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27
2014. 12.

Transcript of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Page 1: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융합핵심부품인cnc는일본, 독일이독점 수출의고용유발인원(명/10억원)

2014. 12.

Page 2: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융합핵심부품인cnc는일본, 독일이독점 수출의고용유발인원(명/10억원)
Page 3: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융합핵심부품인cnc는일본, 독일이독점 수출의고용유발인원(명/10억원)

Ⅰ. 기계산업 정의 및 특징

수송기계(C30,31)자동차, 자동차용

엔진 및 부품, 트레일러,자동차용 전기장치,

전투용 차량, 항공기 및부품, 이륜자동차,

조선(선박)

전기기계(C28)

발전기, 전동기, 전기공급 및 제어장치,

전선 및 케이블, 조명장치, 전기용접기,

가정용 기구 등

일반기계(C29)

공작기계, 건설기계, 섬유기계, 농기계, 냉동공조기계, 운반하역기계, 금형,

반도체장비,내연기관, 풍수력

기계 등

금속제품(C25)

금속구조물, 보일러, 금속제탱크 및 금속제용기, 금속압형용품, 공구, 기계요소, 무기/총포탄

정밀기계(C27)의료용 기기,

측정분석 시험기구, 안경, 사진 및 광학기기,

시계 등

기계산업? 부품을 포함한 기계기구 또는 구조물을 제작 및 가공, 조립하는 산업 광의의 개념 : 한국표준산업분류(KSIC)에서 5대 업종을 포함 협의의 개념 : 일반기계산업(C29)을 의미

기계산업(KSIC 9차개정)

Page 4: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융합핵심부품인cnc는일본, 독일이독점 수출의고용유발인원(명/10억원)

Ⅰ. 기계산업 정의 및 특징

23.1%

41.7%3.9%

16.1%15.2%

조선(선박) 제외

Page 5: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융합핵심부품인cnc는일본, 독일이독점 수출의고용유발인원(명/10억원)

Ⅰ. 기계산업 정의 및 특징

그린카용 초고속 권선기

Page 6: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융합핵심부품인cnc는일본, 독일이독점 수출의고용유발인원(명/10억원)

Ⅰ. 기계산업 정의 및 특징

머시닝센터 탭,밸브 및유사장치

산업용로봇

디스플레이제조장비

절삭가공공작기계

플랜트기자재

여과, 증류및 가스발생기

금형금속주조

기계

레이저가공기계

건설기계 포장기계

기타 야금용 기계

성형가공공작기계

냉각,공기조화

베어링,기어동력전달장치

요소기계부품

산업용트럭

기어가공기

압연기

컨베이어장치

내연기관및 터빈 섬유기계

펌프 및압축기

오븐,노 및노용버너

반도체제조장비

일반기계산업

신산업

수출주력산업

풍력

해양플랜트

셰일가스수처리바이오신약

3D 프린터 로봇

의료기기

태양광

Page 7: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융합핵심부품인cnc는일본, 독일이독점 수출의고용유발인원(명/10억원)

Ⅰ. 기계산업 정의 및 특징

< GDP, 국가브랜드가치, 일반기계 수출액 순위 비교 >

일반기계수출상위10개국중8개국이GDP순위Top 10에속하며, 6개국이국가브랜드Top 10에포함

Page 8: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융합핵심부품인cnc는일본, 독일이독점 수출의고용유발인원(명/10억원)

Ⅰ. 기계산업 정의 및 특징

선진국형고부가가치 산업

제조업의기반산업

미래창조주력산업

산업간 파급효과큰 산업

선후진국간 기술격차가

크고 기술진입장벽이

높은 산업

(Long Cycle industry*)

OECD 국가의 대 개도국

무역흑자 1위 산업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은 기계제품이

제조업 생산의 10~15%

차지(우리나라는 6.8%)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우리나라 수출주력

제조업에 핵심생산설비

공급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

하는 핵심요소로

생산설비의 성능이

생산제품의 품질 및

국제경쟁력 좌우

ICT, BT 등 신산업과

융합화를 통한 차세대

산업 영역 확대

(지능화, 첨단화, 로봇화등)

타 산업에 대한 높은

생산유발도 경제전반의

부가가치 주도

* 생산유발계수 : 1.74

* 부가가치유발계수 : 0.47

자동차, 각종기계 등

소비재산업이 전방산업

군 형성

기계요소, 베어링, 철강

등 부품소재산업이

후방산업군 형성

Long Cycle Industry 한번 시장 진입에 성공하면 후발국추격이 어려운 산업

반도체: (생산유발) 1.25 (부가가치유발) 0.46자동차: (생산유발) 2.19 ( 부가가치유발) 0.46가 전: (생산유발) 1.24 (부가가치유발) 0.23

자료]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 산업연관분석

Page 9: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융합핵심부품인cnc는일본, 독일이독점 수출의고용유발인원(명/10억원)

Ⅱ. 기계산업 발전과정

기계산업 무역흑자 전환[04]

수출 200억불 달성[05]

수출 373억불 달성[08]

`90년대

수입추천제도 폐지[99]수출 100억불 달성[00]

수출 10억불 달성[84]

공업발전기금운영[88]

기계류부품소재국산화[86]

첨단산업개발계획추진[89]

중화학공업정책선언[73]

산업설비수출촉진법[78]

창원공단 건설[74]

수출1억불 달성[76]

기계공업진흥법[67]

기계산업진흥회 창립[69]

태동단계

생산인프라구축

자립기반구축

산업융합화

산업기술기반조성법[94]

자본재산업육성정책[95]

수입추천제도 폐지[99]

산업고도화

기술기반구축

산업융합촉진법 제정[11]

기계산업서비스화정책 수립[13]

스마트공장 확산정책 수립[14]

부품소재특별법[01]

차세대성장동력육성[04]

무역수지 흑자 141억불[11]

수출 400억불대 진입[11]

수출 100억불 달성[00]

Page 10: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융합핵심부품인cnc는일본, 독일이독점 수출의고용유발인원(명/10억원)

Ⅲ . 일반기계산업 현황

`2012년 생산 102조원 (연평균 9.9% 성장) `2012년 고용 30만 4천명 (연평균 3.2% 성장)

2000 2004 2006 2008 2010 2012

32.851.7

61.479.0

92.3

102.1

연도별 생산액

2000 2004 2006 2008 2010 2012

209

연도별 종사자수

232 252282

304

`2013년 수출 464억불[연평균 14.0% 성장) `2013년 무역수지 117억불 [04년 흑자전환]

2000 2002 2004 2006 2010 2012

8493

168239

361

479

연도별 수출액 연도별 무역수지

464

20132000 2002 2004 2006 2010 2012 2013

-39 -17 636

75

160

117

262

(단위:조원) (단위:천명)

(단위:억불)(단위:억불)

Page 11: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융합핵심부품인cnc는일본, 독일이독점 수출의고용유발인원(명/10억원)

Ⅲ. 일반기계산업 현황

선진시장 : 미국, EU(15개국), 일본, 캐나다 신흥시장 : BRICs, ASEAN(10개국), Post EU(13개국), 중동 기타시장 : 그외국가

2013

2015(F)

[‘01]5,510억불

[‘13]1.4조불

[‘20]2.7조불

2020(F)

2001

2005

시장점유율

2001 2013 2020(F)

24.0%32.4%

46.2%

49.1%

31.6%

선진60.6%

신흥32.4%

선진49.0%

신흥46.2%선진

31.6%신흥24.0%

‘01-’13년 연평균 8.1% 고속 성장 신흥시장 급격 확대/선진시장 비중 축소

Page 12: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융합핵심부품인cnc는일본, 독일이독점 수출의고용유발인원(명/10억원)

Ⅲ . 일반기계산업 현황

수출

순위2000 2006 2008 2013(p)

국가 점유율 국가 점유율 국가 점유율 국가 점유율

수입

순위2000 2007 2009 2013(p)

국가 점유율 국가 점유율 국가 점유율 국가 점유율

8위(3.3) 9위(2.9)

Page 13: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융합핵심부품인cnc는일본, 독일이독점 수출의고용유발인원(명/10억원)

대ㆍ중소기업 동반성장

기계산업 서비스화

Ⅳ. 기계산업의 현황 및 과제

1

융ㆍ복합화 및 고부가가치화

3

4

5

2

대외환경 변화

현장중심 인력공급기반 및 양성체계 구축

Page 14: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융합핵심부품인cnc는일본, 독일이독점 수출의고용유발인원(명/10억원)

세계 기계산업 수출시장에서 중국의 시장 점유율 증가* 주요국 시장점유율 : (미국) ’03년 13.9%→’12년 11.8%(2.1%p↓), (독일) ’03년 17.2%→’12년 15.2%(2.0%p↓),

(일본) ’03년 11.3%→’12년 10.0%(0.7%p↓), (중국) ’03년 3.3%→’12년 11.0%(7.7%p↑), (한국) ’03년 1.9%→’12년 3.3% (1.4%p↑)

일본의 신흥국 중심의 수출전략 강조(2010.3, 통상백서) 및 엔저의 지속(’12년 하반기 ~)

* 엔/달러 : (’12.4Q) 81.12 → (’13.1Q) 92.26 → (’13.2Q) 98.73 → (’13.3Q) 98.94 → (’13.4Q) 100.43

→ (’14.1Q) 102.84 → (’14.2Q) 102.15 → (’14.3Q) 103.84

미국, EU, 일본, 중국 등 거대경제권이 주도하는 Mega FTA 확산* 미국-일본 :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이하 TPP), 미국-EU : 환대서양무역및투자동반자협정(이하 TTIP) 추진* EU – 일본 : 2013년 3월부터 FTA 협상개시 선언* 중국은 미국의 Mega FTA 전략에 맞서 동아시아에서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이하 RCEP)과 한·중·일 FTA 추진

Ⅳ – 1. 대외환경 변화

2008 2010 2012 2014

2,1272,169

1,631

1,251

※ 전체 TBT에서 기계분야가 차지하는 비중(‘08-’14): 4.4%

CSEL(China Special Equ ipment L icense) : 중국특수설비인증AQSIQ : 중국국가품질감독검사검역총국SELO : AQSIQ 산하 인증사무소 , CSEL 발급CSEI : 특수설비연구소 , 현장검사 수행

상호 인증(MRA) 필요

글로벌 기계산업 수출시장 경쟁 심화

비관세 무역기술장벽(TBT) 증가 TBT : Technical Barriers to Trade

[사례] 플랜트기자재 인증(CSEL)< 무역기술장벽(TBT) 통보건수 추이

Page 15: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융합핵심부품인cnc는일본, 독일이독점 수출의고용유발인원(명/10억원)

한·중·일 FTA와 TPP 참여 추진(예상)

Ⅳ - 1. 대외환경 변화

세계시장에서 우리나라 기계산업의 시장점유율 증가세 미미( ‘03 vs. ’12 )

• 엔화약세로 인한 수출 감소 추정 (억불): (‘13년) 41.0→(‘14년) 11.5(본회추산)

• 엔-원환율10%, 5% 하락시경남지역기계수출4.1%, 2.0%감소(‘14.11,한은추정)

< 중국 굴삭기시장 점유율(%)변화 >(‘14.4, 한화투자증권)

(일) 코마츠 , 코벨코, 히다치 : (‘11) 28.1, (‘12) 22.9, (‘13) 24.3, (‘14. 1Q) 27.1

(한) 두산, 현대 : (’11) 19.8, (‘12) 16.4, (‘13) 15.0, (‘14. 1Q) 13.9

한·중·일 및 TPP 의 공통 상대 국가는 일본 ⇒ 즉, 한-일 FTA 추진과 같은 효과

국내시장은 중국·일본 기계류·부품과의 경쟁 심화, 수출시장 여건은 유사(TPP 참여국 중 일본/멕시코 외 국가는 기 체결)

(TPP 참여기대효과) 對일의존 핵심부품의 수입관세인하,역내국가수출시특혜관세 적용가능(원산지누적) (TPP 참여 부정적 영향) 핵심 부품의 對일 의존도 심화 및 미국시장에서 FTA 선점효과 상쇄로 경쟁이 더욱 치열* 對일본 무역적자 추이(억불) : (‘11년)△74 → (’12년)△67 → (‘13년)△62, → (’14.11)△29

각종 기술규정, 표준, 적합성 평가절차 등 TBT는 무역 및 시장진입 장벽으로 작용 특히, 해외 기관 또는 기업에 의한 인증/컨설팅은 기술유출 초래(예; 플랜트 기자재의 ASME 인증)

세계 한국 미국 일본 중국 EU 아세안(10) GCC(6)

한 국 1.4 - 1.9 2.0 1.4 0.4 0.8 2.5

중 국 7.7 4.44 7.8 19.2 - 4.1 10.8 7.6

중국의 부상으로 주요 수출시장에서 우리기업 경쟁력 약화

비관세장벽 증가는 기술종속→수출환경 악화→기술유출→경쟁력약화의 악순환

TPP :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Trans-Pacific Partnership

일본 엔저 지속으로 인한 우리 기업 경쟁력 약화

70

80

90

100

110

120

-50

0

50

100

09.1 10.1 11.1 12.1 13.1 14.1

수출증가율(%)

엔화강세

엔화약세

(엔/달러)

수출증가율

엔/달러

(‘10~’12) 평균 82.5엔/달러, (‘13~’14) 101.0엔/달러

Page 16: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융합핵심부품인cnc는일본, 독일이독점 수출의고용유발인원(명/10억원)

Ⅳ - 1. 대외환경 변화

기계류 품목별 주요 국가 시장 조사 및 진출전략 수립 등을 통한 해외 진출 지원

해외 유명 기계류 전시회 참가 및 국내 글로벌 TOP 기계산업 전시회 개최 지원

중소기업에큰부담이되는 고비용이소요되는해외규격인증획득비용및컨설팅 지원 확대

ASME, API 등 외국 기업에 의존하고 있는 주요 인증의 국내 인증 기반 확충

국내외 전시회 개최(매년 3~4회) 및 참가(매년 약 10회)

해외 시장개척단 파견(약 5회) 및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 개최(매년 약 5회)

해외규격인증 획득지원 및 주요 해외규격인증과 상호인정협정(MRA*) 확대

생산에서 기술혁신까지 전주기적(全週期) 인증시스템 구축으로 플랜트 기자재산업육성을 위한 해외인증 종합서비스 지원

중국의 가격경쟁력, 일본의 고도기술에 대응 할 수 있는 핵심 기계·부품의 기술개발 지원 확대 (예) 일본 및 중국에 대응할 수 있는 부품가공·생산 전용기(專用機), CNC 콘트롤러, 밸브, 펌프 등의 기술개발

지원을 위한 전용펀드 조성·지원 필요(‘87~’97년 기간 중 “공업기반기술개발자금(융자)” 지원을 통해 국산화 촉진)

*MRA :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

한·중·일 FTA, TPP 추진과 국내 기계산업 육성정책 추진 병행

플랜트 기자재 국내인증 기반 구축사업 추진

Page 17: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융합핵심부품인cnc는일본, 독일이독점 수출의고용유발인원(명/10억원)

미, 일, EU 등이 선진 장비산업(반도체, 태양전지, LCD장비, 통신 장비) 선점

Ⅳ - 2. 융ㆍ복합화 및 고부가가치화

핵심장비의 선진국 의존으로 제품산업 성장에 비례해 장비수입이 급증하는 성장의 딜레마 발생

공작기계의 IT 융합 핵심 부품인 CNC는 일본, 독일이 독점

수출의 고용유발인원(명/10억원)2005년 (2,735) 2010년 (3,671) 2012년 (4,253) (전 산 업) 2000년 (2,588)

(일반기계) 2000년 (109)

독일, 미국, 중국 등의 ICT를 융합한 기계산업 고도화 추진 중

• 주요 반도체장비 기업 : (유럽)ASML, (미)Applied Materials, (일)Tokyo Electron 등• 주요 LCD장비 기업 : (미)Anvik, (독)Heidelberg, (일)Exitech 등• 통신장비 : (미)Cisco, (스웨덴)Ericson, (일)NHK 등

• CNC 세계시장 점유율 : Fanuc 약 80%, Siemens 약 10% 등

• 완제품: 조선1위, 반도체3위, 부품소재경쟁력 (KIAT) : ('01)70→(‘14)92(미국:100), 부품소재 무역수지 1,000억불 달성(’14.12)• 신성장동력 장비기술력(2012신성장동력장비 개발로드맵): 56(미국:100), 국산화율:35%('08)

• (獨) Industry 4.0 : ICT와 기계산업의 융합을 통해 “제조업의 완전한 자동 생산 체계 구축”, “모든 생산 과정의 최적화” 추진

• (美) 국가 제조업 혁신 네트워크(NNMI) : 제조업 강화를 위해 15개 제조업혁신연구소를 설립하고 네트워크화 추진

• (中) 12‧5 국가 전략적 신흥산업 발전 규획 : 7대 전략적 신흥산업*의 중점 발전방향과 각 산업의 발전목표 제시

* 7대 전략적 신흥산업 : 에너지절약 및 환경보호, 차세대정보기술, 바이오, 첨단장비제조, 新에너지, 신소재, 신에너지 자동차 등

* ‘15년 산업부 주요 R&D 지원예산(억원) : 신산업융합(2,381), 수송시스템(766), 산업소재(875), 제조기반(1,018), 소재부품(2,788) 등

선진국은 원천기술 및 융·복합화 기술을 바탕으로 신성장 장비산업 주도

완제품, 부품소재는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했으나 장비는 기술력 및 국산화율 미흡

수출이 늘어도 고용없는 성장 심화 국산화율 제고 필요

자료]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 산업연관분석

2005년 (136) 2010년 (173) 2012년 (193)

Page 18: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융합핵심부품인cnc는일본, 독일이독점 수출의고용유발인원(명/10억원)

Ⅳ - 2. 융ㆍ복합화 및 고부가가치화

13대 업종(부품조립, PCB, 주조, 금형, 프레스, 사출성형 등) 1만개 스마트공장 추진(~2020)

107개 신성장동력 장비 기술 개발 추진 중(2009~2018년)

산업엔진 프로젝트(73개) , 스마트 제조기반 기술(62개), 글로벌 전문기업 육성(62개) 전략 수립

정부 R&D 과제 참여 지원

표준개발 (선행기술 분석), 시장전략수립 지원 (기술무역장벽 분석)

연구장비 경쟁력 강화방안 수립

3대 핵심부품산업(베어링, 밸브, 펌프) 육성전략 수립핵심 기자재ㆍ부품ㆍ기계요소산업 육성 지원체계 구축

‘기계융ㆍ복합기술 연구조합’ 운영 활성화

연구장비 국내외 시장동향 및 특허기술 동향분석

금형-트라이아웃-사출성형의 가치사슬 연계형 스마트공장 시범사업 추진

스마트 공장 성공모델 추진(계획)

산업엔진과 연계한 113개 핵심장비* 및 27개 공통핵심기술 발굴

Page 19: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융합핵심부품인cnc는일본, 독일이독점 수출의고용유발인원(명/10억원)

서비스 경쟁력이 기계산업의 핵심 가치로 부각

Ⅳ - 3. 기계산업 서비스화

서비스 업체들의 고용과 매출은 제조기업 대비 각각 1/6, 1/10 수준

Value Chain의 핵심이 조립, 가공 생산에서 연구, 설계, 유지보수 등 서비스분야로 전환

독일 등 기계산업 선진국들은 유지ㆍ보수, 부품교체, 유휴설비 재활용 등을 통한 고수익 창출

중고설비 거래활성화를 위한 유통집적단지, 정보망, 지원체계 등 기본 인프라 부족

일본 오사카 기계유통단지 : 68년도에 설립된 일본 최대의 유휴설비 유통단지

브로커 성행, 무자료 거래, 저가낙찰 등 중고기계 유통구조 취약

중고기계 수출 부진은 국내 신제품 시장창출 및 설비투자 활성화의 걸림돌

제조 자체의 가치는 낮아지고, 가치사슬 전반부와 후반부의지식집약적인 단계에서 부가가치증가

• 전반부 : R&D기획, 설계, 리엔지니어링,생산최적화, 공정 개선 등

• 후반부 : 부품 공급, 수리, 유지보수 등

* 자료 : 김도훈, 제조+서비스 융합 확산을 위한 지식서비스산업 정책과제 연구(2013.11)

서비스 경쟁력이 기계산업의 핵심 가치로 부각

제조업의 부가가치 사슬 구조 변화

국내 기계산업 서비스 업체들의 영세성 및 중고기계 유통구조 취약

기계설비 유통활성화 및 수출 촉진을 위한 인프라 부족

Page 20: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융합핵심부품인cnc는일본, 독일이독점 수출의고용유발인원(명/10억원)

기계산업을 선진국형 고부가가치 산업화

기계설비 유통ㆍ서비스 집적단지 및 지원센터 건립(‘15.9월 준공 목표)

기계산업 서비스화 추진을 위한 기반 구축

제조와 서비스가 융합된 산업생태계 조성

중고기계 거래 활성화, 동산담보대출 활성화, 수출촉진 등 지원 인프라 조성

경기도 시흥시 시화MTV에 약 7.8만㎡ 규모로 조성

한국기계거래소 설립(‘13.5월) 및 서비스 지원사업 추진(‘15년)

기계설비 경매사업(기업의 유휴설비, 재고기계, 국가 R&D 연구장비)

온라인 거래장터 운영 : 현재 기계설비 거래 포털사이트 운영 중(portal.komax.or.kr)

중고기계 성능검사, 품질보장, 수리(A/S)지원, 수출지원

기계(동산)담보 금융지원 활성화(기계설비 등록 및 이력관리, 담보 통합관리, 금융지원 연계)

기계설비 Total Service Complex 활성화(지원센터 시설 운영, 집적단지 관리 및 활성화)

Ⅳ - 3. 기계산업 서비스화

R&D기획, 설계, 리엔지니어링, 생산 및 공정 최적화 등 지식집약 단계의 서비스화를 통한 고도화 필요

기계산업 서비스화 추진(‘13~‘15)

기계산업 가치사슬 전반부 서비스화 추진

기계설비 Total Service Complex 조성 및 서비스 지원기반 구축

Page 21: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융합핵심부품인cnc는일본, 독일이독점 수출의고용유발인원(명/10억원)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협력기업의 생산성 향상이 필수 조건

Ⅳ - 4. 대ㆍ중소기업 동반성장

기계산업은 가공, 조립 산업으로 부품의 경쟁력이 완제품의 경쟁력을 크게 좌우

제조업 1인당 월평균 임금 (2013, 백만원) : 대기업 52, 중소기업 27(대기업의 52.9%)

주조엔진블럭

열처리베어링

가공 조립완제품

기계산업 생산공정(예시)

제조업 1인당 부가가치 (2012, 백만원) : 대기업 359, 중소기업 108(대기업의 29.9%)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 1인당 노동생산성 : (‘07) 30.7% (‘11) 28.0%

2, 3차 협력사는 영세성과 혁신의지 미흡으로 산업 전체 경쟁력제고에는 역부족

금형 소성가공

용 접 표면처리

기술 고도화로 단일기업간 경쟁에서 생태계(기업 네트워크)간 경쟁으로 전환

중소기업은 연구개발 및 자본투자의 한계로 생산성 정체 지속

대기업 및 중소기업간 양극화 현상 심화

Page 22: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융합핵심부품인cnc는일본, 독일이독점 수출의고용유발인원(명/10억원)

Ⅳ - 4. 대ㆍ중소기업 동반성장

대기업과 1차 협력사가 2~3차 중소기업의 혁신활동 지원

두산중공업 등 7개 대기업과 118개 협력사를 지원하여 혁신활동 전개

기계산업동반성장진흥재단 지원사업 (2014년 269건, 11억원 지원)

기계설비 정도향상 지원

맞춤형 현장 기술교육 지원 기술진단(스마트공장만들기) 지원

수 단

주 체 개별 기업

공장새마을운동

산업혁신 1.0

대기업ㆍ1차 협력사

동반성장(성과공유제)

산업혁신 2.0

2ㆍ3차 협력사

공정, 경영, 생산기술혁신+ 성과공유제

산업혁신 3.0

시험검사기기 검ㆍ교정 지원

해외마케팅 지원 지식재산권 지원

현대중공업의 1차 협력사인 대모엔지니어링은 2~3차 협력사(8개)와 혁신추진단 운영(현대중 4천만원, 대모 2.5천만원, 참여기업 1.6천만원) → (2~3차 협력사) 매출 27%↑, 생산비용 37.5%↓, (대모엔지니어링) 납기 준수율↑(70→90%)

대기업-1차- 2~3차 협력사 동반혁신 사례

‘산업혁신운동 3.0’추진

※ 2014 대한민국 경영대상, 지속가능경영대상(윤리경영부문) 수상 : ‘14. 10월

Page 23: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융합핵심부품인cnc는일본, 독일이독점 수출의고용유발인원(명/10억원)

숙련도가요구되는설계 및생산직무분야의부족이심각(직무 전체 평균 부족율 25.9%)

Ⅳ - 5. 현장중심 공급기반 및 양성체계 구축

´노동력 부족', ´생산성 저하', ́세대 간 일자리 경합' 등을 초래할 소지→ 종사자의 기술의존도가 높은 기계산업은 기술인력 부족 우려

30~49세 종사자 비중(%) : 기계 72.4, 반도체 60.8, 자동차 66.6, 전자 70.3, 조선 59.3

* 10년 후, 기계산업은 50세 이상 종사자 비중이 급증 할 것으로 전망

29세 이하의 종사자 비중이 ‘08년 25.9% -> ’12년 12.1%로 전체 제조업 중 청년인력의 유입이 가장 낮음

자료]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4.7)

합계출산율은 2013년1.18명으로 OECD 국가 중 최저치(’12년 OECD 평균 1.74명)

기대수명 증가율은 18.4%로 세계 주요국 중 최고 수준

청년 인력의 유입이 가장 낮고, 인력 수급의 양적ㆍ질적 부족현상 발생

직무분야별 인력 수급 미스매칭

우리나라는 고령화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진행

고령화 리스크 부각

설계

12.6%

개발기획 관리생산

12.0%

17.46.5%

기계산업 직무별 부족율

자료] 2014 산업기술인력 수급실태조사(KIAT)자료] 2013 기계산업 인력 수급실태조사(KOAMI)

Page 24: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융합핵심부품인cnc는일본, 독일이독점 수출의고용유발인원(명/10억원)

Ⅳ - 5. 현장중심 인력수급 및 양성체계 구축

기계산업 인적자원협의체 운영, 한국형 일ㆍ학습 듀얼시스템 구축ㆍ확산

지역공동훈련 운영 (국가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 시범사업) : 기술교육원

산업계 중심 지역특화형사업 , 중부권 소재 기업의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양성 공급

* 채용예정자 훈련 10개 직종 370명, 재직자 직무능력향상 41개 과정 1,550명 양성

군 복무시 해당 전공분야와 연계한 특기병으로 배치 검토

예) (기업)용접 전문직 → (군) 공병의 용접전문병으로 배치

일ㆍ학습 듀얼시스템 확산 방안(예)

산업별 인적자원개발협의체(sc)의 활성화 추진

수요기반 교육훈련 프로그램 구축

모듈형 경력개발 프로그램 개발

고교, 대학 설계분야 학위과정 개설

설계 아카데미 운영

마이스터고 정원 확대

외국인 고용기간 연장

공급기반 확대 교육시스템 도입

일ㆍ학습 듀얼시스템

산업계 주도의 인력수급 및 양성체계 구축

산업현장 중심의 직업인 양성체계 구축

현장중심의 직업능력개발훈련 확산

Page 25: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융합핵심부품인cnc는일본, 독일이독점 수출의고용유발인원(명/10억원)

Ⅴ. 일반기계산업 2020 비전

20202012

102조원

210조원

20202013

464억불

1,250억불

20202012

30.4만명36만명

생산 수출 고용

Page 26: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융합핵심부품인cnc는일본, 독일이독점 수출의고용유발인원(명/10억원)

대외환경 변화 대응할 수 있는 기계산업 역량 강화

전략적 해외시장 진출 및 마케팅 활동 지원 확대

중국의 가격경쟁력, 일본의 고도기술에 대응 할 수 있는 핵심 기계·부품의 기술개발 지원 확대

해외규격인증 획득지원 및 주요 해외규격인증과 상호인정협정(MRA) 확대

기계산업 융ㆍ복합화 및 고부가가치화 촉진

스마트공장에 필요한 스마트 부품·장비 기술개발 지원

기계산업 핵심장비ㆍ부품ㆍ기계요소 산업 육성

4대 분야 13개 창조경제 산업엔진에 필요한 핵심장비 기술개발 추진

지속적인 기계산업 서비스화 추진

R&D 기획, 설계, 공정최적화 등 기계산업 가치사슬 전반부 서비스화 추진

대ㆍ중소기업 동반성장 추진

2~3차 중소기업의 혁신활동을 지원하는 산업혁신운동 3.0의 지속추진

현장중심 인력수급 및 양성체계 구축

산업계 주도의 인력수급 및 양성체계 구축

현장중심의 직업능력개발훈련 확산

Ⅵ. 요약 및 정책제언

1

2

3

4

5

Page 27: 2014. 12.ifs.or.kr/upload/board/research20151241626268i772j4adj.pdf · 공작기계의it 융합핵심부품인cnc는일본, 독일이독점 수출의고용유발인원(명/10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