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의류시장 동향upfile.haoshandong.net/pds/etc/111.doc · Web view주요 유통...

26
중중 중중중중 중중 이이이 이이이이이 [email protected] 중중 (Summary) ○ 2006 이 이이이 이이 이이 이이이 7500 이 이이이이 이이 이이 19% 이이 이이이이이이, 이이 이이 이이이 이이이, 이이이이, 이이이 이이이 이이이 이이이이 이이. 이이 이이이이 이이이이 이이 이이 이이이 이이 이이 이이이이 이이이 이이이이 이이 이이 이이이 이이이이 이이 이이이이 이이 이이이이 이이 이이 이이이이 이이이 이이이 이이이 이이. ○ 이이 이이 이이이 이이이(이이이), 이이이(이이이), 이이이(이이이), 이이이, 이이이(이이이), 이이이(이이이) 이 이이 이이이 이이 이이 이이이 이이이이 이이이, 이이이 이이이이이 이이이 이이, 이이 이이 이이 이이, 이이 이이 이이 이이, 이이이이 이이 이이이 이이 이이 이이이 이이이이 이이이이 이이이 2006 이이이 이 이이이 이이이이이이. ○ 2006 이 이이이 이이 이이이 이이 이이 이이이 이이, 이이이 이이 이이이 이이이 이이이 이이, 이이이이 이이, 이이이이 이이이 이이 이이이 이이이이 이이이이이. 이이 이 이이 이이이 이이이이 951.9 이 이이(이이 이이 437.24 이 이이, 이이 이이 449.01 이 이이)이 이이이이 28.9% 이이이이이 이 이이이 이이 이이 이이이 9.82%이 이이이이 이이이. 이이 이이이이 266.22 이 이(이이 이이 84.72 이 이, 이이 이이 181.51 이 이)이이 이이이이 21.16% 이이이이. ○ 2006 이이 이이 이이 이이이이 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 이이이 이이 이이이 이이이 이이, 이이 이이이 이이이이 이이이 이이이이 이이이. 이이 이이 이이이이 이이이 이이이이 이이이 이이 이이이 이이이이 이이이 이이 이이 이이이 이이 이이 이이이 이이이 이이이이 이이이. ○ 이이 이이이이이 이이 이이이이 이이 이이이 이 이이 이이이 이이이 이이이이이 이이 이이이이 이이이이 이이. 이이이 이이 이이이이이 이이 이이이 이이 이이 이이이이 이이이이 이이 이이이이 이이이이이 이이이 이이이이이 이이 이이이 이이이이 이이. ○ 이이 이이이 이이이이이 이이이이 이이이이 이이 이이이이 이이이 이이이 이이이 이이이 이이이 이이이. 이이이 이이이 이이 이이 이이 이이이이이 이이이이이이 이이 이이이 이이이 이이이 이이 이이이 이이이이 이이이이 이이 이이이 이이이 이이이. 중중중중 중중 (Market Analysis) 1.중중중중 중중 (Macro-economy Analysis) □ 이이이이 이이 ○ 이이이 1979 이 이이이이 이이 28 이 이 이이이 9.8% 이이이이이, 2006 이 GDP 이 20 이 9,407 이 이이이이 이이이이 10.7% 이이이이이. - 이이이이이 이 1 이 이이 2 이 4,700 이 이이(5.0%↑; 이이 11.8%), 이 2 이 이이 10 이 2,004 이 이이 (12.5%↑; 48.7%), 이 3 이 이이 8 이 2,703 이 이이(10.3%↑; 39.5%)이 이이이 이이이. - 이이이이 이이이이 이이 이이이 2005 이 이이 이이, 이이, 이이이 이이 이이 4 이이 이이이이 이이. [2002 중~2006 중 중중 중중 중중 중중] 이이 2002 2003 2004 2005 2006 GDP(이 이이) 120,333 135,823 159,878 183,868 209,407 1

Transcript of 중국 의류시장 동향upfile.haoshandong.net/pds/etc/111.doc · Web view주요 유통...

중국 의류시장 동향

중국 의류시장 동향

이영준 청두무역관

[email protected]

요약 (Summary)

○ 2006년 중국의 의류 시장 규모는 7500억 위앤으로 전년 대비 19% 정도 증가하였으며, 의류 소비 패턴은 개성화, 브랜드화, 패션화 추구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외국 브랜드의 지속적인 중국 시장 진출과 중국 토종 브랜드의 급속한 성장으로 중국 의류 시장은 저가에서 고가 제품까지 외국 브랜드와 중국 토종 브랜드가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 중국 의류 산업은 광동성(廣東省), 저쟝성(浙江省), 쟝쑤성(江蘇省), 상하이, 산동성(山東省), 푸젠성(福建省) 등 동부 연해의 경제 발달 지역에 집중되어 있지만, 갈수록 심각해지는 노동력 부족, 물과 전력 공급 부족, 환경 보호 요구 강화, 토지자원 부족 등으로 점차 산업 기반을 중서부로 이전하는 추세며 2006년에는 그 추세가 가속화되었다.

 

 ○ 2006년 중국의 의류 수출은 주요 수출 시장인 유럽, 미국의 부분 쿼터제 실시와 반덤핑 문제, 환경보호 요구, 지속되는 위앤화 절상 등에도 불구하고 증가하였다. 의류 및 의류 부자재 수출액은 951.9억 달러(직물 의류 437.24억 달러, 편물 의류 449.01억 달러)로 전년대비 28.9% 증가하였고 이 수치는 중국 전체 수출의 9.82%에 해당하는 것이다. 의류 수출량은 266.22억 장(직물 의류 84.72억 장, 편물 의류 181.51억 장)으로 전년대비 21.16% 증가했다.

 

 ○ 2006년은 중국 토종 브랜드의 저우추취(走出去-해외진출)가 시작된 해로 밀라노 컬렉션 위크, 파리 컬렉션 위크에서 브랜드 발표회를 가졌다. 중국 의류 브랜드의 국제화 움직임은 속도를 더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해외 진출 노력은 중국 의류 업체의 성장을 반증하는 일이다.

 

 ○ 날로 치열해지는 경쟁 속에서도 한국 의류는 질 좋은 원단과 뛰어난 디자인으로 중국 소비자를 사로잡고 있다. 하지만 중국 토종기업의 빠른 성장과 세계 유명 브랜드의 중국시장 진출 가속화로 우리나라의 이러한 경쟁우위는 점점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 중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기업 스스로의 철저한 준비와 알맞은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아울러 정부와 협회 같은 관련 기관에서도 중소기업들에 대한 지원과 혜택을 늘리고 시장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시장동향 분석 (Market Analysis)

1.거시경제 분석 (Macro-economy Analysis)

□ 거시경제 지표

 

 ○ 중국은 1979년 개혁개방 이후 28년 간 연평균 9.8% 성장하였고, 2006년 GDP는 20조 9,407억 위앤으로 전년대비 10.7% 성장하였다.

  - 산업별로는 제1차 산업 2조 4,700억 위앤(5.0%↑; 비중 11.8%), 제2차 산업 10조 2,004억 위앤(12.5%↑; 48.7%), 제3차 산업 8조 2,703억 위앤(10.3%↑; 39.5%)의 실적을 보였다.

  - 경제총량 기준으로 보면 중국은 2005년 이후 미국, 일본, 독일에 이어 세계 4위를 기록하고 있다.

 

[2002년~2006년 중국 주요 경제 지표]

 

항목

2002

2003

2004

2005

2006

GDP(억 위앤)

120,333

135,823

159,878

183,868

209,407

경제성장률(%)

9.1

10.0

10.1

10.4

10.7

1인당 GDP(위앤)

7,972

9,079

10,561

13,926

15,861

고정자산투자총액(억 위앤)

43,500

55,567

70,477

88,604

109,870

소비재 소매판매총액(억 위앤)

48,136

52,516

59,501

67,177

76,410

소비가격지수 CPI(%)

-0.8

1.2

3.9

1.8

1.5

수출(억 US$)

3,256

4,382

5,933

7,620

9,691

수입(억 US$)

2,952

4,128

5,613

6,601

7,916

외환보유고(억 US$)

2,864

4,033

6,099

8,189

10,600

실행 FDI(억 US$)

527

535

606

603

694.7

도시 1인당가처분소득(위앤/년)

7,703

8,472

9,422

10,493

11,759

농촌 1인당 순수입(위앤/년)

2,476

2,622

2,936

3,255

3,587

 

 ○ 중국의 제11차 5개년 계획(2006년~2010년)은 2010년까지 연평균 경제 성장률 7.5%, 2010년 GDP 26조 1000억 위앤, 1인당 GDP 19,270위앤, 도시주민 평균 가처분 소득 13,390위앤 달성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 또한 3농(농촌, 농업, 농민)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간 발전을 균형 있게 하고 조화로운 사회를 건설하여 소득격차의 해소, 산업구조의 고도화, 개혁개방의 심화 및 확대, 자원 절약, 환경오염 방지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 모든 것을 통해 경제효율을 제고시키는 것이 중점 추진 과제다.

 

[중국 11차 5개년 기간 경제사회 발전 주요 목표]

 

항목

2005년

2010년

비고

GDP(억 위앤)

18,2321

26,1000

연평균 7.5% 성장

1인당 GDP(위앤)

13,985

19,270

연평균 6.6% 성장

서비스업 비중(%)

40.3

43.3

 

서비스업 취업 비중(%)

31.3

35.3

 

도시화율(%)

43

47

 

인구(만 명)

130756

136000

 

공업고체폐기물 종합이용률(%)

55.8

60

 

경지보유량(억 헥타르)

1.22

1.2

 

삼림 복개율(%)

18.2

20

 

국민평균교육연수(년)

8.5

9

 

도시 실업률(%)

4.2

5

 

도시주민평균가처분소득(위앤)

10,493

13,390

연평균 5% 증가

농촌주민평균 순수입(위앤)

3,255

4,150

연평균 5% 증가

 

 ○ 2006년 말 중국의 외환 보유고는 1조 663억 달러로 전년 대비 2475억 달러 증가하였고, 위앤화의 대 미 달러 환율은 2006년 말 7.8087을 기록하여 평가절상 폭이 3.35% 정도였다. 2007년에도 위앤화 평가절상은 가속화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연간 절상률은 5% 이상으로 전망하고 있다.

 

□ 대외 교역 동향

 

 ○ 2006년 수출입 총액은 1조 7,607억 달러(전년대비 23.8% 증가)였으며 수출입 모두 20% 이상 증가하였다.

  - 수출 9,691억 달러(27.2% 증가), 수입 7,916억 달러(20.0% 증가)로 무역수지 흑자액이 1,775억 달러(전년대비 755억 달러 증가)에 달하였다.

  - 2007년 1~3월 수출입 총액은 4,557억 4,000만 달러(23.3%↑)로 이 중 수출이 2,520.9억 달러(27.8%↑), 수입은 2,056.5억 달러(18.2%↑)였다.

 

[2006년 수출입 총액과 증가율]

 

지      표

절대치

전년대비 증가율(%)

  수출입 총액

  수출액

            그 중: 일반무역

                   가공무역

            그 중: 기계전자제품

                   하이테크제품

       그 중: 국유기업

              외국인투자기업

              기타기업

  수입액

            그 중: 일반무역

                   가공무역

            그 중: 기계전자제품

                   하이테크제품

       그 중: 국유기업

              외국인투자기업

              기타기업

  무역수지 흑자

            그 중: 일반무역

                   가공무역

                   기타 무역

17,607

9,691

4,163

5,104

5,494

2,815

1,913

5,638

2,139

7,916

3,332

3,215

4,277

2,473

2,252

4,726

938

1,775

831

1,889

-945

23.8

27.2

32.1

22.5

28.8

29.0

13.4

26.9

43.6

20.0

19.1

17.3

22.1

25.1

14.2

22.0

24.4

-

-

-

-

    

 

[2006년 주요 교역대상국별 수출입 총액과 증가율]

 

국가 및 지역

수출액(US$ 억)

증가율(%)

수입액(US$ 억)

증가율(%)

미국

EU

홍콩

일본

아세안

한국

대만

러시아

2,035

1,820

1,554

916

713

445

207

158

24.9

26.6

24.8

9.1

28.8

26.8

25.3

19.8

592

903

108

1,157

895

898

871

176

21.8

22.7

-11.8

15.2

19.4

16.9

16.6

10.5

 

□ 對 韓 교역 동향

 

 ○ 중국의 대 한국 수출은 중국 세관 통계 기준으로 최근 20~30%대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2006년 445억 5,800만 달러(전년대비 26.9% 증가)에 달하였으며, 중국의 대 한국 수입은 2002년 285억 8,100만 달러에서 2006년 898억 1,800만 달러로 4년 새 3배 이상 늘었다. 이에 따라 중국의 대 한 무역수지 적자액은 해마다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2006년에는 452억 6,000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중국의 대 한국 수출입 동향]

(단위: US$ 백만, %)

연도

수 출

수  입

무역수지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2000

11,287

44.4

 23,208

34.7

-11,921

2001

 12,544

11.1

 23,396

0.8

-10,852

2002

 15,508

23.6

 28,581

22.2

-13,073

2003

 20,105

29.6

 43,161

51

-23,056

2004

 27,809

38.3

 62,166

44

-34,357

2005

 35,117

26.3

 76,874

23.7

-41,757

2006

 44,558

26.9

 89,818

16.8

-45,260

자료원: 중국세관통계

 

□ 대 한국 품목별 수출입

 

 ○ 중국의 대 한국 주요 수출 품목은 전기전자, 철강, 보일러 및 기계류, 광물성 연료, 알루미늄 및 그 제품, 의류, 유기 화합물, 철강제품, 광학기기 등이다. 이 가운데 철강, 보일러 및 기계류, 광물성 연료 등은 증가율이 뚜렷하게 낮아지고 있으며 알루미늄 및 그 제품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의 대 한국 수출은, 현지의 한국기업들이 물품을 가공한 후 한국으로 수출하는 데 그 물량이 중국계 기업들의 수출 못지않게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중국의 대 한국 주요 수입 품목은 전기전자, 광학기기, 보일러 및 기계류, 유기화합물, 플라스틱, 광물성 연료, 철강, 일반 차량, 동과 동 제품, 알루미늄 등이다. 주요 수입 품목 또한 대 한국 수출 품목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는 중국이 여전히 한국 기업들의 가공 무역기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증거다. 그러나 최근에는 10대 수입품목 가운데 상위 품목의 증가율이 감소하고 있는데 그것의 가장 큰 이유는 중국 내에서의 자체조달 비율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2.고객동향 분석 (Consumption Analysis)

□ 2006년 중국 의류 산업 동향

 

 ○ 중국의 국가 통계국 통계에 의하면 2006년 규모 이상(연간 매출액 500만 위앤 이상) 의류 기업의 의류 생산량은 170.2억 벌이다. 이 중 직물 의류는 80.96억 벌, 편물 의류는 88.64억 벌로 전년 대비 각각 11.86%, 12.48%, 11.17% 증가하였다.

 

 ○ 2006년 중국 의류 총 생산량은 512억 벌로 전년 대비 10.54% 증가하였다. 이 중 직물 의류는 180억 벌로 전년대비 5.88% 증가하였고, 편물 의류는 332억 벌로 전년 대비 12.54% 증가하였다.

  - 2006년 중국 의류 생산량은 2005년 대비 약 5% 가량 줄어들었다. 이는 주요 수출 대상 지역인 유럽과 미국 지역의 부분 쿼터 제도 실시와 위앤화 평가절상 등으로 수출 무역형 기업들이 중국 내수 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데다, 소비자들의 의류 소비 패턴이 개성화, 고급화되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과거의 수량 경쟁에서 새로운 경쟁 시대로 진입했다.

 

 ○ 지역별 생산 동향

  - 광동성, 저쟝성, 쟝쑤성, 산동성, 푸젠성 등이 여전히 1위~5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광동성은 편물 의류 생산과 수출량에서 전국 1위이며, 쟝쑤성은 직물 의류 생산에서 1위다.

 

[2006년 전국 의류 생산량(1위~15위)]

 

지역

생산량(만 장)

2005년 대비 증감(%)

전국 비중(%)

광동성(廣東省)

461406

9.83

27.14

저쟝성(浙江省)

320019

6.30

18.82

쟝쑤성(江蘇省)

301171

16.80

17.71

산동성(山東省)

211571

17.94

12.44

푸젠성(福建省)

100768

31.12

5.93

상하이(上海)

67336

0.62

3.96

쟝시성(江西省)

52660

20.80

3.10

허베이성(河北省)

38108

16.93

2.24

랴오닝성(療寧省)

28938

18.88

1.70

후베이성(湖北省)

20897

6.96

1.23

허난성(河南省)

20659

-15.12

1.22

베이징(北京)

17103

-6.58

1.01

텐진(天津)

14520

-6.97

0.85

안후이성(安徽省)

14396

29.16

0.85

후난성(湖南省)

41062

9.70

0.83

주: 규모이상(국영기업 및 연간 판매액 500만 위앤 이상) 기업 통계임.

자료원: 2006-2007 中國服裝行業發展報告

 

 ○ 의류 산업 고정 자산 투자

  - 2006년 의류 산업 고정자산 투자액은 전년 대비 46.6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후이성 183.79%, 후베이성 100.80%, 쟝시성 83.04%, 허난성 75.19%, 총칭직할시(重慶市) 65.77%, 쓰촨성(四川省) 54.14%, 랴오닝성은 52.23%가 증가해 내륙 지역 투자가 두드러져 의류 산업의 중서부 지역 이전 현상이 가속화 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 하지만 저쟝성, 광동성, 쟝쑤성 투자 역시 각각 73.62%, 52.93%, 49.24%가 증가해 전국 평균 이상을 기록하였으며, 산동성의 고정자산 투자액은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중국 의류 시장 규모

 

 ○ 2006년 중국의 사회소비품 소매 총액은 7조 6,410억 위앤으로 전년 대비 13.7% 증가하였고, 이 중 의복류 소비품 소매 총액은 7,500억 위앤으로 전년 대비 19% 정도 증가하였다. 중국의 의류 시장은 경제 발전에 따른 소득 증가로 주 소비층이 중국 중산층이다. 그들의 소비가 늘고 있어 브랜드 의류의 소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전국 대형 상점 제품별 판매 비중

  - 여성복 판매량은 전체 의류 판매량의 28.91%로 가장 많았으며, 전년 대비 20.98% 증가했다. 또한 티셔츠, 청 옷, 피혁의류, 편직내의류 등은 각각 전년 대비 21.43%, 23.92%, 20.01%, 13.25% 증가했다.

  - 이 중 판매수량에서 평균 증가율을 초과한 제품은 여성복, 티셔츠, 청 의류(청바지, 청재킷, 청치마 등), 피혁의류 등이다.

 

[2006년 각종 의류 판매 현황 비중]

 

       자료원: 中華全國商業信息中心

 

□ 2006년 중국 의류 업계 포커스

 

 ○ 중국 내수 시장 경쟁 심화로 의류 업계 정돈 시기 도래

  - 2005년 1월 세계 방직품 쿼터제 폐지 후 중국 상무부의 조사에 따르면 84개류의 방직 의류에서 86.9%가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고 있고, 중국의 對 미, 對 유럽 수출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무역마찰이 끊이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유럽, 미국은 현재 각각 2007년, 2008년까지 부분 쿼터제를 실시하고 있다.

  - 여기에 위앤화 평가 절상에 따른 수출 단가 상승으로 이윤 공간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위앤화 평가 절상은 계속해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수출에 대한 위험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수출기업들이 중국 내수 시장에 진출하기 시작하였다.

  - 여기에 외국 의류 브랜드들까지 중국 시장 진입 속도를 빠르게 하고 있어, 저가 의류에서 고가 의류까지 시장 경쟁은 백열화 되고 있다.

  - 소비자들은 과거 유행을 따르는 소비 패턴에서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의류를 선호하고 있고, 건강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어 그에 맞는 의류를 요구하고 있다. 이제 의류 업체는 소비자의 요구에 맞춘 개성화, 패션화된 의류 생산에서 제품의 과학 기술 수준 제고에 이르기까지 수준 높은 경쟁에 직면해 있다.

  - 유관 부문의 통계에 의하면 중국 시장의 의류 브랜드는 10만여 개에 달하고 있으며, 교체속도 또한 매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매년 2,000여개의 브랜드가 사라지고 있다. 2000년~2005년 중국 내 500대 의류 브랜드의 평균 수명은 1.5년 정도로, 성공한 브랜드는 매우 적다. 따라서 경쟁 우위를 갖추지 않고 있는 업체는 매우 빠르게 도태의 길로 들어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다양한 마케팅 활용

  - 체험 마케팅: 소비자들에게 직접 체험을 하게 하여 제품을 홍보하는 마케팅으로 내의 브랜드인 曼妮芬(Maniform)은 騰訊(QQ)사와 함께 인터넷 상에서 가상 이미지를 통해 브랜드와 제품을 소개하였고 가상 체험을 통해 제품을 홍보하였다. 고객은 단순히 제품의 특징이나 제품이 주는 이익을 나열하는 마케팅보다는 잊지 못할 체험이나 감각을 자극하고 마음을 움직이는 서비스를 기대한다. 따라서 앞으로 체험 마케팅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스포츠 마케팅: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이 스포츠를 활용한 마케팅에 더욱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리닝(李寧), 피커(匹克, PEAK), 찡빠(勁覇, k-boxing), 치피랑(七匹狼, SEPTWOLVES) 등은 스포츠 경기 협찬을 통해 제품 홍보를 강화하는 마케팅을 사용하고 있다.

  - 문화마케팅: 내의 브랜드 업체인 아이무(愛慕, AIMER)는 ‘愛慕・美麗中國行’ 전국 20여개 도시를 돌며 브랜드 및 제품을 홍보하는데 내의 문화 예술전 개최, 내의 지식 보급, 학비 보조금 지원 활동 등을 펼친다.

  - 멀티브랜드 마케팅: 한 회사에서 여러 개의 브랜드 제품을 런칭하는 것으로 남성복 회사의 여성복 진출이 두드러진다. 덴마크의 BESTSELLER사는 ONLY, VEROMODA, JACK &JONES의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으며, 치피랑 역시 七匹狼, 與狼共舞(늑대와 함께 춤을) 브랜드를 가지고 있고, 한국 기업인 이랜드와 보끄레머천다이징 역시 여러 개의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다.

  - 시각마케팅: 국제 브랜드의 중국 시장 진출 가속화와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 수준에 따라 업체별로 소비자의 시각을 사로잡기 위해 마케팅을 활발히 진행한다. 많은 업체들이 플래그십스토어(flagshipstore)를 개설하였으며, 매장의 인테리어와 제품의 진열에도 상당히 신경쓰고 있다.

 

 ○ 지식재산권 보호 인식 강화 추세

  - 2006년 5월 중국과 독일 정부는 방직의류에 대한 ‘知識産權保護諒解備忘錄(지식재산권 보호 양해각서)’에 서명하고, 디자인, 브랜드, 특허 침범 등의 행위에 대해 공동 대처하기로 합의하였다. 이는 외국기업들이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모조 제품 출현에 대한 중국 정부의 의지를 밝힌 것으로 주요 수출 시장의 하나인 유럽 지역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 중국 로컬 기업 의류 브랜드의 저우추취(走出去-해외진출) 가속화

  - 2006년은 중국 자체 브랜드의 국제무대 진출이 시작된 해로 향후 중국 의류 브랜드의 국제무대 진출은 속도를 더할 것으로 보인다.

  - 2006년 9월 22일, 밀라노 컬렉션 위크에 LILY(上海絲綢集團), SILIQUE(廣桐省絲綢集團), SOHO(蘇豪集團), FIRS(杉杉集團), CATHAYA(凱喜雅), YELIYA(耶莉婭集團), JUDGER(庄吉集團), FAMORY(明瑞集團) 등의 8개의 중국 기업 브랜드가 발표회를 가졌다.

  - 2006년 10월에는 중국 브랜드 ‘지펀(吉芬)’이 파리 컬렉션 위크에 참여하여 브랜드 발표회를 가졌고, 11월에는 중국방직공업협회가 주최한 ‘中國紡織品服裝貿易展覽會’를 독일에서 처음으로 개최하였다. 2006년은 100여 개의 중국기업이 적극적으로 해외 진출을 모색하는 한 해였다.

  - 2006년에 이어 2007년 1월에는 비즈니스 캐주얼 업체인 ‘리랑(利郞)’이 밀라노 컬렉션  위크에서 신제품을 발표하였다.

 

 ○ 중국 최대 가전유통업체 궈메이(國美) 의류업계 진출

  - 중국 가전 유통업체의 거두인 궈메이 그룹은 2006년 12월에 38억 위앤을 투자하여 베이징에 중국 최대의 패션교역센터인 ‘鵬潤國際時尙交易中心’을 설립한다고 밝히고 분양을 시작하였으며,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기간에 오픈할 예정이다. 동 교역센터는 주로 중, 고가의 의류 브랜드를 위주로 경영할 계획이다.

 

 ○ 방직산업의 중서부 이전 및 省내 이전 가속화 추세

  - 연해지역은 노동력 부족, 전력 및 수도 공급 부족, 토지 자원 부족, 환경 보호 요구 증가 등으로 인해 생산 환경이 악화되고 있다.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중서부 시장의 개척필요성에 따라 방직산업을 중서부 지역으로 이전하는 현상이 가속화 되고 있다.

  - 하지만 아직까지 의류산업은 광동성, 저쟝성, 쟝쑤성, 상하이, 산동성, 푸젠성에 집중되어 있다. 중서부 지역에는 노동집약형 부분을 이전하고 동부지역은 제품의 브랜드 육성, 연구개발 등의 영역에 더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 중국 의류 산업이 직면한 문제점

 

 ○ 중국의 의류업계는 안팎의 변화에서 새로운 전환기를 맞고 있지만 증가하는 재고, 디자인 실력 부족, 업계 인재 부족, 산업체인 불완전, 브랜드 가치 부족, 유통 통로 장악력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험난한 브랜드 전략의 길

  - 중국의 의류 산업을 이끌어 왔던 것은 저렴한 생산원가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갈수록 개성화를 추구하고 있고 브랜드 제품을 선호하고 있어, 브랜드화의 길은 과거 생산 원가의 우위만으로 경쟁 우위를 지켜왔던 중국의 많은 기업들에게는 멀고도 험하다.

  - 브랜드는 기업의 핵심가치, 풍격 등이 그대로 소비자들에게 전달되어야 한다. 이 때문에 기업은 브랜드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육성하여야 한다. 하지만 중국의 의류업체는 가족형 기업이 많고, 방만한 경영과 관리 부족으로 디자인, 마케팅을 담당할 핵심 인재가 부족하다. 이는 브랜드화의 길을 더욱 험난하게 하고 있는 요인이다.

 

 ○ 의류 산업 발전 속도에 뒤처지는 중국의 방직업체

  - 대부분이 국영 업체인 방직업체의 발전 속도는 의류산업 발전 속도보다 늦다. 의류기업들이 원하는 고급원단, 특수원단 등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새로운 기술을 이용한 품질 좋은 원단의 생산은 아직 요원한 상황이다. 2000년 이후 고급 의류 원단의 수입이 매년 30%이상씩 증가하고 있다.

 

 ○ 의류 기업의 방만한 경영 및 인재 부족

  - 가족형 기업, 생산 가공형 기업 형태가 대다수인 중국 의류기업들은 체계적인 관리와 인재육성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정보를 수집하고 판매를 주도할 인재의 부족, 패션과 유행을 선도할 디자이너 부족은 심각하다.

 

□ 중국 의류 수출입 현황

 

 ○ 2006년 중국 국가별 의류 수출입 현황

- 중국의 의류 수출량이 가장 많은 국가는 미국으로 의류 수출액 전체의 약 16.95%를 차지하고 있다. 일본과 홍콩이 그 뒤를 잇는다. 루마니아의 수출이 급증했는데 그 이유는 유럽지역의 수출 쿼터 제한을 피하기 위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US$ 천)

국가

수출입총액

수출 총액

증감(%)

수입 총액

증감(%)

미국

16,296,730

16,281,790

18.9

14,940

-12

일본

15,903,260

15,763,470

7.4

139,800

-12.5

홍콩

9,756,630

9,094,000

33.1

662,630

-3.3

루마니아

4,988,280

4,971,810

836.8

16,470

56.1

러시아

3,978,020

3,977,970

-25.2

50

-92.8

독일

3,625,250

3,615,970

17.5

9,280

-34.2

한국

3,351,670

3,224,550

31.9

127,110

14.2

영국

2,800,820

2,791,690

30.4

9,130

-31.4

캐나다

2,581,010

2,580,170

52.7

840

-31.9

이탈리아

2,463,430

2,302,960

27.7

160,470

21.3

주: 동 자료는 중국 방직품 수출입 상회의 자료로 아래의 KITA 자료와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자료원: 中國紡織品進出口商會(www.ccct.org.cn)

 

 ○ 2006년 중국 의류 및 의류 부자재 수입액은 16.97억 달러(직물 의류 8.69억 달러, 편물 의류 7.17억 달러)로 전년대비 5.55% 증가하였고, 의류 수입 평균단가는 2.26달러(직물 의류 3.71달러, 편물 의류 1.57달러)로 전년대비 11.33% 증가하였다.

 

 ○ 2006년 중국 의류 및 의류 부자재 수출액은 951.9억 달러(직물 의류 437.24억 달러, 편물 의류 449.01억 달러)로 중국 전체 수출액의 9.82% 를 차지하는데 이는 전년대비 28.9% 증가한 것이다. 의류 수출량은 266.22억 벌(직물 의류 84.72억 장, 편물 의류 181.51억 장)로 전년대비 21.16% 증가했다. 의류 수출 평균 단가는 2.94달러로 전년대비 10.94% 증가하였다.

 

 ○ 중국 의류 및 의류부자재의 무역 흑자는 934.94억 달러로 중국 전체 무역 흑자의 52.68%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2005년 70.92%에서 18% 가량 하락한 수치다.

 

 ○ 지역별로 보면 광동성, 저쟝성, 쟝쑤성, 상하이, 산동성이 전체 수출액의 76.70%를 차지하고 있다.

 

 ○ 중국의 의류 수출 무역 방식, 일반 무역 비중이 70% 이상

  - 과거 주요 수출 형태를 이루던 가공무역 방식인 來料加工이나 進料加工의 비중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고 일반 무역 방식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1997년 일반무역 방식이 차지하는 비율은 52%였지만 2004년 65%, 2005년 68%, 2006년에는 71%로 그 비중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이것으로 미루어 보아, 중국 의류 기업들의 자체 경쟁력이 조금씩 제고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외자기업의 수출 비중은 2005년 34.3%에서 2006년 32%로 약간 하락했으나, 민영기업의 수출 비중은 2005년 36%에서 2006년 37.33%로 증가했다.

 

 ○ 한국무역협회(KITA)의 중국무역통계로 보는 HS CODE별 의류 수출입 현황

  - 의류의 종류가 많아 대분류인 HS CODE 61(편물 의류), 62(직물 의류) 제품 수출 현황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 HS CODE 61 제품: 의류와 그 부속품(메리야스 편물 또는 뜨개질 편물의 것)

  - HS CODE 62 제품: 의류와 그 부속품(메리야스 편물 또는 뜨개질 편물의 것을 제외한 것)

                               

[2004년~2006년 HS CODE 61, 62 제품 수출 현황]

                                                                                                                    (단위: US$ 천)

    

자료원: KITA, 중국무역통계

 

[2004년~2006년 HS CODE 61, 62 제품 수입 현황]

              (단위: US$ 천)

 

 자료원: KITA, 중국무역통계

 

 ○ 중국 HS CODE 61 제품(편물 의류) 국가별 수출 현황

  - 중국의 국가별 수출현황(2004년~2006년 누계액 기준)을 보면 일본이 19.4%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미국(13.6%), 홍콩(12.7%), 루마니아(4.2%), 한국(3.8%), 러시아(3.5%) 순이다.

                                                                                                              (단위: US$ 천)

  자료원: KITA, 중국무역통계

 

 ○ 중국 HS CODE 62 제품(직물 의류) 국가별 수출 현황

  - 중국의 국가별 수출현황(2004년~2006년 누계액 기준)을 보면 일본이 21.6%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미국(16.7%), 홍콩(10.7%), 독일(4.5%), 한국(4.0%), 영국(3.2%) 순이다.

(단위: US$ 천)

자료원: KITA, 중국무역통계

 

 ○ 중국 HS CODE 61 제품 국가별 수입 현황(2004년~2006년 누계액 기준)을 보면 홍콩이 52.7%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그 다음이 마카오(10.6%), 이탈리아(6.2%), 중국(6.1%), 한국(5.7%), 일본(4.5%) 순이었다. HS CODE 62 제품 국가별 수입 현황(2004년~2006년 누계액 기준)을 보면 역시 홍콩이 37.6%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일본(14.1%), 이탈리아(8.6%), 북한(6.9%), 한국(6.7%), 중국(5.4%) 순이었다.

  - 2006년 수입액은 15억 8452만 7천불(약 122억 6천만 위앤)로 2006년 중국 의류 판매액인 7500억 위앤과 단순 비교해 보면, 순수 수입제품이 중국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63%였다. 이는 유통 이윤을 100%로 계산해도 3.26%에 불과한 수준이다.

 

○ 중국 HS CODE 61 제품(편물 의류) 지역별 수출 현황

  - 중국의 지역별 수출현황(2004년~2006년 누계액 기준)을 보면 광동성이 전체 수출액의 29.0%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절강성(19.3%), 강소성(11.2%), 상하이(10.4%), 산동성(8.0%), 복건성(8.2%)이었다. 이 여섯 개 성의 수출은 전체 수출액의 85.8%를 차지했다.

(단위: US$ 천)

자료원: KITA, 중국무역통계

 

 ○ 중국 HS CODE 62 제품(직물 의류) 지역별 수출 현황

  - 중국의 지역별 수출현황(2004년~2006년 누계액 기준)을 보면 광동성이 전체 수출액의 23.0%로 가장 많고, 다음이 절강성(18.2%), 강소성(18.2%), 상하이(12.5%), 산동성(5.5%), 복건성(4.1%)이다. 이 여섯 개 성의 수출은 전체 수출액의 81.4%를 차지하고 있다.      

(단위: 천 달러)

자료원: KITA, 중국무역통계

  

□ 중국 의류 수출 제약 요소

 

 ○ 중국 의류가 국제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지는 주요인은 제품의 가격이다. 하지만 중국은 지속적인 노동원가 상승, 석유가 인상으로 원재료 가격이 상승하고, 인민폐가 평가 절상되면서 수출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 관련 연구에 의하면 인민폐 평가 절상이 2% 이루어질 경우 방직업계의 세전 이윤율은 4%~10%가량 하락하고, 평가 절상이 5%~10%까지 이루어질 경우 업계 이윤율은 10%~60%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2007년에도 연간 5% 정도 인상될 것으로 보여 이윤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 2005년 1월 국제 방직품 쿼터제도의 폐지로 미국과 유럽에 대한 수출이 급속히 증가했고, 그에 따라 국가 산업 보호를 위한 특별보장조치를 취하여 대 미, 대 유럽 수출은 부분 쿼터제를 지속하고 있다. 또한 중국 제품의 저가 공세로 해당 국가의 반덤핑 제소가 늘었고, 방직의류 환경보호 기술 표준, 사회책임조항 등으로 새로운 무역 장벽이 등장하여 중국 기업은 후 쿼터 시대에도 수출에 많은 제한을 받고 있다.

 

 ○ 수출 증치세 환급률 조정 계획

  - 중국 정부는 지속적인 수출증가와 무역 흑자 규모의 확대로 위앤화 절상 압력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무역 흑자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의류 품목에 대해 증치세 환급률을 조정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현재 의류의 증치세 환급률은 13%인데 중국정부는 향후 2%~4% 가량 더 낮추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평균 이윤율이 2%~5% 정도인 의류 가공 수출기업들은 도산의 위험을 안고 있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수출 환급률 조정이라 함은 의류 생산업체가 경쟁력을 갖춘 업체로 재편되는 시기로 보고 있다.

  - 특히 수출 환급률 하향 조정은 중국 현지에 있는 우리 의류 생산기업들의 수출에도 상당한 충격을 안겨 줄 것으로 보인다. 우리 기업들 역시 수출 비중을 줄이고 중국 내수 시장을 적극 공략해야 할 필요가 대두되고 있다.

3.경쟁동향 분석 (Competitive Analysis)

□ 중국 로컬 브랜드 VS 외국 브랜드

 

 ○ 중, 고가 의류 시장에서 중국 토종 브랜드와 외국 브랜드의 정면 대결

  - 중국 의류 시장에서, 저가 시장은 여전히 중국 본토 기업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중, 고가의 의류 시장에서는 중국 토종 브랜드와 외국 브랜드가 정면 대결을 하고 있다.

  - 실제로 2006년 전국 대형 상점의 여성복 판매 통계를 보면 상위 10개 브랜드 중 절반이 중국 본토 브랜드였다. 가격대는 외국 브랜드에 비해 약간 저렴한 수준이었다.

  - 유명 브랜드 기업들의 브랜드 강화 및 시각 마케팅 강화 움직임이 크게 일어나 소비자들의 시선을 잡기 위한 노력에서 旗艦店(Flagship store)를 개설하고 있다.

  - 중국 본토 기업들은 브랜드화 전략으로 브랜드를 강화를 위한 다양한 마케팅(방송협찬, 유명인사의 브랜드 홍보대사, 자선행사 등)을 실시하고 있으며, 2008년 올림픽을 겨냥한 스포츠 마케팅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 외국 유명 브랜드, 저가 시장에서도 중국 시장 공략 시작

  ☞ 패션의류 업계의 델컴퓨터 스페인의 ‘Zara’

  - 2006년 2월 상해에 진출하여 중국 시장 공략에 나섰다. Zara는 명품과 저가 전략을 통해 값싸고 질 좋고 디자인 좋은 제품을 선호하는 대중들의 소비 심리를 만족시켜주고 있다.

  - ZARA는 한번 출고된 제품은 인기와 관계없이 다시 출고하지 않는다. 소비자들에게 중저가로 최신 유행 제품을 제공하고, 디자인 과정에서도 소비자들의 욕구와 관심에 귀 기울여서 그 정보들을 디자인에 반영한다. 2주에 한 번씩 신제품이 출시되고 있어 소비자들의 새로운 구매 욕구를 자극하고 있다.

  ☞ 스웨덴 H&M

  - ZARA보다 더 저렴한 가격의 제품을 소비자들에게 공급하고 있다. 2007년 중국 시장에 진출하여 현재 상하이에 2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 중국 기업 ‘潮流前線’

  - 東莞市搜于特服裝股份有限公司의 브랜드로 한국 스타일이다. 여름 여성복의 판매가격은 80위앤~120위앤이고 가을, 겨울 외투는 100위앤~200위앤 선으로 2006년 말까지 전국에 1600여 개의 가맹점을 확보하고 있다.

 

 ○ 상하이는 외국 브랜드의 중국 시장 공략 시험대

  - 일반적으로 외국 브랜드는 상하이를 중국 시장 진출의 본거지로 삼고 있다. 명품 브랜드의 경우 대부분의 업체가 중국 기업과 협력하여 중국 시장을 개척하는데 외국 기업은 브랜드 사용권, 신상품 디자인 및 샘플, 관리 및 이미지 전시 기술 등을 제공하고 중국 기업은 제품의 가공, 영업사원 관리, 유통망 개척, 시장 광고비용 투자 등을 한다.

 

 ○ 한국 의류

  - 한국 의류 브랜드의 중국 진출 역사는 현재 중국 소비자들에게 최고의 브랜드 인지도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이랜드(衣戀)’에서 시작된다. 이랜드는 1992년에 진출했다. 한국에서는 중저가 브랜드로 성공을 거둔 후, 중국 시장에서는 제품의 포지셔닝을 고소득자로 두고 고가 브랜드로 진입했고 그 결과 성공을 거두었다.

  - 중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한국 의류 브랜드는 60여 개 정도(물론 수치에 포함되지 않은 제품이 훨씬 많음)로, 여성복이 가장 많고 캐주얼 의류, 스포츠웨어, 남성 정장, 아동복 순이다.

  

□ 내국기업 VS 내국기업

 

 ○ 중국의 대형 의류 기업들은 단일 브랜드에서 브랜드 다양화로 나아가고 있으며, 최근 몇 년 간 남성복 기업의 여성복 시장 진출이 두드러지고 있다. 남성복 ‘치피랑(七匹狼)’으로 유명한 紅豆, 다운재킷의 거두 波士登, 싼싼(杉杉), ?지(庄吉) 역시 여성복 시장에 진입하였다.

 

 ○ 특히 각종 제약 요인으로 주로 수출을 하던 기업들 역시 중국 내수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어 중국 내수 시장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 여성복 시장

 

 ○ 2006년 판매액이 1억 위앤 이상인 베이징의 상점들 통계를 보면, ONLY(덴마크), VEROMODA(덴마크), 安.姬奧(AHNSIL, 프랑스), 瑪絲菲爾((Marisfrolg, 썬전), 柯羅芭(KLOVA, 이탈리아), 邢氏 (베이징) 등의 브랜드가 비교적 큰 판매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ONLY, VEROMODA, 安.姬奧 등은 판매액의 50% 이상 증가했다.

  - 여성복 판매 누계액을 보면 전년 대비 17% 증가했고, 판매량은 6% 하락했다. 2006년에도 여성복 판매단가는 전년 대비 25%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또한 의류 판매 시기별로 보면, 평균 단가 이상을 보인 달은 1월, 9월, 10월, 11월, 12월이며, 특히 10월의 판매액은 2005년 대비 47% 증가했다.

 

[2003년~2006년 베이징 판매액 1억 위앤 이상 상점의 여성복 판매 현황]

       자료원: 中國服飾報  

 

 ○ 전국 대형 상점의 여성복 판매 통계

  - 지역별로 차이가 있긴 하지만 10개 브랜드 중 절반 이상은 중국 토종 브랜드로, 외국 브랜드와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아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상대적으로 경제가 낙후한 서남지역은 주로 저렴한 브랜드가 시장 판매의 상위를 기록하고 있고 해당 지역에 본거지를 두고 있는 브랜드는 그 지역에서 선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여성복 판매 상위 10위 브랜드 및 점유율 현황(2006년 10월)]

(단위: %)

순위

華北지역

東北지역

華東지역

1

ONLY

8.95

ONLY

7.25

ESPRIT

4.34

2

VERO MODA

3.62

艾格(Etam)

6.12

*勁草(V. Grass)

4.22

3

*岳豹

3.51

聲雨竹

4.31

艾格(Etam)

3.69

4

E․LAND

2.69

*華鑫

3.95

ONLY

3.67

5

*飛尼克斯

2.19

ESPRIT

3.02

E․LAND

3.27

6

*以純

2.16

君帛(JUNBO)

2.83

眞維斯(Jeanswest)

3.02

7

ESPRIT

2.01

PLAYBOY

2.81

VERO MODA

2.63

8

JACK&JONES

1.93

玖姿(JIORZIO)

2.53

哥弟(GIRDEAR)

2.14

9

*宗洋

1.92

*七巧

2.12

*以純

1.71

10

*玫而美

1.72

粉紅瑪Pink&Mary

1.74

玖姿(JIORZIO)

1.68

순위

中南지역

西北지역

西南지역

1

驚奇魔法大師

8.95

艾格(Etam)

7.25

*美特斯邦威

4.34

2

*浪鷹

3.62

*阿依蓮

6.12

哥弟(GIRDEAR)

4.22

3

*豪港

3.51

VERO MODA

4.31

*纖

3.69

4

*貝特如

2.69

玖姿(JIORZIO)

3.95

ONLY

3.67

5

ESPRIT

2.19

*斯爾麗

3.02

佐丹奴(GIORDANO

3.27

6

ONLY

2.16

B2(Bear two)

2.83

ESPRIT

3.02

7

艾格(Etam)

2.01

*歌莉婭

2.81

艾格周末

2.63

8

哥弟(GIRDEAR)

1.93

*香影

2.53

*自由鳥

2.14

9

*米蘭登

1.92

*VESA'S

2.12

*歐尼爾(odenell)

1.71

10

*金盾

1.72

ONLY

1.74

*慧蘭(vilan)

1.68

주: 브랜드 앞에 * 표시가 있는 브랜드는 중국 토종 브랜드임.

자료원: 服飾導報

 

 ○ 여성복은 신상품 교환 주기가 갈수록 짧아지고 있고 시장 반응 속도도 빨라지고 있어, 끊임없이 새로운 상품을 소비자들에게 공급해야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는다.

 

□ 남성복 시장

 

 ○ 2006년 4월 전국 대형 상점의 남성복 브랜드 판매순위를 보면 雅戈尔(寧波)이 1위로 시장점유율 10%를 초과한 유일한 브랜드이고 다음은 洛兹(寧波)로 6.08%였으며, 海螺(上海), 红豆(無錫), 开开(上海), 太平鸟(寧波), 虎豹(江蘇省 邗江县), 保罗(미국), 金利来(홍콩), 杉杉(寧波) 등의 순이었다.

  - 판매 순위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의 남성복 시장은 중국 토종 브랜드가 시장의 대다수를 점유하고 있고 외국 브랜드의 진입은 아직 많지 않은 상황이다.

 

□ 진(Jean) 류

 

 ○ 波頓(BOTON, 홍콩), 威鵬(광동성 佛山), 旗牌王(KIPONE, 홍콩), LEE의 4개 브랜드가 전국 시장의 28% 가량을 차지하고 있으며, 眞維斯(Jeanswest), 覇獅騰(BRAXTON, 미국), 班尼路(baleno) 등의 제품이 상위를 기록하고 있다.

 

□ 아동복 시장

 

 ○ 중국 아동복 시장은 연간 약 400억 위앤이다. 현재 중국의 0세~16세 어린이는 3.8억 명으로, 총 인구 13억의 4분의 1을 점유하고 있다. ‘소황제’의 별명을 가진 중국의 독남독녀의 중국 어린이는 각종 소비 시장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 중상위 소득 가정의 유아복 소비가 증가 추세에 있다. 중산층 가정에서 아동복 소비를 가장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동복 시장은 중, 고가 시장의 틈새를 잘 이용하여 진출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 水孩儿(베이징), 派克兰帝(Lawlandee, 베이징), 雅多(YADUO, 상하이), 巴拉巴拉(balabala, 원저우), 笑咪咪(Smiling brodaly, 상하이), 小猪班纳(PEPCO, 광동성 동관), 好孩子(GOODBABY, 쟝쑤성 쿤산), 巴布豆(BOBDOG, 미국), 丽婴房(Les Enphants, 대만), 米奇妙(Mickey Mouse , 미국) 등의 상위 10개 브랜드가 전국 시장의 약 30%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 중국의 아동복 시장은 브랜드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고 패션화, 성인화, 고급화의 추세를 보이고 있다. 판매가격은 브랜드 경쟁의 심화로 가격 안정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외국기업과의 협력, 국제적인 디자이너의 초빙 등으로 디자인 수준이 향상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이 건강 지향적인 제품들을 선호하고 있다.

 

 ○ 2006년에는 광동성에서 일어난 ‘발암성 아동 의류 사건’으로 아동 의류의 품질 안전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었다. 특히 당시 광동성 공상국의 샘플 조사에 의하면 합격률이 34.1%에 불과해 심각한 상황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 사건을 계기로 아동복의 품질 검사 기준이 더욱 엄격히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마케팅 전략 (Marketing Strategy)

1.제품 전략 (Product Strategy)

□ 중국 의류 소비 동향 분석

 

 ○ 中國時尙品牌網의 2006년 중국 의류 소비시장 조사결과에 따르면, 중국 소비자들은 의류 구매 시 유행보다는 ‘개성’을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브랜드와 외국 브랜드 선호도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53.3%가 외국 브랜드를 선호한다고 응답했고, 중국 브랜드를 선호한다는 응답은 불과 16.7%에 그쳤다.

 

 ○ 연평균 의류 구매 비용은 2,080위앤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다롄지역이 2850위앤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상하이 2,300위앤, 광저우 1,850위앤, 청두 1,740위앤, 베이징 1,660위앤 순이었다.

  - 직업별 연평균 의류 구매 지출은 사무 관리직 여성이 3,130위앤으로 가장 높았고, 화이트칼라 여성이 2,840위앤으로 평균 의류구매 비용보다 훨씬 많은 지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은 900위앤 정도로 조사되었다.

 

 ○ 중국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판촉 방식은 한정수량 할인, 계절상품 할인, 백화점 세일 행사 등으로, 가격 할인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중국 여성복은 주로 적색, 오렌지색, 분홍색, 흰색, 금색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옷의 우아함과 아름다움을 표시함과 동시에 여성의 청순하고 우아한 세련미를 돋보이게 하는 의류가 지속적으로 환영을 받을 것이다. 밝고 화사한 대담한 의류를 상당히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소비자 분석

 

 ○ 가격대별 소비자 분석

  - 최고가 명품 브랜드 의류 소비층: 외자기업 근무 직원, 연예계 인사, 개인사업 경영자, 농민 기업가, 금융계 인사 등으로 중국 전체 인구의 0.61%이지만 소비량은 전체의 3%를 차지하고 있다.

  - 중, 고급 의류(인지도 있는 브랜드) 소비층: 도시 샐러리맨과 농촌의 부유 가구로 대략 도시 인구의 60%, 농촌 인구의 20%를 점유하고 있다.

  - 저가 의류 소비층: 도시 저소득층 및 대다수 농촌 인구가 포함되며 도매시장에서 유통되는 저가 제품의 소비층이다.

 

 ○ 연령대별 소비자 분석

  - 18세~30세: 의류 소비의 주요 계층으로 의류 구매 빈도가 가장 잦으며 구매 금액 또한 많다. 이 연령대의 인구는 1.8억 명 정도로 어느 정도 경제적 기초를 가지고 있으며 매우 강한 구매 욕구, 유행하는 패션 추구, 자유로운 개성 표출, 새로운 브랜드 수용이 비교적 용이한 소비층이다. 이 계층의 구매자들은 대부분 충동구매 경험을 가지고 있다. 현재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브랜드가 가장 많고 시장 경쟁도 가장 치열하다.

  - 30세~45세: 주요 의류 소비 계층으로 1회 구매 단위가 가장 많다. 이 연령대의 인구는 약 3.3억 명 정도이고 기초적인 경제력과 비교적 강한 구매 욕구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사람이 자신만의 가치관을 가지고 있어서 좋아하는 풍격 및 패션이 정해져있다. 선호 브랜드가 확실한 편으로 새로운 브랜드에 대한 수용 능력이 떨어지며 이성적인 구매를 많이 한다.

  - 45세~65세: 이 연령대의 인구는 약 2.7억 명으로 어느 정도 경제적 기반을 갖추고 있고 일반적인 브랜드 제품을 선호한다. 그러나 이 연령대에 해당하는 브랜드가 거의 없어 적당한 제품을 찾기가 어려운 상황이니 공략 가능성이 높은 시장이라 하겠다.

  - 이 외에 여성 의류의 연령대 구별은 18세 이하, 18세~25세 젊은 여성, 25~35세의 청년 화이트컬러, 35세~50세 고급 화이트칼라, 50세 이상 등으로 더 세분화 할 수 있다.

 

□ 유럽 브랜드의 연령 구분

 

 ○ 유럽 브랜드의 경우 대부분 젊은층, 중년층, 노년층의 3개 제품군으로 구분되는데 연령 커버 범위가 넓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20세~30세 의류는 18세~35세까지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가격별로 30세~40세 사이의 의류 가격이 가장 비싼데 이는 이 연령대가 충분한 경제력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색상에서는 7개~8개 색상을 조화롭게 이용하고 있으며, 제품의 기능성에서도 야외용, 여성용, 직업복, 운동복, 캐주얼 운동복, 예복, 임부복, 제복, 모피 등으로 나누어 다양한 장소와 성격에 맞는 의류를 구비하고 있어 소비자들은 이런 브랜드 제품을 선호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ZARA 브랜드를 들 수 있다.

2.가격 전략 (Price Strategy)

□ 여성복 가격 동향

 

 ○ 판매가 1,000위앤 이상 제품

  - 중화전국상업정보센타(中華全國商業信息中心)의 통계에 따르면 판매가 1,000위앤 이상의 여성복 브랜드 중 2006년 1월~3월의 상위 20위 브랜드로는 ONLY(덴마크), 哥弟(GIRDEAR, 대만), 白领(베이징), ESPRIT(홍콩), 应大(대만), 朗姿(LANCY, 한국), 艾格(Etam, 프랑스), 紫澜门(상하이), 玛丝菲尔(Marisfrolg, 썬전), 凯撒(Caesar, 이탈리아), VERO MODA(덴마크), 波司登(쟝쑤성), 当代, 红人(우한), 福芬(텐진), BOSSINI(堡狮龙, 홍콩), 宗洋(베이징), 伊可爱(E&YOU, 홍콩), 帕特纳(PATENA, 절강성), 名师路(MINZE STYLE, 홍콩) 등 이었다.

  - 이 중 1월~3월에 상위 20위를 유지한 브랜드는 9개로 ONLY, 哥弟, 应大, 朗姿, 艾格, 玛丝菲尔, 凯撒, VERO MODA, 红人 등이다.

 

 ○ 판매가 1,000위앤 이하

  - 여성복 브랜드 중 2006년 1월~3월의 상위 20위 브랜드는 艾格, ONLY, ESPRIT, 艾格周末(Etam weekend), VERO MODA, 红人, 依布(강소성 우시), 以纯(광동성 동관), 佐丹奴(GIORDANO,대만), 哥弟, 衣恋,(E․LAND, 한국) 堡狮龙, 真维斯(JEANSWEST, 홍콩), 美特斯邦威(metersbonwe, 절강성 원저우), 班尼路(baleno, 홍콩), 劲草(V. Grass, 난징), 三象, 耐克(NIKE, 미국), 荣萍(난징), 波司登, 曼芭(MAMBA, 썬전) 등이었다.

 

 ○ 이상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 내 브랜드와 외국 브랜드가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긴 하지만, 중, 고가 시장에서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는 상위 브랜드로는 외국 브랜드가 많았다.

 

□ 스포츠 웨어

 

 ○ 중국의 스포츠 의류 시장은 빠르게 캐주얼화 되고 있으며, 현재 나이키, 아디다스, 중국 브랜드 리닝(LI-NING) 등이 경쟁을 벌이고 있다.

 

 ○ 스포츠 의류에서 ‘라피도’는 틈새시장 공략으로 중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한 경우라 하겠다. 현재 ‘라피도’의 판매가격은 800위앤~2,500위앤 정도이고, 또 다른 한국 브랜드인 ‘EXR’ 은 보통 1,500위앤 선으로 ‘나이키’, ‘아디다스’보다 더 비싸게 판매되고 있다.

  - 중국 최고의 운동복 업체인 ‘리닝’의 고급 제품이 300위앤~700위앤에 판매되고 있는 것을 감안해 볼 때 우리 기업들의 고급 소비자 포지셔닝이 독특한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남성복

 

 ○ 중국 남성복은 중, 저가 의류가 여전히 시장 주도

  - 전국 대형 백화점에 유통되는 남성복의 점유율을 판매 가격별로 나누어보면 500 위안 이하가 40%, 600위안~1000위안이 40%, 1000 위안 이상이 20%이다. 베이징과 상하이에 있는 대형 백화점에서 판매하는 의류 중 상위 10위안에 드는 상품의 가격이 모두 800위앤~3000 위앤 사이다.

 

 ○ 남성 양복 순위

  - 2000위앤 이상: 雅戈尔, 报喜鸟(저쟝성 원저우), 皮尔卡丹, 观奇(kwunkeetailor, 홍콩), 罗蒙(저쟝성 닝뽀), 金利来(홍콩), 杉杉, 威可多(베이징), 夏蒙(저쟝성 원저우), 萨巴蒂尼(S.D.spontini, 프랑스) 등의 브랜드가 판매 상위를 이루고 있다.

  - 2000위앤 이하: 雅戈尔, 罗蒙, 杉杉, 花花公子, 报喜鸟, 罗蒙, 金利来, 胜龙(SELON, 프랑스), 洛兹, 皮尔卡丹 등의 브랜드가 판매 상위를 이루고 있다.

3.유통 전략 (Place Strategy)

□ 유통 구조

 

 ○ 中國時尙品牌網의 2006년 중국 의류 소비시장 조사결과에 따르면 의류 전문점에서 구매하는 비율이 38%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백화점 35%, 의류 쇼핑상가 16% 순이었다.

 

 ○ 주요 유통 경로로는 의류도매시장, 대형백화점(입점기업 단독 경영 혹은 대리 판매), 전문매장, 대형 할인마트 및 의류할인점, 전시회, 인터넷 쇼핑몰, TV 쇼핑채널 등이다.

  - 의류도매시장: 주로 중저가 제품이 유통되는 시장으로 지속적인 재고 압력, 낮은 이윤, 브랜드 부재, 업계 경쟁, 모조 제품 범람, 시장 관리 부족 등의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게다가 소비자들의 브랜드 제품 구매가 늘고 있어 도매시장은 생존을 위한 전략으로 소매 판매로 돌아서서 점차 ‘브랜드 경영’의 길을 걷게 될 것이다.

  - 백화점 수수료 매장: 외자기업 및 외국 브랜드, 중국 기업의 중고가 브랜드의 주요 유통 경로 중의 하나이며, 우리나라 브랜드 제품 역시 주로 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유명 백화점의 경우 입점 경쟁으로 입점 비용이 높아지고 있으며, 판매 경쟁과 판촉비용의 증가로 경쟁력을 갖추지 않은 제품은 도태가 빨라지고 있다. 대표적인 브랜드로는 ‘이랜드’, ‘ON&ON', 'W.' 등이다.

  - 직영 전문점: 브랜드 제품의 전문 매장으로 통일적인 관리와 경영 형태로 브랜드 관리가 용이하고 소비자들에게 브랜드를 가장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유통 통로이다. 대표적으로는 중국 브랜드인 ‘美特斯邦威’와 한국 의류 ‘베이직 하우스’ 등이 있다.

  - 가맹점: 브랜드 제품의 주요 유통 방법의 하나로 가맹점을 통한 판매 통로 확대, 기존 업체의 고객을 통한 재빠른 시장 투입 등의 장점이 있지만 시장 정보의 획득이 어렵고, 가맹점의 단독 판매 활동으로 브랜드 이미지 유지에도 어려움이 있다.

  - 인터넷 쇼핑몰: 中國互聯網絡信息中心(CNNIC)의 데이터에 의하면 2006년 말까지 중국의 인터넷 사용 인구는 1억 3,700만 명이고 실제 인터넷을 이용한 구매자는 4,310만 명으로 거래금액은 312억 위앤에 달한다. 인터넷 쇼핑을 통해 의류를 구매하는 비중도 점점 늘고 있다.

 

 ○ 中華服裝網이 선정한 2006년도 10대 도매시장에는 無錫新世界(쟝수성), 北京百榮世貿商城, 虎門富民時裝城(광동성), 廣州白馬服裝市場(광동성), 杭州四季靑服裝市場(저쟝성), 沈陽五愛市長服裝城(랴오닝성), 上海七浦路服裝批發市場, 石獅服裝城(푸젠성), 江蘇常熟招商城(쟝수성), 武漢漢正街(후베이성) 등으로 대부분 의류 판매 범위가 상당히 넓고 체계를 갖추고 있는 곳이었다.

 

 ○ 中國服裝財富網이 선정한 매력 있고 개성 있는 의류 상업 거리로는 北京王府井商業袈, 上海南京路商業街, 成都春熙路商業街(쓰촨성), 廣州北京路商業街(광동성), 重慶解放碑商業街, 武漢江漢路商業家(후베이성), 南京湖南路商業街(쟝수성), 哈爾濱中央大街商業街(헤이롱쟝성) 등이다.

 

 ○ 2006년 中華紡織報가 선정한 중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상점으로는 北京燕莎商城, 北京賽特購物中心, 上海太平洋百貨, 上海正大廣場, 廣州百貨大廈, 廣州天河城, 杭州大廈購物中心, 南京中央商場, 武漢廣場購物中心, 大連勝利廣場購物中心 등이다.

 

□ 유통 통로 선택 시 유의 사항

 

 ○ 우리 기업들의 중국 시장 진출 및 확대 전략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취급하는 제품의 정확한 포지셔닝(Positioning)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고급 제품이 도매시장이나 대형 슈퍼마켓, 다양한 제품이 집중 되어있는 종합 의류 상가 등에 입점하게 되면 제품의 가치가 크게 손상될 것이다. 도매용 제품으로 백화점에 진입하거나 전문점을 운영하는 등의 잘못된 유통 통로는 선택하지 않아야 한다.

 

 ○ 중소기업, 개인사업자의 경우, 지역 선정에 있어 경쟁이 치열한 동부 연해 지역보다는 상대적으로 경쟁이 덜하고, 의류 시장의 발전 잠재력이 큰 중서부 지역의 1급 도시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더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4. 광고 전략 (Promotion Strategy)

□ 활용 가능한 광고 매체

 

 ○ 服裝時報( http://www.chinafashion.net.cn/) 신문

  - 經濟日報報業 그룹의 주관으로, 經濟日報社, 中國服裝集團, 북경복장협회가 공동으로 발행한다. 중국 내 의류 전문 신문으로는 판수가 가장 많은 컬러 신문이다.

  - 발행주기: 주간

  - 연락처: 86-10-87778178

  - 광고비: 겉표지 60,000위앤~180,000위앤/회, 내지 2,000위앤~80,000위앤

      

 

 ○ 中國服飾報 신문

  - 94년 7월 1일에 창간되었다. 經濟日報報業 그룹이 발행하고, 업계 뉴스, 유행 추세, 의류 디자인, 관리 마케팅, 시장개척, 브랜드 추천, 각계 인사의 기고문, 전시회 정보 등을 담고 있다. 의류 소비자들에게는 유행하는 패션, 브랜드 가격, 의류 소비 안내 등을 제공한다.

  - 중국복식보 온라인 신문으로 服飾在線(http://www.cfw.com.cn/) 운영하고 있다.

  - 발행주기: 주간

  - 연락처: 86-10-65597798(사무실), 86-10-63970950(편집부)

  - 광고비: 겉표지 정면 4,000위앤~80,000위앤/회, 겉표지 뒷면 3,500위앤~60,000위앤, 내면 800위앤~40,000위앤

   

 

 ○ 中國紡織報(http://www.zgfzb.net.cn/) 신문

  - 中國紡織報는 1986년 창간되어 經濟日報 그룹에 인수되었으며, 방직업종의 종합성 신문으로서의 권위를 가진다. 동 신문은 업계의 경제 운행 현황, 추세, 기업 및 시장 동향을 반영하고 있으며, 의류 ,액세서리, 방직 산업 등을 조망하고 있다.

  - 신문에 服裝週刊(의류주간), 面料週刊(원단주간)이 포함되어 있다.

  - 발행주기: 주간

  - 연락처: 010-87751055,  이메일 : [email protected]

  - 광고비: 4,000위앤~70,000위앤/회

 

 ○ 服裝界(http://www.cnapparel.org/) 잡지

  - 中國服裝協會 회보로 1995년 창간이후 중국 의류 업계의 경제 보도, 최신 정보, 업종 포커스 등 각종 뉴스를 전달하고 있다.

  - 발행주기: 월간(매월 15일 발간)

  - 연락처: 86-10-85229346, 85229010

                  

 

○ 中國制衣 (http://www.chinaapparel.com.cn/) 잡지

  - 中国纺织工业协会가 주관하여 中国纺织信息中心이 발행하는 잡지로 업종의 종합적인 내용과 공정 기술, 마케팅 등의 내용을 싣고 있으며, 발행부수는 10만 부이다.

  - 발행주기: 월간

  - 연락처: 86-10-85229253, 85229063

  - 광고비: 5,000위앤~80,000위앤/회

 

 ○ 紡織服裝週刊  (www.ctei.gov.cn) 잡지

  - 纺织服装周刊의 전신은《纺织信息周刊》이다. 中国纺织工业协会(http://www.ctei.gov.cn/)의 업계 정보를 발표하는 창구로 방직의류업계의 시장 분석, 기술 동향, 유행 추세, 통계 정보, 경제 운행 분석 등 다양한 뉴스를 전달하고 있다.

  - 발행주기: 주간

  - 연락처: 86-10-85229083

  - 광고비: 겉표지 30,000만위앤~50,000만 위앤/회, 내지 6,000위앤~36,000위앤/회

 

          

 

 ○ 服裝銷售及市場  잡지

  - 中国纺织工业协会가 주관하여 纺织服装周刊杂志社가 편집, 발행하는 의류 마케팅의 권위 있는 잡지로 정보, 전문칼럼, 인물, 브랜드 논단, 개점 지침, 영업 판매 관리, 최종 단계 책략 등 다양한 내용을 싣고 있다. 발행량은 매 회 3만부이다.

  - 발행주기: 월간

  - 연락처: 86-10-85229083, 65987275

  - 광고비: 겉표지 30,000만위앤~50000만 위앤/회, 내지 6,000위앤~36,000위앤/회

 

 ○ 中國服裝網 (www.efu.com.cn)

  - 2001년 7월에 설립되었다. 의류 업계의 대표적인 홈페이지의 하나로 B2B거래, 인터넷 판매 등 응용 서비스를 하고 있고, 생산자와 판매자의 교량 역할, 인터넷 판매, 인터넷 광고, 전자상거래, 기업 홈페이지 제작, 회원특별 서비스 등을 하고 있다.

  - 2003년 6월에 다국적 홈페이지를 개설하였다. 현재 등록회원은 30만 명이며, 일일 평균 방문횟수는 약 350만 회로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중국 상업 홈페이지 100강, 절강성 전자상거래 10강 홈페이지로 선정되었다.

  - 연락처: 86-579-82057916, 86-579-82057990/80

  - 광고비: 광고 위치에 따라 6,000위앤~100,000위앤/월까지 있으며, 비싼 광고의 경우 날짜로 계산이 가능하다. 최고 가격은 3,500위앤/일이다.

 

 ○ 中華服裝網 (http://www.51fashion.com.cn/)

  - 국내외 최근 의류업계 정보, 브랜드 기업 정보, 대리업체 모집, 국내외 전시회 동향 등 다양한 의류 업계의 정보를 전달한다.

  - 현재 등록회원은 15만 명으로 일일 방문횟수는 140만 회 정도이다.

  - 연락처: 86-21-51505999

  - 광고비: 홈페이지의 첫 페이지는 10,000위앤~20,000위앤/월, 내면은 10,000위앤 내외

 

 ○ 國際紡織品流行趨勢 (www.view-international.com/) 잡지

  - 중국 내 유일의 유행 컬러, 얀(YARN), 원단, 부자재, 패션의류 및 방직품 설계에 이르기까지 방직의류 업종의 전반적인 정보를 전달한다.

  - 동사는 춘하, 추동 1년에 2회씩 《VIFF STYLE-女装设计(여성복 디자인)》를 발행하고 있으며, 《流行色展望(유행색 전망)》을 통해 의류(남성복, 여성복, 운동복 등), 화장품, 공업 디자인의 유행 컬러를 전망하는 잡지를 발행하고 있다.

  - “中国最具影响力的专业媒体(중국의 가장 영향력 있는 전문 매체)”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 발행주기: 2개월에 한 번

  - 연락처: 86-10-64167484. 64168243

  - 광고비: 15,000위앤~35,000위앤/회

 

    

 

 ○ 服飾導報 (www.fsdbs.com.cn) 신문

  - 1995년 창간되었으며 유행 추세, 시장 정보, 기업소개 등 경영자와 소비자를 잇는 의류 전문 신문이다. 한국의 Fashion Insight와 협력하여 1개월에 한 번 한국 의류를 소개하고, 일본 의류 현황도 소개한다.

  - 발행주기: 주간

  - 연락처: 86-25-84412636, 84541746

  - 광고비: 겉표지 1,600위앤~50,000위앤, 내지 500위앤~40,000위앤

 

□ 광고 시 주의사항

 

 ○ 전문잡지 및 신문, 인터넷 광고 외에 공략하고자 하는 시장의 지역 방송 채널, 야외 도로 광고 등도 적절히 활용하면서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시켜야 한다. 이 때 주의할 사항은 반드시 광고하는 내용의 통일성을 유지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광고는 제품의 가치를 전달하는 최고의 방법이다. 소비자가 브랜드를 인지하는 과정에서 혼선을 주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 상기 조사와 같이 의류와 관련된 신문과 잡지의 광고비는 적지 않은 금액으로 적절히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가격은 대략적인 가격으로 실제 광고 시에는 조건에 따라 광고비가 달라질 수 있다.

 

* 기타 참고사항

 

□ 의류 관련 주요 전시회

 

 ○ 中国国际服装服饰博览会(CHIC)

  - 가장 큰 전시회로 우리기업들도 한국관을 구성하여 참가하고 있다.

  - 홈페이지: http://www.chiconline.com.cn/

  - 전시면적: 12만 평방미터, 1000여 개 사 참가

  - 참관객: 13만 여 명

  - 일정: 2008년 3월 28일

 

 ○ 2007 中国(大连)国际服装纺织品博览会

  - 홈페이지: http://www.cigf.com.cn/

  - 전시 규모: 4만 평방미터, 694개사 1800부스(2006년 실적)

  - 참관객: 5만 여 명

  - 일정: 2007년 8월 28일~31일

 

 ○ 中国国际纺织面料及辅料博览会

  - 홈페이지: http://www.intertextile.com.cn/

  - 전시규모: 8만 평방미터, 2000여 개사 참가(2006년 실적)

  - 참관객: 53000 여 명

  - 일정: 2007년 10월 29일~11월 1일(상하이), 2008년 3월 27일~29일(베이징)

 

 ○ 中国(深圳)国际品牌服装服饰交易会

  - 홈페이지: http://fair.szic.cn/

  - 전시규모: 67500 평방 미터, 630개 업체 참가

  - 참관객: 106000 여 명

  - 일정: 2007년 7월 12일~14일

 

 ○ 中国国际服装服饰交易会(宁波)

  - 홈페이지: http://www.ningbofashionfair.cn/

  - 전시규모: 45000 평방 미터, 2200개 부스

  - 일정: 2007년 10월 22일~25일

 

□ 중국 시장 성공 진출을 위한 조언

 

 ○ ‘한류’는 더 이상 비빌 언덕이 아니다

  - 중국 소비자들이 한동안 홍콩 대만풍, 유럽 미국풍, 한류로 대표되는 한국풍 등의 유행을 쫓았다. 이제는 자신들의 개성과 세련미를 돋보이게 하는 자신만의 스타일을 중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어떤 제품이든 자신의 개성과 자아를 부각시킬 수 있고 품질 또한 좋으며 디자인도 뛰어난 제품을 선호한다.

  - 이는 우리 기업들에게 품질 좋고 디자인이 뛰어난 제품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상품의 신속한 신상품 출시를 요구하고 있다. 지속적으로 신제품을 내놓지 않으면 중국 시장에서 우리가 버틸 수 있는 곳은 조금씩 사라져 갈 것이다.

 

 ○ 한국 의류의 경쟁 우위 요소가 약해지고 있다.

  - 중국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은 거의 모두 중국 현지에서 생산되고 있다. 한국 의류에 대한 인식은 품질 좋은 원단의 사용,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켜주는 세련된 디자인 등으로 매우 좋은 상황이다. 하지만 이제 좋은 원단, 뛰어난 디자인은 우리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중국 기업들의 실력도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앞으로 시장의 흐름을 읽고, 소비자의 반응에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 중국을 제2의 내수시장으로 만들자

  - 지속되는 불경기로 한국 의류의 소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아시아 최대의 의류 도매상가인 동대문 시장의 경기도 어려움에 처해 있다.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해야 한다는 절박감이 느껴지는 시기이다. 중국은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도 가깝고, 그들 또한 일본 의류보다는 한국의류를 선호하며 같은 동양 문화권으로 서로에 대한 이해도 더 깊다.

  - 중국은 경제 성장을 매우 빠르게 하고 있고 소비력도 커지고 있다. 거대한 중국 내수시장을 차지하기 위해 세계 각국의 의류 브랜드가 진입하고 있고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기업 스스로 준비와 전략을 철저히 해서 중국 시장에 진입해야 할 것이다. 정부와 협회 등 관련 기관에서도 우리 기업들이 중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물심양면으로 지원해야 할 것이고 동시에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과 혜택도 늘여야 할 것이다.

수출시 참고사항 (Export Guidelines)

1.수출 요건 (Export Requirements)

□ 수입관세 및 증치세(부가가치세)

 

HS CODE

품목

수입관세(%)

증치세(%)

종합관세(%)

비고

61 제품

의류와 그 부속품 (메리야스 편물 또는 뜨개질 편물의 것)

14%~25%

17

33.38%~46.25%

수입제한 조항 없음

62 제품

의류와 그 부속품 (메리야스 편물 또는 뜨개질 편물의 것을 제외한다)

14%~20%

17

33.38%~40.04%

수입제한 조항 없음

2. 상거래 관행 (Business Practice)

□ 대금결제 관행

 

 ○ 국제관례상 신용장거래는 수출입계약과 독립되어 은행의 신용을 담보로 이루어지는 서류상 거래라고 하지만 현재 중국의 상황으로 볼 때 많은 수입자들은 화물을 인출한 후 상품의 하자를 이유로 개설은행에 인수를 거절할 것을 요구한다. 개설은행은 수입자의 요구에 따라 서류상 작은 흠집이라도 트집을 잡아 인수를 거절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신용장(특히 Usance)개설 시 중국 은행들은 수입자로부터 100% 예치금을 받지 않고 대개 30% 정도의 예치금을 받아놓고 있다가 신용장 만기에 수입자가 전액 갚지 않으면 L/C대금을 미지급 하는 경우가 많다.

 

 ○ 즉 수출자가 수입자의 요구에 의해 B/L을 은행을 거치지 않고 직접 수입자 앞으로 송부할 경우, 수입자는 동 B/L을 가지고 화물을 인출한 후 클레임을 제기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개설은행은 수입자의 요구에 따라 서류상 경미한 하자를 이유로 인수거절하고 수입자는 화물을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 발생한다. 따라서 L/C거래라 하더라도 B/L을 수입자에게 직접 선 송부해 주는 것은 자제해야 한다.

 

 ○ 우리 수출기업으로서는 문제의 소지가 있는 금융기관과의 거래를 피하는 것이 최선의 방책이다. 중국의 5대 국유 상업은행에서 발행한 신용장(L/C) 위주로 수출 거래를 행하하고, 지방은행에서 발행한 신용장은 최대한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은행에서 발행한 신용장 수취가 불가피한 경우에는 홍콩을 경유한 다국적 대형은행의 지불 이행 추가 확약을 받아 최대한 대금 지불에 대한 안전장치를 강화해야 한다. 이 때 확인은행이 홍콩에 있는 은행이라 하더라도 중국은행 홍콩지점 계열 은행인지 외국계 중소은행인지 그 여부를 필히 확인해 피하도록 유의해야 할 것이다.

 

□ 계약 체결 시 유의사항

 

 ○ 계약서를 작성할 때에 중국어와 영문으로만 계약서를 작성하는 경우가 많은데 한국어로 된 계약서도 같이 작성해 계약서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수시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중국어 계약서만 작성할 경우에 중국어를 보는 것이 부담이 되어 계약서를 잘 보지 않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매우 위험한 행위다. 분쟁이 발생할 경우, 최후의 보루는 계약서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계약서 작성단계부터 법률전문가(변호사)의 도움을 받는 것이 오히려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며 계약서는 반드시 전문 표준 계약서 양식을 활용한다.

 

 □ 현지 바이어 특성

 

 ○ 중국인들은 상담 시 먼저 상대방을 치켜세우거나, 거래의 장밋빛 전망을 설명해 상대방의 호감을 산 후 상담을 진행하는 것이 관행이다. 따라서 외국인은 냉정한 태도를 유지해야 하며 철저한 사업 준비와 계획서를 갖고 거래에 임해야 한다. 아직까지 많은 기업인들이 시장원리보다 인간관계를 우선 시하는 관습이 농후하다. 최근 들어 중국 자체에도 상거래에 문제가 많이 발생하자 끼리끼리 모여 하나의 단체를 형성해 단체 내 회원 간 거래는 신용 중심으로 하고, 단체 외부와의 거래는 철저한 경제 원리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계획 경제관념과 상업 활동의 위험성을 최소화하려는 목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아직 외상결제를 선호하지만 외상거래의 위험성 때문에 현금거래가 점차 확산되고 있다.

 

 ○ 중국 업체들은 신용장이나 계약서, 원산지 증명서의 잘못된 부분과 오타를 문제 삼아 계약내용을 변경하고 가격 요구조건이 수용될 경우 거래대금을 지불한다. 이러한 경우는 주로 선적 후 국제가격이 인하돼 수입업체가 손실을 만회하고자 고의로 트집을 잡은 경우이다. 중국인들은 거래만큼은 냉정하게 임하며, 이해득실의 계산도 빠르다. 친한 사람과도 손해 보는 장사는 하지 않으며, ‘내가 생각해 주는 만큼 상대방도 알아주겠지’하는 우리식의 정서는 아주 친한 친구관계가 아닌 한 통하지 않는다. 담담한 마음으로 대상을 주의 깊게 살필 수 있는 자세가 요구된다.

 

□ 상사 분쟁 예방 수칙

 

 ○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확보하라

  - 상대방의 신용, 인물 등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파악한 후 사업을 시작해야 한다. 이 경우, 소개하는 쪽의 말만 믿어서는 안 되며 그것을 토대로 반드시 확인을 해야 한다. 정보 확보 방법은 중국의 전문 신용평가기관, 한국수출보험공사, KOTRA, 한국 및 중국의 동종 업종 종사자, 같은 지역에서 오랫동안 사업을 한 경험자 등을 통하면 된다.

 

 ○ 전문가를 충분히 활용하라

  - 먼저 사업을 시작한 경험자, 변호사, 한국의 중국관련 기관 주변에 있는 각종 전문가를 충분히 활용하도록 한다. 통역을 사용할 경우, 의사전달이 충분히 되었는지 반드시 확인한다. 통역이 중간에서 잘못 전달해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통역이 통역을 하면서 사업내용을 잘 알게 된 것을 계기로 중간에서 사업을 가로채는 경우도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 중국에서 장기적으로 사업을 하려면 기본적으로 듣고 말할 수 있는 수준까지 중국어를 배워야 한다.

 

 ○ 증거를 충분히 확보하라

  - 일이 잘되어 나가다 보면 증거가 필요 없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일단 문제가 발생하면 필요한 것은 증거이며, 증거가 없으면 대응해 나가기 어렵다.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여 항상 증거를 확보해 두어야 한다. 특히 중국에서 중국인과 분쟁이 발생한 경우, 사후에 증거를 수집하기는 매우 어려우므로 미리 증거를 수집해 둔다. 분쟁이 발생했을 때 중국 측에서는 충분한 증거를 제시하는데 우리 측은 증거 없이 말로만 대항하다가 실패했던 사례가 많다. 중국인들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증거(특히 물적 증거)를 중시한다는 사실을 명심해 둘 필요가 있으며 반드시 물적 증거를 확보하고 기록으로 남기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