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Ý $04.0130'/PSUINFSJDB 5 Ýnas1fiber.superscholar.kr/fti/FTI20(3)-06.pdf · 2016-11-02 ·...

5
김태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산업융합섬유그룹 COSMOPROF North America 2016 참관기 참관기 218 | Vol. 20 No. 3 섬유기술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응용되고 있는데, 그 중 코스메틱 분야는 최 근 활발하게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다. 소득수준이 높아지고, 부관리에 대한 인식이 보편화되면서 화장품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크게 성장하 고 있다. 특히 한류열풍의 확산으로 국내 화장품 시장의 규모가 201510조 원 을 넘어섰고, 그 중 수출이 생산량의 30%에 달한다고 한다. 중국을 넘어 미국, 남아시아 국가 등으로 수출국이 다변화 되면서, 앞으로의 화장품 산업의 호황은 지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필자도 화장품 관련 기업들과 공동으로 제품 개발을 진행하면서 올해 처음으로 COSMOPROF 전시회에 다녀올 기회가 생겼다. 코스 메틱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는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이번 참관기를 통해 섬유 관련 전공자들에게 다소 생소한 COSMOPROF 국제 화장품 전시회를 소개하고자 한다. 1. 전시 개요 북미 COSMOPROF는 대표적인 B2B 국제 화장품 미용 전시회로, 혁신적 인 기술 소개와 미래지향적인 프로그램 도입을 통해 COSMOPROF Bologna COSMOPROF Asia Hong Kong에 이어 세계 3대 화장품 미용 박람회로 명성 을 얻고 있다. 특히 북미 COSMOPROF는 북남미와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한 발 판 역할을 하는 전시회로 알려져 있다. 매년 열리는 행사로 이번 제 14회 북미 COSMOPROF 전시회는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 베이 컨벤션 센터(Mandaley Bay Convention Center) 에서 2016724일부터 26일까지 3일간 개최되었다. 총 전시면적이 26,105 m 2 로 작년 대비 10% 증가되었으며 화장품 & 퍼스널케 (Cosmetics & Personal Care), 프로페셔널 뷰티(Professional Beauty), 용기 및 제조 (Packaging Contract MFG & Private Label) 3개관으로 구성되었다. 이번 박람회 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변화는 기존에 품목별로 운영되던 방식을 개편하여 올해 부터 유통 경로에 중점을 둔 세 개 섹션으로 나뉘면서 참가사 및 참관객 모두에 게 좋은 반응을 얻었다는 점이다. 화장품 & 퍼스널케어 섹션에서는 일반 소비

Transcript of 5 Ý $04.0130'/PSUINFSJDB 5 Ýnas1fiber.superscholar.kr/fti/FTI20(3)-06.pdf · 2016-11-02 ·...

Page 1: 5 Ý $04.0130'/PSUINFSJDB 5 Ýnas1fiber.superscholar.kr/fti/FTI20(3)-06.pdf · 2016-11-02 · 참관기 220 | Vol. 20 No. 3 2. 제품개발 동향 및 전시물 소개 각 나라별로

김 태 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산업융합섬유그룹

COSMOPROF North America 2016 참관기

참관기

218 | Vol. 20 No. 3

섬유기술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응용되고 있는데, 그 중 코스메틱 분야는 최

근 활발하게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다. 소득수준이 높아지고, 피부관리에 대한 인식이 보편화되면서 화장품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크게 성장하

고 있다. 특히 한류열풍의 확산으로 국내 화장품 시장의 규모가 2015년 10조 원

을 넘어섰고, 그 중 수출이 생산량의 30%에 달한다고 한다. 중국을 넘어 미국, 동남아시아 국가 등으로 수출국이 다변화 되면서, 앞으로의 화장품 산업의 호황은

지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필자도 화장품 관련 기업들과 공동으로 제품 개발을

진행하면서 올해 처음으로 COSMOPROF 전시회에 다녀올 기회가 생겼다. 코스

메틱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는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이번 참관기를

통해 섬유 관련 전공자들에게 다소 생소한 COSMOPROF 국제 화장품 전시회를

소개하고자 한다.

1. 전시 개요

북미 COSMOPROF는 대표적인 B2B 국제 화장품 미용 전시회로, 혁신적

인 기술 소개와 미래지향적인 프로그램 도입을 통해 COSMOPROF Bologna와 COSMOPROF Asia Hong Kong에 이어 세계 3대 화장품 미용 박람회로 명성

을 얻고 있다. 특히 북미 COSMOPROF는 북남미와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한 발

판 역할을 하는 전시회로 알려져 있다. 매년 열리는 행사로 이번 제 14회 북미

COSMOPROF 전시회는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 베이 컨벤션 센터(Mandaley Bay Convention Center)에서 2016년 7월 24일부터 26일까지 3일간 개최되었다.

총 전시면적이 26,105 m2로 작년 대비 10% 증가되었으며 화장품 & 퍼스널케

어(Cosmetics & Personal Care), 프로페셔널 뷰티(Professional Beauty), 용기 및 제조

(Packaging Contract MFG & Private Label) 등 3개관으로 구성되었다. 이번 박람회

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변화는 기존에 품목별로 운영되던 방식을 개편하여 올해

부터 유통 경로에 중점을 둔 세 개 섹션으로 나뉘면서 참가사 및 참관객 모두에

게 좋은 반응을 얻었다는 점이다. 화장품 & 퍼스널케어 섹션에서는 일반 소비

Page 2: 5 Ý $04.0130'/PSUINFSJDB 5 Ýnas1fiber.superscholar.kr/fti/FTI20(3)-06.pdf · 2016-11-02 · 참관기 220 | Vol. 20 No. 3 2. 제품개발 동향 및 전시물 소개 각 나라별로

COSMOPROF North America 2016 참관기

섬유기술과 산업 20권 3호 | 219

자를 대상으로 하는 스킨케어, 헤어, 네일, 향수, 유기농 미

용 제품 등이 전시되었고, 프로페셔널 뷰티 섹션에서는 주로

미용업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헤어케어, 염색, 스타일

링, 미용기구 및 가구 관련 제품들이 소개되었다. 마지막으

로, 용기 및 제조 섹션은 원료 제조부터 포장제제까지 생산

과 제조 관련 업체들로 구성되었다. 이 섹션에서는 주로 중

국업체들로 많이 구성되어 있었다. 각 섹션별로 혁신 기술을

바탕으로 한 제품들을 만나볼 수 있었고, 주요 섹션 별로 전

시된 상세 내용은 Table 1과 같다.3일간의 전시 기간 중에 38개국에서 1,154 업체가 출품했

고, 110개국에서 33,750명이 넘는 방문객이 전시회를 찾았다. 이는 작년 대비하여 12~12.5% 정도 참가사와 방문객 참관이

증가한 수치이다. 전시 업체 수와 참관객 수의 꾸준한 증가

세는 북미 COSMOPROF가 화장품 미용 분야에서 국제적인

전시회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말해준다.올해 한국을 비롯해 호주, 브라질, 중국, 대만, 이탈리아,

모로코, 파키스탄, 페루, 스페인, 터키가 국가관을 구성하였

다. 한국관은 주요 출입구와 바로 연결되는 좋은 위치에 입

지하여 바이어들의 방문을 유도하기에 유리해 보였다. 스킨

케어, 메이크업, 헤어, 네일, 미용 기구 등 다양한 분야의 기

술력을 앞세운 제품들이 적극적으로 소개되면서 많은 관심

을 받았다. 한국관 주관사인 KOECO는 한국공동관(29개 업

체), 독립부스(16개 업체)로 참가해 해외 많은 바이어들로부

터 한국 제품의 우수성을 인정받으며 상당한 수출 상담 실

적을 올렸다고 전해진다. 언론보도에 따르면 국제뷰티산업

교역협회(IBITA)는 정부지원 한국관을 주관하여 올해 총 39개사가 참가해 총 4,225만 달러 규모의 상담을 진행해 약

1,040만 달러의 현장계약을 체결하는 놀라운 실적을 끌어냈

다고 한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미국은 국내 대기업들의 진

입도 어려울 만큼 시장의 벽이 높았지만, 최근 K-뷰티가 전

세계를 강타하면서 미국과 남미에서도 다양하고 차별화된

한국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이번 전

시를 통해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2. 전시장 Floor Plan.

Figure 3. 한국관.

Figure 1. 전시장 내부 풍경.

Table 1. 전시 섹션별 상세 전시 대상 분야

Section Section Special Areas 전시 대상

Cosmetic & Personal Care

Discover Beauty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미용제품

Discover Beauty Spotlights

규모가 작은 기업들의 독창적인 제품 소개

Discover Green 환경친화, 자연주의가 강조된 유기농 및 천연유래 제품

Emerging Beauty 전시 경험이 없는 소규모 제조업체 대상

Discover Scent 향수 및 아로마 관련 제품

Tones of Beauty 다문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맞춤형 마케팅

Professional Beauty Emerging Beauty 전시 경험이 없는 소규모

제조업체 대상

Packaging, Contract MFG

& Private Label

International business forum & exhibition-Focus on the beauty

supply chain

원료부터 포장까지 생산과 제조업체 대상

Page 3: 5 Ý $04.0130'/PSUINFSJDB 5 Ýnas1fiber.superscholar.kr/fti/FTI20(3)-06.pdf · 2016-11-02 · 참관기 220 | Vol. 20 No. 3 2. 제품개발 동향 및 전시물 소개 각 나라별로

참관기

220 | Vol. 20 No. 3

2. 제품개발 동향 및 전시물 소개

각 나라별로 형성되어 있는 화장품 제품 시장 현황은 조금

씩 다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5년 화장품산업 분석 보

고서에 따르면 미국 화장품 시장 규모는 2014년 388억 달러

로 개별국가 기준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을 가지고 있다. 스킨케어 시장(100억 달러 규모)이 가장 크며 그 다음으로 메

이크업(72억 달러)과 헤어케어(70억 달러)가 스킨 케어 시장

규모 못지 않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중남미 시장의 경

우는 헤어케어 제품이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반면, 일본, 중국, 한국의 경우는 스킨케어 제품이 절반 이상을 차

지하고 그 중 facial care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 현황이 이번 북미 COSMOPROF 전시에서도

잘 반영되어 있었다. 북미 및 중남미 시장을 겨냥한 상당히

많은 전문 헤어케어 제품들이 눈에 띄었다. 샴푸, 컨디셔너, 헤어 에센스, 헤어 마스크팩, 염색제품 등 헤어 관련 제품들

이 너무 많이 소개되다 보니 각 기업별 제품별 특이성과 차

이를 구별하기 힘들 정도였다. 최근 국내에서도 헤어케어 관

련 제품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모발케어 뿐

만 아니라 근본적인 두피케어를 통해 영양 공급, 탈모 방지

등의 기능성을 부여한 제품들은 꾸준하게 성장세를 이어가

고 있다. 미용실에 가지 않고도 집에서 헤어 스타일링이 가

능하며 헤어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국내외 기업 제품들

도 전시에서 소개되었다. 기능성 스킨케어 제품 중에는 바르

면 즉각적으로 주름이 개선되는 로션과 크림제품들이 매우

인기가 있었으며, 직접 발라보며 체험할 수 있도록 준비되

어 있었다. 색조나 메이크업 관련 제품 못지 않게 네일케어

제품들도 큰 비중을 차지하며 소개되어 국내와는 조금 다른

북미 시장 분위기를 전시회를 통해 느낄 수 있었다. 최근 국내 마스크팩 시장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면서 섬

유기술을 이용하여 차별화된 기능성 마스크시트에 대한 개

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개인적인 관심과 함께 섬유기술이

가장 많이 접목되는 코스메틱 분야이기도 한 마스크팩 제품

들을 주의 깊게 살펴보았다. 미국의 경우 마스크팩 시장이

크게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고 하여 큰 기대를 하고 있지 않

았는데 생각보다 많은 기업들, 주로 한국, 대만, 일본, 중국이

주축이 되어 다양한 마스크팩 제품들을 선보이며 북미 시장

의 문을 두드리고 있었다. 마스크팩을 직접 착용하고 참관객

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해외 기업들도 눈에 띄었다. 프랑

스, 영국, 미국 스킨케어 브랜드들도 마스크팩을 하나의 제

품군으로 갖추고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대부분 한국, 대만, 일본 제품들을 수입하여 판매하는 형태를 보였다. 독창적이

거나 기능성을 강조하여 차별성이 돋보이는 제품의 경우 한

국에서 제조한 경우가 많아서, 이미 한국 제품이 전 세계적

으로 많이 알려져 있음을 실감할 수 있었다. 첫 번째로 소개하고자 하는 마스크팩은 미국제품인

ChaleurTM 이다. 포장 속에 들어 있는 마스크팩 위에 뜨거운

물을 붓게 되면, 그 물을 흡수하면서 마스크팩이 부풀어 오

른다. ChaluerTM의 고기능성 에센스를 피부에 바른 후 이 마

스크팩을 올려놓으면 따뜻한 열이 기능성 성분의 피부 내

전달을 극대화하면서 스파를 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고 한다. 마스크뿐만 아니라 손과 발에도 적용할 수 있는 팩

이 함께 제품화되어 있으며 촉감이 매우 부드러워 사용감

이 좋았다. 두 번째 제품 역시 미국 제품인 ALPS 마스크이

다. ALPS는 의료기기 제조업체이나 최근 gel 기반의 코스메

틱 제품 개발에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안면 수술 및 리프팅

시술 후 사용되는 마스크팩으로 gel로만 구성된 타입의 마스

크팩, heating 시 얼굴 모양에 따라 변형이 가능한 gel 마스크

타입, 그리고 항산화 작용을 하는 기능성 마스크팩 제품들

을 선보였다. 세 번째 제품은 국내 제품으로 이온토포레시스

(Iontophoresis) 기술을 이용한 신개념 마스크팩 DeepSkin이다. 유효 성분들을 피부 속 깊숙이 전달하기 위해 마스크 시트

에 함유된 기능성 영양성분을 이온화시켜 피부에 침투시켜

주는 홈 에스테틱 기기이다. 마지막으로 소개하고 싶은 국내

제품은 Yu.r의 Thread Lifting Mask 이다. 세럼을 얼굴에 바르

고 마스크를 붙이게 되면, 그물망 사이의 성분이 녹고 건조

되는 과정에서 강력한 리프팅 효과가 나타나는 제품이다. 그

이외에도 레이스 원단을 이용하여 리프팅 효과를 주는 제품, 턱선을 갸름하게 해주는 Slimming ChinUp Mask, 다양한 하이

드로겔 제품, 건조 바이오셀룰로스 제품, 5 step의 피부관리

를 마스크팩 하나로 하는 제품 등이 다양한 국외 기업들로

부터 소개되었다. Figure 4. 헤어 및 네일케어 대표 전시품.

Page 4: 5 Ý $04.0130'/PSUINFSJDB 5 Ýnas1fiber.superscholar.kr/fti/FTI20(3)-06.pdf · 2016-11-02 · 참관기 220 | Vol. 20 No. 3 2. 제품개발 동향 및 전시물 소개 각 나라별로

COSMOPROF North America 2016 참관기

섬유기술과 산업 20권 3호 | 221

최근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화장품 분야 중 하나가 유기농

및 천연 화장품으로 자연주의, 친환경 등을 강조하는 제품이

다. 미국에서의 화장품 생산은 동물 실험, 환경문제,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미국 정

부기관으로부터 강력한 규제를 받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Discover Green”이라는 특별 섹션을 통해 유기농 및 천연화

장품 제품들이 전시되었다. 이러한 자연주의를 지향하는 트

렌드는 화장품 산업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다른 산업분야에

도 나타나는 흐름이다. 화장품(cosmetics)과 의약품(pharmaceutical)의 합성으로 탄

생한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 시장이 화장품 업계의 새

로운 성장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화장품에 의학적 기능이

가미되어 소비자들의 신뢰를 받으며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

어내고 있으며, 미백, 주름개선에서 더욱 발전하여 피부질

환 치료를 돕는 제품으로 차세대 고부가 성장 분야로 꼽힌

다. 이번 북미 COSMOPROF 전시회에서도 우수한 기술력으

로 참관객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은 현대아이비티의 ‘비타브

리드 C12 브라이트닝 파우더’ 제품이 있다. 이 제품은 전시

기간 중 혁신적인 제품으로 가장 큰 관심을 끈 제품에 수여

하는 ‘2016 트렌드세터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비타민 C가

피부내부로 빠르고 효과적으로 잘 침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제품으로 기존 스킨케어 제품에 파우더를 섞어서 사용하기

만 하면 된다. 미백 기능뿐만 아니라 헤어제품에 섞어 쓸 경

우 탈모 방지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고 소개되었다. 약국에

서 판매되는 전문 의약품의 느낌을 주는 화장품으로, 상담을

받고 나서야 이 제품이 한국 제품임을 알게 될 정도로 외국

전문가들을 통해 제품을 홍보하고 있었다. 그 인기도 상당하

여 늘 방문객들로 북적였다. 마지막으로 코스메슈티컬에 이어 LED나 레이저 광선을

이용하여 피부관리 및 치료를 하는 미용기기/에스테틱 제품

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빛의 파장에 따라 그 기능이 달라지

는데, 청색은 여드름 균을 사멸하고, 황색의 경우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생성을 돕고, 적색의 경우 염증을 완화하고 혈

액순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적외선의 경우

치유속도를 높이고, 염증완화와 혈액순환 증강 효과가 있다. LightStim은 적절한 LED 빛의 조합을 통해 주름개선용, 여

Figure 5. 마스크팩 대표 전시품들.

Figure 6. Discover Green 특별 섹션. Figure 8. 피부관리와 치료에 도움을 주는 미용기기 제품.

Figure 7. Vitabrid C12 제품 소개.

Page 5: 5 Ý $04.0130'/PSUINFSJDB 5 Ýnas1fiber.superscholar.kr/fti/FTI20(3)-06.pdf · 2016-11-02 · 참관기 220 | Vol. 20 No. 3 2. 제품개발 동향 및 전시물 소개 각 나라별로

참관기

222 | Vol. 20 No. 3

드름 치료용, 통증완화용으로 세분화된 제품으로 출시되었

고, 스마트폰 앱과 연동되어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게 디자

인 되어 있다. 그 이외에도 마스크 형태로 얼굴에 적용하는

피부관리 기기, 머리에 쓰고 두피와 모발관리를 하는 제품들

이 전시되어 있었다. 대표적인 제품은 국내 Hugel Pharma의

Healing Mask와 미국 HAIRMAX의 Laserband 82이다. 또한 스

킨케어 제품들의 피부 침투를 효율적으로 도와주는 독일의

Mira-Skin과 같은 미용 기기들도 많은 관심을 받았다.

3. Conferences

이번 박람회에서는 마케팅과 유통, 경영 전략과 시장 전

망을 아우르는 다채로운 컨퍼런스도 함께 진행되었다. 특히

Amazon에서 주최한 How to do the business with us는 티켓이

조기매진이 될 정도로 매우 인기가 있었다. 자세한 프로그램

은 Table 2에 나타내었다.

4. 결언

북미 COSMOPROF는 개인적으로 처음 참관하는 국제 화

장품 미용 전시회였다. 다른 섬유관련 전시회에 비해 규모가

큰 편은 아니었지만, 전반적인 북미 화장품 관련 시장의 최

신 동향을 파악하기에는 부족함이 없었다. 한낮 기온이 45도에 육박하는 라스베이거스를 여름에 방문한다는 것이 결코

바람직한 선택은 아니었지만, 그 뜨거운 열기만큼 국내 제품

들이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전 세계인의 뜨거운 관심을

집중시켰다는 점에서 큰 성과가 있어 보였다. 북미 시장이

더 이상 높은 벽만은 아님을 실감했고, 이제 막 새로운 시장

에 발을 내디딘 단계로 충분히 경쟁력을 갖추면 성공 가능

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화장품 산업은 특성상 유행에 민감하여 시장의 요구에 빠

르게 대처할 필요가 있으며, 문화산업이기도 하여 브랜드 스

토리나 이미지로 승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제 제품에 차

별화를 꾀하여 경쟁력을 가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화장품

관련 제품 개발에 있어서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새

로운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제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지속적인 국제 전시회 참가 및 기업 홍보를 통해 우리 제품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기회를 꾸준히 만들어나가야 하겠다. 최근 섬유기술이 다양한 코스메틱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앞서 소개한 분야 이외에도 입는 화장품이라는 새로운 개념

의 시장도 열리고 있다. 앞으로 산학연의 긴밀한 협력체제

와 지속적인 정부 지원을 통해 많은 중소 중견 기업들이 경

쟁력 있는 제품개발에 성공하여 세계 화장품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그 날을 기대해 본다.

김태희

•1999. 서울대학교 천연섬유학과 졸업

•2001. 서울대학교 천연섬유학과(석사)

•2005.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박사)

•2005-2006. 서울대학교 (Post-doc)

•2006-2007. 프랑스 파스퇴르 연구소 (Post-doc)

•2008-2010. 미국 University of Washington,

Dept. of Bioengineering, Senior

Fellow

•2010-현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2013-현재. 한양대학교 ERICA 캠퍼스

생명나노공학과 겸임교수

Table 2. 프로그램

날짜 발 표 주 제

07월 24일

• From Concept to Creative: How to Best Engage the Multicultural market

• TV Home Shopping Culture: Is Your Brand Camera Ready?

• Spa Market Evolution: Green Mile Markers

• Uncovering the Future of Innovation Cultures and Processes

07월 25일

• Retails Unfiltered

• The Beauty of Sustainability: More Than Green Packaging

• A State of Clean: Redefining Green Marketing

• Looking for Ways to Leverage Your Content Marketing?

07월 26일

• How to Do Business With Us: Hosted by Amazon

• How to Do Business With Us: Hosted by Evine Live

• Next in Hair: What’s New in the Hair Care World?

• A Roadmap to Developing Your International Distribution: BIRC Area Spotl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