 냉전이13 2 1980

서서히13 종식되고13 있었지만13 미국은13 아시아에서의13 군사적13 임무와13 역할이13 여전

히13 필요하였다 따라서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의13 철수는13 안보적13 공백이13 발생할13

수13 있으며13 이로13 인한13 군사적13 전략변화가13 요구되고13 있기13 때문이다 둘째는13 간

접적13 파급효과이다 필리핀의13 미군기지13 철수가13 다른13 주둔지역13 특히13 한국과13

일본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기지의13 철수로13 연결될13 수13 있는13 파급효과를13 우려하

였다 반면에13 다른13 측면에서13 보면13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다소13 위안을13 찾을13

수13 있는13 부분도13 있다 필리핀은13 결코13 미국과의13 상호방위조약13 자체를13 폐기한13

것이13 아니기13 때문에13 향후13 양국의13 군사적13 동맹관계는13 유지될13 수13 있으며13 미국

의13 군사적13 영향력도13 어느13 정도13 유효할13 것이라는13 기대감을13 가졌다

25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88 6 17 p 7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7

이집트2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3 (1)

년13 영국의13 식민지에서13 벗어난13 이집트는13 국내외적으로13 커다란13 도전에13 1952

직면하였다 국내적으로13 정치세력간의13 권력투쟁으로13 불안한13 정국이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그13 과정에서13 군사13 쿠데타를13 통해13 실질적인13 권력을13 장악한13 나세르는13

아랍사회주의를13 표방하면서13 국정을13 운영하기13 시작하였다 대외적으로13 국제사

회에는13 이미13 냉전의13 열기가13 정점에13 올랐고13 그13 여파는13 중동에도13 도달하였다

이집트를13 둘러싼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복잡하게13 얽혀가고13 있었다 이와13 관련

하여13 주목할13 부분은13 미국과13 소련은13 중동지역에서13 패권경쟁을13 격화하고13 있었

다는13 점이다 소련은13 미국을13 견제하기13 위하여13 에13 버금가는13 지역안보 NATO

체제를13 구축하려고13 하였고13 이는13 바그다드13 조약 으로13 실현되고13 (Baghdad Pact)

있었다 미국은13 이집트를13 지역안보체제에13 끌어13 들이려는13 계획을13 갖고13 이집트

에13 접근하였다 마찬가지로13 소련은13 이집트와13 접한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중동지역에서의13 교두보를13 확보할13 수13 있다고13 판단하였다 미국과13 소련은13 이집

트가13 아프리카와13 중동을13 연결하는13 지역에13 위치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전략적13 가치

를13 중시하였고13 아랍세계의13 위상13 때문에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근을13 추구하는13 것이13

중요한13 목표중의13 하나였다

나세르가13 집권13 이후13 이집트가13 당면한13 최대13 현안은13 이스라엘과13 갈등과13 분

쟁이었다 년13 월13 이스라엘군대가13 이집트13 통제지역인13 가자해협의13 군사 1955 2

시설을13 공격하면서13 명이13 사망하는13 사건이13 일어났다 이스라엘의13 공격으로13 38

인해13 양국은13 본격적인13 대립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이집트는13 이러한13 상황에13 대처

하기13 위해13 자국의13 군사력의13 증강이13 무엇보다도13 절실한13 과제였다 이집트는13

처음에13 서방측에게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으나13 거부당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시도하였다 이집트가13 소련을13 선택한13 구체적인13 배경은13 무엇인

가 무엇보다도13 나세르는13 기본적으로13 반서방주의13 성향이13 강하였고13 당시의13 국

제정세로13 볼13 때13 이스라엘을13 지원하는13 영국과13 미국13 보다는13 소련에게13 무기를13

요청하는13 것이13 적합하다고13 판단하였다 년13 이집트는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1955

138 백태열

내세운13 소련과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26 이13 무기협정을13 통해13 사실상13 이집트

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어13 가는13 계기가13 되었고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주공급자가13 되었다 그러나13 이집트는13 소련과13 상호군사조

약을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나세르가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맹관계를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기13 때문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찰스13 크레멘

스 는13 (Charles Cremeans) ldquo군사공약이13 포함되지13 않는13 한13 이집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받을13 수13 있었고13 그리고13 필요하다면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는데13

발생할13 수13 있는13 위험을13 감수할13 준비가13 되었다고13 나세르는13 항상13 주장하였다rdquo고13 지적한다 나세르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공여13 받는13 것에13 부(1963 281)

담을13 느꼈던13 것은13 분명하다 그13 이유는13 자신이13 강력한13 비동맹노선을13 표방하

였고13 따라서13 소련과13 연계를13 통해13 의존의13 상황이13 형성되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기13

때문이었다 결국13 나세르는13 적어도13 집권초기에는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

맹관계13 혹은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려고13 하지13 않았다 그러나13 이스라엘의13 군

사적13 위협13 때문에13 이집트가13 무기를13 제공받기로13 한13 결정은13 불가피한13 선택이었

다 전후13 독립을13 획득한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신생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 3

의13 국방력은13 취약하였다 따라서13 이집트의13 대외적13 여건은13 군사대국인13 소련에

게13 자연스럽게13 군사적13 도움을13 요구하게13 되고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그러면13 소련의13 이집트의13 접근배경은13 무엇인가 무엇보다도13 모스크바는13 對

전후13 중동지역에서13 미국과의13 경쟁에서13 우위를13 선점하기13 위한13 목적을13 갖고13 있

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국과의13 냉전13 구도13 하에서13 중동에서의13 영향력

을13 확보하고13 상대적으로13 미국의13 접근을13 어렵게13 하기13 위해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

근을13 시도하였다 즉13 중동에서13 가능한13 많은13 우방국13 혹은13 동맹국을13 만드는13 작

업은13 미국과13 마찬가지로13 소련의13 대외정책의13 우선순위의13 하나였다 더13 나아가

서13 소련은13 이집트뿐만13 아니라13 중동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국가에13 대해13 접한13 관

계를13 구축하고자13 하였다 이러한13 주장은13 년대를13 거치면서13 소련이13 시리 1960

아 요르단13 등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고13 일련의13 군사협정을13 체결하였다는13 사실

에13 의해13 뒷받침13 된다 년13 월13 일13 소련13 외무성은13 1955 4 16 ldquo소련은13 근동13 및13 중

26 이13 협정을13 통해13 양국은13 억불의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45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9

동지역에서13 전개되는13 상황에13 무관심한13 채13 남아13 있을13 수13 없다 그13 이유는13 그13

지역에13 있는13 외국의13 군사기지시설과13 블록화13 현상은13 소련의13 안보에13 직접적인13

연관성이13 있기13 때문이다rdquo27는13 입장을13 표명하였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친 한13 관계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이해관계를13 둘러싸고13 더욱13

발전하게13 되었다 년13 월13 나세르는13 수에즈운하에13 대한13 국유화를13 선언하 1956 7

였고13 이러한13 결정에13 대해13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13 이집트를13 공격하였다 이

로13 인해13 제 차13 중동전쟁이13 발발하였다 운하를13 둘러싼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13 그2

리고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첨예하게13 얽혀있었다 제 차13 중동전쟁은13 이집트 2 -

소련의13 관계에서13 또13 다른13 분수령이13 되었다 년13 이집트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1960

완전한13 통제와13 관리를13 위해13 소련으로부터13 에스완13 댐13 건설비용13 억13 천13 달러3 5

를13 받기로13 결정하였다 그13 후13 이집트는13 다양한13 형태의13 지원을13 소련으로13 받기13

시작하였다 년13 월13 이집트를13 방문한13 후르시초프 서기장은13 1964 5 (Khrushchev)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억13 천 백만13 불을13 융자하겠다는13 발표를13 하였다2 7 7 28

이13 비용은13 이집트가13 년부터13 추진하는13 개년13 개발계획에13 사용될13 예정이1965 5

라고13 덧붙였다 이러한13 재정적13 지원을13 통해13 이집트는13 점진적으로13 의존하였고13

의존의13 내용은13 경제원조의13 영역으로13 확대되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년13 1966 5

월13 일13 소련13 수상13 알렉세이13 코시긴 은13 카이로에서13 가11 (Aleksei M Kosygin)

진13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미국의13 베트남13 공격을13 비난하면서13 ldquo양국의13 국민은13 평화 사회적13 전진 그리고13 사회주의를13 위한13 투쟁에서13 공동13 목적과13 이념으로13

함께13 협력13 한다rdquo고13 선언하였다29 양국의13 우호관계는13 점진적으로13 확대되었다

이집트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스라엘과의13 분쟁은13 여전히13 미해결된13 채13 남아13 있었

고13 소련으로부터13 추가적인13 군사지원은13 불가피하였다

년의13 차13 중동13 전쟁혹은13 일13 전쟁에서13 이집트는13 이스라엘에게13 참패1967 3 ( 6 )

한13 후13 시나이13 반도와13 가지지구13 등을13 빼앗기게13 되었다 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

로13 하여금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더욱13 필요하게13 되었고13 결과적으로13 군

27 Alvin Z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에서13 재인용

2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4 5 25 p 1

29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6 5 11 p 2

140 백태열

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월터13 라퀘르 는13 다음과13 같이13 설 (Walter Laqueur)

명13 한다(1972 62)

일13 전쟁은13 소련6 -이집트13 관계의13 이정표를13 기록하였다 그13 전쟁은13 분실되거

나13 혹은13 파괴된13 모든13 군사13 장비를13 빨리13 대체하기13 위한13 필요성13 때문에13 소련에13

대한13 이집트의13 종속을13 극적으로13 심화시켰고13 낫세르의13 요청에13 따라13 소련군hellip13 인이13 탑승한13 SAM- 과13 2 SAM- 로13 구성된13 거대한13 미사일13 방어체계가13 13 이집트3

에13 설치되었다 소련조종사들이13 이집트내의13 개의13 공군비행장에서13 전투임무 15

를13 갖고13 전투기를13 발진시켰다

이집트는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있어서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

기13 위하여13 소련의13 군사적13 지원을13 지속적으로13 받았다 특히13 년에13 발생한13 1967

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과정에서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위해13 간접적13 방식으로13 전6

쟁에13 개입하였다 소련의13 군사고문단이13 이집트에13 상주하면서13 막후에서13 이집

트에서13 전술적 전략적13 도움을13 제공하고13 협력했을13 가능성은13 상당히13 높다 30

년13 가을에13 발생한13 나세르의13 갑작스런13 죽음과13 함께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1970

사다트는13 나세르의13 이념적 정책적13 계승자였다 따라서13 그는13 적어도13 외형적

으로13 소련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고자13 하였다 그의13 선택은13 당연하였다 일13 6

전쟁은13 휴전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전쟁은13 언제든지13 다시13 발발할13 개연성이13 높았

고13 따라서13 군사력의13 보강은13 그의13 주된13 목표였다 그는13 년13 월13 모스크바 1971 3

를13 방문하여13 소련에13 대한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다 그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1971

년13 월13 일13 양국사이의13 우호조약으로13 발전되었다 이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자리7 28

에서13 사다트는13 ldquo우리국민은13 아랍-소련의13 우정을13 소중하게13 생각하며13 그리고13 진정으로13 아랍전체13 국가들은13 이13 우정을13 우리13 정책의13 가장13 중용한13 기초중의13

하나로13 간주13 한다rdquo 고13 역설하였다 31 양국은13 년의13 유효기간을13 설정하고13 우 15

30 년13 동안13 이집트의13 군복으로13 위장한13 소련군13 조종사들이13 이집트13 영공에서13 이스라1970

엘의13 공습에13 대항하여13 공중전투에13 참여하였다 이13 부분에13 대해서13 Craig A Daigle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을13 참 8(1) March p 3

31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1 5 28 p 2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1

호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에13 어떤13 의미를13 갖고13

있는가 이와13 관련하여13 두13 가지13 사항이13 언급될13 수13 있다 첫째 이집트는13 오래13 13

동안13 공식적인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것을13 주저하였다 그것은13 특정국가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이13 나세르와13 사다트의13 정치철학에13 위배된다고13 판단하였기13 때문

이다 그러나13 나세르의13 죽음과13 완결되지13 않은13 중동전쟁의13 상황을13 고려할13 때13

다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보다13 강화할13 필요성을13 느꼈기13 때문이다

둘째 이13 조약은13 사실상13 외형적으로13 상호13 협력13 및13 우호를13 강조하고13 있지만13

조약의13 세부적13 내용을13 면 히13 검토해13 보면13 사실상13 군사원조와13 무기지원을13 포

함한13 일방적13 방위조약의13 성격이13 강하다 따라서13 향후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방위공약의13 의무를13 갖게13 되고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은13 보다13 제도적13 성격

을13 갖게13 되었다

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상황(2) 對이집트1) -소련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우호13 조약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이집트가13 군사적으로13 소련에13 예속된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년13 월13 이집트와13 1955 9

체코의13 무기매매협정에서13 찾을13 수13 있다 이13 협정은13 사실상13 소련과13 이집트사

이에13 체결된13 것으로13 소련이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내세워13 체결하였다(Cremeans

이13 협정을13 통해13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무기를13 공여하기13 시작하였고13 1963 146)

이집트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는13 계기가13 되었다 년13 월13 일13 1971 5 27

이집트와13 소련의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the Egyptian-Soviet Treaty of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년13 양국의13 무기Friendship and Cooperation) 1955

협정이후13 체결되었다 이13 조약은13 전문을13 포함하여13 모두13 개13 조항으로13 구성 12

되었다 이13 조약의13 전문은13 ldquo소련과13 이집트는13 양국의13 발전을13 촉진하고13 모든13 부분에서의13 협력을13 확고하게13 강화할13 것을13 확신하며13 양국은13 평화로운13 외hellip13 교정책의13 변함없는13 진행에13 따라서13 보다13 강력한13 국제평화와13 안보를13 위한13 투쟁

을13 지속적으로13 수행13 할13 것을13 결의하며helliprdquo32로13 되어13 있다 이13 조약은13 년13 1955

년13 양국이13 맺은13 무기협정13 보다13 여러13 부분에서13 포괄적인13 교류와13 협력을13 강조

32 Julian J Landau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참조Communications p 165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9: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3

접근13 및13 분석13 방법2

본13 연구의13 성격과13 주제에13 비추어13 볼13 때13 저자가13 사용하고자13 하는13 연구방법

은13 비교분석이다 구체적인13 내용은13 다음과13 같이13 요약된다 첫째 필리핀의13 對미13 군사적13 종속과13 이집트의13 소13 군사적13 종속의13 발생원인과13 상황을13 각각13 논對의한다 이를13 위해13 저자는13 군사적13 종속의13 발생원인을13 국내적13 여건과13 국제적13

여건으로13 나누어13 접근하기로13 한다 둘째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군사적으로13 어

떤13 분야에서13 구체적으로13 예속되었는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한다 이것을13 확인하기13

위한13 방법으로13 저자는13 네13 가지13 영역13 ldquo 군사원조의13 양과13 범위13 상호방(1) (2)

위조약의13 체결여부13 피종속국13 으로부터의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구매와13 수입13 (3)

그리고13 피종속국에서의13 군사훈련과13 교육(4) rdquo 등을13 중심으로13 종속의13 상황과13

실체를13 규명하고자13 한다 셋째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각각13 어떤13 상황에서13 그리

고13 어떤13 방식을13 통해서13 지배국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고13 타파했는가

에13 대한13 설명을13 시도한다 이러한13 작업을13 위해13 저자는13 양국에서13 나타난13 군사

적13 종속타파의13 움직임과13 활동에13 초점을13 맞추어13 접근하고자13 한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과13 전개에13 대한13 비교분석을13 하고

자13 한다 비교분석의13 대상은13 ldquo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의13 자생적13 종속과13 타생적13 종속에13 대한13 평가rdquo 등13 가지13 항목이며13 이러 4

한13 가지13 사항을13 중심으로13 논의한다 이러한13 논의를13 진행하는데13 있어서13 저자4

는13 필리핀의13 경우에는13 년13 이후부터13 년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영토에서13 1947 1991

떠날13 때까지의13 시기를13 다룬다 이집트의13 경우에는13 년13 나세르가13 등장한13 1952

이후부터13 년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군사적13 관계가13 사실상13 종료되었던13 시점까1976

지13 논의된다 그러나13 본13 논문과13 관련하여13 추가적13 논의가13 필요한13 경우에13 저자

는13 이러한13 시기를13 제외한13 시기에13 대해서도13 부분적으로13 논의할13 계획이다

124 백태열

필리핀과13 이집트 군사적13 종속상황과13 종속타파의13 전개III

이13 장에서는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상황에13 대한13 배경을13 먼저13 개

관하기로13 한다 우선13 저자는13 필리핀 -미국 이집트 -소련의13 일반적13 및13 군사적13

관계에13 초점을13 맞추기로13 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가13 검토된다

필리핀13 1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

필리핀은13 년13 동안의13 미국의13 식민지배에서13 벗어나13 년13 월13 일13 독립48 1946 7 4

을13 이루었다 그13 후에도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였고13 미국의13 정체

제도와13 특성을13 모방하였고13 양국의13 경제관계도13 활발하였다 전후13 그13 어느13 나

라보다도13 필리핀은13 미국적13 색체가13 강하였다 년13 월13 양국은13 군사기지협 1947 3

정 년13 월13 상호방위조약(Military Bases Agreement) 1951 8 (Mutual Security

을13 각각13 체결하였다Treaty) 6 이러한13 일련의13 조약체결로13 인해13 양국은13 군사적13

동맹관계를13 형성하게13 되었다 이러한13 배경은13 무엇인가 저자는13 미국과13 필리

핀의13 관점에서13 각각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미국의13 시각에서13 보면13 년13 종전 1945

과13 함께13 소련의13 팽창주의적13 공산화정책은13 전13 세계의13 도처에서13 발생하기13 시작

하였다 소련은13 그리스의13 내전에13 개입하였고13 중동의13 아제르바이젠에서13 친공

산정권의13 수립을13 지원하였다 특히13 년13 이후13 북한은13 소련의13 후원하에13 공 1946

산정권을13 수립하고13 있었다 이와13 같이13 년부터13 년대13 후반에13 이르는13 1945 1940

국제정세는13 냉전이13 서서히13 형성되고13 있었다 년13 월13 중화13 인민공화국 1949 10

(the Peoplersquo 의13 출범은13 미국으로13 하여금13 공산세력을13 견s Republic of China)

제하기13 위한13 필요성을13 절실히13 느꼈다 특히13 한국전쟁의13 발발로13 인해13 미국은13

6 그13 밖에도13 미국은13 일본 년 한국 년 그리고13 대만 년 과13 각각13 상호방(1951 ) (1953 ) (1954 )

위조약을13 체결하였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5

동북아뿐만13 아니라13 서남아의13 안보와13 안정의13 중요성을13 심각하게13 고려하기13 시

작하였다 그13 결과13 미국은13 아시아의13 안보역량을13 강화하고13 소련을13 중심으로13

한13 공산주의세력과13 대항할13 수13 있는13 안보체제를13 공고히13 하려는13 노력을13 가시화

하였다 그13 결과13 미국은13 년13 필리핀과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였다 미국 1951

의13 목적은13 전13 세계적으로13 확산되는13 공산주의세력의13 준동과13 움직임에13 적절하

게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아시아의13 안보이익과13 군사적13 영향력을13 구축하는13 것이었

다 냉전의13 상황에13 접어들면서13 미국은13 세력권의13 확대와13 군사적13 동맹군이13 절

실히13 필요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동안13 스페인의13 식민통치를13 받았고13 그13 후13 미국의13 식민13 지400

배를13 받았다 년13 독립을13 쟁취한13 이후13 필리핀은13 새로운13 시대를13 맞게13 되었 1947

다 전후13 필리핀대통령이었던13 마누엘13 로하스 는13 미국으로 (Manuel A Roxas)

부터13 경제원조와13 지원을13 받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제 차13 세계대전13 이후13 독립을13 2

쟁취한13 거의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필리핀은13 안보 경제3

교육 제도13 등13 여러13 부분이13 극도로13 열악한13 상황이었고13 따라서13 국가건설과정

에서13 강력한13 후원자가13 필요하였다 독립이후에도13 양국의13 관계는13 지배 -피지배

의13 종속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정착되기13 시작하였다 군사와13 안보13 부분에서의13 상

황은13 군사기지협정과13 군사원조협정으로13 확인된다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협

정을13 체결한13 배경은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요약된다 첫째 냉전의13 상황이다 1940

년대13 말13 이미13 전13 세계로13 확대된13 냉전의13 상황에서13 필리핀13 역시13 안보상의13 불안

감을13 가졌다 아시아에서의13 공산주의13 정권의13 등장과13 역내의13 불안정은13 필리핀13

지도자들로13 하여금13 미국과의13 동맹관계를13 형성할13 필요성을13 절감하였다 필리

핀은13 미국으로부터의13 군사원조를13 통해13 미약한13 국방력을13 회복하려고13 하였다

더13 나아가서13 년의13 한국전쟁과13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전쟁을13 지켜보면1950 1960

서13 필리핀13 지도자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유착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필리핀의13

안보와13 안정을13 위해서13 필요하다고13 판단하였다 둘째 필리핀의13 국내적13 여건

과13 상황이다 필리핀의13 독립과13 함께13 국내에서는13 후크 가13 조직되었다 (Huks)

이13 단체는13 사실상13 공산주의노선을13 지지하면서13 필리핀의13 팜파간 불라칸 탈

락13 등에서13 강력한13 영향력을13 가지고13 있는13 국민농민연맹(National Peasant

과13 깊게13 연결되어13 있었다Union) 7 독립13 이후13 이들의13 반란이13 일어나고13 로하스13

126 백태열

대통령은13 이를13 진압하기13 위해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적 기술적13 도움을13 받았다13

양승윤( 2003 69- 이13 반란은13 독립이후13 극심한13 분열과13 갈등을13 초래하였70)

고13 향후13 반정부집단의13 정치세력화를13 예고하고13 있었다 이러한13 점에서13 필리핀

정부는13 미국과13 군사동맹관계를13 통해서13 국내의13 소요와13 반란을13 효율적으로13 진

압할13 수13 있는13 안보체계를13 구축하는13 작업이13 필요하였다 간단히13 말하면13 냉전

의13 상황과13 국내의13 공산주의의13 준동에13 적절히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필리핀은13 미국

과의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유지해야13 하는13 절박한13 상황에13 직면하였다

년대에13 접어들면서13 막사이사이 가르시아1950 (Ramon Magsaysay) (Carlos

마카파갈 등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들은13 친미적13 Garcia) (Diodado Macapagal)

성향을13 가졌고13 이러한13 점은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이러

한13 배경에는13 여전히13 아시아에서13 냉전의13 열기가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국내의13 안보

상황도13 크게13 개선되지13 않았기13 때문으로13 풀이된다 마르코스가13 년에13 대통 1965

령에13 당선된13 이후13 미국-필리핀의13 관계는13 군사적 경제적으로13 안정된13 모습을13

보였고13 마르코스는13 집권초기에13 미국에13 대한13 일방적인13 대외관계를13 개선하기13

위하여13 다변화13 외교정책을13 추구하기도13 하였지만13 미국의13 대군사의존의13 상황

은13 크게13 변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마르코스는13 친미성향이13 강했고13 양국관계

를13 필리핀의13 외교의13 중심축으로13 삼았기13 때문이다 마르코스의13 친미적13 성향은13

필리핀의13 국내적13 상황과13 연결된다 필리핀에서13 발생한13 두13 가지13 상황을13 지적

할13 수13 있다 첫째 년에13 결성된13 신인민군대 1969 (New Peoplersquo 이다s Army)

이13 조직은13 공산주의의13 게릴라13 집단으로13 테러활동을13 통한13 사회주의의13 노선을13

확립하려는13 집단이며13 필리핀의13 마오주의13 공산당(the Maoist Communist

과13 정치적으로13 깊게13 연관되어13 있다Party) 8 둘째 년대에13 결성된13 모로13 회 1960

교해방전선 이다 이13 단계는13 사실상13 (the Moro Islamic Liberation Front) Kuk

조직의13 전신으로13 필리핀을13 회교사회로13 만들기13 위해13 투쟁하는13 집단이다 공교

롭게도13 이13 집단은13 모두13 마르코스13 대통령이13 재임하던13 시기인13 년대13 말에13 1960

결성되어13 테러13 활동을13 통한13 국내적13 상황을13 어렵게13 만들었다 마르코스의13 입

7 이13 부분에13 관해서는13 을13 참조httpwwwcomwfb2001philippines

8 이13 부분에13 관해서는13 를13 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7

장에서13 보면13 이러한13 국내적13 불안정과13 좌익13 활동은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시켰

고13 미국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불가피하였다 그13 결과13 필리핀은13 안

보분야에서13 자연스럽게13 미국에게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이들13 반13 정부단체의13

활동은13 마르코스가13 재임하고13 있는13 동안13 국내적으로13 커다란13 정치적 사회적13

도전이었고13 필리핀의13 국내안정과13 직결되어13 있었다 그러나13 필리핀의13 국내정

치적13 상황은13 년13 마르코스가13 재선되고13 계엄령을13 선포함으로써13 악화되기13 1972

시작하였다 마르코스대통령은13 국민들에13 대한13 탄압을13 강화하였다 필리핀13 국

내에서13 독재정권을13 무너뜨리고13 민주주의를13 운동을13 강화하려는13 노력은13 지속

되었지만13 미국과13 군사동맹관계를13 변화시키려는13 활동과13 노력은13 간헐적으로13

이루어졌다 마르코스13 대통령은13 미국과13 체결한13 일련의13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

조약을13 필리핀의13 대외관계의13 주축을13 이루었고13 따라서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

속상태는13 고착화되었다 간단하게13 요약하면13 필리핀이13 미국에13 군사적으로13 예

속된13 주된13 배경은13 국내안보상황의13 불확실성과13 공산주의의13 위협13 때문이었다

필리핀의13 대미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전개(2)

필리핀1) -미국의13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조약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확인할13 수13 있는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양국이13 체

결한13 일련의13 군사동맹조약이다 양국은13 년13 월에13 체결된13 군사기지협정 1947 3

과13 군사원조협정(Military Bases Agreement) (The RP-US Military Assistance

그리고13 년13 월의13 상호방위조약 을13 Agreement) 1951 8 (Mutual Defense Treaty)

각각13 체결하였다 먼저13 저자는13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체결한13 군사기지협 1947 3 14

정의13 내용을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이13 협정은13 미국이13 필리핀에13 군사기지의13 설

치 운영13 등에13 관한13 권리를13 확보할13 수13 있도록13 하였다 미국은13 클라크13 공군기

지와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및13 기타시설13 등을13 포함한13 개의13 군사시설을13 년13 동23 99

안13 무상으로13 사용할13 수13 있도록13 하였다 사실상13 미국정부는13 필리핀내의13 군사

시설에13 대한13 완전한13 통제권을13 갖게13 되었다 이13 협정은13 필리핀이13 군사안보13 부

분에서13 미국에게13 의존하게13 만든13 법적13 기초였다 필리핀의13 미13 군사적13 의존 對

을13 확인할13 수13 있는13 또13 다른13 협정은13 군사원조협정이다 이13 협정은13 군사기지협

정이13 체결된13 직후13 년13 월13 일에13 체결된13 부속협정 이1947 3 21 (Sister agreement)

128 백태열

다9 이13 협정의13 전문은13 ldquo독립13 이후13 필리핀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 그리고13 군장

비의13 구입13 등에13 대한13 필리핀13 정부의13 여망을13 고려하여13 미국13 대통령은13 공동방

위의13 문제에서13 양국의13 상호13 이익의13 관점에서13 국가안보를13 유지하기13 위하여13 필

리핀13 정부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는13 것을13 허락한다helliprdquo10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협정은13 모두13 개의13 세부적인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으며13 거의13 대부분23

의13 조항은13 필리핀에13 대한13 미국의13 군사원조에13 국한되어13 있다 보다13 상세한13 내

용을13 파악하기13 위해13 저자는13 몇몇13 조항을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동13 협정의13 제 1

조는13 ldquo상호협정에13 따라서13 미국정부는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을13 위해13 필리핀정부에게13 군사원조를13 제공할13 것13 이다helliprdquo11고13 명시되어13 있다 또13 다른13 조항은13 군

사고문단 의13 기능과13 역할에13 관한13 것이다 동13 협정(Military Advisory Group)

의13 조는13 8 ldquo군사고문단의13 기능은13 국가안보와13 관련된13 목적을13 수행하는데13 필요한13 것으로13 필리핀에13 조언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다helliprdquo12고13 적고13 있다 이러한13

점은13 필리핀이13 안보정책을13 수립하거나13 군사적13 역할을13 하는데13 있어서13 독자성

이13 크게13 훼손될13 수13 있다 일반적으로13 강대국과13 약소국의13 상호방위조약은13 약

소국의13 독립적이고13 자주적인13 대외군사정책을13 추구하는데13 있어13 제약이13 많고13

군사적13 자주권을13 종종13 훼손시킨다 따라서13 필리핀과13 미국과의13 군사원조협정

도13 같은13 맥락에서13 볼13 수13 있다 또한13 동13 협정의13 조는13 일반적인13 군사원조의13 6

내용을13 담고13 있다 이13 조항에13 따르면13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군대에게13 무기 탄

약 군사장비 전투기와13 전함13 등을13 제공하게13 된다고13 명시하고13 있다 협정의13

조는13 군사훈련지원 에13 관한13 것이다 필리핀에13 대한13 군21 (Training assistance)

사원조의13 일부로서13 선발된13 필리핀13 학생들을13 미국에13 보내13 육군 해군 그리고13

공군13 부대에서13 기술13 및13 군사훈련을13 받도록13 하는13 내용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과13 미국은13 년13 월13 일13 상호방위조약1951 8 13 (Mutual Security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전문과13 개의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Treaty) 13

9 이13 협정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 저자는13 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인쇄본을13 입수하지13 못하여13 대신에13 인터넷13 사이트의13 정보를13 인용함

10 상게서

11 상게서

12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9

이13 조약에서13 양국은13 ldquo외부의13 군사적13 전략에13 대해13 공동으로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양국의13 단결과13 공동의13 결의를13 공개적으로13 그리고13 공식적으로13 선언하면서rdquo13

개13 조항에13 합의하였다 이13 조약의13 13 조는13 외부의13 군사적13 침략에13 대해13 공동13 3

으로13 방어하기13 위한13 대응태세를13 강조하고13 있으며13 조는13 당사국중의13 한13 국가4

가13 외부의13 공격을13 받을13 경우13 이를13 자국에13 대한13 공격으로13 간주한다고13 규정함

으로써13 공동방위를13 구축하고13 있다

양국이13 체결한13 개의13 군사13 및13 방위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볼13 때13 현실적으로13 3

필리핀의13 국가안보를13 강화하고13 양국이13 공동의13 외부적13 위협에13 대응하도록13 구

성되어13 있다 그러나13 이13 조약들은13 양국의13 평등성에13 기초하고13 있기13 보다는13 필

리핀이13 일방적으로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받도록13 되어13 있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군군대의13 주둔2)

싱거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외국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시설이다 년13 양국의13 협정에13 따라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군대를13 주둔시키 1947

고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필리핀에는13 미국의13 군사방위공약을13 실천하기13

위하여13 년부터13 미군이13 주군하고13 대규모의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대1947

표적인13 군사시설은13 클라크13 공군기지(Clark Air Base in Pampanga and

수빅만13 해군기지 죤13 Tarlac) (Subic Naval Base in Bataan and Zambales)

헤이13 공군13 이착륙장 월레스13 공군13 이(John Hay Air Station in Baguio City)

착륙장 그리고13 산13 미구엘13 통신소(Wallace Air Station in La Union) (San

등이다Miguel Station in Zambales) 14 그13 외에도13 소규모의13 미국군사기지13

및13 시설은13 대략13 개이다 클라크13 공군기지는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규모15

이며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역시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해군기지이다 이러한13

미군기지와13 시설에13 주둔하고13 미국병사는13 년13 기준으로13 대략13 육군은13 1979 28

명 공군은13 명 해군은13 그리고13 해병대13 명이13 각각13 필리핀에13 주 8005 4594 786

13 이13 조약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14 이와13 관련하여13 상세한13 내용은13 다음의13 자료를13 참조바람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130 백태열

둔하였고13 전체13 미군의13 수는13 명이다13413 15 이와13 관련된13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13 기준을13 기준으로13 필리핀의13 모든13 미군기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병력은13 1988

명이다17870 16 년13 당시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의13 수는13 명의13 군인과13 1991 15000

명의13 군무원이13 주둔하고13 있었다1000

이러한13 군사기지의13 설치는13 앞서13 설명된13 양국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방위조약

에13 따른13 부수적13 결과일13 뿐이다 외군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기지의13 허용은13 종속

국의13 국방력이13 취약하다는13 반증이다 종속국은13 외국군대의13 도움이13 없이는13 자

국의13 안보상황을13 개선할13 수13 없다는13 것을13 의미하며13 이는13 군사적13 예속의13 또13 다

른13 측면이다 외국군대의13 기지와13 주둔군은13 해당국민과13 가장13 직접적인13 마찰과13

갈등을13 빚는13 부분이고13 법적 사회적 문제를13 가장13 많이13 야기시켰다

미국의13 필리핀13 무기13 공여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검증하기13 위하여13 사용되는13 또13 다른13 증거는13 군사장

비13 및13 무기의13 공여이다 피종속국은13 현실적으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자체적으

로13 개발하는데13 필요한13 기술력과13 경제력을13 결여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타국으로부

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유상으로13 혹은13 무상으로13 공여13 받는다 특히13 이러한13 무

기의13 지원으로13 인해13 보다13 심각한13 상황은13 특정한13 국가로부터13 무기지원을13 받는

다는13 점에서13 의존적13 성격을13 갖고13 있다는13 점이다 따라서13 피종속국이13 종속국

에게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하거나13 수출하지13 않을13 경우13 종속국의13 국가안보

는13 어려움을13 겪거나13 혹은13 심각한13 위험에13 직면할13 수도13 있다 필리핀의13 경우13

년대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의13 대부분을13 공여13 받았다1950 17 이

와13 관련하여13 몇13 가지13 사례를13 들어13 보기로13 한다 필리핀은13 년대13 초부터13 1950

년까지13 미국으로부터13 다양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13 받거나13 혹은13 구매1973

하였다 군사용13 비행기예를13 들면 ( Lockheed T-33 Gruman HU-16A

군사용13 선박예를13 들면 그Albatross) ( patrol boat Infantry landing craft)

리고13 장갑차 예를13 들면( M- 등이다4 Sherman) 18

15 United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p 145

16 이와13 관련된13 자료는13 김경숙13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13 참1988 10 p 76 「 」 985172 985173조

17 년대13 초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제외한13 일본 독일 호주 이탈1950 1970

리아13 등으로부터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미국의13 비중이13 압도적으로13 많았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1

필리핀13 군인의13 미국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13 4)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종속국가의13 군인13 혹은13 영관급13 장교들이13 피

종속국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러한13 지표는13 종속국의13 군인

들의13 질적13 취약성에13 기초한다 종속국의13 군인들은13 안보와13 전쟁에13 필요한13 현

대식의13 훈련과13 전투능력을13 배양하지13 못했기13 때문에13 국가안보의13 문제와13 위기

가13 발생했을13 때13 적절하게13 대처할13 수13 있는13 있는13 군사적13 능력을13 갖추고13 있지13

못하다 이러한13 측면은13 종속국의13 군사력13 하락으로13 연결된다 필리핀군인들은13

의13 프로그램의13 후원13 IMET(International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하에13 미국본토13 혹은13 미국본토이외의13 군사훈련소에서13 군사훈련13 혹은13 교육을13

받았다 자료에13 따르면13 필리핀13 군인들은13 년부터13 년까지13 명이13 1950 1968 12217

훈련을13 받았다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부터13 년13 초까(Singer 1972 301) 1950 1980

지13 대략13 의13 필리핀13 군인들이13 미국의13 재정적13 지원13 하에13 미국의13 군사학17000

교와13 훈련소에13 훈련을13 받았음을13 보여준다19

간단히13 정리하면13 앞서13 제시된13 가지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살펴13 본13 결과13 4

필리핀은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되어13 있음을13 보여준다

필리핀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13 (3)

필리핀의13 정부지도자와13 국민들이13 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상태를13 타파해야13

한다는13 목소리를13 강화한13 것은13 마르코스13 대통령의13 독재정치가13 절정에13 달했을13

때였다 그의13 탄압과13 독재정치에13 대해13 많은13 필리핀국민들이13 저항하였고13 반마

르코스의13 열기가13 확대되었다 년에13 일어난13 필리핀의13 민중의13 혁명 1986

(Peoplersquo 은13 마르코스를13 권좌에13 내쫒았다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의존s Power)

의13 타파는13 사실상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와13 궤를13 같이13 한다 마르코스에13 대한13

비판은13 민주주의를13 강하게13 염원하게13 되었고13 동시에13 그의13 정권하에서13 오래13 동

안13 유지되었던13 필리핀-미국의13 동맹관계의13 실체를13 재평가하려는13 움직임으로13

빠르게13 전환되었다 년13 월13 코라손13 아퀴노 가13 대통령 1986 2 (Corazon Aquino)

18 이와13 관련하여13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참조Stockholm 1975 Sweden SIPRI pp 17-19

19 를13 참조httpIcweb2locgovcgi-binquery

132 백태열

에13 취임하면서13 필리핀에서는13 본격적으로13 미군의13 철수문제가13 공론화되기13 시

작하였다 필리핀국민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동맹체제로부터13 발생하는13 다양한13 불

이익과13 불편을13 종식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개시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추진력 은13 무엇인가 대략13 두13 가지13 요인(Driving force)

으로13 설명된다 첫13 번째는13 민족주의이다 민족주의는13 식민지13 상태에서13 해방

과13 독립을13 쟁취하기13 위한13 이데올로기로서13 작동하였고13 독립이후13 민족주의는13

외세의13 지배와13 간섭을13 배격하기13 위한13 무기로서13 전환된다 필리핀은13 스페인과13

미국의13 식민지를13 경험하면서13 강한13 민족주의를13 발전시켰다 살바도르13 마르티

네그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13 역사는13 세(Salvador Martineg) 16

기13 초에13 시작되어13 년대13 이래13 유지되었고13 년대에는13 클라로13 렉토13 등1950 1960

에13 의해13 활성화되었다20 결국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는13 반미주의와13 강하게13 연결

되어13 있으며13 이는13 미국의13 간섭과13 영향력을13 배제하고13 자국의13 자존심을13 회복하

려는13 노력으로13 승화되었다 동시에13 민족주의의13 열기는13 필리핀국민들에게13 미

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에서13 기인하는13 지배국의13 독선과13 횡포 그리고13 내정간섭에13

대한13 저항을13 강하게13 표출할13 수13 있는13 통로를13 제공하였다 두13 번째는13 주권과13

자주권의13 회복이다 주권과13 자주권은13 민족주의와13 깊은13 연관성을13 갖고13 있다

전후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유지하는데13 있어서13 국민적13 자존

심과13 주권이13 손상되었다는13 인식을13 강하게13 갖고13 있다 에드13 가르시아 (Ed

와13 프란시스코13 네멘쯔 는13 다음과13 같이13 지적한다13 Garcia) (Francisco Nemenz)

(Garcia and Nemenz 1987 4)

독립은13 단지13 자기13 확신의13 문제가13 아니다 국가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이13 아 hellip13 니라13 자주적13 행위자로서13 인식되어야13 한다 모든13 국제회의에서13 우리의13 독립을13

확인하기13 위하여13 용기를13 갖고13 노력하여13 왔다 그러나13 우리가13 실제적인13 독립을13

갖고13 있었을13 때조차도13 우리가13 제안을13 발의해도13 제 세계의13 대표들은13 그13 뒤에는13 3

미국이13 있다는13 점을13 의심하여13 왔다 이러한13 의미에서13 필리핀은13 자국의13 땅위에

서13 거대한13 군사기지를13 유지하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으로13 보여진다

20 이러한13 주장에13 대해서는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사Salvador Martineg 1983 「 」 985172상 월 을13 참조함5 pp 45-48 98517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3

그들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체계가13 필리핀의13 대

외정책에도13 부정적13 영향을13 미쳤음을13 암시하고13 있다 국제무대에서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의식하거나13 혹은13 미국의13 정책과13 보조를13 맞출13 수밖에13 없는13 상황을13 초

래했다고13 보고13 있다 이러한13 관점에13 대해13 일부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자국의13 주권

이나13 자주권이13 어느13 정도13 훼손되었다는13 생각을13 갖고13 있는13 것으로13 보인다 동

시에13 미군철수를13 둘러싼13 필리핀13 국민의13 반감은13 미국의13 마르코스13 체제에13 대한13

옹호에서13 기인하였다는13 점도13 지적될13 수13 있다 그들은13 마르코스13 집권이후13 필

리핀의13 인권상황이13 악화되고13 독재정치가13 유지되고13 있음에13 불구하고13 미국이13

이를13 개선하기13 위한13 적절한13 역할을13 하지13 못한13 것에13 대해13 깊은13 불신과13 반감을13

갖고13 있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13 국민들이13 미군철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를13 요구

하는13 보다13 현실적인13 이유들이13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필리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으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각종13 사회적13 문제와13

갈등이다 미군이13 주둔하고13 있는13 기지주변에서13 발생되는13 각종13 범죄 현지인

과13 미군사이의13 마찰13 등은13 외국군대를13 수용하고13 있는13 필리핀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군기지에13 대한13 반감과13 저항을13 일으킬13 수13 있다 둘째 필리핀13 국내에13 설치된13

핵무기이다 년대13 초에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핵무기가13 설치한13 것으로13 알려져13 1970

있으며13 년까지13 핵무기의13 수는13 대략13 정도에13 달하였다 년을13 기준1973 260 1985

으로13 미국은13 필리핀에13 개의13 핵무기를13 설치하였으며13 그중13 개는13 반잠수227 32

함13 핵폭탄이며13 개는13 해군용13 핵무기 그리고13 그밖에13 개의13 핵폭탄이13 있80 115

는13 것으로13 알려졌다21 핵무기의13 설치와13 사용의13 목적은13 아시아13 지역의13 군사

적13 충돌이나13 전쟁이13 발발할13 경우13 사용되기13 위함이며13 어떤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

는13 필리핀의13 안보를13 위한13 것이라기보다는13 미국의13 군사적13 목적을13 위해13 설치된13

것이다 미국이13 아시아에서13 전쟁을13 수행할13 경우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핵위협에13

노출되어13 있고13 이로13 인해13 여러13 가지13 피해가13 발생할13 수13 있다고13 보고13 핵무기의13

설치와13 시설에13 민감하지13 않을13 수밖에13 없다 이러한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일차적으

로13 공격의13 목표가13 되었던13 것은13 미군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이다

21 Ronald G Simbulan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1989 Manila Philippines

와13 을13 참고 이13 책에는13 필리핀의13 미국핵무기와13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p 78

관련된13 정보와13 내용이13 상세하게13 기록되어13 있음

134 백태열

그러면13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종료시키기13 위한13 구체적인13

움직임 조치 및13 정책은13 무엇인가 마르코스가13 축출당한13 이후인13 년13 월 1986 2

부터13 년대13 초까지13 필리핀의13 국내13 상황은13 급박하게13 돌아가고13 있었다 이1990

와13 관련하여13 가장13 주목을13 끄는13 점은13 년13 월13 일13 필리핀13 상원을13 통과한13 1988 6 6

ldquo반핵병기13 법rdquo이다 이13 법안은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기지와13 군사시설 그리고13 양

국동맹관계의13 근간을13 흔들13 수13 있을13 만큼13 강력한13 내용을13 담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이13 법안의13 조는13 금지행위에13 관한13 것으로13 5 ldquo어떤13 사람도13 운송이나13 하역을13 불문하고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과13 그13 구성부분을13 필리핀13 영역내로13 가지고13

들어오거나13 또는13 소유 보유할13 수13 없다 필리핀13 군사기지13 내13 미합중국의13 기존13

군사13 설비를13 포함하여13 필리핀영역의13 상13 하 상공13 어느13 곳에서도13 본13 제 조13 4 1

항에13 해당하는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 구성부분13 및13 핵병기관련설비의13 개발 제

조 입수 실험 이용 도입 비축 보관을13 금지하며 helliprdquo22라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조항과13 함께13 다른13 조항13 역시13 필리핀에서의13 일체의13 핵무기13 개발 설치 비

축 보관 하역13 등을13 금지시키고13 있다 이13 법안의13 통과는13 필리핀 -미국의13 군사

동맹관계의13 분수령이13 된다 역시13 가장13 커다란13 시사점은13 미국은13 필리핀의13 영

토13 안에13 핵무기와13 관련된13 일체의13 접근이13 불허된다는13 점이며13 동시에13 필리핀의13

모든13 군사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가13 불가피하게13 되었다는13 점이다

년13 월13 미국과의13 군사기지협정을13 년13 연장하기13 위한13 법안이13 상원에13 1991 9 10

게류13 되었을13 때13 필리핀13 국내정세는13 극도로13 혼란스러웠다 이13 혼란의13 중심은13

미군13 기지를13 그대로13 유지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과13 법안을13 거부함으로써13 미군13 기

지를13 폐쇄해야13 한다는13 입장으로13 크게13 나뉘어져13 있었다 이13 협정의13 연장을13 찬

성하는13 집단의13 중심에는13 아키노13 대통령이13 있었다 아키노13 대통령은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쇄될13 경우13 양국관계의13 약화 경제13 투자의13 감소 그리고13 불안정

한13 국내13 상황13 등을13 크게13 우려하였다 무엇보다도13 필리핀13 정부는13 양국이13 오랫

동안13 여러13 부분에서13 구축된13 양국의13 군사적 외교적13 우호관계가13 크게13 악화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우려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13 상원은13 미국과13 협정을13 반대하는

데13 선두집단중의13 하나였다 상원의원들의13 상당수는13 민족주의13 정신이13 강한13 정

22 본13 법안의13 내용에13 관해서는13 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를13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5

치인들이었고13 미군은13 필리핀13 땅에서13 떠나가야13 한다고13 믿었다 미군기지13 임대

의13 연장13 법안의13 반대에13 대한13 보다13 구체적인13 이유는13 무엇인가 가장13 커다란13

이유는13 무엇보다도13 필리핀의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복원이었다 당시13 필리핀13

상원의원인13 아가피토13 아키노 는13 (Agapito Aquino) ldquo이13 투표는13 진정으로13 주권을13 갖고13 독립적인13 필리핀13 국민을13 위한13 것이며13 이13 투표는13 미국의13 조종끈에13 매

어진13 정치적13 청년기13 즉13 극심한13 종속을13 종식하기13 위한13 것이다rdquo23라고13 상원에

서13 역설하였다 종속타파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종속타파의13 견인적인13 메커니즘은13

이론적13 검토에서13 제시된13 것처럼13 역시13 주권의13 회복과13 민족적13 자존심의13 회복이

다 필리핀13 정치인들의13 판단과13 요구가13 대다수13 모든13 필리핀13 국민들의13 견해와13

동일하다고13 볼13 수13 없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협정13 그리고13 상

호방위조약에서13 기인하는13 다양한13 폐해를13 인식하고13 있으며13 미군은13 철수되어

야13 한다는13 공감대를13 발전시켜13 왔다는13 점은13 부인할13 수13 없다 또13 다른13 견해는13

필리핀13 정치권에서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기지사용료가13 너무13 적다는13 이유도13 제시

되고13 있다24 필리핀13 상원의13 강력한13 반대13 움직임13 속에13 아키노13 대통령은13 이13

법안을13 국민투표에13 회부하는13 방안을13 추진하였지만13 무산되고13 결국은13 미군기

지협정의13 연장법안은13 년13 월13 일13 상원에서13 대13 로13 부결되었다1991 9 16 12 11

필리핀13 상원의13 이러한13 결정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년13 미국과13 맺은13 군 1947

사기지협정은13 자동적으로13 무효화되었으며13 필리핀에서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

쇄되고13 미군이13 더13 이상13 주둔하지13 않게13 되었다 미군은13 년13 말13 이전에13 필 1992

리핀의13 영토를13 떠나도록13 권고13 받았다 이러한13 점은13 상징적인13 측면이13 강하지

만13 필리핀은1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고13 볼13 수13 있다

미국의13 반응과13 입장13 (4)

필리핀에서의13 극적인13 변화에13 대해13 미국은13 어떤13 반응을13 보였으며13 기본13 입

장은13 무엇인가 미국은13 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13 이후13 필리핀의13 민주화13 운동과13

23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아키노13 상원의원은13 미군기지문제와13 관 1991 9 16 A1

련하여13 형수이자13 대통령이었던13 코라손13 아퀴노와13 극심한13 마찰과13 갈등을13 겪었다

24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벌인13 협상에서13 미국은13 필리핀에 1991 9 11 A3

게13 수빅만13 해군기지를13 사용하는13 대가로13 일년에13 억불을13 제공하기로13 합의하였다203

136 백태열

새로운13 정권의13 창출을13 고무적으로13 평가하였다 그러나13 동시에13 워싱턴은13 그곳

에서13 미군의13 기지와13 군대의13 철수문제 그리고13 지속적인13 반미운동의13 고조13 등

에13 대해13 깊은13 우려감을13 가졌다 특히13 군사기지협정의13 연장을13 앞13 둔13 시점에서13

미국정부의13 불안감은13 증대되었다 국무장관13 조지13 슐츠 는13 미 (George Shultz)

국은13 필리핀13 관리들과13 정치인들이13 기지연장을13 승인하지13 않을13 경우13 다른13 장소

를13 물색해야13 할지13 모른다는13 입장을13 밝혔다25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국내에서13

벌어지는13 반미운동이13 궁극적으로13 미군기지의13 철폐로13 연결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크게13 우려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필리핀13 상원의13 표결이13 있기13 전에13 미국정부는13

부결가능성을13 기대하고13 있었고13 이를13 위해13 직간접적으로13 필리핀정부에13 회유

와13 압력을13 가하였다

필리핀에서의13 결정은13 미국정부를13 크게13 실망시켰지만13 기지연장을13 둘러싼13

필리핀의13 정책결정과정에13 대해13 특별한13 영향력을13 행사할13 수13 없었다 미국은13

필리핀이13 기지연장13 협정을13 원하지13 않는다면13 이를13 수용하지13 않을13 수13 없다 미

국의13 기본13 입장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연장협정을13 지속하는13 것이었다 그13 이유는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와13 미군의13 주둔은13 년이13 넘은13 동안13 아시아에서13 방어적13 40

역할을13 충실히13 하였기13 때문이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결정은13 대

략13 가지13 파급효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다고13 보았다 첫째 년대13 말에13 냉전이13 2 1980

서서히13 종식되고13 있었지만13 미국은13 아시아에서의13 군사적13 임무와13 역할이13 여전

히13 필요하였다 따라서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의13 철수는13 안보적13 공백이13 발생할13

수13 있으며13 이로13 인한13 군사적13 전략변화가13 요구되고13 있기13 때문이다 둘째는13 간

접적13 파급효과이다 필리핀의13 미군기지13 철수가13 다른13 주둔지역13 특히13 한국과13

일본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기지의13 철수로13 연결될13 수13 있는13 파급효과를13 우려하

였다 반면에13 다른13 측면에서13 보면13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다소13 위안을13 찾을13

수13 있는13 부분도13 있다 필리핀은13 결코13 미국과의13 상호방위조약13 자체를13 폐기한13

것이13 아니기13 때문에13 향후13 양국의13 군사적13 동맹관계는13 유지될13 수13 있으며13 미국

의13 군사적13 영향력도13 어느13 정도13 유효할13 것이라는13 기대감을13 가졌다

25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88 6 17 p 7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7

이집트2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3 (1)

년13 영국의13 식민지에서13 벗어난13 이집트는13 국내외적으로13 커다란13 도전에13 1952

직면하였다 국내적으로13 정치세력간의13 권력투쟁으로13 불안한13 정국이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그13 과정에서13 군사13 쿠데타를13 통해13 실질적인13 권력을13 장악한13 나세르는13

아랍사회주의를13 표방하면서13 국정을13 운영하기13 시작하였다 대외적으로13 국제사

회에는13 이미13 냉전의13 열기가13 정점에13 올랐고13 그13 여파는13 중동에도13 도달하였다

이집트를13 둘러싼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복잡하게13 얽혀가고13 있었다 이와13 관련

하여13 주목할13 부분은13 미국과13 소련은13 중동지역에서13 패권경쟁을13 격화하고13 있었

다는13 점이다 소련은13 미국을13 견제하기13 위하여13 에13 버금가는13 지역안보 NATO

체제를13 구축하려고13 하였고13 이는13 바그다드13 조약 으로13 실현되고13 (Baghdad Pact)

있었다 미국은13 이집트를13 지역안보체제에13 끌어13 들이려는13 계획을13 갖고13 이집트

에13 접근하였다 마찬가지로13 소련은13 이집트와13 접한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중동지역에서의13 교두보를13 확보할13 수13 있다고13 판단하였다 미국과13 소련은13 이집

트가13 아프리카와13 중동을13 연결하는13 지역에13 위치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전략적13 가치

를13 중시하였고13 아랍세계의13 위상13 때문에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근을13 추구하는13 것이13

중요한13 목표중의13 하나였다

나세르가13 집권13 이후13 이집트가13 당면한13 최대13 현안은13 이스라엘과13 갈등과13 분

쟁이었다 년13 월13 이스라엘군대가13 이집트13 통제지역인13 가자해협의13 군사 1955 2

시설을13 공격하면서13 명이13 사망하는13 사건이13 일어났다 이스라엘의13 공격으로13 38

인해13 양국은13 본격적인13 대립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이집트는13 이러한13 상황에13 대처

하기13 위해13 자국의13 군사력의13 증강이13 무엇보다도13 절실한13 과제였다 이집트는13

처음에13 서방측에게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으나13 거부당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시도하였다 이집트가13 소련을13 선택한13 구체적인13 배경은13 무엇인

가 무엇보다도13 나세르는13 기본적으로13 반서방주의13 성향이13 강하였고13 당시의13 국

제정세로13 볼13 때13 이스라엘을13 지원하는13 영국과13 미국13 보다는13 소련에게13 무기를13

요청하는13 것이13 적합하다고13 판단하였다 년13 이집트는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1955

138 백태열

내세운13 소련과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26 이13 무기협정을13 통해13 사실상13 이집트

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어13 가는13 계기가13 되었고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주공급자가13 되었다 그러나13 이집트는13 소련과13 상호군사조

약을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나세르가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맹관계를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기13 때문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찰스13 크레멘

스 는13 (Charles Cremeans) ldquo군사공약이13 포함되지13 않는13 한13 이집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받을13 수13 있었고13 그리고13 필요하다면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는데13

발생할13 수13 있는13 위험을13 감수할13 준비가13 되었다고13 나세르는13 항상13 주장하였다rdquo고13 지적한다 나세르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공여13 받는13 것에13 부(1963 281)

담을13 느꼈던13 것은13 분명하다 그13 이유는13 자신이13 강력한13 비동맹노선을13 표방하

였고13 따라서13 소련과13 연계를13 통해13 의존의13 상황이13 형성되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기13

때문이었다 결국13 나세르는13 적어도13 집권초기에는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

맹관계13 혹은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려고13 하지13 않았다 그러나13 이스라엘의13 군

사적13 위협13 때문에13 이집트가13 무기를13 제공받기로13 한13 결정은13 불가피한13 선택이었

다 전후13 독립을13 획득한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신생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 3

의13 국방력은13 취약하였다 따라서13 이집트의13 대외적13 여건은13 군사대국인13 소련에

게13 자연스럽게13 군사적13 도움을13 요구하게13 되고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그러면13 소련의13 이집트의13 접근배경은13 무엇인가 무엇보다도13 모스크바는13 對

전후13 중동지역에서13 미국과의13 경쟁에서13 우위를13 선점하기13 위한13 목적을13 갖고13 있

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국과의13 냉전13 구도13 하에서13 중동에서의13 영향력

을13 확보하고13 상대적으로13 미국의13 접근을13 어렵게13 하기13 위해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

근을13 시도하였다 즉13 중동에서13 가능한13 많은13 우방국13 혹은13 동맹국을13 만드는13 작

업은13 미국과13 마찬가지로13 소련의13 대외정책의13 우선순위의13 하나였다 더13 나아가

서13 소련은13 이집트뿐만13 아니라13 중동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국가에13 대해13 접한13 관

계를13 구축하고자13 하였다 이러한13 주장은13 년대를13 거치면서13 소련이13 시리 1960

아 요르단13 등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고13 일련의13 군사협정을13 체결하였다는13 사실

에13 의해13 뒷받침13 된다 년13 월13 일13 소련13 외무성은13 1955 4 16 ldquo소련은13 근동13 및13 중

26 이13 협정을13 통해13 양국은13 억불의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45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9

동지역에서13 전개되는13 상황에13 무관심한13 채13 남아13 있을13 수13 없다 그13 이유는13 그13

지역에13 있는13 외국의13 군사기지시설과13 블록화13 현상은13 소련의13 안보에13 직접적인13

연관성이13 있기13 때문이다rdquo27는13 입장을13 표명하였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친 한13 관계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이해관계를13 둘러싸고13 더욱13

발전하게13 되었다 년13 월13 나세르는13 수에즈운하에13 대한13 국유화를13 선언하 1956 7

였고13 이러한13 결정에13 대해13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13 이집트를13 공격하였다 이

로13 인해13 제 차13 중동전쟁이13 발발하였다 운하를13 둘러싼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13 그2

리고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첨예하게13 얽혀있었다 제 차13 중동전쟁은13 이집트 2 -

소련의13 관계에서13 또13 다른13 분수령이13 되었다 년13 이집트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1960

완전한13 통제와13 관리를13 위해13 소련으로부터13 에스완13 댐13 건설비용13 억13 천13 달러3 5

를13 받기로13 결정하였다 그13 후13 이집트는13 다양한13 형태의13 지원을13 소련으로13 받기13

시작하였다 년13 월13 이집트를13 방문한13 후르시초프 서기장은13 1964 5 (Khrushchev)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억13 천 백만13 불을13 융자하겠다는13 발표를13 하였다2 7 7 28

이13 비용은13 이집트가13 년부터13 추진하는13 개년13 개발계획에13 사용될13 예정이1965 5

라고13 덧붙였다 이러한13 재정적13 지원을13 통해13 이집트는13 점진적으로13 의존하였고13

의존의13 내용은13 경제원조의13 영역으로13 확대되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년13 1966 5

월13 일13 소련13 수상13 알렉세이13 코시긴 은13 카이로에서13 가11 (Aleksei M Kosygin)

진13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미국의13 베트남13 공격을13 비난하면서13 ldquo양국의13 국민은13 평화 사회적13 전진 그리고13 사회주의를13 위한13 투쟁에서13 공동13 목적과13 이념으로13

함께13 협력13 한다rdquo고13 선언하였다29 양국의13 우호관계는13 점진적으로13 확대되었다

이집트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스라엘과의13 분쟁은13 여전히13 미해결된13 채13 남아13 있었

고13 소련으로부터13 추가적인13 군사지원은13 불가피하였다

년의13 차13 중동13 전쟁혹은13 일13 전쟁에서13 이집트는13 이스라엘에게13 참패1967 3 ( 6 )

한13 후13 시나이13 반도와13 가지지구13 등을13 빼앗기게13 되었다 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

로13 하여금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더욱13 필요하게13 되었고13 결과적으로13 군

27 Alvin Z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에서13 재인용

2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4 5 25 p 1

29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6 5 11 p 2

140 백태열

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월터13 라퀘르 는13 다음과13 같이13 설 (Walter Laqueur)

명13 한다(1972 62)

일13 전쟁은13 소련6 -이집트13 관계의13 이정표를13 기록하였다 그13 전쟁은13 분실되거

나13 혹은13 파괴된13 모든13 군사13 장비를13 빨리13 대체하기13 위한13 필요성13 때문에13 소련에13

대한13 이집트의13 종속을13 극적으로13 심화시켰고13 낫세르의13 요청에13 따라13 소련군hellip13 인이13 탑승한13 SAM- 과13 2 SAM- 로13 구성된13 거대한13 미사일13 방어체계가13 13 이집트3

에13 설치되었다 소련조종사들이13 이집트내의13 개의13 공군비행장에서13 전투임무 15

를13 갖고13 전투기를13 발진시켰다

이집트는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있어서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

기13 위하여13 소련의13 군사적13 지원을13 지속적으로13 받았다 특히13 년에13 발생한13 1967

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과정에서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위해13 간접적13 방식으로13 전6

쟁에13 개입하였다 소련의13 군사고문단이13 이집트에13 상주하면서13 막후에서13 이집

트에서13 전술적 전략적13 도움을13 제공하고13 협력했을13 가능성은13 상당히13 높다 30

년13 가을에13 발생한13 나세르의13 갑작스런13 죽음과13 함께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1970

사다트는13 나세르의13 이념적 정책적13 계승자였다 따라서13 그는13 적어도13 외형적

으로13 소련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고자13 하였다 그의13 선택은13 당연하였다 일13 6

전쟁은13 휴전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전쟁은13 언제든지13 다시13 발발할13 개연성이13 높았

고13 따라서13 군사력의13 보강은13 그의13 주된13 목표였다 그는13 년13 월13 모스크바 1971 3

를13 방문하여13 소련에13 대한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다 그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1971

년13 월13 일13 양국사이의13 우호조약으로13 발전되었다 이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자리7 28

에서13 사다트는13 ldquo우리국민은13 아랍-소련의13 우정을13 소중하게13 생각하며13 그리고13 진정으로13 아랍전체13 국가들은13 이13 우정을13 우리13 정책의13 가장13 중용한13 기초중의13

하나로13 간주13 한다rdquo 고13 역설하였다 31 양국은13 년의13 유효기간을13 설정하고13 우 15

30 년13 동안13 이집트의13 군복으로13 위장한13 소련군13 조종사들이13 이집트13 영공에서13 이스라1970

엘의13 공습에13 대항하여13 공중전투에13 참여하였다 이13 부분에13 대해서13 Craig A Daigle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을13 참 8(1) March p 3

31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1 5 28 p 2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1

호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에13 어떤13 의미를13 갖고13

있는가 이와13 관련하여13 두13 가지13 사항이13 언급될13 수13 있다 첫째 이집트는13 오래13 13

동안13 공식적인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것을13 주저하였다 그것은13 특정국가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이13 나세르와13 사다트의13 정치철학에13 위배된다고13 판단하였기13 때문

이다 그러나13 나세르의13 죽음과13 완결되지13 않은13 중동전쟁의13 상황을13 고려할13 때13

다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보다13 강화할13 필요성을13 느꼈기13 때문이다

둘째 이13 조약은13 사실상13 외형적으로13 상호13 협력13 및13 우호를13 강조하고13 있지만13

조약의13 세부적13 내용을13 면 히13 검토해13 보면13 사실상13 군사원조와13 무기지원을13 포

함한13 일방적13 방위조약의13 성격이13 강하다 따라서13 향후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방위공약의13 의무를13 갖게13 되고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은13 보다13 제도적13 성격

을13 갖게13 되었다

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상황(2) 對이집트1) -소련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우호13 조약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이집트가13 군사적으로13 소련에13 예속된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년13 월13 이집트와13 1955 9

체코의13 무기매매협정에서13 찾을13 수13 있다 이13 협정은13 사실상13 소련과13 이집트사

이에13 체결된13 것으로13 소련이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내세워13 체결하였다(Cremeans

이13 협정을13 통해13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무기를13 공여하기13 시작하였고13 1963 146)

이집트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는13 계기가13 되었다 년13 월13 일13 1971 5 27

이집트와13 소련의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the Egyptian-Soviet Treaty of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년13 양국의13 무기Friendship and Cooperation) 1955

협정이후13 체결되었다 이13 조약은13 전문을13 포함하여13 모두13 개13 조항으로13 구성 12

되었다 이13 조약의13 전문은13 ldquo소련과13 이집트는13 양국의13 발전을13 촉진하고13 모든13 부분에서의13 협력을13 확고하게13 강화할13 것을13 확신하며13 양국은13 평화로운13 외hellip13 교정책의13 변함없는13 진행에13 따라서13 보다13 강력한13 국제평화와13 안보를13 위한13 투쟁

을13 지속적으로13 수행13 할13 것을13 결의하며helliprdquo32로13 되어13 있다 이13 조약은13 년13 1955

년13 양국이13 맺은13 무기협정13 보다13 여러13 부분에서13 포괄적인13 교류와13 협력을13 강조

32 Julian J Landau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참조Communications p 165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10: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124 백태열

필리핀과13 이집트 군사적13 종속상황과13 종속타파의13 전개III

이13 장에서는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상황에13 대한13 배경을13 먼저13 개

관하기로13 한다 우선13 저자는13 필리핀 -미국 이집트 -소련의13 일반적13 및13 군사적13

관계에13 초점을13 맞추기로13 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가13 검토된다

필리핀13 1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

필리핀은13 년13 동안의13 미국의13 식민지배에서13 벗어나13 년13 월13 일13 독립48 1946 7 4

을13 이루었다 그13 후에도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였고13 미국의13 정체

제도와13 특성을13 모방하였고13 양국의13 경제관계도13 활발하였다 전후13 그13 어느13 나

라보다도13 필리핀은13 미국적13 색체가13 강하였다 년13 월13 양국은13 군사기지협 1947 3

정 년13 월13 상호방위조약(Military Bases Agreement) 1951 8 (Mutual Security

을13 각각13 체결하였다Treaty) 6 이러한13 일련의13 조약체결로13 인해13 양국은13 군사적13

동맹관계를13 형성하게13 되었다 이러한13 배경은13 무엇인가 저자는13 미국과13 필리

핀의13 관점에서13 각각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미국의13 시각에서13 보면13 년13 종전 1945

과13 함께13 소련의13 팽창주의적13 공산화정책은13 전13 세계의13 도처에서13 발생하기13 시작

하였다 소련은13 그리스의13 내전에13 개입하였고13 중동의13 아제르바이젠에서13 친공

산정권의13 수립을13 지원하였다 특히13 년13 이후13 북한은13 소련의13 후원하에13 공 1946

산정권을13 수립하고13 있었다 이와13 같이13 년부터13 년대13 후반에13 이르는13 1945 1940

국제정세는13 냉전이13 서서히13 형성되고13 있었다 년13 월13 중화13 인민공화국 1949 10

(the Peoplersquo 의13 출범은13 미국으로13 하여금13 공산세력을13 견s Republic of China)

제하기13 위한13 필요성을13 절실히13 느꼈다 특히13 한국전쟁의13 발발로13 인해13 미국은13

6 그13 밖에도13 미국은13 일본 년 한국 년 그리고13 대만 년 과13 각각13 상호방(1951 ) (1953 ) (1954 )

위조약을13 체결하였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5

동북아뿐만13 아니라13 서남아의13 안보와13 안정의13 중요성을13 심각하게13 고려하기13 시

작하였다 그13 결과13 미국은13 아시아의13 안보역량을13 강화하고13 소련을13 중심으로13

한13 공산주의세력과13 대항할13 수13 있는13 안보체제를13 공고히13 하려는13 노력을13 가시화

하였다 그13 결과13 미국은13 년13 필리핀과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였다 미국 1951

의13 목적은13 전13 세계적으로13 확산되는13 공산주의세력의13 준동과13 움직임에13 적절하

게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아시아의13 안보이익과13 군사적13 영향력을13 구축하는13 것이었

다 냉전의13 상황에13 접어들면서13 미국은13 세력권의13 확대와13 군사적13 동맹군이13 절

실히13 필요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동안13 스페인의13 식민통치를13 받았고13 그13 후13 미국의13 식민13 지400

배를13 받았다 년13 독립을13 쟁취한13 이후13 필리핀은13 새로운13 시대를13 맞게13 되었 1947

다 전후13 필리핀대통령이었던13 마누엘13 로하스 는13 미국으로 (Manuel A Roxas)

부터13 경제원조와13 지원을13 받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제 차13 세계대전13 이후13 독립을13 2

쟁취한13 거의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필리핀은13 안보 경제3

교육 제도13 등13 여러13 부분이13 극도로13 열악한13 상황이었고13 따라서13 국가건설과정

에서13 강력한13 후원자가13 필요하였다 독립이후에도13 양국의13 관계는13 지배 -피지배

의13 종속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정착되기13 시작하였다 군사와13 안보13 부분에서의13 상

황은13 군사기지협정과13 군사원조협정으로13 확인된다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협

정을13 체결한13 배경은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요약된다 첫째 냉전의13 상황이다 1940

년대13 말13 이미13 전13 세계로13 확대된13 냉전의13 상황에서13 필리핀13 역시13 안보상의13 불안

감을13 가졌다 아시아에서의13 공산주의13 정권의13 등장과13 역내의13 불안정은13 필리핀13

지도자들로13 하여금13 미국과의13 동맹관계를13 형성할13 필요성을13 절감하였다 필리

핀은13 미국으로부터의13 군사원조를13 통해13 미약한13 국방력을13 회복하려고13 하였다

더13 나아가서13 년의13 한국전쟁과13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전쟁을13 지켜보면1950 1960

서13 필리핀13 지도자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유착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필리핀의13

안보와13 안정을13 위해서13 필요하다고13 판단하였다 둘째 필리핀의13 국내적13 여건

과13 상황이다 필리핀의13 독립과13 함께13 국내에서는13 후크 가13 조직되었다 (Huks)

이13 단체는13 사실상13 공산주의노선을13 지지하면서13 필리핀의13 팜파간 불라칸 탈

락13 등에서13 강력한13 영향력을13 가지고13 있는13 국민농민연맹(National Peasant

과13 깊게13 연결되어13 있었다Union) 7 독립13 이후13 이들의13 반란이13 일어나고13 로하스13

126 백태열

대통령은13 이를13 진압하기13 위해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적 기술적13 도움을13 받았다13

양승윤( 2003 69- 이13 반란은13 독립이후13 극심한13 분열과13 갈등을13 초래하였70)

고13 향후13 반정부집단의13 정치세력화를13 예고하고13 있었다 이러한13 점에서13 필리핀

정부는13 미국과13 군사동맹관계를13 통해서13 국내의13 소요와13 반란을13 효율적으로13 진

압할13 수13 있는13 안보체계를13 구축하는13 작업이13 필요하였다 간단히13 말하면13 냉전

의13 상황과13 국내의13 공산주의의13 준동에13 적절히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필리핀은13 미국

과의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유지해야13 하는13 절박한13 상황에13 직면하였다

년대에13 접어들면서13 막사이사이 가르시아1950 (Ramon Magsaysay) (Carlos

마카파갈 등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들은13 친미적13 Garcia) (Diodado Macapagal)

성향을13 가졌고13 이러한13 점은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이러

한13 배경에는13 여전히13 아시아에서13 냉전의13 열기가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국내의13 안보

상황도13 크게13 개선되지13 않았기13 때문으로13 풀이된다 마르코스가13 년에13 대통 1965

령에13 당선된13 이후13 미국-필리핀의13 관계는13 군사적 경제적으로13 안정된13 모습을13

보였고13 마르코스는13 집권초기에13 미국에13 대한13 일방적인13 대외관계를13 개선하기13

위하여13 다변화13 외교정책을13 추구하기도13 하였지만13 미국의13 대군사의존의13 상황

은13 크게13 변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마르코스는13 친미성향이13 강했고13 양국관계

를13 필리핀의13 외교의13 중심축으로13 삼았기13 때문이다 마르코스의13 친미적13 성향은13

필리핀의13 국내적13 상황과13 연결된다 필리핀에서13 발생한13 두13 가지13 상황을13 지적

할13 수13 있다 첫째 년에13 결성된13 신인민군대 1969 (New Peoplersquo 이다s Army)

이13 조직은13 공산주의의13 게릴라13 집단으로13 테러활동을13 통한13 사회주의의13 노선을13

확립하려는13 집단이며13 필리핀의13 마오주의13 공산당(the Maoist Communist

과13 정치적으로13 깊게13 연관되어13 있다Party) 8 둘째 년대에13 결성된13 모로13 회 1960

교해방전선 이다 이13 단계는13 사실상13 (the Moro Islamic Liberation Front) Kuk

조직의13 전신으로13 필리핀을13 회교사회로13 만들기13 위해13 투쟁하는13 집단이다 공교

롭게도13 이13 집단은13 모두13 마르코스13 대통령이13 재임하던13 시기인13 년대13 말에13 1960

결성되어13 테러13 활동을13 통한13 국내적13 상황을13 어렵게13 만들었다 마르코스의13 입

7 이13 부분에13 관해서는13 을13 참조httpwwwcomwfb2001philippines

8 이13 부분에13 관해서는13 를13 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7

장에서13 보면13 이러한13 국내적13 불안정과13 좌익13 활동은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시켰

고13 미국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불가피하였다 그13 결과13 필리핀은13 안

보분야에서13 자연스럽게13 미국에게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이들13 반13 정부단체의13

활동은13 마르코스가13 재임하고13 있는13 동안13 국내적으로13 커다란13 정치적 사회적13

도전이었고13 필리핀의13 국내안정과13 직결되어13 있었다 그러나13 필리핀의13 국내정

치적13 상황은13 년13 마르코스가13 재선되고13 계엄령을13 선포함으로써13 악화되기13 1972

시작하였다 마르코스대통령은13 국민들에13 대한13 탄압을13 강화하였다 필리핀13 국

내에서13 독재정권을13 무너뜨리고13 민주주의를13 운동을13 강화하려는13 노력은13 지속

되었지만13 미국과13 군사동맹관계를13 변화시키려는13 활동과13 노력은13 간헐적으로13

이루어졌다 마르코스13 대통령은13 미국과13 체결한13 일련의13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

조약을13 필리핀의13 대외관계의13 주축을13 이루었고13 따라서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

속상태는13 고착화되었다 간단하게13 요약하면13 필리핀이13 미국에13 군사적으로13 예

속된13 주된13 배경은13 국내안보상황의13 불확실성과13 공산주의의13 위협13 때문이었다

필리핀의13 대미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전개(2)

필리핀1) -미국의13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조약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확인할13 수13 있는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양국이13 체

결한13 일련의13 군사동맹조약이다 양국은13 년13 월에13 체결된13 군사기지협정 1947 3

과13 군사원조협정(Military Bases Agreement) (The RP-US Military Assistance

그리고13 년13 월의13 상호방위조약 을13 Agreement) 1951 8 (Mutual Defense Treaty)

각각13 체결하였다 먼저13 저자는13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체결한13 군사기지협 1947 3 14

정의13 내용을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이13 협정은13 미국이13 필리핀에13 군사기지의13 설

치 운영13 등에13 관한13 권리를13 확보할13 수13 있도록13 하였다 미국은13 클라크13 공군기

지와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및13 기타시설13 등을13 포함한13 개의13 군사시설을13 년13 동23 99

안13 무상으로13 사용할13 수13 있도록13 하였다 사실상13 미국정부는13 필리핀내의13 군사

시설에13 대한13 완전한13 통제권을13 갖게13 되었다 이13 협정은13 필리핀이13 군사안보13 부

분에서13 미국에게13 의존하게13 만든13 법적13 기초였다 필리핀의13 미13 군사적13 의존 對

을13 확인할13 수13 있는13 또13 다른13 협정은13 군사원조협정이다 이13 협정은13 군사기지협

정이13 체결된13 직후13 년13 월13 일에13 체결된13 부속협정 이1947 3 21 (Sister agreement)

128 백태열

다9 이13 협정의13 전문은13 ldquo독립13 이후13 필리핀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 그리고13 군장

비의13 구입13 등에13 대한13 필리핀13 정부의13 여망을13 고려하여13 미국13 대통령은13 공동방

위의13 문제에서13 양국의13 상호13 이익의13 관점에서13 국가안보를13 유지하기13 위하여13 필

리핀13 정부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는13 것을13 허락한다helliprdquo10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협정은13 모두13 개의13 세부적인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으며13 거의13 대부분23

의13 조항은13 필리핀에13 대한13 미국의13 군사원조에13 국한되어13 있다 보다13 상세한13 내

용을13 파악하기13 위해13 저자는13 몇몇13 조항을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동13 협정의13 제 1

조는13 ldquo상호협정에13 따라서13 미국정부는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을13 위해13 필리핀정부에게13 군사원조를13 제공할13 것13 이다helliprdquo11고13 명시되어13 있다 또13 다른13 조항은13 군

사고문단 의13 기능과13 역할에13 관한13 것이다 동13 협정(Military Advisory Group)

의13 조는13 8 ldquo군사고문단의13 기능은13 국가안보와13 관련된13 목적을13 수행하는데13 필요한13 것으로13 필리핀에13 조언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다helliprdquo12고13 적고13 있다 이러한13

점은13 필리핀이13 안보정책을13 수립하거나13 군사적13 역할을13 하는데13 있어서13 독자성

이13 크게13 훼손될13 수13 있다 일반적으로13 강대국과13 약소국의13 상호방위조약은13 약

소국의13 독립적이고13 자주적인13 대외군사정책을13 추구하는데13 있어13 제약이13 많고13

군사적13 자주권을13 종종13 훼손시킨다 따라서13 필리핀과13 미국과의13 군사원조협정

도13 같은13 맥락에서13 볼13 수13 있다 또한13 동13 협정의13 조는13 일반적인13 군사원조의13 6

내용을13 담고13 있다 이13 조항에13 따르면13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군대에게13 무기 탄

약 군사장비 전투기와13 전함13 등을13 제공하게13 된다고13 명시하고13 있다 협정의13

조는13 군사훈련지원 에13 관한13 것이다 필리핀에13 대한13 군21 (Training assistance)

사원조의13 일부로서13 선발된13 필리핀13 학생들을13 미국에13 보내13 육군 해군 그리고13

공군13 부대에서13 기술13 및13 군사훈련을13 받도록13 하는13 내용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과13 미국은13 년13 월13 일13 상호방위조약1951 8 13 (Mutual Security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전문과13 개의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Treaty) 13

9 이13 협정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 저자는13 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인쇄본을13 입수하지13 못하여13 대신에13 인터넷13 사이트의13 정보를13 인용함

10 상게서

11 상게서

12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9

이13 조약에서13 양국은13 ldquo외부의13 군사적13 전략에13 대해13 공동으로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양국의13 단결과13 공동의13 결의를13 공개적으로13 그리고13 공식적으로13 선언하면서rdquo13

개13 조항에13 합의하였다 이13 조약의13 13 조는13 외부의13 군사적13 침략에13 대해13 공동13 3

으로13 방어하기13 위한13 대응태세를13 강조하고13 있으며13 조는13 당사국중의13 한13 국가4

가13 외부의13 공격을13 받을13 경우13 이를13 자국에13 대한13 공격으로13 간주한다고13 규정함

으로써13 공동방위를13 구축하고13 있다

양국이13 체결한13 개의13 군사13 및13 방위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볼13 때13 현실적으로13 3

필리핀의13 국가안보를13 강화하고13 양국이13 공동의13 외부적13 위협에13 대응하도록13 구

성되어13 있다 그러나13 이13 조약들은13 양국의13 평등성에13 기초하고13 있기13 보다는13 필

리핀이13 일방적으로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받도록13 되어13 있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군군대의13 주둔2)

싱거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외국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시설이다 년13 양국의13 협정에13 따라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군대를13 주둔시키 1947

고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필리핀에는13 미국의13 군사방위공약을13 실천하기13

위하여13 년부터13 미군이13 주군하고13 대규모의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대1947

표적인13 군사시설은13 클라크13 공군기지(Clark Air Base in Pampanga and

수빅만13 해군기지 죤13 Tarlac) (Subic Naval Base in Bataan and Zambales)

헤이13 공군13 이착륙장 월레스13 공군13 이(John Hay Air Station in Baguio City)

착륙장 그리고13 산13 미구엘13 통신소(Wallace Air Station in La Union) (San

등이다Miguel Station in Zambales) 14 그13 외에도13 소규모의13 미국군사기지13

및13 시설은13 대략13 개이다 클라크13 공군기지는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규모15

이며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역시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해군기지이다 이러한13

미군기지와13 시설에13 주둔하고13 미국병사는13 년13 기준으로13 대략13 육군은13 1979 28

명 공군은13 명 해군은13 그리고13 해병대13 명이13 각각13 필리핀에13 주 8005 4594 786

13 이13 조약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14 이와13 관련하여13 상세한13 내용은13 다음의13 자료를13 참조바람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130 백태열

둔하였고13 전체13 미군의13 수는13 명이다13413 15 이와13 관련된13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13 기준을13 기준으로13 필리핀의13 모든13 미군기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병력은13 1988

명이다17870 16 년13 당시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의13 수는13 명의13 군인과13 1991 15000

명의13 군무원이13 주둔하고13 있었다1000

이러한13 군사기지의13 설치는13 앞서13 설명된13 양국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방위조약

에13 따른13 부수적13 결과일13 뿐이다 외군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기지의13 허용은13 종속

국의13 국방력이13 취약하다는13 반증이다 종속국은13 외국군대의13 도움이13 없이는13 자

국의13 안보상황을13 개선할13 수13 없다는13 것을13 의미하며13 이는13 군사적13 예속의13 또13 다

른13 측면이다 외국군대의13 기지와13 주둔군은13 해당국민과13 가장13 직접적인13 마찰과13

갈등을13 빚는13 부분이고13 법적 사회적 문제를13 가장13 많이13 야기시켰다

미국의13 필리핀13 무기13 공여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검증하기13 위하여13 사용되는13 또13 다른13 증거는13 군사장

비13 및13 무기의13 공여이다 피종속국은13 현실적으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자체적으

로13 개발하는데13 필요한13 기술력과13 경제력을13 결여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타국으로부

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유상으로13 혹은13 무상으로13 공여13 받는다 특히13 이러한13 무

기의13 지원으로13 인해13 보다13 심각한13 상황은13 특정한13 국가로부터13 무기지원을13 받는

다는13 점에서13 의존적13 성격을13 갖고13 있다는13 점이다 따라서13 피종속국이13 종속국

에게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하거나13 수출하지13 않을13 경우13 종속국의13 국가안보

는13 어려움을13 겪거나13 혹은13 심각한13 위험에13 직면할13 수도13 있다 필리핀의13 경우13

년대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의13 대부분을13 공여13 받았다1950 17 이

와13 관련하여13 몇13 가지13 사례를13 들어13 보기로13 한다 필리핀은13 년대13 초부터13 1950

년까지13 미국으로부터13 다양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13 받거나13 혹은13 구매1973

하였다 군사용13 비행기예를13 들면 ( Lockheed T-33 Gruman HU-16A

군사용13 선박예를13 들면 그Albatross) ( patrol boat Infantry landing craft)

리고13 장갑차 예를13 들면( M- 등이다4 Sherman) 18

15 United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p 145

16 이와13 관련된13 자료는13 김경숙13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13 참1988 10 p 76 「 」 985172 985173조

17 년대13 초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제외한13 일본 독일 호주 이탈1950 1970

리아13 등으로부터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미국의13 비중이13 압도적으로13 많았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1

필리핀13 군인의13 미국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13 4)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종속국가의13 군인13 혹은13 영관급13 장교들이13 피

종속국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러한13 지표는13 종속국의13 군인

들의13 질적13 취약성에13 기초한다 종속국의13 군인들은13 안보와13 전쟁에13 필요한13 현

대식의13 훈련과13 전투능력을13 배양하지13 못했기13 때문에13 국가안보의13 문제와13 위기

가13 발생했을13 때13 적절하게13 대처할13 수13 있는13 있는13 군사적13 능력을13 갖추고13 있지13

못하다 이러한13 측면은13 종속국의13 군사력13 하락으로13 연결된다 필리핀군인들은13

의13 프로그램의13 후원13 IMET(International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하에13 미국본토13 혹은13 미국본토이외의13 군사훈련소에서13 군사훈련13 혹은13 교육을13

받았다 자료에13 따르면13 필리핀13 군인들은13 년부터13 년까지13 명이13 1950 1968 12217

훈련을13 받았다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부터13 년13 초까(Singer 1972 301) 1950 1980

지13 대략13 의13 필리핀13 군인들이13 미국의13 재정적13 지원13 하에13 미국의13 군사학17000

교와13 훈련소에13 훈련을13 받았음을13 보여준다19

간단히13 정리하면13 앞서13 제시된13 가지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살펴13 본13 결과13 4

필리핀은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되어13 있음을13 보여준다

필리핀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13 (3)

필리핀의13 정부지도자와13 국민들이13 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상태를13 타파해야13

한다는13 목소리를13 강화한13 것은13 마르코스13 대통령의13 독재정치가13 절정에13 달했을13

때였다 그의13 탄압과13 독재정치에13 대해13 많은13 필리핀국민들이13 저항하였고13 반마

르코스의13 열기가13 확대되었다 년에13 일어난13 필리핀의13 민중의13 혁명 1986

(Peoplersquo 은13 마르코스를13 권좌에13 내쫒았다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의존s Power)

의13 타파는13 사실상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와13 궤를13 같이13 한다 마르코스에13 대한13

비판은13 민주주의를13 강하게13 염원하게13 되었고13 동시에13 그의13 정권하에서13 오래13 동

안13 유지되었던13 필리핀-미국의13 동맹관계의13 실체를13 재평가하려는13 움직임으로13

빠르게13 전환되었다 년13 월13 코라손13 아퀴노 가13 대통령 1986 2 (Corazon Aquino)

18 이와13 관련하여13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참조Stockholm 1975 Sweden SIPRI pp 17-19

19 를13 참조httpIcweb2locgovcgi-binquery

132 백태열

에13 취임하면서13 필리핀에서는13 본격적으로13 미군의13 철수문제가13 공론화되기13 시

작하였다 필리핀국민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동맹체제로부터13 발생하는13 다양한13 불

이익과13 불편을13 종식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개시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추진력 은13 무엇인가 대략13 두13 가지13 요인(Driving force)

으로13 설명된다 첫13 번째는13 민족주의이다 민족주의는13 식민지13 상태에서13 해방

과13 독립을13 쟁취하기13 위한13 이데올로기로서13 작동하였고13 독립이후13 민족주의는13

외세의13 지배와13 간섭을13 배격하기13 위한13 무기로서13 전환된다 필리핀은13 스페인과13

미국의13 식민지를13 경험하면서13 강한13 민족주의를13 발전시켰다 살바도르13 마르티

네그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13 역사는13 세(Salvador Martineg) 16

기13 초에13 시작되어13 년대13 이래13 유지되었고13 년대에는13 클라로13 렉토13 등1950 1960

에13 의해13 활성화되었다20 결국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는13 반미주의와13 강하게13 연결

되어13 있으며13 이는13 미국의13 간섭과13 영향력을13 배제하고13 자국의13 자존심을13 회복하

려는13 노력으로13 승화되었다 동시에13 민족주의의13 열기는13 필리핀국민들에게13 미

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에서13 기인하는13 지배국의13 독선과13 횡포 그리고13 내정간섭에13

대한13 저항을13 강하게13 표출할13 수13 있는13 통로를13 제공하였다 두13 번째는13 주권과13

자주권의13 회복이다 주권과13 자주권은13 민족주의와13 깊은13 연관성을13 갖고13 있다

전후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유지하는데13 있어서13 국민적13 자존

심과13 주권이13 손상되었다는13 인식을13 강하게13 갖고13 있다 에드13 가르시아 (Ed

와13 프란시스코13 네멘쯔 는13 다음과13 같이13 지적한다13 Garcia) (Francisco Nemenz)

(Garcia and Nemenz 1987 4)

독립은13 단지13 자기13 확신의13 문제가13 아니다 국가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이13 아 hellip13 니라13 자주적13 행위자로서13 인식되어야13 한다 모든13 국제회의에서13 우리의13 독립을13

확인하기13 위하여13 용기를13 갖고13 노력하여13 왔다 그러나13 우리가13 실제적인13 독립을13

갖고13 있었을13 때조차도13 우리가13 제안을13 발의해도13 제 세계의13 대표들은13 그13 뒤에는13 3

미국이13 있다는13 점을13 의심하여13 왔다 이러한13 의미에서13 필리핀은13 자국의13 땅위에

서13 거대한13 군사기지를13 유지하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으로13 보여진다

20 이러한13 주장에13 대해서는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사Salvador Martineg 1983 「 」 985172상 월 을13 참조함5 pp 45-48 98517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3

그들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체계가13 필리핀의13 대

외정책에도13 부정적13 영향을13 미쳤음을13 암시하고13 있다 국제무대에서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의식하거나13 혹은13 미국의13 정책과13 보조를13 맞출13 수밖에13 없는13 상황을13 초

래했다고13 보고13 있다 이러한13 관점에13 대해13 일부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자국의13 주권

이나13 자주권이13 어느13 정도13 훼손되었다는13 생각을13 갖고13 있는13 것으로13 보인다 동

시에13 미군철수를13 둘러싼13 필리핀13 국민의13 반감은13 미국의13 마르코스13 체제에13 대한13

옹호에서13 기인하였다는13 점도13 지적될13 수13 있다 그들은13 마르코스13 집권이후13 필

리핀의13 인권상황이13 악화되고13 독재정치가13 유지되고13 있음에13 불구하고13 미국이13

이를13 개선하기13 위한13 적절한13 역할을13 하지13 못한13 것에13 대해13 깊은13 불신과13 반감을13

갖고13 있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13 국민들이13 미군철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를13 요구

하는13 보다13 현실적인13 이유들이13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필리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으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각종13 사회적13 문제와13

갈등이다 미군이13 주둔하고13 있는13 기지주변에서13 발생되는13 각종13 범죄 현지인

과13 미군사이의13 마찰13 등은13 외국군대를13 수용하고13 있는13 필리핀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군기지에13 대한13 반감과13 저항을13 일으킬13 수13 있다 둘째 필리핀13 국내에13 설치된13

핵무기이다 년대13 초에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핵무기가13 설치한13 것으로13 알려져13 1970

있으며13 년까지13 핵무기의13 수는13 대략13 정도에13 달하였다 년을13 기준1973 260 1985

으로13 미국은13 필리핀에13 개의13 핵무기를13 설치하였으며13 그중13 개는13 반잠수227 32

함13 핵폭탄이며13 개는13 해군용13 핵무기 그리고13 그밖에13 개의13 핵폭탄이13 있80 115

는13 것으로13 알려졌다21 핵무기의13 설치와13 사용의13 목적은13 아시아13 지역의13 군사

적13 충돌이나13 전쟁이13 발발할13 경우13 사용되기13 위함이며13 어떤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

는13 필리핀의13 안보를13 위한13 것이라기보다는13 미국의13 군사적13 목적을13 위해13 설치된13

것이다 미국이13 아시아에서13 전쟁을13 수행할13 경우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핵위협에13

노출되어13 있고13 이로13 인해13 여러13 가지13 피해가13 발생할13 수13 있다고13 보고13 핵무기의13

설치와13 시설에13 민감하지13 않을13 수밖에13 없다 이러한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일차적으

로13 공격의13 목표가13 되었던13 것은13 미군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이다

21 Ronald G Simbulan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1989 Manila Philippines

와13 을13 참고 이13 책에는13 필리핀의13 미국핵무기와13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p 78

관련된13 정보와13 내용이13 상세하게13 기록되어13 있음

134 백태열

그러면13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종료시키기13 위한13 구체적인13

움직임 조치 및13 정책은13 무엇인가 마르코스가13 축출당한13 이후인13 년13 월 1986 2

부터13 년대13 초까지13 필리핀의13 국내13 상황은13 급박하게13 돌아가고13 있었다 이1990

와13 관련하여13 가장13 주목을13 끄는13 점은13 년13 월13 일13 필리핀13 상원을13 통과한13 1988 6 6

ldquo반핵병기13 법rdquo이다 이13 법안은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기지와13 군사시설 그리고13 양

국동맹관계의13 근간을13 흔들13 수13 있을13 만큼13 강력한13 내용을13 담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이13 법안의13 조는13 금지행위에13 관한13 것으로13 5 ldquo어떤13 사람도13 운송이나13 하역을13 불문하고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과13 그13 구성부분을13 필리핀13 영역내로13 가지고13

들어오거나13 또는13 소유 보유할13 수13 없다 필리핀13 군사기지13 내13 미합중국의13 기존13

군사13 설비를13 포함하여13 필리핀영역의13 상13 하 상공13 어느13 곳에서도13 본13 제 조13 4 1

항에13 해당하는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 구성부분13 및13 핵병기관련설비의13 개발 제

조 입수 실험 이용 도입 비축 보관을13 금지하며 helliprdquo22라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조항과13 함께13 다른13 조항13 역시13 필리핀에서의13 일체의13 핵무기13 개발 설치 비

축 보관 하역13 등을13 금지시키고13 있다 이13 법안의13 통과는13 필리핀 -미국의13 군사

동맹관계의13 분수령이13 된다 역시13 가장13 커다란13 시사점은13 미국은13 필리핀의13 영

토13 안에13 핵무기와13 관련된13 일체의13 접근이13 불허된다는13 점이며13 동시에13 필리핀의13

모든13 군사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가13 불가피하게13 되었다는13 점이다

년13 월13 미국과의13 군사기지협정을13 년13 연장하기13 위한13 법안이13 상원에13 1991 9 10

게류13 되었을13 때13 필리핀13 국내정세는13 극도로13 혼란스러웠다 이13 혼란의13 중심은13

미군13 기지를13 그대로13 유지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과13 법안을13 거부함으로써13 미군13 기

지를13 폐쇄해야13 한다는13 입장으로13 크게13 나뉘어져13 있었다 이13 협정의13 연장을13 찬

성하는13 집단의13 중심에는13 아키노13 대통령이13 있었다 아키노13 대통령은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쇄될13 경우13 양국관계의13 약화 경제13 투자의13 감소 그리고13 불안정

한13 국내13 상황13 등을13 크게13 우려하였다 무엇보다도13 필리핀13 정부는13 양국이13 오랫

동안13 여러13 부분에서13 구축된13 양국의13 군사적 외교적13 우호관계가13 크게13 악화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우려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13 상원은13 미국과13 협정을13 반대하는

데13 선두집단중의13 하나였다 상원의원들의13 상당수는13 민족주의13 정신이13 강한13 정

22 본13 법안의13 내용에13 관해서는13 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를13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5

치인들이었고13 미군은13 필리핀13 땅에서13 떠나가야13 한다고13 믿었다 미군기지13 임대

의13 연장13 법안의13 반대에13 대한13 보다13 구체적인13 이유는13 무엇인가 가장13 커다란13

이유는13 무엇보다도13 필리핀의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복원이었다 당시13 필리핀13

상원의원인13 아가피토13 아키노 는13 (Agapito Aquino) ldquo이13 투표는13 진정으로13 주권을13 갖고13 독립적인13 필리핀13 국민을13 위한13 것이며13 이13 투표는13 미국의13 조종끈에13 매

어진13 정치적13 청년기13 즉13 극심한13 종속을13 종식하기13 위한13 것이다rdquo23라고13 상원에

서13 역설하였다 종속타파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종속타파의13 견인적인13 메커니즘은13

이론적13 검토에서13 제시된13 것처럼13 역시13 주권의13 회복과13 민족적13 자존심의13 회복이

다 필리핀13 정치인들의13 판단과13 요구가13 대다수13 모든13 필리핀13 국민들의13 견해와13

동일하다고13 볼13 수13 없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협정13 그리고13 상

호방위조약에서13 기인하는13 다양한13 폐해를13 인식하고13 있으며13 미군은13 철수되어

야13 한다는13 공감대를13 발전시켜13 왔다는13 점은13 부인할13 수13 없다 또13 다른13 견해는13

필리핀13 정치권에서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기지사용료가13 너무13 적다는13 이유도13 제시

되고13 있다24 필리핀13 상원의13 강력한13 반대13 움직임13 속에13 아키노13 대통령은13 이13

법안을13 국민투표에13 회부하는13 방안을13 추진하였지만13 무산되고13 결국은13 미군기

지협정의13 연장법안은13 년13 월13 일13 상원에서13 대13 로13 부결되었다1991 9 16 12 11

필리핀13 상원의13 이러한13 결정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년13 미국과13 맺은13 군 1947

사기지협정은13 자동적으로13 무효화되었으며13 필리핀에서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

쇄되고13 미군이13 더13 이상13 주둔하지13 않게13 되었다 미군은13 년13 말13 이전에13 필 1992

리핀의13 영토를13 떠나도록13 권고13 받았다 이러한13 점은13 상징적인13 측면이13 강하지

만13 필리핀은1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고13 볼13 수13 있다

미국의13 반응과13 입장13 (4)

필리핀에서의13 극적인13 변화에13 대해13 미국은13 어떤13 반응을13 보였으며13 기본13 입

장은13 무엇인가 미국은13 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13 이후13 필리핀의13 민주화13 운동과13

23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아키노13 상원의원은13 미군기지문제와13 관 1991 9 16 A1

련하여13 형수이자13 대통령이었던13 코라손13 아퀴노와13 극심한13 마찰과13 갈등을13 겪었다

24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벌인13 협상에서13 미국은13 필리핀에 1991 9 11 A3

게13 수빅만13 해군기지를13 사용하는13 대가로13 일년에13 억불을13 제공하기로13 합의하였다203

136 백태열

새로운13 정권의13 창출을13 고무적으로13 평가하였다 그러나13 동시에13 워싱턴은13 그곳

에서13 미군의13 기지와13 군대의13 철수문제 그리고13 지속적인13 반미운동의13 고조13 등

에13 대해13 깊은13 우려감을13 가졌다 특히13 군사기지협정의13 연장을13 앞13 둔13 시점에서13

미국정부의13 불안감은13 증대되었다 국무장관13 조지13 슐츠 는13 미 (George Shultz)

국은13 필리핀13 관리들과13 정치인들이13 기지연장을13 승인하지13 않을13 경우13 다른13 장소

를13 물색해야13 할지13 모른다는13 입장을13 밝혔다25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국내에서13

벌어지는13 반미운동이13 궁극적으로13 미군기지의13 철폐로13 연결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크게13 우려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필리핀13 상원의13 표결이13 있기13 전에13 미국정부는13

부결가능성을13 기대하고13 있었고13 이를13 위해13 직간접적으로13 필리핀정부에13 회유

와13 압력을13 가하였다

필리핀에서의13 결정은13 미국정부를13 크게13 실망시켰지만13 기지연장을13 둘러싼13

필리핀의13 정책결정과정에13 대해13 특별한13 영향력을13 행사할13 수13 없었다 미국은13

필리핀이13 기지연장13 협정을13 원하지13 않는다면13 이를13 수용하지13 않을13 수13 없다 미

국의13 기본13 입장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연장협정을13 지속하는13 것이었다 그13 이유는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와13 미군의13 주둔은13 년이13 넘은13 동안13 아시아에서13 방어적13 40

역할을13 충실히13 하였기13 때문이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결정은13 대

략13 가지13 파급효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다고13 보았다 첫째 년대13 말에13 냉전이13 2 1980

서서히13 종식되고13 있었지만13 미국은13 아시아에서의13 군사적13 임무와13 역할이13 여전

히13 필요하였다 따라서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의13 철수는13 안보적13 공백이13 발생할13

수13 있으며13 이로13 인한13 군사적13 전략변화가13 요구되고13 있기13 때문이다 둘째는13 간

접적13 파급효과이다 필리핀의13 미군기지13 철수가13 다른13 주둔지역13 특히13 한국과13

일본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기지의13 철수로13 연결될13 수13 있는13 파급효과를13 우려하

였다 반면에13 다른13 측면에서13 보면13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다소13 위안을13 찾을13

수13 있는13 부분도13 있다 필리핀은13 결코13 미국과의13 상호방위조약13 자체를13 폐기한13

것이13 아니기13 때문에13 향후13 양국의13 군사적13 동맹관계는13 유지될13 수13 있으며13 미국

의13 군사적13 영향력도13 어느13 정도13 유효할13 것이라는13 기대감을13 가졌다

25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88 6 17 p 7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7

이집트2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3 (1)

년13 영국의13 식민지에서13 벗어난13 이집트는13 국내외적으로13 커다란13 도전에13 1952

직면하였다 국내적으로13 정치세력간의13 권력투쟁으로13 불안한13 정국이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그13 과정에서13 군사13 쿠데타를13 통해13 실질적인13 권력을13 장악한13 나세르는13

아랍사회주의를13 표방하면서13 국정을13 운영하기13 시작하였다 대외적으로13 국제사

회에는13 이미13 냉전의13 열기가13 정점에13 올랐고13 그13 여파는13 중동에도13 도달하였다

이집트를13 둘러싼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복잡하게13 얽혀가고13 있었다 이와13 관련

하여13 주목할13 부분은13 미국과13 소련은13 중동지역에서13 패권경쟁을13 격화하고13 있었

다는13 점이다 소련은13 미국을13 견제하기13 위하여13 에13 버금가는13 지역안보 NATO

체제를13 구축하려고13 하였고13 이는13 바그다드13 조약 으로13 실현되고13 (Baghdad Pact)

있었다 미국은13 이집트를13 지역안보체제에13 끌어13 들이려는13 계획을13 갖고13 이집트

에13 접근하였다 마찬가지로13 소련은13 이집트와13 접한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중동지역에서의13 교두보를13 확보할13 수13 있다고13 판단하였다 미국과13 소련은13 이집

트가13 아프리카와13 중동을13 연결하는13 지역에13 위치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전략적13 가치

를13 중시하였고13 아랍세계의13 위상13 때문에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근을13 추구하는13 것이13

중요한13 목표중의13 하나였다

나세르가13 집권13 이후13 이집트가13 당면한13 최대13 현안은13 이스라엘과13 갈등과13 분

쟁이었다 년13 월13 이스라엘군대가13 이집트13 통제지역인13 가자해협의13 군사 1955 2

시설을13 공격하면서13 명이13 사망하는13 사건이13 일어났다 이스라엘의13 공격으로13 38

인해13 양국은13 본격적인13 대립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이집트는13 이러한13 상황에13 대처

하기13 위해13 자국의13 군사력의13 증강이13 무엇보다도13 절실한13 과제였다 이집트는13

처음에13 서방측에게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으나13 거부당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시도하였다 이집트가13 소련을13 선택한13 구체적인13 배경은13 무엇인

가 무엇보다도13 나세르는13 기본적으로13 반서방주의13 성향이13 강하였고13 당시의13 국

제정세로13 볼13 때13 이스라엘을13 지원하는13 영국과13 미국13 보다는13 소련에게13 무기를13

요청하는13 것이13 적합하다고13 판단하였다 년13 이집트는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1955

138 백태열

내세운13 소련과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26 이13 무기협정을13 통해13 사실상13 이집트

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어13 가는13 계기가13 되었고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주공급자가13 되었다 그러나13 이집트는13 소련과13 상호군사조

약을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나세르가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맹관계를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기13 때문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찰스13 크레멘

스 는13 (Charles Cremeans) ldquo군사공약이13 포함되지13 않는13 한13 이집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받을13 수13 있었고13 그리고13 필요하다면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는데13

발생할13 수13 있는13 위험을13 감수할13 준비가13 되었다고13 나세르는13 항상13 주장하였다rdquo고13 지적한다 나세르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공여13 받는13 것에13 부(1963 281)

담을13 느꼈던13 것은13 분명하다 그13 이유는13 자신이13 강력한13 비동맹노선을13 표방하

였고13 따라서13 소련과13 연계를13 통해13 의존의13 상황이13 형성되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기13

때문이었다 결국13 나세르는13 적어도13 집권초기에는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

맹관계13 혹은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려고13 하지13 않았다 그러나13 이스라엘의13 군

사적13 위협13 때문에13 이집트가13 무기를13 제공받기로13 한13 결정은13 불가피한13 선택이었

다 전후13 독립을13 획득한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신생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 3

의13 국방력은13 취약하였다 따라서13 이집트의13 대외적13 여건은13 군사대국인13 소련에

게13 자연스럽게13 군사적13 도움을13 요구하게13 되고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그러면13 소련의13 이집트의13 접근배경은13 무엇인가 무엇보다도13 모스크바는13 對

전후13 중동지역에서13 미국과의13 경쟁에서13 우위를13 선점하기13 위한13 목적을13 갖고13 있

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국과의13 냉전13 구도13 하에서13 중동에서의13 영향력

을13 확보하고13 상대적으로13 미국의13 접근을13 어렵게13 하기13 위해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

근을13 시도하였다 즉13 중동에서13 가능한13 많은13 우방국13 혹은13 동맹국을13 만드는13 작

업은13 미국과13 마찬가지로13 소련의13 대외정책의13 우선순위의13 하나였다 더13 나아가

서13 소련은13 이집트뿐만13 아니라13 중동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국가에13 대해13 접한13 관

계를13 구축하고자13 하였다 이러한13 주장은13 년대를13 거치면서13 소련이13 시리 1960

아 요르단13 등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고13 일련의13 군사협정을13 체결하였다는13 사실

에13 의해13 뒷받침13 된다 년13 월13 일13 소련13 외무성은13 1955 4 16 ldquo소련은13 근동13 및13 중

26 이13 협정을13 통해13 양국은13 억불의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45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9

동지역에서13 전개되는13 상황에13 무관심한13 채13 남아13 있을13 수13 없다 그13 이유는13 그13

지역에13 있는13 외국의13 군사기지시설과13 블록화13 현상은13 소련의13 안보에13 직접적인13

연관성이13 있기13 때문이다rdquo27는13 입장을13 표명하였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친 한13 관계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이해관계를13 둘러싸고13 더욱13

발전하게13 되었다 년13 월13 나세르는13 수에즈운하에13 대한13 국유화를13 선언하 1956 7

였고13 이러한13 결정에13 대해13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13 이집트를13 공격하였다 이

로13 인해13 제 차13 중동전쟁이13 발발하였다 운하를13 둘러싼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13 그2

리고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첨예하게13 얽혀있었다 제 차13 중동전쟁은13 이집트 2 -

소련의13 관계에서13 또13 다른13 분수령이13 되었다 년13 이집트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1960

완전한13 통제와13 관리를13 위해13 소련으로부터13 에스완13 댐13 건설비용13 억13 천13 달러3 5

를13 받기로13 결정하였다 그13 후13 이집트는13 다양한13 형태의13 지원을13 소련으로13 받기13

시작하였다 년13 월13 이집트를13 방문한13 후르시초프 서기장은13 1964 5 (Khrushchev)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억13 천 백만13 불을13 융자하겠다는13 발표를13 하였다2 7 7 28

이13 비용은13 이집트가13 년부터13 추진하는13 개년13 개발계획에13 사용될13 예정이1965 5

라고13 덧붙였다 이러한13 재정적13 지원을13 통해13 이집트는13 점진적으로13 의존하였고13

의존의13 내용은13 경제원조의13 영역으로13 확대되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년13 1966 5

월13 일13 소련13 수상13 알렉세이13 코시긴 은13 카이로에서13 가11 (Aleksei M Kosygin)

진13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미국의13 베트남13 공격을13 비난하면서13 ldquo양국의13 국민은13 평화 사회적13 전진 그리고13 사회주의를13 위한13 투쟁에서13 공동13 목적과13 이념으로13

함께13 협력13 한다rdquo고13 선언하였다29 양국의13 우호관계는13 점진적으로13 확대되었다

이집트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스라엘과의13 분쟁은13 여전히13 미해결된13 채13 남아13 있었

고13 소련으로부터13 추가적인13 군사지원은13 불가피하였다

년의13 차13 중동13 전쟁혹은13 일13 전쟁에서13 이집트는13 이스라엘에게13 참패1967 3 ( 6 )

한13 후13 시나이13 반도와13 가지지구13 등을13 빼앗기게13 되었다 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

로13 하여금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더욱13 필요하게13 되었고13 결과적으로13 군

27 Alvin Z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에서13 재인용

2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4 5 25 p 1

29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6 5 11 p 2

140 백태열

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월터13 라퀘르 는13 다음과13 같이13 설 (Walter Laqueur)

명13 한다(1972 62)

일13 전쟁은13 소련6 -이집트13 관계의13 이정표를13 기록하였다 그13 전쟁은13 분실되거

나13 혹은13 파괴된13 모든13 군사13 장비를13 빨리13 대체하기13 위한13 필요성13 때문에13 소련에13

대한13 이집트의13 종속을13 극적으로13 심화시켰고13 낫세르의13 요청에13 따라13 소련군hellip13 인이13 탑승한13 SAM- 과13 2 SAM- 로13 구성된13 거대한13 미사일13 방어체계가13 13 이집트3

에13 설치되었다 소련조종사들이13 이집트내의13 개의13 공군비행장에서13 전투임무 15

를13 갖고13 전투기를13 발진시켰다

이집트는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있어서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

기13 위하여13 소련의13 군사적13 지원을13 지속적으로13 받았다 특히13 년에13 발생한13 1967

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과정에서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위해13 간접적13 방식으로13 전6

쟁에13 개입하였다 소련의13 군사고문단이13 이집트에13 상주하면서13 막후에서13 이집

트에서13 전술적 전략적13 도움을13 제공하고13 협력했을13 가능성은13 상당히13 높다 30

년13 가을에13 발생한13 나세르의13 갑작스런13 죽음과13 함께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1970

사다트는13 나세르의13 이념적 정책적13 계승자였다 따라서13 그는13 적어도13 외형적

으로13 소련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고자13 하였다 그의13 선택은13 당연하였다 일13 6

전쟁은13 휴전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전쟁은13 언제든지13 다시13 발발할13 개연성이13 높았

고13 따라서13 군사력의13 보강은13 그의13 주된13 목표였다 그는13 년13 월13 모스크바 1971 3

를13 방문하여13 소련에13 대한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다 그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1971

년13 월13 일13 양국사이의13 우호조약으로13 발전되었다 이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자리7 28

에서13 사다트는13 ldquo우리국민은13 아랍-소련의13 우정을13 소중하게13 생각하며13 그리고13 진정으로13 아랍전체13 국가들은13 이13 우정을13 우리13 정책의13 가장13 중용한13 기초중의13

하나로13 간주13 한다rdquo 고13 역설하였다 31 양국은13 년의13 유효기간을13 설정하고13 우 15

30 년13 동안13 이집트의13 군복으로13 위장한13 소련군13 조종사들이13 이집트13 영공에서13 이스라1970

엘의13 공습에13 대항하여13 공중전투에13 참여하였다 이13 부분에13 대해서13 Craig A Daigle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을13 참 8(1) March p 3

31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1 5 28 p 2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1

호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에13 어떤13 의미를13 갖고13

있는가 이와13 관련하여13 두13 가지13 사항이13 언급될13 수13 있다 첫째 이집트는13 오래13 13

동안13 공식적인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것을13 주저하였다 그것은13 특정국가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이13 나세르와13 사다트의13 정치철학에13 위배된다고13 판단하였기13 때문

이다 그러나13 나세르의13 죽음과13 완결되지13 않은13 중동전쟁의13 상황을13 고려할13 때13

다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보다13 강화할13 필요성을13 느꼈기13 때문이다

둘째 이13 조약은13 사실상13 외형적으로13 상호13 협력13 및13 우호를13 강조하고13 있지만13

조약의13 세부적13 내용을13 면 히13 검토해13 보면13 사실상13 군사원조와13 무기지원을13 포

함한13 일방적13 방위조약의13 성격이13 강하다 따라서13 향후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방위공약의13 의무를13 갖게13 되고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은13 보다13 제도적13 성격

을13 갖게13 되었다

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상황(2) 對이집트1) -소련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우호13 조약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이집트가13 군사적으로13 소련에13 예속된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년13 월13 이집트와13 1955 9

체코의13 무기매매협정에서13 찾을13 수13 있다 이13 협정은13 사실상13 소련과13 이집트사

이에13 체결된13 것으로13 소련이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내세워13 체결하였다(Cremeans

이13 협정을13 통해13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무기를13 공여하기13 시작하였고13 1963 146)

이집트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는13 계기가13 되었다 년13 월13 일13 1971 5 27

이집트와13 소련의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the Egyptian-Soviet Treaty of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년13 양국의13 무기Friendship and Cooperation) 1955

협정이후13 체결되었다 이13 조약은13 전문을13 포함하여13 모두13 개13 조항으로13 구성 12

되었다 이13 조약의13 전문은13 ldquo소련과13 이집트는13 양국의13 발전을13 촉진하고13 모든13 부분에서의13 협력을13 확고하게13 강화할13 것을13 확신하며13 양국은13 평화로운13 외hellip13 교정책의13 변함없는13 진행에13 따라서13 보다13 강력한13 국제평화와13 안보를13 위한13 투쟁

을13 지속적으로13 수행13 할13 것을13 결의하며helliprdquo32로13 되어13 있다 이13 조약은13 년13 1955

년13 양국이13 맺은13 무기협정13 보다13 여러13 부분에서13 포괄적인13 교류와13 협력을13 강조

32 Julian J Landau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참조Communications p 165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11: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5

동북아뿐만13 아니라13 서남아의13 안보와13 안정의13 중요성을13 심각하게13 고려하기13 시

작하였다 그13 결과13 미국은13 아시아의13 안보역량을13 강화하고13 소련을13 중심으로13

한13 공산주의세력과13 대항할13 수13 있는13 안보체제를13 공고히13 하려는13 노력을13 가시화

하였다 그13 결과13 미국은13 년13 필리핀과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였다 미국 1951

의13 목적은13 전13 세계적으로13 확산되는13 공산주의세력의13 준동과13 움직임에13 적절하

게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아시아의13 안보이익과13 군사적13 영향력을13 구축하는13 것이었

다 냉전의13 상황에13 접어들면서13 미국은13 세력권의13 확대와13 군사적13 동맹군이13 절

실히13 필요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동안13 스페인의13 식민통치를13 받았고13 그13 후13 미국의13 식민13 지400

배를13 받았다 년13 독립을13 쟁취한13 이후13 필리핀은13 새로운13 시대를13 맞게13 되었 1947

다 전후13 필리핀대통령이었던13 마누엘13 로하스 는13 미국으로 (Manuel A Roxas)

부터13 경제원조와13 지원을13 받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제 차13 세계대전13 이후13 독립을13 2

쟁취한13 거의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필리핀은13 안보 경제3

교육 제도13 등13 여러13 부분이13 극도로13 열악한13 상황이었고13 따라서13 국가건설과정

에서13 강력한13 후원자가13 필요하였다 독립이후에도13 양국의13 관계는13 지배 -피지배

의13 종속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정착되기13 시작하였다 군사와13 안보13 부분에서의13 상

황은13 군사기지협정과13 군사원조협정으로13 확인된다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협

정을13 체결한13 배경은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요약된다 첫째 냉전의13 상황이다 1940

년대13 말13 이미13 전13 세계로13 확대된13 냉전의13 상황에서13 필리핀13 역시13 안보상의13 불안

감을13 가졌다 아시아에서의13 공산주의13 정권의13 등장과13 역내의13 불안정은13 필리핀13

지도자들로13 하여금13 미국과의13 동맹관계를13 형성할13 필요성을13 절감하였다 필리

핀은13 미국으로부터의13 군사원조를13 통해13 미약한13 국방력을13 회복하려고13 하였다

더13 나아가서13 년의13 한국전쟁과13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전쟁을13 지켜보면1950 1960

서13 필리핀13 지도자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유착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필리핀의13

안보와13 안정을13 위해서13 필요하다고13 판단하였다 둘째 필리핀의13 국내적13 여건

과13 상황이다 필리핀의13 독립과13 함께13 국내에서는13 후크 가13 조직되었다 (Huks)

이13 단체는13 사실상13 공산주의노선을13 지지하면서13 필리핀의13 팜파간 불라칸 탈

락13 등에서13 강력한13 영향력을13 가지고13 있는13 국민농민연맹(National Peasant

과13 깊게13 연결되어13 있었다Union) 7 독립13 이후13 이들의13 반란이13 일어나고13 로하스13

126 백태열

대통령은13 이를13 진압하기13 위해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적 기술적13 도움을13 받았다13

양승윤( 2003 69- 이13 반란은13 독립이후13 극심한13 분열과13 갈등을13 초래하였70)

고13 향후13 반정부집단의13 정치세력화를13 예고하고13 있었다 이러한13 점에서13 필리핀

정부는13 미국과13 군사동맹관계를13 통해서13 국내의13 소요와13 반란을13 효율적으로13 진

압할13 수13 있는13 안보체계를13 구축하는13 작업이13 필요하였다 간단히13 말하면13 냉전

의13 상황과13 국내의13 공산주의의13 준동에13 적절히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필리핀은13 미국

과의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유지해야13 하는13 절박한13 상황에13 직면하였다

년대에13 접어들면서13 막사이사이 가르시아1950 (Ramon Magsaysay) (Carlos

마카파갈 등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들은13 친미적13 Garcia) (Diodado Macapagal)

성향을13 가졌고13 이러한13 점은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이러

한13 배경에는13 여전히13 아시아에서13 냉전의13 열기가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국내의13 안보

상황도13 크게13 개선되지13 않았기13 때문으로13 풀이된다 마르코스가13 년에13 대통 1965

령에13 당선된13 이후13 미국-필리핀의13 관계는13 군사적 경제적으로13 안정된13 모습을13

보였고13 마르코스는13 집권초기에13 미국에13 대한13 일방적인13 대외관계를13 개선하기13

위하여13 다변화13 외교정책을13 추구하기도13 하였지만13 미국의13 대군사의존의13 상황

은13 크게13 변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마르코스는13 친미성향이13 강했고13 양국관계

를13 필리핀의13 외교의13 중심축으로13 삼았기13 때문이다 마르코스의13 친미적13 성향은13

필리핀의13 국내적13 상황과13 연결된다 필리핀에서13 발생한13 두13 가지13 상황을13 지적

할13 수13 있다 첫째 년에13 결성된13 신인민군대 1969 (New Peoplersquo 이다s Army)

이13 조직은13 공산주의의13 게릴라13 집단으로13 테러활동을13 통한13 사회주의의13 노선을13

확립하려는13 집단이며13 필리핀의13 마오주의13 공산당(the Maoist Communist

과13 정치적으로13 깊게13 연관되어13 있다Party) 8 둘째 년대에13 결성된13 모로13 회 1960

교해방전선 이다 이13 단계는13 사실상13 (the Moro Islamic Liberation Front) Kuk

조직의13 전신으로13 필리핀을13 회교사회로13 만들기13 위해13 투쟁하는13 집단이다 공교

롭게도13 이13 집단은13 모두13 마르코스13 대통령이13 재임하던13 시기인13 년대13 말에13 1960

결성되어13 테러13 활동을13 통한13 국내적13 상황을13 어렵게13 만들었다 마르코스의13 입

7 이13 부분에13 관해서는13 을13 참조httpwwwcomwfb2001philippines

8 이13 부분에13 관해서는13 를13 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7

장에서13 보면13 이러한13 국내적13 불안정과13 좌익13 활동은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시켰

고13 미국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불가피하였다 그13 결과13 필리핀은13 안

보분야에서13 자연스럽게13 미국에게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이들13 반13 정부단체의13

활동은13 마르코스가13 재임하고13 있는13 동안13 국내적으로13 커다란13 정치적 사회적13

도전이었고13 필리핀의13 국내안정과13 직결되어13 있었다 그러나13 필리핀의13 국내정

치적13 상황은13 년13 마르코스가13 재선되고13 계엄령을13 선포함으로써13 악화되기13 1972

시작하였다 마르코스대통령은13 국민들에13 대한13 탄압을13 강화하였다 필리핀13 국

내에서13 독재정권을13 무너뜨리고13 민주주의를13 운동을13 강화하려는13 노력은13 지속

되었지만13 미국과13 군사동맹관계를13 변화시키려는13 활동과13 노력은13 간헐적으로13

이루어졌다 마르코스13 대통령은13 미국과13 체결한13 일련의13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

조약을13 필리핀의13 대외관계의13 주축을13 이루었고13 따라서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

속상태는13 고착화되었다 간단하게13 요약하면13 필리핀이13 미국에13 군사적으로13 예

속된13 주된13 배경은13 국내안보상황의13 불확실성과13 공산주의의13 위협13 때문이었다

필리핀의13 대미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전개(2)

필리핀1) -미국의13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조약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확인할13 수13 있는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양국이13 체

결한13 일련의13 군사동맹조약이다 양국은13 년13 월에13 체결된13 군사기지협정 1947 3

과13 군사원조협정(Military Bases Agreement) (The RP-US Military Assistance

그리고13 년13 월의13 상호방위조약 을13 Agreement) 1951 8 (Mutual Defense Treaty)

각각13 체결하였다 먼저13 저자는13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체결한13 군사기지협 1947 3 14

정의13 내용을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이13 협정은13 미국이13 필리핀에13 군사기지의13 설

치 운영13 등에13 관한13 권리를13 확보할13 수13 있도록13 하였다 미국은13 클라크13 공군기

지와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및13 기타시설13 등을13 포함한13 개의13 군사시설을13 년13 동23 99

안13 무상으로13 사용할13 수13 있도록13 하였다 사실상13 미국정부는13 필리핀내의13 군사

시설에13 대한13 완전한13 통제권을13 갖게13 되었다 이13 협정은13 필리핀이13 군사안보13 부

분에서13 미국에게13 의존하게13 만든13 법적13 기초였다 필리핀의13 미13 군사적13 의존 對

을13 확인할13 수13 있는13 또13 다른13 협정은13 군사원조협정이다 이13 협정은13 군사기지협

정이13 체결된13 직후13 년13 월13 일에13 체결된13 부속협정 이1947 3 21 (Sister agreement)

128 백태열

다9 이13 협정의13 전문은13 ldquo독립13 이후13 필리핀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 그리고13 군장

비의13 구입13 등에13 대한13 필리핀13 정부의13 여망을13 고려하여13 미국13 대통령은13 공동방

위의13 문제에서13 양국의13 상호13 이익의13 관점에서13 국가안보를13 유지하기13 위하여13 필

리핀13 정부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는13 것을13 허락한다helliprdquo10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협정은13 모두13 개의13 세부적인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으며13 거의13 대부분23

의13 조항은13 필리핀에13 대한13 미국의13 군사원조에13 국한되어13 있다 보다13 상세한13 내

용을13 파악하기13 위해13 저자는13 몇몇13 조항을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동13 협정의13 제 1

조는13 ldquo상호협정에13 따라서13 미국정부는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을13 위해13 필리핀정부에게13 군사원조를13 제공할13 것13 이다helliprdquo11고13 명시되어13 있다 또13 다른13 조항은13 군

사고문단 의13 기능과13 역할에13 관한13 것이다 동13 협정(Military Advisory Group)

의13 조는13 8 ldquo군사고문단의13 기능은13 국가안보와13 관련된13 목적을13 수행하는데13 필요한13 것으로13 필리핀에13 조언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다helliprdquo12고13 적고13 있다 이러한13

점은13 필리핀이13 안보정책을13 수립하거나13 군사적13 역할을13 하는데13 있어서13 독자성

이13 크게13 훼손될13 수13 있다 일반적으로13 강대국과13 약소국의13 상호방위조약은13 약

소국의13 독립적이고13 자주적인13 대외군사정책을13 추구하는데13 있어13 제약이13 많고13

군사적13 자주권을13 종종13 훼손시킨다 따라서13 필리핀과13 미국과의13 군사원조협정

도13 같은13 맥락에서13 볼13 수13 있다 또한13 동13 협정의13 조는13 일반적인13 군사원조의13 6

내용을13 담고13 있다 이13 조항에13 따르면13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군대에게13 무기 탄

약 군사장비 전투기와13 전함13 등을13 제공하게13 된다고13 명시하고13 있다 협정의13

조는13 군사훈련지원 에13 관한13 것이다 필리핀에13 대한13 군21 (Training assistance)

사원조의13 일부로서13 선발된13 필리핀13 학생들을13 미국에13 보내13 육군 해군 그리고13

공군13 부대에서13 기술13 및13 군사훈련을13 받도록13 하는13 내용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과13 미국은13 년13 월13 일13 상호방위조약1951 8 13 (Mutual Security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전문과13 개의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Treaty) 13

9 이13 협정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 저자는13 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인쇄본을13 입수하지13 못하여13 대신에13 인터넷13 사이트의13 정보를13 인용함

10 상게서

11 상게서

12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9

이13 조약에서13 양국은13 ldquo외부의13 군사적13 전략에13 대해13 공동으로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양국의13 단결과13 공동의13 결의를13 공개적으로13 그리고13 공식적으로13 선언하면서rdquo13

개13 조항에13 합의하였다 이13 조약의13 13 조는13 외부의13 군사적13 침략에13 대해13 공동13 3

으로13 방어하기13 위한13 대응태세를13 강조하고13 있으며13 조는13 당사국중의13 한13 국가4

가13 외부의13 공격을13 받을13 경우13 이를13 자국에13 대한13 공격으로13 간주한다고13 규정함

으로써13 공동방위를13 구축하고13 있다

양국이13 체결한13 개의13 군사13 및13 방위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볼13 때13 현실적으로13 3

필리핀의13 국가안보를13 강화하고13 양국이13 공동의13 외부적13 위협에13 대응하도록13 구

성되어13 있다 그러나13 이13 조약들은13 양국의13 평등성에13 기초하고13 있기13 보다는13 필

리핀이13 일방적으로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받도록13 되어13 있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군군대의13 주둔2)

싱거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외국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시설이다 년13 양국의13 협정에13 따라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군대를13 주둔시키 1947

고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필리핀에는13 미국의13 군사방위공약을13 실천하기13

위하여13 년부터13 미군이13 주군하고13 대규모의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대1947

표적인13 군사시설은13 클라크13 공군기지(Clark Air Base in Pampanga and

수빅만13 해군기지 죤13 Tarlac) (Subic Naval Base in Bataan and Zambales)

헤이13 공군13 이착륙장 월레스13 공군13 이(John Hay Air Station in Baguio City)

착륙장 그리고13 산13 미구엘13 통신소(Wallace Air Station in La Union) (San

등이다Miguel Station in Zambales) 14 그13 외에도13 소규모의13 미국군사기지13

및13 시설은13 대략13 개이다 클라크13 공군기지는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규모15

이며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역시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해군기지이다 이러한13

미군기지와13 시설에13 주둔하고13 미국병사는13 년13 기준으로13 대략13 육군은13 1979 28

명 공군은13 명 해군은13 그리고13 해병대13 명이13 각각13 필리핀에13 주 8005 4594 786

13 이13 조약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14 이와13 관련하여13 상세한13 내용은13 다음의13 자료를13 참조바람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130 백태열

둔하였고13 전체13 미군의13 수는13 명이다13413 15 이와13 관련된13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13 기준을13 기준으로13 필리핀의13 모든13 미군기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병력은13 1988

명이다17870 16 년13 당시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의13 수는13 명의13 군인과13 1991 15000

명의13 군무원이13 주둔하고13 있었다1000

이러한13 군사기지의13 설치는13 앞서13 설명된13 양국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방위조약

에13 따른13 부수적13 결과일13 뿐이다 외군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기지의13 허용은13 종속

국의13 국방력이13 취약하다는13 반증이다 종속국은13 외국군대의13 도움이13 없이는13 자

국의13 안보상황을13 개선할13 수13 없다는13 것을13 의미하며13 이는13 군사적13 예속의13 또13 다

른13 측면이다 외국군대의13 기지와13 주둔군은13 해당국민과13 가장13 직접적인13 마찰과13

갈등을13 빚는13 부분이고13 법적 사회적 문제를13 가장13 많이13 야기시켰다

미국의13 필리핀13 무기13 공여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검증하기13 위하여13 사용되는13 또13 다른13 증거는13 군사장

비13 및13 무기의13 공여이다 피종속국은13 현실적으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자체적으

로13 개발하는데13 필요한13 기술력과13 경제력을13 결여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타국으로부

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유상으로13 혹은13 무상으로13 공여13 받는다 특히13 이러한13 무

기의13 지원으로13 인해13 보다13 심각한13 상황은13 특정한13 국가로부터13 무기지원을13 받는

다는13 점에서13 의존적13 성격을13 갖고13 있다는13 점이다 따라서13 피종속국이13 종속국

에게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하거나13 수출하지13 않을13 경우13 종속국의13 국가안보

는13 어려움을13 겪거나13 혹은13 심각한13 위험에13 직면할13 수도13 있다 필리핀의13 경우13

년대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의13 대부분을13 공여13 받았다1950 17 이

와13 관련하여13 몇13 가지13 사례를13 들어13 보기로13 한다 필리핀은13 년대13 초부터13 1950

년까지13 미국으로부터13 다양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13 받거나13 혹은13 구매1973

하였다 군사용13 비행기예를13 들면 ( Lockheed T-33 Gruman HU-16A

군사용13 선박예를13 들면 그Albatross) ( patrol boat Infantry landing craft)

리고13 장갑차 예를13 들면( M- 등이다4 Sherman) 18

15 United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p 145

16 이와13 관련된13 자료는13 김경숙13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13 참1988 10 p 76 「 」 985172 985173조

17 년대13 초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제외한13 일본 독일 호주 이탈1950 1970

리아13 등으로부터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미국의13 비중이13 압도적으로13 많았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1

필리핀13 군인의13 미국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13 4)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종속국가의13 군인13 혹은13 영관급13 장교들이13 피

종속국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러한13 지표는13 종속국의13 군인

들의13 질적13 취약성에13 기초한다 종속국의13 군인들은13 안보와13 전쟁에13 필요한13 현

대식의13 훈련과13 전투능력을13 배양하지13 못했기13 때문에13 국가안보의13 문제와13 위기

가13 발생했을13 때13 적절하게13 대처할13 수13 있는13 있는13 군사적13 능력을13 갖추고13 있지13

못하다 이러한13 측면은13 종속국의13 군사력13 하락으로13 연결된다 필리핀군인들은13

의13 프로그램의13 후원13 IMET(International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하에13 미국본토13 혹은13 미국본토이외의13 군사훈련소에서13 군사훈련13 혹은13 교육을13

받았다 자료에13 따르면13 필리핀13 군인들은13 년부터13 년까지13 명이13 1950 1968 12217

훈련을13 받았다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부터13 년13 초까(Singer 1972 301) 1950 1980

지13 대략13 의13 필리핀13 군인들이13 미국의13 재정적13 지원13 하에13 미국의13 군사학17000

교와13 훈련소에13 훈련을13 받았음을13 보여준다19

간단히13 정리하면13 앞서13 제시된13 가지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살펴13 본13 결과13 4

필리핀은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되어13 있음을13 보여준다

필리핀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13 (3)

필리핀의13 정부지도자와13 국민들이13 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상태를13 타파해야13

한다는13 목소리를13 강화한13 것은13 마르코스13 대통령의13 독재정치가13 절정에13 달했을13

때였다 그의13 탄압과13 독재정치에13 대해13 많은13 필리핀국민들이13 저항하였고13 반마

르코스의13 열기가13 확대되었다 년에13 일어난13 필리핀의13 민중의13 혁명 1986

(Peoplersquo 은13 마르코스를13 권좌에13 내쫒았다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의존s Power)

의13 타파는13 사실상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와13 궤를13 같이13 한다 마르코스에13 대한13

비판은13 민주주의를13 강하게13 염원하게13 되었고13 동시에13 그의13 정권하에서13 오래13 동

안13 유지되었던13 필리핀-미국의13 동맹관계의13 실체를13 재평가하려는13 움직임으로13

빠르게13 전환되었다 년13 월13 코라손13 아퀴노 가13 대통령 1986 2 (Corazon Aquino)

18 이와13 관련하여13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참조Stockholm 1975 Sweden SIPRI pp 17-19

19 를13 참조httpIcweb2locgovcgi-binquery

132 백태열

에13 취임하면서13 필리핀에서는13 본격적으로13 미군의13 철수문제가13 공론화되기13 시

작하였다 필리핀국민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동맹체제로부터13 발생하는13 다양한13 불

이익과13 불편을13 종식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개시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추진력 은13 무엇인가 대략13 두13 가지13 요인(Driving force)

으로13 설명된다 첫13 번째는13 민족주의이다 민족주의는13 식민지13 상태에서13 해방

과13 독립을13 쟁취하기13 위한13 이데올로기로서13 작동하였고13 독립이후13 민족주의는13

외세의13 지배와13 간섭을13 배격하기13 위한13 무기로서13 전환된다 필리핀은13 스페인과13

미국의13 식민지를13 경험하면서13 강한13 민족주의를13 발전시켰다 살바도르13 마르티

네그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13 역사는13 세(Salvador Martineg) 16

기13 초에13 시작되어13 년대13 이래13 유지되었고13 년대에는13 클라로13 렉토13 등1950 1960

에13 의해13 활성화되었다20 결국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는13 반미주의와13 강하게13 연결

되어13 있으며13 이는13 미국의13 간섭과13 영향력을13 배제하고13 자국의13 자존심을13 회복하

려는13 노력으로13 승화되었다 동시에13 민족주의의13 열기는13 필리핀국민들에게13 미

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에서13 기인하는13 지배국의13 독선과13 횡포 그리고13 내정간섭에13

대한13 저항을13 강하게13 표출할13 수13 있는13 통로를13 제공하였다 두13 번째는13 주권과13

자주권의13 회복이다 주권과13 자주권은13 민족주의와13 깊은13 연관성을13 갖고13 있다

전후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유지하는데13 있어서13 국민적13 자존

심과13 주권이13 손상되었다는13 인식을13 강하게13 갖고13 있다 에드13 가르시아 (Ed

와13 프란시스코13 네멘쯔 는13 다음과13 같이13 지적한다13 Garcia) (Francisco Nemenz)

(Garcia and Nemenz 1987 4)

독립은13 단지13 자기13 확신의13 문제가13 아니다 국가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이13 아 hellip13 니라13 자주적13 행위자로서13 인식되어야13 한다 모든13 국제회의에서13 우리의13 독립을13

확인하기13 위하여13 용기를13 갖고13 노력하여13 왔다 그러나13 우리가13 실제적인13 독립을13

갖고13 있었을13 때조차도13 우리가13 제안을13 발의해도13 제 세계의13 대표들은13 그13 뒤에는13 3

미국이13 있다는13 점을13 의심하여13 왔다 이러한13 의미에서13 필리핀은13 자국의13 땅위에

서13 거대한13 군사기지를13 유지하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으로13 보여진다

20 이러한13 주장에13 대해서는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사Salvador Martineg 1983 「 」 985172상 월 을13 참조함5 pp 45-48 98517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3

그들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체계가13 필리핀의13 대

외정책에도13 부정적13 영향을13 미쳤음을13 암시하고13 있다 국제무대에서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의식하거나13 혹은13 미국의13 정책과13 보조를13 맞출13 수밖에13 없는13 상황을13 초

래했다고13 보고13 있다 이러한13 관점에13 대해13 일부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자국의13 주권

이나13 자주권이13 어느13 정도13 훼손되었다는13 생각을13 갖고13 있는13 것으로13 보인다 동

시에13 미군철수를13 둘러싼13 필리핀13 국민의13 반감은13 미국의13 마르코스13 체제에13 대한13

옹호에서13 기인하였다는13 점도13 지적될13 수13 있다 그들은13 마르코스13 집권이후13 필

리핀의13 인권상황이13 악화되고13 독재정치가13 유지되고13 있음에13 불구하고13 미국이13

이를13 개선하기13 위한13 적절한13 역할을13 하지13 못한13 것에13 대해13 깊은13 불신과13 반감을13

갖고13 있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13 국민들이13 미군철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를13 요구

하는13 보다13 현실적인13 이유들이13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필리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으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각종13 사회적13 문제와13

갈등이다 미군이13 주둔하고13 있는13 기지주변에서13 발생되는13 각종13 범죄 현지인

과13 미군사이의13 마찰13 등은13 외국군대를13 수용하고13 있는13 필리핀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군기지에13 대한13 반감과13 저항을13 일으킬13 수13 있다 둘째 필리핀13 국내에13 설치된13

핵무기이다 년대13 초에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핵무기가13 설치한13 것으로13 알려져13 1970

있으며13 년까지13 핵무기의13 수는13 대략13 정도에13 달하였다 년을13 기준1973 260 1985

으로13 미국은13 필리핀에13 개의13 핵무기를13 설치하였으며13 그중13 개는13 반잠수227 32

함13 핵폭탄이며13 개는13 해군용13 핵무기 그리고13 그밖에13 개의13 핵폭탄이13 있80 115

는13 것으로13 알려졌다21 핵무기의13 설치와13 사용의13 목적은13 아시아13 지역의13 군사

적13 충돌이나13 전쟁이13 발발할13 경우13 사용되기13 위함이며13 어떤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

는13 필리핀의13 안보를13 위한13 것이라기보다는13 미국의13 군사적13 목적을13 위해13 설치된13

것이다 미국이13 아시아에서13 전쟁을13 수행할13 경우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핵위협에13

노출되어13 있고13 이로13 인해13 여러13 가지13 피해가13 발생할13 수13 있다고13 보고13 핵무기의13

설치와13 시설에13 민감하지13 않을13 수밖에13 없다 이러한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일차적으

로13 공격의13 목표가13 되었던13 것은13 미군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이다

21 Ronald G Simbulan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1989 Manila Philippines

와13 을13 참고 이13 책에는13 필리핀의13 미국핵무기와13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p 78

관련된13 정보와13 내용이13 상세하게13 기록되어13 있음

134 백태열

그러면13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종료시키기13 위한13 구체적인13

움직임 조치 및13 정책은13 무엇인가 마르코스가13 축출당한13 이후인13 년13 월 1986 2

부터13 년대13 초까지13 필리핀의13 국내13 상황은13 급박하게13 돌아가고13 있었다 이1990

와13 관련하여13 가장13 주목을13 끄는13 점은13 년13 월13 일13 필리핀13 상원을13 통과한13 1988 6 6

ldquo반핵병기13 법rdquo이다 이13 법안은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기지와13 군사시설 그리고13 양

국동맹관계의13 근간을13 흔들13 수13 있을13 만큼13 강력한13 내용을13 담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이13 법안의13 조는13 금지행위에13 관한13 것으로13 5 ldquo어떤13 사람도13 운송이나13 하역을13 불문하고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과13 그13 구성부분을13 필리핀13 영역내로13 가지고13

들어오거나13 또는13 소유 보유할13 수13 없다 필리핀13 군사기지13 내13 미합중국의13 기존13

군사13 설비를13 포함하여13 필리핀영역의13 상13 하 상공13 어느13 곳에서도13 본13 제 조13 4 1

항에13 해당하는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 구성부분13 및13 핵병기관련설비의13 개발 제

조 입수 실험 이용 도입 비축 보관을13 금지하며 helliprdquo22라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조항과13 함께13 다른13 조항13 역시13 필리핀에서의13 일체의13 핵무기13 개발 설치 비

축 보관 하역13 등을13 금지시키고13 있다 이13 법안의13 통과는13 필리핀 -미국의13 군사

동맹관계의13 분수령이13 된다 역시13 가장13 커다란13 시사점은13 미국은13 필리핀의13 영

토13 안에13 핵무기와13 관련된13 일체의13 접근이13 불허된다는13 점이며13 동시에13 필리핀의13

모든13 군사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가13 불가피하게13 되었다는13 점이다

년13 월13 미국과의13 군사기지협정을13 년13 연장하기13 위한13 법안이13 상원에13 1991 9 10

게류13 되었을13 때13 필리핀13 국내정세는13 극도로13 혼란스러웠다 이13 혼란의13 중심은13

미군13 기지를13 그대로13 유지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과13 법안을13 거부함으로써13 미군13 기

지를13 폐쇄해야13 한다는13 입장으로13 크게13 나뉘어져13 있었다 이13 협정의13 연장을13 찬

성하는13 집단의13 중심에는13 아키노13 대통령이13 있었다 아키노13 대통령은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쇄될13 경우13 양국관계의13 약화 경제13 투자의13 감소 그리고13 불안정

한13 국내13 상황13 등을13 크게13 우려하였다 무엇보다도13 필리핀13 정부는13 양국이13 오랫

동안13 여러13 부분에서13 구축된13 양국의13 군사적 외교적13 우호관계가13 크게13 악화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우려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13 상원은13 미국과13 협정을13 반대하는

데13 선두집단중의13 하나였다 상원의원들의13 상당수는13 민족주의13 정신이13 강한13 정

22 본13 법안의13 내용에13 관해서는13 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를13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5

치인들이었고13 미군은13 필리핀13 땅에서13 떠나가야13 한다고13 믿었다 미군기지13 임대

의13 연장13 법안의13 반대에13 대한13 보다13 구체적인13 이유는13 무엇인가 가장13 커다란13

이유는13 무엇보다도13 필리핀의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복원이었다 당시13 필리핀13

상원의원인13 아가피토13 아키노 는13 (Agapito Aquino) ldquo이13 투표는13 진정으로13 주권을13 갖고13 독립적인13 필리핀13 국민을13 위한13 것이며13 이13 투표는13 미국의13 조종끈에13 매

어진13 정치적13 청년기13 즉13 극심한13 종속을13 종식하기13 위한13 것이다rdquo23라고13 상원에

서13 역설하였다 종속타파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종속타파의13 견인적인13 메커니즘은13

이론적13 검토에서13 제시된13 것처럼13 역시13 주권의13 회복과13 민족적13 자존심의13 회복이

다 필리핀13 정치인들의13 판단과13 요구가13 대다수13 모든13 필리핀13 국민들의13 견해와13

동일하다고13 볼13 수13 없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협정13 그리고13 상

호방위조약에서13 기인하는13 다양한13 폐해를13 인식하고13 있으며13 미군은13 철수되어

야13 한다는13 공감대를13 발전시켜13 왔다는13 점은13 부인할13 수13 없다 또13 다른13 견해는13

필리핀13 정치권에서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기지사용료가13 너무13 적다는13 이유도13 제시

되고13 있다24 필리핀13 상원의13 강력한13 반대13 움직임13 속에13 아키노13 대통령은13 이13

법안을13 국민투표에13 회부하는13 방안을13 추진하였지만13 무산되고13 결국은13 미군기

지협정의13 연장법안은13 년13 월13 일13 상원에서13 대13 로13 부결되었다1991 9 16 12 11

필리핀13 상원의13 이러한13 결정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년13 미국과13 맺은13 군 1947

사기지협정은13 자동적으로13 무효화되었으며13 필리핀에서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

쇄되고13 미군이13 더13 이상13 주둔하지13 않게13 되었다 미군은13 년13 말13 이전에13 필 1992

리핀의13 영토를13 떠나도록13 권고13 받았다 이러한13 점은13 상징적인13 측면이13 강하지

만13 필리핀은1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고13 볼13 수13 있다

미국의13 반응과13 입장13 (4)

필리핀에서의13 극적인13 변화에13 대해13 미국은13 어떤13 반응을13 보였으며13 기본13 입

장은13 무엇인가 미국은13 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13 이후13 필리핀의13 민주화13 운동과13

23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아키노13 상원의원은13 미군기지문제와13 관 1991 9 16 A1

련하여13 형수이자13 대통령이었던13 코라손13 아퀴노와13 극심한13 마찰과13 갈등을13 겪었다

24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벌인13 협상에서13 미국은13 필리핀에 1991 9 11 A3

게13 수빅만13 해군기지를13 사용하는13 대가로13 일년에13 억불을13 제공하기로13 합의하였다203

136 백태열

새로운13 정권의13 창출을13 고무적으로13 평가하였다 그러나13 동시에13 워싱턴은13 그곳

에서13 미군의13 기지와13 군대의13 철수문제 그리고13 지속적인13 반미운동의13 고조13 등

에13 대해13 깊은13 우려감을13 가졌다 특히13 군사기지협정의13 연장을13 앞13 둔13 시점에서13

미국정부의13 불안감은13 증대되었다 국무장관13 조지13 슐츠 는13 미 (George Shultz)

국은13 필리핀13 관리들과13 정치인들이13 기지연장을13 승인하지13 않을13 경우13 다른13 장소

를13 물색해야13 할지13 모른다는13 입장을13 밝혔다25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국내에서13

벌어지는13 반미운동이13 궁극적으로13 미군기지의13 철폐로13 연결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크게13 우려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필리핀13 상원의13 표결이13 있기13 전에13 미국정부는13

부결가능성을13 기대하고13 있었고13 이를13 위해13 직간접적으로13 필리핀정부에13 회유

와13 압력을13 가하였다

필리핀에서의13 결정은13 미국정부를13 크게13 실망시켰지만13 기지연장을13 둘러싼13

필리핀의13 정책결정과정에13 대해13 특별한13 영향력을13 행사할13 수13 없었다 미국은13

필리핀이13 기지연장13 협정을13 원하지13 않는다면13 이를13 수용하지13 않을13 수13 없다 미

국의13 기본13 입장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연장협정을13 지속하는13 것이었다 그13 이유는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와13 미군의13 주둔은13 년이13 넘은13 동안13 아시아에서13 방어적13 40

역할을13 충실히13 하였기13 때문이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결정은13 대

략13 가지13 파급효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다고13 보았다 첫째 년대13 말에13 냉전이13 2 1980

서서히13 종식되고13 있었지만13 미국은13 아시아에서의13 군사적13 임무와13 역할이13 여전

히13 필요하였다 따라서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의13 철수는13 안보적13 공백이13 발생할13

수13 있으며13 이로13 인한13 군사적13 전략변화가13 요구되고13 있기13 때문이다 둘째는13 간

접적13 파급효과이다 필리핀의13 미군기지13 철수가13 다른13 주둔지역13 특히13 한국과13

일본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기지의13 철수로13 연결될13 수13 있는13 파급효과를13 우려하

였다 반면에13 다른13 측면에서13 보면13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다소13 위안을13 찾을13

수13 있는13 부분도13 있다 필리핀은13 결코13 미국과의13 상호방위조약13 자체를13 폐기한13

것이13 아니기13 때문에13 향후13 양국의13 군사적13 동맹관계는13 유지될13 수13 있으며13 미국

의13 군사적13 영향력도13 어느13 정도13 유효할13 것이라는13 기대감을13 가졌다

25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88 6 17 p 7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7

이집트2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3 (1)

년13 영국의13 식민지에서13 벗어난13 이집트는13 국내외적으로13 커다란13 도전에13 1952

직면하였다 국내적으로13 정치세력간의13 권력투쟁으로13 불안한13 정국이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그13 과정에서13 군사13 쿠데타를13 통해13 실질적인13 권력을13 장악한13 나세르는13

아랍사회주의를13 표방하면서13 국정을13 운영하기13 시작하였다 대외적으로13 국제사

회에는13 이미13 냉전의13 열기가13 정점에13 올랐고13 그13 여파는13 중동에도13 도달하였다

이집트를13 둘러싼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복잡하게13 얽혀가고13 있었다 이와13 관련

하여13 주목할13 부분은13 미국과13 소련은13 중동지역에서13 패권경쟁을13 격화하고13 있었

다는13 점이다 소련은13 미국을13 견제하기13 위하여13 에13 버금가는13 지역안보 NATO

체제를13 구축하려고13 하였고13 이는13 바그다드13 조약 으로13 실현되고13 (Baghdad Pact)

있었다 미국은13 이집트를13 지역안보체제에13 끌어13 들이려는13 계획을13 갖고13 이집트

에13 접근하였다 마찬가지로13 소련은13 이집트와13 접한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중동지역에서의13 교두보를13 확보할13 수13 있다고13 판단하였다 미국과13 소련은13 이집

트가13 아프리카와13 중동을13 연결하는13 지역에13 위치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전략적13 가치

를13 중시하였고13 아랍세계의13 위상13 때문에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근을13 추구하는13 것이13

중요한13 목표중의13 하나였다

나세르가13 집권13 이후13 이집트가13 당면한13 최대13 현안은13 이스라엘과13 갈등과13 분

쟁이었다 년13 월13 이스라엘군대가13 이집트13 통제지역인13 가자해협의13 군사 1955 2

시설을13 공격하면서13 명이13 사망하는13 사건이13 일어났다 이스라엘의13 공격으로13 38

인해13 양국은13 본격적인13 대립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이집트는13 이러한13 상황에13 대처

하기13 위해13 자국의13 군사력의13 증강이13 무엇보다도13 절실한13 과제였다 이집트는13

처음에13 서방측에게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으나13 거부당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시도하였다 이집트가13 소련을13 선택한13 구체적인13 배경은13 무엇인

가 무엇보다도13 나세르는13 기본적으로13 반서방주의13 성향이13 강하였고13 당시의13 국

제정세로13 볼13 때13 이스라엘을13 지원하는13 영국과13 미국13 보다는13 소련에게13 무기를13

요청하는13 것이13 적합하다고13 판단하였다 년13 이집트는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1955

138 백태열

내세운13 소련과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26 이13 무기협정을13 통해13 사실상13 이집트

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어13 가는13 계기가13 되었고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주공급자가13 되었다 그러나13 이집트는13 소련과13 상호군사조

약을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나세르가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맹관계를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기13 때문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찰스13 크레멘

스 는13 (Charles Cremeans) ldquo군사공약이13 포함되지13 않는13 한13 이집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받을13 수13 있었고13 그리고13 필요하다면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는데13

발생할13 수13 있는13 위험을13 감수할13 준비가13 되었다고13 나세르는13 항상13 주장하였다rdquo고13 지적한다 나세르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공여13 받는13 것에13 부(1963 281)

담을13 느꼈던13 것은13 분명하다 그13 이유는13 자신이13 강력한13 비동맹노선을13 표방하

였고13 따라서13 소련과13 연계를13 통해13 의존의13 상황이13 형성되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기13

때문이었다 결국13 나세르는13 적어도13 집권초기에는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

맹관계13 혹은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려고13 하지13 않았다 그러나13 이스라엘의13 군

사적13 위협13 때문에13 이집트가13 무기를13 제공받기로13 한13 결정은13 불가피한13 선택이었

다 전후13 독립을13 획득한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신생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 3

의13 국방력은13 취약하였다 따라서13 이집트의13 대외적13 여건은13 군사대국인13 소련에

게13 자연스럽게13 군사적13 도움을13 요구하게13 되고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그러면13 소련의13 이집트의13 접근배경은13 무엇인가 무엇보다도13 모스크바는13 對

전후13 중동지역에서13 미국과의13 경쟁에서13 우위를13 선점하기13 위한13 목적을13 갖고13 있

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국과의13 냉전13 구도13 하에서13 중동에서의13 영향력

을13 확보하고13 상대적으로13 미국의13 접근을13 어렵게13 하기13 위해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

근을13 시도하였다 즉13 중동에서13 가능한13 많은13 우방국13 혹은13 동맹국을13 만드는13 작

업은13 미국과13 마찬가지로13 소련의13 대외정책의13 우선순위의13 하나였다 더13 나아가

서13 소련은13 이집트뿐만13 아니라13 중동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국가에13 대해13 접한13 관

계를13 구축하고자13 하였다 이러한13 주장은13 년대를13 거치면서13 소련이13 시리 1960

아 요르단13 등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고13 일련의13 군사협정을13 체결하였다는13 사실

에13 의해13 뒷받침13 된다 년13 월13 일13 소련13 외무성은13 1955 4 16 ldquo소련은13 근동13 및13 중

26 이13 협정을13 통해13 양국은13 억불의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45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9

동지역에서13 전개되는13 상황에13 무관심한13 채13 남아13 있을13 수13 없다 그13 이유는13 그13

지역에13 있는13 외국의13 군사기지시설과13 블록화13 현상은13 소련의13 안보에13 직접적인13

연관성이13 있기13 때문이다rdquo27는13 입장을13 표명하였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친 한13 관계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이해관계를13 둘러싸고13 더욱13

발전하게13 되었다 년13 월13 나세르는13 수에즈운하에13 대한13 국유화를13 선언하 1956 7

였고13 이러한13 결정에13 대해13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13 이집트를13 공격하였다 이

로13 인해13 제 차13 중동전쟁이13 발발하였다 운하를13 둘러싼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13 그2

리고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첨예하게13 얽혀있었다 제 차13 중동전쟁은13 이집트 2 -

소련의13 관계에서13 또13 다른13 분수령이13 되었다 년13 이집트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1960

완전한13 통제와13 관리를13 위해13 소련으로부터13 에스완13 댐13 건설비용13 억13 천13 달러3 5

를13 받기로13 결정하였다 그13 후13 이집트는13 다양한13 형태의13 지원을13 소련으로13 받기13

시작하였다 년13 월13 이집트를13 방문한13 후르시초프 서기장은13 1964 5 (Khrushchev)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억13 천 백만13 불을13 융자하겠다는13 발표를13 하였다2 7 7 28

이13 비용은13 이집트가13 년부터13 추진하는13 개년13 개발계획에13 사용될13 예정이1965 5

라고13 덧붙였다 이러한13 재정적13 지원을13 통해13 이집트는13 점진적으로13 의존하였고13

의존의13 내용은13 경제원조의13 영역으로13 확대되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년13 1966 5

월13 일13 소련13 수상13 알렉세이13 코시긴 은13 카이로에서13 가11 (Aleksei M Kosygin)

진13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미국의13 베트남13 공격을13 비난하면서13 ldquo양국의13 국민은13 평화 사회적13 전진 그리고13 사회주의를13 위한13 투쟁에서13 공동13 목적과13 이념으로13

함께13 협력13 한다rdquo고13 선언하였다29 양국의13 우호관계는13 점진적으로13 확대되었다

이집트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스라엘과의13 분쟁은13 여전히13 미해결된13 채13 남아13 있었

고13 소련으로부터13 추가적인13 군사지원은13 불가피하였다

년의13 차13 중동13 전쟁혹은13 일13 전쟁에서13 이집트는13 이스라엘에게13 참패1967 3 ( 6 )

한13 후13 시나이13 반도와13 가지지구13 등을13 빼앗기게13 되었다 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

로13 하여금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더욱13 필요하게13 되었고13 결과적으로13 군

27 Alvin Z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에서13 재인용

2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4 5 25 p 1

29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6 5 11 p 2

140 백태열

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월터13 라퀘르 는13 다음과13 같이13 설 (Walter Laqueur)

명13 한다(1972 62)

일13 전쟁은13 소련6 -이집트13 관계의13 이정표를13 기록하였다 그13 전쟁은13 분실되거

나13 혹은13 파괴된13 모든13 군사13 장비를13 빨리13 대체하기13 위한13 필요성13 때문에13 소련에13

대한13 이집트의13 종속을13 극적으로13 심화시켰고13 낫세르의13 요청에13 따라13 소련군hellip13 인이13 탑승한13 SAM- 과13 2 SAM- 로13 구성된13 거대한13 미사일13 방어체계가13 13 이집트3

에13 설치되었다 소련조종사들이13 이집트내의13 개의13 공군비행장에서13 전투임무 15

를13 갖고13 전투기를13 발진시켰다

이집트는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있어서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

기13 위하여13 소련의13 군사적13 지원을13 지속적으로13 받았다 특히13 년에13 발생한13 1967

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과정에서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위해13 간접적13 방식으로13 전6

쟁에13 개입하였다 소련의13 군사고문단이13 이집트에13 상주하면서13 막후에서13 이집

트에서13 전술적 전략적13 도움을13 제공하고13 협력했을13 가능성은13 상당히13 높다 30

년13 가을에13 발생한13 나세르의13 갑작스런13 죽음과13 함께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1970

사다트는13 나세르의13 이념적 정책적13 계승자였다 따라서13 그는13 적어도13 외형적

으로13 소련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고자13 하였다 그의13 선택은13 당연하였다 일13 6

전쟁은13 휴전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전쟁은13 언제든지13 다시13 발발할13 개연성이13 높았

고13 따라서13 군사력의13 보강은13 그의13 주된13 목표였다 그는13 년13 월13 모스크바 1971 3

를13 방문하여13 소련에13 대한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다 그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1971

년13 월13 일13 양국사이의13 우호조약으로13 발전되었다 이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자리7 28

에서13 사다트는13 ldquo우리국민은13 아랍-소련의13 우정을13 소중하게13 생각하며13 그리고13 진정으로13 아랍전체13 국가들은13 이13 우정을13 우리13 정책의13 가장13 중용한13 기초중의13

하나로13 간주13 한다rdquo 고13 역설하였다 31 양국은13 년의13 유효기간을13 설정하고13 우 15

30 년13 동안13 이집트의13 군복으로13 위장한13 소련군13 조종사들이13 이집트13 영공에서13 이스라1970

엘의13 공습에13 대항하여13 공중전투에13 참여하였다 이13 부분에13 대해서13 Craig A Daigle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을13 참 8(1) March p 3

31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1 5 28 p 2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1

호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에13 어떤13 의미를13 갖고13

있는가 이와13 관련하여13 두13 가지13 사항이13 언급될13 수13 있다 첫째 이집트는13 오래13 13

동안13 공식적인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것을13 주저하였다 그것은13 특정국가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이13 나세르와13 사다트의13 정치철학에13 위배된다고13 판단하였기13 때문

이다 그러나13 나세르의13 죽음과13 완결되지13 않은13 중동전쟁의13 상황을13 고려할13 때13

다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보다13 강화할13 필요성을13 느꼈기13 때문이다

둘째 이13 조약은13 사실상13 외형적으로13 상호13 협력13 및13 우호를13 강조하고13 있지만13

조약의13 세부적13 내용을13 면 히13 검토해13 보면13 사실상13 군사원조와13 무기지원을13 포

함한13 일방적13 방위조약의13 성격이13 강하다 따라서13 향후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방위공약의13 의무를13 갖게13 되고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은13 보다13 제도적13 성격

을13 갖게13 되었다

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상황(2) 對이집트1) -소련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우호13 조약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이집트가13 군사적으로13 소련에13 예속된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년13 월13 이집트와13 1955 9

체코의13 무기매매협정에서13 찾을13 수13 있다 이13 협정은13 사실상13 소련과13 이집트사

이에13 체결된13 것으로13 소련이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내세워13 체결하였다(Cremeans

이13 협정을13 통해13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무기를13 공여하기13 시작하였고13 1963 146)

이집트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는13 계기가13 되었다 년13 월13 일13 1971 5 27

이집트와13 소련의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the Egyptian-Soviet Treaty of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년13 양국의13 무기Friendship and Cooperation) 1955

협정이후13 체결되었다 이13 조약은13 전문을13 포함하여13 모두13 개13 조항으로13 구성 12

되었다 이13 조약의13 전문은13 ldquo소련과13 이집트는13 양국의13 발전을13 촉진하고13 모든13 부분에서의13 협력을13 확고하게13 강화할13 것을13 확신하며13 양국은13 평화로운13 외hellip13 교정책의13 변함없는13 진행에13 따라서13 보다13 강력한13 국제평화와13 안보를13 위한13 투쟁

을13 지속적으로13 수행13 할13 것을13 결의하며helliprdquo32로13 되어13 있다 이13 조약은13 년13 1955

년13 양국이13 맺은13 무기협정13 보다13 여러13 부분에서13 포괄적인13 교류와13 협력을13 강조

32 Julian J Landau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참조Communications p 165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12: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126 백태열

대통령은13 이를13 진압하기13 위해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적 기술적13 도움을13 받았다13

양승윤( 2003 69- 이13 반란은13 독립이후13 극심한13 분열과13 갈등을13 초래하였70)

고13 향후13 반정부집단의13 정치세력화를13 예고하고13 있었다 이러한13 점에서13 필리핀

정부는13 미국과13 군사동맹관계를13 통해서13 국내의13 소요와13 반란을13 효율적으로13 진

압할13 수13 있는13 안보체계를13 구축하는13 작업이13 필요하였다 간단히13 말하면13 냉전

의13 상황과13 국내의13 공산주의의13 준동에13 적절히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필리핀은13 미국

과의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유지해야13 하는13 절박한13 상황에13 직면하였다

년대에13 접어들면서13 막사이사이 가르시아1950 (Ramon Magsaysay) (Carlos

마카파갈 등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들은13 친미적13 Garcia) (Diodado Macapagal)

성향을13 가졌고13 이러한13 점은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이러

한13 배경에는13 여전히13 아시아에서13 냉전의13 열기가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국내의13 안보

상황도13 크게13 개선되지13 않았기13 때문으로13 풀이된다 마르코스가13 년에13 대통 1965

령에13 당선된13 이후13 미국-필리핀의13 관계는13 군사적 경제적으로13 안정된13 모습을13

보였고13 마르코스는13 집권초기에13 미국에13 대한13 일방적인13 대외관계를13 개선하기13

위하여13 다변화13 외교정책을13 추구하기도13 하였지만13 미국의13 대군사의존의13 상황

은13 크게13 변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마르코스는13 친미성향이13 강했고13 양국관계

를13 필리핀의13 외교의13 중심축으로13 삼았기13 때문이다 마르코스의13 친미적13 성향은13

필리핀의13 국내적13 상황과13 연결된다 필리핀에서13 발생한13 두13 가지13 상황을13 지적

할13 수13 있다 첫째 년에13 결성된13 신인민군대 1969 (New Peoplersquo 이다s Army)

이13 조직은13 공산주의의13 게릴라13 집단으로13 테러활동을13 통한13 사회주의의13 노선을13

확립하려는13 집단이며13 필리핀의13 마오주의13 공산당(the Maoist Communist

과13 정치적으로13 깊게13 연관되어13 있다Party) 8 둘째 년대에13 결성된13 모로13 회 1960

교해방전선 이다 이13 단계는13 사실상13 (the Moro Islamic Liberation Front) Kuk

조직의13 전신으로13 필리핀을13 회교사회로13 만들기13 위해13 투쟁하는13 집단이다 공교

롭게도13 이13 집단은13 모두13 마르코스13 대통령이13 재임하던13 시기인13 년대13 말에13 1960

결성되어13 테러13 활동을13 통한13 국내적13 상황을13 어렵게13 만들었다 마르코스의13 입

7 이13 부분에13 관해서는13 을13 참조httpwwwcomwfb2001philippines

8 이13 부분에13 관해서는13 를13 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7

장에서13 보면13 이러한13 국내적13 불안정과13 좌익13 활동은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시켰

고13 미국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불가피하였다 그13 결과13 필리핀은13 안

보분야에서13 자연스럽게13 미국에게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이들13 반13 정부단체의13

활동은13 마르코스가13 재임하고13 있는13 동안13 국내적으로13 커다란13 정치적 사회적13

도전이었고13 필리핀의13 국내안정과13 직결되어13 있었다 그러나13 필리핀의13 국내정

치적13 상황은13 년13 마르코스가13 재선되고13 계엄령을13 선포함으로써13 악화되기13 1972

시작하였다 마르코스대통령은13 국민들에13 대한13 탄압을13 강화하였다 필리핀13 국

내에서13 독재정권을13 무너뜨리고13 민주주의를13 운동을13 강화하려는13 노력은13 지속

되었지만13 미국과13 군사동맹관계를13 변화시키려는13 활동과13 노력은13 간헐적으로13

이루어졌다 마르코스13 대통령은13 미국과13 체결한13 일련의13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

조약을13 필리핀의13 대외관계의13 주축을13 이루었고13 따라서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

속상태는13 고착화되었다 간단하게13 요약하면13 필리핀이13 미국에13 군사적으로13 예

속된13 주된13 배경은13 국내안보상황의13 불확실성과13 공산주의의13 위협13 때문이었다

필리핀의13 대미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전개(2)

필리핀1) -미국의13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조약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확인할13 수13 있는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양국이13 체

결한13 일련의13 군사동맹조약이다 양국은13 년13 월에13 체결된13 군사기지협정 1947 3

과13 군사원조협정(Military Bases Agreement) (The RP-US Military Assistance

그리고13 년13 월의13 상호방위조약 을13 Agreement) 1951 8 (Mutual Defense Treaty)

각각13 체결하였다 먼저13 저자는13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체결한13 군사기지협 1947 3 14

정의13 내용을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이13 협정은13 미국이13 필리핀에13 군사기지의13 설

치 운영13 등에13 관한13 권리를13 확보할13 수13 있도록13 하였다 미국은13 클라크13 공군기

지와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및13 기타시설13 등을13 포함한13 개의13 군사시설을13 년13 동23 99

안13 무상으로13 사용할13 수13 있도록13 하였다 사실상13 미국정부는13 필리핀내의13 군사

시설에13 대한13 완전한13 통제권을13 갖게13 되었다 이13 협정은13 필리핀이13 군사안보13 부

분에서13 미국에게13 의존하게13 만든13 법적13 기초였다 필리핀의13 미13 군사적13 의존 對

을13 확인할13 수13 있는13 또13 다른13 협정은13 군사원조협정이다 이13 협정은13 군사기지협

정이13 체결된13 직후13 년13 월13 일에13 체결된13 부속협정 이1947 3 21 (Sister agreement)

128 백태열

다9 이13 협정의13 전문은13 ldquo독립13 이후13 필리핀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 그리고13 군장

비의13 구입13 등에13 대한13 필리핀13 정부의13 여망을13 고려하여13 미국13 대통령은13 공동방

위의13 문제에서13 양국의13 상호13 이익의13 관점에서13 국가안보를13 유지하기13 위하여13 필

리핀13 정부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는13 것을13 허락한다helliprdquo10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협정은13 모두13 개의13 세부적인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으며13 거의13 대부분23

의13 조항은13 필리핀에13 대한13 미국의13 군사원조에13 국한되어13 있다 보다13 상세한13 내

용을13 파악하기13 위해13 저자는13 몇몇13 조항을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동13 협정의13 제 1

조는13 ldquo상호협정에13 따라서13 미국정부는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을13 위해13 필리핀정부에게13 군사원조를13 제공할13 것13 이다helliprdquo11고13 명시되어13 있다 또13 다른13 조항은13 군

사고문단 의13 기능과13 역할에13 관한13 것이다 동13 협정(Military Advisory Group)

의13 조는13 8 ldquo군사고문단의13 기능은13 국가안보와13 관련된13 목적을13 수행하는데13 필요한13 것으로13 필리핀에13 조언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다helliprdquo12고13 적고13 있다 이러한13

점은13 필리핀이13 안보정책을13 수립하거나13 군사적13 역할을13 하는데13 있어서13 독자성

이13 크게13 훼손될13 수13 있다 일반적으로13 강대국과13 약소국의13 상호방위조약은13 약

소국의13 독립적이고13 자주적인13 대외군사정책을13 추구하는데13 있어13 제약이13 많고13

군사적13 자주권을13 종종13 훼손시킨다 따라서13 필리핀과13 미국과의13 군사원조협정

도13 같은13 맥락에서13 볼13 수13 있다 또한13 동13 협정의13 조는13 일반적인13 군사원조의13 6

내용을13 담고13 있다 이13 조항에13 따르면13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군대에게13 무기 탄

약 군사장비 전투기와13 전함13 등을13 제공하게13 된다고13 명시하고13 있다 협정의13

조는13 군사훈련지원 에13 관한13 것이다 필리핀에13 대한13 군21 (Training assistance)

사원조의13 일부로서13 선발된13 필리핀13 학생들을13 미국에13 보내13 육군 해군 그리고13

공군13 부대에서13 기술13 및13 군사훈련을13 받도록13 하는13 내용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과13 미국은13 년13 월13 일13 상호방위조약1951 8 13 (Mutual Security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전문과13 개의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Treaty) 13

9 이13 협정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 저자는13 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인쇄본을13 입수하지13 못하여13 대신에13 인터넷13 사이트의13 정보를13 인용함

10 상게서

11 상게서

12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9

이13 조약에서13 양국은13 ldquo외부의13 군사적13 전략에13 대해13 공동으로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양국의13 단결과13 공동의13 결의를13 공개적으로13 그리고13 공식적으로13 선언하면서rdquo13

개13 조항에13 합의하였다 이13 조약의13 13 조는13 외부의13 군사적13 침략에13 대해13 공동13 3

으로13 방어하기13 위한13 대응태세를13 강조하고13 있으며13 조는13 당사국중의13 한13 국가4

가13 외부의13 공격을13 받을13 경우13 이를13 자국에13 대한13 공격으로13 간주한다고13 규정함

으로써13 공동방위를13 구축하고13 있다

양국이13 체결한13 개의13 군사13 및13 방위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볼13 때13 현실적으로13 3

필리핀의13 국가안보를13 강화하고13 양국이13 공동의13 외부적13 위협에13 대응하도록13 구

성되어13 있다 그러나13 이13 조약들은13 양국의13 평등성에13 기초하고13 있기13 보다는13 필

리핀이13 일방적으로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받도록13 되어13 있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군군대의13 주둔2)

싱거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외국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시설이다 년13 양국의13 협정에13 따라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군대를13 주둔시키 1947

고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필리핀에는13 미국의13 군사방위공약을13 실천하기13

위하여13 년부터13 미군이13 주군하고13 대규모의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대1947

표적인13 군사시설은13 클라크13 공군기지(Clark Air Base in Pampanga and

수빅만13 해군기지 죤13 Tarlac) (Subic Naval Base in Bataan and Zambales)

헤이13 공군13 이착륙장 월레스13 공군13 이(John Hay Air Station in Baguio City)

착륙장 그리고13 산13 미구엘13 통신소(Wallace Air Station in La Union) (San

등이다Miguel Station in Zambales) 14 그13 외에도13 소규모의13 미국군사기지13

및13 시설은13 대략13 개이다 클라크13 공군기지는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규모15

이며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역시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해군기지이다 이러한13

미군기지와13 시설에13 주둔하고13 미국병사는13 년13 기준으로13 대략13 육군은13 1979 28

명 공군은13 명 해군은13 그리고13 해병대13 명이13 각각13 필리핀에13 주 8005 4594 786

13 이13 조약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14 이와13 관련하여13 상세한13 내용은13 다음의13 자료를13 참조바람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130 백태열

둔하였고13 전체13 미군의13 수는13 명이다13413 15 이와13 관련된13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13 기준을13 기준으로13 필리핀의13 모든13 미군기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병력은13 1988

명이다17870 16 년13 당시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의13 수는13 명의13 군인과13 1991 15000

명의13 군무원이13 주둔하고13 있었다1000

이러한13 군사기지의13 설치는13 앞서13 설명된13 양국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방위조약

에13 따른13 부수적13 결과일13 뿐이다 외군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기지의13 허용은13 종속

국의13 국방력이13 취약하다는13 반증이다 종속국은13 외국군대의13 도움이13 없이는13 자

국의13 안보상황을13 개선할13 수13 없다는13 것을13 의미하며13 이는13 군사적13 예속의13 또13 다

른13 측면이다 외국군대의13 기지와13 주둔군은13 해당국민과13 가장13 직접적인13 마찰과13

갈등을13 빚는13 부분이고13 법적 사회적 문제를13 가장13 많이13 야기시켰다

미국의13 필리핀13 무기13 공여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검증하기13 위하여13 사용되는13 또13 다른13 증거는13 군사장

비13 및13 무기의13 공여이다 피종속국은13 현실적으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자체적으

로13 개발하는데13 필요한13 기술력과13 경제력을13 결여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타국으로부

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유상으로13 혹은13 무상으로13 공여13 받는다 특히13 이러한13 무

기의13 지원으로13 인해13 보다13 심각한13 상황은13 특정한13 국가로부터13 무기지원을13 받는

다는13 점에서13 의존적13 성격을13 갖고13 있다는13 점이다 따라서13 피종속국이13 종속국

에게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하거나13 수출하지13 않을13 경우13 종속국의13 국가안보

는13 어려움을13 겪거나13 혹은13 심각한13 위험에13 직면할13 수도13 있다 필리핀의13 경우13

년대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의13 대부분을13 공여13 받았다1950 17 이

와13 관련하여13 몇13 가지13 사례를13 들어13 보기로13 한다 필리핀은13 년대13 초부터13 1950

년까지13 미국으로부터13 다양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13 받거나13 혹은13 구매1973

하였다 군사용13 비행기예를13 들면 ( Lockheed T-33 Gruman HU-16A

군사용13 선박예를13 들면 그Albatross) ( patrol boat Infantry landing craft)

리고13 장갑차 예를13 들면( M- 등이다4 Sherman) 18

15 United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p 145

16 이와13 관련된13 자료는13 김경숙13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13 참1988 10 p 76 「 」 985172 985173조

17 년대13 초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제외한13 일본 독일 호주 이탈1950 1970

리아13 등으로부터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미국의13 비중이13 압도적으로13 많았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1

필리핀13 군인의13 미국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13 4)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종속국가의13 군인13 혹은13 영관급13 장교들이13 피

종속국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러한13 지표는13 종속국의13 군인

들의13 질적13 취약성에13 기초한다 종속국의13 군인들은13 안보와13 전쟁에13 필요한13 현

대식의13 훈련과13 전투능력을13 배양하지13 못했기13 때문에13 국가안보의13 문제와13 위기

가13 발생했을13 때13 적절하게13 대처할13 수13 있는13 있는13 군사적13 능력을13 갖추고13 있지13

못하다 이러한13 측면은13 종속국의13 군사력13 하락으로13 연결된다 필리핀군인들은13

의13 프로그램의13 후원13 IMET(International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하에13 미국본토13 혹은13 미국본토이외의13 군사훈련소에서13 군사훈련13 혹은13 교육을13

받았다 자료에13 따르면13 필리핀13 군인들은13 년부터13 년까지13 명이13 1950 1968 12217

훈련을13 받았다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부터13 년13 초까(Singer 1972 301) 1950 1980

지13 대략13 의13 필리핀13 군인들이13 미국의13 재정적13 지원13 하에13 미국의13 군사학17000

교와13 훈련소에13 훈련을13 받았음을13 보여준다19

간단히13 정리하면13 앞서13 제시된13 가지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살펴13 본13 결과13 4

필리핀은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되어13 있음을13 보여준다

필리핀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13 (3)

필리핀의13 정부지도자와13 국민들이13 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상태를13 타파해야13

한다는13 목소리를13 강화한13 것은13 마르코스13 대통령의13 독재정치가13 절정에13 달했을13

때였다 그의13 탄압과13 독재정치에13 대해13 많은13 필리핀국민들이13 저항하였고13 반마

르코스의13 열기가13 확대되었다 년에13 일어난13 필리핀의13 민중의13 혁명 1986

(Peoplersquo 은13 마르코스를13 권좌에13 내쫒았다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의존s Power)

의13 타파는13 사실상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와13 궤를13 같이13 한다 마르코스에13 대한13

비판은13 민주주의를13 강하게13 염원하게13 되었고13 동시에13 그의13 정권하에서13 오래13 동

안13 유지되었던13 필리핀-미국의13 동맹관계의13 실체를13 재평가하려는13 움직임으로13

빠르게13 전환되었다 년13 월13 코라손13 아퀴노 가13 대통령 1986 2 (Corazon Aquino)

18 이와13 관련하여13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참조Stockholm 1975 Sweden SIPRI pp 17-19

19 를13 참조httpIcweb2locgovcgi-binquery

132 백태열

에13 취임하면서13 필리핀에서는13 본격적으로13 미군의13 철수문제가13 공론화되기13 시

작하였다 필리핀국민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동맹체제로부터13 발생하는13 다양한13 불

이익과13 불편을13 종식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개시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추진력 은13 무엇인가 대략13 두13 가지13 요인(Driving force)

으로13 설명된다 첫13 번째는13 민족주의이다 민족주의는13 식민지13 상태에서13 해방

과13 독립을13 쟁취하기13 위한13 이데올로기로서13 작동하였고13 독립이후13 민족주의는13

외세의13 지배와13 간섭을13 배격하기13 위한13 무기로서13 전환된다 필리핀은13 스페인과13

미국의13 식민지를13 경험하면서13 강한13 민족주의를13 발전시켰다 살바도르13 마르티

네그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13 역사는13 세(Salvador Martineg) 16

기13 초에13 시작되어13 년대13 이래13 유지되었고13 년대에는13 클라로13 렉토13 등1950 1960

에13 의해13 활성화되었다20 결국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는13 반미주의와13 강하게13 연결

되어13 있으며13 이는13 미국의13 간섭과13 영향력을13 배제하고13 자국의13 자존심을13 회복하

려는13 노력으로13 승화되었다 동시에13 민족주의의13 열기는13 필리핀국민들에게13 미

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에서13 기인하는13 지배국의13 독선과13 횡포 그리고13 내정간섭에13

대한13 저항을13 강하게13 표출할13 수13 있는13 통로를13 제공하였다 두13 번째는13 주권과13

자주권의13 회복이다 주권과13 자주권은13 민족주의와13 깊은13 연관성을13 갖고13 있다

전후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유지하는데13 있어서13 국민적13 자존

심과13 주권이13 손상되었다는13 인식을13 강하게13 갖고13 있다 에드13 가르시아 (Ed

와13 프란시스코13 네멘쯔 는13 다음과13 같이13 지적한다13 Garcia) (Francisco Nemenz)

(Garcia and Nemenz 1987 4)

독립은13 단지13 자기13 확신의13 문제가13 아니다 국가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이13 아 hellip13 니라13 자주적13 행위자로서13 인식되어야13 한다 모든13 국제회의에서13 우리의13 독립을13

확인하기13 위하여13 용기를13 갖고13 노력하여13 왔다 그러나13 우리가13 실제적인13 독립을13

갖고13 있었을13 때조차도13 우리가13 제안을13 발의해도13 제 세계의13 대표들은13 그13 뒤에는13 3

미국이13 있다는13 점을13 의심하여13 왔다 이러한13 의미에서13 필리핀은13 자국의13 땅위에

서13 거대한13 군사기지를13 유지하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으로13 보여진다

20 이러한13 주장에13 대해서는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사Salvador Martineg 1983 「 」 985172상 월 을13 참조함5 pp 45-48 98517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3

그들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체계가13 필리핀의13 대

외정책에도13 부정적13 영향을13 미쳤음을13 암시하고13 있다 국제무대에서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의식하거나13 혹은13 미국의13 정책과13 보조를13 맞출13 수밖에13 없는13 상황을13 초

래했다고13 보고13 있다 이러한13 관점에13 대해13 일부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자국의13 주권

이나13 자주권이13 어느13 정도13 훼손되었다는13 생각을13 갖고13 있는13 것으로13 보인다 동

시에13 미군철수를13 둘러싼13 필리핀13 국민의13 반감은13 미국의13 마르코스13 체제에13 대한13

옹호에서13 기인하였다는13 점도13 지적될13 수13 있다 그들은13 마르코스13 집권이후13 필

리핀의13 인권상황이13 악화되고13 독재정치가13 유지되고13 있음에13 불구하고13 미국이13

이를13 개선하기13 위한13 적절한13 역할을13 하지13 못한13 것에13 대해13 깊은13 불신과13 반감을13

갖고13 있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13 국민들이13 미군철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를13 요구

하는13 보다13 현실적인13 이유들이13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필리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으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각종13 사회적13 문제와13

갈등이다 미군이13 주둔하고13 있는13 기지주변에서13 발생되는13 각종13 범죄 현지인

과13 미군사이의13 마찰13 등은13 외국군대를13 수용하고13 있는13 필리핀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군기지에13 대한13 반감과13 저항을13 일으킬13 수13 있다 둘째 필리핀13 국내에13 설치된13

핵무기이다 년대13 초에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핵무기가13 설치한13 것으로13 알려져13 1970

있으며13 년까지13 핵무기의13 수는13 대략13 정도에13 달하였다 년을13 기준1973 260 1985

으로13 미국은13 필리핀에13 개의13 핵무기를13 설치하였으며13 그중13 개는13 반잠수227 32

함13 핵폭탄이며13 개는13 해군용13 핵무기 그리고13 그밖에13 개의13 핵폭탄이13 있80 115

는13 것으로13 알려졌다21 핵무기의13 설치와13 사용의13 목적은13 아시아13 지역의13 군사

적13 충돌이나13 전쟁이13 발발할13 경우13 사용되기13 위함이며13 어떤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

는13 필리핀의13 안보를13 위한13 것이라기보다는13 미국의13 군사적13 목적을13 위해13 설치된13

것이다 미국이13 아시아에서13 전쟁을13 수행할13 경우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핵위협에13

노출되어13 있고13 이로13 인해13 여러13 가지13 피해가13 발생할13 수13 있다고13 보고13 핵무기의13

설치와13 시설에13 민감하지13 않을13 수밖에13 없다 이러한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일차적으

로13 공격의13 목표가13 되었던13 것은13 미군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이다

21 Ronald G Simbulan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1989 Manila Philippines

와13 을13 참고 이13 책에는13 필리핀의13 미국핵무기와13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p 78

관련된13 정보와13 내용이13 상세하게13 기록되어13 있음

134 백태열

그러면13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종료시키기13 위한13 구체적인13

움직임 조치 및13 정책은13 무엇인가 마르코스가13 축출당한13 이후인13 년13 월 1986 2

부터13 년대13 초까지13 필리핀의13 국내13 상황은13 급박하게13 돌아가고13 있었다 이1990

와13 관련하여13 가장13 주목을13 끄는13 점은13 년13 월13 일13 필리핀13 상원을13 통과한13 1988 6 6

ldquo반핵병기13 법rdquo이다 이13 법안은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기지와13 군사시설 그리고13 양

국동맹관계의13 근간을13 흔들13 수13 있을13 만큼13 강력한13 내용을13 담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이13 법안의13 조는13 금지행위에13 관한13 것으로13 5 ldquo어떤13 사람도13 운송이나13 하역을13 불문하고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과13 그13 구성부분을13 필리핀13 영역내로13 가지고13

들어오거나13 또는13 소유 보유할13 수13 없다 필리핀13 군사기지13 내13 미합중국의13 기존13

군사13 설비를13 포함하여13 필리핀영역의13 상13 하 상공13 어느13 곳에서도13 본13 제 조13 4 1

항에13 해당하는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 구성부분13 및13 핵병기관련설비의13 개발 제

조 입수 실험 이용 도입 비축 보관을13 금지하며 helliprdquo22라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조항과13 함께13 다른13 조항13 역시13 필리핀에서의13 일체의13 핵무기13 개발 설치 비

축 보관 하역13 등을13 금지시키고13 있다 이13 법안의13 통과는13 필리핀 -미국의13 군사

동맹관계의13 분수령이13 된다 역시13 가장13 커다란13 시사점은13 미국은13 필리핀의13 영

토13 안에13 핵무기와13 관련된13 일체의13 접근이13 불허된다는13 점이며13 동시에13 필리핀의13

모든13 군사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가13 불가피하게13 되었다는13 점이다

년13 월13 미국과의13 군사기지협정을13 년13 연장하기13 위한13 법안이13 상원에13 1991 9 10

게류13 되었을13 때13 필리핀13 국내정세는13 극도로13 혼란스러웠다 이13 혼란의13 중심은13

미군13 기지를13 그대로13 유지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과13 법안을13 거부함으로써13 미군13 기

지를13 폐쇄해야13 한다는13 입장으로13 크게13 나뉘어져13 있었다 이13 협정의13 연장을13 찬

성하는13 집단의13 중심에는13 아키노13 대통령이13 있었다 아키노13 대통령은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쇄될13 경우13 양국관계의13 약화 경제13 투자의13 감소 그리고13 불안정

한13 국내13 상황13 등을13 크게13 우려하였다 무엇보다도13 필리핀13 정부는13 양국이13 오랫

동안13 여러13 부분에서13 구축된13 양국의13 군사적 외교적13 우호관계가13 크게13 악화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우려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13 상원은13 미국과13 협정을13 반대하는

데13 선두집단중의13 하나였다 상원의원들의13 상당수는13 민족주의13 정신이13 강한13 정

22 본13 법안의13 내용에13 관해서는13 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를13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5

치인들이었고13 미군은13 필리핀13 땅에서13 떠나가야13 한다고13 믿었다 미군기지13 임대

의13 연장13 법안의13 반대에13 대한13 보다13 구체적인13 이유는13 무엇인가 가장13 커다란13

이유는13 무엇보다도13 필리핀의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복원이었다 당시13 필리핀13

상원의원인13 아가피토13 아키노 는13 (Agapito Aquino) ldquo이13 투표는13 진정으로13 주권을13 갖고13 독립적인13 필리핀13 국민을13 위한13 것이며13 이13 투표는13 미국의13 조종끈에13 매

어진13 정치적13 청년기13 즉13 극심한13 종속을13 종식하기13 위한13 것이다rdquo23라고13 상원에

서13 역설하였다 종속타파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종속타파의13 견인적인13 메커니즘은13

이론적13 검토에서13 제시된13 것처럼13 역시13 주권의13 회복과13 민족적13 자존심의13 회복이

다 필리핀13 정치인들의13 판단과13 요구가13 대다수13 모든13 필리핀13 국민들의13 견해와13

동일하다고13 볼13 수13 없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협정13 그리고13 상

호방위조약에서13 기인하는13 다양한13 폐해를13 인식하고13 있으며13 미군은13 철수되어

야13 한다는13 공감대를13 발전시켜13 왔다는13 점은13 부인할13 수13 없다 또13 다른13 견해는13

필리핀13 정치권에서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기지사용료가13 너무13 적다는13 이유도13 제시

되고13 있다24 필리핀13 상원의13 강력한13 반대13 움직임13 속에13 아키노13 대통령은13 이13

법안을13 국민투표에13 회부하는13 방안을13 추진하였지만13 무산되고13 결국은13 미군기

지협정의13 연장법안은13 년13 월13 일13 상원에서13 대13 로13 부결되었다1991 9 16 12 11

필리핀13 상원의13 이러한13 결정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년13 미국과13 맺은13 군 1947

사기지협정은13 자동적으로13 무효화되었으며13 필리핀에서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

쇄되고13 미군이13 더13 이상13 주둔하지13 않게13 되었다 미군은13 년13 말13 이전에13 필 1992

리핀의13 영토를13 떠나도록13 권고13 받았다 이러한13 점은13 상징적인13 측면이13 강하지

만13 필리핀은1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고13 볼13 수13 있다

미국의13 반응과13 입장13 (4)

필리핀에서의13 극적인13 변화에13 대해13 미국은13 어떤13 반응을13 보였으며13 기본13 입

장은13 무엇인가 미국은13 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13 이후13 필리핀의13 민주화13 운동과13

23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아키노13 상원의원은13 미군기지문제와13 관 1991 9 16 A1

련하여13 형수이자13 대통령이었던13 코라손13 아퀴노와13 극심한13 마찰과13 갈등을13 겪었다

24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벌인13 협상에서13 미국은13 필리핀에 1991 9 11 A3

게13 수빅만13 해군기지를13 사용하는13 대가로13 일년에13 억불을13 제공하기로13 합의하였다203

136 백태열

새로운13 정권의13 창출을13 고무적으로13 평가하였다 그러나13 동시에13 워싱턴은13 그곳

에서13 미군의13 기지와13 군대의13 철수문제 그리고13 지속적인13 반미운동의13 고조13 등

에13 대해13 깊은13 우려감을13 가졌다 특히13 군사기지협정의13 연장을13 앞13 둔13 시점에서13

미국정부의13 불안감은13 증대되었다 국무장관13 조지13 슐츠 는13 미 (George Shultz)

국은13 필리핀13 관리들과13 정치인들이13 기지연장을13 승인하지13 않을13 경우13 다른13 장소

를13 물색해야13 할지13 모른다는13 입장을13 밝혔다25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국내에서13

벌어지는13 반미운동이13 궁극적으로13 미군기지의13 철폐로13 연결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크게13 우려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필리핀13 상원의13 표결이13 있기13 전에13 미국정부는13

부결가능성을13 기대하고13 있었고13 이를13 위해13 직간접적으로13 필리핀정부에13 회유

와13 압력을13 가하였다

필리핀에서의13 결정은13 미국정부를13 크게13 실망시켰지만13 기지연장을13 둘러싼13

필리핀의13 정책결정과정에13 대해13 특별한13 영향력을13 행사할13 수13 없었다 미국은13

필리핀이13 기지연장13 협정을13 원하지13 않는다면13 이를13 수용하지13 않을13 수13 없다 미

국의13 기본13 입장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연장협정을13 지속하는13 것이었다 그13 이유는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와13 미군의13 주둔은13 년이13 넘은13 동안13 아시아에서13 방어적13 40

역할을13 충실히13 하였기13 때문이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결정은13 대

략13 가지13 파급효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다고13 보았다 첫째 년대13 말에13 냉전이13 2 1980

서서히13 종식되고13 있었지만13 미국은13 아시아에서의13 군사적13 임무와13 역할이13 여전

히13 필요하였다 따라서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의13 철수는13 안보적13 공백이13 발생할13

수13 있으며13 이로13 인한13 군사적13 전략변화가13 요구되고13 있기13 때문이다 둘째는13 간

접적13 파급효과이다 필리핀의13 미군기지13 철수가13 다른13 주둔지역13 특히13 한국과13

일본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기지의13 철수로13 연결될13 수13 있는13 파급효과를13 우려하

였다 반면에13 다른13 측면에서13 보면13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다소13 위안을13 찾을13

수13 있는13 부분도13 있다 필리핀은13 결코13 미국과의13 상호방위조약13 자체를13 폐기한13

것이13 아니기13 때문에13 향후13 양국의13 군사적13 동맹관계는13 유지될13 수13 있으며13 미국

의13 군사적13 영향력도13 어느13 정도13 유효할13 것이라는13 기대감을13 가졌다

25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88 6 17 p 7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7

이집트2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3 (1)

년13 영국의13 식민지에서13 벗어난13 이집트는13 국내외적으로13 커다란13 도전에13 1952

직면하였다 국내적으로13 정치세력간의13 권력투쟁으로13 불안한13 정국이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그13 과정에서13 군사13 쿠데타를13 통해13 실질적인13 권력을13 장악한13 나세르는13

아랍사회주의를13 표방하면서13 국정을13 운영하기13 시작하였다 대외적으로13 국제사

회에는13 이미13 냉전의13 열기가13 정점에13 올랐고13 그13 여파는13 중동에도13 도달하였다

이집트를13 둘러싼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복잡하게13 얽혀가고13 있었다 이와13 관련

하여13 주목할13 부분은13 미국과13 소련은13 중동지역에서13 패권경쟁을13 격화하고13 있었

다는13 점이다 소련은13 미국을13 견제하기13 위하여13 에13 버금가는13 지역안보 NATO

체제를13 구축하려고13 하였고13 이는13 바그다드13 조약 으로13 실현되고13 (Baghdad Pact)

있었다 미국은13 이집트를13 지역안보체제에13 끌어13 들이려는13 계획을13 갖고13 이집트

에13 접근하였다 마찬가지로13 소련은13 이집트와13 접한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중동지역에서의13 교두보를13 확보할13 수13 있다고13 판단하였다 미국과13 소련은13 이집

트가13 아프리카와13 중동을13 연결하는13 지역에13 위치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전략적13 가치

를13 중시하였고13 아랍세계의13 위상13 때문에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근을13 추구하는13 것이13

중요한13 목표중의13 하나였다

나세르가13 집권13 이후13 이집트가13 당면한13 최대13 현안은13 이스라엘과13 갈등과13 분

쟁이었다 년13 월13 이스라엘군대가13 이집트13 통제지역인13 가자해협의13 군사 1955 2

시설을13 공격하면서13 명이13 사망하는13 사건이13 일어났다 이스라엘의13 공격으로13 38

인해13 양국은13 본격적인13 대립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이집트는13 이러한13 상황에13 대처

하기13 위해13 자국의13 군사력의13 증강이13 무엇보다도13 절실한13 과제였다 이집트는13

처음에13 서방측에게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으나13 거부당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시도하였다 이집트가13 소련을13 선택한13 구체적인13 배경은13 무엇인

가 무엇보다도13 나세르는13 기본적으로13 반서방주의13 성향이13 강하였고13 당시의13 국

제정세로13 볼13 때13 이스라엘을13 지원하는13 영국과13 미국13 보다는13 소련에게13 무기를13

요청하는13 것이13 적합하다고13 판단하였다 년13 이집트는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1955

138 백태열

내세운13 소련과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26 이13 무기협정을13 통해13 사실상13 이집트

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어13 가는13 계기가13 되었고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주공급자가13 되었다 그러나13 이집트는13 소련과13 상호군사조

약을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나세르가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맹관계를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기13 때문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찰스13 크레멘

스 는13 (Charles Cremeans) ldquo군사공약이13 포함되지13 않는13 한13 이집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받을13 수13 있었고13 그리고13 필요하다면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는데13

발생할13 수13 있는13 위험을13 감수할13 준비가13 되었다고13 나세르는13 항상13 주장하였다rdquo고13 지적한다 나세르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공여13 받는13 것에13 부(1963 281)

담을13 느꼈던13 것은13 분명하다 그13 이유는13 자신이13 강력한13 비동맹노선을13 표방하

였고13 따라서13 소련과13 연계를13 통해13 의존의13 상황이13 형성되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기13

때문이었다 결국13 나세르는13 적어도13 집권초기에는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

맹관계13 혹은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려고13 하지13 않았다 그러나13 이스라엘의13 군

사적13 위협13 때문에13 이집트가13 무기를13 제공받기로13 한13 결정은13 불가피한13 선택이었

다 전후13 독립을13 획득한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신생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 3

의13 국방력은13 취약하였다 따라서13 이집트의13 대외적13 여건은13 군사대국인13 소련에

게13 자연스럽게13 군사적13 도움을13 요구하게13 되고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그러면13 소련의13 이집트의13 접근배경은13 무엇인가 무엇보다도13 모스크바는13 對

전후13 중동지역에서13 미국과의13 경쟁에서13 우위를13 선점하기13 위한13 목적을13 갖고13 있

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국과의13 냉전13 구도13 하에서13 중동에서의13 영향력

을13 확보하고13 상대적으로13 미국의13 접근을13 어렵게13 하기13 위해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

근을13 시도하였다 즉13 중동에서13 가능한13 많은13 우방국13 혹은13 동맹국을13 만드는13 작

업은13 미국과13 마찬가지로13 소련의13 대외정책의13 우선순위의13 하나였다 더13 나아가

서13 소련은13 이집트뿐만13 아니라13 중동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국가에13 대해13 접한13 관

계를13 구축하고자13 하였다 이러한13 주장은13 년대를13 거치면서13 소련이13 시리 1960

아 요르단13 등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고13 일련의13 군사협정을13 체결하였다는13 사실

에13 의해13 뒷받침13 된다 년13 월13 일13 소련13 외무성은13 1955 4 16 ldquo소련은13 근동13 및13 중

26 이13 협정을13 통해13 양국은13 억불의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45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9

동지역에서13 전개되는13 상황에13 무관심한13 채13 남아13 있을13 수13 없다 그13 이유는13 그13

지역에13 있는13 외국의13 군사기지시설과13 블록화13 현상은13 소련의13 안보에13 직접적인13

연관성이13 있기13 때문이다rdquo27는13 입장을13 표명하였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친 한13 관계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이해관계를13 둘러싸고13 더욱13

발전하게13 되었다 년13 월13 나세르는13 수에즈운하에13 대한13 국유화를13 선언하 1956 7

였고13 이러한13 결정에13 대해13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13 이집트를13 공격하였다 이

로13 인해13 제 차13 중동전쟁이13 발발하였다 운하를13 둘러싼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13 그2

리고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첨예하게13 얽혀있었다 제 차13 중동전쟁은13 이집트 2 -

소련의13 관계에서13 또13 다른13 분수령이13 되었다 년13 이집트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1960

완전한13 통제와13 관리를13 위해13 소련으로부터13 에스완13 댐13 건설비용13 억13 천13 달러3 5

를13 받기로13 결정하였다 그13 후13 이집트는13 다양한13 형태의13 지원을13 소련으로13 받기13

시작하였다 년13 월13 이집트를13 방문한13 후르시초프 서기장은13 1964 5 (Khrushchev)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억13 천 백만13 불을13 융자하겠다는13 발표를13 하였다2 7 7 28

이13 비용은13 이집트가13 년부터13 추진하는13 개년13 개발계획에13 사용될13 예정이1965 5

라고13 덧붙였다 이러한13 재정적13 지원을13 통해13 이집트는13 점진적으로13 의존하였고13

의존의13 내용은13 경제원조의13 영역으로13 확대되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년13 1966 5

월13 일13 소련13 수상13 알렉세이13 코시긴 은13 카이로에서13 가11 (Aleksei M Kosygin)

진13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미국의13 베트남13 공격을13 비난하면서13 ldquo양국의13 국민은13 평화 사회적13 전진 그리고13 사회주의를13 위한13 투쟁에서13 공동13 목적과13 이념으로13

함께13 협력13 한다rdquo고13 선언하였다29 양국의13 우호관계는13 점진적으로13 확대되었다

이집트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스라엘과의13 분쟁은13 여전히13 미해결된13 채13 남아13 있었

고13 소련으로부터13 추가적인13 군사지원은13 불가피하였다

년의13 차13 중동13 전쟁혹은13 일13 전쟁에서13 이집트는13 이스라엘에게13 참패1967 3 ( 6 )

한13 후13 시나이13 반도와13 가지지구13 등을13 빼앗기게13 되었다 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

로13 하여금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더욱13 필요하게13 되었고13 결과적으로13 군

27 Alvin Z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에서13 재인용

2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4 5 25 p 1

29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6 5 11 p 2

140 백태열

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월터13 라퀘르 는13 다음과13 같이13 설 (Walter Laqueur)

명13 한다(1972 62)

일13 전쟁은13 소련6 -이집트13 관계의13 이정표를13 기록하였다 그13 전쟁은13 분실되거

나13 혹은13 파괴된13 모든13 군사13 장비를13 빨리13 대체하기13 위한13 필요성13 때문에13 소련에13

대한13 이집트의13 종속을13 극적으로13 심화시켰고13 낫세르의13 요청에13 따라13 소련군hellip13 인이13 탑승한13 SAM- 과13 2 SAM- 로13 구성된13 거대한13 미사일13 방어체계가13 13 이집트3

에13 설치되었다 소련조종사들이13 이집트내의13 개의13 공군비행장에서13 전투임무 15

를13 갖고13 전투기를13 발진시켰다

이집트는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있어서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

기13 위하여13 소련의13 군사적13 지원을13 지속적으로13 받았다 특히13 년에13 발생한13 1967

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과정에서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위해13 간접적13 방식으로13 전6

쟁에13 개입하였다 소련의13 군사고문단이13 이집트에13 상주하면서13 막후에서13 이집

트에서13 전술적 전략적13 도움을13 제공하고13 협력했을13 가능성은13 상당히13 높다 30

년13 가을에13 발생한13 나세르의13 갑작스런13 죽음과13 함께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1970

사다트는13 나세르의13 이념적 정책적13 계승자였다 따라서13 그는13 적어도13 외형적

으로13 소련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고자13 하였다 그의13 선택은13 당연하였다 일13 6

전쟁은13 휴전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전쟁은13 언제든지13 다시13 발발할13 개연성이13 높았

고13 따라서13 군사력의13 보강은13 그의13 주된13 목표였다 그는13 년13 월13 모스크바 1971 3

를13 방문하여13 소련에13 대한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다 그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1971

년13 월13 일13 양국사이의13 우호조약으로13 발전되었다 이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자리7 28

에서13 사다트는13 ldquo우리국민은13 아랍-소련의13 우정을13 소중하게13 생각하며13 그리고13 진정으로13 아랍전체13 국가들은13 이13 우정을13 우리13 정책의13 가장13 중용한13 기초중의13

하나로13 간주13 한다rdquo 고13 역설하였다 31 양국은13 년의13 유효기간을13 설정하고13 우 15

30 년13 동안13 이집트의13 군복으로13 위장한13 소련군13 조종사들이13 이집트13 영공에서13 이스라1970

엘의13 공습에13 대항하여13 공중전투에13 참여하였다 이13 부분에13 대해서13 Craig A Daigle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을13 참 8(1) March p 3

31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1 5 28 p 2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1

호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에13 어떤13 의미를13 갖고13

있는가 이와13 관련하여13 두13 가지13 사항이13 언급될13 수13 있다 첫째 이집트는13 오래13 13

동안13 공식적인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것을13 주저하였다 그것은13 특정국가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이13 나세르와13 사다트의13 정치철학에13 위배된다고13 판단하였기13 때문

이다 그러나13 나세르의13 죽음과13 완결되지13 않은13 중동전쟁의13 상황을13 고려할13 때13

다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보다13 강화할13 필요성을13 느꼈기13 때문이다

둘째 이13 조약은13 사실상13 외형적으로13 상호13 협력13 및13 우호를13 강조하고13 있지만13

조약의13 세부적13 내용을13 면 히13 검토해13 보면13 사실상13 군사원조와13 무기지원을13 포

함한13 일방적13 방위조약의13 성격이13 강하다 따라서13 향후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방위공약의13 의무를13 갖게13 되고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은13 보다13 제도적13 성격

을13 갖게13 되었다

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상황(2) 對이집트1) -소련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우호13 조약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이집트가13 군사적으로13 소련에13 예속된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년13 월13 이집트와13 1955 9

체코의13 무기매매협정에서13 찾을13 수13 있다 이13 협정은13 사실상13 소련과13 이집트사

이에13 체결된13 것으로13 소련이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내세워13 체결하였다(Cremeans

이13 협정을13 통해13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무기를13 공여하기13 시작하였고13 1963 146)

이집트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는13 계기가13 되었다 년13 월13 일13 1971 5 27

이집트와13 소련의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the Egyptian-Soviet Treaty of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년13 양국의13 무기Friendship and Cooperation) 1955

협정이후13 체결되었다 이13 조약은13 전문을13 포함하여13 모두13 개13 조항으로13 구성 12

되었다 이13 조약의13 전문은13 ldquo소련과13 이집트는13 양국의13 발전을13 촉진하고13 모든13 부분에서의13 협력을13 확고하게13 강화할13 것을13 확신하며13 양국은13 평화로운13 외hellip13 교정책의13 변함없는13 진행에13 따라서13 보다13 강력한13 국제평화와13 안보를13 위한13 투쟁

을13 지속적으로13 수행13 할13 것을13 결의하며helliprdquo32로13 되어13 있다 이13 조약은13 년13 1955

년13 양국이13 맺은13 무기협정13 보다13 여러13 부분에서13 포괄적인13 교류와13 협력을13 강조

32 Julian J Landau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참조Communications p 165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13: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7

장에서13 보면13 이러한13 국내적13 불안정과13 좌익13 활동은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시켰

고13 미국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불가피하였다 그13 결과13 필리핀은13 안

보분야에서13 자연스럽게13 미국에게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이들13 반13 정부단체의13

활동은13 마르코스가13 재임하고13 있는13 동안13 국내적으로13 커다란13 정치적 사회적13

도전이었고13 필리핀의13 국내안정과13 직결되어13 있었다 그러나13 필리핀의13 국내정

치적13 상황은13 년13 마르코스가13 재선되고13 계엄령을13 선포함으로써13 악화되기13 1972

시작하였다 마르코스대통령은13 국민들에13 대한13 탄압을13 강화하였다 필리핀13 국

내에서13 독재정권을13 무너뜨리고13 민주주의를13 운동을13 강화하려는13 노력은13 지속

되었지만13 미국과13 군사동맹관계를13 변화시키려는13 활동과13 노력은13 간헐적으로13

이루어졌다 마르코스13 대통령은13 미국과13 체결한13 일련의13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

조약을13 필리핀의13 대외관계의13 주축을13 이루었고13 따라서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

속상태는13 고착화되었다 간단하게13 요약하면13 필리핀이13 미국에13 군사적으로13 예

속된13 주된13 배경은13 국내안보상황의13 불확실성과13 공산주의의13 위협13 때문이었다

필리핀의13 대미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전개(2)

필리핀1) -미국의13 군사협정13 및13 상호방위조약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확인할13 수13 있는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양국이13 체

결한13 일련의13 군사동맹조약이다 양국은13 년13 월에13 체결된13 군사기지협정 1947 3

과13 군사원조협정(Military Bases Agreement) (The RP-US Military Assistance

그리고13 년13 월의13 상호방위조약 을13 Agreement) 1951 8 (Mutual Defense Treaty)

각각13 체결하였다 먼저13 저자는13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체결한13 군사기지협 1947 3 14

정의13 내용을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이13 협정은13 미국이13 필리핀에13 군사기지의13 설

치 운영13 등에13 관한13 권리를13 확보할13 수13 있도록13 하였다 미국은13 클라크13 공군기

지와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및13 기타시설13 등을13 포함한13 개의13 군사시설을13 년13 동23 99

안13 무상으로13 사용할13 수13 있도록13 하였다 사실상13 미국정부는13 필리핀내의13 군사

시설에13 대한13 완전한13 통제권을13 갖게13 되었다 이13 협정은13 필리핀이13 군사안보13 부

분에서13 미국에게13 의존하게13 만든13 법적13 기초였다 필리핀의13 미13 군사적13 의존 對

을13 확인할13 수13 있는13 또13 다른13 협정은13 군사원조협정이다 이13 협정은13 군사기지협

정이13 체결된13 직후13 년13 월13 일에13 체결된13 부속협정 이1947 3 21 (Sister agreement)

128 백태열

다9 이13 협정의13 전문은13 ldquo독립13 이후13 필리핀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 그리고13 군장

비의13 구입13 등에13 대한13 필리핀13 정부의13 여망을13 고려하여13 미국13 대통령은13 공동방

위의13 문제에서13 양국의13 상호13 이익의13 관점에서13 국가안보를13 유지하기13 위하여13 필

리핀13 정부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는13 것을13 허락한다helliprdquo10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협정은13 모두13 개의13 세부적인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으며13 거의13 대부분23

의13 조항은13 필리핀에13 대한13 미국의13 군사원조에13 국한되어13 있다 보다13 상세한13 내

용을13 파악하기13 위해13 저자는13 몇몇13 조항을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동13 협정의13 제 1

조는13 ldquo상호협정에13 따라서13 미국정부는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을13 위해13 필리핀정부에게13 군사원조를13 제공할13 것13 이다helliprdquo11고13 명시되어13 있다 또13 다른13 조항은13 군

사고문단 의13 기능과13 역할에13 관한13 것이다 동13 협정(Military Advisory Group)

의13 조는13 8 ldquo군사고문단의13 기능은13 국가안보와13 관련된13 목적을13 수행하는데13 필요한13 것으로13 필리핀에13 조언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다helliprdquo12고13 적고13 있다 이러한13

점은13 필리핀이13 안보정책을13 수립하거나13 군사적13 역할을13 하는데13 있어서13 독자성

이13 크게13 훼손될13 수13 있다 일반적으로13 강대국과13 약소국의13 상호방위조약은13 약

소국의13 독립적이고13 자주적인13 대외군사정책을13 추구하는데13 있어13 제약이13 많고13

군사적13 자주권을13 종종13 훼손시킨다 따라서13 필리핀과13 미국과의13 군사원조협정

도13 같은13 맥락에서13 볼13 수13 있다 또한13 동13 협정의13 조는13 일반적인13 군사원조의13 6

내용을13 담고13 있다 이13 조항에13 따르면13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군대에게13 무기 탄

약 군사장비 전투기와13 전함13 등을13 제공하게13 된다고13 명시하고13 있다 협정의13

조는13 군사훈련지원 에13 관한13 것이다 필리핀에13 대한13 군21 (Training assistance)

사원조의13 일부로서13 선발된13 필리핀13 학생들을13 미국에13 보내13 육군 해군 그리고13

공군13 부대에서13 기술13 및13 군사훈련을13 받도록13 하는13 내용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과13 미국은13 년13 월13 일13 상호방위조약1951 8 13 (Mutual Security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전문과13 개의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Treaty) 13

9 이13 협정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 저자는13 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인쇄본을13 입수하지13 못하여13 대신에13 인터넷13 사이트의13 정보를13 인용함

10 상게서

11 상게서

12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9

이13 조약에서13 양국은13 ldquo외부의13 군사적13 전략에13 대해13 공동으로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양국의13 단결과13 공동의13 결의를13 공개적으로13 그리고13 공식적으로13 선언하면서rdquo13

개13 조항에13 합의하였다 이13 조약의13 13 조는13 외부의13 군사적13 침략에13 대해13 공동13 3

으로13 방어하기13 위한13 대응태세를13 강조하고13 있으며13 조는13 당사국중의13 한13 국가4

가13 외부의13 공격을13 받을13 경우13 이를13 자국에13 대한13 공격으로13 간주한다고13 규정함

으로써13 공동방위를13 구축하고13 있다

양국이13 체결한13 개의13 군사13 및13 방위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볼13 때13 현실적으로13 3

필리핀의13 국가안보를13 강화하고13 양국이13 공동의13 외부적13 위협에13 대응하도록13 구

성되어13 있다 그러나13 이13 조약들은13 양국의13 평등성에13 기초하고13 있기13 보다는13 필

리핀이13 일방적으로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받도록13 되어13 있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군군대의13 주둔2)

싱거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외국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시설이다 년13 양국의13 협정에13 따라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군대를13 주둔시키 1947

고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필리핀에는13 미국의13 군사방위공약을13 실천하기13

위하여13 년부터13 미군이13 주군하고13 대규모의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대1947

표적인13 군사시설은13 클라크13 공군기지(Clark Air Base in Pampanga and

수빅만13 해군기지 죤13 Tarlac) (Subic Naval Base in Bataan and Zambales)

헤이13 공군13 이착륙장 월레스13 공군13 이(John Hay Air Station in Baguio City)

착륙장 그리고13 산13 미구엘13 통신소(Wallace Air Station in La Union) (San

등이다Miguel Station in Zambales) 14 그13 외에도13 소규모의13 미국군사기지13

및13 시설은13 대략13 개이다 클라크13 공군기지는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규모15

이며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역시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해군기지이다 이러한13

미군기지와13 시설에13 주둔하고13 미국병사는13 년13 기준으로13 대략13 육군은13 1979 28

명 공군은13 명 해군은13 그리고13 해병대13 명이13 각각13 필리핀에13 주 8005 4594 786

13 이13 조약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14 이와13 관련하여13 상세한13 내용은13 다음의13 자료를13 참조바람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130 백태열

둔하였고13 전체13 미군의13 수는13 명이다13413 15 이와13 관련된13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13 기준을13 기준으로13 필리핀의13 모든13 미군기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병력은13 1988

명이다17870 16 년13 당시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의13 수는13 명의13 군인과13 1991 15000

명의13 군무원이13 주둔하고13 있었다1000

이러한13 군사기지의13 설치는13 앞서13 설명된13 양국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방위조약

에13 따른13 부수적13 결과일13 뿐이다 외군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기지의13 허용은13 종속

국의13 국방력이13 취약하다는13 반증이다 종속국은13 외국군대의13 도움이13 없이는13 자

국의13 안보상황을13 개선할13 수13 없다는13 것을13 의미하며13 이는13 군사적13 예속의13 또13 다

른13 측면이다 외국군대의13 기지와13 주둔군은13 해당국민과13 가장13 직접적인13 마찰과13

갈등을13 빚는13 부분이고13 법적 사회적 문제를13 가장13 많이13 야기시켰다

미국의13 필리핀13 무기13 공여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검증하기13 위하여13 사용되는13 또13 다른13 증거는13 군사장

비13 및13 무기의13 공여이다 피종속국은13 현실적으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자체적으

로13 개발하는데13 필요한13 기술력과13 경제력을13 결여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타국으로부

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유상으로13 혹은13 무상으로13 공여13 받는다 특히13 이러한13 무

기의13 지원으로13 인해13 보다13 심각한13 상황은13 특정한13 국가로부터13 무기지원을13 받는

다는13 점에서13 의존적13 성격을13 갖고13 있다는13 점이다 따라서13 피종속국이13 종속국

에게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하거나13 수출하지13 않을13 경우13 종속국의13 국가안보

는13 어려움을13 겪거나13 혹은13 심각한13 위험에13 직면할13 수도13 있다 필리핀의13 경우13

년대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의13 대부분을13 공여13 받았다1950 17 이

와13 관련하여13 몇13 가지13 사례를13 들어13 보기로13 한다 필리핀은13 년대13 초부터13 1950

년까지13 미국으로부터13 다양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13 받거나13 혹은13 구매1973

하였다 군사용13 비행기예를13 들면 ( Lockheed T-33 Gruman HU-16A

군사용13 선박예를13 들면 그Albatross) ( patrol boat Infantry landing craft)

리고13 장갑차 예를13 들면( M- 등이다4 Sherman) 18

15 United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p 145

16 이와13 관련된13 자료는13 김경숙13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13 참1988 10 p 76 「 」 985172 985173조

17 년대13 초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제외한13 일본 독일 호주 이탈1950 1970

리아13 등으로부터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미국의13 비중이13 압도적으로13 많았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1

필리핀13 군인의13 미국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13 4)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종속국가의13 군인13 혹은13 영관급13 장교들이13 피

종속국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러한13 지표는13 종속국의13 군인

들의13 질적13 취약성에13 기초한다 종속국의13 군인들은13 안보와13 전쟁에13 필요한13 현

대식의13 훈련과13 전투능력을13 배양하지13 못했기13 때문에13 국가안보의13 문제와13 위기

가13 발생했을13 때13 적절하게13 대처할13 수13 있는13 있는13 군사적13 능력을13 갖추고13 있지13

못하다 이러한13 측면은13 종속국의13 군사력13 하락으로13 연결된다 필리핀군인들은13

의13 프로그램의13 후원13 IMET(International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하에13 미국본토13 혹은13 미국본토이외의13 군사훈련소에서13 군사훈련13 혹은13 교육을13

받았다 자료에13 따르면13 필리핀13 군인들은13 년부터13 년까지13 명이13 1950 1968 12217

훈련을13 받았다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부터13 년13 초까(Singer 1972 301) 1950 1980

지13 대략13 의13 필리핀13 군인들이13 미국의13 재정적13 지원13 하에13 미국의13 군사학17000

교와13 훈련소에13 훈련을13 받았음을13 보여준다19

간단히13 정리하면13 앞서13 제시된13 가지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살펴13 본13 결과13 4

필리핀은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되어13 있음을13 보여준다

필리핀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13 (3)

필리핀의13 정부지도자와13 국민들이13 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상태를13 타파해야13

한다는13 목소리를13 강화한13 것은13 마르코스13 대통령의13 독재정치가13 절정에13 달했을13

때였다 그의13 탄압과13 독재정치에13 대해13 많은13 필리핀국민들이13 저항하였고13 반마

르코스의13 열기가13 확대되었다 년에13 일어난13 필리핀의13 민중의13 혁명 1986

(Peoplersquo 은13 마르코스를13 권좌에13 내쫒았다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의존s Power)

의13 타파는13 사실상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와13 궤를13 같이13 한다 마르코스에13 대한13

비판은13 민주주의를13 강하게13 염원하게13 되었고13 동시에13 그의13 정권하에서13 오래13 동

안13 유지되었던13 필리핀-미국의13 동맹관계의13 실체를13 재평가하려는13 움직임으로13

빠르게13 전환되었다 년13 월13 코라손13 아퀴노 가13 대통령 1986 2 (Corazon Aquino)

18 이와13 관련하여13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참조Stockholm 1975 Sweden SIPRI pp 17-19

19 를13 참조httpIcweb2locgovcgi-binquery

132 백태열

에13 취임하면서13 필리핀에서는13 본격적으로13 미군의13 철수문제가13 공론화되기13 시

작하였다 필리핀국민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동맹체제로부터13 발생하는13 다양한13 불

이익과13 불편을13 종식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개시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추진력 은13 무엇인가 대략13 두13 가지13 요인(Driving force)

으로13 설명된다 첫13 번째는13 민족주의이다 민족주의는13 식민지13 상태에서13 해방

과13 독립을13 쟁취하기13 위한13 이데올로기로서13 작동하였고13 독립이후13 민족주의는13

외세의13 지배와13 간섭을13 배격하기13 위한13 무기로서13 전환된다 필리핀은13 스페인과13

미국의13 식민지를13 경험하면서13 강한13 민족주의를13 발전시켰다 살바도르13 마르티

네그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13 역사는13 세(Salvador Martineg) 16

기13 초에13 시작되어13 년대13 이래13 유지되었고13 년대에는13 클라로13 렉토13 등1950 1960

에13 의해13 활성화되었다20 결국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는13 반미주의와13 강하게13 연결

되어13 있으며13 이는13 미국의13 간섭과13 영향력을13 배제하고13 자국의13 자존심을13 회복하

려는13 노력으로13 승화되었다 동시에13 민족주의의13 열기는13 필리핀국민들에게13 미

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에서13 기인하는13 지배국의13 독선과13 횡포 그리고13 내정간섭에13

대한13 저항을13 강하게13 표출할13 수13 있는13 통로를13 제공하였다 두13 번째는13 주권과13

자주권의13 회복이다 주권과13 자주권은13 민족주의와13 깊은13 연관성을13 갖고13 있다

전후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유지하는데13 있어서13 국민적13 자존

심과13 주권이13 손상되었다는13 인식을13 강하게13 갖고13 있다 에드13 가르시아 (Ed

와13 프란시스코13 네멘쯔 는13 다음과13 같이13 지적한다13 Garcia) (Francisco Nemenz)

(Garcia and Nemenz 1987 4)

독립은13 단지13 자기13 확신의13 문제가13 아니다 국가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이13 아 hellip13 니라13 자주적13 행위자로서13 인식되어야13 한다 모든13 국제회의에서13 우리의13 독립을13

확인하기13 위하여13 용기를13 갖고13 노력하여13 왔다 그러나13 우리가13 실제적인13 독립을13

갖고13 있었을13 때조차도13 우리가13 제안을13 발의해도13 제 세계의13 대표들은13 그13 뒤에는13 3

미국이13 있다는13 점을13 의심하여13 왔다 이러한13 의미에서13 필리핀은13 자국의13 땅위에

서13 거대한13 군사기지를13 유지하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으로13 보여진다

20 이러한13 주장에13 대해서는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사Salvador Martineg 1983 「 」 985172상 월 을13 참조함5 pp 45-48 98517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3

그들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체계가13 필리핀의13 대

외정책에도13 부정적13 영향을13 미쳤음을13 암시하고13 있다 국제무대에서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의식하거나13 혹은13 미국의13 정책과13 보조를13 맞출13 수밖에13 없는13 상황을13 초

래했다고13 보고13 있다 이러한13 관점에13 대해13 일부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자국의13 주권

이나13 자주권이13 어느13 정도13 훼손되었다는13 생각을13 갖고13 있는13 것으로13 보인다 동

시에13 미군철수를13 둘러싼13 필리핀13 국민의13 반감은13 미국의13 마르코스13 체제에13 대한13

옹호에서13 기인하였다는13 점도13 지적될13 수13 있다 그들은13 마르코스13 집권이후13 필

리핀의13 인권상황이13 악화되고13 독재정치가13 유지되고13 있음에13 불구하고13 미국이13

이를13 개선하기13 위한13 적절한13 역할을13 하지13 못한13 것에13 대해13 깊은13 불신과13 반감을13

갖고13 있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13 국민들이13 미군철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를13 요구

하는13 보다13 현실적인13 이유들이13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필리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으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각종13 사회적13 문제와13

갈등이다 미군이13 주둔하고13 있는13 기지주변에서13 발생되는13 각종13 범죄 현지인

과13 미군사이의13 마찰13 등은13 외국군대를13 수용하고13 있는13 필리핀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군기지에13 대한13 반감과13 저항을13 일으킬13 수13 있다 둘째 필리핀13 국내에13 설치된13

핵무기이다 년대13 초에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핵무기가13 설치한13 것으로13 알려져13 1970

있으며13 년까지13 핵무기의13 수는13 대략13 정도에13 달하였다 년을13 기준1973 260 1985

으로13 미국은13 필리핀에13 개의13 핵무기를13 설치하였으며13 그중13 개는13 반잠수227 32

함13 핵폭탄이며13 개는13 해군용13 핵무기 그리고13 그밖에13 개의13 핵폭탄이13 있80 115

는13 것으로13 알려졌다21 핵무기의13 설치와13 사용의13 목적은13 아시아13 지역의13 군사

적13 충돌이나13 전쟁이13 발발할13 경우13 사용되기13 위함이며13 어떤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

는13 필리핀의13 안보를13 위한13 것이라기보다는13 미국의13 군사적13 목적을13 위해13 설치된13

것이다 미국이13 아시아에서13 전쟁을13 수행할13 경우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핵위협에13

노출되어13 있고13 이로13 인해13 여러13 가지13 피해가13 발생할13 수13 있다고13 보고13 핵무기의13

설치와13 시설에13 민감하지13 않을13 수밖에13 없다 이러한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일차적으

로13 공격의13 목표가13 되었던13 것은13 미군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이다

21 Ronald G Simbulan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1989 Manila Philippines

와13 을13 참고 이13 책에는13 필리핀의13 미국핵무기와13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p 78

관련된13 정보와13 내용이13 상세하게13 기록되어13 있음

134 백태열

그러면13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종료시키기13 위한13 구체적인13

움직임 조치 및13 정책은13 무엇인가 마르코스가13 축출당한13 이후인13 년13 월 1986 2

부터13 년대13 초까지13 필리핀의13 국내13 상황은13 급박하게13 돌아가고13 있었다 이1990

와13 관련하여13 가장13 주목을13 끄는13 점은13 년13 월13 일13 필리핀13 상원을13 통과한13 1988 6 6

ldquo반핵병기13 법rdquo이다 이13 법안은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기지와13 군사시설 그리고13 양

국동맹관계의13 근간을13 흔들13 수13 있을13 만큼13 강력한13 내용을13 담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이13 법안의13 조는13 금지행위에13 관한13 것으로13 5 ldquo어떤13 사람도13 운송이나13 하역을13 불문하고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과13 그13 구성부분을13 필리핀13 영역내로13 가지고13

들어오거나13 또는13 소유 보유할13 수13 없다 필리핀13 군사기지13 내13 미합중국의13 기존13

군사13 설비를13 포함하여13 필리핀영역의13 상13 하 상공13 어느13 곳에서도13 본13 제 조13 4 1

항에13 해당하는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 구성부분13 및13 핵병기관련설비의13 개발 제

조 입수 실험 이용 도입 비축 보관을13 금지하며 helliprdquo22라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조항과13 함께13 다른13 조항13 역시13 필리핀에서의13 일체의13 핵무기13 개발 설치 비

축 보관 하역13 등을13 금지시키고13 있다 이13 법안의13 통과는13 필리핀 -미국의13 군사

동맹관계의13 분수령이13 된다 역시13 가장13 커다란13 시사점은13 미국은13 필리핀의13 영

토13 안에13 핵무기와13 관련된13 일체의13 접근이13 불허된다는13 점이며13 동시에13 필리핀의13

모든13 군사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가13 불가피하게13 되었다는13 점이다

년13 월13 미국과의13 군사기지협정을13 년13 연장하기13 위한13 법안이13 상원에13 1991 9 10

게류13 되었을13 때13 필리핀13 국내정세는13 극도로13 혼란스러웠다 이13 혼란의13 중심은13

미군13 기지를13 그대로13 유지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과13 법안을13 거부함으로써13 미군13 기

지를13 폐쇄해야13 한다는13 입장으로13 크게13 나뉘어져13 있었다 이13 협정의13 연장을13 찬

성하는13 집단의13 중심에는13 아키노13 대통령이13 있었다 아키노13 대통령은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쇄될13 경우13 양국관계의13 약화 경제13 투자의13 감소 그리고13 불안정

한13 국내13 상황13 등을13 크게13 우려하였다 무엇보다도13 필리핀13 정부는13 양국이13 오랫

동안13 여러13 부분에서13 구축된13 양국의13 군사적 외교적13 우호관계가13 크게13 악화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우려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13 상원은13 미국과13 협정을13 반대하는

데13 선두집단중의13 하나였다 상원의원들의13 상당수는13 민족주의13 정신이13 강한13 정

22 본13 법안의13 내용에13 관해서는13 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를13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5

치인들이었고13 미군은13 필리핀13 땅에서13 떠나가야13 한다고13 믿었다 미군기지13 임대

의13 연장13 법안의13 반대에13 대한13 보다13 구체적인13 이유는13 무엇인가 가장13 커다란13

이유는13 무엇보다도13 필리핀의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복원이었다 당시13 필리핀13

상원의원인13 아가피토13 아키노 는13 (Agapito Aquino) ldquo이13 투표는13 진정으로13 주권을13 갖고13 독립적인13 필리핀13 국민을13 위한13 것이며13 이13 투표는13 미국의13 조종끈에13 매

어진13 정치적13 청년기13 즉13 극심한13 종속을13 종식하기13 위한13 것이다rdquo23라고13 상원에

서13 역설하였다 종속타파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종속타파의13 견인적인13 메커니즘은13

이론적13 검토에서13 제시된13 것처럼13 역시13 주권의13 회복과13 민족적13 자존심의13 회복이

다 필리핀13 정치인들의13 판단과13 요구가13 대다수13 모든13 필리핀13 국민들의13 견해와13

동일하다고13 볼13 수13 없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협정13 그리고13 상

호방위조약에서13 기인하는13 다양한13 폐해를13 인식하고13 있으며13 미군은13 철수되어

야13 한다는13 공감대를13 발전시켜13 왔다는13 점은13 부인할13 수13 없다 또13 다른13 견해는13

필리핀13 정치권에서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기지사용료가13 너무13 적다는13 이유도13 제시

되고13 있다24 필리핀13 상원의13 강력한13 반대13 움직임13 속에13 아키노13 대통령은13 이13

법안을13 국민투표에13 회부하는13 방안을13 추진하였지만13 무산되고13 결국은13 미군기

지협정의13 연장법안은13 년13 월13 일13 상원에서13 대13 로13 부결되었다1991 9 16 12 11

필리핀13 상원의13 이러한13 결정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년13 미국과13 맺은13 군 1947

사기지협정은13 자동적으로13 무효화되었으며13 필리핀에서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

쇄되고13 미군이13 더13 이상13 주둔하지13 않게13 되었다 미군은13 년13 말13 이전에13 필 1992

리핀의13 영토를13 떠나도록13 권고13 받았다 이러한13 점은13 상징적인13 측면이13 강하지

만13 필리핀은1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고13 볼13 수13 있다

미국의13 반응과13 입장13 (4)

필리핀에서의13 극적인13 변화에13 대해13 미국은13 어떤13 반응을13 보였으며13 기본13 입

장은13 무엇인가 미국은13 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13 이후13 필리핀의13 민주화13 운동과13

23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아키노13 상원의원은13 미군기지문제와13 관 1991 9 16 A1

련하여13 형수이자13 대통령이었던13 코라손13 아퀴노와13 극심한13 마찰과13 갈등을13 겪었다

24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벌인13 협상에서13 미국은13 필리핀에 1991 9 11 A3

게13 수빅만13 해군기지를13 사용하는13 대가로13 일년에13 억불을13 제공하기로13 합의하였다203

136 백태열

새로운13 정권의13 창출을13 고무적으로13 평가하였다 그러나13 동시에13 워싱턴은13 그곳

에서13 미군의13 기지와13 군대의13 철수문제 그리고13 지속적인13 반미운동의13 고조13 등

에13 대해13 깊은13 우려감을13 가졌다 특히13 군사기지협정의13 연장을13 앞13 둔13 시점에서13

미국정부의13 불안감은13 증대되었다 국무장관13 조지13 슐츠 는13 미 (George Shultz)

국은13 필리핀13 관리들과13 정치인들이13 기지연장을13 승인하지13 않을13 경우13 다른13 장소

를13 물색해야13 할지13 모른다는13 입장을13 밝혔다25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국내에서13

벌어지는13 반미운동이13 궁극적으로13 미군기지의13 철폐로13 연결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크게13 우려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필리핀13 상원의13 표결이13 있기13 전에13 미국정부는13

부결가능성을13 기대하고13 있었고13 이를13 위해13 직간접적으로13 필리핀정부에13 회유

와13 압력을13 가하였다

필리핀에서의13 결정은13 미국정부를13 크게13 실망시켰지만13 기지연장을13 둘러싼13

필리핀의13 정책결정과정에13 대해13 특별한13 영향력을13 행사할13 수13 없었다 미국은13

필리핀이13 기지연장13 협정을13 원하지13 않는다면13 이를13 수용하지13 않을13 수13 없다 미

국의13 기본13 입장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연장협정을13 지속하는13 것이었다 그13 이유는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와13 미군의13 주둔은13 년이13 넘은13 동안13 아시아에서13 방어적13 40

역할을13 충실히13 하였기13 때문이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결정은13 대

략13 가지13 파급효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다고13 보았다 첫째 년대13 말에13 냉전이13 2 1980

서서히13 종식되고13 있었지만13 미국은13 아시아에서의13 군사적13 임무와13 역할이13 여전

히13 필요하였다 따라서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의13 철수는13 안보적13 공백이13 발생할13

수13 있으며13 이로13 인한13 군사적13 전략변화가13 요구되고13 있기13 때문이다 둘째는13 간

접적13 파급효과이다 필리핀의13 미군기지13 철수가13 다른13 주둔지역13 특히13 한국과13

일본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기지의13 철수로13 연결될13 수13 있는13 파급효과를13 우려하

였다 반면에13 다른13 측면에서13 보면13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다소13 위안을13 찾을13

수13 있는13 부분도13 있다 필리핀은13 결코13 미국과의13 상호방위조약13 자체를13 폐기한13

것이13 아니기13 때문에13 향후13 양국의13 군사적13 동맹관계는13 유지될13 수13 있으며13 미국

의13 군사적13 영향력도13 어느13 정도13 유효할13 것이라는13 기대감을13 가졌다

25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88 6 17 p 7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7

이집트2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3 (1)

년13 영국의13 식민지에서13 벗어난13 이집트는13 국내외적으로13 커다란13 도전에13 1952

직면하였다 국내적으로13 정치세력간의13 권력투쟁으로13 불안한13 정국이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그13 과정에서13 군사13 쿠데타를13 통해13 실질적인13 권력을13 장악한13 나세르는13

아랍사회주의를13 표방하면서13 국정을13 운영하기13 시작하였다 대외적으로13 국제사

회에는13 이미13 냉전의13 열기가13 정점에13 올랐고13 그13 여파는13 중동에도13 도달하였다

이집트를13 둘러싼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복잡하게13 얽혀가고13 있었다 이와13 관련

하여13 주목할13 부분은13 미국과13 소련은13 중동지역에서13 패권경쟁을13 격화하고13 있었

다는13 점이다 소련은13 미국을13 견제하기13 위하여13 에13 버금가는13 지역안보 NATO

체제를13 구축하려고13 하였고13 이는13 바그다드13 조약 으로13 실현되고13 (Baghdad Pact)

있었다 미국은13 이집트를13 지역안보체제에13 끌어13 들이려는13 계획을13 갖고13 이집트

에13 접근하였다 마찬가지로13 소련은13 이집트와13 접한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중동지역에서의13 교두보를13 확보할13 수13 있다고13 판단하였다 미국과13 소련은13 이집

트가13 아프리카와13 중동을13 연결하는13 지역에13 위치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전략적13 가치

를13 중시하였고13 아랍세계의13 위상13 때문에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근을13 추구하는13 것이13

중요한13 목표중의13 하나였다

나세르가13 집권13 이후13 이집트가13 당면한13 최대13 현안은13 이스라엘과13 갈등과13 분

쟁이었다 년13 월13 이스라엘군대가13 이집트13 통제지역인13 가자해협의13 군사 1955 2

시설을13 공격하면서13 명이13 사망하는13 사건이13 일어났다 이스라엘의13 공격으로13 38

인해13 양국은13 본격적인13 대립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이집트는13 이러한13 상황에13 대처

하기13 위해13 자국의13 군사력의13 증강이13 무엇보다도13 절실한13 과제였다 이집트는13

처음에13 서방측에게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으나13 거부당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시도하였다 이집트가13 소련을13 선택한13 구체적인13 배경은13 무엇인

가 무엇보다도13 나세르는13 기본적으로13 반서방주의13 성향이13 강하였고13 당시의13 국

제정세로13 볼13 때13 이스라엘을13 지원하는13 영국과13 미국13 보다는13 소련에게13 무기를13

요청하는13 것이13 적합하다고13 판단하였다 년13 이집트는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1955

138 백태열

내세운13 소련과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26 이13 무기협정을13 통해13 사실상13 이집트

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어13 가는13 계기가13 되었고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주공급자가13 되었다 그러나13 이집트는13 소련과13 상호군사조

약을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나세르가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맹관계를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기13 때문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찰스13 크레멘

스 는13 (Charles Cremeans) ldquo군사공약이13 포함되지13 않는13 한13 이집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받을13 수13 있었고13 그리고13 필요하다면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는데13

발생할13 수13 있는13 위험을13 감수할13 준비가13 되었다고13 나세르는13 항상13 주장하였다rdquo고13 지적한다 나세르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공여13 받는13 것에13 부(1963 281)

담을13 느꼈던13 것은13 분명하다 그13 이유는13 자신이13 강력한13 비동맹노선을13 표방하

였고13 따라서13 소련과13 연계를13 통해13 의존의13 상황이13 형성되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기13

때문이었다 결국13 나세르는13 적어도13 집권초기에는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

맹관계13 혹은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려고13 하지13 않았다 그러나13 이스라엘의13 군

사적13 위협13 때문에13 이집트가13 무기를13 제공받기로13 한13 결정은13 불가피한13 선택이었

다 전후13 독립을13 획득한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신생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 3

의13 국방력은13 취약하였다 따라서13 이집트의13 대외적13 여건은13 군사대국인13 소련에

게13 자연스럽게13 군사적13 도움을13 요구하게13 되고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그러면13 소련의13 이집트의13 접근배경은13 무엇인가 무엇보다도13 모스크바는13 對

전후13 중동지역에서13 미국과의13 경쟁에서13 우위를13 선점하기13 위한13 목적을13 갖고13 있

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국과의13 냉전13 구도13 하에서13 중동에서의13 영향력

을13 확보하고13 상대적으로13 미국의13 접근을13 어렵게13 하기13 위해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

근을13 시도하였다 즉13 중동에서13 가능한13 많은13 우방국13 혹은13 동맹국을13 만드는13 작

업은13 미국과13 마찬가지로13 소련의13 대외정책의13 우선순위의13 하나였다 더13 나아가

서13 소련은13 이집트뿐만13 아니라13 중동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국가에13 대해13 접한13 관

계를13 구축하고자13 하였다 이러한13 주장은13 년대를13 거치면서13 소련이13 시리 1960

아 요르단13 등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고13 일련의13 군사협정을13 체결하였다는13 사실

에13 의해13 뒷받침13 된다 년13 월13 일13 소련13 외무성은13 1955 4 16 ldquo소련은13 근동13 및13 중

26 이13 협정을13 통해13 양국은13 억불의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45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9

동지역에서13 전개되는13 상황에13 무관심한13 채13 남아13 있을13 수13 없다 그13 이유는13 그13

지역에13 있는13 외국의13 군사기지시설과13 블록화13 현상은13 소련의13 안보에13 직접적인13

연관성이13 있기13 때문이다rdquo27는13 입장을13 표명하였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친 한13 관계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이해관계를13 둘러싸고13 더욱13

발전하게13 되었다 년13 월13 나세르는13 수에즈운하에13 대한13 국유화를13 선언하 1956 7

였고13 이러한13 결정에13 대해13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13 이집트를13 공격하였다 이

로13 인해13 제 차13 중동전쟁이13 발발하였다 운하를13 둘러싼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13 그2

리고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첨예하게13 얽혀있었다 제 차13 중동전쟁은13 이집트 2 -

소련의13 관계에서13 또13 다른13 분수령이13 되었다 년13 이집트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1960

완전한13 통제와13 관리를13 위해13 소련으로부터13 에스완13 댐13 건설비용13 억13 천13 달러3 5

를13 받기로13 결정하였다 그13 후13 이집트는13 다양한13 형태의13 지원을13 소련으로13 받기13

시작하였다 년13 월13 이집트를13 방문한13 후르시초프 서기장은13 1964 5 (Khrushchev)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억13 천 백만13 불을13 융자하겠다는13 발표를13 하였다2 7 7 28

이13 비용은13 이집트가13 년부터13 추진하는13 개년13 개발계획에13 사용될13 예정이1965 5

라고13 덧붙였다 이러한13 재정적13 지원을13 통해13 이집트는13 점진적으로13 의존하였고13

의존의13 내용은13 경제원조의13 영역으로13 확대되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년13 1966 5

월13 일13 소련13 수상13 알렉세이13 코시긴 은13 카이로에서13 가11 (Aleksei M Kosygin)

진13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미국의13 베트남13 공격을13 비난하면서13 ldquo양국의13 국민은13 평화 사회적13 전진 그리고13 사회주의를13 위한13 투쟁에서13 공동13 목적과13 이념으로13

함께13 협력13 한다rdquo고13 선언하였다29 양국의13 우호관계는13 점진적으로13 확대되었다

이집트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스라엘과의13 분쟁은13 여전히13 미해결된13 채13 남아13 있었

고13 소련으로부터13 추가적인13 군사지원은13 불가피하였다

년의13 차13 중동13 전쟁혹은13 일13 전쟁에서13 이집트는13 이스라엘에게13 참패1967 3 ( 6 )

한13 후13 시나이13 반도와13 가지지구13 등을13 빼앗기게13 되었다 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

로13 하여금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더욱13 필요하게13 되었고13 결과적으로13 군

27 Alvin Z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에서13 재인용

2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4 5 25 p 1

29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6 5 11 p 2

140 백태열

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월터13 라퀘르 는13 다음과13 같이13 설 (Walter Laqueur)

명13 한다(1972 62)

일13 전쟁은13 소련6 -이집트13 관계의13 이정표를13 기록하였다 그13 전쟁은13 분실되거

나13 혹은13 파괴된13 모든13 군사13 장비를13 빨리13 대체하기13 위한13 필요성13 때문에13 소련에13

대한13 이집트의13 종속을13 극적으로13 심화시켰고13 낫세르의13 요청에13 따라13 소련군hellip13 인이13 탑승한13 SAM- 과13 2 SAM- 로13 구성된13 거대한13 미사일13 방어체계가13 13 이집트3

에13 설치되었다 소련조종사들이13 이집트내의13 개의13 공군비행장에서13 전투임무 15

를13 갖고13 전투기를13 발진시켰다

이집트는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있어서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

기13 위하여13 소련의13 군사적13 지원을13 지속적으로13 받았다 특히13 년에13 발생한13 1967

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과정에서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위해13 간접적13 방식으로13 전6

쟁에13 개입하였다 소련의13 군사고문단이13 이집트에13 상주하면서13 막후에서13 이집

트에서13 전술적 전략적13 도움을13 제공하고13 협력했을13 가능성은13 상당히13 높다 30

년13 가을에13 발생한13 나세르의13 갑작스런13 죽음과13 함께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1970

사다트는13 나세르의13 이념적 정책적13 계승자였다 따라서13 그는13 적어도13 외형적

으로13 소련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고자13 하였다 그의13 선택은13 당연하였다 일13 6

전쟁은13 휴전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전쟁은13 언제든지13 다시13 발발할13 개연성이13 높았

고13 따라서13 군사력의13 보강은13 그의13 주된13 목표였다 그는13 년13 월13 모스크바 1971 3

를13 방문하여13 소련에13 대한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다 그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1971

년13 월13 일13 양국사이의13 우호조약으로13 발전되었다 이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자리7 28

에서13 사다트는13 ldquo우리국민은13 아랍-소련의13 우정을13 소중하게13 생각하며13 그리고13 진정으로13 아랍전체13 국가들은13 이13 우정을13 우리13 정책의13 가장13 중용한13 기초중의13

하나로13 간주13 한다rdquo 고13 역설하였다 31 양국은13 년의13 유효기간을13 설정하고13 우 15

30 년13 동안13 이집트의13 군복으로13 위장한13 소련군13 조종사들이13 이집트13 영공에서13 이스라1970

엘의13 공습에13 대항하여13 공중전투에13 참여하였다 이13 부분에13 대해서13 Craig A Daigle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을13 참 8(1) March p 3

31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1 5 28 p 2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1

호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에13 어떤13 의미를13 갖고13

있는가 이와13 관련하여13 두13 가지13 사항이13 언급될13 수13 있다 첫째 이집트는13 오래13 13

동안13 공식적인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것을13 주저하였다 그것은13 특정국가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이13 나세르와13 사다트의13 정치철학에13 위배된다고13 판단하였기13 때문

이다 그러나13 나세르의13 죽음과13 완결되지13 않은13 중동전쟁의13 상황을13 고려할13 때13

다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보다13 강화할13 필요성을13 느꼈기13 때문이다

둘째 이13 조약은13 사실상13 외형적으로13 상호13 협력13 및13 우호를13 강조하고13 있지만13

조약의13 세부적13 내용을13 면 히13 검토해13 보면13 사실상13 군사원조와13 무기지원을13 포

함한13 일방적13 방위조약의13 성격이13 강하다 따라서13 향후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방위공약의13 의무를13 갖게13 되고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은13 보다13 제도적13 성격

을13 갖게13 되었다

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상황(2) 對이집트1) -소련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우호13 조약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이집트가13 군사적으로13 소련에13 예속된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년13 월13 이집트와13 1955 9

체코의13 무기매매협정에서13 찾을13 수13 있다 이13 협정은13 사실상13 소련과13 이집트사

이에13 체결된13 것으로13 소련이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내세워13 체결하였다(Cremeans

이13 협정을13 통해13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무기를13 공여하기13 시작하였고13 1963 146)

이집트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는13 계기가13 되었다 년13 월13 일13 1971 5 27

이집트와13 소련의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the Egyptian-Soviet Treaty of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년13 양국의13 무기Friendship and Cooperation) 1955

협정이후13 체결되었다 이13 조약은13 전문을13 포함하여13 모두13 개13 조항으로13 구성 12

되었다 이13 조약의13 전문은13 ldquo소련과13 이집트는13 양국의13 발전을13 촉진하고13 모든13 부분에서의13 협력을13 확고하게13 강화할13 것을13 확신하며13 양국은13 평화로운13 외hellip13 교정책의13 변함없는13 진행에13 따라서13 보다13 강력한13 국제평화와13 안보를13 위한13 투쟁

을13 지속적으로13 수행13 할13 것을13 결의하며helliprdquo32로13 되어13 있다 이13 조약은13 년13 1955

년13 양국이13 맺은13 무기협정13 보다13 여러13 부분에서13 포괄적인13 교류와13 협력을13 강조

32 Julian J Landau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참조Communications p 165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14: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128 백태열

다9 이13 협정의13 전문은13 ldquo독립13 이후13 필리핀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 그리고13 군장

비의13 구입13 등에13 대한13 필리핀13 정부의13 여망을13 고려하여13 미국13 대통령은13 공동방

위의13 문제에서13 양국의13 상호13 이익의13 관점에서13 국가안보를13 유지하기13 위하여13 필

리핀13 정부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는13 것을13 허락한다helliprdquo10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협정은13 모두13 개의13 세부적인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으며13 거의13 대부분23

의13 조항은13 필리핀에13 대한13 미국의13 군사원조에13 국한되어13 있다 보다13 상세한13 내

용을13 파악하기13 위해13 저자는13 몇몇13 조항을13 검토해13 보기로13 한다 동13 협정의13 제 1

조는13 ldquo상호협정에13 따라서13 미국정부는13 군대의13 훈련과13 발전을13 위해13 필리핀정부에게13 군사원조를13 제공할13 것13 이다helliprdquo11고13 명시되어13 있다 또13 다른13 조항은13 군

사고문단 의13 기능과13 역할에13 관한13 것이다 동13 협정(Military Advisory Group)

의13 조는13 8 ldquo군사고문단의13 기능은13 국가안보와13 관련된13 목적을13 수행하는데13 필요한13 것으로13 필리핀에13 조언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다helliprdquo12고13 적고13 있다 이러한13

점은13 필리핀이13 안보정책을13 수립하거나13 군사적13 역할을13 하는데13 있어서13 독자성

이13 크게13 훼손될13 수13 있다 일반적으로13 강대국과13 약소국의13 상호방위조약은13 약

소국의13 독립적이고13 자주적인13 대외군사정책을13 추구하는데13 있어13 제약이13 많고13

군사적13 자주권을13 종종13 훼손시킨다 따라서13 필리핀과13 미국과의13 군사원조협정

도13 같은13 맥락에서13 볼13 수13 있다 또한13 동13 협정의13 조는13 일반적인13 군사원조의13 6

내용을13 담고13 있다 이13 조항에13 따르면13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군대에게13 무기 탄

약 군사장비 전투기와13 전함13 등을13 제공하게13 된다고13 명시하고13 있다 협정의13

조는13 군사훈련지원 에13 관한13 것이다 필리핀에13 대한13 군21 (Training assistance)

사원조의13 일부로서13 선발된13 필리핀13 학생들을13 미국에13 보내13 육군 해군 그리고13

공군13 부대에서13 기술13 및13 군사훈련을13 받도록13 하는13 내용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과13 미국은13 년13 월13 일13 상호방위조약1951 8 13 (Mutual Security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전문과13 개의13 조항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Treaty) 13

9 이13 협정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 저자는13 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인쇄본을13 입수하지13 못하여13 대신에13 인터넷13 사이트의13 정보를13 인용함

10 상게서

11 상게서

12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9

이13 조약에서13 양국은13 ldquo외부의13 군사적13 전략에13 대해13 공동으로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양국의13 단결과13 공동의13 결의를13 공개적으로13 그리고13 공식적으로13 선언하면서rdquo13

개13 조항에13 합의하였다 이13 조약의13 13 조는13 외부의13 군사적13 침략에13 대해13 공동13 3

으로13 방어하기13 위한13 대응태세를13 강조하고13 있으며13 조는13 당사국중의13 한13 국가4

가13 외부의13 공격을13 받을13 경우13 이를13 자국에13 대한13 공격으로13 간주한다고13 규정함

으로써13 공동방위를13 구축하고13 있다

양국이13 체결한13 개의13 군사13 및13 방위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볼13 때13 현실적으로13 3

필리핀의13 국가안보를13 강화하고13 양국이13 공동의13 외부적13 위협에13 대응하도록13 구

성되어13 있다 그러나13 이13 조약들은13 양국의13 평등성에13 기초하고13 있기13 보다는13 필

리핀이13 일방적으로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받도록13 되어13 있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군군대의13 주둔2)

싱거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외국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시설이다 년13 양국의13 협정에13 따라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군대를13 주둔시키 1947

고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필리핀에는13 미국의13 군사방위공약을13 실천하기13

위하여13 년부터13 미군이13 주군하고13 대규모의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대1947

표적인13 군사시설은13 클라크13 공군기지(Clark Air Base in Pampanga and

수빅만13 해군기지 죤13 Tarlac) (Subic Naval Base in Bataan and Zambales)

헤이13 공군13 이착륙장 월레스13 공군13 이(John Hay Air Station in Baguio City)

착륙장 그리고13 산13 미구엘13 통신소(Wallace Air Station in La Union) (San

등이다Miguel Station in Zambales) 14 그13 외에도13 소규모의13 미국군사기지13

및13 시설은13 대략13 개이다 클라크13 공군기지는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규모15

이며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역시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해군기지이다 이러한13

미군기지와13 시설에13 주둔하고13 미국병사는13 년13 기준으로13 대략13 육군은13 1979 28

명 공군은13 명 해군은13 그리고13 해병대13 명이13 각각13 필리핀에13 주 8005 4594 786

13 이13 조약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14 이와13 관련하여13 상세한13 내용은13 다음의13 자료를13 참조바람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130 백태열

둔하였고13 전체13 미군의13 수는13 명이다13413 15 이와13 관련된13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13 기준을13 기준으로13 필리핀의13 모든13 미군기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병력은13 1988

명이다17870 16 년13 당시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의13 수는13 명의13 군인과13 1991 15000

명의13 군무원이13 주둔하고13 있었다1000

이러한13 군사기지의13 설치는13 앞서13 설명된13 양국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방위조약

에13 따른13 부수적13 결과일13 뿐이다 외군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기지의13 허용은13 종속

국의13 국방력이13 취약하다는13 반증이다 종속국은13 외국군대의13 도움이13 없이는13 자

국의13 안보상황을13 개선할13 수13 없다는13 것을13 의미하며13 이는13 군사적13 예속의13 또13 다

른13 측면이다 외국군대의13 기지와13 주둔군은13 해당국민과13 가장13 직접적인13 마찰과13

갈등을13 빚는13 부분이고13 법적 사회적 문제를13 가장13 많이13 야기시켰다

미국의13 필리핀13 무기13 공여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검증하기13 위하여13 사용되는13 또13 다른13 증거는13 군사장

비13 및13 무기의13 공여이다 피종속국은13 현실적으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자체적으

로13 개발하는데13 필요한13 기술력과13 경제력을13 결여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타국으로부

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유상으로13 혹은13 무상으로13 공여13 받는다 특히13 이러한13 무

기의13 지원으로13 인해13 보다13 심각한13 상황은13 특정한13 국가로부터13 무기지원을13 받는

다는13 점에서13 의존적13 성격을13 갖고13 있다는13 점이다 따라서13 피종속국이13 종속국

에게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하거나13 수출하지13 않을13 경우13 종속국의13 국가안보

는13 어려움을13 겪거나13 혹은13 심각한13 위험에13 직면할13 수도13 있다 필리핀의13 경우13

년대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의13 대부분을13 공여13 받았다1950 17 이

와13 관련하여13 몇13 가지13 사례를13 들어13 보기로13 한다 필리핀은13 년대13 초부터13 1950

년까지13 미국으로부터13 다양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13 받거나13 혹은13 구매1973

하였다 군사용13 비행기예를13 들면 ( Lockheed T-33 Gruman HU-16A

군사용13 선박예를13 들면 그Albatross) ( patrol boat Infantry landing craft)

리고13 장갑차 예를13 들면( M- 등이다4 Sherman) 18

15 United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p 145

16 이와13 관련된13 자료는13 김경숙13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13 참1988 10 p 76 「 」 985172 985173조

17 년대13 초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제외한13 일본 독일 호주 이탈1950 1970

리아13 등으로부터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미국의13 비중이13 압도적으로13 많았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1

필리핀13 군인의13 미국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13 4)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종속국가의13 군인13 혹은13 영관급13 장교들이13 피

종속국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러한13 지표는13 종속국의13 군인

들의13 질적13 취약성에13 기초한다 종속국의13 군인들은13 안보와13 전쟁에13 필요한13 현

대식의13 훈련과13 전투능력을13 배양하지13 못했기13 때문에13 국가안보의13 문제와13 위기

가13 발생했을13 때13 적절하게13 대처할13 수13 있는13 있는13 군사적13 능력을13 갖추고13 있지13

못하다 이러한13 측면은13 종속국의13 군사력13 하락으로13 연결된다 필리핀군인들은13

의13 프로그램의13 후원13 IMET(International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하에13 미국본토13 혹은13 미국본토이외의13 군사훈련소에서13 군사훈련13 혹은13 교육을13

받았다 자료에13 따르면13 필리핀13 군인들은13 년부터13 년까지13 명이13 1950 1968 12217

훈련을13 받았다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부터13 년13 초까(Singer 1972 301) 1950 1980

지13 대략13 의13 필리핀13 군인들이13 미국의13 재정적13 지원13 하에13 미국의13 군사학17000

교와13 훈련소에13 훈련을13 받았음을13 보여준다19

간단히13 정리하면13 앞서13 제시된13 가지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살펴13 본13 결과13 4

필리핀은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되어13 있음을13 보여준다

필리핀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13 (3)

필리핀의13 정부지도자와13 국민들이13 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상태를13 타파해야13

한다는13 목소리를13 강화한13 것은13 마르코스13 대통령의13 독재정치가13 절정에13 달했을13

때였다 그의13 탄압과13 독재정치에13 대해13 많은13 필리핀국민들이13 저항하였고13 반마

르코스의13 열기가13 확대되었다 년에13 일어난13 필리핀의13 민중의13 혁명 1986

(Peoplersquo 은13 마르코스를13 권좌에13 내쫒았다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의존s Power)

의13 타파는13 사실상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와13 궤를13 같이13 한다 마르코스에13 대한13

비판은13 민주주의를13 강하게13 염원하게13 되었고13 동시에13 그의13 정권하에서13 오래13 동

안13 유지되었던13 필리핀-미국의13 동맹관계의13 실체를13 재평가하려는13 움직임으로13

빠르게13 전환되었다 년13 월13 코라손13 아퀴노 가13 대통령 1986 2 (Corazon Aquino)

18 이와13 관련하여13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참조Stockholm 1975 Sweden SIPRI pp 17-19

19 를13 참조httpIcweb2locgovcgi-binquery

132 백태열

에13 취임하면서13 필리핀에서는13 본격적으로13 미군의13 철수문제가13 공론화되기13 시

작하였다 필리핀국민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동맹체제로부터13 발생하는13 다양한13 불

이익과13 불편을13 종식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개시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추진력 은13 무엇인가 대략13 두13 가지13 요인(Driving force)

으로13 설명된다 첫13 번째는13 민족주의이다 민족주의는13 식민지13 상태에서13 해방

과13 독립을13 쟁취하기13 위한13 이데올로기로서13 작동하였고13 독립이후13 민족주의는13

외세의13 지배와13 간섭을13 배격하기13 위한13 무기로서13 전환된다 필리핀은13 스페인과13

미국의13 식민지를13 경험하면서13 강한13 민족주의를13 발전시켰다 살바도르13 마르티

네그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13 역사는13 세(Salvador Martineg) 16

기13 초에13 시작되어13 년대13 이래13 유지되었고13 년대에는13 클라로13 렉토13 등1950 1960

에13 의해13 활성화되었다20 결국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는13 반미주의와13 강하게13 연결

되어13 있으며13 이는13 미국의13 간섭과13 영향력을13 배제하고13 자국의13 자존심을13 회복하

려는13 노력으로13 승화되었다 동시에13 민족주의의13 열기는13 필리핀국민들에게13 미

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에서13 기인하는13 지배국의13 독선과13 횡포 그리고13 내정간섭에13

대한13 저항을13 강하게13 표출할13 수13 있는13 통로를13 제공하였다 두13 번째는13 주권과13

자주권의13 회복이다 주권과13 자주권은13 민족주의와13 깊은13 연관성을13 갖고13 있다

전후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유지하는데13 있어서13 국민적13 자존

심과13 주권이13 손상되었다는13 인식을13 강하게13 갖고13 있다 에드13 가르시아 (Ed

와13 프란시스코13 네멘쯔 는13 다음과13 같이13 지적한다13 Garcia) (Francisco Nemenz)

(Garcia and Nemenz 1987 4)

독립은13 단지13 자기13 확신의13 문제가13 아니다 국가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이13 아 hellip13 니라13 자주적13 행위자로서13 인식되어야13 한다 모든13 국제회의에서13 우리의13 독립을13

확인하기13 위하여13 용기를13 갖고13 노력하여13 왔다 그러나13 우리가13 실제적인13 독립을13

갖고13 있었을13 때조차도13 우리가13 제안을13 발의해도13 제 세계의13 대표들은13 그13 뒤에는13 3

미국이13 있다는13 점을13 의심하여13 왔다 이러한13 의미에서13 필리핀은13 자국의13 땅위에

서13 거대한13 군사기지를13 유지하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으로13 보여진다

20 이러한13 주장에13 대해서는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사Salvador Martineg 1983 「 」 985172상 월 을13 참조함5 pp 45-48 98517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3

그들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체계가13 필리핀의13 대

외정책에도13 부정적13 영향을13 미쳤음을13 암시하고13 있다 국제무대에서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의식하거나13 혹은13 미국의13 정책과13 보조를13 맞출13 수밖에13 없는13 상황을13 초

래했다고13 보고13 있다 이러한13 관점에13 대해13 일부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자국의13 주권

이나13 자주권이13 어느13 정도13 훼손되었다는13 생각을13 갖고13 있는13 것으로13 보인다 동

시에13 미군철수를13 둘러싼13 필리핀13 국민의13 반감은13 미국의13 마르코스13 체제에13 대한13

옹호에서13 기인하였다는13 점도13 지적될13 수13 있다 그들은13 마르코스13 집권이후13 필

리핀의13 인권상황이13 악화되고13 독재정치가13 유지되고13 있음에13 불구하고13 미국이13

이를13 개선하기13 위한13 적절한13 역할을13 하지13 못한13 것에13 대해13 깊은13 불신과13 반감을13

갖고13 있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13 국민들이13 미군철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를13 요구

하는13 보다13 현실적인13 이유들이13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필리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으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각종13 사회적13 문제와13

갈등이다 미군이13 주둔하고13 있는13 기지주변에서13 발생되는13 각종13 범죄 현지인

과13 미군사이의13 마찰13 등은13 외국군대를13 수용하고13 있는13 필리핀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군기지에13 대한13 반감과13 저항을13 일으킬13 수13 있다 둘째 필리핀13 국내에13 설치된13

핵무기이다 년대13 초에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핵무기가13 설치한13 것으로13 알려져13 1970

있으며13 년까지13 핵무기의13 수는13 대략13 정도에13 달하였다 년을13 기준1973 260 1985

으로13 미국은13 필리핀에13 개의13 핵무기를13 설치하였으며13 그중13 개는13 반잠수227 32

함13 핵폭탄이며13 개는13 해군용13 핵무기 그리고13 그밖에13 개의13 핵폭탄이13 있80 115

는13 것으로13 알려졌다21 핵무기의13 설치와13 사용의13 목적은13 아시아13 지역의13 군사

적13 충돌이나13 전쟁이13 발발할13 경우13 사용되기13 위함이며13 어떤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

는13 필리핀의13 안보를13 위한13 것이라기보다는13 미국의13 군사적13 목적을13 위해13 설치된13

것이다 미국이13 아시아에서13 전쟁을13 수행할13 경우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핵위협에13

노출되어13 있고13 이로13 인해13 여러13 가지13 피해가13 발생할13 수13 있다고13 보고13 핵무기의13

설치와13 시설에13 민감하지13 않을13 수밖에13 없다 이러한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일차적으

로13 공격의13 목표가13 되었던13 것은13 미군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이다

21 Ronald G Simbulan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1989 Manila Philippines

와13 을13 참고 이13 책에는13 필리핀의13 미국핵무기와13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p 78

관련된13 정보와13 내용이13 상세하게13 기록되어13 있음

134 백태열

그러면13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종료시키기13 위한13 구체적인13

움직임 조치 및13 정책은13 무엇인가 마르코스가13 축출당한13 이후인13 년13 월 1986 2

부터13 년대13 초까지13 필리핀의13 국내13 상황은13 급박하게13 돌아가고13 있었다 이1990

와13 관련하여13 가장13 주목을13 끄는13 점은13 년13 월13 일13 필리핀13 상원을13 통과한13 1988 6 6

ldquo반핵병기13 법rdquo이다 이13 법안은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기지와13 군사시설 그리고13 양

국동맹관계의13 근간을13 흔들13 수13 있을13 만큼13 강력한13 내용을13 담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이13 법안의13 조는13 금지행위에13 관한13 것으로13 5 ldquo어떤13 사람도13 운송이나13 하역을13 불문하고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과13 그13 구성부분을13 필리핀13 영역내로13 가지고13

들어오거나13 또는13 소유 보유할13 수13 없다 필리핀13 군사기지13 내13 미합중국의13 기존13

군사13 설비를13 포함하여13 필리핀영역의13 상13 하 상공13 어느13 곳에서도13 본13 제 조13 4 1

항에13 해당하는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 구성부분13 및13 핵병기관련설비의13 개발 제

조 입수 실험 이용 도입 비축 보관을13 금지하며 helliprdquo22라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조항과13 함께13 다른13 조항13 역시13 필리핀에서의13 일체의13 핵무기13 개발 설치 비

축 보관 하역13 등을13 금지시키고13 있다 이13 법안의13 통과는13 필리핀 -미국의13 군사

동맹관계의13 분수령이13 된다 역시13 가장13 커다란13 시사점은13 미국은13 필리핀의13 영

토13 안에13 핵무기와13 관련된13 일체의13 접근이13 불허된다는13 점이며13 동시에13 필리핀의13

모든13 군사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가13 불가피하게13 되었다는13 점이다

년13 월13 미국과의13 군사기지협정을13 년13 연장하기13 위한13 법안이13 상원에13 1991 9 10

게류13 되었을13 때13 필리핀13 국내정세는13 극도로13 혼란스러웠다 이13 혼란의13 중심은13

미군13 기지를13 그대로13 유지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과13 법안을13 거부함으로써13 미군13 기

지를13 폐쇄해야13 한다는13 입장으로13 크게13 나뉘어져13 있었다 이13 협정의13 연장을13 찬

성하는13 집단의13 중심에는13 아키노13 대통령이13 있었다 아키노13 대통령은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쇄될13 경우13 양국관계의13 약화 경제13 투자의13 감소 그리고13 불안정

한13 국내13 상황13 등을13 크게13 우려하였다 무엇보다도13 필리핀13 정부는13 양국이13 오랫

동안13 여러13 부분에서13 구축된13 양국의13 군사적 외교적13 우호관계가13 크게13 악화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우려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13 상원은13 미국과13 협정을13 반대하는

데13 선두집단중의13 하나였다 상원의원들의13 상당수는13 민족주의13 정신이13 강한13 정

22 본13 법안의13 내용에13 관해서는13 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를13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5

치인들이었고13 미군은13 필리핀13 땅에서13 떠나가야13 한다고13 믿었다 미군기지13 임대

의13 연장13 법안의13 반대에13 대한13 보다13 구체적인13 이유는13 무엇인가 가장13 커다란13

이유는13 무엇보다도13 필리핀의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복원이었다 당시13 필리핀13

상원의원인13 아가피토13 아키노 는13 (Agapito Aquino) ldquo이13 투표는13 진정으로13 주권을13 갖고13 독립적인13 필리핀13 국민을13 위한13 것이며13 이13 투표는13 미국의13 조종끈에13 매

어진13 정치적13 청년기13 즉13 극심한13 종속을13 종식하기13 위한13 것이다rdquo23라고13 상원에

서13 역설하였다 종속타파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종속타파의13 견인적인13 메커니즘은13

이론적13 검토에서13 제시된13 것처럼13 역시13 주권의13 회복과13 민족적13 자존심의13 회복이

다 필리핀13 정치인들의13 판단과13 요구가13 대다수13 모든13 필리핀13 국민들의13 견해와13

동일하다고13 볼13 수13 없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협정13 그리고13 상

호방위조약에서13 기인하는13 다양한13 폐해를13 인식하고13 있으며13 미군은13 철수되어

야13 한다는13 공감대를13 발전시켜13 왔다는13 점은13 부인할13 수13 없다 또13 다른13 견해는13

필리핀13 정치권에서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기지사용료가13 너무13 적다는13 이유도13 제시

되고13 있다24 필리핀13 상원의13 강력한13 반대13 움직임13 속에13 아키노13 대통령은13 이13

법안을13 국민투표에13 회부하는13 방안을13 추진하였지만13 무산되고13 결국은13 미군기

지협정의13 연장법안은13 년13 월13 일13 상원에서13 대13 로13 부결되었다1991 9 16 12 11

필리핀13 상원의13 이러한13 결정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년13 미국과13 맺은13 군 1947

사기지협정은13 자동적으로13 무효화되었으며13 필리핀에서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

쇄되고13 미군이13 더13 이상13 주둔하지13 않게13 되었다 미군은13 년13 말13 이전에13 필 1992

리핀의13 영토를13 떠나도록13 권고13 받았다 이러한13 점은13 상징적인13 측면이13 강하지

만13 필리핀은1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고13 볼13 수13 있다

미국의13 반응과13 입장13 (4)

필리핀에서의13 극적인13 변화에13 대해13 미국은13 어떤13 반응을13 보였으며13 기본13 입

장은13 무엇인가 미국은13 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13 이후13 필리핀의13 민주화13 운동과13

23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아키노13 상원의원은13 미군기지문제와13 관 1991 9 16 A1

련하여13 형수이자13 대통령이었던13 코라손13 아퀴노와13 극심한13 마찰과13 갈등을13 겪었다

24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벌인13 협상에서13 미국은13 필리핀에 1991 9 11 A3

게13 수빅만13 해군기지를13 사용하는13 대가로13 일년에13 억불을13 제공하기로13 합의하였다203

136 백태열

새로운13 정권의13 창출을13 고무적으로13 평가하였다 그러나13 동시에13 워싱턴은13 그곳

에서13 미군의13 기지와13 군대의13 철수문제 그리고13 지속적인13 반미운동의13 고조13 등

에13 대해13 깊은13 우려감을13 가졌다 특히13 군사기지협정의13 연장을13 앞13 둔13 시점에서13

미국정부의13 불안감은13 증대되었다 국무장관13 조지13 슐츠 는13 미 (George Shultz)

국은13 필리핀13 관리들과13 정치인들이13 기지연장을13 승인하지13 않을13 경우13 다른13 장소

를13 물색해야13 할지13 모른다는13 입장을13 밝혔다25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국내에서13

벌어지는13 반미운동이13 궁극적으로13 미군기지의13 철폐로13 연결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크게13 우려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필리핀13 상원의13 표결이13 있기13 전에13 미국정부는13

부결가능성을13 기대하고13 있었고13 이를13 위해13 직간접적으로13 필리핀정부에13 회유

와13 압력을13 가하였다

필리핀에서의13 결정은13 미국정부를13 크게13 실망시켰지만13 기지연장을13 둘러싼13

필리핀의13 정책결정과정에13 대해13 특별한13 영향력을13 행사할13 수13 없었다 미국은13

필리핀이13 기지연장13 협정을13 원하지13 않는다면13 이를13 수용하지13 않을13 수13 없다 미

국의13 기본13 입장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연장협정을13 지속하는13 것이었다 그13 이유는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와13 미군의13 주둔은13 년이13 넘은13 동안13 아시아에서13 방어적13 40

역할을13 충실히13 하였기13 때문이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결정은13 대

략13 가지13 파급효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다고13 보았다 첫째 년대13 말에13 냉전이13 2 1980

서서히13 종식되고13 있었지만13 미국은13 아시아에서의13 군사적13 임무와13 역할이13 여전

히13 필요하였다 따라서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의13 철수는13 안보적13 공백이13 발생할13

수13 있으며13 이로13 인한13 군사적13 전략변화가13 요구되고13 있기13 때문이다 둘째는13 간

접적13 파급효과이다 필리핀의13 미군기지13 철수가13 다른13 주둔지역13 특히13 한국과13

일본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기지의13 철수로13 연결될13 수13 있는13 파급효과를13 우려하

였다 반면에13 다른13 측면에서13 보면13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다소13 위안을13 찾을13

수13 있는13 부분도13 있다 필리핀은13 결코13 미국과의13 상호방위조약13 자체를13 폐기한13

것이13 아니기13 때문에13 향후13 양국의13 군사적13 동맹관계는13 유지될13 수13 있으며13 미국

의13 군사적13 영향력도13 어느13 정도13 유효할13 것이라는13 기대감을13 가졌다

25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88 6 17 p 7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7

이집트2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3 (1)

년13 영국의13 식민지에서13 벗어난13 이집트는13 국내외적으로13 커다란13 도전에13 1952

직면하였다 국내적으로13 정치세력간의13 권력투쟁으로13 불안한13 정국이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그13 과정에서13 군사13 쿠데타를13 통해13 실질적인13 권력을13 장악한13 나세르는13

아랍사회주의를13 표방하면서13 국정을13 운영하기13 시작하였다 대외적으로13 국제사

회에는13 이미13 냉전의13 열기가13 정점에13 올랐고13 그13 여파는13 중동에도13 도달하였다

이집트를13 둘러싼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복잡하게13 얽혀가고13 있었다 이와13 관련

하여13 주목할13 부분은13 미국과13 소련은13 중동지역에서13 패권경쟁을13 격화하고13 있었

다는13 점이다 소련은13 미국을13 견제하기13 위하여13 에13 버금가는13 지역안보 NATO

체제를13 구축하려고13 하였고13 이는13 바그다드13 조약 으로13 실현되고13 (Baghdad Pact)

있었다 미국은13 이집트를13 지역안보체제에13 끌어13 들이려는13 계획을13 갖고13 이집트

에13 접근하였다 마찬가지로13 소련은13 이집트와13 접한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중동지역에서의13 교두보를13 확보할13 수13 있다고13 판단하였다 미국과13 소련은13 이집

트가13 아프리카와13 중동을13 연결하는13 지역에13 위치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전략적13 가치

를13 중시하였고13 아랍세계의13 위상13 때문에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근을13 추구하는13 것이13

중요한13 목표중의13 하나였다

나세르가13 집권13 이후13 이집트가13 당면한13 최대13 현안은13 이스라엘과13 갈등과13 분

쟁이었다 년13 월13 이스라엘군대가13 이집트13 통제지역인13 가자해협의13 군사 1955 2

시설을13 공격하면서13 명이13 사망하는13 사건이13 일어났다 이스라엘의13 공격으로13 38

인해13 양국은13 본격적인13 대립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이집트는13 이러한13 상황에13 대처

하기13 위해13 자국의13 군사력의13 증강이13 무엇보다도13 절실한13 과제였다 이집트는13

처음에13 서방측에게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으나13 거부당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시도하였다 이집트가13 소련을13 선택한13 구체적인13 배경은13 무엇인

가 무엇보다도13 나세르는13 기본적으로13 반서방주의13 성향이13 강하였고13 당시의13 국

제정세로13 볼13 때13 이스라엘을13 지원하는13 영국과13 미국13 보다는13 소련에게13 무기를13

요청하는13 것이13 적합하다고13 판단하였다 년13 이집트는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1955

138 백태열

내세운13 소련과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26 이13 무기협정을13 통해13 사실상13 이집트

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어13 가는13 계기가13 되었고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주공급자가13 되었다 그러나13 이집트는13 소련과13 상호군사조

약을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나세르가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맹관계를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기13 때문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찰스13 크레멘

스 는13 (Charles Cremeans) ldquo군사공약이13 포함되지13 않는13 한13 이집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받을13 수13 있었고13 그리고13 필요하다면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는데13

발생할13 수13 있는13 위험을13 감수할13 준비가13 되었다고13 나세르는13 항상13 주장하였다rdquo고13 지적한다 나세르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공여13 받는13 것에13 부(1963 281)

담을13 느꼈던13 것은13 분명하다 그13 이유는13 자신이13 강력한13 비동맹노선을13 표방하

였고13 따라서13 소련과13 연계를13 통해13 의존의13 상황이13 형성되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기13

때문이었다 결국13 나세르는13 적어도13 집권초기에는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

맹관계13 혹은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려고13 하지13 않았다 그러나13 이스라엘의13 군

사적13 위협13 때문에13 이집트가13 무기를13 제공받기로13 한13 결정은13 불가피한13 선택이었

다 전후13 독립을13 획득한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신생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 3

의13 국방력은13 취약하였다 따라서13 이집트의13 대외적13 여건은13 군사대국인13 소련에

게13 자연스럽게13 군사적13 도움을13 요구하게13 되고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그러면13 소련의13 이집트의13 접근배경은13 무엇인가 무엇보다도13 모스크바는13 對

전후13 중동지역에서13 미국과의13 경쟁에서13 우위를13 선점하기13 위한13 목적을13 갖고13 있

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국과의13 냉전13 구도13 하에서13 중동에서의13 영향력

을13 확보하고13 상대적으로13 미국의13 접근을13 어렵게13 하기13 위해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

근을13 시도하였다 즉13 중동에서13 가능한13 많은13 우방국13 혹은13 동맹국을13 만드는13 작

업은13 미국과13 마찬가지로13 소련의13 대외정책의13 우선순위의13 하나였다 더13 나아가

서13 소련은13 이집트뿐만13 아니라13 중동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국가에13 대해13 접한13 관

계를13 구축하고자13 하였다 이러한13 주장은13 년대를13 거치면서13 소련이13 시리 1960

아 요르단13 등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고13 일련의13 군사협정을13 체결하였다는13 사실

에13 의해13 뒷받침13 된다 년13 월13 일13 소련13 외무성은13 1955 4 16 ldquo소련은13 근동13 및13 중

26 이13 협정을13 통해13 양국은13 억불의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45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9

동지역에서13 전개되는13 상황에13 무관심한13 채13 남아13 있을13 수13 없다 그13 이유는13 그13

지역에13 있는13 외국의13 군사기지시설과13 블록화13 현상은13 소련의13 안보에13 직접적인13

연관성이13 있기13 때문이다rdquo27는13 입장을13 표명하였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친 한13 관계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이해관계를13 둘러싸고13 더욱13

발전하게13 되었다 년13 월13 나세르는13 수에즈운하에13 대한13 국유화를13 선언하 1956 7

였고13 이러한13 결정에13 대해13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13 이집트를13 공격하였다 이

로13 인해13 제 차13 중동전쟁이13 발발하였다 운하를13 둘러싼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13 그2

리고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첨예하게13 얽혀있었다 제 차13 중동전쟁은13 이집트 2 -

소련의13 관계에서13 또13 다른13 분수령이13 되었다 년13 이집트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1960

완전한13 통제와13 관리를13 위해13 소련으로부터13 에스완13 댐13 건설비용13 억13 천13 달러3 5

를13 받기로13 결정하였다 그13 후13 이집트는13 다양한13 형태의13 지원을13 소련으로13 받기13

시작하였다 년13 월13 이집트를13 방문한13 후르시초프 서기장은13 1964 5 (Khrushchev)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억13 천 백만13 불을13 융자하겠다는13 발표를13 하였다2 7 7 28

이13 비용은13 이집트가13 년부터13 추진하는13 개년13 개발계획에13 사용될13 예정이1965 5

라고13 덧붙였다 이러한13 재정적13 지원을13 통해13 이집트는13 점진적으로13 의존하였고13

의존의13 내용은13 경제원조의13 영역으로13 확대되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년13 1966 5

월13 일13 소련13 수상13 알렉세이13 코시긴 은13 카이로에서13 가11 (Aleksei M Kosygin)

진13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미국의13 베트남13 공격을13 비난하면서13 ldquo양국의13 국민은13 평화 사회적13 전진 그리고13 사회주의를13 위한13 투쟁에서13 공동13 목적과13 이념으로13

함께13 협력13 한다rdquo고13 선언하였다29 양국의13 우호관계는13 점진적으로13 확대되었다

이집트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스라엘과의13 분쟁은13 여전히13 미해결된13 채13 남아13 있었

고13 소련으로부터13 추가적인13 군사지원은13 불가피하였다

년의13 차13 중동13 전쟁혹은13 일13 전쟁에서13 이집트는13 이스라엘에게13 참패1967 3 ( 6 )

한13 후13 시나이13 반도와13 가지지구13 등을13 빼앗기게13 되었다 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

로13 하여금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더욱13 필요하게13 되었고13 결과적으로13 군

27 Alvin Z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에서13 재인용

2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4 5 25 p 1

29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6 5 11 p 2

140 백태열

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월터13 라퀘르 는13 다음과13 같이13 설 (Walter Laqueur)

명13 한다(1972 62)

일13 전쟁은13 소련6 -이집트13 관계의13 이정표를13 기록하였다 그13 전쟁은13 분실되거

나13 혹은13 파괴된13 모든13 군사13 장비를13 빨리13 대체하기13 위한13 필요성13 때문에13 소련에13

대한13 이집트의13 종속을13 극적으로13 심화시켰고13 낫세르의13 요청에13 따라13 소련군hellip13 인이13 탑승한13 SAM- 과13 2 SAM- 로13 구성된13 거대한13 미사일13 방어체계가13 13 이집트3

에13 설치되었다 소련조종사들이13 이집트내의13 개의13 공군비행장에서13 전투임무 15

를13 갖고13 전투기를13 발진시켰다

이집트는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있어서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

기13 위하여13 소련의13 군사적13 지원을13 지속적으로13 받았다 특히13 년에13 발생한13 1967

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과정에서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위해13 간접적13 방식으로13 전6

쟁에13 개입하였다 소련의13 군사고문단이13 이집트에13 상주하면서13 막후에서13 이집

트에서13 전술적 전략적13 도움을13 제공하고13 협력했을13 가능성은13 상당히13 높다 30

년13 가을에13 발생한13 나세르의13 갑작스런13 죽음과13 함께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1970

사다트는13 나세르의13 이념적 정책적13 계승자였다 따라서13 그는13 적어도13 외형적

으로13 소련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고자13 하였다 그의13 선택은13 당연하였다 일13 6

전쟁은13 휴전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전쟁은13 언제든지13 다시13 발발할13 개연성이13 높았

고13 따라서13 군사력의13 보강은13 그의13 주된13 목표였다 그는13 년13 월13 모스크바 1971 3

를13 방문하여13 소련에13 대한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다 그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1971

년13 월13 일13 양국사이의13 우호조약으로13 발전되었다 이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자리7 28

에서13 사다트는13 ldquo우리국민은13 아랍-소련의13 우정을13 소중하게13 생각하며13 그리고13 진정으로13 아랍전체13 국가들은13 이13 우정을13 우리13 정책의13 가장13 중용한13 기초중의13

하나로13 간주13 한다rdquo 고13 역설하였다 31 양국은13 년의13 유효기간을13 설정하고13 우 15

30 년13 동안13 이집트의13 군복으로13 위장한13 소련군13 조종사들이13 이집트13 영공에서13 이스라1970

엘의13 공습에13 대항하여13 공중전투에13 참여하였다 이13 부분에13 대해서13 Craig A Daigle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을13 참 8(1) March p 3

31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1 5 28 p 2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1

호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에13 어떤13 의미를13 갖고13

있는가 이와13 관련하여13 두13 가지13 사항이13 언급될13 수13 있다 첫째 이집트는13 오래13 13

동안13 공식적인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것을13 주저하였다 그것은13 특정국가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이13 나세르와13 사다트의13 정치철학에13 위배된다고13 판단하였기13 때문

이다 그러나13 나세르의13 죽음과13 완결되지13 않은13 중동전쟁의13 상황을13 고려할13 때13

다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보다13 강화할13 필요성을13 느꼈기13 때문이다

둘째 이13 조약은13 사실상13 외형적으로13 상호13 협력13 및13 우호를13 강조하고13 있지만13

조약의13 세부적13 내용을13 면 히13 검토해13 보면13 사실상13 군사원조와13 무기지원을13 포

함한13 일방적13 방위조약의13 성격이13 강하다 따라서13 향후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방위공약의13 의무를13 갖게13 되고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은13 보다13 제도적13 성격

을13 갖게13 되었다

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상황(2) 對이집트1) -소련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우호13 조약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이집트가13 군사적으로13 소련에13 예속된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년13 월13 이집트와13 1955 9

체코의13 무기매매협정에서13 찾을13 수13 있다 이13 협정은13 사실상13 소련과13 이집트사

이에13 체결된13 것으로13 소련이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내세워13 체결하였다(Cremeans

이13 협정을13 통해13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무기를13 공여하기13 시작하였고13 1963 146)

이집트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는13 계기가13 되었다 년13 월13 일13 1971 5 27

이집트와13 소련의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the Egyptian-Soviet Treaty of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년13 양국의13 무기Friendship and Cooperation) 1955

협정이후13 체결되었다 이13 조약은13 전문을13 포함하여13 모두13 개13 조항으로13 구성 12

되었다 이13 조약의13 전문은13 ldquo소련과13 이집트는13 양국의13 발전을13 촉진하고13 모든13 부분에서의13 협력을13 확고하게13 강화할13 것을13 확신하며13 양국은13 평화로운13 외hellip13 교정책의13 변함없는13 진행에13 따라서13 보다13 강력한13 국제평화와13 안보를13 위한13 투쟁

을13 지속적으로13 수행13 할13 것을13 결의하며helliprdquo32로13 되어13 있다 이13 조약은13 년13 1955

년13 양국이13 맺은13 무기협정13 보다13 여러13 부분에서13 포괄적인13 교류와13 협력을13 강조

32 Julian J Landau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참조Communications p 165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15: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29

이13 조약에서13 양국은13 ldquo외부의13 군사적13 전략에13 대해13 공동으로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양국의13 단결과13 공동의13 결의를13 공개적으로13 그리고13 공식적으로13 선언하면서rdquo13

개13 조항에13 합의하였다 이13 조약의13 13 조는13 외부의13 군사적13 침략에13 대해13 공동13 3

으로13 방어하기13 위한13 대응태세를13 강조하고13 있으며13 조는13 당사국중의13 한13 국가4

가13 외부의13 공격을13 받을13 경우13 이를13 자국에13 대한13 공격으로13 간주한다고13 규정함

으로써13 공동방위를13 구축하고13 있다

양국이13 체결한13 개의13 군사13 및13 방위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볼13 때13 현실적으로13 3

필리핀의13 국가안보를13 강화하고13 양국이13 공동의13 외부적13 위협에13 대응하도록13 구

성되어13 있다 그러나13 이13 조약들은13 양국의13 평등성에13 기초하고13 있기13 보다는13 필

리핀이13 일방적으로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받도록13 되어13 있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군군대의13 주둔2)

싱거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외국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시설이다 년13 양국의13 협정에13 따라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군대를13 주둔시키 1947

고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필리핀에는13 미국의13 군사방위공약을13 실천하기13

위하여13 년부터13 미군이13 주군하고13 대규모의13 군사시설을13 유지하여13 왔다 대1947

표적인13 군사시설은13 클라크13 공군기지(Clark Air Base in Pampanga and

수빅만13 해군기지 죤13 Tarlac) (Subic Naval Base in Bataan and Zambales)

헤이13 공군13 이착륙장 월레스13 공군13 이(John Hay Air Station in Baguio City)

착륙장 그리고13 산13 미구엘13 통신소(Wallace Air Station in La Union) (San

등이다Miguel Station in Zambales) 14 그13 외에도13 소규모의13 미국군사기지13

및13 시설은13 대략13 개이다 클라크13 공군기지는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규모15

이며13 수빅만13 해군기지13 역시13 아시아에서13 가장13 커다란13 해군기지이다 이러한13

미군기지와13 시설에13 주둔하고13 미국병사는13 년13 기준으로13 대략13 육군은13 1979 28

명 공군은13 명 해군은13 그리고13 해병대13 명이13 각각13 필리핀에13 주 8005 4594 786

13 이13 조약의13 영문원본은13 을13 참조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14 이와13 관련하여13 상세한13 내용은13 다음의13 자료를13 참조바람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130 백태열

둔하였고13 전체13 미군의13 수는13 명이다13413 15 이와13 관련된13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13 기준을13 기준으로13 필리핀의13 모든13 미군기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병력은13 1988

명이다17870 16 년13 당시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의13 수는13 명의13 군인과13 1991 15000

명의13 군무원이13 주둔하고13 있었다1000

이러한13 군사기지의13 설치는13 앞서13 설명된13 양국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방위조약

에13 따른13 부수적13 결과일13 뿐이다 외군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기지의13 허용은13 종속

국의13 국방력이13 취약하다는13 반증이다 종속국은13 외국군대의13 도움이13 없이는13 자

국의13 안보상황을13 개선할13 수13 없다는13 것을13 의미하며13 이는13 군사적13 예속의13 또13 다

른13 측면이다 외국군대의13 기지와13 주둔군은13 해당국민과13 가장13 직접적인13 마찰과13

갈등을13 빚는13 부분이고13 법적 사회적 문제를13 가장13 많이13 야기시켰다

미국의13 필리핀13 무기13 공여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검증하기13 위하여13 사용되는13 또13 다른13 증거는13 군사장

비13 및13 무기의13 공여이다 피종속국은13 현실적으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자체적으

로13 개발하는데13 필요한13 기술력과13 경제력을13 결여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타국으로부

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유상으로13 혹은13 무상으로13 공여13 받는다 특히13 이러한13 무

기의13 지원으로13 인해13 보다13 심각한13 상황은13 특정한13 국가로부터13 무기지원을13 받는

다는13 점에서13 의존적13 성격을13 갖고13 있다는13 점이다 따라서13 피종속국이13 종속국

에게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하거나13 수출하지13 않을13 경우13 종속국의13 국가안보

는13 어려움을13 겪거나13 혹은13 심각한13 위험에13 직면할13 수도13 있다 필리핀의13 경우13

년대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의13 대부분을13 공여13 받았다1950 17 이

와13 관련하여13 몇13 가지13 사례를13 들어13 보기로13 한다 필리핀은13 년대13 초부터13 1950

년까지13 미국으로부터13 다양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13 받거나13 혹은13 구매1973

하였다 군사용13 비행기예를13 들면 ( Lockheed T-33 Gruman HU-16A

군사용13 선박예를13 들면 그Albatross) ( patrol boat Infantry landing craft)

리고13 장갑차 예를13 들면( M- 등이다4 Sherman) 18

15 United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p 145

16 이와13 관련된13 자료는13 김경숙13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13 참1988 10 p 76 「 」 985172 985173조

17 년대13 초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제외한13 일본 독일 호주 이탈1950 1970

리아13 등으로부터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미국의13 비중이13 압도적으로13 많았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1

필리핀13 군인의13 미국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13 4)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종속국가의13 군인13 혹은13 영관급13 장교들이13 피

종속국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러한13 지표는13 종속국의13 군인

들의13 질적13 취약성에13 기초한다 종속국의13 군인들은13 안보와13 전쟁에13 필요한13 현

대식의13 훈련과13 전투능력을13 배양하지13 못했기13 때문에13 국가안보의13 문제와13 위기

가13 발생했을13 때13 적절하게13 대처할13 수13 있는13 있는13 군사적13 능력을13 갖추고13 있지13

못하다 이러한13 측면은13 종속국의13 군사력13 하락으로13 연결된다 필리핀군인들은13

의13 프로그램의13 후원13 IMET(International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하에13 미국본토13 혹은13 미국본토이외의13 군사훈련소에서13 군사훈련13 혹은13 교육을13

받았다 자료에13 따르면13 필리핀13 군인들은13 년부터13 년까지13 명이13 1950 1968 12217

훈련을13 받았다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부터13 년13 초까(Singer 1972 301) 1950 1980

지13 대략13 의13 필리핀13 군인들이13 미국의13 재정적13 지원13 하에13 미국의13 군사학17000

교와13 훈련소에13 훈련을13 받았음을13 보여준다19

간단히13 정리하면13 앞서13 제시된13 가지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살펴13 본13 결과13 4

필리핀은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되어13 있음을13 보여준다

필리핀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13 (3)

필리핀의13 정부지도자와13 국민들이13 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상태를13 타파해야13

한다는13 목소리를13 강화한13 것은13 마르코스13 대통령의13 독재정치가13 절정에13 달했을13

때였다 그의13 탄압과13 독재정치에13 대해13 많은13 필리핀국민들이13 저항하였고13 반마

르코스의13 열기가13 확대되었다 년에13 일어난13 필리핀의13 민중의13 혁명 1986

(Peoplersquo 은13 마르코스를13 권좌에13 내쫒았다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의존s Power)

의13 타파는13 사실상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와13 궤를13 같이13 한다 마르코스에13 대한13

비판은13 민주주의를13 강하게13 염원하게13 되었고13 동시에13 그의13 정권하에서13 오래13 동

안13 유지되었던13 필리핀-미국의13 동맹관계의13 실체를13 재평가하려는13 움직임으로13

빠르게13 전환되었다 년13 월13 코라손13 아퀴노 가13 대통령 1986 2 (Corazon Aquino)

18 이와13 관련하여13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참조Stockholm 1975 Sweden SIPRI pp 17-19

19 를13 참조httpIcweb2locgovcgi-binquery

132 백태열

에13 취임하면서13 필리핀에서는13 본격적으로13 미군의13 철수문제가13 공론화되기13 시

작하였다 필리핀국민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동맹체제로부터13 발생하는13 다양한13 불

이익과13 불편을13 종식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개시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추진력 은13 무엇인가 대략13 두13 가지13 요인(Driving force)

으로13 설명된다 첫13 번째는13 민족주의이다 민족주의는13 식민지13 상태에서13 해방

과13 독립을13 쟁취하기13 위한13 이데올로기로서13 작동하였고13 독립이후13 민족주의는13

외세의13 지배와13 간섭을13 배격하기13 위한13 무기로서13 전환된다 필리핀은13 스페인과13

미국의13 식민지를13 경험하면서13 강한13 민족주의를13 발전시켰다 살바도르13 마르티

네그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13 역사는13 세(Salvador Martineg) 16

기13 초에13 시작되어13 년대13 이래13 유지되었고13 년대에는13 클라로13 렉토13 등1950 1960

에13 의해13 활성화되었다20 결국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는13 반미주의와13 강하게13 연결

되어13 있으며13 이는13 미국의13 간섭과13 영향력을13 배제하고13 자국의13 자존심을13 회복하

려는13 노력으로13 승화되었다 동시에13 민족주의의13 열기는13 필리핀국민들에게13 미

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에서13 기인하는13 지배국의13 독선과13 횡포 그리고13 내정간섭에13

대한13 저항을13 강하게13 표출할13 수13 있는13 통로를13 제공하였다 두13 번째는13 주권과13

자주권의13 회복이다 주권과13 자주권은13 민족주의와13 깊은13 연관성을13 갖고13 있다

전후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유지하는데13 있어서13 국민적13 자존

심과13 주권이13 손상되었다는13 인식을13 강하게13 갖고13 있다 에드13 가르시아 (Ed

와13 프란시스코13 네멘쯔 는13 다음과13 같이13 지적한다13 Garcia) (Francisco Nemenz)

(Garcia and Nemenz 1987 4)

독립은13 단지13 자기13 확신의13 문제가13 아니다 국가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이13 아 hellip13 니라13 자주적13 행위자로서13 인식되어야13 한다 모든13 국제회의에서13 우리의13 독립을13

확인하기13 위하여13 용기를13 갖고13 노력하여13 왔다 그러나13 우리가13 실제적인13 독립을13

갖고13 있었을13 때조차도13 우리가13 제안을13 발의해도13 제 세계의13 대표들은13 그13 뒤에는13 3

미국이13 있다는13 점을13 의심하여13 왔다 이러한13 의미에서13 필리핀은13 자국의13 땅위에

서13 거대한13 군사기지를13 유지하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으로13 보여진다

20 이러한13 주장에13 대해서는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사Salvador Martineg 1983 「 」 985172상 월 을13 참조함5 pp 45-48 98517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3

그들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체계가13 필리핀의13 대

외정책에도13 부정적13 영향을13 미쳤음을13 암시하고13 있다 국제무대에서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의식하거나13 혹은13 미국의13 정책과13 보조를13 맞출13 수밖에13 없는13 상황을13 초

래했다고13 보고13 있다 이러한13 관점에13 대해13 일부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자국의13 주권

이나13 자주권이13 어느13 정도13 훼손되었다는13 생각을13 갖고13 있는13 것으로13 보인다 동

시에13 미군철수를13 둘러싼13 필리핀13 국민의13 반감은13 미국의13 마르코스13 체제에13 대한13

옹호에서13 기인하였다는13 점도13 지적될13 수13 있다 그들은13 마르코스13 집권이후13 필

리핀의13 인권상황이13 악화되고13 독재정치가13 유지되고13 있음에13 불구하고13 미국이13

이를13 개선하기13 위한13 적절한13 역할을13 하지13 못한13 것에13 대해13 깊은13 불신과13 반감을13

갖고13 있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13 국민들이13 미군철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를13 요구

하는13 보다13 현실적인13 이유들이13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필리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으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각종13 사회적13 문제와13

갈등이다 미군이13 주둔하고13 있는13 기지주변에서13 발생되는13 각종13 범죄 현지인

과13 미군사이의13 마찰13 등은13 외국군대를13 수용하고13 있는13 필리핀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군기지에13 대한13 반감과13 저항을13 일으킬13 수13 있다 둘째 필리핀13 국내에13 설치된13

핵무기이다 년대13 초에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핵무기가13 설치한13 것으로13 알려져13 1970

있으며13 년까지13 핵무기의13 수는13 대략13 정도에13 달하였다 년을13 기준1973 260 1985

으로13 미국은13 필리핀에13 개의13 핵무기를13 설치하였으며13 그중13 개는13 반잠수227 32

함13 핵폭탄이며13 개는13 해군용13 핵무기 그리고13 그밖에13 개의13 핵폭탄이13 있80 115

는13 것으로13 알려졌다21 핵무기의13 설치와13 사용의13 목적은13 아시아13 지역의13 군사

적13 충돌이나13 전쟁이13 발발할13 경우13 사용되기13 위함이며13 어떤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

는13 필리핀의13 안보를13 위한13 것이라기보다는13 미국의13 군사적13 목적을13 위해13 설치된13

것이다 미국이13 아시아에서13 전쟁을13 수행할13 경우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핵위협에13

노출되어13 있고13 이로13 인해13 여러13 가지13 피해가13 발생할13 수13 있다고13 보고13 핵무기의13

설치와13 시설에13 민감하지13 않을13 수밖에13 없다 이러한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일차적으

로13 공격의13 목표가13 되었던13 것은13 미군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이다

21 Ronald G Simbulan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1989 Manila Philippines

와13 을13 참고 이13 책에는13 필리핀의13 미국핵무기와13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p 78

관련된13 정보와13 내용이13 상세하게13 기록되어13 있음

134 백태열

그러면13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종료시키기13 위한13 구체적인13

움직임 조치 및13 정책은13 무엇인가 마르코스가13 축출당한13 이후인13 년13 월 1986 2

부터13 년대13 초까지13 필리핀의13 국내13 상황은13 급박하게13 돌아가고13 있었다 이1990

와13 관련하여13 가장13 주목을13 끄는13 점은13 년13 월13 일13 필리핀13 상원을13 통과한13 1988 6 6

ldquo반핵병기13 법rdquo이다 이13 법안은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기지와13 군사시설 그리고13 양

국동맹관계의13 근간을13 흔들13 수13 있을13 만큼13 강력한13 내용을13 담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이13 법안의13 조는13 금지행위에13 관한13 것으로13 5 ldquo어떤13 사람도13 운송이나13 하역을13 불문하고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과13 그13 구성부분을13 필리핀13 영역내로13 가지고13

들어오거나13 또는13 소유 보유할13 수13 없다 필리핀13 군사기지13 내13 미합중국의13 기존13

군사13 설비를13 포함하여13 필리핀영역의13 상13 하 상공13 어느13 곳에서도13 본13 제 조13 4 1

항에13 해당하는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 구성부분13 및13 핵병기관련설비의13 개발 제

조 입수 실험 이용 도입 비축 보관을13 금지하며 helliprdquo22라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조항과13 함께13 다른13 조항13 역시13 필리핀에서의13 일체의13 핵무기13 개발 설치 비

축 보관 하역13 등을13 금지시키고13 있다 이13 법안의13 통과는13 필리핀 -미국의13 군사

동맹관계의13 분수령이13 된다 역시13 가장13 커다란13 시사점은13 미국은13 필리핀의13 영

토13 안에13 핵무기와13 관련된13 일체의13 접근이13 불허된다는13 점이며13 동시에13 필리핀의13

모든13 군사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가13 불가피하게13 되었다는13 점이다

년13 월13 미국과의13 군사기지협정을13 년13 연장하기13 위한13 법안이13 상원에13 1991 9 10

게류13 되었을13 때13 필리핀13 국내정세는13 극도로13 혼란스러웠다 이13 혼란의13 중심은13

미군13 기지를13 그대로13 유지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과13 법안을13 거부함으로써13 미군13 기

지를13 폐쇄해야13 한다는13 입장으로13 크게13 나뉘어져13 있었다 이13 협정의13 연장을13 찬

성하는13 집단의13 중심에는13 아키노13 대통령이13 있었다 아키노13 대통령은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쇄될13 경우13 양국관계의13 약화 경제13 투자의13 감소 그리고13 불안정

한13 국내13 상황13 등을13 크게13 우려하였다 무엇보다도13 필리핀13 정부는13 양국이13 오랫

동안13 여러13 부분에서13 구축된13 양국의13 군사적 외교적13 우호관계가13 크게13 악화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우려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13 상원은13 미국과13 협정을13 반대하는

데13 선두집단중의13 하나였다 상원의원들의13 상당수는13 민족주의13 정신이13 강한13 정

22 본13 법안의13 내용에13 관해서는13 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를13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5

치인들이었고13 미군은13 필리핀13 땅에서13 떠나가야13 한다고13 믿었다 미군기지13 임대

의13 연장13 법안의13 반대에13 대한13 보다13 구체적인13 이유는13 무엇인가 가장13 커다란13

이유는13 무엇보다도13 필리핀의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복원이었다 당시13 필리핀13

상원의원인13 아가피토13 아키노 는13 (Agapito Aquino) ldquo이13 투표는13 진정으로13 주권을13 갖고13 독립적인13 필리핀13 국민을13 위한13 것이며13 이13 투표는13 미국의13 조종끈에13 매

어진13 정치적13 청년기13 즉13 극심한13 종속을13 종식하기13 위한13 것이다rdquo23라고13 상원에

서13 역설하였다 종속타파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종속타파의13 견인적인13 메커니즘은13

이론적13 검토에서13 제시된13 것처럼13 역시13 주권의13 회복과13 민족적13 자존심의13 회복이

다 필리핀13 정치인들의13 판단과13 요구가13 대다수13 모든13 필리핀13 국민들의13 견해와13

동일하다고13 볼13 수13 없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협정13 그리고13 상

호방위조약에서13 기인하는13 다양한13 폐해를13 인식하고13 있으며13 미군은13 철수되어

야13 한다는13 공감대를13 발전시켜13 왔다는13 점은13 부인할13 수13 없다 또13 다른13 견해는13

필리핀13 정치권에서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기지사용료가13 너무13 적다는13 이유도13 제시

되고13 있다24 필리핀13 상원의13 강력한13 반대13 움직임13 속에13 아키노13 대통령은13 이13

법안을13 국민투표에13 회부하는13 방안을13 추진하였지만13 무산되고13 결국은13 미군기

지협정의13 연장법안은13 년13 월13 일13 상원에서13 대13 로13 부결되었다1991 9 16 12 11

필리핀13 상원의13 이러한13 결정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년13 미국과13 맺은13 군 1947

사기지협정은13 자동적으로13 무효화되었으며13 필리핀에서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

쇄되고13 미군이13 더13 이상13 주둔하지13 않게13 되었다 미군은13 년13 말13 이전에13 필 1992

리핀의13 영토를13 떠나도록13 권고13 받았다 이러한13 점은13 상징적인13 측면이13 강하지

만13 필리핀은1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고13 볼13 수13 있다

미국의13 반응과13 입장13 (4)

필리핀에서의13 극적인13 변화에13 대해13 미국은13 어떤13 반응을13 보였으며13 기본13 입

장은13 무엇인가 미국은13 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13 이후13 필리핀의13 민주화13 운동과13

23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아키노13 상원의원은13 미군기지문제와13 관 1991 9 16 A1

련하여13 형수이자13 대통령이었던13 코라손13 아퀴노와13 극심한13 마찰과13 갈등을13 겪었다

24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벌인13 협상에서13 미국은13 필리핀에 1991 9 11 A3

게13 수빅만13 해군기지를13 사용하는13 대가로13 일년에13 억불을13 제공하기로13 합의하였다203

136 백태열

새로운13 정권의13 창출을13 고무적으로13 평가하였다 그러나13 동시에13 워싱턴은13 그곳

에서13 미군의13 기지와13 군대의13 철수문제 그리고13 지속적인13 반미운동의13 고조13 등

에13 대해13 깊은13 우려감을13 가졌다 특히13 군사기지협정의13 연장을13 앞13 둔13 시점에서13

미국정부의13 불안감은13 증대되었다 국무장관13 조지13 슐츠 는13 미 (George Shultz)

국은13 필리핀13 관리들과13 정치인들이13 기지연장을13 승인하지13 않을13 경우13 다른13 장소

를13 물색해야13 할지13 모른다는13 입장을13 밝혔다25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국내에서13

벌어지는13 반미운동이13 궁극적으로13 미군기지의13 철폐로13 연결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크게13 우려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필리핀13 상원의13 표결이13 있기13 전에13 미국정부는13

부결가능성을13 기대하고13 있었고13 이를13 위해13 직간접적으로13 필리핀정부에13 회유

와13 압력을13 가하였다

필리핀에서의13 결정은13 미국정부를13 크게13 실망시켰지만13 기지연장을13 둘러싼13

필리핀의13 정책결정과정에13 대해13 특별한13 영향력을13 행사할13 수13 없었다 미국은13

필리핀이13 기지연장13 협정을13 원하지13 않는다면13 이를13 수용하지13 않을13 수13 없다 미

국의13 기본13 입장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연장협정을13 지속하는13 것이었다 그13 이유는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와13 미군의13 주둔은13 년이13 넘은13 동안13 아시아에서13 방어적13 40

역할을13 충실히13 하였기13 때문이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결정은13 대

략13 가지13 파급효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다고13 보았다 첫째 년대13 말에13 냉전이13 2 1980

서서히13 종식되고13 있었지만13 미국은13 아시아에서의13 군사적13 임무와13 역할이13 여전

히13 필요하였다 따라서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의13 철수는13 안보적13 공백이13 발생할13

수13 있으며13 이로13 인한13 군사적13 전략변화가13 요구되고13 있기13 때문이다 둘째는13 간

접적13 파급효과이다 필리핀의13 미군기지13 철수가13 다른13 주둔지역13 특히13 한국과13

일본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기지의13 철수로13 연결될13 수13 있는13 파급효과를13 우려하

였다 반면에13 다른13 측면에서13 보면13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다소13 위안을13 찾을13

수13 있는13 부분도13 있다 필리핀은13 결코13 미국과의13 상호방위조약13 자체를13 폐기한13

것이13 아니기13 때문에13 향후13 양국의13 군사적13 동맹관계는13 유지될13 수13 있으며13 미국

의13 군사적13 영향력도13 어느13 정도13 유효할13 것이라는13 기대감을13 가졌다

25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88 6 17 p 7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7

이집트2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3 (1)

년13 영국의13 식민지에서13 벗어난13 이집트는13 국내외적으로13 커다란13 도전에13 1952

직면하였다 국내적으로13 정치세력간의13 권력투쟁으로13 불안한13 정국이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그13 과정에서13 군사13 쿠데타를13 통해13 실질적인13 권력을13 장악한13 나세르는13

아랍사회주의를13 표방하면서13 국정을13 운영하기13 시작하였다 대외적으로13 국제사

회에는13 이미13 냉전의13 열기가13 정점에13 올랐고13 그13 여파는13 중동에도13 도달하였다

이집트를13 둘러싼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복잡하게13 얽혀가고13 있었다 이와13 관련

하여13 주목할13 부분은13 미국과13 소련은13 중동지역에서13 패권경쟁을13 격화하고13 있었

다는13 점이다 소련은13 미국을13 견제하기13 위하여13 에13 버금가는13 지역안보 NATO

체제를13 구축하려고13 하였고13 이는13 바그다드13 조약 으로13 실현되고13 (Baghdad Pact)

있었다 미국은13 이집트를13 지역안보체제에13 끌어13 들이려는13 계획을13 갖고13 이집트

에13 접근하였다 마찬가지로13 소련은13 이집트와13 접한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중동지역에서의13 교두보를13 확보할13 수13 있다고13 판단하였다 미국과13 소련은13 이집

트가13 아프리카와13 중동을13 연결하는13 지역에13 위치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전략적13 가치

를13 중시하였고13 아랍세계의13 위상13 때문에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근을13 추구하는13 것이13

중요한13 목표중의13 하나였다

나세르가13 집권13 이후13 이집트가13 당면한13 최대13 현안은13 이스라엘과13 갈등과13 분

쟁이었다 년13 월13 이스라엘군대가13 이집트13 통제지역인13 가자해협의13 군사 1955 2

시설을13 공격하면서13 명이13 사망하는13 사건이13 일어났다 이스라엘의13 공격으로13 38

인해13 양국은13 본격적인13 대립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이집트는13 이러한13 상황에13 대처

하기13 위해13 자국의13 군사력의13 증강이13 무엇보다도13 절실한13 과제였다 이집트는13

처음에13 서방측에게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으나13 거부당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시도하였다 이집트가13 소련을13 선택한13 구체적인13 배경은13 무엇인

가 무엇보다도13 나세르는13 기본적으로13 반서방주의13 성향이13 강하였고13 당시의13 국

제정세로13 볼13 때13 이스라엘을13 지원하는13 영국과13 미국13 보다는13 소련에게13 무기를13

요청하는13 것이13 적합하다고13 판단하였다 년13 이집트는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1955

138 백태열

내세운13 소련과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26 이13 무기협정을13 통해13 사실상13 이집트

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어13 가는13 계기가13 되었고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주공급자가13 되었다 그러나13 이집트는13 소련과13 상호군사조

약을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나세르가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맹관계를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기13 때문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찰스13 크레멘

스 는13 (Charles Cremeans) ldquo군사공약이13 포함되지13 않는13 한13 이집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받을13 수13 있었고13 그리고13 필요하다면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는데13

발생할13 수13 있는13 위험을13 감수할13 준비가13 되었다고13 나세르는13 항상13 주장하였다rdquo고13 지적한다 나세르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공여13 받는13 것에13 부(1963 281)

담을13 느꼈던13 것은13 분명하다 그13 이유는13 자신이13 강력한13 비동맹노선을13 표방하

였고13 따라서13 소련과13 연계를13 통해13 의존의13 상황이13 형성되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기13

때문이었다 결국13 나세르는13 적어도13 집권초기에는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

맹관계13 혹은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려고13 하지13 않았다 그러나13 이스라엘의13 군

사적13 위협13 때문에13 이집트가13 무기를13 제공받기로13 한13 결정은13 불가피한13 선택이었

다 전후13 독립을13 획득한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신생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 3

의13 국방력은13 취약하였다 따라서13 이집트의13 대외적13 여건은13 군사대국인13 소련에

게13 자연스럽게13 군사적13 도움을13 요구하게13 되고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그러면13 소련의13 이집트의13 접근배경은13 무엇인가 무엇보다도13 모스크바는13 對

전후13 중동지역에서13 미국과의13 경쟁에서13 우위를13 선점하기13 위한13 목적을13 갖고13 있

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국과의13 냉전13 구도13 하에서13 중동에서의13 영향력

을13 확보하고13 상대적으로13 미국의13 접근을13 어렵게13 하기13 위해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

근을13 시도하였다 즉13 중동에서13 가능한13 많은13 우방국13 혹은13 동맹국을13 만드는13 작

업은13 미국과13 마찬가지로13 소련의13 대외정책의13 우선순위의13 하나였다 더13 나아가

서13 소련은13 이집트뿐만13 아니라13 중동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국가에13 대해13 접한13 관

계를13 구축하고자13 하였다 이러한13 주장은13 년대를13 거치면서13 소련이13 시리 1960

아 요르단13 등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고13 일련의13 군사협정을13 체결하였다는13 사실

에13 의해13 뒷받침13 된다 년13 월13 일13 소련13 외무성은13 1955 4 16 ldquo소련은13 근동13 및13 중

26 이13 협정을13 통해13 양국은13 억불의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45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9

동지역에서13 전개되는13 상황에13 무관심한13 채13 남아13 있을13 수13 없다 그13 이유는13 그13

지역에13 있는13 외국의13 군사기지시설과13 블록화13 현상은13 소련의13 안보에13 직접적인13

연관성이13 있기13 때문이다rdquo27는13 입장을13 표명하였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친 한13 관계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이해관계를13 둘러싸고13 더욱13

발전하게13 되었다 년13 월13 나세르는13 수에즈운하에13 대한13 국유화를13 선언하 1956 7

였고13 이러한13 결정에13 대해13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13 이집트를13 공격하였다 이

로13 인해13 제 차13 중동전쟁이13 발발하였다 운하를13 둘러싼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13 그2

리고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첨예하게13 얽혀있었다 제 차13 중동전쟁은13 이집트 2 -

소련의13 관계에서13 또13 다른13 분수령이13 되었다 년13 이집트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1960

완전한13 통제와13 관리를13 위해13 소련으로부터13 에스완13 댐13 건설비용13 억13 천13 달러3 5

를13 받기로13 결정하였다 그13 후13 이집트는13 다양한13 형태의13 지원을13 소련으로13 받기13

시작하였다 년13 월13 이집트를13 방문한13 후르시초프 서기장은13 1964 5 (Khrushchev)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억13 천 백만13 불을13 융자하겠다는13 발표를13 하였다2 7 7 28

이13 비용은13 이집트가13 년부터13 추진하는13 개년13 개발계획에13 사용될13 예정이1965 5

라고13 덧붙였다 이러한13 재정적13 지원을13 통해13 이집트는13 점진적으로13 의존하였고13

의존의13 내용은13 경제원조의13 영역으로13 확대되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년13 1966 5

월13 일13 소련13 수상13 알렉세이13 코시긴 은13 카이로에서13 가11 (Aleksei M Kosygin)

진13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미국의13 베트남13 공격을13 비난하면서13 ldquo양국의13 국민은13 평화 사회적13 전진 그리고13 사회주의를13 위한13 투쟁에서13 공동13 목적과13 이념으로13

함께13 협력13 한다rdquo고13 선언하였다29 양국의13 우호관계는13 점진적으로13 확대되었다

이집트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스라엘과의13 분쟁은13 여전히13 미해결된13 채13 남아13 있었

고13 소련으로부터13 추가적인13 군사지원은13 불가피하였다

년의13 차13 중동13 전쟁혹은13 일13 전쟁에서13 이집트는13 이스라엘에게13 참패1967 3 ( 6 )

한13 후13 시나이13 반도와13 가지지구13 등을13 빼앗기게13 되었다 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

로13 하여금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더욱13 필요하게13 되었고13 결과적으로13 군

27 Alvin Z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에서13 재인용

2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4 5 25 p 1

29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6 5 11 p 2

140 백태열

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월터13 라퀘르 는13 다음과13 같이13 설 (Walter Laqueur)

명13 한다(1972 62)

일13 전쟁은13 소련6 -이집트13 관계의13 이정표를13 기록하였다 그13 전쟁은13 분실되거

나13 혹은13 파괴된13 모든13 군사13 장비를13 빨리13 대체하기13 위한13 필요성13 때문에13 소련에13

대한13 이집트의13 종속을13 극적으로13 심화시켰고13 낫세르의13 요청에13 따라13 소련군hellip13 인이13 탑승한13 SAM- 과13 2 SAM- 로13 구성된13 거대한13 미사일13 방어체계가13 13 이집트3

에13 설치되었다 소련조종사들이13 이집트내의13 개의13 공군비행장에서13 전투임무 15

를13 갖고13 전투기를13 발진시켰다

이집트는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있어서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

기13 위하여13 소련의13 군사적13 지원을13 지속적으로13 받았다 특히13 년에13 발생한13 1967

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과정에서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위해13 간접적13 방식으로13 전6

쟁에13 개입하였다 소련의13 군사고문단이13 이집트에13 상주하면서13 막후에서13 이집

트에서13 전술적 전략적13 도움을13 제공하고13 협력했을13 가능성은13 상당히13 높다 30

년13 가을에13 발생한13 나세르의13 갑작스런13 죽음과13 함께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1970

사다트는13 나세르의13 이념적 정책적13 계승자였다 따라서13 그는13 적어도13 외형적

으로13 소련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고자13 하였다 그의13 선택은13 당연하였다 일13 6

전쟁은13 휴전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전쟁은13 언제든지13 다시13 발발할13 개연성이13 높았

고13 따라서13 군사력의13 보강은13 그의13 주된13 목표였다 그는13 년13 월13 모스크바 1971 3

를13 방문하여13 소련에13 대한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다 그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1971

년13 월13 일13 양국사이의13 우호조약으로13 발전되었다 이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자리7 28

에서13 사다트는13 ldquo우리국민은13 아랍-소련의13 우정을13 소중하게13 생각하며13 그리고13 진정으로13 아랍전체13 국가들은13 이13 우정을13 우리13 정책의13 가장13 중용한13 기초중의13

하나로13 간주13 한다rdquo 고13 역설하였다 31 양국은13 년의13 유효기간을13 설정하고13 우 15

30 년13 동안13 이집트의13 군복으로13 위장한13 소련군13 조종사들이13 이집트13 영공에서13 이스라1970

엘의13 공습에13 대항하여13 공중전투에13 참여하였다 이13 부분에13 대해서13 Craig A Daigle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을13 참 8(1) March p 3

31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1 5 28 p 2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1

호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에13 어떤13 의미를13 갖고13

있는가 이와13 관련하여13 두13 가지13 사항이13 언급될13 수13 있다 첫째 이집트는13 오래13 13

동안13 공식적인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것을13 주저하였다 그것은13 특정국가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이13 나세르와13 사다트의13 정치철학에13 위배된다고13 판단하였기13 때문

이다 그러나13 나세르의13 죽음과13 완결되지13 않은13 중동전쟁의13 상황을13 고려할13 때13

다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보다13 강화할13 필요성을13 느꼈기13 때문이다

둘째 이13 조약은13 사실상13 외형적으로13 상호13 협력13 및13 우호를13 강조하고13 있지만13

조약의13 세부적13 내용을13 면 히13 검토해13 보면13 사실상13 군사원조와13 무기지원을13 포

함한13 일방적13 방위조약의13 성격이13 강하다 따라서13 향후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방위공약의13 의무를13 갖게13 되고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은13 보다13 제도적13 성격

을13 갖게13 되었다

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상황(2) 對이집트1) -소련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우호13 조약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이집트가13 군사적으로13 소련에13 예속된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년13 월13 이집트와13 1955 9

체코의13 무기매매협정에서13 찾을13 수13 있다 이13 협정은13 사실상13 소련과13 이집트사

이에13 체결된13 것으로13 소련이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내세워13 체결하였다(Cremeans

이13 협정을13 통해13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무기를13 공여하기13 시작하였고13 1963 146)

이집트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는13 계기가13 되었다 년13 월13 일13 1971 5 27

이집트와13 소련의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the Egyptian-Soviet Treaty of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년13 양국의13 무기Friendship and Cooperation) 1955

협정이후13 체결되었다 이13 조약은13 전문을13 포함하여13 모두13 개13 조항으로13 구성 12

되었다 이13 조약의13 전문은13 ldquo소련과13 이집트는13 양국의13 발전을13 촉진하고13 모든13 부분에서의13 협력을13 확고하게13 강화할13 것을13 확신하며13 양국은13 평화로운13 외hellip13 교정책의13 변함없는13 진행에13 따라서13 보다13 강력한13 국제평화와13 안보를13 위한13 투쟁

을13 지속적으로13 수행13 할13 것을13 결의하며helliprdquo32로13 되어13 있다 이13 조약은13 년13 1955

년13 양국이13 맺은13 무기협정13 보다13 여러13 부분에서13 포괄적인13 교류와13 협력을13 강조

32 Julian J Landau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참조Communications p 165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16: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130 백태열

둔하였고13 전체13 미군의13 수는13 명이다13413 15 이와13 관련된13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13 기준을13 기준으로13 필리핀의13 모든13 미군기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병력은13 1988

명이다17870 16 년13 당시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의13 수는13 명의13 군인과13 1991 15000

명의13 군무원이13 주둔하고13 있었다1000

이러한13 군사기지의13 설치는13 앞서13 설명된13 양국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방위조약

에13 따른13 부수적13 결과일13 뿐이다 외군군대의13 주둔과13 군사기지의13 허용은13 종속

국의13 국방력이13 취약하다는13 반증이다 종속국은13 외국군대의13 도움이13 없이는13 자

국의13 안보상황을13 개선할13 수13 없다는13 것을13 의미하며13 이는13 군사적13 예속의13 또13 다

른13 측면이다 외국군대의13 기지와13 주둔군은13 해당국민과13 가장13 직접적인13 마찰과13

갈등을13 빚는13 부분이고13 법적 사회적 문제를13 가장13 많이13 야기시켰다

미국의13 필리핀13 무기13 공여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검증하기13 위하여13 사용되는13 또13 다른13 증거는13 군사장

비13 및13 무기의13 공여이다 피종속국은13 현실적으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자체적으

로13 개발하는데13 필요한13 기술력과13 경제력을13 결여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타국으로부

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유상으로13 혹은13 무상으로13 공여13 받는다 특히13 이러한13 무

기의13 지원으로13 인해13 보다13 심각한13 상황은13 특정한13 국가로부터13 무기지원을13 받는

다는13 점에서13 의존적13 성격을13 갖고13 있다는13 점이다 따라서13 피종속국이13 종속국

에게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하거나13 수출하지13 않을13 경우13 종속국의13 국가안보

는13 어려움을13 겪거나13 혹은13 심각한13 위험에13 직면할13 수도13 있다 필리핀의13 경우13

년대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군사장비와13 무기의13 대부분을13 공여13 받았다1950 17 이

와13 관련하여13 몇13 가지13 사례를13 들어13 보기로13 한다 필리핀은13 년대13 초부터13 1950

년까지13 미국으로부터13 다양한13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여13 받거나13 혹은13 구매1973

하였다 군사용13 비행기예를13 들면 ( Lockheed T-33 Gruman HU-16A

군사용13 선박예를13 들면 그Albatross) ( patrol boat Infantry landing craft)

리고13 장갑차 예를13 들면( M- 등이다4 Sherman) 18

15 United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p 145

16 이와13 관련된13 자료는13 김경숙13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13 참1988 10 p 76 「 」 985172 985173조

17 년대13 초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제외한13 일본 독일 호주 이탈1950 1970

리아13 등으로부터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미국의13 비중이13 압도적으로13 많았다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1

필리핀13 군인의13 미국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13 4)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종속국가의13 군인13 혹은13 영관급13 장교들이13 피

종속국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러한13 지표는13 종속국의13 군인

들의13 질적13 취약성에13 기초한다 종속국의13 군인들은13 안보와13 전쟁에13 필요한13 현

대식의13 훈련과13 전투능력을13 배양하지13 못했기13 때문에13 국가안보의13 문제와13 위기

가13 발생했을13 때13 적절하게13 대처할13 수13 있는13 있는13 군사적13 능력을13 갖추고13 있지13

못하다 이러한13 측면은13 종속국의13 군사력13 하락으로13 연결된다 필리핀군인들은13

의13 프로그램의13 후원13 IMET(International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하에13 미국본토13 혹은13 미국본토이외의13 군사훈련소에서13 군사훈련13 혹은13 교육을13

받았다 자료에13 따르면13 필리핀13 군인들은13 년부터13 년까지13 명이13 1950 1968 12217

훈련을13 받았다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부터13 년13 초까(Singer 1972 301) 1950 1980

지13 대략13 의13 필리핀13 군인들이13 미국의13 재정적13 지원13 하에13 미국의13 군사학17000

교와13 훈련소에13 훈련을13 받았음을13 보여준다19

간단히13 정리하면13 앞서13 제시된13 가지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살펴13 본13 결과13 4

필리핀은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되어13 있음을13 보여준다

필리핀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13 (3)

필리핀의13 정부지도자와13 국민들이13 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상태를13 타파해야13

한다는13 목소리를13 강화한13 것은13 마르코스13 대통령의13 독재정치가13 절정에13 달했을13

때였다 그의13 탄압과13 독재정치에13 대해13 많은13 필리핀국민들이13 저항하였고13 반마

르코스의13 열기가13 확대되었다 년에13 일어난13 필리핀의13 민중의13 혁명 1986

(Peoplersquo 은13 마르코스를13 권좌에13 내쫒았다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의존s Power)

의13 타파는13 사실상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와13 궤를13 같이13 한다 마르코스에13 대한13

비판은13 민주주의를13 강하게13 염원하게13 되었고13 동시에13 그의13 정권하에서13 오래13 동

안13 유지되었던13 필리핀-미국의13 동맹관계의13 실체를13 재평가하려는13 움직임으로13

빠르게13 전환되었다 년13 월13 코라손13 아퀴노 가13 대통령 1986 2 (Corazon Aquino)

18 이와13 관련하여13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참조Stockholm 1975 Sweden SIPRI pp 17-19

19 를13 참조httpIcweb2locgovcgi-binquery

132 백태열

에13 취임하면서13 필리핀에서는13 본격적으로13 미군의13 철수문제가13 공론화되기13 시

작하였다 필리핀국민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동맹체제로부터13 발생하는13 다양한13 불

이익과13 불편을13 종식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개시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추진력 은13 무엇인가 대략13 두13 가지13 요인(Driving force)

으로13 설명된다 첫13 번째는13 민족주의이다 민족주의는13 식민지13 상태에서13 해방

과13 독립을13 쟁취하기13 위한13 이데올로기로서13 작동하였고13 독립이후13 민족주의는13

외세의13 지배와13 간섭을13 배격하기13 위한13 무기로서13 전환된다 필리핀은13 스페인과13

미국의13 식민지를13 경험하면서13 강한13 민족주의를13 발전시켰다 살바도르13 마르티

네그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13 역사는13 세(Salvador Martineg) 16

기13 초에13 시작되어13 년대13 이래13 유지되었고13 년대에는13 클라로13 렉토13 등1950 1960

에13 의해13 활성화되었다20 결국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는13 반미주의와13 강하게13 연결

되어13 있으며13 이는13 미국의13 간섭과13 영향력을13 배제하고13 자국의13 자존심을13 회복하

려는13 노력으로13 승화되었다 동시에13 민족주의의13 열기는13 필리핀국민들에게13 미

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에서13 기인하는13 지배국의13 독선과13 횡포 그리고13 내정간섭에13

대한13 저항을13 강하게13 표출할13 수13 있는13 통로를13 제공하였다 두13 번째는13 주권과13

자주권의13 회복이다 주권과13 자주권은13 민족주의와13 깊은13 연관성을13 갖고13 있다

전후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유지하는데13 있어서13 국민적13 자존

심과13 주권이13 손상되었다는13 인식을13 강하게13 갖고13 있다 에드13 가르시아 (Ed

와13 프란시스코13 네멘쯔 는13 다음과13 같이13 지적한다13 Garcia) (Francisco Nemenz)

(Garcia and Nemenz 1987 4)

독립은13 단지13 자기13 확신의13 문제가13 아니다 국가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이13 아 hellip13 니라13 자주적13 행위자로서13 인식되어야13 한다 모든13 국제회의에서13 우리의13 독립을13

확인하기13 위하여13 용기를13 갖고13 노력하여13 왔다 그러나13 우리가13 실제적인13 독립을13

갖고13 있었을13 때조차도13 우리가13 제안을13 발의해도13 제 세계의13 대표들은13 그13 뒤에는13 3

미국이13 있다는13 점을13 의심하여13 왔다 이러한13 의미에서13 필리핀은13 자국의13 땅위에

서13 거대한13 군사기지를13 유지하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으로13 보여진다

20 이러한13 주장에13 대해서는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사Salvador Martineg 1983 「 」 985172상 월 을13 참조함5 pp 45-48 98517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3

그들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체계가13 필리핀의13 대

외정책에도13 부정적13 영향을13 미쳤음을13 암시하고13 있다 국제무대에서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의식하거나13 혹은13 미국의13 정책과13 보조를13 맞출13 수밖에13 없는13 상황을13 초

래했다고13 보고13 있다 이러한13 관점에13 대해13 일부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자국의13 주권

이나13 자주권이13 어느13 정도13 훼손되었다는13 생각을13 갖고13 있는13 것으로13 보인다 동

시에13 미군철수를13 둘러싼13 필리핀13 국민의13 반감은13 미국의13 마르코스13 체제에13 대한13

옹호에서13 기인하였다는13 점도13 지적될13 수13 있다 그들은13 마르코스13 집권이후13 필

리핀의13 인권상황이13 악화되고13 독재정치가13 유지되고13 있음에13 불구하고13 미국이13

이를13 개선하기13 위한13 적절한13 역할을13 하지13 못한13 것에13 대해13 깊은13 불신과13 반감을13

갖고13 있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13 국민들이13 미군철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를13 요구

하는13 보다13 현실적인13 이유들이13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필리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으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각종13 사회적13 문제와13

갈등이다 미군이13 주둔하고13 있는13 기지주변에서13 발생되는13 각종13 범죄 현지인

과13 미군사이의13 마찰13 등은13 외국군대를13 수용하고13 있는13 필리핀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군기지에13 대한13 반감과13 저항을13 일으킬13 수13 있다 둘째 필리핀13 국내에13 설치된13

핵무기이다 년대13 초에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핵무기가13 설치한13 것으로13 알려져13 1970

있으며13 년까지13 핵무기의13 수는13 대략13 정도에13 달하였다 년을13 기준1973 260 1985

으로13 미국은13 필리핀에13 개의13 핵무기를13 설치하였으며13 그중13 개는13 반잠수227 32

함13 핵폭탄이며13 개는13 해군용13 핵무기 그리고13 그밖에13 개의13 핵폭탄이13 있80 115

는13 것으로13 알려졌다21 핵무기의13 설치와13 사용의13 목적은13 아시아13 지역의13 군사

적13 충돌이나13 전쟁이13 발발할13 경우13 사용되기13 위함이며13 어떤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

는13 필리핀의13 안보를13 위한13 것이라기보다는13 미국의13 군사적13 목적을13 위해13 설치된13

것이다 미국이13 아시아에서13 전쟁을13 수행할13 경우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핵위협에13

노출되어13 있고13 이로13 인해13 여러13 가지13 피해가13 발생할13 수13 있다고13 보고13 핵무기의13

설치와13 시설에13 민감하지13 않을13 수밖에13 없다 이러한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일차적으

로13 공격의13 목표가13 되었던13 것은13 미군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이다

21 Ronald G Simbulan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1989 Manila Philippines

와13 을13 참고 이13 책에는13 필리핀의13 미국핵무기와13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p 78

관련된13 정보와13 내용이13 상세하게13 기록되어13 있음

134 백태열

그러면13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종료시키기13 위한13 구체적인13

움직임 조치 및13 정책은13 무엇인가 마르코스가13 축출당한13 이후인13 년13 월 1986 2

부터13 년대13 초까지13 필리핀의13 국내13 상황은13 급박하게13 돌아가고13 있었다 이1990

와13 관련하여13 가장13 주목을13 끄는13 점은13 년13 월13 일13 필리핀13 상원을13 통과한13 1988 6 6

ldquo반핵병기13 법rdquo이다 이13 법안은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기지와13 군사시설 그리고13 양

국동맹관계의13 근간을13 흔들13 수13 있을13 만큼13 강력한13 내용을13 담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이13 법안의13 조는13 금지행위에13 관한13 것으로13 5 ldquo어떤13 사람도13 운송이나13 하역을13 불문하고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과13 그13 구성부분을13 필리핀13 영역내로13 가지고13

들어오거나13 또는13 소유 보유할13 수13 없다 필리핀13 군사기지13 내13 미합중국의13 기존13

군사13 설비를13 포함하여13 필리핀영역의13 상13 하 상공13 어느13 곳에서도13 본13 제 조13 4 1

항에13 해당하는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 구성부분13 및13 핵병기관련설비의13 개발 제

조 입수 실험 이용 도입 비축 보관을13 금지하며 helliprdquo22라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조항과13 함께13 다른13 조항13 역시13 필리핀에서의13 일체의13 핵무기13 개발 설치 비

축 보관 하역13 등을13 금지시키고13 있다 이13 법안의13 통과는13 필리핀 -미국의13 군사

동맹관계의13 분수령이13 된다 역시13 가장13 커다란13 시사점은13 미국은13 필리핀의13 영

토13 안에13 핵무기와13 관련된13 일체의13 접근이13 불허된다는13 점이며13 동시에13 필리핀의13

모든13 군사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가13 불가피하게13 되었다는13 점이다

년13 월13 미국과의13 군사기지협정을13 년13 연장하기13 위한13 법안이13 상원에13 1991 9 10

게류13 되었을13 때13 필리핀13 국내정세는13 극도로13 혼란스러웠다 이13 혼란의13 중심은13

미군13 기지를13 그대로13 유지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과13 법안을13 거부함으로써13 미군13 기

지를13 폐쇄해야13 한다는13 입장으로13 크게13 나뉘어져13 있었다 이13 협정의13 연장을13 찬

성하는13 집단의13 중심에는13 아키노13 대통령이13 있었다 아키노13 대통령은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쇄될13 경우13 양국관계의13 약화 경제13 투자의13 감소 그리고13 불안정

한13 국내13 상황13 등을13 크게13 우려하였다 무엇보다도13 필리핀13 정부는13 양국이13 오랫

동안13 여러13 부분에서13 구축된13 양국의13 군사적 외교적13 우호관계가13 크게13 악화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우려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13 상원은13 미국과13 협정을13 반대하는

데13 선두집단중의13 하나였다 상원의원들의13 상당수는13 민족주의13 정신이13 강한13 정

22 본13 법안의13 내용에13 관해서는13 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를13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5

치인들이었고13 미군은13 필리핀13 땅에서13 떠나가야13 한다고13 믿었다 미군기지13 임대

의13 연장13 법안의13 반대에13 대한13 보다13 구체적인13 이유는13 무엇인가 가장13 커다란13

이유는13 무엇보다도13 필리핀의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복원이었다 당시13 필리핀13

상원의원인13 아가피토13 아키노 는13 (Agapito Aquino) ldquo이13 투표는13 진정으로13 주권을13 갖고13 독립적인13 필리핀13 국민을13 위한13 것이며13 이13 투표는13 미국의13 조종끈에13 매

어진13 정치적13 청년기13 즉13 극심한13 종속을13 종식하기13 위한13 것이다rdquo23라고13 상원에

서13 역설하였다 종속타파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종속타파의13 견인적인13 메커니즘은13

이론적13 검토에서13 제시된13 것처럼13 역시13 주권의13 회복과13 민족적13 자존심의13 회복이

다 필리핀13 정치인들의13 판단과13 요구가13 대다수13 모든13 필리핀13 국민들의13 견해와13

동일하다고13 볼13 수13 없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협정13 그리고13 상

호방위조약에서13 기인하는13 다양한13 폐해를13 인식하고13 있으며13 미군은13 철수되어

야13 한다는13 공감대를13 발전시켜13 왔다는13 점은13 부인할13 수13 없다 또13 다른13 견해는13

필리핀13 정치권에서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기지사용료가13 너무13 적다는13 이유도13 제시

되고13 있다24 필리핀13 상원의13 강력한13 반대13 움직임13 속에13 아키노13 대통령은13 이13

법안을13 국민투표에13 회부하는13 방안을13 추진하였지만13 무산되고13 결국은13 미군기

지협정의13 연장법안은13 년13 월13 일13 상원에서13 대13 로13 부결되었다1991 9 16 12 11

필리핀13 상원의13 이러한13 결정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년13 미국과13 맺은13 군 1947

사기지협정은13 자동적으로13 무효화되었으며13 필리핀에서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

쇄되고13 미군이13 더13 이상13 주둔하지13 않게13 되었다 미군은13 년13 말13 이전에13 필 1992

리핀의13 영토를13 떠나도록13 권고13 받았다 이러한13 점은13 상징적인13 측면이13 강하지

만13 필리핀은1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고13 볼13 수13 있다

미국의13 반응과13 입장13 (4)

필리핀에서의13 극적인13 변화에13 대해13 미국은13 어떤13 반응을13 보였으며13 기본13 입

장은13 무엇인가 미국은13 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13 이후13 필리핀의13 민주화13 운동과13

23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아키노13 상원의원은13 미군기지문제와13 관 1991 9 16 A1

련하여13 형수이자13 대통령이었던13 코라손13 아퀴노와13 극심한13 마찰과13 갈등을13 겪었다

24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벌인13 협상에서13 미국은13 필리핀에 1991 9 11 A3

게13 수빅만13 해군기지를13 사용하는13 대가로13 일년에13 억불을13 제공하기로13 합의하였다203

136 백태열

새로운13 정권의13 창출을13 고무적으로13 평가하였다 그러나13 동시에13 워싱턴은13 그곳

에서13 미군의13 기지와13 군대의13 철수문제 그리고13 지속적인13 반미운동의13 고조13 등

에13 대해13 깊은13 우려감을13 가졌다 특히13 군사기지협정의13 연장을13 앞13 둔13 시점에서13

미국정부의13 불안감은13 증대되었다 국무장관13 조지13 슐츠 는13 미 (George Shultz)

국은13 필리핀13 관리들과13 정치인들이13 기지연장을13 승인하지13 않을13 경우13 다른13 장소

를13 물색해야13 할지13 모른다는13 입장을13 밝혔다25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국내에서13

벌어지는13 반미운동이13 궁극적으로13 미군기지의13 철폐로13 연결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크게13 우려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필리핀13 상원의13 표결이13 있기13 전에13 미국정부는13

부결가능성을13 기대하고13 있었고13 이를13 위해13 직간접적으로13 필리핀정부에13 회유

와13 압력을13 가하였다

필리핀에서의13 결정은13 미국정부를13 크게13 실망시켰지만13 기지연장을13 둘러싼13

필리핀의13 정책결정과정에13 대해13 특별한13 영향력을13 행사할13 수13 없었다 미국은13

필리핀이13 기지연장13 협정을13 원하지13 않는다면13 이를13 수용하지13 않을13 수13 없다 미

국의13 기본13 입장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연장협정을13 지속하는13 것이었다 그13 이유는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와13 미군의13 주둔은13 년이13 넘은13 동안13 아시아에서13 방어적13 40

역할을13 충실히13 하였기13 때문이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결정은13 대

략13 가지13 파급효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다고13 보았다 첫째 년대13 말에13 냉전이13 2 1980

서서히13 종식되고13 있었지만13 미국은13 아시아에서의13 군사적13 임무와13 역할이13 여전

히13 필요하였다 따라서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의13 철수는13 안보적13 공백이13 발생할13

수13 있으며13 이로13 인한13 군사적13 전략변화가13 요구되고13 있기13 때문이다 둘째는13 간

접적13 파급효과이다 필리핀의13 미군기지13 철수가13 다른13 주둔지역13 특히13 한국과13

일본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기지의13 철수로13 연결될13 수13 있는13 파급효과를13 우려하

였다 반면에13 다른13 측면에서13 보면13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다소13 위안을13 찾을13

수13 있는13 부분도13 있다 필리핀은13 결코13 미국과의13 상호방위조약13 자체를13 폐기한13

것이13 아니기13 때문에13 향후13 양국의13 군사적13 동맹관계는13 유지될13 수13 있으며13 미국

의13 군사적13 영향력도13 어느13 정도13 유효할13 것이라는13 기대감을13 가졌다

25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88 6 17 p 7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7

이집트2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3 (1)

년13 영국의13 식민지에서13 벗어난13 이집트는13 국내외적으로13 커다란13 도전에13 1952

직면하였다 국내적으로13 정치세력간의13 권력투쟁으로13 불안한13 정국이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그13 과정에서13 군사13 쿠데타를13 통해13 실질적인13 권력을13 장악한13 나세르는13

아랍사회주의를13 표방하면서13 국정을13 운영하기13 시작하였다 대외적으로13 국제사

회에는13 이미13 냉전의13 열기가13 정점에13 올랐고13 그13 여파는13 중동에도13 도달하였다

이집트를13 둘러싼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복잡하게13 얽혀가고13 있었다 이와13 관련

하여13 주목할13 부분은13 미국과13 소련은13 중동지역에서13 패권경쟁을13 격화하고13 있었

다는13 점이다 소련은13 미국을13 견제하기13 위하여13 에13 버금가는13 지역안보 NATO

체제를13 구축하려고13 하였고13 이는13 바그다드13 조약 으로13 실현되고13 (Baghdad Pact)

있었다 미국은13 이집트를13 지역안보체제에13 끌어13 들이려는13 계획을13 갖고13 이집트

에13 접근하였다 마찬가지로13 소련은13 이집트와13 접한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중동지역에서의13 교두보를13 확보할13 수13 있다고13 판단하였다 미국과13 소련은13 이집

트가13 아프리카와13 중동을13 연결하는13 지역에13 위치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전략적13 가치

를13 중시하였고13 아랍세계의13 위상13 때문에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근을13 추구하는13 것이13

중요한13 목표중의13 하나였다

나세르가13 집권13 이후13 이집트가13 당면한13 최대13 현안은13 이스라엘과13 갈등과13 분

쟁이었다 년13 월13 이스라엘군대가13 이집트13 통제지역인13 가자해협의13 군사 1955 2

시설을13 공격하면서13 명이13 사망하는13 사건이13 일어났다 이스라엘의13 공격으로13 38

인해13 양국은13 본격적인13 대립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이집트는13 이러한13 상황에13 대처

하기13 위해13 자국의13 군사력의13 증강이13 무엇보다도13 절실한13 과제였다 이집트는13

처음에13 서방측에게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으나13 거부당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시도하였다 이집트가13 소련을13 선택한13 구체적인13 배경은13 무엇인

가 무엇보다도13 나세르는13 기본적으로13 반서방주의13 성향이13 강하였고13 당시의13 국

제정세로13 볼13 때13 이스라엘을13 지원하는13 영국과13 미국13 보다는13 소련에게13 무기를13

요청하는13 것이13 적합하다고13 판단하였다 년13 이집트는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1955

138 백태열

내세운13 소련과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26 이13 무기협정을13 통해13 사실상13 이집트

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어13 가는13 계기가13 되었고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주공급자가13 되었다 그러나13 이집트는13 소련과13 상호군사조

약을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나세르가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맹관계를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기13 때문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찰스13 크레멘

스 는13 (Charles Cremeans) ldquo군사공약이13 포함되지13 않는13 한13 이집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받을13 수13 있었고13 그리고13 필요하다면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는데13

발생할13 수13 있는13 위험을13 감수할13 준비가13 되었다고13 나세르는13 항상13 주장하였다rdquo고13 지적한다 나세르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공여13 받는13 것에13 부(1963 281)

담을13 느꼈던13 것은13 분명하다 그13 이유는13 자신이13 강력한13 비동맹노선을13 표방하

였고13 따라서13 소련과13 연계를13 통해13 의존의13 상황이13 형성되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기13

때문이었다 결국13 나세르는13 적어도13 집권초기에는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

맹관계13 혹은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려고13 하지13 않았다 그러나13 이스라엘의13 군

사적13 위협13 때문에13 이집트가13 무기를13 제공받기로13 한13 결정은13 불가피한13 선택이었

다 전후13 독립을13 획득한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신생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 3

의13 국방력은13 취약하였다 따라서13 이집트의13 대외적13 여건은13 군사대국인13 소련에

게13 자연스럽게13 군사적13 도움을13 요구하게13 되고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그러면13 소련의13 이집트의13 접근배경은13 무엇인가 무엇보다도13 모스크바는13 對

전후13 중동지역에서13 미국과의13 경쟁에서13 우위를13 선점하기13 위한13 목적을13 갖고13 있

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국과의13 냉전13 구도13 하에서13 중동에서의13 영향력

을13 확보하고13 상대적으로13 미국의13 접근을13 어렵게13 하기13 위해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

근을13 시도하였다 즉13 중동에서13 가능한13 많은13 우방국13 혹은13 동맹국을13 만드는13 작

업은13 미국과13 마찬가지로13 소련의13 대외정책의13 우선순위의13 하나였다 더13 나아가

서13 소련은13 이집트뿐만13 아니라13 중동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국가에13 대해13 접한13 관

계를13 구축하고자13 하였다 이러한13 주장은13 년대를13 거치면서13 소련이13 시리 1960

아 요르단13 등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고13 일련의13 군사협정을13 체결하였다는13 사실

에13 의해13 뒷받침13 된다 년13 월13 일13 소련13 외무성은13 1955 4 16 ldquo소련은13 근동13 및13 중

26 이13 협정을13 통해13 양국은13 억불의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45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9

동지역에서13 전개되는13 상황에13 무관심한13 채13 남아13 있을13 수13 없다 그13 이유는13 그13

지역에13 있는13 외국의13 군사기지시설과13 블록화13 현상은13 소련의13 안보에13 직접적인13

연관성이13 있기13 때문이다rdquo27는13 입장을13 표명하였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친 한13 관계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이해관계를13 둘러싸고13 더욱13

발전하게13 되었다 년13 월13 나세르는13 수에즈운하에13 대한13 국유화를13 선언하 1956 7

였고13 이러한13 결정에13 대해13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13 이집트를13 공격하였다 이

로13 인해13 제 차13 중동전쟁이13 발발하였다 운하를13 둘러싼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13 그2

리고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첨예하게13 얽혀있었다 제 차13 중동전쟁은13 이집트 2 -

소련의13 관계에서13 또13 다른13 분수령이13 되었다 년13 이집트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1960

완전한13 통제와13 관리를13 위해13 소련으로부터13 에스완13 댐13 건설비용13 억13 천13 달러3 5

를13 받기로13 결정하였다 그13 후13 이집트는13 다양한13 형태의13 지원을13 소련으로13 받기13

시작하였다 년13 월13 이집트를13 방문한13 후르시초프 서기장은13 1964 5 (Khrushchev)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억13 천 백만13 불을13 융자하겠다는13 발표를13 하였다2 7 7 28

이13 비용은13 이집트가13 년부터13 추진하는13 개년13 개발계획에13 사용될13 예정이1965 5

라고13 덧붙였다 이러한13 재정적13 지원을13 통해13 이집트는13 점진적으로13 의존하였고13

의존의13 내용은13 경제원조의13 영역으로13 확대되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년13 1966 5

월13 일13 소련13 수상13 알렉세이13 코시긴 은13 카이로에서13 가11 (Aleksei M Kosygin)

진13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미국의13 베트남13 공격을13 비난하면서13 ldquo양국의13 국민은13 평화 사회적13 전진 그리고13 사회주의를13 위한13 투쟁에서13 공동13 목적과13 이념으로13

함께13 협력13 한다rdquo고13 선언하였다29 양국의13 우호관계는13 점진적으로13 확대되었다

이집트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스라엘과의13 분쟁은13 여전히13 미해결된13 채13 남아13 있었

고13 소련으로부터13 추가적인13 군사지원은13 불가피하였다

년의13 차13 중동13 전쟁혹은13 일13 전쟁에서13 이집트는13 이스라엘에게13 참패1967 3 ( 6 )

한13 후13 시나이13 반도와13 가지지구13 등을13 빼앗기게13 되었다 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

로13 하여금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더욱13 필요하게13 되었고13 결과적으로13 군

27 Alvin Z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에서13 재인용

2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4 5 25 p 1

29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6 5 11 p 2

140 백태열

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월터13 라퀘르 는13 다음과13 같이13 설 (Walter Laqueur)

명13 한다(1972 62)

일13 전쟁은13 소련6 -이집트13 관계의13 이정표를13 기록하였다 그13 전쟁은13 분실되거

나13 혹은13 파괴된13 모든13 군사13 장비를13 빨리13 대체하기13 위한13 필요성13 때문에13 소련에13

대한13 이집트의13 종속을13 극적으로13 심화시켰고13 낫세르의13 요청에13 따라13 소련군hellip13 인이13 탑승한13 SAM- 과13 2 SAM- 로13 구성된13 거대한13 미사일13 방어체계가13 13 이집트3

에13 설치되었다 소련조종사들이13 이집트내의13 개의13 공군비행장에서13 전투임무 15

를13 갖고13 전투기를13 발진시켰다

이집트는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있어서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

기13 위하여13 소련의13 군사적13 지원을13 지속적으로13 받았다 특히13 년에13 발생한13 1967

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과정에서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위해13 간접적13 방식으로13 전6

쟁에13 개입하였다 소련의13 군사고문단이13 이집트에13 상주하면서13 막후에서13 이집

트에서13 전술적 전략적13 도움을13 제공하고13 협력했을13 가능성은13 상당히13 높다 30

년13 가을에13 발생한13 나세르의13 갑작스런13 죽음과13 함께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1970

사다트는13 나세르의13 이념적 정책적13 계승자였다 따라서13 그는13 적어도13 외형적

으로13 소련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고자13 하였다 그의13 선택은13 당연하였다 일13 6

전쟁은13 휴전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전쟁은13 언제든지13 다시13 발발할13 개연성이13 높았

고13 따라서13 군사력의13 보강은13 그의13 주된13 목표였다 그는13 년13 월13 모스크바 1971 3

를13 방문하여13 소련에13 대한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다 그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1971

년13 월13 일13 양국사이의13 우호조약으로13 발전되었다 이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자리7 28

에서13 사다트는13 ldquo우리국민은13 아랍-소련의13 우정을13 소중하게13 생각하며13 그리고13 진정으로13 아랍전체13 국가들은13 이13 우정을13 우리13 정책의13 가장13 중용한13 기초중의13

하나로13 간주13 한다rdquo 고13 역설하였다 31 양국은13 년의13 유효기간을13 설정하고13 우 15

30 년13 동안13 이집트의13 군복으로13 위장한13 소련군13 조종사들이13 이집트13 영공에서13 이스라1970

엘의13 공습에13 대항하여13 공중전투에13 참여하였다 이13 부분에13 대해서13 Craig A Daigle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을13 참 8(1) March p 3

31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1 5 28 p 2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1

호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에13 어떤13 의미를13 갖고13

있는가 이와13 관련하여13 두13 가지13 사항이13 언급될13 수13 있다 첫째 이집트는13 오래13 13

동안13 공식적인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것을13 주저하였다 그것은13 특정국가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이13 나세르와13 사다트의13 정치철학에13 위배된다고13 판단하였기13 때문

이다 그러나13 나세르의13 죽음과13 완결되지13 않은13 중동전쟁의13 상황을13 고려할13 때13

다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보다13 강화할13 필요성을13 느꼈기13 때문이다

둘째 이13 조약은13 사실상13 외형적으로13 상호13 협력13 및13 우호를13 강조하고13 있지만13

조약의13 세부적13 내용을13 면 히13 검토해13 보면13 사실상13 군사원조와13 무기지원을13 포

함한13 일방적13 방위조약의13 성격이13 강하다 따라서13 향후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방위공약의13 의무를13 갖게13 되고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은13 보다13 제도적13 성격

을13 갖게13 되었다

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상황(2) 對이집트1) -소련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우호13 조약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이집트가13 군사적으로13 소련에13 예속된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년13 월13 이집트와13 1955 9

체코의13 무기매매협정에서13 찾을13 수13 있다 이13 협정은13 사실상13 소련과13 이집트사

이에13 체결된13 것으로13 소련이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내세워13 체결하였다(Cremeans

이13 협정을13 통해13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무기를13 공여하기13 시작하였고13 1963 146)

이집트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는13 계기가13 되었다 년13 월13 일13 1971 5 27

이집트와13 소련의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the Egyptian-Soviet Treaty of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년13 양국의13 무기Friendship and Cooperation) 1955

협정이후13 체결되었다 이13 조약은13 전문을13 포함하여13 모두13 개13 조항으로13 구성 12

되었다 이13 조약의13 전문은13 ldquo소련과13 이집트는13 양국의13 발전을13 촉진하고13 모든13 부분에서의13 협력을13 확고하게13 강화할13 것을13 확신하며13 양국은13 평화로운13 외hellip13 교정책의13 변함없는13 진행에13 따라서13 보다13 강력한13 국제평화와13 안보를13 위한13 투쟁

을13 지속적으로13 수행13 할13 것을13 결의하며helliprdquo32로13 되어13 있다 이13 조약은13 년13 1955

년13 양국이13 맺은13 무기협정13 보다13 여러13 부분에서13 포괄적인13 교류와13 협력을13 강조

32 Julian J Landau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참조Communications p 165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17: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1

필리핀13 군인의13 미국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13 4)

군사적13 종속의13 또13 다른13 지표는13 종속국가의13 군인13 혹은13 영관급13 장교들이13 피

종속국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는가13 하는13 점이다 이러한13 지표는13 종속국의13 군인

들의13 질적13 취약성에13 기초한다 종속국의13 군인들은13 안보와13 전쟁에13 필요한13 현

대식의13 훈련과13 전투능력을13 배양하지13 못했기13 때문에13 국가안보의13 문제와13 위기

가13 발생했을13 때13 적절하게13 대처할13 수13 있는13 있는13 군사적13 능력을13 갖추고13 있지13

못하다 이러한13 측면은13 종속국의13 군사력13 하락으로13 연결된다 필리핀군인들은13

의13 프로그램의13 후원13 IMET(International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하에13 미국본토13 혹은13 미국본토이외의13 군사훈련소에서13 군사훈련13 혹은13 교육을13

받았다 자료에13 따르면13 필리핀13 군인들은13 년부터13 년까지13 명이13 1950 1968 12217

훈련을13 받았다 또13 다른13 자료는13 년부터13 년13 초까(Singer 1972 301) 1950 1980

지13 대략13 의13 필리핀13 군인들이13 미국의13 재정적13 지원13 하에13 미국의13 군사학17000

교와13 훈련소에13 훈련을13 받았음을13 보여준다19

간단히13 정리하면13 앞서13 제시된13 가지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살펴13 본13 결과13 4

필리핀은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되어13 있음을13 보여준다

필리핀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13 (3)

필리핀의13 정부지도자와13 국민들이13 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상태를13 타파해야13

한다는13 목소리를13 강화한13 것은13 마르코스13 대통령의13 독재정치가13 절정에13 달했을13

때였다 그의13 탄압과13 독재정치에13 대해13 많은13 필리핀국민들이13 저항하였고13 반마

르코스의13 열기가13 확대되었다 년에13 일어난13 필리핀의13 민중의13 혁명 1986

(Peoplersquo 은13 마르코스를13 권좌에13 내쫒았다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의존s Power)

의13 타파는13 사실상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와13 궤를13 같이13 한다 마르코스에13 대한13

비판은13 민주주의를13 강하게13 염원하게13 되었고13 동시에13 그의13 정권하에서13 오래13 동

안13 유지되었던13 필리핀-미국의13 동맹관계의13 실체를13 재평가하려는13 움직임으로13

빠르게13 전환되었다 년13 월13 코라손13 아퀴노 가13 대통령 1986 2 (Corazon Aquino)

18 이와13 관련하여13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참조Stockholm 1975 Sweden SIPRI pp 17-19

19 를13 참조httpIcweb2locgovcgi-binquery

132 백태열

에13 취임하면서13 필리핀에서는13 본격적으로13 미군의13 철수문제가13 공론화되기13 시

작하였다 필리핀국민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동맹체제로부터13 발생하는13 다양한13 불

이익과13 불편을13 종식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개시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추진력 은13 무엇인가 대략13 두13 가지13 요인(Driving force)

으로13 설명된다 첫13 번째는13 민족주의이다 민족주의는13 식민지13 상태에서13 해방

과13 독립을13 쟁취하기13 위한13 이데올로기로서13 작동하였고13 독립이후13 민족주의는13

외세의13 지배와13 간섭을13 배격하기13 위한13 무기로서13 전환된다 필리핀은13 스페인과13

미국의13 식민지를13 경험하면서13 강한13 민족주의를13 발전시켰다 살바도르13 마르티

네그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13 역사는13 세(Salvador Martineg) 16

기13 초에13 시작되어13 년대13 이래13 유지되었고13 년대에는13 클라로13 렉토13 등1950 1960

에13 의해13 활성화되었다20 결국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는13 반미주의와13 강하게13 연결

되어13 있으며13 이는13 미국의13 간섭과13 영향력을13 배제하고13 자국의13 자존심을13 회복하

려는13 노력으로13 승화되었다 동시에13 민족주의의13 열기는13 필리핀국민들에게13 미

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에서13 기인하는13 지배국의13 독선과13 횡포 그리고13 내정간섭에13

대한13 저항을13 강하게13 표출할13 수13 있는13 통로를13 제공하였다 두13 번째는13 주권과13

자주권의13 회복이다 주권과13 자주권은13 민족주의와13 깊은13 연관성을13 갖고13 있다

전후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유지하는데13 있어서13 국민적13 자존

심과13 주권이13 손상되었다는13 인식을13 강하게13 갖고13 있다 에드13 가르시아 (Ed

와13 프란시스코13 네멘쯔 는13 다음과13 같이13 지적한다13 Garcia) (Francisco Nemenz)

(Garcia and Nemenz 1987 4)

독립은13 단지13 자기13 확신의13 문제가13 아니다 국가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이13 아 hellip13 니라13 자주적13 행위자로서13 인식되어야13 한다 모든13 국제회의에서13 우리의13 독립을13

확인하기13 위하여13 용기를13 갖고13 노력하여13 왔다 그러나13 우리가13 실제적인13 독립을13

갖고13 있었을13 때조차도13 우리가13 제안을13 발의해도13 제 세계의13 대표들은13 그13 뒤에는13 3

미국이13 있다는13 점을13 의심하여13 왔다 이러한13 의미에서13 필리핀은13 자국의13 땅위에

서13 거대한13 군사기지를13 유지하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으로13 보여진다

20 이러한13 주장에13 대해서는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사Salvador Martineg 1983 「 」 985172상 월 을13 참조함5 pp 45-48 98517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3

그들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체계가13 필리핀의13 대

외정책에도13 부정적13 영향을13 미쳤음을13 암시하고13 있다 국제무대에서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의식하거나13 혹은13 미국의13 정책과13 보조를13 맞출13 수밖에13 없는13 상황을13 초

래했다고13 보고13 있다 이러한13 관점에13 대해13 일부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자국의13 주권

이나13 자주권이13 어느13 정도13 훼손되었다는13 생각을13 갖고13 있는13 것으로13 보인다 동

시에13 미군철수를13 둘러싼13 필리핀13 국민의13 반감은13 미국의13 마르코스13 체제에13 대한13

옹호에서13 기인하였다는13 점도13 지적될13 수13 있다 그들은13 마르코스13 집권이후13 필

리핀의13 인권상황이13 악화되고13 독재정치가13 유지되고13 있음에13 불구하고13 미국이13

이를13 개선하기13 위한13 적절한13 역할을13 하지13 못한13 것에13 대해13 깊은13 불신과13 반감을13

갖고13 있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13 국민들이13 미군철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를13 요구

하는13 보다13 현실적인13 이유들이13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필리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으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각종13 사회적13 문제와13

갈등이다 미군이13 주둔하고13 있는13 기지주변에서13 발생되는13 각종13 범죄 현지인

과13 미군사이의13 마찰13 등은13 외국군대를13 수용하고13 있는13 필리핀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군기지에13 대한13 반감과13 저항을13 일으킬13 수13 있다 둘째 필리핀13 국내에13 설치된13

핵무기이다 년대13 초에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핵무기가13 설치한13 것으로13 알려져13 1970

있으며13 년까지13 핵무기의13 수는13 대략13 정도에13 달하였다 년을13 기준1973 260 1985

으로13 미국은13 필리핀에13 개의13 핵무기를13 설치하였으며13 그중13 개는13 반잠수227 32

함13 핵폭탄이며13 개는13 해군용13 핵무기 그리고13 그밖에13 개의13 핵폭탄이13 있80 115

는13 것으로13 알려졌다21 핵무기의13 설치와13 사용의13 목적은13 아시아13 지역의13 군사

적13 충돌이나13 전쟁이13 발발할13 경우13 사용되기13 위함이며13 어떤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

는13 필리핀의13 안보를13 위한13 것이라기보다는13 미국의13 군사적13 목적을13 위해13 설치된13

것이다 미국이13 아시아에서13 전쟁을13 수행할13 경우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핵위협에13

노출되어13 있고13 이로13 인해13 여러13 가지13 피해가13 발생할13 수13 있다고13 보고13 핵무기의13

설치와13 시설에13 민감하지13 않을13 수밖에13 없다 이러한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일차적으

로13 공격의13 목표가13 되었던13 것은13 미군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이다

21 Ronald G Simbulan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1989 Manila Philippines

와13 을13 참고 이13 책에는13 필리핀의13 미국핵무기와13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p 78

관련된13 정보와13 내용이13 상세하게13 기록되어13 있음

134 백태열

그러면13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종료시키기13 위한13 구체적인13

움직임 조치 및13 정책은13 무엇인가 마르코스가13 축출당한13 이후인13 년13 월 1986 2

부터13 년대13 초까지13 필리핀의13 국내13 상황은13 급박하게13 돌아가고13 있었다 이1990

와13 관련하여13 가장13 주목을13 끄는13 점은13 년13 월13 일13 필리핀13 상원을13 통과한13 1988 6 6

ldquo반핵병기13 법rdquo이다 이13 법안은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기지와13 군사시설 그리고13 양

국동맹관계의13 근간을13 흔들13 수13 있을13 만큼13 강력한13 내용을13 담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이13 법안의13 조는13 금지행위에13 관한13 것으로13 5 ldquo어떤13 사람도13 운송이나13 하역을13 불문하고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과13 그13 구성부분을13 필리핀13 영역내로13 가지고13

들어오거나13 또는13 소유 보유할13 수13 없다 필리핀13 군사기지13 내13 미합중국의13 기존13

군사13 설비를13 포함하여13 필리핀영역의13 상13 하 상공13 어느13 곳에서도13 본13 제 조13 4 1

항에13 해당하는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 구성부분13 및13 핵병기관련설비의13 개발 제

조 입수 실험 이용 도입 비축 보관을13 금지하며 helliprdquo22라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조항과13 함께13 다른13 조항13 역시13 필리핀에서의13 일체의13 핵무기13 개발 설치 비

축 보관 하역13 등을13 금지시키고13 있다 이13 법안의13 통과는13 필리핀 -미국의13 군사

동맹관계의13 분수령이13 된다 역시13 가장13 커다란13 시사점은13 미국은13 필리핀의13 영

토13 안에13 핵무기와13 관련된13 일체의13 접근이13 불허된다는13 점이며13 동시에13 필리핀의13

모든13 군사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가13 불가피하게13 되었다는13 점이다

년13 월13 미국과의13 군사기지협정을13 년13 연장하기13 위한13 법안이13 상원에13 1991 9 10

게류13 되었을13 때13 필리핀13 국내정세는13 극도로13 혼란스러웠다 이13 혼란의13 중심은13

미군13 기지를13 그대로13 유지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과13 법안을13 거부함으로써13 미군13 기

지를13 폐쇄해야13 한다는13 입장으로13 크게13 나뉘어져13 있었다 이13 협정의13 연장을13 찬

성하는13 집단의13 중심에는13 아키노13 대통령이13 있었다 아키노13 대통령은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쇄될13 경우13 양국관계의13 약화 경제13 투자의13 감소 그리고13 불안정

한13 국내13 상황13 등을13 크게13 우려하였다 무엇보다도13 필리핀13 정부는13 양국이13 오랫

동안13 여러13 부분에서13 구축된13 양국의13 군사적 외교적13 우호관계가13 크게13 악화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우려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13 상원은13 미국과13 협정을13 반대하는

데13 선두집단중의13 하나였다 상원의원들의13 상당수는13 민족주의13 정신이13 강한13 정

22 본13 법안의13 내용에13 관해서는13 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를13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5

치인들이었고13 미군은13 필리핀13 땅에서13 떠나가야13 한다고13 믿었다 미군기지13 임대

의13 연장13 법안의13 반대에13 대한13 보다13 구체적인13 이유는13 무엇인가 가장13 커다란13

이유는13 무엇보다도13 필리핀의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복원이었다 당시13 필리핀13

상원의원인13 아가피토13 아키노 는13 (Agapito Aquino) ldquo이13 투표는13 진정으로13 주권을13 갖고13 독립적인13 필리핀13 국민을13 위한13 것이며13 이13 투표는13 미국의13 조종끈에13 매

어진13 정치적13 청년기13 즉13 극심한13 종속을13 종식하기13 위한13 것이다rdquo23라고13 상원에

서13 역설하였다 종속타파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종속타파의13 견인적인13 메커니즘은13

이론적13 검토에서13 제시된13 것처럼13 역시13 주권의13 회복과13 민족적13 자존심의13 회복이

다 필리핀13 정치인들의13 판단과13 요구가13 대다수13 모든13 필리핀13 국민들의13 견해와13

동일하다고13 볼13 수13 없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협정13 그리고13 상

호방위조약에서13 기인하는13 다양한13 폐해를13 인식하고13 있으며13 미군은13 철수되어

야13 한다는13 공감대를13 발전시켜13 왔다는13 점은13 부인할13 수13 없다 또13 다른13 견해는13

필리핀13 정치권에서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기지사용료가13 너무13 적다는13 이유도13 제시

되고13 있다24 필리핀13 상원의13 강력한13 반대13 움직임13 속에13 아키노13 대통령은13 이13

법안을13 국민투표에13 회부하는13 방안을13 추진하였지만13 무산되고13 결국은13 미군기

지협정의13 연장법안은13 년13 월13 일13 상원에서13 대13 로13 부결되었다1991 9 16 12 11

필리핀13 상원의13 이러한13 결정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년13 미국과13 맺은13 군 1947

사기지협정은13 자동적으로13 무효화되었으며13 필리핀에서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

쇄되고13 미군이13 더13 이상13 주둔하지13 않게13 되었다 미군은13 년13 말13 이전에13 필 1992

리핀의13 영토를13 떠나도록13 권고13 받았다 이러한13 점은13 상징적인13 측면이13 강하지

만13 필리핀은1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고13 볼13 수13 있다

미국의13 반응과13 입장13 (4)

필리핀에서의13 극적인13 변화에13 대해13 미국은13 어떤13 반응을13 보였으며13 기본13 입

장은13 무엇인가 미국은13 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13 이후13 필리핀의13 민주화13 운동과13

23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아키노13 상원의원은13 미군기지문제와13 관 1991 9 16 A1

련하여13 형수이자13 대통령이었던13 코라손13 아퀴노와13 극심한13 마찰과13 갈등을13 겪었다

24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벌인13 협상에서13 미국은13 필리핀에 1991 9 11 A3

게13 수빅만13 해군기지를13 사용하는13 대가로13 일년에13 억불을13 제공하기로13 합의하였다203

136 백태열

새로운13 정권의13 창출을13 고무적으로13 평가하였다 그러나13 동시에13 워싱턴은13 그곳

에서13 미군의13 기지와13 군대의13 철수문제 그리고13 지속적인13 반미운동의13 고조13 등

에13 대해13 깊은13 우려감을13 가졌다 특히13 군사기지협정의13 연장을13 앞13 둔13 시점에서13

미국정부의13 불안감은13 증대되었다 국무장관13 조지13 슐츠 는13 미 (George Shultz)

국은13 필리핀13 관리들과13 정치인들이13 기지연장을13 승인하지13 않을13 경우13 다른13 장소

를13 물색해야13 할지13 모른다는13 입장을13 밝혔다25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국내에서13

벌어지는13 반미운동이13 궁극적으로13 미군기지의13 철폐로13 연결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크게13 우려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필리핀13 상원의13 표결이13 있기13 전에13 미국정부는13

부결가능성을13 기대하고13 있었고13 이를13 위해13 직간접적으로13 필리핀정부에13 회유

와13 압력을13 가하였다

필리핀에서의13 결정은13 미국정부를13 크게13 실망시켰지만13 기지연장을13 둘러싼13

필리핀의13 정책결정과정에13 대해13 특별한13 영향력을13 행사할13 수13 없었다 미국은13

필리핀이13 기지연장13 협정을13 원하지13 않는다면13 이를13 수용하지13 않을13 수13 없다 미

국의13 기본13 입장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연장협정을13 지속하는13 것이었다 그13 이유는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와13 미군의13 주둔은13 년이13 넘은13 동안13 아시아에서13 방어적13 40

역할을13 충실히13 하였기13 때문이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결정은13 대

략13 가지13 파급효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다고13 보았다 첫째 년대13 말에13 냉전이13 2 1980

서서히13 종식되고13 있었지만13 미국은13 아시아에서의13 군사적13 임무와13 역할이13 여전

히13 필요하였다 따라서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의13 철수는13 안보적13 공백이13 발생할13

수13 있으며13 이로13 인한13 군사적13 전략변화가13 요구되고13 있기13 때문이다 둘째는13 간

접적13 파급효과이다 필리핀의13 미군기지13 철수가13 다른13 주둔지역13 특히13 한국과13

일본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기지의13 철수로13 연결될13 수13 있는13 파급효과를13 우려하

였다 반면에13 다른13 측면에서13 보면13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다소13 위안을13 찾을13

수13 있는13 부분도13 있다 필리핀은13 결코13 미국과의13 상호방위조약13 자체를13 폐기한13

것이13 아니기13 때문에13 향후13 양국의13 군사적13 동맹관계는13 유지될13 수13 있으며13 미국

의13 군사적13 영향력도13 어느13 정도13 유효할13 것이라는13 기대감을13 가졌다

25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88 6 17 p 7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7

이집트2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3 (1)

년13 영국의13 식민지에서13 벗어난13 이집트는13 국내외적으로13 커다란13 도전에13 1952

직면하였다 국내적으로13 정치세력간의13 권력투쟁으로13 불안한13 정국이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그13 과정에서13 군사13 쿠데타를13 통해13 실질적인13 권력을13 장악한13 나세르는13

아랍사회주의를13 표방하면서13 국정을13 운영하기13 시작하였다 대외적으로13 국제사

회에는13 이미13 냉전의13 열기가13 정점에13 올랐고13 그13 여파는13 중동에도13 도달하였다

이집트를13 둘러싼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복잡하게13 얽혀가고13 있었다 이와13 관련

하여13 주목할13 부분은13 미국과13 소련은13 중동지역에서13 패권경쟁을13 격화하고13 있었

다는13 점이다 소련은13 미국을13 견제하기13 위하여13 에13 버금가는13 지역안보 NATO

체제를13 구축하려고13 하였고13 이는13 바그다드13 조약 으로13 실현되고13 (Baghdad Pact)

있었다 미국은13 이집트를13 지역안보체제에13 끌어13 들이려는13 계획을13 갖고13 이집트

에13 접근하였다 마찬가지로13 소련은13 이집트와13 접한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중동지역에서의13 교두보를13 확보할13 수13 있다고13 판단하였다 미국과13 소련은13 이집

트가13 아프리카와13 중동을13 연결하는13 지역에13 위치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전략적13 가치

를13 중시하였고13 아랍세계의13 위상13 때문에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근을13 추구하는13 것이13

중요한13 목표중의13 하나였다

나세르가13 집권13 이후13 이집트가13 당면한13 최대13 현안은13 이스라엘과13 갈등과13 분

쟁이었다 년13 월13 이스라엘군대가13 이집트13 통제지역인13 가자해협의13 군사 1955 2

시설을13 공격하면서13 명이13 사망하는13 사건이13 일어났다 이스라엘의13 공격으로13 38

인해13 양국은13 본격적인13 대립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이집트는13 이러한13 상황에13 대처

하기13 위해13 자국의13 군사력의13 증강이13 무엇보다도13 절실한13 과제였다 이집트는13

처음에13 서방측에게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으나13 거부당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시도하였다 이집트가13 소련을13 선택한13 구체적인13 배경은13 무엇인

가 무엇보다도13 나세르는13 기본적으로13 반서방주의13 성향이13 강하였고13 당시의13 국

제정세로13 볼13 때13 이스라엘을13 지원하는13 영국과13 미국13 보다는13 소련에게13 무기를13

요청하는13 것이13 적합하다고13 판단하였다 년13 이집트는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1955

138 백태열

내세운13 소련과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26 이13 무기협정을13 통해13 사실상13 이집트

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어13 가는13 계기가13 되었고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주공급자가13 되었다 그러나13 이집트는13 소련과13 상호군사조

약을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나세르가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맹관계를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기13 때문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찰스13 크레멘

스 는13 (Charles Cremeans) ldquo군사공약이13 포함되지13 않는13 한13 이집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받을13 수13 있었고13 그리고13 필요하다면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는데13

발생할13 수13 있는13 위험을13 감수할13 준비가13 되었다고13 나세르는13 항상13 주장하였다rdquo고13 지적한다 나세르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공여13 받는13 것에13 부(1963 281)

담을13 느꼈던13 것은13 분명하다 그13 이유는13 자신이13 강력한13 비동맹노선을13 표방하

였고13 따라서13 소련과13 연계를13 통해13 의존의13 상황이13 형성되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기13

때문이었다 결국13 나세르는13 적어도13 집권초기에는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

맹관계13 혹은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려고13 하지13 않았다 그러나13 이스라엘의13 군

사적13 위협13 때문에13 이집트가13 무기를13 제공받기로13 한13 결정은13 불가피한13 선택이었

다 전후13 독립을13 획득한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신생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 3

의13 국방력은13 취약하였다 따라서13 이집트의13 대외적13 여건은13 군사대국인13 소련에

게13 자연스럽게13 군사적13 도움을13 요구하게13 되고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그러면13 소련의13 이집트의13 접근배경은13 무엇인가 무엇보다도13 모스크바는13 對

전후13 중동지역에서13 미국과의13 경쟁에서13 우위를13 선점하기13 위한13 목적을13 갖고13 있

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국과의13 냉전13 구도13 하에서13 중동에서의13 영향력

을13 확보하고13 상대적으로13 미국의13 접근을13 어렵게13 하기13 위해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

근을13 시도하였다 즉13 중동에서13 가능한13 많은13 우방국13 혹은13 동맹국을13 만드는13 작

업은13 미국과13 마찬가지로13 소련의13 대외정책의13 우선순위의13 하나였다 더13 나아가

서13 소련은13 이집트뿐만13 아니라13 중동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국가에13 대해13 접한13 관

계를13 구축하고자13 하였다 이러한13 주장은13 년대를13 거치면서13 소련이13 시리 1960

아 요르단13 등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고13 일련의13 군사협정을13 체결하였다는13 사실

에13 의해13 뒷받침13 된다 년13 월13 일13 소련13 외무성은13 1955 4 16 ldquo소련은13 근동13 및13 중

26 이13 협정을13 통해13 양국은13 억불의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45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9

동지역에서13 전개되는13 상황에13 무관심한13 채13 남아13 있을13 수13 없다 그13 이유는13 그13

지역에13 있는13 외국의13 군사기지시설과13 블록화13 현상은13 소련의13 안보에13 직접적인13

연관성이13 있기13 때문이다rdquo27는13 입장을13 표명하였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친 한13 관계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이해관계를13 둘러싸고13 더욱13

발전하게13 되었다 년13 월13 나세르는13 수에즈운하에13 대한13 국유화를13 선언하 1956 7

였고13 이러한13 결정에13 대해13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13 이집트를13 공격하였다 이

로13 인해13 제 차13 중동전쟁이13 발발하였다 운하를13 둘러싼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13 그2

리고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첨예하게13 얽혀있었다 제 차13 중동전쟁은13 이집트 2 -

소련의13 관계에서13 또13 다른13 분수령이13 되었다 년13 이집트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1960

완전한13 통제와13 관리를13 위해13 소련으로부터13 에스완13 댐13 건설비용13 억13 천13 달러3 5

를13 받기로13 결정하였다 그13 후13 이집트는13 다양한13 형태의13 지원을13 소련으로13 받기13

시작하였다 년13 월13 이집트를13 방문한13 후르시초프 서기장은13 1964 5 (Khrushchev)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억13 천 백만13 불을13 융자하겠다는13 발표를13 하였다2 7 7 28

이13 비용은13 이집트가13 년부터13 추진하는13 개년13 개발계획에13 사용될13 예정이1965 5

라고13 덧붙였다 이러한13 재정적13 지원을13 통해13 이집트는13 점진적으로13 의존하였고13

의존의13 내용은13 경제원조의13 영역으로13 확대되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년13 1966 5

월13 일13 소련13 수상13 알렉세이13 코시긴 은13 카이로에서13 가11 (Aleksei M Kosygin)

진13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미국의13 베트남13 공격을13 비난하면서13 ldquo양국의13 국민은13 평화 사회적13 전진 그리고13 사회주의를13 위한13 투쟁에서13 공동13 목적과13 이념으로13

함께13 협력13 한다rdquo고13 선언하였다29 양국의13 우호관계는13 점진적으로13 확대되었다

이집트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스라엘과의13 분쟁은13 여전히13 미해결된13 채13 남아13 있었

고13 소련으로부터13 추가적인13 군사지원은13 불가피하였다

년의13 차13 중동13 전쟁혹은13 일13 전쟁에서13 이집트는13 이스라엘에게13 참패1967 3 ( 6 )

한13 후13 시나이13 반도와13 가지지구13 등을13 빼앗기게13 되었다 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

로13 하여금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더욱13 필요하게13 되었고13 결과적으로13 군

27 Alvin Z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에서13 재인용

2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4 5 25 p 1

29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6 5 11 p 2

140 백태열

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월터13 라퀘르 는13 다음과13 같이13 설 (Walter Laqueur)

명13 한다(1972 62)

일13 전쟁은13 소련6 -이집트13 관계의13 이정표를13 기록하였다 그13 전쟁은13 분실되거

나13 혹은13 파괴된13 모든13 군사13 장비를13 빨리13 대체하기13 위한13 필요성13 때문에13 소련에13

대한13 이집트의13 종속을13 극적으로13 심화시켰고13 낫세르의13 요청에13 따라13 소련군hellip13 인이13 탑승한13 SAM- 과13 2 SAM- 로13 구성된13 거대한13 미사일13 방어체계가13 13 이집트3

에13 설치되었다 소련조종사들이13 이집트내의13 개의13 공군비행장에서13 전투임무 15

를13 갖고13 전투기를13 발진시켰다

이집트는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있어서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

기13 위하여13 소련의13 군사적13 지원을13 지속적으로13 받았다 특히13 년에13 발생한13 1967

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과정에서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위해13 간접적13 방식으로13 전6

쟁에13 개입하였다 소련의13 군사고문단이13 이집트에13 상주하면서13 막후에서13 이집

트에서13 전술적 전략적13 도움을13 제공하고13 협력했을13 가능성은13 상당히13 높다 30

년13 가을에13 발생한13 나세르의13 갑작스런13 죽음과13 함께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1970

사다트는13 나세르의13 이념적 정책적13 계승자였다 따라서13 그는13 적어도13 외형적

으로13 소련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고자13 하였다 그의13 선택은13 당연하였다 일13 6

전쟁은13 휴전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전쟁은13 언제든지13 다시13 발발할13 개연성이13 높았

고13 따라서13 군사력의13 보강은13 그의13 주된13 목표였다 그는13 년13 월13 모스크바 1971 3

를13 방문하여13 소련에13 대한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다 그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1971

년13 월13 일13 양국사이의13 우호조약으로13 발전되었다 이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자리7 28

에서13 사다트는13 ldquo우리국민은13 아랍-소련의13 우정을13 소중하게13 생각하며13 그리고13 진정으로13 아랍전체13 국가들은13 이13 우정을13 우리13 정책의13 가장13 중용한13 기초중의13

하나로13 간주13 한다rdquo 고13 역설하였다 31 양국은13 년의13 유효기간을13 설정하고13 우 15

30 년13 동안13 이집트의13 군복으로13 위장한13 소련군13 조종사들이13 이집트13 영공에서13 이스라1970

엘의13 공습에13 대항하여13 공중전투에13 참여하였다 이13 부분에13 대해서13 Craig A Daigle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을13 참 8(1) March p 3

31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1 5 28 p 2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1

호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에13 어떤13 의미를13 갖고13

있는가 이와13 관련하여13 두13 가지13 사항이13 언급될13 수13 있다 첫째 이집트는13 오래13 13

동안13 공식적인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것을13 주저하였다 그것은13 특정국가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이13 나세르와13 사다트의13 정치철학에13 위배된다고13 판단하였기13 때문

이다 그러나13 나세르의13 죽음과13 완결되지13 않은13 중동전쟁의13 상황을13 고려할13 때13

다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보다13 강화할13 필요성을13 느꼈기13 때문이다

둘째 이13 조약은13 사실상13 외형적으로13 상호13 협력13 및13 우호를13 강조하고13 있지만13

조약의13 세부적13 내용을13 면 히13 검토해13 보면13 사실상13 군사원조와13 무기지원을13 포

함한13 일방적13 방위조약의13 성격이13 강하다 따라서13 향후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방위공약의13 의무를13 갖게13 되고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은13 보다13 제도적13 성격

을13 갖게13 되었다

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상황(2) 對이집트1) -소련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우호13 조약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이집트가13 군사적으로13 소련에13 예속된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년13 월13 이집트와13 1955 9

체코의13 무기매매협정에서13 찾을13 수13 있다 이13 협정은13 사실상13 소련과13 이집트사

이에13 체결된13 것으로13 소련이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내세워13 체결하였다(Cremeans

이13 협정을13 통해13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무기를13 공여하기13 시작하였고13 1963 146)

이집트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는13 계기가13 되었다 년13 월13 일13 1971 5 27

이집트와13 소련의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the Egyptian-Soviet Treaty of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년13 양국의13 무기Friendship and Cooperation) 1955

협정이후13 체결되었다 이13 조약은13 전문을13 포함하여13 모두13 개13 조항으로13 구성 12

되었다 이13 조약의13 전문은13 ldquo소련과13 이집트는13 양국의13 발전을13 촉진하고13 모든13 부분에서의13 협력을13 확고하게13 강화할13 것을13 확신하며13 양국은13 평화로운13 외hellip13 교정책의13 변함없는13 진행에13 따라서13 보다13 강력한13 국제평화와13 안보를13 위한13 투쟁

을13 지속적으로13 수행13 할13 것을13 결의하며helliprdquo32로13 되어13 있다 이13 조약은13 년13 1955

년13 양국이13 맺은13 무기협정13 보다13 여러13 부분에서13 포괄적인13 교류와13 협력을13 강조

32 Julian J Landau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참조Communications p 165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18: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132 백태열

에13 취임하면서13 필리핀에서는13 본격적으로13 미군의13 철수문제가13 공론화되기13 시

작하였다 필리핀국민들은13 미국과의13 군사동맹체제로부터13 발생하는13 다양한13 불

이익과13 불편을13 종식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개시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추진력 은13 무엇인가 대략13 두13 가지13 요인(Driving force)

으로13 설명된다 첫13 번째는13 민족주의이다 민족주의는13 식민지13 상태에서13 해방

과13 독립을13 쟁취하기13 위한13 이데올로기로서13 작동하였고13 독립이후13 민족주의는13

외세의13 지배와13 간섭을13 배격하기13 위한13 무기로서13 전환된다 필리핀은13 스페인과13

미국의13 식민지를13 경험하면서13 강한13 민족주의를13 발전시켰다 살바도르13 마르티

네그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13 역사는13 세(Salvador Martineg) 16

기13 초에13 시작되어13 년대13 이래13 유지되었고13 년대에는13 클라로13 렉토13 등1950 1960

에13 의해13 활성화되었다20 결국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는13 반미주의와13 강하게13 연결

되어13 있으며13 이는13 미국의13 간섭과13 영향력을13 배제하고13 자국의13 자존심을13 회복하

려는13 노력으로13 승화되었다 동시에13 민족주의의13 열기는13 필리핀국민들에게13 미

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에서13 기인하는13 지배국의13 독선과13 횡포 그리고13 내정간섭에13

대한13 저항을13 강하게13 표출할13 수13 있는13 통로를13 제공하였다 두13 번째는13 주권과13

자주권의13 회복이다 주권과13 자주권은13 민족주의와13 깊은13 연관성을13 갖고13 있다

전후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유지하는데13 있어서13 국민적13 자존

심과13 주권이13 손상되었다는13 인식을13 강하게13 갖고13 있다 에드13 가르시아 (Ed

와13 프란시스코13 네멘쯔 는13 다음과13 같이13 지적한다13 Garcia) (Francisco Nemenz)

(Garcia and Nemenz 1987 4)

독립은13 단지13 자기13 확신의13 문제가13 아니다 국가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이13 아 hellip13 니라13 자주적13 행위자로서13 인식되어야13 한다 모든13 국제회의에서13 우리의13 독립을13

확인하기13 위하여13 용기를13 갖고13 노력하여13 왔다 그러나13 우리가13 실제적인13 독립을13

갖고13 있었을13 때조차도13 우리가13 제안을13 발의해도13 제 세계의13 대표들은13 그13 뒤에는13 3

미국이13 있다는13 점을13 의심하여13 왔다 이러한13 의미에서13 필리핀은13 자국의13 땅위에

서13 거대한13 군사기지를13 유지하는13 강대국의13 저당품으로13 보여진다

20 이러한13 주장에13 대해서는13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사Salvador Martineg 1983 「 」 985172상 월 을13 참조함5 pp 45-48 98517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3

그들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체계가13 필리핀의13 대

외정책에도13 부정적13 영향을13 미쳤음을13 암시하고13 있다 국제무대에서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의식하거나13 혹은13 미국의13 정책과13 보조를13 맞출13 수밖에13 없는13 상황을13 초

래했다고13 보고13 있다 이러한13 관점에13 대해13 일부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자국의13 주권

이나13 자주권이13 어느13 정도13 훼손되었다는13 생각을13 갖고13 있는13 것으로13 보인다 동

시에13 미군철수를13 둘러싼13 필리핀13 국민의13 반감은13 미국의13 마르코스13 체제에13 대한13

옹호에서13 기인하였다는13 점도13 지적될13 수13 있다 그들은13 마르코스13 집권이후13 필

리핀의13 인권상황이13 악화되고13 독재정치가13 유지되고13 있음에13 불구하고13 미국이13

이를13 개선하기13 위한13 적절한13 역할을13 하지13 못한13 것에13 대해13 깊은13 불신과13 반감을13

갖고13 있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13 국민들이13 미군철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를13 요구

하는13 보다13 현실적인13 이유들이13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필리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으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각종13 사회적13 문제와13

갈등이다 미군이13 주둔하고13 있는13 기지주변에서13 발생되는13 각종13 범죄 현지인

과13 미군사이의13 마찰13 등은13 외국군대를13 수용하고13 있는13 필리핀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군기지에13 대한13 반감과13 저항을13 일으킬13 수13 있다 둘째 필리핀13 국내에13 설치된13

핵무기이다 년대13 초에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핵무기가13 설치한13 것으로13 알려져13 1970

있으며13 년까지13 핵무기의13 수는13 대략13 정도에13 달하였다 년을13 기준1973 260 1985

으로13 미국은13 필리핀에13 개의13 핵무기를13 설치하였으며13 그중13 개는13 반잠수227 32

함13 핵폭탄이며13 개는13 해군용13 핵무기 그리고13 그밖에13 개의13 핵폭탄이13 있80 115

는13 것으로13 알려졌다21 핵무기의13 설치와13 사용의13 목적은13 아시아13 지역의13 군사

적13 충돌이나13 전쟁이13 발발할13 경우13 사용되기13 위함이며13 어떤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

는13 필리핀의13 안보를13 위한13 것이라기보다는13 미국의13 군사적13 목적을13 위해13 설치된13

것이다 미국이13 아시아에서13 전쟁을13 수행할13 경우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핵위협에13

노출되어13 있고13 이로13 인해13 여러13 가지13 피해가13 발생할13 수13 있다고13 보고13 핵무기의13

설치와13 시설에13 민감하지13 않을13 수밖에13 없다 이러한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일차적으

로13 공격의13 목표가13 되었던13 것은13 미군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이다

21 Ronald G Simbulan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1989 Manila Philippines

와13 을13 참고 이13 책에는13 필리핀의13 미국핵무기와13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p 78

관련된13 정보와13 내용이13 상세하게13 기록되어13 있음

134 백태열

그러면13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종료시키기13 위한13 구체적인13

움직임 조치 및13 정책은13 무엇인가 마르코스가13 축출당한13 이후인13 년13 월 1986 2

부터13 년대13 초까지13 필리핀의13 국내13 상황은13 급박하게13 돌아가고13 있었다 이1990

와13 관련하여13 가장13 주목을13 끄는13 점은13 년13 월13 일13 필리핀13 상원을13 통과한13 1988 6 6

ldquo반핵병기13 법rdquo이다 이13 법안은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기지와13 군사시설 그리고13 양

국동맹관계의13 근간을13 흔들13 수13 있을13 만큼13 강력한13 내용을13 담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이13 법안의13 조는13 금지행위에13 관한13 것으로13 5 ldquo어떤13 사람도13 운송이나13 하역을13 불문하고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과13 그13 구성부분을13 필리핀13 영역내로13 가지고13

들어오거나13 또는13 소유 보유할13 수13 없다 필리핀13 군사기지13 내13 미합중국의13 기존13

군사13 설비를13 포함하여13 필리핀영역의13 상13 하 상공13 어느13 곳에서도13 본13 제 조13 4 1

항에13 해당하는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 구성부분13 및13 핵병기관련설비의13 개발 제

조 입수 실험 이용 도입 비축 보관을13 금지하며 helliprdquo22라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조항과13 함께13 다른13 조항13 역시13 필리핀에서의13 일체의13 핵무기13 개발 설치 비

축 보관 하역13 등을13 금지시키고13 있다 이13 법안의13 통과는13 필리핀 -미국의13 군사

동맹관계의13 분수령이13 된다 역시13 가장13 커다란13 시사점은13 미국은13 필리핀의13 영

토13 안에13 핵무기와13 관련된13 일체의13 접근이13 불허된다는13 점이며13 동시에13 필리핀의13

모든13 군사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가13 불가피하게13 되었다는13 점이다

년13 월13 미국과의13 군사기지협정을13 년13 연장하기13 위한13 법안이13 상원에13 1991 9 10

게류13 되었을13 때13 필리핀13 국내정세는13 극도로13 혼란스러웠다 이13 혼란의13 중심은13

미군13 기지를13 그대로13 유지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과13 법안을13 거부함으로써13 미군13 기

지를13 폐쇄해야13 한다는13 입장으로13 크게13 나뉘어져13 있었다 이13 협정의13 연장을13 찬

성하는13 집단의13 중심에는13 아키노13 대통령이13 있었다 아키노13 대통령은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쇄될13 경우13 양국관계의13 약화 경제13 투자의13 감소 그리고13 불안정

한13 국내13 상황13 등을13 크게13 우려하였다 무엇보다도13 필리핀13 정부는13 양국이13 오랫

동안13 여러13 부분에서13 구축된13 양국의13 군사적 외교적13 우호관계가13 크게13 악화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우려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13 상원은13 미국과13 협정을13 반대하는

데13 선두집단중의13 하나였다 상원의원들의13 상당수는13 민족주의13 정신이13 강한13 정

22 본13 법안의13 내용에13 관해서는13 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를13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5

치인들이었고13 미군은13 필리핀13 땅에서13 떠나가야13 한다고13 믿었다 미군기지13 임대

의13 연장13 법안의13 반대에13 대한13 보다13 구체적인13 이유는13 무엇인가 가장13 커다란13

이유는13 무엇보다도13 필리핀의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복원이었다 당시13 필리핀13

상원의원인13 아가피토13 아키노 는13 (Agapito Aquino) ldquo이13 투표는13 진정으로13 주권을13 갖고13 독립적인13 필리핀13 국민을13 위한13 것이며13 이13 투표는13 미국의13 조종끈에13 매

어진13 정치적13 청년기13 즉13 극심한13 종속을13 종식하기13 위한13 것이다rdquo23라고13 상원에

서13 역설하였다 종속타파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종속타파의13 견인적인13 메커니즘은13

이론적13 검토에서13 제시된13 것처럼13 역시13 주권의13 회복과13 민족적13 자존심의13 회복이

다 필리핀13 정치인들의13 판단과13 요구가13 대다수13 모든13 필리핀13 국민들의13 견해와13

동일하다고13 볼13 수13 없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협정13 그리고13 상

호방위조약에서13 기인하는13 다양한13 폐해를13 인식하고13 있으며13 미군은13 철수되어

야13 한다는13 공감대를13 발전시켜13 왔다는13 점은13 부인할13 수13 없다 또13 다른13 견해는13

필리핀13 정치권에서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기지사용료가13 너무13 적다는13 이유도13 제시

되고13 있다24 필리핀13 상원의13 강력한13 반대13 움직임13 속에13 아키노13 대통령은13 이13

법안을13 국민투표에13 회부하는13 방안을13 추진하였지만13 무산되고13 결국은13 미군기

지협정의13 연장법안은13 년13 월13 일13 상원에서13 대13 로13 부결되었다1991 9 16 12 11

필리핀13 상원의13 이러한13 결정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년13 미국과13 맺은13 군 1947

사기지협정은13 자동적으로13 무효화되었으며13 필리핀에서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

쇄되고13 미군이13 더13 이상13 주둔하지13 않게13 되었다 미군은13 년13 말13 이전에13 필 1992

리핀의13 영토를13 떠나도록13 권고13 받았다 이러한13 점은13 상징적인13 측면이13 강하지

만13 필리핀은1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고13 볼13 수13 있다

미국의13 반응과13 입장13 (4)

필리핀에서의13 극적인13 변화에13 대해13 미국은13 어떤13 반응을13 보였으며13 기본13 입

장은13 무엇인가 미국은13 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13 이후13 필리핀의13 민주화13 운동과13

23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아키노13 상원의원은13 미군기지문제와13 관 1991 9 16 A1

련하여13 형수이자13 대통령이었던13 코라손13 아퀴노와13 극심한13 마찰과13 갈등을13 겪었다

24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벌인13 협상에서13 미국은13 필리핀에 1991 9 11 A3

게13 수빅만13 해군기지를13 사용하는13 대가로13 일년에13 억불을13 제공하기로13 합의하였다203

136 백태열

새로운13 정권의13 창출을13 고무적으로13 평가하였다 그러나13 동시에13 워싱턴은13 그곳

에서13 미군의13 기지와13 군대의13 철수문제 그리고13 지속적인13 반미운동의13 고조13 등

에13 대해13 깊은13 우려감을13 가졌다 특히13 군사기지협정의13 연장을13 앞13 둔13 시점에서13

미국정부의13 불안감은13 증대되었다 국무장관13 조지13 슐츠 는13 미 (George Shultz)

국은13 필리핀13 관리들과13 정치인들이13 기지연장을13 승인하지13 않을13 경우13 다른13 장소

를13 물색해야13 할지13 모른다는13 입장을13 밝혔다25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국내에서13

벌어지는13 반미운동이13 궁극적으로13 미군기지의13 철폐로13 연결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크게13 우려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필리핀13 상원의13 표결이13 있기13 전에13 미국정부는13

부결가능성을13 기대하고13 있었고13 이를13 위해13 직간접적으로13 필리핀정부에13 회유

와13 압력을13 가하였다

필리핀에서의13 결정은13 미국정부를13 크게13 실망시켰지만13 기지연장을13 둘러싼13

필리핀의13 정책결정과정에13 대해13 특별한13 영향력을13 행사할13 수13 없었다 미국은13

필리핀이13 기지연장13 협정을13 원하지13 않는다면13 이를13 수용하지13 않을13 수13 없다 미

국의13 기본13 입장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연장협정을13 지속하는13 것이었다 그13 이유는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와13 미군의13 주둔은13 년이13 넘은13 동안13 아시아에서13 방어적13 40

역할을13 충실히13 하였기13 때문이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결정은13 대

략13 가지13 파급효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다고13 보았다 첫째 년대13 말에13 냉전이13 2 1980

서서히13 종식되고13 있었지만13 미국은13 아시아에서의13 군사적13 임무와13 역할이13 여전

히13 필요하였다 따라서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의13 철수는13 안보적13 공백이13 발생할13

수13 있으며13 이로13 인한13 군사적13 전략변화가13 요구되고13 있기13 때문이다 둘째는13 간

접적13 파급효과이다 필리핀의13 미군기지13 철수가13 다른13 주둔지역13 특히13 한국과13

일본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기지의13 철수로13 연결될13 수13 있는13 파급효과를13 우려하

였다 반면에13 다른13 측면에서13 보면13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다소13 위안을13 찾을13

수13 있는13 부분도13 있다 필리핀은13 결코13 미국과의13 상호방위조약13 자체를13 폐기한13

것이13 아니기13 때문에13 향후13 양국의13 군사적13 동맹관계는13 유지될13 수13 있으며13 미국

의13 군사적13 영향력도13 어느13 정도13 유효할13 것이라는13 기대감을13 가졌다

25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88 6 17 p 7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7

이집트2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3 (1)

년13 영국의13 식민지에서13 벗어난13 이집트는13 국내외적으로13 커다란13 도전에13 1952

직면하였다 국내적으로13 정치세력간의13 권력투쟁으로13 불안한13 정국이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그13 과정에서13 군사13 쿠데타를13 통해13 실질적인13 권력을13 장악한13 나세르는13

아랍사회주의를13 표방하면서13 국정을13 운영하기13 시작하였다 대외적으로13 국제사

회에는13 이미13 냉전의13 열기가13 정점에13 올랐고13 그13 여파는13 중동에도13 도달하였다

이집트를13 둘러싼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복잡하게13 얽혀가고13 있었다 이와13 관련

하여13 주목할13 부분은13 미국과13 소련은13 중동지역에서13 패권경쟁을13 격화하고13 있었

다는13 점이다 소련은13 미국을13 견제하기13 위하여13 에13 버금가는13 지역안보 NATO

체제를13 구축하려고13 하였고13 이는13 바그다드13 조약 으로13 실현되고13 (Baghdad Pact)

있었다 미국은13 이집트를13 지역안보체제에13 끌어13 들이려는13 계획을13 갖고13 이집트

에13 접근하였다 마찬가지로13 소련은13 이집트와13 접한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중동지역에서의13 교두보를13 확보할13 수13 있다고13 판단하였다 미국과13 소련은13 이집

트가13 아프리카와13 중동을13 연결하는13 지역에13 위치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전략적13 가치

를13 중시하였고13 아랍세계의13 위상13 때문에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근을13 추구하는13 것이13

중요한13 목표중의13 하나였다

나세르가13 집권13 이후13 이집트가13 당면한13 최대13 현안은13 이스라엘과13 갈등과13 분

쟁이었다 년13 월13 이스라엘군대가13 이집트13 통제지역인13 가자해협의13 군사 1955 2

시설을13 공격하면서13 명이13 사망하는13 사건이13 일어났다 이스라엘의13 공격으로13 38

인해13 양국은13 본격적인13 대립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이집트는13 이러한13 상황에13 대처

하기13 위해13 자국의13 군사력의13 증강이13 무엇보다도13 절실한13 과제였다 이집트는13

처음에13 서방측에게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으나13 거부당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시도하였다 이집트가13 소련을13 선택한13 구체적인13 배경은13 무엇인

가 무엇보다도13 나세르는13 기본적으로13 반서방주의13 성향이13 강하였고13 당시의13 국

제정세로13 볼13 때13 이스라엘을13 지원하는13 영국과13 미국13 보다는13 소련에게13 무기를13

요청하는13 것이13 적합하다고13 판단하였다 년13 이집트는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1955

138 백태열

내세운13 소련과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26 이13 무기협정을13 통해13 사실상13 이집트

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어13 가는13 계기가13 되었고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주공급자가13 되었다 그러나13 이집트는13 소련과13 상호군사조

약을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나세르가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맹관계를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기13 때문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찰스13 크레멘

스 는13 (Charles Cremeans) ldquo군사공약이13 포함되지13 않는13 한13 이집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받을13 수13 있었고13 그리고13 필요하다면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는데13

발생할13 수13 있는13 위험을13 감수할13 준비가13 되었다고13 나세르는13 항상13 주장하였다rdquo고13 지적한다 나세르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공여13 받는13 것에13 부(1963 281)

담을13 느꼈던13 것은13 분명하다 그13 이유는13 자신이13 강력한13 비동맹노선을13 표방하

였고13 따라서13 소련과13 연계를13 통해13 의존의13 상황이13 형성되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기13

때문이었다 결국13 나세르는13 적어도13 집권초기에는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

맹관계13 혹은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려고13 하지13 않았다 그러나13 이스라엘의13 군

사적13 위협13 때문에13 이집트가13 무기를13 제공받기로13 한13 결정은13 불가피한13 선택이었

다 전후13 독립을13 획득한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신생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 3

의13 국방력은13 취약하였다 따라서13 이집트의13 대외적13 여건은13 군사대국인13 소련에

게13 자연스럽게13 군사적13 도움을13 요구하게13 되고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그러면13 소련의13 이집트의13 접근배경은13 무엇인가 무엇보다도13 모스크바는13 對

전후13 중동지역에서13 미국과의13 경쟁에서13 우위를13 선점하기13 위한13 목적을13 갖고13 있

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국과의13 냉전13 구도13 하에서13 중동에서의13 영향력

을13 확보하고13 상대적으로13 미국의13 접근을13 어렵게13 하기13 위해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

근을13 시도하였다 즉13 중동에서13 가능한13 많은13 우방국13 혹은13 동맹국을13 만드는13 작

업은13 미국과13 마찬가지로13 소련의13 대외정책의13 우선순위의13 하나였다 더13 나아가

서13 소련은13 이집트뿐만13 아니라13 중동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국가에13 대해13 접한13 관

계를13 구축하고자13 하였다 이러한13 주장은13 년대를13 거치면서13 소련이13 시리 1960

아 요르단13 등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고13 일련의13 군사협정을13 체결하였다는13 사실

에13 의해13 뒷받침13 된다 년13 월13 일13 소련13 외무성은13 1955 4 16 ldquo소련은13 근동13 및13 중

26 이13 협정을13 통해13 양국은13 억불의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45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9

동지역에서13 전개되는13 상황에13 무관심한13 채13 남아13 있을13 수13 없다 그13 이유는13 그13

지역에13 있는13 외국의13 군사기지시설과13 블록화13 현상은13 소련의13 안보에13 직접적인13

연관성이13 있기13 때문이다rdquo27는13 입장을13 표명하였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친 한13 관계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이해관계를13 둘러싸고13 더욱13

발전하게13 되었다 년13 월13 나세르는13 수에즈운하에13 대한13 국유화를13 선언하 1956 7

였고13 이러한13 결정에13 대해13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13 이집트를13 공격하였다 이

로13 인해13 제 차13 중동전쟁이13 발발하였다 운하를13 둘러싼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13 그2

리고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첨예하게13 얽혀있었다 제 차13 중동전쟁은13 이집트 2 -

소련의13 관계에서13 또13 다른13 분수령이13 되었다 년13 이집트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1960

완전한13 통제와13 관리를13 위해13 소련으로부터13 에스완13 댐13 건설비용13 억13 천13 달러3 5

를13 받기로13 결정하였다 그13 후13 이집트는13 다양한13 형태의13 지원을13 소련으로13 받기13

시작하였다 년13 월13 이집트를13 방문한13 후르시초프 서기장은13 1964 5 (Khrushchev)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억13 천 백만13 불을13 융자하겠다는13 발표를13 하였다2 7 7 28

이13 비용은13 이집트가13 년부터13 추진하는13 개년13 개발계획에13 사용될13 예정이1965 5

라고13 덧붙였다 이러한13 재정적13 지원을13 통해13 이집트는13 점진적으로13 의존하였고13

의존의13 내용은13 경제원조의13 영역으로13 확대되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년13 1966 5

월13 일13 소련13 수상13 알렉세이13 코시긴 은13 카이로에서13 가11 (Aleksei M Kosygin)

진13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미국의13 베트남13 공격을13 비난하면서13 ldquo양국의13 국민은13 평화 사회적13 전진 그리고13 사회주의를13 위한13 투쟁에서13 공동13 목적과13 이념으로13

함께13 협력13 한다rdquo고13 선언하였다29 양국의13 우호관계는13 점진적으로13 확대되었다

이집트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스라엘과의13 분쟁은13 여전히13 미해결된13 채13 남아13 있었

고13 소련으로부터13 추가적인13 군사지원은13 불가피하였다

년의13 차13 중동13 전쟁혹은13 일13 전쟁에서13 이집트는13 이스라엘에게13 참패1967 3 ( 6 )

한13 후13 시나이13 반도와13 가지지구13 등을13 빼앗기게13 되었다 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

로13 하여금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더욱13 필요하게13 되었고13 결과적으로13 군

27 Alvin Z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에서13 재인용

2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4 5 25 p 1

29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6 5 11 p 2

140 백태열

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월터13 라퀘르 는13 다음과13 같이13 설 (Walter Laqueur)

명13 한다(1972 62)

일13 전쟁은13 소련6 -이집트13 관계의13 이정표를13 기록하였다 그13 전쟁은13 분실되거

나13 혹은13 파괴된13 모든13 군사13 장비를13 빨리13 대체하기13 위한13 필요성13 때문에13 소련에13

대한13 이집트의13 종속을13 극적으로13 심화시켰고13 낫세르의13 요청에13 따라13 소련군hellip13 인이13 탑승한13 SAM- 과13 2 SAM- 로13 구성된13 거대한13 미사일13 방어체계가13 13 이집트3

에13 설치되었다 소련조종사들이13 이집트내의13 개의13 공군비행장에서13 전투임무 15

를13 갖고13 전투기를13 발진시켰다

이집트는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있어서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

기13 위하여13 소련의13 군사적13 지원을13 지속적으로13 받았다 특히13 년에13 발생한13 1967

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과정에서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위해13 간접적13 방식으로13 전6

쟁에13 개입하였다 소련의13 군사고문단이13 이집트에13 상주하면서13 막후에서13 이집

트에서13 전술적 전략적13 도움을13 제공하고13 협력했을13 가능성은13 상당히13 높다 30

년13 가을에13 발생한13 나세르의13 갑작스런13 죽음과13 함께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1970

사다트는13 나세르의13 이념적 정책적13 계승자였다 따라서13 그는13 적어도13 외형적

으로13 소련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고자13 하였다 그의13 선택은13 당연하였다 일13 6

전쟁은13 휴전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전쟁은13 언제든지13 다시13 발발할13 개연성이13 높았

고13 따라서13 군사력의13 보강은13 그의13 주된13 목표였다 그는13 년13 월13 모스크바 1971 3

를13 방문하여13 소련에13 대한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다 그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1971

년13 월13 일13 양국사이의13 우호조약으로13 발전되었다 이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자리7 28

에서13 사다트는13 ldquo우리국민은13 아랍-소련의13 우정을13 소중하게13 생각하며13 그리고13 진정으로13 아랍전체13 국가들은13 이13 우정을13 우리13 정책의13 가장13 중용한13 기초중의13

하나로13 간주13 한다rdquo 고13 역설하였다 31 양국은13 년의13 유효기간을13 설정하고13 우 15

30 년13 동안13 이집트의13 군복으로13 위장한13 소련군13 조종사들이13 이집트13 영공에서13 이스라1970

엘의13 공습에13 대항하여13 공중전투에13 참여하였다 이13 부분에13 대해서13 Craig A Daigle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을13 참 8(1) March p 3

31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1 5 28 p 2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1

호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에13 어떤13 의미를13 갖고13

있는가 이와13 관련하여13 두13 가지13 사항이13 언급될13 수13 있다 첫째 이집트는13 오래13 13

동안13 공식적인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것을13 주저하였다 그것은13 특정국가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이13 나세르와13 사다트의13 정치철학에13 위배된다고13 판단하였기13 때문

이다 그러나13 나세르의13 죽음과13 완결되지13 않은13 중동전쟁의13 상황을13 고려할13 때13

다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보다13 강화할13 필요성을13 느꼈기13 때문이다

둘째 이13 조약은13 사실상13 외형적으로13 상호13 협력13 및13 우호를13 강조하고13 있지만13

조약의13 세부적13 내용을13 면 히13 검토해13 보면13 사실상13 군사원조와13 무기지원을13 포

함한13 일방적13 방위조약의13 성격이13 강하다 따라서13 향후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방위공약의13 의무를13 갖게13 되고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은13 보다13 제도적13 성격

을13 갖게13 되었다

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상황(2) 對이집트1) -소련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우호13 조약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이집트가13 군사적으로13 소련에13 예속된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년13 월13 이집트와13 1955 9

체코의13 무기매매협정에서13 찾을13 수13 있다 이13 협정은13 사실상13 소련과13 이집트사

이에13 체결된13 것으로13 소련이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내세워13 체결하였다(Cremeans

이13 협정을13 통해13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무기를13 공여하기13 시작하였고13 1963 146)

이집트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는13 계기가13 되었다 년13 월13 일13 1971 5 27

이집트와13 소련의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the Egyptian-Soviet Treaty of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년13 양국의13 무기Friendship and Cooperation) 1955

협정이후13 체결되었다 이13 조약은13 전문을13 포함하여13 모두13 개13 조항으로13 구성 12

되었다 이13 조약의13 전문은13 ldquo소련과13 이집트는13 양국의13 발전을13 촉진하고13 모든13 부분에서의13 협력을13 확고하게13 강화할13 것을13 확신하며13 양국은13 평화로운13 외hellip13 교정책의13 변함없는13 진행에13 따라서13 보다13 강력한13 국제평화와13 안보를13 위한13 투쟁

을13 지속적으로13 수행13 할13 것을13 결의하며helliprdquo32로13 되어13 있다 이13 조약은13 년13 1955

년13 양국이13 맺은13 무기협정13 보다13 여러13 부분에서13 포괄적인13 교류와13 협력을13 강조

32 Julian J Landau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참조Communications p 165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19: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3

그들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필리핀은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동맹체계가13 필리핀의13 대

외정책에도13 부정적13 영향을13 미쳤음을13 암시하고13 있다 국제무대에서13 필리핀은13

미국을13 의식하거나13 혹은13 미국의13 정책과13 보조를13 맞출13 수밖에13 없는13 상황을13 초

래했다고13 보고13 있다 이러한13 관점에13 대해13 일부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자국의13 주권

이나13 자주권이13 어느13 정도13 훼손되었다는13 생각을13 갖고13 있는13 것으로13 보인다 동

시에13 미군철수를13 둘러싼13 필리핀13 국민의13 반감은13 미국의13 마르코스13 체제에13 대한13

옹호에서13 기인하였다는13 점도13 지적될13 수13 있다 그들은13 마르코스13 집권이후13 필

리핀의13 인권상황이13 악화되고13 독재정치가13 유지되고13 있음에13 불구하고13 미국이13

이를13 개선하기13 위한13 적절한13 역할을13 하지13 못한13 것에13 대해13 깊은13 불신과13 반감을13

갖고13 있었다 그13 밖에도13 필리핀13 국민들이13 미군철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를13 요구

하는13 보다13 현실적인13 이유들이13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필리핀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으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각종13 사회적13 문제와13

갈등이다 미군이13 주둔하고13 있는13 기지주변에서13 발생되는13 각종13 범죄 현지인

과13 미군사이의13 마찰13 등은13 외국군대를13 수용하고13 있는13 필리핀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군기지에13 대한13 반감과13 저항을13 일으킬13 수13 있다 둘째 필리핀13 국내에13 설치된13

핵무기이다 년대13 초에13 미군은13 필리핀에13 핵무기가13 설치한13 것으로13 알려져13 1970

있으며13 년까지13 핵무기의13 수는13 대략13 정도에13 달하였다 년을13 기준1973 260 1985

으로13 미국은13 필리핀에13 개의13 핵무기를13 설치하였으며13 그중13 개는13 반잠수227 32

함13 핵폭탄이며13 개는13 해군용13 핵무기 그리고13 그밖에13 개의13 핵폭탄이13 있80 115

는13 것으로13 알려졌다21 핵무기의13 설치와13 사용의13 목적은13 아시아13 지역의13 군사

적13 충돌이나13 전쟁이13 발발할13 경우13 사용되기13 위함이며13 어떤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

는13 필리핀의13 안보를13 위한13 것이라기보다는13 미국의13 군사적13 목적을13 위해13 설치된13

것이다 미국이13 아시아에서13 전쟁을13 수행할13 경우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핵위협에13

노출되어13 있고13 이로13 인해13 여러13 가지13 피해가13 발생할13 수13 있다고13 보고13 핵무기의13

설치와13 시설에13 민감하지13 않을13 수밖에13 없다 이러한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일차적으

로13 공격의13 목표가13 되었던13 것은13 미군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이다

21 Ronald G Simbulan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1989 Manila Philippines

와13 을13 참고 이13 책에는13 필리핀의13 미국핵무기와13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p 78

관련된13 정보와13 내용이13 상세하게13 기록되어13 있음

134 백태열

그러면13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종료시키기13 위한13 구체적인13

움직임 조치 및13 정책은13 무엇인가 마르코스가13 축출당한13 이후인13 년13 월 1986 2

부터13 년대13 초까지13 필리핀의13 국내13 상황은13 급박하게13 돌아가고13 있었다 이1990

와13 관련하여13 가장13 주목을13 끄는13 점은13 년13 월13 일13 필리핀13 상원을13 통과한13 1988 6 6

ldquo반핵병기13 법rdquo이다 이13 법안은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기지와13 군사시설 그리고13 양

국동맹관계의13 근간을13 흔들13 수13 있을13 만큼13 강력한13 내용을13 담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이13 법안의13 조는13 금지행위에13 관한13 것으로13 5 ldquo어떤13 사람도13 운송이나13 하역을13 불문하고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과13 그13 구성부분을13 필리핀13 영역내로13 가지고13

들어오거나13 또는13 소유 보유할13 수13 없다 필리핀13 군사기지13 내13 미합중국의13 기존13

군사13 설비를13 포함하여13 필리핀영역의13 상13 하 상공13 어느13 곳에서도13 본13 제 조13 4 1

항에13 해당하는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 구성부분13 및13 핵병기관련설비의13 개발 제

조 입수 실험 이용 도입 비축 보관을13 금지하며 helliprdquo22라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조항과13 함께13 다른13 조항13 역시13 필리핀에서의13 일체의13 핵무기13 개발 설치 비

축 보관 하역13 등을13 금지시키고13 있다 이13 법안의13 통과는13 필리핀 -미국의13 군사

동맹관계의13 분수령이13 된다 역시13 가장13 커다란13 시사점은13 미국은13 필리핀의13 영

토13 안에13 핵무기와13 관련된13 일체의13 접근이13 불허된다는13 점이며13 동시에13 필리핀의13

모든13 군사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가13 불가피하게13 되었다는13 점이다

년13 월13 미국과의13 군사기지협정을13 년13 연장하기13 위한13 법안이13 상원에13 1991 9 10

게류13 되었을13 때13 필리핀13 국내정세는13 극도로13 혼란스러웠다 이13 혼란의13 중심은13

미군13 기지를13 그대로13 유지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과13 법안을13 거부함으로써13 미군13 기

지를13 폐쇄해야13 한다는13 입장으로13 크게13 나뉘어져13 있었다 이13 협정의13 연장을13 찬

성하는13 집단의13 중심에는13 아키노13 대통령이13 있었다 아키노13 대통령은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쇄될13 경우13 양국관계의13 약화 경제13 투자의13 감소 그리고13 불안정

한13 국내13 상황13 등을13 크게13 우려하였다 무엇보다도13 필리핀13 정부는13 양국이13 오랫

동안13 여러13 부분에서13 구축된13 양국의13 군사적 외교적13 우호관계가13 크게13 악화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우려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13 상원은13 미국과13 협정을13 반대하는

데13 선두집단중의13 하나였다 상원의원들의13 상당수는13 민족주의13 정신이13 강한13 정

22 본13 법안의13 내용에13 관해서는13 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를13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5

치인들이었고13 미군은13 필리핀13 땅에서13 떠나가야13 한다고13 믿었다 미군기지13 임대

의13 연장13 법안의13 반대에13 대한13 보다13 구체적인13 이유는13 무엇인가 가장13 커다란13

이유는13 무엇보다도13 필리핀의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복원이었다 당시13 필리핀13

상원의원인13 아가피토13 아키노 는13 (Agapito Aquino) ldquo이13 투표는13 진정으로13 주권을13 갖고13 독립적인13 필리핀13 국민을13 위한13 것이며13 이13 투표는13 미국의13 조종끈에13 매

어진13 정치적13 청년기13 즉13 극심한13 종속을13 종식하기13 위한13 것이다rdquo23라고13 상원에

서13 역설하였다 종속타파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종속타파의13 견인적인13 메커니즘은13

이론적13 검토에서13 제시된13 것처럼13 역시13 주권의13 회복과13 민족적13 자존심의13 회복이

다 필리핀13 정치인들의13 판단과13 요구가13 대다수13 모든13 필리핀13 국민들의13 견해와13

동일하다고13 볼13 수13 없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협정13 그리고13 상

호방위조약에서13 기인하는13 다양한13 폐해를13 인식하고13 있으며13 미군은13 철수되어

야13 한다는13 공감대를13 발전시켜13 왔다는13 점은13 부인할13 수13 없다 또13 다른13 견해는13

필리핀13 정치권에서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기지사용료가13 너무13 적다는13 이유도13 제시

되고13 있다24 필리핀13 상원의13 강력한13 반대13 움직임13 속에13 아키노13 대통령은13 이13

법안을13 국민투표에13 회부하는13 방안을13 추진하였지만13 무산되고13 결국은13 미군기

지협정의13 연장법안은13 년13 월13 일13 상원에서13 대13 로13 부결되었다1991 9 16 12 11

필리핀13 상원의13 이러한13 결정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년13 미국과13 맺은13 군 1947

사기지협정은13 자동적으로13 무효화되었으며13 필리핀에서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

쇄되고13 미군이13 더13 이상13 주둔하지13 않게13 되었다 미군은13 년13 말13 이전에13 필 1992

리핀의13 영토를13 떠나도록13 권고13 받았다 이러한13 점은13 상징적인13 측면이13 강하지

만13 필리핀은1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고13 볼13 수13 있다

미국의13 반응과13 입장13 (4)

필리핀에서의13 극적인13 변화에13 대해13 미국은13 어떤13 반응을13 보였으며13 기본13 입

장은13 무엇인가 미국은13 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13 이후13 필리핀의13 민주화13 운동과13

23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아키노13 상원의원은13 미군기지문제와13 관 1991 9 16 A1

련하여13 형수이자13 대통령이었던13 코라손13 아퀴노와13 극심한13 마찰과13 갈등을13 겪었다

24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벌인13 협상에서13 미국은13 필리핀에 1991 9 11 A3

게13 수빅만13 해군기지를13 사용하는13 대가로13 일년에13 억불을13 제공하기로13 합의하였다203

136 백태열

새로운13 정권의13 창출을13 고무적으로13 평가하였다 그러나13 동시에13 워싱턴은13 그곳

에서13 미군의13 기지와13 군대의13 철수문제 그리고13 지속적인13 반미운동의13 고조13 등

에13 대해13 깊은13 우려감을13 가졌다 특히13 군사기지협정의13 연장을13 앞13 둔13 시점에서13

미국정부의13 불안감은13 증대되었다 국무장관13 조지13 슐츠 는13 미 (George Shultz)

국은13 필리핀13 관리들과13 정치인들이13 기지연장을13 승인하지13 않을13 경우13 다른13 장소

를13 물색해야13 할지13 모른다는13 입장을13 밝혔다25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국내에서13

벌어지는13 반미운동이13 궁극적으로13 미군기지의13 철폐로13 연결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크게13 우려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필리핀13 상원의13 표결이13 있기13 전에13 미국정부는13

부결가능성을13 기대하고13 있었고13 이를13 위해13 직간접적으로13 필리핀정부에13 회유

와13 압력을13 가하였다

필리핀에서의13 결정은13 미국정부를13 크게13 실망시켰지만13 기지연장을13 둘러싼13

필리핀의13 정책결정과정에13 대해13 특별한13 영향력을13 행사할13 수13 없었다 미국은13

필리핀이13 기지연장13 협정을13 원하지13 않는다면13 이를13 수용하지13 않을13 수13 없다 미

국의13 기본13 입장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연장협정을13 지속하는13 것이었다 그13 이유는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와13 미군의13 주둔은13 년이13 넘은13 동안13 아시아에서13 방어적13 40

역할을13 충실히13 하였기13 때문이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결정은13 대

략13 가지13 파급효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다고13 보았다 첫째 년대13 말에13 냉전이13 2 1980

서서히13 종식되고13 있었지만13 미국은13 아시아에서의13 군사적13 임무와13 역할이13 여전

히13 필요하였다 따라서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의13 철수는13 안보적13 공백이13 발생할13

수13 있으며13 이로13 인한13 군사적13 전략변화가13 요구되고13 있기13 때문이다 둘째는13 간

접적13 파급효과이다 필리핀의13 미군기지13 철수가13 다른13 주둔지역13 특히13 한국과13

일본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기지의13 철수로13 연결될13 수13 있는13 파급효과를13 우려하

였다 반면에13 다른13 측면에서13 보면13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다소13 위안을13 찾을13

수13 있는13 부분도13 있다 필리핀은13 결코13 미국과의13 상호방위조약13 자체를13 폐기한13

것이13 아니기13 때문에13 향후13 양국의13 군사적13 동맹관계는13 유지될13 수13 있으며13 미국

의13 군사적13 영향력도13 어느13 정도13 유효할13 것이라는13 기대감을13 가졌다

25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88 6 17 p 7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7

이집트2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3 (1)

년13 영국의13 식민지에서13 벗어난13 이집트는13 국내외적으로13 커다란13 도전에13 1952

직면하였다 국내적으로13 정치세력간의13 권력투쟁으로13 불안한13 정국이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그13 과정에서13 군사13 쿠데타를13 통해13 실질적인13 권력을13 장악한13 나세르는13

아랍사회주의를13 표방하면서13 국정을13 운영하기13 시작하였다 대외적으로13 국제사

회에는13 이미13 냉전의13 열기가13 정점에13 올랐고13 그13 여파는13 중동에도13 도달하였다

이집트를13 둘러싼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복잡하게13 얽혀가고13 있었다 이와13 관련

하여13 주목할13 부분은13 미국과13 소련은13 중동지역에서13 패권경쟁을13 격화하고13 있었

다는13 점이다 소련은13 미국을13 견제하기13 위하여13 에13 버금가는13 지역안보 NATO

체제를13 구축하려고13 하였고13 이는13 바그다드13 조약 으로13 실현되고13 (Baghdad Pact)

있었다 미국은13 이집트를13 지역안보체제에13 끌어13 들이려는13 계획을13 갖고13 이집트

에13 접근하였다 마찬가지로13 소련은13 이집트와13 접한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중동지역에서의13 교두보를13 확보할13 수13 있다고13 판단하였다 미국과13 소련은13 이집

트가13 아프리카와13 중동을13 연결하는13 지역에13 위치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전략적13 가치

를13 중시하였고13 아랍세계의13 위상13 때문에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근을13 추구하는13 것이13

중요한13 목표중의13 하나였다

나세르가13 집권13 이후13 이집트가13 당면한13 최대13 현안은13 이스라엘과13 갈등과13 분

쟁이었다 년13 월13 이스라엘군대가13 이집트13 통제지역인13 가자해협의13 군사 1955 2

시설을13 공격하면서13 명이13 사망하는13 사건이13 일어났다 이스라엘의13 공격으로13 38

인해13 양국은13 본격적인13 대립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이집트는13 이러한13 상황에13 대처

하기13 위해13 자국의13 군사력의13 증강이13 무엇보다도13 절실한13 과제였다 이집트는13

처음에13 서방측에게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으나13 거부당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시도하였다 이집트가13 소련을13 선택한13 구체적인13 배경은13 무엇인

가 무엇보다도13 나세르는13 기본적으로13 반서방주의13 성향이13 강하였고13 당시의13 국

제정세로13 볼13 때13 이스라엘을13 지원하는13 영국과13 미국13 보다는13 소련에게13 무기를13

요청하는13 것이13 적합하다고13 판단하였다 년13 이집트는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1955

138 백태열

내세운13 소련과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26 이13 무기협정을13 통해13 사실상13 이집트

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어13 가는13 계기가13 되었고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주공급자가13 되었다 그러나13 이집트는13 소련과13 상호군사조

약을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나세르가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맹관계를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기13 때문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찰스13 크레멘

스 는13 (Charles Cremeans) ldquo군사공약이13 포함되지13 않는13 한13 이집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받을13 수13 있었고13 그리고13 필요하다면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는데13

발생할13 수13 있는13 위험을13 감수할13 준비가13 되었다고13 나세르는13 항상13 주장하였다rdquo고13 지적한다 나세르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공여13 받는13 것에13 부(1963 281)

담을13 느꼈던13 것은13 분명하다 그13 이유는13 자신이13 강력한13 비동맹노선을13 표방하

였고13 따라서13 소련과13 연계를13 통해13 의존의13 상황이13 형성되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기13

때문이었다 결국13 나세르는13 적어도13 집권초기에는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

맹관계13 혹은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려고13 하지13 않았다 그러나13 이스라엘의13 군

사적13 위협13 때문에13 이집트가13 무기를13 제공받기로13 한13 결정은13 불가피한13 선택이었

다 전후13 독립을13 획득한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신생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 3

의13 국방력은13 취약하였다 따라서13 이집트의13 대외적13 여건은13 군사대국인13 소련에

게13 자연스럽게13 군사적13 도움을13 요구하게13 되고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그러면13 소련의13 이집트의13 접근배경은13 무엇인가 무엇보다도13 모스크바는13 對

전후13 중동지역에서13 미국과의13 경쟁에서13 우위를13 선점하기13 위한13 목적을13 갖고13 있

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국과의13 냉전13 구도13 하에서13 중동에서의13 영향력

을13 확보하고13 상대적으로13 미국의13 접근을13 어렵게13 하기13 위해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

근을13 시도하였다 즉13 중동에서13 가능한13 많은13 우방국13 혹은13 동맹국을13 만드는13 작

업은13 미국과13 마찬가지로13 소련의13 대외정책의13 우선순위의13 하나였다 더13 나아가

서13 소련은13 이집트뿐만13 아니라13 중동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국가에13 대해13 접한13 관

계를13 구축하고자13 하였다 이러한13 주장은13 년대를13 거치면서13 소련이13 시리 1960

아 요르단13 등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고13 일련의13 군사협정을13 체결하였다는13 사실

에13 의해13 뒷받침13 된다 년13 월13 일13 소련13 외무성은13 1955 4 16 ldquo소련은13 근동13 및13 중

26 이13 협정을13 통해13 양국은13 억불의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45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9

동지역에서13 전개되는13 상황에13 무관심한13 채13 남아13 있을13 수13 없다 그13 이유는13 그13

지역에13 있는13 외국의13 군사기지시설과13 블록화13 현상은13 소련의13 안보에13 직접적인13

연관성이13 있기13 때문이다rdquo27는13 입장을13 표명하였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친 한13 관계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이해관계를13 둘러싸고13 더욱13

발전하게13 되었다 년13 월13 나세르는13 수에즈운하에13 대한13 국유화를13 선언하 1956 7

였고13 이러한13 결정에13 대해13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13 이집트를13 공격하였다 이

로13 인해13 제 차13 중동전쟁이13 발발하였다 운하를13 둘러싼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13 그2

리고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첨예하게13 얽혀있었다 제 차13 중동전쟁은13 이집트 2 -

소련의13 관계에서13 또13 다른13 분수령이13 되었다 년13 이집트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1960

완전한13 통제와13 관리를13 위해13 소련으로부터13 에스완13 댐13 건설비용13 억13 천13 달러3 5

를13 받기로13 결정하였다 그13 후13 이집트는13 다양한13 형태의13 지원을13 소련으로13 받기13

시작하였다 년13 월13 이집트를13 방문한13 후르시초프 서기장은13 1964 5 (Khrushchev)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억13 천 백만13 불을13 융자하겠다는13 발표를13 하였다2 7 7 28

이13 비용은13 이집트가13 년부터13 추진하는13 개년13 개발계획에13 사용될13 예정이1965 5

라고13 덧붙였다 이러한13 재정적13 지원을13 통해13 이집트는13 점진적으로13 의존하였고13

의존의13 내용은13 경제원조의13 영역으로13 확대되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년13 1966 5

월13 일13 소련13 수상13 알렉세이13 코시긴 은13 카이로에서13 가11 (Aleksei M Kosygin)

진13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미국의13 베트남13 공격을13 비난하면서13 ldquo양국의13 국민은13 평화 사회적13 전진 그리고13 사회주의를13 위한13 투쟁에서13 공동13 목적과13 이념으로13

함께13 협력13 한다rdquo고13 선언하였다29 양국의13 우호관계는13 점진적으로13 확대되었다

이집트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스라엘과의13 분쟁은13 여전히13 미해결된13 채13 남아13 있었

고13 소련으로부터13 추가적인13 군사지원은13 불가피하였다

년의13 차13 중동13 전쟁혹은13 일13 전쟁에서13 이집트는13 이스라엘에게13 참패1967 3 ( 6 )

한13 후13 시나이13 반도와13 가지지구13 등을13 빼앗기게13 되었다 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

로13 하여금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더욱13 필요하게13 되었고13 결과적으로13 군

27 Alvin Z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에서13 재인용

2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4 5 25 p 1

29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6 5 11 p 2

140 백태열

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월터13 라퀘르 는13 다음과13 같이13 설 (Walter Laqueur)

명13 한다(1972 62)

일13 전쟁은13 소련6 -이집트13 관계의13 이정표를13 기록하였다 그13 전쟁은13 분실되거

나13 혹은13 파괴된13 모든13 군사13 장비를13 빨리13 대체하기13 위한13 필요성13 때문에13 소련에13

대한13 이집트의13 종속을13 극적으로13 심화시켰고13 낫세르의13 요청에13 따라13 소련군hellip13 인이13 탑승한13 SAM- 과13 2 SAM- 로13 구성된13 거대한13 미사일13 방어체계가13 13 이집트3

에13 설치되었다 소련조종사들이13 이집트내의13 개의13 공군비행장에서13 전투임무 15

를13 갖고13 전투기를13 발진시켰다

이집트는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있어서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

기13 위하여13 소련의13 군사적13 지원을13 지속적으로13 받았다 특히13 년에13 발생한13 1967

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과정에서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위해13 간접적13 방식으로13 전6

쟁에13 개입하였다 소련의13 군사고문단이13 이집트에13 상주하면서13 막후에서13 이집

트에서13 전술적 전략적13 도움을13 제공하고13 협력했을13 가능성은13 상당히13 높다 30

년13 가을에13 발생한13 나세르의13 갑작스런13 죽음과13 함께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1970

사다트는13 나세르의13 이념적 정책적13 계승자였다 따라서13 그는13 적어도13 외형적

으로13 소련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고자13 하였다 그의13 선택은13 당연하였다 일13 6

전쟁은13 휴전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전쟁은13 언제든지13 다시13 발발할13 개연성이13 높았

고13 따라서13 군사력의13 보강은13 그의13 주된13 목표였다 그는13 년13 월13 모스크바 1971 3

를13 방문하여13 소련에13 대한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다 그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1971

년13 월13 일13 양국사이의13 우호조약으로13 발전되었다 이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자리7 28

에서13 사다트는13 ldquo우리국민은13 아랍-소련의13 우정을13 소중하게13 생각하며13 그리고13 진정으로13 아랍전체13 국가들은13 이13 우정을13 우리13 정책의13 가장13 중용한13 기초중의13

하나로13 간주13 한다rdquo 고13 역설하였다 31 양국은13 년의13 유효기간을13 설정하고13 우 15

30 년13 동안13 이집트의13 군복으로13 위장한13 소련군13 조종사들이13 이집트13 영공에서13 이스라1970

엘의13 공습에13 대항하여13 공중전투에13 참여하였다 이13 부분에13 대해서13 Craig A Daigle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을13 참 8(1) March p 3

31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1 5 28 p 2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1

호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에13 어떤13 의미를13 갖고13

있는가 이와13 관련하여13 두13 가지13 사항이13 언급될13 수13 있다 첫째 이집트는13 오래13 13

동안13 공식적인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것을13 주저하였다 그것은13 특정국가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이13 나세르와13 사다트의13 정치철학에13 위배된다고13 판단하였기13 때문

이다 그러나13 나세르의13 죽음과13 완결되지13 않은13 중동전쟁의13 상황을13 고려할13 때13

다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보다13 강화할13 필요성을13 느꼈기13 때문이다

둘째 이13 조약은13 사실상13 외형적으로13 상호13 협력13 및13 우호를13 강조하고13 있지만13

조약의13 세부적13 내용을13 면 히13 검토해13 보면13 사실상13 군사원조와13 무기지원을13 포

함한13 일방적13 방위조약의13 성격이13 강하다 따라서13 향후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방위공약의13 의무를13 갖게13 되고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은13 보다13 제도적13 성격

을13 갖게13 되었다

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상황(2) 對이집트1) -소련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우호13 조약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이집트가13 군사적으로13 소련에13 예속된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년13 월13 이집트와13 1955 9

체코의13 무기매매협정에서13 찾을13 수13 있다 이13 협정은13 사실상13 소련과13 이집트사

이에13 체결된13 것으로13 소련이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내세워13 체결하였다(Cremeans

이13 협정을13 통해13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무기를13 공여하기13 시작하였고13 1963 146)

이집트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는13 계기가13 되었다 년13 월13 일13 1971 5 27

이집트와13 소련의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the Egyptian-Soviet Treaty of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년13 양국의13 무기Friendship and Cooperation) 1955

협정이후13 체결되었다 이13 조약은13 전문을13 포함하여13 모두13 개13 조항으로13 구성 12

되었다 이13 조약의13 전문은13 ldquo소련과13 이집트는13 양국의13 발전을13 촉진하고13 모든13 부분에서의13 협력을13 확고하게13 강화할13 것을13 확신하며13 양국은13 평화로운13 외hellip13 교정책의13 변함없는13 진행에13 따라서13 보다13 강력한13 국제평화와13 안보를13 위한13 투쟁

을13 지속적으로13 수행13 할13 것을13 결의하며helliprdquo32로13 되어13 있다 이13 조약은13 년13 1955

년13 양국이13 맺은13 무기협정13 보다13 여러13 부분에서13 포괄적인13 교류와13 협력을13 강조

32 Julian J Landau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참조Communications p 165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20: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134 백태열

그러면13 필리핀이13 미국과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종료시키기13 위한13 구체적인13

움직임 조치 및13 정책은13 무엇인가 마르코스가13 축출당한13 이후인13 년13 월 1986 2

부터13 년대13 초까지13 필리핀의13 국내13 상황은13 급박하게13 돌아가고13 있었다 이1990

와13 관련하여13 가장13 주목을13 끄는13 점은13 년13 월13 일13 필리핀13 상원을13 통과한13 1988 6 6

ldquo반핵병기13 법rdquo이다 이13 법안은13 필리핀13 주둔13 미군기지와13 군사시설 그리고13 양

국동맹관계의13 근간을13 흔들13 수13 있을13 만큼13 강력한13 내용을13 담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이13 법안의13 조는13 금지행위에13 관한13 것으로13 5 ldquo어떤13 사람도13 운송이나13 하역을13 불문하고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과13 그13 구성부분을13 필리핀13 영역내로13 가지고13

들어오거나13 또는13 소유 보유할13 수13 없다 필리핀13 군사기지13 내13 미합중국의13 기존13

군사13 설비를13 포함하여13 필리핀영역의13 상13 하 상공13 어느13 곳에서도13 본13 제 조13 4 1

항에13 해당하는13 핵병기13 또는13 핵부품 구성부분13 및13 핵병기관련설비의13 개발 제

조 입수 실험 이용 도입 비축 보관을13 금지하며 helliprdquo22라고13 명시되어13 있다

이13 조항과13 함께13 다른13 조항13 역시13 필리핀에서의13 일체의13 핵무기13 개발 설치 비

축 보관 하역13 등을13 금지시키고13 있다 이13 법안의13 통과는13 필리핀 -미국의13 군사

동맹관계의13 분수령이13 된다 역시13 가장13 커다란13 시사점은13 미국은13 필리핀의13 영

토13 안에13 핵무기와13 관련된13 일체의13 접근이13 불허된다는13 점이며13 동시에13 필리핀의13

모든13 군사기지의13 폐쇄와13 미군의13 철수가13 불가피하게13 되었다는13 점이다

년13 월13 미국과의13 군사기지협정을13 년13 연장하기13 위한13 법안이13 상원에13 1991 9 10

게류13 되었을13 때13 필리핀13 국내정세는13 극도로13 혼란스러웠다 이13 혼란의13 중심은13

미군13 기지를13 그대로13 유지되어야13 한다는13 입장과13 법안을13 거부함으로써13 미군13 기

지를13 폐쇄해야13 한다는13 입장으로13 크게13 나뉘어져13 있었다 이13 협정의13 연장을13 찬

성하는13 집단의13 중심에는13 아키노13 대통령이13 있었다 아키노13 대통령은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쇄될13 경우13 양국관계의13 약화 경제13 투자의13 감소 그리고13 불안정

한13 국내13 상황13 등을13 크게13 우려하였다 무엇보다도13 필리핀13 정부는13 양국이13 오랫

동안13 여러13 부분에서13 구축된13 양국의13 군사적 외교적13 우호관계가13 크게13 악화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우려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13 상원은13 미국과13 협정을13 반대하는

데13 선두집단중의13 하나였다 상원의원들의13 상당수는13 민족주의13 정신이13 강한13 정

22 본13 법안의13 내용에13 관해서는13 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를13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참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5

치인들이었고13 미군은13 필리핀13 땅에서13 떠나가야13 한다고13 믿었다 미군기지13 임대

의13 연장13 법안의13 반대에13 대한13 보다13 구체적인13 이유는13 무엇인가 가장13 커다란13

이유는13 무엇보다도13 필리핀의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복원이었다 당시13 필리핀13

상원의원인13 아가피토13 아키노 는13 (Agapito Aquino) ldquo이13 투표는13 진정으로13 주권을13 갖고13 독립적인13 필리핀13 국민을13 위한13 것이며13 이13 투표는13 미국의13 조종끈에13 매

어진13 정치적13 청년기13 즉13 극심한13 종속을13 종식하기13 위한13 것이다rdquo23라고13 상원에

서13 역설하였다 종속타파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종속타파의13 견인적인13 메커니즘은13

이론적13 검토에서13 제시된13 것처럼13 역시13 주권의13 회복과13 민족적13 자존심의13 회복이

다 필리핀13 정치인들의13 판단과13 요구가13 대다수13 모든13 필리핀13 국민들의13 견해와13

동일하다고13 볼13 수13 없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협정13 그리고13 상

호방위조약에서13 기인하는13 다양한13 폐해를13 인식하고13 있으며13 미군은13 철수되어

야13 한다는13 공감대를13 발전시켜13 왔다는13 점은13 부인할13 수13 없다 또13 다른13 견해는13

필리핀13 정치권에서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기지사용료가13 너무13 적다는13 이유도13 제시

되고13 있다24 필리핀13 상원의13 강력한13 반대13 움직임13 속에13 아키노13 대통령은13 이13

법안을13 국민투표에13 회부하는13 방안을13 추진하였지만13 무산되고13 결국은13 미군기

지협정의13 연장법안은13 년13 월13 일13 상원에서13 대13 로13 부결되었다1991 9 16 12 11

필리핀13 상원의13 이러한13 결정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년13 미국과13 맺은13 군 1947

사기지협정은13 자동적으로13 무효화되었으며13 필리핀에서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

쇄되고13 미군이13 더13 이상13 주둔하지13 않게13 되었다 미군은13 년13 말13 이전에13 필 1992

리핀의13 영토를13 떠나도록13 권고13 받았다 이러한13 점은13 상징적인13 측면이13 강하지

만13 필리핀은1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고13 볼13 수13 있다

미국의13 반응과13 입장13 (4)

필리핀에서의13 극적인13 변화에13 대해13 미국은13 어떤13 반응을13 보였으며13 기본13 입

장은13 무엇인가 미국은13 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13 이후13 필리핀의13 민주화13 운동과13

23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아키노13 상원의원은13 미군기지문제와13 관 1991 9 16 A1

련하여13 형수이자13 대통령이었던13 코라손13 아퀴노와13 극심한13 마찰과13 갈등을13 겪었다

24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벌인13 협상에서13 미국은13 필리핀에 1991 9 11 A3

게13 수빅만13 해군기지를13 사용하는13 대가로13 일년에13 억불을13 제공하기로13 합의하였다203

136 백태열

새로운13 정권의13 창출을13 고무적으로13 평가하였다 그러나13 동시에13 워싱턴은13 그곳

에서13 미군의13 기지와13 군대의13 철수문제 그리고13 지속적인13 반미운동의13 고조13 등

에13 대해13 깊은13 우려감을13 가졌다 특히13 군사기지협정의13 연장을13 앞13 둔13 시점에서13

미국정부의13 불안감은13 증대되었다 국무장관13 조지13 슐츠 는13 미 (George Shultz)

국은13 필리핀13 관리들과13 정치인들이13 기지연장을13 승인하지13 않을13 경우13 다른13 장소

를13 물색해야13 할지13 모른다는13 입장을13 밝혔다25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국내에서13

벌어지는13 반미운동이13 궁극적으로13 미군기지의13 철폐로13 연결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크게13 우려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필리핀13 상원의13 표결이13 있기13 전에13 미국정부는13

부결가능성을13 기대하고13 있었고13 이를13 위해13 직간접적으로13 필리핀정부에13 회유

와13 압력을13 가하였다

필리핀에서의13 결정은13 미국정부를13 크게13 실망시켰지만13 기지연장을13 둘러싼13

필리핀의13 정책결정과정에13 대해13 특별한13 영향력을13 행사할13 수13 없었다 미국은13

필리핀이13 기지연장13 협정을13 원하지13 않는다면13 이를13 수용하지13 않을13 수13 없다 미

국의13 기본13 입장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연장협정을13 지속하는13 것이었다 그13 이유는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와13 미군의13 주둔은13 년이13 넘은13 동안13 아시아에서13 방어적13 40

역할을13 충실히13 하였기13 때문이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결정은13 대

략13 가지13 파급효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다고13 보았다 첫째 년대13 말에13 냉전이13 2 1980

서서히13 종식되고13 있었지만13 미국은13 아시아에서의13 군사적13 임무와13 역할이13 여전

히13 필요하였다 따라서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의13 철수는13 안보적13 공백이13 발생할13

수13 있으며13 이로13 인한13 군사적13 전략변화가13 요구되고13 있기13 때문이다 둘째는13 간

접적13 파급효과이다 필리핀의13 미군기지13 철수가13 다른13 주둔지역13 특히13 한국과13

일본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기지의13 철수로13 연결될13 수13 있는13 파급효과를13 우려하

였다 반면에13 다른13 측면에서13 보면13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다소13 위안을13 찾을13

수13 있는13 부분도13 있다 필리핀은13 결코13 미국과의13 상호방위조약13 자체를13 폐기한13

것이13 아니기13 때문에13 향후13 양국의13 군사적13 동맹관계는13 유지될13 수13 있으며13 미국

의13 군사적13 영향력도13 어느13 정도13 유효할13 것이라는13 기대감을13 가졌다

25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88 6 17 p 7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7

이집트2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3 (1)

년13 영국의13 식민지에서13 벗어난13 이집트는13 국내외적으로13 커다란13 도전에13 1952

직면하였다 국내적으로13 정치세력간의13 권력투쟁으로13 불안한13 정국이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그13 과정에서13 군사13 쿠데타를13 통해13 실질적인13 권력을13 장악한13 나세르는13

아랍사회주의를13 표방하면서13 국정을13 운영하기13 시작하였다 대외적으로13 국제사

회에는13 이미13 냉전의13 열기가13 정점에13 올랐고13 그13 여파는13 중동에도13 도달하였다

이집트를13 둘러싼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복잡하게13 얽혀가고13 있었다 이와13 관련

하여13 주목할13 부분은13 미국과13 소련은13 중동지역에서13 패권경쟁을13 격화하고13 있었

다는13 점이다 소련은13 미국을13 견제하기13 위하여13 에13 버금가는13 지역안보 NATO

체제를13 구축하려고13 하였고13 이는13 바그다드13 조약 으로13 실현되고13 (Baghdad Pact)

있었다 미국은13 이집트를13 지역안보체제에13 끌어13 들이려는13 계획을13 갖고13 이집트

에13 접근하였다 마찬가지로13 소련은13 이집트와13 접한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중동지역에서의13 교두보를13 확보할13 수13 있다고13 판단하였다 미국과13 소련은13 이집

트가13 아프리카와13 중동을13 연결하는13 지역에13 위치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전략적13 가치

를13 중시하였고13 아랍세계의13 위상13 때문에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근을13 추구하는13 것이13

중요한13 목표중의13 하나였다

나세르가13 집권13 이후13 이집트가13 당면한13 최대13 현안은13 이스라엘과13 갈등과13 분

쟁이었다 년13 월13 이스라엘군대가13 이집트13 통제지역인13 가자해협의13 군사 1955 2

시설을13 공격하면서13 명이13 사망하는13 사건이13 일어났다 이스라엘의13 공격으로13 38

인해13 양국은13 본격적인13 대립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이집트는13 이러한13 상황에13 대처

하기13 위해13 자국의13 군사력의13 증강이13 무엇보다도13 절실한13 과제였다 이집트는13

처음에13 서방측에게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으나13 거부당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시도하였다 이집트가13 소련을13 선택한13 구체적인13 배경은13 무엇인

가 무엇보다도13 나세르는13 기본적으로13 반서방주의13 성향이13 강하였고13 당시의13 국

제정세로13 볼13 때13 이스라엘을13 지원하는13 영국과13 미국13 보다는13 소련에게13 무기를13

요청하는13 것이13 적합하다고13 판단하였다 년13 이집트는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1955

138 백태열

내세운13 소련과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26 이13 무기협정을13 통해13 사실상13 이집트

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어13 가는13 계기가13 되었고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주공급자가13 되었다 그러나13 이집트는13 소련과13 상호군사조

약을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나세르가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맹관계를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기13 때문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찰스13 크레멘

스 는13 (Charles Cremeans) ldquo군사공약이13 포함되지13 않는13 한13 이집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받을13 수13 있었고13 그리고13 필요하다면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는데13

발생할13 수13 있는13 위험을13 감수할13 준비가13 되었다고13 나세르는13 항상13 주장하였다rdquo고13 지적한다 나세르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공여13 받는13 것에13 부(1963 281)

담을13 느꼈던13 것은13 분명하다 그13 이유는13 자신이13 강력한13 비동맹노선을13 표방하

였고13 따라서13 소련과13 연계를13 통해13 의존의13 상황이13 형성되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기13

때문이었다 결국13 나세르는13 적어도13 집권초기에는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

맹관계13 혹은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려고13 하지13 않았다 그러나13 이스라엘의13 군

사적13 위협13 때문에13 이집트가13 무기를13 제공받기로13 한13 결정은13 불가피한13 선택이었

다 전후13 독립을13 획득한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신생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 3

의13 국방력은13 취약하였다 따라서13 이집트의13 대외적13 여건은13 군사대국인13 소련에

게13 자연스럽게13 군사적13 도움을13 요구하게13 되고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그러면13 소련의13 이집트의13 접근배경은13 무엇인가 무엇보다도13 모스크바는13 對

전후13 중동지역에서13 미국과의13 경쟁에서13 우위를13 선점하기13 위한13 목적을13 갖고13 있

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국과의13 냉전13 구도13 하에서13 중동에서의13 영향력

을13 확보하고13 상대적으로13 미국의13 접근을13 어렵게13 하기13 위해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

근을13 시도하였다 즉13 중동에서13 가능한13 많은13 우방국13 혹은13 동맹국을13 만드는13 작

업은13 미국과13 마찬가지로13 소련의13 대외정책의13 우선순위의13 하나였다 더13 나아가

서13 소련은13 이집트뿐만13 아니라13 중동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국가에13 대해13 접한13 관

계를13 구축하고자13 하였다 이러한13 주장은13 년대를13 거치면서13 소련이13 시리 1960

아 요르단13 등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고13 일련의13 군사협정을13 체결하였다는13 사실

에13 의해13 뒷받침13 된다 년13 월13 일13 소련13 외무성은13 1955 4 16 ldquo소련은13 근동13 및13 중

26 이13 협정을13 통해13 양국은13 억불의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45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9

동지역에서13 전개되는13 상황에13 무관심한13 채13 남아13 있을13 수13 없다 그13 이유는13 그13

지역에13 있는13 외국의13 군사기지시설과13 블록화13 현상은13 소련의13 안보에13 직접적인13

연관성이13 있기13 때문이다rdquo27는13 입장을13 표명하였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친 한13 관계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이해관계를13 둘러싸고13 더욱13

발전하게13 되었다 년13 월13 나세르는13 수에즈운하에13 대한13 국유화를13 선언하 1956 7

였고13 이러한13 결정에13 대해13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13 이집트를13 공격하였다 이

로13 인해13 제 차13 중동전쟁이13 발발하였다 운하를13 둘러싼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13 그2

리고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첨예하게13 얽혀있었다 제 차13 중동전쟁은13 이집트 2 -

소련의13 관계에서13 또13 다른13 분수령이13 되었다 년13 이집트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1960

완전한13 통제와13 관리를13 위해13 소련으로부터13 에스완13 댐13 건설비용13 억13 천13 달러3 5

를13 받기로13 결정하였다 그13 후13 이집트는13 다양한13 형태의13 지원을13 소련으로13 받기13

시작하였다 년13 월13 이집트를13 방문한13 후르시초프 서기장은13 1964 5 (Khrushchev)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억13 천 백만13 불을13 융자하겠다는13 발표를13 하였다2 7 7 28

이13 비용은13 이집트가13 년부터13 추진하는13 개년13 개발계획에13 사용될13 예정이1965 5

라고13 덧붙였다 이러한13 재정적13 지원을13 통해13 이집트는13 점진적으로13 의존하였고13

의존의13 내용은13 경제원조의13 영역으로13 확대되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년13 1966 5

월13 일13 소련13 수상13 알렉세이13 코시긴 은13 카이로에서13 가11 (Aleksei M Kosygin)

진13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미국의13 베트남13 공격을13 비난하면서13 ldquo양국의13 국민은13 평화 사회적13 전진 그리고13 사회주의를13 위한13 투쟁에서13 공동13 목적과13 이념으로13

함께13 협력13 한다rdquo고13 선언하였다29 양국의13 우호관계는13 점진적으로13 확대되었다

이집트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스라엘과의13 분쟁은13 여전히13 미해결된13 채13 남아13 있었

고13 소련으로부터13 추가적인13 군사지원은13 불가피하였다

년의13 차13 중동13 전쟁혹은13 일13 전쟁에서13 이집트는13 이스라엘에게13 참패1967 3 ( 6 )

한13 후13 시나이13 반도와13 가지지구13 등을13 빼앗기게13 되었다 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

로13 하여금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더욱13 필요하게13 되었고13 결과적으로13 군

27 Alvin Z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에서13 재인용

2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4 5 25 p 1

29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6 5 11 p 2

140 백태열

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월터13 라퀘르 는13 다음과13 같이13 설 (Walter Laqueur)

명13 한다(1972 62)

일13 전쟁은13 소련6 -이집트13 관계의13 이정표를13 기록하였다 그13 전쟁은13 분실되거

나13 혹은13 파괴된13 모든13 군사13 장비를13 빨리13 대체하기13 위한13 필요성13 때문에13 소련에13

대한13 이집트의13 종속을13 극적으로13 심화시켰고13 낫세르의13 요청에13 따라13 소련군hellip13 인이13 탑승한13 SAM- 과13 2 SAM- 로13 구성된13 거대한13 미사일13 방어체계가13 13 이집트3

에13 설치되었다 소련조종사들이13 이집트내의13 개의13 공군비행장에서13 전투임무 15

를13 갖고13 전투기를13 발진시켰다

이집트는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있어서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

기13 위하여13 소련의13 군사적13 지원을13 지속적으로13 받았다 특히13 년에13 발생한13 1967

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과정에서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위해13 간접적13 방식으로13 전6

쟁에13 개입하였다 소련의13 군사고문단이13 이집트에13 상주하면서13 막후에서13 이집

트에서13 전술적 전략적13 도움을13 제공하고13 협력했을13 가능성은13 상당히13 높다 30

년13 가을에13 발생한13 나세르의13 갑작스런13 죽음과13 함께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1970

사다트는13 나세르의13 이념적 정책적13 계승자였다 따라서13 그는13 적어도13 외형적

으로13 소련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고자13 하였다 그의13 선택은13 당연하였다 일13 6

전쟁은13 휴전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전쟁은13 언제든지13 다시13 발발할13 개연성이13 높았

고13 따라서13 군사력의13 보강은13 그의13 주된13 목표였다 그는13 년13 월13 모스크바 1971 3

를13 방문하여13 소련에13 대한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다 그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1971

년13 월13 일13 양국사이의13 우호조약으로13 발전되었다 이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자리7 28

에서13 사다트는13 ldquo우리국민은13 아랍-소련의13 우정을13 소중하게13 생각하며13 그리고13 진정으로13 아랍전체13 국가들은13 이13 우정을13 우리13 정책의13 가장13 중용한13 기초중의13

하나로13 간주13 한다rdquo 고13 역설하였다 31 양국은13 년의13 유효기간을13 설정하고13 우 15

30 년13 동안13 이집트의13 군복으로13 위장한13 소련군13 조종사들이13 이집트13 영공에서13 이스라1970

엘의13 공습에13 대항하여13 공중전투에13 참여하였다 이13 부분에13 대해서13 Craig A Daigle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을13 참 8(1) March p 3

31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1 5 28 p 2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1

호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에13 어떤13 의미를13 갖고13

있는가 이와13 관련하여13 두13 가지13 사항이13 언급될13 수13 있다 첫째 이집트는13 오래13 13

동안13 공식적인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것을13 주저하였다 그것은13 특정국가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이13 나세르와13 사다트의13 정치철학에13 위배된다고13 판단하였기13 때문

이다 그러나13 나세르의13 죽음과13 완결되지13 않은13 중동전쟁의13 상황을13 고려할13 때13

다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보다13 강화할13 필요성을13 느꼈기13 때문이다

둘째 이13 조약은13 사실상13 외형적으로13 상호13 협력13 및13 우호를13 강조하고13 있지만13

조약의13 세부적13 내용을13 면 히13 검토해13 보면13 사실상13 군사원조와13 무기지원을13 포

함한13 일방적13 방위조약의13 성격이13 강하다 따라서13 향후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방위공약의13 의무를13 갖게13 되고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은13 보다13 제도적13 성격

을13 갖게13 되었다

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상황(2) 對이집트1) -소련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우호13 조약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이집트가13 군사적으로13 소련에13 예속된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년13 월13 이집트와13 1955 9

체코의13 무기매매협정에서13 찾을13 수13 있다 이13 협정은13 사실상13 소련과13 이집트사

이에13 체결된13 것으로13 소련이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내세워13 체결하였다(Cremeans

이13 협정을13 통해13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무기를13 공여하기13 시작하였고13 1963 146)

이집트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는13 계기가13 되었다 년13 월13 일13 1971 5 27

이집트와13 소련의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the Egyptian-Soviet Treaty of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년13 양국의13 무기Friendship and Cooperation) 1955

협정이후13 체결되었다 이13 조약은13 전문을13 포함하여13 모두13 개13 조항으로13 구성 12

되었다 이13 조약의13 전문은13 ldquo소련과13 이집트는13 양국의13 발전을13 촉진하고13 모든13 부분에서의13 협력을13 확고하게13 강화할13 것을13 확신하며13 양국은13 평화로운13 외hellip13 교정책의13 변함없는13 진행에13 따라서13 보다13 강력한13 국제평화와13 안보를13 위한13 투쟁

을13 지속적으로13 수행13 할13 것을13 결의하며helliprdquo32로13 되어13 있다 이13 조약은13 년13 1955

년13 양국이13 맺은13 무기협정13 보다13 여러13 부분에서13 포괄적인13 교류와13 협력을13 강조

32 Julian J Landau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참조Communications p 165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21: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5

치인들이었고13 미군은13 필리핀13 땅에서13 떠나가야13 한다고13 믿었다 미군기지13 임대

의13 연장13 법안의13 반대에13 대한13 보다13 구체적인13 이유는13 무엇인가 가장13 커다란13

이유는13 무엇보다도13 필리핀의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복원이었다 당시13 필리핀13

상원의원인13 아가피토13 아키노 는13 (Agapito Aquino) ldquo이13 투표는13 진정으로13 주권을13 갖고13 독립적인13 필리핀13 국민을13 위한13 것이며13 이13 투표는13 미국의13 조종끈에13 매

어진13 정치적13 청년기13 즉13 극심한13 종속을13 종식하기13 위한13 것이다rdquo23라고13 상원에

서13 역설하였다 종속타파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종속타파의13 견인적인13 메커니즘은13

이론적13 검토에서13 제시된13 것처럼13 역시13 주권의13 회복과13 민족적13 자존심의13 회복이

다 필리핀13 정치인들의13 판단과13 요구가13 대다수13 모든13 필리핀13 국민들의13 견해와13

동일하다고13 볼13 수13 없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민들은13 미국과13 군사협정13 그리고13 상

호방위조약에서13 기인하는13 다양한13 폐해를13 인식하고13 있으며13 미군은13 철수되어

야13 한다는13 공감대를13 발전시켜13 왔다는13 점은13 부인할13 수13 없다 또13 다른13 견해는13

필리핀13 정치권에서13 미국이13 필리핀의13 기지사용료가13 너무13 적다는13 이유도13 제시

되고13 있다24 필리핀13 상원의13 강력한13 반대13 움직임13 속에13 아키노13 대통령은13 이13

법안을13 국민투표에13 회부하는13 방안을13 추진하였지만13 무산되고13 결국은13 미군기

지협정의13 연장법안은13 년13 월13 일13 상원에서13 대13 로13 부결되었다1991 9 16 12 11

필리핀13 상원의13 이러한13 결정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년13 미국과13 맺은13 군 1947

사기지협정은13 자동적으로13 무효화되었으며13 필리핀에서13 미국의13 군사기지가13 폐

쇄되고13 미군이13 더13 이상13 주둔하지13 않게13 되었다 미군은13 년13 말13 이전에13 필 1992

리핀의13 영토를13 떠나도록13 권고13 받았다 이러한13 점은13 상징적인13 측면이13 강하지

만13 필리핀은13 미국의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고13 볼13 수13 있다

미국의13 반응과13 입장13 (4)

필리핀에서의13 극적인13 변화에13 대해13 미국은13 어떤13 반응을13 보였으며13 기본13 입

장은13 무엇인가 미국은13 13 마르코스정권의13 붕괴13 이후13 필리핀의13 민주화13 운동과13

23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아키노13 상원의원은13 미군기지문제와13 관 1991 9 16 A1

련하여13 형수이자13 대통령이었던13 코라손13 아퀴노와13 극심한13 마찰과13 갈등을13 겪었다

24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양국이13 벌인13 협상에서13 미국은13 필리핀에 1991 9 11 A3

게13 수빅만13 해군기지를13 사용하는13 대가로13 일년에13 억불을13 제공하기로13 합의하였다203

136 백태열

새로운13 정권의13 창출을13 고무적으로13 평가하였다 그러나13 동시에13 워싱턴은13 그곳

에서13 미군의13 기지와13 군대의13 철수문제 그리고13 지속적인13 반미운동의13 고조13 등

에13 대해13 깊은13 우려감을13 가졌다 특히13 군사기지협정의13 연장을13 앞13 둔13 시점에서13

미국정부의13 불안감은13 증대되었다 국무장관13 조지13 슐츠 는13 미 (George Shultz)

국은13 필리핀13 관리들과13 정치인들이13 기지연장을13 승인하지13 않을13 경우13 다른13 장소

를13 물색해야13 할지13 모른다는13 입장을13 밝혔다25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국내에서13

벌어지는13 반미운동이13 궁극적으로13 미군기지의13 철폐로13 연결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크게13 우려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필리핀13 상원의13 표결이13 있기13 전에13 미국정부는13

부결가능성을13 기대하고13 있었고13 이를13 위해13 직간접적으로13 필리핀정부에13 회유

와13 압력을13 가하였다

필리핀에서의13 결정은13 미국정부를13 크게13 실망시켰지만13 기지연장을13 둘러싼13

필리핀의13 정책결정과정에13 대해13 특별한13 영향력을13 행사할13 수13 없었다 미국은13

필리핀이13 기지연장13 협정을13 원하지13 않는다면13 이를13 수용하지13 않을13 수13 없다 미

국의13 기본13 입장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연장협정을13 지속하는13 것이었다 그13 이유는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와13 미군의13 주둔은13 년이13 넘은13 동안13 아시아에서13 방어적13 40

역할을13 충실히13 하였기13 때문이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결정은13 대

략13 가지13 파급효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다고13 보았다 첫째 년대13 말에13 냉전이13 2 1980

서서히13 종식되고13 있었지만13 미국은13 아시아에서의13 군사적13 임무와13 역할이13 여전

히13 필요하였다 따라서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의13 철수는13 안보적13 공백이13 발생할13

수13 있으며13 이로13 인한13 군사적13 전략변화가13 요구되고13 있기13 때문이다 둘째는13 간

접적13 파급효과이다 필리핀의13 미군기지13 철수가13 다른13 주둔지역13 특히13 한국과13

일본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기지의13 철수로13 연결될13 수13 있는13 파급효과를13 우려하

였다 반면에13 다른13 측면에서13 보면13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다소13 위안을13 찾을13

수13 있는13 부분도13 있다 필리핀은13 결코13 미국과의13 상호방위조약13 자체를13 폐기한13

것이13 아니기13 때문에13 향후13 양국의13 군사적13 동맹관계는13 유지될13 수13 있으며13 미국

의13 군사적13 영향력도13 어느13 정도13 유효할13 것이라는13 기대감을13 가졌다

25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88 6 17 p 7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7

이집트2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3 (1)

년13 영국의13 식민지에서13 벗어난13 이집트는13 국내외적으로13 커다란13 도전에13 1952

직면하였다 국내적으로13 정치세력간의13 권력투쟁으로13 불안한13 정국이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그13 과정에서13 군사13 쿠데타를13 통해13 실질적인13 권력을13 장악한13 나세르는13

아랍사회주의를13 표방하면서13 국정을13 운영하기13 시작하였다 대외적으로13 국제사

회에는13 이미13 냉전의13 열기가13 정점에13 올랐고13 그13 여파는13 중동에도13 도달하였다

이집트를13 둘러싼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복잡하게13 얽혀가고13 있었다 이와13 관련

하여13 주목할13 부분은13 미국과13 소련은13 중동지역에서13 패권경쟁을13 격화하고13 있었

다는13 점이다 소련은13 미국을13 견제하기13 위하여13 에13 버금가는13 지역안보 NATO

체제를13 구축하려고13 하였고13 이는13 바그다드13 조약 으로13 실현되고13 (Baghdad Pact)

있었다 미국은13 이집트를13 지역안보체제에13 끌어13 들이려는13 계획을13 갖고13 이집트

에13 접근하였다 마찬가지로13 소련은13 이집트와13 접한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중동지역에서의13 교두보를13 확보할13 수13 있다고13 판단하였다 미국과13 소련은13 이집

트가13 아프리카와13 중동을13 연결하는13 지역에13 위치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전략적13 가치

를13 중시하였고13 아랍세계의13 위상13 때문에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근을13 추구하는13 것이13

중요한13 목표중의13 하나였다

나세르가13 집권13 이후13 이집트가13 당면한13 최대13 현안은13 이스라엘과13 갈등과13 분

쟁이었다 년13 월13 이스라엘군대가13 이집트13 통제지역인13 가자해협의13 군사 1955 2

시설을13 공격하면서13 명이13 사망하는13 사건이13 일어났다 이스라엘의13 공격으로13 38

인해13 양국은13 본격적인13 대립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이집트는13 이러한13 상황에13 대처

하기13 위해13 자국의13 군사력의13 증강이13 무엇보다도13 절실한13 과제였다 이집트는13

처음에13 서방측에게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으나13 거부당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시도하였다 이집트가13 소련을13 선택한13 구체적인13 배경은13 무엇인

가 무엇보다도13 나세르는13 기본적으로13 반서방주의13 성향이13 강하였고13 당시의13 국

제정세로13 볼13 때13 이스라엘을13 지원하는13 영국과13 미국13 보다는13 소련에게13 무기를13

요청하는13 것이13 적합하다고13 판단하였다 년13 이집트는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1955

138 백태열

내세운13 소련과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26 이13 무기협정을13 통해13 사실상13 이집트

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어13 가는13 계기가13 되었고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주공급자가13 되었다 그러나13 이집트는13 소련과13 상호군사조

약을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나세르가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맹관계를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기13 때문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찰스13 크레멘

스 는13 (Charles Cremeans) ldquo군사공약이13 포함되지13 않는13 한13 이집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받을13 수13 있었고13 그리고13 필요하다면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는데13

발생할13 수13 있는13 위험을13 감수할13 준비가13 되었다고13 나세르는13 항상13 주장하였다rdquo고13 지적한다 나세르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공여13 받는13 것에13 부(1963 281)

담을13 느꼈던13 것은13 분명하다 그13 이유는13 자신이13 강력한13 비동맹노선을13 표방하

였고13 따라서13 소련과13 연계를13 통해13 의존의13 상황이13 형성되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기13

때문이었다 결국13 나세르는13 적어도13 집권초기에는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

맹관계13 혹은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려고13 하지13 않았다 그러나13 이스라엘의13 군

사적13 위협13 때문에13 이집트가13 무기를13 제공받기로13 한13 결정은13 불가피한13 선택이었

다 전후13 독립을13 획득한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신생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 3

의13 국방력은13 취약하였다 따라서13 이집트의13 대외적13 여건은13 군사대국인13 소련에

게13 자연스럽게13 군사적13 도움을13 요구하게13 되고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그러면13 소련의13 이집트의13 접근배경은13 무엇인가 무엇보다도13 모스크바는13 對

전후13 중동지역에서13 미국과의13 경쟁에서13 우위를13 선점하기13 위한13 목적을13 갖고13 있

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국과의13 냉전13 구도13 하에서13 중동에서의13 영향력

을13 확보하고13 상대적으로13 미국의13 접근을13 어렵게13 하기13 위해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

근을13 시도하였다 즉13 중동에서13 가능한13 많은13 우방국13 혹은13 동맹국을13 만드는13 작

업은13 미국과13 마찬가지로13 소련의13 대외정책의13 우선순위의13 하나였다 더13 나아가

서13 소련은13 이집트뿐만13 아니라13 중동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국가에13 대해13 접한13 관

계를13 구축하고자13 하였다 이러한13 주장은13 년대를13 거치면서13 소련이13 시리 1960

아 요르단13 등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고13 일련의13 군사협정을13 체결하였다는13 사실

에13 의해13 뒷받침13 된다 년13 월13 일13 소련13 외무성은13 1955 4 16 ldquo소련은13 근동13 및13 중

26 이13 협정을13 통해13 양국은13 억불의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45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9

동지역에서13 전개되는13 상황에13 무관심한13 채13 남아13 있을13 수13 없다 그13 이유는13 그13

지역에13 있는13 외국의13 군사기지시설과13 블록화13 현상은13 소련의13 안보에13 직접적인13

연관성이13 있기13 때문이다rdquo27는13 입장을13 표명하였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친 한13 관계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이해관계를13 둘러싸고13 더욱13

발전하게13 되었다 년13 월13 나세르는13 수에즈운하에13 대한13 국유화를13 선언하 1956 7

였고13 이러한13 결정에13 대해13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13 이집트를13 공격하였다 이

로13 인해13 제 차13 중동전쟁이13 발발하였다 운하를13 둘러싼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13 그2

리고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첨예하게13 얽혀있었다 제 차13 중동전쟁은13 이집트 2 -

소련의13 관계에서13 또13 다른13 분수령이13 되었다 년13 이집트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1960

완전한13 통제와13 관리를13 위해13 소련으로부터13 에스완13 댐13 건설비용13 억13 천13 달러3 5

를13 받기로13 결정하였다 그13 후13 이집트는13 다양한13 형태의13 지원을13 소련으로13 받기13

시작하였다 년13 월13 이집트를13 방문한13 후르시초프 서기장은13 1964 5 (Khrushchev)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억13 천 백만13 불을13 융자하겠다는13 발표를13 하였다2 7 7 28

이13 비용은13 이집트가13 년부터13 추진하는13 개년13 개발계획에13 사용될13 예정이1965 5

라고13 덧붙였다 이러한13 재정적13 지원을13 통해13 이집트는13 점진적으로13 의존하였고13

의존의13 내용은13 경제원조의13 영역으로13 확대되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년13 1966 5

월13 일13 소련13 수상13 알렉세이13 코시긴 은13 카이로에서13 가11 (Aleksei M Kosygin)

진13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미국의13 베트남13 공격을13 비난하면서13 ldquo양국의13 국민은13 평화 사회적13 전진 그리고13 사회주의를13 위한13 투쟁에서13 공동13 목적과13 이념으로13

함께13 협력13 한다rdquo고13 선언하였다29 양국의13 우호관계는13 점진적으로13 확대되었다

이집트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스라엘과의13 분쟁은13 여전히13 미해결된13 채13 남아13 있었

고13 소련으로부터13 추가적인13 군사지원은13 불가피하였다

년의13 차13 중동13 전쟁혹은13 일13 전쟁에서13 이집트는13 이스라엘에게13 참패1967 3 ( 6 )

한13 후13 시나이13 반도와13 가지지구13 등을13 빼앗기게13 되었다 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

로13 하여금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더욱13 필요하게13 되었고13 결과적으로13 군

27 Alvin Z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에서13 재인용

2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4 5 25 p 1

29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6 5 11 p 2

140 백태열

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월터13 라퀘르 는13 다음과13 같이13 설 (Walter Laqueur)

명13 한다(1972 62)

일13 전쟁은13 소련6 -이집트13 관계의13 이정표를13 기록하였다 그13 전쟁은13 분실되거

나13 혹은13 파괴된13 모든13 군사13 장비를13 빨리13 대체하기13 위한13 필요성13 때문에13 소련에13

대한13 이집트의13 종속을13 극적으로13 심화시켰고13 낫세르의13 요청에13 따라13 소련군hellip13 인이13 탑승한13 SAM- 과13 2 SAM- 로13 구성된13 거대한13 미사일13 방어체계가13 13 이집트3

에13 설치되었다 소련조종사들이13 이집트내의13 개의13 공군비행장에서13 전투임무 15

를13 갖고13 전투기를13 발진시켰다

이집트는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있어서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

기13 위하여13 소련의13 군사적13 지원을13 지속적으로13 받았다 특히13 년에13 발생한13 1967

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과정에서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위해13 간접적13 방식으로13 전6

쟁에13 개입하였다 소련의13 군사고문단이13 이집트에13 상주하면서13 막후에서13 이집

트에서13 전술적 전략적13 도움을13 제공하고13 협력했을13 가능성은13 상당히13 높다 30

년13 가을에13 발생한13 나세르의13 갑작스런13 죽음과13 함께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1970

사다트는13 나세르의13 이념적 정책적13 계승자였다 따라서13 그는13 적어도13 외형적

으로13 소련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고자13 하였다 그의13 선택은13 당연하였다 일13 6

전쟁은13 휴전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전쟁은13 언제든지13 다시13 발발할13 개연성이13 높았

고13 따라서13 군사력의13 보강은13 그의13 주된13 목표였다 그는13 년13 월13 모스크바 1971 3

를13 방문하여13 소련에13 대한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다 그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1971

년13 월13 일13 양국사이의13 우호조약으로13 발전되었다 이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자리7 28

에서13 사다트는13 ldquo우리국민은13 아랍-소련의13 우정을13 소중하게13 생각하며13 그리고13 진정으로13 아랍전체13 국가들은13 이13 우정을13 우리13 정책의13 가장13 중용한13 기초중의13

하나로13 간주13 한다rdquo 고13 역설하였다 31 양국은13 년의13 유효기간을13 설정하고13 우 15

30 년13 동안13 이집트의13 군복으로13 위장한13 소련군13 조종사들이13 이집트13 영공에서13 이스라1970

엘의13 공습에13 대항하여13 공중전투에13 참여하였다 이13 부분에13 대해서13 Craig A Daigle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을13 참 8(1) March p 3

31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1 5 28 p 2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1

호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에13 어떤13 의미를13 갖고13

있는가 이와13 관련하여13 두13 가지13 사항이13 언급될13 수13 있다 첫째 이집트는13 오래13 13

동안13 공식적인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것을13 주저하였다 그것은13 특정국가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이13 나세르와13 사다트의13 정치철학에13 위배된다고13 판단하였기13 때문

이다 그러나13 나세르의13 죽음과13 완결되지13 않은13 중동전쟁의13 상황을13 고려할13 때13

다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보다13 강화할13 필요성을13 느꼈기13 때문이다

둘째 이13 조약은13 사실상13 외형적으로13 상호13 협력13 및13 우호를13 강조하고13 있지만13

조약의13 세부적13 내용을13 면 히13 검토해13 보면13 사실상13 군사원조와13 무기지원을13 포

함한13 일방적13 방위조약의13 성격이13 강하다 따라서13 향후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방위공약의13 의무를13 갖게13 되고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은13 보다13 제도적13 성격

을13 갖게13 되었다

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상황(2) 對이집트1) -소련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우호13 조약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이집트가13 군사적으로13 소련에13 예속된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년13 월13 이집트와13 1955 9

체코의13 무기매매협정에서13 찾을13 수13 있다 이13 협정은13 사실상13 소련과13 이집트사

이에13 체결된13 것으로13 소련이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내세워13 체결하였다(Cremeans

이13 협정을13 통해13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무기를13 공여하기13 시작하였고13 1963 146)

이집트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는13 계기가13 되었다 년13 월13 일13 1971 5 27

이집트와13 소련의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the Egyptian-Soviet Treaty of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년13 양국의13 무기Friendship and Cooperation) 1955

협정이후13 체결되었다 이13 조약은13 전문을13 포함하여13 모두13 개13 조항으로13 구성 12

되었다 이13 조약의13 전문은13 ldquo소련과13 이집트는13 양국의13 발전을13 촉진하고13 모든13 부분에서의13 협력을13 확고하게13 강화할13 것을13 확신하며13 양국은13 평화로운13 외hellip13 교정책의13 변함없는13 진행에13 따라서13 보다13 강력한13 국제평화와13 안보를13 위한13 투쟁

을13 지속적으로13 수행13 할13 것을13 결의하며helliprdquo32로13 되어13 있다 이13 조약은13 년13 1955

년13 양국이13 맺은13 무기협정13 보다13 여러13 부분에서13 포괄적인13 교류와13 협력을13 강조

32 Julian J Landau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참조Communications p 165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22: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136 백태열

새로운13 정권의13 창출을13 고무적으로13 평가하였다 그러나13 동시에13 워싱턴은13 그곳

에서13 미군의13 기지와13 군대의13 철수문제 그리고13 지속적인13 반미운동의13 고조13 등

에13 대해13 깊은13 우려감을13 가졌다 특히13 군사기지협정의13 연장을13 앞13 둔13 시점에서13

미국정부의13 불안감은13 증대되었다 국무장관13 조지13 슐츠 는13 미 (George Shultz)

국은13 필리핀13 관리들과13 정치인들이13 기지연장을13 승인하지13 않을13 경우13 다른13 장소

를13 물색해야13 할지13 모른다는13 입장을13 밝혔다25 미국정부는13 필리핀13 국내에서13

벌어지는13 반미운동이13 궁극적으로13 미군기지의13 철폐로13 연결될13 수13 있다는13 점을13

크게13 우려하지13 않을13 수13 없었다 필리핀13 상원의13 표결이13 있기13 전에13 미국정부는13

부결가능성을13 기대하고13 있었고13 이를13 위해13 직간접적으로13 필리핀정부에13 회유

와13 압력을13 가하였다

필리핀에서의13 결정은13 미국정부를13 크게13 실망시켰지만13 기지연장을13 둘러싼13

필리핀의13 정책결정과정에13 대해13 특별한13 영향력을13 행사할13 수13 없었다 미국은13

필리핀이13 기지연장13 협정을13 원하지13 않는다면13 이를13 수용하지13 않을13 수13 없다 미

국의13 기본13 입장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연장협정을13 지속하는13 것이었다 그13 이유는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와13 미군의13 주둔은13 년이13 넘은13 동안13 아시아에서13 방어적13 40

역할을13 충실히13 하였기13 때문이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결정은13 대

략13 가지13 파급효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다고13 보았다 첫째 년대13 말에13 냉전이13 2 1980

서서히13 종식되고13 있었지만13 미국은13 아시아에서의13 군사적13 임무와13 역할이13 여전

히13 필요하였다 따라서13 필리핀의13 군사기지의13 철수는13 안보적13 공백이13 발생할13

수13 있으며13 이로13 인한13 군사적13 전략변화가13 요구되고13 있기13 때문이다 둘째는13 간

접적13 파급효과이다 필리핀의13 미군기지13 철수가13 다른13 주둔지역13 특히13 한국과13

일본에13 주둔하고13 있는13 미군기지의13 철수로13 연결될13 수13 있는13 파급효과를13 우려하

였다 반면에13 다른13 측면에서13 보면13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다소13 위안을13 찾을13

수13 있는13 부분도13 있다 필리핀은13 결코13 미국과의13 상호방위조약13 자체를13 폐기한13

것이13 아니기13 때문에13 향후13 양국의13 군사적13 동맹관계는13 유지될13 수13 있으며13 미국

의13 군사적13 영향력도13 어느13 정도13 유효할13 것이라는13 기대감을13 가졌다

25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88 6 17 p 7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7

이집트2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3 (1)

년13 영국의13 식민지에서13 벗어난13 이집트는13 국내외적으로13 커다란13 도전에13 1952

직면하였다 국내적으로13 정치세력간의13 권력투쟁으로13 불안한13 정국이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그13 과정에서13 군사13 쿠데타를13 통해13 실질적인13 권력을13 장악한13 나세르는13

아랍사회주의를13 표방하면서13 국정을13 운영하기13 시작하였다 대외적으로13 국제사

회에는13 이미13 냉전의13 열기가13 정점에13 올랐고13 그13 여파는13 중동에도13 도달하였다

이집트를13 둘러싼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복잡하게13 얽혀가고13 있었다 이와13 관련

하여13 주목할13 부분은13 미국과13 소련은13 중동지역에서13 패권경쟁을13 격화하고13 있었

다는13 점이다 소련은13 미국을13 견제하기13 위하여13 에13 버금가는13 지역안보 NATO

체제를13 구축하려고13 하였고13 이는13 바그다드13 조약 으로13 실현되고13 (Baghdad Pact)

있었다 미국은13 이집트를13 지역안보체제에13 끌어13 들이려는13 계획을13 갖고13 이집트

에13 접근하였다 마찬가지로13 소련은13 이집트와13 접한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중동지역에서의13 교두보를13 확보할13 수13 있다고13 판단하였다 미국과13 소련은13 이집

트가13 아프리카와13 중동을13 연결하는13 지역에13 위치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전략적13 가치

를13 중시하였고13 아랍세계의13 위상13 때문에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근을13 추구하는13 것이13

중요한13 목표중의13 하나였다

나세르가13 집권13 이후13 이집트가13 당면한13 최대13 현안은13 이스라엘과13 갈등과13 분

쟁이었다 년13 월13 이스라엘군대가13 이집트13 통제지역인13 가자해협의13 군사 1955 2

시설을13 공격하면서13 명이13 사망하는13 사건이13 일어났다 이스라엘의13 공격으로13 38

인해13 양국은13 본격적인13 대립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이집트는13 이러한13 상황에13 대처

하기13 위해13 자국의13 군사력의13 증강이13 무엇보다도13 절실한13 과제였다 이집트는13

처음에13 서방측에게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으나13 거부당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시도하였다 이집트가13 소련을13 선택한13 구체적인13 배경은13 무엇인

가 무엇보다도13 나세르는13 기본적으로13 반서방주의13 성향이13 강하였고13 당시의13 국

제정세로13 볼13 때13 이스라엘을13 지원하는13 영국과13 미국13 보다는13 소련에게13 무기를13

요청하는13 것이13 적합하다고13 판단하였다 년13 이집트는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1955

138 백태열

내세운13 소련과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26 이13 무기협정을13 통해13 사실상13 이집트

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어13 가는13 계기가13 되었고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주공급자가13 되었다 그러나13 이집트는13 소련과13 상호군사조

약을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나세르가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맹관계를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기13 때문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찰스13 크레멘

스 는13 (Charles Cremeans) ldquo군사공약이13 포함되지13 않는13 한13 이집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받을13 수13 있었고13 그리고13 필요하다면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는데13

발생할13 수13 있는13 위험을13 감수할13 준비가13 되었다고13 나세르는13 항상13 주장하였다rdquo고13 지적한다 나세르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공여13 받는13 것에13 부(1963 281)

담을13 느꼈던13 것은13 분명하다 그13 이유는13 자신이13 강력한13 비동맹노선을13 표방하

였고13 따라서13 소련과13 연계를13 통해13 의존의13 상황이13 형성되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기13

때문이었다 결국13 나세르는13 적어도13 집권초기에는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

맹관계13 혹은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려고13 하지13 않았다 그러나13 이스라엘의13 군

사적13 위협13 때문에13 이집트가13 무기를13 제공받기로13 한13 결정은13 불가피한13 선택이었

다 전후13 독립을13 획득한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신생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 3

의13 국방력은13 취약하였다 따라서13 이집트의13 대외적13 여건은13 군사대국인13 소련에

게13 자연스럽게13 군사적13 도움을13 요구하게13 되고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그러면13 소련의13 이집트의13 접근배경은13 무엇인가 무엇보다도13 모스크바는13 對

전후13 중동지역에서13 미국과의13 경쟁에서13 우위를13 선점하기13 위한13 목적을13 갖고13 있

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국과의13 냉전13 구도13 하에서13 중동에서의13 영향력

을13 확보하고13 상대적으로13 미국의13 접근을13 어렵게13 하기13 위해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

근을13 시도하였다 즉13 중동에서13 가능한13 많은13 우방국13 혹은13 동맹국을13 만드는13 작

업은13 미국과13 마찬가지로13 소련의13 대외정책의13 우선순위의13 하나였다 더13 나아가

서13 소련은13 이집트뿐만13 아니라13 중동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국가에13 대해13 접한13 관

계를13 구축하고자13 하였다 이러한13 주장은13 년대를13 거치면서13 소련이13 시리 1960

아 요르단13 등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고13 일련의13 군사협정을13 체결하였다는13 사실

에13 의해13 뒷받침13 된다 년13 월13 일13 소련13 외무성은13 1955 4 16 ldquo소련은13 근동13 및13 중

26 이13 협정을13 통해13 양국은13 억불의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45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9

동지역에서13 전개되는13 상황에13 무관심한13 채13 남아13 있을13 수13 없다 그13 이유는13 그13

지역에13 있는13 외국의13 군사기지시설과13 블록화13 현상은13 소련의13 안보에13 직접적인13

연관성이13 있기13 때문이다rdquo27는13 입장을13 표명하였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친 한13 관계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이해관계를13 둘러싸고13 더욱13

발전하게13 되었다 년13 월13 나세르는13 수에즈운하에13 대한13 국유화를13 선언하 1956 7

였고13 이러한13 결정에13 대해13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13 이집트를13 공격하였다 이

로13 인해13 제 차13 중동전쟁이13 발발하였다 운하를13 둘러싼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13 그2

리고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첨예하게13 얽혀있었다 제 차13 중동전쟁은13 이집트 2 -

소련의13 관계에서13 또13 다른13 분수령이13 되었다 년13 이집트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1960

완전한13 통제와13 관리를13 위해13 소련으로부터13 에스완13 댐13 건설비용13 억13 천13 달러3 5

를13 받기로13 결정하였다 그13 후13 이집트는13 다양한13 형태의13 지원을13 소련으로13 받기13

시작하였다 년13 월13 이집트를13 방문한13 후르시초프 서기장은13 1964 5 (Khrushchev)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억13 천 백만13 불을13 융자하겠다는13 발표를13 하였다2 7 7 28

이13 비용은13 이집트가13 년부터13 추진하는13 개년13 개발계획에13 사용될13 예정이1965 5

라고13 덧붙였다 이러한13 재정적13 지원을13 통해13 이집트는13 점진적으로13 의존하였고13

의존의13 내용은13 경제원조의13 영역으로13 확대되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년13 1966 5

월13 일13 소련13 수상13 알렉세이13 코시긴 은13 카이로에서13 가11 (Aleksei M Kosygin)

진13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미국의13 베트남13 공격을13 비난하면서13 ldquo양국의13 국민은13 평화 사회적13 전진 그리고13 사회주의를13 위한13 투쟁에서13 공동13 목적과13 이념으로13

함께13 협력13 한다rdquo고13 선언하였다29 양국의13 우호관계는13 점진적으로13 확대되었다

이집트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스라엘과의13 분쟁은13 여전히13 미해결된13 채13 남아13 있었

고13 소련으로부터13 추가적인13 군사지원은13 불가피하였다

년의13 차13 중동13 전쟁혹은13 일13 전쟁에서13 이집트는13 이스라엘에게13 참패1967 3 ( 6 )

한13 후13 시나이13 반도와13 가지지구13 등을13 빼앗기게13 되었다 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

로13 하여금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더욱13 필요하게13 되었고13 결과적으로13 군

27 Alvin Z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에서13 재인용

2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4 5 25 p 1

29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6 5 11 p 2

140 백태열

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월터13 라퀘르 는13 다음과13 같이13 설 (Walter Laqueur)

명13 한다(1972 62)

일13 전쟁은13 소련6 -이집트13 관계의13 이정표를13 기록하였다 그13 전쟁은13 분실되거

나13 혹은13 파괴된13 모든13 군사13 장비를13 빨리13 대체하기13 위한13 필요성13 때문에13 소련에13

대한13 이집트의13 종속을13 극적으로13 심화시켰고13 낫세르의13 요청에13 따라13 소련군hellip13 인이13 탑승한13 SAM- 과13 2 SAM- 로13 구성된13 거대한13 미사일13 방어체계가13 13 이집트3

에13 설치되었다 소련조종사들이13 이집트내의13 개의13 공군비행장에서13 전투임무 15

를13 갖고13 전투기를13 발진시켰다

이집트는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있어서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

기13 위하여13 소련의13 군사적13 지원을13 지속적으로13 받았다 특히13 년에13 발생한13 1967

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과정에서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위해13 간접적13 방식으로13 전6

쟁에13 개입하였다 소련의13 군사고문단이13 이집트에13 상주하면서13 막후에서13 이집

트에서13 전술적 전략적13 도움을13 제공하고13 협력했을13 가능성은13 상당히13 높다 30

년13 가을에13 발생한13 나세르의13 갑작스런13 죽음과13 함께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1970

사다트는13 나세르의13 이념적 정책적13 계승자였다 따라서13 그는13 적어도13 외형적

으로13 소련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고자13 하였다 그의13 선택은13 당연하였다 일13 6

전쟁은13 휴전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전쟁은13 언제든지13 다시13 발발할13 개연성이13 높았

고13 따라서13 군사력의13 보강은13 그의13 주된13 목표였다 그는13 년13 월13 모스크바 1971 3

를13 방문하여13 소련에13 대한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다 그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1971

년13 월13 일13 양국사이의13 우호조약으로13 발전되었다 이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자리7 28

에서13 사다트는13 ldquo우리국민은13 아랍-소련의13 우정을13 소중하게13 생각하며13 그리고13 진정으로13 아랍전체13 국가들은13 이13 우정을13 우리13 정책의13 가장13 중용한13 기초중의13

하나로13 간주13 한다rdquo 고13 역설하였다 31 양국은13 년의13 유효기간을13 설정하고13 우 15

30 년13 동안13 이집트의13 군복으로13 위장한13 소련군13 조종사들이13 이집트13 영공에서13 이스라1970

엘의13 공습에13 대항하여13 공중전투에13 참여하였다 이13 부분에13 대해서13 Craig A Daigle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을13 참 8(1) March p 3

31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1 5 28 p 2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1

호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에13 어떤13 의미를13 갖고13

있는가 이와13 관련하여13 두13 가지13 사항이13 언급될13 수13 있다 첫째 이집트는13 오래13 13

동안13 공식적인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것을13 주저하였다 그것은13 특정국가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이13 나세르와13 사다트의13 정치철학에13 위배된다고13 판단하였기13 때문

이다 그러나13 나세르의13 죽음과13 완결되지13 않은13 중동전쟁의13 상황을13 고려할13 때13

다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보다13 강화할13 필요성을13 느꼈기13 때문이다

둘째 이13 조약은13 사실상13 외형적으로13 상호13 협력13 및13 우호를13 강조하고13 있지만13

조약의13 세부적13 내용을13 면 히13 검토해13 보면13 사실상13 군사원조와13 무기지원을13 포

함한13 일방적13 방위조약의13 성격이13 강하다 따라서13 향후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방위공약의13 의무를13 갖게13 되고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은13 보다13 제도적13 성격

을13 갖게13 되었다

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상황(2) 對이집트1) -소련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우호13 조약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이집트가13 군사적으로13 소련에13 예속된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년13 월13 이집트와13 1955 9

체코의13 무기매매협정에서13 찾을13 수13 있다 이13 협정은13 사실상13 소련과13 이집트사

이에13 체결된13 것으로13 소련이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내세워13 체결하였다(Cremeans

이13 협정을13 통해13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무기를13 공여하기13 시작하였고13 1963 146)

이집트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는13 계기가13 되었다 년13 월13 일13 1971 5 27

이집트와13 소련의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the Egyptian-Soviet Treaty of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년13 양국의13 무기Friendship and Cooperation) 1955

협정이후13 체결되었다 이13 조약은13 전문을13 포함하여13 모두13 개13 조항으로13 구성 12

되었다 이13 조약의13 전문은13 ldquo소련과13 이집트는13 양국의13 발전을13 촉진하고13 모든13 부분에서의13 협력을13 확고하게13 강화할13 것을13 확신하며13 양국은13 평화로운13 외hellip13 교정책의13 변함없는13 진행에13 따라서13 보다13 강력한13 국제평화와13 안보를13 위한13 투쟁

을13 지속적으로13 수행13 할13 것을13 결의하며helliprdquo32로13 되어13 있다 이13 조약은13 년13 1955

년13 양국이13 맺은13 무기협정13 보다13 여러13 부분에서13 포괄적인13 교류와13 협력을13 강조

32 Julian J Landau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참조Communications p 165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23: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7

이집트2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13 (1)

년13 영국의13 식민지에서13 벗어난13 이집트는13 국내외적으로13 커다란13 도전에13 1952

직면하였다 국내적으로13 정치세력간의13 권력투쟁으로13 불안한13 정국이13 지속되고13

있었고13 그13 과정에서13 군사13 쿠데타를13 통해13 실질적인13 권력을13 장악한13 나세르는13

아랍사회주의를13 표방하면서13 국정을13 운영하기13 시작하였다 대외적으로13 국제사

회에는13 이미13 냉전의13 열기가13 정점에13 올랐고13 그13 여파는13 중동에도13 도달하였다

이집트를13 둘러싼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복잡하게13 얽혀가고13 있었다 이와13 관련

하여13 주목할13 부분은13 미국과13 소련은13 중동지역에서13 패권경쟁을13 격화하고13 있었

다는13 점이다 소련은13 미국을13 견제하기13 위하여13 에13 버금가는13 지역안보 NATO

체제를13 구축하려고13 하였고13 이는13 바그다드13 조약 으로13 실현되고13 (Baghdad Pact)

있었다 미국은13 이집트를13 지역안보체제에13 끌어13 들이려는13 계획을13 갖고13 이집트

에13 접근하였다 마찬가지로13 소련은13 이집트와13 접한13 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이13

중동지역에서의13 교두보를13 확보할13 수13 있다고13 판단하였다 미국과13 소련은13 이집

트가13 아프리카와13 중동을13 연결하는13 지역에13 위치하고13 있기13 때문에13 전략적13 가치

를13 중시하였고13 아랍세계의13 위상13 때문에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근을13 추구하는13 것이13

중요한13 목표중의13 하나였다

나세르가13 집권13 이후13 이집트가13 당면한13 최대13 현안은13 이스라엘과13 갈등과13 분

쟁이었다 년13 월13 이스라엘군대가13 이집트13 통제지역인13 가자해협의13 군사 1955 2

시설을13 공격하면서13 명이13 사망하는13 사건이13 일어났다 이스라엘의13 공격으로13 38

인해13 양국은13 본격적인13 대립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이집트는13 이러한13 상황에13 대처

하기13 위해13 자국의13 군사력의13 증강이13 무엇보다도13 절실한13 과제였다 이집트는13

처음에13 서방측에게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으나13 거부당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시도하였다 이집트가13 소련을13 선택한13 구체적인13 배경은13 무엇인

가 무엇보다도13 나세르는13 기본적으로13 반서방주의13 성향이13 강하였고13 당시의13 국

제정세로13 볼13 때13 이스라엘을13 지원하는13 영국과13 미국13 보다는13 소련에게13 무기를13

요청하는13 것이13 적합하다고13 판단하였다 년13 이집트는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1955

138 백태열

내세운13 소련과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26 이13 무기협정을13 통해13 사실상13 이집트

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어13 가는13 계기가13 되었고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주공급자가13 되었다 그러나13 이집트는13 소련과13 상호군사조

약을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나세르가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맹관계를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기13 때문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찰스13 크레멘

스 는13 (Charles Cremeans) ldquo군사공약이13 포함되지13 않는13 한13 이집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받을13 수13 있었고13 그리고13 필요하다면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는데13

발생할13 수13 있는13 위험을13 감수할13 준비가13 되었다고13 나세르는13 항상13 주장하였다rdquo고13 지적한다 나세르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공여13 받는13 것에13 부(1963 281)

담을13 느꼈던13 것은13 분명하다 그13 이유는13 자신이13 강력한13 비동맹노선을13 표방하

였고13 따라서13 소련과13 연계를13 통해13 의존의13 상황이13 형성되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기13

때문이었다 결국13 나세르는13 적어도13 집권초기에는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

맹관계13 혹은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려고13 하지13 않았다 그러나13 이스라엘의13 군

사적13 위협13 때문에13 이집트가13 무기를13 제공받기로13 한13 결정은13 불가피한13 선택이었

다 전후13 독립을13 획득한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신생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 3

의13 국방력은13 취약하였다 따라서13 이집트의13 대외적13 여건은13 군사대국인13 소련에

게13 자연스럽게13 군사적13 도움을13 요구하게13 되고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그러면13 소련의13 이집트의13 접근배경은13 무엇인가 무엇보다도13 모스크바는13 對

전후13 중동지역에서13 미국과의13 경쟁에서13 우위를13 선점하기13 위한13 목적을13 갖고13 있

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국과의13 냉전13 구도13 하에서13 중동에서의13 영향력

을13 확보하고13 상대적으로13 미국의13 접근을13 어렵게13 하기13 위해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

근을13 시도하였다 즉13 중동에서13 가능한13 많은13 우방국13 혹은13 동맹국을13 만드는13 작

업은13 미국과13 마찬가지로13 소련의13 대외정책의13 우선순위의13 하나였다 더13 나아가

서13 소련은13 이집트뿐만13 아니라13 중동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국가에13 대해13 접한13 관

계를13 구축하고자13 하였다 이러한13 주장은13 년대를13 거치면서13 소련이13 시리 1960

아 요르단13 등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고13 일련의13 군사협정을13 체결하였다는13 사실

에13 의해13 뒷받침13 된다 년13 월13 일13 소련13 외무성은13 1955 4 16 ldquo소련은13 근동13 및13 중

26 이13 협정을13 통해13 양국은13 억불의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45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9

동지역에서13 전개되는13 상황에13 무관심한13 채13 남아13 있을13 수13 없다 그13 이유는13 그13

지역에13 있는13 외국의13 군사기지시설과13 블록화13 현상은13 소련의13 안보에13 직접적인13

연관성이13 있기13 때문이다rdquo27는13 입장을13 표명하였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친 한13 관계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이해관계를13 둘러싸고13 더욱13

발전하게13 되었다 년13 월13 나세르는13 수에즈운하에13 대한13 국유화를13 선언하 1956 7

였고13 이러한13 결정에13 대해13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13 이집트를13 공격하였다 이

로13 인해13 제 차13 중동전쟁이13 발발하였다 운하를13 둘러싼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13 그2

리고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첨예하게13 얽혀있었다 제 차13 중동전쟁은13 이집트 2 -

소련의13 관계에서13 또13 다른13 분수령이13 되었다 년13 이집트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1960

완전한13 통제와13 관리를13 위해13 소련으로부터13 에스완13 댐13 건설비용13 억13 천13 달러3 5

를13 받기로13 결정하였다 그13 후13 이집트는13 다양한13 형태의13 지원을13 소련으로13 받기13

시작하였다 년13 월13 이집트를13 방문한13 후르시초프 서기장은13 1964 5 (Khrushchev)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억13 천 백만13 불을13 융자하겠다는13 발표를13 하였다2 7 7 28

이13 비용은13 이집트가13 년부터13 추진하는13 개년13 개발계획에13 사용될13 예정이1965 5

라고13 덧붙였다 이러한13 재정적13 지원을13 통해13 이집트는13 점진적으로13 의존하였고13

의존의13 내용은13 경제원조의13 영역으로13 확대되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년13 1966 5

월13 일13 소련13 수상13 알렉세이13 코시긴 은13 카이로에서13 가11 (Aleksei M Kosygin)

진13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미국의13 베트남13 공격을13 비난하면서13 ldquo양국의13 국민은13 평화 사회적13 전진 그리고13 사회주의를13 위한13 투쟁에서13 공동13 목적과13 이념으로13

함께13 협력13 한다rdquo고13 선언하였다29 양국의13 우호관계는13 점진적으로13 확대되었다

이집트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스라엘과의13 분쟁은13 여전히13 미해결된13 채13 남아13 있었

고13 소련으로부터13 추가적인13 군사지원은13 불가피하였다

년의13 차13 중동13 전쟁혹은13 일13 전쟁에서13 이집트는13 이스라엘에게13 참패1967 3 ( 6 )

한13 후13 시나이13 반도와13 가지지구13 등을13 빼앗기게13 되었다 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

로13 하여금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더욱13 필요하게13 되었고13 결과적으로13 군

27 Alvin Z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에서13 재인용

2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4 5 25 p 1

29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6 5 11 p 2

140 백태열

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월터13 라퀘르 는13 다음과13 같이13 설 (Walter Laqueur)

명13 한다(1972 62)

일13 전쟁은13 소련6 -이집트13 관계의13 이정표를13 기록하였다 그13 전쟁은13 분실되거

나13 혹은13 파괴된13 모든13 군사13 장비를13 빨리13 대체하기13 위한13 필요성13 때문에13 소련에13

대한13 이집트의13 종속을13 극적으로13 심화시켰고13 낫세르의13 요청에13 따라13 소련군hellip13 인이13 탑승한13 SAM- 과13 2 SAM- 로13 구성된13 거대한13 미사일13 방어체계가13 13 이집트3

에13 설치되었다 소련조종사들이13 이집트내의13 개의13 공군비행장에서13 전투임무 15

를13 갖고13 전투기를13 발진시켰다

이집트는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있어서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

기13 위하여13 소련의13 군사적13 지원을13 지속적으로13 받았다 특히13 년에13 발생한13 1967

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과정에서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위해13 간접적13 방식으로13 전6

쟁에13 개입하였다 소련의13 군사고문단이13 이집트에13 상주하면서13 막후에서13 이집

트에서13 전술적 전략적13 도움을13 제공하고13 협력했을13 가능성은13 상당히13 높다 30

년13 가을에13 발생한13 나세르의13 갑작스런13 죽음과13 함께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1970

사다트는13 나세르의13 이념적 정책적13 계승자였다 따라서13 그는13 적어도13 외형적

으로13 소련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고자13 하였다 그의13 선택은13 당연하였다 일13 6

전쟁은13 휴전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전쟁은13 언제든지13 다시13 발발할13 개연성이13 높았

고13 따라서13 군사력의13 보강은13 그의13 주된13 목표였다 그는13 년13 월13 모스크바 1971 3

를13 방문하여13 소련에13 대한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다 그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1971

년13 월13 일13 양국사이의13 우호조약으로13 발전되었다 이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자리7 28

에서13 사다트는13 ldquo우리국민은13 아랍-소련의13 우정을13 소중하게13 생각하며13 그리고13 진정으로13 아랍전체13 국가들은13 이13 우정을13 우리13 정책의13 가장13 중용한13 기초중의13

하나로13 간주13 한다rdquo 고13 역설하였다 31 양국은13 년의13 유효기간을13 설정하고13 우 15

30 년13 동안13 이집트의13 군복으로13 위장한13 소련군13 조종사들이13 이집트13 영공에서13 이스라1970

엘의13 공습에13 대항하여13 공중전투에13 참여하였다 이13 부분에13 대해서13 Craig A Daigle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을13 참 8(1) March p 3

31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1 5 28 p 2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1

호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에13 어떤13 의미를13 갖고13

있는가 이와13 관련하여13 두13 가지13 사항이13 언급될13 수13 있다 첫째 이집트는13 오래13 13

동안13 공식적인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것을13 주저하였다 그것은13 특정국가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이13 나세르와13 사다트의13 정치철학에13 위배된다고13 판단하였기13 때문

이다 그러나13 나세르의13 죽음과13 완결되지13 않은13 중동전쟁의13 상황을13 고려할13 때13

다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보다13 강화할13 필요성을13 느꼈기13 때문이다

둘째 이13 조약은13 사실상13 외형적으로13 상호13 협력13 및13 우호를13 강조하고13 있지만13

조약의13 세부적13 내용을13 면 히13 검토해13 보면13 사실상13 군사원조와13 무기지원을13 포

함한13 일방적13 방위조약의13 성격이13 강하다 따라서13 향후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방위공약의13 의무를13 갖게13 되고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은13 보다13 제도적13 성격

을13 갖게13 되었다

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상황(2) 對이집트1) -소련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우호13 조약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이집트가13 군사적으로13 소련에13 예속된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년13 월13 이집트와13 1955 9

체코의13 무기매매협정에서13 찾을13 수13 있다 이13 협정은13 사실상13 소련과13 이집트사

이에13 체결된13 것으로13 소련이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내세워13 체결하였다(Cremeans

이13 협정을13 통해13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무기를13 공여하기13 시작하였고13 1963 146)

이집트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는13 계기가13 되었다 년13 월13 일13 1971 5 27

이집트와13 소련의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the Egyptian-Soviet Treaty of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년13 양국의13 무기Friendship and Cooperation) 1955

협정이후13 체결되었다 이13 조약은13 전문을13 포함하여13 모두13 개13 조항으로13 구성 12

되었다 이13 조약의13 전문은13 ldquo소련과13 이집트는13 양국의13 발전을13 촉진하고13 모든13 부분에서의13 협력을13 확고하게13 강화할13 것을13 확신하며13 양국은13 평화로운13 외hellip13 교정책의13 변함없는13 진행에13 따라서13 보다13 강력한13 국제평화와13 안보를13 위한13 투쟁

을13 지속적으로13 수행13 할13 것을13 결의하며helliprdquo32로13 되어13 있다 이13 조약은13 년13 1955

년13 양국이13 맺은13 무기협정13 보다13 여러13 부분에서13 포괄적인13 교류와13 협력을13 강조

32 Julian J Landau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참조Communications p 165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24: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138 백태열

내세운13 소련과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26 이13 무기협정을13 통해13 사실상13 이집트

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어13 가는13 계기가13 되었고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장비13 및13 무기의13 주공급자가13 되었다 그러나13 이집트는13 소련과13 상호군사조

약을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다 그13 이유는13 나세르가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맹관계를13 맺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았기13 때문이다 이와13 관련하여13 찰스13 크레멘

스 는13 (Charles Cremeans) ldquo군사공약이13 포함되지13 않는13 한13 이집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받을13 수13 있었고13 그리고13 필요하다면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는데13

발생할13 수13 있는13 위험을13 감수할13 준비가13 되었다고13 나세르는13 항상13 주장하였다rdquo고13 지적한다 나세르는13 소련으로부터13 무기를13 공여13 받는13 것에13 부(1963 281)

담을13 느꼈던13 것은13 분명하다 그13 이유는13 자신이13 강력한13 비동맹노선을13 표방하

였고13 따라서13 소련과13 연계를13 통해13 의존의13 상황이13 형성되는13 것을13 원하지13 않기13

때문이었다 결국13 나세르는13 적어도13 집권초기에는13 특정국가와13 높은13 수준의13 동

맹관계13 혹은13 상호방위조약을13 체결하려고13 하지13 않았다 그러나13 이스라엘의13 군

사적13 위협13 때문에13 이집트가13 무기를13 제공받기로13 한13 결정은13 불가피한13 선택이었

다 전후13 독립을13 획득한13 대부분의13 제 세계13 신생국가들과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 3

의13 국방력은13 취약하였다 따라서13 이집트의13 대외적13 여건은13 군사대국인13 소련에

게13 자연스럽게13 군사적13 도움을13 요구하게13 되고13 의존할13 수밖에13 없었다

그러면13 소련의13 이집트의13 접근배경은13 무엇인가 무엇보다도13 모스크바는13 對

전후13 중동지역에서13 미국과의13 경쟁에서13 우위를13 선점하기13 위한13 목적을13 갖고13 있

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미국과의13 냉전13 구도13 하에서13 중동에서의13 영향력

을13 확보하고13 상대적으로13 미국의13 접근을13 어렵게13 하기13 위해13 이집트에13 대한13 접

근을13 시도하였다 즉13 중동에서13 가능한13 많은13 우방국13 혹은13 동맹국을13 만드는13 작

업은13 미국과13 마찬가지로13 소련의13 대외정책의13 우선순위의13 하나였다 더13 나아가

서13 소련은13 이집트뿐만13 아니라13 중동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국가에13 대해13 접한13 관

계를13 구축하고자13 하였다 이러한13 주장은13 년대를13 거치면서13 소련이13 시리 1960

아 요르단13 등에13 군사원조를13 제공하고13 일련의13 군사협정을13 체결하였다는13 사실

에13 의해13 뒷받침13 된다 년13 월13 일13 소련13 외무성은13 1955 4 16 ldquo소련은13 근동13 및13 중

26 이13 협정을13 통해13 양국은13 억불의13 무기협정을13 체결하였다45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9

동지역에서13 전개되는13 상황에13 무관심한13 채13 남아13 있을13 수13 없다 그13 이유는13 그13

지역에13 있는13 외국의13 군사기지시설과13 블록화13 현상은13 소련의13 안보에13 직접적인13

연관성이13 있기13 때문이다rdquo27는13 입장을13 표명하였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친 한13 관계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이해관계를13 둘러싸고13 더욱13

발전하게13 되었다 년13 월13 나세르는13 수에즈운하에13 대한13 국유화를13 선언하 1956 7

였고13 이러한13 결정에13 대해13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13 이집트를13 공격하였다 이

로13 인해13 제 차13 중동전쟁이13 발발하였다 운하를13 둘러싼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13 그2

리고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첨예하게13 얽혀있었다 제 차13 중동전쟁은13 이집트 2 -

소련의13 관계에서13 또13 다른13 분수령이13 되었다 년13 이집트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1960

완전한13 통제와13 관리를13 위해13 소련으로부터13 에스완13 댐13 건설비용13 억13 천13 달러3 5

를13 받기로13 결정하였다 그13 후13 이집트는13 다양한13 형태의13 지원을13 소련으로13 받기13

시작하였다 년13 월13 이집트를13 방문한13 후르시초프 서기장은13 1964 5 (Khrushchev)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억13 천 백만13 불을13 융자하겠다는13 발표를13 하였다2 7 7 28

이13 비용은13 이집트가13 년부터13 추진하는13 개년13 개발계획에13 사용될13 예정이1965 5

라고13 덧붙였다 이러한13 재정적13 지원을13 통해13 이집트는13 점진적으로13 의존하였고13

의존의13 내용은13 경제원조의13 영역으로13 확대되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년13 1966 5

월13 일13 소련13 수상13 알렉세이13 코시긴 은13 카이로에서13 가11 (Aleksei M Kosygin)

진13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미국의13 베트남13 공격을13 비난하면서13 ldquo양국의13 국민은13 평화 사회적13 전진 그리고13 사회주의를13 위한13 투쟁에서13 공동13 목적과13 이념으로13

함께13 협력13 한다rdquo고13 선언하였다29 양국의13 우호관계는13 점진적으로13 확대되었다

이집트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스라엘과의13 분쟁은13 여전히13 미해결된13 채13 남아13 있었

고13 소련으로부터13 추가적인13 군사지원은13 불가피하였다

년의13 차13 중동13 전쟁혹은13 일13 전쟁에서13 이집트는13 이스라엘에게13 참패1967 3 ( 6 )

한13 후13 시나이13 반도와13 가지지구13 등을13 빼앗기게13 되었다 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

로13 하여금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더욱13 필요하게13 되었고13 결과적으로13 군

27 Alvin Z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에서13 재인용

2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4 5 25 p 1

29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6 5 11 p 2

140 백태열

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월터13 라퀘르 는13 다음과13 같이13 설 (Walter Laqueur)

명13 한다(1972 62)

일13 전쟁은13 소련6 -이집트13 관계의13 이정표를13 기록하였다 그13 전쟁은13 분실되거

나13 혹은13 파괴된13 모든13 군사13 장비를13 빨리13 대체하기13 위한13 필요성13 때문에13 소련에13

대한13 이집트의13 종속을13 극적으로13 심화시켰고13 낫세르의13 요청에13 따라13 소련군hellip13 인이13 탑승한13 SAM- 과13 2 SAM- 로13 구성된13 거대한13 미사일13 방어체계가13 13 이집트3

에13 설치되었다 소련조종사들이13 이집트내의13 개의13 공군비행장에서13 전투임무 15

를13 갖고13 전투기를13 발진시켰다

이집트는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있어서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

기13 위하여13 소련의13 군사적13 지원을13 지속적으로13 받았다 특히13 년에13 발생한13 1967

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과정에서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위해13 간접적13 방식으로13 전6

쟁에13 개입하였다 소련의13 군사고문단이13 이집트에13 상주하면서13 막후에서13 이집

트에서13 전술적 전략적13 도움을13 제공하고13 협력했을13 가능성은13 상당히13 높다 30

년13 가을에13 발생한13 나세르의13 갑작스런13 죽음과13 함께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1970

사다트는13 나세르의13 이념적 정책적13 계승자였다 따라서13 그는13 적어도13 외형적

으로13 소련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고자13 하였다 그의13 선택은13 당연하였다 일13 6

전쟁은13 휴전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전쟁은13 언제든지13 다시13 발발할13 개연성이13 높았

고13 따라서13 군사력의13 보강은13 그의13 주된13 목표였다 그는13 년13 월13 모스크바 1971 3

를13 방문하여13 소련에13 대한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다 그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1971

년13 월13 일13 양국사이의13 우호조약으로13 발전되었다 이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자리7 28

에서13 사다트는13 ldquo우리국민은13 아랍-소련의13 우정을13 소중하게13 생각하며13 그리고13 진정으로13 아랍전체13 국가들은13 이13 우정을13 우리13 정책의13 가장13 중용한13 기초중의13

하나로13 간주13 한다rdquo 고13 역설하였다 31 양국은13 년의13 유효기간을13 설정하고13 우 15

30 년13 동안13 이집트의13 군복으로13 위장한13 소련군13 조종사들이13 이집트13 영공에서13 이스라1970

엘의13 공습에13 대항하여13 공중전투에13 참여하였다 이13 부분에13 대해서13 Craig A Daigle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을13 참 8(1) March p 3

31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1 5 28 p 2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1

호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에13 어떤13 의미를13 갖고13

있는가 이와13 관련하여13 두13 가지13 사항이13 언급될13 수13 있다 첫째 이집트는13 오래13 13

동안13 공식적인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것을13 주저하였다 그것은13 특정국가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이13 나세르와13 사다트의13 정치철학에13 위배된다고13 판단하였기13 때문

이다 그러나13 나세르의13 죽음과13 완결되지13 않은13 중동전쟁의13 상황을13 고려할13 때13

다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보다13 강화할13 필요성을13 느꼈기13 때문이다

둘째 이13 조약은13 사실상13 외형적으로13 상호13 협력13 및13 우호를13 강조하고13 있지만13

조약의13 세부적13 내용을13 면 히13 검토해13 보면13 사실상13 군사원조와13 무기지원을13 포

함한13 일방적13 방위조약의13 성격이13 강하다 따라서13 향후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방위공약의13 의무를13 갖게13 되고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은13 보다13 제도적13 성격

을13 갖게13 되었다

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상황(2) 對이집트1) -소련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우호13 조약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이집트가13 군사적으로13 소련에13 예속된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년13 월13 이집트와13 1955 9

체코의13 무기매매협정에서13 찾을13 수13 있다 이13 협정은13 사실상13 소련과13 이집트사

이에13 체결된13 것으로13 소련이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내세워13 체결하였다(Cremeans

이13 협정을13 통해13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무기를13 공여하기13 시작하였고13 1963 146)

이집트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는13 계기가13 되었다 년13 월13 일13 1971 5 27

이집트와13 소련의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the Egyptian-Soviet Treaty of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년13 양국의13 무기Friendship and Cooperation) 1955

협정이후13 체결되었다 이13 조약은13 전문을13 포함하여13 모두13 개13 조항으로13 구성 12

되었다 이13 조약의13 전문은13 ldquo소련과13 이집트는13 양국의13 발전을13 촉진하고13 모든13 부분에서의13 협력을13 확고하게13 강화할13 것을13 확신하며13 양국은13 평화로운13 외hellip13 교정책의13 변함없는13 진행에13 따라서13 보다13 강력한13 국제평화와13 안보를13 위한13 투쟁

을13 지속적으로13 수행13 할13 것을13 결의하며helliprdquo32로13 되어13 있다 이13 조약은13 년13 1955

년13 양국이13 맺은13 무기협정13 보다13 여러13 부분에서13 포괄적인13 교류와13 협력을13 강조

32 Julian J Landau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참조Communications p 165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25: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39

동지역에서13 전개되는13 상황에13 무관심한13 채13 남아13 있을13 수13 없다 그13 이유는13 그13

지역에13 있는13 외국의13 군사기지시설과13 블록화13 현상은13 소련의13 안보에13 직접적인13

연관성이13 있기13 때문이다rdquo27는13 입장을13 표명하였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친 한13 관계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이해관계를13 둘러싸고13 더욱13

발전하게13 되었다 년13 월13 나세르는13 수에즈운하에13 대한13 국유화를13 선언하 1956 7

였고13 이러한13 결정에13 대해13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13 이집트를13 공격하였다 이

로13 인해13 제 차13 중동전쟁이13 발발하였다 운하를13 둘러싼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13 그2

리고13 강대국의13 이해관계가13 첨예하게13 얽혀있었다 제 차13 중동전쟁은13 이집트 2 -

소련의13 관계에서13 또13 다른13 분수령이13 되었다 년13 이집트는13 수에즈13 운하의13 1960

완전한13 통제와13 관리를13 위해13 소련으로부터13 에스완13 댐13 건설비용13 억13 천13 달러3 5

를13 받기로13 결정하였다 그13 후13 이집트는13 다양한13 형태의13 지원을13 소련으로13 받기13

시작하였다 년13 월13 이집트를13 방문한13 후르시초프 서기장은13 1964 5 (Khrushchev)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억13 천 백만13 불을13 융자하겠다는13 발표를13 하였다2 7 7 28

이13 비용은13 이집트가13 년부터13 추진하는13 개년13 개발계획에13 사용될13 예정이1965 5

라고13 덧붙였다 이러한13 재정적13 지원을13 통해13 이집트는13 점진적으로13 의존하였고13

의존의13 내용은13 경제원조의13 영역으로13 확대되고13 있었다 예를13 들면 년13 1966 5

월13 일13 소련13 수상13 알렉세이13 코시긴 은13 카이로에서13 가11 (Aleksei M Kosygin)

진13 나세르와13 정상회담에서13 미국의13 베트남13 공격을13 비난하면서13 ldquo양국의13 국민은13 평화 사회적13 전진 그리고13 사회주의를13 위한13 투쟁에서13 공동13 목적과13 이념으로13

함께13 협력13 한다rdquo고13 선언하였다29 양국의13 우호관계는13 점진적으로13 확대되었다

이집트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스라엘과의13 분쟁은13 여전히13 미해결된13 채13 남아13 있었

고13 소련으로부터13 추가적인13 군사지원은13 불가피하였다

년의13 차13 중동13 전쟁혹은13 일13 전쟁에서13 이집트는13 이스라엘에게13 참패1967 3 ( 6 )

한13 후13 시나이13 반도와13 가지지구13 등을13 빼앗기게13 되었다 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

로13 하여금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지원을13 더욱13 필요하게13 되었고13 결과적으로13 군

27 Alvin Z Rubinstein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에서13 재인용

2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4 5 25 p 1

29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13 1966 5 11 p 2

140 백태열

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월터13 라퀘르 는13 다음과13 같이13 설 (Walter Laqueur)

명13 한다(1972 62)

일13 전쟁은13 소련6 -이집트13 관계의13 이정표를13 기록하였다 그13 전쟁은13 분실되거

나13 혹은13 파괴된13 모든13 군사13 장비를13 빨리13 대체하기13 위한13 필요성13 때문에13 소련에13

대한13 이집트의13 종속을13 극적으로13 심화시켰고13 낫세르의13 요청에13 따라13 소련군hellip13 인이13 탑승한13 SAM- 과13 2 SAM- 로13 구성된13 거대한13 미사일13 방어체계가13 13 이집트3

에13 설치되었다 소련조종사들이13 이집트내의13 개의13 공군비행장에서13 전투임무 15

를13 갖고13 전투기를13 발진시켰다

이집트는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있어서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

기13 위하여13 소련의13 군사적13 지원을13 지속적으로13 받았다 특히13 년에13 발생한13 1967

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과정에서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위해13 간접적13 방식으로13 전6

쟁에13 개입하였다 소련의13 군사고문단이13 이집트에13 상주하면서13 막후에서13 이집

트에서13 전술적 전략적13 도움을13 제공하고13 협력했을13 가능성은13 상당히13 높다 30

년13 가을에13 발생한13 나세르의13 갑작스런13 죽음과13 함께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1970

사다트는13 나세르의13 이념적 정책적13 계승자였다 따라서13 그는13 적어도13 외형적

으로13 소련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고자13 하였다 그의13 선택은13 당연하였다 일13 6

전쟁은13 휴전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전쟁은13 언제든지13 다시13 발발할13 개연성이13 높았

고13 따라서13 군사력의13 보강은13 그의13 주된13 목표였다 그는13 년13 월13 모스크바 1971 3

를13 방문하여13 소련에13 대한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다 그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1971

년13 월13 일13 양국사이의13 우호조약으로13 발전되었다 이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자리7 28

에서13 사다트는13 ldquo우리국민은13 아랍-소련의13 우정을13 소중하게13 생각하며13 그리고13 진정으로13 아랍전체13 국가들은13 이13 우정을13 우리13 정책의13 가장13 중용한13 기초중의13

하나로13 간주13 한다rdquo 고13 역설하였다 31 양국은13 년의13 유효기간을13 설정하고13 우 15

30 년13 동안13 이집트의13 군복으로13 위장한13 소련군13 조종사들이13 이집트13 영공에서13 이스라1970

엘의13 공습에13 대항하여13 공중전투에13 참여하였다 이13 부분에13 대해서13 Craig A Daigle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을13 참 8(1) March p 3

31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1 5 28 p 2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1

호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에13 어떤13 의미를13 갖고13

있는가 이와13 관련하여13 두13 가지13 사항이13 언급될13 수13 있다 첫째 이집트는13 오래13 13

동안13 공식적인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것을13 주저하였다 그것은13 특정국가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이13 나세르와13 사다트의13 정치철학에13 위배된다고13 판단하였기13 때문

이다 그러나13 나세르의13 죽음과13 완결되지13 않은13 중동전쟁의13 상황을13 고려할13 때13

다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보다13 강화할13 필요성을13 느꼈기13 때문이다

둘째 이13 조약은13 사실상13 외형적으로13 상호13 협력13 및13 우호를13 강조하고13 있지만13

조약의13 세부적13 내용을13 면 히13 검토해13 보면13 사실상13 군사원조와13 무기지원을13 포

함한13 일방적13 방위조약의13 성격이13 강하다 따라서13 향후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방위공약의13 의무를13 갖게13 되고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은13 보다13 제도적13 성격

을13 갖게13 되었다

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상황(2) 對이집트1) -소련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우호13 조약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이집트가13 군사적으로13 소련에13 예속된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년13 월13 이집트와13 1955 9

체코의13 무기매매협정에서13 찾을13 수13 있다 이13 협정은13 사실상13 소련과13 이집트사

이에13 체결된13 것으로13 소련이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내세워13 체결하였다(Cremeans

이13 협정을13 통해13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무기를13 공여하기13 시작하였고13 1963 146)

이집트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는13 계기가13 되었다 년13 월13 일13 1971 5 27

이집트와13 소련의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the Egyptian-Soviet Treaty of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년13 양국의13 무기Friendship and Cooperation) 1955

협정이후13 체결되었다 이13 조약은13 전문을13 포함하여13 모두13 개13 조항으로13 구성 12

되었다 이13 조약의13 전문은13 ldquo소련과13 이집트는13 양국의13 발전을13 촉진하고13 모든13 부분에서의13 협력을13 확고하게13 강화할13 것을13 확신하며13 양국은13 평화로운13 외hellip13 교정책의13 변함없는13 진행에13 따라서13 보다13 강력한13 국제평화와13 안보를13 위한13 투쟁

을13 지속적으로13 수행13 할13 것을13 결의하며helliprdquo32로13 되어13 있다 이13 조약은13 년13 1955

년13 양국이13 맺은13 무기협정13 보다13 여러13 부분에서13 포괄적인13 교류와13 협력을13 강조

32 Julian J Landau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참조Communications p 165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26: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140 백태열

사적13 예속을13 고착화시켰다 월터13 라퀘르 는13 다음과13 같이13 설 (Walter Laqueur)

명13 한다(1972 62)

일13 전쟁은13 소련6 -이집트13 관계의13 이정표를13 기록하였다 그13 전쟁은13 분실되거

나13 혹은13 파괴된13 모든13 군사13 장비를13 빨리13 대체하기13 위한13 필요성13 때문에13 소련에13

대한13 이집트의13 종속을13 극적으로13 심화시켰고13 낫세르의13 요청에13 따라13 소련군hellip13 인이13 탑승한13 SAM- 과13 2 SAM- 로13 구성된13 거대한13 미사일13 방어체계가13 13 이집트3

에13 설치되었다 소련조종사들이13 이집트내의13 개의13 공군비행장에서13 전투임무 15

를13 갖고13 전투기를13 발진시켰다

이집트는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있어서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

기13 위하여13 소련의13 군사적13 지원을13 지속적으로13 받았다 특히13 년에13 발생한13 1967

일13 전쟁을13 수행하는데13 과정에서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위해13 간접적13 방식으로13 전6

쟁에13 개입하였다 소련의13 군사고문단이13 이집트에13 상주하면서13 막후에서13 이집

트에서13 전술적 전략적13 도움을13 제공하고13 협력했을13 가능성은13 상당히13 높다 30

년13 가을에13 발생한13 나세르의13 갑작스런13 죽음과13 함께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1970

사다트는13 나세르의13 이념적 정책적13 계승자였다 따라서13 그는13 적어도13 외형적

으로13 소련과의13 동맹관계를13 유지하고자13 하였다 그의13 선택은13 당연하였다 일13 6

전쟁은13 휴전상태에13 접어들었고13 전쟁은13 언제든지13 다시13 발발할13 개연성이13 높았

고13 따라서13 군사력의13 보강은13 그의13 주된13 목표였다 그는13 년13 월13 모스크바 1971 3

를13 방문하여13 소련에13 대한13 무기13 공급을13 요청하였다 그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1971

년13 월13 일13 양국사이의13 우호조약으로13 발전되었다 이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자리7 28

에서13 사다트는13 ldquo우리국민은13 아랍-소련의13 우정을13 소중하게13 생각하며13 그리고13 진정으로13 아랍전체13 국가들은13 이13 우정을13 우리13 정책의13 가장13 중용한13 기초중의13

하나로13 간주13 한다rdquo 고13 역설하였다 31 양국은13 년의13 유효기간을13 설정하고13 우 15

30 년13 동안13 이집트의13 군복으로13 위장한13 소련군13 조종사들이13 이집트13 영공에서13 이스라1970

엘의13 공습에13 대항하여13 공중전투에13 참여하였다 이13 부분에13 대해서13 Craig A Daigle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을13 참 8(1) March p 3

31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1 5 28 p 2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1

호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에13 어떤13 의미를13 갖고13

있는가 이와13 관련하여13 두13 가지13 사항이13 언급될13 수13 있다 첫째 이집트는13 오래13 13

동안13 공식적인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것을13 주저하였다 그것은13 특정국가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이13 나세르와13 사다트의13 정치철학에13 위배된다고13 판단하였기13 때문

이다 그러나13 나세르의13 죽음과13 완결되지13 않은13 중동전쟁의13 상황을13 고려할13 때13

다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보다13 강화할13 필요성을13 느꼈기13 때문이다

둘째 이13 조약은13 사실상13 외형적으로13 상호13 협력13 및13 우호를13 강조하고13 있지만13

조약의13 세부적13 내용을13 면 히13 검토해13 보면13 사실상13 군사원조와13 무기지원을13 포

함한13 일방적13 방위조약의13 성격이13 강하다 따라서13 향후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방위공약의13 의무를13 갖게13 되고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은13 보다13 제도적13 성격

을13 갖게13 되었다

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상황(2) 對이집트1) -소련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우호13 조약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이집트가13 군사적으로13 소련에13 예속된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년13 월13 이집트와13 1955 9

체코의13 무기매매협정에서13 찾을13 수13 있다 이13 협정은13 사실상13 소련과13 이집트사

이에13 체결된13 것으로13 소련이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내세워13 체결하였다(Cremeans

이13 협정을13 통해13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무기를13 공여하기13 시작하였고13 1963 146)

이집트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는13 계기가13 되었다 년13 월13 일13 1971 5 27

이집트와13 소련의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the Egyptian-Soviet Treaty of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년13 양국의13 무기Friendship and Cooperation) 1955

협정이후13 체결되었다 이13 조약은13 전문을13 포함하여13 모두13 개13 조항으로13 구성 12

되었다 이13 조약의13 전문은13 ldquo소련과13 이집트는13 양국의13 발전을13 촉진하고13 모든13 부분에서의13 협력을13 확고하게13 강화할13 것을13 확신하며13 양국은13 평화로운13 외hellip13 교정책의13 변함없는13 진행에13 따라서13 보다13 강력한13 국제평화와13 안보를13 위한13 투쟁

을13 지속적으로13 수행13 할13 것을13 결의하며helliprdquo32로13 되어13 있다 이13 조약은13 년13 1955

년13 양국이13 맺은13 무기협정13 보다13 여러13 부분에서13 포괄적인13 교류와13 협력을13 강조

32 Julian J Landau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참조Communications p 165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27: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1

호조약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에13 어떤13 의미를13 갖고13

있는가 이와13 관련하여13 두13 가지13 사항이13 언급될13 수13 있다 첫째 이집트는13 오래13 13

동안13 공식적인13 조약을13 체결하는13 것을13 주저하였다 그것은13 특정국가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이13 나세르와13 사다트의13 정치철학에13 위배된다고13 판단하였기13 때문

이다 그러나13 나세르의13 죽음과13 완결되지13 않은13 중동전쟁의13 상황을13 고려할13 때13

다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보다13 강화할13 필요성을13 느꼈기13 때문이다

둘째 이13 조약은13 사실상13 외형적으로13 상호13 협력13 및13 우호를13 강조하고13 있지만13

조약의13 세부적13 내용을13 면 히13 검토해13 보면13 사실상13 군사원조와13 무기지원을13 포

함한13 일방적13 방위조약의13 성격이13 강하다 따라서13 향후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방위공약의13 의무를13 갖게13 되고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은13 보다13 제도적13 성격

을13 갖게13 되었다

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적13 종속 실체와13 상황(2) 對이집트1) -소련의13 군사협정과13 상호우호13 조약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이집트가13 군사적으로13 소련에13 예속된13 첫13 번째13 증거는13 년13 월13 이집트와13 1955 9

체코의13 무기매매협정에서13 찾을13 수13 있다 이13 협정은13 사실상13 소련과13 이집트사

이에13 체결된13 것으로13 소련이13 체코를13 대리국으로13 내세워13 체결하였다(Cremeans

이13 협정을13 통해13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무기를13 공여하기13 시작하였고13 1963 146)

이집트는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는13 계기가13 되었다 년13 월13 일13 1971 5 27

이집트와13 소련의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the Egyptian-Soviet Treaty of

을13 체결하였다 이13 조약은13 년13 양국의13 무기Friendship and Cooperation) 1955

협정이후13 체결되었다 이13 조약은13 전문을13 포함하여13 모두13 개13 조항으로13 구성 12

되었다 이13 조약의13 전문은13 ldquo소련과13 이집트는13 양국의13 발전을13 촉진하고13 모든13 부분에서의13 협력을13 확고하게13 강화할13 것을13 확신하며13 양국은13 평화로운13 외hellip13 교정책의13 변함없는13 진행에13 따라서13 보다13 강력한13 국제평화와13 안보를13 위한13 투쟁

을13 지속적으로13 수행13 할13 것을13 결의하며helliprdquo32로13 되어13 있다 이13 조약은13 년13 1955

년13 양국이13 맺은13 무기협정13 보다13 여러13 부분에서13 포괄적인13 교류와13 협력을13 강조

32 Julian J Landau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참조Communications p 165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28: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142 백태열

하고13 있다 이러한13 내용은13 조약의13 거의13 대부분의13 내용에13 적시되어13 있다 순수

한13 측면에서13 보면13 이13 조약은13 이집트와13 소련13 사이에13 맺어진13 상호방위조약은13

아니다 그러나13 이13 조약의13 조는13 소련이13 이집트에13 대한13 무기13 공여를13 포함한13 8

군사원조를13 지원한다는13 내용을13 담고13 있다 구체적으로13 조약13 조는13 다음과13 같 8

이13 기술되어13 있다

아랍공화국이집트의13 방위능력을13 강화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고귀한13 체맹국( )

은13 양국사이의13 협정의13 조항에13 기초하여13 군사부분에서13 협력을13 지속적으로13 발전

시킬13 것이다 그러한13 협력은13 일반적인13 공격시에13 저항할13 수13 있는13 능력뿐13 만13 아

니라13 공격의13 후유증을13 제거하기13 위한13 능력을13 강화할13 목적으로13 이집트에13 군사13

장비를13 제공하는13 있어서13 그리고13 이집트의13 군대를13 훈련시키는데13 필요한13 원조를13

제공하게13 될13 것이다33

이13 조약은13 외형적으로13 양국의13 군사적13 협력을13 강화하는13 것처럼13 보이지만13

사실상13 소련이13 일방적으로13 이집트에13 대한13 군사지원과13 원조를13 제공할13 것이라

는13 점을13 보여준다 바로13 이러한13 점들이13 이집트가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

되어13 있음을13 보여주는13 증거가13 된다

군사기지13 및13 외국군대의13 주둔13 2)

이집트의13 소련군사기지는13 크게13 두13 가지로13 나뉘어13 진다 첫13 번째는13 해군기

지이다 년13 이후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해군을13 지원하기13 위하여13 지중해의13 알 1967

렉산드리아 포트13 사이드 그리고13 머서13 메트루 솔륨 (Mersa Matruth) (Sollum)

그리고13 홍해의13 베레니스 에13 해군기지를13 확보하고13 군사13 활동을13 하였(Berenice)

다(Smaldone 1980 92- 두13 번째는13 이집트13 주둔13 소련의13 공군기지이다93)

소련의13 공군기지는13 모두13 지역으로13 알려져13 있다 소련의13 공군은13 년13 6 1970 4

월13 이스라엘의13 공습을13 방어하기13 위하여13 이집트의13 중심부와13 주요도시에13 대한13

방어13 방을13 구축하였다(Landau 1971 163- 이집트에서13 소련의13 군사기164)

지가13 설치됨에13 따라13 이집트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였다 년13 중반까지13 이집 1970

트에서는13 명의13 소련군인이13 주둔하고13 있었고13 여기에는13 전투조종사 미12000

33 상게서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29: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3

사일기지의13 육군 그리고13 군사참모13 및13 고문관13 등이13 포함되어13 있다 간단히13 요

약하면13 이집트는13 자국의13 부족한13 군사력을13 만회하기13 위하여13 소련군의13 도움과13

지원으로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준비하였다

소련의13 이집트13 무기13 공여3)

이집트는13 년대13 중반부터13 년대13 중반까지13 소련으로부터13 많은13 량의13 1950 1970

군사장비와13 무기를13 공급받았으며13 소련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최대의13 무기13 공급자

로서의13 역할을13 하였다 이러한13 군사장비에는13 군사용13 비행기 미사일 그리고13

군사용13 선박13 등이13 주종을13 이루고13 있다 대표적으로13 이집트에게13 공급된13 무기13

공여의13 내용을13 간략히13 살펴보기로13 한다 우선13 군사용13 비행기전투기13 포함에 ( )

는13 MiG-15 MiG- 그리고13 17 An- 등이다 년대와13 년대13 기간동안13 12 1960 1970

소련은13 다양한13 형태의13 전투기를13 이집트에13 공여하였다 예를13 들면 Su-7

MiG-21 Il- 등이다 미사일과13 관련하여13 이집트는13 년대13 이후부터13 소28 1960

련으로13 공급을13 받았으며13 여기에는13 K-13 ldquoAtollrdquo SA-2 SA-6 SS-TC

ldquoScudrdquo 등이13 대표적이다 군사용13 선박용도13 소련의13 주된13 군사장비였으며13 여

기에는13 잠수함 순시함 구축함13 등이13 포함된다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13 ldquoMVrdquo class ldquoWrdquo 잠수함 class( ) Skoryi ldquoZrdquo 구축함 등이다 그13 밖에도13 장갑 class( )

차13 역시13 년대13 중반13 이후13 년대13 중반까지13 지속적으로13 이집트에13 공여1950 1970

되었다 대표적인13 모델은13 BTR-40 T-34 T- 그리고13 54 PT- 등이다 이집76

트는13 소련이외에13 체코 프랑스 유고13 등에서13 무기를13 수입하였지만13 전체13 무기

의13 대부분을13 소련으로부터13 공여13 받았다 또한13 년부터13 년까지13 소련 1976 1976

이13 아프리카에13 공여한13 전체무기판매13 금액13 중에서13 억불13 중에서13 이집트에13 44

판매한13 금액은13 반이13 넘는13 억불이었다23

이집트13 군인의13 소련에서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13 4)

필리핀의13 경우와13 마찬가지로13 이집트군인들은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았다

한13 자료에13 따르면13 년부터13 년까지13 해외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이집트1955 1976

의13 군인13 수는13 명이었고13 이중에서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수는13 6250 5665

명이었고13 나머지는13 명은13 동구권의13 국가에서13 받았다585 (Smaldone 1980

특히13 주목할13 만13 사항은13 같은13 기간에13 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은13 아프리93)

카국가13 중에서13 이집트의13 군인이13 가장13 많았다 이러한13 훈련과13 교육 그리고13 연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30: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144 백태열

수13 등을13 통해13 종속국가의13 군인들은13 피종속국의13 군사교리와13 전략 그리고13 전

투수행의13 방식13 등을13 익히게13 된다 경우에13 따라서13 피종속국의13 군사적13 도움과13

지원이13 없이13 종속국은13 자국의13 군대를13 운영하는데13 어려움이13 겪거나13 혹은13 독자

적인13 전투수행이13 불가능할13 수도13 있다 결국13 피종속국에서의13 종속국의13 군사훈

련은13 군사적13 예속의13 징표이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 과정과13 결과(3)

앞서13 제시된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를13 통해서13 나타난13 점은13 이집트가13 여러13 부

분에서13 소련에게13 의존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13 월13 대통령에13 취임한13 사 1970 10

다트는13 나세르가13 발전시켰던13 소련과13 관계를13 그대로13 계승하였다 양국이13 구축

한13 동맹관계는13 년에13 접어들면서13 균열의13 조짐을13 보이기13 시작하였다1972

년13 월에13 이집트는13 자국에13 주둔하고13 있던13 소련군사13 고문단13 명을13 1972 7 20000

추방하는13 조치를13 전격적으로13 단행하였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한13 배경

은13 당시13 이집트가13 당면하였던13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13 외교적13 이해관계의13 복

합성에서13 비롯되었다 대략13 가지의13 설명이13 가능하다 3

첫째 사다트가13 이스라엘과13 전쟁을13 통해13 얻은13 판단이었다 이집트는13 소련

으로부터13 막대한13 군사13 장비를13 가지고13 전쟁을13 수행을13 했으나13 바람직한13 결과를13

얻지13 못하였다 미국이13 이스라엘에13 대한13 군사적 외교적13 후원자로13 남아13 있는13

한13 이집트는13 얻고자13 하는13 목적은13 실현될13 가능성이13 없다고13 판단하였고13 따라서13

미국과의13 관계를13 강화하는13 것이13 오히려13 이집트의13 국익에13 도움이13 될13 수13 있다

는13 결론에13 도달하였다 따라서13 소련고문단의13 추방은13 이집트 -미국의13 관계13 개

선의13 맥락에서13 선택된13 행보였으며13 이는13 소련과의13 관계를13 단절하기13 위한13 정지

작업이었다 둘째 이집트13 국내의13 불안한13 정치적13 상황과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정

치적13 결정이었다 샤힌13 아유브 의13 주장에13 따르면13 사다트는13 (Shaheen Ayub)

나세르와13 달리13 공산주의에13 배타적13 입장을13 견지하였고13 따라서13 사회주의13 국가

인13 소련과13 우호관계를13 맺는13 것은13 그의13 정치철학과13 배치되었고13 더13 나아가서13

년에13 발생한13 이집트의13 군사13 쿠데타의13 배후가13 소련이라는13 의구심을13 갖고13 1971

있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주장은13 설득력이13 있다 왜냐하면13 나세(1994 169)

르13 사망이후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입지는13 불안하였고13 나세르13 추종자들이13 정치권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31: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5

에서13 상당한13 영향력을13 행사하고13 있었기13 때문이다 끝으로13 사다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였다 나세르와13 사다트는13 공개적으로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에

서13 벗어나야13 한다는13 입장을13 취하지13 않았다 이와13 관련된13 구체적인13 자료와13 기

록은13 사실상13 거의13 없다 동시에13 국내적13 차원에서13 소련과13 군사적13 관계를13 다시13

모색해야13 한다는13 움직임이나13 기류를13 찾아보기13 어렵다 그러나13 사다트의13 회고

록은13 소련에서13 벗어나려는13 그의13 생각의13 단면을13 보여13 준다

내가13 결정한13 또13 다른13 이유는13 소련을13 적절한13 자리에13 두고13 싶었다는13 점에13 있

다 다시13 말하면13 그13 이상도13 그13 이하도13 아닌13 하나의13 우호국으로서13 당연한13 위치

에13 두고13 싶다고13 생각했던13 것이다 언제가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자기13 사물이라고13

생각하고13 있었고 또13 소련은13 이집트의13 보호자라고13 온13 세계에13 생각게13 하곤13 했

다 나는13 소련에게13 이집트의13 의사는13 완전히13 이집트가13 결정하는13 것이라고13 알

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 동시에13 나는13 세계를13 향해13 우리들이13 언제나13 우리를13 자신

의13 주인이라고13 알리고13 싶었던13 것이다34

사다트의13 견해를13 통해13 알13 수13 있는13 것은13 이집트가13 보호-예속의13 관계에서13 피

지배국이13 갖는13 피해의식을13 가졌으며13 특정국가에13 의해13 구속받지13 않는13 자유로

운13 독립성을13 염원하고13 있다는13 점이다 피터13 즈윅 은13 (Peter Zwick) ldquo 년13 소1972

련군사13 고문단의13 추방은13 심지어13 가장13 의존적인13 동맹국들조차13 이탈할13 수13 있고13

그리고13 그것에13 대해13 소련이13 할13 수13 있는13 것은13 거의13 없거나13 혹은13 아무것도13 없

다rdquo35고13 덧붙인다 그13 이후에도13 이집트정부가13 소련에13 대한13 접근을13 지속하였

다는13 점은13 이해하기13 어렵다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을13 탈피하려

는13 의도를13 갖고13 있었지만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이13 부담이13 되었던13 것으로13 분석된

다 따라서13 이집트는13 년13 차13 중동전쟁13 때까지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 1973 4

이13 절실히13 필요하였다 그러나13 차13 중동전쟁의13 패배는13 이집트와13 사다트를13 실 4

망시켰다 전쟁이후13 양국의13 관계가13 점진적으로13 악화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34 이13 부분에13 대해서는13 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 1984 8 985172 985173울 임창출판공사 참조 p 269

35 Peter Zwick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32: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146 백태열

배경에13 대해13 여러13 주장이13 제기되었다 루빈스타인은13 가지13 원인을13 제공한다 4

첫째 소련은13 이집트에게13 월13 전쟁13 이후13 전비에13 대한13 배상을13 요구하였고13 둘 10

째 사다트는13 소련에13 대해13 개인적인13 혐오감을13 가졌으며13 셋째13 미국이13 이집트

를13 회유하기13 위한13 외교적13 노력이13 주효하였고13 끝으로13 소련은13 수에즈운하의13 복

구비용에13 대한13 지원을13 연기하였다(1977 289- 간단히13 설명하면13 양국의13 290)

악화에13 대한13 배경은13 사다트의13 개인적13 판단과13 당시의13 복합한13 국제정세에서13 기

인되었다 제 차13 중동전쟁13 이후13 사다트는13 이집트의13 진정한13 국가이익이13 무엇 4

이며13 그리고13 어떻게13 대외정책을13 설정할13 것인가에13 대해13 진진하게13 고심하였다

그13 이후13 소련의13 집요한13 외교적13 노력에도13 불구하고13 양국은13 서서히13 결별의13 단

계에13 접어들었다 양국관계의13 악화는13 이집트가13 년13 월13 일13 소련과13 체 1976 3 14

결한13 우호조약을13 파기함으로써13 절정에13 달하였다 곧13 이어13 년13 월13 일13 1976 4 4

사다트는13 소련을13 위한13 이집트13 항만시설을13 폐쇄하였다고13 발표하였다36 이로

써13 년13 이래13 양국이13 지속적으로13 유지해13 온13 굳건한13 동맹체제가13 붕괴되었1955

다 엄 한13 의미에서13 보면13 군사적13 예속을13 극복하기13 위한13 추진력으로13 이집트

의13 민족주의의13 역할과13 자주권의13 확립의13 열기는13 그다지13 활발하지13 않았다 나

세르와13 사다트13 모두13 강력한13 민족주의와13 비동맹노선을13 견지하였고13 특정국가

에13 대한13 과도한13 의존을13 극히13 경계하였음에도13 불구하고13 종속타파의13 정신과13 원

칙은13 적절하게13 기능하지13 못하였다 그러나13 사다트는13 소련과13 동맹13 체제를13 파

기함으로써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할13 수13 있었다 이집트 -이스라엘의13 대립구조의13

관점에서13 보면13 사다트의13 그러한13 결정은13 결코13 쉽지13 않았다

소련의13 입장과13 대응13 13 (4)

년13 이집트와13 무기협정을13 체결한13 이래13 소련은13 막대한13 군사원조와13 장비1955

를13 지원하였고13 경제발전을13 위해13 재정적13 지원을13 아끼지13 않았다 또한13 차13 중 3

동전쟁과13 차13 중동전쟁을13 치루는13 동안13 소련의13 지도자들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방4

위공약을13 견고하게13 지켰다 소련의13 이러한13 노력은13 제 세계에13 대한13 소련13 투자 3

의13 전형이었다 의심할13 바13 없이13 소련지도부와13 소련공산당은13 이집트에13 대한13

36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4 5 p 1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33: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7

커다란13 배신감을13 13 가졌고13 외교13 전략적인13 관점에서13 보면13 제 세계의13 주요한13 전3

진기지를13 상실하였다 소련지도자들에게13 더욱13 실망스런13 점은13 사다트가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정리한13 후13 점진적으로13 미국과의13 우호관계를13 모색하였고13 무기13 공

급원을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하였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이집트의13 조치에13 대

해13 소련은13 이집트를13 격렬히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외무성은13 사다트의13 조약13 폐

기는13 점령된13 아랍영토의13 해방을13 위한13 투쟁의13 선봉에서13 이탈하려는13 이집트의13

지도력을13 비난하고13 이집트-소련13 관계의13 본질을13 왜곡시켰다고13 발표하였다37

브레즈네프13 서기장은13 ldquo어떤13 세력이13 소련-이집트13 관계를13 손상시키기13 위하여13 지속적인13 시도를13 하고13 있다rdquo38고13 비난하였다 소련의13 타스13 통신은13 안와르13 사

다트13 대통령이13 소련에13 대해13 비우호적인13 정책을13 추구하고13 있다고13 비난하고13 조

약폐기로13 인해13 발생하는13 모든13 결과에13 대해13 책임지게13 될13 것이라고13 경고하였

다39 양국의13 우호조약의13 폐기는13 사실상13 이집트13 정부의13 일방적인13 결정으로13

이루어졌으며13 소련정부는13 이러한13 결정을13 변경시킬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없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소련의13 대외관계에서13 이집트의13 이탈은13 중동지역에서13

소련의13 위상과13 입지를13 크게13 약화시키는13 결과를13 가져13 왔다 그럼에도13 불구하

고13 소련정부는13 년13 이후에도13 중동에서의13 팽창주의와13 영향력의13 확대를13 증1976

진시키기13 위한13 노력을13 멈추지13 않았다 한13 가지13 특이13 할만한13 사항은13 소련은13

년13 이후13 중동과13 북아프리카에13 대해13 외교적13 공세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1976

는13 점이다 소련은13 앙골라 모잠비크 베트남13 등과13 일련의13 우호조약을13 맺고13

중동지역에서13 약화된13 외교적13 입지를13 강화하기13 시작하였다 이러한13 노력은13 간

접적으로13 이집트와의13 결별에서13 기인하는13 좌절감을13 만회하기13 위한13 목적으로13

분석된다 이집트와13 소련의13 관계는13 년13 월13 소련의13 아프가니스탄의13 침 1979 12

공으로13 돌이킬13 수13 없는13 단계에13 접어들었다

앞서13 논의된13 사항과13 내용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13 미국과13 소련에게13 군사적으로13

종속되었고13 그13 후13 국내의13 정치적13 과정을13 통해13 예속을13 극복하였음을13 보여준

다 이러한13 내용은13 lt표13 2gt와13 lt표13 3gt에13 간결하게13 정리되어13 있다

37 에서13 재인용Rubinstein 1977 p 327

38 The New York Times 년13 월13 일 1976 3 16 p 3

39 조선일보 년13 월13 일 1976 3 17 p 3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34: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148 백태열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13 상황lt 2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 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947)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951)

이집트 -소련13 무기협정체코 대리국 ( 1955)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13 조약13

(1971)

무기공여13 및13 수입년대13 이후13 필리핀 미국으로1950

부터13 무기공여13 및13 구매 미국 필리핀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년13 이후13 이집트 소련으로부터13 1955 무기공여13 및13 구매 소련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공여국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

필리핀에13 미국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유지 필리핀에13 미군병사13 주둔13

이집트에13 소련의13 공군기지13 및13 해군정박기지13 유지 이집트에13 소련의13 군사고문단 공군 조종사 해군13 주둔

종속국의13 군사교육13 및13 훈련13

필리핀13 군인 미국의13 군사훈련소 에서13 교육13 및13 훈련

년13 동안13 이집트13 군인13 1955~1978소련에서13 군사훈련을13 받음

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lt 3gt13

군사적13 종속의13 지표13 및13 현황

필리핀종속국( )미국 피종속국( )

이집트종속국( )소련 피종속국( )

군사조약13 및13 협정

필리핀 -미국13 군사기지협정13 폐기13 (1991 9)필리핀 -미국13 상호방위조약13 유효

월13 현재 (2006 1 )

이집트 -소련13 우호13 및13 협력조약의13 폐기 (1976 3)

무기13 공여13 및13 구매년13 이후13 필리핀 미국무기13 1991

계속13 구매 년13 이후13 이집트의13 최대무기13 1976

공급국은13 소련에서13 미국으로13 대체

군사기지13 및13 주둔병사필리핀의13 미군13 군사기지13 및시설13 폐쇄 필리핀13 주둔13 미군13 철수

이집트의13 군사기지13 및13 시설13 폐쇄이집트의13 소련13 군사고문단13 및13 군인13 철수13

종속국의13 군사훈련13 및13 교육

년대13 이후13 필리핀13 군인13 1990미국군사13 훈련13 종결13

년13 이후13 이집트13 군인1976소련에서13 군사13 훈련13 종결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35: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49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비교분석IV

결과물 을13 중심으로13 (Findings)

앞서13 본13 논문은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여건과13 타파과정을13 검

토하였다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상황 전개13 그리고13 결말13 등에서13 나타난13

결과 를13 가지13 항목13 양국의13 군사적13 종속의13 요인13 군사적13 종(Findings) 4 (1) (2)

속타파의13 과정과13 전개13 피종속국의13 대응과13 반응13 그리고13 양국의13 군사(3) (4)

적13 종속타파의13 자생적타생적13 타파에13 대한13 평가 ldquo 등에13 비추어13 비교13 평가한다

먼저13 필리핀의13 경우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의존의13 배경에는13 국제적13 배경과13

국내적13 요인으로13 구분하여13 볼13 수13 있다 국제적13 요인은13 년13 이후13 냉전의13 1945

국제정세가13 커다란13 비중을13 차지하였음을13 보여준다 년대의13 냉전의13 상황 1950

년대13 중반의13 베트남13 전쟁 그리고13 아시아의13 공산주의화의13 도미노13 가능성13 1960

등은13 필리핀의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적절하게13 설명해13 준다 국내적13 요인은13 필

리핀의13 국내정세에서13 기인한다 필리핀은13 무슬림13 좌익13 공산주의자의13 준동과13

게릴라13 활동으로13 인해13 국내정세가13 극히13 불안하였고13 이러한13 여건은13 불가피하

게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예속되게13 만들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착관계의13 배경에는13 냉전의13 요소는13 커다란13 고려사항이13 아니었다 주된13 배경

은13 년13 이래13 이집트와13 이스라엘의13 갈등과13 대립13 그리고13 차례에13 걸친13 전1952 3

쟁이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이집트는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지원이13 필요

하였다 특히13 나세르의13 친소경향은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변수였다 이러한13 지도자의13 성향과13 리더십은13 전후13 역대13 필리핀13 대통령이13 가

졌던13 친미적13 성향과13 유사한13 성격을13 보여13 주었다 간단히13 요약하면13 필리핀의13

경우13 국내적13 요인의13 영향도13 있었지만13 그13 보다는13 미국과13 필리핀의13 식민통치로13

인한13 관계가13 독립이후에도13 대미13 군사적13 종속을13 가져온13 요인이었다 이집트의13

경우13 국외적13 요인13 즉13 이스라엘과13 전쟁13 등이13 지배적13 요인이었다

두13 번째13 차이점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과정에서13 나타났다 이론적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궁극적13 목적은13 진정한13 독립과13 주권의13 실제적13 회복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36: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150 백태열

이다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그러한13 측면을13 충실히13 반영하였다 필리핀은13

년13 미국과13 동맹관계로13 인해13 나타나는13 군사적 경제적13 이득을13 인정하는13 1945

한편13 동시에13 자국의13 주권의13 손상과13 자주권의13 한계를13 절실히13 인식하였고13 이는13

점진적으로13 양국관계의13 평등성과13 호혜성을13 원하는13 방향으로13 전개되었다 이

러한13 움직임에13 결정적인13 변화를13 준13 사건은13 마르코스13 정권의13 붕괴와13 그로13 인

한13 민주주의의13 물결이었다 그러한13 상황에13 직면하여13 필리핀의13 상원은13 미군철

수와13 미군기지13 폐쇄의13 정국을13 주도하였다 물론13 미군기지의13 철수를13 반대하는13

필리핀의13 여론도13 있었지만13 필리핀은13 자주권의13 확립을13 위한13 선택을13 하였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경우13 소련의13 군사적13 예속관계를13 청산하려는13 노력은13 필리핀

의13 경우와13 달리13 국내적13 차원에서는13 극도로13 미비하였다 이러한13 배경에는13

년대 년대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대13 초반을13 거치는13 동안13 이집트13 국1950 1960 1970

민들은13 이스라엘과의13 전쟁승리가13 무엇보다도13 심대한13 국가현안이었기13 때문에13

소련의13 군사적13 도움을13 받는13 것이13 필요하다고13 판단했고13 이러한13 상황은13 자연스

럽게13 소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의지를13 약화시켰다 이집트의13 군사적13 의존은13 對이집트-이스라엘의13 전쟁과13 나세르의13 개인적13 결정에서13 기인하였다 따라서13 나

세르의13 정치적13 영향력이13 약화되거나13 혹은13 그가13 권좌에서13 물러날13 경우13 그가13

추구하였던13 대외적13 군사관계에는13 상당한13 변화를13 예고하였다 필리핀과13 달리13

이집트에서는13 국민적13 욕구로13 집결된13 힘이13 동원되지13 못했고13 년13 나세르의13 1970

사망과13 함께13 등장한13 사다트는13 정치적13 판단에13 따라13 소련과13 군사적13 의존관계를13

청산하였고13 곧13 이어13 소련과의13 정치적13 관계를13 약화시키는13 의도적인13 모습을13 보

였다 결론적으로13 필리핀의13 종속타파는13 국내의13 정치세력과13 그리고13 NGOs

가톨릭계13 등의13 집단적13 노력의13 결과였으며13 이집트의13 경우13 필리핀에서13 나타난13

국내적13 열기와13 열의는13 사실상13 미약했고13 오히려13 사다트의13 정치적13 판단과13 지도

력에13 의해13 소련에13 대한13 군사적13 관계를13 재정립하였다

세13 번째에13 관한13 논의는13 피종속국의13 반응과13 대응이다 미국은13 년13 기지 1991

연장법안이13 상정될13 즈음에13 다양한13 방식으로13 필리핀13 정부에13 압력을13 가하였다

미국의13 입장에서13 볼13 때13 필리핀의13 미군기지는13 동아시아에서13 핵심적13 역할을13 해

왔고13 따라서13 미군의13 철수와13 미군기지의13 폐쇄는13 안보상13 커다란13 손실이었다

그러나13 부시행정부는13 필리핀의13 반미군기지의13 상황을13 되돌릴13 수13 있는13 여력이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37: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1

없었다 앞서13 설명한13 것처럼13 소련13 역시13 이집트의13 동맹관계의13 단절은13 군사적

으로13 외교적으로13 고통스러운13 일이었다 소련의13 지도부는13 분노와13 좌절을13 가졌

지만13 미국에게13 접근하려는13 사다트의13 욕구를13 통제하지13 못하였다 간단히13 말하

면13 소련과13 미국은13 자국이13 오랫동안13 지원하였던13 후원국의13 군사적13 이탈을13 공통

적으로13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13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가13 자생적인가13 혹은13 타생

적인가13 하는13 점을13 논의하기로13 한다 결론적으로13 말하면13 양13 국가13 모두13 자국의13

의지 여망 그리고13 선택에13 의하여13 미국과13 소련으로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

였다는13 점이다 즉13 자생적13 종속타파에13 해당한다 미국은13 필리핀과의13 기지협

정13 연장을13 통해13 미군을13 계속적으로13 주둔하려는13 의지가13 강했고13 필리핀13 상원의13

결정에13 실망하였다는13 점이다 필리핀의13 자생적13 종속타파는13 이집트의13 사례에

서도13 확연히13 나타났다 소련과의13 군사적13 친 관계를13 정리하려고13 결정한13 사다

트의13 입장과13 선택은13 자의적이었다 소련의13 입장에서13 보면13 이집트와의13 군사적

정치적13 월관계를13 유지하는13 것은13 중동에서의13 미소대결의13 우위를13 위해13 필요

하였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13 사다트가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관계를13 수정하려는13

시도는13 모스크바에게는13 커다란13 타격이13 아닐13 수13 없다 더13 나아가서13 이집트의13

사다트정부가13 미국과의13 친 한13 관계를13 형성하려는13 모습은13 소련의13 외교적13 패

배로13 간주13 된다

결론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V

앞서13 설명된13 것처럼13 필리핀과13 이집트는13 여러13 가지13 지표를13 통해13 검토 분석

해13 본13 결과13 지배국인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다 본13

논문을13 종료하기13 전에13 다음과13 같은13 의문을13 제기해13 본다 필리핀과13 이집트가13

미국과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으로13 진정한13 종속타파를13 이루었는가 종속타파13

이후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어떻게13 변화했는(After counderdependence)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38: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152 백태열

년13 월13 필리핀정부는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1998 2 (the Visiting Forces

을13 체결하였다 이13 협정은13 양국의13 합동군사훈련을13 위해13 미국의13 Agreement)

군대가13 필리핀13 항구에13 정박하는13 것을13 허용하였다 이러한13 사실은13 필리핀이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였다는13 주장을13 약화시킬13 수13 도13 있다 그러나13 필리핀13 국

민들은13 자국에서13 더13 이상13 외국의13 군사기지가13 존재하지13 않고13 외국군대가13 법적

인13 틀에13 의해13 더13 이상13 잔류하지13 않는13 점에13 만족하는13 것으로13 보인다 반면에13

이집트의13 상황은13 다른13 측면을13 보여준다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사적13 예속을13

청산하였지만13 그것은13 또13 다른13 지배관계의13 서막을13 예고하였다 이집트는13 소련

과의13 관계를13 청산한13 이후13 년대13 말부터13 미국으로부터13 대규모의13 군사원조1970

를13 받기13 시작하였으며13 그리고13 심지어13 년13 중반에는13 명의13 미국군인1989 1200

이13 이집트에13 주둔하였다 이것은13 무엇을13 의미하는가 이집트는13 소련과의13 군

사적13 관계를13 청산하면서13 동시에13 미국에게13 군사적으로13 의존하기13 시작하였다

이집트의13 사례는13 ldquo군사적13 종속의13 수평이동13 현상rdquo을13 보여13 준다

그러면13 왜13 종속타파13 이후13 양국에서13 이러한13 현상이13 발생했는가 이러한13 현

상은13 기본적으로13 이집트와13 필리핀에13 내재된13 국가적13 한계에서13 기인한다 이집

트는13 소련으로부터13 군사적13 예속을13 성공적으로13 종료시킬13 수13 있었지만13 이스라

엘과의13 갈등과13 분쟁이13 여전히13 잔존하고13 있었고13 이러한13 상황에서13 외교적으로13

대처하기13 위하여13 소련이13 아닌13 미국을13 선택하여13 또13 다른13 군사적13 예속의13 상황

을13 수용하였다 반면에13 필리핀은13 국민적13 자존심의13 회복을13 위해13 미국에13 대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하는데13 성공할13 수13 있었다 그러나13 미군이13 철수하고13 미군

기지가13 폐쇄되고13 한13 이후13 필리핀정부는13 외교적으로13 아시아에서13 고립감을13 느

꼈던13 것으로13 보인다 따라서13 필리핀은13 미국과13 다소13 소원한13 관계를13 복구하려

는13 움직임을13 보였다 결국13 국가적13 자존심이13 손상되지13 않는13 범위13 내에서13 필리

핀은13 미국과13 군대방문협정을13 체결하였고13 이러한13 연결고리를13 통해13 우호적13 관

계를13 복원하려고13 시도하였다

군사적13 종속타파13 이후13 이집트와13 필리핀이13 추구한13 종속13 회귀적13 행태와13 움

직임에도13 불구하고13 저자는13 양국이13 보여준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성취는13 퇴색했

다고13 생각하지13 않는다 그13 이유는13 양국은13 적어도13 제한된13 기간과13 시점에서13 집

중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타파의13 열의와13 의욕을13 보여13 주었고13 파트너13 국가인13 소련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39: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3

과13 미국의13 압력과13 회유에도13 불구하고13 자의적으로13 군사적13 종속을13 극복했다는13

점이다 이러한13 점은13 오늘날13 대외적으로13 다양한13 형태로13 의존13 혹은13 종속의13 상

황에13 놓여13 있는13 수많은13 제 세계13 국가들에게13 강력한13 정책적13 메시지와13 외교적13 3

교훈을13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경숙 필리핀의13 딜레마13 군사기지 말 월 1988 10 p 76 「 」 985172 985173마이클13 헨델 저 김진호역 약소국13 생존론 서울 대왕사( ) ( ) 1995 pp 148-149985172 985173안와르13 엘13 사다트 세계13 대통령13 수상13 대회고록13 편 서울 임창출판공사 1984 8 p 985172 985173

269

양승윤 필리핀 서울 한국외국어대13 출판부 2003 pp 69-70985172 985173필리핀의13 반핵법안 말 년13 월 1988 9 pp 52-54「 」 985172 985173살바토르13 마르티네그 필리핀의13 민족주의 기독교13 사상 월 1983 5 pp 37-51「 」 985172 985173Abernethy David B 1986 ldquo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s How Shall We

Define Themrdquo ed Jan F Triska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p 105-108

Arms Trade Registers The Arms Trade With the Third World 1975 Stockholm

Sweden SIPRI pp17-19

Aybubi Shaheen 1994 Nasser and Sadat Decision Making and Foreign Policy

(1970-1972)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p 169

Berry William E 1989 US Bases in the Philippines The Evolution of the Special

Relationship Boulder CO Westview Press pp 289-299

Buss Claude A 1977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Background for Policy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for Public Policy pp 74-79

Cremeans Charles 1963 Arabs and the World Nassers Arab Nationalist Policy

New York NY Prager Publishers Inc p281

Daigle Craig A 2004 ldquoThe Russians Are Going Sadat Nixon and the Soviet

Presence in Egypt 1970-1971rdquo Middle East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8(1) March p 3

el-Sadat Anwar 1972 ldquoWhere Egypt Standsrdquo Foreign Affairs 51(1) October pp

114-123

Foreign Military Sales Froeign Military Construction Sales Military Assistance

Facts 1994 Washington DC DSAA p 10

Garcia Ed and Francisco Nemenz 1987 The Sovereign Quest Freedom From

Foreign Military Bases Quezon City Philippines Claretian Publications p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40: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154 백태열

4

Johnson Paul M 1986 ldquoThe Subordinate States and Their Strategiesrdquo In Jan F

Triska (ed) Dominant Powers and Subordinate Stat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286

Landau Julian 1971 Israel and The Arabs Jerusalem Israel Israel Communications

p165

Laqueur Walter 1972 ldquoOn the Soviet Departure from Egyptrdquo Commentary 54(6)

December pp 61-68

Lee Chae-Jin and Sato Hideo 1982 US Policy Toward Japan and Korea A

Changing Influence Relationship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McDonald John W and Diane B Bendahmane 1995 US Bases Overseas

negotiations with Spain Greece and the Philippines Boulder CO West

view Press

Raanan Uri 1976 ldquoThe Soviet-Egyptian Riftrdquo Commentary 61(6) (June) pp 29-35

Saivetz Carol R and Sylvia Woodby 1985 Soviet-Third Relations Boulder CO

Westview Press

Shoemaker Christopher C and John Spanier 1984 Patron-Client State Relationship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13-15

Simbulan Ronald G 1989 A Guide To Nuclear Philippines Manila Philippines

Ibon Databank Phils Inc p 59 amp p 78

Singer Marshall R 1972 Weak States In a World of Powers New York NY The

Free Press pp 273-309

Smaldone Joseph P 1980 ldquoSoviet and Chinese Military Aid and Arms Transferrdquo ed by Warren Weinstein and Thomas Henriksen Soviet and Chinese Aid To

African Nations New York NY Praeger Publishers pp 92-93

Smolansky Oles M 1973 ldquoThe Soviet Setback in the Middle Eastrdquo Current History

64(377) January pp 17-20

Rubinstein Alvin Z 1977 Red Star On the Line The Soviet-Egyptian Influence

Relationship since the June War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 amp Preface

Toppling the Idols and Breaking the Deadly Connection US Bases in the

Philippines 1988 Quezon City Philippines National Forum for Church

Responses pp 4-6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Objectives and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1979

Washington DC USGPO pp 144-145

Zwick Peter 1990 Soviet Foreign Rel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Inc p

269

조선일보985172 985173The New York Times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41: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필리핀과13 이집트의13 군사적13 종속타파에13 관한13 비교연구 155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enwikipediaorgwikiMoro_Islamic_Liberation_Fornt( 2005 9 6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Icweb2locgovcgi-binquery( 2005 8 17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comwfh2001philippines( 2005 8 5 )

검색일 년13 월13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1947html( 2005 7 29 )

검색일 년13 월 일httpwwwyonipcommainarticlestreatyhtml( 2005 7 14 )

The Military Counterdependence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in Comparative Perspective

Tae Youl PaekLecturer of Hongik and Yonsei Universities

During the 1950s the Philippines had received a great deal of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US which also provided the former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the conclusion of a series of Military Agreements in 1947

and the Mutual Security Treaty in 1951 Subsequently the Asian country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US in the affairs of defence to cope with internal

instability and communist guerilla activities Entering the mid-1980s however the

people of Philippine strongly demanded that the US military bases and facilities be

dismantled and US soldiers be withdrawn The protests culminated in the veto of

the legislation which would have extended the military agreements in the Philippine

Senate Egypt shows a different yet similar example After its independence in 1952

Egypt faced a serious conflict with Israel and later waged three wars with the

Jewish State throughout 1960s and 1970s As Israel relied on the US for its military

support Nasser could not help but to get the support and commitment from the

Soviet Union which then provided the Egyptian government with a number of

different weapons and fighters Egypts heavy dependence on the communist nat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July 1976 when Sadat decided to abrogate the

Egyptian-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closed the Soviet naval

facilities

In short both nations were able to cast off their long-standing military

dependence on the worlds superpowers by their own will and endeavour which is

referred to as ldquomilitary counterdependencerdquo Therefore this paper first seeks to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

Page 42: 필리핀과이집트의 군사적종속타파에 관한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59/1/4.%e1%84%87%e1...필리핀과이집트의군사적종속타파에관한비교연구

156 백태열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the Philippines and Egypt overcame their military

dependence on the US and Soviet Union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n it analyzes the ways how these Third World countries have achieved

counterdependence focusing primarily on a set of factors and variables with regard

to it Finally this work summarizes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unterdependence in the cases of the Philippines and Egypt presenting some final

thou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age of post-counterdependence of these two

nations

Key Words the Philippines the US Egypt the Soviet Union Military

Dependence and Counterdependence Independence Nationalism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

백태열 홍익대학교 연세대학교13 강사13 13

서울시13 강남구13 대치동13 번지13 선경아파트13 동13 호13 506 4 501 135-280

Tel_564-2091(home)13 016-811-206913 13 Email_typaekhanafo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