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27
K E M C O 소소소소소소소 소소 소소소소

description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에 너 지 관 리 공 단. 목 차. I . 소형열병합발전 보급현황. II . 소형열병합발전 보급활성화 기본방향. I. 소형열병합발전 보급현황. 1. 소형열병합발전 개요 2. 소형열병합발전 도입 필요성 3. 소형열병합발전 보급활성화 관련 지원제도 4. 도입효과 (APT 사례 분석 ). 1. 소형열병합발전 개요 (1). 소형열병합발전이란 ?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of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Page 1: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K E M C O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에 너 지 관 리 공 단

Page 2: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2 에 너 지 관 리 공 단

목 차

II. 소형열병합발전 보급활성화 기본방향

I. 소형열병합발전 보급현황

Page 3: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3 에 너 지 관 리 공 단

I. 소형열병합발전 보급현황

1. 소형열병합발전 개요

2. 소형열병합발전 도입 필요성

3. 소형열병합발전 보급활성화 관련 지원제도

4. 도입효과 (APT 사례 분석 )

Page 4: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4 에 너 지 관 리 공 단

1. 소형열병합발전 개요 (1)

소형열병합발전이란 ?

주로 천연가스 (LNG) 를 연료로 발전용량이 1 만 kW

이하인 가스엔진 또는 가스터빈을 이용하여 열과 전기를

동시에 생산 · 이용하는 고효율 종합에너지시스템을 말함

에너지 이용효율비교

※ 기존방식이란 전기는 한전으로부터 수전하여 사용하고 열은 중앙난방보일러에서 생산하여 이용하는 방식을 말함

발전전용 기존방식 열병합 절감효과

38% 55~65% 75~90% 10~35%

Page 5: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5 에 너 지 관 리 공 단

[ 에너지이용 효율 비교 ]

구분 필 요에너지

에너지 CO2

사용량 (N ㎥ ) 종합효율 (%) 배출량 (g-C) 비율 (%)

기존 2,292( kcal) 0.404 60 243.6 100

Cogen 2,292( kcal) 0.273 88 182.6 75

LNG0.237N

1 kWh

LNG0.167N

1.43Mcal

CO2 배출량131.9 (g-C)

CO2 배출량111.7 (g-C)

LNG0.273N

CO2 배출량182.6 (g-C)

발전효율38%

효율90%

폐열이용효율55%

기존시스템 ( 수전 +보일러 )

열병합발전시스템

발전효율33%국내발전

보일러

가스열병합

에너지절감율종합 : 32%

CO2 배출감소율 : 25%

Page 6: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6 에 너 지 관 리 공 단

1. 소형열병합발전 개요 (2)

소형열병합발전 도입추진현황

최근 중앙난방방식의 보일러가 설치되어 있는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도입 중

현재는 주로 자가목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나 , 향후에는

CES( 구역형집단에너지 ) 사업으로 추진될 것으로 전망

※ CES(Community Energy System) 사업이란 주로 LNG 를 이용한 소형열병합발전으로 소규모의 집중적인 에너지 소비지역을 대상으로 냉 · 난방용 열과 전기를 일괄하여 생산 ·공급 (One-Stop Energy Service System) 하는 사업

Page 7: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7 에 너 지 관 리 공 단

1. 소형열병합발전 개요 (3)

국내외 보급 현황 국내의 경우 ‘ 04 년 9 월 기준 52 개소 85 기 약 11 만 kW

( 국내 총 발전용량의 약 0.2% 수준 ) 보급 EU 의 경우 ’ 01 년 기준 총 발전용량의 약 9% 차지 (2010 년

18% 목표 )

미국의 경우 ’ 00 년 기준 총 발전용량의 약 7% 수준 (2010 년 20% 목표 )

주요국가 분산형전원 (DE) 구성비

※ 대체에너지 제외( 출처 : World Survey of DE 2004) 한국의 경우 집단에너지를 포함한 수치임

구 분 덴마크 네덜란드

독일 미국 중국 한국

비율 (%) 53 48 9.6 7.2 10 5.7

Page 8: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8 에 너 지 관 리 공 단

1. 소형열병합발전 개요 (4)

소형열병합발전의 장단점

장점

고효율 에너지 시스템 종합효율 75~90%( 화력발전 40% 이하 )

환경친화적인 시스템 천연가스이용 , CO2, NOx, SOx 감소

(CO2 20~50% 감소 )

분산형전원 , 비상발전 자체적으로 열과 전기를 동시 생산발전소 및 가스저장시설 비용 회피

송전손실 감소

단점

초기 투자비 과다규모의 비 경제성 위험

설비수입으로 설치비용과대

유지비용 크고 보수곤란 국내 기술부족 및 외산 자재 확보의어려움으로 비용이 크고 장기간소요

투자비 회수 위험 열전비 및 열전수요 부적절시

Page 9: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9 에 너 지 관 리 공 단

1. 소형열병합발전 개요 (5)

시스템 구성도

Page 10: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10 에 너 지 관 리 공 단

2. 소형열병합발전 도입 필요성 (1)

에너지 이용효율 증대 및 수요관리에 크게 기여 열과 전기를 동시에 생산 · 이용하므로 발전전용에 비해 약

30~40% 의 에너지절감 효과

하절기 피크부하 감소로 발전소 건설비용 저감과 하절기 가스냉방수요 창출로 계절별 에너지 수급불균형 개선

-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t)

가스

34

36

38

40

42

44

46

48

(kW

)최

대전

력백

GAS

전환전력

《《가스 및 전력 수요패턴가스 및 전력 수요패턴 (2003(2003 년도년도 )) 》》

夏高冬低

夏低冬高

Page 11: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11 에 너 지 관 리 공 단

2. 소형열병합발전 도입 필요성 (2)

분산형전원으로 안정적 전력수급 기여 대규모 발전소 투자부담 경감 및 수요에 즉각적 대응

※ 에너지사용처 근접지역에 소규모 발전소 설치로 수요에 대한 즉각적 대응 , 부지난 해소 , 송전손실 감소

국제적 환경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 에너지 이용효율향상 및 주 연료로 청정연료인 LNG 사용으로 기존방식

대비 CO2 30~40 % 배출 감소

< 에너지원별 대기오염물질 배출 비교 >

Page 12: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12 에 너 지 관 리 공 단

3. 소형열병합발전 보급활성화 관련 지원제도(1)

에너지이용합리화 자금 지원 (ESCO 투자사업 ) 소요자금의 100% 이내 지원 ( 동일 투자지당 100 억원 )

연리 2.25% ( 신용대출 최고 5.25%, 4/4 분기 변동금리 )

5 년 거치 5 년 분할 상환

※ 금리는 기준금리 ( 국고채 3 년물 수익률 ) 에 연동하여 분기별로 조정됨

소형열병합발전 설치 및 설계 장려금 설치지원금 : 2 만원 /kWe(2,000 만원 한도 )

설계지원금 : 1 만원 /kWe(1,000 만원 한도 )

※ 해당지역 한국가스공사 관할 지사에서 신청

Page 13: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13 에 너 지 관 리 공 단

3. 소형열병합발전 보급활성화 관련 지원제도(2)

도시 가스요금 우대적용 열병합발전용 도시가스 요금을 주택난방용 요금보다 인하된

요금 적용 ※ 현재 9 개 지역 ( 서울 , 부산 , 대전 , 광주 , 인천 , 경기 , 전주 ,

익산 , 군산 ) 에 한정

설치자금 세액공제 조세특례법에 의거 투자금액의 7% 를 법인세 또는 소득세에서

공제

소형열병합발전 도입타당성 분석 기술지원

구분 2001 2002 2003 2004 계

건수 9 11 48 14 82

※ ’05 년도에는 30 개소에 대하여 실시할 예정 ( 호텔 , 병원 , 산업체 등 )

Page 14: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14 에 너 지 관 리 공 단

4. 도입효과 (APT 사례분석 )(1)

개요

가스수요관리사업 일환으로 열병합발전 도입의사가 있는

업체에 대하여 도입타당성 분석 등 실질적인 기술 지원

목적

열병합발전에 대한 이해제고와 보급활성화를 유도

대상 : 아파트 48 개 단지 , 45,493 세대

Page 15: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15 에 너 지 관 리 공 단

4. 도입효과 (APT 사례분석 )(2)

분석 전 · 후 에너지공급시스템

수변전시설

전기 ( 한전 )(100%)

세대전력공동전력

보일러(100%)

LNG

B-C

난 방급 탕

분석 전 에너지시스템

☞ 전력은 모두한전수전 , 보일러만으 로 난방 및 급탕

수변전시설전기 ( 한전 )(25%)

세대전력

공동전력

열병합발전L N G

분석 후 에너지시스템

보일러

난 방급 탕

병렬운전(75%)

(30%)

(70%)

☞ 한전 수전 25%( 자가발전 75%), 발전폐열 (30%) 과 보조보일러(70%) 로 난방 및 급탕

Page 16: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16 에 너 지 관 리 공 단

4. 도입효과 (APT 사례분석 )(3)

최적화 시스템 구성 방안 가스엔진열병합발전 시스템으로 구성 ( 건물부문은 폐열을 온수로 이용하기에 유리 )

한전 수전량을 최소화하고 엔진 폐열을 최대한 이용하는 시스템으로 구성

최적시스템 구성 결과 발전량은 수전량의 75%( 한전수전 25%)

열부하의 29% 는 발전폐열 , 71% 는 보일러 담당

하절기 폐열발생량의 13% 방열 ( 사용처 없음 )

※ 1000 세대당 약 430kW 급 용량이 필요

Page 17: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17 에 너 지 관 리 공 단

4. 도입효과 (APT 사례분석 )(4)

기대효과 및 경제성

소형열병합소형열병합발전 도입발전 도입

소형열병합소형열병합발전 도입발전 도입

투자비 kW 당 400 만원( 가스엔진 132 만원 )

투자비 kW 당 400 만원( 가스엔진 132 만원 )

에너지비용 32% 감소전력비 88% 감소 - 가스비 12% 증가

( 세대당 20~60 만원감소 )

에너지비용 32% 감소전력비 88% 감소 - 가스비 12% 증가

( 세대당 20~60 만원감소 )

에너지 20% 절감( 가스 22% 증가전력 75% 감소 )

단순투자회수기간평균 4.6 년 (3~8 년 )

단순투자회수기간평균 4.6 년 (3~8 년 )

Page 18: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18 에 너 지 관 리 공 단

II. 소형열병합발전 보급활성화 기본방향

1. 기본방향

2. 연도별 보급 목표 및 효과

3. 세부추진방안

Page 19: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19 에 너 지 관 리 공 단

1. 기 본 방 향

보급활성화 기본계획

수립

보조금 등 정책· 제도 개선 및

체제정비

2013 년까지 총 발전용량의 3.5%

수준인 270 만 kW 보급

기술개발 및 인적

자원 육성 , 홍보강화

Page 20: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20 에 너 지 관 리 공 단

2. 연도별 보급 목표 및 효과

2013 년까지 총 발전용량의 3.5% 수준인 270 만 kW ( 원자력발전 3 기에 해당 ) 보급시 연간 약 8 천억원의 에너지절감 예상

연도별 보급 목표에 따른 예상 효과

구분 2004 2007 2009 2011 2013

소형열병합( 천 kW)

116 293 623 1,307 2,700

총발전량대비(%)

0.2 0.44 0.84 1.68 3.5

절감량( 천 toe)

131 344 692 1,390 2,792

절감비용( 억원 )

394 1,033 2,076 4,170 8,377

※ 270 만 kW 보급시 총 투자비는 약 8 조 7 천억원이 소요 될 것으로 전망

Page 21: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21 에 너 지 관 리 공 단

3. 세 부 추 진 방 안 (1)

목 적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설정 및 제시

주요연구내용 에너지 수요 및 소비구조 분석 기본방향 , 목표 , 공급기준 , 중장기 계획 등 수립 보급활성화 관련 정책 · 제도 개선 및 시행방안 모색

추진방법 국가 정책과제로 현재 에너지경제연구원에서 수행 중※ 공청회 실시 후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보급활성화 추진

[1]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 계획 수립

Page 22: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22 에 너 지 관 리 공 단

3. 세 부 추 진 방 안 (2)

ESCO 자금 지원 확대 에특회계예산에 별도 반영 등 지원 방안 강구

전력산업기반기금을 통한 보조지원 검토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에도 불구하고 초기 투자비 과다 및

에너지 요금의 불합리로 인한 경제성 취약을 보조하기 위해 발전차액지원 검토 ( 국가 정책과제로 용역 추진 중 )

사용연료에 대한 가격지원 하절기에 한해 소형열병합발전용 가스요금을 현재의 냉방용

요금 수준으로 인하 적용 현재 9 개 지역에 적용되고 있는 열병합용 요금 적용 지역 확대

석유수입부과금 환급 검토 (9,750 원 /ton)

[2] 자금지원 등 재정적 지원

Page 23: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23 에 너 지 관 리 공 단

3. 세 부 추 진 방 안 (3)

소형열병합발전사업에 대한 허가 또는 신고 기준 마련 현재 열생산량 5Gcal/h 이상의 집단에너지사업은 허가를

득하도록 하고 있으나 그 이하의 시설에 대해서는 기준이 없음

소규모 택지개발지구에 소형열병합발전 도입 추진 검토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소규모 택지개발지구에 도입

방안 강구

질소산화물 (NOx) 배출허용기준 완화 협의 추진 ’05 년 이후 대기 환경보전법상의 질소산화물 배출허용기준 강화 (500ppm→ 50ppm) 에 따라 보급장애 요인으로 대두

주 연료가 청정연료인 LNG 이고 , 에너지이용효율 (75~90%)을 감안하여 유럽수준으로 완화하는 방안 검토

[3] 법령정비 등 제도개선

Page 24: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24 에 너 지 관 리 공 단

3. 세 부 추 진 방 안 (4)

기술개발 및 인력양성 연구개발 기간이 길고 기술개발 예산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설비 및 기술을 유럽 및 일본으로부터 수입 시스템 기술개발 및 인력양성 육성을 위한 정부지원 확대

[4] 기술개발 및 인적자원 육성

[5] 열병합발전의 표준화 및 제도운영 강화 시스템의 표준화로 에너지사용자의 이해증진 도모

절감량 산출기준 및 방법 등이 상이하여 과열경쟁 및 민원발생 소형열병합발전 설계 , 설치에 대한 지침 및 관리 방안 마련

열병합발전 운영 , 관리체제 강화 전담기관 인원을 확대 , 보강하여 시책관리 , 홍보 지원업무 강화

Page 25: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25 에 너 지 관 리 공 단

3. 세 부 추 진 방 안 (5)

소형열병합발전에 대한 대국민 홍보강화

신기술에 대한 인지도 부족 및 낮은 신뢰도로 소형열병합발전

도입에 대해 소극적임

소형열병합발전의 경제성 , 환경친화성 , 효율성 등 대국민

홍보로 에너지사용자의 인식변화 유도

타당성분석기술지원 , 세미나 및 실무교육

열병합발전 도입타당성분석 기술지원

건물 , 산업 등 분야별로 지속적 세미나 실시

전문기술 양성을 위한 실무 기술교육 추진

[6] 홍보기능의 강화

Page 26: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26 에 너 지 관 리 공 단

3. 세 부 추 진 방 안 (6)

소형열병합발전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기본계획 ( 안 ) 마련 (’05. 2 월 ) → 공청회추진

(’05. 3~4 월 ) → 정부정책 ( 중장기계획 ) 반영

소형열병합발전 보급활성화 자문단 운영 정부 및 각계 관계자 , 전문가로 보급활성화를 지원할 자문단

(14 인 ) 을 구성 · 운영 중임

소형열병합발전 보조금 지원방안 연구용역 추진 보급 활성화를 위해 전력산업기반기금을 통한 보조금 지원방안

연구용역 추진

소형열병합발전 보급계획을 제 2 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에 반영 추진

[7] 향후 추진계획

Page 27: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K E M C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