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혈류동태학적 변화의 나선형 간동맥조영 CT 및 문맥조영 CT ... · 2017. 4....

8
1996: 35(5) : 757-764 CT CT < > : : CT 40: 8. CT : CT : CT CT 0 , 2). CT(CT hepatic arteriography ; CTHA) CT(CT ar- terial portography; It ai (segmental) siphonage steal phenomenon) , transform- ation of portal vein) arterioportal 7 l

Transcript of 간 혈류동태학적 변화의 나선형 간동맥조영 CT 및 문맥조영 CT ... · 2017. 4....

Page 1: 간 혈류동태학적 변화의 나선형 간동맥조영 CT 및 문맥조영 CT ... · 2017. 4. 6. ·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6: 35(5) : 757-764 간 혈류동태학적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6: 35(5) : 757-764

간 혈류동태학적 변화의 나선형 간동맥조영 CT 및 문맥조영 CT 소견에 의한 유형 분석 1

지 그

<> 난·김 환2 t그

믿r

목 적 : 간내 병리적 원인에 의한 혈류돔태학적인 변화를 관찰하여 이들을 유형별로 분류하고자 하

였다.

대상 및 방법 : 1993년 3월부터 1994년 10월까지 간암 환자 150명을 포함한 185명의 환자에서 시행

한 나선형 간동맥조영 CT 및 문맥조영 CT에서 혈류돔태학적 변화를 보인 48예(남녀비 40: 8. 연렁

19 - 78세, 평균연렁 51세 )를 대상으로 하였다.48예의 간동맥조영 CT 및 문맥조영 CT 소견을 혈관조영

술과 비교하여 문맥의 폐색, 협착 및 해면상 변형이나, 간동맥의 페색 또는 협착과, 동문맥단락의 존재

에 따라 다음 네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제 1형은 문맥혈류의 감소 및 소실이 있을때로, 저12형은 간

동맥 협착이나 폐색으로 간동맥 혈류의 감소 및 소실된 경우, 저13형은 문맥종앙전이 없이 간내 동문맥

단락이 존재하는 경우, 그리고 저14형은 문맥종앙전과 함쩨 경맥관 동문맥 단락 혹은 주문맥의 해면상

변형을 동반한 경우로 분류하여 각 유형별 소견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제 1형은 간동맥조영 CT에서 문맥종앙전과 문맥폐색에 의한 영역이 고음영으로 보였으며

문맥조영 CT에서는 같은 영역이 저음영으로 보였던 경우로 20예에서 관찰되었다. 저12형은 반복된 경

동맥 화학색전술에 의해 야기된 간동맥 협착이나 페색으로 간동맥조영 CT상 저음영으로, 문맥조영 CT

에서 같은 영역이 등음영 혹은 고음영으로 보이는 경우로 6예에서 관찰되었다. 저13형은 9여|에서 관찰

되었는데, 간동맥조영 CT에서 난형 또는 쐐기 모앙의 고음영을 보였고, 문맥조영 CT상 저음영으로 관

찰되었다. 저14형은 13예에서 관찰되었으며, 경맥관 동문맥 단락의 앙, 문맥종양전의 위치 및 문맥의 해

면상 변형의 돔반에 따라 간동맥조영 CT와 문맥조영 CT에서 다양한 소견을 보였다.

결 론 : 나선형 간동맥조영 CT 및 문맥조영 CT 소견의 유형분석은 간의 혈류돔태학적 변화의 원인

을 명 확히 구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서 론

최근나선형 CT의 개발로짧은시간에 간전체를비교적

적은 양의 조영제를 이용하여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0 , 2). 따라서 간동맥 및 문맥으로부터 이중 혈액 공급을

받는 간조직의 혈관을 선택적으로 조영할 수 있는 혈관조

영술의 장점, 그리고 병변과 정상 조직간의 대조도가 좋아

병변의 발견이 용이하고 병변과 주위 구조와의 관계를 쉽

게 알수있다는 CT의 장점을혼합한간동맥조영 CT(CT

hepatic arteriography ; CTHA) 빛 문맥조영 CT(CT ar­

terial portography; CTAP)의 진단 방법이 발달되어 사

용하게 되었다(3-7).

1 국립경찰병원 진단방사선과 2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이 논문은 1995년도 고려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 연구비의 보조로 이루어진 것임

이 논문은 1996년 3월 4일 접수하여 1996년 10월 1일에 채택되었음

1982년 Itai 등이 역동적 CT를 이용한 간의 엽성(lobar)

혹은 구역 성 (segmental) 조영제 분포 에 따른 일시적 간음

영의 차이에 대한 해석으로써 문맥 폐색에 의한 변화,

siphonage phenomenon(흑은 steal phenomenon) , 및 간 동맥 폐색 또는 협착에 의한 세가지 유형이 있다고 보고한

바 었으나(8) , 이는 과거의 고식적 CT로 시행한 역동적

CT에 의한 분류였으며, 역동적 CT로는 간의 동맥기와 문

맥기가혼합되어 냐타나므로간혈류의 통태학적 변화를정

확히 구분하여 표현하기가 어렵다고 생각된다. 또한 정맥

으로조영제를주업하면 심장을통과하는사이에 희석되어

간혈류의 통태학적 변화를 인지하기가 어렵다. 저자들은

나선형 CT를 이 용한 간동맥 조영 CT와 문맥 조영 CT를 분

리하여 영상을 얻었을때 깐혈류의 동태학적 변화가 확연히

구분되어 보였지만 실제 병변과의 감별 진단이 야기되므로

간내에서 생긴 병리적 원인에 의해 간동액이나 문맥의 폐

색이나 협착, 문맥의 해변상 변형 (cavernous transform­

ation of portal vein) 및 동문맥 단락( arterioportal

7 l π

Page 2: 간 혈류동태학적 변화의 나선형 간동맥조영 CT 및 문맥조영 CT ... · 2017. 4. 6. ·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6: 35(5) : 757-764 간 혈류동태학적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6; 35(5) : 757-764

shunt)에 의해 야기되는 간내 혈류동태학적인 변화에 대

한 유형의 원인과 영상 소견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및방법

1993년 3월부터 1994년 10월까지 간암 환자 150명을 포

함한 185명의 환자에서 시행한 나선형 간동맥조영 CT 및

문맥조영 CT에서 혈류동태학적 변화를 보인 48예를 대상

으로 하였다. 남녀비는 40; 8이었고 연령은 19-78세로 평

균연령은 51세였다.

전 예에서 나선형 CT(Somatom Plus S, Siemens, Er­

langen, Germany)를 사용하였고, 검사전 환자에게 산소를

충분히 주면서 한번에 숨을 20-25초간 멈추게 하였고, 절

편 두께는 lOmm, 테이블 이동 속도는 10mm/ sec로 촬영

하였으며, 조영제는 비이온성인 Ultravist 370 (370

mgI / cc, Schering, Germany)을 사용하였다. 디지탈 감산

혈관조영술(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로 복강동

맥조영술및 상장간막동맥조영술을시행하여 혈관변이 유

무를 확인한 후 환자를 CT실로 옮겨 간동맥조영 CT와 문

액조영 CT를 각각 시행하였다. 간동맥조영 CT는 도관을

총간동맥이나 고유간동맥에 위치시킨 후에 20-35ml의 조

영제를 초당 1 - 1.5ml로 주입하면서 5초 후부터 영상을 얻

기 시작하였고, 문맥조영 CT는 도관을 상장간막동맥이나

비장동맥에 위치시킨 후 총 60-80ml의 조영제를 초당 2ml

로 주입하면서 25초 흑은 40초 후부터 CT 영상을 얻었다.

혈류동태학적 변화에 대한정의는간동맥이나문맥 혈류

의 증가,감소나혹은완전한혈류의 소실이라고규정하였

다. 각각의 혈관조영술 소견을 보고 간동맥조영 CT 빛 문

a

맥조영 CT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간동맥조영 CT와 문맥

조영 CT 영상에서 기존 초음파검사, 고식적(일반 조영

CT 또는 다중시기 CT) CT 또는 MRI 등의 영상 검사에

서 확인되지 않았던 정상 간실질과 다른 음영을 보이는 소

견들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이런 소견들과 우선 문맥종양

전 등에 의한 문맥 폐색, 간동맥 폐색, 동문맥 단락 및 해면

상변형의 존재와같은병리적 원인과관련이 있는가를확

인하고 간통맥조영 CT 및 문맥조영 CT의 영상 소견을 근

거로 하여 임의로 다음의 네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제

1형은 문맥종양전, 단순 혈전 및 종양에 의한 문맥 압박이

나 일시적 문맥 경 련으로 인한 문맥 혈류의 감소 및 소실이

있을 때로 정의하였다. 제2형은 반복되는 경동맥 화학색전

술(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에 의한 간동액의

협착이나 폐색으로 간동맥 혈류의 감소 및 소실이 있을때

이고, 제3형은 뚜렷한 문맥 종양전이 없이 간내 동문맥 단

락이 존재한 경우이며, 마지막으로 제4형은 문맥종양전과

함께 경맥관 연결 (transvasal type anastomosis)에 의한

동문맥 단락이나 문액의 해면상 변형을 동반한 경우로 구

분하였다.

결 과

혈류동태학적 변화를보인 48예를네가지 유형별로분석

한 간동맥 조영 CT와 문맥 조영 CT의 소견은 다음과 같다

(Table 1).

문맥종양전이 발생한 간세포암 환자 15예 그리고 문맥

침범 또는압박을보인 담관세포암 3예 및 전이성 간암 2예

의 총 20예에서 문맥 폐색 및 협착으로 문맥 혈류의 소설

b

Fig. 1. Type 1 ; Images obtained in patient with portal tumor thrombus(PTT) and hepatocellular carcinoma(HCC) , and no portal

venous Ilow in left liver lobe

a. CT hepatic arteriography(CTHA) shows a hyperattenuating PTT(arrowheads) in the left main portal vein and relative

hyperattenuation on the entire left liver lobe, compared with the right lobe. Multiple small hyperattenuating nodules, suggestive

。1 HCC in the left lobe, are also seen ‘

b. CT arterial portography(CTAP) at the same level 01 CTHA demonstrates a reciprocal hypoattenuation 01 the entire left lobe. A

small hyperattenuating nodule in lateral segment 01 left lobe is seen , due to Lipiodol accumulation on small HCC.

• 758 -

Page 3: 간 혈류동태학적 변화의 나선형 간동맥조영 CT 및 문맥조영 CT ... · 2017. 4. 6. ·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6: 35(5) : 757-764 간 혈류동태학적

지금난 오| ’ 간 혈류동태학적 변화의 나선형 간동맥조영 CT 및 문맥조영 CT 소견

소설 및 감소를 보여 제 1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이 경우 간

동맥조영 CT에서 문맥종양전과 원발성 간세포암은 같은

정도의 고음영을 보이고 또한 폐색된 문맥 영역이 같은 고

음영으로 보였고, 반대로 문맥조영 CT에서는 간동맥조영

CT와 같은 영역에서 저음영으로 보였다 (Fig. 1).

제2형은 간동맥의 폐색이나 협착으로 간통맥 혈류가 감

소흑은소실된 영역에 간동맥조영 CT상저음영을보여주

는 경우로 2회이상 여러번 경동맥 화학색전술을 시행한 간

세포암 환자 6예에서 관찰되었다. 문맥 조영 CT는 2예에

서 주변 간실질과 비교하여 약간의 고음영을 보였으며 나

머지 4예는 등음영을 보였다(Fig.2).

제 3형은 문맥종양전이 없이 동문맥 단락이 있는 경우로

9예에서 관찰되였는데, 이 중 3예는진행된 간경변 환자였

으며 , 나머지 6예는 간생검 후에 발생한 동문맥루(ar-

terioportal fistula)가 있는 환자였다(Fig. 3) . 동문맥 단

락 부위는 간동맥조영 CT에서 고음영 영역으로 보였고,

문맥조영 CT는 같은 영역이 저음영으로 관찰되었다. 3예

에서는 간생검을 받지않았던 간경변증 환자들로 간동맥조

영 CT 및 문맥 조영 CT에서 종양과 흡사한 난형 (ovoid

shape)을 보였으나 그 변연은 불규칙하였으며, 간생검에

의해 발생된 동문맥루가 있었던 6예는 변연의 일부가 직선

을 보이는 쐐기 모양이나 불규칙한 변연을 보이는 누덕누

덕한(patchy) 형태를 보였다.

제4형은 간세포암에 의한 문맥종양전과 함께 경맥관 동

문맥 단락(transvasal arterioportal shunt)을 동반하고

있는 경우는 13예였는데 이중 10예에서 문맥종양전으로 인

한문맥의 해면상변형을보이는경우가포함되어 있다.또

한 이 유형에서는 간동맥조영 CT에서 고음영의 문맥 종양

Table 1. Classification 01 Hemodynamic Changes Produced by Pathologic Liver According to Etiology, CTHA and CTAP Finding

Etiology Findings

HA occulsion or stenosls

PV occlusion or stenosis

AP shunt CTOPV CTHA CTAP

Type 1 N present N N hyper hypo

Type n present N N N hypo iso. or hyper

Type III N N present N hyper hyp。

Type N N present present N or present variable variable

AP shunt : arterioportal shunt, CTAP: CT arterial portography, CTHA ‘ CT hepatic arteriography, CTOPV: cavernous translormation 01 portal vein , HA ’ hepatic artery, hyper: hyperattenuation , hypo: hypoattenuation , iso : isoattenuation , N: not present , and PV : portal vein

a Fig. 2. Type n; Images obtained in HCC patient with no hepatic arterial blood Ilow in the peripheral location 01 the right liver

lobe, on 2 month lollow.up after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a. CTHA shows peripherally geographic perlusion delect(arrowheads, segment W & VIll) and a small isoattenuating nodule(seg.

ment VIII) , suggestive 01 HCC.

b. CTAP reveals slightly hyperattenuating area(arrowheads) in the region 01 hyperattenuation on CTHA than the surrounding liver

parenchyma. There is also hypoattenuating area on this image, consistent with a small isoattenuating nodule(segment VIll) on

CTHA

- 759 -

Page 4: 간 혈류동태학적 변화의 나선형 간동맥조영 CT 및 문맥조영 CT ... · 2017. 4. 6. ·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6: 35(5) : 757-764 간 혈류동태학적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6; 35(5) : 757-764

a b

c d

전을 보이고, 동문맥 단락에 의해 문맥이 보일뿐만 아니라

그 영역이 고음영으로 관찰되었다. 문맥조영 CT에서는 저

음영 소견으로 종양 및 종양주위와 문맥 종양전 등이 포함

되었다(Fig. 4). 간동맥조영 CT에서 문맥 종양전 내외로 고음영의 실모양의 구조물들이 관찰되므로서 혈관조영술

상의 “ thread and streaks sign"으로 확인할수 있었으며,

문맥의 해면상 변형은 문맥조영 CT에서 간문 주변에 고음

영의 측부혈류를 보여주였다. 주문맥 종양전이 있는 경우

에 간문에서부터 간피막까지 연결되어, 간동맥조영 CT에

서는고음영으로,문맥조영 CT에서는저음영으로간의 좌

또는 우엽에서 관찰할 수 있였던 위양성병소의 일종인 직

선정후(straight line sign)가 9예에서 관찰되었다.

Fig. 3. Type m; Images obtained in

patient with cirrhosis and arterioporta(AP)

shunt

a. CTHA shows patchy, oval-shaped areas

of hyperattenuation in the segment vll and w b. CTAP reveals reciprocal perfusion

defects with the same location and shape

。n CTH A. These findings were confirmed

angiographically to be transsinusoidal AP

shunt associated with advanced liver cir-rhosis

c. Follow-up CTHA and d. CTAP , 2 months

after transarterial embolization , show the

disappearance of previously mentioned

area (segment W) , but the other perfusion

abnormality in segment 끼 is still shown

고 찰

정상 간은 공급되는 혈액양의 75%를 문맥에 의해 25%

는간동맥에 의해 이중으로혈류공급을받는데 간내 혈류

의 통태학적 변화는 나선형 간동맥조영 CT와 문맥조영

CT를 분리 시행하여 동맥과 문맥 혈류 분포를 뚜렷이 구

분하여 봄으로써 혈류의 통태학적 변화 양상을 역동적 CT 로 얻은 소견보다 더 잘 파악할 수 있겠다.

정상 간은 간동맥조영 CT와 문맥조영 CT에서 균일한

음영 으로 조영되 나 병 리 학적 분류인 Edmondson Grade

n 이상의 진행된 간세포암은 주로 간동맥에 의해 혈류 공 - 760

Page 5: 간 혈류동태학적 변화의 나선형 간동맥조영 CT 및 문맥조영 CT ... · 2017. 4. 6. ·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6: 35(5) : 757-764 간 혈류동태학적

지금난 외 간 혈류동태학적 변화의 나선형 간동맥조영 CT 및 문맥조영 CT 소견

a b

Fig. 4. Type N; Images obtained in patient with portal tumor thrombus with cavernous translormation 01 portal vein.

a. CTHA shows a hyperattenuating HCC (on the segment V) and hyperattenuating tumor thrombus in the right main portal vein.

The portal vein is well opacilied due to transvasal arterioportal shunt. A gall stone is incidentally noted.

b. CTAP discloses a hypoattenuating HCC, prominent cavernous translormation 01 portal vein(suggestive 01 tortuous periportal

collaterals) , and inhomogenously hyperattenuating periportal area on right liver 10be(arrowheads).

급을 받으므로 간동맥조영 CT에서는 고음영으로 문맥조

영 CT에서는 저음영의 종괴로 나타난다. 그리고 간세포암

이 점차 진행됨에 따라서 문맥 및 간정맥을 침범하거나 경

동맥 화학색전술을시행함에 따라간동맥 분지가폐쇄됨으

로 혈류의 동태학적 변화를 보이게 된다(9-12). 그 밖에

도 간내 혈류 분포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원인으로는 만성

간질환의 진행에 의한 간경변이나 외상에 의한 동문맥루와

그 외 간에 발생하는 담관세포암, 전이성 간암, 양성 종양

인 혈관종, 만성 화농성 탐관염 및 간농양 등에서도 보고된

바 있다(8, 9, 13 - 23).

저자들이 간의 혈류동태적 변화에 대한 분류중 제 1형은

대부분 원발성 간세포암에 의한 것으로 문맥종양전에 의한

문액의 폐쇄를 초래한 경우이며, 종양 자체에 의한 문맥의

압박 흑은 침범으로 문맥 폐색를 일으킨 경우는 담관세포

암이나 전이성 간암에서 볼 수 있었다. 이것은 문맥종양전

없이도 문맥 혈류의 감소나 소실이 발생하면 언제든지 간

동맥조영 CT에서 문맥 폐색영역이 고음영으로 문맥조영

CT에서는 저음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 1형은 간동맥조영 CT와 문맥조영 CT에서 실제

병변과 같은 음영의 위양성 병소로 관찰된다. 이와같이 제

1형에서 문맥 혈류의 감소로 인한 문맥조영 CT에서 관류

결손 영역이 간동맥조영 CT에서는 고음영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과거의 여러 실험적 보고에서 통맥 혈류의 보상성

증가로 설명하였으나(6, 16, 24, 25) 저자들의 경험으로 저 혈관성의 전이성 간암이나 간내 탐관세포암에서도 문맥 혈

류가 폐쇄된 경우는 동맥 혈류의 증가없이도 간동맥조영

CT에서 고음영 영역으로 보였으므로, 고농도의 조영제를

동반한 간동맥 혈류가 동양구조(sinusoid) 에 도달되 면 정

상적으로 이중 혈류 공급을 받는 영역에서는 문맥 혈류에

의한 희석이 일어나는 반면에 문맥 혈류가 차단된 구역은

문맥에 의한 희석 효과가 없으므로 고농도의 조영제를 갖

는 간동맥 혈류만이 통양구조에 도달됨으로써 간동맥조영

CT에서 주위 정상 조직보다 상대적으로 조영 증강이 되어

보인다고 설명할 수 있겠다.

제2형에서는 간세포암 혹은 전이성 간암의 치료로써 시

행되는 경통맥 화학색전술, 즉 Gelfoam 업자나 항암제와

Lipiodol 현탁액 주업에 의해서 또는 시술중 동맥 내막(ar­

terial intima) 손상에 의 해 간동액 의 폐 색 이 나 협 착을 유

발시키기 때문에 종양뿐 아니라 종양주위 (peritumoral

area)에서도 간동맥조영 CT에서 저음영으로 보이며 문맥

조영 CT에서는 같은 영역이 등음영 또는 고음영으로 보이

게 된다. 문맥조영 CT에서 동맥혈류가 차단된 영역은 동

양구조 수준(sinusoidal level)에서 정상적으로 동맥혈류

를받는영역과비교하였을때 조영 증강이 되지 않은동맥

혈류에 의한 희석이 일어나지 않고 선택적으로 조영된 문

맥 혈류에 의해서만혈류공급을받게됨으로써 정상부위보

다 상대적으로 고음영으로 나타날수 있다. 또한 등음영으

로 나타나는 경우는 문맥 혈류가 간동맥 혈류보다 동양구

조에 공급되는 혈류 양이 세 배가되므로 비교적 적은 양의

동맥 혈류가 감소되거나 소설되더라도 문맥조영 CT에서

잘 표현되지 않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런 현상은 문맥 혈

류의 보상성 증가보다는동양구조수준에서 혈류의 희석으

로 제 1형과 같은 원리로 문맥조영 CT에서의 고음영이 보

이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겠다. 저자들은 경동맥 화학색전

술 후 추적 간동맥조영 CT와 문맥조영 CT에서 색전된 간

세포암을 포함된 정상 실질에서 각각 저음영 및 등,고음영

으로 색전된 부위를 확인할수 있었다.1982년 Itai 등은(8,

24) 간동맥 혈류의 감소는 급속한 측부 혈류를 형성하여 간통맥 혈류 감소나 폐쇄를 일으키는 예가 드물다고 하였

으나 이는 예민도가 떨어지는 단순한 역동적 CT로 판단하

- 761 -

Page 6: 간 혈류동태학적 변화의 나선형 간동맥조영 CT 및 문맥조영 CT ... · 2017. 4. 6. ·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6: 35(5) : 757-764 간 혈류동태학적

대 한 방사선 의 학회 지 1996; 35(5) : 757-764

였고 저자와 같은 경동액 화학색전술을 반복 시행한 환자

에서 간동맥조영 CT와 문맥조영 CT같은 경험이 없였기

때문으로사료된다.

제3형에서 보인 동문맥 단락은 여러 가지의 질환에서 관

찰될 수 있는데 저자가 경험한 3예의 간경변증에서의 경동

양(tr anssinusoidal) 혈류 흐름으로 알려져 있는 자연 발

생 단락이었고. 이 경우는난형으로보여 스캔 위치에 따라

서는 종괴와의 구분이 어려웠으나 다른 영상 진단(초음파

검사, Lipiod이 CT, 또는 자기공명영상)에서 종양의 증거

가 없었으며, 간동맥 혈관조영술에서 동문맥단락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복부 둔상, 경피척 바늘 생검 등을 포

함한여러 형태의 간외상을통해 동문맥 단락이 발생할수

있는데, 이는 근접한 간동맥과 문맥의 벽이 파괴되어 동문

맥 루가 형성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26, 27). 동문맥 단락

에 의한 간동맥조영 CT에서 보이는 고음영 영역의 경계는

불규칙한 누덕누덕한(patchy) 모양이거나 때로는 한쪽 변

연이 쐐기 모양의 직선으로 보이기도 하며 일부에서는 종

괴와 홉사한 모양도 관찰되었다. 이는 단락의 양에 따라 통

맥 혈류를 받는 과혈관성 종양에서 보여지는 고음영과 비

슷한 조영증강을 보여주어 종괴와의 감별이 필요하나 고음

영 영역의 한쪽 변연이 직선을 보일 때는 혈관조영술의 동

맥기에서 단락을 확인하지 않더라도 간동맥조영 CT 또는

문맥조영 CT 소견만으로도동문맥 단락을유추할수있고

또한 Lipiodol CT에서 Lipiodol 축적이 없으므로 종양과

의 감별이 가능하다. 제3형을 보인 9예는 초음파검사,

Lipiodol CT 및 자가공병영상 등의 다른 영상 진단에서

제3형으로 나타난 부위에 종양의 증거가 없였으며 간동맥

혈관조영술에서는 뚜렷한 동문맥 단락을 확인할 수 있었

다.

저자가분류한제4형은주로간세포암에 의한문맥 종양

전과 함께 동문맥 단락을 보인 예이다. 전동양 수준

(presinusoidallevel)에서 간동맥과 문맥 사이에 해부학적

으로 4가지 형태의 교통( communication)이 있는데, 이들

은 당주위 망(peri biliary plexus) , 말단 동정액 접합(ter­

minal arterioportal anastomosis) , 문맥 벽의 맥관(vasa

vasorum on the wall of the portal vein) , 그리고 직접 동

정맥 연결 (direct arterioportal connection) 이다. 이 4가

지 형태의 교통을통해 동문맥 단락이 일어날수있는데 제

4형의 통문맥 단락은 이 네 개의 교통 중에서 문맥 벽에 존

재하고 또한 간문 주위에 많이 분포되어있는 맥관(vasa

vasorum)을 통한 동문맥 단락, 즉 경맥관 단락( trans­

vasal shunt)으로 혈관 촬영술에서도 이러한 소견을 관찰

할 수 있으나 간동맥조영 CT에서는 좀 더 명확하게 경맥

관 단락을 시사하는 고음영의 선상 혹은 결절성 조영을 문

액 벽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제4형의 경우는 문

맥종양전의 위치,동문맥 단락의 양및 해면상변형의 동반

여부에 따라 간동맥조영 CT 및 문맥조영 CT에서 다양한

소견을 보였다(28).

Itai 등은(8) 과혈관성 종양이 있는 구역에서 간동맥의

‘steal’에 의 해 인접한 간구역의 동맥 혈류의 구역적 증가

혹은 감소(siphonage phenomenon)라고 분류했던 경우는

관찰되지 않았는데, 이는 간혈류가 간동맥 빛 문맥에 의해

이중으로 공급되고 있으므로 항상 두 혈관 각각에 대한 교

통성 여부의 확언이 우선되어야 함이 간과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저자들은 혈관조영술과 함께 나선형 CT를 이용한 간동

맥조영 CT 및 문맥 조영 CT를시행하여 간의 혈류동태학

적인 변화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간의 혈류동태학적 변화의 파악은간병리의 다양한원인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따라서 간종양과의 감별 진단, 치료

및 경과 추적 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숭L = 고 C그

~ 헌

1. Heiken JP, Brink JA, Vannuer MW. Spiral(helical) CT. Radi­

ology 1993; 189: 647-656

2. Zeman RK, Fox SH , Silverman PM , et a l. Helical (spiral) CT 01

the abdomen. AJR 1993;160:719-725

3. Utsonomiya T, Matsumata T, Adachi E, Honda H, Sugimachi K

Limitation 01 current preoperative liver imaging techniques lor

intrahepatic metastatic nodules 01 the hepatocellular carci­

noma. Hepatology 1992; 16: 694-701

4. Heiken JP, Weyman PJ, Lee JKT, et al. Detection of local hep

atic masses: prospective evaluation with CT, delayed CT, CT

during arterial portography, and MR imaging. Radiology 1990

;175:47-51

5. Freeny PC, Marks WM. Computed tomographic arteriography

01 the liver‘ Radiology 1983; 148 : 193-197

6. Pando A, Wallace S, Bernardino ME, Lindell MM Jr. Computed

tomographic arteriography 01 iver. Radiology 1979; 130 697-701

7. Chezmar JL, Bernardino ME, Kaufman SH, Nelson RC. Com­

bined CT arterial portography and CT hepatic arteriography

for evaluation 01 the hepatic resection candidate‘ Radiology

1993; 17 ‘ 67-74

8. Itai Y, Moss AA, Goldberg HI. Transient hepatic altenuation

diflerence 01 lobar or segmental distribution detected by dy

namic computed tomography. Radiology 1982; 144: 835-839

9. Freeny PC. Angiography of hepatic neoplasms. Semin Ro­

entgeno/1983; 18: 114-122

10. Matsui 0 , Kameyama T, Yoshikawa J. , et al. Angiographic di­

agnosis hepatocellular carcinoma including CT arteriography

and CT arterial portography (i n japanese). J Med Imaging

1988 ; 8 : 1289-1300

11. Merine 0 , Takayasu T, Wakao F. Detection 01 hepatocellular

carcinoma: comparison of CT during arterial portography with

CT after intraarterial injection 01 i 。이zed oi l. Radiology 1990; 175 :707-710

12. Matsui 0 , Kadoya M, Kameyama T, et al. Benign and malig­

nant nodules in cirrhotic livers: distinction based on blood

supply. Radiology 1991 ; 178 : 493-497

13. Moss AA, Dean PB, Axel L, Goldberg HI , Glazer GM , Friedman

MA. Dynamic CT of hepatic masses with intravenous and

intraarterial contrast material. AJR 1982; 138: 847-852

14. Rosch J, Freeny PC , Antonovic R, Gutierrez OH‘ Inlusion hep­

atic angiography in diagnosis of liver metastases. Cancer

1976; 38 : 2278-2286 ?

ι

Page 7: 간 혈류동태학적 변화의 나선형 간동맥조영 CT 및 문맥조영 CT ... · 2017. 4. 6. ·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6: 35(5) : 757-764 간 혈류동태학적

지금난 외 : 간 혈류동태학적 변화의 나선형 간동맥조영 CT 및 문맥조영 CT 소견

15. Mulhern CB Jr. , Arger PH , Coleman BG , Stein GN. Nonunilorm

attenuation in computed tomographic study 01 the cirrhotic

liver. Radiology 1979; 132: 399-402

16. Fuminori M, Nobuyuki B, Osamu N. Portal hemodynamics in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Radiology 1986 ; 161

707-711

17. Waren WD , Muller WH Jr. A classilication 01 some hemo- dy­

namic changes in cirrhosis and their surgical signilicance.

Ann Surg 1959; 150 : 413-427

18. Hayashi N, Yamamoto K, Tamaki N, et al. Metastatic nodules

。1 hepatocellular carcinoma: detection 01 angiography, CT and

US. Radiology 1987; 165: 61-65

19. Soyer P, Levasque M, Caudron C, Elias 0 , Zeitoun G, Roche

A. MRI 01 liver metastasis Irom colorectal cancer vs CT during

arterial portography. J Comput Assist Tomogr. 1993; 17: 67-74

20. Soyer P, Bluemke DA , Hurban RH , Sisman JV, Fishman EK

Primary malignant neoplasm 01 the liver: detection with heli ­

cal CT during arterial-portography. Radiology 1994; 192

389-392

21 이기형,이승철,배만길 외 , 간암에 의한 문맥 변화의 전산화 단층 소

견 대한밤사선의학회지 1986 ; 22 : 818-826

22. 장재전 간내 구역성 관류이상 급속조영 CT에서 보이는 간내 동맥

및 문맥혈류의 관계 대한 방사선의학회지 1993 ; 29 ‘ 765-774

23. Soyer P, Levesque M, Elias 0 , Zeitoun G, Roche A. Preo­

perative assessment 01 resectability 01 hepatic metastasis

Irom colonic carcinoma: CT portography vs sonography and

dynamic CT. AJR 1992 ;159:741-744.22

24. Ternberg JL, Butcher HR Jr. Blood Ilow relation between hep­

atic artery and portal vein. Science 1965 ;150:1030-1031

25. Inamoto K, Sugiki K, Yamasaki H, Miura T. CT 01 hepatoma

effects 01 portal vei n obstructi on. AJR 1981 ; 136 : 349-353

26. Joseph J, Kyung J , Gary B , David D. Arterioportal communi

cation : Observations and Hypotheses Concerning Transsinuso­

idal and Transvasal Types. Radiology 1982 ; 142: 581 -590

27. Cho KJ , Lunderquist A , The peribiliary vascular plexus: the

microvascular architecture 01 the bile duct in the rabbit and in

clinical cases. Radiology 1983;147:357-364

28 이미란, 김윤환l 김경아, 설혜영 , 정규병, 서원혁 간세포암의 문맥종

앙전에 의한 혈류동태학적 변화 나선형 간동맥조영 CT와 문맥조영

CT 소견에 대한 고찰 대한방사선으|학회지 1996 : 34{ 1) : 81-87

m m

Page 8: 간 혈류동태학적 변화의 나선형 간동맥조영 CT 및 문맥조영 CT ... · 2017. 4. 6. ·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6: 35(5) : 757-764 간 혈류동태학적

대 한 방사 선 의 학회 지 1996 ; 35( 5) : 757 - 764

Journal of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1996; 35( 5) : 757 - 764

Pattern analysis of Hemodynamic Changes of the Liver on Combined CT Hepatic Arteriography and CT Arterial Portography 1

Keum Nahn Jee, M.D. , Yun Hwan Kim, M.D.2

10epartment of Oiagnostic Radiology , National Police Hospital

20epartment of Oiagnostic Radiology , College of Medicine , Korea University

Purpose: To evaluate the patterns of hemodynamic changes caused by various pathologic liver conditions.

Materials & Methods: Combined CT hepatic arteriography(CTHA) and CT arterial portography(CTAP) ,

performed in 185 consecutive patients , including 150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were retrospectively

analysed. Of these patients , 48 showed various patterns of hemodynamic change. such change caused by oc­

clusion , stenosis and/or cavernous transformation 01 the portal vein , by occlusion or stenosis of the hepatic ar­

tery , or by the presence 01 arterioportal(AP) shunt could be classilied as follows: type 1, decreased or absent

portal flow ; type 2, decreased or absent hepatic arterial Ilow; type 3, AP shunt without portal tumor thrombus

(PTT) ; and type 4 , PTT with transvasal AP shunt , including the presence 01 cavernous transformation 01 the

portal vein .

Results: Type 1 (n =20) showed hyperattenuation of both PTT and absent portal flow area on CTHA , and re­

ciprocally consistent hypoattenuation on CTAP. Type II (n=6) showed a hypoattenuating area on CTHA , and

isoattenuation or slightly hyperattenuation on CTAP. Type m (n=9) showed an oval or wedge-shaped

hyperattenuating area on CTHA, and delective perlusion at the same area on CTAP. In Type N (n=13) , both

CTHA and CTAP showed variable findings, according to the amount 01 transvasal AP shunt, the location and ex­

tent of PTT, and/or cavernous translormation of the portal vein.

Conclusion : Pattern analyses of hemodynamic changes on both CTHA and CTAP are helpful in clarilying the

primary causes of hemodynamic changes in the liver.

1 ndex Words: Computed tomography(CT) , helical technology

Liver neoplasm , CT

Address reprint requests to: Yun Hwan Kim, M.D.,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126-1, 5-Ka, Anam-Dong, Sungbuk-Ku, Seoul, 136-705 Korea. Tel. 82-2-920-5657 Fax. 82 -2-929-3796

- 7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