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TE(Long TermEvolution) VS. WiMAX · 2018. 10. 22. · WiMAX의 지속적으로 제품개발 및...

2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보분석센터 www.kisti.re.kr CT O 보고서 |작성 : 김 근 환| 4G 시대의 정의 LTE vs WiMax 4G 이동통신 동향 해외 사업자의 4G 구현 동향 LTE의 한계와 극복방안 맺음말 4G 무선이동통신 서비스 - LTE(Long Term Evolution) VS. WiMAX

Transcript of - LTE(Long TermEvolution) VS. WiMAX · 2018. 10. 22. · WiMAX의 지속적으로 제품개발 및...

Page 1: - LTE(Long TermEvolution) VS. WiMAX · 2018. 10. 22. · WiMAX의 지속적으로 제품개발 및 시장확대 전략을 추구하고 있음 ∙Mobile WiMAX는 이동성과 전송속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보분석센터

www.kisti.re.kr

CTO보고서

|작성 : 김 근 환|

•• 4G 시대의 정의

•• LTE vs WiMax

•• 4G 이동통신 동향

•• 해외 사업자의 4G 구현 동향

•• LTE의 한계와 극복방안

•• 맺음말

4G 무선이동통신 서비스 - LTE(Long Term Evolution) VS. WiMAX

Page 2: - LTE(Long TermEvolution) VS. WiMAX · 2018. 10. 22. · WiMAX의 지속적으로 제품개발 및 시장확대 전략을 추구하고 있음 ∙Mobile WiMAX는 이동성과 전송속도,

LTE(Long Term Evolution) VS. WiMAX

4G 무선이동통신 서비스 - LTE(Long Term Evolution) VS. WiMAX

4G 무선이동통신 서비스 - LTE(Long Term Evolution) VS. WiMAX

현재 세계 이동통신 산업은 기존의 3G와 차별화된 4G 서비스로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4G를 구현하기 위한 표준기술로 LTE(Long-Term Evolution)와 WiMAX가

강력한 후보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WiMAX가 상용화에 성공하면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그러나 경제적 측면에서 세계 이동통신사업자의 지지를 받고 있는

LTE가 향후 4G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많은 전문가가 전망을 하고 있다. 그러나

사업자간의 이해관계로 발생된 표준화의 부재, 주도기업의 불투명한 미래, 3G에

대한 소비자의 높은 만족도, WiMAX진영의 지속적인 제품향상 및 강력한 시장

확대전략으로 LTE 대세론에서 LTE와 WiMAX의 복수경쟁체제로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정부는 양대 기술 분야에서 국내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도모할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CTO보고서

Page 3: - LTE(Long TermEvolution) VS. WiMAX · 2018. 10. 22. · WiMAX의 지속적으로 제품개발 및 시장확대 전략을 추구하고 있음 ∙Mobile WiMAX는 이동성과 전송속도,

4G 시대의 정의

●● 현재 3G에서 제공하고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전세계 어디에나 고속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4G라 함

∙ 이동 통신 시스템은 AMPS (Advanced Mobile Phone System) 표준을 중심으로 한 1G 아날로그

휴대 전화를 시작으로 하여 2G는 10 Kbps이하의 디지털 데이터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휴대 전화

서비스가 제공되었음.

- 유럽은 GSM방식으로 북미 및 한국은 IS-95 A/B로 표준화가 제정 되었으며, 주요 제공되는

데이터 서비스는 메시징 서비스가 주류를 이루었음.

∙ 2.5G 디지털 이동 통신에서는 384Kbps의 전송 속도가 가능해져서 멀티미디어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졌음.

- 대표적인 표준은 CDMA2000 1× (IS- 95C).

∙ 3G 시스템(IMT-2000)은 음성 서비스, 고속 데이터 서비스 및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래 지향적

이동통신 시스템의 실현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음.

- 데이터 전송 속도를 고속 이동 시 144kbps, 보행 시 384kbps, 정지 시 2Mbps까지 제공하였으며, 국가간 로밍이 가능함.

- IMT-2000은 동기식 방식과 비동기 방식으로 나뉘어 표준화가 진행되었음. - 동기식 방식은 북미를 중심으로 CDMA2000 1X EVDO라는 이름으로 표준화가 진행되었으며,

2Mbps까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

- 유럽 및 일본을 중심으로 진행된 비동기식 방식인 WCDMA는 예정보다 서비스 제공이 지연

되다가 2004년 이후 서비스가 개시됨.

∙ 휴대형 이동전화를 통해 공간 및 시간의 제약 없이 서비스로 무선 인터넷 가입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개인 휴대형 이동 전화의 보급의 대중화로 콘텐트의 내용이 증가하고 있음. - 소비자들은 유선 광대역 네트워크와 동일한 품질과 속도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기대하고

있음.

•• CTO REPORT4G 시대의 정의 \ LTE vs WiMax \ 4G 이동통신 동향 \ 해외 사업자의 4G 구현 동향 \ LTE의 한계와 극복방안 \ 맺음말

KISTI 정보분석센터 02 / 03

Page 4: - LTE(Long TermEvolution) VS. WiMAX · 2018. 10. 22. · WiMAX의 지속적으로 제품개발 및 시장확대 전략을 추구하고 있음 ∙Mobile WiMAX는 이동성과 전송속도,

LTE(Long Term Evolution) VS. WiMAX

<이동통신 기술진화>

(데이터 전송속도 단위 : bps, D : Downlink, U : Uplink)

자료 : 이동통신서비스, 4G 시대가 온다, LGERI, 2008.11

∙ 이종망간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3G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점을 극복하고 차별화 시킨

것이 4G임.

-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접속 기술 외에 셀룰러 시스템, 무선 네트웍, WLAN, WPAN (Wireless Personal Access Network) 등 다양한 망의 융합을 목표로 하고 있음.

- ITU-R의 PDNR (Preliminary Definition New Recommendation)에서 전체 시스템을 총괄하는

개념으로 Systems Beyond IMT-2000 (B3G)이라는 용어가 유럽을 중심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아시아에서는 4G란 용어로 통용되고 있음.

<4G 이동통신 개념도>

자료 : 4세대 이동통신 무선전송 기술동향, ETRI 2005, 황승구

4G 무선이동통신 서비스 - LTE(Long Term Evolution) VS. WiMAX

Page 5: - LTE(Long TermEvolution) VS. WiMAX · 2018. 10. 22. · WiMAX의 지속적으로 제품개발 및 시장확대 전략을 추구하고 있음 ∙Mobile WiMAX는 이동성과 전송속도,

∙ 4G 이동통신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고속 데이터 전송 속도(High data-rate)에 있음.

- 저속의 음성 및 패킷 데이터 통신 위주에서 고속으로 이동 중 최대 100Mbps, 정지 및 저속

이동 중 최대 155Mbps~1Gbps까지의 데이터 전송 속도(3G에 비해 10~100배 전송 용량 개선).- 2~5GHz 대역(대역폭 : 10~40MHz)에서 주파수가 결정되는데 주파수는 소프트웨어로 변경이

가능한 방식도 있음.- ‘ALL IP BASED IPV6’ 구조를 지향하기 때문에 상이한 종류의 네트워크를 통합이 가능함.- 완벽한 글로벌 로밍 지원이 가능한 구조임. - 유비쿼터스 서비스제공을 위한 플랫폼의 실현을 궁극적으로 목표로 하고 있음.

●● LTE와 WiMAX가 4G 표준기술후보로 대두되고 있으나, 기술적 태생의 차이로 서로 다른

사업화 전략을 추구하고 있음

∙ 국제전기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은 4G 표준 기술을 계속하여 선정

중에 있으나, LTE와 Mobile WiMAX가 유일한 유력후보로 거론되고 있음.

<무선통신 기술진화 로드맵>

자료 : Emblaze Consulting

∙ LTE와 Mobile WiMAX는 사업자적인 측면에서 분명한 태생의 차이가 존재하고 있음.

- LTE의 경우 기존의 음성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들이 음성 서비스 인프라를 업그레이드하여

고속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태동

- WiMAX의 경우 표준 자체가 Fixed Internet 접속 서비스인 IEEE 802.16d에서 출발된 고정형

무선 인터넷 접속 서비스로서 Data 통신 서비스 사용자가 주요 타겟임.

•• CTO REPORT4G 시대의 정의 \ LTE vs WiMax \ 4G 이동통신 동향 \ 해외 사업자의 4G 구현 동향 \ LTE의 한계와 극복방안 \ 맺음말

KISTI 정보분석센터 04 / 05

Page 6: - LTE(Long TermEvolution) VS. WiMAX · 2018. 10. 22. · WiMAX의 지속적으로 제품개발 및 시장확대 전략을 추구하고 있음 ∙Mobile WiMAX는 이동성과 전송속도,

LTE(Long Term Evolution) VS. WiMAX

- WiMAX의 경우 Mobility의 개념을 도입한 IEEE 802.16e인 Mobile WiMAX(국내는 Wibro로

불림)가 2004년 표준화 작업 이후 2008년 말 기준 35개 국가 이상에서 도입을 검토 또는

시범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음.

<Worldwide WiMAX Deployment>

자료 : WiMAXCounts.com

∙ LTE를 도입한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2012년부터 자사 가입자의 LTE 전환을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되어 2013년 이후부터 LTE 가입자가 Mobile WiMAX 가입자를 다소 앞설 것으로 전망됨.

- Mobile WiMAX 가입자가 2011년까지 4,000만 명으로 400만 명의 LTE를 압도하다가 2013년

경에 8,500만 명으로 동등해질 것으로 전망됨. - 유럽을 중심으로 주요 글로벌 이동통신 사업자의 LTE 도입이 본격화되면서 2011~2013년

연평균 360% 성장률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됨.

4G 무선이동통신 서비스 - LTE(Long Term Evolution) VS. WiMAX

Page 7: - LTE(Long TermEvolution) VS. WiMAX · 2018. 10. 22. · WiMAX의 지속적으로 제품개발 및 시장확대 전략을 추구하고 있음 ∙Mobile WiMAX는 이동성과 전송속도,

<LTE 및 Mobile WiMAX 가입자 전망>

(단위 : 백만명)

자료 : In-Stat(2009. 1), Cantab Wireless(2008.12) - VeyondStrategy 재구성

∙ Mobile WiMAX는 3~4년정도 상용화를 실현하면서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나, 글로벌 이동통신

사업자들과 장비 업체들 다수가 4G기술로 LTE를 지지하고 있는 상황임.

- LTE는 WCDMA에서 발전한 기술로서 설비투자비나 망연동성 측면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어

기존의 GSM/WCDMA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LTE를 선호하는 추세임. - 미국 버라이존 와이어리스(Verizon wireless)는 LTE의 투자비용으로 기존 EVDO네트워크

비슷한 20억 달러 수준으로 예상하고 있음. - CDMA 사업자 역시 미국 Sprint Nextel을 제외하고는 LTE를 4G표준으로 지지하고 있음. - Ericsson과 Nokia Siemens Networks 등 주요 장비 업체는 LTE와 WCDMA, CDMA

네트워크를 동시에 운영할 수 있는 장비를 개발 중임.

LTE VS. WiMAX

●● 세계 주요 이동통신사들이 LTE를 선택하고 있는 상황으로 향후 4G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

∙ 향후 4G 시장은 LTE가 실질적 표준을 주도하는 가운데, Mobile WiMAX는 틈새시장에 머물

것으로 전망

•• CTO REPORT4G 시대의 정의 \ LTE vs WiMax \ 4G 이동통신 동향 \ 해외 사업자의 4G 구현 동향 \ LTE의 한계와 극복방안 \ 맺음말

KISTI 정보분석센터 06 / 07

Page 8: - LTE(Long TermEvolution) VS. WiMAX · 2018. 10. 22. · WiMAX의 지속적으로 제품개발 및 시장확대 전략을 추구하고 있음 ∙Mobile WiMAX는 이동성과 전송속도,

LTE(Long Term Evolution) VS. WiMAX

- 텔리아 소네라(스웨덴), 버라이즌 와이어리스(미국), AT&T(미국), 보 다폰(영국), NTT DoCoMo (일본) 등 2009년 5월 기준 총 28개 사업자가 LTE 도입을 공식 발표

- 에릭슨은 LTE와 경쟁하기 위한 802.16m 기반의 ‘Mobile WiMAX Evolution’ 기술을 현재

개발 중에 있음.

<LTE 도입예정 사업자 목록>

국가 사 업 자 도입 예정 시기

미국 Verizon 2010

미국 MetroPCS 2010

미국 CenturyTel 2010

미국 Aircell 2011

미국 Cox 2011

미국 AT&T Mobility 2011

스웨덴 Teliasonera 2010

스웨덴 Tele2 2011

스웨덴 Telenor 2011

노르웨이 Teliasonera 2010

일본 NTT DoCoMo 2010

일본 KDDI 2010

캐나다 Rogers Wireless 2010

캐나다 Telus 2010

국가 사 업 자 도입 예정 시기

캐나다 Bell Canada 2010

아일랜드 Hutchison 3 2011

독일 T- Mobile 2011

프랑스 Orange 2011

중국 China Mobile 2011

중국 China Telecom 2011-2012

뉴질랜드 Telecom NZ 2011-2012

한국 SK Telecom N/A

한국 KTF N/A

필리핀 Piltel N/A

이탈리아 Telecom Italia N/A

홍콩 SmarTone-Vodafone N/A

호주 Telstra N/A

다국적 사업자 Vodafone N/A

자료 : GSA, GSM/3G Market Technology Update, 2009. 3;VeyondStrategy 업데이트, 2009. 5

●● 향후 LTE와 경쟁에서 기술 및 시장선점의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글로벌 장비제조업체들이

WiMAX의 지속적으로 제품개발 및 시장확대 전략을 추구하고 있음

∙ Mobile WiMAX는 이동성과 전송속도, 핸드오버 기술 등을 지속적으로 보완하여 2007년 10월

3G 표준으로 선정

- 지속적인 상용 사업자 레퍼런스 확대와 함께 Mobile WiMAX의 기술표준인 802.16e를

발전시킨 802.16m 기반의 ‘Mobile WiMAX 에볼루션’의 개발을 추진 중

∙ 802.16m 기반의 ‘Mobile Mobile WiMAX Evolution’을 2010년 표준화를 목표로 LTE와의 경쟁을

지속하고자 함

- 삼성전자가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2008년 10월 7일 개최된 국제전기통신연합

전파통신부문(ITU-R) 서울회의에서 ‘Mobile WiMAX Evolution’ 시연에 성공한바 있음.

4G 무선이동통신 서비스 - LTE(Long Term Evolution) VS. WiMAX

Page 9: - LTE(Long TermEvolution) VS. WiMAX · 2018. 10. 22. · WiMAX의 지속적으로 제품개발 및 시장확대 전략을 추구하고 있음 ∙Mobile WiMAX는 이동성과 전송속도,

<Mobile WiMAX 에볼루션과 Mobile WiMAX 비교>

모바일 와이맥스 에볼루션 모바일 와이맥스

기반 기술표준 802.16m 802.16e

상용화 시기 2011년 이후 2006년 4월(KT)

응용서비스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음성 무선 데이터 서비스

최대 전송속도다운로드 149 Mbps 37.44 Mbps

업로드 43 Mbps 10.08 Mbps

가입자당 실제속도 20 Mbps 5 Mbps

이동성 시속 350Km 시속 120Km

자료 : VeyondStrategy

∙ Mobile Mobile WiMAX Evolution을 통해 LTE 대비 열세로 지적되었던 전송속도, 음성서비스

지원, 고속 이동 및 핸드오버 부문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전망

∙ 글로벌 장비 제조업체 대부분은 WiMAX 시장을 주목하고 있으며, 시장경쟁력 확보를 위한

핵심부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음

- Alvarion, Flarion, IPWireless 등 선발전문업체와 Motorola, Nortel, Siemens, 중국의 Huawei, ZTE 등이 적극적인 대응하고 있음.

- 인텔은 Wi-Fi에 이어 WiMAX를 노트북에 장착하여 Wi-Fi의 커버리지 한계를 보완하는

전략을 진행 중에 있음.* 인텔 센트리노 플랫폼에 WiMAX 번들을 장착한 랩탑을 출시할 계획이며, 향후 2~3년 내에

휴대폰에 WiMAX를 적용할 계획

∙ 베이스밴드 모뎀 칩을 개발 중 또는 Wave2 버전으로 상용화하여 시장에 출시한 기업으로는

프랑스의 시퀀스 커뮤니케이션즈와 이스라엘의 런컴, 미국의 빗씸, 그리고 한국의 삼성전자와

지씨티, 카이로넷 등이 있음.

∙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한 휴대 단말 제조사들이 적극적으로 시장을 공략, 가격 부문에 있어서

소비자들의 저항을 회피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한 상황임

- 단말기의 휴대폰 부문에서는 노키아와 단말기 개발을 공동 추진 중

- 후지쓰는 미국의 서비스업체를 주요 대상으로 R&D와 마케팅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기본

전략으로 갖고 있으며, 802.16d 표준 대응 제품에 개발 초점이 있음.

∙ 북미, 동남아시아, 중동 지역의 경우 이동형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2GHz 대역의 서비스가 주를 이루고 있음.

•• CTO REPORT4G 시대의 정의 \ LTE vs WiMax \ 4G 이동통신 동향 \ 해외 사업자의 4G 구현 동향 \ LTE의 한계와 극복방안 \ 맺음말

KISTI 정보분석센터 08 / 09

Page 10: - LTE(Long TermEvolution) VS. WiMAX · 2018. 10. 22. · WiMAX의 지속적으로 제품개발 및 시장확대 전략을 추구하고 있음 ∙Mobile WiMAX는 이동성과 전송속도,

LTE(Long Term Evolution) VS. WiMAX

- 무선브로드밴드 서비스 라이센스를 보유하고 있는 사업자가 북미 지역이 총 394개 업체, 이

중 미국은 372개 업체가 2.3~2.7GHz 대역 라이센스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유럽의 경우 EU가입국간의 Global Roaming 및 주파수 자원의 활용과 전파 월경 등의 문제로

인하여 EU 가입국간의 협상이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동성은 많이 떨어지지만 상대적으로

협상의 이슈가 적은 3GHz대역으로 서비스가 계획 중임

- 무선브로드밴드 서비스 라이센스를 보유하고 있는 사업자가 유럽 지역은 총 186개 업체, 이

중 3.5GHz 대역 라이센스를 갖고 있는 업체가 141개 업체로 나타남. - UMTS의 확장을 위해 2.5~2.69GHz 대역을 보존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

∙ 동남아시아권의 경우 한국의 삼성전자, KT 등이 주축이 되어 WiMAX가 Deploy되고 있는

상황으로 와이브로 대역인 2.3GHz가 주류를 이루고, 2.5GHz도 다수 분포되고 있는 상황임.

∙ WiMAX는 표준과 배치되지 않는 여러 가지의 다양한 옵션이 탑재 되어 상용화가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음.

- LTE에 비해 소규모이긴 하지만 전세계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VPS, VoIP, Fax, Adapted Wifi, Authentication Method 등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음.

●● 이동통신 시장에 미치는 다양한 변수로 인해 미래 4G시장에서 WiMAX-Evolution과 LTE-

Advanced가 복수표준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매우 높음

∙ Mobile WiMAX와 LTE의 4G 경쟁에 있어 가장 핵심은 어느 기술이 실질적인 디팩토(De facto) 표준이 되느냐로 상용사업자 레퍼런스 확보가 가장 핵심적인 요인이 될 것으로 보임.

- 기술적으로 앞선 것으로만은 시장을 장악하기 어렵고 사업자들간의 이해관계와 소비자의

성향, 시장의 트렌드, 경기의 영향등이 매우 주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냄.

∙ 상용화 측면에서는 Mobile WiMAX가 LTE에 3년 이상 앞서 있으며 현재 글로벌 49개 사업자가

상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8개 사업자가 도입예정임.

- 대표적인 사업자로는 미국 Clearwire로서 워싱턴과 볼티모어 등 미동부 6개 지역에서 Mobile WiMAX 서비스인 ‘Xohm’을 상용화하여 서비스 확대 계획이며 일본 UQ 커뮤니케이션도

2009년 중 상용 서비스를 실시할 계획에 있음.

4G 무선이동통신 서비스 - LTE(Long Term Evolution) VS. WiMAX

Page 11: - LTE(Long TermEvolution) VS. WiMAX · 2018. 10. 22. · WiMAX의 지속적으로 제품개발 및 시장확대 전략을 추구하고 있음 ∙Mobile WiMAX는 이동성과 전송속도,

<LTE, Mobile WiMAX 비교>

LTE( Long Term Evolution) 모바일 와이맥스

개요 WCDMA 계열의 3GPP 기반 4G 기술 802.16 기반의 무선 브로드밴드 기술

기술 특징OFDM 기반의 데이터 서비스 - 이동 중 100 Mbps 이상 지원

OFDM 기반의 데이터 서비스

- 이동 중 100 Mbps 이상 지원

(모바일 와이맥스 에볼루션)

사업자 동향- WCDMA, CDMA 등 기존 이통사 대다수가 도입

예정

- 유선통신사의 무선 브로드밴드 기술로 도입하는

사례가 많음

상용화 일정- 2009년 말 Verizon- 2010년 NTT DoCoMo, Teliasonera

- 현재 20~30Mbps 수준의 Wave 1,2 서비스(802.16e)는 제공 중

도입 사업자

- 현재 상용 사업자 없음

- 2009년 내 1개 사업자 도입 예정- 2010년부터 29개 사업자 도입 예정

- 49개 사업자 상용서비스 중

- 2009년 내 28개 사업자 도입 예정

장점- WCDMA 계열의 기존 네트워크와 호환성을 갖춰

N/W구축비용 낮음- 상용화를 통해 기술이 검증되었음

단점 - 상용화 사례가 없어 검증되지 않음 - 음성서비스와 핸드오버 기술 보완이 필요함

자료 : VeyondStrategy

<Mobile WiMAX vs HSPA 전송속도 비교>

자료 : VeyondStrategy

∙ Mobile WiMAX의 경우 4G 분야의 디팩토 표준 확보를 위해서는 대형 이동통신 사업자

레퍼런스 확보가 필요한 상황임.

∙ LTE는 2011년 이후 상용사업자가 본격적으로 출현할 것으로 전망

- Verizon, NTT DoCoMo, Telia Sonera 등을 포함한 일부 사업자를 제외

•• CTO REPORT4G 시대의 정의 \ LTE vs WiMax \ 4G 이동통신 동향 \ 해외 사업자의 4G 구현 동향 \ LTE의 한계와 극복방안 \ 맺음말

KISTI 정보분석센터 10 / 11

Page 12: - LTE(Long TermEvolution) VS. WiMAX · 2018. 10. 22. · WiMAX의 지속적으로 제품개발 및 시장확대 전략을 추구하고 있음 ∙Mobile WiMAX는 이동성과 전송속도,

LTE(Long Term Evolution) VS. WiMAX

∙ 막대한 투자 설비비와 개발비가 요구되는 LTE를 조기 도입하기 보다는 기존 이동형 음성 전화

서비스 망의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여 HSPA+ 서비스로의 점진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하여 4G로

가는 전략을 사용하는 상황

- WCDMA/HSDPA 사업자들이 현재 보유한 3G 주파수와 인프라를 활용해 S/W 업그레이드

만으로 보다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HSPA+ 도입을 검토하고 있음.- 유럽 이동통신 사업자 스웨덴, 노르웨이 등 북유럽 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HSPA+를 우선 도입할 예정

∙ Mobile WiMAX는 802.16m의 조기 표준화 및 상용화를 통해 기술수준 및 상용화 측면에서

지속적인 우위를 점할 필요가 있음.

- 시장 확대 측면에서 유선 브로드밴드 사업자 이외 이동통신 사업자 레퍼런스 확대에 주력할

필요 있음.

∙ 국내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는 만큼, 해외 장비벤더 및 사업자와의 협력 및

호환성 확보를 통해 Mobile WiMAX와 LTE 두 분야에서 모두 경쟁력을 갖추는 전략이 요구됨.

<삼성 WiBro 해외진출현황>

자료 : 한국경제, 차세대 이통 유럽식 주춤, 09.3-10

4G 무선이동통신 서비스 - LTE(Long Term Evolution) VS. WiMAX

Page 13: - LTE(Long TermEvolution) VS. WiMAX · 2018. 10. 22. · WiMAX의 지속적으로 제품개발 및 시장확대 전략을 추구하고 있음 ∙Mobile WiMAX는 이동성과 전송속도,

∙ 4G 표준으로는 WiMAX-Evolution과 LTE-Advanced 복수표준으로 갈 가능성이 높음

∙ 4G를 하려는 사업자의 선택은 WiMAX-Evolution이 표준화 작업이 2, 3년 정도 앞서 있다는 사실

뿐만 아니라, 기존 IEEE 802.16e와 완벽하게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지원하여 이미

도입한 사업자에게 있어서 망 업그레이드 비용이 낮은 이유로 유리한 상황임.

∙ LTE는 투자에 대한 부담이 존재하며, LTE로 사업을 한다고 해도 투자금을 회수하기 전에

LTE-Advanced로의 업그레이드는 사업자에게 엄청난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 LTE는 UMTS/HSPA와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단말도 SDR기술이 혁신적으로 발전되지 않는한

2-chip solution으로 구현해야 함.

∙ 삼성, Intel, Motorola, KT, Sprint 등의 WiMAX 진영과 LG, Ericsson, Verizon, China Mobile 등의 LTE 진영간의 4G 전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

4G 이동통신 동향

●● 4G(IMT-Advanced)의 세계 표준화가 ITU에서 추진되고 있으며, 사업자별로 4G구현계획을

추진하고 있음

∙ 이동통신서비스의 세계 표준화는 UN 산하 국제표준화기구인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에 의해 진행되고 있음.

- ITU는 4G 개념 정의, 주파수 대역 설정, 기술방식 승인, 기술 요구사항 정의 및 평가 등의

업무를 수행하게 됨.

∙ ITU의 IMT-Advanced 구현은 2010년 기술표준화가 완료되고 2012년에는 IMT-Advanced 서비스가

시작될 전망

- ‘4G’라고 불리는 서비스의 ITU 공식 명칭은 ‘IMT-어드밴스드 (Advanced)’로 3G 서비스인

‘IMT-2000’의 차세대 서비스라는 의미임.

•• CTO REPORT4G 시대의 정의 \ LTE vs WiMax \ 4G 이동통신 동향 \ 해외 사업자의 4G 구현 동향 \ LTE의 한계와 극복방안 \ 맺음말

KISTI 정보분석센터 12 / 13

Page 14: - LTE(Long TermEvolution) VS. WiMAX · 2018. 10. 22. · WiMAX의 지속적으로 제품개발 및 시장확대 전략을 추구하고 있음 ∙Mobile WiMAX는 이동성과 전송속도,

LTE(Long Term Evolution) VS. WiMAX

<사업자별 4G 구현 계획>

사업자 구분 4G 관련 기술 구현 동향

CDMA 사업자

- Verizon(미국) : 2010년 700MHz 대역에서 LTE 상용화 예정

- KDDI(일본) : 현재 WiMAX 사업자에 지분 참여 중이나, 향후 LTE 도입 예상

- Sprint Nextel(미국) : WiMAX 채택, Clearwire와 JV로 2008년 9월 ‘좀 (Xohm)’ 서비스 시작

WCDMA 사업자

- NTT DoCoMo(일본) : 2009년말 LTE 서비스인 ‘Super 3G’ 상용화 예정

- SoftBank(일본) : HSPA+ 도입후 LTE로 진화 계획

- Vodafone(영국), Orange(프랑스), T-Mobile(독일) : 유럽 이통사들은 LTE를 지지하며, 2012년경 상용화 예정이나 HSPA+ Upgrade에 따라 상용화 시기는 가변적

非무선사업자

- 일분 유선사업자, 케이블사업자 : WiMAX를 통해 이동통신시장 진입 모색 중

- 인텔 : 네덜란드의 신규 WiMAX 사업자 Worldmax에 투자

(2008년 9월 유럽 최초로 WiMAX 서비스 개시)

자료 : 각 사업자 발표자료, VeyondStrategy 재구성, 2009. 5

해외 사업자의 4G 구현 동향

●● 해외 이동통신사업자들은 경제적 측면에서 LTE를 선택하고 있으나, 각기 다른 이해관계로

인해 서로 다른 LTE 도입전략을 추구하고 있음

∙ WCDMA 사업자의 경우 다수의 사업자가 동일한 무선기술을 채택하게 될 경우 국제로밍, 단말

소싱, 네트워크구축 비용 측면에서 장점으로 인해 LTE 계열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음.

- WCDMA 사업자는 이미 3G에서 주도권을 가지고 있는 기술방식을 사용 중이어서 다른

기술방식의 선택이 어려움.- 대표적인 WCDMA 사업자인 보다폰(Vodafone), NTT DoCoMo, T-Mobile 등은 LTE를

지지하고 있음.

∙ LTE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이동통신사업자들마다 다른 전략을 나타내고 있음.

- 일본의 NTT DoCoMo는 3G를 선도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4G에서 도 가장 먼저 서비스를

개시한다는 전략

- NTT DoCoMo는 이동통신사업자 중에서 가장 먼저 내년 말 LTE 서비스를 ‘Super 3G’라는

이름으로 선도적으로 4G로 진화한다는 계획

- 대부분의 WCDMA 사업자들은 WCDMA의 후속 버전인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등을 통해 현 네트워크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의 업그레이드를 통해 서비스 구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2012년 이후에 LTE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

4G 무선이동통신 서비스 - LTE(Long Term Evolution) VS. WiMAX

Page 15: - LTE(Long TermEvolution) VS. WiMAX · 2018. 10. 22. · WiMAX의 지속적으로 제품개발 및 시장확대 전략을 추구하고 있음 ∙Mobile WiMAX는 이동성과 전송속도,

∙ CDMA 사업자들의 경우 CDMA 계열 내에서는 기술진화에 한계가 있어 LTE 도입이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를 위한 최적의 대안이 될 가능성이 높아서 한편으로 4G 기반 기술인 LTE 도입에는

CDMA 사업자들이 오히려 더 적극적일 수도 있음.

∙ 업그레이드 시기의 판단은 경제 상황, 소비자 소비패턴 분석, 기술적 성숙도, 핵심 칩 제조사 및

단말 제조사와 장비 제조사들의 참여 정도 등 고려해야 할 상황이 많아 사업자들의 전략적

판단이 요구됨.

- 미국의 대표적인 CDMA 사업자인 버라이존 와이어리스(Verizon Wireless)는 LTE를 조기에

도입한다는 전략으로 미국 700MHz 경 매에서 확보한 주파수를 활용해 2010년 선도적으로

LTE를 시작한 다는 계획임.- 그 밖의 CDMA 사업자들은 동일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사업자에 게 유리하여 4G

기술방식으로 LTE를 채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스프린트 넥스텔사의 WiMAX 서비스 좀(Xohm) 홈페이지>

<Motorola’s wi4 WiMAX USBw 100 adaptor> <Huawei’s WiMAX CPE>

자료 : 각사 홈페이지

•• CTO REPORT4G 시대의 정의 \ LTE vs WiMax \ 4G 이동통신 동향 \ 해외 사업자의 4G 구현 동향 \ LTE의 한계와 극복방안 \ 맺음말

KISTI 정보분석센터 14 / 15

Page 16: - LTE(Long TermEvolution) VS. WiMAX · 2018. 10. 22. · WiMAX의 지속적으로 제품개발 및 시장확대 전략을 추구하고 있음 ∙Mobile WiMAX는 이동성과 전송속도,

LTE(Long Term Evolution) VS. WiMAX

∙ CDMA사업자 중 미국의 3위 사업자 스프린트 넥스텔(Sprint Nextel)은 이동통신사업자로

와이맥스를 통해 4G 이동통신 서비스의 시범서비스라 할 수 있는 802.16e-Mobile WiMAX 서비스를 개시하였음.

- 볼티모어 지역을 시작으로 와이맥스 서비스 ‘좀(Xohm)’을 개시, 클리어와이어와의 전면적인

합작을 통한 조인트 벤처의 설립을 통하여 4G로 진화하기 위한 점진적인 업그레이드를

성공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보임.

LTE의 한계와 극복요인

●● LTE는 표준화의 부재, 주도기업의 불투명한 미래, 4G의 차별화 서비스 부재를 극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음

∙ LTE의 상용화와 표준화에 관한 문제점 및 한계성

ⓛ 업체 간의 치열한 경쟁구도

- 업체 간의 치열한 경쟁구도로 인해 각 벤더들 간의 상호 정보교류가 이루어지지 않고 , LTE의 개발 진행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의 어려움.

② 소니와 에릭슨(Ericsson)의 불투명한 미래

- LTE는 소니와 에릭슨의 불투명한 미래로 향후 상용화 및 세계화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

- WiMAX의 경우 오랜 기간 세계 각지에 인텔, 삼성, 모토로라, 스프린트 등 500여 업체와

협력을 맺고 있어 최후에는 LTE를 통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음.

③ 3G의 장기생존 가능성

- 3G로도 충분히 이용자의 욕구를 만족시켜주고 있는 상황으로, 고 용량의 데이터의 이용이

주(主)가 된 이동통신의 이용행태가 필요한LTE로의 전환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음.

4G 무선이동통신 서비스 - LTE(Long Term Evolution) VS. WiMAX

Page 17: - LTE(Long TermEvolution) VS. WiMAX · 2018. 10. 22. · WiMAX의 지속적으로 제품개발 및 시장확대 전략을 추구하고 있음 ∙Mobile WiMAX는 이동성과 전송속도,

맺음말

●● 향후 4G 시장은 LTE와 WiMAX가 모두 표준화로 채택되어 시장에서 경쟁할 것으로 예상

되기 때문에, 정부는 두 기술이 상호보완정인 경쟁을 펼칠 수 있는 정책지원을 수행하여

국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도모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됨

∙ 4G 서비스가 시작되면 사용자는 다른 국가와의 무선 통화, 무선 LAN, 블루투스를 이용 라디오와

TV 방송 등 하나의 휴대전화로 구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 4 세대 서비스의 확산은 국민 생활의 질이 향상되어 국민 생활의 질적 향상을 통한 복지사회의

구현이 기대됨.

- 고차원의 이동성 제공 및 고속의 트래픽을 무선 구간에서 수용으로 인해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여 상시 지식 정보의 검색 및 활용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 무선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상거래를 하는 M-Commerce가 활성화, 원격 교육, 원격 진료, 위치

파악 등의 서비스를 통해 국민의 안정성이 향상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

∙ 종래에 IMT-2000 표준을 만들 때는 10여 개의 후보 기술이 제출되어 최종적으로 5개의 기술이

채택된 반면에(나중에 WiMAX가 6번째 기술로 추가됨) IMT-Advanced 표준화에는 LTE- Advanced와 802.16m 2개의 기술만이 후보로 제출되어 획기적인 기술이 제안되지 않은 한 둘 다

승인될 가능성이 높음.

- 10% 전후의 시장 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3GPP2 진영에서 UMB-Advanced를 추진하지 않기로

한 것이 특이한 사실일 수 는 있으나 Verizon, Sprint, KDDI등 주요 사업자들의 이탈로

동력을 상실한 것이 그 직접적 원인이라고 볼 수 있음.

∙ 향후 4G시장경쟁은 LTE 진영과 WiMAX 진영의 양자구도로 진행될 것으로 보임

- 수적으로 다수를 점한 LTE 진영의 대세를, 소수지만 시간적으로 앞선 장점을 갖는 WiMAX 진영이 얼마나 추격하는지가 관건임.

∙ 2년 안에 IMT-Advanced 표준이 완료되고 그 이후 2년 정도면 상용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

∙ 100MHz 대역폭을 사용할 때 최대 1Gbps를 전송할 수 있어 유무선 환경의 차이가 없어지고,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인터넷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규모의 경제 측면에서는 단일 표준이 유리하지만 기술의 혁신을 촉진하는 측면에서는 복수

기술이 상호 경쟁하면서 발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음.

•• CTO REPORT4G 시대의 정의 \ LTE vs WiMax \ 4G 이동통신 동향 \ 해외 사업자의 4G 구현 동향 \ LTE의 한계와 극복방안 \ 맺음말

KISTI 정보분석센터 16 / 17

Page 18: - LTE(Long TermEvolution) VS. WiMAX · 2018. 10. 22. · WiMAX의 지속적으로 제품개발 및 시장확대 전략을 추구하고 있음 ∙Mobile WiMAX는 이동성과 전송속도,

LTE(Long Term Evolution) VS. WiMAX

∙ 두 기술간의 경쟁 상황을 상호 보완적인 선의의 경쟁을 펼칠 수 있도록 가능한 정책 지원을

펼치고 시장 활성화를 위한 소비촉진 프로모션을 활성화하여 시장을 장악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함.

∙ 한국의 기업들의 핵심역량을 극대화시켜 글로벌 통신시장에서의 주도적인 기업들이 될 수 있도록

표준화와 상용화에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음.

참고문헌

1. 황승구, “4세대 이동통신 무선전송기술동향”, 2005

2. 이현우, “4세대 이동통신 개요 및 동향”, Technology Focus 2009,

3. In-Stat (2009. 1), Cantab Wireless(2008.12)

4. GSA, GSM/3G Market Technology Update, 2009. 3; VeyondStrategy 업데이트, 2009. 5

5. “차세대 이통 유럽식 주춤”, 한국경제신문, 2009.3.10

6. “3G LTE 이동통신 시스템 단말 플랫폼 기술 동향과 전망”, 전자통신동향분석 제 23권 제 1호 2008.2

7. “이동통신서비스, 4G 시대가 온다”, LG Business Insight, 2008.11.26

8. “방송통신 시장 동향”, 글로벌 방송통신 동향 리포트 제3호, KIICA, 2009

9. “LTE-Advanced 기술 동향 및 발전 방향”, 정보통신연구진흥원, 주간기술동향 통권 1407호, 2009.7

10. 모토로라 홈페이지, http://www.motorola.com

11. 화웨이 홈페이지, http://www.huawei.com

12. 삼성전자 홈페이지, http://www.samsung.com/sec/

13. 스프린트 넥스텔 Xohm 홈페이지, http://www.xohm.com/

4G 무선이동통신 서비스 - LTE(Long Term Evolution) VS. WiMAX

Page 19: - LTE(Long TermEvolution) VS. WiMAX · 2018. 10. 22. · WiMAX의 지속적으로 제품개발 및 시장확대 전략을 추구하고 있음 ∙Mobile WiMAX는 이동성과 전송속도,

MEMO

•• CTO REPORT4G 시대의 정의 \ LTE vs WiMax \ 4G 이동통신 동향 \ 해외 사업자의 4G 구현 동향 \ LTE의 한계와 극복방안 \ 맺음말

KISTI 정보분석센터 18 / 19

Page 20: - LTE(Long TermEvolution) VS. WiMAX · 2018. 10. 22. · WiMAX의 지속적으로 제품개발 및 시장확대 전략을 추구하고 있음 ∙Mobile WiMAX는 이동성과 전송속도,

4G 무선이동통신 서비스 - LTE(Long Term Evolution) VS. WiMAX

CTO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