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암 수술후 질첨부 국소재발 판정에 있어서 CT와 MRI의 ......대 한 방 사...

6
1993 ; 29 (3) : Journal of Ko rean Radiological Society, May , 1993 - Abstract- Local Tumor Recurrence at Vaginal Stump after Hysterectomy: Comparison of CT and MR Imaging Jae Min Cho , M.D. , Seung Hyup Kim , M.D. , Man Chung Han, M.D. 0/ Radiology, Seoul College 0/ Medicine To assess the va1ue of CT and MR in the detection of 1oca1 tumor recurrence after hysterectomy, we eva1u- ate CT and MRI findings of th e vagina1 stump in fifteen patients who underwent hysterectomy for uterine cer- vical carcinoma (N = 14) or endometria1 carcinoma (N = 1). The presence of stump recurrence was confirmed by needle biopsy in 7 patients and by reoperation in 1 patient. The absence of stump recurrence was diag- nosed by needle biopsy in 3 patitients and by clinica1 follow-up in 4 patients. In eight patients with vagina1 stump recurrence , six patients were correctly diagnosed by CT and seven patients by MRI. In remaining seven patients who had no evidence of tumor recurrence , four patients were correctly diagnosed with CT and al1 the rester patients with MRI. On the bases of our resu1ts , MRI seems to be superior to CT in the evaluation of 10cal tumor recurrence after hysterectomy. Index Words: Uterine neop1asms , CT 854.1211 Uterine neop1asm, MR studies 854.1214 MR 480 -

Transcript of 자궁암 수술후 질첨부 국소재발 판정에 있어서 CT와 MRI의 ......대 한 방 사...

Page 1: 자궁암 수술후 질첨부 국소재발 판정에 있어서 CT와 MRI의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3 ; 29 (3) : 480~485 Journal of Ko rean Radiological Society,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3 ; 29 (3) : 480~485

Journal of Ko rean Radiological Society, May , 1993

자궁암 수술후 질첨부 국소재발 판정에 있어서 CT와 MRI의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조 재 민·김 승 협·한 만 청

- Abstract-

Local Tumor Recurrence at Vaginal Stump after Hysterectomy: Comparison of CT and MR Imaging

Jae Min Cho, M.D., Seung Hyup Kim , M.D., Man Chung Han, M.D.

Depart1ηeη t 0/ Radiology, Seoul Nαtioηal Uηiversity College 0/ Medicine

To assess the va1ue of CT and MR in the detection of 1oca1 tumor recurrence after hysterectomy, we eva1u­

ate CT and MRI findings of the vagina1 stump in fifteen patients who underwent hysterectomy for uterine cer­

vical carcinoma (N = 14) or endometria1 carcinoma (N = 1). The presence of stump recurrence was confirmed

by needle biopsy in 7 patients and by reoperation in 1 patient. The absence of stump recurrence was diag­

nosed by needle biopsy in 3 patitients and by clinica1 follow-up in 4 patients. In eight patients with vagina1

stump recurrence , six patients were correctly diagnosed by CT and seven patients by MRI. In remaining seven

patients who had no evidence of tumor recurrence, four patients were correctly diagnosed with CT and al1 the

rester patients with MRI. On the bases of our resu1ts , MRI seems to be superior to CT in the evaluation of

10cal tumor recurrence after hysterectomy.

Index Words: Uterine neop1asms, CT 854.1211

Uterine neop1asm, MR studies 854.1214

서 론

자궁경부암은 우리나라 여성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여성사망의 중요한 원인중의 하나이다. 최

근 근치적 자궁절제술등의 수술요법과 방사선요법 , 항암

화학요법등의 치료기술의 발달에 따라 그 사망율이 점접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치료에도 불구

하고 3- 5%정도는 재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경

우 예후가 좋지않은 것으로 되어있다(1) . 자궁절제술을

시행한 후 종양의 재 발은 질첨 (vaginal stump) 에서의

국소재말이 가장 흔하며 (2) 이 경우 전산화단층촬영술(이

하 CT로 약함)이나 자기공병영상 (이하 MRI로 약함)등

의 영상진단법이 이용되고 있다. 고전적으로 CT는 부인

과적 종양의 방사산학적 진단 및 병기결정에 널리 사용되

어온 진단법이었으나 질벽과 주위결합조직, 수술이나 방

사션조사후의 섬유화의 구분이 용이하지않아 최근에는 연

부조직 대조도가 높은 MRI가 새로운 방사선학적 진단방

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질첨에서의 자궁암의 국소재발진

단의 정확도에 관한 연구는 여 러 차례 시도되었으나( 3 - 7)

CT와 MRI를 같은 환자군에서 비교한 연구는 거의 없었

다. 저자등은 자궁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CT와 조영

증강 MRI를 모두 시행하여 조직검사 또는 임상적 추적

관리로 진단된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종양의 국소재발판

정에 있어 CT와 조영 증강 MRI중 어느쪽이 더 우수한가

를 알고자 본 얀구를 시행하였다.

‘ 본 논문은 1992년도 한국 방사선 연구 재단의 MR 연구비 보조로 이루어졌음.

이 논문은 1992년 12월 3일 접수하여 1993년 2월 23일 에 채택되었음.

480 -

Page 2: 자궁암 수술후 질첨부 국소재발 판정에 있어서 CT와 MRI의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3 ; 29 (3) : 480~485 Journal of Ko rean Radiological Society,

조재민 외 : 자궁암 수술후 질첨부 국소재발 판정에 있어서 CT와 MRI의 비교

대상 및 방법

서울대학교병원에 1988년 I월부터 1992년 2월까지 내

원한 환자 중 자궁경부암이나 자궁내막암으로 자궁절제술

을 받은 후 임상적으로 종양의 국소재발을 의심하여 CT

와 MRI를 시행한 15례를 대상으로 CT와 MRI 소견을

입상 및 병리조직검사결과와 연관시켜 후향적으로 분석하

였다. 15명의 환자는 자궁경부암이 14례, 자궁내막암이

l례였다. 대상환자의 연령분포는 40세에서 66세까지였으

며 평균연령은 52세이었다. 자궁 절제술과 CT , MRI과

의 시행간격은 6개월에서 90개월까지였으며 평균 24개월

이었다. 전예에서 CT와 MRI를 시행하였고 CT와 MRI

사이의 시행간격은 1개월이내였다. CT와 MRI 소견의

a

분석은 1명의 비뇨생식기계 방사선과 전문의와 1명의 방

사선과 전공의가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결과를 모르는 상

태에서 하였다. 종양의 국소재발 유무의 확진은 10례에서

질벽생검, 1례에서는 재수술, 그리고 4례에서는 임상적

추적관찰로하였다.

CT검 사는 GE CT/ T 9800 (Genera l Electric Medi ­

cal System, Milwaukee)을 사용하였으며 8- 10mm 두

께로 장골릉에서부터 치골결합까지를 포함하였다. 검사 1

시간전부터 2%로 희석한 diatrizoate meglumine(Gas

trograffin : Schering, Germany) 1200ml 를 마 시 도 록

하 였 으 며 조 영 증 강 은 CT 검 사 직 전 에 66% ioxith­

alamate meglumine (Telebrix 30: Laboratoire G­

uerbet , France) 100ml를 빠른속도로 정맥주사하였다.

질내에 댐폰은 삽입하지 않았다.

MRI 검 사 는 Superconductive 2.0T unit (Spectro

b

c d Fig. 1. a. Axial CT scan shows eccentrica11y bulging mass (arrows) at the left side of the vagina1 stump indi­cating loca1 tumor recurrence. b. T1-weighted MR image demonstrates eccentric buldging at the left side of the vagina1 stump. c. T2-weighted MR image shows high signa1-intensity of the lesion_ d . Contrast enhanced T1-weighted image shows more dense and heterogeneous enhancement than norma1 right side of the vagina1 stump. Vagin떠 punch biopsy revea1ed tumor recurrence.

- 481 -

Page 3: 자궁암 수술후 질첨부 국소재발 판정에 있어서 CT와 MRI의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3 ; 29 (3) : 480~485 Journal of Ko rean Radiological Society,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3 ; 29 (3) : 480~485

20000, Goldstar, Korea) 혹 은 Superconductive 0.5T

unit (Supertec 5000, Goldstar, Korea) 을 이 용 하 였 다.

검사방법은 스핀에코(spin echo)기법을 이용하여 축상

(axiaI)단면의 T1 강조영 상(TR/TE : 500/3이과 축상

및 시상(sagitta l) 단변의 T2 강조영상(TR/TE : 2000/

60 - 85) 을 얻 었 다. 9례 에 서 Gd- DTPA(Magnevist:

Schering, Germany) 을 정 맥 주 사(0. 07-0. 1mmol/kg)

한 후 Tl 강조축상 혹은 시상영상을 얻었다. MRI검사

1시간전에 300-400ml의 물을 마시게하여 방광을 충만시

켰 다. 스 캔 은 8mm slice thickness/ 2mm gap 으 로 하

였으며 검사부위는 역시 장골릉에서 치골결합까지를 포함

하였다.

CT에서 질첩이 불규칙하게 두꺼워지거나 편심의 종괴

를 형성하였을 때 국소재발로 판정하였으며 (Fig. 1a),

MRI에서는 질첨의 모양에 이상이 있으면서 T2강조영상

에서 비정상적인 고신호강도를 보이는 병변이 있을 때

(Fig. 1b) 국소재발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또한 상

기의 소견과 임상 및 병리학적 소견을 조영증강후의 T1

강조영상 소견과 비교하였다. 종양의 골반측벽 (pelvic

side-wall)에의 재발이나 임파절전이, 그리고 원격전이

가 있었던 경우는 분석요소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7" 끼 L E므 -1

총 15례중 7례에서 입상소견과 세포조직검사로 종양의

질첨부 국소재발이 없는 것으로 확진되었으며 이중 CT

는 4례 (57%) 에서, 그리고 MRI는 전예에서 국소재발이

없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Fig. 2). CT에서 위양성을 보인

경우는 수술로 인해 질첨모양이 변형된 경우이거나 수술

후 섬유화등으로 질벽주위 결합조직이 두터워진 경우등이

었다(Fig. 3). 총 15례중 8례에서는 조직검사( 7)와 재수

술(1)로 종양이 국소재발한 것으로 확진되었다. 이중 CT

의 6례 (75%) 와 MRI의 7례 (88%) 에서 종양의 재 발이 있

는 것으로 판정하였으며 양군모두에서 위음성 (false-neg­

ative) 을 보인 1례는 재수술후 병리조직검사상 상피내 편

평 세 포 암(squamous cell carcinoma- in-situ) 이 나 온

경우이 다. CT에서만 위음성으로 나온 l례는 주위의 발

달된 정맥총동으로 인하여 재발성 종괴의 확인이 어려웠

던 경우이다(Fig. 4)

종양의 국소재발의 진단에 있어서 CT의 경우 정확도

a

b

c

Fig. 2. a. Axial CT scan shows normal vaginal stump (arrows). Note the prominent venous plexus on the lateral side of the vaginal stump. b. T1-weighted MR image shows smooth vaginal stump. c. T2-weighted MR image shows normally preseπed muscular layer as low signal-intensity rim. The outer connective tissue layer containing prominent venous plexus shows high signal intensity. Needle biopsy and clinical follow-up revealed no evidence of local tumor recurrence

( accuracy)가 67%, 민 감 도 (sensitivity) 가 75%, 그 리 조영증강 T1 강조영상을 얻었던 9례중 재발이 없었던

고 특이도 (specificity)가 57%였으며, MRI에서는 각각 경우는 4례가 있었으며 이 경우 질청은 균일하게 조영증

93%, 87%, 100%이었다. 강이 되었다(Fig. 3d). 재발이 있었던 5례중 3례에서 는

- 482-

Page 4: 자궁암 수술후 질첨부 국소재발 판정에 있어서 CT와 MRI의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3 ; 29 (3) : 480~485 Journal of Ko rean Radiological Society,

조재민 외 : 자궁암 수술후 질점부 국소재발 판정에 있어서 CT와 MRI의 비교

a b

c d

Fig.3. a. 없i외 CT scan shows irregular thickening of the va멍n외 stump and b띠밍ng at left sied. b . T1-weighted MR image shows eccentric buldging at left side of vagina1 stump. c. T2-weighted MR image shows nonn떠ly preserved low signa1-intensity rim of the muscular layer. Most of the bulging lesion at left site on T1-weighted image changed to high sign떠 intensiη on T2-weighted image, which probably represents connective tissue layer. d. Contrast enhanced T1-weighted image shows relatively homogenuous enbancement of vagina1 stump. 깐le outer connective tissue layer has more dense enbancement. Clinica1 follow-up revea1ed no evidence of loca1 tumor recurrence.

정상 질첨의 조영증강정도보다 더 강하게 조영증강되었으

며 나머지 2례에서는 질첨과 비슷한 정도의 조영증강을

보였으나 비균질적으로 조영증강이 되어 균질적으로 조영

증강되는 정상 질청과 구분 할 수 있었다 (Fig. 1d,4d) .

고 *~ <=

정상적인 질벽은 점막층, 근육층, 그리고 외부의 결합

조직층의 세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8) . MRI T1 강조영

상에서 이 세층은 모두 저신호강도로 나타나 서로 구분이

되지 않으나 T 2 강조영상에서는 근육층이 저신호강도로

나타나는 반면 수분이 풍부한 점막층과 정맥총등의 혈관

들이 발달한 외부결합조직층이 고신호강도로 나타나 세층

이 구분되어 나타난다(9, 10) . 자궁절제술후 질첨부의

MRI소견은 이미 여러 저자가 보고한 바 있다(3-5) . T1

강조영상에서 자궁절제술후의 질첨부는 정상적으로 매끈

한 형태로 나타나나 질경부(vaginal fornix) 에서 결절양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며 이것은 수술후 질벽의 외

부결합조직층이 어느정도 불규칙한 모양을 가지기 때문이

다. 그러나 T2 강조영상에서는 저신호강도를 가지는 근

육층이 고신호강도로 나타나는 결합조직층과 명확하게 구

분되기 때문에 결절양 형태의 결합조직층 내부에 매끈한

저신호강도의 근육층을 볼수 있다. 반면에 종양의 국소재

- 483-

Page 5: 자궁암 수술후 질첨부 국소재발 판정에 있어서 CT와 MRI의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3 ; 29 (3) : 480~485 Journal of Ko rean Radiological Society,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3 ; 29 (3) : 480~485

a b

c d

Fig. 4. a. Axial CT scan shows normal appearing vagin피 stump including prominent venous plexus. b. Tl-weighted MR image shows eccentric bulging at the left side of vaginal stump. c. T2-weighted MR image shows heterogeneous high signal intensity lesion at the buldging site. d. Contrast enhanced Tl-weighted MR image shows heterogeneous enhancement of the lesion. Vaginal punch biopsy revealed tumor ecurrence

발의 경우는 T2강조영상에서 질첨에 비교적 고신호강도

를 보이는 병변이 있으면서 질벽의 근육층이 소설되어 나

타난다. 따라서 T2 강조영상에서 정상적인 저신호강도의

근육층을 관찰하는것이 병변이 없는 질첨부임을 확인하는

가장 중요한 소견이다 (4) , 그러나 CT에서는 질벽전체가

균일한 고밀도음영으로 나타난 수술에 의한 정상적인 질

첨의 변형이 재발된 종양과 구분되어지지 않는다. 저자등

의 연구에서도 CT상 질첨부위가 돌출되어 재발성 종괴

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으나 MRI상 종괴는 보이지 않

고 질벽의 외부결합조직층이 불규칙한 외연을 보였던 경

우가 2례있어 상기의 결과와 부합하였다.

최큰 자궁암의 치료방침이 수술과 방사선조사의 병합치

료로 나아가고 있어 방사션 조사후의 MRI 신호강도 변

화에 대해 관심이 높아가고 있다(I 1 - 14) , Ebner등은 방

사선조사후의 섬유화와 재발성 종괴의 감별에 MRI가 유

- 484

용하다고 하였다. 섬유화된 조직은 Tl과 T2강조영상에

서 모두 저신호강도로 나타나 T2강조영상에서 고신호강

도로 나타나는 종양과 구분된다. 그러나 방사선조사후 6

개월이내에는 염증반응과 부종으로 인해 T2강조영상에서

정상적으로 고신호강도로 나타나며 재발성종양과 감별이

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또한 수술후의 염증반응과 방사선

조사후의 조직괴사도 역시 T2강조영상에서 고신호강도로

나타난다고 하였다(9) , 저자등의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환

자에서 수술진후로 방사선치료를 병행하였으나 MRI의

시행시기가 수술과 방사선조사후 6개월이상 경과되 었기

때문에 상기의 문제들은 피할수 있었다.

정상적으로 질은 Gd-DTPA로 조영증강을 하였을 때

균질적인 약한정도의 조영증강이 된다. 그러나 재발성 종

양이 있는 경우는 정상적인 질첨보다 고강도의 조영증강

이 되거나 비균질적으로 조영증강이 되어 비정상임을 알

Page 6: 자궁암 수술후 질첨부 국소재발 판정에 있어서 CT와 MRI의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3 ; 29 (3) : 480~485 Journal of Ko rean Radiological Society,

조재민 외 : 자궁암 수술후 질첨부 국소재발 판정에 있어서 CT와 MRI 으| 비교

수 있었다. 그러나 T2 강조영상과 비교를 해보았을 때

재발성 종양의 발견에 있어서 같은 정도의 진단적 정확도

를 보여 진단적인 측면에서는 그 의의를 찾기가 힘들었

다.

Williams등은 자궁경부암의 수술후, 혹은 방사선조사

후 종양의 국소재발에 있어서 CT와 MRI의 진단적 정확

도가 각각 85%, 80%로 양자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

며, 다만 MRI는 재발성 종괴의 범위를 아는데 CT보다

우수하다고 하였다(3) . 그러나 저자등의 경우에 있어서

CT와 MRI의 진단적 정확도가 각각 67%, 93%로 나왔

으며 MRI에서 높은 정확도가 나온것은 그 시행시기가

수술이나 방사선조사후 6개월이상 경과되어 염증반응이

나 초기섬유화에 의한 위양성율을 크게 낮아졌기 때문인

것으로생각된다.

저자등의 연구에서 CT는 민감도가 MRI와 같은 정도

로 높아 재발성 종괴가 있는경우 비교적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었으나 높은 위양성율로 인하여 한계점을 나타내주

고 있다. 그러나 MRI는 13례중 12례를 정확히 진단하였

고 위음성으로 나온 1례는 병리결과에서 상피내암으로 나

타났던 경우로 자기공명영상의 한계를 벗어난 것으로 생

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골반측벽의 전이나 임파절전이는

대상환자의 수가 적어 분석요소에서 제외시켰다. 결론적

으로 자궁암의 수술후 종양의 국소재발판정에 있어 MRI

가 CT에 비해 성적이 우수하며 자궁절제술후 종양의 질

첨부 국소재발이 의심될 때에는 MRI를 일차 영상진단법

으로 시행해야할것으로 생각된다.

츠}τ1 무허

1. ]ohns]r. HW, ]ohns GS. Novak’s textbook of

gynecology, 10th ed. Williams & Wilkins, 1981

2. Morrow PC, Townsend DE. Tumors of the endo­

metrium. In: Morrow PC, Townsend DE. eds.

Synopsis of tynecologic oncology, 3rd ed.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1987; 159-205

3. Williams MP , Husband JE, Heron CW,

Chen까nan GR, Koslin DB. MRI in recurrent

carcinoma of cervix. BJR 1989; 62:544-550

4. Brown ]], Gutierrez ED. Lee JKT. MR appear­

ance of the nonnal and abnonnal vagina after

hysterectomy. A]R 1992; 158:95-99

5. Chang YCF, Hricak H , Thurnher S, Lacey CG.

Vagina: evaluation with MR imaging. Part 11.

Neoplasms. Radiology 1988; 169: 175-1 79

6. Heron CW, Husband JE, Williams MP , Dobbs

HJ, Cosgrove DO. The value of CT in the diag­

nosis of recurrent carcinoma of the cervix. Cli띠-

cal Radiology 1988; 39:496-501

7. Walsh JW, Amendola MA, Hall DJ , Tisnado J ,

Goplerud DR. Recurrent carcinoma of the cer­

vix A]R 1981; 136:117-122

8. Hollinshead WH , Rosse C. Textbook of anato­

my, 4th ed. Philadelphia: Harper & Row, 1985

9. Hricak H. MRI of female pelvis: a review. A]R

1986; 146:1115-1122

10. Hricak H , Chang YCF, Thur따ler S. Vagina:

evaluation with MR imaging. Part 1. Nonnal

anatomy and congenital anomalies. Radiology

1988; 169:169-174

11. Ebner F, Kressel HY, Mintz MC , et al. Tumor

recurrence versus fibrosis in the female pelvis:

differentiation with MR imaging at 1.5T. Radiol­

ogy 1988; 166:333-340

12. Sugimura K, Carrington BM, Quivey]M, Hricak

H. Post-irradition changes in the pelvis: assess­

ment with MR imaging. Radiology 1990; 175:

805-813

13. Hricak H . Postoperative 와ld postradiation

changes in the pelvis. Ma밍1 Reson Q 1990; 6:

276-297

14. Glazer HS , Lee ]KT,Levitt RG, et 외. Radiation

fibrosis: differention from recurrent tumor by

MR imaging. Radiology 1985; 156:721-726

- 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