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탈탄소화 과제 · 2021. 1. 9. · 2030 탈탄소화 과제 소배출량이 크게...

24
2030 탈탄소화 과제 에너지의 미래 2020년12월 Deloitte Insights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리스크 자문본부 ESS Service

Transcript of 2030 탈탄소화 과제 · 2021. 1. 9. · 2030 탈탄소화 과제 소배출량이 크게...

Page 1: 2030 탈탄소화 과제 · 2021. 1. 9. · 2030 탈탄소화 과제 소배출량이 크게 감소했다.21 데이터 애널리틱스 전문회사인 포인 트 380(Point380)이 전

2030 탈탄소화 과제에너지의 미래

2020년12월Deloitte Insights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리스크 자문본부ESS Service

Page 2: 2030 탈탄소화 과제 · 2021. 1. 9. · 2030 탈탄소화 과제 소배출량이 크게 감소했다.21 데이터 애널리틱스 전문회사인 포인 트 380(Point380)이 전

목차

소개글 3

화학산업 8

석유 및 가스 산업 11

전력, 유틸리티 및 재생에너지 산업 14

광물 및 금속 산업 18

결론 20

주석 21

2

Page 3: 2030 탈탄소화 과제 · 2021. 1. 9. · 2030 탈탄소화 과제 소배출량이 크게 감소했다.21 데이터 애널리틱스 전문회사인 포인 트 380(Point380)이 전

2030 탈탄소화 과제

소개글

고객, 임직원 및 지역사회의 요구

기후변화 행동을 지지하는 여론이 전 세계적으로 고조되고 있다.

2019년에 일어난 가장 큰 규모의 기후 시위에는 수백만 명의 사

람들이 참여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즉각적인 대처를 요구하였다.1

이 시위는 약 185개국에서 발생했으며, 참가자들은 정부와 기업이

긴급한 지속가능성 문제를 해결할 것을 촉구했다. 긴급한 지속

가능성 문제에는 솔로몬 제도의 해수면 상승, 남아프리카의 유독

성 폐기물, 인도의 대기오염, 플라스틱 폐기물, 인도의 대기오염,

호주의 석탄 채굴 확대 등이 포함된다.2 2020년 COVID-19 팬

데믹에 따른 셧다운(shutdown)은 전 세계 인구 대다수에게 환

경 파괴와 공해가 당연한 것이 되어 있었다는 사실을 더욱 부각

시켰다. 예를 들어, 중국과 인도의 산업 중심지에서는 몇 년 만에

처음으로 맑은 하늘을 볼 수 있었다.3,4

소비자의 태도 변화와 행동주의 산업 활동 감소가 환경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기후 이슈에 대한 기업과 산업의 이해도를 높이고

있다. 점차 많은 기업이 지구를 위해서만이 아니라 고객 충성도를 높

이고 장기적 생존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 저탄소 미래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 일례로, 2020 딜로이트 자원 연구(2020

Deloitte Resource Study)에 참여한 미국 기업 중 3/4에 달하는

응답자들은 고객이 전력의 일정 비율을 재생에너지로부터 생산할 것

을 요구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재생에너지 사용을 적극적으로 홍보

하는 기업의 비중(77%)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5 에너지

이외에도, 지속가능한 건축자재부터 녹색 광물까지 다른 탄소 중립 제

품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세대별 가치 변화도 나타나고 있다. 젊은 직

원들은 수익 창출 외에도 사회에 기여하는 기업에서 일하고 싶어한다.6

최근 직원 행동주의의 고조는 직원들이 총기 규제, 기후변화, COVID-

19 등 여러 이슈에 대한 기업의 대응을 주시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정부의 정책 및 목표

정책입안자는 결국 대중이 주도하는 방향을 따르게 된다. 기후 변

화에 대한 대중의 요구가 빗발치는 가운데, 현재 다수의 정부가 탄

소배출량 저감 목표를 설정하고 환경 법안을 제정할 권한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유럽연합(EU)은 2050년까지 기후 중립 달성을 목표

로 하고 있다. 온실가스(GHG) 배출량을 넷제로(net-zero)로 만

드는 경제의 추구는 유럽 그린딜의 핵심이며, 파리기후협정의 세계

기후 조치에 대한 EU의 약속과 부합한다.7

또한, 중국은 파리기후협정의 일환으로 2030년을 탄소배출량의

정점으로 설정하는 감축 목표를 야심차게 발표했다.8 중국의 단기

목표는 탄소 배출 강도를 낮추는 것으로, 국내총생산(GDP) 한 단위

당 에너지 사용량과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것이다.9 중국은 2017

년과 2018년에 GDP 당 탄소배출량을 각각 5.1%와 4% 감소시킨

후 현재도 목표 달성을 위해 나아가고 있다.10 최근엔 중국의 탈탄

소화 진행 상황에 예상 밖의 진전이 있었다. 영국 기후변화 전문 웹

사이트인 카본 브리프(Carbon Brief)는 2019년 12월부터 2020

년 2월까지 COVID-19에 따른 셧다운으로 중국 내 탄소 배출량이

일시적으로 25% 줄어들었다고 추정했다.11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 설정 외에도, 일부 정부는 탄소에 가격을 책

정하여 목표를 더욱 빠르게 달성해가고 있다. 현재 전 세계 40개국

정부는 화석연료에 대한 직접세나 탄소배출권 거래제(cap-and-

trade program)를 통해 탄소에 가격을 부과하고 있다.12 이 제도는

엇갈린 결과를 낳았다. 몇몇 제도는 상당히 성공적이라 인식되는 반

면, 어떤 제도는 에너지 사용자들이 추가 비용을 부담하지 못하는 상

황에서 효과적이지 않고 비용이 많이 드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이

유로 일부 국가는 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 표준, 에너지 효율 의무, 배

출 규제, 탄소상쇄 가격제(carbon-offset pricing) 같은 보다 정교

한 방법을 통해 간접적으로 탄소세를 부과한다.

3

Page 4: 2030 탈탄소화 과제 · 2021. 1. 9. · 2030 탈탄소화 과제 소배출량이 크게 감소했다.21 데이터 애널리틱스 전문회사인 포인 트 380(Point380)이 전

투자자가 행사하는 압력

투자자들도 마찬가지로 탈탄소화를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약

7조 달러의 자산을 운용하는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

Rock)이 그 예이다.13 블랙록 최고경영자 래리 핑크는 2020년에

'기후 리스크가 투자 리스크' 라고 선언하고, 블랙록이 '지속가능성을

투자 접근방식의 중심에 둘 것이다' 란 내용의 서한을 고객과 CEO

에게 발송했다.14 또한,'가까운 미래에, 대부분의 예상보다 빨리 기

후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상당한 자본 재분배가 일어날 것이다' 고

예상했다.15

블랙록 지속가능성 전략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수익의 25% 이상이 발전용 석탄(thermal coal)에서 발생하는

기업에 대한 직접투자 중단

· 기후변화 재무정보공개 태스크포스(TCFD) 및 지속가능회계기

. 준위원회(SASB)의 권고사항에 따른 보고서를 제공하지 않는 경

영진에 반대하는 투표를 할 것을 서약

· 액티브 투자 전략에 ESG 기준을 엄격하게 적용

· 보다 지속가능한 투자 자금 제공16

블랙록의 펀드 규모와 영향력으로 이러한 전략이 주로 주목을 받

았지만, 다른 투자자들도 마찬가지로 기업들이 기후변화에 대해 대

응하도록 압력을 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블랙록이 가입한 기후 대

응 100+(Climate Action 100+)은 450건 이상의 투자자 서명을

받고 수십 개 국가에서 40조 달러 이상의 자산을 관리하는 운용사

를 대표하는 이니셔티브로, 탄소 배출량이 많은 기업을 겨냥하고 있

으며 가장 큰 투자자 주도형 참여 이니셔티브 중 하나로 성장했다.17

여전히 단기 수익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투

자자의 노력은 글로벌 비즈니스 및 금융, 특히 E&R 산업에 장기적

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기술 비용 하락

기술 비용의 급격한 하락은 E&R 기업의 탈탄소화 전략 실행에 도

움이 된다. 대규모 신재생 에너지 도입의 핵심 기술인 에너지 저장

(energy storage) 기술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블룸버그 뉴에너지

파이낸스(BNEF)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배터리 팩의 평균 시장

가격은 2010년 1,100$/kWh에서 86% 낮아져 2019년엔 156$/

kWh를 기록했다.18 BNEF의 예측에 따르면 배터리 팩 가격은 2023

년에 약 100$/kWh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세계 경

제 전반에 전기화(electrification)를 촉진할 것으로 보인다.19

또한, 사물 인터넷(IoT)과 블록체인,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AI

기반 에너지 관리(AI-enabled energy-management), 거래 플

랫폼과 같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기존의 에너지 및 재생 에너지 가

치사슬 모두에서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낮출 것으로 예상된다.

변화를 위한 기회

상기의 동인이 강화되고 융합됨에 따라 E&R 산업 내 많은 선두

기업들이 탄소배출 저감과 재생에너지 활용 및 기후 관련 리스크 해

소에 관한 목표를 공개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최근 딜로이트의 에

너지 전환 설문조사에 따르면 E&R 기업 최고경영진 중 89%는 화

석연료 의존도를 줄이는 전략을 개발할 예정이거나 이미 개발 중이

라고 응답했으며20, 그 중 30%는 이미 전략 개발을 완료했다고 응

답했다. 에너지 전환에 대해 일부 E&R 기업은 정부 대응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대부분의 기업은 10~30년 중장기 시나리오 계획을 통

한 기업의 변화 기회로 인식하고 있다.

지금까지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은 주로 전력 및 유틸리티(재생

에너지 포함) 부문이 주도했다. 세계경제포럼(WEF)이 의뢰한 분석

에 따르면 2015년 이후 전 세계 주요 전력 회사 및 유틸리티의 탄

4

소개글

Page 5: 2030 탈탄소화 과제 · 2021. 1. 9. · 2030 탈탄소화 과제 소배출량이 크게 감소했다.21 데이터 애널리틱스 전문회사인 포인 트 380(Point380)이 전

2030 탈탄소화 과제

소배출량이 크게 감소했다.21 데이터 애널리틱스 전문회사인 포인

트 380(Point380)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을 모니터링하는 비영리

단체 CDP에 보고되는 기업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

면22, 탄소배출량의 감축은 다음을 포함한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판단할 수 있다.

· 탄소가격제(Carbon pricing scheme) 및 신재생 에너지 공급

의무화 제도(RPS 제도)와 같이 발전사들이 석탄화력 발전소를

줄이도록 하는 녹색 정책(green policy).

· 석탄으로부터의 탈피를 위한 가교연료(bridge fuel)로 사용되

고 있는 저비용 청정 연소 천연가스의 풍부한 양

· 재생 에너지에 투자하고 기술 가격을 낮추도록 유도하는 지원

인센티브

· RE100 이니셔티브와 같이 전력을 100% 재생에너지로 조달하

겠다는 대규모 상업 및 산업 고객의 약속23

이러한 진척 상황을 바탕으로 일부 전력 및 발전회사들은 규제

당국의 추가적인 요청 없이도 스스로 기준을 높이고 있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 다국적 에너지 기업인 에넬(Enel)은 많은 기업들이 설정한

2050 목표보다 훨씬 앞선 2030년 탄소 중립 목표를 설정했다.24

에넬은 이 목적을 달성하고자 재생에너지 발전 포트폴리오를 확장하

기 위한 글로벌 투자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25

광물 및 금속산업은 일찍이 기업 운영의 사회 허가(Social

License to Operate, SLO)를 유지하기 위한 일환으로 온실가스

(GHG) 배출량을 줄이라는 대중의 요구를 받았다. 결과적으로 일

부 기업은 이미 운영을 전기화하고자 노력하고 있고 제련과 석회화

같은 에너지 집약적인 공정의 탈탄소화를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개발하고자 산업 협회 및 기타 그룹과 협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19년 7월 BHP는 탄소 저배출 기술 및 자연 기후 솔루션에 5년

간 4억 달러를 투자하고 간접 배출(scope 3, 물류 및 협력사 등 기

업 외부 배출)을 해결하기 위한 파트너십을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발표했다.26 이후, BHP는 약 3억 5천만 달러의 투자 기회를 발견하

고 현재 자금 배분을 시작하고 있다. 초기 투자는 재생에너지 구매를

통한 운영 부분에서의 배출량 감축과 제강 부분의 탄소 간접 배출

(Scope 3)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며, 특히 광범위한 사용

으로 확장될 가능성이 있는 새로운 기술에 중점을 둘 것이다.27

마찬가지로 리오틴토(Rio Tinto)는 향후 5년간 기후 관련 프로

젝트에 10억 달러를 지출할 계획이다.28 그 외에도 석탄 생산을 중

단하였으며,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에 대한 자산 별 검토에 합의하

고 감축 목표 달성이 어려운 부문에서의 진전을 가속화하기 위해

에너지 변화 위원회(ETC)에 가입하였다.29 한편, 시멕스(CEMEX)

는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CO2) 배출량 35% 감축하겠다는 야

심찬 전략을 발표했다.30

핵심 비즈니스 모델이 탄화수소의 생산 및 가공인 정유·석유화학

부문의 기업들은 대체적으로 변화가 더딘 편이다. 그렇지만 몇몇 기업

들은 현재 운영 방식을 비롯하여 사업을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이용하고 있다. 쉘(Shell)과 랩솔(Repsol),

에퀴노르(Equinor), 토탈(Total), 브리티시 페트롤리엄(BP)은 사업

다각화를 위한 초기 투자 계획을 수립하고 탄소배출량 저감을 위한

장기적 에너지 집약도 목표를 설정했다.31 이들의 계획에는 태양광과

5

Page 6: 2030 탈탄소화 과제 · 2021. 1. 9. · 2030 탈탄소화 과제 소배출량이 크게 감소했다.21 데이터 애널리틱스 전문회사인 포인 트 380(Point380)이 전

풍력, 수소, 바이오 연료와 같은 재생 에너지원에 대한 투자를 비롯

하여 배터리 팩 및 그리드 밸런싱(gird balancing) 기술 같이 보조

적인 저탄소 사업으로의 확장이 포함된다.32

추가로, 메이저 석유기업(Oil Major)의 공헌 규모가 E&R 산업

의 판도를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10년 안에 BP의 저탄소 투자 금

액이 연간 50억 달러로 10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33 이 투자는

재생에너지와 바이오 에너지, 탄소포집·저장·활용기술(CCUS)등

다양한 저탄소 기술을 포함할 것으로 예상된다.34 마찬가지로, 토

탈(Total)은 재생에너지 분야의 선도적인 글로벌 시장 참가자가

되겠다는 의사를 밝혔고, 이러한 목표 달성에 상당한 자금을 할당

했다.35 현재 동사는 자본적 지출(CAPEX) 중 10% 이상을 저탄소

전기에 활용하고 있으며, 2030년 혹은 그 이전에 비중을 20%로

늘릴 계획이다.36

이와 유사하게 몇몇 다국적 화학 기업들은 지속가능성을 중심으

로 한 혁신적 이니셔티브에 착수했다. 예를 들어, 듀폰(DuPont)

은 순환경제 원칙을 사업 모델에 통합하고, 제품 및 프로세스 전체

를 그린 케미스트리(green chemistry) 원칙을 포함한 지속가능

성 기준을 활용하여 설계하며, 재생에너지로부터 전력의 60%를

조달하는 등의 방법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30%로

감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37

사업을 재편하려는 욕구는 세계적 거대 기업에만 국한된 것이 아

니다. 예를 들어, 석유, 가스 및 화학사업과 저탄소 벤처기업을 통합

한 에너지 기업인 옥시덴탈(Occi-dental)은 최근 탄소포집·저

장·활용 기술(CCUS) 활용과 이산화탄소에 대한 다른 경제적 응용

방안을 개발하여 완전한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는 과감한 목표

를 발표했다.38

에너지의 미래로 나아가기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이 추진력을 얻고 있지만, 아직 노력해야 할

부문이 많다. 2019년에 호주 모니터 딜로이트(Monitor Deloitte

Australia)는 전 세계 112개 기업에 대한 시장 조사를 수행했으며

그 중 69%가 에너지, 자원 및 산업재 부문의 기업이었다. 조사는

2017년에서 2019년 중반까지 공시된 자료 및 지속가능경영보고

서 내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행되었다. 이 기간 동안 112개 기업은

총 45억 3,00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했으며, 이 중 96%는 석

유 및 가스, 화학, 광업 및 금속, 전력 및 발전 등의 E&R 산업에서

배출되었다. 이러한 수치는 보고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과제의 규모가 크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

탈탄소화는 고된 일을 수반한다. 이 목표를 추구하는 기업은 에

너지 및 원자재를 공급, 사용 및 소비하고 다수의 이해관계자에게

이를 설명하는 운영 방식에 혁신적인 변화를 일으켜야 한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투자자와 정부의 상당한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 에

너지 전환은 E&R 기업 간 상호작용 방식과 산업 간 융복합 방안과

관련하여 산업 전체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다음 장의 분석에서는 본 리포트의 목적에 따라 온실가스 프로

토콜(Greenhouse gas protocol)이 제시한 탄소배출 분류 체계

를 사용한다. 기업 자체 배출 중 Scope 1은 소유 혹은 통제 하에 있

는 에너지원에서 발생하는 직접 배출을 의미하며, Scope 2는 구매

한 에너지 생산에서 발생하는 간접 배출을 나타낸다. Scope 3은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에서의 배출을 포함하여 기업 가치사슬 내

에서 발생하는 모든 간접 배출(Scope 2에는 포함되지 않은)을 의

미한다.39

6

소개글

Page 7: 2030 탈탄소화 과제 · 2021. 1. 9. · 2030 탈탄소화 과제 소배출량이 크게 감소했다.21 데이터 애널리틱스 전문회사인 포인 트 380(Point380)이 전

2030 탈탄소화 과제

화학산업

전력, 유틸리티 및

재생에너지 산업

석유 및 가스 산업

광물 및 금속 산업

7

Page 8: 2030 탈탄소화 과제 · 2021. 1. 9. · 2030 탈탄소화 과제 소배출량이 크게 감소했다.21 데이터 애널리틱스 전문회사인 포인 트 380(Point380)이 전

2030 탈탄소화 과제

화학산업

화학 산업은 공급 원료와 에너지원으로 모두 사용되는 탄화수소를

기반으로 운영된다. 탄화수소 배출량은 쉽게 줄일 수 없다는 특징이

있어 화학 부문이 '탄소 저감이 어려운' 부문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하지만 화학 산업은 많은 가치사슬에서 구성 요소의 역할을 하기 때

문에 화학 산업에서 탈탄소화가 진전을 이룰 경우 그 효익은 화학 산

업뿐 아니라 수많은 산업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화학산업의 탈탄소화 동인

앞서 언급한 동인 외에도 규제와 과학적 압력에 의해 탈탄소화가

추진되고 있다. 과거에는 미미했던 기후변화의 영향력이 최근 명백

하게 드러났으며, COVID-19 팬데믹에서 경험한 것처럼 기후 변화

가 보건 위기를 더 심각한 수준으로 전개시킬 것이라고 믿고 있는 과

학자들도 있다.40 대중들이 플라스틱 쓰레기와 소비한 제품을 부적

절하게 처리하는 것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함에 따라, 화학 부문도

이에 대한 정밀 조사를 진행하게 되었다.

오늘날 사회적 압력은 회사 안팎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규제보다

훨씬 더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것으로 보인다. 주주 가치는 기업의

브랜드와 명성에 따라 달라지고, 무책임한 기업은 투자자와 고객을

잃게 될 것이며, 직원들은 사회적 가치에 대한 기업의 행동을 더 의

식하게 되었다. 규제는 원동력이 되기보다는 이런 변화하는 의식이

발현된 결과물이며, 이러한 맥락에서 일회용 비 생물분해성 플라스

틱에 대한 금지 규제도 점차 늘어났다고 볼 수 있다.

사회적 책임에 대한 화학 부문의 접근방식이 상당한 주목을 받

고 있다. 접근방식의 적용 범위는 화학 산업의 탄소배출을 넘어 부

산물까지 드릴다운(drill down)되며, 기업에 소비자들이 배출한 폐

기물에 대한 책임을 묻는 것까지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세계에서 가

장 큰 플라스틱 제조국이자 소비국인 중국은 전국에서 일회용 플라

8

Page 9: 2030 탈탄소화 과제 · 2021. 1. 9. · 2030 탈탄소화 과제 소배출량이 크게 감소했다.21 데이터 애널리틱스 전문회사인 포인 트 380(Point380)이 전

9

스틱을 줄이기 위한 세부계획을 발표했다. 2020년 말까지 주요 도

시에서 비생분해성(non-biodegradable) 비닐봉투의 사용이 금

지되고, 2022년 말까지는 이 금지 조치가 모든 시, 군으로 확대될

예정이다.41

전세계적으로 화학 부문은 재활용 및 자원 회수(resource

recovery)뿐만 아니라 자체적인 탈탄소화를 위해 다양한 방법

으로 대응하고 있다. 예를 들어, 유럽 화학 부문은 EU 그린딜의

일부이자 COP21 기후 해결 달성에 기여하기 위한 방법으로 2050

년까지 탄소 중립을 약속했다.42 가치사슬 내 다른 사업자들과 제휴

하면서 대규모 폐기물 연료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일도 비일비

재하다. 다우케미칼(Dow Chemical)은 최근에 네덜란드 Fuenix

Ecogy 그룹과 제휴를 맺고 재활용 플라스틱 폐기물로 만든 열분

해 오일을 공급하였고, 누리온(Nouryon)은 에어리퀴드, 로테르담

항, 쉘과의 협업에 합류해 첨단 바이오메탄올 생산을 위한 폐기물

화학화 공장을 개발하기도 했다.43

화학 기업이 통제할 수 있는 탄소 배출 종류

운영 시 자체 발생(Scope 1,2)하는 탄소 배출 문제는 이론적으

로 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화학 기업들은 염소나 포

스겐과 같은 유독 가스를 생산 시 모든 배출물 및 부산물을 포집

하도록 폐 루프 시스템(Closed-loop-system)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기술이 아니라 비용이 문제가 된다. 반면, 간접배

출(Scope 3) 또는 고객과 제3자 공급업체의 탄소 배출은 더욱 복

잡한 기술적 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일부 화학 기업들은 탈탄소화 전략을 추

진하고 있으며 다음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 화학 물질과 재료를 생산하기 위한 자원 및 에너지효율 개선.

화학업계에서 지속적으로 잘 추진되어 왔으나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하는 예측 분석, 고급 시각화 및 에너지 관리 애플리케

이션과 같은 디지털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더욱 개선될 여지가

있다.

· 식물성/동물성 지방, 설탕, 리그닌, 헤미셀룰로스, 전분, 옥수수

또는 조류와 같은 지속가능한 폐기물(sustainable waste) 또는

바이오 기반 원료(bio-based feedstocks)의 사용. 이러한 종류

의 지속가능한 공급원료들은 알코올, 유기산, 폴리에스터와 같

은 생물 기반 화학 물질 생산에 도움을 준다. 그러나 식품, 바이

오 연료 및 바이오 에너지 애플리케이션과 경쟁을 벌이고 있고,

토양 침식, 물 부족, 토지 사용, 생물 다양성 감소 및 농약 사

용에 따른 물리적 제한으로 해당 공급원료 사용도 제한적이다.

지속 가능한 공급 원료는 자원 및 물류 측면에서 효율성이 낮

은 경향이 있다. 1톤의 메탄올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2.5톤의 리

그노셀룰로오스나 8톤의 설탕과 긴 운송 거리가 투입된다는 점

이 그 예다.44

· 폴리머, 고무, 배터리, 포장 재료, 용제, 열 전달 유체, 윤활유

등과 같은 초기재료(virgin materials)로부터의 생산 방지.

이것은 재사용, 기계적 또는 화학적 재활용이나 다른 응용 분

야의 대체 사용을 통해 자재 루프를 폐쇄함으로써 달성이 가

능하다. 일회용, 생분해성이 아닌 플라스틱 및 기타 초기 재료들

의 가치가 상승함에 따라 쓰레기 처리량 감소라는 긍정적 효과

를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 물류과정, 재료 분리 및 회수 전반

에 걸쳐 순환작업이 실현 가능해지면 초기재료를 생산하지 않

는 것이 최적의 기후 중립적 솔루션이 된다. 그러나 순환작업이

동일한 응용 분야에서 동일한 제품을 생산하는 것만을 의미하

지 않는다. 효율성과 효과적인 측면만 본다면 재활용된 풍력발

전기 날개를 건설 자재의 추가 재료로 사용하거나 휴대 장비에서

추출된 리튬이온 배터리를 고정된 전력 제공원으로 사용하는

등 완전 다른 제품을 생산해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더 낫

다. 순환작업이 갖고 있는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상기에 언급한

재료들은 화학 부문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 정도에 그쳐,

거의 모든 재료가 재순환 되더라도 그 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45

화학 산업에서 설정한 탄소 배출의 장기 목표 중 40%는 지속가

능한 바이오 또는 폐기물 기반 원료(feedstocks)를 사용하고 환

경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자원 순환 과정을 운영하는 등 에너지 및

자원 효율성을 최대화시키면 이론적으로 달성이 가능할 수도 있

다.46 그러나 탄소 배출 감축 목표 중 나머지 60%는 어떻게 달성 할

것인가?

화학산업

Page 10: 2030 탈탄소화 과제 · 2021. 1. 9. · 2030 탈탄소화 과제 소배출량이 크게 감소했다.21 데이터 애널리틱스 전문회사인 포인 트 380(Point380)이 전

2030 탈탄소화 과제

현실적인 고려사항

나머지 60%의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풍부

하고 값싼 재생산 에너지가 필요하다. 기후중립(climate neutral)

을 위해서는, 태양광(PV 또는 집중형), 풍력, 바이오 에너지, 폐기

물 에너지화, 열 펌프, 에너지 저장, 수력(조력 또는 파도), 지열 또

는 녹색 수소 등 재생가능한 에너지원에 의해 화석 탄화수소를 완

전히 대체하는 운송 시스템 및 화학공정의 전기화가 필요하다. 이

공정은 또한 화석 탄화수소 기반 공급원료로 폐기물, 바이오매스

또는 순환체계를 통해 공급되는 것 이상으로 기후 중립적 공급원료

(climate-neutral feedstocks)를 대체해야만 한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녹색 수소의 필요성이다. 물에서 수소를

만드는 것은 천연가스나 석유에 비해 6~8배 더 많은 에너지가 필

요하다.47 현재 유럽 화학 산업이 녹색 수소로 운영된다면 오늘날

유럽 전체가 소비하고 있는 양의 에너지가 필요하다.48 기후중립

수소는 탈탄소화의 핵심인데, 이는 화학 산업의 이산화탄소 배출

량(제품화된 전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9개의 핵심 화학 구

성 요소(클로로인, 암모니아/요소, 메탄올, 에틸렌/프로필렌, 벤젠/

톨루엔/자일렌)의 생산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49

녹색 수소에 대한 현실적인 사항들을 고려하면, 재생에너지를 너

무 많이 소비하면서 플라스틱과 화학물질을 만드는 것이 타당한

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된다. 아마도 이러한 재생에너지는 다른 용

도로 사용되어야 할 것인데, 그것은 탄소 포집 및 저장기술(CCS)

이 될 수도 있고, 탄소 포집 및 사용(CCU) 등이 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탄소가 새로운 기술에 의해 새로운 제품과 공정을 위한 원료

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반 소비자들이 최종소비 제품의 환경 영향에 대해 더 많이 알

게되고 친환경 대체품을 기꺼이 받아들이게 되면서 기존의 많은 플

라스틱과 화학물질에 대한 수요가 감소할지에 대한 중대한 문제

또한 남아있다. 소비자들이 좀 더 환경 친화적인 제품을 쉽게 받

아들이고 있다는 사실이 시장을 통해 확인되었다. 생분해성 해조

류 기반 포장지, 옥수수로 만든 필름을 사용하는 플리스틱 없는

기저귀, 합성 거미줄과 민들레 고무로 만든 타이어, 일회용 튜브가

필요 없는 치약 알갱이 등 다양한 제품을 통해 전 세계 스타트업

과 기존 기업 모두 동력을 얻고 있는 상황이다.

10

Page 11: 2030 탈탄소화 과제 · 2021. 1. 9. · 2030 탈탄소화 과제 소배출량이 크게 감소했다.21 데이터 애널리틱스 전문회사인 포인 트 380(Point380)이 전

2030 탈탄소화 과제

석유 및 가스 산업 세계 석유 및 가스 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COVID-19는 글로벌 수요

를 감소시켰고 OPEC과 다른 주요 생산자들 간의 유가 전쟁은 초과

공급으로 이어져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 운영에 큰 타격을 주었다.

일부 기업들이 탄소 배출량 감소를 단기 우선순위로 삼을 수도 있겠

으나, 현 위기에서 살아남는 기업들은 현재의 어려운 시장 상황으로

인해 탈탄소화 전략을 명확히 하고,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검토 및

설비투자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접근할 것으로 보인다.

석유 및 가스 산업의 탈탄소화 동인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석유 및 가스 기업들은 배출량을 줄여야

한다는 압박을 도처에서 느끼고 있으며, 투자자들의 요구가 특히 직

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2020년 3월 6일 UBS는 더 이상 북극 지방 해

양 시추 작업에 자금을 지원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50 웰스파

고(Wells Fargo & Company)와 골드만삭스(Goldman Sachs)

등 다수의 미국 은행들도 이미 유사한 정책 변경을 발표한 바 있다.51

투자자들은 지구 온도 상승폭을 2℃ 이하로 제한하려는 기조에 맞는

석유 및 가스 기업의 장기적 투자전략을 요구하고 있다.

석유 및 가스 기업이 통제 할 수 있는 탄소 배출 종류

석유 및 가스 기업들은 운영 과정에서 발생(Scope 1, 2)하는 배출

량을 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공통의 완화(mitigation) 전략은 다음의

사항을 통해 가치사슬의 탄소 집약도를 낮추는 데 중점을 둔다.

· 전력 요구량을 충족하기 위한 운영과정의 전동화 및 재생에너지의

통합

· 에너지 효율 개선 및 에너지 집약도 저감

· 수소, e-fuel/합성 연료, 바이오연료, 암모니아 등 탄소배출량이 적

거나 전혀 없는 연료 적용

· 연료 소비 절감을 위한 로지스틱스 개선. 예를 들어 공유 경제 원칙

을 적용하여 일부 사업자는 운송 시간 및 물량을 최적화하기 위해

트럭, 선박 및 헬리콥터를 사용하여 운송을 조정

· 에너지 효율 개선 및 배출량 감소를 위해 공통의 기준 수립 및 선

도적인 관행 확립

· 루틴 플레어링(routine flaring) 감소

· 메탄 포집 도입

· IoT 센서, 디지털 트윈, 가상현실(VR) 등 디지털 도구를 활용

11

Page 12: 2030 탈탄소화 과제 · 2021. 1. 9. · 2030 탈탄소화 과제 소배출량이 크게 감소했다.21 데이터 애널리틱스 전문회사인 포인 트 380(Point380)이 전

해 생산과 저장 관리를 최적화하여, 시나리오 설계와 운영 모니

터링을 수행하고 배출량 및 에너지사용량을 추적하며, 설비를 사

전 예방적으로 유지

· 탄소배출량이 낮은 제품 생산 – 탄화수소에서 다른 에너지원으로 전

환(예: 석탄에서 가스로 전환)하거나, 다른 제품을 생산(예: 바이

오 연료 또는 합성가스)

· 재사용 확대 및 적층 제조를 통한 폐기물 저감 및 공급망 유연성

확대

현실적인 고려사항

전환 과정에서 투자자를 만족시키고 실현 가능한 시스템을 유지

하기 위해 석유 및 가스 기업들은 반드시 비즈니스 모델 전환에 필

요한 두 가지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 다양한 에너지 형식으로 다각화 전략을 취하고 기술을 최대한 활

용할 것. 일부 기업은 풍력, 태양광 발전 같은 재생에너지 가동 확

대에 따른 전력망 균형유지를 위한 스마트기술 또는 녹색 수소

생산과 같은 에너지 효율적 방법을 통해 재생에너지에 대한 역량

을 강화화기로 결정했다. 태양광 설치나 전기차(EV) 충전소 등

보조 부문의 기업을 인수하여, 탄소 저배출 제품에서 무공해 제

품 포트폴리오로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전략과는 무관하게 주

목할만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다수의 석유 및 가스 기업들이

업스트림 자산보다는 다운스트림 고객들을 통해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전환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석유 및 가스 기업은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기와 함께 바이오

연료를 제공하기 위해 소매 전력 공급업체를 인수하는 방식을 취

하기도 한다.

· 간접 배출(Scope 3)을 비즈니스 기회로 전환. 또 다른 방안은

이산화탄소를 단순히 통제해야 하는 폐기물로 치부할 것이 아니

라 가치 있는 원료로 만드는 것이다. 이산화탄소를 다양한 건축

자재, 화학 물질, 연료의 공급 원료로 사용하는 시장 규모가 수

조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산화탄소의 가치는 개선된

유회수 공정에서 이미 입증되었다. 어떤 이산화탄소 사용 사례

는 공상과학 소설에 나올 법 하기도 하다. 예를 들어 C2CNT

라는 캐나다 기업이 '용융 전해(molten electrolysis)'를 이용

해 이산화탄소를 강철보다 강하고 전도성이 높은 탄소나노튜

브로 직접 변형시킨 사례가 있다.52 탄소 포집 기술 또한 빠르게

발전 중이다.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엔지니어들은 최근 공기에

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53 기존의 탄

소 포집 기술과는 달리, 이 시스템은 발전소의 높은 배출량에서부

터 야외의 상대적으로 낮은 배출량에 이르기까지 모든 농도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54 아직 상업적으로 실행 가능한 단

계는 아니지만, 이러한 종류의 신기술은 시장의 호응을 얻는 기반

이 되고, 더 나아가 탄소 포집 분야의 경쟁이 가속화되어 상품성

또한 얻을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다수의 석유 및 가스 기업들이 비즈니스 모델을 바꾸면서, 동시에

기존의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사업에 대해 탈탄소화 방안을 동시

에 고려 중이며, 해당 과정을 가속화하기 위해 생태계 내 파트너들

과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BP는 최근 '자원 생산에 주력하는 국제 석유 회사에서

고객을 위한 솔루션 제공에 주력하는 통합 에너지 회사'로 전환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과 함께, 늦어도 2050년까지 '넷제로(net zero)'

로 전환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55

12

석유 및 가스 산업

Page 13: 2030 탈탄소화 과제 · 2021. 1. 9. · 2030 탈탄소화 과제 소배출량이 크게 감소했다.21 데이터 애널리틱스 전문회사인 포인 트 380(Point380)이 전

2030 탈탄소화 과제

13

이러한 전환의 일환으로 BP는 2030년까지 약 50기가와트에 달

하는 순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을 도입하고, 10~15개 도시 및 3개 핵

심 산업과 협력하여 탈 탄소화 노력에 참여하며, 고객 상호 작용을

하루 2천만 건까지 두 배로 늘릴 계획이다.56

한편, 렙솔(Repsol)은 파리 협정이 설정한 기후 목표에 따라

2050년까지 넷제로 달성을 약속한 첫번째 에너지 기업이다.57

2025년, 2030년과 2040년에 대한 단계적인 탄소저감 목표를 설

정했으며 운영과정 및 제품에서 배출되는 탄소저감 전략을 수립했

다.58 이 전략에는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시장을 개발하기 위한 자

동차 제조업체와의 협력이 포함되어있다.59 예를 들어, 렙솔은 기

아자동차와 제휴하여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을 제공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인 위블(WiBLE)을 만들었다.

쉘(Shell)은 다양성과 생태계 참여가 포함된 순탄소발자국에 대

한 목표를 발표했다. 최근에는 2022년 말까지 이를 3%~4%까지

줄이는 단기 목표를 발표했으며 3년 또는 5년 단위의 목표를 매년

설정하겠다고 발표했다.60 이 기업은 또한 임원급과 약 16,500명의

직원 급여를 탄소 감축 목표와 일부 연동하기도 했다.61

또한 쉘은 다른 사업 부문의 탈탄소화를 지원하여 가치사슬 내

의 배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62 이러한 목적 하에

서 운송 부문의 배출량을 줄이는 방법에 대한 업계 관점을 요약한

보고서를 Deloitte와 공동으로 제작 및 발표하기도 했다.63 '탈탄

소화와 운송: 협력 방안'이라는 보고서는 22개국과 해당 산업의 거

의 모든 부문을 대표하는 해운사 고위 임원들의 견해를 제시하고,

12가지 잠재적 솔루션과 권고안을 제시했다.64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려움은 항상 존재한다. 일부 기업에게는 재

무 모델의 차이가 어려움으로 작용한다. 최근의 유가 하락으로 격

차가 줄었지만 업스트림 비즈니스는 이제껏 재생 에너지보다 높

은 이윤을 창출해왔다. 반면 재생 가능한 발전 자산으로 이루어진

포트폴리오 개발은 통상적으로 해양이나 다른 어려운 지역에서 시

추를 하는 것보다 리스크가 낮다.

기존의 석유 및 가스 투자자들은 같은 기업이 다른 비즈니스 포

트폴리오를 운영하는 상황에 적응해야 하기때문에, 변화하는 리스

크와 재무적 요인들이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석유 및 가스 기업은 개발하려는 비즈니스뿐만

아니라 기존 비즈니스의 리스크 특성과 수익률에도 부합하는지 확

인하기 위해 기업의 배당 정책을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어려운 시장 상황 속에서 거의 모든 석유 및 가스 기업들은 자본

을 더 엄격하게 배분하고 있다. 익숙한 지역에만 투자하는 일부

기업이 있는 반면, 수요가 낮은 환경에서 실행 가능성이 있는 프

로젝트로만 자본 지출을 제한하는 기업도 있다. 이 프로젝트에는

CCUS, 연료화 된 폐기물, 공급 전환된 폐기물, 전력 및 정보의

양방향흐름을 지원하는 스마트 그리드와 같이 순환경제를 지원하

기 위한 신기술 개발이 포함된다. 자본배분이 더욱 면밀히 검토되

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대규모의 탐사 개발 프로젝트는 한동안

제약을 받을 수 있다.

Page 14: 2030 탈탄소화 과제 · 2021. 1. 9. · 2030 탈탄소화 과제 소배출량이 크게 감소했다.21 데이터 애널리틱스 전문회사인 포인 트 380(Point380)이 전

2030 탈탄소화 과제

전력, 유틸리티 및 재생에너지 산업전력 및 유틸리티 산업의 기업들은 타 부문 대비 빠른 속도로 탈탄

소화를 발전시키고 있다. 산업 정책이 이러한 변화를 일부 촉진시키고

있지만, 대부분은 경제적 요인에 기인한다. 석탄을 대체한 천연 가스

는 에너지 부문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크게 감소시켰다. 풍력과

태양광 발전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사용가능한 저렴한 자원 중 하나이

며, 배터리 저장 비용이 급감했다. 기술적 발전으로 인해 발전, 송전 및

배전 전반에 걸쳐 에너지 효율성이 향상되었고, 마이크로 그리드

(microgrid), 커뮤니티 솔라(community solar), 개인 간 에너지 거

래(peer-to-peer energy trading)와 같은 새로운 에너지 공급 모

델 도입의 기초 토대가 마련되었다. 전력 부문 또한 전기차 사용, 특정

산업군에서의 움직임 등으로 인해 혜택을 보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고

객과 사회가 '친환경'적인 서비스 및 제품 개발을 촉구하고 있다. 이로

인해 여러 분야에서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가 제공되기 시작하였다(에

너지 효율, 에너지 공급 및 저장, 스마트 에너지 관리, 에너지 시스템 유

연 서비스, 친환경 에너지 인증, 스마트 시티, 넷제로 및 LEED(미국 친

환경인증제도) 인증 빌딩65, 전기차 등). 전력, 유틸리티 및 재생에너지

부문에서 탈탄소화를 홍보하는 것은 고객과의 관계 형성에 주요한 영

향을 미치는 요소로 자리잡게 되었다.

전력, 유틸리티 및 재생에너지 산업의 탈탄소화 동인

전력 및 유틸리티 산업의 동인은 타 부문과 동일하다. 그러나, 전기

생산이 세계 온실가스 전체 배출량의 31%라는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다양한 재생 에너지가 이미 성숙기에 도달했기 때문에 전력 및 유틸리

티 산업은 다른 산업보다 먼저 변화의 압력을 받았다. 그로 인해 전력

및 유틸리티 기업들은 10년 전부터 탈탄소화를 위해 노력해오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아직도 석탄 발전을 통한 전기 생산이 대다수를 차

지하고 있지만, 전세계의 수많은 발전기업들이 재생에너지 포트폴리

오를 확장하고, 목표를 재정비하며, 열병합 발전소에 대한 의존도를 줄

이거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한편 건물의 에너지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력 피크수요 관리와 간헐성 문

제 해결이 필요하기 때문에 천연가스는 적어도 향후 10년간은 중요

한 역할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일부 발전사들이 기초 발전량 및 탄

소배출량 감소에 기여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수명을 연장하려는 움직

임을 보이지만, 원자력 발전소 및 원자력 폐기물 문제는 여전히 부정

적인 시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14

Page 15: 2030 탈탄소화 과제 · 2021. 1. 9. · 2030 탈탄소화 과제 소배출량이 크게 감소했다.21 데이터 애널리틱스 전문회사인 포인 트 380(Point380)이 전

전력 및 유틸리티 산업에는 자체적인 문제점에 직면한 천연가스

유틸리티 부문이 포함되어 있다. 천연가스는 여전히 가정 난방의 주

원료이자, 상업, 산업 부문의 에너지 원천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수

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조는 향후 얼마간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

다. 그러나 에너지 전환의 모멘텀을 맞이하고, 새로운 기술이 등

장하게 되면서 장기적인 미래 전망은 불분명한 상황이다. 일례로,

미국에서는 전기만을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것을 독려하거나 요

구하는 초기 움직임이 일고 있다. 몇몇 도시에서는 주요 신규 건축

물에 대해 가스배관 사용을 금지하는 지역 정비 법안 제정 및 건축

물의 완전 보수에 착수했다.66 한편, 영국에서는 정부 주도로 저명

한 엔지니어들이 합작한 연구 끝에 국가 가스 공급 체계의 천연가

스를 수소 가스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여 대체 방안 마

련이 가시화되었다.67

이러한 발전에 힘입어, 전력 및 유틸리티 산업의 소규모, 지역 발

전소 및 대규모 투자자 소유 기업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재생 에너지

개발 및 고객들이 탄소 발자국을 줄여나갈 수 있는 상품 및 서비스

를 반드시 개발해야만 하며, 그렇지 못한다면 사업 지속이 어려워

질 것임을 충분히 이해하게 되었다.

전력 및 유틸리티 기업이 통제할 수 있는 탄소 배출 종류

운영시 직접적으로 발생하는(Scope 1과 2) 탄소배출은 전력 및

유틸리티 기업에서 통제가 가능하며, 상당히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

는 것으로 보인다. 통제 및 관리는 고객의 효율성을 개선하고, 생산

을 고객에게 직접 맡기고(예: 태양광 발전 패널 설치), 가정에서

의 에너지 사용을 모두 전기로 전환하게 하여(예: 전기차, 온열

온수기, 열펌프, 배터리 등) 그들로 하여금 '프로슈머(prosumers)'

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공급자는 연료 생산자, 장비 생산

자, 로지스틱스 및 서비스 제공을 하는 제3자로부터 발생하는 탄

소 배출량을 줄이거나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현실적인 고려사항

전력 및 유틸리티 산업에서 진행 중인 탈탄소화는 역사적 선례

가 없어서 향후 데이터에서 인사이트를 추출하고 관리하는 능력

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 엄청난 변화들이 상당히 위협적

으로 다가오기도 하겠지만, 리테일 역량, 그리드 전송 및 유통, 생

산이라는 가치사슬의 3개 주요 부문에서 향상된 분석 및 시나리오

모델링을 통해 변화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및 수익 창출원을 만

들어낼 기회로 보는 일부 시각도 존재한다.

기업들은 가정, 상업, 산업 고객들을 면밀히 이해하면서 고객 생

애 주기에 따라 적정한 시점에 매력적인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

하여 리테일 역량을 향상시켜야 한다. 기업들은 산업 내에서 새롭

게 등장하는 수많은 기업들과 현재 시장 내 경쟁사의 새로운 비즈

니스 모델이 나타나는 상황에서 생존을 위해 혁신 프로그램을 확

장시키는 것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68 다양한 상품 및 서비스를

개발하려면 혁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은 필수적이다. 기업들은 고

객이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수용하고, 의사소통의 새로운 장을

주재하기 위해 제3자와 협력하여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을 구상해

보아야 한다. 나아가, 디지털 채널을 통한 고객 관계 관리 등을 비

롯하여 서비스 제공의 질을 높이는 것이 주요 차별화 방안이 될 것

이며, 디지털화 확대는 영업비용 감소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분산형 자원 관리(DRM) 기술 외에도 에너지 저장 기술의 발전

이 탈탄소화 속도를 크게 좌우한다. 현재의 리튬이온 배터리는 그

리드 스케일 저장 장치의 기본 옵션이지만,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방식으로 몇 시간 동안만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 다행히도 플로우

배터리, 압축 공기 시스템, 액체 공기 시스템, 플라이휠(flywheel),

15

전력, 유틸리티 및 재생에너지 산업

Page 16: 2030 탈탄소화 과제 · 2021. 1. 9. · 2030 탈탄소화 과제 소배출량이 크게 감소했다.21 데이터 애널리틱스 전문회사인 포인 트 380(Point380)이 전

2030 탈탄소화 과제

스마트 플랫폼을 통한 그리드 부하(load on the grid)와 소비자 부담 경감

온라인에 진입하는 분산화된 자원이 많아질수록 전기 그리드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한 더 많은 기술적 해법이 필요하다. 첨단

디지털 서비스를 통해 지역 에너지 시장 진입을 원활하게 하는

Enel X 자회사 eMotorWerks와 LO3 Energy가 협업하여

전기차(EV) 충전에 따른 환경적 영향을 줄이면서도 전기차

소유자의 비용을 환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AI 기반 그리드

밸런싱 솔루션을 테스트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EmotorWerks

의 JiceNet EV 충전 플랫폼을 LO3의 에너지 시장 중 하나에 연

결함으로써 지역 재생에너지가 마이크로그리드 및 전기차 소유

자 간에 교환될 수 있도록 한다.

LO3의 ExergyTM 플랫폼은 가격 정보 제공과 사용자 간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데이터 교환을 지원하며, eMotorWorks의

JuiceNet 플랫폼은 전기차와 가정에서 발생하는 지역 내 전기

수요를 지역의 저렴한 그린에너지 공급업체와 실시간으로 연결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 프로젝트와 Enel X에서 진행 중인 기타

프로젝트의 이면에 있는 아이디어는 수요 대응을 통해 지역 그리

드 밸런싱(grid balancing)을 위한 에너지 자원으로 전기차를

활용할 시기와 방법, 전기차를 언제, 어떤 자원으로 충전할 것인

지 등, 소비자에게 에너지를 소비하는 방법에 대한 선택권을 제

공하는 것이다.

16

Source: Enel X company website, “A smart platform to enable EV charging with clean, local energy,” December 10, 2018, https://www.enelx.com/en/news-and-media/news/2018/12project-efficient-charging-micro-grid-electric-vehicles, accessed August 31,2020.

Page 17: 2030 탈탄소화 과제 · 2021. 1. 9. · 2030 탈탄소화 과제 소배출량이 크게 감소했다.21 데이터 애널리틱스 전문회사인 포인 트 380(Point380)이 전

축열 시스템(예: 용융염), 적층 블록(stacked block), 수소 등 장

시간 동안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발전 분야에서 기업은 화력발전소의 변형이나 해체 여부를 결

정함에 있어 적절한 기술과 적합한 장소를 선택하여 재생가능한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는 비용 효율적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이 계획은 국가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가치사슬의 모든 부문에서 기업에게 다음과 같은 과제가 주어져

있다.

· 새로운 경쟁업체와의 경쟁. 재생에너지의 발전은 중앙집중식

화석 연료 발전소 건설보다 진입장벽이 낮다. 변화하는 규제와

새로운 디지털 기술의 적용(예: 클라우드, AI, 로봇 프로세스 자

동화 등)은 소매 산업으로 새로운 참여 기업을 끌어들이고 있다.

이로써 홈서비스의 주요 공급자가 되고자 하는 기술 및 통신

대기업뿐 아니라 다수의 소규모 기업의 시장 진입도 용이해졌

다. 또한, 석유 및 가스 산업 내 주요 기업들이 에너지 포트폴

리오를 다각화하기 위해 이 분야에 진입하고 있다. 이러한 경쟁

업체들은 자본이 풍부하며,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다른

분야에 투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수익성 있는

사업을 갖추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 규제 환경 예측 및 영향 관리. 에너지 전환 시기에는 시스템

관리가 훨씬 더 복잡해지기 때문에 시스템 및 그리드에 대한

투자가 더욱 필요하다. 그러나 여러 국가의 규제 당국은 아직

까지 실행이 필요한 투자와 재정적 인센티브를 일치시키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전력 발전사가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

해 가스 화력 발전소를 건설해야 할 수는 있지만, 기존 5,000시

간 이상 발전소를 가동했던 것과 달리, 재생에너지 확대로 연

간 1,000시간 정도만 가동할 경우 경제성에 변화가 발생할 것이

다. 전력 그리드 기업은 분산형 발전소와의 더 높아진 연결성을

처리하기 위해 업그레이드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저장

장치 공급업체가 그리드에 창출하는 가치에 대한 보상 방법이

이슈가 될 수도 있다. 시장을 형성하고 적정 수익을 보장할 수 있

는 올바른 규제 프레임워크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전력 및 유틸리

티 회사들 입장에서는 추진할 프로젝트의 종류와 자금 조달 방

안을 선택하기가 어려워질 수 있다.

기업들은 규제 기관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투자가 고객가치, 만

족, 회복탄력성으로 이어지게 하고 가동시간 및 신뢰성 측면에서

의 성과 개선과도 연계되도록 하고자 할 수 있다. 정전 시에 작

동하는 예비(back-up) 마이크로그리드나 고객이 선택할 수 있

는 유틸리티 그레이드(utility-grade) 태양광 프로젝트 개발 등이

그 예이다. 기업들은 공평성의 문제도 관리해야 한다. 일각에서

는 많은 가정용 태양광 프로그램이 본질적으로 저소득층에게 불

리하다고 주장하는데, 모두가 태양광 패널을 설치할 여력이 되지

않고, 그리드를 유지하기 위한 공평한 분담(fair share)을 지불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그리드 편중화에

대한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그리드는 부유한 지역에

편중될 가능성이 있어 지역사회 전체가 소외될 위험이 있다.

· 디지털 툴 활용 및 효율적인 조직으로의 전환. 디지털화와 개선

된 인력 관리는 비용 절감에 크게 일조한다. 클라우드 기반의 고

객 서비스 및 빌링 시스템이 이러한 전환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직원 경험을 개선하고 보다 효율적인 개인 일정을 수립하며, 인

재 관리와 유지를 원활하게 하는 클라우드 기반 인적 자본 관리

시스템도 마찬가지다. 미국의 일부 규제 기관은 이러한 필요

성에 대응하여 클라우드 투자를 자본 비용으로 분류할 수 있도

록 허용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관점의 변화가 디지털화 프로그램

에 자금을 지원하고 적정한 투자수익률을 확보하기 위한 새로운

길을 열어준다.

· 새로운 성장 전략 결정. 에너지 수요가 저조한 선진국의 일부

전력 및 유틸리티 기업들에게는 국제화가 성장전략의 하나가 될

수 있다. 기업들은 또한 COVID-19 팬데믹을 극복하기 위한

자금 투입에 따라 예상치 못한 성장을 하게 될 수도 있다. 이러

한 위기 대응 방안이 다 발표된 것은 아니지만, 일부 정부는 경제

를 활성화시키고 사람들을 다시 직장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방

법으로 청정 에너지 프로그램과 인프라 프로젝트를 장려할 것

으로 예상된다.

17

전력, 유틸리티 및 재생에너지 산업

Page 18: 2030 탈탄소화 과제 · 2021. 1. 9. · 2030 탈탄소화 과제 소배출량이 크게 감소했다.21 데이터 애널리틱스 전문회사인 포인 트 380(Point380)이 전

2030 탈탄소화 과제

광물 및 금속 산업 광물 산업은 주로 전력화(electrification)와 재생에너지에 의존해

탈탄소화를 진행하고 있다. 어떤 면에선 광물 산업이 탈탄소화 방안

을 구상하는 것이 다른 산업에 비해 용이해 보일 수 있겠으나, 실제

수행은 보기보다 쉽지 않다.

광물 및 금속 산업의 탈탄소화 동인

투자자들은 광물 산업에 속한 다국적 대기업이 운영에서 발생하

는 탄소배출을 줄이도록 강하게 압력을 가하고 있다. 재생 에너지

비용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다국적 대기업들은 이러한 압력에 더 손

쉽게 대처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BHP는 호주 퀸즐랜드 주에

새로운 태양광 및 풍력 발전 단지를 개발하는 계약을 체결하여 이 지

역에서 태양열로 석탄 채굴 사업을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BHP는 호주 내 간접 탄소 배출을 5년간 20% 정도 감축할 것으로 보

인다.69 또한, BHP는 칠레에 있는 에스콘디다(Escondida)와 스

펜스(Spence) 구리광산을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하여 수입

LNG를 대체하는 내용의 재생에너지 계약을 체결하였고70, 담수

처리공장(desalination plants)에 투자하여 2030년까지 칠레 지

하수 사용량을 줄이기로 약속했다.71

여러 국가 및 지역 정책을 종합적으로 탐구함으로써, 많은 광

산업체들은 가장 시급한 공통 사항을 바탕으로 탈탄소화 전략을 설

계한 후 이러한 전략을 전사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광물 및 금속 산

업 기업들은 탄소 가격제(carbon pricing)와 규제 강화를 예상하

지만, 현재로써 이러한 사항이 주요 동인은 아니다. 탈탄소화 계획

을 표명하는 기업 수가 증가하는 현상에서 볼 수 있듯이 탈탄소화에

대한 투자자와 시장의 스탠스는 정부보다 진취적인 상황이다.

공급망의 영향력은 다른 부분보다 광물 산업에서 일반적으로 더

강하다. 예를 들어 배터리 제조업체들은 탄소중립 리튬(carbon-

neutral lithium)과 니켈을 알아보기 시작했고, 자동차 제조업체는

녹색 강철과 알루미늄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이처럼 시장의 수요는

가장 큰 동인이 될 수 있다. 고객이 녹색제품(green products)을 요

구하기 시작하면 광물 기업은 사업 유지를 위해서라도 적극적으로

대응해야만 한다.

18

Page 19: 2030 탈탄소화 과제 · 2021. 1. 9. · 2030 탈탄소화 과제 소배출량이 크게 감소했다.21 데이터 애널리틱스 전문회사인 포인 트 380(Point380)이 전

광물 기업이 통제할 수 있는 탄소 배출 종류

운영시 자체 발생하는(Scope 1과 2) 탄소배출은 대부분 광물 기

업의 통제 범위 내에 있다. 한 가지 예외는 석탄 채굴에서 발생하는

배출가스로써, 메탄 누출 통제와 관련하여 경제적으로 실행 가능한

해결책이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 다른 예외로는 건설 재료,

특히 시멘트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로, 하소 과정(calcination

process)의 부산물로 이산화탄소가 생성된다.

가치사슬에서 발생하는 간접 배출(Scope 3)의 통제는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여기에는 광산을 건설하기 위해 구리, 강철 및 막

대한 양의 콘크리트를 제공하는 업스트림 공급업자와 선박 및 교

량, 자동차에서부터 건물에 이르기까지 현대 사회에서 대규모 공

사에 사용되는 기본 자재와 금속을 사용하는 다운스트림 고객이 포

함된다. 광업의 가치사슬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은 자체 발생

배출량보다 몇 배나 더 클 가능성이 있다. 쉽게 활용 가능한 대안

이 없다는 이유로 대다수 광물 기업은 광업과 다른 산업의 간접 배

출(Scope 3) 관리에 보다 복합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다. 이는 주로 탄소 중립적인 물질을 사용하여 탄소 중립적 광물

을 사용하는 순환 경제의 구축을 가리킨다.

현실적인 고려사항

광물 산업의 탈탄소화를 위해서는 협력관계와 생태계 전반을 고

려하는 사고방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기업이 이를 어렵게 생각

한다. 고객들에게 배출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원자재 사용을 강요

하는 것은 역효과를 유발한다. 오히려 동일한 목표를 지닌 고객과

공급 업체 간 제휴가 더 효과적이다. 이러한 제휴 시에는 광물 기업

간의 협력뿐 아니라 공급망 내 다른 기업들과도 협력이 필요하다.

기업들은 탄소 감축 목표를 다운스트림 가치사슬에 부과하기보다

는 산업 생태계의 일부로서 작동해야 하며, 파트너십과 진행 중인

테스트, 개발 중인 해결책을 고려하여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또

한, 광물을 누가 거래하며, 채굴한 광물이 궁극적으로 어떻게 사용

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가시적인 절차 또한 필요해질 것이다. 블

록체인을 활용한 새로운 추적 방법은 이미 원자재의 윤리적인 조

달 여부를 추적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여러 산업을 영위하는

포드(Ford)는 리튬 이온 배터리에 사용되는 코발트의 공급이 인

권 유린과 연계되지 않도록 지원하고자 공동의 노력을 주도하고 있

다.72 시범 사업을 위해 포드는 IBM과 한국 배터리 제조사인 LG화

학, 중국 최대 코발트 생산업체인 화유 코발트(Huayou Cobalt)

와 협업하여 콩고민주공화국의 금속 공급을 추적하기 위한 최초

의 블록체인 솔루션을 테스트했다.73

광물 기업들은 탄소배출 감축에 대한 입장이 산업 협회의 기준에

부합하는지도 확인해야 한다. 기업들이 브랜드화를 목적으로 감축

에 전념한다고 공언하면서도, 측정 가능한 행동으로 자신들의 주

장을 뒷받침하지 않는 '그린 워싱(green-washing)'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관된 입장을 유지하는 것은 표준화된 보고 방식을 갖

추기 위해서도 중요하다.

광물 기업에게 사회적 영향의 고려는 현실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광업은 대체로 기술 수준이 낮고 심각한 오염을 초래하는 산업으로

인식된다. 이는 특히 젊은 직원의 채용 및 유지에 영향을 미친다. 이

에 따라 다국적 대기업들은 최고의 인재를 채용하기 위해 지속가

능성 문제에 앞장서고 싶어한다. 탄소배출권 선도기업으로 거듭

나면 경유 트럭과 중장비의 미세먼지 배출량을 줄여 대기질을 개

선하고, 광산 폐쇄 후 지역사회로 환원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전

력원을 조성하는 등 실질적인 사회적 이익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9

광물 및 금속 산업

Page 20: 2030 탈탄소화 과제 · 2021. 1. 9. · 2030 탈탄소화 과제 소배출량이 크게 감소했다.21 데이터 애널리틱스 전문회사인 포인 트 380(Point380)이 전

2030 탈탄소화 과제

결론

새로운 순환 경제(Circular economy)의 추구

최근 많은 정부와 규제 기관이 저탄소 순환경제에 대한 지지를 나

타내고 있으며, 탄소를 배출하거나 생산하는 기업에게 변화를 요구하

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COVID-19 팬데믹의 경제적 충격이 저

탄소 순환경제로의 진행을 다소 늦출 수는 있겠지만, 동시에 공해와

기후변화에 대한 인간의 영향을 환기시키는 역할을 하면서 장기적으

로 탈탄소화 의제를 진전시키게 될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기술의 등장으로 이산화탄소를 화학물질과 플라스틱 공

급 원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폐기물을 활용한 수소 발전소

(waste-to-hydrogen plants)도 건설중이다. 재생에너지를 통

한 전기 생산의 비용 곡선은 빠르게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

으며, 폐기물이 거래 가능한 자원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미래

에는 새롭고 깨끗하며, 보다 순환적인 경제가 등장할 수 있을 것으

로 전망된다.

20

Page 21: 2030 탈탄소화 과제 · 2021. 1. 9. · 2030 탈탄소화 과제 소배출량이 크게 감소했다.21 데이터 애널리틱스 전문회사인 포인 트 380(Point380)이 전

2030 탈탄소화 과제

주석

1. Sandra Laville and Jonathan Watts, “Across the globe, millions join the biggest climate protest ever,” The Guardian, September 20, 2019. https://www.theguardian.com/environment/2019/sep/21/across-the-globe-millions-join-biggest-climate-protest-ever, accessed August 25, 2020.

2. Ibid.

3. Lauren Sommer, “Why China’s air has been clearer during the coronavirus outbreak,” NPR, March 4, 2020, https://www.npr.org/sections/goatsandsoda/2020/03/04/811019032/why-chinas-air-has-been-cleaner-during-the-coronavirus-outbreak, accessed August 25, 2020.

4. Sushmita Pathak, “With coronavirus lockdown, India’s cities see clear blue skies as air pollution drops, April 10, 2020, NPR, https://www.npr.org/sections/coronavirus-live-updates/2020/04/10/831592401/with-coronavirus-lockdown-indias-cities-see-clear-blue-skies-as-air-pollution-dr, accessed August 26, 2020.

5. Marlene Motyka, et al., Deloitte Resources 2020 Study, Deloitte Insights, 2020, https://documents.deloitte.com/insights/DeloitteResourses2020Study.

6. Lauren Coleman, “Why is employee activism on the rise?” Forbes, May 30, 2019, https://www.forbes.com/sites/laurencoulman/2019/05/30/why-is-employee-activism-on-the-rise/#50c8591b74b1, accessed August 25, 2020.

7. European Commission, “Climate Action: 2050 long-term strategy,” https://ec.europa.eu/clima/policies/strategies/2050_en, accessed June 22, 2020.

8. Dan Murtaugh, “China is the emissions behemoth. Can it change fast enough?” Bloomberg Green, January 21, 2020,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0-01-21/where-china-stands-on-climate-target-goals-from-5-year-plan, accessed August 25, 2020.

9. Ibid.

10. Ibid.

11. Lauri Myllyvirta, “Analysis: Coronavirus temporarily reduced China’s CO2 emissions by a quarter,” Carbon Brief, February 19, 2020, https://www.carbonbrief.org/analysis-coronavirus-has-temporarily-reduced-chinas-co2-emissions-by-a-quarter, accessed August 25, 2020.

12. Brad Plumer and Nadja Popovish, “These countries have prices on carbon. Are they working?”, The New York Times, April 2, 2019, https://www.nytimes.com/interactive/2019/04/02/climate/pricing-carbon-emissions.html, accessed August 25, 2020.

13. Blackrock website, https://www.blackrock.com/sg/en/about-us, assessed Auguat 20, 2020.

14. Larry Fink, “A fundamental reshaping of finance,” BlackRock, January 2020, https://www.blackrock.com/corporate/investor-relations/larry-fink-ceo-letter accessed August 25, 2020.

15. Ibid.

16. Ibid.

17. Climate Action 100+, “Global investors driving business transition,” http://www.climateaction100.org/, accessed June 22, 2020.

18. Matthew Bandyk, “Battery prices fall nearly 50% in three years, spurring more electrification: BNEF,” Utility Dive, December 3, 2019, https://www.utilitydive.com/news/battery-prices-fall-nearly-50-in-3-years-spurring-more-electrification-b/568363/, accessed August 25, 2020.

19. Ibid.

20. Stanley Porter, et al., “Navigating the energy transition from disruption to growth: Energy and industrial companies are positioned for a low-carbon future,” Deloitte Insights, July 8, 2020, https://www2.deloitte.com/us/en/insights/multimedia/podcasts/future-of-energy-us-energy-transition.html, accessed August 25, 2020.

21. Ibid.

22. Emily Farnworth, “Which Businesses are Leading the Way on Climate Action,” Forbes, December 12, 2019, https://www.forbes.com/sites/worldeconomicforum/2019/12/12/which-businesses-are-leading-the-way-on-climate-action/#3f24a21777e6, accessed August 26, 2020.

23. Ibid.

24. RE100 web site, https://www.there100.org/, accessed September 11, 2020.

21

Page 22: 2030 탈탄소화 과제 · 2021. 1. 9. · 2030 탈탄소화 과제 소배출량이 크게 감소했다.21 데이터 애널리틱스 전문회사인 포인 트 380(Point380)이 전

25. Ibid.

26. Ibid.

27. BHP company web site, “Climate Change,” https://www.bhp.com/media-and-insights/news-releases/2019/07/bhp-to-invest-us400m-to-address-climate-change/ , accessed June 29, 2020.

28. Mariaan Webb, “BHP links bonuses to climate plan, sets medium-term targets”, Mining Weekly, https://www.miningweekly.com/article/bhp-links-bonuses-to-climate-plan-sets-medium-term-targets-2020-09-10 accessed September 11, 2020.

29. Rio Tinto company web site, “Climate Change,” https://www.riotinto.com/sustainability/climate-change, accessed June 29, 2020.

30. Climate Action 100+, 2019 Progress Report, 2019, https://climateaction100.wordpress.com/progress-report/. Accessed August 20, 2020

31. “CEMEX Continues Addressing Climate Change and Fostering Innovation,” Yahoo! Finance, March 26, 2020, https://finance.yahoo.com/news/cemex-continues-addressing-climate-change-230000122.html, accessed August 26, 2020.

32. Climate Action 100+, “2019 Progress Report,” 2019, https://climateaction100.wordpress.com/progress-report/. Accessed August 20, 2020

33. James Murray, “How the six major oil companies have invested in renewable energy projects,” NS Energy, January 16, 2020, https://www.nsenergybusiness.com/features/oil-companies-renewable-energy/, accessed August 26, 2020.

34. bp press release, “From international oil company to integrated energy company: bp sets out strategy for decade of delivery toward net zero ambition,” August 4, 2020, https://www.bp.com/en/global/corporate/news-and-insights/press-releases/from-international-oil-company-to-integrated-energy-company-bp-sets-out-strategy-for-decade-of-delivery-towards-net-zero-ambition.html, accessed September 14, 2020.

35. Ibid.

36. Total press release, “Total adopts a new climate ambition to get to net zero by 2050,” May 5, 2020, https://www.total.com/media/news/total-adopts-new-climate-ambition-get-net-zero-2050, accessed September 14, 2020.

37. Ibid.

38. DuPont Press Release, “DuPont Announces 2030 Sustainability Goals,” October 30, 2019, https://www.dupont.com/news/dupont-announces-2030-sustainability-goals.html, accessed August 26, 2020.

39. Occidental company report, “Climate-related Risks and Opportunities: Positioning for a low-carbon economy,” 2019, https://www.oxy.com/SocialResponsibility/overview/SiteAssets/Pages/Social-Responsibility-at-Oxy/Assets/Occidental-Climate-Report-2019.pdf. Accessed August 20, 2020

40. Greenhouse Gas Protocol, FAQ, 2020, https://ghgprotocol.org/sites/default/files/standards_supporting/FAQ.pdf. Accessed August 20, 2020

41. Ibrahim AlHusseini, “Climate change is only going to make health crisis like the coronavirus more frequent and worse,” Business Insider, April 5, 2020, https://www.businessinsider.com/climate-change-making-health-crises-like-coronavirus-frequent-worse-2020-4?op=1, accessed August 26, 2020.

42. “Single-use plastic: China to ban bags and other items,” BBC, January 21, 2020, https://www.bbc.com/news/world-asia-china-51171491, accessed August 26, 2020.

43. European Commission, “Climate Action: 2050 long-term strategy,” https://ec.europa.eu/clima/policies/strategies/2050_en, accessed June 22, 2020.

44. Irene Boghdadi, “Circularity in the Chemicals Industry: Drivers, Challenges and Solutions, Cleantech Group, February 11, 2020, https://www.cleantech.com/circularity-in-the-chemicals-industry-drivers-challenges-and-solutions/, accessed August 26, 2020.

45. Wolfgang Falter, “The future of (fossil) hydrocarbons,” Deloitte, 2019, https://chemicalconvention.org/wp-content/uploads/2019/11/Deloitte-Conference-presentation.pdf Accessed, August 15, 2020.

22

주석

Page 23: 2030 탈탄소화 과제 · 2021. 1. 9. · 2030 탈탄소화 과제 소배출량이 크게 감소했다.21 데이터 애널리틱스 전문회사인 포인 트 380(Point380)이 전

2030 탈탄소화 과제

46. Ibid.

47. Ibid.

48. Ibid.

49. Ibid.

50. Ibid.

51. “UBS Bank won’t fund new offshore Arctic oil, gas projects,” PBS News Hour, March 9, 2020, https://www.pbs.org/newshour/economy/ubs-bank-wont-fund-new-offshore-arctic-oil-gas-projects, accessed August 26, 2020.

52. PBS Newshour, “UBS Bank won’t fund new offshore Arctic oil, gas projects” www.pbs.org/newshour/economy/ubs-bank-wont-fund-new-offshore-arctic-oil-gas-projects acessed, August 20, 2020.

53. David Roberts, “These uses of CO2 could cut emissions — and make trillions of dollars,” Vox, November 27, 2019, https://www.vox.com/energy-and-environment/2019/11/13/20839531/climate-change-industry-co2-carbon-capture-utilization-storage-ccu, accessed August 26, 2020.

54. David Chandler, “MIT engineers develop new way to remove carbon dioxide from air,” MIT News, October 24, 2019, https://news.mit.edu/2019/mit-engineers-develop-new-way-remove-carbon-dioxide-air-1025, accessed August 26, 2020.

55. Ibid.

56. bp press release, “From international oil company to integrated energy company: bp sets out strategy for decade of delivery toward net zero ambition,” August 4, 2020, https://www.bp.com/en/global/corporate/news-and-insights/press-releases/from-international-oil-company-to-integrated-energy-company-bp-sets-out-strategy-for-decade-of-delivery-towards-net-zero-ambition.html, accessed September 14, 2020.

57. Ibid.

58. Repsol web site, https://www.repsol.com/en/sustainability/climate-change/net-zero-emissions-2050/index.cshtml, accessed September 14, 2020.

59. Ibid.

60. Repsol press release, “Kia Motors Iberia and Repsol join forces to launch WiBLE, a new car-sharing operator,” January 31, 2018, https://www.repsol.com/en/press-room/press-releases/2018/kia-motors-iberia-repsol-launch-wible.cshtml, accessed September 14, 2020.

61. Shell web site, “What is Shell’s net carbon footprint ambition?”, https://www.shell.com/energy-and-innovation/the-energy-future/what-is-shells-net-carbon-footprint-ambition.html, accessed September 14, 2020.

62. Ibid.

63. Ibid.

64. “Decarbonising Shipping: All hands on deck,” Deloitte and Shell, 2020, https://www.shell.com/promos/energy-and-innovation/download-the-report/_jcr_content.stream/1594141914406/b4878c899602611f78d36655ebff06307e49d0f8/decarbonising-shipping-report.pdf. Accessed August 20, 2020

65. Ibid.

66. 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LEED)

67. Elizabeth Weise, “No more fire in the kitchen: Cities are banning natural gas in homes to save the planet,” USA Today, November 10, 2019, https://www.usatoday.com/story/news/2019/11/10/climate-change-solutions-more-cities-banning-natural-gas-homes/4008346002/, accessed August 26, 2020.

68. Paul Brown, “Hydrogen can replace natural gas by 2050,” Climate News Network, June 17, 2019, https://climatenewsnetwork.net/hydrogen-can-replace-natural-gas-by-2050/, accessed August 26, 2020.

69. Felipe Requejo, et. al, “Widening the lens: Big-picture thinking on disruptive innovation in the retail power sector,” Deloitte Insights, 2019, https://www2.deloitte.com/global/en/pages/energy-and-resources/articles/widening-the-lens-disruptive-innovation-retail-power-sector.html, accessed August 26, 2020.

70. Cecilia Jamasmie, BHP to mine Australian coal using greener energy, edumine, https://www.mining.com/bhp-to-keep-mining-coal-in-australia-but-in-greener-way/ accessed September 11, 2020.

71. BHP company website, “BHP targets 100 percent renewable energy at Escondida and Spence operations and elimination of water usage from aquifers in Chile,” October 21, 2019, https://www.bhp.com/media-and-insights/news-releases/2019/10/bhp-targets-100-per-cent-renewable-energy-at-escondida-and-spence-operations-and-elimination-of-water-usage-from-aquifers-in-chile/, accessed August 26, 2020.

72. Ibid.

73. Cecilia Jamasmie, “Ford to lead blockchain pilot that traces colbalt mined in Congo,” Mining[DOT]Com, January 16, 2019, https://www.mining.com/ford-lead-blockchain-pilot-trace-cobalt-mined-congo/, accessed August 26, 2020.

23

Page 24: 2030 탈탄소화 과제 · 2021. 1. 9. · 2030 탈탄소화 과제 소배출량이 크게 감소했다.21 데이터 애널리틱스 전문회사인 포인 트 380(Point380)이 전

Deloitte refers to one or more of Deloitte Touche Tohmatsu Limited (“DTTL”), its global network of member firms, and their related entities (collectively, the “Deloitte organization”). DTTL (also referred to as “Deloitte Global”) and each of its member firms and related entities are legally separate and independent entities, which cannot obligate or bind each other in respect of third parties. DTTL and each DTTL member firm and related entity is liable only for its own acts and omissions, and not those of each other. DTTL does not provide services to clients. Please see www.deloitte.com/about to learn more. Deloitte is a leading global provider of audit and assurance, consulting, financial advisory, risk advisory, tax and related services. Our global network of member firms and related entities in more than 150 countries and territories (collectively, the “Deloitte organization”) serves four out of five Fortune Global 500® companies. Learn how Deloitte’s approximately 312,000 people make an impact that matters at www.deloitte.com This communication contains general information only, and none of Deloitte Touche Tohmatsu Limited (“DTTL”), its global network of member firms or their related entities (collectively, the “Deloitte organization”) is, by means of this communication, rendering professional advice or services. Before making any decision or taking any action that may affect your finances or your business, you should consult a qualified professional adviser. No representations, warranties or undertakings (express or implied) are given as to the accuracy or completeness of the information in this communication, and none of DTTL, its member firms, related entities, employees or agents shall be liable or responsible for any loss or damage whatsoever arising directly or indirectly in connection with any person relying on this communication. DTTL and each of its member firms, and their related entities, are legally separate and independent entities. © 2020. For information, contact Deloitte Glob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