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상반기공개채용 필기전형 자료집1 -...

195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물품운영부 - - 필기전형 일시 일 장애인 일 일반 2014 3 7 ( ), 8 ( ) 장소 일금 생협 군포아이밸리 교육실 3 7 ( ) / iCOOP 일토 성공회대학교 3 8 ( )/ 공지 입실시간 및 입실호실은 일목 지원부서별로 공지됩니다 3 6 ( ) . 당사 채용홈페이지 공지사항을 참조해주세요. (www.icoop.or.kr/recruit) 년 상반기 공개채용 2014 필기전형 자료집1

Transcript of 2014년상반기공개채용 필기전형 자료집1 -...

  •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물품운영부- -

    필기전형 일시 년 월 일장애인 일일반2014 3 7 ( ), 8 ( )▮장소 월 일금 생협 군포아이밸리 교육실3 7 ( ) / iCOOP▮

    월 일토 성공회대학교3 8 ( ) /

    공지 입실시간 및 입실호실은 월 일 목 지원부서별로 공지됩니다3 6 ( ) .▮당사 채용홈페이지 공지사항을 참조해주세요. (www.icoop.or.kr/recruit)

    년 상반기 공개채용2014

    필기전형자료집1

  • - 2 -

  • - 3 -

    자료집 차례

    강 협동조합과 한국 생협 이해1 . ···························· 4

    강 협동조합의 역사와 세계 협동조합 사레2 . ···························· 44

    강 생협의 핵심정책 이해3 . iCOOP 1 ···························· 84

    강 생협의 핵심정책 이해4 . iCOOP 2 ···························· 108

    강 생협의 생산 가격정책5 . iCOOP , 1 ···························· 138

    강 생협의 생산 가격정책6 . iCOOP , 2 ···························· 152

    강 생협의 생산 가격정책7 . iCOOP , 3 ···························· 170

    강 윤리적 소비에 대하여8 . ···························· 186

  • - 4 -

    강 협동조합과 한국 생협 이해1 .

    목 차- -

    협동조합의 개념.Ⅰ

    협동조합이란1. ?

    협동조합의 가치2.

    협동조합의 원칙3.

    협동조합과 자본 출자금 이해4. ( )

    협동조합섹터 이해5.

    한국생협의 역사와 특징.Ⅱ

    한국 생협운동의 역사1.

    한국 생협운동의 흐름2.

    한국 생협운동의 특성3.

    한국 생협의 현황4.

    참고 한국생협운동 연표< >

  • - 5 -

    강 협동조합과 한국 생협 이해1 .

    협동조합의 개념.Ⅰ

    협동조합이란1. ?

    협동조합의 정의1)

    ICA1)가 년 월 맨체스터대회에서 정한 협동조합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1995 9 .

    협동조합은 자발적으로 조직된 사람들의 자율적인 조직 으로서 정부의 개입이나“ ”

    외부의 압력 없이 자발적 의사로 조직된 사람들이 만드는 자율적 결사체이다 이러.

    한 협동조합의 목적은 그들 공통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필요와 욕구를 해결하“ , ,

    기 위 함이며 공동으로 소유되고 민주적으로 관리되는 사업체 라는 수단을 통해” , “ ”

    목적을 실현한다.

    이상의 정의에 따르면 협동조합은 자신의 목적 실현을 위해 경제 사업을 수행하는

    곳이며 그 경제 사업이 자본기업의 방식과는 달리 조합원의 요구와 의사에 의해,

    민주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1) 는 각국의 중앙단위 협동조합이 회원으로 가입하고 있는 세계 최대ICA (International Cooperative Alliance)

    의 비정부기구 년 프랑스의 협동조합 지도자 보와브 의 제안으로 창설이 본격적으로(NGO). 1887 (De Boyve)

    추진되었고 년 월 일 런던에서 개국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창립총회를 개최하였다 는, 1895 8 19 14 . ICA 1995

    년 월 맨체스터대회에서 협동조합의 아이덴티티에 관한 성명 을 채택하고 이 성명에는 협동조합의 정의9 “ ” “ ”

    와 함께 운동의 기본적 가치 그리고 새롭게 세기 전반을 조망하고 협동조합의 지침으로 삼도록 개정된“ ”, 21

    원칙이 포함되었다 년 월 현재 의 회원은 개국 개 조직이며 조합원은 억에 가깝다. 2012 7 ICA 96 267 10 .

    협동조합의 정의▶

    협동조합은 공동으로 소유되고 민주적으로 관리되는 사업체를 통해 공통의 경제적 사“ ,

    회적 문화적 필요와 욕구를 해결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조직된 사람들의 자율적인 조직,

    이다.”

    Co-operative is an autonomous association of persons united voluntarily to meet

    their comm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needs and aspirations through a

    jointly-owned democratically-controlled enterprise.

  • - 6 -

    협동조합과 주식회사의 차이점2)

    첫째 목적이 다르다, .①

    주식회사는 주식 투자에 참여한 주주의 수익을 목표로 하며 따라서 사업을 통해 이

    윤을 많이 남겨야만 한다 목적이 이러하므로 주식회사는 이윤이 많이 남을 수 있.

    는 사업에만 관심을 갖게 되고 시장을 독점하거나 저임금 감원 등을 통해 이윤을, ,

    최대한 높이려고 하는 반면 협동조합은 구성원인 조합원의 필요와 요구를 실현하는

    것이 사업의 목적이다.

    협동조합의 종류▶

    조합원의 필요와 요구는 다양한데 이들이 필요로 하는 바가 무엇인가에 따라 크게 소비

    자 생산자 노동자 협동조합 등으로 분류된다, , .

    위 종류의 전통적인 분류 외에 현대에는 다양한 형태의 협동조합이 나타나고 있다3 .

    다중이해관계자 협동조합※

    두 종류 이상의 이해관계자들이 조합원으로 참여하여 협동조합을 구성하는 것 소비자. ,

    노동자 자원봉사자 후원자 등이 조합원으로 참여 예 보육교사 학부모가 함께 설립하, , . ( . ,

    는 육아협동조합)

    사회적 협동조합※

    지역 주민의 권익 복리 증진이나 취약 계층에 대한 사회적 서비스 일자리 제공 등 공, ,

    익적 목적을 갖는 협동조합 사회적 협동조합은 공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주.

    체들이 참여하는 다중이해관계자 협동조합의 성격을 띠기도 함.

    협동조합의 종류 목 적

    소비자 협동조합

    자본에 의한 시장의 독점으로 발생하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소비자들이 조직 소비자들에게 양질의 저렴한 상품을 공급하는.

    것이 주목적.

    생산자 협동조합대부분 농어업협동조합 농자재의 공동구매나 공동출하 등을 통.

    해 농가 소득 향상을 목적으로 조직.

    노동자 협동조합 노동자의 안정적인 일자리 유지와 근로조건 개선이 목적.

    분류 협동조합 주식회사

    목적 공통의 필요와 요구 이윤 극대화

    자본 소유조합원 공동 소유

    인 소유 제한1

    투자자 소유

    인 소유 제한 없음1

    운영인 표1 1

    책임 유한 권리 유한,

    주 표1 1

    책임 유한 권리 무한,

    이익의 분배 출자배당은 제한 이용고 배당, 주식 보유에 따라 무제한 배당

  • - 7 -

    둘째 자본의 소유방식과 운영원리가 다르다, .②

    주식회사는 주식 투자자 주주 들이 자본을 소유하며 이때 인이 소유할 수 있는(= ) 1

    자본은 제한이 없다 의사결정의 방식도 주 표로 주식을 많이 소유한 사람에게. ‘1 1 ’

    의결의 권한이 집중되어 있어 주주의 이익 극대화를 위해 사업이 결정된다 주주의.

    권리는 무한 인정되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주주의 책임은 투자자금에 한하여 그

    이상의 채무변제의 책임이 없다 주식회사는 주주의 권리는 무한한데 책임은 유한.

    한 구조로 투자 자본의 기대 이익은 극대화하는 특성이 있지만 결과적으로 자본을

    가진 소수에게 이익에 집중되어 양극화를 심화시키게 된다 또한 회사의 부실경영.

    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아 결국 공적자금이 투입되어 국민의 세금으로 기업을 지켜

    주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주주의 이익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회사가 성장은 해도 일자리가 만들어 지지 않는 고용 없는 성장의 시대를 만‘ ’

    들어 분배구조가 왜곡되고 있는 것이다.

    반면 협동조합은 주식회사와 마찬가지로 유한 책임인 구조이지만 그 권리도 유한해

    서 균형을 이루고 있다 조합원 인의 소유를 제한 생협의 경우 총 출자의 범. 1 ( 1/5

    위 내로 제한함 하고 있고 출자금의 많고 적음과 상관없이 인 표라는 사람을 중) ‘1 1 ’

    심으로 한 의결제도로 자본 소유에 대한 견제를 함으로써 조합원 공동의 목적에 부

    합하도록 운영된다.

    셋째 사업의 이익에 대한 분배가 다르다, .③

    주식회사는 주식 보유량에 비례하여 이익을 무제한 배당할 수 있다. 협동조합은 출

    자배당은 없거나 하더라도 시중 은행금리 수준으로 제한하며 이용액, 배당을 장려

    하여 협동조합의 사업에 기여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익의 일정 부분은 배당하지 않.

    고 적립하여 조합원이나 사회에 이익이 되는 공익적 사업에 재투자한다.

    이상과 같이 주식회사와 협동조합은 매우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다 주식회사는 자.

    본결합체로서 자본을 소유한 자의 이익 극대화 동기를 통해 현대 사회의 물질적인

    경제 성장을 주도해온 것이 사실이지만 이윤 극대화를 위해 자원을 무분별하게 남

    획하거나 시장을 독점하여 품질을 속이거나 가격을 높여 대다수 시민들의 삶을 어

    렵게 하는 부작용 또한 발생시켜 왔다 협동조합은 주식회사의 이러한 자본주의 부.

    작용을 극복하기 위해 피해 당사자라 할 수 있는 소비자 농민 노동자들이 자신의, ,

    필요에 따라 직접 만들어낸 대안적 경제 사업체라 할 수 있다 사회의 균형 있는.

    발전은 어느 한쪽의 쏠림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를 줄이고 보완해야 가능하다는

    의미에서 협동조합은 최적의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 - 8 -

    협동조합이 성공하기 위한 조건3)

    첫째 사업체로서 경제적 성과를 낼 수 있어야 한다, .①

    조합원의 필요와 요구를 실현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이를 제대로 실현해내야 협동조

    합은 유지된다 자본기업보다 나은 혜택을 제공할 수 있어야 조합원은 협동조합의.

    사업을 이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협동조합의 경쟁력의 원천은 조합원이다, .②

    협동조합은 인적결합체로서 조합원이 출자 이용 운영의 주체이다 조합원이 협동, , .

    조합의 과정에 나그네가 아닌 주인으로 참여해야만 협동조합은 성공할 수 있다.

    셋째 협동조합은 호혜성에 기반을 둔다, .③

    일방적인 시혜나 자선이 아니라 호혜의 원리를 갖는다 따라서 무임승차가 없어야.

    하며 조합원의 자조 자기책임이 따라야 협동의 성과가 창출되며 성과의 공정한 분,

    배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기여자 우선 원칙을 강화해야 한다. .

    ▶ 생협에 있는 주식회사와 일반 주식회사의 차이점iCOOP

    생협의 주식회사는 일종의 협동조합 기업이다iCOOP .

    협동조합의 경제적 과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주식회사 형식의 자회사를 두고

    있는 것인데 이는 생협만이 아니라 세계의 다양한 협동조합들이 취하고 있는 방식iCOOP

    이다 주식회사 형식의 자회사를 설립하는 이유는 우선 자본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함.

    이다 협동조합의 자본인 출자금은 조합원이 탈퇴 시 반환되는 자본으로 안정성이 주식.

    회사에 비해 떨어지는 반면 주식회사는 주주가 빠지더라도 자본은 다른 주주에게 매각

    또는 양도됨으로써 유지된다 또 다른 이유는 큰 규모의 자본이 필요한 사업의 경우 주.

    식회사 방식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큰 규모의 자본이 필요하다는 것은 곧 사업의. 리스

    크 위험 가 크다는 의미인데 위험은 없애거나 피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 분산시킴

    으로써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사업의 특성에 맞는 사업체를 설립함으로서 위험 분산효.

    과를 가져오게 되며 회사별로 동일한 노동이 가능하므로 집중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

    그러나 의 자회사들은 일반 주식회사처럼 개인이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협동조합iCOOP

    에 의해 지배된다 회사의 자본은 회사의 성격에 따라 소비자생협 연합회 또는 생산회가. ( )

    절반 이상을 소유하며 이 자본은 소비자 생산자 직원이 함께 조성하여 협동조합의 목표, ,

    에 따라 사업을 수행한다 이 자회사들은 생협의 사업 목표에 기여하도록 방향을. iCOOP

    설정하고 실행함으로써 성과를 만들어내는 곳이다.

  • - 9 -

    협동조합의 가치2. 2)

    가 년 월 맨체스터대회에서 정한 협동조합의 가치는 아래와 같다ICA 1995 9 .

    협동조합의 가치 첫 문장 해설1)

    협동조합의 가치에 관한 첫 문장은 협동조합은 자조 자기책임 민주 평등 형평< , , , ,

    성 그리고 연대 등의 가치를 기본으로 한다 라고 되어 있다, .> .

    자조(self-help)①

    자조는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개척할 수 있고 또 그렇게 노력해야

    한다 라는 믿음에 바탕을 두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협동조합인은 개인의 발전이, .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만 온전히 실현될 수 있다고 믿는다 개인으로서 한 사람이.

    노력하거나 얻을 수 있는 것은 한계가 있지만 공동행동과 상호책임을 통해 특히 시,

    장에서나 정부에 대하여 결집된 영향력을 발휘한다면 보다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자기책임(self-responsibility)②

    자기책임이 뜻하는 바는 조합원들이 조합을 설립하고 활력을 유지하는 일에 스스로

    책임을 진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조합원들은 그들의 가족 이웃 친지들에게 자신의. ,

    조합을 알릴 책임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자기책임 은 자신들의 조합이 공 사 조. < > ・직으로부터 독립성을 유지하도록 조합원들이 보장하는 책임을 진다는 것을 뜻한다.

    평등(equality)③

    협동조합의 기초단위는 조합원으로서의 개인이거나 혹은 개인들의 집단이다 협동.

    조합이 인성 을 기초로 한다는 점은 자본의 이익을 위하여 움(human personality)

    직이는 사기업과 구별되는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이다 조합원은 조합에 참여할 권.

    리 즉 알고 듣고 의사결정에 관여할 권리를 갖고 있다, .

    2) 장종익 김신양 편역 성공하는 협동조합의 일곱 가지 원칙 서울 사한국협동조합연구소출판부/ , 2001, , , ( ) :「 」

    pp. 22 ~ 28

    협동조합의 가치▶

    협동조합은 자조 자기책임 민주 평등 형평성 그리고 연대의 가치를 기반으로 하며“ , , , , , ,

    조합원은 협동조합선구자들의 전통에 따라 정직 공개 사회적 책임 타인에 대한 배려, , ,

    등의 윤리적 가치를 신조로 한다.”

    Co-operatives are based on the values of self-help, self-responsibility,

    democracy, equality, equity, and solidarity. In the tradition of their founders,

    co-operative members believe in the ethical values of honesty, openness, social

    responsibility, and caring for others.

  • - 10 -

    형평성(equity)④

    형평성은 무엇보다도 조합원이 조합 내에서 어떻게 다루어지느냐 하는 문제이다.

    조합원들은 조합 활동에 참여한 결과로서 보통 이용고 배당(patronage dividends),

    내부 유보금의 조합원 지분 혹은 수수료의 감축 등의 보상을 받게 되는데 이 때,

    조합원들은 공정하게 취급받아야 한다.

    연대(solidarity)⑤

    이 가치는 국제 협동조합운동에 있어서 오랜 역사와 신성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협동조합은 직원들이 조합원이든 아니든 그들을 공정하게 대우해야 하는 책임을 갖

    고 있다 연대는 협동조합이 조합원 공동의 이익을 위해 책임을 지녀야 함을 의미.

    한다 이는 특히 조합원의 재정적 사회적 자산이 공동 활동과 참여의 결과 얻어진. ・조합원 전체의 것임을 나타낸다 이러한 의미에서 연대라는 가치는 협동조합이 단.

    순히 개인들의 연합체 이상으로 집단적인 힘과 상호책임이 결합된 조직이라는 사실

    을 말해 준다 한걸음 더 나아가 협동조합의 가치로서 연대는 협동조합인과 협동조.

    합이 함께 서야 함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지역 및 전국적으로 그리고 대륙 및 전.

    세계적으로 단결된 협동조합운동을 열망한다 협동조합은 조합원에게 고품질의 상.

    품과 서비스를 저렴한 가격에 제공할 수 있도록 모든 실천적인 방법을 통해 협동하

    여야 한다.

    협동조합의 가치 두 번째 문장 해설2)

    협동조합의 가치에 관한 두 번째 문장은 협동조합 선구자들의 전통에 따라 조합<

    원은 정직 공개 사회적 책임 그리고 타인에 대한 배려 등의 윤리적 가치를 신조, , ,

    로 한다 고 되어 있다.> .

    협동조합 선구자들의 전통에 따라①

    이 문구는 모든 위대한 운동에는 시초에 선구자로서 협동조합운동에 눈부신 활약을

    한 탁월한 이들이 있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그들은 실용주의를 넘어 윤리적이고.

    도덕적이었다 동시에 각국 협동조합운동의 선구자들이 지닌 실용적이고 윤리적인.

    가치는 여전히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선구자들 을 언급한 이유는 그들을 기억하. < >

    기 위한 것이다.

    정직②

    세기의 협동조합 가운데 로치데일 조합은 정직에 각별한 헌신성을 보였다 실제19 .

    로치데일 조합은 물건의 양을 속이지 않고 좋은 품질과 적정한 가격을 내세웠기 때

    문에 당시 시장에서 그 존재가 뚜렷이 부각될 수 있었다 노동자협동조합은 과거부.

    터 계속 경영공개라는 정직한 체계를 만들기 위해 노력한 조직으로 유명하였다.

  • - 11 -

    공개③

    정직이라는 전통에 더하여 협동조합은 항상 조합원을 정직하게 대우하기를 원했고,

    이러한 태도는 비조합원에 대한 정직한 거래로 이어졌다 같은 이유로 그들은 개방.

    성을 지향한다 협동조합은 운영에 관한 정보를 조합원 일반대중 및 정부에 정기적. ,

    으로 공개하는 공적인 조직이다.

    사회적 책임 타인에 대한 배려,④

    이 가치들은 협동조합이 지역사회와 맺고 있는 특별한 관계에서 기인한다 협동조.

    합은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개방되어 있고 지역사회에서 자립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도와주어야 한다 협동조합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공동체 기.

    관으로서 주민들의 건전한 삶에 대해 관심을 갖는 전통을 지녀왔다 그러므로 협동.

    조합은 모든 활동에서 사회적으로 책임을 다하기 위해 노력해야하는 의무가 있< >

    는 것이다.

    윤리적 가치⑤

    협동조합이 열망하는 윤리적 가치들이 일부 자본이 통제하는 기업이나 정부소유 기

    업의 활동에도 영향을 주었다는 주장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러나 그 가치들은.

    협동조합의 전통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당연히 포함되어야 한

    다 특히 그 가치들은 세기에 다양한 종류의 협동조합들이 탄생할 무렵 그 조직. 19

    들을 이루는 기본적인 가치로서 중요성을 가진다 그리고 그 가치들은 이후 협동조.

    합운동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한 이들의 행동에서도 명백히 드러난다.

    협동조합의 원칙3. 3)

    협동조합 원칙의 의미1)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온 협동조합 원칙은 협동조합운동의 수혈 이다 협동조합( ) .輸血

    의 원칙은 협동조합들이 그들의 조직을 발전시키는데 필요한 지침이다 이 원칙들.

    은 여러 세대에 걸친 경험과 철학적 사고에 의해 형성되었으므로 본래부터 실천적

    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 결과 이 원칙들은 상이한 지역에 다양하게 존재하는 모.

    든 협동조합에 적절히 적용될 수 있는 탄력적인 것이다 무엇보다도 이 원칙들은.

    협동조합인들이 그들 조직의 민주주의의 본질 상이한 이해 당사자들의 역할 그리, ,

    고 창출된 이윤의 배분에 대해 결정을 할 수 있는 준거를 제공한다 협동조합의.

    원칙은 협동조합인을 효율적이게 하고 협동조합의 성격을 뚜렷하게 하며 협동조합

    운동을 가치 있게 하는데 핵심적인 특성이다.

    협동조합의 핵심을 구성하는 협동조합의 원칙은 그 내용이 각각 독립적인 것이 아

    3) 상동

  • - 12 -

    니라 서로 미묘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를 무시하게 되면 다른 모든.

    것의 의미가 축소되어 버린다 협동조합은 배타적으로 어느 한 가지 원칙을 기준으로.

    판단되어서는 안 되며 전체 원칙에 얼마나 충실한가를 기준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에서 년도에 개정된 협동조합 원칙은 모두 가지로 되어 있는데 자발적이ICA 1995 7

    고 개방적인 조합원제도 조합원에 의한 민주적 관리 조합원의 경제적 참여 자율, , ,

    과 독립 교육과 훈련 및 정보제공 협동조합간의 협동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 등이, , ,

    그것이다 앞의 세 가지 원칙은 협동조합의 전형적인 내적 운영 형태를 다룬 것이.

    고 뒤의 네 가지 원칙은 협동조합의 내적 운영과 함께 외적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협동조합 원칙 해설2) 7

    제 원칙 자발적이고 개방적인 조합원제도1 . (Voluntary and Open Membership)①

    원칙의 의미1▶

    조합원에 관한 원칙은 교육의 원칙 및 조합원의 민주적 관리의 원칙과 밀접한 관계

    가 있다 왜냐하면 이 원칙은 조합원이 그 뜻을 제대로 알고 조합원 선출된 임원. , ,

    경영자 직원들 간에 의사소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을 때만이 제대로 관철,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조합원은 그들이 자문을 받고 그들의 의사가 전달된다고 확.

    신할 때만이 참여의식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선출된 임원이나 실무책임자.

    및 직원이 능력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종교적 또는 정치적 신념 성 문화, ( ),性

    또는 사회적 배경에 관계없이 조합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조합원에 관한 원칙은 협동조합 원칙 중에서 가장 중요하지만 종종 가장 과소평가

    되고 있다 이 원칙의 핵심은 협동조합과 조합을 이용하는 사람들 간에는 특별한.

    관계가 있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관계는 조합원 사업을 규정하고 사업방.

    식에 영향을 미치며 장래 계획수립에도 반영된다 더구나 조합원에 관한 원칙이 지.

    닌 중요성을 인식한다는 것은 협동조합의 주된 존재이유인 조합원을 위한 보다 높

    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헌신해야 할 것이라는 점을 의미한다.

    협동조합은 자발적 조직이다.▶

    이는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조합 참여를 결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재확

    인한 것이다 협동조합인은 저절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다 협동조합은 자신들이 표. .

    방하는 가치를 공부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어야 하며 이를 통해 사람

    협동조합은 자발적 조직으로서 성 적 사회적 인종적 정치적 종교적 차별을 두지( )性 ・ ・ ・ ・않고 협동조합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조합원으로서의 책임을 다하는 모든 사람에

    게 개방된다.

    Co-operatives are voluntary organizations, open to all persons able to use their

    services and willing to accept the responsibilities of membership, without gender,

    social, racial, political, or religious discrimination.

  • - 13 -

    들이 협동조합에 자유롭게 가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의 많은 나라에서는 경제적 압력과 정부의 규제가 사람들로

    하여금 특정한 협동조합에 가입하도록 강요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의 협동.

    조합은 모든 조합원들이 온전히 참여함으로써 그들의 자발성에 기초하여 협동조합

    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특별한 책임이 있다.

    협동조합은 차별 없이 개방된다.▶

    이는 협동조합의 탄생 때부터 기초가 되어 온 협동조합의 일방적인 방침으로서 협

    동조합은 개인 즉 모든 사람의 근본적인 존엄성을 인정한다는 점을 재확인하는 것,

    이다.

    조합원의 제한▶

    “협동조합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사람에게 개방된다 는 의미는 협동조.”

    합이 특정 목적을 위해 조직된다는 점을 일깨워 주는 것으로서 많은 경우에 협동조

    합이 특정 집단이나 제한된 조합원만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는 것

    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수산업협동조합은 어민들에게 주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

    고 주택협동조합은 한정된 조합원을 위해 주택을 건설하며 노동자 협동조합은 제한

    된 수의 조합원만을 받아들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협동조합이 조합원 자격에 제.

    한을 두는 이유도 이와 같은 점에서 이해되고 용인될 수 있는 것이다.

    조합원의 의무▶

    조합원으로서 책임을 다하면“ ”이라는 말은 조합원의 조합에 대한 의무를 나타내는

    것이다 조합원의 의무는 조합마다 다르지만 투표권의 행사 회의참석 조합 사업. , ,

    이용 필요시 자본제공 등이 포함된다 이는 계속 강조되어야 할 일련의 의미이지만, .

    이로 인해 조합원과 조합에 상당한 혜택을 줄 수 있는 것들이다.

    성 적 사회적 인종적 정치적 종교적 차별의 금지( )性▶ ・ ・ ・ ・성적 차별의 금지-

    협동조합은 적극적인 활동을 통해 조합원 가입에 성 별 제한을 두지 않도록 해( )性

    야 한다 예를 들면 교육이나 지도력 개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여성의 수가 남성.

    과 같도록 해야 한다.

    사회적 차별의 금지-

    조합원에 관한 원칙은 사회적 특성에 따른 차별을 금하고 있다 사회적이라 함은‘ ’ .

    먼저 계층에 따른 차별을 생각할 수 있다 협동조합운동은 초기부터 서로 다른 계.

    층의 사람들이 함께 모일 수 있도록 노력해 왔으며 이것이 세기의 다른 사상과19

    협동조합 사상이 구분되는 점이다 또한 사회적이라 함은 윤리적 측면과 어떤 경. ‘ ’

    우에는 민족성을 포함한 문화적 측면을 의미하기도 한다 특수한 문화집단들이 조.

  • - 14 -

    직한 협동조합도 다른 문화집단의 협동조합의 조직화를 방해하지 않고 또한 지역사

    회에서 비조합원을 착취하지 않으며 지역사회에서 협동조합의 발전을 촉진할 책임

    을 받아들인다면 존재할 권리가 있다.

    인종적 차별의 금지-

    이 원칙은 총회 이전에 회람되었던 각종 문서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인종 의< (race)>

    의미도 포괄하고 있다 인종이 빠진 이유는 이 개념이 인간을 분류할 수 있는 적. ‘ ’

    절한 방법으로 용인할 수 없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인종 이란 생물학적 차이. < >

    를 함축하는 시각으로 지난 년간 인종간의 차이를 부각하여 편협주의 전쟁 그150 , ,

    리고 인종말살 을 초래했다 그러나 전 세계 협동조합인과의 논의의 결과(genocide) .

    인종 을 빼는 것은 오류라고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협동조합이 지닌 근본적인 철< > .

    학적 입장을 잘 모르는 이들은 인종 이라는 잣대로 어느 한 부류를 제외시킬 수< >

    도 있다 그러한 이유로 이번 총회에서는 조합원에 대한 원칙에 인종 을 포함하여. < >

    인종문제에 대한 협동조합운동의 입장에 오해가 없도록 한 것이다.

    정치적 차별의 금지-

    협동조합은 정치적 성향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열려있다 협동조합 운동은 처.

    음부터 정파나 사상이 다른 사람들도 함께 일할 수 있도록 노력해 왔다 협동조합.

    은 세기말과 세기에 긴장 불안 전쟁 등을 야기한 전통적인 이데올로기를 뛰19 20 , ,

    어 넘기 위해 노력해 왔다 다양한 사람들이 공동의 목표를 향해 함께 나아가도록.

    하는 협동조합의 이와 같은 능력은 협동조합운동이 세기에 제공할 수 있는 위대21

    한 약속 중의 하나인 것이다.

    종교적 차별의 금지-

    거의 모든 협동조합은 종교적 믿음에 관계없이 조합원을 받아들인다 일부 신용협.

    동조합은 교회나 종교단체에 의해 조직되기도 한다 그러한 조합이 다른 종교단체.

    에 의해 조직된 협동조합을 방해하지 않고 지역사회의 비조합원을 부당하게 취급하

    지 않으며 다른 협동조합과 협력해 나가면서 지역사회에서 협동조합의 발전을 촉진

    하는 책임을 수용한다면 협동조합 원칙에 어긋나는 것이 아니다.

    제 원칙 조합원에 의한 민주적 관리2 . (Democratic Member Control)②

    협동조합은 조합원에 의해서 관리되는 민주적인 조직으로서 조합원은 정책수립과 의사

    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선출된 임원은 조합원에게 책임을 지고 봉사한다 단위조. .

    합에서 조합원은 동등한 투표권을 가지고 인 표 연합단계의 협동조합도 민주적인 방(1 1 ),

    식으로 조직된다.

    Co-operatives are democratic organizations controlled by their members, who

    actively participate in setting their policies and making decisions. Men and

    women serving as elected representatives are accountable to the membership.

    In primary co-operatives, members have equal vote rights(one member, one

    vote), and co-operatives at other levels are also organised in a democratic

    manner.

  • - 15 -

    원칙의 의미2▶

    민주주의란 복합적인 단어이다 민주주의는 일련의 권리를 나타낸다는 실용적인 관.

    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사실 지난 두 세기에 걸쳐 공통된 정치적 관심사는 민주적.

    권리를 획득하기 위한 투쟁이었다 협동조합에서의 민주주의는 권리와 책임을 동시.

    에 포함한다 더 나아가 협동조합 내에서 민주주의 정신을 널리 전파하는 것을 의.

    미한다 그것은 어렵지만 가치 있으며 본질적인 과제이다. .

    조합원에 의한 관리와 조합원의 참여▶

    협동조합은 조합원에 의해 관리되는 민주적인 조직으로서 조합원은 정책수립과 의“

    사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는 말은 조합의 최종적인 통제권은 조합원에게 있.”

    으며 그것도 민주적인 방식으로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동 원칙은 또한.

    정책수립과 의사결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조합원의 권리도 강조하고 있

    다 대부분의 협동조합에 있어서 총회는 조합원이 활발하게 참여하여 정책이 논의.

    되고 주요 사항이 결정되며 중요한 업무가 승인되는 장이다 노동자 협동조합 마케. ,

    팅이나 주택 협동조합의 경우에는 조합원이 조합의 일상 운영에 관해 보다 많이 일

    상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임원의 책임▶

    선출된 임원은 조합원에게 책임을 지고 봉사한다 는 말은 임원이 조합원의 장“ .” ・단기 이익 증진을 위해 잠시 직책을 맡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협동조합은 선출된.

    임원의 것이 아니며 임원에 대해 보고의무가 있는 직원의 것도 아니다 협동조합은.

    조합원의 것이며 선출된 임원은 선출된 때부터 임기동안 조합원에게 책임을 지는

    행동을 해야 한다.

    인 표의 투표권1 1▶

    단위조합에서 조합원은 모두 동등한 투표권을 가지며 인 표 다른 연합단계의“ (1 1 ),

    협동조합도 민주적인 방식으로 조직된다 는 말은 투표에 관한 협동조합의 관례를.”

    보여주고 있다 단위조합에서 이 규칙은 자명하다 그러나 단위조합이 아닌 연합조. .

    직의 투표방식은 각 조직이 처한 여건에서 가장 민주적인 방식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 하에 못 박아 놓지 않았다 상당수의 협동조합 연합조직에서는.

    이해관계의 다양성 회원조합의 조합원 규모 조합원의 사용 이용 정도를 반영하여, ,

    비례대표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도는 주기적으로 재검토 되어.

    야 한다 왜냐하면 그러한 방식 하에서는 가장 작은 조합이 영향력을 발휘할 수 없.

    어 선거권을 박탈당한 것이나 다름없다고 생각하는 사태가 종종 발생하기 때문이다.

  • - 16 -

    제 원칙 조합원의 경제적 참여3 . (Member Economic participation)③

    원칙의 의미3▶

    협동조합은 자본이 주인이 아니라 하인이 되도록 운영되어야한다 협동조합은 사람.

    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존재하며 이 원칙은 조합원의 출자와 잉여금 배분 방

    법에 관한 내용이다.

    조합원의 자본참여▶

    조합원은 협동조합의 자본조달에 공정하게 참여하며 자본을 민주적으로 통제한“

    다 라는 말은 조합원이 조합의 자본조달에 참여해야할 필요성과 그것이 공정한 방.”

    식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조합원은 네 가지 방식으로 협동조.

    합의 자본조달에 참여할 수 있다.

    첫째 조합원은 조합에 가입하거나 조합원으로서의 혜택을 받기 위해 조합원 구좌,

    에 출자하는 것이다 출자금에 대해 이자가 지급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

    둘째 협동조합이 번창함에 따라 조합 사업에서 나온 유보금을 적립할 수 있다 보, .

    통 이러한 적립금의 전부 또는 상당부분은 공동으로 소유되며 조합원이 그들 조합

    을 얼마나 잘 떠받치고 있는가 하는 척도가 된다 많은 나라에서 조합이 해산할 경.

    우 이러한 공동자본은 조합원에게 배분하지 않고 그 조합과 관련된 지역사회기업이

    나 여타 협동조합에 배분하도록 법률도 규정하고 있다.4)

    셋째 협동조합은 사업 활동을 통해 적립한 액수보다 더 많은 자본금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하여 많은 협동조합에서는 조합원 배당금의 일부를 교대로 또는.

    탈퇴 때까지 조합에 출자해 주기를 기대한다 그러한 경우 이자는 지급되지 않으나.

    조합원은 이를 통해 조합에 지속적인 참여나 차후의 배당금으로 혜택을 볼 수 있다.

    4) 년 개정 생협법에는 잔여재산의 청산을 조합원에게 분배하도록 하고 있어 개정이 요구되는 조항임2010 .

    조합원은 협동조합의 자본조달에 공정하게 참여하며 자본을 민주적으로 관리한다 최소.

    한 자본금의 일부는 조합의 공동재산으로 한다 출자배당이 있을 경우에 조합원은 출자.

    액에 따라 제한된 배당금을 받는다 조합원은 다음과 같은 목적의 일부 또는 전체를 위.

    해 잉여금을 배분한다.

    잉여금의 일부는 배당하지 않고 유보금의 적립을 통한 협동조합의 발전 조합원의(1) , (2)

    사업이용 실적에 비례한 편익제공 조합원의 동의를 얻은 여타의 활동을 위한 지원, (3) .

    Members contribute equitably to, and democratically control, the capital of their

    co-operative. At least part of that capital is usually the common property of the

    co-operative. members usually receive limited compensation, if any, on capital

    subscribed as a condition of membership.

    Members allocate surpluses for any or all of the following purposes ; developing

    their co-operative possibly by setting up reserves, part of which at least would

    be indivisible ; benefiting members in proportion to their transactions with the

    co-operative ; and supporting other activities approved by the membership.

  • - 17 -

    넷째 일부 협동조합에서는 조합원들에게 추가적인 출자를 요청할 수도 있다 그러, .

    한 때에는 출자에 대해 공정한 이율로 이자를 지급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이.

    경우 이율은 투기적이 아닌 경쟁력 있는 수준 즉 정부나 일반은행의 금리 수준에,

    서 결정되어야 한다.

    조합원에 의한 민주적 통제▶

    조합원은 조합의 자본금을 통제한다 여기에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첫째 자본금. . ,

    의 조달 방식에 관계없이 모든 의사결정권의 최종권한은 조합원이 갖는다.

    둘째 조합원이 공동 활동을 통해서 적립한 자본금에 대해 적어도 일부를 소유할,

    권리를 갖는다.

    잉여금의 배분▶

    조합사업의 결과 잉여금이 발생하는 경우 조합원은 이 잉여금의 배분방법을 결정해

    야할 권리와 의무가 있다 이 잉여금은 다음과 같은 목적의 일부 또는 전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첫째 적어도 일부는 배당되지 않은 적립금 으로 조합의 발전을 위해 사용할 수, “ ”

    있다 이 방법은 조합원에게 배분되지 않는 잉여금 할당방식으로 협동조합의 장기.

    적인 지속성을 보장하는데 꼭 필요하다.

    둘째 조합 사업이용 실적에 비례하여 조합원에게 배당금을 지급할 수 있다 이것은, .

    협동조합이 조합원의 지지를 얻기 위하여 조합원에게 보상해주는 전통적인 방법이다.

    셋째 조합원의 동의를 얻은 여타의 활동을 위해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조, .

    합원이 선택할 수 있는 또는 마땅히 선택해야 할 중요한 사업 가운데 하나는 지역,

    및 전국 그리고 대륙별 및 전 세계 차원에서 협동조합운동을 발전시키기 위해 잉,

    여금을 사용하는 것이다.

    제 원칙 자율과 독립4 . (Autonomy and Independence)④

    협동조합과 정부의 관계▶

    전 세계의 협동조합들이 정부와의 관계에서 많은 영향을 받는다 정부는 협동조합.

    운영의 법적 틀을 정한다 조세제도와 경제 사회적 정책을 통해 정부는 협동조합. ・에 도움이 되기도 하고 저해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 때문에 협동조합은 정부와의.

    협동조합은 조합원들에 의해 관리되는 자율적인 자조 조직이다 협동조합이 정부 등 다.

    른 조직과 약정을 맺거나 외부에서 자본을 조달하고자 할 때는 조합원에 의한 민주적

    관리가 보장되고 협동조합의 자율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Co-operatives are autonomous, self organizations controlled by their members.

    If they enter into agreements with other organizations, including governments, or

    raise capital from external sources, they do so on terms that ensure democratic

    control by their members and maintain their co-operative autonomy.

  • - 18 -

    관계에 있어서 공개적이고 투명한 관계를 갖도록 노력해야 한다 동시에 자율의 원.

    칙은 자본에 의해 운영되는 사기업이 정부와의 관계에서 자율적이듯이 협동조합도

    자율적이어야 할 본질적인 필요성을 언급한 것이다.

    사기업 등 다른 조직과의 관계▶

    오늘날 세계 각국의 많은 협동조합이 사기업과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것

    이 사실이며 또 이러한 추세를 피해야 할 이유도 없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협동.

    조합은 궁극적으로 그들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는 자유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 원칙 교육 훈련 및 정보제공5 . , (Education, Training and Information)⑤

    교육 훈련의 중요성,▶

    이 원칙은 협동조합에서 교육과 훈련이 지닌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교육은 단순.

    히 정보의 전달이나 사업이용을 장려하는 차원이 아니다 교육은 조합원 선출된 임. ,

    원 경영자 직원들로 하여금 복잡하지만 풍부한 협동조합의 사상과 사업 활동을 충, ,

    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마음을 끌어당기는 일이다 훈련은 협동조합과 관련된 사람.

    이 그들의 책임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갖게 하는 활동이다 교육.

    과 훈련은 협동조합 지도자들이 조합원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

    한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협동조합 지도자는 교육과 훈련을 통해 조합원 사업 활.

    동을 끊임없이 평가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한

    다 협동조합 지도자와 조합원 간에 효율적으로 의사소통이 되는 조합은 효율적으.

    로 운영되는 한 결코 실패하지 않을 것이다.

    젊은 세대와 여론지도층에 대한 홍보의 책임▶

    이 원칙의 마지막 부분은 협동조합이 협동의 본질과 강점에 대해 젊은 세대와 여론

    지도층 정치가 공무원 언론인 교육자 에게 홍보해야 하는 특별한 책임이 있음을( , , , )

    의미한다 최근 몇 십 년 동안 많은 나라에서 이러한 일을 등한시한 협동조합이 허.

    다했다 협동조합이 앞으로도 능력에 걸맞게 제 역할을 다하려면 이러한 책임에 더.

    협동조합은 조합원 선출된 임원 경영자 직원들이 협동조합의 발전에 효과적으로 기여, , ,

    하도록 교육과 훈련을 제공한다.

    협동조합은 일반대중 특히 젊은 세대와 여론 지도층에게 협동의 본질과 장점에 대한 정,

    보를 제공한다.

    Co-operatives provide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ir members, elected

    representatives, managers, and employees so they can contribute effectively to

    the development of their co-operatives.

    They inform the general public-particularly young people and opinion

    leaders-about the nature and benefits of co-operation.

  • - 19 -

    욱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사람들의 이해가 없이는 협동조합이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없음은 물론 지지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제 원칙 협동조합간의 협동6 . (Co-operation Among Co-operatives)⑥

    지역 및 전국 단위의 협동▶

    년에 개정된 원칙에서 처음으로 채택된 이 원칙은 년대부터 변화를 거1995 ICA 1850

    듭하며 강도가 바뀌어왔으나 년대에 들어와서는 그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도 더1990

    높아졌다 협동조합들은 그들의 잠재력을 온전히 발휘하기 위하여 협동조합들 간의.

    합병이나 공동투자를 할 때 정부의 간섭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어야한다 사실 협동.

    조합은 조합들 간의 실천적이고 엄격한 협력을 통해 그들의 영향력을 극대화할 수 있

    다 협동조합이 한 지역차원에서 크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소규모 조합의 소유와 참여.

    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다른 조합과 제휴하여 대규모 조직의 이점을 획득해야 한다.

    이는 이해관계를 조정해야 하는 어려운 문제로서 모든 협동조합이 끊임없이 도전해야

    할 과제이며 협동조합인이 얼마나 현명한가를 실험해 볼 수 있는 일이 될 것이다.

    국제적 협동▶

    세계 각국의 협동조합은 공동 투자사업 가능성에 대해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협동조합은 조합원의 이익을 보호하고 더 한층 높이면서 실질적인 방식으로.

    공동사업에 참여해야 한다 협동조합은 국제적인 공동사업의 가능성에 대해 과거보.

    다 훨씬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실제로 일개 민족국가는 국제경제에 대한 통.

    제력을 상실했으므로 협동조합은 일반대중의 직접적인 이익을 보호하고 확대하는

    둘도 없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이종 협동조합 간 협동과 사회적 연대▶

    협동조합은 협동조합운동을 지원하는 조직과 활동을 강화하는 일에 과거보다 더 관

    심을 기울여야한다 협동조합이 특정조합이나 같은 종류의 조합에 관심을 갖기는.

    비교적 쉽다 그러나 연대의 가치 및 협동조합 간 협동의 원칙에 기초하여 협동조.

    합 전체의 일반적인 이익을 고려하기란 쉽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전체적인 협동조.

    합운동을 지원하는 조직이 필요한 것이다 그러므로 협동조합이 정부에 정책을 건.

    의하거나 일반대중에게 협동조합적 방식 을 홍보하는 데 있어서도 다른 종류의< >

    협동조합과 함께 모여 공동의 노력을 추구해 나가는 것이 극히 중요하다.

    협동조합은 지역 및 전국 그리고 인접국가간 및 국제적으로 함께 일함으로써 조합원에

    게 가장 효과적으로 봉사하고 협동조합운동을 강화한다.

    Co-operatives serve their members most effectively and strengthen the

    co-operative movement by working together through local, national, regional, and

    international structures.

  • - 20 -

    제 원칙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7 . (Concern for Community)⑦

    협동조합은 일차적으로 조합원에게 혜택을 주기 위해 존재하는 조직이다 협동조합.

    은 종종 특정한 지역공간에서 조합원과의 강한 결합력을 갖기 때문에 지역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협동조합은 그들 지역사회의 경제 사회 문화적 발전을. ・ ・도모해야 하는 특별한 책임이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환경보전을 위해 꾸준히 노력.

    해야할 책임도 있다 지역사회에 어느 정도로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기여할 것인가.

    를 결정하는 것은 전적으로 조합원에게 달려 있다 그러나 이것이 조합원에게 주어.

    진 책임을 외면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협동조합과 자본 출자금 이해4. ( )

    협동조합의 정의 가치를 통해 본 출자금의 내용1) ,

    협동조합의 목적은 구성원의 필요와 욕구를 해결하는 것이며 목적을 달성하는 수‘ ’ ,

    단은 공동으로 소유되고 민주적으로 관리되는 사업체를 통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 .

    러한 협동조합 조직은 자발적으로 조직된 사람들의 자율적 조직이다‘ ’ .

    협동조합은 구성원의 필요와 욕구를 사업체를 통해 실현하는데 이 사업체가 일반‘ ’

    사기업과 구별되는 점은 공동 소유 민주적 관리를 특징으로 하는 사업체라는 것‘ , ’

    이다 공동소유란 사업체를 구성하는 자본의 공동소유를 의미한다 협동조합은 조합. .

    원의 출자로 자본을 공동으로 조성하고 공동 운영한다 한마디로 공유 자산인데 이.

    를 구성원 모두의 필요 해결이라는 의 목적에 사용하려면 그 조직은 민주적으共同

    로 관리 운영되는 것이 필수적 조건이다, .

    이를 위해 협동조합은 일반 사기업이 주 표 주식 수에 따른 의결권 제를 채택하1 1 ( )

    는 것과 달리 인 표 모든 구성원이 출자 규모에 상관없이 표의 의결권 제를 채1 1 ( 1 )

    택하고 있는 것이다 사기업에서 출자자는 이윤의 배당에 목적을 두고 투자하지만.

    협동조합은 조합원의 동의를 얻은 정책을 통해 그들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

    해 노력한다.

    Co-operatives work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ir communities

    through policies by their members.

    협동조합은 공동으로 소유되고 민주적으로 관리되는 사업체를 통해 공통의 경제‘

    적 사회적 문화적 필요와 욕구를 해결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조직된 사람들의, ,

    자율적인 조직 이다’ .

  • - 21 -

    협동조합의 출자자 조합원 는 배당이 목적이 아닌 사업의 이용을 통한 자신의 필(= )

    요 해소가 목적이다 이러한 출자자의 출자 목적의 차이는 위와 같이 의결권을 부.

    여하는 운영방식에 있어서도 큰 차이를 낳게 하고 있는 것이다.

    협동조합은 자발적인 조직으로 차별 없이 모든 사람에게 개방되어 있으나 조합원, ‘

    으로서의 책임을 다하는 사람이라는 조건을 명시하여 조합원은 협동조합에 대한’ ,

    의무를 진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조합원으로서의 책임은 출자 이용 운영의 주체로서의 의무를 의미하며 구체적으‘ - - ’ ,

    로 총회에 참여하여 의결권을 행사하고 의사결정에 참여 운영 협동조합의 서비( - ),

    스 사업 을 이용하며 이용 협동조합이 필요로 하는 사업에 출자 출자 하는 의무( ) ( ), ( )

    를 말한다 이러한 의무를 수행함으로써 조합원도 협동조합도 커다란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이 원칙은 조합원이 협동조합에 어떻게 출자하고 잉여금 배분을 어떻게 결정하는,

    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협동조합에서 자본은 주인이 아니라 하인으로 복무한.

    다 사기업은 자본의 목적에 조직이 복무 협동조합은 조직의 목적에 자본이 복무한.( ,

    다 협동조합은 출자에 대한 배당을 하더라도 제한된 배당금 통상 시중 금리 수준.) ( )

    을 받도록 하여 배당을 목적으로 출자하는 사기업과 같은 방식을 제어하고 있다.

    협동조합은 자본의 일부는 통상적으로 협동조합의 공동재산으로 삼으며 조합원은,

    잉여금을 다음의 목적으로 사용한다.

    준비금 내부 유보금 으로 적립하며 이 준비금의 일부는 분할 불가능한 것으로( ) ,①

    한다.

    협동조합의 제 원칙 자발적이고 개방적인 조합원제도* 1 -

    협동조합은 자발적 조직으로서 성 적 사회적 인종적 정치적 종교적 차별을( )性 ・ ・ ・ ・두지 않고 협동조합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조합원으로서의 책임을 다하는 모

    든 사람에게 개방된다.

    협동조합 원칙 중 제 원칙 조합원의 경제적 참여* 7 3 -조합원은 협동조합의 자본조달에 공정하게 참여하며 자본을 민주적으로 관리한

    다 최소한 자본금의 일부는 조합의 공동재산으로 한다 출자배당이 있을 경우. .

    에 조합원은 출자액에 따라 제한된 배당금을 받는다 조합원은 다음과 같은 목.

    적의 일부 또는 전체를 위해 잉여금을 배분한다.

    잉여금의 일부는 배당하지 않고 유보금의 적립을 통한 협동조합의 발전(1) ,

    조합원의 사업이용 실적에 비례한 편익제공 조합원의 동의를 얻은 여타(2) , (3)

    의 활동을 위한 지원.

  • - 22 -

    조합원에게 협동조합의 이용액에 따라 환원 배당( )②

    조합비제도는 많이 이용할수록 이익을 주는 이용금 배당제도의 성격을 갖고 있-

    다.

    조합원의 승인 총회 에 따라 다른 활동을 지원( )③

    협동조합과 주식회사의 자본조달 관련 제도 비교

    구 분 협동조합 주식회사

    통제

    (control)

    투표권 조합원 투자자이며 이용자:∙ 일반주주 투자자:∙

    자격조합원 자격기준∙

    가입 자유∙주식소유자∙

    투표권인 표의 민주적 관리1 1∙

    다수의 공평한 지배∙

    주식 수에 비례∙

    소수에 의한 지배∙

    경영조합원에 의해 선출된 이사회∙

    이사회가 선발한 최고경영자∙

    주주에의해선출된이사회∙

    이사회가 선발한 최고경영자∙

    소유권

    (owner

    -ship)

    소유자조합원∙

    조합원의 소유한도 제한∙

    주주∙

    ∙ 개인의 소유제한이 없음

    최소의

    소유자격

    자격제한 가입비 최소출자: , ,∙

    이용고에 비례한 출자 등자격제한 없음∙

    소유권 이전극히 제한적임∙

    ( 차 시장이 없음2 )

    지분거래 가능∙

    차 시장(2 )

    출자

    상환상환책임 있음∙ 상환책임 없음∙

    수익 및

    배당

    (benefit)

    처분

    원칙이용고 배당∙ 주주에 대한 투자수익 제공∙

    출자

    배당

    법적 제한∙

    일부 미실시∙

    투자에 비례하여 실시∙

    제한 없음∙

    이용고

    배당

    협동조합의 독특한 특성∙

    법적 규정 매우 일반적임,∙거의 없음∙

    공동

    지분

    제한적 허용∙

    비조합원 사업수익( )

    상대적으로 적음∙

    매우 광범위하게 허용∙

    수익을 공동지분과 배당으로∙

    분할

    출처 협동조합론 년판 농협중앙회 편* : 2005 ( )

    협동조합에서 출자금이 갖는 성격2)

    협동조합은 생산 유통 관리 판매 서비스 소비 상호부조 분배 등에서 각각의 목, , , , , , ,

    적에 따라 출자금의 성격이 달라진다.

    가 인적구성체로써 협동조합을 구성하는 조합원이 되기 위한 의무 이전의 전제.

    조건이다.

  • - 23 -

    협동조합이 사업을 할 수 있게 하는 출발이며 자본 형성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나 세계에서 가장 큰 로서 다른 와 구별되는 요소이다 다른 조직. NGO NGO, NPO .(

    들은 주로 회비가 있으면서 전제 조건이 아니라 회원으로서의 의무 사항)

    다 소비자협동조합과 노동자협동조합 또는 생산자협동조합 과 출자금의 성격이 일. ( )

    부 다름

    소비자협동조합의 출자금은 사업의 시작 생산수단의 소유가 원래의 목적은 아:①

    니고 사업을 개시하는데 있어서 종자돈과 같은 역할을 하지만 무점포 공동 구매

    에 머무르지 않고 매장을 갖고 차량을 운행하며 물류센터를 짓고 생산 시설을, ,

    소유할 때에는 생산 수단을 소유하는 의미가 된다.

    노동자협동조합의 출자금은 사업의 시작과 함께 생산수단의 소유가 함께 진행된②

    다 예외로 노동자협동조합이 일거리를 위탁 받아서 하는 경우에는 생산 수단의.

    소유와 거리 멀고 자발적 관리.

    협동조합에서 출자금이 갖는 가치3)

    가 경제적 의미.

    자본주의에서 생산수단을 소수의 자본가가 아닌 다수의 조합원이 소유하게 된①

    다.

    생산수단 또는 유통수단 을 소유하는 주체와 소비 또는 노동의 주체가 같아짐으( )②

    로써 잉여가치 또는 이윤 를 최소화 하거나 유출을 줄일 수 있다 조합원 대상의( ) .

    사업에 있어서 협동조합은 실비주의 원칙을 유지할 경우 잉여가치가 거의 없게

    되며 비조합원 대상의 사업 등으로 잉여가치가 남게 될 경우에 외부로 유출되,

    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소비자협동조합에서는 소비자가 대상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노동자협동조합③

    에서는 임노동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소유권의 최소 최대를 규정하여 참여자의 의무와 인의 경제적 지배력 확대를, 1④

    견제한다.

    나 정치적 의미.

    소유규모와 의결권이 분리됨으로 인해 민주주의 원칙을 유지할 수 있다.①

    권력을 선거로 창출하고 그 선거에서 민주주의 대 원칙 보통 평등 직접 비4 ( , , ,

    밀 중에 핵심 요소인 평등 법 앞에 평등 선거에 인 표 의 원칙이 지켜진다) ( , 1 1 ) .

    민주주의의 기본인 권리와 의무를 알 수 있다 출자금을 출자함으로써 조합원의.②

    권리를 행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무임승차를 막을 수 있다.

    가입과 탈퇴가 자유로우므로 인해 자발적 결사체 자율성을 유지할 수 있다, .③

    다 사회적 의미.

    개인의 이윤 추구를 위해 출자를 하지 않고 조합원의 욕구 또는 다수 사회적,①

  • - 24 -

    목적을 위해 출자를 함으로써 공공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출자금은 자발성 자유의지에 의해 내는 것이므로 보다 성숙한 시민사회를 이루,②

    는 표현이다.

    사회적 경제 제 섹터 시민사회를 성장시키는 중요한 동력의 하나다, 3 , .③

    지역사회 자본을 구성하는데 큰 힘이 된다 유럽에서의 사회적 기업 사회적. => ,④

    협동조합 멀티스테이크 홀더 이해관계자 협동조합 는 거의 대부분 소비자협동조, ( )

    합 노동자협동조합을 바탕으로 이루어져 있다, .

    협동조합에서 자본을 모으는 방법4)

    가 출자금.

    출자금은 생협의 기본적인 자기 자본임에도 불구하고 조합원의 가입탈퇴의 자유-

    로 출자금의 증감이 발생하여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주식회사가 자금.

    을 조달하는 회사채는 고정된 반면 생협 출자금은 변동가능성이 있다 이자율 제.

    한이나 이용고 배당 등으로 무금리 또는 낮은 금리로 조성이 가능하다.

    나 조합채.

    조합채는 조합원 차입금으로 채권의 안전을 보장해야 하는 사회적 책임이 있다- .

    조합채는 출자금이나 자산과 달리 한도액을 설정하고 용도와 목적을 분명히 해야

    한다 조합채는 반환할 때 조건을 개정하여 계속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

    다 금융기관 차입.

    기업의 일반적인 자금조달 방식으로 은행은 신용도에 의해 돈을 빌려주기 때문- ,

    에 거래를 하기가 쉽지 않다 생협의 자본인 출자금은 유동성이 강하여 탈퇴 시. (

    반환 자본이 아닌 부채로 규정하는 경향이 있고 이로 인해 금융 차입의 어려움)

    이 있다.

    라 내부유보.

    생협이 스스로 창출한 자금으로 내부유보 잉여금과 비용처리 한 것 중에서 자금-

    지불을 하지 않은 것 감가상각 퇴직급여충당 평가손실 등 으로 나눌 수 있다( , , ) .

    출자금의 용도와 규모5)

    가 조성된 출자금의 사용 사례.

    물류센타 건립①

    중부센터 경남센터 광주센터 제주센터 전남센터 등 건립- , , , ,

    사업 관계회사의 설립②

    주 생협농산 현 주 농산 주 주 생협스토어 현 주 쿱- ( ) ( ,( )iCOOP ), ( )COOP SERVICE, ( ) ( ,( )

    스토어 주 순천우리밀제과 등), ( )

    지역조합의 매장설립③

    친환경클러스터 기금④

    출자 참여 차 생산자 가공생산자 입주업체 조합원- : 1 , ( ),

  • - 25 -

    출자 방식 증자출자 목적출자 차입 등- : , ,

    규모 조합원 억 원 차 생산자회 억 원 입주업체 가공생산자 억- : 300 , 1 100 , ( ) 600

    그 외의 사례⑤

    년 월 물류센터 화재 사건 때 조합원 모금 차입 운동- 2000 12 ;

    우리 밀 살리기 운동을 년부터 다시 할 때 출자- 2002 ;

    년 홍성 쌀 적체 해소를 위한 지원 모금운동 목표 억 억 모금- 2006 : 8 , 9

    나 출자금의 전체 규모는 어느 정도가 적정한가. ?

    협동조합에 있어서 출자금의 규모를 결정하는 것은 그 생협이 하고자 하는 사업의

    방향 즉 사회적 목적과 깊이 관계가 있다 즉 다음과 같은 내용에 대한 답을 어떻, . ,

    게 할 것인가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협동조합 생협의 역할을 어디까지로 볼 것인가, ?①

    소시민적 소망 조합원끼리라도 잘 먹고 잘 사는 역할을 잘 하도록 할 것인가; ?②

    농업 생산과 소비를 세계 곡물 메이저 또는 대자본에 종속되는 것을 막는 것으③

    로 할 것인가?

    친환경농업 농민을 지키는 보루의 역할로 볼 것인가- ?④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기업과 일전을 불사하는 역할을 부여할 것인가?⑤

    지역사회를 보전하고 지속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자본으로 의미있는 존재로 남을⑥

    것인가?

    사회적 경제와 협동조합섹터 이해5.

    섹터란 영역 또는 부문을 뜻하는 말인데 사회 안에 존재하는 주요섹터는 정부로 대

    표되는 공적섹터 정부섹터 주식회사로 대표되는 사적섹터 기업섹터 그리고 협(= ), (= ),

    동조합섹터를 포함하는 제 섹터 사회적 경제 가 있다 협동조합섹터가 다른 섹터3 (= ) .

    와 어떤 관계를 갖고 사회 안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제 섹터 사회적 경제 란3 (= ) ?▶

    자본주의가 고도화됨에 따라 환경파괴 인간성 상실 빈부격차 등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 ,

    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정부나 기업의 힘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최근 비영리조직. .

    비정부조직 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시민단체가 정부섹터내지 기업섹터와는(NPO) (NGO)․다른 제 섹터를 형성하고 자본주의 체제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보다 나은 공동체 사회를3

    만들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들 시민단체들은 자발적이고 민주적이며.

    사회의 공익을 위해 기여한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협동조합도 민주적이고 자발적인 조직으로 조합원의 실익 제고를 최우선의 목표로 하나,

  • - 26 -

    협동조합섹터의 관점1) 5)

    공적 사적부문과 협동조합부문의 공존·①

    현재까지 공적사적부문과 협동조합부문의 어느 것도 단독으로서는 모든 경제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완전한 사회질서를 실현할 수 없었다 어떤 두 부문이 결합해.

    도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따라서 세 부문이 함께 나란히 작동하여 상호 보완함으로.

    써 인간의 힘으로 달성 가능한 최선의 것을 이룩할 수 있다.

    이 이론은 공기업이 가장 훌륭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며 그 기능은 국가,

    나 지방정부에 의하여 관장되고 있음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역시 경제의 가장 큰.

    부분은 국민들로 구성된 크고 작은 집단에 의하여 협동조합적으로 조직되고 직접

    소유관리될 것이다 그리고 사기업에 가장 잘 부응할 수 있다고 보여 안심하고 기.․업가들에게 맡겨질 수 있는 경제부문도 있다.

    협동조합섹터는 사상적으로는 다른 두 부문 간의 중간적 위치를 차지한다 즉 어떤.

    점에서는 공공부문과 유사하고 그 밖의 점에서는 사기업과 유사하지만 대체로 양자

    5) 레이들로보고서 중 발췌 정리

    레이들로 보고서란?※년 모스크바 총회에서 발표된 보고서 작성자는 캐나다 협동조합 학회장을 지낸 레이들로 박사 역1980 ICA . . ICA

    대 총회 보고서 중 가장 의미 있는 보고서로 평가 받음 보고서를 통해 레이들로 박사는 협동조합이 지난 년. 150

    간 빈곤의 해결 민주주의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해왔으나 사업의 성공에 비해 조합원의 인식과 참여가 약화되어, ,

    기업과의 차별성이 약화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협동조합 정체성의 위기에 직면하여 협동조합이 미래에 해결해야,

    할 가지 과제를 제시함 세계의 기아와 빈곤을 해결하는 협동조합 생산적 노동을 위한 협동조합 사회4 . 1. . 2. . 3.

    보전을 위한 협동조합 협동조합 커뮤니티의 건설. 4.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 의 원칙에서 알 수 있듯이 지역사회 공동의 이익을 위해서도「 」

    노력하고 있다 협동조합과 시민단체는 조직의 특성과 추구하는 목표에 있어서 서로 공.

    통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협동조합도 제 섹터의 일원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협동. 3 ,

    조합의 조합원 수 및 사업규모를 감안할 때 제 섹터의 구심체가 되고 있다 유럽연합3 .

    에서는 제 섹터를 사회적 경제 로 부르고 있으며 협동조합이 비(EU) 3 ‘ (social economy)’ ,

    영리조직 공제조합과 함께 사회적 경제를 형성하고 있다 아울러 국제협동조합연맹, .

    은 이 인정하는 중에 가장 규모와 역할이 큰 에 속한다(ICA) UN NGO NGO .

    협동조합섹터의 위치< >

  • - 27 -

    로부터 가장 바람직한 특질을 채택하고자 한다.

    한편으로는 국가에 대한 다른 한편으로는 사적부문에 대한 협동조합의 입장은 당,

    연히 때에 따라서 모호하기도 하고 재빨리 변하기도 해야 한다 정부가 개방적이고.

    민주적이며 진보적인 경우에는 협동조합은 국가와 합의하고 협력하며 공동사업을

    위한 많은 기회를 발견할 것이다 그러나 권력을 쥔 정부가 권위적이고 억압적인.

    나라에서는 집권체제와 사기업부문이 동맹단계인 경우는 예외로 하더라도 보다 공

    정한 사회질서를 확보하기 위하여 부득이 사적부문과의 동맹을 추구해야 할지도 모

    른다 우리는 이점에 관하여 분명히 하고자 한다 협동조합사상은 한편에서는 과도. .

    한 국가통제주의 다른 한편에서는 무소불위의 탐욕적인 자본주의라는 양(statism),

    쪽으로부터 위협을 받고 있다.

    협동조합과 정부 공적부문 와의 관계( )②

    협동조합과 정부는 보완적인 역할과 기능을 통하여 때때로 가장 효율적이고 만족스

    러운 방법으로 기본적인 공공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다 캐나다에서의 소맥판매 일. ,

    본에서의 쌀 판매 폴란드에서의 주택 미국에서의 농촌전력은 많은 협력사례 중에, ,

    서 뽑은 네 가지의 사례이며 앞으로 이와 같은 경제는 점점 일반화될 것으로 보인

    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동사업을 착수하거나 그러한 조건하에서 활동하는 경우 협. ,

    동조합은 국가에 의한 어떠한 흡수공작에도 저항할 것이다.

    협동조합과 사기업 사적부문 과의 관계( )③협동조합은 사기업과는 구별되는 입장이고 후자의 목적과 방법 대부분을 반대하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협동조합인은 사회적 질서 속에서 자본주의 내에서도 정도의.

    차이가 있음을 인정하고 있다 어떤 사기업들은 탐욕스럽고 무분별하며 철저하게.

    반사회적인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다른 사기업은 지역사회에 도움을 주고 사업방식

    에 있어서도 결코 착취를 일삼거나 폭리를 취하는 일을 하지 않는다 전자를 뿌리.

    뽑고 바꾸는 것이 협동조합의 목표이고 목적이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반드시 그렇지

    않다 일부 소규모의 창업자적 사기업은 우리가 양성 의 자본주의라 부르는 존. ( )良性

    재이며 근본적으로 협동조합의 적이 아니다 그러나 제 세계 국가에서 통상 가장. 3

    탐욕스러운 자는 소상인 특히 고리대금업자이다( ) .小商人

    장래 성공하는 협동조합은 이념적으로는 실용주의와 이상주의의 혼합이 될 것이다.

    즉 현실적 이유에서 사기업과 유리한 거래를 시작하면서도 자본주의의 동인( )動因

    인 이윤추구에 대하여는 비타협적인 태도를 견지하는 것이다 세계 최대의 도매협.

    동조합 중 하나가 그 제조상품의 를 협동조합이외에서 판매하고 있다는 사실을35%

    지적할 수 있는데 우리는 이러한 거래가 양측 모두에게 이익이 된다고 생각한다, .

  • - 28 -

    협동조합과 일반 의 차이2) NGO

    사회적 이슈와 쟁점에 대해 일반 가 캠페인과 운동만을 통해 해결할 때에 협NGO

    동조합은 사업을 통해 대안을 제시하고 풀어간다 사례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

    주택 부족에 대한 대응①

    부족한 주택에 대해 다른 조직들은 정책적 접근 캠페인 등을 통해 문제제기 하지,

    만 스웨덴을 비롯한 서구의 주택협동조합은 조합원의 돈을 모아서 주택을 짓고 공

    급하는 방법으로 해결함 우리나라에서도 경실련 아내모 아파트값내리기모임 는 캠. , ( )

    페인과 온라인 시위 정책 토론회 등을 한다 하지만 협동조합은 주택협동조합을 만, .

    들어서 해결하는 방식이어야 한다.

    일본생협 사례②

    년대 엔 우유 운동1950~60 10▶

    일본은 낙농 진흥 정책에 따라 우유가 보급되었는데 낙농가가 대 과점 기업으로4

    흡수 통합되자 우유 생산자와 소비자가 연대하여 흡수 통합에 반대하는 운동을 펼

    쳤다 이 때 생산자가 소비자와의 산지직결운동을 호소하여 수도권 생협 소비자단. , ,

    체에서 엔 우유 공급을 추진하였다 소비자의 단결로 싸고 좋은 우유를 마시자10 . ‘ ’,

    농민에게 젖소를 팔게 하지 마라 는 구호를 외치며 생협은 우유 공급을 필수 사업‘ !’

    으로 삼아 생협의 조직 강화에 기여하도록 추진하였다 이를 계기로 주부층 사이에.

    공동구입이 확산되고 생협을 조직하게 되는 사례가 차례차례 생겼다 우유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를 낙농생산자와 연대하여 실현했다는 엔 우유 운동은 일본생협의10

    직거래운동 의 원형이며 일생협에서 개발하는 코프우유의 원형이 되었다( ) .産直運動

    컬러 가격 운동TV▶

    6) 농협의 협동조합론ㆍ농협법 중에서

    각 경제 섹터간의 비교< >6)

    구 분 협동조합섹터(common)기업섹터(private)

    정부섹터(public)

    설립동기와 성격공동이익․복리추구

    이윤추구영리우선주의( )

    복리공정․

    경제 메커니즘 협의 메커니즘 시장 메커니즘 계획 메커니즘

    생산시스템구성원의 협의에 의한

    적량적정화․경쟁원리에 의한극대화효율화․

    관료통제에 의한표준화규격화․

    조직 원리와 의사결정 참여분권․ 경쟁자유․ 관리집권․소 유 공동소유 사적법인소유․ 국가적사회적 소유․

    경제경영주체․ 협동조합․공동사업체

    사기업정부지자체 및․국영기업

    기본적 가치관 우애협동․ 개인적 자유능력주의( )

    사회적 평등분배․

  • - 29 -

    이 당시 일생협의 주된 운동은 유통업자의 중간착취를 배제하고 업계의 독과점체제

    에 대항하는 운동이었다 년 년 칼라 의 이중가격에 분개한 일생협은 소. 1970 , 71 TV

    비자 개 단체와 함께 칼라 안사기 운동을 전개하여 업계의 관리가격을 붕괴시5 TV

    켰다 당시 인치 칼라 는 만 엔 정도에 팔리고 있었으나 수출 가격은 아주. 20 20TV

    쌌다 그러자 일생협은 랑 제휴하여 조합원가격 엔의 인치 칼라. NEC 98,000 20 TV

    를 개발 커다란 반향을 일으켰다 이를 계기로 타 업체에서 같은 규격의 만 엔, . 13

    하는 칼라 가 개발되는 등 소비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존재로 대두한 것이다.TV

    한국 생협의 식품안전운동 사례③

    과자에 황색 호 등의 몸에 해로운 첨가물이 들어갈 경우 수입 농산물이나 국산 농3 ,

    산물에 잔류 농약이 허용치 이상 발견될 경우 일반 소비자 단체 예를 들면 소비자(

    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이나 소비자연맹 등 의 운동방식은 언론을 통한 폭) 1.

    로 생산자나 유통업자에 대한 사법 처리 촉구 캠페인이나 불매 운동 등의 방, 2. 3.

    법으로 진행을 한다 하지만 생협은 과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첨가물이 적게 들어간.

    물품을 개발하여 소비자 운동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생협에서는 대안 물품 운동을.

    하여 대중적 참여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운동을 한다.

    협동조합과 기업 일반 의 공통점과 차이< · NGO >

    경제 활동

    사적,

    개인적 목적

    일반 기업① 협동조합④ 공동 또는

    사회적 목적취미 연고주의 조직,② 일반 NGO③

    비경제 활동

    한국 생협의 역사와 특징.Ⅱ

    한국 생협 운동의 역사1.

    일제 침략기 소비조합의 태동과 소멸1) -

    한국의 생협은 년대 일제 침략기부터 태동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1920 . 기에는 운

    영 및 조직원칙이 미숙하여 실패한 경험도 적지 않았으나 소비조합은 식민지수탈에

    시달리는 조선민중들에게는 생활에 필요한 물자를 저렴하게 구입할 뿐만 아니라 위

    생교육 문자 교육 등을 받을 수 있는 든든한 생활의 지원자였다 또한 천도교계열, .

    의 평양 농민공생조합에서는 당시 미츠이 재벌이 독점하던 고무신 대신 조합원들이

  • - 30 -

    출자해서 세운 고무신 공장에서 약 여 명이 취업해 농 이란 상표로 생산해100 ‘ ( )’農

    서 보급하는 등 산업분야에서도 일제의 독점자본의 침투에 경제적으로 저항하는 운

    동을 펼치기도 하였다. 이 시기의 소비조합은 일제의 경제적 침략에 저항하는 민간

    차원의 민족 운동 성격을 띠면서 일제에 의한 탄압으로 강제 해산 당하였다.

    해방 후 년대 정부주도의 협동조합 설립과 풀무생협의 태동2) ~ 1950 -

    해방 이후 남과 북에서 협동조합운동이 독자적으로 진행되었는데 남한에서는 정부

    주도 아래 농업협동조합이 만들어지고 이어 수협 축협 등이 창립되었다 남한에서, .

    민간이 자발적으로 협동조합 운동을 다시 시작한 곳은 년 충남 홍성 풀무학교1958

    다. 일제하 년부터 평북 정주에서 오산학교와 오산소비조합을 경험했던1930 이찬

    갑 선생은 홍성의 주옥로 선생과 함께 홍성에 풀무학교를 세우면서 학교 내에 구판

    대를 설치하여 학생들이 학용품과 책 등을 공동으로 구매하게 하고 협동조합을 교

    육하였다 이후 년대 후반에는 농민들이 학교 조합의 물품을 이용하게 하고. 1960

    년에는 신협을 세웠으며 년대에는 농기계 이용조합 제빵 생산조합 등 다1969 1970 ,

    7) 한국노동조합총연맹편 한국노동운동사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쪽(1979), , , 104

    사례▶

    ① 조선물산장려운동의 전개와 소비조합

    년 월 평양에서 시작된 조선물산장려회는 이후 서울 대구 등지로 뻗어나갔다 조1920 8 , .

    선물산장려운동은 알려진 바와 같이 일본에 경제 종속을 당하지 않고 민족 경제를 일으

    켜 세우기 위해 만들어졌다 한편에서는 이런 운동이 무산자의 계급의식을 약화시키고.

    일제가 정해놓은 틀 안에서만 움직이는 한계가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중앙에서는 소비조합 운동이 흐지부지 되었지만 인천 선천 순천 고성 위화 양수리, , , , , ,

    개천 등에서는 소비조합을 만들어 사업을 진행해 갔다.

    원산노동자 파업과 소비조합⑤ 7)

    노동조합과 결합한 소비조합 중에는 원산노동연합회 원산노련 가 결성한 소비조합이 모( )

    범적인 사업을 펼쳤다 원산노련 자체가 소모임을 중심으로 탄탄하게 조직된 개 노동. 23

    조합과 천 백여 명의 조합원을 포용하고 있었는데 년 월에는 조합원의 출자금2 2 1927 1

    과 지역의 유력인사 명이 연서로 은행에서 빌린 자본금 천 원을 가지고 사업을 시작18 8

    했다 조합원의 출자금은 인당 원 회에 걸쳐 분할납입 으로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1 20 (10 )

    소비조합 안에는 곡물부와 잡화부를 두고 조합원에게는 할에서 할 정도로 싼 값으로2 4

    필수품을 공급했다 소비조합은 경영안정과 조합원의 알뜰살림을 위해 조합원들의 가계.

    를 조사하여 정해 놓은 표준에 따라 미곡권과 잡화권을 제공했다 또한 원산노련 안에는.

    구제부 가 있어 관혼상제 및 재해로 인한 휴직기간 동안 조합원의 생활을 돌보는( )求濟部

    상조 역할을 하였다 년의 원산총파업이 장기간의 투쟁을 버틸 수 있었던 것은 이. 1929

    소비조합이 실질적인 병참기지역할을 했기 때문에 가능하기도 했다.

  • - 31 -

    양한 시도를 하였다 이 학교의 교사로 있던 채규철 선생과 졸업생 황학석이. 1968

    년 부산의 장기려 박사 함석헌 선생과 함께 청십자의료협동조합을 세우게 되는 것,

    은 협동조합 운동의 또 다른 결실이었다 홍성 풀무학교와 졸업생 그리고 지역 주.

    민들은 년 풀무생협을 창립하였고 이후 경영의 어려움 속에서 년 발전적1980 1983

    인 해산을 했다가 그해 월 재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12 .

    년대 협동조합운동의 확산과 정부의 탄압3) 1960~70 -

    ① 소비자협동조합에 중요한 자양분을 제공한 협동교육연구원

    해방 이후 소비자협동조합운동을 위해 가장 크게 기여한 조직 가운데 하나는 협동

    교육연구원이라고 할 수 있는데 협동교육연구원은 신협운동의 중요한 성과였다 일.

    제 침략기 때부터 한국에서 선교활동을 하던 메리 가브리엘라 수녀는 캐나다에서

    협동조합을 공부하고 돌아와서 년 월 일 부산 성가병원을 중심으로 성가신1960 5 1

    용협동조합을 만들었다 이후 년 협동교도봉사대를 조직하여 협동조합을 교육. 1962

    하기 시작하였는데 년 서울로 옮겨와 협동교육연구원 이라고 명칭을 변경하1963 “ ”

    고 년대 초 문을 닫을 때까지 신협 관계자만이 아니라 소비자협동조합 농업2000 ,

    협동조합 등의 협동조합 운동 농민운동 지역운동에 참여하는 지도자 약 만여 명, , 2

    을 길러 냈다.

    노동조합 노동 운동과 소비자협동조합의 관계,②

    한국노총은 일제 침략기 때 조선노동공제회가 소비조합을 건설한 것을 이어 받아

    노동조합 조합원들의 복지 차원에서 소비자조합운동을 하였다 년 인천의 대. 1959

    성목재에 처음 소비자조합을 만들지만 이것은 조합원의 자발적 출자가 아닌 노동조

    합이 조합을 만든 성격이었다 조합원들의 자발적 출자를 통해서 만든 것은. 1961

    년 상업은행 노동조합이 만든 소비조합이다 이후 한국노총 소속의 단위 노동조합.

    에서는 소비자조합을 많이 만들었으나 활발하지 못하고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한편 선교와 노동운동을 활발하게 진행했던 영등포산업선교회는.

    년부터 논의를 시작하여 년에는 타이어 재생공장 년에는 신협1965 68 , 1969 , 1967

    년 년에는 두 차례의 주택조합사업 등을 하다가 년에는 박정희 정권에 의, 74 1978

    해 신협이 강제 해산 당하는 고초를 겪기도 하였다 이후 신협을 다람쥐회로 변경. ‘ ’

    하여 활동하면서 군사정권에 계속 탄압을 받았고 년에는 서울의료생협을 설립2002

    하고 년에는 서로살림생활협동조합을 만드는데 기여하였다 년대 민주노2004 . 1970

    조로 유명한 원풍모방에서도 소비자조합운동이 이루어졌다.

    협동조합 운동의 소중한 자산 청십자의료협동조합과 의료협동조합 운동③

    막사이사이상을 수상하고 한국의 슈바이처라고 불리는 장기려 박사가 년 월1968 5

    일 부산시 초량의 도시빈민들과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청십자의료협동조합 초기13 ‘ (

    에는 청십자의료보험조합이나 이후 청십자의료협동조합으로 변경됨 을 창립하였‘ ’ ‘ ’ .)’

  • - 32 -

    다 이 청십자의료협동조합은 홍성풀무학교 교사로 있다가 덴마크에서 농업과 협동.

    조합을 공부하고 돌아온 채규철의 제안으로 이루어졌고 홍성풀무학교 졸업생 황학

    석이 직원으로 참여하며 민주화 운동의 어른인 사상가 함석헌 선생이 조합원 호로1

    가입한다 이후 조합은 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꾸준히 성장하여 년에는 만여. 1988 23

    명이 가입하는 성공을 거두었으나 정부가 추진하는 도시지역의료보험이 년1989 7

    월부터 실시됨으로써 년 월 일자로 해산하였다 만 년 동안 서민을 위한1989 6 30 . 20

    협동조합운동이 그 사명을 다하고 자진 해산 한 것이다 한편 년에는 성남 주. 1972

    민교회가 주축이 되어 주민교회의료협동조합 을 시도하였으나 유신 정권의 시작으‘ ’

    로 중단되었다 그리고 년에는 난곡희망의료협동조합이 서울의 도시빈민촌 지. 1976

    역인 난곡에 세워져 년 넘게 유지되었다 이러한 경험들은 년 안성의료생활10 . 1994

    협동조합 등에 이어지지는 않았지만 년대의 소비자협동조합 운동에서 중1960, 70

    요한 역할을 하였다.

    지금은 사라진 양서협동조합의 출발과 강제 해산④

    양서협동조합이란 좋은 책이 귀하던 년대에 책을 공동으로 구입하고 서로 빌1970

    려 보기 위해 만들어진 소비자협동조합이다 년대 중반 민청학련 사건으로 감옥. 70

    에 갔다 온 김형기는 존경하는 고등학교 선배 채규철로부터 협동조합 운동을 소개

    받고 년 월 협동교육연구원에서 주간 교육과 훈련을 받았다 이후 부산에1977 9 4 .

    내려가서 년 월 중부교회에 다니는 대학생 청년 그리고 민주주의에 관심 있1978 4 ,

    는 인사들과 함께 부산양서판매이용협동조합 이후 부산양서협동조합으로 변경 이“ ( )”

    라는 소비자협동조합을 만든다 당시 책에 대한 갈증이 크던 청년 학생들에게는 가. ,

    뭄의 단비여서 서울 광주 대구 마산 수원 청주 등 많은 지역에 양서협동조합이, , , , ,

    창립된다 그러던 중에 년 전두환을 중심으로 하는 신군부는 부마항쟁의 배후. 1979

    로 부산양서협동조합을 지목하고 김형기 등 지도부를 구속하고 강제 해산하게 된

    다 그러나 양서협동조합의 불씨는 사라지지 않고 년 월 서울에 어린이도서. 1980 5 “

    연구회 라는 이름으로 다시 살아나서 이후 독서운동을 계속하게 된다 한편 서울” .

    의 청년 독서모임 등에서는 이후에 양서협동조합을 다시 재건하려고 여러 차YMCA

    례 시도하였으나 협동조합 방식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북카페 독서회 등으로 이어,

    졌다.

    ⑤ 가톨릭 원주 교구가 뿌린 협동조합 운동의 씨앗들과 한살림의 태동

    차 세계대전과 일제 침략기에 침묵한 것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로마 교황청과2

    한국가톨릭은 년대 제 차 바티칸 공의회를 기점으로 사회 문제에 적극적으로1960 2

    참여하기 시작하였다 아울러 년 춘천교구에서 독립한 원주교구에 지학순 주. 1965

    교가 부임하면서 일대 전환기를 맞이한다 그 다음 해인 년에 가톨릭농민회가. 1966

    출범을 하고 원주신협이 세워지지만 원주신협은 내부 문제로 오래 못가고 문을 닫

    는다 이후 원주교구는 같은 가톨릭 계통 소속인 협동교육연구원의 지원을 받으면.

  • - 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