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55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 2015. 6. 22

Transcript of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Page 1: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

2015. 6. 22

Page 2: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목 차 >

<요 약> ······················································································i

I. 거시경제 전망 ······································································1

1. 국내 경기상황 판단·································································1

2. 대외여건 전망 ···········································································3

3. 2015년 국내경제 전망 ····························································9

II. 주요산업 전망··································································21

1. 2015년 상반기 동향 ·····························································21

2. 2015년 하반기 전망 ·····························································23

Page 3: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i -

< 요 약 >

I. 거시경제 전망

□ 현 경기 판단 : 내수 다소 개선ㆍ수출 부진

○ 국내 실물경기는 내수가 투자를 중심으로 다소 회복되는 모습을 보

이고 있는 반면 수출은 부진이 심화되는 추이

- 내수는 설비투자가 비교적 활발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민간소비

는 유가하락에 따른 소득 호조(1분기 GNI 전년동기비 7.1% 증가)에

힘입어 완만한 증가세 지속중

- 수출은 물량 증가가 부진한 가운데 유가하락에 따른 단가 하락이

가세하면서 금년 들어 감소세 지속

□ 세계경제 : 2015년 성장률 전년과 비슷한 수준 예상

○ 세계경제는 선진권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

- 선진권의 경우 미국은 당초 기대에는 다소 못미치나 상대적으로

견조한 성장세가 예상되며, 유로권과 일본은 통화정책의 확장적 기

조가 이어지면서 완만한 성장 흐름을 보일 전망

- 중국은 완만한 성장 둔화 추이가 이어질 전망

□ 유가 및 환율 : 유가는 현 수준 유지, 환율은 소폭 상승

○ 2015년 유가는 세계경제의 완만한 성장세에 따른 수요 부진으로 최

근 수준의 저유가 기조가 지속될 전망

○ 원/달러 환율은 미국 출구전략에 따른 달러 강세의 상승 요인과 국

내 대규모 경상흑자 지속에 따른 하락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

Page 4: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ii -

서 전년보다 소폭 높아질 것으로 예상

□ 2015년 국내 경제성장 : 연간 GDP 2.9% 성장 전망

○ 국내경제는 하반기에 수출부진이 다소 완화되고 저유가, 저금리에

힘입어 내수가 완만한 증가를 이어가면서 연간 2.9% 내외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

- 부진의 완화 추세와 전년 패턴의 기저효과 등에 따라 상반기보다

하반기 성장률이 소폭 높은 흐름을 보일 전망

- 하지만 전체적으로 수출이 부진하고 내수도 가계부채 부담 등으로

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그 여파, 중국의 성장둔화폭 확대 가능성, 그

리스 문제의 추이, 지정학적 불안 등 대외요인이 주요 변수로 작용

할 전망

- 국내적으로는 메르스 사태의 추이와 여파, 경기부양책의 효과 등이

주요 변수이며, 전체적으로 하방위험(downside risk)이 다소 우세

□ 민간소비 : 연간 2% 내외 증가 전망

○ 소비는 저유가의 교역조건 개선에 따른 구매력 증대 효과가 증가를

견인하나 가계부채 부담, 메르스 여파 등이 제약요인으로 작용하여

완만한 증가를 이어갈 전망

□ 투자 : 설비투자 호조세 지속

○ 설비투자는 저금리에 따른 비용 감소 등으로 전년에 이어 비교적

활발한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며, 건설투자는 부동산 경기

회복에 힘입어 전년에 비해 증가세가 확대될 전망

Page 5: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iii -

□ 수출입 : 하반기 부진 다소 완화로 연간 수출 3% 내외 감소 전망

○ 수출은 연중 부진하겠으나, 세계경제가 완만하나마 회복세를 보이

고 단가 하락세가 진정됨에 따라 하반기로 갈수록 부진이 다소 완

화되는 모습을 보일 전망

- 2015년 수출은 약 3.1%, 수입은 약 9.7% 감소하고, 수입이 수출보

다 큰 폭 감소하면서 무역흑자는 크게 늘어 805억 달러 내외를 기

록할 것으로 전망

주요 거시경제지표 전망단위 : 전년동기비, %, 억 달러

2014년 2015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실질GDP3.6<0.8>

3.0<0.5>

3.32.6

<0.8>3.2<0.9>

2.9

민간소비 2.2 1.4 1.8 1.7 2.2 2.0

건설투자 2.0 0.1 1.0 1.5 3.4 2.5

설비투자 7.5 4.2 5.8 5.1 5.3 5.2

통관 수출(억달러, %)

2,832(2.4)

2,895(2.2)

5,727(2.3)

2,686(-5.2)

2,865(-1.0)

5,551(-3.1)

통관 수입 (억달러, %)

2,633(2.7)

2,622(1.2)

5,255(1.9)

2,241(-14.9)

2,505(-4.5)

4,746(-9.7)

무역수지 199 273 472 445 360 805

자료 : 산업연구원 주 : < >안은 전기비 분기증가율의 반기 평균임.

Page 6: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iv -

II. 산업별 전망

□ 하반기 수출은 감소세 완화, 내수․생산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

○ 수출, 생산에서 소재산업군은 감소세가 다소 완화되고, IT제조업과 기

계산업군은 소폭 증가세

○ 산업별로 조선, 반도체가 가장 호조를 보이며 부진 완화에 기여

○ 크게 부진했던 정유, 석유화학 수출은 유가 하락세 진정으로 상반기

보다 감소폭이 축소

○ 최근 주력산업의 수출부진 원인은 저유가․경쟁심화에 따른 단가하락,

세계시장 수요둔화, 해외생산 확대, 가격경쟁력 약화, 중국 추격 등

○ 생산은 상반기 대비 개선되나, 수출부진, 해외생산 확대로 낮은 성장

○ 하반기 주력산업은 수출이 신흥국 성장둔화, 저유가에 따른 단가약세로

부진하지만 선진권 경기회복, 유가안정 등에 힘입어 상반기(7.6% 감소)

보다 개선된 3.2% 감소하고, 생산․내수는 전년동기 수준 유지 전망

- 중국 성장 추이, 한·중 주력산업 간 경쟁 확대, 엔화․유로화 추이,

한·중 FTA 발효, 해외생산 추이, 메르스 여파 등이 변수가 될 전망

○ 하반기 수출은 IT제조업(2.5%)이 소폭 호전되고 큰 폭으로 감소했던

비IT제조업이 개선(-10.9 → -5.8%)되면서 상반기 대비 감소폭 완화

- 특히 정유와 석유화학이 작년 4분기 이후 유가하락에 따른 수출단

가 약세로 크게 부진했지만, 유가 하락세가 진정되면서 수출하락폭

이 축소될 전망

○ 수출규모가 큰 조선과 반도체가 하반기에도 5% 이상 수출과 생산

이 확대되면서 주력산업의 부진 완화에 기여할 전망

- 하반기 조선 수출은 LNG선, 초대형 컨테이너선, 드릴쉽 등이 인도

될 예정이며, ‘13년 선가상승이 반영되면서 증가 기조 유지 전망

Page 7: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v -

- 반도체는 해외생산 확대 요인이 있지만, UHD TV, 웨어러블기기,

빅데이터, SSD, 사물인터넷 등 신규 수요처 확대가 긍정적 영향

○ 최근 주력산업의 수출부진은 대내외 경기 및 구조적 요인에 주로

기인하며, 중국 주력산업의 경쟁력 향상도 복합 작용

- 경기순환적 요인 : 세계시장 수요 둔화, 저유가로 인한 단가하락, 공

급과잉 및 업체간 경쟁심화에 따른 단가하락, 엔화·유로화 약세 등

- 구조적 요인 : 주요업종 해외생산 확대, 신흥시장 중심 성장(프리미엄

제품 수요둔화), 중국의 추격 및 내수중심 성장전략, 자급률 제고 등

○ 하반기 주요업종의 수출단가 향방도 수출회복의 변수로 작용 전망

- 정유, 석유화학 : 상반기 수출물량 증가에도 불구, 저유가에 따른

수출단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금액기준 수출이 감소

- 통신기기, 가전 : 저가 신흥시장 성장 및 업체간 경쟁 격화 등에

따라 판매단가가 하락 추세

- 철강, 섬유 : 중국내 수요 정체, 공급과잉으로 인한 수출단가 하락

주요 업종의 수출단가 추이

자료 : 한국은행 ECOS 통계의 수출단가지수(달러기준) 참조

Page 8: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vi -

○ 생산은 상반기 대비 개선되나, 전체적인 수출부진과 IT제조업, 자동

차, 섬유 등의 해외생산 확대에 기인하여 낮은 성장 전망

□ 하반기 주력산업 수출 : 조선 및 반도체 상대적 호조, 소재 부진

○ 기계산업군 수출은 조선(5.7%)이 고부가 선박 인도로, 일반기계(2.8%)

는 중국의 환경기계류 수요확대로 증가하면서 전년동기비 2.4% 증가

- 자동차(0.4%) 수출은 신흥국 수요부진으로 어려우나 소형 승용차 및

SUV 신모델 출시효과 등으로 개선 전망

○ 소재산업군 수출은 상반기 대비 개선되나, 저유가 영향으로 부진한 정

유(-26.5%), 석유화학(-10.5%)외 모든 업종이 부진하면서 14.7% 감소

- 철강(-8.7%)과 섬유(-4.8%)는 선진국 수요개선으로 부진세가 둔화되

나, 중국내 수요부진, 공급과잉 및 단가하락 등의 영향으로 감소

○ IT제조업 수출은 가전, 디스플레이가 부진하나, 반도체(5%)와 휴대폰

부품, SSD 수요로 증가한 정보통신기기(4.9%)에 힘입어 2.5% 증가

2015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출증가율 전망

단위 : %

주 : 1) 달러표시 가격 기준, ( )은 2015년 하반기 총수출 대비 점유율 2)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외 기준

Page 9: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vii -

- 디스플레이(-3.4%)는 중국의 생산확대로 감소, 가전(-4.2%)은 UHD

TV, 융복합가전 수요가 증가하나 해외생산 확대 등의 영향으로 부진

○ 엔저 장기화는 정유, 자동차, 일반기계, 가전, 조선, 반도체(낸드플래

시) 등 주요업종의 수출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 전망

○ 스마트폰, 반도체, 가전, 디스플레이, 섬유, 조선, 음식료 등은 해외

생산 확대로 국내수출 대체가 유발되면서 수출에 부정적 영향 전망

2015년 하반기 산업전망 기상도

수출 생산 내수 수입

기계산업군

자동차 ☁ ☼

조 선 ☼ ☼ 일반기계 ☁ ☂

소재산업군

철 강 ☂ ☁ ☁ ☂☂

석유화학 ☂☂ ☂

정 유 ☂☂ ☁ ☼ ☂☂

섬 유 ☁ ☂ ☂ ☼

IT

제조업군

가 전 ☁ ☁

정보통신기기 ☼

디스플레이 ☂ ☁ ☂ ☁

반도체 ☼ ☼ 음식료 ☂

주 : 1) 전망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기준, ☂☂ -10% 이하, ☂ -5%~-10, ☁ -5~0%,

0~5%, ☼ 5~10%, ☼☼ 10% 이상 2) 생산과 내수의 경우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정유는 석유제품, 섬유는 섬유사의 물량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3) 수출과 수입은 모든 업종에서 달러화 가격 기준

□ 의약, 중전기계 등 후발 유망산업이 주력산업 수출 부진을 보완

○ 일부 후발산업들이 제조업 평균 성장률을 넘어서는 꾸준한 수출확

대 추이를 보이며 새로운 유망 수출산업으로 부상

- 새롭게 부상하는 후발 8대 수출호조 산업*은 최근 12대 주력산업의

수출 부진을 보완

Page 10: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viii -

 ․8대 수출호조업종 : 중전기계, 플라스틱제품, 경보신호기 부품, 축전

지(이차전지),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장비, 화장품, 의료용전자기

기, 의약품

○ 8대 업종의 총수출 대비 비중은 2007년 4%에서 2014년 6.6%로 높아

지면서, 12대 주력산업의 수출비중 하락(동기간 82.5 → 79.3%)과 대비

- 8대 후발업종의 1998~14년 연평균 수출증가율은 15.8%로 총수출의

9.6%를 상회

- 2015년 4월까지 8대 업종의 수출비중은 7.5%로 높아졌으며 향후

더 상승할 것으로 전망

후발 수출호조 업종의 총수출 대비 비중 변화

후발 주요업종의 수출증감률 추이

단위 : %

  2013 2014 2015. 1~4

의약품 3.8 15.2 43.8

중전기계 11.7 -7.8 17.8

화장품 24.3 51.6 94.2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63.5 14.2 -0.9

(12대 주력산업) 1.0 2.8 -7.6

(총수출) 2.1 2.3 -4.3

주 : 12대 주력산업의 2015년(1~4월) 수치는 ’15년 상반기 기준

Page 11: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1 -

I. 거시경제 전망

1. 국내 경기상황 판단

□ 내수 다소 개선ㆍ수출 부진

○ 국내 실물경기는 내수가 투자를 중심으로 다소 회복되는 모습을 보

이고 있는 반면 수출은 부진이 심화되는 추이

- 내수는 설비투자가 비교적 활발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민간소비

는 유가하락에 따른 금년 1분기 GNI의 높은 증가(전년동기비 7.1%)

에 힘입어 완만한 증가세 지속중

- 수출은 물량 증가가 부진한 가운데 유가하락에 따른 단가 하락이

가세하면서 금년 들어 감소세

* GDP(전기비, %) : (‘14.2/4) 0.5 → (3/4) 0.8 → (4/4) 0.3 → (’15.1/4) 0.8

* GDP(전년동기비,이하同, %) : (‘14.2/4) 3.4→(3/4) 3.3→(4/4) 2.7→(’15.1/4) 2.4

* 민간소비(%) : (‘14.2/4) 1.7 → (3/4) 1.5 → (4/4) 1.4 → (’15.1/4) 1.5

* 설비투자(%) : (‘14.2/4) 7.7 → (3/4) 4.2 → (4/4) 4.2 → (’15.1/4) 5.7

* 건설투자(%) : (‘14.2/4) 0.2 → (3/4) 2.3 → (4/4) -1.5 → (’15.1/4) 0.7

* 통관수출(%) : (‘14.2/4) 3.2 → (3/4) 3.6 → (4/4) 0.9 → (’15.1~5) -5.6

<그림 Ⅰ- 1> GDP 및 부문별 성장기여도 추이

자료 : 한국은행 주 : 내수는 민간소비와 총고정자본형성의 합

Page 12: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2 -

○ 산업생산은 서비스업이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광공업

은 수출의 영향으로 다소 부진

* 광공업(%) : (‘14.3/4) 1.2 → (4/4) -1.9 → (’15.1/4) -1.0 → (4월) -2.7

* 서비스(%) : (‘14.3/4) 2.6 → (4/4) 2.6 → (’15.1/4) 2.8 → (4월) 4.1

<그림 Ⅰ- 2> 산업생산지수 증가율 추이

자료 : 통계청

○ 경기선행지표는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어 당분간 개선 추이 지속을 시사

* 동행순환변동치전월차: (‘15.1월) 0.0→ (2월) 0.4→ (3월) -0.2→ (4월) 0.0

* 선행순환변동치전월차 : (‘15.1월) 1.0 → (2월) 0.6 → (3월) 0.7 → (4월) 0.0

<그림 Ⅰ- 3> 경기종합지수 추이

자료 : 통계청

Page 13: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3 -

2. 대외여건 전망

□ 세계경제 : 전년 수준의 연간 성장률 예상

○ 금년 들어 세계 실물경기는 선진권 경기의 완만한 성장과 개도권

경기의 부진 속에서 전반적으로 미약한 성장 흐름

- 선진권에서는 미국이 이상 한파와 달러화 강세 등의 여파로 1분기

성장이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일본과 유로권은 전분기보다 약간

개선된 모습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성장세가 미약

- 개도권에서는 중국이 대내외 경기 여건의 부진 여파로 1분기 성장

이 둔화되고, 여타 국가들도 부진한 양상

- 전세계 산업생산은 올 들어 지난 연말보다도 낮은 증가율을 기록

하면서, 선진권과 개도권 등 모든 권역에 걸쳐서 동반 둔화세

* 세계 산업생산 : 2014.상반기 3.6%, 하반기 3.1%, 2015.1분기 2.4%

ㆍ 선진권 : 2014.하반기 2.2% → 2015.1분기 1.5%

ㆍ 개도권 : 2014.하반기 4.1% → 2015.1분기 3.3%

<그림 Ⅰ- 4> 세계 권역별 산업생산 증가율 추이

-2

-1

0

1

2

3

4

5

6

7

2012 2013 2014 2015

전세계 산업생산 선진국 개도국

(%, 전년동월비)

자료 : CPB Netherlands Bureau for Economic Policy Analysis

Page 14: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4 -

○ 하반기 세계경제는 선진권 중심의 완만한 성장세가 이어질 전망이며,

연간 기준으로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

- 미국경제는 실물지표들의 변화 추이에 따라서 연준의 금리 인상

돌입 여부가 결정될 것이나,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서 그 영향이 주요 관심사

- 일본과 유로권은 현재 시행중인 양적완화 조치의 성장 지지력에

따라서 경기 향배가 좌우될 전망이며, 중국은 올해 성장률 목표치

(7%) 달성을 위한 전방위 정책들의 효과가 주요 관건

- 주요 리스크 요인들로는 미 금리 인상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 확

대 가능성, 그리스 문제(부채협상) 해결 여부, 원자재가격 약세에

따른 개도권의 경기 둔화 강도 등

<표 Ⅰ- 1> 세계 권역별 및 주요국의 성장률 추이와 전망단위 : %, 전년동기비(전기비 연율)

2013년 2014년 2015년 전망치조정폭연간 1Q 2Q 3Q 4Q 연간 1Q 연간(f)

세 계 3.0 3.4 3.5 0.0

선진권 1.3 1.9 1.9 1.8 1.8 1.9 1.9 2.4 0.0

미 국 1.91.9

(-2.1)2.6(4.6)

2.7(5.0)

2.4(2.2)

2.42.7

(-0.7)3.1 ▲0.5

유 로 -0.4 1.1 0.8 0.8 0.9 0.9 1.0 1.5 0.3

일 본 1.6 2.1 -0.4 -1.4 -0.8 -0.1 -1.4 1.0 0.4

개도권 4.7 4.6 4.3 0.0

중 국 7.7 7.4 7.5 7.3 7.3 7.4 7.0 6.8 0.0

세계교역 3.0 3.4 3.7 ▲0.1

자료 : IMF World Economic Outlook(2015.4월) 등 주 : 전망치 조정폭은 2015.1월과의 변화폭이며, ▲는 하향조정을 의미

Page 15: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5 -

□ 유가 : 2015년 평균 배럴당 60달러 내외 전망

○ 국제유가는 2014년 하반기 급락 이후 금년 들어서는 미국의 원유생

산 감소, 수급개선 기대감, 지정학적 불안, 달러강세 조정 등으로

소폭 반등하는 추이

- 금년 1월 두바이유 기준 배럴당 42.55달러 (6년만에 최저치) 기록

후 반등하여 4월 중순 이후 배럴당 60달러선으로 상승

* 6월 9일 기준 배럴당 59.64달러로 최저점대비 40.2%, 연초대비 12.0% 상승

<그림 Ⅰ- 5> 최근 국제유가 추이

자료 : 한국석유공사 주 : 음영 부문은 연간 변동 범위(최소값~최대값)임.

<표 Ⅰ- 2> 국제유가 추이단위 : 달러/배럴, 기간 평균

2013년 2014년 2015년

1Q 2Q 3Q 4Q 연간 1Q 2Q 3Q 4Q 연간 1Q 6월9일

WTI 94.4 94.1 105.8 97.4 98.0 98.7 103.1 97.5 73.4 93.2 48.6 60.1

Brent 112.5 102.9 110.0 109.4 105.3 108.1 109.7 102.7 76.7 99.3 55.1 64.9

Dubai 108.2 100.7 106.0 106.3 108.7 104.4 106.0 101.6 74.8 96.7 52.2 59.6

자료 : 한국석유공사

Page 16: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6 -

○ 국제유가는 하반기에도 현재와 비슷한 수준에서 등락을 보일 전망

- 일부 추가 상승 가능성도 예상되나 그 경우에도 상승폭은 제한적

일 전망

- 국제유가 하락을 이끌었던 미국의 원유생산 증가세가 둔화되고 글

로벌 수요가 회복세로 돌아서는 등 수급여건이 개선되고 있고 중

동⋅북아프리카 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도 여전

- 하지만 OPEC의 생산호조 및 낮은 감산 가능성, 미국의 높은 원유

재고량과 미완성유정 증가 등 하방위험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

- 2015년 유가(두바이유)는 상반기 약 57달러, 하반기 62달러, 연간

평균 60달러(전년비 -38%) 내외 예상

<표 Ⅰ- 3> 2015년 유가 전망(국내경제 전망을 위한 전제)단위 : 달러/배럴, 기간 평균

2014년 2015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Dubai105.3(0.8)

88.2(-16.9)

96.7(-8.2)

57.3(-45.6)

62.4(-29.3)

60.0(-38.0)

주 : ( )는 각각 전년동기비 기준, 단위 %

Page 17: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7 -

□ 환율 : 달러 강세 등으로 전년 대비 소폭 상승 전망

○ 최근 원달러 환율은 국내의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에 따른 원화강세

요인과 미국의 경기 호조 및 금리인상 가능성의 약세요인이 공존하

면서, 전년보다 소폭 높은 수준에서 등락

- 올해 1,103.5원으로 시작한 원/달러 환율은 미국의 고용호조와 달러

화 강세 등의 영향으로 3월 16일 연 최고점인 1,131.5원까지 상승

- 이후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시점 지연 결정으로 원/달러 환율은 하

락세를 보이면서 최근 1,110원대에서 변동중

○ 향후 환율변동의 주된 요인은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 시점과 국내

경상흑자 추이가 될 것으로 예상

- 최근 미국경제의 회복세가 다소 주춤하면서 미 연준의 금리인상

지연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전반적인 추이를 고려할 때 올해

안에 금리인상이 단행될 가능성이 높은 편

- 한편 국내 경상흑자는 유가 하락에 따른 수입의 큰 폭 감소로 크

게 확대될 전망

<그림 Ⅰ- 6> 최근 원/달러, 원/엔(100엔), 엔/달러 환율 추이

Page 18: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8 -

<그림 Ⅰ- 7> 경상수지 추이 <그림 Ⅰ- 8> 외환보유고 추이

자료 : 한국은행

○ 하반기 원달러 환율은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달러화 강세와 국내

경상흑자 확대의 원화 강세 요인이 병존하면서 현재와 비슷한 수준

에서 등락을 보일 것으로 전망

- 2015년 원/달러 환율은 상반기 1,100원, 하반기 1,120원, 연간 1,110

원(전년동기대비 5.4% 상승) 내외 예상

<표 Ⅰ- 4> 원/달러 환율 전망치

2014년 2015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1,049(-4.9)

1,057(-2.7)

1,053(-3.8)

1,100(4.8)

1,120(6.0)

1,110(5.4)

주 : ( )는 각각 전년동기비 기준, 단위 %

○ 원/엔 환율은 일본의 경기 회복이 미진한 가운데 일본중앙은행의

완화적인 통화정책 지속으로 하반기에도 현재와 비슷한 수준의 엔

약세 기조가 지속될 전망

Page 19: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9 -

3. 2015년 국내경제 전망

(1) 경제성장

□ 2015년 GDP 성장률 2.9% 내외 예상

○ 국내경제는 하반기에 수출부진이 다소 완화되고 저유가, 저금리에

힘입어 내수가 완만한 증가를 이어가면서 연간 2.9% 내외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

- 부진의 완화 추세와 전년 패턴의 기저효과 등에 따라 상반기보다

하반기 성장률이 소폭 높은 흐름을 보일 전망

- 하지만 전체적으로 수출이 부진하고 내수도 가계부채 부담 등으로

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 수출은 세계 교역부진 등에 따른 물량증가세 둔화와 저유가에 따른

단가하락으로 연중 부진하겠으나, 세계경제가 완만하나마 회복세를

보이고 단가 하락세가 진정됨에 따라 하반기로 갈수록 부진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을 보일 전망

- 2015년수출은약3%, 수입은약9.7%감소하고,수입이수출보다큰폭감

소하면서무역흑자는크게늘어805억달러내외를기록할것으로전망

○ 내수는 유가 하락 등에 따른 교역조건 개선, 정부 경기부양책의 효

과 등으로 투자를 중심으로 다소 개선되는 모습을 보일 전망

- 소비는 저유가의 교역조건 개선에 따른 구매력 증대 효과가 증가

를 견인하나 가계부채 부담, 메르스 여파 등이 제약요인으로 작용

하여 완만한 증가를 이어갈 전망

- 설비투자는 저금리에 따른 비용 감소 등으로 전년에 이어 비교적

활발한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며, 건설투자는 부동산 경기

회복에 힘입어 전년에 비해 증가세가 확대될 전망

Page 20: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10 -

○ 미국 금리인상 관련 불안, 중국의 성장둔화 폭 확대 가능성, 그리스

사태 및 지정학적 불안 등 대외요인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

- 국내적으로는 최근 메르스 사태의 전개 추이, 정부 경기부양책의

규모와 효과 등이 주요 변수로서, 전체적으로 하방위험(downside risk)

이 다소 우세할 전망

<표 Ⅰ- 5> 주요 거시경제지표 전망단위 : 전년동기대비, %, 억 달러

2014년 2015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실질GDP3.6<0.8>

3.0<0.5>

3.32.6

<0.8>3.2<0.9>

2.9

민간소비 2.2 1.4 1.8 1.7 2.2 2.0

건설투자 2.0 0.1 1.0 1.5 3.4 2.5

설비투자 7.5 4.2 5.8 5.1 5.3 5.2

통관 수출

(억달러, %)

2,832

(2.4)

2,895

(2.2)

5,727

(2.3)

2,686

(-5.2)

2,865

(-1.0)

5,551

(-3.1)

통관 수입

(억달러, %)

2,633

(2.7)

2,622

(1.2)

5,255

(1.9)

2,241

(-14.9)

2,505

(-4.5)

4,746

(-9.7)

무역수지 199 273 472 445 360 805

자료 : 산업연구원 주 : < >안은 전기대비 분기증가율의 반기 평균임.

Page 21: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11 -

(2) 부문별 전망

□ 민간소비

○ 민간소비는 유가 하락에 따른 소득 증가 호조에 힘입어 완만한 증

가세를 지속중

- 국민계정 민간소비와 소매판매액 지수(불변기준) 모두 작년 하반기

이후 전년동기비 1%대의 증가세를 지속중

- 재화별로는 준내구재와 비내구재가 상대적으로 부진한 반면 내구

재는 비교적 높은 증가세

<표 Ⅰ- 6> 민간소비 관련 지표 추이단위 : %, 전년동기비

자료 : 한국은행, 통계청 주 : ( )안은 계절조정 자료의 전분기비

<그림 Ⅰ- 9> 재화별 소비 추이(전년동기비)

자료 : 한국은행

2014년 2015년

1Q 2Q 3Q 4Q 연간 1Q

민간소비2.6 1.7 1.5 1.4

1.81.5

(0.4) (-0.4) (0.8) (0.5) (0.6)

소매판매액지수2.4 0.8 1.5 1.9

1.71.6

(0.2) (-0.2) (1.3) (0.4) (0.5)

실질 GNI4.8 3.6 3.1 3.7

3.87.1

(1.0) (1.0) (0.2) (1.6) (4.2)

Page 22: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12 -

○ 유가 하락에 따른 교역조건 개선 등으로 실질GNI가 2014년 3.8%,

2015년 1분기에는 7.1%의 높은 증가를 보이면서 소비 증가를 견인

- 작년 하반기 이후의 국제유가 하락은 교역조건을 개선시키면서 올

해 1분기 GNI가 큰 폭으로 확대하는데 기여

-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저유가 여파에 따른 수입물가의 하락세 속에

서 올 1분기에 0.6%대까지 하락하였으며 기대인플레이션율도 동반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가계의 구매력 개선에 기여

* 수입물가지수(한국은행, 달러기준, 전년동기대비) :

(2014.4/4) -11.5% → (2015.1/4) -20.4% → (4월) -20.4%

<그림Ⅰ-10>교역조건과GDI증가율추이<그림Ⅰ- 11>소비자물가상승률추이

자료 : 한국은행 자료 : 한국은행

○ 고용 상황은 작년 2분기 이후 취업자수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소비

증가를 다소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

<그림 Ⅰ- 12> 취업자수 추이 <그림 Ⅰ- 13> 명목임금 추이

자료 : 통계청 자료 : 고용노동부주 : 5인이상사업체전체근로자1인당분기평균기준

Page 23: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13 -

○ 한편 최근의 부동산 규제완화, 저금리 기조 등으로 가계부채가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원리금 상환 부담으로 인한 소비 제약이 심화

- 최근 저금리 등으로 가계부채는 빠른 증가세

-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율의 상승 추세와 더불어 가계

소비성향은 하락

<그림Ⅰ- 14> 가계부채추이 <그림Ⅰ-15>원리금상환부담과소비성향추이

자료 : 한국은행 자료 : 통계청

○ 하반기 민간소비는 저유가에 힘입은 구매력 개선 추이가 지속되는

가운데, 수출 부진과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 부담, 메르스 여파 등이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완만한 증가 추이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

- 최근의 메르스 사태는 아직 진행중이란 점에서 영향의 크기를 판

단하기 어려우나, 향후 단기간 내에 진정되더라도 2분기 민간소비

를 상당 정도 위축시키면서 연간 소비 증가세를 제약하는 요인으

로 작용할 전망

* 참고로 세월호 사태가 있었던 작년 2분기 민간소비는 전기대비 –0.4%의 부진을 보인 후 3분기에 0.8%로 소폭 반등

- 민간소비는 2015년 하반기에 2.2%, 연간 2.0%로 작년보다 증가세가

소폭 확대되나 GDP성장률에는 여전히 상당 폭 못미치는 완만한

증가를 보일 전망

Page 24: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14 -

□ 설비투자

○ 설비투자는 최근 수년간 부진의 반등 효과와 저금리 등에 힘입어

작년 이후 경제성장률을 웃도는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는 중

- 형태별로는 기계류 투자가 금년 1분기에 높은 증가세를 보인 가운

데, 특히 일반 기계류, 전기전자기기, 정밀기기 투자가 증가를 주도

<표 Ⅰ- 7> 설비투자 추이단위 : %, 전년동기비

2014년 2014년

1Q 2Q 3Q 4Q 연간 1Q

설비투자7.2

(-1.4)7.7(1.3)

4.2(0.2)

4.2(4.0)

5.85.8(0.2)

형태별

기계류9.3

(-3.4)5.4(0.4)

1.3(2.0)

4.6(5.6)

5.07.2

(-0.7)

운송장비2.6(3.7)

12.8(3.6)

12.2(-3.8)

3.4(0.4)

7.72.7(2.4)

자료 : 한국은행 주 : ( ) 안은 계절조정계열의 전기비 증감률

<그림 Ⅰ- 16> 설비투자 추이 (전년동기비 증가율) (a) 설비투자(국민계정) (b) 설비투자지수(통계청)

자료 : 한국은행; 통계청 주 : 설비투자지수는 3개월 중심항 이동평균을 이용

Page 25: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15 -

○ 주요 선행지표인 기계수주가 호조를 이어가고 있다는 점에서 당분

간 증가세 지속을 시사

- 다만 제조업 투자전망 심리지수, 설비투자조정압력 등 일부 선행

지표는 엇갈린 전망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회복세가 강하지

못한 편

○ 하반기 수출이 상반기에 비해 다소 부진이 완화될 것으로 보이고,

최근 금리 인하 등의 효과가 가세하면서 설비투자는 하반기에도 비

교적 활발한 증가세를 지속할 전망

- 하반기 5.3%, 연간 5.2% 내외 증가가 예상되며, 업종별로는 반도체,

가전, 석유화학 등이 하반기 설비투자 증가를 주도할 전망

<그림 Ⅰ- 17> 설비투자 선행지표 추이 (a) 기계수주와 설비투자조정압력 (b) 제조업 투자전망 BSI

자료 : 통계청; 한국은행: 산업연구원 주 1) 기계수주(선박제외 불변금액 국내수요)와 설비투자조정압력은 3개월 중심항 이동 평균 2) 설비투자조정압력 = 제조업 생산지수 증감률 – 제조업 생산능력 증감률 3) 산업연구원BSI는 다음 분기 전망, 한국은행BSI는 다음 달 전망

Page 26: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16 -

□ 건설투자

○ 건설투자는 지난해 2분기 이후 전반적으로 부진한 상황이나 금년

들어 다소 개선되는 모습

- 부동산 경기 개선에 힘입어 민간부문, 주거용 건물 건설이 증가하면서

지난해 4/4분기 감소세에서 올해 1/4분기에는 소폭의 증가세로 전환

- 단, 공공부문, 토목 투자는 아직 감소세 지속 중

<그림 Ⅰ- 18> 건설투자와 건설기성액 (전년동기비) (a) 건설투자 (b) 건설기성액

자료 : 한국은행; 통계청 주 : 건설기성액은 3개월 중심항 이동평균을 이용함.

<표 Ⅰ- 8> 건설투자 추이

단위 : %, 전년동기비

2014년 2015년1Q 2Q 3Q 4Q 연간 1Q

건설투자 4.1(5.3)

0.2(0.5)

2.3(0.9)

-1.5(-7.8) 1.0 0.6

(7.4)

형태별

건물건설 8.0(3.2)

3.5(3.1)

5.7(2.4)

1.5(-7.3) 4.4 2.5

(4.5)

주거용 17.2(7.5)

9.1(1.5)

9.1(-1.4)

2.3(-5.6) 8.9 6.0

(12.2)

비주거용 0.5(-0.1)

-0.6(4.4)

3.5(5.5)

0.9(-8.5) 1.2 -0.9

(-1.4)

토목건설 -2.1(8.9)

-4.9(-3.8)

-4.0(-1.8)

-5.7(-8.8) -4.4 -2.8

(12.7)

주체별

민 간 5.3(9.9)

4.4(0.1)

3.4(-3.0)

1.2(-5.4) 3.5 2.0

(11.5)

정 부 -2.3(-11.0)

-15.4(2.3)

-1.2(17.6)

-9.8(-16.4) -7.8 -7.9

(-8.1)

자료 : 한국은행 주 : ( ) 안은 계절조정계열의 전기비 증감률

Page 27: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17 -

○ 국내 건설수주, 건축허가 면적, 미분양 주택 추이, 부동산 심리지수

등 주요 선행지표 흐름을 고려할 때 건설투자는 하반기에 회복세가

조금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

- 최근의 금리 인하도 건설투자 회복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하반기 3.4%, 연간 2.5% 내외 증가할 것으로 전망

<그림 Ⅰ- 19> 건설투자 선행지표 추이 (a) 건설수주(전년동기비) (b)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

자료 : 통계청; 국토연구원 주 : 건설수주는 3개월 중심항 이동평균을 이용

□ 수출입

○ 올 들어 5월까지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5.6% 감소, 수입은 16.0% 감

소하는 등 수출입이 동반 감소세를 보이며 부진이 지속중

- 수출은 유가하락에 따라 석유화학·석유제품의 수출이 큰 폭으로

감소한데다, 세계 교역증가율 둔화, 엔화 및 유로화 약세에 따른

가격경쟁력 저하 등 부정적 여건이 확산되면서 감소세 지속

- 수입은 유가 하락 등으로 에너지 자원의 수입이 대폭 감소한데다

수출부진에 따른 중간재 수입 둔화 등으로 두 자릿수 감소

- 수출입이 모두 부진한 가운데 수출보다 수입이 더 큰 폭으로 감소

함에 따라 무역수지 흑자가 크게 확대

Page 28: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18 -

<표 Ⅰ- 9> 최근 수출입 동향단위 : 억 달러, %

2014년 2015년

연간 3Q 4Q 1Q 4월 5월 1~5월

수 출5,727 1,418 1,481 1,335 462 424 2,221

(2.3) (3.6) (1.2) (-2.9) (-8.0) (-10.9) (-5.6)

수 입5,255 1,328 1,294 1,118 377 361 1,856

(1.9) (5.4) (-2.7) (-15.5) (-17.8) (-15.3) (-16.0)

무역수지 472 89 187 217 85 63 365

자료 : 한국무역협회 및 산업통상자원부 주 1) ( )안은 전년동기 대비 증감률 2) 5월 실적은 잠정치

○ 지역별로는 1∼4월 중 선진국과 개도국에 대한 수출이 고르게 4∼

5%대의 감소를 보인 가운데, 미국과 중남미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

에 대한 수출이 감소

- 대미 수출은 미국경기의 회복에 힘입어 지난해에 이어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대EU 수출은 유럽 경기 불안과 유로화 약세로,

대일 수출은 원/엔 환율 급락으로 인해 올 들어 20% 가까이 감소

- 개도국도 대중 수출이 중국의 성장 둔화와 내수위주로의 성장정책

변화, 중국의 생산능력 확대 등으로 감소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대중동 수출도 유가하락 등으로 올 들어 감소세로 전환

<그림 Ⅰ- 20> 지역별 수출증가율

자료 : 한국무역협회

Page 29: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19 -

○ 산업별로는, 반도체·컴퓨터·일반기계를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특히 국제유가 하락으로 석유제품

및 석유화학의 수출이 큰 폭으로 감소

<표 Ⅰ- 10> 산업별 수출 증가율 단위 : 전년동기 대비, %

2014년 2015년

연간 3Q 4Q 1Q 1~5월

자동차 0.6 2.8 -6.6 -9.0 -8.6

자동차부품 2.1 2.4 -2.2 -4.7 -5.9

조 선 7.3 5.2 11.9 57.2 22.7

일반기계 4.3 9.1 7.6 1.7 0.7

철 강 9.4 16.2 8.0 -4.3 -8.5

석유화학 -0.3 4.7 -3.1 -19.9 -20.4

석유제품 -3.8 2.7 -13.9 -39.0 -40.0

섬 유 -0.1 1.0 -3.3 -10.6 -10.7

가 전 -0.3 -8.9 -7.9 -13.3 -18.8

무선통신기기 7.2 7.8 -2.5 -7.1 -0.9

컴퓨터 -0.6 -2.8 15.1 6.5 11.5

반도체 9.6 4.5 13.0 7.4 6.7

디스플레이 -5.8 7.6 -1.3 -10.9 -9.7

자료 : 한국무역협회

주 : 산업분류는 MTI 기준

○ 최근의 수출 부진은 유럽 및 중국의 경기 둔화, 국제유가 급락, 엔

화 및 유로 약세 등 일시적 요인과 함께 구조적 요인도 크게 작용

한 것으로 평가

- 금년 들어 수출이 감소하고 있는 것은 한국만이 아닌 전세계적인

현상이라는 점에서 세계경기 부진과 유가 급락이 중요한 역할

- 하지만 수출 부진이 장기화되고 있는 데는 세계 교역의 구조적 둔

화, 중국의 성장 둔화 및 구조변화, 수출주력산업의 해외생산 본격

화 등 구조적 요인도 복합적으로 작용

(산업연구원 e-kiet 613호, ‘수출 둔화, 구조적 현상인가’ 참조)

Page 30: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20 -

○ 하반기에도 수출은 전체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일 것이나, 수출단

가 하락세의 진정 등으로 상반기보다는 다소 회복되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기대

○ 하반기 수입은 수출부진에 따른 중간재 수입 둔화와 국제 원자재

가격 하락에 따른 원자재 수입 감소 등으로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

로 전망

- 수입 증가율이 수출 증가율을 크게 하회함에 따라 무역수지 흑자

폭은 지난해보다 대폭 확대될 전망

<표 Ⅰ- 11> 2015년 수출입 전망단위 : 전년동기비, %, 억 달러

2014년 2015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통관기준 수출2,832

(2.4)

2,895

(2.2)

5,727

(2.3)

2,686

(-5.2)

2,865

(-1.0)

5,551

(-3.1)

통관기준 수입2,633

(2.7)

2,622

(1.2)

5,255

(1.9)

2,241

(-14.9)

2,505

(-4.5)

4,746

(-9.7)

무역수지 199 273 472 445 360 805

주 : ( )안은 전년동기비 증가율

Page 31: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21 -

Ⅱ. 주요 산업 전망

1. 2015년 상반기 동향

□ 수출은 조선, 반도체, 정보통신기기, 일반기계 외 전업종 부진

○ 12대 주력산업 수출은 조선, 반도체가 호조세를 보였지만, 정유, 석유

화학, 섬유, 가전, 디스플레이가 감소하면서 전년동기비 7.6% 감소

- IT산업은 가전, 디스플레이의 부진으로 0.1% 증가, 비IT제조업군은

소재산업이 22.3% 감소하고 기계산업(-0.5%)의 부진으로 10.9% 감소

○ (기계산업군) 조선(9.3%)은 고가 해양플랜트 및 선박 인도로 증가, 일반

기계는 대중국 수출둔화로 2% 증가에 그친 한편, 자동차는 신흥시장

수요부진, 환율변동에 따른 가격경쟁력 약화로 7% 감소

○ (소재산업군) 정유(-39.4%)와 석유화학(-17.4%)은 수출물량 확대에도 불

구하고 저유가에 따른 단가하락으로 큰 폭 감소, 철강과 섬유는 대중국

수요 둔화와 수출단가 약세 등의 영향으로 각각 9%대 감소

○ (IT제조업군) 반도체(5.7%)가 시스템반도체 회복세에 힘입어 증가, 정보

통신기기(4.5%)는 부품 및 SSD를 중심으로 확대된 반면, 가전(-16.2%)

과 디스플레이(-9.4%)는 단가하락, 해외생산 확대 등으로 감소

□ 생산은 자동차, 철강, 가전, 디스플레이, 섬유 등이 감소

○ (비IT제조업) 자동차(-2.8%), 철강(-2.3%), 석유화학(-1.6%), 섬유(-6.6%)

등이 수출과 내수 위축으로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 다소 부진

- 반면 조선(6.7%)은 ‘13년 인도된 수주물량 건조로 증가, 일반기계

(2.1%), 정유(9.7%)와 음식료(1.1%)는 수출량 및 내수확대로 증가

Page 32: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22 -

○ (IT제조업) 가전(-6.9%), 디스플레이(-5.4%)가 수출 및 내수 부진과 해

외생산 확대로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 유지 추정

- 반도체는 20나노 D램, 낸드플래시 및 AP 양산 확대로 4.3% 증가,

정보통신기기는 해외생산 확대에도 수출확대의 영향으로 3% 증가

□ 내수는 IT산업은 소폭 증가, 비IT제조업은 소폭 감소

○ (비IT제조업) 철강(-5.1%)과 섬유(-9.4%), 석유화학(-10.7%), 일반기계

(-2.1%) 등이 수요산업 부진,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감소하며 전체

적으로 소폭 감소 추정

- 자동차는 수입차 판매호조, 정유는 저유가에 따른 가격하락으로 각각

4% 증가, 음식료는 가정간편식, 저도수 주류 등 신제품 성장으로

1.6% 증가

○ (IT제조업) 정보통신기기와 반도체가 신규 스마트폰 출시, 노트북 수

요회복, SSD와 IoT 등 시장확대로 증가하며 전체적으로 소폭 증가

- 반면 가전(-2%)은 여름용 가전수요 증가에도 소비심리 위축으로 감

소, 디스플레이(-2.4%)도 수요산업 성장둔화, 소비위축 등으로 감소

□ 수입은 정유, 석유화학, 철강이 큰 폭 감소하며, 9% 감소율 기록

○ (비IT제조업군)은 자동차, 조선이 8~10% 증가, 섬유와 음식료가 2%

내외 증가하나, 정유, 석유화학, 철강, 일반기계가 비교적 크게 감소

- 정유(-49%)와 석유화학(-12%)은 수입단가 하락, 수입 석유제품 세

제지원 축소로, 철강(-19%)과 일반기계(-6%)는 내수부진으로 감소

○ 정보통신기기와 반도체는 비메모리, 외산 스마트폰 위주로 8% 내외

증가, 가전(-5.9%)과 디스플레이(-3.7%)는 내수 부진으로 감소

Page 33: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23 -

2. 2015년 하반기 전망

(1) 하반기 12대 주력산업 전망 종합과 특징

○ 수출, 생산에서 소재산업군은 감소세가 다소 완화되고, IT제조업과 기

계산업군은 소폭 증가세

○ 산업별로 조선, 반도체가 가장 호조를 보이며 부진 완화에 기여

○ 크게 부진했던 정유, 석유화학 수출은 유가 하락세 진정으로 상반기

보다 감소폭이 축소

○ 최근 주력산업의 수출부진 원인은 저유가․경쟁심화에 따른 단가하락,

세계시장 수요둔화, 해외생산 확대, 가격경쟁력 약화, 중국 추격 등

○ 생산은 상반기 대비 개선되나, 수출부진, 해외생산 확대로 낮은 성장

□ 수출은 감소세 완화, 내수․생산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

○ 하반기 주력산업은 수출이 신흥국 성장둔화, 저유가에 따른 단가약세로

부진하지만 선진권 경기회복, 유가안정 등에 힘입어 상반기(7.6% 감소)

보다 개선된 3.2% 감소하고, 생산․내수는 전년동기 수준 유지 전망

- 중국 성장 추이, 한·중 주력산업 간 경쟁 확대, 엔화․유로화 추이,

한·중 FTA 발효, 해외생산 추이, 메르스 여파 등이 변수가 될 전망

○ 하반기 수출은 IT제조업(2.5%)이 소폭 호전되고 큰 폭으로 감소했던

비IT제조업(-5.8%)이 개선되면서 상반기 대비 감소폭 완화

- 특히 정유와 석유화학은 작년 4분기 이후 유가하락에 따른 수출단가

약세로 크게 부진했지만, 유가 하락세가 진정되면서 수출하락폭이

축소될 전망

○ 수출규모가 큰 조선과 반도체가 하반기에도 5% 이상 수출과 생산

이 확대되면서 주력산업의 부진 완화에 기여할 전망

Page 34: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24 -

- 하반기 조선 수출은 LNG선, 초대형 컨테이너선, 드릴쉽 등이 인도

될 예정이며, ‘13년 선가상승이 반영되면서 증가 기조 유지 전망

- 반도체는 해외생산 확대 요인이 있지만, UHD TV, 웨어러블기기,

빅데이터, SSD, 사물인터넷 등 신규 수요처 확대가 긍정적 영향

○ 최근 주력산업의 수출부진은 대내외 경기 및 구조적 요인에 주로

기인하며, 중국 주력산업의 경쟁력 향상도 복합적으로 작용

- 경기순환적 요인 : 세계시장 수요 둔화, 저유가로 인한 단가하락, 공

급과잉 및 업체간 경쟁심화에 따른 단가하락, 엔화·유로화 약세 등

- 구조적 요인 : 주요업종 해외생산 확대, 신흥시장 중심 성장(프리미엄

제품 수요둔화), 중국의 추격* 및 내수중심 성장전략, 자급률 제고 등

※ 중국 주력산업의 경쟁력 제고 및 세계시장 진출 확대로 한·중

주력산업간 경쟁이 심화

○ 하반기 주요업종의 수출단가 향방도 수출회복의 변수로 작용 전망

- 정유, 석유화학 : 상반기 수출물량 증가에도 불구, 저유가에 따른

수출단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금액기준 수출이 감소

<그림 Ⅱ-1> 주요 업종의 수출단가 추이

자료 : 한국은행 ECOS 통계(달러기준 수출단가지수) 참고

Page 35: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25 -

- 통신기기, 가전 : 저가 신흥시장 성장 및 업체간 경쟁 격화 등에

따라 판매단가가 하락 추세

- 철강, 섬유 : 중국내 수요 정체, 공급과잉으로 인한 수출단가 하락

○ 생산은 상반기 대비 개선되나, 전체적인 수출부진과 IT제조업, 자동

차, 섬유 등의 해외생산 확대에 기인하여 낮은 성장 전망

- 조선, 반도체, 정보통신기기, 자동차가 상반기 대비 수출개선 등으

로 증가하지만, 가전, 일반기계, 석유화학, 음식료가 1% 소폭 성장,

정유 등 여타 업종들은 1~5% 감소

□ 하반기 주력산업 수출 : 조선▪반도체 상대적 호조, 소재 부진

○ 기계산업군 수출은 조선(5.7%)이 고부가 선박 인도로, 일반기계(2.8%)

는 중국의 환경기계류 수요확대로 증가하면서 전년동기비 2.4% 증가

- 자동차(0.4%) 수출은 신흥국 수요부진으로 어려우나 소형 승용차 및

SUV 신모델 출시효과 등으로 개선 전망

○ 소재산업군 수출은 상반기 대비 개선되나, 저유가 영향으로 부진한 정

유(-26.5%), 석유화학(-10.5%)외 모든 업종이 부진하면서 14.7% 감소

- 철강(-8.7%)과 섬유(-4.8%)는 선진국 수요개선으로 부진세가 둔화되

나, 중국내 수요부진, 공급과잉 및 단가하락 등의 영향으로 감소

○ IT제조업 수출은 가전, 디스플레이가 부진하나, 반도체(5%)와 휴대폰

부품, SSD 수요로 증가한 정보통신기기(4.9%)에 힘입어 2.5% 증가

- 디스플레이(-3.4%)는 중국의 생산확대로 감소, 가전(-4.2%)은 UHD

TV, 융복합가전 수요가 증가하나 해외생산 확대 등의 영향으로 부진

○ 엔저 장기화는 정유, 자동차, 일반기계, 가전, 조선, 반도체(낸드플래

Page 36: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26 -

시) 등 주요업종의 수출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 전망

○ 스마트폰, 반도체, 가전, 디스플레이, 섬유, 조선, 음식료 등은 해외

생산 확대로 국내수출 대체가 유발되면서 수출에 부정적 영향 전망

<표 Ⅱ-1> 2015년 하반기 산업전망 기상도

수출 생산 내수 수입

기계산업군

자동차 ☁ ☼

조 선 ☼ ☼ 일반기계 ☁ ☂

소재산업군

철 강 ☂ ☁ ☁ ☂☂

석유화학 ☂☂ ☂

정 유 ☂☂ ☁ ☼ ☂☂

섬 유 ☁ ☂ ☂ ☼

IT

제조업군

가 전 ☁ ☁

정보통신기기 ☼

디스플레이 ☂ ☁ ☂ ☁

반도체 ☼ ☼ 음식료 ☂

주 : 1) 전망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기준, ☂☂ -10% 이하, ☂ -5%~-10, ☁ -5~0%,

0~5%, ☼ 5~10%, ☼☼ 10% 이상 2) 생산과 내수의 경우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

은 3대 유도품, 정유는 석유제품, 섬유는 섬유사의 물량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3) 수출과 수입은 모든 업종에서 달러화 가격 기준

□ 의약, 중전기계 등 후발 유망산업이 주력산업 수출 부진을 보완

○ 일부 후발산업들이 제조업 평균 성장률을 넘어서는 꾸준한 수출확

대를 보이며 새로운 유망 수출산업으로 부상

- 새롭게 부상하는 후발 8대 수출호조 산업*은 최근 12대 주력산업의

수출비중 하락세를 보완

 ․후발 8대 수출호조업종 : 중전기계, 플라스틱제품, 경보신호기 부

품, 축전지(이차전지),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장비, 화장품, 의료용

Page 37: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27 -

전자기기, 의약품

○ 8대 업종의 총수출 대비 비중은 2007년 4%에서 2014년 6.6%로 높아

지면서, 12대 주력산업의 수출비중 하락(동기간 82.5 → 79.3%)과 대비

- 8대 후발업종의 1998~14년 연평균 수출증가율은 15.8%로 총수출의

9.6%를 상회

․2005~14년 8대 업종은 연평균 17.4% 증가, 총수출은 9.5% 증가

- 2015년 4월까지 8대 업종의 수출비중은 7.5%로 높아졌으며 향후

더 상승할 것으로 전망

<표 Ⅱ-2> 후발 수출호조 업종의 수출비중 변화 추이

단위 : %

2000 2005 2010 2013 20142015

1~4월CAGR

‘98~14 ‘09~14

중전기계 0.94 0.98 1.5 2.0 1.8 2.0 15.2 13.3

플라스틱 제품 1.2 1.3 1.4 1.61 1.62 1.7 11.9 14.6

경보신호기 부품 0.08 0.33 0.27 1.0 0.80 0.93 25.3 53.6

축전지 0.17 0.39 0.80 0.83 0.83 0.80 29.1 10.4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0.24 0.24 0.63 0.72 0.81 0.88 22.2 30.4

주 : 화장품 연평균 증가율(‘98~14)은 23.8%, 의료용전자기기 15.7%, 의약품 11.9%

<표 Ⅱ-3> 후발 주요업종의 최근 수출증감률 추이

단위 : %

  2013 2014 2015. 1~4

의약품 3.8 15.2 43.8

중전기계 11.7 -7.8 17.8

화장품 24.3 51.6 94.2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63.5 14.2 -0.9

(12대 주력산업) 1.0 2.8 -7.6

(총수출) 2.1 2.3 -4.3

주 : 12대 주력산업의 2015년(1~4월) 수치는 ’15년 상반기 기준

Page 38: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28 -

<그림 Ⅱ-3> 후발 8대 수출호조 업종의 총수출대비 비중 변화

자료 :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DB(MTI 기준) 참조

(2) 2015년 하반기 12대 주력산업 전망

□ 12대 산업 수출 : 소재산업군, 가전, 디스플레이 등이 부진하면서

감소하나, 상반기보다 감소세 완화

○ 하반기 수출은 신흥국 성장둔화, 저유가에 따른 단가하락 등으로 정

유, 석유화학 등이 상반기에 이어 크게 부진하면서 3.2% 감소 예상

- 조선과 반도체가 호조세를 보이고 정보통신기기, 일반기계, 음식료 및

자동차가 증가하며, 유가상승의 영향으로 상반기 보다 감소폭은 둔화

․하반기 IT산업 수출은 2.5% 증가한 반면, 비IT제조업 수출은 정유

와 석유화학이 큰 폭 감소한 소재산업군이 부진하면서 5.8% 감소

- 선진국 경기회복 전망은 긍정적이나, 개도권 경기둔화, 중국의 산업

경쟁력 향상, 엔저, 메르스 등 대내외 여건 변화는 변수로 작용 전망

○ (기계산업군) 조선(5.7%)이 고부가 선박 인도로 증가, 일반기계와 자

동차 수출도 확대되며 전년동기비 2.4%, 상반기 대비 증가세 전환

- 일반기계(2.8%)는 중국의 오염방지설비 등 환경기계류 수요 확대로

증가, 자동차(0.4%)는 신흥국 수요부진 속에서 소형 승용차 및

SUV 등 신모델 출시효과로 상반기 대비 개선

Page 39: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29 -

○ (소재산업군) 정유, 석유화학이 저유가에 따른 단가하락으로 큰폭

감소하고 철강과 섬유 모두 부진을 보이며 14.7% 감소, 유가상승

등의 영향으로 상반기 대비로는 감소폭 완화

- 정유(-26.5%)와 석유화학(-10.5%)은 유가상승으로 감소세가 완화되

나, 정유는 중국 정제생산 확대 및 미 정유업계 파업종료, 석유화

학은 중국 자급률 확대 등이 부정적 요인

- 철강(-8.7%)과 섬유(-4.8%)는 선진국 수요개선으로 개선되겠지만,

공급과잉, 중국내 수요부진, 단가하락 등으로 부진세가 지속

○ (IT제조업군) 가전, 디스플레이는 감소하지만 반도체와 정보통신기

기가 해외생산 확대에도 증가하며 상반기보다 개선된 2.5% 증가

- 가전(-4.2%)은 UHD-TV, 융복합 가전수요로 개선되나, 해외생산 확

대, 단가하락으로 부진, 디스플레이(-3.4%)는 중국의 생산확대로 감소

- 반도체(5%)는 웨어러블기기, 빅데이터 등 신규시장 확대로, 정보통

신기기(4.9%)는 한·중 경쟁확대 속, 신제품 출시효과, 휴대폰부품

및 SSD 등을 중심으로 증가

<그림 Ⅱ-4> 2015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출증가율 전망

단위 : %

주 : 1) 달러표시 가격 기준, ( )은 2015년 하반기 총수출 대비 점유율 2)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외 기준

Page 40: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30 -

<그림 Ⅱ-5> 2015년 주요 산업별 수출증가율 전망

단위 : %

주 : 1) 달러표시 가격 기준, ( )은 2015년 하반기 총수출 대비 점유율 2)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외 기준

<표 Ⅱ-4> 2015년 하반기 산업군별 수출 전망

 수출 20132014 2015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IT산업133,902 67,266 72,561 139,827 67,322 74,400 141,722

(8.4) (5.6) (3.4) (4.4) (0.1) (2.5) (1.4)

비IT산업307,454 158,401 155,651 314,052 141,185 146,551 287,736

(-2.0) (2.0) (2.3) (2.1) (-10.9) (-5.8) (-8.4)

(기계산업군)153,902 80,869 78,466 159,335 80,463 80,360 160,823

(-0.8) (3.5) (3.6) (3.5) (-0.5) (2.4) (0.9)

(소재산업군)149,616 75,503 75,033 150,536 58,639 63,993 122,632

(-3.2) (0.4) (0.8) (0.6) (-22.3) (-14.7) (-18.5)

음식료3,936 2,029 2,152 4,181 2,083 2,198 4,281(0.7) (4.2) (8.2) (6.2) (2.7) (2.1) (2.4)

12대 주력업종441,356 225,667 228,212 453,879 208,507 220,951 429,458

(1.0) (3.1) (2.6) (2.8) (-7.6) (-3.2) (-5.4)

주 : 1) ( )은 전년 동기비 증가율, 2) 수치는 통관 기준

○ 하반기 12대 주력산업의 수출증가율(-3.2%)은 총수출증가율(-1.7%)을

하회하여, 총수출대비 12대산업의 비중이 2014년 하반기 78.8%(연간

79.3%)에서 77.1%(연간 77.4%)로 낮아질 전망

- 하반기 수출비중 상위업종이 정유, 석유화학, 철강의 부진으로 변동이

있고, 자동차(12.9%), 반도체(12.2%), 일반기계(7.8%), 석유화학(7.5%),

조선(7.3%) 등 상위 5대 업종이 총수출에서 47.7% 차지 전망

Page 41: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31 -

<표 Ⅱ-5> 2015년 하반기 12대 주력산업의 수출전망의 주요 요인

전년동기비특징

업종증가율(%)

하반기 수출증감 주요 요인‘14.하 ‘15.하

호조(5% 이상)

조선 8.8 5.7-고가 해양플랜트, 고부가 선박 인도 지속-인도량이 상반기 대비 낮으나 증가기조 유지

반도체 8.8 5.0-웨어러블기기, 빅데이터, SSD 등 신규시장 확대-중국 등 해외생산 확대는 부정적 영향

양호

정보통신기기

3.6 4.9-휴대폰부품 수요 확대, SSD 수출호조세 지속-해외생산 확대, 한·중 경쟁심화, 단가 하락

일반기계 8.5 2.8-중국 환경기계류 및 오염방지설비 수요 확대-중국, 중동 등 개도국 수요 부진, 엔저 영향

음식료 8.2 2.1-중국, 아세안, 미국에서의 가공식품 수요확대 -전반적인 중국 성장세 둔화는 부정적 요인

자동차 -1.7 0.4-소형 승용차, SUV 신모델 출시, 기저효과-엔저, 신흥국 수요부진, 해외생산 확대

부진(감소 완화)

가전 -8.4 -4.2-수출단가 하락, 신흥국 수요위축, 엔저 영향-UHD TV, 프리미엄가전 수출로 감소폭 완화

부진(감소세 전환)

철강 11.9 -8.7-중국수요 둔화, 공급과잉 및 단가약세 지속 등-미국 등 선진국 수요 개선은 긍정적 요인

석유화학 0.9 -10.5-저유가에 따른 단가 하락, 중국 자급률 확대-중동, 아세안지역 저가제품과 경쟁 심화

부진(감소세확대)

디스플레이

-2.4 -3.4-수급 안정세에도 불구, 중국 경쟁력 향상(중국의 생산확대), 국내업계의 해외생산 확대

섬유 -1.3 -4.8-수출단가 하락, 중국 내수부진-선진국 경기회복으로 상반기 대비 감소폭 완화

정유 -5.6 -26.5

-유가상승으로 상반기 대비 개선되나, 부진 지속-미국 정유업계 파업 종료, 중국 정제 생산 확대,

글로벌 공급과잉 지속 등 부정적 요인 상존

주 : 1) 호조는 5% 이상 증가, 양호는 0~5% 미만 증가, 부진은 감소세 기록 기준

2)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외 기준

□ 12대 산업 생산 : 상반기 대비 개선되나, 소재산업과 디스플레이

등이 감소하면서 낮은 성장 전망

○ 주력산업의 생산은 단가하락 등의 영향을 받은 소재산업군의 수출

부진, IT제조업군의 해외생산 확대 등으로 다소 부진한 성장 전망

Page 42: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32 -

○ 비IT제조업군은 정유, 철강, 섬유가 감소하고, 일반기계와 음식료가

1~2% 증가에 그치지만, 조선과 자동차, 석유화학이 증가세로 전환

되면서 전년동기 수준 유지 전망

- (생산 감소) 정유(-4.2%)와 섬유(-5.1%)는 소폭 개선되나 수출부진으

로 감소, 철강(-1.3%)은 수요산업 경기와 수출개선으로 감소세 완화

- (낮은 성장) 일반기계(1.5%)는 내수부진 및 낮은 수출확대로, 음식

료(1.8%)는 꾸준한 수출·내수 증가에도 가계소비 정체로 소폭 증가

- (증가세 전환) 자동차(3.3%)는 내수 및 수출증가, 조선(9%)은 ‘13년

수주선박의 인도 진행, 석유화학(1.2%)은 신증설 투자, 전방산업 수

요회복, 납사 가격하락으로 인한 채산성 향상 등이 긍정적 영향 전망

○ IT제조업군은 반도체와 정보통신기기가 증가하지만 디스플레이와

가전이 부진하고 해외생산 확대의 영향 등으로 2~4% 증가 전망

- (지속 증가) 반도체(5.3%)는 국내업체의 미세공정 우위, 과점적 공

급구조의 영향으로 D램, AP를 중심으로 생산 증가세 지속 전망

<그림 Ⅱ-6> 2015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생산증가율 전망

단위 : %

주 :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정유는 석유제품, 섬유는 섬유사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Page 43: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33 -

- (증가세 전환) 정보통신기기(4.8%)는 수출확대로 부품과 노트북 등

을 중심으로 증가, 가전(0.1%)은 해외생산 확대에도 내수·수출 개

선과 에너지 절전형 및 빌트인 가전수요 등으로 증가

- (생산 감소) 디스플레이(-1.4%)는 상반기 대비 감소세가 완화되나

수출감소 등의 영향으로 부진

<그림 Ⅱ-7> 2015년 주요 산업별 생산증가율 전망

단위 : %

주 : 상동

□ 12대 산업 내수 : 정유, 정보통신기기가 증가하나, 전체적으로 부진

○ 하반기 내수는 정유, 정보통신기기가 약 5% 증가하지만, 음식료, 가

전, 석유화학 등이 1% 증가에 그치고 철강, 자동차, 일반기계가 감

소하면서 전체적으로 부진, 상반기 대비로는 소폭 개선

○ (내수중심 업종) 음식료는 FTA 확대, 국내 생산기반 강화에도 소비위

축 등의 영향으로 1.1% 소폭 증가, 메르스 여파는 변수가 될 전망

- 철강은 건설수주 증가와 수요산업 경기개선으로 상반기 대비 회복

되나 1% 감소, 일반기계(-2.4%)는 수요둔화로 감소 전망

○ (수출·내수 병행) 자동차는 업체간 판매경쟁에 따른 마케팅 확대에

Page 44: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34 -

도 시장포화 및 가계부채 요인으로 0.8% 소폭 증가

- 가전(0.2%)은 에너지 절전형 제품과 보급형 UHD TV 수요가 증가

하나 가계부채 요인과 소비심리 위축으로 소폭 증가

- 섬유(-5.7%)는 가계부채 부담, 체감경기 부진으로 감소한 반면, 정

유(5.1%)는 저유가 기조와 경기개선으로 산업용·수송용 석유제품

소비 증가로 증가 예상

<그림 Ⅱ-8> 2015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내수증가율 전망

단위 : %

주 :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정유

는 석유제품, 섬유는 섬유사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그림 Ⅱ-9> 2015년 주요 산업별 내수증가율 전망

단위 : %

주 : 상동

Page 45: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35 -

○ (수출중심 업종) 디스플레이(-5%)가 TV 등 수요산업의 성장 둔화로

부진, 반도체도 모바일기기 등 수요산업 저성장으로 1% 소폭 증가

- 정보통신기기(4.7%)는 국산·외산 신규 스마트폰 교체수요, 슬림형

노트북, 윈도 10 수요로 증가, 수출비중이 높은 조선도 소폭 증가

□ 12대 산업 수입 : IT산업이 증가하나, 소재산업 부진으로 감소

○ 하반기 수입은 정보통신기기와 자동차 등이 증가하지만, 국내경기

둔화, 저유가에 따른 수입단가 하락 등으로 5.2%(연간 7.2%) 감소

- 하반기 수입은 상반기 대비 감소폭이 줄어들지만, 정유(-30.5%)를

중심으로 비IT제조업이 약 13% 감소하면서 부진할 것으로 예상

- 음식료(-5.1%)는 커피, 초콜릿, 유제품 등 고급 가공식품 수입수요

확대에도 불구하고 수입비중이 높은 사료수입이 감소하면서 부진

○ (기계산업군) 하반기 수입은 외제차, 기자재 및 편의치적선박 수요

로 자동차와 조선이 증가하나, 일반기계가 감소하며 2% 감소 전망

- 자동차(5.4%)는 FTA에 따른 관세인하, 유로화 약세 등으로 외제차

수입이 확대되나, 일반기계는 기계류 내수부진으로 5.8% 감소

○ (소재산업군) 섬유(5%)가 원자재가 하락 등에 따라 중저가품을 중심

으로 증가하나, 저유가 영향과 수입 석유제품의 세제지원 축소로

정유(-31%) 수입이 크게 줄어들면서 14% 감소

- 석유화학(-6.6%)은 엔저로 수입량은 증가하고 철강도(-13%)도 내수

개선에 따라 수입량이 확대되지만 모두 단가하락의 영향으로 감소

○ (IT제조업군) 가전과 디스플레이가 중저가품 수요둔화로 부진하지

Page 46: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36 -

만, 시스템반도체와 외산 스마트폰 수입이 늘어나며 약 4% 증가

- 가전(-4.8%)과 디스플레이(-1.2%)는 중저가 가전, 중소형 패널 수입

수요로 상반기 대비 감소세가 둔화, 정보통신기기(8.2%)는 외산 스

마트폰 및 휴대폰 부품 수입이 지속 확대

<그림 Ⅱ-10> 2015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단위 : %

주 : 1) 달러표시 가격 기준

2)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외 기준

<그림 Ⅱ-11> 2015년 주요 산업별 수입증가율 전망

단위 : %

주 : 1) 달러표시 가격 기준

2)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외 기준

<표 Ⅱ-6> 2015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출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

Page 47: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37 -

업종 2013 2014 2015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자동차74,714 38,850 36,709 75,559 36,124 36,858 72,982

(4.0) (4.0) (-1.7) (1.1) (-7.0) (0.4) (-3.4)

조선37,168 19,967 19,919 39,886 21,824 21,052 42,876

(-6.5) (5.9) (8.8) (7.3) (9.3) (5.7) (7.5)

일반기계42,020 22,052 21,838 43,890 22,515 22,450 44,965

(-3.6) (0.7) (8.5) (4.5) (2.1) (2.8) (2.4)

철강32,497 17,433 18,128 35,561 15,809 16,551 32,360

(-12.1) (6.9) (11.9) (9.4) (-9.3) (-8.7) (-9.0)

석유화학48,377 23,997 24,258 48,255 19,807 21,715 41,522

(5.4) (-1.4) (0.9) (-0.3) (-17.5) (-10.5) (-14.0)

정유52,787 26,063 24,721 50,784 15,807 18,182 33,989

(-5.9) (-2.1) (-5.6) (-3.8) (-39.4) (-26.5) (-33.1)

섬유15,955 8,010 7,926 15,936 7,216 7,545 14,761

(2.3) (1.1) (-1.3) (-0.1) (-9.9) (-4.8) (-7.4)

가전14,885 7,485 7,358 14,843 6,274 7,050 13,324

(17.8) (9.2) (-8.4) (-0.3) (-16.2) (-4.2) (-10.2)

정보통신기기

34,487 17,777 18,750 36,527 18,573 19,675 38,248

(13.7) (8.5) (3.6) (5.9) (4.5) (4.9) (4.7)

디스플레이

27,387 12,761 13,049 25,810 11,565 12,605 24,170

(-9.1) (-9.0) (-2.4) (-5.8) (-9.4) (-3.4) (-6.4)

반도체57,143 29,243 33,404 62,647 30,910 35,070 65,980

(13.3) (10.6) (8.8) (9.6) (5.7) (5.0) (5.3)

음식료3,936 2,029 2,152 4,181 2,083 2,198 4,281

(0.7) (4.2) (8.2) (6.2) (2.7) (2.1) (2.4)

12대 합계441,356 225,667 228,212 453,879 208,507 220,951 429,458

(1.0) (3.1) (2.6) (2.8) (-7.6) (-3.2) (-5.4)

총수출559,632 283,208 289,456 572,664 268,600 286,500 555,100

(2.1) (2.4) (2.2) (2.3) (-5.2) (-1.0) (-3.1)

주 : 1) ( )은 전년 동기비 증가율2) 수치는 통관 기준3)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외 기준

Page 48: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38 -

<표 Ⅱ-7> 2015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생산 전망

단위 : %

업종 2013 2014 2015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자 동 차

(천대)

4,521 2,343 2,182 4,525 2,278 2,254 4,532

(-0.9) (2.6) (-2.5) (0.1) (-2.8) (3.3) (0.2)

조 선

(만CGT)

1,140 590 422 1,012 629.5 460 1,090

(-14.9) (-9.6) (-12.6) (-11.2) (6.7) (9.0) (7.7)

일 반 기 계

(10억원)

98,836 47,510 53,006 100,516 48,508 53,801 102,309

(-3.2) (0.3) (3.0) (1.7) (2.1) (1.5) (1.8)

철 강

(천톤)

69,147 37,046 37,063 74,109 36,210 36,580 72,790

(-4.0) (8.3) (6.1) (7.2) (-2.3) (-1.3) (-1.8)

석 유 화 학

(천톤)

21,717 10,880 10,517 21,397 10,703 10,648 21,351

(1.4) (0.7) (-3.2) (-1.5) (-1.6) (1.2) (-0.2)

정 유

(십만배럴)

10,020 4,908 5,390 10,298 5,384 5,159 10,543

(-3.2) (-0.1) (5.6) (2.8) (9.7) (-4.3) (2.4)

섬 유

(천톤)

2,059 996 965 1,961 930 916 1,846

(-2.9) (-2.7) (-6.8) (-4.8) (-6.6) (-5.1) (-5.9)

가 전

(10억원)

34,108 17,245 16,965 34,210 16,054 16,987 33,041

(2.8) (5.0) (-4.1) (0.3) (-6.9) (0.1) (-3.4)

정보통신기기

(10억원)

67,493 34,703 34,489 69,192 35,744 36,142 71,886

(5.4) (6.0) (-0.8) (2.5) (3.0) (4.8) (3.9)

디스플레이

(10억원)

36,614 16,492 17,114 33,606 15,595 16,882 32,477

(-6.3) (-9.6) (-6.9) (-8.2) (-5.4) (-1.4) (-3.4)

반 도 체

(10억원)

69,459 37,481 37,602 75,083 39,080 39,540 78,620

(13.1) (9.1) (7.3) (8.1) (4.3) (5.2) (4.7)

음 식 료

(10억원)

75,469 37,632 39,169 76,801 38,146 39,862 78,008

(0.4) (1.4) (2.5) (1.8) (1.4) (1.8) (1.6)

주 : 1) ( )은 전년 동기비 증가율2)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정

유는 석유제품, 섬유는 섬유사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Page 49: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39 -

<표 Ⅱ-8> 2015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내수 전망

단위 : %

업종 2013 2014 2015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자 동 차

(천대)

1,538 813 862 1,675 846 869 1,715

(0.0) (8.4) (9.5) (8.9) (4.1) (0.8) (2.4)

조 선

(만CGT)

113 56.0 54 110 58.3 56 114

(-3.7) (-3.5) (-1.7) (-2.5) (4.1) (3.5) (3.8)

일 반 기 계

(10억원)

86,128 40,356 45,569 85,925 39,195 44,461 83,656

(2.4) (2.0) (-2.1) (-0.2) (-2.9) (-2.4) (-2.6)

철 강

(천톤)

51,762 28,317 27,204 55,521 26,878 26,941 53,819

(-4.3) (10.4) (4.2) (7.3) (-5.1) (-1.0) (-3.1)

석 유 화 학

(천톤)

10,802 5,332 4,710 10,042 4,760 4,752 9,512

(1.8) (-1.5) (-4.0) (-7.0) (-10.7) (0.9) (-5.3)

정 유

(십만배럴)

8,252 4,063 4,158 8,221 4,262 4,370 8,632

(-0.3) (0.2) (-1.0) (-0.4) (4.9) (5.1) (5.0)

섬 유

(천톤)

1,545 753 721 1,474 682 680 1,362

(-1.5) (-2.8) (-6.4) (-4.6) (-9.4) (-5.7) (-7.6)

가 전

(10억원)

23,109 12,385 11,819 24,204 12,142 11,839 23,981

(-4.3) (8.4) (1.1) (4.7) (-2.0) (0.2) (-0.9)

정보통신기기

(10억원)

46,941 26,540 25,626 52,166 27,240 26,837 54,077

(-0.1) (16.3) (6.3) (11.1) (2.6) (4.7) (3.7)

디스플레이

(10억원)

9,655 4,851 5,066 9,917 4,736 4,812 9,548

(4.5) (9.9) (-3.3) (2.7) (-2.4) (-5.0) (-3.7)

반 도 체

(10억원)

44,795 24,773 22,736 47,509 25,610 22,960 48,570

(10.2) (5.1) (7.2) (6.1) (3.4) (1.0) (2.2)

음 식 료

(10억원)

83,407 41,364 43,202 84,566 42,032 43,676 85,708

(0.1) (0.5) (2.6) (1.4) (1.6) (1.1) (1.4)

주 : 1) ( )은 전년 동기비 증가율2)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정

유는 석유제품, 섬유는 섬유사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Page 50: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40 -

<표 Ⅱ-9> 2015년 하반기 주요 산업별 수입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

업종 2013 2014 2015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자동차11,222 6,517 7,447 13,964 7,179 7,850 15,029

(10.5) (28.2) (21.3) (24.4) (10.2) (5.4) (7.6)

조선3,638 1,775 2,195 3,970 1,926 2,211 4,137

(-18.6) (-15.1) (41.9) (9.1) (8.5) (0.7) (4.2)

일반기계30,415 14,891 14,775 29,666 14,010 13,920 27,930

(10.3) (-0.8) (-5.6) (-2.5) (-5.9) (-5.8) (-5.9)

철강27,994 15,242 14,606 29,848 12,378 12,707 25,085

(-9.2) (7.5) (5.7) (6.6) (-18.8) (-13.0) (-16.0)

석유화학17,015 8,087 8,365 16,452 7,112 7,813 14,925

(6.7) (-8.1) (1.8) (-3.3) (-12.1) (-6.6) (-9.3)

정유29,539 15,904 14,229 30,133 8,029 9,888 17,917

(10.2) (6.1) (-2.2) (2.0) (-49.5) (-30.5) (-40.5)

섬유13,520 6,388 8,270 14,658 6,542 8,694 15,236

(12.8) (8.5) (8.3) (8.4) (2.4) (5.1) (3.9)

가전4,832 2,852 2,489 5,341 2,685 2,370 5,055

(4.3) (22.8) (-0.8) (10.5) (-5.9) (-4.8) (-5.4)

정보통신기기15,718 9,994 10,362 20,356 10,771 11,213 21,984

(3.7) (34.8) (24.8) (29.5) (7.8) (8.2) (8.0)

디스플레이3,047 1,664 1,651 3,315 1,603 1,632 3,235

(-15.5) (11.1) (6.6) (8.8) (-3.7) (-1.2) (-2.4)

반도체34,619 17,175 19,286 36,461 18,610 19,930 38,540

(7.4) (2.1) (8.4) (5.3) (8.4) (3.3) (5.7)

음식료11,185 5,586 5,968 11,554 5,648 5,665 11,313

(-0.8) (-0.6) (7.2) (3.3) (1.1) (-5.1) (-2.1)

12대 합계202,744 106,075 109,643 215,718 96,493 103,893 200,386

(4.1) (6.6) (6.2) (6.4) (-9.0) (-5.2) (-7.1)

총수입515,600 263,300 262,200 525,500 224,100 250,500 474,600

(-0.8) (2.7) (1.2) (1.9) (-14.9) (-4.5) (-9.7)

주 : 1) ( )은 전년 동기비 증가율2) 수치는 통관 기준3)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외 기준

Page 51: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41 -

<별첨 1> 엔저 장기화로 정유, 자동차, 가전 등 수출에 부정적 영향

○ 하반기 엔저로 한·일간 경쟁강도가 높은 정유는 고부가가치 품목(휘

발유·경유·항공유 등)의 가격경쟁력 하락으로 대일본 수출감소 예상

- 자동차의 경우 일본업체들이 엔저 지속에 따른 수익성 제고와 가

격인하 등의 공격적 마케팅 확대로 수출에 부정적 영향 전망

- 가전도 엔저에 힘입은 일본업체들의 수출확대와 수익성 제고로, 일

반기계는 일본과 공작기계, 금형 등에서 세계시장에서 경쟁이 심화

- 반도체는 한국이 일본대비 경쟁우위에 있지만, 낸드플래시 세계 2위

인 일본이 엔저에 따른 경쟁력 강화로 경쟁이 심화될 가능성 상존

- 조선은 현재 엔저 영향은 미미하지만, 향후 일본의 우리 주력선종

(초대형 컨테이너선, LNG선)부문에 진입하면서 경쟁 심화 가능성

<그림 Ⅱ-12> 하반기 엔저 및 저유가 기조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

Page 52: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42 -

- 반면 정보통신기기, 디스플레이 등 기타 업종은 한·일간 경합도가 낮

거나 일본 대비 경쟁우위 등으로 엔저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전망

<표 Ⅱ-10> 하반기 엔저 장기화가 주력산업 수출에 미치는 영향 전망

수출영향 업종 하반기 주요 요인

수출

감소

정유 ․가격경쟁력 약화로 일본으로의 수출 감소

자동차․완성차 : 가격보다는 마케팅전략 등을 통한 공세 전망․부품 : 가격경쟁력 약화로 수출 감소

가전 ․해외시장에서 우리 제품의 경쟁력 약화, 수출채산성 악화

일반기계․하반기에도 엔저 지속시, 공작기계, 굴삭기, 금형 등 일본과의 경쟁 확대

조선․현재 영향은 미미하나, 일본의 우리 주력선종(극초대형 컨테이너선, LNG선) 수주가 증가

반도체․일본은 D램이 퇴출됐으나 세계 2위인 낸드플래시에서 한국과 경쟁이 확대될 가능성

영향

미미

섬유․화섬소재는 일본과 수출품목이 차별화, 한일 경합도가 높은 일부 고기능성 제품은 물량이 작아 전체 영향은 미미

철강․동남아 등지에서 일본 제품과의 수출경쟁 심화 예상․반면 차별화된 강종 및 소재특성에 의한 고정 수요확보

음식료․수출시장에서 일본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다소 증가할 수 있으나, 음식료제품의 특성상 그 영향은 미미 전망

석유화학․주력 중국시장에서 한국은 범용제품 위주, 일본은 특화제품 위주로 경합도가 낮아 아직은 영향 미미

정보통신기기․수출 주력품목인 스마트폰은 일본 대비 경쟁우위에 있고 일본과 직접 경쟁관계는 낮은 수준

디스플레이 ․일본과의 경쟁관계 미약하며, 대일수출 실적도 극히 미약

<별첨 2> 저유가 기조도 정유, 석유화학 등 주요산업의 수출을 제약

○ (단가하락) 국제유가에 민감한 정유, 석유화학은 하반기에 소폭 유가상

승이 예상되나 저유가 지속에 따른 단가하락으로 수출실적 악화 우려

- 섬유는 저유가로 채산성 개선 효과도 있지만, 화섬원사·직물, 이를

활용한 의류의 수출단가 하락 압력을 받으며 수출에 부정적 영향

Page 53: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43 -

○ (산유국 수요둔화) 자동차는 저유가로 산유국(러시아, 브라질, 중동

등)의 경기가 침체되면서, 동 지역으로의 수출둔화가 전망

- 일반기계는 중동 경제침체의 영향으로 설비 및 기자재 수요감소가

예상되고, 가전도 산유국의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부진이 우려

○ (수요분야 부진) 조선은 저유가 기조로 원유비축용 탱커 수주는 증

가하는 반면, 고가 해양플랜트 수주가 크게 위축될 것으로 예상

- 철강의 경우 저유가로 자동차, 조선 등 수요산업의 생산변화 등에

따른 간접적 영향이 상존

○ (영향 미미) 디스플레이, 반도체, 정보통신기기는 상대적으로 유가변

화에 따른 가격영향이 상대적으로 미미한 업종

<표 Ⅱ-11> 하반기 저유가 지속시 주력산업 수출에 미치는 영향 전망

수출영향 업종 하반기 주요 내용

감소

자동차 ․산유국(러시아, 브라질, 중동 등) 경제침체로 수요부진

조선 ․해양플랜트 수주 급감, 반면에 원유 비축용 탱커 수주는 증가

일반기계 ․개도국 가운데 대중동 설비 및 기자재 수출수요 감소

철강 ․저유가로 수요산업의 생산변화에 따른 간접적 영향 전망

섬유 ․화섬원사․직물 및 이를 활용한 의류 수출 단가 하락 압력

가전 ․산유국(특히 러시아, 브라질) 경제침체에 따른 수출 부진

감소

(물량은 증가)

석유화학 ․저유가 기조 유지로 수출단가 하락에 따른 수출성과 악화

정유․유가하락에 따른 단가하락으로 수출(금액기준)이 감소․저유가에 따른 석유제품의 수요 증가(물량기준 증가) 전망

영향미미

정보통신기기 ․수출관련 유가 흐름과 직접적인 연관관계 미미

디스플레이 ․유가 변화의 가격영향 극히 미약

반도체 ․반도체는 유가와 직접적 관계 미미

증가 음식료․중화권, 아세안 등 신흥시장에서의 소비여력 회복으로 한국 음식료 제품에 대한 수입수요 유지 전망

주 : 수출영향은 수출금액 기준

Page 54: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44 -

○ (수출 증가) 음식료는 생산비용 하락에 따른 가격경쟁력 제고, 중화

권, 아세안 등 신흥시장의 소비여력 회복으로 수출에 긍정적 영향

<별첨 3> 중국의 추격 가속화는 주력산업 수출에 위협으로 작용

○ 2015년 하반기 일부업종을 제외한 중국 주력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공급과잉은 국내 주력산업의 수출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 전망

○ 먼저 가전은 공급과잉에 따른 영향은 적지만, UHD TV 등에서도

중국의 기술추격이 가속화되면서 한·중 간 경쟁이 심화

- 중국과 경쟁강도가 높아지고 있는 섬유는 중국의 생산·공급 능력이

확대되고 섬유소재와 의류의 품질 향상으로 우리의 수출시장을 잠식

○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일반기계, 석유화학, 철강, 조선, 반도체 등도

중국 추격이 더욱 거세지면서 일정수준 수출에 부정적 영향이 예상

- 정보통신기기 : 중국은 스마트폰분야에서 거대 내수 및 저가격-고

기능 전략으로 저가 신흥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며 경쟁이 확대

- 디스플레이 : 8세대 LCD 생산능력을 확대하며 빠르게 추격하고 있

으며, 중국의 설비투자 확대도 국내 수출의 제약요인으로 작용

- 석유화학 : 하반기 중국내 수요확대와 시장공급조절로 공급과잉은

완화되나, 중국의 자급률 제고, 생산시설 신증설은 부정적 요인

- 철강 : 중국의 공급과잉(단가하락)과 경쟁제품군 확대의 영향 지속

- 조선 : 벌크선 분야에서 중국의 시장주도력 강화 및 건조능력 과잉

으로 수출에 부정적 영향 우려, 여타 선종은 영향 미미

- 반도체 : 메모리는 한국이 월등한 경쟁우위인 반면, 시스템반도체

(팹리스 및 파운드리)는 한국을 위협할 정도의 경쟁력 확보 상황

Page 55: 201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mynewsletter.co.kr/kcplaa/201506-5/1.pdf완만한 증가에 그치면서 전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아질 전망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 45 -

○ 그러나, 자동차와 음식료는 중국 대비 경쟁우위에 있어 하반기에도

중국요인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낮을 것으로 예상

○ 정유는 하반기 중국의 정제설비 증설계획의 취소 및 지연과 공급과

잉에 따른 중국의 정제설비 가동률 하락으로 수출량이 증가할 전망

<표 Ⅱ-12> 하반기 중국추격 및 공급과잉 추이와 주력산업의 수출변화

수출영향 업종 하반기 주요 요인

수출

감소

섬유․중국 섬유소재 및 의류의 품질 제고로 주력 수출시장 잠식․중국 생산 및 공급능력 확대로 경쟁 심화

가전․UHD TV, LED 조명기기 등에서 중국의 기술추격 가속화․프리미엄 제품이므로 공급과잉 문제는 미미

정보통신기기․중국 스마트폰의 경쟁력 강화로 중국 등 저가시장 잠식․컴퓨터 등 정보기기는 시장점유율면에서 중국이 우위

일반기계 ․범용 기계류를 위주로 중국의 추격 가속화

디스플레이․8세대 LCD 생산능력 확대를 통해 TV용 8세대 LCD패널에서 한국을 빠르게 추격,

․중국의 설비투자 확대로 수급 불균형 유발

석유화학․중국의 석탄 기반 석유화학제품 생산증가 및 신증설 ․석유화학제품 수요증가, 시장 공급조절로 공급과잉은 완화

철강․중국과의 경쟁제품군 증가로 수출 하락 예상․공급과잉에 따른 수출단가 하락 지속, 수출경쟁 심화

조선․중국추격 관점에서 벌크선은 감소, 기타선종은 영향 미미․과잉 공급능력에 의한 경쟁 치열(공급), 선복과잉에 의한 발주부진(수요)

반도체․메모리 분야는 영향 없으나, 팹리스(비메모리 일종) 분야는 중국이 월등한 경쟁력 확보로 감소 추세

영향

미미

자동차․중국과 한국 자동차산업과의 격차 존재․중국 경쟁력 강화가 한국 수출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수준

음식료․일부 식료품에서 중국내에서 기술․제품 경쟁력 강화 추세․중국 당국의 음식료산업에 대한 강력한 M&A 유도로 산업 경쟁력이 강화되고, 이에 공급수준도 조절하고 있는 상황

수출

증가정유

․중국의 정제설비 증설 계획 취소·지연으로 수출량 증가 ․중국의 공급과잉에 따른 정제설비 가동률 하락으로 석유제품의 수입 증가가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