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6 강 기억

24
제 6 제 제제

description

제 6 강 기억. 문제제기 : 1. 현재 발생하는 사실을 기억할 수 없다면 정체성은 ? ( 메멘토 ) 2. 왜 잊고 싶은 일은 잊혀지지 않으며 , 기억하고 싶은 것은 기억되지 않는가 ? 정의 : 과거 경험을 기록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그 기록내용을 참조하여 현재의 경험에 영향을 주는 과정 기억 연구 : 예비적 구분 시간적 구분 : 감각기억 , 단기기억 ( 작업기억 ), 장기기억 의식 여부 : 명시적 기억과 암묵적 기억 내용 기분 : 일화기억과 의미기억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of 제 6 강 기억

제 6 강 기억제 6 강 기억

문제제기 : 1. 현재 발생하는 사실을 기억할 수 없다면 정체성은 ? (

메멘토 ) 2. 왜 잊고 싶은 일은 잊혀지지 않으며 , 기억하고 싶은 것은

기억되지 않는가 ?

정의 : 과거 경험을 기록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그 기록내용을 참조하여 현재의 경험에 영향을 주는 과정

기억 연구 : 예비적 구분 시간적 구분 : 감각기억 , 단기기억 ( 작업기억 ), 장기기억 의식 여부 : 명시적 기억과 암묵적 기억 내용 기분 : 일화기억과 의미기억 형태적 구분 : 서술기억과 절차기억 과정적 구분 : 부호화 , 저장 , 인출

부호화 , 저장 , 인출

기억과정의 특징 부호화 (encoding): 정보가 기억에 저장되는 형태 저장 (storage): 부호화된 경험의 신경계 기록 ( 흔적 ) 인출 (retrieval): 저장된 모든 기억흔적 중에서 특정한 것을 선택하여 “기억해 내려고 시도하는” 시점

-> 회상과 재인 방법 활용

기억의 단계이론 (stage theory): 이중 기억이론

기억체계의 차이 :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의 저장용량의

차이 단기기억의 특징 : 계열적 망라적 탐색 기억폭 : 단기기억의 경우 Miller 의 마법의 수 7. 기억 폭 확장은 청크로 재부호화 형성과 관련 .

이중 기억 이론의 증거 : 자유회상 실험 결과 초두효과와 최신효과가 나타남

되뇌기의 역할 : 단기기억을 장기로 전환 ( 가정 )

변화된 관점 : 적극적 기억의 체제화

능동적 과정으로서의 단기기억 : 작업기억 (working memory)

유지형 되뇌기의 한계 : 장기기억으로 전환의 어려움 정교화 되뇌기 ( 처리수준 이론 ): 더 깊은 정보처리 , 관계의 의미 부여할수록 장기기억에 유리 제한된 것은 저장용량이 아니라 처리용량 구성요소 : 음운 루프 ( 고리 ), 시공간 스케치판 (잡기장 ), 중앙집행부 ( 통제센터 )

음운 루프 : 말소리에 근거한 정보를 유지 조작 . 시공간 스케치판 : 시각적 , 공간적 정보에 대해 음운 루프와 동일한 기능 수행 . 중앙집행부 ( 통제센터 ): 주의를 통제하고 , 음운 루프와 시공간 스케치판의 정보 통합 .

예 ) “ 더더더더”라고 소리를 내면서 “기악운다름아”를 읽기는 어려우나 , 손으로 탁자를 톡톡치면서 읽기는 쉽다 .

장기기억으로부터의 회상- 인출단서 ( 힌트 ) 의 사용-> 설단현상의 이해 : 알고 있는 것을 일시적으로 기억하지

못하거나 저장되어 있으나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 . 이름의 첫글자나 음절의 수가 효과적 해소 단서 . 인출의 실패는 기억의 실패가 아님을 시사 . 예 ) 동창생 이름

- 맥락 ( 무드 ) 과 인출 : 부합성 원리 ( 부호화 특정성 원리 : 인출시 맥락과 부호화 맥락이 일치할 때 회상 높음 ). 상태의존 기억 , 기분일치 효과

- 처리수준이론 : 처리되는 수준이 깊을수록 오래 기억- 도식 (schema) 과 각본 (script): 특정 대상이나 연속적

사건에 대한 지식의 조직화 . 도식과 일치하는 것을 더 잘 기억 . 회상은 관찰한 실제와 자신의 도식에 영향을 받음 .

기억의 왜곡 - 평탄화 (leveling): 이야기를 단순하게 만듦- 첨예화 (sharpening): 특정 세부사항을 부각시키거나 지나치게 강조- 동화 (assimilating): 자신의 배경이나 지식에 더 잘 맞게 세부사항을

바꿈 . “ 아는 만큼 보인다”- 목격자 기억 ( 증언 ) 은 사후 정보의 영향을 통해 왜곡가능 -> 유도심문 : 순응적 왜곡 ( 기억의 회고적 변형 ). 차 사고 동영상 제시

후 속도 추정 (“ 접촉” 질문시는 20-30 km/h, “ 충돌”시는 70-80) -> 친숙성효과 : 무고한 시민을 반복제시하면 범인 지목 . “ 밤새

유명인사 만들기 실험” ( 친숙한 사람을 유명인으로 잘못 판단 ). 기억원은 없지만 기억하는 것의 문제

- 기시감 (déjà vu): 처음 본 것을 과거에 보았거나 체험한 것으로 느끼는 것 . 지각적 오류 . 암묵적 기억 흔적의 활성화

* 암묵적 기억 : 의식하지 못하지만 존재 . 조건반사 , 피아니스트 연주- 미시감 (jamais vu): 이미 경험하고 익숙해진 사항이 마치 전혀 새로운

경험처럼 느껴질 때 . 기억상실증이나 간질에 의해 발생할 수도

기억의 실패

망각 파지기간의 함수 : 무의미 철자 실험 결과 이론 : 소멸이론과 간섭이론

-> 순행억제 ( 새 애인과 통화 중 옛 애인 이름 부르기 ) 와 역행억제의 예

인출단서의 변화 : 아동기 기억상실의 경우 , 인출맥락의 변화와 부호화 차이 때문

기억의 한계

기억이 전적으로 왜곡되지도 않고 ( 녹음기 이론 ), 전적으로 정확하지도 않다 ( 추론과 재구성에 의한 왜곡이론 ).

지각과 마찬가지로 상향적 처리와 하향적 처리의 영향을 모두 받는다 .

기억향상법 : 충분한 되뇌기 , 간섭의 최소화 , 깊이 처리 , 전이적합형 처리 , 언어적 약호화 , 심상 형성 , 정보의 조직화

1) 충분한 되뇌기 : “Practice makes perfect" - 반복학습 : 정보를 반복할수록 그 정보에 대한 친숙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중요 부분에대해 선택적으로 초점을 둘 수 있음

- 과잉학습 (overlearning): 완전 숙달 후 계속해서 추가학습 . 120% 학습 .

2) 간섭의 최소화 ( 분산학습 ): 유사한 자료라도 날짜를 달리하면 간섭 줄어듦 . 시험 전날 공부할 과목은 ?

3) 깊이 처리 - 단순 기계적 반복보다 깊이있게 처리하는 것이 유리 - 자료의 의미에 과심을 두고 분석 - 자료에 개인적 의미를 부여

4) 전이적합형 처리 -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해야 할 때는 사실지향적 처리보다 문제지향적 처리가 효과적 (Adams et al., 1988) - 검사 유형에 따라 학습방법을 달리해야 . 주관식은 주관식으로 , 객관식은 객관식으로

5) 언어적 부호화 (1) 이합법 (acrotics): 단어의 머리말 단서 사용 . 태정태세문단세 (2) 두문자법 (acronym): 단어의 머리말을 사용해서 단어 / 문장을 만듦 . “ 푸른 산에 불났네” (3) 기타 : 운문 , 장단 , 운율의 사용

6) 심상 형성 - 연결법 : 기억해야 할 항목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삼상 형성 -장소법 (method of loci): 잘 알고 있는 장소에 대해 기억해야 할 항목 배치 - 심상이 효과적인 이유 : 이중부호이론 . 청크 형성에 도움

7) 정보의 조직화 : 기억은 조직된 상태로 기억 . 10 년 후 고교 동창 생 이름 얼마나 ? 예 ) 노트 정리

손상된 기억

진행성 기억 상실증 해마 손상환자의 사례 코르사코프 증후군이라는 만성 알콜중독증 환자의 사례

역행성 기억상실증 기억흔적 응고화 가설 : 석고 굳기에 비유

명시적 인출과 암묵적 인출의 재고

진행성 기억 상실증 환자가 절차적 지식 ( 절차기억 )에 손상 없음 .

-> 비유 : 물리학자의 야구 실력 . 암묵적 기억의 손상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