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74
보도자료 본 자료는 11월 26일(화) 조간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통신사 및 온라인은 일월 이후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문 의 [거시] 동향·통계분석본부 홍성욱 연구위원 (044) 287-3192 [산업] 성장동력산업연구본부 이임자 연구위원 (044) 287-3108 2020년 경제·산업 전망 2019. 11.

Transcript of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Page 1: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보도자료

본 자료는 11월 26일(화) 조간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통신사 및 온라인은 25일(월) 15시이후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문 의

[거시] 동향·통계분석본부 홍성욱 연구위원 (044) 287-3192

[산업] 성장동력산업연구본부 이임자 연구위원 (044) 287-3108

2020년 경제·산업 전망

2019. 11.

Page 2: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차 례

< 요 약 > ·························································································· i

Ⅰ. 거시경제 전망 ·········································································· 1

1. 국내 실물경제 동향 ·············································································· 1

2. 대외여건 전망························································································ 3

3. 2020년 국내경제 전망 ········································································ 12

Ⅱ. 12대 주력산업 전망······························································ 27

1. 2019년 동향 및 진단·········································································· 27

2. 2020년 주요 여건변화와 산업별 영향 ············································ 34

3.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전망 ·························································· 38

4. 정책적 시사점······················································································ 49

Page 3: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i -

|요 약|

Ⅰ. 거시경제 전망

□ 현 경기 판단 : 수출 부진·투자 감소·소비 둔화 속에 낮은 성장세

○ 국내 실물경기는 수출 감소세가 확대되는 가운데 내수는 소비 증가세가 둔

화되고 투자 감소세가 완화되면서 낮은 성장세 지속

- 내수는 소비가 전년보다 낮은 증가율이 지속되는 모습이나, 설비투자

와 건설투자는 감소세가 다소 완화

- 수출은 글로벌 경기둔화와 무역분쟁 이슈, 반도체 수출 감소와 수출단

가 하락 등의 요인으로 2019년 들어 감소세가 확대

□ 세계경제 : 연간 성장률 전년 수준 예상

○ 2020년 세계경제는 선진권의 성장 둔화와 개도권의 성장 부진 속에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의 성장률이 예상

- 미국은 재정정책의 영향이 점차 소멸되고 있는 가운데 주요국들과의

무역분쟁 영향 등으로 인해서 2019년보다 낮은 성장률이 예상

- 일본과 유로권은 경기 반등을 위한 모멘텀이 부재하면서 2019년 수준

의 성장률이 예상되고, 중국도 정부의 경기 부양 노력에도 불구하고

내·외수 여건의 전반적인 약세 속에서 6% 미만의 성장률이 예상

□ 유가 및 환율 : 전년과 비슷한 수준 예상

○ 유가는 지정학적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원유 증산 기조가 공급

측면에서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나, 수요 측면에서 하반기에 세계경기가

다소 나아지면서 올해와 비슷한 배럴당 60달러대 초반(연평균)이 예상

Page 4: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ii -

○ 원/달러 환율은 전반적인 하향 기조가 유지되는 가운데 소폭의 등락을 거

듭하는 등 완만한 흐름을 보이면서 연평균 1,168원 내외가 예상

□ 2020년 국내 경제성장 : 연간 성장률 2.3% 전망

○ 2020년 국내경제는 수출이 세계경기 둔화세의 진정에도 대외 여건의 불

확실성으로 소폭 증가에 그치고, 소비 부진세가 이어지나, 정부 정책 등

의 영향으로 투자 침체가 다소 완화되면서 2.3% 성장이 예상

○ 대외적으로는 국가간 통상마찰 심화 여부와 주요국 통화정책 기조 변화

의 영향, 신흥권의 정치적 불안정성 지속 여부 등이, 그리고 국내적으로

는 한은의 금리 인하 영향과 정부정책 효과의 발현 여부, 제조업 경기의

회복 여부 등이 주요 변수

□ 민간소비 : 전년 수준 증가세 예상

○ 소비는 고용의 질적 개선이 부족하지만, 전반적인 고용지표가 꾸준히

개선되고 있고, 저금리 지속, 대외 불확실성 완화 등의 긍정적 기대감으

로 인해 전년 수준의 증가세(2%)가 이어질 전망

□ 투자 : 설비투자 3.5% 증가, 건설투자 1.8% 감소 전망

○ 설비투자는 전년의 침체에 따른 기저효과와 세계경기 및 반도체 업황

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건설투자는 정부의 확장예산

기조 속에 정부 부문 주체의 토목건설이 증가세를 유지하면서 감소폭이

전년보다 줄어들 전망

□ 수출입 : 소폭 증가 전망

○ 2020년 수출은 전년의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와 세계경제 둔화세의 진정,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일부 개선 등에도 불구, 미·중 무역분쟁, 중국

경기 둔화 등 대외여건의 불확실성 등으로 소폭 증가 예상(2.5%)

Page 5: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iii -

○ 수입도 기저효과와 수출의 증가세 전환 등으로 회복세가 예상되나,

국내경제의 낮은 성장세와 국제유가 하락 등으로 인해 회복의 강도

가 크지는 않을 전망(3.3%)

○ 무역수지는 흑자 규모가 2020년에 387억 달러로 2019년보다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무역규모는 수출입이 증가세로 전환하더라도 2018

년 수준에 못 미칠 전망

국내 주요 거시경제지표 전망

단위:전년동기비, %, 억 달러

2019년 2020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실질GDP 1.9 2.1 2.0 2.2 2.3 2.3

민간소비 2.0 1.9 2.0 1.9 2.1 2.0

건설투자 -5.4 -2.3 -3.8 -2.1 -1.5 -1.8

설비투자 -12.2 -1.7 -7.0 2.9 4.1 3.5

통관 수출(억달러, %)

2,712

(-8.6)

2,746

(-10.9)

5,458

(-9.8)

2,753

(1.5)

2,844

(3.6)

5,597

(2.5)

통관 수입 (억달러, %)

2,525

(-4.9)

2,518

(-6.6)

5,043

(-5.8)

2,570

(1.8)

2,640

(4.8)

5,210

(3.3)

무역수지 187 228 415 183 204 387

자료:산업연구원.

Page 6: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iv -

Ⅱ. 12대 주력산업 전망

1. 2020년 주요 여건변화와 산업별 영향

□ 2020년 글로벌 여건은 세계경제의 둔화세 진정, 반도체시장 안정, 제

품단가 혼조세, 국가간 통상마찰 지속, 경쟁 심화 등 호‧악재가 병존

○ (세계경제 전년 수준 성장) 글로벌 경제의 둔화세 진정으로 미약하나

마 소비재를 포함한 최종재 수요 개선에 긍정적이고 소재부품 수요의

동반 수요확대로 국내 주력산업의 수출에 다소 긍정적 영향 예상

- 다만 주요 수출국인 미국 및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둔화하고, 일본,

EU 등의 경기가 전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수출이 증

가세로 반등하지만 예년의 수출 수준을 회복하기는 어려울 전망

○ (제품 단가) 2020년 제품단가 변동은 산업별로 시장상황에 따라 혼조세

를 보이는 가운데, 전년 수출부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메모리반도체

의 단가 향방이 수출실적 변동에 가장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

- 글로벌 수요가 확대되고 공급과잉이 점진적으로 해소되면서 제품단

가가 안정화 단계(반도체)에 진입하거나, 제품의 고부가가치화‧프리미

엄화로 제품 단가가 상승하며 수출에 긍정적 영향 예상(자동차, 가전)

- 다만 2020년 유가 및 원/달러 환율은 2019년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제품단가에 영향은 미치는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

○ (공급과잉) 2020년에도 중국의 공격적인 설비증설이 지속되거나 수요

부진 등에 의한 공급과잉과 경쟁 심화에 따른 수출 부진 우려 지속

- 중국의 설비증설 및 증산에 의한 공급과잉은 제품단가 인하 압력으로 수출

에 부정적 영향 전망(철강, 정유, 석유화학, 정보통신기기, 디스플레이)

- 선진권과 신흥국시장 성장 둔화에 따른 수요 부진으로 공급과잉

지속(자동차)

Page 7: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v -

○ (미‧중 통상분쟁) 미‧중 통상분쟁의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

되는 가운데, 대부분의 주력업종은 글로벌 경기 부진과 수요 위축으

로 예상되는 수출에의 부정적인 영향을 우려

- 탈중국 생산기지 이전에 따라 설비투자 수요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

고, 5G 통신장비 및 스마트폰 분야에서 소폭의 반사이익이 기대되

지만 전반적인 수요감소를 만회하기에는 역부족

○ (환경규제) 지속적으로 강화되는 글로벌 환경규제는 단기적으로 수출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보호무역 장벽으로 작용하나 산업별

특성에 따라 기회요인과 위험요인이 상존

- 다양한 환경규제 조치는 점진적으로 제품의 수급구조와 경쟁력을 변

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환경규제에 대응한 친환경시장

선점 및 경쟁력 강화의 기회로 삼아야 할 필요

* EU의 자동차 연비 규제 강화에 따른 자동차 공급 감소로 부정적

인 영향이 예상(자동차, 철강)되는 반면, 전기차 수요가 확대되면서

이차전지의 수출은 활성화 기대(자동차, 이차전지)

* 2020년 1월 발효를 앞둔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로 선박유

의 황 함량 상한선이 0.5%로 제한됨에 따라 저유황유 및 경유 수

요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정유)

* 또한 선박평형수처리장치(BWMS)의 의무장착이 진행되는 가운데,

노후 선박이 퇴출되고 에너지효율이 높은 국내 건조 선박에 대한 대

체‧조기 발주, 친환경 기자재의 시장 확대 등 기회 요인 상존(조선)

* 친환경 제품 생산을 위한 생산설비 교체 수요 증가 예상(일반기계)

□ 대내적으로는 민간소비와 설비투자의 낮은 증가세, 건설투자 부진 지

속, 국내 생산기반 약화, 노동시장 정책 변화 등으로 여건 개선은 제한적

○ (민간소비) 2020년 민간소비가 전년 수준의 성장세에 그치면서 자동차,

의류, 가전 등 소비재의 민간소비 및 관련 소재부품의 동반 부진 지속

우려

Page 8: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vi -

- 낮은 수준의 민간소비 성장에도 불구하고 소비재 수입은 큰 폭으로 증

가하여 국내 생산 확대로의 선순환 효과를 제약

○ (국내투자) 2020년 주력산업의 국내 설비투자는 기저효과, 수출 증가, 반

도체 업황 개선에 대한 기대와 디스플레이 등 고도화 투자에 힘입어 전

년 대비 다소 증가 전망

- 다만 2020년 수출 및 내수가 부진할 것으로 전망되는 자동차, 섬유, 가

전의 설비투자는 전년의 감소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

- 건설투자 역시 감소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철강, 가전, 섬

유 등 관련 후방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전망

○ (해외투자) 2020년 해외투자 확대에 따른 영향은 IT산업을 중심으로 국

내 생산기반 약화, 수출 감소, 수입 증대 등 부정적 영향과 해외공장 가

동으로 인한 국산 제품 수요증가 등 긍정적 요인이 상존

- 수출제품 생산용 해외 신규 공장 설립 및 위탁생산 증가(가전), 2019년

LG전자의 스마트폰 국내공장이 베트남으로 이전하는 등 휴대폰과 부

품의 해외생산 확대(정보통신기기), LG 광저우 OLED 공장의 본격적인

양산 예정(디스플레이)으로 국내 생산 및 수출 성장을 제약

- 반면 해외공장의 본격 가동으로 부품 수요 증가(자동차), 수요산업의 해

외 투자 확대에 따른 설비 수요 증대(일반기계), 기초유분 생산공장 증

설을 통한 수직계열화 및 원료비 절감(석유화학) 등 긍정적 효과 상존

○ (노동시장 정책 변화) 2020년 최저임금 인상률이 역대 세 번째로 낮은

2.9%로 결정되어 8,590원으로 인상되었으며, 50~300인 미만 사업장은

내년부터 1주 최대 52시간 근로제를 시행 예정이었으나 계도기간 부여

및 특별연장근로 인가 사유 확대로 속도 조절

- 따라서 2020년 주력제조업 현장에서 예상되었던 부정적인 영향은 다

Page 9: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vii -

소 줄겠으나, 향후 주 52시간 대응 및 생산성 향상 등은 여전히 과제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 조선, 일반기계, 섬

유, 가전, 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전망

□ 수 출: IT산업과 기계산업의 수출 증가 전환에 힘입어 주력산업 수출

은 2019년 12.1% 감소에서 2.3% 증가 전환 전망

○ 2020년 12대 주력산업의 수출은 글로벌 경기 둔화세가 진정되고 메모리

반도체의 단가 및 시장 안정화 등에 힘입어 전년비 2.3% 증가세 전환

- 반면 반도체를 제외한 11대 주력산업의 수출은 2020년 상반기 전년동

기비 –0.5%로 부진을 지속한 후 하반기 전년동기비 1.6%로 반등하여

연간으로는 0.6% 증가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의 부진 지속 전망

○ (기계산업군) 자동차 수출이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조선과 일반

기계의 수출이 증가세로 돌아서면서 2019년 0.3% 감소에서 3.8% 증가

세로 전환 전망

- 자동차 수출은 글로벌 자동차 수요 부진과 모기업의 구조조정 여파에

따른 외자계업체들의 수출물량 조정 여파로 전년비 0.4% 감소 전망

- 조선 수출은 2016년~2019년 상반기에 수주한 고가의 LNG운반선과 컨

테이너선 등이 본격적으로 인도되면서 전년비 21.2%의 큰 폭 신장 전망

- 일반기계 수출은 유럽의 제조업 부진이 개선되고, 베트남, 인도 등의 인프

라 투자 확대가 예상되면서 건설기계 및 설비투자 수요확대에 힘입어 전

년비 2.5% 증가세 전환 전망

○ (소재산업군) 국제유가가 2019년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

되어 수출단가 상승이 제한적이고, 글로벌 공급과잉 상황 속에 수요 회

복이 지연되면서 2019년 11.3% 감소에서 2020년 2.1% 감소로 부진 지속

Page 10: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viii -

- 철강 수출은 미국, EU, 중국 등 주요 수출시장의 철강수요가 낮은 증가

에 그치고, 수입규제 및 공급과잉과 국제 철강가격의 약세 지속으로 전

년비 0.5% 감소 지속 전망

- 정유 수출은 신규 정제설비 증설 감소에 따른 석유제품의 수급 밸런스

의 개선으로 전년비 0.4% 증가세 전환 예상

‧ IMO2020 시행에 따른 저유황유 및 경유의 수요확대가 1분기부터 본

격적으로 반영되며 정제마진 상승에 따른 정유사의 실적개선 기대

- 석유화학 수출은 미‧중 무역분쟁 지속 우려에 따른 수요 둔화와 공급과

잉 상황으로 수출단가 하락세가 장기화되면서 전년비 5.1% 감소 예상

- 섬유는 글로벌 섬유 수요 회복이 지연되고 글로벌 경쟁 심화와 수출단

가 인상 제약으로 전년비 4.0% 감소 전망

2020년 주요 산업별 수출증가율 전망

단위 : %, 전년동기비

주 1) 달러 표시 가격 기준. 2) 자동차는 자동차부품 포함(MTI 741, 742),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

외 기준.

○ (IT산업군) 반도체 가격 하락세가 안정화되고 이차전지 수요가 지속되

는 가운데, 정보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의 수출 감소세가 크게 완화되며

2019년 전년비 21.2% 감소에서 2020년 4.7%로 증가세 전환 예상

Page 11: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ix -

- 반도체 수출은 메모리반도체의 공급과잉 현상이 완화되어 단가 하락세

가 진정되고, 5G 통신 및 데이터센터 수요가 확대되어 전년비 8.3% 증

가 전망

- 이차전지 수출은 중형 이차전지와 핵심기술을 보유한 부분품의 세계수

요 확대에 힘입어 전년비 4.1% 확대 전망

- 정보통신기기 수출은 휴대폰의 해외생산 확대와 글로벌 경쟁 심화로 부

진이 지속되지만, SSD 수출이 회복되고 세계 5G 확산에 힘입어 전년

대비 -1.6%를 기록하며 감소폭 완화

- 디스플레이 수출은 중국의 설비 증축과 OLED 수율 상승으로 초과공급

과 가격하락 추이가 지속되어 전년비 2.7% 감소하겠으나, 프리미엄 폰

의 대중화와 5G 서비스의 시행 국가 확대, 폴더블폰 중심으로 중소형

OLED 채택률 증가 등의 영향으로 수출 감소폭은 크게 완화

- 가전 수출은 해외생산 확대, 중국과 경쟁 심화, 보호무역주의 회피를 위

한 현지 생산 확대 등으로 전년 대비 1.7% 감소하나 감소폭은 완화

□ 생 산: 12대 주력산업의 생산은 수출 및 내수 회복 기조가 약하여 이

차전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에서 회복세 미흡 전망

○ (기계산업군) 자동차 생산이 감소세를 지속하는 반면, 조선은 수주물량

건조, 일반기계는 반도체 장비 수요 증가로 전년 대비 증가

- 자동차 생산은 글로벌 판매 부진에 따른 수출 감소 및 외자계업체 글로

벌 판매전략 변화에 따른 생산물량 조정 등의 영향으로 1.5% 감소 전망

- 조선은 회복기에 수주한 LNG운반선과 컨테이너선 건조 증가가 예상되

어 전년동기비 3.5% 증가 예상

- 일반기계 생산은 기저효과, 수출 증가,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투자 확

대로 전년비 1.7% 증가할 것으로 전망

Page 12: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x -

‧ 삼성 평택2공장 및 시안 2공장의 D램용 생산설비 기발주 및 점진적 설비

확충 계획, 삼성전자 QD 디스플레이 투자 계획, LG디스플레이의 파주

및 광저우 팹 확장 계획 및 10.5세대 팹의 2021년 양산 본격화 투자 등

○ (소재산업군) 정유의 생산 증가가 예상되나, 석유화학 및 섬유 생산이

줄어들어 소재산업군 생산은 전년 대비 소폭 부진할 것으로 전망

- 철강은 건설경기 침체 및 수입재 증가로 철강재 가격하락이 예상되나, 중

후판 및 고부가가치제품 생산이 소폭 증가하여 전년비 0.1% 증가 전망

- 정유 생산은 국내 정유업체의 대규모 신규 정제설비 투자는 없으나 고

도화 설비 중심의 투자 확대로 전년 대비 1.1%의 생산 확대 전망

- 석유화학 생산은 공급과잉에 따른 제품가격 하락으로 공급자들이 증설된

생산시설의 가동률을 하향조정하는 여파로 전년 대비 2.5% 감소 전망

- 섬유 생산은 지속적인 내수 및 수출 부진, 해외투자 확대의 영향으로

1.0% 감소 전망

2020년 주요 산업별 생산증가율 전망

단위:%, 전년동기비

주 :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정유는 석유제품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Page 13: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xi -

○ (IT산업군) 반도체 생산이 증가세로 전환되고, 이차전지 생산이 호조를

지속하는 반면 가전, 정보통신기기, 디스플레이는 부진이 점진적으로

완화되고 있으나 여전히 감소세를 유지할 전망

- 반도체 생산은 통신용 및 데이터 처리용 전자기기 보급 확대에 따른 반

도체 수요증가와 미세공정 전환으로 전년 대비 10.3% 증가

- 이차전지 생산은 수출 증가가 지속되고, 전기차용 이차전지의 내수 확대

및 무선 생활용품의 안전성 우려에 따른 국내산 이차전지 선호 등에 힘

입어 전년비 8.8% 성장 지속 전망

- 정보통신기기 생산은 수출 부진과 휴대폰의 해외생산 확대로 감소세가

이어지나, 내수 확대와 SSD 수출회복 등에 힘입어 전년 대비 –2.0%를

기록하며 감소폭은 축소될 전망

- 디스플레이 생산은 LCD 가격이 지속 하락하고, OLED로의 전환을 위

한 LCD 생산라인 축소 영향으로 전년비 3.9% 감소 지속 전망

- 가전 생산은 국내투자 부진과 해외투자 확대, 역수입 증가, 가성비 높은

중국 제품의 수입 증가로 전년비 1.4% 감소 전망

□ 내 수 : 낮은 소비 및 투자 증가 전망으로 뚜렷한 상승 동력이 부재

한 상황에서 본격적인 회복세 미흡

○ (기계산업군) 기계산업군 내수는 자동차와 일반기계의 기저효과 및 신

제품‧ 첨단화 장비 수요로 증가 전환하나 여전히 부진한 상황

- 자동차 내수는 SUV 등 신모델 판매 호조와 전년 실적 부진에 따른 기

저효과에 힘입어 전년비 1.4% 증가세 전환 전망

- 일반기계 내수는 정부의 인프라 투자 확대 및 생산 자동화, 에너지 효

율화, 생산공정 친환경화 등 스마트제조 환경 구축을 위한 첨단장비 및

설비수요 증가에 힘입어 전년비 1.2%의 소폭 증가세 전환 예상

Page 14: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xii -

○ (소재산업군) 정유 및 섬유 내수는 소폭 증가한 반면, 주요 수요산업의

부진으로 철강 및 석유화학의 내수 위축으로 전년 대비 부진 전망

- 섬유 내수는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따른 시장 확대와 가격하락 추이 지

속, 중저가 수입소재 수요확대 등에 힘입어 전년비 1.2% 증가 전망

- 정유 내수는 정부의 경기부양책 확대와 상업 및 운송부문 주도의 증가

추세로 전년비 0.9% 증가 전환 전망

- 석유화학 내수는 건설, 자동차, 가전, 정보통신기기 등 주요 수요산업의

업황 부진 영향으로 전년비 2.0% 감소 전망

- 철강 내수는 자동차, 건설 등 수요산업의 부진이 지속되면서 전년비

0.3% 감소 전망

○ (IT산업군) 디스플레이 및 가전의 내수가 계속 부진하나, 반도체, 정보통신

기기, 이차전지 내수증가에 힘입어 IT산업의 내수는 전년 대비 증가 전망

- 이차전지 내수는 정부의 전기자동차 시장 확대 및 무선가전에 대한 수

요확대로 전년 대비 12.3% 증가 전망

- 반도체 내수는 신산업 대응 제품과 5G 통신 관련 반도체 수요가 증가

하고, 특수목적용 반도체 수입이 늘어나면서 전년비 11.0% 확대 전망

- 정보통신기기 내수는 5G 전국서비스 확대에 따른 5G폰 교체수요와 통

신장비 수요증가, 윈도우 10 교체수요와 게이밍PC 및 노트북PC 수요증

가 등에 힘입어 전년대비 2.8% 성장 전망

- 가전 내수는 생활가전의 신제품 출시 및 렌탈사업모델 확산 등에도 불

구하고 2019년 이후 내구재 소비 감소가 지속되면서 전년비 0.4% 감소

- 디스플레이 내수는 프리미엄 스마트폰 확산으로 물량은 확대될 전망이

나 중국의 생산 확대에 따른 가격하락으로 전년비 5.8% 감소 전망

Page 15: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xiii -

2020년 주요 산업별 내수증가율 전망

단위 : %, 전년동기비

주 :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정유는 석유제품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 수 입 : 기계산업과 IT산업의 수입이 확대되면서 주력산업의 수입은

2019년 전년비 1.5% 감소에서 2020년 3.8% 증가 예상

○ (기계산업군) 자동차, 조선 등 수송기기 부문의 수입이 큰 폭으로 확대

되면서 2019년 전년비 3.6% 감소에서 2020년 5.0% 확대 예상

- 자동차 수입은 대일 관계 악화에 따른 일본제품 불매운동에도 불구하고

국내시장 점유율이 높은 차종의 신모델 투입에 따른 수요 증가 및 관련

부품의 수입 증가로 전년비 7.3% 증가 전환 전망

- 조선 수입은 LNG운반선의 건조 증가와 국내 선사가 중국에 발주한 중

소선박의 유입 확대로 전년비 24.7%의 큰 폭 증가 전망

- 일반기계 수입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설비투자가 확대되고 제조업의

자동화 설비 수요가 높아지면서 산업용 로봇 등 관련 장비 수요확대로

전년비 1.9% 증가 예상

○ (소재산업군) 석유계열 제품의 수입단가 하락 및 중저가 수입제품 수요

확대로 소재산업의 수입은 2019년 5.8% 감소에서 2020년 0.9% 증가 전망

Page 16: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xiv -

- 철강 수입은 가격경쟁력을 회복하고 품질경쟁력이 높아진 중국산 철강

재와 동남아시아산 저가 철강재의 유입증가로 전년비 3.0% 증가 전망

- 섬유 수입은 수입단가 인하, 역수입 확대, 중저가 섬유소재 수입 확대,

온라인 거래 확대 등에 힘입어 전년비 4.3% 증가 예상

- 정유 수입은 내수 물량이 소폭 상승세 전환하면서 수입물량은 증가하겠

으나, 상반기 수입단가 하락 영향으로 수입액은 전년비 0.9% 감소 전망

- 석유화학 수입은 내수부진과 수입단가 하락 지속으로 전년비 4.6% 감

소 예상

2020년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단위:%, 전년동기비

주 1) 달러 표시 가격 기준. 2) 자동차는 자동차부품 포함(MTI 741, 742),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

외 기준

○ (IT산업군) IT산업 수입은 중저가 중국산 제품과 부품 수입이 증가하

고, 시스템반도체 및 5G 등 신산업 대응 제품의 수입이 늘면서 2019

년 전년비 3.5% 증가에서 2020년 5.5% 증가할 전망

- 반도체 수입은 자동차용 반도체, 전력 반도체, 센서류 등 국내 제작이

어려운 시스템반도체의 수요확대로 전년비 7.1% 증가 전망

Page 17: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xv -

- 정보통신기기 수입은 5G 서비스 확산으로 통신장비 및 외산 신형 스마

트폰 수요가 확대되고, 휴대형 PC와 CPU 등 컴퓨터부품 유입증가, 해

외생산 국내제품의 역수입이 늘어나면서 전년 대비 6.3% 증가 전망

- 이차전지 수입은 가격경쟁력이 높은 중국산 완제품 및 부분품 채용이

지속 확대되면서 전년비 5.5% 증가 전망

- 가전 수입은 내수 둔화가 점차 진정되고 가성비 높은 중국 제품의 수입

증가 및 해외생산 제품의 역수입 증가로 전년 대비 1.6% 증가 전망

- 디스플레이 수입은 스마트폰 공장 철수로 인한 디스플레이 수입물량 감

소와 가격하락 지속으로 8.9% 하락 전망

2020년 산업전망 기상도

수 출 생 산 내 수 수 입

기계산업군

자동차 ☁ ☁ ☼조 선 ☼☼ ☼☼ ☼☼일반기계

소재산업군

철 강 ☁ ☁ 정 유 ☁석유화학 ☂ ☁ ☁ ☁섬 유 ☁ ☁

IT제조업군

가 전 ☁ ☁ ☁ 정보통신기기 ☁ ☁ ☼

반도체 ☼ ☼☼ ☼☼ ☼디스플레이 ☁ ☁ ☂ ☂이차전지 ☼ ☼ ☼☼ ☼☼

주 1) 전망 : 전년대비 증가율 기준, ☂☂ -10% 이하, ☂ -5%∼-10, ☁ -5∼0%, 0∼5%, ☼ 5∼10%, ☼☼ 10% 이상. 2) 생산과 내수의 경우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정유는 석유제품, 석유

화학은 3대 유도품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3) 수출과 수입은 모든 업종에서 달러화 가격 기준.

Page 18: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1 -

I. 거시경제 전망

1. 국내 실물경제 동향

□ 수출 부진 ․ 투자 감소 ․ 소비 둔화 속에서 낮은 성장세

○ 국내 실물경기는 수출 감소세가 확대되는 가운데 내수는 소비 증가세가 둔

화되고 투자 감소세가 완화되면서 낮은 성장세 지속

- 민간소비가 2분기 들어 증가율이 2%대로 상승하였으나 전년보다 낮은

수준이고, 설비투자 및 건설투자는 감소세가 다소 완화

- 수출(통관기준)은 글로벌 경기둔화와 무역분쟁 이슈, 반도체 수출 감

소와 수출단가 하락 등의 요인으로 2019년 들어 감소세가 점차 확대

* GDP(전기비, %) : ('18.4/4) 0.9 → ('19.1/4) -0.4 → (2/4) 1.0 → (3/4) 0.4

* GDP(전년동기비, 이하 同, %): ('19.1/4) 1.7 → (2/4) 2.0 → (3/4) 2.0

* 민간소비(%) : ('18.4/4) 2.4 → ('19.1/4) 1.9 → (2/4) 2.0 → (3/4) 1.7

* 설비투자(%) : ('18.4/4) -5.3 → ('19.1/4) -17.4 → (2/4) -7.0 → (3/4) -2.7

* 건설투자(%) : ('18.4/4) -5.7 → ('19.1/4) -7.2 → (2/4)) -3.5 → (3/4) -3.0

* 통관수출(%) : ('18.4/4) 7.7 → ('19.1/4) -8.5 → (2/4)) -8.6 → (3/4) -12.2

<그림 Ⅰ-1> 실질GDP 성장률과 부문별 성장기여도 추이

자료:한국은행. 주:내수는 민간소비와 총고정자본형성의 합.

Page 19: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2 -

○ 광공업 생산은 2017년 이후 증가율의 하향추세가 지속되는 모습이나,

서비스업 생산은 큰 변동폭 속 증가율의 하향세가 다소 완화

* 광공업(전년동월비, %) : ('19.6월) -2.7 → (7월) 0.6→ (8월) -3.3 → (9월) 0.4

* 서비스(전년동월비, %) : ('19.6월) 0.1 → (7월) 1.5→ (8월) 2.4 → (9월) 1.0

<그림 Ⅰ-2> 산업생산 증가율 추이

자료:통계청.

○ 경기선행지표는 선행지수와 동행지수 모두 약세가 이어지는 모습

* 선행 순환변동치 전월차: ('19.6월) -0.2 → (7월) -0.3 → (8월) 0.0 → (9월) 0.1

* 동행 순환변동치 전월차: ('19.6월) -0.1 → (7월) -0.1 → (8월) 0.2 → (9월) 0.0

<그림 Ⅰ-3> 경기종합지수 추이

자료:통계청.

Page 20: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3 -

2. 대외여건 전망

(1) 세계경제

□ 2019년 동향 : 연초 이후 성장세 둔화 지속

○ 세계 실물경기는 올 들어 선진권을 중심으로 현저히 약화되고 있는

모습이며, 개도권 경기도 일시 반등한 이후에 다시 약화된 상황

- 선진권은 미국이 확장적 재정정책과 고용 여건의 개선 등으로 비

교적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일본과 유로권에서는 수

출 부진 등의 영향으로 미약한 성장 흐름을 지속

- 개도권은 중국이 올 들어 내·외수 동반 부진의 여파로 성장률의 하

락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브라질과 러시아 등도 원자재 가격의 약

세 영향으로 부진한 성장 흐름을 보이고 있는 모습

- 전세계 산업생산은 연초에 전년동월비 증가율이 일시 반등한 이후

계속 떨어지면서 지난 2015년 말 이후 처음으로 0%대까지 하락

* 세계 산업생산 : (2018) 3.1% (2019.상반기) 1.3% (2019.7∼8월) 0.7%

· 선 진 권 : (2018) 2.4% (2019.상반기) 0.5% (2019.7∼8월) -0.5%

· 개 도 권 : (2018) 3.7% (2019.상반기) 2.0% (2019.7∼8월) 1.7%

<그림 Ⅰ-4> 세계 권역별 산업생산 증가율 추이

-4

-2

0

2

4

6

8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전세계 산업생산 선진국 개도국

(%, 전년동월비)

자료:CPB Netherlands Bureau for Economic Policy Analysis.

Page 21: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4 -

□ 2020년 전망 : 전년 수준의 성장 예상

○ 2020년 세계경제는 선진권의 성장 둔화와 개도권의 성장 부진 속에

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의 비교적 완만한 성장률 흐름이 예상되며,

보호무역 기조와 통화정책 변화, 정치적 불확실성 등이 주요 변수

- 미국은 재정정책의 영향이 점차 소멸되고 있는 데다, 주요국들과의

무역분쟁 영향으로 생산과 수출, 투자 등이 둔화되면서 성장률도

낮아질 전망이며, 연준의 통화정책 변화 및 영향 등이 주요 변수

- 일본과 유로권은 경기 반등을 위한 모멘텀이 부재하면서 2019년과

비슷한 수준의 성장률이 예상되고, 중국은 정책당국의 경기 부양

노력에도 내·외수 여건의 약세 영향으로 6% 미만의 성장률이 예상

- 세계경기 향방의 주요 변수들로는 글로벌 보호무역 기조와 제조업

경기의 회복 여부, 중앙은행들의 통화정책 변화 여부, 각종 정치적

불확실성(중동 정정 불안, 미국 대선의 전개 양상, 브렉시트 등) 등

<표 Ⅰ-1> 세계 권역별 및 주요국의 성장률 추이와 전망

단위:%, 전년동기비(전기비 연율)

2018 2019 IMF OECD

상반기 하반기 연간 1분기 2분기 3분기 2019 2020 2019 2020

세 계 3.6 3.0 3.4 2.9 3.0

선진권 2.8 2.0 2.4 1.7 1.6 - 1.7 1.7 - -

미 국 2.8 3.0 2.92.7(3.1)

2.3

(2.0)

2.0

(1.9)2.4 2.1 2.4 2.0

일 본 1.4 0.2 0.8 0.9 0.9 1.3 0.9 0.5 1.0 0.6

유 로 2.3 1.4 1.9 1.3 1.2 1.1 1.2 1.4 1.1 1.0

개도권 4.5 3.9 4.6 - -

중 국 6.8 6.5 6.6 6.4 6.2 6.0 6.1 5.8 6.1 5.7

세계교역 3.6 1.1 3.2 - -

자료 : IMF World Economic Outlook(2019.10월), OECD Interim Economic Outlook(2019.9월).

Page 22: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5 -

<그림 Ⅰ-5> OECD 산업생산 및 경기선행지수 변화율 추이

-4

-2

0

2

4

6

8

10

12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

-1

0

1

2

3

4

5

6

OECD 전산업생산지수(우) OECD 경기선행지수(좌)

(%, 전년동월비) (%, 전년동월비)

<표 Ⅰ-2> 주요 권역별 및 국별 경기선행지수(CLI) 추이

경기선행지수

(장기 추세=100)

전월비 변화율

(%)

전년

동월비경기 전망**

2019 201919.9월

5월 6월 7월 8월 9월 5월 6월 7월 8월 9월

OECD 99.3 99.2 99.2 99.1 99.1 -0.05 -0.05 -0.04 -0.03 -0.02 -0.96 안정적 성장세

유로권 99.3 99.2 99.1 99.1 99.0 -0.10 -0.11 -0.10 -0.08 -0.06 -1.26 성장세 안정화

아시아 개도권* 99.2 99.2 99.2 99.2 99.2 -0.02 -0.02 -0.01 0.00 0.00 -0.36 안정적 성장세

선진권(G7) 99.2 99.1 99.0 99.0 98.9 -0.10 -0.10 -0.09 -0.08 -0.06 -1.43 성장세 안정화

캐나다 99.1 99.1 99.0 99.0 98.9 -0.03 -0.04 -0.05 -0.06 -0.06 -1.14 안정적 성장세

프랑스 99.3 99.3 99.4 99.4 99.4 0.00 0.01 0.02 0.01 0.00 -0.36 안정적 성장세

일 본 99.5 99.4 99.4 99.3 99.3 -0.08 -0.08 -0.06 -0.05 -0.03 -0.95 안정적 성장세

독 일 99.2 99.0 98.8 98.7 98.7 -0.21 -0.20 -0.18 -0.12 -0.06 -2.10 성장세 둔화

이탈리아 99.3 99.3 99.2 99.1 99.1 -0.08 -0.09 -0.07 -0.06 -0.05 -1.15 안정적 성장세

영 국 99.1 99.2 99.1 99.0 98.9 0.04 0.02 -0.02 -0.10 -0.14 -0.85 성장세 둔화

미 국 99.2 99.0 98.9 98.8 98.8 -0.13 -0.12 -0.12 -0.10 -0.06 -1.71 성장세 둔화

브라질 102.1 102.1 102.1 102.1 102.1 0.02 0.03 0.03 0.00 -0.03 0.64 안정적 성장세

중 국 98.8 98.9 98.9 99.0 99.1 0.05 0.06 0.08 0.08 0.08 0.08 안정적 성장세

인 도 100.0 99.8 99.7 99.6 99.4 -0.12 -0.13 -0.13 -0.13 -0.14 -1.26 성장세 둔화

러시아 99.7 99.7 99.6 99.5 99.4 -0.04 -0.07 -0.09 -0.09 -0.09 -1.13 안정적 성장세

자료:OECD. 주 1) 한국, 중국, 일본, 인도, 인도네시아. 2) 지수가 100 이상에서 상승(또는 하락)하면 expansion(또는 downturn), 반대로 100 미만에서

상승(또는 하락)하면 recovery(또는 slowdown)를 의미.

Page 23: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6 -

<그림 Ⅰ-6> 세계 주요국별 경기선행지수 추이

(a) 미 국 (b) 유 로

(c) 일 본 (d) 중 국

(e) 브라질 (f) 러시아

자료 : OECD.

Page 24: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7 -

(2) 유 가 : 배럴당 62달러 수준 예상○ 국제유가는 연초 한때 두바이유 기준 배럴당 42달러 수준(2018년 12월)

까지 하락하고, 2019년 5월에는 70달러 수준까지 상승한 이후, 다시 하

락하여 현재 60달러 수준에서 횡보하는 상황

- 지난 5월까지의 유가 상승은 OPEC의 감산과 베네수엘라, 이란, 리비

아 등지에서의 지정학적 불안정성에 기인한 반면, 6월 이후 하락은

미·중 무역분쟁의 장기화와 세계경기 둔화를 비롯한 수요측 요인들

이 주로 작용

- 지난 9월에 사우디 석유시설이 드론의 공격을 받고, 공급 차질이 발

생한 것은 공급측 요인에서의 중대한 유가 상승 요인이었으나, 미국

셰일오일의 생산 확대로 상쇄되고, 세계경기가 회복 조짐을 보이지

않으면서 배럴당 60달러 수준에서 횡보하고 있는 상황

* 2019년 1분기에 미국이 세계 최대 원유수출국으로 부상

<그림 Ⅰ-7> 국제유가 추이

자료:한국석유공사. 주:음영 부문은 연간 변동 범위(최소값~최대값)임.

Page 25: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8 -

<표 Ⅰ-3> 국제유가 현황

단위 : 달러/배럴, 기간 평균

2017년 2018년 2019년

1/4 2/4 3/4 4/4 연간 1/4 2/4 3/4 4/4 연간 1/4 2/4 3/4 11월

WTI 51.8 48.2 48.2 55.4 50.9 62.9 67.9 69.5 59.1 64.8 54.9 59.9 56.4 56.8

Brent 54.6 50.8 52.2 61.5 54.7 67.2 75.0 75.8 68.4 71.6 63.8 68.5 62.0 62.2

Dubai 53.0 49.6 50.4 59.3 53.1 63.9 72.1 74.1 67.7 69.5 63.4 67.6 61.1 61.0

자료 : 한국석유공사. 주 : 2019년 11월은 11월 1일부터 12일(현재) 평균.

○ 2020년 국제유가는 OPEC의 감산 연장과 미국과 이란의 갈등에도 불구

하고 미국의 원유 증산 기조가 공급 측면에서 유가 상승을 제한할 전망

이나, 수요 측면에서 하반기에 세계경기가 개도권을 중심으로 다소 나

아지면서 올해와 비슷한 배럴당 연평균 60달러대 초반 수준이 예상

○ 두바이유 기준 2020년 유가는 상반기 배럴당 60.0달러(전년동기비 8.4%

하락), 하반기 64.8달러(전년동기비 8.2% 상승)로 연평균 62.4달러(전년

동기비 0.5% 하락)가 예상

<표 Ⅰ-4> 2020년 유가 전망(국내경제 전망을 위한 전제)

2019년 2020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두바이유65.5*(-3.8)

59.9(-15.5)

62.7(-9.8)

60.0(-8.4)

64.8(8.2)

62.4(-0.5)

단위:달러/배럴, 기간 평균

주:( )는 각각 전년동기비 기준, 단위 %, *는 실측치.

Page 26: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9 -

(3) 환 율 : 2019년 수준 유지 예상○ 2019년 원/달러 환율은 미·중 무역분쟁과 글로벌 경기둔화, 미국 금리

인상 등으로 인하여 상승 추세를 이어오다, 미·중 무역협상 타결 기대감

등의 영향으로 우하향하는 하락 흐름을 보이는 모습

- 연초 원/달러 환율은 미국경제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과 함께 미국 금

리 인상과 미·중 무역분쟁, 일부 신흥국 금융 불안 등의 영향으로 완만

한 오름세

- 2분기 들어서는 국내 경제지표 부진과 미국의 이란산 원유 수입 제재

여파, 미국과 여타 주요국들 간 경기격차 확대 우려 등으로 인한 원화

약세 및 달러화 강세 영향으로 원/달러 환율은 급등

- 특히 5월초 미·중 무역협상 결렬 여파로 인하여 원화 가치가 급

락하면서 원/달러 환율은 1,190원대를 기록하였으나, 이후 미국 금

리 인하 및 미·중 무역협상 타결 기대감 등으로 하락

- 3분기 들어서는 미국의 대중 추가 관세 결정으로 미·중 무역갈등

이슈가 재점화되고, 일본의 한국 화이트리스트 배제 결정, 글로벌

경기침체와 국내 경제지표 부진으로 달러화 강세 및 원화 약세가

맞물리면서 원/달러 환율은 한때 1,200원을 돌파(8.13일 1,222.2원,

연중 최고치이자 2017년 1월 이후 최고치)

- 이후 미·중 무역협상 기대감과 환율 협정 서명 가능성, 브렉시트

기한 연장 등으로 인한 불확실성 감소 및 글로벌 제조업 체감경기

반등에 따라 달러화가 약세로 돌아서면서 원/달러 환율은 우하향하

는 모습

Page 27: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10 -

<그림 Ⅰ-8> 원/달러, 원/엔(100엔), 엔/달러 환율 추이

자료:한국은행.

○ 2020년 원/달러 환율은 전반적인 하향 기조가 유지되는 가운데 소폭의 등

락을 거듭하면서 완만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

- 미·중 무역분쟁이 장기화되면서 국내경제와 더불어 글로벌 경기침체 우

려가 지속되고 있는 데다, 중국경기 둔화가 위안화 약세 압력을 높이고

있어 달러화 강세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

- 특히 한·일 무역긴장 속에서 불확실성 증대 및 제조업 경쟁력 상실 우

려 등으로 인한 국내 주요 지표들(수출, 내수, 무역수지)의 부진이 지속

될 경우 원화의 추가적인 약세 원인이 될 전망

- 다만,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한 미국경기의 침체 우려감 증대와 함께 미

국 대선 전 경기 부양을 위한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이 있어 달러화의

추가 상승은 제한적일 가능성

- 또한, 주요국들의 완화적 통화정책 흐름과 글로벌 저금리 등이 환율 상

승 압력을 억제하고 있는 데다, 중국 정부의 재정 확대 및 국내 외환건

전성 수준 등도 원/달러 환율의 추가 상승을 제한할 전망

Page 28: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11 -

-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은 다시 확대될 가능성도 있으나, 2020년 연평균

은 2019년과 비슷한 수준이 예상

○ 2020년 원/달러 환율은 상반기 1,175원(전년동기비 2.5% 상승), 하반기

1,160원(전년동기비 2.4% 하락)으로 연평균 1,168원(전년동기비 0.01%

상승) 내외 예상

<표Ⅰ-5> 원/달러 환율 전망

2019년 2020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1,146.6(6.6)

1,188.1(5.6)

1,167.4(6.1)

1,175(2.5)

1,160(-2.4)

1,168(0.01)

주 1) ( )는 각각 전년동기비 기준, 단위 % 2) 2019년 하반기는 2019년 11월 현재 기준.

Page 29: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12 -

3. 2020년 국내경제 전망

(1) 경제성장

○ 2020년 국내경제는 수출이 세계경기 둔화세의 진정에도 대외 여건의 불

확실성으로 소폭 증가에 그치고, 소비 증가세의 완만한 흐름 속에서 정

부 정책 등의 영향으로 투자 침체가 다소 완화되면서 2.3% 성장이 예상

- 수출이 2019년의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와 글로벌 경기 둔화세의 진정

에도 불구하고 대외여건의 불확실성 등에 따른 영향으로 소폭 증가에

그치고, 소비 증가율도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나, 정부 정책 등으로 투

자 침체가 완화되면서 성장을 지지할 것으로 예상

- 2019년 실질GDP는 소비 증가세가 둔화되고, 투자도 감소세를 보이는

데다, 수출 증가율이 큰 폭 떨어지면서 지난해(2.7%)보다 낮은 2.0% 성

장률이 예상

○ 수출은 2019년의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와 세계경제의 둔화세 진정, 글

로벌 반도체 시장의 일부 개선에도 불구, 미·중 무역분쟁, 중국 경기 둔

화 등 대외여건의 불확실성 등으로 회복세가 제한적

- 2020년 수출은 2.5%, 수입은 3.3% 증가하고, 무역수지는 전년보다 약간

줄어든 약 387억 달러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

○ 내수는 소비가 전년의 증가율 수준에 그칠 것이 예상되나, 설비투자가

증가세로 전환되고, 건설투자도 정부 정책효과로 인해 감소 폭이 다소

줄어들 것으로 예상

- 설비투자는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불확실성 지속에도 불구하고 기저

효과, 세계경기와 반도체 업황 회복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증가세 전환

이 예상되며, 건설투자도 정부의 확장적 예산 기조 하에서 감소세가 다

Page 30: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13 -

소 둔화될 것으로 전망

- 소비는 정부의 노동시장 정책과 금리 하락에 따른 원리금상환 부담 감

소에도 불구하고, 소비심리의 미약한 개선 등의 영향으로 인해 전년 수

준의 증가율에 그칠 전망

○ 대외적으로는 국가간 통상마찰 심화 여부와 주요국 통화정책 기조 변화

의 영향, 신흥권의 정치적 불안정성 지속 여부 등이, 그리고 국내적으로

는 한은의 금리 인하 영향과 정부 정책 효과의 발현 여부, 제조업 경기

의 회복 여부 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

<표 Ⅰ-6> 국내 주요 거시경제지표 전망

단위:전년동기비, %, 억 달러

2019년 2020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실질GDP 1.9 2.1 2.0 2.2 2.3 2.3

민간소비 2.0 1.9 2.0 1.9 2.1 2.0

건설투자 -5.4 -2.3 -3.8 -2.1 -1.5 -1.8

설비투자 -12.2 -1.7 -7.0 2.9 4.1 3.5

통관 수출(억달러, %)

2,712

(-8.6)

2,746

(-10.9)

5,458

(-9.8)

2,753

(1.5)

2,844

(3.6)

5,597

(2.5)

통관 수입 (억달러, %)

2,525

(-4.9)

2,518

(-6.6)

5,043

(-5.8)

2,570

(1.8)

2,640

(4.8)

5,210

(3.3)

무역수지 187 228 415 183 204 387

자료:산업연구원.

Page 31: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14 -

(2) 부문별 전망

1) 민간소비

○ 민간소비는 올 들어 실질소득(GNI) 증가세가 둔화됨에 따라 전년동기

비 증가율도 현저히 하락

- 의복 등 준내구재 소비는 증가세가 급격히 둔화된 반면, 내구재와 비내구

재 소비는 증가율이 소폭 반등

- 실질총소득(GNI)은 수출물가 하락에 따른 교역조건의 악화영향으로

최근 4분기 동안 둔화세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

* 순상품교역조건지수 (한국은행, 2015=100) : '18.4Q 93.0 → ’19.1Q 93.9 → ‘19.2Q

90.9 → ‘19.3Q 91.5

* 수출물가지수 (한국은행, 2015=100) : ’18.4Q 103.9 → ‘19.1Q 100.1 → ’19.2Q 98.4

→ ’19.3Q 95.8

<표 Ⅰ-7> 민간소비 추이

단위:전년동기비, %

2017년 2018년 2019년

연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연간 1분기 2분기 3분기

민간소비 2.83.6 2.9 2.3 2.4

2.81.9 2.0 1.7

(0.7) (0.5) (0.4) (0.8) (0.1) (0.7) (0.1)

소매판매액지수 1.95.3 5.0 3.8 3.0

4.21.7 2.0 2.4

(2.1) (0.6) (-0.2) (-0.1) (1.3) (1.0) (0.2)

실질 GNI 3.22.4 1.8 -0.2 1.0

1.2-0.5 0.3

(1.3) (-0.6) (0.6) (0.0) (-0.3) (0.2)

자료:한국은행, 통계청. 주:( )안은 계절조정 자료의 전기비.

Page 32: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15 -

<그림 Ⅰ-9> 재화별 소비 추이

(전년동기비 증가율)

<그림 Ⅰ-10> 민간소비와 실질GDI

(전년동기비 증가율)

자료:통계청, 서비스업동향조사. 자료 : 한국은행.

○ 최근에 취업자 수 증가폭이 확대되면서 고용률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

고 있고 (9월 기준 1999년 이후 최고치), 20대 취업자 증가폭도 확대되

는 등의 현상은 소비에 긍정적 영향

- 다만 소비 여력이 낮은 60대 이상의 취업자 수 증가폭이 가장 높은 것

은 소비 증대에 제한적 영향

* 취업자 중 60세 이상 비중 (1월~9월) : 2016년 14.4%, 2017년 15.2%, 2018

년 16.0%, 2019년 17.1%

<그림 Ⅰ-11> 취업자 추이 <그림 Ⅰ-12> 고용률 추이

자료:통계청. 자료:한국은행.

Page 33: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16 -

○ 최근 소비자 심리지수가 기준선(100)보다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가계

부채가 계속 누적되고 있는 점은 가계소비를 제약하는 요인

- 다만, 한은의 금리 인하 영향으로 대출금리가 하락하면서 원리금 상

환 부담이 완화되는 상황은 소비에 긍정적 요인

<그림 Ⅰ-13> 소비자 심리지수 추이 <그림 Ⅰ-14> 가계부채 및 대출금리 추이

자료:한국은행. 자료:통계청.

○ 2020년 민간소비는 고용의 질적 개선은 부족하지만, 전반적인 고용지

표가 꾸준히 개선되고 있고, 저금리 지속, 대외 불확실성 완화 등의 긍

정적 기대감으로 인해 전년 수준의 증가세(2%)가 이어질 전망

- 다만, 미·중 무역분쟁의 부정적 영향이 점차적으로 완화될 전망이고,

가계소득 확충을 위한 정부의 각종정책, 저물가에 의한 실질소득 상

승, 저금리가 지속되면서 가계의 원리금 상환부담이 낮아지는 상황 등

은 민간소비를 증대시키는 요인

<표 Ⅰ-8> 민간소비 전망

단위 : %, 전년동기비

2019년 2020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민간소비 2.0 1.9 2.0 1.9 2.1 2.0

자료 : 산업연구원.

Page 34: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17 -

2) 투 자

□ 설비투자

○ 설비투자는 2018년 2분기 이후 감소세를 보이다 2019년 2분기부터 감소

폭이 축소되고 있는 상황

- 올 상반기에는 IT산업의 부진과 미·중 무역갈등으로 인한 수출 부진의

여파로 전년동기비 12.2% 감소

- 특히 반도체 업종은 2017년 대규모 설비투자 이후의 메모리 반도체의

공급과잉 상황에서 생산 확대를 위한 신규투자에는 여전히 신중

- 지난 3분기에 전년동기비 감소폭이 -2.7%로 크게 축소되었으나, 미·중

무역갈등의 장기화 등에 따른 불확실성으로 감소세가 좀 더 이어질 전

망(하반기 -1.7% 예상)

○ 형태별로는 운송장비 투자가 자동차 부문에서 증가하면서 설비투자 감

소세 완화를 견인하고 있고, 기계류 투자도 지난 2분기에 전기 및 전자

기기 부문에서 크게 증가하면서 저점에서 벗어난 모습

<표 Ⅰ-9> 설비투자 추이

단위:%

2018 2019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연간 1분기 2분기 3분기1)

전년동기비

설비투자10.2 -4.3 -9.4 -5.3

-2.4-17.4 -7.0 -2.7

(4.3) (-8.4) (-4.0) (3.2) (-9.1) (3.2) (-5.2)

기계류11.2 -2.5 -13.6 -14.4

-5.0-21.7 -13.3 -

(-0.5) (1.6) (9.2) (12.1) (-5.0) (-0.4) -

운송장비6.8 -9.6 8.1 23.4

6.70.1 12.2 -

(5.7) (-11.1) (-7.9) (0.1) (-19.5) (13.9) -

자료:한국은행. 주: ( ) 안은 계절조정계열의 전기비 증감률

Page 35: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18 -

2019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1) 9월1)

총지수 -16.5 -26.2 -16.8 -6.9 -10.0 -9.3 -4.8 -2.9 -1.6

기계류 -19.6 -25.0 -18.5 -8.7 -10.5 -8.4 -5.9 -3.2 -1.7

일반기계류 -29.8 -34.2 -29.0 -17.4 -19.2 -13.4 -13.5 -6.8 -6.7

전기및전자기기 -5.1 -12.9 -0.1 7.2 2.7 5.1 8.4 4.3 8.7

정밀기기 2.4 -7.9 -2.8 5.9 0.5 -10.4 1.0 -1.8 -1.1

기타기기 -2.0 -2.5 4.4 5.4 13.0 0.9 3.9 -1.7 5.9

운송장비 -5.1 -29.8 -11.2 -0.6 -8.6 -12.0 -1.7 -2.1 -1.3

자동차 -1.7 -8.1 -5.0 2.9 -6.8 -11.2 3.5 -4.7 11.9

기타운송장비 -10.4 -55.3 -21.9 -6.6 -12.0 -13.1 -9.1 2.0 -18.6

<표 Ⅰ-10> 부문별 설비투자 추이

단위:%, 전년동기비

자료:통계청. 주: 1) 잠정치

<그림 Ⅰ-15> 설비투자 추이

(a) 설비투자 증가율 추이 (b) 설비투자지수 증가율 추이

(%, 전년동기비) (%, 전년동기비)

자료 : 한국은행, 통계청.

○ 2020년 설비투자는 전년의 침체에 따른 기저효과와 세계경기 및 반도체

업황의 회복 기대감으로 증가세로 전환될 전망

- 반도체 업종은 낸드플래시의 가격 하락세가 진정되고, DRAM 가격이

2020년 상반기 저점에서 점차 회복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투자가 증

가세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

Page 36: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19 -

- 일반기계 업종도 정부의 소재・부품・장비산업 강화 정책으로 투자

증가세가 예상되고, 석유화학 업종에서는 정유사들의 업스트림 시장

진입으로 인해 생산설비의 증설이 예상

- 기계수주액과 설비투자조정압력의 증가율은 0에 근접하여 횡보하고

있어 설비투자가 재차 하락할 가능성은 크지 않음.

○ 설비투자는 2020년 상반기에는 전년동기비 2.9% 증가, 하반기에는 4.1%

증가가 예상되면서 연간 전체로 3.5% 증가 전망

<그림 Ⅰ-16> 설비투자 선행지표 추이

(a) 설비투자 선행지수 증가율 (b) 제조업 설비투자 전망 BSI

(%, 전년동기비) (BSI, 기준=100)

자료 : 통계청, 한국은행 주: 1) 기계수주(불변, 선박을 제외한 국내수요)와 설비투자조정압력은 3개월 중심항 이동 평균

2) 설비투자조정압력 = 제조업 생산지수 증감률 – 제조업 생산능력 증감률3) 설비투자 전망은 다음 달 전망

□ 건설투자

○ 건설투자는 2018년 2분기부터 계속해서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

며, 건물건설이 여전히 부진한 모습이나 토목건설이 지난 2분기부터 증

가세로 전환되면서 건설투자의 감소폭을 완화시키는데 일조

- 부동산 규제정책으로 주거용 건물건설의 감소폭이 2018년 2분기 이후

계속해서 커지고 있는 반면, 비주거용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은 2019년

2분기 들어 증가세를 회복

Page 37: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20 -

* 건설기성액도 건물건설의 부진과 토목건설의 회복이 크게 대비

2018년 2019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1)

전년동기비

건설투자 1.2 -2.5 -8.7 -5.7 -7.2 -3.5 -3.0

형태별

건물건설 3.3 -1.1 -8.6 -6.8 -7.6 -5.9 -

주거용 건물 5.6 -2.0 -4.7 -6.7 -12.0 -12.6 -

비주거용 건물 0.3 -0.1 -12.5 -6.8 -1.6 1.5 -

토목건설 -4.6 -6.3 -9.0 -3.1 -6.0 2.9 -

주체별

민 간 2.8 -4.8 -8.2 -8.0 -7.6 -7.3 -

정 부 -6.9 4.9 -11.5 3.0 -4.5 7.7 -

전기비

건설투자 0.9 -2.5 -6.0 1.8 -0.8 1.4 -5.2

형태별

건물건설 0.2 -2.4 -5.5 0.7 -0.7 -0.6 -

주거용 건물 1.7 -4.6 -1.0 -2.9 -4.5 -4.8 -

비주거용 건물 -1.4 0.1 -10.4 5.1 3.7 3.8 -

토목건설 2.9 -2.8 -7.4 5.1 -1.2 6.9 -

주체별

민 간 1.8 -4.9 -4.6 -0.7 1.9 -3.5 -

정 부 -3.1 8.4 -11.3 12.8 -11.2 22.6 -

<표 Ⅰ-11> 건설투자 추이

단위:%

자료:한국은행. 주: 1) 잠정치

<그림 Ⅰ-17> 건설투자와 건설기성액 추이

(a) 건설투자 증가율 (b) 건설기성액 증가율 (%, 전년동기비) (%, 전년동기비)

자료 : 한국은행, 통계청.

주 : 건설기성액은 3개월 중심항 이동평균.

Page 38: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21 -

○ 건설경기 선행지표인 건설수주액은 토목건설과 건물건설 모두 증가율

이 횡보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부동산 심리지수는 저금리 국면에서 지

난 4월 이후에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양상

<그림 Ⅰ-18> 건설투자 선행지표 추이

(a) 건설수주액 증가율 (b) 부동산 심리지수 (%, 전년동기비) (기준=100)

자료 : 통계청, 국토연구원.

주 : 건설수주액은 3개월 중심항 이동평균.

○ 2020년 건설투자는 부동산 규제정책 영향으로 의미 있는 반등이 어려울

것이나, 정부의 확장예산 기조 속에 토목건설이 증가세를 유지하면서

감소폭이 전년보다 줄어들 전망

- 경기 부진을 극복하기 위한 정부의 예산 증액과 생활 SOC, 도시재생

사업, 국가균형발전프로젝트 등의 영향으로 공공수주는 증가가 예상

* 2020년 예산이 전년대비 9.3% 증액된 가운데 SOC 예산은 12.9% 증가

○ 건설투자는 2020년 상반기에 전년동기비 2.1% 감소하고, 하반기에는

1.5% 감소하면서, 연간 전체로 전년(-3.8%)보다 감소폭이 줄어든 -1.8%

의 감소율을 기록할 전망

Page 39: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22 -

3) 수출입

□ 2019년 동향 : 수출입 큰 폭으로 감소

○ 2019년 들어 수출은 세계경기 둔화에 따른 교역규모 위축, 반도체·석유

관련 제품 등 주력제품의 수출단가 급락, 미·중 분쟁과 중국 경기 둔화

로 인한 대중 수출 급감 등으로 감소세가 지속

- 수입도 국내경기 둔화와 반도체 수출 급감에 따른 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 자본재 수입의 감소로 감소세가 지속

- 수출증가율(%) : (‘18년) 5.4 → (’19.1∼10월) -10.4

수입증가율(%) : (‘18년) 11.9 → (’19.1∼10월) -5.7

<그림 Ⅰ-19> 수출입 증가율과 무역수지 추이

자료:한국무역협회.

○ 수출을 단가와 물량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세계경기 둔화와 교역량 위

축으로 수출물량이 소폭 감소한 가운데, 반도체 가격의 대폭 하락과 유

가 하락 등으로 수출단가가 대폭 하락하면서 수출 감소폭도 확대

- 수출물량(전년동기비, %) : (‘17) 5.3 → (‘18) 6.1 → (‘19.1∼9) -2.8

- 수출단가(전년동기비, %) : (‘17) 8.8 → (‘18) 4.2 → (‘19.1∼9) -7.8

Page 40: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23 -

<그림 Ⅰ-20> 수출단가 및 수출물량 증가율 추이

단위:%, 전년동기비

자료:한국은행, 경제통계DB. 주:수출단가지수는 수출금액지수를 수출물량지수로 나누어 산정.

○ 산업별로는 선박류, 자동차를 제외한 대부분 산업의 수출이 감소한

가운데, 특히 글로벌 수요 부진과 경쟁 심화, 단가 하락 등으로 반도

체, 컴퓨터, 디스플레이 등 IT제품의 수출이 더 큰 폭으로 감소

- 반도체는 메모리반도체 단가의 대폭 하락으로, 디스플레이는 중국의

생산 확대에 따른 LCD 패널 가격 하락으로, 무선통신기기는 경쟁 심

화와 휴대폰 교체주기 연장에 따른 수요 둔화로 큰 폭 감소

- 석유제품·석유화학은 글로벌 수요 둔화 및 공급 확대로 수출단가도

하락하면서 감소세를 지속

- 반면, 자동차는 신차 출시 효과와 단가가 높은 SUV와 친환경차의 수

출 호조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조선도 지난 2017년 수주한 선박

의 본격 인도에 따라 3월 이후 본격적인 증가세로 전환

Page 41: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24 -

<표 Ⅰ-12> 산업별 수출 증가율

단위:전년동기비, %

  

수출증가율 수출비중

2017 2018 2019(1-10) 2017 2018 2019(1-10)

컴퓨터 9.2 17.2 -28.2 1.6 1.8 1.5

반도체 57.4 29.4 -26.0 17.1 20.9 17.5

무선통신기기 -25.5 -22.7 -20.0 3.9 2.8 2.6

디스플레이 9.1 -9.9 -16.2 4.8 4.1 3.8

석유화학 23.5 11.9 -15.2 7.8 8.3 7.9

석유제품 32.3 32.3 -12.7 6.1 7.7 7.5

철강 20.0 -0.7 -9.8 6.0 5.6 5.8

섬유류 -0.5 2.5 -7.9 2.4 2.3 2.4

가전 -22.1 -18.3 -3.7 1.5 1.2 1.3

자동차부품 -9.5 -0.1 -2.4 4.0 3.8 4.2

일반기계 11.3 10.2 -2.4 8.5 8.9 9.6

자동차 3.8 -1.9 6.7 7.3 6.8 7.8

선박 23.1 -49.6 12.8 7.4 3.5 4.0

자료:한국무역협회.

○ 지역별로는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 대한 수출이 감소한 가운데,

특히 중국과 중동에 대한 수출이 큰 폭으로 감소

- 대중 수출은 미·중 분쟁의 영향과 경기둔화, 주력 수출품목(반도체·석유

화학·석유제품)의 단가 하락으로, 대중동 수출은 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두 자릿수 감소

○ 수입은 국내경기 둔화와 투자 부진으로 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 자본재

수입이 대폭 감소하고, 유가 하락으로 원유 등 1차산품의 수입도 크게

감소한 모습이나, 소비재는 자동차를 중심으로 수입이 소폭 증가

Page 42: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25 -

<그림 Ⅰ-21> 지역별 수출 증가율

자료:한국무역협회.

<표 Ⅰ-13> 가공단계별 수입

단위:억 달러, %

자료:한국무역협회.

□ 2020년 전망 : 수출입 소폭 증가 전망

○ 2020년 수출은 2019년 수출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와 세계경제의 둔화

세 진정,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일부 개선 등에도 불구, 미·중 무역분

쟁, 중국 경기둔화 등 대외여건의 불확실성 등으로 소폭 증가(2.5%)에

그칠 전망

- 우리나라 최대 교역국인 중국경기 둔화세는 미·중 분쟁 등의 여파로

2020년에도 지속될 전망이나, 2019년 큰 폭으로 악화되었던 세계경제

및 세계무역 성장률이 2020년에는 다소 회복될 전망

  

2018 2019(1∼10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비중

총수입 5,352 11.9 4,188 -5.7 100.0

1차산품 1,298 23.6 974 -9.4 23.3

(원유) 804 34.9 583 -12.3 13.9

중간재 2579 11.0 2,083 -2.1 49.7

자본재 771 -2.6 535 -17.9 12.8

소비재 678 13.6 576 1.5 13.8

Page 43: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26 -

- 세계반도체 전망조사기관인 WSTS는 최근 발표(2019.8)에서, 세계반도

체시장 규모가 2019년 전년대비 13.3% 감소에서 2020년에는 4.8% 증가

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

- 주요국의 양적완화 등 글로벌 경기부양책은 우리 수출에 긍정적 요인

으로 작용할 것이나, 글로벌 경쟁 심화, 국제유가 하락, 세계경제의

저성장 등 수출단가 하락 요인으로 인해 수출이 큰 폭으로 회복하기

는 어려울 전망

○ 수입도 2019년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와 수출의 증가세 전환 등으로

2020년에는 회복세로 돌아설 것이나, 국내경제의 낮은 성장세와 국제

유가 하락 등으로 회복의 강도가 크지 않은 3.3% 증가에 그칠 전망

○ 무역수지는 흑자 규모가 2020년 379억 달러로 2019년(415억 달러)보다

줄어들고, 수출입이 증가세로 전환하더라도 무역규모는 2018년 수준

(11,452억 달러)에 못 미칠 전망

<표 Ⅰ-14> 수출입 전망

단위:전년동기비, %, 억 달러

2018년2019년 2020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통관기준 수출6,049

(5.4)

2,712

(-8.6)

2,746

(-10.9)

5,458

(-9.8)

2,753

(1.5)

2,844

(3.6)

5,597

(2.5)

통관기준 수입5,352

(11.9)

2,525

(-4.9)

2,518

(-6.6)

5,043

(-5.8)

2,570

(1.8)

2,640

(4.8)

5,210

(3.3)

무역수지 697 187 228 415 183 204 387

주:( )안은 전년동기비 증가율.

Page 44: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27 -

Ⅱ. 12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동향 및 진단

□ 수출 : IT산업과 소재산업의 수출 부진으로 하락

○ 12대 주력산업의 수출은 주력제품의 수출단가 하락, 글로벌 경기 약세

및 미‧중 무역분쟁 등으로 전년동기비 12.1% 감소 기록

- 메모리반도체 가격이 가파른 하락세를 보이고, 디스플레이, 정유, 석유

화학 등 주력제품의 단가 하락세가 수출 감소를 견인

- 10개 주력업종의 수출이 감소한 가운데, 수요가 급증한 이차전지와 수

출단가가 상승한 자동차 수출만이 증가

○ (기계산업군) 기계산업군 수출은 전년 부진했던 자동차의 수출 실적이

증가세로 전환하고 조선의 수출 부진이 개선되면서 전년비 0.3% 감소

- 자동차 수출은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차와 SUV 수출차종 고

급화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에 힘입어 3.1% 증가 시현

- 조선 수출은 고가의 LNG운반선 인도 감소와 드릴십 취소 등의 영향으

로 전년 대비 6.3% 감소

- 일반기계는 미‧중 무역분쟁 심화, 중국기업 제재 등 대외 통상여건 악

화와 중국 제조업 경기 부진 심화 등에 따른 대중 수출 부진과 전년동

기의 높은 실적에 따른 기저효과로 2.1% 감소 전환

○ (소재산업군) 소재산업 수출은 단가 하락, 글로벌 경쟁 심화, 보호무역

주의 지속으로 전년비 11.3% 감소

Page 45: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28 -

- 철강 수출은 철강재 수출단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고, 미국ㆍEU 등의

수입규제 확산, 중국의 증산 등으로 전년비 8.3% 감소

- 석유제품은 국제유가 하락 및 글로벌 업황부진에 따른 수출단가

하락, 아시아 역내 정제설비 증설 및 미국산 석유제품의 수출 경쟁

력 향상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11.7% 감소

- 석유화학 역시 수출단가 하락세 지속,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 우려에

따른 수요 관망세, 미국산 에탄계열 제품 및 신흥국산 제품 공급 증가

에 따른 아시아 시장 공급과잉으로 수출은 14.2% 감소

- 섬유 수출은 수출단가 하락,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세계 섬유‧의류

수요 위축, 개도국향 의류용 섬유소재 수출부진으로 7.2% 감소

○ (IT제조업군) 반도체, 디스플레이, 정보통신기기 등 주력 IT제품의 수출

이 큰 폭으로 하락하여 수출은 전년비 21.2% 감소

- 반도체 수출은 메모리반도체 생산설비 확대에 따른 공급과잉으로 단

가가 2018년 호황기의 50% 이하로 하락하면서 전년비 24.8% 감소

- 디스플레이는 중국의 생산설비 투자 확대에 따른 공급과잉으로 패널가격

이 급락하고, 스마트폰의 글로벌 수요가 둔화되면서 전년비 16.6% 감소

- 정보통신기기 수출은 세계 휴대폰시장의 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중국

기업과의 경쟁심화, 국내 휴대폰 및 부품의 해외생산 확대, SSD 수요감

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19.6% 감소

- 가전 수출은 해외생산 증가, 중국과 경쟁 심화, 미국 세이프가드의 영

향, 세계 경제성장 둔화로 감소세를 지속했으나 프리미엄 가전 수출이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4.4% 감소하여 부진세 완화

- 이차전지 수출은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 및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설치

확산 등에 따른 리튬이온축전지와 부분품의 수출 호조로 4.0% 신장

Page 46: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29 -

□ 생산 : 수출 감소세 등으로 주력산업의 생산 위축

○ 주력산업의 생산은 수출 부진, 완제품의 해외생산 확대, 소재부품의 현지

조달 확대(→소재부품 수출 둔화), 완제품 수입 증가(→내수 확대를 수입

증가로 대체), 수입 소재부품 채용 확대 등으로 위축

- 수출감소가 컸던 IT산업의 생산 부진이 현저한 가운데, 수주회복기 이

후 수주 물량의 본격 건조로 조선 생산이 큰 폭의 증가세 시현

○ (기계산업군) 자동차와 일반기계의 생산 부진이 지속된 반면 조선은 건

조 물량 증가로 생산 실적개선

- 조선 생산은 유조선과 컨테이너선의 건조 증가로 전년 대비 16.8% 증가

세 전환

- 자동차 생산은 내수 및 수출물량이 감소하고 2018년 한국GM의 군산공

장 폐쇄에 이어 르노삼성이 닛산에서 위탁받아 생산하던 물량이 감소하

는 등 외자계업체들의 생산물량 조정으로 전년대비 0.7% 하락

- 일반기계 생산은 반도체 업황 부진에 따른 설비투자 조정과 자동차, 가전

등 주요 수요산업의 부진에 따른 설비투자 수요감소로 전년비 1.3% 감소

○ (소재산업군) 철강과 섬유는 수출 및 내수 부진으로 생산이 감소한 반

면, 정유와 석유화학은 설비 확대 및 일부 수요산업의 수요확대로 생산

이 증가

- 석유제품은 ‘17년~’18년 대규모 고도화설비 투자가 완료되어 ‘19년 생

산량이 전년 대비 1.0% 소폭 상승하였으나, 내수 및 수출 물량이 동시

에 축소되며 재고량이 크게 증가

- 석유화학 생산은 하반기에 NCC 증설 및 PP, ABS, PVC 생산설비가 확

대되고, 합성수지‧합성고무 수요 개선 및 기초유분 제품의 생산량 증가

에 힘입어 전년비 1.0% 증가 전환

Page 47: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30 -

- 철강 생산은 건설경기 침체와 대미 수출 규제, 냉연강판의 공급과잉 등

으로 국내출하 및 수출이 부진하여 전년비 1.6% 감소

- 섬유는 내수 부진과 더불어 수출이 지속 감소하고, 해외생산 확대 및

수입제품의 국내 생산 대체가 가속화되면서 2.8% 감소

○ (IT제조업군) 이차전지를 제외한 반도체, 디스플레이, 정보통신기기 등

주력 IT산업의 수출 부진으로 국내 생산이 대폭 감소

- 반도체 생산은 수출이 큰 폭으로 감소하고 설비투자 및 가동률 조정에

따른 생산물량 조정으로 전년대비 20.2% 감소

- 디스플레이 생산은 중국의 생산 증대에 따른 초과공급으로 가격이 급락

하고 프리미엄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 수요가 축소되면서 10.9% 감소

- 정보통신기기 생산은 SSD 등 컴퓨터 주변기기의 수출 감소, 휴대폰의

해외생산 확대와 수출 부진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11.1% 감소

- 가전 생산은 프리미엄 제품과 가전 신제품 호조에도 불구하고 수출과

내수시장 감소로 전년대비 2.7% 감소

- 이차전지 생산은 세계 완성차업계의 전기차 배터리 수요확대로 수출이

늘어나고 무선가전의 내수시장 확대로 배터리 수요가 늘면서 전년비

9.1% 증가

□ 내수 : 비IT산업의 내수가 전반적으로 부진한 가운데, IT산업은 신

산업 및 프리미엄 제품 수요확대로 양호한 실적 유지

○ (기계산업군) 경기 침체에 따른 민간소비 및 설비투자 위축으로 내수 부진

- 자동차 내수는 그동안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던 수입차 판매가 부진하고

경기 침체 지속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전년비 2.6% 감소

Page 48: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31 -

‧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수소전지차 등 친환경차와 SUV 판매는 증가

한 반면, 건설경기 침체와 경기부진에 따른 소상공업 위축 등으로

트럭 등의 상용차 판매 감소

- 일반기계 내수는 자동차, 반도체 등 주요 수요산업의 부진에 따른 설비

투자 위축으로 3.7% 감소

○ (소재산업군) 철강을 제외한 정유, 석유화학, 섬유 내수는 수요산업의 업황

및 소비 위축으로 전반적으로 부진

- 철강은 건설투자 및 설비투자의 위축, 주요 수요산업의 성장 둔화에도

불구하고 수입이 늘어나면서 명목소비가 전년동기비 0.7% 증가

- 정유 내수는 국내 경기 침체에 따른 수요산업 위축으로 석유화학제품

원료인 나프타와 선박용 벙커C유, 항공유, 산업용 석유제품 소비가 줄

면서 전년 대비 1.4% 감소

- 석유화학 내수는 하반기 에틸렌 계열 제품(PE, LDPE)과 자동차산업

경기 호조에도 불구하고 수요산업의 업황 둔화로 0.2% 소폭 감소

- 섬유 내수는 소비가 점차 둔화하고 국내 생산활동이 위축되면서 0.1%

감소세 전환하며 부진 지속

○ (IT제조업군) IT산업 내수는 신산업 및 프리미엄 제품 수요확대로 상대

적으로 양호한 실적 유지

- 이차전지 내수는 전기자동차 보급 가속 및 무선가전 수요 증가로 전년

대비 8.2% 증가

- 정보통신기기 내수는 상반기 5G 서비스 상용화에 따른 5G 휴대폰 및

통신장비 수요가 확대되고 PC 교체수요에 힘입어 전년비 1.2% 증가

- 반도체 내수는 자동차용 반도체 등 시스템반도체 수입수요 증가와 수출

Page 49: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32 -

부진에 따른 생산자 재고 누적으로 전년 대비 14.3% 증가

- 가전 내수는 상반기의 미세먼지 대응 공기청정기와 건조기 등 건강가전

과 인공지능 가전, 생활가전 신제품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경기침체

에 따른 소비지출 둔화로 1.0% 감소

- 디스플레이 내수는 하반기 5G 기술을 채택한 프리미엄폰 신제품 발매

에도 불구하고 경기둔화로 인한 수요 감소와 판매가격 하락으로 9.8%

감소

□ 수입 : 단가 하락 및 비IT산업의 수입수요 감소로 전년비 1.5% 감소

○ (기계산업군) 수입차의 공급 부족 및 불매운동, 수요산업의 부진 등으로

기계산업군 수입은 전년비 3.6% 감소 전환

- 자동차 수입은 경기침체에 따른 판매부진, 상반기 인증제도 변경에 따

른 일부 수입차 업체들의 공급물량 부족과 하반기 일본제품 불매운동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1.7% 감소

- 조선 수입은 LNG운반선과 유럽선사 선박의 생산이 증가하면서 유럽과

미국으로부터 조선기자재 수입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선박 수입 감

소로 전년비 7.2% 감소

- 일반기계 수입은 경기둔화 및 투자 위축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반도

체 설비투자가 조정되면서 일반기계 수입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

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중심으로 4.4% 감소

○ (소재산업군) 소재산업군 수입은 정유 및 석유화학 제품의 수입단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5.8% 감소

- 정유 수입은 국제유가 하락으로 수입단가가 하락하고 수입물량도 줄면

서 전년비 17.3% 감소하였고, 석유화학 수입은 동아시아 시장 내 공급

과잉으로 인한 제품가격 하락으로 전년비 10.5% 감소

Page 50: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33 -

- 섬유 수입은 내수 부진 및 국내 생산활동 부진으로 증가폭이 둔화하였

으나, 해외생산 제품의 역수입 확대, 수입물량 확대 등으로 3.6% 증가

- 철강 수입은 국제철강가격 하락, 중국산 제품의 가격경쟁력 회복

등의 요인으로 전년비 1.1% 확대

○ (IT제조업군) 시스템반도체 및 이차전지 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IT

제조업군 수입은 전년비 3.5% 증가

- 반도체 수입은 자동차‧통신용 반도체 등 일부 특수목적용 반도체와 제

조 공정과정의 메모리반도체 수입 확대에 힘입어 전년비 6.9% 증가

- 이차전지 수입은 중국 이차전지 제조업체들의 높은 가격경쟁력과 빠른

기술경쟁력 축척에 힘입어 이차전지 완제품 및 부분품 수입이 늘어나

면서 전년비 4.5% 증가

- 가전 수입은 해외 생산기지의 역수입 증가, 중국의 가성비 높은 제품 수

입 증가로 내수위축에도 불구하고 전년비 1.3% 증가

- 정보통신기기 수입은 통신장비와 PC, 부품을 중심으로 증가했으나 휴

대폰과 컴퓨터주변기기 수입의 부진으로 전년 대비 0.5% 증가

- 디스플레이 수입은 내수시장이 위축되고 판매단가 하락으로 전년비

7.8% 감소

Page 51: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34 -

2. 2020년 주요 여건변화와 산업별 영향

□ 2020년 글로벌 여건은 세계경제의 둔화세 진정, 반도체시장 안정, 제

품단가 혼조세, 국가간 통상마찰 지속, 경쟁 심화 등 호‧악재가 병존

○ (세계경제 전년 수준 성장) 글로벌 경제의 둔화세 진정으로 미약하나마

소비재를 포함한 최종재 수요 개선에 긍정적이고 소재부품 수요의 동반

수요확대로 국내 주력산업의 수출에 다소 긍정적 영향 예상

- 다만 주요 수출국인 미국 및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둔화하고, 일본, EU

등의 경기가 전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수출이 증가세로

반등하지만 예년의 수출 수준을 회복하기는 어려울 전망

○ (제품 단가) 2020년 제품단가 변동은 산업별로 시장상황 및 특성에 따라

혼조세를 보이며 수출 성과에 상이한 파급효과를 보일 전망이며, 전년

수출부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메모리반도체의 단가 향방이 수출실적

변동에 가장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

- 글로벌 수요가 확대되고 공급과잉이 점진적으로 해소되면서 제품단가

가 안정화 단계(반도체)에 진입하거나, 제품의 고부가가치화‧프리미엄

화로 제품 단가가 상승하며 수출에 긍정적 영향 예상(자동차, 가전)

- 다만 2020년 유가 및 원/달러 환율은 2019년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제품단가에 영향은 미치는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

○ (공급과잉) 2020년에도 중국의 공격적인 설비증설이 지속되거나 수요

부진 등에 의한 공급과잉과 경쟁 심화에 따른 수출 부진 우려 지속

- 중국의 설비 증설 및 증산에 의한 공급과잉은 제품단가 인하 압력으로 수

출에 부정적 영향 전망(철강, 정유, 석유화학, 정보통신기기, 디스플레이)

- 선진권과 신흥국시장 성장 둔화에 따른 수요 부진으로 공급과잉

지속(자동차)

Page 52: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35 -

○ (미‧중 통상분쟁) 미‧중 통상분쟁의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

되는 가운데, 대부분의 주력업종은 글로벌 경기 부진과 수요 위축으

로 예상되는 수출에의 부정적인 영향을 우려

- 미국의 대중국 수입관세 부과 이후 탈중국 생산기지 이전에 따라

설비투자 수요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고, 5G 통신장비 및 스마트폰

분야에서 소폭의 반사이익이 기대되지만 전반적인 수요감소를 만

회하기에는 역부족

<표 Ⅱ-1> 글로벌 여건 변화가 13대 주력산업에 미치는 영향

주 : 매우 긍정적 ◎, 긍정적 ○, 중립 □, 부정적 ×, 매우 부정적 ××

○ (환경규제) 지속적으로 강화되는 글로벌 환경규제는 단기적으로 수출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보호무역 장벽으로 작용하나 산업별

특성에 따라 기회요인과 위험요인이 상존

- 다양한 환경규제 조치는 점진적으로 제품의 수급구조와 경쟁력을 변

  

글로벌 경기 미약한 회복 제품가격 공급과잉 보호무역 강화

(환경규제포함) 종합평가

자동차 ×× ○ × × ×

조선 × □ × ◎ ○

일반기계 ○ □ □ ○ ○

철강 □ □ □ □ □

정유 × × □ × ×

석유화학 × × ×× × ×

섬유 × × □ × ×

가전 × ○ □ × □

정보통신기기 ○ ○ ×× □ ○

반도체 × ◎ □ × ○

디스플레이 × ×× ×× × ××

이차전지 □ □ □ ○ ○

Page 53: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36 -

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환경규제에 대응한 친환경시장

선점 및 경쟁력 강화의 기회로 삼아야 할 필요

* EU의 자동차 연비 규제 강화에 따른 자동차 공급 감소로 부정적

인 영향이 예상(자동차, 철강)되는 반면, 전기차 수요가 확대되면서

이차전지의 수출은 활성화 기대(자동차, 이차전지)

* 2020년 1월 발효를 앞둔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로 선박유

의 황 함량 상한선이 0.5%로 제한됨에 따라 저유황유 및 경유 수

요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정유)

* 또한 선박평형수처리장치(BWMS)의 의무장착이 진행되는 가운데,

노후 선박이 퇴출되고 에너지효율이 높은 국내 건조 선박에 대한 대

체‧조기 발주, 친환경 기자재의 시장 확대 등 기회 요인 상존(조선)

* 친환경 제품 생산을 위한 생산설비 교체수요 증가 예상(일반기계)

□ 대내적으로는 민간소비와 설비투자의 낮은 증가세, 건설투자 부진 지속,

국내 생산기반 약화, 노동시장 정책 변화 등으로 여건 개선은 제한적

○ (민간소비) 2020년 민간소비가 전년 수준의 성장세에 그치면서 자동차,

의류, 가전 등 소비재의 민간소비 및 관련 소재부품의 동반 부진 지속

우려

- 낮은 수준의 민간소비 성장에도 불구하고 소비재 수입은 큰 폭으로 증

가하여 국내 생산 확대로의 선순환 효과를 제약

○ (국내투자) 2020년 주력산업의 국내 설비투자는 기저효과, 수출 증가, 반

도체 업황 개선에 대한 기대와 디스플레이 등 고도화 투자에 힘입어 전

년 대비 다소 증가 전망

- 다만 2020년 수출 및 내수가 부진할 것으로 전망되는 자동차, 섬유, 가

전의 설비투자는 전년의 감소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

- 건설투자 역시 감소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철강, 가전, 섬

유 등 관련 후방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전망

Page 54: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37 -

<표 Ⅱ-2> 주력산업의 2020년 설비투자 전망 기상도

2019 2020자동차 ☂☂ ☁조선 ☼

일반기계 ☂☂ 철강 정유 ☁ ☁

석유화학 ☂☂ 섬유 ☂ ☁가전 ☂

정보통신기기 ☼ 반도체 ☁

디스플레이 ☁ 이차전지

주 : 1) 전망 : 전년대비 증가율 기준, ☂☂ -10% 이하, ☂ -5%~-10, ☁ -5~0%, 0~5%, ☼ 5~10%, ☼☼ 10% 이상

○ (해외투자) 2020년 해외투자 확대에 따른 영향은 IT산업을 중심으로 국

내 생산기반 약화, 수출 감소, 수입 증대 등 부정적 영향과 해외공장 가

동으로 인한 국산 제품 수요 증가 등 긍정적 요인이 상존

- 수출제품 생산용 해외 신규 공장 설립 및 위탁생산 증가(가전), 2019년

LG전자의 스마트폰 국내공장이 베트남으로 이전하는 등 휴대폰과 부

품의 해외생산 확대(정보통신기기), LG 광저우 OLED 공장의 본격적인

양산 예정(디스플레이)으로 국내 생산 및 수출 성장을 제약

- 반면 해외공장의 본격 가동으로 부품 수요 증가(자동차), 수요산업의 해

외투자 확대에 따른 설비 수요 증대(일반기계), 기초유분 생산공장 증설

을 통한 수직계열화 및 원료비 절감(석유화학) 등 긍정적 효과 상존

○ (노동시장 정책 변화) 2020년 최저임금 인상률이 역대 세 번째로 낮은

2.9%로 결정되어 8,590원으로 인상되었으며, 50~300인 미만 사업장은

내년부터 1주 최대 52시간 근로제를 시행 예정이었으나 계도기간 부여

및 특별연장근로 인가 사유 확대로 속도 조절

- 따라서 2020년 주력제조업 현장에서 예상되었던 부정적인 영향은 다

Page 55: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38 -

소 줄었으나, 향후 주 52시간 대응 및 생산성 향상 등은 여전히 과제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 조선, 일반기계, 섬

유, 가전, 디스플레이)

<표 Ⅱ-3> 국내 여건변화 전망 및 영향 평가

주:매우 긍정적 ◎, 긍정적 ○, 중립 □, 부정적 ×, 매우 부정적 ××

3.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전망

□ 수 출: IT산업과 기계산업의 수출 증가 전환에 힘입어 2019년 12.1%

감소에서 2.3% 증가 전환 전망

○ 2020년 12대 주력산업의 수출은 글로벌 경기 둔화세가 진정되고 메모리

반도체의 단가 및 시장 안정화 등에 힘입어 전년비 2.3% 증가세 전환

- 반면 반도체를 제외한 11대 주력산업의 수출은 2020년 상반기 전년동

기비 –0.5%로 부진을 지속한 후 하반기 전년동기비 1.6%로 반등하여

연간으로는 0.6% 증가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의 부진 지속 전망

 

 

내수해외투자

노동시장정책 변화

(최저임금인상,

근로시간단축등)

종합평가민간소비 국내투자

자동차 × □ □ × ×

조선 □ □ □ × ×

일반기계 □ ○ ○ ×× □

철강 □ □ □ □ □

정유 □ □ □ □ □

석유화학 □ × ○ □ ×

섬유 × × × × ×

가전 □ □ × × ×

정보통신기기 ○ ○ ×× □ □

반도체 □ × □ □ ×

디스플레이 □ ○ × × ×

이차전지 × □ × □ □

Page 56: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39 -

○ (기계산업군) 자동차 수출이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면 반면, 조선과 일반

기계의 수출이 증가세로 돌아서면서 2019년 0.3% 감소에서 3.8% 증가

세로 전환 전망

- 자동차 수출은 SUV, 친환경차 수출이 지속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글로

벌 자동차 수요 부진과 모기업의 구조조정 여파에 따른 외자계업체들

의 수출물량 조정 여파로 전년비 0.4% 감소 전망

- 조선 수출은 2016년~2019년 상반기에 수주한 고가의 LNG운반선과 컨

테이너선 등이 본격적으로 인도되면서 전년비 21.2%의 큰 폭 신장 전망

- 일반기계 수출은 유럽의 제조업 부진이 약화되고, 베트남, 인도 등의 인프

라 투자 확대가 예상되면서 건설기계 및 설비투자 수요확대에 힘입어 전

년비 2.5% 증가세 전환 전망

<그림 Ⅱ-1> 2020년 주요 산업별 수출 증가율 전망

단위 : %, 전년동기비

주 1) 달러 표시 가격 기준. 2) 자동차는 자동차부품 포함(MTI 741, 742),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

외 기준.

○ (소재산업군) 국제유가가 2019년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

되어 수출단가 상승이 제한적이고, 글로벌 공급과잉 상황 속에 수요 회

복이 지연되면서 2019년 11.3% 감소에서 2020년 2.1% 감소로 부진 지속

- 철강 수출은 미국, EU, 중국 등 주요 수출시장에서의 철강수요가 낮은

Page 57: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40 -

증가에 그치고, 수입규제 및 공급과잉 지속과 국제 철강 가격의 약세

지속으로 전년비 0.5% 감소 지속 전망

- 정유 수출은 신규 정제설비 증설 감소에 따른 석유제품의 수급 밸런스

가 개선되고, 상대적으로 물량이 많은 하반기에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 영향으로 전년비 0.4% 증가세 전환 예상

‧ IMO2020 시행에 따른 저유황유 및 경유의 수요확대가 1분기부터 본

격적으로 반영되며 정제마진 상승에 따른 정유사의 실적개선 기대

- 석유화학 수출은 미‧중 무역분쟁 지속 우려에 따른 수요 둔화와 공급과

잉 상황으로 수출단가 하락세가 장기화되면서 전년비 5.1% 감소 예상

- 섬유는 글로벌 섬유 수요 회복이 지연되고 글로벌 경쟁 심화와 수출단

가 인상 제약으로 전년비 4.0% 감소 전망

○ (IT산업군) 반도체 가격 하락세가 안정화되고 이차전지 수요가 지속되

는 가운데, 정보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의 수출 감소세가 크게 완화되며

2019년 전년비 21.2% 감소에서 2020년 4.7%로 증가세 전환 예상

- 반도체 수출은 메모리반도체의 생산물량 조정으로 공급과잉 현상이 완

화되어 추가적인 단가 하락이 진정되고, 5G 통신의 본격적 도입 및 데

이터센터 수요가 점진적으로 확대되어 전년비 8.3% 증가 전망

- 이차전지 수출은 중형 이차전지와 핵심기술을 보유한 부분품의 세계수

요 확대에 힘입어 전년비 4.1% 확대 전망

- 정보통신기기 수출은 휴대폰의 해외생산과 글로벌 기업간 경쟁심화로

부진이 지속되지만, SSD 수출회복과 세계 5G 확산에 힘입어 전년 대비

-1.6%를 기록하며 감소폭 완화

- 디스플레이 수출은 중국의 설비 증축과 OLED 수율 상승으로 초과공급

과 가격하락 추이가 지속되어 전년비 2.7% 감소 전망

Page 58: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41 -

‧ 프리미엄 폰의 대중화와 5G 서비스의 시행 국가 확대, 폴더블폰 중

심으로 중소형 OLED 채택률 증가, 주요 스포츠 이벤트(올림픽, 유

로) 영향으로 수출 감소폭은 크게 완화

- 가전 수출은 해외생산 확대, 중국과 경쟁 심화, 보호무역주의 회피를 위

한 현지 생산 확대 등으로 전년 대비 1.7% 감소하나 감소폭은 완화

<표 Ⅱ-4> 2020년 12대 주력산업의 수출 전망 요인

증감률(%)수출 증감 주요 요인

19년 20년

증가세지속 이차전지 4.0 4.1 - 글로벌 친환경차 전환에 따른 전기차용 중형 이차전지

수요 확대

증가세 전환

반도체 -24.8 8.3 - 메모리반도체 단가 안정- 5G 통신 본격 도입 및 데이터센터의 반도체 수요 증가

조 선 -6.3 21.2 - ‘17~’18년도 수주회복기 물량 인도로 컨테이너선, LNG운반선, LPG운반선 등 고가 선박의 수출 증가

일반기계 -2.1 2.5 - 세계 반도체 시장 안정화에 따른 투자 확대- 국내 기계산업 주요 수요국의 경기 개선

정 유 -11.7 0.4 - 하반기 국제유가 상승으로 수출액 소폭 증가

감소세 완화

철 강 -8.3 -0.5 - 글로벌 철강수요 정체 및 국제 철강가격 하락- 수입규제 확산

석유화학 -14.2 -5.1 - 미중간 무역분쟁 지속 우려에 따른 수요 둔화- 공급과잉 및 수출단가 하락세 지속

섬 유 -7.2 -4.0

- 세계 섬유수요 회복세 지연- 개도국의 섬유소재 경쟁력 제고로 섬유소재 현지조달

확대 - 글로벌 경쟁 심화 및 온라인 거래 확대에 따른 섬유단

가 인하 압력

가 전 -4.4 -1.7- 해외생산 확대- 중국과 경쟁 심화,- 보호무역주의 회피를 위한 현지 생산 확대

정보통신기기 -19.6 -1.6 - 휴대폰의 해외생산 확대

- 글로벌 기업간 경쟁 심화

디스플레이 -16.6 -2.7 - LG 광저우 OLED 공장 완공으로 중국 수출물량 감소- LCD / OLED 생산설비 확대에 따른 가격 하락

감소세 전환 자동차 3.1 -0.4

- 글로벌 자동차 수요 부진- 유럽 환경규제 강화- 외자계 완성차업체의 수출 물량 조정

Page 59: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42 -

□ 생 산: 12대 주력산업의 생산은 수출 및 내수 회복 기조가 약하여

이차전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에서 회복세 미흡 전망

○ (기계산업군) 자동차 생산이 감소세를 지속하는 반면, 조선은 수주 회복

기 물량 건조, 일반기계는 반도체 장비 수요 증가로 전년 대비 증가

- 자동차 생산은 글로벌 판매부진에 따른 수출감소 및 외자계업체 글로벌

판매전략 변화에 따른 생산물량 조정 등의 영향으로 1.5% 감소 전망

- 조선은 회복기에 수주한 LNG운반선과 컨테이너선 건조 증가가 예상되

어 전년대비 3.5% 증가 예상

- 일반기계 생산은 기저효과, 수출 증가,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투자 확

대로 전년비 1.7%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삼성 평택2공장 및 시안 2공장의 D램용 생산설비 기발주 및 점진적 설비

확충 계획, 삼성전자 QD 디스플레이 투자 계획, LG디스플레이의 파주

및 광저우 팹 확장 계획 및 10.5세대 팹의 2021년 양산 본격화 투자 등

○ (소재산업군) 정유의 생산 증가가 예상되나, 석유화학 및 섬유 생산이

지속 줄어들어 소재산업군 생산은 전년 대비 소폭 부진할 것으로 전망

- 철강은 건설경기 침체 및 수입재 증가로 철강재 가격하락이 예상되는

가운데, 중후판 및 고부가가치 제품군 위주로 생산이 소폭 증가할 것으

로 예상되면서 전년대비 보합세 전망

- 정유 생산은 국내 정유업체의 대규모 신규 정제설비 투자는 없으나 고

도화 설비 중심의 투자 확대로 전년 대비 1.1%의 생산 확대 전망

- 석유화학 생산은 공급과잉에 따른 제품가격 하락으로 공급자들이 증설된

생산시설의 가동률을 하향조정하는 여파로 전년 대비 2.5% 감소 전망

- 섬유 생산은 지속적인 내수 및 수출 부진, 해외투자 확대의 영향으로

1.0% 감소 전망

Page 60: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43 -

<그림 Ⅱ-2> 2020년 주요 산업별 생산 증가율 전망

단위:%, 전년동기비

주 :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정유는 석유제품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 (IT산업군) 반도체 생산이 증가세로 전환되고, 이차전지 생산이 호조를

지속하는 반면 가전, 정보통신기기, 디스플레이는 부진이 점진적으로

완화되고 있으나 여전히 감소세를 유지할 전망

- 반도체 생산은 통신용 및 데이터 처리용 전자기기 보급 확대에 따른 반

도체 수요 증가와 미세공정 전환 및 첨단제품 기술개발 선도로 전년 대

비 10.3% 증가하여 전체 생산 증가를 견인

- 이차전지 생산은 수출 증가가 지속되고, 전기차용 이차전지의 내수 확대

및 무선 생활용품의 안전성 우려에 따른 국내산 이차전지 선호 등이 생

산을 견인하여 전년비 8.8% 성장 지속 전망

- 정보통신기기 생산은 수출부진과 휴대폰의 해외생산 확대로 감소세가

이어지나, 내수확대와 SSD 수출회복 등에 힘입어 전년대비 –2.0%를

기록하며 감소폭은 축소될 전망

- 디스플레이 생산은 LCD 가격이 지속 하락하고, OLED로의 전환을 위

한 LCD 생산라인 축소 영향으로 전년비 3.9% 감소 지속 전망

Page 61: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44 -

- 가전 생산은 국내투자 부진과 해외투자 확대, 역수입 증가, 가성비 높은

중국 제품의 수입 증가로 전년비 1.4% 감소 전망

<표 Ⅱ-5> 2020년 주력산업의 생산 변화 주요 요인

증감률(%)생산 증감 주요 요인

19년 20년

증가세지속

이차전지 9.1 8.8 - 글로벌 수요확대에 따른 중형 이차전지 생산 확대

조 선 16.8 3.5 - 17~’18년 수주회복기 물량의 본격 인도로 건조량 증가

정 유 1.0 1.1 - 고도화 설비 중심의 투자 확대

증가세전환

반도체 -20.2 10.3- 통신용 및 데이터 처리용 전자기기 보급 확대에 따른 반

도체 수요 증가- 미세공정 전환 및 첨단 제품 기술개발 선도

일반기계 -1.3 1.7

- 반도체 경기 회복으로 반도체 제조장비 수요증가, OLED로의 설비 교체로 디스플레이 장비 수요증가

- 정부의 SOC 예산 증대에 따른 스마트 인프라 관련 중장비 및 부품의 수요증가

철 강 -1.6 0.1 - 건설업 침체 - 수출 정체 및 수입증가에 따른 내수시장 경쟁 격화

감소세 완화

섬 유 -2.8 -1.0- 국내외 경기 및 소비 위축으로 내수 및 수출 부진 - 중저가 섬유소재 및 의류 역수입 확대- 해외생산 확대

가 전 -2.7 -1.4- 가전 내수시장 위축- 해외생산(동남아․미국 등) 확대 및 역수입 증가- 가성비 높은 중국제품 수입증가

정보통신기기 -11.1 -2.0 - 휴대폰 및 부품의 해외생산 확대

- 내수와 수출 부진 개선으로 생산 감소 완화

디스플레이 -10.9 -3.9 - LCD 가격하락에 따른 가동률 하락- LCD 생산라인의 OLED 전환에 따른 생산물량 감소

감소세 심화 자동차 -0.7 -1.5 - 글로벌 판매부진에 따른 수출감소

- 외자계업체 글로벌 판매전략 변화에 따른 생산물량 조정

감소세전환 석유화학 1.0 -2.5 - 제품가격 하락 추세 및 마진 악화

- 수출 감소

Page 62: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45 -

□ 내 수 : 낮은 소비 및 투자 증가 전망으로 뚜렷한 상승 동력이 부

재한 상황에서 본격적인 회복세 미흡

○ (기계산업군) 기계산업군 내수는 자동차와 일반기계의 기저효과 및 신

제품‧ 첨단화 장비 수요로 증가 전환하나 여전히 부진한 상황

- 자동차 내수는 SUV 등 신모델 판매 호조와 전년 실적 부진에 따른 기

저효과에 힘입어 전년비 1.4% 증가세 전환 전망

- 일반기계 내수는 정부의 인프라 투자 확대 및 생산자동화, 에너지 효율

화, 생산공정 친환경화 등 스마트 제조 환경 구축을 위한 첨단장비 및

설비수요 증가에 힘입어 전년비 1.2%의 소폭 증가세 전환 예상

○ (소재산업군) 정유 및 섬유 내수는 소폭 증가한 반면, 주요 수요산업의

부진으로 철강 및 석유화학의 내수 위축으로 소재산업군의 내수는 전년

대비 부진 전망

- 섬유 내수는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따른 시장 확대와 가격하락 추이 지

속, 중저가 수입 소재 수요확대 등에 힘입어 전년비 1.2% 증가 전망

- 정유 내수는 정부의 경기부양책 확대와 상업 및 운송부문 주도의 증가

추세로 전년비 0.9% 증가 전환 전망

- 석유화학 내수는 건설, 자동차, 가전, 정보통신기기 등 주요 수요산업의

업황 부진 영향으로 전년비 2.0% 감소 전망

- 철강 내수는 자동차, 건설 등 수요산업의 부진이 지속되면서 전년비

0.3% 감소 전망

○ (IT산업군) 디스플레이 및 가전의 내수 감소세가 지속되지만, 반도체,

정보통신기기, 이차전지 내수 증가에 힘입어 IT산업의 내수는 전년 대

비 증가 전망

Page 63: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46 -

- 이차전지 내수는 정부의 전기자동차 시장 확대 및 무선가전에 대한 수

요확대로 전년 대비 12.3% 증가 전망

- 반도체 내수는 신산업 대응 제품들의 수요와 5G 통신 관련 반도체 수

요가 증가하고, 특수목적용 반도체 수입이 늘어나면서 전년비 11.0% 확

대 전망

- 정보통신기기 내수는 시장포화에도 5G 전국서비스 확대에 따른 5G폰

교체수요와 통신장비 수요 증가, 윈도우 10 교체수요와 게이밍PC 및 노

트북PC 수요 증가 등에 힘입어 전년대비 2.8% 성장 전망

- 가전 내수는 생활가전의 신제품 출시 및 렌탈사업모델 확산 등에도 불

구하고 2019년부터 시작된 내구재 소비 감소가 지속되면서 전년비

0.4% 감소 전망

- 디스플레이 내수는 프리미엄 스마트폰 확산으로 물량기준 수요가 확대

될 전망이나 중국의 생산 확대에 따른 가격하락으로 전년비 5.8% 감소

전망

<그림 Ⅱ-3> 2020년 주요 산업별 내수 증가율 전망

단위 : %, 전년동기비

주 :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정유는 석유제품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Page 64: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47 -

□ 수 입 : 기계산업과 IT산업의 수입이 확대되면서 주력산업의 수입은

2019년 전년비 1.5% 감소에서 2020년 3.8% 증가 예상

○ (기계산업군) 자동차, 조선 등 수송기기 부문의 수입이 큰 폭으로 확대

되면서 2019년 전년비 3.6% 감소에서 2020년 5.0% 확대 예상

- 자동차 수입은 대일 관계 악화에 따른 일본제품 불매운동에도 불구하고

국내시장 점유율이 높은 차종의 신모델 투입에 따른 수요 증가 및 관련

부품 수입 증가로 전년비 7.3% 증가 전환 전망

- 조선 수입은 LNG운반선의 건조 증가와 국내 선사가 중국에 발주한 중

소선박의 유입 확대로 전년비 24.7%의 큰 폭 증가 전망

- 일반기계 수입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설비투자가 확대되고 제조업의

자동화 설비 수요가 높아지면서 산업용 로봇 등 관련 장비 수요확대로

전년비 1.9% 증가 예상

○ (소재산업군) 석유계열 제품의 수입단가 하락 및 중저가 수입제품 수요

확대로 소재산업의 수입은 2019년 5.8% 감소에서 2020년 0.9% 증가로

전환될 전망

- 철강 수입은 가격경쟁력을 회복하고 철강산업고도화 정책 추진으로 품

질경쟁력이 높아진 중국산 철강재 수입과 동남아시아산 저가 철강재의

유입증가로 전년비 3.0% 증가 전망

- 섬유 수입은 수입단가 인하, 해외생산 의류의 역수입 지속 확대, 중저가

섬유 소재 수입 확대, 온라인거래 확대 등에 힘입어 전년비 4.3% 증가

예상

- 정유 수입은 내수 물량이 소폭 상승세 전환하면서 수입물량은 증가하겠

으나, 상반기 수입단가 하락 영향으로 수입금액 기준 전년비 0.9% 감소

전망

Page 65: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48 -

- 석유화학 수입은 내수 부진과 수입단가 하락 지속으로 전년비 4.6% 감

소 예상

<그림 Ⅱ-4> 2020년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단위:%, 전년동기비

주 1) 달러 표시 가격 기준. 2) 자동차는 자동차부품 포함(MTI 741, 742),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

외 기준

○ (IT산업군) IT산업 수입은 중저가 중국산 제품과 부품 수입이 증가하

고, 시스템반도체 및 5G 등 신산업 대응 제품의 수입이 늘면서 2019

년 전년비 3.5% 증가에서 2020년 5.5% 증가할 전망

- 반도체 수입은 자동차용 반도체, 전력 반도체, 센서류 등 국내 제작이

어려운 시스템반도체의 수요확대로 전년비 7.1% 증가 전망

- 정보통신기기 수입은 5G 서비스 확산으로 통신장비 및 신형 스마트

폰 수요가 확대되고, 휴대형 PC와 CPU 등 컴퓨터부품 유입이 늘어

나면서 전년 대비 6.3% 증가 전망

‧ 5G 전국서비스 및 고도화 투자 확대로 관련 네트워크 장비 및 부

품의 수입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며, 외산 신형 스마트폰 및 해외생

산 국내제품의 역수입도 확대

- 이차전지 수입은 가격경쟁이 치열한 전방산업을 중심으로 가격경쟁

Page 66: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49 -

력이 높은 중국산 완제품 및 부분품 채용이 지속 확대되면서 전년비

5.5% 증가 전망

- 가전 수입은 내수 부진이 예상되나, 내수 둔화가 점차 진정되고 가성

비 높은 중국 제품의 수입증가 및 해외생산 제품의 역수입 증가가 이

어지면서 전년 대비 1.6% 증가 전망

- 디스플레이 수입은 스마트폰 공장 철수로 인한 디스플레이 수입 물량

감소와 가격하락 지속으로 8.9% 하락 전망

4. 정책적 시사점

□ 소비 및 투자 활성화를 통한 내수 진작

○ 국내 경기는 소비 및 투자 부진으로 낮은 성장세가 예상되므로 경제의

안정적 성장을 위해 내수의 회복 여부가 매우 중요

- 정부는 내수 회복을 위해 견고한 수요가 유지되도록 지원하는 한

편, 투자 확대 유도를 통한 제조기반 강화와 제조 경쟁력을 제고

할 수 있도록 지원정책을 추진할 필요

○ 소비 회복을 위한 강력한 내수진작 대책 필요

- 국내산업의 활성화 및 일자리의 안정적 창출을 통한 가계소득 확

충 및 부담 경감을 통해 소비심리 개선 및 민간소비 활성화

- 업종별로는 개별소비세 인하 및 노후차의 교체비용 지원(자동차),

국내 석유제품의 합리적 가격 책정을 통한 국내 소비 확대(정유),

방한 외국인의 관광명소‧쇼핑과 패션을 연계한 프로그램 마련으로

의류 구매 활성화(의류), 렌탈사업 등 혁신적 마케팅 방식을 활용

한 시장 개척(가전) 등 적극적인 내수진작책 마련

Page 67: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50 -

○ 제조 인프라 혁신을 통한 생산 효율성 향상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한 투

자 활성화 지원

- 제조 스마트화 지원으로 제조 혁신 역량 강화(일반기계, 가전, 섬

유), 5G 서비스 확산을 위해 5G 전국망 조기 구축 지원(정보통신

기기)

○ 공공부문 투자 확대를 통한 내수진작 도모

- SOC 투자 등 사회 인프라 투자 확대(철강, 일반기계), 디지털 사이

니지, 교육용 패널 등의 공공구매 증대와 교육용 태블릿, AR/VR

보급을 통한 수요 확대(디스플레이), 주요 항만의 배출규제해역

(ECA) 추진에 대비한 관공선의 친환경선박 대체 발주(조선) 등

□ 내수 및 수출의 지속적‧안정적 성장을 위한 유망 신산업 성장 촉진

○ 주력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 및 시장 확대를 위해 고부가 유망 신산업

부문으로 충분한 투자 확대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필요

- 차종의 고급화 및 첨단화 지원(자동차), 첨단 제조로봇(일반기계)

등 기계산업의 첨단화 지원, 해운조선 연계 스마트선박 기술개발

과 적용(조선), 미용‧건강관리‧보안 등 스마트기능을 갖춘 가전 신

제품 개발(가전), 폴더블폰 등 차세대 단말기의 핵심부품 역량 강

화(정보통신기기)

□ 산업의 강건성 제고를 위한 제조와 서비스 융합 촉진

○ 제조와 서비스 융합 촉진으로 전후방산업간 유기적 네트워크 강화 및

혁신생태계 조성

- 선박 수리개조를 포함한 생애주기 서비스 기반 강화(조선), 자동차

Page 68: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51 -

등 수요산업을 포함한 장비-로봇-소프트웨어업체간 협업과 서비스

화(일반기계), 스마트가전 기반의 고부가가치 서비스 실증사업 추

진(가전), 5G 기반의 응용서비스 발굴 및 활성화 지원 등(정보통신

기기)

□ 수출 확대를 위한 해외시장 진출 활성화 지원

○ 주력 수출시장 포화와 경쟁 심화에 따른 성장한계 극복을 위해 해외시장

진출 활성화 지원

- 국내 부품업체의 납품선 다변화와 해외 OEM과의 협업 모색(자동

차), 신남방‧신북방 등 신시장 개척(철강, 일반기계, 섬유, 정보통신

기기), 스마트가전 플랫폼 기반의 수출시장 개척(가전), 주요국과

5G 협력 확대로 5G 통신장비 및 단말 수출기반 강화(정보통신기

기), 글로벌 수요기업과의 협력 강화(이차전지)

□ 내수 활성화 및 수출 확대를 위한 기업환경 개선

○ 내수 및 수출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금융, 규제 완화 등 제반 인프라

재정비를 통한 기업환경 개선

- 표준제정, 반덤핑 등 무역구제조치, 원산지표시제도 등 품목별 맞춤형

수입 철강재 대응방안 마련(철강), 원유 및 석유제품에 부과되는 비효율

적인 관세 및 세금에 대한 검토(정유), 수주 촉진을 위한 선박금융 강화

(조선)

Page 69: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52 -

<표 Ⅱ-6> 주력 제조업의 내수 활성화 방안

대응 방안

자동차 - 개별소비세 인하, 노후차 교체비용 지원 등 내수진작 정책

조선

- 주요 항만의 배출규제해역(ECA) 추진에 대비한 관공선의 친환경선박 대체발주와 기술개발, 실증의 연계

- 해운조선 연계한 스마트선박 기술개발과 적용- 선박 수리개조를 포함한 생애주기 서비스 기반 강화

일반기계- 자동차 등 수요산업 포함 장비-로봇-소프트웨어업체간 협업과 서비스화- 기계산업의 고부가가치화

철강- 표준제정, 반덤핑 등 무역구제조치, 원산지표시제도 등 품목별 맞춤형 수입재 대응방안 마련

정유- 원유 및 석유제품에 부과되는 비효율적인 관세 및 세금에 대한 검토- 국내 석유제품의 합리적 가격 책정을 통한 국내 소비 확대

석유화학 -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규제 등 정부 규제 개선안 검토

섬유

- 방한 외국인의 관광명소‧쇼핑과 패션을 연계한 프로그램 마련으로 의류 구매 활성화- 가계소득 확충 및 부담 경감을 통한 소비 활성화- 생산성 향상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제조 스마트화 및 혁신 생태계 강화

가전- 스마트가전 기반의 고부가가치 서비스 실증사업 추진- 미용, 건강관리, 보안 등 스마트기능을 갖춘 가전 신제품 개발- 렌탈사업 등 혁신적 마케팅 방식을 활용한 국내외 시장 개척

정보통신기기

- 5G 전국서비스 및 고도화 투자 확대- 5G 기반의 응용서비스 발굴 및 활성화 지원 등으로 수요 진작

반도체 - 수요산업과 협력하여 신제품·신시장 개척

디스플레이- 디지털 사이니지, 교육용 패널 등 공공 구매 증대 - 교육용 태블릿, AR/VR 보급을 통한 수요 증대

이차전지-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 정책 강화 - 대규모 에너지저장시스템 실증·시범사업의 지속적 확대­무선 가전에 대한 안전성 및 신뢰성 기준 수립

Page 70: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53 -

<표 Ⅱ-7> 주력 제조업의 수출 활성화 방안

대응 방안

자동차- 수출차종의 고급화 및 첨단화를 통한 고부가가치화- 국내 부품업체들의 납품선 다변화와 해외 OEM과의 협업 모색

조선

- 빠른 구조개편을 통한 산업의 안정화와 LNG연료추진선 주도를 위한 중형조선사 안정화 및 역량 강화

- 수주 촉진을 위한 선박금융 강화 및 R/G 제공- LNG관련 선박의 주요 기자재 국산화와 실증- 글로벌 환경규정 강화와 스마트화로 창출되는 선박의 생애주기 서비스 관

련 네트워크 구축 및 협력 강화- 장기적인 미래 대응을 위한 친환경 기자재 및 대체연료 기술개발

일반기계- 스마트제조장비의 수요 잠재력이 높은 신흥 아세안 시장을 중심으로 자동

화설비 및 스마트장비 수출 적극 지원

철강- 신남방 FTA 및 RCEP 협상 시 주요 철강재 대상으로 용도별 면세제도 적용 추진

정유

- IMO2020 시행 대비 효율적 생산체계 마련 및 대체재인 경유의 생산 확대- 고도화 설비투자 확대와 경제성있는 원유 도입처 다변화를 통한 원가경쟁력 강화- 수출시장 다변화 및 해외 저장·유통·판매 인프라 구축을 통한 안정적 수요처 확보 및 수익성 강화

석유화학 - NCC 기반 非에틸렌계 제품의 차별화 전략 마련

섬유- 방탄소년단 등 한류 확산 연계 신흥시장 진출 활성화 지원- 섬유제품의 고부가가치화 지원 강화

가전- 중소・중견기업의 스마트화 및 플랫폼 활용 기반구축 지원- 스마트가전 플랫폼 기반의 해외 수출경로 개척 지원- 가전 제조 특징에 적합한 스마트제조 솔루션 지원

정보통신기기

- 폴더블폰 등 차세대 단말의 핵심부품 역량 강화 및 시장진출 지원- 주요국과 5G 협력 확대로 5G 통신장비 및 단말 수출 기반을 강화

반도체- 단가하락 저지를 위한 공급과잉 대응 강화- 기술 초격차 전략 강화

디스플레이- OLED 활용처 증대를 위한 기술개발 지원 - 융복합 디스플레이의 적용 확대 지원

이차전지- 글로벌 수요기업과의 협력 강화를 통한 안정적 수출처 발굴- 원천 소재 개발 및 제품의 경제성·안정성 제고를 위한 R&D 확대

Page 71: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54 -

2020년 12대 주력산업의 수출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

업종 2018 2019 2020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자동차64,005 32,982 33,011 65,993 32,587 33,118 65,705

(-1.3) (3.5) (2.7) (3.1) (-1.2) (0.3) (-0.4)

조선21,275 11,046 8,896 19,942 13,619 10,556 24,175

(-49.6) (2.2) (-15.0) (-6.3) (23.3) (18.7) (21.2)

일반기계53,557 26,386 26,065 52,451 26,982 26,775 53,757

(10.2) (0.5) (-4.5) (-2.1) (2.3) (2.7) (2.5)

철강33,973 15,941 15,208 31,149 15,347 15,631 30,979

(-0.7) (-5.0) (-11.5) (-8.3) (-3.7) (2.8) (-0.5)

정유46,350 20,040 20,879 40,919 18,894 22,191 41,085

(32.3) (-8.9) (-14.3) (-11.7) (-5.7) (6.3) (0.4)

석유화학49,985 21,688 21,175 42,863 20,509 20,184 40,693

(11.9) (-13.1) (-15.4) (-14.2) (-5.4) (-4.7) (-5.1)

섬유14,080 6,618 6,452 13,070 6,410 6,140 12,550

(2.5) (-7.8) (-6.6) (-7.2) (-3.1) (-4.8) (-4.0)

가전7,216 3,536 3,362 6,898 3,487 3,295 6,782

(-18.3) (-4.2) (-4.6) (-4.4) (-1.4) (-2.0) (-1.7)

정보통신기기28,428 10,568 12,289 22,857 10,313 12,178 22,491

(-10.8) (-28.0) (-10.7) (-19.6) (-2.4) (-0.9) (-1.6)

반도체126,726 47,476 47,811 95,287 50,400 52,800 103,200

(29.4) (-22.5) (-26.9) (-24.8) (6.2) (10.4) (8.3)

디스플레이24,679 9,716 10,871 20,587 9,386 10,642 20,028

(-9.9) (-12.7) (-19.8) (-16.6) (-3.4) (-2.1) (-2.7)

이차전지7,225 3,686 3,827 7,514 3,852 3,971 7,823(21.4) (8.9) (-0.4) (4.0) (4.5) (3.8) (4.1)

12대 합계477,499 209,683 209,846 419,530 211,786 217,482 429,268

(4.9) (-10.4) (-13.8) (-12.1) (1.0) (3.6) (2.3) (총수출비중) (78.9) (77.3) (76.4) (76.9) (76.9) (76.5) (76.7)

총수출604,860 271,221 274,600 545,800 275,300 284,400 559,700

(5.4) (-8.6) (-10.9) (-9.8) (1.5) (3.6) (2.5)

주 1) ( )은 전년동기비 증가율. 2) 수치는 통관 기준. 3) 자동차는 자동차부품 포함(MTI 741, 742). 4)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외 기준.

Page 72: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55 -

2020년 12대 주력산업의 생산 전망

단위 : %

20182019 2020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자 동 차

(천 대)

4,029 2,028 1,972 4,000 1,948 1,993 3,941

(-2.1) (1.2) (-2.6) (-0.7) (-4.0) (1.1) (-1.5)

조 선

(만 CGT)

772 512 390 902 533 401 934

(-26.9) (14.8) (19.3) (16.8) (4.1) (2.8) (3.5)

일반기계

(10억원)

123,801 61,243 60,913 122,156 62,126 62,094 124,220

(-2.5) (-1.2) (-1.5) (-1.3) (1.4) (1.9) (1.7)

철 강

(천 톤)

75,211 37,388 36,641 74,029 37,211 36,924 74,135

(-2.4) (-1.7) (-1.4) (-1.6) (-0.5) (0.8) (0.1)

정 유

(10만배럴)

12,589 6,245 6,466 12,711 6,304 6,547 12,851

(2.4) (1.4) (0.6) (1.0) (0.9) (1.3) (1.1)

석유화학

(천 톤)

21,553 10,770 11,006 21,776 10,640 10,583 21,223

(-1.9) (-0.4) (2.5) (1.0) (-1.2) (-3.8) (-2.5)

섬 유

(10억원)

74,128 36,250 35,802 72,052 35,780 35,570 71,350

(-0.2) (-1.9) (-3.7) (-2.8) (-1.3) (-0.6) (-1.0)

가 전

(10억원)

27,567 13,580 13,242 26,822 13,012 13,435 26,447

(-4.1) (0.0) (-5.3) (-2.7) (-4.2) (1.5) (-1.4)

정보통신기기

(10억원)

53,259 23,609 23,726 47,335 22,762 23,622 46,384

(-5.1) (-14.2) (-7.8) (-11.1) (-3.6) (-0.4) (-2.0)

반 도 체

(10억원)

140,962 56,112 56,315 112,427 60,145 63,865 124,010

(26.4) (-19.0) (-21.4) (-20.2) (7.2) (13.4) (10.3)

디스플레이

(10억원)

54,026 22,239 25,915 48,154 21,305 24,957 46,261

(10.4) (-18.4) (-10.2) (-10.9) (-4.2) (-3.7) (-3.9)

이차전지

(10억원)

15,046 7,942 8,467 16,408 8,637 9,208 17,844

(14.8) (8.6) (9.5) (9.1) (8.8) (8.8) (8.8)

주 1) ( )은 전년동기비 증가율. 2)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정유는 석유제품, 석유화학은 3대 유

도품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Page 73: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56 -

2020년 12대 주력산업의 내수 전망

단위 : %

20182019 2020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자 동 차

(천 대)

1,804 859 898 1,757 876 906 1,781

(0.6) (-4.3) (-1.0) (-2.6) (1.9) (0.8) (1.4)

조 선

(만 CGT)

100 64 71 135 81 84 165

(-4.3) (-11.1) (153.6) (35.0) (26.6) (18.3) (22.2)

일반기계

(10억원)

97,712 47,253 46,853 94,106 47,674 47,599 95,273

(-4.4) (-5.1) (-2.3) (-3.7) (0.9) (1.6) (1.2)

철 강

(천 톤)

53,710 27,644 26,465 54,109 27,133 26,819 53,952

(-4.6) (3.2) (-1.7) (0.7) (-1.8) (1.3) (-0.3)

정 유

(10만배럴)

9,348 4,579 4,637 9,217 4,612 4,689 9,301

(-0.6) (-2.4) (-0.5) (-1.4) (0.7) (1.1) (0.9)

석유화학

(천 톤)

11,199 5,595 5,576 11,171 5,509 5,435 10,944

(-3.7) (-1.7) (1.2) (-0.2) (-1.5) (-2.5) (-2.0)

섬 유

(10억원)

77,494 37,560 39,870 77,430 37,659 40,703 78,362

(2.1) (0.0) (-0.2) (-0.1) (0.3) (2.1) (1.2)

가 전

(10억원)

27,459 13,803 13,385 27,188 13,338 13,746 27,084

(4.7) (1.8) (-3.7) (-1.0) (-3.4) (2.7) (-0.4)

정보통신기기

(10억원)

51,110 25,996 25,740 51,736 26,331 26,857 53,188

(0.4) (1.1) (1.4) (1.2) (1.3) (4.3) (2.8)

반 도 체

(10억원)

50,796 28,720 29,323 58,043 31,280 33,168 64,447

(7.2) (14.1) (14.4) (14.3) (8.9) (13.1) (11.0)

디스플레이

(10억원)

32,853 14,055 15,579 29,634 12,939 14,982 27,921

(34.3) (-11.7) (-8.0) (-9.8) (-7.9) (-3.8) (-5.8)

이차전지

(10억원)

8,803 4,641 4,880 9,521 5,150 5,541 10,692

(16.7) (3.8) (12.9) (8.2) (11.0) (13.5) (12.3)

주 1) ( )은 전년동기비 증가율. 2)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정유는 석유제품, 석유화학은 3대 유

도품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Page 74: 2020년 경제·산업 전망 - kiet.re.kr 로 남아 제조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자동차조선일반기계섬 유가전디스플레이 2. 2020년 주력산업 부문별

- 57 -

2020년 12대 주력산업의 수입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

업종 2018 2019 2020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자동차17,516 8,028 9,195 17,223 9,058 9,429 18,487

(6.3) (-12.4) (10.1) (-1.7) (12.8) (2.5) (7.3)

조선2,636 1,229 1,217 2,446 1,615 1,435 3,050

(6.9) (-3.2) (-11.0) (-7.2) (31.4) (17.9) (24.7)

일반기계29,796 14,431 14,050 28,481 14,630 14,386 29,016

(-0.8) (-5.0) (-3.8) (-4.4) (1.4) (2.4) (1.9)

철강21,849 11,465 10,632 22,097 11,668 11,085 22,753

(-0.2) (4.0) (-1.8) (1.1) (1.8) (4.3) (3.0)

정유21,443 8,256 9,486 17,742 7,714 9,863 17,577(41.8) (-17.2) (-17.3) (-17.3) (-6.6) (4.0) (-0.9)

석유화학14,534 6,699 6,307 13,006 6,213 6,195 12,408

(5.5) (-5.4) (-15.4) (-10.5) (-7.3) (-1.8) (-4.6)

섬유17,141 7,768 9,989 17,757 8,030 10,490 18,520

(12.8) (0.8) (5.9) (3.6) (3.4) (5.0) (4.3)

가전7,119 3,731 3,482 7,213 3,768 3,559 7,327

(7.7) (1.7) (0.9) (1.3) (1.0) (2.2) (1.6)

정보통신기기26,475 12,649 13,968 26,617 13,390 14,916 28,306

(-3.2) (-2.7) (3.7) (0.5) (5.9) (6.8) (6.3)

반도체44,726 23,562 24,246 47,808 25,200 26,000 51,200

(8.6) (11.5) (2.7) (6.9) (7.0) (7.2) (7.1)

디스플레이5,199 2,579 2,213 4,792 2,174 2,190 4,364

(1.1) (-5.6) (-10.3) (-7.8) (-15.7) (-1.0) (-8.9)

이차전지1,552 808 813 1,621 846 864 1,710(73.8) (8.8) (0.5) (4.5) (4.7) (6.3) (5.5)

12대 합계209,986 101,205 105,598 206,803 104,306 110,412 214,718

(7.1) (-1.4) (-1.6) (-1.5) (3.1) (4.6) (3.8)

총수입535,202 252,477 251,800 504,300 257,000 264,000 521,000

(11.9) (-4.9) (-6.6) (-5.8) (1.8) (4.8) (3.3)

주 1) ( )은 전년동기비 증가율. 2) 수치는 통관 기준. 3) 자동차는 자동차부품 포함(MTI 741, 742). 4)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외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