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63
---- ...... 1- g

Transcript of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Page 1: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자 료

l후 ~훌-

홍 ~ ---- 없

폴랙 lsquo 1-

bull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 36호)

bull lsquo표준어 모음rsquo의 심의 경위와 해설

g

-륨

rdquo ldquo

표준어 모음 129

일 러 두 기

1 이 lsquo표준어 모음rsquo은 lsquo새한글사전rsquo (한글학회 간행 19651986년)과 lsquo국

어대사전rsquo(민중서립 간행 1982년)에서 표제어로 제시한 단어가 일치되rsquo

지 않는 고유어와 사전에서 그 고유어에 관련 지어 놓은 단어를 심의한

컬과이다 따라서 관련 단어에는 한자어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 신조

어 전문용어 맞춤법이 문제되는 말은 두 사전에서 상충되더라도 심의

되지 않았A나 일상적으로 널리 쓰이는 동식물 용어는 심의하였다 한

자어와 고유어가 컬합된 말(lsquo-하다rsquo와 결합원 말은 제외함)이냐 한자어1

의 변한말은 포함되었으나 한자어와 고유어가 컬합된 말이라도 한자어rsquo

의 발음이 문제되는 경우에는 이 lsquo표준어 모음rsquo에 포함되지 않았다

2 lsquo표준어 모음rsquo의 표준어에 대한 심의 키준은 원척척으로 lsquo표준어 규

갱 rsquo (문교부 고시 체 88-2호)에 따랐다

3 lsquo표준어 모음rsquo은 심의 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1) 어휘 션택

(2) 발음 1) 장단

2) 경음(현의상 lsquo L rsquo 첨가와 관련되는 단어도 포함하였음)

4 lsquo어휘 선택rsquo 부분에서는 lsquo표제어rsquo란 lsquo관련 단어rsquo란 lsquo비고rsquo란 lsquo관렌

규정rsquo란을 lsquo발음rsquo(장단 경음) 부분에서는 lsquo표제어rsquo란 lsquo버고rsquo란의 형

식에 따라 제시하고 표제어는 lsquo한글 맞춤법rsquo(운교부 고시 제 88-1호)왜

한글 자모의 순서에 따라 배열하였다 각 난(爛)의 성격은 다음파 같다r

(1) 어휘 선택

1)_ 표제어 두 사전에서 상충되는 단어 즉 두 사전에서 셔로 다른 행

13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태를 표준어로 인정한 단어나 한 사전에서는 표준어로 안청하고 다른

한 사전에서는 비표준어로 처리한 [단어들이다 심의 결과 비표준어

로 안정된 단어는 그 앞에 times표를 하였다

표제어 관련 단어 비 고 관련규정

발짓 발질 lsquo발짓rsquo은 lsquo발올 움직이는 26 짓rsquo의lsquo뭇으로 lsquo발질rsquo은 lsquo발

길질rsquo의 돗A로 언정함

소낙비 소나기 26 X O 시대다 으L대다 으쭉거리며 뽕내다 17 11

2) 관련 단어 -) 두 사전에서 서로 다른 형태를 표준어로 안정한 경

우에 표제어에 한 형태를 제시하고 다른 한 형태롤 관련 단어에 싣

되 표제어와 관련 단어를 바꾸어서도 실었다 그리고 심의 결과 사전

상의 두 형태가 모두 비표준어로 처리되고 새로운 형태가 표준어로

인갱된 경우에는 바로 아래 칸의 lsquo관련 단어rsquo란에 표준어로 안청된

형태를 싶었다

표제어 관련 단어 비 고 관련규정

X곁껍더기 결껍데기 09

겉껍데기 times걷껍더기 09 X가리마꼬창이 times가리마꼬챙이 09

가르마꼬챙이 09

X가리마꼬챙이 times가리마꼬창이 09

가르마꼬챙이 09

1-) 비표준어로 처리된 표제어의 경우에는 그 단어의 표준어의 형태

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여기에는 한자어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

표제어

X맛대캉이

times배햇패기

X잎전

관련 단어

배추속대

염천(葉錢)

비 고 관련규정

25 25 22 25

~) 표제어와 같은 단어로서 이번 섬의에서 비표준어로 처려펀 단애

표준어 요음 131

를 질었다 이 경우에도 비표준어로 처리된 단어 앞에 times표를 하였

표제어 관련 단어 비 고 관련규정

빨갱이 times빨강이 1 공산주의자 09 17

2 lsquo빨간 빛의 물건rsquo의 뭇으

로는 lsquo빨강이rsquo를 안정함

턱받이 times턱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깊

3) 비고 표제어의 의미 관련 단어와의 관계 예문 고시된 표준어 동

표제어에 관계되는 정보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lsquo비고rsquo란에 제시하는

정보가 표제어에 대한 것인지 관련 단어에 대한 것인지를 언급하지

않은 경우에는 표제어에 대한 것이다

-4) 관련 규정 심의 과정에서 척용한 lsquo표준어 규정 제 1 부 표준어 사정

원칙rsquo의 항을 제시하였다

(2) 발 음

J) 표제어 -) 창단 두 사전에서 창단음 여부가 엇갈리는 단어를 제

시하되 심의 결과를 그대로 표제어에 반영하였다 즉 제 1 음젤에서

장음으로 실현되는 것으로 심의펀 단어는 제 1 음철과 제 2 음철 사

이에 장옴부 lsquo rsquo표를 하였으며 단음으로 실현되는것으로심의된 단

어는창음부 lsquorsquo표를하지 않았다 따라서 장음부 lsquorsquo표가있는단

어의 단음형윤 버표준발음으로 처리된 것이며 단읍으로 실현되는 것

-으로 제시된 단어의 장음형도 비표준 발음으로 처리된 것이다

표제어

건넷방

옐나무

지난날

비 고

내 ~ 뉘 ~

-) 경옴 경음(lsquoLrsquo 첨가 포함)~로의 질현 여부가 엇갈리는 단어

13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를 제시하되 심의 컬과를 그대로 표제어에 반영하였다 즉 경음

으로 실현되는 것£로 심의된 단어는 표체어의 해당 위치에 lsquo사이

시옷rsquo을 쓰거나 표제어 뒤에 그 음성형을 제시하였A며 명음으로

실현되는 것으로 심의된 단어는 그 음성형올 별도로 제시하지 않

었다 따라서 표제어에 lsquo사이시옷rsquo으로 표기되었거나 표제어 뒤

의 [ ] 안에 제시된 정음으로 실현되는단어의 평음형은 비표준말

음으로 처리된 것이고 표제어에 lsquo사이시옷rsquo이 표기되지 않았거나

표제어 뒤에 그 정음형이 제시되지 않은 단어의 경읍형은 비표준 발

음으로 처리된 것이다

lsquo」rsquo 첨가가 문제되는 단어는 lsquo경음rsquo 부분에 준하였으나1 lsquoLrsquo아

첨가된 발음과 첨가되지 않은 말음이 모두표준발음£로 안정된 경

우에는 그 발음형 모두를 [ ] 안에 제시하였다

표제어

겨울장[-짱J

등정 [-쩡]

몸길이

폼서리

얄긋얄긋[얄근날금얄그얄곧]

비 고

체장(體長)

큰일 다루는 데 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일

큰일[-닐]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2) 비고 표제어에 관계되는 청보를 제시하였다

5 위에서 언곱하지 않은 사항은 lsquo표준어 규정rsquo에Z따랐다

표준어 모옴 133

1 어휘 선택

표제어 관련 단어 비 고 관규정련 X가귀뜨기 가귀대기 열다섯 끗 뽑기로 내기하 17 25

는투전노름

가동질 가통거리는 짓 08 가래질꾼 가래꾼 16 가려잡다 골라잡다 26 가력되다 개력하다 26

X가리마꼬창이 times가리마꼬챙이 09 가르마꼬챙이 09

X가리마꼬챙이 times가리마꼬창이 09 가르마꼬챙이 09

X가리워지다 가리어지다 25 X가스라기 가시랭이 25 X가A랑이 가시랭이 25 가시줄 가시철사(-鐵絲) 26 각시 새색시 lsquo작게 만든 여자 인형rsquo의 26

뭇으로도언청함

간단없다(間斷-) 끊임없다 26 간단없이(間斷-) 끊임없이 26 간밤 지난밤 26

X 간장족박(-醫-) 간장쪽박(-醫-) lsquo 17 간장쪽박(-體-) times간장족박(-醫-) 17

X간해 지난해 25 X갈비 솔가리 불쏘시개로쓰는솔잎 25 갈잎나무 떡갈나무 lsquo떡갈나무rsquo 는 갇잎나무의 26

일종엄

134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times강화(-火) 도깨버불 21

값나다 금나다 1 물건 값이 정해져서 왈 26 고사고할수있게 되

2 lsquo값나가다rsquo 의 준말로

는 인갱하지 않읍

X값높다 값비싸다 lsquo값비싸다rsquo 의 뭇으로 lsquo금 25 높다rsquo도언청함

times강밥 눌은밥 lsquo강다짐으로 먹는 밥rsquo의 25 뭇 o 로는 안정함

개소리괴소리 times개소리괴소문 17

times개소리괴소문 개소리괴소리 17

times개지 강아지 lsquo버 틀치 rsquo (물고기 이 름)로 25-

도 인청하지 않음

갯버들 땅버들 전문용어로는 lsquo갯버들rsquo을 2amp 안정합

X갱조개 가막조개 채첩 25-

갱충맞다 갱충쩍다 26-

거령맞다 거령 ζ렵다 2amp 거륨발 거릅커(-氣) 2amp

X거상 큰톱 25 거푼거푼 놓암 물체의 한부분이 바 25-

람에 불리어 떠들리었다가

가라앉았다가하는모양

times거풀 꺼풀 17

건건이 반찬(飯戰) 2amp 걷어쥐다 걷어잡다 26lsquo

times검은깨 주근깨 lsquo빛깔이 검은 참깨rsquo의 돗 25 으로는 인청함

검청홍 검은콩 26 X걷껑더기 걷껍데기 09 걷껍테 7l times곁껑더기 O~

걷장 수잠 2amp

표준어 모음 135

X게걸스렵다 게검스렵다 1 욕심껏 마구 먹어 대 25 는태도가있다

2 lsquo게걸들린 태도가 있 다rsquo의 돗으로는 인정함

times게꼬리 게꽁지 지식이나 재주 퉁이 극히 25 적거나 짧음

게꽁지 times게꼬리 지식이나 재주 둥이 극히 25 적거나 짧음

X계오다 지다 옷이기다 20 25 times고두밥 지에밥 1 참쌀 혹은 맹 쌀을 시 25

루에 쩌서 만든 밥

2 lsquo되게 지은 밥rsquo의 뭇

A로는 인정함

고로(故-) 그러므로 2amp X고물 고미 1 반자의 한 종류 25

2 lsquo우플마루를 놓는 데 귀틀 두개 사이의 구

역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times고부탕이 고비 1 중요한 기회 25 2 lsquo피륙을 필올 지을 때 꺾여 겹쳐 념어간곳rsquo의

뜻으로는안정함

고운대 곤대 토란출거리 16 골찍 골짜기 16 times곰살곱다 곰살강다 17 X곰탕 곰팡이 25

times곱수머리 곱슬머리 25 풍히(共-) 모두 26 과경에(過煩-) 아까 26 과목밭(果木-) 과수원(果樹園) 26 패팡스렵다 망령스렵다(훌靈-) 26

times괴엄 굉 (고시) 괴다고이다 18 고임 18

13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괴엄새 굉새 1 꾀어 놓은모양 18 고임새 2 (고시) 괴다고이다 18

X펀돌 고언돌 17 구기자나무〈抱紀子-) x괴 쫓나무 22 25

X구럭 망태기 lsquo새꺼로 그물 뜨듯 눈올 25 드물게 떠셔 만든 물건rsquo

의 돗£로는 인정함

구역나다(騙遊-) 욕지기나다 26 군기칩 헛키침 26 굿복(-服) 굿옷 26 렷속말 귀옛말 26 그물눈 그물코 26

X근두박질 곤두박질 05 글동무 글통접(-同接) 26 글동첩(-同接) 글통무 26 금몽(옳) 금씩신(金色身) 26 금출(禁-) 언줄(λ-) 26 기겁하다 times기급하다(氣急-) 05 17 기꼭지(雄-) times기대강이(雄-) 25 커미채다(幾微- 機微-) 낌새채다 26 기수채다(幾數-) 26 기어코(期於-) 기어이(期於-) 26 기장 걸이 lsquo옷 따위의 긴 정도rsquo의 뭇 26

으로 안정함

X기치량물 지지랑물 17 까까중 25 times까스라기 가시랭이 25 X깐보다 깔보다 lsquo어떤 형현이나기회에 대 25

하여 마음 속으로 가늠

을 보다rsquo의 뭇a로는 언

청함

X깔딱 딸쭉 1 딸쭉질하는 소리 25 2 lsquo액체를 조금씩 삼키

표준어 오옴 137

는소리rsquo 또는 lsquo앓은물

체가 뒤집히는 소리rsquo의

뜻으로는 안청함

x깔딱거리다 딸쭉거리다 25 x깔딱깔딱 딸쭉딸푹 25

Z강총하다 times깡충하다 다리가 길다 큰말은 lsquo갱 08 충하다rsquo임

X깡충하다 깡총하다 다리가 킬다 큰말은 lsquo갱 08 충하다rsquo엄

X깨보숭이 깨소금 lsquo들깨의 꽃송이와 창쌀가 25

루를 버무려 기름에 튀긴 lsquo 반찬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X깨보숭아 채고물 25 X깨이다 깨다 1 lsquo(알을) 까다rsquo의 피동 25

2 lsquo(장을) 깨다rsquo의 펴동

의 뭇으로는안정함

X째이다 깨다 lsquo(알융) 까다rsquo 의 사동 25 껴껴푸드덕 times쩍껴푸드득 장끼가 울며 쾌치는 소리 17

X껴껴푸드득 쩍껴푸드덕 장끼가 울며 혜치는 소리 17 갱벅거리다 끔벅거리다 19 26

X꼬끼댁 꼬꼬댁 17 -x 1i창이 꼬챙이 09 포챙이 X 1iL창이 09

X꼬치 고주 17 lsquoX꼬치 고치 17 x꼭두머리 꼭대기 lsquo시간척으로 얼의 가장 처 25

음rsquo의 뭇으로는 언청함

꽁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 꼽추 곱사퉁이 26 꽃자루 꽃꼭지 전문용어로는 lsquo쫓자루rsquo 를 26

안정함

X쫓택 times꽃받기 쫓받침 25 X팩장이 꾀보 2509

138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꾀쟁이 26 09gt

X꾸다 뀌다 1 방귀를 25 2 lsquo빌려 오다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끝전(-錢) 극ζ~~ (고시) x잔전rarr잔돈 26 X낄룩 끼룩 (내다보거나 삼키려 할 14 25gt

때) 목올 킬게 빼어 내미

는모양

나방이 나방 16 X나부라기 나부랭이 (고시) 나부랭이너부렁이 25 난목(-木) 외올베 26 times난봉장이 난봉꾼 09

난용쟁이 09 times날물 썰물 lsquo나가는 물rsquo 의 뭇으로는 25

인정함

times날빛 햇벚 lsquo햇빛을 받아서 나는 온 25-

세상의 빛rsquo의 돗£로는인

정함

남차답다(男了~) 사내답다 26 times내나 일껏 lsquo결국은rsquo 의 뭇으로는 인 25

정함

내숭 times내흉(內ethI) 05 17

내숭스허1 times내흉스헤(內뻐-) (고시) x내흉A렵다rarr내 0517

숭스렵다

냉국(冷-) 찬국 26 너울지다 놀지다 16 26 널판때기 times널판대기 26 17 널판자(-板子) 26

X예 네 (고시) 네예 17 18

X노란묵 노랑욱 치자 물을타서 쓴녹말묵 17 노랑묵 times노란묵 치자 물올타셔 춘녹말묵 17

녹슬다(綠-) times녹쏠다(綠-) 17 X녹쓸다-(綠-) 늑슬다(綠-) 17

표준어 모음 139gt

times누릉지 눌은밥 1 솥바닥에 눌어붙은 눌 25 은밥에 물을부어 긁어

τ효 -3 2 lsquo솥바닥에 눌어붙은 밥rsquo의 돗으로는 안정함

눈꼴시다 눈꼴틀리다 26 눈쌍 눈싸움 눈겨룸 16 times느루 -- lsquo대번에 몰아치지 않고 25 E

길게 늘여서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늦장 늑장 lsquo느직 하게 보러 가는 장rsquo 26 의 뜻으로도 안정함

x-(으)니까니 -(으)니까 25 다각도로(多角度-) 여러모로 26 다릿골독 times대릿골독 09 2s 다슬기 대사리 전문용어로는 lsquo다슬기rsquo를 26

인정함

다홍(-狂) 진흥(륭狂) 26 단결음에(單-) 단숭에(單-) 26 단검에 단결에 26 단연코(斷然-) 단연히(斷然-) 26 답쪽 times담쑥 손으로 탐스럽게 취거나 08

활로 탐L렵 게 안는 모양

times담쑥 당쪽 손으로 탑스럽게 취거나 08 활로 탐스럽게 안는 모양

당달봉사(-奉事) 청맹과니(좁톱-) 26

대강굿(大藍-) 대강놀이(大藍-) 26

대변보다(大便-) 뒤보다 26 lsquo

times대접문(-救) 대접무늬 21 times뱃가지 뱃개비 1 대를 쪼개 잘게 깎은 2s

꽂이

2 lsquo대의 가지rsquo의 뭇으로

는인정함

14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뱃돌(훌-) 성돌 lsquo집채의 낙숫고랑 안쪽에 26 돌려가며 놓은돌rsquo의 풋

으로도 얀정합

x더껑이 더께 1 텀어서 몹시 찌든울 25 건에 앉은때

2 lsquo결쭉한 액체의 거죽 에 엉겨 굳은 꺼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더미씌우다 다미씌우다 (고시) 얀다미씌우다 19 x덧구두 덧신 25 덮개 뚜껑 lsquo이불 처네 등의 총칭rsquo 26

또는 lsquo착한 마음을덮어

서 가리는 탐욕이나 성내

는 마음rsquo의 돗으로도 인

청함

도리갯장부 도리깨채 26 도토리나무 떡갈나무 lsquo도토리 냐우rsquo 는 lsquo상수리 26

나무rsquo의 별칭으로 lsquo떡갈

나무rsquo와 별개엄

돈지캅(-紙面) 지갑(紙便) 16 26 돈표(-票) 환(換) 26 돋보껴안경(-眼鏡) 돋보기 16 26 -돌개바람 구풍(顧風) lsquo회오리 바람rsquo 의 돗으로 26

도 언정항

툴커와 너새 26 rarr돌렴자(-字) 항렬자(行列字) 26 -동강이 동강 16 -동동걸음 표느죠 otilde-거 (i g 26 rarr동자부처(購子 ) 눈부처 26 -동차부처(童子-) 동자보살(童子홈題) 사랍의 두 어깨에 있다는 26

신(神)

-두견새(柱蘭-) 소쩍새 26 두견이(柱騙-) 26

표준어 모음 14D

times두렵단자(-團子) 두럽떡 21 둘러쓰다 뒤집어쓰다 26 둬둬 드헤드레 수봉기(受峰器)를 대고 26

벌비로 몰아넣을 때 벌을

부르는소리

times뒷개 설거지 윷놀이 용어로는 안청함 25 뒷결박(-結續) 뒷짐결박(-結網) 26 프1lsquo1고 E 뒤통수 26 뒷마당 뒤뜰 26 뒷전보다 뒷전놀다 26 듣그렵다 시끄렵다 26

X들망(-網) 후릿그물 21 들쑥날쑥 들쭉날쭉 19 26gt

lsquo 들오리 물오리 lsquo들오리rsquo는 lsquo집오리rsquo에 26 대하여 야생의 오리를

lsquo물오리rsquo는 lsquo청둥오리rsquo를

말함

times들치다 들추다 lsquo물건의 한 쪽 머 리 를 쳐 25 들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하

고 lsquo들치이다rsquo의 준말로

는 인청하지 않음

등헤엄 총장헤엄 26lsquo X딸각발이 딸짝발이 17 땅강아지 times하늘밥도둑 25

X땅꾼 딴꾼 1 포도청에 매이어 포교 2~

의 섬부름으로 도둑잡

는데 거투는사람

2 lsquo뱅을 잡아 파는 사람rsquo 의 뜻으로는인갱하고

lsquo몹시 인색하고 이기척

언 사람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하져 않음-

땅벙어리 땅형이 2amp

142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때까중

X때깨중이

렬기나무

X똑하다

뚱뚱이

탠-

τ최Z

뜨 뜨디

x

-(이)랑

X마련통이

마상

X마술장이(魔術-)

마술쟁이(魔術-)

마짓밥(顧릅-)

x마치

막철다

막걸리다

X만양

말개며

중대가리

중대가리

times좀나무

꼭하다

뚱뚱보

캠질

매련퉁이

마상이

times요술장이(妹術-)

요술챙이(te(術-)

마지(鷹릅)

망치

맞걸다

맞걸리다

늦모내기

마냥

왕개미

25 25 25

정 직 하고 안상(安神)하다 25 26 19

1 더운 날의 모래밭이나 25 온천 또는 뜨거운 물

속에 몽을묻어서 땀을

흘리어 병을 고치는 법

2 lsquo뜸을 뜨는 일rsquo의 뭇

으로는인정함

-하고과와 26 미련퉁이 08 17

16

09 09 26

16 26

lsquo(망치보다 작은 것으로 25 서) 못 박는 연장rsquo의 뭇

으로는인청함

lsquo막걸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26

가진 돈을모두 걸고 단

판하다rsquo 의 뜻으로 lsquo맞결

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돈을

따려고서로돈올결다rsquo의

돗으로 안정함

26 1 만이앙(曉移快) 26

2 (고시 ) x 만양모rarr마 26

냥모

lsquo큰 개미rsquo라는 뭇으로 모 26 두언청함

표준어 모읍 143

전문용어로는 lsquo왕개미rsquo엄

말거미 왕거마 lsquo큰 거미rsquo라는 뭇ξ로 모 26 두안정함

전문용어로는 lsquo왕거미rsquo임

말그L름하다 맑스그레하다 26 x맛대강이 맛 25 망가지다 망그러지다 26

X매커 튀기 lsquo수돼지와 암소 사이에서 25 낳는다는 점 송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매양(每-) 번벤이(養養-) 26 X매풋집(寶酒-) 솔집 21 매해(每-) 매년(每年) 26

x볍옐 맹쌀 lsquo젠 메밀을 약간 말려 쩡 17 어 껍질올 벗긴 쌀rsquo의 돗

으로는 인정함

X야련 매련 17 _X야욕하다 매욱하다 어리석고 둠하다 17 X머드레콩 그루콩 1 그루갈이로 심은 콩lsquo 25

2 lsquo밭가로둘러 성은콩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함

X명구력 구럭 1 새끼로눈올투물게 떠 14 25 서 그물같이 만든물건

2 lsquo썩 성기게 떠서 만든

구럭rsquo의 뭇으로는 인정

벚다 엄추다 26 x베토끼 산토꺼(山-) 22

멧돼지 산돼지(山-) 26 멸구 며루 lsquo멸구rsquo는 멸구과에 속하 26

는 곤충의 얼종이고 lsquo며

루rsquo는 모기의 유충임

x명 목화(木花) lsquo우명 rsquo 의 돗으로는 언갱 함 25

144 국어생 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명자나무(훌體-) 모과나무 lsquo모과나무rsquo 는 명 자나무의 26 별칭임

모군꾼(幕軍-) 모군(幕軍) 16 26gt

모래사장(-沙場) 모래룹 26 X모어려수에 무에리수에 거리로 다니며 첨을 치라 17

고 외치는 소리

times모지다 모질다 lsquo성질 일 물건이나 모 25 양이 모가 난데가있다rsquo

의 돗으로는인정함

X목실(木-) 무명실 25 몰매 뭇매 26 옴서리나다 몸서리치다 26

X몽깃돌 낚섯봉 lsquo밀물과 썰물에 뱃머리를 25 곧게 하기 위하여 고물에

다는 돌rsquo의 뭇으로는 언

정함

무겁한량 times무겁활량 05 17 X우겁활량 우겁한량 051T 우식꾼(無講-) times무식장이(無識-) 26 OP

무식쟁이(無훌훌-) 26 0동 X물앵도(-樓挑) 물앵두 05 물앵두 times물앵도(-樓挑) 05 웅그대다 뭉개다 1 일을 어떻게 할 줄 모 26

르고 짓이기다

2 lsquo제자리에서 폼을 그 냥 비비다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X뭘하다 윗하다 거북하다 난처하다 17 미친놈 미치팡이 26 밀뼈세장 times멀삐죄장 지게의 윗세장 아래에 가 17

로박은나무

X밀뼈쇠창 멀뻐세장 지게의윗세장 아래에 가 1T

로박은나무

표준어L 모융- 145

X법둥스렵다 법살스렵다 Tl 바깥양반(-兩班) 사랑양반(舍願兩班) lsquo -26

바늘뱅셔(rarr方席〉 ldquo 바늘겨레 26 X바랍꾼 lsquo r _바람둥이 25 바심 rsquo 타작(打作) 26

박새 lsquo X깨싸 25 박첨지놀음(朴했知-)x꼭둑각시놀음 (고시) x꼭둑각시rarr꼭두 26

X반대기

X반대기

times반미콩(飯米-)

times발구

발뒤꾸머리

발새

발짓

배뱃니

X배햇쾌기

백곰(白-)

X백하첫(白嚴-)

꼭두각시놀음

소래기

밥밑콩

걸채 -

발뒤꿈치

발살

발질

찾니

배추속대

흰곰

새우첫

각시 rsquo 26

1 앓게 펴 서 다듬어 만 14 25 든조각

2 lsquo무슨 가루률 반죽한

것이나 삶은 푸성귀를

현연하고둥글넓척하게

만든조각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굽 없는 갱시와 같은 넓 25 윤질그릇

21 1 소의 길마 위 에 덧 얹 25 고곡식 단올싣는제구

2 lsquo산에서 쓰는 캘매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합

26

26

lsquo발짓은 lsquo발융 웅칙이는 26

짓rsquo의 돗으로 lsquo발질rsquo응

lsquo발걸질rsquo의 뭇으로 인정

26

25 전문용어로는 lsquo흰곰rsquo만 26

인청함

25

14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밴덕 얀덕 19rsquo

번연히 번히 16

벌5 허튼모 lsquo오판 구역 밖에 볍써가 2amp 떨어져 자라난 모rsquo냐 lsquo일

을 말막음ξ로 했을 째

쓰는 말rsquo의 돗A로도 인

정함

X벙태기 벙테커 17

병태기 times벙태기 17

별간장(別-홉) 손님장(-짧) 작은 그릇에 따로 담그는 26 간장

별맛(別-) 별미(別味) 26

X별미적다(別味-) 별미쩍다(別味-) 17

별마쩍다(別味lsquo) times별미적다(別味-) 17

X보리풀꺾다 보리풀하다 보리 갈 땅에 거름하기 위 25 하여 풀이나 나뭇잎을 베

어 오다

times보사리감투 보살감투(홈塵-) 17

X보챙기 겨리 lsquo보슐을 낀 챙기rsquo의 뭇~ 25 로는 안청함

복부르다(復-) 초혼하다(招塊-) 26

x복생션(-生蘇) 복 14

복어(-魚) - 16 26

X부레끊다 부레끓다 25

부헤꿇다 times부헤끊다 25

X부시다 부수다 lsquo그릇 같은 것을 께꿋이 25 씻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X부얼부얼 북슬북슬 1 짐승이 살이 찌고 탤 25 이 탕스렵게 많이 난

모양

2 lsquo잘찌고 탑스렵게 생 긴모양rsquo의뜻으로는인

정함

표준어 모옴 147

부엌칼 식칼(食-) 26 X부철다말 부철따말 17 부철따말 times부철다말 17

X북두 부뚜 1 타작마당에서 쓰는 돗 25 자리

2 lsquo마소에 짐융 싣고 그 정파 배률 얼러서 매는

줄rsquo의 뭇으로는 인갱함

분결(慣-) 분검(念 慣-) 26 분지르다 부러뜨리다 26 불공드리다(佛供-) 풍양드리다(供養-) 26 불풍밥(佛供-) 퇴식밥(退食-) 26 불룩이 times불룩히 17 불친소 악대소 26 불호령(-號令) 볼호령(-號令) 26

X붙여장다 붙잡다 14 25 비단개구리(排繼-) 무당개구리 전문용어로는lsquo우당개구 26

리rsquo를 안청함

X비사차기 비사치기 25

비사치기 times비사차기 25 X빚거간(-居間) 빚지시 1lsquo 벚올 주고 쓰는 데 에 25

중간에서 소개하는 일

2 lsquo벚올 내고 주는 데에 중간에서 강H하는 것

을 업으로 장는일rsquo의

뭇으로는인청함

빨갱이 times빨강l 1 공산주의자 09 17 2 lsquo빨간빛의 물건rsquo의 뭇 으로는 lsquo빨강이rsquo를 얀

정함

X빼주 배갈 25

X사갓집(훌家-) 사돈집(흉賴-) 25

사거리(四-) 네거리 26

148 국어 생활- rsquo 90 가올 (제 22호)

사마귀 버마재벼 전문용어로는 lsquo사마귀rsquo를 2β

인청함

사향노루(훌香-) 궁노루 26

값전(-鍵) 돈 (고시 ) x 잔정-gt잔돈 26 산울렴(山-) 헤아리 26

X산코골다 헛3i골다 25 살긋하다 썰긋하다 바르게 된 물건이 한쪽2 19

로 일그러지다

X상량대(上陳-) 마룻대 21 25 times상량도리(上標-) 마뭇대 21 25 times상재(上-) 상좌(上뾰) 05 X상청(上-) 상창(上唱) 뛰어난 창(唱) 05 샅바채우다 샅바지르다 26

X새소리 놀소리 25 X새치롬하다 새치름하다 시치미를 떼고 태연하거 17

나 양천한 기색을 꾸며 다-새치름하다 times새치롬하다 시치미를 혜고 태연하거 17

나 양전한 기색을 꾸미다

색깔(色-) 빛깔 26

times셋까닿다 새까땅다 17 X셋빨창다 새빨창다 17 X셋파량다 새파량다 17 times생갈이(生-) 애벌갈아 1 논이나 밭을 첫 번 가 21

는일

2 lsquo홍두깨 깔이 rsquo 의 준말로 는 lsquo생갈이rsquo를 언정함

X생급L렵4 새삼스렵다 lsquo하는 것이나 말이 캅작 2~

스렵고 돗밖이 다rsquo AElig는

lsquo끄챔어내는 말이 엉뚱하

고 터무니없다rsquo의 뭇으로

는 언청함

생김치(生-) 날검치 ~6

쟁옥(-木〕 당목(康木) 2amp

150 국어생활 90 가올〔제 22호)

X솔갱이 솔개 (고시 )~x소리개rarr솔개 2S

times쇠꼬창01 죄꼬쟁이 09

쇠꼬챙이 times죄꼬창이 09-

X쇠버즘 쇠버짐 17 쇠버짐 times쇠버즘 17

쇠족(-足) 쇠다리 26 쇠죽솥 쇠죽가마 26

times수무(手-) 수모(手母) 신부(新橋)의 보초안 OS

times수이 쉬이 20-

X수이보다 쉬이보다 20 times수이여커다 쉬이여기다 20 rsquo

X숭이 송이 08 시골말 사투리 26

times시초잡다(始初-) 시착하다〔始作-) 25--

신바랍 어껏바량 2amp 신첩살렴(新援-) 신접살이(新援-) 2amp 신챈나무 신대 2amp

설로(實-) 참으로 2G

섬보(心-) 마음보 26 섬술퉁이(心術-) X섬술통이(心術-) 08 심섬파척(-破寂) 섬섬풀이 2amp

times성갱싱갱하다 싱둥생둥하다 lsquo방이 서늘하고 차다rsquo의 2S

뜻으로는 인청함

X성퉁생둥하다 성갱생갱하다 lsquo기운이 줄어질 만한 일 2S

을 겪은뒤에도본래의 기

운이 있다rsquo의 뜻으로는 언

청함

싸느황다 X싸느렇다 17

X싸느렇다 싸느량다 17

X싸려운 사렵문 lsquo싹리로 만든 문rsquo의 뭇으 25

로는 인청함

쌀긋하다 생긋하다 19rsquo

쌍망이 times짱맹이 09

표준어 모음 151

X썽맹이 쌍망이 09-

쌍소리 장소리 19

쌍섬지셔다 쌍심지나마 26

쌍심지오르다 26

X써내다 켜내다 lsquo글씨롤 써셔 내놓다rsquo의 ~s

뭇으로는 언청함

X써다 켜다 lsquo조숫풀이 출거 나 펀 물 25 이 새어셔 줄다rsquo의 룻으

로는 안청함

X썩정이 삭청1 1 산 나우에 붙은 채 말 25 라죽윤나뭇가지

2 lsquo썩은 물건rsquo의 돗A로 는인청함

썰다 써리다 1 논밭융 고르게 하다 16 2 middot물건율 로막토막 통 캉치다rsquo의 뭇으로도 안

갱함

쓰레장판 쓰헤받기 유치 캉환요로 만든 쓰레 26 받기

씨돼치 종톤(種際) 26

아래얄 X아랫알 수판의 가릅대 아래의 알 17

아랫녘 앞대 1 어떤 치방에서 그 남 26 쪽의 지방을일컴는말

2 lsquo전라도 경장도흘 일 걷는 말rsquo로도 안갱함

X아랫동강이 종아리 25

times아랫알 아래알 수판의 카름대 아래의 알 17

아랫중방(-中林) 하인방(下引林) 26

아련하다 오련하다 19

X아웃 가웃 lsquo말아웃rsquo은 언청함 17 2()

아유 아이고 19

아지직 오지칙 19 아치작 19

1 한그릇에 두가지 이

상의 음식을 어울리게

당다

~ lsquo홈칙 따위률 식지 않

게 불에 놓거냐 따뭇한 lsquo - ~ 바헤lsquo묻어 두다rsquo 또는- lsquo e

lsquo샤랑올 안동하여 보내

다j의- 돗으로는 인정하

고 lsquo암구다rsquo (교미를 붙

이다)의 뭇으로는 인청

하지 않음

lsquo ~6 gt 26 lsquo

lsquo 26

- - - - 스 25rsquo

19 -26

09

lsquo26

25

국약2생 활「rsquo 90 가을(제 22호)

안개 u] 가랑비

얀갱 안채 안쪽외영 채

주인집(主A-)

안혜 바로전해 쌓즘삼C삼rsquo ~ ~ I rsquo lsquo 얄픔좀쏟 (rsquo 간

X 알박이 ν lsquo f알뼈71 알 밴 생션 얄펠대71 ~ J f -lsquo~T단〈rsquo觸蛋 chitan)

X 알심 -Z ) t ilsquo끼(고앵이( 1 초목의 줄기 가운데의 lsquo gt τ 연한 심

f lsquo - J lsquo 2[ lsquo판폰한 동정섬rsquo 또는

lsquo속에 있는힘rsquo의 뭇a lsquo -lsquo - Ilsquo middot 안 로는 인정함

알약(-藥) J μ환약f갯L藥)

양딴해도1 lsquo rsquo ~ t ~ - τ 아운리쾌도

앙구다 r rsquo l lsquo t ( lsquof쩔lsquo플이다

J rsquo z bull lsquo ι rsquo rsquo

ω Mω Mω

J52lsquo

~r

-rsquo

lsquo rdquo

ldquo

두별갈이

앞뜰

아기

애타다

아비

lsquo lsquo

26

26

09

26

09

1 놀라거나반가올때 내 26

는소리

2 lsquo예rsquo(존대할자리에 대

rdquo lsquo

rsquo

bull lsquo

앞뒤갈이 앞lsquo바당

X애기

애끓다

lsquo애비

F

26 09 26 09 26 26 26-

21

26 (고시) x찍rarr쪽 26 1 마음이 너그렵고 정질 26 lsquo

l 부드렵다

2lt lsquo얼굴의 각 구맹새가

ι-넬젝널찍하다rsquo의 뜻우-낀-rsquo-로도 언갱함

한 살청도차이 나서 동

감이나 다름없음

1 여러 사랍이 밑천올 어

울러서 하는장사 2 어려장수의 영업 rsquo 위 -

뭇으로는언청함

153 lsquo표훈어 lsquo 오옴

답하거나재쳐 묻는말)

의 뭇으로는 인정하지

않음

lsquo오밤중rsquo도 안정함

lsquo - lsquo- rsquo lsquo

times야말장이 1

야발쟁이

한밤중(-中) 약물터(藥-)

분칭(分햄)

양지머리뼈

lsquo 이모작(그毛作)

양현짝(兩便-)

서글서글하다

middot야발단지

rsquo

bull

녁 ι니

1r

t

ι水

」骨

7

便

- -

蘭藥

爛浦lsquoh浦합i

yF

터 νF 빼 루 £1 맏

이 i

바n

--lsquo저ι

골ι 그lsquo

펀 그τ π -lsquolsquo j

lsquo

야 야T1

약1

양lsquo

양 어「lsquo

x

26

25

懶1ι

갑 rsquolsquolsquo

1j렁shy

영-

J샤L C

ldquo

그rdquoRlsquo-lsquo

짧 ι

쐐υ

껴기

lsquo리

x

r 4

--μ

t i

x 어버리j좋다 -

어스러기

x어스러기 lsquo 어스럭송아지

어융 어이구 어환둥퉁 어허둥둥

어〈홉1 - 이 ldquo lsquo 범 ~ lsquo X언냐 어린아아

얼간1 -기ldquo - 얼간망풍l

X얼러망~땅~l - 니 ldquo 을러방망억

얼룩말 얼럭말

22 25

대담하다(大觸-)

ι lsquo lsquo lsquo bull ~ rsquo

25

19 lsquo

19 lsquo

26

25

26 17

26

옷 따위의 솔이 어스러진

큰송아지

표준어 모옴 155-

X옴살 엄살 lsquo한몽같이 친밀한터rsquo의 뭇 17 A로는인정함

옴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gt

왕매미 말매미 lsquo큰 매미rsquo의 뜻으로모두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말매

미rsquo엄

왕벌 호박멸 lsquo큰 벌rsquo 의 뭇으로 lsquo왕별 말 26 말벌 벌rsquo 모두 언청 함 전운용어 26

로는 lsquo호박별rsquo엄

왕새우 대하(大醒) 전문용어로는 lsquo대하rsquo를 인 26

청함

왕파리 쉬파리 lsquo큰파리rsquo의 뭇으로 모두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쉬파

리rsquo를 언정함

왜난목 내공목(內供木) 옷의 안강으로 쓰는 풍질이 26 낮tr -n「며

왜먹(훌-) (채래의 6 모형에 대해) 네 25-lsquo

모난먹

times외발제기 외알채기 1 굽 하나를 질질 끌어서 17rsquo

다디어 걷는 걸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소

2 lsquo한 발만가지고차는제

기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외상관혜(-冠禮) 외자한례(-冠禮〕 2amp X외통목 외킬목 lsquo장기 둘 때에 외통장군이 25-

되는 킬목rsquo의 뭇으로는 인

청함

X왼 온 lsquo왼쪽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1( 요뒤 요의(覆衣) 26 용슷바람 회오리바랍 26

times우그령흑박 우그령쪽박 17 X우물우둘 우틀우플 1 춤거나무서워서 폼을떠 08

τ~ YOJ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2: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rdquo ldquo

표준어 모음 129

일 러 두 기

1 이 lsquo표준어 모음rsquo은 lsquo새한글사전rsquo (한글학회 간행 19651986년)과 lsquo국

어대사전rsquo(민중서립 간행 1982년)에서 표제어로 제시한 단어가 일치되rsquo

지 않는 고유어와 사전에서 그 고유어에 관련 지어 놓은 단어를 심의한

컬과이다 따라서 관련 단어에는 한자어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 신조

어 전문용어 맞춤법이 문제되는 말은 두 사전에서 상충되더라도 심의

되지 않았A나 일상적으로 널리 쓰이는 동식물 용어는 심의하였다 한

자어와 고유어가 컬합된 말(lsquo-하다rsquo와 결합원 말은 제외함)이냐 한자어1

의 변한말은 포함되었으나 한자어와 고유어가 컬합된 말이라도 한자어rsquo

의 발음이 문제되는 경우에는 이 lsquo표준어 모음rsquo에 포함되지 않았다

2 lsquo표준어 모음rsquo의 표준어에 대한 심의 키준은 원척척으로 lsquo표준어 규

갱 rsquo (문교부 고시 체 88-2호)에 따랐다

3 lsquo표준어 모음rsquo은 심의 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1) 어휘 션택

(2) 발음 1) 장단

2) 경음(현의상 lsquo L rsquo 첨가와 관련되는 단어도 포함하였음)

4 lsquo어휘 선택rsquo 부분에서는 lsquo표제어rsquo란 lsquo관련 단어rsquo란 lsquo비고rsquo란 lsquo관렌

규정rsquo란을 lsquo발음rsquo(장단 경음) 부분에서는 lsquo표제어rsquo란 lsquo버고rsquo란의 형

식에 따라 제시하고 표제어는 lsquo한글 맞춤법rsquo(운교부 고시 제 88-1호)왜

한글 자모의 순서에 따라 배열하였다 각 난(爛)의 성격은 다음파 같다r

(1) 어휘 선택

1)_ 표제어 두 사전에서 상충되는 단어 즉 두 사전에서 셔로 다른 행

13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태를 표준어로 인정한 단어나 한 사전에서는 표준어로 안청하고 다른

한 사전에서는 비표준어로 처리한 [단어들이다 심의 결과 비표준어

로 안정된 단어는 그 앞에 times표를 하였다

표제어 관련 단어 비 고 관련규정

발짓 발질 lsquo발짓rsquo은 lsquo발올 움직이는 26 짓rsquo의lsquo뭇으로 lsquo발질rsquo은 lsquo발

길질rsquo의 돗A로 언정함

소낙비 소나기 26 X O 시대다 으L대다 으쭉거리며 뽕내다 17 11

2) 관련 단어 -) 두 사전에서 서로 다른 형태를 표준어로 안정한 경

우에 표제어에 한 형태를 제시하고 다른 한 형태롤 관련 단어에 싣

되 표제어와 관련 단어를 바꾸어서도 실었다 그리고 심의 결과 사전

상의 두 형태가 모두 비표준어로 처리되고 새로운 형태가 표준어로

인갱된 경우에는 바로 아래 칸의 lsquo관련 단어rsquo란에 표준어로 안청된

형태를 싶었다

표제어 관련 단어 비 고 관련규정

X곁껍더기 결껍데기 09

겉껍데기 times걷껍더기 09 X가리마꼬창이 times가리마꼬챙이 09

가르마꼬챙이 09

X가리마꼬챙이 times가리마꼬창이 09

가르마꼬챙이 09

1-) 비표준어로 처리된 표제어의 경우에는 그 단어의 표준어의 형태

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여기에는 한자어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

표제어

X맛대캉이

times배햇패기

X잎전

관련 단어

배추속대

염천(葉錢)

비 고 관련규정

25 25 22 25

~) 표제어와 같은 단어로서 이번 섬의에서 비표준어로 처려펀 단애

표준어 요음 131

를 질었다 이 경우에도 비표준어로 처리된 단어 앞에 times표를 하였

표제어 관련 단어 비 고 관련규정

빨갱이 times빨강이 1 공산주의자 09 17

2 lsquo빨간 빛의 물건rsquo의 뭇으

로는 lsquo빨강이rsquo를 안정함

턱받이 times턱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깊

3) 비고 표제어의 의미 관련 단어와의 관계 예문 고시된 표준어 동

표제어에 관계되는 정보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lsquo비고rsquo란에 제시하는

정보가 표제어에 대한 것인지 관련 단어에 대한 것인지를 언급하지

않은 경우에는 표제어에 대한 것이다

-4) 관련 규정 심의 과정에서 척용한 lsquo표준어 규정 제 1 부 표준어 사정

원칙rsquo의 항을 제시하였다

(2) 발 음

J) 표제어 -) 창단 두 사전에서 창단음 여부가 엇갈리는 단어를 제

시하되 심의 결과를 그대로 표제어에 반영하였다 즉 제 1 음젤에서

장음으로 실현되는 것으로 심의펀 단어는 제 1 음철과 제 2 음철 사

이에 장옴부 lsquo rsquo표를 하였으며 단음으로 실현되는것으로심의된 단

어는창음부 lsquorsquo표를하지 않았다 따라서 장음부 lsquorsquo표가있는단

어의 단음형윤 버표준발음으로 처리된 것이며 단읍으로 실현되는 것

-으로 제시된 단어의 장음형도 비표준 발음으로 처리된 것이다

표제어

건넷방

옐나무

지난날

비 고

내 ~ 뉘 ~

-) 경옴 경음(lsquoLrsquo 첨가 포함)~로의 질현 여부가 엇갈리는 단어

13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를 제시하되 심의 컬과를 그대로 표제어에 반영하였다 즉 경음

으로 실현되는 것£로 심의된 단어는 표체어의 해당 위치에 lsquo사이

시옷rsquo을 쓰거나 표제어 뒤에 그 음성형을 제시하였A며 명음으로

실현되는 것으로 심의된 단어는 그 음성형올 별도로 제시하지 않

었다 따라서 표제어에 lsquo사이시옷rsquo으로 표기되었거나 표제어 뒤

의 [ ] 안에 제시된 정음으로 실현되는단어의 평음형은 비표준말

음으로 처리된 것이고 표제어에 lsquo사이시옷rsquo이 표기되지 않았거나

표제어 뒤에 그 정음형이 제시되지 않은 단어의 경읍형은 비표준 발

음으로 처리된 것이다

lsquo」rsquo 첨가가 문제되는 단어는 lsquo경음rsquo 부분에 준하였으나1 lsquoLrsquo아

첨가된 발음과 첨가되지 않은 말음이 모두표준발음£로 안정된 경

우에는 그 발음형 모두를 [ ] 안에 제시하였다

표제어

겨울장[-짱J

등정 [-쩡]

몸길이

폼서리

얄긋얄긋[얄근날금얄그얄곧]

비 고

체장(體長)

큰일 다루는 데 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일

큰일[-닐]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2) 비고 표제어에 관계되는 청보를 제시하였다

5 위에서 언곱하지 않은 사항은 lsquo표준어 규정rsquo에Z따랐다

표준어 모옴 133

1 어휘 선택

표제어 관련 단어 비 고 관규정련 X가귀뜨기 가귀대기 열다섯 끗 뽑기로 내기하 17 25

는투전노름

가동질 가통거리는 짓 08 가래질꾼 가래꾼 16 가려잡다 골라잡다 26 가력되다 개력하다 26

X가리마꼬창이 times가리마꼬챙이 09 가르마꼬챙이 09

X가리마꼬챙이 times가리마꼬창이 09 가르마꼬챙이 09

X가리워지다 가리어지다 25 X가스라기 가시랭이 25 X가A랑이 가시랭이 25 가시줄 가시철사(-鐵絲) 26 각시 새색시 lsquo작게 만든 여자 인형rsquo의 26

뭇으로도언청함

간단없다(間斷-) 끊임없다 26 간단없이(間斷-) 끊임없이 26 간밤 지난밤 26

X 간장족박(-醫-) 간장쪽박(-醫-) lsquo 17 간장쪽박(-體-) times간장족박(-醫-) 17

X간해 지난해 25 X갈비 솔가리 불쏘시개로쓰는솔잎 25 갈잎나무 떡갈나무 lsquo떡갈나무rsquo 는 갇잎나무의 26

일종엄

134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times강화(-火) 도깨버불 21

값나다 금나다 1 물건 값이 정해져서 왈 26 고사고할수있게 되

2 lsquo값나가다rsquo 의 준말로

는 인갱하지 않읍

X값높다 값비싸다 lsquo값비싸다rsquo 의 뭇으로 lsquo금 25 높다rsquo도언청함

times강밥 눌은밥 lsquo강다짐으로 먹는 밥rsquo의 25 뭇 o 로는 안정함

개소리괴소리 times개소리괴소문 17

times개소리괴소문 개소리괴소리 17

times개지 강아지 lsquo버 틀치 rsquo (물고기 이 름)로 25-

도 인청하지 않음

갯버들 땅버들 전문용어로는 lsquo갯버들rsquo을 2amp 안정합

X갱조개 가막조개 채첩 25-

갱충맞다 갱충쩍다 26-

거령맞다 거령 ζ렵다 2amp 거륨발 거릅커(-氣) 2amp

X거상 큰톱 25 거푼거푼 놓암 물체의 한부분이 바 25-

람에 불리어 떠들리었다가

가라앉았다가하는모양

times거풀 꺼풀 17

건건이 반찬(飯戰) 2amp 걷어쥐다 걷어잡다 26lsquo

times검은깨 주근깨 lsquo빛깔이 검은 참깨rsquo의 돗 25 으로는 인청함

검청홍 검은콩 26 X걷껑더기 걷껍데기 09 걷껍테 7l times곁껑더기 O~

걷장 수잠 2amp

표준어 모음 135

X게걸스렵다 게검스렵다 1 욕심껏 마구 먹어 대 25 는태도가있다

2 lsquo게걸들린 태도가 있 다rsquo의 돗으로는 인정함

times게꼬리 게꽁지 지식이나 재주 퉁이 극히 25 적거나 짧음

게꽁지 times게꼬리 지식이나 재주 둥이 극히 25 적거나 짧음

X계오다 지다 옷이기다 20 25 times고두밥 지에밥 1 참쌀 혹은 맹 쌀을 시 25

루에 쩌서 만든 밥

2 lsquo되게 지은 밥rsquo의 뭇

A로는 인정함

고로(故-) 그러므로 2amp X고물 고미 1 반자의 한 종류 25

2 lsquo우플마루를 놓는 데 귀틀 두개 사이의 구

역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times고부탕이 고비 1 중요한 기회 25 2 lsquo피륙을 필올 지을 때 꺾여 겹쳐 념어간곳rsquo의

뜻으로는안정함

고운대 곤대 토란출거리 16 골찍 골짜기 16 times곰살곱다 곰살강다 17 X곰탕 곰팡이 25

times곱수머리 곱슬머리 25 풍히(共-) 모두 26 과경에(過煩-) 아까 26 과목밭(果木-) 과수원(果樹園) 26 패팡스렵다 망령스렵다(훌靈-) 26

times괴엄 굉 (고시) 괴다고이다 18 고임 18

13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괴엄새 굉새 1 꾀어 놓은모양 18 고임새 2 (고시) 괴다고이다 18

X펀돌 고언돌 17 구기자나무〈抱紀子-) x괴 쫓나무 22 25

X구럭 망태기 lsquo새꺼로 그물 뜨듯 눈올 25 드물게 떠셔 만든 물건rsquo

의 돗£로는 인정함

구역나다(騙遊-) 욕지기나다 26 군기칩 헛키침 26 굿복(-服) 굿옷 26 렷속말 귀옛말 26 그물눈 그물코 26

X근두박질 곤두박질 05 글동무 글통접(-同接) 26 글동첩(-同接) 글통무 26 금몽(옳) 금씩신(金色身) 26 금출(禁-) 언줄(λ-) 26 기겁하다 times기급하다(氣急-) 05 17 기꼭지(雄-) times기대강이(雄-) 25 커미채다(幾微- 機微-) 낌새채다 26 기수채다(幾數-) 26 기어코(期於-) 기어이(期於-) 26 기장 걸이 lsquo옷 따위의 긴 정도rsquo의 뭇 26

으로 안정함

X기치량물 지지랑물 17 까까중 25 times까스라기 가시랭이 25 X깐보다 깔보다 lsquo어떤 형현이나기회에 대 25

하여 마음 속으로 가늠

을 보다rsquo의 뭇a로는 언

청함

X깔딱 딸쭉 1 딸쭉질하는 소리 25 2 lsquo액체를 조금씩 삼키

표준어 오옴 137

는소리rsquo 또는 lsquo앓은물

체가 뒤집히는 소리rsquo의

뜻으로는 안청함

x깔딱거리다 딸쭉거리다 25 x깔딱깔딱 딸쭉딸푹 25

Z강총하다 times깡충하다 다리가 길다 큰말은 lsquo갱 08 충하다rsquo임

X깡충하다 깡총하다 다리가 킬다 큰말은 lsquo갱 08 충하다rsquo엄

X깨보숭이 깨소금 lsquo들깨의 꽃송이와 창쌀가 25

루를 버무려 기름에 튀긴 lsquo 반찬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X깨보숭아 채고물 25 X깨이다 깨다 1 lsquo(알을) 까다rsquo의 피동 25

2 lsquo(장을) 깨다rsquo의 펴동

의 뭇으로는안정함

X째이다 깨다 lsquo(알융) 까다rsquo 의 사동 25 껴껴푸드덕 times쩍껴푸드득 장끼가 울며 쾌치는 소리 17

X껴껴푸드득 쩍껴푸드덕 장끼가 울며 혜치는 소리 17 갱벅거리다 끔벅거리다 19 26

X꼬끼댁 꼬꼬댁 17 -x 1i창이 꼬챙이 09 포챙이 X 1iL창이 09

X꼬치 고주 17 lsquoX꼬치 고치 17 x꼭두머리 꼭대기 lsquo시간척으로 얼의 가장 처 25

음rsquo의 뭇으로는 언청함

꽁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 꼽추 곱사퉁이 26 꽃자루 꽃꼭지 전문용어로는 lsquo쫓자루rsquo 를 26

안정함

X쫓택 times꽃받기 쫓받침 25 X팩장이 꾀보 2509

138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꾀쟁이 26 09gt

X꾸다 뀌다 1 방귀를 25 2 lsquo빌려 오다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끝전(-錢) 극ζ~~ (고시) x잔전rarr잔돈 26 X낄룩 끼룩 (내다보거나 삼키려 할 14 25gt

때) 목올 킬게 빼어 내미

는모양

나방이 나방 16 X나부라기 나부랭이 (고시) 나부랭이너부렁이 25 난목(-木) 외올베 26 times난봉장이 난봉꾼 09

난용쟁이 09 times날물 썰물 lsquo나가는 물rsquo 의 뭇으로는 25

인정함

times날빛 햇벚 lsquo햇빛을 받아서 나는 온 25-

세상의 빛rsquo의 돗£로는인

정함

남차답다(男了~) 사내답다 26 times내나 일껏 lsquo결국은rsquo 의 뭇으로는 인 25

정함

내숭 times내흉(內ethI) 05 17

내숭스허1 times내흉스헤(內뻐-) (고시) x내흉A렵다rarr내 0517

숭스렵다

냉국(冷-) 찬국 26 너울지다 놀지다 16 26 널판때기 times널판대기 26 17 널판자(-板子) 26

X예 네 (고시) 네예 17 18

X노란묵 노랑욱 치자 물을타서 쓴녹말묵 17 노랑묵 times노란묵 치자 물올타셔 춘녹말묵 17

녹슬다(綠-) times녹쏠다(綠-) 17 X녹쓸다-(綠-) 늑슬다(綠-) 17

표준어 모음 139gt

times누릉지 눌은밥 1 솥바닥에 눌어붙은 눌 25 은밥에 물을부어 긁어

τ효 -3 2 lsquo솥바닥에 눌어붙은 밥rsquo의 돗으로는 안정함

눈꼴시다 눈꼴틀리다 26 눈쌍 눈싸움 눈겨룸 16 times느루 -- lsquo대번에 몰아치지 않고 25 E

길게 늘여서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늦장 늑장 lsquo느직 하게 보러 가는 장rsquo 26 의 뜻으로도 안정함

x-(으)니까니 -(으)니까 25 다각도로(多角度-) 여러모로 26 다릿골독 times대릿골독 09 2s 다슬기 대사리 전문용어로는 lsquo다슬기rsquo를 26

인정함

다홍(-狂) 진흥(륭狂) 26 단결음에(單-) 단숭에(單-) 26 단검에 단결에 26 단연코(斷然-) 단연히(斷然-) 26 답쪽 times담쑥 손으로 탐스럽게 취거나 08

활로 탐L렵 게 안는 모양

times담쑥 당쪽 손으로 탑스럽게 취거나 08 활로 탐스럽게 안는 모양

당달봉사(-奉事) 청맹과니(좁톱-) 26

대강굿(大藍-) 대강놀이(大藍-) 26

대변보다(大便-) 뒤보다 26 lsquo

times대접문(-救) 대접무늬 21 times뱃가지 뱃개비 1 대를 쪼개 잘게 깎은 2s

꽂이

2 lsquo대의 가지rsquo의 뭇으로

는인정함

14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뱃돌(훌-) 성돌 lsquo집채의 낙숫고랑 안쪽에 26 돌려가며 놓은돌rsquo의 풋

으로도 얀정합

x더껑이 더께 1 텀어서 몹시 찌든울 25 건에 앉은때

2 lsquo결쭉한 액체의 거죽 에 엉겨 굳은 꺼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더미씌우다 다미씌우다 (고시) 얀다미씌우다 19 x덧구두 덧신 25 덮개 뚜껑 lsquo이불 처네 등의 총칭rsquo 26

또는 lsquo착한 마음을덮어

서 가리는 탐욕이나 성내

는 마음rsquo의 돗으로도 인

청함

도리갯장부 도리깨채 26 도토리나무 떡갈나무 lsquo도토리 냐우rsquo 는 lsquo상수리 26

나무rsquo의 별칭으로 lsquo떡갈

나무rsquo와 별개엄

돈지캅(-紙面) 지갑(紙便) 16 26 돈표(-票) 환(換) 26 돋보껴안경(-眼鏡) 돋보기 16 26 -돌개바람 구풍(顧風) lsquo회오리 바람rsquo 의 돗으로 26

도 언정항

툴커와 너새 26 rarr돌렴자(-字) 항렬자(行列字) 26 -동강이 동강 16 -동동걸음 표느죠 otilde-거 (i g 26 rarr동자부처(購子 ) 눈부처 26 -동차부처(童子-) 동자보살(童子홈題) 사랍의 두 어깨에 있다는 26

신(神)

-두견새(柱蘭-) 소쩍새 26 두견이(柱騙-) 26

표준어 모음 14D

times두렵단자(-團子) 두럽떡 21 둘러쓰다 뒤집어쓰다 26 둬둬 드헤드레 수봉기(受峰器)를 대고 26

벌비로 몰아넣을 때 벌을

부르는소리

times뒷개 설거지 윷놀이 용어로는 안청함 25 뒷결박(-結續) 뒷짐결박(-結網) 26 프1lsquo1고 E 뒤통수 26 뒷마당 뒤뜰 26 뒷전보다 뒷전놀다 26 듣그렵다 시끄렵다 26

X들망(-網) 후릿그물 21 들쑥날쑥 들쭉날쭉 19 26gt

lsquo 들오리 물오리 lsquo들오리rsquo는 lsquo집오리rsquo에 26 대하여 야생의 오리를

lsquo물오리rsquo는 lsquo청둥오리rsquo를

말함

times들치다 들추다 lsquo물건의 한 쪽 머 리 를 쳐 25 들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하

고 lsquo들치이다rsquo의 준말로

는 인청하지 않음

등헤엄 총장헤엄 26lsquo X딸각발이 딸짝발이 17 땅강아지 times하늘밥도둑 25

X땅꾼 딴꾼 1 포도청에 매이어 포교 2~

의 섬부름으로 도둑잡

는데 거투는사람

2 lsquo뱅을 잡아 파는 사람rsquo 의 뜻으로는인갱하고

lsquo몹시 인색하고 이기척

언 사람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하져 않음-

땅벙어리 땅형이 2amp

142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때까중

X때깨중이

렬기나무

X똑하다

뚱뚱이

탠-

τ최Z

뜨 뜨디

x

-(이)랑

X마련통이

마상

X마술장이(魔術-)

마술쟁이(魔術-)

마짓밥(顧릅-)

x마치

막철다

막걸리다

X만양

말개며

중대가리

중대가리

times좀나무

꼭하다

뚱뚱보

캠질

매련퉁이

마상이

times요술장이(妹術-)

요술챙이(te(術-)

마지(鷹릅)

망치

맞걸다

맞걸리다

늦모내기

마냥

왕개미

25 25 25

정 직 하고 안상(安神)하다 25 26 19

1 더운 날의 모래밭이나 25 온천 또는 뜨거운 물

속에 몽을묻어서 땀을

흘리어 병을 고치는 법

2 lsquo뜸을 뜨는 일rsquo의 뭇

으로는인정함

-하고과와 26 미련퉁이 08 17

16

09 09 26

16 26

lsquo(망치보다 작은 것으로 25 서) 못 박는 연장rsquo의 뭇

으로는인청함

lsquo막걸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26

가진 돈을모두 걸고 단

판하다rsquo 의 뜻으로 lsquo맞결

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돈을

따려고서로돈올결다rsquo의

돗으로 안정함

26 1 만이앙(曉移快) 26

2 (고시 ) x 만양모rarr마 26

냥모

lsquo큰 개미rsquo라는 뭇으로 모 26 두언청함

표준어 모읍 143

전문용어로는 lsquo왕개미rsquo엄

말거미 왕거마 lsquo큰 거미rsquo라는 뭇ξ로 모 26 두안정함

전문용어로는 lsquo왕거미rsquo임

말그L름하다 맑스그레하다 26 x맛대강이 맛 25 망가지다 망그러지다 26

X매커 튀기 lsquo수돼지와 암소 사이에서 25 낳는다는 점 송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매양(每-) 번벤이(養養-) 26 X매풋집(寶酒-) 솔집 21 매해(每-) 매년(每年) 26

x볍옐 맹쌀 lsquo젠 메밀을 약간 말려 쩡 17 어 껍질올 벗긴 쌀rsquo의 돗

으로는 인정함

X야련 매련 17 _X야욕하다 매욱하다 어리석고 둠하다 17 X머드레콩 그루콩 1 그루갈이로 심은 콩lsquo 25

2 lsquo밭가로둘러 성은콩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함

X명구력 구럭 1 새끼로눈올투물게 떠 14 25 서 그물같이 만든물건

2 lsquo썩 성기게 떠서 만든

구럭rsquo의 뭇으로는 인정

벚다 엄추다 26 x베토끼 산토꺼(山-) 22

멧돼지 산돼지(山-) 26 멸구 며루 lsquo멸구rsquo는 멸구과에 속하 26

는 곤충의 얼종이고 lsquo며

루rsquo는 모기의 유충임

x명 목화(木花) lsquo우명 rsquo 의 돗으로는 언갱 함 25

144 국어생 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명자나무(훌體-) 모과나무 lsquo모과나무rsquo 는 명 자나무의 26 별칭임

모군꾼(幕軍-) 모군(幕軍) 16 26gt

모래사장(-沙場) 모래룹 26 X모어려수에 무에리수에 거리로 다니며 첨을 치라 17

고 외치는 소리

times모지다 모질다 lsquo성질 일 물건이나 모 25 양이 모가 난데가있다rsquo

의 돗으로는인정함

X목실(木-) 무명실 25 몰매 뭇매 26 옴서리나다 몸서리치다 26

X몽깃돌 낚섯봉 lsquo밀물과 썰물에 뱃머리를 25 곧게 하기 위하여 고물에

다는 돌rsquo의 뭇으로는 언

정함

무겁한량 times무겁활량 05 17 X우겁활량 우겁한량 051T 우식꾼(無講-) times무식장이(無識-) 26 OP

무식쟁이(無훌훌-) 26 0동 X물앵도(-樓挑) 물앵두 05 물앵두 times물앵도(-樓挑) 05 웅그대다 뭉개다 1 일을 어떻게 할 줄 모 26

르고 짓이기다

2 lsquo제자리에서 폼을 그 냥 비비다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X뭘하다 윗하다 거북하다 난처하다 17 미친놈 미치팡이 26 밀뼈세장 times멀삐죄장 지게의 윗세장 아래에 가 17

로박은나무

X밀뼈쇠창 멀뻐세장 지게의윗세장 아래에 가 1T

로박은나무

표준어L 모융- 145

X법둥스렵다 법살스렵다 Tl 바깥양반(-兩班) 사랑양반(舍願兩班) lsquo -26

바늘뱅셔(rarr方席〉 ldquo 바늘겨레 26 X바랍꾼 lsquo r _바람둥이 25 바심 rsquo 타작(打作) 26

박새 lsquo X깨싸 25 박첨지놀음(朴했知-)x꼭둑각시놀음 (고시) x꼭둑각시rarr꼭두 26

X반대기

X반대기

times반미콩(飯米-)

times발구

발뒤꾸머리

발새

발짓

배뱃니

X배햇쾌기

백곰(白-)

X백하첫(白嚴-)

꼭두각시놀음

소래기

밥밑콩

걸채 -

발뒤꿈치

발살

발질

찾니

배추속대

흰곰

새우첫

각시 rsquo 26

1 앓게 펴 서 다듬어 만 14 25 든조각

2 lsquo무슨 가루률 반죽한

것이나 삶은 푸성귀를

현연하고둥글넓척하게

만든조각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굽 없는 갱시와 같은 넓 25 윤질그릇

21 1 소의 길마 위 에 덧 얹 25 고곡식 단올싣는제구

2 lsquo산에서 쓰는 캘매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합

26

26

lsquo발짓은 lsquo발융 웅칙이는 26

짓rsquo의 돗으로 lsquo발질rsquo응

lsquo발걸질rsquo의 뭇으로 인정

26

25 전문용어로는 lsquo흰곰rsquo만 26

인청함

25

14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밴덕 얀덕 19rsquo

번연히 번히 16

벌5 허튼모 lsquo오판 구역 밖에 볍써가 2amp 떨어져 자라난 모rsquo냐 lsquo일

을 말막음ξ로 했을 째

쓰는 말rsquo의 돗A로도 인

정함

X벙태기 벙테커 17

병태기 times벙태기 17

별간장(別-홉) 손님장(-짧) 작은 그릇에 따로 담그는 26 간장

별맛(別-) 별미(別味) 26

X별미적다(別味-) 별미쩍다(別味-) 17

별마쩍다(別味lsquo) times별미적다(別味-) 17

X보리풀꺾다 보리풀하다 보리 갈 땅에 거름하기 위 25 하여 풀이나 나뭇잎을 베

어 오다

times보사리감투 보살감투(홈塵-) 17

X보챙기 겨리 lsquo보슐을 낀 챙기rsquo의 뭇~ 25 로는 안청함

복부르다(復-) 초혼하다(招塊-) 26

x복생션(-生蘇) 복 14

복어(-魚) - 16 26

X부레끊다 부레끓다 25

부헤꿇다 times부헤끊다 25

X부시다 부수다 lsquo그릇 같은 것을 께꿋이 25 씻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X부얼부얼 북슬북슬 1 짐승이 살이 찌고 탤 25 이 탕스렵게 많이 난

모양

2 lsquo잘찌고 탑스렵게 생 긴모양rsquo의뜻으로는인

정함

표준어 모옴 147

부엌칼 식칼(食-) 26 X부철다말 부철따말 17 부철따말 times부철다말 17

X북두 부뚜 1 타작마당에서 쓰는 돗 25 자리

2 lsquo마소에 짐융 싣고 그 정파 배률 얼러서 매는

줄rsquo의 뭇으로는 인갱함

분결(慣-) 분검(念 慣-) 26 분지르다 부러뜨리다 26 불공드리다(佛供-) 풍양드리다(供養-) 26 불풍밥(佛供-) 퇴식밥(退食-) 26 불룩이 times불룩히 17 불친소 악대소 26 불호령(-號令) 볼호령(-號令) 26

X붙여장다 붙잡다 14 25 비단개구리(排繼-) 무당개구리 전문용어로는lsquo우당개구 26

리rsquo를 안청함

X비사차기 비사치기 25

비사치기 times비사차기 25 X빚거간(-居間) 빚지시 1lsquo 벚올 주고 쓰는 데 에 25

중간에서 소개하는 일

2 lsquo벚올 내고 주는 데에 중간에서 강H하는 것

을 업으로 장는일rsquo의

뭇으로는인청함

빨갱이 times빨강l 1 공산주의자 09 17 2 lsquo빨간빛의 물건rsquo의 뭇 으로는 lsquo빨강이rsquo를 얀

정함

X빼주 배갈 25

X사갓집(훌家-) 사돈집(흉賴-) 25

사거리(四-) 네거리 26

148 국어 생활- rsquo 90 가올 (제 22호)

사마귀 버마재벼 전문용어로는 lsquo사마귀rsquo를 2β

인청함

사향노루(훌香-) 궁노루 26

값전(-鍵) 돈 (고시 ) x 잔정-gt잔돈 26 산울렴(山-) 헤아리 26

X산코골다 헛3i골다 25 살긋하다 썰긋하다 바르게 된 물건이 한쪽2 19

로 일그러지다

X상량대(上陳-) 마룻대 21 25 times상량도리(上標-) 마뭇대 21 25 times상재(上-) 상좌(上뾰) 05 X상청(上-) 상창(上唱) 뛰어난 창(唱) 05 샅바채우다 샅바지르다 26

X새소리 놀소리 25 X새치롬하다 새치름하다 시치미를 떼고 태연하거 17

나 양천한 기색을 꾸며 다-새치름하다 times새치롬하다 시치미를 혜고 태연하거 17

나 양전한 기색을 꾸미다

색깔(色-) 빛깔 26

times셋까닿다 새까땅다 17 X셋빨창다 새빨창다 17 X셋파량다 새파량다 17 times생갈이(生-) 애벌갈아 1 논이나 밭을 첫 번 가 21

는일

2 lsquo홍두깨 깔이 rsquo 의 준말로 는 lsquo생갈이rsquo를 언정함

X생급L렵4 새삼스렵다 lsquo하는 것이나 말이 캅작 2~

스렵고 돗밖이 다rsquo AElig는

lsquo끄챔어내는 말이 엉뚱하

고 터무니없다rsquo의 뭇으로

는 언청함

생김치(生-) 날검치 ~6

쟁옥(-木〕 당목(康木) 2amp

150 국어생활 90 가올〔제 22호)

X솔갱이 솔개 (고시 )~x소리개rarr솔개 2S

times쇠꼬창01 죄꼬쟁이 09

쇠꼬챙이 times죄꼬창이 09-

X쇠버즘 쇠버짐 17 쇠버짐 times쇠버즘 17

쇠족(-足) 쇠다리 26 쇠죽솥 쇠죽가마 26

times수무(手-) 수모(手母) 신부(新橋)의 보초안 OS

times수이 쉬이 20-

X수이보다 쉬이보다 20 times수이여커다 쉬이여기다 20 rsquo

X숭이 송이 08 시골말 사투리 26

times시초잡다(始初-) 시착하다〔始作-) 25--

신바랍 어껏바량 2amp 신첩살렴(新援-) 신접살이(新援-) 2amp 신챈나무 신대 2amp

설로(實-) 참으로 2G

섬보(心-) 마음보 26 섬술퉁이(心術-) X섬술통이(心術-) 08 심섬파척(-破寂) 섬섬풀이 2amp

times성갱싱갱하다 싱둥생둥하다 lsquo방이 서늘하고 차다rsquo의 2S

뜻으로는 인청함

X성퉁생둥하다 성갱생갱하다 lsquo기운이 줄어질 만한 일 2S

을 겪은뒤에도본래의 기

운이 있다rsquo의 뜻으로는 언

청함

싸느황다 X싸느렇다 17

X싸느렇다 싸느량다 17

X싸려운 사렵문 lsquo싹리로 만든 문rsquo의 뭇으 25

로는 인청함

쌀긋하다 생긋하다 19rsquo

쌍망이 times짱맹이 09

표준어 모음 151

X썽맹이 쌍망이 09-

쌍소리 장소리 19

쌍섬지셔다 쌍심지나마 26

쌍심지오르다 26

X써내다 켜내다 lsquo글씨롤 써셔 내놓다rsquo의 ~s

뭇으로는 언청함

X써다 켜다 lsquo조숫풀이 출거 나 펀 물 25 이 새어셔 줄다rsquo의 룻으

로는 안청함

X썩정이 삭청1 1 산 나우에 붙은 채 말 25 라죽윤나뭇가지

2 lsquo썩은 물건rsquo의 돗A로 는인청함

썰다 써리다 1 논밭융 고르게 하다 16 2 middot물건율 로막토막 통 캉치다rsquo의 뭇으로도 안

갱함

쓰레장판 쓰헤받기 유치 캉환요로 만든 쓰레 26 받기

씨돼치 종톤(種際) 26

아래얄 X아랫알 수판의 가릅대 아래의 알 17

아랫녘 앞대 1 어떤 치방에서 그 남 26 쪽의 지방을일컴는말

2 lsquo전라도 경장도흘 일 걷는 말rsquo로도 안갱함

X아랫동강이 종아리 25

times아랫알 아래알 수판의 카름대 아래의 알 17

아랫중방(-中林) 하인방(下引林) 26

아련하다 오련하다 19

X아웃 가웃 lsquo말아웃rsquo은 언청함 17 2()

아유 아이고 19

아지직 오지칙 19 아치작 19

1 한그릇에 두가지 이

상의 음식을 어울리게

당다

~ lsquo홈칙 따위률 식지 않

게 불에 놓거냐 따뭇한 lsquo - ~ 바헤lsquo묻어 두다rsquo 또는- lsquo e

lsquo샤랑올 안동하여 보내

다j의- 돗으로는 인정하

고 lsquo암구다rsquo (교미를 붙

이다)의 뭇으로는 인청

하지 않음

lsquo ~6 gt 26 lsquo

lsquo 26

- - - - 스 25rsquo

19 -26

09

lsquo26

25

국약2생 활「rsquo 90 가을(제 22호)

안개 u] 가랑비

얀갱 안채 안쪽외영 채

주인집(主A-)

안혜 바로전해 쌓즘삼C삼rsquo ~ ~ I rsquo lsquo 얄픔좀쏟 (rsquo 간

X 알박이 ν lsquo f알뼈71 알 밴 생션 얄펠대71 ~ J f -lsquo~T단〈rsquo觸蛋 chitan)

X 알심 -Z ) t ilsquo끼(고앵이( 1 초목의 줄기 가운데의 lsquo gt τ 연한 심

f lsquo - J lsquo 2[ lsquo판폰한 동정섬rsquo 또는

lsquo속에 있는힘rsquo의 뭇a lsquo -lsquo - Ilsquo middot 안 로는 인정함

알약(-藥) J μ환약f갯L藥)

양딴해도1 lsquo rsquo ~ t ~ - τ 아운리쾌도

앙구다 r rsquo l lsquo t ( lsquof쩔lsquo플이다

J rsquo z bull lsquo ι rsquo rsquo

ω Mω Mω

J52lsquo

~r

-rsquo

lsquo rdquo

ldquo

두별갈이

앞뜰

아기

애타다

아비

lsquo lsquo

26

26

09

26

09

1 놀라거나반가올때 내 26

는소리

2 lsquo예rsquo(존대할자리에 대

rdquo lsquo

rsquo

bull lsquo

앞뒤갈이 앞lsquo바당

X애기

애끓다

lsquo애비

F

26 09 26 09 26 26 26-

21

26 (고시) x찍rarr쪽 26 1 마음이 너그렵고 정질 26 lsquo

l 부드렵다

2lt lsquo얼굴의 각 구맹새가

ι-넬젝널찍하다rsquo의 뜻우-낀-rsquo-로도 언갱함

한 살청도차이 나서 동

감이나 다름없음

1 여러 사랍이 밑천올 어

울러서 하는장사 2 어려장수의 영업 rsquo 위 -

뭇으로는언청함

153 lsquo표훈어 lsquo 오옴

답하거나재쳐 묻는말)

의 뭇으로는 인정하지

않음

lsquo오밤중rsquo도 안정함

lsquo - lsquo- rsquo lsquo

times야말장이 1

야발쟁이

한밤중(-中) 약물터(藥-)

분칭(分햄)

양지머리뼈

lsquo 이모작(그毛作)

양현짝(兩便-)

서글서글하다

middot야발단지

rsquo

bull

녁 ι니

1r

t

ι水

」骨

7

便

- -

蘭藥

爛浦lsquoh浦합i

yF

터 νF 빼 루 £1 맏

이 i

바n

--lsquo저ι

골ι 그lsquo

펀 그τ π -lsquolsquo j

lsquo

야 야T1

약1

양lsquo

양 어「lsquo

x

26

25

懶1ι

갑 rsquolsquolsquo

1j렁shy

영-

J샤L C

ldquo

그rdquoRlsquo-lsquo

짧 ι

쐐υ

껴기

lsquo리

x

r 4

--μ

t i

x 어버리j좋다 -

어스러기

x어스러기 lsquo 어스럭송아지

어융 어이구 어환둥퉁 어허둥둥

어〈홉1 - 이 ldquo lsquo 범 ~ lsquo X언냐 어린아아

얼간1 -기ldquo - 얼간망풍l

X얼러망~땅~l - 니 ldquo 을러방망억

얼룩말 얼럭말

22 25

대담하다(大觸-)

ι lsquo lsquo lsquo bull ~ rsquo

25

19 lsquo

19 lsquo

26

25

26 17

26

옷 따위의 솔이 어스러진

큰송아지

표준어 모옴 155-

X옴살 엄살 lsquo한몽같이 친밀한터rsquo의 뭇 17 A로는인정함

옴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gt

왕매미 말매미 lsquo큰 매미rsquo의 뜻으로모두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말매

미rsquo엄

왕벌 호박멸 lsquo큰 벌rsquo 의 뭇으로 lsquo왕별 말 26 말벌 벌rsquo 모두 언청 함 전운용어 26

로는 lsquo호박별rsquo엄

왕새우 대하(大醒) 전문용어로는 lsquo대하rsquo를 인 26

청함

왕파리 쉬파리 lsquo큰파리rsquo의 뭇으로 모두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쉬파

리rsquo를 언정함

왜난목 내공목(內供木) 옷의 안강으로 쓰는 풍질이 26 낮tr -n「며

왜먹(훌-) (채래의 6 모형에 대해) 네 25-lsquo

모난먹

times외발제기 외알채기 1 굽 하나를 질질 끌어서 17rsquo

다디어 걷는 걸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소

2 lsquo한 발만가지고차는제

기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외상관혜(-冠禮) 외자한례(-冠禮〕 2amp X외통목 외킬목 lsquo장기 둘 때에 외통장군이 25-

되는 킬목rsquo의 뭇으로는 인

청함

X왼 온 lsquo왼쪽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1( 요뒤 요의(覆衣) 26 용슷바람 회오리바랍 26

times우그령흑박 우그령쪽박 17 X우물우둘 우틀우플 1 춤거나무서워서 폼을떠 08

τ~ YOJ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3: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표준어 모음 129

일 러 두 기

1 이 lsquo표준어 모음rsquo은 lsquo새한글사전rsquo (한글학회 간행 19651986년)과 lsquo국

어대사전rsquo(민중서립 간행 1982년)에서 표제어로 제시한 단어가 일치되rsquo

지 않는 고유어와 사전에서 그 고유어에 관련 지어 놓은 단어를 심의한

컬과이다 따라서 관련 단어에는 한자어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 신조

어 전문용어 맞춤법이 문제되는 말은 두 사전에서 상충되더라도 심의

되지 않았A나 일상적으로 널리 쓰이는 동식물 용어는 심의하였다 한

자어와 고유어가 컬합된 말(lsquo-하다rsquo와 결합원 말은 제외함)이냐 한자어1

의 변한말은 포함되었으나 한자어와 고유어가 컬합된 말이라도 한자어rsquo

의 발음이 문제되는 경우에는 이 lsquo표준어 모음rsquo에 포함되지 않았다

2 lsquo표준어 모음rsquo의 표준어에 대한 심의 키준은 원척척으로 lsquo표준어 규

갱 rsquo (문교부 고시 체 88-2호)에 따랐다

3 lsquo표준어 모음rsquo은 심의 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1) 어휘 션택

(2) 발음 1) 장단

2) 경음(현의상 lsquo L rsquo 첨가와 관련되는 단어도 포함하였음)

4 lsquo어휘 선택rsquo 부분에서는 lsquo표제어rsquo란 lsquo관련 단어rsquo란 lsquo비고rsquo란 lsquo관렌

규정rsquo란을 lsquo발음rsquo(장단 경음) 부분에서는 lsquo표제어rsquo란 lsquo버고rsquo란의 형

식에 따라 제시하고 표제어는 lsquo한글 맞춤법rsquo(운교부 고시 제 88-1호)왜

한글 자모의 순서에 따라 배열하였다 각 난(爛)의 성격은 다음파 같다r

(1) 어휘 선택

1)_ 표제어 두 사전에서 상충되는 단어 즉 두 사전에서 셔로 다른 행

13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태를 표준어로 인정한 단어나 한 사전에서는 표준어로 안청하고 다른

한 사전에서는 비표준어로 처리한 [단어들이다 심의 결과 비표준어

로 안정된 단어는 그 앞에 times표를 하였다

표제어 관련 단어 비 고 관련규정

발짓 발질 lsquo발짓rsquo은 lsquo발올 움직이는 26 짓rsquo의lsquo뭇으로 lsquo발질rsquo은 lsquo발

길질rsquo의 돗A로 언정함

소낙비 소나기 26 X O 시대다 으L대다 으쭉거리며 뽕내다 17 11

2) 관련 단어 -) 두 사전에서 서로 다른 형태를 표준어로 안정한 경

우에 표제어에 한 형태를 제시하고 다른 한 형태롤 관련 단어에 싣

되 표제어와 관련 단어를 바꾸어서도 실었다 그리고 심의 결과 사전

상의 두 형태가 모두 비표준어로 처리되고 새로운 형태가 표준어로

인갱된 경우에는 바로 아래 칸의 lsquo관련 단어rsquo란에 표준어로 안청된

형태를 싶었다

표제어 관련 단어 비 고 관련규정

X곁껍더기 결껍데기 09

겉껍데기 times걷껍더기 09 X가리마꼬창이 times가리마꼬챙이 09

가르마꼬챙이 09

X가리마꼬챙이 times가리마꼬창이 09

가르마꼬챙이 09

1-) 비표준어로 처리된 표제어의 경우에는 그 단어의 표준어의 형태

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여기에는 한자어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

표제어

X맛대캉이

times배햇패기

X잎전

관련 단어

배추속대

염천(葉錢)

비 고 관련규정

25 25 22 25

~) 표제어와 같은 단어로서 이번 섬의에서 비표준어로 처려펀 단애

표준어 요음 131

를 질었다 이 경우에도 비표준어로 처리된 단어 앞에 times표를 하였

표제어 관련 단어 비 고 관련규정

빨갱이 times빨강이 1 공산주의자 09 17

2 lsquo빨간 빛의 물건rsquo의 뭇으

로는 lsquo빨강이rsquo를 안정함

턱받이 times턱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깊

3) 비고 표제어의 의미 관련 단어와의 관계 예문 고시된 표준어 동

표제어에 관계되는 정보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lsquo비고rsquo란에 제시하는

정보가 표제어에 대한 것인지 관련 단어에 대한 것인지를 언급하지

않은 경우에는 표제어에 대한 것이다

-4) 관련 규정 심의 과정에서 척용한 lsquo표준어 규정 제 1 부 표준어 사정

원칙rsquo의 항을 제시하였다

(2) 발 음

J) 표제어 -) 창단 두 사전에서 창단음 여부가 엇갈리는 단어를 제

시하되 심의 결과를 그대로 표제어에 반영하였다 즉 제 1 음젤에서

장음으로 실현되는 것으로 심의펀 단어는 제 1 음철과 제 2 음철 사

이에 장옴부 lsquo rsquo표를 하였으며 단음으로 실현되는것으로심의된 단

어는창음부 lsquorsquo표를하지 않았다 따라서 장음부 lsquorsquo표가있는단

어의 단음형윤 버표준발음으로 처리된 것이며 단읍으로 실현되는 것

-으로 제시된 단어의 장음형도 비표준 발음으로 처리된 것이다

표제어

건넷방

옐나무

지난날

비 고

내 ~ 뉘 ~

-) 경옴 경음(lsquoLrsquo 첨가 포함)~로의 질현 여부가 엇갈리는 단어

13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를 제시하되 심의 컬과를 그대로 표제어에 반영하였다 즉 경음

으로 실현되는 것£로 심의된 단어는 표체어의 해당 위치에 lsquo사이

시옷rsquo을 쓰거나 표제어 뒤에 그 음성형을 제시하였A며 명음으로

실현되는 것으로 심의된 단어는 그 음성형올 별도로 제시하지 않

었다 따라서 표제어에 lsquo사이시옷rsquo으로 표기되었거나 표제어 뒤

의 [ ] 안에 제시된 정음으로 실현되는단어의 평음형은 비표준말

음으로 처리된 것이고 표제어에 lsquo사이시옷rsquo이 표기되지 않았거나

표제어 뒤에 그 정음형이 제시되지 않은 단어의 경읍형은 비표준 발

음으로 처리된 것이다

lsquo」rsquo 첨가가 문제되는 단어는 lsquo경음rsquo 부분에 준하였으나1 lsquoLrsquo아

첨가된 발음과 첨가되지 않은 말음이 모두표준발음£로 안정된 경

우에는 그 발음형 모두를 [ ] 안에 제시하였다

표제어

겨울장[-짱J

등정 [-쩡]

몸길이

폼서리

얄긋얄긋[얄근날금얄그얄곧]

비 고

체장(體長)

큰일 다루는 데 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일

큰일[-닐]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2) 비고 표제어에 관계되는 청보를 제시하였다

5 위에서 언곱하지 않은 사항은 lsquo표준어 규정rsquo에Z따랐다

표준어 모옴 133

1 어휘 선택

표제어 관련 단어 비 고 관규정련 X가귀뜨기 가귀대기 열다섯 끗 뽑기로 내기하 17 25

는투전노름

가동질 가통거리는 짓 08 가래질꾼 가래꾼 16 가려잡다 골라잡다 26 가력되다 개력하다 26

X가리마꼬창이 times가리마꼬챙이 09 가르마꼬챙이 09

X가리마꼬챙이 times가리마꼬창이 09 가르마꼬챙이 09

X가리워지다 가리어지다 25 X가스라기 가시랭이 25 X가A랑이 가시랭이 25 가시줄 가시철사(-鐵絲) 26 각시 새색시 lsquo작게 만든 여자 인형rsquo의 26

뭇으로도언청함

간단없다(間斷-) 끊임없다 26 간단없이(間斷-) 끊임없이 26 간밤 지난밤 26

X 간장족박(-醫-) 간장쪽박(-醫-) lsquo 17 간장쪽박(-體-) times간장족박(-醫-) 17

X간해 지난해 25 X갈비 솔가리 불쏘시개로쓰는솔잎 25 갈잎나무 떡갈나무 lsquo떡갈나무rsquo 는 갇잎나무의 26

일종엄

134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times강화(-火) 도깨버불 21

값나다 금나다 1 물건 값이 정해져서 왈 26 고사고할수있게 되

2 lsquo값나가다rsquo 의 준말로

는 인갱하지 않읍

X값높다 값비싸다 lsquo값비싸다rsquo 의 뭇으로 lsquo금 25 높다rsquo도언청함

times강밥 눌은밥 lsquo강다짐으로 먹는 밥rsquo의 25 뭇 o 로는 안정함

개소리괴소리 times개소리괴소문 17

times개소리괴소문 개소리괴소리 17

times개지 강아지 lsquo버 틀치 rsquo (물고기 이 름)로 25-

도 인청하지 않음

갯버들 땅버들 전문용어로는 lsquo갯버들rsquo을 2amp 안정합

X갱조개 가막조개 채첩 25-

갱충맞다 갱충쩍다 26-

거령맞다 거령 ζ렵다 2amp 거륨발 거릅커(-氣) 2amp

X거상 큰톱 25 거푼거푼 놓암 물체의 한부분이 바 25-

람에 불리어 떠들리었다가

가라앉았다가하는모양

times거풀 꺼풀 17

건건이 반찬(飯戰) 2amp 걷어쥐다 걷어잡다 26lsquo

times검은깨 주근깨 lsquo빛깔이 검은 참깨rsquo의 돗 25 으로는 인청함

검청홍 검은콩 26 X걷껑더기 걷껍데기 09 걷껍테 7l times곁껑더기 O~

걷장 수잠 2amp

표준어 모음 135

X게걸스렵다 게검스렵다 1 욕심껏 마구 먹어 대 25 는태도가있다

2 lsquo게걸들린 태도가 있 다rsquo의 돗으로는 인정함

times게꼬리 게꽁지 지식이나 재주 퉁이 극히 25 적거나 짧음

게꽁지 times게꼬리 지식이나 재주 둥이 극히 25 적거나 짧음

X계오다 지다 옷이기다 20 25 times고두밥 지에밥 1 참쌀 혹은 맹 쌀을 시 25

루에 쩌서 만든 밥

2 lsquo되게 지은 밥rsquo의 뭇

A로는 인정함

고로(故-) 그러므로 2amp X고물 고미 1 반자의 한 종류 25

2 lsquo우플마루를 놓는 데 귀틀 두개 사이의 구

역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times고부탕이 고비 1 중요한 기회 25 2 lsquo피륙을 필올 지을 때 꺾여 겹쳐 념어간곳rsquo의

뜻으로는안정함

고운대 곤대 토란출거리 16 골찍 골짜기 16 times곰살곱다 곰살강다 17 X곰탕 곰팡이 25

times곱수머리 곱슬머리 25 풍히(共-) 모두 26 과경에(過煩-) 아까 26 과목밭(果木-) 과수원(果樹園) 26 패팡스렵다 망령스렵다(훌靈-) 26

times괴엄 굉 (고시) 괴다고이다 18 고임 18

13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괴엄새 굉새 1 꾀어 놓은모양 18 고임새 2 (고시) 괴다고이다 18

X펀돌 고언돌 17 구기자나무〈抱紀子-) x괴 쫓나무 22 25

X구럭 망태기 lsquo새꺼로 그물 뜨듯 눈올 25 드물게 떠셔 만든 물건rsquo

의 돗£로는 인정함

구역나다(騙遊-) 욕지기나다 26 군기칩 헛키침 26 굿복(-服) 굿옷 26 렷속말 귀옛말 26 그물눈 그물코 26

X근두박질 곤두박질 05 글동무 글통접(-同接) 26 글동첩(-同接) 글통무 26 금몽(옳) 금씩신(金色身) 26 금출(禁-) 언줄(λ-) 26 기겁하다 times기급하다(氣急-) 05 17 기꼭지(雄-) times기대강이(雄-) 25 커미채다(幾微- 機微-) 낌새채다 26 기수채다(幾數-) 26 기어코(期於-) 기어이(期於-) 26 기장 걸이 lsquo옷 따위의 긴 정도rsquo의 뭇 26

으로 안정함

X기치량물 지지랑물 17 까까중 25 times까스라기 가시랭이 25 X깐보다 깔보다 lsquo어떤 형현이나기회에 대 25

하여 마음 속으로 가늠

을 보다rsquo의 뭇a로는 언

청함

X깔딱 딸쭉 1 딸쭉질하는 소리 25 2 lsquo액체를 조금씩 삼키

표준어 오옴 137

는소리rsquo 또는 lsquo앓은물

체가 뒤집히는 소리rsquo의

뜻으로는 안청함

x깔딱거리다 딸쭉거리다 25 x깔딱깔딱 딸쭉딸푹 25

Z강총하다 times깡충하다 다리가 길다 큰말은 lsquo갱 08 충하다rsquo임

X깡충하다 깡총하다 다리가 킬다 큰말은 lsquo갱 08 충하다rsquo엄

X깨보숭이 깨소금 lsquo들깨의 꽃송이와 창쌀가 25

루를 버무려 기름에 튀긴 lsquo 반찬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X깨보숭아 채고물 25 X깨이다 깨다 1 lsquo(알을) 까다rsquo의 피동 25

2 lsquo(장을) 깨다rsquo의 펴동

의 뭇으로는안정함

X째이다 깨다 lsquo(알융) 까다rsquo 의 사동 25 껴껴푸드덕 times쩍껴푸드득 장끼가 울며 쾌치는 소리 17

X껴껴푸드득 쩍껴푸드덕 장끼가 울며 혜치는 소리 17 갱벅거리다 끔벅거리다 19 26

X꼬끼댁 꼬꼬댁 17 -x 1i창이 꼬챙이 09 포챙이 X 1iL창이 09

X꼬치 고주 17 lsquoX꼬치 고치 17 x꼭두머리 꼭대기 lsquo시간척으로 얼의 가장 처 25

음rsquo의 뭇으로는 언청함

꽁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 꼽추 곱사퉁이 26 꽃자루 꽃꼭지 전문용어로는 lsquo쫓자루rsquo 를 26

안정함

X쫓택 times꽃받기 쫓받침 25 X팩장이 꾀보 2509

138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꾀쟁이 26 09gt

X꾸다 뀌다 1 방귀를 25 2 lsquo빌려 오다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끝전(-錢) 극ζ~~ (고시) x잔전rarr잔돈 26 X낄룩 끼룩 (내다보거나 삼키려 할 14 25gt

때) 목올 킬게 빼어 내미

는모양

나방이 나방 16 X나부라기 나부랭이 (고시) 나부랭이너부렁이 25 난목(-木) 외올베 26 times난봉장이 난봉꾼 09

난용쟁이 09 times날물 썰물 lsquo나가는 물rsquo 의 뭇으로는 25

인정함

times날빛 햇벚 lsquo햇빛을 받아서 나는 온 25-

세상의 빛rsquo의 돗£로는인

정함

남차답다(男了~) 사내답다 26 times내나 일껏 lsquo결국은rsquo 의 뭇으로는 인 25

정함

내숭 times내흉(內ethI) 05 17

내숭스허1 times내흉스헤(內뻐-) (고시) x내흉A렵다rarr내 0517

숭스렵다

냉국(冷-) 찬국 26 너울지다 놀지다 16 26 널판때기 times널판대기 26 17 널판자(-板子) 26

X예 네 (고시) 네예 17 18

X노란묵 노랑욱 치자 물을타서 쓴녹말묵 17 노랑묵 times노란묵 치자 물올타셔 춘녹말묵 17

녹슬다(綠-) times녹쏠다(綠-) 17 X녹쓸다-(綠-) 늑슬다(綠-) 17

표준어 모음 139gt

times누릉지 눌은밥 1 솥바닥에 눌어붙은 눌 25 은밥에 물을부어 긁어

τ효 -3 2 lsquo솥바닥에 눌어붙은 밥rsquo의 돗으로는 안정함

눈꼴시다 눈꼴틀리다 26 눈쌍 눈싸움 눈겨룸 16 times느루 -- lsquo대번에 몰아치지 않고 25 E

길게 늘여서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늦장 늑장 lsquo느직 하게 보러 가는 장rsquo 26 의 뜻으로도 안정함

x-(으)니까니 -(으)니까 25 다각도로(多角度-) 여러모로 26 다릿골독 times대릿골독 09 2s 다슬기 대사리 전문용어로는 lsquo다슬기rsquo를 26

인정함

다홍(-狂) 진흥(륭狂) 26 단결음에(單-) 단숭에(單-) 26 단검에 단결에 26 단연코(斷然-) 단연히(斷然-) 26 답쪽 times담쑥 손으로 탐스럽게 취거나 08

활로 탐L렵 게 안는 모양

times담쑥 당쪽 손으로 탑스럽게 취거나 08 활로 탐스럽게 안는 모양

당달봉사(-奉事) 청맹과니(좁톱-) 26

대강굿(大藍-) 대강놀이(大藍-) 26

대변보다(大便-) 뒤보다 26 lsquo

times대접문(-救) 대접무늬 21 times뱃가지 뱃개비 1 대를 쪼개 잘게 깎은 2s

꽂이

2 lsquo대의 가지rsquo의 뭇으로

는인정함

14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뱃돌(훌-) 성돌 lsquo집채의 낙숫고랑 안쪽에 26 돌려가며 놓은돌rsquo의 풋

으로도 얀정합

x더껑이 더께 1 텀어서 몹시 찌든울 25 건에 앉은때

2 lsquo결쭉한 액체의 거죽 에 엉겨 굳은 꺼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더미씌우다 다미씌우다 (고시) 얀다미씌우다 19 x덧구두 덧신 25 덮개 뚜껑 lsquo이불 처네 등의 총칭rsquo 26

또는 lsquo착한 마음을덮어

서 가리는 탐욕이나 성내

는 마음rsquo의 돗으로도 인

청함

도리갯장부 도리깨채 26 도토리나무 떡갈나무 lsquo도토리 냐우rsquo 는 lsquo상수리 26

나무rsquo의 별칭으로 lsquo떡갈

나무rsquo와 별개엄

돈지캅(-紙面) 지갑(紙便) 16 26 돈표(-票) 환(換) 26 돋보껴안경(-眼鏡) 돋보기 16 26 -돌개바람 구풍(顧風) lsquo회오리 바람rsquo 의 돗으로 26

도 언정항

툴커와 너새 26 rarr돌렴자(-字) 항렬자(行列字) 26 -동강이 동강 16 -동동걸음 표느죠 otilde-거 (i g 26 rarr동자부처(購子 ) 눈부처 26 -동차부처(童子-) 동자보살(童子홈題) 사랍의 두 어깨에 있다는 26

신(神)

-두견새(柱蘭-) 소쩍새 26 두견이(柱騙-) 26

표준어 모음 14D

times두렵단자(-團子) 두럽떡 21 둘러쓰다 뒤집어쓰다 26 둬둬 드헤드레 수봉기(受峰器)를 대고 26

벌비로 몰아넣을 때 벌을

부르는소리

times뒷개 설거지 윷놀이 용어로는 안청함 25 뒷결박(-結續) 뒷짐결박(-結網) 26 프1lsquo1고 E 뒤통수 26 뒷마당 뒤뜰 26 뒷전보다 뒷전놀다 26 듣그렵다 시끄렵다 26

X들망(-網) 후릿그물 21 들쑥날쑥 들쭉날쭉 19 26gt

lsquo 들오리 물오리 lsquo들오리rsquo는 lsquo집오리rsquo에 26 대하여 야생의 오리를

lsquo물오리rsquo는 lsquo청둥오리rsquo를

말함

times들치다 들추다 lsquo물건의 한 쪽 머 리 를 쳐 25 들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하

고 lsquo들치이다rsquo의 준말로

는 인청하지 않음

등헤엄 총장헤엄 26lsquo X딸각발이 딸짝발이 17 땅강아지 times하늘밥도둑 25

X땅꾼 딴꾼 1 포도청에 매이어 포교 2~

의 섬부름으로 도둑잡

는데 거투는사람

2 lsquo뱅을 잡아 파는 사람rsquo 의 뜻으로는인갱하고

lsquo몹시 인색하고 이기척

언 사람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하져 않음-

땅벙어리 땅형이 2amp

142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때까중

X때깨중이

렬기나무

X똑하다

뚱뚱이

탠-

τ최Z

뜨 뜨디

x

-(이)랑

X마련통이

마상

X마술장이(魔術-)

마술쟁이(魔術-)

마짓밥(顧릅-)

x마치

막철다

막걸리다

X만양

말개며

중대가리

중대가리

times좀나무

꼭하다

뚱뚱보

캠질

매련퉁이

마상이

times요술장이(妹術-)

요술챙이(te(術-)

마지(鷹릅)

망치

맞걸다

맞걸리다

늦모내기

마냥

왕개미

25 25 25

정 직 하고 안상(安神)하다 25 26 19

1 더운 날의 모래밭이나 25 온천 또는 뜨거운 물

속에 몽을묻어서 땀을

흘리어 병을 고치는 법

2 lsquo뜸을 뜨는 일rsquo의 뭇

으로는인정함

-하고과와 26 미련퉁이 08 17

16

09 09 26

16 26

lsquo(망치보다 작은 것으로 25 서) 못 박는 연장rsquo의 뭇

으로는인청함

lsquo막걸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26

가진 돈을모두 걸고 단

판하다rsquo 의 뜻으로 lsquo맞결

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돈을

따려고서로돈올결다rsquo의

돗으로 안정함

26 1 만이앙(曉移快) 26

2 (고시 ) x 만양모rarr마 26

냥모

lsquo큰 개미rsquo라는 뭇으로 모 26 두언청함

표준어 모읍 143

전문용어로는 lsquo왕개미rsquo엄

말거미 왕거마 lsquo큰 거미rsquo라는 뭇ξ로 모 26 두안정함

전문용어로는 lsquo왕거미rsquo임

말그L름하다 맑스그레하다 26 x맛대강이 맛 25 망가지다 망그러지다 26

X매커 튀기 lsquo수돼지와 암소 사이에서 25 낳는다는 점 송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매양(每-) 번벤이(養養-) 26 X매풋집(寶酒-) 솔집 21 매해(每-) 매년(每年) 26

x볍옐 맹쌀 lsquo젠 메밀을 약간 말려 쩡 17 어 껍질올 벗긴 쌀rsquo의 돗

으로는 인정함

X야련 매련 17 _X야욕하다 매욱하다 어리석고 둠하다 17 X머드레콩 그루콩 1 그루갈이로 심은 콩lsquo 25

2 lsquo밭가로둘러 성은콩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함

X명구력 구럭 1 새끼로눈올투물게 떠 14 25 서 그물같이 만든물건

2 lsquo썩 성기게 떠서 만든

구럭rsquo의 뭇으로는 인정

벚다 엄추다 26 x베토끼 산토꺼(山-) 22

멧돼지 산돼지(山-) 26 멸구 며루 lsquo멸구rsquo는 멸구과에 속하 26

는 곤충의 얼종이고 lsquo며

루rsquo는 모기의 유충임

x명 목화(木花) lsquo우명 rsquo 의 돗으로는 언갱 함 25

144 국어생 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명자나무(훌體-) 모과나무 lsquo모과나무rsquo 는 명 자나무의 26 별칭임

모군꾼(幕軍-) 모군(幕軍) 16 26gt

모래사장(-沙場) 모래룹 26 X모어려수에 무에리수에 거리로 다니며 첨을 치라 17

고 외치는 소리

times모지다 모질다 lsquo성질 일 물건이나 모 25 양이 모가 난데가있다rsquo

의 돗으로는인정함

X목실(木-) 무명실 25 몰매 뭇매 26 옴서리나다 몸서리치다 26

X몽깃돌 낚섯봉 lsquo밀물과 썰물에 뱃머리를 25 곧게 하기 위하여 고물에

다는 돌rsquo의 뭇으로는 언

정함

무겁한량 times무겁활량 05 17 X우겁활량 우겁한량 051T 우식꾼(無講-) times무식장이(無識-) 26 OP

무식쟁이(無훌훌-) 26 0동 X물앵도(-樓挑) 물앵두 05 물앵두 times물앵도(-樓挑) 05 웅그대다 뭉개다 1 일을 어떻게 할 줄 모 26

르고 짓이기다

2 lsquo제자리에서 폼을 그 냥 비비다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X뭘하다 윗하다 거북하다 난처하다 17 미친놈 미치팡이 26 밀뼈세장 times멀삐죄장 지게의 윗세장 아래에 가 17

로박은나무

X밀뼈쇠창 멀뻐세장 지게의윗세장 아래에 가 1T

로박은나무

표준어L 모융- 145

X법둥스렵다 법살스렵다 Tl 바깥양반(-兩班) 사랑양반(舍願兩班) lsquo -26

바늘뱅셔(rarr方席〉 ldquo 바늘겨레 26 X바랍꾼 lsquo r _바람둥이 25 바심 rsquo 타작(打作) 26

박새 lsquo X깨싸 25 박첨지놀음(朴했知-)x꼭둑각시놀음 (고시) x꼭둑각시rarr꼭두 26

X반대기

X반대기

times반미콩(飯米-)

times발구

발뒤꾸머리

발새

발짓

배뱃니

X배햇쾌기

백곰(白-)

X백하첫(白嚴-)

꼭두각시놀음

소래기

밥밑콩

걸채 -

발뒤꿈치

발살

발질

찾니

배추속대

흰곰

새우첫

각시 rsquo 26

1 앓게 펴 서 다듬어 만 14 25 든조각

2 lsquo무슨 가루률 반죽한

것이나 삶은 푸성귀를

현연하고둥글넓척하게

만든조각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굽 없는 갱시와 같은 넓 25 윤질그릇

21 1 소의 길마 위 에 덧 얹 25 고곡식 단올싣는제구

2 lsquo산에서 쓰는 캘매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합

26

26

lsquo발짓은 lsquo발융 웅칙이는 26

짓rsquo의 돗으로 lsquo발질rsquo응

lsquo발걸질rsquo의 뭇으로 인정

26

25 전문용어로는 lsquo흰곰rsquo만 26

인청함

25

14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밴덕 얀덕 19rsquo

번연히 번히 16

벌5 허튼모 lsquo오판 구역 밖에 볍써가 2amp 떨어져 자라난 모rsquo냐 lsquo일

을 말막음ξ로 했을 째

쓰는 말rsquo의 돗A로도 인

정함

X벙태기 벙테커 17

병태기 times벙태기 17

별간장(別-홉) 손님장(-짧) 작은 그릇에 따로 담그는 26 간장

별맛(別-) 별미(別味) 26

X별미적다(別味-) 별미쩍다(別味-) 17

별마쩍다(別味lsquo) times별미적다(別味-) 17

X보리풀꺾다 보리풀하다 보리 갈 땅에 거름하기 위 25 하여 풀이나 나뭇잎을 베

어 오다

times보사리감투 보살감투(홈塵-) 17

X보챙기 겨리 lsquo보슐을 낀 챙기rsquo의 뭇~ 25 로는 안청함

복부르다(復-) 초혼하다(招塊-) 26

x복생션(-生蘇) 복 14

복어(-魚) - 16 26

X부레끊다 부레끓다 25

부헤꿇다 times부헤끊다 25

X부시다 부수다 lsquo그릇 같은 것을 께꿋이 25 씻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X부얼부얼 북슬북슬 1 짐승이 살이 찌고 탤 25 이 탕스렵게 많이 난

모양

2 lsquo잘찌고 탑스렵게 생 긴모양rsquo의뜻으로는인

정함

표준어 모옴 147

부엌칼 식칼(食-) 26 X부철다말 부철따말 17 부철따말 times부철다말 17

X북두 부뚜 1 타작마당에서 쓰는 돗 25 자리

2 lsquo마소에 짐융 싣고 그 정파 배률 얼러서 매는

줄rsquo의 뭇으로는 인갱함

분결(慣-) 분검(念 慣-) 26 분지르다 부러뜨리다 26 불공드리다(佛供-) 풍양드리다(供養-) 26 불풍밥(佛供-) 퇴식밥(退食-) 26 불룩이 times불룩히 17 불친소 악대소 26 불호령(-號令) 볼호령(-號令) 26

X붙여장다 붙잡다 14 25 비단개구리(排繼-) 무당개구리 전문용어로는lsquo우당개구 26

리rsquo를 안청함

X비사차기 비사치기 25

비사치기 times비사차기 25 X빚거간(-居間) 빚지시 1lsquo 벚올 주고 쓰는 데 에 25

중간에서 소개하는 일

2 lsquo벚올 내고 주는 데에 중간에서 강H하는 것

을 업으로 장는일rsquo의

뭇으로는인청함

빨갱이 times빨강l 1 공산주의자 09 17 2 lsquo빨간빛의 물건rsquo의 뭇 으로는 lsquo빨강이rsquo를 얀

정함

X빼주 배갈 25

X사갓집(훌家-) 사돈집(흉賴-) 25

사거리(四-) 네거리 26

148 국어 생활- rsquo 90 가올 (제 22호)

사마귀 버마재벼 전문용어로는 lsquo사마귀rsquo를 2β

인청함

사향노루(훌香-) 궁노루 26

값전(-鍵) 돈 (고시 ) x 잔정-gt잔돈 26 산울렴(山-) 헤아리 26

X산코골다 헛3i골다 25 살긋하다 썰긋하다 바르게 된 물건이 한쪽2 19

로 일그러지다

X상량대(上陳-) 마룻대 21 25 times상량도리(上標-) 마뭇대 21 25 times상재(上-) 상좌(上뾰) 05 X상청(上-) 상창(上唱) 뛰어난 창(唱) 05 샅바채우다 샅바지르다 26

X새소리 놀소리 25 X새치롬하다 새치름하다 시치미를 떼고 태연하거 17

나 양천한 기색을 꾸며 다-새치름하다 times새치롬하다 시치미를 혜고 태연하거 17

나 양전한 기색을 꾸미다

색깔(色-) 빛깔 26

times셋까닿다 새까땅다 17 X셋빨창다 새빨창다 17 X셋파량다 새파량다 17 times생갈이(生-) 애벌갈아 1 논이나 밭을 첫 번 가 21

는일

2 lsquo홍두깨 깔이 rsquo 의 준말로 는 lsquo생갈이rsquo를 언정함

X생급L렵4 새삼스렵다 lsquo하는 것이나 말이 캅작 2~

스렵고 돗밖이 다rsquo AElig는

lsquo끄챔어내는 말이 엉뚱하

고 터무니없다rsquo의 뭇으로

는 언청함

생김치(生-) 날검치 ~6

쟁옥(-木〕 당목(康木) 2amp

150 국어생활 90 가올〔제 22호)

X솔갱이 솔개 (고시 )~x소리개rarr솔개 2S

times쇠꼬창01 죄꼬쟁이 09

쇠꼬챙이 times죄꼬창이 09-

X쇠버즘 쇠버짐 17 쇠버짐 times쇠버즘 17

쇠족(-足) 쇠다리 26 쇠죽솥 쇠죽가마 26

times수무(手-) 수모(手母) 신부(新橋)의 보초안 OS

times수이 쉬이 20-

X수이보다 쉬이보다 20 times수이여커다 쉬이여기다 20 rsquo

X숭이 송이 08 시골말 사투리 26

times시초잡다(始初-) 시착하다〔始作-) 25--

신바랍 어껏바량 2amp 신첩살렴(新援-) 신접살이(新援-) 2amp 신챈나무 신대 2amp

설로(實-) 참으로 2G

섬보(心-) 마음보 26 섬술퉁이(心術-) X섬술통이(心術-) 08 심섬파척(-破寂) 섬섬풀이 2amp

times성갱싱갱하다 싱둥생둥하다 lsquo방이 서늘하고 차다rsquo의 2S

뜻으로는 인청함

X성퉁생둥하다 성갱생갱하다 lsquo기운이 줄어질 만한 일 2S

을 겪은뒤에도본래의 기

운이 있다rsquo의 뜻으로는 언

청함

싸느황다 X싸느렇다 17

X싸느렇다 싸느량다 17

X싸려운 사렵문 lsquo싹리로 만든 문rsquo의 뭇으 25

로는 인청함

쌀긋하다 생긋하다 19rsquo

쌍망이 times짱맹이 09

표준어 모음 151

X썽맹이 쌍망이 09-

쌍소리 장소리 19

쌍섬지셔다 쌍심지나마 26

쌍심지오르다 26

X써내다 켜내다 lsquo글씨롤 써셔 내놓다rsquo의 ~s

뭇으로는 언청함

X써다 켜다 lsquo조숫풀이 출거 나 펀 물 25 이 새어셔 줄다rsquo의 룻으

로는 안청함

X썩정이 삭청1 1 산 나우에 붙은 채 말 25 라죽윤나뭇가지

2 lsquo썩은 물건rsquo의 돗A로 는인청함

썰다 써리다 1 논밭융 고르게 하다 16 2 middot물건율 로막토막 통 캉치다rsquo의 뭇으로도 안

갱함

쓰레장판 쓰헤받기 유치 캉환요로 만든 쓰레 26 받기

씨돼치 종톤(種際) 26

아래얄 X아랫알 수판의 가릅대 아래의 알 17

아랫녘 앞대 1 어떤 치방에서 그 남 26 쪽의 지방을일컴는말

2 lsquo전라도 경장도흘 일 걷는 말rsquo로도 안갱함

X아랫동강이 종아리 25

times아랫알 아래알 수판의 카름대 아래의 알 17

아랫중방(-中林) 하인방(下引林) 26

아련하다 오련하다 19

X아웃 가웃 lsquo말아웃rsquo은 언청함 17 2()

아유 아이고 19

아지직 오지칙 19 아치작 19

1 한그릇에 두가지 이

상의 음식을 어울리게

당다

~ lsquo홈칙 따위률 식지 않

게 불에 놓거냐 따뭇한 lsquo - ~ 바헤lsquo묻어 두다rsquo 또는- lsquo e

lsquo샤랑올 안동하여 보내

다j의- 돗으로는 인정하

고 lsquo암구다rsquo (교미를 붙

이다)의 뭇으로는 인청

하지 않음

lsquo ~6 gt 26 lsquo

lsquo 26

- - - - 스 25rsquo

19 -26

09

lsquo26

25

국약2생 활「rsquo 90 가을(제 22호)

안개 u] 가랑비

얀갱 안채 안쪽외영 채

주인집(主A-)

안혜 바로전해 쌓즘삼C삼rsquo ~ ~ I rsquo lsquo 얄픔좀쏟 (rsquo 간

X 알박이 ν lsquo f알뼈71 알 밴 생션 얄펠대71 ~ J f -lsquo~T단〈rsquo觸蛋 chitan)

X 알심 -Z ) t ilsquo끼(고앵이( 1 초목의 줄기 가운데의 lsquo gt τ 연한 심

f lsquo - J lsquo 2[ lsquo판폰한 동정섬rsquo 또는

lsquo속에 있는힘rsquo의 뭇a lsquo -lsquo - Ilsquo middot 안 로는 인정함

알약(-藥) J μ환약f갯L藥)

양딴해도1 lsquo rsquo ~ t ~ - τ 아운리쾌도

앙구다 r rsquo l lsquo t ( lsquof쩔lsquo플이다

J rsquo z bull lsquo ι rsquo rsquo

ω Mω Mω

J52lsquo

~r

-rsquo

lsquo rdquo

ldquo

두별갈이

앞뜰

아기

애타다

아비

lsquo lsquo

26

26

09

26

09

1 놀라거나반가올때 내 26

는소리

2 lsquo예rsquo(존대할자리에 대

rdquo lsquo

rsquo

bull lsquo

앞뒤갈이 앞lsquo바당

X애기

애끓다

lsquo애비

F

26 09 26 09 26 26 26-

21

26 (고시) x찍rarr쪽 26 1 마음이 너그렵고 정질 26 lsquo

l 부드렵다

2lt lsquo얼굴의 각 구맹새가

ι-넬젝널찍하다rsquo의 뜻우-낀-rsquo-로도 언갱함

한 살청도차이 나서 동

감이나 다름없음

1 여러 사랍이 밑천올 어

울러서 하는장사 2 어려장수의 영업 rsquo 위 -

뭇으로는언청함

153 lsquo표훈어 lsquo 오옴

답하거나재쳐 묻는말)

의 뭇으로는 인정하지

않음

lsquo오밤중rsquo도 안정함

lsquo - lsquo- rsquo lsquo

times야말장이 1

야발쟁이

한밤중(-中) 약물터(藥-)

분칭(分햄)

양지머리뼈

lsquo 이모작(그毛作)

양현짝(兩便-)

서글서글하다

middot야발단지

rsquo

bull

녁 ι니

1r

t

ι水

」骨

7

便

- -

蘭藥

爛浦lsquoh浦합i

yF

터 νF 빼 루 £1 맏

이 i

바n

--lsquo저ι

골ι 그lsquo

펀 그τ π -lsquolsquo j

lsquo

야 야T1

약1

양lsquo

양 어「lsquo

x

26

25

懶1ι

갑 rsquolsquolsquo

1j렁shy

영-

J샤L C

ldquo

그rdquoRlsquo-lsquo

짧 ι

쐐υ

껴기

lsquo리

x

r 4

--μ

t i

x 어버리j좋다 -

어스러기

x어스러기 lsquo 어스럭송아지

어융 어이구 어환둥퉁 어허둥둥

어〈홉1 - 이 ldquo lsquo 범 ~ lsquo X언냐 어린아아

얼간1 -기ldquo - 얼간망풍l

X얼러망~땅~l - 니 ldquo 을러방망억

얼룩말 얼럭말

22 25

대담하다(大觸-)

ι lsquo lsquo lsquo bull ~ rsquo

25

19 lsquo

19 lsquo

26

25

26 17

26

옷 따위의 솔이 어스러진

큰송아지

표준어 모옴 155-

X옴살 엄살 lsquo한몽같이 친밀한터rsquo의 뭇 17 A로는인정함

옴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gt

왕매미 말매미 lsquo큰 매미rsquo의 뜻으로모두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말매

미rsquo엄

왕벌 호박멸 lsquo큰 벌rsquo 의 뭇으로 lsquo왕별 말 26 말벌 벌rsquo 모두 언청 함 전운용어 26

로는 lsquo호박별rsquo엄

왕새우 대하(大醒) 전문용어로는 lsquo대하rsquo를 인 26

청함

왕파리 쉬파리 lsquo큰파리rsquo의 뭇으로 모두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쉬파

리rsquo를 언정함

왜난목 내공목(內供木) 옷의 안강으로 쓰는 풍질이 26 낮tr -n「며

왜먹(훌-) (채래의 6 모형에 대해) 네 25-lsquo

모난먹

times외발제기 외알채기 1 굽 하나를 질질 끌어서 17rsquo

다디어 걷는 걸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소

2 lsquo한 발만가지고차는제

기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외상관혜(-冠禮) 외자한례(-冠禮〕 2amp X외통목 외킬목 lsquo장기 둘 때에 외통장군이 25-

되는 킬목rsquo의 뭇으로는 인

청함

X왼 온 lsquo왼쪽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1( 요뒤 요의(覆衣) 26 용슷바람 회오리바랍 26

times우그령흑박 우그령쪽박 17 X우물우둘 우틀우플 1 춤거나무서워서 폼을떠 08

τ~ YOJ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4: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13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태를 표준어로 인정한 단어나 한 사전에서는 표준어로 안청하고 다른

한 사전에서는 비표준어로 처리한 [단어들이다 심의 결과 비표준어

로 안정된 단어는 그 앞에 times표를 하였다

표제어 관련 단어 비 고 관련규정

발짓 발질 lsquo발짓rsquo은 lsquo발올 움직이는 26 짓rsquo의lsquo뭇으로 lsquo발질rsquo은 lsquo발

길질rsquo의 돗A로 언정함

소낙비 소나기 26 X O 시대다 으L대다 으쭉거리며 뽕내다 17 11

2) 관련 단어 -) 두 사전에서 서로 다른 형태를 표준어로 안정한 경

우에 표제어에 한 형태를 제시하고 다른 한 형태롤 관련 단어에 싣

되 표제어와 관련 단어를 바꾸어서도 실었다 그리고 심의 결과 사전

상의 두 형태가 모두 비표준어로 처리되고 새로운 형태가 표준어로

인갱된 경우에는 바로 아래 칸의 lsquo관련 단어rsquo란에 표준어로 안청된

형태를 싶었다

표제어 관련 단어 비 고 관련규정

X곁껍더기 결껍데기 09

겉껍데기 times걷껍더기 09 X가리마꼬창이 times가리마꼬챙이 09

가르마꼬챙이 09

X가리마꼬챙이 times가리마꼬창이 09

가르마꼬챙이 09

1-) 비표준어로 처리된 표제어의 경우에는 그 단어의 표준어의 형태

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여기에는 한자어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

표제어

X맛대캉이

times배햇패기

X잎전

관련 단어

배추속대

염천(葉錢)

비 고 관련규정

25 25 22 25

~) 표제어와 같은 단어로서 이번 섬의에서 비표준어로 처려펀 단애

표준어 요음 131

를 질었다 이 경우에도 비표준어로 처리된 단어 앞에 times표를 하였

표제어 관련 단어 비 고 관련규정

빨갱이 times빨강이 1 공산주의자 09 17

2 lsquo빨간 빛의 물건rsquo의 뭇으

로는 lsquo빨강이rsquo를 안정함

턱받이 times턱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깊

3) 비고 표제어의 의미 관련 단어와의 관계 예문 고시된 표준어 동

표제어에 관계되는 정보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lsquo비고rsquo란에 제시하는

정보가 표제어에 대한 것인지 관련 단어에 대한 것인지를 언급하지

않은 경우에는 표제어에 대한 것이다

-4) 관련 규정 심의 과정에서 척용한 lsquo표준어 규정 제 1 부 표준어 사정

원칙rsquo의 항을 제시하였다

(2) 발 음

J) 표제어 -) 창단 두 사전에서 창단음 여부가 엇갈리는 단어를 제

시하되 심의 결과를 그대로 표제어에 반영하였다 즉 제 1 음젤에서

장음으로 실현되는 것으로 심의펀 단어는 제 1 음철과 제 2 음철 사

이에 장옴부 lsquo rsquo표를 하였으며 단음으로 실현되는것으로심의된 단

어는창음부 lsquorsquo표를하지 않았다 따라서 장음부 lsquorsquo표가있는단

어의 단음형윤 버표준발음으로 처리된 것이며 단읍으로 실현되는 것

-으로 제시된 단어의 장음형도 비표준 발음으로 처리된 것이다

표제어

건넷방

옐나무

지난날

비 고

내 ~ 뉘 ~

-) 경옴 경음(lsquoLrsquo 첨가 포함)~로의 질현 여부가 엇갈리는 단어

13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를 제시하되 심의 컬과를 그대로 표제어에 반영하였다 즉 경음

으로 실현되는 것£로 심의된 단어는 표체어의 해당 위치에 lsquo사이

시옷rsquo을 쓰거나 표제어 뒤에 그 음성형을 제시하였A며 명음으로

실현되는 것으로 심의된 단어는 그 음성형올 별도로 제시하지 않

었다 따라서 표제어에 lsquo사이시옷rsquo으로 표기되었거나 표제어 뒤

의 [ ] 안에 제시된 정음으로 실현되는단어의 평음형은 비표준말

음으로 처리된 것이고 표제어에 lsquo사이시옷rsquo이 표기되지 않았거나

표제어 뒤에 그 정음형이 제시되지 않은 단어의 경읍형은 비표준 발

음으로 처리된 것이다

lsquo」rsquo 첨가가 문제되는 단어는 lsquo경음rsquo 부분에 준하였으나1 lsquoLrsquo아

첨가된 발음과 첨가되지 않은 말음이 모두표준발음£로 안정된 경

우에는 그 발음형 모두를 [ ] 안에 제시하였다

표제어

겨울장[-짱J

등정 [-쩡]

몸길이

폼서리

얄긋얄긋[얄근날금얄그얄곧]

비 고

체장(體長)

큰일 다루는 데 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일

큰일[-닐]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2) 비고 표제어에 관계되는 청보를 제시하였다

5 위에서 언곱하지 않은 사항은 lsquo표준어 규정rsquo에Z따랐다

표준어 모옴 133

1 어휘 선택

표제어 관련 단어 비 고 관규정련 X가귀뜨기 가귀대기 열다섯 끗 뽑기로 내기하 17 25

는투전노름

가동질 가통거리는 짓 08 가래질꾼 가래꾼 16 가려잡다 골라잡다 26 가력되다 개력하다 26

X가리마꼬창이 times가리마꼬챙이 09 가르마꼬챙이 09

X가리마꼬챙이 times가리마꼬창이 09 가르마꼬챙이 09

X가리워지다 가리어지다 25 X가스라기 가시랭이 25 X가A랑이 가시랭이 25 가시줄 가시철사(-鐵絲) 26 각시 새색시 lsquo작게 만든 여자 인형rsquo의 26

뭇으로도언청함

간단없다(間斷-) 끊임없다 26 간단없이(間斷-) 끊임없이 26 간밤 지난밤 26

X 간장족박(-醫-) 간장쪽박(-醫-) lsquo 17 간장쪽박(-體-) times간장족박(-醫-) 17

X간해 지난해 25 X갈비 솔가리 불쏘시개로쓰는솔잎 25 갈잎나무 떡갈나무 lsquo떡갈나무rsquo 는 갇잎나무의 26

일종엄

134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times강화(-火) 도깨버불 21

값나다 금나다 1 물건 값이 정해져서 왈 26 고사고할수있게 되

2 lsquo값나가다rsquo 의 준말로

는 인갱하지 않읍

X값높다 값비싸다 lsquo값비싸다rsquo 의 뭇으로 lsquo금 25 높다rsquo도언청함

times강밥 눌은밥 lsquo강다짐으로 먹는 밥rsquo의 25 뭇 o 로는 안정함

개소리괴소리 times개소리괴소문 17

times개소리괴소문 개소리괴소리 17

times개지 강아지 lsquo버 틀치 rsquo (물고기 이 름)로 25-

도 인청하지 않음

갯버들 땅버들 전문용어로는 lsquo갯버들rsquo을 2amp 안정합

X갱조개 가막조개 채첩 25-

갱충맞다 갱충쩍다 26-

거령맞다 거령 ζ렵다 2amp 거륨발 거릅커(-氣) 2amp

X거상 큰톱 25 거푼거푼 놓암 물체의 한부분이 바 25-

람에 불리어 떠들리었다가

가라앉았다가하는모양

times거풀 꺼풀 17

건건이 반찬(飯戰) 2amp 걷어쥐다 걷어잡다 26lsquo

times검은깨 주근깨 lsquo빛깔이 검은 참깨rsquo의 돗 25 으로는 인청함

검청홍 검은콩 26 X걷껑더기 걷껍데기 09 걷껍테 7l times곁껑더기 O~

걷장 수잠 2amp

표준어 모음 135

X게걸스렵다 게검스렵다 1 욕심껏 마구 먹어 대 25 는태도가있다

2 lsquo게걸들린 태도가 있 다rsquo의 돗으로는 인정함

times게꼬리 게꽁지 지식이나 재주 퉁이 극히 25 적거나 짧음

게꽁지 times게꼬리 지식이나 재주 둥이 극히 25 적거나 짧음

X계오다 지다 옷이기다 20 25 times고두밥 지에밥 1 참쌀 혹은 맹 쌀을 시 25

루에 쩌서 만든 밥

2 lsquo되게 지은 밥rsquo의 뭇

A로는 인정함

고로(故-) 그러므로 2amp X고물 고미 1 반자의 한 종류 25

2 lsquo우플마루를 놓는 데 귀틀 두개 사이의 구

역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times고부탕이 고비 1 중요한 기회 25 2 lsquo피륙을 필올 지을 때 꺾여 겹쳐 념어간곳rsquo의

뜻으로는안정함

고운대 곤대 토란출거리 16 골찍 골짜기 16 times곰살곱다 곰살강다 17 X곰탕 곰팡이 25

times곱수머리 곱슬머리 25 풍히(共-) 모두 26 과경에(過煩-) 아까 26 과목밭(果木-) 과수원(果樹園) 26 패팡스렵다 망령스렵다(훌靈-) 26

times괴엄 굉 (고시) 괴다고이다 18 고임 18

13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괴엄새 굉새 1 꾀어 놓은모양 18 고임새 2 (고시) 괴다고이다 18

X펀돌 고언돌 17 구기자나무〈抱紀子-) x괴 쫓나무 22 25

X구럭 망태기 lsquo새꺼로 그물 뜨듯 눈올 25 드물게 떠셔 만든 물건rsquo

의 돗£로는 인정함

구역나다(騙遊-) 욕지기나다 26 군기칩 헛키침 26 굿복(-服) 굿옷 26 렷속말 귀옛말 26 그물눈 그물코 26

X근두박질 곤두박질 05 글동무 글통접(-同接) 26 글동첩(-同接) 글통무 26 금몽(옳) 금씩신(金色身) 26 금출(禁-) 언줄(λ-) 26 기겁하다 times기급하다(氣急-) 05 17 기꼭지(雄-) times기대강이(雄-) 25 커미채다(幾微- 機微-) 낌새채다 26 기수채다(幾數-) 26 기어코(期於-) 기어이(期於-) 26 기장 걸이 lsquo옷 따위의 긴 정도rsquo의 뭇 26

으로 안정함

X기치량물 지지랑물 17 까까중 25 times까스라기 가시랭이 25 X깐보다 깔보다 lsquo어떤 형현이나기회에 대 25

하여 마음 속으로 가늠

을 보다rsquo의 뭇a로는 언

청함

X깔딱 딸쭉 1 딸쭉질하는 소리 25 2 lsquo액체를 조금씩 삼키

표준어 오옴 137

는소리rsquo 또는 lsquo앓은물

체가 뒤집히는 소리rsquo의

뜻으로는 안청함

x깔딱거리다 딸쭉거리다 25 x깔딱깔딱 딸쭉딸푹 25

Z강총하다 times깡충하다 다리가 길다 큰말은 lsquo갱 08 충하다rsquo임

X깡충하다 깡총하다 다리가 킬다 큰말은 lsquo갱 08 충하다rsquo엄

X깨보숭이 깨소금 lsquo들깨의 꽃송이와 창쌀가 25

루를 버무려 기름에 튀긴 lsquo 반찬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X깨보숭아 채고물 25 X깨이다 깨다 1 lsquo(알을) 까다rsquo의 피동 25

2 lsquo(장을) 깨다rsquo의 펴동

의 뭇으로는안정함

X째이다 깨다 lsquo(알융) 까다rsquo 의 사동 25 껴껴푸드덕 times쩍껴푸드득 장끼가 울며 쾌치는 소리 17

X껴껴푸드득 쩍껴푸드덕 장끼가 울며 혜치는 소리 17 갱벅거리다 끔벅거리다 19 26

X꼬끼댁 꼬꼬댁 17 -x 1i창이 꼬챙이 09 포챙이 X 1iL창이 09

X꼬치 고주 17 lsquoX꼬치 고치 17 x꼭두머리 꼭대기 lsquo시간척으로 얼의 가장 처 25

음rsquo의 뭇으로는 언청함

꽁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 꼽추 곱사퉁이 26 꽃자루 꽃꼭지 전문용어로는 lsquo쫓자루rsquo 를 26

안정함

X쫓택 times꽃받기 쫓받침 25 X팩장이 꾀보 2509

138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꾀쟁이 26 09gt

X꾸다 뀌다 1 방귀를 25 2 lsquo빌려 오다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끝전(-錢) 극ζ~~ (고시) x잔전rarr잔돈 26 X낄룩 끼룩 (내다보거나 삼키려 할 14 25gt

때) 목올 킬게 빼어 내미

는모양

나방이 나방 16 X나부라기 나부랭이 (고시) 나부랭이너부렁이 25 난목(-木) 외올베 26 times난봉장이 난봉꾼 09

난용쟁이 09 times날물 썰물 lsquo나가는 물rsquo 의 뭇으로는 25

인정함

times날빛 햇벚 lsquo햇빛을 받아서 나는 온 25-

세상의 빛rsquo의 돗£로는인

정함

남차답다(男了~) 사내답다 26 times내나 일껏 lsquo결국은rsquo 의 뭇으로는 인 25

정함

내숭 times내흉(內ethI) 05 17

내숭스허1 times내흉스헤(內뻐-) (고시) x내흉A렵다rarr내 0517

숭스렵다

냉국(冷-) 찬국 26 너울지다 놀지다 16 26 널판때기 times널판대기 26 17 널판자(-板子) 26

X예 네 (고시) 네예 17 18

X노란묵 노랑욱 치자 물을타서 쓴녹말묵 17 노랑묵 times노란묵 치자 물올타셔 춘녹말묵 17

녹슬다(綠-) times녹쏠다(綠-) 17 X녹쓸다-(綠-) 늑슬다(綠-) 17

표준어 모음 139gt

times누릉지 눌은밥 1 솥바닥에 눌어붙은 눌 25 은밥에 물을부어 긁어

τ효 -3 2 lsquo솥바닥에 눌어붙은 밥rsquo의 돗으로는 안정함

눈꼴시다 눈꼴틀리다 26 눈쌍 눈싸움 눈겨룸 16 times느루 -- lsquo대번에 몰아치지 않고 25 E

길게 늘여서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늦장 늑장 lsquo느직 하게 보러 가는 장rsquo 26 의 뜻으로도 안정함

x-(으)니까니 -(으)니까 25 다각도로(多角度-) 여러모로 26 다릿골독 times대릿골독 09 2s 다슬기 대사리 전문용어로는 lsquo다슬기rsquo를 26

인정함

다홍(-狂) 진흥(륭狂) 26 단결음에(單-) 단숭에(單-) 26 단검에 단결에 26 단연코(斷然-) 단연히(斷然-) 26 답쪽 times담쑥 손으로 탐스럽게 취거나 08

활로 탐L렵 게 안는 모양

times담쑥 당쪽 손으로 탑스럽게 취거나 08 활로 탐스럽게 안는 모양

당달봉사(-奉事) 청맹과니(좁톱-) 26

대강굿(大藍-) 대강놀이(大藍-) 26

대변보다(大便-) 뒤보다 26 lsquo

times대접문(-救) 대접무늬 21 times뱃가지 뱃개비 1 대를 쪼개 잘게 깎은 2s

꽂이

2 lsquo대의 가지rsquo의 뭇으로

는인정함

14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뱃돌(훌-) 성돌 lsquo집채의 낙숫고랑 안쪽에 26 돌려가며 놓은돌rsquo의 풋

으로도 얀정합

x더껑이 더께 1 텀어서 몹시 찌든울 25 건에 앉은때

2 lsquo결쭉한 액체의 거죽 에 엉겨 굳은 꺼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더미씌우다 다미씌우다 (고시) 얀다미씌우다 19 x덧구두 덧신 25 덮개 뚜껑 lsquo이불 처네 등의 총칭rsquo 26

또는 lsquo착한 마음을덮어

서 가리는 탐욕이나 성내

는 마음rsquo의 돗으로도 인

청함

도리갯장부 도리깨채 26 도토리나무 떡갈나무 lsquo도토리 냐우rsquo 는 lsquo상수리 26

나무rsquo의 별칭으로 lsquo떡갈

나무rsquo와 별개엄

돈지캅(-紙面) 지갑(紙便) 16 26 돈표(-票) 환(換) 26 돋보껴안경(-眼鏡) 돋보기 16 26 -돌개바람 구풍(顧風) lsquo회오리 바람rsquo 의 돗으로 26

도 언정항

툴커와 너새 26 rarr돌렴자(-字) 항렬자(行列字) 26 -동강이 동강 16 -동동걸음 표느죠 otilde-거 (i g 26 rarr동자부처(購子 ) 눈부처 26 -동차부처(童子-) 동자보살(童子홈題) 사랍의 두 어깨에 있다는 26

신(神)

-두견새(柱蘭-) 소쩍새 26 두견이(柱騙-) 26

표준어 모음 14D

times두렵단자(-團子) 두럽떡 21 둘러쓰다 뒤집어쓰다 26 둬둬 드헤드레 수봉기(受峰器)를 대고 26

벌비로 몰아넣을 때 벌을

부르는소리

times뒷개 설거지 윷놀이 용어로는 안청함 25 뒷결박(-結續) 뒷짐결박(-結網) 26 프1lsquo1고 E 뒤통수 26 뒷마당 뒤뜰 26 뒷전보다 뒷전놀다 26 듣그렵다 시끄렵다 26

X들망(-網) 후릿그물 21 들쑥날쑥 들쭉날쭉 19 26gt

lsquo 들오리 물오리 lsquo들오리rsquo는 lsquo집오리rsquo에 26 대하여 야생의 오리를

lsquo물오리rsquo는 lsquo청둥오리rsquo를

말함

times들치다 들추다 lsquo물건의 한 쪽 머 리 를 쳐 25 들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하

고 lsquo들치이다rsquo의 준말로

는 인청하지 않음

등헤엄 총장헤엄 26lsquo X딸각발이 딸짝발이 17 땅강아지 times하늘밥도둑 25

X땅꾼 딴꾼 1 포도청에 매이어 포교 2~

의 섬부름으로 도둑잡

는데 거투는사람

2 lsquo뱅을 잡아 파는 사람rsquo 의 뜻으로는인갱하고

lsquo몹시 인색하고 이기척

언 사람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하져 않음-

땅벙어리 땅형이 2amp

142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때까중

X때깨중이

렬기나무

X똑하다

뚱뚱이

탠-

τ최Z

뜨 뜨디

x

-(이)랑

X마련통이

마상

X마술장이(魔術-)

마술쟁이(魔術-)

마짓밥(顧릅-)

x마치

막철다

막걸리다

X만양

말개며

중대가리

중대가리

times좀나무

꼭하다

뚱뚱보

캠질

매련퉁이

마상이

times요술장이(妹術-)

요술챙이(te(術-)

마지(鷹릅)

망치

맞걸다

맞걸리다

늦모내기

마냥

왕개미

25 25 25

정 직 하고 안상(安神)하다 25 26 19

1 더운 날의 모래밭이나 25 온천 또는 뜨거운 물

속에 몽을묻어서 땀을

흘리어 병을 고치는 법

2 lsquo뜸을 뜨는 일rsquo의 뭇

으로는인정함

-하고과와 26 미련퉁이 08 17

16

09 09 26

16 26

lsquo(망치보다 작은 것으로 25 서) 못 박는 연장rsquo의 뭇

으로는인청함

lsquo막걸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26

가진 돈을모두 걸고 단

판하다rsquo 의 뜻으로 lsquo맞결

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돈을

따려고서로돈올결다rsquo의

돗으로 안정함

26 1 만이앙(曉移快) 26

2 (고시 ) x 만양모rarr마 26

냥모

lsquo큰 개미rsquo라는 뭇으로 모 26 두언청함

표준어 모읍 143

전문용어로는 lsquo왕개미rsquo엄

말거미 왕거마 lsquo큰 거미rsquo라는 뭇ξ로 모 26 두안정함

전문용어로는 lsquo왕거미rsquo임

말그L름하다 맑스그레하다 26 x맛대강이 맛 25 망가지다 망그러지다 26

X매커 튀기 lsquo수돼지와 암소 사이에서 25 낳는다는 점 송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매양(每-) 번벤이(養養-) 26 X매풋집(寶酒-) 솔집 21 매해(每-) 매년(每年) 26

x볍옐 맹쌀 lsquo젠 메밀을 약간 말려 쩡 17 어 껍질올 벗긴 쌀rsquo의 돗

으로는 인정함

X야련 매련 17 _X야욕하다 매욱하다 어리석고 둠하다 17 X머드레콩 그루콩 1 그루갈이로 심은 콩lsquo 25

2 lsquo밭가로둘러 성은콩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함

X명구력 구럭 1 새끼로눈올투물게 떠 14 25 서 그물같이 만든물건

2 lsquo썩 성기게 떠서 만든

구럭rsquo의 뭇으로는 인정

벚다 엄추다 26 x베토끼 산토꺼(山-) 22

멧돼지 산돼지(山-) 26 멸구 며루 lsquo멸구rsquo는 멸구과에 속하 26

는 곤충의 얼종이고 lsquo며

루rsquo는 모기의 유충임

x명 목화(木花) lsquo우명 rsquo 의 돗으로는 언갱 함 25

144 국어생 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명자나무(훌體-) 모과나무 lsquo모과나무rsquo 는 명 자나무의 26 별칭임

모군꾼(幕軍-) 모군(幕軍) 16 26gt

모래사장(-沙場) 모래룹 26 X모어려수에 무에리수에 거리로 다니며 첨을 치라 17

고 외치는 소리

times모지다 모질다 lsquo성질 일 물건이나 모 25 양이 모가 난데가있다rsquo

의 돗으로는인정함

X목실(木-) 무명실 25 몰매 뭇매 26 옴서리나다 몸서리치다 26

X몽깃돌 낚섯봉 lsquo밀물과 썰물에 뱃머리를 25 곧게 하기 위하여 고물에

다는 돌rsquo의 뭇으로는 언

정함

무겁한량 times무겁활량 05 17 X우겁활량 우겁한량 051T 우식꾼(無講-) times무식장이(無識-) 26 OP

무식쟁이(無훌훌-) 26 0동 X물앵도(-樓挑) 물앵두 05 물앵두 times물앵도(-樓挑) 05 웅그대다 뭉개다 1 일을 어떻게 할 줄 모 26

르고 짓이기다

2 lsquo제자리에서 폼을 그 냥 비비다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X뭘하다 윗하다 거북하다 난처하다 17 미친놈 미치팡이 26 밀뼈세장 times멀삐죄장 지게의 윗세장 아래에 가 17

로박은나무

X밀뼈쇠창 멀뻐세장 지게의윗세장 아래에 가 1T

로박은나무

표준어L 모융- 145

X법둥스렵다 법살스렵다 Tl 바깥양반(-兩班) 사랑양반(舍願兩班) lsquo -26

바늘뱅셔(rarr方席〉 ldquo 바늘겨레 26 X바랍꾼 lsquo r _바람둥이 25 바심 rsquo 타작(打作) 26

박새 lsquo X깨싸 25 박첨지놀음(朴했知-)x꼭둑각시놀음 (고시) x꼭둑각시rarr꼭두 26

X반대기

X반대기

times반미콩(飯米-)

times발구

발뒤꾸머리

발새

발짓

배뱃니

X배햇쾌기

백곰(白-)

X백하첫(白嚴-)

꼭두각시놀음

소래기

밥밑콩

걸채 -

발뒤꿈치

발살

발질

찾니

배추속대

흰곰

새우첫

각시 rsquo 26

1 앓게 펴 서 다듬어 만 14 25 든조각

2 lsquo무슨 가루률 반죽한

것이나 삶은 푸성귀를

현연하고둥글넓척하게

만든조각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굽 없는 갱시와 같은 넓 25 윤질그릇

21 1 소의 길마 위 에 덧 얹 25 고곡식 단올싣는제구

2 lsquo산에서 쓰는 캘매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합

26

26

lsquo발짓은 lsquo발융 웅칙이는 26

짓rsquo의 돗으로 lsquo발질rsquo응

lsquo발걸질rsquo의 뭇으로 인정

26

25 전문용어로는 lsquo흰곰rsquo만 26

인청함

25

14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밴덕 얀덕 19rsquo

번연히 번히 16

벌5 허튼모 lsquo오판 구역 밖에 볍써가 2amp 떨어져 자라난 모rsquo냐 lsquo일

을 말막음ξ로 했을 째

쓰는 말rsquo의 돗A로도 인

정함

X벙태기 벙테커 17

병태기 times벙태기 17

별간장(別-홉) 손님장(-짧) 작은 그릇에 따로 담그는 26 간장

별맛(別-) 별미(別味) 26

X별미적다(別味-) 별미쩍다(別味-) 17

별마쩍다(別味lsquo) times별미적다(別味-) 17

X보리풀꺾다 보리풀하다 보리 갈 땅에 거름하기 위 25 하여 풀이나 나뭇잎을 베

어 오다

times보사리감투 보살감투(홈塵-) 17

X보챙기 겨리 lsquo보슐을 낀 챙기rsquo의 뭇~ 25 로는 안청함

복부르다(復-) 초혼하다(招塊-) 26

x복생션(-生蘇) 복 14

복어(-魚) - 16 26

X부레끊다 부레끓다 25

부헤꿇다 times부헤끊다 25

X부시다 부수다 lsquo그릇 같은 것을 께꿋이 25 씻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X부얼부얼 북슬북슬 1 짐승이 살이 찌고 탤 25 이 탕스렵게 많이 난

모양

2 lsquo잘찌고 탑스렵게 생 긴모양rsquo의뜻으로는인

정함

표준어 모옴 147

부엌칼 식칼(食-) 26 X부철다말 부철따말 17 부철따말 times부철다말 17

X북두 부뚜 1 타작마당에서 쓰는 돗 25 자리

2 lsquo마소에 짐융 싣고 그 정파 배률 얼러서 매는

줄rsquo의 뭇으로는 인갱함

분결(慣-) 분검(念 慣-) 26 분지르다 부러뜨리다 26 불공드리다(佛供-) 풍양드리다(供養-) 26 불풍밥(佛供-) 퇴식밥(退食-) 26 불룩이 times불룩히 17 불친소 악대소 26 불호령(-號令) 볼호령(-號令) 26

X붙여장다 붙잡다 14 25 비단개구리(排繼-) 무당개구리 전문용어로는lsquo우당개구 26

리rsquo를 안청함

X비사차기 비사치기 25

비사치기 times비사차기 25 X빚거간(-居間) 빚지시 1lsquo 벚올 주고 쓰는 데 에 25

중간에서 소개하는 일

2 lsquo벚올 내고 주는 데에 중간에서 강H하는 것

을 업으로 장는일rsquo의

뭇으로는인청함

빨갱이 times빨강l 1 공산주의자 09 17 2 lsquo빨간빛의 물건rsquo의 뭇 으로는 lsquo빨강이rsquo를 얀

정함

X빼주 배갈 25

X사갓집(훌家-) 사돈집(흉賴-) 25

사거리(四-) 네거리 26

148 국어 생활- rsquo 90 가올 (제 22호)

사마귀 버마재벼 전문용어로는 lsquo사마귀rsquo를 2β

인청함

사향노루(훌香-) 궁노루 26

값전(-鍵) 돈 (고시 ) x 잔정-gt잔돈 26 산울렴(山-) 헤아리 26

X산코골다 헛3i골다 25 살긋하다 썰긋하다 바르게 된 물건이 한쪽2 19

로 일그러지다

X상량대(上陳-) 마룻대 21 25 times상량도리(上標-) 마뭇대 21 25 times상재(上-) 상좌(上뾰) 05 X상청(上-) 상창(上唱) 뛰어난 창(唱) 05 샅바채우다 샅바지르다 26

X새소리 놀소리 25 X새치롬하다 새치름하다 시치미를 떼고 태연하거 17

나 양천한 기색을 꾸며 다-새치름하다 times새치롬하다 시치미를 혜고 태연하거 17

나 양전한 기색을 꾸미다

색깔(色-) 빛깔 26

times셋까닿다 새까땅다 17 X셋빨창다 새빨창다 17 X셋파량다 새파량다 17 times생갈이(生-) 애벌갈아 1 논이나 밭을 첫 번 가 21

는일

2 lsquo홍두깨 깔이 rsquo 의 준말로 는 lsquo생갈이rsquo를 언정함

X생급L렵4 새삼스렵다 lsquo하는 것이나 말이 캅작 2~

스렵고 돗밖이 다rsquo AElig는

lsquo끄챔어내는 말이 엉뚱하

고 터무니없다rsquo의 뭇으로

는 언청함

생김치(生-) 날검치 ~6

쟁옥(-木〕 당목(康木) 2amp

150 국어생활 90 가올〔제 22호)

X솔갱이 솔개 (고시 )~x소리개rarr솔개 2S

times쇠꼬창01 죄꼬쟁이 09

쇠꼬챙이 times죄꼬창이 09-

X쇠버즘 쇠버짐 17 쇠버짐 times쇠버즘 17

쇠족(-足) 쇠다리 26 쇠죽솥 쇠죽가마 26

times수무(手-) 수모(手母) 신부(新橋)의 보초안 OS

times수이 쉬이 20-

X수이보다 쉬이보다 20 times수이여커다 쉬이여기다 20 rsquo

X숭이 송이 08 시골말 사투리 26

times시초잡다(始初-) 시착하다〔始作-) 25--

신바랍 어껏바량 2amp 신첩살렴(新援-) 신접살이(新援-) 2amp 신챈나무 신대 2amp

설로(實-) 참으로 2G

섬보(心-) 마음보 26 섬술퉁이(心術-) X섬술통이(心術-) 08 심섬파척(-破寂) 섬섬풀이 2amp

times성갱싱갱하다 싱둥생둥하다 lsquo방이 서늘하고 차다rsquo의 2S

뜻으로는 인청함

X성퉁생둥하다 성갱생갱하다 lsquo기운이 줄어질 만한 일 2S

을 겪은뒤에도본래의 기

운이 있다rsquo의 뜻으로는 언

청함

싸느황다 X싸느렇다 17

X싸느렇다 싸느량다 17

X싸려운 사렵문 lsquo싹리로 만든 문rsquo의 뭇으 25

로는 인청함

쌀긋하다 생긋하다 19rsquo

쌍망이 times짱맹이 09

표준어 모음 151

X썽맹이 쌍망이 09-

쌍소리 장소리 19

쌍섬지셔다 쌍심지나마 26

쌍심지오르다 26

X써내다 켜내다 lsquo글씨롤 써셔 내놓다rsquo의 ~s

뭇으로는 언청함

X써다 켜다 lsquo조숫풀이 출거 나 펀 물 25 이 새어셔 줄다rsquo의 룻으

로는 안청함

X썩정이 삭청1 1 산 나우에 붙은 채 말 25 라죽윤나뭇가지

2 lsquo썩은 물건rsquo의 돗A로 는인청함

썰다 써리다 1 논밭융 고르게 하다 16 2 middot물건율 로막토막 통 캉치다rsquo의 뭇으로도 안

갱함

쓰레장판 쓰헤받기 유치 캉환요로 만든 쓰레 26 받기

씨돼치 종톤(種際) 26

아래얄 X아랫알 수판의 가릅대 아래의 알 17

아랫녘 앞대 1 어떤 치방에서 그 남 26 쪽의 지방을일컴는말

2 lsquo전라도 경장도흘 일 걷는 말rsquo로도 안갱함

X아랫동강이 종아리 25

times아랫알 아래알 수판의 카름대 아래의 알 17

아랫중방(-中林) 하인방(下引林) 26

아련하다 오련하다 19

X아웃 가웃 lsquo말아웃rsquo은 언청함 17 2()

아유 아이고 19

아지직 오지칙 19 아치작 19

1 한그릇에 두가지 이

상의 음식을 어울리게

당다

~ lsquo홈칙 따위률 식지 않

게 불에 놓거냐 따뭇한 lsquo - ~ 바헤lsquo묻어 두다rsquo 또는- lsquo e

lsquo샤랑올 안동하여 보내

다j의- 돗으로는 인정하

고 lsquo암구다rsquo (교미를 붙

이다)의 뭇으로는 인청

하지 않음

lsquo ~6 gt 26 lsquo

lsquo 26

- - - - 스 25rsquo

19 -26

09

lsquo26

25

국약2생 활「rsquo 90 가을(제 22호)

안개 u] 가랑비

얀갱 안채 안쪽외영 채

주인집(主A-)

안혜 바로전해 쌓즘삼C삼rsquo ~ ~ I rsquo lsquo 얄픔좀쏟 (rsquo 간

X 알박이 ν lsquo f알뼈71 알 밴 생션 얄펠대71 ~ J f -lsquo~T단〈rsquo觸蛋 chitan)

X 알심 -Z ) t ilsquo끼(고앵이( 1 초목의 줄기 가운데의 lsquo gt τ 연한 심

f lsquo - J lsquo 2[ lsquo판폰한 동정섬rsquo 또는

lsquo속에 있는힘rsquo의 뭇a lsquo -lsquo - Ilsquo middot 안 로는 인정함

알약(-藥) J μ환약f갯L藥)

양딴해도1 lsquo rsquo ~ t ~ - τ 아운리쾌도

앙구다 r rsquo l lsquo t ( lsquof쩔lsquo플이다

J rsquo z bull lsquo ι rsquo rsquo

ω Mω Mω

J52lsquo

~r

-rsquo

lsquo rdquo

ldquo

두별갈이

앞뜰

아기

애타다

아비

lsquo lsquo

26

26

09

26

09

1 놀라거나반가올때 내 26

는소리

2 lsquo예rsquo(존대할자리에 대

rdquo lsquo

rsquo

bull lsquo

앞뒤갈이 앞lsquo바당

X애기

애끓다

lsquo애비

F

26 09 26 09 26 26 26-

21

26 (고시) x찍rarr쪽 26 1 마음이 너그렵고 정질 26 lsquo

l 부드렵다

2lt lsquo얼굴의 각 구맹새가

ι-넬젝널찍하다rsquo의 뜻우-낀-rsquo-로도 언갱함

한 살청도차이 나서 동

감이나 다름없음

1 여러 사랍이 밑천올 어

울러서 하는장사 2 어려장수의 영업 rsquo 위 -

뭇으로는언청함

153 lsquo표훈어 lsquo 오옴

답하거나재쳐 묻는말)

의 뭇으로는 인정하지

않음

lsquo오밤중rsquo도 안정함

lsquo - lsquo- rsquo lsquo

times야말장이 1

야발쟁이

한밤중(-中) 약물터(藥-)

분칭(分햄)

양지머리뼈

lsquo 이모작(그毛作)

양현짝(兩便-)

서글서글하다

middot야발단지

rsquo

bull

녁 ι니

1r

t

ι水

」骨

7

便

- -

蘭藥

爛浦lsquoh浦합i

yF

터 νF 빼 루 £1 맏

이 i

바n

--lsquo저ι

골ι 그lsquo

펀 그τ π -lsquolsquo j

lsquo

야 야T1

약1

양lsquo

양 어「lsquo

x

26

25

懶1ι

갑 rsquolsquolsquo

1j렁shy

영-

J샤L C

ldquo

그rdquoRlsquo-lsquo

짧 ι

쐐υ

껴기

lsquo리

x

r 4

--μ

t i

x 어버리j좋다 -

어스러기

x어스러기 lsquo 어스럭송아지

어융 어이구 어환둥퉁 어허둥둥

어〈홉1 - 이 ldquo lsquo 범 ~ lsquo X언냐 어린아아

얼간1 -기ldquo - 얼간망풍l

X얼러망~땅~l - 니 ldquo 을러방망억

얼룩말 얼럭말

22 25

대담하다(大觸-)

ι lsquo lsquo lsquo bull ~ rsquo

25

19 lsquo

19 lsquo

26

25

26 17

26

옷 따위의 솔이 어스러진

큰송아지

표준어 모옴 155-

X옴살 엄살 lsquo한몽같이 친밀한터rsquo의 뭇 17 A로는인정함

옴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gt

왕매미 말매미 lsquo큰 매미rsquo의 뜻으로모두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말매

미rsquo엄

왕벌 호박멸 lsquo큰 벌rsquo 의 뭇으로 lsquo왕별 말 26 말벌 벌rsquo 모두 언청 함 전운용어 26

로는 lsquo호박별rsquo엄

왕새우 대하(大醒) 전문용어로는 lsquo대하rsquo를 인 26

청함

왕파리 쉬파리 lsquo큰파리rsquo의 뭇으로 모두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쉬파

리rsquo를 언정함

왜난목 내공목(內供木) 옷의 안강으로 쓰는 풍질이 26 낮tr -n「며

왜먹(훌-) (채래의 6 모형에 대해) 네 25-lsquo

모난먹

times외발제기 외알채기 1 굽 하나를 질질 끌어서 17rsquo

다디어 걷는 걸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소

2 lsquo한 발만가지고차는제

기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외상관혜(-冠禮) 외자한례(-冠禮〕 2amp X외통목 외킬목 lsquo장기 둘 때에 외통장군이 25-

되는 킬목rsquo의 뭇으로는 인

청함

X왼 온 lsquo왼쪽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1( 요뒤 요의(覆衣) 26 용슷바람 회오리바랍 26

times우그령흑박 우그령쪽박 17 X우물우둘 우틀우플 1 춤거나무서워서 폼을떠 08

τ~ YOJ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5: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표준어 요음 131

를 질었다 이 경우에도 비표준어로 처리된 단어 앞에 times표를 하였

표제어 관련 단어 비 고 관련규정

빨갱이 times빨강이 1 공산주의자 09 17

2 lsquo빨간 빛의 물건rsquo의 뭇으

로는 lsquo빨강이rsquo를 안정함

턱받이 times턱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깊

3) 비고 표제어의 의미 관련 단어와의 관계 예문 고시된 표준어 동

표제어에 관계되는 정보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lsquo비고rsquo란에 제시하는

정보가 표제어에 대한 것인지 관련 단어에 대한 것인지를 언급하지

않은 경우에는 표제어에 대한 것이다

-4) 관련 규정 심의 과정에서 척용한 lsquo표준어 규정 제 1 부 표준어 사정

원칙rsquo의 항을 제시하였다

(2) 발 음

J) 표제어 -) 창단 두 사전에서 창단음 여부가 엇갈리는 단어를 제

시하되 심의 결과를 그대로 표제어에 반영하였다 즉 제 1 음젤에서

장음으로 실현되는 것으로 심의펀 단어는 제 1 음철과 제 2 음철 사

이에 장옴부 lsquo rsquo표를 하였으며 단음으로 실현되는것으로심의된 단

어는창음부 lsquorsquo표를하지 않았다 따라서 장음부 lsquorsquo표가있는단

어의 단음형윤 버표준발음으로 처리된 것이며 단읍으로 실현되는 것

-으로 제시된 단어의 장음형도 비표준 발음으로 처리된 것이다

표제어

건넷방

옐나무

지난날

비 고

내 ~ 뉘 ~

-) 경옴 경음(lsquoLrsquo 첨가 포함)~로의 질현 여부가 엇갈리는 단어

13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를 제시하되 심의 컬과를 그대로 표제어에 반영하였다 즉 경음

으로 실현되는 것£로 심의된 단어는 표체어의 해당 위치에 lsquo사이

시옷rsquo을 쓰거나 표제어 뒤에 그 음성형을 제시하였A며 명음으로

실현되는 것으로 심의된 단어는 그 음성형올 별도로 제시하지 않

었다 따라서 표제어에 lsquo사이시옷rsquo으로 표기되었거나 표제어 뒤

의 [ ] 안에 제시된 정음으로 실현되는단어의 평음형은 비표준말

음으로 처리된 것이고 표제어에 lsquo사이시옷rsquo이 표기되지 않았거나

표제어 뒤에 그 정음형이 제시되지 않은 단어의 경읍형은 비표준 발

음으로 처리된 것이다

lsquo」rsquo 첨가가 문제되는 단어는 lsquo경음rsquo 부분에 준하였으나1 lsquoLrsquo아

첨가된 발음과 첨가되지 않은 말음이 모두표준발음£로 안정된 경

우에는 그 발음형 모두를 [ ] 안에 제시하였다

표제어

겨울장[-짱J

등정 [-쩡]

몸길이

폼서리

얄긋얄긋[얄근날금얄그얄곧]

비 고

체장(體長)

큰일 다루는 데 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일

큰일[-닐]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2) 비고 표제어에 관계되는 청보를 제시하였다

5 위에서 언곱하지 않은 사항은 lsquo표준어 규정rsquo에Z따랐다

표준어 모옴 133

1 어휘 선택

표제어 관련 단어 비 고 관규정련 X가귀뜨기 가귀대기 열다섯 끗 뽑기로 내기하 17 25

는투전노름

가동질 가통거리는 짓 08 가래질꾼 가래꾼 16 가려잡다 골라잡다 26 가력되다 개력하다 26

X가리마꼬창이 times가리마꼬챙이 09 가르마꼬챙이 09

X가리마꼬챙이 times가리마꼬창이 09 가르마꼬챙이 09

X가리워지다 가리어지다 25 X가스라기 가시랭이 25 X가A랑이 가시랭이 25 가시줄 가시철사(-鐵絲) 26 각시 새색시 lsquo작게 만든 여자 인형rsquo의 26

뭇으로도언청함

간단없다(間斷-) 끊임없다 26 간단없이(間斷-) 끊임없이 26 간밤 지난밤 26

X 간장족박(-醫-) 간장쪽박(-醫-) lsquo 17 간장쪽박(-體-) times간장족박(-醫-) 17

X간해 지난해 25 X갈비 솔가리 불쏘시개로쓰는솔잎 25 갈잎나무 떡갈나무 lsquo떡갈나무rsquo 는 갇잎나무의 26

일종엄

134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times강화(-火) 도깨버불 21

값나다 금나다 1 물건 값이 정해져서 왈 26 고사고할수있게 되

2 lsquo값나가다rsquo 의 준말로

는 인갱하지 않읍

X값높다 값비싸다 lsquo값비싸다rsquo 의 뭇으로 lsquo금 25 높다rsquo도언청함

times강밥 눌은밥 lsquo강다짐으로 먹는 밥rsquo의 25 뭇 o 로는 안정함

개소리괴소리 times개소리괴소문 17

times개소리괴소문 개소리괴소리 17

times개지 강아지 lsquo버 틀치 rsquo (물고기 이 름)로 25-

도 인청하지 않음

갯버들 땅버들 전문용어로는 lsquo갯버들rsquo을 2amp 안정합

X갱조개 가막조개 채첩 25-

갱충맞다 갱충쩍다 26-

거령맞다 거령 ζ렵다 2amp 거륨발 거릅커(-氣) 2amp

X거상 큰톱 25 거푼거푼 놓암 물체의 한부분이 바 25-

람에 불리어 떠들리었다가

가라앉았다가하는모양

times거풀 꺼풀 17

건건이 반찬(飯戰) 2amp 걷어쥐다 걷어잡다 26lsquo

times검은깨 주근깨 lsquo빛깔이 검은 참깨rsquo의 돗 25 으로는 인청함

검청홍 검은콩 26 X걷껑더기 걷껍데기 09 걷껍테 7l times곁껑더기 O~

걷장 수잠 2amp

표준어 모음 135

X게걸스렵다 게검스렵다 1 욕심껏 마구 먹어 대 25 는태도가있다

2 lsquo게걸들린 태도가 있 다rsquo의 돗으로는 인정함

times게꼬리 게꽁지 지식이나 재주 퉁이 극히 25 적거나 짧음

게꽁지 times게꼬리 지식이나 재주 둥이 극히 25 적거나 짧음

X계오다 지다 옷이기다 20 25 times고두밥 지에밥 1 참쌀 혹은 맹 쌀을 시 25

루에 쩌서 만든 밥

2 lsquo되게 지은 밥rsquo의 뭇

A로는 인정함

고로(故-) 그러므로 2amp X고물 고미 1 반자의 한 종류 25

2 lsquo우플마루를 놓는 데 귀틀 두개 사이의 구

역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times고부탕이 고비 1 중요한 기회 25 2 lsquo피륙을 필올 지을 때 꺾여 겹쳐 념어간곳rsquo의

뜻으로는안정함

고운대 곤대 토란출거리 16 골찍 골짜기 16 times곰살곱다 곰살강다 17 X곰탕 곰팡이 25

times곱수머리 곱슬머리 25 풍히(共-) 모두 26 과경에(過煩-) 아까 26 과목밭(果木-) 과수원(果樹園) 26 패팡스렵다 망령스렵다(훌靈-) 26

times괴엄 굉 (고시) 괴다고이다 18 고임 18

13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괴엄새 굉새 1 꾀어 놓은모양 18 고임새 2 (고시) 괴다고이다 18

X펀돌 고언돌 17 구기자나무〈抱紀子-) x괴 쫓나무 22 25

X구럭 망태기 lsquo새꺼로 그물 뜨듯 눈올 25 드물게 떠셔 만든 물건rsquo

의 돗£로는 인정함

구역나다(騙遊-) 욕지기나다 26 군기칩 헛키침 26 굿복(-服) 굿옷 26 렷속말 귀옛말 26 그물눈 그물코 26

X근두박질 곤두박질 05 글동무 글통접(-同接) 26 글동첩(-同接) 글통무 26 금몽(옳) 금씩신(金色身) 26 금출(禁-) 언줄(λ-) 26 기겁하다 times기급하다(氣急-) 05 17 기꼭지(雄-) times기대강이(雄-) 25 커미채다(幾微- 機微-) 낌새채다 26 기수채다(幾數-) 26 기어코(期於-) 기어이(期於-) 26 기장 걸이 lsquo옷 따위의 긴 정도rsquo의 뭇 26

으로 안정함

X기치량물 지지랑물 17 까까중 25 times까스라기 가시랭이 25 X깐보다 깔보다 lsquo어떤 형현이나기회에 대 25

하여 마음 속으로 가늠

을 보다rsquo의 뭇a로는 언

청함

X깔딱 딸쭉 1 딸쭉질하는 소리 25 2 lsquo액체를 조금씩 삼키

표준어 오옴 137

는소리rsquo 또는 lsquo앓은물

체가 뒤집히는 소리rsquo의

뜻으로는 안청함

x깔딱거리다 딸쭉거리다 25 x깔딱깔딱 딸쭉딸푹 25

Z강총하다 times깡충하다 다리가 길다 큰말은 lsquo갱 08 충하다rsquo임

X깡충하다 깡총하다 다리가 킬다 큰말은 lsquo갱 08 충하다rsquo엄

X깨보숭이 깨소금 lsquo들깨의 꽃송이와 창쌀가 25

루를 버무려 기름에 튀긴 lsquo 반찬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X깨보숭아 채고물 25 X깨이다 깨다 1 lsquo(알을) 까다rsquo의 피동 25

2 lsquo(장을) 깨다rsquo의 펴동

의 뭇으로는안정함

X째이다 깨다 lsquo(알융) 까다rsquo 의 사동 25 껴껴푸드덕 times쩍껴푸드득 장끼가 울며 쾌치는 소리 17

X껴껴푸드득 쩍껴푸드덕 장끼가 울며 혜치는 소리 17 갱벅거리다 끔벅거리다 19 26

X꼬끼댁 꼬꼬댁 17 -x 1i창이 꼬챙이 09 포챙이 X 1iL창이 09

X꼬치 고주 17 lsquoX꼬치 고치 17 x꼭두머리 꼭대기 lsquo시간척으로 얼의 가장 처 25

음rsquo의 뭇으로는 언청함

꽁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 꼽추 곱사퉁이 26 꽃자루 꽃꼭지 전문용어로는 lsquo쫓자루rsquo 를 26

안정함

X쫓택 times꽃받기 쫓받침 25 X팩장이 꾀보 2509

138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꾀쟁이 26 09gt

X꾸다 뀌다 1 방귀를 25 2 lsquo빌려 오다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끝전(-錢) 극ζ~~ (고시) x잔전rarr잔돈 26 X낄룩 끼룩 (내다보거나 삼키려 할 14 25gt

때) 목올 킬게 빼어 내미

는모양

나방이 나방 16 X나부라기 나부랭이 (고시) 나부랭이너부렁이 25 난목(-木) 외올베 26 times난봉장이 난봉꾼 09

난용쟁이 09 times날물 썰물 lsquo나가는 물rsquo 의 뭇으로는 25

인정함

times날빛 햇벚 lsquo햇빛을 받아서 나는 온 25-

세상의 빛rsquo의 돗£로는인

정함

남차답다(男了~) 사내답다 26 times내나 일껏 lsquo결국은rsquo 의 뭇으로는 인 25

정함

내숭 times내흉(內ethI) 05 17

내숭스허1 times내흉스헤(內뻐-) (고시) x내흉A렵다rarr내 0517

숭스렵다

냉국(冷-) 찬국 26 너울지다 놀지다 16 26 널판때기 times널판대기 26 17 널판자(-板子) 26

X예 네 (고시) 네예 17 18

X노란묵 노랑욱 치자 물을타서 쓴녹말묵 17 노랑묵 times노란묵 치자 물올타셔 춘녹말묵 17

녹슬다(綠-) times녹쏠다(綠-) 17 X녹쓸다-(綠-) 늑슬다(綠-) 17

표준어 모음 139gt

times누릉지 눌은밥 1 솥바닥에 눌어붙은 눌 25 은밥에 물을부어 긁어

τ효 -3 2 lsquo솥바닥에 눌어붙은 밥rsquo의 돗으로는 안정함

눈꼴시다 눈꼴틀리다 26 눈쌍 눈싸움 눈겨룸 16 times느루 -- lsquo대번에 몰아치지 않고 25 E

길게 늘여서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늦장 늑장 lsquo느직 하게 보러 가는 장rsquo 26 의 뜻으로도 안정함

x-(으)니까니 -(으)니까 25 다각도로(多角度-) 여러모로 26 다릿골독 times대릿골독 09 2s 다슬기 대사리 전문용어로는 lsquo다슬기rsquo를 26

인정함

다홍(-狂) 진흥(륭狂) 26 단결음에(單-) 단숭에(單-) 26 단검에 단결에 26 단연코(斷然-) 단연히(斷然-) 26 답쪽 times담쑥 손으로 탐스럽게 취거나 08

활로 탐L렵 게 안는 모양

times담쑥 당쪽 손으로 탑스럽게 취거나 08 활로 탐스럽게 안는 모양

당달봉사(-奉事) 청맹과니(좁톱-) 26

대강굿(大藍-) 대강놀이(大藍-) 26

대변보다(大便-) 뒤보다 26 lsquo

times대접문(-救) 대접무늬 21 times뱃가지 뱃개비 1 대를 쪼개 잘게 깎은 2s

꽂이

2 lsquo대의 가지rsquo의 뭇으로

는인정함

14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뱃돌(훌-) 성돌 lsquo집채의 낙숫고랑 안쪽에 26 돌려가며 놓은돌rsquo의 풋

으로도 얀정합

x더껑이 더께 1 텀어서 몹시 찌든울 25 건에 앉은때

2 lsquo결쭉한 액체의 거죽 에 엉겨 굳은 꺼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더미씌우다 다미씌우다 (고시) 얀다미씌우다 19 x덧구두 덧신 25 덮개 뚜껑 lsquo이불 처네 등의 총칭rsquo 26

또는 lsquo착한 마음을덮어

서 가리는 탐욕이나 성내

는 마음rsquo의 돗으로도 인

청함

도리갯장부 도리깨채 26 도토리나무 떡갈나무 lsquo도토리 냐우rsquo 는 lsquo상수리 26

나무rsquo의 별칭으로 lsquo떡갈

나무rsquo와 별개엄

돈지캅(-紙面) 지갑(紙便) 16 26 돈표(-票) 환(換) 26 돋보껴안경(-眼鏡) 돋보기 16 26 -돌개바람 구풍(顧風) lsquo회오리 바람rsquo 의 돗으로 26

도 언정항

툴커와 너새 26 rarr돌렴자(-字) 항렬자(行列字) 26 -동강이 동강 16 -동동걸음 표느죠 otilde-거 (i g 26 rarr동자부처(購子 ) 눈부처 26 -동차부처(童子-) 동자보살(童子홈題) 사랍의 두 어깨에 있다는 26

신(神)

-두견새(柱蘭-) 소쩍새 26 두견이(柱騙-) 26

표준어 모음 14D

times두렵단자(-團子) 두럽떡 21 둘러쓰다 뒤집어쓰다 26 둬둬 드헤드레 수봉기(受峰器)를 대고 26

벌비로 몰아넣을 때 벌을

부르는소리

times뒷개 설거지 윷놀이 용어로는 안청함 25 뒷결박(-結續) 뒷짐결박(-結網) 26 프1lsquo1고 E 뒤통수 26 뒷마당 뒤뜰 26 뒷전보다 뒷전놀다 26 듣그렵다 시끄렵다 26

X들망(-網) 후릿그물 21 들쑥날쑥 들쭉날쭉 19 26gt

lsquo 들오리 물오리 lsquo들오리rsquo는 lsquo집오리rsquo에 26 대하여 야생의 오리를

lsquo물오리rsquo는 lsquo청둥오리rsquo를

말함

times들치다 들추다 lsquo물건의 한 쪽 머 리 를 쳐 25 들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하

고 lsquo들치이다rsquo의 준말로

는 인청하지 않음

등헤엄 총장헤엄 26lsquo X딸각발이 딸짝발이 17 땅강아지 times하늘밥도둑 25

X땅꾼 딴꾼 1 포도청에 매이어 포교 2~

의 섬부름으로 도둑잡

는데 거투는사람

2 lsquo뱅을 잡아 파는 사람rsquo 의 뜻으로는인갱하고

lsquo몹시 인색하고 이기척

언 사람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하져 않음-

땅벙어리 땅형이 2amp

142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때까중

X때깨중이

렬기나무

X똑하다

뚱뚱이

탠-

τ최Z

뜨 뜨디

x

-(이)랑

X마련통이

마상

X마술장이(魔術-)

마술쟁이(魔術-)

마짓밥(顧릅-)

x마치

막철다

막걸리다

X만양

말개며

중대가리

중대가리

times좀나무

꼭하다

뚱뚱보

캠질

매련퉁이

마상이

times요술장이(妹術-)

요술챙이(te(術-)

마지(鷹릅)

망치

맞걸다

맞걸리다

늦모내기

마냥

왕개미

25 25 25

정 직 하고 안상(安神)하다 25 26 19

1 더운 날의 모래밭이나 25 온천 또는 뜨거운 물

속에 몽을묻어서 땀을

흘리어 병을 고치는 법

2 lsquo뜸을 뜨는 일rsquo의 뭇

으로는인정함

-하고과와 26 미련퉁이 08 17

16

09 09 26

16 26

lsquo(망치보다 작은 것으로 25 서) 못 박는 연장rsquo의 뭇

으로는인청함

lsquo막걸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26

가진 돈을모두 걸고 단

판하다rsquo 의 뜻으로 lsquo맞결

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돈을

따려고서로돈올결다rsquo의

돗으로 안정함

26 1 만이앙(曉移快) 26

2 (고시 ) x 만양모rarr마 26

냥모

lsquo큰 개미rsquo라는 뭇으로 모 26 두언청함

표준어 모읍 143

전문용어로는 lsquo왕개미rsquo엄

말거미 왕거마 lsquo큰 거미rsquo라는 뭇ξ로 모 26 두안정함

전문용어로는 lsquo왕거미rsquo임

말그L름하다 맑스그레하다 26 x맛대강이 맛 25 망가지다 망그러지다 26

X매커 튀기 lsquo수돼지와 암소 사이에서 25 낳는다는 점 송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매양(每-) 번벤이(養養-) 26 X매풋집(寶酒-) 솔집 21 매해(每-) 매년(每年) 26

x볍옐 맹쌀 lsquo젠 메밀을 약간 말려 쩡 17 어 껍질올 벗긴 쌀rsquo의 돗

으로는 인정함

X야련 매련 17 _X야욕하다 매욱하다 어리석고 둠하다 17 X머드레콩 그루콩 1 그루갈이로 심은 콩lsquo 25

2 lsquo밭가로둘러 성은콩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함

X명구력 구럭 1 새끼로눈올투물게 떠 14 25 서 그물같이 만든물건

2 lsquo썩 성기게 떠서 만든

구럭rsquo의 뭇으로는 인정

벚다 엄추다 26 x베토끼 산토꺼(山-) 22

멧돼지 산돼지(山-) 26 멸구 며루 lsquo멸구rsquo는 멸구과에 속하 26

는 곤충의 얼종이고 lsquo며

루rsquo는 모기의 유충임

x명 목화(木花) lsquo우명 rsquo 의 돗으로는 언갱 함 25

144 국어생 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명자나무(훌體-) 모과나무 lsquo모과나무rsquo 는 명 자나무의 26 별칭임

모군꾼(幕軍-) 모군(幕軍) 16 26gt

모래사장(-沙場) 모래룹 26 X모어려수에 무에리수에 거리로 다니며 첨을 치라 17

고 외치는 소리

times모지다 모질다 lsquo성질 일 물건이나 모 25 양이 모가 난데가있다rsquo

의 돗으로는인정함

X목실(木-) 무명실 25 몰매 뭇매 26 옴서리나다 몸서리치다 26

X몽깃돌 낚섯봉 lsquo밀물과 썰물에 뱃머리를 25 곧게 하기 위하여 고물에

다는 돌rsquo의 뭇으로는 언

정함

무겁한량 times무겁활량 05 17 X우겁활량 우겁한량 051T 우식꾼(無講-) times무식장이(無識-) 26 OP

무식쟁이(無훌훌-) 26 0동 X물앵도(-樓挑) 물앵두 05 물앵두 times물앵도(-樓挑) 05 웅그대다 뭉개다 1 일을 어떻게 할 줄 모 26

르고 짓이기다

2 lsquo제자리에서 폼을 그 냥 비비다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X뭘하다 윗하다 거북하다 난처하다 17 미친놈 미치팡이 26 밀뼈세장 times멀삐죄장 지게의 윗세장 아래에 가 17

로박은나무

X밀뼈쇠창 멀뻐세장 지게의윗세장 아래에 가 1T

로박은나무

표준어L 모융- 145

X법둥스렵다 법살스렵다 Tl 바깥양반(-兩班) 사랑양반(舍願兩班) lsquo -26

바늘뱅셔(rarr方席〉 ldquo 바늘겨레 26 X바랍꾼 lsquo r _바람둥이 25 바심 rsquo 타작(打作) 26

박새 lsquo X깨싸 25 박첨지놀음(朴했知-)x꼭둑각시놀음 (고시) x꼭둑각시rarr꼭두 26

X반대기

X반대기

times반미콩(飯米-)

times발구

발뒤꾸머리

발새

발짓

배뱃니

X배햇쾌기

백곰(白-)

X백하첫(白嚴-)

꼭두각시놀음

소래기

밥밑콩

걸채 -

발뒤꿈치

발살

발질

찾니

배추속대

흰곰

새우첫

각시 rsquo 26

1 앓게 펴 서 다듬어 만 14 25 든조각

2 lsquo무슨 가루률 반죽한

것이나 삶은 푸성귀를

현연하고둥글넓척하게

만든조각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굽 없는 갱시와 같은 넓 25 윤질그릇

21 1 소의 길마 위 에 덧 얹 25 고곡식 단올싣는제구

2 lsquo산에서 쓰는 캘매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합

26

26

lsquo발짓은 lsquo발융 웅칙이는 26

짓rsquo의 돗으로 lsquo발질rsquo응

lsquo발걸질rsquo의 뭇으로 인정

26

25 전문용어로는 lsquo흰곰rsquo만 26

인청함

25

14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밴덕 얀덕 19rsquo

번연히 번히 16

벌5 허튼모 lsquo오판 구역 밖에 볍써가 2amp 떨어져 자라난 모rsquo냐 lsquo일

을 말막음ξ로 했을 째

쓰는 말rsquo의 돗A로도 인

정함

X벙태기 벙테커 17

병태기 times벙태기 17

별간장(別-홉) 손님장(-짧) 작은 그릇에 따로 담그는 26 간장

별맛(別-) 별미(別味) 26

X별미적다(別味-) 별미쩍다(別味-) 17

별마쩍다(別味lsquo) times별미적다(別味-) 17

X보리풀꺾다 보리풀하다 보리 갈 땅에 거름하기 위 25 하여 풀이나 나뭇잎을 베

어 오다

times보사리감투 보살감투(홈塵-) 17

X보챙기 겨리 lsquo보슐을 낀 챙기rsquo의 뭇~ 25 로는 안청함

복부르다(復-) 초혼하다(招塊-) 26

x복생션(-生蘇) 복 14

복어(-魚) - 16 26

X부레끊다 부레끓다 25

부헤꿇다 times부헤끊다 25

X부시다 부수다 lsquo그릇 같은 것을 께꿋이 25 씻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X부얼부얼 북슬북슬 1 짐승이 살이 찌고 탤 25 이 탕스렵게 많이 난

모양

2 lsquo잘찌고 탑스렵게 생 긴모양rsquo의뜻으로는인

정함

표준어 모옴 147

부엌칼 식칼(食-) 26 X부철다말 부철따말 17 부철따말 times부철다말 17

X북두 부뚜 1 타작마당에서 쓰는 돗 25 자리

2 lsquo마소에 짐융 싣고 그 정파 배률 얼러서 매는

줄rsquo의 뭇으로는 인갱함

분결(慣-) 분검(念 慣-) 26 분지르다 부러뜨리다 26 불공드리다(佛供-) 풍양드리다(供養-) 26 불풍밥(佛供-) 퇴식밥(退食-) 26 불룩이 times불룩히 17 불친소 악대소 26 불호령(-號令) 볼호령(-號令) 26

X붙여장다 붙잡다 14 25 비단개구리(排繼-) 무당개구리 전문용어로는lsquo우당개구 26

리rsquo를 안청함

X비사차기 비사치기 25

비사치기 times비사차기 25 X빚거간(-居間) 빚지시 1lsquo 벚올 주고 쓰는 데 에 25

중간에서 소개하는 일

2 lsquo벚올 내고 주는 데에 중간에서 강H하는 것

을 업으로 장는일rsquo의

뭇으로는인청함

빨갱이 times빨강l 1 공산주의자 09 17 2 lsquo빨간빛의 물건rsquo의 뭇 으로는 lsquo빨강이rsquo를 얀

정함

X빼주 배갈 25

X사갓집(훌家-) 사돈집(흉賴-) 25

사거리(四-) 네거리 26

148 국어 생활- rsquo 90 가올 (제 22호)

사마귀 버마재벼 전문용어로는 lsquo사마귀rsquo를 2β

인청함

사향노루(훌香-) 궁노루 26

값전(-鍵) 돈 (고시 ) x 잔정-gt잔돈 26 산울렴(山-) 헤아리 26

X산코골다 헛3i골다 25 살긋하다 썰긋하다 바르게 된 물건이 한쪽2 19

로 일그러지다

X상량대(上陳-) 마룻대 21 25 times상량도리(上標-) 마뭇대 21 25 times상재(上-) 상좌(上뾰) 05 X상청(上-) 상창(上唱) 뛰어난 창(唱) 05 샅바채우다 샅바지르다 26

X새소리 놀소리 25 X새치롬하다 새치름하다 시치미를 떼고 태연하거 17

나 양천한 기색을 꾸며 다-새치름하다 times새치롬하다 시치미를 혜고 태연하거 17

나 양전한 기색을 꾸미다

색깔(色-) 빛깔 26

times셋까닿다 새까땅다 17 X셋빨창다 새빨창다 17 X셋파량다 새파량다 17 times생갈이(生-) 애벌갈아 1 논이나 밭을 첫 번 가 21

는일

2 lsquo홍두깨 깔이 rsquo 의 준말로 는 lsquo생갈이rsquo를 언정함

X생급L렵4 새삼스렵다 lsquo하는 것이나 말이 캅작 2~

스렵고 돗밖이 다rsquo AElig는

lsquo끄챔어내는 말이 엉뚱하

고 터무니없다rsquo의 뭇으로

는 언청함

생김치(生-) 날검치 ~6

쟁옥(-木〕 당목(康木) 2amp

150 국어생활 90 가올〔제 22호)

X솔갱이 솔개 (고시 )~x소리개rarr솔개 2S

times쇠꼬창01 죄꼬쟁이 09

쇠꼬챙이 times죄꼬창이 09-

X쇠버즘 쇠버짐 17 쇠버짐 times쇠버즘 17

쇠족(-足) 쇠다리 26 쇠죽솥 쇠죽가마 26

times수무(手-) 수모(手母) 신부(新橋)의 보초안 OS

times수이 쉬이 20-

X수이보다 쉬이보다 20 times수이여커다 쉬이여기다 20 rsquo

X숭이 송이 08 시골말 사투리 26

times시초잡다(始初-) 시착하다〔始作-) 25--

신바랍 어껏바량 2amp 신첩살렴(新援-) 신접살이(新援-) 2amp 신챈나무 신대 2amp

설로(實-) 참으로 2G

섬보(心-) 마음보 26 섬술퉁이(心術-) X섬술통이(心術-) 08 심섬파척(-破寂) 섬섬풀이 2amp

times성갱싱갱하다 싱둥생둥하다 lsquo방이 서늘하고 차다rsquo의 2S

뜻으로는 인청함

X성퉁생둥하다 성갱생갱하다 lsquo기운이 줄어질 만한 일 2S

을 겪은뒤에도본래의 기

운이 있다rsquo의 뜻으로는 언

청함

싸느황다 X싸느렇다 17

X싸느렇다 싸느량다 17

X싸려운 사렵문 lsquo싹리로 만든 문rsquo의 뭇으 25

로는 인청함

쌀긋하다 생긋하다 19rsquo

쌍망이 times짱맹이 09

표준어 모음 151

X썽맹이 쌍망이 09-

쌍소리 장소리 19

쌍섬지셔다 쌍심지나마 26

쌍심지오르다 26

X써내다 켜내다 lsquo글씨롤 써셔 내놓다rsquo의 ~s

뭇으로는 언청함

X써다 켜다 lsquo조숫풀이 출거 나 펀 물 25 이 새어셔 줄다rsquo의 룻으

로는 안청함

X썩정이 삭청1 1 산 나우에 붙은 채 말 25 라죽윤나뭇가지

2 lsquo썩은 물건rsquo의 돗A로 는인청함

썰다 써리다 1 논밭융 고르게 하다 16 2 middot물건율 로막토막 통 캉치다rsquo의 뭇으로도 안

갱함

쓰레장판 쓰헤받기 유치 캉환요로 만든 쓰레 26 받기

씨돼치 종톤(種際) 26

아래얄 X아랫알 수판의 가릅대 아래의 알 17

아랫녘 앞대 1 어떤 치방에서 그 남 26 쪽의 지방을일컴는말

2 lsquo전라도 경장도흘 일 걷는 말rsquo로도 안갱함

X아랫동강이 종아리 25

times아랫알 아래알 수판의 카름대 아래의 알 17

아랫중방(-中林) 하인방(下引林) 26

아련하다 오련하다 19

X아웃 가웃 lsquo말아웃rsquo은 언청함 17 2()

아유 아이고 19

아지직 오지칙 19 아치작 19

1 한그릇에 두가지 이

상의 음식을 어울리게

당다

~ lsquo홈칙 따위률 식지 않

게 불에 놓거냐 따뭇한 lsquo - ~ 바헤lsquo묻어 두다rsquo 또는- lsquo e

lsquo샤랑올 안동하여 보내

다j의- 돗으로는 인정하

고 lsquo암구다rsquo (교미를 붙

이다)의 뭇으로는 인청

하지 않음

lsquo ~6 gt 26 lsquo

lsquo 26

- - - - 스 25rsquo

19 -26

09

lsquo26

25

국약2생 활「rsquo 90 가을(제 22호)

안개 u] 가랑비

얀갱 안채 안쪽외영 채

주인집(主A-)

안혜 바로전해 쌓즘삼C삼rsquo ~ ~ I rsquo lsquo 얄픔좀쏟 (rsquo 간

X 알박이 ν lsquo f알뼈71 알 밴 생션 얄펠대71 ~ J f -lsquo~T단〈rsquo觸蛋 chitan)

X 알심 -Z ) t ilsquo끼(고앵이( 1 초목의 줄기 가운데의 lsquo gt τ 연한 심

f lsquo - J lsquo 2[ lsquo판폰한 동정섬rsquo 또는

lsquo속에 있는힘rsquo의 뭇a lsquo -lsquo - Ilsquo middot 안 로는 인정함

알약(-藥) J μ환약f갯L藥)

양딴해도1 lsquo rsquo ~ t ~ - τ 아운리쾌도

앙구다 r rsquo l lsquo t ( lsquof쩔lsquo플이다

J rsquo z bull lsquo ι rsquo rsquo

ω Mω Mω

J52lsquo

~r

-rsquo

lsquo rdquo

ldquo

두별갈이

앞뜰

아기

애타다

아비

lsquo lsquo

26

26

09

26

09

1 놀라거나반가올때 내 26

는소리

2 lsquo예rsquo(존대할자리에 대

rdquo lsquo

rsquo

bull lsquo

앞뒤갈이 앞lsquo바당

X애기

애끓다

lsquo애비

F

26 09 26 09 26 26 26-

21

26 (고시) x찍rarr쪽 26 1 마음이 너그렵고 정질 26 lsquo

l 부드렵다

2lt lsquo얼굴의 각 구맹새가

ι-넬젝널찍하다rsquo의 뜻우-낀-rsquo-로도 언갱함

한 살청도차이 나서 동

감이나 다름없음

1 여러 사랍이 밑천올 어

울러서 하는장사 2 어려장수의 영업 rsquo 위 -

뭇으로는언청함

153 lsquo표훈어 lsquo 오옴

답하거나재쳐 묻는말)

의 뭇으로는 인정하지

않음

lsquo오밤중rsquo도 안정함

lsquo - lsquo- rsquo lsquo

times야말장이 1

야발쟁이

한밤중(-中) 약물터(藥-)

분칭(分햄)

양지머리뼈

lsquo 이모작(그毛作)

양현짝(兩便-)

서글서글하다

middot야발단지

rsquo

bull

녁 ι니

1r

t

ι水

」骨

7

便

- -

蘭藥

爛浦lsquoh浦합i

yF

터 νF 빼 루 £1 맏

이 i

바n

--lsquo저ι

골ι 그lsquo

펀 그τ π -lsquolsquo j

lsquo

야 야T1

약1

양lsquo

양 어「lsquo

x

26

25

懶1ι

갑 rsquolsquolsquo

1j렁shy

영-

J샤L C

ldquo

그rdquoRlsquo-lsquo

짧 ι

쐐υ

껴기

lsquo리

x

r 4

--μ

t i

x 어버리j좋다 -

어스러기

x어스러기 lsquo 어스럭송아지

어융 어이구 어환둥퉁 어허둥둥

어〈홉1 - 이 ldquo lsquo 범 ~ lsquo X언냐 어린아아

얼간1 -기ldquo - 얼간망풍l

X얼러망~땅~l - 니 ldquo 을러방망억

얼룩말 얼럭말

22 25

대담하다(大觸-)

ι lsquo lsquo lsquo bull ~ rsquo

25

19 lsquo

19 lsquo

26

25

26 17

26

옷 따위의 솔이 어스러진

큰송아지

표준어 모옴 155-

X옴살 엄살 lsquo한몽같이 친밀한터rsquo의 뭇 17 A로는인정함

옴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gt

왕매미 말매미 lsquo큰 매미rsquo의 뜻으로모두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말매

미rsquo엄

왕벌 호박멸 lsquo큰 벌rsquo 의 뭇으로 lsquo왕별 말 26 말벌 벌rsquo 모두 언청 함 전운용어 26

로는 lsquo호박별rsquo엄

왕새우 대하(大醒) 전문용어로는 lsquo대하rsquo를 인 26

청함

왕파리 쉬파리 lsquo큰파리rsquo의 뭇으로 모두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쉬파

리rsquo를 언정함

왜난목 내공목(內供木) 옷의 안강으로 쓰는 풍질이 26 낮tr -n「며

왜먹(훌-) (채래의 6 모형에 대해) 네 25-lsquo

모난먹

times외발제기 외알채기 1 굽 하나를 질질 끌어서 17rsquo

다디어 걷는 걸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소

2 lsquo한 발만가지고차는제

기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외상관혜(-冠禮) 외자한례(-冠禮〕 2amp X외통목 외킬목 lsquo장기 둘 때에 외통장군이 25-

되는 킬목rsquo의 뭇으로는 인

청함

X왼 온 lsquo왼쪽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1( 요뒤 요의(覆衣) 26 용슷바람 회오리바랍 26

times우그령흑박 우그령쪽박 17 X우물우둘 우틀우플 1 춤거나무서워서 폼을떠 08

τ~ YOJ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6: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13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를 제시하되 심의 컬과를 그대로 표제어에 반영하였다 즉 경음

으로 실현되는 것£로 심의된 단어는 표체어의 해당 위치에 lsquo사이

시옷rsquo을 쓰거나 표제어 뒤에 그 음성형을 제시하였A며 명음으로

실현되는 것으로 심의된 단어는 그 음성형올 별도로 제시하지 않

었다 따라서 표제어에 lsquo사이시옷rsquo으로 표기되었거나 표제어 뒤

의 [ ] 안에 제시된 정음으로 실현되는단어의 평음형은 비표준말

음으로 처리된 것이고 표제어에 lsquo사이시옷rsquo이 표기되지 않았거나

표제어 뒤에 그 정음형이 제시되지 않은 단어의 경읍형은 비표준 발

음으로 처리된 것이다

lsquo」rsquo 첨가가 문제되는 단어는 lsquo경음rsquo 부분에 준하였으나1 lsquoLrsquo아

첨가된 발음과 첨가되지 않은 말음이 모두표준발음£로 안정된 경

우에는 그 발음형 모두를 [ ] 안에 제시하였다

표제어

겨울장[-짱J

등정 [-쩡]

몸길이

폼서리

얄긋얄긋[얄근날금얄그얄곧]

비 고

체장(體長)

큰일 다루는 데 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일

큰일[-닐]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2) 비고 표제어에 관계되는 청보를 제시하였다

5 위에서 언곱하지 않은 사항은 lsquo표준어 규정rsquo에Z따랐다

표준어 모옴 133

1 어휘 선택

표제어 관련 단어 비 고 관규정련 X가귀뜨기 가귀대기 열다섯 끗 뽑기로 내기하 17 25

는투전노름

가동질 가통거리는 짓 08 가래질꾼 가래꾼 16 가려잡다 골라잡다 26 가력되다 개력하다 26

X가리마꼬창이 times가리마꼬챙이 09 가르마꼬챙이 09

X가리마꼬챙이 times가리마꼬창이 09 가르마꼬챙이 09

X가리워지다 가리어지다 25 X가스라기 가시랭이 25 X가A랑이 가시랭이 25 가시줄 가시철사(-鐵絲) 26 각시 새색시 lsquo작게 만든 여자 인형rsquo의 26

뭇으로도언청함

간단없다(間斷-) 끊임없다 26 간단없이(間斷-) 끊임없이 26 간밤 지난밤 26

X 간장족박(-醫-) 간장쪽박(-醫-) lsquo 17 간장쪽박(-體-) times간장족박(-醫-) 17

X간해 지난해 25 X갈비 솔가리 불쏘시개로쓰는솔잎 25 갈잎나무 떡갈나무 lsquo떡갈나무rsquo 는 갇잎나무의 26

일종엄

134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times강화(-火) 도깨버불 21

값나다 금나다 1 물건 값이 정해져서 왈 26 고사고할수있게 되

2 lsquo값나가다rsquo 의 준말로

는 인갱하지 않읍

X값높다 값비싸다 lsquo값비싸다rsquo 의 뭇으로 lsquo금 25 높다rsquo도언청함

times강밥 눌은밥 lsquo강다짐으로 먹는 밥rsquo의 25 뭇 o 로는 안정함

개소리괴소리 times개소리괴소문 17

times개소리괴소문 개소리괴소리 17

times개지 강아지 lsquo버 틀치 rsquo (물고기 이 름)로 25-

도 인청하지 않음

갯버들 땅버들 전문용어로는 lsquo갯버들rsquo을 2amp 안정합

X갱조개 가막조개 채첩 25-

갱충맞다 갱충쩍다 26-

거령맞다 거령 ζ렵다 2amp 거륨발 거릅커(-氣) 2amp

X거상 큰톱 25 거푼거푼 놓암 물체의 한부분이 바 25-

람에 불리어 떠들리었다가

가라앉았다가하는모양

times거풀 꺼풀 17

건건이 반찬(飯戰) 2amp 걷어쥐다 걷어잡다 26lsquo

times검은깨 주근깨 lsquo빛깔이 검은 참깨rsquo의 돗 25 으로는 인청함

검청홍 검은콩 26 X걷껑더기 걷껍데기 09 걷껍테 7l times곁껑더기 O~

걷장 수잠 2amp

표준어 모음 135

X게걸스렵다 게검스렵다 1 욕심껏 마구 먹어 대 25 는태도가있다

2 lsquo게걸들린 태도가 있 다rsquo의 돗으로는 인정함

times게꼬리 게꽁지 지식이나 재주 퉁이 극히 25 적거나 짧음

게꽁지 times게꼬리 지식이나 재주 둥이 극히 25 적거나 짧음

X계오다 지다 옷이기다 20 25 times고두밥 지에밥 1 참쌀 혹은 맹 쌀을 시 25

루에 쩌서 만든 밥

2 lsquo되게 지은 밥rsquo의 뭇

A로는 인정함

고로(故-) 그러므로 2amp X고물 고미 1 반자의 한 종류 25

2 lsquo우플마루를 놓는 데 귀틀 두개 사이의 구

역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times고부탕이 고비 1 중요한 기회 25 2 lsquo피륙을 필올 지을 때 꺾여 겹쳐 념어간곳rsquo의

뜻으로는안정함

고운대 곤대 토란출거리 16 골찍 골짜기 16 times곰살곱다 곰살강다 17 X곰탕 곰팡이 25

times곱수머리 곱슬머리 25 풍히(共-) 모두 26 과경에(過煩-) 아까 26 과목밭(果木-) 과수원(果樹園) 26 패팡스렵다 망령스렵다(훌靈-) 26

times괴엄 굉 (고시) 괴다고이다 18 고임 18

13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괴엄새 굉새 1 꾀어 놓은모양 18 고임새 2 (고시) 괴다고이다 18

X펀돌 고언돌 17 구기자나무〈抱紀子-) x괴 쫓나무 22 25

X구럭 망태기 lsquo새꺼로 그물 뜨듯 눈올 25 드물게 떠셔 만든 물건rsquo

의 돗£로는 인정함

구역나다(騙遊-) 욕지기나다 26 군기칩 헛키침 26 굿복(-服) 굿옷 26 렷속말 귀옛말 26 그물눈 그물코 26

X근두박질 곤두박질 05 글동무 글통접(-同接) 26 글동첩(-同接) 글통무 26 금몽(옳) 금씩신(金色身) 26 금출(禁-) 언줄(λ-) 26 기겁하다 times기급하다(氣急-) 05 17 기꼭지(雄-) times기대강이(雄-) 25 커미채다(幾微- 機微-) 낌새채다 26 기수채다(幾數-) 26 기어코(期於-) 기어이(期於-) 26 기장 걸이 lsquo옷 따위의 긴 정도rsquo의 뭇 26

으로 안정함

X기치량물 지지랑물 17 까까중 25 times까스라기 가시랭이 25 X깐보다 깔보다 lsquo어떤 형현이나기회에 대 25

하여 마음 속으로 가늠

을 보다rsquo의 뭇a로는 언

청함

X깔딱 딸쭉 1 딸쭉질하는 소리 25 2 lsquo액체를 조금씩 삼키

표준어 오옴 137

는소리rsquo 또는 lsquo앓은물

체가 뒤집히는 소리rsquo의

뜻으로는 안청함

x깔딱거리다 딸쭉거리다 25 x깔딱깔딱 딸쭉딸푹 25

Z강총하다 times깡충하다 다리가 길다 큰말은 lsquo갱 08 충하다rsquo임

X깡충하다 깡총하다 다리가 킬다 큰말은 lsquo갱 08 충하다rsquo엄

X깨보숭이 깨소금 lsquo들깨의 꽃송이와 창쌀가 25

루를 버무려 기름에 튀긴 lsquo 반찬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X깨보숭아 채고물 25 X깨이다 깨다 1 lsquo(알을) 까다rsquo의 피동 25

2 lsquo(장을) 깨다rsquo의 펴동

의 뭇으로는안정함

X째이다 깨다 lsquo(알융) 까다rsquo 의 사동 25 껴껴푸드덕 times쩍껴푸드득 장끼가 울며 쾌치는 소리 17

X껴껴푸드득 쩍껴푸드덕 장끼가 울며 혜치는 소리 17 갱벅거리다 끔벅거리다 19 26

X꼬끼댁 꼬꼬댁 17 -x 1i창이 꼬챙이 09 포챙이 X 1iL창이 09

X꼬치 고주 17 lsquoX꼬치 고치 17 x꼭두머리 꼭대기 lsquo시간척으로 얼의 가장 처 25

음rsquo의 뭇으로는 언청함

꽁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 꼽추 곱사퉁이 26 꽃자루 꽃꼭지 전문용어로는 lsquo쫓자루rsquo 를 26

안정함

X쫓택 times꽃받기 쫓받침 25 X팩장이 꾀보 2509

138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꾀쟁이 26 09gt

X꾸다 뀌다 1 방귀를 25 2 lsquo빌려 오다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끝전(-錢) 극ζ~~ (고시) x잔전rarr잔돈 26 X낄룩 끼룩 (내다보거나 삼키려 할 14 25gt

때) 목올 킬게 빼어 내미

는모양

나방이 나방 16 X나부라기 나부랭이 (고시) 나부랭이너부렁이 25 난목(-木) 외올베 26 times난봉장이 난봉꾼 09

난용쟁이 09 times날물 썰물 lsquo나가는 물rsquo 의 뭇으로는 25

인정함

times날빛 햇벚 lsquo햇빛을 받아서 나는 온 25-

세상의 빛rsquo의 돗£로는인

정함

남차답다(男了~) 사내답다 26 times내나 일껏 lsquo결국은rsquo 의 뭇으로는 인 25

정함

내숭 times내흉(內ethI) 05 17

내숭스허1 times내흉스헤(內뻐-) (고시) x내흉A렵다rarr내 0517

숭스렵다

냉국(冷-) 찬국 26 너울지다 놀지다 16 26 널판때기 times널판대기 26 17 널판자(-板子) 26

X예 네 (고시) 네예 17 18

X노란묵 노랑욱 치자 물을타서 쓴녹말묵 17 노랑묵 times노란묵 치자 물올타셔 춘녹말묵 17

녹슬다(綠-) times녹쏠다(綠-) 17 X녹쓸다-(綠-) 늑슬다(綠-) 17

표준어 모음 139gt

times누릉지 눌은밥 1 솥바닥에 눌어붙은 눌 25 은밥에 물을부어 긁어

τ효 -3 2 lsquo솥바닥에 눌어붙은 밥rsquo의 돗으로는 안정함

눈꼴시다 눈꼴틀리다 26 눈쌍 눈싸움 눈겨룸 16 times느루 -- lsquo대번에 몰아치지 않고 25 E

길게 늘여서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늦장 늑장 lsquo느직 하게 보러 가는 장rsquo 26 의 뜻으로도 안정함

x-(으)니까니 -(으)니까 25 다각도로(多角度-) 여러모로 26 다릿골독 times대릿골독 09 2s 다슬기 대사리 전문용어로는 lsquo다슬기rsquo를 26

인정함

다홍(-狂) 진흥(륭狂) 26 단결음에(單-) 단숭에(單-) 26 단검에 단결에 26 단연코(斷然-) 단연히(斷然-) 26 답쪽 times담쑥 손으로 탐스럽게 취거나 08

활로 탐L렵 게 안는 모양

times담쑥 당쪽 손으로 탑스럽게 취거나 08 활로 탐스럽게 안는 모양

당달봉사(-奉事) 청맹과니(좁톱-) 26

대강굿(大藍-) 대강놀이(大藍-) 26

대변보다(大便-) 뒤보다 26 lsquo

times대접문(-救) 대접무늬 21 times뱃가지 뱃개비 1 대를 쪼개 잘게 깎은 2s

꽂이

2 lsquo대의 가지rsquo의 뭇으로

는인정함

14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뱃돌(훌-) 성돌 lsquo집채의 낙숫고랑 안쪽에 26 돌려가며 놓은돌rsquo의 풋

으로도 얀정합

x더껑이 더께 1 텀어서 몹시 찌든울 25 건에 앉은때

2 lsquo결쭉한 액체의 거죽 에 엉겨 굳은 꺼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더미씌우다 다미씌우다 (고시) 얀다미씌우다 19 x덧구두 덧신 25 덮개 뚜껑 lsquo이불 처네 등의 총칭rsquo 26

또는 lsquo착한 마음을덮어

서 가리는 탐욕이나 성내

는 마음rsquo의 돗으로도 인

청함

도리갯장부 도리깨채 26 도토리나무 떡갈나무 lsquo도토리 냐우rsquo 는 lsquo상수리 26

나무rsquo의 별칭으로 lsquo떡갈

나무rsquo와 별개엄

돈지캅(-紙面) 지갑(紙便) 16 26 돈표(-票) 환(換) 26 돋보껴안경(-眼鏡) 돋보기 16 26 -돌개바람 구풍(顧風) lsquo회오리 바람rsquo 의 돗으로 26

도 언정항

툴커와 너새 26 rarr돌렴자(-字) 항렬자(行列字) 26 -동강이 동강 16 -동동걸음 표느죠 otilde-거 (i g 26 rarr동자부처(購子 ) 눈부처 26 -동차부처(童子-) 동자보살(童子홈題) 사랍의 두 어깨에 있다는 26

신(神)

-두견새(柱蘭-) 소쩍새 26 두견이(柱騙-) 26

표준어 모음 14D

times두렵단자(-團子) 두럽떡 21 둘러쓰다 뒤집어쓰다 26 둬둬 드헤드레 수봉기(受峰器)를 대고 26

벌비로 몰아넣을 때 벌을

부르는소리

times뒷개 설거지 윷놀이 용어로는 안청함 25 뒷결박(-結續) 뒷짐결박(-結網) 26 프1lsquo1고 E 뒤통수 26 뒷마당 뒤뜰 26 뒷전보다 뒷전놀다 26 듣그렵다 시끄렵다 26

X들망(-網) 후릿그물 21 들쑥날쑥 들쭉날쭉 19 26gt

lsquo 들오리 물오리 lsquo들오리rsquo는 lsquo집오리rsquo에 26 대하여 야생의 오리를

lsquo물오리rsquo는 lsquo청둥오리rsquo를

말함

times들치다 들추다 lsquo물건의 한 쪽 머 리 를 쳐 25 들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하

고 lsquo들치이다rsquo의 준말로

는 인청하지 않음

등헤엄 총장헤엄 26lsquo X딸각발이 딸짝발이 17 땅강아지 times하늘밥도둑 25

X땅꾼 딴꾼 1 포도청에 매이어 포교 2~

의 섬부름으로 도둑잡

는데 거투는사람

2 lsquo뱅을 잡아 파는 사람rsquo 의 뜻으로는인갱하고

lsquo몹시 인색하고 이기척

언 사람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하져 않음-

땅벙어리 땅형이 2amp

142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때까중

X때깨중이

렬기나무

X똑하다

뚱뚱이

탠-

τ최Z

뜨 뜨디

x

-(이)랑

X마련통이

마상

X마술장이(魔術-)

마술쟁이(魔術-)

마짓밥(顧릅-)

x마치

막철다

막걸리다

X만양

말개며

중대가리

중대가리

times좀나무

꼭하다

뚱뚱보

캠질

매련퉁이

마상이

times요술장이(妹術-)

요술챙이(te(術-)

마지(鷹릅)

망치

맞걸다

맞걸리다

늦모내기

마냥

왕개미

25 25 25

정 직 하고 안상(安神)하다 25 26 19

1 더운 날의 모래밭이나 25 온천 또는 뜨거운 물

속에 몽을묻어서 땀을

흘리어 병을 고치는 법

2 lsquo뜸을 뜨는 일rsquo의 뭇

으로는인정함

-하고과와 26 미련퉁이 08 17

16

09 09 26

16 26

lsquo(망치보다 작은 것으로 25 서) 못 박는 연장rsquo의 뭇

으로는인청함

lsquo막걸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26

가진 돈을모두 걸고 단

판하다rsquo 의 뜻으로 lsquo맞결

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돈을

따려고서로돈올결다rsquo의

돗으로 안정함

26 1 만이앙(曉移快) 26

2 (고시 ) x 만양모rarr마 26

냥모

lsquo큰 개미rsquo라는 뭇으로 모 26 두언청함

표준어 모읍 143

전문용어로는 lsquo왕개미rsquo엄

말거미 왕거마 lsquo큰 거미rsquo라는 뭇ξ로 모 26 두안정함

전문용어로는 lsquo왕거미rsquo임

말그L름하다 맑스그레하다 26 x맛대강이 맛 25 망가지다 망그러지다 26

X매커 튀기 lsquo수돼지와 암소 사이에서 25 낳는다는 점 송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매양(每-) 번벤이(養養-) 26 X매풋집(寶酒-) 솔집 21 매해(每-) 매년(每年) 26

x볍옐 맹쌀 lsquo젠 메밀을 약간 말려 쩡 17 어 껍질올 벗긴 쌀rsquo의 돗

으로는 인정함

X야련 매련 17 _X야욕하다 매욱하다 어리석고 둠하다 17 X머드레콩 그루콩 1 그루갈이로 심은 콩lsquo 25

2 lsquo밭가로둘러 성은콩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함

X명구력 구럭 1 새끼로눈올투물게 떠 14 25 서 그물같이 만든물건

2 lsquo썩 성기게 떠서 만든

구럭rsquo의 뭇으로는 인정

벚다 엄추다 26 x베토끼 산토꺼(山-) 22

멧돼지 산돼지(山-) 26 멸구 며루 lsquo멸구rsquo는 멸구과에 속하 26

는 곤충의 얼종이고 lsquo며

루rsquo는 모기의 유충임

x명 목화(木花) lsquo우명 rsquo 의 돗으로는 언갱 함 25

144 국어생 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명자나무(훌體-) 모과나무 lsquo모과나무rsquo 는 명 자나무의 26 별칭임

모군꾼(幕軍-) 모군(幕軍) 16 26gt

모래사장(-沙場) 모래룹 26 X모어려수에 무에리수에 거리로 다니며 첨을 치라 17

고 외치는 소리

times모지다 모질다 lsquo성질 일 물건이나 모 25 양이 모가 난데가있다rsquo

의 돗으로는인정함

X목실(木-) 무명실 25 몰매 뭇매 26 옴서리나다 몸서리치다 26

X몽깃돌 낚섯봉 lsquo밀물과 썰물에 뱃머리를 25 곧게 하기 위하여 고물에

다는 돌rsquo의 뭇으로는 언

정함

무겁한량 times무겁활량 05 17 X우겁활량 우겁한량 051T 우식꾼(無講-) times무식장이(無識-) 26 OP

무식쟁이(無훌훌-) 26 0동 X물앵도(-樓挑) 물앵두 05 물앵두 times물앵도(-樓挑) 05 웅그대다 뭉개다 1 일을 어떻게 할 줄 모 26

르고 짓이기다

2 lsquo제자리에서 폼을 그 냥 비비다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X뭘하다 윗하다 거북하다 난처하다 17 미친놈 미치팡이 26 밀뼈세장 times멀삐죄장 지게의 윗세장 아래에 가 17

로박은나무

X밀뼈쇠창 멀뻐세장 지게의윗세장 아래에 가 1T

로박은나무

표준어L 모융- 145

X법둥스렵다 법살스렵다 Tl 바깥양반(-兩班) 사랑양반(舍願兩班) lsquo -26

바늘뱅셔(rarr方席〉 ldquo 바늘겨레 26 X바랍꾼 lsquo r _바람둥이 25 바심 rsquo 타작(打作) 26

박새 lsquo X깨싸 25 박첨지놀음(朴했知-)x꼭둑각시놀음 (고시) x꼭둑각시rarr꼭두 26

X반대기

X반대기

times반미콩(飯米-)

times발구

발뒤꾸머리

발새

발짓

배뱃니

X배햇쾌기

백곰(白-)

X백하첫(白嚴-)

꼭두각시놀음

소래기

밥밑콩

걸채 -

발뒤꿈치

발살

발질

찾니

배추속대

흰곰

새우첫

각시 rsquo 26

1 앓게 펴 서 다듬어 만 14 25 든조각

2 lsquo무슨 가루률 반죽한

것이나 삶은 푸성귀를

현연하고둥글넓척하게

만든조각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굽 없는 갱시와 같은 넓 25 윤질그릇

21 1 소의 길마 위 에 덧 얹 25 고곡식 단올싣는제구

2 lsquo산에서 쓰는 캘매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합

26

26

lsquo발짓은 lsquo발융 웅칙이는 26

짓rsquo의 돗으로 lsquo발질rsquo응

lsquo발걸질rsquo의 뭇으로 인정

26

25 전문용어로는 lsquo흰곰rsquo만 26

인청함

25

14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밴덕 얀덕 19rsquo

번연히 번히 16

벌5 허튼모 lsquo오판 구역 밖에 볍써가 2amp 떨어져 자라난 모rsquo냐 lsquo일

을 말막음ξ로 했을 째

쓰는 말rsquo의 돗A로도 인

정함

X벙태기 벙테커 17

병태기 times벙태기 17

별간장(別-홉) 손님장(-짧) 작은 그릇에 따로 담그는 26 간장

별맛(別-) 별미(別味) 26

X별미적다(別味-) 별미쩍다(別味-) 17

별마쩍다(別味lsquo) times별미적다(別味-) 17

X보리풀꺾다 보리풀하다 보리 갈 땅에 거름하기 위 25 하여 풀이나 나뭇잎을 베

어 오다

times보사리감투 보살감투(홈塵-) 17

X보챙기 겨리 lsquo보슐을 낀 챙기rsquo의 뭇~ 25 로는 안청함

복부르다(復-) 초혼하다(招塊-) 26

x복생션(-生蘇) 복 14

복어(-魚) - 16 26

X부레끊다 부레끓다 25

부헤꿇다 times부헤끊다 25

X부시다 부수다 lsquo그릇 같은 것을 께꿋이 25 씻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X부얼부얼 북슬북슬 1 짐승이 살이 찌고 탤 25 이 탕스렵게 많이 난

모양

2 lsquo잘찌고 탑스렵게 생 긴모양rsquo의뜻으로는인

정함

표준어 모옴 147

부엌칼 식칼(食-) 26 X부철다말 부철따말 17 부철따말 times부철다말 17

X북두 부뚜 1 타작마당에서 쓰는 돗 25 자리

2 lsquo마소에 짐융 싣고 그 정파 배률 얼러서 매는

줄rsquo의 뭇으로는 인갱함

분결(慣-) 분검(念 慣-) 26 분지르다 부러뜨리다 26 불공드리다(佛供-) 풍양드리다(供養-) 26 불풍밥(佛供-) 퇴식밥(退食-) 26 불룩이 times불룩히 17 불친소 악대소 26 불호령(-號令) 볼호령(-號令) 26

X붙여장다 붙잡다 14 25 비단개구리(排繼-) 무당개구리 전문용어로는lsquo우당개구 26

리rsquo를 안청함

X비사차기 비사치기 25

비사치기 times비사차기 25 X빚거간(-居間) 빚지시 1lsquo 벚올 주고 쓰는 데 에 25

중간에서 소개하는 일

2 lsquo벚올 내고 주는 데에 중간에서 강H하는 것

을 업으로 장는일rsquo의

뭇으로는인청함

빨갱이 times빨강l 1 공산주의자 09 17 2 lsquo빨간빛의 물건rsquo의 뭇 으로는 lsquo빨강이rsquo를 얀

정함

X빼주 배갈 25

X사갓집(훌家-) 사돈집(흉賴-) 25

사거리(四-) 네거리 26

148 국어 생활- rsquo 90 가올 (제 22호)

사마귀 버마재벼 전문용어로는 lsquo사마귀rsquo를 2β

인청함

사향노루(훌香-) 궁노루 26

값전(-鍵) 돈 (고시 ) x 잔정-gt잔돈 26 산울렴(山-) 헤아리 26

X산코골다 헛3i골다 25 살긋하다 썰긋하다 바르게 된 물건이 한쪽2 19

로 일그러지다

X상량대(上陳-) 마룻대 21 25 times상량도리(上標-) 마뭇대 21 25 times상재(上-) 상좌(上뾰) 05 X상청(上-) 상창(上唱) 뛰어난 창(唱) 05 샅바채우다 샅바지르다 26

X새소리 놀소리 25 X새치롬하다 새치름하다 시치미를 떼고 태연하거 17

나 양천한 기색을 꾸며 다-새치름하다 times새치롬하다 시치미를 혜고 태연하거 17

나 양전한 기색을 꾸미다

색깔(色-) 빛깔 26

times셋까닿다 새까땅다 17 X셋빨창다 새빨창다 17 X셋파량다 새파량다 17 times생갈이(生-) 애벌갈아 1 논이나 밭을 첫 번 가 21

는일

2 lsquo홍두깨 깔이 rsquo 의 준말로 는 lsquo생갈이rsquo를 언정함

X생급L렵4 새삼스렵다 lsquo하는 것이나 말이 캅작 2~

스렵고 돗밖이 다rsquo AElig는

lsquo끄챔어내는 말이 엉뚱하

고 터무니없다rsquo의 뭇으로

는 언청함

생김치(生-) 날검치 ~6

쟁옥(-木〕 당목(康木) 2amp

150 국어생활 90 가올〔제 22호)

X솔갱이 솔개 (고시 )~x소리개rarr솔개 2S

times쇠꼬창01 죄꼬쟁이 09

쇠꼬챙이 times죄꼬창이 09-

X쇠버즘 쇠버짐 17 쇠버짐 times쇠버즘 17

쇠족(-足) 쇠다리 26 쇠죽솥 쇠죽가마 26

times수무(手-) 수모(手母) 신부(新橋)의 보초안 OS

times수이 쉬이 20-

X수이보다 쉬이보다 20 times수이여커다 쉬이여기다 20 rsquo

X숭이 송이 08 시골말 사투리 26

times시초잡다(始初-) 시착하다〔始作-) 25--

신바랍 어껏바량 2amp 신첩살렴(新援-) 신접살이(新援-) 2amp 신챈나무 신대 2amp

설로(實-) 참으로 2G

섬보(心-) 마음보 26 섬술퉁이(心術-) X섬술통이(心術-) 08 심섬파척(-破寂) 섬섬풀이 2amp

times성갱싱갱하다 싱둥생둥하다 lsquo방이 서늘하고 차다rsquo의 2S

뜻으로는 인청함

X성퉁생둥하다 성갱생갱하다 lsquo기운이 줄어질 만한 일 2S

을 겪은뒤에도본래의 기

운이 있다rsquo의 뜻으로는 언

청함

싸느황다 X싸느렇다 17

X싸느렇다 싸느량다 17

X싸려운 사렵문 lsquo싹리로 만든 문rsquo의 뭇으 25

로는 인청함

쌀긋하다 생긋하다 19rsquo

쌍망이 times짱맹이 09

표준어 모음 151

X썽맹이 쌍망이 09-

쌍소리 장소리 19

쌍섬지셔다 쌍심지나마 26

쌍심지오르다 26

X써내다 켜내다 lsquo글씨롤 써셔 내놓다rsquo의 ~s

뭇으로는 언청함

X써다 켜다 lsquo조숫풀이 출거 나 펀 물 25 이 새어셔 줄다rsquo의 룻으

로는 안청함

X썩정이 삭청1 1 산 나우에 붙은 채 말 25 라죽윤나뭇가지

2 lsquo썩은 물건rsquo의 돗A로 는인청함

썰다 써리다 1 논밭융 고르게 하다 16 2 middot물건율 로막토막 통 캉치다rsquo의 뭇으로도 안

갱함

쓰레장판 쓰헤받기 유치 캉환요로 만든 쓰레 26 받기

씨돼치 종톤(種際) 26

아래얄 X아랫알 수판의 가릅대 아래의 알 17

아랫녘 앞대 1 어떤 치방에서 그 남 26 쪽의 지방을일컴는말

2 lsquo전라도 경장도흘 일 걷는 말rsquo로도 안갱함

X아랫동강이 종아리 25

times아랫알 아래알 수판의 카름대 아래의 알 17

아랫중방(-中林) 하인방(下引林) 26

아련하다 오련하다 19

X아웃 가웃 lsquo말아웃rsquo은 언청함 17 2()

아유 아이고 19

아지직 오지칙 19 아치작 19

1 한그릇에 두가지 이

상의 음식을 어울리게

당다

~ lsquo홈칙 따위률 식지 않

게 불에 놓거냐 따뭇한 lsquo - ~ 바헤lsquo묻어 두다rsquo 또는- lsquo e

lsquo샤랑올 안동하여 보내

다j의- 돗으로는 인정하

고 lsquo암구다rsquo (교미를 붙

이다)의 뭇으로는 인청

하지 않음

lsquo ~6 gt 26 lsquo

lsquo 26

- - - - 스 25rsquo

19 -26

09

lsquo26

25

국약2생 활「rsquo 90 가을(제 22호)

안개 u] 가랑비

얀갱 안채 안쪽외영 채

주인집(主A-)

안혜 바로전해 쌓즘삼C삼rsquo ~ ~ I rsquo lsquo 얄픔좀쏟 (rsquo 간

X 알박이 ν lsquo f알뼈71 알 밴 생션 얄펠대71 ~ J f -lsquo~T단〈rsquo觸蛋 chitan)

X 알심 -Z ) t ilsquo끼(고앵이( 1 초목의 줄기 가운데의 lsquo gt τ 연한 심

f lsquo - J lsquo 2[ lsquo판폰한 동정섬rsquo 또는

lsquo속에 있는힘rsquo의 뭇a lsquo -lsquo - Ilsquo middot 안 로는 인정함

알약(-藥) J μ환약f갯L藥)

양딴해도1 lsquo rsquo ~ t ~ - τ 아운리쾌도

앙구다 r rsquo l lsquo t ( lsquof쩔lsquo플이다

J rsquo z bull lsquo ι rsquo rsquo

ω Mω Mω

J52lsquo

~r

-rsquo

lsquo rdquo

ldquo

두별갈이

앞뜰

아기

애타다

아비

lsquo lsquo

26

26

09

26

09

1 놀라거나반가올때 내 26

는소리

2 lsquo예rsquo(존대할자리에 대

rdquo lsquo

rsquo

bull lsquo

앞뒤갈이 앞lsquo바당

X애기

애끓다

lsquo애비

F

26 09 26 09 26 26 26-

21

26 (고시) x찍rarr쪽 26 1 마음이 너그렵고 정질 26 lsquo

l 부드렵다

2lt lsquo얼굴의 각 구맹새가

ι-넬젝널찍하다rsquo의 뜻우-낀-rsquo-로도 언갱함

한 살청도차이 나서 동

감이나 다름없음

1 여러 사랍이 밑천올 어

울러서 하는장사 2 어려장수의 영업 rsquo 위 -

뭇으로는언청함

153 lsquo표훈어 lsquo 오옴

답하거나재쳐 묻는말)

의 뭇으로는 인정하지

않음

lsquo오밤중rsquo도 안정함

lsquo - lsquo- rsquo lsquo

times야말장이 1

야발쟁이

한밤중(-中) 약물터(藥-)

분칭(分햄)

양지머리뼈

lsquo 이모작(그毛作)

양현짝(兩便-)

서글서글하다

middot야발단지

rsquo

bull

녁 ι니

1r

t

ι水

」骨

7

便

- -

蘭藥

爛浦lsquoh浦합i

yF

터 νF 빼 루 £1 맏

이 i

바n

--lsquo저ι

골ι 그lsquo

펀 그τ π -lsquolsquo j

lsquo

야 야T1

약1

양lsquo

양 어「lsquo

x

26

25

懶1ι

갑 rsquolsquolsquo

1j렁shy

영-

J샤L C

ldquo

그rdquoRlsquo-lsquo

짧 ι

쐐υ

껴기

lsquo리

x

r 4

--μ

t i

x 어버리j좋다 -

어스러기

x어스러기 lsquo 어스럭송아지

어융 어이구 어환둥퉁 어허둥둥

어〈홉1 - 이 ldquo lsquo 범 ~ lsquo X언냐 어린아아

얼간1 -기ldquo - 얼간망풍l

X얼러망~땅~l - 니 ldquo 을러방망억

얼룩말 얼럭말

22 25

대담하다(大觸-)

ι lsquo lsquo lsquo bull ~ rsquo

25

19 lsquo

19 lsquo

26

25

26 17

26

옷 따위의 솔이 어스러진

큰송아지

표준어 모옴 155-

X옴살 엄살 lsquo한몽같이 친밀한터rsquo의 뭇 17 A로는인정함

옴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gt

왕매미 말매미 lsquo큰 매미rsquo의 뜻으로모두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말매

미rsquo엄

왕벌 호박멸 lsquo큰 벌rsquo 의 뭇으로 lsquo왕별 말 26 말벌 벌rsquo 모두 언청 함 전운용어 26

로는 lsquo호박별rsquo엄

왕새우 대하(大醒) 전문용어로는 lsquo대하rsquo를 인 26

청함

왕파리 쉬파리 lsquo큰파리rsquo의 뭇으로 모두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쉬파

리rsquo를 언정함

왜난목 내공목(內供木) 옷의 안강으로 쓰는 풍질이 26 낮tr -n「며

왜먹(훌-) (채래의 6 모형에 대해) 네 25-lsquo

모난먹

times외발제기 외알채기 1 굽 하나를 질질 끌어서 17rsquo

다디어 걷는 걸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소

2 lsquo한 발만가지고차는제

기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외상관혜(-冠禮) 외자한례(-冠禮〕 2amp X외통목 외킬목 lsquo장기 둘 때에 외통장군이 25-

되는 킬목rsquo의 뭇으로는 인

청함

X왼 온 lsquo왼쪽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1( 요뒤 요의(覆衣) 26 용슷바람 회오리바랍 26

times우그령흑박 우그령쪽박 17 X우물우둘 우틀우플 1 춤거나무서워서 폼을떠 08

τ~ YOJ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7: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표준어 모옴 133

1 어휘 선택

표제어 관련 단어 비 고 관규정련 X가귀뜨기 가귀대기 열다섯 끗 뽑기로 내기하 17 25

는투전노름

가동질 가통거리는 짓 08 가래질꾼 가래꾼 16 가려잡다 골라잡다 26 가력되다 개력하다 26

X가리마꼬창이 times가리마꼬챙이 09 가르마꼬챙이 09

X가리마꼬챙이 times가리마꼬창이 09 가르마꼬챙이 09

X가리워지다 가리어지다 25 X가스라기 가시랭이 25 X가A랑이 가시랭이 25 가시줄 가시철사(-鐵絲) 26 각시 새색시 lsquo작게 만든 여자 인형rsquo의 26

뭇으로도언청함

간단없다(間斷-) 끊임없다 26 간단없이(間斷-) 끊임없이 26 간밤 지난밤 26

X 간장족박(-醫-) 간장쪽박(-醫-) lsquo 17 간장쪽박(-體-) times간장족박(-醫-) 17

X간해 지난해 25 X갈비 솔가리 불쏘시개로쓰는솔잎 25 갈잎나무 떡갈나무 lsquo떡갈나무rsquo 는 갇잎나무의 26

일종엄

134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times강화(-火) 도깨버불 21

값나다 금나다 1 물건 값이 정해져서 왈 26 고사고할수있게 되

2 lsquo값나가다rsquo 의 준말로

는 인갱하지 않읍

X값높다 값비싸다 lsquo값비싸다rsquo 의 뭇으로 lsquo금 25 높다rsquo도언청함

times강밥 눌은밥 lsquo강다짐으로 먹는 밥rsquo의 25 뭇 o 로는 안정함

개소리괴소리 times개소리괴소문 17

times개소리괴소문 개소리괴소리 17

times개지 강아지 lsquo버 틀치 rsquo (물고기 이 름)로 25-

도 인청하지 않음

갯버들 땅버들 전문용어로는 lsquo갯버들rsquo을 2amp 안정합

X갱조개 가막조개 채첩 25-

갱충맞다 갱충쩍다 26-

거령맞다 거령 ζ렵다 2amp 거륨발 거릅커(-氣) 2amp

X거상 큰톱 25 거푼거푼 놓암 물체의 한부분이 바 25-

람에 불리어 떠들리었다가

가라앉았다가하는모양

times거풀 꺼풀 17

건건이 반찬(飯戰) 2amp 걷어쥐다 걷어잡다 26lsquo

times검은깨 주근깨 lsquo빛깔이 검은 참깨rsquo의 돗 25 으로는 인청함

검청홍 검은콩 26 X걷껑더기 걷껍데기 09 걷껍테 7l times곁껑더기 O~

걷장 수잠 2amp

표준어 모음 135

X게걸스렵다 게검스렵다 1 욕심껏 마구 먹어 대 25 는태도가있다

2 lsquo게걸들린 태도가 있 다rsquo의 돗으로는 인정함

times게꼬리 게꽁지 지식이나 재주 퉁이 극히 25 적거나 짧음

게꽁지 times게꼬리 지식이나 재주 둥이 극히 25 적거나 짧음

X계오다 지다 옷이기다 20 25 times고두밥 지에밥 1 참쌀 혹은 맹 쌀을 시 25

루에 쩌서 만든 밥

2 lsquo되게 지은 밥rsquo의 뭇

A로는 인정함

고로(故-) 그러므로 2amp X고물 고미 1 반자의 한 종류 25

2 lsquo우플마루를 놓는 데 귀틀 두개 사이의 구

역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times고부탕이 고비 1 중요한 기회 25 2 lsquo피륙을 필올 지을 때 꺾여 겹쳐 념어간곳rsquo의

뜻으로는안정함

고운대 곤대 토란출거리 16 골찍 골짜기 16 times곰살곱다 곰살강다 17 X곰탕 곰팡이 25

times곱수머리 곱슬머리 25 풍히(共-) 모두 26 과경에(過煩-) 아까 26 과목밭(果木-) 과수원(果樹園) 26 패팡스렵다 망령스렵다(훌靈-) 26

times괴엄 굉 (고시) 괴다고이다 18 고임 18

13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괴엄새 굉새 1 꾀어 놓은모양 18 고임새 2 (고시) 괴다고이다 18

X펀돌 고언돌 17 구기자나무〈抱紀子-) x괴 쫓나무 22 25

X구럭 망태기 lsquo새꺼로 그물 뜨듯 눈올 25 드물게 떠셔 만든 물건rsquo

의 돗£로는 인정함

구역나다(騙遊-) 욕지기나다 26 군기칩 헛키침 26 굿복(-服) 굿옷 26 렷속말 귀옛말 26 그물눈 그물코 26

X근두박질 곤두박질 05 글동무 글통접(-同接) 26 글동첩(-同接) 글통무 26 금몽(옳) 금씩신(金色身) 26 금출(禁-) 언줄(λ-) 26 기겁하다 times기급하다(氣急-) 05 17 기꼭지(雄-) times기대강이(雄-) 25 커미채다(幾微- 機微-) 낌새채다 26 기수채다(幾數-) 26 기어코(期於-) 기어이(期於-) 26 기장 걸이 lsquo옷 따위의 긴 정도rsquo의 뭇 26

으로 안정함

X기치량물 지지랑물 17 까까중 25 times까스라기 가시랭이 25 X깐보다 깔보다 lsquo어떤 형현이나기회에 대 25

하여 마음 속으로 가늠

을 보다rsquo의 뭇a로는 언

청함

X깔딱 딸쭉 1 딸쭉질하는 소리 25 2 lsquo액체를 조금씩 삼키

표준어 오옴 137

는소리rsquo 또는 lsquo앓은물

체가 뒤집히는 소리rsquo의

뜻으로는 안청함

x깔딱거리다 딸쭉거리다 25 x깔딱깔딱 딸쭉딸푹 25

Z강총하다 times깡충하다 다리가 길다 큰말은 lsquo갱 08 충하다rsquo임

X깡충하다 깡총하다 다리가 킬다 큰말은 lsquo갱 08 충하다rsquo엄

X깨보숭이 깨소금 lsquo들깨의 꽃송이와 창쌀가 25

루를 버무려 기름에 튀긴 lsquo 반찬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X깨보숭아 채고물 25 X깨이다 깨다 1 lsquo(알을) 까다rsquo의 피동 25

2 lsquo(장을) 깨다rsquo의 펴동

의 뭇으로는안정함

X째이다 깨다 lsquo(알융) 까다rsquo 의 사동 25 껴껴푸드덕 times쩍껴푸드득 장끼가 울며 쾌치는 소리 17

X껴껴푸드득 쩍껴푸드덕 장끼가 울며 혜치는 소리 17 갱벅거리다 끔벅거리다 19 26

X꼬끼댁 꼬꼬댁 17 -x 1i창이 꼬챙이 09 포챙이 X 1iL창이 09

X꼬치 고주 17 lsquoX꼬치 고치 17 x꼭두머리 꼭대기 lsquo시간척으로 얼의 가장 처 25

음rsquo의 뭇으로는 언청함

꽁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 꼽추 곱사퉁이 26 꽃자루 꽃꼭지 전문용어로는 lsquo쫓자루rsquo 를 26

안정함

X쫓택 times꽃받기 쫓받침 25 X팩장이 꾀보 2509

138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꾀쟁이 26 09gt

X꾸다 뀌다 1 방귀를 25 2 lsquo빌려 오다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끝전(-錢) 극ζ~~ (고시) x잔전rarr잔돈 26 X낄룩 끼룩 (내다보거나 삼키려 할 14 25gt

때) 목올 킬게 빼어 내미

는모양

나방이 나방 16 X나부라기 나부랭이 (고시) 나부랭이너부렁이 25 난목(-木) 외올베 26 times난봉장이 난봉꾼 09

난용쟁이 09 times날물 썰물 lsquo나가는 물rsquo 의 뭇으로는 25

인정함

times날빛 햇벚 lsquo햇빛을 받아서 나는 온 25-

세상의 빛rsquo의 돗£로는인

정함

남차답다(男了~) 사내답다 26 times내나 일껏 lsquo결국은rsquo 의 뭇으로는 인 25

정함

내숭 times내흉(內ethI) 05 17

내숭스허1 times내흉스헤(內뻐-) (고시) x내흉A렵다rarr내 0517

숭스렵다

냉국(冷-) 찬국 26 너울지다 놀지다 16 26 널판때기 times널판대기 26 17 널판자(-板子) 26

X예 네 (고시) 네예 17 18

X노란묵 노랑욱 치자 물을타서 쓴녹말묵 17 노랑묵 times노란묵 치자 물올타셔 춘녹말묵 17

녹슬다(綠-) times녹쏠다(綠-) 17 X녹쓸다-(綠-) 늑슬다(綠-) 17

표준어 모음 139gt

times누릉지 눌은밥 1 솥바닥에 눌어붙은 눌 25 은밥에 물을부어 긁어

τ효 -3 2 lsquo솥바닥에 눌어붙은 밥rsquo의 돗으로는 안정함

눈꼴시다 눈꼴틀리다 26 눈쌍 눈싸움 눈겨룸 16 times느루 -- lsquo대번에 몰아치지 않고 25 E

길게 늘여서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늦장 늑장 lsquo느직 하게 보러 가는 장rsquo 26 의 뜻으로도 안정함

x-(으)니까니 -(으)니까 25 다각도로(多角度-) 여러모로 26 다릿골독 times대릿골독 09 2s 다슬기 대사리 전문용어로는 lsquo다슬기rsquo를 26

인정함

다홍(-狂) 진흥(륭狂) 26 단결음에(單-) 단숭에(單-) 26 단검에 단결에 26 단연코(斷然-) 단연히(斷然-) 26 답쪽 times담쑥 손으로 탐스럽게 취거나 08

활로 탐L렵 게 안는 모양

times담쑥 당쪽 손으로 탑스럽게 취거나 08 활로 탐스럽게 안는 모양

당달봉사(-奉事) 청맹과니(좁톱-) 26

대강굿(大藍-) 대강놀이(大藍-) 26

대변보다(大便-) 뒤보다 26 lsquo

times대접문(-救) 대접무늬 21 times뱃가지 뱃개비 1 대를 쪼개 잘게 깎은 2s

꽂이

2 lsquo대의 가지rsquo의 뭇으로

는인정함

14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뱃돌(훌-) 성돌 lsquo집채의 낙숫고랑 안쪽에 26 돌려가며 놓은돌rsquo의 풋

으로도 얀정합

x더껑이 더께 1 텀어서 몹시 찌든울 25 건에 앉은때

2 lsquo결쭉한 액체의 거죽 에 엉겨 굳은 꺼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더미씌우다 다미씌우다 (고시) 얀다미씌우다 19 x덧구두 덧신 25 덮개 뚜껑 lsquo이불 처네 등의 총칭rsquo 26

또는 lsquo착한 마음을덮어

서 가리는 탐욕이나 성내

는 마음rsquo의 돗으로도 인

청함

도리갯장부 도리깨채 26 도토리나무 떡갈나무 lsquo도토리 냐우rsquo 는 lsquo상수리 26

나무rsquo의 별칭으로 lsquo떡갈

나무rsquo와 별개엄

돈지캅(-紙面) 지갑(紙便) 16 26 돈표(-票) 환(換) 26 돋보껴안경(-眼鏡) 돋보기 16 26 -돌개바람 구풍(顧風) lsquo회오리 바람rsquo 의 돗으로 26

도 언정항

툴커와 너새 26 rarr돌렴자(-字) 항렬자(行列字) 26 -동강이 동강 16 -동동걸음 표느죠 otilde-거 (i g 26 rarr동자부처(購子 ) 눈부처 26 -동차부처(童子-) 동자보살(童子홈題) 사랍의 두 어깨에 있다는 26

신(神)

-두견새(柱蘭-) 소쩍새 26 두견이(柱騙-) 26

표준어 모음 14D

times두렵단자(-團子) 두럽떡 21 둘러쓰다 뒤집어쓰다 26 둬둬 드헤드레 수봉기(受峰器)를 대고 26

벌비로 몰아넣을 때 벌을

부르는소리

times뒷개 설거지 윷놀이 용어로는 안청함 25 뒷결박(-結續) 뒷짐결박(-結網) 26 프1lsquo1고 E 뒤통수 26 뒷마당 뒤뜰 26 뒷전보다 뒷전놀다 26 듣그렵다 시끄렵다 26

X들망(-網) 후릿그물 21 들쑥날쑥 들쭉날쭉 19 26gt

lsquo 들오리 물오리 lsquo들오리rsquo는 lsquo집오리rsquo에 26 대하여 야생의 오리를

lsquo물오리rsquo는 lsquo청둥오리rsquo를

말함

times들치다 들추다 lsquo물건의 한 쪽 머 리 를 쳐 25 들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하

고 lsquo들치이다rsquo의 준말로

는 인청하지 않음

등헤엄 총장헤엄 26lsquo X딸각발이 딸짝발이 17 땅강아지 times하늘밥도둑 25

X땅꾼 딴꾼 1 포도청에 매이어 포교 2~

의 섬부름으로 도둑잡

는데 거투는사람

2 lsquo뱅을 잡아 파는 사람rsquo 의 뜻으로는인갱하고

lsquo몹시 인색하고 이기척

언 사람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하져 않음-

땅벙어리 땅형이 2amp

142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때까중

X때깨중이

렬기나무

X똑하다

뚱뚱이

탠-

τ최Z

뜨 뜨디

x

-(이)랑

X마련통이

마상

X마술장이(魔術-)

마술쟁이(魔術-)

마짓밥(顧릅-)

x마치

막철다

막걸리다

X만양

말개며

중대가리

중대가리

times좀나무

꼭하다

뚱뚱보

캠질

매련퉁이

마상이

times요술장이(妹術-)

요술챙이(te(術-)

마지(鷹릅)

망치

맞걸다

맞걸리다

늦모내기

마냥

왕개미

25 25 25

정 직 하고 안상(安神)하다 25 26 19

1 더운 날의 모래밭이나 25 온천 또는 뜨거운 물

속에 몽을묻어서 땀을

흘리어 병을 고치는 법

2 lsquo뜸을 뜨는 일rsquo의 뭇

으로는인정함

-하고과와 26 미련퉁이 08 17

16

09 09 26

16 26

lsquo(망치보다 작은 것으로 25 서) 못 박는 연장rsquo의 뭇

으로는인청함

lsquo막걸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26

가진 돈을모두 걸고 단

판하다rsquo 의 뜻으로 lsquo맞결

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돈을

따려고서로돈올결다rsquo의

돗으로 안정함

26 1 만이앙(曉移快) 26

2 (고시 ) x 만양모rarr마 26

냥모

lsquo큰 개미rsquo라는 뭇으로 모 26 두언청함

표준어 모읍 143

전문용어로는 lsquo왕개미rsquo엄

말거미 왕거마 lsquo큰 거미rsquo라는 뭇ξ로 모 26 두안정함

전문용어로는 lsquo왕거미rsquo임

말그L름하다 맑스그레하다 26 x맛대강이 맛 25 망가지다 망그러지다 26

X매커 튀기 lsquo수돼지와 암소 사이에서 25 낳는다는 점 송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매양(每-) 번벤이(養養-) 26 X매풋집(寶酒-) 솔집 21 매해(每-) 매년(每年) 26

x볍옐 맹쌀 lsquo젠 메밀을 약간 말려 쩡 17 어 껍질올 벗긴 쌀rsquo의 돗

으로는 인정함

X야련 매련 17 _X야욕하다 매욱하다 어리석고 둠하다 17 X머드레콩 그루콩 1 그루갈이로 심은 콩lsquo 25

2 lsquo밭가로둘러 성은콩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함

X명구력 구럭 1 새끼로눈올투물게 떠 14 25 서 그물같이 만든물건

2 lsquo썩 성기게 떠서 만든

구럭rsquo의 뭇으로는 인정

벚다 엄추다 26 x베토끼 산토꺼(山-) 22

멧돼지 산돼지(山-) 26 멸구 며루 lsquo멸구rsquo는 멸구과에 속하 26

는 곤충의 얼종이고 lsquo며

루rsquo는 모기의 유충임

x명 목화(木花) lsquo우명 rsquo 의 돗으로는 언갱 함 25

144 국어생 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명자나무(훌體-) 모과나무 lsquo모과나무rsquo 는 명 자나무의 26 별칭임

모군꾼(幕軍-) 모군(幕軍) 16 26gt

모래사장(-沙場) 모래룹 26 X모어려수에 무에리수에 거리로 다니며 첨을 치라 17

고 외치는 소리

times모지다 모질다 lsquo성질 일 물건이나 모 25 양이 모가 난데가있다rsquo

의 돗으로는인정함

X목실(木-) 무명실 25 몰매 뭇매 26 옴서리나다 몸서리치다 26

X몽깃돌 낚섯봉 lsquo밀물과 썰물에 뱃머리를 25 곧게 하기 위하여 고물에

다는 돌rsquo의 뭇으로는 언

정함

무겁한량 times무겁활량 05 17 X우겁활량 우겁한량 051T 우식꾼(無講-) times무식장이(無識-) 26 OP

무식쟁이(無훌훌-) 26 0동 X물앵도(-樓挑) 물앵두 05 물앵두 times물앵도(-樓挑) 05 웅그대다 뭉개다 1 일을 어떻게 할 줄 모 26

르고 짓이기다

2 lsquo제자리에서 폼을 그 냥 비비다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X뭘하다 윗하다 거북하다 난처하다 17 미친놈 미치팡이 26 밀뼈세장 times멀삐죄장 지게의 윗세장 아래에 가 17

로박은나무

X밀뼈쇠창 멀뻐세장 지게의윗세장 아래에 가 1T

로박은나무

표준어L 모융- 145

X법둥스렵다 법살스렵다 Tl 바깥양반(-兩班) 사랑양반(舍願兩班) lsquo -26

바늘뱅셔(rarr方席〉 ldquo 바늘겨레 26 X바랍꾼 lsquo r _바람둥이 25 바심 rsquo 타작(打作) 26

박새 lsquo X깨싸 25 박첨지놀음(朴했知-)x꼭둑각시놀음 (고시) x꼭둑각시rarr꼭두 26

X반대기

X반대기

times반미콩(飯米-)

times발구

발뒤꾸머리

발새

발짓

배뱃니

X배햇쾌기

백곰(白-)

X백하첫(白嚴-)

꼭두각시놀음

소래기

밥밑콩

걸채 -

발뒤꿈치

발살

발질

찾니

배추속대

흰곰

새우첫

각시 rsquo 26

1 앓게 펴 서 다듬어 만 14 25 든조각

2 lsquo무슨 가루률 반죽한

것이나 삶은 푸성귀를

현연하고둥글넓척하게

만든조각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굽 없는 갱시와 같은 넓 25 윤질그릇

21 1 소의 길마 위 에 덧 얹 25 고곡식 단올싣는제구

2 lsquo산에서 쓰는 캘매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합

26

26

lsquo발짓은 lsquo발융 웅칙이는 26

짓rsquo의 돗으로 lsquo발질rsquo응

lsquo발걸질rsquo의 뭇으로 인정

26

25 전문용어로는 lsquo흰곰rsquo만 26

인청함

25

14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밴덕 얀덕 19rsquo

번연히 번히 16

벌5 허튼모 lsquo오판 구역 밖에 볍써가 2amp 떨어져 자라난 모rsquo냐 lsquo일

을 말막음ξ로 했을 째

쓰는 말rsquo의 돗A로도 인

정함

X벙태기 벙테커 17

병태기 times벙태기 17

별간장(別-홉) 손님장(-짧) 작은 그릇에 따로 담그는 26 간장

별맛(別-) 별미(別味) 26

X별미적다(別味-) 별미쩍다(別味-) 17

별마쩍다(別味lsquo) times별미적다(別味-) 17

X보리풀꺾다 보리풀하다 보리 갈 땅에 거름하기 위 25 하여 풀이나 나뭇잎을 베

어 오다

times보사리감투 보살감투(홈塵-) 17

X보챙기 겨리 lsquo보슐을 낀 챙기rsquo의 뭇~ 25 로는 안청함

복부르다(復-) 초혼하다(招塊-) 26

x복생션(-生蘇) 복 14

복어(-魚) - 16 26

X부레끊다 부레끓다 25

부헤꿇다 times부헤끊다 25

X부시다 부수다 lsquo그릇 같은 것을 께꿋이 25 씻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X부얼부얼 북슬북슬 1 짐승이 살이 찌고 탤 25 이 탕스렵게 많이 난

모양

2 lsquo잘찌고 탑스렵게 생 긴모양rsquo의뜻으로는인

정함

표준어 모옴 147

부엌칼 식칼(食-) 26 X부철다말 부철따말 17 부철따말 times부철다말 17

X북두 부뚜 1 타작마당에서 쓰는 돗 25 자리

2 lsquo마소에 짐융 싣고 그 정파 배률 얼러서 매는

줄rsquo의 뭇으로는 인갱함

분결(慣-) 분검(念 慣-) 26 분지르다 부러뜨리다 26 불공드리다(佛供-) 풍양드리다(供養-) 26 불풍밥(佛供-) 퇴식밥(退食-) 26 불룩이 times불룩히 17 불친소 악대소 26 불호령(-號令) 볼호령(-號令) 26

X붙여장다 붙잡다 14 25 비단개구리(排繼-) 무당개구리 전문용어로는lsquo우당개구 26

리rsquo를 안청함

X비사차기 비사치기 25

비사치기 times비사차기 25 X빚거간(-居間) 빚지시 1lsquo 벚올 주고 쓰는 데 에 25

중간에서 소개하는 일

2 lsquo벚올 내고 주는 데에 중간에서 강H하는 것

을 업으로 장는일rsquo의

뭇으로는인청함

빨갱이 times빨강l 1 공산주의자 09 17 2 lsquo빨간빛의 물건rsquo의 뭇 으로는 lsquo빨강이rsquo를 얀

정함

X빼주 배갈 25

X사갓집(훌家-) 사돈집(흉賴-) 25

사거리(四-) 네거리 26

148 국어 생활- rsquo 90 가올 (제 22호)

사마귀 버마재벼 전문용어로는 lsquo사마귀rsquo를 2β

인청함

사향노루(훌香-) 궁노루 26

값전(-鍵) 돈 (고시 ) x 잔정-gt잔돈 26 산울렴(山-) 헤아리 26

X산코골다 헛3i골다 25 살긋하다 썰긋하다 바르게 된 물건이 한쪽2 19

로 일그러지다

X상량대(上陳-) 마룻대 21 25 times상량도리(上標-) 마뭇대 21 25 times상재(上-) 상좌(上뾰) 05 X상청(上-) 상창(上唱) 뛰어난 창(唱) 05 샅바채우다 샅바지르다 26

X새소리 놀소리 25 X새치롬하다 새치름하다 시치미를 떼고 태연하거 17

나 양천한 기색을 꾸며 다-새치름하다 times새치롬하다 시치미를 혜고 태연하거 17

나 양전한 기색을 꾸미다

색깔(色-) 빛깔 26

times셋까닿다 새까땅다 17 X셋빨창다 새빨창다 17 X셋파량다 새파량다 17 times생갈이(生-) 애벌갈아 1 논이나 밭을 첫 번 가 21

는일

2 lsquo홍두깨 깔이 rsquo 의 준말로 는 lsquo생갈이rsquo를 언정함

X생급L렵4 새삼스렵다 lsquo하는 것이나 말이 캅작 2~

스렵고 돗밖이 다rsquo AElig는

lsquo끄챔어내는 말이 엉뚱하

고 터무니없다rsquo의 뭇으로

는 언청함

생김치(生-) 날검치 ~6

쟁옥(-木〕 당목(康木) 2amp

150 국어생활 90 가올〔제 22호)

X솔갱이 솔개 (고시 )~x소리개rarr솔개 2S

times쇠꼬창01 죄꼬쟁이 09

쇠꼬챙이 times죄꼬창이 09-

X쇠버즘 쇠버짐 17 쇠버짐 times쇠버즘 17

쇠족(-足) 쇠다리 26 쇠죽솥 쇠죽가마 26

times수무(手-) 수모(手母) 신부(新橋)의 보초안 OS

times수이 쉬이 20-

X수이보다 쉬이보다 20 times수이여커다 쉬이여기다 20 rsquo

X숭이 송이 08 시골말 사투리 26

times시초잡다(始初-) 시착하다〔始作-) 25--

신바랍 어껏바량 2amp 신첩살렴(新援-) 신접살이(新援-) 2amp 신챈나무 신대 2amp

설로(實-) 참으로 2G

섬보(心-) 마음보 26 섬술퉁이(心術-) X섬술통이(心術-) 08 심섬파척(-破寂) 섬섬풀이 2amp

times성갱싱갱하다 싱둥생둥하다 lsquo방이 서늘하고 차다rsquo의 2S

뜻으로는 인청함

X성퉁생둥하다 성갱생갱하다 lsquo기운이 줄어질 만한 일 2S

을 겪은뒤에도본래의 기

운이 있다rsquo의 뜻으로는 언

청함

싸느황다 X싸느렇다 17

X싸느렇다 싸느량다 17

X싸려운 사렵문 lsquo싹리로 만든 문rsquo의 뭇으 25

로는 인청함

쌀긋하다 생긋하다 19rsquo

쌍망이 times짱맹이 09

표준어 모음 151

X썽맹이 쌍망이 09-

쌍소리 장소리 19

쌍섬지셔다 쌍심지나마 26

쌍심지오르다 26

X써내다 켜내다 lsquo글씨롤 써셔 내놓다rsquo의 ~s

뭇으로는 언청함

X써다 켜다 lsquo조숫풀이 출거 나 펀 물 25 이 새어셔 줄다rsquo의 룻으

로는 안청함

X썩정이 삭청1 1 산 나우에 붙은 채 말 25 라죽윤나뭇가지

2 lsquo썩은 물건rsquo의 돗A로 는인청함

썰다 써리다 1 논밭융 고르게 하다 16 2 middot물건율 로막토막 통 캉치다rsquo의 뭇으로도 안

갱함

쓰레장판 쓰헤받기 유치 캉환요로 만든 쓰레 26 받기

씨돼치 종톤(種際) 26

아래얄 X아랫알 수판의 가릅대 아래의 알 17

아랫녘 앞대 1 어떤 치방에서 그 남 26 쪽의 지방을일컴는말

2 lsquo전라도 경장도흘 일 걷는 말rsquo로도 안갱함

X아랫동강이 종아리 25

times아랫알 아래알 수판의 카름대 아래의 알 17

아랫중방(-中林) 하인방(下引林) 26

아련하다 오련하다 19

X아웃 가웃 lsquo말아웃rsquo은 언청함 17 2()

아유 아이고 19

아지직 오지칙 19 아치작 19

1 한그릇에 두가지 이

상의 음식을 어울리게

당다

~ lsquo홈칙 따위률 식지 않

게 불에 놓거냐 따뭇한 lsquo - ~ 바헤lsquo묻어 두다rsquo 또는- lsquo e

lsquo샤랑올 안동하여 보내

다j의- 돗으로는 인정하

고 lsquo암구다rsquo (교미를 붙

이다)의 뭇으로는 인청

하지 않음

lsquo ~6 gt 26 lsquo

lsquo 26

- - - - 스 25rsquo

19 -26

09

lsquo26

25

국약2생 활「rsquo 90 가을(제 22호)

안개 u] 가랑비

얀갱 안채 안쪽외영 채

주인집(主A-)

안혜 바로전해 쌓즘삼C삼rsquo ~ ~ I rsquo lsquo 얄픔좀쏟 (rsquo 간

X 알박이 ν lsquo f알뼈71 알 밴 생션 얄펠대71 ~ J f -lsquo~T단〈rsquo觸蛋 chitan)

X 알심 -Z ) t ilsquo끼(고앵이( 1 초목의 줄기 가운데의 lsquo gt τ 연한 심

f lsquo - J lsquo 2[ lsquo판폰한 동정섬rsquo 또는

lsquo속에 있는힘rsquo의 뭇a lsquo -lsquo - Ilsquo middot 안 로는 인정함

알약(-藥) J μ환약f갯L藥)

양딴해도1 lsquo rsquo ~ t ~ - τ 아운리쾌도

앙구다 r rsquo l lsquo t ( lsquof쩔lsquo플이다

J rsquo z bull lsquo ι rsquo rsquo

ω Mω Mω

J52lsquo

~r

-rsquo

lsquo rdquo

ldquo

두별갈이

앞뜰

아기

애타다

아비

lsquo lsquo

26

26

09

26

09

1 놀라거나반가올때 내 26

는소리

2 lsquo예rsquo(존대할자리에 대

rdquo lsquo

rsquo

bull lsquo

앞뒤갈이 앞lsquo바당

X애기

애끓다

lsquo애비

F

26 09 26 09 26 26 26-

21

26 (고시) x찍rarr쪽 26 1 마음이 너그렵고 정질 26 lsquo

l 부드렵다

2lt lsquo얼굴의 각 구맹새가

ι-넬젝널찍하다rsquo의 뜻우-낀-rsquo-로도 언갱함

한 살청도차이 나서 동

감이나 다름없음

1 여러 사랍이 밑천올 어

울러서 하는장사 2 어려장수의 영업 rsquo 위 -

뭇으로는언청함

153 lsquo표훈어 lsquo 오옴

답하거나재쳐 묻는말)

의 뭇으로는 인정하지

않음

lsquo오밤중rsquo도 안정함

lsquo - lsquo- rsquo lsquo

times야말장이 1

야발쟁이

한밤중(-中) 약물터(藥-)

분칭(分햄)

양지머리뼈

lsquo 이모작(그毛作)

양현짝(兩便-)

서글서글하다

middot야발단지

rsquo

bull

녁 ι니

1r

t

ι水

」骨

7

便

- -

蘭藥

爛浦lsquoh浦합i

yF

터 νF 빼 루 £1 맏

이 i

바n

--lsquo저ι

골ι 그lsquo

펀 그τ π -lsquolsquo j

lsquo

야 야T1

약1

양lsquo

양 어「lsquo

x

26

25

懶1ι

갑 rsquolsquolsquo

1j렁shy

영-

J샤L C

ldquo

그rdquoRlsquo-lsquo

짧 ι

쐐υ

껴기

lsquo리

x

r 4

--μ

t i

x 어버리j좋다 -

어스러기

x어스러기 lsquo 어스럭송아지

어융 어이구 어환둥퉁 어허둥둥

어〈홉1 - 이 ldquo lsquo 범 ~ lsquo X언냐 어린아아

얼간1 -기ldquo - 얼간망풍l

X얼러망~땅~l - 니 ldquo 을러방망억

얼룩말 얼럭말

22 25

대담하다(大觸-)

ι lsquo lsquo lsquo bull ~ rsquo

25

19 lsquo

19 lsquo

26

25

26 17

26

옷 따위의 솔이 어스러진

큰송아지

표준어 모옴 155-

X옴살 엄살 lsquo한몽같이 친밀한터rsquo의 뭇 17 A로는인정함

옴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gt

왕매미 말매미 lsquo큰 매미rsquo의 뜻으로모두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말매

미rsquo엄

왕벌 호박멸 lsquo큰 벌rsquo 의 뭇으로 lsquo왕별 말 26 말벌 벌rsquo 모두 언청 함 전운용어 26

로는 lsquo호박별rsquo엄

왕새우 대하(大醒) 전문용어로는 lsquo대하rsquo를 인 26

청함

왕파리 쉬파리 lsquo큰파리rsquo의 뭇으로 모두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쉬파

리rsquo를 언정함

왜난목 내공목(內供木) 옷의 안강으로 쓰는 풍질이 26 낮tr -n「며

왜먹(훌-) (채래의 6 모형에 대해) 네 25-lsquo

모난먹

times외발제기 외알채기 1 굽 하나를 질질 끌어서 17rsquo

다디어 걷는 걸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소

2 lsquo한 발만가지고차는제

기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외상관혜(-冠禮) 외자한례(-冠禮〕 2amp X외통목 외킬목 lsquo장기 둘 때에 외통장군이 25-

되는 킬목rsquo의 뭇으로는 인

청함

X왼 온 lsquo왼쪽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1( 요뒤 요의(覆衣) 26 용슷바람 회오리바랍 26

times우그령흑박 우그령쪽박 17 X우물우둘 우틀우플 1 춤거나무서워서 폼을떠 08

τ~ YOJ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8: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134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times강화(-火) 도깨버불 21

값나다 금나다 1 물건 값이 정해져서 왈 26 고사고할수있게 되

2 lsquo값나가다rsquo 의 준말로

는 인갱하지 않읍

X값높다 값비싸다 lsquo값비싸다rsquo 의 뭇으로 lsquo금 25 높다rsquo도언청함

times강밥 눌은밥 lsquo강다짐으로 먹는 밥rsquo의 25 뭇 o 로는 안정함

개소리괴소리 times개소리괴소문 17

times개소리괴소문 개소리괴소리 17

times개지 강아지 lsquo버 틀치 rsquo (물고기 이 름)로 25-

도 인청하지 않음

갯버들 땅버들 전문용어로는 lsquo갯버들rsquo을 2amp 안정합

X갱조개 가막조개 채첩 25-

갱충맞다 갱충쩍다 26-

거령맞다 거령 ζ렵다 2amp 거륨발 거릅커(-氣) 2amp

X거상 큰톱 25 거푼거푼 놓암 물체의 한부분이 바 25-

람에 불리어 떠들리었다가

가라앉았다가하는모양

times거풀 꺼풀 17

건건이 반찬(飯戰) 2amp 걷어쥐다 걷어잡다 26lsquo

times검은깨 주근깨 lsquo빛깔이 검은 참깨rsquo의 돗 25 으로는 인청함

검청홍 검은콩 26 X걷껑더기 걷껍데기 09 걷껍테 7l times곁껑더기 O~

걷장 수잠 2amp

표준어 모음 135

X게걸스렵다 게검스렵다 1 욕심껏 마구 먹어 대 25 는태도가있다

2 lsquo게걸들린 태도가 있 다rsquo의 돗으로는 인정함

times게꼬리 게꽁지 지식이나 재주 퉁이 극히 25 적거나 짧음

게꽁지 times게꼬리 지식이나 재주 둥이 극히 25 적거나 짧음

X계오다 지다 옷이기다 20 25 times고두밥 지에밥 1 참쌀 혹은 맹 쌀을 시 25

루에 쩌서 만든 밥

2 lsquo되게 지은 밥rsquo의 뭇

A로는 인정함

고로(故-) 그러므로 2amp X고물 고미 1 반자의 한 종류 25

2 lsquo우플마루를 놓는 데 귀틀 두개 사이의 구

역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times고부탕이 고비 1 중요한 기회 25 2 lsquo피륙을 필올 지을 때 꺾여 겹쳐 념어간곳rsquo의

뜻으로는안정함

고운대 곤대 토란출거리 16 골찍 골짜기 16 times곰살곱다 곰살강다 17 X곰탕 곰팡이 25

times곱수머리 곱슬머리 25 풍히(共-) 모두 26 과경에(過煩-) 아까 26 과목밭(果木-) 과수원(果樹園) 26 패팡스렵다 망령스렵다(훌靈-) 26

times괴엄 굉 (고시) 괴다고이다 18 고임 18

13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괴엄새 굉새 1 꾀어 놓은모양 18 고임새 2 (고시) 괴다고이다 18

X펀돌 고언돌 17 구기자나무〈抱紀子-) x괴 쫓나무 22 25

X구럭 망태기 lsquo새꺼로 그물 뜨듯 눈올 25 드물게 떠셔 만든 물건rsquo

의 돗£로는 인정함

구역나다(騙遊-) 욕지기나다 26 군기칩 헛키침 26 굿복(-服) 굿옷 26 렷속말 귀옛말 26 그물눈 그물코 26

X근두박질 곤두박질 05 글동무 글통접(-同接) 26 글동첩(-同接) 글통무 26 금몽(옳) 금씩신(金色身) 26 금출(禁-) 언줄(λ-) 26 기겁하다 times기급하다(氣急-) 05 17 기꼭지(雄-) times기대강이(雄-) 25 커미채다(幾微- 機微-) 낌새채다 26 기수채다(幾數-) 26 기어코(期於-) 기어이(期於-) 26 기장 걸이 lsquo옷 따위의 긴 정도rsquo의 뭇 26

으로 안정함

X기치량물 지지랑물 17 까까중 25 times까스라기 가시랭이 25 X깐보다 깔보다 lsquo어떤 형현이나기회에 대 25

하여 마음 속으로 가늠

을 보다rsquo의 뭇a로는 언

청함

X깔딱 딸쭉 1 딸쭉질하는 소리 25 2 lsquo액체를 조금씩 삼키

표준어 오옴 137

는소리rsquo 또는 lsquo앓은물

체가 뒤집히는 소리rsquo의

뜻으로는 안청함

x깔딱거리다 딸쭉거리다 25 x깔딱깔딱 딸쭉딸푹 25

Z강총하다 times깡충하다 다리가 길다 큰말은 lsquo갱 08 충하다rsquo임

X깡충하다 깡총하다 다리가 킬다 큰말은 lsquo갱 08 충하다rsquo엄

X깨보숭이 깨소금 lsquo들깨의 꽃송이와 창쌀가 25

루를 버무려 기름에 튀긴 lsquo 반찬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X깨보숭아 채고물 25 X깨이다 깨다 1 lsquo(알을) 까다rsquo의 피동 25

2 lsquo(장을) 깨다rsquo의 펴동

의 뭇으로는안정함

X째이다 깨다 lsquo(알융) 까다rsquo 의 사동 25 껴껴푸드덕 times쩍껴푸드득 장끼가 울며 쾌치는 소리 17

X껴껴푸드득 쩍껴푸드덕 장끼가 울며 혜치는 소리 17 갱벅거리다 끔벅거리다 19 26

X꼬끼댁 꼬꼬댁 17 -x 1i창이 꼬챙이 09 포챙이 X 1iL창이 09

X꼬치 고주 17 lsquoX꼬치 고치 17 x꼭두머리 꼭대기 lsquo시간척으로 얼의 가장 처 25

음rsquo의 뭇으로는 언청함

꽁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 꼽추 곱사퉁이 26 꽃자루 꽃꼭지 전문용어로는 lsquo쫓자루rsquo 를 26

안정함

X쫓택 times꽃받기 쫓받침 25 X팩장이 꾀보 2509

138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꾀쟁이 26 09gt

X꾸다 뀌다 1 방귀를 25 2 lsquo빌려 오다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끝전(-錢) 극ζ~~ (고시) x잔전rarr잔돈 26 X낄룩 끼룩 (내다보거나 삼키려 할 14 25gt

때) 목올 킬게 빼어 내미

는모양

나방이 나방 16 X나부라기 나부랭이 (고시) 나부랭이너부렁이 25 난목(-木) 외올베 26 times난봉장이 난봉꾼 09

난용쟁이 09 times날물 썰물 lsquo나가는 물rsquo 의 뭇으로는 25

인정함

times날빛 햇벚 lsquo햇빛을 받아서 나는 온 25-

세상의 빛rsquo의 돗£로는인

정함

남차답다(男了~) 사내답다 26 times내나 일껏 lsquo결국은rsquo 의 뭇으로는 인 25

정함

내숭 times내흉(內ethI) 05 17

내숭스허1 times내흉스헤(內뻐-) (고시) x내흉A렵다rarr내 0517

숭스렵다

냉국(冷-) 찬국 26 너울지다 놀지다 16 26 널판때기 times널판대기 26 17 널판자(-板子) 26

X예 네 (고시) 네예 17 18

X노란묵 노랑욱 치자 물을타서 쓴녹말묵 17 노랑묵 times노란묵 치자 물올타셔 춘녹말묵 17

녹슬다(綠-) times녹쏠다(綠-) 17 X녹쓸다-(綠-) 늑슬다(綠-) 17

표준어 모음 139gt

times누릉지 눌은밥 1 솥바닥에 눌어붙은 눌 25 은밥에 물을부어 긁어

τ효 -3 2 lsquo솥바닥에 눌어붙은 밥rsquo의 돗으로는 안정함

눈꼴시다 눈꼴틀리다 26 눈쌍 눈싸움 눈겨룸 16 times느루 -- lsquo대번에 몰아치지 않고 25 E

길게 늘여서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늦장 늑장 lsquo느직 하게 보러 가는 장rsquo 26 의 뜻으로도 안정함

x-(으)니까니 -(으)니까 25 다각도로(多角度-) 여러모로 26 다릿골독 times대릿골독 09 2s 다슬기 대사리 전문용어로는 lsquo다슬기rsquo를 26

인정함

다홍(-狂) 진흥(륭狂) 26 단결음에(單-) 단숭에(單-) 26 단검에 단결에 26 단연코(斷然-) 단연히(斷然-) 26 답쪽 times담쑥 손으로 탐스럽게 취거나 08

활로 탐L렵 게 안는 모양

times담쑥 당쪽 손으로 탑스럽게 취거나 08 활로 탐스럽게 안는 모양

당달봉사(-奉事) 청맹과니(좁톱-) 26

대강굿(大藍-) 대강놀이(大藍-) 26

대변보다(大便-) 뒤보다 26 lsquo

times대접문(-救) 대접무늬 21 times뱃가지 뱃개비 1 대를 쪼개 잘게 깎은 2s

꽂이

2 lsquo대의 가지rsquo의 뭇으로

는인정함

14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뱃돌(훌-) 성돌 lsquo집채의 낙숫고랑 안쪽에 26 돌려가며 놓은돌rsquo의 풋

으로도 얀정합

x더껑이 더께 1 텀어서 몹시 찌든울 25 건에 앉은때

2 lsquo결쭉한 액체의 거죽 에 엉겨 굳은 꺼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더미씌우다 다미씌우다 (고시) 얀다미씌우다 19 x덧구두 덧신 25 덮개 뚜껑 lsquo이불 처네 등의 총칭rsquo 26

또는 lsquo착한 마음을덮어

서 가리는 탐욕이나 성내

는 마음rsquo의 돗으로도 인

청함

도리갯장부 도리깨채 26 도토리나무 떡갈나무 lsquo도토리 냐우rsquo 는 lsquo상수리 26

나무rsquo의 별칭으로 lsquo떡갈

나무rsquo와 별개엄

돈지캅(-紙面) 지갑(紙便) 16 26 돈표(-票) 환(換) 26 돋보껴안경(-眼鏡) 돋보기 16 26 -돌개바람 구풍(顧風) lsquo회오리 바람rsquo 의 돗으로 26

도 언정항

툴커와 너새 26 rarr돌렴자(-字) 항렬자(行列字) 26 -동강이 동강 16 -동동걸음 표느죠 otilde-거 (i g 26 rarr동자부처(購子 ) 눈부처 26 -동차부처(童子-) 동자보살(童子홈題) 사랍의 두 어깨에 있다는 26

신(神)

-두견새(柱蘭-) 소쩍새 26 두견이(柱騙-) 26

표준어 모음 14D

times두렵단자(-團子) 두럽떡 21 둘러쓰다 뒤집어쓰다 26 둬둬 드헤드레 수봉기(受峰器)를 대고 26

벌비로 몰아넣을 때 벌을

부르는소리

times뒷개 설거지 윷놀이 용어로는 안청함 25 뒷결박(-結續) 뒷짐결박(-結網) 26 프1lsquo1고 E 뒤통수 26 뒷마당 뒤뜰 26 뒷전보다 뒷전놀다 26 듣그렵다 시끄렵다 26

X들망(-網) 후릿그물 21 들쑥날쑥 들쭉날쭉 19 26gt

lsquo 들오리 물오리 lsquo들오리rsquo는 lsquo집오리rsquo에 26 대하여 야생의 오리를

lsquo물오리rsquo는 lsquo청둥오리rsquo를

말함

times들치다 들추다 lsquo물건의 한 쪽 머 리 를 쳐 25 들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하

고 lsquo들치이다rsquo의 준말로

는 인청하지 않음

등헤엄 총장헤엄 26lsquo X딸각발이 딸짝발이 17 땅강아지 times하늘밥도둑 25

X땅꾼 딴꾼 1 포도청에 매이어 포교 2~

의 섬부름으로 도둑잡

는데 거투는사람

2 lsquo뱅을 잡아 파는 사람rsquo 의 뜻으로는인갱하고

lsquo몹시 인색하고 이기척

언 사람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하져 않음-

땅벙어리 땅형이 2amp

142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때까중

X때깨중이

렬기나무

X똑하다

뚱뚱이

탠-

τ최Z

뜨 뜨디

x

-(이)랑

X마련통이

마상

X마술장이(魔術-)

마술쟁이(魔術-)

마짓밥(顧릅-)

x마치

막철다

막걸리다

X만양

말개며

중대가리

중대가리

times좀나무

꼭하다

뚱뚱보

캠질

매련퉁이

마상이

times요술장이(妹術-)

요술챙이(te(術-)

마지(鷹릅)

망치

맞걸다

맞걸리다

늦모내기

마냥

왕개미

25 25 25

정 직 하고 안상(安神)하다 25 26 19

1 더운 날의 모래밭이나 25 온천 또는 뜨거운 물

속에 몽을묻어서 땀을

흘리어 병을 고치는 법

2 lsquo뜸을 뜨는 일rsquo의 뭇

으로는인정함

-하고과와 26 미련퉁이 08 17

16

09 09 26

16 26

lsquo(망치보다 작은 것으로 25 서) 못 박는 연장rsquo의 뭇

으로는인청함

lsquo막걸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26

가진 돈을모두 걸고 단

판하다rsquo 의 뜻으로 lsquo맞결

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돈을

따려고서로돈올결다rsquo의

돗으로 안정함

26 1 만이앙(曉移快) 26

2 (고시 ) x 만양모rarr마 26

냥모

lsquo큰 개미rsquo라는 뭇으로 모 26 두언청함

표준어 모읍 143

전문용어로는 lsquo왕개미rsquo엄

말거미 왕거마 lsquo큰 거미rsquo라는 뭇ξ로 모 26 두안정함

전문용어로는 lsquo왕거미rsquo임

말그L름하다 맑스그레하다 26 x맛대강이 맛 25 망가지다 망그러지다 26

X매커 튀기 lsquo수돼지와 암소 사이에서 25 낳는다는 점 송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매양(每-) 번벤이(養養-) 26 X매풋집(寶酒-) 솔집 21 매해(每-) 매년(每年) 26

x볍옐 맹쌀 lsquo젠 메밀을 약간 말려 쩡 17 어 껍질올 벗긴 쌀rsquo의 돗

으로는 인정함

X야련 매련 17 _X야욕하다 매욱하다 어리석고 둠하다 17 X머드레콩 그루콩 1 그루갈이로 심은 콩lsquo 25

2 lsquo밭가로둘러 성은콩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함

X명구력 구럭 1 새끼로눈올투물게 떠 14 25 서 그물같이 만든물건

2 lsquo썩 성기게 떠서 만든

구럭rsquo의 뭇으로는 인정

벚다 엄추다 26 x베토끼 산토꺼(山-) 22

멧돼지 산돼지(山-) 26 멸구 며루 lsquo멸구rsquo는 멸구과에 속하 26

는 곤충의 얼종이고 lsquo며

루rsquo는 모기의 유충임

x명 목화(木花) lsquo우명 rsquo 의 돗으로는 언갱 함 25

144 국어생 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명자나무(훌體-) 모과나무 lsquo모과나무rsquo 는 명 자나무의 26 별칭임

모군꾼(幕軍-) 모군(幕軍) 16 26gt

모래사장(-沙場) 모래룹 26 X모어려수에 무에리수에 거리로 다니며 첨을 치라 17

고 외치는 소리

times모지다 모질다 lsquo성질 일 물건이나 모 25 양이 모가 난데가있다rsquo

의 돗으로는인정함

X목실(木-) 무명실 25 몰매 뭇매 26 옴서리나다 몸서리치다 26

X몽깃돌 낚섯봉 lsquo밀물과 썰물에 뱃머리를 25 곧게 하기 위하여 고물에

다는 돌rsquo의 뭇으로는 언

정함

무겁한량 times무겁활량 05 17 X우겁활량 우겁한량 051T 우식꾼(無講-) times무식장이(無識-) 26 OP

무식쟁이(無훌훌-) 26 0동 X물앵도(-樓挑) 물앵두 05 물앵두 times물앵도(-樓挑) 05 웅그대다 뭉개다 1 일을 어떻게 할 줄 모 26

르고 짓이기다

2 lsquo제자리에서 폼을 그 냥 비비다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X뭘하다 윗하다 거북하다 난처하다 17 미친놈 미치팡이 26 밀뼈세장 times멀삐죄장 지게의 윗세장 아래에 가 17

로박은나무

X밀뼈쇠창 멀뻐세장 지게의윗세장 아래에 가 1T

로박은나무

표준어L 모융- 145

X법둥스렵다 법살스렵다 Tl 바깥양반(-兩班) 사랑양반(舍願兩班) lsquo -26

바늘뱅셔(rarr方席〉 ldquo 바늘겨레 26 X바랍꾼 lsquo r _바람둥이 25 바심 rsquo 타작(打作) 26

박새 lsquo X깨싸 25 박첨지놀음(朴했知-)x꼭둑각시놀음 (고시) x꼭둑각시rarr꼭두 26

X반대기

X반대기

times반미콩(飯米-)

times발구

발뒤꾸머리

발새

발짓

배뱃니

X배햇쾌기

백곰(白-)

X백하첫(白嚴-)

꼭두각시놀음

소래기

밥밑콩

걸채 -

발뒤꿈치

발살

발질

찾니

배추속대

흰곰

새우첫

각시 rsquo 26

1 앓게 펴 서 다듬어 만 14 25 든조각

2 lsquo무슨 가루률 반죽한

것이나 삶은 푸성귀를

현연하고둥글넓척하게

만든조각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굽 없는 갱시와 같은 넓 25 윤질그릇

21 1 소의 길마 위 에 덧 얹 25 고곡식 단올싣는제구

2 lsquo산에서 쓰는 캘매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합

26

26

lsquo발짓은 lsquo발융 웅칙이는 26

짓rsquo의 돗으로 lsquo발질rsquo응

lsquo발걸질rsquo의 뭇으로 인정

26

25 전문용어로는 lsquo흰곰rsquo만 26

인청함

25

14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밴덕 얀덕 19rsquo

번연히 번히 16

벌5 허튼모 lsquo오판 구역 밖에 볍써가 2amp 떨어져 자라난 모rsquo냐 lsquo일

을 말막음ξ로 했을 째

쓰는 말rsquo의 돗A로도 인

정함

X벙태기 벙테커 17

병태기 times벙태기 17

별간장(別-홉) 손님장(-짧) 작은 그릇에 따로 담그는 26 간장

별맛(別-) 별미(別味) 26

X별미적다(別味-) 별미쩍다(別味-) 17

별마쩍다(別味lsquo) times별미적다(別味-) 17

X보리풀꺾다 보리풀하다 보리 갈 땅에 거름하기 위 25 하여 풀이나 나뭇잎을 베

어 오다

times보사리감투 보살감투(홈塵-) 17

X보챙기 겨리 lsquo보슐을 낀 챙기rsquo의 뭇~ 25 로는 안청함

복부르다(復-) 초혼하다(招塊-) 26

x복생션(-生蘇) 복 14

복어(-魚) - 16 26

X부레끊다 부레끓다 25

부헤꿇다 times부헤끊다 25

X부시다 부수다 lsquo그릇 같은 것을 께꿋이 25 씻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X부얼부얼 북슬북슬 1 짐승이 살이 찌고 탤 25 이 탕스렵게 많이 난

모양

2 lsquo잘찌고 탑스렵게 생 긴모양rsquo의뜻으로는인

정함

표준어 모옴 147

부엌칼 식칼(食-) 26 X부철다말 부철따말 17 부철따말 times부철다말 17

X북두 부뚜 1 타작마당에서 쓰는 돗 25 자리

2 lsquo마소에 짐융 싣고 그 정파 배률 얼러서 매는

줄rsquo의 뭇으로는 인갱함

분결(慣-) 분검(念 慣-) 26 분지르다 부러뜨리다 26 불공드리다(佛供-) 풍양드리다(供養-) 26 불풍밥(佛供-) 퇴식밥(退食-) 26 불룩이 times불룩히 17 불친소 악대소 26 불호령(-號令) 볼호령(-號令) 26

X붙여장다 붙잡다 14 25 비단개구리(排繼-) 무당개구리 전문용어로는lsquo우당개구 26

리rsquo를 안청함

X비사차기 비사치기 25

비사치기 times비사차기 25 X빚거간(-居間) 빚지시 1lsquo 벚올 주고 쓰는 데 에 25

중간에서 소개하는 일

2 lsquo벚올 내고 주는 데에 중간에서 강H하는 것

을 업으로 장는일rsquo의

뭇으로는인청함

빨갱이 times빨강l 1 공산주의자 09 17 2 lsquo빨간빛의 물건rsquo의 뭇 으로는 lsquo빨강이rsquo를 얀

정함

X빼주 배갈 25

X사갓집(훌家-) 사돈집(흉賴-) 25

사거리(四-) 네거리 26

148 국어 생활- rsquo 90 가올 (제 22호)

사마귀 버마재벼 전문용어로는 lsquo사마귀rsquo를 2β

인청함

사향노루(훌香-) 궁노루 26

값전(-鍵) 돈 (고시 ) x 잔정-gt잔돈 26 산울렴(山-) 헤아리 26

X산코골다 헛3i골다 25 살긋하다 썰긋하다 바르게 된 물건이 한쪽2 19

로 일그러지다

X상량대(上陳-) 마룻대 21 25 times상량도리(上標-) 마뭇대 21 25 times상재(上-) 상좌(上뾰) 05 X상청(上-) 상창(上唱) 뛰어난 창(唱) 05 샅바채우다 샅바지르다 26

X새소리 놀소리 25 X새치롬하다 새치름하다 시치미를 떼고 태연하거 17

나 양천한 기색을 꾸며 다-새치름하다 times새치롬하다 시치미를 혜고 태연하거 17

나 양전한 기색을 꾸미다

색깔(色-) 빛깔 26

times셋까닿다 새까땅다 17 X셋빨창다 새빨창다 17 X셋파량다 새파량다 17 times생갈이(生-) 애벌갈아 1 논이나 밭을 첫 번 가 21

는일

2 lsquo홍두깨 깔이 rsquo 의 준말로 는 lsquo생갈이rsquo를 언정함

X생급L렵4 새삼스렵다 lsquo하는 것이나 말이 캅작 2~

스렵고 돗밖이 다rsquo AElig는

lsquo끄챔어내는 말이 엉뚱하

고 터무니없다rsquo의 뭇으로

는 언청함

생김치(生-) 날검치 ~6

쟁옥(-木〕 당목(康木) 2amp

150 국어생활 90 가올〔제 22호)

X솔갱이 솔개 (고시 )~x소리개rarr솔개 2S

times쇠꼬창01 죄꼬쟁이 09

쇠꼬챙이 times죄꼬창이 09-

X쇠버즘 쇠버짐 17 쇠버짐 times쇠버즘 17

쇠족(-足) 쇠다리 26 쇠죽솥 쇠죽가마 26

times수무(手-) 수모(手母) 신부(新橋)의 보초안 OS

times수이 쉬이 20-

X수이보다 쉬이보다 20 times수이여커다 쉬이여기다 20 rsquo

X숭이 송이 08 시골말 사투리 26

times시초잡다(始初-) 시착하다〔始作-) 25--

신바랍 어껏바량 2amp 신첩살렴(新援-) 신접살이(新援-) 2amp 신챈나무 신대 2amp

설로(實-) 참으로 2G

섬보(心-) 마음보 26 섬술퉁이(心術-) X섬술통이(心術-) 08 심섬파척(-破寂) 섬섬풀이 2amp

times성갱싱갱하다 싱둥생둥하다 lsquo방이 서늘하고 차다rsquo의 2S

뜻으로는 인청함

X성퉁생둥하다 성갱생갱하다 lsquo기운이 줄어질 만한 일 2S

을 겪은뒤에도본래의 기

운이 있다rsquo의 뜻으로는 언

청함

싸느황다 X싸느렇다 17

X싸느렇다 싸느량다 17

X싸려운 사렵문 lsquo싹리로 만든 문rsquo의 뭇으 25

로는 인청함

쌀긋하다 생긋하다 19rsquo

쌍망이 times짱맹이 09

표준어 모음 151

X썽맹이 쌍망이 09-

쌍소리 장소리 19

쌍섬지셔다 쌍심지나마 26

쌍심지오르다 26

X써내다 켜내다 lsquo글씨롤 써셔 내놓다rsquo의 ~s

뭇으로는 언청함

X써다 켜다 lsquo조숫풀이 출거 나 펀 물 25 이 새어셔 줄다rsquo의 룻으

로는 안청함

X썩정이 삭청1 1 산 나우에 붙은 채 말 25 라죽윤나뭇가지

2 lsquo썩은 물건rsquo의 돗A로 는인청함

썰다 써리다 1 논밭융 고르게 하다 16 2 middot물건율 로막토막 통 캉치다rsquo의 뭇으로도 안

갱함

쓰레장판 쓰헤받기 유치 캉환요로 만든 쓰레 26 받기

씨돼치 종톤(種際) 26

아래얄 X아랫알 수판의 가릅대 아래의 알 17

아랫녘 앞대 1 어떤 치방에서 그 남 26 쪽의 지방을일컴는말

2 lsquo전라도 경장도흘 일 걷는 말rsquo로도 안갱함

X아랫동강이 종아리 25

times아랫알 아래알 수판의 카름대 아래의 알 17

아랫중방(-中林) 하인방(下引林) 26

아련하다 오련하다 19

X아웃 가웃 lsquo말아웃rsquo은 언청함 17 2()

아유 아이고 19

아지직 오지칙 19 아치작 19

1 한그릇에 두가지 이

상의 음식을 어울리게

당다

~ lsquo홈칙 따위률 식지 않

게 불에 놓거냐 따뭇한 lsquo - ~ 바헤lsquo묻어 두다rsquo 또는- lsquo e

lsquo샤랑올 안동하여 보내

다j의- 돗으로는 인정하

고 lsquo암구다rsquo (교미를 붙

이다)의 뭇으로는 인청

하지 않음

lsquo ~6 gt 26 lsquo

lsquo 26

- - - - 스 25rsquo

19 -26

09

lsquo26

25

국약2생 활「rsquo 90 가을(제 22호)

안개 u] 가랑비

얀갱 안채 안쪽외영 채

주인집(主A-)

안혜 바로전해 쌓즘삼C삼rsquo ~ ~ I rsquo lsquo 얄픔좀쏟 (rsquo 간

X 알박이 ν lsquo f알뼈71 알 밴 생션 얄펠대71 ~ J f -lsquo~T단〈rsquo觸蛋 chitan)

X 알심 -Z ) t ilsquo끼(고앵이( 1 초목의 줄기 가운데의 lsquo gt τ 연한 심

f lsquo - J lsquo 2[ lsquo판폰한 동정섬rsquo 또는

lsquo속에 있는힘rsquo의 뭇a lsquo -lsquo - Ilsquo middot 안 로는 인정함

알약(-藥) J μ환약f갯L藥)

양딴해도1 lsquo rsquo ~ t ~ - τ 아운리쾌도

앙구다 r rsquo l lsquo t ( lsquof쩔lsquo플이다

J rsquo z bull lsquo ι rsquo rsquo

ω Mω Mω

J52lsquo

~r

-rsquo

lsquo rdquo

ldquo

두별갈이

앞뜰

아기

애타다

아비

lsquo lsquo

26

26

09

26

09

1 놀라거나반가올때 내 26

는소리

2 lsquo예rsquo(존대할자리에 대

rdquo lsquo

rsquo

bull lsquo

앞뒤갈이 앞lsquo바당

X애기

애끓다

lsquo애비

F

26 09 26 09 26 26 26-

21

26 (고시) x찍rarr쪽 26 1 마음이 너그렵고 정질 26 lsquo

l 부드렵다

2lt lsquo얼굴의 각 구맹새가

ι-넬젝널찍하다rsquo의 뜻우-낀-rsquo-로도 언갱함

한 살청도차이 나서 동

감이나 다름없음

1 여러 사랍이 밑천올 어

울러서 하는장사 2 어려장수의 영업 rsquo 위 -

뭇으로는언청함

153 lsquo표훈어 lsquo 오옴

답하거나재쳐 묻는말)

의 뭇으로는 인정하지

않음

lsquo오밤중rsquo도 안정함

lsquo - lsquo- rsquo lsquo

times야말장이 1

야발쟁이

한밤중(-中) 약물터(藥-)

분칭(分햄)

양지머리뼈

lsquo 이모작(그毛作)

양현짝(兩便-)

서글서글하다

middot야발단지

rsquo

bull

녁 ι니

1r

t

ι水

」骨

7

便

- -

蘭藥

爛浦lsquoh浦합i

yF

터 νF 빼 루 £1 맏

이 i

바n

--lsquo저ι

골ι 그lsquo

펀 그τ π -lsquolsquo j

lsquo

야 야T1

약1

양lsquo

양 어「lsquo

x

26

25

懶1ι

갑 rsquolsquolsquo

1j렁shy

영-

J샤L C

ldquo

그rdquoRlsquo-lsquo

짧 ι

쐐υ

껴기

lsquo리

x

r 4

--μ

t i

x 어버리j좋다 -

어스러기

x어스러기 lsquo 어스럭송아지

어융 어이구 어환둥퉁 어허둥둥

어〈홉1 - 이 ldquo lsquo 범 ~ lsquo X언냐 어린아아

얼간1 -기ldquo - 얼간망풍l

X얼러망~땅~l - 니 ldquo 을러방망억

얼룩말 얼럭말

22 25

대담하다(大觸-)

ι lsquo lsquo lsquo bull ~ rsquo

25

19 lsquo

19 lsquo

26

25

26 17

26

옷 따위의 솔이 어스러진

큰송아지

표준어 모옴 155-

X옴살 엄살 lsquo한몽같이 친밀한터rsquo의 뭇 17 A로는인정함

옴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gt

왕매미 말매미 lsquo큰 매미rsquo의 뜻으로모두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말매

미rsquo엄

왕벌 호박멸 lsquo큰 벌rsquo 의 뭇으로 lsquo왕별 말 26 말벌 벌rsquo 모두 언청 함 전운용어 26

로는 lsquo호박별rsquo엄

왕새우 대하(大醒) 전문용어로는 lsquo대하rsquo를 인 26

청함

왕파리 쉬파리 lsquo큰파리rsquo의 뭇으로 모두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쉬파

리rsquo를 언정함

왜난목 내공목(內供木) 옷의 안강으로 쓰는 풍질이 26 낮tr -n「며

왜먹(훌-) (채래의 6 모형에 대해) 네 25-lsquo

모난먹

times외발제기 외알채기 1 굽 하나를 질질 끌어서 17rsquo

다디어 걷는 걸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소

2 lsquo한 발만가지고차는제

기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외상관혜(-冠禮) 외자한례(-冠禮〕 2amp X외통목 외킬목 lsquo장기 둘 때에 외통장군이 25-

되는 킬목rsquo의 뭇으로는 인

청함

X왼 온 lsquo왼쪽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1( 요뒤 요의(覆衣) 26 용슷바람 회오리바랍 26

times우그령흑박 우그령쪽박 17 X우물우둘 우틀우플 1 춤거나무서워서 폼을떠 08

τ~ YOJ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9: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표준어 모음 135

X게걸스렵다 게검스렵다 1 욕심껏 마구 먹어 대 25 는태도가있다

2 lsquo게걸들린 태도가 있 다rsquo의 돗으로는 인정함

times게꼬리 게꽁지 지식이나 재주 퉁이 극히 25 적거나 짧음

게꽁지 times게꼬리 지식이나 재주 둥이 극히 25 적거나 짧음

X계오다 지다 옷이기다 20 25 times고두밥 지에밥 1 참쌀 혹은 맹 쌀을 시 25

루에 쩌서 만든 밥

2 lsquo되게 지은 밥rsquo의 뭇

A로는 인정함

고로(故-) 그러므로 2amp X고물 고미 1 반자의 한 종류 25

2 lsquo우플마루를 놓는 데 귀틀 두개 사이의 구

역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times고부탕이 고비 1 중요한 기회 25 2 lsquo피륙을 필올 지을 때 꺾여 겹쳐 념어간곳rsquo의

뜻으로는안정함

고운대 곤대 토란출거리 16 골찍 골짜기 16 times곰살곱다 곰살강다 17 X곰탕 곰팡이 25

times곱수머리 곱슬머리 25 풍히(共-) 모두 26 과경에(過煩-) 아까 26 과목밭(果木-) 과수원(果樹園) 26 패팡스렵다 망령스렵다(훌靈-) 26

times괴엄 굉 (고시) 괴다고이다 18 고임 18

13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괴엄새 굉새 1 꾀어 놓은모양 18 고임새 2 (고시) 괴다고이다 18

X펀돌 고언돌 17 구기자나무〈抱紀子-) x괴 쫓나무 22 25

X구럭 망태기 lsquo새꺼로 그물 뜨듯 눈올 25 드물게 떠셔 만든 물건rsquo

의 돗£로는 인정함

구역나다(騙遊-) 욕지기나다 26 군기칩 헛키침 26 굿복(-服) 굿옷 26 렷속말 귀옛말 26 그물눈 그물코 26

X근두박질 곤두박질 05 글동무 글통접(-同接) 26 글동첩(-同接) 글통무 26 금몽(옳) 금씩신(金色身) 26 금출(禁-) 언줄(λ-) 26 기겁하다 times기급하다(氣急-) 05 17 기꼭지(雄-) times기대강이(雄-) 25 커미채다(幾微- 機微-) 낌새채다 26 기수채다(幾數-) 26 기어코(期於-) 기어이(期於-) 26 기장 걸이 lsquo옷 따위의 긴 정도rsquo의 뭇 26

으로 안정함

X기치량물 지지랑물 17 까까중 25 times까스라기 가시랭이 25 X깐보다 깔보다 lsquo어떤 형현이나기회에 대 25

하여 마음 속으로 가늠

을 보다rsquo의 뭇a로는 언

청함

X깔딱 딸쭉 1 딸쭉질하는 소리 25 2 lsquo액체를 조금씩 삼키

표준어 오옴 137

는소리rsquo 또는 lsquo앓은물

체가 뒤집히는 소리rsquo의

뜻으로는 안청함

x깔딱거리다 딸쭉거리다 25 x깔딱깔딱 딸쭉딸푹 25

Z강총하다 times깡충하다 다리가 길다 큰말은 lsquo갱 08 충하다rsquo임

X깡충하다 깡총하다 다리가 킬다 큰말은 lsquo갱 08 충하다rsquo엄

X깨보숭이 깨소금 lsquo들깨의 꽃송이와 창쌀가 25

루를 버무려 기름에 튀긴 lsquo 반찬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X깨보숭아 채고물 25 X깨이다 깨다 1 lsquo(알을) 까다rsquo의 피동 25

2 lsquo(장을) 깨다rsquo의 펴동

의 뭇으로는안정함

X째이다 깨다 lsquo(알융) 까다rsquo 의 사동 25 껴껴푸드덕 times쩍껴푸드득 장끼가 울며 쾌치는 소리 17

X껴껴푸드득 쩍껴푸드덕 장끼가 울며 혜치는 소리 17 갱벅거리다 끔벅거리다 19 26

X꼬끼댁 꼬꼬댁 17 -x 1i창이 꼬챙이 09 포챙이 X 1iL창이 09

X꼬치 고주 17 lsquoX꼬치 고치 17 x꼭두머리 꼭대기 lsquo시간척으로 얼의 가장 처 25

음rsquo의 뭇으로는 언청함

꽁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 꼽추 곱사퉁이 26 꽃자루 꽃꼭지 전문용어로는 lsquo쫓자루rsquo 를 26

안정함

X쫓택 times꽃받기 쫓받침 25 X팩장이 꾀보 2509

138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꾀쟁이 26 09gt

X꾸다 뀌다 1 방귀를 25 2 lsquo빌려 오다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끝전(-錢) 극ζ~~ (고시) x잔전rarr잔돈 26 X낄룩 끼룩 (내다보거나 삼키려 할 14 25gt

때) 목올 킬게 빼어 내미

는모양

나방이 나방 16 X나부라기 나부랭이 (고시) 나부랭이너부렁이 25 난목(-木) 외올베 26 times난봉장이 난봉꾼 09

난용쟁이 09 times날물 썰물 lsquo나가는 물rsquo 의 뭇으로는 25

인정함

times날빛 햇벚 lsquo햇빛을 받아서 나는 온 25-

세상의 빛rsquo의 돗£로는인

정함

남차답다(男了~) 사내답다 26 times내나 일껏 lsquo결국은rsquo 의 뭇으로는 인 25

정함

내숭 times내흉(內ethI) 05 17

내숭스허1 times내흉스헤(內뻐-) (고시) x내흉A렵다rarr내 0517

숭스렵다

냉국(冷-) 찬국 26 너울지다 놀지다 16 26 널판때기 times널판대기 26 17 널판자(-板子) 26

X예 네 (고시) 네예 17 18

X노란묵 노랑욱 치자 물을타서 쓴녹말묵 17 노랑묵 times노란묵 치자 물올타셔 춘녹말묵 17

녹슬다(綠-) times녹쏠다(綠-) 17 X녹쓸다-(綠-) 늑슬다(綠-) 17

표준어 모음 139gt

times누릉지 눌은밥 1 솥바닥에 눌어붙은 눌 25 은밥에 물을부어 긁어

τ효 -3 2 lsquo솥바닥에 눌어붙은 밥rsquo의 돗으로는 안정함

눈꼴시다 눈꼴틀리다 26 눈쌍 눈싸움 눈겨룸 16 times느루 -- lsquo대번에 몰아치지 않고 25 E

길게 늘여서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늦장 늑장 lsquo느직 하게 보러 가는 장rsquo 26 의 뜻으로도 안정함

x-(으)니까니 -(으)니까 25 다각도로(多角度-) 여러모로 26 다릿골독 times대릿골독 09 2s 다슬기 대사리 전문용어로는 lsquo다슬기rsquo를 26

인정함

다홍(-狂) 진흥(륭狂) 26 단결음에(單-) 단숭에(單-) 26 단검에 단결에 26 단연코(斷然-) 단연히(斷然-) 26 답쪽 times담쑥 손으로 탐스럽게 취거나 08

활로 탐L렵 게 안는 모양

times담쑥 당쪽 손으로 탑스럽게 취거나 08 활로 탐스럽게 안는 모양

당달봉사(-奉事) 청맹과니(좁톱-) 26

대강굿(大藍-) 대강놀이(大藍-) 26

대변보다(大便-) 뒤보다 26 lsquo

times대접문(-救) 대접무늬 21 times뱃가지 뱃개비 1 대를 쪼개 잘게 깎은 2s

꽂이

2 lsquo대의 가지rsquo의 뭇으로

는인정함

14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뱃돌(훌-) 성돌 lsquo집채의 낙숫고랑 안쪽에 26 돌려가며 놓은돌rsquo의 풋

으로도 얀정합

x더껑이 더께 1 텀어서 몹시 찌든울 25 건에 앉은때

2 lsquo결쭉한 액체의 거죽 에 엉겨 굳은 꺼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더미씌우다 다미씌우다 (고시) 얀다미씌우다 19 x덧구두 덧신 25 덮개 뚜껑 lsquo이불 처네 등의 총칭rsquo 26

또는 lsquo착한 마음을덮어

서 가리는 탐욕이나 성내

는 마음rsquo의 돗으로도 인

청함

도리갯장부 도리깨채 26 도토리나무 떡갈나무 lsquo도토리 냐우rsquo 는 lsquo상수리 26

나무rsquo의 별칭으로 lsquo떡갈

나무rsquo와 별개엄

돈지캅(-紙面) 지갑(紙便) 16 26 돈표(-票) 환(換) 26 돋보껴안경(-眼鏡) 돋보기 16 26 -돌개바람 구풍(顧風) lsquo회오리 바람rsquo 의 돗으로 26

도 언정항

툴커와 너새 26 rarr돌렴자(-字) 항렬자(行列字) 26 -동강이 동강 16 -동동걸음 표느죠 otilde-거 (i g 26 rarr동자부처(購子 ) 눈부처 26 -동차부처(童子-) 동자보살(童子홈題) 사랍의 두 어깨에 있다는 26

신(神)

-두견새(柱蘭-) 소쩍새 26 두견이(柱騙-) 26

표준어 모음 14D

times두렵단자(-團子) 두럽떡 21 둘러쓰다 뒤집어쓰다 26 둬둬 드헤드레 수봉기(受峰器)를 대고 26

벌비로 몰아넣을 때 벌을

부르는소리

times뒷개 설거지 윷놀이 용어로는 안청함 25 뒷결박(-結續) 뒷짐결박(-結網) 26 프1lsquo1고 E 뒤통수 26 뒷마당 뒤뜰 26 뒷전보다 뒷전놀다 26 듣그렵다 시끄렵다 26

X들망(-網) 후릿그물 21 들쑥날쑥 들쭉날쭉 19 26gt

lsquo 들오리 물오리 lsquo들오리rsquo는 lsquo집오리rsquo에 26 대하여 야생의 오리를

lsquo물오리rsquo는 lsquo청둥오리rsquo를

말함

times들치다 들추다 lsquo물건의 한 쪽 머 리 를 쳐 25 들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하

고 lsquo들치이다rsquo의 준말로

는 인청하지 않음

등헤엄 총장헤엄 26lsquo X딸각발이 딸짝발이 17 땅강아지 times하늘밥도둑 25

X땅꾼 딴꾼 1 포도청에 매이어 포교 2~

의 섬부름으로 도둑잡

는데 거투는사람

2 lsquo뱅을 잡아 파는 사람rsquo 의 뜻으로는인갱하고

lsquo몹시 인색하고 이기척

언 사람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하져 않음-

땅벙어리 땅형이 2amp

142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때까중

X때깨중이

렬기나무

X똑하다

뚱뚱이

탠-

τ최Z

뜨 뜨디

x

-(이)랑

X마련통이

마상

X마술장이(魔術-)

마술쟁이(魔術-)

마짓밥(顧릅-)

x마치

막철다

막걸리다

X만양

말개며

중대가리

중대가리

times좀나무

꼭하다

뚱뚱보

캠질

매련퉁이

마상이

times요술장이(妹術-)

요술챙이(te(術-)

마지(鷹릅)

망치

맞걸다

맞걸리다

늦모내기

마냥

왕개미

25 25 25

정 직 하고 안상(安神)하다 25 26 19

1 더운 날의 모래밭이나 25 온천 또는 뜨거운 물

속에 몽을묻어서 땀을

흘리어 병을 고치는 법

2 lsquo뜸을 뜨는 일rsquo의 뭇

으로는인정함

-하고과와 26 미련퉁이 08 17

16

09 09 26

16 26

lsquo(망치보다 작은 것으로 25 서) 못 박는 연장rsquo의 뭇

으로는인청함

lsquo막걸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26

가진 돈을모두 걸고 단

판하다rsquo 의 뜻으로 lsquo맞결

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돈을

따려고서로돈올결다rsquo의

돗으로 안정함

26 1 만이앙(曉移快) 26

2 (고시 ) x 만양모rarr마 26

냥모

lsquo큰 개미rsquo라는 뭇으로 모 26 두언청함

표준어 모읍 143

전문용어로는 lsquo왕개미rsquo엄

말거미 왕거마 lsquo큰 거미rsquo라는 뭇ξ로 모 26 두안정함

전문용어로는 lsquo왕거미rsquo임

말그L름하다 맑스그레하다 26 x맛대강이 맛 25 망가지다 망그러지다 26

X매커 튀기 lsquo수돼지와 암소 사이에서 25 낳는다는 점 송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매양(每-) 번벤이(養養-) 26 X매풋집(寶酒-) 솔집 21 매해(每-) 매년(每年) 26

x볍옐 맹쌀 lsquo젠 메밀을 약간 말려 쩡 17 어 껍질올 벗긴 쌀rsquo의 돗

으로는 인정함

X야련 매련 17 _X야욕하다 매욱하다 어리석고 둠하다 17 X머드레콩 그루콩 1 그루갈이로 심은 콩lsquo 25

2 lsquo밭가로둘러 성은콩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함

X명구력 구럭 1 새끼로눈올투물게 떠 14 25 서 그물같이 만든물건

2 lsquo썩 성기게 떠서 만든

구럭rsquo의 뭇으로는 인정

벚다 엄추다 26 x베토끼 산토꺼(山-) 22

멧돼지 산돼지(山-) 26 멸구 며루 lsquo멸구rsquo는 멸구과에 속하 26

는 곤충의 얼종이고 lsquo며

루rsquo는 모기의 유충임

x명 목화(木花) lsquo우명 rsquo 의 돗으로는 언갱 함 25

144 국어생 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명자나무(훌體-) 모과나무 lsquo모과나무rsquo 는 명 자나무의 26 별칭임

모군꾼(幕軍-) 모군(幕軍) 16 26gt

모래사장(-沙場) 모래룹 26 X모어려수에 무에리수에 거리로 다니며 첨을 치라 17

고 외치는 소리

times모지다 모질다 lsquo성질 일 물건이나 모 25 양이 모가 난데가있다rsquo

의 돗으로는인정함

X목실(木-) 무명실 25 몰매 뭇매 26 옴서리나다 몸서리치다 26

X몽깃돌 낚섯봉 lsquo밀물과 썰물에 뱃머리를 25 곧게 하기 위하여 고물에

다는 돌rsquo의 뭇으로는 언

정함

무겁한량 times무겁활량 05 17 X우겁활량 우겁한량 051T 우식꾼(無講-) times무식장이(無識-) 26 OP

무식쟁이(無훌훌-) 26 0동 X물앵도(-樓挑) 물앵두 05 물앵두 times물앵도(-樓挑) 05 웅그대다 뭉개다 1 일을 어떻게 할 줄 모 26

르고 짓이기다

2 lsquo제자리에서 폼을 그 냥 비비다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X뭘하다 윗하다 거북하다 난처하다 17 미친놈 미치팡이 26 밀뼈세장 times멀삐죄장 지게의 윗세장 아래에 가 17

로박은나무

X밀뼈쇠창 멀뻐세장 지게의윗세장 아래에 가 1T

로박은나무

표준어L 모융- 145

X법둥스렵다 법살스렵다 Tl 바깥양반(-兩班) 사랑양반(舍願兩班) lsquo -26

바늘뱅셔(rarr方席〉 ldquo 바늘겨레 26 X바랍꾼 lsquo r _바람둥이 25 바심 rsquo 타작(打作) 26

박새 lsquo X깨싸 25 박첨지놀음(朴했知-)x꼭둑각시놀음 (고시) x꼭둑각시rarr꼭두 26

X반대기

X반대기

times반미콩(飯米-)

times발구

발뒤꾸머리

발새

발짓

배뱃니

X배햇쾌기

백곰(白-)

X백하첫(白嚴-)

꼭두각시놀음

소래기

밥밑콩

걸채 -

발뒤꿈치

발살

발질

찾니

배추속대

흰곰

새우첫

각시 rsquo 26

1 앓게 펴 서 다듬어 만 14 25 든조각

2 lsquo무슨 가루률 반죽한

것이나 삶은 푸성귀를

현연하고둥글넓척하게

만든조각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굽 없는 갱시와 같은 넓 25 윤질그릇

21 1 소의 길마 위 에 덧 얹 25 고곡식 단올싣는제구

2 lsquo산에서 쓰는 캘매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합

26

26

lsquo발짓은 lsquo발융 웅칙이는 26

짓rsquo의 돗으로 lsquo발질rsquo응

lsquo발걸질rsquo의 뭇으로 인정

26

25 전문용어로는 lsquo흰곰rsquo만 26

인청함

25

14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밴덕 얀덕 19rsquo

번연히 번히 16

벌5 허튼모 lsquo오판 구역 밖에 볍써가 2amp 떨어져 자라난 모rsquo냐 lsquo일

을 말막음ξ로 했을 째

쓰는 말rsquo의 돗A로도 인

정함

X벙태기 벙테커 17

병태기 times벙태기 17

별간장(別-홉) 손님장(-짧) 작은 그릇에 따로 담그는 26 간장

별맛(別-) 별미(別味) 26

X별미적다(別味-) 별미쩍다(別味-) 17

별마쩍다(別味lsquo) times별미적다(別味-) 17

X보리풀꺾다 보리풀하다 보리 갈 땅에 거름하기 위 25 하여 풀이나 나뭇잎을 베

어 오다

times보사리감투 보살감투(홈塵-) 17

X보챙기 겨리 lsquo보슐을 낀 챙기rsquo의 뭇~ 25 로는 안청함

복부르다(復-) 초혼하다(招塊-) 26

x복생션(-生蘇) 복 14

복어(-魚) - 16 26

X부레끊다 부레끓다 25

부헤꿇다 times부헤끊다 25

X부시다 부수다 lsquo그릇 같은 것을 께꿋이 25 씻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X부얼부얼 북슬북슬 1 짐승이 살이 찌고 탤 25 이 탕스렵게 많이 난

모양

2 lsquo잘찌고 탑스렵게 생 긴모양rsquo의뜻으로는인

정함

표준어 모옴 147

부엌칼 식칼(食-) 26 X부철다말 부철따말 17 부철따말 times부철다말 17

X북두 부뚜 1 타작마당에서 쓰는 돗 25 자리

2 lsquo마소에 짐융 싣고 그 정파 배률 얼러서 매는

줄rsquo의 뭇으로는 인갱함

분결(慣-) 분검(念 慣-) 26 분지르다 부러뜨리다 26 불공드리다(佛供-) 풍양드리다(供養-) 26 불풍밥(佛供-) 퇴식밥(退食-) 26 불룩이 times불룩히 17 불친소 악대소 26 불호령(-號令) 볼호령(-號令) 26

X붙여장다 붙잡다 14 25 비단개구리(排繼-) 무당개구리 전문용어로는lsquo우당개구 26

리rsquo를 안청함

X비사차기 비사치기 25

비사치기 times비사차기 25 X빚거간(-居間) 빚지시 1lsquo 벚올 주고 쓰는 데 에 25

중간에서 소개하는 일

2 lsquo벚올 내고 주는 데에 중간에서 강H하는 것

을 업으로 장는일rsquo의

뭇으로는인청함

빨갱이 times빨강l 1 공산주의자 09 17 2 lsquo빨간빛의 물건rsquo의 뭇 으로는 lsquo빨강이rsquo를 얀

정함

X빼주 배갈 25

X사갓집(훌家-) 사돈집(흉賴-) 25

사거리(四-) 네거리 26

148 국어 생활- rsquo 90 가올 (제 22호)

사마귀 버마재벼 전문용어로는 lsquo사마귀rsquo를 2β

인청함

사향노루(훌香-) 궁노루 26

값전(-鍵) 돈 (고시 ) x 잔정-gt잔돈 26 산울렴(山-) 헤아리 26

X산코골다 헛3i골다 25 살긋하다 썰긋하다 바르게 된 물건이 한쪽2 19

로 일그러지다

X상량대(上陳-) 마룻대 21 25 times상량도리(上標-) 마뭇대 21 25 times상재(上-) 상좌(上뾰) 05 X상청(上-) 상창(上唱) 뛰어난 창(唱) 05 샅바채우다 샅바지르다 26

X새소리 놀소리 25 X새치롬하다 새치름하다 시치미를 떼고 태연하거 17

나 양천한 기색을 꾸며 다-새치름하다 times새치롬하다 시치미를 혜고 태연하거 17

나 양전한 기색을 꾸미다

색깔(色-) 빛깔 26

times셋까닿다 새까땅다 17 X셋빨창다 새빨창다 17 X셋파량다 새파량다 17 times생갈이(生-) 애벌갈아 1 논이나 밭을 첫 번 가 21

는일

2 lsquo홍두깨 깔이 rsquo 의 준말로 는 lsquo생갈이rsquo를 언정함

X생급L렵4 새삼스렵다 lsquo하는 것이나 말이 캅작 2~

스렵고 돗밖이 다rsquo AElig는

lsquo끄챔어내는 말이 엉뚱하

고 터무니없다rsquo의 뭇으로

는 언청함

생김치(生-) 날검치 ~6

쟁옥(-木〕 당목(康木) 2amp

150 국어생활 90 가올〔제 22호)

X솔갱이 솔개 (고시 )~x소리개rarr솔개 2S

times쇠꼬창01 죄꼬쟁이 09

쇠꼬챙이 times죄꼬창이 09-

X쇠버즘 쇠버짐 17 쇠버짐 times쇠버즘 17

쇠족(-足) 쇠다리 26 쇠죽솥 쇠죽가마 26

times수무(手-) 수모(手母) 신부(新橋)의 보초안 OS

times수이 쉬이 20-

X수이보다 쉬이보다 20 times수이여커다 쉬이여기다 20 rsquo

X숭이 송이 08 시골말 사투리 26

times시초잡다(始初-) 시착하다〔始作-) 25--

신바랍 어껏바량 2amp 신첩살렴(新援-) 신접살이(新援-) 2amp 신챈나무 신대 2amp

설로(實-) 참으로 2G

섬보(心-) 마음보 26 섬술퉁이(心術-) X섬술통이(心術-) 08 심섬파척(-破寂) 섬섬풀이 2amp

times성갱싱갱하다 싱둥생둥하다 lsquo방이 서늘하고 차다rsquo의 2S

뜻으로는 인청함

X성퉁생둥하다 성갱생갱하다 lsquo기운이 줄어질 만한 일 2S

을 겪은뒤에도본래의 기

운이 있다rsquo의 뜻으로는 언

청함

싸느황다 X싸느렇다 17

X싸느렇다 싸느량다 17

X싸려운 사렵문 lsquo싹리로 만든 문rsquo의 뭇으 25

로는 인청함

쌀긋하다 생긋하다 19rsquo

쌍망이 times짱맹이 09

표준어 모음 151

X썽맹이 쌍망이 09-

쌍소리 장소리 19

쌍섬지셔다 쌍심지나마 26

쌍심지오르다 26

X써내다 켜내다 lsquo글씨롤 써셔 내놓다rsquo의 ~s

뭇으로는 언청함

X써다 켜다 lsquo조숫풀이 출거 나 펀 물 25 이 새어셔 줄다rsquo의 룻으

로는 안청함

X썩정이 삭청1 1 산 나우에 붙은 채 말 25 라죽윤나뭇가지

2 lsquo썩은 물건rsquo의 돗A로 는인청함

썰다 써리다 1 논밭융 고르게 하다 16 2 middot물건율 로막토막 통 캉치다rsquo의 뭇으로도 안

갱함

쓰레장판 쓰헤받기 유치 캉환요로 만든 쓰레 26 받기

씨돼치 종톤(種際) 26

아래얄 X아랫알 수판의 가릅대 아래의 알 17

아랫녘 앞대 1 어떤 치방에서 그 남 26 쪽의 지방을일컴는말

2 lsquo전라도 경장도흘 일 걷는 말rsquo로도 안갱함

X아랫동강이 종아리 25

times아랫알 아래알 수판의 카름대 아래의 알 17

아랫중방(-中林) 하인방(下引林) 26

아련하다 오련하다 19

X아웃 가웃 lsquo말아웃rsquo은 언청함 17 2()

아유 아이고 19

아지직 오지칙 19 아치작 19

1 한그릇에 두가지 이

상의 음식을 어울리게

당다

~ lsquo홈칙 따위률 식지 않

게 불에 놓거냐 따뭇한 lsquo - ~ 바헤lsquo묻어 두다rsquo 또는- lsquo e

lsquo샤랑올 안동하여 보내

다j의- 돗으로는 인정하

고 lsquo암구다rsquo (교미를 붙

이다)의 뭇으로는 인청

하지 않음

lsquo ~6 gt 26 lsquo

lsquo 26

- - - - 스 25rsquo

19 -26

09

lsquo26

25

국약2생 활「rsquo 90 가을(제 22호)

안개 u] 가랑비

얀갱 안채 안쪽외영 채

주인집(主A-)

안혜 바로전해 쌓즘삼C삼rsquo ~ ~ I rsquo lsquo 얄픔좀쏟 (rsquo 간

X 알박이 ν lsquo f알뼈71 알 밴 생션 얄펠대71 ~ J f -lsquo~T단〈rsquo觸蛋 chitan)

X 알심 -Z ) t ilsquo끼(고앵이( 1 초목의 줄기 가운데의 lsquo gt τ 연한 심

f lsquo - J lsquo 2[ lsquo판폰한 동정섬rsquo 또는

lsquo속에 있는힘rsquo의 뭇a lsquo -lsquo - Ilsquo middot 안 로는 인정함

알약(-藥) J μ환약f갯L藥)

양딴해도1 lsquo rsquo ~ t ~ - τ 아운리쾌도

앙구다 r rsquo l lsquo t ( lsquof쩔lsquo플이다

J rsquo z bull lsquo ι rsquo rsquo

ω Mω Mω

J52lsquo

~r

-rsquo

lsquo rdquo

ldquo

두별갈이

앞뜰

아기

애타다

아비

lsquo lsquo

26

26

09

26

09

1 놀라거나반가올때 내 26

는소리

2 lsquo예rsquo(존대할자리에 대

rdquo lsquo

rsquo

bull lsquo

앞뒤갈이 앞lsquo바당

X애기

애끓다

lsquo애비

F

26 09 26 09 26 26 26-

21

26 (고시) x찍rarr쪽 26 1 마음이 너그렵고 정질 26 lsquo

l 부드렵다

2lt lsquo얼굴의 각 구맹새가

ι-넬젝널찍하다rsquo의 뜻우-낀-rsquo-로도 언갱함

한 살청도차이 나서 동

감이나 다름없음

1 여러 사랍이 밑천올 어

울러서 하는장사 2 어려장수의 영업 rsquo 위 -

뭇으로는언청함

153 lsquo표훈어 lsquo 오옴

답하거나재쳐 묻는말)

의 뭇으로는 인정하지

않음

lsquo오밤중rsquo도 안정함

lsquo - lsquo- rsquo lsquo

times야말장이 1

야발쟁이

한밤중(-中) 약물터(藥-)

분칭(分햄)

양지머리뼈

lsquo 이모작(그毛作)

양현짝(兩便-)

서글서글하다

middot야발단지

rsquo

bull

녁 ι니

1r

t

ι水

」骨

7

便

- -

蘭藥

爛浦lsquoh浦합i

yF

터 νF 빼 루 £1 맏

이 i

바n

--lsquo저ι

골ι 그lsquo

펀 그τ π -lsquolsquo j

lsquo

야 야T1

약1

양lsquo

양 어「lsquo

x

26

25

懶1ι

갑 rsquolsquolsquo

1j렁shy

영-

J샤L C

ldquo

그rdquoRlsquo-lsquo

짧 ι

쐐υ

껴기

lsquo리

x

r 4

--μ

t i

x 어버리j좋다 -

어스러기

x어스러기 lsquo 어스럭송아지

어융 어이구 어환둥퉁 어허둥둥

어〈홉1 - 이 ldquo lsquo 범 ~ lsquo X언냐 어린아아

얼간1 -기ldquo - 얼간망풍l

X얼러망~땅~l - 니 ldquo 을러방망억

얼룩말 얼럭말

22 25

대담하다(大觸-)

ι lsquo lsquo lsquo bull ~ rsquo

25

19 lsquo

19 lsquo

26

25

26 17

26

옷 따위의 솔이 어스러진

큰송아지

표준어 모옴 155-

X옴살 엄살 lsquo한몽같이 친밀한터rsquo의 뭇 17 A로는인정함

옴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gt

왕매미 말매미 lsquo큰 매미rsquo의 뜻으로모두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말매

미rsquo엄

왕벌 호박멸 lsquo큰 벌rsquo 의 뭇으로 lsquo왕별 말 26 말벌 벌rsquo 모두 언청 함 전운용어 26

로는 lsquo호박별rsquo엄

왕새우 대하(大醒) 전문용어로는 lsquo대하rsquo를 인 26

청함

왕파리 쉬파리 lsquo큰파리rsquo의 뭇으로 모두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쉬파

리rsquo를 언정함

왜난목 내공목(內供木) 옷의 안강으로 쓰는 풍질이 26 낮tr -n「며

왜먹(훌-) (채래의 6 모형에 대해) 네 25-lsquo

모난먹

times외발제기 외알채기 1 굽 하나를 질질 끌어서 17rsquo

다디어 걷는 걸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소

2 lsquo한 발만가지고차는제

기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외상관혜(-冠禮) 외자한례(-冠禮〕 2amp X외통목 외킬목 lsquo장기 둘 때에 외통장군이 25-

되는 킬목rsquo의 뭇으로는 인

청함

X왼 온 lsquo왼쪽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1( 요뒤 요의(覆衣) 26 용슷바람 회오리바랍 26

times우그령흑박 우그령쪽박 17 X우물우둘 우틀우플 1 춤거나무서워서 폼을떠 08

τ~ YOJ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10: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13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괴엄새 굉새 1 꾀어 놓은모양 18 고임새 2 (고시) 괴다고이다 18

X펀돌 고언돌 17 구기자나무〈抱紀子-) x괴 쫓나무 22 25

X구럭 망태기 lsquo새꺼로 그물 뜨듯 눈올 25 드물게 떠셔 만든 물건rsquo

의 돗£로는 인정함

구역나다(騙遊-) 욕지기나다 26 군기칩 헛키침 26 굿복(-服) 굿옷 26 렷속말 귀옛말 26 그물눈 그물코 26

X근두박질 곤두박질 05 글동무 글통접(-同接) 26 글동첩(-同接) 글통무 26 금몽(옳) 금씩신(金色身) 26 금출(禁-) 언줄(λ-) 26 기겁하다 times기급하다(氣急-) 05 17 기꼭지(雄-) times기대강이(雄-) 25 커미채다(幾微- 機微-) 낌새채다 26 기수채다(幾數-) 26 기어코(期於-) 기어이(期於-) 26 기장 걸이 lsquo옷 따위의 긴 정도rsquo의 뭇 26

으로 안정함

X기치량물 지지랑물 17 까까중 25 times까스라기 가시랭이 25 X깐보다 깔보다 lsquo어떤 형현이나기회에 대 25

하여 마음 속으로 가늠

을 보다rsquo의 뭇a로는 언

청함

X깔딱 딸쭉 1 딸쭉질하는 소리 25 2 lsquo액체를 조금씩 삼키

표준어 오옴 137

는소리rsquo 또는 lsquo앓은물

체가 뒤집히는 소리rsquo의

뜻으로는 안청함

x깔딱거리다 딸쭉거리다 25 x깔딱깔딱 딸쭉딸푹 25

Z강총하다 times깡충하다 다리가 길다 큰말은 lsquo갱 08 충하다rsquo임

X깡충하다 깡총하다 다리가 킬다 큰말은 lsquo갱 08 충하다rsquo엄

X깨보숭이 깨소금 lsquo들깨의 꽃송이와 창쌀가 25

루를 버무려 기름에 튀긴 lsquo 반찬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X깨보숭아 채고물 25 X깨이다 깨다 1 lsquo(알을) 까다rsquo의 피동 25

2 lsquo(장을) 깨다rsquo의 펴동

의 뭇으로는안정함

X째이다 깨다 lsquo(알융) 까다rsquo 의 사동 25 껴껴푸드덕 times쩍껴푸드득 장끼가 울며 쾌치는 소리 17

X껴껴푸드득 쩍껴푸드덕 장끼가 울며 혜치는 소리 17 갱벅거리다 끔벅거리다 19 26

X꼬끼댁 꼬꼬댁 17 -x 1i창이 꼬챙이 09 포챙이 X 1iL창이 09

X꼬치 고주 17 lsquoX꼬치 고치 17 x꼭두머리 꼭대기 lsquo시간척으로 얼의 가장 처 25

음rsquo의 뭇으로는 언청함

꽁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 꼽추 곱사퉁이 26 꽃자루 꽃꼭지 전문용어로는 lsquo쫓자루rsquo 를 26

안정함

X쫓택 times꽃받기 쫓받침 25 X팩장이 꾀보 2509

138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꾀쟁이 26 09gt

X꾸다 뀌다 1 방귀를 25 2 lsquo빌려 오다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끝전(-錢) 극ζ~~ (고시) x잔전rarr잔돈 26 X낄룩 끼룩 (내다보거나 삼키려 할 14 25gt

때) 목올 킬게 빼어 내미

는모양

나방이 나방 16 X나부라기 나부랭이 (고시) 나부랭이너부렁이 25 난목(-木) 외올베 26 times난봉장이 난봉꾼 09

난용쟁이 09 times날물 썰물 lsquo나가는 물rsquo 의 뭇으로는 25

인정함

times날빛 햇벚 lsquo햇빛을 받아서 나는 온 25-

세상의 빛rsquo의 돗£로는인

정함

남차답다(男了~) 사내답다 26 times내나 일껏 lsquo결국은rsquo 의 뭇으로는 인 25

정함

내숭 times내흉(內ethI) 05 17

내숭스허1 times내흉스헤(內뻐-) (고시) x내흉A렵다rarr내 0517

숭스렵다

냉국(冷-) 찬국 26 너울지다 놀지다 16 26 널판때기 times널판대기 26 17 널판자(-板子) 26

X예 네 (고시) 네예 17 18

X노란묵 노랑욱 치자 물을타서 쓴녹말묵 17 노랑묵 times노란묵 치자 물올타셔 춘녹말묵 17

녹슬다(綠-) times녹쏠다(綠-) 17 X녹쓸다-(綠-) 늑슬다(綠-) 17

표준어 모음 139gt

times누릉지 눌은밥 1 솥바닥에 눌어붙은 눌 25 은밥에 물을부어 긁어

τ효 -3 2 lsquo솥바닥에 눌어붙은 밥rsquo의 돗으로는 안정함

눈꼴시다 눈꼴틀리다 26 눈쌍 눈싸움 눈겨룸 16 times느루 -- lsquo대번에 몰아치지 않고 25 E

길게 늘여서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늦장 늑장 lsquo느직 하게 보러 가는 장rsquo 26 의 뜻으로도 안정함

x-(으)니까니 -(으)니까 25 다각도로(多角度-) 여러모로 26 다릿골독 times대릿골독 09 2s 다슬기 대사리 전문용어로는 lsquo다슬기rsquo를 26

인정함

다홍(-狂) 진흥(륭狂) 26 단결음에(單-) 단숭에(單-) 26 단검에 단결에 26 단연코(斷然-) 단연히(斷然-) 26 답쪽 times담쑥 손으로 탐스럽게 취거나 08

활로 탐L렵 게 안는 모양

times담쑥 당쪽 손으로 탑스럽게 취거나 08 활로 탐스럽게 안는 모양

당달봉사(-奉事) 청맹과니(좁톱-) 26

대강굿(大藍-) 대강놀이(大藍-) 26

대변보다(大便-) 뒤보다 26 lsquo

times대접문(-救) 대접무늬 21 times뱃가지 뱃개비 1 대를 쪼개 잘게 깎은 2s

꽂이

2 lsquo대의 가지rsquo의 뭇으로

는인정함

14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뱃돌(훌-) 성돌 lsquo집채의 낙숫고랑 안쪽에 26 돌려가며 놓은돌rsquo의 풋

으로도 얀정합

x더껑이 더께 1 텀어서 몹시 찌든울 25 건에 앉은때

2 lsquo결쭉한 액체의 거죽 에 엉겨 굳은 꺼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더미씌우다 다미씌우다 (고시) 얀다미씌우다 19 x덧구두 덧신 25 덮개 뚜껑 lsquo이불 처네 등의 총칭rsquo 26

또는 lsquo착한 마음을덮어

서 가리는 탐욕이나 성내

는 마음rsquo의 돗으로도 인

청함

도리갯장부 도리깨채 26 도토리나무 떡갈나무 lsquo도토리 냐우rsquo 는 lsquo상수리 26

나무rsquo의 별칭으로 lsquo떡갈

나무rsquo와 별개엄

돈지캅(-紙面) 지갑(紙便) 16 26 돈표(-票) 환(換) 26 돋보껴안경(-眼鏡) 돋보기 16 26 -돌개바람 구풍(顧風) lsquo회오리 바람rsquo 의 돗으로 26

도 언정항

툴커와 너새 26 rarr돌렴자(-字) 항렬자(行列字) 26 -동강이 동강 16 -동동걸음 표느죠 otilde-거 (i g 26 rarr동자부처(購子 ) 눈부처 26 -동차부처(童子-) 동자보살(童子홈題) 사랍의 두 어깨에 있다는 26

신(神)

-두견새(柱蘭-) 소쩍새 26 두견이(柱騙-) 26

표준어 모음 14D

times두렵단자(-團子) 두럽떡 21 둘러쓰다 뒤집어쓰다 26 둬둬 드헤드레 수봉기(受峰器)를 대고 26

벌비로 몰아넣을 때 벌을

부르는소리

times뒷개 설거지 윷놀이 용어로는 안청함 25 뒷결박(-結續) 뒷짐결박(-結網) 26 프1lsquo1고 E 뒤통수 26 뒷마당 뒤뜰 26 뒷전보다 뒷전놀다 26 듣그렵다 시끄렵다 26

X들망(-網) 후릿그물 21 들쑥날쑥 들쭉날쭉 19 26gt

lsquo 들오리 물오리 lsquo들오리rsquo는 lsquo집오리rsquo에 26 대하여 야생의 오리를

lsquo물오리rsquo는 lsquo청둥오리rsquo를

말함

times들치다 들추다 lsquo물건의 한 쪽 머 리 를 쳐 25 들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하

고 lsquo들치이다rsquo의 준말로

는 인청하지 않음

등헤엄 총장헤엄 26lsquo X딸각발이 딸짝발이 17 땅강아지 times하늘밥도둑 25

X땅꾼 딴꾼 1 포도청에 매이어 포교 2~

의 섬부름으로 도둑잡

는데 거투는사람

2 lsquo뱅을 잡아 파는 사람rsquo 의 뜻으로는인갱하고

lsquo몹시 인색하고 이기척

언 사람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하져 않음-

땅벙어리 땅형이 2amp

142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때까중

X때깨중이

렬기나무

X똑하다

뚱뚱이

탠-

τ최Z

뜨 뜨디

x

-(이)랑

X마련통이

마상

X마술장이(魔術-)

마술쟁이(魔術-)

마짓밥(顧릅-)

x마치

막철다

막걸리다

X만양

말개며

중대가리

중대가리

times좀나무

꼭하다

뚱뚱보

캠질

매련퉁이

마상이

times요술장이(妹術-)

요술챙이(te(術-)

마지(鷹릅)

망치

맞걸다

맞걸리다

늦모내기

마냥

왕개미

25 25 25

정 직 하고 안상(安神)하다 25 26 19

1 더운 날의 모래밭이나 25 온천 또는 뜨거운 물

속에 몽을묻어서 땀을

흘리어 병을 고치는 법

2 lsquo뜸을 뜨는 일rsquo의 뭇

으로는인정함

-하고과와 26 미련퉁이 08 17

16

09 09 26

16 26

lsquo(망치보다 작은 것으로 25 서) 못 박는 연장rsquo의 뭇

으로는인청함

lsquo막걸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26

가진 돈을모두 걸고 단

판하다rsquo 의 뜻으로 lsquo맞결

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돈을

따려고서로돈올결다rsquo의

돗으로 안정함

26 1 만이앙(曉移快) 26

2 (고시 ) x 만양모rarr마 26

냥모

lsquo큰 개미rsquo라는 뭇으로 모 26 두언청함

표준어 모읍 143

전문용어로는 lsquo왕개미rsquo엄

말거미 왕거마 lsquo큰 거미rsquo라는 뭇ξ로 모 26 두안정함

전문용어로는 lsquo왕거미rsquo임

말그L름하다 맑스그레하다 26 x맛대강이 맛 25 망가지다 망그러지다 26

X매커 튀기 lsquo수돼지와 암소 사이에서 25 낳는다는 점 송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매양(每-) 번벤이(養養-) 26 X매풋집(寶酒-) 솔집 21 매해(每-) 매년(每年) 26

x볍옐 맹쌀 lsquo젠 메밀을 약간 말려 쩡 17 어 껍질올 벗긴 쌀rsquo의 돗

으로는 인정함

X야련 매련 17 _X야욕하다 매욱하다 어리석고 둠하다 17 X머드레콩 그루콩 1 그루갈이로 심은 콩lsquo 25

2 lsquo밭가로둘러 성은콩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함

X명구력 구럭 1 새끼로눈올투물게 떠 14 25 서 그물같이 만든물건

2 lsquo썩 성기게 떠서 만든

구럭rsquo의 뭇으로는 인정

벚다 엄추다 26 x베토끼 산토꺼(山-) 22

멧돼지 산돼지(山-) 26 멸구 며루 lsquo멸구rsquo는 멸구과에 속하 26

는 곤충의 얼종이고 lsquo며

루rsquo는 모기의 유충임

x명 목화(木花) lsquo우명 rsquo 의 돗으로는 언갱 함 25

144 국어생 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명자나무(훌體-) 모과나무 lsquo모과나무rsquo 는 명 자나무의 26 별칭임

모군꾼(幕軍-) 모군(幕軍) 16 26gt

모래사장(-沙場) 모래룹 26 X모어려수에 무에리수에 거리로 다니며 첨을 치라 17

고 외치는 소리

times모지다 모질다 lsquo성질 일 물건이나 모 25 양이 모가 난데가있다rsquo

의 돗으로는인정함

X목실(木-) 무명실 25 몰매 뭇매 26 옴서리나다 몸서리치다 26

X몽깃돌 낚섯봉 lsquo밀물과 썰물에 뱃머리를 25 곧게 하기 위하여 고물에

다는 돌rsquo의 뭇으로는 언

정함

무겁한량 times무겁활량 05 17 X우겁활량 우겁한량 051T 우식꾼(無講-) times무식장이(無識-) 26 OP

무식쟁이(無훌훌-) 26 0동 X물앵도(-樓挑) 물앵두 05 물앵두 times물앵도(-樓挑) 05 웅그대다 뭉개다 1 일을 어떻게 할 줄 모 26

르고 짓이기다

2 lsquo제자리에서 폼을 그 냥 비비다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X뭘하다 윗하다 거북하다 난처하다 17 미친놈 미치팡이 26 밀뼈세장 times멀삐죄장 지게의 윗세장 아래에 가 17

로박은나무

X밀뼈쇠창 멀뻐세장 지게의윗세장 아래에 가 1T

로박은나무

표준어L 모융- 145

X법둥스렵다 법살스렵다 Tl 바깥양반(-兩班) 사랑양반(舍願兩班) lsquo -26

바늘뱅셔(rarr方席〉 ldquo 바늘겨레 26 X바랍꾼 lsquo r _바람둥이 25 바심 rsquo 타작(打作) 26

박새 lsquo X깨싸 25 박첨지놀음(朴했知-)x꼭둑각시놀음 (고시) x꼭둑각시rarr꼭두 26

X반대기

X반대기

times반미콩(飯米-)

times발구

발뒤꾸머리

발새

발짓

배뱃니

X배햇쾌기

백곰(白-)

X백하첫(白嚴-)

꼭두각시놀음

소래기

밥밑콩

걸채 -

발뒤꿈치

발살

발질

찾니

배추속대

흰곰

새우첫

각시 rsquo 26

1 앓게 펴 서 다듬어 만 14 25 든조각

2 lsquo무슨 가루률 반죽한

것이나 삶은 푸성귀를

현연하고둥글넓척하게

만든조각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굽 없는 갱시와 같은 넓 25 윤질그릇

21 1 소의 길마 위 에 덧 얹 25 고곡식 단올싣는제구

2 lsquo산에서 쓰는 캘매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합

26

26

lsquo발짓은 lsquo발융 웅칙이는 26

짓rsquo의 돗으로 lsquo발질rsquo응

lsquo발걸질rsquo의 뭇으로 인정

26

25 전문용어로는 lsquo흰곰rsquo만 26

인청함

25

14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밴덕 얀덕 19rsquo

번연히 번히 16

벌5 허튼모 lsquo오판 구역 밖에 볍써가 2amp 떨어져 자라난 모rsquo냐 lsquo일

을 말막음ξ로 했을 째

쓰는 말rsquo의 돗A로도 인

정함

X벙태기 벙테커 17

병태기 times벙태기 17

별간장(別-홉) 손님장(-짧) 작은 그릇에 따로 담그는 26 간장

별맛(別-) 별미(別味) 26

X별미적다(別味-) 별미쩍다(別味-) 17

별마쩍다(別味lsquo) times별미적다(別味-) 17

X보리풀꺾다 보리풀하다 보리 갈 땅에 거름하기 위 25 하여 풀이나 나뭇잎을 베

어 오다

times보사리감투 보살감투(홈塵-) 17

X보챙기 겨리 lsquo보슐을 낀 챙기rsquo의 뭇~ 25 로는 안청함

복부르다(復-) 초혼하다(招塊-) 26

x복생션(-生蘇) 복 14

복어(-魚) - 16 26

X부레끊다 부레끓다 25

부헤꿇다 times부헤끊다 25

X부시다 부수다 lsquo그릇 같은 것을 께꿋이 25 씻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X부얼부얼 북슬북슬 1 짐승이 살이 찌고 탤 25 이 탕스렵게 많이 난

모양

2 lsquo잘찌고 탑스렵게 생 긴모양rsquo의뜻으로는인

정함

표준어 모옴 147

부엌칼 식칼(食-) 26 X부철다말 부철따말 17 부철따말 times부철다말 17

X북두 부뚜 1 타작마당에서 쓰는 돗 25 자리

2 lsquo마소에 짐융 싣고 그 정파 배률 얼러서 매는

줄rsquo의 뭇으로는 인갱함

분결(慣-) 분검(念 慣-) 26 분지르다 부러뜨리다 26 불공드리다(佛供-) 풍양드리다(供養-) 26 불풍밥(佛供-) 퇴식밥(退食-) 26 불룩이 times불룩히 17 불친소 악대소 26 불호령(-號令) 볼호령(-號令) 26

X붙여장다 붙잡다 14 25 비단개구리(排繼-) 무당개구리 전문용어로는lsquo우당개구 26

리rsquo를 안청함

X비사차기 비사치기 25

비사치기 times비사차기 25 X빚거간(-居間) 빚지시 1lsquo 벚올 주고 쓰는 데 에 25

중간에서 소개하는 일

2 lsquo벚올 내고 주는 데에 중간에서 강H하는 것

을 업으로 장는일rsquo의

뭇으로는인청함

빨갱이 times빨강l 1 공산주의자 09 17 2 lsquo빨간빛의 물건rsquo의 뭇 으로는 lsquo빨강이rsquo를 얀

정함

X빼주 배갈 25

X사갓집(훌家-) 사돈집(흉賴-) 25

사거리(四-) 네거리 26

148 국어 생활- rsquo 90 가올 (제 22호)

사마귀 버마재벼 전문용어로는 lsquo사마귀rsquo를 2β

인청함

사향노루(훌香-) 궁노루 26

값전(-鍵) 돈 (고시 ) x 잔정-gt잔돈 26 산울렴(山-) 헤아리 26

X산코골다 헛3i골다 25 살긋하다 썰긋하다 바르게 된 물건이 한쪽2 19

로 일그러지다

X상량대(上陳-) 마룻대 21 25 times상량도리(上標-) 마뭇대 21 25 times상재(上-) 상좌(上뾰) 05 X상청(上-) 상창(上唱) 뛰어난 창(唱) 05 샅바채우다 샅바지르다 26

X새소리 놀소리 25 X새치롬하다 새치름하다 시치미를 떼고 태연하거 17

나 양천한 기색을 꾸며 다-새치름하다 times새치롬하다 시치미를 혜고 태연하거 17

나 양전한 기색을 꾸미다

색깔(色-) 빛깔 26

times셋까닿다 새까땅다 17 X셋빨창다 새빨창다 17 X셋파량다 새파량다 17 times생갈이(生-) 애벌갈아 1 논이나 밭을 첫 번 가 21

는일

2 lsquo홍두깨 깔이 rsquo 의 준말로 는 lsquo생갈이rsquo를 언정함

X생급L렵4 새삼스렵다 lsquo하는 것이나 말이 캅작 2~

스렵고 돗밖이 다rsquo AElig는

lsquo끄챔어내는 말이 엉뚱하

고 터무니없다rsquo의 뭇으로

는 언청함

생김치(生-) 날검치 ~6

쟁옥(-木〕 당목(康木) 2amp

150 국어생활 90 가올〔제 22호)

X솔갱이 솔개 (고시 )~x소리개rarr솔개 2S

times쇠꼬창01 죄꼬쟁이 09

쇠꼬챙이 times죄꼬창이 09-

X쇠버즘 쇠버짐 17 쇠버짐 times쇠버즘 17

쇠족(-足) 쇠다리 26 쇠죽솥 쇠죽가마 26

times수무(手-) 수모(手母) 신부(新橋)의 보초안 OS

times수이 쉬이 20-

X수이보다 쉬이보다 20 times수이여커다 쉬이여기다 20 rsquo

X숭이 송이 08 시골말 사투리 26

times시초잡다(始初-) 시착하다〔始作-) 25--

신바랍 어껏바량 2amp 신첩살렴(新援-) 신접살이(新援-) 2amp 신챈나무 신대 2amp

설로(實-) 참으로 2G

섬보(心-) 마음보 26 섬술퉁이(心術-) X섬술통이(心術-) 08 심섬파척(-破寂) 섬섬풀이 2amp

times성갱싱갱하다 싱둥생둥하다 lsquo방이 서늘하고 차다rsquo의 2S

뜻으로는 인청함

X성퉁생둥하다 성갱생갱하다 lsquo기운이 줄어질 만한 일 2S

을 겪은뒤에도본래의 기

운이 있다rsquo의 뜻으로는 언

청함

싸느황다 X싸느렇다 17

X싸느렇다 싸느량다 17

X싸려운 사렵문 lsquo싹리로 만든 문rsquo의 뭇으 25

로는 인청함

쌀긋하다 생긋하다 19rsquo

쌍망이 times짱맹이 09

표준어 모음 151

X썽맹이 쌍망이 09-

쌍소리 장소리 19

쌍섬지셔다 쌍심지나마 26

쌍심지오르다 26

X써내다 켜내다 lsquo글씨롤 써셔 내놓다rsquo의 ~s

뭇으로는 언청함

X써다 켜다 lsquo조숫풀이 출거 나 펀 물 25 이 새어셔 줄다rsquo의 룻으

로는 안청함

X썩정이 삭청1 1 산 나우에 붙은 채 말 25 라죽윤나뭇가지

2 lsquo썩은 물건rsquo의 돗A로 는인청함

썰다 써리다 1 논밭융 고르게 하다 16 2 middot물건율 로막토막 통 캉치다rsquo의 뭇으로도 안

갱함

쓰레장판 쓰헤받기 유치 캉환요로 만든 쓰레 26 받기

씨돼치 종톤(種際) 26

아래얄 X아랫알 수판의 가릅대 아래의 알 17

아랫녘 앞대 1 어떤 치방에서 그 남 26 쪽의 지방을일컴는말

2 lsquo전라도 경장도흘 일 걷는 말rsquo로도 안갱함

X아랫동강이 종아리 25

times아랫알 아래알 수판의 카름대 아래의 알 17

아랫중방(-中林) 하인방(下引林) 26

아련하다 오련하다 19

X아웃 가웃 lsquo말아웃rsquo은 언청함 17 2()

아유 아이고 19

아지직 오지칙 19 아치작 19

1 한그릇에 두가지 이

상의 음식을 어울리게

당다

~ lsquo홈칙 따위률 식지 않

게 불에 놓거냐 따뭇한 lsquo - ~ 바헤lsquo묻어 두다rsquo 또는- lsquo e

lsquo샤랑올 안동하여 보내

다j의- 돗으로는 인정하

고 lsquo암구다rsquo (교미를 붙

이다)의 뭇으로는 인청

하지 않음

lsquo ~6 gt 26 lsquo

lsquo 26

- - - - 스 25rsquo

19 -26

09

lsquo26

25

국약2생 활「rsquo 90 가을(제 22호)

안개 u] 가랑비

얀갱 안채 안쪽외영 채

주인집(主A-)

안혜 바로전해 쌓즘삼C삼rsquo ~ ~ I rsquo lsquo 얄픔좀쏟 (rsquo 간

X 알박이 ν lsquo f알뼈71 알 밴 생션 얄펠대71 ~ J f -lsquo~T단〈rsquo觸蛋 chitan)

X 알심 -Z ) t ilsquo끼(고앵이( 1 초목의 줄기 가운데의 lsquo gt τ 연한 심

f lsquo - J lsquo 2[ lsquo판폰한 동정섬rsquo 또는

lsquo속에 있는힘rsquo의 뭇a lsquo -lsquo - Ilsquo middot 안 로는 인정함

알약(-藥) J μ환약f갯L藥)

양딴해도1 lsquo rsquo ~ t ~ - τ 아운리쾌도

앙구다 r rsquo l lsquo t ( lsquof쩔lsquo플이다

J rsquo z bull lsquo ι rsquo rsquo

ω Mω Mω

J52lsquo

~r

-rsquo

lsquo rdquo

ldquo

두별갈이

앞뜰

아기

애타다

아비

lsquo lsquo

26

26

09

26

09

1 놀라거나반가올때 내 26

는소리

2 lsquo예rsquo(존대할자리에 대

rdquo lsquo

rsquo

bull lsquo

앞뒤갈이 앞lsquo바당

X애기

애끓다

lsquo애비

F

26 09 26 09 26 26 26-

21

26 (고시) x찍rarr쪽 26 1 마음이 너그렵고 정질 26 lsquo

l 부드렵다

2lt lsquo얼굴의 각 구맹새가

ι-넬젝널찍하다rsquo의 뜻우-낀-rsquo-로도 언갱함

한 살청도차이 나서 동

감이나 다름없음

1 여러 사랍이 밑천올 어

울러서 하는장사 2 어려장수의 영업 rsquo 위 -

뭇으로는언청함

153 lsquo표훈어 lsquo 오옴

답하거나재쳐 묻는말)

의 뭇으로는 인정하지

않음

lsquo오밤중rsquo도 안정함

lsquo - lsquo- rsquo lsquo

times야말장이 1

야발쟁이

한밤중(-中) 약물터(藥-)

분칭(分햄)

양지머리뼈

lsquo 이모작(그毛作)

양현짝(兩便-)

서글서글하다

middot야발단지

rsquo

bull

녁 ι니

1r

t

ι水

」骨

7

便

- -

蘭藥

爛浦lsquoh浦합i

yF

터 νF 빼 루 £1 맏

이 i

바n

--lsquo저ι

골ι 그lsquo

펀 그τ π -lsquolsquo j

lsquo

야 야T1

약1

양lsquo

양 어「lsquo

x

26

25

懶1ι

갑 rsquolsquolsquo

1j렁shy

영-

J샤L C

ldquo

그rdquoRlsquo-lsquo

짧 ι

쐐υ

껴기

lsquo리

x

r 4

--μ

t i

x 어버리j좋다 -

어스러기

x어스러기 lsquo 어스럭송아지

어융 어이구 어환둥퉁 어허둥둥

어〈홉1 - 이 ldquo lsquo 범 ~ lsquo X언냐 어린아아

얼간1 -기ldquo - 얼간망풍l

X얼러망~땅~l - 니 ldquo 을러방망억

얼룩말 얼럭말

22 25

대담하다(大觸-)

ι lsquo lsquo lsquo bull ~ rsquo

25

19 lsquo

19 lsquo

26

25

26 17

26

옷 따위의 솔이 어스러진

큰송아지

표준어 모옴 155-

X옴살 엄살 lsquo한몽같이 친밀한터rsquo의 뭇 17 A로는인정함

옴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gt

왕매미 말매미 lsquo큰 매미rsquo의 뜻으로모두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말매

미rsquo엄

왕벌 호박멸 lsquo큰 벌rsquo 의 뭇으로 lsquo왕별 말 26 말벌 벌rsquo 모두 언청 함 전운용어 26

로는 lsquo호박별rsquo엄

왕새우 대하(大醒) 전문용어로는 lsquo대하rsquo를 인 26

청함

왕파리 쉬파리 lsquo큰파리rsquo의 뭇으로 모두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쉬파

리rsquo를 언정함

왜난목 내공목(內供木) 옷의 안강으로 쓰는 풍질이 26 낮tr -n「며

왜먹(훌-) (채래의 6 모형에 대해) 네 25-lsquo

모난먹

times외발제기 외알채기 1 굽 하나를 질질 끌어서 17rsquo

다디어 걷는 걸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소

2 lsquo한 발만가지고차는제

기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외상관혜(-冠禮) 외자한례(-冠禮〕 2amp X외통목 외킬목 lsquo장기 둘 때에 외통장군이 25-

되는 킬목rsquo의 뭇으로는 인

청함

X왼 온 lsquo왼쪽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1( 요뒤 요의(覆衣) 26 용슷바람 회오리바랍 26

times우그령흑박 우그령쪽박 17 X우물우둘 우틀우플 1 춤거나무서워서 폼을떠 08

τ~ YOJ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11: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표준어 오옴 137

는소리rsquo 또는 lsquo앓은물

체가 뒤집히는 소리rsquo의

뜻으로는 안청함

x깔딱거리다 딸쭉거리다 25 x깔딱깔딱 딸쭉딸푹 25

Z강총하다 times깡충하다 다리가 길다 큰말은 lsquo갱 08 충하다rsquo임

X깡충하다 깡총하다 다리가 킬다 큰말은 lsquo갱 08 충하다rsquo엄

X깨보숭이 깨소금 lsquo들깨의 꽃송이와 창쌀가 25

루를 버무려 기름에 튀긴 lsquo 반찬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X깨보숭아 채고물 25 X깨이다 깨다 1 lsquo(알을) 까다rsquo의 피동 25

2 lsquo(장을) 깨다rsquo의 펴동

의 뭇으로는안정함

X째이다 깨다 lsquo(알융) 까다rsquo 의 사동 25 껴껴푸드덕 times쩍껴푸드득 장끼가 울며 쾌치는 소리 17

X껴껴푸드득 쩍껴푸드덕 장끼가 울며 혜치는 소리 17 갱벅거리다 끔벅거리다 19 26

X꼬끼댁 꼬꼬댁 17 -x 1i창이 꼬챙이 09 포챙이 X 1iL창이 09

X꼬치 고주 17 lsquoX꼬치 고치 17 x꼭두머리 꼭대기 lsquo시간척으로 얼의 가장 처 25

음rsquo의 뭇으로는 언청함

꽁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 꼽추 곱사퉁이 26 꽃자루 꽃꼭지 전문용어로는 lsquo쫓자루rsquo 를 26

안정함

X쫓택 times꽃받기 쫓받침 25 X팩장이 꾀보 2509

138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꾀쟁이 26 09gt

X꾸다 뀌다 1 방귀를 25 2 lsquo빌려 오다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끝전(-錢) 극ζ~~ (고시) x잔전rarr잔돈 26 X낄룩 끼룩 (내다보거나 삼키려 할 14 25gt

때) 목올 킬게 빼어 내미

는모양

나방이 나방 16 X나부라기 나부랭이 (고시) 나부랭이너부렁이 25 난목(-木) 외올베 26 times난봉장이 난봉꾼 09

난용쟁이 09 times날물 썰물 lsquo나가는 물rsquo 의 뭇으로는 25

인정함

times날빛 햇벚 lsquo햇빛을 받아서 나는 온 25-

세상의 빛rsquo의 돗£로는인

정함

남차답다(男了~) 사내답다 26 times내나 일껏 lsquo결국은rsquo 의 뭇으로는 인 25

정함

내숭 times내흉(內ethI) 05 17

내숭스허1 times내흉스헤(內뻐-) (고시) x내흉A렵다rarr내 0517

숭스렵다

냉국(冷-) 찬국 26 너울지다 놀지다 16 26 널판때기 times널판대기 26 17 널판자(-板子) 26

X예 네 (고시) 네예 17 18

X노란묵 노랑욱 치자 물을타서 쓴녹말묵 17 노랑묵 times노란묵 치자 물올타셔 춘녹말묵 17

녹슬다(綠-) times녹쏠다(綠-) 17 X녹쓸다-(綠-) 늑슬다(綠-) 17

표준어 모음 139gt

times누릉지 눌은밥 1 솥바닥에 눌어붙은 눌 25 은밥에 물을부어 긁어

τ효 -3 2 lsquo솥바닥에 눌어붙은 밥rsquo의 돗으로는 안정함

눈꼴시다 눈꼴틀리다 26 눈쌍 눈싸움 눈겨룸 16 times느루 -- lsquo대번에 몰아치지 않고 25 E

길게 늘여서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늦장 늑장 lsquo느직 하게 보러 가는 장rsquo 26 의 뜻으로도 안정함

x-(으)니까니 -(으)니까 25 다각도로(多角度-) 여러모로 26 다릿골독 times대릿골독 09 2s 다슬기 대사리 전문용어로는 lsquo다슬기rsquo를 26

인정함

다홍(-狂) 진흥(륭狂) 26 단결음에(單-) 단숭에(單-) 26 단검에 단결에 26 단연코(斷然-) 단연히(斷然-) 26 답쪽 times담쑥 손으로 탐스럽게 취거나 08

활로 탐L렵 게 안는 모양

times담쑥 당쪽 손으로 탑스럽게 취거나 08 활로 탐스럽게 안는 모양

당달봉사(-奉事) 청맹과니(좁톱-) 26

대강굿(大藍-) 대강놀이(大藍-) 26

대변보다(大便-) 뒤보다 26 lsquo

times대접문(-救) 대접무늬 21 times뱃가지 뱃개비 1 대를 쪼개 잘게 깎은 2s

꽂이

2 lsquo대의 가지rsquo의 뭇으로

는인정함

14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뱃돌(훌-) 성돌 lsquo집채의 낙숫고랑 안쪽에 26 돌려가며 놓은돌rsquo의 풋

으로도 얀정합

x더껑이 더께 1 텀어서 몹시 찌든울 25 건에 앉은때

2 lsquo결쭉한 액체의 거죽 에 엉겨 굳은 꺼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더미씌우다 다미씌우다 (고시) 얀다미씌우다 19 x덧구두 덧신 25 덮개 뚜껑 lsquo이불 처네 등의 총칭rsquo 26

또는 lsquo착한 마음을덮어

서 가리는 탐욕이나 성내

는 마음rsquo의 돗으로도 인

청함

도리갯장부 도리깨채 26 도토리나무 떡갈나무 lsquo도토리 냐우rsquo 는 lsquo상수리 26

나무rsquo의 별칭으로 lsquo떡갈

나무rsquo와 별개엄

돈지캅(-紙面) 지갑(紙便) 16 26 돈표(-票) 환(換) 26 돋보껴안경(-眼鏡) 돋보기 16 26 -돌개바람 구풍(顧風) lsquo회오리 바람rsquo 의 돗으로 26

도 언정항

툴커와 너새 26 rarr돌렴자(-字) 항렬자(行列字) 26 -동강이 동강 16 -동동걸음 표느죠 otilde-거 (i g 26 rarr동자부처(購子 ) 눈부처 26 -동차부처(童子-) 동자보살(童子홈題) 사랍의 두 어깨에 있다는 26

신(神)

-두견새(柱蘭-) 소쩍새 26 두견이(柱騙-) 26

표준어 모음 14D

times두렵단자(-團子) 두럽떡 21 둘러쓰다 뒤집어쓰다 26 둬둬 드헤드레 수봉기(受峰器)를 대고 26

벌비로 몰아넣을 때 벌을

부르는소리

times뒷개 설거지 윷놀이 용어로는 안청함 25 뒷결박(-結續) 뒷짐결박(-結網) 26 프1lsquo1고 E 뒤통수 26 뒷마당 뒤뜰 26 뒷전보다 뒷전놀다 26 듣그렵다 시끄렵다 26

X들망(-網) 후릿그물 21 들쑥날쑥 들쭉날쭉 19 26gt

lsquo 들오리 물오리 lsquo들오리rsquo는 lsquo집오리rsquo에 26 대하여 야생의 오리를

lsquo물오리rsquo는 lsquo청둥오리rsquo를

말함

times들치다 들추다 lsquo물건의 한 쪽 머 리 를 쳐 25 들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하

고 lsquo들치이다rsquo의 준말로

는 인청하지 않음

등헤엄 총장헤엄 26lsquo X딸각발이 딸짝발이 17 땅강아지 times하늘밥도둑 25

X땅꾼 딴꾼 1 포도청에 매이어 포교 2~

의 섬부름으로 도둑잡

는데 거투는사람

2 lsquo뱅을 잡아 파는 사람rsquo 의 뜻으로는인갱하고

lsquo몹시 인색하고 이기척

언 사람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하져 않음-

땅벙어리 땅형이 2amp

142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때까중

X때깨중이

렬기나무

X똑하다

뚱뚱이

탠-

τ최Z

뜨 뜨디

x

-(이)랑

X마련통이

마상

X마술장이(魔術-)

마술쟁이(魔術-)

마짓밥(顧릅-)

x마치

막철다

막걸리다

X만양

말개며

중대가리

중대가리

times좀나무

꼭하다

뚱뚱보

캠질

매련퉁이

마상이

times요술장이(妹術-)

요술챙이(te(術-)

마지(鷹릅)

망치

맞걸다

맞걸리다

늦모내기

마냥

왕개미

25 25 25

정 직 하고 안상(安神)하다 25 26 19

1 더운 날의 모래밭이나 25 온천 또는 뜨거운 물

속에 몽을묻어서 땀을

흘리어 병을 고치는 법

2 lsquo뜸을 뜨는 일rsquo의 뭇

으로는인정함

-하고과와 26 미련퉁이 08 17

16

09 09 26

16 26

lsquo(망치보다 작은 것으로 25 서) 못 박는 연장rsquo의 뭇

으로는인청함

lsquo막걸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26

가진 돈을모두 걸고 단

판하다rsquo 의 뜻으로 lsquo맞결

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돈을

따려고서로돈올결다rsquo의

돗으로 안정함

26 1 만이앙(曉移快) 26

2 (고시 ) x 만양모rarr마 26

냥모

lsquo큰 개미rsquo라는 뭇으로 모 26 두언청함

표준어 모읍 143

전문용어로는 lsquo왕개미rsquo엄

말거미 왕거마 lsquo큰 거미rsquo라는 뭇ξ로 모 26 두안정함

전문용어로는 lsquo왕거미rsquo임

말그L름하다 맑스그레하다 26 x맛대강이 맛 25 망가지다 망그러지다 26

X매커 튀기 lsquo수돼지와 암소 사이에서 25 낳는다는 점 송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매양(每-) 번벤이(養養-) 26 X매풋집(寶酒-) 솔집 21 매해(每-) 매년(每年) 26

x볍옐 맹쌀 lsquo젠 메밀을 약간 말려 쩡 17 어 껍질올 벗긴 쌀rsquo의 돗

으로는 인정함

X야련 매련 17 _X야욕하다 매욱하다 어리석고 둠하다 17 X머드레콩 그루콩 1 그루갈이로 심은 콩lsquo 25

2 lsquo밭가로둘러 성은콩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함

X명구력 구럭 1 새끼로눈올투물게 떠 14 25 서 그물같이 만든물건

2 lsquo썩 성기게 떠서 만든

구럭rsquo의 뭇으로는 인정

벚다 엄추다 26 x베토끼 산토꺼(山-) 22

멧돼지 산돼지(山-) 26 멸구 며루 lsquo멸구rsquo는 멸구과에 속하 26

는 곤충의 얼종이고 lsquo며

루rsquo는 모기의 유충임

x명 목화(木花) lsquo우명 rsquo 의 돗으로는 언갱 함 25

144 국어생 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명자나무(훌體-) 모과나무 lsquo모과나무rsquo 는 명 자나무의 26 별칭임

모군꾼(幕軍-) 모군(幕軍) 16 26gt

모래사장(-沙場) 모래룹 26 X모어려수에 무에리수에 거리로 다니며 첨을 치라 17

고 외치는 소리

times모지다 모질다 lsquo성질 일 물건이나 모 25 양이 모가 난데가있다rsquo

의 돗으로는인정함

X목실(木-) 무명실 25 몰매 뭇매 26 옴서리나다 몸서리치다 26

X몽깃돌 낚섯봉 lsquo밀물과 썰물에 뱃머리를 25 곧게 하기 위하여 고물에

다는 돌rsquo의 뭇으로는 언

정함

무겁한량 times무겁활량 05 17 X우겁활량 우겁한량 051T 우식꾼(無講-) times무식장이(無識-) 26 OP

무식쟁이(無훌훌-) 26 0동 X물앵도(-樓挑) 물앵두 05 물앵두 times물앵도(-樓挑) 05 웅그대다 뭉개다 1 일을 어떻게 할 줄 모 26

르고 짓이기다

2 lsquo제자리에서 폼을 그 냥 비비다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X뭘하다 윗하다 거북하다 난처하다 17 미친놈 미치팡이 26 밀뼈세장 times멀삐죄장 지게의 윗세장 아래에 가 17

로박은나무

X밀뼈쇠창 멀뻐세장 지게의윗세장 아래에 가 1T

로박은나무

표준어L 모융- 145

X법둥스렵다 법살스렵다 Tl 바깥양반(-兩班) 사랑양반(舍願兩班) lsquo -26

바늘뱅셔(rarr方席〉 ldquo 바늘겨레 26 X바랍꾼 lsquo r _바람둥이 25 바심 rsquo 타작(打作) 26

박새 lsquo X깨싸 25 박첨지놀음(朴했知-)x꼭둑각시놀음 (고시) x꼭둑각시rarr꼭두 26

X반대기

X반대기

times반미콩(飯米-)

times발구

발뒤꾸머리

발새

발짓

배뱃니

X배햇쾌기

백곰(白-)

X백하첫(白嚴-)

꼭두각시놀음

소래기

밥밑콩

걸채 -

발뒤꿈치

발살

발질

찾니

배추속대

흰곰

새우첫

각시 rsquo 26

1 앓게 펴 서 다듬어 만 14 25 든조각

2 lsquo무슨 가루률 반죽한

것이나 삶은 푸성귀를

현연하고둥글넓척하게

만든조각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굽 없는 갱시와 같은 넓 25 윤질그릇

21 1 소의 길마 위 에 덧 얹 25 고곡식 단올싣는제구

2 lsquo산에서 쓰는 캘매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합

26

26

lsquo발짓은 lsquo발융 웅칙이는 26

짓rsquo의 돗으로 lsquo발질rsquo응

lsquo발걸질rsquo의 뭇으로 인정

26

25 전문용어로는 lsquo흰곰rsquo만 26

인청함

25

14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밴덕 얀덕 19rsquo

번연히 번히 16

벌5 허튼모 lsquo오판 구역 밖에 볍써가 2amp 떨어져 자라난 모rsquo냐 lsquo일

을 말막음ξ로 했을 째

쓰는 말rsquo의 돗A로도 인

정함

X벙태기 벙테커 17

병태기 times벙태기 17

별간장(別-홉) 손님장(-짧) 작은 그릇에 따로 담그는 26 간장

별맛(別-) 별미(別味) 26

X별미적다(別味-) 별미쩍다(別味-) 17

별마쩍다(別味lsquo) times별미적다(別味-) 17

X보리풀꺾다 보리풀하다 보리 갈 땅에 거름하기 위 25 하여 풀이나 나뭇잎을 베

어 오다

times보사리감투 보살감투(홈塵-) 17

X보챙기 겨리 lsquo보슐을 낀 챙기rsquo의 뭇~ 25 로는 안청함

복부르다(復-) 초혼하다(招塊-) 26

x복생션(-生蘇) 복 14

복어(-魚) - 16 26

X부레끊다 부레끓다 25

부헤꿇다 times부헤끊다 25

X부시다 부수다 lsquo그릇 같은 것을 께꿋이 25 씻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X부얼부얼 북슬북슬 1 짐승이 살이 찌고 탤 25 이 탕스렵게 많이 난

모양

2 lsquo잘찌고 탑스렵게 생 긴모양rsquo의뜻으로는인

정함

표준어 모옴 147

부엌칼 식칼(食-) 26 X부철다말 부철따말 17 부철따말 times부철다말 17

X북두 부뚜 1 타작마당에서 쓰는 돗 25 자리

2 lsquo마소에 짐융 싣고 그 정파 배률 얼러서 매는

줄rsquo의 뭇으로는 인갱함

분결(慣-) 분검(念 慣-) 26 분지르다 부러뜨리다 26 불공드리다(佛供-) 풍양드리다(供養-) 26 불풍밥(佛供-) 퇴식밥(退食-) 26 불룩이 times불룩히 17 불친소 악대소 26 불호령(-號令) 볼호령(-號令) 26

X붙여장다 붙잡다 14 25 비단개구리(排繼-) 무당개구리 전문용어로는lsquo우당개구 26

리rsquo를 안청함

X비사차기 비사치기 25

비사치기 times비사차기 25 X빚거간(-居間) 빚지시 1lsquo 벚올 주고 쓰는 데 에 25

중간에서 소개하는 일

2 lsquo벚올 내고 주는 데에 중간에서 강H하는 것

을 업으로 장는일rsquo의

뭇으로는인청함

빨갱이 times빨강l 1 공산주의자 09 17 2 lsquo빨간빛의 물건rsquo의 뭇 으로는 lsquo빨강이rsquo를 얀

정함

X빼주 배갈 25

X사갓집(훌家-) 사돈집(흉賴-) 25

사거리(四-) 네거리 26

148 국어 생활- rsquo 90 가올 (제 22호)

사마귀 버마재벼 전문용어로는 lsquo사마귀rsquo를 2β

인청함

사향노루(훌香-) 궁노루 26

값전(-鍵) 돈 (고시 ) x 잔정-gt잔돈 26 산울렴(山-) 헤아리 26

X산코골다 헛3i골다 25 살긋하다 썰긋하다 바르게 된 물건이 한쪽2 19

로 일그러지다

X상량대(上陳-) 마룻대 21 25 times상량도리(上標-) 마뭇대 21 25 times상재(上-) 상좌(上뾰) 05 X상청(上-) 상창(上唱) 뛰어난 창(唱) 05 샅바채우다 샅바지르다 26

X새소리 놀소리 25 X새치롬하다 새치름하다 시치미를 떼고 태연하거 17

나 양천한 기색을 꾸며 다-새치름하다 times새치롬하다 시치미를 혜고 태연하거 17

나 양전한 기색을 꾸미다

색깔(色-) 빛깔 26

times셋까닿다 새까땅다 17 X셋빨창다 새빨창다 17 X셋파량다 새파량다 17 times생갈이(生-) 애벌갈아 1 논이나 밭을 첫 번 가 21

는일

2 lsquo홍두깨 깔이 rsquo 의 준말로 는 lsquo생갈이rsquo를 언정함

X생급L렵4 새삼스렵다 lsquo하는 것이나 말이 캅작 2~

스렵고 돗밖이 다rsquo AElig는

lsquo끄챔어내는 말이 엉뚱하

고 터무니없다rsquo의 뭇으로

는 언청함

생김치(生-) 날검치 ~6

쟁옥(-木〕 당목(康木) 2amp

150 국어생활 90 가올〔제 22호)

X솔갱이 솔개 (고시 )~x소리개rarr솔개 2S

times쇠꼬창01 죄꼬쟁이 09

쇠꼬챙이 times죄꼬창이 09-

X쇠버즘 쇠버짐 17 쇠버짐 times쇠버즘 17

쇠족(-足) 쇠다리 26 쇠죽솥 쇠죽가마 26

times수무(手-) 수모(手母) 신부(新橋)의 보초안 OS

times수이 쉬이 20-

X수이보다 쉬이보다 20 times수이여커다 쉬이여기다 20 rsquo

X숭이 송이 08 시골말 사투리 26

times시초잡다(始初-) 시착하다〔始作-) 25--

신바랍 어껏바량 2amp 신첩살렴(新援-) 신접살이(新援-) 2amp 신챈나무 신대 2amp

설로(實-) 참으로 2G

섬보(心-) 마음보 26 섬술퉁이(心術-) X섬술통이(心術-) 08 심섬파척(-破寂) 섬섬풀이 2amp

times성갱싱갱하다 싱둥생둥하다 lsquo방이 서늘하고 차다rsquo의 2S

뜻으로는 인청함

X성퉁생둥하다 성갱생갱하다 lsquo기운이 줄어질 만한 일 2S

을 겪은뒤에도본래의 기

운이 있다rsquo의 뜻으로는 언

청함

싸느황다 X싸느렇다 17

X싸느렇다 싸느량다 17

X싸려운 사렵문 lsquo싹리로 만든 문rsquo의 뭇으 25

로는 인청함

쌀긋하다 생긋하다 19rsquo

쌍망이 times짱맹이 09

표준어 모음 151

X썽맹이 쌍망이 09-

쌍소리 장소리 19

쌍섬지셔다 쌍심지나마 26

쌍심지오르다 26

X써내다 켜내다 lsquo글씨롤 써셔 내놓다rsquo의 ~s

뭇으로는 언청함

X써다 켜다 lsquo조숫풀이 출거 나 펀 물 25 이 새어셔 줄다rsquo의 룻으

로는 안청함

X썩정이 삭청1 1 산 나우에 붙은 채 말 25 라죽윤나뭇가지

2 lsquo썩은 물건rsquo의 돗A로 는인청함

썰다 써리다 1 논밭융 고르게 하다 16 2 middot물건율 로막토막 통 캉치다rsquo의 뭇으로도 안

갱함

쓰레장판 쓰헤받기 유치 캉환요로 만든 쓰레 26 받기

씨돼치 종톤(種際) 26

아래얄 X아랫알 수판의 가릅대 아래의 알 17

아랫녘 앞대 1 어떤 치방에서 그 남 26 쪽의 지방을일컴는말

2 lsquo전라도 경장도흘 일 걷는 말rsquo로도 안갱함

X아랫동강이 종아리 25

times아랫알 아래알 수판의 카름대 아래의 알 17

아랫중방(-中林) 하인방(下引林) 26

아련하다 오련하다 19

X아웃 가웃 lsquo말아웃rsquo은 언청함 17 2()

아유 아이고 19

아지직 오지칙 19 아치작 19

1 한그릇에 두가지 이

상의 음식을 어울리게

당다

~ lsquo홈칙 따위률 식지 않

게 불에 놓거냐 따뭇한 lsquo - ~ 바헤lsquo묻어 두다rsquo 또는- lsquo e

lsquo샤랑올 안동하여 보내

다j의- 돗으로는 인정하

고 lsquo암구다rsquo (교미를 붙

이다)의 뭇으로는 인청

하지 않음

lsquo ~6 gt 26 lsquo

lsquo 26

- - - - 스 25rsquo

19 -26

09

lsquo26

25

국약2생 활「rsquo 90 가을(제 22호)

안개 u] 가랑비

얀갱 안채 안쪽외영 채

주인집(主A-)

안혜 바로전해 쌓즘삼C삼rsquo ~ ~ I rsquo lsquo 얄픔좀쏟 (rsquo 간

X 알박이 ν lsquo f알뼈71 알 밴 생션 얄펠대71 ~ J f -lsquo~T단〈rsquo觸蛋 chitan)

X 알심 -Z ) t ilsquo끼(고앵이( 1 초목의 줄기 가운데의 lsquo gt τ 연한 심

f lsquo - J lsquo 2[ lsquo판폰한 동정섬rsquo 또는

lsquo속에 있는힘rsquo의 뭇a lsquo -lsquo - Ilsquo middot 안 로는 인정함

알약(-藥) J μ환약f갯L藥)

양딴해도1 lsquo rsquo ~ t ~ - τ 아운리쾌도

앙구다 r rsquo l lsquo t ( lsquof쩔lsquo플이다

J rsquo z bull lsquo ι rsquo rsquo

ω Mω Mω

J52lsquo

~r

-rsquo

lsquo rdquo

ldquo

두별갈이

앞뜰

아기

애타다

아비

lsquo lsquo

26

26

09

26

09

1 놀라거나반가올때 내 26

는소리

2 lsquo예rsquo(존대할자리에 대

rdquo lsquo

rsquo

bull lsquo

앞뒤갈이 앞lsquo바당

X애기

애끓다

lsquo애비

F

26 09 26 09 26 26 26-

21

26 (고시) x찍rarr쪽 26 1 마음이 너그렵고 정질 26 lsquo

l 부드렵다

2lt lsquo얼굴의 각 구맹새가

ι-넬젝널찍하다rsquo의 뜻우-낀-rsquo-로도 언갱함

한 살청도차이 나서 동

감이나 다름없음

1 여러 사랍이 밑천올 어

울러서 하는장사 2 어려장수의 영업 rsquo 위 -

뭇으로는언청함

153 lsquo표훈어 lsquo 오옴

답하거나재쳐 묻는말)

의 뭇으로는 인정하지

않음

lsquo오밤중rsquo도 안정함

lsquo - lsquo- rsquo lsquo

times야말장이 1

야발쟁이

한밤중(-中) 약물터(藥-)

분칭(分햄)

양지머리뼈

lsquo 이모작(그毛作)

양현짝(兩便-)

서글서글하다

middot야발단지

rsquo

bull

녁 ι니

1r

t

ι水

」骨

7

便

- -

蘭藥

爛浦lsquoh浦합i

yF

터 νF 빼 루 £1 맏

이 i

바n

--lsquo저ι

골ι 그lsquo

펀 그τ π -lsquolsquo j

lsquo

야 야T1

약1

양lsquo

양 어「lsquo

x

26

25

懶1ι

갑 rsquolsquolsquo

1j렁shy

영-

J샤L C

ldquo

그rdquoRlsquo-lsquo

짧 ι

쐐υ

껴기

lsquo리

x

r 4

--μ

t i

x 어버리j좋다 -

어스러기

x어스러기 lsquo 어스럭송아지

어융 어이구 어환둥퉁 어허둥둥

어〈홉1 - 이 ldquo lsquo 범 ~ lsquo X언냐 어린아아

얼간1 -기ldquo - 얼간망풍l

X얼러망~땅~l - 니 ldquo 을러방망억

얼룩말 얼럭말

22 25

대담하다(大觸-)

ι lsquo lsquo lsquo bull ~ rsquo

25

19 lsquo

19 lsquo

26

25

26 17

26

옷 따위의 솔이 어스러진

큰송아지

표준어 모옴 155-

X옴살 엄살 lsquo한몽같이 친밀한터rsquo의 뭇 17 A로는인정함

옴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gt

왕매미 말매미 lsquo큰 매미rsquo의 뜻으로모두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말매

미rsquo엄

왕벌 호박멸 lsquo큰 벌rsquo 의 뭇으로 lsquo왕별 말 26 말벌 벌rsquo 모두 언청 함 전운용어 26

로는 lsquo호박별rsquo엄

왕새우 대하(大醒) 전문용어로는 lsquo대하rsquo를 인 26

청함

왕파리 쉬파리 lsquo큰파리rsquo의 뭇으로 모두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쉬파

리rsquo를 언정함

왜난목 내공목(內供木) 옷의 안강으로 쓰는 풍질이 26 낮tr -n「며

왜먹(훌-) (채래의 6 모형에 대해) 네 25-lsquo

모난먹

times외발제기 외알채기 1 굽 하나를 질질 끌어서 17rsquo

다디어 걷는 걸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소

2 lsquo한 발만가지고차는제

기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외상관혜(-冠禮) 외자한례(-冠禮〕 2amp X외통목 외킬목 lsquo장기 둘 때에 외통장군이 25-

되는 킬목rsquo의 뭇으로는 인

청함

X왼 온 lsquo왼쪽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1( 요뒤 요의(覆衣) 26 용슷바람 회오리바랍 26

times우그령흑박 우그령쪽박 17 X우물우둘 우틀우플 1 춤거나무서워서 폼을떠 08

τ~ YOJ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12: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138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꾀쟁이 26 09gt

X꾸다 뀌다 1 방귀를 25 2 lsquo빌려 오다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끝전(-錢) 극ζ~~ (고시) x잔전rarr잔돈 26 X낄룩 끼룩 (내다보거나 삼키려 할 14 25gt

때) 목올 킬게 빼어 내미

는모양

나방이 나방 16 X나부라기 나부랭이 (고시) 나부랭이너부렁이 25 난목(-木) 외올베 26 times난봉장이 난봉꾼 09

난용쟁이 09 times날물 썰물 lsquo나가는 물rsquo 의 뭇으로는 25

인정함

times날빛 햇벚 lsquo햇빛을 받아서 나는 온 25-

세상의 빛rsquo의 돗£로는인

정함

남차답다(男了~) 사내답다 26 times내나 일껏 lsquo결국은rsquo 의 뭇으로는 인 25

정함

내숭 times내흉(內ethI) 05 17

내숭스허1 times내흉스헤(內뻐-) (고시) x내흉A렵다rarr내 0517

숭스렵다

냉국(冷-) 찬국 26 너울지다 놀지다 16 26 널판때기 times널판대기 26 17 널판자(-板子) 26

X예 네 (고시) 네예 17 18

X노란묵 노랑욱 치자 물을타서 쓴녹말묵 17 노랑묵 times노란묵 치자 물올타셔 춘녹말묵 17

녹슬다(綠-) times녹쏠다(綠-) 17 X녹쓸다-(綠-) 늑슬다(綠-) 17

표준어 모음 139gt

times누릉지 눌은밥 1 솥바닥에 눌어붙은 눌 25 은밥에 물을부어 긁어

τ효 -3 2 lsquo솥바닥에 눌어붙은 밥rsquo의 돗으로는 안정함

눈꼴시다 눈꼴틀리다 26 눈쌍 눈싸움 눈겨룸 16 times느루 -- lsquo대번에 몰아치지 않고 25 E

길게 늘여서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늦장 늑장 lsquo느직 하게 보러 가는 장rsquo 26 의 뜻으로도 안정함

x-(으)니까니 -(으)니까 25 다각도로(多角度-) 여러모로 26 다릿골독 times대릿골독 09 2s 다슬기 대사리 전문용어로는 lsquo다슬기rsquo를 26

인정함

다홍(-狂) 진흥(륭狂) 26 단결음에(單-) 단숭에(單-) 26 단검에 단결에 26 단연코(斷然-) 단연히(斷然-) 26 답쪽 times담쑥 손으로 탐스럽게 취거나 08

활로 탐L렵 게 안는 모양

times담쑥 당쪽 손으로 탑스럽게 취거나 08 활로 탐스럽게 안는 모양

당달봉사(-奉事) 청맹과니(좁톱-) 26

대강굿(大藍-) 대강놀이(大藍-) 26

대변보다(大便-) 뒤보다 26 lsquo

times대접문(-救) 대접무늬 21 times뱃가지 뱃개비 1 대를 쪼개 잘게 깎은 2s

꽂이

2 lsquo대의 가지rsquo의 뭇으로

는인정함

14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뱃돌(훌-) 성돌 lsquo집채의 낙숫고랑 안쪽에 26 돌려가며 놓은돌rsquo의 풋

으로도 얀정합

x더껑이 더께 1 텀어서 몹시 찌든울 25 건에 앉은때

2 lsquo결쭉한 액체의 거죽 에 엉겨 굳은 꺼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더미씌우다 다미씌우다 (고시) 얀다미씌우다 19 x덧구두 덧신 25 덮개 뚜껑 lsquo이불 처네 등의 총칭rsquo 26

또는 lsquo착한 마음을덮어

서 가리는 탐욕이나 성내

는 마음rsquo의 돗으로도 인

청함

도리갯장부 도리깨채 26 도토리나무 떡갈나무 lsquo도토리 냐우rsquo 는 lsquo상수리 26

나무rsquo의 별칭으로 lsquo떡갈

나무rsquo와 별개엄

돈지캅(-紙面) 지갑(紙便) 16 26 돈표(-票) 환(換) 26 돋보껴안경(-眼鏡) 돋보기 16 26 -돌개바람 구풍(顧風) lsquo회오리 바람rsquo 의 돗으로 26

도 언정항

툴커와 너새 26 rarr돌렴자(-字) 항렬자(行列字) 26 -동강이 동강 16 -동동걸음 표느죠 otilde-거 (i g 26 rarr동자부처(購子 ) 눈부처 26 -동차부처(童子-) 동자보살(童子홈題) 사랍의 두 어깨에 있다는 26

신(神)

-두견새(柱蘭-) 소쩍새 26 두견이(柱騙-) 26

표준어 모음 14D

times두렵단자(-團子) 두럽떡 21 둘러쓰다 뒤집어쓰다 26 둬둬 드헤드레 수봉기(受峰器)를 대고 26

벌비로 몰아넣을 때 벌을

부르는소리

times뒷개 설거지 윷놀이 용어로는 안청함 25 뒷결박(-結續) 뒷짐결박(-結網) 26 프1lsquo1고 E 뒤통수 26 뒷마당 뒤뜰 26 뒷전보다 뒷전놀다 26 듣그렵다 시끄렵다 26

X들망(-網) 후릿그물 21 들쑥날쑥 들쭉날쭉 19 26gt

lsquo 들오리 물오리 lsquo들오리rsquo는 lsquo집오리rsquo에 26 대하여 야생의 오리를

lsquo물오리rsquo는 lsquo청둥오리rsquo를

말함

times들치다 들추다 lsquo물건의 한 쪽 머 리 를 쳐 25 들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하

고 lsquo들치이다rsquo의 준말로

는 인청하지 않음

등헤엄 총장헤엄 26lsquo X딸각발이 딸짝발이 17 땅강아지 times하늘밥도둑 25

X땅꾼 딴꾼 1 포도청에 매이어 포교 2~

의 섬부름으로 도둑잡

는데 거투는사람

2 lsquo뱅을 잡아 파는 사람rsquo 의 뜻으로는인갱하고

lsquo몹시 인색하고 이기척

언 사람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하져 않음-

땅벙어리 땅형이 2amp

142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때까중

X때깨중이

렬기나무

X똑하다

뚱뚱이

탠-

τ최Z

뜨 뜨디

x

-(이)랑

X마련통이

마상

X마술장이(魔術-)

마술쟁이(魔術-)

마짓밥(顧릅-)

x마치

막철다

막걸리다

X만양

말개며

중대가리

중대가리

times좀나무

꼭하다

뚱뚱보

캠질

매련퉁이

마상이

times요술장이(妹術-)

요술챙이(te(術-)

마지(鷹릅)

망치

맞걸다

맞걸리다

늦모내기

마냥

왕개미

25 25 25

정 직 하고 안상(安神)하다 25 26 19

1 더운 날의 모래밭이나 25 온천 또는 뜨거운 물

속에 몽을묻어서 땀을

흘리어 병을 고치는 법

2 lsquo뜸을 뜨는 일rsquo의 뭇

으로는인정함

-하고과와 26 미련퉁이 08 17

16

09 09 26

16 26

lsquo(망치보다 작은 것으로 25 서) 못 박는 연장rsquo의 뭇

으로는인청함

lsquo막걸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26

가진 돈을모두 걸고 단

판하다rsquo 의 뜻으로 lsquo맞결

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돈을

따려고서로돈올결다rsquo의

돗으로 안정함

26 1 만이앙(曉移快) 26

2 (고시 ) x 만양모rarr마 26

냥모

lsquo큰 개미rsquo라는 뭇으로 모 26 두언청함

표준어 모읍 143

전문용어로는 lsquo왕개미rsquo엄

말거미 왕거마 lsquo큰 거미rsquo라는 뭇ξ로 모 26 두안정함

전문용어로는 lsquo왕거미rsquo임

말그L름하다 맑스그레하다 26 x맛대강이 맛 25 망가지다 망그러지다 26

X매커 튀기 lsquo수돼지와 암소 사이에서 25 낳는다는 점 송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매양(每-) 번벤이(養養-) 26 X매풋집(寶酒-) 솔집 21 매해(每-) 매년(每年) 26

x볍옐 맹쌀 lsquo젠 메밀을 약간 말려 쩡 17 어 껍질올 벗긴 쌀rsquo의 돗

으로는 인정함

X야련 매련 17 _X야욕하다 매욱하다 어리석고 둠하다 17 X머드레콩 그루콩 1 그루갈이로 심은 콩lsquo 25

2 lsquo밭가로둘러 성은콩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함

X명구력 구럭 1 새끼로눈올투물게 떠 14 25 서 그물같이 만든물건

2 lsquo썩 성기게 떠서 만든

구럭rsquo의 뭇으로는 인정

벚다 엄추다 26 x베토끼 산토꺼(山-) 22

멧돼지 산돼지(山-) 26 멸구 며루 lsquo멸구rsquo는 멸구과에 속하 26

는 곤충의 얼종이고 lsquo며

루rsquo는 모기의 유충임

x명 목화(木花) lsquo우명 rsquo 의 돗으로는 언갱 함 25

144 국어생 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명자나무(훌體-) 모과나무 lsquo모과나무rsquo 는 명 자나무의 26 별칭임

모군꾼(幕軍-) 모군(幕軍) 16 26gt

모래사장(-沙場) 모래룹 26 X모어려수에 무에리수에 거리로 다니며 첨을 치라 17

고 외치는 소리

times모지다 모질다 lsquo성질 일 물건이나 모 25 양이 모가 난데가있다rsquo

의 돗으로는인정함

X목실(木-) 무명실 25 몰매 뭇매 26 옴서리나다 몸서리치다 26

X몽깃돌 낚섯봉 lsquo밀물과 썰물에 뱃머리를 25 곧게 하기 위하여 고물에

다는 돌rsquo의 뭇으로는 언

정함

무겁한량 times무겁활량 05 17 X우겁활량 우겁한량 051T 우식꾼(無講-) times무식장이(無識-) 26 OP

무식쟁이(無훌훌-) 26 0동 X물앵도(-樓挑) 물앵두 05 물앵두 times물앵도(-樓挑) 05 웅그대다 뭉개다 1 일을 어떻게 할 줄 모 26

르고 짓이기다

2 lsquo제자리에서 폼을 그 냥 비비다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X뭘하다 윗하다 거북하다 난처하다 17 미친놈 미치팡이 26 밀뼈세장 times멀삐죄장 지게의 윗세장 아래에 가 17

로박은나무

X밀뼈쇠창 멀뻐세장 지게의윗세장 아래에 가 1T

로박은나무

표준어L 모융- 145

X법둥스렵다 법살스렵다 Tl 바깥양반(-兩班) 사랑양반(舍願兩班) lsquo -26

바늘뱅셔(rarr方席〉 ldquo 바늘겨레 26 X바랍꾼 lsquo r _바람둥이 25 바심 rsquo 타작(打作) 26

박새 lsquo X깨싸 25 박첨지놀음(朴했知-)x꼭둑각시놀음 (고시) x꼭둑각시rarr꼭두 26

X반대기

X반대기

times반미콩(飯米-)

times발구

발뒤꾸머리

발새

발짓

배뱃니

X배햇쾌기

백곰(白-)

X백하첫(白嚴-)

꼭두각시놀음

소래기

밥밑콩

걸채 -

발뒤꿈치

발살

발질

찾니

배추속대

흰곰

새우첫

각시 rsquo 26

1 앓게 펴 서 다듬어 만 14 25 든조각

2 lsquo무슨 가루률 반죽한

것이나 삶은 푸성귀를

현연하고둥글넓척하게

만든조각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굽 없는 갱시와 같은 넓 25 윤질그릇

21 1 소의 길마 위 에 덧 얹 25 고곡식 단올싣는제구

2 lsquo산에서 쓰는 캘매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합

26

26

lsquo발짓은 lsquo발융 웅칙이는 26

짓rsquo의 돗으로 lsquo발질rsquo응

lsquo발걸질rsquo의 뭇으로 인정

26

25 전문용어로는 lsquo흰곰rsquo만 26

인청함

25

14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밴덕 얀덕 19rsquo

번연히 번히 16

벌5 허튼모 lsquo오판 구역 밖에 볍써가 2amp 떨어져 자라난 모rsquo냐 lsquo일

을 말막음ξ로 했을 째

쓰는 말rsquo의 돗A로도 인

정함

X벙태기 벙테커 17

병태기 times벙태기 17

별간장(別-홉) 손님장(-짧) 작은 그릇에 따로 담그는 26 간장

별맛(別-) 별미(別味) 26

X별미적다(別味-) 별미쩍다(別味-) 17

별마쩍다(別味lsquo) times별미적다(別味-) 17

X보리풀꺾다 보리풀하다 보리 갈 땅에 거름하기 위 25 하여 풀이나 나뭇잎을 베

어 오다

times보사리감투 보살감투(홈塵-) 17

X보챙기 겨리 lsquo보슐을 낀 챙기rsquo의 뭇~ 25 로는 안청함

복부르다(復-) 초혼하다(招塊-) 26

x복생션(-生蘇) 복 14

복어(-魚) - 16 26

X부레끊다 부레끓다 25

부헤꿇다 times부헤끊다 25

X부시다 부수다 lsquo그릇 같은 것을 께꿋이 25 씻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X부얼부얼 북슬북슬 1 짐승이 살이 찌고 탤 25 이 탕스렵게 많이 난

모양

2 lsquo잘찌고 탑스렵게 생 긴모양rsquo의뜻으로는인

정함

표준어 모옴 147

부엌칼 식칼(食-) 26 X부철다말 부철따말 17 부철따말 times부철다말 17

X북두 부뚜 1 타작마당에서 쓰는 돗 25 자리

2 lsquo마소에 짐융 싣고 그 정파 배률 얼러서 매는

줄rsquo의 뭇으로는 인갱함

분결(慣-) 분검(念 慣-) 26 분지르다 부러뜨리다 26 불공드리다(佛供-) 풍양드리다(供養-) 26 불풍밥(佛供-) 퇴식밥(退食-) 26 불룩이 times불룩히 17 불친소 악대소 26 불호령(-號令) 볼호령(-號令) 26

X붙여장다 붙잡다 14 25 비단개구리(排繼-) 무당개구리 전문용어로는lsquo우당개구 26

리rsquo를 안청함

X비사차기 비사치기 25

비사치기 times비사차기 25 X빚거간(-居間) 빚지시 1lsquo 벚올 주고 쓰는 데 에 25

중간에서 소개하는 일

2 lsquo벚올 내고 주는 데에 중간에서 강H하는 것

을 업으로 장는일rsquo의

뭇으로는인청함

빨갱이 times빨강l 1 공산주의자 09 17 2 lsquo빨간빛의 물건rsquo의 뭇 으로는 lsquo빨강이rsquo를 얀

정함

X빼주 배갈 25

X사갓집(훌家-) 사돈집(흉賴-) 25

사거리(四-) 네거리 26

148 국어 생활- rsquo 90 가올 (제 22호)

사마귀 버마재벼 전문용어로는 lsquo사마귀rsquo를 2β

인청함

사향노루(훌香-) 궁노루 26

값전(-鍵) 돈 (고시 ) x 잔정-gt잔돈 26 산울렴(山-) 헤아리 26

X산코골다 헛3i골다 25 살긋하다 썰긋하다 바르게 된 물건이 한쪽2 19

로 일그러지다

X상량대(上陳-) 마룻대 21 25 times상량도리(上標-) 마뭇대 21 25 times상재(上-) 상좌(上뾰) 05 X상청(上-) 상창(上唱) 뛰어난 창(唱) 05 샅바채우다 샅바지르다 26

X새소리 놀소리 25 X새치롬하다 새치름하다 시치미를 떼고 태연하거 17

나 양천한 기색을 꾸며 다-새치름하다 times새치롬하다 시치미를 혜고 태연하거 17

나 양전한 기색을 꾸미다

색깔(色-) 빛깔 26

times셋까닿다 새까땅다 17 X셋빨창다 새빨창다 17 X셋파량다 새파량다 17 times생갈이(生-) 애벌갈아 1 논이나 밭을 첫 번 가 21

는일

2 lsquo홍두깨 깔이 rsquo 의 준말로 는 lsquo생갈이rsquo를 언정함

X생급L렵4 새삼스렵다 lsquo하는 것이나 말이 캅작 2~

스렵고 돗밖이 다rsquo AElig는

lsquo끄챔어내는 말이 엉뚱하

고 터무니없다rsquo의 뭇으로

는 언청함

생김치(生-) 날검치 ~6

쟁옥(-木〕 당목(康木) 2amp

150 국어생활 90 가올〔제 22호)

X솔갱이 솔개 (고시 )~x소리개rarr솔개 2S

times쇠꼬창01 죄꼬쟁이 09

쇠꼬챙이 times죄꼬창이 09-

X쇠버즘 쇠버짐 17 쇠버짐 times쇠버즘 17

쇠족(-足) 쇠다리 26 쇠죽솥 쇠죽가마 26

times수무(手-) 수모(手母) 신부(新橋)의 보초안 OS

times수이 쉬이 20-

X수이보다 쉬이보다 20 times수이여커다 쉬이여기다 20 rsquo

X숭이 송이 08 시골말 사투리 26

times시초잡다(始初-) 시착하다〔始作-) 25--

신바랍 어껏바량 2amp 신첩살렴(新援-) 신접살이(新援-) 2amp 신챈나무 신대 2amp

설로(實-) 참으로 2G

섬보(心-) 마음보 26 섬술퉁이(心術-) X섬술통이(心術-) 08 심섬파척(-破寂) 섬섬풀이 2amp

times성갱싱갱하다 싱둥생둥하다 lsquo방이 서늘하고 차다rsquo의 2S

뜻으로는 인청함

X성퉁생둥하다 성갱생갱하다 lsquo기운이 줄어질 만한 일 2S

을 겪은뒤에도본래의 기

운이 있다rsquo의 뜻으로는 언

청함

싸느황다 X싸느렇다 17

X싸느렇다 싸느량다 17

X싸려운 사렵문 lsquo싹리로 만든 문rsquo의 뭇으 25

로는 인청함

쌀긋하다 생긋하다 19rsquo

쌍망이 times짱맹이 09

표준어 모음 151

X썽맹이 쌍망이 09-

쌍소리 장소리 19

쌍섬지셔다 쌍심지나마 26

쌍심지오르다 26

X써내다 켜내다 lsquo글씨롤 써셔 내놓다rsquo의 ~s

뭇으로는 언청함

X써다 켜다 lsquo조숫풀이 출거 나 펀 물 25 이 새어셔 줄다rsquo의 룻으

로는 안청함

X썩정이 삭청1 1 산 나우에 붙은 채 말 25 라죽윤나뭇가지

2 lsquo썩은 물건rsquo의 돗A로 는인청함

썰다 써리다 1 논밭융 고르게 하다 16 2 middot물건율 로막토막 통 캉치다rsquo의 뭇으로도 안

갱함

쓰레장판 쓰헤받기 유치 캉환요로 만든 쓰레 26 받기

씨돼치 종톤(種際) 26

아래얄 X아랫알 수판의 가릅대 아래의 알 17

아랫녘 앞대 1 어떤 치방에서 그 남 26 쪽의 지방을일컴는말

2 lsquo전라도 경장도흘 일 걷는 말rsquo로도 안갱함

X아랫동강이 종아리 25

times아랫알 아래알 수판의 카름대 아래의 알 17

아랫중방(-中林) 하인방(下引林) 26

아련하다 오련하다 19

X아웃 가웃 lsquo말아웃rsquo은 언청함 17 2()

아유 아이고 19

아지직 오지칙 19 아치작 19

1 한그릇에 두가지 이

상의 음식을 어울리게

당다

~ lsquo홈칙 따위률 식지 않

게 불에 놓거냐 따뭇한 lsquo - ~ 바헤lsquo묻어 두다rsquo 또는- lsquo e

lsquo샤랑올 안동하여 보내

다j의- 돗으로는 인정하

고 lsquo암구다rsquo (교미를 붙

이다)의 뭇으로는 인청

하지 않음

lsquo ~6 gt 26 lsquo

lsquo 26

- - - - 스 25rsquo

19 -26

09

lsquo26

25

국약2생 활「rsquo 90 가을(제 22호)

안개 u] 가랑비

얀갱 안채 안쪽외영 채

주인집(主A-)

안혜 바로전해 쌓즘삼C삼rsquo ~ ~ I rsquo lsquo 얄픔좀쏟 (rsquo 간

X 알박이 ν lsquo f알뼈71 알 밴 생션 얄펠대71 ~ J f -lsquo~T단〈rsquo觸蛋 chitan)

X 알심 -Z ) t ilsquo끼(고앵이( 1 초목의 줄기 가운데의 lsquo gt τ 연한 심

f lsquo - J lsquo 2[ lsquo판폰한 동정섬rsquo 또는

lsquo속에 있는힘rsquo의 뭇a lsquo -lsquo - Ilsquo middot 안 로는 인정함

알약(-藥) J μ환약f갯L藥)

양딴해도1 lsquo rsquo ~ t ~ - τ 아운리쾌도

앙구다 r rsquo l lsquo t ( lsquof쩔lsquo플이다

J rsquo z bull lsquo ι rsquo rsquo

ω Mω Mω

J52lsquo

~r

-rsquo

lsquo rdquo

ldquo

두별갈이

앞뜰

아기

애타다

아비

lsquo lsquo

26

26

09

26

09

1 놀라거나반가올때 내 26

는소리

2 lsquo예rsquo(존대할자리에 대

rdquo lsquo

rsquo

bull lsquo

앞뒤갈이 앞lsquo바당

X애기

애끓다

lsquo애비

F

26 09 26 09 26 26 26-

21

26 (고시) x찍rarr쪽 26 1 마음이 너그렵고 정질 26 lsquo

l 부드렵다

2lt lsquo얼굴의 각 구맹새가

ι-넬젝널찍하다rsquo의 뜻우-낀-rsquo-로도 언갱함

한 살청도차이 나서 동

감이나 다름없음

1 여러 사랍이 밑천올 어

울러서 하는장사 2 어려장수의 영업 rsquo 위 -

뭇으로는언청함

153 lsquo표훈어 lsquo 오옴

답하거나재쳐 묻는말)

의 뭇으로는 인정하지

않음

lsquo오밤중rsquo도 안정함

lsquo - lsquo- rsquo lsquo

times야말장이 1

야발쟁이

한밤중(-中) 약물터(藥-)

분칭(分햄)

양지머리뼈

lsquo 이모작(그毛作)

양현짝(兩便-)

서글서글하다

middot야발단지

rsquo

bull

녁 ι니

1r

t

ι水

」骨

7

便

- -

蘭藥

爛浦lsquoh浦합i

yF

터 νF 빼 루 £1 맏

이 i

바n

--lsquo저ι

골ι 그lsquo

펀 그τ π -lsquolsquo j

lsquo

야 야T1

약1

양lsquo

양 어「lsquo

x

26

25

懶1ι

갑 rsquolsquolsquo

1j렁shy

영-

J샤L C

ldquo

그rdquoRlsquo-lsquo

짧 ι

쐐υ

껴기

lsquo리

x

r 4

--μ

t i

x 어버리j좋다 -

어스러기

x어스러기 lsquo 어스럭송아지

어융 어이구 어환둥퉁 어허둥둥

어〈홉1 - 이 ldquo lsquo 범 ~ lsquo X언냐 어린아아

얼간1 -기ldquo - 얼간망풍l

X얼러망~땅~l - 니 ldquo 을러방망억

얼룩말 얼럭말

22 25

대담하다(大觸-)

ι lsquo lsquo lsquo bull ~ rsquo

25

19 lsquo

19 lsquo

26

25

26 17

26

옷 따위의 솔이 어스러진

큰송아지

표준어 모옴 155-

X옴살 엄살 lsquo한몽같이 친밀한터rsquo의 뭇 17 A로는인정함

옴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gt

왕매미 말매미 lsquo큰 매미rsquo의 뜻으로모두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말매

미rsquo엄

왕벌 호박멸 lsquo큰 벌rsquo 의 뭇으로 lsquo왕별 말 26 말벌 벌rsquo 모두 언청 함 전운용어 26

로는 lsquo호박별rsquo엄

왕새우 대하(大醒) 전문용어로는 lsquo대하rsquo를 인 26

청함

왕파리 쉬파리 lsquo큰파리rsquo의 뭇으로 모두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쉬파

리rsquo를 언정함

왜난목 내공목(內供木) 옷의 안강으로 쓰는 풍질이 26 낮tr -n「며

왜먹(훌-) (채래의 6 모형에 대해) 네 25-lsquo

모난먹

times외발제기 외알채기 1 굽 하나를 질질 끌어서 17rsquo

다디어 걷는 걸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소

2 lsquo한 발만가지고차는제

기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외상관혜(-冠禮) 외자한례(-冠禮〕 2amp X외통목 외킬목 lsquo장기 둘 때에 외통장군이 25-

되는 킬목rsquo의 뭇으로는 인

청함

X왼 온 lsquo왼쪽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1( 요뒤 요의(覆衣) 26 용슷바람 회오리바랍 26

times우그령흑박 우그령쪽박 17 X우물우둘 우틀우플 1 춤거나무서워서 폼을떠 08

τ~ YOJ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13: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표준어 모음 139gt

times누릉지 눌은밥 1 솥바닥에 눌어붙은 눌 25 은밥에 물을부어 긁어

τ효 -3 2 lsquo솥바닥에 눌어붙은 밥rsquo의 돗으로는 안정함

눈꼴시다 눈꼴틀리다 26 눈쌍 눈싸움 눈겨룸 16 times느루 -- lsquo대번에 몰아치지 않고 25 E

길게 늘여서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늦장 늑장 lsquo느직 하게 보러 가는 장rsquo 26 의 뜻으로도 안정함

x-(으)니까니 -(으)니까 25 다각도로(多角度-) 여러모로 26 다릿골독 times대릿골독 09 2s 다슬기 대사리 전문용어로는 lsquo다슬기rsquo를 26

인정함

다홍(-狂) 진흥(륭狂) 26 단결음에(單-) 단숭에(單-) 26 단검에 단결에 26 단연코(斷然-) 단연히(斷然-) 26 답쪽 times담쑥 손으로 탐스럽게 취거나 08

활로 탐L렵 게 안는 모양

times담쑥 당쪽 손으로 탑스럽게 취거나 08 활로 탐스럽게 안는 모양

당달봉사(-奉事) 청맹과니(좁톱-) 26

대강굿(大藍-) 대강놀이(大藍-) 26

대변보다(大便-) 뒤보다 26 lsquo

times대접문(-救) 대접무늬 21 times뱃가지 뱃개비 1 대를 쪼개 잘게 깎은 2s

꽂이

2 lsquo대의 가지rsquo의 뭇으로

는인정함

14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뱃돌(훌-) 성돌 lsquo집채의 낙숫고랑 안쪽에 26 돌려가며 놓은돌rsquo의 풋

으로도 얀정합

x더껑이 더께 1 텀어서 몹시 찌든울 25 건에 앉은때

2 lsquo결쭉한 액체의 거죽 에 엉겨 굳은 꺼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더미씌우다 다미씌우다 (고시) 얀다미씌우다 19 x덧구두 덧신 25 덮개 뚜껑 lsquo이불 처네 등의 총칭rsquo 26

또는 lsquo착한 마음을덮어

서 가리는 탐욕이나 성내

는 마음rsquo의 돗으로도 인

청함

도리갯장부 도리깨채 26 도토리나무 떡갈나무 lsquo도토리 냐우rsquo 는 lsquo상수리 26

나무rsquo의 별칭으로 lsquo떡갈

나무rsquo와 별개엄

돈지캅(-紙面) 지갑(紙便) 16 26 돈표(-票) 환(換) 26 돋보껴안경(-眼鏡) 돋보기 16 26 -돌개바람 구풍(顧風) lsquo회오리 바람rsquo 의 돗으로 26

도 언정항

툴커와 너새 26 rarr돌렴자(-字) 항렬자(行列字) 26 -동강이 동강 16 -동동걸음 표느죠 otilde-거 (i g 26 rarr동자부처(購子 ) 눈부처 26 -동차부처(童子-) 동자보살(童子홈題) 사랍의 두 어깨에 있다는 26

신(神)

-두견새(柱蘭-) 소쩍새 26 두견이(柱騙-) 26

표준어 모음 14D

times두렵단자(-團子) 두럽떡 21 둘러쓰다 뒤집어쓰다 26 둬둬 드헤드레 수봉기(受峰器)를 대고 26

벌비로 몰아넣을 때 벌을

부르는소리

times뒷개 설거지 윷놀이 용어로는 안청함 25 뒷결박(-結續) 뒷짐결박(-結網) 26 프1lsquo1고 E 뒤통수 26 뒷마당 뒤뜰 26 뒷전보다 뒷전놀다 26 듣그렵다 시끄렵다 26

X들망(-網) 후릿그물 21 들쑥날쑥 들쭉날쭉 19 26gt

lsquo 들오리 물오리 lsquo들오리rsquo는 lsquo집오리rsquo에 26 대하여 야생의 오리를

lsquo물오리rsquo는 lsquo청둥오리rsquo를

말함

times들치다 들추다 lsquo물건의 한 쪽 머 리 를 쳐 25 들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하

고 lsquo들치이다rsquo의 준말로

는 인청하지 않음

등헤엄 총장헤엄 26lsquo X딸각발이 딸짝발이 17 땅강아지 times하늘밥도둑 25

X땅꾼 딴꾼 1 포도청에 매이어 포교 2~

의 섬부름으로 도둑잡

는데 거투는사람

2 lsquo뱅을 잡아 파는 사람rsquo 의 뜻으로는인갱하고

lsquo몹시 인색하고 이기척

언 사람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하져 않음-

땅벙어리 땅형이 2amp

142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때까중

X때깨중이

렬기나무

X똑하다

뚱뚱이

탠-

τ최Z

뜨 뜨디

x

-(이)랑

X마련통이

마상

X마술장이(魔術-)

마술쟁이(魔術-)

마짓밥(顧릅-)

x마치

막철다

막걸리다

X만양

말개며

중대가리

중대가리

times좀나무

꼭하다

뚱뚱보

캠질

매련퉁이

마상이

times요술장이(妹術-)

요술챙이(te(術-)

마지(鷹릅)

망치

맞걸다

맞걸리다

늦모내기

마냥

왕개미

25 25 25

정 직 하고 안상(安神)하다 25 26 19

1 더운 날의 모래밭이나 25 온천 또는 뜨거운 물

속에 몽을묻어서 땀을

흘리어 병을 고치는 법

2 lsquo뜸을 뜨는 일rsquo의 뭇

으로는인정함

-하고과와 26 미련퉁이 08 17

16

09 09 26

16 26

lsquo(망치보다 작은 것으로 25 서) 못 박는 연장rsquo의 뭇

으로는인청함

lsquo막걸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26

가진 돈을모두 걸고 단

판하다rsquo 의 뜻으로 lsquo맞결

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돈을

따려고서로돈올결다rsquo의

돗으로 안정함

26 1 만이앙(曉移快) 26

2 (고시 ) x 만양모rarr마 26

냥모

lsquo큰 개미rsquo라는 뭇으로 모 26 두언청함

표준어 모읍 143

전문용어로는 lsquo왕개미rsquo엄

말거미 왕거마 lsquo큰 거미rsquo라는 뭇ξ로 모 26 두안정함

전문용어로는 lsquo왕거미rsquo임

말그L름하다 맑스그레하다 26 x맛대강이 맛 25 망가지다 망그러지다 26

X매커 튀기 lsquo수돼지와 암소 사이에서 25 낳는다는 점 송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매양(每-) 번벤이(養養-) 26 X매풋집(寶酒-) 솔집 21 매해(每-) 매년(每年) 26

x볍옐 맹쌀 lsquo젠 메밀을 약간 말려 쩡 17 어 껍질올 벗긴 쌀rsquo의 돗

으로는 인정함

X야련 매련 17 _X야욕하다 매욱하다 어리석고 둠하다 17 X머드레콩 그루콩 1 그루갈이로 심은 콩lsquo 25

2 lsquo밭가로둘러 성은콩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함

X명구력 구럭 1 새끼로눈올투물게 떠 14 25 서 그물같이 만든물건

2 lsquo썩 성기게 떠서 만든

구럭rsquo의 뭇으로는 인정

벚다 엄추다 26 x베토끼 산토꺼(山-) 22

멧돼지 산돼지(山-) 26 멸구 며루 lsquo멸구rsquo는 멸구과에 속하 26

는 곤충의 얼종이고 lsquo며

루rsquo는 모기의 유충임

x명 목화(木花) lsquo우명 rsquo 의 돗으로는 언갱 함 25

144 국어생 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명자나무(훌體-) 모과나무 lsquo모과나무rsquo 는 명 자나무의 26 별칭임

모군꾼(幕軍-) 모군(幕軍) 16 26gt

모래사장(-沙場) 모래룹 26 X모어려수에 무에리수에 거리로 다니며 첨을 치라 17

고 외치는 소리

times모지다 모질다 lsquo성질 일 물건이나 모 25 양이 모가 난데가있다rsquo

의 돗으로는인정함

X목실(木-) 무명실 25 몰매 뭇매 26 옴서리나다 몸서리치다 26

X몽깃돌 낚섯봉 lsquo밀물과 썰물에 뱃머리를 25 곧게 하기 위하여 고물에

다는 돌rsquo의 뭇으로는 언

정함

무겁한량 times무겁활량 05 17 X우겁활량 우겁한량 051T 우식꾼(無講-) times무식장이(無識-) 26 OP

무식쟁이(無훌훌-) 26 0동 X물앵도(-樓挑) 물앵두 05 물앵두 times물앵도(-樓挑) 05 웅그대다 뭉개다 1 일을 어떻게 할 줄 모 26

르고 짓이기다

2 lsquo제자리에서 폼을 그 냥 비비다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X뭘하다 윗하다 거북하다 난처하다 17 미친놈 미치팡이 26 밀뼈세장 times멀삐죄장 지게의 윗세장 아래에 가 17

로박은나무

X밀뼈쇠창 멀뻐세장 지게의윗세장 아래에 가 1T

로박은나무

표준어L 모융- 145

X법둥스렵다 법살스렵다 Tl 바깥양반(-兩班) 사랑양반(舍願兩班) lsquo -26

바늘뱅셔(rarr方席〉 ldquo 바늘겨레 26 X바랍꾼 lsquo r _바람둥이 25 바심 rsquo 타작(打作) 26

박새 lsquo X깨싸 25 박첨지놀음(朴했知-)x꼭둑각시놀음 (고시) x꼭둑각시rarr꼭두 26

X반대기

X반대기

times반미콩(飯米-)

times발구

발뒤꾸머리

발새

발짓

배뱃니

X배햇쾌기

백곰(白-)

X백하첫(白嚴-)

꼭두각시놀음

소래기

밥밑콩

걸채 -

발뒤꿈치

발살

발질

찾니

배추속대

흰곰

새우첫

각시 rsquo 26

1 앓게 펴 서 다듬어 만 14 25 든조각

2 lsquo무슨 가루률 반죽한

것이나 삶은 푸성귀를

현연하고둥글넓척하게

만든조각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굽 없는 갱시와 같은 넓 25 윤질그릇

21 1 소의 길마 위 에 덧 얹 25 고곡식 단올싣는제구

2 lsquo산에서 쓰는 캘매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합

26

26

lsquo발짓은 lsquo발융 웅칙이는 26

짓rsquo의 돗으로 lsquo발질rsquo응

lsquo발걸질rsquo의 뭇으로 인정

26

25 전문용어로는 lsquo흰곰rsquo만 26

인청함

25

14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밴덕 얀덕 19rsquo

번연히 번히 16

벌5 허튼모 lsquo오판 구역 밖에 볍써가 2amp 떨어져 자라난 모rsquo냐 lsquo일

을 말막음ξ로 했을 째

쓰는 말rsquo의 돗A로도 인

정함

X벙태기 벙테커 17

병태기 times벙태기 17

별간장(別-홉) 손님장(-짧) 작은 그릇에 따로 담그는 26 간장

별맛(別-) 별미(別味) 26

X별미적다(別味-) 별미쩍다(別味-) 17

별마쩍다(別味lsquo) times별미적다(別味-) 17

X보리풀꺾다 보리풀하다 보리 갈 땅에 거름하기 위 25 하여 풀이나 나뭇잎을 베

어 오다

times보사리감투 보살감투(홈塵-) 17

X보챙기 겨리 lsquo보슐을 낀 챙기rsquo의 뭇~ 25 로는 안청함

복부르다(復-) 초혼하다(招塊-) 26

x복생션(-生蘇) 복 14

복어(-魚) - 16 26

X부레끊다 부레끓다 25

부헤꿇다 times부헤끊다 25

X부시다 부수다 lsquo그릇 같은 것을 께꿋이 25 씻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X부얼부얼 북슬북슬 1 짐승이 살이 찌고 탤 25 이 탕스렵게 많이 난

모양

2 lsquo잘찌고 탑스렵게 생 긴모양rsquo의뜻으로는인

정함

표준어 모옴 147

부엌칼 식칼(食-) 26 X부철다말 부철따말 17 부철따말 times부철다말 17

X북두 부뚜 1 타작마당에서 쓰는 돗 25 자리

2 lsquo마소에 짐융 싣고 그 정파 배률 얼러서 매는

줄rsquo의 뭇으로는 인갱함

분결(慣-) 분검(念 慣-) 26 분지르다 부러뜨리다 26 불공드리다(佛供-) 풍양드리다(供養-) 26 불풍밥(佛供-) 퇴식밥(退食-) 26 불룩이 times불룩히 17 불친소 악대소 26 불호령(-號令) 볼호령(-號令) 26

X붙여장다 붙잡다 14 25 비단개구리(排繼-) 무당개구리 전문용어로는lsquo우당개구 26

리rsquo를 안청함

X비사차기 비사치기 25

비사치기 times비사차기 25 X빚거간(-居間) 빚지시 1lsquo 벚올 주고 쓰는 데 에 25

중간에서 소개하는 일

2 lsquo벚올 내고 주는 데에 중간에서 강H하는 것

을 업으로 장는일rsquo의

뭇으로는인청함

빨갱이 times빨강l 1 공산주의자 09 17 2 lsquo빨간빛의 물건rsquo의 뭇 으로는 lsquo빨강이rsquo를 얀

정함

X빼주 배갈 25

X사갓집(훌家-) 사돈집(흉賴-) 25

사거리(四-) 네거리 26

148 국어 생활- rsquo 90 가올 (제 22호)

사마귀 버마재벼 전문용어로는 lsquo사마귀rsquo를 2β

인청함

사향노루(훌香-) 궁노루 26

값전(-鍵) 돈 (고시 ) x 잔정-gt잔돈 26 산울렴(山-) 헤아리 26

X산코골다 헛3i골다 25 살긋하다 썰긋하다 바르게 된 물건이 한쪽2 19

로 일그러지다

X상량대(上陳-) 마룻대 21 25 times상량도리(上標-) 마뭇대 21 25 times상재(上-) 상좌(上뾰) 05 X상청(上-) 상창(上唱) 뛰어난 창(唱) 05 샅바채우다 샅바지르다 26

X새소리 놀소리 25 X새치롬하다 새치름하다 시치미를 떼고 태연하거 17

나 양천한 기색을 꾸며 다-새치름하다 times새치롬하다 시치미를 혜고 태연하거 17

나 양전한 기색을 꾸미다

색깔(色-) 빛깔 26

times셋까닿다 새까땅다 17 X셋빨창다 새빨창다 17 X셋파량다 새파량다 17 times생갈이(生-) 애벌갈아 1 논이나 밭을 첫 번 가 21

는일

2 lsquo홍두깨 깔이 rsquo 의 준말로 는 lsquo생갈이rsquo를 언정함

X생급L렵4 새삼스렵다 lsquo하는 것이나 말이 캅작 2~

스렵고 돗밖이 다rsquo AElig는

lsquo끄챔어내는 말이 엉뚱하

고 터무니없다rsquo의 뭇으로

는 언청함

생김치(生-) 날검치 ~6

쟁옥(-木〕 당목(康木) 2amp

150 국어생활 90 가올〔제 22호)

X솔갱이 솔개 (고시 )~x소리개rarr솔개 2S

times쇠꼬창01 죄꼬쟁이 09

쇠꼬챙이 times죄꼬창이 09-

X쇠버즘 쇠버짐 17 쇠버짐 times쇠버즘 17

쇠족(-足) 쇠다리 26 쇠죽솥 쇠죽가마 26

times수무(手-) 수모(手母) 신부(新橋)의 보초안 OS

times수이 쉬이 20-

X수이보다 쉬이보다 20 times수이여커다 쉬이여기다 20 rsquo

X숭이 송이 08 시골말 사투리 26

times시초잡다(始初-) 시착하다〔始作-) 25--

신바랍 어껏바량 2amp 신첩살렴(新援-) 신접살이(新援-) 2amp 신챈나무 신대 2amp

설로(實-) 참으로 2G

섬보(心-) 마음보 26 섬술퉁이(心術-) X섬술통이(心術-) 08 심섬파척(-破寂) 섬섬풀이 2amp

times성갱싱갱하다 싱둥생둥하다 lsquo방이 서늘하고 차다rsquo의 2S

뜻으로는 인청함

X성퉁생둥하다 성갱생갱하다 lsquo기운이 줄어질 만한 일 2S

을 겪은뒤에도본래의 기

운이 있다rsquo의 뜻으로는 언

청함

싸느황다 X싸느렇다 17

X싸느렇다 싸느량다 17

X싸려운 사렵문 lsquo싹리로 만든 문rsquo의 뭇으 25

로는 인청함

쌀긋하다 생긋하다 19rsquo

쌍망이 times짱맹이 09

표준어 모음 151

X썽맹이 쌍망이 09-

쌍소리 장소리 19

쌍섬지셔다 쌍심지나마 26

쌍심지오르다 26

X써내다 켜내다 lsquo글씨롤 써셔 내놓다rsquo의 ~s

뭇으로는 언청함

X써다 켜다 lsquo조숫풀이 출거 나 펀 물 25 이 새어셔 줄다rsquo의 룻으

로는 안청함

X썩정이 삭청1 1 산 나우에 붙은 채 말 25 라죽윤나뭇가지

2 lsquo썩은 물건rsquo의 돗A로 는인청함

썰다 써리다 1 논밭융 고르게 하다 16 2 middot물건율 로막토막 통 캉치다rsquo의 뭇으로도 안

갱함

쓰레장판 쓰헤받기 유치 캉환요로 만든 쓰레 26 받기

씨돼치 종톤(種際) 26

아래얄 X아랫알 수판의 가릅대 아래의 알 17

아랫녘 앞대 1 어떤 치방에서 그 남 26 쪽의 지방을일컴는말

2 lsquo전라도 경장도흘 일 걷는 말rsquo로도 안갱함

X아랫동강이 종아리 25

times아랫알 아래알 수판의 카름대 아래의 알 17

아랫중방(-中林) 하인방(下引林) 26

아련하다 오련하다 19

X아웃 가웃 lsquo말아웃rsquo은 언청함 17 2()

아유 아이고 19

아지직 오지칙 19 아치작 19

1 한그릇에 두가지 이

상의 음식을 어울리게

당다

~ lsquo홈칙 따위률 식지 않

게 불에 놓거냐 따뭇한 lsquo - ~ 바헤lsquo묻어 두다rsquo 또는- lsquo e

lsquo샤랑올 안동하여 보내

다j의- 돗으로는 인정하

고 lsquo암구다rsquo (교미를 붙

이다)의 뭇으로는 인청

하지 않음

lsquo ~6 gt 26 lsquo

lsquo 26

- - - - 스 25rsquo

19 -26

09

lsquo26

25

국약2생 활「rsquo 90 가을(제 22호)

안개 u] 가랑비

얀갱 안채 안쪽외영 채

주인집(主A-)

안혜 바로전해 쌓즘삼C삼rsquo ~ ~ I rsquo lsquo 얄픔좀쏟 (rsquo 간

X 알박이 ν lsquo f알뼈71 알 밴 생션 얄펠대71 ~ J f -lsquo~T단〈rsquo觸蛋 chitan)

X 알심 -Z ) t ilsquo끼(고앵이( 1 초목의 줄기 가운데의 lsquo gt τ 연한 심

f lsquo - J lsquo 2[ lsquo판폰한 동정섬rsquo 또는

lsquo속에 있는힘rsquo의 뭇a lsquo -lsquo - Ilsquo middot 안 로는 인정함

알약(-藥) J μ환약f갯L藥)

양딴해도1 lsquo rsquo ~ t ~ - τ 아운리쾌도

앙구다 r rsquo l lsquo t ( lsquof쩔lsquo플이다

J rsquo z bull lsquo ι rsquo rsquo

ω Mω Mω

J52lsquo

~r

-rsquo

lsquo rdquo

ldquo

두별갈이

앞뜰

아기

애타다

아비

lsquo lsquo

26

26

09

26

09

1 놀라거나반가올때 내 26

는소리

2 lsquo예rsquo(존대할자리에 대

rdquo lsquo

rsquo

bull lsquo

앞뒤갈이 앞lsquo바당

X애기

애끓다

lsquo애비

F

26 09 26 09 26 26 26-

21

26 (고시) x찍rarr쪽 26 1 마음이 너그렵고 정질 26 lsquo

l 부드렵다

2lt lsquo얼굴의 각 구맹새가

ι-넬젝널찍하다rsquo의 뜻우-낀-rsquo-로도 언갱함

한 살청도차이 나서 동

감이나 다름없음

1 여러 사랍이 밑천올 어

울러서 하는장사 2 어려장수의 영업 rsquo 위 -

뭇으로는언청함

153 lsquo표훈어 lsquo 오옴

답하거나재쳐 묻는말)

의 뭇으로는 인정하지

않음

lsquo오밤중rsquo도 안정함

lsquo - lsquo- rsquo lsquo

times야말장이 1

야발쟁이

한밤중(-中) 약물터(藥-)

분칭(分햄)

양지머리뼈

lsquo 이모작(그毛作)

양현짝(兩便-)

서글서글하다

middot야발단지

rsquo

bull

녁 ι니

1r

t

ι水

」骨

7

便

- -

蘭藥

爛浦lsquoh浦합i

yF

터 νF 빼 루 £1 맏

이 i

바n

--lsquo저ι

골ι 그lsquo

펀 그τ π -lsquolsquo j

lsquo

야 야T1

약1

양lsquo

양 어「lsquo

x

26

25

懶1ι

갑 rsquolsquolsquo

1j렁shy

영-

J샤L C

ldquo

그rdquoRlsquo-lsquo

짧 ι

쐐υ

껴기

lsquo리

x

r 4

--μ

t i

x 어버리j좋다 -

어스러기

x어스러기 lsquo 어스럭송아지

어융 어이구 어환둥퉁 어허둥둥

어〈홉1 - 이 ldquo lsquo 범 ~ lsquo X언냐 어린아아

얼간1 -기ldquo - 얼간망풍l

X얼러망~땅~l - 니 ldquo 을러방망억

얼룩말 얼럭말

22 25

대담하다(大觸-)

ι lsquo lsquo lsquo bull ~ rsquo

25

19 lsquo

19 lsquo

26

25

26 17

26

옷 따위의 솔이 어스러진

큰송아지

표준어 모옴 155-

X옴살 엄살 lsquo한몽같이 친밀한터rsquo의 뭇 17 A로는인정함

옴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gt

왕매미 말매미 lsquo큰 매미rsquo의 뜻으로모두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말매

미rsquo엄

왕벌 호박멸 lsquo큰 벌rsquo 의 뭇으로 lsquo왕별 말 26 말벌 벌rsquo 모두 언청 함 전운용어 26

로는 lsquo호박별rsquo엄

왕새우 대하(大醒) 전문용어로는 lsquo대하rsquo를 인 26

청함

왕파리 쉬파리 lsquo큰파리rsquo의 뭇으로 모두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쉬파

리rsquo를 언정함

왜난목 내공목(內供木) 옷의 안강으로 쓰는 풍질이 26 낮tr -n「며

왜먹(훌-) (채래의 6 모형에 대해) 네 25-lsquo

모난먹

times외발제기 외알채기 1 굽 하나를 질질 끌어서 17rsquo

다디어 걷는 걸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소

2 lsquo한 발만가지고차는제

기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외상관혜(-冠禮) 외자한례(-冠禮〕 2amp X외통목 외킬목 lsquo장기 둘 때에 외통장군이 25-

되는 킬목rsquo의 뭇으로는 인

청함

X왼 온 lsquo왼쪽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1( 요뒤 요의(覆衣) 26 용슷바람 회오리바랍 26

times우그령흑박 우그령쪽박 17 X우물우둘 우틀우플 1 춤거나무서워서 폼을떠 08

τ~ YOJ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14: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14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뱃돌(훌-) 성돌 lsquo집채의 낙숫고랑 안쪽에 26 돌려가며 놓은돌rsquo의 풋

으로도 얀정합

x더껑이 더께 1 텀어서 몹시 찌든울 25 건에 앉은때

2 lsquo결쭉한 액체의 거죽 에 엉겨 굳은 꺼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더미씌우다 다미씌우다 (고시) 얀다미씌우다 19 x덧구두 덧신 25 덮개 뚜껑 lsquo이불 처네 등의 총칭rsquo 26

또는 lsquo착한 마음을덮어

서 가리는 탐욕이나 성내

는 마음rsquo의 돗으로도 인

청함

도리갯장부 도리깨채 26 도토리나무 떡갈나무 lsquo도토리 냐우rsquo 는 lsquo상수리 26

나무rsquo의 별칭으로 lsquo떡갈

나무rsquo와 별개엄

돈지캅(-紙面) 지갑(紙便) 16 26 돈표(-票) 환(換) 26 돋보껴안경(-眼鏡) 돋보기 16 26 -돌개바람 구풍(顧風) lsquo회오리 바람rsquo 의 돗으로 26

도 언정항

툴커와 너새 26 rarr돌렴자(-字) 항렬자(行列字) 26 -동강이 동강 16 -동동걸음 표느죠 otilde-거 (i g 26 rarr동자부처(購子 ) 눈부처 26 -동차부처(童子-) 동자보살(童子홈題) 사랍의 두 어깨에 있다는 26

신(神)

-두견새(柱蘭-) 소쩍새 26 두견이(柱騙-) 26

표준어 모음 14D

times두렵단자(-團子) 두럽떡 21 둘러쓰다 뒤집어쓰다 26 둬둬 드헤드레 수봉기(受峰器)를 대고 26

벌비로 몰아넣을 때 벌을

부르는소리

times뒷개 설거지 윷놀이 용어로는 안청함 25 뒷결박(-結續) 뒷짐결박(-結網) 26 프1lsquo1고 E 뒤통수 26 뒷마당 뒤뜰 26 뒷전보다 뒷전놀다 26 듣그렵다 시끄렵다 26

X들망(-網) 후릿그물 21 들쑥날쑥 들쭉날쭉 19 26gt

lsquo 들오리 물오리 lsquo들오리rsquo는 lsquo집오리rsquo에 26 대하여 야생의 오리를

lsquo물오리rsquo는 lsquo청둥오리rsquo를

말함

times들치다 들추다 lsquo물건의 한 쪽 머 리 를 쳐 25 들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하

고 lsquo들치이다rsquo의 준말로

는 인청하지 않음

등헤엄 총장헤엄 26lsquo X딸각발이 딸짝발이 17 땅강아지 times하늘밥도둑 25

X땅꾼 딴꾼 1 포도청에 매이어 포교 2~

의 섬부름으로 도둑잡

는데 거투는사람

2 lsquo뱅을 잡아 파는 사람rsquo 의 뜻으로는인갱하고

lsquo몹시 인색하고 이기척

언 사람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하져 않음-

땅벙어리 땅형이 2amp

142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때까중

X때깨중이

렬기나무

X똑하다

뚱뚱이

탠-

τ최Z

뜨 뜨디

x

-(이)랑

X마련통이

마상

X마술장이(魔術-)

마술쟁이(魔術-)

마짓밥(顧릅-)

x마치

막철다

막걸리다

X만양

말개며

중대가리

중대가리

times좀나무

꼭하다

뚱뚱보

캠질

매련퉁이

마상이

times요술장이(妹術-)

요술챙이(te(術-)

마지(鷹릅)

망치

맞걸다

맞걸리다

늦모내기

마냥

왕개미

25 25 25

정 직 하고 안상(安神)하다 25 26 19

1 더운 날의 모래밭이나 25 온천 또는 뜨거운 물

속에 몽을묻어서 땀을

흘리어 병을 고치는 법

2 lsquo뜸을 뜨는 일rsquo의 뭇

으로는인정함

-하고과와 26 미련퉁이 08 17

16

09 09 26

16 26

lsquo(망치보다 작은 것으로 25 서) 못 박는 연장rsquo의 뭇

으로는인청함

lsquo막걸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26

가진 돈을모두 걸고 단

판하다rsquo 의 뜻으로 lsquo맞결

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돈을

따려고서로돈올결다rsquo의

돗으로 안정함

26 1 만이앙(曉移快) 26

2 (고시 ) x 만양모rarr마 26

냥모

lsquo큰 개미rsquo라는 뭇으로 모 26 두언청함

표준어 모읍 143

전문용어로는 lsquo왕개미rsquo엄

말거미 왕거마 lsquo큰 거미rsquo라는 뭇ξ로 모 26 두안정함

전문용어로는 lsquo왕거미rsquo임

말그L름하다 맑스그레하다 26 x맛대강이 맛 25 망가지다 망그러지다 26

X매커 튀기 lsquo수돼지와 암소 사이에서 25 낳는다는 점 송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매양(每-) 번벤이(養養-) 26 X매풋집(寶酒-) 솔집 21 매해(每-) 매년(每年) 26

x볍옐 맹쌀 lsquo젠 메밀을 약간 말려 쩡 17 어 껍질올 벗긴 쌀rsquo의 돗

으로는 인정함

X야련 매련 17 _X야욕하다 매욱하다 어리석고 둠하다 17 X머드레콩 그루콩 1 그루갈이로 심은 콩lsquo 25

2 lsquo밭가로둘러 성은콩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함

X명구력 구럭 1 새끼로눈올투물게 떠 14 25 서 그물같이 만든물건

2 lsquo썩 성기게 떠서 만든

구럭rsquo의 뭇으로는 인정

벚다 엄추다 26 x베토끼 산토꺼(山-) 22

멧돼지 산돼지(山-) 26 멸구 며루 lsquo멸구rsquo는 멸구과에 속하 26

는 곤충의 얼종이고 lsquo며

루rsquo는 모기의 유충임

x명 목화(木花) lsquo우명 rsquo 의 돗으로는 언갱 함 25

144 국어생 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명자나무(훌體-) 모과나무 lsquo모과나무rsquo 는 명 자나무의 26 별칭임

모군꾼(幕軍-) 모군(幕軍) 16 26gt

모래사장(-沙場) 모래룹 26 X모어려수에 무에리수에 거리로 다니며 첨을 치라 17

고 외치는 소리

times모지다 모질다 lsquo성질 일 물건이나 모 25 양이 모가 난데가있다rsquo

의 돗으로는인정함

X목실(木-) 무명실 25 몰매 뭇매 26 옴서리나다 몸서리치다 26

X몽깃돌 낚섯봉 lsquo밀물과 썰물에 뱃머리를 25 곧게 하기 위하여 고물에

다는 돌rsquo의 뭇으로는 언

정함

무겁한량 times무겁활량 05 17 X우겁활량 우겁한량 051T 우식꾼(無講-) times무식장이(無識-) 26 OP

무식쟁이(無훌훌-) 26 0동 X물앵도(-樓挑) 물앵두 05 물앵두 times물앵도(-樓挑) 05 웅그대다 뭉개다 1 일을 어떻게 할 줄 모 26

르고 짓이기다

2 lsquo제자리에서 폼을 그 냥 비비다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X뭘하다 윗하다 거북하다 난처하다 17 미친놈 미치팡이 26 밀뼈세장 times멀삐죄장 지게의 윗세장 아래에 가 17

로박은나무

X밀뼈쇠창 멀뻐세장 지게의윗세장 아래에 가 1T

로박은나무

표준어L 모융- 145

X법둥스렵다 법살스렵다 Tl 바깥양반(-兩班) 사랑양반(舍願兩班) lsquo -26

바늘뱅셔(rarr方席〉 ldquo 바늘겨레 26 X바랍꾼 lsquo r _바람둥이 25 바심 rsquo 타작(打作) 26

박새 lsquo X깨싸 25 박첨지놀음(朴했知-)x꼭둑각시놀음 (고시) x꼭둑각시rarr꼭두 26

X반대기

X반대기

times반미콩(飯米-)

times발구

발뒤꾸머리

발새

발짓

배뱃니

X배햇쾌기

백곰(白-)

X백하첫(白嚴-)

꼭두각시놀음

소래기

밥밑콩

걸채 -

발뒤꿈치

발살

발질

찾니

배추속대

흰곰

새우첫

각시 rsquo 26

1 앓게 펴 서 다듬어 만 14 25 든조각

2 lsquo무슨 가루률 반죽한

것이나 삶은 푸성귀를

현연하고둥글넓척하게

만든조각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굽 없는 갱시와 같은 넓 25 윤질그릇

21 1 소의 길마 위 에 덧 얹 25 고곡식 단올싣는제구

2 lsquo산에서 쓰는 캘매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합

26

26

lsquo발짓은 lsquo발융 웅칙이는 26

짓rsquo의 돗으로 lsquo발질rsquo응

lsquo발걸질rsquo의 뭇으로 인정

26

25 전문용어로는 lsquo흰곰rsquo만 26

인청함

25

14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밴덕 얀덕 19rsquo

번연히 번히 16

벌5 허튼모 lsquo오판 구역 밖에 볍써가 2amp 떨어져 자라난 모rsquo냐 lsquo일

을 말막음ξ로 했을 째

쓰는 말rsquo의 돗A로도 인

정함

X벙태기 벙테커 17

병태기 times벙태기 17

별간장(別-홉) 손님장(-짧) 작은 그릇에 따로 담그는 26 간장

별맛(別-) 별미(別味) 26

X별미적다(別味-) 별미쩍다(別味-) 17

별마쩍다(別味lsquo) times별미적다(別味-) 17

X보리풀꺾다 보리풀하다 보리 갈 땅에 거름하기 위 25 하여 풀이나 나뭇잎을 베

어 오다

times보사리감투 보살감투(홈塵-) 17

X보챙기 겨리 lsquo보슐을 낀 챙기rsquo의 뭇~ 25 로는 안청함

복부르다(復-) 초혼하다(招塊-) 26

x복생션(-生蘇) 복 14

복어(-魚) - 16 26

X부레끊다 부레끓다 25

부헤꿇다 times부헤끊다 25

X부시다 부수다 lsquo그릇 같은 것을 께꿋이 25 씻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X부얼부얼 북슬북슬 1 짐승이 살이 찌고 탤 25 이 탕스렵게 많이 난

모양

2 lsquo잘찌고 탑스렵게 생 긴모양rsquo의뜻으로는인

정함

표준어 모옴 147

부엌칼 식칼(食-) 26 X부철다말 부철따말 17 부철따말 times부철다말 17

X북두 부뚜 1 타작마당에서 쓰는 돗 25 자리

2 lsquo마소에 짐융 싣고 그 정파 배률 얼러서 매는

줄rsquo의 뭇으로는 인갱함

분결(慣-) 분검(念 慣-) 26 분지르다 부러뜨리다 26 불공드리다(佛供-) 풍양드리다(供養-) 26 불풍밥(佛供-) 퇴식밥(退食-) 26 불룩이 times불룩히 17 불친소 악대소 26 불호령(-號令) 볼호령(-號令) 26

X붙여장다 붙잡다 14 25 비단개구리(排繼-) 무당개구리 전문용어로는lsquo우당개구 26

리rsquo를 안청함

X비사차기 비사치기 25

비사치기 times비사차기 25 X빚거간(-居間) 빚지시 1lsquo 벚올 주고 쓰는 데 에 25

중간에서 소개하는 일

2 lsquo벚올 내고 주는 데에 중간에서 강H하는 것

을 업으로 장는일rsquo의

뭇으로는인청함

빨갱이 times빨강l 1 공산주의자 09 17 2 lsquo빨간빛의 물건rsquo의 뭇 으로는 lsquo빨강이rsquo를 얀

정함

X빼주 배갈 25

X사갓집(훌家-) 사돈집(흉賴-) 25

사거리(四-) 네거리 26

148 국어 생활- rsquo 90 가올 (제 22호)

사마귀 버마재벼 전문용어로는 lsquo사마귀rsquo를 2β

인청함

사향노루(훌香-) 궁노루 26

값전(-鍵) 돈 (고시 ) x 잔정-gt잔돈 26 산울렴(山-) 헤아리 26

X산코골다 헛3i골다 25 살긋하다 썰긋하다 바르게 된 물건이 한쪽2 19

로 일그러지다

X상량대(上陳-) 마룻대 21 25 times상량도리(上標-) 마뭇대 21 25 times상재(上-) 상좌(上뾰) 05 X상청(上-) 상창(上唱) 뛰어난 창(唱) 05 샅바채우다 샅바지르다 26

X새소리 놀소리 25 X새치롬하다 새치름하다 시치미를 떼고 태연하거 17

나 양천한 기색을 꾸며 다-새치름하다 times새치롬하다 시치미를 혜고 태연하거 17

나 양전한 기색을 꾸미다

색깔(色-) 빛깔 26

times셋까닿다 새까땅다 17 X셋빨창다 새빨창다 17 X셋파량다 새파량다 17 times생갈이(生-) 애벌갈아 1 논이나 밭을 첫 번 가 21

는일

2 lsquo홍두깨 깔이 rsquo 의 준말로 는 lsquo생갈이rsquo를 언정함

X생급L렵4 새삼스렵다 lsquo하는 것이나 말이 캅작 2~

스렵고 돗밖이 다rsquo AElig는

lsquo끄챔어내는 말이 엉뚱하

고 터무니없다rsquo의 뭇으로

는 언청함

생김치(生-) 날검치 ~6

쟁옥(-木〕 당목(康木) 2amp

150 국어생활 90 가올〔제 22호)

X솔갱이 솔개 (고시 )~x소리개rarr솔개 2S

times쇠꼬창01 죄꼬쟁이 09

쇠꼬챙이 times죄꼬창이 09-

X쇠버즘 쇠버짐 17 쇠버짐 times쇠버즘 17

쇠족(-足) 쇠다리 26 쇠죽솥 쇠죽가마 26

times수무(手-) 수모(手母) 신부(新橋)의 보초안 OS

times수이 쉬이 20-

X수이보다 쉬이보다 20 times수이여커다 쉬이여기다 20 rsquo

X숭이 송이 08 시골말 사투리 26

times시초잡다(始初-) 시착하다〔始作-) 25--

신바랍 어껏바량 2amp 신첩살렴(新援-) 신접살이(新援-) 2amp 신챈나무 신대 2amp

설로(實-) 참으로 2G

섬보(心-) 마음보 26 섬술퉁이(心術-) X섬술통이(心術-) 08 심섬파척(-破寂) 섬섬풀이 2amp

times성갱싱갱하다 싱둥생둥하다 lsquo방이 서늘하고 차다rsquo의 2S

뜻으로는 인청함

X성퉁생둥하다 성갱생갱하다 lsquo기운이 줄어질 만한 일 2S

을 겪은뒤에도본래의 기

운이 있다rsquo의 뜻으로는 언

청함

싸느황다 X싸느렇다 17

X싸느렇다 싸느량다 17

X싸려운 사렵문 lsquo싹리로 만든 문rsquo의 뭇으 25

로는 인청함

쌀긋하다 생긋하다 19rsquo

쌍망이 times짱맹이 09

표준어 모음 151

X썽맹이 쌍망이 09-

쌍소리 장소리 19

쌍섬지셔다 쌍심지나마 26

쌍심지오르다 26

X써내다 켜내다 lsquo글씨롤 써셔 내놓다rsquo의 ~s

뭇으로는 언청함

X써다 켜다 lsquo조숫풀이 출거 나 펀 물 25 이 새어셔 줄다rsquo의 룻으

로는 안청함

X썩정이 삭청1 1 산 나우에 붙은 채 말 25 라죽윤나뭇가지

2 lsquo썩은 물건rsquo의 돗A로 는인청함

썰다 써리다 1 논밭융 고르게 하다 16 2 middot물건율 로막토막 통 캉치다rsquo의 뭇으로도 안

갱함

쓰레장판 쓰헤받기 유치 캉환요로 만든 쓰레 26 받기

씨돼치 종톤(種際) 26

아래얄 X아랫알 수판의 가릅대 아래의 알 17

아랫녘 앞대 1 어떤 치방에서 그 남 26 쪽의 지방을일컴는말

2 lsquo전라도 경장도흘 일 걷는 말rsquo로도 안갱함

X아랫동강이 종아리 25

times아랫알 아래알 수판의 카름대 아래의 알 17

아랫중방(-中林) 하인방(下引林) 26

아련하다 오련하다 19

X아웃 가웃 lsquo말아웃rsquo은 언청함 17 2()

아유 아이고 19

아지직 오지칙 19 아치작 19

1 한그릇에 두가지 이

상의 음식을 어울리게

당다

~ lsquo홈칙 따위률 식지 않

게 불에 놓거냐 따뭇한 lsquo - ~ 바헤lsquo묻어 두다rsquo 또는- lsquo e

lsquo샤랑올 안동하여 보내

다j의- 돗으로는 인정하

고 lsquo암구다rsquo (교미를 붙

이다)의 뭇으로는 인청

하지 않음

lsquo ~6 gt 26 lsquo

lsquo 26

- - - - 스 25rsquo

19 -26

09

lsquo26

25

국약2생 활「rsquo 90 가을(제 22호)

안개 u] 가랑비

얀갱 안채 안쪽외영 채

주인집(主A-)

안혜 바로전해 쌓즘삼C삼rsquo ~ ~ I rsquo lsquo 얄픔좀쏟 (rsquo 간

X 알박이 ν lsquo f알뼈71 알 밴 생션 얄펠대71 ~ J f -lsquo~T단〈rsquo觸蛋 chitan)

X 알심 -Z ) t ilsquo끼(고앵이( 1 초목의 줄기 가운데의 lsquo gt τ 연한 심

f lsquo - J lsquo 2[ lsquo판폰한 동정섬rsquo 또는

lsquo속에 있는힘rsquo의 뭇a lsquo -lsquo - Ilsquo middot 안 로는 인정함

알약(-藥) J μ환약f갯L藥)

양딴해도1 lsquo rsquo ~ t ~ - τ 아운리쾌도

앙구다 r rsquo l lsquo t ( lsquof쩔lsquo플이다

J rsquo z bull lsquo ι rsquo rsquo

ω Mω Mω

J52lsquo

~r

-rsquo

lsquo rdquo

ldquo

두별갈이

앞뜰

아기

애타다

아비

lsquo lsquo

26

26

09

26

09

1 놀라거나반가올때 내 26

는소리

2 lsquo예rsquo(존대할자리에 대

rdquo lsquo

rsquo

bull lsquo

앞뒤갈이 앞lsquo바당

X애기

애끓다

lsquo애비

F

26 09 26 09 26 26 26-

21

26 (고시) x찍rarr쪽 26 1 마음이 너그렵고 정질 26 lsquo

l 부드렵다

2lt lsquo얼굴의 각 구맹새가

ι-넬젝널찍하다rsquo의 뜻우-낀-rsquo-로도 언갱함

한 살청도차이 나서 동

감이나 다름없음

1 여러 사랍이 밑천올 어

울러서 하는장사 2 어려장수의 영업 rsquo 위 -

뭇으로는언청함

153 lsquo표훈어 lsquo 오옴

답하거나재쳐 묻는말)

의 뭇으로는 인정하지

않음

lsquo오밤중rsquo도 안정함

lsquo - lsquo- rsquo lsquo

times야말장이 1

야발쟁이

한밤중(-中) 약물터(藥-)

분칭(分햄)

양지머리뼈

lsquo 이모작(그毛作)

양현짝(兩便-)

서글서글하다

middot야발단지

rsquo

bull

녁 ι니

1r

t

ι水

」骨

7

便

- -

蘭藥

爛浦lsquoh浦합i

yF

터 νF 빼 루 £1 맏

이 i

바n

--lsquo저ι

골ι 그lsquo

펀 그τ π -lsquolsquo j

lsquo

야 야T1

약1

양lsquo

양 어「lsquo

x

26

25

懶1ι

갑 rsquolsquolsquo

1j렁shy

영-

J샤L C

ldquo

그rdquoRlsquo-lsquo

짧 ι

쐐υ

껴기

lsquo리

x

r 4

--μ

t i

x 어버리j좋다 -

어스러기

x어스러기 lsquo 어스럭송아지

어융 어이구 어환둥퉁 어허둥둥

어〈홉1 - 이 ldquo lsquo 범 ~ lsquo X언냐 어린아아

얼간1 -기ldquo - 얼간망풍l

X얼러망~땅~l - 니 ldquo 을러방망억

얼룩말 얼럭말

22 25

대담하다(大觸-)

ι lsquo lsquo lsquo bull ~ rsquo

25

19 lsquo

19 lsquo

26

25

26 17

26

옷 따위의 솔이 어스러진

큰송아지

표준어 모옴 155-

X옴살 엄살 lsquo한몽같이 친밀한터rsquo의 뭇 17 A로는인정함

옴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gt

왕매미 말매미 lsquo큰 매미rsquo의 뜻으로모두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말매

미rsquo엄

왕벌 호박멸 lsquo큰 벌rsquo 의 뭇으로 lsquo왕별 말 26 말벌 벌rsquo 모두 언청 함 전운용어 26

로는 lsquo호박별rsquo엄

왕새우 대하(大醒) 전문용어로는 lsquo대하rsquo를 인 26

청함

왕파리 쉬파리 lsquo큰파리rsquo의 뭇으로 모두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쉬파

리rsquo를 언정함

왜난목 내공목(內供木) 옷의 안강으로 쓰는 풍질이 26 낮tr -n「며

왜먹(훌-) (채래의 6 모형에 대해) 네 25-lsquo

모난먹

times외발제기 외알채기 1 굽 하나를 질질 끌어서 17rsquo

다디어 걷는 걸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소

2 lsquo한 발만가지고차는제

기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외상관혜(-冠禮) 외자한례(-冠禮〕 2amp X외통목 외킬목 lsquo장기 둘 때에 외통장군이 25-

되는 킬목rsquo의 뭇으로는 인

청함

X왼 온 lsquo왼쪽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1( 요뒤 요의(覆衣) 26 용슷바람 회오리바랍 26

times우그령흑박 우그령쪽박 17 X우물우둘 우틀우플 1 춤거나무서워서 폼을떠 08

τ~ YOJ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15: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표준어 모음 14D

times두렵단자(-團子) 두럽떡 21 둘러쓰다 뒤집어쓰다 26 둬둬 드헤드레 수봉기(受峰器)를 대고 26

벌비로 몰아넣을 때 벌을

부르는소리

times뒷개 설거지 윷놀이 용어로는 안청함 25 뒷결박(-結續) 뒷짐결박(-結網) 26 프1lsquo1고 E 뒤통수 26 뒷마당 뒤뜰 26 뒷전보다 뒷전놀다 26 듣그렵다 시끄렵다 26

X들망(-網) 후릿그물 21 들쑥날쑥 들쭉날쭉 19 26gt

lsquo 들오리 물오리 lsquo들오리rsquo는 lsquo집오리rsquo에 26 대하여 야생의 오리를

lsquo물오리rsquo는 lsquo청둥오리rsquo를

말함

times들치다 들추다 lsquo물건의 한 쪽 머 리 를 쳐 25 들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하

고 lsquo들치이다rsquo의 준말로

는 인청하지 않음

등헤엄 총장헤엄 26lsquo X딸각발이 딸짝발이 17 땅강아지 times하늘밥도둑 25

X땅꾼 딴꾼 1 포도청에 매이어 포교 2~

의 섬부름으로 도둑잡

는데 거투는사람

2 lsquo뱅을 잡아 파는 사람rsquo 의 뜻으로는인갱하고

lsquo몹시 인색하고 이기척

언 사람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하져 않음-

땅벙어리 땅형이 2amp

142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때까중

X때깨중이

렬기나무

X똑하다

뚱뚱이

탠-

τ최Z

뜨 뜨디

x

-(이)랑

X마련통이

마상

X마술장이(魔術-)

마술쟁이(魔術-)

마짓밥(顧릅-)

x마치

막철다

막걸리다

X만양

말개며

중대가리

중대가리

times좀나무

꼭하다

뚱뚱보

캠질

매련퉁이

마상이

times요술장이(妹術-)

요술챙이(te(術-)

마지(鷹릅)

망치

맞걸다

맞걸리다

늦모내기

마냥

왕개미

25 25 25

정 직 하고 안상(安神)하다 25 26 19

1 더운 날의 모래밭이나 25 온천 또는 뜨거운 물

속에 몽을묻어서 땀을

흘리어 병을 고치는 법

2 lsquo뜸을 뜨는 일rsquo의 뭇

으로는인정함

-하고과와 26 미련퉁이 08 17

16

09 09 26

16 26

lsquo(망치보다 작은 것으로 25 서) 못 박는 연장rsquo의 뭇

으로는인청함

lsquo막걸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26

가진 돈을모두 걸고 단

판하다rsquo 의 뜻으로 lsquo맞결

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돈을

따려고서로돈올결다rsquo의

돗으로 안정함

26 1 만이앙(曉移快) 26

2 (고시 ) x 만양모rarr마 26

냥모

lsquo큰 개미rsquo라는 뭇으로 모 26 두언청함

표준어 모읍 143

전문용어로는 lsquo왕개미rsquo엄

말거미 왕거마 lsquo큰 거미rsquo라는 뭇ξ로 모 26 두안정함

전문용어로는 lsquo왕거미rsquo임

말그L름하다 맑스그레하다 26 x맛대강이 맛 25 망가지다 망그러지다 26

X매커 튀기 lsquo수돼지와 암소 사이에서 25 낳는다는 점 송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매양(每-) 번벤이(養養-) 26 X매풋집(寶酒-) 솔집 21 매해(每-) 매년(每年) 26

x볍옐 맹쌀 lsquo젠 메밀을 약간 말려 쩡 17 어 껍질올 벗긴 쌀rsquo의 돗

으로는 인정함

X야련 매련 17 _X야욕하다 매욱하다 어리석고 둠하다 17 X머드레콩 그루콩 1 그루갈이로 심은 콩lsquo 25

2 lsquo밭가로둘러 성은콩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함

X명구력 구럭 1 새끼로눈올투물게 떠 14 25 서 그물같이 만든물건

2 lsquo썩 성기게 떠서 만든

구럭rsquo의 뭇으로는 인정

벚다 엄추다 26 x베토끼 산토꺼(山-) 22

멧돼지 산돼지(山-) 26 멸구 며루 lsquo멸구rsquo는 멸구과에 속하 26

는 곤충의 얼종이고 lsquo며

루rsquo는 모기의 유충임

x명 목화(木花) lsquo우명 rsquo 의 돗으로는 언갱 함 25

144 국어생 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명자나무(훌體-) 모과나무 lsquo모과나무rsquo 는 명 자나무의 26 별칭임

모군꾼(幕軍-) 모군(幕軍) 16 26gt

모래사장(-沙場) 모래룹 26 X모어려수에 무에리수에 거리로 다니며 첨을 치라 17

고 외치는 소리

times모지다 모질다 lsquo성질 일 물건이나 모 25 양이 모가 난데가있다rsquo

의 돗으로는인정함

X목실(木-) 무명실 25 몰매 뭇매 26 옴서리나다 몸서리치다 26

X몽깃돌 낚섯봉 lsquo밀물과 썰물에 뱃머리를 25 곧게 하기 위하여 고물에

다는 돌rsquo의 뭇으로는 언

정함

무겁한량 times무겁활량 05 17 X우겁활량 우겁한량 051T 우식꾼(無講-) times무식장이(無識-) 26 OP

무식쟁이(無훌훌-) 26 0동 X물앵도(-樓挑) 물앵두 05 물앵두 times물앵도(-樓挑) 05 웅그대다 뭉개다 1 일을 어떻게 할 줄 모 26

르고 짓이기다

2 lsquo제자리에서 폼을 그 냥 비비다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X뭘하다 윗하다 거북하다 난처하다 17 미친놈 미치팡이 26 밀뼈세장 times멀삐죄장 지게의 윗세장 아래에 가 17

로박은나무

X밀뼈쇠창 멀뻐세장 지게의윗세장 아래에 가 1T

로박은나무

표준어L 모융- 145

X법둥스렵다 법살스렵다 Tl 바깥양반(-兩班) 사랑양반(舍願兩班) lsquo -26

바늘뱅셔(rarr方席〉 ldquo 바늘겨레 26 X바랍꾼 lsquo r _바람둥이 25 바심 rsquo 타작(打作) 26

박새 lsquo X깨싸 25 박첨지놀음(朴했知-)x꼭둑각시놀음 (고시) x꼭둑각시rarr꼭두 26

X반대기

X반대기

times반미콩(飯米-)

times발구

발뒤꾸머리

발새

발짓

배뱃니

X배햇쾌기

백곰(白-)

X백하첫(白嚴-)

꼭두각시놀음

소래기

밥밑콩

걸채 -

발뒤꿈치

발살

발질

찾니

배추속대

흰곰

새우첫

각시 rsquo 26

1 앓게 펴 서 다듬어 만 14 25 든조각

2 lsquo무슨 가루률 반죽한

것이나 삶은 푸성귀를

현연하고둥글넓척하게

만든조각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굽 없는 갱시와 같은 넓 25 윤질그릇

21 1 소의 길마 위 에 덧 얹 25 고곡식 단올싣는제구

2 lsquo산에서 쓰는 캘매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합

26

26

lsquo발짓은 lsquo발융 웅칙이는 26

짓rsquo의 돗으로 lsquo발질rsquo응

lsquo발걸질rsquo의 뭇으로 인정

26

25 전문용어로는 lsquo흰곰rsquo만 26

인청함

25

14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밴덕 얀덕 19rsquo

번연히 번히 16

벌5 허튼모 lsquo오판 구역 밖에 볍써가 2amp 떨어져 자라난 모rsquo냐 lsquo일

을 말막음ξ로 했을 째

쓰는 말rsquo의 돗A로도 인

정함

X벙태기 벙테커 17

병태기 times벙태기 17

별간장(別-홉) 손님장(-짧) 작은 그릇에 따로 담그는 26 간장

별맛(別-) 별미(別味) 26

X별미적다(別味-) 별미쩍다(別味-) 17

별마쩍다(別味lsquo) times별미적다(別味-) 17

X보리풀꺾다 보리풀하다 보리 갈 땅에 거름하기 위 25 하여 풀이나 나뭇잎을 베

어 오다

times보사리감투 보살감투(홈塵-) 17

X보챙기 겨리 lsquo보슐을 낀 챙기rsquo의 뭇~ 25 로는 안청함

복부르다(復-) 초혼하다(招塊-) 26

x복생션(-生蘇) 복 14

복어(-魚) - 16 26

X부레끊다 부레끓다 25

부헤꿇다 times부헤끊다 25

X부시다 부수다 lsquo그릇 같은 것을 께꿋이 25 씻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X부얼부얼 북슬북슬 1 짐승이 살이 찌고 탤 25 이 탕스렵게 많이 난

모양

2 lsquo잘찌고 탑스렵게 생 긴모양rsquo의뜻으로는인

정함

표준어 모옴 147

부엌칼 식칼(食-) 26 X부철다말 부철따말 17 부철따말 times부철다말 17

X북두 부뚜 1 타작마당에서 쓰는 돗 25 자리

2 lsquo마소에 짐융 싣고 그 정파 배률 얼러서 매는

줄rsquo의 뭇으로는 인갱함

분결(慣-) 분검(念 慣-) 26 분지르다 부러뜨리다 26 불공드리다(佛供-) 풍양드리다(供養-) 26 불풍밥(佛供-) 퇴식밥(退食-) 26 불룩이 times불룩히 17 불친소 악대소 26 불호령(-號令) 볼호령(-號令) 26

X붙여장다 붙잡다 14 25 비단개구리(排繼-) 무당개구리 전문용어로는lsquo우당개구 26

리rsquo를 안청함

X비사차기 비사치기 25

비사치기 times비사차기 25 X빚거간(-居間) 빚지시 1lsquo 벚올 주고 쓰는 데 에 25

중간에서 소개하는 일

2 lsquo벚올 내고 주는 데에 중간에서 강H하는 것

을 업으로 장는일rsquo의

뭇으로는인청함

빨갱이 times빨강l 1 공산주의자 09 17 2 lsquo빨간빛의 물건rsquo의 뭇 으로는 lsquo빨강이rsquo를 얀

정함

X빼주 배갈 25

X사갓집(훌家-) 사돈집(흉賴-) 25

사거리(四-) 네거리 26

148 국어 생활- rsquo 90 가올 (제 22호)

사마귀 버마재벼 전문용어로는 lsquo사마귀rsquo를 2β

인청함

사향노루(훌香-) 궁노루 26

값전(-鍵) 돈 (고시 ) x 잔정-gt잔돈 26 산울렴(山-) 헤아리 26

X산코골다 헛3i골다 25 살긋하다 썰긋하다 바르게 된 물건이 한쪽2 19

로 일그러지다

X상량대(上陳-) 마룻대 21 25 times상량도리(上標-) 마뭇대 21 25 times상재(上-) 상좌(上뾰) 05 X상청(上-) 상창(上唱) 뛰어난 창(唱) 05 샅바채우다 샅바지르다 26

X새소리 놀소리 25 X새치롬하다 새치름하다 시치미를 떼고 태연하거 17

나 양천한 기색을 꾸며 다-새치름하다 times새치롬하다 시치미를 혜고 태연하거 17

나 양전한 기색을 꾸미다

색깔(色-) 빛깔 26

times셋까닿다 새까땅다 17 X셋빨창다 새빨창다 17 X셋파량다 새파량다 17 times생갈이(生-) 애벌갈아 1 논이나 밭을 첫 번 가 21

는일

2 lsquo홍두깨 깔이 rsquo 의 준말로 는 lsquo생갈이rsquo를 언정함

X생급L렵4 새삼스렵다 lsquo하는 것이나 말이 캅작 2~

스렵고 돗밖이 다rsquo AElig는

lsquo끄챔어내는 말이 엉뚱하

고 터무니없다rsquo의 뭇으로

는 언청함

생김치(生-) 날검치 ~6

쟁옥(-木〕 당목(康木) 2amp

150 국어생활 90 가올〔제 22호)

X솔갱이 솔개 (고시 )~x소리개rarr솔개 2S

times쇠꼬창01 죄꼬쟁이 09

쇠꼬챙이 times죄꼬창이 09-

X쇠버즘 쇠버짐 17 쇠버짐 times쇠버즘 17

쇠족(-足) 쇠다리 26 쇠죽솥 쇠죽가마 26

times수무(手-) 수모(手母) 신부(新橋)의 보초안 OS

times수이 쉬이 20-

X수이보다 쉬이보다 20 times수이여커다 쉬이여기다 20 rsquo

X숭이 송이 08 시골말 사투리 26

times시초잡다(始初-) 시착하다〔始作-) 25--

신바랍 어껏바량 2amp 신첩살렴(新援-) 신접살이(新援-) 2amp 신챈나무 신대 2amp

설로(實-) 참으로 2G

섬보(心-) 마음보 26 섬술퉁이(心術-) X섬술통이(心術-) 08 심섬파척(-破寂) 섬섬풀이 2amp

times성갱싱갱하다 싱둥생둥하다 lsquo방이 서늘하고 차다rsquo의 2S

뜻으로는 인청함

X성퉁생둥하다 성갱생갱하다 lsquo기운이 줄어질 만한 일 2S

을 겪은뒤에도본래의 기

운이 있다rsquo의 뜻으로는 언

청함

싸느황다 X싸느렇다 17

X싸느렇다 싸느량다 17

X싸려운 사렵문 lsquo싹리로 만든 문rsquo의 뭇으 25

로는 인청함

쌀긋하다 생긋하다 19rsquo

쌍망이 times짱맹이 09

표준어 모음 151

X썽맹이 쌍망이 09-

쌍소리 장소리 19

쌍섬지셔다 쌍심지나마 26

쌍심지오르다 26

X써내다 켜내다 lsquo글씨롤 써셔 내놓다rsquo의 ~s

뭇으로는 언청함

X써다 켜다 lsquo조숫풀이 출거 나 펀 물 25 이 새어셔 줄다rsquo의 룻으

로는 안청함

X썩정이 삭청1 1 산 나우에 붙은 채 말 25 라죽윤나뭇가지

2 lsquo썩은 물건rsquo의 돗A로 는인청함

썰다 써리다 1 논밭융 고르게 하다 16 2 middot물건율 로막토막 통 캉치다rsquo의 뭇으로도 안

갱함

쓰레장판 쓰헤받기 유치 캉환요로 만든 쓰레 26 받기

씨돼치 종톤(種際) 26

아래얄 X아랫알 수판의 가릅대 아래의 알 17

아랫녘 앞대 1 어떤 치방에서 그 남 26 쪽의 지방을일컴는말

2 lsquo전라도 경장도흘 일 걷는 말rsquo로도 안갱함

X아랫동강이 종아리 25

times아랫알 아래알 수판의 카름대 아래의 알 17

아랫중방(-中林) 하인방(下引林) 26

아련하다 오련하다 19

X아웃 가웃 lsquo말아웃rsquo은 언청함 17 2()

아유 아이고 19

아지직 오지칙 19 아치작 19

1 한그릇에 두가지 이

상의 음식을 어울리게

당다

~ lsquo홈칙 따위률 식지 않

게 불에 놓거냐 따뭇한 lsquo - ~ 바헤lsquo묻어 두다rsquo 또는- lsquo e

lsquo샤랑올 안동하여 보내

다j의- 돗으로는 인정하

고 lsquo암구다rsquo (교미를 붙

이다)의 뭇으로는 인청

하지 않음

lsquo ~6 gt 26 lsquo

lsquo 26

- - - - 스 25rsquo

19 -26

09

lsquo26

25

국약2생 활「rsquo 90 가을(제 22호)

안개 u] 가랑비

얀갱 안채 안쪽외영 채

주인집(主A-)

안혜 바로전해 쌓즘삼C삼rsquo ~ ~ I rsquo lsquo 얄픔좀쏟 (rsquo 간

X 알박이 ν lsquo f알뼈71 알 밴 생션 얄펠대71 ~ J f -lsquo~T단〈rsquo觸蛋 chitan)

X 알심 -Z ) t ilsquo끼(고앵이( 1 초목의 줄기 가운데의 lsquo gt τ 연한 심

f lsquo - J lsquo 2[ lsquo판폰한 동정섬rsquo 또는

lsquo속에 있는힘rsquo의 뭇a lsquo -lsquo - Ilsquo middot 안 로는 인정함

알약(-藥) J μ환약f갯L藥)

양딴해도1 lsquo rsquo ~ t ~ - τ 아운리쾌도

앙구다 r rsquo l lsquo t ( lsquof쩔lsquo플이다

J rsquo z bull lsquo ι rsquo rsquo

ω Mω Mω

J52lsquo

~r

-rsquo

lsquo rdquo

ldquo

두별갈이

앞뜰

아기

애타다

아비

lsquo lsquo

26

26

09

26

09

1 놀라거나반가올때 내 26

는소리

2 lsquo예rsquo(존대할자리에 대

rdquo lsquo

rsquo

bull lsquo

앞뒤갈이 앞lsquo바당

X애기

애끓다

lsquo애비

F

26 09 26 09 26 26 26-

21

26 (고시) x찍rarr쪽 26 1 마음이 너그렵고 정질 26 lsquo

l 부드렵다

2lt lsquo얼굴의 각 구맹새가

ι-넬젝널찍하다rsquo의 뜻우-낀-rsquo-로도 언갱함

한 살청도차이 나서 동

감이나 다름없음

1 여러 사랍이 밑천올 어

울러서 하는장사 2 어려장수의 영업 rsquo 위 -

뭇으로는언청함

153 lsquo표훈어 lsquo 오옴

답하거나재쳐 묻는말)

의 뭇으로는 인정하지

않음

lsquo오밤중rsquo도 안정함

lsquo - lsquo- rsquo lsquo

times야말장이 1

야발쟁이

한밤중(-中) 약물터(藥-)

분칭(分햄)

양지머리뼈

lsquo 이모작(그毛作)

양현짝(兩便-)

서글서글하다

middot야발단지

rsquo

bull

녁 ι니

1r

t

ι水

」骨

7

便

- -

蘭藥

爛浦lsquoh浦합i

yF

터 νF 빼 루 £1 맏

이 i

바n

--lsquo저ι

골ι 그lsquo

펀 그τ π -lsquolsquo j

lsquo

야 야T1

약1

양lsquo

양 어「lsquo

x

26

25

懶1ι

갑 rsquolsquolsquo

1j렁shy

영-

J샤L C

ldquo

그rdquoRlsquo-lsquo

짧 ι

쐐υ

껴기

lsquo리

x

r 4

--μ

t i

x 어버리j좋다 -

어스러기

x어스러기 lsquo 어스럭송아지

어융 어이구 어환둥퉁 어허둥둥

어〈홉1 - 이 ldquo lsquo 범 ~ lsquo X언냐 어린아아

얼간1 -기ldquo - 얼간망풍l

X얼러망~땅~l - 니 ldquo 을러방망억

얼룩말 얼럭말

22 25

대담하다(大觸-)

ι lsquo lsquo lsquo bull ~ rsquo

25

19 lsquo

19 lsquo

26

25

26 17

26

옷 따위의 솔이 어스러진

큰송아지

표준어 모옴 155-

X옴살 엄살 lsquo한몽같이 친밀한터rsquo의 뭇 17 A로는인정함

옴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gt

왕매미 말매미 lsquo큰 매미rsquo의 뜻으로모두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말매

미rsquo엄

왕벌 호박멸 lsquo큰 벌rsquo 의 뭇으로 lsquo왕별 말 26 말벌 벌rsquo 모두 언청 함 전운용어 26

로는 lsquo호박별rsquo엄

왕새우 대하(大醒) 전문용어로는 lsquo대하rsquo를 인 26

청함

왕파리 쉬파리 lsquo큰파리rsquo의 뭇으로 모두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쉬파

리rsquo를 언정함

왜난목 내공목(內供木) 옷의 안강으로 쓰는 풍질이 26 낮tr -n「며

왜먹(훌-) (채래의 6 모형에 대해) 네 25-lsquo

모난먹

times외발제기 외알채기 1 굽 하나를 질질 끌어서 17rsquo

다디어 걷는 걸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소

2 lsquo한 발만가지고차는제

기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외상관혜(-冠禮) 외자한례(-冠禮〕 2amp X외통목 외킬목 lsquo장기 둘 때에 외통장군이 25-

되는 킬목rsquo의 뭇으로는 인

청함

X왼 온 lsquo왼쪽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1( 요뒤 요의(覆衣) 26 용슷바람 회오리바랍 26

times우그령흑박 우그령쪽박 17 X우물우둘 우틀우플 1 춤거나무서워서 폼을떠 08

τ~ YOJ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16: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142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때까중

X때깨중이

렬기나무

X똑하다

뚱뚱이

탠-

τ최Z

뜨 뜨디

x

-(이)랑

X마련통이

마상

X마술장이(魔術-)

마술쟁이(魔術-)

마짓밥(顧릅-)

x마치

막철다

막걸리다

X만양

말개며

중대가리

중대가리

times좀나무

꼭하다

뚱뚱보

캠질

매련퉁이

마상이

times요술장이(妹術-)

요술챙이(te(術-)

마지(鷹릅)

망치

맞걸다

맞걸리다

늦모내기

마냥

왕개미

25 25 25

정 직 하고 안상(安神)하다 25 26 19

1 더운 날의 모래밭이나 25 온천 또는 뜨거운 물

속에 몽을묻어서 땀을

흘리어 병을 고치는 법

2 lsquo뜸을 뜨는 일rsquo의 뭇

으로는인정함

-하고과와 26 미련퉁이 08 17

16

09 09 26

16 26

lsquo(망치보다 작은 것으로 25 서) 못 박는 연장rsquo의 뭇

으로는인청함

lsquo막걸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26

가진 돈을모두 걸고 단

판하다rsquo 의 뜻으로 lsquo맞결

다rsquo는 lsquo노름판에서 돈을

따려고서로돈올결다rsquo의

돗으로 안정함

26 1 만이앙(曉移快) 26

2 (고시 ) x 만양모rarr마 26

냥모

lsquo큰 개미rsquo라는 뭇으로 모 26 두언청함

표준어 모읍 143

전문용어로는 lsquo왕개미rsquo엄

말거미 왕거마 lsquo큰 거미rsquo라는 뭇ξ로 모 26 두안정함

전문용어로는 lsquo왕거미rsquo임

말그L름하다 맑스그레하다 26 x맛대강이 맛 25 망가지다 망그러지다 26

X매커 튀기 lsquo수돼지와 암소 사이에서 25 낳는다는 점 송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매양(每-) 번벤이(養養-) 26 X매풋집(寶酒-) 솔집 21 매해(每-) 매년(每年) 26

x볍옐 맹쌀 lsquo젠 메밀을 약간 말려 쩡 17 어 껍질올 벗긴 쌀rsquo의 돗

으로는 인정함

X야련 매련 17 _X야욕하다 매욱하다 어리석고 둠하다 17 X머드레콩 그루콩 1 그루갈이로 심은 콩lsquo 25

2 lsquo밭가로둘러 성은콩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함

X명구력 구럭 1 새끼로눈올투물게 떠 14 25 서 그물같이 만든물건

2 lsquo썩 성기게 떠서 만든

구럭rsquo의 뭇으로는 인정

벚다 엄추다 26 x베토끼 산토꺼(山-) 22

멧돼지 산돼지(山-) 26 멸구 며루 lsquo멸구rsquo는 멸구과에 속하 26

는 곤충의 얼종이고 lsquo며

루rsquo는 모기의 유충임

x명 목화(木花) lsquo우명 rsquo 의 돗으로는 언갱 함 25

144 국어생 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명자나무(훌體-) 모과나무 lsquo모과나무rsquo 는 명 자나무의 26 별칭임

모군꾼(幕軍-) 모군(幕軍) 16 26gt

모래사장(-沙場) 모래룹 26 X모어려수에 무에리수에 거리로 다니며 첨을 치라 17

고 외치는 소리

times모지다 모질다 lsquo성질 일 물건이나 모 25 양이 모가 난데가있다rsquo

의 돗으로는인정함

X목실(木-) 무명실 25 몰매 뭇매 26 옴서리나다 몸서리치다 26

X몽깃돌 낚섯봉 lsquo밀물과 썰물에 뱃머리를 25 곧게 하기 위하여 고물에

다는 돌rsquo의 뭇으로는 언

정함

무겁한량 times무겁활량 05 17 X우겁활량 우겁한량 051T 우식꾼(無講-) times무식장이(無識-) 26 OP

무식쟁이(無훌훌-) 26 0동 X물앵도(-樓挑) 물앵두 05 물앵두 times물앵도(-樓挑) 05 웅그대다 뭉개다 1 일을 어떻게 할 줄 모 26

르고 짓이기다

2 lsquo제자리에서 폼을 그 냥 비비다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X뭘하다 윗하다 거북하다 난처하다 17 미친놈 미치팡이 26 밀뼈세장 times멀삐죄장 지게의 윗세장 아래에 가 17

로박은나무

X밀뼈쇠창 멀뻐세장 지게의윗세장 아래에 가 1T

로박은나무

표준어L 모융- 145

X법둥스렵다 법살스렵다 Tl 바깥양반(-兩班) 사랑양반(舍願兩班) lsquo -26

바늘뱅셔(rarr方席〉 ldquo 바늘겨레 26 X바랍꾼 lsquo r _바람둥이 25 바심 rsquo 타작(打作) 26

박새 lsquo X깨싸 25 박첨지놀음(朴했知-)x꼭둑각시놀음 (고시) x꼭둑각시rarr꼭두 26

X반대기

X반대기

times반미콩(飯米-)

times발구

발뒤꾸머리

발새

발짓

배뱃니

X배햇쾌기

백곰(白-)

X백하첫(白嚴-)

꼭두각시놀음

소래기

밥밑콩

걸채 -

발뒤꿈치

발살

발질

찾니

배추속대

흰곰

새우첫

각시 rsquo 26

1 앓게 펴 서 다듬어 만 14 25 든조각

2 lsquo무슨 가루률 반죽한

것이나 삶은 푸성귀를

현연하고둥글넓척하게

만든조각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굽 없는 갱시와 같은 넓 25 윤질그릇

21 1 소의 길마 위 에 덧 얹 25 고곡식 단올싣는제구

2 lsquo산에서 쓰는 캘매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합

26

26

lsquo발짓은 lsquo발융 웅칙이는 26

짓rsquo의 돗으로 lsquo발질rsquo응

lsquo발걸질rsquo의 뭇으로 인정

26

25 전문용어로는 lsquo흰곰rsquo만 26

인청함

25

14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밴덕 얀덕 19rsquo

번연히 번히 16

벌5 허튼모 lsquo오판 구역 밖에 볍써가 2amp 떨어져 자라난 모rsquo냐 lsquo일

을 말막음ξ로 했을 째

쓰는 말rsquo의 돗A로도 인

정함

X벙태기 벙테커 17

병태기 times벙태기 17

별간장(別-홉) 손님장(-짧) 작은 그릇에 따로 담그는 26 간장

별맛(別-) 별미(別味) 26

X별미적다(別味-) 별미쩍다(別味-) 17

별마쩍다(別味lsquo) times별미적다(別味-) 17

X보리풀꺾다 보리풀하다 보리 갈 땅에 거름하기 위 25 하여 풀이나 나뭇잎을 베

어 오다

times보사리감투 보살감투(홈塵-) 17

X보챙기 겨리 lsquo보슐을 낀 챙기rsquo의 뭇~ 25 로는 안청함

복부르다(復-) 초혼하다(招塊-) 26

x복생션(-生蘇) 복 14

복어(-魚) - 16 26

X부레끊다 부레끓다 25

부헤꿇다 times부헤끊다 25

X부시다 부수다 lsquo그릇 같은 것을 께꿋이 25 씻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X부얼부얼 북슬북슬 1 짐승이 살이 찌고 탤 25 이 탕스렵게 많이 난

모양

2 lsquo잘찌고 탑스렵게 생 긴모양rsquo의뜻으로는인

정함

표준어 모옴 147

부엌칼 식칼(食-) 26 X부철다말 부철따말 17 부철따말 times부철다말 17

X북두 부뚜 1 타작마당에서 쓰는 돗 25 자리

2 lsquo마소에 짐융 싣고 그 정파 배률 얼러서 매는

줄rsquo의 뭇으로는 인갱함

분결(慣-) 분검(念 慣-) 26 분지르다 부러뜨리다 26 불공드리다(佛供-) 풍양드리다(供養-) 26 불풍밥(佛供-) 퇴식밥(退食-) 26 불룩이 times불룩히 17 불친소 악대소 26 불호령(-號令) 볼호령(-號令) 26

X붙여장다 붙잡다 14 25 비단개구리(排繼-) 무당개구리 전문용어로는lsquo우당개구 26

리rsquo를 안청함

X비사차기 비사치기 25

비사치기 times비사차기 25 X빚거간(-居間) 빚지시 1lsquo 벚올 주고 쓰는 데 에 25

중간에서 소개하는 일

2 lsquo벚올 내고 주는 데에 중간에서 강H하는 것

을 업으로 장는일rsquo의

뭇으로는인청함

빨갱이 times빨강l 1 공산주의자 09 17 2 lsquo빨간빛의 물건rsquo의 뭇 으로는 lsquo빨강이rsquo를 얀

정함

X빼주 배갈 25

X사갓집(훌家-) 사돈집(흉賴-) 25

사거리(四-) 네거리 26

148 국어 생활- rsquo 90 가올 (제 22호)

사마귀 버마재벼 전문용어로는 lsquo사마귀rsquo를 2β

인청함

사향노루(훌香-) 궁노루 26

값전(-鍵) 돈 (고시 ) x 잔정-gt잔돈 26 산울렴(山-) 헤아리 26

X산코골다 헛3i골다 25 살긋하다 썰긋하다 바르게 된 물건이 한쪽2 19

로 일그러지다

X상량대(上陳-) 마룻대 21 25 times상량도리(上標-) 마뭇대 21 25 times상재(上-) 상좌(上뾰) 05 X상청(上-) 상창(上唱) 뛰어난 창(唱) 05 샅바채우다 샅바지르다 26

X새소리 놀소리 25 X새치롬하다 새치름하다 시치미를 떼고 태연하거 17

나 양천한 기색을 꾸며 다-새치름하다 times새치롬하다 시치미를 혜고 태연하거 17

나 양전한 기색을 꾸미다

색깔(色-) 빛깔 26

times셋까닿다 새까땅다 17 X셋빨창다 새빨창다 17 X셋파량다 새파량다 17 times생갈이(生-) 애벌갈아 1 논이나 밭을 첫 번 가 21

는일

2 lsquo홍두깨 깔이 rsquo 의 준말로 는 lsquo생갈이rsquo를 언정함

X생급L렵4 새삼스렵다 lsquo하는 것이나 말이 캅작 2~

스렵고 돗밖이 다rsquo AElig는

lsquo끄챔어내는 말이 엉뚱하

고 터무니없다rsquo의 뭇으로

는 언청함

생김치(生-) 날검치 ~6

쟁옥(-木〕 당목(康木) 2amp

150 국어생활 90 가올〔제 22호)

X솔갱이 솔개 (고시 )~x소리개rarr솔개 2S

times쇠꼬창01 죄꼬쟁이 09

쇠꼬챙이 times죄꼬창이 09-

X쇠버즘 쇠버짐 17 쇠버짐 times쇠버즘 17

쇠족(-足) 쇠다리 26 쇠죽솥 쇠죽가마 26

times수무(手-) 수모(手母) 신부(新橋)의 보초안 OS

times수이 쉬이 20-

X수이보다 쉬이보다 20 times수이여커다 쉬이여기다 20 rsquo

X숭이 송이 08 시골말 사투리 26

times시초잡다(始初-) 시착하다〔始作-) 25--

신바랍 어껏바량 2amp 신첩살렴(新援-) 신접살이(新援-) 2amp 신챈나무 신대 2amp

설로(實-) 참으로 2G

섬보(心-) 마음보 26 섬술퉁이(心術-) X섬술통이(心術-) 08 심섬파척(-破寂) 섬섬풀이 2amp

times성갱싱갱하다 싱둥생둥하다 lsquo방이 서늘하고 차다rsquo의 2S

뜻으로는 인청함

X성퉁생둥하다 성갱생갱하다 lsquo기운이 줄어질 만한 일 2S

을 겪은뒤에도본래의 기

운이 있다rsquo의 뜻으로는 언

청함

싸느황다 X싸느렇다 17

X싸느렇다 싸느량다 17

X싸려운 사렵문 lsquo싹리로 만든 문rsquo의 뭇으 25

로는 인청함

쌀긋하다 생긋하다 19rsquo

쌍망이 times짱맹이 09

표준어 모음 151

X썽맹이 쌍망이 09-

쌍소리 장소리 19

쌍섬지셔다 쌍심지나마 26

쌍심지오르다 26

X써내다 켜내다 lsquo글씨롤 써셔 내놓다rsquo의 ~s

뭇으로는 언청함

X써다 켜다 lsquo조숫풀이 출거 나 펀 물 25 이 새어셔 줄다rsquo의 룻으

로는 안청함

X썩정이 삭청1 1 산 나우에 붙은 채 말 25 라죽윤나뭇가지

2 lsquo썩은 물건rsquo의 돗A로 는인청함

썰다 써리다 1 논밭융 고르게 하다 16 2 middot물건율 로막토막 통 캉치다rsquo의 뭇으로도 안

갱함

쓰레장판 쓰헤받기 유치 캉환요로 만든 쓰레 26 받기

씨돼치 종톤(種際) 26

아래얄 X아랫알 수판의 가릅대 아래의 알 17

아랫녘 앞대 1 어떤 치방에서 그 남 26 쪽의 지방을일컴는말

2 lsquo전라도 경장도흘 일 걷는 말rsquo로도 안갱함

X아랫동강이 종아리 25

times아랫알 아래알 수판의 카름대 아래의 알 17

아랫중방(-中林) 하인방(下引林) 26

아련하다 오련하다 19

X아웃 가웃 lsquo말아웃rsquo은 언청함 17 2()

아유 아이고 19

아지직 오지칙 19 아치작 19

1 한그릇에 두가지 이

상의 음식을 어울리게

당다

~ lsquo홈칙 따위률 식지 않

게 불에 놓거냐 따뭇한 lsquo - ~ 바헤lsquo묻어 두다rsquo 또는- lsquo e

lsquo샤랑올 안동하여 보내

다j의- 돗으로는 인정하

고 lsquo암구다rsquo (교미를 붙

이다)의 뭇으로는 인청

하지 않음

lsquo ~6 gt 26 lsquo

lsquo 26

- - - - 스 25rsquo

19 -26

09

lsquo26

25

국약2생 활「rsquo 90 가을(제 22호)

안개 u] 가랑비

얀갱 안채 안쪽외영 채

주인집(主A-)

안혜 바로전해 쌓즘삼C삼rsquo ~ ~ I rsquo lsquo 얄픔좀쏟 (rsquo 간

X 알박이 ν lsquo f알뼈71 알 밴 생션 얄펠대71 ~ J f -lsquo~T단〈rsquo觸蛋 chitan)

X 알심 -Z ) t ilsquo끼(고앵이( 1 초목의 줄기 가운데의 lsquo gt τ 연한 심

f lsquo - J lsquo 2[ lsquo판폰한 동정섬rsquo 또는

lsquo속에 있는힘rsquo의 뭇a lsquo -lsquo - Ilsquo middot 안 로는 인정함

알약(-藥) J μ환약f갯L藥)

양딴해도1 lsquo rsquo ~ t ~ - τ 아운리쾌도

앙구다 r rsquo l lsquo t ( lsquof쩔lsquo플이다

J rsquo z bull lsquo ι rsquo rsquo

ω Mω Mω

J52lsquo

~r

-rsquo

lsquo rdquo

ldquo

두별갈이

앞뜰

아기

애타다

아비

lsquo lsquo

26

26

09

26

09

1 놀라거나반가올때 내 26

는소리

2 lsquo예rsquo(존대할자리에 대

rdquo lsquo

rsquo

bull lsquo

앞뒤갈이 앞lsquo바당

X애기

애끓다

lsquo애비

F

26 09 26 09 26 26 26-

21

26 (고시) x찍rarr쪽 26 1 마음이 너그렵고 정질 26 lsquo

l 부드렵다

2lt lsquo얼굴의 각 구맹새가

ι-넬젝널찍하다rsquo의 뜻우-낀-rsquo-로도 언갱함

한 살청도차이 나서 동

감이나 다름없음

1 여러 사랍이 밑천올 어

울러서 하는장사 2 어려장수의 영업 rsquo 위 -

뭇으로는언청함

153 lsquo표훈어 lsquo 오옴

답하거나재쳐 묻는말)

의 뭇으로는 인정하지

않음

lsquo오밤중rsquo도 안정함

lsquo - lsquo- rsquo lsquo

times야말장이 1

야발쟁이

한밤중(-中) 약물터(藥-)

분칭(分햄)

양지머리뼈

lsquo 이모작(그毛作)

양현짝(兩便-)

서글서글하다

middot야발단지

rsquo

bull

녁 ι니

1r

t

ι水

」骨

7

便

- -

蘭藥

爛浦lsquoh浦합i

yF

터 νF 빼 루 £1 맏

이 i

바n

--lsquo저ι

골ι 그lsquo

펀 그τ π -lsquolsquo j

lsquo

야 야T1

약1

양lsquo

양 어「lsquo

x

26

25

懶1ι

갑 rsquolsquolsquo

1j렁shy

영-

J샤L C

ldquo

그rdquoRlsquo-lsquo

짧 ι

쐐υ

껴기

lsquo리

x

r 4

--μ

t i

x 어버리j좋다 -

어스러기

x어스러기 lsquo 어스럭송아지

어융 어이구 어환둥퉁 어허둥둥

어〈홉1 - 이 ldquo lsquo 범 ~ lsquo X언냐 어린아아

얼간1 -기ldquo - 얼간망풍l

X얼러망~땅~l - 니 ldquo 을러방망억

얼룩말 얼럭말

22 25

대담하다(大觸-)

ι lsquo lsquo lsquo bull ~ rsquo

25

19 lsquo

19 lsquo

26

25

26 17

26

옷 따위의 솔이 어스러진

큰송아지

표준어 모옴 155-

X옴살 엄살 lsquo한몽같이 친밀한터rsquo의 뭇 17 A로는인정함

옴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gt

왕매미 말매미 lsquo큰 매미rsquo의 뜻으로모두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말매

미rsquo엄

왕벌 호박멸 lsquo큰 벌rsquo 의 뭇으로 lsquo왕별 말 26 말벌 벌rsquo 모두 언청 함 전운용어 26

로는 lsquo호박별rsquo엄

왕새우 대하(大醒) 전문용어로는 lsquo대하rsquo를 인 26

청함

왕파리 쉬파리 lsquo큰파리rsquo의 뭇으로 모두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쉬파

리rsquo를 언정함

왜난목 내공목(內供木) 옷의 안강으로 쓰는 풍질이 26 낮tr -n「며

왜먹(훌-) (채래의 6 모형에 대해) 네 25-lsquo

모난먹

times외발제기 외알채기 1 굽 하나를 질질 끌어서 17rsquo

다디어 걷는 걸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소

2 lsquo한 발만가지고차는제

기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외상관혜(-冠禮) 외자한례(-冠禮〕 2amp X외통목 외킬목 lsquo장기 둘 때에 외통장군이 25-

되는 킬목rsquo의 뭇으로는 인

청함

X왼 온 lsquo왼쪽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1( 요뒤 요의(覆衣) 26 용슷바람 회오리바랍 26

times우그령흑박 우그령쪽박 17 X우물우둘 우틀우플 1 춤거나무서워서 폼을떠 08

τ~ YOJ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17: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표준어 모읍 143

전문용어로는 lsquo왕개미rsquo엄

말거미 왕거마 lsquo큰 거미rsquo라는 뭇ξ로 모 26 두안정함

전문용어로는 lsquo왕거미rsquo임

말그L름하다 맑스그레하다 26 x맛대강이 맛 25 망가지다 망그러지다 26

X매커 튀기 lsquo수돼지와 암소 사이에서 25 낳는다는 점 송rsquo 의 뜻으로

는인정함

매양(每-) 번벤이(養養-) 26 X매풋집(寶酒-) 솔집 21 매해(每-) 매년(每年) 26

x볍옐 맹쌀 lsquo젠 메밀을 약간 말려 쩡 17 어 껍질올 벗긴 쌀rsquo의 돗

으로는 인정함

X야련 매련 17 _X야욕하다 매욱하다 어리석고 둠하다 17 X머드레콩 그루콩 1 그루갈이로 심은 콩lsquo 25

2 lsquo밭가로둘러 성은콩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함

X명구력 구럭 1 새끼로눈올투물게 떠 14 25 서 그물같이 만든물건

2 lsquo썩 성기게 떠서 만든

구럭rsquo의 뭇으로는 인정

벚다 엄추다 26 x베토끼 산토꺼(山-) 22

멧돼지 산돼지(山-) 26 멸구 며루 lsquo멸구rsquo는 멸구과에 속하 26

는 곤충의 얼종이고 lsquo며

루rsquo는 모기의 유충임

x명 목화(木花) lsquo우명 rsquo 의 돗으로는 언갱 함 25

144 국어생 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명자나무(훌體-) 모과나무 lsquo모과나무rsquo 는 명 자나무의 26 별칭임

모군꾼(幕軍-) 모군(幕軍) 16 26gt

모래사장(-沙場) 모래룹 26 X모어려수에 무에리수에 거리로 다니며 첨을 치라 17

고 외치는 소리

times모지다 모질다 lsquo성질 일 물건이나 모 25 양이 모가 난데가있다rsquo

의 돗으로는인정함

X목실(木-) 무명실 25 몰매 뭇매 26 옴서리나다 몸서리치다 26

X몽깃돌 낚섯봉 lsquo밀물과 썰물에 뱃머리를 25 곧게 하기 위하여 고물에

다는 돌rsquo의 뭇으로는 언

정함

무겁한량 times무겁활량 05 17 X우겁활량 우겁한량 051T 우식꾼(無講-) times무식장이(無識-) 26 OP

무식쟁이(無훌훌-) 26 0동 X물앵도(-樓挑) 물앵두 05 물앵두 times물앵도(-樓挑) 05 웅그대다 뭉개다 1 일을 어떻게 할 줄 모 26

르고 짓이기다

2 lsquo제자리에서 폼을 그 냥 비비다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X뭘하다 윗하다 거북하다 난처하다 17 미친놈 미치팡이 26 밀뼈세장 times멀삐죄장 지게의 윗세장 아래에 가 17

로박은나무

X밀뼈쇠창 멀뻐세장 지게의윗세장 아래에 가 1T

로박은나무

표준어L 모융- 145

X법둥스렵다 법살스렵다 Tl 바깥양반(-兩班) 사랑양반(舍願兩班) lsquo -26

바늘뱅셔(rarr方席〉 ldquo 바늘겨레 26 X바랍꾼 lsquo r _바람둥이 25 바심 rsquo 타작(打作) 26

박새 lsquo X깨싸 25 박첨지놀음(朴했知-)x꼭둑각시놀음 (고시) x꼭둑각시rarr꼭두 26

X반대기

X반대기

times반미콩(飯米-)

times발구

발뒤꾸머리

발새

발짓

배뱃니

X배햇쾌기

백곰(白-)

X백하첫(白嚴-)

꼭두각시놀음

소래기

밥밑콩

걸채 -

발뒤꿈치

발살

발질

찾니

배추속대

흰곰

새우첫

각시 rsquo 26

1 앓게 펴 서 다듬어 만 14 25 든조각

2 lsquo무슨 가루률 반죽한

것이나 삶은 푸성귀를

현연하고둥글넓척하게

만든조각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굽 없는 갱시와 같은 넓 25 윤질그릇

21 1 소의 길마 위 에 덧 얹 25 고곡식 단올싣는제구

2 lsquo산에서 쓰는 캘매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합

26

26

lsquo발짓은 lsquo발융 웅칙이는 26

짓rsquo의 돗으로 lsquo발질rsquo응

lsquo발걸질rsquo의 뭇으로 인정

26

25 전문용어로는 lsquo흰곰rsquo만 26

인청함

25

14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밴덕 얀덕 19rsquo

번연히 번히 16

벌5 허튼모 lsquo오판 구역 밖에 볍써가 2amp 떨어져 자라난 모rsquo냐 lsquo일

을 말막음ξ로 했을 째

쓰는 말rsquo의 돗A로도 인

정함

X벙태기 벙테커 17

병태기 times벙태기 17

별간장(別-홉) 손님장(-짧) 작은 그릇에 따로 담그는 26 간장

별맛(別-) 별미(別味) 26

X별미적다(別味-) 별미쩍다(別味-) 17

별마쩍다(別味lsquo) times별미적다(別味-) 17

X보리풀꺾다 보리풀하다 보리 갈 땅에 거름하기 위 25 하여 풀이나 나뭇잎을 베

어 오다

times보사리감투 보살감투(홈塵-) 17

X보챙기 겨리 lsquo보슐을 낀 챙기rsquo의 뭇~ 25 로는 안청함

복부르다(復-) 초혼하다(招塊-) 26

x복생션(-生蘇) 복 14

복어(-魚) - 16 26

X부레끊다 부레끓다 25

부헤꿇다 times부헤끊다 25

X부시다 부수다 lsquo그릇 같은 것을 께꿋이 25 씻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X부얼부얼 북슬북슬 1 짐승이 살이 찌고 탤 25 이 탕스렵게 많이 난

모양

2 lsquo잘찌고 탑스렵게 생 긴모양rsquo의뜻으로는인

정함

표준어 모옴 147

부엌칼 식칼(食-) 26 X부철다말 부철따말 17 부철따말 times부철다말 17

X북두 부뚜 1 타작마당에서 쓰는 돗 25 자리

2 lsquo마소에 짐융 싣고 그 정파 배률 얼러서 매는

줄rsquo의 뭇으로는 인갱함

분결(慣-) 분검(念 慣-) 26 분지르다 부러뜨리다 26 불공드리다(佛供-) 풍양드리다(供養-) 26 불풍밥(佛供-) 퇴식밥(退食-) 26 불룩이 times불룩히 17 불친소 악대소 26 불호령(-號令) 볼호령(-號令) 26

X붙여장다 붙잡다 14 25 비단개구리(排繼-) 무당개구리 전문용어로는lsquo우당개구 26

리rsquo를 안청함

X비사차기 비사치기 25

비사치기 times비사차기 25 X빚거간(-居間) 빚지시 1lsquo 벚올 주고 쓰는 데 에 25

중간에서 소개하는 일

2 lsquo벚올 내고 주는 데에 중간에서 강H하는 것

을 업으로 장는일rsquo의

뭇으로는인청함

빨갱이 times빨강l 1 공산주의자 09 17 2 lsquo빨간빛의 물건rsquo의 뭇 으로는 lsquo빨강이rsquo를 얀

정함

X빼주 배갈 25

X사갓집(훌家-) 사돈집(흉賴-) 25

사거리(四-) 네거리 26

148 국어 생활- rsquo 90 가올 (제 22호)

사마귀 버마재벼 전문용어로는 lsquo사마귀rsquo를 2β

인청함

사향노루(훌香-) 궁노루 26

값전(-鍵) 돈 (고시 ) x 잔정-gt잔돈 26 산울렴(山-) 헤아리 26

X산코골다 헛3i골다 25 살긋하다 썰긋하다 바르게 된 물건이 한쪽2 19

로 일그러지다

X상량대(上陳-) 마룻대 21 25 times상량도리(上標-) 마뭇대 21 25 times상재(上-) 상좌(上뾰) 05 X상청(上-) 상창(上唱) 뛰어난 창(唱) 05 샅바채우다 샅바지르다 26

X새소리 놀소리 25 X새치롬하다 새치름하다 시치미를 떼고 태연하거 17

나 양천한 기색을 꾸며 다-새치름하다 times새치롬하다 시치미를 혜고 태연하거 17

나 양전한 기색을 꾸미다

색깔(色-) 빛깔 26

times셋까닿다 새까땅다 17 X셋빨창다 새빨창다 17 X셋파량다 새파량다 17 times생갈이(生-) 애벌갈아 1 논이나 밭을 첫 번 가 21

는일

2 lsquo홍두깨 깔이 rsquo 의 준말로 는 lsquo생갈이rsquo를 언정함

X생급L렵4 새삼스렵다 lsquo하는 것이나 말이 캅작 2~

스렵고 돗밖이 다rsquo AElig는

lsquo끄챔어내는 말이 엉뚱하

고 터무니없다rsquo의 뭇으로

는 언청함

생김치(生-) 날검치 ~6

쟁옥(-木〕 당목(康木) 2amp

150 국어생활 90 가올〔제 22호)

X솔갱이 솔개 (고시 )~x소리개rarr솔개 2S

times쇠꼬창01 죄꼬쟁이 09

쇠꼬챙이 times죄꼬창이 09-

X쇠버즘 쇠버짐 17 쇠버짐 times쇠버즘 17

쇠족(-足) 쇠다리 26 쇠죽솥 쇠죽가마 26

times수무(手-) 수모(手母) 신부(新橋)의 보초안 OS

times수이 쉬이 20-

X수이보다 쉬이보다 20 times수이여커다 쉬이여기다 20 rsquo

X숭이 송이 08 시골말 사투리 26

times시초잡다(始初-) 시착하다〔始作-) 25--

신바랍 어껏바량 2amp 신첩살렴(新援-) 신접살이(新援-) 2amp 신챈나무 신대 2amp

설로(實-) 참으로 2G

섬보(心-) 마음보 26 섬술퉁이(心術-) X섬술통이(心術-) 08 심섬파척(-破寂) 섬섬풀이 2amp

times성갱싱갱하다 싱둥생둥하다 lsquo방이 서늘하고 차다rsquo의 2S

뜻으로는 인청함

X성퉁생둥하다 성갱생갱하다 lsquo기운이 줄어질 만한 일 2S

을 겪은뒤에도본래의 기

운이 있다rsquo의 뜻으로는 언

청함

싸느황다 X싸느렇다 17

X싸느렇다 싸느량다 17

X싸려운 사렵문 lsquo싹리로 만든 문rsquo의 뭇으 25

로는 인청함

쌀긋하다 생긋하다 19rsquo

쌍망이 times짱맹이 09

표준어 모음 151

X썽맹이 쌍망이 09-

쌍소리 장소리 19

쌍섬지셔다 쌍심지나마 26

쌍심지오르다 26

X써내다 켜내다 lsquo글씨롤 써셔 내놓다rsquo의 ~s

뭇으로는 언청함

X써다 켜다 lsquo조숫풀이 출거 나 펀 물 25 이 새어셔 줄다rsquo의 룻으

로는 안청함

X썩정이 삭청1 1 산 나우에 붙은 채 말 25 라죽윤나뭇가지

2 lsquo썩은 물건rsquo의 돗A로 는인청함

썰다 써리다 1 논밭융 고르게 하다 16 2 middot물건율 로막토막 통 캉치다rsquo의 뭇으로도 안

갱함

쓰레장판 쓰헤받기 유치 캉환요로 만든 쓰레 26 받기

씨돼치 종톤(種際) 26

아래얄 X아랫알 수판의 가릅대 아래의 알 17

아랫녘 앞대 1 어떤 치방에서 그 남 26 쪽의 지방을일컴는말

2 lsquo전라도 경장도흘 일 걷는 말rsquo로도 안갱함

X아랫동강이 종아리 25

times아랫알 아래알 수판의 카름대 아래의 알 17

아랫중방(-中林) 하인방(下引林) 26

아련하다 오련하다 19

X아웃 가웃 lsquo말아웃rsquo은 언청함 17 2()

아유 아이고 19

아지직 오지칙 19 아치작 19

1 한그릇에 두가지 이

상의 음식을 어울리게

당다

~ lsquo홈칙 따위률 식지 않

게 불에 놓거냐 따뭇한 lsquo - ~ 바헤lsquo묻어 두다rsquo 또는- lsquo e

lsquo샤랑올 안동하여 보내

다j의- 돗으로는 인정하

고 lsquo암구다rsquo (교미를 붙

이다)의 뭇으로는 인청

하지 않음

lsquo ~6 gt 26 lsquo

lsquo 26

- - - - 스 25rsquo

19 -26

09

lsquo26

25

국약2생 활「rsquo 90 가을(제 22호)

안개 u] 가랑비

얀갱 안채 안쪽외영 채

주인집(主A-)

안혜 바로전해 쌓즘삼C삼rsquo ~ ~ I rsquo lsquo 얄픔좀쏟 (rsquo 간

X 알박이 ν lsquo f알뼈71 알 밴 생션 얄펠대71 ~ J f -lsquo~T단〈rsquo觸蛋 chitan)

X 알심 -Z ) t ilsquo끼(고앵이( 1 초목의 줄기 가운데의 lsquo gt τ 연한 심

f lsquo - J lsquo 2[ lsquo판폰한 동정섬rsquo 또는

lsquo속에 있는힘rsquo의 뭇a lsquo -lsquo - Ilsquo middot 안 로는 인정함

알약(-藥) J μ환약f갯L藥)

양딴해도1 lsquo rsquo ~ t ~ - τ 아운리쾌도

앙구다 r rsquo l lsquo t ( lsquof쩔lsquo플이다

J rsquo z bull lsquo ι rsquo rsquo

ω Mω Mω

J52lsquo

~r

-rsquo

lsquo rdquo

ldquo

두별갈이

앞뜰

아기

애타다

아비

lsquo lsquo

26

26

09

26

09

1 놀라거나반가올때 내 26

는소리

2 lsquo예rsquo(존대할자리에 대

rdquo lsquo

rsquo

bull lsquo

앞뒤갈이 앞lsquo바당

X애기

애끓다

lsquo애비

F

26 09 26 09 26 26 26-

21

26 (고시) x찍rarr쪽 26 1 마음이 너그렵고 정질 26 lsquo

l 부드렵다

2lt lsquo얼굴의 각 구맹새가

ι-넬젝널찍하다rsquo의 뜻우-낀-rsquo-로도 언갱함

한 살청도차이 나서 동

감이나 다름없음

1 여러 사랍이 밑천올 어

울러서 하는장사 2 어려장수의 영업 rsquo 위 -

뭇으로는언청함

153 lsquo표훈어 lsquo 오옴

답하거나재쳐 묻는말)

의 뭇으로는 인정하지

않음

lsquo오밤중rsquo도 안정함

lsquo - lsquo- rsquo lsquo

times야말장이 1

야발쟁이

한밤중(-中) 약물터(藥-)

분칭(分햄)

양지머리뼈

lsquo 이모작(그毛作)

양현짝(兩便-)

서글서글하다

middot야발단지

rsquo

bull

녁 ι니

1r

t

ι水

」骨

7

便

- -

蘭藥

爛浦lsquoh浦합i

yF

터 νF 빼 루 £1 맏

이 i

바n

--lsquo저ι

골ι 그lsquo

펀 그τ π -lsquolsquo j

lsquo

야 야T1

약1

양lsquo

양 어「lsquo

x

26

25

懶1ι

갑 rsquolsquolsquo

1j렁shy

영-

J샤L C

ldquo

그rdquoRlsquo-lsquo

짧 ι

쐐υ

껴기

lsquo리

x

r 4

--μ

t i

x 어버리j좋다 -

어스러기

x어스러기 lsquo 어스럭송아지

어융 어이구 어환둥퉁 어허둥둥

어〈홉1 - 이 ldquo lsquo 범 ~ lsquo X언냐 어린아아

얼간1 -기ldquo - 얼간망풍l

X얼러망~땅~l - 니 ldquo 을러방망억

얼룩말 얼럭말

22 25

대담하다(大觸-)

ι lsquo lsquo lsquo bull ~ rsquo

25

19 lsquo

19 lsquo

26

25

26 17

26

옷 따위의 솔이 어스러진

큰송아지

표준어 모옴 155-

X옴살 엄살 lsquo한몽같이 친밀한터rsquo의 뭇 17 A로는인정함

옴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gt

왕매미 말매미 lsquo큰 매미rsquo의 뜻으로모두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말매

미rsquo엄

왕벌 호박멸 lsquo큰 벌rsquo 의 뭇으로 lsquo왕별 말 26 말벌 벌rsquo 모두 언청 함 전운용어 26

로는 lsquo호박별rsquo엄

왕새우 대하(大醒) 전문용어로는 lsquo대하rsquo를 인 26

청함

왕파리 쉬파리 lsquo큰파리rsquo의 뭇으로 모두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쉬파

리rsquo를 언정함

왜난목 내공목(內供木) 옷의 안강으로 쓰는 풍질이 26 낮tr -n「며

왜먹(훌-) (채래의 6 모형에 대해) 네 25-lsquo

모난먹

times외발제기 외알채기 1 굽 하나를 질질 끌어서 17rsquo

다디어 걷는 걸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소

2 lsquo한 발만가지고차는제

기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외상관혜(-冠禮) 외자한례(-冠禮〕 2amp X외통목 외킬목 lsquo장기 둘 때에 외통장군이 25-

되는 킬목rsquo의 뭇으로는 인

청함

X왼 온 lsquo왼쪽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1( 요뒤 요의(覆衣) 26 용슷바람 회오리바랍 26

times우그령흑박 우그령쪽박 17 X우물우둘 우틀우플 1 춤거나무서워서 폼을떠 08

τ~ YOJ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18: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144 국어생 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명자나무(훌體-) 모과나무 lsquo모과나무rsquo 는 명 자나무의 26 별칭임

모군꾼(幕軍-) 모군(幕軍) 16 26gt

모래사장(-沙場) 모래룹 26 X모어려수에 무에리수에 거리로 다니며 첨을 치라 17

고 외치는 소리

times모지다 모질다 lsquo성질 일 물건이나 모 25 양이 모가 난데가있다rsquo

의 돗으로는인정함

X목실(木-) 무명실 25 몰매 뭇매 26 옴서리나다 몸서리치다 26

X몽깃돌 낚섯봉 lsquo밀물과 썰물에 뱃머리를 25 곧게 하기 위하여 고물에

다는 돌rsquo의 뭇으로는 언

정함

무겁한량 times무겁활량 05 17 X우겁활량 우겁한량 051T 우식꾼(無講-) times무식장이(無識-) 26 OP

무식쟁이(無훌훌-) 26 0동 X물앵도(-樓挑) 물앵두 05 물앵두 times물앵도(-樓挑) 05 웅그대다 뭉개다 1 일을 어떻게 할 줄 모 26

르고 짓이기다

2 lsquo제자리에서 폼을 그 냥 비비다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X뭘하다 윗하다 거북하다 난처하다 17 미친놈 미치팡이 26 밀뼈세장 times멀삐죄장 지게의 윗세장 아래에 가 17

로박은나무

X밀뼈쇠창 멀뻐세장 지게의윗세장 아래에 가 1T

로박은나무

표준어L 모융- 145

X법둥스렵다 법살스렵다 Tl 바깥양반(-兩班) 사랑양반(舍願兩班) lsquo -26

바늘뱅셔(rarr方席〉 ldquo 바늘겨레 26 X바랍꾼 lsquo r _바람둥이 25 바심 rsquo 타작(打作) 26

박새 lsquo X깨싸 25 박첨지놀음(朴했知-)x꼭둑각시놀음 (고시) x꼭둑각시rarr꼭두 26

X반대기

X반대기

times반미콩(飯米-)

times발구

발뒤꾸머리

발새

발짓

배뱃니

X배햇쾌기

백곰(白-)

X백하첫(白嚴-)

꼭두각시놀음

소래기

밥밑콩

걸채 -

발뒤꿈치

발살

발질

찾니

배추속대

흰곰

새우첫

각시 rsquo 26

1 앓게 펴 서 다듬어 만 14 25 든조각

2 lsquo무슨 가루률 반죽한

것이나 삶은 푸성귀를

현연하고둥글넓척하게

만든조각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굽 없는 갱시와 같은 넓 25 윤질그릇

21 1 소의 길마 위 에 덧 얹 25 고곡식 단올싣는제구

2 lsquo산에서 쓰는 캘매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합

26

26

lsquo발짓은 lsquo발융 웅칙이는 26

짓rsquo의 돗으로 lsquo발질rsquo응

lsquo발걸질rsquo의 뭇으로 인정

26

25 전문용어로는 lsquo흰곰rsquo만 26

인청함

25

14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밴덕 얀덕 19rsquo

번연히 번히 16

벌5 허튼모 lsquo오판 구역 밖에 볍써가 2amp 떨어져 자라난 모rsquo냐 lsquo일

을 말막음ξ로 했을 째

쓰는 말rsquo의 돗A로도 인

정함

X벙태기 벙테커 17

병태기 times벙태기 17

별간장(別-홉) 손님장(-짧) 작은 그릇에 따로 담그는 26 간장

별맛(別-) 별미(別味) 26

X별미적다(別味-) 별미쩍다(別味-) 17

별마쩍다(別味lsquo) times별미적다(別味-) 17

X보리풀꺾다 보리풀하다 보리 갈 땅에 거름하기 위 25 하여 풀이나 나뭇잎을 베

어 오다

times보사리감투 보살감투(홈塵-) 17

X보챙기 겨리 lsquo보슐을 낀 챙기rsquo의 뭇~ 25 로는 안청함

복부르다(復-) 초혼하다(招塊-) 26

x복생션(-生蘇) 복 14

복어(-魚) - 16 26

X부레끊다 부레끓다 25

부헤꿇다 times부헤끊다 25

X부시다 부수다 lsquo그릇 같은 것을 께꿋이 25 씻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X부얼부얼 북슬북슬 1 짐승이 살이 찌고 탤 25 이 탕스렵게 많이 난

모양

2 lsquo잘찌고 탑스렵게 생 긴모양rsquo의뜻으로는인

정함

표준어 모옴 147

부엌칼 식칼(食-) 26 X부철다말 부철따말 17 부철따말 times부철다말 17

X북두 부뚜 1 타작마당에서 쓰는 돗 25 자리

2 lsquo마소에 짐융 싣고 그 정파 배률 얼러서 매는

줄rsquo의 뭇으로는 인갱함

분결(慣-) 분검(念 慣-) 26 분지르다 부러뜨리다 26 불공드리다(佛供-) 풍양드리다(供養-) 26 불풍밥(佛供-) 퇴식밥(退食-) 26 불룩이 times불룩히 17 불친소 악대소 26 불호령(-號令) 볼호령(-號令) 26

X붙여장다 붙잡다 14 25 비단개구리(排繼-) 무당개구리 전문용어로는lsquo우당개구 26

리rsquo를 안청함

X비사차기 비사치기 25

비사치기 times비사차기 25 X빚거간(-居間) 빚지시 1lsquo 벚올 주고 쓰는 데 에 25

중간에서 소개하는 일

2 lsquo벚올 내고 주는 데에 중간에서 강H하는 것

을 업으로 장는일rsquo의

뭇으로는인청함

빨갱이 times빨강l 1 공산주의자 09 17 2 lsquo빨간빛의 물건rsquo의 뭇 으로는 lsquo빨강이rsquo를 얀

정함

X빼주 배갈 25

X사갓집(훌家-) 사돈집(흉賴-) 25

사거리(四-) 네거리 26

148 국어 생활- rsquo 90 가올 (제 22호)

사마귀 버마재벼 전문용어로는 lsquo사마귀rsquo를 2β

인청함

사향노루(훌香-) 궁노루 26

값전(-鍵) 돈 (고시 ) x 잔정-gt잔돈 26 산울렴(山-) 헤아리 26

X산코골다 헛3i골다 25 살긋하다 썰긋하다 바르게 된 물건이 한쪽2 19

로 일그러지다

X상량대(上陳-) 마룻대 21 25 times상량도리(上標-) 마뭇대 21 25 times상재(上-) 상좌(上뾰) 05 X상청(上-) 상창(上唱) 뛰어난 창(唱) 05 샅바채우다 샅바지르다 26

X새소리 놀소리 25 X새치롬하다 새치름하다 시치미를 떼고 태연하거 17

나 양천한 기색을 꾸며 다-새치름하다 times새치롬하다 시치미를 혜고 태연하거 17

나 양전한 기색을 꾸미다

색깔(色-) 빛깔 26

times셋까닿다 새까땅다 17 X셋빨창다 새빨창다 17 X셋파량다 새파량다 17 times생갈이(生-) 애벌갈아 1 논이나 밭을 첫 번 가 21

는일

2 lsquo홍두깨 깔이 rsquo 의 준말로 는 lsquo생갈이rsquo를 언정함

X생급L렵4 새삼스렵다 lsquo하는 것이나 말이 캅작 2~

스렵고 돗밖이 다rsquo AElig는

lsquo끄챔어내는 말이 엉뚱하

고 터무니없다rsquo의 뭇으로

는 언청함

생김치(生-) 날검치 ~6

쟁옥(-木〕 당목(康木) 2amp

150 국어생활 90 가올〔제 22호)

X솔갱이 솔개 (고시 )~x소리개rarr솔개 2S

times쇠꼬창01 죄꼬쟁이 09

쇠꼬챙이 times죄꼬창이 09-

X쇠버즘 쇠버짐 17 쇠버짐 times쇠버즘 17

쇠족(-足) 쇠다리 26 쇠죽솥 쇠죽가마 26

times수무(手-) 수모(手母) 신부(新橋)의 보초안 OS

times수이 쉬이 20-

X수이보다 쉬이보다 20 times수이여커다 쉬이여기다 20 rsquo

X숭이 송이 08 시골말 사투리 26

times시초잡다(始初-) 시착하다〔始作-) 25--

신바랍 어껏바량 2amp 신첩살렴(新援-) 신접살이(新援-) 2amp 신챈나무 신대 2amp

설로(實-) 참으로 2G

섬보(心-) 마음보 26 섬술퉁이(心術-) X섬술통이(心術-) 08 심섬파척(-破寂) 섬섬풀이 2amp

times성갱싱갱하다 싱둥생둥하다 lsquo방이 서늘하고 차다rsquo의 2S

뜻으로는 인청함

X성퉁생둥하다 성갱생갱하다 lsquo기운이 줄어질 만한 일 2S

을 겪은뒤에도본래의 기

운이 있다rsquo의 뜻으로는 언

청함

싸느황다 X싸느렇다 17

X싸느렇다 싸느량다 17

X싸려운 사렵문 lsquo싹리로 만든 문rsquo의 뭇으 25

로는 인청함

쌀긋하다 생긋하다 19rsquo

쌍망이 times짱맹이 09

표준어 모음 151

X썽맹이 쌍망이 09-

쌍소리 장소리 19

쌍섬지셔다 쌍심지나마 26

쌍심지오르다 26

X써내다 켜내다 lsquo글씨롤 써셔 내놓다rsquo의 ~s

뭇으로는 언청함

X써다 켜다 lsquo조숫풀이 출거 나 펀 물 25 이 새어셔 줄다rsquo의 룻으

로는 안청함

X썩정이 삭청1 1 산 나우에 붙은 채 말 25 라죽윤나뭇가지

2 lsquo썩은 물건rsquo의 돗A로 는인청함

썰다 써리다 1 논밭융 고르게 하다 16 2 middot물건율 로막토막 통 캉치다rsquo의 뭇으로도 안

갱함

쓰레장판 쓰헤받기 유치 캉환요로 만든 쓰레 26 받기

씨돼치 종톤(種際) 26

아래얄 X아랫알 수판의 가릅대 아래의 알 17

아랫녘 앞대 1 어떤 치방에서 그 남 26 쪽의 지방을일컴는말

2 lsquo전라도 경장도흘 일 걷는 말rsquo로도 안갱함

X아랫동강이 종아리 25

times아랫알 아래알 수판의 카름대 아래의 알 17

아랫중방(-中林) 하인방(下引林) 26

아련하다 오련하다 19

X아웃 가웃 lsquo말아웃rsquo은 언청함 17 2()

아유 아이고 19

아지직 오지칙 19 아치작 19

1 한그릇에 두가지 이

상의 음식을 어울리게

당다

~ lsquo홈칙 따위률 식지 않

게 불에 놓거냐 따뭇한 lsquo - ~ 바헤lsquo묻어 두다rsquo 또는- lsquo e

lsquo샤랑올 안동하여 보내

다j의- 돗으로는 인정하

고 lsquo암구다rsquo (교미를 붙

이다)의 뭇으로는 인청

하지 않음

lsquo ~6 gt 26 lsquo

lsquo 26

- - - - 스 25rsquo

19 -26

09

lsquo26

25

국약2생 활「rsquo 90 가을(제 22호)

안개 u] 가랑비

얀갱 안채 안쪽외영 채

주인집(主A-)

안혜 바로전해 쌓즘삼C삼rsquo ~ ~ I rsquo lsquo 얄픔좀쏟 (rsquo 간

X 알박이 ν lsquo f알뼈71 알 밴 생션 얄펠대71 ~ J f -lsquo~T단〈rsquo觸蛋 chitan)

X 알심 -Z ) t ilsquo끼(고앵이( 1 초목의 줄기 가운데의 lsquo gt τ 연한 심

f lsquo - J lsquo 2[ lsquo판폰한 동정섬rsquo 또는

lsquo속에 있는힘rsquo의 뭇a lsquo -lsquo - Ilsquo middot 안 로는 인정함

알약(-藥) J μ환약f갯L藥)

양딴해도1 lsquo rsquo ~ t ~ - τ 아운리쾌도

앙구다 r rsquo l lsquo t ( lsquof쩔lsquo플이다

J rsquo z bull lsquo ι rsquo rsquo

ω Mω Mω

J52lsquo

~r

-rsquo

lsquo rdquo

ldquo

두별갈이

앞뜰

아기

애타다

아비

lsquo lsquo

26

26

09

26

09

1 놀라거나반가올때 내 26

는소리

2 lsquo예rsquo(존대할자리에 대

rdquo lsquo

rsquo

bull lsquo

앞뒤갈이 앞lsquo바당

X애기

애끓다

lsquo애비

F

26 09 26 09 26 26 26-

21

26 (고시) x찍rarr쪽 26 1 마음이 너그렵고 정질 26 lsquo

l 부드렵다

2lt lsquo얼굴의 각 구맹새가

ι-넬젝널찍하다rsquo의 뜻우-낀-rsquo-로도 언갱함

한 살청도차이 나서 동

감이나 다름없음

1 여러 사랍이 밑천올 어

울러서 하는장사 2 어려장수의 영업 rsquo 위 -

뭇으로는언청함

153 lsquo표훈어 lsquo 오옴

답하거나재쳐 묻는말)

의 뭇으로는 인정하지

않음

lsquo오밤중rsquo도 안정함

lsquo - lsquo- rsquo lsquo

times야말장이 1

야발쟁이

한밤중(-中) 약물터(藥-)

분칭(分햄)

양지머리뼈

lsquo 이모작(그毛作)

양현짝(兩便-)

서글서글하다

middot야발단지

rsquo

bull

녁 ι니

1r

t

ι水

」骨

7

便

- -

蘭藥

爛浦lsquoh浦합i

yF

터 νF 빼 루 £1 맏

이 i

바n

--lsquo저ι

골ι 그lsquo

펀 그τ π -lsquolsquo j

lsquo

야 야T1

약1

양lsquo

양 어「lsquo

x

26

25

懶1ι

갑 rsquolsquolsquo

1j렁shy

영-

J샤L C

ldquo

그rdquoRlsquo-lsquo

짧 ι

쐐υ

껴기

lsquo리

x

r 4

--μ

t i

x 어버리j좋다 -

어스러기

x어스러기 lsquo 어스럭송아지

어융 어이구 어환둥퉁 어허둥둥

어〈홉1 - 이 ldquo lsquo 범 ~ lsquo X언냐 어린아아

얼간1 -기ldquo - 얼간망풍l

X얼러망~땅~l - 니 ldquo 을러방망억

얼룩말 얼럭말

22 25

대담하다(大觸-)

ι lsquo lsquo lsquo bull ~ rsquo

25

19 lsquo

19 lsquo

26

25

26 17

26

옷 따위의 솔이 어스러진

큰송아지

표준어 모옴 155-

X옴살 엄살 lsquo한몽같이 친밀한터rsquo의 뭇 17 A로는인정함

옴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gt

왕매미 말매미 lsquo큰 매미rsquo의 뜻으로모두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말매

미rsquo엄

왕벌 호박멸 lsquo큰 벌rsquo 의 뭇으로 lsquo왕별 말 26 말벌 벌rsquo 모두 언청 함 전운용어 26

로는 lsquo호박별rsquo엄

왕새우 대하(大醒) 전문용어로는 lsquo대하rsquo를 인 26

청함

왕파리 쉬파리 lsquo큰파리rsquo의 뭇으로 모두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쉬파

리rsquo를 언정함

왜난목 내공목(內供木) 옷의 안강으로 쓰는 풍질이 26 낮tr -n「며

왜먹(훌-) (채래의 6 모형에 대해) 네 25-lsquo

모난먹

times외발제기 외알채기 1 굽 하나를 질질 끌어서 17rsquo

다디어 걷는 걸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소

2 lsquo한 발만가지고차는제

기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외상관혜(-冠禮) 외자한례(-冠禮〕 2amp X외통목 외킬목 lsquo장기 둘 때에 외통장군이 25-

되는 킬목rsquo의 뭇으로는 인

청함

X왼 온 lsquo왼쪽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1( 요뒤 요의(覆衣) 26 용슷바람 회오리바랍 26

times우그령흑박 우그령쪽박 17 X우물우둘 우틀우플 1 춤거나무서워서 폼을떠 08

τ~ YOJ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19: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표준어L 모융- 145

X법둥스렵다 법살스렵다 Tl 바깥양반(-兩班) 사랑양반(舍願兩班) lsquo -26

바늘뱅셔(rarr方席〉 ldquo 바늘겨레 26 X바랍꾼 lsquo r _바람둥이 25 바심 rsquo 타작(打作) 26

박새 lsquo X깨싸 25 박첨지놀음(朴했知-)x꼭둑각시놀음 (고시) x꼭둑각시rarr꼭두 26

X반대기

X반대기

times반미콩(飯米-)

times발구

발뒤꾸머리

발새

발짓

배뱃니

X배햇쾌기

백곰(白-)

X백하첫(白嚴-)

꼭두각시놀음

소래기

밥밑콩

걸채 -

발뒤꿈치

발살

발질

찾니

배추속대

흰곰

새우첫

각시 rsquo 26

1 앓게 펴 서 다듬어 만 14 25 든조각

2 lsquo무슨 가루률 반죽한

것이나 삶은 푸성귀를

현연하고둥글넓척하게

만든조각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굽 없는 갱시와 같은 넓 25 윤질그릇

21 1 소의 길마 위 에 덧 얹 25 고곡식 단올싣는제구

2 lsquo산에서 쓰는 캘매rsquo 의 뭇으로는 인청합

26

26

lsquo발짓은 lsquo발융 웅칙이는 26

짓rsquo의 돗으로 lsquo발질rsquo응

lsquo발걸질rsquo의 뭇으로 인정

26

25 전문용어로는 lsquo흰곰rsquo만 26

인청함

25

14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밴덕 얀덕 19rsquo

번연히 번히 16

벌5 허튼모 lsquo오판 구역 밖에 볍써가 2amp 떨어져 자라난 모rsquo냐 lsquo일

을 말막음ξ로 했을 째

쓰는 말rsquo의 돗A로도 인

정함

X벙태기 벙테커 17

병태기 times벙태기 17

별간장(別-홉) 손님장(-짧) 작은 그릇에 따로 담그는 26 간장

별맛(別-) 별미(別味) 26

X별미적다(別味-) 별미쩍다(別味-) 17

별마쩍다(別味lsquo) times별미적다(別味-) 17

X보리풀꺾다 보리풀하다 보리 갈 땅에 거름하기 위 25 하여 풀이나 나뭇잎을 베

어 오다

times보사리감투 보살감투(홈塵-) 17

X보챙기 겨리 lsquo보슐을 낀 챙기rsquo의 뭇~ 25 로는 안청함

복부르다(復-) 초혼하다(招塊-) 26

x복생션(-生蘇) 복 14

복어(-魚) - 16 26

X부레끊다 부레끓다 25

부헤꿇다 times부헤끊다 25

X부시다 부수다 lsquo그릇 같은 것을 께꿋이 25 씻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X부얼부얼 북슬북슬 1 짐승이 살이 찌고 탤 25 이 탕스렵게 많이 난

모양

2 lsquo잘찌고 탑스렵게 생 긴모양rsquo의뜻으로는인

정함

표준어 모옴 147

부엌칼 식칼(食-) 26 X부철다말 부철따말 17 부철따말 times부철다말 17

X북두 부뚜 1 타작마당에서 쓰는 돗 25 자리

2 lsquo마소에 짐융 싣고 그 정파 배률 얼러서 매는

줄rsquo의 뭇으로는 인갱함

분결(慣-) 분검(念 慣-) 26 분지르다 부러뜨리다 26 불공드리다(佛供-) 풍양드리다(供養-) 26 불풍밥(佛供-) 퇴식밥(退食-) 26 불룩이 times불룩히 17 불친소 악대소 26 불호령(-號令) 볼호령(-號令) 26

X붙여장다 붙잡다 14 25 비단개구리(排繼-) 무당개구리 전문용어로는lsquo우당개구 26

리rsquo를 안청함

X비사차기 비사치기 25

비사치기 times비사차기 25 X빚거간(-居間) 빚지시 1lsquo 벚올 주고 쓰는 데 에 25

중간에서 소개하는 일

2 lsquo벚올 내고 주는 데에 중간에서 강H하는 것

을 업으로 장는일rsquo의

뭇으로는인청함

빨갱이 times빨강l 1 공산주의자 09 17 2 lsquo빨간빛의 물건rsquo의 뭇 으로는 lsquo빨강이rsquo를 얀

정함

X빼주 배갈 25

X사갓집(훌家-) 사돈집(흉賴-) 25

사거리(四-) 네거리 26

148 국어 생활- rsquo 90 가올 (제 22호)

사마귀 버마재벼 전문용어로는 lsquo사마귀rsquo를 2β

인청함

사향노루(훌香-) 궁노루 26

값전(-鍵) 돈 (고시 ) x 잔정-gt잔돈 26 산울렴(山-) 헤아리 26

X산코골다 헛3i골다 25 살긋하다 썰긋하다 바르게 된 물건이 한쪽2 19

로 일그러지다

X상량대(上陳-) 마룻대 21 25 times상량도리(上標-) 마뭇대 21 25 times상재(上-) 상좌(上뾰) 05 X상청(上-) 상창(上唱) 뛰어난 창(唱) 05 샅바채우다 샅바지르다 26

X새소리 놀소리 25 X새치롬하다 새치름하다 시치미를 떼고 태연하거 17

나 양천한 기색을 꾸며 다-새치름하다 times새치롬하다 시치미를 혜고 태연하거 17

나 양전한 기색을 꾸미다

색깔(色-) 빛깔 26

times셋까닿다 새까땅다 17 X셋빨창다 새빨창다 17 X셋파량다 새파량다 17 times생갈이(生-) 애벌갈아 1 논이나 밭을 첫 번 가 21

는일

2 lsquo홍두깨 깔이 rsquo 의 준말로 는 lsquo생갈이rsquo를 언정함

X생급L렵4 새삼스렵다 lsquo하는 것이나 말이 캅작 2~

스렵고 돗밖이 다rsquo AElig는

lsquo끄챔어내는 말이 엉뚱하

고 터무니없다rsquo의 뭇으로

는 언청함

생김치(生-) 날검치 ~6

쟁옥(-木〕 당목(康木) 2amp

150 국어생활 90 가올〔제 22호)

X솔갱이 솔개 (고시 )~x소리개rarr솔개 2S

times쇠꼬창01 죄꼬쟁이 09

쇠꼬챙이 times죄꼬창이 09-

X쇠버즘 쇠버짐 17 쇠버짐 times쇠버즘 17

쇠족(-足) 쇠다리 26 쇠죽솥 쇠죽가마 26

times수무(手-) 수모(手母) 신부(新橋)의 보초안 OS

times수이 쉬이 20-

X수이보다 쉬이보다 20 times수이여커다 쉬이여기다 20 rsquo

X숭이 송이 08 시골말 사투리 26

times시초잡다(始初-) 시착하다〔始作-) 25--

신바랍 어껏바량 2amp 신첩살렴(新援-) 신접살이(新援-) 2amp 신챈나무 신대 2amp

설로(實-) 참으로 2G

섬보(心-) 마음보 26 섬술퉁이(心術-) X섬술통이(心術-) 08 심섬파척(-破寂) 섬섬풀이 2amp

times성갱싱갱하다 싱둥생둥하다 lsquo방이 서늘하고 차다rsquo의 2S

뜻으로는 인청함

X성퉁생둥하다 성갱생갱하다 lsquo기운이 줄어질 만한 일 2S

을 겪은뒤에도본래의 기

운이 있다rsquo의 뜻으로는 언

청함

싸느황다 X싸느렇다 17

X싸느렇다 싸느량다 17

X싸려운 사렵문 lsquo싹리로 만든 문rsquo의 뭇으 25

로는 인청함

쌀긋하다 생긋하다 19rsquo

쌍망이 times짱맹이 09

표준어 모음 151

X썽맹이 쌍망이 09-

쌍소리 장소리 19

쌍섬지셔다 쌍심지나마 26

쌍심지오르다 26

X써내다 켜내다 lsquo글씨롤 써셔 내놓다rsquo의 ~s

뭇으로는 언청함

X써다 켜다 lsquo조숫풀이 출거 나 펀 물 25 이 새어셔 줄다rsquo의 룻으

로는 안청함

X썩정이 삭청1 1 산 나우에 붙은 채 말 25 라죽윤나뭇가지

2 lsquo썩은 물건rsquo의 돗A로 는인청함

썰다 써리다 1 논밭융 고르게 하다 16 2 middot물건율 로막토막 통 캉치다rsquo의 뭇으로도 안

갱함

쓰레장판 쓰헤받기 유치 캉환요로 만든 쓰레 26 받기

씨돼치 종톤(種際) 26

아래얄 X아랫알 수판의 가릅대 아래의 알 17

아랫녘 앞대 1 어떤 치방에서 그 남 26 쪽의 지방을일컴는말

2 lsquo전라도 경장도흘 일 걷는 말rsquo로도 안갱함

X아랫동강이 종아리 25

times아랫알 아래알 수판의 카름대 아래의 알 17

아랫중방(-中林) 하인방(下引林) 26

아련하다 오련하다 19

X아웃 가웃 lsquo말아웃rsquo은 언청함 17 2()

아유 아이고 19

아지직 오지칙 19 아치작 19

1 한그릇에 두가지 이

상의 음식을 어울리게

당다

~ lsquo홈칙 따위률 식지 않

게 불에 놓거냐 따뭇한 lsquo - ~ 바헤lsquo묻어 두다rsquo 또는- lsquo e

lsquo샤랑올 안동하여 보내

다j의- 돗으로는 인정하

고 lsquo암구다rsquo (교미를 붙

이다)의 뭇으로는 인청

하지 않음

lsquo ~6 gt 26 lsquo

lsquo 26

- - - - 스 25rsquo

19 -26

09

lsquo26

25

국약2생 활「rsquo 90 가을(제 22호)

안개 u] 가랑비

얀갱 안채 안쪽외영 채

주인집(主A-)

안혜 바로전해 쌓즘삼C삼rsquo ~ ~ I rsquo lsquo 얄픔좀쏟 (rsquo 간

X 알박이 ν lsquo f알뼈71 알 밴 생션 얄펠대71 ~ J f -lsquo~T단〈rsquo觸蛋 chitan)

X 알심 -Z ) t ilsquo끼(고앵이( 1 초목의 줄기 가운데의 lsquo gt τ 연한 심

f lsquo - J lsquo 2[ lsquo판폰한 동정섬rsquo 또는

lsquo속에 있는힘rsquo의 뭇a lsquo -lsquo - Ilsquo middot 안 로는 인정함

알약(-藥) J μ환약f갯L藥)

양딴해도1 lsquo rsquo ~ t ~ - τ 아운리쾌도

앙구다 r rsquo l lsquo t ( lsquof쩔lsquo플이다

J rsquo z bull lsquo ι rsquo rsquo

ω Mω Mω

J52lsquo

~r

-rsquo

lsquo rdquo

ldquo

두별갈이

앞뜰

아기

애타다

아비

lsquo lsquo

26

26

09

26

09

1 놀라거나반가올때 내 26

는소리

2 lsquo예rsquo(존대할자리에 대

rdquo lsquo

rsquo

bull lsquo

앞뒤갈이 앞lsquo바당

X애기

애끓다

lsquo애비

F

26 09 26 09 26 26 26-

21

26 (고시) x찍rarr쪽 26 1 마음이 너그렵고 정질 26 lsquo

l 부드렵다

2lt lsquo얼굴의 각 구맹새가

ι-넬젝널찍하다rsquo의 뜻우-낀-rsquo-로도 언갱함

한 살청도차이 나서 동

감이나 다름없음

1 여러 사랍이 밑천올 어

울러서 하는장사 2 어려장수의 영업 rsquo 위 -

뭇으로는언청함

153 lsquo표훈어 lsquo 오옴

답하거나재쳐 묻는말)

의 뭇으로는 인정하지

않음

lsquo오밤중rsquo도 안정함

lsquo - lsquo- rsquo lsquo

times야말장이 1

야발쟁이

한밤중(-中) 약물터(藥-)

분칭(分햄)

양지머리뼈

lsquo 이모작(그毛作)

양현짝(兩便-)

서글서글하다

middot야발단지

rsquo

bull

녁 ι니

1r

t

ι水

」骨

7

便

- -

蘭藥

爛浦lsquoh浦합i

yF

터 νF 빼 루 £1 맏

이 i

바n

--lsquo저ι

골ι 그lsquo

펀 그τ π -lsquolsquo j

lsquo

야 야T1

약1

양lsquo

양 어「lsquo

x

26

25

懶1ι

갑 rsquolsquolsquo

1j렁shy

영-

J샤L C

ldquo

그rdquoRlsquo-lsquo

짧 ι

쐐υ

껴기

lsquo리

x

r 4

--μ

t i

x 어버리j좋다 -

어스러기

x어스러기 lsquo 어스럭송아지

어융 어이구 어환둥퉁 어허둥둥

어〈홉1 - 이 ldquo lsquo 범 ~ lsquo X언냐 어린아아

얼간1 -기ldquo - 얼간망풍l

X얼러망~땅~l - 니 ldquo 을러방망억

얼룩말 얼럭말

22 25

대담하다(大觸-)

ι lsquo lsquo lsquo bull ~ rsquo

25

19 lsquo

19 lsquo

26

25

26 17

26

옷 따위의 솔이 어스러진

큰송아지

표준어 모옴 155-

X옴살 엄살 lsquo한몽같이 친밀한터rsquo의 뭇 17 A로는인정함

옴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gt

왕매미 말매미 lsquo큰 매미rsquo의 뜻으로모두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말매

미rsquo엄

왕벌 호박멸 lsquo큰 벌rsquo 의 뭇으로 lsquo왕별 말 26 말벌 벌rsquo 모두 언청 함 전운용어 26

로는 lsquo호박별rsquo엄

왕새우 대하(大醒) 전문용어로는 lsquo대하rsquo를 인 26

청함

왕파리 쉬파리 lsquo큰파리rsquo의 뭇으로 모두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쉬파

리rsquo를 언정함

왜난목 내공목(內供木) 옷의 안강으로 쓰는 풍질이 26 낮tr -n「며

왜먹(훌-) (채래의 6 모형에 대해) 네 25-lsquo

모난먹

times외발제기 외알채기 1 굽 하나를 질질 끌어서 17rsquo

다디어 걷는 걸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소

2 lsquo한 발만가지고차는제

기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외상관혜(-冠禮) 외자한례(-冠禮〕 2amp X외통목 외킬목 lsquo장기 둘 때에 외통장군이 25-

되는 킬목rsquo의 뭇으로는 인

청함

X왼 온 lsquo왼쪽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1( 요뒤 요의(覆衣) 26 용슷바람 회오리바랍 26

times우그령흑박 우그령쪽박 17 X우물우둘 우틀우플 1 춤거나무서워서 폼을떠 08

τ~ YOJ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20: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14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밴덕 얀덕 19rsquo

번연히 번히 16

벌5 허튼모 lsquo오판 구역 밖에 볍써가 2amp 떨어져 자라난 모rsquo냐 lsquo일

을 말막음ξ로 했을 째

쓰는 말rsquo의 돗A로도 인

정함

X벙태기 벙테커 17

병태기 times벙태기 17

별간장(別-홉) 손님장(-짧) 작은 그릇에 따로 담그는 26 간장

별맛(別-) 별미(別味) 26

X별미적다(別味-) 별미쩍다(別味-) 17

별마쩍다(別味lsquo) times별미적다(別味-) 17

X보리풀꺾다 보리풀하다 보리 갈 땅에 거름하기 위 25 하여 풀이나 나뭇잎을 베

어 오다

times보사리감투 보살감투(홈塵-) 17

X보챙기 겨리 lsquo보슐을 낀 챙기rsquo의 뭇~ 25 로는 안청함

복부르다(復-) 초혼하다(招塊-) 26

x복생션(-生蘇) 복 14

복어(-魚) - 16 26

X부레끊다 부레끓다 25

부헤꿇다 times부헤끊다 25

X부시다 부수다 lsquo그릇 같은 것을 께꿋이 25 씻다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X부얼부얼 북슬북슬 1 짐승이 살이 찌고 탤 25 이 탕스렵게 많이 난

모양

2 lsquo잘찌고 탑스렵게 생 긴모양rsquo의뜻으로는인

정함

표준어 모옴 147

부엌칼 식칼(食-) 26 X부철다말 부철따말 17 부철따말 times부철다말 17

X북두 부뚜 1 타작마당에서 쓰는 돗 25 자리

2 lsquo마소에 짐융 싣고 그 정파 배률 얼러서 매는

줄rsquo의 뭇으로는 인갱함

분결(慣-) 분검(念 慣-) 26 분지르다 부러뜨리다 26 불공드리다(佛供-) 풍양드리다(供養-) 26 불풍밥(佛供-) 퇴식밥(退食-) 26 불룩이 times불룩히 17 불친소 악대소 26 불호령(-號令) 볼호령(-號令) 26

X붙여장다 붙잡다 14 25 비단개구리(排繼-) 무당개구리 전문용어로는lsquo우당개구 26

리rsquo를 안청함

X비사차기 비사치기 25

비사치기 times비사차기 25 X빚거간(-居間) 빚지시 1lsquo 벚올 주고 쓰는 데 에 25

중간에서 소개하는 일

2 lsquo벚올 내고 주는 데에 중간에서 강H하는 것

을 업으로 장는일rsquo의

뭇으로는인청함

빨갱이 times빨강l 1 공산주의자 09 17 2 lsquo빨간빛의 물건rsquo의 뭇 으로는 lsquo빨강이rsquo를 얀

정함

X빼주 배갈 25

X사갓집(훌家-) 사돈집(흉賴-) 25

사거리(四-) 네거리 26

148 국어 생활- rsquo 90 가올 (제 22호)

사마귀 버마재벼 전문용어로는 lsquo사마귀rsquo를 2β

인청함

사향노루(훌香-) 궁노루 26

값전(-鍵) 돈 (고시 ) x 잔정-gt잔돈 26 산울렴(山-) 헤아리 26

X산코골다 헛3i골다 25 살긋하다 썰긋하다 바르게 된 물건이 한쪽2 19

로 일그러지다

X상량대(上陳-) 마룻대 21 25 times상량도리(上標-) 마뭇대 21 25 times상재(上-) 상좌(上뾰) 05 X상청(上-) 상창(上唱) 뛰어난 창(唱) 05 샅바채우다 샅바지르다 26

X새소리 놀소리 25 X새치롬하다 새치름하다 시치미를 떼고 태연하거 17

나 양천한 기색을 꾸며 다-새치름하다 times새치롬하다 시치미를 혜고 태연하거 17

나 양전한 기색을 꾸미다

색깔(色-) 빛깔 26

times셋까닿다 새까땅다 17 X셋빨창다 새빨창다 17 X셋파량다 새파량다 17 times생갈이(生-) 애벌갈아 1 논이나 밭을 첫 번 가 21

는일

2 lsquo홍두깨 깔이 rsquo 의 준말로 는 lsquo생갈이rsquo를 언정함

X생급L렵4 새삼스렵다 lsquo하는 것이나 말이 캅작 2~

스렵고 돗밖이 다rsquo AElig는

lsquo끄챔어내는 말이 엉뚱하

고 터무니없다rsquo의 뭇으로

는 언청함

생김치(生-) 날검치 ~6

쟁옥(-木〕 당목(康木) 2amp

150 국어생활 90 가올〔제 22호)

X솔갱이 솔개 (고시 )~x소리개rarr솔개 2S

times쇠꼬창01 죄꼬쟁이 09

쇠꼬챙이 times죄꼬창이 09-

X쇠버즘 쇠버짐 17 쇠버짐 times쇠버즘 17

쇠족(-足) 쇠다리 26 쇠죽솥 쇠죽가마 26

times수무(手-) 수모(手母) 신부(新橋)의 보초안 OS

times수이 쉬이 20-

X수이보다 쉬이보다 20 times수이여커다 쉬이여기다 20 rsquo

X숭이 송이 08 시골말 사투리 26

times시초잡다(始初-) 시착하다〔始作-) 25--

신바랍 어껏바량 2amp 신첩살렴(新援-) 신접살이(新援-) 2amp 신챈나무 신대 2amp

설로(實-) 참으로 2G

섬보(心-) 마음보 26 섬술퉁이(心術-) X섬술통이(心術-) 08 심섬파척(-破寂) 섬섬풀이 2amp

times성갱싱갱하다 싱둥생둥하다 lsquo방이 서늘하고 차다rsquo의 2S

뜻으로는 인청함

X성퉁생둥하다 성갱생갱하다 lsquo기운이 줄어질 만한 일 2S

을 겪은뒤에도본래의 기

운이 있다rsquo의 뜻으로는 언

청함

싸느황다 X싸느렇다 17

X싸느렇다 싸느량다 17

X싸려운 사렵문 lsquo싹리로 만든 문rsquo의 뭇으 25

로는 인청함

쌀긋하다 생긋하다 19rsquo

쌍망이 times짱맹이 09

표준어 모음 151

X썽맹이 쌍망이 09-

쌍소리 장소리 19

쌍섬지셔다 쌍심지나마 26

쌍심지오르다 26

X써내다 켜내다 lsquo글씨롤 써셔 내놓다rsquo의 ~s

뭇으로는 언청함

X써다 켜다 lsquo조숫풀이 출거 나 펀 물 25 이 새어셔 줄다rsquo의 룻으

로는 안청함

X썩정이 삭청1 1 산 나우에 붙은 채 말 25 라죽윤나뭇가지

2 lsquo썩은 물건rsquo의 돗A로 는인청함

썰다 써리다 1 논밭융 고르게 하다 16 2 middot물건율 로막토막 통 캉치다rsquo의 뭇으로도 안

갱함

쓰레장판 쓰헤받기 유치 캉환요로 만든 쓰레 26 받기

씨돼치 종톤(種際) 26

아래얄 X아랫알 수판의 가릅대 아래의 알 17

아랫녘 앞대 1 어떤 치방에서 그 남 26 쪽의 지방을일컴는말

2 lsquo전라도 경장도흘 일 걷는 말rsquo로도 안갱함

X아랫동강이 종아리 25

times아랫알 아래알 수판의 카름대 아래의 알 17

아랫중방(-中林) 하인방(下引林) 26

아련하다 오련하다 19

X아웃 가웃 lsquo말아웃rsquo은 언청함 17 2()

아유 아이고 19

아지직 오지칙 19 아치작 19

1 한그릇에 두가지 이

상의 음식을 어울리게

당다

~ lsquo홈칙 따위률 식지 않

게 불에 놓거냐 따뭇한 lsquo - ~ 바헤lsquo묻어 두다rsquo 또는- lsquo e

lsquo샤랑올 안동하여 보내

다j의- 돗으로는 인정하

고 lsquo암구다rsquo (교미를 붙

이다)의 뭇으로는 인청

하지 않음

lsquo ~6 gt 26 lsquo

lsquo 26

- - - - 스 25rsquo

19 -26

09

lsquo26

25

국약2생 활「rsquo 90 가을(제 22호)

안개 u] 가랑비

얀갱 안채 안쪽외영 채

주인집(主A-)

안혜 바로전해 쌓즘삼C삼rsquo ~ ~ I rsquo lsquo 얄픔좀쏟 (rsquo 간

X 알박이 ν lsquo f알뼈71 알 밴 생션 얄펠대71 ~ J f -lsquo~T단〈rsquo觸蛋 chitan)

X 알심 -Z ) t ilsquo끼(고앵이( 1 초목의 줄기 가운데의 lsquo gt τ 연한 심

f lsquo - J lsquo 2[ lsquo판폰한 동정섬rsquo 또는

lsquo속에 있는힘rsquo의 뭇a lsquo -lsquo - Ilsquo middot 안 로는 인정함

알약(-藥) J μ환약f갯L藥)

양딴해도1 lsquo rsquo ~ t ~ - τ 아운리쾌도

앙구다 r rsquo l lsquo t ( lsquof쩔lsquo플이다

J rsquo z bull lsquo ι rsquo rsquo

ω Mω Mω

J52lsquo

~r

-rsquo

lsquo rdquo

ldquo

두별갈이

앞뜰

아기

애타다

아비

lsquo lsquo

26

26

09

26

09

1 놀라거나반가올때 내 26

는소리

2 lsquo예rsquo(존대할자리에 대

rdquo lsquo

rsquo

bull lsquo

앞뒤갈이 앞lsquo바당

X애기

애끓다

lsquo애비

F

26 09 26 09 26 26 26-

21

26 (고시) x찍rarr쪽 26 1 마음이 너그렵고 정질 26 lsquo

l 부드렵다

2lt lsquo얼굴의 각 구맹새가

ι-넬젝널찍하다rsquo의 뜻우-낀-rsquo-로도 언갱함

한 살청도차이 나서 동

감이나 다름없음

1 여러 사랍이 밑천올 어

울러서 하는장사 2 어려장수의 영업 rsquo 위 -

뭇으로는언청함

153 lsquo표훈어 lsquo 오옴

답하거나재쳐 묻는말)

의 뭇으로는 인정하지

않음

lsquo오밤중rsquo도 안정함

lsquo - lsquo- rsquo lsquo

times야말장이 1

야발쟁이

한밤중(-中) 약물터(藥-)

분칭(分햄)

양지머리뼈

lsquo 이모작(그毛作)

양현짝(兩便-)

서글서글하다

middot야발단지

rsquo

bull

녁 ι니

1r

t

ι水

」骨

7

便

- -

蘭藥

爛浦lsquoh浦합i

yF

터 νF 빼 루 £1 맏

이 i

바n

--lsquo저ι

골ι 그lsquo

펀 그τ π -lsquolsquo j

lsquo

야 야T1

약1

양lsquo

양 어「lsquo

x

26

25

懶1ι

갑 rsquolsquolsquo

1j렁shy

영-

J샤L C

ldquo

그rdquoRlsquo-lsquo

짧 ι

쐐υ

껴기

lsquo리

x

r 4

--μ

t i

x 어버리j좋다 -

어스러기

x어스러기 lsquo 어스럭송아지

어융 어이구 어환둥퉁 어허둥둥

어〈홉1 - 이 ldquo lsquo 범 ~ lsquo X언냐 어린아아

얼간1 -기ldquo - 얼간망풍l

X얼러망~땅~l - 니 ldquo 을러방망억

얼룩말 얼럭말

22 25

대담하다(大觸-)

ι lsquo lsquo lsquo bull ~ rsquo

25

19 lsquo

19 lsquo

26

25

26 17

26

옷 따위의 솔이 어스러진

큰송아지

표준어 모옴 155-

X옴살 엄살 lsquo한몽같이 친밀한터rsquo의 뭇 17 A로는인정함

옴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gt

왕매미 말매미 lsquo큰 매미rsquo의 뜻으로모두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말매

미rsquo엄

왕벌 호박멸 lsquo큰 벌rsquo 의 뭇으로 lsquo왕별 말 26 말벌 벌rsquo 모두 언청 함 전운용어 26

로는 lsquo호박별rsquo엄

왕새우 대하(大醒) 전문용어로는 lsquo대하rsquo를 인 26

청함

왕파리 쉬파리 lsquo큰파리rsquo의 뭇으로 모두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쉬파

리rsquo를 언정함

왜난목 내공목(內供木) 옷의 안강으로 쓰는 풍질이 26 낮tr -n「며

왜먹(훌-) (채래의 6 모형에 대해) 네 25-lsquo

모난먹

times외발제기 외알채기 1 굽 하나를 질질 끌어서 17rsquo

다디어 걷는 걸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소

2 lsquo한 발만가지고차는제

기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외상관혜(-冠禮) 외자한례(-冠禮〕 2amp X외통목 외킬목 lsquo장기 둘 때에 외통장군이 25-

되는 킬목rsquo의 뭇으로는 인

청함

X왼 온 lsquo왼쪽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1( 요뒤 요의(覆衣) 26 용슷바람 회오리바랍 26

times우그령흑박 우그령쪽박 17 X우물우둘 우틀우플 1 춤거나무서워서 폼을떠 08

τ~ YOJ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21: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표준어 모옴 147

부엌칼 식칼(食-) 26 X부철다말 부철따말 17 부철따말 times부철다말 17

X북두 부뚜 1 타작마당에서 쓰는 돗 25 자리

2 lsquo마소에 짐융 싣고 그 정파 배률 얼러서 매는

줄rsquo의 뭇으로는 인갱함

분결(慣-) 분검(念 慣-) 26 분지르다 부러뜨리다 26 불공드리다(佛供-) 풍양드리다(供養-) 26 불풍밥(佛供-) 퇴식밥(退食-) 26 불룩이 times불룩히 17 불친소 악대소 26 불호령(-號令) 볼호령(-號令) 26

X붙여장다 붙잡다 14 25 비단개구리(排繼-) 무당개구리 전문용어로는lsquo우당개구 26

리rsquo를 안청함

X비사차기 비사치기 25

비사치기 times비사차기 25 X빚거간(-居間) 빚지시 1lsquo 벚올 주고 쓰는 데 에 25

중간에서 소개하는 일

2 lsquo벚올 내고 주는 데에 중간에서 강H하는 것

을 업으로 장는일rsquo의

뭇으로는인청함

빨갱이 times빨강l 1 공산주의자 09 17 2 lsquo빨간빛의 물건rsquo의 뭇 으로는 lsquo빨강이rsquo를 얀

정함

X빼주 배갈 25

X사갓집(훌家-) 사돈집(흉賴-) 25

사거리(四-) 네거리 26

148 국어 생활- rsquo 90 가올 (제 22호)

사마귀 버마재벼 전문용어로는 lsquo사마귀rsquo를 2β

인청함

사향노루(훌香-) 궁노루 26

값전(-鍵) 돈 (고시 ) x 잔정-gt잔돈 26 산울렴(山-) 헤아리 26

X산코골다 헛3i골다 25 살긋하다 썰긋하다 바르게 된 물건이 한쪽2 19

로 일그러지다

X상량대(上陳-) 마룻대 21 25 times상량도리(上標-) 마뭇대 21 25 times상재(上-) 상좌(上뾰) 05 X상청(上-) 상창(上唱) 뛰어난 창(唱) 05 샅바채우다 샅바지르다 26

X새소리 놀소리 25 X새치롬하다 새치름하다 시치미를 떼고 태연하거 17

나 양천한 기색을 꾸며 다-새치름하다 times새치롬하다 시치미를 혜고 태연하거 17

나 양전한 기색을 꾸미다

색깔(色-) 빛깔 26

times셋까닿다 새까땅다 17 X셋빨창다 새빨창다 17 X셋파량다 새파량다 17 times생갈이(生-) 애벌갈아 1 논이나 밭을 첫 번 가 21

는일

2 lsquo홍두깨 깔이 rsquo 의 준말로 는 lsquo생갈이rsquo를 언정함

X생급L렵4 새삼스렵다 lsquo하는 것이나 말이 캅작 2~

스렵고 돗밖이 다rsquo AElig는

lsquo끄챔어내는 말이 엉뚱하

고 터무니없다rsquo의 뭇으로

는 언청함

생김치(生-) 날검치 ~6

쟁옥(-木〕 당목(康木) 2amp

150 국어생활 90 가올〔제 22호)

X솔갱이 솔개 (고시 )~x소리개rarr솔개 2S

times쇠꼬창01 죄꼬쟁이 09

쇠꼬챙이 times죄꼬창이 09-

X쇠버즘 쇠버짐 17 쇠버짐 times쇠버즘 17

쇠족(-足) 쇠다리 26 쇠죽솥 쇠죽가마 26

times수무(手-) 수모(手母) 신부(新橋)의 보초안 OS

times수이 쉬이 20-

X수이보다 쉬이보다 20 times수이여커다 쉬이여기다 20 rsquo

X숭이 송이 08 시골말 사투리 26

times시초잡다(始初-) 시착하다〔始作-) 25--

신바랍 어껏바량 2amp 신첩살렴(新援-) 신접살이(新援-) 2amp 신챈나무 신대 2amp

설로(實-) 참으로 2G

섬보(心-) 마음보 26 섬술퉁이(心術-) X섬술통이(心術-) 08 심섬파척(-破寂) 섬섬풀이 2amp

times성갱싱갱하다 싱둥생둥하다 lsquo방이 서늘하고 차다rsquo의 2S

뜻으로는 인청함

X성퉁생둥하다 성갱생갱하다 lsquo기운이 줄어질 만한 일 2S

을 겪은뒤에도본래의 기

운이 있다rsquo의 뜻으로는 언

청함

싸느황다 X싸느렇다 17

X싸느렇다 싸느량다 17

X싸려운 사렵문 lsquo싹리로 만든 문rsquo의 뭇으 25

로는 인청함

쌀긋하다 생긋하다 19rsquo

쌍망이 times짱맹이 09

표준어 모음 151

X썽맹이 쌍망이 09-

쌍소리 장소리 19

쌍섬지셔다 쌍심지나마 26

쌍심지오르다 26

X써내다 켜내다 lsquo글씨롤 써셔 내놓다rsquo의 ~s

뭇으로는 언청함

X써다 켜다 lsquo조숫풀이 출거 나 펀 물 25 이 새어셔 줄다rsquo의 룻으

로는 안청함

X썩정이 삭청1 1 산 나우에 붙은 채 말 25 라죽윤나뭇가지

2 lsquo썩은 물건rsquo의 돗A로 는인청함

썰다 써리다 1 논밭융 고르게 하다 16 2 middot물건율 로막토막 통 캉치다rsquo의 뭇으로도 안

갱함

쓰레장판 쓰헤받기 유치 캉환요로 만든 쓰레 26 받기

씨돼치 종톤(種際) 26

아래얄 X아랫알 수판의 가릅대 아래의 알 17

아랫녘 앞대 1 어떤 치방에서 그 남 26 쪽의 지방을일컴는말

2 lsquo전라도 경장도흘 일 걷는 말rsquo로도 안갱함

X아랫동강이 종아리 25

times아랫알 아래알 수판의 카름대 아래의 알 17

아랫중방(-中林) 하인방(下引林) 26

아련하다 오련하다 19

X아웃 가웃 lsquo말아웃rsquo은 언청함 17 2()

아유 아이고 19

아지직 오지칙 19 아치작 19

1 한그릇에 두가지 이

상의 음식을 어울리게

당다

~ lsquo홈칙 따위률 식지 않

게 불에 놓거냐 따뭇한 lsquo - ~ 바헤lsquo묻어 두다rsquo 또는- lsquo e

lsquo샤랑올 안동하여 보내

다j의- 돗으로는 인정하

고 lsquo암구다rsquo (교미를 붙

이다)의 뭇으로는 인청

하지 않음

lsquo ~6 gt 26 lsquo

lsquo 26

- - - - 스 25rsquo

19 -26

09

lsquo26

25

국약2생 활「rsquo 90 가을(제 22호)

안개 u] 가랑비

얀갱 안채 안쪽외영 채

주인집(主A-)

안혜 바로전해 쌓즘삼C삼rsquo ~ ~ I rsquo lsquo 얄픔좀쏟 (rsquo 간

X 알박이 ν lsquo f알뼈71 알 밴 생션 얄펠대71 ~ J f -lsquo~T단〈rsquo觸蛋 chitan)

X 알심 -Z ) t ilsquo끼(고앵이( 1 초목의 줄기 가운데의 lsquo gt τ 연한 심

f lsquo - J lsquo 2[ lsquo판폰한 동정섬rsquo 또는

lsquo속에 있는힘rsquo의 뭇a lsquo -lsquo - Ilsquo middot 안 로는 인정함

알약(-藥) J μ환약f갯L藥)

양딴해도1 lsquo rsquo ~ t ~ - τ 아운리쾌도

앙구다 r rsquo l lsquo t ( lsquof쩔lsquo플이다

J rsquo z bull lsquo ι rsquo rsquo

ω Mω Mω

J52lsquo

~r

-rsquo

lsquo rdquo

ldquo

두별갈이

앞뜰

아기

애타다

아비

lsquo lsquo

26

26

09

26

09

1 놀라거나반가올때 내 26

는소리

2 lsquo예rsquo(존대할자리에 대

rdquo lsquo

rsquo

bull lsquo

앞뒤갈이 앞lsquo바당

X애기

애끓다

lsquo애비

F

26 09 26 09 26 26 26-

21

26 (고시) x찍rarr쪽 26 1 마음이 너그렵고 정질 26 lsquo

l 부드렵다

2lt lsquo얼굴의 각 구맹새가

ι-넬젝널찍하다rsquo의 뜻우-낀-rsquo-로도 언갱함

한 살청도차이 나서 동

감이나 다름없음

1 여러 사랍이 밑천올 어

울러서 하는장사 2 어려장수의 영업 rsquo 위 -

뭇으로는언청함

153 lsquo표훈어 lsquo 오옴

답하거나재쳐 묻는말)

의 뭇으로는 인정하지

않음

lsquo오밤중rsquo도 안정함

lsquo - lsquo- rsquo lsquo

times야말장이 1

야발쟁이

한밤중(-中) 약물터(藥-)

분칭(分햄)

양지머리뼈

lsquo 이모작(그毛作)

양현짝(兩便-)

서글서글하다

middot야발단지

rsquo

bull

녁 ι니

1r

t

ι水

」骨

7

便

- -

蘭藥

爛浦lsquoh浦합i

yF

터 νF 빼 루 £1 맏

이 i

바n

--lsquo저ι

골ι 그lsquo

펀 그τ π -lsquolsquo j

lsquo

야 야T1

약1

양lsquo

양 어「lsquo

x

26

25

懶1ι

갑 rsquolsquolsquo

1j렁shy

영-

J샤L C

ldquo

그rdquoRlsquo-lsquo

짧 ι

쐐υ

껴기

lsquo리

x

r 4

--μ

t i

x 어버리j좋다 -

어스러기

x어스러기 lsquo 어스럭송아지

어융 어이구 어환둥퉁 어허둥둥

어〈홉1 - 이 ldquo lsquo 범 ~ lsquo X언냐 어린아아

얼간1 -기ldquo - 얼간망풍l

X얼러망~땅~l - 니 ldquo 을러방망억

얼룩말 얼럭말

22 25

대담하다(大觸-)

ι lsquo lsquo lsquo bull ~ rsquo

25

19 lsquo

19 lsquo

26

25

26 17

26

옷 따위의 솔이 어스러진

큰송아지

표준어 모옴 155-

X옴살 엄살 lsquo한몽같이 친밀한터rsquo의 뭇 17 A로는인정함

옴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gt

왕매미 말매미 lsquo큰 매미rsquo의 뜻으로모두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말매

미rsquo엄

왕벌 호박멸 lsquo큰 벌rsquo 의 뭇으로 lsquo왕별 말 26 말벌 벌rsquo 모두 언청 함 전운용어 26

로는 lsquo호박별rsquo엄

왕새우 대하(大醒) 전문용어로는 lsquo대하rsquo를 인 26

청함

왕파리 쉬파리 lsquo큰파리rsquo의 뭇으로 모두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쉬파

리rsquo를 언정함

왜난목 내공목(內供木) 옷의 안강으로 쓰는 풍질이 26 낮tr -n「며

왜먹(훌-) (채래의 6 모형에 대해) 네 25-lsquo

모난먹

times외발제기 외알채기 1 굽 하나를 질질 끌어서 17rsquo

다디어 걷는 걸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소

2 lsquo한 발만가지고차는제

기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외상관혜(-冠禮) 외자한례(-冠禮〕 2amp X외통목 외킬목 lsquo장기 둘 때에 외통장군이 25-

되는 킬목rsquo의 뭇으로는 인

청함

X왼 온 lsquo왼쪽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1( 요뒤 요의(覆衣) 26 용슷바람 회오리바랍 26

times우그령흑박 우그령쪽박 17 X우물우둘 우틀우플 1 춤거나무서워서 폼을떠 08

τ~ YOJ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22: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148 국어 생활- rsquo 90 가올 (제 22호)

사마귀 버마재벼 전문용어로는 lsquo사마귀rsquo를 2β

인청함

사향노루(훌香-) 궁노루 26

값전(-鍵) 돈 (고시 ) x 잔정-gt잔돈 26 산울렴(山-) 헤아리 26

X산코골다 헛3i골다 25 살긋하다 썰긋하다 바르게 된 물건이 한쪽2 19

로 일그러지다

X상량대(上陳-) 마룻대 21 25 times상량도리(上標-) 마뭇대 21 25 times상재(上-) 상좌(上뾰) 05 X상청(上-) 상창(上唱) 뛰어난 창(唱) 05 샅바채우다 샅바지르다 26

X새소리 놀소리 25 X새치롬하다 새치름하다 시치미를 떼고 태연하거 17

나 양천한 기색을 꾸며 다-새치름하다 times새치롬하다 시치미를 혜고 태연하거 17

나 양전한 기색을 꾸미다

색깔(色-) 빛깔 26

times셋까닿다 새까땅다 17 X셋빨창다 새빨창다 17 X셋파량다 새파량다 17 times생갈이(生-) 애벌갈아 1 논이나 밭을 첫 번 가 21

는일

2 lsquo홍두깨 깔이 rsquo 의 준말로 는 lsquo생갈이rsquo를 언정함

X생급L렵4 새삼스렵다 lsquo하는 것이나 말이 캅작 2~

스렵고 돗밖이 다rsquo AElig는

lsquo끄챔어내는 말이 엉뚱하

고 터무니없다rsquo의 뭇으로

는 언청함

생김치(生-) 날검치 ~6

쟁옥(-木〕 당목(康木) 2amp

150 국어생활 90 가올〔제 22호)

X솔갱이 솔개 (고시 )~x소리개rarr솔개 2S

times쇠꼬창01 죄꼬쟁이 09

쇠꼬챙이 times죄꼬창이 09-

X쇠버즘 쇠버짐 17 쇠버짐 times쇠버즘 17

쇠족(-足) 쇠다리 26 쇠죽솥 쇠죽가마 26

times수무(手-) 수모(手母) 신부(新橋)의 보초안 OS

times수이 쉬이 20-

X수이보다 쉬이보다 20 times수이여커다 쉬이여기다 20 rsquo

X숭이 송이 08 시골말 사투리 26

times시초잡다(始初-) 시착하다〔始作-) 25--

신바랍 어껏바량 2amp 신첩살렴(新援-) 신접살이(新援-) 2amp 신챈나무 신대 2amp

설로(實-) 참으로 2G

섬보(心-) 마음보 26 섬술퉁이(心術-) X섬술통이(心術-) 08 심섬파척(-破寂) 섬섬풀이 2amp

times성갱싱갱하다 싱둥생둥하다 lsquo방이 서늘하고 차다rsquo의 2S

뜻으로는 인청함

X성퉁생둥하다 성갱생갱하다 lsquo기운이 줄어질 만한 일 2S

을 겪은뒤에도본래의 기

운이 있다rsquo의 뜻으로는 언

청함

싸느황다 X싸느렇다 17

X싸느렇다 싸느량다 17

X싸려운 사렵문 lsquo싹리로 만든 문rsquo의 뭇으 25

로는 인청함

쌀긋하다 생긋하다 19rsquo

쌍망이 times짱맹이 09

표준어 모음 151

X썽맹이 쌍망이 09-

쌍소리 장소리 19

쌍섬지셔다 쌍심지나마 26

쌍심지오르다 26

X써내다 켜내다 lsquo글씨롤 써셔 내놓다rsquo의 ~s

뭇으로는 언청함

X써다 켜다 lsquo조숫풀이 출거 나 펀 물 25 이 새어셔 줄다rsquo의 룻으

로는 안청함

X썩정이 삭청1 1 산 나우에 붙은 채 말 25 라죽윤나뭇가지

2 lsquo썩은 물건rsquo의 돗A로 는인청함

썰다 써리다 1 논밭융 고르게 하다 16 2 middot물건율 로막토막 통 캉치다rsquo의 뭇으로도 안

갱함

쓰레장판 쓰헤받기 유치 캉환요로 만든 쓰레 26 받기

씨돼치 종톤(種際) 26

아래얄 X아랫알 수판의 가릅대 아래의 알 17

아랫녘 앞대 1 어떤 치방에서 그 남 26 쪽의 지방을일컴는말

2 lsquo전라도 경장도흘 일 걷는 말rsquo로도 안갱함

X아랫동강이 종아리 25

times아랫알 아래알 수판의 카름대 아래의 알 17

아랫중방(-中林) 하인방(下引林) 26

아련하다 오련하다 19

X아웃 가웃 lsquo말아웃rsquo은 언청함 17 2()

아유 아이고 19

아지직 오지칙 19 아치작 19

1 한그릇에 두가지 이

상의 음식을 어울리게

당다

~ lsquo홈칙 따위률 식지 않

게 불에 놓거냐 따뭇한 lsquo - ~ 바헤lsquo묻어 두다rsquo 또는- lsquo e

lsquo샤랑올 안동하여 보내

다j의- 돗으로는 인정하

고 lsquo암구다rsquo (교미를 붙

이다)의 뭇으로는 인청

하지 않음

lsquo ~6 gt 26 lsquo

lsquo 26

- - - - 스 25rsquo

19 -26

09

lsquo26

25

국약2생 활「rsquo 90 가을(제 22호)

안개 u] 가랑비

얀갱 안채 안쪽외영 채

주인집(主A-)

안혜 바로전해 쌓즘삼C삼rsquo ~ ~ I rsquo lsquo 얄픔좀쏟 (rsquo 간

X 알박이 ν lsquo f알뼈71 알 밴 생션 얄펠대71 ~ J f -lsquo~T단〈rsquo觸蛋 chitan)

X 알심 -Z ) t ilsquo끼(고앵이( 1 초목의 줄기 가운데의 lsquo gt τ 연한 심

f lsquo - J lsquo 2[ lsquo판폰한 동정섬rsquo 또는

lsquo속에 있는힘rsquo의 뭇a lsquo -lsquo - Ilsquo middot 안 로는 인정함

알약(-藥) J μ환약f갯L藥)

양딴해도1 lsquo rsquo ~ t ~ - τ 아운리쾌도

앙구다 r rsquo l lsquo t ( lsquof쩔lsquo플이다

J rsquo z bull lsquo ι rsquo rsquo

ω Mω Mω

J52lsquo

~r

-rsquo

lsquo rdquo

ldquo

두별갈이

앞뜰

아기

애타다

아비

lsquo lsquo

26

26

09

26

09

1 놀라거나반가올때 내 26

는소리

2 lsquo예rsquo(존대할자리에 대

rdquo lsquo

rsquo

bull lsquo

앞뒤갈이 앞lsquo바당

X애기

애끓다

lsquo애비

F

26 09 26 09 26 26 26-

21

26 (고시) x찍rarr쪽 26 1 마음이 너그렵고 정질 26 lsquo

l 부드렵다

2lt lsquo얼굴의 각 구맹새가

ι-넬젝널찍하다rsquo의 뜻우-낀-rsquo-로도 언갱함

한 살청도차이 나서 동

감이나 다름없음

1 여러 사랍이 밑천올 어

울러서 하는장사 2 어려장수의 영업 rsquo 위 -

뭇으로는언청함

153 lsquo표훈어 lsquo 오옴

답하거나재쳐 묻는말)

의 뭇으로는 인정하지

않음

lsquo오밤중rsquo도 안정함

lsquo - lsquo- rsquo lsquo

times야말장이 1

야발쟁이

한밤중(-中) 약물터(藥-)

분칭(分햄)

양지머리뼈

lsquo 이모작(그毛作)

양현짝(兩便-)

서글서글하다

middot야발단지

rsquo

bull

녁 ι니

1r

t

ι水

」骨

7

便

- -

蘭藥

爛浦lsquoh浦합i

yF

터 νF 빼 루 £1 맏

이 i

바n

--lsquo저ι

골ι 그lsquo

펀 그τ π -lsquolsquo j

lsquo

야 야T1

약1

양lsquo

양 어「lsquo

x

26

25

懶1ι

갑 rsquolsquolsquo

1j렁shy

영-

J샤L C

ldquo

그rdquoRlsquo-lsquo

짧 ι

쐐υ

껴기

lsquo리

x

r 4

--μ

t i

x 어버리j좋다 -

어스러기

x어스러기 lsquo 어스럭송아지

어융 어이구 어환둥퉁 어허둥둥

어〈홉1 - 이 ldquo lsquo 범 ~ lsquo X언냐 어린아아

얼간1 -기ldquo - 얼간망풍l

X얼러망~땅~l - 니 ldquo 을러방망억

얼룩말 얼럭말

22 25

대담하다(大觸-)

ι lsquo lsquo lsquo bull ~ rsquo

25

19 lsquo

19 lsquo

26

25

26 17

26

옷 따위의 솔이 어스러진

큰송아지

표준어 모옴 155-

X옴살 엄살 lsquo한몽같이 친밀한터rsquo의 뭇 17 A로는인정함

옴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gt

왕매미 말매미 lsquo큰 매미rsquo의 뜻으로모두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말매

미rsquo엄

왕벌 호박멸 lsquo큰 벌rsquo 의 뭇으로 lsquo왕별 말 26 말벌 벌rsquo 모두 언청 함 전운용어 26

로는 lsquo호박별rsquo엄

왕새우 대하(大醒) 전문용어로는 lsquo대하rsquo를 인 26

청함

왕파리 쉬파리 lsquo큰파리rsquo의 뭇으로 모두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쉬파

리rsquo를 언정함

왜난목 내공목(內供木) 옷의 안강으로 쓰는 풍질이 26 낮tr -n「며

왜먹(훌-) (채래의 6 모형에 대해) 네 25-lsquo

모난먹

times외발제기 외알채기 1 굽 하나를 질질 끌어서 17rsquo

다디어 걷는 걸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소

2 lsquo한 발만가지고차는제

기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외상관혜(-冠禮) 외자한례(-冠禮〕 2amp X외통목 외킬목 lsquo장기 둘 때에 외통장군이 25-

되는 킬목rsquo의 뭇으로는 인

청함

X왼 온 lsquo왼쪽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1( 요뒤 요의(覆衣) 26 용슷바람 회오리바랍 26

times우그령흑박 우그령쪽박 17 X우물우둘 우틀우플 1 춤거나무서워서 폼을떠 08

τ~ YOJ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23: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150 국어생활 90 가올〔제 22호)

X솔갱이 솔개 (고시 )~x소리개rarr솔개 2S

times쇠꼬창01 죄꼬쟁이 09

쇠꼬챙이 times죄꼬창이 09-

X쇠버즘 쇠버짐 17 쇠버짐 times쇠버즘 17

쇠족(-足) 쇠다리 26 쇠죽솥 쇠죽가마 26

times수무(手-) 수모(手母) 신부(新橋)의 보초안 OS

times수이 쉬이 20-

X수이보다 쉬이보다 20 times수이여커다 쉬이여기다 20 rsquo

X숭이 송이 08 시골말 사투리 26

times시초잡다(始初-) 시착하다〔始作-) 25--

신바랍 어껏바량 2amp 신첩살렴(新援-) 신접살이(新援-) 2amp 신챈나무 신대 2amp

설로(實-) 참으로 2G

섬보(心-) 마음보 26 섬술퉁이(心術-) X섬술통이(心術-) 08 심섬파척(-破寂) 섬섬풀이 2amp

times성갱싱갱하다 싱둥생둥하다 lsquo방이 서늘하고 차다rsquo의 2S

뜻으로는 인청함

X성퉁생둥하다 성갱생갱하다 lsquo기운이 줄어질 만한 일 2S

을 겪은뒤에도본래의 기

운이 있다rsquo의 뜻으로는 언

청함

싸느황다 X싸느렇다 17

X싸느렇다 싸느량다 17

X싸려운 사렵문 lsquo싹리로 만든 문rsquo의 뭇으 25

로는 인청함

쌀긋하다 생긋하다 19rsquo

쌍망이 times짱맹이 09

표준어 모음 151

X썽맹이 쌍망이 09-

쌍소리 장소리 19

쌍섬지셔다 쌍심지나마 26

쌍심지오르다 26

X써내다 켜내다 lsquo글씨롤 써셔 내놓다rsquo의 ~s

뭇으로는 언청함

X써다 켜다 lsquo조숫풀이 출거 나 펀 물 25 이 새어셔 줄다rsquo의 룻으

로는 안청함

X썩정이 삭청1 1 산 나우에 붙은 채 말 25 라죽윤나뭇가지

2 lsquo썩은 물건rsquo의 돗A로 는인청함

썰다 써리다 1 논밭융 고르게 하다 16 2 middot물건율 로막토막 통 캉치다rsquo의 뭇으로도 안

갱함

쓰레장판 쓰헤받기 유치 캉환요로 만든 쓰레 26 받기

씨돼치 종톤(種際) 26

아래얄 X아랫알 수판의 가릅대 아래의 알 17

아랫녘 앞대 1 어떤 치방에서 그 남 26 쪽의 지방을일컴는말

2 lsquo전라도 경장도흘 일 걷는 말rsquo로도 안갱함

X아랫동강이 종아리 25

times아랫알 아래알 수판의 카름대 아래의 알 17

아랫중방(-中林) 하인방(下引林) 26

아련하다 오련하다 19

X아웃 가웃 lsquo말아웃rsquo은 언청함 17 2()

아유 아이고 19

아지직 오지칙 19 아치작 19

1 한그릇에 두가지 이

상의 음식을 어울리게

당다

~ lsquo홈칙 따위률 식지 않

게 불에 놓거냐 따뭇한 lsquo - ~ 바헤lsquo묻어 두다rsquo 또는- lsquo e

lsquo샤랑올 안동하여 보내

다j의- 돗으로는 인정하

고 lsquo암구다rsquo (교미를 붙

이다)의 뭇으로는 인청

하지 않음

lsquo ~6 gt 26 lsquo

lsquo 26

- - - - 스 25rsquo

19 -26

09

lsquo26

25

국약2생 활「rsquo 90 가을(제 22호)

안개 u] 가랑비

얀갱 안채 안쪽외영 채

주인집(主A-)

안혜 바로전해 쌓즘삼C삼rsquo ~ ~ I rsquo lsquo 얄픔좀쏟 (rsquo 간

X 알박이 ν lsquo f알뼈71 알 밴 생션 얄펠대71 ~ J f -lsquo~T단〈rsquo觸蛋 chitan)

X 알심 -Z ) t ilsquo끼(고앵이( 1 초목의 줄기 가운데의 lsquo gt τ 연한 심

f lsquo - J lsquo 2[ lsquo판폰한 동정섬rsquo 또는

lsquo속에 있는힘rsquo의 뭇a lsquo -lsquo - Ilsquo middot 안 로는 인정함

알약(-藥) J μ환약f갯L藥)

양딴해도1 lsquo rsquo ~ t ~ - τ 아운리쾌도

앙구다 r rsquo l lsquo t ( lsquof쩔lsquo플이다

J rsquo z bull lsquo ι rsquo rsquo

ω Mω Mω

J52lsquo

~r

-rsquo

lsquo rdquo

ldquo

두별갈이

앞뜰

아기

애타다

아비

lsquo lsquo

26

26

09

26

09

1 놀라거나반가올때 내 26

는소리

2 lsquo예rsquo(존대할자리에 대

rdquo lsquo

rsquo

bull lsquo

앞뒤갈이 앞lsquo바당

X애기

애끓다

lsquo애비

F

26 09 26 09 26 26 26-

21

26 (고시) x찍rarr쪽 26 1 마음이 너그렵고 정질 26 lsquo

l 부드렵다

2lt lsquo얼굴의 각 구맹새가

ι-넬젝널찍하다rsquo의 뜻우-낀-rsquo-로도 언갱함

한 살청도차이 나서 동

감이나 다름없음

1 여러 사랍이 밑천올 어

울러서 하는장사 2 어려장수의 영업 rsquo 위 -

뭇으로는언청함

153 lsquo표훈어 lsquo 오옴

답하거나재쳐 묻는말)

의 뭇으로는 인정하지

않음

lsquo오밤중rsquo도 안정함

lsquo - lsquo- rsquo lsquo

times야말장이 1

야발쟁이

한밤중(-中) 약물터(藥-)

분칭(分햄)

양지머리뼈

lsquo 이모작(그毛作)

양현짝(兩便-)

서글서글하다

middot야발단지

rsquo

bull

녁 ι니

1r

t

ι水

」骨

7

便

- -

蘭藥

爛浦lsquoh浦합i

yF

터 νF 빼 루 £1 맏

이 i

바n

--lsquo저ι

골ι 그lsquo

펀 그τ π -lsquolsquo j

lsquo

야 야T1

약1

양lsquo

양 어「lsquo

x

26

25

懶1ι

갑 rsquolsquolsquo

1j렁shy

영-

J샤L C

ldquo

그rdquoRlsquo-lsquo

짧 ι

쐐υ

껴기

lsquo리

x

r 4

--μ

t i

x 어버리j좋다 -

어스러기

x어스러기 lsquo 어스럭송아지

어융 어이구 어환둥퉁 어허둥둥

어〈홉1 - 이 ldquo lsquo 범 ~ lsquo X언냐 어린아아

얼간1 -기ldquo - 얼간망풍l

X얼러망~땅~l - 니 ldquo 을러방망억

얼룩말 얼럭말

22 25

대담하다(大觸-)

ι lsquo lsquo lsquo bull ~ rsquo

25

19 lsquo

19 lsquo

26

25

26 17

26

옷 따위의 솔이 어스러진

큰송아지

표준어 모옴 155-

X옴살 엄살 lsquo한몽같이 친밀한터rsquo의 뭇 17 A로는인정함

옴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gt

왕매미 말매미 lsquo큰 매미rsquo의 뜻으로모두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말매

미rsquo엄

왕벌 호박멸 lsquo큰 벌rsquo 의 뭇으로 lsquo왕별 말 26 말벌 벌rsquo 모두 언청 함 전운용어 26

로는 lsquo호박별rsquo엄

왕새우 대하(大醒) 전문용어로는 lsquo대하rsquo를 인 26

청함

왕파리 쉬파리 lsquo큰파리rsquo의 뭇으로 모두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쉬파

리rsquo를 언정함

왜난목 내공목(內供木) 옷의 안강으로 쓰는 풍질이 26 낮tr -n「며

왜먹(훌-) (채래의 6 모형에 대해) 네 25-lsquo

모난먹

times외발제기 외알채기 1 굽 하나를 질질 끌어서 17rsquo

다디어 걷는 걸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소

2 lsquo한 발만가지고차는제

기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외상관혜(-冠禮) 외자한례(-冠禮〕 2amp X외통목 외킬목 lsquo장기 둘 때에 외통장군이 25-

되는 킬목rsquo의 뭇으로는 인

청함

X왼 온 lsquo왼쪽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1( 요뒤 요의(覆衣) 26 용슷바람 회오리바랍 26

times우그령흑박 우그령쪽박 17 X우물우둘 우틀우플 1 춤거나무서워서 폼을떠 08

τ~ YOJ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24: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표준어 모음 151

X썽맹이 쌍망이 09-

쌍소리 장소리 19

쌍섬지셔다 쌍심지나마 26

쌍심지오르다 26

X써내다 켜내다 lsquo글씨롤 써셔 내놓다rsquo의 ~s

뭇으로는 언청함

X써다 켜다 lsquo조숫풀이 출거 나 펀 물 25 이 새어셔 줄다rsquo의 룻으

로는 안청함

X썩정이 삭청1 1 산 나우에 붙은 채 말 25 라죽윤나뭇가지

2 lsquo썩은 물건rsquo의 돗A로 는인청함

썰다 써리다 1 논밭융 고르게 하다 16 2 middot물건율 로막토막 통 캉치다rsquo의 뭇으로도 안

갱함

쓰레장판 쓰헤받기 유치 캉환요로 만든 쓰레 26 받기

씨돼치 종톤(種際) 26

아래얄 X아랫알 수판의 가릅대 아래의 알 17

아랫녘 앞대 1 어떤 치방에서 그 남 26 쪽의 지방을일컴는말

2 lsquo전라도 경장도흘 일 걷는 말rsquo로도 안갱함

X아랫동강이 종아리 25

times아랫알 아래알 수판의 카름대 아래의 알 17

아랫중방(-中林) 하인방(下引林) 26

아련하다 오련하다 19

X아웃 가웃 lsquo말아웃rsquo은 언청함 17 2()

아유 아이고 19

아지직 오지칙 19 아치작 19

1 한그릇에 두가지 이

상의 음식을 어울리게

당다

~ lsquo홈칙 따위률 식지 않

게 불에 놓거냐 따뭇한 lsquo - ~ 바헤lsquo묻어 두다rsquo 또는- lsquo e

lsquo샤랑올 안동하여 보내

다j의- 돗으로는 인정하

고 lsquo암구다rsquo (교미를 붙

이다)의 뭇으로는 인청

하지 않음

lsquo ~6 gt 26 lsquo

lsquo 26

- - - - 스 25rsquo

19 -26

09

lsquo26

25

국약2생 활「rsquo 90 가을(제 22호)

안개 u] 가랑비

얀갱 안채 안쪽외영 채

주인집(主A-)

안혜 바로전해 쌓즘삼C삼rsquo ~ ~ I rsquo lsquo 얄픔좀쏟 (rsquo 간

X 알박이 ν lsquo f알뼈71 알 밴 생션 얄펠대71 ~ J f -lsquo~T단〈rsquo觸蛋 chitan)

X 알심 -Z ) t ilsquo끼(고앵이( 1 초목의 줄기 가운데의 lsquo gt τ 연한 심

f lsquo - J lsquo 2[ lsquo판폰한 동정섬rsquo 또는

lsquo속에 있는힘rsquo의 뭇a lsquo -lsquo - Ilsquo middot 안 로는 인정함

알약(-藥) J μ환약f갯L藥)

양딴해도1 lsquo rsquo ~ t ~ - τ 아운리쾌도

앙구다 r rsquo l lsquo t ( lsquof쩔lsquo플이다

J rsquo z bull lsquo ι rsquo rsquo

ω Mω Mω

J52lsquo

~r

-rsquo

lsquo rdquo

ldquo

두별갈이

앞뜰

아기

애타다

아비

lsquo lsquo

26

26

09

26

09

1 놀라거나반가올때 내 26

는소리

2 lsquo예rsquo(존대할자리에 대

rdquo lsquo

rsquo

bull lsquo

앞뒤갈이 앞lsquo바당

X애기

애끓다

lsquo애비

F

26 09 26 09 26 26 26-

21

26 (고시) x찍rarr쪽 26 1 마음이 너그렵고 정질 26 lsquo

l 부드렵다

2lt lsquo얼굴의 각 구맹새가

ι-넬젝널찍하다rsquo의 뜻우-낀-rsquo-로도 언갱함

한 살청도차이 나서 동

감이나 다름없음

1 여러 사랍이 밑천올 어

울러서 하는장사 2 어려장수의 영업 rsquo 위 -

뭇으로는언청함

153 lsquo표훈어 lsquo 오옴

답하거나재쳐 묻는말)

의 뭇으로는 인정하지

않음

lsquo오밤중rsquo도 안정함

lsquo - lsquo- rsquo lsquo

times야말장이 1

야발쟁이

한밤중(-中) 약물터(藥-)

분칭(分햄)

양지머리뼈

lsquo 이모작(그毛作)

양현짝(兩便-)

서글서글하다

middot야발단지

rsquo

bull

녁 ι니

1r

t

ι水

」骨

7

便

- -

蘭藥

爛浦lsquoh浦합i

yF

터 νF 빼 루 £1 맏

이 i

바n

--lsquo저ι

골ι 그lsquo

펀 그τ π -lsquolsquo j

lsquo

야 야T1

약1

양lsquo

양 어「lsquo

x

26

25

懶1ι

갑 rsquolsquolsquo

1j렁shy

영-

J샤L C

ldquo

그rdquoRlsquo-lsquo

짧 ι

쐐υ

껴기

lsquo리

x

r 4

--μ

t i

x 어버리j좋다 -

어스러기

x어스러기 lsquo 어스럭송아지

어융 어이구 어환둥퉁 어허둥둥

어〈홉1 - 이 ldquo lsquo 범 ~ lsquo X언냐 어린아아

얼간1 -기ldquo - 얼간망풍l

X얼러망~땅~l - 니 ldquo 을러방망억

얼룩말 얼럭말

22 25

대담하다(大觸-)

ι lsquo lsquo lsquo bull ~ rsquo

25

19 lsquo

19 lsquo

26

25

26 17

26

옷 따위의 솔이 어스러진

큰송아지

표준어 모옴 155-

X옴살 엄살 lsquo한몽같이 친밀한터rsquo의 뭇 17 A로는인정함

옴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gt

왕매미 말매미 lsquo큰 매미rsquo의 뜻으로모두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말매

미rsquo엄

왕벌 호박멸 lsquo큰 벌rsquo 의 뭇으로 lsquo왕별 말 26 말벌 벌rsquo 모두 언청 함 전운용어 26

로는 lsquo호박별rsquo엄

왕새우 대하(大醒) 전문용어로는 lsquo대하rsquo를 인 26

청함

왕파리 쉬파리 lsquo큰파리rsquo의 뭇으로 모두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쉬파

리rsquo를 언정함

왜난목 내공목(內供木) 옷의 안강으로 쓰는 풍질이 26 낮tr -n「며

왜먹(훌-) (채래의 6 모형에 대해) 네 25-lsquo

모난먹

times외발제기 외알채기 1 굽 하나를 질질 끌어서 17rsquo

다디어 걷는 걸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소

2 lsquo한 발만가지고차는제

기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외상관혜(-冠禮) 외자한례(-冠禮〕 2amp X외통목 외킬목 lsquo장기 둘 때에 외통장군이 25-

되는 킬목rsquo의 뭇으로는 인

청함

X왼 온 lsquo왼쪽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1( 요뒤 요의(覆衣) 26 용슷바람 회오리바랍 26

times우그령흑박 우그령쪽박 17 X우물우둘 우틀우플 1 춤거나무서워서 폼을떠 08

τ~ YOJ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25: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1 한그릇에 두가지 이

상의 음식을 어울리게

당다

~ lsquo홈칙 따위률 식지 않

게 불에 놓거냐 따뭇한 lsquo - ~ 바헤lsquo묻어 두다rsquo 또는- lsquo e

lsquo샤랑올 안동하여 보내

다j의- 돗으로는 인정하

고 lsquo암구다rsquo (교미를 붙

이다)의 뭇으로는 인청

하지 않음

lsquo ~6 gt 26 lsquo

lsquo 26

- - - - 스 25rsquo

19 -26

09

lsquo26

25

국약2생 활「rsquo 90 가을(제 22호)

안개 u] 가랑비

얀갱 안채 안쪽외영 채

주인집(主A-)

안혜 바로전해 쌓즘삼C삼rsquo ~ ~ I rsquo lsquo 얄픔좀쏟 (rsquo 간

X 알박이 ν lsquo f알뼈71 알 밴 생션 얄펠대71 ~ J f -lsquo~T단〈rsquo觸蛋 chitan)

X 알심 -Z ) t ilsquo끼(고앵이( 1 초목의 줄기 가운데의 lsquo gt τ 연한 심

f lsquo - J lsquo 2[ lsquo판폰한 동정섬rsquo 또는

lsquo속에 있는힘rsquo의 뭇a lsquo -lsquo - Ilsquo middot 안 로는 인정함

알약(-藥) J μ환약f갯L藥)

양딴해도1 lsquo rsquo ~ t ~ - τ 아운리쾌도

앙구다 r rsquo l lsquo t ( lsquof쩔lsquo플이다

J rsquo z bull lsquo ι rsquo rsquo

ω Mω Mω

J52lsquo

~r

-rsquo

lsquo rdquo

ldquo

두별갈이

앞뜰

아기

애타다

아비

lsquo lsquo

26

26

09

26

09

1 놀라거나반가올때 내 26

는소리

2 lsquo예rsquo(존대할자리에 대

rdquo lsquo

rsquo

bull lsquo

앞뒤갈이 앞lsquo바당

X애기

애끓다

lsquo애비

F

26 09 26 09 26 26 26-

21

26 (고시) x찍rarr쪽 26 1 마음이 너그렵고 정질 26 lsquo

l 부드렵다

2lt lsquo얼굴의 각 구맹새가

ι-넬젝널찍하다rsquo의 뜻우-낀-rsquo-로도 언갱함

한 살청도차이 나서 동

감이나 다름없음

1 여러 사랍이 밑천올 어

울러서 하는장사 2 어려장수의 영업 rsquo 위 -

뭇으로는언청함

153 lsquo표훈어 lsquo 오옴

답하거나재쳐 묻는말)

의 뭇으로는 인정하지

않음

lsquo오밤중rsquo도 안정함

lsquo - lsquo- rsquo lsquo

times야말장이 1

야발쟁이

한밤중(-中) 약물터(藥-)

분칭(分햄)

양지머리뼈

lsquo 이모작(그毛作)

양현짝(兩便-)

서글서글하다

middot야발단지

rsquo

bull

녁 ι니

1r

t

ι水

」骨

7

便

- -

蘭藥

爛浦lsquoh浦합i

yF

터 νF 빼 루 £1 맏

이 i

바n

--lsquo저ι

골ι 그lsquo

펀 그τ π -lsquolsquo j

lsquo

야 야T1

약1

양lsquo

양 어「lsquo

x

26

25

懶1ι

갑 rsquolsquolsquo

1j렁shy

영-

J샤L C

ldquo

그rdquoRlsquo-lsquo

짧 ι

쐐υ

껴기

lsquo리

x

r 4

--μ

t i

x 어버리j좋다 -

어스러기

x어스러기 lsquo 어스럭송아지

어융 어이구 어환둥퉁 어허둥둥

어〈홉1 - 이 ldquo lsquo 범 ~ lsquo X언냐 어린아아

얼간1 -기ldquo - 얼간망풍l

X얼러망~땅~l - 니 ldquo 을러방망억

얼룩말 얼럭말

22 25

대담하다(大觸-)

ι lsquo lsquo lsquo bull ~ rsquo

25

19 lsquo

19 lsquo

26

25

26 17

26

옷 따위의 솔이 어스러진

큰송아지

표준어 모옴 155-

X옴살 엄살 lsquo한몽같이 친밀한터rsquo의 뭇 17 A로는인정함

옴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gt

왕매미 말매미 lsquo큰 매미rsquo의 뜻으로모두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말매

미rsquo엄

왕벌 호박멸 lsquo큰 벌rsquo 의 뭇으로 lsquo왕별 말 26 말벌 벌rsquo 모두 언청 함 전운용어 26

로는 lsquo호박별rsquo엄

왕새우 대하(大醒) 전문용어로는 lsquo대하rsquo를 인 26

청함

왕파리 쉬파리 lsquo큰파리rsquo의 뭇으로 모두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쉬파

리rsquo를 언정함

왜난목 내공목(內供木) 옷의 안강으로 쓰는 풍질이 26 낮tr -n「며

왜먹(훌-) (채래의 6 모형에 대해) 네 25-lsquo

모난먹

times외발제기 외알채기 1 굽 하나를 질질 끌어서 17rsquo

다디어 걷는 걸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소

2 lsquo한 발만가지고차는제

기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외상관혜(-冠禮) 외자한례(-冠禮〕 2amp X외통목 외킬목 lsquo장기 둘 때에 외통장군이 25-

되는 킬목rsquo의 뭇으로는 인

청함

X왼 온 lsquo왼쪽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1( 요뒤 요의(覆衣) 26 용슷바람 회오리바랍 26

times우그령흑박 우그령쪽박 17 X우물우둘 우틀우플 1 춤거나무서워서 폼을떠 08

τ~ YOJ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26: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26 09 26 09 26 26 26-

21

26 (고시) x찍rarr쪽 26 1 마음이 너그렵고 정질 26 lsquo

l 부드렵다

2lt lsquo얼굴의 각 구맹새가

ι-넬젝널찍하다rsquo의 뜻우-낀-rsquo-로도 언갱함

한 살청도차이 나서 동

감이나 다름없음

1 여러 사랍이 밑천올 어

울러서 하는장사 2 어려장수의 영업 rsquo 위 -

뭇으로는언청함

153 lsquo표훈어 lsquo 오옴

답하거나재쳐 묻는말)

의 뭇으로는 인정하지

않음

lsquo오밤중rsquo도 안정함

lsquo - lsquo- rsquo lsquo

times야말장이 1

야발쟁이

한밤중(-中) 약물터(藥-)

분칭(分햄)

양지머리뼈

lsquo 이모작(그毛作)

양현짝(兩便-)

서글서글하다

middot야발단지

rsquo

bull

녁 ι니

1r

t

ι水

」骨

7

便

- -

蘭藥

爛浦lsquoh浦합i

yF

터 νF 빼 루 £1 맏

이 i

바n

--lsquo저ι

골ι 그lsquo

펀 그τ π -lsquolsquo j

lsquo

야 야T1

약1

양lsquo

양 어「lsquo

x

26

25

懶1ι

갑 rsquolsquolsquo

1j렁shy

영-

J샤L C

ldquo

그rdquoRlsquo-lsquo

짧 ι

쐐υ

껴기

lsquo리

x

r 4

--μ

t i

x 어버리j좋다 -

어스러기

x어스러기 lsquo 어스럭송아지

어융 어이구 어환둥퉁 어허둥둥

어〈홉1 - 이 ldquo lsquo 범 ~ lsquo X언냐 어린아아

얼간1 -기ldquo - 얼간망풍l

X얼러망~땅~l - 니 ldquo 을러방망억

얼룩말 얼럭말

22 25

대담하다(大觸-)

ι lsquo lsquo lsquo bull ~ rsquo

25

19 lsquo

19 lsquo

26

25

26 17

26

옷 따위의 솔이 어스러진

큰송아지

표준어 모옴 155-

X옴살 엄살 lsquo한몽같이 친밀한터rsquo의 뭇 17 A로는인정함

옴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gt

왕매미 말매미 lsquo큰 매미rsquo의 뜻으로모두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말매

미rsquo엄

왕벌 호박멸 lsquo큰 벌rsquo 의 뭇으로 lsquo왕별 말 26 말벌 벌rsquo 모두 언청 함 전운용어 26

로는 lsquo호박별rsquo엄

왕새우 대하(大醒) 전문용어로는 lsquo대하rsquo를 인 26

청함

왕파리 쉬파리 lsquo큰파리rsquo의 뭇으로 모두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쉬파

리rsquo를 언정함

왜난목 내공목(內供木) 옷의 안강으로 쓰는 풍질이 26 낮tr -n「며

왜먹(훌-) (채래의 6 모형에 대해) 네 25-lsquo

모난먹

times외발제기 외알채기 1 굽 하나를 질질 끌어서 17rsquo

다디어 걷는 걸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소

2 lsquo한 발만가지고차는제

기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외상관혜(-冠禮) 외자한례(-冠禮〕 2amp X외통목 외킬목 lsquo장기 둘 때에 외통장군이 25-

되는 킬목rsquo의 뭇으로는 인

청함

X왼 온 lsquo왼쪽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1( 요뒤 요의(覆衣) 26 용슷바람 회오리바랍 26

times우그령흑박 우그령쪽박 17 X우물우둘 우틀우플 1 춤거나무서워서 폼을떠 08

τ~ YOJ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27: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표준어 모옴 155-

X옴살 엄살 lsquo한몽같이 친밀한터rsquo의 뭇 17 A로는인정함

옴짝달싹 times옴쭉달싹 17 25gt

왕매미 말매미 lsquo큰 매미rsquo의 뜻으로모두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말매

미rsquo엄

왕벌 호박멸 lsquo큰 벌rsquo 의 뭇으로 lsquo왕별 말 26 말벌 벌rsquo 모두 언청 함 전운용어 26

로는 lsquo호박별rsquo엄

왕새우 대하(大醒) 전문용어로는 lsquo대하rsquo를 인 26

청함

왕파리 쉬파리 lsquo큰파리rsquo의 뭇으로 모두언 26 청함 전문용어로는 lsquo쉬파

리rsquo를 언정함

왜난목 내공목(內供木) 옷의 안강으로 쓰는 풍질이 26 낮tr -n「며

왜먹(훌-) (채래의 6 모형에 대해) 네 25-lsquo

모난먹

times외발제기 외알채기 1 굽 하나를 질질 끌어서 17rsquo

다디어 걷는 걸음 또는

그러한 말이나 소

2 lsquo한 발만가지고차는제

기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

외상관혜(-冠禮) 외자한례(-冠禮〕 2amp X외통목 외킬목 lsquo장기 둘 때에 외통장군이 25-

되는 킬목rsquo의 뭇으로는 인

청함

X왼 온 lsquo왼쪽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1( 요뒤 요의(覆衣) 26 용슷바람 회오리바랍 26

times우그령흑박 우그령쪽박 17 X우물우둘 우틀우플 1 춤거나무서워서 폼을떠 08

τ~ YOJ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28: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Il 5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x우멍하다

=x우집다

의붕하다 1

우접다

우표딱지 (郵票-) 우표(郵票〉

움막집 (幕깐 -끼 움막(-幕) rsquo

lsquorsquo 윗녘

times위lsquo알

lsquo 윗알lsquo times웃알

윗알

X웃집

X웅파리

X웃녘

X웃알

=x위알

윗접

으끄러지다

2멀아밀

-x요빌으divide밀

~x으시대다

x-을런고

-을진댄r

음지쪽(陰地-)

이맛전

에면치페

x 이 몽가몽(-쫓-夢)

웅박

뭉그러지다

으츠러지다

times으밀으밀

rsquolsquorsquo £멀아밀 으스대다

-을런가

lsquo -을진대

times음지짝(陰地-)

이마

연치헤

비봉사몽(非夢似夢)

2 lsquo삶깃 물건이 무르치 아

니하여 이리저리 따로 멀

리는 포양rsquo의 돗으로는

언청함J lsquo

lsquo불체의 연이 쑥 들어가다rsquo 17 의 뜻으로는 안정함

1 뛰어나게 되다 선배를 17 이기다

2 lsquo남을 엽신여기다rsquo의 뭇

딛로늪 띤갱함

16 16 -26

lsquo우묵하게 틀어 가서 물이 관 25 곳rsquo의 뭇으로는 안정함

~12_

수판 가름대 위의 알 m ldquo 굉 m

ι m ldquo

~ m

μ

a 는

왜 에

lt

이 앞

의 이

수판 가름대 위의 알

는높은지대에 있는집

lsquo굳은 물건이 눌려서 부스러 26 지다rsquo의 돗으로도 안정함 26

남 모르게 이 야기하는 모양 17- 남 모르게 이야기하는 모양 17

17 11 17 26 25 lsquo L (고시) x찍rarr쪽

2 웅달쪽rsquo 도 인청 함

~1626

- 16 -26

25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29: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표준어 도음 157-

times이영꼬창이 - 이엉꼬쟁이 r 09 이영꼬챙이 times이영꼬창l 09

X이주걱부리다 times이기죽부리다 (고시) 이기죽거리다이죽 25 거리다

times잇살 잇몸 lsquo잇몸의 틈rsquo의 돗으로는 언 25 정함

times잎전 엽전(葉錢) 22 2동

times자 재 저 아이 17 times자깡스렵다 잡상스렵다 1 난잡하여 장되다 25

2 lsquo젊은 사람이 지나치게 늙윤이의 흉내를 내어 깜

찍하다rsquo의 돗으로는 인청

자두나우 X요양나무 (고시) x오앗rarr자두 20 rsquo

자욱하다 자옥하다 19 lsquo

작은집 X적은집 1 첩 또는 청의 집 25

2 lsquo따로사는아들또는 아 우의 칩rsquo의 뭇으로도 언

청함

times잔생이 지지리 L 아주 품시 지긋지긋하 25 lsquo

리만큼

2 lsquo지긋지긋하게 말을 듣 지 않거나 애걸복걸하는

모양rsquo 의 뭇으로는 인청 함

X잔렬머리 - 잔판머리 일의 끝판 25 X잘량하다 알량하다 17 2닮 X장족박 장쪽박 17 times채리 손합손 1 좀스랩고 얄망꽃은 손장 25

2 lsquo나이 어린 땅문rsquo 또는

lsquo몹시 인잭한사랑을욕하

는말rsquo의 뭇으로는인정함 채미중(齊米-) 통냥중 동냥 다니는중 26gt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30: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158 국어생활 rsquo 90 가용(제 22호)

X저 쉬 1 닭 참새 따위흘 쫓올혜 25 내는소리

2 lsquo미처 생각이 잘나지 않

올해 내는소리rsquo의 뭇£

로는 언정함

x저지난달 지지난달 lsquo이상 개월 전의 달rsquo의 뭇 17 S로는 인청함

x저지난밤 지지난밤 lsquo이상 일 전의 밤 엇그제 17 밤rsquo의 돗으로는 인청함

x저지난번(-畵) 지지난번(-짧) lsquo지난번의 전번rsquo의 뭇 o 로 17 는안정함

x저지난해 지지난해 lsquo이삼 년 전의 해rsquo의 뭇으 17 로는 인정함

져펀(-便) 저쪽 (고시) 펀쪽 26 전나귀 다리를 저는 나귀

X전마춤(塵-) times천마침(屬-) 17 천맞춤(慶-) 17

x전마칭 (塵-) times전마춤(塵-) 17 전맞춤(塵-) 17

천전달(前前-) 지지난달 26 제비꽃 오랑캐꽃 전문용어로는 lsquo제비꽃rsquo올 26

인정함

x제비추리 제비초리 1 뒤통수나 앞이마에 뾰족 17 이 내민 머리럴

2 lsquo소의 안심에 붙은 고기

의 한 가지rsquo의 뭇으로는

인청함

x조개볼 보조개 1 (고시) 볼우물보조개 25

2 lsquo조가비 형상 비슷이 가 운데가 도도록하게 생긴

두볼rsquo의 돗으로는인정함

조흥조롱 조랑조랑 19 x조르개 조려개 1 사진기의 - 17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31: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표준어 오옴 159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 가는 줄rsquo의 돗£로는

인정함

조리개 times조르개 1 사진기의 ~ 17 2 lsquo물건을 졸라매는 데 쓰 는가는줄rsquo의 뜻으로는

lsquo조르개rsquo롤 인청함

종부돋웅 발돋움 lsquo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 26 리는 일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종중논(宗中-) 종답(宗짧) 26 종중밭(宗中-) 종전(宗田) 26 주꾸며 꼴뚜기 lsquo주꾸며rsquo는 낙지과에 속하 26

는연체동물의 일종으로 lsquo꼴

뚜기rsquo와는 별개임

~주두라지 주둥아리 lsquo말씨 rsquo 의 낮은말로는 언정 25 함

X주렵 주접 1 여려 가치 탓£로 생물 25 체가 쇠하여지는 상태

2 lsquo피 로하여 고단한 증셰rsquo

의 웃으로는 인정함

주살나다 뻔찔나다 26 죽갯개(弼-) 죽젓광이(網-) 죽 쏠해 것는방양이 26

죽지빼 어깨빼 26 충바량 바랑 16 26 취훗같다 쥐뿔같다 아주 보잘것없다 26

x지딱총(紙-鏡) 딱총(-鏡) 1425 지렛대 지해 16 26

x지어뱅이 짓고뱅 (고시) x치어앵rarr짓고맹 25 지청 다지 다(地용J-) 터다지다 건축물 퉁의 지 반올 단단하 26

게 하려고 지청을 박아 다

지다

x치지콜콜이 시시콜콜히 17 X치천 지청구 1 까닭 없이 남올 원망하 25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32: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표준어 오옴 161

채삼꾼(採養-) 심마니 26

채소밭(菜緣-) 남새밭 26

times채숭아 채송화(菜松花) 05

times책술(冊-) 책설 1 책올 매는 데 쓰는 실 17 2 lsquo책의 두꺼운정도rsquo의 돗

으로는 인청함

천먹구니 (購-) 천더기(體-) 25 천덕꾸러기(購-) 25

X첨대(廳-) 정대 1 정올 치는 데 쓰는 대오 17 리

2 lsquo포개 놓은 틈에 끼워서

무엇을표하는데 쓰는 앓

은뱃조각rsquo의 돗으로는인

청함

X청더기(훌-) times청데기(쫓-) 청(훌) 2S

X첩데기(훌-) times첩더기(훌-) 청(훌) 25-

X첩어미 (훌-) 서모(應母) lsquo청 장모(훌文母)rsquo 의 뭇으로 25-

는인청함

X첫물 맏물 1 맨 처음 난 푸성귀 25

2 lsquo옷을새로지어 업고 빨 때까지의 동안rsquo의 돗으로

는안정함

초벌 애벌 25 측촉이 X촉촉히 17 times촉혹히 측촉이 17

촌맹이(村랩-) 촌맹(村뱉) 시골에 사는 백성 16 25-

총결다(錢-) X총컬다(統-) 25 times총걷다(錢-) 총결다(統-) 25 X추다 추리다 1 가려내다 25

2 lsquo숨은 물건을 찾아내 려 고뒤지다rsquo의 뭇으로는인

정함

치리 은어(銀魚) lsquo치리rsquo와 lsquo은어rsquo는 별개입 26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33: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162 국어생활 rsquo 90 사올(제 22호)

쏘가리 i치리rsquo와 lsquo쏘가리rsquo는 별개 26 임

X콩기릅 콩나물 lsquo콩에서 짜낸 기름rsquo의 돗으 25 로는 안정함

풍더풍 times풍덕풍 17 X풍덕풍 풍더풍 17 크낙새 골락새 전문용어로는 lsquo크낙새rsquo를 26

인정함

X큰어마 큰계집 lsquo윗사람이 아랫사람의 큰어 25 머니를 부르는 말rsquo로는 인

정함

times키장다리 키다리 25 탁방나다(함橋-) 방나다(控-) 시험에 급제한 사랍의 성명 16

이 발표되다

택받이 X택받기 어린아이의 택 아래에 대어 25 주는헝짚

톱칼 거도(錫刀) 26 판수 소경 lsquo정치는 것을 엽으로 상는 26

소경rsquo의 뭇으로도 인정함

활모(八-) 여닮모 활각(八角) 26 X팩성(-性) 꽉성(復性) (고시) x괴팩하다 X괴꽉 05 10

하다rarr괴팍하다

명 화스렵 다(Zf和-) 명화롭다(zp和-) 26 회l 꾼(解-) 폐객(짧客) 26

X푸나무 풋나무 1 lsquo새 냐무 칼잎 나무 풋 17 25 장rsquo의 총칭

2 lsquo풀과 나무rsquo 의 돗으로는 안정함

푸시시 부ζζ 26 푼내기 푼거리 1 옐나무를작게 묶어서 몇 26

푼의 돈으로 매매하는일

2 lsquo몇 푼의 돈으로 하는 조

그만 내기(노름)rsquo의 돗으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34: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표준어 오읍 163

로도 안정함

~~ times풀소 17 25 품소가죽 times풀소가죽 17 25 풍소고거 times풀소고기 17 25 lsquo繼i

X풀소 1 효~d 17 25 X풀소가죽 풍소가죽 17 25 X폴소고기 풍소고기 17 25 풍구(凰-) 풀무 1 불을 피우는 데 바람을 26

일으키는 제구

2 lsquo바랍을 일으켜서 곡물 로부터 쭉정이 따위를 제

거하는 기구rsquo의 돗으로도

언청함

풍석질(風席-) 부뚜질 돗자리로 바람올 일으켜 곡 26 식에 섞인 티끌 따위를 날

리는일

X핀퉁이쏘이다 핀잔벅다 25 X핀퉁이주다 핀잔주다 25 X하마하마 하마터연 lsquo무슨기회가자꾸닥쳐오는 25

모양rsquo의 뭇으로는 인정함 -lsquo i

X해망척다 해망쩍다 총명하지 옷하고 아둔하다 17 해망쩍다 times해망척다 총명 하지 못하고 아둔하다 17 해말쪽하다 times해발쭉하다 08

X해발쭉하다 해발쪽하다 08 헌식돌(敵食-) 시식돌(施食-) 장귀에게 밥을 주며 경푼올 26

읽는곳

X험집 홈집 (섯-) (고시 ) 홈가다홈나다홈지 05 17 다

헛불놓다 헛방놓다 26 혐 의 스렵 다(緣疑-) 혐의쩍 다(媒疑-) 26

X형제주언어멈 썽동중매(雙童件媒) 25 (兄弟主A-)

호랑나비 범나비 전문용어로는 lsquo호랑냐비rsquo를 26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35: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16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언정함

times호래비훗 훌아버훗 챙기의 한 마루에 가로 꿰 O

어 아래 덧방올 누르는 작

은나무

호래자죄(-子息) 호래아들 2amp

times호로로 호르르 1 날짐승이 나는 소리 종 08

이가 다는모양

2 lsquo호루라기 나 호각 따위 를 부는 소리rsquo의 뭇으로

는인청함

times호루루 호로로 호루라기나 호각 따위를 부 08

는소리

호색꾼(好色-) 잭골(色骨) 2amp 혹대돼 뒤대돼 2amp times훌치다 훌이다 lsquo벗어나거냐 폴리지 못하게 25-

조처하거나 통이다rsquo의 뭇으

로는 인정합

times흩껍더기 흩껍데기 09

흩껍데기 times흩껍더기 09

times화라지 활대 1 윷위에 가로댄 나무 25-

2 lsquo옆으로 걸게 뻗어 나간 나뭇가지롤 옐나무로 이

르는말rsquo로는인갱함

X화숙(火-) 화전(火田) 25-

화약섬지(火薦心-) 화송(火觸) lsquo도화선 (導火線)rsquo도 인갱 함 2amp 활중통 줌통 활의 한가운데로 손으로잡 2amp

는부분

활첼 활짝 1 다만 lsquo활학rsquo의 뭇 가운 2amp 데 lsquo밥 따위가 푸르녹게

펴진모양rsquo의뭇으로는인

정하치 않음

2 lsquo너흔 들 퉁이 매우 시 원하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36: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표준어 모옴 165

으로도 안갱합

황철냐무 백양(白陽) 전문용어로는 lsquo황철나무rsquo를 26 인청함

X회충 골목 lsquo회첩rsquo (처마가 끼자형으로 25 꺾여 굽어진 곳)의 뭇으로

도 안정하지 않음

후례자식(-子息) 후레아들 26 훗날(後-) 뒷날 26 훗얼(後-) 뒷얼 26 훨젠 훨쩍 1 다만 lsquo훨쩍rsquo의 뭇 가운 26

데 lsquo밥 따위가 우르녹도

록 퍼진 모양rsquo의 뭇으로

는인갱하지 않음

2 lsquo들 따위가 아주 시원스

렵게 벌어진 모양rsquo의 뭇

ξL로도 언청합

흙에 토산(土山) 26

X회나라 회아리 1 조금 상혜 말라서 희끗 17

희끗하게 얼룩이 진고추

2 lsquo벌 마른 장작rsquo의 돗으

로는 언갱함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37: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16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1) 장

표제어

가땅다

가쌓다

가매치다

가불가불

가불거리다

갈 묻][-우지 ]

강돌〔똘]

개꿀

개 나리

개지

개판

거랑꾼

거령맞다

거령스럽다

거령스레

거양빛[-벨]

거불거리다 a T -shy훤

lsquo 거 거붓거붓

건 너다보다

건너대다

건 덧방(-房)

건넷접

2 발 Q P

비 고

매우감다

하도 멀어서 눈이나 생각이 미치기 어렵다

야생나리도 lsquo개 나리rsquo임

버들개지

우질셔하고 난잡한 상태

썩 짙게 검붉은 빛깔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38: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결 터앉다

검 덕귀신(-鬼神)

켓국

겨냥내다

견지

계연떡

고리

고살

고얀놈

골라내다

골라잡다

곱살끼다

꽉쥐

관두다

관차놀1

콸하다

광뜨다

괜찮다

괜찮이

펠다

괴불

괴 불주머 니 [-쭈-J

군두드러기

굴 개(屬-)

굴다

굴 대[-해]

굴해장군

굴령대[-때 1

굴렁쇠

표준어 모옴 161

쫓놀이 용어

얼굴이나 옷이 몹시 더러운 사랍

낚시질에 쓰는 납작한 얼레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나누어 주는

고러하게

몹시 보채다

1 풀기가 너무 세다 2 성결이 있고 급하다

연의 중앙에 뚫린 방구멍을 요려 내다

광맥 노석(露石)이 치벌하치 못해 금분(金分)01

적은듯하다

1 괴불주머니

2 단청의 주렴에 달련 술 같은 우늬

장농문의 장식 용의 둥그스름한 나무

썩은 물이 관 곳의 바닥에 처진 개흙

옷살게

키가 크고 폼이 남달리 뚱뚱한 사람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39: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16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fi 22호)

굽갈리다

렷것

그네뛰다

그리

기다량다

기다땅다

기닿다

킬다량다

검내기

까땅다

까매지다

까철하다

까칫하다

깨다

찍책

Z갤캘

까룩까룩

꺼렇다

꺼지다

꺼지다

꺼칫하다

꽁바르다

꼼바리

꽁숫달

국푹

꿀꿀

꿈꿈

꿈풍거리다

끌어당기다

끌 영창(-映짧)[-령 -J

그곳으로그쪽으로

품질의 좋고 낮은퉁급

중산작용

알을 까게 하다( lsquo까다rsquo 의 사동)

불이

땅이 ~

도량이 좁고 인색하여 박하다

꼼바른사랍

연의 가운데 길이로 붙이는 작은 대

돼지가우는소리

아픔이냐 괴로움을 견디지 뭇하여 저절로 내는

소리

고시(표준 발음엽) 끌 다

고시(표준 발음법) 끌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40: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땀다

r내 걸다

내달리다

꽤혈다

내쩔다

lsquo내친걸음 middot내 친김에

내 키다

r녁 장거리

널판때기

넣다

노량

노릅

-노름꾼

노름빚[-뻗]

노릅판

-노릅돼

-노상 노총

뇌량다

핏보

누렇다

누레지다

누르다

누리

누리다

누치

뉘 렇다

단거리

단나무

단지

단지렵다

표준어 오음 169

1 언제나 2 변함없이

기밀을 남에게 통하지 않아야 될 일

천하고 더러운사랍

힘껏 우박

행복율 ~

물고기 이릅

단으로묶어 말련 잎나무

단으로 묶어 파는옐나무

항아리의 한 가지

말이나 행동이 다랍다

풀이릅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41: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170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달달

달라다

담배통받침

대견하다

대견히

대뜸

대머리

대야

대장

대 장간[-깐]

대 장일[-닐]

대장장이

렬멸

렬리다

럴벅다

범법하다

범럽히

덩둘하다

댐앵

도끼

도지다

돌개바람

돌계접

동자아치

뒤꾸머리

뒤 꿈치

뒤 념기치다

뒤따르다

뒤 떨어지다

뒤받다

뒤을

~묶다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

대장장이

추워서 옴을떠는모양

lsquo덜다rsquo의 피동

하는 짓이 온당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함부로 내

가다

매우 둔하다

쇠붙이를 두드렬 때 나는 소리

1 매우 심하고 호되다

2 몸의 부분이 단단하다

석녀(石女)

밥짓는일을하는계칩 하인

뒤로 넘겨뜨리다 뒤집어 엎다

반항하다

가죽신 따위의 뒤축의 신울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42: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표준어 모음 17 U

뒤통수

뒷 소문(-所聞)

걷[2 갈거나 뒤지는 모양

땅꾼

때꾼하다

옐 감[-깜〕

옐거리[-꺼 -J

옐나무

옐나무꾼

떠들다

떠죽거리다

떠죽떠죽

짧 디짧다[떨 며옐따] 몹시 짧다

짧은맛

떼꾼하다

떼 치다 1 달라붙는 것을 떼어 놓아서 물리치다

2 거철해 물리쳐 버리다 뚜뚜 기척이나 나팔 따위를 연해 부는 소리

땅하다

말 lsquo rsquo 톱질할 때나 먹을 그을 때 그 밑에 받치는 나푸 말창다

말개지다

몹시 심한 정도로

맹툴다

먼물

nTI

」τ

물 있

우 고

는 보

있 시끼

수 없

을 신

벽 lsquo정

멸거니

멸결다

멸게지다

모커

모키폐

모 커발순(-짧젠)[ -훈] 어둑어둑할 무렵 모기떠1가 소리치연셔 챙챙도

M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43: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172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二모 기장(-帳)

-모 기향(-香)

요깃불

모든

lsquo모 레

-모루

요루채

오지락스렵다

모쪼록

몰라보다

-옷생기다

rsquo비 닫이[ 다지 J

lsquo미 렵나다

r피투리

벌가루[-까-J

멜개펙

r벌국수

펠기울[-끼 -J

lsquo멀깜부기

middot벌펙

옐풀레

middot멀범벅

lsquo벌보리

lsquo멀소주(-觀酒)

멜수제비

옐쌍

rsquo옐전병(-願歸)

옐짚[-쩡]

는일

대장간에서 쇠를 불렬 때 쓰는 헛멍이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나 요령이 생기다

밀가루나 밀기올로 반대치를 치어 첼 떡

밀가루로만든국수

밀이 병들어서 새까닿게 된 이삭

밀가루를 꿀물에 반죽하여 익히지 아니한 날떡

1 퉁글넓척이 뭉친 밀멍이

2 킬플거냐 살져 윤택한 물건의 비유 밀가루에 청퉁호박과 청대콩 둥올 섞어 만든 범

멀과누룩으로곤소주

밀가루를 붉게 반죽해 끓는 물에 떼어 넣고 익

힌음식

밀전병에 나물 고기 사탕 깨소금으로소롤넣

은음식

밀가루로 만든전병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44: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밀천신(-薦新)

밀푸러기

밀풀

바 라춤(婆爛-)

바래다

이l

다 닐

새 햄 다

구 다 다 기 다 어

다 지 댄

부 비 하 기

구 풍 이

꼬 래 좁 틀 며 해

갱 게 잇 다

베 ----색 지 간 강 -----------

middotmiddotmiddotmiddot

----뱅

middotmiddot벅 경

----갯 르

반 반 반 반 반 발 발 발 방 방 방 방 배 배 배 배 뱅 뱅 뱅 뱅 뱅 벅 벌 벌 별 베 벼

표준어 모옴 173

햇빌가루로 부친 밀전병으로 지내는 고사냐 제샤shy

국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음식

밀가루로 쏟풀

1 빛이 변하다

2 빨래 같은 것을 볕에 쩍어 회게 하다

말이 조금 거철게 닫는 일

약간 비탈지다

쌀 따위에 잡것이 많이 섞인 상태

~거짓말

윷판의 한가운데의 밭 이릅

농악기

방둥이가 구부러진 점숭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1 물고기의 배의 부분 2 웃소매의 아래부푼

비례에 맞춰서 여러 몫으로 나누다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45: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17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보매

보쌓다

보얘

보얘지다

-보조개

본데

본데없다

본데없이

불기학얼헤

-봉

부라

부라부라

부라질

부리

붕 a 붕

붕 어연척(-現續) 붕 어자물죄[-씌]

붕 어죽(-網)

붕어톱

버 째다

lsquo비 통

rsquo빼다

뻔히

뺑다

1뺑 치

lsquo뽀쌓다 뽀얘지다

뿌영다

뿌예지다

언뭇보기에

보아서 배운 범철이나 지식 또는 솜씨

보아서 배운 것이 없다

lsquo붕rsquo(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소리 등)

의 작은말

대장간에서 플무질을 하는 데 불을 불라는 소리

부라질올시킬 때 쓰는말

새나 짐승의 주둥이

방귀 소리 경적 소리 날개 떠는 소리 퉁

1 마음에 당기연서도 사양하는 체하다

2 어울리기 싫어하다

품질이 아주 낮은 백통

내빼다

뺑S로 물건의 길이를 재다

걸이가 한 뺑쯤 되는 물건 또는 그런 물고기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46: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표준어 오응 175

빼용 빼챔

방귀를자꾸 뀌는소리

자동차의 경적 소리

삐걱빼걱

사느량마

사박스렵다 성질이 독살스럽고 당돌하여 함부로 간섭하기를

좋아하다

서리가 나무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수리 나무의 열매

(숭이 가빠서) 자꾸 가늘게 쉬 다

물체의 온도나 기후가 차가울 만큼 서늘하다

상고대

상수리

젝색거리다

lsquo서느렇다 셔투르다

-석 동 윷놀이에서 세 번째 가는 동

윷놀이에서 석동을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거침없이 가볍게 비비거나 쏠거나 종이 풍을

연해 베는 소리

적동무니

-석석

성 달받이[-바지]

-성냥하마

성대

-제

셰섯덩이

페코짚신

갱제기

쇠를 불에 불리다

물고기 이름

검밸 때에 흙을 떠서 앞으로 엎는 덩어려

-셋 붙이[-부치]

소루쟁이

소박1

소박이김치

소태

속내다

손샅[-빨]

훗대

죄기첨

씌꼬리채

한번에 잇달아 찬 수효로 송부률 청하는 제기 놀이

개피 떡 세 개 를 붙여 만든 떡

대돼와 끌의 동을 갈아서 새로 날이 서게 하다 손가략사이

오래 되어 쉰 기침

베틀에 말린 커구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47: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176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죄 죽(-랬)

쇠 죽가마(-網-)

쇠 죽물(-랬-)

쇠 죽바가지 (-網-)

쇠 코푸허l

쇠활

순 되다[-획 -J

숭 커척[-꺼 -J

숨넘어가다

숭 소리[-쏘-J

숭숭

쉬슐다

쉬파리

시위

시장시장

시창하다

싣다

실망초(-草)

싸다듬이

써느렇다

써례질

쪽씩

4수싹거리다

강수싹쪽싹

아른스렵다

아무래도

아무러연

아무러하다

아무런들

활의 일종

순질하게 되다

1 틈성듬성 써는 모양 2 구멍이 뚫련 모똥

파리의 알

활시위

어린아이를 시장할 때 부르는 소리

풀이릉

용퉁이로 함부로 뚜드리는 갯

세찬 바랍이 나뭇가지에 부딪혀 나는 소리

문을~ 옐다

아이 카 폼을 다쳐 아파할 째만지며 위로하는rsquo소래

톱질할째 나는소리

톱질이나 줄질할 째 나는 소리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48: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표준어 모응 177

아무렇게

아우렇다

아무려나

아무려연

아무렴

악대

악대말

악대소

악대양

안채다

알알하다

암만

앙양거리다

애끊다

애끌

애끓다

애늙은이

얘달프다

애당초(-當初)

애바르다

애바리

애벌레

애성이

야릇하다

얘기

어르다

어 중이

억새

억 새반지기

언제나

언제든지

얻어듣다

불깐소

1훌앞으로 들이치다 2 맡아서 당하게하다

집값이 논값이 ~이다 앙앙하고울다

1 초조한 마음 속 2 수고로움

재물과 이익에 발밭게 덤비다

분냐고성냐는감청

이야기

아이를

어중되어 쓸모없는 사람

풀이름

억새가 많이 섞인 풋장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49: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178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영어맞다

얻어먹다

얻읍장방이

얼얼하다 열 입 다(훌훌-) [-렵 -]

엄 대[-때]

염 대질[-때 -J

엄발나다

엄살떨다

없이하다

영덩머리

영덩방아

영덩이

영멍잇바랍

영덩잇짓

영 탱춤

영 덩판

에루화

엔남

여낙낙하다

여쭈옵다

열 기[-끼〕

오칼펴

요칼펴나무

요갈피술

요감스렵다

- 요두방정

오라

L 오 라지다

1 요핫바랍

남의 허물로 인하여 해를 받다

외상2로 물건을 팔 때 물건 값올 표하는 막대기

벗나가는태도가있다

노래할 때 즐거움을 나타내는 소리

사방으로 뱅 둘러서 쌓은 당

성 미 가 온화하고 상냥하다

총열

눈동자에 드러나는 청신의 담찬 기운

이엉

을-

한약재 이름

몹시 방정맞은 행동

최언이 손을 오라로 묶이어 뒷짐을 지다

오라를 차고 나션 포졸의 위풍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50: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요로지

「온갖 「온 공전(-도錢)

용밤

온새마로

온이로

온장(-張)

온 종일(-終日)

온채

온햇집

온통

온 폭(-뼈)

온품 Q -E

을곡하다

옴살

옹생원(-生員)

왜왜

왜왜거리다

행앵

외지다

왕왕거리다

용심

용섬꾸려기

용심부리다

용심쟁이

우수

우수리

표준어 오읍 179

전액을 한목에 다 주는 공장(工辰)의 품값

온하룻밤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전체의 생긴 대로

전체의 것으로

종이나 피륙 둥의 온통의 초각

집채의 전체

한 채를 전부 쓰는 집

온하룻일의 풍

열매가 보통 것보다 일찍 익는

실이나 줄 같은 것이 너무 꼬여서 비비 틀려 있

다-한 폼같이 친밀한 사이

말이나 소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소리

1 왜가리 둥이 우는 소리 2 게워 내는 소리

1 소리 지르는 모양 2 게워 내는 소리

3 짐승 둥을 쫓는 소리

소리를 높이고 길게 뽑아서 글올 원는 소리

남올 시기하는 심솔

일갱한 수 밖에 더 1받는1물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51: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180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우습게보다

우습다

우주다

우줄거리다

우줄우줄

우짖다

웃다

헥핵

왜핵거리다

웬만큼

웬만하다

행행

j경쟁

왕명거리다

유난히

유착하다

윤똑똑이

윤 포(-布)

웅가

웅가

oτr

이듭

이미

이악하다

일 고동[-모-]

잉영

잔착하다

찰토시

장사판에서 이를 남겨 주다

온몽을 융통척으로 멋있게 움직이다

울어 지저귀다

뭇밖의 일에나 돌라울 혜나 마음이 언짧올 예

하는말

기를 쓰며 연해 고함지르는 소리

어찌된어떠한

매우투박하고크다

저만 잘나고 영리한 체하는 사람

무당들이 쓰는굵은 베

(명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째 하는 소리

(부사) 어린애에게 똥을 누일 때 하는 소랴 연해 lsquo웅rsquo 소리로대당하는모양

마소의 두살

이왕에

이욕에만 갱신이 있다

어린애가 잇달아 우는 소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

나이에 비해 늦되고 용렬하다

잘을붙여 만든토시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52: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점잖다

장부

장부꾼

장아찌

저기

처리

전나귀

정하다

조 조대 조름

초리

초쌀스렵다

조쌀하다

졸들다

졸졸거리다

죄어툴다

지나가다

지나다

지나치다

지난가을

지난겨울

찌난날

지난달

지난밤

지난번(-홉)

지난봄

지난여름[-녀-]

지난해

지날결[-쩔]

지내보다

표준어 모옴 181

이쪽 끝을 저쪽 구멍에 맞추기 위혜 다소 가늘

게 만든곳

가래질할 때 가랫장부를 잡는 사랍

채양(載陽)

저곳으로저쪽으로

다리를 저는 나귀

정직하다

청도나 분량이 적게

대나 진흙 따위로 담배통을 만든 담뱃대

물고기 아가미에 있는 호흉기관

저리

조쌀한데가 있다

노인의 얼굴이 깨끗하고 조출하다

발육이 부진하고 주접 이 들다

-lsquo lsquo

lsquo -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53: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182 국어생활 rsquo 90 가율(제 22호)

지 치다

진물

진배없다

진배없이

짓꽃다

짝짝

싹짝

얼음을-

부스렴에서 흐르는물

1 활짝 벌어진 모양 2 업맛을 다시는 소래

입맛을 다시는 소리

1 신올 끄는 소리

짝짝거리다

쩍쩍거리다

2 획올 함부로 긋거나 종이률 찢는 소리

입맛올 다시다

1 신을 끌다

2 획을 함부로f긋거나 종이를 찢다

이리저리 채신없이 바빼 쏘대는 모양

왜 ~ 울고있니 ~ 얽다

짤짤

캘캘 죠느

쭉 쭉-확 활 촬

쭉 풍

찍 찍 찍 쩍 쩔

쪽 폼】 확 확 활 활 쭉 쭉 촬 찍 찍 찍 찍 찍 쩍 쩔 착 착

종이 둥을한 번 찢는소리

똥 오줌 풍을 내깔기는 모양

종이률 연해 찢는 소리

참새 퉁이 우는소리

똥을 연방내깔기는모양

물건이 잘달라붙는모양

일을 ~해치우다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54: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찬찬하마

찬찬히

채독

채련

척척

천천하다

천천히

최활

추기

추깃물

탄하다

태가다

퇴마냥

파량다

파래지마

돼다

패다

퍼 레지마

풍다

피려

하쌓다

하얘지마

한배

해라하마

해망쩍다

해찰

해찰꽃다

표준어 모옴 183

동작이 급하지 않고 펀안하며 느리다

펀안하며 느리게

채그릇의 한가지

부드렵게 다루어 만든 당나귀 7죽

일을 질서 있고 익숙하게 하는 모양

얼이나 동작이 급하거냐 거칠지 않고 현안하빼

느리다

베를 짜 나가는 데에 가로넓이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추깃물

송장이 썩어 후르는물

1 참견하다 2 씨벼조로 나서다

질그릇이나 농그릇에 깨진 금이 나다

1 아주 늦게 집 은 모 2 (고시 ) 늦모마냥요

마구때리다

lsquo파다rsquo의 피 사통

모시풀의 껍질을 품칼로 벗기다

악기 이름

업낌 내부는 소리

(국악에서) 곡조의 장단 화살이 미치는 한도

내 ~ 뒤 ~ 하여

손아랫사랍에게 lsquo혜라rsquo의 말씨률 쓰다

총명하지 못하고 아품하다

만물을 사량하는 마음이 없어 부질없이물건을

해치는짓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55: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184 국어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해찰스렵다

해찰하다

행짜

행티

허닥하다

허솔하다

허술히

허 영다

허예지다

헤적거리다

헤죽거리다

헤죽헤죽

흔솔

활활

후출하다

2) 경 으 며

生更

「lsquomiddotl

「l」

어 쩔 쑥 ]

제 싼 싶마 랜 맨 뺑

표 스n 슴 을 대

가 가 가 간 갱 겨울잠[-짱]

경 스송(經-) [-쓰-J

고삿고기(告祝-)

꾀 불주머니[-쭈]

일에는 정신을 두지 않고 쓸데없는 짓을 하다

심술을 부리어 남을 해치는 행위

행짜를부리는버릇

회로애락의 감정율 나타내는 소리

모아둔 물건이나 금전 둥올 헐어서 쓰기 시작

하다

활개를 벌리어 가볍게 저A며 걷다

활개를 벌리어 저으며 걷다

홈질로 꿰앤 옷의 솔기

뱃속이 비어 먹고 싶은 감이 았다

비 고

가슴에 붙은살

긴 대로 만든 장대

죽을 고비를 지나 살아날 운명

불경의 돗을 풀이하는 법사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56: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구풋주걱

국숫분

-국숫분통

rarr굴 다리[-따-J

그음밤[一뺨]

깔유리 (-流짧) [-류-J

날다랍쥐[-따-J

날단거리

날담비 c-땅-J

날갔꾼[-싹-J

날숨[-쏠]

날장구[-쌍]

-농 지거리(弄-) [-찌 -J

눈사람[-싸-J

단거리

켈갈가루[-까-J

-돈 벼 락맞다[-뼈 -J 돈 지랄[-찌 -J

돌 비늘[-떼 -J

동 냥중[-종]

-들 국화(-짧花)

등배운동(-運動)

등정[-찜]

-등짐장수[-찜 -J

팍장대[-때]

-땅수건 (-手rtJ)[-쑤-J

마릅자

말굽

말굽자석(-짧石)

말굽추녀

-방 령되다(훌靈-)[-띄 -J

i망 령 되 이 (홍靈-) [~띄 -J

표준어 오옴 185

~ -국수틀의 한 부분

내쉬는숭

일없이 치는 장구

단으로 묶어 말련 잎나우

로 햄

셰 끼

l 아

l 없

반 야 다

1 온순한 맛이 없는 사람

2 심성이 사납고 굳센 사람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57: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186 국어생활 rsquo 90 가을(제 22호)

모삿그릇(흉沙-)

폼길이

몽서리

폼서리나다

몸서리치다

풍 붉

물벌레 물수건 (-手rJ) [-쑤-J

물시 계 (-時計)[-씨 -J 미친갯병(-病)

번물조개[-쪼-J

바닷말

바닷장어(-長魚)

반말지거리

~ 발뒤꿈치 [-뛰 -J 밤소일(-消日)

밤송이

밤송이솔

밤저녁[-쩌 -J

배뱅잇굿

빽훗날(白虎-)

보 물성 (寶物-)[-썽 ]

보장것없다[-껄-J

보잘것없이[-걷-J

붐보리

분갯깃(分財-)

붉은빛

사삿일 (私私-)[-닐]

사 잣짚신(使者-)

산폴렴 (山-)[-똘-J

산박쥐 (山-)[-빡-J

산 영장(-永쫓)[-녕 -J

체장(體長)

해조(海驚)

그다지 늦지 않은 밤

산의 백호로 펀 동성이

나누어 받은재산의 몫

척색

사잣밥과 함께 놓는 짚신

이리저리 돌아다니연서 오는 소나기

병을 낫케 하려고 사랍이 죽었다고 헛강

사를 할혜 쓰는제웅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58: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표준어 모음 187

새침데기[-떼-J

생되다(生-)[-띄 -J 익지 아니하고 서투르다

성 사람[-싸-J

속열매껍질[-널-J 내과피(內果皮)

속음국[-푹]

손사랫짓[-싸一]

솔새[-째] 1 새 이름 2 식물인 lsquo솔새rsquo는 평음임larr

횟소리

수돗물(水道-)

수령배미[-빼 -J 수명으로 된 논배미

수헤바퀴

솔값F깝] lsquo 술올먹은값

시골고라리[-꼬-J 아주 어리석은 시골 사람

시 들병 (-病)[-뺑 ]

신기다 신게 하다

신첸줄 신껴진나무 끝에 매어 놓은 끈

질 반대 [-반-J 뽑아낸 고치실올 퉁글게 사리어 놓온 졌

안섬 소의 갈비 안쪽에 붙은 고기

야기죽야기죽[야기중냐기죽

야기주가기죽]

야물야물〔야물랴불야우랴불] 업올 귀 엽 게 놀려 야금야금 먹 는 모양

야스락야스락[야스랑냐스락

야스라차스락]

야슬야슬[야슬랴을야스랴출] 야스락야스락

얄긋얄긋[얄근날곧얄그달곧]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냥기죽

얄기주갈기죽〕

얄랑얄랑〔얄항냥랑얄량얄랑]

얄쭉얄쭉〔얄풍날쭉얄쭈갈쭉]

어둠별[-뺑〕 저녁의 금성 (金星)

어질병 (-病)[-앵]

여 름방학(-放畢) [-11방-J

여울여 울〔여울려울여우려울〕 불이 조용하게 타는 모양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59: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188 국에생활 rsquo 90 가올(제 22호)

middot여짓여짓[여진녀걷여지며칭]

lsquo연 훗국(軟泡-)

-올시다[-씨 -J

외주물구석[-꾸-J

외통수

-요강대가려

용골때질

용숫바랍

용총줄[-쫓]

울음소리[-쏘-J

웃음소리[-쏘-J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언줄(Aacute-) [-쫓]

일긋일긋〔일근닐곧일그딜곧]

일기죽일기죽[일기중닐기죽

일기주길기죽]

-일더워[-떠 -J

일되다[-띄 -J

lsquo얼 렁 일 랭 [일렁 닐 렁 일 렁 일 령 ]

-자갈돌[-똘]

장식 일꾼(裝節-)[-닐-J

bull 뀌 輔

l

1lsquo

하 꿔

시 방

nTii

초 종달새[-써]

주름상자(-箱子)

주 삿바늘(注射-)

중쇠(中-)

진닷물

진닷물내리다

말이 나올듯나올듯한모양

외주물집만 모여 있는 곳

(장기를 둘 때) 외통장군이 되게 두는 수

대머리를 조롱하여 이르는 말

lsquo섬 술을 부려 남의 부아플 돋우는 것

회오리 바람

이어출

lsquo성

댄 끓

첫여름부터 일찍이 드는 더위

1 초목이 일찍이 익다

2 사람이 숙성하게 자라다

기명이나 가구의 장식을 만들거나 박는 사람

셋물을 내리는 데에 쓰는 시루

1 오입판에서 조방 보는 사랍

2 어 린애들의 놀이 동무가 되는 사람

결렵꽤에서 상쇠 다음으로 놀이를 지도하

는사람

진닷물이 모여 붙다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

Page 60: ;홍; 폴랙자 료 l후 ~훌-;홍; ~ ----없 썩 폴랙 ‘ .....1-• 표준어 모음(문화부 콩고 제36호) • ‘표준어 모음’의 심의 경위와 해설 ... 표준어

집안사람[-λ4-J

쭈그렁밤송이

차바퀴(車-)

철새[-째]

첫인사(-人事)[처딘-J

첫인상(-印象)[처딘-J

촌 샌님 (村-) [-샌-J

콧노래

큰일

큰일[-닐]

테실

판생[-캠]

푸짓잇[-닐]

풀빛[-뻗]

풀줄기[-쫓-J

하늘소[-쏘]

해 골박(歡骨-)[-빡]

혜 바라기 성 (-性) [-생 ]

해 산바라지 (解훌-) [-빼-J

행망쩍다

허위념다[-따〕

흘소리[-쏘-J

흘수(-數) [-쑤]

활시위[-씨 -J

후렴비둘기[-삐 -J

홈 집 (섯-)[-쩡]

표준어 모음 189gtlsquo

다루는데 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t

큰 예식이나 잔치를 치르는 일

사려서 테를 지어 놓은 설

빚진 사랍이 벚 준 사람에게 재산을 모두

맡겨 나눠 갖게 합

풀의 출기

정신 들이지 아니하다

높은 곳을 허위단심으로 념어가다

동무 비둘기를 꾀어 들이는 비둘가

흠이 진 흔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