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로그의 실험

38
헬스로그의 실험 의사에서 커뮤니케이터로 KAIST Science Communication & Leadership Tuesday, Sept. 15, 2009 주식회사 헬스로그 www.koreahealthlog.com 대표 양광모

description

헬스로그의 실험에 대해

Transcript of 헬스로그의 실험

Page 1: 헬스로그의 실험

헬스로그의 실험의사에서 커뮤니케이터로

KAIST

Science Communication & Leadership

Tuesday, Sept. 15, 2009

주식회사 헬스로그www.koreahealthlog.com

대표 양광모

Page 2: 헬스로그의 실험

Agenda1. 대중적 믿음과 과학적 사실1. 대중적 믿음과 과학적 사실

2. 정보 과잉 시대의 부작용

3. 새로운 정보 전달자의 필요성

2

4. 의사(전문가)들의 새로운 역할

Page 3: 헬스로그의 실험

About Me양광모• 주식회사 헬스로그 대표• 주식회사 헬스로그 대표• 비뇨기과 전문의• Health 2.0 관련 포럼, 기획 자문 및 강의• 트위터 @healthlog

주식회사 헬스로그• Health 2.0을 실현하기 위한 실험적 벤처 (2007년 블로그로 시작)• 코리아 헬스로그 – 의사들이 직접 만드는 건강 소식지

3

• 코리아 헬스로그 – 의사들이 직접 만드는 건강 소식지• 닥블 – 의사들의 소셜 네트워크• 헬스로그 e-CRF – 환자의 transactional data를 저장, 임상연구• 2010년에는 ?

Page 4: 헬스로그의 실험

4

www.koreahealthlog.com

Page 5: 헬스로그의 실험

대중적 믿음과 과학적 사실

5

Page 6: 헬스로그의 실험

의학과 과학• "과학의 공통적인 점은 다루고 있는 대상으로 구별하는 것이 아니라

그 방법에 있다" (Pearson, 1951)

6

Page 7: 헬스로그의 실험

과학자는 편협한 전문가?• 피터 도어티• 1996년 노벨의학상• 1996년 노벨의학상• ‘전문가를 의심하는 시대, 훌륭한 과

학자들이 편협한 전문가로 인식’• 급전적 환경운동, 반 유전공학 운동,

의학적 음모론• 과거의 좋은 이론이 증거 불춘분으로

폐기되더라도, 해당 연구를 한 과학자가 비난받을 일이 아닌데…가 비난받을 일이 아닌데…

• 더 나은 과학적 증거를 만나면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데… 과학을 종교나정치적 입장에 따라 지지하는 경우

7

Page 8: 헬스로그의 실험

채소, 흐르는 물에 씻는다?

• 2008년 4월 식품의약품안전청 발표• 2008년 4월 식품의약품안전청 발표• 과일, 야채 등 잔류 농약 제거는 흐르는 물 보다 담근 물에 세척하는

것이 효과적• 숯 가루 등을 사용하는 것은 위험

8

Page 9: 헬스로그의 실험

생약은 몸에 무리를 주지 않는다?• 많은 환자들이 같은 성분의 약이라도 생약 성분이라는 말이 들어라도 생약 성분이라는 말이 들어가면 선호

• 자연 추출물?• 자연에서 얻지 않은 것이 있던가?• 때로는 더 고농도• 때로는 원치 않은 성분과 효과(부작용)(부작용)

• 의사는 의학적으로 통제 가능한(예측 가능한) 약물을 선호

생약(?) vs 양약(?)

9

Page 10: 헬스로그의 실험

혈액 순환을 위해 피를 뽑는다?• 나쁜피? 좋은피?• 히포크라테스 시대에도 있었• 히포크라테스 시대에도 있었던 사혈 요법

• 17세기 혈액 순환 증명, 하비(william Harvey 1578-1657)

• 중세의 기독교적인 정서, 갈레노스 의학을 신봉하던 사람들에게 무시람들에게 무시

• 조지 워싱턴의 주치의 러시(Benjamin Rush)도 사혈과수은 치료 시행

Ioannis Sculteti, Armamentium Chirugiae, 1693 — Diagrammed transfusion of sheep's blood

10

Page 11: 헬스로그의 실험

목적론적인 의학(?)• 모든 장기는 의미와 기능이 있다?

• 기독교와 갈레노스의 의학 – 종교적 해석에 들어맞는 이론 (기본적인장기 설명과 동물의 영, 생명의 영등 설명)

• 해석 불가능한 질병들 (흑사병, 매독)

Potential HIV-1 target cell in the human penis, Scott G. McCoombe et al., AIDS, 2006 20:1491-1495 독)

• 중세 기독교 권위가 무너질 때 근대의학이 발전됨.

11

6 20:1491-1495

Page 12: 헬스로그의 실험

진리로 믿었던 메시지의 배신• 이런 배신감을 과학을 모르는 사람들은을 모르는 사람들은어떻게 느낄까?

• 시시 각각 다른 정보를 내놓는 과학자, 의를 내놓는 과학자, 의사들은 못미덥다?

12

Page 13: 헬스로그의 실험

대중적 믿음과 과학적 사실

13

Page 14: 헬스로그의 실험

정보 과잉 시대의 부작용

14

Page 15: 헬스로그의 실험

변화된 웹 환경

15

Page 16: 헬스로그의 실험

Pew Internet & American Life Project

소비자들의 온라인 정보 습득 증가

• 2000년 – 미국인의 46%만 인터넷사용, 인터넷 보급된 가정 5%, 성인의 25%만 온라인 건강정보찾았음

• 2009년 – 미국인 74%가 인터넷사용, 인터넷 가구 보급률은 57%, 사용, 인터넷 가구 보급률은 57%, 성인의 61%가 온라인 건강 정보를활용

16

Page 17: 헬스로그의 실험

정보 수용자들의 인식 변화

신문의 영향력 감소, 방송은 여전히 중요.

17

2008, 한국언론재단 조사 결과

Page 18: 헬스로그의 실험

잘못된 정보가 확산되기도 쉽다

18

Page 19: 헬스로그의 실험

19

Page 20: 헬스로그의 실험

새로운 정보 전달자의 필요성

20

Page 21: 헬스로그의 실험

과학에 대한 이해 부족• 과학을 하는 사람, 과학을 배운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간의 시각

차 매우 크다차 매우 크다• 과학에 절대적 진리나 계시적 진리는 없다• 검토할 수 있는 증거에 더 이상 들어맞지 않으면 그 어떤 믿음이나

이론도 폐기된다• 이런 사실을 대중이 이해하지 못했을 때 과학의 입지는 줄어든다• 대중적 지지 감소는 그 기반이 과학적이든 과학적이지 않든 정치적

인 큰 영향을 미친다.

21

Page 22: 헬스로그의 실험

시멘트 유해 논란• 쓰레기 시멘트 논란• 사용된 시멘트 강알카리성• 사용된 시멘트 강알카리성• 금붕어가 죽은 이유는 pH때

문인가? 쓰레기 재료를 사용했기 때문인가?

• 블로그 포스트에서 사용한 용어나 문제제기가 전문 과학자들의 실험연구처럼 엄밀하지들의 실험연구처럼 엄밀하지않은 측면

• 인과관계를 입증하는 것은 과학자들에게도 쉽지 않은 일

22

"중금속이 포함되어 있어서 위험하다"는 최병성님의 주장이를 자체적으로 증명하기 위해 시멘트를 수조에 넣고 금붕어의 생존 여부를 보고. 언론에 보도됨.

Page 23: 헬스로그의 실험

사실의 해석과 근거중심의학• Evidence based Medicine – 환자에게최상의 치료와 의료 소비자에게 객관적 선택의 기회를 준다.적 선택의 기회를 준다.

• 현대 의학 교육은 기술 뿐 아니라 이러한 사실 (임상 연구, 경험)을 어떻게 해석해야하는지 초점을 맞추고 있다.

• 자의적 해석 하거나, 신뢰도 낮은 연구를 바탕으로 상업적으로 이윤을 추구

"The value of an education ... is not the learning of many fact, but the training of the mind to think of something that cannot be learned fro 를 바탕으로 상업적으로 이윤을 추구하는 것?

• 상업적이지 않더라도 제대로 된 의학적 사실에 입각해 치료하지 않는 것?

23

g of many fact, but the training of the mind to think of something that cannot be learned from textbooks" - Albert Einstein -

Page 24: 헬스로그의 실험

증명은 불가능? 효과는 확실?• Placebo 일까?• 아직 밝혀지지 않은 의학적 효• 아직 밝혀지지 않은 의학적 효

과일까?• 확실하지 않은 치료를 받도록

하는 것이 윤리적일까?• 이해 집단의 핍박일까?• 상업적인 불법 의료행위에 날개

를 달아준 것일까?

• 미디어에서는 이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24

추석연휴 방송을 통해 침과 뜸으로 화상을 치료하는 모습을보여 화제가 됐던 ‘구당’ 김남수 옹이 길거리로 나섰다. -‘침구사법 부활’주장 김남수옹 “헌법소원 청구” 경향닷컴

Page 25: 헬스로그의 실험

임상 연구에 대한 해석 능력 필요

• 위약 효과를 배제했는가?• 위약 효과를 배제했는가?

• 모집단을 대신할 수 있는 연구 샘플인가?

• 통계 적용 / 해석, Bias 여부

• 연구는 윤리적이였는가?

25

Page 26: 헬스로그의 실험

수많은 의학 연구들• 소비자에게 있어 근거는 의료를 선

택하고 소비하는데 있어 결정적인정보로써의 가치를 가지게 된다정보로써의 가치를 가지게 된다

• 연구마다 근거의 강도 다르다

• 미디어에서는 이런 임상 연구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전달 하고 있는가?

• 의사들은 환자들에게 단순히 Expert opinion이 아닌 EBM으로 설명하고있는가?임상 연구 등의 근거(evidence)의 신뢰도,

위쪽으로 올라갈 수록 높은 신뢰를 얻음

26

Page 27: 헬스로그의 실험

Level of Evidence (LOE)• Level 1 - 무작위 임상 연구(randomized clinical trial, 실험군과 대조군을 무작위로 나눈 뒤 두 군을 비교하는 연구) 또는 여러 임상 연구를 메타분석한 연구가 상당한 치료 효과를 보이는 경우를 메타분석한 연구가 상당한 치료 효과를 보이는 경우• Level 2 - 무작위 임상 연구이나 치료 효과의 의미가 적은 경우• Level 3 - 전향적이고 통제된 코호트 연구이나 무작위 선정이 안된경우(일반적인 환자군을 죽 지켜보면서 얻은 연구라고 생각하면 됨)• Level 4 - 후향적(연구를 시작한 시점에서 과거의 기록을 바탕으로진행하는 연구)이고 무작위가 안된 코호트 연구나 환자군-대조군 연구(위험 인자등을 파악하기 위해 환자군과 대조군을 비교하는 연구)• Level 5 - case series(비슷한 치료와 효과를 보인 환자들을 보고하는 연구)

Level 6 - 동물 또는 기계적 모델 연구는 연구)

• Level 6 - 동물 또는 기계적 모델 연구• Level 7 - 다른 목적의 연구에서 추정된 결과나 이론적 분석• Level 8 - 이성적인 추측(상식 수준) 또는 증거중심의학 이전에 일반적으로 시행되던 치료들

27

Page 28: 헬스로그의 실험

현실적 문제• 더 이상 치료 법이 없을 경우제한된 근거를 가지고 치료할제한된 근거를 가지고 치료할수 밖에 없다.

• 물에 빠진 사람 지푸라기 잡는심정을 악용, 때로는 상업적으로 접근하기도 한다

•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이 필요

28

Page 29: 헬스로그의 실험

의사(전문가)들의 새로운 역할

29

Page 30: 헬스로그의 실험

현명한 소비자 양성• 아무리 웹에 정보가 많다고 하더라도

해석해주는 사람이 없다면?해석해주는 사람이 없다면?

• 대중의 지혜로 대표되는 Web 2.0의 시대지만, 전문가들의 참여가 없었다면지금의 Wikipedia가 있었을까?

• 판단은 소비자가 하되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야한다.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야한다.

• HOW ?

30

Web을 통한 정보의 투명성, 소비의 합리화는 비용 절감을 가져올 뿐 아니라 질환 관리에 효율성도 가져올 것이다 – Health 2.0

Page 31: 헬스로그의 실험

의학 전문 기자들• 의학과 대중 사이의 징검다리 역할• 그러나 수많은 의학 정보을 전부 의학 전문 기자가 전달하지는 않음• 전공 분야의 제약, 시간의 제약, 데스크의 협조 등 …• 전공 분야의 제약, 시간의 제약, 데스크의 협조 등 …

31

Page 32: 헬스로그의 실험

의사들이 쉽게 목소리를 낼 수 있다면?• 정보의 전달자정보의 해석자• 정보의 해석자

• 의학에 대한 대중적 이해• 병의원의 합리적 이용• 의료 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합리적 개선에 대해서도 도움리적 개선에 대해서도 도움

• 궁극적으로 건강을 돌보는데 도움

32

Page 33: 헬스로그의 실험

어떻게 해야 이런 움직임을 확산시킬까?

• 의사 대부분이 인터넷과 컴퓨터를• 의사 대부분이 인터넷과 컴퓨터를활용한다

• 블로그를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의사들이 생기기 시작했다

• 이를 모아 의미있는 정보로 가공한• 이를 모아 의미있는 정보로 가공한다면?

33

Page 34: 헬스로그의 실험

코리아 헬스로그의 탄생

블로그 기반의

34

블로그 기반의소셜 미디어정식 인터넷 매체뉴스 공급의학 메타블로그 수집

정보 교류 / 현 70여개

Page 35: 헬스로그의 실험

Contents

• 닥블 참여자 및 관심 있는 의사들 기반으로Sermo와 같은 SNS 서비스 제공• 1차 의료기관의 종사자와 환자간 웹 기반의커뮤니케이션 툴 제공

Search

Community

ToolsSearch ToolsTransaction

Data

35출처 : Vitamin MD (마을수프) 차상훈님 자료E-CRF

Page 36: 헬스로그의 실험

그렇게 하면 뭐가 좋아지는데?• 소통이 증가된다면!• 의료 소비자들의 건강도 지키고• 의료 소비자들의 건강도 지키고합리적인 의료 소비로 지갑도 지키고!

• 의사로써 일할 맛 나는 세상이 오지 않을까?

• 합리적이고 원칙적인 치료를 하는 의사가 대접받는 세상이 오지는 의사가 대접받는 세상이 오지않을까?

• 소통의 부재가 가져온 뼈아픈 기억에 다른 전문 분야 보다 의사들의 참여가 높다!

36

주식회사 헬스로그는 영리기업이지만 전문가의전문 지식 기부를 도모하는 소셜 벤처 이기도

Page 37: 헬스로그의 실험

말그대로 모험(Venture)

37

Page 38: 헬스로그의 실험

Any Question?

양광모 (양깡)주식회사 헬스로그 대표이사코리아 헬스로그 운영자 / 편집장

@[email protected]@healthlog.kr

www.koreahealthlo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