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41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김 규 희 pxd Usability Consulting Group
  • Upload

    guul
  • Category

    Design

  • view

    3.993
  • download

    0

description

'21C 디자인경영 촉진 및 미래 디자인 전략 공유 컨퍼런스_미래 디자인전략을 말하다' 에서 강연한 발표자료입니다.2011.12.07 [Session 4] 미래디자인 예측 및 신디자인 비즈니스 영역 접근 전략통합적 디자인 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_김규희(pxd)

Transcript of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Page 1: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디자인 정보분류체계

김 규 희

pxd Usability Consulting Group

Page 2: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Preface

디자인 분야의 지식체계에 대한 연구는 디자인이 학문적으로 발전하여 미래에 사회문화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디자인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면서, 최근에는 서비스디자인이나 UX디자인과 같은 새롭게 등장하는 분야나 타 영역간의 융합 및 디자인의 통합이 매우 중요한 시대가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야를 기존의 독립된 영역으로 구분된 디자인 학문체계에 기반으로 체계화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다. 기존의

인쇄물 분류방식같은 결과 중심의 영역적 정보분류 방식은 디자인을 타 학문의 하위 범주로 분류하

게 되어, 디자인의 학문적 정체성 확립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으며, 두 가지 이상의 주제를 포함하는 다학문적인 정보를 중복시켜 분류할 수 없는 단일 분류체계이기 때문에 디자인의 지식체계에는 적합하지 않은 정보분류체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표는 디자인 관련 정보가 지속적으로 규모가 커지고 발전하는 상황에서, 기존 분류방식의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해

디자인학 분류체계를 다차원으로 제안한 연구논문을 소개하고자 한다. 디자인의 새로운 영역이 등장할 때

보다 유용하게 대처할 수 있는 디자인 지식체계 확립의 필요성에 대해, 디자인 실무자와 업계 종사자가 함께 공감할 수 있도록 정리하고 공유하는 것이 본 발표의 목적이다.

Page 3: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Acknowledgement

통합적 디자인 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제안 김규희(Kim Kyu-Hee), 박영순(Park Young-Soon), 정의철(Jung Eui-Chul)한국디자인학회, 디자인학연구, 제24권 제3호 2011.8, page(s): 55-66

Page 4: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about Presenter

김 규 희

•현. pxd UI 연구소, 주임연구원

•UI 기획/설계 (+ 서비스 디자인)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인간중심 통합디자인 연구실, 선임연구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생활디자인학과 졸업, 디자인 석사

Page 5: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디자인 연구Design Research

디자인 연구에 대해

대부분의 기업과 학교의 디자인 관련 영역에서는 비중과 규모의 차이가 있지만 디자인 연구, 즉 리서치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트렌드, 소재, 색채, 사용자 등의 리서치와 분석은 이미 많이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리서치 활동을 하는 이유는 아무 정보나 인사이트가 없이는 성공적인 디자인 결과물을 내기가 더욱 힘들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쉽게 할 수 있는 기초조사로는..

Page 6: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논문을 찾아보거나,

Page 7: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디자인 전문 정보 사이트를 찾아보거나,

Page 8: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아니면 그냥 키워드로 검색해서 연관되는 검색어를 다시 대입하여 찾기도 합니다.물론, 이 외에도 리서치를 하는 경로는 더 많이 있습니다.

Page 9: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디자인 연구의 특성

“다양한 방법을 사용”

Paper Research

- 선행 연구자료- 기존 프로젝트 자료- 사용자 조사 자료

- 트렌트 자료- 홍보 동영상, 홍보 웹사이트

- 경쟁제품 시제품, 매뉴얼, 사이트 등- 관련 논문자료 :

User Research

- Survey - Focus Group- Indepth Interview

- Diary Study (Journaling)- Shadow Tracking (Shadowing)

- Ethnographic Study- Contextual Inquiry :

디자인 연구의 특성 1 -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우선, 리서치를 하는 데 있어서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물론 디자인이 아닌 분야에서도 조사방법론이 다양한 것은 마찬가지 입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디자인연구 방법은 매우 많은데다가, 통계학이나 사회학과 같은 다른 학문의 연구 방법도 사용하고 이들을 혼용하기도 합니다.참고로 저희 회사인 pxd의 경우에는 페이퍼 리서치도 하고 사용자 리서치를 하고 있는데요, 이 밖에도 새로운 방법론에 대한 학습과 도입에 상당히 개방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는 편입니다(맞지요?^^).

Page 10: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디자인 연구의 특성

“개념적”

Frayling의 디자인연구 범주(Press 1995)

디자인 연구의 특성 2 - 개념적이고 복잡하다.

1993년 영국의 크리스토퍼 프레일링(Christopher Frayling) 교수는 <예술과 디자인 연구>라는 글에서 디자인연구를 디자인에 대한 연구(Research into design), 디자인을 통한 연구(Research through design), 디자인을 위한 연구(research for Design)의 세 가지로 범주화 했습니다.

Page 11: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디자인 연구의 특성

“복잡함”

Graduate study at the Institute of Design(Owe 1998, 18)

디자인 연구의 특성 2 - 개념적이고 복잡하다.

또한, 5년 뒤인 1998년, 오웬이라는 연구자는 디자인 지식기반 모형을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이 사람의 주장에 따르면, 제품/커뮤니케이션/시스템/서비스 같은 영역들이 점점 독자적으로 되고 있는데 반해, 하드웨어/소프트웨어는 융합되고 있기 때문에 결국 결과물 중심이 아닌 지식체계를 구축해야 하나의 프로그램이 편성되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제시한 디자인 지식의 모형은 4개의 잎사귀와 같은 잔열 모양으로 확장하여, 이들은 좌우 각각 디자인의 이론과 실제로 구분되고, 이것들이 학위와 연관된다고 설명을 했습니다. 예를 들어, 이 모형에 의하면 디자인기획(Design Planning)을 연구하는 학생은 기획과 컨셉 형성을 위한 이론과 방법 및 프로세스를 조사/개발해야 하는 것이고, 인간중심디자인(Human Centered Design)을 연구하는 학생은 시스템과 서비스 및 이것들에 적용되는 실제 제품을 디자인하기 위한 이론,방법 및 프로세스를 조사/개발해야 하는 것입니다. (다소 복잡해 보이지만)이러한 디자인지식기반 모형을 구축하면, 디자인을 폭넓게 개념화하여 연구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습니다.

Page 12: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디자인 연구의 특성

“실용 분야”

Model of the field of design(Friedman 2000, 38, Fig 2)

디자인����������� ������������������  연구의����������� ������������������  특성����������� ������������������  3����������� ������������������  -����������� ������������������  실용����������� ������������������  분야이다.

2000년도에는����������� ������������������  프리드먼����������� ������������������  이라는����������� ������������������  연구자가����������� ������������������  디자인지식을����������� ������������������  Research����������� ������������������  와����������� ������������������  Practice의����������� ������������������  연구와����������� ������������������  실천으로����������� ������������������  정립하기도����������� ������������������  했습니다.����������� ������������������  디자이너가����������� ������������������  알아야����������� ������������������  하는����������� ������������������  디자인지식의����������� ������������������  분류표

를����������� ������������������  크게����������� ������������������  네����������� ������������������  가지로����������� ������������������  구성(1영역:����������� ������������������  Skills����������� ������������������  for����������� ������������������  Learning,����������� ������������������  2영역:����������� ������������������  The����������� ������������������  Human����������� ������������������  World,����������� ������������������  3영역:����������� ������������������  The����������� ������������������  Artifact,����������� ������������������  4영역:����������� ������������������  The����������� ������������������  Environment)하였습니다.����������� ������������������  이����������� ������������������  사람에����������� ������������������  의하면,����������� ������������������  디자인

이란����������� ������������������  영역은����������� ������������������  디자이너의����������� ������������������  역량����������� ������������������  못지����������� ������������������  않게����������� ������������������  많은����������� ������������������  기술과����������� ������������������  지식을����������� ������������������  필요로����������� ������������������  하고,����������� ������������������  성공적인����������� ������������������  디자인����������� ������������������  결과물은����������� ������������������  여러����������� ������������������  전문성을����������� ������������������  필요로����������� ������������������  하기����������� ������������������  때문에����������� ������������������  분류체계가����������� ������������������  필요하다고����������� ������������������  언급하였

습니다.����������� ������������������  

따라서����������� ������������������  화면과����������� ������������������  같이,����������� ������������������  디자인����������� ������������������  영역에����������� ������������������  대한����������� ������������������  모델을����������� ������������������  이����������� ������������������  화면과����������� ������������������  같이����������� ������������������  6개의����������� ������������������  분야로����������� ������������������  구성된다고����������� ������������������  하고,����������� ������������������  가운데의����������� ������������������  수평선을����������� ������������������  기준으로����������� ������������������  위쪽은����������� ������������������  이론을����������� ������������������  베이스로����������� ������������������  한����������� ������������������  연구분야로����������� ������������������  아

래쪽을����������� ������������������  실제로����������� ������������������  활용하는����������� ������������������  실천분야로����������� ������������������  구분했습니다.����������� ������������������  

결국����������� ������������������  디자인은����������� ������������������  순수한����������� ������������������  연구조사����������� ������������������  활동에서����������� ������������������  끝나는����������� ������������������  것이����������� ������������������  아닌,����������� ������������������  실제로����������� ������������������  적용을����������� ������������������  해야하는����������� ������������������  실용����������� ������������������  분야이기����������� ������������������  때문에����������� ������������������  이러한����������� ������������������  모든����������� ������������������  정보들이����������� ������������������  디자인����������� ������������������  지식체계에����������� ������������������  구성될����������� ������������������  필요가����������� ������������������  있다

는����������� ������������������  것입니다.

(부연설명:����������� ������������������  이론영역이라고����������� ������������������  하는����������� ������������������  위쪽����������� ������������������  세개는����������� ������������������  자연과학,����������� ������������������  인문교양,����������� ������������������  사회����������� ������������������  및����������� ������������������  행동과학이����������� ������������������  있고,����������� ������������������  실천영역이라는����������� ������������������  아래쪽은����������� ������������������  인간의����������� ������������������  직업과����������� ������������������  서비스,����������� ������������������  창작����������� ������������������  및����������� ������������������  응용예술,����������� ������������������  기술과����������� ������������������  

엔지니어링����������� ������������������  이����������� ������������������  있습니다.����������� ������������������  디자인은����������� ������������������  결국����������� ������������������  어떤����������� ������������������  영역에도����������� ������������������  포함될����������� ������������������  수����������� ������������������  있을����������� ������������������  것이라고����������� ������������������  주장하면서,����������� ������������������  커뮤니케이션이다,����������� ������������������  제품이다����������� ������������������  시각이다����������� ������������������  하는����������� ������������������  영역간의����������� ������������������  구분이����������� ������������������  중요하지����������� ������������������  않

고,����������� ������������������  단지����������� ������������������  프로젝트의����������� ������������������  본질����������� ������������������  정도라고����������� ������������������  언급했습니다.)

Page 13: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디자인 연구의 특성

“다양한 이론”

LEVEL DESIGN THEORY

1 Direct perception of Realities

2 Description of Objects

3 Behavior of Elements

4 Mechanism of Choice

5 Design Methods

6 Design Process Structure

7 Theories about the Internal Processes ofDesigners and Collaboration

8 General Design Theories

9 Epistemology of Design Theory and the Theories of Objects

10 Ontology of Design

Meta-theoretical structure for classifying abstractions of design theory (Love 2000 재구성)

디자인 연구의 특성 4 - 다양한 이론이 있다.

또 다른 특성으로는, 디자인 분야에는 참 다양한 이론이 있다는 점입니다. 이에 대해 러브(Love)라는 연구자는 디자인연구의 특성을 메타 이론적인 관점에서 시작하여 메타 이론적 구조(Meta-theoretical Structure)를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여기에서는 디자인의 이론적 개념들이 너무 많기 때문에, 이것들을 구분하고 분류하기가 혼란스럽다는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그래서 이론들을 분석할 수 있는 기본 구조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을 했고, 그 해결안으로 디자인 지식들을 추상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10가지 레벨의 메타이론 구조를 제시했습니다. 또한 이것이 디자인 연구의 결과물들을 분류할 수 있는 분류표라고도 하며, 디자인지식이 혼동스럽고 일관성이 부족한 상황에서, 패러다임을 단순화하고 지식들을 식별하고 부분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부연 설명: 레벨 1-3은 사물에 가깝고, 4-7은 디자인 프로세스와 가까우며, 8-10은 철학적인 문제에 가깝다고 언급하였습니다. 결국 1에 가까운 낮은 레벨은 개체와 개체간의 직접적이고 물질적인 상호작용을 나타내고 숫자로 높아질 수록 가치와 존재, 의미에 대해 표현하는 것이라고 언급하였습니다.예를 들어, 공학과 그래픽 아트에 대한 이론은 분야가 상이하기 때문에 서로 다르게 볼 수 있지만, 디자인과학의 측면에서는 두 분야가 접목될 수 있습니다. 이 때, 이 두 분야가 레벨 9-10에 배치될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Page 14: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 디자인 자체가 다양한 영역과 연결되어 있고복합적인 특성이 있다.

지금까지 디자인의 특성을 살펴보았습니다. 디자인의 역사가 대략 150여년을 넘었는데, 디자인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들은 복잡하고 방대한데다가 타 분야에서도 디자

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기에 디자인을 다루는 영역이 더욱 넓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Page 15: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신디자인 비즈니스 영역

“무엇이 있을까?”

Service designUser experience design

User interface designSustainable designUniversal design

Design managementCo-Design

:

신디자인 비지니스 영역에 대해서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몇 가지를 말하자면, 이미 익숙한 용어인 유니버설, 지속가능, 그린, 경험디자인 그리고 서비스 디자인까지 이전에는 없었던 개념들이 속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들은 어떤 성격을 갖고 있을까요?

Page 16: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Service Design“ 통합적 관점으로 접근 ”

서비스 디자인의 경우, 통합적인 관점으로 접근합니다. 제품, 소비자, 서비스 공급자, 환경, 그리고 이들간의 인터랙션 등 다양한 관점, 방법, 솔루션들을 적용하기에 다양한 산출물이 나올 수 있습니다.

Page 17: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User experience design“ 결과물과 형태가 정해지지 않고 광범위함 ”

그리고 사용자 경험 디자인의 경우도 서비스 디자인과 맥락적으로 유사하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Page 18: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User Interface Design“ 기술, 트렌드, 이슈, 사용성 등 융복합 분야 접목 ”

사용자환경디자인의 경우는 기술, 트렌드, 이슈, 사용성 등의 다양한 분야가 밀접하게 관계되어 이들을 접목하기도 하구요.

Page 19: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http://www.greenprophet.com/2011/11/lamps-sawdust-plastic-bags/#more-58765

http://www.greenprophet.com/2010/02/designed-kindergarten-environment/

http://www.greenprophet.com/2011/03/oil-rich-gulf-invests-106-billion-in-six-states-of-rail-connections/ http://www.greenprophet.com/2010/11/fosterpartnersmasdar-city-opens-first-building/

http://www.greenprophet.com/2011/11/beiruts-rooftop-revolution-interview/

Sustainable design“ 다양한 개념과 가치 ”

지속가능한 디자인은 하나의 패러다임일 수도 있지만 프로세스일 수도, 결과물일 수도 있고,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Page 20: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ctg=11&Total_ID=6684362

기업에서도

이러한 신 비즈니스 디자인영역들을 기업경영에서도

Page 21: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은행, 금융권에서도

은행/금융권 시스템에서도

Page 22: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http://www.jrheinfrank.com/blog/?p=42

IT를 이용핚 Smart & Safe 의료 서비스: 정진엽 붂당서욳대학교병원 병원장, 한국병원에서도

의료 분야에서도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Page 23: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 성공적인 디자인은디자인 연구결과의 수준과 관계가 깊다

결국은 성공적인 디자인은 디자이너의 역량 뿐만이 아니라 리서치의 수준과도 관계가 깊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그렇다면 이제 이러한 연구결과, 혹은 지식체계들을 분류하는 발표주제인 디자인 정보분류체계에 대해 얘기하겠습니다.

Page 24: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디자인 정보 분류

“왜 분류를 할까”

찾기 위해 Accessing Tool

확인하기 위해 Validation

연관짓기 위해 Mapping

걸러내기 위해 Filtering

:

이 모든 것들의 결과를 강화하기 위해

정보들은����������� ������������������  왜����������� ������������������  분류를����������� ������������������  할까요?

제일����������� ������������������  중요한����������� ������������������  것들은����������� ������������������  찾기����������� ������������������  위해서����������� ������������������  입니다.����������� ������������������  그리고����������� ������������������  확인하기����������� ������������������  위해,����������� ������������������  연관짓기����������� ������������������  위해,����������� ������������������  필요한����������� ������������������  것과����������� ������������������  필요하지����������� ������������������  않은����������� ������������������  것들을����������� ������������������  걸러내기����������� ������������������  위해서����������� ������������������  분류를����������� ������������������  합니다.����������� ������������������  결국����������� ������������������  이것들을����������� ������������������  더����������� ������������������  잘����������� ������������������  

하기����������� ������������������  위해����������� ������������������  분류를����������� ������������������  하는����������� ������������������  것입니다.����������� ������������������  

저는����������� ������������������  UI����������� ������������������  디자인을����������� ������������������  하는����������� ������������������  사람입니다.����������� ������������������  그러나����������� ������������������  의료나����������� ������������������  로봇같은����������� ������������������  생소한����������� ������������������  분야에����������� ������������������  대해����������� ������������������  알고자����������� ������������������  할����������� ������������������  때,����������� ������������������  ����������� ������������������  잘����������� ������������������  분류된����������� ������������������  정보들을����������� ������������������  접한다면����������� ������������������  원하는����������� ������������������  정보를����������� ������������������  빠르고����������� ������������������  정확하게����������� ������������������  파악할����������� ������������������  수����������� ������������������  

있게����������� ������������������  됩니다.����������� ������������������  또한����������� ������������������  사회적,����������� ������������������  국가적����������� ������������������  입장에서����������� ������������������  본다면����������� ������������������  잘����������� ������������������  걸러진����������� ������������������  분류는����������� ������������������  현����������� ������������������  상황이나����������� ������������������  패러다임을����������� ������������������  파악하게����������� ������������������  되어����������� ������������������  결국����������� ������������������  대학이나����������� ������������������  기업,����������� ������������������  혹은����������� ������������������  정부의����������� ������������������  자금지원에도����������� ������������������  관계지을����������� ������������������  수����������� ������������������  

있게����������� ������������������  됩니다.����������� ������������������  

그렇다면����������� ������������������  쉽게����������� ������������������  접할����������� ������������������  수����������� ������������������  있는����������� ������������������  디자인����������� ������������������  정보분류들을����������� ������������������  몇����������� ������������������  가지����������� ������������������  보겠습니다.

Page 25: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디자인 도서 정보 분류

“어떻게 분류하고 있나?”

컴퓨터/IT > 웹사이트 > UX/UI

이해하기 쉽도록 도서 정보의 분류를 살펴보겠습니다.대부분의 도서들은 전통적인 서가 분류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물리적인 서책을 어느 한 곳에 배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UX/UI 는 컴퓨터 IT > 웹사이트 에 속해 있습니다. 아마도 우리가 UX/UI 책을 직접 구입하려고 서점에 간다면 디자인 코너가 아니라 컴퓨터/IT 코너에 가서 찾아야 하는 것입니다.

Page 26: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색채 > 디자인

경제/경영 > 경영전략 > 서비스경영

그렇다면 디자인 자체는 어디에 분류되어 있을까요?예술/대중문화> 디자인/색채 에 속해있습니다. 요즘 제가 관심있어하고 요즘 화두가 되고 있는 서비스디자인 관련한 서적 하나를 찾아보니 경제/경영 > 경영전략 에 있었습니다.

Page 27: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 타 분야 하위로 접목되는 현상

✓ 디자인은 예술/대중문화의 중분류로..

방금은 서가배열만 언급했습니다만, 이들이 다른 영역과 관련이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디자인 종사자인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것은 두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첫번째로는, 앞에서 계속 언급한 여러 분야와 관계가 깊기 때문에, 디자인을 중심으로 통합된다기 보다는 오히려 디자인 분야에서는 찾을 수 없고, 다른 분야의 하위항

목으로 접목되는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는, 디자인 자체 역시 전통적인 학문영역이 아니기 때문에 독립적인 개념으로 자리매김한 것이 아닌 여전히 예술/대중문화라는 영역의 하위분류로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Page 28: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디자인 연구정보 분류 - 어떻게 하고 있나?

“분류의 양적인 증가”

디자인의 계층 구조(이수연, 이건표 1999, 38)디자인 분류체계 제안(이종호 외 1999, 285)

디자인

디자인 영역

시각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영역

산업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영역 공예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영역

환경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영역

컴퓨터응용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이론

디자인 순수 이론디자인

디자인 이론

디자인 속성별 이론

디자인

디자인 이론

디자인응용이론

디자인방법론

디자인

디자인 이론

디자인응용이론디자인 매니지먼트

디자인

디자인 이론

디자인응용이론사용자중심 디자인

디자인

디자인 이론

디자인응용이론

감성공학

대분류 중분류

시각디자인 100 그래픽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 패키지디자인, CI 및 심벌

산업디자인 200 개인용품, 가정용품, 공공용품, 운송용품

환경디자인 300 건축디자인, 실내디자인, 디스플레이, 조경 및 환경

공예디자인 400 금속공예, 도자공예, 목공예, 염색공예

패션디자인 500 의상디자인, 패션잡화, 액세서리, 텍스타일

영상디자인 600 영상디자인, 애니메이션, 게임, 이벤트디자인

컴퓨터응용디자인 700 웹 디자인, CD-ROM Title, GUI & VR, New Media

디자인이론 800

디자인 이론(디자인사, 칼라, 방법론 등)디자인과 인문과학(미학, 철학, 비평 등)디자인과 사회과학(마케팅, 심리, 장애자 등)디자인과 자연과학(재료, 인간공학, 그린디자인 등)

디자인 정보분류에 대해서는 여러 학자들도 고민하고 분류해왔습니다. 다음은 이에 대한 선행연구들입니다.왼쪽 표는 디자인 연구 경향을 분석하고 지식체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디자인연구 논문의 개념들을 파악하여 설정한 디자인 계층구조도입니다. 89년부터 98년도 까지 디자인학회에서 간행하는 논문집의 266편의 논문들의 주제어를 추출해서 유사속성으로 그룹화하는 KJ법으로 구분한 것입니다.이 표에 의하면, 디자인은 크게 디자인영역과 디자인이론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디자인영역은 최종 결과물을 중심으로 디자인을 분류하는 방법이며, 실무 중심의 디자이너가 주로 접근하는 분류 구조로 시각디자인, 산업디자인, 환경디자인, 공예디자인, 컴퓨터응용디자인으로 구성됩니다. 디자인이론은 디자인개발 중심이 아닌 이론적 지식의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논문을 말하며, 응용을 목적으로 하지 않은 순수이론과 디자인대상의 각종 속성에 대한 속성이론과 디자인 행위의 방법적 이론을 제시하는 응용이론으로 구성됩니다. 응용이론은 다시 디자인방법론, 디자인매니지먼트, 사용자중심 디자인, 감성공학으로 분류했습니다.

같은 해에는 또다른 연구자는 디자인교육에 활용되는 컨텐츠 범위를 정하기 위해 국내외의 분류현황을 조사해서 분류체계를 정립했습니다. 크게 8개의 범주로 오른쪽 표와 같이 구성했습니다.

Page 29: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디자인 디렉토리 분류체계 모형제안(임경란 2002) 디자인계층구조도(김종덕 2004, 159-168)

류 강 목

옐로우페이지

전문기업 산업, 시각, 포장, 패션, 환경, 공예, 디자인일반, 기타

옐로우페이지

연구소 산업, 시각, 포장, 패션, 환경, 공예, 디자인일반, 기타

옐로우페이지교육기관 국내대학교, 국내대학, 국내학원, 국외대학교, 국외대학, 국외학원, 기타

옐로우페이지관련단체 산업, 시각, 포장, 패션, 환경, 공예, 컴퓨터그래픽, 광고, 영상, 웹디자인, 디자인일반, 기타

옐로우페이지

디자이너 산업, 시각, 포장, 패션, 환경, 공예, 컴퓨터그래픽, 광고, 영상, 웹디자인, 디자인일반, 기타

옐로우페이지

도서, 출판 분야별 웹진

컴퓨터 S/W, H/W소프트웨어 웹, cad, 2D, 3D

컴퓨터 S/W, H/W하드웨어 출력기, 입력기, 저장장치, 그래픽카드, 기타

공예

금속공예 세공, 대공, 설치 조형

공예

목공예 일반

공예도자공예 일반

공예 유리공예 기법, 표면장식, Tip공예섬유공예 염색, 직조, 타피스트리, 자수, 펠트, 퀼트, 바스켓트리, 텍스타일

공예

한지공예 색지, 문양

공예

전통공예 매듭, 조각보

산업디자인

생활가전 오디오, 비디오등 분야별

산업디자인

주방가구 용도별

산업디자인

운송 승용, 산업용, 특수용등 분야별

산업디자인

조명 펜던트, 실링라이트등 분야별

산업디자인정보/통신 전화기, 컴퓨터등 분야별

산업디자인 완구 작동완구, 조립완구 등 분야별산업디자인문구 필기류, 지류 등 분야별

산업디자인

스포츠/레저 낚시, 등산, 싸이클등 분야별

산업디자인

산업 및 의료기기 업종 분야별

산업디자인

가구 재료 및 용도별

산업디자인

신발 여성화, 남성화, 스포츠화, 특수화

환경디자인

인테리어 주거공간, 상업공간, 업무공간, 전시공간, 특수공간, 가구, 조명, 환경색채, 리모델링

환경디자인조경 실내조경, 실외조경, 식물, 원예치료

환경디자인디스플레이 shop, 전시회, 박람회, 이벤트

환경디자인

기타

멀티미디어, 영상

웹디자인 Flash, web editor,m interface design

멀티미디어, 영상애니메이션 computer animation, Flash animation, clay animation, illust animation

멀티미디어, 영상영화 8mm, 16mm, 연출, 특수효과, 장르별

멀티미디어, 영상

게임 simulation, action, adventures 등 분야별

패션

남성복패션 패션트렌드, 색채, 소재, 패턴메이킹

패션

여성복패션 패션트렌드, 색채, 소재, 패턴메이킹

패션

악세사리 보석, 헤어, 장신구등 분야별

패션유아패션 패션트렌드, 색채, 소재, 패턴메이킹

패션스포츠웨어 패션트렌드, 색채, 소재, 패턴메이킹

패션

패션일러스트 스타일리스트, 컬러리스트, 프린트디자인

패션

텍스타일 일반

패션

이너웨어 패션트렌드, 색채, 소재, 패턴메이킹

시각디자인

타이포그래픽 일반

시각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 일반

시각디자인패키지디자인 지류, 플라스틱, 유리등 재료별

시각디자인 편집디자인 일반시각디자인캐릭터 국내, 국외 캐릭터별

시각디자인

CI/BI 일반

시각디자인

포토 상업사진, documentary 사진, 예술사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A 디자인 기초 연구

디자인문학

디자인 철학

A 디자인 기초 연구

디자인문학디자인 미학

A 디자인 기초 연구

디자인문학 디자인 심리(디자인인지/인간행동분석/인간감성)

A 디자인 기초 연구

디자인문학디자인사회학

A 디자인 기초 연구

디자인문학

디자인 문화A 디자인 기초 연구

디자인이론

디자인기호/의미론(의미전달체계/메타포/구문)A 디자인 기초 연구

디자인이론디자인 논리

A 디자인 기초 연구

디자인이론 디자인 교육(디자인능력개발/재교육/사이버교육)

A 디자인 기초 연구

디자인이론디자인 범규, 제도

A 디자인 기초 연구

디자인이론

디자인 역사(디자인사조/미래디자인)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조형디자인/조형원리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조형디자인재료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공학

기능/기기/구조(스마트디자인/제품신뢰성/안전)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공학인간공학(사용성/휴먼인터랙션/참여적 디자인)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공학생산재료/공정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공학

디자인 실험분석(측정/실험, 시뮬레이션)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경영

디자인 경영관리(디자인전략/트렌드)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경영

디자인 마케팅(마케팅 전략)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경영디자인 정책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경영디자인기획/관리(디자인프로세스)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경영

디자인기준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경영

디자인품질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지털디자인

컴퓨터그래픽/비주얼라이제이션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지털디자인컨텐츠디자인(게임, 애니메이션/웹/CD타이틀/캐릭터)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지털디자인인터랙션디자인(정보디자인/인터페이스)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지털디자인

디자인 DB(웹기반 디자인)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방법론디자인분석(조사/분석, 기술지원)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방법론 디자인종합(협동적 디자인)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방법론디자인평가(참여적 디자인)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이슈유니버설디자인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이슈 지속가능디자인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이슈생태적 디자인

C 디자인 응용 연구

산업디자인

가정용제품디자인

C 디자인 응용 연구

산업디자인산업용제품디자인(시스템디자인)

C 디자인 응용 연구

산업디자인환경/공공기기디자인

C 디자인 응용 연구

산업디자인

운송기기디자인

C 디자인 응용 연구

시각정보디자인

시각정보처리(브랜드/아이덴티티)

C 디자인 응용 연구

시각정보디자인출판/편집디자인(타이포그래피)

C 디자인 응용 연구

시각정보디자인 광고디자인

C 디자인 응용 연구

시각정보디자인포장디자인

C 디자인 응용 연구

시각정보디자인

영상디자인C 디자인 응용 연구

환경 디자인디스플레이/전시디자인

C 디자인 응용 연구

환경 디자인 실내/외 디자인

C 디자인 응용 연구

환경 디자인공공/도시환경 디자인(환경조경)

C 디자인 응용 연구

공예목공예

C 디자인 응용 연구

공예 금속공예

C 디자인 응용 연구

공예도자공예

C 디자인 응용 연구

패션/섬유 디자인패션디자인

C 디자인 응용 연구

패션/섬유 디자인텍스타일디자인/섬유디자인

또다른 연구자는 디자인 정보자원의 검색을 위해, 디자인 전문포털 사이트의 디렉토리 분류를 제안했습니다. 문헌분류의 이론과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디자인 전문포털 사이트의 디렉토리 분류체계를 조사해서 분류체계를 대,중,소에 따라 왼쪽의 표와 같이 제시했습니다.

오른쪽 표와 같은 접근도 있습니다. 이 계층구조도는, 앞장에서 언급한 KJ법으로 디자인영역과 디자인이론으로 나누었던 디자인계층구조와 비교했을 때 디자인 기초연

구, 디자인기반연구, 디자인응용연구의 세가지 대분류와 13개의 중분류, 50개의 소분류로 분류되어 양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를 해석한다면 디자인학 연구영

역에 많은 발전과 다양성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Page 30: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디자인 연구정보 분류

“의미도 있고 한계도 있다”

✓ 변화하고 확장되는 디자인 성격을 정의하는 데 기여

✓ 그러나, 새로운 개념이 생길 때마다 개정해야 하는 번거로움

✓ 여러 개념을 포함하는 정보를 구분할 때 혼란을 야기

그러나 선행연구의 대부분이 분류체계 자체보다 분류군 항목선정에 비중을 두고 있습니다. 다시말해, 디자인연구의 대표항목을 선정하는 데 주안점을 두어 해당 항목을 기준으로 어떤 개념어들이 속할지를 나누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이는 변화하고 확장하는 디자인 성격을 정의하는 데 기여했지만, 디자인 분야에 새로운 개념이 생길 때마다 개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여러 개념을 포함하는 정보를 분류할 때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Page 31: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디자인 연구정보 분류 - 어떻게 하고 있나?

“분류체계의 불완전함”

ex. 공공디자인

C 디자인 응용 연구

산업디자인

가정용제품디자인

C 디자인 응용 연구

산업디자인산업용제품디자인(시스템디자인)

C 디자인 응용 연구

산업디자인환경/공공기기디자인

C 디자인 응용 연구

산업디자인

운송기기디자인

C 디자인 응용 연구

시각정보디자인

시각정보처리(브랜드/아이덴티티)

C 디자인 응용 연구

시각정보디자인출판/편집디자인(타이포그래피)

C 디자인 응용 연구

시각정보디자인 광고디자인

C 디자인 응용 연구

시각정보디자인포장디자인

C 디자인 응용 연구

시각정보디자인

영상디자인C 디자인 응용 연구

환경 디자인디스플레이/전시디자인

C 디자인 응용 연구

환경 디자인 실내/외 디자인

C 디자인 응용 연구

환경 디자인공공/도시환경 디자인(환경조경)

C 디자인 응용 연구

공예목공예

C 디자인 응용 연구

공예 금속공예

C 디자인 응용 연구

공예도자공예

C 디자인 응용 연구

패션/섬유 디자인패션디자인

C 디자인 응용 연구

패션/섬유 디자인텍스타일디자인/섬유디자인

매체별로 나누어 산업디자인과 환경디자인에 각각 분류

첫째로, 앞서 언급한 디자인계층구조도에서 보여드린 기초연구, 기반연구, 응용연구와 같은 세가지 대분류가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론에 따라 분류를 택했고, 그에 따라 디자인 논문의 경향을 분석하려고 했기 때문에 현재의 연구경항 분석과 차이가 보이며, 향후에 디자인학 연구경향을 분석할 때 분석기준의 논란의 소지가 많습니다.

두번째로는 분류기준이 상호배타적이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 상황입니다. 예를 들어 공공디자인을 매체별로 나누어 산업디자인과 환경디자인에 각각 넣은 것은 분류

체계가 불완전함을 보여주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공공디자인을 수단이 아닌 가치로 본다면 유니버설, 생태디자인과 개념이 통할 수도 있기에 분류가 모호한 것입니

다.

Page 32: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조형디자인/조형원리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조형디자인재료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공학

기능/기기/구조(스마트디자인/제품신뢰성/안전)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공학인간공학(사용성/휴먼인터랙션/참여적 디자인)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공학생산재료/공정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공학

디자인 실험분석(측정/실험, 시뮬레이션)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경영

디자인 경영관리(디자인전략/트렌드)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경영

디자인 마케팅(마케팅 전략)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경영디자인 정책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경영 디자인기획/관리(디자인프로세스)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경영

디자인기준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경영

디자인품질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지털디자인

컴퓨터그래픽/비주얼라이제이션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지털디자인컨텐츠디자인(게임, 애니메이션/웹/CD타이틀/캐릭터)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지털디자인인터랙션디자인(정보디자인/인터페이스)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지털디자인

디자인 DB(웹기반 디자인)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방법론디자인분석(조사/분석, 기술지원)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방법론 디자인종합(협동적 디자인)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방법론디자인평가(참여적 디자인)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이슈유니버설디자인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이슈 지속가능디자인

B 디자인 기반 연구

디자인이슈생태적 디자인

디자인 연구정보 분류 - 어떻게 하고 있나?

“분류체계의 불완전함”

ex. 디자인이슈

‘이슈’는 지속적이기 보다한시적 느낌이 강하다

또한 유니버설디자인, 지속가능디자인, 생태적 디자인을 디자인 이슈라고 하는 것은 적절치 않을 수 있습니다. 이슈라는 단어가 지속적이기보다는 한시적인 느낌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Page 33: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디자인 정보의 새로운 분류체계의 모색

“기존 분류의 한계에 대처해야 한다”

✓ 기존의 열거식으로는 융/복합적인 디자인 정보를 분류하는 데 한계가 존재한다.

✓ 현재의 분류는 하나의 분류 항목에 배정할 수 밖에 없다.

✓ 다양한 개념을 구분하는 연계구조를 표현하지 못한다.

✓ 디자인연구가 새로운 분야로 확장되어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디자인 정보 분류체계는 어떤 가치를 지향해야 하는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현재의 분류표는 디자인 연구를 하나의 특정 분류항목에 배정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다양한 개념을 융합적으로 구분하는 연계구조를 나타내고 있지 못하는 한계를 보이고 있습니다. 정보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는 분류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디자인 정보의 유연성 있는 분류채계의 구축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

서 이런 상황을 대처하고자 분류체계를 제안해 보았습니다.

Page 34: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디자인 정보의 새로운 분류체계의 모색

“패싯분류, 다차원구조 분류”

✓ 패싯(facet) 분류

✓ 유의미한 분류기호로 수평적으로 잘라 재결합하여 분류하는 기호체계

✓ 전통적인 분류체계가 모든 주제를 정확히 기술하지 못하는 문제에 대응

✓ 다차원구조(multi-dimensional structure) 분류

✓ 각각의 구분원리를 독립적으로 적용

다차원구조형 분류표(윤희윤 1998)

문헌정보학에서는 분류에 대한 고민과 정보체계 구축을 위해 많은 연구가 있었습니다.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제안을 위해 그 중에서도 문헌정보학 이론의 패싯분류와 다차원구조의 분류방식을 활용하였습니다.

이전에 언급한 대부분의 디자인 분류체계는 전통적인 서가 분류체계인 십진분류법과 유사합니다. 이러한 십진분류법은 모든 주제를 정확하게 기술하는 데 충분한 기술

적 바탕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즉 용어의 충분한 조합을 제공하지 않고, 이에 따라 자료를 찾기 어렵다는 이유가 있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패싯분류

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디자인 연구정보 분류체계를 모색하기 위해 다차원구조 분류를 활용했습니다. 다차원구조 분류는 각각의 구분원리가 독립적으로 적용되는 구조인데요, 각 기준

들을 x축과 y축으로 나누어 이들을 분류하는 것입니다.

Page 35: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 분류체계 계층구조 단계를 최소화

✓ 새롭게 나타나는 개념의 부각이 어려운 한계에 대응

✓ 정보의 연계성을 위해 다차원으로 구조화

✓ 디자인 연구에서 각각의 주요 개념을 독립적으로 전개

✓ 두개 이상의 개념을 포함

✓ 새 개념을 추가하기 용이

디자인 정보 분류체계의 제안

통합적 디자인 연구를 위한 정보분류체계 원칙을 세가지로 설정하고 그 개념모델을 함께 소개하겠습니다.첫째, 분류체계의 계층구조 단계를 최소화합니다. 기존의 계층구조 단계의 한 분야가 다른 분야의 하위로 배치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새롭게 나타나는 개념의 중요성을 부각시키지 못하는 한계에 대응하고자 합니다.둘째, 정보의 연계성을 위해 통합적 디자인연구 정보분류체계는 다차원구조화 합니다. 복합적 영역이나 다양한 개념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류하기 위해 이와 같은 분류

방식의 도입이 필요합니다. 결국 디자인분류를 순차적이고 단계적으로 전개하는 기존 계층구조형 분류방식이 다양한 개념을 표시하기 힘든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디자

인 연구에서 각각 주요 개념을 독립적으로 전개하여 표시할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Page 36: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다차원구조 분류방식의 분류군 배치제안 예시

화면에 보이는 도표는 디자인연구 분류체계의 연계성을 고려한 다차원구조의 개념모델을 제안한 것입니다. 분류체계에 대한 제안이기 때문에 디자인 분야 주제어 리스

트는 한국디자인진흥원의 디자인 기술개발분류용어를 참고하였습니다.

이는 다양한 개념을 표시할 수 있고 계층구조형 분류방식보다 새로운 개념을 추가하는 데 보다 편리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시각정보디자인의 이론과 관련된 정보는 시각정보디자인과 디자인이론을 포함하는데, 기존 대중소의 분류방식으로는 다양한 개념을 모두 표현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방식을 활용하면 두 개 이상의 개념을 포함하여 분류하기에도, 새롭게 등장하는 개념을 추가하기에도 용이합니다. 분류하고자 하는 개념이 없을 경우에는 추가하면 되고, 분류체계 구조 자체

는 뒤바뀌는 일이 없습니다. 또한 여러 개념을 표시하지 않아도 되는 정보는 하단 또는 우측에 새로운 공간을 부여하여 배치하면 됩니다. 예를들어, 디자인역사의 기초

정보는 우측에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배치하는 것입니다.

Page 37: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 표기방식에 패싯 분석합성식을 도입

✓ 하나의 주제를 하위개념으로 구분하여 얻은 전체 하위 구분지

✓ 예) 디자인이론 패싯 - 철학,미학,논리,사회학,문화 등

* 패싯의 적용

✓ 대표 표본들을 추출하여 이를 포커스가 될 수 있는 개념들로 분석하고 분류기호를 적용

✓ 문자와 기호를 부여하여 코드화 하고 합성

✓ 디자인 기반/이론 항목 : 알파벳 대문자 (ex. 디자인문화 Design Culture 는 ‘DC’)

✓ 디자인 활용/실제 항목 : 알파벳 소문자 (ex. 타이포그래피 Typography는 ‘ty’)

✓ 패싯지기호를 부여 (ex. =,+,%,&...)

✓ 개념을 연상할 수 있도록 조기성을 부여

디자인 정보 분류체계의 제안

분류체계의 원칙 셋째로, 표기방식에 패싯 분석합성식을 도입합니다. 대부분의 디자인 분류표는 영역을 설정하여 이를 하위 류로 계속 구분하여 분류하는 열거식 분류

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주제의 전개범위가 인위적이어서 모든 주제나 지식을 다양하게 제시할 수 없고, 여러 개념을 특정한 주제로만 분류하기 때문에 다양한 개념을 연결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계속적으로 제기되 고 있습니다. 따라서 패싯 분석합성식 표시방식을 도입하여 디자인연구의 다양한 주제를 표기방식으로도 제안하였습니다. 이는 앞에서의 다차원구조 분류방식을 실제 표기하는 데 유용할 것입니다.

패싯은 관점이나 특성에 기초하여 하나의 주제를 하위개념으로 구분하여 얻은 전체 하위 구분지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론 패싯에는 디자인에 관련된 철학, 미학, 논리, 사회학, 문화 등이 있을수 있고, 제품디자인 패싯에는 제품디자인, 시스템디자인, 산업기기디자인 등이 있을 수있습니다. 이를 문자와 기호를 부여하여 코드화하고, 분류할 때는 주요 개념에 따라 합성하는 것입니다. 패싯기호를 부여하는 여러 방법이나 원리가 있으나, 되도록 분류기호에서 개념을 연상할 수 있도록 영문

의 약자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Page 38: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디자인인문패싯]디자인철학 =DP디자인미학 =DA 디자인심리 =DS 디자인논리 =DL 디자인사회학 =SD 디자인문화 =DC 디자인역사 =DH

[디자인이론 패싯]디자인원리 &DP 디자인의미 &MD디자인기호 &DS 디자인방법 &DM 디자인정보 &DI 디자인법규 &DL 디자인교육 &DE

[디자인조형 패싯]디자인형태 :DF 디자인색채 :DC 디자인재료 :DM[디자인공학 패싯]디자인품질 -DQ 디자인기법 -DT

색채/형태/재료 -CSM 기능/구조 -FS 인간공학 -ER 감성공학/인지공학 -HC

[디자인 경영 패싯] 디자인정책 .DP 디자인기획 .DL 디자인관리 .DM 디자인전략 .DS 디자인마케팅 .DM

[디자인 신영역 패싯] 바이오디자인 *BD 유니버설디자인 *UN 지속가능디자인 *SD 친환경/그린디자인 *EG

[디자인 경영 패싯] 디자인정책 .DP 디자인기획 .DL 디자인관리 .DM 디자인전략 .DS 디자인마케팅 .DM

[디자인 신영역 패싯] 바이오디자인 *BD 유니버설디자인 *UN 지속가능디자인 *SD 친환경/그린디자인 *EG

[제품디자인 패싯] 가정용제품디자인 ;hp 산업용제품디자인 ;ip 공공설비디자인 ;pe 운송기기디자인 ;td 시스템디자인 ;sd

[시각정보디자인 패싯] 일러스트레이션 ,il 타이포그라피 .ty 광고디자인 ,ad 편집/출판디자인 ,be 아이덴티티디자인 ,it 패키지디자인 ,pk

[디지털디자인 패싯] 컴퓨터그래픽디자인 #cg 웹디자인 #wd 디지털컨텐츠 #dc

디지털미디어디자인 #dm

[인터랙션디자인 패싯] 유저인터페이스 !ui 텐저블인터랙션 !ti 소셜인터페이스 !si 정보아키텍처 !ia

[환경디자인 패싯] 디스플레이/전시디자인 +de 건축디자인 +ar 공간디자인 +sp 실내디자인 +ir 도시환경디자인 +ue 조경디자인 +id

디자인 패싯 적용 예시(범주어와 어휘는2002년 한국디자인진흥원에서 수행한 [디자인기술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참고)

패싯분석을 위해서는 우선 대표적인 표본들을 추출하여 이를 포커스(Focus)가 될 수 있는 개념들로 분석하고 분류기호를 적용합니다. 따라서 제안하는 분석합성식 분류기호의 예는 이들을 혼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분류개념어들을 패싯화한 후 분류기호를 적용하면 화면과 같습니다. 각각의 패싯은 디자인 기반/이론에 관련된 항목 알파벳 대문자, 디자인 활용/실제에 가까운 항목

인 소문자와, 각 패싯에 대한 별도의 패싯지시기호를 부여하였다. 각 패싯은 영문의 글자를 따서 부여하였는데, 예로 디자인문화는 design culture의 ‘DC’로, 타 이포

그래피는 Typography의 ‘ty'로 하여 조기성을 부여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기호가 부여되면 분류표로 사용 할수있는데, 여기에 알파벳순 또는 가나다순 색인을 추가하

면 완전한 분류표로 완성될 수 있을 것입니다.

Page 39: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디자인 연구정보 합성 예

학위논문 제목 분류기호 합성

1 21세기 의자디자인의 구조와 소재 변화에 대한 분석 ;hp-FS:DM=DH

2 키즈 마케팅의 관점에서 본 캐릭터 디자인 개발 요소 분석 .DM,il

3사용자 감성에 따른 색채 아이덴티티 표현을 위한 연구

: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웹사이트를 중심으로=DS:DC.it3wd

4 노령층을 위한 모바일 폰 건강 콘텐츠 디자인 연구 *UN;sd#dc

5 패션 트렌드 분석을 통한 냉장고 디자인 예측모델 개발 $fd;hp&DM

6 현대 패션에 나타난 메탈릭 컬러의 색채 특성과 이미지 $fd:DC&DS

의자디자인, 구조, 소재, 역사 라는 주요 개념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hp, -FS,:DM, =DH 라는분류기호를 합성하여 표시

앞서 제안하는 모형은 분류의 다차원구조와 분석합성식 분류방식을 포함합니다. 이 분류체계의 모형을 활용하여 실제 연구사례를 분류해 보고자 합니다. 디자인연구를 위한 정보분류체계는 디자인 정보를 제공하는 주체나 디자인 연구자가 효과적으로 정보를 분류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분류기호를 합성해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즉, 중요 개념순으로 열거순서를 정하여 해당 기호를 이미 제시된 분류표에서 찾아 합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21세기 의자디자인의 구조와 소재 변 화에 대한 분석이라는 연구정보’는 의자디자인, 구조, 소재, 역사라는 주요 개념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hp, -FS, :DM, =DH 라는 분류기호를 합성하여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다양한 개념을 다차원적으로 분석합성식의 분류체계를 사용하면 다양한 개념의 연계성을 표현할 수 있으며, 새로운 개념이 부각될 때 새로운 패싯을 추가하기 용이합니다. 이러한 분류기호는 패싯 마다 별도의 지시기호를 부여했기 때문에 기호는 간략한 반면, 무분별하게 기호를 부여하다보면 다소 복잡해질 수도 있는 취약점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류기호를 선택할 때는 해당 정보의 주요 개념을 충분히 고려해야만 합니다.

Page 40: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Concluding

디자인 정보분류체계의 중요성

✓ 디자인 지식체계의 맥락을 정립

✓ 융/복합적인 디자인 가치를 정의할 근거

✓ 새로운 디자인 정보를 분류하거나 검색할 때 유용

디자인 정보분류체계의 다차원화

✓ 디자인의 다양한 개념과 연계성을 표현할 수 있음

✓ 새로운 개념을 추가하기 용이

✓ 한계: 기호는 간략한 반면 복잡해짐. 따라서 분류기호 선정은 해당 정보의 주요 개념을 충분히 고려해야 함

✓ 디자인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지원체계를 마련할 수 있음

Page 41: 통합적 디자인연구를 위한 디자인 정보분류체계

감사합니다