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27

Transcript of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Page 1: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goegmanifesto.goe.go.kr/data/edu/edu05_2.pdf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Page 2: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goegmanifesto.goe.go.kr/data/edu/edu05_2.pdf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Page 3: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goegmanifesto.goe.go.kr/data/edu/edu05_2.pdf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경기교육의 약속······························································ 3

경기교육 중점정책과 운영 방침··································· 7

경기교육 8대 중점정책 ················································ 9

1. 단 한 명의 아이도 포기하지 않는 책임교육 ··············· 9

2. 학교혁신을 통한 모두가 행복한 학교 ························ 12

3. 학생의 올바른 성장을 도모하는 학생중심교육 ·········· 15

4. 학부모의 고민과 근심을 덜어주는 민생교육 ············· 18

5. 교원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위한 지원체제 ··············· 20

6. 차별과 소외가 없는 교육복지 ····································· 22

7. 학교와 지역사회가 함께 하는 마을교육공동체 ········· 23

8. 학교 현장을 섬기고 지원하는 교육행정 ···················· 24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

목 차

Page 4: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goegmanifesto.goe.go.kr/data/edu/edu05_2.pdf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1

2

Page 5: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goegmanifesto.goe.go.kr/data/edu/edu05_2.pdf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경기교육의 약속

단 한 명의 아이도 포기하지 않는 책임교육을 실현하겠습니다.

학교혁신을 통하여 아이들이 행복한 학교를 만들겠습니다.

학생들의 올바른 성장을 위해 인성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을 강화하겠습니다.

학부모의 고민과 근심을 덜어주는 민생교육을 지원하겠습니다.

교원이 열정을 갖고 당당하게 가르칠 수 있도록 교권을 확립해 나가겠습니다.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 학생이 안전한 환경에서 성장하도록 돕겠습니다.

학교와 지역사회가 함께 하는 마을교육공동체를 활성화하겠습니다.

학교 현장을 섬기고 지원하는 교육청이 되겠습니다.

Page 6: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goegmanifesto.goe.go.kr/data/edu/edu05_2.pdf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Page 7: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goegmanifesto.goe.go.kr/data/edu/edu05_2.pdf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Page 8: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goegmanifesto.goe.go.kr/data/edu/edu05_2.pdf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Page 9: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goegmanifesto.goe.go.kr/data/edu/edu05_2.pdf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경기교육 기본계획」은 경기교육의 중점정책과 세부사업을

설정한 것으로서 도교육청, 직속기관, 교육지원청에서

추진하는 단위사업의 지침 역할을 한다.

도교육청, 직속기관, 교육지원청, 각급 학교는 「경기교육

기본계획」에 따라 각 기관의 특성과 지역 조건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실천계획을 수립하여 창의적으로 운영한다.

운영 방침

경기교육 중점정책

학교 현장을 섬기고 지원하는

교육행정

단 한 명의 아이도 포기하지 않는 책임교육

학부모의 고민과 근심을 덜어주는

민생교육

교원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위한

지원체제

학교혁신을 통한 모두가 행복한 학교

학생의 올바른 성장을 도모하는 학생중심교육

차별과 소외가 없는 교육복지

학교와 지역사회가 함께 하는

마을교육공동체

Page 10: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goegmanifesto.goe.go.kr/data/edu/edu05_2.pdf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Page 11: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goegmanifesto.goe.go.kr/data/edu/edu05_2.pdf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학생중심, 현장중심 교육

경기교육 8대 중점정책 9

중점정책 1

단 한 명의 아이도 포기하지 않는 책임교육

인간의 존엄과 가치가 존중되고 학생들이 안전하게

교육받는 책임교육 실현

11. 생명존중교육의 강화

111. 생명윤리 가치의 존중과 확산을 위한 생명존중교육 강화

교육과정과 연계한 생명존중교육 강화

학생 위기관리 대책 수립

유관기관과 함께하는 자살예방교육 강화

112 아동학대 예방과 아동보호 내실화

아동학대 조기 발견을 위한 지역네트워크 구축 운영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학부모교육과 홍보 활동

113 지속가능발전교육 활성화로 생명·생태존중 의식 강화

교육과정과 연계한 생태프로그램 운영

지역사회와 학교가 협력하는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

12. 안산교육 회복을 위한 지원

121 상담과 치유를 위한 지원체제 구축

단원고 교육력 회복을 위한 현장 지원체제 구축 운영

안산지역 학생, 학부모, 교직원 치유 프로그램 운영

Page 12: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goegmanifesto.goe.go.kr/data/edu/edu05_2.pdf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학생중심, 현장중심 교육

10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

122 추모사업 및 교육공동체 지역 네트워크 구축 운영

세월호 참사 관련 기록물 수집, 관리, 운영과 백서 제작

지역 주민, 유관기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지원

13. 기초학력 보장 지원

131 기초학습부진학생 조기 진단과 지도

기초학습부진학생의 예방적 조기 개입(초등학교 1~2학년)

기초학습 결손방지를 위한 지원프로그램 개발

132 기초학력보장을 위한 맞춤형 학습 지원

난독증 등 학습장애 학생 지원

학습부진 유형별 맞춤형 학습지도 지원

133 기초학력보장을 위한 지원체제 구축

지역별 학습클리닉 센터 확대

온라인 학습정보망 구축 운영

교원역량강화 연수

14. 안전한 학교 만들기

141 학교안전종합계획 마련과 시행

재난안전 컨트롤타워 구성

학교안전 종합상황실 구축 및 운영

Page 13: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goegmanifesto.goe.go.kr/data/edu/edu05_2.pdf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학생중심, 현장중심 교육

경기교육 8대 중점정책 11

142 학교시설물 안전 관리와 개선

노후 건물 등 학교 시설물(학교체육시설, 수련시설 포함)에 대한 종합

진단과 체계 구축

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학생 주도형 소규모 주제별 체험학습으로 전환

교외활동 코스 및 운영기관에 대한 상설모니터링 및 ‘경기형 체험학습

프로그램 인증제’ 실시

144 재난대비 예방교육활동 강화

재난대비 교육과정 연계 운영

단위학교별 재난안전 관리 능력 향상

체험위주의 재난대비 안전교육 강화

Page 14: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goegmanifesto.goe.go.kr/data/edu/edu05_2.pdf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학생중심, 현장중심 교육

12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

중점정책 2

학교혁신을 통한 모두가 행복한 학교

학교혁신의 질적 제고와 양적 성장을 통해 학생들이

행복한 혁신교육의 새로운 도약

21. 혁신학교의 새로운 도약

211 혁신교육지원센터 설치와 운영

212 혁신고등학교 집중 육성

213 혁신교육 현장 지원 강화

혁신교육 컨설팅 강화

혁신 네트워크 지원

22. 모든 학생을 위한 혁신교육 확산

221 혁신교육 확산을 위한 추진체제 구축

경기혁신교육정책협의회 조직과 운영

혁신학교추진위원회 조직과 운영

222 ‘혁신공감학교’ 운영

학교 단위 학습공동체 활성화 지원

‘혁신교육과제선택제’ 운영

223 희망하는 모든 교원을 위한 혁신교육연수 강화

여름방학, 겨울방학 운영

Page 15: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goegmanifesto.goe.go.kr/data/edu/edu05_2.pdf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학생중심, 현장중심 교육

경기교육 8대 중점정책 13

224 혁신교육지구사업의 내실화를 통한 확대

참여와 소통의 지역교육 거버넌스 활성화

마을교육공동체 기반 조성을 위한 사업 추진

23. 교육과정, 수업, 평가 개선

231 학교교육과정 운영의 정상화

설립 목적에 부합하는 특목고, 자사고 운영

실적보고 및 행사위주의 교육과정 운영 지양

공감·성장·도전하는 일반고등학교 집중 육성

232 학교교육과정 다양화

학생중심 교육과정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활성화

방학분산제를 통한 4분기제 교육과정 운영 권장

동료성에 기반한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교육과정 클러스터 활성화

경기혁신형 자유학기제 운영 활성화

특성화고 대상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 적용

233 배움중심수업의 강화

동학년, 동교과 교사 간의 공동수업개발과 수업성찰 문화 조성

토의·토론수업, 협력수업, 프로젝트수업 확산

234 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지원하는 평가

교사의 평가권 강화

평가 횟수의 적정화

수행평가, 논술형 평가의 내실화

Page 16: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goegmanifesto.goe.go.kr/data/edu/edu05_2.pdf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학생중심, 현장중심 교육

14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

235 지역사회 연계 창의적 체험활동 활성화

통합적이고 자율적인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지원

창의적 체험활동 생태도 활용과 지역협의체 구성 운영

교육기부를 통한 창의적 체험활동 강화

236 독서교육 활성화

공공도서관의 학생중심 특화 추진

도서관 활용수업 및 교과협력수업 강화

학교별, 학생중심의 독서운동 확산

교육과정과 연계한 수업 중 독서교육 강화

237 융합형 탐구교육 강화

STEAM 수업 활성화

교과 융합형 창의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적용

Page 17: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goegmanifesto.goe.go.kr/data/edu/edu05_2.pdf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학생중심, 현장중심 교육

경기교육 8대 중점정책 15

중점정책 3

학생의 올바른 성장을 도모하는 학생중심교육

학생의 인권과 학생자치의 내실화를 통해 서로를

존중하고 협력하며 삶을 배우는 교육

31. 실천적 인성교육 강화

311 실천중심의 인성교육 강화

관계 회복을 위한 교원의 윤리적 실천 운동 전개

사제 간, 가족 간 ‘대화 시간 갖기 운동’ 전개

취학 전 인성교육 강화를 위한 예비 학부모 역량 강화

312 회복적 생활교육 강화

교육공동체 관계 회복을 위한 회복적 써클 운영

회복적생활교육 지원 시스템 구축

교육공동체의 회복적생활교육 역량 강화

313 공감과 치유 중심의 학교폭력 예방 교육

학교폭력예방 표준프로그램 운영 확대

학생 맞춤형 상담 내실화

314 인터넷, 스마트폰 바른 사용법 교육

인터넷, 스마트폰 중독 예방과 치료를 위한 가족 합숙 치유 캠프

학생, 학부모, 교사가 참여하는 1주간 스마트폰 이별 주간 자율 운영

32. 학생인권과 학생자치의 내실화

321 학생인권 보호와 증진

인권 감수성 신장을 위한 교원 역량 강화

학생인권침해 상담 및 구제 활동 강화

학생인권 실천계획 이행 모니터링 실시

Page 18: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goegmanifesto.goe.go.kr/data/edu/edu05_2.pdf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학생중심, 현장중심 교육

16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

322 학생자치활동 활성화

학생 스스로 만드는 민주적 학교(급)생활 협약 제정과 운영

학생자치활동 활성화를 위한 학교별 예산 편성

학급-학교-지역-도단위 연계 학생자치활동 활성화

323 건강한 성장, 활기찬 학습 보장

건강과 가족생활 중심 등교시간 운영

적정한 점심시간과 휴식시간 확보

33. 민주·평화·세계시민교육 활성화

331 평화교육과 통일교육 활성화

평화감수성 증진 프로그램 운영

소통과 공감의 평화로운 학교 만들기

민관 거버넌스를 통한 통일교육 활성화 방안 마련

332 교육과정과 연계한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기본생활습관교육 강화

청소년 노동인권교육 강화

노동인권교육 직무 연수 개설

민주시민교육 관련 기관과 학교와의 협력 프로그램 마련

333 학교민주주의 활성화

학교민주주의 지표와 지수 개발과 적용

교직원의 학교정책 참여방식 다양화

334 양성이 함께하는 학교문화 확산

양성평등 기반 마련을 위한 양성공감 체험교육 강화

여성리더십 개발을 위한 지역네트워크 협력 기반 마련

Page 19: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goegmanifesto.goe.go.kr/data/edu/edu05_2.pdf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학생중심, 현장중심 교육

경기교육 8대 중점정책 17

335 외국어 의사소통능력 강화를 통한 국제이해교육 확대

해외학교와의 온라인수업교류 확대

제2외국어교육 다양화 및 활성화

34. 다양한 학습 경험의 인정과 확산

341 진로진학센터의 확대 개편과 기능 강화

진로 및 전공적성개발을 위한 진로체험학습 활성화

교사대상 진로상담연수 강화

전문 대입상담사와 진로상담사 배치

342 문화예술 특성화 교육

교육과정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강화

예술교육 활성화 지원 사업 추진

343 인문교양교육 활성화

인문교양교육 체험활동 기회 확대

인문 가치 확산을 위한 교원연수 강화

344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취업역량 강화와 일반고 학생 직업교육 기회 확대

특성화고 산학연계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의 내실화

일반고 학생을 위한 특성화고 방과후 기술교육과정과 직업위탁교육 확대 운영

345 학교체육활동 활성화

학교별, 지역 특성을 고려한 자율체육활동 강화

다양한 학교스포츠클럽활동 프로그램 운영

학생선수 권익보호 및 학교운동부의 교육적 운영

Page 20: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goegmanifesto.goe.go.kr/data/edu/edu05_2.pdf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학생중심, 현장중심 교육

18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

중점정책 4

학부모의 고민과 근심을 덜어주는 민생교육

학부모들이 학교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학부모의

고민과 근심을 줄이는 민생교육

41. 학부모의 자치 실현과 부담 경감

411 경기도학부모지원센터 재구조화

학부모 자치 확보와 체계적 지원

학부모의 교육적 책임 강화 및 참여 확산

412 초·중·고등학교 학습준비물 단계적 지원

413 학원 등의 건전성 확보를 통한 사교육비 부담 완화

학원, 교습소 및 개인과외교습자에 대한 지도 점검

42. 교육급식의 지속적 추진

421 건강하고 안전한 학교급식 환경 조성

학생 맞춤형 교육급식 실시(비만 학생, 특이체질 학생 등)

쾌적하고 안전한 학교급식 시설 마련

현장중심의 학교급식 위생·운영 점검

422 친환경 교육급식의 안정적 정착과 확대

지역에서 생산한 안전한 식재료 공급·관리체계 구축

지방자치단체와 유기적 협의 체계 마련

Page 21: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goegmanifesto.goe.go.kr/data/edu/edu05_2.pdf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학생중심, 현장중심 교육

경기교육 8대 중점정책 19

423 영양·식생활 교육 강화

체계적인 영양·식생활 교육 정착 지원

유관기관 및 지역공동체와 함께하는 식생활 교육 체계화 구축

43. 유아교육의 공공성 강화

431 유치원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책무성 확보

유치원 교육과정 운영의 내실화

유아의 전인적 성장 지원 다양화

432 방과후 과정 운영의 질 제고

맞벌이 자녀를 위한 맞춤형 방과후 과정 운영

마을교육공동체와 함께하는 방과후 과정 운영

433 참여와 협력의 유치원 문화 조성

현장중심의 교육행정 지원

교육공동체 참여 활성화

44. 학교 응급의료체계 개선

441 학교 응급후송시스템 개선

사고발생 시 학교에서 병원까지 원스톱 응급치료 시스템 구축

모든 교직원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교육 강화

442 건강보호학생 맞춤형 관리와 학생 건강표준 개발

만성질환, 난치병, 희귀병 등 학생 맞춤형 관리 지원

건강검진 결과 분석을 통한 학생 건강표준 개발

건강생활교육으로 자신의 건강관리 습관 내면화

Page 22: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goegmanifesto.goe.go.kr/data/edu/edu05_2.pdf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학생중심, 현장중심 교육

20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

중점정책 5

교원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위한 지원체제

교원이 전문성과 자율성을 토대로 당당하게 가르칠 수

있는 교권 확립

51. 교권의 확립

511 교권보호조례 제정 추진

수업권 확보, 교권존중 풍토조성, 교육활동 보호 등으로 조례안 구성

512 ‘교권보호관’ 도입

교권침해 예방활동 및 교육법률 연수

교권침해 피해교원 상담, 조사, 소송 진행 지원

513 교직원힐링센터(가칭) 설치와 운영

교직원 치유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52. 교원 전문성 신장과 연구 환경 구축

521 학교 단위 학습공동체 활성화

교사학습공동체가 주관하는 학교단위 연수 시스템 마련

교내 교사학습동아리와 교과연구회 활성화를 위한 지원 강화

교사 수업연구 활성화를 위한 노후 교사연구실 시설환경 개선

522 혁신교육대학원 추진

수도권 지역의 대학 공모 및 MOU를 통해 추진

Page 23: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goegmanifesto.goe.go.kr/data/edu/edu05_2.pdf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학생중심, 현장중심 교육

경기교육 8대 중점정책 21

523 교원 역량 강화를 위한 교원연수의 내실화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교원역량강화 연수체제 마련

교과교육연구회의 내실 있는 운영

교사성장을 위한 수업코칭 연수 강화

53. 역량중심의 인사제도 개편

531 신규교원 임용제도 개편

신규교원 임용제도 혁신

(지역트랙제, 임용사정관제, 지역 가산점 폐지 등)

532 교원 인사제도 개선

교원 인사제도 개선(중임, 평가, 승진 등)

533 교육전문직원 임용제도 개편

교육전문직원 임용제도 혁신(자격, 전형방법 등)

534 지방공무원 인사제도 개선

지방공무원 인사제도 혁신(5급 승진, 평정제도 등)

Page 24: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goegmanifesto.goe.go.kr/data/edu/edu05_2.pdf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학생중심, 현장중심 교육

22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

중점정책 6

차별과 소외가 없는 교육복지

학생들에게 균등한 교육을 제공하고 교육으로부터 소외가

없는 교육복지 실현

61. 차별 없는 교육환경 조성

611 지역별, 학교별 교육환경 격차 해소 추진

교육격차 해소 기준지표 개발 및 실태조사

경기도교육격차해소를 위한 조례 제정 추진

학교시설 노후도 등급이 높은 학교부터 개선

612 교육복지 지원 강화

경기형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추진

학교 교육복지사의 단계적 배치

613 농산어촌 및 소외지역의 외국어 강화

학생 맞춤형 튜터제 확대

체험중심 영어캠프와 온라인 영어학습 기회 확대

62. 특수교육과 다문화 교육 활성화

621 특수교육 종합지원 방안 마련과 추진

특수교육정책협의회 운영

622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증설로 특수교육 기회 확대

623 다문화와 탈북학생 지원 체제 구축

다문화 학생의 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지원 체제 구축

탈북학생을 위한 프로그램 성과분석과 내실화

Page 25: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goegmanifesto.goe.go.kr/data/edu/edu05_2.pdf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학생중심, 현장중심 교육

경기교육 8대 중점정책 23

중점정책 7

학교와 지역사회가 함께 하는 마을교육공동체

학교를 중심으로 학부모, 주민, 시민단체, 지방자치단체 등이

협력체를 구성하여 함께 하는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

71. 마을교육공동체 추진

711 마을교육공동체 기획단 조직 및 운영

712 ‘경기꿈의학교’ 추진

진로탐색형 쉼표학교 추진

문·예·체 집중형 계절학교 추진

마을과 함께하는 방과후학교 운영

713 공립형 대안학교 ‘자유학교’ 추진

중·고 연계 통합교육과정 개발을 통한 공교육 대안 특성화 중·고등학교

714 학교와 마을이 함께하는 사회적 협동조합 단계적 추진

715 교육자원봉사센터 설치와 운영

퇴임교원, 학부모, 지역사회인사 등 교육기부 활성화

72. 참여와 협력의 교육문화

721 민관 교육거버넌스 구축

722 주민참여예산제 운영

723 시민교육 아카데미 운영

724 학교도서관 주민개방 확대

Page 26: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goegmanifesto.goe.go.kr/data/edu/edu05_2.pdf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학생중심, 현장중심 교육

24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

중점정책 8

학교 현장을 섬기고 지원하는 교육행정

정책의 출발점을 학생과 학교로 옮기고 학교가 필요로

하는 정책을 추진하여 학교의 행정부담 경감

81. 현장 중심 교육행정 강화

811 불합리한 관행 개선

교육청과 학교 관행 진단과 개선

812 조기 업무분장을 통한 신학기 준비 강화

인사이동하지 않는 교사의 담당 학년과 교과, 겨울방학 이전 배정

813 교육지원청의 혁신교육지원팀 운영

혁신학교 지원 추진단과 혁신학교 연구회 운영

거점학교 활성화 및 혁신학교 네트워크 지원

814 교육정책모니터링단 운영

경기혁신교육정책협의회 산하에 설치하여 정책의 현장 적합성 모니터링

82. 행정업무 효율화

821 경기도교육청 사업총량제 실시

매년 10~15%의 사업을 줄이는 사업총량 관리체제 마련

822 불필요한 사업과 공문 원천 차단

교사행정업무 유발요인 차단 사전 평가제 실시

Page 27: 2015 경기교육 기본계획(최종)-한솔고침1-1 - goegmanifesto.goe.go.kr/data/edu/edu05_2.pdf143 안전한 체험학습 모델 개발과 보급 대규모 수련회, 수학여행을

학생중심, 현장중심 교육

경기교육 8대 중점정책 25

823 교육과정 중심의 학교시스템 구축

불합리한 관행적 학교 업무 개선과 교육청 행정 간소화

교육과정 중심의 학교시스템 모범사례 발굴・홍보

83. 청렴 체제 구축

831 감사 시스템 개선

청렴시민감사관제 운영

832 공익제보 보호와 지원 강화

공익제보 보호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

공익제보로 인한 피해자에 대한 지원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